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음악교육공학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2014.04.16. Vol.19, pp. 49 66 - 49 -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평가 방안 1) 김미숙 허수연 이 연구는 A 금융의 후원과 B 복지 재단 주최의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 사례를 대상으로 프로 그램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 목표, 내용, 방향, 방법, 참여자들의 만족도 등에 대해 사전 점검하고 보다 나은 프로그램이 되도 록 평가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take의 반응적 평가단계 중 프로그램 시작 전 마련단계의 평가 방안을 적용하였다. Stake의 반응적 평가는 프로그램의 시작, 과정, 완료 후에 이르기까지 프로그램의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연구는 사전 연구 단계에 해당하므로 프로그 램의 절차와 방법, 시기 설정, 평가 단계와 내용 등이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의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예 시를 제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질 개선과 사회발달에 기여하는 평가 목표를 설정하고, 평가 시기 및 내용을 프로그램의 마 련단계, 적용단계, 적용 후의 단계로 제시하였다. , 12가지 반응적 평가 절차에 따른 평가 방안 예시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로 나누어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반응적 평가는 음악 전문가, 학생, 학부모, 연구진, 행정가 등의 프로그램 평가와 관 계된 사람들의 인식이 중요하므로 음악환경과 진로에 대한 평가, 학교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음악적 능력에 대한 음악 수준 진단평가, 음악 수업에 대한 성취 및 태도 평가, 음악 수업에 대한 자아 평가 등으로 평가 도구를 작성하였다. * 검색어 : 프로그램 평가, 반응적 평가,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 . 서론 . 프로그램 평가 . Stake의 반응적 평가에 의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평가 . 결론 및 제언 서론 최근 청소년 대상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많아지고 있다. 창의, 인성을 중시하는 현재의 교육 정책 배경에서 양적, 수적으로 다양화 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특히, 입시 중 , 지식 중심의 학교 교육으로 인해 인성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에 대한 프로그램의 선택이 가능해졌다. 학교에서는 창의, 인성과 관련된 방과후 수업이나 돌봄 교실 등에서 예술관련 프로그램이 늘어나고 있고, 사회적으로 는 문화센터 수업, 기관, 재단 등의 재능기부와 멘토 수업, 또는 진로교육 등과 연관된 청소년 예술 수업이 다양해지고 있다. * 본 연구는 2013학년도 상명대학교 교내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하였음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 Upload
    -

  • View
    266

  • Download
    6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음악교육공학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2014.04.16. Vol.19, pp. 49~66

- 49 -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평가 방안*

1)

김미숙․허수연

이 연구는 A 금융의 후원과 B 복지 재단 주최의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 사례를 대상으로 프로

그램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 목표, 내용, 방향, 방법, 참여자들의 만족도 등에 대해 사전 점검하고 보다 나은 프로그램이 되도

록 평가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take의 반응적 평가단계 중 프로그램 시작 전 마련단계의 평가 방안을 적용하였다. Stake의 반응적 평가는 프로그램의

시작, 과정, 완료 후에 이르기까지 프로그램의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연구는 사전 연구 단계에 해당하므로 프로그

램의 절차와 방법, 시기 설정, 평가 단계와 내용 등이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의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예

시를 제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질 개선과 사회발달에 기여하는 평가 목표를 설정하고, 평가 시기 및 내용을 프로그램의 마

련단계, 적용단계, 적용 후의 단계로 제시하였다. 즉, 12가지 반응적 평가 절차에 따른 평가 방안 예시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로 나누어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반응적 평가는 음악 전문가, 학생, 학부모, 연구진, 행정가 등의 프로그램 평가와 관

계된 사람들의 인식이 중요하므로 음악환경과 진로에 대한 평가, 학교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음악적 능력에 대한 음악 수준

진단평가, 음악 수업에 대한 성취 및 태도 평가, 음악 수업에 대한 자아 평가 등으로 평가 도구를 작성하였다.* 검색어 : 프로그램 평가, 반응적 평가,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목 차>Ⅰ. 서론

Ⅱ. 프로그램 평가

Ⅲ. Stake의 반응적 평가에 의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평가

Ⅳ. 결론 및 제언

Ⅰ. 서론

최근 청소년 대상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많아지고 있다. 창의, 인성을 중시하는 현재의 교육

정책 배경에서 양적, 수적으로 다양화 된 프로그램의 확산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특히, 입시 중

심, 지식 중심의 학교 교육으로 인해 인성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에 대한 프로그램의 선택이 가능해졌다. 학교에서는 창의, 인성과 관련된 방과후 수업이나 돌봄 교실 등에서 예술관련 프로그램이 늘어나고 있고, 사회적으로

는 문화센터 수업, 기관, 재단 등의 재능기부와 멘토 수업, 또는 진로교육 등과 연관된 청소년 예술

수업이 다양해지고 있다.

* 본 연구는 2013학년도 상명대학교 교내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하였음

Page 2: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음악교육공학(제19호, 2014. 04.16)

- 50 -

그러나 이렇게 다양해진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평가는 미미한 현실이다. 프로그램 평가에서

얻을 수 있는 프로그램의 질 개선이나 효율성,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운영에 대한 의사 결정 반영

등이 고려되지 않고 있어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을 때는 프로그램 자체를 없애거나 새로운 교사를

배치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실정이다. 현재,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의 양적, 질적인 성장을 위

해 프로그램 목적에 맞는 평가가 필요하고 적합한 평가에 따라 운영되는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든 참여자들에게 목적에 부합된 교육을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인성교육을 위

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평가 중 Stake의 반응적 평가를 적용하여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과 프로그램의 질 개선이라는 평가의 목표를 위해 평가 내용, 평가 방법, 평가 절차, 평가 도구 등에 관한 평가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A 금융의 후원과 B 복지 재단 주최의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

램 사례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 목표, 내용, 방향, 방법, 참여자들의 만족도 등

에 대해 사전 점검하고 보다 나은 프로그램이 되도록 평가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프로그램명으로 제시된 인성교육에 관련된 내용은 제한하고자 한다.

Ⅱ. 프로그램 평가

1. 프로그램 평가와 반응적 평가

프로그램 평가는 프로그램의 질 개선을 통해 프로그램의 사회적 기여에 이바지 한다. 프로그램

의 질적인 향상과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프로그램 평가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예술 교육

프로그램은 교육의 결과 뿐 아니라 과정을 중심으로 시행 전 단계부터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 이는 교육 활동과 내용을 통한 결과 산출까지의 프로그램 운영 과정의 전 단계에 영향을 미친다.

과거의 평가가 학생의 성취도 판단에 머물렀고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또한, 가시적인 목표 달성

의 판단에 치중해 있었다. 전통적인 평가에서의 제한점에 대해 이원석(2013, 11)은 전통적인 평가

가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제공과 책무성 확보에 목적을 두고 있다고 하였고, 이에 대해 최근의 평

가는 프로그램의 이해와 개선, 관련 영역 지식의 발전, 대리적 경험의 제공, 민주적 과정 및 사실의

강화 등 평가 맥락과 사회적 기여 정도, 가치 개입에 대한 평가 등 대안적인 평가 목적으로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고 제시하였다. 프로그램 평가에 대해 박도순(2011, 374-377)은 프로그램 평가가 어떤 프로그램의 가치를 판단하

는 것으로 보고, Weiss(1998)의 정의를 제시하였다. Weiss(1988)는 체계적인 평가, 운용과 결과, 비교

의 기준, 프로그램과 정책의 향상에 기여한다는 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평가한다고 주장하였다.프로그램 평가 중 반응적 평가에 대해 성태제는 (2012, 499-500) 프로그램의 의도보다는 실제

활동에 보다 직접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정보에 대한 청중의 요구에 반응하는 평가라 정의하였고, Stake는 자신의 평가모형은 평가에 있어서 이해 관련자의 관심과 쟁점에 주의를 기울인다고 하였

Page 3: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평가 방안

- 51 -

다. 또한, 평가자의 전문성이 절실히 요구되며, 평가에 있어서 사전에 계획을 세우는 것보다는 평가

실제에 따른 즉각적인 반응을 중요시한다. 프로그램 평가의 궁극적 목적에 대해 이원석(2013, 8)은 평가의 특정한 목적을 어떻게 설정하는가

에 따라 평가자의 역할이 결정되고, 설계방향을 제시하여 주며, 평가 청중의 범위가 결정된다고 하

였다. 이러한 내용에 따라 평가 과정과 결과의 활용 방안도 달라진다고 제시하였다.

현재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가 책무성 중심으로 이루어져 형식적 평가가 이

루어지거나 평가 결과의 해석이 무의미한 경우도 많이 있었으나, 보다 효과적이고 실제적인 프로그

램의 운영에 있어서 다양한 평가 목적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평가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

를 위해 과정과 결과가 모두 평가될 수 있는 평가 도구의 개발과 타당하고 신뢰할 만한 평가 기준의

마련, 평가 해석의 전문성과 공정성을 위한 인력풀 마련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 Robert Stake의 반응적 평가

가. 반응적 평가

1970년대 Stake에 의해 제안된 반응적 평가 모형은 실제 활동에 보다 직접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정보에 대한 청중의 요구에 반응하는 평가라고 정의하였다. 반응적 평가는 평가자의 전문성이 절실

히 요구되며, 평가에 있어서 실제에 따른 즉각적인 반응을 중요시한다. 그러므로 반응적인 평가에

서의 평가자는 프로그램의 관찰과 이해 관련자의 의견 청취 및 비공식적인 보고서 준비 등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된다(성태제 2012, 499-500). 가치를 중시한 Stake의 평가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평가이론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Stake

의 평가는 프로그램의 질에 대해 판단할 때 상대적인 가치와 믿음을 중심으로 평가하며, 선행 조건, 실행 과정, 결과의 세 가지 정보에 의해 합리적인 근거와 함께 수집하여 기술한다. Stake의 평가는

반응적 평가라고도 하는데 우리나라의 프로그램 평가가 표준화된 준거와 기준을 중심으로 한 기준-기반 평가(standards-based evaluation)에만 머무는데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시된 새로운 대

안적 프로그램 평가 방법이다(이원석ㆍStake 2010).기준-기반 평가는 나타난 현상을 여러 준거로 분석하고 이를 표준화된 도구로 측정하여 프로그

램의 질을 규정한다. 그러므로 기준-기반 평가에서 얻어진 정보는 정확하고 객관적인 평가로 인식

되어왔다. 그러나 평가자나 입안자의 입장에서 좌우되어 프로그램을 위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고 타당한 통제 집단 설정이 불가능하며, 성과나 결과를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데는 한계점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의 기준-기반 평가는 평가가 왜곡되거나 평가 결과에 편중

하거나 프로그램 개선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이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된 반응적 평가는 평가의 반응성에 중심을 두어 프로그램 안에서 실제

생활하는 사람들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이해관계자들의 관심사에 대해 반응하는 평가를 의미한

다(이원석, Stake 2010). Stake 평가의 특징을 정리하면 <표 1>과 같다(김미숙, 허수연. 2013. 270).

Page 4: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음악교육공학(제19호, 2014. 04.16)

- 52 -

분류 내용

목적 프로그램 질에 대한 판단

청중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

평가자 역할 가치 판단

가치 상대적 가치 판단

실행 평가의 반응성

철학적 배경 구성주의 입장에서 가치를 중시

<표 1> Stake 평가의 특징

Stake의 반응적 평가는 여기, 지금이라는 인식을 통해 직접 경험적 이해를 추구하는 평가로, 핵심적 관점들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첫째, 프로그램 관련자와 참여자의 경험과 활동에 집중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이슈를 도출해야 한다. 셋째, 평가대상에 대한 심층적 묘사와 함께 이해 관계자들이 겪는 경험과 다양한 활동에 대해 평

가보고서를 독자에게 제공하여 간접적 경험의 기회를 갖게 한다. 넷째,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양적, 질적 평가를 혼합하는 삼각측정(triangulation) 방법을 통해 자료

의 신뢰성과 타당한 해석을 나타내야 한다. 이를 통해 평가의 추구하는 가치를 분명히 하여야 한다. 다섯째, 공공의 필요를 위한 평가가 되기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점과 견해를 포함하여

야 한다(이원석ㆍStake 2010, 574-576).Stake는 평가에 대해 평가 의뢰인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프로그램에 관련된 선행조건, 진행

과정, 산출결과를 기술해야하며, 의도한 결과뿐 아니라 부수적 효과나 우발적 결과에도 관심을 가

져야 하고, 프로그램 관련자들의 판단을 수집, 분석, 반영하는데 비중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더불어 프로그램 평가는 프로그램에서의 취급범위가 종합적이고 철저한 편이고, 형성적 평가

와 총괄적 평가에도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평가의 다목적적 유용성과 결과의 일반화 정도

가 높은 특징이 있다. 또한, 평가 관련자 및 의뢰인의 관심 및 요구를 중시하여 비교적 이상적인 평

가모형이라 할 수 있다(배호순 2008, 186-187).

나. 반응적 평가의 적용

반응적 평가는 프로그램 진행의 초기 단계부터 평가의 절차가 수립된다. 특히, 현장 적용에 앞서

이해관계자들의 평가 요구에 맞도록 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나, 평가 도구나 보고서 작성 등

의 도구 보다는 프로그램 참여자의 즉각적인 반응, 설문, 인터뷰의 내용 등 비공식적인 보고서에

중심을 두어야 한다. 적용 방안에 있어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포함하는 혼합연구 방법과 사례 연구, 반응적 시계

Page 5: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평가 방안

- 53 -

에 따른 12가지 절차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이며, 이에 대한 이원석(이원석ㆍStake 2010, 576-578)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김미숙ㆍ허수연 2013, 271).

1) 삼각측정을 위한 혼합 연구 방법의 활용

반응적 평가는 평가 대상의 경험을 묘사, 관찰, 해석하는데 집중을 한다. 평가 방법은 양적이거

나 질적 연구를 혼합하되, 개인의 경험에 대한 관찰과 해석에 초점을 맞춘 질적 연구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해석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삼각측정의 목적으로 양적 연구 방법을 이용한다.

2) 사례 연구

하나의 예를 들어 사례의 특수성과 복잡성을 연구하며. 연구의 유용성을 더한다.

3) 절차

반응적 평가를 위한 중요한 절차로 평가 의뢰인, 프로그램 관계자 등과 이야기하기, 프로그램 범

위 확인하기, 활동 개관하기, 목적·애로점 발견하기, 이슈와 문제점 명확히 하기, 이슈와 관련된 필

요한 자료 확인하기, 필요한 경우 관찰자·판단자·측정 도구 선정하기, 선행사건·처리 과정·성과 등

관찰하기, 주제에 따라 분류하기·묘사·사례 연구 준비하기, 타당화하기·확증하기·또는 비확증 시도

하기, 이슈들을 분류하고 청중과 연결하기, 청중의 활용을 위해 연구 결과 구성하기 의 12가지를

제시하였는데 순서는 정해져 있지 않고 상황에 따라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거나 여러 번 반복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그러나 평가자가 평가 대상과 그 맥락에 익숙해지면서 점진적으로 초점이 조정

된다.

3.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평가의 필요성

최근 창의, 인성을 주창하는 교육 정책의 변화와 함께 입시 중심의 경쟁적 학교 교육 구조와 학

생들의 심리적인 인성 회복 차원에서 예술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술 교과라 할

수 있는 음악, 미술, 체육 관련 교육 프로그램과 공연 프로그램이 다양화되고 있고 관련연구도 활

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화, 활성화의 움직임은 학부모의 자녀에 대한 시대적인 교육적 욕

구와도 잘 맞아 프로그램의 수적인 확대 뿐 아니라 질적인 향상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확산에도 프로그램의 평가에 대한 연구나 적용은 미흡한 실정이어서 프로그램의 사회 기

여도 부분이나 질적 개선에 대한 평가 방법이나 도구, 절차 등이 체계적으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으면 프로그램 담당자만을 바꾸거나, 미리 끝내버리는 사례도 발생

하고 있다. 프로그램의 평가의 목적은 프로그램의 질적 개선이며 프로그램 관계자들의 경험과 활동에 대한

인식, 프로그램 관계자들의 이슈, 세밀한 묘사를 통한 간접적 경험, 맥락, 자료의 주관성, 다원성을

중시하여야 한다. 또한, 평가 대상인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적 이해를 추구하며, 프로그램의 질을 판

단하고 프로그램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이원석ㆍStake 2010, 569). 문화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이 모이기 시작하면서 그들을 위한 프로그램 선택의 폭이 넓어짐에

Page 6: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음악교육공학(제19호, 2014. 04.16)

- 54 -

따라 프로그램 평가 활동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 연구에서는 그 중 저소득층을 위한 청소

년 음악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평가 방안을 마련하였다.

Ⅲ. Stake의 반응적 평가에 의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평가

이제까지 살펴본 내용적 특징을 중심으로 Ⅲ장에서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저소득층 청소년 음

악 프로그램 방안에 Stake의 반응적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은 A금융의 후원과 B복지 재단 주최의 프로그램

으로 2013년 6월부터 2014년 6월까지 1년을 시행시기로 정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지역

사회의 대학 내 음악 전문가의 질 높은 교육을 통해 경제적으로 어렵거나 재능이 있어도 교육을 받

지 못하고 있는 중·고등학교 학생 청소년에게 예술교육과 인성교육을 지원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리더로 육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음악 교사나 담임교사, 학교장, 교육 기관장의 추천에 의해 음

악에 재능이 있거나 음악에 대한 꿈을 가진 청소년을 돕는 복지 프로그램으로 그들의 음악적 성취

를 얻고 꿈을 이룰 수 있도록 음악 수업과 관련한 재정적, 행정적인 지원을 음악교육 전문가와 음

악 전문가인 대학의 음악과 교수들을 중심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다음의 내용을 추진

방향으로 정하고 있다.가. 대학교내 청소년 음악대학개설

나. 교수, 강사, 대학(원)생을 통한 1:1개별 맞춤레슨

다. 수준 높은 교육과정 운영 및 강사진 확보

라. 청소년 개개인의 특기, 창의성, 잠재적 재능을 발현 추구

마. 이론수업과 개인 실기뿐 아니라 특강, 감상, 공연프로젝트 수행 등 다양한 형태의 부가 교육

바. 인성교육 등을 포함하여 공동체 의식, 타인과의 공감 형성 등 청소년에게 정서적 지원

2. 반응적 평가에 의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평가 방안

가. 평가 목표

음악 프로그램의 평가에 있어서 평가의 목적이나 역할에 관해서 가장 기본적인 생각은 프로그램

의 평가 기준이 대상 학생들의 음악적 기술의 수준에 초점을 맞추고 학생 개개인의 개인적 성장을

고려해서 평가해야 한다는 것이다(Kushner 1996, 52). 프로그램 질 개선과 사회 발달 기여에 중점을 두고 결과보다는 가치를 중시하는 반응적 평가의

평가 목표를 바탕으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의 목표를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평가를 통하

Page 7: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평가 방안

- 55 -

여 학생들의 음악적 재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회의 안정과 발달에 기여해야 하므로 Stake 반응적 평가에 의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의 평가 목표는 <표 2>와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의 평가 목표

∙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을 통해 저소득층 청소년의 음악적 성장을 돕는다. ∙음악 수업에 대한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고 질을 개선한다.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수업 시기, 학생의 능력 고려 등 수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반영하고 계속

적인 질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 저소득층 청소년의 음악적 능력 신장과 함께 지역사회의 문화적 활동이 향상되도록 한다.∙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을 통해 소외 계층 청소년의 인성이 회복되고 지역 사회의 안정과 발

달에 공헌한다.

<표 2> Stake 반응적 평가에 의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의 평가 목표

나. 평가 시기 및 내용

반응적 평가에 의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운영의 전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프로그램의 마련단계, 적용 단계, 적용 후의 단계로 나누어 평가하며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시작

전 마련단계의 평가 방안을 모색한다.프로그램 시작 전 마련단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해 평가한다. 첫째, 저소득층 청소년 프로그램 참여자 선정(프로그램 참여 대상의 학생)과 그에 대한 음악 환

경, 소득층 적절성 여부, 음악적 재능과 음악 수업에 대한 희망 부분, 추천 내용의 타당성

둘째, 프로그램 관련자 선정(대학교 관련 음악 전공자, 음악교육 연구자, 지역사회의 관련자, 음악과 프로그램 평가 담당자, 평가 전문가, 학부모)과 평가

셋째, 음악과에서의 프로그램의 사례연구, 적용 시기와 절차, 방법, 교육 내용 선정, 교육 방법

등 전반적인 설계 방안 평가

넷째, 평가 시기와 도구 개발, 평가 항목과 결과 해석에 관한 내용 선정

다섯째, 프로그램 목적에 적합한 달성 수준과 목표 선정

위의 내용들을 중심으로 방안 적용 단계에서는 수시와 형성적 개념의 평가를 중심으로 관찰평가

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방안 적용 단계에서의 평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수시로, 즉흥적인 그리고 지속적인 관찰 평가 중심의 진행 과정

수시 평가

둘째, 면담을 통한 발달 과정 평가

셋째, 실기 능력 평가와 설문지를 통한 음악성 향상과 목표 달성에 대한 과정 평가

넷째, 실기 수업 및 특강에 대한 태도 진단 및 개선을 위한 평가

다섯째, 평가지를 통한 수업 만족도 평가

Page 8: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음악교육공학(제19호, 2014. 04.16)

- 56 -

방안이 적용되고 마무리단계에서의 평가는 방안에 대한 결과와 향후 방안에 대한 방향 제시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해 평가한다. 첫째, 음악 수업 결과에 대한 달성 여부 평가

둘째, 프로그램 참여자를 포함한 관련자의 만족도 평가

셋째, 향후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 등을 위한 평가

다. 평가 절차

다음으로 Stake 반응적 평가에서의 12가지 절차를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의 평가 방안에

적용하였다. 다음의 평가 절차는 12가지 항목들이 순서대로 진행되기도 하고, 그 반대로 진행되기

도 하며, 혹은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항목이 이루어지거나 한 가지 항목이 여러 차례 이루어지기

도 한다.

Stake 반응적 평가의 절차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대학 평가 절차

평가 의뢰인, 프로그램 관계

자 등과 이야기하기

∙후원 및 주최 재단 담당자, 음악교육 연구진, 프로그램 음악 전문가

집단, 학부모, 학생에 대한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과 평가에 대해

이야기 하기

프로그램 범위 확인하기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 평가의 적용 범위, 내용 확인하기

프로그램의 활동 개관하기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의 활동 개관하기

프로그램의 목적, 문제점 발

견하기∙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의 평가의 목적과 문제점 발견하기

이슈들과 문제점들을 명확

히 하기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의 이슈들과 실행을 위한 문제점들

에 대해 명확히 하기

이슈와 관련된 필요한 자료

확인하기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 창의적 음악 수업, 인성교육에 관한 자료 확

인하기

필요한 경우, 관찰자, 판단

자, 측정 도구 선정하기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수업 관찰자, 판단자

를 선정하고 평가도구 및 방법 선정하기

선행 사건, 처리 과정, 성과

등 관찰하기

∙음악적 환경과 음악적 지식, 체험활동의 처리 과정, 그로 인한 성과

등에 대해 관찰하고 기록하기

주제에 따라 분류하기, 묘

사, 사례 연구 준비하기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을 주제에 따라 분류하기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 묘사하기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에서 실행한 수업 사례를 연구하고

다음 사례에 대해 준비하기

타당화하기, 확증하기, 또는

비확증 시도하기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의 평가를 타당화하고 확증하기, 비확증 시도하기

이슈들을 분류하고 청중과

연결하기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의 이슈들을 분류하고 활성화 방안

관련자들과 연결하기

청중의 활용을 위해 연구

결과 구성하기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 관련자들의 활용을 위해 평가 결과

를 구성하기

<표 3> 반응적 평가 절차에 따른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 평가 절차의 예시

Page 9: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평가 방안

- 57 -

라. 평가 방법

Stake의 반응적 평가는 개인의 경험에 의한 관찰과 해석에 초점을 맞추는 질적 연구 방법과 그

해석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양적 방법을 혼합하여 절충적인 방법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수량화 된 표준화된 자료가 필요하거나 음악적 태도에 관련된 출석 여부에 대한 평가 부분, 음악 인

지 정도를 측정할 때는 양적인 평가가 유용하다. 그러나 언어적으로 된 평가결과가 필요하거나, 음악적 능력에 관련된 평가 내용, 자세, 수업 태도 등에 대한 발달 정도는 음악 전문가와 음악교육 연

구진의 전문성을 갖춘 해석이 필요하므로 적절한 질적 평가 방법이 요구된다. 그러나, 양적 평가든, 질적 평가든 하나의 평가에 치중하기 보다는 평가 내용의 특성에 따라 적

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4>는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평가 방법을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로 나

누어 제시한 내용이다.

평가 방법 내용

양적 평가

저소득층 학생의 음악적 환경

저소득층 학생의 생활 환경

음악적 능력에 대한 평가

음악 이론 영역의 평가

음악 수업 참여도

음악 과제 달성도

음악 성취에 대한 만족도

전공별 음악 성취도

질적 평가

프로그램에 대한 태도

음악 수업에 대한 태도

음악적 능력에 대한 향상 정도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태도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프로그램 진행과 종료 후의 태도

학부모의 관심도

<표 4> 반응적 평가에 따른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 평가 방법

마. 평가 도구

<표 4>에 분류된 평가 방법에 대한 음악 프로그램 평가 도구들의 예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Page 10: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음악교육공학(제19호, 2014. 04.16)

- 58 -

1) 양적 평가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 통계적인 수치 해석과 수량화된 평가 결과가 필요할 때 사용한다.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 학생들의 음악적 환경과 음악적 성취 정도와의 관계, 음악적 성

취와 학생의 인성 부분과의 관계 분석 등의 연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의

태도와 관련하여 언어적 평가 뿐 아니라 태도에 따른 음악 능력 향상과 음악 진로 선택여부 등 연

계된 연구에서도 양적 평가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의 학교 음악 수업에 대한 성향, 태도 등에 관한 기초 정보를 얻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름 학교 학년 반 전공

문항매우

그렇다그렇다

그렇지않다

전혀그렇지않다

음악시간에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에 도전하는 것이 재미있다. 4 3 2 1

음악시간에 가능하면 어려운 활동은 피하고 싶다. 4 3 2 1

음악시간에 비록 실패하더라도 다른 친구들이 해결하지 못하는 학습 문제에 도전하는 것이 즐겁다. 4 3 2 1

음악시간에 시간이 많이 들더라도 오랫동안 연습하는 활동이 더 재미있다. 4 3 2 1

음악시간에 쉬운 활동보다는 조금 틀리더라도 어려운 활동을 해내는 것이 더 좋다. 4 3 2 1

음악시간에 쉬운 내용을 공부하는 것보다 내가 알지못했던 어려운 내용을 공부하는 것을 좋아한다. 4 3 2 1

음악시간에 새로 배운 것들을 이미 알고 있는 것과 쉽게 연결시킬 수 있다. 4 3 2 1

보통 음악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계획을 세우고, 거기에 맞추어 공부한다. 4 3 2 1

음악시간에 내가 싫어하는 활동을 할 때에도 주의집중을 잘 할 수 있다. 4 3 2 1

음악시간에 배운 복잡하고 어려운 내용을 기억하기 쉽게 바꿀 수 있다. 4 3 2 1

음악시간에 배운 내용을 잘 기억할 수 있다. 4 3 2 1

음악시간에 어떻게 공부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인지를 잘 안다. 4 3 2 1

음악시간에 선생님이 내주신 과제를 정해진 시간 안에 잘 마칠 수 있다. 4 3 2 1

음악시간에 배운 내용 중 내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4 3 2 1

음악시간에 배운 내용 중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잘 파악할 수 있다. 4 3 2 1

음악시간 선생님과 친구들 앞에서 발표하는 것은 내게 너무 큰 부담을 준다. 4 3 2 1

음악시간 평가를 치루기 전에는 평가를 망칠 것 같은 생각이 든다. 4 3 2 1

음악시간 모둠 토의를 할 때, 혹시 창피를 당할 까봐 내 의견을 제대로 발표하지 못한다. 4 3 2 1

음악시간에 발표를 할 때, 실수를 할 것 같아 불안하다. 4 3 2 1

음악시간 선생님이 모든 아이에게 질문을 할 때, 답을 알아도 대답하지 못한다. 4 3 2 1

<표 5> 양적 평가에 의한 학교 음악 수업에 대한 성향, 태도 등에 관한 기초 조사 도구

Page 11: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평가 방안

- 59 -

<표 6>은 프로그램 대상을 선정할 때 음악적 능력에 대한 양적 평가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연번 이름 지원분야 곡목 평가 점수

5 4 3 2 1

123

<표 6>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 대상 선정을 위한 양적 평가 도구

출석에 관련된 평가에서도 양적 평가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총점에서는 수업과 특강 1회

참석 횟수의 1회를 1점으로 하여 총점으로 제시할 수 있다. <표7>은 출석 내용에 대한 양적 평가

도구이다.

연번 이름음악 수업 특강 총점(20)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123

<표 7>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의 출석 내용에 대한 양적 평가 도구

2) 질적 평가

수량화된 방법 외에 언어적 평가 결과가 필요한 경우나 양적 평가 결과와 함께 보다 상세한 정보

가 필요한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질적 평가 도구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개인별 특이 사항이나 환

경적 내용, 학생의 정보, 평가 결과 안에서의 변화 내용 등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할 때 유용하다.

1. 집에 악기가 있는가?2. 음악적인 재능이 있다고 들은 적이 있는가?3. 가족 중 음악을 전공하거나 공부한 사람이 있는가? 누구인가? 매우 좋아하고 생활 속에서 즐기는 사람이 있는가? 누구인가?4. 어떤 음악 활동을 할 때 가장 좋은가?5. 학교 음악 외에 음악 활동을 한 적이 있는가?6.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음악 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가? 어떤 분야인가?7. 음악을 처음 접한 시기는 언제 인가? 어떤 분야인가?8. 청소년 음악프로그램에 응시하기 전 음악에 대한 태도는 어땠는가? 전공을 생각한 적이 있는가? 9.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을 접했을 때 가족과 나의 반응은 어땠는가? 그 소감을 자세히 쓰시오.

<표 8> 음악환경에 대한 평가 도구

Page 12: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음악교육공학(제19호, 2014. 04.16)

- 60 -

1. 음악을 전공하거나 직업으로 선택하고 싶은가? 어떤 분야를 하고 싶은가?

2. 음악 관련 직업을 선택하고 싶다면 지금 현재 어떤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3. 음악을 전공한다면 공부를 위한 학업 계획에 대해 쓰시오.

4. 이 프로그램을 통해 음악 교육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다면 이어갈 생각이 있는가? 이유는 무엇인가?

<표 9> 음악 진로에 대한 평가 도구

연번 이름 지원분야 곡목 평가 내용 비고

1

2

3

4

<표 10>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 대상 선정을 위한 질적 평가 도구

과 출석부

*교수님(멘토)성함 : *장소 : *학생 이름 :

일시

확인

수업 내용 성취 정도 평가/피드백

1

2

3

4

5

<표 11>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 수업 내용 및 성취 평가 도구

Page 13: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평가 방안

- 61 -

*이름 :

*전공 분야 :

일시 수업 내용/연습 내용 평가 장소 확인

1

2

3

4

5

<표 12>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 수업에 대한 자아 평가 도구

1. 프로그램 담당자와의 면담이 원활하게 진행되었는가?2. 프로그램 목적과 음악 전문가와의 수업 방향이 일치하는가?3. 수업 환경이 적절한가?4. 음악 교육 연구진과의 협의가 잘 이루어지는가?5. 프로그램 지원의 진행이 원활한가?6. 선정 학생의 평가 목록이 알맞은가?7. 프로그램의 일정과 내용 등 공지사항이 원활히 전달되는가?

<표 13> 후원 재단과 주최에 대한 설문

1. 프로그램의 내용, 목표, 일정, 방법 등을 숙지하였는가?2. 학생의 음악적 환경에 대한 내용을 이야기하시오.3. 현재 학생의 학업 태도와 음악의 태도를 이야기하시오.4. 오디션에 참가하게 된 동기를 이야기하시오.5. 프로그램 연구진, 음악 전문가, 후원 재단에 바라는 점을 이야기하시오.

<표 14> 프로그램 선정 대상의 학부모 인터뷰

제시한 도구들은 평가자들의 활용을 돕기 위해 예시로 제시한 것이다. 반응적 평가에서는 비공

식적이고 즉흥적 면담에 의한 평가를 더 선호하므로 이러한 도구 외에도 연구자 인터뷰를 위한 평

가 도구, 동료 연주에 대한 동료 평가, 특강 내용에 대한 서술 평가 등이 활용될 수 있다.

Page 14: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음악교육공학(제19호, 2014. 04.16)

- 62 -

바. 평가의 제한점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에 대한 반응적 평가를 실시할 때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① 음악적 재능 여부를 알기 어려움. 평가 대상인 저소득층 청소년의 음악적 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최근 예술 활동에 대한 활

성화로 교육기관이나 사설기관을 통해 음악 활동을 저렴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됨에도 소

득 수준이 하위 20% 내외인 가정의 학생들의 경우 무료가 아니면 공공기관의 음악 교육도 받기 어

려운 경우가 많이 있다. 또한, 관악기나 현악기 등의 악기 교육의 경우, 저소득층 학생들이 소지하

며 연습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지 않으므로, 일반 중산층의 경우 보다 비교적 기악 음악 활동을

접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② 학생 추천의 어려움

중․고등학교의 경우 음악교사가 학생 가정의 소득수준을 모르는 경우가 많고, 담임교사는 학생

의 음악적 재능을 모르는 경우가 많으므로, 학교 내 학생의 능력이나 재능, 가정 환경에 대한 정보

를 교사들이 공유해야 한다. 또한, 이를 위한 상담 시간이나 재능을 발현할 만한 행사가 다양하게

마련되어야 한다. ③ 음악 수업의 경우 음악적 능력의 향상을 위해 개인 연습이 필요한데 저소득층의 경우, 연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나 격려를 도와줄 조언자가 함께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④이 프로그램은 전공별 전문가가 필요하므로, 대학 내의 교수, 강사, 대학원생, 대학생 전문가들

의 학교 파견 등 연계 수업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한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마인드가 형

성되어야 한다.

Ⅳ.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A 금융의 후원과 B 복지 재단 주최의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

램 사례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 목표, 내용, 방향, 방법, 참여자들의 만족도 등

에 대해 사전 점검하고 보다 나은 프로그램이 되도록 평가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평가 대상인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은 2013년 6월부터 시작하여 2014년 6월 종료되는

진행 중인 프로그램으로, 이 연구는 연구의 결과 뿐 아니라 시작과 과정을 중시하여 프로그램의 전

체적인 방향을 체계적으로 진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사전 평가 방안에 해당한다. 대부분 평가

는 프로그램 후에 진행되는 사후 평가에 치중되어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가치를 중시하

고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Stake의 평가 방법을 적용하였다. Stake의 반응적 평가를 적용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질 개선이라는 평가

의 목표와 함께 프로그램 시작 단계에서 프로그램의 운영의 효율성을 높여주고, 참여자들의 의견

반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과정을 통한 결과를 수집하여 반영한다는 점에서 형성

Page 15: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평가 방안

- 63 -

적인 평가에 중심을 두고 있다. 반응적 평가에 의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의 평가는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 개발자, 음

악교육 전문가, 자금 제공자, 평가 대상의 음악적 활동, 학생들의 음악에 대한 관점과 견해를 포함

하며,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의 전체적 개선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방안이 현장에서 적극 활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제반 사항들

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이 연구는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도구 개발을 제시한 것이므로 이 연구의 현장화를 위해

적용 단계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램의 평가 내용이 반영된 평가 결과 적용이 필요하다. 평가 자체로 끝나는 교육활동

이 되지 않도록 평가 결과가 반영된 프로그램의 질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평가 내용과 결과에서 얻은 시사점을 통해 차후 연구되는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에 도움

을 주어야 한다. 넷째, 평가 결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피드백을 통해 평가 이해관계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

도한다. 다섯째, 음악과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적용 가능한 평가 도구를 마련하

여 프로그램 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평가 방안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email protected]

참고문헌

강민선. 음악 수업에서 학생평가를 잘 하려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6-22-4, 2006.

강충열, 김동영. 인성 및 창의성 신장 방안. 한국교원대학교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교육정책 및

교육개혁 추진 과제. 연구보고 RR 99-1-1, 2001고경화. 예술교육의 역사와 이론. 학지사, 2009.교육과학기술부.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교육내용∙방법∙평가체제 혁신방안, 2010.교육인적자원부. 2009 개정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2011-361호), 2009.김미숙ㆍ허수연. Stake의 반응적 평가에 의한 음악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

안에 대한 평가. Journal of Educational Science. 제17권 267-282, 음악교육공학, 2013.김석우 외. 중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제22권

제1호 107-128, 교육평가연구, 2009.김혜숙ㆍ백순근. 이해당사자 기반의 u-러닝 연구학교 프로그램 평가 연구.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제22권 제2호 343-368, 교육평가연구, 2009.

Page 16: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음악교육공학(제19호, 2014. 04.16)

- 64 -

박도순 외. 교육평가. 문음사, 2011. 배호순. 교육프로그램 평가론. 원미사, 2008. 서덕희. 학교현장 안정화를 위한 인성교육 방안-미래 지향적인 인성교육의 비전 제시-. 한국교육개

발원. 현안보고 OR 2012-02-01, 2012. 성경희ㆍ장기범. 음악교과학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7.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12. 양승실 외.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11-72, 2011. 양종모. 음악 단체 활동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식 조사. 음악교육 연구, 2012. 이명준 외. 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연구

보고 RRC 2011-7-1, 2011.이원석ㆍStake. 반응적 평가란 무엇인가?-입학사정관제 평가에의 적용.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제23권 제3호, 교육평가 연구, 2010. 이원석. 프로그램 평가에서의 맥락(context)과 일반화(generalization): 의의와 조화 가능성.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제24권 제1호 73-88, 교육평가 연구, 2011. 이원석. 우리는 왜 프로그램을 평가하는가?. 한국교육평가학회. 제26권 제1호 1-13, 교육평가연구,

2013. 조난심ㆍ차우규. 학교 인성 교육 프로그램 평가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최종진. 음악과 교육론. 선일문화사, 1984. 현주 외. 학교 인성교육 실태분석 연구-중학교를 중심으로-연구보고. RR 2009-09, 2009. Alkin, M. C.(ed.) Evaluation Roots: A wider persrective of theorists’ Views and influence (2nd)

Thousand Oaks, CA: Sage, 2013. Cronbach, L. J. Designing evaluations of educational and social programs. San Francisco:

Jossey-Bass, 1982.Dewey, J. 박홍철 역. 아동과 교육과정/경험과 교육. 문음사, 2004.Greene, J. C. The educative evaluator: An interpretation of Lee J. Cronbach’s vision of

evaluation. In M. C. Alkin(ed.), Evaluation Roots: Tracing Theorists’ Views and Influences. Thousand Oaks, CA: Sage, 2004.

Grimmett, H., N. Richard, A. Gill, & M. Fintan. The Perilous Path from Proposal to Practice: A Qualitative Program Evaluation of a Regional Music Program. Australian Journal of Music Education, 2, 52-65, 2010.

Hobson, K. A. & J. T. Burkhardt. A Lesson in Carefully Managing Resources; A Case Study from an Evaluation of a Music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MultiDisciplinary Evaluation, 8(19), 8-14, 2012.

Kushner, S. To Have and Have not; Critical Distance and Emotional Proximity in Music Education Evaluation with a Critique of "Connoisseurship." Bulletin of the Council for

Page 17: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평가 방안

- 65 -

Research in Music Education, 130, 52-64, 1996. Ledford, A. T.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haracter Education; An Evaluation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for Character Education. Scholar-Practitioner Quarterly, 5(3), 256-273, 2011.

Stake, R. E. The Countenance of Educational Evaluation. Teachers College Recovered, 68(7), 1967.

Taebel, D. K. An Assessment of the Classroom Performance of Music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38, 5-23, 1990.

Weiss, C. H. Evaluation(2nd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1998.

Page 18: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_청소년_음악프로그램_평가_방안

음악교육공학(제19호, 2014. 04.16)

- 66 -

Abstract

A Study on the Evaluation Strategy of the Youth Music Program

in low-income Group for the Character Education

Mi-Sook KIM․Soo-Yeon HU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evaluation strategy for better program in pre-test about objective, content, direction, method,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nt through evaluating the program focused on the Youth Music Program in low-income group for the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is applied the Preparation Stage before Program begins in Robert Stake's responsive evaluation to know the effectiveness of the Youth Music Program in low-income group for the character education. Stake's responsive evaluation is organized beginning, processing, finishing. This study is belonged to the Preparation stage. Procedure, method, time, evaluation stage and content of program are applied to achieve goal of Youth Music Program in low-income group. The evaluation object is constructed for improvement of program quality and contribution of society development. Time and content of evaluation are divided into 3 stages: Preparation Stage, Application Stage, After Application Stage. Evaluation strategy sample by 12 responsive evaluation procedure are charted. Evaluation method is suggested 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Evaluation tools by music environment and career, recognition of school music education, diagnostic music level test of music ability, achievement and attitude of music class, self-evaluation of music class are developed because the perceptions of people who are related to evaluation program, such as music profession, students, parents, researchers, administrators, are important to responsive evaluation.

KEY Word: program evaluation, responsive evaluation, youth music program in low-income group

■ 접수일(2014년2월21일), 수정일(2014년3월20일), 게재확정일(2014년4월7일) 교신저자 허수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