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nlip.pcu.ac.kr 공공공공 1 공 3 공 공공공 (I) - 공공공공 공공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Embed Size (px)

DESCRIPTION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목 차. 1. 인터넷이란 2. 인터넷의 역사 3. 인터넷 프로토콜 4. 인터넷 서비스 방식의 종류 5. FTP 서비스. 1. 인터넷이란. 인터넷 (Internet) 인터넷이란 프로토콜 / 인터넷프로토콜 (TCP/IP) 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글로벌 네트워크 이다 . 인터넷 (Internet) 은 Inter + Network 의 합성어이다 .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Page 2: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목 차

1. 인터넷이란2. 인터넷의 역사3. 인터넷 프로토콜4. 인터넷 서비스 방식의 종류5. FTP 서비스

Page 3: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1. 인터넷이란

인터넷 (Internet)인터넷이란 프로토콜프로토콜 // 인터넷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TCP/IP)(TCP/IP) 을 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글로벌 네트워크통해 연결되어 있는 글로벌 네트워크이다 .

인터넷 (Internet) 은 Inter + Network 의 합성어이다 . 즉 , 인터넷은 작게는 근거리 통신망 (LAN) 등 소규모의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는 형태에서부터 크게는 전 세계를 망라하는 거대한 통신망의 집합체로 되었다 .

ARPANET → NSFNET → INTERNET군사적인 목적 → 학술적인 목적 → 상업적인 용도

Page 4: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2. 인터넷의 역사 1969 년 미 국 국 방 성 (Department of Defense)

프로젝트의 하나로 시작된 인터넷은 초기 이름이 ARPANET 인 국방성 산하 연구기관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

1970 년대 말 : 전송 관리 프로토콜 / 인터넷프로토콜 (TCP/IP) 이 채택

1980 년대 : 일반 사용자들의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BITnet, Usenet 등

Page 5: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2. 인터넷의 역사 1957 년 : USSR 스프트니크호 발사 , 미국 ARPA 창설 1969 년 : 미국방성 (DoD) 에서 군사적 목적으로 ARPAnet 시작 1982 년 : TCP/IP 개발 DoD 표준으로 선정 1983 년 : ARPANET 에서 MILET 분리 -> Internet 1984 년 : DNS(Domain Name Server) 발표 1992 년 : CERN 이 WWW 발표 1994 년 : 모자이크 (Web browser) 발표 , Netscape 설립 1996 년 : Microsoft Internet-Explorer 발표

Page 6: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2. 인터넷의 역사 - 국내

국내 인터넷의 역사

시초 시초 :: 1982 년 서울대와 KIET( 현 ETRI- 전자통신연구소의 전신 )

간에 구축된 SDN(System Development Network)

오늘날과 같은 인터넷의 형태 오늘날과 같은 인터넷의 형태 :: 1990 년 KAIST 와 미국 하와이대학 간에 인터넷 개통

본격적인 발전단계 본격적인 발전단계 :: 1994 년 한국통신의 KORNET, 데이콤 , 아이넷 등 상업서비스 시작

Page 7: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2. 인터넷의 역사 - 국내년도년도 발전상황발전상황 내용내용

19821982년 년

SDN (System Development Network)

TCP/IP 이용 , FTP, Telnet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들이 사용 . 우리나라 인터넷의 시초

19831983년 년

EUNET (European UNIX Network)

SDN 과 네덜란드의 MCVAX 를 통해 EUNET 과 연결

19861986년 년

KREN (Korea Research and Education Network)

대학전산소를 중심으로 전산망 구축하기 시작

19901990년년

KREONet 독자적 전용선 설치

전용선을 미국 , 유럽에 독자적으로 설치 모든 기관에 접속가능해짐

19941994년년

상업망 시대 한국통신 , 데이콤 , 아이넷트 등이 상업서비스 시작 .이후 나우콤 , 천리안 , 하이텔등의 PC 통신 업체들 서비스 시작

Page 8: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3. 인터넷 프로토콜 (TCP/IP)

인터넷은 TCP/IPTCP/IP 라는 프로토콜을 통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컴퓨터나 운영체제하에서도 자료의 교환이 쉽게 이루어진다 .

TCP/IPTCP/IP :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시키는데 이용되는 100 여 개가 넘는 프로토콜들에 대한 일반적인 명칭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FTP(File Transfer Protocol), 텔넷 (Telnet), 고퍼 (Gopher) 등

프로토콜 (PROTOCOL) 이란 ?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타를 어떤형식으로 전달하고 받을 것인가에 대해서 약속한 규약

Page 9: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3. 인터넷 프로토콜 (TCP/IP)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송신지에서 큰 파일을 여러 개의 작은 패킷 (packet)

으로 나누고 수신지에서 다시 원래의 파일로 복원하는 일련의 규약을 담고 있다 .

IP(Interent Protocol) : 하나의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패킷을 운반시키는

주소체제 (addressing scheme) 를 관리하는 규약이 포함되어 있다 . 여기서 인터넷상의 데이터는 하나의 덩어리가 아닌 작은 패킷으로 나누어 호스트 간에 전송이 이루어짐을 유의해야 한다 .

Page 10: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3. 인터넷 프로토콜 (TCP/IP)

전자우편의 예

우리가 전송하는 메일 메시지를 TCP 는 여러 개의 패킷으로 쪼개어 각 패킷마다 순차번호 (sequence number), 수신자 주소 , 오류제어 (error control) 정보를 표시한다 . 그 다음 각 패킷은 IP 기능에 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서 원격 호스트 (remote host) 로 전송된다 .

데이터를 패키지가 아닌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이유데이터를 패키지가 아닌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이유

1) 동일한 통신회선에서 다수의 이용자들로 하여금 동시 작업수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 2) 전송오류가 발생했을 때 오류가 있는 패킷만 재전송을 하면 되고 전체의 메일 패키지를 재전송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

Page 11: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4. 인터넷 서비스 방식의 종류 WWW (World wide Web) : 멀티미디어 형태의 인터넷 정보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E-mail : 전자메일은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들과 메시지를 주고 받고 파일을

보내는 수단으로 이용 FTP(File Transfer Protocol) :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주로 사용되는 TCP/IP 프로토콜 중에서 ,

컴퓨터끼리 파일 전송을 위한 고급 수준의 프로토콜 Telnet (Telecommunication Network) :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를 원거리에서 접속하여 제어하거나 조작할 수 있는 서비스

NewsGroup(Usenet) : 인터넷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전자게시판 서비스로서 다양한 뉴스 그룹을 만들어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는 곳

Page 12: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5. FTP 서비스 FTP 란 ? FTP 란 File Transfer ProtocolFile Transfer Protocol 의 약자로써 (Internet 의

표준파일 전송 프로토콜 ) 사용자의 현지 시스템 (Local System) 과 원격 시스템 (Remote System) 간에 파일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 컴퓨터 통신상의 공개자료실과 같은 기능을 하는 인터넷 서비스이다 .

Anonymous FTP ServerAnonymous FTP Server : 해당 서버에 ID 가 없어도 인터넷에 존재하는 FTP Server 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File 을 무료로 DownLoad 하기도 하고 Upload 할 수 있는 서버

FTP FTP 프로그램프로그램 : WS-FTP 나 CUTE-FTP 등

Page 13: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 부록 ] FTP 프로그램 - 설치 (1)

* PC 통신 공개 자료실이나 인터넷의 공개 자료실 등에서 설치 파일을 구한다 .

*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다음 순서대로 진행한다 .

본 프로그램을 설치 할 것인가 물어 본다 .

-> NEXT

1

Page 14: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 부록 ] FTP 프로그램 - 설치 (2)

학생이냐고 묻는다 . 즉 , 교육용으로 사용할 것인가를 묻는 것이다 .

-> YES

사용 계약 약관에 대한 동의를 구한다 .

-> YES

2

3

Page 15: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 부록 ] FTP 프로그램 - 설치 (3)

설치할 디렉토리를 설정( 모르면 그냥 넘어간

다 ) - > NEXT

4

시작 메뉴 등록 위치 설정 그냥 통과

-> NEXT

5

Page 16: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 부록 ] FTP 프로그램 - 설치 (4)

마무리(위는 프로그램 설명 , 아래는 프로그램 바로

실행 . 그냥 둘다 끄고 마무

리 ) -> Finish

6

Page 17: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 부록 ] FTP 프로그램 - 사용법 (1)

* ws-ftp 의 예

왼쪽 하단에 'Connect' 를 누르면 접속한다 .

Page 18: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 부록 ] FTP 프로그램 - 사용법 (2)

* 확인을 누르면 접속이 되고 접속이 되면 암호를 물어 볼것이다 . 물론 암호를 미리 입력했다면 나오지 않는다 .

* 패스 워드를 입력한 후 암호가 일치하면 자신의 FTP 공간에 접속이 된다 .

왼쪽 하단에 ' 확인 ' 을

누르면 접속한다 .

1. Profile Name : FTP 사이트의 이름을 말한다 . 없어도 무방 . 2. Host Name/Address : FTP 사이트 주소를 입력한다 . ( 예 : ftp.netian.com ) 3. Host Type : 서버의 방식을 설정한다 . 자동 (Automatic detect) 로 두면 된다 . 4. User ID : 자신의 FTP 계정을 입력한다 . ( 자신의 네띠앙 아이디를 입력 ) 5. Password : 암호를 입력한다 . ( 여기서 보다는 나중에 직접 입력하는 것이 보안 상 안전하다 .)6. 나머지는 필요한 사람이 직접 알아 보시길 .

Page 19: 제  3  강  인터넷  (I) -  네트워크 기초

nlip.pcu.ac.kr

공학설계 1

[ 부록 ] FTP 프로그램 - 사용법 (3)

* 왼쪽 창 (1) 에서 전송할 파일을 선택하고 화면 가운데 있는 오른쪽 화살 표 ( 업로드 ) 를 누르면 파일이 전송된다 . 전송된 파일은 (2) 에 나타난다 . 내려 받기를 할 때는 반대로 위의 화살표를 누르면 된다 . * 왼쪽 창 (1) 에서 '[-a-]', '[-c-]', '[-d-]' 등은 드라이브를 나타낸다 . '[-a-]'는 'A:\'를 말하며 , '[-c-]'는 'C:\'를 나타낸다 .

현재 자기 위치 : 이곳에 자신의 컴퓨터에서의 현재 위치를 나타낸다 .

서버에서 자기 위치 : 접속한 서버에서의 현재 자기 위치를 나타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