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서초구청 건축과 우리구로부터 건축허가를 받아 건축하게 됨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건축주, 설계자, 공사감리자, 시공자 등 공사관계자는 반드시 열람 후 이를 이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사항 : 서초구 건축과 ☏2155-6820, FAX 2155-6859 CONTENTS ▶ 목 1. 건축계획 일반사항 03 2. 공사 착공 전 유의사항 07 3. 공사 진행 13 4. 사용승인 신청 22 5. 기타사항 25 6. 청렴 서초 실천 협조문 27 7. 첨부양식 28

CONTENTSarmc.auri.re.kr/information/upload/FILE20190529110122.pdf · 2019. 5. 29. · 7. 대형건축물 건축허가 및 사용승인 절차 개선 8. gb해제구역 다중주택관리방안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 1 -

    서초구청 건축과

    우리구로부터 건축허가를 받아 건축하게 됨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건축주, 설계자, 공사감리자, 시공자 등 공사관계자는 반드시 열람 후

    이를 이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사항 : 서초구 건축과 ☏2155-6820, FAX 2155-6859

    - 2 -

    CONTENTS

    ▶ 목 차 ◀

    1. 건축계획 일반사항 03

    2. 공사 착공 전 유의사항 07

    3. 공사 진행 13

    4. 사용승인 신청 22

    5. 기타사항 25

    6. 청렴 서초 실천 협조문 27

    7. 첨부양식 28

  • - 3 -

    건축계획 일반사항

    1) 건축허가부터 건물사용승인까지의 절차 및 유의사항

    2) 서초구 건축 하나로 기준 안내

    ○ 서초구 자체 건축규제사항을 하나의 기준으로 통합하여 게시․안내하여 드립니다. ○「서초구 건축 하나로 기준」 다운받기

    ※ 서초구청>분야별정보>도시관리>일반건축>건축기본자료>156번. 서초구 하나로 기준

    (자료실주소 : http://www.seocho.go.kr/site/seocho/ex/bbs/List.do?cbIdx=277)

    ○ 주요내용

    1. 건축〔전문〕위원회 구성 및 운영계획

    2. 도시미관 향상을 위한 일반주거지역내 20미터 도로변 일조권 적용 제외 구역 지정․공고 3. 건축물 철거공사 안전관리(개선) 계획

    4. 도시형생활주택 층수완화 건축위원회 기준

    - 4 -

    5. 대형건축물의 미술작품에 대한 “미술작품 공모제” 추진계획

    6. 건축허가 사전예고제 운영(개선)

    7. 대형건축물 건축허가 및 사용승인 절차 개선

    8. GB해제구역 다중주택관리방안 운영

    9. 전용주거지역내 다세대주택 건립 기준 보고

    10. 뉴 방배 프로젝트 서초대로변 건축종합관리방안

    11. 건축계획 관련 기본 조건

    1) 지하층이 있는 건축물 차수판 의무화

    2) 우리구 『가로시설물 및 건축물 설계 가이드라인』 적용

    3) 도시형생활주택 화재예방시설 설치(건축대상 : 의무, 기타 : 권장)

    4) 『안(安)심(心)골목, 기본좋은 골목길 만들기』 시행 안내

    5) 범죄예방설계(CPTED) 가이드라인 준수

    6) 건축 인․허가 관련 화장실 분리 추진 계획 7) 주민들의 정온한 주거환경을 위한 공사문화 개선방안

    8) 저층주택지역 건축허가처리 및 관리방안(제1종전용,제1종일반주거재역내 주택신축)

    ※ 서초구청>분야별정보>도시관리>일반건축>건축기본자료>162번

    3) 소규모 건축물 위법시공 발생 방지대책(사용승인후 자연발코니 무단증축 관련)

    ○ 소규모 건축물 건축시 자연발코니에 무단증축이 용이하도록 건축 설계·감리·시공하여

    사용승인 후 무단증축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됨에 따라 위법시공을 사전에 예방하고 올바른

    건축문화를 정착시키고자 아래와 같이 시행합니다.

    - 건축 및 허가시 실외에 노출된 보일러 설치가 되지 않도록 실내에 보일러 설치공간

    (보일러실 등) 확보할 것

    - 건축허가 또는 사용승인 신청에 따른 일괄신고시 자연 발코니 등 부분 무단증축이

    가능한 조적벽 계획 불허(일괄 처리사항 포함)

    - 자연발코니 바닥 시공사진(온수배관 사전시공 방지) 및 자연발코니와 면한 벽체

    시공사진(조적벽등 철거가 용이한 형태의 벽체 사전시공 방지) 촬영(원경 및 근경)

    후 감리자 및 시공자 확인 후 사용승인 신청시 제출.

    - 자연발코니에 무단증축이 용이하도록 바닥에 온수배관 설치하거나 벽체를 조적 등으로

    철거가 용이한 구조로 무단 시공한 감리자·시공자에 대해 행정처분 의뢰

    - 악의적 위법발생 사항에 대한 건축주 고발 조치

    - 사용승인신청시 제출된 도서와 현장이 상이함에도 이상없음을 보고한 업무대행건축사

    행정처분 의뢰.

  • - 5 -

    4) 필로티 건축물 구조설계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제출

    ○ 필로티 건축물의 건축허가 및 사용승인시 설계자, 감리자는 국토교통부‘필로티 건축물

    구조설계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필로티 건축물 구조설계 체크리스트’를 제출할 것

    ※ 서초구청>분야별정보>도시관리>일반건축>건축기본자료>186번.

    인터넷 주소 : http://www.molit.go.kr/USR/policyData/m_34681/dtl.jsp?id=4359

    5) 소방동의 비대상 건축물 소방시설 설치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소방동의 비대상 건축물도 아래 기초소방시설은 설치하여야 합니다.

    - 소방동의 비대상

    ‣ 단독주택, 공동주택(아파트 및 기숙사는 제외) ‣ 연면적 400㎡미만의 소방동의 비대상 건축물

    ○ 소방시설 설치

    - 소방시설 적정 설치 및 사용승인 시 이행여부 확인(감리자 보고)

    구 분 소방시설 설치(소방시설 설치기준) 설치확인(사용승인 신청시)

    단독주택

    공동주택

    - 소화기구, 단독경보형 감지기

    「서울시 주택의 소방시설 설치 조례」제5조이행여부 확인(감리자 보고)

    - 소방시설 설치사진 제출

    - 도면표기

    - 감리완료 보고서 제출

    연면적 400㎡

    미만 소방동의

    비대상 건축물

    당해 용도 및 규모별 소방시설기준

    ○ 관련법령

    -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2012.2.5시행)

    - 「서울특별시 주택의 소방시설 설치조례」(2012. 7. 30시행, 조례5326)

    6) 건축물 분양에 관한 법률

    ○ 아래와 같은 사업을 시행하는 분양사업자는 「건축물의 분양에 관한 법률」 제5조에 의거

    건축허가권자에게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바, 이를 위반할 경우에는 같은 법 제10조

    에 의거 처벌(3년)이하의 징역 또는 3억원이하 벌금)됨을 알려드리오니 착오 없이 절차를

    이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건축법」 제11조에 의거 건축허가를 받아 분양하는 부분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천

    제곱미터이상인 건축물

    - 일반업무시설 중 오피스텔로서 30실 이상 건축물

    - 주택외의 시설과 주택을 동일 건축물로 건축하는 건축물중 주택 외의 용도에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3천 제곱미터이상인 건축물

    - 바닥면적의 합계가 3천 제곱미터이상으로서 임대 후 분양전환(분양전환 시 임대자

    에게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 포함)을 조건으로 임대하는 건축물

    - 6 -

    7) 부동산개발업 등록신청

    ○ 「부동산개발업의 관리 및 육성에 관한 법률」제4조에 의거 일정규모 이상의 비주거용

    건축물을 분양·임대(사용권포함)하고자 할 경우에는 부동산개발업 등록을 해야 하

    며, 미등록자에 대하여는 3년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등록대상

    · 주택과 주거용 외의 용도가 복합된 건축물의 전체 연면적 중 주거용 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부분의 연면적의 합계가 3천제곱미터 또는 연간 5천제곱미터 이상

    · 연면적 3,000㎡ 또는 연간 5,000㎡이상

    · 토지의 면적이 5,000㎡ 또는 연간 1만㎡이상

    8) 공중화장실 설치규정

    ○ 「공중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조의 규정에 의거 아래 시설물에 설치하는

    공중화장실의 경우 같은 법 제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6조[별표]의 규정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합니다.

    - 「건축법」에 따른 업무시설로서 연면적 3,000㎡이상의 건축물

    - 「건축법」에 따른 업무시설과 근린생활시설로서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이 2,000㎡

    이상인 건축물

    - 「건축법」에 따른 문화 및 집회시설, 의료시설, 교육연구 및 복지시설 등의 용도

    로서 연면적 2,000㎡이상의 건축물

    - 기타「공중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 제3조 및 동 법 시행령 제3조에 규정된 시설물

    9) 서울시 물순환 회복 및 저영향개발(LID) 사전협의 제도

    ○ 관련규정 : 서울시 물순환 회복 및 저영향개발 기본조례 제11조

    ○ 저영향개발 사전협의 제도 : 개발사업 시행시 빗물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빗물

    관리시설을 도입하여 물순환 주관부서(서울시 물순환정책과)와 사전에 협의

    - 대상 : 연면적이 1,500㎡이상인 건축물이거나 대지면적 1,000㎡이상

    ※ 문의 : 서울시 물순환 정책과 ☏02-2133-3776

    10) 방송공동수신설비 의무 설치대상

    ○ 「건축법 시행령」제87조 제4항 1호 개정 시행(2012.12.12)으로 방송공동 수신설비의

    의무 설치대상이 기존 사업승인대상에서 모든 공동주택으로 확대

    - 설치대상

    1) 모든 공동주택

    2) 바닥면적의 합계가 5천㎡ 이상으로서 업무시설이나 숙박시설의 용도

    ※ 방송공동 수신설비 설치기준 : “방송 공동수신설비의 설치기준에 관한 고시” 참조

  • - 7 -

    공사 착공 전 유의사항

    1) 공사착공 전 유의사항

    ○ 허가되는 모든 건축물의 공사관련 업무는 건축허가 이후 사용승인까지 전과정을 건축사

    (설계 또는 감리)가 대행하며, 관계공무원의 현장조사․검사 및 확인 없이 공사감리자가 작성하여 제출하는 감리완료보고서 또는 특별검사원의 조사․검사(연면적 2,000㎡이하)에 의거 사용승인 처리됩니다.

    ○ 관계공무원은 허가 이후 민원처리를 위한 현장방문 등을 제외하고는 현장조사․검사 및 확인을 위한 현장 방문을 하지 않습니다.

    ○ 건축허가를 받은 날로부터 2년 이내에 공사를 착수하지 않을 경우 허가가 취소되며,

    연기 신청을 할 경우 1년의 범위 안에서 공사 착수기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2) 건축시공(「건설산업기본법」 제41조/2018.6.27.시행 )

    ○ 건설업자가 시공해야 할 공사의 규모

    - 연면적 200㎡를 초과하는 건축물의 건축 또는 대수선

    - 연면적 200㎡이하인 건축물로 공동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관 등

    - 주거용 외의 건축물로서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건축물 중 학교, 학원, 어린이집, 유치원,

    병원, 다중생활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업무시설 등

    ○ 건축주가 직접 시공할 수 있는 건설공사의 규모

    - 연면적 200㎡이하(공동주택,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관 등 제외)

    ○ 현장관리인

    -‘건축주가 직접 시공할 수 있는 건축물’의 건축주는 공사현장의 공정을 관리하기 위하여

    건설기술자1명을 현장관리인으로 지정하여야 함

    (건축주의 승낙을 받지 아니하고는 정당한 사유 없이 공사 현장을 이탈하여서는 안됨)

    3) 건축감리(건축법 제25조, 건축법 시행령 제19조)

    ○ 건축공사중 일정한 공정에 다다른 때(기초, 지붕슬라브배근, 5층이상인 건축물인 경우

    5개층마다 상부슬래브 배근을 완료할때)에는 감리건축사가 중간감리보고서 작성하여

    건축주에게 제출하고 건축주는 사용승인시 허가권자에게 제출

    ○ 다중이용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건설기술 진흥법」에 의한 건축감리전문회사

    또는 종합감리전문회사를 공사감리자로 지정하여야 함

    - 8 -

    ○ 허가권자가 공사감리자를 지정하는 건축물

    - 주택으로 사용하는 건축물(아파트, 연립, 다세대, 다가구, 다중)

    - 건축주가 직접 시공하는 건축물(단독주택 등 제외) 등

    - 위에 해당하는 건축물과 그 외의 건축물이 하나의 건축물로 복한된 경우

    ※ 신청방법 : 국토교통부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에서 공사감리자 지정 신청서를 제출

    ○ 상주감리 대상 건축물

    - 바닥면적의 합계가 5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공사

    - 연속된 5개층(지하층 포함)이상으로서 바닥면적이 합계가 3천㎡이상인 건축공사

    - 아파트 건축공사

    - 준다중이용 건축물 건축공사

    *준다중이용건축물: 문화및집회,종교,판매,의료시설,교육연구, 노유자, 운동, 관광숙박,

    위락, 관광휴게,장례식장 등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천㎡이상

    ※ 상주감리원 대상 공사의 경우에는 「건축법 시행규칙」 제19조의2(공사감리업무

    등)의 별지 제22호의2 서식에 의거 감리용역 및 감리원 배치현황을 작성 제출(감

    리원 변경 또는 철수가 있는 경우에도 즉시 제출)하여야 함

    4) 굴토심의(자문) 운영

    ○ 운영근거 : 서울특별시 건축조례 제7조(기능 및 절차 등) 제1항 제2호 라목

    ○ 심의 대상

    - 깊이 10m이상 또는 지하2층 이상 토지굴착공사

    - 높이 5m이상 옹벽 설치공사

    ○ 자문시기 : 착공신고 전

    ○ 절 차 : 건축허가 → 굴토심의(자문) 신청서 제출 → 심의 위원 자문 → 자문결과 통보

    → 착공신고(자문결과 반영 여부 확인)

    ○ 심의도서 제출서류(토지굴착계획서, 옹벽도)

    - 대지조성 및 토지굴착계획서

    - 흙막이도면(평면도, 단면도, 전개도, 주요부분 상세도 등)

    - 시방서 및 계측계획서

    - 흙막이구조계산서/ 지반조사서

    - 주위시설물 현황도(주위건물, 도로, 구조물 등) 및 영향검토서

    - 지하매설물 현황도(상·하수도, 전기, 가스, 전화 등의 매설물)

    - 옹벽 구조도면(해당할 경우 작성)

    ※ 심의신청서 : 서초구청>분야별정보>도시관리>일반건축>건축위원회 일정 및 결과>190번

  • - 9 -

    5) 철거심의 운영(굴토심의와 병행)

    ○ 철거신고는 반드시 착공신고시 또는 착공신고 후 하시기 바랍니다.

    (단, 착공신고 전이라도 해체공사계획서 작성 및 철거감리자를 선임하면 철거신고서 제출가능)

    ○ 철거심의 대상 건축물은 철거신고전 철거심의를 이행하시기 바라며, 철거신고시

    「해체공사 계획서」에 심의결과를 반영하여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 운영근거 : 서울특별시 건축조례 제7조(기능 및 절차 등) 제1항 제2호 마목

    (구청장이 위원회의 자문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회의에 부치는 사항)

    ○ 심의대상

    - 지상5층 또는 높이 13m 이상 철거공사

    - 지하2층 또는 깊이 5m 이상 철거공사

    - 작업여건, 주변에 미칠 위해 정도 등을 감안하여 철거 심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건축물의 철거공사

    ○ 제출도서

    - 철거개요서: 위치도, 규모(건축면적, 연면적, 높이, 층수, 구조 등), 철거예정 건축물

    및 주변 건축물 현황도(사진포함)

    - 철거예정 건축물 현황도면(배치도, 평면도, 단면도)

    - 해체공사계획서

    · 층별·위치별 철거작업의 방법 및 순서

    · 건설폐기물의 적치 및 반출 계획

    · 공사현장 안전조치 계획

    - 가시설 설치계획도

    - 지반조사보고서(지하2층이상 철거공사시)

    ※ 철거심의 대상 해체공사계획서 작성자 및 철거감리자의 자격

    - 건축사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20조 제3항에 의한 “자격을 갖춘자”

    · 건설안전 분야 산업안전지도사

    · 건설안전기술사 또는 토목·건축 분야 기술사 등

    ○ 절 차

    건축허가(구→동

    처리결과

    통보)

    철거심의

    (해당시)(구→동

    처리결과

    통보)

    착공신고(구→동

    처리결과

    통보)

    ➜철거신고(구, 동)

    해체공사

    계획 이행

    ➜확인보고(감리자)

    철거여부

    확 인(구, 동)

    건축물대장

    말소 요청(구, 동→

    부동산정보과)

    ※ [첨부7] 해체공사 계획 이행확인서 참조

    - 10 -

    6) 건축물 철거 전 철거·멸실신고서 제출

    ○ 철거예정일 3일전(재해로 인한 멸실시에는 멸실 후 30일 이내)까지 철거․멸실신고서를 제출하시기 바랍니다.(미신고 시 3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 제출서류 : 철거․멸실신고서, 해체공사계획서, 석면조사결과 사본 ※ 해체공사계획서 내용 및 검토 사항

    1) 층별·위치별 해체작업의 방법 및 순서

    ∙ 하층부 안전조치(슬라브 지지대 설치) 후, 상층부에서 순차적 철거 ∙ 철거방법은 압쇄방식으로 시행 : 파괴함마(일명‘뿌레카’) 사용금지2) 건설폐기물의 적치 및 반출 계획

    ∙ 폐기물은 가급적 수시 반출, 주변 여건에 따른 반출시간 조정, 반출 장소 등 확인3) 공사현장 안전조치 계획

    ∙ 방음 및 분진 예방 가림막은 건물 전체를 차폐토록 설치, 살수 장비 비치 여부 등4) 민원예방 활동 강화

    ∙ 공사전 주변 주민들에게 공사내용 등 사전 통보, 공사장 주변 환경정비 철저 등 ∙ 공사 시간 조정(평일 : 08시~18시까지, 주말 : 철거작업 중지)

    - 석면조사기관을 통한 석면조사대상(산업안전보건법 제38조의2)

    1) 건축물(주택 제외)의 경우 연면적 50㎡이상이면서 해체․제거 면적이 50㎡이상 2) 주택의 경우 연면적 200㎡ 이상이면서 해체․제거 면적이 200㎡이상

    ※ 철거신고서 처리 부서(서초구 건축과:5층이상, 서초구 동주민센터:4층이하

    7) 건축물 철거 시 유의사항

    ○ 비산먼지 발생신고, 특정공사신고 대상 건축물은 반드시 신고절차를 이행 후 공사

    하시기 바랍니다.

    - 대상 : 연면적 3000㎡이상인 건축물 해체공사 (문의 : 푸른환경과 ☏02-2155-6480)

    ○『철거 건물의 배수설비 폐쇄 의무화』 안내

    - 건축물 철거시 기존 건축물에서 사용하던 배수설비도 함께 철거 및 폐쇄

    - 폐쇄시공자 :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종합공사 또는 상하수도설비공사업 면허자

    - 배수설비 폐쇄 절차 흐름도

    건축물 철거 폐쇄조치 폐쇄확인점검

    우․오수처리계획도에 기존 배수설비 표시

    (소유주, 관리자 기존가정관

    위치확인)

    폐쇄공사 시행

    (상하수도설비공사업

    면허소지자)

    폐쇄 완료 후 별지1호 서식에 의거

    물관리과에 폐쇄확인서(사진포함) 제출

    (신설 배수설비 준공검사시 제출)

    ○ 건축물 철거 시 먼지가 흩날리지 않도록 가림막, 방진막, 살수시설, 안전시설 등을 설치,

    폐기물 이송에 따른 소음․비산먼지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 11 -

    ○ 지하매설물 존치여부를 면밀히 확인하고 공사로 인하여 상․하수도, 전기, 통신, 전화, 도시가스 등 각종 배관. 매설물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지하매설물의

    관리기관에 토지굴착에 관한 사항을 통보하시기 바랍니다.

    8) 석면해체․제거 신고 ○『산업안전보건법』제38조의4(석면 해체·제거업자를 통한 석면의 해체·제거)에 의거

    석면을 함유한 설비 또는 건축물을 해체·제거하고자 하는 때에는 사전에 관할 지방

    노동관서장에 신고를 하여야 합니다. (미신고 시 산업안전보건법 제72조 규정에 의거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

    〈석면해체․제거업자를 통한 석면의 해체․제거 대상〉 1) 천장재, 벽재, 바닥재 및 지붕재 등 면적의 합이 50㎡ 이상

    2) 분무재, 내화 피복재

    3) 단열재, 보온재, 개스킷, 패킹재, 실링재, 그 밖에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자재 면적의 합이 15㎡ 또는 부피의 합이 1㎥ 이상

    4) 파이프 보온재 길이의 합이 80m 이상

    ○「석면안전관리법」 제30조, 제31조 및 환경부고시 제2016-142호의 규정에 의한

    석면해체작업 감리인 기준에 따라 발주자는 석면해체‧제거작업 개시 7일 전 감리인 지정신고를 이행하고 석면으로 인하여 주민의 건강과 환경에 미칠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건설공사를 시공하는 자에게 시공방법, 공사기간 등에 관하여 사업장

    주변 석면배출허용기준을 지키기 어렵게 하는 조건을 붙여서는 아니 되고, 공사비

    용에 석면해체·제거 및 폐석면 처리 비용을 반영하여야 합니다.

    ※문의 :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산재예방지도과 ☎ 02-2250-5770】

    9) 지반조사보고서 등록 및 지반정보통합관리 시스템 활용

    ○ 굴토심의 시 제출되는 지반조사보고서를 서울시(공간정보담당관) 지반정보통합관리

    시스템에 등록하시기 바라며, 주변 시설물에 대한 계측관리계획을 철저히 이행

    ※ 지반조사보고서 등록 안내 : http://surveycp.seoul.go.kr/

    → 커뮤니티>자료실>「용역수행업체 지반정보 입력 절차」 참조

    ※ 회원등록 등 자세한 문의사항은 서울시 공간정보담당관(☏02-2133-2838)으로 문의

    ○ 철거 시 인접 석축·옹벽·담장·노후건물 등 시설물의 안전조치 및 위해방지 철저히 하시기

    바라며, 건물 철거의 안정성 확인 및 필요시 전문가와 현장점검하시기 바랍니다.

    ○ 산업안전보건법 제48조(유해·위험방지 계획서의 제출 등) 제3항에 의거 유해·위험방지

    계획서 제출대상

    - 12 -

    - 지상높이가 31미터 이상인 건축물 또는 인공구조물

    - 연면적 3만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또는 연면적 5천제곱미터 이상의 문화 및 집회시설,

    판매, 운수, 종교, 종합병원, 관광숙박시설 등

    - 깊이 10미터 이상인 굴착공사

    10) 지하안전영향평가 실시(시행일자 : 2018.1.18)

    ○ 지하안전 영향평가 대상(법 제14조) : 굴착깊이가 20미터 이상

    ○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법 제23조) : 굴착깊이 10미터 이상 20미터미만

    - 작성방법 :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별표7]

    - 협의 요청시기 : 건축허가 전(협의권자 : 국토교통부 장관)

    ※ 문의 :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건설관리과 ☏02-2110-6874

    11) 측량 실시 안내

    ○ 아래의 방법으로 측량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 측량 시기

    · 지적현황 측량 : 최초 수직 구조재 완료시 지적현황측량

    · 경계복원 측량 : 착공 전 (필요 시 인접대지 민원인 배석하여 실시하여 민원 방지)

    - 측량 의무자 : 건축관계자(건축주, 시공자)

    - 측량 시행자 : 관련법에 의해 공인된 측량 수행자(한국국토정보공사)

    - 측량 성과도 제출시기 : 사용승인 신청 시 및 허가권자 요청 시

    · 근 거 : 「건축법」제87조(보고와 검사 등)

    · 불 응 시 :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건축법 제113조(과태료)]

    · 건축법 위반 시 : 건축이행강제금 부과[건축법 제79조, 제80조(이행강제금)]

    12) 가설울타리·가림막 설계도면 준비

    ◌ 가설울타리 설치기준(모든 건축공사장은 착공신고전 디자인 협의 별도 진행)건축공사규모 방음벽 등의 설치 높이 방음벽 재료 비 고

    20m 미만 도로 3m RPP방음벽EGI펜스 사용제한

    20m 이상 도로 6m RPP방음벽

    ◌ 가림막 설치기준 - 가림막 시설은 부직포 사용을 지양하고 혼합수직망(P․P+P․E)이상의 재질 사용 - 분진망은 혼합수직망(1,200데니어 이상), PVC수직망(1,500데니어 이상)등 재질 사용

    ※ 데니어(denier) : 실의 굵기 정도, 1g당 9,000길이의 섬유를 1데니어(1D)라고 함

    (데니어 수치가 높을수록 실의 굵기가 굵어지는 것을 뜻함)

  • - 13 -

    공사 진행

    1) 공사장 환경정비 및 현장관리 철저

    ○ 공사장 주변에는 가설울타리, 가림막을 설치하고 공사장 주변을 항상 정리정돈 하여

    깨끗한 정비상태를 유지토록하여 주시기 바라며, 공사자재는 반드시 도로가 아닌

    공사현장 내 적치하시기 바랍니다.

    ○ 하루 작업이 종료되어 현장 이탈 시 공사자재 정리 및 현장 주변 청소를 실시하시고

    레미콘 타설 또는 자재 현장 반입 시 교통통제 안내원을 배치하여 공사로 인해 발생

    되는 교통장애 및 소음을 최소화하여 민원이 유발되지 않도록 공사장 관리에 철저를

    기하시기 바랍니다.

    2) 공사 착수 전 착공신고서 제출

    ○ 착공신고서에는 공사시공자와 공사감리자가 함께 서명하여야 하며, 신고서 제출시 착공신고

    서류 대폭 간소화 추진에 따라 다음의 서류만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가. 제출서류

    - 착공신고서, 토지굴착 및 옹벽도 중 흙막이 구조도면(굴착깊이 1.5m이상)

    - 지반조사보고서(굴토심의대상)

    - 인접 석축․옹벽 등 영향검토서 및 위해방지대책 (깊이 10m이상 굴토공사 등) - 계약서 사본(건축주와 설계자, 건축주와 공사시공자, 건축주와 공사감리자 간의 계약서)

    - 전기공사업법 제12조, 정보통신공사업법 제25조에서 정한 공사계약서

    - 전력기술관리법 제12조의2, 정보통신공사업법 제8조에서 정한 감리계약서 사본

    - 건설기술진흥법 제62조에 의한 안전관리계획서 등

    - 건설기술진흥법 제55조에서 정한 품질시험(관리)계획서

    - 아래 해당 공사장은 착공신고 시 아래 신고필증 함께 제출

    구분 관련법령 신고대상 신고시기 문의비산먼지

    발생신고

    대기환경보전법

    제43조연면적

    1천㎡이상

    공사장

    공사개시일 전까지

    사전신고 이행

    푸른환경과

    ☏02-

    2155-6480특정공사

    사전신고

    소음·진동

    관리법 제22조

    3) 안전관리계획서 제출대상

    ○「건설기술진흥법」제62조 규정에 따라 건설업자 및 등록업자는 건설공사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전점검 및 안전관리조직 등 건설공사의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착공신고 시 구청에 제출하고 이에 따라 안전점검을 하여야 합니다.

    - 14 -

    - 안전관리계획 수립 대상

    1)「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제7조제2호 및 제3호에 따른 1종 및 2종

    시설물의 건설공사

    2) 지하10m 이상 굴착하는 건설공사

    3) 10층 이상 16층 미만인 건축물의 건설공사

    4) 10층 이상인 건축물의 리모델링 또는 해체공사 등

    - 안전관리계획 심사 건설안전점검기관

    · 시특법 제28조에 따라 등록한 안전진단전문기관

    · 한국시설안전공단

    4) 품질관리계획 수립대상

    ○ 대 상

    - 총 공사비가 500억원 이상인 건설공사

    - 다중이용 건축물의 건설공사로서 연면적이 3만㎡이상인 건축물의 건설공사

    - 총공사비가 5억원이상인 토목공사

    - 연면적이 66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의 건축공사

    - 총 공사비가 2억원 이상인 전문공사

    ○ 품질시험계획에 포함하여야 하는 내용 :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별표9

    5) 소음 및 분진 발생 관리 철저

    ○ 건축공사로 발생되는 소음·진동 및 분진 관련 민원유발 공사장은 규제기준을 위반할

    경우 공사중지 등 행정조치를 받게 되오니, 소음․진동 및 비산분진 분야의 규제기준을 반드시 숙지하여 이행하셔야 합니다.

    - 공사장 작업시간 제한

    구 분 평일 토요일·국경일등 일요일

    작업시간07:00 ~ 18:00

    (권장: 08:00 ~ 18:00)09:00 ~ 18:00 공사중지

    ※ 다만, 소음 미발생공사, 부득이한 사정으로 건축허가권자의 사전승인을 받은 경우

    및 인접지 거주자 동의를 받은 경우 제외

    - 공사시간 미준수 공사장은 공사장 3-OUT제에 따라 단계별로 공사중지등의 행정

    조치를 받을 수 있으니 공사장 작업시간을 준수하여야 함

    ※ 미준수시 단계별 행정조치

    - 1회발생 : 소음·먼지 특별기동반 투입 등 현장지도

    - 2회발생 : 민원유발 경고문 부착 및 현장대책회의실시

    - 3회발생 : 1개월내 3회 이상 발생시 1주일 범위내 공사중지

    * 소음정도 및 소음저감 대책 이행 사항 등을 감안 조치

    * 공사중지 이행 확인을 위해 수시(매일) 점검 실시

  • - 15 -

    - 저소음장비를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가급적 시간대별로 분산투입

    - 레미콘차량 및 공사차량 출입 시 살수 및 교통통제 안내원 배치

    - 건설자재 및 토사반출입 장소 주위에 고정식 또는 이동식 살수기 설치 운영

    - 인접 건물변은 방진막을 설치하여 먼지감소

    - 자재 절단 시 반드시 도로가 아닌 대지 내에서 시행하시고 간이칸막이 등을 설치하여

    소음분진 방출억제

    ○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 조치 발령 시 시공사 및 감리자 조치 사항

    【별첨1】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이행사항 안내문 참조

    - 철거/굴토 공사장 : 공사시간 단축[출‧퇴근 시간 대 06~09시 공사중지] ※ 위반 시 조치 : 200만원 이하 과태료 부과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31조 제1항)

    - 비산먼지 발생 억제 조치, 도로 분진청소 시행

    - 비산먼지 발생공종 작업자제(가능한 한 대기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내부작업으로 전환)

    또는 작업시간 조정(오전6시~9시)

    - 덮개시설, 세륜시설 등 철저 관리하여 비산먼지 발생차단

    - 공사장내, 주변도로·보도 수시 살수 및 청소

    예비저감 비상저감

    구 분 예비저감조치 발령예비저감조치 시행

    비상저감조치 시행비상저감조치 발령

    일 정 D-2일 D-1일 D일

    발령조건

    (PM2.5 예보)

    50㎍/㎥ 초과 50㎍/㎥ 초과

    매우나쁨(75㎍/㎥)

    ○ 야외작업자 보호

    - 비상저갑조치 발령시 즉시 작업자에게 상황 전파

    - 보건용 마스크 착용

    ※ 마스크 착용 후 호흡곤란, 두통 등과 같은 불편감이 느껴지면 바로 벗어야 하며 호흡기

    질환자의 경우 보건용 마사크 사용은 의사와 상의한 후 착용)

    - 평소보다 휴식시간 추가 배정조치

    - 민감군 작업 제한 및 일반 작업자에 대한 야외 작업 제한

    - 비상저갑조치 발령시 작업자 건강상태 확인

    - 16 -

    6) 가설울타리 설치기준

    ○ 건축공사 규모별 방음벽 등의 설치 높이 및 재료

    (인접주민의 시야확보 및 채광을 위해 투명방음벽 혼용 설치가능)

    건축공사규모 방음벽 등의 설치 높이 방음벽 재료 비 고

    20m 미만 도로 3m RPP방음벽EGI펜스 사용제한

    20m 이상 도로 6m RPP방음벽

    ○ 가설울타리 디자인 협의․자문 안내 - 디자인 가설울타리 설치 대상 : 모든공사장

    ※ 단, 가설울타리 노출면적 길이가 4m 이하인 공사장은 제외

    - 착공신고 10일 전에 「공사장 가설울타리디자인 협의·자문신청서」(첨부5)와「가설

    울타리 디자인 매뉴얼(2017.07)」을 적용한 디자인협의자문도서를 첨부하여 건축과에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 우리구 도시디자인과의 가설울타리 디자인 자문 결과에 따라 가설울타리를 설치 후

    설치 결과(전경사진)를 별도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 디자인 가설울타리 설치 대상이 아니더라도, 도시미관 증진을 위해 디자인 가설울타리를

    설치 할 수 있도록 권장합니다.

    ※ 「가설울타리 디자인매뉴얼, 디자인협의자문 신청서 등」 다운받기

    - URL : www.seocho.go.kr/site/seocho/04/10413040100002017071303.jsp

    - 위치 : 서초구청>분야별정보>도시관리>도시디자인>가설울타리디자인협의·자문안내

    - 디자인협의·자문신청 절차

    1. 시공자 협의 및 신청서 접수 2. 디자인협의·자문 공문발송 3. 디자인협의·자문 결과 공문수령

    시공자 ⇆ 건축과 ▶ 건축과→도시디자인기획단 ▶ 도시디자인기획단→건축과

    공사장 가설울타리 높이, 길이, 재질 등 현장

    여건에 맞는 설치규정을 시공자 협의 및 신청서

    접수

    도시디자인기획단에 가설울타리 디자인

    협의·자문 신청 공문 발송

    도시디자인기획단으로부터 디자인협의․자문 의견서를 수령하여 시공자 제출 도안과 동일여부

    검토

    서류 : 공사장 가설울타리 디자인 협의․ 자문 신청서(hwp)

    서류 : 시공자 신청서(공사장 가설울타리

    디자인협의․자문신청서(hwp))첨부 서류 : 디자인협의․자문 의견서

    7) 가림막 설치기준

    ◌ 가림막 설치기준 (부직포 가림막 사용제한) - 가림막 시설은 부직포 사용을 지양하고 혼합수직망(P․P+P․E)이상의 재질 사용 - 분진망은 혼합수직망(1,200데니어 이상), PVC수직망(1,500데니어 이상)등 재질 사용

    ※ 데니어(denier) : 실의 굵기 정도, 1g당 9,000길이의 섬유를 1데니어(1D)라고 함

    (데니어 수치가 높을수록 실의 굵기가 굵어지는 것을 뜻함)

    ◌ 개선 이유 : 부직포 가림막 사용은 용접 시 불티가 떨어질 경우 화재에 매우 취약하며, 불량한 부직포 가림막 재사용으로 인하여 민원발생 등 미관저해

  • - 17 -

    8) 공사장 안전관리

    ○ 산언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적합하게 공사장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안전모(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조)

    · 사업주는 근로자의 수 이상으로 안전모 지급(미지급 시 5천만원 이하 과태료)

    · 근로자는 안전모 의무착용(미착용시 1차 5만원, 2차 10만원, 3차 15만원 과태료)

    - 낙하물 방지망, 방호선반(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4조)

    · 높이 10미터 이내마다 설치하고, 내민 길이는 벽면으로부터 2미터 이상으로 할 것

    · 수평면과의 각도는 20도 이상 30도 이하를 유지할 것

    - 안전난간(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3조)

    ·상부 난간대, 중간 난간대, 발끝막이판 및 난간기둥으로 구성할 것.

    · 상부 난간대는 바닥면·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이하 "바닥면등"이라 한다)으로

    부터 90센티미터 이상 지점에 설치하고, 상부 난간대를 120센티미터 이하에 설치

    하는 경우에는 중간 난간대는 상부 난간대와 바닥면등의 중간에 설치 등

    - 추락방호망(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2조)

    · 추락방호망의 설치위치는 가능하면 작업면으로부터 가까운 지점에 설치 등

    - 작업발판((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6조)

    ·작업발판의 폭은 40센티미터 이상, 발판재료 간의틈은 3센티미터 이하 등

    ○ 대지경계선 외측(도로방향)의 굴착, 천공, 어스앙카 굴착, 설치일시 및 굴착, 설치

    기간을 우리 구(도로과)와 협의하시기 바랍니다.

    ○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위한 조치로서 공사장 대지내는 물론 공사장과 연결되는

    주변의 지하매설물 현황을 조사하여 현장도면을 작성하고 비치하시기 바랍니다.

    ○ 건축현장에서 작업인부 또는 중장비 기사의 부주의와 안전의식 부재로 전력선에 접촉

    하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공사

    기간 동안 건축부지 인근 전력선 등에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하는 등 전력선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하시기 바랍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제28조 1항에 해당되는(크레인, 프레스, 리프트 등) 기계

    는 고용노동부장관이 실시하는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하시기 바라며 제28조의

    6에 해당(크레인, 프레스, 전단기 등)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검사기준

    에 맞는지에 대하여 안전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가설기자재 ‘안전인증’ 여부를 확인 후 현장 반입하고, 재사용 가설기자재(1회 이상

    사용하였거나 사용하지 않은 신품이라도 오랜기간 보관으로 강도의 저하 우려가 있는 가

    설기자재)인 경우 변형, 마모, 손상, 부식 등으로 품질 저하와 안전에 부적합하다고 판

    단되는 자재는 안전성여부를 확인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18 -

    9) 공사허가 표지판 설치(건축법 제24조)

    ○ 공사시공자는 건축허가표지판을 주민이 보기 쉽도록 해당 건축공사 현장의 주요 출입구

    에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 공사안내표지판에 표시하여야 할 사항 【첨부1】 참조

    - 공사안내판 크기

    · 20m이상 도로변 건축공사장 : 가로 0.9m * 세로 1.3m이상

    · 20m미만 도로변 건축공사장 : 가로 0.6m * 세로 0.9m이상

    ○ 미설치 시 과태료 부과(1차위반 50만원,2차위반 100만원, 3차위반 200만원)

    10) 건축물 환기구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준수사항

    ○ 관련규정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11조의 2(환기구의 안전기준)

    ○ 환기구는 보행자 및 건축물 이용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합니다.

    - 바닥으로부터 2미터 이상의 높이에 설치

    - 환기구를 벽면에 설치하는 등 사람이 올라설 수 없는 구조로 설치하는 경우

    - 안전펜스 또는 조경 등을 이용하여 접근을 차단하는 구조로 하는 경우

    ○ 모든 환기구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건축구조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

    2016-317호, 2016.5.31.)]에 적합하게 설치

    11) 도시가스 사업법에 의한 굴착공사 협의(서울도시가스주식회사)

    ○ 도시가스사업법 제30조의3의 1항에 의거 굴착공사를 하고자 하는 자는 굴착공사를 하기

    전에 도시가스사에 당해 토지의 지하에 가스배관매설상황 확인을 요청

    ○ 가스사고 예방을 위하여 굴착이 수반되는 모든 공사 진행시 관련법을 준수하여 가스

    안전공사 원콜센터[1644-0001(www.eocs.or.kr)에 신고하여 회합 후 공사를 진행

    ○ 굴착공사 시 가스냄새 누설 및 안전사고 발생시 반드시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코원에너지 서비스 상황실(주,야간) ☏02-3410-8119/ Fax 02-3410-8087)

    ○ 굴착계획 미 통보(공사시행 7일전) 후 건축물 공사 시→ 3천만원이하의 벌금부과

    (2015.7.1일 시행)

  • - 19 - - 20 -

    12) 산재보험 적용확대 관련 산재‧고용보험 의무가입 안내 ○ 관련법령 :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6조, 동법 시행령 제2조, 고용보험법 제8조

    ○ 2018.7.1.부터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개정으로 건축규모 및 공사금액 관계 없이

    모든 근로자가 산재보험법을 적용받도록 대상 확대

    - 고용·산재보험 의무가입 기준 안내

    구분 2018.6.30.까지 2018.7.1.부터

    산재보험건축(대수선) 연면적 100㎡(200㎡)초

    과하면서 총공사금액 2천만원 이상

    모든 건설공사

    (2018.7.1.이후 착공부터)

    고용보험 건축(대수선) 연면적 100㎡(200㎡)초과하면서 총공사금액 2천만원 이상

    13) 하도급 부조리 신고센터 운영

    ○ 건축공사 현장에서 불법·불공정 하도급, 대금 미지급 등 『건설산업기본법』 위반행위

    로부터 하수급인의 권익을 보호하고 건설공사 품질확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다음의 사항을 협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서울특별시 하도급 부조리신고센터’ 운영을 알리기 위한 상시 게시용 홍보물을

    공사현장에 부착

    · 장소 : 공사현장 종사자들에게 잘 보이는 곳(현장사무실, 식당 등)

    · 크기 : 공사현장 종사자들이 잘 식별할 수 있는 크기 이상

    · 형태 : 현수막, 횡단막 등 무관

    - 하도급 계약 시 계약서(현장설명서 포함)에 하수급인에 대한 부당특약 설정 금지

    1. 수급인이 하도급금액산출내역서에 명시된 보험료를 하수급인에게 지급하지 아니하기로 하는 특약

    2. 수급인이 부당하게 하수급인에게 각종 민원처리, 임시 시설물 설치, 추가 공사 또는 현장관리 등

    에 드는 비용을 전가하거나 부담시키는 특약

    3. 수급인이 부담하여야 할 하자담보책임을 하수급인에게 전가ㆍ부담시키거나 도급계약으로 정한 기간을

    초과하여 하자담보책임을 부담시키는 특약

    4. 수급인이 하수급인에게 지급하여야 하는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하거나 지급기한 전에 지급하는

    것을 이유로 지나치게 감액하기로 하는 특약

    5. 수급인이 하수급인에게 지급하여야 하는 선급금을 지급하지 아니하기로 하는 특약 또는 선급금 지급을

    이유로 기성금을 지급하지 아니하거나 하도급대금을 감액하기로 하는 특약

    6. 수급인이 발주자로부터 설계변경 또는 경제상황 변동에 따라 공사금액을 조정받은 경우에 하도급

    대금을 조정하지 아니하기로 한 특약

    7. 수급인이 부담하여야 할 손해배상책임을 하수급인에게 전가하거나 부담시키는 특약

    ※ 위 규정을 위반하여 부당한 특약을 강요한 경우 6개월 이내의 영업정지 또는 1억 원 이하의 과징금 부과

  • - 21 -

    - 하도급 관리와 관련하여「건설산업기본법」,「건설기계관리법」등에 규정되어 있는

    다음의 사항을 준수하시기 바랍니다.

    1. 수급인이 하수급인에게 공사 도중 추가·변경 공사 요구 시 추가·변경공사의 내용, 금액 및 기간

    등 추가·변경공사와 관련하여 필요한 사항을 서면으로 요구

    ※ 위반 시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2. 수급인은 하도급 계약 시 하수급인에게 하도급대금지급보증서를 발급하거나 발주자, 수급인 및

    하수급인이 서로 합의하여 하도급 대금 직접지급합의서를 작성

    ※ 위반 시 6개월 이내의 영업정지 또는 1억원 이하의 과징금 부과

    3. 근로자의 임금이 채권자 등에 의하여 압류되지 않도록 하도급 계약서에 근로자의 임금을 별도로 명시

    4. 건설기계 대여업자와 건설기계 대여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표준임대차계약서를 작성하고 대여

    대금 지급보증서를 발급

    ※ 계약서 작성 의무 위반 시 300만원 이하 과태료 부과, 보증서 교부 의무 위반 시 6개월 이내의

    영업정지 또는 1억원 이하의 과징금 부과

    ※ 서울시 하도급 부조리 신고 센터 ☏02-2133-3600

    (불법·불공정하도급, 하도급대금 및 장비·자재대금 미지급 등 『건설산업기본법』위반행위)

    14) 타워크레인 설치

    ○ 고용노동부에서는 타워크레인의 사고예방을 위하여 타워크레인 설치 등 작업시 공사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지도․점검하는 밀착관리를 시행하고 있으니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마스터 상승 작업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날(18:00)까지 관할 지방관서

    담당 감독관에게 통보하시기 바랍니다.

    ※ 문의 :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산재예방지도과 ☏02-2250-5775

    ○「공항시설법」제36조(항공장애 표시등의 설치 등) 제2항 규정에 의거 공사장에 설치

    되는 타워크레인(구조물)의 높이가 60m이상일 경우 항공장애 등 및 주간장애표지의

    설치를 하여야 하며, 서울지방항공청과 사전협의하시기 바랍니다.

    ※ 문의 : 서울지방항공청 공항안전과 ☏032-740-2280

    ○ 타워크레인은 작업반경이 대지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시기 바라며, 자재운반용

    리프트는 가급적 전면도로에서 투시되지 않는 이면도로 쪽에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15) 차면시설 설치 기준

    ○ 관련법령 : 건축법 시행령 제55조(창문 등의 차면시설), 민법 제243조

    ○ 설치 의무대상 : 인접대지경계선(경계)로부터 직선거리 2미터 이내에 이웃주택의 내

    부가 보이는 창문 등을 설치하는 경우

    ○ 법적 차면시설 설치 의무대상이 아니더라도 인접 사생활 보호를 위한 민원발생 시

    차면시설 설치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권장합니다.

    - 22 -

    16) 건축 공사현장 안전관리 예치금 제도안내

    ○ 관련법령 : 건축법 제13조(건축 공사현장 안전관리 예치금 등), 시 건축조례 제16조

    ○ 건축허가를 받은 자는 건축공사를 중단하고 장기간 공사현장을 방치할 경우 공사현장

    의 미관개선과 안전관리 등 필요한 조치를 하기 위하여 ‘공사현장 안전관리예치금’

    을 예치하여야 합니다.

    - 대상 : 연면적이 1천㎡ 이상인 건축물

    - 예치시기 : 착공신고 시

    - 예치금액

    · 연면적 1만제곱미터 이하 : 건축공사비의 1퍼센트에 해당하는 금액

    · 연면적 1만제곱미터 초과 3만제곱미터 이하 : 제1호에 따라 산정한 금액(연면적 1

    만제곱미터 이하 부분으로 한정) + 건축공사비(연면적 1만제곱미터 초과 부분으로

    한정)의 0.5퍼센트에 해당하는 금액

    · 연면적 3만제곱미터 초과 : 제2호에 따라 산정한 금액(연면적 3만제곱미터 이하

    부분으로 한정) + 건축공사비(연면적 3만제곱미터 초과 부분으로 한정)의 0.3퍼센트

    에 해당하는 금액

    - 예치방법 : 현금 예치 또는 건축법 시행령 제10조의2 제1항에 의한 보증서 예치

  • - 23 -

    사용승인 신청

    1) 각종 부담금 확인 철저

    ○ 면허세, 국민주택채권, 하수도원인자부담금, 학교용지 부담금, 광역교통시설부담금,

    과밀부담금, 국민주택채권, 면허세 등 건축허가에 따라 부과된 각종 부담금에 대한

    납부여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연번 구분 관련법규 대상 부과시점 소관부서

    1 면허세 지방세법 제34조 - 허가 후 건축과

    2 국민주택채권주택도시

    기금법 제8조- 허가 후 건축과

    3하수도원인자부

    담금하수도법 제61조 모든 건축물

    허가 후 부과

    사용승인전 납부 물관리과

    4학교용지

    부담금

    학교용지 확보

    등에 관한 특례법

    제5조

    100가구 이상

    분양자료를

    받은후 부과

    (30일 이내 납부)

    건축과

    5광역교통시설부

    담금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11조

    20세대이상

    (주상복합 포함)

    30세대이상

    허가일로부터

    60일이내 부과

    사용승인전 납부

    교통

    행정과

    6 과밀부담금 수도권정비계획법

    제12조업무 2만5천㎡등

    허가후 부과

    사용승인전 납부

    서울시

    도시

    계획과

    2) 실내건축의 구조․시공방법 등에 관한 기준 ○ 관련법령 : 건축법 제52조의2(실내건축) 제1항, 동법 시행령 제61조의2

    ○ 대 상

    - 다중이용 건축물(16층이상, 5천㎡이상 문화집회,종교,판매,숙박)

    -「건축물의 분양에 관한 법률」 제3조에 따른 건축물(분양면적 3천㎡이상,오피스텔

    30실이상, 주택+주택외 시설 3천㎡이상, 임대후 분양전환 3천㎡이상)

    건축법 시행규칙 제26조의5(실내건축의 구조·시공방법 등의 기준)

    ① 법 제52조의2제2항에 따른 실내건축의 구조·시공방법 등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다.

    1. 실내에 설치하는 칸막이는 피난에 지장이 없고, 구조적으로 안전할 것

    2. 실내에 설치하는 벽, 천장, 바닥 및 반자틀(노출된 경우에 한정한다)은 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를 사용할 것

    3. 바닥 마감재료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할 것

    4. 실내에 설치하는 난간, 창호 및 출입문은 방화에 지장이 없고, 구조적으로 안전할 것

    5. 실내에 설치하는 전기·가스·급수(給水)·배수(排水)·환기시설은 누수·누전 등 안전사고가 없는 재

    료를 사용하고, 구조적으로 안전할 것

    6. 실내의 돌출부 등에는 충돌, 끼임 등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완충재료를 사용할 것

    ② 제1항에 따른 실내건축의 구조·시공방법 등에 관한 세부 사항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 24 -

    3) 안전점검에 관한 종합보고서 작성 및 제출

    ○ 착공시 안전관리계획서를 수립하였던 건설공사를 준공하였을 때는 안전점검에 관한

    종합보고서(「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제7조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1종 및 2종시설물에 대한 종합보고서로 한정)를 우리구에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4) 공개공지 관리 및 공개공지 사용세부기준 안내

    ○ 관련법령 : 건축법 제43조

    ○ 공개공지 설치 대상 : 문화 및 집회, 종교, 판매, 운수, 업무, 숙박시설로서 해당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등

    ○ 사용승인 신청시 시 건축조례 [별표4호]에 따른 공개공지 관리대장을 제출하시고,

    [별표3]의 설치기준에 따라 안내판(안내도 포함)을 1개소 이상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 공개공지는 공중이 이용할 수 있도록 물건을 쌓아 놓고나 출입을 차단하는 시설(울타리)

    을 설치하지 아니하시기 바라며, 친환경적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긴의자 또는

    파고라 등 건축조례로 정하는 시설을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 공개공지 사용 세부기준

    - 공개공지 사용신고 후 연간 60일 이내의 기간동안 건축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주민들을

    위한 문화행사를 열거나 판촉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 서초구청>분야별정보>도시관리>일반건축>건축기본자료>125번. 공개공지 사용세부기준 고시

    5) 건설공사 표지판(내진능력을 포함) 설치

    ○ 관련법령 : 건설산업기본법 제42조(건설공사 표지의 게시) 제2항

    ○ 종합건설업 대상 건축물은 건설공사를 완공후 발주자,설계자,감리자와 시공한 건설

    업자의 상호 및 대표자의 성명, 내진등급 및 내진능력을 등을 적은 표지판을 석재

    또는 금속 등을 사용한 영구적인 시설물로 사람들이 보기 쉬운곳에 영구적으로 설치

    하시기 바랍니다(사용승인 신청시 설치 사진 제출)

    6) 실외기 설치

    ○ 관련법령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23조(건축물의 냉방설비 등)

    ○ 상업지역 및 주거지역에서 건축물에 설치하는 냉방시설 및 환기시설의 배기구와 배기

    장치의 설치는 아래의 기준에 모두 적합하여야 합니다.

    - 배기구는 도로면으로부터 2미터 이상의 높이에 설치할 것

    - 배기장치에서 나오는 열기가 인근 건축물의 거주자나 보행자에게 직접 닿지 아니하도록 할 것

    - 건축물의 외벽에 배기구 또는 배기장치를 설치 할 때에는 외벽 또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적합한 지지대 등 보호장치와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견고하게 연결하여 배

    기구 또는 배기장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것

    · 배기구 또는 배기장치를 지탱할 수 있는 구조일 것

    ·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자재를 사용하거나 도장(塗裝)할 것

  • - 25 -

    7) 지반조사보고서 제출

    ○ 사용승인 시 보완된 최종 지반조사보고서를 지반정보통합관리시스템에 등록하시기 바랍니다.

    8) 건축물의 유지·관리 점검

    ○ 관련법령 : 건축법 제35조, 동법 시행령 제23조의2

    ○ 점검대상

    - 다중이용건축물

    - 연면적 합계가 3천㎡이상인 건축물

    - 다중이용업(일반음식점,휴게음식점,단란,유흥주점 등) 영업장 면적의 합계가 1천㎡이상

    - 다중이용업(영화상영관,고시원업 등) 영업장 면적의 합계가 500㎡이상

    - 준다중이용건축물 중 특수구조 건축물

    ○ 점검시기 : 사용승인일 기준으로 10년이 지난날부터 2년마다 한번 정기점검

    ○ 점검자:건축사사무소,건축감리전문회사 및 종합감리전문회사,건축분야 안전진단 전문기관

    ○ 점검내용 : 대지, 높이, 형태, 구조안전, 화재안전, 건축설비, 에너지 및 친환경관리

    9) 1․2종 시설물 안전점검 ○ 관련법령 :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6조, 제9조, 제11조, 제12조

    ○ 제1종 및 제2종 시설물을 건설․공급하는 사업주체는 설계도서, 시설물관리대장 등을 시설물통합정보관리체계[FMS(www.fms.or.kr)]를 통하여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합니다.

    ○ 점검대상

    - 1종시설물 : 21층이상 또는 연면적 5만제곱미터 이상의 건축물 등

    - 2종시설물 : 16층 이상의 공동주택 등

    연면적 5천㎡이상의 문화집회,종교,판매,운수,의료,숙박시설 등

    ○ 점검방법 : 시특법 시행령 [별표3]규정에 의거 반기에 1회이상 정기점검 또는 2~4년에

    1회이상 정밀안전점검

    ○‘시설물통합정보관리체계 운영규정(국토부 고시 2018-46, 2018.1.18.)[별치]8호 제출

    사실 확인서를 사용승인 신청 시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에 별도 제출

    ※ 문의 : 한국시설안전공단 국가시설관리본부 ☏055-771-1938

    10) 교차점검 실시

    ○ 연면적 2,000㎡이하 건축물에 대하여는 아래와 같이 자치구간 교차점검이 실시

    - 점검대상 : 연면적 2,000㎡이하 건축물

    - 점검시기 : 사용승인건축물 → 6개월 및 2년 이후에 점검실시

    - 주요점검내용 : 무단증축, 무단용도변경, 무단대수선(세대수증가), 다중생활시설에

    취사시설 설치, 조경시설 위반, 부설주차장 위반, 일조권 위반 등

    - 26 -

    기타 사항

    1) 금연건물(공사장 등) 표시 및 흡연구역 설치

    ○ 근거 : 국민건강증진법 제9조제4항, 서울특별시 서초구 간접흡연 피해방지조례 제7,8조

    ○ 금연지역 대상

    - 건축물 1,000㎡이상 건축물에 금연건물(공사장 등) 표시 및 흡연구역 설치

    - (의무) 오피스텔 50실 이상 / 다중이용건축물 / 준다중이용건축물

    ○ 금연시설물의 종류

    현수막 배너 안내도금연표시판

    (세라믹 노면표시판)

    흡연부스 금연벨 비고

    포토존

    설치

    ○ 금연 세라믹노면표시재 원인자부담 설치협조

    - 보도보수, 건물 신․개축 공사, 상․하수도,가스,통신선 등 유관기관의 도로굴착 등으로 기 설치된 세라믹 노면표시제의 이전 및 파손 시 원인자 부담 원칙으로 신규 재설치할 것

    (스티커형 노면표시재는 많은 유동인구로 인하여 잦은 오․훼손이 발생하여 반영구적 소재인 세라믹 노면 표시재 설치를 확대하고 있음)

    ○ 강남대로 등 주요금연거리에는 반드시 신규로 제작설치 할 것

    ※ 문의 : 건강정책과 금연관리팀 : ☏02-2155-8176

    2) 공공시설 및 대형건축물 비상대피도 설치

    ○ 관련법령 :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12조(비상안내도 비치)

    - 다중이용업의 영업장(영업장으로 사용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33㎡이하인 경우와

    출입구 및 비상구 확인할 수 있는 경우 설치대상에서 제외)

    ○ 서초구 공공시설 및 대형건축물 은 사용승인 신청 시 아래 기준에 따른 비상대피도를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 설치대상 : 공공건축물, 연면적 10,000㎡ 이상 대형건축물

    - 설치위치 : 화재 등 피난 시 대피자들의 식별이 용이한 곳에 설치

    (주출입구 인근, 실 구획 시 각 실별, 피난 동선에 따라 복도 등)

    - 설치기준

    · 현 위치를 표시하여 출입구, 비상구의 위치 및 피난동선, 내부구조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함.

  • - 27 -

    ※ 설치위치가 다른 경우 현 위치 및 피난동선 파악에 혼선 초래

    · 한눈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비상구 등은 픽토그램으로 알기 쉽게 제작

    · 소화기 등 소방시설의 위치와 사용방법, 피난 시 대처방법을 포함

    - 비상대피도 크기 및 재질

    · 크기 : A3 이상 ※당해 층 바닥면적이 1,000㎡ 이상인 경우 A2 이상 권장

    · 재질 ; 아크릴, 코팅처리 된 종이 등 훼손 또는 변형의 우려가 적은 것

    · 언어 : 한글과 1개 이상의 외국어를 병기

    3) 상세주소 부여신청 안내

    ○ 상세주소란 ?

    - 다가구주택, 상가, 원룸 등의 도로명주소 건물번호 뒤에 표기하는 동·층·호

    ○ 신청대상 건물은 ?

    - 다가구주택, 상가, 원룸 등을 임대하는 경우에 신청

    ☑ 건축물대장에 동, 층, 호가 없는 건물 ☑ 건축물대장에 동, 층, 호가 있으나 일부를 나누어서 임대하는 건물

    ┌━━ 행정구역 ━━┓ ┌ 도로명 ․ 건물번호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777 ,

    ┌━ 상세주소 ━┓

    101동 102호

    ○ 신청인은 ?

    - 상세주소를 부여받고자하는 건물 등의 소유자(또는 임차인)

    ○ 신청방법은 ?

    - 서초구청 부동산정보과, 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 서초구청 팩스(fax: 02-2155-6929), 우편 신청

    - 인터넷 신청 : 정부민원포털 민원24 (www.minwon.go.kr)

    ○ 상세주소를 사용하면 좋은 점은 ?

    - 우편물 및 택배 수령 등이 편리해 집니다.

    - 복잡한 건물 내에서 위치 찾기가 쉬워집니다.

    - 응급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합니다.

    ※ 문의 : 부동산정보과 도로명 주소팀 ☏02-2155-6927

    - 28 -

    청렴 서초 실천 협조문

    청렴 서초 실천 협조문

    안녕하십니까? 서초구 건축과장 안종희 입니다.

    우선 서초구의 창의구정 발전에 관심을 가지고 협조하여 주시는 귀하께 진심으

    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우리구는 고객여러분들로부터 신뢰받는 서초구를 만들기 위해 무엇보다도 부패

    없는 공직사회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부패방지 예방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고객 여러분께서 신청하신 건축인허가 업무는 관계 법령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

    공정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것이며, 서초구 공무원은 업무처리와 관련하여 어떠한

    금품이나 향응을 요구하지도 받지도 않습니다, 만약 담당공무원이 금품이나 향응

    을 요구할 경우 서초구 감사담당관(☎2155-6118)에 신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신고하신 사항에 대하여는 철저한 비밀이 보장 되고 신고로 인하여 어떠한 불

    이익 처분이나 불편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건축 인허가 처리과정에 위법 부당한 사항이 있으시면 주저하지 마시고

    건축과에 이의신청을 하시기 바랍니다. 제출하신 의견을 다시 한번 검토하여 잘못

    된 사항은 시정해 나가겠습니다.

    서초구는 앞으로 부패추방을 위하여 비리와 부조리를 유발하는 불합리한 규제

    나 제도를 지속적으로 발굴 개선하는 한편, 직원교육 강화와 기존 시스템을 보

    완 발전시켜 부패 없는 청렴서초를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고객 여러분의 변함없는 관심과 협조를 당부 드리며 아울러 고객님 댁내 건강

    과 행운이 가득하길 바랍니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건축과장

  • - 29 -

    첨부 양식

    【첨부1】 공사안내판

    공 사 안 내 판

    공 사 규 모 층수 연면적 용 도

    공사예정기간 년 월 일 ~ 년 월 일

    도로점용면적

    건 축 주성 명

    주 소 전화번호

    설 계 자성 명

    주 소 전화번호

    공사감리자성 명

    주 소 전화번호

    공사시공자 성 명 전화번호

    현장관리인 성 명 전화번호

    대 지 위 치

    동장 전화번호

    공사로인한피해 건 축 과 장 전화번호 2155-6820

    도로무단점용시 건설관리과장 전화번호 2155-6953

    소음분진발생시 푸른환경과 공사문화정착TF 전화번호 2155-6756

    서 초 구 청 장

    - 30 -

    【첨부2】 범죄예방설계 자가진단표

    범죄예방 설계 자가 진단표

    대지위치 건 축 주

    건축규모 용 도

    설 계 자 등록번호

    년 월 일

    건 축 주 : (인)

    설 계 자 : (인)

    가로환경 설계 가이드라인

    연 번 항목 및 세부내용권장/

    의무적용내용

    도면번호

    (도면명)

    1○ 건물(주택)구조는 사람이 은신하거나 숨을 수 있는

    공간이 없도록 계획의무

    2.

    ○ 담장은 주변감시와 골목길의 활용성 등을 고려해

    투시형 담장 또한 낮은 높이의 담장을 설치하고,

    필요시 담장 허물기를 적용

    권장

    3

    ○ 출입문 주변에는 직접 조명을 설치

    - 가로변 건축물 출입구 주변에 설치된

    (건물 부착형 조명포함) 조명의 조도는 가로등 조도

    보다 높은 조도를 유지하고, 필요시 동작 감응형

    스포트라이트를 설치할 수 있다.

    의무

    4

    ○ 주택주변 또는 골목길의 자투리 공간은 영역성 강화

    와 활용성 증대를 위해서 한평공원(쌈지공원)이나

    화단등을 조성

    권장

  • - 31 -

    건축부문 설계가이드라인연 번 항목 및 세부내용

    권장/

    의무적용내용

    도면번호

    (도면명)

    1. 출입문

    창호재

    ○ 창호재 및 출입문은 침입 방어 성능을 갖춘 제품

    을 설치(국토교통부 범죄예방 건축기준 고시

    [별표1] 기준 적용)

    의무

    비고 : 사용승인시 제품인증서 및 영수증 별도 첨부

    2.

    옥외배관

    ○ 수직 배관은 지표면에서 지상2층으로 또는 옥상

    에서 최상층으로 배관을 타고 오르거나 내려올

    수 없도록 방범용 덮개 설치

    - 수직부는 1개층(3.5m이상) 높이로 방범용 덮개

    (철재 또는 철망구조) 설치

    - 창문 등 개구부와의 수평거리 1.5m이상 이격설

    의무

    비고 : 사용승인시 설치사진 별도 제출

    3.

    경비실

    또는

    무인택배

    ○ 경비실을 설치할 경우, 감시가 필요한 각 방향으로

    조망이 가능하여야 하며, 시야 확보에 지장이 없는

    구조로 계획

    ○ 경비실 또는 관리실이 없는 경우, 세대외부(1층)

    시야확보가 되는 곳에 무인택배함 설치

    의무

    비고 : 사용승인시 설치사진 별도 제출

    4.

    주출입구

    조명

    ○ 주 출입구는 자연적 감시를 위하여 가급적 도로 또

    는 통행로에서 볼 수 있는 위치에 계획하되, 부득이

    도로나 통행로에서 보이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는 경

    우에는 반사경, 거울 등의 대체시설을 설치

    ○ 건축물의 측면이나, 뒷면, 출입문, 정원, 사각지

    대에는 사물을 식별할 수 있는 적정한 조명(자동

    점멸등) 또는 반사경을 설치

    의무

    5.

    세대 내부

    ○ 전기․가스․수도 등 검침용 기기는 주택 외부에 설치하여 세대내에서 검침하지 않는 구조로 계획

    ○ 세대 현관문은 신문․우유투입구 등은 설치하지 않도록 하되, 부득이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출입문

    을 열 수 없는 구조

    의무

    6. 조경○ 수목의 식재로 사각지대나 고립지대가 생기지 않

    도록 수목의 간격을 적정하게 유지의무

    7.

    주차장

    ○ 지하주차장의 주차구획은 기둥과 벽면은 가시권을

    늘리고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도록 배치의무

    8. 필로티

    내부

    ○ 쓰레기분리수거함 비치 및 자전거 주차장 설치 등을

    통한 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도록 입주민의 수시 활

    동영역으로 계획

    의무

    9. CCTV

    설치

    ○ 건물 현관입구 1개, 층간사이(또는 각층 복도) 1

    개씩, 건물 주변 사각지대 1개, 주차장 1개권장

    - 32 -

    【첨부3】 범죄예방설계 설치확인서

    범죄예방설계 설치 확인서

    대지위치 건 축 주

    건축규모 용 도

    설 계 자 등록번호

    년 월 일

    건 축 주 : (인)

    감 리 자 : (인)

    가로환경 설계 가이드라인

    연 번 항목 및 세부내용권장/

    의무적합 설치여부 비고

    1○ 건물(주택)구조는 사람이 은신하거나 숨을 수 있는

    공간이 없도록 계획의무

    2.

    ○ 담장은 주변감시와 골목길의 활용성 등을 고려해

    투시형 담장 또한 낮은 높이의 담장을 설치하고,

    필요시 담장 허물기를 적용

    권장

    3

    ○ 출입문 주변에는 직접 조명을 설치

    - 가로변 건축물 출입구 주변에 설치된(건물 부착형

    조명포함) 조명의 조도는 가로등 조도보다 높은

    조도를 유지하고, 필요시 동작 감응형 스포트라이트

    를 설치할 수 있다.

    의무

    4

    ○ 주택주변 또는 골목길의 자투리 공간은 영역성 강화

    와 활용성 증대를 위해서 한평공원(쌈지공원)이나

    화단등을 조성

    권장

  • - 33 -

    건축부문 설계가이드라인

    연 번 항목 및 세부내용권장/

    의무

    적합

    설치여부비고

    1.

    출입문

    창호재

    ○ 창호재 및 출입문은 침입 방어 성능을 갖춘 제품

    을 설치(국토교통부 범죄예방 건축기준 고시

    [별표1] 기준 적용)

    의무

    - 사용승인시

    제품인증서 및

    영수증 별도제출

    비고 : 사용승인시 제품인증서 및 영수증 별도 첨부

    2.

    옥외배관

    ○ 수직 배관은 지표면에서 지상2층으로 또는 옥상

    에서 최상층으로 배관을 타고 오르거나 내려올

    수 없도록 방범용 덮개 설치

    - 수직부는 1개층(3.5m이상) 높이로 방범용 덮개

    (철재 또는 철망구조) 설치

    - 창문 등 개구부와의 수평거리 1.5m이상 이격설

    의무- 설치사진

    별도 제출

    비고 : 사용승인시 설치사진 별도 제출

    3.

    경비실

    또는

    무인택배

    ○ 경비실을 설치할 경우, 감시가 필요한 각 방향으로

    조망이 가능하여야 하며, 시야 확보에 지장이 없는

    구조로 계획

    ○ 경비실 또는 관리실이 없는 경우, 세대외부(1층)

    시야확보가 되는 곳에 무인택배함 설치

    의무- 설치사진

    별도 제출

    비고 : 사용승인시 설치사진 별도 제출

    4.

    주출입구

    조명

    ○ 주 출입구는 자연적 감시를 위하여 가급적 도로 또

    는 통행로에서 볼 수 있는 위치에 계획하되, 부득이

    도로나 통행로에서 보이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는 경

    우에는 반사경, 거울 등의 대체시설을 설치

    ○ 건축물의 측면이나, 뒷면, 출입문, 정원, 사각지

    대에는 사물을 식별할 수 있는 적정한 조명(자동

    점멸등) 또는 반사경을 설치

    의무

    5.

    세대내부

    ○ 전기․가스․수도 등 검침용 기기는 주택 외부에 설치하여 세대내에서 검침하지 않는 구조로 계획

    ○ 세대 현관문은 신문․우유투입구 등은 설치하지 않도록 하되, 부득이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출입문

    을 열 수 없는 구조

    의무

    6. 조경○ 수목의 식재로 사각지대나 고립지대가 생기지 않

    도록 수목의 간격을 적정하게 유지의무

    7.주차장○ 지하주차장의 주차구획은 기둥과 벽면은 가시권을

    늘리고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도록 배치의무

    8.

    필로티

    내부

    ○ 쓰레기분리수거함 비치 및 자전거 주차장 설치 등을

    통한 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도록 입주민의 수시 활

    동영역으로 계획

    의무

    9.

    CCTV

    설치

    ○ 건물 현관입구 1개, 층간사이(또는 각층 복도) 1

    개씩, 건물 주변 사각지대 1개, 주차장 1개권장

    - 34 -

    【첨부4】 범죄예방설계 설치계획서 및 확인서

    안(安)심(心)골목 기분좋은 골목길 만들기 설치계획서(의향서)

    대지위치 : 건 축 주 : 건축규모 : 지하 층 / 지상 층, 연면적: ㎡, 주용도: , 공사종별:

    항목 설치기준 설치대상 반영/설치 여부

    안심벨

    • 주위 주민의 관심과 반응 유도(벨, 경광등)시설 부착• 시야확보가 용이한 현관· 벽면에 설치• 10∼20센티미터 돌출하여 설치하고 시인성이 좋은 색채 사용하여 마감 • 방수기능 또는 비가림막을 설치하여 우천시에도 사용가능하도록 할 것• 비상시 어린이가 사용가능하도록 높이 1.2m이내에 설치

    • 6m이하 도로에 접한 (신축, 증축) 허가건축물

    • 안 심 벨 , 안 심 등 , 안 심CCTV 중 최소 1개 의무설치

    (단, 30m 이내 안심벨, 안심등, 안심CCTV가 모두 설치되어 있을 경우 예외)안심등

    • 옥외에 설치하여 골목 조명• 누전방지 안전장치 등 설치• 일몰 후부터 02시까지 점등안심

    CCTV

    • 안심벨사용자 및 골목출입자등 항시 촬영• 녹화장치, 안전취약지점 촬영• CCTV 촬영 안내표지판 설치

    건축선/1층부

    건축 후퇴

    • 4미터미만도로에 접한 건축물의 건축시 1미터 건축선 후퇴 또는 1층 부분 도로로부터 1미터 후퇴• 1미터 후퇴부분에 보도조성하고 보행에 지장을 주는 지장물(조경·주차장·계단·담장 등) 설치 금지

    • 4미터이하 도로에 접한 공동주택 및 2,000㎡ 이상 건축물로서 건축 대상(의무)• 4미터이하 도로에 접한 기타 건축물(권장)

    지하주차장소화기

    비상벨설치

    • 주차장 내 화재 신속진화와 범죄예방용 소화기와 비상벨을 시야확보가 용이한 곳에 설치(가급적 통합설치)• 시인성이 좋도록 표지판 설치 또는 벽면․기둥에 도색 등 마감

    • 한 층당 (피로티내 주차장 포함)주차대수 10대이상(의무), 5대이상(권장)

    * 사업계획승인대상 포함

    범죄예방 설계

    (CPTED)가이드라인

    가로환경

    • 건물(주택)구조는 사람이 은신하거나 숨을 수 있는 공간이 없도록 계획

    • 투시형 담장 또한 낮은 높이의 담장을 설치하고, 필요시 담장 허물기를 적용(권장)

    • 자투리 공간 한평공원(쌈지공원)·화단 조성(권장)건축부문

    • 출입문 주변에는 직접 조명을 설치• 옥외 배관 등은 배관을 타고 오를 수 없는 구조• 세대외부(1층) 무인택배함 설치(권장)• 쓰레기분리수거함 비치 및 자전거주차장 설치 등을 통한 사각

    지대가 발생되지 않도록 계획 권장

    •설치대상 : 단독, 다세대, 다가구주택 중 건축허가(신축, 증축, 대수선) 건축물안(安)심(心)골목 기분좋은 골목길 안전한 건축물 만들기에 함께하고자 위와 같이 설치할 것을 확인 합니다.

    20 . . .확인자 건축주 : (인 또는 사인) 설계자 : (인 또는 사인)

    ※ 안심벨, 안심등, 안심CCTV 설치시 방배경찰서 범죄예방진담팀(02-525-1866),

    서초경찰서 범죄예방진단팀(02-3483-9493)에게 설치 위치를 반드시 자문하여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 - 35 -

    안(安)심(心)골목 기분좋은 골목길 만들기 설치확인서

    대지위치 : 건 축 주 : 건축규모 : 지하 층 / 지상 층, 연면적: ㎡, 주용도: , 공사종별:

    항목 설치 여부설치사진 비 고

    (작동여부등)전 경 근 경

    안심벨

    안심등

    안심

    CCTV

    건축선/

    1층부

    건축 후퇴

    지하주차

    장소화기

    비상벨설

    안(安)심(心)골목 기분좋은 골목길 안전한 건축물 만들기에 함께하고자 위와 같이 설치 하였음을 확인 합니다.

    20 . . .확인자 건축주 : (인 또는 사인)

    감리자 : (인 또는 사인)위의 (건축허가 신청/사용승인 신청)과 관련 안(安)심(心)골목 기분좋은 골목길 안전한 건축물 만들기에

    함께하고자 위와 같이 [설치할 것을 / 설치 하였음을] 확인 합니다.20 . . .

    확인자 건축주 : (인 또는 사인) 감리자 : (인 또는 사인)

    설치자문 (방배, 서초) 경찰서 (인 또는 사인)

    - 36 -

    【첨부5】 디자인협의·자문 신청서

    No. 2018-00

    공사장 가설울타리 디자인협의·자문 신청서

    시공사 담당자명전화번호

    이메일

    사업명

    및 주소신청일

    내용 및

    설명

    개요 ○ 공사개요 : 목적, 규모, 공사기간 등

    ○ 공사장 가설울타리 그래픽 및 설치 계획

    -위치도 : 주변지역 현황, 도로 등에 대한 내용 포함

    -설치계획 : A,B,C,D면에 대한 규모 및 세부 디자인계획

    (공사장 게이트 계획 포함)

    첨부자료

    위와 같이 디자인협의·자문을 신청합니다.

  • - 37 -

    【첨부6】 철거공사계획 이행확인서

    철거공사계획 이행확인서

    □ 대지위치 : 서초구 동 번지 호

    □ 건 축 주 :

    □ 철거 건축물 규모 : 지하 층, 지상 층, 연면적 - ㎡

    □ 철거공사계획 이행확인사항

    철거공사 계획 이행내용 사진 또는 증빙자료

    위와 같이 철거공사계획을 이행하여 건축물 철거를 완료하였음을

    보고합니다.

    2018. . .

    보고자(철거감리자, 감리자 미선정시 철거시공자/건축주)

    상호 : 성명 : (인 또는 사인)

    - 38 -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발령시 이행사항 안내 2019.2.15일 이후부터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되면 일정규모 이상의 건설공사장에서는 비산먼지 발생 억제 조치를 이행해야 합니다

    비상저감조치 란?- 고농도 미세먼지가 일정수준이상 발생이 예상될 때 단기적으로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 관련근거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2019.2.15.시행)

    비상저감조치 발령조건은?√ 초미세먼지 발생이 3가지 요건 중 하나를 충족시킬 때 발령됩니다① 당일 0∼16시 평균 50㎍/㎥ 초과 및 내일 24시간 평균 50㎍/㎥ 초과 예상② 당일 0∼16시 주의보(75㎍/㎥ 이상 2시간) 및 내일 24시간 평균 50㎍/㎥ 초과 예상③ 내일 24시간 평균 75㎍/㎥ 초과 예상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되면 공사장에서는 어떤 조치를 해야 할까요?√일정규모 이상 공사장은 비상저감조치 시행일 공사시간을 단축(공공) 또는 조정(민간)해야 합니다

    시 행 일 : 2019. 2. 15일부터

    공통 조치사항

    ○ 공사 시간 단축(공공 공사장) 또는 조정(민간 공사장) - 의무사항(예시) 평상시 07시 ~ 16시(점심시간 제외, 8시간) 조업하는 공사장의 경우․ 단축 : 시행일 11~16시 조업(4시간 조업) → 단축 4시간은 저농도시 추가작업․ 조정 : 시행일 09~18시 조업(8시간 조업) → 출근시간(오전6~9시)대 회피하여 작업※ 공사시간 단축․조정은 비상저감조치 발령시 터파기, 기초공사 등 비산먼지 다량발생 공정이 진행중인 공사장에 한정(건축물

    축조․해체, 토목, 토공사 및 정지공사장 등)

    ○ 공사장 인근 도로 물청소 강화[예 : 일 1→3회]○ 실내작업 우선 실시○ 노후 건설기계 운영 금지 (저공해 조치된 건설기계 사용)

    공정별 조치사항 공 정 억제시설 설치 조치할 사항야 적 방음방진벽 ·작업 중 야적물질 방진덮개 복포

    싣기 및 내리기 분무식 집진시설 설치 ·살수량 증대

    수 송 적재함을 밀폐 덮개 설치

    ·공사장 내 통행도로 살수 강화(예:일1→3회)·덤프트럭 덮개 밀폐화·공사장 내 통행차량 속도 감소·공사장 인근 도로 물청소

    ※ 공사장별 비상저감조치 이행사항 관리카드 작성 후 관할 구청(환경 관련 부서)에 제출

    자세한 문의사항은 서초구청 푸른환경과(☎2155-6479)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2019 년 월 일

    서울특별시 서초구청장

    【별첨1】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이행사항 안내문

    1 공사장 이행사항 안내문

  • - 39 -

    2 관리카드 작성양식(민간 공사장)

    시행기관 일선기관

    공사명 기관담당자1)

    현장담당자2) 연락처기관현장

    1) 시행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예) 00공사 00팀 소속, 00본부 00팀 소속, 00구청 건설과 소속2) 일선기관 공사현장 담당자 (예) 00건설 소속 직원, 감리단 00건설 소속 직원 등

    □ 개요(비산먼지 발생사업 신고증명서 참고)○ 위 치 :○ 공사기간 :○ 규 모 : (건축물) 연면적 ㎡○ 비산먼지 발생공정별 공사기간

    발생공정 구간(면적) 공사기간 조업중지 기간야적

    동절기(1~2월)공사중지 및휴일 조업

    미실시 여부 등

    터파기(부지정지)싣기 및 내리기야외 절단, 연마수송(내부/외부)

    기타

    □ 주요 배출공정 및 비상저감조치 내용

    배출공정 주요 억제시설 설치및 조치내용 비상저감조치 내용먼지배출량저감효과

    공통사항 전체 설비

    ·운영 단축 조정(운영 단축, 09~18시, 9시간→09시~16시,7시간)·공사장 인근 도로 물청소(일1회→3회)·실내작업 우선 추진

    00kg/일감소

    야적 방음방진벽-Rpp 3M, ·비산먼지 발생 억제 강화(작업 중 야적물질방진덮개 복포) 00kg/일 감소

    싣기 및내리기 분무식 집진시설 설치 ·비산먼지 발생 억제 강화(살수량 증대) 00kg/일 감소

    수송 적재함을 밀폐 덮개설치

    ·비산먼지 발생 억제 강화(공사장내 통행도로살수 강화((예) 일1→3회)·건설기계(노후 건설기계 3대 자제)

    00kg/일 감소

    채광·채취 위를참고하여공정별작성 위를 참고하여 공정별 작성 00kg/일 감소야외 절단 〃 〃야외 연마 〃 〃

    먼지 배출량 저감효과 합계 총 00kg/일

    ※ 비상저감조치 내용은 구체적으로 제시

    - 40 -

    3 관리카드 작성양식(민간 사업장)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사업장 운영 단축‧조정시행기관 일선기관

    시설분류 기관담당자1)

    현장담당자2) 연락처기관

    현장

    1) 시행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예) 자원회수시설- 00구청 청소행정과, 물재생센터- 00시 00과2) 일선기관 해당시설 비상저감조치 시행 담당자 (예) 위탁시 00(주) 소속 직원, 직접운영시 00 구청 소속

    □ 운영현황(대기배출시설 설치 허가신고증 참고)

    ○ 위 치 :

    ○ 일일조업시간(시간/일) : 00hr/일

    ○ 연료 및 원료 사용량(㎏/일) :

    ○ 시설용량 : OO톤/일(OO톤/일×2기)

    ○ 저감방법* : OO 시설 가동중단 등

    * 예) OO시설 OO기 중 OO기 가동중단, OO시설 가동시간 단축(OO시간 → OO시간), 가동율 조정(100→80%), 방지시설 최적운영, 저황연료사용 및 기타 직원차량 2부제 시행, 사업장 물청소 등

    ○ 오염물질 배출량 및 저감량(㎏/일)* 사업장 전체 일평균 배출량 명시(일부 시설 적용 시 해당시설의 배출량, 저감량

    및 저감율 함께 명시)

    - 사업장 전체 배출시설 배출량 및 저감율(배출량(kg)/일)

    구 분 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