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테크노중앙대로333 TEL. 053-785-5141 | FAX. 053-785-5149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허브, 디지스트에서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의 꿈을 키우십시오 !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 admission.dgist.ac.kr 더 큰 세상을 향한 젊은 도전을 대구경북과학기술원, DGIST가 책임집니다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테크노중앙대로333TEL. 053-785-5141 | FAX. 053-785-5149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허브, 디지스트에서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의 꿈을 키우십시오!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

admission.dgist.ac.kr

더 큰 세상을 향한 젊은 도전을대구경북과학기술원, DGIST가 책임집니다

Page 2: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새로운 발견과 발명의 진원지 DGIST

세계 초일류를 향해 비상하다

2003.12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법 제정·공포(법률 제 6996호)

2011

2004.09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설립

2008 2008.06 대구경북과학기술원법 개정·공포(법률 제 9108호) 교육기능 신설

2004

2011.03 - 제1회 석·박사과정 입학식- 신성철 초대총장 취임

2011.10 부설기관 ‘한국뇌연구원’ 설치

2003

DGIST History

2012.03 2012학년도 대학원 입학식

2012.06 융복합연구 ‘최고과학자’ DGIST Fellow선정 : 손상혁, 남홍길, 문대원 교수

2012.07 -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 : DGIST신성철 총장

- DGIST-LBNL공동연구센터 개소

2012.10 CPS(사이버물리시스템) 글로벌센터 개소

2012.12 기초과학연구원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 출범

2013 2013.02 제 1 회 석·박사 학위과정 수료식

2013.03 2013학년도 대학원 입학식

2013.06 웰니스융합연구센터 개소

2013.10 뇌대사체학 연구센터 개소

2014 2014.02 제2회 석·박사 학위과정 수료식

2014.03 - 제1회 학사과정 입학식- 2014학년도 대학원 입학식

2012

세계 초일류 융복합 연구중심대학을 실현할미래브레인을 키우다

nEW BIOLOGY전공New Biology forSustainable humanity

신물질과학전공Emerging Materials Science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Information & Communication

Engineering

로봇공학전공Robotics Engineering

뇌과학전공Brain Science

⇧M

MIREBrain

R

I B

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Energy Systems Engineering

E

n

세계 초일류 융복합 연구중심대학• 지식창조형 글로벌 인재양성 • 미래 융복합 기술 창출

비 전

National top-class University(국내 최고수준의 연구중심대학)

1단계(2011-2020)

World-class University(세계 일류대학)

2단계 (2021-2030)World-leading University

(세계 선도대학)

3단계 (2031-2040)

융복합 교육·연구

학·연 상생협력

기초과학·공학중심 학부 교육

상호보완적 국가수월성 추구

글로벌 캠퍼스조성

지역산업의경쟁력 강화

최상의 교육·연구 환경조성

신물질 정보통신첨단

의료로봇그린에너지 뇌과학 뉴바이올로지

발전목표

추진전략

특화 육성 분야 DGIST MIREBrain program

Page 3: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학사부와 연구부를 가진 국내 유일 과학기술 연구중심대학 교육과 연구의 상생, 지역과 세계를 잇는DGIST의 혁신적인 융복합 연구협력 시스템이차별화된 경쟁력을 키웁니다

2015학년도 대

학원 학

생모집 04

|05

학연상생

기초·원천연구 중심

응용·산업화 연구 중심

대학기초학부

대학원신물질과학전공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로봇공학전공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뇌과학전공NEW BIOLOGY전공

⇦ ⇦

나노바이오연구부

IT융합연구부

로봇시스템연구부

에너지연구부

연구부학사부

국가 학연 협력의 RoleModel실현

한국과학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최상의 연구 인프라

한국뇌연구원국가 뇌연구 역량을 결집하고 뇌연구 중추거점 기능 수행을 위해 ‘뇌연구 촉진법’에 따라 2011년 설립된 DGIST 부설 형태의 정부 출연 연구기관

DUP 연합캠퍼스 식물노화·수명연구단기초과학연구원(IBS) DUP 연합캠퍼스 연구단으로 매년 100억원 규모의 국비를 지원받아, 식물의 노화와 수명 조절에 관한 시공간적 연구를 수행하는 국책연구단

CPS 글로벌센터 (Cyber Physical System Global Center)컴퓨터과학 및 사이버물리시스템(CPS) 분야의 세계적인 4개 대학과의 연구협력을 통해 국제적 연구 수월성을 확보- 미시건대, 버지니아대, 펜실베니아대, 카네기멜론대 참여

웰니스융합연구센터•신체적·정신적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여 건강 유지 및 증진이 가능한 솔루션 기술 개발•신재생에너지-그린 전원을 이용한 에너지 자급이 가능한 지능로봇기술 개발•융복합 기술을 바탕으로 실제 기업에 적용 가능한 기술 사업화 모델 제공

DGIST-LBNL공동연구센터 (Lawrence-Berkeley National Laboratory)세계 3대 기초과학분야 연구소 중 하나인 미국 로렌스버클리 국립연구소와의 공동연구센터- 펨토 및 나노스케일 시·공간 분해능을 이용한 다기능 융합 신소재 개발 연구

차세대융복합연구센터그린에너지, IT 융복합 기술의 산업화와 차세대 융복합 핵심기술 개발

단백질체 생물물리학 연구센터통계물리학의 개념, 슈퍼컴퓨팅 기술, 생명과학을 융합하여 단백질, DNA 및 이들 복합체들의 열역학적, 동역학적, 돌연변이체적 특성 연구- 생명현상의 원자적/분자적 기작 연구

중앙기기센터•월드클래스 수준의 7대 핵심공용인프라 구축·운영과 대내외 연계활용을 통한 장비운용의 효율성 도모

•재료분석실, 소자클린룸, 동물실험실, 바이오분석실, 슈퍼컴퓨팅, 계측 및 시뮬레이션, 기기가공실

뇌대사체학 연구센터•국내외 뇌대사체 분석 기반 질병 조기진단 융복합 기술 제공과 전문 인력 양성

DGIST-ETH 마이크로 로봇 연구센터 (DE-MRC)• 융복합적인 마이크로 로봇 연구 환경 조성 및 국제적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마이크로 로봇 기반 의공학 응용 원천기술 개발

Page 4: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2015학년도 대

학원 학

생모집 06

|07

장학제도

■ 학생 특전- 전원 국비장학생으로 등록금 면제- 1학년 학생 전원 미국 UC Berkeley 또는 Stanford 대학에서 여름학기 수강- 전원 기숙사 입주- 전원 학업장려금 지급 : 학기중 매월 약 33만원 지원(식비 보조금 포함)- 성적 우수 장학금 : 500만~1,000만/년(재학생의 3%)- DGIST 박사과정 진학시 전문연구요원 편입(병역특례)- 세계 유수 대학 및 연구소와 교류협정을 통한 교환학생 및 해외연구소 연구 기회 제공- 장학금 종류 : 생활장학금, 성적우수장학금, 국가근로장학금, 근로장학금, 가정형편곤란자장학금 등

■ DPF (DGIST 총장 장학생) : DGIST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최우수인재 발굴프로그램- 자기 주도형 연구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연구비 제공- 세계 유수대학 및 연구소 계절학기 수강 및 연구• 1학년 : UC Berkeley 또는 Stanford (공통 사항)• 2~4학년 : 와이즈만, ETH(스위스연방공대), 희망 해외 대학 등

- 세계적 석학, DGIST Fellow 및 사회저명인사 멘토링 등 특별 관리- 학업장려금 외 추가지원(월 50만)

DGIST기초학부

입학전형 개요

■ 모집단위 및 인원- 모집 단위 : 기초학부(무학과 단일학부) / 모집 인원 : 200명 내외- 모집 전형 : 미래브레인 추천전형, 일반전형Ⅰ, 일반전형Ⅱ(학생부 종합전형)

■ 전형유형 및 모집인원

기초과학·공학 중심의 혁신적 학부교육

DGIST만의 차별화된 교육과정

■ 국내 최초 ‘무학과 단일학부’체제 도입DGIST의 학부생들은 3년간 수학, 물리, 화학, 생물, 기초공학의 기초를 탄탄히 다진 후 4년차에 각자가 원하는 진로에 맞는 맞춤형 트랙교육을 받게 됩니다.

■ 학부 학생들만을 위한 학부 과정 전담교수 제도기존의 이공계 대학과는 달리, DGIST는 학부과정만을 전담하는 전담교수님들이 모든 학부생들의 교육, 연구지도,진로상담과 생활멘토링까지 맡으시고 있습니다.

■ 융복합 교육철학을 담은 e-book 교재 개발DGIST의 모든 교육은 학부 교수님들이 직접 저술하시는 차별화된 e-book 교재로 이루어집니다. 각 과목이 융합적으로 연결되고 학생들의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전자교재를 바탕으로 새로운 스마트 교육이 이루어집니다.

■ DGIST 3대 교육융복합 교육 / 기업가정신 교육 / 리더십 교육

■ DGIST 인재상(3C)창의 Creativity / 기여 Contribution / 배려 Care

■ DGIST 선발 인재상 :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미래브레인• 도전적, 창의적 호기심이 많은 학생• 자신의 분야를 스스로 개척하려는 열정을 가진 학생• 따뜻한 인성과 나눔의 리더십을 실천하는 학생

※ DGIST만의 공동 연구 프로그램 UGRP(Undergraduate Group Research Program)DGIST가 추구하는 융복합 연구능력을 배양하고 서로간의 협력 탐구능력을 기르기 위한 독특한 연구프로그램(프란시스 크릭 코스, 장영실 코스, 정약용 코스, 빌 게이츠 코스)

■ 전형일정

※ 미래브레인 추천전형과 일반전형Ⅰ 중복 지원 불가※ 미래브레인 추천전형·일반전형Ⅰ에 불합격한 경우, 미래브레인 일반전형Ⅱ에 지원 가능

정시

수시학생부(종합)

학생부(종합)

학생부(종합)

모집 시기 전형 유형

미래브레인 추천전형

미래브레인 일반전형Ⅰ

미래브레인 일반전형Ⅱ

전형명

50명 내외

140명 내외

10명 내외

모집인원

원서접수

면접대상자 발표

면접평가

합격자 발표

합격자 등록(온라인)

합격자 등록(서류제출)

‘14.8.25(월)~9.4(목)

‘14.10.15(수)

‘14.10.20(월)~24(금)

‘14.11.5(수)

‘14.11.6(목)~19(수)

‘14.12.8(월)~10(수)

‘14.12.17(수)~23(화)

‘15.1.13(화)

‘15.1.20(화)

‘15.1.28(수)

-

‘15.1.30(금)~2.3(화)

구 분 미래브레인 추천전형 미래브레인 일반전형Ⅰ 미래브레인 일반전형Ⅱ

기초과학(수학 / 물리 / 화학 / 생물)

기초공학(컴퓨터 / 자동제어 /통계 / 디자인과학)

탄탄한기초과학 및 공학

인문사회(동서양철한 /

비교역사학 / 예술사)예체능

(1인1악기 / 태권도 등)

다양한인문 소양

Track별 맞춤 교육

DGIST 대학원 국내외 타대학원 창업&취업 비이공계 심화과정

비이공계리더

CEOCTO

글로벌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글로벌 융복합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Management ofTechnology)기업가정신

(Entrepreneurship)

충만한기업가 정신

Academic Leadership(사회봉사 / 독서 / 동아리)Community Leadership

(UGRP)Global Leadership

(Global Communication)

창의적 리더십

Page 5: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최상의 연구 인프라, 글로벌 연구 수월성!DGIST 연구본부가 미래를 선도합니다

연구기능과 교육기능이 공존하는 국내 유일의 기관!교육과 연구의 융합으로 대한민국 최고의 과학기술 인프라가 완성됩니다.

나노바이오연구부 나노 및 바이오 기술을 통한 셀룰로오스계 바이오플라스틱 , 기능성 나노소재, 신축성 광학소자,전·광 신물질, 생체재료 분야의 신성장 동력 창출- 셀룰로오스계 바이오플라스틱- 나노융복합 (기능성 나노소재)- 신축성 광학소자- 전·광 신물질- 바이오디펜스 연구 (세포 외 기질-세포 상호작용)

IT융합연구부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융합기술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핵심기술을 연구- 다중 영상정보 기반 인지 기술-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 스마트 인터랙션 기술- 모바일 기기 관리 기술-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 및 비즈니스 모델

로봇시스템연구부로봇, 레이더와 임베디드 기술간의 융복합화를 통해서 의료 및 사회안전 실현에 기여- 초고해상도 다차원 영상 레이더- 의료재활로봇 & 사회안전로봇- 차량용 임베디드 시스템

에너지연구부소재기술, 소자제조기술, 시스템설계기술 등을 근간으로 저탄소녹색성장을 뒷받침하는 그린에너지 기술연구- 유무기기반 차세대 태양전지 원천기술- 리튬이온기반 커패시터 기술- 열전 기술 개발

2015학년도 대

학원 학

생모집 08

|09

실시간 운영체제 기반 차량정보 디스플레이- 차량용 실시간 운영체제(OSEK OS)를 이용한차량전자장치의 각종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차량정보 디스플레이장치기술개발

- 국내 Top 기술 보유

자연현상으로 빛 발생시키는미케노발광 필름 개발- 바람, 진동 등 자연현상으로 다양한 색의 빛을발생시키는 미케노발광 필름 개발

- 외부 전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환경 및 자원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

- 세계 최초 개발

주요성과

핵심장비

사각지대 감지용차량용 레이더 개발- 사각지대 차량 등의 장애물 실시간 감지를 위한 사각지대 레이더 시스템 및 알고리즘 기술 개발

- 국내 Top 기술 보유

근적외선 뇌이미징 장치■ 용도 : 뇌영상 촬영 및 뇌신호 측정 장비■ 특징 :

- 국내 유일의 기능적 근적외선을 이용한 뇌영상 장비- 다양한 인지 및 운동기능 등에 대한 뇌영상 및 뇌신호의 실시간 측정이 가능

무반사 Chamber 실계측 System■ 용도 : 광범위한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 및 잡음을 측정하는 챔버실■ 특징 :

- 국방 및 차량용 레이더 응용 시스템 개발에 이용- 초광대역 신호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국내 최고의 연구 인프라 구축

초고해상도 영상 Display■ 용도 : 사용자와 기기간의 내츄럴 인터랙션을 위한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비 ■ 특징 : 대형화면에서 사용자와 컨텐츠간의 상호연동을 통한

몰입감 제공

OLED/OTFT용 Deposition System■ 용도 : OLED 디스플레이 소자 제작 장비 ■ 특징 :

- OLED 디스플레이 제작을 위한 유기물반도체층, 금속전극층을진공상태에서 형성

- CCD (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를 통한 위치조정기능이 있어 Full color소자 제작가능

안테나&RF송수신기

➞⇦

레이더신호처리 모듈

Page 6: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가. 서류평가자기소개서 및 수학계획서, 출신대학(원) 전학년 성적 등을 바탕으로 해당 전공의 기본적 수학능력 평가

나. 면접평가 (면접대상자에 한함)전공분야에 대한 기초지식, 연구열의, 학자로서의 소양 및 어학 능력 등을 개별 및 집단면접 과정을 통해 종합 평가함. 세부사항은 전공별로 시행

가. 등록시기 및 방법 : 합격자 발표시 공지나. 제출서류 : 1) 입학등록 확약서 (소정양식) 1부 2) 영문 졸업(예정) 증명서 1부

3) 영문 출신대학(원) 전학년 성적증명서 1부 4) 신체검사서 1부다. 유의사항

1) 최종합격자는 입학등록 기간 내에 본원에서 요구하는 소정의 서류를 제출하여 입학등록을 완료하여야 하며, 이를 이행하지 아니하면 합격이 취소됨.2) 일단 제출된 서류는 반환하지 않으며, 그 기재된 내용이 사실과 상이한 경우에는 추후에라도 입학허가를 취소할 수 있음.

Tel : (053) 785-5141 E-Mail: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 admission.dgist.ac.kr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테크노중앙대로 333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입학팀 대학원 입학담당자 (우) 711-873

1) 신물질과학전공가) 물질과학의 연구를 위한 수학, 물리, 화학 등의 분야에서 기초와 응용에

관한 전공지식, 과학도로서의 소양과 성품 및 미래 비전에 관하여 질의나) 구두 발표 - 석사 및 통합 지원자의 경우 학사과정에서 배운 중요개념을,

박사 지원자의 경우 석사과정에서 한 일과 박사과정에서 연구하고 싶은분야에 대해 10분 내외로 파워포인트 발표

2)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가) 전자, 컴퓨터, 정보통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공을 위한 수학, 물리, 화학

등의 분야에서 기초와 응용에 관한 지식, 과학도로서의 소양과 성품 및미래 비전에 관하여 질의

나) 구두 발표 - 석사 지원자의 경우 학사과정에서 배운 중요개념을, 박사지원자의 경우 박사과정 연구와 관련 있는 중요개념에 대해 5분 내외로파워포인트(5장분량) 발표

다) 기타 영어능력평가

3) 로봇공학전공가) 전공에 대한 기초와 전문지식을 개별 면접형식으로 실시하며 아울러

과학도로서의 소양과 자세, 미래 비전에 대한 질의나) 구두발표 자기소개, 연구경험 및 성과, 수학 및 연구계획, 졸업 후 계획에

대해 석사지원자의 경우 10분, 박사지원자의 경우 20분 이내로 파워포인트를 이용하여 발표

다) 우리말과 영어를 동시에 사용

4) 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가) 개별 영어 구두면접나) 지원자의 전공배경에 따라 물리, 화학, 수학, 생물, 열역학, 전달현상 등

에너지시스템공학의 기초와 응용에 관한 전문지식 및 이공학도로서의소양과 성품, 미래 비전에 관한 질문

5) 뇌과학전공가) 토론 및 발표는 영어로 진행하며 1박 2일 일정으로 면접나) 구두 발표 - 그간의 연구 성과나 감명 깊게 읽은 논문에 대해 10분

내외로 파워포인트(5~10장 분량) 발표다) 주제 essay 발표 - 제시된 주제에 대해 에세이 작성 및 구두 발표라) 주제 토론 - 주어진 주제에 대해 팀별 토론 후 15분 내외로 발표

6) New Biology전공가) 소양면접 : 융복합 생명과학자 소양[인성, 리더십, 소통력(영어능력 포함),

포부 등] 및 기초지식에 대한 질의나) 창의성면접 : 과학현상에 대해서 창의적으로 질문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 (논리적 구두발표 포함)

전형방법 및 내용

일정

01

07

08

03

04

05

06

모집전공 및 과정

지원자격

장학제도 및 특전

원서접수

합격자 등록

신물질과학전공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로봇공학전공

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

뇌과학전공

NEWBIOLOGY전공

×

×

×

×

×

※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국비장학생, 대구경북과학기술원장학생, 일반장학생으로 나누어 선발하며, 2014학년도 가을학기 및 2015학년도 봄학기 전형에는 국비장학생만 모집

※ 전공별 특성화된 장학혜택은 각 전공 홈페이지 참조

학사 학위 소지자, 2014. 8월까지 학사 학위 취득예정자, 또는 이에 준하는 자로서 2014학년도 가을학기 입학가능자

석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박사과정

과 정

2014학년도 가을학기

석사 및 통합과정

석사 학위 소지자, 2014. 8월까지 석사 학위 취득예정자, 또는 이에 준하는 자로서 2014학년도 가을학기 입학가능자박사과정

지원자격

입학금, 수업료, 기성회비 전액 면제등록금 면제

교육 및 연구장려금 지원

기숙사 입주

해외연수 실시

전문연구요원 편입

국책 연구과제 참여

전원 입주 가능

전공별 해외 유수대학연수, 국제 심포지엄 참가 등

박사과정 대상 100% 편입 가능

DGIST 연구원의 국책 연구과제 공동수행한국뇌연구원 및 DUP 유치에 따른 국책연구 과제수행

박사과정 : 1200만원 + @/년 석사과정 : 720만원 + @/년

분 류 내 용

※ 인터넷 접수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홈페이지 (www.dgist.ac.kr)※ 첨부자료는 다~바 순으로 정리하여 하나의 PDF 파일로 병합하여 제출(최대파일크기 10MB)

지원서 필수

필수

필수

필수

선택

선택

선택

필수

•인터넷 접수 (소정양식에 따라 작성)

자기소개서 및 수학계획서

영문 졸업(예정) 증명서

•인터넷 접수시 첨부 (PDF 파일)•지원과정별 필수제출- 석사 및 통합과정 : 대학 졸업(예정)증명서- 박사과정 : 대학 및 대학원 졸업(예정)증명서※ 우리 원 대학원 졸업(예정)자는 제출생략※ 졸업예정증명서 제출이 불가능한 경우, 재학증명서 제출

영문 출신대학(원) 전학년성적증명서

•인터넷 접수시 첨부 (PDF 파일)•지원과정별 필수제출- 석사 및 통합과정 : 대학(편입 포함) 성적증명서- 박사과정 : 대학(편입 포함) 및 대학원 성적증명서

공인영어성적표•인터넷 접수시 첨부 (PDF 파일)- TOEIC, TOFEL IBT, TOFEL CBT, TOEFL PBT, IELTS, TEPS 등 공인인증성적표

기타 우수성 입증자료

추천서

전형료

•인터넷 접수시 첨부 (PDF 파일)- 본인의 능력과 잠재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판단되는 증명서 또는 자격증

•추천인 직접 발송 (소정양식에 따라 작성)- 이메일 : [email protected]•추천인 수 제한없음

•80,000원 / US $80※ 서류전형에서 탈락할 경우 전형료 일부 (30,000원) 반환

(원서접수시 입력한 은행계좌로 일괄지급)※ 동일년도 재응시의 경우 1회에 한하여 전형료 면제

(원서접수 대행수수료 지원자 납부)

•인터넷 접수 (소정양식에 따라 작성)•국문과 영문 모두 작성가능하며, 국문과 영문 중 택일도 가능

제출서류 작성방법

DGIST대학원 2014학년도 가을학기 및 2015학년도 봄학기 전형 모집요강

제출구분

입학전형 관련 문의 및 연락처

092015학년도 대

학원 학

생모집 10 |

11

전 공

02모집인원

2014학년도 가을학기

2015학년도 봄학기

OO명

OOO명

OO명

OO명

석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및 박사과정과 정

원서접수

면접대상자 발표

합격자 발표

면접평가

4.24(목)~5.8(목) 10.16(목)~10.30(목) 12.19(금)~12.29(월)

5.22(목) 11.13(목) ‘15.1.9(금)

2014학년도 2015학년도

가을학기 봄학기 2차 봄학기 3차

- 2개 이상 전공, 동시지원 불가

- 홈페이지 공고

- 홈페이지 공지

- 전공별 일정에 따라 실시- 일시, 장소 등 상세내용은 면접 대상자 발표시 공지

비 고구 분

5.26(월)~6.5(목) 11.17(월)~11.26(수) ‘15.1.13(화)~1.16(금)

6.20(금)

7.3(목)~7.17(목)

7.31(목)

봄학기 1차

8.4(월)~8.13(수)

8.29(금) 12.12(금) ‘15.1.29(목)

가. 국비장학생 : 학생교육경비를 대구경북과학기술원에서 확보한 정부출연금으로 전일제 수업이 가능한 학생 나. 대경과기원장학생 : 학생교육경비를 대구경북과학기술원에서 조성한 장학금, 외부출연기금, 연구비 등에서 부담하는 학생다. 일반장학생 : 국내·외 산업체, 연구기관, 교육기관, 국가기관 등에 소속되어 학생교육경비를 소속기관에서 부담하는 학생

학사 학위 소지자, 2015. 2월까지 학사 학위 취득예정자, 또는 이에 준하는 자로서 2015학년도 봄학기 입학가능자2015학년도

봄학기

석사 및 통합과정

석사 학위 소지자, 2015. 2월까지 석사 학위 취득예정자, 또는 이에 준하는 자로서 2015학년도 봄학기 입학가능자박사과정

Page 7: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신물질과학은 물질의 기본물성을 연구하는 기초과학과 물질의 특성을 이용하는 응용과학이 조화된 융합학문이다. 고부가가치산업에 필요한 기술 집약적인 신물질, 생체소재, 나노소재, 기능소재, 극한소재 등의 첨단재료 분야의연구 및 개발은 급속도로 발전하는 현대과학기술 시대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분야 중 하나이다. 신물질과학전공은 물리, 화학, 생물학, 재료공학, 화학공학등을 모두 포함한 물질관련 제반 분야가 참여하는 학제간 융복합연구를 통해새로운 첨단과학을 추구하고, 그에 따른 기초지식과 응용지식을 습득하며, 물질과학의 비전을 제시하고 당면한 기술적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창의적 능력을 배양하여, 학문과 산업에서 선도할 수 있는 인재 배출을 교육목표로 한다.

다학제간 연구를 통한 융합적 첨단 물질과학의 추구

신물질과학전공

Q 신물질과학 전공에서는 무엇을 공부하나요?

신물질과학전공에서는 물리, 화학, 생물, 재료 등의 기초 개념과목을 배우고 나서, 신물질 연구에서 핵심 분야인 양자물질, 나노 및 바이오

물질, 이론적 연구를 위해 심도 있는 전공과목을 배우게 됩니다. 교과서적인 교육 이외에도 스스로 연구할 수 있는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신물질을 직접 만들어 보고, 구조분석, 물성들을 직접 측정하여 분석하는 수업과 이론적으로 계산해 보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Q 신물질과학 전공의 세부 전공은 무엇이 있나요?

DGIST의 신물질과학전공은 나열형의 타 대학원 교과과정과는 다르게 아래 3분야를 특성화하여 집중 지원하고 있습니다.

- 양자물질 연구 : 나노자성체·스핀트로닉스 물질, 고온 초전도체, 열전물질과 같은 기능성 물질에서 일어나는 양자역학적인 상호작용을

이해하여 신물질 개발 및 응용성 탐구

- 나노 및 바이오 물질 연구 : 생체 및 나노 기술을 이용한 신약개발, 바이오 의학융합, 친환경 에너지 생산과 저장 등에 관련된

신물질 개발

- 물질과학의 이론적 연구 : 물질의 이론적 연구, 전자구조 및 동역학적 구조의 연구를 통해 새로운 물성 창제의 가능성 탐구

Q 신물질과학전공 대학원에 지원하기 위한 학부전공 및 이수과목은 무엇인가요?

신물질과학전공은 물질에 관련된 전 분야의 융합연구를 수행하는 융합전공입니다. 따라서 특정 전공을 넘어 이공계 전반에 걸친 다양한

전공의 지원자들을 환영하고 있습니다. 신물질과학전공 관련과목을 이수하지 않은 경우라도 대학원 진학 후 기초개념과목과 전공과목을

자세히 배울 수 있으며 연구에 대한 기본 소양과 의지를 갖추고 있다면 충분히 지원이 가능합니다.

Q 신물질과학전공을 졸업하고 나면 어떠한 분야로 진출하게 되나요?

삼성, 엘지를 비롯한 국내 민간 대기업으로의 취업을 비롯하여 국내외 국공립 연구소 및 대학교 연구원 및 교원 등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박사취득 후에는 교수님들의 해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국외 연구소 및 대학교 연구원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MEmerging Materials

Science

I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RRobotics Engineering

EEnergy SystemsEngineering

Q&A

H F

CaPS

Cl Ag

CuCd

U I

Lu Au

Br

Y

O

Li

2015학년도 대

학원 학

생모집 12 |

13

BBrain Science

NNew Biology

Page 8: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MEmerging Materials

Science

I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RRobotics Engineering

EEnergy SystemsEngineering

개요자연에 단순 존재하는 물질에 의존하기보다는 간단한 구조의 물질로부터 복잡다단한 물질까지 끊임없이 새로운 물질의 개발을 통해 시대의

혁신을 이루어 온 인류의 역사는 현대에도 같은 맥락을 유지하여 현대과학기술의 근원에는 신물질과학이 자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DGIST의 신물질과학전공에서는 인류에게 가장 많은 혜택을 가져올 신물질을 개발 및 발견하고 다양한 타 학문과의 융합을 통해 미래

인류의 삶에 필수적인 신물질개발 관련 연구를 선도함과 동시에 제분야의 글로벌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물질 연구 분야의 활발한

업적을 만들고 있는 교수진과 학생들이 혼연 일체하여 이 목표를 향한 노력을 하여 분야를 선도하는 연구집단으로 성장하고 있다.

비전- 미래 인류의 삶에 기여하는 핵심적인 신물질 개발 연구

- 물리, 화학, 생물, 재료 및 바이오 의약학의 융합적 연구를 통해 창의적 인재 양성

-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통해 해외 우수 대학과 지속적 공동연구로 국제화된 인재 양성

- 10년 내 국내 선도, 20년 안에 세계적 선도 연구 집단으로 성장

전공분야의 특성화- 최신의 분석 기술을 통해 다양한 물질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그에 기반한 신물질의 개발을 주도적으로 교육한다.

- 물리, 화학, 생물, 재료의 제 분야가 참가하는 학제간 연구를 통한 르네상스식의 새로운 융합적 첨단 물질과학 분야를 타 분야와의

융합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인재양성을 위해 교육한다.

- 최첨단 장비를 이용한 최고의 실험을 본인 스스로 수행하여 교과과정에서 배운 결과와 본인의 아이디어를 통해 물질 시스템을 이해

하는 창의적인 교육을 수행한다.

중점연구분야- 양자물질 연구: 나노자성체·스핀트로닉스 물질, 고온 초전도체, 열전물질과 같은 기능성 물질에서 일어나는 양자역학적인 상호작용을

이해하여 신물질 개발 및 응용성 탐구

- 나노 및 바이오 물질 연구: 생체 및 나노 기술을 이용해 신약개발, 바이오 및 의학융합, 친환경 에너지 생산과 저장 등에 관련된 신물질

개발 및 응용성 탐구

- 물질과학의 이론적 연구: 물질의 이론적 연구, 전자구조 및 동역학적 구조의 연구를 통해 새로운 물성 창제의 가능성 탐구

타전공과의 융합● 로봇공학전공과의 융합

- 로봇공학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성 소재 및 물질의 연구

- 광에 의해 유도되는 거대분자(폴리머)의 운동에 대한 연구로 기능성 바이오 신소재와 로봇공학의 융합 연구

● 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과의 융합

- 에너지시스템공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물의 산화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에너지 관련 연구

- 태양전지내의 고효율 에너지 생성을 위한 동역학 설계의 연구

- 에너지시스템공학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성 소재 및 물질의 연구

● 뇌과학전공과의 융합

- 뇌에서 알츠하이머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반응 기작에 대한 연구

- 생체모방 물질의 합성을 통해 뇌과학 전공 분야와 융합 연구

- 뇌과학연구에 필요한 DNA, 단백질 및 세포제어에 필요한 신물질 및 NEMS/MEMS 소자 개발연구

- 뇌과학에서의 개념 및 특성을 물질시스템에 적용하여, 새로운 기능 및 특성을 가진 신물질을 개발 연구

면접전형 내용● 물질과학의 연구를 위한 수학, 물리, 화학 등의 분야에서 기초와 응용에 관한 전공지식, 과학도로서의 소양과 성품 및 미래 비전에

관하여 질의

● 구두 발표 ‐ 석사 및 통합 지원자의 경우 학사과정에서 배운 중요개념을, 박사 지원자의 경우 석사과정에서 한 일과 박사과정에서

연구하고 싶은 분야에 대해 10분 내외로 파워포인트 발표

● 해외거주의 이유로 면접전형 참석이 어려운 경우 화상면접 가능

1⃞신성철 석좌교수T 053-785-1003~4 / [email protected]

최종학력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 (Northwestern University)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나노자성체, 스핀트로닉스주요경력 및 업적디지스트 총장(현) / 미국 이스트만 코닥연구소 수석 연구원 /KAIST 석좌교수 / 미국물리학회 석학회원 / 한국물리학회 회장 / 과학기술 최고훈장 창조장(’07) / 대한민국학술원상(’09) /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12)

권용성 교수, 교무처장T 053-785-6500 / [email protected] / http://qfm.dgist.ac.kr

최종학력일본 도호쿠대학교 (Tohoku University)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고온초전도체, 열전소재, 자성체의 신물질 탐색 및 물성 연구주요경력 및 업적성균관대학교 교수 / 나고야대학교 초빙교수 / 일본 분자과학연구소 초빙교수

김철기 교수T 053-785-6516 / [email protected] / http://nbest.dgist.ac.kr, www.nbest.org

최종학력한국과학기술원(KAIST) 박사주요연구분야나노자성소재, NEMS/MEMS 소자, 바이오의료 융합 연구주요경력 및 업적충남대학교 교수 / 도호쿠대학교 초빙교수 /McMaster 대학 초빙교수/ 한국표준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 바이오의료진단 진단기술연구센터 소장

이재동 부교수T 053-785-6510 / [email protected] / http://lmtl.dgist.ac.kr

최종학력포항공과대학교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고체물리이론, 초고속동역학(및 광학), 비평형현상주요경력 및 업적MPI-FKF 연구원 / 동경대학 연구원 / CALTECH 연구원 / NIMS-ICYS 펠로우 / JAIST 부교수

홍정일 부교수, 전공책임교수T 053-785-6511 / [email protected] / http://qemm.dgist.ac.kr

최종학력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 (Northwestern University) 재료공학 박사주요연구분야나노물질의 전기적/자기적 성질주요경력 및 업적미국 조지아 공대 (Georgia Tech) 연구교원 / Univ. of Cal.-San Diego내의 자기기록 연구센터 (CMRR) 연구원 / RPI ABB Postdoctoral fellow

조재흥 조교수T 053-785-6512 / [email protected] / http://bmlab.dgist.ac.kr

최종학력일본 가나자와대학교(Kanazawa University)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생체모방화학, 금속효소모방화학, 활성산소 제거, 인슐린 기능모방 당뇨병 치료제 개발, 신경전달물질개발주요경력 및 업적이화여자대학교 특임교수 (바이오융합과학과), 전임강사(화학나노과학과) / 미국 델라웨어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정낙천 조교수T 053-785-6513 / [email protected] / http://ncjeong.dgist.ac.kr

최종학력서강대학교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신재생에너지 및 친환경을 위한 나노물질의 개발주요경력 및 업적노스웨스턴대학 (Northwestren University)박사후 연구원

조창희 조교수T 053-785-6514 / [email protected] / http://nom.dgist.ac.kr

최종학력광주과학기술원(GIST) 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나노 구조 물질의 광전 물성주요경력 및 업적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 (University of Pennsylvania)박사후 연구원

서정필 조교수T 053-785-6515 / [email protected] / http://nanospm.dgist.ac.kr

최종학력서울대학교 물리학 박사주요연구분야양자 상전이 물질에 대한 주사형터널링현미경 연구주요경력 및 업적프린스턴대학 (Princeton University) 박사후 연구원

장익수 겸직교수(NEWBIOLOGY전공 교수) T 053-785-1820 / [email protected] / http://biophysics.dgist.ac.kr

최종학력미국 로체스터 대학교 물리학 박사주요연구분야이론 / 계산 생물물리학, 통계물리학, 생명정보학 및 구조생물학, 생분자(Protein, DNA)들의 슈퍼컴퓨팅 시물레이션주요경력 및 업적부산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 전산단백질체학 및 생물물리학 국가지정연구실 단장 / 단백질체 생물물리학 창의연구단 단장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학 박사 후 연구원

Faculty교수진

▶전공 연락처 Tel 053-785-6501~3 / [email protected] / http://ems.dgist.ac.kr

Emerging Materials S

cience

2015학년도 대

학원 학

생모집 14 |

15

1⃞

BBrain Science

NNew Biology

Page 9: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Q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에서는 무엇을 공부하게 되나요?

정보통신융합공학은 정보통신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세계적 수준의연구 성과 도출을 목표로 기존 국내의 정보통신, 전자, 전산, 전기공학등의 핵심 분야 교육 및 연구는 물론이고 융합학문으로서의 정보통신기술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향후 융합학문 시대에 새로운가치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최고수준 기관및 연구자들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하여 미래 융합연구 주제를 발굴,연구 중에 있습니다. 즉,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은 기존 국내의 정보통신, 전자, 전산, 전기 등 관련학과들을 모두 아우르면서 동시에 융합학문으로의 확장을 염두에 둔 신개념의 전공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Q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대학원에 지원하기 위한 학부전공및 이수과목은 무엇인가요?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은, 학과명에서 알 수 있듯이, 정보통신분야선도연구를 위해 다양한 학제 간 융합연구를 수행하는 융합전공입니다. 따라서 정보통신, 전자, 전산, 전기공학 등의 관련 전공뿐만

아니라 이공계 분야 다양한 전공을 지닌 분들의 지원을 적극 장려하고 있습니다. 정보통신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지 않은 경우라도 대학원 진학 후 원하는 세부전공을 위한 기본소양을 갖추고 있다면얼마든지 지원이 가능합니다.

Q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졸업 후 어떠한 분야로진출하게 되나요?

국내 정보통신 관련 산업 기반은 세계 최고수준이기 때문에 다양한분야로의 진출 기회가 있습니다. 삼성, 엘지를 비롯한 국내 민간 대기업으로의 취업을 비롯하여 국내외 국공립 연구소 및 대학교 연구원 및 교원 등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해외 네트워크를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해외 취업의 기회 또한 제공합니다.

Q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의 연구실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손상혁 교수_사이버물리시스템 및 실시간 시스템 Cyber Physical Systems and Real-Time Systems

사이버물리시스템(Cyber Physical System) 융합과학 원천연구를

수행하며, 특히 실시간성 및 고신뢰성을 보장하는 컴퓨터 시스템개발에 필요한 모델 및 방법론을 설계하고 개발함● 실시간성, 보안성 및 신뢰성을 동시에 보장하는 차세대 사이버

물리시스템 기초연구● 무선 센서 네트워크 이벤트 서비스의 정확성 및 신뢰성 보장

기술 연구● 임베디드 및 모바일 시스템에서의 스케쥴링 및 자원 관리 기술

연구● 임베디드 실시간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Quality-of-

Service 보장 기술 연구

박태준 교수_임베디드시스템 및 사이버물리시스템 연구 Embedded and Cyber-Physical Systems

임베디드시스템 및 사이버물리시스템 분야의 기초연구를 수행하며,기초연구 성과를 모바일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동차 및 교통시스템, 홈/빌딩 등의 응용분야에 적용함.● 인간의 의도/행위 추론 및 상황 인지를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킹

기술 ●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에너지효율 최적화 및

의료/재활 응용● 자동차, 교통시스템, 가정 및 빌딩에서의 안전성 및 보안성

동시보장 기술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통합 설계 기술

은용순 교수_동적 시스템 및 사이버물리시스템 제어이론과 응용Dynamic systems, Control theory and Applications to Cyber-Physical

Systems

사이버물리시스템의 해석 및 설계를 위한 제어이론 개발 및 응용에관한 연구와 개발● 사이버물리시스템의 해석 및 설계를 위한 제어 이론에 대한 연구● 외란에 대해 강인성을 가지는 가변구조제어기 및 외란관측자에

관한 연구 및 응용● 비선형 센서와 액츄에이터를 가지는 제어시스템의 성능 해석 및

설계에 관한 연구● 스마트그리드 전력 시스템, 디지털 프린터, 교통시스템 등으로의

제어기술 응용

제민규 교수_집적 회로 및 마이크로시스템 Integrated Circuits and Microsystems

● 고급 회로 기술을 바탕으로 한 차세대 마이크로시스템- 생체의료용 마이크로 시스템- 무선 센서 네트워크용 마이크로 시스템- 미래 모바일 기기용 마이크로 시스템

● 지능형 센서 인터페이스 집적 회로● 저전력 무선 통신 집적 회로

최지웅 교수_통신 시스템 및 신호처리 연구Communication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셀룰라, WLAN, WPAN, WBAN 등 수많은 유무선 통신 시스템의전반적인 이해를 통한 시스템 디자인 및 신호처리 기술의 연구와개발● 차세대 무선 및 이동통신 시스템 : IoT/M2M/D2D, LTE-

advanced, beyond 4G, 차세대 WiFi를 비롯한 차세대 무선 및이동통신 시스템 선도 기술 연구

● WBAN 및 의료시스템 : 인체 내외의 통신에 적합한 통신 시스템,인체 채널 모델링, 생체 의료신호처리, 자기장 기반 무선 통신

및 충전 기술, 뇌-기계 인터페이스 (BMI)● WPAN : 60GHz, subTHz 등을 이용한 근거리 초고속 전송 및

무선 백홀 기술

장재은 교수_첨단 전자 소자 연구Advanced Electronic Devices

Nanotechnology를 이용하여, 기존의 메모리, 디스플레이, 통신기기 등에 혁신성을 창출하기 위한 응용 연구와 새로운 나노 소자의개념과 디자인 및 공통 기반 기술에 대한 기초 연구를 진행함● 초소형 나노 소자 개발 : 인간의 혈관 등에서 약물 전달, 진단

및 센싱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소자의 개념을 도출하고, 이를 실제화 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을 개발함

● 나노무선 기술 개발 : 나노 소자의 개별 구동에 핵심 기반 기술인무선 통신에 의한 신호 송수신 및 에너지 수급을 위한 나노 안테나 등의 다양한 첨단 기술을 연구함

● Wearable & Flexible device : 의류형 컴퓨터 등의 새로운 소프트 전기 소자 개발을 위한 나노 기술의 접목과 응용에 대해연구함

박경준 교수_사이버물리시스템용 무선통신망 연구Wireless Networks for Cyber-Physical Systems

사이버물리시스템의 핵심 구성요소로서의 무선통신망 연구를 수행● 사이버물리시스템용 무선통신망 분석이론 연구● 의료등급무선통신망 설계기술 연구● 무선통신망 보안을 위한 이상동작 분석기술 연구

김민수 교수_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 마이닝 연구Database and Data mining

● 빅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질의 처리를 위한 하둡 기반의 분산빅 데이터 질의 플랫폼 기술 연구

● 대규모 그래프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분산 처리 및 병렬 처리기술 연구

● 빅 데이터에 기반한 데이터 마이닝 및 머신 러닝 알고리즘 연구● 차세대 염기서열 데이터, 인간 커넥톰 데이터, 인간 인터랙톰

데이터 등 다양한 종류의 바이오 데이터에 대한 바이오인포매틱스 및 뉴로인포매틱스 알고리즘 연구

최지환 교수_무선 및 위성 통신 네트워크 Wireless and Space Communication Networks

크로스 레이어 시스템 디자인을 통해 차세대 무선과 위성 통신망에서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핵심기술을 연구● 통신망에서 다른 계층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효율적 자원배분 ● M2M (machine-to-machine), D2D (device-to-device) 통신기술● 재난지역에 사용될 수 있는 위성-무선채널 연동 네트워크 디자인● 차세대 위성 통신 안테나 기술을 바탕으로 한 고급 프로토콜 디자인

황재윤 교수_다중의료영상 및 시스템Multimodal Biomedical Imaging and System

고주파초음파, 의광학을 이용한 다중의료영상 및 시스템 개발●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질환 진단용 휴대용 분광시스템 개발 ● 초음파, 의광학 기술 융합을 통한 암 진단용 다중영상내시경 개발● 고주파초음파 마이크로빔을 이용한 암세포 전이성 판별기술 개발● 세포의 기계적 특성 측정을 위한 음향방사력 광음향

(photoacoustic) 이미징 기술 개발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발전한 정보통신 산업은 세계적으로 가장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는 산업 중의 하나이다. 미래 지식사회의 핵인 정보통신 기술과 BT, CT, ET, NT, RT와 같은 응용분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기술을개발할 것이다. 미래산업분야 발전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선도하는 창조력과실제 문제 해결능력, 국제적 감각 수준을 지니고 새로운 응용분야의 가치를높이는 사회적 기업가 태도를 겸비한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MEmerging Materials

Science

I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RRobotics Engineering

EEnergy SystemsEngineering

정보와 통신의 융합으로다음 세대를 앞당기다.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Q&A20

15학년도 대

학원 학

생모집 16 |

17

BBrain Science

NNew Biology

Page 10: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1⃞권욱현 석좌교수 T 053-785-6310 / [email protected] / http://whkwon.dgist.ac.kr

최종학력미국 브라운대학교 전기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예측제어, 시간지연시스템제어, 디지털제어 산업응용주요경력 및 업적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2007) / 한국과학기술한림원부원장 / 국제자동제어연맹회장 / 한국공학한림원 부회장 / 대한전기학회회장 / IEEE, TWAS, IFAC 석학회원

손상혁 DGIST Fellow, 전공책임교수T.053-785-6300 / [email protected] / http://rtcps.dgist.ac.kr/son

최종학력미국 메릴랜드 대학교 컴퓨터공학 박사주요연구분야실시간 시스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사이버물리시스템, 데이터및 이벤트 서비스, 정보 보안주요경력 및 업적 IEEE 석학회원 / 미국 한인 정보과학자협회 회장 / IEEE 실시간 컴퓨터 학회 회장 / 서강대 WCU 석좌 교수 / IEEE RTCSA Outstanding Contribution 수상 / ACM/IEEE Cyber Physical Systems Week Outstanding Contribution 수상 /미국 버지니아 대학교 교수 (1986~2012)

박태준 부교수 T 053-785-6313 / [email protected] / http://rtcps.dgist.ac.kr/tjpark

최종학력미국 미시간대학교 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 임베디드시스템 및 사이버물리시스템, 무선 센서 네트워크,보안 및 감시주요경력 및 업적한국항공대학교 조교수 / 삼성전자 수석연구원 / LG전자 선임연구원 / 삼성 휴먼테크 논문대상 금상(2002) / DVD 원천 표준특허 발명

은용순 부교수 T 053-785-6316 / [email protected] / http://yeun.dgist.ac.kr

최종학력 미국 미시간대학교 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사이버물리시스템 제어, 비선형 센서 및 액츄에이터를 가지는제어시스템, 싸이클릭 제어, 프린터 제어시스템, 가변구조제어, 강인제어주요경력 및 업적미국 제록스사 웹스터 연구소 수석연구원 / 공저서 <Quasilinear control> (2011) / Xerox Innovation Group Excellencein Research and Technology Award (2011) /2nd Asian Control Conference Young Author Award(1997)

제민규 부교수 T 053-785-6318 / [email protected] / http://sites.google.com/site/dgistimpactlab

최종학력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전자공학 박사주요연구분야집적 회로 및 마이크로시스템주요경력 및 업적 싱가포르 마이크로전자공학 연구소 Deputy Director /싱가포르 국립대학 겸임 조교수 / 싱가포르 한인 과학기술자 협회 학술이사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 IEEE RFIT 2012 최우수 논문상 / IEEE ISIC 2011최우수 설계상 / IEEE Region 10 대학원생 우수 논문상 (1998) / IEEE Korea 대학원생 최우수 논문상 (1998)

최지웅 조교수 T 053-785-6311 / [email protected] / http://comm.dgist.ac.kr

최종학력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 통신 시스템 및 신호처리, IoT/M2M/D2D, 생체의료통신,BMI, 자기장통신 주요경력 및 업적 미국 Marvell 반도체 책임연구원 / 스탠포드대 박사후 연구원 / IEEE 시니어회원 / 삼성 휴먼테크 논문대상 은상 (2005)

장재은 조교수 T 053-785-6312 / [email protected] / http://jang1.dgist.ac.kr

최종학력영국 캠브리지대학교 전기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나노 기술을 이용한 최신 전자 소자 연구 및 개발주요경력 및 업적 삼성종합기술원 수석연구원 / IMID 우수 논문상 (2010) /삼성전자 혁신발명상 (2009) / 삼성그룹논문상 (2008)

박경준 조교수 T 053-785-6314 / [email protected] / http://csi.dgist.ac.kr

최종학력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사이버물리시스템을 위한 무선통신망 설계주요경력 및 업적삼성전자 책임연구원 / UIUC 박사후 연구원 /European Transactions on Telecommunications 편집위원 / 삼성전기 Inside Edge 논문대상 금상 (2008)

김민수 조교수 T 053-785-6315 / [email protected] / http://infolab.dgist.ac.kr/~mskim

최종학력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박사주요연구분야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마이닝, 바이오인포매틱스주요경력 및 업적 IBM Almaden 연구소 박사후 연구원 / IBM Smart Analytics Optimizer for DB2 for z/OS 개발 / UIUC 박사후 연구원 / IEEE ICDE 2005 최우수 시스템시연 논문상

최지환 조교수 T 053-785-6308 / [email protected] / http://nc.dgist.ac.kr

최종학력미국 MIT 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무선 및 위성 통신/네트워킹, 크로스 레이어 네트워크 주요경력 및 업적미국 Marvell 반도체 수석연구원

황재윤 조교수 T 053-785-6317 / [email protected] / http://mbislab.dgist.ac.kr

최종학력미국 남가주 대학교 의공학 박사주요연구분야다중영상이미징, 고주파초음파, 의광학 주요경력 및 업적미국 NIH 초음파 트랜스듀서 센터 연구원 / 미국 Cedars-sinai Medical Center 박사후연구원 /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소 연구원 / 한국과학재단 펠로우십(2004-2005)

신강근(KangG. Shin) 자문교수T +1-734-763-0391 / [email protected]

최종학력미국 코넬대학교 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 Cyber-physical systems, wireless networking주요경력 및 업적미시간대학교 Kevin and Nancy O'Connor 석좌교수 /IEEE 및 ACM 석학회원 / 호암상 수상 (2006)

Stephen P. Boyd자문교수T +1-650-723-0002 / [email protected]

최종학력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 Convex optimization applications in control, signalprocessing, and circuit design주요경력 및 업적스탠포드대학교 Samsung 석좌교수 / AACC Donald P. Eckman 상 수상 (1992) / IEEE 석학회원

MEmerging Materials

Science

I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RRobotics Engineering

EEnergy SystemsEngineering

개요DGIST의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은 학생들이 국제적 수준의 연구 능력을 갖추도록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함.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컴퓨터공학 분야, 전자-시스템 분야, 전자-디바이스와 같은 IT의 핵심 분야들에 대해 집중 교육하고 기본적인 전공 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함. 또한, 연구 측면에서 사이버 물리 시스템, 생체 의학 시스템, 스마트 연결 시스템을 중점 연구 분야로 학생 본인의 희망

분야를 선택하여 연구 능력을 키우도록 함. 나아가, 정보통신기술과 다양한 타학문의 융합을 통해 미래 산업분야 발전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인력 양성을 추구하고, 해외 저명 학자들과의 강력한 협동 연구 네트워크를 통해 국제적 감각을 지닌 전문인력

양성을 추구함.

비전● 세계적으로 학문적 인지도가 높은 초일류 전공

● 미래 산업분야 발전에 필요한 핵심융합기술 선도

● 정보통신과 과학, 공학, 사회, 문화, 예술 등의 융합을 통한 창조형 인재 양성

전공분야의 특성화● 중점교육분야와 그에 기초한 중점연구분야를 소수 선택하고 집중적으로 교육한다.

● 전공의 중점연구분야를 클러스터 형태로 조직화하고 운영함으로써 정보통신 개별 분야와 더불어 타 분야와의 융합 연구를

수행 할 수 있는 π형 인재를 교육한다.

중점연구분야● 사이버물리시스템

- 실시간 임베디드 시스템

- 무선 센서 네트워크

- 제어 및 모델링

-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및 빅 데이터 마이닝

● 스마트 연결 시스템

- 차세대 교차계층 통신 및 신호 처리

- 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 강인 무선 네트워크

- 위성 통신 네트워크

- 나노 통신 디바이스

- IoT/M2M/D2D (Internet of Things/Machine-to-machine/Device-to-device)

타전공과의 융합● 신물질과학 전공과의 융합: 나노 바이오 등의 신물질을 이용한 신개념 전자소자 연구

● 로봇공학 전공과의 융합: CPS 및 뇌매핑 기반 재활로봇 기술 연구, 머신러닝 기반 뇌-기계 상호작용 연구, 센서 및

엑츄에이터 간 통신 연구

● 에너지시스템공학 전공과의 융합: 스마트그리드, 신재생 에너지 등 전력 IT 융합기술 연구

● 뇌과학 전공과의 융합: 의료 이미징, 바이오 신호처리 기술 연구, 인체 적용 나노 소자 기술, 의료분야의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마이닝 연구, 의료용 통신 및 네트워킹 기술 연구

면접전형 내용● 전자, 컴퓨터, 정보통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공을 위한 수학, 물리, 화학 등의 분야에서 기초와 응용에 관한 지식, 과학도로서의

소양과 성품 및 미래 비전에 관하여 질의

● 구두 발표 ‐ 석사지원자의 경우 학사과정에서 배운 중요개념을, 박사지원자의 경우 박사과정 연구와 관련 있는 중요개념에 대해

5분 내외로 파워포인트(5장 분량) 발표

● 면접은 부분적으로 영어로 진행

● 해외거주의 이유로 면접전형 참석이 어려운 경우 화상면접 가능

▶전공 연락처 Tel 053-785-6301 / [email protected] / http://ice.dgist.ac.kr

Faculty교수진

Inform

ation

and Com

munication Engineering

2015학년도 대

학원 학

생모집 18 |

19

1⃞

BBrain Science

NNew Biology

● 생체 의료 시스템

- 생체 신호 센싱 시스템 및 생체 모방 디바이스

- 스마트 헬스케어

- 바이오인포메틱스 및 뉴로인포메틱스

- 생체 의료 통신 및 신호처리

- 뇌-기계 인터페이스/뇌-컴퓨터 인터페이스

- 의료영상 및 시스템

- 웨어러블 바이오 센서 및 디바이스

Page 11: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MEmerging Materials

Science

I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RRobotics Engineering

EEnergy SystemsEngineering

Q 로봇공학전공에서는 실제로 어떤 연구들을 하나요?

- 단일공 수술로봇

기존의 개복 또는 복강경 수술의 대안으로 떠오르는 단일공 수술은

회복기간을 줄이고 수술상처를 극소화 할 수 있는 차세대 수술방식

이나 수술하는 의사에게는 난이도가 높고 수술시야와 동작에 제약이

많아 쉽게 보급되기 어렵다. 로봇공학전공에서는 단일공 수술을

지원하는 다자유도의 굴곡형 슬레이브 로봇과 원격제어를 통해

정밀하고 섬세한 수술을 실현하는 마스터 로봇을 개발한다.

- 영상유도수술로봇

CT, MRI, 초음파 영상으로 종양이나 혈관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로봇을 제어하므로 정확하고 안전한 수술을

지원하는 로봇을 개발. 특히 환자의 호흡이나 움직임에 의한 장기의

이동과 변형을 실시간 영상처리기술을 이용해서 분석하고 로봇의

움직임을 보상함으로써, 안전한 수술을 지원한다. MRI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MR대응 로봇, 초음파 영상유도를 이용하여 체외

에서 바늘을 삽입하는 바늘 삽입로봇 등을 개발한다.

- 수술네비게이션

진단용으로 사용되던 CT, MRI 등의 의료영상을 수술 중에 사용하여,

환부나 수술도구의 위치와 방향을 의사에게 제공하는 기술로, 육안

으로 확인할 수 없는 장기 내부의 종양이나, 종양과 정상조직과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수술의

효율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환자와 영상, 영상과 영상간의 높은 정밀도의 위치정합

기술 및 움직이는 환자의 위치를 추적, 보상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의료로봇분야는 인간 삶의 질과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분야로, 유능하고 도전정신이 투철한 인재들이활약할 미래지향적인 연구분야이다.

의료로봇 핵심기술의 메카

로봇공학전공

2015학년도 대

학원 학

생모집 20

|21

BBrain Science

NNew Biology

개요● 의료로봇은 인간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무한한 가능성을 지님

● 유능하고 도전정신이 투철한 인재들이 활약할 미래지향적인 연구 분야

비전● 의료로봇 분야의 연구와 교육에서 국제사회의 선도적 역할을 담당한다.

● 로봇관련 전문지식과 연구개발 능력을 갖춤과 동시에 국제적 감각을 지닌 선진 인력을 양성한다.

● 창의적인 교육과 학제 간의 융합 연구를 위한 글로벌연계 교육체제 및 연구체제를 확립한다.

전공분야의 특성화● 의료분야와 로봇공학을 접목한 의료로봇 특성화 전문교육

● 수술로봇, 재활로봇, 뇌와 생체, 생활에 관련된 뇌-기계 상호작용, 바이오마이크로로봇으로 구성되는 주요 특성화 분야

● 분야융합 교육, 시스템 통합 기반교육, 팀(team) 기반 교육, 프로젝트 기반의 실용교육을 통한 융합학문의 실용화

중점연구분야로봇공학전공은 기계·전자·전산·메카트로닉스 등 학제 간 연구협력을

기초로 바이오(BT), 정보(IT), 마이크로/나노(MT/NT) 기술들을 유기적으로

융합하여 다음과 같은 의료분야 및 첨단응용분야를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 수술 로봇 : 의사의 손보다 작고 정교한 로봇 팔을 이용해 미세한

혈관을 봉합하거나 인체 내의 협소한 공간에 접근해서 최소한의

침습으로 병소를 치료.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장기내의 종양이나

혈관, 신경의 위치를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과 위치센서를 이용해

감지, 목표부위에 정확히 도달할 수 있도록 유도

● 재활 로봇 : 인체의 손상된 근육기능 등을 회복, 재활하게 하거나

인공적인 장치로 보조하여 장애인들과 고령자의 생활을 지원. 이동이

불편한 사람들의 이동을 지원하고, 스스로 자립하여 걸을 수 있는 보조 시스템 등을 개발하여 인간의 운동과 인지기능을 지원

● 바이오 마이크로-나노 로봇/뇌-기계 상호작용: Micro/Nano 기술기반 마이크로 로봇, 인공감각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뇌 또는 신체의 정밀

검사 및 진단을 수행하며 필요시 외과적 치료 혹은 맞춤형 약물전달을 수행, 뇌파를 이용하여 외부 로봇 및 기계장치를 제어하거나, 효과적인

뇌-기계 상호작용 및 신경 제어를 위한 생체 적합한 전극, 인지기반 신경보철 소자 등을 개발

● 로봇디자인 & 서비스로봇 : 의료 및 첨단응용분야 특성에 적합한 로봇의 형태와 구조를 최적으로 설계하고 로봇운동에 필요한 각종 메커니즘,

센서 및 구동장치, 로봇 운동 및 제어, 센서기반 구동/이동, 머신비전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서비스로봇

개발

타전공과의 융합 기계·전자·전산·메카트로닉스 공학의 학제 간 연구협력을 기초로 바이오(BT), 정보(IT), 마이크로/나노(MT/NT) 기술 등 학제 간의 융합 전략을

추구하며, 타 학부는 물론 외부 대학, 연구소 그리고 산업체들과의 공동연구 및 협력 체제를 구축함.

면접전형 내용● 전공에 대한 기초와 전문지식을 개별 면접형식으로 실시하며 아울러 과학도로서의 소양과 자세, 미래 비전에 대한 질의

● 구두발표 - 자기소개, 연구경험 및 성과, 수학 및 연구계획, 졸업 후 계획에 대해 석사지원자의 경우 10분, 박사지원자의 경우 20분 이내로

파워포인트를 이용하여 발표

● 우리말과 영어를 동시에 사용

● 해외거주의 이유로 면접전형 참석이 어려운 경우, 화상면접 가능

Q&A

Page 12: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1⃞장평훈 교수, 전공책임교수, 대학원장T 053-785-6200 / [email protected] / http://logos.dgist.ac.kr

최종학력미국 MIT 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재활로봇, 양팔 로봇, Time-Delay Control주요경력 및 업적 2010 최우수 연구상 (한국국방연구소) / 2007 우수 강의상 (KAIST 기계공학) / 2006 최우수 논문상(International Workshop of Human-WelfareRobotic Systems) / 1995 최우수 강의상 (KAIST) / 50편의 국제학술지 논문

홍재성 부교수T 053-785-6210 / [email protected] / http://sr.dgist.ac.kr

최종학력일본 동경대학교 과학박사주요연구분야수술네비게이션, 수술로봇, 의료영상처리주요경력 및 업적대한의료로봇학회 국제교류이사 (2011~) / 큐슈대학 부교수(2010) / 동경대학 JSPS연구원(2004) / 최우수 발표논문상(CARS 2011, ICAM 2010, ACCAS 2007) / 최우수 공학논문상(J.JSCAS 2007) / 수술네비게이션 임상응용 약 120회

최홍수 부교수T 053-785-6212 / [email protected] / http://mems.dgist.ac.kr

최종학력미국 워싱턴 주립대학교 (WSU) 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 Micro/nano robot, Neural prostheses, MEMS,BioMEMS, BMI주요경력 및 업적 Outstanding Teaching Assistant Award &Teaching Assistant Excellence Award (2004년, 워싱턴 주립대(WSU) / 최우수 포스터 수상 (2009, International Symposium onNature-Inspired Technology) /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데이비스,박사후연구원 (2007 ~ 2009) / 한국기계연구원 선임연구원 (2009~ 2010)

문상준 조교수T 053-785-6214 / [email protected] / http://cybernetics.dgist.ac.kr

최종학력한국과학기술원(KAIST) 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 BioMEMS, Bio-Medical Engineering, Brain-MachineInterface, Molecular Robot주요경력 및 업적 삼성휴먼테크 논문 대상, 금상 (2003, 삼성전자) /대한민국 벤처 창업대전, 동상 (2003, 중소 기업청) / BK21 국제 방문연구지원 사업 (2005, KAIST) / KAIST NOVIC 최우수 논문상 (2006,KAIST) / 한국 연구 재단 박사 후 연구 과정 지원 사업(2006, KRF) /MIT media Lab. 연구원 (2006, MIT) / 하버드 의과대학 선임 연구원(2007, BWH)

김종현 조교수T 053-785-6211 / [email protected] / http://rehab.dgist.ac.kr

최종학력한국과학기술원(KAIST) 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재활 로봇, 신경-재활공학, 원격로봇 및 햅틱 디바이스주요경력 및 업적 미국 국립보건원 박사 후 연구과정 지원 사업 / 미국 국립보건원 임상연구센터 연구원

송 철조교수T 053-785-6215 / [email protected] / http://smart.dgist.ac.kr

최종학력한국과학기술원(KAIST) 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 스마트 정밀수술 시스템, 나노 바이오 포토닉스, 초정밀시스템 설계주요경력 및 업적 KAIST 정보전자 연구소 박사후 연구원 / Johns Hopkins University Postdoctoral Researcher

Bradley Nelson 겸임교수T 053-785-6213 / [email protected] /

http://www.iris.ethz.ch/msrl/people/brad_n.php

최종학력미국 카네기 멜론대학교 로봇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마이크로 바이오 로봇, 전자기 동력 시스템주요경력 및 업적 IEEE Transactions on Robotics & Automation 부편집장 / ETH 대학의 IRIS(Institute of Robotics and IntelligentSystems) 창립연구소장(2002) / 미국 “50 Scientific American”에 선정 /미국 맥나이트 Presidential 상

Russell H. Taylor초빙교수T 053-785-6201 / [email protected] / http://cs.jhu.edu/~rht

최종학력 Stanford University 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의료로봇, 의료영상처리주요경력 및 업적 존스홉킨스대 CISST ERC 센터장 / John C, MaloneProfessorship(2011) / MICCAI Society Enduring Impact Award /MICCAI 학회 펠로우 (2009) / 동경대학 공학부 펠로우 (2009)

문전일 겸무교수, 연구본부장T 053-785-4600 / [email protected]

최종학력미국 시러큐스대학교 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재활서비스로봇, 원격작업로봇, 임베디드 제어주요경력 및 업적 특허청주관 반도체설계공모전 대통령상 수상(2005) /LG산전 중앙연구소장(2004~2006) / 호서대학교 로봇공학과 교수/학과장(2007~2010) / 지능형로봇 표준포럼 의료로봇 분과위원장(2010~현재)/ 국제표준화기구(ISO) 의료로봇 표준화 한국대표(2009~현재)

MEmerging Materials

Science

I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RRobotics Engineering

EEnergy SystemsEngineering

- 양팔 로봇을 이용한 한국형 사이버나이프 개발

양팔 로봇의 위치/힘 제어기법을 응용하여, 능숙도가 높은 한국형

사이버나이프를 개발하는 방향의 연구인데, 한팔 대신 환자의 베드를

제어하고 나머지 한 팔로 사이버 건의 위치를 제어한다.

- 뇌영상과 뇌가소성 기반의 로봇재활의 연구

로봇을 이용한 재활에서 지체의 재활과 뇌의 가소성(plasticity)의

관계를 연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재활의 유효성을 개선하고, 새로운

재활로봇의 설계를 시도한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앞선 연구 중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로봇을 이용한 human arm, finger, shoulder 임피던스의

stochastic estimation.

인체 여러 부분의 임피던스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목적인데, 여러

가지 방법 중에 로봇을 이용한 stochastic measurement 기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stochastic measurement를 적용하려면 그 대상

시스템이 linear 해야 하는데 로봇관절의 Coulomb friction 등의

비선형성으로 인하여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비선형성을 제거함으로써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한다.

- 척추질환의 정량적 진단을 위한 로봇시스템

척추질환의 진단은 MRI 등 advanced된 기기들이 널리 활용되지만

복합적 생리학적 운동을 측정할 수 없고, 임상의가 직접 척추의

stiffness를 손으로 측정할 경우는 그 결과가 주관적이고 정확하지 않으

므로, 새로운 로봇시스템을 개발함과 동시에 로봇 공학의 새로운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3차원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combined segmental

stiffness of spine을 정확하고 정량적으로 측정하도록 한다.

- 양팔 로봇의 강건임피던스제어

인간이 양팔로 수행하는 대부분의 작업은 접촉-비접촉을 반복하며

수행하는 asynchronous task인데, 양팔로봇의 임피던스 제어를 통하여

이를 수행한다.

- 신경외과 마이크로 로봇

마이크로 로봇의 효과적인 미래 응용은 의학 분야가 될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으며 현재 관련연구의 태동기라고 볼 수 있다. 우리 팀은

ETH Zurich의 Bradley Nelson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마이크로

로봇의 신경외과적인 응용가능성과 응용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뇌속의 마이크로 로봇 실시간 영상, 뇌에 특화된 자기 조작

시스템 (magnetic manipulation system) (공동연구 : Bradley

Nelson 교수), 뇌에서의 신경외과 응용을 위한 차세대 마이크로 로봇

제작 등을 깊이 있게 연구하고 있다.

- 인공 보철

다양한 인공 보철물 중에서 인공와우는 현재 가장 성공적인 인공 보철

중에 하나이다. 우리의 청각 시스템 중에서 내이 달팽이관의 핵심은

수동적 센싱 (passive sensing)을 하는 기저막(basilar membrane)과

유모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청각기능을 복원

하기 위한 압전인공기저막 (piezoelectric artificial basilar

membrane)을 설계 및 제작하여 손상된 인간청각기능 복원을 위한

핵심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신경 보철 장치가

뇌나 신경과 잘 접속하도록 뇌-기계 상호작용 (Brain-Machine

Interface: BMI) 및 BMI용 전극을 연구하고 있다.

- 바이오 나노/마이크로 로봇

바이오 나노/마이크로 로봇 기술은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 보건문제와 관련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여

인류의 복지 향상에 이바지 할 수 있다. 특히, 의공학에 관련된 연구

분야와 의료용 로봇에 관련된 나노/마이크로 로봇, 미세유체 및 뇌-

기계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연구의 실제적

접근법으로 BioMEMS (생물학적 도구로써의 미세 기전 시스템)

기술, 멀티스케일 시작 공법, CVD 와 E-beam/Ion-beam등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미세 장치제작 기술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특히, 나노

로봇을 이용한 약물 전달 및 질병 탐색기술을 연구하고 현재 활발히

연구 중인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기술을 바탕으로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을 개발하여 의료용 재활/보조 로봇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로봇공학전공에 석사 혹은 박사 과정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학부 때의 어떤 전공이 적합하며, 어떤 과목을 이수해야 합니까?

로봇공학전공은 의료로봇 기반 연구 분야를 선도하기 위하여 다양한

학제 간 연구를 기초로 하는 융합 연구 전공입니다. 따라서 일반

기계, 전자, 전기, 전산 공학 분야 뿐 아니라 바이오(BT), 정보(IT),

마이크로/나노(MT/NT) 기술 관련 학부 및 타 대학원, 연구소 그리고

산업체 경험을 가진 분들도 지원이 가능합니다. 특히, 수학, 물리학,

화학과 같은 자연과학 분야에서의 경험 또한 의료로봇 기반 연구의

기초 연구라는 측면에서 지원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선행 교과목은

상기 분야와 관련된 교과목을 이수했다면 좋지만, 진학 후 융합과학

이라는 개설과목을 통해 습득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선행 이수 과목

없이도 지원할 수 있습니다.

타 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으로 진학하는 경우와

DGIST 로봇공학전공에서 석사와 박사과정을 모두 이수하는

경우 차이점이 있나요?

타 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DGIST 로봇공학전공에 박사과정으로

입학하는 경우, 석사과정동안 수강한 학과목 및 연구학점에 대하여

DGIST 로봇공학전공에서 학점을 인정받는 절차를 거쳐야합니다. 이렇게

하여 일정 학점을 인정받는 경우 그렇게 인정받은 학점은 박사과정

학점에 포함이 됩니다.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을 모두 DGIST에서 공부하는

경우에는 석사과정에서 수강한 모든 교과학점과 연구학점을 박사과정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석사과정 처음부터 박사과정

진학에 뜻이 있다면 석·박사 통합과정을 통하여 박사학위 받을 때

까지의 시간을 어느 정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전공 연락처 Tel 053-785-6203 / [email protected] / http://robot.dgist.ac.kr

Faculty교수진

Robotics E

ngineering

2015학년도 대

학원 학

생모집 22

|23

1⃞

BBrain Science

NNew Biology

Q

Q

Page 13: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MEmerging Materials

Science

I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RRobotics Engineering

EEnergy SystemsEngineering

인류의 과학기술문명발달에 있어 화석에너지가 큰 기여를 해왔음을 부인할수 없다. 그러나 최근 이들 자원의 고갈문제와 함께 인류생존을 위협하는 환경문제는 재생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새로운 차원의 에너지를 요구하게 되었다. DGIST 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에서는 화석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혁신적 미래에너지원을 창출하고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역할을수행한다.

지속가능한 친환경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하다

Q 에너지시스템공학 전공에서는 무엇을 공부하나요?

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에서는 먼저 에너지시스템에 대한 기초 개념, 열역학, 정책 등을 기초공통과목으로 배우고, 그 이후 각자 태양광,

연료전지, 이차전지의 세 가지 트랙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심도 있는 전공수업을 받게 됩니다. 또한, 강의실에 앉아 노트에 이론을 받아

적기만 하는 일차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직접 연구에 참여하고 스스로 생각해 보는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 각자의 지식을 심화하게 될 것

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여러분은 ‘미래 에너지 분야를 선도할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인재’로서 거듭나게 될 것입니다.

Q 세 가지 트랙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주제에 대해 연구하나요 ?

세 트랙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세부 연구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 태양광 트랙: 차세대 태양전지용 핵심 소재 및 신개념의 제작기술

- 연료전지 트랙: 수소 연료전지, 바이오연료전지 등 연료전지 효율향상 및 범용화를 위한 핵심소재 및 시스템 기술

- 이차전지 트랙: 신재생에너지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이차전지의 경량화 및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한 신규 소재 및

신개념 차세대 혁신전지

Q 모든 수업은 영어로 진행된다는데 영어실력에 다소 자신이 없어서 지원이 망설여집니다.

영어의사소통능력은 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이 추구하는 World Top Class 학과로서의 위상을 다지기 위한 전제 조건입니다. 에너지시스템

공학전공은 구성원들의 영어 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다소 부족한 영어실력보다는,

이를 극복하고자하는 의지와 자신의 에너지 전공분야에 대한 열정이 충분한지를 먼저 보여주기 바랍니다.

Q 에너지시스템공학 전공을 졸업하고 나면 어떠한 분야로 진출하게 되나요?

- 국내외 민간기업체 기업연구소 (삼성, LG, SK, 현대, 3M, Dupont, Duracell 등)

- 국내외 국공립 연구소 및 대학

-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지열) 관련 분야

- 수소에너지 및 연료전지 분야

- 이차전지 및 에너지 저장 분야

- 에너지환경 정책분야

Q 에너지시스템공학 전공의 국제적 교류협력 상황은 어떤가요?

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에서는 우선 세계적인 석학을 초빙해 학생들에게 에너지개발에 대한 기본 개념을 확실히 인식시킨 후 한 단계

발전한 교육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고 DGIST와 협력하고 있는 세계적인 석학들로서는 현재

까지 텍사스 A&M 대학 제럴드 케이튼 교수, 노벨상 수상자인 미국 델리웨어대학교 에너지환경정책학부 존 번 교수, 연료전지분야 세계적

석학인 일본 야마나시대학교의 마사히로 와타나베 교수가 있으며, 앞으로도 2-3명의 세계적 석학들을 추가로 초빙할 예정입이다. 이와

더불어, 향후 세 개 트랙별 7분의 세계적 연구역량을 가진 국내외 저명교수를 초빙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세계선도 에너지 관련 학과로

비상할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

Q&A20

15학년도 대

학원 학

생모집 24

|25

BBrain Science

NNew Biology

Page 14: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1⃞홍승태 부교수, 전공책임교수 T 053-785-6415 / [email protected] / http://sthong.dgist.ac.kr최종학력서울대학교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 Mg, Na, Li 이온 이차전지, 신 무기재료 합성, 고체화학,결정화학주요경력 및 업적 LG화학 기술연구원 신전지 개발프로젝트 리더 / Iowa State University 박사후 연수 / Oregon State University 박사후 연수

이호춘 조교수 T 053-785-6411 / [email protected] / http://dukelee.dgist.ac.kr최종학력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 Li 이온 이차전지, 차세대 이차전지, 전기화학적 에너지 변환주요경력 및 업적 LG화학기술연구원 / 금오공대 조교수 / Brookhaven 국립연구소 박사후 연수

한병찬 조교수 T 053-785-6412 / [email protected] / http://hanbc.dgist.ac.kr최종학력미국 MIT 재료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 양자 및 멀티스케일 전산이용 고성능 에너지소재 발견및 디자인주요경력 및 업적로렌스버클리-DGIST 연구협력 부센터장 (현) /Frontiers in Condensed Matter Physics 저널 편집위원 (현) / MIT 및 Stanford대 박사후 연구원 / 10인의 젊은 리더 과학자 선정(한국일보, 2012년) / 최우수 논문상 (2012년 한국전기화학회)

이윤구 조교수 T 053-785-6414 / [email protected] / http://opel.dgist.ac.kr최종학력미국 시카고대학교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유기박막형 태양전지, OLED, Printed Electronics주요경력 및 업적삼성전자 책임연구원 / 특허기술상 세종대왕상 수상(2004) / LG화학 기술연구원(OLED R&D)

Sangaraju Shanmugam조교수 T 053-785-6413 / [email protected] / http://sangarajus.dgist.ac.kr최종학력인도 국립 기술대학교(IIT Madras)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연료전지 촉매, 금속-공기 전지, 센서, 분자자성체주요경력 및 업적 JSPS 박사 후 연수 / 와세다대 선임연구원 / 와세다대 조교수 / 반일란대(이스라엘) 박사후 연수

이종수 조교수 T 053-785-6416 / [email protected] / http://jslee.dgist.ac.kr최종학력전북대학교 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하이브리드형 나노물질 개발 및 무기물 태양전지, 열전소자, 광전소자, 센서주요경력 및 업적미국 시카고 대학교, 전문연구원 / 미국 로렌스 버클리국립연구소, 박사후 연수 /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 데이비스, 박사후연수 / 고려대학교 전기공학과, BK21 연구조교수

인수일 조교수T 053-785-6417 / [email protected] / http://insuil.dgist.ac.kr최종학력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 CO2 연료 전환, 수소 생산을 위한 광전기화학적 물분해,양자점 태양전지, 염료감응 태양전지, 공해저감, 기능성 나노소재 개발,바이오 연료전지주요경력 및 업적U.C. Berkeley 방문연구원 / 덴마크 공대 박사후 연수/펜실베니아 주립대 박사후 연수

이강택 조교수T 053-785-6430 / [email protected] / http://ktlee.dgist.ac.kr최종학력미국 플로리다 대학교 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 Solid-state Electrochemical Energy Devices, 차세대전고체 이차전지(solid-state batteries), 저온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LT-SOFCs)주요경력 및 업적메릴랜드대 에너지 연구소, 박사후 연수

김하석 석좌교수T 053-785-6410 / [email protected] / http://hasuckim.dgist.ac.kr/최종학력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전기분석화학, 연료전지, 전기 화학적 화학 발광소자주요경력 및 업적서울대 화학과 교수 / 특임부총장 / 서울대 대학원장 /서울대 화학과 명예교수 / 국제전기화학회 (ISE) 회장 (‘13-’14) / 국가연구소재중앙센터 이사장 / 국제전기화학회 펠로

Jerald A. Caton자문교수 [email protected]최종학력미국 MIT 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대체에너지, 공해저감, 엔진연소 전산모사주요경력 및 업적텍사스 A&M 공과대 기계공학 석좌교수 / Texas A&M 기계공학부 학부장 / SAE Ralph R. Teetor Educational Award (1990) / ASME Richard Woodbury Award (2003)

John Byrne겸임 석좌교수 [email protected]최종학력미국 델라웨어대학교 정책학박사주요연구분야에너지 및 환경 정책주요경력 및 업적델라웨어대학 에너지환경정책학부 석좌교수 / 에너지환경정책센터장 / 노벨평화상수상 (‘07)

MEmerging Materials

Science

I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RRobotics Engineering

EEnergy SystemsEngineering

개요에너지 문제는 현재 인류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사안으로서, 세계 각국은 환경파괴 없이 지속가능한 녹색 신재생에너지 활용을 위한

연구개발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에너지변환 소재 및 시스템분야는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원 확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 본 전공은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핵심기술을 선도하는 미래지향적이고 창의적인 실용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비전● “미래에너지를 넘어서(Beyond the Future Energy)”라는 학부의 신념을 달성하기 위한 hidden Champion 학부 육성

● 비고갈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필요한 핵심기술 선도

● 미래지향적이며 창의적인 연구개발능력을 갖춘 실용 인재 양성

전공분야의 특성화 ● DGIST 연구부의 축적된 연구기능과 학사부의 교육기능을 접목함으로써, 미래 에너지 분야의 세계 선도적 학-연 연계 교육

시스템을 구축

● 국내외 유수기관들과의 인적교류 및 공동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국제적인 교육연구 네트워크 형성

● 기업 및 산업계의 기술혁신 이슈들을 해결하는 연구-실무 혁신교육에 중점

중점연구분야● 이차전지의 경량화와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한 신규 소재 및 신개념 차세대 혁신전지 연구

● 차세대 태양전지용 신규 핵심 소재 및 제작기술

● 고온 및 저온 구동용 연료전지 효율향상 및 범용화를 위한 핵심소재

● 인체 삽입형 바이오 연료전지

● 광촉매 반응에 의한 이산화탄소 및 오폐수의 재활용

● 제일원리전산을 이용한 신에너지 소재 발굴 및 디자인

● 수소 생산저장 및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실용화 연구

타전공과의 융합 ● 정보통신융합공학 전공과의 융합: 신재생 에너지의 활용성 향상을 위한 에너지 저장기술 및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용

센서네트워크 전원공급 시스템

● 로봇공학 전공과의 융합: 마이크로 생체로봇용 초소형 배터리 및 휴먼케어 로봇용 중대형 에너지 공급 시스템 연구

● 뇌과학 전공과의 융합: 뇌신호 수집처리 관련 생물화학적 에너지 및 바이오 소재를 이용한 생체 적합성 전원공급 시스템

면접전형 내용● 개별 영어 구두면접

● 지원자의 전공배경에 따라 물리, 화학, 수학, 생물, 열역학, 전달현상 등 에너지시스템공학의 기초와 응용에 관한 전문지식 및

이공학도로서의 소양과 성품, 미래 비전에 관한 질문

● 해외거주의 이유로 면접전형 참석이 어려운 경우 화상면접 가능

▶전공 연락처 Tel 053-785-6402 / [email protected] / http://energy.dgist.ac.kr

Faculty교수진

Energy Systems E

ngineering

2015학년도 대

학원 학

생모집 26

|27

1⃞

BBrain Science

NNew Biology

Page 15: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MEmerging Materials

Science

I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RRobotics Engineering

EEnergy SystemsEngineering

Q 뇌과학전공에서는 무엇을 공부하게 되나요?

●뇌의 전반적인 생리학적, 병리학적 작용기전에 대한 집중적인 이론 교육●효과적이고 정확한 연구접근을 위한 종합적인 뇌연구 방법론 교육● Internship과 seminar를 통하여 복합적 지식의 습득 및 사고의 다양화● IT, RT, ET 등 타 전공과목의 수강을 통해 뇌융복합 학문의 응용 마련

Q 전공수업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창의시스템 교육, 연구중심, 학제간 융합 그리고 글로벌 네트워크 교육및 연구체제를 운영

●전과목 영어 강의를 통해 뇌학문 연구의 국제적 감각 개발 (강의는 녹화되어 반복학습 가능)

●전공교수와 개별적 면담을 통한 깊이 있는 학문 토론●뇌융복합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연구개발능력을 바탕으로 국제적

감각을 발휘하여 실용화를 선도하는 글로벌 실용화 리더 양성

Q 뇌과학전공의 핵심 교육철학은 무엇인가요?

●학기 시작 전, 학과장을 통한 전공의 비전 교육●무결성 (Integrity) : 진실되고 정직한 결과 발표●협력성 (Collegiality) : 두 사람 이상 또는 선후배 간의 상호 협력

●협업성 (Collaboration) : 지식의 나눔과 융합을 통한 발전 모색●집단지성 (Collective Wisdom) : 지식의 공유를 통한 진리 추구●사회적 책임감 (Social Responsibility) : 연구결과의 사회적 책임감 인지●중개성 (Translation) : 학문의 임상적 적용 모색●동반성장성 (Partnership) : 교수와 학생간의 동반자적 관계 발전

Q 뇌과학전공에서 수업 외로 진행하는 프로그램은 어떤 것이 있나요?

● International Symposium : 매년 11월 세계적 석학들을 초대해 최신 연구분야에 대한 국제 심포지움 개최

●Symposium : 매년 학생들이 준비하는 심포지움으로 외부 과학자 초청및 세미나 진행, 학생들과 깊이 있는 만남과 대화

●Seminar : 매주 세미나 연사 초청 및 학생들과 개별 만남●Convergence Seminar : 융합적 학문의 창출을 위해 매주 타 학과들과

융합세미나 개최●Happy Hour : 매달 학생들과 교수들 간에 만남과 대화의 공간을 마련

Q 연구실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문제일 교수_ 화학감각신경계 연구실, LaboratoryofChemical Senses

●후각신경계 구조와 기능 이해 : 뇌에서 냄새신호를 처리하는 신경망을이해하는 연구로 후각신경계 신경세포를 표식하여 전자현미경적 미세

관찰하고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신호전달체계를 규명●후각신경계 모델 이용한 신경 발달 연구 : 후각신경계 발달을 연구하며,

주로 신경세포의 재생과 과다 자극으로부터의 신경세포 보호에 관련된인자의 규명과 기전 연구 및 Alzheimer’s disease에서의 냄새감각 퇴화와 이를 응용한 조기진단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

●후각신경계의 역공학적 이용 융복합 연구 : 수만 가지 물질의 화학적 구조를 구별해내는 후각신경계의 특성을 이용하여 IT, NT와의 융합을 통한 화학감각 바이오센서를 개발하는 연구

●후각 관련 뇌기능 이해 연구 : EEG, fMRI 등 뇌신호처리 및 뇌영상장비를이용하여 냄새에 관련된 인간의 뇌신호를 습득하고 처리하는 IT와의 융복합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

유성운 교수_ 신경세포사멸 연구실, LaboratoryofNeuronalCell Death

●신경질환에서 신경세포의 사멸기작 연구를 통해 새로운 뇌질환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함. 특히 non-apoptotic cell death 기작에 대한 연구를 통해뇌질환에서 programmed cell death 의 새로운 분자기전을 밝히고자 함.

●자가포식작용에 의한 신경세포사멸 (autophagic cell death) :Alzheimer’s disease나 Parkinson’s disease 같은 신경질환에서autophagic cell death에 의한 신경세포/신경줄기세포 사멸기전을 규명하고 자가신경줄기세포를 이용한 뇌의 재생능력 연구

●신경염증 (neuroinflammation) : 퇴행성 뇌질환에서 microglia의 활성화와 염증반응 조절에 대한 기작 연구를 통해 신경세포보호를 위한 항염증치료법 개발

김은경 교수_ 뇌대사질환 연구실, LaboratoryofNeuroMetabolism

●뇌의 신경세포 조절기작 연구를 통하여. 에너지 항상성을 조절하는 기전을규명, 비만, 당뇨, 퇴행성 뇌질환 등의 대사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그의 치료제 개발의 초석을 만들고자 함.

●식욕조절을 통한 비만, 당뇨 치료 : 시상하부신경세포에서의 식욕 조절자의세포학적, 분자적 조절 기전 연구를 통해 비만, 당뇨 치료제 개발에 활용

●비만, 당뇨에서의 자가포식 기작 : 인슐린 분비세포인 췌장세포와 시상하부신경세포에서의 자가포식 조절기전, 그리고 이의 사멸기작과의상호작용을 규명하여 비만, 당뇨 치료의 새로운 진단표적 물질들을 발굴

●퇴행성 뇌질환, 비만, 당뇨에서의 인슐린의 기능 및 역할 : 해마신경세포와시상하부신경세포에서 발현되는 인슐린의 새로운 기능 및 역할을 연구하여밝혀지지 않은 대사작용과 퇴행성 뇌질환과의 상관관계를 규명

구재형 교수_ 신경감각생물학 연구실, Laboratoryof SensoryBiology

●뇌에서 감각신경세포를 통한 화학 (smell, pheromone, taste) 분자의인지능력에 대한 분자적 메커니즘 이해와 응용 연구.

●감각신경계 이외의 비화학감각조직에 있는 후각수용체의 이소성 발현(Ectopic expression)을 찾아 분석하고, 생리적 리간드를 선별, 분리하여 이를 통해 후각수용체 이소성 발현의 생리적 기능을 규명하여 신체의항상성 유지를 위한 신약개발에 활용

●화학감각 시스템의 생체모방 작용기전 연구를 위해 생리적 활성이 있는화학감각수용체를 대량생산하는 시스템을 구축 및 환경, 마약과 관련된화학물질 탐지를 위한 후각수용체 선별 및 적용 연구

서병창 교수_ 분자세포 신경생물 연구실

Laboratory of Molecular and Cellular Neurobiology

●뇌신경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압의존성 이온채널의 조절기전을이해함으로 채널의 비정상적인 활성에 의한 간질, 통증 등 뇌병리현상의발생기전 규명 및 치료물질 개발

●신경 흥분성 조절 및 간질 발생 연구 : KCNQ K+ 채널의 분포 및 조절기전을 연구하고 신경세포의 활성조절 메카니즘을 밝힘으로 간질 발생의원리 이해 및 조절 물질 개발

●통증신호 연구 : 대표적인 통증 감각채널인 TRPV1, ASICs 및 Ca2+ 채널의조절 기전을 이해함으로 통증발생 및 뇌(brain)로의 통증신호 전달기전을규명하고 조절방법을 탐구

●Lipidomics 연구 : 세포막 인지질 조절기술을 개발함으로, 인지질 변화에의한 이온채널 조절기전을 이해하고 세포막의 신경활성, 분화 및 신경기능에 미치는 영향 규명

김규형 교수_ 신경행동 및 신경회로 연구실

Laboratory of Neurobehavior and Neural Circuits

●외부 환경 자극에 의한 동물의 발생 및 행동 조절에 관한 뇌 신호전달기전 연구 수행

●동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환경 자극의 일종인 페로몬의 신호전달기전 규명 및 뇌신경회로를 통한 분석 및 처리 과정을 시스템적으로 규명

●성 행동에 관한 페로몬의 분자 및 신경학적 기작 및 신경회로 규명 신경회로의 구조와 기능이 상대적으로 간단한 예쁜 꼬마선충(C. elegans)을모델 동물로 이용하여 페로몬에 의한 꼬마선충의 발생 및 행동 조절에관한 뇌 신호전달 기전을 신경학적, 분자생물학적, 유전학적 방법으로 연구. 꼬마선충의 신경 신호전달 과정들이 사람과 매우 유사함으로, 위연구는 인간의 뇌질환 발병원인과 발달과정의 규명에 이르기까지 폭넓게기여할 것임

이성배 교수_ 퇴행성 뇌질환과 노화 연구실

Laboratory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Aging

●파킨슨씨병, 헌팅턴씨병, 알츠하이머병 등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과 정상노화과정에서 신경세포의 세포적 변형 및 기능저하 기작연구.

●퇴행성 뇌질환의 초파리 모델동물과 세포배양 시스템을 활용하여, 세포수준의 핵심 병리기전 규명 및 치료제 개발로의 응용 연구

●초파리 모델동물을 활용하여, 신경계의 노화과정동안 신경세포의 구조유지 및 리모델링 기작 연구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이상이 주된 병리 원인임을 밝혀낸 파킨슨씨병에서처럼, 퇴행성 뇌질환에서 세포수준의 병리기전은 질병을 이해하고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음. 매우 유용한초파리 모델동물 시스템과 세포배양 시스템을 병행한 연구를 통해 이들세포기전을 밝혀냄과 동시에 관련된 핵심인자들을 찾아내고자 함

오용석 교수_ 신경유전체학 연구실, Laboratory of Neurogenomics

●우울증 (major depressive disorder)과 항우울제 약물(antidepressant)반응을 매개하는 분자기작(molecular mechanism)에 관한 연구

●우중추신경 신경회로를 구성하는 특정신경세포군의 선택적 활성제어(synaptic silencing)를 통한 항우울약물 매개 중요 세포군(neural cellpopulations)의 동정

●우세포특이적 전사체 분리기술을 이용한 SSRI 약물의 장기처방에 의해조절되는 신경세포군 특이적 전사체 분석 및 중요조절유전자의 동정

●우우울증 및 항우울약물반응에 중요한 핵심인자와 조절 신호전달경로의구명

●우고효율/속성 항우울제 개발을 위한 약물타겟 분자의 발굴과 신약개발에의 응용

뇌과학이란 뇌신경계의 신경생물학 및 인지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미시적또는 거시적 수준에서 뇌의 구조 및 기능의 근본원리를 파악하고 이를 응용하는 학문을 말한다. DGIST 뇌과학전공은 그동안 여러 학문 분야에서 이뤄낸연구 성과와 방법들을 융합하여 새로운 뇌연구 방법과 과정을 연구하고, 그융복합 지식을 바탕으로 향후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인류복지와 뇌질환극복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뇌의 무한한 창조의 가능성을 융복합으로 이끌어내다

뇌과학전공

Q&A20

15학년도 대

학원 학

생모집 28

|29

BBrain Science

NNew Biology

Page 16: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Faculty교수진

1⃞문제일 부교수, 전공책임교수, 입학처장T 053-785-6110 / [email protected] / http://cmoon.dgist.ac.kr최종학력영국 임페리엘대학교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후각신경계 이해 및 응용, 감각신경계 기반 뇌융합과학(인공코 제작 등) 주요경력 및 업적 현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방문교수 / 미국 신경과학회정회원 /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연구원 / 영국 Oversea ResearchStudent Awards 수상 / 후각신경계 관련 초청논문(Ann Rev of Physiol) 포함우수논문 다수발표

유성운 부교수T 053-785-6113 / [email protected] / http://yusw.dgist.ac.kr최종학력서울대학교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 Programmed cell death에 의한 신경세포/신경줄기세포 사멸기전, 자가포식작용(autophagy), 신경염증 등 퇴행성 뇌질환의 발병기작주요경력 및 업적 미국 미시간 주립대 조교수 /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연구원 / 미국 신경과학회 정회원 / Raymond B. Bauer Award 등 다수 수상Science (1,250회), PNAS (315회) 등 100회 이상 인용된 우수논문 다수 발표

김은경 부교수, 뇌대사체학 연구센터 센터장T 053-785-6111 / [email protected] / http://ekkim.dgist.ac.kr최종학력서울대학교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뇌신경세포와 비만, 당뇨 등의 대사 질환주요경력 및 업적 미국 미시간 주립대 조교수 /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연구원 / 미국 신경과학회 정회원 / Young Scientist Research PromotionAward (KRF) 수상 / 식욕조절관련 논문 등 우수논문 다수발표

구재형 부교수T 053-785-6112 / [email protected] / http://jkoo001.dgist.ac.kr최종학력연세대학교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화학감각 (후각, 미각) 및 이소성 후각수용체 연구와 응용주요경력 및 업적 미국 메릴랜드 주립대 조교수 / 미국 신경과학회 정회원/ 미국 화학감각신경학회 정회원 / IUBMB World Congress YoungScientist Award 수상 / JCN 포함 화학감각신경계 관련 우수논문 다수 발표

서병창 조교수T 053-785-6123 / [email protected] / http://bcsuh.dgist.ac.kr최종학력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이온채널 조절 및 간질, 통증의 분자적 기전 연구주요경력 및 업적미국 워싱턴 주립대(시애틀) 조교수 / 미국 신경과학회 정회원 / Young Scientist Research Promotion Award(KRF) 수상 /Science, Neuron 포함 100회 이상 인용 우수논문 다수 발표

김규형 조교수T 053-785-6124 / [email protected] / http://khkim.dgist.ac.kr최종학력미국 보스톤대학교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신경 회로, 신경행동, 신경발생, 신경유전학 연구주요경력 및 업적미국 브랜다이스대 전문연구원 / 청암과학펠로 선정 /Science, Neuron, Development 포함 우수논문 다수 발표

이성배 조교수T 053-785-6122 / [email protected] / http://sblee.dgist.ac.kr최종학력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퇴행성 뇌질환, 신경계 유지 및 리모델링 연구주요경력 및 업적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 전임연구원 / 미국 HHMI연구단박사후 연구원 / Agarwal Award 수상 / Nature, PNAS, EMBO reports포함 우수논문 다수 발표

오용석 조교수T 053-785-6114 / [email protected] / http://ysoh.dgist.ac.kr최종학력포항공과대학교(POSTECH) 박사주요연구분야모노아민(세로토닌, 도파민)에 의한 신경조절과 기분/불안 장애 기전 연구주요경력 및 업적뉴욕 록펠러 대학 객원교원 / 신경과학회 회원 / 2013 NARSAD 젊은 과학자상 수상 / Cell, Nature Review, MCB 포함우수논문 다수 발표

Gabriele V. Ronnett 겸직교수, 석학교수[email protected] / http://neuroscience.jhu.edu/GabrieleRonnett.php최종학력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의학∙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뇌물질대사, 신경발달장애 (Rett 증후군), 화학감각 신경계주요경력 및 업적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수석 졸업 / 미국 존스홉킨스의과대학 MD, Ph.D. /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신경과학과 (신경과 겸직) 교수 / 세포대사 및 비만 연구센터 소장 / 치료 및 진단제약회사 FASgen의공동 설립자

문대원 DGIST Fellow, 겸무교수T 053-785-1850 / [email protected]최종학력 Penn State University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비선형 나노광학 이미징, 대기압 질량분석 이미징, 표면 이온 현미경을 이용한 세포와 조직의 Nano-Bio Imagig주요경력 및 업적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 한국표준과학연구원Fellow /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04) / 대한민국 과학기술 훈장도약장 수상(‘05)

전원배 나노바이오 연구부 책임연구원, 겸무교수T 053-785-2420 / [email protected] / www.dgist.ac.kr/korean/research/lab03_03.htm최종학력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 Cell and tissue ageing and regeneration주요경력 및 업적대구경북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생화학과 연구원 /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생화학과 박사 후 연구원

김은주 나노바이오 연구 책임연구원, 겸무교수T 053-785-2530 / [email protected]최종학력서울대학교 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 Nanotoxicity, Biological application of nanomaterials, Biosensor, High throughput screening주요경력 및 업적 Controlled Release Society Member /Frontiers in Environmental Science 편집위원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편집위원

Erwin Neher 자문교수최종학력 Institute of Technoligy, Munich, Germany, Ph.D주요연구분야 Electrophysiology, Ion channels주요경력 및 업적 1991 노벨상(생리학 및 의학분야) 수상 Discoveriesconcerning the fuction of single ion channels in cells / 1978 세계 최초단일 이온채널 활성 측정법 개방(patch clamp technique)·세포내 이온출입을 조절하는 이온채널의 성질을 이해하기 위해 단일 이온채널의 활성을전기생리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술, 신경 세포기능의 분자수준 연구를가능케 함

MEmerging Materials

Science

I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RRobotics Engineering

EEnergy SystemsEngineering

개요뇌과학이란 뇌신경계의 신경생물학 및 인지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미시적 또는 거시적 수준에서 뇌의 구조 및 기능의 근본원리를 파악하고

이를 의학적 및 공학적 접근방법으로 응용하는 연구

비전● 창의시스템 교육, 연구중심, 학제간 융합 그리고 글로벌 네트워크 교육 및 연구체제를 운영

● 고립되고 파편화된 뇌 관련 전문지식의 재통합을 통해 미래학문을 책임질 융합과학분야 전문가 양성

● 뇌융합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연구개발능력을 바탕으로 국제적 감각을 발휘하여 실용화를 선도하는 글로벌 리더 양성

전공분야의 특성화● 뇌를 주제로 전공 제약 없이 창조적이고 융합적인 연구주제를 수행하는 새로운 교육시스템으로 뇌과학분야 교육 특성화

● 고령화시대 진입과 현대 물질문명 심화에 따라 증가하는 뇌 관련 질환의 예방·치료와 두뇌산업 창출에 필요한 융합기술 개발을

담당하는 뇌과학 교육연구기관으로 특성화함

중점연구분야● 뇌대사학(neuro-Metabolism)

- 비만, 고혈압, 당뇨 등의 대사질환과 관련된 신경의 작용기전 이해와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연구

- 퇴행성 뇌질환과 같은 뇌대사질환의 발병원리를 대사조절 관점으로 단일분자 또는 세포 수준에서 규명하여 질환 조기진단 기술 개발

- 대사물질의 미세 변화를 관찰하는 대사체 분석, 줄기세포·유전자 치료기법, 칼슘 채널 등을 이용한 뇌대사질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응용 연구

- 대사 질환과 신경질환의 분자수준의 연관성연구

- 중추신경계질환의 진단과 치료효과의 객관적 측정에 응용될 수 있는 대사관련

분자마커의 개발

● 감각신경계 기능(Sensory System)

- 후각, 미각, 촉각 등 감각신경계 작용의 기본 원리를 분자 및 세포수준에서

연구함으로 화학감각, 통증, 페로몬작용 등 감각전달기전 연구

- 인공지능 및 뇌기능 시뮬레이션 구사에 필수적인 뇌지도 작성을 위한 화학감각

신경계 구조 및 기능 연구

- 화학감각신경계를 이용한 신경보호물질 발굴, 뇌기능 모방 감지기술개발

● 신경세포 사멸 및 뇌질환 연구(neurodegeneration)

- 신경질환에서 신경세포 퇴화와 신경줄기세포 소멸의 세포 및 분자적 기전을

연구하는 분야

- BT, IT 등 융합적 접근방법을 통해 질병예측 및 진단 원천기술개발

- 신경의 발생, 분화, 퇴화의 기전을 시스템으로 접근하여 중추신경계 작용원리 연구

타전공과의 융합● 뇌의 신비를 탐구하는 뇌과학은 태생적으로 융합과학의 특성을

지녀 NT, BT, IT 분야 등의 첨단기술분야들과의 융합이 용이함.

따라서 뇌를 주제로 하는 PBL(Project Based Learning)을

통해 자연스러운 학제간 융합 전략 추구

면접전형 내용● 토론 및 발표는 영어로 진행하며 1박 2일 일정으로 면접평가

● 구두 발표 - 그간의 연구 성과나 감명 깊게 읽은 논문에 대해

10분 내외로 파워포인트(5~10장 분량) 발표

● 주제 essay 발표 - 제시된 주제에 대해 에세이 작성 및

구두발표

● 주제 토론- 주어진 주제에 대해 팀별 토론 후 15분 내외로발표

● 해외거주의 이유로 면접전형 참석이 어려운 경우, 화상면접 가능

▶전공 연락처 Tel 053-785-6103 / [email protected] / http://brain.dgist.ac.kr20

15학년도 대

학원 학

생모집 30

|31

Brain

Science

1⃞

BBrain Science

NNew Biology

Page 17: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전공분야의 특성화● 혁신적 학위과정

- 1년차 : 융복합 연구에 필요한 요소 기술, 지식 및 실험 집중 교육. 기반 지식 습득 후, 지도교수 선정

- 2~4년차 : 융복합 학위연구 수행. 4년차에 학위취득 가능하도록 academic advisor 제도 운영

● 창의적 교육과정

- 창의적 교육 : 새로운 문제, 방법 및 결과를 창조하는 인재 육성

- 전인교육 : 과학창의성 및 논리, 과학커뮤니케이션, 과학발견사 등 전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 nobel Fellowship

- 노벨상 수상자가 직접 장학생을 선발 및 장학증서 수여

- 장학금 3000만원/년, 연구비 2000만원/년

- 국제학술대회 참석경비 지원(연 1회) 및 해외 우수대학 연수

● 우수 연구단 연계 교육/연구

- IBS기초과학연구단, 창의연구단, DGIST Flagship 연구단

- DGIST-IBS 협동 Ph.D. 인력양성 프로그램 운영

- M.D.-Ph.D. 학위 프로그램 운영 (뇌과학전공과 공동)

중점연구분야● 노화 시스템생명과학 : 다차원적 시스템 유전학적 방법을 통해 생명체의 노화현상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창제 및 그 응용

● 나노바이오 이미징 : 초고해상도, 동역학적, 화학적 특성의 나노바이오 이미징 장비 개발 및 이를 이용한 세포내 나노물질 및 소기관,

단일세포, 세포 network 수준의 생명 현상 이해

● 시스템 및 복잡계 생물학 : 생물정보학 및 시스템생물학을 통해 다양한 big data 생물정보들을 complex network 차원에서 처리,

분석하는 기법 및 그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및 교육

● 생명영속성 시스템생명과학 : 지구 환경 변화(온난화, 가뭄), 우주시대의 도래, 화석 에너지 및 자원 고갈, 인구 증가, 식량부족 등에

대비한 각종 생명체의 대응 전략 연구 및 극한 환경 및 우주에서의 인류의 생존을 위한 학술적 기술적 사회적 문제 연구

● 생물물리학 및 양자역학 시스템생명과학 : 생물물리학 및 양자역학 차원에서 생체 단물질 및 그 집합체의 구성, 이동 및

특성, 에너지와 물질의 전화 기능 등을 분석하여 창발적 생명현상을 이해하고 응용

타전공과의 융합● DGIST 타전공과의 matrix 구조의 학제간 융복합 교육 및 연구를 통해 새로운 문제 및 방법 개발

● DGIST 나노바이오, IT융합, 로봇시스템, 에너지 연구부 연계를 통한 학연간 연구프로젝트 수행

(예시) 신경 노화 재생 연구 (DGIST Flagship), Big Data Convergence Supercomputing, Space Farm (우주 농장), 노화 등

인체 전 활동 정량적 측정 및 그 조절 및 New habitat

면접전형 내용● 소양면접 : 융복합 생명과학자 소양 [인성, 리더십, 소통력(영어능력 포함), 포부 등] 및 기초지식에 대한 질의

● 창의성면접 : 과학현상에 대해서 창의적으로 질문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 (논리적 구두발표 포함)

● 해외거주의 이유로 면접전형 참석이 어려운 경우 화상면접

New

Biology for Sustainable Hum

anity

MEmerging Materials

Science

I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RRobotics Engineering

EEnergy SystemsEngineering

2015학년도 대

학원 학

생모집 32

|33

창의적 융복합 교육 및 연구를 통한 New Biology 연구 패러다임을창조하여, 인류의 새로운 문화와 문명을 열어갈 최고의 창의적 지식,기술, 과학 문화 및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한다.

나의 과학을 넘어 우리의 과학으로NEW BIOLOGY 전공B

Brain Science

NNew Biology

New Biology란? New Biology 란 다양한 과학 (물리, 화학, 수학/통계, 기계/재료/화학/컴퓨터공학), 기술 및 사회과학 등의 융복합적 접근을 통하여, 복잡계 생명

현상에 대해 기존 생물학의 한계를 넘는 창조적 학문과 기술을 추구하는 것으로 정의한다(NATIONAL RESEARCh COUNCIL 보고서, 2009).

New Biology 전공은 복잡계 생명현상에 대해, new questions, new approaches 및 new accomplishments (NB=QA2) 를 위해 창의적인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 및 연구 패러다임을 창조하고자 한다.

비전● 차세대 융복합 생명과학을 선도하는 창의적, 전인적 인재를 양성하고 세계를 리드하는 연구 그룹으로 성장

● New Biology 의 기술적, 응용적, 학문적 실현 구현과 미래 인류 문명의 발전 및 영속성에 기여함

뉴바이올로지 연구문화● Companionship : 학문간, 구성원간의 상호 존중과 협력에 근거한 동반자적 과학문화와 교육방식을 통해 창발적 융합학문 추구

● Wall-less Operation : 기존 개별 연구실 단위의 연구문화를 지양하고, 광장형 연구 환경과 문화를 구축하여 서로의 expertise,

intelligence, facility를 공유하면서 융복합 공동연구수행

● Boundary-less thinking and Challenge : 기존 학문영역, 고정된 사고방식을 넘어 인류의 문명을 열어 나갈 초일류 융복합 인재육성

및 새로운 패러다임의 차세대 생명과학기술 창조

Page 18: 2015학년도 대학원 학생모집Œ€학원_모집요강... · 2017-08-30 · CEO CTO 글로벌 과학기술리더 지식창조형 글로벌 융복합 과학기술 리더 기술경영

Q NewBiology전공은 어떤 학생을 선발하나요?

DGIST New Biology 전공과정은 융복합전공과정이므로 융복합생명과학에 관심이 높은 모든 학부 전공분야에서 학생들이 지원할 수 있지만 학생주도의교과과정 및 연구를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도전 정신과 창의적인 사고를 즐기는 학생들을 선발합니다.

New Biology 전공은 특화된 교육과정을 통해 차세대생명과학 리더를 육성하기 위하여 석·박사 통합과정 및 학·박사 연계과정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Q NewBiology전공의 인재상이 궁금합니다.

New Biology 전공에서는 주어진 문제를 잘 풀고 이에 따라 지식과 기술을 창조하는 선을 넘어 문제 자체를 창조하는 창의적 인재육성을 지향하고 과학창의력, 과학 윤리 및 철학, 과학커뮤니케이션, 과학 발달사, 경영학 등 전인교육과정을 통해 소양을 갖춘 과학자를 육성합니다.

Q NewBiology전공만의 특화된 교육과정이 있나요?

New Biology 는 4 년제 기간 지정형 박사 과정을 운영박사 과정은 4년제를 기반으로 하며, 1년차에는 (4 학기) 기본 교육과정은 연구실에 속하지 않고, 융복합 과학에 필요한 전공 기술, 소양, 실험 기법/설비이용법, 데이터 처리 관련 강의를 듣고, 지도교수 및 연구 주제를 정합니다. 2년차부터는 연구 주제에 집중하게 됩니다. 명확한 목표 시간을 두고 집중된연구 생활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연구가 되도록 유도합니다.

진로 확정형 교과 과정을 운영학생들은 1년간의 기본 교육과정 후에 자신의 연구주제 및 진로를 정합니다. 학과에서 제공하는 세 가지 진로는 과학 기술자로서의 전문가 진로인 과학리더 과정, 창업 및 산업 분야 진로인 창업리더 과정, 그리고 사회 인문 정책 등에 관여하는 과학 사회 진로인 과학사회리더과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과학 사회 진로는 인문사회 예술분야 전공자도 능력과 소양에 따라 입학이 허가됩니다.

따라서, 진로에 따른 다양한 졸업요건이 제시됩니다또한 Research Advisor (연구지도교수)와 별도로 Academic Advisor (학사지도교수)가 박사과정 및 졸업은 물론 학위 취득 후의 진로에 대하여서도멘토링 하는 Lifelong Mentoring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Q New Biology 전공의 연구환경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New Biology 전공과정은 교수별 연구실이나 개별 연구단위로 구분되지 않고, matrix 형태로 연계된 교육과정 및 연구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및 연구 역량을 아우르는 대규모 연구단위를 운영하고 있어서 대학원 과정 동안 각 연구단에 참여하고 세계적으로 우수한 연구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기회가 풍부하게 제공됩니다.

IBS 식물노화수명연구단 (남홍길 DGIST Fellow)식물체의 다차원적 분석을 통해 식물 전 생애의 설계도를 파악하고, 식물의 노화와 수명 조절을 통해 식량 및 biomass 증산의 획기적인 기반 지식을확보할 수 있는 기초연구• 식물노화 및 죽음에 관한 시스템생물학적 연구 • 전산생물학과 복합오믹스 연구• 식물 노화, 수명과 환경 반응연구 • 식물노화와 사멸에 대한 비교생물학적 연구• 노화, 생식과 식물생산성 연구 • 세계 최고의 전자동 phenome 장비구축

단백질체 생물물리학 창의연구단 (장익수 교수)표적 단백질체의 열역학적, 동역학적 및 돌연변이체학적 특성을 규명할 수 있는 이론적/수치적 연구체계를 완성하고 기초 학문적으로 중요한 단백질들뿐만 아니라 질병 발병 및 식물 성장에 관계하는 중요 표적단백질들의 생명과학적 기작을 통계물리학 및 생물물리학의 관점에서 규명. 디자인 조절할수 있는 원천 기초과학 지식 확보• 이론 및 전산 단백질체 생물물리, 생물정보 및 구조생물학연구• 생체분자의 슈퍼컴퓨팅 시뮬레이션• 이론 및 전산 통계물리적 연구

나노바이오 이미징 연구단 (문대원 DGIST Fellow)비선형 나노광학 3D/2D 세포 이미징, 대기압 질량분석 분자 이미징, TOF-MEIS 나노입자 조성 절대분석 등 차세대 나노바이오 이미징 기술을 개발하고이를 바이오 의료, 첨단 신소재 등의 새로운 융합과학 분야에 적용하여 세포 노화 및 재생 기전, 의료진단, 신약스크린, 나노 물질 성장기전 및 응용 등의나노바이오 융합과학 연구수행• 세포와 조직의 실시간 나노바이오 이미징 기술 개발 • 뇌신경 노화, 손상, 재생 분야의 차세대 생명과학 창출 연구• 의료진단 기기 및 전임상 신약 스크린 기기 미래산업화 • 나노바이오 물질 초기 성장 기전 이해 및 제어 연구

2015학년도 대

학원 학

생모집 34

|35

Q&AM

Emerging MaterialsScience

I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RRobotics Engineering

EEnergy SystemsEngineering

BBrain Science

NNew Biology

Supercomputing Cluster Facility

Bio-imaging Core Facility

Physiological Phenome Facility

Automatic Multi-Omics Facility

Faculty교수진

1⃞곽준명교수 T 053-785-1860 / [email protected]최종학력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 분자세포생물학, 시스템유전학, Adaptation to EnvironmentalInteractions주요경력 및 업적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교수 /J. Plant Biology 편집위원

남홍길교수(DGIST Fellow)T 053-785-1800 / [email protected]최종학력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식물노화수명연구, 시스템생물학, 복잡계 생물학주요경력 및 업적 기초과학연구원(IBS)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 단장(‘12) / 국가과학자(‘10) / POSTECH 홍덕 석좌교수 / 시스템바이오나믹스 국가핵심 연구센터장 / 포스코 청암상 과학부문 (‘09) / 대한민국 학술원상(‘09) / 한국과학상(‘06)

문대원교수(DGIST Fellow)T 053-785-1850 / [email protected]최종학력 Penn State University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 비선형 나노광학 이미징, 대기압 질량분석 이미징, 표면 이온현미경을 이용한 세포와 조직의 Nano-Bio Imaging주요경력 및 업적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ellow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04) / 대한민국 과학기술훈장 도약장 수상 (‘05)/세계최초의 비행시간 중 에너지 이온산란 장비 개발 및 나노 바이오 물질 분석 /비선형 광학을 이용한 혈관 조직 이미징 및 세포 부착 이동 영상 관찰

우혜련 교수 T 053-785-1831 / [email protected]최종학력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Genome biology, Epigenomics, Plant senescence주요경력 및 업적 충남대학교 조교수 / 블루리본렉처상(‘10)

임평옥 교수, 전공책임교수T 053-785-1830 / [email protected]최종학력Michigan State University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 Aging and programmed cell death in plants, RNA-basedregulation of leaf aging, Synthetic genetics-based aging reprogramming주요경력 및 업적 제주대학교 부교수 / 제주대 아열대원예산업연구소 부소장 /농촌진흥청 겸임연구관

장익수 교수 T 053-785-1820 / [email protected]최종학력 University of Rochester 물리학박사주요연구분야 이론/계산 생물물리학, 통계물리학, 생명정보학 및 구조생물학, 생분자(Protein, DNA)들의 슈퍼컴퓨팅 시뮬레이션주요경력 및 업적 부산대학교 교수 / 단백질체 생물물리학 창의연구단 단장 /전산 단백질체 및 생물물리학 국가지정연구실 단장 / 부산과학기술상(’08) /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

황대희 교수 T 053-785-1840 / [email protected]최종학력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공학박사주요연구분야시스템생물학/메디슨, 유전체/단백체/대사체학, 네트워크 리프로그래밍, 생명정보학주요경력 및 업적 POSTECH 교수 / 시스템바이오나믹스 국가핵심연구센터장 /젊은과학자상-생명정보및시스템생물학회 (’12) / 한국유전체 (KOGO), 단백체 (KHUPO), 한국생물정보시스템생물학회 (KSBSB) 이사

Kurt Wuthrich 석좌교수(2002 노벨 화학상 수상자)[email protected]현직 Professor of Biophysics, ETH Zurich, Switzerland / Professor of Structural Biology,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USA주요연구분야Molecular Structural Biology, Protein Science and Structural Genomics

Yoshio Tateno 교수 T 053-785-1836 / [email protected]최종학력 University of Texas 이학박사주요연구분야 Population genetic, Molecular evolution, Informationbiology, Bioinformatics주요경력 및 업적 National Institute of Genetics(NIG), Japan교수 / POSTECH방문교수

이동하 교수 [email protected]현직 DGIST 로봇시스템연구부 책임연구원주요연구분야 사이버피지컬시스템(CPS), 임베디드시스템, 영상처리시스템,로봇제어시스템 웰니스휴먼케어, 식물공장/우주농장

전원배 교수 [email protected]현직 DGIST 나노바이오연구부 책임연구원주요연구분야 Biochemistry, Cellular engineering, Tissue repair andregeneration

Jan Vijg 교수 [email protected]현직 Department professor of Genetics, Albert Einstein College ofMedicine주요연구분야Genome Instability in Aging and Disease, Animal Aging

서유신 교수 [email protected]현직 Professor of Genetics, 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주요연구분야 Genetics of aging and aging-related disease,Development of biomarkers for disease diagnostics and riskassessment, Functional Genomics of Aging

Richard N. Zare 교수 [email protected]현직 Stanford University Chair Professor / Department Professor of Chemistry, Stanford University주요연구분야 Cell Imprinting, Mass Spectrometry, Reaction Dynamics, Nanoparticles

William J. Lucas 교수 [email protected]현직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Chair Professor / Department Professor of Plant Bi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주요연구분야 Plasmodesmata & the Supracellular Nature of Plants

안진흥 교수 [email protected]현직경희대학교 식물분자시스템스 바이오텍학과 학과장 / 작물바이오텍연구센터 소장주요연구분야분화발달, 벼 유전자의 다량 분리, 환경반응기작, 조직 특이 유전자

▶전공 연락처 Tel 053-785-1942 / [email protected] / http://newbiology.dgist.ac.kr

1⃞

겸무교수

석좌교수

겸직교수

자문위원

초빙강의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