20
프프프프 프프프

06 프로젝트 구체화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06 프로젝트 구체화

프로젝트 구체화

Page 2: 06 프로젝트 구체화

현상

차이 (Gap) = 문제

문제란 , 바람직한 상태에 도달하려는 목표 와 현상 간의 차이 (Gap)

이며 , 해결을 요하는 사항이다

목표

현재의 모습 (As-Is)

이상적인 미래의 모습 (To-Be)

문제의 이해

Page 3: 06 프로젝트 구체화

과거 현재 미래

원인지향적 문제 목표지향적 문제

문제인식 시점

문제의 유형

Page 4: 06 프로젝트 구체화

발생형 문제 탐색형 문제

보이는 문제 ( 처방하는 문제 ) 찾는 문제 ( 예방하는 문제 )

현상이 기대 또는 목표로부터 벗어난 상태

현재의 상태를 바람직한 상태로 되돌려야 하는 문제

이미 문제가 일어나 눈앞에 보이는 문제

문제의 징후를 찾는 문제

현시점에서 바람직한 상태를 구체적으로 그려봄으로써 현재의 상태보다 더 잘해보고자 하는 문제

목표를 현재보다 높게 끌어 올림으로써 의식적으로 만들어 내는 문제

원인을 명확히 한다 목표를 명확히 한다

문제의 유형

Page 5: 06 프로젝트 구체화

목적과 목표 ( 目標 ) 는 둘 다 이루고자 하는 바를 가리키나 ,

‘ 목적 (object)’ 이 어떤 일을 하게 하는 원동력으로서의 동기나 이유에 초점을 두는 반

면 ,

‘ 목표 (goal)’ 는 이루고자 하는 일이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에 초점

따라서 ‘목적’은 추상적이고 다소 막연한 것일 수 있으나 , ‘ 목표’는 달성을 위해서

반드시 상당한 노력이 따라야 하는 것으로서 , 대체로 현실적이고 실현이나

성패 여부가 분명히 판가름되는 것임 .

따라서 Project 의 목적과 목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음 .

*Project 의 목적 (object) – 해당 Project 를 수행하는 동기나 이유

*Project 의 목표 (goal) – 해당 Project 를 성공적으로 해결하였을 때 얻고자 하는

결과물 혹은 결과물의 수준

Project 목적과 목표

Project 구체화 작업

Page 6: 06 프로젝트 구체화

Project 관련 비전 작성

Project 구체화 작업

비전이란 ‘조직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표현한 것으로서

미래에 어떠한 기업이 되고 싶은가를 나타낸 조직구성원의 소망

Project 관련 비전의 정의는

개인 혹은 학습 팀이 수행하고자 하는 Project 가

성공적으로 이행한 후의 조직 혹은 개인이 이룩한 바람직한 모습을 의미

따라서 ‘ Project 관련 비전 작성’은

Project 의 성공적 수행 후의 이상적인 모습을 미리 그려 보는 것으로서 ,

이렇게 함으로써 Project 의 수행 목적을 명확히 할 수 있고

Project 에 대한 몰 입도를 극대화할 수 있음 .

Page 7: 06 프로젝트 구체화

가치의 사전적 의미

사물이 지니고 있는 쓸모

대상이 인간과의 관계에 의하여 지니게 되는 중요성

기업 경영에서의 가치 전설적인 투자가 워런 버핏

(Warren Edward Buffet)

“ 가격은 우리가 내는 돈 , 가치란 우리가 얻는 것

(Price is what you pay, value is what you get).”

Project 와 관련하여 고객이 원하는 가치는 무엇인지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함

더 나아가 우리의 Project 가 고객들이 모르는 가치를 제공하는 것인지 치열하게

검토하고 고민하여 작성하는 것이 필요함 .

Project 구체화 작업

Project 관련 가치의 구체적 정의

Page 8: 06 프로젝트 구체화

전략의 3C

(Customer, Competitor, Company) 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경쟁사보다 우월한 가치를 제공

3C 전략 ( 전략 삼각형 )

고객가치와 경쟁우위

가치 (Values) 인간의 욕구나 관심을 충족시키는 것 .

고객가치는 고객의 입장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얻어지는 총 편익에서 구매비용을 뺀 차이 .

고객가치 = 총 편익 ( 품질 , 서비스 , 성능 ,

이미지 등 ) – 구매비용 ( 금전적 대가 , 시간 투입 , 기회비용 등 )

Page 9: 06 프로젝트 구체화

3C 분석 ( 전략 삼각형 – 미시환경 분석 )

1. 우리 Project 의 주요 고객은 ?

2. 그 고객이 바라는 기대가치는 ?

1. 우리의 구체적 역량은 ?

2. 우리의 강점과 약점은 ?

1. 경쟁사는 누구 ?

2. 그들의 역량 , 강점과 약점은 ?

Page 10: 06 프로젝트 구체화

3C 분석 ( 고객 분석 )

고객 분석 세부내용

주요 고객은 ?

• • •

주요 특성은 ?

• • • •

구체적 기대가치는 ?

• • • •

Page 11: 06 프로젝트 구체화

3C 분석 ( 경쟁사 분석 )

경쟁사 분석 세부내용

경쟁사는 구체적으로누구인가 ?

• • • •

경쟁사가가지고 있는

역량과 강점은 ?

• • • •

Page 12: 06 프로젝트 구체화

3C 분석 ( 우리 회사 분석 )

우리 분석 세부내용

고객의 기대가치에대응할 수 있는우리의 역량과

차별적 경쟁력은 ?

• • • •

Page 13: 06 프로젝트 구체화

프로젝트 관련 절대자산 분석가이드

• 필요자산을 전부 List Up• 구체적 정의를 한다• 필요자산 , 기술 , 시설 , 인력 , 브랜등을 matrix 기법으로 표시• 가지고 있는 필요자산 , 보완이 필요한 자산을 구체화한다

| 필요성 |보유정도 충분 부족

높다 2 1

낮다 3 4

Page 14: 06 프로젝트 구체화

과제의 4Ps Model

목적(Purpose)

결과물(Product)

예상 이슈들(Probable

Issues)

과정(Process)

과제 4Ps

“ 우리 팀이 이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 우리 팀이 이 과제를 해결해서

얻고자 하는 결과물은 무엇인

가 ?”

“ 과제 해결 시 예상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

“ 과제 해결을 위해

어떤 절차가 필요한가 ?”

Page 15: 06 프로젝트 구체화

과제 4P 분석과 과제 Focusing- 사례

Page 16: 06 프로젝트 구체화

프로젝트 명 :

현상 및 문제점 핵심이슈과제 해결 후의

이상적 모습핵심 성공요인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과제범위 Focusing 방법 실습

Page 17: 06 프로젝트 구체화

과제 4P 분석과 과제 Focusing- 사례

Page 18: 06 프로젝트 구체화

Project 구체화 작업 - 개요

Project 명

Project 스폰서 (Project 수행을 지원해 줄 후원인 )

Project

고객 ( 비즈니스를 하고자 하거나 목표로 하는 세분화된 시장 또는 사람들 )

고객가치 ( 고객에게 무엇을 줄 수 있는가 ?)

Project

수행

목적 ( Project 를 수행하는 동기나 이유 )

목표 (Project 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을 때 얻고자 하는 결과물 혹은 결과물의 수준 )

Page 19: 06 프로젝트 구체화

Project 구체화 작업

예시

Page 20: 06 프로젝트 구체화

정리 및 성 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