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민민민 민민 , 민민민 민민 : 민 민민민민 “민민민 민민” 민민민 민민민민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Embed Size (px)

DESCRIPTION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김동환 사회학과. 왜 ' 기억의 역사 ' 인가 . 과거에 대한 사람들의 기억은 생활 공간에서의 의사소통을 통해 자연스럽게 전승된다 . 그러나 개개인의 과거 기억이 모두 역사의 지평에 자리잡는 것은 아니다 . 기억의 역사화는 항상 망각을 동반하는 선택적 작업이다 . 한 사회에서 무엇이 기억되고 무엇이 잊혀지는가는 미래에 일정한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현재의 문맥에서 과거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결정된다.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김동환 사회학과

Page 2: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Page 3: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Page 4: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 왜 ' 기억의 역사 ' 인가 . 과거에 대한 사람들의 기억은 생활 공간에서의 의사소통을 통해 자연스럽게 전승된다 .

그러나 개개인의 과거 기억이 모두 역사의 지평에 자리잡는 것은 아니다 . 기억의 역사화는 항상 망각을 동반하는 선택적 작업이다 . 한 사회에서 무엇이 기억되고 무엇이 잊혀지는가는 미래에 일정한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현재의 문맥에서 과거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결정된다 .

Page 5: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 다층적인 기억들이 서로 복잡하게 얽히고 다투는 가운데 사회구성원들 사이에 일정한 정체성과 귀속감을 형성하는 특유한 집단 기억 , 즉 ' 기억의 문화 ' 가 형성된다 . 이러한 문화적 기억은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공민 교육 , 기념비 , 기념식 등 유형 ·무형의 제도적 기제를 통해 전승되면서 항상 현재적 문맥에서 재구성되며 이를 통해 해당 사회의 형성과 유지에 이바지한다 .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5399

Page 6: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Page 7: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Page 8: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알박스 – 기념비를 ‘기억의 형상’

• 기억이 전승가능 하도록 지지물 필요 . 대표적인 것이 공간 , 시간 , 상징물

예 ) 맥아더 동상을 둘러싼 갈등 : 인천 ( 공간 ), 1950 년 9 월 15 일 ( 시

간 ), 동상 ( 상징물 )

Page 9: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왜 역사가 아니라 기억인가 ?

• 현실적으로 과거와 현재를 정립한 역사적 시기에 대한 사회적 합의의 부재

• 구조에 집중하던 역사학의 호소력 부족• 민족국가의 정체성이 약화• 주제의 친근함

Page 10: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알박스의 “사회적 기억”

• 기억이론의 핵심은 기억이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 집단적이며 사회적인 것 .

• 교회의 기억 중 , 팔레스티나의 성지가 정해지는 과정을 통해서 본 “사회적 기억”

Page 11: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팔레스티나의 성지가 정해지는 과정

• 예수의 전기적 행적을 해당 공동체의 신념에 따라 취사선택

- 바울과 예수의 수난 , 예루살렘

• 예수운동의 여러집단의 경합 : 예루살렘파 , 갈릴리파 , 예수의 친척들이 지도하는 공동체 , 로마그룹 .

- 예루살렘파가 아닌 다른 집단이 승리했다면 , 예수 기억의 중심은 예루살렘이 될 수 없었을 것 .

Page 12: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 기원후 325 년 니케아 종교회의 : 예루살렘 성지 탄생

• 고정된 예수의 기억을 성직자들이 돌보면서 문제 발생 - 고정된 기억은 현실의 삶과 분리 - 교조주의자들의 한계

Page 13: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 신비주의자들 , 교회의 공식기억으로부터 분리

• 신비주의자들의 기억은 교조주의자들의 수용여부에 달려있음 .

Page 14: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사회적 기억의 특징• 기억은 집단적이며 사회적이다 . 예 ) 바울중심의 분파가 교회의 공식기억 구성

• 기억은 의지적이다 . 예 ) 예수의 전기로서의 복음서

• 기억은 선택적이다 . 예 ) 바울의 교리는 많은 대항기억을 제압

Page 15: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 기억은 권력적이다 . 예 ) 바울교리의 추종집단의 권력이 기억으로

구성

• 기억은 재구성된다 . 예 ) 기독교의 기억은 예수 사후 100 년 , 파편적 지식들의 취합되어 재구성된 것 .

• 기억은 사회적 구성이 전면적인 변경일 때 , 변화한다 .

예 ) 신비주의자의 기억은 기존의 공식 기억에 병렬된 뒤 , 결국은 통합

Page 16: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 기억의 구성과 전승에는 각종 장치가 필요하다 .

예 ) 상징 , 텍스트 , 의례 , 기념비 , 장소

Page 17: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얀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 아스만의 기억에 대한 유형 분류 - 모방적 기억 : 인간의 일상행위를 가능하도록 하는 학습 기억 - 사물의 기억 : 시간적 차원을 갖는 기억 - 소통적 기억 : 한 시대가 당대의 과거에

대하여 보유하는 기억 - 문화적 기억 : 의미를 전승해주는 기억 .

Page 18: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 의미를 실체화할 필요 -( 알박스 ) 기억형상이 해당 집단의 “자화상”

을 나타내주는 것으로 해당 집단은 기억에 의거하여 “기억공동체”로 거듭난다 .

-( 아스만 ) 사물이 상징을 통해 “사물의 기억”을 넘어설 때 , 그 사물에 시간과 정체성의 차원이 각인 . 이것이 문화적 기억

Page 19: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 기억 : 특정집단 공동체 - 이 때 기억은 집단적 정체성을 담지

• 아스만의 의미와 문화적 기억은 정체성에 대한 논의로 귀착

Page 20: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인간의 정체성은 문화를 통해 구성

• 문화 : 행위공간을 형성해주는 “상징적인 의미세계”

• 규범 , 금기 , 제도 , 규칙 , 해석 등 문화는 - 인간 내외의 자연에 대한 거리를 확보 - “ 성찰의 공간”을 창출 - 자신의 충동을 억제 , 세계에 대한 의미를

부여 ( 개인적 ) 정체성 획득

Page 21: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 집단 정체성 : “ 성찰적으로 되어진 사회적 귀속성”

- 성립조건 개인이 “문화구성체”에 참여

집단 구성원에게 공통되는 의미를 획득

Page 22: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 문화구성체 : 집단 구성원의 공통성을 상징적으로 전달하는 기호적 총체 예 ) 단어 , 문장 , 텍스트 , 제의 , 춤 , 장식 , 의복 , 그림 등

- 인간은 문화구성체 속에서 구성원들에게 전달되는 공동의 의미를 통해 집단 정체성을 보유 .

- 이 공동의 의미를 ‘지혜’와 ‘신화’로 분류

Page 23: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 지혜’와 ‘신화’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우리는 누구인가

규범적인 격언 인간은 일상적 공동 생활과 소통적 행위의 공식을 체득

형성적인 ( 문화적 의미 ) 서사 구성원들에게 정체성을 부여

규범적 의미의 유통방식- 일상적 소통 속에서 유통

문화적 의미의 유통방식- 비일상적인 “기념비적 소통” 속에서 유통

Page 24: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소통적 기억과 문화적 기억• 모두 소통을 통해 성립• 차이는 시간성 - 전자는 특정 집단의 당대에 공유되는 자기시대의 기억 - 후자는 그 이전 시기로부터 전승되는 기억 - 아스만은 문화적 기억의 시간성을 강조 . 이를 “절합된 상황” 개념화

Page 25: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문자 이전 사회의 기억은 세가지•최근의 과거에 관한 풍부한 기억 (

소통적기억 )• 그 이전 시기에 대한 몇가지 기억• 기원에 관한 풍부한 기억 ( 문화적 기억 )

• 기원에 대한 기억과 당대의 기억은 병존

Page 26: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기원에 대한 기억과 정초기억• 기원에 대한 기억은 신화 . 이는 현재에 대해 신성성이 부착된 서사를 지칭

• 정초기억 - 상징과 제의를 통하여 연출 , 경험 예 ) 출애굽 , 미국을 세운 국부 - “ 단절 , 갈등 , 혁신 , 혁명” , “ 망각된 것의 복원 , 억압된 것의 귀환”으로 연결 - 사회적 기능에 따라 “ 차가운 기억”과 “뜨거운 기억” 분류

Page 27: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아스만에 대한 비판

• 일상이 망각의 세계 . 망각은 전체주의적 지배의 구성적 조건임을 강조

- 그러나 , 전체주의를 망각과 관련짓는 것은 오류

• 지극히 ‘독일적인’ 이론 . ‘ 합의 , 화해’ 등으로 귀결 .

- 기억의 변화를 논하는 것이 문제

Page 28: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기억의 변화에 대한 논의•베르그송의 기억 - 개인의 실존적인 체험이자 주관적인

시간의식이고 , 실용적 현재를 위하여 일반화되는 무인격적 영상이 아니라 개인의 고유성이 수립되는 유기적인 흐름

•프루스트의 ‘의지적 기억’ -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주인공의 유년시절 회상

Page 29: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 발터 벤야민의 기억 - 기억은 비의지적이다 . 우연한 기회에 현재화되는 것

- 잠든상태 ( 자본주의 문명 ) 과 깨어난 직후( 자본주의 체제의 대안탐색 ) 에 벌어지는 기억을 통한 자아구성방식으로부터 영감을 받음

- 인간실존을 구성원칙 ▲사소한 것들에 대한 경외감 ▲난데없이 새로운 관계 ▲초현실주의적 자세

Page 30: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루츠 하이머의 기억에 근거한 역사연구

장기적 ( 장기 ) 기억 잠재적 기억

-인생전체를 회고적 총괄-표준적인 서사틀 보유

-화자의 의식 속에 담겨있지 않음 . -자체의 서사구조를 보유하고 있지 않음

Page 31: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니타머의 구술사

• 정치사 및 사회사에 대한 대안 • 프로이트 삼분법을 받아들여 잠재적 기억이

“전의식”에 위치 . 여기에는 일상적 구조와 개인의 독특한 경험이 담겨있게 됨 .

• 그에게 잠재적 기억은 중요 . 의식의 “표준적인 서사”는 공식기억에 의하여 윤색 . 반면에 잠재적 기억은 그로부터 일탈되어 있음 .

Page 32: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알라이다 아스만의 ‘기억의 공간’

• 남편 얀 아스만과 “문화적 기억”을 개념화 . 기억이 머무는 장소인 “기억의 공간”을 찾아내려 함 .

• 기억공간은 책에서 찾음 . 문자문화는 공적기억에 편입되지 않는 엄청난 기록을 낳았음 . 또한 , 흔적과 폐물도 기억공간임 .

• 흔적은 유물에 끼지 못 하고 , 전승이 침묵해버리는 “초라한 일상” . 폐물은 “사소한 것에 대한 경외감” 덕분에 “잃어버린 것을 모두 간직하고 잇는 정보은행”

• 기능기억과 저장기억

Page 33: 민족의 기억 ,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 문화적 기억 ”

나오며•베네딕트 앤더슨은 민족을 “상상된 공동체”

로 규정 . •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과 “정초기억” 개념 - 기원의 기억이 어떻게 지배와 결합하고 , 저항하는 지를 잘 보여줌 .

-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의 문제점 : 기억 내부의 갈등을 보여주지 못 하므로 , 대항기억의 생성논리가 시야에서 사라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