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2016. 1. 20.

교 육 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Page 2: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 1 -

Ⅲ. 맞춤형 복지 체감도 제고

1 기본 방향 및 목적

정책 개요

2016년, 행복한 대한민국 함께 열어가겠습니다

□ 맞춤형 복지제도 내실화

ㅇ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를 조기 정착하고 4대중증질환 등 고액

의료비 부담 경감 등 보장성 강화, 맞춤형 보육서비스, 기초연금 및

장기요양 지원 확대 등으로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체감도 제고

□ 복지사각지대 적극 해소

ㅇ 공공빅데이터 활용 등 정부 3.0을 통해 위기가구를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독거노인등취약계층 보호 및 노후준비 지원 강화 등 서비스 지속 확충

□ 읍면동 중심 복지전달체계 구축

ㅇ ‘읍면동과 지역사회’ 복지허브화를 구축하여 국민이 주민『복지』

센터만 방문하면 틈새없는 통합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

Page 3: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ㅇ 복지예산 확충, 기초생활보장제도 맞춤형급여 개편(‘15.7),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수립(‘15.12), 각종 복지카드를 ’국민

행복카드‘로 통합발급(5종 → 1종 통합, ‘15.12)등을 통해 취약계층

보호 및 사회보장을 위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구축

※ 복지예산 : (’12)92.6조원 → (’15)123.4조원(역대 최대)

※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①(영유아) 국가책임보육, 기저귀․조제분유, 국가예방접종 등

②(아동․학생) 방과후 돌봄,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 등

③(청년․장년) 임신․출산비 지원, 일자리 취업성공패키지, 행복주택 등

④(노인) 기초연금, 치매특별등급 도입, 틀니․임플란트 등

□ 저소득층의 자립유인 및 실질적 기초생활 지원 강화를 위해 통합

급여를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등 맞춤형 급여로 개편

* 선정기준 다층화를 통해 소득이 기준을 조금만 초과해도 모든 급여가

중지되는 경직적 한계 해소

ㅇ 부양의무자의 중위소득 유지를 위해 소득 기준 대폭 완화, 매년

감소* 추세였던 수급자 수가 맞춤형 급여 시행 이후 지속 증가

165만명** 수준(’15.12.30)

* (’11)147만 → (’13)135만 → (’15.6)132만 → (’15.12.30)165만명

□ 의료보장성 강화 및 노후생활 지원

ㅇ (4대 중증질환 보장 강화) ‘13년 이후 총 383항목 보장성 확대

및 비급여 6,147억원 경감

△ (개인부담 경감 사례) 폐암 환자 A씨(55세) ‘15년 5월 폐암 항암제(잴코리)가

건강보험 적용되면서 매월 약값이 1,000만원에서 37만원으로 대폭 감소

☞ (약품) 대장암치료제 월 450만 → 23만원, (수술) 간암 양성자치료 1,700만

→ 150만원, (검사) MRI 급성뇌경색 31만 → 3만원

Page 4: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 3 -

ㅇ 주요 비급여 제도 개선

- (선택진료) 부과 비용 축소(‘14.8) 및 병원별 선택의사 지정 범위

80→67%로 축소(15.9)하여 환자부담 8,460억원 감소(51%)

- (상급병실) 4·5인실 건보적용(‘14.9) 및 상급종합․종합병원 일반병상

확보 50 → 70%로 강화(15.9)하여 환자부담 2,605억원 감소(21%)

- (포괄간호) 건강보험적용(‘15.1), 본인부담 7~8만원에서약 1만원으로감소

ㅇ 기초연금의차질없는지급(총 448만명수급, ‘15. 12기준)으로노후생활안정지원

※ 노인이전소득 : (‘13.4분기)65.6만 → (‘14.4분기)75.7만, 15.4% 증가

한 계

□ 의료보장 확대 및 복지재정 증가에 비례하여 정책 체감도 제고 필요,

급격한 인구구조 변화 등에 대응하여 제도의 지속가능성 확보 중요

□ 국민 개개인의 욕구에 부합하는 복지서비스 전달 필요

ㅇ 기초생활보장 및 자립지원 강화

ㅇ 높은 의료비 부담 경감

ㅇ 맞벌이 보육지원 강화

ㅇ 고소득 노인일자리 및 장기요양 확대

□ 예방적․종합적 복지서비스 기능 강화

ㅇ 몰라서 도움을 못 받는 사례방지를 위하여 복지제도 안내

ㅇ 위기시 제대로 도와서 재기 지원

ㅇ 가정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종합지원

ㅇ 민간자원 연계 강화

Page 5: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 4 -

3 주요 과제

맞춤형 복지제도 내실화

【1】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 정착

그 간의 성과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평균 현금지원액(생계+주거, 가구당)

① 2013: 자활참여수급자 ‘내일키움통장’ 도입, ② 2014: 일하는 차상위 ‘희망키움통장Ⅱ’ 도입③ 2015: 수급자 근로장려세저(EITC) 적용

□ 기초생활보장 내실화

◦ 급여별 보장성을 강화하는 한편, 맞춤형 급여 개편에 따른 정책

효과 확인 및 내실화 방안 모색

- (최저보장수준) 전년 대비 생계급여 7.7%, 주거급여 2.3%, 교육

급여 1.4% 인상

* 생계급여 최저보장수준 : (’15)118만 → (’16)127만원(4인 가구)

* 현금급여액 : (’15)월 45.6만 → (’16)월 51.7만원(13.4% 인상)

◦ 교육급여 교육비 지원 체제를 개선하여 상시 신청·지원 방식으로

전환하고, 교육급여 수급자에게 교육비 동시 지원(교육부)

□ 자립지원 강화

ㅇ 자활사업 참여자 대상 자산형성 지원 확대

Page 6: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 5 -

- 자활근로 매출액만으로 지원하던 내일키움통장가입자를 대상으로

정부지원액(내일근로장려금*)을 추가로 지원함으로써 취·창업 유인 제고

* 월5만∼35만원 매칭 적립, 최장3년 (정부 최대 10만원 추가 지원)

< 내일키움통장 추가 지원 내용 >

ㅇ 자산형성지원사업 가입기준 완화에 따른 대상자 확대

- (희망키움통장 Ⅰ․Ⅱ) 일반노동시장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는 희망

키움통장의 경우, 가입 자격 소득기준 완화

* 지원가구 : (’15)37천 → (’16)43천가구

- (내일키움통장) 매출이 발생하지 않는 자활근로 사업단(인턴․

도우미형 등) 참여자까지 가입대상 확대

* 정부 추가지원 대상자 : 7천가구

【2】4대 중증질환 등 의료보장 지속

그 간의 성과

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 3대 비급여 제도 개선

Page 7: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 6 -

□ 고액중증 의료보장 강화

ㅇ 4대 중증질환 건강보험 보장을 연내 완결하여 의료비 부담 경감

* (’13) 25항목(2,176억원), (’14) 100항목(누적 4,344억원), (’15) 258항목(누적 6,147억원)

(’16) 200여항목, 누적 8,346억원 경감 목표

ㅇ 생애주기별 보장성 강화(‘14~’18), 차질없이 이행

* 산전초음파(48만명), 결핵(7만명), 틀니․임플란트(70만명)

< 2016년 보장성 강화 과제 >

분야 과제명 세부 실행과제 시행시기

합 계

임신출산

분만취약지 의료비 지원 고운맘카드지원액인상및분만수가개선 7월

임신·출산 보험 강화

제왕절개입원본인부담경감 (20→5%) 7월분만 시 상급병실 급여 적용 9월초음파검사 급여 적용 10월

신생아 의료비 부담 완화 신생아 집중치료실 비급여 해소 9월노인 치과 임플란트 및 틀니 보험 적용 대상 연령 확대(70세→65세) 7월

환자안전

결핵 박멸을 위한 지원 결핵 치료비 본인부담 면제 7월치료재료 보장 강화

1회용 및 안전 관련 치료재료에 대한적정(별도) 보상

12월

취약계층

장애인 보장구 지원 강화급여 확대 및 기준금액 인상 7월/10월보장구 수리료 지원 10월

재가치료 지원 휴대용 산소치료 요양비 확대 10월중증질환

장기이식 보장 강화간접비 건강보험 적용 및공여적합성검사 기준 확대

12월

◦ (초경 청소년 예방접종․건강 상담 지원) 12세 여성청소년 23만명 대상,

자궁경부암예방접종비용및 1:1 의사건강상담서비스본인부담금지원(’16.6~)

Page 8: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 7 -

□ 선택진료 ․ 포괄간호

ㅇ (고부담 비급여) 선택 진료, 간병 등 부담 완화 지속 추진

- 선택의사 비율 축소(67% → 33%, 연간 4,300억원 감소), 간병비 부담없는

간호·간병통합(포괄간호)서비스 조기(’18년→’16년) 확대(100개→400개)

* 선택진료비 부담 51% 경감 (개편 전 16,524억 → (’15) 8,064억)

* 간호인력의 서울․대형병원 쏠림현상 최소화를 위해 간호인력이 충분히 확보된

병원을 대상으로 감염우려가 높은 병동 1~2개부터 조기 확대 추진

ㅇ (건강보험료) 보험료 부과체계의 합리적 개선 지속 추진

- 저소득취약계층 지역가입자 부담 완화 등을 위해 정밀한 분석

지속 추진 및 합리적 부과기준 마련

* 직장가입자 보수외 소득 상한, 지역 직장 최저보험료 적정수준 등

【3】맞춤형 보육 개편

그 간의 성과

보육료․양육수당 지원 아동

보조․대체교사상담전문요원 CCTV 설치율 보육교사 처우개선

□ 보육수요에 따른 맞춤형 보육 개편

ㅇ 아이와 부모의 보육수요에 맞춰 다양한 보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보육으로 개편(7월 시행)

- 現 종일반 중심의 운영 체계를 보육필요에 따라 길게 필요하면

종일반(12시간), 짧게 필요하면 맞춤반(7시간)을 이용하도록 개편

Page 9: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 8 -

* ▵종일반(12시간, 07:30∼19:30) : 맞벌이, 다자녀, 구직, 임신, 장애가족, 한부모, 저소득층등

▵맞춤반(7시간, 09:00∼15:00 + 긴급보육바우처 월 15H) : 종일반 외

▵시간연장보육(야간 19:30∼24:00, 24시간 7:30∼익일7:30) : 2∼3교대제, 야간근무가구

- 전체 0~2세 보육아동 중 종일반은 80%(65만명)수준으로 폭넓게 인정하고,

종일반보육료 6%인상(장애아보육료는 8%)으로 개편의 연착륙 유도

* 추진일정 : 현장의견수렴(1∼2월) → 보육정보시스템 개편(2∼4월)

→ 교육·홍보(4월) → 부모신청 및 반편성(5∼6월)

ㅇ 가정양육 시에도 필요한 보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시간제

보육반 등 확대 지원(`15. 230개 → `16. 380개)

□ 보육서비스 질 제고

ㅇ 국공립·공공형·직장 어린이집 등 부모의 선호가 높은 어린이집

지속 확충(국공립·공공형 각 150개소, 직장 80개소)

- 직장어린이집 이행강제금 제도* 신규 시행으로 설치의무 이행 강화

* 설치의무 미이행시 1년에 2회, 회당 최대 1억원까지 강제금 부과(영유아보육법)

ㅇ CCTV 의무설치(`15년 의무화 도입), 부모 열람권 보장 등 법규정 이행

실태 집중 점검으로 어린이집 아동학대예방 기반 정착

ㅇ 보조교사·대체교사 확대지원, 보육교사 근무환경개선비 지원 등*을

통해 아동에게 집중할 수 있는 여건 조성

* ▵보조교사(0~2세)․대체교사 (’15)13,165 → (’16)13,399명

**▵0∼2세 교사 근무환경비(’15)월17만 → (’16)월20만원

Page 10: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 9 -

【4】기초연금 및 장기요양 지원 확대

그 간의 성과

기초연금 장기요양서비스

* 노인빈곤율 출처: 통계청 ’14.4분기 가계동향 재분석(국민연금연구원)

□ 기초연금 보장 강화

ㅇ (선정기준 완화) 전체 노인의 소득분포, 지가, 물가상승률 등을

반영하여 ’16년도 기초연금 지급대상 선정기준액 인상(’16.1월)

* (’15년) 단독 93만원, 부부 148.8만원 → (’16년) 단독 100만원, 부부 160만원

ㅇ (사각지대 발굴) 기초연금 ‘수급희망자 이력관리’ 제도 도입(’16.1월),

만 65세 도래 어르신 사전 신청 안내(51년생, 약 41만명) 등 기초연금

수급대상자 발굴․신청 지원 강화(연중 수시)

□ 장기요양보험 내실화

○ (요양서비스 다양화) 시설내 치매전담실* 도입 및 간호사 중심

전문요양실 모델 개발(’16.하), 의료 등 복합적 욕구 재가노인을

위한 ‘방문요양-간호 통합서비스’ 모형개발 및 시범사업(’16.하)

* 소규모(12인)단위, 요양보호사(치매교육) 추가 배치, 공용 생활공간 설치

- 시범사업 중인 ‘가족상담 지원 서비스*’ 확대방안 마련(‘16) 등

가족 부양부담 완화와 치매노인 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 총 8주간 방문상담, 돌봄기술교육, 집단상담, 자조모임활성화등정서적서비스제공

Page 11: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 10 -

ㅇ (치매노인 서비스 확대)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인지활동형 방문요양

서비스 제공시간(월52→63시간) 확대(‘16.하), 중증노인 24시간 방문

요양서비스를 제공(연6일) 도입(’16.하)

복지사각지대 적극 해소

【1】구석구석 복지안내 강화

□ 맞춤형 복지 다각적 홍보

ㅇ 129 콜센터, 복지로, TV 등 각종매체 및 홍보물 제작하여 지자체

및 복지시설 배포 등 국민 눈높이에 맞는 생활밀착형 홍보 강화

ㅇ SNS, 온라인 커뮤니티 등 영향력 있는 창구를 활용하여 직접

소통하고 복지가이드북을 발간하여 지자체․공공기관 등 전국배포

(5.4만부) 및 e-book 제작

□ 인적 네트워크 적극 활용

ㅇ (복지공무원․지역주민 21.1만명) 읍면동 단위 인적 안전망을 전국

모든 읍면동으로 확산하여 복지대상자 발굴, 민간자원 연계 및

지원 대상 모니터링 등에 활용

* 현장공무원31천명, 복지통(이)장 94천명, 지역사회보장협의체63천명, 좋은이웃들 23천명

ㅇ (보건복지분야 인력 174만명) 민간 사회복지사 등 시설 종사자를

활용하여 사각지대 발굴․신고 활성화하고, 신고 접수건은 대상

여부 확인․지원 등으로 사각지대 적극 해소

* 돌봄제공인력 77만명, 시설종사자 50만명, 의료인․구급대원 등 56만명

Page 12: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 11 -

【2】정부 3.0 위기가구 선제 발굴

□ 공공 빅데이터 활용

ㅇ 한전․사회보장정보원 등이 보유하고 있는 취약계층 공공자료

분석으로 단전․단수 등 고위험가구를 선별, 읍면동에서 신속하게

현장 확인 등 위기가구를 선제적 발굴(연2회)

□ 복지급여 이력관리제 도입

ㅇ 기초연금 신청후 탈락하더라도 선정기준 개선 등으로 수급이 가능한

경우 신청을 안내하는 ‘기초연금 수급희망자 이력관리제’ 도입(’16.1),

맞춤형 급여로 확대 추진

* 기초연금 신청시 이력관리 신청 → 기초연금 수급자격 탈락시 매년 소득·재산 등

수급가능 여부 이력조사(5년간) → 수급가능 대상 확정 및 안내 → 재신청

□ 복지로 포털서비스 편의기능 강화

ㅇ 국민 포털 “복지로”에서 나의 ‘복지서비스 찾기’ 기능을 전 복지

사업으로 확산(‘15년 207개 → ’16년 360개)하고

- 한부모 지원사업 등 온라인 신청 대상사업을 확대(‘15. 8개 → ’16. 10개)

하여 집에서도 신청할 수 있도록 편의 제고

* ‘16년 한부모가족지원사업 등 온라인 신청사업 2종 추가, 금융정보제공 동의

및 급여계좌 변경 등 단순민원 온라인 신청・처리 확대

【3】취약계층 필수서비스 지속 확충

□ 취약계층 돌봄 및 안전 강화

ㅇ (위기아동․청소년) 저소득아동 사례관리를(학습, 정서, 영양 등) 확대하고

학교밖 청소년들의 학력취득, 취․창업 등 지원 강화

Page 13: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 12 -

- 위기 아동 대상 가정방문 및 안전 확인 등 이웃, 학교를 비롯한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아동학대 조기발견체계 구축

-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건강검진 시행 및 위기청소년에 특별지원

(생계비, 의료비 등) 강화(여가부)

ㅇ (독거노인) 민간기업, 노인일자리, 읍면동 인적안전망 등을 활용한

공백 없는 안부·안전 서비스 제공, 거동 불편 80세 이상 독거노인

에게 가사서비스 지원(돌봄받는 독거노인 : ‘15. 45만 → ‘16. 47만명)

- 개조된 경로당·마을회관에서 독거노인들이 공동 거주하면서 결식·

외로움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공동생활홈’ 모형 개발·보급

* 노인일자리를 활용, 공동생활홈의 식사준비·청소 등을 지원하는 방안 검토

ㅇ (장애인) 장애등록 신청시 복지서비스 욕구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원스톱으로 연계지원하는 통합 지원모델 개발 및 확산, 중증

장애인의 장애유형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 지원 강화

* 장애인 활동지원 대상 : (’15)58천 → (’16)61천명

- 상시 돌봄지원이 필요한 중증장애인의 심야시간 보호를 위해 지역

사회 밀착형 순회방문서비스 모형 개발 및 지자체 보급(‘16. 1/4분기)

- IT 기술을 활용해 화재·응급호출 등 위험상황을 감지하고 소방서에서

즉각 출동하는 응급안전서비스 확대(‘15. 80백 → ’16. 100백명)

- 발달장애인 지원을 위한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17개소) 설치

및 행동발달증진센터(2개소) 설치 운영(’16. 2/4분기)

□ 민간서비스 연계 강화를 통해 복지총량 확충

ㅇ (민간서비스 연계) ‘아동보호전문기관-지역의료기관’ 협업 등 민간

전문가 심리․정서 및 의료서비스 간 연계하여 적정서비스 제공

Page 14: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 13 -

ㅇ 푸드뱅크(437개소)에서 식품․생활용품 등을 기부 받아 저소득층

지원, 봉사활동을 통해 노인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공헌

활동 기부은행*’ 전국 확대 추진(‘15. 2개 → ’16. 17개)

*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 돌봄활동 시간을 포인트로 축적․관리하여 65세 이후에

본인이 사용하거나 돌봄이 필요한 가족 또는 제3자에게 기부하는 제도

* (’15년 추진경과) 2개 지역(대구 달서구, 충북 청주시)에서 222명의 노인에게

5,728시간의 돌봄활동(말벗, 음식조리, 청소, 세탁, 심부름 등) 제공

【4】노후준비 등 불안요인 해소 지원

□ 노후준비 지원 강화

ㅇ 노후준비지원센터(153개소), 현장방문 등을 통해 재무․건강․여가․

대인관계 등 노후준비상태 진단 및 설계 서비스 제공

* 서비스 대상자 : 국민연금 수급자, 가입자 등 → 전국민

- (재무) 재원관리 컨설팅 및 연금포털에서 예상연금액을 조회하여

노후소득설계

- (건강) 금연․절주․운동 등 건강생활실천, 만성질환 예방 등 사전

예방적 건강관리

- (사회참여) 자원봉사, 일자리, 평생교육 및 취미여가 를 통한 참여

- (대인관계) 사회관계 형성 및 심리상담 등

□ 재난적 의료비 지원 제도화

ㅇ 의료비 부담이 큰 서민을 대상으로 한시적으로 추진 중인 ‘재난적

의료비 지원’ 사업을 제도화 추진

* 약가환급금, 건강보험지원금등으로재원조달방안검토

Page 15: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 14 -

□ 1인 취약가구 보호 추진

ㅇ 복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1인 취약가구의 생활실태․위험유형

정밀 분석, 생애주기별 1인 취약가구 정책대상화

* (1인 가구 비율 증가) 9.0%(’90) → 23.9%(’10) → 31.3%(’25)

* (1인 취약가구 위험도/다인가구 대비) 노년층의 단절경험 3.8배, 중장년의

자살생각 비중 4.6배, 청년 실업률 1.8배

- 각 부처가 시행중인 사회보장사업이 1인 취약가구를 중점 대상화

하도록 관계부처 합동종합대책 수립

* 일자리, 주거, 금연 식생활 상담, 안부확인 상담 등 부처별 사회보장사업 연계

읍면동 중심의 복지전달체계 구축

【1】읍면동 복지 허브화

□ 그 간의 성과 및 한계

ㅇ 복지전달체계 개편방안 확정(‘13. 9.10, 사회보장위원회) 등 주민센터

복지기능 보강, 사회복지담당공무원 확충 및 관리방안* 확정(’14.10,

사회보장위원회) 등 찾아가는 서비스 및 민관 협력 업무 강화 지속 추진

ㅇ 그러나 복지업무의 지속적 증가로 인한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에 한계 노출

* 중앙부처 158개, 지자체 53백개 복지사업이 읍면동 통해 집행(소위 “깔때기 현상”)

- 이로 인한 복지사각지대 상존, 국민의 복지체감도 저하, 복지

자원 효율적 활용 미흡 등 시급히 해결 필요

Page 16: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 15 -

□ 읍면동 복지 허브화 시범사업 성과

ㅇ (시범사업) 현장 밀착형 서비스 제공모델 마련을 위한 “읍면동

복지허브화” 시범사업 추진(‘14.7 ~ ‘15.12)

- 총 15개 읍면동에서 민간 전문인력*(3)․복지공무원(1) 추가 배치

하여 찾아가는 서비스, 사례관리 등 복지기능 강화모델 운영

* 통합사례관리사, 방문간호사, 직업상담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중 3명 이상 채용

- 방문상담 및 서비스 연계 등 성과*를 바탕으로 ’15년 세부 실행모델 도출

<시범사업을 통한 지원 사례>

□ 주민 최접점 읍면동을 공적부조 집행기관에서 융합서비스 기관으로

전환(‘16. 700개 → ’18. 전체 읍면동)

ㅇ 읍면동을 공적부조의 신청․접수처리 중심에서 다양한 서비스로

복합욕구를 해결하는 “맞춤형 통합서비스” 담당 기관으로 재편

ㅇ 확충된 복지인력 6천명(‘14 ~ ’17) 및 민간순환파견근무자 등을 활용하여

읍면동에 “맞춤형복지전담팀” 설치, 방문상담․사례관리 등 시행

* 맞춤형복지전담지원팀 설치 읍면동 명칭 변경 → (가칭) 주민『복지』센터

Page 17: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 16 -

ㅇ 복지경력자 읍면동장 목표제 및 사례관리 전문직위제 도입하여

복지전문성 제고, 시․도의 총괄․관리 전담기능 부여, 희망복지

지원단의 읍면동 평가․조정 기능 강화 추진

* 정신질환․법률문제 포함 고난이도 사례관리, 자원관리․조정 등 시군구 지속 수행

ㅇ ‘18년까지 전국 읍면동 확산을 위하여 복지부․행자부 등 관계부처

합동 TF를 구성․운영(’16.1~)

【2】읍면동 중심 통합서비스 제공

□ ‘읍면동 복지허브화’로 복지체감도 제고

ㅇ ‘읍면동을 지역사회 인적안전망, 민간복지기관 및 자원네트워크’와

복지 수요자를 연결 하는 허브로 구축하여 국민이 읍면동만

방문하면 틈새 없는 통합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

ㅇ 방문상담 서비스 확대, 통합적 복지지원, 민간자원 연계 활용을

통해 국민의 복지체감도 제고

□ 일자리-복지 연계 강화를 위한 고용복지⁺센터 확산

ㅇ 근로능력 있는 빈곤층에 대한 고용지원 강화

- 양육․돌봄 , 일용직 근로자 등 조건부과에서 제외되었던

수급자에 대해서도 고용지원 프로그램 참여 강화(’16.6)

* 현재 복지부-고용부 협업으로 조건부과 제외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고용

지원 프로그램 개발 중 (월 1회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참여 의무화 등)

- 복지서비스 신청을 위해 주민센터를 방문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고용지원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여 고용복지⁺센터로 연계

* ’15.12월 주민센터-고용복지⁺센터 간 전산망 연계 기반 마련 완료

Page 18: 2016년 국민행복 분야 업무계획 · - 2 - 2 그간의 성과 및 한계 성 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도 틀 완성 cdQR e)8f21-./g hi 2j kldmno pEqrs 89:!;

- 17 -

ㅇ 全 고용센터의 고용복지+센터化 추진

- 고용복지⁺센터를 40곳에서 16년 70곳, 17년 100곳까지 확대

- 광역단위의 고용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해 광역형 고용복지+센터

모델* 마련(‘16.上), 대도시 소재 고용센터 전환 우선 추진(‘16년 30개)

* ① ‘자치구 복지담당자’와 ‘광역시 일자리센터’가 참여 ② 중장년 일자리

희망센터, 장애인 취업지원센터 등 고용복지+센터 참여기관 확대

- 공공 민간 일자리와 복지(사회보장정보시스템)정보를 연계해 신청

부터 수혜까지 고용복지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16.下)

* 고용․복지 정보연계건수 : (‘15) 34종→(’16) 66종→(‘17) 76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