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중도입국 자녀 초기적응 지원방안 연구 · 3 d6 5xJ6(Y + \ë@½.+ g...

Preview:

Citation preview

Administrator
새 스탬프
Administrator
새 스탬프
Administrator
새 스탬프
Administrator
새 스탬프

36 다문화가정 중도입국 자녀 초기적응 지원방안 연구

<그림 3-1> 중도입국 자녀 연령별 분포 (2012)

(단위 : 명)

0

500

1,000

1,500

2,000

2,500

10세이하 11~13세 14~16세 17~19세이하

2,026

768988

2,046

출처 : 법무부 내부자료, 2012.

2010년도와 비교하여 볼 때, 1년 남짓 동안 중도입국 청소년이 3,468명에서 5,828명으

로 68.1%증가하였고, 특히 10세 이하의 아동이 928명에서 2,026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하

였으며, 11~13세 아동도 415명에서 768명으로 85.1% 증가하였다(<표 3-2>참조).

<표 3-2> 연령별 중도입국자 현황

(단위 : 명, %)

구 분 2010 2012 (1월기준) 2010년 대비 증가율

10세 이하 928 (26.8) 2,026 (34.8) 118.3

11~13세 415 (12.0) 768 (13.2) 85.1

14~16세 595 (17.2) 988 (17.0) 66.1

17~19세 이하 1,530 (44.1) 2,046 (35.1) 33.7

전 체 3,468 (100.0) 5,828 (100.0) 68.1

출처 : 법무부 내부자료, 2012.

2010년과 2012년 1월 중도입국 자녀의 연령별 구성비 추이에서도, 10세 이하의 아동은

26.8%에서 34.8%로 증가하였고, 17~19세 청소년은 44.1%에서 35.1%로 감소하였으며,

11~13세와 14~16세 연령대는 비슷한 구성비율을 보이고 있다(<그림 3-2>참조).

제3장 중도입국 자녀 현황 및 지원정책 현황 37

<그림 3-2> 중도입국 자녀 연령별 구성비 추이 (2010, 2012.1월)

(단위 : %)

0

10

20

30

40

50

10세이하 11~13세 14~16세 17~19세

이하

26.8

12.0

17.2

44.1

34.8

13.2 17.0

35.1

2010

2010.01

출처 : 법무부 내부자료, 2012.

연령에 따른 체류유형을 살펴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국적취득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고,

동반비자를 소유하거나 국적취득 과정에 있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17~19세 청소년

의 경우 53.6%가 국적취득자로 14~16세(68.7%), 11~13세(71.9%), 10세 이하(70.3%) 청

소년에 비하여 국적취득 비율이 월등히 낮은 반면, 동반비자(F-2-2) 소유 비율은 29.9%로

다른 연령대 비율 24.1%(14~16세), 20.2%(11~13세), 21.8%(10세 이하)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국적취득 과정에 있는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표 3-3> 체류유형별/연령별 중도입국자 현황 (2012)

(단위 : 명, %)

구 분 10세 이하 11~13세 14~16세 17~19세 이하 전 체

거주국민자녀(F-2-2) 442 (21.8) 155 (20.2) 238 (24.1) 612 (29.9) 1,447 (24.8)

국적취득완료 1,424 (70.3) 552 (71.9) 679 (68.7) 1,096 (53.6) 3,751 (64.4)

국적취득중 150 (7.4) 56 (7.3) 65 (6.6) 323 (15.8) 594 (10.2)

영주국민자녀(F-5-3) 10 (0.5) 5 (0.7) 6 (0.6) 15 (0.7) 36 (0.6)

합 계 2,026 (100.0) 768 (100.0) 988 (100.0) 2,046 (100.0) 5,828 (100.0)

출처 : 법무부 내부자료, 2012.

38 다문화가정 중도입국 자녀 초기적응 지원방안 연구

나. 출신국적별 현황

중도입국 청소년의 82.7%가 중국출신으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2012년 1월 현재 전

체 중도입국 자녀 5,828명의 47.7%(2,781명)이 한국계 중국인 즉 조선족이고,

35.0%(2,038명)는 중국인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타이완 248명(4.3%), 몽골 158명

(2.7%), 일본 146명(2.5%), 베트남 122명(2.1%) 순으로 중국 출신에 비하면 소수에 불과하

다(<그림 3-3> 참조).

<그림 3-3> 중도입국 자녀 출신국 상위 6개국 (2012)

(단위 : 명)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한국계

중국인

중국 타이완 몽골 일본 베트남

2781

2038

248 158 146 122

출처 : 법무부 내부자료, 2012.

2010년과 2012년 1월 중도입국 자녀의 출신국적별 구성비 추이를 살펴보면, 조선족 출신

구성비는 57.2%에서 47.7%로 감소한 반면, 중국 한족 출신 구성비는 31.5%에서 35.0%,

그리고 타이완 1.8%→4.3%, 일본 1.1%→2.5%, 베트남 1.4%→2.1% 등 중국(한족)을 포함

한 기타 국적 출신 구성비는 증가추세이다(<표 3-4>와 <그림 3-4>참조). 조선족 출신 중

도입국 자녀를 제외한 기타 국적 출신의 중도입국 자녀 비율이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출

신국적 수도 32개국에서 42개국으로 증가하여 출신 국적이 더욱 다양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표 3-4>참조).

제3장 중도입국 자녀 현황 및 지원정책 현황 39

<표 3-4> 출신국적별 중도입국 자녀 현황

(단위 : 명, %)

구 분 2010 2012 구 분 2010 2012한국계 중국인 2,026 (57.2) 2,781 (47.7) 네 팔 1 (0.0) 3 (0.1)

중 국 1115 (31.5) 2,038 (35.0) 오스트레일리아 - 3 (0.1)

타이완 65 (1.8) 248 (4.3) 체 코 1 (0.0) 3 (0.1)

몽 골 101 (2.9) 158 (2.7) 프랑스 - 3 (0.1)

일 본 38 (1.1) 146 (2.5) 영 국 - 2 (0.0)

베트남 51 (1.4) 122 (2.1) 인 도 1 (0.0) 2 (0.0)

필리핀 32 (0.9) 68 (1.2) 파라과이 2 (0.1) 2 (0.0)

우즈베키스탄 23 (0.6) 42 (0.7) 홍 콩 - 2 (0.0)

러시아(연방) 20 (0.6) 41 (0.7) 뉴질랜드 - 1 (0.0)

미 국 3 (0.1) 30 (0.5) 도미니카공화국 - 1 (0.0)

키르기스스탄 10 (0.3) 25 (0.4) 독 일 1 (0.0) 1 (0.0)

타 이 9 (0.3) 24 (0.4) 모로코 2 (0.1) 1 (0.0)

파키스탄 8 (0.2) 17 (0.3) 브라질 1 (0.0) 1 (0.0)

캄보디아 5 (0.1) 10 (0.2) 스위스 - 1 (0.0)

한국계 러시아 7 (0.2) 7 (0.1) 에콰도르 1 (0.0) 1 (0.0)

방글라데시 - 7 (0.1) 에티오피아 - 1 (0.0)

카자흐스탄 5 (0.1) 7 (0.1) 우크라이나 1 (0.0) 1 (0.0)

인도네시아 2 (0.1) 5 (0.1) 이라크 1 (0.0) 1 (0.0)

캐나다 1 (0.0) 5 (0.1) 콜롬비아 1 (0.0) 1 (0.0)

페 루 - 5 (0.1) 말레이시아 1 (0.0) -

이 란 4 (0.1) 4 (0.1) 무국적 - 7 (0.1)

네 팔 1 (0.0) 3 (0.1) 총합계 3,539 (100.0) 5,828 (100.0)

출처 : 법무부 내부자료, 2012.

<그림 3-4> 중도입국 자녀 출신국 구성비 추이 (2010, 2012.1월)

(단위 : %)

0

10

20

30

40

50

60

한국계

중국인

중국 타이완 몽골 일본 베트남

57.2

31.5

1.8 2.9 1.1 1.4

47.7

35.0

4.3 2.7 2.5 2.1

2010

2012.01

출처 : 법무부 내부자료, 2012.

40 다문화가정 중도입국 자녀 초기적응 지원방안 연구

연령에 따른 출신국적 현황을 살펴보면, 10세 이하 중도입국 자녀는 한국계 중국 출신

(64.6%)이 평균(47.7%)보다 월등히 많았고, 17~19세는 중국 출신 비율(43.3%)이 평균

(35.0%)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표 3-5>참조).

다. 지역별 현황

2012년 1월 현재 중도입국 자녀의 70% 정도가 서울(36.7%)과 경기지역(32.9%)에 분포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인천(6.9%), 충남(3.3%), 충북(2.6%), 전북(2.5%), 부산(2.3%), 경남

(2.3%), 대전(1.8%), 전남(1.7%) 등이 100명 이상의 중도입국 자녀가 분포하고 있는 상위

10개 지역이다(<그림 3-5>참조).

2010년도에는 전체 중도입국 자녀의 35.2%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어 1순위를 차지했

고, 서울이 그 다음으로 33.8%를 점하고 있었으나, 2012년에는 두 지역의 순위가 바뀌었

다. 2010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큰 지역은 제주 지역으로 9명에서 34명으로 증가하여 3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대전(151.2%)과 울산(133.3%) 지역도 두 배 이상 증가한 지역이다(<표

3-6>참조).

제3장 중도입국 자녀 현황 및 지원정책 현황 41

<표 3-5> 출신국적별/연령별 중도입국 자녀 현황 (2012)

(단위 : 명, %)

구 분 10세 이하 11~13세 14~16세 17세~19세 이하 전 체한국계 중국인 1,309 (64.6) 345 (44.9) 340 (34.4) 787 (38.5) 2,781 (47.7)

중 국 484 (23.9) 287 (37.4) 381 (38.6) 886 (43.3) 2,038 (35.0)

타이완 36 (1.8) 27 (3.5) 72 (7.3) 113 (5.5) 248 (4.3)

몽 골 35 (1.7) 26 (3.4) 40 (4.0) 57 (2.8) 158 (2.7)

일 본 13 (0.6) 8 (1.0) 56 (5.7) 69 (3.4) 146 (2.5)

베트남 52 (2.6) 17 (2.2) 20 (2.0) 33 (1.6) 122 (2.1)

필리핀 19 (0.9) 14 (1.8) 13 (1.3) 22 (1.1) 68 (1.2)

우즈베키스탄 11 (0.5) 11 (1.4) 7 (0.7) 13 (0.6) 42 (0.7)

러시아(연방) 6 (0.3) 7 (0.9) 16 (1.6) 12 (0.6) 41 (0.7)

미 국 8 (0.4) 2 (0.3) 8 (0.8) 12 (0.6) 30 (0.5)

키르기스스탄 3 (0.1) 7 (0.9) 9 (0.9) 6 (0.3) 25 (0.4)

타 이 8 (0.4) 7 (0.9) 5 (0.5) 4 (0.2) 24 (0.4)

파키스탄 8 (0.4) 1 (0.1) 5 (0.5) 3 (0.1) 17 (0.3)

캄보디아 4 (0.2) 2 (0.3) 2 (0.2) 2 (0.1) 10 (0.2)

한국계 러시아 1 (0.0) 2 (0.3) - 4 (0.2) 7 (0.1)

방글라데시 2 (0.1) 1 (0.1) - 4 (0.2) 7 (0.1)

카자흐스탄 2 (0.1) 1 (0.1) 3 (0.3) 1 (0.0) 7 (0.1)

인도네시아 2 (0.1) - 2 (0.2) 1 (0.0) 5 (0.1)

캐나다 3 (0.1) - 1 (0.1) 1 (0.0) 5 (0.1)

페 루 2 (0.1) 1 (0.1) 1 (0.1) 1 (0.0) 5 (0.1)

이 란 2 (0.1) 2 (0.3) - - 4 (0.1)

네 팔 2 (0.1) - - 1 (0.0) 3 (0.1)

오스트레일리아 2 (0.1) - - 1 (0.0) 3 (0.1)

체 코 3 (0.1) - - - 3 (0.1)

프랑스 2 (0.1) - - 1 (0.0) 3 (0.1)

영 국 1 (0.0) - - 1 (0.0) 2 (0.0)

인 도 - - 1 (0.1) 1 (0.0) 2 (0.0)

파라과이 - - 1 (0.1) 1 (0.0) 2 (0.0)

홍 콩 - - - 2 (0.1) 2 (0.0)

뉴질랜드 1 (0.0) - - - 1 (0.0)

도미니카공화국 1 (0.0) - - - 1 (0.0)

독 일 - - 1 (0.1) - 1 (0.0)

모로코 - - - 1 (0.0) 1 (0.0)

브라질 - - 1 (0.1) - 1 (0.0)

스위스 - - 1 (0.1) - 1 (0.0)

에콰도르 - - - 1 (0.0) 1 (0.0)

에티오피아 1 (0.0) - - - 1 (0.0)

우크라이나 - - - 1 (0.0) 1 (0.0)

이라크 1 (0.0) - - - 1 (0.0)

콜롬비아 - - 1 (0.1) - 1 (0.0)

무국적 2 (0.1) - 1 (0.1) 4 (0.2) 7 (0.1)

총합계 2,026 (100.0) 768 (100.0) 988 (100.0) 2,046 (100.0) 5,828 (100.0)

출처 : 법무부 내부자료, 2012.

42 다문화가정 중도입국 자녀 초기적응 지원방안 연구

<그림 3-5> 중도입국 자녀 거주지 상위 10개 시·군 분포 (2012)

(단위 : 명)

0

500

1000

1500

2000

2500

서울 경기 인천 충남 충북 전북 부산 경남 대전 전남

21401917

405191 151 146 136 136 103 100

출처 : 법무부 내부자료, 2012.

<표 3-6> 지역별 중도입국 자녀 현황 (2010, 2012.1월)(단위 : 명, %)

구 분 2010 2012 2010년 대비 증가율

강 원 37 (1.1) 61 (1.0) 64.9

경 기 1,220 (35.2) 1,917 (32.9) 57.1

경 남 78 (2.2) 136 (2.3) 74.4

경 북 59 (1.7) 85 (1.5) 44.1

광 주 51 (1.5) 77 (1.3) 51.0

대 구 55 (1.6) 75 (1.3) 36.4

대 전 41 (1.2) 103 (1.8) 151.2

부 산 111 (3.2) 136 (2.3) 22.5

서 울 1,173 (33.8) 2,140 (36.7) 82.4

울 산 30 (0.9) 70 (1.2) 133.3

인 천 253 (7.3) 405 (6.9) 60.1

전 남 55 (1.6) 100 (1.7) 81.8

전 북 83 (2.4) 146 (2.5) 75.9

제 주 9 (0.3) 34 (0.6) 277.8

충 남 127 (3.7) 191 (3.3) 50.4

충 북 86 (2.5) 151 (2.6) 75.6

기 타 - 1 (0.0)

전 체 3,468 (100.0) 5,828 (100.0) 68.1

출처 : 법무부 내부자료, 2012.

Administrator
새 스탬프
Administrator
새 스탬프
Administrator
새 스탬프
Administrator
새 스탬프
Administrator
새 스탬프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