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중세 문학의 특징 중세 문학은 동아시아의 공동 문어(共同文語)인 한문이 유입되면서 시작되었다. 한문 이 유입됨에 따라 한문 문학의 창작이 이루어졌고, 한자를 이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하 는 차자 표기(借字表記) 문학도 함께 발달하였다. 또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는 국문으로 도 문학을 창작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중세 문학은 구비 문학, 한문 문학, 차자 표 기 문학 및 국문 문학의 여러 영역이 공존하는 특징을 갖게 되었다. 또한 중세 문학은 흐름이나 양식상의 다양한 변화를 거쳤다. 중세에는 새로운 갈래의 문학이 등장하기도 하고 새로운 작가층이 등장하기도 했는데, 그러한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중세 문학을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중세 전기 문학의 전개 양상 중세 전기에는 한문 문학과 함께 차자(借字) 표기를 활용 한 향가가 창작되었으며, 한문으로 글을 쓰는 능력을 갖춘 새로운 작가층이 등장하였다. 또한 불교를 수용하고 중국의 문학을 받아들이면서 보편성을 중시하는 문학을 추구하게 되었는데, 이는 자신들의 우월성을 강조한 고대 문학과 구 별되는 점이다. 향가의 형성과 전개 향가는 한국 문학사에서 맨 처음으 확인되는 정형 시가이다. 삼국 시대에는 향가 이전에도 「내원성」 , 「연양」 , 「명주」 (이상 고구려), 「선운산」 , 「지리 산」 , 「무등산」 , 「방등산」 (이상 백제), 「도솔가」 , 「회소곡」 (이 상 신라)과 같은 노래들이 있었다고 전하는데, 이들 노래는 이 시기 문학의 역사적 전개 양상과 갈래별 특질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시기 문학의 주요 작품을 현대적 시각에서 감상할 수 있다. 이 시기의 문학 작품을 감상함으로써 당시의 시대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중세 문학 2 134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금동미륵보살반가상 두해가동 시에 나타난 변괴를 물리치는 내 용의「도솔가」에는 당시 유행했 던 미륵 신앙이 담겨 있다. 소단원 설정 취지|이 단원은 동아시아의 공동 문어(共同文語)인 한문이 유입된 시기부터 한글이 창제되어 국문 문학이 창작된 시기, 즉 삼국 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문학을 학습하도록 설정하였다. 한글이 창제되기 전에 한국 문학은 구비 문학의 형태로 전승되거나 한자를 이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하는 차자 표기(借字表記) 문학, 또는 한문 문학의 형태로 창작 되었다. 이 단원에서는 구비 문학, 한문 문학, 차자 표기 문학 및 국문 문학이 혼재하며 다양한 갈래의 문학이 등장한 시 기의 한국 문학의 특징과 전개 과정을 알아보고, 이 시기 문학을 감상하고 수용함으로써 당시의 시대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문이 유입된 시기를 정확히 말할 수는 없으나 삼국의 성립과 더불어 한자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한글 이외의 문자를 빌려서 우리말을 기록하는 방법의 총칭 신진 사류 삼국 시대~고려 전기 고려 후기~조선 전기 중세 문학의 범위 및 특징 중세 전기 문학의 특징 향찰 표기 중세 전기 문학의 특징 교과서 저자 직강(동영상) / 소단원 도입 정리(ppt) 활용 기록에 쓰이는 말 일정한 형식과 규칙에 맞추어 지은 시 향가 문학의 특징 형식 - 4구체`: 민요적 특성을 지니며 간략한 시상 전개 - 8구체`: 4구체의 발전된 형식으로, 정제된 시 형식 - 10구체`: 향가의 완성된 형태로 8구체 향가에 낙 구를 추가하여 시상을 마 무리 내용`: 숭고한 이상을 추 구하는 마음을 주요 내용 으로 함. 민요와 동요, 축사 (逐邪)의 노래, 연군(戀君) 노래, 설도(說道)의 노래, 안민 치국(安民治國)의 노 래, 신불(神佛)에의 발원(發 願)을 나타내는 불교 신앙 작가층`: 승려, 화랑, 여류 (女流), 무명씨 등으로 여러 계층에 걸쳐 있는데, 현전 하는 향가의 작가로는 승 려가 가장 많음.

2 중세문학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문학(권영민)/3-2... · •「속미인곡」: ’사미인곡(思 美人曲)‘을 지은(선조 20 ~21년) 직후 창작된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중세문학의특징

    중세문학은동아시아의공동문어(共同文語)인한문이유입되면서시작되었다. 한문

    이 유입됨에 따라 한문 문학의 창작이 이루어졌고, 한자를 이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하

    는차자표기(借字表記) 문학도함께발달하였다. 또한글이창제된이후에는국문으로

    도문학을창작할수있게되었다. 따라서중세문학은구비문학, 한문문학, 차자표

    기문학및국문문학의여러영역이공존하는특징을갖게되었다.

    또한중세문학은흐름이나양식상의다양한변화를거쳤다. 중세에는새로운갈래의

    문학이등장하기도하고새로운작가층이등장하기도했는데, 그러한변화를기준으로

    하여중세문학을전기와후기로나누어볼수있다.

    중세전기문학의전개양상

    중세전기에는한문문학과함께차자(借字) 표기를활용

    한향가가창작되었으며, 한문으로글을쓰는능력을갖춘

    새로운작가층이등장하였다. 또한불교를수용하고중국의

    문학을 받아들이면서 보편성을 중시하는 문학을 추구하게

    되었는데, 이는자신들의우월성을강조한고대문학과구

    별되는점이다.

    향가의 형성과 전개 향가는 한국 문학사에서 맨 처음으

    로확인되는정형시가이다. 삼국시대에는향가이전에도

    「내원성」, 「연양」, 「명주」(이상 고구려), 「선운산」, 「지리

    산」, 「무등산」, 「방등산」(이상백제), 「도솔가」, 「회소곡」(이

    상신라)과같은노래들이있었다고전하는데, 이들노래는

    ■ 이 시기 문학의 역사적 전개 양상과 갈래별 특질을 이해할 수 있다.

    ■ 이 시기 문학의 주요 작품을 현대적 시각에서 감상할 수 있다.

    ■ 이 시기의 문학 작품을 감상함으로써 당시의 시대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중세문학2

    1 3 4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금동미륵보살반가상 두 해가 동

    시에 나타난 변괴를 물리치는 내

    용의「도솔가」에는 당시 유행했

    던 미륵 신앙이 담겨 있다.

    소단원 설정 취지|이 단원은 동아시아의 공동 문어(共同文語)인 한문이 유입된 시기부터 한글이 창제되어 국문 문학이

    창작된 시기, 즉 삼국 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문학을 학습하도록 설정하였다. 한글이 창제되기 전에 한국 문학은 구비

    문학의 형태로 전승되거나 한자를 이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하는 차자 표기(借字表記) 문학, 또는 한문 문학의 형태로 창작

    되었다. 이 단원에서는 구비 문학, 한문 문학, 차자 표기 문학 및 국문 문학이 혼재하며 다양한 갈래의 문학이 등장한 시

    기의한국문학의특징과전개과정을알아보고, 이 시기 문학을 감상하고 수용함으로써 당시의 시대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하였다.

    한문이유입된시기를정확히말할수는없으나삼국의성립과더불어한자를사용하였을것으로추정하고있음.

    한글이외의문자를빌려서우리말을기록하는방법의총칭

    신진사류

    삼국시대~고려전기 고려후기~조선전기

    중세문학의범위및특징

    중세전기문학의특징

    향찰표기

    중세전기문학의특징

    교과서저자직강(동영상) / 소단원도입정리(ppt) 활용

    기록에쓰이는말

    일정한형식과규칙에맞추어지은시

    향가문학의특징

    •형식

    - 4구체:̀ 민요적 특성을

    지니며간략한시상전개

    - 8구체:̀ 4구체의 발전된

    형식으로, 정제된시형식

    - 10구체:̀ 향가의 완성된

    형태로 8구체 향가에 낙

    구를 추가하여 시상을 마

    무리

    •내용:̀ 숭고한 이상을 추

    구하는 마음을 주요 내용

    으로함. 민요와동요, 축사

    (逐邪)의 노래, 연군(戀君)

    노래, 설도(說道)의 노래,

    안민 치국(安民治國)의 노

    래, 신불(神佛)에의 발원(發

    願)을 나타내는불교신앙

    •작가층 :̀ 승려, 화랑, 여류

    (女流), 무명씨 등으로 여러

    계층에 걸쳐 있는데, 현전

    하는 향가의 작가로는 승

    려가가장많음.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3 PM 페이지134 mac02 T

  • 1 3 5[2] 중세 문학

    구체적인 내용이나 형식을 확인할 길이 없으므로, 역사적 갈

    래로확립된정형시가였는지는알수없다.

    향가는향찰(鄕札)로 표기되어있으며, 행의수에따라 4구

    체, 8구체, 10구체의 셋으로 나뉜다. 4구체가 민요와 유사한

    형식을 보이는 반면, 10구체는 정형적 서정시로서의 형식미

    를 갖추고 있다. 10구체는 제9행의 첫머리에 감탄구를 두고

    있는데, 이는우리시가의형식적특질로평가되기도한다.

    향가는 고려 전기까지도 향유되었는데, 오늘날 남아 있는

    작품은『삼국유사』에실린 14수와『균여전』에실린 11수를포

    함하여총25수에불과하다. 이가운데「서동요」, 「헌화가」, 「풍요」, 「도솔가」등4편이

    4구체이고, 「처용가」, 「모죽지랑가」등 2편이 8구체이며, 고려시대의작품인「보현십

    원가」를비롯한나머지작품들은모두 10구체이다. 그렇지만『삼대목(三代目)』과같은

    향가집을편찬했다는기록이있는것을고려하면, 중세전기동안많은작품이창작되

    고향유되었으리라고짐작할수있다.

    한문 문학과 구비 문학 동아시아의중세문학에서는한문이공동문어로서의역할을

    했다. 예를들어격식에맞는문장으로중세의보편적질서를강조한「광개토대왕릉비

    문」은이러한한문문학의역할을잘보여주는작품이다. 한문문학가운데한시(漢詩)

    는 점차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신라의 최치원(崔致遠), 발해의 양태사(楊泰師), 고려의

    정지상(鄭知常) 등의작품이높이평가된다.

    역사서를비롯한당시의기록을보면구비문학이어떻게전해지고있었는지대체적

    인양상을살펴볼수있다. 『삼국사기』와『삼국유사』에서많은전설과민담이전승되고

    있었음을확인할수있으며, 최치원의『향악잡영(鄕樂雜詠)』등의기록에서확인되듯이

    당시에는민속극의성격을지니는연극들도공연되었음을짐작할수있다.

    중세후기문학의전개양상

    고려시대의무신란을계기로하여한국문학은큰변화를맞이하게된다. 신흥사대

    부또는신진사류라고불리는새로운작가층이등장하면서, 새로운문학갈래가형성

    되고자국문화와역사의독자성을강조하는문학작품이나타나기시작했다. 신흥사

    대부는조선의건국에도참여하였기때문에그결과조선전기문학에는고려후기문

    학과유사한특징들이다수나타나게되었다.

    삼국사기 고려 인종 23년(1145년)경에 김부식 등이 신라·

    고구려·백제 삼국의 역사를 기술한 기전체 역사서. 사료로서

    의 의미는 물론 문학적 가치도 높이 평가받고 있다.

    신흥사대부

    무신집권기이래신분적

    으로는 향리에 기반을 두

    고 경제적으로는 중소 지

    주의 기반을 가지고 있으

    며, 과거나 군공(軍功) 등

    주로 후천적 능력을 통해

    성장한 정치 세력을 이른

    다. 이들은 당시로서는 선

    진적인 정치 사상이었던

    성리학을 바탕으로 사회의

    변화와 발전에 대응하는

    개혁정치를추구했다.

    - “역사비평”편집 위원회,

    “논쟁으로 읽는 한국사 1”

    (역사비평사, 2009)

    신라 때 한자의음과뜻을빌려우리말의형태와의미요소를전면적으로 기록하는종합

    적인표기체계

    ‘사뇌가’라고도불림.

    고려제 4대광종때승려균여가불교의대중화를위해지은향가. 균여전에수록되어있음.

    ‘향가-̀̀시조-̀̀가사’로연결되는전통을보임.

    여러향가를모은책이있을정도로향가가많이창작됨.

    고려충렬왕때일연이신라·고구려·백제 3국의유사(遺事)를 모아서지은역사서

    고려문종때혁련정이지은균여대사의전기

    향가의형성과전개

    중세한문문학과구비문학의전개양상

    중세후기문학의특징

    「제가야산독서당」, 「추야우중」의작자

    「송인(送人)」의 작자

    신라때의가면극인오기(五伎)의 모습을 7언 4구체로읊은 5수(首)의 한시

    「야청도의성」의작자

    무신란으로인해문벌귀족이몰락하고신흥사대부가주체가된문학이주가됨. 문벌 귀족에의해유지되던향가가소멸됨.

    시조, 경기체가, 가사

    향가의완성된형태

    신라진성여왕때왕명에따라편찬된향가집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3 PM 페이지135 mac02 T

  • 1 3 6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신흥 사대부의 대두와 경기체가(景幾體歌)의 등장 신흥사대부의등장과함께나타난

    문학 갈래는 경기체가이다. 경기체가는 구체적 사물을 나열하면서 감흥을 찾는 교술

    문학으로, “위~景긔엇더 니잇고”라는결구를갖추고여러장으로구성되는형식적

    특징이있다. 첫작품인「한림별곡(翰林別曲)」에서는신흥사대부들이새로운지식층으

    로서의 자신감을 표출하였다. 경기체가는 중세 후기 동안 독자적인 문학 갈래로 유지

    되었다.

    고려 가요와 민간의 문학 고려 시대 민간

    에서 부르던 노래가 궁중으로 흡수되기도

    했는데, ‘고려 가요’또는‘속요’, ‘고려 속

    요’등으로불리는노래들이이에해당한다.

    고려 가요는 민요에서 온 것도 있고, 창작

    된것도있는데, 대체로백성들의자연스러

    운감정과삶의모습을담고있다고평가된

    다. 조선 시대에는 이러한 노래들을‘남녀

    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라고 비판하면서도

    활용하였고, 한글창제이후에는문자로정

    착시켰다. 고려 가요는 후렴구를 갖춘 연장체의 3음보인 경우가 많지만, 전체를 아우

    르는정형성을찾기는어렵다. 작품마다형성과정에차이가있고, 궁중에편입되기이

    전에 다양한 형식을 갖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서경별곡」, 「청산별곡」,

    「가시리」, 「쌍화점」, 「동동」등의작품이오늘날전한다.

    시조와 가사의 발생 중세 후기에 새롭게나타난 시가 갈래로는 시조와가사도 있다.

    시조와 가사는 중세 후기 이후에도 이어진다는 점에서 경기체가와 다른데, 특히 시조

    는오늘날에도문학갈래로서의생명력을잃지않고있다.

    시조는향가가사라진이후에생겨난정형성을띤서정시로, 신흥사대부의서정가

    요에대한요구에따라생겨난것으로파악된다. 3장, 4음보의정형성을띠며, 10구체

    향가의전통을이어종장첫구에감탄구를두는양식을취하고있다. 고려의우탁, 이

    색, 정몽주로부터조선의이황, 정철에이르기까지많은작가의작품이전하고있다.

    가사의발생시기와배경에대해서는논란이있다. 가장오래된가사작품을고려의

    나옹화상이쓴「서왕가(西往歌)」로볼것인지조선의정극인이쓴「상춘곡」으로볼것

    『시용향악보』에 실린「청산별곡」 작자 미상의 고려

    가요. 창작된 연대는 전하지 않으나「서경별곡」과 형식

    이 비슷하여 고려 시대에 창작된 것으로 추측된다.

    고려가요와남녀상열지사

    고려가요에는남녀사이

    의 사랑을 읊은 내용이 많

    은데, 조선 시대 유학자들

    사이에서 남녀상열지사로

    불리며 비판을 받기도 하

    였다. 『조선왕조실록』에도

    “「서경별곡」과 같은 것은

    남녀가 서로 좋아하는 가

    사이니 매우 불가(不可)하

    다. 악보는 갑자기 고칠 수

    없으니, 곡조에 의하여 따

    로 가사를 짓는 것이 어떻

    겠는가?”라고 기록되어 있

    다. 이 때문에 고려 가요가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등에 기록되

    는 과정에서 많은 작품이

    기록되지 못하고 사라지거

    나 내용이 수정되었다. 「서

    경별곡」, 「만전춘별사」, 「쌍

    화점」, 「이상곡」등은 남녀

    상열지사의 대표적인 노래

    로꼽힌다.

    경기체가의형식과내용상의특징

    고려가요의형식과내용상의특징

    중세후기에등장한시조와가사

    시조의형식과작가군

    ‘경기체가’라는이름이지어진이유

    직접체험한내용을제시하여교훈이나관념을드러내는문학

    사대부들의자부심과의욕적기개를노래함.

    궁중의연회에사용할목적으로윤색하고개작함.

    고려가요의내용상의특징

    고려 가요 가운데 남녀 간의 사랑을 노골적으로 그린 것을 조

    이별의슬픔

    이별의정한

    남녀간의진솔한애정

    시조의형식

    봄의완상과안빈낙도의정신을그림.

    ‘백설이자자진골에’

    ‘이몸이죽어죽어’ ‘훈민가’

    ‘도산십이곡’

    송축과임에대한영원한사랑

    삶의고뇌와비애

    선유학자들이업신여겨일컬은말

    고려가요의형식상의특징

    ‘춘산에눈녹인바람’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3 PM 페이지136 mac02 T

  • 1 3 7[2] 중세 문학

    인지 견해가 엇갈리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선승(禪僧) 또한 신흥 사대부와 함께 중세

    후기의새로운문화적경향을이끈주체로볼수있기때문에, 어느 쪽의견해를따르

    더라도 중세 후기에 새롭게 대두된 작가층의 문학적 요구에 따라 형성된 갈래임은 인

    정할수있다. 가사는음보와결구의형식이시조와유사하지만시조보다내용이훨씬

    길다는차이점을지닌다. 이는중세후기작가층의문학적요구와관련된것으로해석

    할수있다. 조선전기의가사작품가운데정철의「사미인곡」, 「속미인곡」, 「관동별곡」

    등은당시에도높은평가를받았다.

    민족사의 재인식과 산문 문학 중세 후기는 자기 민족의 문화와 역사에 대한 관심이

    특별히높아진점에서이전시기와차이가있다. 이규보의「동명왕편」, 일연의『삼국유

    사』가 그 대표적인 작품으로, 이들은 신화와 전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단군이나

    동명왕과 같은 건국 시조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특히『삼국유사』는 당시에 전승되던

    구비문학에도관심을기울여많은설화를수록했다는점에서주목할만하다. 한편신

    흥사대부가중심작가층을이룬가전체(假傳體)는 의인화의수법을사용한새로운갈

    래인데, 사물자체에대해관심을갖고있던신흥사대부의성향과어울리는면이있지

    만갈래로서의생명력은길지않았다.

    한글 창제와 악장 문학 한글의창제는우리의언어

    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온 사건이었다. 그렇지만 한

    문이공동문어로서의지위를강력하게유지하던시

    대에 한글의 문학적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용비어

    천가」나「월인천강지곡」과 같은 악장 문학 작품이

    창작되었지만, 악장은 일정한 형식을 갖추지 못한

    기능적 문학이었다는 한계를 가졌다. 그러다가 상

    층의 여성을 중심으로 점차 한글 사용층이 확대되

    기시작했으며, 이는이후의국문문학발달의토대

    가된다는점에서큰의의가있다.

    소설의 발생 신라 말 고려 초의 전기(傳奇) 문학을 비롯한 산문 문학의 발전, 그리고

    설화에대한관심은조선전기에이르러소설의발생으로이어졌다. 소설의발생시기

    나배경에대해서는논란이있지만, 대체적으로는김시습의『금오신화(金鰲新話)』에이

    「용비어천가」 1445년(세종 27년)에 창작되

    어 1447년에 간행된 악장이자 서사시. 한글

    로 간행된 최초의 문헌이다. 조선의 여섯

    왕인 목조, 익조, 도조, 환조, 태조, 태종의

    사적(史跡)을 노래하였으며 조선 건국의 위

    대함과 당위성을 강조하였다.

    정철의가사

    •「사미인곡」: 작가가 1585

    년 8월 당파 싸움으로 사

    헌부와 사간원의 논척을

    받고 고향인 창평(昌平)에

    은거하면서, 남편을 이별하

    고 연모하는 여성 화자의

    입을 빌려 임금에 대한 그

    리움을 유려한 필치로 표

    현한작품이다.

    •「속미인곡」: ’사미인곡(思

    美人曲)‘을 지은(선조 20

    ~21년) 직후 창작된 것으

    로 추정된다. 임금을 그리

    워하는 심경을 은유적으로

    노래하고 있다. 특히‘속미

    인곡’은 대화체라는 점에서

    가사문학의구성상새로운

    면을제시하였다.

    •「관동별곡」̀: 작가가 벼슬

    에서 물러나 전남 창평(昌

    平)에 은거하고 있던 중,

    45세 되는 해 정월에 강원

    도 관찰사의 직함을 받고

    원주에 부임하여, 3월에 내

    금강·외금강·해금강과

    관동팔경을 두루 유람하는

    가운데 뛰어난 경치를 묘

    사하고 그에 따른 감흥을

    표현한작품이다.

    『금오신화』의소설적특성

    첫째, 주인공들이 한결같

    이 재자가인적(才子佳人的)

    인물이라는 점, 둘째, 문장

    표현이 한문 문언문(文言

    文)으로 사물을 극히 미화

    시켜표현한점, 셋째, 일상

    적·현실적인 것과 거리가

    먼 신비로운 내용을 그린

    점 등인데, 이는 전기 소설

    (傳奇少設)의 일반적인 성

    격이며 이런 점에서 중국

    의 소설집『전등신화(剪燈

    新話)』의 영향이 있었음을

    보게 된다. 나아가서 이들

    작품 세계는 인간성을 긍

    정하고 현실 속에서 제도

    (制度)·인습(因襲)·전쟁·

    인간의 운명 등과 강력히

    대결하려는 인간의 의지를

    표현하고 있는 점에서 이

    작품을 높이 평가할 수 있

    다. - 네이버백과사전

    한글창제와악장문학이지닌의의

    민족사에대한관심증가와가전체문학의등장

    가사의형식적특징과작가및작품

    4음보, 감탄구

    현실을객관적으로탐구하여자유로운문장으로표현하려함.

    사물을의인화하여전기(傳記) 형식으로서술하는문학양식

    조선의 3대가사

    고구려의 시조 동명왕의 전설을 오언시체

    (五言詩體)로 엮은장편서사시

    6조의개국성업을찬양. 후대 왕에게권계(勸戒)의 뜻을일깨운노래

    조선시대궁중에서종묘제향(宗廟祭享) 때 부르던송축가

    석가모니를예찬한노래

    기이한것을전하는이야기

    조선건국및문물제도(文物制度)를 찬양하는내용의노래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3 PM 페이지137 mac02 T

  • 1 3 8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르러소설로서의특질을온전히갖추게되었음이인정된다.

    김시습 이후에도 채수의「설공찬전(薛公瓚傳)」이나 신광한

    의『기재기이(企齋記異)』와 같은 작품이 나타났으나, 소설

    로서의 특질이『금오신화』만큼 뚜렷하지는 않은 것으로 평

    가된다.

    한문 문학과 구비 문학 중세 후기의 한문 문학은 새롭게

    등장한 신흥 사대부가 분화해 감에 따라 점차 다양한 양상

    을 보이게 되었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는 글쓴이의 처지

    와 지향에 따라 관인 문학, 사림 문학, 방외인 문학으로 나

    눌 수 있을 정도의 분화 양상을 보인다. 대표적인 시인으로

    는 고려의 이규보, 이색, 이제현 등과 조선의 서거정, 김종

    직, 이달 등을 들 수 있다. 일부이기는 하지만 여성의 한시

    도나타났다.

    구비 문학과 관련해서는 여러 유형의 설화집이 간행된 것이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고려때간행된시화집(詩話集)에 당시전승되던설화가포함되었고, 조선에들어와서

    는 시화와는 별도로 기획된 설화집이 간행되었다. 이 가운데는 서거정의『태평한화골

    계전』이나 강희맹의『촌담해이』, 송세림의『어면순』처럼 골계적인 설화들을 적극적으

    로수용한사례도있다.

    김시습 조선 전기 한국 최초

    의 한문 소설집인『금오신화(金

    鰲新話)』를 지었다. 『금오신화』

    에는「만복사저포기」, 「이생규

    장전」, 「취유부벽정기」, 「남염부

    주지」, 「용궁부연록」등 5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유형상 전기 소설(傳奇小說)의 하나로서‘환혼

    (還魂)’모티브를 활용해 당대 정치와 사회 현

    실에대한비판의식을담아낸작품

    전기 소설집(傳奇小說集)으로「안빙몽유록(安憑夢遊錄)」,

    「서재야회록(書齋夜會錄)」, 「최생우진기(崔生遇眞記)」,

    「하생기우전(何生奇遇傳)」등의 성격이 다른 네 작품이

    실려있음.

    온건개화파와급진개혁파로나뉨.

    『백운소설』, 『파한집』, 『보한집』

    고려말~조선초에고관·문인·승도

    사이에 떠돌던 해학적 기문(奇聞) 및

    일화(逸話)를 들은대로기록한것

    음담패설(淫談悖說)과 설화를모아엮은일종의기담집(奇談集)

    성적인 면을 노골적이며 해학적으로 표현하고 남녀의 호색을

    풍자한 한문 소화집(笑話集). 어면순(御眠楯)을 풀이하면, ‘잠

    을막아주는방패’라는뜻

    익살을부리는가운데어떤교훈을주는것

    소설문학의발생

    중세후기한문문학의전개양상

    중세후기구비문학의전개양상

    시화집

    ‘시화’란 한문학에서 시

    에 관한 비평·해설·고증

    과 시인의 일화 따위를 단

    편적으로 기록한 글을 말

    한다. 전문적인 시 비평이

    라기보다는 시나 시인과

    관련된 이야기나 다른 잡

    다한 일상사까지도 담아낸,

    일종의 수필에 가까운 글

    이라 할 수 있다. 고려 때

    간행된 시화집들은 시에

    관한 이야기 외에 당대의

    풍속과 풍물, 당시 전승되

    던설화를담고있다.

    관인문학, 사림 문학, 방외인문학

    ·관인문학:̀ 관인(官人)으로나가는것을목적으로하는사대부들의문학으로문학의장식적인기능을중요시한다.

    ·사림 문학:̀ 관직에 나가는 것을 달갑게 여기지 않는 사대부들의 문학으로 문학이 자기 성찰의 구실을 하는 데 역점을

    두고표현그자체보다는거기따르는흥취나의미를더욱중요시한다.

    ·방외인 문학:̀ 방외인이란, 세상 바깥의 인물을 뜻하는 것으로, 관인(官人)으로 세상에 나아가는 것도 달갑게 여기지 않

    고처사(處士)로서 권위와규범을지키는것도바라지않는유형의인간형으로특이한존재이다. 방외인 문학은곧이러한

    방외인의세계관을바탕으로한문학으로관각문학, 처사 문학과함께조선전기한문학의중요한부분이다. 대표적작가

    에김시습(金時習), 정희량(鄭希良, 1469~?), 남효온(南孝溫, 1454~1492), 어무적(魚無迹) 등이 있다.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에서부분발췌정리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3 PM 페이지138 mac02 T

  • 1 3 9[2] 중세 문학

    이 단원에서는「제망매가」, 「서경별곡」, 「만복사저포기」, 「도산십이곡」, 「속미인곡」을 학

    습하게 된다. 각각의 작품을 통해 중세 문학의 성격과 한국 문학의 특질에 대해 알아보자.

    (1) 향가와 같은 차자(借字) 문학을 한국 문학의 범주에 넣을 수 있는 이유를 말해 보자.

    (2) 한문 문학을 한국 문학의 범주에 넣을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지 말해 보자.

    서동요 백제 무왕인 서동의 작품으로,

    민요가 향찰로 적혀 정착된 향가

    고운문집 신라 후기의 학자 최치원의 시

    문집

    홍길동전 조선 후기 허균이 지은 최초의 한글 소설

    ■다음 자료를 보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들어가기전에

    향가와 같은 차자(借字) 문학에서는 한자를 활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하였다. 따라서 차자 문학은‘한국인이 한국인의 사상

    과감정을표현한언어예술’임이분명할뿐아니라, 이때 사용한표기수단또한‘한국어’의영역에포함될수있다.

    근대 이전에 한자는 동아시아의 여러 민족이 함께 사용한 문자였다. 이러한 상황은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도 유지되었으

    며, 그 결과 한국에서는 근대 이전까지 문학 작품의 표기 수단으로 한글과 함께 한자를 사용하였다. 즉 근대 이전까지의

    한국의 한문 문학은 우리 민족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한문 문학은 한국 문학의 범주에 넣

    을수있다.

    향가 고려가요 한문소설 시조 가사

    들어가기전에(ppt) 활용

    이끌기|한국문학의영역에대한논의는한국인이사용한언어를중심으로이루어져왔으며, 특히 한문

    으로 된 작품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제시된 한글, 한문, 향찰로 창작된 작품들이 한국

    문학에속하는지와그이유를생각해보도록지도하고, 나아가 한문문학과차자문학이한국문학의범

    주에속하는이유와한국문학에서의역할을이해하고한국문학의영역을이해할수있도록한다.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4 PM 페이지139 mac02 T

  • 1 4 0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제망매가」는 신라 경덕왕 때 월명사가 지은 10구체 향가이다. 이 노래에 나타난 시적 상황과 화자의

    정서를 파악하면서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선정취지

    향가는 중세 전기의 가장 대표적인 문학 갈래로 한자를 이용한 차자 표

    기문학이다. 「제망매가」는이러한향가의일반적인특성을이해하고향찰

    로 기록된 문학과 한문 문학과의 차이점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제재로

    선정하였다. 또한 향가라는 갈래가 탄생하였던 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이

    해하고 그 전개 과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정하였다. 이 작품

    의 역사적 갈래의 특성은 물론 이 작품에 구현된 비유적 표현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문학의 우수성과 한국 문학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

    을것이다.

    작품연구

    •갈래 :̀ 10구체 향가

    •연대:̀ 신라 35대 경덕왕때

    •성격:̀ 추모적, 애상적, 불교적, 비유적

    •제재:̀ 누이의죽음

    •주제:̀ 누이의죽음으로인한슬픔과그극복의지

    •특징

    - 누이와의이별의아픔을자연현상에비유함.

    - 죽음이라는인간고를종교적으로승화하여노래함.

    •의의:̀ 누이의 죽음에서 비롯된 감정을 노래한 이 작품은 죽음을 단순히

    감상적으로 표백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삶과 죽음의 의미를 깊이 있게 성찰

    해 낸 작품으로 향가 가운데서도 특히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

    고있다.

    •구성

    - 기(1~4구)̀: 죽은 누이에대한그리움

    - 서(5~8구)̀: 인간 운명에대한허무와무상감

    - 결(9~10구)̀: 재회의소망과수행적자세

    핵심정리

    1. 이 작품의구조와‘죽음’을바라보는화자의인식변화

    이 작품은 크게‘4구+4구+2구’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세 부분은 유기적

    인 관련을 맺으면서도 죽음을 바라보는 화자의 태도에서 차이점을 보인

    다. 첫부분에서는 누이의 죽음 앞에 두려움과 슬픔, 허망함을 피력하고 있

    고, 두 번째 부분에서는 누이의 죽음을 개인적 차원에서 보기보다는 인간

    보편의 문제로 승화시켜 통찰하고 있다. 그러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생사

    의문제를초극하려는구도자의의지를보여준다.

    2. 표현상의특징

    이 작품의 5~8구에는 비유적 표현이 두드러진다. 나의 존재와 누이의

    죽음이 한 가지에 난 잎이 여기저기에 떨어지는 자연 현상에 비유되어 있

    다. 같은 가지에서 태어난 나뭇잎은 떨어질 때에는 여기저기에 따로 떨어

    지며, 어디에 떨어질지 모르는 것이다. 이러한 자연 현상을 나와 누이에

    빗대어, 나와 누이는같은부모에서태어났지만죽을때에는각자다른시

    점에죽고또죽어서는어디로가는지모르겠다는것을말하는것이다.

    10구체향가의형식

    10구체 향가는작품전체가세토막(4/4/2)으로 나뉘면서마지막 2행(낙

    구)의 머리 부분에 정서적 고양(高揚)을 집약하는 감탄사가 오도록 양식화

    되어있어서 4구체, 8구체와는전혀다른시적구도를보인다.

    이와같은사실에주목한대다수의학자들은향가가단순소박한민요적

    시형인 4구체로부터 발전하여 8구체를 형성하고 다시 완성형이랄 수 있는

    10구체에 도달한 것이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추론은 매우 자연스

    러운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4구체, 8구체가 각기 다음 단계의 양식에

    대체되어 소명하지 않고 공존하면서 창작되었다는 사실도 주의해야 한다.

    현전하는 4구체 향가 중 월명사(月明師)의「도솔가(兜率歌)」는 경덕왕(景德

    王) 19년(760)에 지어졌으며, 8구체는 고려 예종(睿宗)의「도이장가(悼二將

    歌)」(12세기 초)에까지 존속하였다는 사실이 이를 단적으로 입증한다. 따라

    서 현존 향가의 세 가지 형태는 그들 사이에 발생론적인 연관이 있으면서

    도각기의양식적개별성과의의를지녔던것으로보아야할것이다.

    내용상으로도향가작품들의성격은단일하지않다. 10구체 향가는모두

    개인작의 서정시이지만「풍요(風謠)」는 분명히 민요이며, 「처용가(處容歌)」

    는 무가(巫歌)로 이해되고, 「헌화가(獻花歌)」는 민요와 무가의 사이에서 해

    석의가능성이거론된바있다.

    이로써보건대향가는성격이단일하지않은여러종류의시가의총칭이

    며, 그 발전 과정은 대체로 4구체 형태의 민요적 내용으로부터 구조의 확

    장과 개인의 서정의 심화가 이루어지면서 10구체 향가의 정형이 출현하여

    선행양식들과공존하였던것으로볼수있다. 그런 의미에서향가의발달,

    분화의 역사는 민요, 무가 같은 구비 문학으로부터 개인 창작의 서정시 양

    식이확립되는데까지이르는중요한문학사적변화를내포한다고하겠다.

    사정이이렇기때문에향가전체를하나의갈래처럼가정하여그속성이

    나작자층을전칭적(全稱的)으로규정하려는접근은바람직하지못하다. 가

    령 현존 작품의 작가들은 신분적으로 분류하여 향가가 신라 시대의 국민

    문학이었다고 주장한다든가 혹은 그 반대로 귀족층의 시가 양식이었다고

    논쟁하는것은서로다른계열의작품군들에대해무리한일반화를서두르

    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이 점에 유의하여 현존 작품들을 살펴보면 향가는

    적어도 두 부류, 즉 민요이거나 민요적 속성이 짙은 4구체류와, 작가가 뚜

    렷하며 세련된 개인적 서정을 담은 10구체류로 나누어 문학 담당층을 논

    하는 것이 옳을 듯하다. 전자는 하층민까지를 포함한 광범한 분포 영역을

    가졌던 것으로 추정되고, 후자는 거의가 화랑(花郞), 승려(僧侶) 등 상층의

    신분에 속하는 이들에 의해 창작되었다. 그러므로 향가 전체는 귀족 문학

    이 아니지만, 10구체 향가는 당대의 귀족, 지배층의 정신세계를 반영하는

    시가양식이라말할수있다.

    10구체 향가는 전편이 세 토막으로 구성되어, 앞의 네 구에서 시상을 일

    으키고 다음 네 구에서 이를 심화 혹은 전이시킨 뒤‘아아[阿也]’라는 감탄

    사에 이어지는 낙구(落句)에서 이를 서정적으로 완결하는 견고한 짜임을

    지니고있다.

    - 김흥규, “한국문학의이해”(민음사, 1998)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4 PM 페이지140 mac02 T

  • 1 4 1[2] 중세 문학

    01 제망매가(祭亡妹歌)

    生死路隱

    此矣有阿米次 伊遣

    吾隱去內如辭叱都

    毛如云遣去內尼叱古

    於內秋察早隱風未

    此矣彼矣浮良落尸葉如

    一等隱枝良出古

    去奴隱處毛冬乎丁

    阿也彌陀刹良逢乎吾

    道修良待是古如

    『삼국유사(三國遺事)』

    脾 兮

    생사(生死) 길은

    예있으매머뭇거리고,

    나는간다는말도

    못다이르고어찌갑니까.

    어느가을이른바람에

    이에저에떨어질잎처럼,

    한가지에나고

    가는곳모르온저.

    아아, 미타찰(彌陀刹)̀■

    에서만날나

    도(道) 닦아기다리겠노라.

    월명사

    김완진옮김

    월명사(月明師, ?~?)

    신라 경덕왕(743~764) 때의 승

    려. 피리를 신묘하게 불고 향가를

    잘 지었다고 전한다. 「제망매가」와

    함께 경덕왕의 요청으로 760년에

    지은 4구체 향가인「도솔가」가 전

    한다.

    ■ 미타찰(彌陀刹) 불교도들의 이

    상향인 극락.

    이 작품은 월명사가 죽은 누이를 추모하여 지은 10구체 향가로, 이승에서는 헤어졌지만 저승에서는 다시 만날 것을

    믿는 불교적 믿음이 깔려 있다. 『삼국유사』에는 월명사가 재를 올리며 이 노래를 불렀더니 갑자기 회오리바람이 일어 지

    전(紙錢)을 서쪽으로 날려 보냈다고 기록되어 있다.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와 함께 표현 기교 및 서정성이 뛰어난 작

    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맥락읽기 Q&A

    ① 3구의‘나’는누구인가?

    ⇡ 누이

    ②‘이른 바람’이 암시하는 것은

    무엇인가?

    ⇡ 누이의요절

    ③ 남매 간의 혈연관계를 표현한

    시어는무엇인가?

    ⇡한가지

    ④ 마지막 10구에 드러나 있는

    화자의태도는무엇인가?

    ⇡ 삶의 무상함을 뛰어넘어 슬픔

    을종교적으로승화하려는의지

    죽은누이에게제를올리며명복을비는노래

    삶과죽음의길

    누이

    화자

    누이의요절을암시함.

    같은부모

    죽음 한부모에게서태어난존재

    인생무상에 대한 비애

    → 삶과 죽음 사이의

    아득한거리감

    불교적득도를통한재회의소망

    죽은누이와재회할수있는공간

    재회의소망과수행적자세

    인간운명에대한허무와무상감

    죽은누이에대한그리움

    『 』̀: 갑자기죽은누이에대한안타까움

    향찰표기의특징

    향찰은 한자의 음과 의미를 빌려 우리말의 조사나 어미까지도 전면적으로 기록하는 표기 체계이다. 이 표기에

    사용되는 한자는 훈독자(뜻을 빌려 읽는 한자)와 음독자(한자음을 빌려 읽는 한자)가 있다. 일반적으로 체언이나

    용언의어간과같이단어의실질적부분은훈독자가사용되며조사나어미등단어의문법적의미를맡는부분은

    음독자가 사용된다. 따라서 향찰 표기는 한자를 사용하기는 하지만 한문과는 전혀 다를뿐더러 한문을 읽듯이 의

    미만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절묘하게 이용하여 우리말 문장을 소리 나는 그대로 적어

    둔 것이기 때문이다. 향찰은 한자를 빌려 쓸 수밖에 없었던 상황에서 우리의 선조들이 고안해 낸 가장 정밀하고

    도종합적인표기체계라할수있다.

    「제망매가」낭송(플래시) / 작품 정리(ppt) /

    수능기출문항(제망매가)(hwp) / 원문+현대어

    풀이(제망매가)(hwp) / 향가의기능적유형(hwp) 활용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4 PM 페이지141 mac02 T

  • 1 4 2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2 「제망매가」의 향가로서의 특징과 의의에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1) 이작품은한자를이용하여우리말을표기하는차자표기(借字表記)인‘향찰(鄕

    札)’로기록되어있다. 향찰로기록된문학은한국문학의역사에서어떤의의를

    가지고있는지말해보자.

    (2)다음은이시를쓴월명사에대해서술한글의일부이다. 이를참고하여, 「제망

    매가」가지어진시대의문화에는어떤특징이있었을지짐작해보자.

    (2)다음의시구는각기무엇을비유한것인지말해보자.

    경덕왕(景德王) 19년에두개의해가함께나타나서열흘동안이나없어지지않았다.

    천문을맡은관리가인연이있는승려를청하여산화공덕(散花功德)̀■

    을닦으면재앙을물

    리칠수있으리라고하였다. 이에왕이깨끗한단을설치하고서승려를기다렸다. 이때

    월명사가남쪽길로가기에, 왕이사자를보내불러서기도문을짓기를청하였다. 월명

    사가자신은화랑의무리에속하여향가만알뿐이며범성(梵聲)̀■

    에는익숙하지못하다고

    아뢰었다. 왕이향가라도좋다고하여서월명사가「도솔가(兜率歌)」를지어바쳤다.

    또 월명사가 일찍이 죽은 누이를 위하여 재(齋)를 올리고 향가를 지어서 제사하였는

    데, 갑자기광풍(狂風)이일어나서지전(紙錢)을서쪽으로날려보냈다.

    -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

    ■산화공덕(散花功德) 꽃을 뿌려 공덕을 기림. 부처에게 꽃을 뿌려 공덕을 기림.

    ■범성(梵聲) 부처를 위한 노래.

    1 「제망매가」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1) 이시의화자는어떤상황에처해있는지말해보자.

    다가서기

    깊게이해하기

    이른 바람

    이에 저에 떨어질 잎

    한 가지

    학습활동

    이끌기|1-(1), (2) 작품에 나

    타난 배경을 이해한 뒤 이를

    기반으로 화자의 상황이나 태

    도를 파악하고 시어의 비유적,

    상징적 의미를생각해보게한

    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전달하

    고자한깨달음이어떤것인지

    말해 보게 한다. 시적 상황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작품이

    담고있는삶과죽음의문제에

    대한진지한성찰로이어질수

    있도록한다.

    이끌기|2-(1) 향가는 한자의

    음과훈을빌려독창적으로우

    리말을 표기한 향찰이란 특수

    한문자로제작된고유한시가

    이다. 따라서 우리의 고유 문

    화를 정착시키고 확립하고자

    한 강한 주체성을 엿볼 수 있

    게 하며, 따라서 다른 어떤 갈

    래보다도 더욱 문학적 중요성

    을지닌다는점을보충설명해

    준다.

    이끌기|2-(2) 주어진 글은 월

    명사가 지은「도솔가」와「제망

    매가」의 배경 설화 내용이다.

    이 글의 내용을바탕으로학생

    들이 월명사의 신분과 위치,

    「도솔가」의 주술적 성격을 파

    악할수있도록유도한다.

    불교 중심의사회였고주술적인문화(풍습)가 남아있음을알수있다.

    우리문자가없던시절에불리던우리말노래를원래의모습에가깝게기록하였다.

    죽은누이를추모하는제를올리고있음. / 죽은 누이를추모하고있음.

    ‘바람’은 잎을 떨어지게 하는 것이므로‘죽음의 원인’을 비유한 것이다. 여기에‘이

    른’의의미까지포함하면누이가뜻밖에갑자기요절(夭折)했다는것을의미한다.

    ‘잎’이 같은 가지에 나란히 달려 있다가도 일단 떨어지고 나면 다시 만날 수 없는

    것처럼, 회자와누이가다시는만날수없는운명이되었다는것을의미한다.

    ‘한부모’, 즉 같은부모를뜻한다.

    학습활동풀이(ppt) / 넓게 생각하기(ppt) / 원문+현대어풀이(도솔가, 처용가)(hwp) / 문제은행(학습지, 소단원평가) 활용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4 PM 페이지142 mac02 T

  • 1 4 3[2] 중세 문학

    3 「제망매가」와 다음 두 작품을 참고하여 향가의 형식적 특징들에 대해 생각해 보자.

    (가)오늘이에산화(散花) 불러

    솟아나게한꽃아너는,

    곧은마음의명(命)에부리워져

    미륵좌주(彌勒座主)̀■

    뫼셔나립(羅立)̀■

    하라. - 월명사, 「도솔가(兜率歌)」

    (나)동경(東京) 밝은달에

    밤들이노니다가

    들어자리를보니

    다리가넷이러라.

    둘은내해였고

    둘은누구핸고.

    본디내해다마는

    빼앗은것을어찌하리오. - 처용, 「처용가(處容歌)」

    ■미륵좌주(彌勒座主) 미륵보살.

    ■나립(羅立) 벌여 늘어섬.

    五百年(오백년) 都邑地(도읍지)를匹馬(필마)로도라드니

    山川(산천)은依舊(의구) 되人傑(인걸)은간듸업다

    어즈버太平烟月(태평연월)이 이런가 노라.

    (3)다음시조의밑줄친부분을참고하여, 「제망매가」제9구의‘아아’는한국문학

    의흐름에서시조형식에어떤영향을주었는지말해보자.

    넓게생각하기

    - 길재

    이끌기|2-(3) 향가 이후에전

    개된 한국 고유의 시가 문학

    형식에향가가어떤영향을끼

    쳤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활동

    이다. 10구체는 향가 중에서

    가장 세련된 형식으로 10구

    중 9구의 첫머리에 감탄사가

    있어 9구와 10구의 시상을 압

    축하는기능을하고있다.

    작품연구|「오백년도읍지를」

    •갈래 :̀ 고시조, 평시조

    •성격 :̀ 회고적, 감상적

    •주제 :̀ 망국의한과인생무상

    •특징 :̀ 고려의 옛 신하로서

    폐허가 되어 버린 고려의 옛

    도읍지를 돌아보면서 느끼는

    감회를 노래한 회고가의 대표

    작으로, 망국의 한과 무상감이

    잘드러남.

    이끌기|3 4구체, 8구체 향가

    를각각소개하여향가의형식

    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활동이다.

    작품연구|「도솔가(兜率歌)」

    •갈래:̀ 4구체 향가

    •성격 :̀ 주술적, 불교적

    •주제 :̀ 산화공덕(散花功德)

    •특징 :̀ 나라를 편안하게 하자

    는뜻에서부른노래임.

    「처용가(處容歌)」

    •갈래:̀ 8구체 향가

    •성격 :̀ 주술적, 축사(逐邪)의

    노래

    •주제 :̀ 아내를 범한 귀신을

    쫓아냄.

    •특징

    - 벽사진경(僻邪進慶: 간사한

    귀신을 물리치고 경사를 맞이

    함.)의 소박한 민속에서 형성

    된무가임.

    - 의식무 또는 연희의 성격

    을 띠고 고려 시대와 조선 시

    대까지계속전승됨.

    대부분의 10구체 향가는 9구의 첫머리에 감탄사가 있는데 위 시조의 종장 첫머리에도 감탄사가 있다. 이러한 형태적

    유사성으로보아 10구체향가가시조의발생에영향을주었다고추정할수있다.

    향가는 4구체, 8구체, 10구체의순서로발전한것으로보인다. 4구체향가의 4구를하나의연으로하여두연이이어져

    8구체를 이루고, 거기에 다시 낙구(2구)가 추가되어 10구체 형식을 완성한 것으로 보인다. 8구체 향가는 연의 구분은

    없으나 내용상 4구+4구로 구분이 되며, 10구체 향가도 단연체로 되어 있으나 내용의 구조는 4구+4구+2구로 구분이

    되기때문이다. 「도솔가」나「서동요」같은 4구체향가는의식이나놀이에서불리던집단적

    노래의성격(민요적 성격)을 갖고 있으며, 「처용가」와 같은 8구체는 이보다는구체적인개인의정서를담고있다. 그리

    고‘제망매가’와같은 10구체향가는민요의형식에서벗어나정형적서정시로서의형식미를갖추었다고할수있다.

    고려의옛서울인개성 한필의말

    옛과같이변함이없음.

    감탄사 영화로웠던옛고려왕조

    고려의유신(遺臣)

    사건의정황(역신과아내의동침모습을표현함.). 대유법, 영탄법

    이미다른사람의여인이되어버린상황에대한체념으로보기도하며, 자신의아내까지도

    대상에게바치는관용으로해석하기도함.

    역신의침범

    처용의관용

    고려 말, 조선 초의 성리학자. 조선이

    건국된 뒤에 이방원이 태상박사에 임

    명하였으나 두 임금을 섬기지 않겠다

    는뜻을말하며거절하였다.

    *`산화공덕(散花功德): 부처님이

    가시는 길에 꽃을 뿌려 그 발길

    을 영화롭게 한다(축원한다)는

    축복의의미

    *`무격신앙과관련하여생각

    할 때 처용은 제웅, 즉 역신

    을 쫓기 위해 음력 정월에

    동구 밖에 내던져 액을 면하

    게 한다는 볏짚 인형(처용과

    제웅은 발음 및 축사의 기능

    이 같으므로 처용을 곧 제웅

    이라고도 함.)과 연결시킬 수

    있다.

    신라시대학덕이높은이름난승려였으며,

    향가를지었음.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4 PM 페이지143 mac02 T

  • 1 4 4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서경별곡」은 이별과 슬픔의 정서를 솔직한 표현을 통해 잘 드러낸 작품이다. 화자의 어조와 태도, 그리

    고 고려 가요로서의 특징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선정취지

    「서경별곡」은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고려 가요로 중세 후기 문학인 고

    려 가요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적절한 작품이기에 이 단원의 제재로 선정

    하였다. 학생들은 이 작품의 학습을 통해 시적 화자의 정서는 물론 고려

    가요의 형식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고려 가요의 향유

    방식과 문화적 배경 및 오랜 기간 구전되어 전승된 고려 가요가 조선 시

    대에기록되는과정에서지니게된특징에대해서도살펴볼수있다.

    작품연구

    •갈래:̀ 고려 가요

    •성격:̀ 이별의노래

    •형식:̀ 3음보로매절끝에후렴, 분연체, 3연 14절(3·3·3조가주류)

    •제재:̀ 임과의이별

    •주제:̀ 이별의정한, 이별의슬픔

    •표현:̀ 반복법, 설의법, 비유법

    •특징

    - 2연이「정석가」의 6연과같음, 『익제난고』「소악부」에한역가가전함.

    - 음악적리듬감이느껴지는‘아즐가’, ‘나 ’등의감탄구가쓰임.

    - 조선 시대에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라 비판받기도했음.

    - ‘청산별곡’과함께창작성과문학성이뛰어난작품으로평가받음.

    •구성

    - 1연:̀ 이별을인정하지않으려는연모의정

    - 2연:̀ 임에 대한변함없는사랑과믿음

    - 3연:̀ 떠나는임에대한불신과원망

    핵심정리

    1. 「서경별곡」에나타난연과연의이질성

    이 작품의 각 연은 시상 전개에 있어서 매끄럽게 연결되지 못하고 있으

    며, 어조 역시 상당히 이질적이다. 1연은 이별을 아쉬워하는 심정을 서경

    에서의 생계도 뿌리치고 임을 따르겠다는 의지로 표현하지만, 2연에서는

    독백체로 임을 향한 무한한 사랑과 믿음을 맹세하고 있으며, 3연에서는

    대동강을 배경으로 떠나가는 임에게 애원하며 사공을 원망하는 내용이 이

    어진다. 또한 2연은 고려 가요인‘정석가’와 동일하다. 이 같은 부자연스

    러움은 이 작품이 단일한 작가의 작품이 아니라 당시 여러 노래들을 합하

    여만들었을것이라는주장을뒷받침하고있다.

    2. 「서경별곡」의후렴구의기능

    이 작품은‘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라는 후렴구를 가지고 있어,

    전형적인 속요의 특징을 보인다. 속요의 이러한 후렴구는 특정한 의미를

    지니지 않은 소리로, 민요가 궁중악으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생긴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후렴구는 경쾌한 리듬감을 형성하고, 앞의 노랫말과 다

    음 노랫말을 이어 주는 연속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휴지(休止)를 나타내는

    기능도한다.

    3. 「가시리」와「서경별곡」에나타난화자의태도

    작품

    「서경별곡」

    「가시리」

    공통점 차이점

    이별의정한을노래한고려

    가요이며화자의목소리가여

    성적임.

    적극적이고활달한

    고려시대의여성상

    인고와순정을미덕으로

    간직하는여성상

    현대어풀이

    1연: 서경(평양)이 서울이지만 / 새로 닦은 곳인 소성경(小城京)을 사랑합니다만 /

    (임과) 이별하기보다는 차라리 길쌈 베를 버리고라도 / 사랑만 해 주신다면 울면서

    따르겠습니다.

    2연: 구슬이 바위 위에 떨어진들 / 끈이야 끊어지겠습니까? / (임과 헤어져) 천 년

    을홀로살아간들 / (임에 대한) 믿음이야끊어지겠습니까?

    3연: 대동강이 넓은 줄을 몰라서 / 배를 내어 놓았느냐, 사공아. / 네 아내가 음란

    한줄을몰라서 / 다니는배에실었느냐, 사공아. / (나의임은) 대동강건너편꽃을 /

    배를타고가기만하면꺾을것입니다.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4 PM 페이지144 mac02 T

  • 1 4 5[2] 중세 문학

    02 서경별곡(西京別曲) 작자미상

    서경(西京)̀■

    이아즐가`■

    서경(西京)이셔울히마르는`■

    위두어렁셩두어렁셩다링디리

    닷곤 `■

    아즐가닷곤 쇼셩경`■

    고 마른`■

    위두어렁셩두어렁셩다링디리

    여 므론`■

    아즐가여 므론질삼뵈`■

    리시고

    위두어렁셩두어렁셩다링디리

    괴시란 `■

    아즐가괴시란 우러곰좃니노이다.̀■

    위두어렁셩두어렁셩다링디리

    구스리아즐가구스리바회예디신 `■

    위두어렁셩두어렁셩다링디리

    긴힛 `■

    아즐가긴힛 그츠리잇가`■

    나 `■

    위두어렁셩두어렁셩다링디리

    즈믄 `■

    아즐가즈믄 외오곰`■

    녀신 `■

    위두어렁셩두어렁셩다링디리

    신(信)잇 아즐가신(信)잇 그츠리잇가나

    위두어렁셩두어렁셩다링디리

    대동강(大同江) 아즐가대동강(大同江) 너븐디`■

    몰라셔

    위두어렁셩두어렁셩다링디리

    내여아즐가 내여노 다`■

    샤공아

    위두어렁셩두어렁셩다링디리

    네가시`■

    아즐가네가시럼난디`■

    몰라셔

    위두어렁셩두어렁셩다링디리

    ■서경(西京) 지금의 평양.

    ■ 아즐가 특별한 의미가 없이 흥

    을 돋우기 위하여 넣은 조흥구(助

    興句).

    ■셔울히마르는 서울이지만.

    ■닷곤 닦은곳. 중수(重修)한곳.

    ■쇼셩경 작은 서울. 곧 평양.

    ■고 마른 사랑하지마는.

    ■여 므론 이별하기보다는.

    ■질삼뵈 길쌈하던 베.

    ■괴시란 사랑하신다면.

    ■ 우러곰 좃니노이다. 울면서 따

    르겠습니다.

    ■디신 떨어진들.

    ■긴힛 끈이야.

    ■그츠리잇가 끊어지겠습니까.

    ■ 나 특별한 의미가 없는 조흥

    구(助興句).

    ■즈믄 천 년을.

    ■외오곰 홀로.

    ■녀신 지낸들. 살아간들.

    ■너븐디 넓은지. 넓은 줄을.

    ■노 다 놓았느냐.

    ■네 가시 네 아내가.

    ■ 럼난디 바람난지. 도리에 벗어

    난 행동을 하는지.

    평양 - 화자의삶의터전

    감탄사

    후렴구. 북 소리의의성어로작품전체에경쾌한리듬감을더해줌.

    수도(首都) 송도(松都)에 대하여서경(西京)을 이름.

    임을따르겠다는화자의적극적태도가드러남.

    끊어지지않는끈처럼임에대한자신의마음도변하지않음.(설의법)

    여인의모든것. 생업 생업을버리고서라도임을좇겠다는적극적인태도

    이별을인정하지않으려는연모의정

    임에대한변함없는사랑과믿음

    「서경별곡」에나타난여성화자의성격

    「가시리」에 나타나는 화자가 인고(忍苦)와 순종을 미덕으로 믿고 따르는 전통적 여인의 성격을 지녔다면, 「서경별곡」의 화자는 적극적이고 활달하며 솔직한

    고려시대서경(西京)의여인상을드러낸것으로볼수있다. 떠나가는임을다시만나기바라며감정을절제하고희생적인태도를보이는「가시리」의화자와달

    리, 「서경별곡」의화자는이별을거부하고임과함께하는행복을추구한다. 특히 3연에나타나는사공과그의아내에대한

    내용은, 임이 대동강을건너기만하면곧다른여인에게정을주리라는사실을자신도알고있다는화자의말로서, 2연에 나타난화자의다짐과대비되어골계

    미를느끼게한다. 3연에나타나는임에대한원망과불신은사랑이깊을수록이에비례하여질투도강해진다는점을나타내는것이라하겠다.

    임과의공간적단절감을드러내는배경

    변함없는 사랑을 다짐하는 이 구절은‘정

    석가’의 6연에도나오고있다. ‘서경별곡’의

    내용 전개상 관계가 없는 이 구절이 첨가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이와 같은 구

    절이 널리 유행했으리라 추측할 수 있다.

    또는 오랜 구전 과정이나 이 작품이 기록

    되는 과정에서 작품 간의 첨삭, 중복이 있

    었을가능성도있다. 맥락읽기 Q&A

    ①작품의공간적배경은? ⇡ 서경

    ② 1연에서 시적 화자가 여성임을

    알수있는시어는? ⇡질삼뵈

    ③ 1연의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

    은? ⇡ 임과의이별의상황

    ④ 2연에서 화자의 변함없는 사랑

    을비유한시어는? ⇡ 긴ㅎ(끈)

    ⑤ 3연에서 임과의 단절의 공간이

    자 임과 이별할 것이라는 두려움을

    야기하는공간은? ⇡ 대동강

    ⑥ 3연에 나타난 사공에 대한 화자

    의심리는? ⇡ 원망

    ⑦ 임과의 이별 상황에 대한 여성

    화자의정서와태도는?

    ⇡적극적, 자기중심적

    구슬이 바위에

    원망의대상→떠나는임을붙들지못하는답답함을사공에대한원망으로표출함.

    사공의아내가음란하다고모함→사공이배의운행을중단하고집으로돌아가게하려는의도

    『 』̀: 대구와반복을통한의미강조

    작품정리(ppt) / 원문+현대어풀이(서경별곡)(hwp) /

    「서경별곡」과「정석가」의공통삽입가요에대한

    고찰(hwp) 활용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4 PM 페이지145 mac02 T

  • 1 4 6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녈 예`■

    아즐가녈 예연즌다`■

    샤공아

    위두어렁셩두어렁셩다링디리

    대동강(大同江) 아즐가대동강(大同江) 건너편고즐여`■

    위두어렁셩두어렁셩다링디리

    타들면아즐가 타들면것고리이다`■

    위두어렁셩두어렁셩다링디리

    『악장가사(樂章歌詞)』

    ■ 녈 예 가는 배에. 떠나가는

    배에.

    ■연즌다 얹었느냐, 태웠느냐.

    ■ 고즐여 꽃을. ‘꽃’은 의미상으

    로는‘새로운 여인’을 뜻하는 것으

    로 해석할 수 있다.

    ■것고리이다 꺾을 것입니다.

    이 작품은 서경(평양)을 중심으로 서민층에서 널리 불리다가 후에 궁중 음악으로 편입된 고려 가요이다. 사랑하는 임

    을 떠나보내는 여인의 정한을 노래한 작품으로, 이별을 거부하는 화자의 적극적인 태도와 현실적인 정서를 솔직하게 표

    현하고 있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

    『악장가사』에 실린「서경별곡(西京別曲)」

    떠나는임을붙들지못하는답답함을제3자인사공에대한원망으로표출

    ‘강’만건너면혹시다른여인을사귀지나않을까하는불안과질투의감정을드러냄.

    떠나는임에대한불신과원망

    한국문학작품에나타나는‘강’의상징적성격

    •「공무도하가」: 임에 대한화자의‘사랑’, 물을 건너버린임과화자의‘이별’, ‘죽음’을의미한다.

    •주요한의「불놀이」: 덧없이 흘러가는 강물은 시간의 덧없음을 상징하는 동시에‘냉정’, ‘죽음’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박목월의「이별가」: 강의 이쪽은 이승을, 저쪽은 저승의 세계를 암시하고 있다. 시적 화자는 이승 세계에 있지

    만, 자꾸만 저쪽에서 들려오는 죽음의 소리를 듣는다. 따라서 강은 삶과 죽음을 구분하는 상징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알수있다.

    •강은교의「우리가 물이 되어」: 이 시에서‘물’은‘가뭄’으로 상징되고 있는 병들어 가는 현대 사회에 뿌려져서

    활기를되찾게하는생명수로, 비정한현대사회를맑고깨끗하게정화시키는존재이다.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4 PM 페이지146 mac02 T

  • 1 4 7[2] 중세 문학

    2 「서경별곡」의‘고려 가요’로서의 성격에 유의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1) 고려가요는반복되는구절인후렴구를갖는작품이많다. 이시에서이에해당

    하는부분을찾아보자.

    (2)다음 견해를 바탕으로「서경별곡」과「정석가」에 동일한 부분이 나타난 이유가

    무엇일지말해보자.

    1 「서경별곡」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1) 이시의화자는어떤상황에처해있는지말해보자.

    (2)2연의‘긴힛 아즐가긴힛 그츠리잇가’에담긴함축적의미는무엇인지말해

    보자.

    (3)3연에서화자가사공에게위협하는말을한이유는무엇인지말해보자.

    다가서기

    깊게이해하기

    학습활동

    고려 가요에는 민간에서 유행하는 노래를 궁중 음악으로 편입한 작품이 많다. 궁중

    음악으로편입할때는민간의노래를그대로사용하기도하지만, 일부내용을덧붙이거

    나바꾸기도했으리라짐작된다.

    정석가

    사랑하는임이화자를버리고떠나가려고함.(또는 떠나버림.)

    임에 대한자신의마음을끈에비유하여끊어지지않는끈처럼자신의마음도변하지않는다는뜻을나타낸것이다.

    떠나려는임을붙잡지못하는답답한마음과상황에그탓을사공에게돌려표현한것이다.

    *`분연체란‘여러 절 또는 연(聯)으로 이어지는(나누어진) 노래’를 뜻하며, 다른 말로 연장체, 분절체라고도 한다. 분연

    체는 10구체 이래 우리나라 시가 형식의 전통적 형식으로 자리잡은 형식으로 고려 가요 또한 거의 모든 형식이 분절

    체이다. 그러나고려가요중‘사모곡’은비분연체의형식을가지고있다.

    위 두어렁셩두어렁셩다링디리

    「서경별곡」의 2연과「정석가」의 6연에 동일한 구절이 나타나는 것은 원래 민간에서 유행하던 노래였을 것으로 보이

    는이작품들을궁중음악으로편입하는과정에서당시에유행하던구절을동일하게첨가한때문으로볼수있다. 또

    는 오랜구전과정이나, 이 작품이기록되는과정에서작품간의첨삭, 중복이이루어졌을가능성도있다.

    이끌기|2-(1) 고려 가요로서

    의‘서경별곡’의 형식적 특징

    을 확인해 보는 활동이다. 후

    렴구 외에고려가요의형식적

    특징인 분연체 형식에 대해서

    도같이지도한다.

    이끌기|1 각 연의 내용을 잘

    파악했는지 확인하는 활동이

    다. 1연에서 화자는 자신을 떠

    나는임에게길쌈하던베를다

    버리고라도 임을 따르겠다는

    의지를 표현하고 있고, 2연에

    서는 임과 이별할지라도 임에

    대한 사랑은 변함없다고 자신

    한다. 그러다 3연에서는 임이

    다른여인을만나게될지모른

    다는 불안감에 싸여 뱃사공을

    원망하며모함한다.

    이끌기|2-(2) 고려 가요의 전

    승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활동이다. 「서경별곡」은

    2연의 경우 대상에 대한 강한

    신뢰를보여주고있다는점과

    다른 연에 비해 화자의 성별

    표지가 상대적으로 뚜렷하지

    않다는 점에서 여러 해석(남성

    이라고도 봄.)이 가능하다. 즉

    이 작품의경우에도서로다른

    독립적인 노래가 합성되어서

    한편의노래로완성되었을가

    능성이 크다는 사실을 뒷받침

    해준다.

    학습 활동풀이(ppt) / 넓게 생각하기(ppt) / 원문+현대어풀이(정석가)(hwp) / 문제은행(학습지, 소단원평가) 활용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4 PM 페이지147 mac02 T

  • 1 4 8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3 다음은 고려 시대의 경기체가인「한림별곡」의 제`1`장이다. 이를 읽고, 아래의 활동을해 보자.

    (3)다음 글을읽고, 「서경별곡」에서‘남녀상열지사’로이해할만한부분이있는지

    살펴보고, 이에대한자신의생각을말해보자.

    (1)‘경기체가’라는 이름은 후렴구에서 유래하였다. 이를 참고하여 위 작품에서 후

    렴구를찾아말해보자.

    (2)위작품에나타난시적화자의태도는어떠한지말해보자.

    넓게생각하기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라는 말은 조선 전기의 학자들이 고려 가요를 낮추어

    가리키던말로남녀간의사랑을읊은노래라는의미이다. 그들은고려가요의표현이

    너무직접적·사실적이라고비판하였다.

    제`1`장

    元淳文仁老詩公老四六 유원순의 문장, 이인로의 시, 이공로의 사

    원 문인노시공노 륙 륙변려문

    李正言陳翰林雙韻走筆 이규보와 진화의 쌍운을 맞추어 내려간 글

    니졍언딘한림솽운주필

    沖基對策光鈞經義良鏡詩賦 유충기의 대책문, 민광균의 경서 해의(解

    튱긔 `광균경의량경시부 義), 김양경의 시와 부

    위試場ㅅ景긔엇더 니잇고 아아, 과거 시험장의 광경, 그것이 어떠하

    시 경 겠습니까?

    (葉)琴學士의玉筍門生琴學士의玉筍門生 금의가 배출한 죽순처럼 많은 제자들, 금의

    `금 옥 문 금 옥 문 가 배출한 죽순처럼 많은 제자들

    위날조차몃부니잇고 아아, 나까지 몇 분이나 됩니까.

    『악장가사(樂章歌詞)』

    “대동강(大同江) 아즐가 대동강(大同江) 건너편 고즐여”, “ 타들면아즐가 타들면것고리이다”부분은남녀상열지

    사라볼수있다. 꽃을꺾는다는것은여인의정조를범한다는비유적표현으로, 당시조선의유교사회에서는이정도

    의표현도남녀간의애정행위를노골적으로표현한것이라고보아받아들이기어려웠을것이기때문이다.

    이끌기|2-(3) 고려 가요가향

    유된문화적배경을짐작해볼

    수 있는 활동이다. 고려 가요

    의 주요 창작층이라 할 수 있

    는 서민들은 일상에서 느끼는

    감정을 귀족층보다 더 솔직하

    게드러내어고려가요를향유

    했다는 점을 말해 준다. 이 작

    품의 주요정서인이별의정한

    역시서민들의솔직한생활감

    정과관련이있다.

    *`이 작품이 궁중에 유입되어 가창된 것은 고려 후기의 사회적 배경과 관련이 깊다. 당시는 무신의 난과 몽골의 침입

    으로 의식 수준이 낮은 권문세족이 권력을 잡고 있었다. 그들은 엄격한 정치의식을 멀리하고 놀이에 탐닉해 있었고

    따라서궁중의정악대신에서민층에서불리던속요를가져와유흥거리로삼았다.

    이끌기|3 중세 후기에 나타

    난또하나의갈래인경기체가

    의특성을살펴보기위한활동

    이다. 경기체가의 후렴구 부분

    을 갈래의 명칭과 관련지어 이

    해하고 객관적 사실이나 사물

    을 나열하는 표현상의 특징을

    창작 계층 또는 시적 태도와

    관련지어이해하도록지도한다.

    작품연구|「한림별곡」

    •갈래 :̀ 경기체가

    •연대`: 고려 고종(1214~

    1259)

    •성격:̀ 과시적, 풍류적, 귀족적

    •구성 :̀ 전 8장의분절체

    •주제 :̀ 사대부의 학문적 자부

    심, 귀족들의 풍류와 향락적

    생활상

    •의의 :̀ 최초의 경기체가로 귀

    족의 생활 감정을 표현했고,

    가사문학에영향을줌.

    •특징

    - 한자어의 배열로 운율을

    형성함.

    - 시적 화자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것들을나열함.

    - 작가의 감정을 직설적으로

    나타내지 않고 묘사적으로 나

    타냄.

    위 試場ㅅ景긔엇더 니잇고

    자신감에차있고, 활달한기상을보여준다.

    경기체가의구조적특징

    경기체가는 객관적 사실이나 사물을 나열하는 부분과, 여기에서 비롯된 감정을 표현하는 부분이 결합된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형식을 통해 사대부들의 이상과 자긍을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그러나 경

    기체가는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중기까지 간간이 창작되어 작품도 20여 편에 불과하다. 또한 이들 작품

    들은‘景긔엇더하니잇고’라는표현을제외하고는서로간에상당한일탈과파격을보인다.

    ‘아아, 아으, 아소’등과같은감탄사에해당

    상대방의 견해를 묻는 단순한 의문의 표현이 아니라 득의만만(得意滿滿)

    한 과시적인 의미의 표현이며, 또한‘景 긔 엇더하니잇고’는 이와 같은

    노래의갈래이름의유래가된다.

    설의적 표현으로, 작가를 비롯한 신흥 문벌들의

    자신에찬의욕과권세를보여줌.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4 PM 페이지148 mac02 T

  • 1 4 9[2] 중세 문학

    4 고려 시대의 시가 갈래인 고려 가요와 경기체가는 모두 후렴구를 반복함으로써 노래로서의 리듬감을 살리고 있다. 이러한 후렴구를 포함한 노래 가사를 다음과 같은

    에 따라 지어서 발표해 보자.

    •총2연으로구성할것.

    •1연을3행으로구성할것.

    •사랑의감정을절실하게표현할것.

    •후렴구를만들어붙일것.

    (후렴)

    조건

    1연

    (후렴)

    2연

    경기체가의형성과향유계층

    경기체가의 중심 향유층은 고려 후기에서 조선 초기의 신흥 사대부들이다. 이들은

    뿌리 깊은 전통을 자랑하던 불교 중심 문화의 모순과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새로운

    가치 체계인 유가 이념으로 극복하려 했던 진보적 지식인들이다. 따라서 이들에게는

    모든 가치 판단을 유가적 세계관에 입각해 설정하려는 특유의 현실 의식이 확립되어

    있었고, 문화적 전환을 주도하고 정착시켜 나갔던 진보적 지식인 특유의 당당함이 빛

    난다. 「한림별곡」을 비롯하여 안축의「관동별곡」, 「죽계별곡」등 특히 고려 시대에 창

    작된경기체가는사대부의이상이투영된자연과의조화를노래하고있다.

    경기체가가 즐겨 다루는 세계는 도학적인 이념 세계, 유자(儒者)로서의 자족감과 자

    부심, 심신 수양과 학문 정진을 위한 풍류, 새 왕조와 군주에 대한 송축 등이다. (중

    략) 조선조에 들어와 경기체가는 기계적이고 공식적인 표현에만 머물러 서정성이 현

    저히 약화되는 반면 이념 지향적 교술성은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16세기 김구의

    「화전별곡」, 주세붕의「태평곡」, 권호문의「독락팔곡」등은 이러한 이념 지향적 상투

    성에서 벗어나 사대부 개인의 내면과 심미적 세계라는 새 모습을 보여 주려 했지만,

    경기체가는결국형식과장르의해체로나아가고만다.

    - 민족 문학사연구소, “새 민족문학사강좌 01”(창비, 2009)

    예시 답생략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4 PM 페이지149 mac02 T

  • 「만복사저포기」는 기이한 사랑 이야기를 다룬 한문 소설로, 조선 전기의 서사 문학을 대표하는 작품 가

    운데 하나이다. 작품에 나타난 발상과 표현 방식에 유의하면서 작품을 읽어 보자.

    1 5 0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작품선정취지

    「만복사저포기」는 김시습의『금오신화』에 실린 다섯 편의 소설 중 하나

    로, 사람과 귀신 간의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는 전기(傳奇) 소설이다. 최초

    의 한문 소설로 평가받고 있는『금오신화』속 한 작품을 공부함으로써 조

    선전기에 지어진 한문 소설에 나타나있는표현등을살펴볼 수있고, 이

    소설을 통해 작가가 보여 주려고 한 것이 무엇인지 이해함으로써 작가가

    살던당대의현실을짐작해볼수있을것이다.

    작품연구

    •갈래:̀ 한문 소설, 전기(傳奇) 소설

    •배경:̀ 전라남도남원만복사

    •시점:̀ 전지적작가시점

    •성격:̀ 전기적, 환상적, 비극적

    •제재:̀ 양생과죽은여인간의사랑

    •주제:̀ 생사를초월한사랑

    •특징

    - 불교적색채가강하게드러남.

    - 삽입시로인물의심리를전달함.

    •의의`

    - 양계(陽界)와 음계(陰界)의 인물의 만남, 이별, 양계의 인물이 속세를

    버린다는 설화적 소재에 작가 자신의 창의성을 가하고 상당 수준의 소설

    적 형식을 갖춤으로써 소설로 발전하게 되는 과정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있는작품임.

    - 중국 소설“전등신화”의 영향을 받았으나 결코 모방은 아니며 작가의

    독창성을엿볼수있는, 우리 설화문학의전통속에서탄생된소설임.

    핵심정리

    1. 이 작품의사상적배경

    이작품은불교적색채가짙은작품이다. 양생이 여인을만나사랑을나

    누는 장소가 절이라는 점, 두 사람이 배필을 만나게 해 달라고 부처님께

    비는 점, 여인의 가족들이 그녀의 명복을 빌어 주기 위해 재를 올리려고

    하는 점 등은 이 작품의 불교적 색채를 보여 주는 대목이다. 그리고 여인

    이 양생에게 정업을 닦아 속세의 누를 벗으라고 말하는 대목 역시 불교의

    윤회사상을바탕으로한결말이라고할수있다.

    2. 전기(傳奇) 소설로서의「만복사저포기」

    전기 소설은 작중 인물이나 배경 설정에 있어서도 현세와 비현세의 이

    중 구성을 취하고 있으며 특히 플롯은 오직 초자연적, 초인간적 신력(神

    力)에 의하여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작품도 이승의 사람인 양생과

    저승의 사람인 (하씨) 여인이 만나서 사랑을 나누는 것으로 그려 현세와

    비현세가 결합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또한 양생이 부처님과의 저포 놀

    이에서 이겨서 배필을 얻게 된다는 사건 전개는 초인간적, 초자연적인 힘

    에의존한전기소설구성의한전형을보인것이다.

    3. 이 작품의전기적구조

    현실의 인간 세계와 초현실의 세계가 어떤 명확한 액자에 의해 구분됨

    없이 상호 출입하는 관계 속에서 사건이 전개되는 전기적 구조는 다음과

    같은짜임을이룬다.

    현실

    (불행)→

    초현실

    (행복)→

    현실

    (절망)→

    초현실

    (상승)

    『금오신화』에실린나머지작품의줄거리

    •이생규장전 :̀ 이생이라는 젊은이가 최씨라는 아름다운 여인을 보고 사랑

    의글을써서 담너머로 던진다. 그 뒤 둘은 사랑하는 사이가 되었지만이

    생 부모의 반대로 시련을 겪게 된다. 그러다 최씨 부모의 노력으로 두 사

    람은 부부가 되고, 이생은 과거에 오른다. 그러나 곧 홍건적의 난이 일어

    나고최씨는홍건적의칼에맞아죽고만다. 그런데 하루는최씨가이생을

    찾아와 그들은 다시 행복한 날을 보낸다. 그러다 3년이 지난 어느 날, 최

    씨는 아직도 들에서 뒹구는 자기의 해골을 거두어 장사 지내 줄 것을 부

    탁하며 이생과 작별한다. 이생은 최씨의 말대로 장사를 지내 준 후 그 길

    로병이들어세상을하직한다.

    •취유부벽정기 :̀ 홍생이 평양으로 가서 친구들과 같이 대동강에서 놀다가

    술에 취한 후 부벽루에 올랐다가 기자의 딸을 만나 밤새도록 시를 주고받

    으며 즐거움을 나누었다. 그런데 날이 새자 그녀는 시를 남겨 둔 채 하늘

    로 올라가 버렸고, 시마저 회오리바람에 날아가 버렸다. 그 이후 홍생은

    상사병을 얻어 죽게 되었다. 그의 시체는 며칠이 지나도 얼굴빛이 변하지

    않았는데, 이는 기자왕의딸을만났기때문이라고한다.

    •남염부주지 :̀ 유학자인 박생이 하루는 글을 읽다가 조는 사이에 꿈속에

    서 염라국에 들어가는데, 그곳에서 수문장의 안내를 받아 염라왕을 만나

    게 된다. 박생은 염라왕과 질문을 주고받은 뒤, 염라국의 왕이 되어 달라

    는부탁을받고이를승낙한다. 돌아오는길에박생은수레에올랐으나수

    레가넘어지는바람에놀라꿈에서깨어난다. 두서너달이지난뒤에박생

    은 병으로 죽게 되는데, 신인(神人)이 나타나 이웃 사람에게 박생은 염라

    왕이될것이라고했다.

    •용궁부연록 :̀ 한생은 용왕의 초대를 받아 용궁으로 들어가서 용왕의 청

    에 따라 상량문을 지어 준다. 용왕은 한생의 뛰어난 시 솜씨에 감탄하여

    잔치를 열어 준다. 잔치가 끝난 뒤 용왕의 허락을 받아 용궁을 구경하는

    데, 그곳에는 기이한 물건들이 많았다. 구경을 마친 뒤 용왕에게 하직하고

    나오려 하자 용왕이 선물을 주었는데 선물을 받고 나오는 도중 한생은 잠

    을깬다.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4 PM 페이지150 mac02 T

  • 남원(南原)에양생(梁生)이란사람이있었다. 어린나이에부모를여의고만복

    사(萬福寺)̀■

    동쪽에서혼자살았다. 방 밖에는배나무한그루가있었는데, 바야

    흐로봄을맞아배꽃이흐드러지게핀것이마치옥나무에은이매달린듯하였

    다. 양생은 달이 뜬 밤이면 배나무 아래를 서성이며 낭랑한 소리로 이런 시를

    읊조렸다.

    쓸쓸히한그루나무의배꽃을짝해

    달밝은이밤그냥보내다니가련도하지.

    청춘에홀로외로이창가에누웠는데

    어디서들려오나고운님피리소리.

    외로운비취새`■

    짝없이날고

    짝잃은원앙새맑은강에몸을씻네.

    내인연어딨을까바둑알로맞춰보고

    등불로점을치다시름겨워창에기대네.

    시를다읊고나자문득공중에서말소리가들렸다.

    “네가좋은배필을얻고싶구나. 그렇다면근심할것없느니라.”

    양생은이말을듣고내심기뻐하였다.

    이튿날은 3월 24일이었다. 이날 만복사에서 연등회(燃燈會)̀■

    를 열어 복을 비

    는 것이 이 고을의 풍속이었다. 남녀가 운집하여`■

    저마다 소원을 빌더니, 날이

    저물자 염불 소리가 그치며 사람들이 모두 돌아갔다. 그러자 양생은 소매에서

    저포(樗蒲)̀■

    를꺼내불상앞에던지며이렇게말했다.

    “제가오늘부처님과저포놀이로내기를해보렵니다. 제가진다면법회(法會)̀■

    김시습(金時習, 1435~1493)

    조선 시대의 학자. 생육신의 한

    사람으로, 유교와 불교의 정신을 아

    우르는 사상과 탁월한 문장으로 이

    름을 떨쳤다. 경주 남산에 금오산실

    을 짓고 살면서 한국 최초의 한문

    소설집인『금오신화』를 썼다.05

    10

    15

    20

    ■ 만복사(萬福寺) 고려 문종(文

    宗) 때 창건된 절로, 전라도 남원

    기린산(麒麟山)에 있었다. 정유재

    란(丁酉再亂) 때 불에 타 사라졌다.

    ■비취(翡翠)새 물총새.

    ■ 연등회(燃燈會) 석가모니의 탄

    생일에 등불을 켜고 복을 비는 의

    식. 신라 진흥왕 때 시작되어 고려

    시대에국가적행사로자리잡았다.

    ■ 운집(雲集)하여 많은 사람이 모

    여들어.

    ■ 저포(樗蒲) 주사위 같은 것을

    나무로 만들어 던져서 그 끗수로

    승부를 겨루는 것으로, 윷놀이와

    비슷하다.

    ■법회(法會) 설법하는 모임.

    03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1 5 1[2] 중세 문학

    김시습

    정길수옮김

    시에서 양생이 좋은 배필을 얻

    고 싶어 하는 마음이 드러난 부분

    을 찾아보자.

    구체적인지명을제시해소설의사실성을높임.

    양씨성을가진선비

    양생이자신의처지를빗대어표현함.

    홀로 살아가고 있는 양생의 처지와 그리움을

    드러낸 시이다. 자신의 처지를 외로이 나는

    비취새와 짝 잃고 강물에 떠 있는 원앙새의

    처지에 빗대어 표현함으로써 배필을 얻고 싶

    은양생의소망을암시하고있다.

    비현실적인내용으로전기(傳奇)적 요소가드러남.

    양생과여인이만나게되는배경

    등불의밝음과어두움을보고일의길흉을점치는것으로

    우연을중시하는양생의운명관을드러냄.

    양생의외로운처지가드러남.

    양생이만복사에서외롭게지냄.

    양생이자신의외로운처지를시로읊음.

    공중에서응답이옴.시 전체에 걸쳐 양생의 마음이

    드러나 있다고 말할 수도 있으나

    직접적으로 드러난 부분은“내

    인연 어딨을까 바둑알로 맞춰 보

    고 / 등불로점을치다”이다.

    본관은 강릉이며 호는 매월당으로, 세종 17년 서울 양궁 북쪽에서 충순위 일성의 아들로

    태어났다. 방랑과 환속을거듭하면서단종과세조를거쳐성종 24년에 충청도홍산무량사에

    서 59세를 일기로 생애를 마쳤다. 불굴의 정치적 양식을 갖춘 신흥 사류파의 지식인으로서

    때로는인생을부정하면서도때로는현실과타협하지않을수없는인간적고뇌를시와 소설

    을통해형상화시켰다. 저서로는『금오신화』외에『매월당집』, 『사유록』, 『십현담요해』가있다.

    작품전체줄거리(애내메이션) / 본문제재듣기파일(mp3) / 작품정리(ppt) / 수능 기출문항(만복사저포기)(hwp) /

    작품 전문(만복사저포기)(hwp) 활용

    김시습의생애및작품세계

    (ppt, hwp) 활용

    읽기중활동예시답안(ppt)

    활용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4 PM 페이지151 mac02 T

  • 1 5 2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를베풀어부처님께공양`■

    을올리겠지만, 만약에부처님이진다면미녀를점지

    해주시어`■

    제소원을이루도록해주셔야합니다.”

    이렇게 기도를 하고는 저포 놀이를 시작하였다. 결과는 양생의 승리였다. 그

    러자양생은불상앞에꿇어앉아이렇게말했다.

    “승부가이미결정되었으니, 절대로약속을어기시면안됩니다.”

    그러고는불상앞에놓인탁자밑에숨어부처님이어떻게약속을지켜줄지

    기다려보았다.

    이윽고아리따운여인한사람이들어왔다. 나이는열다섯이나열여섯쯤되어

    보였다. 머리를곱게땋아내렸고화장을엷게했는데, 용모와자태가곱디고운

    것이 마치 하늘의 선녀나 바다의 여신과도 같아 바라보고 있자니 위엄이 느껴

    졌다. 여인은 기름이 든 병을 들고 들어와 등잔에 기름을 부어 넣고 향로에 향

    을꽂은뒤부처님앞에세번절하고꿇어앉더니한숨을쉬며이렇게말했다.

    “운명이어쩌면이리도기박할까`■

    !”

    그러더니품속에서뭔가글이적힌종이를꺼내어탁자앞에바쳤다. 그내용

    은다음과같았다.

    아무고을아무땅에사는아무개가아뢰옵니다.

    지난날 변방의 방어에 실패한 탓에 왜구(倭寇)가 침략하였습니다. 창과 칼이

    난무하고`■

    위급을 알리는 봉화`■

    가 몇 해나 이어지더니 가옥이 불타고 인민들이

    노략질당하였습니다. 이리저리로달아나숨는사이에친척이며하인들은모두

    흩어져 버렸습니다. 저는 연약한 여자인지라 멀리 달아나지 못하고 규방`■

    에 들

    어앉아있었으되, 정절을지키며도리에어긋나는일은하지않은채무도한`■

    앙을피할수있었습니다.

    05

    10

    15

    20

    ■ 공양(供養) 웃어른을 모시어

    음식 이바지를 함. 죽은 이의 영혼

    에게 음식, 꽃 따위를 바치는 일.

    또는 그 음식.

    ■ 점지해 주시어 무엇이 생기는

    것을 미리 지시해 주시어.

    ■ 기박(奇薄)할까 팔자나 운수가

    사납고 복이 없을까.

    ■ 난무(亂舞)하고 함부로 나서서

    마구 날뛰고.

    ■ 봉화(烽火) 나라에 병란이나

    사변이 있을 때 신호로 올리던 불.

    ■ 규방(閨房) 부녀자가 거처하는

    방.

    ■ 무도(無道)한 말이나 행동이

    사람의 도리에 어긋나서 막된.

    여인이 부처님께 바친 글을 읽

    고 여인의 생애를 정리해 보자.

    전기 소설(傳奇小說)은 기이한 사건을 전하는 소설이라는 뜻이다. 「만복사저포기」는 귀신과 인간의 사랑을 다루고 있어

    서, 전기 소설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전기 소설은 비현실적인 사건을 다루지만, 현실의 사건을 반영하기도 하며 실제

    인간의 감정을 절실하게 표현하기도 한다. 또한 인물의 감정을 드러내기 위해 삽입 시가를 활용하는 점도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인데, 「만복사저포기」는 이러한 특징이 잘 드러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들여다보기 전기 소설로서의「만복사저포기」

    왜구가 침략했을 때 멀리 달아

    나지 못한 채 규방에서 정절을

    지키다 죽었다. 그리고 외진 풀

    밭에서 지낸 지(무덤에 묻힌 지)

    3년이지났다.

    양생이부처님과의저포놀이에서이김.

    신비로운여인이나타남.

    전기적요소-재자가인(才子佳人)적 인물. 여인에게서이인적(異人的) 풍모가드러남.

    정절을지키다죽게되었음을짐작할수있음.

    왜구의침입이잦았음을나타내며, 사건의위기를나타내는복선의역할을함.

    좋은배필을얻는것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4 PM 페이지152 mac02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