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인삼재배 식물공장기업 애그로닉스

  • View
    405

  • Download
    3

  • Category

    Food

Preview:

Citation preview

(주)애그로닉스식물공장및수경인삼전문기업

2014년 7월

건강한 먹거리와 건강한 지구를 지킵니다.

투자 계획5

㈜애그로닉스1

사업 영역2

사업 성과3

개발 계획4

시장 규모6

01

• 농업과 최첨단 기술 접목 농업 첨단화 지향 기업

• 설립일자 : 2011년 7월 7일

• 기업형태 : 주식회사/중소기업

• 기업인증 : 벤처기업, 기업부설연구소

• 주요 생산품 : 식물공장 및 수경인삼

• 매출실적 : ‘13년 (3,000만원), ‘14년(10억 예정)

• 자본금 : 51.5억원 (2014년 6월 현재)

• 사업화 준비 사항

• 특허 : 수경재배용 베드 및 수경재배용 베드의 이송수단이

포함된 다단적층 식물재배장치 (2014.04.27)

• 수행 : 수경인삼 묘삼 재배장치 및 브랜드 상품개발

(농업실용화재단, 2013.5~2013.12, 사업비 1.4억)

• 추진 : 천연물 식의약소재 산업화 연구센터 (협동기업)

(농림축산식품부, 2014~2021, 사업비 100억)

1. 회사소개

02

2. 연혁

2014

1월 - 자본증액 (51억 5천만원)

4월 – 수경인삼 뿌리 효소 활성화 제품 “수인삼포유” 개발

6월 – 함양 항노하산업 클러스터 투자협약 체결(2020년 완공, 300,000m2 )

2013

1월 - “식물공장기술연구소”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2월 - 국내최대 완전 제어형 수경인삼 식물공장 준공(1,659m2)

9월 - 홍삼환 “수인삼100” 및 수경인삼 선물세트 “수인삼"출시

2012

8월 - 농업용 식물공장 생육관리로봇 시범기업

11월 - 인삼생육 시험연구동(318m2) 완공 및 수경인삼 재배

12월 - 벤처기업인증 (지정번호 : 20120109496)

2011

7월 7일 - ㈜애그로닉스 설립

1. 수경인삼

03

수(秀)인삼이란 청정환경(식물공장)에서 재배한 말리지 않은 인삼입니다.

1. 수경인삼

04

인삼의 육종 연한 단축 및 세대촉진 기술적용으로 생육기간이 짧습니다. (90일)

30일

60일

90일

30일 60일 90일

20~25cm

18~22cm

< 인삼 수경재배 >

1. 수경인삼

05

수(秀)인삼의 진정한 영양분은 잎!!에 있습니다. 통째로 먹을 수 있습니다.

2. 식물공장

06

국내 최대(1,198 m²) 완전 제어형 식물공장에서 연간 35만주의 수경인삼을 재배 합니다.

• 자연환경,입지조건영향 無

• 4계절, 폭우나 폭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생산 합니다.

• 외부 공기를 정화하고, 최적 온도를 유지하여 품질 좋은 수인삼이 자랍니다.

• 스트레스많아야영양분많아짐

• 최적 생존 수량 공급으로 미세뿌리가 많아 영양분이 많습니다.

• 증산작용 촉진과 양액 흡수, 광합성 촉진으로 양리성분(사포닌 등)이 높습니다.

• 생육관리로봇이관리

•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생육정보를 컴퓨터 데이터로 저장 합니다.

• 식물생육관리로봇이 전 과정을 자동으로 관리,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합니다.

2. 식물공장

07

식물 생장에 필요한 모든 환경조건을 자동 제어하여 안정적인 계획 재배가 가능합니다.

1. 가정용식물재배 장치

08

가정 및 학교에서 교육용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보급/일반/고급형)

2. 반자동식물재배장치

09

고령화된 농촌 또는 도시농업에 활용할 수 있는 식물공장 보급형 재배장치 입니다.

3. 다양한시험재배식물

10

식물공장 연구소의 시험동에서는 다양한 식물군을 시험재배 하고 있습니다.

딸기

적상추 청치마

부추

수경인삼

4. 수경인삼 상품

11

수경인삼 원물 선물세트와 홍삼환 가공품인 수인삼100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1. 투입인력및보유시설/장비

12

㈜애그로닉스 주종문 대표이사

• 경남대학교 산업공학 박사

•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담교수

• 수경인삼 묘삼 재배장치 및 브랜드 상품개발 (시범사업)

• 수경재배용 베드 및 수경재배용 베드의

이송수단이 포함된 다단적층 식물재배장치 (특허등록)

• UCD기반의 스마트 식물재배기 디자인개발 (출원)

직원 및 연구원 구성

총 직원(9명) 박사 (1명) 학사 (7명)

기자재 및 시설명 규 격 가격(천원) 구입년 활용용도

오존살균수기 500~600L 3,600 2012 생산설비

토양수분EC지온센서 WT1000N 700 2014 생산설비

mol 측정기(광량측정기) PAR-100 1,300 2012 생산설비

6평형 저온저장고 7.96*2.5*2.5M 14,500 2012 생산설비

에어샤워기 1,400*1,000*2,200 4,00 2013 생산설비

모바일알람 HSMA-8 1,300 2013 생산설비

저온저장고1 14,500 2012 생산설비

재배동 냉각장치 302,600 2013 생산설비

저온저장고2 13,600 2012 생산설비

항온장비 55,000 2012 생산설비

재배동 정수장치 R/O system 14,000 2013 생산설비

고졸 (1명) 예정(3명)

2. 활성화수경인삼 – 수인삼포유

13

• 활성화를 통한 사포닌 고함유 제조 방법 적용

• 무균적 조작에 의한 반복 열처리로 사포님 고함유

• 인삼의 형태 유지 및 특정 사포닌 함유 증대

• 진공 포장으로 실온에서 장기 보존

• 무균조작 건조 및 인체 무해 포장

활성화 기술 적용한 고기능성 수경인삼

수경인삼 원물

세척

1차 멸균

진공 포장

2차 멸균

활성화 수경인삼

2. 천연유산균 배양 –모자균

14

• 활성화 유산균 배양 기술 이전 및 장비/설비 구축 예정

• 유산균 통상 실시권 확보 (2014년 7월 1일) :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재선 교수

• 항균활성 및 항진균활성이 있는 신규의 균주 바실러스 모자벤시스 케이제이에스-3

• 종균 등록명 및 종균번호 : Bacillus mojavensis KJS-3, KCCM10961P

• 배양 시설 및 장비 : 전처리실, 발효실, 분리/건조실, 배양기, 발효기, 원심분리기, 건조기

전배양 및 클린벤치

발효기

원심 분리기

건조기

Bacillus mojavensis KJS-3

고기능성 수경인삼 생산을 위한 활성화 유산균 배양

3. 고기능성 식물원료확보및원료의약품 등록

15

4. ICT 기반식물공장 통합 운영플랫폼개발

16

• ICT 기반 식물공장 통합 운영 플랫폼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식물공장 시스템 녹색기술 인증 및 녹색기술 제품 인증

1. 제품양산능력

17

• 연간 35만주 약 1,750㎏의 수경인삼 생산 (매월 29,000주, 150㎏ 생산 중)

• 활성화 시설 및 제품화 설비 완공된 2015년 부터 매일 1,450개 제품화 가능

기존 식물공장 이용한 수경인삼 재배 및 제품 제조 능력

• 연간 2,400만주 약 94ton의 수경인삼 생산 (매월 200만주, 7.8ton생산)

• 구축된 활성화 시설 및 제품화 설비로 2020년 이후 일일 100,000개 제품화 가능

• 서부 경남 항노하 클러스터 사업일환으로 추진 (함양 제2일반 산업단지)

대형화 식물공장 신축 (300,000m², 16Chamber, 2020년 준공 예정)

2. 함양제2일반산업단지 내초대형식물공장 유치

18

300,000m² (9만평) 부산 벡스코 인근 전체와 유사

함양 부지

진주

대전대구

광주 함양IC

1. 국내외인삼 시장규모및시장구조

19

산 업 현황 한 국 중 국 캐나다 전 세계

생산량(천톤) 27 52 6 -

뿌리삼 수출 (순위) 6,410만 달러 (2) 4,430만 달러 (4) 8,434만 달러 (1) 2억 8000만 달러

뿌리삼 수출시장 점유율(%) 22.9 15.9 30.2 -

인삼제품 시장 규모 (점유율) 2,278만 달러 (1.8%) 1억 3,713만 달러 (11.29%) - 12억 1,500만 달러

출처 : Global Trade Atlas & ICON Group International. Inc.

뿌리삼 수출 및 시장 현황

주요 국가별 인삼 생산 및 시장 규모 (‘09)

세계 인삼 제품 시장 비중

한국 1.8%

2. 국내외시장 특징및경쟁제품

20

• 세계 뿌리삼 시장 15.9%

• 식용인삼 판매 80% 점유

• 인삼 활용 식/약품 개발

• 관세 및 진입장벽 높음

• 한국산 인삼 비중 80%

• 전통적 인삼 수입국

• 소비 잠재력 높음 (고령화)

• 인삼 100% 수입국

• 캐나다, 미국, 한국산 97%

• 유통경로 폐쇄적, 독점화

• 수입량 84% 한국, 중국산

• 한국산 인삼의 호응도 높음

• 뿌리삼, 가공제품 소매유통

• 인삼 사포님 함유 강장제

: 진사나(Ginsana)

: 중국산 백삼 원료

• 연간 3억$ 매출

• 뿌리삼 기준 1위 수출국

• 한국산 홍삼,인삼 수입

: 시장 점유율 10%

• 가공 전문업체 도매 판매

• 건강보조식품 주축

• 한국산 인삼 효능 홍보 부족

• 농약, 중국산 모조품 피해

미국

캐나다

일본중국

대만

홍콩

스위스

3. 사업의성장성

21

국내 시장 확보

• 국내 시장 진입 (원물, 원료)

• 수요 기업 확보 (유통, 제약,

식품, 화학, 건강 등)

• 생산시설 확보 (대형공장 건설)

• BGMP, DMF 등 인증 확보

국내 시장 확대 및 다양화 국내시장 안정화 및 해외진출

• 국내 시장 10% 점유 목표

: 인삼/당귀 식물 원료 시장

: 인삼/당귀 기능성 식품 시장

• 식물군 다양화 (기능성 원료 가능 식물)

• 해외시장 진출 (유럽, 미주, 홍콩)

• 국내 관련 시장 20% 점유

• 5종 이상 기능성 식품/원료 제품 출시

• 해외 거점 확보 및 수출 확대 (3개소)

• 인삼/당귀 제품 생산 및 수출 연간

400억 이상

2017

시장 확보

시장확대

2018~2020글로벌 히든

챔피언

2020~

감사합니다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