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6
주요국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및 그린에너지산업, 기술개발 전략 분석의 시사점 연구자료 10-01 2010. 6

d ¤ À Ñ < 2 ñ Â Ò = À Ñ ¸ · 주요국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및 그린에너지산업, 기술개발 전략 분석의 시사점 발 행 / 2010년 8월 5일 발행인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주요국 신재생에너지정책 동향 및 그린에너지산업,기술개발 전략 분석의 시사점

    연구자료 10-01

    주요국신재생에너지정책동향및그린에너지산업기술개발전략분석의시사점

    연구자료

    10|01

    2010. 6

    2010.

    6

    437-713 경기도 의왕시 내손순환로 132

    http://www.keei.re.kr

    에너지경제연구원

    주요국 신재생에너지 2010.8.11 6:12 PM 페이지1 매일3 MAC2PDF_IN 600DPI 175LPI T

  • 주요국 신재생에너지정책 동향 및 그린에너지산업,기술개발 전략 분석의 시사점

    2010. 6

    연구자료 10-01

    주요국 신재생에너지면지 2010.8.11 8:22 PM 페이지1 매일3 MAC2PDF_IN 300DPI 175LPI T

  • 주요국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및

    그린에너지산업, 기술개발 전략 분석의 시사점

    발 행 / 2010년 8월 5일

    발행인 / 김 진 우

    편집인 / 신재생에너지 연구실

    본지는 에너지경제연구원 녹색성장본부

    신재생에너지연구실에 의하여 작성된 것임.

    ���-��� 경기도 의왕시 내손동 665-1

    전 화 : 031-420-2232

    팩 스 : 031-420-2164

    http://www.keei.re.kr

    인 쇄 : 범 신 사(02-503-8737)

    ⓒ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 - i-

    목 차

    Ⅰ. 요약 및 시사점 ··························································································1

    1. 개요 ·········································································································1

    2. 시사점 ·····································································································5

    가. 문제점 ·······························································································5

    나. 신․재생에너지 수출확대를 위한 방안 ········································7

    다. 시사점 및 정책건의 ·······································································10

    Ⅱ. 주요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12

    1. 미국의 신재생에너지정책 ···································································12

    가. 주요 특징 및 방향 ·········································································12

    나. 재생에너지산업 육성정책 ·····························································13

    다. 新에너지 기술개발정책 ·································································16

    라. 미국의 주요 재생에너지 지원정책 ··············································17

    2. 영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18

    가. 추진배경 ··························································································18

    나. 정책 현황 ························································································18

    다. 재생에너지 생산 현황 및 향후 정책 목표 ·································19

    라. 기대 효과 및 비용 ·········································································22

    3. 일본 신재생에너지 정책 ·····································································23

    가. 재생에너지 관련 정책 및 목표 ····················································23

    나. 재생에너지 R&D 및 보급 관련 인센티브 ··································23

    다. 일본 재생에너지 현황 및 향후 정책 목표 ·································24

    4. 캐나다 재생에너지 정책 ·····································································25

    가. 재생에너지 정책 ············································································25

    나. 재생에너지 현황 ············································································26

    다. 재생에너지 연구개발 및 보급 지원제도 ·····································27

    5. 호주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31

    가. 신재생에너지정책 목표 ·····························································31

    나. 주요 정책별 추진현황 ···································································31

  • - ii-

    6. 덴마크 신재생에너지 정책 ·································································34

    가. 덴마크의 에너지 정책 목표 ·························································34

    나. 덴마크의 재생에너지 정책 목표 ··················································35

    다. 덴마크의 신재생에너지 현황 ························································36

    라.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주요 인센티브 ·····································40

    마. 덴마크 에너지 정책 기반 ·····························································43

    Ⅲ. 중국의 그린에너지 산업현황 및 기술과 개발전략 ··························46

    1. 중국의 그린에너지(신재생에너지) 산업현황 ····································46

    2. 중국의 신재생에너지산업 정책 ·························································52

    가. 개요 ·······························································································52

    나. 중국의 신재생에너지산업 정책 최근동향 ···································54

    3. 중국의 그린테크놀로지 기술개발 현황 ············································56

    가. 에너지공급부문 ··············································································56

    나. 에너지/자원 이용 ········································································58

    다. 범용기술 ························································································59

    4. 중국의 그린테크놀로지 산업육성 방안 ············································62

    가. 중국과학원의 에너지과학기술 로드맵 ········································63

    나. 중국의 신재생에너지 중장기 기술 발전 계획세부내역 ············65

    5. 중국의 그린에너지기술 국제협력 현황 및 전략 ·····························78

    가. 중-일 에너지-환경 협력 ································································79

    나. 중-러 에너지-환경 협력 ································································80

    다. 중-미 에너지-환경 협력 ································································81

    라. 중-EU 에너지-환경 협력 ·······························································82

    6.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84

    Ⅳ. 일본의 그린에너지산업 현황 및 기술과 개발 전략 ························89

    1. 개요 ·······································································································89

    2. 그린에너지산업 육성 방향 ·································································91

    가. Cool Earth-Innovative Energy Technology Program의

    그린테크놀로지 선정기준 ·····························································91

  • - iii-

    나. 21개의 우선개발 혁신적 에너지기술 ··········································92

    3. 일본의 그린 에너지기술별 산업현황과 로드맵 ·······························94

    가. 발전 및 송전부문 ···········································································94

    나. 운송부문 ························································································105

    다. 산업 ·······························································································112

    라. 상업 및 주거 ················································································115

    마. 범용기술 ························································································124

    바. 혁신적 에너지기술 개발 활성화를 위한 국제협력 ··················129

    Ⅴ. 우리나라 그린에너지산업 육성, 기술개발 전략 ·····························135

    1. 우리나라 그린에너지산업 및 기술 현황 ········································135

    2. 우리나라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 ················································137

    가. 성장동력화가 필요한 9대 분야를 선정하여 중점 육성할 계획 ···137

    나. 시장지향형 기술개발로 글로벌 기술력을 확보 ·······················138

    다. 시장창출을 통한 산업화를 추진해 나갈 계획 ·························140

    라. 인프라 구축을 통한 성장동력화를 지원할 계획 ·····················142

    3. 9대 그린에너지 기술 기술개발 및 시장창출 방안 ·······················145

  • - iv-

    표 목 차

    그린에너지 산업 개념 1

    경기부양법(2009.2.17)에서 에너지 관련산업 지원계획 13

    2009 경기부양법의 재생에너지 지원계획 13

    2009 경기부양법의 에너지 기술개발 지원계획 14

    캐나다 주요정책 시행 일지 25

    연방정부의 경기부양조치 26

    관련 에너지원별 시장규모 (캐나다 백만 달러) 27

    사업별 예산 지원동향 28

    캐나다 주별 신재생에너지 장려제도 30

    덴마크 에너지 정책별 주요 목표 34

    덴마크 재생에너지별 전력 생산량 37

    터빈종류별 보조금지원 내역 41

    재생에너지원별 2012년까지 비중 증가 목표 할당 43

    에너지 정책별 주요 목표 43

    에너지 협정별 주요 내용 45

    중국의 신재생에너지 설비 목표 55

    중국의 신재생에너지 지원정책 56

    중국의 그린테크놀로지 기술개발현황 59

    중국 재생가능에너지 산업발전 지도목록 66

    일본의 단․중기적 대책(2030년 까지) 93

    일본의 중․장기적 대책(2030년 이후) 94

    우리나라 그린에너지 산업의 국제 경쟁력(´07) 136

    9대 중점기술 분야 137

    기술개발 목표 및 주요 핵심기술 예시 139

    시장창출방안 예시 140

  • - v-

    주요 조력발전 추진 프로젝트 141

    주요 정책개선 과제 예시 143

    태양광 전략기술개발 내용 145

    풍력 전략기술개발 내용 146

    수소연료전지 전략기술개발 내용 147

    청정연료 전략기술개발 내용 148

    IGCC 전략기술개발 내용 149

    CCS 전략기술개발 내용 150

    에너지저장 전략기술개발 내용 151

    LED 전략기술개발 내용 152

    전력 IT 전략기술개발 내용 153

  • - vi-

    그 림 목 차

    [그림 Ⅰ-1] 선진국의 시장점유율 2

    [그림 Ⅰ-2]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 매출현황 및 전망 3

    [그림 Ⅰ-3] 신․재생에너지 R&D 예산 6

    [그림 Ⅱ-1] 영국의 현재와 2020년 신재생에너지발전량 20

    [그림 Ⅱ-2] 영국의 현재와 2020년 발전량 믹스 20

    [그림 Ⅱ-3] 영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실적 21

    [그림 Ⅱ-4] 2020년 영국의 관련기술 시나리오 22

    [그림 Ⅱ-5] 덴마크 신재생에너지보급실적 36

    [그림 Ⅱ-6] 신재생에너지 점유비율 38

    [그림 Ⅲ-1] 주요 기업의 가스터빈시장 점유율 47

    [그림 Ⅲ-2] 국가별 태양전지생산 설비용량 변화와 주요 중국기업 49

    [그림 Ⅲ-3] 주요 국가의 에너지 집약도 53

    [그림 Ⅳ-1] 기술부문별 온실가스배출감축 기여도 90

    [그림 Ⅳ-2] 탄소배출감축 시나리오와 기술분야별 기여 예상 91

    [그림 Ⅳ-3] Cool Earth-Innovative Energy Technology Program의 21개

    우선육성기술분야 93

    [그림 Ⅳ-4] 일본의 고효율 가스터빈 기술개발 로드맵 95

    [그림 Ⅳ-5] 일본 주요 기업의 가스터빈시장 점유율 98

    [그림 Ⅳ-6] 일본의 고효율 석탄화력발전 기술개발 로드맵 99

    [그림 Ⅳ-7] 일본의 CCS 기술개발 로드맵 100

    [그림 Ⅳ-8] 일본의 CCS 기술개발 로드맵 103

    [그림 Ⅳ-9] 일본의 고효율 초전도 송전기술개발 로드맵 105

    [그림 Ⅳ-10] 일본의 지능형 운송시스템 기술개발 로드랩 106

    [그림 Ⅳ-11] 일본의 연료전지차량 기술개발 로드맵 108

    [그림 Ⅳ-12] 일본의 Plug-in 하이브리드/전기차 기술개발 로드맵 109

    [그림 Ⅳ-13] 일본의 운송용 바이오연료 기술개발 로드맵 111

  • - vii-

    [그림 Ⅳ-14] 혁신적 물질, 생산 및 공정기술 기술개발 로드맵 113

    [그림 Ⅳ-15] 일본의 혁신적 제강기술 기술개발 로드맵 114

    [그림 Ⅳ-16] 고효율 주택 및 건물 기술개발 로드맵 116

    [그림 Ⅳ-17] 일본의 차세대 고효율조명 기술개발 로드맵 117

    [그림 Ⅳ-18] 일본의 고정형 연료전지 기술개발 로드맵 119

    [그림 Ⅳ-19] 일본의 초고효율 히트펌프 기술개발 로드맵 121

    [그림 Ⅳ-20] 일본의 고효율 정보기기 및 시스템 기술개발 로드맵 123

    [그림 Ⅳ-21] 일본의 HEMS/BEMS/Local-level EMS 기술개발 로드맵 124

    [그림 Ⅳ-22] 일본의 고성능 전력저장 기술개발 로드맵 125

    [그림 Ⅳ-23] 일본의 전력전자공학 기술개발 로드맵 127

    [그림 Ⅳ-24] 수소의 생산, 운송 및 저장 기술개발 로드맵 129

    [그림 Ⅳ-25] 각국 정부부문의 에너지 연구개발투자 현황(2005) 130

    [그림 Ⅴ-1] 9대 중점 기술 수준 목표 138

    [그림 Ⅴ-2] 그린에너지 산업 시장 현황 144

  • - 1-

    Ⅰ. 요약 및 시사점

    1. 개요

    ○ 그린 에너지산업의 개념은, 온실가스를 획기적으로 감축하는 혁신

    적 에너지기술에 기반한 산업으로 신재생에너지, 화석연료 청정

    화, 효율향상 분야로 나눌 수 있음

    그린에너지 산업 개념

    구 분 주요기술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풍력, 수소연료전지, IGCC(석탄가스화 복합발전)

    화석연료청정화 CTL(석탄액화) 및 GTL(가스액화), CCS(CO2 포집, 저장)

    효율향상 LED, 전력IT, 에너지저장, 소형열병합, 히트펌프, 초전도

    ○ 전세계적으로 이미 그린에너지산업은 경제성이 확보되면 타 산업

    이 그린화되고1) 그 효과가 사회문화적 변화로 이어지는 폭포효과

    (Cascade effect)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하여 오래 전부터 선진국들

    은 적극적 육성책을 마련 지속적인 지원과 투자를 해왔음.2) 美 캠

    브리지 에너지연구소(CERA)는 이러한 그린에너지산업은 앞으로

    세계적으로 거대 성장동력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 지열, CCS,

    태양광 등 8개 그린에너지 분야의 2030년 투자규모를 7조불로 예

    측하고 있고 美 전문조사기관 Clean Edge사는 그린에너지 시장이

    향후 10년간 연평균 15.1% 고성장 할 것으로 전망하는 등 - 그린

    에너지는 IT혁명기에 비견될 만큼(2000년대초 성장률, 17%) 폭발

    적으로 성장을 예측하고 있음. 따라서 일본, 미국, EU 등 선진국

    은 주요 그린에너지 시장의 대부분(60~80%) 점유하고 있는 상황임.

    1) 타 산업의 그린화(Green Transformation): 그린에너지 기술을 활용하여 ① 제품의 부가

    가치 제고(예 : Hybrid Car) ② 제조공정의 환경 친화 ③ 에너지 저소비 산업으로의

    산업구조 전환 촉진 등

    2) 미국은 ‘06년부터 기후변화 기술 프로그램(CCTP)을, EU는 작년부터 전략적 에너지 기

    술계획(SET Plan, '07)을, 일본은 올해부터 혁신적 에너지기술 프로그램(Cool Earth,

    '08)을 추진중에 있음.

  • - 2-

    [그림 Ⅰ-1] 선진국의 시장점유율

    ○ 이에 반해 국내 산업수준은 태양광, 풍력, LED, CCS 등 9대 중점

    그린에너지기술 분야에서 ‘09년 현재, 매출액은 40억불 정도(GDP

    의 0.2%, 세계시장 점유율 1.4%), 수출 20억불, 고용도 확실하게

    파악되지 못하고, 선진국대비 기술수준도 50~85%에 머무르고 있으

    며, 수입의존도는 매우 높은(태양광 75%, 풍력 99.6%) 태동단계임.

    ○ 그러나 우리나라는 반도체, LCD, IT, 기계 등 세계최고 수준의 우

    리의 산업기반을 활용할 수 있고 세계 10대 에너지 소비국으로서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한 시장수요가 막대하기 때문에 신기술의

    시장창출도 용이하다는 점에서 성장잠재력이 크다고 할 수 있음.

    - 매출액 및 수출액 증가추세 지속

    ․신․재생에너지 산업 총매출액은 ’09년 4조 275억원으로 ‘08

    년 대비 29% 증가, '10년은 전년대비 100% 증가 전망(지식경

    제부 보도자료, 150개 기업 전수조사 (디스플레이뱅크, 2010)

    - 태양광 : (‘08) 1조 5,486억원 53% (’09) 2조 3,765억원→ 126% (‘10전망) 5조 3,736억원→

    - 풍 력 : (‘08) 1조 2,444억원-17%

    (’09) 1조 340억원→ 76% (‘10전망) 1조 8,210억원→

    ․‘09년 총매출액 중 태양광 및 풍력이 85%를 차지

  • - 3-

    [그림 Ⅰ-2]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 매출현황 및 전망

    - 수출액은 ‘09년 20.4억불로 금융위기로 인해 ‘08년(18.5억불) 대비

    10.3% 증가에 그침

    ․’10년 수출액은 전년대비 90.2% 증가된 46.2억불에 달할 전망

    ․‘09년 총수출액 중 태양광 및 풍력이 99.6%로 대부분을 차지

    -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생산설비 확충 및 기술력 제고 노력

    ․태양광 분야는 ‘08년 이후 대기업 참여로 실리콘 태양전지 생

    산능력 증가하고 있고 ’07년까지 수입에 의존, 최근 국내 기업

    들의 생산능력 확충하는 추세임

    ※ 국내기업의 세계 태양전지 생산능력 비중: ’08년 1.6% →

    ’12년 10.3% 전망(산은경제연구소, 2009)

    ․기초 핵심소재(폴리실리콘)부터 모듈생산 및 최종 시스템사업

    (시공, 발전사업)까지 일괄생산체제 구축 진행 중

    ․’08년 차세대 박막형 태양전지 양산 성공, 수출 타진: 한국철강:

    ‘08년 a-Si 박막태양전지 모듈 양산성공, ‘09년 유럽인증 획득

    - 풍력은 단조부품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였으며 최근 기어박스, 발

    전기 등으로 수출품목 다변화 및 고부가가치화 추진 중

    ․타워, 메인샤프트, 타워플랜지 등 단조 부품 수출 경쟁력 확보

    ※ 동국S&C: ‘08년 풍력타워 세계시장 점유율 6.7% (미국시장

    점유율 14%, 일본시장 점유율 91%)

    15,48623,765

    53,736

  • - 4-

    ※ 평산: 타워플랜지 시장점유율 30% 육박, 세계 1위

    ․‘09년부터 기어박스 등 주요 부품과 발전기 수출 실적 확보

    ※ 삼성중공업: ‘09년 2.5MW급 풍력발전기 수출 (미국)

    ※ 효성중공업: ’10년 1.65MW급 기어박스 공급계약 체결

    (인도)

    ․조선․중공업사가 해외기업 M&A 및 설비투자확대를 통해 시

    장진출

    ※ STX중공업: 네덜란드 풍력업체 인수

    ※ 대우조선해양: 미국 풍력업체 인수

    - 연료전지는 고정형의 경우 기술 국산화 추진 중, 수송용은 실증

    단계

    ․고정형: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제조공장 건설 및 국산화 추진 중

    ※ 포스코파워: ‘08년 주변장치(Balance of Plant; BOP) 공장

    가동, ’10년 100MW급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제조공장

    착공

    ․수송용: 실증사업을 통한 성능개선 진행 중

    ○ 이명박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밝힌 녹색성장의 첫번째 세부실

    천계획으로서, 발표한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의 의미는 에너

    지 분야 정부 R&D 지원이 시작된 1988년 이래 최초로 신재생,

    효율, 전력, 온실가스처리 분야를 아우르는 산업화 전략이므로 본

    고서는 이러한 맥락을 감안하여 향후 우리나라가 선진국와 경쟁

    대열에서 그린에너지 산업을 성장동력화하고 수출 산업화하는 새

    로운 전기를 마련하는데 주요국의 신재생에너지정책 동향 및 그

    린에너지산업 육성, 기술개발 전략 움직임을 파악, 정책자료로 제

    공, 활용하고자 하는데 두었음.

  • - 5-

    2. 시사점

    가. 문제점

    1) 기술 및 가격경쟁력이 취약하고 산업 기반 형성이 미흡

    ○ 효율, 품질 등 기술경쟁력에서 유럽, 일본, 미국에 열위이며 가격

    경쟁력에 있어서는 중국에 미치지 못함.

    - 지속적 R&D 지원을 통해 핵심분야 기술수준이 제고되고 있으나,

    선진국대비 기술수준과 국산화율은 각각 73.8%, 72.7% 수준 (‘08년)

    ․태양광 85%(박막태양전지 66%), 풍력 80%, 연료전지 70%

    - 중국 Suntech사는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09년 태양전지 세계

    시장의 12% (세계 2위), 우리나라 태양전지 시장의 53% 점유

    ○ 소수 선도기업의 세계시장 독점으로 시장진입에 어려움

    - 태양광: 미국, 중국, 독일의 TOP 7 업체가 태양전지 시장의 74%

    장악. 과점화 심화

    - 풍력: 유럽, 미국, 중국, 인도의 TOP 10 업체가 풍력발전기 시장

    의 82% 장악. 기술 및 신뢰성 압도

    - 규모가 큰 선도국 시장은 자국기업이 석권, 후발국 진입이 어려움

    ․풍력: 미국-GE Wind, 독일-Enercon, 스페인-Gamesa, 중국-GoldWind

    ○ 부가가치가 높은 핵심분야의 국산화가 여전히 미흡

    - 태양광: 부가가치가 높은 상류부문보다 모듈 및 시공 등 하류부

    문 진출 과다로 국내업체간 경쟁 심화, 수익성 악화 발생

    - 풍력: 블레이드, 발전기, 기어박스 등 핵심부품보다는 단조부품

    편중

    ․‘09년 총 수출액 중 단조부품 비중 90% 이상

    ○ 관련기업의 약 63%가 국내시장을 초기단계나 미형성 단계로 인식

    하고 있으며 정부지원에 의존적 성향을 보임 (수출입은행, 2009)

    ○ 공동 R&D, 해외시장 동반개척 등 수출산업화 및 해외진출을 위

    한 기업간 연계부족

  • - 6-

    2) R&D 지원체계 및 국제표준화 미흡

    ○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R&D 전략 수립 및 추진 부족

    - 단기간에 R&D 지원이 급증함에 따라 집행에 치중, 체계적 지원

    전략 추진 및 사후관리 부족

    - R&D 사업과 전문인력양성과의 연계성이 부족하여 R&D 사업성

    과가 축적/파급되지 못함

    [그림 Ⅰ-3] 신․재생에너지 R&D 예산

    ○ 국제표준화 관련 활동이 부족하여 선진국의 기술규격 및 산업구

    조 추종 경향

    - 일본은 연료전지, 덴마크는 풍력, 캐나다는 수소분야 표준주도,

    미국은 전분야에 고른 활동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분야 44개 국제표준화 작업반 중 미국

    8개, 일본 8개, 캐나다 6개, 유럽 20개 수임

    - 우리나라는 ‘04년부터 신․재생에너지 국제표준화에 대응하고 있으

    나 관련기관 및 기업의 인식부족으로 지원체제 및 전문인력 부족

    - 현재 신․재생에너지 관련 국제표준(ISO, IEC)은 130여건으로 이

    중 국내 제안 국제표준은 없음

    ․현재 총 5건 제안 상태: 태양광 2건, 풍력 2건, 연료전지 1건

  • - 7-

    ○ 기업의 원활한 해외진출을 위한 정보 부족, 금융・세제지원 미흡

    - 해외시장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해 마케팅․인증획득 등에 애

    로사항 발생

    - 분야별/지역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해외진출 전략 미비

    - 수출 및 해외진출 확대와 함께 금융, 세제지원 요구 증가에 따른

    지원방안 미비

    ․주요 선진국의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대규모 금융 및

    세제지원정책 추진으로 비교우위 확보에 어려움

    나. 신․재생에너지 수출확대를 위한 방안

    1) 특화분야별 선도기업 육성전략 추진

    ○ 독과점이 심한 세계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특화분야에 대한 역량

    집중 필요

    - 국내산업 잠재력 및 국제 기술 트렌드 분석을 통해 산업별 특화

    분야 선정

    - 특화분야별로 선도기업을 육성하고 선도기업을 중심으로 해외진

    출 역량 집중 및 규모의 경제성 확보를 통해 국제경쟁력 강화

    ○ 태양광: 차세대 핵심 태양전지 중점 육성

    - 삼성, LG 등 주요 대기업의 신성장동력 확보전략과 정부의 수출

    산업화 전략의 연계성 강화

    - 반도체 및 IT 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태양전지 분야 R&D 지원

    강화, 민관합동 차세대 태양광 패널 개발 추진

    - 고효율화 기술개발과 동시에 저비용화 기술개발 지원 확대

    ○ 풍력: 전력사 참여 및 M&A 활용, 해상풍력 선도기업 육성

    - 전력회사 투자모델: 전력사 및 공기업의 풍력회사 지분투자를 통

    해 국산 풍력발전기 보급 확대, track-record 확보

    ․스페인: 전력회사 Iberdrola가 자국 풍력회사 Gamesa에 지분

    투자, 자국 풍력 프로젝트에 Gamesa 제품을 적극 보급하여

    국내 시장에서 track record 확보, 해외시장 진출

  • - 8-

    - M&A 모델: M&A 규제완화 및 지원체제 구축으로 기업간 M&A

    를 통한 기술역량과 시장점유율 제고 추진

    ․미국: ‘01년 미국의 GE Wind가 자국 Enron Wind를 인수하

    여 세계 2위로 도약

    ․풍력의 경우 M&A가 기업 성장의 주요 도구로 활용됨. ‘96년

    이후 15개 기업이 M&A되어 8개 기업으로 통합

    2) 신․재생에너지 R&D 지원방식 개선

    ○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장기적 관점의 수출역량 축적을 위한 고용

    친화적 R&D 사업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 민간에 R&D 자금 지원시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의무화

    - 전문인력양성 결과를 R&D 성과평가에 적극 반영

    ○ 중소기업의 혁신적 기술과 대기업의 기술 및 산업인프라를 연계

    하기 위한 대기업-중소기업간 R&D 네트워킹 강화 유도

    - 중소기업 중심의 산·학·연 공동협력형 R&D 강화

    ․출연연 및 대학의 인력과 장비 등을 이용한 중소기업 공동

    R&D 지원 등

    -선도기업 중심의 시스템업체-부품소재업체, 대기업-중소기업간

    공동 R&D 지원비중 확대

    ○ 국내 기술개발 수준 및 국제적 트렌드에 연동한 선택과 집중의

    R&D 전략 수립/추진

    - 특화분야에 대한 차별화된 프로젝트 설계 및 지원

    - 중간평가를 통해 성과가 부족하거나 기술 및 시장의 변화로 계속

    수행할 필요성 낮아진 프로젝트 축소/탈락, 신규 프로젝트 발굴

    ○ 해외 선진 기술 도입을 위한 국제공동 R&D 지원 강화

    - 신․재생에너지 분야 국제공동 R&D 예산 확대

    - 국내에 R&D 센터를 구축하는 외국기업에 대해 국제공동 R&D

    선정 시 가점 부여 등 지원확대

    - 중소기업을 위한 국제공동 R&D 컨설팅 및 파트너 확보 지원 프

    로그램 추진

  • - 9-

    3) 국제표준화 역량 강화

    ○ 국제표준화 대응을 위한 국제수준의 표준화 시스템 운영 및 국제

    협력 강화

    - 분야별 국제표준화 대응전략 수립

    - 국제표준화 대응을 위한 전문인력 확충 및 민간참여 유도

    ․일본: 국가적 표준화 조직개편, 국제표준화 인재양성 인프라

    구축

    - 중국, 일본, 미국과의 표준 및 기술교류 등 협력강화를 통해 경

    쟁력을 갖춘 기술분야를 중심으로 한 국제표준화 선도

    ․현재 one country, one vote 국제표준 시스템에서의 유럽세에

    대항

    ○ 국내표준화 역량제고를 위해 R&D 사업추진 시 표준화 연계 강화

    - 국가 R&D사업 추진시 전주기적 표준화 연계를 강화하여 투자효

    율성 및 기술개발 결과의 실용성 촉진

    - 국내특허를 국제표준화하는 표준특허 창출을 위한 R&D-특허-표

    준의 전략적 동반 활동 강화

    ○ 설비인증 시스템 개선

    - 국내 제조업체의 기술 수준, 국내 시험기관의 시험 수준 등을 감

    안하여 점진적으로 국제상호 인증 확대

    - 신․재생에너지 원별 전문성을 갖춘 인증기관 및 전문가 확보

    등 인증역량 강화

    4) 해외진출 지원체제 구축

    ○ 중소/벤처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마케팅 지원 및 정보체제 강화

    - 지자체별 특화분야에 대한 국제전시회 및 기술공모전 선별 지원

    - 해외 전시회 및 기술공모전 참가 프로그램, 컨설팅 확대

    ○ 해외진출 투자재원 확보를 위한 금융 및 세제지원 확대

    - 수출입은행 및 수출보험공사 수출금융지원규모 확대, 세금지원

    강화

  • - 10-

    ․수출보험, 환변동보험, 신뢰성보험 등의 적용을 우대하여 해외

    사업 진출 관련 리스크 경감

    -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을 활용한 M&A 지원 및 금융

    컨설팅 강화

    - 협조융자, 펀드, 벤처캐피탈 등에 민간자본 유입을 위한 제도 마련

    다. 시사점 및 정책건의

    1) 기존의 녹색성장 산업 협의체의 활동을 강화하여 특화분야별 수출

    확대 전략 제시

    ○ 특화분야별로 정부 관련부처와 선도기업을 중심으로 신․재생에

    너지 수출산업화 WG(Working Group) 구성

    - 주무부처인 지경부를 중심으로 관련부처가 유기적으로 협력

    - 기업체 규모 및 분야의 다양성을 확보한 WG 구성

    ○ 특화분야별로 기업친화적 수출산업화 전략 수립

    - 국내 산업역량 및 파급효과, 세계시장 전망을 바탕으로 수출산업

    화 전략 수립

    - 시스템업체-부품소재업체, 대기업-중소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비

    즈니스모델 마련

    - M&A 등을 통한 대형화 및 Spin-off 지원 전략 수립

    2)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R&D 투자, 금융 및 세제지원 확대

    ○ 신․재생에너지 R&D 지원을 고용촉진, 대기업-중소기업간 네트워

    크 활성화, 국제 공동 R&D 지원 등으로 개선 확대

    ○ 국책은행의 해외 M&A지원 및 금융컨설팅을 강화하고 수출관련

    금융상품에 대한 금융 및 조세지원방안 마련

    3) 신․재생에너지 국제표준화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 실시

    ○ 산업화가 진행될수록 민간기업체의 국제표준화 활동 전문가 양성

    과 배출이 절실

  • - 11-

    ○ 신․재생에너지 분야별로 국제표준화 전문인력 양성 교육컨텐츠,

    기업참여 프로그램 개발

    4) 아시아-태평양 신․재생에너지 국제표준화 협력체 창설 제안

    ○ 지역블록화를 통한 신․재생에너지 분야 국제표준화 공동 대응

    - 국제표준화기구(ISO, IEC 등)의 정부대표기구 참가, 기업․연구

    소․대학 등 민간주도 운영

    - 국제표준화 이슈에 대한 정보교환 및 발굴, 국제표준 공동제안

    - 유럽과 북미 중심의 국제표준화 추세에 대응

    ○ 국제표준화 회의 유치 및 국제표준개발 공동연구 추진

    5) 신․재생에너지 해외시장 조사역량 강화

    ○ KOTRA 등 전문성을 갖춘 정부기구를 활용하여 해외시장 및 기

    술동향, 각종 전시회 등에 대한 정보 제공

    ○ 기업체를 대상으로 한 수요 조사를 지속하여 유기적이고 시의성

    있는 정보 제공

  • - 12-

    Ⅱ. 주요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1. 미국의 신재생에너지정책

    가. 주요 특징 및 방향

    ○ 미국의 최근 신재생에너지정책은 두 가지 의미의 큰 특징을 보여

    주고 있음. 하나는 에너지정책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주요 정책

    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임.

    ○ 지난 1930년대 이후 사상 최악의 경기침체로 실업률이 8%를 넘어

    서면서 오바마 행정부는 새로운 에너지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위기극복에 대한 노력을 하고 있음. 또 새로운 에너지자원

    에 투자로 지역경제 회복 및 21세기형 일자리 창출에 집중하고

    있음.

    ○ 사례로는 펜실베니아 풍력발전기, 네바다 태양에너지 열판, 미시

    간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제조 등 신산업이 출현했음. 또

    경기부양법(ARRA)을 통해 에너지 관련산업에 총 589억불을 집중

    투자할 계획을 밝히는 등 의욕적으로 출발하고 있음. 다른 하나는

    대외의존도를 줄여 ‘에너지 독립’을 실현하겠다는 전략적 인식임.

    - 미국은 자원대국임에도 불구하고 원유의 58%를 수입에 의존하

    고 있어 항상 고유가나 위기상황에 취약성을 노출하고 있음.

    - 미국은 원유 및 가스 생산 감소, 중동석유 의존도 심화 등 에너

    지 공급 부족국가로 변화하고 있다. 미국 인구는 전 세계 인구의

    4.6%이지만 석유 등 전세계 에너지의 25%를 소비함.

    - 석유, 석탄 등 화석에너지에 대한 의존을 최소화하고 재생에너지

    위주로 전체 에너지구조를 개편하고 있다. 2007년 기준으로 전체

    에너지비중은 석유(40%), 석탄(24%), 천연가스(23%), 원자력(8%),

    재생에너지(7%) 순임.

  • - 13-

    구분 지원 프로그램 (억불) 비고

    보조

    재생에너지 기술 및 현대화된 배전기술에 대해

    대출보증(Innovation Technology Loan Guarantee

    Program)

    60600억불 이상 지원

    가능 전망

    감세

    재생에너지 생산세액공제 기간

    (PTC: Production Tax Credit)

    3년 연장(‘12.12.31까지)

    131.43

    생산세액공제(PTC)대상 재생에너지 시설 중

    ‘09년이나 ’10년에 설치된 것은 30% 투자세액2.85

    풍력발전업체가

    10년에 걸쳐 세액

    경기부양법(2009.2.17)에서 에너지 관련산업 지원계획

    계 재생에너지 전기자동차 에너지효율향상 기술개발

    589억불 209억불 51억불 247억불 82억불

    나. 재생에너지산업 육성정책

    1) 목표

    ○ 청정에너지(Clean Energy)에 향후 10년간 1,500억불을 투자하여

    500만개의 그린칼라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단기적으로 향후

    3년간 청정에너지 투자를 통해 46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

    획임. 또 2012년까지 전력의 10%를 재생에너지로 공급하고 2025

    년까지 25%를 공급할 목표를 가지고 있음.

    2) 정부의 지원자금 규모

    ○ 경기부양법에서 재생에너지산업 육성에 209억불을 투입하되 직접적

    보조(60억불) 보다 감세(10년간 149억불) 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재생에너지 생산세액공제 기간 연장(3년) 및 투자세액 공제를 지

    원하고 있으며 청정에너지채권(CREBs ; Clean Renewable Energy

    Bonds)을 발행(16억불)하고 비영리기관의 파이낸싱을 지원하고 있음.

    2009 경기부양법의 재생에너지 지원계획

  • - 14-

    구분 지원 프로그램 (억불) 비고

    공제(ITC; Investment Tax Credit)로 대체 가능

    공제 대신 즉시

    세액공제가 가능

    한 ITC를 사용토

    록 허용

    연방정부 지원 시설에 대해서도 온전한 ITC

    허용(이전에는제한적), 소형 풍력 생산업체에

    도 온전하게 30%의 새액 공제 적용

    6.04

    소형 풍력 생산업

    체에는 KW당500

    달러로 상한선을

    설정해왔음

    재생에너지 프로젝트가 임시적으로 PTC나

    ITC 대신 전체 프로젝트 비용의 30%에서 교

    부금(Grant)을 청구할 수 있도록 허용(‘09년

    이나 ’10년 건설이 시작된 프로젝트에 한정)

    -

    최근 금융기관 수

    익성 악화로 금융

    기관에서 세금공제

    를 위해 신청해온

    PTC나 ITC감소

    청정재생에너지 채권 발급에 16억불을 배정하

    여 비영리기관 등에서 소유/운영하는 재생에

    너지 시설 건설 파이낸싱 지원

    5.78

    비영리 기관은

    PTC나 ITC

    클레임 불가

    주거용 풍력, 지열, 태양열 자산에 대한 공제

    상한선을 철폐2.68

    계 209

    2009 경기부양법의 에너지 기술개발 지원계획

    구분 지원 프로그램 (억불) 비고

    보조

    바이오메스, 지열 등 재생에너지를 비롯,

    응용 R&D, 데모 및 배치 활동 지원25

    국책연구소를 포함한 에너지부

    과학국(Office of Science) 재원 공급20

    실험실 투자(16억불),

    ARPA-E(4억불)

    화석연료 R&D 프로그램 34

    국방부 대상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성 증가 R&D, 테스트 및 평가3

    계 82

  • - 15-

    3) 재생연료의무할당제 (Renewable Fuel Standard) 지속 확대

    ○ 재생에너지산업, 특히 바이오연료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재생연료

    의무할당제(RFS: Renewable Fuel Standard) 도입을 법제화했음.

    2005 에너지정책법에서 처음 도입해 2006년 40억 갤런, 2009년 61

    억 갤런, 2012년 75억 갤런을 생산하도록 하고 있음. 2009 에너지

    독립안보법에서 2022년까지 360억 갤런 생산을 의무화했고 에너

    지부는 2022년 300억 갤런, 2030년 400억 갤런을 생산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바이오에탄올 뿐만아니라 바이오디젤, 에탄올 등의 생산량도 증가

    할 전망임. 2015년 신규차량의 50% 이상은 58% 에탄올 또는 BD

    사용을 의무화하고 향후 대체연료할당제(AFS: Alternative Fuel

    Standard)로 확대 개편하여 바이오디젤, 에탄올, 수소 등 까지 확

    대 적용할 움직임을 보임.

    4) 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 설정

    ○ 2007년 에너지독립안보법 제정시 미 의회에서 RPS 15% 의무화를

    추진했으나 석유업계 반발로 삭제됐음. 오바마 정부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2012년 까지 전력의 10%, 2025년 까지 25%를 재

    생에너지로 공급하겠다고 약속하고 연방차원에서는 도입을 검토

    중이나 현재 26개 주정부, 워싱턴DC등 지자체에서 이미 시행중임.

    ○ 각 주마다 2009~2025년까지 전체 발전량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

    하는 의무적 목표치와 연도를 설정하고 목표치는 현재 전체 발전

    수급상황과 재생에너지산업 발전 수준 등을 고려하여 각 주의회

    에서 심의하여 설정한다. 미주리, 유타, 버몬트, 버지니아 4개주는

    자발적 목표치와 연도를 정하여 유연하게 동 제도를 시행중임. 재

    생에너지인증(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제도를 통해

    달성여부를 검증하고 있는데 26개주 평균 목표달성율은 94%로 높

    은 편임.

  • - 16-

    다. 新에너지 기술개발정책

    1) 목표

    ○ 바이오에너지 등 화석연료를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산업의 육성임.

    에너지부는 에탄올 생산기술개발(Biorefinery Initiative)을 통해 농

    업폐기물 및 식물원료로부터 에탄올(Cellulosic Ethanol)의 추출기

    술을 2012년까지 실용화시키는 것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있음. 이

    를 위해 미래의 에너지기술개발을 위해 과학 및 기초연구에 투자

    확대하고 청정석탄(Clean Coal) 기술개발 및 보급에도 노력하고

    있음.

    2) 정부의 지원자금 규모

    ○ 경기부양법에서는 에너지 기술개발에 82억불을 투자할 계획이지

    만 차세대 에너지를 위해 바이오매스, 지열 등의 기술개발에 25억

    불을 투자하고자 함. 세부적으로 바이오메스 8억불, 지열 4억불,

    정보 통신 효율성 제고에 5천만불을 투입함. 에너지부 산하 국립

    연구소 등 실험실 개보수에도 16억불을 투자할 계획임.

    ○ 국방부 DARPA를 벤치마킹한 ARPA-E(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Energy) 프로젝트를 통해 민간이 부담하기에는 위험성이

    큰 새로운 첨단에너지기술 개발 지원에 4억불을 투자함.

    ○ 또 미국이 가장 풍부하게 보유한 석탄을 활용하기 위한 화석연료

    R&D 프로그램에도 34억불을 투자함. 화석연료(10억불), 청정석탄

    이니셔터브(8억불), 탄소 포집 및 저장 효율성 제고 프로젝트(15.2

    억불), 지질상 탄소 격리(7천만불) 등임.

    ○ 그러나 차세대 무공해 발전소 건설을 위해 추진되어 온 FutureGen

    프로젝트에 대한 언급이 없어 지속 추진여부는 불투명한 상태이

    지만 탄소포집 및 저장(CCS), 복합석탄가스화발전소(IGCC) 관련

    기술 투자는 지속될 전망임.

  • - 17-

    라. 미국의 주요 재생에너지 지원정책

    1)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의무구매제도(Feed-in-tariff)

    ○ 1978년 공익산업규제정책법(Public Utility Regulatory Policies)은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소규모 발전소를 운영하는 인증시설사업

    자가 의무적으로 구입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공익사업자들로 하여

    금 인증시설사업자들과 장기공급계약(20~30년)을 맺도록 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소규모 발전소가 급증할 전망임.

    2) 생산세액공제(PCT)

    ○ 신재생에너지에 의해 발전된 단위전력 생산량 당 일정 금액의 법

    인세를 공제해 주는 제도로 1992년 에너지정책법에 의해 시행됨.

    3) 신재생에너지 생산 인센티브(REPI)

    ○ 신재생에너지 생산설비에 의해 생산되어 판매되는 전력에 대해

    일정금액을 생산 시작부터 10년간 인센티브로 지급함.

    4) 비용회수가속시스템 및 보너스 감가상각

    ○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설비투자한 금액을 상각비용 공제를 통해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임.

    5) 사업용 에너지 세액공제

    ○ 태양광, 태양열, 지열사용 및 지열발전, 연료전지, 태양광 하이브

    리드 조명 등의 설비를 설치⋅가동하는 기업에 대해 최대 30%까

    지 세액을 공제함.

    6) 청정신재생에너지 채권(CREB)

    ○ 주 및 지방정부, 공공전력회사 등이 신재생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채권을 발행할 수 있도록 한 제도임.

  • - 18-

    2. 영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가. 추진배경

    ○ 북해유전 생산감소로 2006년부터 에너지 순수입국으로 전환됨에

    따라 에너지의 해외의존도가 증가해 에너지 안보와 기후변화 대

    처라는 양대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07년 5월 ‘에너지백서

    (Energy White Paper)' 를 내고 2008년 11월에는 에너지백서에 발

    표된 정책의 구체적 이행을 위한 '에너지법률(Energy Bill)' 을 제

    정하고 2009년 6월에 영국 재생에너지 전략(UK Renewable Energy

    Strategy)을 발표한 바 있음.

    나. 정책 현황

    1) 재생에너지 목표치 설정

    ○ 총에너지 사용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을 2020년까지 15%까지 높이

    는 법적 구속력있는(legally-bindind) 목표치를 설정하고 있음.

    2) 핵심 인텐시브 매커니즘: 재생에너지 의무비율 할당 제도

    가) 발전분야 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

    ○ 발전분야 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Renewable Obligation: RO)

    전력공급업체는 매년 일정량(2008년 기준 7.9%, 매년 증가 최대

    20%)의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사용하여 공급토록 의무화하고 있음.

    재생에너지를 사용한 발전량 MWh당 상호거래가 가능한 ‘재생에

    너지 의무이행 증명서(Renewable Obligation Certificate)' 를 발급

    함. 재생에너지 의무사용(RO) 기준은 2008년도에는 발전량의

    7.9%이며, 2016년도에는 15.4%로 증가함. 재생에너지 의무사용

    (RO) 대상자원은 매립가스, 하수가스, 20MW초과 수력 (2002년이

    후 승인), 20MW이하 수력, 풍력, 바이오매스, 지열발전, 조력, 파

    력, 태양전지 Energy Crop등임.

  • - 19-

    ○ 재생에너지사용의무(RO) 이행 방법은 신재생에너지 의무이행 증

    명서(ROC)를 확보하는 것으로 2008년도 기준으로 메가와트당

    ₤34.30 부담금을 납부하는데 매년 소비자물가 상승률만큼 인상됨.

    또 ROC확보 및 부담금 지급을 병행함. 부담금(buy-out)금액은 기

    금(buy-out fund)에 적립되고, 12개월 후에는 재생에너지 의무이

    행증명서(ROC) 보유자에게 지급함.

    나) 수송연료 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

    ○ 수송연료 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Renewable Transport Fuel

    Obligation: RTFO)는 수송연료의 일정비율을 바이오연료로 공급

    하는 제도로 2008년도에 도입됐음. 2013~14년까지 수송연료의 5%

    를 바이오연료로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2010년은 전기

    자동차, 바이오연료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할 대책을 발표할 예

    정임.

    다) 청정에너지 현금보상(Clean Energy Cash-Back: Renewable Heat

    Incentive(RHI) and Feed-in Tariffs(FIT))

    ○ 지난 2008년 11월 에너지법안(Energy Bill)에 RHI 및 FIT 도입을

    결정했음. 재생에너지 난방 인센티브제도(RHI)는 지난해말까지 제

    도내용 및 이행방안, 적용기술, 대상 등을 검토한 후 2011년 4월

    시행을 목표로 향후 추진방안을 발표할 예정임. 발전차액제도

    (Feen-in Tariff)는 자가 사용 소규모(상한 5MW) 재생에너지 발전

    에 대해서 인센티브, 대상기술 등을 검토한 후 2010년 4월부터 시

    행하고 있음. 올해 예산에는 소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에 대해 소득

    세를 면제하도록 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임.

    다. 재생에너지 생산 현황 및 향후 정책 목표

    1) 재생에너지 발전 현황(2008)

    ○ 2008년 현재 재생에너지발전량은 총발전량의 7.3%,인 2.2TWh로

  • - 20-

    집계되고 있음. 그러나 미래 도전가능한 크기는 2020년까지 재생

    에너지발전비중을 15%까지 올려 놓을 계획임.

    [그림 Ⅱ-1] 영국의 현재와 2020년 신재생에너지발전량

    2) 현재의 에너지 믹스 및 2010년 정책목표 시나리오

    ○ 2008년 현재 총전력량의 75%를 가스와 석탄에 의존하고 있지만

    신재생에너지는 6%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2010년에는 신재생에너

    지가 30%수준으로 확대될 전망임.

    [그림 Ⅱ-2] 영국의 현재와 2020년 발전량 믹스

  • - 21-

    [그림 Ⅱ-3] 영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실적

    3) 2020 정책 목표 분야별 시나리오 및 관련 기술

    ○ 영국의 2020년경에 이루어질 재생에너지기술을 전망해보면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풍FUR, 바이오에너지, 수송용 재생에너

    지, 바이오매스 보일러 그리고 공기열원 및 지하배열 히트펌프 등

    이 주요 재생에너지산업으로 등장되고 있음.

  • - 22-

    [그림 Ⅱ-4] 2020년 영국의 관련기술 시나리오

    라. 기대 효과 및 비용

    ○ 재생에너지 사용비중 증가에 따라 다양한 에너지믹스(Energy

    Mix)가 가능하여 에너지 안전 공급에 기여하고 있음. 2020년에는

    전력 생산의 30%, 난방의 12%, 수송연료의 10%가 재생에너지로

    부터 생산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또 2020년에는 재생에너지 발

    전을 통해 연간 탄소배출량을 3MtCO2 감축이 예상됨.

    ○ 영국 에너지․기후변화부는 2020년까지 약 1,000억 파운드의 투자

    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약50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으며 2020년 재생에너지 사용에 따라 가정용 에너지 요

    금은 현재기준으로 6%, 산업용은 15% 인상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음.

  • - 23-

    3. 일본 신재생에너지 정책

    가. 재생에너지 관련 정책 및 목표

    ○ 일본은 지구온난화 대책 공헌, 에너지다변화에 의한 수입의존도

    완화, 신규산업 및 고용창출 기여를 목표로 태양광, 풍력, 바이오

    매스, 수력, 지열 등의 재생가능에너지에 대한 기술개발과 도입촉

    진을 추진 중에 있음.

    ○ 2009년 8월 발표한 장기에너지수급전망에서 1차 에너지공급에서

    차지하는 재생가능에너지의 비중을 2005년 현재 5.9%에서 2020년

    9.0%, 2030년에는 11.6%로 전망(최대 도입 케이스) 하고 있음.

    나. 재생에너지 R&D 및 보급 관련 인센티브

    1) 비주택용 신에너지

    ○ 지자체 및 공공단체, 지자체와 협력하는 민간사업자 등이 신에너

    지 시설 설치시 사업비의 1/2 이내 보조(이외에는 1/3이내)함. 에

    너지 수급구조 개혁추진 투자촉진세제에 의해 신에너지 설비를

    설치하는 중소기업의 법인세에서 취득액의 7% 세액공제하고 초년

    도에 즉시 상각해주고 있음.

    2) 태양광발전

    ○ 주택용에 대해 1kW당 7만엔을 보조하고, 공사비용의 10%를 소득

    세액에서 공제함. 비주택용에 대해서는 태양광발전 설비 과세표준

    을 3년간 2/3로 경감해주고 있음.

    3) RPS제도

    ○ 일본은 ‘전기사업자에 의한 신에너지이용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의거 2003년 4월부터 RPS제도를 완전 시행하고 있음.

  • - 24-

    4) 태양광발전 잉여전력 매수제도

    ○ 태양광발전에서 생산된 전력 중 잉여전력에 대해 고정가격으로

    매수하는 제도를 2009년 11월부터 도입했음. 도입 초년도는 주택

    용에 대해서는 48엔/kWh(10kW)미만, 기타는 24엔/kWh에 매수

    하고 개시 시점에서 10년간 매입해줌. 부담액은 전력수요가 전체

    가 부담(전기요금에 태양광 Sur-charge를 부과)하는 전원참가형으

    로 운영하고 있음.

    다. 일본 재생에너지 현황 및 향후 정책 목표

    1) 태양광발전

    ○ 2005년 현재 약 142만kW가 도입되었으며, 발전원가는 약49엔

    /kWh임. 2020년경에는 2005년 대비 약 20배 도입 목표(최대도입

    케이스)를 갖고 있으며, 시스템 가격은 3~5년에 반에 반액 정도까

    지 저감을 목표로 하고 있음.

    2) 풍력발전

    ○ 2005년 현재 약 108만kW가 도입되었으며, 발전원가는 약 10~14엔

    /kWh임. 2020년에는 2005년 대비 약 5배(500만kW)도입 목표(최

    대도입케이스)를 갖고 있음.

    3) 바이오매스 발전

    ○ 2005년 현재 약 223만kW가 도입되었으며 2020년에는 약 333만

    kW 도입 목표(최대도입 케이스)를 갖고 있음.

    4) 수력발전

    ○ 2005년 현재 약 4,574만kW가 도입되었으며, 발전원가는 약 8~13

    엔/kWh임. 2020년에는 약 4,925만kW 도입 목표(최대도입 케이

    스)를 갖고 있음.

  • - 25-

    5) 지열발전

    ○ 2005년 현재 전국 18개소 약 52만kW가 도입되었으며, 발전원가는

    약 9~22엔/kWh이다. 2020년에는 약 53만kW 도입 목표(최대도입

    케이스)를 갖고 있음.

    4. 캐나다 재생에너지 정책

    가. 재생에너지 정책

    1) 최근 정책현황

    ○ 캐나다는 1990년대 중반부터 연방정부 주도로 신재생에너지 관련

    규정들을 신설하여 산업 육성을 시작했음. 2000년대 초반에는 인

    센티브 정책 및 전력 구매제도 등을 마련함으로써 재생에너지 개

    발을 촉진시켰음.

    ○ 각 州정부들은 2004년부터 관련 규정을 신설, 2006년부터 초기 규

    정 및 제도 점검․개정 작업을 추진해 오고 있음.

    캐나다 주요정책 시행 일지

    구분 주요 정책

    1996~1997 재생에너지 개발 및 관련 기술의 상용화 촉진을 위한 청사진 마련

    1998 민간부문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제도 수립

    1999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한 전문가들과의 방안 수립

    2000~2001 다양한 인센티브 제도 마련

    2003 에탄올연료 생산 및 활용 확대 프로그램 발표

    2004 주정부 차원의 재생에너지관련 규정 및 제도 도입

    2006~2007 초기 규정 및 제도 개정작업 진행

    2007ecoEnergy Technology Initiative 및 ecoTrust Fund 프로그램 발표

    2009(온타리오주)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에 Feed-in Tariff를 지원하는 Green Energy Act 발표

    2010~2012 에탄올 및 바이오련료 혼합 관련 법령 제정 예정

  • - 26-

    2) 주요 정책

    ○ 캐나다 연방정부는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이 목표를 바

    탕으로 재생에너지 육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캐나다 연방정부

    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20년까지 2006년 대비 20% 감축하고,

    전력생산의 90%를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에너지원으로 충당

    하는 것임.

    ○ 재생에너지 개발목표(생산량, 에너지 Mix 등)설정 및 이를 위한

    정부차원의 종합적인 정책은 관찰되지 않지만, 개발 정책목표 달

    성을 위해 바이오연료의 생산․활용 확대 프로그램(2003), ecoEnergy

    Technology Initiative(2007), ecoTrust Fund(2007) 등을 시행중에

    있음.

    ○ 연방정부는 차량용 가솔린에 5%의 에탄올 사용을 의무화(2010)했

    으며 경유 및 난방용 등유에 2%의 바이오디젤 사용 의무화(2012)

    계획도 추진하고 있음.

    ○ 특히, 경제위기 이후 Green Economy 실현을 강조하며, 신재생에

    너지 연구개발 및 확산에 총 23억 달러의 예산을 책정했음.

    연방정부의 경기부양조치

    (Canada's Economic Action Plan, 2009.1)

    프로그램 (예산: 캐나다 달러) 주요 내용

    Clean Energy Fund (10억) 기술 연구개발

    Green Infrastructure Fund (10억) 신재생에너지 활용 인프라 구축

    ecoENERGY Retrofit (3억) 신재생에너지 활용 주거환경 개선 지원

    나. 재생에너지 현황

    ○ 캐나다 연방정부는 재생에너지를 수력, 바이오에너지, 풍력, 태양

    에너지, 지열, 해양에너지 등으로 정의함. 이중 수력(11%) 및 바이

  • - 27-

    오에너지(5%)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다른 재생에너지의 비중은 아직

    미미한 상태임. 재생에너지는 캐나다 전체 에너지공급의 16%를

    차지함.

    ○ 수력발전을 제외한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이 아직 작지만, 총

    7,000MW 규모의 석탄화력 발전소를 폐쇄할 계획임. 캐나다의 에

    너지원별 발전비중(2007, 연방정부)은 수력 59%, 석유 및 가스 등

    26.3%, 원자력 14.3%, 풍력 및 조력 0.5%임.

    ○ 일부 주는 화력발전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겠다는 목표

    를 구체화하는 단계에 있음. 온타리오주의 경우 2014년까지 모든

    석탄발전소를 폐쇄하고 천연가스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로 대체

    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했음.

    ○ 캐나다의 신재생에너지 시장규모(발전설비, 기자재, 부품 등)는 30

    억 달러 이상으로 추정됨.

    관련 에너지원별 시장규모 (캐나다 백만 달러)

    구분 2005 2006 2007 2008

    태양광 150 201 290 n/a

    태양열 및 지열 105 109 112 117

    풍력 733 906 1,003 1,307

    원자력 1,593 1,607 1,642 1,682

    바이오에너지 241 299 344 n/a

    조력, 지열 등 기타 n/a n/a n/a n/a

    합계 2,822 3,122 3,391 3,106

    * 캐나다 정부자료 미비로 산업별 단체 등의 발표 자료를 단순 인용

    다. 재생에너지 연구개발 및 보급 지원제도

    1) Clean Energy Fund

    ○ 신재생에너지 기술 시연 및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향후 5년에 걸

    쳐 10억 달러 지원하기로 하되 유망기술 시범사업(Demonstration

    of Promising Technologies)에 재생에너지 및 청청에너지 시범사

  • - 28-

    업(Renewable Energy and Clean Energy Systems Demonstration

    Projects)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술을 중앙전력에 통합시키거나

    (On-Grid), 신재생에너지 난방기술을 건축물에 적용시키는 기술

    등 (2009.9월 신청마감)임.

    사업별 예산 지원동향

    구분 예산(캐나다 달러)

    유망기술 시범사업 8.5억

    - 재생에너지 및 청청에너지 시범사업 2.0억

    - 대규모 탄소포집저장(CCS) 시범사업 6.5억

    청정에너지 연구개발 1.5억

    ○ 대규모 탄소포집저장 시범사업(Large Scale CCS Demonstration

    Projects)으로 총투자액 1억 달러 이상, 주정부의 매칭펀드 약속을

    받은 대형 프로젝트 3~5개를 지원 (Quest Projects 등 현재까지 3

    개 프로젝트 지원 확정)함.

    ○ 청정에너지 연구개발(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에 다음

    4개 분야 기초연구부터 시범사업 전 단계까지 지원대상 임. 즉

    재생 및 청청에너지(예: 해양, 풍력, 태양에너지 및 이들 분야의

    전력망에의 통합기술) 오일샌드 분야 환경대응 신기술, 수소 및

    연료전지, 탄소포집비용 저감기술 및 탄소저장 기술이 바로 그것임.

    2) Green Infrastructure Fund

    ○ 신재생에너지 및 환경개선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향후 5년간 10

    억 달러 지원하되 녹색에너지 생산 및 수송 인프라, 폐수처리시설

    건설 및 개축, 폐기물 관리개선 등이 지원대상이며 비용 공동부담

    원칙하에 소수의 대규모 전략적 프로젝트에도 지원될 예정임.

    ○ 2009년 9월에는 BC주 북부에 335Km의 송전선을 설치하는 프로

    젝트를 첫 번째 지원 대상으로 선정하였음.

    ○ 일반가정이 신재생에너지원을 사용하여 주거환경을 개조할 경우

  • - 29-

    가구당 최대 5천 달러까지 지급하되 2007년 4월 연방정부의

    ecoACTION의 일환으로 시작, 2009년 경기부양조치에서 3억 달러

    를 추가 확대하고 있음.

    3) 기타 연방정부의 재생에너지 투자촉진 인센티브

    ○ 청정에너지발전에 대하여 50% 가속감가상각(Accelerated Capital

    Cost Allowance)을 허용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원에 의한 청청전

    력 생산(ecoENERGY for Renewable Power)을 촉진하기 위해

    14.8억 달러를 지원하고 있음.

    ○ 그리고 청청에너지기술 연구개발(ecoENERGY Technology Initiative)

    에도 2.3억 달러를 지원하고 있음.

    4) 주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장려제도

    ○ 캐나다 Prince Edward Island 州는 전력회사들의 재생에너지 발전

    의무화비율을 2010년까지 15% 이상으로 설정(Renewable Portfolio

    Standards)하며 아울러 동 州는 재생에너지원 발전 시 0.0775/kWh

    보상제도 시행(Feed-in Tariff)하고 있음.

    ○ 이상 각 주정부의 재생에너지 확산 정책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본

    격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임.

  • - 30-

    州 제도 인센티브(단위: 캐나다 달러)

    ManitobaResidentialEarth Power

    Loan

    Earth Heat Pump 설치시 융자(4.9%, 최대

    2만달러)

    Saskat-

    chewan

    EnerGuide for Houses

    Water, Air 냉난방펌프, Drain Water Heat

    Recovery System, 태양열 냉난방 시스템 설

    치 시 최대 5천 달러 지원

    Solar Heating Initiatives

    for today

    연방정부의 ecoEnergy for Renewable Heat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대상업체에 최대 8만

    달러 지원

    Net Metering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전력 생산시 가

    구당 100kW까지 크레딧 제공 및 설치비용의

    25%, 최대 25,000달러 지원

    British

    Columbia

    Net Metering 가구당 50kW까지 크레딧 제공

    Biodiesel Biodiesel에 대한 fuel tax 면제

    Quebec

    Program to Promote Energy Efficiency

    R&D, Lab Experiment, Technical Demonstration 등 신재생에너지 효율성 제고 프로젝트 지원

    Hydro Quebec Grant for Ground Source Heating and Cooling System

    지열 이용 냉난방시설 설치시 가구당 최대 4,800달러 지원

    Ontario

    Solar Energy Systems Rebate Program & Wind, Micro Hydro-Electric and Geothermal Energy Systems Rebate Program

    2002.11~2010.1월간 신설 또는 확장 태양열, 풍력, 지력, 소수력, 지열발전 시스템에 대해 Provincial Tax(8%) Rebate 지원

    Ontario Biogas Systems Financial Assistance Program

    농가 및 교외 업체들에게 Biogas시설 설치비용 최대 40만 달러 지원

    Ontario Solar Thermal

    Heat Incentive

    태양열을 이용한 산업용, 상업용, 기관용

    시설 냉난방 설치비용의 최대 25%, 또는 8만

    달러 지원(2011.3월)

    Feed-in Tariff 발전차액 인센티브

    Price

    Edward

    Island

    Sales Tax Exemption

    100kW 이하의 풍력, 바이오매스, 열펌프,

    태양열, 태양광 시스템 구입시 Sales Tax

    면제

    Net Metering 가구당 100kW까지 크레딧 제공

    Renewable Heat Loan

    Program

    바이오매스 및 태양열 시스템 구입시

    1천~5천 달러 저리 지출

    New

    Brunswick

    Power Purchase Program州는 대체에너지를 이용한 소형발전 가구 및

    업체로부터 2MW까지 전력 구입

    Net Metering 가구당 100kW까지 크레딧 제공

    캐나다 주별 신재생에너지 장려제도

  • - 31-

    5. 호주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가. 신재생에너지정책 목표

    ○ 호주정부는 기후변화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신재생에너지

    를 통한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해 육성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

    음. 최근 2020년까지 전체 전력생산의 20%이상을 신재생에너지원

    에서 충당토록 하는 국가적 신재생에너지 발전목표를 발표해 기

    술개발, 생산, 보급 및 가정․기업․지역사회에서의 사용 확대 촉

    진을 위한 다양한 시책을 추진 중임.

    ○ 신재생에너지 R&D 투자는 1994~95년 전체 에너지 R&D 투자에

    서 3.1%였으나, 2004~05년 9%(8,900만 호주달러)로 크게 증가했음.

    이러한 증가는 주로 민간기업의 투자 확대에 기인하며, 1994~1995

    년 57%를 차지했던 민간기업 투자는 2004~2005년 약 80%로 크게

    증가했음.

    나. 주요 정책별 추진현황

    1) 신재생에너지 발전목표(Mandatory Renewable Energy Target: MIRET)

    설정

    ○ John Howard 정부는 2002년 신재생에너지법을 도입(Renewable

    Energy Act2000)하여 의무적 신재생에너지 목표를 도입했음. 2010

    년까지 연간 신재생에너지에 의한 전력조달을 기존 16,000 GWh

    에서 25,500 GWh까지 상향조정 (+9,500 GWh)토록 목표를 설정

    했음. 동 정책에 의거 풍력 및 태양광 에너지가 가장 큰 증가율

    시현했음. 풍력발전은 1997년 5GWh에서 2007년 2,330GWh로 크

    게 증가했고 태양광발전은 1997년 0GWh에서 2007년 109GWh로

    증가했기 때문임. Kevin Rudd 정부는 동 신재생에너지 목표를 상

    향조정하여 국가적 RET 체계 구축을 골자로 신재생에너지법을 개

    정 완료(09.8.20)했음. 그렇게하여 2010년 9,500GWh에서 2020년까

  • - 32-

    지 45,000GWh 증가로 대폭 상향한 바 있음. 연간 목표량(GWh)은

    12,500(2010) → 16,300(2012) → 20,100(2014) → 26,600(2016) →

    35,800(2018) → 45,000(2020) → 45,000(2021~2030) 등임.

    ○ 동 목표치는 2020년까지 전력생산의 최소 20%는 신재생에너지원

    으로 충당한다는 공약에 따른 것임. 2007년 및 2010년까지의 신재

    생에너지 원별 발전 목표를 살펴보면 동 제도 하에서 전력 도매

    사업자는 전국 전력도매시장에서 자사 점유율에 비례하여 신재생

    에너지 목표 할당분을 충족해야 하며, 전력 도매사업자는 신재생

    에너지 목표치 할당분에 미달하는 경우 부족분을 부담해야 함. 부

    족분에 대한 부담은 MW당 65달러로 설정되어 있음. 신재생에너

    지 발전사업자는 신재생에너지 인증서(RECs)를 발행할 수 있으며,

    동 인증서는 거래 및 전력 도매사업자 등에 판매 가능함. 참고로

    1RECs는 신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의 1MWh 발전을 의미함. 태양

    광, 풍력, 소형수력 시스템 등 소형 신재생에너지 최초 설치시 지

    원해주는 'Solar Credits mechanism'이 시행되고 있으며 2014년

    에 RET정책 관련 입법 및 각종 규제 운영현황을 검토할 것으로

    보며, 탄소배출 집약적, 통상노출적 활동(emission-intensive

    trade-exposed activity)에 대해서는 동 정책하의 의무를 일부 면

    제할 것으로 전망됨. 동 사항의 시행시기는 탄소오염감축법안 시

    행시기와 연계하여 주정부차원의 기존 또는 제안된 신재생목표치

    의 흡수 및 원활한 이행에 대하여 지원할 전망임

    2)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상업화 지원

    ○ 이에는 2가지 분야에 지원되고 있는 데, 그 증 하나는 신재생에너지

    펀드(Renewable Energy Fund)의 도입․운영임. 2008.12월 Kevin

    Rudd 총리는 5억달러의 신재생에너지 펀드를 추진키로 발표한

    바 있음. 주요 지원내용은 재생에너지 실험 프로그램(Renewable

    Energy Demonstration Program: REDP)에 4억 3,500만 달러, 지

    열에너지 개발 프로그램(Geothermal Drilling Program)에 5,000만

    달러, 민간 기업들의 지열에너지 개발 및 탐사에도 지원하고 있음.

  • - 33-

    ○ 차세대 바이오연구․개발 프로그램(Second Generation Biofuels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에 1,500만 달러를 그리고

    차세대 바이오연료의 연구․개발 및 상업화 검토에도 지원하고

    있음. 다른 하나는 에너지 혁신펀드(Energy Innovation Fund)의

    조성․운영임. 총 1.5억 달러의 펀드를 조성하여 청정에너지 기술

    개발에 지원하고 있음. 주요 지원내용을 살펴보면 태양열 및 태

    양광 에너지 관련 기술연구에 1억달러(2010~2014)지원하고 태양에

    너지 기술연구를 위해 호주 태양연구소(Australian Solar Institute)

    를 설립․운영하고 있음. 2009.3월 동 연구소의 설립준비위원회

    및 내부 집행간사가 위촉되었으며, 제반 준비후 본격 가동 되고

    있음. 태양연구소는 상업화 가능성이 높은 태양에너지 관련 연구

    및 소규모 실증프로젝트 등을 수행할 것으로 봄. 이에는 호주국립

    대학(ANU), 뉴사우스웨일즈대학(UNSW) 및 CSIRO 등 연구기관

    등이 연구활동에 긴밀히 참여하고 있음. 그리고 청청에너지 프로

    그램에 5,000만달러 지원하고 있음. 이에는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효율, 에너지저장기술 및 수소수송연료 등 청청에너지 기술 개발

    등이 포함됨.

  • - 34-

    6. 덴마크 신재생에너지 정책

    가. 덴마크의 에너지 정책 목표

    ○ 덴마크 정부는 1970년대 국제석유파동이라는 위기를 기회로 활용

    하자는 국민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정치권의 결단에 의해 구체적

    인 목표를 설정하고 비전을 제시한 총 5차례의 에너지 종합 정책

    을 추진했음.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화를 제고하고, 화석연료 사

    용 감소 및 환경 친화적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를 단계적․지속적

    으로 추진하고 있음.

    덴마크 에너지 정책별 주요 목표

    연도 정책명 내용

    1976 Danish Energy Plan 76 ․석유 파동에 대비한 안전망 구축

    1981 Energy Plan 81

    ․친환경에너지 개발 추진, 화석연료 의존도

    감소

    ․공공 지역난방 프로젝트 제시

    1990 Energy 2000․재생에너지 비중확대(2005년까지 88년

    대비 100% 증가), 화석연료 소비 감소

    1996 Energy 21

    ․CO2세 등 에너지 소비 절감 제도 도입

    ․CO2배출량 2030년까지 1998년대비 50%

    감소

    2007 Vision 2025

    ․2025년까지 화석연료 사용을 현수준의

    15%까지 감축, 재생에너지 비중 30%까지

    확대

    ․에너지 소비절감 규모 매년 1.25% 증대

    * 자료: 덴마크 에너지청

    ○ 덴마크 정부는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 확보, 에너지 절약 강화,

    재생에너지 활용 확대의 세 가지 사항을 에너지 정책의 기조로

    하고 있음. 2007년 1월 덴마크 정부는 ‘에너지정책 비전 2025(A

    visionary Danish energy policy 2025)'를 발표하고 2025년까지

    화석연료 소비 비중 15% 감축(현 수준 대비), 에너지 절감 규모를

  • - 35-

    매년 1.25%씩 확대, 2025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전체 소비의

    최소 30%(현재 약 15%)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설정했음.

    ○ 정책의 세부 실천계획으로, 2010년까지 에너지 기술연구개발비를

    현재의 2배 수준인 약 2억달러 수준으로 확대, 2020년까지 자동차

    연료 중 바이오연료 비중을 10%까지 확대, 2010년부터 ‘에너지 절

    감증명서 발급제도’시행, 건물에너지 효율 최소기준 요구, 건물에

    너지 라벨링(Labeling) 시행 확대, 재생에너지 단위당 생산 비용

    절감을 위한 재생에너지 보조금 계획 개정, 다양한 재생에너지 개

    발지원 프로그램 시행, CO2 배출 절감 및 재생에너지 사용 유인

    확대를 위한 세제 개편, 노후 된 가정용 기름보일러를 에너지 효

    율이 높은 열펌프로 대체 추진, 연료사용 규제 완화를 통해 열병

    합발전소의 폐기물 연료사용 확대, 전기 및 천연가스 공급망의 효

    율성 제고, 새로운 천연가스 매장지역 개발을 통한 가스 인프라

    확장 등을 추진할 예정임.

    ○ 특히 폐기물 및 바이오 가스 활용 발전 촉진, 풍력발전소 설비 확

    대, 2010년까지 바이오 연료 대규모 시범시설 건설, 수소동력 차

    량에 대한 면세 조치, 연료 전지를 이용한 열병합 발전시설의 시

    범 프로젝트 개발 등의 계획을 추진 중임.

    나. 덴마크의 재생에너지 정책 목표

    ○ 2007년 2월 발표된 ‘에너지정책 비젼 2025’는 2025년까지 화석연

    료 소비를 현 수준보다 15% 감축하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2020년

    까지 최종 소비의 최소 30%(현재 약 17%)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

    표(EU의 재생에너지 확대 목표에 부합)로 설정했음. 이것은 소비

    전력의 2/3를 재생에너지에 의해 공급하는 것을 의미함.

    ○ 2008년 2월 ‘에너지 정책 2008~2011’ 협정은 풍력엔진, 바이오매스

    등 재생에너지 지원을 확대해 2011년까지 재생에너지 공급을 20%

    까지 늘리고 2006년 대비 1차에너지 소비를 2011년까지 2%, 2020

    년까지 4% 감소하는 목표로 설정했음.

  • - 36-

    다. 덴마크의 신재생에너지 현황

    ○ 2007년 덴마크의 전체 에너지공급 중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17.1%로 지난 10년간 배로 증가했으며, 이중 짚․나무 등

    바이오매스가 가장 큰 비중(70%)을 차지하고 있음. 그 다음으로

    폐기물(23%), 풍력(20%), 열펌프(8%) 순임.

    ○ 덴마크의 전력생산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7년 27.2%

    (2005년 비중은 사상 최고인 28.7%)를 기록, 2003년 이래 20% 이

    상을 유지하고 있는 추세임. 특히, 풍력이 가장 큰 비중(18.3%)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바이오매스(8.2%), 바이오가스

    (0.7%) 순임.

    ○ 특히, 풍력 터빈의 지속적인 증설로 인해 풍력발전에 의한 전력

    생산 비중이 90년 4%에서 2006년 18.3%로 증가했음.

    [그림 Ⅱ-5] 덴마크 신재생에너지보급실적

    * 자료: 덴마크 에너지청

  • - 37-

    덴마크 재생에너지별 전력 생산량

    (단위: TJ)

    구분 1994 1998 2000 2004 2005 2006 2007증가율

    (94~07),%

    풍력 4,093 10,152 15,268 23,699 23,810 21,989 25,823 531

    바이오매스 2,116 3,911 4,396 12,103 12,103 11,565 11,504 444

    바이오가스 321 682 751 1,013 1,045 1,008 978 205

    수력 117 98 109 95 81 84 101 -14.1

    태양에너지 0 1 4 7 8 8 9 3.017

    * 자료: 덴마크 에너지청

    1) 풍력 에너지

    ○ 덴마크는 1980년대 처음으로 풍력발전을 도입한 이래 기술적으로

    나 부가가치 생산에 있어 놀라운 발전을 거둬 세계 1위 풍력대국

    으로 성장했음. 덴마크의 지리적 환경 요인 및 해외로의 전력 수

    출 수요 등에 따라 관련 업체들은 향후 경제성이 있는 시장으로

    평가하고 있음.

    ○ 덴마크 해안은 난기류의 영향이 적고 양질의 바람을 얻을 수 있

    는 지리적인 이점 때문에 오래전부터 풍력반전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진행 중임.

    ○ 덴마크 풍력 터빈산업은 2007년 현재 약 2만명을 고용하고 연간

    56억 유로를 판매하는 산업으로 성장했으며 전 세계 풍력 터빈의

    절반 가량을 공급하며 전 세계 5,000만명에게 전기를 제공하고 있

    음. 덴마크 베스타스사는 전 세계 풍력 터빈의 약 1/3을 공급하고

    있으며 한국에 설치된 풍력발전기 149기중 142기가 동사 제품(63

    개국에 3만5,000여기 설치)임.

    ○ 2001년 덴마크에는 6,000기 이상의 풍력발전기가 설치돼 있었으며

    총 발전용량은 2,500MW 정도였으나 풍력발전기를 대용량으로 교

    체하고 보다 강한 풍력 발생지로 위치를 이동함에 따라 2003년

    이후에는 보다 작은 수의 풍력발전기로 3,000MW 이상의 전력을

  • - 38-

    생산에 성공했음. 2006년 현재 총 5,266개의 윈드 터빈이 설치되

    어 3,135MW의 전력을 생산 중임.

    * 자료: 덴마크 에너지청

    [그림 Ⅱ-6] 신재생에너지 점유비율

    ○ 덴마크의 Horns Rev에 80여기의 2MW급 풍력발전기가 20km2에

    걸쳐 설치돼 있으며, 이 시설의 건설을 위해 투자된 비용은 약

    3.3억 달러 정도로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전력량은 600GWh임.

    이는 15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규모며 2009년에는 북해 북방

    14km 인근에 Horns Rev 2차 해상 풍력발전 단지(총 96기)가 조

    성돼 덴마크 전력 수요의 2%를 생산하게 될 예정임.

    ○ 향후 덴마크 정부는 노후한 육상 풍력발전기를 교체하고 신규 해

    상 풍력발전 단지 조성을 지속으로 추진할 예정임. 따라서 2011년

    까지 900MW, 2012년까지 1,300MW(해상 800, 육상 300)의 풍력

    발전 능력을 확대할 계획임. 2007년 현재 총 전력 생산의 18.3%를

    풍력이 차지(전체 재생에너지는 27.2%)하고 있으며 2015년까지 이

    를 35%까지 확대하는 계획을 검토 중임.

  • - 39-

    2) 태양열(광) 에너지

    ○ 덴마크에는 4만여개의 태양열 난방시설이 있어 대부분 지역 내

    온수공급을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 1/3은 난방 및 온수공급

    을 동시에 가능케 하는 시스템임.

    ○ 덴마크 ‘Ærø’ 섬에 위치한 Marstal 태양열 난방 시스템은 세계 최

    대의 태양열 난방 시스템으로 1만9,000m2 규모로 Marstal 지역내

    난방 수요의 30%를 공급(7,500MWh 규모)하고 있음. 또한 생산된

    잉여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건설된 1만m3규모의 에너지 저장

    발전소는 750MWh의 저장 용량을 갖고 있어 여름철에 생산한 전

    기를 가을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운영되고 있음.

    ○ 발전 시설에는 약 820만 달러가 소요되었으며 태양열 발전의 경

    쟁력을 위해 EU와 덴마크 정부는 약 380만 달러 지원했음. 이 시

    스템 건설은 에너지 생산 뿐 아니라 연간 2,135톤의 CO2 배출량

    을 줄임으로써 친환경적인 사례로 기록되고 있음.

    3) 바이오 에너지

    (가) 바이오매스

    ○ 낙농국가인 덴마크는 국토의 60%가 농지로서 밀짚이 다량 배출되

    어 밀짚 등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에 적합한 환경으로

    바이오매스는 2006년 현재 전체 재생에너지 공급 중 가장 큰 비

    중(51%)을 차지함, 1993년 바이오베스 협정에 따라 전력생산 업체

    에게 1400만톤 규모의 바이오매스를 사용토록 한 이후 바이오매

    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은 급속히 증가했음.

    ○ 현재 총 63개의 열병합발전소와 총 212개의 지역난방공장이 바이

    오매스 또는 바이오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생산된 에너지의 소비량은 1980~2005년간 4배 증가했음.

    ○ 바이오매스(특히 밀짚)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은 석탄이나 석유,

    천연가스로부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보다 효율이 낮기 때문에

  • - 40-

    덴마크 전력생산업체들은 바이오매스 연소기술에 관한 폭 넓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덴마크의 대표적인

    에너지 생산 업체인 Energi E2와 Elasm은 소형발전소의 경우

    25~32%의 열효율을, 대형발전소의 경우 42~50%의 열효율을 얻는

    데 성공했음.

    (나) 바이오가스

    ○ 덴마크에는 20여개의 바이오가스 발전소가 건립되어 있으며, 이는

    1984년에서 1998년간에 건설된 것으로 발전소 건립을 위해 정부

    는 당시 건설에 필요한 20~40%의 자금을 보조했음. 또한 2003년

    을 기준으로 대규모의 바이오가스 발전소 외 60여개 이상의 소형

    바이오가스 발전 시설이 덴마크 내에 분포해 있음.

    ○ 20여개의 바이오가스 발전소는 연간 110만 톤의 동물 배설물과

    40만 톤 규모의 산업 폐기물을 처리함.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발전

    은 전력 생산과 함께 CO2 배출을 감소시켜 환경오염을 줄이는 두

    가지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덴마크 정부는 가능한 범위

    내에서 바이오가스 발전시설을 확충하려 노력하고 있음.

    ○ 2007년 10월 세계최대의 바이오가스 연구 시설(Research Centre

    Foulum)이 덴마크에 건설돼 앞으로 에너지 생산, 유기농 폐기물

    처리, 영양소 재배분 등의 종합적 역할 수행이 기대되고 있음.

    라.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주요 인센티브

    1) 풍력발전

    ○ 풍력발전에 대한 보조금은 풍력 발전 능력이 확충됨에 따라 시장

    지향적인 보조금으로 단계적 개선이 이뤄지고 있음.

  • - 41-

    ① 초기 투자에 대한 무상원조(Investment gr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