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상상력을 학습하는 13가지 생각도구 존재하는 것을 상상할 수 없다면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 없으며 자신만의 세계를 창조하지 못하면 다른 사람이 묘사한 세계에 머무를 수 밖에 없다. -화가 폴 호건- Spark of genius p.33~p.54

1.생각의 탄생 상상력을 학습하는 13가지 생각도구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1.생각의 탄생 상상력을 학습하는 13가지 생각도구

상상력을학습하는13가지생각도구

존재하는것을상상할수없다면새로운것을만들어낼수없으며자신만의세계를창조하지못하면다른

사람이묘사한세계에머무를수밖에없다.-화가폴호건-

Spark of genius

p.33~p.54

Page 2: 1.생각의 탄생 상상력을 학습하는 13가지 생각도구

사진, 드로잉, 글은잉크나은으로얼룩져있는종이에지나지않는다. 이를 ‘실제’로받아들일수있느냐는이것들이상징하는감각적, 정서적, 경험적인느낌들을재창조해낼수있는기술에달려있다. 이것들이진실이되려면우리자신의내부에그것들을받아들여야한다. 생산적인사고는내적상상과외적경험이일치할때비로소이루어진다. 역사속에서가장창조적인사람은실재와환상을결합하기위해

13가지생각의도구 들을이용했다. 이도구들은관찰, 형상화, 추상화, 패턴인식, 패턴형성, 유추, 몸으로생각하기, 감정이입, 차원적사고, 모형만들기, 놀이, 변형, 그리고통합이다.

Page 3: 1.생각의 탄생 상상력을 학습하는 13가지 생각도구

‘환상’과 ‘실재’ 사이의단절

이론과실제의부조화

교육에서의현실적문제이며사회와의깊은괴리형성

대다수의교육현장의교사,교수들은이환상과실제사이의괴리를연결해줄어떠한능력도없다.

학교지식과실제경험간의단절현상은오늘날교육현장에만연

이러한문제는과학분야에만국한된것이아니다. 인문학의주된학습법도실재를알려주기보다는의사전달과분석에만치우쳐있어똑같은실패가되풀이된다. 그결과예술가나작가의꿈을가진학생들이정신적불구 가되어버린다.

오늘날교육의성과란마치편협한분석능력 숙련

Page 4: 1.생각의 탄생 상상력을 학습하는 13가지 생각도구

교육에서 ‘무엇’과 ‘어떻게’의결별은곧어떤것을 ‘안다’는것과 ‘이해한다’는것이분리되는결과로나타난다.

보통학생들은이해함으로써앎에이르는게아니라외움으로써알게되는것

Page 5: 1.생각의 탄생 상상력을 학습하는 13가지 생각도구

시원始原적인 통찰

아직표현하기는이르지만개념의씨앗과도같은 ‘실재’를이해하고있는것

교육심리학자지앤뱀버거 Jeanne Bamberger

아이들이경험으로습득하는

‘손지식 hand knowledge’은학교에서배우는

‘기호적지식 symbolic knowledge’만큼강력하다.

비로소 근원

Page 6: 1.생각의 탄생 상상력을 학습하는 13가지 생각도구

피카소는상상이사실보다진실하다고믿었다.

존재하지않는것을상상할수없다면새로운것을만들어낼수없으며, 자신만의세계를창조해내지못하면다른사람이묘사하고있는세계에머무를수밖에없다. 그렇게된다면자기자신의눈이아닌다른사람의눈으로실재를보게된다. 더나쁜것은환상을볼수있는, 통찰력을갖춘마음의눈을계발하지않는다면육체의

눈으로아무것도볼수없다는것이다.

화가폴호건 Paul Horgan

Page 7: 1.생각의 탄생 상상력을 학습하는 13가지 생각도구

‘허구’를 ‘허위’와동일시하는것은잘못이다. 허구와사실을서로맞춰보고대조함으로써작가들은진실에가까운근사치를얻게된다. 그러나궁극적인견지에서볼때, 상상으로꾸며낸허구는사실이상의것이다. 왜냐하면창조의과정이

개입되었기때문이다. 지각심리학자리처드그레고리 Richard Gregory

‘허구虛構’와 ‘허위虛僞’의차이진실이아닌것을진실인것처럼꾸민것사실에없는일을사실처럼꾸며만듦

예술은사람들이진실을깨닫게만드는거짓말이다.

화가 Picasso

Page 8: 1.생각의 탄생 상상력을 학습하는 13가지 생각도구

창조를이끄는 13가지생각도구

실재와환상, 이둘을재결합하는일

생각의도구들창조적이해의핵심

• 관찰• 형상화• 추상화• 패턴인식• 패턴형성• 유추• 몸으로생각하기

• 감정이입• 차원적사고• 모형만들기• 놀이• 변형• 통합

언어와상징의이전의것

몰입의과정을통해이해

Page 9: 1.생각의 탄생 상상력을 학습하는 13가지 생각도구

생각의도구들을어떻게사용할것인가?

1. 생각의도구의틀안에서자신의창작과정을수행하고이해한다.

2. 각분야의대가들을분석해보니모두이생각의도구들을사용했음을확인할수있다.

3. 이생각도구들이환상과실재사이에다리를놓아통합적이해를가능하게해줄것이라고생각한다.

4. 이도구들이논리학같은분석도구나, 말이나방정식같은의사전달도구들과병행적으로사용한다.

5. 어떤요리사나 ‘생각하는사람’도장비다루는법을연습하지않는다면창조적으로될수없다. 생각도구들은창조성에있어필수적이다. 그리고이도구들은혁신적인결과를염두에두고사용되어야한다.

6. 이도구들을일터나집에서사용할수있지만가장중요한쓰임새는교육에있다.

7. 생각도구를가지고환상과실재를통합함으로써이해에도달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