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
필리핀 개황 2011년 8월 외교통상부

필리핀 개황%282011.8%29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필리핀 개황%282011.8%29

필 리 핀 개 황

2011년 8월

외 교 통 상 부

Page 2: 필리핀 개황%282011.8%29
Page 3: 필리핀 개황%282011.8%29

필리핀 지도

Page 4: 필리핀 개황%282011.8%29

필리핀 국기

현재의 국기는 1897년 필리핀의 독립영웅 Emilio Aguinaldo 장군이 도안한 것으로,

1898년 6월 12일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선언 시 처음으로 게양하였다.

흰색은 평등과 우애, 파란색은 평화ㆍ진실ㆍ정의, 그리고 빨간색은 애국심과 용맹을 각각

상징하는데, 전쟁 시에는 빨간 부분과 파란 부분이 서로 바뀐다.

삼각형 안의 노란 태양은 자유를 뜻하며, 태양의 여덟 갈래의 빛은 스페인의 계엄령에

최초로 대항한 8개의 주를, 세 개의 별은 필리핀의 커다란 세 지역인 Luzon, Visayas,

Mindanao를 의미한다.

필리핀 국가문장

빛나는 태양과 세 개의 별, 백색·청색·적색의 의미는 국기와 동일하며, 독수리와 사자는

각각 미국과 스페인 하의 식민 역사를 상징한다.

필리핀 정부 차량에는 독수리와 사자 그림이 없는 국장을 부착한다.

Page 5: 필리핀 개황%282011.8%29

Ⅰ 개 관 • 1. 국가 개요 ·····················································································································

2. 약 사 ·····························································································································

Ⅱ 정 치 • 1. 행정부 ···························································································································

2. 사법부 ···························································································································

3. 정당 및 의회 ················································································································

4. 지방 행정 ·····················································································································

5. 정치 정세 ·····················································································································

6. 민다나오 문제 ··············································································································

Ⅲ 외 교 • 1. 기본 외교정책 ··············································································································

2. 8대 외교정책 방향 ······································································································

3. 주요 국가와의 관계 ····································································································

4. 남사군도 영유권 문제 ·································································································

5. 필리핀의 재외공관 ······································································································

6. 필리핀 주재 외국공관 ·································································································

Ⅳ 군 사 • 1. 개 요 ······························································································································

2. 국방 현대화 동향 ·········································································································

3. 대외 군사협력 현황 ·····································································································

목 차

Page 6: 필리핀 개황%282011.8%29

Ⅴ 경 제 • 1. 개 요 ·····························································································································

2. 경제 동향 ·····················································································································

Ⅵ 사 회 • 1. 치 안 ·····························································································································

2. 교 육 ·····························································································································

3. 종 교 ·····························································································································

4. 노 동 ·····························································································································

5. 보건・복지 ·····················································································································

6. 언 론 ·····························································································································

7. 주요 공휴일 ··················································································································

Ⅶ 우리나라와의 관계 • 1. 약 사 ·····························································································································

2. 조약 체결 현황 ············································································································

3. 경제・통상 관계 ············································································································

4. 인적교류 ·······················································································································

5. 영사・교민 관계 ············································································································

6. 자매결연 도시 및 각종 단체 ·····················································································

7. 필리핀의 한국전 참가 ·································································································

Ⅷ 북한과의 관계 • 1. 외교관계 수립 ················································································································

2. 무 역 ·······························································································································

3. 각종 단체 ·······················································································································

Ⅸ 부 록 • 1. 주요 인사 약력 ············································································································

2. 양국 대사관 및 명예영사관 ·······················································································

3. 역대 주 필리핀 대한민국 공관장 ··············································································

4. 역대 주한 필리핀 공관장 ···························································································

Page 7: 필리핀 개황%282011.8%29

Ⅰ. 개 관

Page 8: 필리핀 개황%282011.8%29
Page 9: 필리핀 개황%282011.8%29

Ⅰ. 개관 9

Ⅰ. 개 관

1. 국가 개요

❍ 국 명 : 필리핀 공화국(Republic of the Philippines)

❍ 정부 형태 : 대통령제, 6년 단임

❍ 의 회 : 상・하 양원제

▪ 상원 24석(임기 6년)

▪ 하원 287석(임기 3년)

❍ 군 대 : 11만 4천 명

▪ 육군 7만 7천 명, 해군 2만 2천 명, 공군 1만 5천 명

❍ 면 적 : 300,400㎢ (한반도의 1.3배)

▪ 7,107개의 도서로 구성, 전체의 65%가 산악지대

▪ 루손(104,688㎢)과 민다나오(101,999㎢)가 총 면적의 65% 차지

❍ 기 후 : 고온 다습한 아열대성 기후(연평균 27℃)

▪ 크게 건기(12-4월)와 우기(5-11월)로 나뉨

▪ 태풍・지진・화산 분화 등 자연재해 빈발

❍ 1인당 GDP : 2,011불(GDP: 1,872억 불)(2010년)

❍ 경제성장률 : 7.3%(2010년)

❍ 인 구 : 9,200만 명(2009년 추정)

▪ 인구증가율 2.04%

▪ 주요 도시 : 메트로 마닐라(1,110만 명), 세부(100만 명)

Page 10: 필리핀 개황%282011.8%29

10 • 필리핀 개황

❍ 평균수명 : 남자 66.9세 여자 72.2세

❍ 인 종 : 말레이계가 주종이며 중국, 미국, 스페인계 혼혈 다수

❍ 종 교 : 가톨릭(83%), 개신교(9%), 이슬람교(5%), 불교 및 기타(3%)

❍ 주요 언어 : 영어 및 타갈로그어(Tagalog)

❍ 외세 지배 : 스페인(1571~1898), 미국(1898~1942), 일본(1942~1945)

▪ 2차 대전 후 1945년부터 미국의 식민 통치 하에 있다가 1946년 7월 4일

정식 독립

▪ 독립기념일은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1898년 6월 12일

2. 약 사

가. 스페인 정복 이전시대( ~1571)

① 원주민・말레이계 유입

❍ 약 3만 년 전 보르네오, 수마트라 등지에서 원주민인 네그리토(Negrito)가

이주・정착하였으며, 기원전・후 말레이계 유입 시작

② 부락공동체(Barangay)생활

❍ 산악과 섬으로 이루어진 지형적 여건에 따라 정착 과정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소규모 Barangay(Datu를 우두머리로 한, 가족 중심의 부락공동체) 단위로

생활

❍ 통일된 중앙정부나 국가가 성립된 적이 없으며, 스페인 정복 당시 인구는 약

50만 명으로 추정

Page 11: 필리핀 개황%282011.8%29

Ⅰ. 개관 11

③ 이슬람의 유입

❍ 14세기 이후 이슬람교도들이 이주하면서 이슬람교가 전래되기 시작하여

Sulu 군도에서 Mindanao 섬 일대에 걸쳐 정착하였으며, 16세기 중반에는

Luzon 지역까지 진출

❍ Sultan 또는 Raja에 의해 지배되는 소규모 영토국가 성립

나. 스페인 식민지 시대(1571~1898)

① 스페인의 필리핀 정복

❍ 1521년 마젤란이 Samar 섬에 상륙한 이래 스페인은 수 차례에 걸친 원정 끝에

1571년 필리핀을 정복

❍ 국명을 당시 스페인 국왕의 이름(Felipe)을 따서 Philippines으로 정하고 총독을

마닐라에 두고 약 327년간 지배

▪ 스페인이 직접 통치하지 않고 멕시코 총독을 통해 간접 통치

② 스페인에 대한 저항운동

❍ 1860년 스페인에서 내란이 발생하자 스페인에 대한 저항운동 시작

❍ 1892년 비밀결사 'Katipunan'의 무장봉기 발발

❍ 1896년부터 무장 독립운동을 전개한 Aguinaldo 장군은 1898년 5월 1일,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스페인이 패퇴하자 1898년 6월 12일 독립을 선언하고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

Page 12: 필리핀 개황%282011.8%29

12 • 필리핀 개황

다. 미국 식민지 시대(1898-1946)

① 미국・스페인 강화조약

❍ 1898년 12월 10일 미국・스페인 강화조약을 통해 스페인이 2천만 불의 대가를

받고 필리핀을 미국에 이양

❍ 1899~1901년 간 Aguinaldo 장군이 이끄는 무장독립운동이 계속되었으나,

1901년 3월 Aguinaldo 장군 체포 이후 점차 소멸

② 점진적인 자치 허용

❍ 1907년 최초의 의회선거 실시

❍ 1916년 양원제 도입

❍ 1934년 Tydings McDuffie Act에 따라 10년 후 완전독립 약속

❍ 1935년 11월 15일 Manuel L. Quezon 대통령의 자치정부 수립(Commonwealth

of the Philippines 출범)

라. 일본의 점령(1942-1945) 및 독립

❍ 1942년 5월 필리핀 주둔 미군이 일본군에 항복함으로써 일본의 통치 하에

들어감

❍ 1943년 10월 14일 Jose P. Laurel의 괴뢰정부 수립

❍ 1944년 10월 20일 맥아더 장군의 Leyte섬 진주로 필리핀 내 미국-일본 간

전면전 개시

▪ 마닐라의 대부분이 파괴되고 1백만 명 이상의 필리핀인 사망

❍ 1945년 2월 3일 맥아더 장군이 Sergio S. Osmena 대통령에게 자치정부 이양

❍ 1946년 7월 4일 미국으로부터 독립

Page 13: 필리핀 개황%282011.8%29

Ⅰ. 개관 13

마. 필리핀 공화국 역대정권

1946. 7 ~ 1948. 4 Manuel A. Roxas (자유당)

1948. 4 ~ 1953. 1 Elpidio R. Quirino (자유당)

1953. 1 ~ 1957. 3 Ramon F. Magsaysay (국민당)

1957. 3 ~ 1961.12 Carlos P. Garcia (국민당)

1961.12 ~ 1965.12 Diosdado P. Macapagal (자유당)

1965.12 ~ 1986. 2 Ferdinand E. Marcos (국민당)

1986. 2 ~ 1992. 6 Corazon C. Aquino (민주투쟁당)

1992. 6 ~ 1998. 6 Fidel V. Ramos (국민의 힘당)

1998. 6 ~ 2001. 1 Joseph E. Estrada (필리핀평민연합당)

2001. 1 ~ 2004. 6 Gloria Macapagal-Arroyo (국민의 힘당)

2004. 6 ~ 2010. 6 Gloria Macapagal-Arroyo (국민의 힘당)

2010. 6 ~ 현재 Begnino S. Aquino Ⅲ (자유당)

Page 14: 필리핀 개황%282011.8%29

Ⅱ. 정 치

Page 15: 필리핀 개황%282011.8%29
Page 16: 필리핀 개황%282011.8%29

16 • 필리핀 개황

Ⅱ. 정 치

1. 행정부

가. 대통령

❍ 피선 자격 : 40세 이상의 필리핀 태생 시민으로, 선거직전 기준 국내에 10년

이상 거주

❍ 선출 방법 : 국민의 직접투표로 선출

❍ 임 기 : 6년 단임

❍ 유고 시 권한 승계 및 대행 : 부통령이 잔여 임기 승계

▪ 대통령과 부통령이 동시 유고시에는 상원의장, 하원의장 순으로 승계하되

보궐 선거 시까지 대행

❍ 현 대통령 : 아키노(Benigno Simeon "Noynoy" Cojuangco Aquino Ⅲ) 대통령

나. 부통령

❍ 피선 자격 : 대통령 피선 자격과 동일

▪ 미국식 러닝메이트제를 두고 있으나, 대통령과 부통령을 각각 선출하므로

소속 정당이 다를 수 있음

❍ 임 기 : 대통령 임기와 동일, 1차 중임 가능

❍ 부통령 유고 시 대통령이 상・하원 의원 중에서 지명

(상・하원 의원 과반수의 인준 필요)

❍ 현 부통령 : 비나이(Noli de Castro) 부통령

Page 17: 필리핀 개황%282011.8%29

Ⅱ. 정치 17

다. 내 각

❍ 대통령이 임명하되, 의회 인준위원회의 동의 필요

❍ 2011년 3월 현재 내각 명단

Executive Secretary(수석장관) Paquito Ochoa, Jr

Secretary of Agrarian Reform(농업개혁장관) Virgilio De Los Reyes

Secretary of Agriculture(농업장관) Proceso Alcala

Secretary of Budget and Management(예산·관리장관) Florencio Abad

Secretary of Education(교육장관) Bro. Armin Luisto FSC

Secretary of Energy(에너지장관) Jose Rene Almendras

Secretary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환경·자연자원장관) Ramon Paje

Secretary of Finance(재무장관) Cesar Purisima

Secretary of Foreign Affairs(외교장관) Albert Del Rosario

Secretary of Health(보건장관) Enrique Ona

Secretary of Interior and Local Government(내무·지방자치장관) Jesse Robredo

Secretary of Justice(법무장관) Leila de Lima

Secretary of Labor and Employment(노동·고용장관) Rosalinda Baldoz

Secretary of National Defense(국방장관) Voltaire Gazmin

Secretary of Presidential Communications Development and Strategic Planning(공보·기획수석) Ramon Carandang

Secretary of Presidential Communications Operations Office(공보·운영수석) Herminio Coloma

Secretary of Public Works and Highways(공공사업·도로장관) Regelio Singson

Secretary of Science and Technology(과학·기술장관) Mario Montejo

Secretary of Social welfare and Development(사회복지·개발장관) Corazon Soliman

Secretary of Tourism(관광장관) Alberto Lim

Secretary of Trade and Industry(통상산업장관) Gregory Domingo

Secretary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교통·통신장관) Jose De Jesus

Chairman of the Commission on Higher Education(고등교육위원장) Patricia Licuanan

Chairman of the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Coordinating Council(주택·도시개발위원장) Jejomar Binay(부통령)

Director General of the National Economic and Development Authority(경제·개발청장) Cayetano Paderanga, Jr.

National Security Adviser(국가안보좌관) Cesar Garcia

Presidential Adviser on Peace Process(평화과정보좌관) Teresita Deles

Head of the Presidential Management Staff(비서실장) Julia Andrea Abad

Presidential Spokesperson(대변인) Edwin Lacierda

Chairman of the Commission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정보통신기술위원장) Ivan John Uy

Chairman of the Metro Manila Development Authority(메트로마닐라개발청장) Francis Tolentino

Chief Presidential Legal Counsel(법무수석) Eduardo de Mesa

Presidential Legislative Liaison Office(PLLO)(입법연락실장) Antonino P. Roman

National Anti-Poverty Commission(NAPC)(빈곤퇴치위원장) Jose Eliseo M. Rocamora

Page 18: 필리핀 개황%282011.8%29

18 • 필리핀 개황

라. 옴부즈맨(Ombudsman)

❍ 헌법에 의해 설립된 독립기관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임기는 7년 단임

❍ 총감(Ombudsman), 수석차감(Overall Deputy Ombudsman)과 각 지역(Luzon,

Visayas, Mindanao) 담당 및 기능분야(군대) 담당 차감 등으로 구성

▪ 현 옴부즈맨은 Maria Merceditas N. Gutierrez

❍ 역할

▪ 정부 관리들의 독직・부패를 조사하여 형사, 민사, 행정 소추 시행

▪ 정부 내 비효율성과 독직・부패의 원인을 조사하여 개선책 권고

❍ 상주 옴부즈맨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내에서 옴부즈맨의 역할 대행

▪ 수도권 정부기관 내의 상주 옴부즈맨은 총감이 임명

▪ 지방 정부기관 내의 상주 옴부즈맨은 해당지역 차감이 임명

마. 회계 감사원(Commission on Audit)

❍ 헌법에 규정된 최고 회계감사기관으로, 원장 및 위원은 대통령이 임명하며

임기는 7년 단임

❍ 감사원장(Chairman) 및 2명의 위원(Commissioner), 15개 부서 및 14개의

지방사무소로 구성

▪ 현 감사원장은 Crace Pulido-Tan

❍ 총 인원은 12,000여 명으로 이 중 70%가 감사기능을 담당하고, 30%는 행

정지원 담당

❍ 정부 및 산하기관의 재무상태 및 운영현황에 관한 연례 보고서를 대통령과

의회에 제출

Page 19: 필리핀 개황%282011.8%29

Ⅱ. 정치 19

2. 사법부

가. 대법원(Supreme Court)

❍ 대법원장 및 14명의 대법원 판사로 구성

▪ 현 대법원장은 Renato Corona

❍ 대법원 판사는 필리핀 태생의 40세 이상이며 10년 이상 법조 경력이 있는 자

중에서 대통령이 임명(대법원 판사는 70세까지 임기 보장)

❍ 조약, 법률, 행정 명령 및 사형 선고에 대한 위헌 여부 심사

❍ 모든 결정은 10명 이상의 대법관의 동의 필요

나. 고등법원(Court of Appeals)

❍ 고등법원장과 대통령이 임명하는 50명의 판사로 구성되는 1개의 고등법원이

수도에 소재

❍ 구속적부심, 영장발급, 지방법원의 판결 심사

다. 지방법원

❍ 지역 법원(Regional Trial Court) : 8개

❍ 수도권 법원(Metropolitan Trial Court) : 17개

❍ 시 법원(Municipal Trial Court in Cities) : 29개

❍ 읍 법원(Municipal Trial Court) : 19개

❍ 시 순회 법원(Municipal Circuit Trial Court) : 10개

Page 20: 필리핀 개황%282011.8%29

20 • 필리핀 개황

라. 특별법원

❍ 회교 법원(Sharia District Court) : 3개

❍ 회교 순회 법원(Sharia Circuit Court) : 11개

❍ 공직범죄 심판 법원(Sandiganbayan) : 1개

❍ 국세심판소(Court of Tax Appeals) : 1개

3. 정당 및 의회

가. 정 당

(1) 약사 및 특징

❍ 약 사

▪ 1946년 독립 후 국민당(Nationalist Party)과 자유당(Liberal Party)의

양당체제가 구축되었으나, 20여 년(1965-86)에 걸친 Marcos 대통령의

장기 집권과정에서 전통정당이 몰락하고 정당제도 자체가 의미를 상실

▪ 1986년 Aquino 정부 출범 이후, 선거 등 필요에 따라 정당이 급조되고

정치인 개인의 이해나 친소 관계에 따라 이합집산이 이루어지는 등 정당

정치의 기반 미확립

▪ 현재 80여 개의 정당이 활동 중

❍ 특 징

▪ 정당정치의 기반 취약 : 정당은 선거나 정국 운영에 있어 영향력을 발휘

하지 못하고 있으며, 정치권은 유력 인물 중심으로

운영

Page 21: 필리핀 개황%282011.8%29

Ⅱ. 정치 21

▪ '인물 정당'의 성격 : 경제적 부와 사회적 지위를 확보한 소수 유력 인물

(가문)은 정권 교체에 관계없이 정치 및 사회 전반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해 왔으며, 정강・정책 중심의

'정책 정당'이 아닌 유력 인물(가문) 위주의 '인물

정당'의 형태로 운영되어 정당간 정책의 차이는 별무

▪ 인기투표 양상 : 각종 선거가 정책 대결이 아닌 후보자 개인의 지명도,

인기 등에 의해 판가름 나는 양상

※ Estrada 전 대통령은 개인적 인기를 기반으로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며, 국회의원,

주지사 등에 영화배우, 방송인, 운동선수 출신이 다수 선출

▪ 빈번한 이합집산 : 정당별 정책노선 차이가 없어 필요에 따른 정당간 이합

집산이 수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당에 대한 소속감이

약하여 소속정당 교체도 빈번

※ 특히 상원은 소속 정당이 아닌 의원 개인의 선택에 따라 여야로 구분되며, 하원

역시 대부분 당적에 관계없이 여권에 합류하는 경향

(2) 여 당 : 자유당(LP : Liberal Party)

❍ 의석 수 : 하원 119석, 상원 4석

❍ 총재 : Drilon 전 상원의장

❍ 1946년 Roxas 대통령이 만든 전통 진보 정당

❍ Aquino 현 대통령이 2010년 5월 대선에서 승리하여 정권교체에 성공

(3) 야권 주요 정당

❍ Lakas-CMD (‘국민의 힘’ 당 연립)

▪ 의석 수 : 하원 46석, 상원 4석

▪ 의장 : Arroyo 전 대통령

Page 22: 필리핀 개황%282011.8%29

22 • 필리핀 개황

▪ Ramos 대통령 후보가 1992년 대선 출마를 위해 Lakas(국민의 힘당)와

NUCD(기독민주당국민연합), UMDP(필리핀이슬람연합)를 합쳐서 만든 정당

▪ 1998년 대선 시 Lakas 연립의 de Venecia 후보가 LAMP(필리핀평민투쟁당)의

Estrada 후보에게 패배하였으나, 2001년 Estrada 대통령 실각 후 Arroyo

대통령 취임으로 집권

❍ NPC (국민연합당)

▪ 의석 수 : 하원 30석, 상원 2석

▪ Marcos 전 대통령의 친족이자 Aquino 전 대통령의 사촌인 기업인

Edgardo Cojuanco가 1992년 대선 출마를 위해 만든 정당으로, 소속의원

대다수가 Marcos 대통령 당시 집권당인 KBL 출신

❍ NP (국민당)

▪ 의석 수 : 하원 22석, 상원 2석

▪ 필리핀에서 가장 오랜 역사(1907년 설립)를 지닌 정당으로, 마르코스 독재

이전까지 유력 정당의 하나였으나 LP와 NPC가 분파해 나가면서 쇠락

❍ PMP(필리핀 대중의 힘 당)

▪ 의석 수 : 하원 5석, 상원 2석

▪ 총재 : Estrada 전 대통령

❍ PDP-Laban (민주필리핀당)

▪ 의석 수 : 하원 2석

▪ 사회민주주의적 성향을 띤 개혁당

❍ LDP (필리핀 민주당)

▪ 의석 수 : 하원 1석, 상원 1석

▪ Aquino 대통령 당시 집권당이었으나 Corazon Aquino가 1992년 대선에서

LDP 후보가 아닌 Lakas 연립의 Ramos를 지지하면서 집권에 실패하였으

며, 같은 해 총선에서 다수의석을 확보하고도 소속 의원 다수가 탈당하여

Lakas당에 합류함으로써 다수당 지위를 상실

Page 23: 필리핀 개황%282011.8%29

Ⅱ. 정치 23

❍ KBL(신사회운동당)

▪ 의석 수 : 하원 1석

▪ Imelda의 1992년 대선 출마 지원을 위해 만든 당

❍ Reporma-LM(개혁-노동자연합)

▪ 의석 수 : 하원 1석

나. 상 원

(1) 개 요

❍ 필리핀 상원은 전국을 선거구로 하여 35세 이상의 입후보자 중에서 득표순

으로 선출된 24명으로 구성

❍ 2011년 3월 현 상원의원 수 : 23명

▪ Aquino 전 상원의원이 2010년 6월 대통령에 취임하여 1명 결원

❍ 매 3년마다 12명씩 개선

❍ 임기는 6년이며, 1회 중임 가능

(2) 주요 권한

❍ 법률안 제안, 심의 및 의결

❍ 대통령 및 대법원장 등에 대한 탄핵심사 결정권

❍ 계엄령의 연장 및 취소

❍ 선전포고 동의

❍ 조약 체결 및 사면에 동의

Page 24: 필리핀 개황%282011.8%29

24 • 필리핀 개황

(3) 구 성

❍ 상원의장(President) : Juan Ponce Enrile(PMP)

❍ 상원부의장(President Pro Tempore) : Jinggoy E. Estrada(PMP)

❍ 여당 원내대표(Majority Floor Leader) : Vicent C. Sotto III(국민연합당)

❍ 야당 원내대표(Minority Floor Leader) : Alan Cayetano(국민당)

❍ 위원회 : 37개

다. 하 원

(1) 개 요

❍ 25세 이상의 입후보자에게 피선거권 부여

❍ 소선거구제에 입각한 1선거구 1인 선출(1선거구는 인구 25만 명 기준), 지역구

230명과 정당・직능단체 대표 57명을 합해 총 287명으로 구성

❍ 임기는 3년이며, 2회 중임 가능

(2) 주요 권한

❍ 법률안의 제안, 심의 및 의결

❍ 예산안, 공공채무관련 법안

▪ 특정지역 또는 개인에게 적용되는 법안은 하원에서 먼저 심의

❍ 탄핵소추안 발의권

Page 25: 필리핀 개황%282011.8%29

Ⅱ. 정치 25

(3) 구 성

❍ 의장(Speaker) : Feliciano Belmonte Jr.(자유당)

❍ 부의장(Deputy Speaker) : Maria Climaco(자유당),

Raul Daza(자유당),

Arnulfo Fuentebella(국민연합당),

Pablo Garcia (LAKAS-CMD),

Jesus Remulla(국민당),

Lorenzo Tanada(자유당)

❍ 여권 원내대표 : Neptali Gonzales(자유당)

❍ 야권 원내대표 : Edcel Lagman(LAKAS-CMD)

❍ 위원회 : 60개

4. 지방행정

가. 기본 행정단위 : 지방자치단체장은 3년마다 주민의 직접투표로 선출되며,

2회 중임 가능

❍ 주(Province) : 80개

시 및 읍(City & Municipality) : 1,634개

동(Barangay) : 42,020개

나. 13개의 지방구역(Regions)

❍ 중앙정부가 행정편의상 분류한 것으로 행정단위는 아니며, 지방 행정단위는

기본 행정단위와 마찬가지로 주, 시(읍), 동으로 구성

Page 26: 필리핀 개황%282011.8%29

26 • 필리핀 개황

《 필리핀의 13개 지방 구역명 》지 역 명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Ilocos

Cagayan Valley

Central Luzon

Southern Tagalog

Bicol

Western Visayas

Central Visayas

Eastern Visayas

Western Mindanao

Northern Mindanao

Southern Mindanao

Central Mindanao

Caraga

다. 3개의 특별지역(Region)

❍ 수도지역(National Capital Region, Metro Manila, 인구 11백만 명)

▪ 14개 시(Caloocan, Makati, Mandaluyong, Manila, Pasay, Pasig,

Quezon, Muntinlupa, Las Pi as, Marikina, Para aque, Valenzuela,

Malabon, Taguig)와 3개 읍(Navotas, Pateros, San Juan)으로 구성

❍ 코르딜레라 행정지역(Cordillera Administrative Region, 인구 1.5백만 명)

▪ 6개 주(Abra, Apayao, Benguet, Ifugao, Kalinga, Mountain Province)와

1개 시(Baguio City)로 구성

❍ 민다나오 이슬람자치지역(Autonomous Region in Muslim Mindanao, 2.7백만 명)

▪ 5개 주(Sulu, Tawi-Tawi, Lanao del Sur, Maguindanao, Basilan)와 1개

시(Marawi)로 구성

Page 27: 필리핀 개황%282011.8%29

Ⅱ. 정치 27

라. 지방의회(3년마다 선거로 선출)

❍ 주 의회(Province Board) : 10명 내외의 의원으로 구성

❍ 시・읍 의회(Council) : 10명 내외의 의원으로 구성

❍ 동 운영위원회(Barangay Council) : 6명의 의원으로 구성

5. 정치 정세

가. 개 관

❍ 필리핀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60년대까지 동아시아에서 일본 다음으로 높은

경제수준을 유지하였으나, Marcos 정권의 장기 집권 기간에 부정부패로 국가

발전 정체

❍ 1986년 시민혁명 이후 민주화를 달성하였으며, Aquino 신정부는 부정부패

일소 및 국가 개혁을 추진 중

나. 1972년 Marcos 계엄령 선포

❍ 1969년 12월 필리핀 사상 최초로 재선된 Marcos 대통령은 정부 전복세력의

위협에 대처한다는 명분 하에 1972년 9월 계엄령을 선포

❍ Marcos는 신사회운동당(New Society Movement, KBL)을 기반으로 언론

장악과 선거조작을 통해 1986년까지 장기 집권

❍ 1983년 8월 21일 Benigno Aquino 상원의원 암살 이후 반정부 시위가 계속

되자 중산층과 경제계를 중심으로 민심이반 현상이 나타났으며, 미국도 지지를

거두기 시작

Page 28: 필리핀 개황%282011.8%29

28 • 필리핀 개황

다. 1986년 시민혁명(People Power I )로 Marcos 장기집권 종식

❍ Marcos는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1986년 2월 7일 조기선거를 실시하고 1986년

2월 16일 자신과 Tolentino 부통령 후보의 당선을 국회에서 발표

❍ 부정선거를 규탄하는 시위가 격화되는 가운데 가톨릭 교계가 Corazon Aquino를

지원하고, 미국이 Marcos 대통령을 비판하자 1986년 2월 22일 Enrile 국방

장관과 Ramos 군 부총사령관은 Marcos 반대진영에 가담

❍ 1986년 2월 25일 야당의 후보인 Aquino와 Laurel이 Marcos의 당선 발표

무효를 선언하고 대통령 및 부통령으로 취임하였고, 국민들의 압도적 지지로

Marcos 대통령이 하와이로 망명함에 따라 시민혁명(People Power I) 성공

❍ Aquino 대통령 이후 Ramos 및 Estrada 대통령은 국민의 직선으로 선출

라. 2001년 시민혁명(People Power II )으로 Estrada 대통령 축출

❍ 압도적 지지로 당선된 Estrada 대통령이 부정부패, 국정운영 능력 부족 등의

문제를 보이자 제2차 시민혁명(People Power II)이 발발, 상원의 탄핵 재판

시작 후 Estrada는 스스로 사임, 2001년 1월 20일 Arroyo 부통령이 대통령

직을 승계

❍ People Power II는 Ramos, Aquino 전 대통령 계열, Makati Business Club

중심의 경제계, 가톨릭 교계, 시민단체, 재야 등 중산층의 지지와 참여로 전개

되었으며, 마지막 순간 군 수뇌부의 Estrada 진영 이탈로 성공

마. Arroyo 정부

❍ Estrada 대통령의 사임으로 2001년 1월 대통령직을 승계받은 Arroyo 대통령은

Estrada 지지세력에 의한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군・경 등을 동원한 강경진압

Page 29: 필리핀 개황%282011.8%29

Ⅱ. 정치 29

하여 정권 안정을 도모하는 한편, 2001년 5월 실시된 총선에서 여당이 상・하원에서 과반수를 확보하는 승리를 이끌어 일단 국민들의 신임을 확보

❍ Arroyo 대통령은 2004년 5월 10일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Fernando Poe

후보를 112만 표 차이로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 6월 30일 취임

❍ Arroyo 대통령은 800억 불에 달하는 공공부채 누적으로 인한 재정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국가개발 10대 공약, 5대 경제개혁 패키지 등을 발표하고 8대

세수증대 조치를 추진

❍ 2005년 이후에는 2004년 대선 결과 조작 의혹 및 가족의 비리 의혹 등으로

야당이 대통령 탄핵을 추진하면서 정치 위기에 봉착

▪ 여당이 다수를 차지하는 하원에서 세 차례 탄핵안 상정 저지(2005년 9월,

2006년 8월, 2007년 10월)

❍ 2007년 중국 차관사업인 국가광대역통신망(NBN) 사업 및 북부철도 재건사

업 관련 비리, 소수 반정부 군인들에 의한 페닌슐라 호텔 점거, de Venecia

하원의장과의 관계 악화 등 정치적 악재 발생에 따라 Arroyo 대통령의 국정

운영 추동력이 저하

❍ 결국 Arroyo 정부의 부정부패 의혹 및 국민들의 민심 이반으로 2010년 5월

선거에서 여당 후보인 Gilbert Teodoro 전 국방장관이 Aquino 상원의원에게

패배

바. Aquino 정부 출범

❍ 2010년 5월 대선에서 Aquino 자유당 상원의원이 부패 청산과 이를 통한 경제

성장 등 국가 혁신을 공약으로 제시하여 당선되어 정권이 교체

❍ Aquino 대통령은 취임 이후 부패 청산을 최우선 국정 과제로 추진하면서 이를

위한 제도적 장치로서 '진실위원회'를 구성하고, Arroyo 전 대통령이 퇴임

Page 30: 필리핀 개황%282011.8%29

30 • 필리핀 개황

직전에 임명한 공직자들을 사퇴시키는 한편, 비리 의혹이 제기된 관급 공사

계약을 파기하는 등 개혁 드라이브를 적극 전개

❍ '진실위원회' 구성을 위한 대통령 행정명령에 대해 대법원이 위헌판결을 내리는

등 개혁 과정이 어려움에 부딪히고 있으나, Aquino 대통령은 부패 청산과

광범위한 개혁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지속 추진중

6. 민다나오 문제

가. 역사적 배경

❍ 민다나오 섬은 100년 전만 해도 이슬람교도가 많은 지역이었으나 미국 식민당

국과 독립 후 필리핀 정부가 가톨릭 교도들을 적극적으로 이주시킨 결과 현재

이슬람교도는 민다나오 전체 인구의 25% 수준(약 500만 명)

❍ 1970년대 초 필리핀대학 정치학 강사 출신의 Nur Misuari가 모로민족해방전선

(Moro National Liberation Front: MNLF)을 결성하고 민다나오의 분리 독립을

요구하며 대 정부 투쟁 개시(이후 40여 년 동안 14만 명의 인명피해 발생)

❍ 1976년 리비아의 중재로 필리핀 정부와 MNLF는 Tripoli 협정을 체결, 이슬람

교도 지역 13개 주(추후 1개가 늘어 14개 주가 됨)와 9개 시를 민다나오 이슬람

자치지역(Autonomous Region in Muslim Mindanao : ARMM)으로 지정하기로

합의

❍ 1989년 주민투표 결과에 따라 4개 주(Sulu, Maguindanao, Tawi-Tawi,

Lanao del Sur)만 ARMM에 포함되었으며, 2001년 8월 자치지역 확대 주민

투표 결과 Marawi 시와 Basilan 주가 자치지역에 추가

Page 31: 필리핀 개황%282011.8%29

Ⅱ. 정치 31

나. 평화협정 체결

❍ Ramos 정부는 이슬람회의기구(OIC) 및 인도네시아 등의 중재에 따라 1993년

10월 이래 MNLF와 3차례의 공식회의 및 8차례의 혼성위원회 개최

❍ 1996년 6월 23일 양측은 평화협정안에 합의하고 1996년 9월 2일 마닐라에서

평화협정에 정식 서명

다. 평화협정의 주요 내용

❍ 평화・개발특별구역(Special Zone of Peace and Development: ZOPAD) 지정

▪ 1976년 Tripoli 협정에 명시되어 있는 민다나오 이슬람지역 14개 주와

9개 시를 ZOPAD 지역으로 선포

《 민다나오 이슬람 지역 》

14개 주

Maguindanao, Sula, Tawi-Tawi, Lanao del Sur, Lanao del Norte, Zamboanga del Sur, Zamboanga del Norte, South Cotabato, North Cotabato, Davao del Sur, Sultan Kudarat, Basilan, Sarangani, Palawan

9개 시Zamboanga, Pagadian, Dipolog, Dapitan, Marawi, Iligan, Cotabato, General Santos, Puerto Princesa

❍ 남부 필리핀 평화・개발위원회(Southern Philippines Council for Peace

and Development) 설치

▪ ZOPAD의 평화정착과 개발 관장(3년간의 한시기구)

▪ 의장, 부의장, 기독교대표, 회교대표 및 Lumad 부족 대표 등 5인의 위원을

대통령이 임명

Page 32: 필리핀 개황%282011.8%29

32 • 필리핀 개황

❍ 자문의회(Consultative Assembly) 구성

▪ ZOPAD 지역의 주지사, 시장, 각 종파 등의 대표 등 총 81명으로 구성(이

중 44명은 MNLF 추천)

❍ MNLF 요원의 군경 편입

❍ Special Regional Security Force 설치

▪ ZOPAD 지역의 치안 담당

라. 민다나오 이슬람자치지역(ARMM) 정부 출범

❍ 1996년 평화협정에 따라 Nur Misuari가 ARMM 주지사에 취임하였으나,

공금횡령 및 유용, 호화생활 등으로 국민들의 비난 고조

❍ 2001년 11월 실시된 ARMM 주지사 선거에서 친 정부인사인 Parouk Hussin이

주지사에 당선

▪ 이후에도 여당 출신 인사들이 주지사에 당선

마. 최근 현황

❍ 필리핀 정부는 MNLF에서 분리된 필리핀 최대의 이슬람반군단체인 모로이슬람

해방전선(MILF : Moro Islam Liberation Front)과 2001년 6월 정전 협정을

체결한 후 평화 협상을 진행 중이며, 2005년 9월 말레이시아의 중재로 개최된

협상이 상당한 진전을 이루어 이슬람 자치정부(BJE) 설치에 관한 합의각서

(MOA)에 합의하였으나 2008년 8월 서명 직전에 이슬람 자치정부의 위헌소송

제기로 무산

❍ 이에 불만을 품은 MILF 과격세력이 민간인 마을들을 공격,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MILF와의 무력충돌이 격화

❍ 이에 따라 필리핀 정부는 MOA 폐기선언과 함께 그간 진행되어온 평화협상을

Page 33: 필리핀 개황%282011.8%29

Ⅱ. 정치 33

원점으로 돌리는 한편, MILF의 '무장해제, 조직해체, 사회복귀'라는 새로운

전략 하에 협상을 추진하겠다고 천명하고 MILF 강경세력 추적에 주력함에 따라

민다나오 평화협상은 재개되지 못하고 공전

❍ Aquino 대통령은 대통령 선거 기간중 임기내 평화협상 타결을 공약으로 제시

하였으며, 2011년 2월 첫 공식협상이 재개

▪ MILF측은 당초 분리독립 노선을 포기하고, 자치권 확대 노선으로 선회

Page 34: 필리핀 개황%282011.8%29

34 • 필리핀 개황

Page 35: 필리핀 개황%282011.8%29

Ⅲ. 외 교

Page 36: 필리핀 개황%282011.8%29
Page 37: 필리핀 개황%282011.8%29

Ⅲ. 외교 37

Ⅲ. 외 교

1. 기본 외교정책(Philippine Foreign Service Act of 1991)

가. 양자 및 다자협력을 통한 국가안보 제고

▪ 군사력의 열세를 외교력으로 보완

나. 경제발전을 위한 경제외교 강화

다. 필리핀 해외근로자(OFWs)의 권익 보호

2. 8대 외교정책 방향

가. 동아시아 안보 및 경제발전에 중요한 미국, 일본, 중국과의 관계 중시

나. ASEAN과의 관계 속에서 필리핀 외교정책 결정

다. 이슬람 국가와의 관계 중시

라. 다자협력 및 지역협력 중시

마. 도서국가로서 해양영토 주권을 포함한 국가 영토주권 확보

바. 경제발전을 위한 외국인투자 유치

사. 외국 관광객 유치

아. 필리핀 해외근로자(OFWs)의 국가 경제 및 사회 안정에의 역할 중시

Page 38: 필리핀 개황%282011.8%29

38 • 필리핀 개황

3. 주요 국가와의 관계

가. 미국과의 관계

❍ 대 미국 관계는 필리핀 안보의 기본축이며, 미국의 역내 군사, 정치, 경제적

존재가 지역안보에 긴요하다고 인식

❍ 1986년 시민혁명 이후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미군의 필리핀 주둔 반대운동이

확산되어, 결국 1992년 11월 필리핀 주둔 미군이 철수하였으나, 이후에도 필리핀

정부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미국의 존재가 지역안보에 기여하고 있다는 인식

하에 미국과의 안보협력관계 유지・강화에 주력

▪ 필․미 상호방위조약(Mutual Defense Treaty 1951)이 양국 안보관계의 근간

이며, 1999년 필․미 방문군지위협정(VFA: Visiting Forces Agreement)

체결로 미국의 원격 안보지원 및 양국간 연합훈련의 법적 기반 마련

▪ 상호방위위원회 개최와 2000년 이래 필․미 연합훈련 실시 등 안보대화 및

합동군사훈련을 통해 안보협력 강화

❍ 1993년 11월 Ramos 대통령의 미국 방문으로 대 미국 관계를 정상화하는 한편,

1994년 11월 Clinton 대통령의 방문으로 기존 우호협력 관계 강화

❍ 특히 2001년 9.11 미국 테러사태 이후 대 테러 전쟁에 대한 Arroyo 정부의

전폭적인 지지로 1992년 미군 철수 후 소원해졌던 양국 안보협력 관계가 완전

복원

▪ 2002년 2-7월간 Abu Sayyaf 반군 소탕을 위한 필․미 연합훈련 실시

▪ 2002년 11월 필․미 상호군수지원협정 체결

▪ 2003년 5월 Arroyo 대통령의 미국 국빈방문 시 Bush 대통령은 필리핀을

주요 NATO 동맹국(Major Non NATO Ally)으로 지정

▪ 2003년 10월 Bush 대통령의 필리핀 국빈방문을 통하여 양국간 군사안보

협력관계 강화

Page 39: 필리핀 개황%282011.8%29

Ⅲ. 외교 39

❍ 2010년 6월 30일 Aquino 정권 출범 이후, 필리핀 정부의 필․미 방문군지위

협정 개정 추진 등으로 양국 관계가 다시 소원해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제기되었으나, 양국은 2011월 1월 제1차 필․미 전략협의(2+2) 개최 등을 통해

변화된 안보환경에서의 양국간 안보협력 강화 모색

▪ Aquino 대통령은 취임 후 2010년 9월 제2차 미․ASEAN 정상회의 및 UN

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을 방문(취임 후 첫 해외 공식방문)하여 오바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개최, 양국간 협력강화에 대해 의견교환

❍ 미국은 필리핀의 최대 교역상대국이며 주요 투자국

▪ 교역량(2010년 1월~11월) : 120억 불(수출 : 65억 불, 수입 : 55억 불)

▪ 투자(2010년) : 3억 불

❍ 1946년 이래 USAID의 개발원조액은 70억 불 이상

❍ 미국에는 400만 명의 필리핀인이, 필리핀에는 25만 명의 필리핀계 미국인

등이 체류하고 있으며, 매년 약 40만명 내외의 미국인이 필리핀 방문

나. 일본과의 관계

❍ 일본은 필리핀의 제1위 공적개발원조(ODA) 지원국이자 제2위의 교역상대국

이며 주요 투자국

❍ 특히 필리핀의 대외원조(ODA) 수원 총액의 50% 내외를 제공하는 등의 외

교적 노력을 통해 제2차 세계대전 시의 부정적 이미지 개선에 주력

❍ 이에 따라 필리핀은 잠재적으로는 일본의 군사대국화를 경계하면서도, 기본적

으로 미・일 안보동맹 틀 내에서 일본의 군사적 역할 확대에 찬성하는 입장

❍ 2003년 12월 양국은 FTA를 포함하는 포괄적 경제협력협정(EPA) 체결에 합의,

2008년 10월 필리핀 상원의 비준동의에 따라 2008년 12월 발효

Page 40: 필리핀 개황%282011.8%29

40 • 필리핀 개황

❍ 교역량(2010년 1월~11월) : 110억 불(수출 : 65억 불, 수입 : 45억 불)

❍ 일본의 대 필리핀 투자(2010) : 13억 불(전체 외국인 투자의 약 30% 차지)

다. 중국과의 관계

❍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선린정책 추진에 따라 베트남 공산화 직후인 1975년 6월

대 중국 관계 정상화

❍ 필리핀은 중국의 경제발전과 이에 따른 국제적 위상 제고 등을 이유로 중국

과의 관계 강화를 도모하고 있으나, 간헐적으로 표면화되는 남사군도(Spratly

Islands)의 영유권 문제가 양국 관계 발전의 저해요소

▪ 필리핀은 중국이 경제발전과 함께 증강된 국력을 바탕으로 공세적인 외교

정책을 전개하면서 남사군도 문제에서도 공세적으로 나올 것을 우려

▪ 필리핀은 중국과의 양자 차원보다는 ASEAN 등 다자 차원에서 해결 기대

❍ 교역량(2010년 1월~11월) : 81억 불(수출 : 44.5억 불, 수입 : 36.5억 불)

❍ 중국의 대 필리핀 투자액(2010년) : 1.3억 불

라. 대 ASEAN 관계

❍ ASEAN을 외교의 지주로 삼아 지역안보 및 통상 증대 도모

❍ 정치적으로는 동남아 비핵화지대 조약(1995년 ASEAN 정상회의 시 서명) 등을

통한 ASEAN의 확대 발전 추구 및 역내 유일의 안보대화체인 '아세안안보포럼

(ARF)'의 중요성 강조

❍ 경제적으로는 1998년 12월 ASEAN 정상회의 시 채택한 '하노이 행동계획' 등을

통해 지역경제 발전 및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 대처 추구

Page 41: 필리핀 개황%282011.8%29

Ⅲ. 외교 41

❍ 2007년 1월 ASEAN 정상회의를 세부에서 개최, ASEAN 헌장 채택을 위한

청사진 제시 등 ASEAN 통합・발전을 위해 기여

❍ 필리핀은 2009년~12년 미국․ASEAN 대화 조정국 역할을 맡고 있음

❍ Aquino 대통령은 취임 이후 2010년 10월 베트남 개최 ASEAN 관련 정상회의

참석 차 베트남을 방문한 데 이어, 2011년 3월 ASEAN 회원국인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를 방문, ASEAN 회원국과의 관계 강화 노력

4. 남사군도(Spratly Islands) 영유권문제

가. 배경

❍ 남중국해 보르네오 섬 북쪽에 위치한 44개 도서와 400여 개 산호초로 구성된

남사군도(Spratly Islands, 해역 22만 ㎢)에 대해 베트남, 필리핀, 중국,

말레이시아, 대만, 브루나이 등 6개국이 영유권 주장(지리적으로는 필리핀이

가장 인접)

▪ 남사군도에 풍부한 석유 및 가스 자원이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영유권 분쟁이 촉발

❍ 중국과 베트남은 두 차례(1974.1, 1988.3) 무력 충돌을 벌였으며, 영유권 주장

국가들은 경쟁적으로 자국 군대를 남사군도에 파견하여 군사시설 설치

❍ ASEAN은 1998년 하노이 행동계획 등 수 차례의 비구속적 선언을 통해 남사

군도문제의 평화적 해결 촉구

나. 필리핀의 영유권 주장

❍ 필리핀 영유권주장의 주된 근거는 인접성(남사군도가 필리핀의 200해리 경제

수역 내에 포함된다는 주장)

Page 42: 필리핀 개황%282011.8%29

42 • 필리핀 개황

❍ 필리핀은 남사군도의 Pagasa 섬 등 8개 도서(Kalayaan 군도)에 병력을 주둔

시키고 분쟁해역을 감시하고 있으나 해군력의 한계로 Pagasa 섬 이외의 도서에

대한 군대 파견은 상징적 수준

❍ 필리핀은 중국과의 양자적 해결에 부담을 느끼고 ASEAN 등 다자 차원에서 접근

▪ 필리핀은 2010년 7월 ARF 외교장관회의 시 미국 Clinton 국무장관의 남

중국해 발언(미국은 남중국해에서 항행자유에 국가적 이해관계를 보유)

이후 남중국해 문제의 국제적 해결을 위한 미국의 개입을 일단 환영하면

서도, 남중국해 문제가 미․중간 현안으로 변질되는 것에 대해서는 경계

다. 필리핀・중국간 분쟁

❍ 중국이 1994년 말부터 Mischief Reef(산호도)에 어민 대피소 명목의 시설물을

설치함에 따라 필리핀-중국 간 분쟁이 표면화된 바, 1차 분쟁은 1995년 8월

분쟁의 평화적 해결 및 분쟁 해역의 평화・건설적 사용에 합의한 필리핀・중국

공동성명 채택으로 일단 종결

❍ 2002년 11월 ASEAN 정상회의에서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행동규범(Code of Conduct)이 채택되어 동 문제의 다자적 접근에 진전 도출

❍ 2005년 8월, 중국 석유공사는 필리핀 및 베트남의 석유공사와 공동 탐사계약을

체결하고 2008년까지 해역에 대한 과학조사 시행

❍ 2009년 3월, 필리핀이 영해기선법 개정을 통해 남사군도의 일부 및 Scarborough

Shoal(황암도)을 자국령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중국의 외교적 항의 야기

❍ 2011년 3월 필리핀의 남사군도 주변수역 조사 선박에 대해 중국 군함이 접근

하여, 남중국해에서 긴장 고조

▪ 또한 필리핀은 영국 소재 Forum Energy 사와 공동으로 필리핀 서쪽 팔라완

인근 Reed Bank 부근의 가스지대에 대한 지질학적 조사 실시 및 여타국

과의 자원 공동개발 가능성 시사 등으로 인해 중국의 항의 유발

Page 43: 필리핀 개황%282011.8%29

Ⅲ. 외교 43

5. 필리핀의 재외공관(2010년 말 기준)

❍ 수교국 : 173개 국

❍ 대사관 : 67개

❍ (총)영사관 : 23개

❍ 국제기구 대표부 : 4개(UN, 제네바 2, 비엔나)

6. 필리핀 주재 외국공관(2010년 말 기준)

❍ 상주 대사관 : 62개(비상주 : 62개)

❍ 상주 영사관 : 67개(명예영사관 : 22개)

❍ 국제기구 대표부 : 25개(ADB, IMF, ILO 등)

Page 44: 필리핀 개황%282011.8%29

44 • 필리핀 개황

Page 45: 필리핀 개황%282011.8%29

Ⅳ. 군 사

Page 46: 필리핀 개황%282011.8%29
Page 47: 필리핀 개황%282011.8%29

Ⅳ. 군사 47

Ⅳ. 군 사

1. 개 요

가. 병역 및 군의 주요간부(2011년 3월 기준)

❍ 현 역 : 지원제

❍ 예비군 : 의무제(대학졸업자에 국한)

❍ 합참의장 공군대장 : Eduardo S.L. Oban, Jr.

❍ 육군사령관 중장 : Arturo B. Ortiz

❍ 해군사령관 중장 : Alexander P. Pama

❍ 공군사령관 중장 : Oscar H. Rabena

나. 병력 및 주요장비(2011년 3월 기준)

군별구분 육 군 해 군 공 군

총 병력 :

11만 4천 3백명7만 7천 명

2만 2천 명

(해병 7천 포함)1만 5천 3백명

주요 부대

9개 보병사단

1개 경기갑여단

1개 공병여단

1개 특전사

1개 함대사

4개 해역사령부

3개 해병여단

4개 전투비행단

8개 지원단

주요 장비

경전차 : 43대

장갑차 : 219대

곡사포 : 219문

경비함 : 17척

고속정 : 65척

군수지원함 : 9척

전투기 : 30대

수송기 : 4대

헬 기 : 37대

Page 48: 필리핀 개황%282011.8%29

48 • 필리핀 개황

다. 국방비

구 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국방비억 페소 460 475 490 510 565 577

억 불 8.4 8.7 9.2 9.4 13.2 14.1

정부예산 비율 7% 7.3% 8% 8.2% 8.7% 8.8%

2. 국방 현대화 동향

가. 군사력 현대화 계획

❍ 목표 및 중점 추진계획

▪ 자주국방 태세 구축

▪ 영토 및 주권보호를 위한 전력 구비

❍ 사업 예산(15년간 예산)

▪ PHASE 1 (실제 가용예산) : 1,645.5억 페소(43억 불)

▪ PHASE 2 (세수증가 등 특별/잉여재원 가용 시에 한해 가능하며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는 예산) : 3,316.2억 페소(87억 불)

※ 1996년 의회 승인을 받았으나 경제위기 이후 중단 상태

Page 49: 필리핀 개황%282011.8%29

Ⅳ. 군사 49

《 전력확보 기본계획(의회 승인 내역) 》구 분 1997-2000 2002-2006 2007-2011 계

육군

기갑장비

야포

대공포

48

8

81

98

150

93

83

120

126

229

278

300

해군

OPV

Patrol Craft

Patrol Boat

Corvette

소해정

수송함

3

2

2

2

1

0

2

7

7

2

2

2

2

7

7

2

0

2

7

16

16

6

3

4

공군

다목적 전투기

대지 공격기

장거리 감시기

지휘 통제기

탐색 구조헬기

방공 레이더

기지 방공체계

12

6

4

0

2

5

2

12

12

2

2

7

1

12

12

6

0

0

3

0

6

36

24

6

2

12

6

20

3. 대외 군사협력 현황

가. 군사협력 협정체결 현황

❍ 필리핀・미 상호방위조약(1951.8)

❍ 필리핀・싱가포르 군사훈련협정(1993.5)

❍ 필리핀・호주 군사협력협정(1993.10)

❍ 한・필리핀 군수방산협력 양해각서(1994.5)

❍ 필리핀・인도네시아 합동국경경비협정(1994.7)

Page 50: 필리핀 개황%282011.8%29

50 • 필리핀 개황

❍ 필리핀・프랑스 군사협력협정(1994.9)

❍ 필리핀・미국 방문군지위협정(1999.5)

❍ 필리핀・말레이시아 방위협력(1994.9)

❍ 필리핀・영국 군사협력협정(1996.11)

❍ 필리핀・태국 군사협력협정(1997.8)

❍ 한국・필리핀 함정/항공기 상호방문시 군수지원 약정(1998.11)

❍ 필리핀・미국 상호군수지원협정(2002.11)

❍ 한국․필리핀 특정 방산물자 조달에 관한 시행약정(2009.5)

나. 주요국과의 군사 훈련

❍ 필리핀・미국 연합 군사훈련

▪ 훈련명 : 연합 기동훈련(Balikatan), 해군 기동훈련(CARAT) 등 매년 실시

▪ 기간 및 병력 규모 : 2-3주 / 2,000명 내외

❍ 필리핀・말레이시아 해상 초계훈련

▪ 주기 및 목적 : 년 1회 / 밀수차단 및 불법어로 감시, 해적 예방

▪ 양국 함정 3-5척이 참가하여 7-10일 간 양국 해상경계 구역에 대한 초계

다. 외국 함정 방문

❍ 한국 : 2010년까지 1-2년 주기로 해군 사관생도 순양훈련함대 방문

❍ 미국 : 매년 10여 척이 훈련 참가 및 장병 휴식 차 방문

❍ 일본 : 매년 해상 자위대 함정 3척(잠수함 1척 포함) 순항훈련 차 방문

Page 51: 필리핀 개황%282011.8%29

❍ 호주・뉴질랜드 : 년 1-2회 함정 2-3척이 군사교류 차 방문

❍ 영국・프랑스 : 1-2년 주기로 함정 2-3척이 군사교류 차 방문

❍ 싱가포르・말레이시아 : 매년 순항훈련 차 방문

❍ 인도・캐나다 : 2-3년 주기로 군사교류 차 방문

❍ 대만 : 1999년 방문 시 병사의 군복착용 불허방침에 불응한 대만의 조치에

중국측에서 반발한 이후 실적 무

라. 군사협력 회의

❍ 정보교류 회의 : 한국, 미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호주,

뉴질랜드, 영국 등

❍ 군수협력 회의 : 한국, 미국, 영국, 호주 등

Page 52: 필리핀 개황%282011.8%29

Ⅴ. 경 제

Page 53: 필리핀 개황%282011.8%29
Page 54: 필리핀 개황%282011.8%29

54 • 필리핀 개황

Ⅴ. 경 제

1. 개 요

가. 경제 구조

❍ ASEAN 국가 중 발전 속도가 늦은 편으로, 각종 경제사회 발전 장애요소 상존

▪ 열악한 인프라 및 산업기반

▪ 극심한 빈부격차(15대 명문가문이 국부의 50% 이상 점유, 5인기준 가구당

월 소득 134불 이하 빈곤층이 전 인구의 1/3) ※ 2009년 필리핀통계청 자료

▪ 낮은 농업생산성(노동력의 1/3이 농업에 종사하나, GDP 중에서 농업의

비중은 15%에 불과)

※ 제조업: 종사 인구 15%, GDP 비중 30%, 서비스업: 종사 인구 51%, GDP 비중 55%

▪ 높은 인구증가율(연 2.04%) 및 실업률(7.4%)

▪ 정부 부패 등으로 인한 막대한 재정적자

❍ 그러나 해외파견 근로자의 송금(2010년 기준 약 188억 불), 풍부한 자연자원

(매장량 세계 8위), 영어 사용, 저렴한 인건비 및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적자

해소 및 경제개발 노력을 감안 시 향후 성장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

《 주요 경제지표 》구 분 2008년 2009년 2010년*

GDPGDP 성장률1인당 GDP수 출수 입

인플레이션율실업률

외환보유고

1,646억 불3.8%

1,847 불482억 불608억 불

9.3%7.4%

376억 불

1,745억 불1.1%

1,746 불384억불431억불3.2%7.5%

442억 불

1,872억 불7.3%

2011 불414억불494억불4.2%7.3%

497억 불

※ 출처 : 필리핀 통계청(NSCB), 중앙은행(BSP), IMF, * 2010년은 EIU 추정치

Page 55: 필리핀 개황%282011.8%29

Ⅴ. 경제 55

2. 경제 동향

❍ 경제성장률 현황 및 전망

▪ 소수 화교, 스페인계 자본 등 재벌기업에 의한 국내 경제 독점과 Marcos

정부의 폐쇄적 공업화 정책으로 어려움을 겪던 필리핀 경제는 1990년대

중반 이후 회복세

▪ Arroyo 정부 당시 시행된 무역투자 부문 자유화 확대, 정치 안정으로

2007년에는 31년 만에 최대치인 7.2%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 2008년 세계 금융위기와 고물가에도 불구하고, 해외근로자(OFWs, Overseas

Filipino Workers) 송금액 증가, 소비중심 경제구조에 힘입어 인근 동남아

국가에 비해 높은 수준의 3.8%의 성장률을 기록

※ 해외근로자 송금액은 필리핀 GDP의 10%, 외환보유고의 38% 수준(2010)

▪ 2010년에는 금융위기 영향으로 1.1% 성장에 그친 2009년 경제침체에서

반등하여 7.3%의 높은 경제성장을 기록

※ 상품과 서비스 수출이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서의 지속적

성장이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분야에서의 성장감소를 상쇄

❍ 수출・입 동향

▪ 원유, 곡물, 공산품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매년 수십억 불의

적자 발생(2010년 94억 불 적자)하였으나, 2010년 1~11월까지 예외적으로

16억 불 흑자 기록

▪ 2010년 1~11월까지 총 교역은 전년도 동기 대비 36.6% 증가하였는데, 아시아

시장 역내 경제활동 증대가 수출증대에 강한 추진력을 제공

▪ 전자제품, 구리금소, 기계/운송장비, 화학제품, 코코넛 오일 등의 수출이

큰 폭으로 신장

▪ 필리핀은 무역적자를 해외근로자 송금액으로 메우고 있는 실정

Page 56: 필리핀 개황%282011.8%29

56 • 필리핀 개황

《 필리핀의 수·출입 현황 》(단위 : 억 불, %)

연 도수 출 수 입 총 계 수 지

증감 증감 증감 증감

2006 465 15.6 533 10.9 998 13.0 -68 11.7

2007 495 6.4 577 8.4 1,072 7.4 -82 -20.6

2008 490 -1.0 566 -1.9 1,056 -1.5 -76 7.3

2009 383 -21.8 430 -24.0 813 -23.0 -47 38.2

2010(~11월) 514 46.9 498 27.4 1,012 36.6 +16 134.0

※ 출처 : 필리핀 중앙은행(BSP)

▪ 수출 지역별로는, 대 미국 수출이 65억 불(2010.1~11)로 전체 수출의 15.1%

※ 필리핀의 대 한국 수출은 19억 불로 필리핀의 8위 수출국 지위

《 필리핀의 주요 수출 대상국 》(단위 : 백만 불, %)

순위 국 가2010년 1~11월

금 액 비 중

- 전체 수출 43,084 100

1 미 국 6,504 15.1

2 일 본 6,487 15.0

3 싱가포르 6,418 14.9

4 중 국 4,452 10.3

5 홍 콩 3,526 8.2

6 독 일 2,356 5.5

7 네덜란드 2,171 5.0

8 한 국 1,892 4.4

9 대 만 1,382 3.2

10 말레이시아 1,192 2.7

※ 출처 : 필리핀 통계청(NSO)

▪ 품목별로는 전자, 반도체 수입비중이 전체의 60%로 월등히 높고, 그밖에

의류(주로 고급브랜드 제품 봉제), 구리(동남아 2대 광물 부국), 석유화학,

가구 등이 주요 수출품

▪ 2010년 특히 전자, 구리, 기계/운송장비, 코코넛오일 등 수출 크게 증가

Page 57: 필리핀 개황%282011.8%29

Ⅴ. 경제 57

▪ 특히 전자/반도체의 경우 인텔, TI, 삼성, 산요, 아남 등 외국 전자회사가

다수 진출해 있어 이들 기업과 협력한 부품 수입, 반제품 및 완제품 제조,

수출 산업이 발달

《 필리핀의 주요 품목별 수출 현황 》(단위 : 백만 불, %)

순위 품 목2009년

금 액 비 중

- 전체 수출 38,334 100

1 전자부품, 반도체 15,574 40.6

2 데이터 처리기기 4,931 12.9

3 의류 부자재 1,084 2.8

4 목재품 및 가구 820 2.1

5 점화케이블 752 2.0

6 구리 687 1.8

7 위탁가공품 667 1.7

8 코코넛 오일 594 1.5

9 자동차 부품 532 1.4

10 금속부분품 481 1.3

※ 출처 : 필리핀 통계청(NSO)

▪ 수입은 자본재, 중간재 수입 비중이 높은 관계로 미국, 일본, 싱가포르

등으로부터 수입 비중이 높고 한국으로부터 수입 비중은 6.8%(2010)로 6위

《 필리핀의 주요 수입 대상국 》(단위: 백만 불, %)

순위 국 가2010년

금 액 비 중

- 전체 수입 44,619 100

1 일 본 5,557 12.5

2 미 국 4,735 10.6

3 싱가포르 4,304 9.6

4 중 국 3,650 8.2

5 태 국 3,288 7.4

6 한 국 3,041 6.8

7 대 만 2,854 6.4

8 말레이시아 2,053 4.6

9 인도네시아 1,829 4.1

10 홍 콩 1,228 2.8

※ 출처 : 필리핀 통계청(NSO), 1-11월 기준, 필리핀 상무부(DTI)

Page 58: 필리핀 개황%282011.8%29

58 • 필리핀 개황

▪ 품목별로는 필리핀 산업 구조(전체 수출의 60%를 전자, 반도체가 차지,

필리핀 진출 다국적 기업 중심)를 반영하듯이 전자, 반도체 등 중간재의

수입 비중이 높고, 이외에 원유, 기계, 철강 등 자본재 수입 비중이 높음

《 필리핀의 주요 품목별 수출 현황 》(단위 : 백만 불, %)

순위 품 목2009년

금 액 비 중

- 전체 수입 43,008 100

1 전자, 반도체 11,366 26.4

2 원유, 연료 7,334 17.1

3 운송장비 2,252 5.2

4 데이터 처리기기 2,197 5.1

5 곡식류 1,871 4.4

6 산업용기계 1,725 4.0

7 유․무기화학물 1,127 2.6

8 철 강 918 2.1

9 통신기기 858 2.0

10 철광석 850 1.9

※ 출처 : 필리핀 통계청(NSO)

❍ 외국인 투자 동향

▪ 2010년 외국인의 필리핀 투자는 전년대비 61% 증가 (4대 투자유치기관 신

고기준, 승인액 기준)

Page 59: 필리핀 개황%282011.8%29

Ⅴ. 경제 59

《 필리핀의 국별 외국인 직접투자 현황 》

No 국 가2009 2010 비중

(2010)증가율(09/10)백만 페소 백만 불 백만 페소 백만 불

1 일 본 70737.1 1645.0 58,333.1 1,356.6 29.8 -17.5

2 네덜란드 2070.0 48.1 36,784.1 855.4 18.8 1677

3 한 국 9623.6 223.8 31,182.4 725.2 15.9 224

4 스위스 2622.0 61.0 13,556.5 315.3 6.9 417

5 미 국 12947.1 301.1 13,159.0 306.0 6.7 1.6

6 케이만아일랜드 0.0 0.0 10,638.3 247.4 5.4 0

7 버진아일랜드 1176.0 27.3 7,653.8 178.0 3.9 550.8

8 싱가포르 3468.0 80.7 7,283.0 169.4 3.7 110

9 중 국 2391.8 55.6 5,657.1 131.6 2.9 136.5

10 기 타 6183.9 143.8 3,965.3 92.2 2.0 -35.9

11 인 도 634.1 14.7 1,856.6 43.2 0.9 192.8

12 대 만 222.6 5.2 1,505.8 35.0 0.8 576.4

13 독 일 1001.0 23.3 1,096.7 25.5 0.6 9.6

14 영 국 3439.4 80.0 1,065.0 24.8 0.5 -69

15 말레이시아 96.4 2.2 753.8 17.5 0.4 681.7

16 호 주 799.4 18.6 614.6 14.3 0.3 -23.1

17 프랑스 112.2 2.6 602.3 14.0 0.3 436.6

18 캐나다 312.4 7.3 156.9 3.6 0.1 -49.8

19 모리셔스 0.0 0.0 115.5 2.7 0.1 0

20 홍 콩 3923.3 91.2 59.1 1.4 0.0 -98.5

21 벨기에 55.5 1.3 29.5 0.7 0.0 -46.8

  합 계 121815.8 2832.9 196,068.4 4,559.7 100 61

※ 출처 : 필리핀 통계청(NSO)

Page 60: 필리핀 개황%282011.8%29

Ⅵ. 사 회

Page 61: 필리핀 개황%282011.8%29
Page 62: 필리핀 개황%282011.8%29

62 • 필리핀 개황

Ⅵ. 사 회

1. 치 안

가. 열악한 치안 환경

❍ 필리핀은 인구는 1억 명으로 추산되지만, 경찰 총 병력은 10만 명 수준으로

경찰 1인당 약 1,000명, 수도권 등 인구밀집지역에는 약 5,000명의 치안을

책임지는 수준

▪ 경찰 부패도 만연하여 살인, 납치, 금품 갈취 마약 등 강력사건에 경찰이

개입하는 경우가 빈번

▪ 불법 총기가 2010년 말 기준 1,110,000정에 이르며, 전국적으로 연간 1만 건

이상의 총기를 이용한 강력사건이 발생하고 있으나, 경찰의 수사기법은

초보적인 수준

❍ 필리핀에는 관광객이 자주 찾는 수빅, 세부 막탄섬, 보홀섬, 보라카이섬 등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치안상태가 좋지 않으며, 민다나오섬(다바오/카가얀

데오로시, 수리가오/아구산 주 제외), 술루, 바실란, 팔라완주 프린세스프린세사

이남지역은 테러 및 범죄 단체의 활동이 활발하며, 이슬람 반군과 정부군과의

교전도 종종 발생

▪ 2010년 11월 8일부로 필리핀에 대한 여행경보 단계를 일부지역을 제외하

고는 전반적으로 상향 조정

❍ 2009년, 2010년 우리국민을 상대로 각 6건의 살인 사건이 발생하는 등 총기에

의한 강력사건이 종종 발생

Page 63: 필리핀 개황%282011.8%29

Ⅵ. 사회 63

나. 이슬람 반군

❍ 모로 민족해방전선(Moro National Liberation Front ; MNLF)

▪ 1996년 9월 2일 정부와 평화협정을 체결, MNLF 소속원은 대부분 정부군과

경찰 등으로 편입되었으나, 전 지도자 Nur Misuari 추종세력이 잔존

❍ 모로 이슬람해방전선(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 MILF)

▪ MNLF 세력간 내분에 따라 1979년 Hashim Salamat가 MNLF에서 이탈해

창설

▪ 이슬람지역내 완전한 독립정부 수립을 주장하며, 정부와 MNLF간 체결된

평화협정에 반발

▪ 2001년 6월 정부와 정전 협정을 체결하였으나 정부군과 MILF간 충돌이

계속되고 있으며, 특히 2003년 2월 이후 한때 무력충돌이 격화되고 MILF에

의한 테러공격 증가

▪ 2003년 7월 정부와 MILF간 민다나오 개발 등을 내용으로 한 잠정 평화

협정 체결 이후 양측간 무력충돌은 다소 감소 추세

▪ 2005년 9월 이후 말레이시아 중재로 개최된 협상에서 진전을 이루어 2008년

8월 양측간 합의각서(MOA) 서명 직전까지 갔으나 가톨릭계 지자체들의

반발로 무산된 후 무력충돌 발생

▪ 2010년 6월 Aquino 정부 출범 이후 평화협상 진행 중

❍ Abu Sayyaf Group

▪ 1991년 8월 Abdurajak Abubakar Janjalani가 이슬람국가 건설을 목표로

민다나오에 창설한 과격 테러단체

▪ 암살, 폭탄테러, 납치 등의 테러활동을 자행하고 있으며, 알 카에다와도

연계(미국 정부는 테러단체로 지정)

▪ 2002년 2-7월간 Abu Sayyaf 반군 소탕을 위한 필리핀・미국 연합 훈련으로

세력이 크게 위축되었으나, 본거지를 Sulu 지역으로 이동, 현지 반군세력과

합세하여 조직을 재정비

▪ 특히 인도네시아의 국제테러단체인 Jemaah Islamiyah(JI)와 협력을 강화

하여 테러훈련, 장비 등을 제공받고 필리핀 내에서 폭탄테러 등 자행

Page 64: 필리핀 개황%282011.8%29

64 • 필리핀 개황

❍ 군소 이슬람단체

▪ 기타 Islamic Command Council, Moro Revolutionary Army, MNLF

Reformist Group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활동은 별무

다. 공산반군 : 신인민군(New People's Army; NPA)

❍ 1968년 모택동주의를 추종하는 필리핀공산당 재건 직후 Jose Maria Sison이

공산당의 무장조직으로 결성

❍ 1980년대 중반에 크게 세력을 확장하여 60개 주에 걸쳐 전 국토의 약 1/4를

장악하고 1987년 25,000명까지 세력을 확장한 바 있음

❍ 1985년 말 마닐라 수도권 지역에서는 도시 게릴라 부대인 Alex Boncayao

Brigade(ABB)가 대 정부 전복활동 전개

❍ 1991년 8월 철저한 무장 투쟁을 주장하는 킨타나르 사령관 체포 이후 Ramos

정부의 사면과 회유로 세력이 감소하고 일반인들의 지지를 받지 못해 현재는

루손 섬 산간지방을 중심으로 소규모 병력만 유지

❍ 2010년 6월 Aquino 정부 출범 이후 평화협상 진행 중

2. 교 육

가. 약 사

❍ 필리핀 최초의 대학은 1611년 설립된 산토 토마스 대학교(UST)이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성직자들에 의한 종교교육을 위주로 운영

❍ 1898년 스페인으로부터 영유권을 이어받은 미국은 필리핀인에 대한 교육보급에

노력하여 공립 초․중등학교를 정비하고 1908년 필리핀국립대학 설립

Page 65: 필리핀 개황%282011.8%29

Ⅵ. 사회 65

❍ 1946년에 완전독립을 달성한 필리핀은 1935년 헌법을 기반으로 민족주의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영어와 타갈로그어를 공용어로 하는 독자적 교육 추진

나. 학 제

❍ 필리핀의 학제는 초등학교 6년, 중등학교 4년(우리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통합

교육)이 기본

▪ 2011년부터 필리핀 정부는 순차적으로 초등학교 6년, 중학교 4년, 고등학교

2년의 12학년 교육제도 도입

❍ 초등학교 입학 연령은 6세이며, 대학진학을 위해서는 중등교육 수료후 전국

적인 예비고사와 각 대학의 입학시험 합격 필요

▪ 학교 수(2010년 기준)

- 초등학교 : 44,846개

- 중등학교 : 10,384개

- 대학교 : 2,180개

- 기술 및 직업학교 : 250개 이상

다. 특 징

❍ 중등교육까지는 누구나 적은 비용으로 수학할 수 있어 개발도상국 중 교육

수준이 비교적 높은 편(문자해독율 : 92.6%)

▪ 초등학교 진학률 : 99%(2009학년도 기준 13,934,172명 등록)

▪ 중등학교 진학률 : 82%(2009학년도 기준 6,806,079명 등록)

❍ 2,000여 개 이상의 정규대학이 있으며, 대학 재학생 수는 2009학년도 기준

약 265만 명이고, 그중 64%가 사립대학에 재학(연간 대학 졸업자 수는 2009년도

졸업생 기준 약 46만 명)

❍ 대학생의 40% 정도가 마닐라 소재 대학에 다니고 있어 지역간 교육격차가

심각

Page 66: 필리핀 개황%282011.8%29

66 • 필리핀 개황

라. 필리핀 주요 대학

대 학 명 설립년도 학생 수(2010년 기준)

University of Santo Tomas

Ateneo de Manila University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De La Salle University

Philippine Women's University

Miriam College Foundation

University of the East

Lyceum of the Philippines

University of Asia and the Pacific

1611년

1859년

1908년

1911년

1919년

1926년

1946년

1952년

1968년

41,653명

11,718명

53,285명

15,125명

10,000명

2,300명

21,500명

12,589명

2,400명

3. 종 교

가. 지역별 분포

❍ 필리핀의 종교 문화권은 루손 섬을 중심으로 하는 가톨릭(83%) 및 개신교

(9%)의 기독교 문화권, 민다나오 섬을 기반으로 하는 이슬람(5%) 문화권,

그리고 북부 내륙 고지대의 애니미즘(Animism) 문화권으로 크게 분류

나. 약사

❍ 가톨릭은 1521년 마젤란 도착 이후 전래되었으나 본격적으로 포교된 것은

16세기 후반으로, 초기에는 주민의 가톨릭화가 용이하지 않았으나 17세기

중반부터 주민들 사이에 정착되기 시작

❍ 개신교의 선교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미국・스페인 전쟁 때로, 미국은

1899년부터 개신교의 포교를 시작하였으며, 당시 가톨릭에서 금지하던 성경의

각 언어별 번역 작업을 실시하고 교육・의료 분야 등에 적극적으로 진출

Page 67: 필리핀 개황%282011.8%29

Ⅵ. 사회 67

❍ 이슬람교는 1380년경 술루 군도를 시작으로 민다나오 섬에 전파되고 16세기

후반 루손 남부지역까지 세력이 확장되기도 하였으나, 스페인의 가톨릭화 정책

으로 현재는 민다나오 지역에만 세력 유지

4. 노동

가. 기본정책

❍ 필리핀 정부는 노동자 보호, 완전고용 촉진, 평등한 고용 기회 보장, 노동단체

구성권과 단체협상 보장, 인간적인 노동조건 보장 등을 정책의 목표로 설정

❍ 노동법은 1974년에 제정된 Labor Code를 중심으로 기존의 관계 법령을 종합

나. 노조활동

❍ 최근 노조활동은 1990년대에 비해 현격히 감소했으며, 대부분 제조업 분야에 한정

▪ 노사분규 건수가 1990년 183건에서 2010년 8건으로 지속 감소

❍ 개별노조는 2011년초 기준 16,293개, 가입자 수는 약 136만 명으로 추산되며,

그중 75만 명이 메트로마닐라에 집중

❍ 필리핀 3대 노조연합은 '필리핀 노동조합 회의(TUCP)', '노동절 운동(KMU)',

'자유노동자 연합(FFF)'이며, 노동조합 수는 약 5,700여 개로 추산

❍ 필리핀 노조연합의 양대 단체는 '필리핀 노동조합회의(TUCP)'와 '노동절 운동

(KMU)'인데, TUCP는 1974년에 결성된 최대 노조연합 단체로서 온건 노선인

반면, 급진 노선의 KMU는 정부와 대립하면서 TUCP와도 불화 관계

Page 68: 필리핀 개황%282011.8%29

68 • 필리핀 개황

다. 최저임금

❍ 최저임금은 지역별 지역임금위원회(Regional Wage Board)가 결정

▪ 구성 : 노동고용부의 지역책임자(의장), 경제개발청과 통산부 책임자(부의장),

고용주 측과 피고용자 측 대표자

❍ 최저임금 수준은 각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으며, 메트로마닐라의 경우 1일

비농업 404페소, 농업 367페소(2011년 3월 기준)

5. 보건복지

가. 주요시책

❍ 보건 및 복지정책은 보건부와 사회복지개발부에서 각각 관장

❍ 국민건강을 위한 보건 프로그램으로 기초건강관리 프로그램, 임산부와 어린이를

위한 건강관리 프로그램, 결핵관리 프로그램 등이 시행되고 있으며, 의약품의

품질을 높이고 약품 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해 의약품개발 프로그램 마련

❍ 또한 빈곤층과 여성, 아동, 장애인, 노인의 복지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시행

나. 의료인력 및 시설현황

❍ 정부는 의료인력 양성 및 의료시설의 확충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의사 및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인의 수는 크게 부족하며 병원 및 병상 수 등 의료

인프라는 열악한 수준

▪ 병원 수 : 약 1,820여 개(병상 수 97,430여 개)

▪ 의료인력 : 의사 2,462명, 치과의사 1,771명, 간호사 27,839명, 약사 3,050명

(2010년 12월 말 기준)

Page 69: 필리핀 개황%282011.8%29

Ⅵ. 사회 69

6. 언 론

가. 개 요

❍ 언론계는 1986년 2월 시민봉기 이후 전면적 개편이 이루어져 Marcos 정권

당시 폐간이나 정간되었던 언론사가 복간되고 새로운 언론사가 창설되는 등

자유언론을 구가

나. 중앙 일간지

명 칭 설립일 언어 발행부수

Manila Bulletin

Philippine Star

Philippine Daily Inquirer

Manila Standard Today

Manila Times

Business World

Business Mirror

Malaya

The Daily Tribune

1900년 2월 2일

1986년 7월 28일

1985년 12월 9일

1987년 2월 11일

1898년 10월 11일

1967년 2월 27일

2005년 10월 3일

1983년 1월 17일

1994년 1월 10일

영어

"

"

"

"

348,000부

262,285부

273,000부

130,000부

187,000부

65,000부

82,600부

80,000부

130,000부

다. TV 방송국

❍ 국영 MBN-4 외에 민영방송국 6개 사가 있으며(ABS-CBN과 GMA-7이 양대

방송사), 방송언어는 타갈로그어를 주로 사용하고 영어도 일부 사용

Page 70: 필리핀 개황%282011.8%29

70 • 필리핀 개황

명 칭 (채 널) 설립일

ABS-CBN

MBN-4

TV5

GMA-7

RPN9

IBC13

NET25

1946년 6월 14일

1974년

1960년 6월 19일

1961년 10월 21일

1960년 7월 29일

1975년 2월 1일

1999년 7월 27일

라. 라디오

❍ 383개의 AM 방송국, 659개의 FM 방송국이 있음

7. 주요 공휴일

1. 1 신년

3-5월 중 성 목요일, 성 금요일

4. 9 바탄 기념일(Bataan Day)

5. 1 노동절

6.12 독립기념일

8.21 아키노 기념일(Ninoy Aquino Day)

8.25 독립영웅 기념일

11.1 모든 성인의 날

11.30 보니파시오 기념일(Bonifacio Day)

12.25 성탄절

12.30 리잘 기념일(Rizal Day)

※ 관청, 은행, 회사는 토요일 휴무

Page 71: 필리핀 개황%282011.8%29
Page 72: 필리핀 개황%282011.8%29

Ⅶ. 우리나라와의 관계

Page 73: 필리핀 개황%282011.8%29
Page 74: 필리핀 개황%282011.8%29

74 • 필리핀 개황

Ⅶ. 우리나라와의 관계

1. 약 사

1949.3.3 수교

1950.9.19 한국전쟁에 필리핀 파병

1954.1.19 마닐라에 공사관 설치

1954.11.11 서울에 공사관 설치

1958.2.1 각각 대사관으로 승격

1966.10 박정희 대통령 필리핀 방문

1981.7 전두환 대통령 필리핀 방문

1993.5 Ramos 대통령 방한

1994.11 김영삼 대통령 필리핀 방문

1999.6 Estrada 대통령 방한

1999.11 김대중 대통령 필리핀 방문

2003.6 Arroyo 대통령 방한

2005.11 Arroyo 대통령 방한(APEC 정상회의, 부산)

2005.12 노무현 대통령 필리핀 방문

2007.1 노무현 대통령 필리핀 방문(ASEAN+3 정상회의, 세부)

2009.5 Arroyo 대통령 방한(한․ASEAN 특별정상회의, 제주)

2. 조약 체결 현황(발효)

1960.11.11 비이민여권의 사증수수료 면제각서

1961.1.1 소포우편협정

1961.2.24 무역협정(1964.8.8 개정)

Page 75: 필리핀 개황%282011.8%29

Ⅶ. 우리나라와의 관계 75

1969.8.11 항공운수협정(1994.4.11, 2009.4.22 개정)

1970.9.1 외교관 및 관용여권 사증면제 각서교환

1973.4.27 문화협정

1978.11.6 무역협정(1961년 및 1964년의 무역협정 대체)

1985.6.13 경제기술협력협정

1986.8.12 과학기술협력협정

1986.11.9 이중과세방지협정

1991.1.30 대외경제협력기금 차관공여 각서교환

1996.11.30 범죄인인도조약

1995.5.12 대외경제협력기금 차관공여 교환각서

1996.9.25 투자보장협정

1997.10.24 대외경제협력기금 차관공여 교환각서

2001.2.8 한-필리핀 친선병원건립을 위한 사업 시행약정

2003.6.3 대외경제협력기금 차관협정

2003.6.3 한-필리핀 다바오시 직업훈련원의 건립약정

2003.6.3 한-필리핀 정보기술훈련원의 건립약정

2004.1.29 대외경제협력기금 차관약정

2005.12.15 대외경제협력기금 차관약정

2007.12.13 대외경제협력기금 보충융자차관 공여약정

2007.12.21 대외경제협력기금 차관 기본약정

2008.11.17. 형사사법공조조약

2009.5.30 미곡종합처리장 건립사업 시행약정

Page 76: 필리핀 개황%282011.8%29

76 • 필리핀 개황

3. 경제・통상 관계

가. 교역 동향

❍ 2010년 우리나라의 대 필리핀 수출은 58.4억 불, 수입은 34.9억 불로, 2009년

대비 수출과 수입은 각각 27.8%, 31.5% 증가하였으며, 무역수지 흑자도 처음

으로 20억 불 돌파(23.5억 불)

《 한국-필리핀 수·출입 현황 》 (단위 : 백만 불, %)

구 분2008 2009 2010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총 계 8,115 18.3 7,219 -11.0 9,326 29.2

수 출 5,016 13.5 4,567 -9.0 5,838 27.8

수 입 3,099 27.1 2,652 -14.4 3,488 31.5

수 지 1,917 -3.3 1,916 -0.1 2,350 22.7

※ 출처 : 한국무역협회

▪ 우리나라는 필리핀의 8위 수출대상국이자 6위 수입대상국(5위 교역대상국)

▪ 필리핀은 우리나라의 17위 수출대상국이자 27위 수입대상국

나. 품목별 수출・입 동향

❍ 대 필리핀 주요 수출품은 전기전자 부품(반도체)을 비롯, 석유제품, 자동차,

철강판, 정밀화학원료, 동제품 등 중간재/산업재가 주종

▪ 반도체는 글로벌 금융위기에 이은 경기 위축으로 2009년 소폭 감소했다가

2010년 다시 급반등하여 수출 비중이 2009년 24.8%에서 2010년 31.7%로

상승, 최대 수출품목 유지

▪ 특히 자동차의 경우, 전년도 대비 73.1%의 기록적인 수출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대차의 경우 도요타, 미쯔비시에 이어 시장점유율 3위 기록

(시장점유율 : 현대 8.1→11.8%, 기아 2.7→3.5%)

Page 77: 필리핀 개황%282011.8%29

Ⅶ. 우리나라와의 관계 77

▪ 한진중공업 선박용 수요와 포스틸의 코일센터 설립으로 크게 늘었던 철강판

수출은 2009년 50% 감소 후 건설 경기 회복 등에 힘입어 76.6% 급반등

▪ 그외 필리핀 경기 회복세에 맞춰 동제품, 화학원료, 기계류, 전기부품 등

자본재 수출도 급격한 회복세

《 우리나라의 대 필리핀 10대 수출품 》(단위 : 백만 불, %)

순위  품목명2009 2010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 계 4,567 -8.9 5,838 27.8

1 반도체 1,132 -7.7 1,852 63.6

2 석유제품 780 -12.9 536 -31.3

3 자동차 191 4.2 331 73.1

4 동제품 121 -26.5 248 76.7

5 철강판 140 -49.5 245 61.4

6 정밀화학원료 152 69.9 241 99.3

7 수동부품 139 70.8 227 63.2

8 합성수지 114 -12.1 139 22.1

9 기타기계류 64 21.0 103 60.6

10 편직물 72 -11.7 94 31.1

※ 출처: 관세청

❍ 우리나라의 대 필리핀 수입품목은 반도체가 총 수입의 1/3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원유, 동제품, 곡실류 등 1차 생산품과 컴퓨터, 평판 디스플레이 등

현지 진출 외국기업이 생산하는 IT 제품이 주종

▪ 특히 최근 필리핀 광물자원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구리 130%, 원유 240%

등 수입 급증

Page 78: 필리핀 개황%282011.8%29

78 • 필리핀 개황

《 우리나라의 대 필리핀 10대 수입품 》(단위 : 백만 불, %)

순위 품목명2009 2010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2,652 -14.4 3,488 31.6

1 반도체 1,037 4.1 1,256 21.0

2 원유 149 74.8 502 237.6

3 동제품 371 -47.2 332 -10.5

4 곡실류 205 -0.6 257 25.6

5 컴퓨터 108 -12.8 138 27.7

6 수동부품 93 19.6 129 38.2

7 기호식품 80 24.3 89 11.8

8 동광 36 12.8 83 129.8

9 식물성물질 49 -31.8 60 22.2

10 평판디스플레이 65 -16 57 -12.5

※ 출처: 관세청

다. 필리핀의 대 한국 투자 현황

❍ 필리핀의 대 한국 투자는 1962-2011년 3월 누계 기준 109건, 127백만 불로,

우리나라 전체 투자유치 실적(49,671건, 1,736억 불)의 0.1%에도 미치지 못

하는 미미한 수준

❍ 연도별 투자 건수, 금액도 별다른 추세치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상태

《 필리핀의 대 한국 투자 동향 》(단위 : 건, 천 불)

2007 2008 2009 2010 1962~2011.3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8 442 19 1,358 13 651 7 328 109 126,978

※ 출처 : 지식경제부, 신고 기준

Page 79: 필리핀 개황%282011.8%29

Ⅶ. 우리나라와의 관계 79

라. 우리나라의 대 필리핀 투자 현황

❍ 1968년부터 2011년 3월까지 전체 누계 기준, 우리기업의 대 필리핀 투자건수는

1,233개사가 2,796건(신고기준), 금액은 26.4억 불

▪ 2006년 이후 우리 기업의 필리핀 투자 규모가 급증하여, 최근 투자순위

1~3위를 기록하며 주요 투자국 위상 확립

《 한국의 대 필리핀 투자 동향 》 (단위 : 건, 백만 불)

연 도 건 수 법인수 (신규) 신고액

1968~2011.3 2,796 1,233 2,637

2005 133 50 76

2006 221 112 193

2007 295 135 221

2008 363 106 356

2009 233 66 298

2010 199 69 385

※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신고 기준

❍ 2010년 한국은 312억 페소(15.9%)를 투자하여 일본(583억 페소, 29.8%), 네덜

란드(368억 페소, 18.8%)에 이은 제3위 투자국으로, 대부분 전기전자/ 반도체

제조분야에 투자

▪ 한국의 투자 순위 : 3위(2004) → 4위(2005) → 1위(2006) → 6위(2007)

→ 2위(2008) → 3위(2009) →3위(2010)

❍ 업종별로는 과거에는 제조업(전자, 섬유), 관광, 레저 분야 투자비중이 높았

으나, 최근에는 에너지(전력, 재생에너지, 바이오연료), 농업, 광물자원개발,

BPO(Business Process Outsourcing) 서비스 투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

Page 80: 필리핀 개황%282011.8%29

80 • 필리핀 개황

《 한국의 대 필리핀 업종별 투자동향 》 (단위 : 건, 개, 천 불)

업 종 신고건수 신규법인수 신고액

Total 199 69 385,429

제조업 59 23 154,654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5 2 33,134

부동산업 및 임대업 30 10 41,738

건설업 35 7 15,478

숙박 및 음식점업 8 1 56,986

도매 및 소매업 15 11 6,178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6 2 27,064

광업 3 0 22,855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17 5 2,332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9 1 806

농업, 임업 및 어업 3 2 1,988

교육 서비스업 5 2 1,772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1 1 400

운수업 1 1 41

금융 및 보험업 2 1 20,004

※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2010년 신고 기준

❍ 필리핀에 투자 진출한 주요기업 현황

▪ 한국전력은 필리핀에서 말라야 화력발전소(65MW급, 사업기간: 1995-2010,

현재 필리핀정부와 연장운영 협상 중) 복구 및 운영, 일리한 복합화력발전소

(사업기간: 1999-2022) 건설운영사업, 나가 발전소(사업기간: 2006-2012년,

205MW급) 복구운영 사업 지분 참여, 세부 화력발전소(BOO 방식, 200MW급,

2011년 현재 건설 중) 건설 및 운영사업 등 4개 프로젝트 시행

- 필리핀 전력생산의 12%를 차지하는 4위 민자 발전사업자

- 현대엔지니어링, 두산중공업 등 협력사 동반 참여

▪ 한진중공업은 19억불을 투자, 필리핀 최대의 조선소 건설

- 한진중공업은 1972년 Mindanao, General Santos 도로공사를 수주하면서

한국기업 최초로 필리핀에 진출, 이후 40여 년간 토목, 건축, 기계, 전기

포함한 종합건설 서비스 제공

Page 81: 필리핀 개황%282011.8%29

Ⅶ. 우리나라와의 관계 81

- 2006-2008년에 걸쳐 19억 불을 투자, 필리핀 수빅자유지역(Subic

Freeport Zone)에 조선소를 건설하여 2010년 말 기준, 연 고용인력이

2만 명에 달하는 필리핀 최대 외국인 고용기업 중 하나로 성장하였으며,

향후 24,000명 고용 예정

- 2010년 말까지 20척의 선박을 선주에게 인도

▪ 광물자원개발 분야에서는 LG상사가 2004년 한국광물자원공사, 말레이시아

기업과 합작, 호주기업이 소유하고 있던 Rapu Rapu 구리광산을 인수,

2008년 10월부터 상업 가동 중이며 광물 가공공장도 운영 중

- 2010년 말 기준, 연평균 동 3만 3천 톤, 아연 2만 3천 톤을 생산, 국

내에 안정적으로 조달하여 비철금속 자원의 원활한 국내 수급에 일조

▪ 전기전자산업으로는 삼성전자, 삼성전기, LG전자 등이 영업 중

- 삼성전자는 생산법인 및 판매법인을 운영 중이며 주로 외국 및 필리핀

현지에서 재료와 부품을 조달하여 ODD(DVD-RW 등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생산

- 삼성전기는 칩저항기, 콘덴서 등 전기 부분품을 생산

- LG전자는 휴대폰, 가전, 에어콘 등 중심의 판매법인을 운영

- STS반도체는 2010년 클락경제특구에 반도체 후공정생산법인을 설립

(2011년 2월 준공)하여 삼성전자 등에 반도체 공급

- 풍산마이크로텍은 클락경제특구에서 반도체 중간재 및 완제품 생산

- 그외 대덕전자, 대경전자, 유진광전자 등이 대표적인 투자기업들

▪ 포스코 판매계열사인 포스틸은 2008년 12월 한국기업 최초로 필리핀 내

코일센터(Steel Processing Center)를 건설, 연간 5만 톤의 철강제품을

생산

▪ CJ는 사료, 사탕수수 분야에 적극 투자하고 있으며, 현재 남부 민다나오에

감미료 공장 설립을 추진 중

▪ 섬유/의류 산업분야에도 우리 기업들의 활동이 매우 활발

Page 82: 필리핀 개황%282011.8%29

82 • 필리핀 개황

마. 경제 협력 현황

❍ 무상원조

▪ 필리핀은 중점협력대상국으로, 개발과제 및 중점지원방향은 ▲농업생산성 및

농업부가가치 제고, ▲국가교통인프라 개선, ▲보건의료서비스 확대 및

전염병 예방

《 연도별 지원실적 : 총 5,313만 불 》연 도 지원규모 연 도 지원규모

1991 46만 불 2001 304만 불

1992 69만 불 2002 181만 불

1993 93만 불 2003 596만 불

1994 76만 불 2004 637만 불

1995 91만 불 2005 506만 불

1996 85만 불 2006 664만 불

1997 66만 불 2007 577만 불

1998 51만 불 2008 995만 불

1999 54만 불 2009 997만 불

2000 222만 불 2010 1,323만 불

▪ 2010년 지원 실적

- 총 지원금액 : 1,549만 불

- 프로젝트 사업 : 990만 불, 10건

- 국내초청연수 : 60만 불, 152명

- 해외봉사단파견(연말 인원 기준) : 253만 불, 90명

- 민간단체직접지원 : 20만 불, 3건

- 동아시아기후파트너십 사업 : 226만 불

❍ 유상원조(EDCF)

▪ 필리핀은 「대외경제협력기금 지원조건 등 운영지침」상 Ⅲ그룹에 속하는

중점지원국가에 해당

▪ 1990년 '1차 전화통신망 확충사업'을 시작으로 보충융자 포함 총 14개 사

업에 대하여 3억 7천만 불을 지원함으로써 EDCF 전체 승인액의 6.1%를

차지하며 46개 수원국 중 5위를 기록(2010년 11월 기준)

Page 83: 필리핀 개황%282011.8%29

▪ 지원 분야 : 철도(3건, 39.8%), 공항(4건, 31.9%), 도로(3건, 17.2%),

전력(2건, 6.7%), 전화(2건, 4.2%)

《 우리나라의 대 미얀마 유상원조 현황 》사 업 명 승인시기

승인액 집행액

(백만 원)추진단계

백만 원 백만 불

1차 전화통신망 확충사업 1990.05.01 3,790 5.4 3,790 원리금 회수

민다나오 송전설비 확충사업 1994.07.04 8,645 10.7 7,846 원리금 회수

2차 전화통신망 확충사업 1994.07.14 8,249 10.2 8,204 원리금 회수

라귄딩간 공항 개발사업 1996.12.28 21,172 24.5 19,912공사 중

(보충융자) 2004.05.27 7,552 8.2 0

남북부철도연결 1차 사업 2003.12.29 33,189 35.0 32,276공사 중

(보충융자) 2009.12.17 17,888 15.3 0

루손지역 송전설비 확장사업 2004.07.14 9,265 14.0 5,885 원리금 회수

GSO 도로확장 및 긴급준설사업 2005.11.22 23,041 22.3 15,171 공사 중

GSO 도로확장 2차사업 2008.12.16 33,068 28.0 0 설계 및 입찰준비

바콜로드 실라이 공항진입도로 건설 2008.12.16 15,240 13.0 0 설계 및 입찰준비

푸에르코프린세사공항사업 2009.12.17 83,539 71.6 0 지원방침결정

남북부철도연결 2차 사업 2009.12.30 111,981 95.9 0 지원방침결정

라귄딩간공항 항법지원설비 2010.09.30 15,507 13.0 0 차관계약준비중

합 계 392,126 367.1 93,084

4. 인적교류(2010년 기준)

❍ 필리핀 방문 한국인 : 740,622명

▪ 2009년 497,936명 대비 48.74% 증가(필리핀 관광부 통계)

❍ 한국 방문 필리핀인 : 297,452명

▪ 2009년 271,962명 대비 9.4% 증가(한국관광공사 통계)

❍ 한국 내 필리핀인 체류 현황(2010년 12월 기준, 법무부 통계)

▪ 전체 체류자: 47,241명(합법체류자 : 35,985명)

Page 84: 필리핀 개황%282011.8%29

84 • 필리핀 개황

5. 영사・교민 관계

가. 동포 현황

❍ 2010년 12월 기준, 필리핀에 거주 및 체류 중인 교민 수는 약 12만 명으로 추정

❍ 1990년대 들어 대기업의 직접투자, 중소기업 및 개인사업 이주 증가에 따라

동포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 소자본 개인사

업자들의 유입이 늘어나고 유학생 및 관광객 증가에 따라 동포수가 급증

나. 한인학교

❍ 한글학교 토요학교

▪ 메트로 마닐라 소재 개 학교 지방한글학교 개 학교 겸임국 팔라우 개

학교가 대사관에 등록 및 운영 중

❍ 필리핀 한국국제학교

▪ 우리나라 및 필리핀 정부로부터 정규 학력을 인정받는 학교로 2009년 9월

임시 개교, 2010년 3월 정식 개교

▪ 총 사업비 : 약 500만 불(이중 정부 지원금은 약 244만 불)

▪ 학교 건물 규모 : 건물 1동(지하 1층, 지상 3층)

▪ 학생 수 : 2011년 3월 현재 총 120여 명(유치원, 초‧중‧고등학교 과정 )

다. 한인단체

❍ 한인총연합회 : 1968년 설립

❍ 9개 지역한인회

▪ 남부마닐라, 중부루손(앙헬레스), 수빅, 바기오, 보라카이, 일로일로, 세부,

가갸얀데오르, 다바오

Page 85: 필리핀 개황%282011.8%29

Ⅶ. 우리나라와의 관계 85

❍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동남아협의회 : 1981년 설립

❍ 한국부인회 : 1977년 설립

▪ 필리핀 거주 한국여성의 친목도모 및 봉사활동 주도

❍ 한국상공회의소 : 1994년 설립

▪ 현지 투자업체, 지상사, 200여 개 한인업체가 회원사로 가입되어 있으며,

필리핀 정부가 인정하는 6개 외국 상공회의소 중 하나

❍ 경제인 연합회 : 2001년 설립

▪ 식당, 소규모 사업, 여행사 등을 영위하는 한인들의 모임으로, 현재 300여 개

업체가 회원

❍ 무역인협회 : 1990년 설립

▪ 교포 무역인들의 모임으로, 현재 40여개 업체가 회원

❍ 한인관광협회 : 2001년 설립

▪ 총 60여개 여행사가 회원

❍ 대한체육회 : 2001년 설립

▪ 2005년부터 매년 국내 전국체전 참가

Page 86: 필리핀 개황%282011.8%29

86 • 필리핀 개황

6. 자매 결연 도시 및 각종 단체

❍ 자매결연 도시 : 2011년 3월 현재, 총 24개 지방자치체가 필리핀 지방정부와

자매/우호 교류

번호 자치단체 교류도시 결연일자 자매/우호

1 인천광역시 Albay Province 2008-05-08 우호교류

2 인천광역시 Manila city 2008-10-07 자매결연

3 강원도 Cebu province 2008-02-20 자매결연

4 전라남도 Lizal Province 1997-05-10 우호교류

5 경상남도 Laguana province 1997-04-15 자매결연

6 충청북도 Banguet Province 2009-05-30 우호교류

7 부산 영도구 Marikina City 2008-09-30 우호교류

8 대전 중구 Municipality of Malabon/Metro Manila 1997-05-21 자매결연

9 대구 수성구 Batangas city 2009-11 우호교류

10 경기 부천시 Valenzuela city 2008-06-25 자매결연

11 경기 구리시 Calamba city 2010-01-18 자매결연

12 경기 안산시 San Fernando City 2001-10-23 우호교류

13 경기 의정부시 Dabao city 2009-06-15 우호교류

14 강원 태백시 City of Baguio 2006-04-25 자매결연

15 충남 공주시 City of Baguio 2007-07-11 우호교류

16 충남 당진군 Cabite city 2009-03-07 우호교류

17 충북 영동군 Dumagete city 2009-05 자매결연

18 충북 제천시 City of Pasay 2008-07-24 자매결연

19 전남 여수시 City of Cebu 1996-10-23 자매결연

20 전남 강진군 Bamban city 2008-07-27 우호교류

21 전남 강진군 Sanloke city 2008-01-04 우호교류

22 전남 함평군 Pampanga Angeles City 2005-10-24 자매결연

23 전남 함평군 Puerto Prinsesa city 2008-05-16 우호교류

24 경남 거창군 Karmona city 2008-09-04 자매결연

❍ 한・필리핀 의원친선협회 : 1985년 설립

▪ 회장 : 김창수 의원(자유선진당)

▪ 필・한 의원친선협회는 Enrile 상원의장, Angara 의원, Honasan 의원,

Revilla 의원, Zubiri 의원 등으로 구성

Page 87: 필리핀 개황%282011.8%29

Ⅶ. 우리나라와의 관계 87

❍ 한・필리핀 민간경제위원회(The Korea-Philippines Economic Council) :

1978년 설립

❍ 한・필리핀자원협력공동위원회(The Korea-Philippines Joint Committee for

Mineral Resources Cooperation) : 1983년 설립

7. 필리핀의 한국전 참가

❍ 참전 기간 : 1950.9.19 - 1953.5.13

❍ 총 인원 : 7,148명(총 5개 보병대대가 1개 대대씩 교대 참전)

❍ 전 사상자

▪ 전사 : 112명

▪ 부상 : 299명

▪ 실종 : 57명(41명은 포로교환으로 송환)

❍ 율동 전투

▪ 철의 삼각지대에서 중공군 1개 대대 규모를 격퇴

▪ 제10보병대대 Dionisio S. Ojeda 중령이 전과를 올림

❍ 참전용사회(Philippine Expeditionary Forces to Korea : PEFTOK)

▪ 1959년 7월 15일 설립

▪ 참전자 중 현 생존인원 약 5천 명으로 구성

Page 88: 필리핀 개황%282011.8%29
Page 89: 필리핀 개황%282011.8%29

Ⅷ. 북한과의 관계

Page 90: 필리핀 개황%282011.8%29
Page 91: 필리핀 개황%282011.8%29

Ⅷ. 북한과의 관계 91

Ⅷ. 북한과의 관계

1. 외교 관계 수립

❍ 2000년 7월 외교관계 수립(상주공관 없음)

▪ 필리핀은 주중국 대사관, 북한은 주태국 대사관이 겸임

❍ 주요 인사 교류 및 약정 체결

▪ 1990.6 de Venecia 하원 외무위원장 북한 방문

▪ 1991.6 김달현 북한 부총리 필리핀 방문

▪ 1995.2 이도섭 주태국 북한대사 필리핀 방문

▪ 1996.4 이삼로 주태국 북한대사 Shahani 의원 초청으로 필리핀 방문

▪ 2000.9 Ople 상원 외교위원장 북한 방문

▪ 2001.4 조인철 주태국 북한대사 신임장 제정 차 필리핀 방문

▪ 2001.5 Jose Villa 주중국 필리핀대사 신임장 제정 차 북한 방문

▪ 2004.1 오송철 주태국 북한대사 신임장 제정 차 필리핀 방문

▪ 2007 필리핀-북한 관계 발전 합의각서 체결

▪ 2008.11 김영일 외무성 부상 필리핀 방문

▪ 2009.11 최연 북한 무역성 부상 동아시아해양회의 참석 차 필리핀 방문

▪ 2011.1 안성남 주태국 북한대사 신임장 제정 차 필리핀 방문

Page 92: 필리핀 개황%282011.8%29

92 • 필리핀 개황

2. 무 역

가. 무역 현황

(단위 : 천 불, 필리핀 기준)

연 도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총교역량 162 1.1 52 39.5 1,371 362 114 0 114 0 0 0 1,450

수 입 0 1.1 39 33.5 0.9 1 24 0 0 0 0 0 0

수 출 162 0 13 6 1,370 361 90 0 114 0 0 0 1,450

나. 교역 실태

❍ 제3국 회사를 이용한 중개무역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미한 수준

❍ 2010년도 필리핀 수출품은 기계, 컴퓨터 부품이며, 북한으로부터의 수입은

미미

3. 각종 단체

가. 필리핀-북한 친선협회

❍ 2003년 3월 이후 조직된 친북협회

❍ 조직위원장 : Nelia Sancho

❍ 회원 수 : 10여 명

나. 북한-필리핀 친선협회

❍ 서기장 : 김문철

Page 93: 필리핀 개황%282011.8%29

Ⅷ. 북한과의 관계 93

Page 94: 필리핀 개황%282011.8%29

Ⅸ. 부 록

Page 95: 필리핀 개황%282011.8%29
Page 96: 필리핀 개황%282011.8%29

96 • 필리핀 개황

Ⅸ. 부 록

1. 주요 인사 약력

가. 대통령

❍ 성명 : Benigno Simeon "Noynoy" Cojuangco Aquino III

❍ 생년월일 : 1960년 2월 8일

❍ 학 력

▪ 필리핀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 경제학 학사

❍ 주요 경력

▪ 1998 - 2007 하원의원 (루손섬 딸락(Tarlac) 2지구, 3선)

▪ 1999 - 2002 자유당 사무총장

▪ 2002 - 2004 루손 자유당 부대표

▪ 2004 - 2006 자유당 사무총장

▪ 2004 - 2006 하원 부의장

▪ 2006 자유당 부의장

▪ 2007 - 2010 상원의원

▪ 2010 - 현재 제15대 대통령

Page 97: 필리핀 개황%282011.8%29

Ⅸ. 부록 97

나. 부통령

❍ 성명 : Jejomar Cabauatan Binay

❍ 생년월일 : 1941년 11월 11일

❍ 학력

▪ 필리핀 국립대 정치학, 법학 학사

❍ 주요 경력

▪ 1968 변호사 시험 합격

▪ 1986-1988 마카티 시장(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이 임명)

▪ 1988-1998 마카티 시장(88년 지방선거에서 당선 후 삼선)

▪ 1998-2001 메트로마닐라 개발청장

▪ 2001-2010 마카티 시장(2001년 당선 후 삼선)

▪ 2010-현재 부통령

Page 98: 필리핀 개황%282011.8%29

98 • 필리핀 개황

다. 상원의장

❍ 성명 : Juan Ponce Enrile

❍ 생년월일 : 1924년 2월 14일

❍ 학력

▪ 필리핀국립대 법학과 졸업, 하버드대 국제법 석사

❍ 주요 경력

▪ 1955-1962 Far Eastern 대학 법학과 교수

▪ 1966-1968 재무부차관

▪ 1968-1970 법무부장관

▪ 1970-1986 국방부장관

▪ 1987-1992 상원의원

▪ 1992-1995 하원의원

▪ 1995-2001 상원의원

▪ 2004-현재 상원의원

▪ 2008-현재 26대 상원의장

Page 99: 필리핀 개황%282011.8%29

Ⅸ. 부록 99

라. 하원의장

❍ 성명 : Feliciano Belmonte, Jr.

❍ 생년월일 : 1936년 10월 2일

❍ 학력

▪ 필리핀 Lyceum대 법학과

❍ 주요 경력

▪ 1962-1965 대통령실

▪ 1986-1987 Commerical Bank of Manila 회장

▪ 1991-1992 필리핀항공사 사장

▪ 1992-2001 하원의원

▪ 2001 20대 하원의장

▪ 2001-2010 퀘존시장(3선)

▪ 2010-현재 23대 하원의장

마. 대법원장

❍ 성명 : Renato C. Corona

❍ 생년월일 : 1948년 10월 15일

❍ 학력

▪ 필리핀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 법학

❍ 주요 경력

▪ 1994 대통령실 부수석장관(피델 라모스 대통령)

▪ 2002 대법원 판사

▪ 2010 23대 대법원장

Page 100: 필리핀 개황%282011.8%29

100 • 필리핀 개황

바. 외교장관

❍ 성명 : Albert F. del Rosario

❍ 생년월일 : 1939년 11월 14일

❍ 학력

▪ 뉴욕대 경제학과

❍ 주요 경력

▪ Philippine Long Distance Telephone(PLDT) 이사

▪ Metro Pacific Investment Corporation 이사

▪ Fort Bonifacio Development Corporation 이사

▪ Gotuaco, del Rosario 보험사 사장 등 다양한 경력 보유

▪ 2001-2006 주미대사

▪ 2011 외교장관

Page 101: 필리핀 개황%282011.8%29

Ⅸ. 부록 101

2. 양국 대사관 및 명예영사관

❍ 주 필리핀 한국대사관

▪ 주 소 : 122 Upper McKinley Roads, McKinley Town Center,

Fort Bonigacio, Taguig City 1634, Metro Manila, Philippines

▪ 근무시간 : 월~금 08:30~17:30(12:00-13:30 점심시간)

▪ 전 화 : +63-2-856-9210

▪ 팩 스 : +63-2-856-9008/9019(본관), 9024(영사과)

▪ 이 메 일 : [email protected]

▪ 시 차 : -1(서울보다 1시간 늦음)

❍ 주한 필리핀 대사관

▪ 주 소 :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동 5-1

▪ 근무시간 : 월-금 08:00-12:00, 13:00-17:00

▪ 전 화 : (02)796-7387~9

▪ 팩 스 : (02)796-0827

❍ 주 세부 명예총영사관

▪ 명예총영사 : Augusto Go(아우구스토 고)

▪ 주 소 : Mezzanine Floor, UC-ICTC Bldg. Gov. Cuenco Avenue

Banilad, Cebu City

※ 겸임국 팔라우 명예영사: Surangel S. Whipps Jr. 현 상원의원(96.10.18 임명)

Page 102: 필리핀 개황%282011.8%29

102 • 필리핀 개황

3. 역대 주 필리핀 대한민국 공관장

초대 공사

2대 공사

초대 대사

2대 대사

3대 대사

4대 대사

5대 대사

6대 대사

7대 대사

8대 대사

9대 대사

10대 대사

11대 대사

12대 대사

13대 대사

14대 대사

15대 대사

16대 대사

17대 대사

18대 대사

19대 대사

20대 대사

21대 대사

22대 대사

23대 대사

김 영 기

김 훈

김 훈

신 동 기

이 형 근

김 용 식

유 양 수

윤 석 헌

김 세 린

장 지 량

강 영 규

송 광 정

이 남 기

김 창 훈

안 재 석

노 정 기

이 창 수

이 장 춘

박 동 순

신 성 오

손 상 하

유 명 환

홍 종 기

최 중 경

이 혜 민

신임장 제정일

1954. 01. 10

1957. 08. 23

1958. 02. 12

1961. 01. 18

1961. 07. 19

1962. 10. 11

1963. 12. 10

1967. 11. 17

1969. 12. 15

1973. 06. 20

1976. 07. 06

1980. 07. 15

1981. 11. 25

1984. 05. 22

1987. 04. 07

1989. 03. 16

1993. 02. 04

1995. 04. 12

1997. 12. 12

1999. 03. 23

2001. 10. 09

2004. 03. 15

2005. 11. 02

2008. 10. 17

2010. 07.05

Page 103: 필리핀 개황%282011.8%29

Ⅸ. 부록 103

4. 역대 주한 필리핀 공관장

초대 공사

2대 공사

초대 대사

2대 대사

3대 대사

4대 대사

5대 대사

6대 대사

7대 대사

8대 대사

9대 대사

10대 대사

11대 대사

12대 대사

13대 대사

Thomas G. De Castro

Cosme P. Garcia

Eduardo T. Quintero

Juan M. Arreglado

Pedro L. Ramirez

Benjamin T. Tirona

Nicanor T. Jimenez

Tomas R. Padilla

Raul Rabe

Francisco L. Benedicto

Ernesto S. Gidaya

Juanito Jarasa

Aladin G. Villacorte

Susan O. Castrence

Luis T. Cruz

신임장 제정일

1954.5.11

1956.10.25

1958.7.25

1960.4.12

1964.7.9

1968.5.10

1980.2.15

1986.2.9

1992.4.

1993.6.29

1996.2.13

1999.5.20

2003.11.

2006.1.27

2008.2.15

Page 104: 필리핀 개황%282011.8%29

104 • 필리핀 개황

Page 105: 필리핀 개황%282011.8%29

필리핀 개황인 쇄

발 행

발 행 인

발 행 처

주 소

전 화

팩 스

인 쇄

전 화

I S S N

2011년 8월

2011년 8월

김성환

외교통상부 남아시아・태평양국 동남아과

서울 종로구 세종로 37

(02)2100-7359

(02)2100-7946

EM실천

(02)875-9744

2005-9132

(비매품)

이 책의 내용은 http://www.mofat.go.kr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