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 본 연구의 목적은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어떠한 인식의 변화가 유아에게 나타나는가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의 어린이집 만 세 유아 명을 대상으로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실시하고 담임교사와 숲 체험에 참여한 전체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참여관찰자로서 녹음 동영상 및 사진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유아는 자연과 친숙해지면서 자연을 알아가는 과정 속에 자연 에 대한 정의 情誼 적 가치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생명의 소중함을 알아갔다 숲에서의 감각 적 체험을 통해 유아들은 지식과 사고를 확장시켰으며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하였다 자연 과의 친숙함을 통해 자연에서 무한한 상상력을 키우고 자연과 유아는 함께 공존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자연과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인식하면서 유아는 숲 보존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자연물을 소중히 하는 긍정적 정서가 형성되었다 주제어 숲 체험 자연친화교육 유아교육 논문 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 승인 영남외국어대학 보육복지상담학과 강사 안양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교신저자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생태유아교육연구

2013. 제12권 제3호 , 125 - 150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어떠한 인식의 변화가 유아에게 나타나는가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D시의 어린이집 만 4세 유아 21명을 대상으로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실시하고 담임교사와 숲 체험에 참여한 전체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참여관찰자로서 녹음, 동영상 및 사진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유아는 자연과 친숙해지면서 자연을 알아가는 과정 속에 자연

에 대한 정의(情誼)적 가치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생명의 소중함을 알아갔다. 숲에서의 감각

적 체험을 통해 유아들은 지식과 사고를 확장시켰으며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하였다. 자연

과의 친숙함을 통해 자연에서 무한한 상상력을 키우고 자연과 유아는 함께 공존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자연과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인식하면서 유아는 숲 보존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자연물을 소중히 하는 긍정적 정서가 형성되었다.

주제어 숲 체험(forest activities)

자연친화교육(nature-friendly art education)

유아교육(early childhood education)

※ 논문 접수 : 2013. 04. 30 / 수정본 접수 : 2013. 07. 31 / 게재 승인 : 2013. 09. 04* 영남외국어대학 보육복지상담학과 강사

** 안양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Page 2: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12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Ⅰ. 서 론

유아기는 자연 속에서 뛰어놀면서 자연의 생명체와 상호작용을 통해 살아있는 모든 것에

대한 경외심을 배울 수 있는 시기이다(Wilson, Kilmer & Knauerhase, 1996). 하지만, 생활터

전이 대부분 대도시에 밀집되어 있어 유아들이 일상에서 자연환경을 접하거나 자유롭게 뛰

놀며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자연공간은 제한되어 있다. 유아들을 위한 놀잇감도 돌멩이와 나뭇

가지와 같은 자연물보다 게임기, 장난감, 블록 등의 상품화되고 정형화된 놀잇감을 활용하게

되면서 유아는 점점 자연과 멀어지게 되었다(임재택, 김은주, 박명숙, 박채숙, 하정연, 최윤정,

2001). 자연의 본성을 지닌 유아가 자연환경을 탐색하고 경험하는 과정에서 긍정적 자아를 형

성하도록 하는 생태교육의 목적은 ‘자연’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유아의 바람직한 성장 및 조화

이며(임재택, 2002), 이는 유아에게 일상생활에서의 ‘자연체험교육’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최근 유아가 자연을 경험하기 위해 인위적인 장소가 아닌 자연 그대로인 숲에 대해 관심을

갖고 숲 체험활동을 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자연체험활동의 한 형태인 숲 체

험활동은 숲으로 가서 놀이를 통해 유아가 자연스럽게 ‘생명의 다양성’을 인식하고 자연 속에

서 자유롭게 상상력, 호기심 및 창의력을 촉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박경희, 2005). 유아

가 자연에 대한 지식을 갖춘다는 것보다 지속적이고 직접적인 자연체험을 통해 자연에 관심

을 두고 생명의 의미를 일깨워주는 것이 자연체험교육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홍은주, 2003).

유아들은 숲이라는 자연 공간 속에서 일어나는 자연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자연을 친

근하게 인식하고 자연의 소중함에 대한 경험을 하며 잃어버린 인간 본연의 자연성을 회복할

수 있다. 숲이란 공간은 유아가 많은 것을 느끼고 경험할 수 있는 매력적인 공간이다. 즉, 자

연은 획일적이지 않은 가장 훌륭한 교과서이자 놀이터이고 유아가 구체적이고 효과적으로

잠재능력을 발현시킬 수 있는 곳이다(박경희, 2005). 자연이라는 놀이터에서 온몸의 모든 감

각을 통해 자연을 느끼고 즐기면서 유아들의 몸과 마음은 성장한다(박현숙, 2000). 숲은 인간

의 긴장을 회복시켜주며(Wilson, 1995), 다양한 생명체와의 만남을 통해 삶의 공동체와 상호

의존성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이정금, 2007).

숲 체험활동은 유아 스스로 숲에 있는 자연 생태에 대해 이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다양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봄의 숲은 새롭게 돋아나는 연한 나뭇잎, 여러 가지 식물과 꽃, 곤충들

에 대한 탐색의 장이 되며, 여름에는 수서곤충 관찰을 통해 물속에 사는 곤충의 특징과 모습

등을 탐색하면서 다른 곤충과 다른 점을 자연스럽게 알 수 있게 한다. 가을에는 유아들이 여

러 종류의 열매를 이용하여 놀이하면서 가을 숲의 다양함과 변화에 대해 탐구할 기회를 주며

Page 3: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127

겨울에는 숲의 또 다른 모습을 관찰하면서 다음 봄에 또다시 소생할 자연에 대한 기대를 하

게 한다. 숲 체험활동은 유아들이 계절과 날씨, 시간에 따른 변화 속에서 다양한 동·식물의

생태 관찰 및 경험을 통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고 해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다양한

활동과 연계하여 지식을 확장하며 탐구적 태도를 갖게 한다. 숲은 유아에게 탐구와 모험심

그리고 창의력을 제공하여 촉진시켜주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이명환, 2003).

최근 숲 체험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체험활동이 주는 교육적 가

치나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자유로운 놀이와

체험활동을 통해 유아는 숲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인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이인숙, 2008).

우리나라에서도 1990년대 후반부터 자연체험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자연친화교육과 생태교

육, 산책에 대한 교육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맥락에서 숲 체험활동에 대한 중

요성이 부각되면서 유아기 경험의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숲에서 활동을 통해 유아들은 다

양한 감각을 이용하여 자연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자신이 자연의 일부라는 것을 알게 되고 자

연과 함께 살아가는 법을 스스로 깨닫게 된다(임갑빈, 2006). 박언휘(2004)에 따르면, 유아들

은 숲 체험활동을 통해 자연에 대한 이해와 애정을 느끼게 되면서 환경 친화적 태도와 환경

보전 태도가 증진되었다고 한다. 김송주(2007)는 체험활동을 통해 유아들의 자연에 대한 인

식 및 자연친화적 태도가 향상되었다고 한다. 이것은 유아기에 직접적인 자연적 경험 및 체

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라 하겠다.

숲 또는 자연생태 교육에 대한 최근 연구를 살펴보면, 유아가 경험하는 숲 또는 자연 체험

이 주는 교육적 의미를 탐구한 질적 연구들이 2000년 이후에 증가하고 있다(김선아, 2006; 김

세진, 2005; 박진영, 2002; 조규성, 2009; 홍은주, 2003). 박진영(2002)은 산책활동을 통해 유아

가 어떻게 표현하고 무엇을 탐색하여 학습하는지 상황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유아의 경험세

계를 탐구하였다. 홍은주(2003)는 자연환경구성활동을 경험하는 맥락에서 유아와 교사의 경

험과 상호작용을 탐구하여 자연환경구성활동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연구하였다. 김세진

(2005)의 연구는 ‘흙과 하늘’이라는 주제를 통해 유아가 자연체험을 경험하면서 느끼게 되는

것을 분석하였다. 김선아(2006)는 자연체험을 통한 주제탐구 및 표현학습 과정에서 유아들은

자연체험과 앎이 하나가 되어 작은 깨달음을 경험하고 더 깊은 깨달음으로 이어지는 즐거움

을 경험하게 된다는 연구결과를 얻었다. 조규성(2009)은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아이들이 가

지고 있는 숲에 대한 기억을 시간과 장소에 대한 탐색과 여러 가지 이야기 등을 분석하여 엮

어내었다. 이 같은 연구들은 유아기에 경험하는 자연 체험이 유아들의 관점에서 어떠한 의미

를 갖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생태교육 및 자연친화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에 이어 최근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다양한 발

Page 4: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12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달 영역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최정애(2009)는 숲 체험활동이 유아

의 환경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고, 이인숙

(2008)은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서영민(2007)은 숲 체험활동을 통한 수학적 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 문제해결력과

수학 접근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으며, 송은주(2009)는 숲 체험활동이 유아

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박경희(2005)는 숲 체험활동이 유아

의 자아개념 발달에 효과가 있음을 밝혔으며, 또 다른 연구에서는 자연이나 숲에서의 자연체

험과 관찰을 통한 유아의 직접 경험이 증가할수록 자연에 대한 애착이 형성되고 언어적 표현

력이 증진된다고 보고하였다(김선영, 2004; 김세진, 2005). 이러한 숲 체험활동에 대한 연구는

주로 양적인 접근에 의해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최근 그 관심분야도 다양

화되며 세분화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숲에서의 체험활동이 유아의 전인적 발달에 긍정

적 효과기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숲 체험활동이 주는 유아의 잠재적 능력 증진 및 교육적 가

치에 대한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며 특히 유아기 숲 체험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는 성인의 관점에서 유아들의 생태 및 자연 체험에 대한 교육적 가치와 효과를

알아보는 데 더 높은 관심을 가졌고 유아들의 관점에서 이러한 생태 체험의 경험이 유아들에

게 어떠한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도록 하는지를 탐구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유아는 숲에서 오감을 통해 관찰하고, 이야기 나누고, 궁금한 것을 탐색하면서 다양한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스스로 숲에 대한 의미를 구

성해 나간다. 유아들은 숲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자연과 상호작용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과정에서 자연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경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숲을

방문하여 이루어지는 숲 체험 활동과 연계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진 숲을 연상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이야기와 그들의 다양한 표상을 분석하여 유아

들의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유아교육기관 중에는 우거진 숲이 인근

에 있어 숲 체험활동이 원활한 기관도 있겠으나 대부분의 대도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서는 가까이 숲을 접하는데 제약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약적인 환경에서

유아가 참여하는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의 경험이 유아에게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유아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유아들이 갖는 숲에 대한 느낌과 유아들의 표상에 대한

관찰을 통해 숲 체험활동 경험을 통해 유아들은 어떠한 변화를 갖는지를 탐색하는 데 그 목

적이 있다.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유아들에게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살피는 것

은 숲 활동의 의의를 도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Page 5: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129

Ⅱ. 연구방법

1. 문화기술적 연구법

숲 체험활동과 연계활동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상호과정 속에서 본 연구자는 참여관

찰, 심층면담 및 기록물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의미를 파악하는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유아가 숲 체험활동을 경험하면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알아보기 위

해 10개월 동안 유아의 숲 체험 및 연계활동에서 발견되는 유의미한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Glesne, 2006/2008).

2. 연구 참여자

1) 유아

본 연구에 참여한 A어린이집 유아들은 2009년부터 숲 체험 활동에 월 1회 참여하였다. 그

중 만 3세 학급의 유아들은 숲 체험이 처음이었으며 만 4세 재원반 한 학급의 유아들은 만 3

세부터 숲 체험 활동을 경험한 적이 있다. 숲 체험을 하는 동안 이들 유아들의 반응 및 경험

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21명(남아 9명, 여아 12명)의 유아가 숲 체험 연계활동에 참여하

였다. 19명은 재원생이며, 유아들의 평균연령은 5년 6개월이다. 유아들 대부분이 아파트에 거

주하여 자연을 자유롭게 접할 수 있는 경험이 제한적이다. 본 연구를 위한 숲 체험 및 연계활

동은 2010년 3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실시하였다.

2) 교사

숲 체험 및 연계활동에 참여한 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은 주로 숲 체험 활동과정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반응, 감정의 변화, 행동에 대해 관찰한

것에 대하여 이야기 나누었다. 교사들의 이야기는 유아들의 숲 체험활동에 대한 반응 및 경

험을 이해하고 분석과정에서 자신의 주관적 편견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교

사의 경력, 담임학급, 숲 체험경험 유무 등을 나타내면 표 1과 같다.

Page 6: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13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표 1> 교사

교사경력(본원 교사경력) 담임학급 숲 체험활동 경험 유무

교사A 4년(3년) 만 5세 유

교사B 5년(1년) 만 4세 무

교사C 8년(2년) 만 3세 유

교사D 2년(1년) 만 3세 무

3) 유아교육기관

연구에 참여한 A어린이집은 대구시에 위치하고 유아가 자유롭게 뛰어다닐 수 있는 마당과

잔디밭 및 놀이기구가 있다. 어린이집 입구에는 계절마다 피어나는 꽃과 여러 종류의 나무가

심어져 있어 자연에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적 매력이 있다. 정원에는 과실수가 있어 유아가

열매가 맺히는 것을 관찰하고 익은 후 직접 따서 먹어보는 경험을 할 수 있다.

A어린이집에서는 자연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숲 체험활동을 실시하게 되었으며 2009년에는

숲 체험활동 활성화를 위해서 대구의 O산에서 숲 해설가를 만나 유아의 연령과 숲 체험 장

소에 맞는 숲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2010년에는 유아들이 버스로 30분 정도 이동하여 P산

에서 실시하는 숲 체험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P산의 공원 입구 체험 장소에서는 숲 해

설가는 유아가 관찰할 수 있는 자연현상이나 체험할 수 있는 활동을 소개하고 그러한 자연현

상이나 체험활동과 관계된 정보 및 지식을 자연스럽게 전달한다. 주로 숲에서 볼 수 있는 동

식물 등에 대한 설명을 하며 유아, 초등학생 등을 대상으로 숲 체험활동을 실시하였다. 유아

들은 숲 해설가가 진행하는 숲 체험에 참여하고 점심시간이 되어 숲을 나왔다. 숲 체험 연계

활동은 담임교사와 협의하여 학급일과 진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 시간에 진행하였다. 유아 개

인별로 돋보기 형태의 ‘필드루페’와 자연물 채집을 위한 생태 주머니와 보자기를 항상 가지고

참여하였으며 자연물인 도토리와 솔방울 등을 담아 어린이집 또는 집으로 가져가서 탐색활동

을 연계하기도 하여 가정에서도 유아와 함께 숲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3. 연구과정 및 자료 수집

1) 연구과정

연구자는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숲 체험활동’을 진행하면서 유아들이 숲 체험활동

에 참여하고 자연에 대해 알아 가는 과정 속에서 숲에 익숙해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숲이 익

숙한 장소가 되면서 유아에게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 살피고, 숲 체험활동이 유아들에게

Page 7: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131

월 주제 숲 체험활동 프로그램 내용

3월 숲아 안녕!· 숲에 인사하기 · 관찰나무 정하기 · 산책 - 봄이 오는 소리

· 뒤집어 보는 숲(하늘거울)

4월 꿈꾸는 봄 요정· 햇님에게 인사하기 · 풀꽃 요정 만나기 · 버들피리 불기

· 숲 속의 만찬(미각 체험) · 먹이사슬방울놀이(나비와 나방)

5월 숲 속 예술가· 내짝을찾아라 · 같은모양을찾아라(나뭇잎찾기) · 숲속의소리잔치

· ‘새둥지’짓기 · 나는 화가(나무목걸이 만들기)

6월 물속에는 누가 살까 · 풍차 만들기 · 변신 “짜잔”(성충과 애벌레) · 물속으로(수서곤충채집)

7월 팔랑이의 변신· 팔랑이의 변신(나비의 일생) · 애벌레 되기 · 곤충 만들기(찰흙활동)

· 곤충아 놀자!(곤충 관찰)

8월 마법의 숲· 원통으로숲보기 · 마음으로숲보기 · 이야기숲(오래된숲이야기)

· 솔방울 던지기 · 어디어디 숨었니?(곤충 찾기)

9월 땅속의 작은 우주· 뿌리체조 · 내 발밑에누가살까?(흙 속생물) · 작은우주(땅속생물)

· 흙은 어디서왔을까?(흙 고르기) · 흙하고 놀기(흙으로 그림 표현)

10월 도토리와 솔방울· 소나무 숲 길 걷기 · 도토리와 솔방울 숨기기 · 당단풍 날리기

· 비밀의 숲

11월 나무야 나무야· 뜀뛰기 체조 · 나이테 헤아리기 · 나무세우기 · 내 나무 만들기

· 림보놀이

어떤 변화를 가져다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주제를 선정하였다. 연구 장소는 연구자가 원

감으로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으로 뒤뜰(back-yard) 연구를 실시하였다(Glesne, 2006/2008).

뒤뜰 연구는 자신의 기관이나 에이전시를 연구하는 것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

고 있지만 익숙한 공간에서 관계를 맺고 책임지는 것으로 인한 잠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

다는 것을 연구자가 인식하여야 한다(Glesne, 2006/2008). 따라서 연구자는 교사들이 자발적

으로 연구에 참여하도록 그들의 의사를 우선적으로 반영하였으며, 교사들과의 면담시간도 융

통성을 두었다.

본 연구는 3월부터 12월까지 10개월 동안 월 1회 숲 체험활동과 이와 연계된 활동을 매주

1-2회 실시하였다. 숲 체험활동은 1시간 3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고 연계활동은 활동에 따

라 20-30분이 소요되었다. 유아는 숲에 도착하여 숲 속으로 들어가는 과정에서부터 해설가와

숲의 변화를 탐색하고 숲에서 만나는 자연물 또는 곤충에 대해 궁금한 것을 질문하면서 숲

체험 장소로 이동한다. 숲 체험활동 후에 원으로 온 당일이나 다음날에 숲 체험활동 과정에

서 느낀 점, 재미있었던 일들에 대해 교사와 면담을 하였다. 숲 체험활동 프로그램 내용은 표

2와 같다.

<표 2> 숲 체험활동 프로그램

Page 8: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13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회 기 3회 일 시 2010년 6월 9일 수요일

주 제 나무 활동자료 나뭇잎

활 동 명 나뭇잎 불기

활동목표 다양한 나뭇잎의 모양을 관찰하고 탐색한다.

활동단계 활동방법 및 내용

연구를 시작하면서 연구자는 숲 해설가에게 연구에 대한 간단한 요약문과 구두 설명으로

본 연구의 목적, 의미 및 연구방법을 설명하였고 숲 체험활동 동안 녹음과 동영상, 사진 촬영

을 허락 받았다. 숲 체험활동 후에 숲을 연상할 수 있는 숲 연계활동을 어린이집에서 매주

1-2회 실시하였으며 연계활동은 연구자와 담임교사가 진행하였다. 연계활동 수업은 연구자가

진행하였으며 담임교사는 산책과 바깥놀이터 활동 등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반응 등을 기록

하여 면담을 통해 전해 주었다. 숲 체험 연계활동은 연구자가 유아의 관심을 반영하여 숲 체

험활동과 연계하여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연계활동은 담임교사가 진행하는 것이 이상적이었

으나 담임교사가 진행하는 것을 부담스러워하여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다. 실시했던 연계활

동의 내용은 표 3과 같고 연계활동의 구체적 수업 내용의 예는 표 4와 같다.

<표 3> 숲 체험 연계활동 내용

시기(월) 숲 체험 연계활동 프로그램

6월·나무가 되어 보아요 · 나뭇잎을 찾아라 · 나뭇잎 불기

· 박쥐와 나방 · 싹 틔우기 · 나무 이름 지어주기

7월· 모래의 감촉을 발로 느껴 봐요 · 수서곤충의 이름을 알아요 · 엄마 곤충을 찾아라

· 숲 이미지Ⅰ

8월 · 번데기가 되어 보아요 · 찰흙 곤충 만들기 · 곤충을 찾아라 · 숲 이미지Ⅱ

9월 · 열매 찾기 · 목장을 다녀와서 · 숲 속 열매 · 누워보기 · 도토리 팽이 · 숲 이미지Ⅲ

10월 · 자연물 놀이(Ⅰ,Ⅱ) · 개미 관찰 · 숲 이미지Ⅳ

11월· 가을 나무 관찰 · 엄마랑 숲 속 학교체험 · 산책 · 같은 나뭇잎 찾기

· 숲 이미지Ⅴ

12월

· 나뭇잎과 열매 찾기 · 앙상한 나뭇가지에 나뭇잎이 열린다면 · 눈 오는 날

· 동물처럼 뛰기 · 나뭇잎 찾기(당단풍) · 사진으로 본 겨울 숲

· 숲 체험활동 회상 · 숲 이미지Ⅵ

기타 자료· 7월 숲 체험 후 유아의 느낌 · 9월 숲 체험 회상하기 · 지렁이 발견

· 11월 숲 체험 회상하기

<표 4> 연계활동 예시

Page 9: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133

도 입· 여러 가지 모양의 나뭇잎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후 나뭇잎의 모양을 손으로 만들어

서 표현한다.

전 개

① 유아가 마음에 드는 나뭇잎을 선택하여 나뭇잎을 자유롭게 날려 본다.

② 나뭇잎을 바닥에 두고 입으로 불어서 날아가는 모습을 관찰한다.

- 확장활동: 나뭇잎 불기 수업 후 나뭇잎을 교실로 가져가서 책상 위에서 친구들과

서로 멀리 불어보는 놀이 활동으로 확장한다.

마무리- 실외와 교실에서 나뭇잎 불기 활동을 한 후 어떤 느낌이었는지 어떻게 하니까 멀리

날아갔는지 이야기해 본다.

비고 햇볕이 뜨겁지 않은 오전에 활동을 한다.

2) 참여관찰

연구자는 참여관찰자로서 관찰일지를 쓰고 유아와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MP3 Player로 녹

음하고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하였으며 모든 녹음자료는 전사하였

다. 숲 체험활동은 숲 해설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연구자는 관찰자로서 활동의 뒤편에서 녹

음을 하거나 사진을 촬영하면서 숲 해설가의 요청에 따라 도우미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유아 숲 체험활동 관찰은 3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었으나 연구에 대한 방향 결정으로 인해

숲 체험활동에 대한 MP3 Player 녹음은 5월부터 이루어졌다. 12월까지 계획되어 있었지만

한파로 인하여 12월 겨울 숲 체험은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이를 대신하여 연구자가 12월에 체

험 장소의 사진을 제시하여 사진을 통해 겨울 숲을 보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3) 면담

숲 체험 및 연계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유아가 활동을 하면서 숲 또는 자연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무엇을 알게 되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면담을 실시하고 유아가 숲에 대해

가지는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유아가 그림을 그리도록 한 후 그림을 통해

유아의 이야기를 듣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이야기는 언어적 표현만을 사용하는 것보

다 그림과 함께 표현되어지는 이야기 속에 유아의 생각이 자연스럽게 표현되었다. 유아 면담

은 연구자가 유아의 생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할 때 자유롭게 진행하였으나 교사 면담은 매달

숲 체험활동 후에 숲 체험을 한 전체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면담내용은 녹음하였으며

시간은 1회당 30-4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면담을 통해 담임교사가 일상생활에서 숲 체험에

대한 유아의 다양한 반응과 에피소드를 들려주었다.

Page 10: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13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4)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관점과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유아들의 숲 체험활동 및 연계

활동을 통해 수집된 자료 중에서 연구주제와 관련된 현상을 분석하였다. 숲 체험활동 전사기

록, 교사 면담, 관찰일기, 저널, 유아 면담, 이미지 표현 등의 다양한 자료와 전사된 내용을 읽

으면서 유아들이 표현하는 여러 가지 반응들을 코딩하고 분류하는 과정에서 연구 결과를 도

출하였다. 코딩 범주화의 예는 표 5와 같다.

<표 5> 코딩 범주화

분류 사례별 내용

생명의 소중함· 버들치 놓아주기 · 곤충 죽이지 않기

· 숲 보호 · 나뭇잎 한 개만 떼어내기

사고의 독창성· 도토리 나무심기 · 조개새 · 뱀밥

· 슬픈 나무 · 잣열매칼 · 불개미

숲에 대한 느낌· 누워보기 · 개미에 대한 반응 변화

· 곤충이 있어서 좋은 숲 · 겨울 숲

숲 이미지· 이미지에 표현되어지는 곤충의 변화

· 섬세한 나무 표현

본 연구에서는 객관성과 타당도 확보를 위해 동료 및 담임교사에게 내용을 보여주거나 분

석한 내용에 대한 의견을 주고받으며 교사와 연구자의 생각을 비교하였다. 연구자는 선입견

과 주관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아교육전문가 2인으로부터 피드백을 받았다. 또한 다양한 종

류의 연구 자료를 서로 비교분석하며 결과를 이끌어 내었다.

Ⅲ. 연구결과

1. 숲에서 자연스럽게 느끼는 생명의 소중함

숲 체험활동을 통해 유아는 자연을 소중히 여기고 모든 생물에 대한 생명 존중을 배운다.

유아들은 자연 속에서 뛰어놀며 자연스럽게 자연을 배우고 구성하는 생명체들의 존재를 인

식하고 소중히 하는 마음을 형성한다. 자연은 함께 살아가는 공간이며 훼손되어선 안 된다는

Page 11: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사진 1] 수서곤충채집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135

것을 알게 된다.

명호: (버들치를 보며) 선생님 이거 다시 보내 주세요.

연구자: 왜 버들치를 다시 보내 줘야 하나요?

지은: 불쌍해요.

연구자: 어린이집에 가져갈까요?

유아들: 안돼요

진수: 안돼요, 나중에 개구리가 되기 때문에.

나영: 올챙이가 개구리 되지.

채은: 불쌍해요. (숲 체험관찰, 2010년 6월 18일)

유아는 숲 체험을 통해 여러 가지 생물을 관찰하면서 자연 생물은 자연 속에 있을 때 가장

자연스럽고 자유롭고 행복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들 자체의 삶을 존중

해 주고 인간과 자연스럽게 공존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다. 유아들은 수서곤충을 관찰하

고 활동을 진행하면서 호기심에 대한 흥분과 즐거움이 앞섰지만 수서곤충 채집이라는 활동

을 참여하는 과정에서 생물들을 자연에서 살도록 놓아 주어야 한다는 생각에 동의하였다. ‘버

들치’라는 물고기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계곡에 다시 풀어주기를 원하는 유아의 이야기를 통

해 생명의 소중함을 조금씩 이해하고 실천으로 옮기고 싶어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월 숲 체험활동을 하면서 유아들은 개미를 발로 밟지 않고 곤충을 보호하려는 모습에서

생명에 관심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유아들은 작은 동물의 입장이 되어 감정이입이

나 공감능력을 보이기도 하였다. 숲이란 장소는 처음부터 모든 유아에게 흥미로운 공간이진

못했다. 은서는 특히 곤충에 대한 거부감이 남달랐다. 이런 은서에게 유아들은 곤충이 인간보

다 나약한 존재라는 것을 설명해 주고 곤충을 공존하는 생명체로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왔다.

‘벌레가 너 더 무서워하거든’ 하면서 곤충이 느낄 수 있는 감정을 이야기하기도 하였으며, ‘힘

이 약하다’는 표현을 하면서 곤충은 무조건 인간에게 해로워서 죽여야 하는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서로 이야기하였다.

은지: 개미는 약해서 죽이며 안돼요.

연구자: 그럼 개미를 왜 잡아요?

민준: 개미 집 만들어요.

석호: 나도 개미 집 만들어 줄 거예요. (관찰, 2010년 10월 11일)

새은이는 오늘 밥 먹을 때 자리에 개미가 올라오니까 ‘저리가란 말이야’ 라고 소리치고 그냥

을 밥을 먹었어요. 진수도 옆에서 ‘소리 질러 그러면 된다’라고 이야기를 했어요. 저희 반 교실

에도 날 개미 들어 와서 날아다니거든요. 그러면 ‘가, 나가라고’ 이야기하고 또 ‘문 열어 놓을까

Page 12: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13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요? 나가게’라고 해요. (교사B, 교사 면담, 2010년 8월 30일)

4월 숲 체험을 경험할 때 개미를 보고 발로 밟아죽이던 유아들이 지속적인 숲 체험을 통

해 다양한 곤충의 생태를 이해하면서 개미를 죽여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유

아는 개미, 거미, 나비, 애벌레 등의 곤충이 약한 존재이고 함부로 죽이면 안 된다는 것을

스스로 깨닫게 되었다. 숲 체험활동을 경험하면서 개미나 애벌레가 징그럽고 자신들에게

위협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되고 무서워서 죽이거나 그냥 아무렇지 않게 방어

적으로 죽이거나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애벌레를 소재로 역할극을 하면

서 애벌레가 움직이지 않았을 때, “죽었다”라고 말하면서 유아들이 살리려고 하였다. 이러

한 반응은 작은 생물, 작고 힘없는 곤충과 애벌레의 ‘죽음’에 대해 무감각했던 이전의 모습

과는 다르다. 점심을 먹을 때, 자신을 괴롭히는 개미일지라도 다른 곳으로 갈 수 있도록 방

법들을 고안하고 유인하는 모습에서 유아들이 ‘생명’에 대한 존중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처음 숲에 갔을 때 어린 여자 유아는 개미가 자리 위로 올라오는 것을 보고 울음을

터트리기도 하고, 남자유아들은 ‘잡아요, 죽여요’ 하며 잡는 것이 일반적 반응이었는데 변화

가 생긴 것이다. 아무리 작은 생명이라도 생명은 소중한 것이라는 것을 유아들이 감지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자: 개미 무서워요?

은미: 안 무서워요.

창훈: 밟으면 죽잖아.

진수: 손으로 꽉 만지면 죽어요.

석훈: 살아 있는 것 죽이면 안돼요.

나은: 벌레도 살아야 되요. (관찰, 2010년 10월 5일)

유아들이 유령거미를 관찰하고 다른 곳으로 이동을 할 때 도은이가 실수로 거미를 밟아 버렸

다. ‘거미 죽이면 안 된다’라고 이야기하는 은지에게 ‘왜 안돼요?’ 라고 교사가 질문을 하니 ‘아

파요’라고 대답을 한다. (관찰, 2010년 9월 30일)

명호: 개미가 아까 물었어요.

명호: (명호의 주변에서 여자아이들이 입 바람을 불어서 개미를 명호의 손에서 떨어뜨려 주려

고 한다)하지마라.

지은: 나뭇잎에 붙여 줘라.

은혜: 나뭇잎에 얹어 주면 도망간다. (관찰, 2010년 10월 20일)

유아들은 예전에 싫어하던 개미나 거미에 대한 감정이입이 이루어지고, 자신의 손에 벌레

Page 13: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137

가 올라왔을 때도 벌레라고 무조건 죽이거나 괴롭히지 않고 생명체로 인정하면서 자신들처

럼 느끼고 살아가는 생명체의 삶을 유지시키고 존중해 주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자: 도토리, 곤충들, 그리고 나무가 계속 숲에 생기게 하려면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정호: 가만히 놔둬야 해요.

명호: 숲을.... (관찰, 2010년 9월 29일)

‘우리에게 많은 자연물을 주는 숲을 보호하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라는 질문에 유아들은

거침없이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게 전달하였다. ‘나뭇잎 함부로 따면 안돼요’, ‘개미 죽이면 안돼

요’, ‘곤충 죽이면 안돼요’ 라고 이야기 하였다. 연구자가 ‘쓰레기’ 라는 단어를 제시하자 ‘쓰레기

를 버리지 않고 가방에 넣어 와서 쓰레기통에 버려야 되요’, ‘쓰레기 동물이 먹으면 아파요’ 라

고 구체적으로 이야기 하였다.

(중략)

연구자: 숲이 없어지지 않게 하려면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할까요?

명호: 우리가 도와줘야 돼요.

은미: 나무를 심어주어야 해요.

명호: 풀을 만들어 주고...

진수: 선물을 줘야 되요.

성준: 숲이 없으면 개미가 나무에 못 올라가요.

나영: 나무가 힘내라고 노래 불러 줘요.

명호: 그리고 나무를 위해서 계곡을 만들어야 되요, 시원하게요.

정현: 생물들 죽이지 말고. (관찰, 2010년 10월 18일)

아이들이 숲을 어떻게 하면 지킬 수 있는지 이야기를 해보았다.

지은: 나무를 안자를 거예요.

진수: 돌을 던지지 말 것.

정호: 나무를 자르지 말라고 하고요, 거기에 아파트를 짓지 말라고 할 거예요.

석훈: 숲에서요 발로 쿵쿵하면서 구덩이 파면 안 되겠어요.

나영: 나무를요 더럽게 하지 말고 깨끗하게 해 줘요.

지호: 나무를 괴롭히지 말라고.

성준: 나무를 발로 차지 말라고.

나은: 산을 더럽히지 말라고. (관찰, 2010년 12월 21일)

숲 환경에 대한 유아의 생각에서 숲 보존을 위해서 숲을 가만히 놔두어야 한다는 사고가

형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무에게 노래를 불러주고, 선물을 주어야 한다는 표현을

하면서 숲에 가서 하면 안 되는 행동에 대해서 유아들이 스스로 알고 이해하였다. 유아들은

풀을 뜯지 않고 곤충을 죽이지 않아야 한다는 것에 대해 인식하였고, 사람들이 버린 쓰레기

Page 14: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13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를 동물과 산이 싫어한다는 개념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긍정적 사고의 형성으로 인해 유아들

은 환경보존에 대해 자연스럽게 인식하게 되었다. 즉, 유아들은 숲 체험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자연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면서 생물체의 생명을 존중하게 되고 숲 보호의 필요성에 대해 인

식하였다. 이는 유아에게 자연과 숲이 의미 있는 공간이며 소중한 공간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숲에서 자유로워지는 생각과 실험

유아들은 숲이라는 새로운 장소에서 활동을 경험하면서 다양한 생각을 쏟아놓고 표현한다.

유아들은 숲에서 경험을 통해 얻은 다양한 사고와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이러한 경험

속에서 유아들은 다양한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해보기도 하며, 때론 세심한 관찰을 하면서

다양하게 사고하였다.

교사: 뭐하고 있어요?

명호: 도토리 심어요, 도토리나무 되라고요.

지호: (말없이 주위의 솔잎을 모아서 도토리를 덮는다)

창훈: 뭐해?

명호: 도토리 심는다.

창훈: 도토리(나무) 되라고? (숲 체험관찰, 2010년 5월 28일)

명호: 선생님 난 숲에서 도토리 심어 봤어요.

새은: 어떻게 되었는데?

명호: 몰라 (관찰, 2010년 9월 28일)

나뭇잎 찾기 활동을 하면서 바닥에서 주운 도토리를 명호가 땅에 심었는데 땅을 파지 않고

그냥 도토리 위에 풀과 흙을 덮었다. 나뭇가지로 주위의 흙과 풀을 거두어 뿌리고 옆에서 관

심을 가지는 친구에게 친절하게 설명을 한다. 명호는 5월에 심은 도토리를 9월 도토리 활동

을 할 때 기억하며 자신이 심은 도토리가 도토리나무로 자라지 않은 것에 대해 이야기 나누

었다. 명호는 도토리가 땅에서 자라는 도토리나무에서 열린다는 것을 알고는 씨앗을 심듯이

도토리도 땅에 심어두면 곧 나무로 자랄 것 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명호는 그 후 숲에 오면

자신이 도토리를 심었던 자리를 유심히 관찰하였다. 이렇듯 유아들은 자신들의 사전경험 및

지식을 활용해 새로운 가설들을 세우고 실험을 하게 되었다.

Page 15: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139

진수: 선생님 벌레 중에서 왕 곤충이 누구예요?

명호: 사슴벌레.

창훈: 장수풍뎅이.

정호: 남자, 여자 장수풍뎅이 싸우면 여자 장수풍뎅이가 이기죠?

(숲 체험관찰, 2010년 7월 23일)

곤충을 관찰하던 중 진수가 ‘왕 곤충’이라는 말을 하면서 곤충들 중에서 ‘누가 힘이 더 강할

까?’에 관심을 가졌다. 특히 남아들은 가장 좋아하는 곤충 중에서 왕이 되는 곤충 즉, 힘이 센

곤충의 종류와 생김새를 관찰하면서 서로 싸우면 누가 이기는가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그

후에도 유아들은 여러 종류의 장수풍뎅이 중에서 힘이 세고 싸워서 이기기 위해서는 뿔의 모

양과 크기, 몸집의 크기, 암컷과 수컷의 차이, 싸울 때 상대를 이기는 기술이 어떻게 다른지

관찰하고 책을 찾아보면서 나름의 논리를 세워나갔다.

3. 자꾸 가고 싶어지는 숲

1) 자연에 대해 줄어드는 거부감, 늘어나는 친근감

숲 체험활동 및 연계활동을 경험하면서 유아가 숲에서 느끼게 되는 감정에 대해 관심을 가

지게 되었다. 유아들이 숲에서 만난 자연물에 대한 느낌, 숲 체험활동 및 연계활동에서 느끼

게 되는 것을 통해 유아가 숲을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유아

에게서 숲이 친근한 공간, 편안함을 주는 공간으로 바뀌어가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처음 숲

체험을 할 때, 산속의 숲은 유아에게 친숙한 장소이기 보다 ‘다람쥐’를 만날 수 있는 곳 정도

로 인식하고 있는 듯 했다. 진수는 초기에 머리가 아파서 숲 체험활동에 참여하지 못하지만

숲에 올 때 마다 다람쥐를 보게 되면서 나중에는 숲에 올 때 마다 다람쥐를 찾아보는 것이

하나의 큰 즐거움이 되고 이러한 것이 숲에 대한 전반적으로 친근함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

었다. 즉 숲에서 자신이 친근감을 가질 수 있는 동식물이 생기면서 유아들은 숲에 오는 것에

대한 기대와 숲 체험활동에 대한 거부감이 사라졌다. 또한 늘 책으로만 접하던 동식물을 실

제 자연 상태의 모습으로 보게 되고 새롭고 신기함을 느끼고 점차 숲에 대한 호기심이 높아

졌다.

연구자: (숲에 올라가면서) 명호 안 힘들어요?

명호: 힘들어요.

연구자: 힘든데 왜 산에 왔어요?

명호: 곤충들 볼 수 있어서. (숲 체험관찰, 2010년 11월 26일)

Page 16: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사진 2] 누워서 하늘보기

[사진 3] 비오는 창밖 보기

14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팀을 나누어 숲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순서를 기다리는 유아들은 자유롭게 놀이를 한

다. 숲에 오면 유아들은 지루해 하지 않고 땅에 그림을 그리거나 뛰어 다니거나 숲의 열매 등을

주우며 놀이로 연계한다.

(숲 체험관찰, 2010년 8월 27일)

유아들에게 숲이라는 장소는 처음엔 낯설고 위험한 공간으로 인식될 수 있으나 매달 거의

같은 장소에서 자연의 변화를 관찰하고 체험하면서 유아들은 숲을 점차 편안한 장소로 느끼

는 것 같았다. 숲에 처음 갈 때 ‘왜 숲에 가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졌던 유아들은 숲에서의

활동에 익숙해지고 책으로만 보던 자연 생태의 모습을 관찰하고 재미와 호기심을 느끼면서

숲을 조금 더 친근하고 좋아하게 되었다.

연구자: 숲에서 누워보니 기분이 어땠어요?

성준: 까칠까칠 했어요.

석훈: 아무 생각도 안 났어요.

은미: 기분 좋았어요.

명호: 울퉁불퉁 했어요. (숲 체험관찰, 2010년 8월 27일)

숲의 통제되지 않는 외부 환경적 조건에 의해 성인들은 유아들의 안전이나 사고의 위험을

떠올리지만 유아들은 평소 자신의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기 어려운 다양한 재료 및 자연물을

가지고 놀이를 하였다. 나뭇가지, 도토리, 솔방울을 자연스럽게 가지고 바닥에 앉아서 놀이하

였다. 처음에는 바닥에 앉기 보다는 다리를 구부려 앉거나 흙바닥에 앉으려는 시도를 하지

않았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흙바닥을 더러워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앉아서 여러 가지 자연물

을 가지고 놀이를 하는 모습에서 자연과 함께 하고 있다는 것에 편안하고 즐거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점차 숲 체험을 통해 바닥에 앉을 때 ‘옷이 더러워지지 않을까’라고 걱정하는

아이들도 줄고, 개울을 건널 때 신발이 젖어서 짜증내는 아이들 보다는 그 자체를 받아들이

고 재미있어하는 유아의 행동변화를 볼 수 있었다.

지은: 선생님 비 올 때 달팽이 나와요.

나영: 근데 왜 달팽이 없어요?

정호: 비가 뚝뚝뚝 흘러요.

명호: 비가 오면 첨벙 첨벙해요.

지은: 우산 쓰면 또롱또롱 거려요.

석훈: 난 우산 안 쓰고 비 옷 입고 왔어요.

연구자: 이렇게 비가 오면 숲은 어떨까요?

명호: 애벌레가 나무 위로 올라가 있을 것 같아요.

지은: 산에서 물이 깨끗해져요.

Page 17: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141

정호: 축축 젖어 있어요.

진수: 나무가 흔들리고 있어요.

새은: 바람이 불어요. (관찰, 2010년 7월 16일)

유아들이 교실활동 중에도 유리창에 매달리거나 옆 친구를 뒤에서 안으며 비 내리는 모습

을 관찰하고 바닥에 다리를 쭉 뻗고 난관에 기대어 정원에서 비를 맞고 있는 나무와 꽃 그리

고 물놀이 수영장에서 물이 튀는 모습을 세심히 관찰하거나 응시하는 행동이 나타나고 숲을

떠올리며 이야기하는 것도 종종 관찰할 수 있었다. 이전에는 밖을 보면 자연 현상이나 자연

물보다는 수영장이나 놀이터에 더 관심을 보였지만 차츰 유아들이 자연현상에 대한 관찰이

나 관심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비에 대한 정호, 명호, 지은이의 이야기를 통해 숲을 연상

하며 자연스럽게 비 오는 숲의 모습을 떠올려 이야기를 나누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였다.

유아가 느끼는 자연에 대한 친근함은 숲에 대한 이야기나 생각을 표현할 때 긴장하지 않고

자유롭고 편하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였다.

연구자: 발가락으로 모래를 만져 보세요, 느낌이 어때요?

미영: 뜨거워요.

나영: 보들보들 하고요, 털 같아요.

새은: 토끼 털 같아요.

명호: 더러워요.

새은: 개미 있어요.

연구자: 발로 해 보니까 어땠어요?

창훈: 좋았어요.

나영: 발이 간지러웠어요.

미영: 좋았어요.

지호: 재미있었어요.

은미: 난 조금 겁났는데 지렁이 나올까봐. (관찰, 2010년 7월 7일)

연구자: 흙을 만져 보았을 때 느낌이 어땠어요?

유아들: 부드러웠어요.

나영: 보들 보들.

연구자: 우리 친구들이 만져 본 느낌 중에 무엇과 비슷했어요?

정호: 밀가루.

지은: 솜.

진수: 비누.

나영: 참새 털, 하하하.

석훈: 깃 털.

진수: 물고기.

나영: 겨울 옷 털. (관찰, 2010년 10월 5일)

Page 18: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14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자연을 처음 접할 때 유아들은 경계를 하지만 친숙해지면서 곧 자연스럽게 자연을 받아들

이게 되었다. 맨발로 모래에 들어갈 때 모래가 발에 묻는 것이 싫어서 선뜻 들어가지 못하던

유아도 친구들이 모래에서 간지러워하며 웃는 모습을 보고 용기를 내어 모래밭에 들어가면

서 발로 모래를 경험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거의 모든 놀이터에 모래놀이를 쉽게 할 수 있는

공간이 있었으나 최근 들어 모래놀이터가 점점 사라지고 유아들이 모래에 대한 경험이 제한

적이 되면서 모래밭에서 노는 것조차도 거리감을 갖는 유아가 있다. 처음엔 맨발로 모래에

들어가는 것을 거부하였던 유아들이 숲 체험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모래놀이에 참여하고,

또한 흙도 옷에 묻으면 지저분하고 더러운 것이 아나라 ‘부드러운 솜’이나 ‘깃털’같고, 재미있

는 놀잇감인 동시에 풀들을 보호해주고 작은 벌레들을 살 수 있게 해주는 소중한 것으로 인

식하게 되었다.

2) 신기하고 즐겁고 마음이 편해지는 숲

유아는 숲 체험활동 및 연계활동을 통해 자연을 경험하고 그 속에서 하나가 될 수 있었다.

숲에서 느낄 수 있는 안정감은 유아가 자연을 의식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여 자연에

순응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숲의 좋은 점과 불편한 점을 모두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면서 유아는

자연 속에서 즐거움을 찾게 되고 그 즐거움으로 인해 긍정적인 정서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숲 체험활동 중에 언덕 같은 곳을 발견하고 미끄럼 놀이를 한다)

정호: 진짜 재미있다, 미끄럼처럼.

민우: 여기도 올라갈 수 있거든.

석훈: 나무에 올라가자!

정호: 올라가 볼까? 아~

해설가: 그 나무는 약해서 올라가면 위험해요. (관찰, 2010년 9월 30일)

자기의 나무를 떠올려 보라는 말에 유아들은 밝게 웃으며 회상을 하였다. 나무를 안아주면서

무슨 이야기를 했는지에 대한 질문에 유아들은 ‘사랑해’ ‘행복하게 잘 있어’라는 말 등을 했다.

(관찰, 2010년 11월 30일)

언덕에서 자유롭게 미끄럼을 타고 낮은 나무에 올라가려는 행동에서 유아들의 활동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행동은 유아들이 숲 체험활동을 좀 더 능동적으로 참여하려는 시도이다. 유

아들의 숲 체험이 제한적이라 연구자는 다양한 자연 체험적 연계활동을 진행하였는데 유아

들은 숲에 대한 다양한 모습을 떠올리고 비교․분류하기도 하면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숲에

대해 좀 더 알아가고 자연을 더욱 친근하게 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나무에도 올라가고

Page 19: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143

새로운 자연물에 호기심을 가지고 접근하여 놀이에 활용하기도 한다. 처음 숲에 갔을 때는

해설가선생님의 진행에 따라 정해진 활동을 하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유아 스스로 흥미로

운 것을 찾아서 자발적 탐색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자발적 탐색은 유아들에게 곧 놀이와 같

은 의미이며 유아들로 하여금 다양한 긍정적 정서를 갖게 한다. 나무의 이름을 부르고 ‘사랑

해’라는 말을 하는 유아들은 숲이라는 공간에서 다양한 긍정적 정서에 대한 표현을 볼 수 있

었다. 이러한 긍정적 정서는 자발적 학습을 촉진시키고 자존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원동력

이 될 수 있다. 유아는 자연과 대화하고 교감, 탐색을 통해 획일적이지 않은 자연에서 구체적

이며 효과적으로 잠재 능력을 발현 시킬 수 있을 것이다(박경희, 2005). 자연은 다양한 생물

체의 삶의 터전이고 반복되는 변화의 공간으로, 유아는 자연스럽게 호기심을 갖고 알고자 하

는 태도를 갖는다(홍은주, 2003).

연구자: 8월 숲 체험에서 무엇이 재미있었나요?

지은: 비누.

명호: 때죽나무.

석훈: 때죽나무 열매.

명호: 물에 칠해서 이렇게 씻었어요. (관찰, 2010년 9월 6일)

숲에는 항상 유아들이 호기심을 가질 수 있는 새로운 것이 있었으며 이러한 호기심은 유아

가 숲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그 예로서 ‘때죽나무’는 열매가 비누처럼

거품이 나서 손을 씻을 수 있다. 이러한 신기하고 즐거운 경험은 유아로부터 새로운 흥미와

기대를 갖게 한다.

유아들은 나무가 고맙고 좋은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명호: 구해 주었으니까.

지은: 나무가 우리한테 강을 선물해 줘서 고마워요.

나영: 꽃.

은미: 나뭇잎이 좋아서....

진수: 과일.

나영: 나무가 공기 좋게 해줘서.

명호: 나무가요 물 줘서, 목마른데.... (관찰, 2010년 12월 7일)

연구자: 우리가 한 달 동안 숲에 가지 않았는데 어떻게 변해 있을 것 같아요?

나영: 추울 것 같아요.

지호: 추워서 얼음 되었어요.

진수: 나뭇잎이 다 떨어져요.

정호: 나무가 얼어서 부러질 것 같아요.

Page 20: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14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명호: 나무가 얼어 있을 것 같아요.

(중략)

연구자: 사진으로 숲을 보니까 느낌이 어때요?

정호: 따뜻한 것 같아요, 전부다요.

지호: 나무가 다 추운 것 같아요.

민서: 사진으로 보니까 느낌이 좋아요.

연구자: 어떤 느낌이 좋아요?

민서: 숲에 갔던 느낌이 떠올라요.

은혜: 기분이 좋아요, 오랜만에 봐서요.

명호: 자연스러운 것 같아요, 숲이요. 숲이 평화로워요.

정호: 평화가 찾아온 것 같아요. (관찰, 2010년 12월 21일)

유아들은 숲 체험활동을 통해 나무와 숲에 대해 고마움과 평화로움을 표현하였다. 숲이 유

아에게 친근하고 안정감을 주는 장소이기 때문에 나무에게 고마움을 느낄 수 있고 숲을 평화

롭게 볼 수가 있는 것이다. 숲을 체험하면서 해설가선생님이 ‘나무야 고마워, 미안해’라는 말

을 많이 들려주었고 또래친구들이 함께 나뭇가지로 놀이를 경험하였기 때문에 나무에게 고

마운 마음을 가지는 긍정적 정서가 형성된 것이다. 숲을 직접가보지 않고 사진을 통해서 숲

의 모습을 표현하는 것 또한 유아가 그 숲을 이미 잘 알고 친숙해져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유아들이 지금 숲에 있는 것은 아니지만 친구들과 함께 놀이 했던 장소와 유아의 나무가 있

는 장소를 보면서 숲에서 경험했던 다양한 기억들을 연상하였기 때문에 숲의 느낌을 이야기

로 표현할 수 있었다. 친구들이 없는 텅 빈 숲의 사진을 보면서 ‘평화’를 연상하는 유아들에게

숲과 연결된 많은 감성들이 긍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Ⅳ.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숲 체험활동 및 연계활동을 통해 유아에게 어떠한 변화가 이루어지는가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즉, 유아가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숲이라는 공간에서 생명의 소중함을

깨닫고, 자연에서 자유롭고 풍부한 사고와 실험을 하며, 자연물을 통해 자연과 친해지는 과정

을 경험하고 이러한 경험이 자연 생태에 대한 정의적 사고와 상호공생의 실천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에 따라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유아기의 숲 체험은 다양한 의미의 감각적 경험을 통하여 생명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자연

환경보존에 대한 의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유아들은 숲 체험활동 및 연계활동을 통해 생명의

소중함을 경험하게 되고 관찰을 통해 사고하고 자연과 교감하게 된다. 이러한 숲 체험활동

Page 21: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145

및 연계활동을 통해 유아는 자연을 친근하게 느끼고, 긍정적 정서를 형성하게 되었다. 처음

숲에서 만난 개미를 발로 밟거나 손으로 눌러서 죽이던 유아들이 숲을 경험하면서 개미도 하

나의 생명이라는 것을 알고 곤충의 생명에 대해 사고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고 형성을 통해

자연생명체에 대한 생명윤리 의식이 싹트게 되었다. 개미를 통하여 변화된 긍정적 의미는 생

명윤리 뿐 만 아니라 자연환경 보존 개념을 형성시켰다.

유아가 숲에서 무심히 땄던 나뭇잎을 이제는 ‘나무야 미안해, 한 개만 떼어낼게’라고 이야

기하고, 숲에서 만지거나 주운 것은 모두 자연으로 돌려주어야 한다는 자연의 소중함을 인식

하게 되었다. 숲 체험 경험을 통해 유아가 자연과 친해지는 과정 속에서 자연을 소중히 하는

마음이 형성 되었다. 그리고 자연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보존해야 한다는 것을 유아 스스로

인식하게 되었다. 유아는 자연과 친숙해지고 싶어 하였으며 자연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또래

유아에게 자연을 건드리지 말 것을 당부한다. 이러한 유아에게서 자연과 공생하는 마음이 보

였다(이정금 등, 2007). 유아는 숲 체험활동을 통해 생명 존중에 대한 의식을 형성하고 자연

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기를 수 있었다(황의명, 조형숙, 2001). 그리고 자연 생명체들을 경험

하면서 환경의 중요성을 깨닫고 환경을 보존하려는 동기를 갖게 되는 것이다(이규진, 2006).

자연환경 보존을 위해 유아들은 ‘공기가 많으니까, 숲을 지켜야 되니까’라는 표현을 통해

유아가 숲을 소중한 장소로 여기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숲에게 하고 싶은 말을 ‘행

복하게 잘 살아, 나무들 자라서 우리랑 같이 놀자, 숲아 사랑해, 쑥 쑥 자라라’라는 표현 속에

서도 숲에 대한 유아의 감정을 알 수 있다. 숲에 대해 형성된 긍정적 정서가 유아의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아직 알 수는 없지만 유아가 성장하는 과정 속에서 숲이라는 단

어를 듣고 즐겁게 기억을 회상하게 될 것이다.

숲은 유아들이 예측할 수 있는 계획된 장소가 아니고 항상 변화 되어지는 장소이므로 흥미

를 더욱 자극할 수 있다. 이러한 자극을 통해 유아는 숲에 있는 자연물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숲을 낯선 장소가 아닌 친숙한 장소로 생각할 수 있게 된다. 숲 환경에 대한 경험이 없는 유

아는 성장하면서 숲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지만 숲을 경험한 유아는 스스로 환경을 보존

하고 숲을 지켜야 한다는 의식을 가지고 성장 할 것이다. 그리고 자연과 인간은 별개의 존재

가 아니라 함께 공존하며 살아가는 아주 중요한 관계라는 것을 알게 된다. 유아가 숲의 중요

성을 인식하는 것이 지금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지 않지만, 앞으로 인간의 편리성을 위해 훼

손되는 자연을 바라보는 유아의 느낌은 숲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에 따라 많은 차이를 가지

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숲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연과 함께 공존하기 위한 숲 또는 자연교육이 유아기

에 반드시 필요하다. 처음에 숲을 낯설어 하던 유아들은 숲 체험을 통해 숲과 친근함을 형성

Page 22: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14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하고, 숲을 소중히 여기며 스스로 숲을 지켜주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유아 스스로가 숲

을 이해하고 자연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환경보존의 의미가 형성되기 때문에 유아기 숲 또는

자연교육이 중요하다. 그리고 정형화된 학습이 아닌 놀이를 통해 자연을 스스로 이해하는 것

은 유아기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유아기에 경험한 것은 유아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인격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숲이라는 장소는 인간에게 넓고 풍부한 감정을 느끼게 해주므로 숲에 갔을 때 유아가 숲을

충분히 느낄 수 있게 한다. 유아가 숲에서 느낀 감정을 오랫동안 기억하고, 기억한 감정은 유

아의 변화와 성장에 영향을 주게 된다(조규성, 2010). 유아기에 자연을 접하고 교류하며 격려

받은 경험은 자연에 대한 가치관을 형성하고 행동을 변화시킨다(홍은주, 2003). 유아기의 자

연경험은 살아있는 모든 것에 대한 경험으로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과 가치관이 형성된다

(Wilson, 1994). 숲 체험활동 및 연계활동을 통해 유아는 숲 또는 자연에 대해 긍정적 감성과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긍정적 감성은 유아가 숲에서 체험했던 다양한 감각적 경험을

통하여 변화하였다. 숲이라는 낯선 공간에 대한 두려움 보다는 호기심을 가지고 탐색하고, 유

아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었다. 유아는 자연을 맛보고, 냄새 맡고 소리를 듣고, 느끼면서

자연을 그대로를 기억하고, 오감을 통해 자연에 대한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자연은

유아에게 소리, 냄새, 질감, 촉감 등의 경험이 풍부하게 이루어지는 곳이다(홍은주, 2003). 감

각적 체험을 통해 유아는 상호의존성 및 존중감을 형성하게 되고, 이렇게 형성된 정의(情誼)

적 사고는 유아기 숲 체험활동 또는 자연 친화교육의 중요한 의의이다. 유아는 감각과 운동

적 조작을 통해 배우므로 자연은 유아에게 좋은 교육적 경험을 제공해 준다(Wilson, 1995).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유아가 자연환경 보존의 의미를 알고 자연의 소중함을 인식

하여 긍정적 정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숲 또는 자연교육이 유아기에 이루어지길 기대

한다. 숲 체험을 유아교육현장에서 적용하는데 고려해 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숲 체험활동은 숲이 인위적으로 만든 장소가 아니기 때문에 항상 예측하기에 힘들고

위험 요소가 존재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숲 체험 활동이 높은 연령의 아동을 대상으로 제한

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숲 체험활동을 진행하기 전에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미리

예상하고 대비하며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을 다양화한다면 어린 연령을 포한한 다양한 연령

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숲에 대한 관심과 유아의 발달

을 고려한 숲 체험활동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유아들이 발달을 고려

하여 활동과 탐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의 관심과 역할이 중요하다. 편안하고 친근한

분위기를 형성하고 유아의 특성과 흥미로워하는 대상에 대한 파악이 적절할 때 보다 효과적

인 숲 체험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 교사는 안내자이자 지식전달자로서의 역할까지 병행하게

Page 23: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147

되므로 숲에 대해 알고 연구하여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교사는 생

태에 관한 관심을 갖고 유아기 생태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신념이 필요하다. 또한 자기

개발을 위한 연수 참여와 자발적 학습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숲은 날씨의 변화

가 많기 때문에 미리 계획한 수업을 진행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그러한 날씨의 변화

와 빠르게 변화하는 자연에 맞는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숲 체험활동이 이루어지기 이틀

전에 그 숲에 다녀오는 것이 이상적이다. 특히, 여름의 숲은 하루가 다르게 잎들이 자라서 짙

어지고 새로운 곤충들이 나타나기 때문에 숲에 어떤 풀들이 자랐고 개울가에 물이 얼마나 많

이 흐르는지를 미리 알게 되면 계획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숲을 알고 체

험활동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 및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

구는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연구자가 근무하는 원에서 실시한 뒤뜰 연구이다. 연구자는 본

연구 이전부터 숲 체험이 긍정적 의의에 대한 기본 입장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연

구자는 활동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숲 체험이 갖는 긍정적 의미와 중요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보다 비판적 사고가 이루어지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관점에서 숲

체험활동의 실제 과정에서 보이는 다양한 비판적 시각을 포함하여 숲 체험활동이 다양한 유

아교육기관의 환경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대안적인 방향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그

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아교육기관을 연구기관으로 선정하여 문제점 및 효율적인 방안에

대해 교사, 원장, 부모들의 다양한 시각을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생태학적 자연환경이 구비되어진 산으로 가서 월 1회 이루어진 숲 체험과

이와 연계된 활동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들은 연구참여기관

처럼 대도시를 중심으로 자연친화적 환경이 아닌 제한적 환경에 처해 있다. 따라서 숲에 자주

방문하여 할 수 없는 환경적 제약이 있다. 그러한 환경적 제약이 있는 기관들을 대상으로도 적

용할 수 있는 생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다양한 사례를 소개할 필요가 있다. 즉,

이러한 다양한 유아교육기관의 환경과 생태교육의 맥락을 포함시킨 연구가 필요하겠다.

셋째, 숲 체험 및 생태교육을 운영하는 기관의 어려운 점은 유아기에 적합한 숲 체험 또는

자연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대부분의 숲 체험 및 생태교육은 아동기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유아에게 제시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많이 있다. 또한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살려 보

다 구체적이며 감각적인 방법에 의한 교수법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숲

체험 및 생태 교육적 경험이 부족한 교사들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도 다양화 되어야 할 것

이다. 유아의 일상생활에 매일 적용할 수는 없어도 일회성 및 이벤트성 활동이 아닌 장기적,

단기적 프로그램개발이 요구된다.

Page 24: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14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참고문헌

김선아(2006). 자연체험활동을 통한 주제탐구·표현학습의 의미.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선영(2004). 유아들의 숲 속 산책과 머무르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세진(2005). 흙과 하늘에 대한 자연체험활동의 교육적 의미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김송주(2007). 생태 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교사 및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

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주(2003).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체계 및 실천원리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정임(2006). 발도르프 유아교육에 대한 이해. 서울: 학지사.

박경희(2005).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언휘(2004). 산책을 통한 자연탐구활동의 경험세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진영(2002). 산책을 통한 유아의 경험세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현숙(2000). 자연과 더불어 노는 나들이: 코뿔소~나들이 가자. 서울: 또 하나의 문화.

서영민(2007). 숲 체험활동을 통한 수학적 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 문제해결력과 수학 접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은주(2009).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이규진(2006). 자연 체험 활동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명환(2003). 독일 숲 유치원의 현장상황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8(3), 71-97.

이윤정(2006). 산책 활동을 통한 자연물 관찰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인숙(2008).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

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금(2007). 유아들의 산책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금, 김영란, 강효정, 한미라, 임부연(2007). 산책활동경험이 이끌어주는 유아의 몸과 마음

의 세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51-74.

임갑빈(2006). 숲에서 여는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기초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Page 25: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149

10(1), 123-155.

임재택(2002). 생태유아교육 이론과 실제. 생태유아교육 연수 자료집. 부산: 한국생태유아교

육학회.

임재택, 김은주, 박명숙, 박채숙, 하정연, 최윤정(2001). 애들아! 산책가자. 서울: 양서원.

조규성(2009). 아이들은 숲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숲에 대한 아이들의 기억에 관한 질적 연

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규성(2010). 숲 교육 질적 연구. 파주: 이담.

최정애(2009).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

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은주(2003). 자연환경 구성활동의 교육적 의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황의명, 조형숙(2001). 탐구능력증진을 위한 유아과학교육. 서울: 정민사.

Glesne, C.(2008). 질적 연구자 되기[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안해준 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원전은 2006년에 출판)

Wilson, R. A.(1994). At the early childhood level environmental education. Day Care &

Early Education, 22(2), 23-25.

Wilson, R. A.(1995). Environ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3(2), 107-110.

Wilson, R. A., Kilmer, S., & Knauerhase, V.(1996). Developing an environmental outdoor

play space. Young Children, 51(6), 56-61.

Page 26: 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숲 체험 및 연계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 류 덕 연* ․ 성 소 영** 요 약 본 연구의

15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Abstract

The meaning of children's experiential change through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and connected activities

Rhyu, Deok Yeon ․ Sung, So-Young

This study explores changes in children's perceptions of nature following a field trip

and connected activities. The participants included 21 four-year-old children from a

daycare facility located in Daegu. The researcher interviewed the teachers involved in

the experience, and observed the trip as a participant. Data were gathered in the form

of audio, video, and photography and then analyzed qualitatively. Through this

experience, the children developed affective relationships with different natural objects

and animals; in parallel, they discovered the value of life. This sensory experience

increased their awareness, enhanced their thinking abilities, strengthened their

imagination, and fostered a realization that humankind can coexist with nature. It is

hoped that through experiences such as this children can develop an interest in forest

preser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