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1 2012-2학기 기술 전략 세미나 Research Proposal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R&D 부서 직원의 권한과 직원 보상 기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OM 석사 1학기 이수민 1. Introduction 1.1 Research Context 최근 들어 기업의 외부 환경은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 기술발달의 가속화, 제품의 수명주기의 단축 과거보다 높은 불확실성과 함께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동 R&D바탕 기업 기술협력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 (Mowery et al., 1996) 국내 제조기업들의 기술 협력의 필요성도 환경의 불확실성과 함께 증가하고 있다. 2012로벌 소재 기업 포럼에서도 국내 제조기업들의 성장 방안으로서 기업 기술 협업이 논의되었다. 또한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은 국내 제조기업들이 세계 기업들과의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서는 기업들 간의 R&D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과거에는 내부 기술 개발이 기업의 가치 있는 전략적 자산이었지만 기술의 주기가 짧아지고, 기술의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기업이 독자적으로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Chesbrough and Appleyard 2007) 그로 인하여 많은 기업들이 핵심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기업 부에서 개발하기 힘든 새로운 지식을 외부로부터 습득할 있는 협력 형태를 활용하는데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Inkpen, 1998) 기술 협력은 연구 개발에 따른 위험 비용을 분산시키고, 시장 변화의 빠른 대응을 가능하게 하며, 새로운 기술 개발 활용에 기여할 있는 중요한 단이 되었다. 이와 같이 기업 기술 협력이 증가함에 따라 학계에서도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문헌 연구에 따르면, 대다수의 연구들은 기업 기술 제휴와 기업 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어서 과거 기술 제휴 경험(Barnes et al., 2002; Sampson 2005; Hoang and Rothaermel, 2005), 기술 제휴 네트워크 (Mora et al., 2004), 파트너의 기술적 역량(Sampson 2004), 파트너와의 관계(Mora et al., 2004; Santoro and Gopalakrishnan, 2000; Davenport et al.,1999) 등과 같이 기업의 외부의 측면들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술 제휴와 성과와의 관계에 있어서 기업 내부의 요소를 살펴보는 연구들은 대부분 흡수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sjbae.pbworks.com/w/file/fetch/62094562/기술전략final proposal... ·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sjbae.pbworks.com/w/file/fetch/62094562/기술전략final proposal... ·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1

2012-2학기 기술 전략 세미나

Research Proposal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R&D 부서 직원의 권한과 직원 보상 기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OM 석사 1학기 이수민

1. Introduction

1.1 Research Context

최근 들어 기업의 외부 환경은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 기술발달의 가속화, 제품의 수명주기의

단축 등 과거보다 높은 불확실성과 함께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동 R&D에 바탕

을 둔 기업 간 기술협력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 (Mowery et al., 1996)

국내 제조기업들의 기술 협력의 필요성도 환경의 불확실성과 함께 증가하고 있다. 2012년 글

로벌 소재 기업 포럼에서도 국내 제조기업들의 성장 방안으로서 기업 간 기술 협업이 논의되었다.

또한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은 국내 제조기업들이 세계 기업들과의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서는 기업들 간의 R&D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과거에는 내부 기술 개발이 기업의 가치 있는 전략적 자산이었지만 기술의 주기가 짧아지고,

기술의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기업이 독자적으로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Chesbrough

and Appleyard 2007) 그로 인하여 많은 기업들이 핵심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기업 내

부에서 개발하기 힘든 새로운 지식을 외부로부터 습득할 수 있는 협력 형태를 활용하는데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Inkpen, 1998) 기술 협력은 연구 개발에 따른 위험 및 비용을 분산시키고,

시장 변화의 빠른 대응을 가능하게 하며, 새로운 기술 개발 및 활용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수

단이 되었다.

이와 같이 기업 간 기술 협력이 증가함에 따라 학계에서도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문헌 연구에 따르면, 대다수의 연구들은 기업 간 기술 제휴와 기업 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어서 과거 기술 제휴 경험(Barnes et al., 2002; Sampson 2005; Hoang and

Rothaermel, 2005), 기술 제휴 네트워크 (Mora et al., 2004), 파트너의 기술적 역량(Sampson 2004),

파트너와의 관계(Mora et al., 2004; Santoro and Gopalakrishnan, 2000; Davenport et al.,1999) 등과

같이 기업의 외부의 측면들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술 제휴와 성과와의 관계에 있어서 기업 내부의 요소를 살펴보는 연구들은 대부분 흡수 능

Page 2: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sjbae.pbworks.com/w/file/fetch/62094562/기술전략final proposal... ·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2

력(Absorptive Capacity)을 강조하고 있다. Cohen and Levinthal (1990)에 따르면 흡수 능력이란, 이

전의 관련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

다. 이러한 조직의 흡수 능력은 조직을 이루고 있는 구성원들의 역량에 따라 달라진다. 이에 따라

기업의 내부 요소들을 살펴보고 있지만, 이는 조직 구성원의 지식 배경(Rothwell, 1992), 교육의

정도(Rothwell, 1992) 등과 같은 조직의 인적 자원의 역량에만 한정이 되어 있다. 이 외에도 소수

의 연구들은 전략적 중요성으로 최고 경영자의 관심과 지원 (오준병, 2006)과 조직 내부에서의 목

표에 대한 명확한 합의(Barnes et al., 2002)를 기술 협력과 성과와의 관계에서 살펴보고 있다.

기술 협력으로부터 얻은 외부의 지식과 기술을 받아들이고 내재화 시키는데 있어서는 조직

내부의 여러 측면들이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만,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조직 측면들을 살펴

보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최근에 국내 유명 제조기업의 R&D 부서 직원이 기술

개발의 보상(reward)과 관련하여 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낸 경우가 있었다. 이 사례에서 볼 수 있

듯이, 보상 시스템이 조직의 기술 개발 인력에게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

구 중에는 기술 협력과 성과를 바라보는 시각에서 직원의 보상 형태는 고려하지 않았다.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업 기술 혁신의 성공이나 실패에 있어서 외부요인보다는

내부요인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Hall & Bagchi, 2002; Hoffman et al., 1998) 그럼에도 불구

하고, 기술 제휴와 기업 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 내부의 원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다양

한 연구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어 연구의 갭이 존재한다.

1.2. Research Purpose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갭을 채우고자, 기술 제휴와 기업의 성과의 관계에 있

어서 기업의 조직 내부 특성들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조직의 내부 측면 중, R&D 담당자의 책임 권한의 정도와 조직 구성원들의 보상

체계의 기준이 기술 협력의 직접적 결과인 혁신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가장 큰 목적이다. R&D 부서 직원이 가지는 책임 권한의 정도는 개인의 몰입과 관계가

있으며, 이는 조직 내부에서 직접적으로 기술 협력에 참여하는 구성원으로서 조직 내부로의 외부

기술 유입을 용이하게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직원들의 보상 형태는 직원들의 동기와 관련이 됨

에 따라, 기술 협력의 결과를 조직에 내재화 하는 데 있어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기술 협

력이 혁신 역량이라는 매개 변수를 통하여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의 차이를 비교해

보도록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것과 같은 연구적 갭을 해소하고 각 요소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증적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 문제에 답하도록 할 것이다. 관련 문헌 연구를 통해서 나온

가설들을 국내 제조기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계적 분석을 걸쳐 각 요소 간의 관계를 도출할

것이다.

Page 3: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sjbae.pbworks.com/w/file/fetch/62094562/기술전략final proposal... ·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3

2. Theoretical Foundation and Literature Review

2.1 Theoretical Foundation

본 연구에서는 자원의존이론, 거래비용이론, 네트워크 이론을 사용하여 기술 협력을 바라보고

있다. 본 파트에서는 각 이론에 대한 설명과 기술 협력과의 연결성을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각

이론들은 기업의 기술 협력 동기, 형태, 구조, 성과 등의 기술 협력 활동들에 대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2.1.1 Resource Dependency Theory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이 당면한 환경적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의사결정을 통

해 필요한 자원을 획득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론이다. (Pfeffer and Salancik, 1978) 자원의존이론

은 기업을 외부 환경에 의존하는 개방형 시스템으로 간주한다. (Pfeffer and Salancik, 1978) 자원의

존이론에 따르면, 어떤 조직이든 자기 충족적일 수 없다. (Scott, 1981) 따라서 조직은 생존을 위해

다양한 자원들을 필요로 하고, 조직 내에 필요한 자원이 없을 경우, 주위의 조직들로부터 자원들

을 끊임없이 공급 받아야 한다. (Aldrich and Pfeffer, 1976) 즉, 이 이론은 조직이 환경에 대해 능동

적으로 대처하며, 상호작용의 대상물인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통제함으로써 조직의 목표를 달

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Tremblay et al. (2003)은 자원의존이론 관점에서 경영 의사 결정은 내•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

으며 재무자원, 정보 및 조직 구성원의 스킬 등과 같은 부족한 중요 자원들을 획득해야 한다고

하였다. 자원 의존적 관점에서 제조 기업은 다른 기업들과 상호작용을 하게 되는데, 제조 기업은

필요한 기술을 스스로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을 가진 다양한 기업들과 협력을 하

게 되는 것이다.

2.1.2 Transaction Cost Theory

거래비용 이론은 특정목적 달성을 위한 기업의 대안 중 내부에서 조달하는 것보다

외부기업과의 거래비용이 낮은 경우에 외부기업과의 거래를 선택하게 된다는 주장이다.

(Williamson, 1981) 하지만 외부기업과의 거래 역시 파트너의 기회주의 행동이나 제한된 합리성

등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과 거래비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파트너간 상호의존성의 증가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파트너와의 거래를 통해 상호 의존성이 높아지면, 기회주의적인 행동과

갈등 발생 요인을 줄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Young-Ybarra and Wiersema,

1999).

거래비용적 이론은 제한된 합리성의 한계 내에서 경제적인 효율성을 확보하고 기회주의의

위협으로부터 거래의 안정성을 얻기 위하여 라이센스, 공동연구, 조인트벤처와 같은 기업간 기술

협력이 이루어진다고 보고 있다. 많은 성공적인 기업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기업간의 관계를

통해 효율적인 경영을 해나가고 있고, 외부기업과의 협력관계가 소규모 기업에 필요한 자원과

Page 4: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sjbae.pbworks.com/w/file/fetch/62094562/기술전략final proposal... ·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4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기업성장의 기반이 되고 있다. 즉, 이들 기업의 탄생과 성장은 위계 제에

의한 통합(integration)보다는 협력을 통한 준통합(quasi-integration)에 지속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Williamson, 1981)

2.1.3 Network Theory

네트워크 이론은 최근의 급변하는 경영환경과 경쟁우위를 창출하고 유지하는 데 있어서 기업

들은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것 보다 다른 기업들과의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그 네트워크

의 구성원이 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Hagedoorn et al., 2006) 효율적 네트

워크의 구축은 시장거래에서 발생하게 되는 거래비용을 감소시켜 줄 뿐만 아니라, 업무를 내부화

하였을 때 발생하는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이 된다.

가격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시장이나 관리∙감독을 기반으로 하는 위계와는 달리 네트워

크는 상호작용을 통한 조정, 그리고 신뢰에 기반한 협력관계에 초점을 둔다. 특히, 암묵적 성격이

강한 기술을 둘러싼 협력관계를 이해할 때, 네트워크의 특징인 상호작용과 신뢰는 협력에서 발생

하는 의사소통 과정을 이해하는 좋은 시각을 제공한다. 또한 외부 네트워크는 혁신에 기초가 되

는 아이디어와 정보의 획득 및 연계∙협력과 관련되어 있다. 기업 간 네트워크는 고기술(high-tech)

과 저기술(low-tech) 산업에 관계없이 모든 유형의 기술혁신 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

어 혁신활동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확인해 준다. (Souitaris, 2002)

기본적으로 기술혁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기업간 경쟁과 협력이 모두 필요하지만, 현대의 경

제 및 기술구조 하에서는 경쟁보다는 기업간 네트워크 혹은 협력이 중요하게 되었다. (Sung and

Carlsson, 2003) 따라서 다른 조직과의 기술 협력관계를 맺은 기업들이 혁신에 있어서 더 높은 성

과를 달성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2.2 Literature Review

2.2.1. R&D Alliance

전략적 제휴란 둘 이상의 기업이 자사 특유의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하여 경영자원을 공유하

거나 협력관계를 유지함으로써 다른 경쟁 기업에 비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자 하는 경영 전략

을 말한다. (Gulati, 1998) 1990년 대 후반에 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전략적 제휴의 목적은 크

게 신기술 개발 및 신 사업 기회 포착,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대 및 시장지위 유지, 정보기술 인프

라 기반 확보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박문수, 1999) 본 연구에서 보고자 하는 기술협력은 기업

의 전략적 제휴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기업이 기술지식의 창출, 획득, 교류 및 활용을 위한 단순

시장 거래 이상의 특수 관계를 의미한다. (Kline and Rosenberg, 1986) 1960-80년대에 존재하는

이론들은, 기업들 간의 R&D 협력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의

관점들은 기술 협력과 같은 복잡한 현상들을 이해하기 위하여 진화되어 왔다. (Hagedoorn and

Page 5: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sjbae.pbworks.com/w/file/fetch/62094562/기술전략final proposal... ·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5

Osborn, 2002) 그러나 문헌에 따르면 1970년대 초반부터 컴퓨터 산업에서는 기업 간 기술 협력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였고(Cloodt et al., 2006), 기술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전 세계적으로

경쟁이 심화되는 등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는 현대의 경제 및 기술환경에서는 기업 간의 협력이

중요하게 되었다. (Rosegger, 1996; Archibugi et al., 1999) 기술 협력이란 둘 이상의 기업들이

공동의 자원과 지식을 바탕으로 특정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Hagedoorn et al., 2006)

Yoshino and Rangan (1995)의 연구에 따르면, 기술 협력의 형태는 크게 – Technology license,

Joint R&D, Sourcing agreement, and Joint venture- 4가지로 분류 될 수 있다. 각 형태들은 기술

개발에 공동으로 참여한다는 공통점은 있으나, 차이를 지니고 있다.

첫 번째로, technology license란 한 기업이 파트너 기업의 소유 기술을 자신의 이익을

창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권리를 받도록 협의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권리에 대한 상대

기업의 보상은 일시 지불, 추가적 로열티 지급 혹은 상호 합의된 다른 형태의 가치로 이루어져

있다.

두 번째로, joint R&D는 둘 이상의 기업들이 상호의 목표와 계획 하에 특정 기술이나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맺은 협의를 의미한다. 기술 지향의 회사들은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공동의 R&D

노력에 수용적인데, 이는 다른 파트너들에게 비용과 위험을 분산시키면서 공동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목표가 있기 때문이다. (Harold et al., 2002)

세 번째로, sourcing agreement란 한 기업이 파트너에게 제품의 제조를 위탁하고, 파트너는

그 기업에게 완성품 혹은 준 완성품을 제공하는 형태의 협력을 의미한다. (Yasuda, 2004)

마지막으로 joint venture는 법적인 독립체로 둘 이상의 기업들이 동등한 소유권을 가진

형태를 의미한다. 기업들은 Joint venture를 통해서 합의된 목표 하에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하여

이익을 얻는다.

2.2.2. Innovation Capability

혁신은 조직의 수명을 결정하는 요소이지만 (Wind and Mahajan, 1997), 혁신의 과정은 고객

취향의 변화, 경쟁자의 압력, 빠르고 급변하는 기술적 변화 등으로 인하여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고, 위험을 수반한다. (Griffin, 1997) 또한, 글로벌 경쟁강도가 증가하고, 기업의 제품 수명

주기는 점점 짧아질 뿐만 아니라 경쟁사의 모방 용이성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적 환경 속에서 기업은 기술, 제품, 서비스, 디자인, 품질을 강화시키기 위해

혁신을 추구하게 된다. Drucker(1954)는 조직에 있어서 혁신 역량의 중요성을 주장한 최초의

학자들 중 하나이다. 혁신 역량에 대해서는 다양한 정의가 존재한다. Burn and Stalker (1961)에

따르면, 혁신 역량은 새로운 기술, 프로세스, 제품 등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고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혁신역량은 기업의 기술, 제품, 프로세스, 지식, 경험 및 조직을 포함한 특정자산

또는 역량으로 지칭되며, 기업의 기술혁신전략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포괄적 기업 특성구성이다.

(Guan and Ma, 2003) 또한 회사와 회사의 이해관계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지식, 프로세스,

시스템을 끊임없이 변형시킬 수 있는 능력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Lawson and Samson 2001)

협력을 통하여 지식과 기술을 얻는 것은 성공적인 혁신을 위해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여겨지고, (Adams et al., 1998) 이러한 견해는 최근 다양한 연구들에 의해서 뒷받침 되고 있다.

(Moorman and Rust, 1999; Madhavan and Grover, 1998; Li and Calantone, 1998; Hurley and Hult,

Page 6: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sjbae.pbworks.com/w/file/fetch/62094562/기술전략final proposal... ·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6

1998) 혁신 측정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혁신역량과 경쟁우위의 정량적 관계 분석한 Guan et

al.(2006)의 연구에서는 혁신역량이 기업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 역량에는 기술 혁신 역량, 프로세스 혁신 역량 외에 다양한 차원들이 존재하는데, Yam

et al.(2004)은 혁신역량의 차원을 연구개발역량, 자원배분역량, 생산역량, 마케팅역량, 전략

계획역량, 학습역량, 조직역량의 일곱 가지를 제시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Guan et al.(2006)은

혁신역량을 연구개발역량, 생산역량, 마케팅역량, 자원개발역량, 조직역량, 전략역량으로

구분하였고 Wang et al.(2008)은 혁신역량과 혁신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역량,

혁신적 의사결정역량, 마케팅역량, 생산역량, 자금역량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전의 전통적

선행연구가 기술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직접적인 기술개발요소 만을 고려하는데 반하여,

위와 같은 혁신 역량의 분류체계는 정량적 기준과 정성적 기준에 기반하고 있어 기업의 직접적

기술 혁신 활동뿐만 아니라, 이를 지원하고 촉진하는 다양한 간접적인 경영활동들을 광범위하게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헌 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혁신 역량을 기술 협력으로 얻은

새로운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제품이나 프로세스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도록 할

것이다.

2.2.3. Firm Performance

일반적으로 기업의 성과를 측정하는 데에는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로 나뉘어 진다.

재무적 성과란 기업의 사업 활동의 금전적인 결과로서 ROA, ROI, ROS, 수익률로 측정을 할 수

있다. (Gonzales-Benito, 2005) 재무적 성과는 측정 목적에 따라 매출액, 이익, 주가, 이익률 등의

다양한 정량적 변수들이 사용된다. 비재무적 성과란 생산과 운영 시스템의 효과성을 의미하며,

제품 및 서비스 품질 향상, 고객과의 관계 개선, 기업 이미지, 업무 효율 향상, 경쟁력 향상 등의

정성적 변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Jaworski and Kohli, 1993)

하지만 기술 협력의 가장 중요한 목적 중 하나가 파트너 기업으로부터 경영 노하우나 기술

노하우를 학습하는 것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면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와 함께 파트너 기업간

학습과 같은 정성적 성과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조직이 협력적 상호작용을 통해

우수한 원재료 및 부품 소재의 공급 원천을 갖게 되면 조직 상호간의 협력은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Ring & Van de Van, 1994)

이러한 문헌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업 성과를 기업의 전사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술 협력과 혁신 역량을 기업의 경영활동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실현되는 사업적 및 상업적

결과로 정의하도록 할 것이다.

2.2.4. Empowerment of R&D Employee

직원의 책임 권한(empowerment)은 조직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하여 회사에 의해 사용되는

경영 기법 중 하나이다. (Conger and Kanungo, 1988) 책임 권한은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

다. 예를 들어, Hollander and Offermann (1990) 는 책임 권한을 권력을 나누는 것으로 보았고,

Keller and Dansereau (1995)는 개인적인 관점에서 책임 권한을 바라보아 통제에 대한 개인의 인

Page 7: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sjbae.pbworks.com/w/file/fetch/62094562/기술전략final proposal... ·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7

식을 증가시키는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Conger and Kanungo (1988)는 책임권한을 개인의

자기 효능감을 강화시키는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의 대다수는 의사 결정, 업무에 대

한 통제, 정보나 자원에 대한 접근성이 강화되는 행동적 요소에 집중해왔다.

최근의 연구 시각은 책임 권한을 인지적 측면에서 바라보는 흐름으로 변화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자들은 실증적으로 책임 권한을 유효한 (Spreitzer, 1995) 개인적 인지의 4가지 측면으로

정의하고 있다. 인지적 측면에서 책임 권한은 업무에 대한 개인의 해석, 판단,

능숙함(competence), 영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4가지 측면은 다 함께 개인의

사전적인(proactive) 사고 방식을 묘사한다. (Spreitzer, 1996) 비록 연구자들이 책임 권한에 대하여

다른 정의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책임권한에 대한 행동적, 인지적 접근은 연구자들로 하여금

보다 정확하게 책임자와 직원의 책임 권한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문헌 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책임 권한을 기업의 CEO나 R&D부서

책임자의 많은 통제 없이, R&D 부서의 직원들이 스스로 업무나 문제를 결정할 수 있는 지휘권을

가지는 경영 방법으로 정의할 것이다.

2.2.5. Standard of Reward

많은 문헌 연구에 따르면 직원들의 동기를 불러 일으키는 방법으로 보상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Kovach (1995)의 실증적 연구에 따르면, 조직에서 구성원들의 동기를 불러일으

키는 요소 중 가장 중요한 요소가 금전적 보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tonich (1984)는 그의

연구에서, 기업이 전략을 실행함에 있어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조직 구조, 인적 자원, 관리 프로세

스, 문화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고 밝혔고, 관리 프로세스에서 주요한 요소는 보상 시스템 이다.

보상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보상의 예로는 월급, 보너스, 이익 패키지(benefit

package), 보험, 연금, 주식, 특전 등이 있다. (Stonich, 1984)

조직이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보상을 제공하는 데에는 그 기준 역시 다양하다. Katz(1964),

Slavin (1977), Johnson and Johnson (1974)의 연구에 따르면 보상의 기준에는 협동적(cooperative)

보상과 개인적(individual) 보상이 있다. 협동적 보상 구조는 전체 그룹의 성과에 따라서 조직 구

성원들에게 동등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개인적 보상 구조는 각 개인의 성과에

따라 구성원에게 각각 다른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Kerr and Slocum (1987)의 연구에 따르

면, 보상의 기준은 hierarchy-based system과 performance-based system이 있다. Hierarchy-based

system 이란, 감독자가 부하 직원들의 성과를 정의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양적인 평가뿐만 아니라

질적인 평가도 더해진다. 그렇기 때문에 평가의 기준은 감독자에 따라 달라지며, 때로는 양적인

평가보다 감독자의 평가가 더 중요하게 여겨지기도 한다. 이와는 달리, Performance-based system

은 직원들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정의, 평가하고, 성과와 보상을 명확하게 연결 시킨다.

이 외에도 다양한 기준들이 존재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Katz(1964), Slavin (1977), Johnson

and Johnson (1978)이 제안한 협동적 보상과 개인적 보상을 직원 보상의 기준으로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Page 8: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sjbae.pbworks.com/w/file/fetch/62094562/기술전략final proposal... ·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8

2.3 Operational Definition

위에서 살펴본 문헌 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고, 측정의 바탕이 될

조작적 정의를 내리도록 할 것이다. 각 요소의 개념들은 다음과 같다.

구분 정의 출처

R&D

Alliance

기술 협력이란 둘 이상의 기업들이 공동의 자원과 지식을 바

탕으로 특정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의미

Hagedoorn et al.,

(2006)

Innovation

Capability

기술 협력으로 얻은 새로운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제품이나

프로세스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

Adapted from

Burn and Stalker

(1961)

Firm

Performance

기업의 전사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술 협력과 혁신 역량

을 기업의 경영활동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실현되는 사업적 및

상업적 결과

Adapted from

Gonzales-Benito,

(2005)

Jaworski and Kohli,

(1993)

Empowerment

of R&D

employee

기업의 CEO나 R&D부서 책임자의 많은 통제 없이, R&D 부서

직원들이 스스로 업무나 문제를 결정할 수 있는 지휘권을 가

지는 권한의 정도

Adapted from

Keller and

Dansereau (1995)

Standard of

Reward

기술 협력을 진행하는 기업의 구성원들에 대한 보상이며, 보

상의 기준은 협동적 보상 구조와 개인적 보상 구조로 분류

- 협동적 보상 구조는 전체 그룹의 성과에 따라서 조직 구성

원들에게 동등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

- 반면, 개인적 보상 구조는 각 개인의 성과에 따라 구성원에

게 각각 다른 보상을 제공.

Katz(1964),

Slavin (1977),

Johnson and

Johnson (1974)

3.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3.1. Overview of the Research Model

Page 9: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sjbae.pbworks.com/w/file/fetch/62094562/기술전략final proposal... ·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9

본 연구에서 보려고 하는 연구 모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 모형에서는 1) 기술 협력이 혁신

역량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서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2) 기술 협력이 직접적으로 기업

의 성과를 미치는지 3) R&D 부서 책임자의 권한 정도가 기술 협력과 그 성과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4) 직원들 보상의 기준이 기술 협력과 그 성과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3.1.2 Hypotheses Development

3.1.2.1 R&D Alliance and Innovation Capability

이론적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보면 기업은 외부와의 기술협력을 통해 혁신 성과를 높일 수

있다. 외부의 기술협력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기술혁신에 수반되는 위험과 비용을 분담하고,

기업의 취약한 기술 수준을 보완할 수 있으므로 기술협력 활동은 기술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Hagedoorn, 1993) 국내 연구에서도 기업의 외부 기술협력은 기술혁신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상문, 이병헌, 김영근, 2008) 또한

Ahuja(2000)는 혁신에서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는데, 이들은 외부 기관과의 기술협력이

참가 기업들의 자원 기반을 넓혀주고, 혁신 성과를 향상시켜 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불어서

기술 동향 정보나 신기술의 등장, 기술 개발 성공과 실패 사례 등의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줌으로써 연구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감소시켜준다고 주장하였다. Rogers

(2004)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제조기업들에 대한 실증적 연구에서 다른 기업들과의 네트워크에

기반한 기술 개발과 기술 혁신 간의 정의 관계를 발견하였다. 또한, 영국의 576개 제조기업을

Page 10: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sjbae.pbworks.com/w/file/fetch/62094562/기술전략final proposal... ·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10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Love and Roper (1999)는 기술 협력의 네트워크가 강할수록 기술혁신의

건수와 정의 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H1. 기업의 기술 전략으로서 기술 협력은 기업의 혁신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3.1.2.2. Innovation Capability and Firm Performance

혁신 능력이 기업의 생존, 성장, 수익을 얻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Jenssen and

Randoy, 2006) 특히, 역동적인 환경(고객, 규제)에서 새로운 자원과 루틴을 만들 수 있는 혁신역량

을 가진 기업은 기업 성과를 증가시킨다. (Jansen et al., 2006 ; McGrath et al. 1996) 제품/기술 혁

신역량은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을 실현하여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

친다. (Hirsch and Bijaoui, 1985) Yam et al. (2004)는 혁신역량을 7가지로 제시하고 이러한 혁신역

량과 기업의 재무적 성과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 R&D 혁신역량이 가장 중요한 역량임을

보였다. 제조 기업의 혁신 능력과 높은 기술의 발전은 고객의 만족을 증가시키고(White, 1996;

Anderson et al., 1994) 고객의 증가된 만족은 재구매 의도와 구전의도로 연결되어 기업성과를 향

상 시킨다. (Dabholkar, et al., 2000)

H2. 기업의 혁신 역량은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3.1.2.3. R&D Alliance and Firm Performance

Cincera et al. (2004)의 연구에 따르면 기술 협력이 기업의 혁신적 제품 판매에 따른 판매

이익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킨다고 한다. 이 외에도 많은 실증적 연구들이 R&D 협력과 기업 성과

간의 긍정적인 관계가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Klomp and van Leeuwen, 2001; Janz et al., 2003;

Criscuolo and Haskel, 2003; Faems et al., 2004). 신제품 공동 개발을 위한 기술 협력은 양 조직

간의 핵심지식 공유, 신제품 개발 기간의 단축, 원가 절감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선배, 1997) Han and Wilson (1993)의 연구에서도 기업 간 장기 협력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제품의 품질 향상과 지속적인 원가 절감의 성과가 나타났다. 이 같은 문헌의 결과는

거래비용이론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정당화될 수 있는데, 기업이 기술 협력에 참여하게 되면,

기술 개발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의 재무적 성과가 올라갈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H3. 기업의 기술 협력은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3.1.2.4. Moderator: Empowerment of R&D Employee

몇몇 연구들은 직원들의 책임 권한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Spreitzer (1995), Kirkman and Rosen (1999), Ozaralli (2003)의 연구에 따르면, 직원의 책임 권한과

조직의 효과성, 성과와는 정의 관계가 있음이 실증적으로 밝혀졌다. 권한의 4가지 측면 중

Page 11: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sjbae.pbworks.com/w/file/fetch/62094562/기술전략final proposal... ·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11

능숙함(competence) 측면과 관련하여서, 자아 효능감은 개인의 업무 성과에 강력한 직접적

영향이 있다. (Locke, 1991) 즉, 낮은 자아 효능감은 개인이 업무를 피하게 만들고, 그에 따라 낮은

성과를 초래한다고 볼 수 있다. (Bandura, 1977) 영향과 관련해서, 업무 만족의 중요한 전제

조건은 업무가 개인에게 의미 있는 정도이다. (Hackman and Oldham, 1980) 개인 결정 측면과

관련해서, Spector (1986)는 그의 연구에서 자아 결정과 업무 성과 사이에는 강한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직원의 책임 권한은 개인의 믿음, 충성심, 인지와 같은 조직에 대한 몰입과도 관계가

있다. (Meyer & Allen, 1984) 책임 권한은 교환의 과정을 통해 직원의 조직에 대한 몰입에

기여한다. Steers and Porter (1997)은 직원의 조직 몰입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성과가 높아질

가능성이 많다고 하였으며, Siders et al. (2001)는 그들의 연구에서, 조직원들의 조직에 대한 높은

몰입은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조직몰입의 정의에 의하면, 조직 몰입이

높은 종업원은 조직이 높은 성과를 올리는 것을 돕기 위하여 내적인 동기유발이 되어 직무상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따라서 조직 몰입은 직무상의 노력과 직무성과와 정의 관계에 있다고 예측된다. (Mowdayet,

1982) 이러한 개인적인 업무의 성과 증대는 조직 전체에도 긍정적 영향을 가져오며, 기술 협력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R&D 부서 직원들의 높은 책임 권한과 업무의 몰입은, 외부 기술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 또한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증대된 외부 지식 흡수 능력은 기업이 기술

협력을 통해 혁신 역량을 획득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만들 것이다.

H4. R&D 부서 직원의 책임 권한의 정도는 기술 협력과 혁신 역량 획득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3.1.2.5. Moderator: Standard of Reward

보상 시스템은 조직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구성원들의 행동과 노력을 이끌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Gomez-Mejia & Balkin, 1987) 또한 보상 시스템은 조직 전략의

실행과 경쟁 우위 획득에 중요한 기여를 하기도 한다. (Yanadori and Marler, 2006)

임금체계로서 업적 중심 보상은 개인성과 기준과 집단성과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양동훈

2005). 최근 연구의 대부분이 개인성과에 기초한 보상시스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보다 나은

성과를 달성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많은 급여를 받아야 한다는 성과주의 철학'에 기초

(Ashford and Cummings 1983, Milkovich and Newman, 1996) 하여 개인의 성과에 따른 차별적

보상 제공을 하고 있다.

개인성과에 기초한 성과주의 보상시스템은 궁극적으로 구성원의 직무수행 노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자신 보다 더 많은 보상을 받는 타인과 투입 대비 산출의 비율을 맞추기

위해서 직무수행의 적극성을 보이게 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Atkinson, 1974) 개인성과에

기초한 보상은 조직 구성원들의 업무 동기를 높이고, 높아진 동기는 기업의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ubbs 1986; Dore 1973) 조직 구성원들의 높아진 동기는 기업이 외부의 지식이나

기술을 받아들이는 데에도 더욱 적극적인 참여를 보일 것이며, 이는 흡수 능력(Absorptive

capacity)를 높여 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즉, 보상 방법은 조직 구성원들의 업무 동기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업무 동기는 새로운

Page 12: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sjbae.pbworks.com/w/file/fetch/62094562/기술전략final proposal... ·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12

기술이나 지식의 내재화를 촉진시킬 것이며 이러한 외부 지식과 기술의 내재화는 기업의 혁신

역량에도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H5. 조직 구성원들의 보상 방법의 기준은 기술 협력과 혁신 역량 획득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3.1.3 Control Variables

본 연구에서는 기술 협력의 형태(Technology license, Joint R&D, Sourcing agreement, and

Joint venture), 기업 규모(대기업, 중소기업), 기업의 연도(age)에 대한 세부 변수들은 고려하지 않

을 것이다. 다른 변수들의 영향 없이 독립변수와 종속 변수의 명확한 인과 관계를 설명하고, 연구

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 기술 협력의 형태, 기업의 규모, 기업의 연도와 같은 변수들을 통제

한다.

4. Research Design

4.1 Data Collection

데이터 샘플은 매일 경제 신문에 제시된 중소기업과 대기업 중, KOSPI에 상장된 제조기업에

기준을 두었다. 제조기업들은 산업 분류 기준에 따라 전기기계/기구, 섬유/직물/의류, 제지/펄프,

자동차/자동차 부품, 금속소재, 고무/플라스틱, 전자/통신장비, 제약/의료, 목재/가구, 건축/자재,

음/식료품, 조선/기계/장비, 철강/비철금속, 조립금속제품, 장난감, 출판/인쇄, 기타로 세부적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KOSPI에 상장된 기업 리스트 중, 일차로 R&D부서를 포함하고 있는 기업으로 샘플 집단을

구성하였다. 그 다음에 보다 정확한 결과를 위해 R&D 부서를 포함하고 있는 기업 중 외부

기업과의 기술 협력 경험이 있는 기업들로 샘플 집단을 한정한다.

분석 단위는 개별 기업이고, 설문 대상은 각 기업의 과장급 이상 관리자로 한정할 것이다.

이는 기술 협력과 성과, 성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판단하기 적합한 정도의 지식과 경험이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또한 설문지의 응답률을 높이기 위해 Dillman(2007)의 total design

method를 준용하여 전화와 이메일을 번갈아 사용하도록 할 것이다.

4.2. Measurement of Model Constructs

측정 기준은 기존의 관련 문헌 연구들에서 차용 하였고, 각 개념에 대한 측정 기준들은 아래

의 표에서 보는 것과 같다.

측정 기준을 바탕으로 앞으로 측정 항목들은 개발해 나가도록 할 것이다. 측정 항목은 Likert

Page 13: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sjbae.pbworks.com/w/file/fetch/62094562/기술전략final proposal... ·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13

7점 척도를 이용하여서 개발할 계획이고, 보다 나은 측정 항목을 개발하기 위해 Churchill(1978)의

단계적 척도 개발 모형을 준용하여 실무자 인터뷰와 신뢰도, 타당도, EFA와 같은 통계적 분석을

통한 반복적인 정성적, 정량적 테스트를 실시할 것 이다. 이 결과에 따라서 설문 문항들을 계속적

으로 수정하고 최종적으로 확정시킬 계획이다.

구분 측정 기준 출처

R&D

Alliance

- 조직 외부의 기업/기관/학교와 협력하여 기술이나 제품을

개발한 경험의 유무

Barkma et al.

(1997)

Innovation

Capability

- 새로운 기술의 개발 정도(Frequency)

- 특허의 수

- 생산 공정의 개선

- 신 사업 진출효과

Hagedoorn and

Schakenraad

(1994)

Subramanian

(1999)

Firm

Performance

- ROA

- ROS

- ROI

- 기업 경쟁력 강화

Gonzales-Benito,

(2005)

Jaworski and

Kohli, (1993)

Empowerment

of R&D

employee

- 업무에 대한 책임감

- 업무에 대한 자율성

- 업무에 대한 영향력

- 업무에 대한 능숙함

Spreitzer (1995)

Herrenkohl et al.

(1999)

Standard of

Reward

- 성과 중심 보상

- 보상 차등화: 개인, 집단

- 평가 기준의 차별화

- 성과 평가-보상 연계성

Katz(1964)

Johnson and

Johnson (1978)

Page 14: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sjbae.pbworks.com/w/file/fetch/62094562/기술전략final proposal... ·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14

References Ahuja, G. (2000), The duality of collaboration: inducements and opportunities in the formation of

interfirm linkag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1(3), pp. 317–343

Aldrich H.E., Pfeffer J. (1976) Environments of Organizations, Annual Review of Sociology 2, pp.

79-105

Archibugi D., Howells J., Michie J.(1999), Innovation Systems in a Global Economy,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11(4), pp. 527-539

Barnes, T., I. Pashby, et al. (2002), Effective university-industry interaction: A multi-case evaluation

of collaborative R&D projects, European Management Journal, 20(3), pp.272-285

Burns, T.E., Stalker G.M.,(1961), The Management of Innov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Champaign’s Academy for Entreprenurial Leadership Historical Research Reference in

Entrepreneurship

Cavusgil S.T., Calantone R.J, Zhao Y., (2003) Tacit knowledge transfer and firm innovation capability,

Journal of Business & Industrial Marketing, 18(1) , pp.6 - 21

Chesbrough, H., Appleyard, M.M. (2007), “Open Innovation and Strategy ”,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50(1), pp. 57-76

Cincera, M., Kempen, L., van Pottelsberghe, B., Veugelers, R., Villegas Sanchez, C., (2004),

Productivity growth, R&D and the role of international collaborative agreements: some

evidence for Belgian manufacturing companies. Brussels Economic Review 46(3)

Cloodt M., Hagedoorn J., Roijakkers N., (2006), Trends and Patterns in Interfirm R&D Networks in

the Global Computer Industry: An Analysis of Major Developments, 1970-1999,

Business History Review, 80, pp. 725-746

Cohen, W., Levinthal, D. (1990),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5, pp.128–152

Conger, J. A., Kanungo, R. N. (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 pp. 471-482

Criscuolo, C., Haskel, J., (2003), Innovation and productivity growth in the UK: evidence from CIS2

and CIS3.Working Paper. Centre for Research into Business Activity.

Davenport, S., J. Davies, and C. Grimes (1999),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mes: building trust

from difference, Technovation, 19(1), pp. 31-40

Dillman D.A (2007), Mail and Internet Surveys: The Tailored Design Method, John Wiley &Sons,

INC. 2ed.

Faems, D., Van Looy, B., Debackere, K., (2004), The role of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within

innovation strategies: towards a portfolio approach,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Guan, J., R. Yam, C. K. Mok and N. Ma (2006),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based on DEA models, European Journal of

Page 15: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sjbae.pbworks.com/w/file/fetch/62094562/기술전략final proposal... ·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15

Operational Research, 170(2006), pp. 971-986

Gulati, R., (1998). Alliance and Network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9, pp.293–317

Hagedoorn, J. (1993), Understanding the rational of Strategic Technology Partnering: Inter-

organizational Modes of Cooperation and Sectoral Differenc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4, pp. 371-385

Hagedoorn, J., Osborn R.N., (2002), Inter-firm R&D Partnerships: an Overview of Major Trends and

Patterns Since 1960, Research Policy, 31(4), pp. 472-492

Hagedoorn, J., Roijakkers, N. and Van Kranenburg, H. (2006), Inter-Firm R&D Networks: the

Importance of Strategic Network Capabilities for High-Tech Partnership Formation.

British Journal of Management, 17, pp. 39–53.

Hall L.A., Bagchi S. (2002), A Study of R&D, Innov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he Canadian

Biotechnology Industry, Technovation, 22(4), pp. 231-244

Han S.L., Wilson D. (1993), Buyer-Supplier Relationship Today,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pp.22-32

Harold, Z., Donald, D., Hempel, J., Srinivasan, N., (2002), A model of value assessment in

collaborative R&D programs.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1, pp. 653–664

Henry W. Chesbrough, Melissa M. Appleyard,(2007) Open Innovation and Strategy,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50(1), pp.57-76

Herrenkohl R.C., Judson G.T., Heffner J.A., (1999), Defining and Measuring Employee

Empowerment,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35, pp. 373-389

Hirsch S., Bijaoui I., (1985), R&D Intensity and Export Performance: a micro view, Review of World

of Economics,121(2), pp.238-251

Hoang H., Rothaermel F.T., (2005), The Effect Of General and Partner-specific Alliance Experience

on Joint R&D Project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48(2), pp. 332-345

Hollander, E.,Offermann, L. (1990) Power and leadership in organizations: Relationships in

transition. American Psychologist, 45, pp. 179-189.

Inkpen, A. C.,(1998), Learning and Knowledge Acquisition through International Strategic Alliances,

The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12(4),pp.69-80,1998

Janz, N.,Loof, H., Peters, B., (2003), Firm level innovation and productivity– is there a common story

across countries, ZEW Working Paper dp0326

Jenssen J.I., Randoy T., (2006) The performance effect of innovation in shipping companies.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 33(4), pp. 327-343

Johnson, D. W., Johnson, R., ,Scott, L. (1978) The effects of cooperative and individualistic

instruction on student attitudes and achievement.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978, 104,

pp.207-216.

Katz D., (1964), The Motivational Basis of Organizational Behavior, Systems Research, 9(2) pp. 131-146

Page 16: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sjbae.pbworks.com/w/file/fetch/62094562/기술전략final proposal... ·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16

Keller, T., Dansereau, F. (1995). Leadership and empowerment: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Human Relations, 48, pp. 127-145

Kerr J., Slocum J.W., (1987), Managing Corporate Culture through Reward Systems, The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1(2), pp. 99-107

Klein S. J., Rosenberg N., (1986), An overview of Innovation, The Positive Sum Strategy: Harnessing

Technology for Economic Growth, National Academy Press, pp.275-305

Klomp, L., van Leeuwen, G., (2001), Linking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a new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Economics of Business, 8(3), pp. 343–364

Kovach, K. A. (1995), Employee motivation: Addressing a crucial factor in your organization's

performance. Employment. Relations Today, 22(2), pp. 93–107

Lawson B., Samson D.,(2001), Developing Innovation Capability in Organizations: A Dynamic

Capabilities approach, 5(3), pp. 377-400

Love, J. and S. Roper (1999), The Determinants of Innovation: R&D, Technology Transfer and

Networking Effects, Review of Industrial Organization, 15, pp. 43-64

Mora-Valentin, E., A. Montoro-Sanchez and L. Guerras-Martin (2004), Determining factors

in the success of R&D cooperative agreements between firms and research organizations,

Research Policy, 33(1), pp. 17-40

Mowery DC, Oxley JE, Silverman BS., (1996) Strategic alliances and inter-firm knowledge transfer,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7, pp.77–91.

Pfeffer, J., & Salancik, G. R. (1978) The external control of organizations: A resource dependence

perspective. New York: Harper & Row

Powell, W. W.(1990), Neither Market Nor Hierarchy: Network Forms of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2

Ring P.S., Van de Ven A.H., (1994), Developmental Processes of Cooperative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1), pp.90-118

Rogers M. (2004), Networks, Firm Size and Innovation, Small Business Economics, 22, pp. 141-153

Rosegger, G. (1996), Firm’s Information Sources and Technology Life Cycle,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net, 12(5), pp. 704-716

Rothwell, R. (1992), Successful industrial innovation: Critical factors for the 1990s, R&D

Management, 22, pp. 221–239

Santoro, M. D. and A. K. Chakrabarti (2002), Firm size and technology centrality in industry-

university interactions , Research Policy, 31(7), pp. 1163-1180.

Scott, W.R. (1981) Organizations: Rational, natural, and open system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Siders M.A., George G., Dharwadkar R., (2001), The Relationship of Internal and External

Commitment Foci to Objective Job Performance measur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3), pp. 570-579

Page 17: 제조기업의 기술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sjbae.pbworks.com/w/file/fetch/62094562/기술전략final proposal... · 기술협력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17

Souitaris, V.(2002), Technological Trajectories as Moderators of Firm-level Determinants of

innovation, Research Policy, 31, pp.877-898.

Spreitzer, G. M. (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pp. 1442-1465

Spreitzer, G. M. (1996). So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 pp. 483-504.

Steers, Porter(1997),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nel factors i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sim's Contemporary Problems in Personnel, rev.ed.

ByW.C.HamnerandF.L.Schmidt, Chicago.St.Clairpress, pp.369-370

Stonich P.J., (1984), The Performance Measurement and Reward System: Critical to Strategic

Management, Organizational Dynamics, 12(3), pp. 45-57

Sung, T. K., Carlsson, B.(2003), The Evolution of a Technological System:The Case of CNC

Machine Tools in Korea. Journal of Evolutionary Economics, 13(4), pp.435-460.

Tremblay, M., Côté, J. and Balkin, D. B. (2003), Explaining Sales Pay Strategy Using Agency,

Transaction Cost and Resource Dependence Theorie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0, pp.1651–1682

Wang, C., I. Lu and C. Chen (2008), Evaluating firm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under

uncertainty, Technovation, 28, pp. 349-363.

Williamson O.E., (1981), The Economics of Organization: The Transaction Cost Approach,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7(3), pp.548-577

Yasuda H., (2004), Formation of strategic alliances in high-technology industries: comparative study

of the resource-based theory and the transaction-cost theory, Technovation, 25(7), pp.

763-770

Yoshino, M.Y., Rangan, U.S., (1995), Strategic alliances: an entrepreneurial approach to globalizati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Young-Ybarra C., Wiersema M., (1999), Strategic Flexibility in Information Technology Alliances:

The Influence of Transaction Cost Economics and Social Exchange Theory, Organization

Science, 10(4), pp.439-459

김광수, 최상학 (2011), 혁신 활동 별 성과 인식의 기대 차이에 대한 연구, 한국품질경영학회, 39(1), pp. 109-

119

김선배 (1997), 기업 간 네트워크와 산업 집적지의 성장 특성: 한국 컴퓨터 산업을 사례로, 한국지역학회,

13(2), pp. 309-324

김영근, 이병헌, 박상문, (2008), 중소기업의 사업영역과 기술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경영경제학회, 16(1), pp. 23-46

오준병, (2006), 정부지원 공동 연구 개발사업에 대한 실증연구-공통 핵심 기반 기술 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산업조직연구, 14(3), pp. 111-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