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
KYRGYZ REPUBLIC Talas Kara-Kol Jalal-Abad Ozgon Osh Kyzyl-Kyya Sary-Tash Naryn Karakol Tokmok Balykchy Kara-Balta BISHKEK K 11-1260000-000273-14 2012.07 키르기즈 개황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KYRGYZ REPUBLIC

Talas

Kara-Kol

Jalal-Abad

Ozgon

Osh

Kyzyl-Kyya

Sary-Tash

Naryn

Karakol

TokmokBalykchy

Kara-Balta

BISHKEKK

K Y R G Y Z R E P U B L I C

키르기즈 개

키르기즈 개황

2012.07

발 간 등 록 번 호

11-1260000-000273-14

2012.07

키르기즈 개황

Page 2: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Page 3: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KYRGYZ REPUBLIC

Talas

Kara-Kol

Jalal-Abad

Ozgon

Osh

Kyzyl-Kyya

Sary-Tash

Naryn

Karakol

TokmokBalykchy

Kara-Balta

BISHKEKK

2012.07

키르기즈 개황

Page 4: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Page 5: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키르기즈 공화국 국기

<국기 해설>

• 빨간색 배경은 용기(Courage)를 상징함.

• 황금빛 태양광선은 평온과 부를 나타내고,

40개 태양광선은 40개 키르기즈 고대

부족을 상징함.

• 가운데 유르타(천막집)의 꼭대기는 부계

혈통을 의미함.

키르기즈 공화국 국가문장

<국가문장 해설>

• 파란색 바탕은 아름다운 자연과 삶의 원천인

이식쿨(Issyk-kul) 호수를 상징하며, 7개의

봉우리는 7개 지역을 상징함.

• 떠오르는 태양과 백색 독수리는 키르기즈

인의 자유와 경계, 사고의 깊이를 형상함.

• 테두리의 밀 이삭 및 목화는 키르기즈의

주요 농산물로서 성실과 평화를 상징함.

Page 6: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Kyrgyz R

epu

blic conten

t

키르기즈 공화국 전도

Page 7: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Kyrgyz R

epu

blic conten

t

Ⅰ. 개관 ···········································································································1

1. 개 요 3

2. 지 리 4

3. 기 후 5

4. 약 사 5

Ⅱ. 정치 ···········································································································9

1. 약 사 11

2. 정치 체제 13

3. 정치 제도 14

4. 최근 정치 정세 20

Ⅲ. 외교 ·········································································································27

1. 개 요 29

2. 기 조 29

3. 최근 주요 동향 29

4. 주요국과의 관계 30

Ⅳ. 경제 ·········································································································35

1. 경제현황 37

2. 주요경제지표 39

3. 통상 환경 41

4. 투자환경 43

Ⅴ. 한국-키르기즈 관계 ·············································································47

1. 외교 관계 49

2. 협정체결 현황 49

3. 주요인사 교류 50

4. 경제 협력 52

5. 재외동포 57

Ⅵ. 주요인사 이력사항 ···············································································61

Page 8: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Page 9: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KYRGYZ REPUBLIC

I.개관

KYRGYZ REPUBLIC

Talas

Kara-Kol

Jalal-Abad

Ozgon

Osh

Kyzyl-Kyya

Sary-Tash

Naryn

Karakol

TokmokBalykchy

Kara-Balta

BISHKEKK

Page 10: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Page 11: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Ⅰ. 개관

3

1 개 요

• 국명 : 키르기즈스탄 또는 키르기즈 공화국(Kyrgyz Republic)

• 수도 : 비쉬켁(Bishkek)

• 기후 : 대륙성 기후

• 면적 : 198,500㎢(한반도 : 220,000㎢)

• 인구 : 550만명(2011년 기준)

- 수도 비쉬켁 : 약60만명(유동인구 감안시 80만명)

• 주요민족 : 다민족 국가(80여개 민족)

- 키르기즈人(66%), 우즈벡人(14%), 러시아人(11%)과 독일, 카자흐, 타타르,

위구르, 터키 민족 등

- 고려인 2만여명 거주(전체인구의 0.4%)

• 주요언어 : 키르기즈어(공식어), 러시아어(공용어)

• 종교 : 이슬람교(75%), 러시아 정교(20%), 개신교 등 기타(5%)

• 정부형태:의회민주제

• 군병력(약 16천명) : 육군(6,600명), 공군(2,400명), 내무군(3,000명), 국가방위군

(1,500명), 민방위 및 응급대응군(2,000명)

- 징병제를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전체 병력의 97%) 필요에 따라 계약직

복무인력을 충원

• 위치 및 지형 : 북위 39°-43° 중앙아 중앙에 위치한 내륙국으로서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및 중국과 접경

- 국토의 80%가 해발 2,000m 이상으로서 국토의 7-8%만이 경작

가능지역

Page 12: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4

• 국내총생산(GDP) : 49억불(11년)

- GDP 성장률 : 9%(11년)

- 1인당 GDP : 891미불(11년)

• 화폐단위 : 솜(SOM) (2012년 2월 : $1=45.95솜)

• 주요산업 : 농업, 농가공업, 광산업, 전력생산업

※ 국내산업구조(%) : 2009년 기 농․임업(24.8), 공업(23.1), 서비스업(52)

• 독 립 일 : 1991.8.31

• 지방행정조직 : 7개주, 2개 특별시

2 지 리

• 면적(198.500㎢)은 한반도(220,000㎢) 보다 약간 작은 크기, 북위 39~43도에

위치

- 北部는 카자흐스탄, 南西部는 타지키스탄, 西部는 우즈베키스탄 및

東部는 중국 위구르 자치주와 접경

• 국토의 80%가 해발 2,000m 이상의 산악지대(천산산맥 남부 끝)

- 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이식쿨 호수(Issyk-Kul Lake)는 南美 티티카카

호수(Titicaca Lake)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산중호수이며

키르기즈 天山 최고봉은 7,439m의 “승리봉”(Pik Pobedy)

• 전국토의 7%만이 경작 가능한 농지

- 페르가나 계곡(Fergana Valley) 주변과 북부 저지대를 중심으로 목화,

담배, 채소 농사

• 수력발전을 이용하여 생산 전력을 주변국에 수출

Page 13: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Ⅰ. 개관

5

- 원유 및 가스 부존량은 적으나, 북부 및 남서부 산악지대를 중심으로

석탄, 우라늄, 금 등 광물이 다량 매장

3 기 후

• 뚜렷한 대륙성 기후

- 남서부 “페르가나 계곡”은 아열대성 기후를 보이고 있어 여름에는 낮

기온이 최고 40℃이상의 뜨거운 날씨를 보이는 반면 북부와 남서부

일부를 제외한 국토 대부분에서 겨울이 길고 추운편(1월 평균기온

-5℃)

• 주변 중앙아 국가들에 비해 강우량이 많은 편, 강풍이 특징

4 약 사

가. 몽골-예니세이-중앙아로의 진출(고대~13세기)

• 기원전 200년경

- 중국 연대기에 키르기즈 민족이 투르크족의 일부로 최초로 등장,

당시에는 몽골 북동부 지역에 집단 거주(이란계 사카인으로 분류하는

학자도 있음)

- 중국․페르시아 등과 활발한 교역이 있었으며 후에 페르시아 제국에

병합되어 알렉산더 대왕의 인도원정에도 참여

• 5세기~10세기

- 5세기경부터 서진을 시작하여 6세기~8세기에는 시베리아 남부와 바이칼

(Baikal)과 예니세이江에 넓게 분포되어 거주, 몽고의 서진이 본격화

Page 14: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6

되던 13세기까지 동 지역에서 주로 목축업을 하며 거주

- 6세기 중반에는 돌궐에 병합, 8세기경에는 돌궐을 물리친 위구르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9세기경 위구르의 지배에서 벗어남.

- 9세기이후 동쪽으로 세력을 확장, 10세기 중반에는 바이칼 주변을

세력권화

• 13세기 이후

- 몽골의 러시아 침공이 시작되면서 키르기즈 민족은 남진을 시작하여

중앙아시아 지역에 거주하기 시작

- 13세기 중앙아에 진출하면서 이슬람화(수니파)되기 시작해 14세기경

에는 현재의 키르기즈 공화국이 있는 지역에 집단 거주를 시작, 16세기

이후 민족문화가 형성

나. 러시아로의 병합(19세기~20세기초)

• 18세기~19세기

- 18세기 중국의 청조, 19세기 중반에는 우즈벡의 코칸드(Khan)의 지배를

받았으며 1876년 러시아에 병합

- 러시아에 병합된 이후 독립운동 전개 중 많은 키르기즈인들이 파미르

고원과 현재의 아프카니스탄으로 집단 이주

※ 1916년 규모 반러운동이 발생, 러시아 제국이 동 무력항 을 제압하는

과정에서 많은 키르기즈인들이 국으로 이주

다. 소비에트 정권수립(1917~1990)

• 1924년 러시아연방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로 카라-키르기즈 자치주(Kara-

Kyrgyz Autonomous Oblast)가 설립

- 1926년 키르기즈 자치사회주의 공화국(Kyrgyz Autonomous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승격, 1936년 키르기즈 사회주의 공화국(Kyrgyz

Page 15: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Ⅰ. 개관

7

Soviet Socialist Republic)으로 승격되어 소연방의 구성 공화국으로 전환

• 1920년대-1940년대

- 문화, 교육, 사회 등 제분야에서 산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키르기즈 남부

지역이 제외되어 남․북간 지역갈등의 원인

• 1985년 이후(고르바초프 시대)

- 언론․시민단체의 활동등 민주주의 기반 형성

라. 키르기즈 독립 및 튤립혁명 정권교체이후 바키예프정권 출범

• 1990.12.5 키르기즈 최고 회의는 주권선언을 채택하고 국가명을 “Republic

of Kyrgyzstan”으로 변경하였으며, 1991.8.31 독립선언

• 1991.10 “키르기즈 민주운동”을 기반으로 당시 “키르기즈 과학 아카데미”

원장으로 재직하던 아카예프가 대통령으로 당선

• 1991.2 수도명을 프룬제(Frunze)에서 비쉬켁(Bishkek)으로 변경

• 1993.5 국가명을 “Kyrgyz Republic”으로 재변경

• 1995.12 아카예프 대통령 재선

• 1998.3 쥬마리예프 내각 출범

• 1998.12 이브라이모프 내각 출범

• 2000.12 아카예프 대통령 3선

• 2001.1 바키예프 내각 출범

• 2005.3 총선부정선거로 인한 대중소요 발생(튤립 혁명), 아카예프

대통령 실각 및 바키예프 과도정부 구성

• 2005.7 바키예프 대통령 당선 및 쿨로프내각 출범

Page 16: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8

• 2007.10 개헌국민투표 실시(개헌에 대해서는 76.5% 찬성, 선거법개정에

대해서는 76.4% 찬성)

• 2007.12 신헌법에 따른 총선실시 및 바키예프 대통령, 츄디노프 총리

체제 신정부 출범

• 2009.7 조기대선 실시, 바키예프 대통령 재선 성공

• 2009.11 바키예프 대통령의 대대적인 정부조직 개편으로 우세노프 신내각

출범

마. 바키예프 정권교체 이후 오툰바예바 과도정부 출범

• 2010.4 대규모 반정부 시위 발생 및 과도정부 수립(반정부시위로

정권교체)

• 2010.6 개헌 국민투표(의원내각제 출범, 대통령 권한 축소가 주요 골자,

찬성 90.56%)

• 2010.7.3 오툰바예바 과도 대통령 취임

• 2010.10.10 총선

• 2010.12 연합정부 구성 및 아탐바예프 총리 내각 출범

바. 독립 이후 최초로 평화적 정권 이양, 아탐바예프정권 출범

• 2011.10.30 대선(아탐바예프 前총리 당선, 득표율 63.24% )

• 2011.12.1 아탐바예프 대통령 취임

• 2011.12.23 연합정부 구성 및 바바노프 총리 내각 출범

Page 17: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KYRGYZ REPUBLIC

II.정치

KYRGYZ REPUBLIC

Talas

Kara-Kol

Jalal-Abad

Ozgon

Osh

Kyzyl-Kyya

Sary-Tash

Naryn

Karakol

TokmokBalykchy

Kara-Balta

BISHKEKK

Page 18: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Page 19: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Ⅱ. 정치

11

1 약 사

• 1991.8.31 키르기즈 공화국 독립 선언

• 1993.5 신헌법 채택 및 Kyrgyz Republic으로 개명

• 1994.1 대통령에 대한 신임투표 실시(아카예프 대통령 96.2% 지지 획득)

• 1994.10 양원제 설립을 골자로 하는 개헌

• 1995.5 쥬마그로프 내각 출범

• 1995.12 대통령 선거 실시(아카예프 대통령 재선)

• 1996.2 대통령 권한 강화를 골자로 하는 국민투표 실시

• 1998.3 쥬마리예프 내각 출범

• 1998.8 회교 무장군에 의한 일본 지질학자 4명 인질사태발생

• 1998.10 토지 사유화 및 의회 의석수 확대를 골자로 하는 개헌

• 1998.12 이브라이모프 내각 출범

• 2000.10 대통령 선거 실시(아카예프 대통령 3선)

• 2001.1 바키예프 내각 출범

• 2001.8 집단안보조약기구(CSTO) 신속배치군 사령부 설치

• 2001.12 다국적군 마나스(Manas) 공항 주둔(Gansi 기지)

• 2002.3-9 악시(Aksy) 대중소요 발생 및 바키예프 내각 사퇴

• 2002.6 타나예프 내각 출범

• 2005.3 총선 부정선거 및 대중소요 발생(튤립혁명)

Page 20: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12

• 2005.4 아카예프 대통령 실각 및 바키예프 과도정부 구성

• 2005.7 바키예프 대통령 당선 및 쿨로프 총리 내각 출범

• 2006.11 헌법개정(의회 권한 강화)

• 2007.1 헌법개정(대통령 권한 회복)

• 2007.4 쿨로프 전 총리를 중심으로 한 대중 소요 사태(실패)

• 2007.9 헌법재판소, 2007.1 개정 헌법 위헌 결정(03년 아카예프 대통령

당시 헌법으로 회귀)

• 2007.10 신헌법 채택을 위한 국민 투표

• 2007.12 신헌법에 따른 총선실시 및 바키예프 대통령, 추디노프 총리

체제 출범

• 2009.7 바키예프 대통령 재선

• 2009.11 우세노프 내각 출범

• 2010.4 대규모 반정부 시위 발생 및 과도정부 수립

• 2010.6 개헌 국민투표(의원내각제 출범, 대통령 권한 축소가 주요 골자,

찬성 90.56%)

• 2010.7.3 오툰바예바 과도 대통령 취임

• 2010.10.10 총선

• 2010.12 연합정부 구성 및 아탐바예프 총리 내각 출범

• 2011.10.30 대선(아탐바예프 前총리 당선, 득표율 63.24% )

• 2011.12.1 아탐바예프 대통령 취임

• 2011.12.23 연합정부 구성 및 바바노프 총리 내각 출범

Page 21: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Ⅱ. 정치

13

2 정치 체제

□ 정체 : 의원내각제

□ 정부 주요 인사

• 대통령 : 알마즈벡 아탐바예프 (Almazbek Atambaev)

• 총리 : 오므르벡 바바노프(Omurbek Babanov)

• 제1 부총리 : 알리 카라셰프

• 부총리(3) : 굴나라 아심베코바, 쥬마르트 오토르바예프, 토로굴 베코프

• 대통령 행정실장 : 사티발디예프

• 주요 장관

- 외교부 : 카자크바예프

- 재무부 : 자파로프

- 경제·반독점정책부 : 사리예프

- 국방부 : 오무랄리예프

- 내무부 : 리살리예프

- 법무부 : 시크마마토프

- 에너지산업부 : 샤디예프

- 비상대책부 : 보로노프

- 교육․과학부 : 사디코프

- 교통․통신부 : 술타노프

- 보건부 : 사김바예바

- 사회개발부 : 사비로프

- 농업개량부 : 쟈니베코프

- 청소년․노동․고용부 : 알림쿨로프

Page 22: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14

- 문화관광부 : 주누소프

- 국가보안위원장 : 아타하노프

□ 의회 : 단원제

• 의 석 : 120석(임기 5년)

• 주요정당 : Ata Jurt당(28석, 신로만 전 고려인협회장 포함), 사회민주당(26석),

Ar Namys(25석), 공화당(23석), Ata Meken(18석)

3 정치 제도

가. 헌법

• 헌법은 대통령, 의회, 행정부 및 지방 행정기관의 기능과 권한을 언급

※ 2010.6.27 개헌안 국민투표를 통해 헌법재 소(기 )는 폐지되었고, 법원내에

소속됨. 헌법재 소의 일반 인 법 기능은 변하지 않았지만, ‘사법권한은

헌법, 시민법, 형법, 행정법과 기타 차 형태로 행사.

• 2010.6월 개정 헌법 주요 내용

- 정당 명부제(비례대표제)에 의한 국회 구성

․ 종전 90석의 의원을 120석으로 증원(임기 5년)

․ 국회 정치관의 복수성(plurality)의 대의제 강화

※ 한 당이 120석 과반석(65석) 확보 지하여 하나의 정당이 독 하지

못 함. 상기 의석할당을 이미 과한 정당은 투표권이 상실됨.

․ 의원들의 면책특권도 상당 부분 제한됨. 형사상 체포 및 조사로부터

보호받을 수 없으며, ‘특수중범죄’를 제외한 형사 절차에도 선제 조건이

따름.

Page 23: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Ⅱ. 정치

15

- 대통령/국회 권력 분립

․ 행정부는 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구성하되 국회의 승인을 받도록

규정

․ 총리는 다수당 인사 중에서 국회 승인 필요

․ 대법원장 및 판사도 대통령이 제청하되 국회 승인 필요. 단, 3년

임기이며, 2기 연임 불가. 이러한 조건은 여타 법원장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됨.

나. 대통령 : 국가수반

1) 선출

• 자격: 35세 이상 65세 이하의 키르기즈 국민으로 국내 최단 15년 이상

거주자

- 유권자 3만 명 이상의 추천을 받아 대선 후보 등록

• 임기: 6년(단임제)

• 현직 대통령은 새로운 대선 개시 및 당선 이후 정당 활동 중단 의무

※ 선 기간 외에는 정당 활동 가능 의미로 해석

2) 권한

가) 행정부 인사권

• 대통령의 임명권은 상당 부분 축소됨. 단, 국방, 안보기관 공무원들에 대한

임명권은 더 확대됨.

• 총리, 내각, 지방자치단체장 등 임명 불가

• 국가보안위원회, 국방회의 설립 및 지휘 등

Page 24: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16

나) 사법부 인사권

• 헌법재판소가 폐지됨에 따라 관련 공무원 임명권 불필요

• 국회 의석과반수를 초과하는 동의 또는 의안 제출권을 기반으로 검찰총장을

임명 또는 직무 해제 가능

• 선거위원회 위원도 1/3만 임명 가능하며, 위원장 임명 불가.

• 국회의 동의를 받아 대법원장, 대법원 판사, 중앙은행장 임명

다) 입법권

• 국회에 법률안 제출권 폐지

• 법령 및 명령 공표는 기존과 동일

• 정부와 여타 행정기관들의 법적·규제 대응 등 중단 불가능

• 직접발안으로 국민투표를 요구 불가하나, 300,000명 유권자들과 의원들의

다수결 발안으로 가능.

다. 국회

1) 구성

• 정당명부제(비례대표제)에 의해 선출된 5년 임기의 120명 의원으로 구성

• 의원의 중앙 및 지방 정부 직책 겸직, 경영 활동 수행 금지

- 단, 과학, 교육 등 관련 활동은 수행 가능

• 한 당이 120석 중 과반석(65석) 확보 금지

• 면책특권도 상당 부분 제한되며, 형사상 체포 및 조사로부터 보호받을 수 없음.

Page 25: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Ⅱ. 정치

17

• 정당 명부에 등재된 자로 단일성(남성 또는 여성)이 70% 이상을 넘지

못함.

- 35세 이하인자가 최소 15% 이상, 소수 민족이 최소 15% 이상 포함.

2) 권한

가) 입법권

• 일반 입법활동 및 예산수립 등

나) 인사권

• 총리의 행정부 각료구성 안에 대한 심의

• 대통령이 제청한 헌법재판소, 대법원 판사, 중앙은행장, 감사원장 임면

• 대통령의 검찰총장, 중앙선거위원장 임명 동의

다) 해산

• 의회 의원 2/3의 찬성으로 임기전 국회가 해산될 수 있으며 총리 임명에

대해 2회 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해산

- 의회가 해산되었을 경우 입법권은 대통령에게 이양되며 대통령은 법과

동일한 효력을 갖는 대통령령을 통해 입법권을 행사

- 총리 및 중앙은행장을 포함한 정부 불신임권 보유

※ 재 의원 1/3의 발의와 재 의원 2/3의 찬성으로 정부 불신임 결의

- 의회 의원 2/3의 찬성으로 대통령 탄핵을 결정할 수 있으며 헌법재판소가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의회는 해산되며 다음 총선은 60일 내로

실시함.

Page 26: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18

라. 행정부

• 50% 이상의 의원들이 국회 개원 후 5일 이내에 총리 임명

- 총리 후보자는 10일 이내에 국회의 승인을 받고, 행정부 조직안을

국회심의에 상정

• 국회 다수당이 부재한 경우, 대통령은 1개 정당에 연정 구성권을 위임하고,

5일 내로 총리를 선출할 것을 명하며, 총리 후보는 공천 이후 10일 내로

행정부 조직안과 구성원을 제안하고 국회의 승인이 필요함.

- 국회가 반대할 경우, 대통령은 2차로 다른 정당에 연정 구성을 제안하고

동일한 절차 실시. 2차도 연정구성, 총리선출 등이 무산될 경우, 대통령이

직접 정부를 구성하고, 국회는 조기 해산.

• 총리는 국방장관, 국가안보보좌관을 제외한 행정부 조직도를 대통령에게

상정하며, 대통령은 3일 내로 각료명단을 직접 임명,확정함.

• 행정부는 의회에 법령 제안권, 의회결정에 대한 시행규칙 결정권, 의회

승인 예산에 대한 배분권, 외국과의 조약 체결권, 기타 정부활동 및 산하

행정기관 감독권 등을 보유

마. 사법부

1) 구성

• 대법원(Supreme Court), 주법원(Provincial Court), 지방법원(Local Court)로

구성되며 특별법원 설치는 불허

- 지방법원은 도․시의 법원, 중재법원 및 군사법원 등

• 대법원장 및 대법원 판사

- 대통령이 임명하고 의회 승인을 받아 3년 임기로 선출되며, 재임 불가

• 주법원장 및 주법원 판사는 대통령 제청으로 의회에 의해 3년 임기

Page 27: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Ⅱ. 정치

19

• 대통령에게 지방법원 판사 임명을 제청하는 국가 사법위원회는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 및 공공기관의 대표로 구성

2) 법관의 자격

• 대법원, 주법원, 중재법원 법관은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한 10년 이상의

실무경력을 가진 35세 이상 70세 미만인 자가 수행

- 지방법원 법관은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한 실무경험 5년 이상의 65세

미만인 자가 수행하며 최초 선출의 경우 3년 임기로 재선의 경우 7년

임기로 대통령이 임명

바. 지방행정 제도

1) 조직

• 2개 특별시(비쉬켁, 오쉬)와 7개주(oblast)로 구성

2) 시의회 및 주의회

• 시의회 및 주의회 의원은 주민들의 직접․보통․비밀투표로 선출

- 의원 2/3의 결의로 지방자치행정기관장에 대해 불신임 권한

3) 지방정부

• 특별시장 및 주지사는 투표로 선출함.

• 경제․사회정책 입안, 시행규칙 결정 및 시의회 또는 주의회가 심의․확정한

예산에 대한 배분권 및 공공재산에 대한 관리권 보유

Page 28: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20

4)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관계

• 지방정부와 시 및 주의회의 독립성이 헌법에 보장되어 있으나, 대통령이

특별시장 및 주지사를 임명하고 중앙정부는 정부령을 통해 지방정부에

대한 지침부여 및 감독기능을 수행하고 있어 지방자치정부 및 의회의

권한은 제한적

- 주민은 지방정부 결정 사항에 대해 국가행정법원에 제소 가능

4 최근 정치 정세

가. 아카예프 실각과 바키예프 정권 출범

• 아카예프 대통령 사임

- 아카예프 대통령의 권위주의적 통치 및 2005.2~3월간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된 총선 부정선거에 대한 반발로 남부 일원을 중심으로 2005.3월

대규모 대중 소요인 튤립 혁명 발발

- 과격 시위로 인해 아카예프 대통령이 도피한 가운데, 바키예프 현 대통령을

중심으로 과도정부 구성

․ 서방의 지지와 바키예프 권한대행(남부출신)과 쿨로프 내무장관

대행(북부출신)간 연대를 통해 정국 안정을 꾀함.

- 과도정부와 러시아, 미국, OSCE등 사임 요구 압력으로 2005.4.4 아카예프

대통령이 공식 사임

※ 아카 통령은 통령에 한 신임투표실시(1994.1), 통령 권한

강화를 골자로 하는 개헌(1996.2) 등 일부 비민주 통치행태에도 불구하고

인권보호 언론의 자유보장 사유재산 인정 등의 과감한 개 조치를

취하 는 바, 1990년 말까지만 해도 키르기즈는 “ 앙아 민주주의의

섬”이라고 일컬어지기도 함.

Page 29: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Ⅱ. 정치

21

• 바키예프 대통령 대행의 과도 정부 출범

- 튤립 혁명의 주도세력이던 바키예프 권한대행이 2005.7.10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89% 득표로 대통령에 당선, 혁명을 함께 주도한 쿨로프 전

총리와 연대하여 정부 구성

․ 바키예프 대통령은 ①정국안정 ②빈곤퇴치 ③국제사회와의 대테러

공조 ④부패척결 등을 향후 국정과제로 제시

나. 바키예프 대통령 집권기

1) 정세불안 지속과 두 차례의 헌법 개정

• 바키예프 정권의 출범 이후에도 오툰바예바 前외무장관 등은 現 정권을

부패정권으로 규정하고 야권연대 “For Reform”을 구성, 2006.4.19, 2006.

5.27, 2006.11.2 수도 비쉬켁에서 대규모 대중시위를 주도하면서, 정세불안 지속

• 2006.11.9 바키예프 대통령은 야권의 요구를 수용, 대통령 권한의 대폭

축소를 골자로 하는 신헙법에 서명

- 의회 권한 대폭 강화(의회의 총리 임명권 및 내각 구성권 인정, 의석수

90석으로 확대)

• 2007.1.15 바키예프 대통령은 불과 두달만에 대통령 권한 강화를 내용으로

하는 개헌에 성공

- 대통령의 총리 임명권 및 내각 구성 및 주지사 임명권 등 대부분의 권한

회복

- 2007.1.30 이사베코프 농업부 장관을 총리로 임명하였으나, 2007.3.30

야권측의 정치 참여 보장을 명목으로 2007.3.30 야당 지도자였던 현 아탐바예프

총리로 임명

• 2007.4 쿨로프 전 총리가 이끄는 야당연대 “United Front”를 중심으로 대통령

조기 사퇴 및 개헌을 요구하는 1만5천명 규모의 대중 소요가 발생 하였으나,

열흘만에 진압

Page 30: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22

- 쿨로프 전 총리의 정치세력 약화

2) 헌법재판소의 헌법 철회 결정

• 2007.9.14 헌법재판소, 2006.11 및 2007.1 개헌이 무효라는 결정을 내리고,

2003년 헌법 체제로 회귀

- 튤립혁명으로 현 정권이 들어선 이후 권한배분 및 의회해산등에 반대하는

소요가 지속되는 가운데, 2006년 말 두차례의 헌법개정이 있었으나, 동

헌법의 적법성 논란이 지속

- 최근 의원 2명의 탄원으로 헌법 재판소가 현행 헌법의 적법성을 심의,

최종적으로 무효 결정

• 2007.9.19 바키예프 대통령, 헌법 개정을 위한 국민투표를 10.21 실시

한다고 공식 발표

• 2008.10.23 중앙선관위는 국민투표 실시 후 개헌에 대해서는 총 유권자의

76.5%(약2백만명)가 찬성했고, 선거법 개정에 대해서는 76.4%가 찬성했다고

공식 발표

- 10.23 이에 따라 바키예프 대통령은 10.23, 개정된 헌법/선거법에 서명

함으로 동 법률 확정, 발효

3) 바키예프 대통령 재선과 정부조직 개혁

• 헌법재판소가 차기 대선 시기를 2009.10.25 이전으로 결정함에 따라 조기

대선(2009.7.23) 실시

• 바키예프 대통령은 조기 대선에 대비하여 연금인상, 마나스 미공 군기지

폐쇄결정, 종교법 개정 등 인기영합 정책을 통해 압도적 지지 확보에 성공

- 총투표율 79.1%, 바키예프 대통령 득표율 74%(헌법상 유효득표의 50%

이상 득표시 당선)

- 야당 후보인 아탐바예프 전 총리는 8.25% 득표, 여타 야권 및 무소속

Page 31: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Ⅱ. 정치

23

후보(4명)는 1-2% 이내 소수 지지율 획득

• 압도적 지지로 재선에 성공한 바키예프 대통령은 연임 취임식(8.2)을 갖고

합리적인 균형원칙, 대국민소통, 빈곤 퇴치 및 부패 척결, 행정개혁(good

governance) 등 신정부의 시정방향을 천명

• 바키예프 대통령은 대국민 TV 특별담화를 통해 행정개혁 일환으로 새로운

정부조직 개편방향 제시

• 14개 부처 장관중 1개 부처 장관을 제외하고 모두 유임 또는 동일업무

부처장을 승진 임명함으로써 실무부서의 안정속에 정부 개혁 도모

• 국가의 핵심기능을 수행할 대통령 직속부를 신설, 대통령 권한 강화

- 대통령 행정실, 비서실, 중앙개발․투자․혁신단, 국방․안보․법치

국가보좌관, 국가외교장관 5개로 구성

다. 오툰바예바 과도정부 출범

1) 반정부시위 발발, 바키예프 정권 퇴출

• 계속되는 정부의 독재 및 부패, 언론탄압과 살인적인 물가상승, 공공 서비스(전력비)

세금인상, 실업률 증가 등 경체침체에 불만을 품은 5000여 명의 시위대가

2010.4.6 야당 지도자들의 검거에 분노해 2010.4.7 바키예프 대통령 사임을

주장하는 반정부 시위가 발생

• 정부청사와 검찰청, 국영 방송국 등을 점거하자 정부가 비상사태를 선언하고

경찰이 시위대에 발포해 100여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수백 명의 부상자가

발생.

• 바키예프 대통령은 망명했고, 4.8 바키예프 정권 의회를 해산한 후 사회민주당

당수 오툰바예바가 과도정부 구성을 선포.

Page 32: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24

• 2010.6월 초 오쉬, 잘랄라바드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키르기즈, 우즈벡계 민족간

분규, 폭동 사태가 발생하여 공식적으론 사망자 500명 이상, 부상자 2000명

이상, 우즈벡계 피난민만 10만 명 이상으로 파악

• 정국 불안을 잠식시키기 위해 오툰바예바(사민당)는 2010.6.27 개헌안

국민투표를 통해 과도정부 공식 수반으로 인정

- 2011.12월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하고 공정한 대통령 선거를 위한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약속.

2) 2010.10.10 총선 실시

• 아타주르트, 사민당, 아르나미스당, 공화당, 아타메켄 등 5개 주요 정당이

국회에 입성

- 다수당의 부재로 2차례의 연정 구성을 통해 아타주르트, 사민당, 공화당

3당이 연정을 함께 구성하고, 아르나미스와 아타메켄은 야당으로 남게

되면서 12.17일 아탐바예프 총리 내각 출범.

• 1차 연정 구성 실패 이후, 2차로 아타주르트, 사민당, 공화당 3당이 연정을

구성했으나, 의원들간 잦은 내부 분열과 의견 일치를 이루지 못하여 연정

해체 기운이 잦았음.

라. 평화적 정권 이양, 아탐바예프 정권 출범

• 2011.10.30 실시된 대선을 통해 아탐바예프(사민당), 타쉬예프(아타주르트),

마두마로프(부툰키르기스스탄) 등 유력후보 3인 중 아탐바예프가 득표율

63.24%, 나머지 후보들은 14.32%, 14.77%를 각각 기록하면서 대통령으로

당선

• 이번 대선은 키르기즈 역사상 최초의 평화적인 정권 이임을 상징하며, 키르기즈

정치인들의 성숙도를 증명한다는 평가를 받음.

Page 33: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Ⅱ. 정치

25

- 지금까지 키르기즈는 여전히 지속중인 6월 사태 재판, 경제적 분리,

부정부패, 국수주의 등 국가 내부 분열 요인이 많았음.

• 2011.12.16 사민당을 주축으로 하여 공화당, 아르나미스, 아타메켄 등 4개

정당이 연정을 구성(아타주르트 의원 7인도 포함)하였고, 아타주르트당은

야당으로 남음.

• 제엔베코프 전 국회부의장(사민당)이 국회의장으로 78표를 득하여 선출

- 최대의 관심사였던 총리직은 다수 의원들의 반대여론에도 불구하고 공화당측의

공개투표 요구에 따라 12.23 실시된 공개투표를 통해 바바노프(공화당)가

114표를 얻어 총리로 선출됨.

Page 34: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Page 35: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KYRGYZ REPUBLIC

III.외교

KYRGYZ REPUBLIC

Talas

Kara-Kol

Jalal-Abad

Ozgon

Osh

Kyzyl-Kyya

Sary-Tash

Naryn

Karakol

TokmokBalykchy

Kara-Balta

BISHKEKK

Page 36: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Page 37: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Ⅲ. 외교

29

1 개 요

•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안보 확보를 위해 러시아 및 주변 중앙아 국가들과의

전통적 우호 협력관계를 유지․발전시킴과 동시에 미국, EU 등 서방국가

및 중국․터어키 등과의 협력 관계를 확대․발전시켜 나가는 등 실리․균형

외교를 추진

• 최근 경제난이 확대되면서 미국 등 서방국 및 한국, 일본 등 아시아

경제대국들과의 적극적인 통상․투자외교를 전개

2 기 조

• 키르기즈의 독립과 주권보호

• 러시아 및 중앙아 국가들과의 호혜적인 우호․협력관계 지속

• 안전확보를 위한 역내 안보협력체 적극 참여 및 역할 확대

• 국제경제․금융기구 및 경제대국들과의 협력 확대

3 최근 주요 동향

• 주변국들과의 전통적 우호․협력관계 확대․발전

- 주변국에 비해 낮은 경제수준에도 불구, 집단안보조약기구(CSTO),

상하이협력기구(SCO), 유라시아경제공동체(EurAsEC), 중앙아협력기구

(CACO), 아시아교류 및 신뢰구축회의(CICA) 등 역내 다자안보․경제

협력체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역내 안보환경 개선은 물론 경제통합에

적극적인 활동

Page 38: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30

- 9.11 사태이후 미국은 아프가니스탄 전쟁 수행을 위해 비쉬켁 인근

마나스(Manas)국제공항에 공군기지를 유지하여 왔으며(2009.6월 미국-

키르기즈 정부간 협정을 체결, “Transit Center”로 변경), 러시아는 2003.9월

집단안보조약기구(CSTO) 신속배치군 명목으로 러시아 공군 기지를 비쉬켁

인근 칸트지역에 설치, 미국의 중앙아시아에서의 영향력 확대 견제

• 러시아 및 카자흐스탄과 단일경제권(SES : Single Economic Space) 구성

추진

- CIS국가들간 산업구조의 상호 의존성을 감안, 시장․교통망․에너지

수급체제의 단일화 추구

- 국가들간 경제적 격차와 이해 상충 등이 경제통합의 장애요인으로 작용

4 주요국과의 관계

가. 러시아

• CIS, CSTO 차원 및 양자 차원에서의 정치․군사 협력 추진

- 2003.10월부터 CSTO 신속배치군 지원 명목으로 러시아에 키르기즈

동부지역 Kant 군기지 사용 허가

- 2009.8월 아프가니스탄 병참 지원기지로 마나스 공항의 미공군기지 사용

연장 결정

- 2009.8월 CSTO 비공식 정상회담시 키르기즈 남부 오쉬 또는 바트켄

지역 중 한곳에 제2의 러시아 군사기지(통합러시아군사기지) 설치 원칙에

합의

• 정치․경제․사회․문회 등 모든 분야에서 러시아와의 전통적 유대협력 지속

- 에너지자원이 부족하고, 인접국과의 에너지 협조가 원만하지 않은 상황

이므로 러시아와의 실질 협력이 긴요

Page 39: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Ⅲ. 외교

31

• 2010.4.7 반정부 소요 사태로 바키예프 정권이 축출되고, 오툰바예바가

과도정부를 수반하면서 러시아와의 관계가 다시 진전.

- 러시아는 가장 먼저 과도정부를 승인했고, 자국 외교관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공수부대원 150명을 비쉬켁 인근 칸트(Kant)공군기지로 파견.

• 4.10 러시아를 방문한 과도정부 대표단에 2천만 달러의 원조자금과 3천만

달러의 차관을 지원하기로 약속하는 등 실질적인 영향력 확대 시작.

• 2011.10월 대선 이후, 아탐바예프 대통령은 러시아는 전략적 파트너라고

강조

나. 중국

• 우호친선협력조약 체결(2002) 후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증진 기반 마련

- 바키예프 대통령 방중(2006), 후진타오 주석 키르기즈 방문(2007), 추디노프

총리 방중(2009), 상하이협력기구 정상회의 등 최근 양자 및 등 다자

차원에서의 정상 교류 활성화 및 무역․투자 증가에 힘입어 양국 실질

협력 증대 추세

- 최근 중국-키르기즈 접경도로 개보수 등 건설 협력 확대

- 중국은 농산물 및 공산품의 중앙아시아 수출 통로로서 키르기즈와의

협력 증진에 적극적

• 역내 다자안보협력체를 통한 안보 협력 추진

- 850km에 달하는 국경을 접하고 있는 중국과는 접경 공유 지역내 위구르족의

분리 독립운동 및 이슬람 근본주의 확대를 저지, 최근 우루무치 사태 이후

테러방지를 위해 SCO 등 역내 다자 안보협력체를 통한 안보협력 강화

• 비쉬켁내 “공자 학당(Confucius Institute)” 개설, 중국 창건 60주년

계기에 비쉬켁 시내버스 제공 등 전반적인 우호협력 분위기 제고

Page 40: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32

다. 터키

• 터키계 알타이어 공유 및 역사적 연관성을 기반으로 터키는 대키르기즈

진출에 적극적

- 터키는 키르기즈 중산층 이상을 대상으로 전략적 시장 접근하고 있으며,

터키계 슈퍼마켓, 은행, 부동산, 식당 등 진출 속도 가속화 추세

※ 국은 가품 시장에 집 진출, 키스탄인은 고 자동차 시장을 석권,

캐나다는 개발에 진출하고 있는 것과 비교

- 터키국제협력기관(Turkish International Cooperation Administration

: TICA)도 키르기즈내 활발한 활동을 전개

- 키르기즈 수도에 터키계 대학의 운영 등 문화․교육 협력도 활발

• 2009년 터키대통령의 키르기즈 방문과 키르기즈 총리 터기 방문 등 정상

외교 활발히 전개

- 고위인사의 상호 방문 계기에 경제인들을 대거 대동, 실질 협력 방안

논의 구체화 추진

라. EU

• EU는 안보 확보(비확산, 테러리즘, 조직범죄, 마약유통 차단 등), 에너지

수입원 다변화, 새천년 개발 목표 달성 등의 측면에서 중앙아시아를

중요시하여 2007.6월 “신파트너쉽 전략(New Partnership Strategy)”을

채택하고 포괄적 기본렵력의 틀을 마련

- 역내 정치적 안정 유지, 자원․교통․환경 분야 지역협력증진, 빈곤 축소를

전략적 목표로 설정하고 소를중앙아시아 외교 전개

• EU는 키르기즈를 역내 정치․경제적 개혁 및 협력과 통합의 선두자로

간주하고 중요성 부여

- 2007.10월 대사관을 개설하고 대사대리를 파견, 2009년 말 상주대사

부임 예정

Page 41: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Ⅲ. 외교

33

- EU는 키르기즈가 안디잔 사태로 우즈벡에서 이주해 온 435명의 난민을

송환하지 않고 UNHCR과의 협력하에 루마니아에 정착할 수 있도록

협조해 준 점을 높이 평가

• 1991년 독립 이후 EU는 키르기즈에 총 3억 유로의 경제원조 제공

마. 미국

• 2001.12부터 사용중인 마나스 공항내 미 공군기지 문제가 양국관계의 핵심

이슈

- 2009.2 키측의 일방적인 동 기지사용 종료 발표로 긴장된 상태였으나,

2009.7 미국-키르기즈 정부간 협력협정에 따라 마나스 공항내 미공군

기지를 수송센터(Transit Center)로 명칭만 변경하여 사실상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합의

• 2009년 10월 키르기즈 총리의 첫 미국 방문을 시작으로 양국간 고위급

인사교류 활성화 전망

- 미국의 경제지원 약속 등을 통해 미-키 실질협력 강화 등 관계 발전

기대

- 미국은 USAID를 통해 연간 수천만불 상당의 개발원조를 시행

• 미국 기업의 직접적인 투자는 미미한 수준

- 비쉬켁 시내 하야트 호텔 투자가 유일

바. 일본

• 일본 정부는 “실크로드 외교”를 천명, 구소련 붕괴후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적극적인 외교 전개

- 중앙아 5개국에 대사관 개설(2010 상반기 중앙아 4개국에 상주대사

체제)

Page 42: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34

- ICA 등을 통한 경제개발협력을 적극 전개하고 문화 및 교육협력도

적극 추진

• 일본은 2004년부터 ‘중앙아시아와 일본 구상(Central Asia Plus Japan

Initiative)’이라는 프로그램을 출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및 키르기즈와

각각 정치․경제․문화 교류 증진을 위한 연례 대화를 개최

- 키르기즈에 JICA, Japan Center 등 다양한 형태의 일본기관 주재

• 일본은 키르기즈 독립후 총 4억불 이상의 유무상 원조를 제공

- 도로․교량 등 인프라 건설, 농산품 가공 등 농업, 보건, 관광, 행정

부문 개선사업 등 분야에서 무상원조 적극참여

사.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등 주변국가

• 카자흐스탄과는 긴밀한 선린관계를 유지하며 다방면에서 협력 확대

• 우즈베키스탄과는 긴장된 선린, 제한적 협력 관계 유지

• 타지키스탄과는 직항운영, 비자면제 등 긴밀한 선린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나

전반적 협력은 미흡

Page 43: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KYRGYZ REPUBLIC

IV.경제

KYRGYZ REPUBLIC

Talas

Kara-Kol

Jalal-Abad

Ozgon

Osh

Kyzyl-Kyya

Sary-Tash

Naryn

Karakol

TokmokBalykchy

Kara-Balta

BISHKEKK

Page 44: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Page 45: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Ⅳ. 경제

37

1 경제현황

가. 경제성장

• 신정부는 2010.4~7월에 발생한 사건들과 물가 불안정으로 인한 지출 증대로

인해 계속해서 조속한 시일 내 국가안정과 경제 기능 회복을 위해 초점을

맞추고 있음.

- 2010년 실질GDP는 -1.4%. 현재 경제는 계속해서 회복 중이며, 2011.

1~4월까지의 실질GDP는 전년대비 3.2% 상승했고, 4%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2011년 1-10월 실질GDP는 금과 에너지 생산으로 9%까지

성장했으며, 2012-13년 평균 GDP 성장률은 6.5% 기록 예상.

- 2011년 인접국(카자흐스탄과 러시아) 경제 회복, 이주노동자 송금액 증가,

인프라사업, 파손된 건물 및 주택 복구 작업으로 건설량, 농업부문 등으로 기인.

• 세계 물가가 2009년 인하되면서 인플레는 2008년 24.5%에서 평균 6.9%로

현저히 하락. 물가가 2010년 다시 인상되면서 인플레는 상승세를 나타냈고

평균 8%대를 유지.

• 2009년 3억불(GDP 6.4%)에 달했던 경상수지 적자는 2010년 들어 고가의

수입품으로 인해 4억불로 더 확대되었고, 경제 하락으로 인해 적자는 GDP의

9.1%를 나타냈음.

- 주요 수출품인 금가격은 2010년 수출 수익을 촉진시켰으며, 2011년까지 지속됨.

- 내수 회복, 세계물가 상승으로 인해 2011년 수입가격도 계속 상승됨. 이에

따라 경상수지 적자는 2011년에도 계속 늘어나 GDP의 13.3%를 기록.

• 국가자산 매각을 반대하는 여론이 거세므로 FDI정책이 원활하게 이뤄질

지는 의문이며, 국내 불안정, 열악한 기업환경, 높은 부정부패율로 투자자들도

경계하고 있음. 이로 인해 .FDI 유입량은 2011-12년에 낮은 수치를 유지.

- 이에 중앙아 사업 환경에 익숙한 러시아, 카자흐스탄 기업인(투자자)들만

키르기즈내 투자 가능성을 모색 중.

Page 46: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38

• 국가예산은 2008년 GDP의 0.8% 흑자 이후, 2009년 GDP의 1.5% 적자

기록. 2010년에는 예산 적자가 GDP의 6.2%. 2011년은 8.8, 2012-13년에는

6%로 예상됨.

- 세입은 전년도 중반기의 사회 불안정으로 소매무역분야가 급격히 침체되면서

타격을 입음. 부가세도 인구 구매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짐에 따라 어려움.

- 러시아, 유럽과 기타 공여국들의 긴급(비상) 재정지원으로 2010 부족한

세입으로 인한 어려움 극복. 공여국들의 지원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임. 예산적자는 GDP의 8.3%까지 확대될 것이며 2012년도 이와

비슷한 수준이 유지

• 수출량(금, 광물, 전력, 채소)은 1-8개월 동안 빠르게 13억 불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31.8% 증가했으나, 주로 차량, 방직용 연료 수입(25억 불)으로

지출 규모도 커졌음.

- 무역적자는 전년 대비 40%가량 증대되었음.

나. 대외부채 상황

• 2012.1.30일 기준, 키르기즈 부채율은 GDP대비 52.9%(약 277천만 미불)이며,

1인당 국민 부담금은 500$임.

순 국가별/기 별 백만$ 비고

1 월드뱅크 663.3

2 ADB 600.3

3 러시아 490.3

4 일본 350.7

5 중국 232.6

6 IMF 174.9

7 이슬람개발은행 63.5

8 독일 78.7

9 터키 49.22011.12.1일자, 키-터키 정부간 채무탕감협정

체결한 바 있음.

10 한국 15.5

출처: 키르기즈 재정부, UNDP 및 EU 사법개혁지원 사업 자료

Page 47: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Ⅳ. 경제

39

다. 재정 및 유동성 상황

• 세계금융공황에 대한 대응책으로 소개되었던 외부충격완충제도 (ESF, 2010년

6월 만기) 이후, IMF는 키르기즈공화국과의 신차관제도 협정을 도출했음.

- IMF는 긴급차관제도(RCF) 차원으로 2010.9월 33백만 미불을 지원

- 2011.4월 말, 108백만에 달하는 RCF 차관 관련 예비협정을 도출했음.

IMF 이사회는 2011년 6.20일 확장차관제도로 106백만 미불 지원 결정.

라. 빈곤상황

• UNDP 비쉬켁 사무소 보고서에 따르면 2011.4월 기준 키르기즈 인구 5백만

중 빈곤층은 1/3 수준

- 도시 지역 약 30%, 농촌지역 51% 빈곤층 분포

2 주요경제지표

2007 2008 2009 2010 2011

GDP(억불) 141.9 188.0 196.4 212.2 223.2

실질GDP 성장률(%) 8.5 8.4 2.4 -1.4 9.0

소비자물가 상승률(%) 10.2 24.5 6.9 8.0 17.6

인구(백만명) 5.3 5.3 5.4 5.5 5.5

수출(백만불) 1,337 1,874 1,700 1,783 2,032

수입(백만불) -2,614 -3,754 -2,814 -2,981 -3,743

국제수지(백만불) -261 -750 -300 -270 -427

외환보유고(백만불, 금 제외) 1107 1153 1494 1604 1,795

평균환율(솜:US달러) 37.32 36.57 42.90 45.97 45.95

Sources: EIU, Economist Intelligence Unit Country Report: Kyrgyz Republic

Page 48: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40

2009 2010 2011

3 Qtr 4 Qtr 1 Qtr 2 Qtr 3 Qtr 4 Qtr 1 Qtr 2 Qtr

Government finance (Som bn)

Revenue & grants 12.8 16.0 13.9 13.2 13.8 17.0 15.4 -

Expenditure & net lending 14.6 17.7 12.9 15.64 18.0 22.4 13.8 -

Balance -1.8 -1.7 1.1 -2.4 -4.1 -5.4 1.5 -

Wages & prices

Monthly earnings (Som) 6,270.0 6,976.0 6,321.0 6,908.7 7,152.3 8,186.0 7,347.7 8,945.0

% change, year on year 14.9 11.1 13.4 12.0 14.1 17.3 16.2 29.5

Consumer prices (2000=100) 152.9 153.8 160.1 161.2 166.8 180.3 193.0 197.5

% change, year on year 2.7 0.6 2.7 3.1 9.1 17.2 20.5 22.5

Producer prices (2000=100) 180.7 194.2 213.0 213.5 222.0 241.5 252.3 267.7

% change, year on year 9.0 16.6 23.1 21.8 22.9 24.3 18.4 25.4

Financial indicators

Exchange rate Som : US$

(av)43.7 43.8 44.6 45.7 46.7 46.8 47.4 45.3

Exchange rate Som :

US$ (end-period)43.6 44.1 45.2 46.4 46.6 47.1 47.2 45.2

Lending rate (av; %) 20.4 21.9 26.5 25.7 34.2 31.3 37.0 32.9

Deposit rate (av; %) 5.9 5.5 5.5 5.4 5.9 5.0 5.4 6.2

Sectoral trends, production

Coal & lignite (.000 tonnes) 143.5 338.9 94.1 41.1 146.4 279.1 125.0 93.6

Natural gas (m cu metres) 4.0 5.1 5.9 4.3 4.5 7.1 7.1 5.8

Crude oil (b/d) 1534.3 1,903.8 1333.5 2,024.3 1,598.5 1,711.0 1,735.1 1,638.7

Electricity (bn kwh) 2.5 3.4 3.5 2.0 2.8 3.8 4.7 2.9

Foreign trade (US$ m)

Exports fob 360.8 515.7 419.3 350.4 274.0 445.9 445.9 445.9

Imports cif 766.9 901.5 681.9 690.2 917.0 1,090.7 1,090.7 1,090.7

Trade balance -406.1 -385.8 -262.6 -339.8 -643.0 -644.8 -644.8 -644.8

Balance of payments (US$ m)

Merchandise trade balance

fob-fob-301 -233 -153 -209 -432 -409 -215 -372

Services balance -6 -34 -15 -64 -98 -54 -62 18

Income balance -38 -91 -143 -36 46 -210 -192 -106

Net transfer payments 312 315 227 321 428 415 352 449

Current-account balance -33 -44 -85 12 -55 -257 -118 -11

Reserves excl gold 1,413 1,4947 1,529 1,471 1,577 1,604 1,683 1,787

Sources: IMF,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National Statistical Committee; National Bank of the Kyrgyz Republic.

Page 49: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Ⅳ. 경제

41

3 통상 환경

가. 일반현황

• 중앙아시아 유일의 WTO 회원국(1998.12 WTO가입)이며 개방형 무역․투자

제도를 마련하여 CIS 전 지역에서 가장 개방된 경제 체제 구축

• 무역 정책의 목표

- 대외개방형 무역 체제 구축

- 해외 수출시장 확대

- 세계경제 편입 가속화

• 무역/투자 자유화 정책 2대 기보

- 다자주의 : WTO 및 역내 다자 무역협정 체결

- 지역주의 : 역내 다자 무역협정과 아울러 양자 협정 체결

나. 무역정책

1) WTO 가입에 따른 자유화

• 2005년까지 모든 상품에 대한 낮은 수준의 양허관세 확정

- 단순 평균 양허관세율은 7.7%, 단순 평균 실제 관세율은 4.9%

- 모든 상품의 7% 정도만 10% 이상 관세율 부과

* 설탕류 20-30%, 자동차 20% 등

- 공산품 평균 양허세율 4.1%, 농산품 8.1%

• 수입 부과금 철폐

• 향후 정부조달협정 가입 추진중

• WTO 분쟁에 연루된 사례 전무

Page 50: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42

2) DDA 협상 지지

• 주로 농업, 서비스, 비농산물 분야 협상에 참여

- 저소득 약소국에 대한 차별적 대우, 농산물 수입국으로서의 긴급구제

조치, 서비스 분야 mode-4 자유화 적극 지지

다. 대외무역 협정 현황

1) 다자 협정

① CIS FTA

• 투르크메니스탄 제외 CIS 회원국(총 11개국)

- 1994.4월 체결, 1999.4월 개정(2000.1월 발효)

• 관세동맹 구축 전단계로 점진적으로 회원국간 모든 관세 및 의무 면제

추구

• 키르기즈의 경우 CIS FTA 회원국 모든 개별국가와 별도의 양자 FTA 체결

② EurAsEC 경제공동체 정

• 러시아, 벨라루스+중앙아시아 4국(투르크메니스탄 제외, 우즈베키스탄

탈퇴 의사표명)

- 2000.10 체결, 2001.5 발효

- non-CIS 국가에도 가입문호 개방

• 점진적으로 관세동맹, 공동시장 구축을 지향

- 현재는 예외 없는 무관세, 무쿼타의 자유무역지대로 운영중

- 향후 공동관세율(CCT : Common Customs Tariff) 도입 추진중

- 중장기적으로 공통화폐, 공동 FDI 정책 구축을 통한 EU식의 공동시장

구축을 모색

Page 51: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Ⅳ. 경제

43

• CCT 도입의 경우, 다른 회원국과는 달리 키르기즈로서는 WTO회원국으로서

이미 약속한 낮은 수준의 MFN 양허관세율과 배치되는 상황에 처할

가능성

- 즉, WTO 양허관세율은 평균 7.7%이나, 다른 회원국들의 무역자유화 정도가

낮은 관계로 CCT는 10% 이상이 될 가능성이 있음.

2) 양자 협정

• 투르크메니스탄을 제외한 10개 CIS 회원국과 모두 양자 FTA체결

- 1992.8 러시아와 처음으로 FTA 체결 이후 2004.1 아제르바이잔에 이르기까지

연쇄적으로 10개의 FTA 체결 : 이미 모두 발효되어 이행되고 있는 상태,

중국과는 FTA 미체결

※ 상기 국가들과 체결한 FTA 내용

- 상품에 대한 관세, 부과금 등 면제, 수출입 쿼터 제한 철폐 등에 치중

- 무역구제, 비관세 장벽 등 불공정 관행, 표준 및 상호 인증 등에 관한 규정이

없는 매우 기초적인 수준의 합의문

- 아울러, 서비스는 물론 투자 분야는 FTA 협정에 불포함

4 투자환경

가. 투자 정책

1) FDI 유치 확대에 주안점

• 1997년 Law on Foreign Investment 제정

- 내국민대우(NT), MFN, 불수용(non-expropriation) 원칙, 환전 및 송금의

자유, 국제중재 회부의 자유 등을 명문화

Page 52: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44

• 2003년 투자법(Law on Investments) 제정

- 1997년 법에 추가해 NT 조항을 강화하고, 투자자에 대한 법적 보호

장치를 보강

- 국내외 투자에 모두 적용

2) FDI 대한 제한 최소화

• 현지인과 합작 뿐만 아니라 외국인 단독 투자를 전면 허용

- 외국인이 1/3이상의 지분을 소유시 FDI로 간주

• 거의 모든 부문에 지분 보유 한도없이 FDI 허용

- 국영기업 민영화에도 제한 없이 참여 가능

- Local content, 최소 수출 조건 등 성과요건(performance requirement)을

미부과

- 외국인 투자자에 대해서는 비자, 노동허가 등 자동 부여

※ 외사항

- 도로건설, 보건, 군사 등 국가안보와 관련된 투자분야에는 일정한 제한

유지

- 항공산업의 경우에는 49%까지만 외국인 지분보유 허용

- 외국인은 토지 소유 불가 : 49년 한도로 임차만 가능

나. 투자협정

1) 양자 투보협정 및 이중과세방지협정

• 20여개 국가와 체결, 발효

- 한-키 투보협정은 2008.7, 발효

• 20여개 국가와 이중과세방지협정 체결

- 한-키 양국간 2008.11월 이중과세방지 협정 체결 (가서명)

Page 53: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Ⅳ. 경제

45

2) 미국-중앙아시아 5개국 무역/투자 협력협정(Framework

Agreement on Trade and Investment)

• 2004.6월 5개 중앙아시아 국가와 미국간 다자 협정 체결

- 상호간 무역 및 투자 확대를 위해 정진한다는 선언적 협정일 뿐, 구체적인

의무/권리 사항 불포함

다. 외국인 투자유치 법제 및 법인 설립 절차

• 법인 설립을 위해서는 법무부, 통계위원회, 조세검사국 등 3개 정부기관에

등록

- 개인사업체는 통계위원회와 조세검사국에만 등록

• 가능한 회사형태는 유한책임, 추가적 유한책임회사, 합작주식회사(일반

또는 제한적 합작) 외국인 회사 또는 외국인 참여 회사 등

- 모든 서류는 러시아어나 키르기즈어로 번역 작성, 공증을 받아야 하며

회사설립 신청인은 지역 세무서에 위 서류들을 제출해야 함.

- 회사형태가 외국인 회사 또는 외국인과의 합작인 경우 국가통계위원회에

외국인 투자자로 등록

• 외국인 투자자는 내국민과 동일한 법적 지위를 인정받으며, 100% 외국인

소유 사업체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키르기즈 또는 제3국 파트너와의

합작형태의 사업체 소유 가능

• 외국인도 키르기즈 회사의 주식 기타 증권을 매입할 수 있으며 키르기즈

공기업의 민영화사업에도 참여 가능

• 허가되는 사업의 형태

- 개인사업체

- 합작

- 유한 합작

Page 54: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46

- 유한책임회사

- 추가적 유한책임회사

- 합작주식회사

- 현지법인

- 지사

• 법인설립을 위해 법무부에 제출해야하는 서류

- 신청서

- 회사설립 인가증

- 합병합의서

- 외국인 회사의 경우 본사 등록확인서

- 법인설립자본 확인문서

Page 55: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KYRGYZ REPUBLIC

V.한국-키르기즈 관계

KYRGYZ REPUBLIC

Talas

Kara-Kol

Jalal-Abad

Ozgon

Osh

Kyzyl-Kyya

Sary-Tash

Naryn

Karakol

TokmokBalykchy

Kara-Balta

BISHKEKK

Page 56: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Page 57: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Ⅴ. 한국-키르기즈 관계

49

1 외교 관계

• 1991.12.30 키르기즈 공화국 국가 승인

• 1992.1.31 외교관계 수립

• 1993.11 초대 김창근 대사 신임장 제정

• 1996.10 제2대 이영민 대사 신임장 제정

• 1999.11 제3대 최승호 대사 신임장 제정

• 2002.10 제4대 태석원 대사 신임장 제정

• 2006.1 제5대 김일수 대사 신임장 제정

• 2007.9 1인 공관 개설(이경렬 대리대사 부임)

※ 비쉬 한국교육원 : 2001.5.28 개원

• 2008.7 상주 대사관 개설

• 2008.10 김병호 초대 상주대사 신임장 제정

• 2010.3 서승열 대사대리 부임

• 2012.3 김창규 제2대 대사 부임

2 협정체결 현황

• 한․키르기즈 EDCF차관 공여 협정(97.6)

• 한․키르기즈 SOFA 협정(2002.4.30 발효)

• 한․키르기즈 관광협정(2006.7 서명)

• 한․키르기즈 항공협정(2007.6 발효)

Page 58: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50

• 한․키르기즈 경제협력협정(2008.2 발효)

• 한․키르기즈 투자보장협정(2008.7 발효)

• 한․키르기즈 외교관․관용여권 비자면제협정(2011.5 발효)

3 주요인사 교류

• 1997.6 아카예프 대통령 방한

• 2002.9 오스모노프 제1부총리 방한(아시안 게임 참관)

• 2002.11 신국환 산업자원부 장관 키르기즈 방문

• 2002.11 오토르바예프 부총리 방한(중앙아투자유치 설명회 참석)

• 2003.2 주말리예프 부총리 방한

• 2003.7 아크나자로바 노동사회부 장관 방한

• 2005.8 천영우 외교부 외교정책․홍보실장 키르기즈 방문

• 2005.12 최일송 외교부 구주국장 키르기즈 방문

• 2006.5 라예프 문화부장관 방한

• 2006.7 젝센쿨로프 외교부장관 방한

• 2007.11 아탐바예프 총리 방한

• 2008.4 아이다랄리예프 부총리 방한

• 2008.8 이윤성 국회부의장 키르기즈 방문

• 2008.9 이용준 외교부차관보 키르기즈 방문

• 2008.10 제7차 ACD 외교장관회의 계기 양자외교장관 회담

• 2008.10 자파로프 경제개발통상부장관 방한

Page 59: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Ⅴ. 한국-키르기즈 관계

51

• 2009.1 임재홍 외교부기획조정실장 방문

• 2009.2 권진봉 국토해양부 건설수자원 정책실장 방문

(해외건설시장 개척단 방문)

• 2009.3 한․키르기즈 교류친선협회 일원으로 국회 대표단

(김성태, 신성범, 유일호 의원) 방문

• 2009.5 사디코바 헌법재판소장 방한

• 2009.5 주영진 국회예결위 수석전문위원 키르기즈 방문

• 2009.8 이사예프 외교차관 방한

• 2009.9 노동일 경북대 총장 키르기즈 방문

• 2009.10 권영건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키르기즈 방문

• 2010.11 아이트무르자예프 외교차관 방한

• 2011.2 문하영 재외동포영사대사(외교장관특사) 키르기즈 방문

• 2011.5 문희상, 김효재 국회의원 키르기즈 방문

• 2011.2 샤키예프 문화정보부 장관 방한

• 2011.8 박상천, 송훈석 국회의원(한-키의원친선협회장) 키르기즈 방문

• 2011.9 아비토프 노동고용이민부 장관 방한

• 2011.10 김대식 국민권익위 부위원장 키르기즈 방문

• 2012.4 오토르바예프 경제부총리 방한

• 2012.5 윤영대 한국조폐공사장 키르기즈 방문

• 2012.6 바바노프 키르기즈 총리 방한(제7차 제주평화포럼 계기)

• 2012.7 카자크바예프 외교장관 방한(제6차 한-중앙아 협력포럼

계기 공식방한)

Page 60: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52

4 경제 협력

가. 협력 현황

• 교역액 증가

- 1992.1 수교 이후 한․키르기즈간 경제교류는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

10년동안 양국간 교역액은 14배 성장하여, 2011년 1억3천만불 기록

• 2009년 경기침체로 대 키르기즈 수출은 전년대비 40% 감소

- 대키르기즈 수출품목은 의류(40% 비중), 자동차 및 부품(20% 비중),

플라스틱(8% 비중)에 불과하나 이마저도 2009년동안 40% 이상씩 수출이

감소하였음.

• 2010년 대키르기즈 한국 수출, 5.8% 증가

- 주요 증가 품목은 합성수지(78.6%), 화물자동차(49.5%), 기타 기계류(45.7%)

등이며 폴리에스터 직물(9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수입품목은 , 곡류, 펄 , 비 속 물 등 원자재가 주종

• 키르기즈의 정치 안정화와 주변국 경기회복에 따라 대 키르기즈 수출의

급격한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움.

<한-키르기즈 교역 황>(단위 : 천 달러, %)

구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2011

(-11월)

교역량 68,107 83,265 126,983 168,910 101,291 107,248 130,190

수출66,517

(32.6)

81,947

(23.2)

125,611

(53.3)

166,270

(32.4)

100,094

(-39.8)

104,537

(4.4)

128,191

(32.6)

수입1,590

(-47.2)

1,318

(-17.1)

1,372

(4.1)

2,640

(92.4)

1,197

(-54.6)

2,711

(126.4)

1,999

(-18.3)

무역수지 64,927 80,629 124,239 163,630 98,897 101,826 126,192

( )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자료 : 한국무역협회

Page 61: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Ⅴ. 한국-키르기즈 관계

53

<주요 품목별 키르기즈 수입 황>(단위 : 천 달러, %)

순품목명

(품목코드)

2008 2009 2010

액 증가율 액 증가율 액 증가율

1 기타비철금속제품 0 536 923 72.1

2 기타정밀화학원료 0 0 0

3 합급철 0 0 0

4 기타기계류부품 0 0 0

5 변환 및 안정기 0 0 0

6 펌프 0 0 0

7 식물성한약재 33 -60 119 260.2 105 -11

8 주철 0 0 0

9 무선전화기 0 0 0

10 철강재용기 0 0 0

11 계측기부품 0 0 0

12 컴퓨터부품 0 0 0

13 그림 0 0 0

14 해양구조물 0 0 0

15 기타가죽 0 0 0

16 화학기계 0 0 0

17 스위치 0 0 2

18 기타알루미늄제품 0 0 0

19 안료 0 0 0

20 모니터 0 0 0

총계 2,640 92.4 1,197 2,711 126.4

자료 : 한국무역협회

Page 62: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54

<주요 품목별 키르기즈 수출 황>(단위 : 천 달러, %)

순품목명

(품목코드)

2008 2009 2010

액 증가율 액 증가율 액 증가율

1 편직물 55,936 26.3 40,520 -27.6 40,781 0.7

2 합성수지 12,146 -2.3 7,523 -38.1 13,439 78.6

3 승용차 42,542 77.7 15,869 -62.7 13,082 -17.6

4 화물자동차 11,950 170.1 3,394 -71.6 5,072 49.5

5 연초류 8,581 -26.8 5,925 -30.9 3,615 -39.0

6 폴리에스터직물 1,335 50.9 740 -44.6 1,417 91.5

7 커피류 3,099 30.3 1,801 -41.9 1,650 -8.4

8 편직제의류 3,095 -5.5 2,714 -12.3 2,474 -8.8

9 칼라 TV 20 200.1 6 -69.1 0 -98.3

10 기타섬유제품 662 373.1 1,240 87.4 1,073 -13.5

11 자동차부품 4,247 20.4 3,307 -22.1 1,032 -68.8

12 타이어 2,316 -15.6 1,436 -38.0 785 -45.3

13 윤활유 1,299 135.2 2,042 57.2 1,024 -49.9

14 건설중장비 1,599 96.8 1,502 -4.2 399 -73.4

15 아연도강판 545 - 672 23.4 825 22.7

16 운반하역기계 - - 0 -99.9 1,402 1401.6

17 기타플라스틱제품 639 378 1,532 140.0 1,016 -33.7

18 의료용기기 81 - 55 -31.9 53 -3.6

19 자수표 192 72.4 366 90.0 338 -7.7

20 직물제의류 - - 424 -38.6 878 107.2

총계 166,278 32.4 100,094 -39.8 104,537 4.4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Page 63: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Ⅴ. 한국-키르기즈 관계

55

2) 투자 현황

• 우리나라의 대 키르기즈 투자는 1997년부터 집계되는데 이는 주로 교민

정착성 사업에 투자된 것으로 파악되며 실질적인 경제 투자는 2007년부터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됨.

• 2007년을 기점으로 건설업, 부동산 및 임대업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며 주로 주택사업 및 숙박업으로 구성됨.

- 투자 사례로는 Artis Gloval, 휴먼텍의 건설사업 투자이며 Artis Global과

휴먼텍은 1,500세대 규모의 일반 아파트(비쉬켁 소재)를 건설하여

2011년 3월에 분양중임.

• 2011년도는 주재국의 소요사태 등 정정 불안정 및 PF의 어려움으로 건설업과

부동산업의 투자가 크게 위축됨.

※ 우리나라 주요 투자 사례

◦ 대규모 놀이공원 조성(98, Central Asia Group)

◦ 비쉬켁-오쉬 고속도로 건설사업(02.2, 삼성건설)

- 카라발타-비쉬켁간 80km 도로확장 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

◦ 비쉬켁시내 아파트 건설사업(Artis Global, 휴먼텍 합작)

- 총 2억 5천만불 규모의 아파트 1,400세대 건설중

- 1차 사업으로 430세대 아파트를 2010 상반기 완공, 분양

◦ 우리은행, 글로벌 아티스, 성원산업 등 7개 한국업체, 비쉬켁시와

SOC (신도시 건설 등 5대사업, 10억불 규모) 건설에 대한 투자의향서

서명 (자원개발과 SOC 건성을 연계한 Package 사업)

Page 64: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56

< 키르기즈 한국 투자 황>

연도 신고건수 액(천달러)

1997 2 145

1998 2 5,800

1999 3 2,650

2000 1 350

2001 1 180

2002 1 40

2004 0 0

2005 2 355

2006 6 732

2007 23 12,780

2008 49 33,038

2009 15 8,534

2010 44 12,220

2011년 3분기 14 2,705

총 계 163 79,529

자료원 : 한국수출입은행

3) 유․무상 협력

• 1991-2010년간 무상원조액은 344만불임.

- 무상원조는 국내초청 연수, 태권도사범 파견, 물자지원으로 구성됨.

- 2011년 주재국 산림보전역량강화 프로젝트사업으로 1백만불 사업 시행중

• EDCF 지원 : 1200만불(99년, TDX-10 교환기 공급․설치 사업)

- 키르기즈 수도권 추이주 25개 지역에 45,273 회선의 TDX-10 교환기를

공급․설치하여 해당지역 전화적체현상 해소 및 통신서비스를 향상

Page 65: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Ⅴ. 한국-키르기즈 관계

57

4) 노동분야 협력

• 2007.2월 외국인력정책위원회, 고용허가제에 따른 2007-8 신규 인력 송출

(매년 2,500여명) 국가에 키르기즈 포함

• 2007.7월 우리 노동부 장관의 키르기즈 방문시 MOU체결을 통해 연

2,500명의 쿼터(고용허가제) 확보

※ 2010년 314면, 2011년 295명

5 재외동포

가. 고려인 : 약 2만명

1) 고려인 중앙아 정주 약사

• 1850년대(자발적 이주)

- 극동지역 개발을 위한 러시아 정부의 묵인하에 한인들은 계절농 형태로

러시아의 극동지역으로 이주를 시작

• 1917.10 볼셰비키 혁명이후

- 스탈린 체제에서극동지역에서 수십개의 농업, 어업 콜호즈를 조직하는

등 경제, 사회, 문화적 잠재력을 갖춘 한인 공동체를 형성

․ 아리랑 라디오 방송, 주간지 “일치” 등 언론사가 있으며 전통무용 공연단

“만남” 등이 활동

• 1937.8.21(강제 이주)

- 소련 당국, 극동지역 한인을 중앙아시아 지역으로 강제이주키로 결정

- 이주 숫자는 카자흐스탄 98,454명, 우즈베키스탄 74,500명으로 이주

도중 사망 숫자를 포함해 대략 18만여 명으로 추산

․ 화물차량이나 가축차량에 집단 수용되어 한 달 여 이동한 탓에 질병이나

Page 66: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58

열악한 조건에서 어린이 60%가량이 이주 도중 사망

• 1938. 3월

- 이주민 정주구역 배당

․ 이주민 대부분은 농업에 종사하였고 주로 집단농장을 형성하여 거주

• 1989.11.14 소련 당국, 강제이주 불법성 인정 성명 발표

• 1991.4.26 러시아, “탄압받은 민족의 명예회복에 관한 법” 공포

• 1993.4.1 러시아, “러시아 고려인 명예회복에 대한 결정” 발표

• 그러나 중앙아시아 국가에서는 아직 고려인 명예회복에 관한 법이 마련되지

않고 있음

※ 러시아․CIS 지역 동포 황

◦ 러시아 : 190,600명(연해주 18,000명, 카프카즈지역 64,000명)

◦ 카자흐스탄 : 103,000명(알마티 23,000명)

◦ 우즈베키스탄 : 200,000명(타쉬켄트 120,000명)

◦ 키르기즈 : 20,000명(비쉬켁 13,000명)

◦ 우크라이나 : 13,000명

◦ 그 외 몰도바,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타지기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지에 4,000명 정도 거주

2) 현 황

• 키르기즈 내에는 1937년 강제 이주된 한인들의 후손 2-4세대 고려인들이

동포사회의 주류를 형성

- 고려인들은 정․관계 고위직, 기업계, 학계, 문화, 언론계 등에서 두각

※ 신로만 의원 등

• 시장경제로의 전환 과정에서 기업 활동에 두각

Page 67: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Ⅴ. 한국-키르기즈 관계

59

• 고유의 문화 유지․계승

- 키르기즈 고려인들은 오랜 기간 모국과의 격리에도 불구하고 우리 말과

문화를 지켜 온 바, 일치신문, 전통무용단 “만남” 운영

- 수교 이후 우리 정부로 부터의 꾸준한 지원 등에 힘입어 젊은 층의 우리말

구사 능력이 꾸준히 향상되고 있으며 북한성향을 보이던 공연예술 분야도

점차 한국화 되어 가는 추세

나. 재외국민

• 2011년 2월 현재 약 1000여명의 재외국민이 키르기즈에 거주

- 주로 무역업, 유학, 선교 등의 목적으로 입국한 장기 체류자와 그 가족들이

주류를 형성

• 재외국민 단체로는 한인회, 한인경제인협의회, 한인기독실업인회, 평화통일자문회의

비쉬켁지회, 선교사 협의회(Consultation) 및 유학생회 등이 있음.

Page 68: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Page 69: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KYRGYZ REPUBLIC

VI.주요인사 이력사항

KYRGYZ REPUBLIC

Talas

Kara-Kol

Jalal-Abad

Ozgon

Osh

Kyzyl-Kyya

Sary-Tash

Naryn

Karakol

TokmokBalykchy

Kara-Balta

BISHKEKK

Page 70: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Page 71: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Ⅵ. 주요인사 이력사항

63

■ 아탐바예프 키르기즈 대통령

성 명알마즈베크 샤르세노비치 아탐바예프

(Almazbek Sharshenovich ATAMBAEV)

출 생 1956.9.17 (56세, 추이주 출생)

학 력 1980 모스크바 경영아카데미 졸업(생산경영학)

경 력

1980-81 KSSR 통신부 소속 엔지니어

1980-81 KSSR 통신부 소속 엔지니어

1981-83 프룬제시 선임엔지니어

1983-87 KSSR 최고위원회 근무

1987-89 피에르보마이스키구 의회 집행위원회 부위원장

1989 연구생산업체 ‘Forum’ 대표

1995-00 키르기즈공화국 국회 민족대표회 의원

1997-99 ‘Kyrgyzautomachine’업체 사장

2005 경제산업통상부 장관 대행

2005.9. 국회의원 승인 하에 경제산업통상부 장관

2006.4.21 장관직 자발 사임 및 승인(4.26일)

2007.3.30 국무총리 대행(3.29일) 이후, 비밀투표 국무총리 확정

2007.10.24 개헌안 이후 총리직 해임, 총리대행

2007.11.28 총리직 해임

2009.6.15 중앙선거위원회 법령으로 대통령후보등록

(득표수: 총 195,973(8.41%))

2009.9.9 연합민족운동 위원장 선출

2010.4.7 키르기즈 과도정부 1부위원장(경제부문)

2010.7.13 부위원장 해임

2010.11.10 5대 국회의원 당선

2010.12.17 국회에서 총리 임명

2010.12.27 총리직 임명 및 내각 출범

2011.10.30 대통령 당선

2011.12.1 대통령 취임

Page 72: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64

■ 바바노프 키르기즈 총리

성 명오무르베크 바바노프

(Omurbek BABANOV)

출 생 1970.05.20 (42세, 탈라스주 출생)

학 력

모스크바농업아카데미 금융경영과 졸업

러연방 정부산하 경제아카데미 금융경영과

키르기즈국립법대, 법률가

경 력

1988-89 소비에트 군복무

1994-99 ‘Arlan’석유업체 대표(카자흐 소재)

1995-98 ‘Kyr-Kor’밀가루제분업체 대표(카자흐 소재)

1998-99 ‘Shimkent neft org synthes’석유업체 키르기즈 지점장

1999-00 ‘Munai’석유업체 제1부사장

2000-04 ‘KyrgyzCotton’면화업체 대표

2002-05 ‘Petro Kazhakhstan Oil products’ 대표

2004-05 ‘Munai Myrza’석유업체 이사회 위원

2005.3 국회의원

2007.10.22 대통령령에 의거, 국회 조기해산

2008.7.1 ‘키르기즈상업은행’ 경영 주주

2009.1.26 대통령령에 의거, 제1부총리 임명

2009.10.22 바키예프 대통령의 국정개혁 관련 발의로 인해 정부 해산됨.

2009.10.22 제1부총리 사임

2009.11-2010.1 ‘Munai Myrza Invest’ 석유업체 이사장

2010.1~현재 ‘상업은행 Kyrgyzstan’ 이사장 고문

2010.11.10 국회의원 당선

2010.12 제1부총리 임명

2010.12.27 제1부총리 임명됨에 따라 국회의원 해임

2011.9.25~ 현재 총리 대행

Page 73: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Ⅵ. 주요인사 이력사항

65

■ 제엔베코프 키르기즈 국회의장

성 명아실베크 제엔베코프

(Asilbek JEENBEKOV)

출 생 1963.08.27 (49세, 카라쿨진 출생)

학 력키르기즈농업대학교

경제기업대학교

경 력

1985 ‘Ak-Jar’ 농업조합 사원

1986-96 키르기즈면화생산공장 연구원, 선임

1996-02 ‘Isken’사 대표

2002-07 ‘Agrozoovet Service’사 대표

2007.12.20 4대 국회의원 (사회민주당 의원)

2010.7.2 과도 정부령 의거 국회 조기해산

2010.11.10 5대 국회의원

2010.12.23 5대 국회 부의장 선출

2011.12.16 국회의장

Page 74: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66

■ 카자크바예프 키르기즈 외교부 장관

성 명루슬란 카자크바예프

(Ruslan KAZAKBAEV)

출 생 1967.5.18(45세, 탈라스주 출생)

학 력

키르기즈공화국 외교아카데미 졸업

키르기즈국립대 법학부 졸업

푸룬제공대 졸업

경 력

1995 키르기즈 외교부 입부

1995-96 키르기즈 외교부 영사과 3등, 2등 서기관

1996-99 주터키(이스탄불) 키르기즈 총영사관 부영사

1999-2005 참사관, 키르기즈 외교부 총영사국 과장, 부국장, 국장

2005-09 주터키(이스탄불) 키르기즈 총영사관 총영사

2009.1.23 키르기즈 외교부 제1차관

2010.4.15 키르기즈 외교장관 대행

2010.~현재 키르기즈 외교장관

Page 75: 최종%28편집%29키르기즈 개황

Ⅵ. 주요인사 이력사항

67

■ 베쉬모프 키르기즈 외교부 차관

성 명아스카르 졸추베코비치 베쉬모프

(Askar Zholchubekovich Beshimov)

생년월일1962년 2월 5일 (50세)

잘랄-아바드 출생

학 력1983 오쉬스크 교육대학 물리-수학과

1990 키르기즈 국립대학교 경제학과

경 력

1998-1999 키르기즈 외교부 경제분석 및 대외경제전망국 국장

1999-2000 키르기즈 외교부 전략적 이슈 및 정보국 국장

2000-2005 주 러시아 키르기즈 대사관 대변인

2005-2008 키르기즈 외교부 차관

2009 키르기즈 외교부 대변인

2009-2011 “미래 프로젝트” 재단 전무이사

2011-2012 주 말레이시아 키르기즈 특명전권대사

2012.05-현재 외교부 차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