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226(116~159) 2015.11.5 10:54 AM 페이지116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문학(권영민)/3-1... · (4)다음설명을참고하여토템신앙의측면에서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226(116~159) 2015.11.5 10:54 AM 페이지116 mac02 T

  • 고대 문학

    중세 문학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근·현대 문학 (1) - 일제 강점기 문학

    근·현대 문학 (2) - 광복 이후의 문학

    12345

    한국문학의갈래와

    흐름

    #226(116~159) 2015.11.5 10:54 AM 페이지117 mac02 T

  • 1 1 8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학습 목표

    ■한국문학작품에반영된시대상황을이해하고감상할수있다.

    ■ 한국문학갈래의전개와구현양상을통해한국문학의개념과범위를이해할수있다.

    한국문학이란무엇인가? 먼저한국문학은‘한국어로된문학’이면서‘한국인이지은문학’이라고간단히답할수있다. 그렇지만한국어라는말이가리키는바는시대에따라달라질수있기때문에이러한

    답은완전한것이라하기어렵다. 왜냐하면한글로표기된국문문학외에한자로표

    기된한문문학등을포함하는시대도있었기때문이다.

    이처럼한국문학은고정된것이아니었으며시대에따라변화하였다. 따라서한국

    문학에대해잘알기위해서는이러한변화의흐름이어떤것이었는지를이해해야한

    다. 이를위해서는어떻게해야할까? 먼저개별작품에대한이해를바탕으로갈래의

    변화를살펴보아야한다. 예를들면향가나가사처럼나타났다가사라진작품을통해

    갈래적인변화의과정을살펴봄으로써한국문학의흐름을이해할수있다. 또한‘구

    비문학’, ‘한문문학’, ‘국문문학’의세영역이어떤관계를맺고있는지, 그리고어떤

    갈래가주로창작되고수용되는지에따라시기를나누어살펴보는것도유용한방법

    일수있다.

    한편한국문학의흐름에대한학습은한국문학이창작되고감상된시대상황에대

    한이해를넓히는계기가될수있다. 또, 이를통해한국의과거와현재에대해새롭

    게성찰하는기회를마련할수도있다. 문학작품과사회현실은다면적이면서도밀접

    한관계를맺고있기때문이다. 이또한문학을공부하는중요한이유일수있다.

    이단원에서는 각시대의대표적인작품을감상함으로써한국문학의갈래와

    흐름을학습할것이다. 또한작품의감상을통해작품이생산되고수용된시대적상황

    에대해서도함께살펴볼것이다.

    #226(116~159) 2015.11.5 10:54 AM 페이지118 mac02 T

  • 1 1 9단원을 열며

    3한국문학의갈래와흐름•한국문학의개념과범위이해하기 •각시기별문학의주요작품감상하기

    •한국문학의갈래와역사이해하기 •문학작품에반영된시대상황이해하기

    |단|원|한|눈|에|보|기|

    01 단군신화

    02 공무도하가(̀백수광부의아내)

    중세 문학2

    01 제망매가(̀월명사)

    02 서경별곡(̀작자미상)

    03 만복사저포기(김시습)

    04 도산십이곡(̀이황)

    05 속미인곡(̀정철)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3

    01 어이못오던다(̀작자미상)

    02 소대성전(̀작자미상)03 절명시(황현)

    04 구마검(이해조)

    근·현대 문학 (1) - 일제 강점기 문학4

    01 빼앗긴들에도봄은오는가(̀이상화)

    02 만세전(염상섭)

    03 달밤(̀이태준)

    04 산촌여정(이상)

    05 낙화(̀조지훈)

    근·현대 문학 (2) - 광복 이후의 문학5

    01 눈(̀김수영)

    02 삼포가는길(황석영)

    03 파수꾼(̀이강백)

    04 겨울-나무로부터봄-나무에

    05 서정시대(은희경)

    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로(황지우)

    고대 문학1

    #226(116~159) 2015.11.5 10:54 AM 페이지119 mac02 T

  • 1 2 0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온전한 형태로 전하는

    작품이 거의 없음.

    •원시적인 형태의 문학

    이 있었을 것이라 짐

    작됨.

    •건국의 내력을 밝히고

    그 신성성을 칭송한

    신화가 탄생함.

    •전설과 민담이 등장하

    고, 서정가요가발생함.

    •향가가 널리 창작됨.

    •한문 문학이 시작되었으며, 많은 전

    설과 민담이 전승되고 있었음.

    •경기체가, 고려 가요, 시조, 가사와

    같은 갈래가 생겨남.

    •한글의 창제로 악장 문학이 생겨나

    고 한글 사용층이 확대됨.

    •소설이 발생하였고, 한문 문학이 융

    성함.

    원시 고대 중세 전기 중세 후기

    구비 문학 구비 문학 구비 문학/̀̀한문 문학/̀̀차자 표기 문학 구비 문학/̀̀한문 문학/̀̀국문 문학

    한국 문학의 개념 한국문학은흔히‘한국인이한국어로한국인의사상과감정을표현

    한언어예술’로정의되어왔다. 정의에포함된요소들가운데‘언어’의측면에주목하여

    보자면, 한국문학은‘한국어로표현된언어예술’이라고할수있다.

    그런데‘한국어’가 가리키는 대상은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이는‘한국어를 표기

    하는글’이시대에따라달라졌기때문이다. 즉우리민족은한글이창제되기이전에는한

    자나차자표기(借字表記)인향찰을표기수단으로사용했고, 한글창제이후에도오랫동

    안한자를문학작품의주요한표기수단으로활용해왔다. 그러므로한국문학을한국어

    로된문학이라정의할경우에는이러한시기적변화를고려해야한다.

    한국 문학의 영역 ‘한국어’의 범위가 시대에 따라 달랐기 때문에, 한국 문학의 영역은

    일차적으로‘한국어’의 성격에 따라 나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한국 문학에는

    문자가없던시대에말로만들어진구비문학, 한글이창제되기이전에한자로표기된한

    문문학, 한글이창제된후한글로표기된국문문학의세영역이존재했다고할수있다.

    한국문학의전개과정은구비문학, 한문문학, 국문 문학이맺는관계의변화양상을

    통해살펴볼수있다. 문자가없던시대에는구비문학이사람들의사상과감정을표현하

    는역할을하였으며, 한자가들어온이후에는한문문학과구비문학이공존하였다. 한글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226(116~159) 2015.11.5 10:54 AM 페이지120 mac02 T

  • 1 2 1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이 창제된 이후에는 국문 문학과 함께 구비 문학, 한문 문학이 존재하였다. 한문 문학은

    동아시아의 여러 민족이 공유하는 문학 전통을 갖고 있었던 까닭에 한글 창제 이후에도

    상당한기간동안한국문학의범위에포함되었으나, 근대문학의등장과함께그역할을

    잃었다고할수있다.

    한국 문학의 갈래와 전개 한국문학의전개과정은문학갈래및문학갈래체계의변화

    과정을통해서도살펴볼수있다. 실제한국문학에서문학작품들이존재했던양상은향

    가, 시조, 가사등과같은구체적인갈래의변화를통해서살필수있는데, 이를흔히‘역

    사적갈래’라한다.

    역사적갈래들이생성, 변화, 소멸하는과정을알게되면한국문학의흐름에대해이해

    할수있게된다. 예를들어, 향가가신라에서발생하여고려전기까지이어진사실을통

    해신라와고려전기까지가문학의흐름에서는유사한성격을갖는시대임을알수있고,

    조선후기에시조와가사가장형화되고그작자층이확대된점을통해조선전기와조선

    후기의문학이다른성격을지니고있음을알수있다. 또한한문문학이나가사가사라지

    고현대시조, 자유시등의국문문학이많이창작된것을통해근대문학이시작되었음을

    알수있다.

    •작가층과 독자층이 확대되었으며, 국문 문학의

    비중이 커짐.

    •구비 문학 작품이 널리 전승되었으며, 판소리나

    탈춤과 같은 공연이 활발했음.

    •구습의 타파와 개화사상의 고취 등을 다룬 신소

    설과 신체시가 생겨남.

    •한문 문학이 생명력을 잃고 국문 문

    학과 구비 문학이 발전함.

    •문학의 근대 지향적인 특성이 강하게

    나타남.

    •3.1 운동 이후 다양한 목표를 가진

    문학잡지와 작가가 등장함.

    •광복 이후 한국 문학은 새로운 국면

    을 맞이함.

    •사회적으로 분단과 전쟁이라는 고난

    을 겪으면서 한국 문학은 계속 발전

    해 나감.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근·현대(̀1)̀-`일제 강점기 근·현대(̀2)̀-`광복 이후

    구비 문학/̀̀한문 문학/̀̀국문 문학 구비 문학/̀̀국문 문학 구비 문학/̀̀국문 문학

    #226(116~159) 2015.11.5 10:54 AM 페이지121 mac02 T

  • 1 2 2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대이전의문학

    고대이전에도원시적인형태의문학이있었겠지만, 온전한형태로전하는이시대의

    작품은 거의 없다. 다만 암각화를 비롯한 당시의 유적이나 오늘날에도 전승되는 구비

    문학인무가(巫歌) 등을통해그양상을짐작할수있을뿐이다. 구석기시대에는수렵

    위주의경제활동을했으므로, 수렵의성공을기원하는이야기와노래가있었으리라고

    추정된다. 농경 문화가 시작된 신석기 시대에는 노동요를 비롯하여 천지와 인류의 기

    원등을담은신화가나타났을것으로짐작된다.

    고대의문학

    건국 신화의 탄생 청동기시대에국가가성립되자건국의시조를주인공으로삼아건

    국의내력을밝히고그신성성을칭송하는건국신화들이탄생하였다.

    고조선의「단군신화」, 고구려의「주몽신화」, 가야의「가락국건국신화」등과같은

    건국 신화가 역사서에 한문으로 기록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신화는 고난을

    영웅적으로극복하는건국시조의모습을표현하고있다. 이들건국신화는부여의‘영

    고’, 고구려의‘동맹’, 예의‘무천’과같은국중대회(國中大會)에서서사시로구연되었

    을 것으로 추정되며, 집단의 결속을 다지고 자긍심을 높이는 역할을 했으리라고 짐작

    된다.

    전설, 민담, 서정 가요의 발생 고대 문학은 점차 신화 이외의 영역으로 확대되었다.

    신화적 질서로는 해결되지 않는 현실을 다루는 과정에서 전설과 민담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예를들어「낙랑공주와호동왕자」처럼신화적능력을갖춘주인공이좌절하

    거나 희생되는 이야기 또는 미천한 인물이 의외의 성공을 거두는 백제 무왕의 이야기

    등이있다. 한편국중대회와는별도로짧은노래들, 즉「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황

    조가(黃鳥歌)」, 「구지가(龜旨歌)」등이입에서입으로전해지다가한문으로기록되었다.

    이가운데「공무도하가」나「황조가」는개인적서정을읊은작품으로이해할수있는데,

    이를통해이시기에한국문학에서서정가요가발생하게되었음을확인할수있다.

    ■ 이 시기 문학의 역사적 전개 양상과 갈래별 특질을 이해할 수 있다.

    ■ 이 시기 문학의 주요 작품을 현대적 시각에서 감상할 수 있다.

    ■ 이 시기의 문학 작품을 감상함으로써 당시의 시대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고대문학1

    #226(116~159) 2015.11.5 10:54 AM 페이지122 mac02 T

  • (1) 이 암각화는 어느 시대의 유물일지 짐작해 보자.

    (2) 이러한 암각화를 만든 시대의 사람들은 어떤 내용을 주로 노래했을지 짐작하여 말해

    보자.

    1 2 3[1] 고대 문학

    ■다음 자료를 보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이 단원에서는「단군 신화」와「공무도하가」를 학습하게 된다. 건국 신화와 개인 서정 시

    가 작품을 통해 한국 문학이 발생하기 시작한 시기에 나타난 작품의 특징과 그 변화 과정

    을 알아보자.

    들어가기전에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고래 사냥하는 모습 등 여러 가지 생활상이 담겨 있다.

    #226(116~159) 2015.11.5 10:54 AM 페이지123 mac02 T

  • 1 2 4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단군 신화」는 우리 민족이 세운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건국 신화이다. 국가를 세운 시조의 영웅성과

    신성성 등 건국 신화로서의 특징에 주목하여 작품을 읽어 보자.

    #226(116~159) 2015.11.5 10:55 AM 페이지124 mac02 T

  • 1 2 5[1] 고대 문학

    고기(古記)̀■

    에이렇게전한다.

    옛날환인(桓因)̀—`제석(帝釋)을이른다.̀—`의서자(庶子)̀■

    환웅(桓雄)이계셨는데,

    항상 천하(天下)에 뜻을 두고 인간 세상을 탐내어 구하였다. 아버지가 아들의

    뜻을알고삼위태백(三危太伯)̀■

    을내려다보니, 인간세계를널리이롭게할만하

    였다. 이에 천부인(天符印)`■

    세 개를 주어, 내려가서 세상을 다스리게 하

    였다.

    환웅은 그 무리 3천 명을 거느리고 태백산(太伯山) 꼭대기`—`태백산은 지금의

    묘향산(妙香山)이다.̀—`의신단수(神壇樹)̀■

    아래에내려와서이곳을신시(神市)라고

    부르니, 이분이 곧 환웅천왕(桓雄天王)이다. 그는 풍백(風伯)·우사(雨師)·운

    사(雲師)̀■

    를거느리고곡식·수명·질병·형벌·선악등을주관하고, 인간세상

    의삼백예순가지일을맡아서인간세계를다스리고교화(敎化)하였다.

    이때곰한마리와범한마리가같은굴에서살았는데, 항상신웅(神雄, 환웅)

    에게 사람 되기를 빌었다. 이때 신(神, 환웅)이 신령한 쑥 한 심지와 마늘 스무

    개를주면서말하였다.

    “너희들이 이것을 먹고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는다면 곧 사람이 될 것

    이다.”

    곰과범은이것을받아서먹었다. 기(忌)̀■

    한지 21일〔三七日〕만에곰은여자가

    되었으나, 범은 능히 기(忌)하지 못했으므로 사람이 되지 못했다. 웅녀(熊女)는

    그와혼인할상대가없었으므로, 항상단수(壇樹) 아래에서아이를배기를기원

    하였다. 이에환웅이임시로변하여웅녀와혼인하여아들을낳으니, 이름을단

    군왕검(檀君王儉)이라하였다.

    단군은 요(堯)임금이 왕위에 오른 지 50년이 되는 경인년(庚寅年)̀—`요임금이

    왕위에오른해는무진년(戊辰年)이다. 따라서요임금 50년은정사년(丁巳年)이지경인

    년(庚寅年)이아니다. 아마잘못된부분이있는듯하다.̀—`에평양성(平壤城)̀—`지금의

    ■ 고기(古記) 옛 기록. 『삼국유

    사』를 쓸 때 인용했던 책을 가리키

    는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는 전하

    지 않는다. ‘고기(古記)’자체가 책

    의 이름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 서자(庶子) 첫째 아들이 아닌

    둘째 이하의 아들을 이르는 말.

    ■ 삼위태백(三危太伯) 삼위(三危)

    는 세 곳의 높은 산. 태백산은 그

    가운데하나. ‘삼위’를고유명사, 즉

    산의 이름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 천부인(天符印) 하늘의 위력과

    영험함을 표상하는 신물. 방울, 칼,

    거울로 추정하기도 한다.

    ■ 신단수(神壇樹) 신에게 제사를

    드리는 제단에 서 있는 나무.

    ■ 풍백(風伯)·우사(雨師)·운사

    (雲師) 바람, 비, 구름을 각각 주

    관하는 존재. 바람, 비, 구름은 모

    두 농경과 관련된다.

    ■ 기(忌)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

    여 삼가고 경계함.

    01 단군신화(檀君神話)

    05

    10

    15

    20

    25

    #226(116~159) 2015.11.5 10:55 AM 페이지125 mac02 T

  • 1 2 6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서경(西京)̀`—`̀에 도읍을 정하고, 비로소 조선(朝鮮)이라 일컬었다. 또 백악산(白

    岳山) 아사달(阿斯達)로 도읍을 옮겼는데, 그곳을 궁홀산(弓忽山),̀`—`̀‘궁’(弓)은

    ‘방’(方)으로 된 데도 있다.̀`—`̀또는 금미달(今彌達)이라고도 한다. 단군은 여기서

    1천5백년동안나라를다스렸다.

    주(周)나라의 무왕(武王)이 왕위에 오른 기묘년(己卯年)에 기자(箕子)를 조선

    에 봉하니, 단군은 장당경(藏唐京)̀■

    으로 옮겼다. 뒤에 단군은 아사달에 돌아와

    은거하다가산신이되었는데, 그때나이가1천9백8세였다.

    『삼국유사(三國遺事)』

    05

    ■ 장당경(藏唐京) 황해도 구월산

    (九月山) 아래의 땅 이름.

    이만익, 「신단수도」

    이 작품은 우리 민족이 세운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건국 신화이다. 이 신화에서는 천상의 존재인 환웅이 지상의 존

    재인 웅녀와 결합하여 시조인 단군이 탄생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려 내어 우리나라가 천손에 의해 건국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이 작품을 통해 우리 신화의 원형과 당시 사회의 성격을 살펴볼 수 있다.

    #226(116~159) 2015.11.5 10:55 AM 페이지126 mac02 T

  • 1 2 7[1] 고대 문학

    2 「단군 신화」에 나타난 신화로서의 성격과 시대 상황에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1) 다음을 참고하여「단군 신화」는 어떤 유형의 신화인지 말하고, 작품 내에서 근

    거가되는부분을찾아보자.

    신화는 신(神)에 대한 이야기를 신성한 태도로 서술하는 설화이다. 신화에서는 신의

    내력을설명하게되는데, 그과정에서우주와천지(天地), 인간과동·식물로부터인간

    의문화와제도에이르기까지다양한존재들의기원을다루곤한다. 신화에서다룬내

    용을기준으로한다면천지창조신화, 인류기원신화, 문화기원신화, 건국신화등으

    로나눌수있다.

    1 「단군 신화」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1) 단군이세상에태어나게되기까지의과정을간단히정리해서말해보자.

    (2)이신화에나타난건국이념을본문에나온구절을활용하여말해보자.

    (3)신화, 전설, 민담 등의 설화에는 특정한 행동이나 말을 금지하는 금기(禁忌)

    의요소가흔히나타난다. 이작품에서금기가나타난부분을찾아보자.

    다가서기

    깊게이해하기

    학습활동

    #226(116~159) 2015.11.5 10:55 AM 페이지127 mac02 T

  • 1 2 8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4)다음설명을참고하여토템신앙의측면에서「단군신화」의내용을해석해보자.

    (3)「단군신화」가형성되던무렵의사람들은어떻게경제생활을했을지작품내에

    서찾아구체적인근거를들어말해보자.

    토템(totem)은특정한집단에서자신들과특별한관계가있다고여겨서자기집단의

    상징물로삼는자연물이나동식물을뜻하는말이다. 국가형성이전의사회에서는부족

    마다자기집단을상징하는토템을내세웠을것으로짐작되는데, 이러한토템은신화의

    형성과정에서흔히특정집단을대표하는존재로등장한다.

    (5)사람들이문자를사용하기이전에는「단군신화」가어떤방식으로향유되었을지

    추측해보고, 이렇게향유되던것을한국문학으로볼수있을지친구들과함께

    의견을나누어보자.

    (2)「단군신화」에서신화로서의신성성을보여주는요소들은어떤것이있는지알

    아보자.

    ‘환웅’의 경우

    ‘단군’의 경우

    #226(116~159) 2015.11.5 10:55 AM 페이지128 mac02 T

  • 1 2 9[1] 고대 문학

    3 다음은 고구려의 건국 신화인「주몽 신화」의 일부분이다. 이 글을 읽고, 아래의 활동을해 보자.

    천제(天帝)가태자를부여의옛도읍에내려보냈으니, 태자의이름은해모수(解慕漱)이

    다. 해모수는다섯마리의용이끄는수레를타고하늘로부터내려왔는데, 흰고니를탄

    사람수백명을이끌고왔다. 하늘에는빛나는구름이뜨고땅에는음악소리가울렸다.

    십여일동안웅심산(熊心山)에머물렀다가비로소땅에내려오니, 머리에는까마귀깃털

    로만든모자를쓰고허리에는용광(龍光)이빛나는보검을찼다. 아침에정사(政事)를돌

    보고저녁이면하늘로올라가니, 세상에서는이를천왕랑(天王郞)이라하였다. [중략]

    하백(河伯)은 해모수가 참으로 천제의 아들이라 여기고 예를 갖춰 혼인을 하게 하였

    다. 하백은왕[해모수]이자신의딸을데려갈마음이없을까두려웠다. 그래서잔치를베

    풀고술을권해서크게취하게한뒤에, 딸과함께작은수레에넣어서용거(龍車)에실

    어하늘로올라가도록하였다. 그수레가물을채빠져나오기전에왕은바로술이깨어,

    여자의황금비녀로가죽수레를찌르고혼자그구멍으로빠져나와하늘로올라갔다.

    하백은 크게 노하여 그 딸에게 말하되, “너는 나의 가르침을 따르지 않고 나의 가문

    을 욕되게 했다.”하고, 신하들에게 명령해서 딸의 입을 잡아 늘려 그 입술의 길이가

    3척이나 되게 만들었다. 그러고는 노비 두 사람만을 붙여서 우발수(優渤水) 가운데로

    귀양보냈다.

    - 이규보, 『동국이상국집』에서

    넓게생각하기

    (1)‘단군신화’에서‘주몽신화’의해모수와비슷한인물은누구인지찾아보고, 그

    렇게생각한이유를말해보자.

    (2)‘단군신화’의곰[웅녀]과‘주몽신화’의하백의딸[유화] 사이에는어떤공통점

    과차이점이있는지말해보자.

    (3)「주몽신화」에서「단군신화」와같이신성성을보여주는부분은어디인지구체

    적으로지적해보자.

    #226(116~159) 2015.11.5 10:55 AM 페이지129 mac02 T

  • 「공무도하가」는 개인의 서정을 노래한 고대 가요이다. 화자의 정서와‘물’의 의미에 주목하면서 작품을

    감상해 보자.

    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226(116~159) 2015.11.5 10:55 AM 페이지130 mac02 T

  • 1 3 1[1] 고대 문학

    02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公無渡河 임아, 그물을건너지마오.

    公竟渡河 임은끝내그물을건너셨네.

    墮河而死 물에빠져돌아가시니

    當奈公何 가신임을어찌할꼬.

    『해동역사(海東繹史)』

    백수광부의아내

    「공무도하가」의 배경 설화

    고조선의뱃사공곽리자고( 里子高)가아침일찍일어나배를저어가는데, 머리가

    하얗게 센 미친 사람[白首狂夫]이 술병을 들고 강물을 가로질러 건너고 있었다. 그의

    아내가뒤따르며말렸지만, 그는끝내물에빠져죽고말았다. 그러자아내는강가에서

    공후에 맞춰 노래를 부르며 통곡하였는데, 이 노래가‘공무도하가’이다. 노래가 끝나

    자 아내또한물에몸을던져죽고말았다. 광경을목격한곽리자고는집에돌아와자

    기아내인여옥(麗玉)에게이이야기를하면서노래를들려주었다. 여옥은눈물을흘리면

    서공후를안고노래를불렀는데, 듣는사람마다눈물을흘렸다. 여옥이이노래를옆집

    에사는여용(麗容)에게가르쳐주니, 이노래의악곡명을「공후인( 引)」이라한다.공후

    이 작품은 고조선 때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남편을 잃은 슬픔을 간결하면서도 애절하게 읊고 있으며, 이러한 표현 속

    에 여인의 비극적 정서가 드러나 있다. 한국 문학에서 개인적인 정서를 담은 초기 서정 시가의 사례로 들 수 있으며, 이

    점에서 문학사적인 가치가 높이 평가된다.

    #226(116~159) 2015.11.5 10:55 AM 페이지131 mac02 T

  • 1 3 2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1 「공무도하가」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1) 배경설화를고려할때이작품의화자는어떤상황에처해있는지말해보자.

    (2)다음은 이 작품의 시상 전개를 도식화한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화자의 정서가

    어떻게바뀌어가는지말해보자.

    다가서기

    2 「공무도하가」의 문학사적 가치에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1) 다음글을참고하여한국문학사에서「공무도하가」의가치에대해말해보자.

    (2)이 작품에서‘물’이 가진 상징적 의미는 무엇인지 말하고, 이와 유사한 의미를

    담은작품을더찾아보자.

    원시고대의초기시가는집단이공유하고있는정서를담은노래였다. 이러한집단

    적인정서를담은노래는주로집단적인행사에서불렸다.

    그러다점차개인의삶의영역이확대되면서개인적인정서를담은작품도출현하게

    되었다. 개인의정서를다루므로작가의개성이강하게드러나게되었으며, 이를 위한

    표현은그개인의고유한표현이되었다.

    깊게이해하기

    1행

    임을만류함.⇡

    2행

    임이떠남.⇡

    3행

    임의죽음

    4행

    화자의탄식

    학습활동

    #226(116~159) 2015.11.5 10:55 AM 페이지132 mac02 T

  • 1 3 3[1] 고대 문학

    3 다음은 고구려 유리왕의「황조가」와 그 배경 설화이다. 배경 설화와 함께「황조가」를감상하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가)翩翩黃鳥 펄펄나는저꾀꼬리

    (가)雌雄相依 암수서로정답구나.

    (가)念我之獨 외로워라이내몸은

    (가)誰其與歸 뉘와함께돌아갈꼬.

    - 유리왕, 「황조가(黃鳥歌)」

    (나) 고구려 제2대 왕인 유리왕의 왕비 송씨가 세상을 떠나자, 왕은 두 사람의 왕비를

    새로맞이하였다. 한 사람은골천사람의딸인화희(禾姬)이고, 다른 한사람은중국

    한(漢)나라사람의딸인치희(雉姬)였는데, 두왕비가자주다투었기때문에유리왕은

    두개의궁궐을지어서각각다른곳에서지내게하였다.

    어느날왕이사냥을나갔다가 7일동안돌아오지않았다. 그런데그동안에두왕

    비사이에싸움이일어났다. 화희가치희를꾸짖어말하기를,

    “너는한나라집안의비천한계집인데, 어찌그리무례한가?”

    하니, 치희는한편으로부끄럽고한편으로분하여자기나라로돌아가버렸다. 뒤늦게

    돌아온유리왕은급히말을달려따라갔지만, 화가난치희는끝내돌아오지않았다.

    어느날유리왕이나무밑에서쉬다가꾀꼬리가날아서모여드는것을보았다. 이

    에느낀바가있어노래하였는데, 이것이「황조가」이다.

    넓게생각하기

    (1)「공무도하가」와「황조가」의화자가처한상황에는어떤공통점과차이점이있는

    지정리해보자.

    (2)「공무도하가」나「황조가」와같은먼과거의노래가오늘날에도감동을줄수있

    는이유가무엇인지말해보자.

    「공무도하가」 「황조가」화자가 처한 상황

    공통점

    차이점

    #226(116~159) 2015.11.5 10:55 AM 페이지133 mac02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