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수수 TMS 수수 수 수수수수 수수수수수수수 수수수수수 수수수

유지운영관리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유지운영관리

수질 TMS 운영 및 유지관리

수도권지역본부 수질방제팀

장순웅

Page 2: 유지운영관리

- 2 -

운영관리 일반지침

유지관리 방법

측정기기 점검사항

유지관리 예

목 차

Page 3: 유지운영관리

- 3 -

운영관리의 목표

수질자동측정기기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가동하고 신뢰성 높은 측정치를 확보

운영관리계획

인력의 운용

예산계획

전담부서 지정

정기점검계획

자동측정자료 품질관리운영관리체계

부서별 세부 업무사항

운영관련 업무분장 확립

공통 업무 , 상황별 업무사항 실행

1) 1) 운영관리 일반지침운영관리 일반지침

Page 4: 유지운영관리

- 4 -

기술인력

시설 및 설비대장의 관리

유지관리체계 3 요소

• ( 계측제어 , 환경 ) 기술력 • 업무 전담자 ( 정 /부 )

• 측정기 , 측정소 관리• 예 비 소 모 품 , 적 절 한 시약보관

• TMS 운영관리• 기기 사용절차서• 주 기 적 점 검 절차서

1) 1) 운영관리 일반지침운영관리 일반지침

Page 5: 유지운영관리

- 5 -

[Q : 수질 TMS 측정기기의 정도관리를 위해서는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한데 현장 운영인력으로는 한계가 있다 ]

A : 실제로 측정기기의 정도관리를 위해서는 사업장에 전담자가 지정되어야 하며 업무보조자와 같이 정도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적절하고 일상적인 인력부족을 이유로 측정기기의 정도관리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개선되어야 함 . ( 책임자 및 관리자의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 필요 )

1) 1) 운영관리 일반지침운영관리 일반지침

Page 6: 유지운영관리

- 6 -

측정기기 운영을 위한 기본 용어 정리

▣ 측정자료 - 5 분자료 , 시간자료 , 3 시간자료

※ 3 시간자료 자료수집장치가 측정기로부터 수집하여 생성한 시간자료를 바탕으로 관제서버에서 3 시간 동안의 이동평균 , 적산과 같은 통계 처리를 수행한 자료

▣ 상태정보- 장비정상 , 교정중 , 점검중 , 동작불량 , 가동중지 , 통신불량 , 유량없음

- 수질원격감시체계 , 자료수집기 , 가상사설 단말기 , 관제서버 ,

원격명령 ,

시간동기 , 교정실행 , 교정값검색 , 자료전송 , 저장자료전송 ,

순간자료전송 .

부대장비 , 자체출력장치

1) 1) 운영관리 일반지침운영관리 일반지침

Page 7: 유지운영관리

- 7 -

[Q : 적정한 유지관기 주기는 ?]

A : 사업장 현황 ( 방류수 수질 , 부유물질 분포 , 오염물질 제거 메커니즘 등 ) 및 측정기기 특성 ( 연속샘플방식 , 전처리장치 구조 , 분석주기 , 측정방식 , 측정기기 고유기능 등 ) 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며 일률적으로 정하기는 곤란하나 일반적으로 유지관리 ( 또는 점검 ) 주기는 - 일상점검의 경우 1~3 회 /주 - 정기점검의 경우 1~2 회 /월 - 비정기적인 유지관리 : 돌발적인 비정상 측정상태 발생시 점검 , 수시점검 등

2) 2) 유지관리 방법유지관리 방법

Page 8: 유지운영관리

- 8 -

종류 목적 주기 점 검 내 용

권장시간

pH, SS,

COD

(3 항목이

내 )

T-N, T-P

추가 또는

BOD

일상점검측정기기 정상으로 연속운전 유지

( 데이터 획득 )

1 회 /1~3

◦ 측정기기 가동상태 확인 ◦ 시료채취조 청소 ◦ 전극세척 및 튜빙류 확인 ◦ 데이터 전송상태 확인 ◦ 간이교정 및 점검

2 시간 3 시간

주간점검 측정기기 정상으로 연속운전 유지1 회 /주

이상

◦ 일상점검사항 ◦ 튜빙류 세척 ◦ 시약 등 소모품 점검

4 시간 5 시간

월간점검 측정기기 성능유지 및 장애예방1 회 /월

이상

◦ 영점 /스팬 교정 ◦ 소모품 ( 튜빙류 등 ) 교환 ◦ 검출부 점검

6 시간 8 시간

분기점검 측정기기 성능확인 1 회 /분기

◦ 검 , 교정 및 검량선 확인 ◦ 정밀도 , 편의 , 상대정확도 등

확인8 시간 10 시간

긴급점검측정기기의 고장 등 긴급한 상황

발생시 신속한 조치 ( 정상복구 )이상발생시

◦ 고장발견과 간단한 수리 ◦ 원인규명과 수리 ( 제조업체에

의뢰 )4 시간 4 시간

총괄점검 내구연한까지 측정기기 성능유지1 회 /년

이상

◦ 측정기기 분해 , 청소 ◦ 부품의 수리 , 교환 , ◦ 성능의 재현성 확인

8 시간 12 시간

2) 2) 유지관리 방법 유지관리 방법 - - 수질 수질 TMS TMS 정도관리 강화를 위한 운영기준 연구정도관리 강화를 위한 운영기준 연구 (2010.12.)(2010.12.)

Page 9: 유지운영관리

- 9 -

공공하수처리시설월평균 정기점검 최적 소요시간 : 22~30 시간

종류 목적 점 검 내 용기존 권장시간

주기 시간 주기 시간

일상점검

측정기기 정상으로

연속운전 유지

( 데이터 획득 )

◦ 측정기기 가동상태 확인

◦ 시료채취조 청소

◦ 전극세척 및 튜빙류 확인

◦ 데이터 전송상태 확인

◦ 교정 및 점검

1

회 /

1~3

2~3

시간

2 회 /

주2 시간

주간점검측정기기 정상으로

연속운전 유지

◦ 일상점검사항

◦ 튜빙류 세척

◦ 시약 등 소모품 점검

1 회 /

4~5

시간

1 회 / 2

주4 시간

월간점검측정기기 성능유지 및

장애예방

◦ 영점 /스팬 교정

◦ 소모품 ( 튜빙류 등 ) 교환

◦ 검출부 점검

1 회 /

월6 시간

1 회 /

월7 시간

2) 2) 유지관리 방법 유지관리 방법 - - 수질 수질 TMS TMS 정도관리 강화를 위한 운영기준 연구정도관리 강화를 위한 운영기준 연구 (2010.12.)(2010.12.)

Page 10: 유지운영관리

- 10 -

폐수종말처리시설월평균 정기점검 최적 소요시간 : 14~22 시간

종류 목적 점 검 내 용기존 권장시간

주기 시간 주기 시간

일상점검

측정기기 정상으로

연속운전 유지

( 데이터 획득 )

◦ 측정기기 가동상태 확인

◦ 시료채취조 청소

◦ 전극세척 및 튜빙류 확인

◦ 데이터 전송상태 확인

◦ 교정 및 점검

1

회 /

1~3

2~3

시간

1 회 /

주2 시간

주간점검측정기기 정상으로

연속운전 유지

◦ 일상점검사항

◦ 튜빙류 세척

◦ 시약 등 소모품 점검

1 회 /

4~5

시간

1 회 / 2

주4 시간

월간점검측정기기 성능유지 및

장애예방

◦ 영점 /스팬 교정

◦ 소모품 ( 튜빙류 등 ) 교환

◦ 검출부 점검

1 회 /

월6 시간

1 회 /

월7 시간

2) 2) 유지관리 방법 유지관리 방법 - - 수질 수질 TMS TMS 정도관리 강화를 위한 운영기준 연구정도관리 강화를 위한 운영기준 연구 (2010.12.)(2010.12.)

Page 11: 유지운영관리

- 11 -

폐수배출사업장월평균 정기점검 최적 소요시간 : 14~22 시간

종류 목적 점 검 내 용기존 권장시간

주기 시간 주기 시간

일상점검

측정기기 정상으로

연속운전 유지

( 데이터 획득 )

◦ 측정기기 가동상태 확인

◦ 시료채취조 청소

◦ 전극세척 및 튜빙류 확인

◦ 데이터 전송상태 확인

◦ 교정 및 점검

1 회 /

1~3

2~3

시간

1 회 /

주2 시간

주간점검측정기기 정상으로

연속운전 유지

◦ 일상점검사항

◦ 튜빙류 세척

◦ 시약 등 소모품 점검

1 회 /

4~5

시간

1 회 / 2

주4 시간

월간점검측정기기 성능유지 및

장애예방

◦ 영점 /스팬 교정

◦ 소모품 ( 튜빙류 등 ) 교환

◦ 검출부 점검

1 회 /

월6 시간

1 회 /

월7 시간

2) 2) 유지관리 방법 유지관리 방법 - - 수질 수질 TMS TMS 정도관리 강화를 위한 운영기준 연구정도관리 강화를 위한 운영기준 연구 (2010.12.)(2010.12.)

Page 12: 유지운영관리

- 12 -

[Q : 측정기기를 전문 용역업체에 위탁하여 적정하게

관리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대정확도가 부적합하게 나온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데… .]

A : 단순히 전문 용역업체에 위탁관리 한다고 하여 정도관리가 잘 된다고 판단하기 보다는 실제 위탁관리 내용 및 주기 , 기술자 자질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보아야 하며 , 특히 사업장 담당자는 위탁관리시 용역사에 모든 정도관리 업무를 일임하기 보다는 유지 , 관리가 적절하게 진행되는지 확인하고 조정하는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함 .

2) 2) 유지관리 방법유지관리 방법

Page 13: 유지운영관리

- 13 -

[Q : 측정기기를 전문 용역업체에 위탁하여 관리하고 있는데

유지관리 비용이 너무 고가로 예산상 상당한 부담임 .

유지관리 용역비용 절감방안이 있는지 ]

A : 수질 TMS 분야는 기술적 측면에서 전문기술을 요하는 분야로서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것이 현실임 . 다만 , 사업장 수질 TMS 담당자도 일상적인 유지 관리부분 ( 측정기기의 간단한 조작 , 튜빙 및 시약 등 일상적인 소모품 교체 , 측정기기 교정 , 부품 청소 및 세척 등 ) 을 숙지하고 기술을 요하는 부분 ( 측정기기 프로그램 보완 , 센서 및 분석 · 검출부 분해 및 교체 , 보드점검 등 ) 을 전문업체에 위탁한다면 일정수준의 용역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임 .

2) 2) 유지관리 방법유지관리 방법

Page 14: 유지운영관리

- 14 -

수질 TMS 운영관리를 위한 기본 사항

1.운영관리자

2.측정소 점검일지 ( 일간 , 주간 , 월간 ] 비치 여부

3.측정소 점검횟수

4.측정기 이력카드 유무

5.측정자료 검색주기

6.운영관리 기준 준수 여부

7.자체 운영매뉴얼 개발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측정기기 점검사항

Page 15: 유지운영관리

- 15 -

측정소 주요 점검 사항

1.수질 TMS 실 외관 육안 확인 및 점검

2.펌프 주위 협작물 확인

3.유량계 통신 정상작동 확인

4.시료 채취 배관 확인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측정기기 점검사항

Page 16: 유지운영관리

- 16 -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측정기기 점검사항

자료수집장치 주요 점검 사항

1.자료수집장치의 실시간

자료 수집 및 전송자료 생성확인

2.측정기기와 자료수집장치의

통신확인

3.자료수집장치와 관제서버 통신확인

4.부대설비 ( 측정소 문열림 , 입력전원단절 )

정상동작 확인

Page 17: 유지운영관리

- 17 -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측정기기 점검사항

시료채취조

1.시료채취조 내부

이물질 확인 및 세척

2.pH/SS 측정기기 센서 이물질

확인 및 세척

3.적정유량 샘플링 확인

( 시료채취 펌프 작동 확인 )

4.측정기기 전처리 시설 ( 여과시설 ) 세척

Page 18: 유지운영관리

- 18 -

시료채취조는 현장 시료수 상황에 따라 반드시 주기적으로 점검

1. 기기를 정지 시킨 후 , 유입 밸브를 닫는다 . 시료가 있는 상태에서 세척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

2. 1, 2 차 필터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브러쉬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

3. 저류조의 내부 벽면 및 바닥의 이물질도 닦아낸다 .

4. 전처리조 하단의 배출 밸브를 열어 이물질이 섞인 현장수를 배출시킨다 . 현장수 유입 밸브를 열어 현장수로 다시 한번 전처리조를 씻어낸다 .

5. 오염도가 심할 경우에는 1 차 필터와 2 차 필터를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 2 차 필터는 흐르는 물로 내부에 쌓인 이물질도 제거한다 .

1

2

3 4

5

점검주기 : 수시 ( 일주일에 2 번 이상 )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시로 저류조 하단의 밸브를 열어준다 .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측정기기 점검사항

Page 19: 유지운영관리

- 19 -

주요항목 확인 및 조치사항

정기점검수시점검

- 정기점검 계획을 수립하여 진행 필요시 수시점검• 일점검 : 기기 내 ,외부 오염여부 육안확인 , 측정데이터 수치 확인 , 에러메세지 확인• 주점검 : 샘플라인 이상유무 , 시약 보충 여부 확인• 월점검 : 기기교정 및 보정 , 전극오염여부 확인• 분기점검 : 내 , 외부적인 정밀점검 , 장비전체시스템점검• 반기 /년점검 : 센서수명확인 , 정도검사 수검여부 체크

시료 도입부

- 채취관 청결여부 , 부식여부 , 필요시 세척- 필터의 오염 및 막힘 여부 , 필요시 세정 및 교환- 규정된 온도로 가열 및 유지되고 있는가 확인- 도관의 청결여부 및 leak 여부

전처리부

- 필터의 오염 유무 , 오염시 교환- 펌프 정상작동여부 , 이상음․진동 여부 , 정상드레인 여부- 제습기 정상작동 여부- 배관전체 기밀여부 , 커넥터 확인 등

분석부

- 광원의 규정전압 및 발광 여부- 시료셀 오염여부 , 세척 및 패킹- 검출기 정상작동 여부- 온도조절기 정상작동 및 온도유지 여부- 흡수액 펌프 정상작동 및 유량의 적정 여부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 측정기기 점검사항

Page 20: 유지운영관리

- 20 -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 측정기기 점검사항 - BOD- BOD

BOD 측정기기

1.센서 /에어필터 정기적

점검 및 교체

2.튜브 정기적 점검 및 교체

3.펌프 정상작동 여부 확인 및 점검

4.활성슬러지 및 샘플량의 적정 공급

여부 확인 및 점겁

Page 21: 유지운영관리

- 21 -

주요항목 착안 및 조치사항

정기점검 - 수시 , 일간 , 주간 , 월간 , 분기 , 연간 점검

센서- 산소센서가 건조상태 여부- 센서 이상유무 확인 (20Volt 이상 ) 및 정기적 교환- 내구기간 (1 년 ) 을 잘 살펴서 필요시 교체

에어필터 - 내구기간 (6 월 ) 을 잘 살펴서 필요시 교체

교정상수- 교정상수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 에이필터 점검 및 교체- Flow meter 점검- 센서 수명 점검 및 교체

TUBE

- 새는곳이 없는지 점검 ,각 연결부위 점검- 내구기간 (6 월 ) 을 잘 살펴서 필요시 교체- 2 일이상 작업중지시 튜브의 장력 완화- 튜브의 눌림상태 확인 ( 펌프튜브 )

Air Volume- Air Discharge Volume 이 정해진 범위안에 있는지 점검 하고 필요시 에어필터 교체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 측정기기 점검사항 - BOD- BOD

Page 22: 유지운영관리

- 22 -

냉각수 - 냉각시스템 점검 , 물 순환체계 점검 , 냉각수량 점검

디스크 용량 - 디스크 용량이 충분한지 점검

Cascade - Cascade 배수로 청소

Flowsampler- Cleaner 를 가지고 Sampling Tube 청소- Flow-rate 점검

Reactor- 필요시 청소 , 벽청소 , Sewage 제거 , Reactor헹굼- Reactor 용액량 확인 , 스틸러 정상작동 확인

각종펌프 - 각 펌프의 정상작동 여부확인 및 이상시 교체

기타

- 활성슬러지 및 샘플량의 적정 공급여부- 주위온도 범위 확인 (5~ 35℃ 범위 )- 커넥터부 느슨함 확인후 이상시 재연결- 영양제 실린지 잔량 확인후 필요시 보충- 측정데이터 및 그래프 확인- 외관상 이상유무 확인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 측정기기 점검사항 - BOD- BOD

Page 23: 유지운영관리

- 23 -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 측정기기 점검사항 – – COD KMnOCOD KMnO44 법법

COD 측정기기

1.출력데이터의 적정성 여부 확인 및

Calibration Data 확인

2.시약 유무 확인 및 보충 각 튜브 내부

시약 흐름 확인 및 이물질 제거

3.펌프 작동확인 , 가열반응조 및

측정기기 내부 누수 여부 확인

Page 24: 유지운영관리

- 24 -

주요항목 착안 및 조치사항

전처리장치

- 전처리조 내부로의 시료 공급 여부- 전처리조로부터 기기 내부로의 시료 공급 여부- 내부 여과망의 오염유무 확인- 전처리조의 누수여부 확인

각종장치 작동여부

- 펌프의 작동 여부- 3-WAY 밸브의 작동 여부- 5-port 밸브의 작동 여부- 공기 펌프 작동 여부- 히터 작동 여부

튜브연결 및 파손여부

- 내부의 누수 여부 ( 누수 발생시 위치 확인 )- 튜브의 연결 상태 및 오염 상태 확인 .- 3-WAY 밸브 및 5-port 에서 누수 확인- 각 튜브의 시료 공급 및 배수 여부 확인 ( 공기방울 발생여부 )

시료용액 - 각 시료의 양 확인- 폐액통의 여유분 확인

가열반응조

- 접속부에 풀림이 없고 시약 등의 누수가 없는지 확인- 반응조 내에 혼합기 회전이 정상인지 확인- 액 배출 동작이 정상인지 확인- ORP 전극의 전극면이 깨끗한지 확인- 가열 반응조 오일이 정량이 들어있는지 확인- 온도 제어가 정상으로 되는지 확인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 측정기기 점검사항 – – COD KMnOCOD KMnO44 법법

Page 25: 유지운영관리

- 25 -

반응조 누수로 측정기 오동작 발생

볼트 부분이 헐거어져반응조 누수로 측정기 오동작 발생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 측정기기 점검사항 – – COD KMnOCOD KMnO44 법법

Page 26: 유지운영관리

- 26 -

주요항목 착안 및 조치사항

정기점검 - 수시 , 일간 , 주간 , 월간 , 분기 , 연간 점검

전 극

- 측정전극의 코팅 부분 손상여부 , 손상시 교체- 기준전극 오염여부- 전해액 보충여부- 전극 밑부분에 황산나트륨 결정 유무

튜 브

- 펌프튜브는 2-3 개월마다 교체- 배수튜브 막힘 점검 , 필요시 세척- 샘플튜브 장애여부 점검- 튜브의 leak 점검- 2 일 이상 측정 중단시 튜브를 이완시킴

시 약 - 시약유무 확인

측정셀 - 측정셀 오염여부 , 필요시 세척

샘플공급 - 적정유량 유입여부 확인

시약보충 - 전해질용액 , 교정용액이 충분한지 점검- 교정용액은 일주일마다 교체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 측정기기 점검사항 – – COD COD 전기화학식전기화학식

Page 27: 유지운영관리

- 27 -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 측정기기 점검사항 – – SS/pHSS/pH

pH/SS 측정기기

1.방류수의 용존 공기 또는 온도차에

의한 기포발생 점검 및 제거

2.물의 흐름 , 막힘 등 이물질의 유입

이상여부 확인

3.센서의 오염도와 와이퍼 마모도는

가능한 일일점검으로 확인

4.센서는 측정기 특성에 맞는

깊이와 위치에 고정

Page 28: 유지운영관리

- 28 -

주요항목 착안 및 조치사항

정기점검 - 수시 , 일간 , 주간 , 월간 , 분기 , 연간 점검

측정창

- 헤드의 측정창을 깨끗이 유지- 창의 오염도와 와이퍼 마모도는 가능한한 자주 체크- 실링 이상여부 확인 및 필요시 교체- 광원 , 수광부 주위에 SS 성분이 쌓이거나 부착되지 않도록 점검 및 조치

주요항목 착안 및 조치사항

정기점검 - 수시 , 일간 , 주간 , 월간 , 분기 , 연간 점검

측정창

- 헤드의 측정창을 깨끗이 유지- 교정- 센서의 청소- 케이블 연결상태 확인

pH

SS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 측정기기 점검사항 – – SS/pHSS/pH

Page 29: 유지운영관리

- 29 -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 측정기기 점검사항 – – TN/TPTN/TP

TN/TP 측정기기

1.출력데이터의 적정성 여부 확인 및

Calibration Data 확인

2.수동 모드에서 Valve 및 Pump

정상작동 여부 확인

3.Flow cell, 전체튜브 및 라인의

오염상태 확인

4.UV-Lamp 점등상태 확인

Page 30: 유지운영관리

- 30 -

주요항목 착안 및 조치사항

정기점검 - 수시 , 일간 , 주간 , 월간 , 분기 , 연간 점검

채수점- 관로 막힘 , 누수 , 정상흐름 확인- 펌프의 막힘 , 누수 , 작동유무 확인- BY PASS 라인 작동 유무 , 수조누수 확인

시약부 - 시약 잔량 , 정상유입여부 확인- 경로의 누수 막힘 , 샘플튜브 막힘 , 누수 확인

계측기 내부

- 각 펌프의 작동 유무 확인- 튜브의 눌림 상태 , 커넥터부의 느슨함 확인- 측정셀의 용액량 변동확인- 온도 및 리액터 이상 유무 확인 및 내용물 교체- 센서신호 , 출력신호 이상 유무 확인- 각 솔밸브의 정상작동 여부 , 측정셀의 스틸러 작동 유무

배출부 - 드레인 솔밸브의 정상 작동 유무- 드레인 배관의 누수 ,막힘 , 드레인 정상흐름 여부

시스템

- 계측기기의 정상 순차 작동 여부- Standard 를 이용한 전극 감도 확인- 측정 데이터및 그래프 확인- 계측기기의 보정실시 ( 측정수 감도조정 )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 측정기기 점검사항 – – TN/TPTN/TP

Page 31: 유지운영관리

- 31 -

• 출력데이터의 적정성 여부 확인• Calibration data 확인• 수동모드에서 valve 및 pump 동작상태확인• 시약잔량 확인 , 희석수 잔량확인 및 보충 , 폐액통 확인• pump tube 의 pumping 상태확인 (sample, 희석수 등 )• 각 tubing 내 시약 , 시료 , 희석수의 흐름상태 확인• flow cell, 전체 tubing 및 line 의 오염상태 확인• UV-lamp 점등상태 확인• 누수 /누액 등의 기타 이상유무를 육안점검• 열연소산화법의 경우 캐리어 가스 압력 , 리액터 온도 확인

• calibraion data 의 적정여부확인• calibration 후 zero 와 span 의 Absorbance spectrum 형태 확인• Flowcell 및 반응 line 세척 (1N HCL 또는 3% H2O2 )• Digestion time(Pause) 시 heater 적 정 온 도(90℃) 유지 확인• Reference spectrum 의 높이 확인• 각 valve 및 pump 의 막힘여부 확인• pump tube 및 pump rotor 의 마모상태 확인• 시약교체• Sample 및 시약이송 라인 오염상태 확인

일 /주간점검사항 월간점검사항

<tube 점검>

<valve 점검>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 측정기기 점검사항 – – TN /TN / TPTP

Page 32: 유지운영관리

- 32 -

• Xenon lamp 청결상태 확인• 시약통 청결상태 확인• Sample line 및 시 약 이 송 line, connector 오염시 전량교체• 모든 pump tube 반드시 교체• Detector 감도점검• 자체 수동 Calibration 및 standard test 로 기기정도 유지

• UV 램프 밝기상태 확인 , 필요시 교체• Xenon lamp/LED 동작상태 확인 , 필요시 교체• pump motor 동작상태 및 pump rotor 의 마모상태 확인• Digester 누액 확인 및 내부세척• 솔레노이드 밸브 동작상태 및 마모상태 확인 , 필요시 교체• LCD monitor 및 key pad 점검• 인증기관 정밀 정도검사 실시

분기점검사항 연간점검사항

<UV lamp 정상>

<UV lamp 비정상>

3) 3) 측정기기 점검사항 측정기기 점검사항 – – TN /TN / TPTP

Page 33: 유지운영관리

- 33 -

측정오류 원인 조치측정기 전원을 공급하였으나

측정기가 작동하지 않는다 .

휴즈 점검 휴즈 교체

냉각기의 온도가 부적절하다 .

외부 온도가 적절하지 못하다 .냉각기의 휴즈가 탔다 .냉각기 고장이다 .

외부 온도가 5-35C 인지 확인휴즈 교체

서비스 요청

가열로의 온도가 부적절하다 .

가열로 휴즈가 탔다 .가열로 케이블이 손상됐다 .

가열로 고장이다 .

휴즈 교체케이블 점검서비스 요청

온도 제어와 온도 2 가 10C이상 다르다 .

온도 센서가 제 위치에 있지 않다 .

센서가 파손됐다 .서비스 요청

측정모드 메시지 :"Measurement range

 exceeded"측정값이 너무 높다 .

파라미터 설정에서 시료량을 변경한다 . 파라미터 설정 변경 후에는 켈리브레이션을 해야 한다 .

측정모드 메시지 :"Calibration failure"

표준용액이 지난번과 다르다 .켈리브레이션이 정확하지 않다 .

켈리브레이션을 다시 한다 .

측정값이 점점 내려간다 .시료 통이 더럽다 .

투입 시스템에 가스 거품이 있다 .가열로에 새는 곳이 있다 .

시료 통 세척투입 시스템 점검

가열로 점검심각한 고장 E8 이 표시된

다 .가열로의 긴급 소화

투입시스템 위치에서 오류 서비스요청 !

4) 4) 유지 관리 예유지 관리 예

Page 34: 유지운영관리

- 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