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
지역정보화백서 2013 Local Informatization White Paper 2013 발간등록번호 11-B551982-000041-10 요약본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지역정보화백서2013 Local Informatization White Paper

2013

발 간 등 록 번 호

11-B551982-000041-10

요약본

Page 2: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Page 3: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지역정보화백서2013 Local Informatization White Paper

2013

Page 4: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Page 5: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Contents

제1편 지역정보화 추진 현황 05

제1장 지역정보화 추진 현황 06

제2장 지역정보화 법·제도 추진체계 07

제3장 지역정보화 조직과 인력 14

제4장 지역정보화 활용과 역기능 19

제2편 분야별 지역정보화 서비스 23

제1장 생활정보화 24

제2장 행정정보화 27

제3장 도시기반정보화 35

제4장 산업정보화 38

제3편 지역별 지역정보화 추진 현황 41

Page 6: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Page 7: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지역정보화 추진 현황

제1편

2013 Local Informatization White Paper

제1장 지역정보화 추진 현황 06

제2장 지역정보화 법·제도 추진체계 07

제3장 지역정보화 조직과 인력 14

제4장 지역정보화 활용과 역기능 19

Page 8: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6

2013

지역

정보

화백

제1장

지역정보화 추진 현황

지역정보화란 중앙정부의 지원 하에 자치단체나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의 문제해결

이나 지역의 발전을 위해 단위지역 내 정보통신의 기반 시설을 조성하고, 다양한 정보통신 네

트워크를 구축 및 활용하는 것1)을 말한다.

더불어 지역정보화는 정보사회로 이행되어 가는 시대적 상황에서 종래의 산업화 과정에 나

타난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고, 모든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보다 쉽게 각종 생활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방의 정보화를 중점 추진해 지역 간 균형 발전을 구현하고자 하는 주요 시책이다.

즉 정보화와 지방화의 두 물결이 동시에 도래하는 현 상황에서 지역주민의 정보화에 대한 능

력을 높임으로써 지방의 자율적 역량 신장, 지방경제의 활성화, 생활 및 문화수준의 향상을 통

해 지역의 복지사회를 앞당겨 실현하기 위한 사업이다.

자치단체의 정보화, 즉 지역정보화2)는 1995년 「정보화촉진기본법」이 제정되고 국가정보화

추진체계가 정립되면서 시작되었고, 이를 통해 자치단체의 주요한 행정업무를 위한 정보화사

업들이 그 범위를 넓혀가며 추진되어 많은 성과를 이루었다.

1) 행정정보화, 산업정보화, 주민생활정보화를 포함한다.

2) 지역정보화의 개념은 학계에서 다양한 정의를 내리고 있으나, 이 논문에서는 국가정보화기본법 제16조에서 정의하는 지역

정보화의 개념과 범위(“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 간 균형발전, 정보격차 해소 등을 위

하여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지역·도시에 대하여 행정·생활·산업 등의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화”)를 따른다.

Page 9: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6 7

제1편지역정보화추진현황

제2장

지역정보화 법·제도 추진체계

제1절 지역정보화 법·제도

자치단체의 정보화 추진과 관련하여 현재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법률로는 「국가정보화

기본법(구 정보화촉진기본법)」과 「전자정부법」이 있다. 1995년 8월에 제정된 「정보화촉진기본

법」은 정보화를 촉진하고 정보통신산업의 기반을 조성하며 정보통신기반의 고도화를 실현함

으로써 국민생활의 질을 향상하고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제정된 정보화 관

련 분야의 기본법이다. 「정보화촉진기본법」은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추진 의무와 추진체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2009년 5월에 제정된 「정보화촉진기본법」은 국가정보화의 기본 방향과 관련 정책의 수립·

추진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지속가능한 지식정보사회의 실현에 이바지하고 국민 삶의 질

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국가정보화기본법」으로 전면 개정되었다.

「전자정부법」은 행정기관 업무의 전자적 처리에 관한 기본법이며, 행정정보 공동이용의 근

거가 되는 최초의 법률이다. 또한 동 법률은 제정·공포된 이래 지식정보화시대의 정부혁신과

대국민 행정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본법으로서의 역할을 해 왔다. 2001년 3월 제정된 「전자정부

Page 10: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8

2013

지역

정보

화백

구현을위한행정업무등의전자화촉진에관한법률」의 개정으로 만들어진 「전자정부법」은 행정업

무의 전자적 처리를 위한 기본원칙·절차 및 추진방법 등을 규정함으로써 전자정부의 구현을

위한 사업을 촉진시키고, 행정기관의 생산성·투명성 및 민주성을 높여 지식정보화시대의 국

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외 국가정보화와 관련된 법률 16개 중 정보화사업의 추진과 관련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역

할과 기능을 규정하고 있는 법률은 「공간정보산업진흥법」,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 「유비

쿼터스도시 건설 등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산업진흥법」,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전자거래

기본법」, 「정보통신기반보호법」,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20조(정보접

근에서의 차별금지)」가 있다.

2012년 12월 현재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정보화 사업 및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필요한 법·제

도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는 「지역정보화촉진 조례」와 「지역정보화촉진 규칙」의 제·개정 현황

을 정리해 보면 [표 1-2]와 같다.

[표 1-1] 지역정보화관련 법조항

국가정보화기본법 내 지역정보화관련 법조항 전자정부법 내 지역정보화관련 법조항

국가정보화 추진의 기본원칙(제4조)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의 수립(제6조)

국가정보화 시행계획의 수립(제7조)

국가정보화 정책 등의 조정(제8조)

정보화책임관(제11조)

정보화책임관 협의회(제12조)

정보화계획의 반영 등(제13조)

지역정보화의 추진(제16조)

지식정보자원의 관리 등(제25조)

중요지식정보자원의 지정 및 활용(제27조)

인터넷중독의 예방 및 해소 계획 수립 등(제30조)

인터넷중독 관련 계획 수립의 협조(제30조의2)

인터넷중독대응센터(제30조의6)

인터넷중독 관련 교육(제30조의8)

정보격차 해소 시책의 마련(제31조)

정보격차의 해소와 관련된 기술 개발 및 보급지원(제33조)

정보격차해소교육의 시행 등(제35조)

재원의 조달(제36조)

정보보호 시책의 마련(제37조)

개인정보 보호 시책의 마련(제39조)

건전한 정보통신윤리의 확립(제40조)

이용자의 권익 보호 등(제41조)

중장기 전자정부기본계획의 수립(제5조)

지역정보통합센터 설립·운영(제55조)

지역정보화사업의 추진 및 지원(제65조)

시범사업의 추진(제66조)

사전협의(제67조)

전문기관의 지정 등(제71조)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의 설립(제72조 등)

Page 11: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8 9

제1편지역정보화추진현황

[표 1-2] 시·도 지역정보화촉진 조례와 규정현황

(기준 : 2012년)

시·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조례 5 1 3 5 3 1 2 1 4 2 3 2 1 1 3 2 2

규칙 3 - 1 2 - - 1 - 1 - - - 1 - 1 - 1

규정 1 5 3 2 5 10 4 - 3 6 2 5 1 5 3 2 -

지침 - - 1 - - - - - - - - - - - - 1 -

제2절 역대 정부별 지역정보화 정책

1. 문민 정부 이전(~1993년)

1980년대 이전까지 우리나라의 정보화는 주로 개별 부처에 의한 컴퓨터 도입 및 소속기관

전산업무의 측정 등에 치중되어 왔으나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 전산기능이 국가기간사업으

로 발전되었다. 이에 1987년부터 공공부문의 효율성 제고와 정보산업발전 기반마련을 목표로

행정, 금융, 교육·연구, 국방, 공안 등 5대 기간망을 대상으로 한 「제1차 국가기간전산망사업

(1987~1991년)」을 추진하였으며, 1차에서 추진하였던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보완·발전시켜 나

가면서 전산시스템의 연계운영에 중점을 둔 「제2차 국가기간전산망사업(1992~1996년)」을 이어서

추진하였다.

「국가기간전산망 구축 사업」의 5대 기간망 중 가장 중점이 되었던 「행정전산망 사업」은 주민

등록관리, 부동산관리, 고용관리, 자동차관리, 통관관리, 경제통계관리 등 전국적 대민 서비스

업무를 6대 우선 사업으로 선정하여 추진하였다.

2. 문민 정부(1993~1997년)

문민정부에 들어서면서 지역정보화란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어졌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Page 12: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10

2013

지역

정보

화백

있다. 지역(Local)과 정보화(Informatization)의 합성어인 지역정보화(Local Informatization)는 자

치단체가 주체가 되어 개별 지역의 특성에 맞는 정보시스템을 구축·운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시기에 지역정보화 추진의 필요성은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하나는

국가 전체적인 차원에서 국토의 균형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지역단위 차원에서

지역의 복지사회 구현이었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역정보화는 국토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복

지자원의 균등한 혜택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고, 지역의 복지사회 구현이란 측면에서 지역정

보화는 지역경제의 발전과 지역행정 서비스의 개선 및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3. 국민의 정부(1998~2002년)

국민의 정부에서는 전자정부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우리나라가 2002년까지 달성해야할 전

자정부의 목표를 정부의 대 고객 정부서비스(G2C와 G2B), 정부 내 업무처리(G2G) 그리고 정

보의 유통과 관리 인프라(Infrastructure)차원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정부의 대국민 서비스 차원(G2C)에서는 인터넷 기반의 전자정부 단일창구 구축을 통한 국민

지향적 대민 서비스의 실현과 주소변경 등 국민생활 그리고 밀접한 민원서비스의 온라인 처리

를 실현하고자 했다.

1995년에 최초로 도입된 복지정보통신개념은 애초에 보편적 서비스에 초점을 맞춘 정보의

복지화와 사회복지부문의 정보화에 초점을 맞춘 복지의 정보화, 그리고 이 두 가지를 통합하

여 정보화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았다.

4. 참여 정부(2003~2007년)

2003년에 들어선 참여 정부는 지방분권화를 12대 국정과제로 삼고 지역정보화, 전자지방정

부(Local electronic government)에 초점을 둔 전자정부사업을 추진하였다.

2003년 8월 발표된 「전자정부 로드맵」은 일하는 방식 혁신, 대국민 서비스 혁신, 정보자원관

리 혁신, 법·제도 정비 등 4대 분야와 전자적 업무처리 정착, 행정정보 공동이용 확대, 서비

스 중심 업무 재설계, 대국민 서비스 고도화, 대기업 서비스 고도화, 전자적 국민참여, 정보자

Page 13: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10 11

제1편지역정보화추진현황

원의 통합 및 표준화, 정보보호 체계강화, 정보화 인력·조직 전문화, 전자정부 관련 법제 정

비 등 10대 의제 그리고 31대 단위과제 및 45개 세부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007년 제3차 지역정보화촉진기본계획인 「u-Life 21 기본계획」은 지역주민 중심의 편리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지방행정구현을 위한 지방정부 혁신, 재난·재해, 소외계층이 없는 안전하고

차별없는 지역사회 구현을 목적으로 복지사회 구현, 자생력과 활력이 넘치는 지역경제 환경

조성을 위한 지역 균형 발전 4대 추진목표를 설정하였다.

5. 이명박 정부(2008~2012년)

이명박 정부는 2008년 12월 3일에 정보화를 통해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창의와 신뢰의

선진 지식정보사회를 구현하기 위하여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을 확정하여 발표하였다.

더불어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출범함에 따라 국가조직의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정보통신부가

해체되고 국가정보화 기능이 행정안전부로 이관되었다. 그리고 2009년 5월 「국가정보화기본법」

이 제정되었는데, 이 법은 1995년 제정된 「정보화촉진기본법」의 명칭과 내용이 전면 개정된 것

으로 국가정보화의 기본방향과 관련 정책의 수립·추진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했다.

제3절 지역정보화 추진 체계

1. 지역정보화 계획 심의·조정체계

1986년 제정된 「전산망보급확장과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대통령소속의 전산망조정

위원회를 설치하였다. 이후 1995년 제정된 「정보화촉진 기본법」에 따라 국무총리를 위원장으

로 하고, 재정경제원장관을 부위원장으로 하는 범정부적 기구인 정보화추진위원회로 대체되

었다.

2006년 11월에 「정보화촉진 기본법 시행령」의 개정을 통하여 지방자치정보화추진분과위원회

Page 14: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12

2013

지역

정보

화백

는 전자정부추진분과위원회로 흡수·운영되었다. 이후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출범함에 따라

국가조직의 개편이 이루어졌다. 이에 정보통신부가 해체되고 국가정보화기능이 행정안전부로

이관되면서 정보화추진체계에도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고, 2009년 5월 개정된 「국가정보화 기

본법」을 통해 대통령 소속의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를 설치하였다. 이후 2013년 박근혜 정부가

출범함에 따라 또 한 차례 국가조직의 개편이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라 국가정보화기능이 미

래창조과학부로 이관되면서 정보화추진체계에도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다.

자치단체의 경우 1997년 내무부의 「지역정보화촉진 조례」에 대한 표준안을 통해 「지역정보화

촉진 조례」를 제정하게 되었고,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별도의 추진체계를 구성 및 운영하게

되었다.

2.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 집행·지원체계

지역정보화를 계획하고 심의·조정하는 체계 이외에도, 사업을 추진 집행·지원하는 체계

는 주체와 목적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2007년 제정된 「전자정부법」3) 제50조에서는 효율적인

전자지방정부구현 및 지역정보화촉진을 목적으로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는 정보화사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의 설립근거를 규정하였다.

[표 1-3] 지역정보화 관련 주요 국가정보화 정책과 주요내용

연도 지역정보화 정책 주요 내용

1978 제1차 행정전산화 기본계획 수립 지방행정통신망 구축 지방업무의 전산화

1986전산망보급확장과이용촉진에관

한 법률 제정-

1987 국가기간전산망기본계획 수립 주민등록관리, 부동산관리, 자동차관리

1992지방행정전산화 중·장기기본계획

수립지역정보화의 기초 마련

1995 정보화촉진기본법 제정 -

1996 제1차 정보화 촉진기본계획 수립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정보화 지원

1999 제2차 정보화 촉진기본계획 수립 시군구 행정종합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한 민원행정서비스의 개선

2002 제3차 정보화 촉진기본계획 수립자치단체 정보화사업에 대한 재정지원, 지방행정정보망통합사업, 시

도행 정종합정보화사업, 지방세 재택서비스, e-마을 확대조성 등

3) 전자정부법의 개정으로 인해 제정 시 제50조에서, 개정 후 현재 제72조(한국지역정보개발원의 설립)에 근거한다.

Page 15: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12 13

제1편지역정보화추진현황

연도 지역정보화 정책 주요 내용

2003 Broadband IT Korea Vision 2007국가 및 지방재정 종합정보화, 시군구 행정정보시스템 고도화를 통한

전자지방정부 구현

2006 u-Korea 기본계획 수립 u-City 구현을 위한 지역정보통합센터, u-ID카드 보급

2007 u-Life 21 기본계획 수립 지역정보플랫폼 추진

2008국가정보화기본법제정 (정보화촉진

기본법 전면개정) -

2008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수립 지역정보화통합센터, 지역정보통합플랫폼 개발 추진

1998

~2007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촉진

시행계획 수립

행안부에서 매년 행안부추진 지역정보화사업과 자치단체의 종합사

업을 종합적으로 제시(2009년이후 기관별작성으로 행안부, 지자체가

별도로 계획수립·심의함

2009 국가정보화 실행계획 수립 -

2012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수정 -

Page 16: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14

2013

지역

정보

화백

제3장

지역정보화 조직과 인력

제1절 지역정보화 조직

1. 중앙정부 지역정보화 조직

지역정보화는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16조에 의하여 추진되고 있다. 즉, 지역정보화는 지방

자치단체와 국가기관이 함께 추진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과거 1987년에 대통령 비서실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전산망조정위원회를 발족한 것을 시작으로

1994년 12월에 정보통신부, 1996년 4월에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정보화추진위원회

를 발족시켰으며, 2001년에는 정부혁신추진위원회에서 국가정보화를 관장하였다. 노무현 정

부 시절에는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내에 전자정부전문위원회를 설치하여 국가정보화를 추

진하였다. 2006년 2월에는 행정자치부(현 안전행정부)로 하여금 전자정부 관련 기능을 담당하

도록 하였고, 이명박 정부에 들어와서는 정부조직을 개편하여 정보화의 추진을 행정안전부(현

안전행정부),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 방송통신위원회로 나누어 추진하였다. 같은 해

인 2008년 7월에는 정보화추진실무위원회를 설치하였으며, 2009년에는 「국가정보화기본법」을

Page 17: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14 15

제1편지역정보화추진현황

제정하면서 국가정보화를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에서 총괄하도록 하였다.

2. 자치단체 지역정보화 조직

1) 광역자치단체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광역도는 1983~1985년 사이에 전산담당관실로 개편하

였고, 제주특별자치도는 1989년에야 전산담당관실로 개편하였다. 2012년 기준 강원도, 충청북

도, 전라남도는 정보화담당관실에서 정보화 업무를 총괄하고 있고, 충청남도는 정보화지원과

에서, 경상북도와 경상남도는 정보통계담당관실에서 정보화 업무를 총괄하고 있으며, 제주특

별자치도는 정보정책과에서 정보화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2) 기초자치단체

대부분의 기초자차단체는 1989년부터 1990년대 중반에 기획예산과 내의 전산 및 통계를 담

당하는 계(係)를 설치하여 정보화 업무를 추진해 왔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전산정보과, 정

보통신과, 전산통계담당관실, 자치정보과 및 홍보전산과 등과 같이 과(課) 단위에서 정보화 업

무를 추진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12년에 17번째 광역시로 출범한 세종특별자치시는 아직

기초자치단체가 존재하지 않고, 2010년에 마산시, 창원시, 진해시가 통합하여 출범한 통합 창

원시는 기존 창원시의 의창구, 성산구와 마산시 지역의 합포구, 회원구 그리고 진해시 지역의

진해구의 행정과에서 정보화 업무를 추진하고 있다.

[표 1-4] 광역자치단체별 정보화조직 구성 현황(기준 : 2012년)

시·도 부서 담당(계)

서울 정보화기획단

정보화기획담당관정보화기획, 글로벌전자정부, IT투자심사, 웹서비스기획, 웹서비스관리, 모바일서비스

정보시스템담당관 IT기획, 정보자원통합, 운영, 프로젝트관리, 행정포털, 프로젝트

공간정보담당관 공간정보기획, 공간정보개발, 공간정보운영, 스마트사업

정보통신보안담당관정보통신기획, 통신망관리, 정보보호정책, 개인정보보호, 통합보안관제, IT기기지원, 방송통신관리

부산 유시티정보담당관실유시티정보기획, 유시티사업, 정보자원관리, 공간정보, 정보문화, 정보

시스템보호

대구 IT산업과 IT기획, 소프트웨어산업, 모바일산업, 정보서비스, 정보보호, 공간정보

Page 18: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16

2013

지역

정보

화백

시·도 부서 담당(계)

인천 정보화통계담당관실정보화정책, 미래정보화, 120미추홀, 정보문화통계, 행정정보보호, IDC

운영, 정보통신

광주 정보화담당관실 정보기획, 행정정보, 정보보호, 정보통신

대전 정보통신과 정보기획, 행정정보, 정보보호, 인터넷, 지리정보, 정보통신

울산 정보화담당관실 정보기획, 생활정보, 행정정보, 도시정보, 정보통신, 방송미디어

세종 정보화담당관 정보화기획담당, 행정정보담당, 정보통신담당

경기

정보화기획담당관 정보기획, 미래정보, 정보문화, 행정정보

정보화운영담당관 시스템운영, 방송통신, 정보보호

뉴미디어담당관 인터넷언론, 뉴미디어, 소셜미디어

강원 정보화담당관 정보기획, 생활정보, 행정정보, 통신, 정보보호, IT서비스

충북 정보화담당관실 정보기획, 행정정보, 정보진흥, 인터넷, 정보통신, 정보보호

충남 정보화지원과 정보기획, 행정정보, 정보보호, 정보지원, 정보통신, 영상정보

전북 행정지원관실 스마트행정

전남 정보화담당관실 정보기록, 지역정보, 행정정보, 정보보호, 정보통신

경북 정보통신담당관실 정보정책, 정보진흥, 정보보호, 행정정보, 통신운영

경남 정보통계담당관실 정보기획, 행정정보, 정보화진흥, 인터넷운영, 정보통신, 정보보호, 통계

제주 정보정책과 정보전략, 정보서비스, 정보관리, 정보통신, CCTV통합관제센터

제2절 지역정보화 인력

1. 자치단체의 정보화 인력 현황

1) 광역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질적인 정보화 추진은 정보화 담당부서가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실질

적인 정보화 인력과 관련하여서는 타부서의 정보화 담당 인력을 제외한 정보화 담담 부서의

인력 비율 증감 분석을 이용해 향후 정책결정 및 인력조정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

다. 이 분석결과에 따르면 전라남도의 정보화 인력이 95.2%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대구광

역시의 정보화 인력이 –27.6%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전라남도는 타 부서의 정보화 인력

수는 줄어든 반면 정보화 담당부서 인력이 2010년 대비 2011년에 대폭 증가한 이후 증감의 폭

이 크지 않게 유지되고 있다. 대구광역시의 경우 2011년에 비해 2012년에 정보화 담당부서의

Page 19: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16 17

제1편지역정보화추진현황

인력은 줄어든 반면 타 부서의 정보화 인력 수는 늘어난 것으로 파악되어 타 부서와의 긴밀한

협조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체계적인 정보화 투자관리 및 여러 부서에 산재해 있는 다양한 정

보자원의 효율적 관리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2) 기초자치단체

전체 기초자치단체의 정보화인력의 비율을 광역자치단체와 비교하면 광역자치단체의 평

균 정보화인력비율이 2.6%인데 반해 기초자치단체의 평균 정보화인력비율은 2.0%에 그치고

있다.

2. 자치단체의 CIO(Chief Information Officer) 현황

1) 광역자치단체

정보화 업무의 총괄은 대부분 광역자치단체의 기획조정실 또는 기획관리실과 같은 기획부

서에서 수행하고 있고, CIO는 대부분 3급 이상의 고위공무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서울

특별시는 CIO를 계약직(개방형직위) 공무원이 담당하고 있고,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및 전

250

200

150

100

50

0

3.5

3.0

2.5

2.0

1.5

1.0

0.5

00.0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정보화담당부서인력 23.2 5.8 14.3 7.4 10.3 5.6 5.6 0.0 20.5 10.7 11.9 9.7 10.9 8.8 12.4 14.7 16.0

타부서 인력 0.8 1.1 1.6 5.6 18.5 9.8 2.8 0.0 14.7 6.0 6.8 6.2 5.5 6.7 4.3 8.6 13.0

정보화 인력 비율 2.0 1.1 2.1 1.8 2.8 2.1 1.3 0.0 3.2 2.5 2.3 1.9 1.8 1.9 1.9 2.6 2.5

[그림 1-1] 2012년 기초자치단체별 정보화인력 비율

(단위 : %)

2.0

1.1

2.1

2.8

2.1

1.3

0.0

3.2

2.32.5

1.9 1.8 1.9 1.9

2.62.5

1.8

(단위 : 명)

Page 20: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18

2013

지역

정보

화백

라북도는 4급(지방서기관) 공무원이 CIO이며, 충청북도는 행정부지사가 CIO이다.

2) 기초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의 CIO는 대부분의 기초자치단체에서 4급(서기관) 및 5급(사무관) 공무원이지

만,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내 일부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부구청장 및 부시장이 CIO를 담당하고

있다. 기초자치단체가 없는 세종특별자치시를 제외한 나머지 16개 광역자치단체 내 기초자치

단체 중 부산, 대구, 대전, 전라남북도 등의 10개 광역자치단체 내 기초자치단체에서는 CIO가

모두 4급 또는 5급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 1-5] 2012년 기초자치단체 CIO 현황

(단위: 명)

시·도 기초 지자체 수 2급 3급 4급 5급 6급

서울 25 1 - 13 10 1

부산 16 - - 1 15 -

대구 8 - - - 8 -

인천 10 - - 3 7 -

광주 5 - 2 2 1 -

대전 5 - - - 5 -

울산 5 - - - 5 -

세종 0 - - - - -

경기 31 3 4 12 12 -

강원 18 - 1 3 14 -

충북 12 - - 4 8 -

충남 15 - 1 4 10 -

전북 14 - - 4 10 -

전남 22 - - 8 14 -

경북 23 - 1 1 21 -

경남 18 - - 1 17 -

제주 2 - - 2 - -

Page 21: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18 19

제1편지역정보화추진현황

제4장

지역정보화 활용과 역기능

제1절 지역정보화와 SNS

웹 2.0의 기본개념인 개방과 참여, 공유는 인터넷 뿐 만 아니라 정치와 행정에도 영향을 끼

쳤다. 특히 웹 2.0 플랫폼 중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는 공공 부

문에서도 적극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정책결정 과정에 제도적으로 반영하고자 다양한 시

도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많은 정부 부처에서 포털사이트의 블로그, 페이스북 등

웹 2.0 환경의 SNS를 개설하여 정책 홍보 및 소개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13년 8월을 기준으로 17개 시·도청이 모두 3개 이상의 SNS를 운영하고 있었다. 페이스북

과 트위터, 블로그를 기본적으로 모두 운영하고 있었으며, 10개 광역자치단체는 미투데이 서

비스도 운영 중이었다. 9개 광역자치단체는 모바일 웹 이외에 모바일 앱도 별도로 서비스하고

있었으며 주로 지역의 교통정보, 관광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들이었다. 약 3년 사이에 모

든 광역시·도가 SNS와 모바일 웹을 갖추게 된 것이다.

한편, 기초자치단체들은 광역시·도 보다는 낮지만 약 81%가 트위터를 운영 중이었으며, 페

이스북은 약 74%, 블로그는 약 54%가 운영 중이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블로그를 모두 운영

Page 22: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20

2013

지역

정보

화백

중인 기초자치단체도 약 46%에 달하였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 자치단체는 대부분 SNS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중앙정

부와 마찬가지로 SNS는 일방적인 정책 홍보 수단으로만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앞으로

자치단체들이 SNS 활동을 강화할 가능성은 점점 높아질 것이 예측된다. 따라서 철저한 분석과

준비를 통해 바람직한 방향으로 SNS가 활용되어 자치단체의 풀뿌리 민주주의 기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제2절 정보화 역기능

1. 정보격차

정부는 지역 간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빈번하게 발생하는 시·군·구 대민서비스 행정업무

를 중심으로 하며 1998년부터 자치단체의 정보화 사업을 시작으로, 「시군구 행정종합정보시스

템(1999년)」, 「시도 행정정보화사업(2003년)」 등 자치단체 간 정보화 격차 해소를 위한 사업을

적극 추진하였다.

하지만 급속한 정보화의 발달 과정에서 장애인, 저소득층 등 정보 소외계층이 발생하면서

정보격차의 문제는 해소되지 않고 있다. 스마트사회 패러다임 도래로 IT가 개인의 일상생활 뿐

만 아니라 정치·경제·사회·문화에 이르기까지 국가사회 전반의 혁신적인 변화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격차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ICT 인프라와 활용능력이 부족한 노인층이 거주하고 있는 농어촌 등 군지역의 경우 많

은 부분에서 큰 정보격차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지역정보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농어민 등

도시지역을 벗어난 소외지역의 인터넷과 모바일 접근성을 높이고, 지역 거주자들이 새로운 미

디어와 디바이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Page 23: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20 21

제1편지역정보화추진현황

2. 정보보호 및 보안

정보화 사회의 진전에 따라 역기능도 확대되고 있다. 악성 댓글, 스팸메일, 개인정보 유출,

금전적인 목적을 대상으로 하는 피싱(Phishing)이나 파밍(Pharming)에 따른 개인적인 피해가 증

가하고 있으며 불건전 정보유통, 개인 사생활 침해 등과 같은 부작용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

두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역기능은 사회 혼란을 야기하고 국가안보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

이 있기 때문에 심각성이 커지고 있다.

2012년 한 해 동안 민간부문 침해사고 접수처리 건수를 분석해 본 결과 악성코드 감염피해

신고 건수는 총 21,399건으로 전년도 대비 1.6% 감소하였으나 해킹사고 접수처리 건수는 총

19,570건으로 전년도 대비 67.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보안위협과 침해사고 못지않게 정보사회를 위협하는 것이 스팸과 불건전 정보이다. 수

신자가 원치 않는 정보인 스팸은 2007년 신고 접수를 받은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는데, 이

는 신고 접수건 대부분을 차지하는 휴대전화 스팸 신고건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정부는 정보보호를 위한 근간으로 다양한 법제도 바탕의 다양한 정책적·기술적 조치들을

취하고 있다. 국내의 정보보호에 대한 법·제도는 각각 제정 목적 및 기능별로 국가기밀보호

관련 법령, 중요 정보의 국외유출 방지에 관한 법령, 전자서명 및 인증 관련 법령, 정보통신망

과 정보시스템의 보호추진 관련 법령, 침해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령,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령

등이 존재한다.

하지만 법·제도를 바탕으로 상존하는 보안위협에 지속적인 대응과 예방에도 불구하고, 신

기술 개발과 기존 기술의 융합으로 특징되는 오늘날의 IT 환경에서는 새로운 위험요소가 계속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대응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향후 사이버공간의

국가안보 연계성 증대, 정보통신 윤리관의 결여, 전자금융·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역이용한 경

제범죄 확대, 산업스파이에 의한 국부 유출, 범죄에 대한 처벌 규정 미비와 맞물려 정보화의

역기능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같이 정보보호를 위협하는 요소가 다양해지고

그 범위도 넓어짐에 따라 정부와 기업 그리고 개인이 모두 정보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Page 24: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Page 25: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분야별 지역정보화 서비스

제2편

2013 Local Informatization White Paper

제1장 생활정보화 24

제2장 행정정보화 27

제3장 도시기반정보화 35

제4장 산업정보화 38

Page 26: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24

2013

지역

정보

화백

제1장

생활정보화

1. 자치단체 통합 인터넷원서접수시스템(local.gosi.go.kr)1)

「자치단체 통합 인터넷원서접수시스템」은 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및

자격·면허시험의 응시원서 접수시스템이다. 이 서비스는 자치단체 인사행정정보화 3단계 사

업에 포함되어 개발되었고, 2005년 시스템 개발을 시작으로 2007년 대전, 울산, 부산, 경기, 인

천, 충북, 대구 등 7개 기관의 인터넷원서접수센터가 시범운영되었다. 2012년 기준으로 서울시

를 제외한 16개 시도와 협약을 맺고 안전행정부와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주도로 인터넷원서접

수센터 운영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여러 가지 세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고 16개 시도의 공무원 및 자

격·면허 시험 응시접수라는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원하는 정보를 쉽게 제공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국민 누구나 손쉽게 접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향후

웹접근성 등을 더욱 개선하면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 등의 취약계층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

로 기대된다.

1)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자체조사(2013)’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

Page 27: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24 25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2편분야별지역정보화서비스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 생활공감지도 서비스(gmap.go.kr)

중앙부처 및 자치단체는 기관별 수요에 따라 공간정보 DB와 공간정보시스템(GIS)을 구축하

여 활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개별 공간정보시스템 사업 추진에 따른 중복투자 및 분산관리에

서 오는 비효율성 제거를 위해 공간정보에 대한 통합 활용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2008년 정부는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구축 기본계획 수립」했고, 2009년 대전과 제주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본 서비스는 공급자 중심의 행정서비스가 아닌 사용자 중심의 양방향 소통형 서비스로 생활

공감형 서비스 중심의 공간정보 기술을 행정업무에 적용함으로써 업무 처리의 정확성과 국민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구축·운영되고 있다. 2009년 대전과 제주도를 시작으로 2012년

기준 부산, 인천 등 총 14개 지역에서 서비스 되고 있으며, 국가가 보유한 문화재, 도로, 산림,

토지 등의 공간정보와 시설물, 인허가 등의 행정정보가 결합되어 국민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행정기관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와 지도를 사용하기 때문에 신

뢰할 수 있는 질 높은 공공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으며, 다양한 컨텐츠와 결합된 생활밀착형 서

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표 2-1] 생활공감지도 8대 서비스

구분 서비스명 내용

전국

서비스

생활불편 스마트폰 신고생활불편 사항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진과 함께 신고하면 해당 위치를

파악하여 민원을 처리하는 서비스

인허가 자가진단지도를 보면서 규제정보를 바탕으로 인·허가가 가능한지 사전에 판단해

볼 수 있는 서비스

주민안전 도우미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시민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생활하도록 도와주는 위

치기반의 개인화된 서비스

공공서비스 안내지도민원업무 정보와 민원처리 기관을 동시에 제공하고 처리기관까지 이동경

로를 안내하는 서비스

지역특화

서비스지역

뚜벅이 안전길 안내 생활 속 편의와 안전을 위한 맞춤형 도보길을 제공하는 서비스

신장개업 알리미인허가가 완료된 신규업체 정보를 행정시스템과 연계하여 위치정보, 이동

경로와 함께 안내하는 무료 홍보 서비스

길따라 떠나는 여행지역의 대표길 경로안내와 지역 축제, 행사, 특산물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즐거운 여행을 지원(부산 갈맷길, 제주 올레길 등)하는 서비스

새집찾기 길라잡이이사를 고려하는 시민에게 부동산 가격, 역세권 분석, 지역 매력도 분석 등

을 제공하고 이사 후 민원 신청방법을 알려 주는 서비스

참고 : 행정안전부·방송통신위원회·지식경제부 (2012), 「2012 국가정보화백서」

Page 28: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26

2013

지역

정보

화백

더불어 본 서비스를 통해 공간정보와 행정정보 융합 기반의 선진 행정시스템을 구축해 편리

하고 정확한 행정업무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최신 디바이

스와 공간정보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대민 행정서비스를 제공하여 많은 국민에게 유익한 정보

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Page 29: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26 27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2편분야별지역정보화서비스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2장

행정정보화

1. 시도 행정정보화

광역 단위의 행정업무 처리는 물론 중앙부처와 기초자치단체의 허브 역할을 하고 있는 광역

자치단체의 정보화 필요성이 대두되어 2002년 「시도 행정정보화 사업」이 추진되었다. 본 사업

은 중앙부처와 광역 그리고 기초자치단체 간 정책공유 및 정보 전달체계 구축을 통하여 전자

지방정부 구현 기반을 완성하고, 시·도 행정체계의 개선 및 효율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민원

서류 감축과 시간, 장소, 도구에 구애받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반 구축을 목표로

했다.

본 시스템은 광역자치단체가 수행하는 총 24개2)의 행정업무 중 자치행정, 보건위생 등 18개

행정업무와 6개 기본시스템인 공통행정, 서비스포탈, 행정포탈, 공통 및 정보연계활용, 성과

관리,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 기초자치단체와 광역

자치단체 그리고 중앙부처와의 수평적·수직적 정보연계를 위한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시도 행정정보화 사업」을 통해 시·도에서 수행하는 18개 공통 행정업무 분야의 400개 단위

업무에 대한 자동화가 이루어져 업무효율성이 향상되었고, 과거 공통·표준화된 시스템이 없

어 자치단체의 전자적 정보를 활용하지 못하고 수작업으로 처리했던 254종의 보고통계 업무의

2) 정무기획, 교통, 축산, 도시계획, 의회, 법제, 내부행정, 건축주택, 수산, 환경, 경제통상, 보건위생, 도로, 산림, 복

지여성, 농업, 자치행정, 문화관광

Page 30: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28

2013

지역

정보

화백

신속성과 정확성이 제고되었다.

2012년 기준 「시도 행정정보시스템」을 통해 303종의 시·도 민원업무를 전자적으로 처리하

고 있을 뿐만 아니라, 272종의 민원업무를 인터넷으로 접수·처리토록 구현하여 무방문·원스

톱 대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 시군구 행정정보화

대민서비스의 접점인 기초자치단체의 지방행정업무는 과거 재정 상태에 따라 기관별 그리

고 업무별로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수작업으로 업무를 처리하였기 때문에 자치단체별로

대민 서비스 수준이 상이하였다. 이에 지방자치단체 정보화를 담당하고 있는 행정안전부(현

안전행정부)에서는 대국민서비스 창구를 단일화하고, 지역과 무관한 전국단위의 온라인 서비

스를 제공함으로써 대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방행정정보화를 추진하였다.

2004년 시작된 「시군구 행정정보 고도화 사업」은 기초자치단체 관련 정보시스템 및 유관기관

정보시스템에 대해 지방행정업무 전반에 걸친 단절 없는 흐름행정을 지원할 수 있는 통합처리

시스템 개발을 중심으로 하였다. 더불어 기초자치단체의 지역 특성(도시, 농촌, 산림, 어촌 등)

을 반영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전자지방정부의 기반을 구현하였다.

이후 「시군구 행정정보 구축」을 통해 업무처리 지연이 줄어드는 효과를 가져왔고, 하나의 민

원창구로 다양한 민원서류 발급이 가능한 통합민원발급창구체계가 구현되어 대민 서비스가

제고되었다. 또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현장업무 지원체계가 구현되었다. 전국에 「시군구 행

정정보시스템」이 운영됨에 따라 기초자치단체 상호 간 및 유관기관 간 수평적 연계체제 및

기초자치단체↔광역자치단체↔중앙 간 수직적 정보연계체제가 구축되었다. 끝으로 2012년

「시군구 행정정보시스템」을 통해 기초자치단체의 645종의 민원사무가 접수부터 완료 및 사후관리

까지 업무처리가 가능토록 구현되었으며, 민원24를 통해 981종의 민원을 온라인으로 접수하고 처

리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여 지방행정정보서비스를 통한 대국민 만족도가 제고되었다.

3. 지방세정보화사업

「지방세정보화사업」은 「표준지방세정보시스템」과 「통합지방세정보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Page 31: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28 29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2편분야별지역정보화서비스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표준지방세정보시스템」은 지방세 부과·징수를 관리하며, 「통합지방세정보시스템」은 인터넷

납세서비스 및 통계관리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한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기 투자액은 275.8

억 원이었으며, 지방세법·제도 변경에 따른 시스템 유지·관리를 한국지역정보개발원에서

직접 수행하였다.

본 사업은 2004년 「지방세정보화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지방세 정보화사업이 시작된 이후로,

2006년까지 3단계의 지방세정보화사업으로 구분되어 추진되었다. 2011년을 기준으로 동 사업

에 대한 주요성과를 살펴보면, 무엇보다 「지방세법」의 큰 변화에 빠르게 대응함으로써 새로운

제도의 개편에 적절히 안정적으로 대처하고 변화된 「지방세정보시스템」의 착근을 이끌어 냈

다는 것이다. 특히나 2011년 1월 1일 「지방세법」이 「지방세기본법」, 「지방세법」, 「지방세특례제

한법」으로 분법되어 세목체계가 변화되었고, 같은 해 10월 31일부터는 도로명주소의 전면 적

용에 따른 환경적 변화요인들에 따라 시스템의 기능개선과 자료 전환 등이 급격하게 이루어

졌다. 하지만 이러한 법제도와 시스템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위택스의 이용간소화 페이지 설

치와 같은 기능 확장 등을 통한 대국민 납세 서비스의 확대가 이루어져 인터넷 납세의 활성화

를 이끌었다. 특히 민원24와 같이 납세증명서의 실시간 발급 등을 통해 납세자의 편의성을 획

기적으로 개선함에 따라 위택스 가입자는 2010년 180만 명에서 2011년 264만 명으로 증가해 그

편의성과 안정성이 가시적으로 나타났다.

4. 세외수입고도화

세외수입고도화 사업은 기존 「세외수입정보시스템」을 웹기반으로 전환하고 「특별회계표준시

스템」 개발 및 인터넷납부 서비스의 기반을 마련코자 개발된 「세외수입고도화시스템」을 전국

211개 지방자치단체에 확산 및 보급하는 사업이다.3) 본 사업은 기 사용 중인 C/S 기반의 「세외

수입정보시스템」을 인터넷기반으로 재개발해 사용자의 접근성 및 UI(User Interface) 편리성 등

기능 보강과 함께 세외수입 일반회계와 특별회계의 통합관리로 정보연계 체계를 개선하여 인

터넷 납부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관리상의 편의성과 고객서비스의 만족도를 증대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하였다.

3) 지방자치단체의 세입은 지방세, 지방교부세, 보조금 등이 주된 것이지만 그 이외에 사용료, 수수료, 재산임대수입,

이자수입, 사업수입 등이 있으며, 이러한 수입을 통틀어 세외수입이라고 한다.

Page 32: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30

2013

지역

정보

화백

과거 지방자치단체의 세외수입 업무 전산화율은 29.5%에 불과하였다. 이에 안전행정부(구

행정자치부)에서는 한국지역정보개발원(구 자치정보화지원재단)에 의뢰하여 2002년 6월에 전

국 「표준세외수입정보시스템」에 대한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및 개발사업을 주관

하도록 하였다. 그 해 2002년 12월에 대전광역시 등 9개 시·군에 시범운영이 되었으며, 2003

년 6월부터 전국지방자치단체 150개 기관이 사용할 수 있도록 확산보급 하였다. 더불어 2004년

도에 정보화 2단계 사업을 거쳐 2006년도부터 본격적인 유지관리 사업이 시작되어 현재에 이

르고 있다.

세외수입고도화를 통한 성과는 무엇보다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 제고에 있다. 특히 웹기반

의 운영체제로 행정망 내 어디에서나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공인인증서(GPKI, Government

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방식을 통해 이용접근성이 용이해 졌다. 또한 시도 및 새

올 행정시스템에서 SSO(Single Sign On) 방식으로 업무편의성 향상과 함께 다양한 업무시스템

들과의 연계로 행정정보공유 및 통합이용환경 구축을 가능하게 해 행정전반의 업무흐름과 효

율성을 제고하였다.

5. 지방재정정보화사업

「지방재정정보화사업」은 시·도, 시·군·구의 지방재정업무가 예산편성부터 집행 및 결산

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실시간 재정업무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지방재정관리시스템(e-

호조)」을 구축하여 보급하는 사업이다.

「지방재정관리시스템(e-호조)」는 안전행정부와 자치단체가 함께 사용하는 「지방재정통합DB

시스템」과 「지방재정통합정보시스템(LFIS)」, 국민들이 주로 사용하는 「재정고(LOFIN)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지방재정관리시스템(e-호조)」은 기존의 오프라인(Off-Line) 또는 제한적인 온

라인(On-Line)으로 처리되던 업무를 모두 온라인(On-Line)으로 바꾸어 실시간으로 업무처리

가 가능하도록 만들었으며, 업무처리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 내 부

서 간, 지방자치단체 간, 그리고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간에 의사소통이 시스템적으로 이

루어지도록 하여 업무의 혁신을 이끌어 내고 있다.4)

4) 최용락·조준수(2008: 78)의 연구와 최용락·강인재(2008: 22)의 연구에서는 동 시스템을 통해 지방재정업무가 자동으

로 처리되어 업무 및 정보처리를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고, 이용자 확대 및 정보의 정확성 향상을 통해 정보의 활

용도를 제고하며, 나아가 재정서비스의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높은 투자 대비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Page 33: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30 31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2편분야별지역정보화서비스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6. 표준지방인사정보시스템

지방인사업무의 효율성 제고 및 데이터에 기반 한 과학적인 인사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국

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 정보시스템과 연계한 행정정보 유통체계의 필요에 따라 「표준

지방인사정보시스템」을 구축했다. 본 사업은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의 인사업무(채용,

교육, 평정, 퇴직 등) 및 급여업무를 표준화하고 통합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인사행정업무를 효

율적이고 투명하게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2004년 8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3단계에 걸쳐 지속적인 추진을 통해 기능 개선 및 고도화된

본 사업은 개인의 신상관리에서부터 급여서비스 그리고 인사기본정보의 연계 및 교육실적의

관리에 이르기까지 인적자원 관리의 모든 업무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표준지방인사정보시스템」은 기관 간(중앙과 광역자치단체 그리고 기초자치단체), 업무영역

간(인사·급여·총무)의 인사행정업무 체계를 통합·연계하고, 인사 관련 자료의 종합적·체

계적 관리로 인사의 공정성·투명성을 확보하는 성과를 얻었다. 또한, 국가인재DB 등과 상호

연계를 통해 국가 인사정책의 주요도구로 활용됨으로써 중앙과 지방자치단체 상호간 원활한

인사교류 활성화 및 과학적인 인사업무 처리와 의사결정 지원 등 범정부 차원의 인사정보 종

합 활용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7. 정보보호

국가정보원은 「국가정보원법」, 「정보통신 기반보호법」, 「국가정보화기본법」, 「전자정부법」 및

「국가사이버안전관리규정」에 근거하여 국가 정보보안 업무를 총괄해 오고 있다. 이와 함께 안

전행정부는 「국가정보화기본법」, 「전자정부법」, 「전자서명법」, 「정보통신기반보호법」, 「개인정

보 보호법」에 의해 소관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정책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방

송통신위원회는 인터넷 이상 징후를 조기 탐지하기 위해 24시간 365일 상시 모니터링을 수행

하고, 악성코드 점검대상 웹사이트를 200만 개 까지 대폭 확대하여 선제적 예방체계를 운영하

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구 지식경제부)는 2008년 지식정보보안산업 진흥 종합계획을 발표하

며 2009년부터 「정보통신산업진흥법」에 근거하여 지식정보보안 산업의 육성 및 전문 인력 양성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안전행정부의 구체적인 활동내용을 요약해보면, 첫째, 국가기관의 사이버침해 대응역량 강

Page 34: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32

2013

지역

정보

화백

화를 위해 정부통합전산센터와 한국지역정보개발원 및 17개 시·도에 사이버침해대응센터

를 구축하여 각종 사이버공격에 공동 대응하고 있으며, 7.7 DDoS(분산서비스거부,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침해사고 이후 국가적인 사이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범정부적인 공조체제를 가동하고 있다. 둘째,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공인인증제도 운영을 위

하여 5개 공인인증기관에 대하여 정기점검 및 3년마다 엄격한 심사를 통하여 갱신지정 하는

등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셋째, 안전행정부는 개인정보 보호법을 시행(2011년 9월 30일)하여

공공·민간부문을 망라한 개인정보 수집·이용·관리 등 개인정보 처리의 일반원칙과 기준

을 마련하였다. 또한 범정부적 차원에서 2012 ~ 2014년 개인정보보호 기본계획 및 주민번호 수

집·이용 최소화 종합대책(안전행정부·방송통신위원회·금융위원회 합동, 4.20)을 마련하고

25개 부처의 개인정보 관련 법령의 일괄 개정 및 교육·노동·의료·금융 분야별 가이드라인

을 마련하는 등 법·제도적 기반을 정비하였다.

2012년 중앙행정부처에서는 28개의 보안관제센터가 운영되고 있고, 자치단체의 경우 경기와

제주, 경남, 경북 전남 등에서 사이버관제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각 시도별 사이버관제센터에

서는 사이버보안 대응 방안 마련, 정보시스템 실시간 모니터링, 24시간 365일 중단 없는 보안

관제 등을 추진하고 있다.

8. 공공데이터 개방

한국은 「정부3.0 추진 기본계획」을 발표하는 등 공공데이터의 개방과 공유에 적극 나서고 있

으며, 최근 서울시와 전주시가 공유와 개방의 흐름에 발맞추어 선제적 정책을 펼치고 있어 모

범사례로 회자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를 살펴보면 개방·공유·참여의 패러다임에 따라 2011년 「웹 2.0기반 홈페이

지 혁신 사업」을 통해 웹 콘텐츠를 시민에게 개방·공유하여 접근성과 활용성을 높이는 한편,

공공데이터의 선순환 생태계 조성에 선도적 역할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서울시 공공데이터

개방 인프라의 구축과 데이터관리 지침 수립 그리고 데이터 개방을 위한 품질 기반 마련 등 공

공데이터 개방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불어 공공데이터의 민간 활용을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를 창출하고 관련 산업을 육성하려는 취지에서 「열린 데이터 광장」5)을 개설하였다. 현

5) http://data.seoul.go.kr

Page 35: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32 33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2편분야별지역정보화서비스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재 열린 데이터 광장에는 2013년 7월을 기준으로 1,700여 건의 데이터셋이 개방되어 있으며, 시트

(Sheet), 차트(Chart), 지도(Map), Open API, 파일(File), 링크(Link)의 형태로 서비스되고 있다. 서울

시는 데이터베이스 공개 비율을 높여 2014년까지 서울시 공공데이터를 전면 개방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기초자치단체 중 공공데이터 개방에 적극적인 곳은 전라북도 전주시다. 전주시

는 Open API를 개발과 정보 공개에 직접 나서서, 2011년 전주시의 공공정보 Open API 서비스

를 구축하였고, 같은 해 9월에는 문화공간, 공연 및 행사, 문화체험, 한옥마을 맛집, 전주음식

점 등 5종의 공공데이터를 개방하였으며, 2012년에는 시내버스, 공영주차장, 개방화장실, 체육

시설, 공원 등 생활정보를 「전주시 공공정보 공유사이트」6)를 통해 개방했다.

그 외 전북과 전남 그리고 충남과 제주의 데이터베이스 Open API7) 개발 사례를 들 수 있다.8)

먼저 2011년 진행되었던 전라북도의 「한국전통소리문화 데이터베이스의 API 구축」과 충남문화

산업진흥원의 「충남 스마트 문화관광 Open API 구축」 사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라

북도는 국악 이벤트, 국악기, 판소리, 국악기 음악 등 한국전통소리문화 데이터베이스의 5,200

여 건의 정보를 Open API를 통해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였다. 본 서비스로 제공된 Open API

를 통해 한국전통소리문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성이 개선되었으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게되었다. 이 API는 모바일 앱으로 활용할 경우, 위치 정보와 결합하여

이용자가 위치한 곳의 전통소리 검색, 인근 지역의 이벤트 정보 검색, 전통음악 감상 및 벨소

리 활용 등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충남문화산업진흥원은 충남지역 문화자원, 주변 관광지, 축제 및 유명 관광지, 숙

박 및 음식점 등 충남지역 문화, 관광 정보 등 약 7,900여 건의 정보를 「스마트 문화관광 Open

API」로 구축하였다. 충남 관광정보 4,041건, 문화재 정보 1,205건, 숙박 및 음식점 정보 2,241

건, 사진 자료 6,217건 등 알찬 문화관광 정보가 담겨있다.

2012년 사업으로는 제주관광공사의 「제주 온 더 로드」, 전남문화산업진흥원의 「스마트 환경

을 위한 스토리텔링 남도관광 데이터베이스 Open API」를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제주관광공사

의 「제주 온 더 로드」는 제주관광공사가 보유한 온·오프라인 관광 콘텐츠의 Open API 제공을

통해 제주 관광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제주 관광산업의 정보화 향상을 목적으로 추진되

6) http://data.jeonju.go.kr

7) Open API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 API는 운영 체제나 프로그

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8)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데이터베이스 Open API 개발 지원 사업을 통해 추진되었다.

Page 36: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34

2013

지역

정보

화백

었다. 본 사업은 제주지역의 볼거리, 즐길거리, 먹거리 등의 텍스트 및 이미지 정보 6,300여 건

을 대상으로 했다. 이와 함께 전남문화산업진흥원의 「스마트 환경을 위한 스토리텔링 남도관

광데이터베이스 Open API 구축」 과제는 전라남도 지역의 관광안내 데이터베이스를 개발자 및

콘텐츠 기업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Open API로 보급하여 지역 관광문화 사업 활성화 도

모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전라남도 22개 시·군의 관광정보, 음식, 특산물, 숙박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여 스토리텔링형 문화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Open API로 개발하여 제공한다.

Page 37: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34 35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2편분야별지역정보화서비스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장

도시기반정보화

1. 행정공간정보시스템

「행정공간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은 자치단체 행정공간정보체계 구축 사업으로, 시·도,

시·군·구의 행정정보시스템에 지도데이터인 공간 정보를 접목시켜 고품질 행정공간정보 데

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더불어 행정공간정보체계 내의 행정공간정보시스템은 일반 국민에

게는 일방적 행정서비스의 한계를 넘어 지역 밀착형, 양방향 행정서비스를 통해 적극적 참여

를 도모하여 대민서비스의 품질제고를 도모할 수 있다.

「행정공간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은 2007년 자치단체 행정업무 공간정보 연계활용을 위한 정

보화전략계획(ISP) 수립에 따라 15개 자치단체 25개 업무를 대상으로 정의하며 시작되었다. 이

후, 2009년 전국 41개 자치단체 12개 업무에 「행정공간정보시스템」을 적용했고 2012년 기준으

로 246개 자치단체로 확산되었다.

행정공간정보시스템 구축으로 정부는 행정업무 처리시간을 단축함으로써 2,450억 원을 절

감할 수 있었고, 공간정보 활용에 따른 출장 횟수 감소로 331억 원 그리고 민원접수 시간의 단

축으로 93억 원을 절감하는 등 총2,874억 원에 달하는 행정처리비용을 줄였다. 또 행정공간정

보시스템 이용건수도 2009년 대비 약 25배가 증가(2012년 12월 기준)하여, 행정공간정보시스

템이 행정업무에 빈번히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생활공감지도서비스를 통

한 대민 이용건수도 매년 두 배 정도 증가(연 접속자수 증가추이는 2010년 358,836건, 2011년

693,763건, 2012년 1,033,602건)하여, 행정공간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대국민 서비스

Page 38: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36

2013

지역

정보

화백

가 생활 속으로 꾸준히 확산되고 있다.

2. 도로명주소정보시스템

21세기 물류·정보화 시대에 맞는 위치정보체계를 도입하고자, 1996년 대통령 산하 국가경

쟁력 기획단은 누구나 목적지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로에는 이름을, 건물에는 번호를 부여

하여 사용하도록하고 이를 「도로명주소」라 하였다.

「도로명주소법(2011년)」 및 하위법률9)에 따르면, 도로명주소 정보의 공유 및 통합관리를 위

하여 도로명주소 통합센터 설치와 도로명주소정보체계운영을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도로명

주소정보체계란 도로명주소 정보의 입력·관리·안내 등을 위한 전산정보처리조직을 말하며

전산정보처리를 담당하는 물리적기반이다. 현재 도로명주소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은 「국가주

소정보시스템 구축」이라는 사업명으로 추진(2011년〜현재)되고 있다.

도로주소기반 국가주소체계의 안착을 위하여 행정안전부(현 안전행정부)는 지난 2010년까지

전국 시설물에 도로명 주소 설치를 완료하고, 2011년 도로명 주소 사용을 전국에 일괄 고지하

였다. 이후 2013년까지 도로명 주소와 지번을 병행할 예정이다. 또한 도로명주소 정보의 체계

적인 관리를 위하여 2003년부터 도로명 및 건물번호 입력 프로그램 개발(2003년 7월 ~ 2004년 5

월), 도로명주소 기반 표준 전자지도 DB구축(2006 ~ 2009년), 도로명주소 시설물 정비 및 전자

지도 DB구축(2009년 12월 ~ 2012년),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개편(2010년 4월 ~ 10월)사업 등을

추진하였다. 2011년부터는 「국가주소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통해 도로명주소 정보전달체계

개선 전략수립, 국가주소정보시스템(KAIS)개발, 기초구역 DB구축, 위치찾기 선진화 고시시스

템(지점, 기초구역 등) 및 상세주소 관리시스템 개발 사업을 추진하였다.

도로명 기반의 새로운 국가주소체계가 국민생활 속으로 안착될 경우 사회적 비용의 절감은

물론 지역의 방문자가 길을 찾아 헤매는 데 소요하는 시간 비용 등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소방, 치안, 재난관리 등 4응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어 사회안전망이 강화되는 효

과도 있다.

9) 법제처 (2013), 「도로명주소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안전행정부 (2013), 「도로명주소체계 운영규칙」.

Page 39: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36 37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2편분야별지역정보화서비스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3. 지하시설물정보 통합관리체계

도시기반 시설물은 대부분 안전상의 이유로 도로를 따라 지하에 매설되어 있으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준공 도면의 분실 및 지형변화 등으로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려워 도로굴착 공사

시 배관 파손으로 인한 화재, 폭발, 유독물질 누출 등과 같은 사고 위험을 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정부는 도로굴착 공사 시 발생하는 관로파손 등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기

관별로 보유한 7대 지하시설물10)의 정확한 위치 및 이력 정보를 한 곳으로 모으고 업무 담당자

들이 쉽게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지하시설물정보 통합관리체계 구축」 사업을 추진하였다.

「지하시설물정보 통합관리체계 구축」 사업은 1998년 19개 거점도시의 지하시설물 전산화를

시작으로 전국 주요도로에 매설된 7대 지하시설물을 전자도면으로 제작한 사업으로 2012년 기

준 전국 약 28만 7천 km의 지하시설물 DB구축이 완료되었다. 또한, 이 「지하시설물정보 통합

관리체계 구축」 사업에는 기구축한 지하시설물의 체계적인 관리 및 활용을 위하여 「웹기반 시

설물관리시스템」, 「도로굴착점용인허가시스템」, 「지하시설물정보 자동갱신시스템」11), 「지하시

설물통합관리시스템」이상 4가지 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이 포함되어 있었다.12) 이 정보시스템 구

축사업은 전국 82개 모든 시(市)를 대상으로 확산 완료(2011년)하였으며, 현재 군지역을 대상

으로 시스템을 보급 중에 있고, 국토교통부(구 국토해양부)는 2015년까지 전국 단위의 지하시

설물 통합관리체계를 완성할 계획이다.

그동안 국토해양부는 「지하시설물정보 통합관리체계 구축」 사업을 통해 지하시설물 첨단관

리 기반마련으로 안전사고에 대한 걱정 없는 국민생활 환경을 조성하는데 노력해 왔고, 연간

약 200억 원 이상 소요되던 지하시설물 갱신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

불어 2012년부터 민원인은 관공서 방문 없이 인터넷상으로 도로점용·굴착 인허가를 받을 수

있게 되었고, 이 외에도 인허가 과정에서 각종 비리를 차단할 수 있어 행정투명성 확보에도 기

여할 수 있었다.

10) 7대 지하시설물: 상수도, 하수도, 전기, 가스, 통신, 송유, 난방

11) 「지하시설물정보 자동갱신시스템」: 주요 지하매설물 설치공사를 시행한 자가 「도로법」에 따라 의무 제출하는 준공

도면의 정확도를 자동 검사하고, 관련부서간 연계업무를 온라인화 함으로써 지자체 담당자들이 준공도면을 쉽게

공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출처: 대한측량협회. 정책리뷰. 2012. 1.2. pp. 32-33).

12)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2011.04.12.

Page 40: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38

2013

지역

정보

화백

제4장

산업정보화

산업 정보화는 사업의 경쟁력 향상과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목적으로 기업내 정보화는 물론

기업 간 정보화 기반의 네트워킹을 강화하고 산업 활동에 필요한 산업정보의 구축과 유통체제

의 확립 등 산업과 정보화를 접목하는 제반 활동을 의미한다.

지역산업정보화는 지역산업의 진흥을 위해 지역에 소재해 있는 기업이 정보화를 통하여 생

산·경영·홍보의 측면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특성과 잠재력을 정보화

하여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하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의 경제활동에 필요한 정보

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등 지역의 산업 활동에 정보화를 접목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1. 정보화마을

지역산업 정보화와 관련한 지역주민의 삶의 질 제고 및 지역경쟁력 향상을 위해 추진되고

있는 대표적 사업으로는 안전행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정보화마을

사업을 예로 들 수 있다. 2001년부터 시작된 정보화마을 사업은 지난 12년간의 성장을 통해 지

속 성장이 가능한 자립형 마을공동체 육성사업으로 발전해 오고 있다. 사업 초창기의 경우 도

시와 농촌 간 정보격차해소에 중점을 두고 추진해 왔으나 2000년대 중반 이후 정보격차해소

노력에 대한 성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면서 전자상거래를 기반으로 한 지역경제 활성화 부문

Page 41: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38 39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2편분야별지역정보화서비스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정보화마을 사업은 정보화에 소외된 농산어촌개발을 위한 새로운 방향

을 제시해 오고 있으며, 특히 농산어촌지역의 정보이용 생활화 촉진, 지역공동체 의식 함양,

전자상거래 활성화 등 정보화를 통한 마을 소득증대 기여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

또한 지역의 특성을 기반으로 정보화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역의 수요에 부합하

는 특성화된 모델을 개발하였고 이를 근간으로 전국 25개 마을을 초기 정보화마을 시범지역으

로 선정해 시범 추진 후 전국에 확대 보급하였다. 또한, 정보화마을 대표사이트(www.invil.org)

와 인빌쇼핑(www.invil.com), 체험관광 사이트(tour.invil.com)의 기능강화 및 활성화를 통하여

정보화마을 운영활성화 및 마을자립운영 기반을 지원해오고 있으며, 2006년부터는 u-Village

서비스 실현을 위한 콘텐츠 구축 및 시범 서비스를 실시하였다.

2. 통합무역정보서비스(트레이드내비, TradeNAVI) 시스템

정부는 FTA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으나, 정보가 곳곳에 산재하여 국내기업들의 정보

습득이 어렵고 EU와 같이 체결국이 다양하게 구성될 경우 국가별 내국세, 환경규제 등을 별도

로 조사해야 해 기업이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런 어려운 환경 속에서 「통합무역정보서비스」

는 중소기업의 FTA관련 무역정보 획득비용을 경감하고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해 국가별·품목

별로 산재되어 있는 FTA와 관련한 정보를 정리·통합·연계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2011년

5월부터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와 무역협회가 공동 구축 해 2012년 1월부터 EU FTA에

대한 서비스를 시작으로 미국(2012년 10월), 인도·ASEAN(2012년 12월) 무역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통합무역정보서비스」는 수출기업이 효과적으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HS코드13)별 관세

율을 비롯하여 기술·환경규제, 국제인증, 수입요건 등을 통합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기술표준

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KOTRA,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등의 규제, 마케팅, 인증 DB와 연계하

여 최신 전문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기업 수출단계에 맞추어 필요정보를 제공하는

웹페이지로 바로 안내하는 무역정보안내지도와 무역유관기관의 무역지원사업정보도 실시간

13) HS코드 :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에 따라 대외 무역거래

상품을 총괄적으로 분류한 품목분류 코드

Page 42: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40

2013

지역

정보

화백

검색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2012년 1월 EU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를 시작으로 누적 사용자 수 29만 명, 페이지뷰 59만

건을 기록(2012년 12월 기준)하는 등 높은 기업 활용도와 만족도를 보여주었고, 향후 제공국

(중국, 홍콩, 대만 등) 확대를 통해 기업의 실질적인 수출활동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Page 43: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40

지역별

지역정보화

추진 현황

제3편

2013 Local Informatization White Paper

Page 44: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42

2013

지역

정보

화백

본 장에서는 각 지역별로 나타나는 정보화의 현황을 요약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17개 시도를 대상으로 각 지역 별 지역정보서비스를 중심으로 지역정보화 추진현황을 알아본

다. 이로부터 지역정보화의 흐름과 함께 지역별 정보화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1. 서울특별시 지역정보화 사업

1) 1990년 이전 ~ 2011년 지역정보화 사업

연도 사업 내용

1990년 이전

인사시스템

- 수기로 관리되던 직원 인사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

- 채용, 승진, 급여, 교육훈련, 복지 등 공무원 인사전반의 업무가 단일의 데이터베이스와 관리시스

템으로 통합됨으로써, 업무의 중복 작업이나 불일치 등의 문제를 해소하고 정보의 최신성과 정확

성을 확보함

1991~2000년

지방세 세무종합 시스템

- 과거 세목별 그리고 단위업무별로 처리되고 또한 체납업무별로 운영되어온 지방세 업무를 자치

구별로 업무를 운영하면서도 납세자별 과세정보를 통합처리하고 업무의 전 과정을 종합처리 할

수 있도록 개발함

- 세무업무의 전 과정을 시스템화 및 모든 자료를 DB화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확보함

- 투명한 세원관리로 인한 업무의 비리를 미연에 방지해 신뢰행정의 기반을 다질 수 있었고, 거주

지와 무관한 민원서류 발급 등은 서비스의 질적인 향상을 가져옴

- 체납자료 통합관리 및 개인별 과세 이력관리가 가능해져 세입증대에 효과를 얻음

2001~2011년

120다산콜센터

- 서울시와 관련된 민원을 전화로 해결해 주는 종합민원 콜센터로 시민의 전화민원에 장시간 대기

와 전화돌림 그리고 공무원들의 불친절 등의 문제를 개선하고, 시와 구청의 관련 민원과 궁금증

을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안내할 수 있는 서울시만의 대민서비스 창구임

- 2008년 국내 최초 콜센터 서비스 KS인증 및 ISO20000 인증과 ISO9001 인증을 획득하였음

- 2009년 고객감동경영대상 공공·행정부문 2년 연속 종합대상을 수상했으며, 2010년 아웃소싱 우

수기업 대상, 한국 장애인 인권상을 수상하였음

- 2013년 3월까지 총 838개 기관 5,339명이 본 사업을 벤치마킹 함

2) 2012년 지역정보화 사업

가. 생활정보화 : 「민관합동 수해 커뮤니티 맵」

서울시는 지금까지 관에서의 일방적인 활동만으로는 침수피해의 파악과 예방 등의 수해문

제 해결에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음을 느끼고 시민의 눈을 통해 수해문제를 해결하고자 과거

와 다른 보다 더 직접적인 참여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했다.

더불어 위치정보와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의 결합 및 공유가 가능해 지고 GPS칩, 카메라,

무선통신기능이 장착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위치기반 정보생산과 공유가 가

Page 45: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42 43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능함에 따라 새로운 기술을 접목할 필요가 있었다.

본 사업으로 시민의 눈을 통한 서울시 전 지역의 침수피해 현장 파악과 대책수립이 용이해

지면서 공무원 인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으며, 더불어 모바일 활동성 분야 국내 1위 사이

트와의 민·관 합동 커뮤니티맵 구축으로 다수 이용자를 확보할 수 있어 과거 커뮤니티맵에서

지적된 이용실적 부분도 해결할 수 있었다.

수해 커뮤니티 맵에는 2012년 5월부터 그해 10월까지 총 77건의 시민제보와 의견이 제시되었으

며, 게시물의 평균 조회 수는 약 7,500회로 최다 조회게시물은 83,401회에 달했다. 더불어 시민 제

보사항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와 시민들과의 양방향 소통을 통해 우호적인 시민의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나. 행정정보화 :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구축」

스마트기기 기반으로 공유와 소통의 업무환경을 확산시키고 실시간 현장업무를 처리하며

신속한 의사결정 및 정보공유 등을 목표로 모바일 오피스의 구축 사업이 진행되었다.

단방향의 내부 행정정보 제공 시범서비스를 시작으로 추진된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구축」

은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의 구축과 서비스 확대로 구분되어 추진되었다. 우선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구축」은 사업비 174백만 원으로 2011년 10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약 5개월의 기간 동안

추진되었다. 이를 통해 직원검색과 시정연합뉴스를 제공하며 게시판을 통해 시업무 공지와 부

서업무 공지 그리고 경조사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추진된 행정포털 개선사업에 포함되어 추진된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 확대사업은 사업비

32백만 원으로 2012년 12월부터 2013년 9월까지를 목표로 추진되었다. 본 사업은 행정포털 게시판

표준화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 콘텐츠를 적용하고 시정 질의 게시판 등을 추가하는 사업이었다.

2012년 2월 런칭된 서울시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은 본청과 본부 그리고 사업소의 스마트패

드와 같은 기기를 보유한 직원을 대상으로 추진되었다. 대상 업무는 시와 부서의 업무 공지 그

리고 경조사와 조직도 및 직원 검색 등이었다. 2013년 7월 기준으로 본 사업을 통해 모바일 오

피스를 설치한 직원은 전체 4,263명에 달해 그 효과를 실감할 수 있었다.

다. 도시기반정보화 : 「서울시 공공 무선인터넷(WiFi) 구현」

서울시는 시민 누구나 무료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세계최고의 무선인터넷 도시로 육

성하기 위한 목표를 세우고 실내외를 막론하고 어디서나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도시,

경제력에 상관없이 필요한 사람 누구나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도시, 무선인터넷을 통

Page 46: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44

2013

지역

정보

화백

해 다양한 도시서비스가 제공되는 도시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는 185개소에 공공 무선인터넷을 구축하고 1,057개의 AP를 제

공하고 있다. 무선인터넷은 공공 무선인터넷과 행정 무선인터넷으로 이원화 되어 있는데 이

중 공공 무선인터넷은 2011년부터 서울시와 이동통신사 3사가 MOU를 체결 협력하여 서울시

주요거리, 전통시장 등에 구축하고 있고, 행정 무선인터넷은 공공기관에 구축하는 것으로 서

울시를 내방하는 민원인에게 서비스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시는 시민들에게 보편적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소통의 기회를 넓히는데 앞장서고 있다.

이를 통해 시민들에게 스마트폰 뿐 만 아니라 모든 모바일 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검색

하고 의견을 표현하며 시정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라. 산업정보화 : 「서울 앱 개발 창업지원센터」

서울시는 첨단 모바일과 IT 융합산업 활성화 계획을 통해 서울형 앱 비즈니스 산업 육성 및

스마트 앱 전문가 1만 명 양성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했다. 더불어 모바일 앱 산업이 IT 신성장

동력산업 및 청년 일자리 창출의 대안으로 급부상하면서 이를 위한 교육훈련과 개발공간의 제

공 그리고 컨설팅 등의 지원을 우선적으로 고려했다.

이와 같은 환경속에서 서울시는 2011년 5월 「서울앱창업센터」를 개소 해 운영하고 있으며,

본 시설은 센터 314㎡(약95평), 교육장 112㎡(약29평, 36인용)의 규모로 테스트베드 10석, 개발

실 7실을 갖추었고, 테스트베드용 임대장비 7종 127대, 무선시험환경 1식의 장비를 갖추고 예

비창업자를 지원하고 있다.

「서울앱창업센터」는 2011년 5월 센터 개소 후 38개 팀이 입주했고, 이 중 11개 팀이 창업에 성공하

였다. 또한 취업 67명, 앱 등록 26건, 특허출원 6건, 상표등록 4건의 실적을 올리며 그 역할을 톡톡

히 해 냈다. 더불어 MS와 KT 그리고 한국생산성본부 등 민간 협업을 통해 연간 700명 이상을 대상으

로 앱 개발자 양성교육을 시행하여 2013년 현재 2,003명의 전문 앱 개발자를 양성해 내는 성과를 올

렸다.

이런 양적인 성과와 함께 본 사업의 질적인 성과를 보자면, 무엇보다 재능은 우수하나 자본

력이 없는 앱 관련 예비창업자를 위한 인큐베이팅(incubating)의 장을 제공해 젊은 앱 개발자들

이 안정된 창업과 성과를 이뤄낼 수 있는 일자리 창출기반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더불어 앱 개

발자 교육과 공공앱 공모전 그리고 앱 컨퍼런스 등 다양한 지원행사를 통해 스마트 앱 산업발

전과 활성화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Page 47: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44 45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2. 부산광역시 지역정보화 사업

1) 1990년 이전 ~ 2011년 지역정보화 사업

연도 사업 내용

1990년 이전

토지관리 ON-LINE 개발

- 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구 이상 5개 구 221천 필지에 걸친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을 1982년

최초로 전산화한 것으로 매년 수록 필지를 확대했을 뿐 아니라 소유자 변동 등의 사항도 처리함

- 본 사업을 계기로 전산요원 관리와 운영을 체계화하고 저변 인력의 확보와 역량 증대, 마인드 확

산으로 시정 전산화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서며 오늘날 지역정보화 사업분

야에서 선두주자로 자리매김 함

- 당시 국가 주요 시책사업의 하나로 중앙의 행정전산망계획과 연계 추진됨으로써 타 지역의 정보

화 사업 추진을 위한 벤치마킹 대상이 됨

1991~2000년

재정정보·민원정보시스템 구축·운영

- 「세입·민원행정종합시스템 구축 사업」이 보완된 것으로, 지방세, 예산회계, 세외수입, 인허가, 세

입통계의 효율적 관리가 시스템 구축의 주된 목적임

- 취·등록세 등 전산자료와 시 금고 수납자료의 구· 군 자동전송 및 전산 소인이 가능해져 행정

능률이 극대화되었고, 세입과 자금의 흐름 등 모든 자료의 실시간 종합관리를 통해 세원과 재정

의 과학적인 관리를 위한 경영정책 정보의 제공이 가능해졌음

- 예산의 편성, 배정, 집행, 결산까지 전 과정이 자동처리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인허가와 관련한 민원인

을 대상으로 시역 내 체납세액 납부 안내로 약 10%의 세수증대도 가져옴

- 아울러 정보시스템의 구축으로 주전산기 및 SW 유지보수료, 우편료 등의 예산절감 효과를 가져 옴

2001~2011년

도시정보시스템(UIS) 구축·운영

- 시 전역(16개 구·군 768㎢)을 대상으로 지형도, 도로, 상수도, 하수도, 새 주소 등 5개 부문의 DB

구축과 도로관리, 도로굴착 온라인, 상수도관리, 하수도관리, 새주소 안내, 종합 공사 관리 등의 운

영시스템으로 관련 전산장비 등을 도입하여 구축함

- 도로와 상·하수도 관련 지하시설물을 정보화함으로써 관 파열, 누수, 단수 등 시설물관련 사고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 짐

- 주요정책 입안과 계획 수립 시 지형공간과 각종 시설물에 대한 공간적·총체적 분석 자료로 활용

할 수 있게 되어 u-City 구현에 부합하는 공간정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게 됨

2) 2012년 지역정보화 사업

가. 생활정보화 : 「지방세 무인수납 서비스 시스템 구축」

「지방세 무인수납 서비스 시스템 구축」은 정보화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지방세 납부수단

제공과 「장애인 차별 금지법」의 본격 시행에 따라 장애없는 생활환경을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

의 확대를 목적으로 추진됐다.

본 서비스 시스템은 지방세, 세외수입, 사용료 등 모든 세금을 신용카드나 계좌이체로 수납

가능하게 했다. 특히, 장애인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납부할 수 있도록 2차원 바코드 납부, 무인

수납기와 근거리 통신망에 의한 스마트폰 납부를 목표로 2011년 11월 28일부터 2012년 1월까

지 추진되었다.

Page 48: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46

2013

지역

정보

화백

추진결과 전국 최초의 장애인 겸용 지방세 무인 수납기로 사회적 취약계층 등에게 납세편의

를 제공하였다. 특히 지방세 28종, 세외수입 487종의 통합 납부와 실시간 영수증 발급으로 원-

스톱 민원해결을 이뤄냈다. 그 결과 지방재원 확충에도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타 시·도와 차

별화된 서비스 제공으로 애향심과 자긍심을 고취한 것으로도 보여 진다.

나. 행정정보화 : 「스마트 시티 국제협력 추진」

본 사업은 부산광역시가 스마트 시티 관련 국제교류와 협력을 통해 부산을 전 세계에 홍보

할 필요가 있고 u-City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국가 간 협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추진한 사업이었다.

그 동안 부산광역시의 스마트 시티를 위한 국제협력 추진 대표사례로 시티 프로토콜(City

Protocol) 국제협의체 발족회의 주도 도시로 참가한 것을 들 수 있다. 더불어 스마트 시티를 위

한 주요 국제협력·홍보 사업을 살펴보면, 2010년 6월 부산시 자매도시의 정보화 정책관(캐나

다, 그리스, 스페인, 중국, 인도 등 9개국 10명)을 대상으로 한 부산시 u-City 추진사례와 「전

자정부 온나라시스템」 시연, 2010년 11월 u-City 월드포럼 2010 국제컨퍼런스1) 에서의 「부산시

u-방재통합플랫폼 구축」 사례 발표 및 해외 초청인사를 대상으로 한 「부산 교통정보서비스센

터의 ITS시스템」 소개 및 시연, 2010년 12월 APEC 국제교육협력원이 주관한 이러닝 연수과정

에 참여한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13개국 연수생 16명을 대상으로 부산시의 정보화와

u-City 구현 관련 체험연수 프로그램 등을 들 수 있다. 이어 2012년 5월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2012년 스마트 페스티벌에서의 부산 u-City 사례 발표와 2012년 6월 1일 여수 엑스포에서

의 한-스웨덴 스마트 시티 포럼 사례발표가 있다. 이 뿐만 아니라 2012년 11월 29일 한-프랑

스 스마트 시티 세미나에서 프랑스 니스시 부시장 등 30여명을 대상으로 사례 발표를 진행했

다. 이런 다양한 노력들과 함께 부산광역시는 국내 최초의 「u-City 계획」수립 등 혁신적 스마트

시티 추진성과를 인정받아 지난 2012년 5월 이탈리아 토리노의 2012 스마트 페스티벌에서 「아

레떼어워드」 도시 혁신상을 수상했을 뿐만 아니라 2014년 ITU 전권회의를 유치하게 되었다.

다. 도시기반 정보화 : 「기후 변화에 대응한 스마트 방재 시스템 구축」

「기후 변화에 대응한 스마트 방재 시스템 구축·운영 사업」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한 첨단

1) u-City 수출 활성화를 위한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u–시범도시를 국내 u-City 표준모델로 제시하여 국

내·외 홍보를 확산하고 산업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국토해양부 주최로 개최하였다.

Page 49: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46 47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방재시스템을 통합 구축하였다. 본 시스템의 개발 구축은 국토해양부 u-시범도시 지정 및 지

원 사업 공모를 통해 선정된 사업으로 「u-방재 인프라 통합 플랫폼 구축」과 「u-방재 침수예측

시스템 구축」이 있다.

먼저 「u-방재 인프라 통합플랫폼 구축」은 단계별(1, 2단계)로 추진했던 사업이었다. 1단계에

는 u-방재 인프라 통합플랫폼 구축, u-배수펌프장 원격제어시스템 구축, u-개인단말기 서비

스 구축 및 방재관련 수익모델 개발이 주된 내용이었다. 2단계에서는 재난용 무선 인프라망 구

축, 3D GIS 기반의 상황관리체계 구축 그리고 부산재난안전 앱스(Apps) 통합서비스 구축 사업

이 포함되었다.

이와 함께 「u-방재 침수예측시스템」의 주된 운용내용으로는 현장 침수정보 수집 및 분석,

현장 CCTV를 통한 침수상황 실시간 감시, 침수예측 상황 관제, 부산 재난 Apps을 통한 침수

관련 정보의 대시민 서비스를 들 수 있다.

본 시스템의 구축·운영의 성과로는 무엇보다 각종 재난·재해 상황에 보다 신속한 상황 판

단과 대응체계 확립 등으로 종합적인 관리 기반이 마련된 것을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관

기관 간 정보공유를 통해 보다 신속·정확한 유기적 대응이 이뤄질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성공적인 u-방재 시범도시로 타 지자체에 모델이 확산됐고, 이동형계측기의 특허출

원으로 향후 연간 1천만 원 정도의 세수증대 효과도 예상된다. 그 외 「u-방재 침수예측시스템」

의 구축으로 기상상황별 침수변화 특성 분석이 가능해져 재난 피해지역의 예측이 보다 정확해

짐에 따라 예방과 대응이 용이해졌고, 이에 따른 막대한 사후 복구비용의 절감이 가능해진 점

도 주요 성과라고 하겠다.

라. 산업정보화 : 「모바일 앱 개발센터 구축」

부산시의 모바일 앱 개발센터는 지역 내 시민들에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환경을 지원

하고 1인 창업자를 육성하고자 시작됐다. 나아가 SW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모바일 기반 애

플리케이션과 콘텐츠 시장을 선도해 1인 창조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했다.

전문인력 양성 및 모바일 개발 지원의 경우, 모바일 앱 개발 전문교육 130회 2,708명, 모바

일 앱개발 및 등록 397건, 클라우드 시스템 및 테스트장비 지원 2,205명, 부산모바일 포럼 개

최 5회 685명, 부산 모바일 협의회 개최 171회 2,909명의 실적을 기록했다. 이와 더불어 창업지

원 부분에서는 1인 창조기업 창업(사업자 등록) 84개 업체 214명, 창업지원실 운영 85명2), 모바

2) 공고를 통해 사업계획서의 접수와 평가 기준표에 따른 입주자 선정이 이루어짐.

Page 50: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48

2013

지역

정보

화백

일 앱 개발자 창업자금 지원 46개 업체 222백만 원(업체당 5백 원 내외)의 실적을 올렸다. 특히

1인 창업자 육성을 통해 2010년에서 2012년까지의 3개 년 간 3,321백만 원을 투자해 279명의

창업 및 취업 실적을 올렸다.

3. 대구광역시 지역정보화 사업

1) 1990년 이전 ~ 2011년 지역정보화 사업

연도 사업 내용

1990년 이전

- 전산처리계 신설이후 재산세 부과업무 전산용역 개발, 자동차세 부과업무 전산용역 개발 및 급여

관리업무 전산용역을 개발하여 전산업무를 처리함

- 전산업무 확산은 주전산기 설치이후 IBM 온라인으로 자동차 등록업무를 전산용역 개발이 완료된

이후에 본격화 되었으며, 인사관리 등 다른 배치업무도 확대 개발하여 추진함

1991~2000년

도로대장 전산화

- 도로관련 현황 및 자산 파악, 도시계획 지원사업 등 능률적인 도로행정을 알 수 있는 종합적인 정

보관리체계

- 1단계 사업은 약 5년 동안 시가지 지역 142.68㎢를 대상으로 1/500 현황평면도(수치지형도)를 제

작하는 것으로 이루어짐. 2단계 사업은 약 4년 동안 이루어 졌으며, 외곽지 303.6㎢ 지역에 대해

1/2,500 현황평면도(수치지형도)를 제작하는 것으로 마무리 됨

- 도로시설물 현황평면도(digital map), 도로지하점유물도(digital map), 도로용지 구성도(digital map)

작성 그리고 도면 및 대장조서 전산화 구축을 포함함

1991~2000년- 늘어나는 교통수요와 도로관리의 효율을 담보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 도시행정 계획업무나 정책

결정시의 이용과 업무처리 시간 절감 등의 효과 기대

2001~2011년

공간정보통합시스템 구축

- 지리정보의 기관별 독자시스템 구축으로 인한 예산 낭비와 자료의 중복구축 등 정보의 공동이용

부재로 인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추진

- 안전사고 요인을 제거하고 지형, 지물 변동에 대한 기본도의 현실성을 확보함으로써 정보의 상호

공유와 더불어 기관들 간의 정보공유를 위한 기반을 구축

- 세부사업의 내용으로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응용프로그램 개발, 지리정보 보안시스템 구축과 시

스템(HW, SW) 도입으로 구분

- 베이스 맵(BaseMap)과 시설정보의 갱신비용을 절감해 경쟁력 제고를 가져왔고, 정보의 통합과

공유가 가능한 정보자원환경을 기반으로 도시기반의 시설관리가 용이해짐에 따라 재난예방에도

큰 효과를 가져옴

2) 2012년 지역정보화 사업

가. 생활정보화 : 「대구 근대골목투어 앱 구축」

개인단위의 관광객에게도 다양한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앱 등 서비스 제공방

안으로 「대구 근대골목투어 앱 구축」이 시작되었다.

Page 51: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48 49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대구 근대골목투어 앱」의 구성과 기능을 살펴보면 우선 5개 코스별 관광객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자체 제작한 일러스트 지도서비스가 제공될 뿐만 아니라, 관광지에 대한 정보는 영

어·일어·중국어로 동시에 제공되고 있다. 이와 함께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디지털스토리텔

링을 통해 관광객의 흥미를 유발하고, 36개 관광지를 대상으로 스탬프 투어 기능을 구현해 방

문객의 재미를 더해 접근성을 높였다. 앱 다운로드는 2013년 말 2만여 건까지 달할 것으로 예

상되며, 더불어 관광중심도시 대구로 발돋움하기 위한 발판이 되고 더 나아가 지역경제를 활

성화하는 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나. 행정정보화 : 「모바일 웹 확대구축」

대구시 「모바일 웹 확대구축」은 일방적 시정의 홍보와 참여가 아닌 쌍방향적인 소통과 시정

정보의 개방을 통한 자발적 참여를 이끌고,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같은 온라인 미디어

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환경 구축의 일환이었다.

사업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모바일 홈페이지의 전면 개편, 외국어 서비스 보완 그

리고 관리시스템 구축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모바일 홈페이지 전면 개편은 디자인과 컨텐츠

등을 중심으로 진행된 것으로 레이아웃 등 디자인 측면과 접근성의 용이성 확보 그리고 외국

어 서비스 등을 보완하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외국어 서비스의 경우 기존 영어, 중국어, 일본

어 홈페이지를 기반으로 해 스마트폰 환경에서 이용 편의성을 높인 콘텐츠를 구축하였고, 관

리시스템의 경우 모바일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관리자 페이지를 구축해 콘텐츠 관리와 이용자

의 활용 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했다.

다. 도시기반정보화 : 「공간정보통합 DB 상시갱신」

대구광역시가 보유하고 있는 수치지형도 중 지형변화가 잦은 도심지역을 중심으로 최신 DB

를 확보하고 유지관리하는 일은 다양한 도시발전정책 수립을 위해 무엇보다 필요한 부분이었

다. 이와 함께 「도로기반시설물 정보통합에 관한 지침」에 의거 최신 지하시설물도의 통합관리

를 요구받는 상황이었을 뿐만 아니라 정보의 연계와 공유를 중심으로 타 부서와 관리기관 시

설물 정보통합에 의한 시스템 활용이 중요한 과제로 제기됨에 따라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된

사업이었다.

2012년 2월부터 2012년 7월까지 5개월 동안 추진된 「공간정보통합 DB 상시갱신 사업」은3) 중구

3) 2006년 공간정보통합 사업 완료 후 2012년 7월까지 시비 총 사업비 2,003백만 원 소요 되었다.

Page 52: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50

2013

지역

정보

화백

0.1km2, 동구 0.3km2, 서구 0.2km2, 남구 0.1km2, 북구 1.1km2, 수성구 1.2km2, 달서구 0.5km2,

달성군 0.5km2을 대상으로 항공사진에 의한 수정도화 방식으로 갱신 추진되었다. 이를 통해

구축된 DB는 대구광역시의 상·하수도 지하시설물도 관리의 기본도로 활용되었을 뿐만 아니

라 지리정보기반 시스템의 주제도로 이용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시와 유관기관 등의 공사와

용역사업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되어 도시개발정책에 있어 중요한 정책결정의 토대가 되기도

했다.

특히나 본 사업을 통한 수치지형도 갱신주기의 단축은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했고, 지리정보기반 시스템의 행정업무 활용도를 제고했다. 또한 최신의 지리정보를 관

련부서 및 유관기관에 제공하여 도로굴착 및 개설, 시설물관리, 도시계획, 택지개발 등 주요사

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등의 정성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정량적인 부분의 예산을 살펴보면

수치지형도의 갱신체계를 일괄 갱신에서 변화된 지역만 갱신하는 체계로 전환하여 DB갱신의

사업예산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라. 산업정보화 : 「중소기업 무료 홈페이지 제작 및 구축」

「중소기업 무료 홈페이지 제작 및 구축」은 크게 경제활성화 측면과 지역 정주성 향상의 두

가지 목적을 두고 추진되었다. 먼저 경제적 측면을 살펴보면 중소기업과 사회적 기업 및 1인

창조기업의 홈페이지 제작운영에 따른 부담해소와 e-비지니스를 통한 기업육성 그리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이와 함께 사회서비스 제공을 지원함으로써 지역주

민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2009년 이후 4년 동안 지속적으로 추진된 「중소기업 무료 홈페이지 제작 및 구축 사업」은 누

적실적 105건에 달하며 지역경제 지원의 좋은 사례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본 사업으로 e-비

즈니스 지원체계를 구축해 지역기업 대내·외 경쟁력 제고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지원할 수 있

었다. 또한 영세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을 통해 기업과 대구광역시의 친화적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었다.

Page 53: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50 51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4. 인천광역시 지역정보화 사업

1) 1990년 이전 ~ 2011년 지역정보화 사업

연도 사업 내용

1990년 이전

자동차·부동산·주민관리 전산화 구축

- 국가행정전산망구축 추진계획에 의거하여 자동차, 부동산, 주민관리 전산화 구축사업을 추진

- 주민관리전산화 1991년 1월, 부동산관리전산화 1990년 4월, 자동차관리전산화 1990년 3월부터 각

각 대민서비스가 실시됨으로써 단순반복적인 업무 및 민원과다업무가 전산 처리되어 신속한 업

무처리가 가능하게 됨

1991~2000년

도시기반시설종합전산화

- 상하수도, 도로, 지하철 등 도시기반정보시설에 대한 통합 DB를 구축하여 향후 도시기반시설을

종합적, 과학적 관리를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

- 부평구 지역에 대한 상수도, 가로수관리시스템 개발을 시작으로 추진한 「도시기반종합전산화사

업」은 인천시 전역으로 확대 구축되어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 행정업무의 신속성과 정확

성을 확보하여 대민행정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킴

2001~2011년

인천통합데이터센터 구축

- 인천통합데이터센터는 기존 정보시스템실의 공간 부족 문제와 분산개별관리로 인한 전산운영비의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짐. 또한 정보시스템의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하여 서비스 연속성

을 확보하고, 24시간 상시운영환경 및 표준화된 전산 운영체계와 절차를 확립하고자 구축됨

- 신속한 장애처리 등 전자정부 운영의 효율성 및 대 시민 서비스의 운영품질 향상 측면의 성과가

있었음

2001~2011년

- 또한 전력, 방재, 항온방습, 보안시설, 운영체계 등 전산운영 기반 및 장비의 공동 활용을 통한 정

보화 예산 투자의 효율성이 향상되었고, 원격지 이중화 및 백업체계 구축이 가능하여 재해로부터

정보시스템 생존성을 향상시켜 주요 행정 시스템에 대한 업무 연속성을 확보하였음

2) 2012년 지역정보화 사업

가. 생활정보화 : 「모바일 웹사이트 구축」

모바일 기기를 통한 시정정보 접근환경을 제공하고, 최근 부각되고 있는 SNS를 통한 정보유

통방식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시민 생활편익 증대, 시정 참여촉진, 시정홍보 효율성 향

상을 도모하고자 추진하게 되었다.

본 사업은 대표홈페이지와 유기적으로 연계된 모바일 웹사이트 구축, 위치정보를 이용한 모

바일 맞춤형 신규 콘텐츠 개발, 참여·공유·확산형 사이트 구축을 위한 SNS도입, Open API를

이용한 외부 데이터 연계형 웹사이트 구축을 포함하였다.

인천광역시 모바일 웹사이트의 도메인은 http://m.incheon.go.kr이며, 대표 홈페이지에서 이

용률이 높은 주요 메뉴와 생활 밀착형정보를 선별하여 구축 하였다. 이와 함께 모바일에 적합

한 정보와 서비스 위주로 간결하게 구현하였으며, 기존 대표 홈페이지의 시스템, 서비스, 데이

터를 활용하여 모바일 웹사이트를 구축하였다. 인천광역시는 「모바일 웹사이트 구축」을 통해

Page 54: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52

2013

지역

정보

화백

다양한 정보접근 방법을 제공하고 유비쿼터스 행정 서비스 기반 마련 및 모바일 장비 사용자

의 정보이용 편의성을 증대시켰으며, SNS를 이용한 시정홍보 효율성 증대와 시민제안 및 시민

토론 활성화를 통한 시정참여를 촉진시켰다.

나. 행정정보화 : 「시도 행정시스템 보강 및 시군구 재해복구체계 구축」

「시군구 재해복구체계」는 10개 군·구를 대상으로 구축되었다. 시·도 전산실에 설치되는

시·군·구용 재해복구시스템은 시·도 교체 장비를 재활용하고, 추가 보완하여 구성하였으

며, 시·군·구별 전산실에 복제 스토리지를 설치하여 1차 장애에 대비하였다. 시·군·구 복

제 스토리지와 시·도 내 설치된 「시군구 재해복구시스템」 간 동기화로 원격지 백업을 구성하

여 2차 장애에 대비(시·도에 설치된 「시군구 재해복구시스템」은 재난선포 후 4시간 이내 가동

토록 구성)하였다.

본 사업의 성과로는 대민 최접점인 민원행정업무의 중단 없는 수행으로 업무의 연속성 보장

및 안정적 운영을 통한 대국민 신뢰도를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시·군·구의 재해발생시 4시

간 이내 서비스 재개로 민원 행정업무의 단절 시간을 최소화하였으며, 노후화된 시·도 장비

의 교체 도입으로 운영의 안정성을 제고하였다는 것이다.

다. 도시기반정보화 : 「유비쿼터스 도시계획 수립」

「유비쿼터스 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 첨단도시건설을 위한 체계적인 스마트 시

티 조성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도시 경쟁력 향상 및 시민의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하고, 민선 5기

시장 공약사항 이행을 위한 스마트시티 구현 전략 사업 실행계획 수립을 위해 「유비쿼터스 도

시계획 수립」 용역을 착수했다.

2012년 8월 31일부터 8개월간 1억 8천 9백만 원의 예산으로 추진된 본 사업은 인천광역시 행

정구역 전역(1029.43㎢) 대상 2017년을 목표연도로 설정하고 진행되었다. 시 특화된 u-City 청

사진 마련 및 국토교통부 승인을 위해 유비쿼터스 도시 건설의 통합·조정체계 마련, u-City

체계적인 관리방안 및 가이드라인 수립, u-City건설 추진전략, 기반 시설 구축 및 관리·운영,

u-서비스 발굴 등이 포함되었다.

Page 55: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52 53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5. 광주광역시 지역정보화 사업

1) 1990년 이전 ~ 2011년 지역정보화 사업

연도 사업 내용

1990년 이전

- 전산장비 및 인력의 점진적인 확보와 전산요원의 지속적인 교육·훈련을 통해 전산 전문 인력을

양성하면서 국가 행정 전산망사업 추진 및 지방행정전산화 확대추진

- 타 시·도에서 처리하고 있는 종합토지세 등 제세업무 9종, 행정관리업무 5종을 전산 처리하였으며,

주민관리, 부동산관리, 자동차관리 등의 행정전산망업무도 시험운영을 거쳐 광주광역시에서 운영

1991~2000년

지형 및 시설물정보 DB구축

- 첨단 컴퓨터 응용기법인 GIS를 이용하여 도로·상하수도·전기·가스·통신망 등 각종 도시시설

물의 입체적·계량적 관리 활용은 물론, 사회복지·교통관광·소방 등 정보사회의 효율적 도시

관리 및 행정 서비스 향상의 정보기반을 구축함

시설물관리 운영시스템 구축

- 상수도시설 현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누수방지 및 이물질에 의한 수돗물 오염방지와 각종 굴

착공사에 의한 수도관 파열 예방 등을 목적으로 추진됨

- GIS를 이용하여 도시지형과 상·하수도, 도로, 전기, 가스, 통신망 등 각종 도시시설물은 물론 주

택, 교통, 환경, 재해대책 등 도시행정에 필요한 제반자료를 입체적으로 관리 활용함으로써 관련

기관 간 정보공동 활용체계를 구축함

2001~2011년

u-City서비스 표준모델 개발 추진

- RFID(무선전파식별) 태그를 제수변에 부착하여 누수사고 발생 시 신속한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사

업 추진

- 「문화와 안전이 있는 u-광주지하철 사업」과 「녹색IT기반의 탄소배출량 관리서비스 사업」 추진

- 「시도행정정보시스템」 이용 활성화를 통해 시도행정정보화 업무를 24개로 분야로 구분하고 행정

및 서비스 포털, 중앙부처와 시·군·구간 연계 구축

사이버침해대응센터 구축

- 2008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총 14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보안관제 및 사이버침해대응센터를

구축하였고, 2009년 사이버침해대응센터를 개소하여 운영함

광대역 통합 국가정보통신망 운영

- 정부종합청사와 광역·기초자치단체를 광대역 전송망으로 연결하여 해킹 등 사이버공격에 대한

실시간 관제를 통해 24시간 단절 없는 전자정부서비스를 제공

광주 영어방송국 타당성 용역 및 재단법인 설립

- 전남대학교를 계약자로 하여 영어방송사 설립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을 실시함

- 광주영어방송재단 설립 창립총회를 거쳐서 2008년 10월 재단법인 광주영어방송재단을 설립함

120빛고을콜센터 설치·운영

- 여권, 시험, 복지, 관광, 환경, 교통(버스노선 안내) 등 시정전반에 대해 숙련된 전문 상담사를 통하

여 전화상담 해주는 전화민원 창구

2) 2012년 지역정보화 사업

가. 생활정보화

(1) 「소외계층 정보격차 해소」

광주시에서는 매년 접근성이 좋고 자체적으로 정보화교육장을 갖추고 있는 기관을 선정하

Page 56: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54

2013

지역

정보

화백

여 정보화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정보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일상

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인터넷 및 스마트폰 활용, 동영상 편집 등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장애인, 고령층, 다문화 가정 등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 결과, 2012년까지 11,551명이 정보

화 교육을 이수하였다.

더불어 광주시는 정보취약계층을 대상으로 2012년까지 3,349대의 그린 중고PC를 보급했다.

보급한 중고PC는 펜티엄Ⅳ 규격으로 학생이 있는 가정에서는 인터넷 강의 수강이나 숙제 등

학습에 유용하게 활용하고, 다문화 가정에서는 해외에 떨어져있는 가족과 화상통화를 하거나

한국어 공부를 하는 등 가족과의 만남과 의사소통에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거동이 불편한 장

애인에게는 사회와 소통하는 창이 되고 있다. 또한, 어려운 상황의 장애인에게 정보사회 참여

를 유도하고 정보통신 보조기기 가격의 80%~90%를 지원하여 2012년까지 점자정보단말기, 영

상전화기, 독서확대기 등 569대를 보급하였다.

(2) 「u-도서관 서비스」 및 「공공도서관 통합 도서 서비스 시스템 구축」

바코드를 이용한 기존방식과 u-도서관 서비스 시스템방식(RFID)의 이중 운영에 따른 도서

운영 시스템 일원화 체계를 마련하고 스마트폰 기반 도서관 이용 활성화 및 지역주민에 대한

만족도 향상을 위해 도서관 이용서비스를 고도화하였다. 이를 위해 각 도서관 소장 도서정보

에 대해 시 전체가 공유할 수 있도록 도서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u-도서관 서비스」

및 「도서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시민 도서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해 300백만 원을

투입하여 12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통합 도서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홈페이지를

통한 12개 공공도서관 소장 자료에 대한 원스톱 검색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고, 하나의 회원

증으로 도서검색 대출·반납이 구현되었다.

(3) 「뉴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시책 및 생활편의정보 제공」

광주광역시는 포털사이트(다음, 네이버 등) 활용 홍보, 온라인 콘텐츠 제작, 시 공식 SNS(트

위터, 페이스 북, 미투데이) 및 SNS서포터즈, 홍보 블러그 운영 등 뉴미디어 매체를 활용하여

시민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광주시정뉴스는 시정 주요정책과 의정활동, 각

종행사, 공지사항 등 생활정보를 GTN(Gwangju Television Network)뉴스로 매일 3편의 영상물

을 제작하여 인터넷 방송 홈페이지, 빛고을 TV, 청내승강기, 전광판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방

영·홍보함으로써 시민의 이해와 참여의 폭을 넓혔다. 또한 시정소식, 행정서비스 안내, 생활

편의정보 등을 수록한 온라인 뉴스와 뉴스레터 서비스를 최신 트렌드에 맞춰 개편하고 인터넷

Page 57: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54 55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을 이용한 시책 및 생활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시민참여와 소통기능을 강화하였다. 더불어

인터넷 방송과 관내 다중이용 장소 23개소에 디지털TV 38대를 설치하여 온라인 뿐 아니라 오

프라인에서도 시민들에게 다양한 시책과 주요 축제·행사 및 각종 생활정보와 공지사항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나. 행정정보화

(1) 「표준기록관리시스템 구축사업」

모든 공적행위의 과정 및 결과의 기록·관리를 통한 투명하고 신뢰받는 기록정보의 효율적

인 활용 및 책임행정 구현을 위해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는 모든 업무에 대한

기록의 일원화와 체계적인 통합관리를 통한 기록정보의 효율적인 활용도 제고를 위한 것으로

문서·생산에서 이관, 보존에 이르는 전 기록업무의 라이프 사이클을 전자화하여 통합기록관

리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은 710백만 원을 투입하여 국가기록원에

서 제시하는 「표준기록물관리시스템」 기준으로 HW 및 SW를 도입·설치·구축하였고, 70여개

실·과·소 약 1,000여 점의 행정기록물자료 전수조사를 통한 DB구축, 자료관리시스템에 구

축된 구 기록물 메타정보와 전자문서시스템에서 이관된 전자문서에 대한 마이그레이션을 추

진했다. 그리고 행정기록물자료 운영을 위한 시스템 개발 등 전자문서시스템에서 생산된 전자

기록물을 수집·이관·활용·보존·폐기 등 장기적으로 관리가 가능하도록 전자기록물 관리

체계를 확립하였다.

(2) 「비오톱 지도(도시생태현황 지도) 종합DB 구축」

도시생태계 가치파악 및 발전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비오톱(Biotope) 지도화로 광주시 생

물자원과 주요 생태계를 종합적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2007년부

터 450백만 원을 투입하여 생태지도 DB구축 및 시스템 개발을 추진하였다. 생태지도 DB구축

을 통해 각종 개발사업의 사전환경성 검토와 환경영향 평가서 작성 시 지역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 및 협의자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도시의 친환경적인 개발계획 수립, 도시 소생태계 조성,

생태 네트워크 구축 등 자연환경 복원 기초자료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에코포털 홈페이

지의 e-Book을 활용하여 시민들이 손쉽게 열람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Page 58: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56

2013

지역

정보

화백

다. 도시기반정보화

(1) 「광역버스정보시스템 구축」

광주시는 보다 질 높은 시내버스 서비스 제고를 위해 「버스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인터넷,

휴대폰, ARS를 통해 시내버스 노선·환승정보, 도착예정시간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버스

도착안내기(BIT) 325개소에 시내버스도착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선진형 교통서비스체계를 구축

했다. 더불어 정부의 ITS사업 전국화에 대비하여 광주광역시에 적합한 BIS를 구축하기 위해 광

주를 중심으로 나주, 담양, 장성, 화순 지역 등을 통합하는 「광역정보시스템」을 구축했다. 본

사업으로 승강안내단말기 125개소 추가설치, ARS와 인터넷 등을 통하여 시내버스 이용객에게

버스운행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버스이용자 만족도 향상과 대중교통 활성화 실현 등 버스이용

환경이 크게 개선되고 있다.

(2) 「스마트 119긴급구조시스템 구축」

각종 재난상황에 신속 정확한 긴급구조 서비스 제공을 통해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스마트119긴급구조시스템」을 구축하였다. 119신고 후 누가, 언제, 어

디쯤 오고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여 예측 가능성을 제고하였고, 출동정보에 대

한 알림서비스 제공과 스마트폰 이용자에게 출동차량에 대한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출

동대와 신고자 간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현장에 대한 신속한 도착 안내를

유도하게 되었다.

특히, 기존 노후 서버를 교체하면서 가상화 기술을 도입해 전력소비와 관리비용을 절감하고

운영 효율을 크게 개선하였다. 기존대비 70%가량 전력소모를 줄여 전력부하도 낮춰 인프라 도

입비용 뿐만 아니라 연간 5만kW의 전력사용량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전국 최초로 119

긴급구조시스템에 대한 정보보안체계 강화로 바이러스, 해킹과 같은 사이버 위협과 장애로부

터 시스템 보호 등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졌다.

(3) 「CCTV통합관제센터 구축」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시민의 재산보호와 안전을 위해 분산 설치된 각종 CCTV를 통합하

여 각종 범죄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광역단위 「CCTV통합관제센터」를 전국 최

초로 구축하였다. 「CCTV통합관제센터」는 3,000대의 CCTV를 통합 관제할 수 있도록 설치하였

으며, 전문 관제인력이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체계를 도입하여 통합관제를 실시하고,

기 구축된 CCTV는 양방향 오디오 장비와 비상벨을 설치하는 등 기능을 추가하여 여러 기능으

Page 59: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56 57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보강하였다. 특히 지능형관제시스템, 안면인식 보안솔루션, 영상관제 기

술 등 최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융합·적용한 CCTV를 통해 범인의 도주로를 입체적으로 파악하

고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어 범죄발생 시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각종 범죄

와 불법행위를 예방하고 치안유지와 생활안전에 더욱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경찰 등 관련기

관 간 유기적인 정보공유와 협조체계를 구축해 모든 시민이 언제, 어디서나 마음 놓고 일상생

활을 할 수 있는 행복한 창조도시 광주를 구현하고 있다.

라. 산업정보화 : 「문화산업 및 콘텐츠산업 육성」

광주광역시는 영화·영상·애니메이션·게임 등 문화콘텐츠 제작에 활용되는 핵심 기술인

CGI(Computer-generated Imagery)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 제작 및 비지니스 기능을 수행할 국

제적 수준의 광주CGI센터를 2012년 3월 7일 개소하여 문화산업 경쟁력 제고 및 지역경제 활성

화에 기여하고 있다. 더불어 스마트 모바일 콘텐츠산업 육성 및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해 설립

된 광주스마트모바일앱개발지원센터(GSMAC)는 앱 창작 인프라 고도화를 위해 앱 개발자 및

소규모 앱개발 기업들에게 앱 테스트 기기 및 전용공간을 제공하였다. 또한 개발자 유치 및 창

업 촉진을 위해 개발자와 전문가 협력 커뮤니티 프로그램 운영 그리고 앱 기획·창작 인력양

성을 위한 이동통신사 및 지역대학과 연계하는 앱개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6. 대전광역시 지역정보화 사업

1) 1991년 ~ 2011년 지역정보화 사업

연도 사업 내용

1991~2000년

과학기술정보시스템

- 대전 지역 내 과학기술정보를 구축하고, 지역산업계에 필요한 기술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산

업계의 기술경쟁력을 향상하고 지역 시민에게 과학기술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하

여 과학기술정보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함

- 과학기술정보시스템은 대전지역에 있는 대덕연구단지 내 연구소 현황정보, 대전 1, 2, 3, 4 공단입

주 기업체의 기본정보 및 지원정보, 시·구 공공도서관의 도서정보 등 크게 3가지로 분류됨

2001~2011년

공간데이터웨어하우스 구축

- 다양한 도시정보를 한곳에서 모두 얻을 수 있고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통합 환경의 공간데이

터웨어하우스를 구축함

- 지리정보시스템을 서로 연계시켜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도로시설물, 지적도, 전기, 통신선

로 등 지하시설물, 항공 영상뿐 아니라 전국 최초로 구축한 3차원 정보까지 대전광역시에서 가진

모든 도시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고,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임

Page 60: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58

2013

지역

정보

화백

연도 사업 내용

2001~2011년

- 사업추진경과

•1단계 : 지리정보시스템을 연동시키는 시범시스템을 구축

•2단계 : 도시정보 공동활용 시스템을 구축

•3단계 : 다양한 행정정보를 지리정보와 연계, 고정밀 항공사진 서비스

- 추진성과

•지리정보데이터의 검색 및 취득이 쉽게됨

•총 40종의 도시정보 분석 자료를 제공하고 시 전역을 3차원 가상도시로 완성함

2) 2012년 지역정보화 사업

가. 생활정보화 : 「외국인을 위한 영문 버스정보 앱 서비스」

대전버스 앱은 시내버스 노선정보 및 버스 도착 예정정보, 버스 도착 알람정보, 환승정보 등

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그간 시범 운영을 거쳐 2012년 8월 21

일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영문 앱은 앱스토어(아이폰)나 플레이스토어(안드로

이드폰)에서 내려받아 설치한 뒤 스마트폰 사용언어를 영어(English)로 설정해 이용하면 된다.

대전시 ITS 센터는 도로에 설치된 노변기지국(RSE, 377대), 차량검지기(VDS, 100대) 등 정보

수집 장치와 하이패스 차량을 이용하여 도로의 소통정보 및 버스운행정보 등을 수집하고, 이

를 가공해 실시간 교통상황 및 대시민 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누적된 교통정보를

분석하여 과학적 대중 교통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업무도 수행하고 있다.

나. 행정정보화 : 「도로명주소 전환시스템 구축」

「도로명주소 전환 및 시스템구축사업」은 도로명주소 전환, 도로명주소 전환시스템 구축, 도

로명주소 유통시스템 구축, 관리시스템 구축 등 총 4개 분야로 나누어 2012년 2월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관계부서 협의, 대상 시스템 현황조사 및 주소수집 등 사업 준비단계를 거쳐 2012년

10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추진하였다.

2014년도 도로명주소 전면사용에 대비하여 7대 공적 장부를 제외한 대전광역시 및 산하 공

공단체의 전산시스템의 보유주소를 대상으로 추진된 「도로명주소 유통 및 전환시스템」은 주소

의 신속한 갱신으로 정확한 주소정보를 활용하여 행정의 신뢰성을 높였다. 또한 대전광역시

관내 소재하고 대량 주소정보를 보유한 백화점, 기업체 등 민간기업(단체)에 대하여 도로명주

소 전환 지원체계를 마련함으로써 물류산업 및 위치정보 기반 산업 등 지역 경제의 경쟁력 향

상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었다.

Page 61: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58 59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다. 도시기반정보화 : 「영상정보처리기기(CCTV) 통합관제센터 구축」

자치구별로 분산 운영 중인 다수의 영상정보처리기기를 공간적·기능적 통합을 통하여 사

건·사고·재난·재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후 검색할 수 있도록 5개 구 영상정보처리기기 통

합관제센터를 구축하였다. 불법주정차용 CCTV를 업무시간이 종료한 후 방범용으로 이용하여

CCTV 활용률을 높였고, CCTV 영상정보를 여러 용도로 쉽게 활용하여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통합운영 환경을 구축하게 되었다.

본 사업으로 보다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어 학교 폭력예방, 어린이 안전보호 및

각종 범죄 발생에 대한 사전 예방과 긴급 상황발생 시 신속한 대응으로 안전한 도시 기반 확립

에 크게 이바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라. 산업정보화 : 「대전 MICE 포털 구축」

「대전 MICE 포털 구축」은 MICE 산업의 기본정보에서부터 대전 MICE 산업의 현황, 행사일

정 및 행사개최 지원정보, 행사참가자 중심의 문화·관광프로그램개발 등에 관한 정보를 제

공하고자 추진되었다. 무엇보다 가장 두드러진 서비스는 「MICE 원스톱서비스(MICE One-Stop

Service)」로써 명칭 그대로 MICE 관련 사항을 한곳에서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는 대전에서 행사를 개최할 수 있는 장소를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고, 대전컨벤션센터(DCC)

및 무역전시관을 임대할 때 임대비용 견적을 포털 사이트에서 바로 확인 및 출력할 수 있다.

「대전 MICE 포털 구축 사업」의 가장 큰 성과는 무엇보다도 여러 곳에 산재되어 있던 MICE 관

련 정보들을 한곳으로 정리하였고, 집약시킨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구

현하여 대전 MICE 산업의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Page 62: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60

2013

지역

정보

화백

7. 울산광역시 지역정보화 사업

1) 1991년 ~ 2011년 지역정보화 사업

연도 사업 내용

1991~2000년

지하시설물통합관리시스템 구축

- 기반조성 단계에서는 독자적으로 추진한 「도시정보시스템(UIS) 구축사업」을 통해 지하시설물 정

보통합의 기본도인 수치지도를 제작하고, 시 자체 관리 소관인 시설물 정보를 전산화함

- 정보통합 단계에서는 「도로기반시설물 협의회」로 확대 개편, 울산시와 유관기관, 기업체가 공동으

로 「국가산업단지 지리정보시스템(GIS) 구축 사업」 추진

- 활용 및 유지관리 단계는 통합된 시설물 정보와 시스템을 활용하여 본격적으로 업무를 처리하고, 추

가 매설된 시설물 정보를 추가 통합 및 유지 관리하여 정보의 신뢰도를 지속적으로 제고함

- 시스템 구축으로 배관파손 등 안전사고 예방 및 피해예상 지역을 분석하여 주민피해 최소화와 무

방문 민원처리로 시민의 편의를 제공함

2001~2011년

공공시설예약 시스템 구축

- 강좌, 공연, 체육, 대관 등 공공시설 이용을 인터넷을 통해 예약 및 결제가 가능한 시스템

- 2003년 지역정보화 지원 사업 선정 이후 약 1년의 사업기간을 거쳐 2004년 4월 1일 최초 서비스

를 시작으로 공공시설 정보 안내, 온라인 강좌예약 및 확인과 수강신청 관리, 체육시설 대관 온라

인 예약 및 확인, 전자결제(예약 및 환불) 서비스 등을 제공

- 시민의 편의성 뿐만 아니라 경제적·시간적 절감의 효과가 있었음. 시민에게는 다양한 정보를 제

공하고 시설은 홍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시너지효과가 발생함

- 수동적으로 관리되었던 대장·일지·보고서 등과 접수·결제의 전산화로 인하여 업무처리 속도

의 단축 뿐만 아니라 제공 정보의 신속성, 정확성, 충실성 확보로 행정능률을 향상시킴

2) 2012년 지역정보화 사업

가. 생활정보화 : 「모바일 대표홈페이지 구축」

대표홈페이지(ulsan.go.kr) 주요 서비스의 모바일 제공은 울산광역시의 목표, 자연여건, 행정

구역, 시정안내 등 기본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 새 소식, 공시공고, 입찰정보, 시험정보, 입법예

고 등 구체적인 시정정보를 모바일을 통해 서비스하는 것이다.

본 사업의 추진으로 시민이 원하는 시간과 공간에서 쉽고, 빠르고, 편리한 정보서비스를 제

공하여 시민의 편의를 증진시키고, 스마트·모바일 시대에 걸맞는 눈높이 정보서비스 제공으로

행정의 신뢰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정보의 실시간 전달 및 소통으로 행정 투명성이 강화되었다.

나. 행정정보화 : 「시군구 재해복구시스템 구축」

재난·재해 및 장시간 시스템 장애 등으로부터 민원행정업무의 연속성 확보를 위하여 시·

군·구의 공통기반 장애에 대비한 대응 체계의 구축이 필요했으며, 이와 더불어 2005년에 도

입된 시도 행정정보시스템 노후화에 따른 서버의 교체가 필요함에 따라 사업을 추진하였다.

Page 63: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60 61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시군구 재해복구시스템 장비표준 구성방안은 시·도별 동시에 2개 이상 시·군·구에 대하

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N:2 형태의 재해복구시스템 구축이었다. 대상 업무는 공통기반시스

템에 탑재된 전국 공통 표준업무시스템 11종이었다.

시·도 전산실에 설치되는 재해복구시스템 중 공통기반Ⅱ시스템은 시·도 교체 장비를 재

활용 하였고, 시·군·구별 전산실에 복제(이중화) 스토리지를 설치하여 1차 장애에 대비했다.

더불어 시·군·구 복제 스토리지와 시·도 내 재해복구시스템 간 동기화로 원격지에 백업을

구성하여 2차 장애에 대비하였다.

시·도에 구와 군의 재해복구시스템을 구축하여 산하 시·군·구가 공동으로 활용 할 수 있도

록 하고 시·군·구별 인구수, 사용량 등을 고려하여 전국이 동일하도록 표준화하였다. 또한 재

난·재해 및 장시간 시스템 장애 등으로부터 민원행정 업무의 연속성이 확보되도록 구성하였다.

다. 도시기반정보화 : 「수치지형도 갱신」

「수치지형도 갱신 사업」은 시설물관리 및 공사설계 등 각종 업무추진의 기본 자료인 수치지

형도 활용이 매년 증가되고 있으나, 갱신지연으로 정확도가 낮아 지속적인 갱신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시작되었다. 「수치지형도 갱신 사업」은 일괄갱신과 수시갱신 두 가지로 나뉘어 추진되었

는데 2012년 3월 시작해 다음해인 2013년 1월까지 수행된 사업으로 10개월 정도의 기간 동안 진행

되었다.

「수치지형도 갱신」을 통한 수치지형도 갱신주기 단축으로 정보의 정확성·신뢰성 확보 및

지리정보기반 시스템의 행정업무 활용도가 제고되었고, 최신의 지리정보를 관련부서 및 유관

기관에 제공하여 도로굴착 및 개설, 시설물관리, 도시계획, 택지개발 등 주요사업의 기초자료

로 활용할 수 있었다. 또한 수치지형도의 갱신체계를 일괄 갱신에서 변화된 지역만 갱신하는

체계로 전환함으로써 예산 절감의 효과를 이루었다.

8.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정보화 사업

1) 2012년 지역정보화 사업

가. 생활정보화 : 「세종시 주민정보화교육」

세종시의 열악한 정보화 교육인프라 환경을 극복하고자 민간의 정보화교육과 함께 보다 적

극적인 주민정보화교육을 추진하게 되었다. 이러한 주민정보화교육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Page 64: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62

2013

지역

정보

화백

정보기기와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지역주민들이 전자정부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이 기본적인 목적이었다.

2012년 하반기에 추진된 주민정보화교육의 경우 시청의 2개 교육장, 관내의 정보화마을과

유관기관 및 단체, 초등학교 또는 대학교 등이 보유한 32개소의 정보화교육장을 활용하였다.

무엇보다 지역의 정보화 교육전문가를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아 충청지방우정청과 KT가 지원

하는 대학생 IT 봉사단체 등의 도움을 받아 진행되었다.

세종시의 주민정보화교육의 운영방침은 계층별·수준별 맞춤형 교육과정을 편성·운영 하

는 것으로 하여 컴퓨터 기초반과 인터넷 활용반 그리고 SNS 활용 등의 과정을 포함했고, 보다

전문적인 부분의 교육서비스 제공을 위해 자격증반 등을 운영했다. 또한 세종시 지역주민들에

게 보다 균등한 교육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했다.

나. 행정정보화 : 「세종시 통합 행정정보시스템 구축」

세종시는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의 효율적인 서비스를 한번에 제공하기 위한 광역·

기초 행정서비스의 단일체계 운용 시스템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그 이유는 세종시가 국

내 최초로 이루어지는 단층형태의 구조를 가졌기 때문이었다. 이를 위해 세종시의 본 시스템

은 타 시·도 및 시·군·구 사례를 분석하여 광역 및 기초행정업무가 융합된 단층구조의 업

무형태를 도출하고, 이어서 체계적인 데이터 이관 및 연계방안을 적용해야 했다.

본 통합시스템은 국내 처음으로 광역과 기초가 혼합된 단층 형태의 행정정보시스템을 구축

함으로써 시·도 사무 및 시·군·구 사무를 통합하는 행정업무 수행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민원업무 수행 및 민원처리를 위한 대민서비스 체계를 구축한 사업이었다. 무엇보다 국가표준

시스템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유사한 환경에서의 시스템통합시에 최소의 커스터마이징

작업만으로도 통합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사업은 전자정부법상 국내 유일의 지역정보화 전문기관인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을 통하여 사업전반에 대한 사업관리(PMO, Project Management Office) 제도를 활용함으로써

전 분야에 걸쳐 완벽하게 사업을 마무리 할 수 있었으며, 향후 유사 정보화사업에 본 제도를

활용할 수 있는 선례를 남기게 되었다.

다. 도시기반정보화 : 「세종시 u-City 구축」

「세종시 u-City 구축 사업」은 도시의 기능과 주민 입주, 행정기관 이전에 따른 인구 수용계획

을 고려하여 시민의 생활 편의성 향상과 이주 의향을 증진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단

Page 65: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62 63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계적으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제공 가능한 정보화서비스를 공통기반 서

비스와 도입기능별 서비스로 구분하여 총 3단계로 전체 4차에 걸쳐 계획되었다.4)

이에 앞서 세종시는 u-City 실행방안 및 기본설계에서 도시의 자족성 확보를 위한 첨단 u-

서비스의 단계적 제공, 정보접근성 강화를 위한 명소적 u-도시공간 건설 및 u-City 소통 기반

마련을 위한 Grid 기반의 u-센서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를 설정했다.

u-City 1단계 1차 사업 서비스의 업무처리는 u-서비스를 통한 주민신고 접수와 통합플랫폼

을 통한 모니터링 감지로 이원화 되어 있다. 이를 통해 1차적으로 주민으로부터 신고되는 이벤

트 발생을 접수할 뿐만 아니라 이와 별도로 통합 플랫폼에서 자동모니터링 감지를 통한 접수

를 가능하게 해 효율적인 업무분배 및 신속한 처리를 지원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주민생활의 이동 편의성 확보와 교통체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광역교통체

계의 BRT(Bus Rapid Transit)시스템과 통합요금카드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향후 국내 최초 도로

중앙부 자전거 도로구축에 대응하기 위해 자전거 맞춤형 ITS 정보 구축이 계획되었다.

「세종시 u-City 구축」 사업은 향후 1단계 2차 사업과 2단계와 3단계 사업을 거쳐 완료되는 47개

서비스로 시민이 행복한 세계적 명품도시 세종시를 만들어내는 가장 중요한 근간이 될 것이다.

9. 경기도 지역정보화 사업

1) 1990년대 이전 ~ 2011년 지역정보화 사업

연도 사업 내용

1990년 이전

국가기간망 구축

- 국민생활과 긴밀한 관련이 있는 사업 추진

- 주민등록, 부동산, 자동차, 통관, 고용, 경제통계 등 6개 업무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협동으로 중점 사업 개발

1991~2000년

행정업무처리의 효율화를 위한 전자도정 기반 구축

- 행정정보의 공개를 통한 도정업무의 신속성, 투명성 실현 및 전자도정 구현을 위한 1인 PC보급으

로 구내 정보통신망 확충 및 네트워크 통합관리 체제 구축

- 전자결재시스템 구축으로 문서처리업무의 자동화 구축 및 자료의 공동 활용 촉진

- 재정정보관리 전산화로 예산회계시스템과 연계한 재정분석 Feed-back이 가능한 중기재정계획

을 개발하였고 재정운영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 및 의사결정 지원이 가능하게 됨

- 전자결재 확대 및 전자문서의 유통이 활성화 되고 행정능률 향상과 공무원의 정보화마인드 조성

4) 초기 활력단계, 자족적 성숙단계, 완성단계로 구성되며 전체 47개 u-서비스의 구축방안과 이행 로드맵을 제시하였

으며, 1단계 사업은 1차와 2차로 구분되어 계획되었고, 2013년 8월 현재 1차 사업이 추진 중임

Page 66: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64

2013

지역

정보

화백

연도 사업 내용

2001~2011년

항공사진 DB구축

- 항공필름을 스캐닝하여 디지털화하고 별도의 백업체계를 구축하여 기존의 취약사항을 대비

- DB화된 항공사진을 온라인 검색시스템 구축을 통해 활용가치를 향상시켜 제공함으로써 도시계

획 및 공유재산관리 등 다양한 수요에 대응

- 항공사진 DB구축 및 웹 검색 등 응용프로그램 개발로 고해상도 항공사진 촬영 및 정사영상지도

제작이 가능하고 기존의 약식현황도를 포함한 국내 최초의 약식현황도 관리시스템 구축

- GB관리업무 통합관리체계 구축으로 GB관리부서의 현장확인과 조치결과 보고 등 업무체계의 정

보화 구현 및 항공사진 판독시스템 구축으로 스피드 행정구현 등 행정서비스 제고가 가능

- 항공사진의 일괄제공으로 신속한 업무수행이 가능하게 되었고, 해당분야의 사업비가 절감되었으

며 보관의 취약점이 영구보존의 형태로 전환되어 과학적인 관리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게 됨

2) 2012년 지역정보화 사업

가. 생활정보화 : 「경기넷 모바일 포털서비스 고도화」

PC환경에서 제공되는 대표 홈페이지의 모든 콘텐츠를 모바일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제공해

야 한다는 것과 서비스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해 모바일에 특화된 검색엔진 구성 및 기능성 특

화 콘텐츠 서비스 제공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SNS를 이용하여 소통의 범위를 강화하고 지도 기반의 API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모든

콘텐츠와 기능들을 모바일 특성에 맞게 제공되도록 구축하고 모바일과 웹에서 동시에 서비스

되도록 모바일 전용 검색서비스를 마련하고 있다.

「경기넷 모바일 포털서비스 고도화 사업」의 주요내용으로 모바일 홈페이지 전면 개편의 경

우 서비스페이지와 연동된 콘텐츠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모바일 환경에 맞는 생활콘텐츠관

리, 메뉴관리, 게시판관리, 팝업관리, 배너관리, 앱 등록신청관리 등을 개발하였다. 또한 메뉴

중심에서 콘텐츠 중심으로 메인 페이지를 재구성하고 필요정보 및 주요 업데이트 정보로 메인

페이지를 구성하였다.

추진성과로는 장소와 시간에 상관없이 모바일을 통한 소통·참여·공유 환경을 제공하여

도민의 참여가 확대되고 이용과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구성 및 모바일에 특화된 검색

엔진 구성, 그리고 기능성 특화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나. 행정정보화 : 「스마트소통시스템 구축」

온라인 여론분석을 통한 도정의 신속한 의사결정 지원과 내부 SNS 시스템 구축을 통한 온라

인 여론의 신속한 대응 및 협업과 정보공유 등으로 업무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추진되었다.

「스마트소통시스템 구축」 사업의 내용 중 소셜분석 서비스 및 활용 체계 구축은 도민의견 수

Page 67: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64 65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집·분석과 키워드 자동 분류 등 SNS 시스템과 연계한 정보제공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축,

분석보고서 제공 및 분석된 정보에 대한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다. 전용 SNS 웹서비스

구축은 도, 시·군 업무담당자 사이에 유기적인 소통을 위한 연결을 지원하고 공공기관 및 민

간전문가까지도 업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공무원과 전문가 사이에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신속한 문제 해결이 가능하게 되었

고, 이슈의 전달이 용이한 정보전달체계는 도민과 소통하는 행정을 구현하고 직원간의 원활한

정보 송·수신 및 시스템 접근성 강화로 실시간 업무능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직원들의 참여

활성화로 소통형 조직문화 및 수평적 전달체계가 구축되었다.

다. 도시기반정보화 : 「경기도 부동산 포털 운영 및 고도화」

「경기도 부동산 포털 운영 및 고도화 사업」은 부동산 포털의 원활한 서비스를 위한 전문 운

영조직 및 기존 기능의 고도화, DB 개선을 통한 부동산 매매 등의 의사결정 지원을 위해 추진

되었다.

이 사업을 통해 각종 부동산 관련 자료가 갱신되었고, 서비스 운용상황 모니터링 및 장애 등

의 문제 발생 시 신속한 복구 작업 수행과 민원에 대한 신속한 상황 조치가 가능하게 되었다.

DB구축 부문의 갱신 및 지적도면 현행화 개선 부분의 경우 위치와 속성이 이원화된 자료들의

동시 갱신 기능이 개발되었다. 더불어 서비스 기능 고도화 측면에서는 지역·지구 별 행위제

한 조회 서비스 개발과 토지이용 행위에 따른 지역지구 별 행위제한 조회 서비스 그리고 소재

지 별 토지이용 행위에 따른 기능이 연계되었다. 더불어 3차원적인 고급 분석 기능 제공 및 경

기부동산 앱을 통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라. 산업정보화 : 「온라인투자유치시스템 구축」

경기도의 투자정보에 대한 통합 필요성과 투자유치 홈페이지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어 추진

된 「온라인투자유치 시스템」은 투자자에게 최소한의 경로를 통하여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방

법으로 맞춤형 투자유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되었다.

경기도 투자전문 포털사이트 구축으로 소셜네트워크와 융합하여 투자자와의 맞춤형 쌍방향

콘텐츠를 구현했으며, 운영체제 사이에 호환성 확보 및 모바일 서비스를 강화하고 실시간 대응

체계를 구축하였다. 본 사업 중 투자 입지정보 분석시스템은 지리정보체계(GIS)기반인 투자입

지 공간정보 종합시스템을 구축해 관련 정보시스템을 연계함으로써 종합적인 투자유치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또한 유비쿼터스 투자상담 브리핑 시스템 구현으로 최신 IT기

Page 68: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66

2013

지역

정보

화백

반 시연이 가능한 멀티미디어적 요소를 결합하고 효과적인 투자를 위한 홍보를 가능하게 했다.

10. 강원도 지역정보화 사업

1) 1990년대 이전 ~ 2011년 지역정보화 사업

연도 사업 내용

1990년 이전

주민등록 전산망 구축

- 국산 주전산기 I(톨러런트)기반, 유닉스 시스템 운용체제로 온라인망 구성

- 장부형태의 개인별·세대별 주민등록 원장카드 전산화

- 읍면동의 전·출입 업무의 세대분가, 합가 등을 전산화 업무로 지원 및 변동자료에 대한 마스터

자료의 백업 보관 처리 가능

1991~2000년

강원마트(지역산품전자시장서비스) 추진

- 전자상거래의 안정성 보장 및 국내 표준모델로서 유통의 단일시스템 구축

- 지방 무역과 산업정보의 센터 역할 수행 및 지역상품과 업체정보의 DB구축으로 수출상품홍보 및

거래알선

- 지방무역 활성화 기능을 통해 전문정보의 DB화로 지역정보의 공유 및 신속한 전달로 지역정보

교류 활성화에 기여

- 복잡한 무역역무에서 발생한 부대경비 및 기업의 비용 절감 효과

2001~2011년

정보화 마을 확대 조성 및 운영활성화

- 도·농간 정보격차 해소 및 주민 소득 증대로 도민의 삶의 질 향상

- 2001년 국가 시책 후 전국 363개 마을이 전국에 조성되어 운영 중

- 2007년~2009년까지 정보화마을 리모델링 전략 수립 및 추진, 2010년~현재까지 마을 명품화 전

략에 따라 농어촌 주민의 소득증대와 자립운영 기반 조기 정착을 위한 운영활성화 시책 추진 중

- 초고속 인터넷망 구축, 마을정보센터 구축, 마을 홈페이지 구축, 주민정보화 교육

- 주민의 자립 운영 능력 향상을 위한 인빌기자 육성, 마을 서포터 운영, 마을의 경영단체화 등 주민

중심의 다양한 시책 추진

2) 2012년 지역정보화 사업

가. 생활정보화 : 「인터넷 중독 예방·해소사업」

「국가정보화기본법」 제30조(인터넷 중독의 예방 및 해소)에 근거한 「인터넷 중독 예방·해소

사업」은 2009년도 부터 추진되었다. 이 사업은 안전행정부에서 주관한 인터넷 중독예방 신규

과제 공모 사업으로 선정되었고, 9개월간 29회를 공연하여 총 2,500여 명의 유아 및 학부모가

관람하였는데 이는 목표대비 250%를 초과 달성한 수준이다. 또한 도내 87개 군부대 장병을 대

상으로 순회하며 11,700여 명을 교육하였고, 「인터넷 휴(休)요일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여가

활동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넷 이용조절 능력을 향상시켰다.

2013년에는 인터넷 중독 예방 심화교육과 유·아동의 눈높이에 맞춘 인형극을 도내 전역으

Page 69: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66 67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로 확산시킬 계획이다. 또한 대학생과 청소년을 연계한 멘토링 사업 등을 신규 사업으로 실시하

여 인터넷 뿐만 아니라 스마트미디어 중독까지 조기 대응 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나. 행정정보화 : 「시·군 행정정보 고도화 추진」

전자지방정부의 로드맵 과제와 연계한 시군 행정종합정보화를 통해 시·군 간의 정보 격차

를 해소하고 시스템 간 상호연계 및 정보 운용성 강화로 공무원들에게 더욱 고도화된 시스템

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양질의 대민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업이었다. 2012년 재

난·재해, 장시간 시스템 장애 등으로부터 민원 행정업무의 연속성 확보를 위한 18개 시·군

백업시스템을 도 정보시스템실에 구축하고, 2004년 도입된 시도 행정정보시스템을 교체함으로

써 개선하였다.

또한 「새올행정시스템」의 고도화 확산의 마무리 후 복지, 여성, 민방위 등 업무에 있어서 민

간 기관과도 온라인으로 연결된 보조금 지급 처리업무 등을 개선하였다. 더불어 시·군 내부

업무 처리 절차를 표준화·전자화하여 업무 효율을 높이고, 중앙부처, 시·도, 타 시·군·구

와 2천여 종의 행정정보를 실시간으로 공동 활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2013년부터는 행정업무

연속성 사업으로 「시군 재해복구시스템」을 운영해 매월 정기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안전행

정부 위탁기관인 한국지역정보개발원에서 운영하고 있다.

다. 도시기반정보화 : 「스마트강원서비스(SGS, Smart Gangwon Service)」

「스마트강원서비스 사업」은 스마트폰 앱 및 모바일 웹서비스를 시작으로 스토리텔링형 콘텐

츠 중심의 여행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추천·등록·평가하며, 콘텐츠를 함께 만들어 가는

모바일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여행정보서비스이다.

주요 관광정보 서비스분야는 총 10개 분야로 도내의 테마여행지, 맛집, 숙박, 강원길, 농촌

체험, 전통시장, 예술공연, 역사문화유산, 특산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콘텐츠는 네

이버, 다음 등의 관련 블로그 정보를 연결하여 여행자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

하였으며, 스마트폰의 GPS 기능을 활용하여 내 주변 관광지, 맛집, 숙박 정보를 최적화하여 제

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스마트강원서비스 3단계 확대구축 사업은 레저·스포츠 분야(43종) 및 지방도, 국도 등 여행

콘텐츠(50개) 등을 사진과 이야기를 접목하여 스토리텔링형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Page 70: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68

2013

지역

정보

화백

11. 충청북도 지역정보화 사업

1) 1990년대 이전 ~ 2011년 지역정보화 사업

연도 사업 내용

1990년 이전

기구·정원관리 전산화

- 조직관리 업무의 능률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기구 및 정원관리 전산화 추진

- PC에 의한 독립처리방식으로 운영되며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

- 기관 및 직급별 정원, 인구면적, 재정규모 현황 등의 자료관리와 각종 분석정보 제공

- 도내 시·군 보급 활용 및 전국 시·도 확산을 통해 전사적 관리를 도모

1991~2000년

지방행정종합정보망 구축

- 서비스 극대화와 지역 간 신속한 정보자료의 공유 및 공동 활용체계 구축

- 기간통신사업자 시설을 이용한 최적의 통신망 구축 및 미래의 행정 환경변화 및 수용자 요구사항

의 빈번한 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통신망 구축

- 도정업무의 효율적 추진 및 관리기능 향상에 기여

2001~2011년

멀티미디어기술지원센터 구축

- 신 성장동력산업의 기반 인프라를 구축하고 멀티미디어 전문교육을 통한 지역산업 경쟁력 확보

- 오창벤쳐프라자(충청북도지식산업진흥원)에 충북멀티미디어기술지원센터 구축

- 도내 기업의 영상콘텐츠 제작능력 향상 및 국제공인 교육과정 운영으로 DC전문인력 양성·배출

- 국내외 마케팅 지원으로 기업매출 증대 및 경쟁력 확보

2) 2012년 지역정보화 사업

가. 생활정보화 : 「u-청주 스마트 로드(Smart Road) 구축」

청주시가 보유한 다양한 형태의 각종 정보, 시정 홍보 및 시민편의 사항을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하여 이용편의성을 극대화 하고자 「u-청주 스마트 로드」를 구축하였다. 「u-청주 스마트

로드」는 현장과 결합된 융복합 모바일 서비스 구현을 목표로 언제, 어디서나 시민과 공무원이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정보서비스 지원체계를 제공한다.

본 사업은 안전행정부의 모바일 전자정부 서비스 개발지침을 준수하였으며, 청주시 대표 모

바일 포털로 구축되었다. 위치기반, 증강현실 등 신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내·외부 시스템의

DB연계, SNS 등 타 시스템과의 유기적 연동 및 기존 PC로 서비스 중인 DB내용을 모바일로 제

공하며 모바일 웹과 앱을 혼용한 하이브리드 앱 방식으로 구축되었다. 본 서비스는 국내 스마

트폰 시장의 급성장 및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대응하고 모바일 기기를 통한 시정, 관광 등 종

합적인 정보 제공 등 모바일 환경의 공공정보 서비스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자 추진되었

다. 또한 공공스마트오피스 환경에 대한 대응 측면에서 본 서비스는 예산절감 및 업무효율성

을 극대화하고 다양한 스마트폰 기반 업무 콘텐츠 개발의 초석을 마련하였다.

Page 71: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68 69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나. 행정정보화 : 「교육관리시스템 구축」

현재 운영되는 학사관리시스템만으로는 보안 및 암호화 조치 의무사항의 이행이 어렵기 때

문에 홈페이지 회원가입 시 주민등록번호 외 대체가입수단을 제공하고, 개인정보를 암호화하

는 등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술적·물리적 조치를 포함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사업은 인사행정·전자결재를 통합하여 교육신청, 교육운영, 이수·수료 통보 등 개별적

으로 수행되는 단계별 업무를 도, 시·군 인사행정, 전자결재시스템과 연계하는 One-Stop 교

육관리시스템으로 구현하였다. 이와 함께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취약한 정보보안 체계

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적극 대처하기 위하여 추진되었으며, 운영서버 내 자체 보안프로그램

설치 및 암호화, 기 설치된 정보운영실 방화벽 내부행정망 시설 활용을 포함한다.

또한 교육계획 수립부터 교육생 선발, 수료 통보까지 각 단계별 반복적이고 불필요한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고 학사관리와 인사행정(상시학습) 운영체계를 일원화하였다. 그리고 등급

별·연도별 강사관리, 각종 통계·분석자료 활용으로 체계적인 선진 교육행정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다. 도시기반정보화 : 「첨단교통관리시스템(ATMS, 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

구축」

청주시의 교통 혼잡 및 교통관련 사업계획을 고려하여 최적의 「첨단교통관리시스템」을 구축

하였다. 차량의 지·정체로 발생하는 연료소모 및 대기오염을 저감시켜 저탄소 녹색 교통을

추구하고 시민의 건강 및 편의 증진을 도모함과 동시에 녹색수도 청주 건설을 목표로 추진되

었다.

「첨단교통관리시스템」을 통해 시간대 및 구간별 도로 소통 등 운행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분

석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했고, 이는 객관적 지표에 의한 일반교통 및 대중교통 정책수립을 가

능하게 하였다. 또한 재정적 측면에서 「돌발상황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반복 및 비 반복적 정

체를 관제하고 신속히 대응함으로써 2차 사고를 방지하는 등 도로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어 사

고비용 및 처리비용을 경감할 수 있었다. 이용자는 모바일, 인터넷 등으로 출발 전 교통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혼잡경로를 회피할 수 있어 도로통행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라. 산업정보화 : 「산업단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구축」

「산업단지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은 범정부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과제 연계기술을 확대

보급하고 적용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IT기업 지원 시 실질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효율성 및

Page 72: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70

2013

지역

정보

화백

활용성을 제고하고, 최적화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조성 및 효과적인 지원정책 마련을 위한

단계별 사업추진 기반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산업단지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은 저비용 고효율의 기업정보화 지원확대 정책 추진 및 성공

적 사업기반을 마련하여 효과적인 중소기업 IT서비스 지원체계와 향후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

였다. 또한 중소기업 정보화 시스템 구축, 운영 및 관리 부문에 대한 부담을 적극 해소하고, 지

역 SI기업 참여를 통한 시장 활성화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한국형 산업단지 클라

우드컴퓨팅 기업지원 부문에 대한 실질적인 사업성을 평가 및 검증하고, 테스트베드 결과에

대한 종합분석 및 문제점 도출, 개선방안 등의 정책적 방향 설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여 한국

형 클라우드 컴퓨팅 보급·확산에 기여하였다.

12. 충청남도 지역정보화 사업

1) 1990년대 이전 ~ 2011년 지역정보화 사업

연도 사업 내용

1990년 이전

행정전산망 구축

- 행정전산화 추진조직인 전산처리계가 1981년 11월 처음 신설되면서 시작

- 1985년 정보화 전담부서인 전산담당관실에서 행정전산망사업을 계기로 본격화

1991~2011년

충청남도 u-농촌체험관광 시범사업- 유비쿼터스 기반의 기술을 적용하여 농촌관광마을의 관광자원 관리 및 효율적인 고객안내·관리

를 통해 방문객 수 증가 및 농가 외 수익 창출- 충남도내 15개 농촌체험마을을 대상으로 쇼핑몰 및 각종 예약서비스를 갖춘 마을별 홈페이지를

신규 개발- 농촌관광 마을을 통한 민간사업의 파급효과 분석을 위한 정책과제를 수행하여 농촌관광마을 확

산 및 발전을 위한 예산확보 근거를 마련하고 농촌관광 주체 간의 네트워크 구축 및 유관기관 간 연계를 유도

- 교육청과 협의를 통해 전국 학교를 대상으로 농촌체험학습 장려 및 향토지적 재산을 활용한 차별화된 마을행사 및 체험프로그램 등을 개발하도록 유도

2) 2012년 지역정보화 사업

가. 생활정보화 : 「정보통신 보조기기사업 및 사랑의 그린 PC」

2009년부터 지방으로 이양되어 추진된 정보격차 및 역기능 해소사업의 일환으로 장애인방문

도우미, 어르신 IT봉사단 등을 운영하고 정보화접근성 향상을 위하여 장애인, 저소득층, 다문

화가정, 북한이탈주민, 고령층, 마을회관 등에 사랑의 그린 PC 1,034대를 보급하였고, 정보통

신보조기기 221대를 보급하였다. 이와 함께 청소년 인터넷 및 게임중독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

내 청소년 상담 전문기관 7개 기관과 협력하여 인터넷상담 대응체계를 갖추었고, 충남교육청

Page 73: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70 71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의 협조로 인터넷문화교실학교를 지정·운영하는 등 인터넷 중독 고위험군 학생들에게 지속

적인 상담 및 사전예방교육을 실시하였다.

취약계층 정보 격차 해소 및 정보화 마인드 확산 사업은 정보화 소외계층과 함께하는 정부

구현과 참여와 소통을 위한 정보화역량 강화에서 높은 성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사랑의 그린

PC 보급과 맞춤형 정보통신보조기기 지원으로 정보화 취약계층의 정보접근성 개선과 인터넷

및 사회활동 참여도를 향상시키게 되었다.

나. 행정정보화 : 「내·외부 정보 시스템 개선 고도화」

내포 신청사 이전에 따른 완벽한 정보시스템 이전 및 친환경 인프라 구축, 소통과 신뢰의 지

방행정 실현을 위한 내·외부 정보 시스템 개선 사업의 고도화를 중점 과제로 두고, 스마트 도

정시대 구현을 목표로 내·외부 쌍방향 소통과 토론이 가능한 IT 인프라를 구축하게 되었다.

또한 사이버침해사고가 발생치 않도록 사전 예방 활동 강화와 충청남도 사이버침해대응센터

구축·운영에 중점을 두고 추진하였으며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기반의 업무 환경으로 운영 효

율성을 극대화 하였다.

이와 함께 행정혁신 실현을 위해 2011년 내·외부 정보 시스템 개선 전략 계획(ISP)을 수립하

였다. 9개 개선 과제를 발굴하고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하여 정책 의사 결정지원 체계 및 통합

정보 지식검색 등 내부 행정정보 시스템과 도민 참여와 소통채널, QR코드 대민 서비스 등 외

부 정보 시스템 개선사업을 완료했다. 특히 스마트 도정 실현의 일환으로 13개 업무에 대해 충

남 모바일 오피스 App(앱) 개발을 추진하였으며 2013년 4월부터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또한 사이

버침해대응센터 기능 보강으로 정보보호체계 고도화를 추진하였고, 개인정보보호 강화를 위해

예방중심의 사전대응 체제로 전환하여 행정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높여가고 있다. 이와

함께 충청남도는 행정정보시스템 고도화와 지속적인 행정혁신 추진으로 공유와 협력기반의 지

방정부 디지털 협업체계 구축을 위해 주력할 계획이다.

Page 74: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72

2013

지역

정보

화백

13. 전라북도 지역정보화 사업

1) 1990년대 이전 ~ 2011년 지역정보화 사업

연도 사업 내용

1990년 이전

행정전산망 구축 사업

- 재산세 업무의 전산화를 시작으로 도청 주민과 부동산 그리고 자동차관리를 위한 주전산기를 설

치하면서 행정전산망을 구축

- 민원업무에 대한 처리절차 개선 및 종전과 다른 대민서비스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지역정보화를

바탕으로 발전

1991~2000년

전라북도청의 인터넷망 구축과 홈페이지 구축

- 과거와는 다른 정보화기반의 업무처리 기반을 조성

- 전라북도청 실과의 급여와 물품과 관련한 단위업무 전산화 구축

- 전라북도의 전자문서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여 전자지방정부 기반 마련

2001~2011년

한국전통소리문화 DB구축

- 판소리가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으로 선정되어 전라북도는 지역 국악단체와의 교류를

추진하면서 지역문화 발전 및 국악 진흥의 초석 마련

- 국악공연 영상과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동시에 제공하는 공연해설 및 노랫말서비스와

국악지식의 학술·인물자료의 제공 등 국악기 이미지 및 음원 서비스 제공

- 국악기의 기본음과 e-card 등 국악콘텐츠 서비스의 제공과 유통을 위한 기반을 제공 및 통합검

색엔진을 이용한 자료검색서비스 제공

- 전통소리 영상과 음원을 개인과 사업자 등 콘텐츠개발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국악 사운드 라이

브러리 DB로 구축

2) 2012년 지역정보화 사업

가. 생활정보화 : 「생활에 필요한 도민 서비스 앱 개발」

전라북도는 스마트정보환경을 이용한 복지정보 생활서비스를 바탕으로 도민의 서비스이용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생활밀착형 앱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9종의 앱은 복지와 문화 그

리고 생활체육과 지역시장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앱으로 「전라북도 복지누리」의 경우 여성과

노인, 장애인 등을 위한 길안내서비스와 정부의 정책안내 그리고 긴급전화정보 제공 등으로

구성되었다.

본 사업은 무엇보다 도민의 생활에 밀착해 활용될 수 있는 생활문화와 시장경제 등 다양한

분야를 대상으로 개발해 공공이 제공하는 정보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언제 어디서

나 도민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다가가는 행정서비스를 구현하여 주민의 공공서

비스 만족을 제고하는 성과를 올릴 수 있었다.

나. 도시기반정보화 : 「건강한 밥상, 경영정보시스템 구축」

본 시스템 구축 사업은 근래 각광받고 있는 지역 농산물의 생산과 소비의 선순환구축 그리

Page 75: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72 73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고 지역 내 소비자의 건강한 먹거리를 확보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로컬푸드(Local

Food) 사업」 기반마련의 과정이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생산자 지원을 위한 생산농가와 생산자정보, 영농일지와 출하 및 납품 그

리고 정산에 이르는 흐름의 체계를 구축하는 것과 통합지원센터의 경영정보시스템 구축에 덧

붙여 함께 건강한 밥상 꾸러미 장터 홈페이지를 운영 하는 것이었다.

전국최초 로컬푸드 사업과 연계한 지역순환 농업시스템 체계 구축사업으로 실질적인 성과

로 경영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건강한 밥상 꾸러미 사업」의 확대기반을 마련하고 생산자와

소비자의 협력체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더불어 생산과 유통의 단계를 줄이는 소비시장 구축

에 u-IT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서비스모델을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지역민의 일자리 창

출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 산업정보화 : 「밭농업직불제 전산시스템 구축」

「밭농업직불제」 추진 시책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도입된 「밭농업직불제 전산시

스템 구축 사업」은 전라북도와 14개 시·군을 대상으로 추진함으로써 무엇보다 직불제 사업의

행정효율성과 투명성 확보가 가장 큰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추진 된 업무의 효율성 측면을 보

자면 신청에서부터 사후관리까지 일괄 전산처리가 가능해 짐에 따라 업무의 간결성을 확보하

고 담당자 측면에서의 업무수행에 명료함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담당자의 업무처리에 있

어 자동검색기능 및 자동단가 산정 그리고 타 직불금과의 중복지원여부 등에 대한 대량검증

기능을 제공해 업무의 정확성을 도울 수 있었다. 더불어 업무의 전체 흐름을 전산으로 처리함

에 따라 임의수정이나 중복지급 등을 방지할 수 있어 행정업무의 투명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본 사업은 주민소득과 관련한 객관적인 자료를 생성할 수 있어 보다 과학적인 농

업정책 수립에 큰 도움이 되었다. 특히 농가소득의 객관적인 데이터 관리와 계산뿐만 아니라

전라북도 지역의 쌀과 밭작물 별 생산량과 소득액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과거에 비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분석과 정책판단이 가능해졌다.

Page 76: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74

2013

지역

정보

화백

14. 전라남도 지역정보화 사업

1) 1990년대 이전 ~ 2011년 지역정보화 사업

연도 사업 내용

1990년 이전

PC통신 천리안을 통한 전라남도 홍보관 개설

- PC통신(하이텔, 천리안)을 통해 전라남도를 전국에 알리고 민원인이 담당 공무원과 직접 연결되

고 관련 서류를 스스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추진

- 지속적인 자료 갱신을 통한 운영 후 전라남도 홈페이지 구축의 토대가 됨

1991~2000년

전라남도 홈페이지 구축

- PC통신으로 운영하고 있었던 전라남도 홍보관을 홈페이지로 대체할 필요성과 주민들의 정보수

요 증가

- 예산, 기술·관리적 측면에서의 홈페이지 구축의 타당성 조사 및 PC통신 자료이외에 정보공개 자

료 재조사

- 홈페이지 구축을 통해 전라남도의 적극적인 홍보와 기초자치단체의 홈페이지 구축의 표준 마련

2001~2011년

지능형 네트워크 사업기반 조성-나주시

- 국가 R&D 신기술 확산을 위한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범사업 추진으로 연관 산업 성장기반을 마

련하고 에너지 절감에 대한 정부정책을 선도

- 혁신도시 u-City 구축에 따른 신·구 도심간 정보서비스 불균형 해소를 통해 지역 간 균형발전을

도모

- 전력·IT분야 신기술 인프라 조성 및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과 협력관계의 구축으로 스마트그리

드 거점도시 유치

2) 2012년 지역정보화 사업

가. 생활정보화 : 「모바일홈페이지 개설 및 군 홈페이지 웹접근성 기능개선」 - 곡성군

지역주민 정보요구의 다양화, 통신망의 발전, 생활양식의 급변 등 생활정보 서비스 환경의

변화에 대한 수용과 정보화 사회에 주민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고취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본 사업이 진행되었다.

본 사업은 최근 여행객들이 스마트폰 검색으로 많은 정보를 얻는다는 점에 초점을 맞춰 주

요 관광지, 문화유적지 등을 스마트폰에서 직접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지역의 특화된

문화관광 이미지 개발 및 관광객 중심의 홈페이지 이용 편의성과 정보 접근성을 개선하였으

며, 관광자원의 체계적인 분류 및 전면적인 디자인 개편을 통해 문화관광 사이트 방문객들에

게 유익하고 실용적인 정보 전달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홈페이지에 접근하려는 장애인, 노령

자 등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정보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였다. 이와

함께 콘텐츠 업데이트를 통하여 다양하고 편리한 정보를 안내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현하였으

며 개인정보보호 및 홈페이지 보안 취약점을 강화하였다.

Page 77: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74 75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그 밖에도 홈페이지 게시판,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채널의 홍보로 주민·공무원의 관

심사항에 대한 소통 네트워크가 구성되었다.

나. 행정정보화 :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 - 완도군

IT 기술변화에 따른 대응과 PC교체 비용 절감, 그리고 정보통신보안성 강화를 위해 클라우

드 컴퓨팅 구축사업이 2012년 5월 9일부터 동년 7월 5일까지 진행되었다. 본 사업을 통해 데스

크탑 가상화 시스템을 구현하고 시스템 이중화 등을 추진하였다. 또한 단계별 확장성을 위하

여 블레이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을 통해 단말기의 사용년수를 기존 4년에서 10년으로 늘려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예산을 절감할 수 있었고, 컴퓨팅 자원공유, 중앙보안정책의 일괄적용 등 효율적 PC

환경 관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자산관리, 불법소프트웨어 단속, 수리비, 장비보급 추진

등 관리비용 역시 절감할 수 있었다. 또한 중앙 집중식 데이터 자원 관리로 클라이언트 보안성

이 강화되었고 일반PC 대비 최고 80%까지 소비전력이 낮아져 공공요금이 절감되었다.

다. 도시기반정보화 : 「나주 그린 스마트시티 구축」 - 건물 에너지관리 시스템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통한 국가균형 발전을 위해 금천·산포면 일원에 광주·전남 공동 혁

신도시 부지 조성을 2013년 말까지 완료하고 한국전력공사 등 16개 기관이 2014년까지 이전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 특성을 반영하여 빛과 물이 하나 되는 상생의

생명도시 Energypia City를 구현 목표로, 에너지 기반 시설을 활용한 자립형 첨단 도시를 구축

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재난상황실에 그린 스마트 시티 시범운영센터 및 통합플랫폼을 구축해 공공건

물 에너지관리 서비스를 구축하였고, 나주 Green Smart City 구축 u-시범사업 수행을 통해 운

영 노하우 및 문제점을 사전에 도출해 15개 이전기관 건물들을 대상으로 BEMS 시스템 연동 가

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전국 최초로 공공건물 BEMS 시스템 구축으로 새로운 신 동력 사업이 창

출되었다.

이와 함께 지능형빌딩시스템(IBS, Intelligent Building System)에 신재생에너지를 접목한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서비스 기반의 통합용 표준 프로토콜로 제시될 수 있어 건물 간의 에너

지 관리시스템 연계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전국에 보급이 가능하게 되었다.

Page 78: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76

2013

지역

정보

화백

라. 산업정보화 : 「정보화마을 운영 활성화」 - 진도군

정보화마을의 조성 및 운영활성화는 농어촌 주민들을 위한 자립기반 마련으로 지역의 정보

격차 해소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주민 소득증대 향상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사업을

통해 3개 소 총 18백만 원의 예산이 배정되어 특산품 판매용 포장박스 제작 및 상품 보관 창고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정보화마을 특판 행사 추진과 관련하여 설·추석 특판 및 Festa, 지역

축제 등을 년 5회 시행하였고, 정보화마을 운영 평가 대비 실적 관리를 매월 1회 시행하고 있

다. 또한 수시로 정보화마을 운영활성화를 위한 현지 지도는 물론, 프로그램관리자 3명을 채용

하고, 3개 마을에서 정보화마을 홈페이지 리뉴얼 및 유지보수를 추진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공공요금 등 정보센터의 운영비가 3개 마을에 지원되고 있으며 정보화마을

운영 활성화를 위해 주민 정보화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총 5개 과정

149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진도군은 정보화마을 운영 활성화 사업으로 부터 주민 소득증대 및 정보화 생활의 극대화를

유도하였고, 정보화마을 자립기반 조성 및 조기정착 등을 유도하였다.

15. 경상북도 지역정보화 사업

1) 1990년대 이전 ~ 2011년 지역정보화 사업

연도 사업 내용

1990년 이전

행정전산화

- 1983년 통계담당관실내 전산계가 신설되어 그 당시 중형 컴퓨터를 이용하여 민원 및 내부행정 전

산화를 추진함

- 효율적인 정부의 구현, 대국민 행정서비스의 향상, 행정전산화에 소요되는 투자를 국내 정보산업

육성에 활용

- 1989년 전산담당관실이 신설되어 국가 5대 전산망(국방, 금융, 주민, 부동산, 자동차) 전산화를 추

진하는 원동력이 됨

- 공공분야의 전산화가 지역정보화로 가기위한 전단계로 그 당시 민간부분보다 훨씬 앞서서 전산화 됨

1991~2000년

지방행정정보화 기반 구축

- 지방행정정보화 기반구축을 위하여 전산장비의 확대보급과 이를 운영할 공무원에 대한 전산교육,

시·군단위의 종합정보망 구축·운영과 전산화 촉진을 담당하는 전산공무원의 자질 향상 등 행

정전산화 기반구축

- 공무원들의 전산지식 함양을 위하여 중앙부처 및 도 교육기관에서는 매년 교육계획을 수립하여

공무원 전산교육을 실시

- 공무원 1인당 1대의 PC보급을 목표로 일반 업무용 PC보급 추진

Page 79: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76 77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연도 사업 내용

1991~2000년

- 자유토론 등 열린 도정 운영을 하였으며 민원체계의 획기적 개선을 위하여 안방에서 민원해결이

가능토록 PC통신을 이용한 홈 민원 제도 실시

- 전자결재시스템 구축 및 운영으로 문서의 신속한 결재처리와 행정정보의 공유로 전자정부 기틀

을 마련

2001~2011년

디지털@경북건설

- 행정정보화, 산업정보화, 주민생활정보화 등 5개 부분, 46개 정보화 사업을 주요사업을 확정하여

추진

- 「인터넷새마을운동」 추진으로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지역과 연령의 구분없이 「인터넷새마을

운동」을 확산시켜 농어촌 지역과 노인층, 저소득층 모든 도민이 골고루 정보화 혜택을 받을 수 있

도록 전개

- 경북의 문화 관광 포털사이트 경북나드리를 구축하여 인터넷을 활용한 전자관광시장의 구축

- 전자정부 고도화에 따른 행정업무 정보통신시스템을 마련하여 실무에 적용하고 또한 정보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강화를 위한 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활용

2) 2012년 지역정보화 사업

가. 생활정보화 : 정보격차해소

전국에서 유일하게 시작한 경상북도 특수시책사업인 「도민인터넷선생님」은 도내 168개 소

정보이용시설에 180여 명의 인력을 배치하여 연간 20만 명에게 정보화 교육 및 컨설팅을 제공

한다. 이를 통해 도민의 생활정보화의 격차를 줄여 디지털기반의 지역적 소통과 통합 방식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도민들의 생활정보화와 더불어 지역 간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50세대 미만 1,595개 마을에 2015년까지 초고속 통신망을 구축하고 정보통신 인프라를 확충하

여 취약계층에 대한 정보이용접근 확대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거점별 정보

화마을 마을정보센터 설립과 인터넷상거래 활성화로 정보화를 활용한 주민소득을 증대시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도민의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지원을 위해 통합관제센터 및 어린이 보호구

역, 공원, 놀이터 등에 CCTV를 설치하여 도민 생활 안정망을 구축하고 있다.

나. 행정정보화 : 「경상북도 표준 스마트 웹개발」

스마트 단말기를 활용하여 행정서비스 효율을 넓히기 위해 경상북도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신속하게 도정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채널을 마련하고자 총 5개의 경상북도 표준 웹을 개발

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경상북도 표준 스마트 웹 개발 서비스」는 5종의 업무로 경북인터넷방송을 이용해 일일뉴스,

자랑스러운 경북, 농업소식 등 GBTV의 다양한 뉴스를 제공하고, 경북관광에서는 미디어기행,

1박2일 여행, e-맛 기행, 템플스테이 등 관광정보 콘텐츠를 음성, 사진 및 지도 등을 연계하여

Page 80: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78

2013

지역

정보

화백

제공하였다. 경북도의회에서는 전자회의록 및 본회의의 영상회의록을 제공하고 경북도립대학

에서는 대학소개, 입학안내, 학사정보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이와 함께 물가안정 모범업

소에 대해서는 시·군 및 업종별 모범업소를 안내하였다.

무엇보다 「경상북도 표준 스마트 웹 개발 서비스 사업」으로 인해 정부의 정보화 정책방향

에 따라 도민으로 하여금 스마트지역사회로의 발전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5종의 표준 스

마트 웹 개발 및 서비스 제공은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있어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의 발전에도 기여한 바가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 도시기반정보화 :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 구축」

경상북도에서는 「국가공간정보기반구축 사업」에 따라 모든 지리공간 정보가 구체적이고 실

시간으로 제공되는 토탈기능 시스템 「3차원 지리정보 시스템 구축」을 하게 되었다. 본 시스템

은 개별적·평면적으로 제공·관리되던 각종 생활정보, 치수, 관광, 도시계획 등 8대 주요 지

리정보들과 도민들의 일상생활정보들을 대상으로 했다. 2012년에는 국토·해양 분야, 각종 건

설사업 분야, 소방, 문화, 산림녹지, 농업, 관광 전 분야에 걸쳐 위성영상DB와 수치지형도 등

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사업을 통해 도·시군에서 각 실국 실과별 업무의

상호 유기적 협조와 공동이용체제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되어 행정적으로 연간 100억 원

이상의 예산절감효과를 거두었다. 생활적으로는 도민들이 필요로 하는 각종 행정정보 활동에

적극 이용되고,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심점으로 각종 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다양

한 생활정보를 활용하게 됨에 따라 도민들의 생활패턴의 변화가 이루어 졌다.

라. 산업정보화 : 「IPTV기반 문화관광 글로벌방송 기반 구축」

디지털미디어 산업의 해외진출과 3D 영상미디어 기수로학보 등을 목적으로 추진된 「차세대

뉴미디어 문화관광 글로벌 방송 HUB 구축」 사업은 경제적 측면에서 볼 때 관련 산업군의 동반

성장과 이로 인한 경제 활성화와 고용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이종분야 산

업(방송, 통신, IT, 콘텐츠, 문화관광) 간의 융합과 동반육성을 통한 신규 국가 신성장동력산업

모델의 창출과 IT 기반의 문화관광 및 콘텐츠산업을 연계하여 고부가 가치의 수익사업을 창출

하고 한국 고유콘텐츠의 세계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3D 영상미디어 산업 R&D 및 성과확산 클러스터 구축 사업」의 경우 3D 영상미디

어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대비하여 관련시장을 선점하고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중앙정부

의 3D산업 지원정책에 동참하고자 했다. 본 사업은 홀로그램 활용 박물관, 가상미술관, 4D 영

Page 81: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78 79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화관, 오감 체험형 테마파크를 구축으로 가상공간 기술을 활용한 공연 및 무대를 구현해 상황

인지 기반의 관람자 맞춤형 박물관 및 미술관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실감형 교육콘텐츠, 원

격진료, 기능성 게임 개발 등을 그 적용범위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IPTV 사업과 연계한 비즈

니스 모델 창출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16. 경상남도 지역정보화 사업

1) 1990년대 이전 ~ 2011년 지역정보화 사업

연도 사업 내용

1990년 이전

도정전산화 구축

- 주민관리, 부동산관리, 자동차관리 등 온라인 대민서비스 업무가 개시됨으로써 대민편의 위주의

행정구현

- 1985년 8월 전산담당관실이 신설되어 행정전산망 사업의 본격 추진과 함께 1989년 4월 전산분야

직제가 개정되어 전산지도계, 전산개발계, 전산관리계 3개의 계에 47명 전산요원이 행정전산망

운영과 전산업무 개발 등 도정의 전산화 추진

1990년 이전

행정전산망 구축

- 지역전산본부가 설치되고 도·시·군, 읍·면·동간 통신망이 구축 운영되어 6개월간의 시험 운

영을 거쳐 부동산 분야 민원의 신속처리와 처리절차를 대폭 개선하여 시행

- 자동차관리 분야도 도내 등록된 전 자동차의 등록, 검사, 과세자료 제동 등 등록부터 폐차까지 일

괄적으로 처리하고 주민관리 분야는 1990년 10월부터 시험운영이 개시되어 향후 주민등록 온라

인 업무의 기틀 마련

1991~2000년

PC통신 경남광장 구축

- 100여 가지의 서비스를 공중통신망 및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축

- 가정에서도 「경남광장」회원이면 누구나 인터넷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응용프로그램

을 전면 교체하여 보다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

인터넷 홈페이지 구축

- 웹서버를 도입하고, 인터넷 전용선을 연결하여 홈페이지를 구축·운영

- 실국별 홈페이지를 구축하여 양질의 다양한 행정정보를 제공하여 사이버 공간을 통한 도민과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통로를 마련

- 상인 및 농어민을 대상으로 무료로 홈페이지를 제작하여 지원함으로써 영세한 중소기업의 지원

과 농어촌 정보격차 해소

- 전자상거래를 할 수 있도록 메뉴로 구성된 「경남쇼핑몰」을 구축

홈페이지와 경남광장을 통합한 웹 커뮤니티 구축

- PC통신 「경남광장」을 도 홈페이지와 통합하여 경상남도 웹 커뮤니티를 구축

- 도민 정보화에 기여하고 사이버 동호회 유치와 다양한 콘텐츠 개발에 노력함으로써 경남지역의

대표적인 사이버 지역 공동체로써 역할을 담당

2001~2011년

GIS를 이용한 관광체험 길잡이 시스템 구축

- 도 전체의 관광지를 전자지도(GIS)와 연계하여 도내의 관광자원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하여 관광

객에게 보다 유용하고 편리한 정보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제공

- 2000년 초반의 대표적인 문화관광 홈페이지로서 입지를 굳혔으며 관광서비스의 질 개선과 관광

정보 활용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Page 82: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80

2013

지역

정보

화백

2) 2012년 지역정보화 사업

가. 생활정보화 : 「도민 참여·소통을 위한 모바일 공개·협업 시스템 구축」

공개·협업 도정 홈페이지는 도민의 의견 개진을 위한 도민 토론방 뿐만 아니라 도민이 필

요로 하는 정보에 대한 접근성 제고와 재정정보 현황을 실시간으로 공개하고 있다. 이와 더불

어 경상남도는 공공데이터 개방의 일환으로 Open API를 개발하여 도민이 직접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도민과의 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 최신 IT기술 트렌드를 반영하고 이용자 수요에

맞추고자 「톡톡경남」 앱을 개발하여 다양한 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한 도민 소통의 장을 넓혀 나

가고 있다. 「톡톡경남」 앱은 도정 이슈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콘텐

츠로 제공하고 있으며, 트위터를 이용한 생생한 현장 민원서비스 제공과 SNS 로그인만으로도

댓글쓰기가 가능토록 해 모바일 기기 이용자의 접근성과 편리성을 배려하였다.

앞으로 멀티미디어 기법, 스토리텔링 기법, 도민과 협업 제작 등 제작 패러다임의 혁신과 지

속적 양질의 콘텐츠 제작을 통해 공공앱의 활성화와 함께 행정정보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홈

페이지와 앱을 통해 공개 할 예정이다.

나. 행정정보화 : 「경상남도 인재개발원 학사관리시스템 구축」

경상남도 인재개발원에서는 교육생 입교부터 수료까지 전체 학사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

기 위하여 2012년 12월에 「학사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학사관리시스템」을 통해 인사행정

정보시스템으로 교육과정 전송 및 교육생 명단 수신, 교육수료 후 이수정보를 전송하는 기능

을 제공하고, 확정된 교육생 명단을 인사행정정보시스템에서 수신 후 교육생 관리업무(입교,

조퇴, 퇴소, 수료 등)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그리고 연간교육계획 작성 시 익년도 교

육훈련계획에 활용된 각종 통계정보 및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강사정보를 DB화하고 교육생들의 강사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강사를 등급별로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교육생 및 강사에게 문자메세지(SMS)를 보낼 수 있으며, 교육

과정에 대한 안내정보를 제공하고 미 개설된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시간 및 강사비를 가상으로

입력하여 소요되는 예산을 산출하는 기능과 OMR카드를 이용 성적평가와 설문조사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시스템에 반영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무엇보다 표준적인 업무 프로세스 정립으로 행정업무를 간소화 시켰으며 교육생에 대한 교

육이력 관리로 개개인 적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업

무의 자동화와 체계화를 통해 질 높은 교육기회 제공과 보다 효율적인 상시학습 체제를 지원

Page 83: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80 81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 도시기반정보화

(1) 「도로와 지하시설물 전산화」

공간정보 사업은 1995년 1차 국가GIS구축기본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현재 4차 국가공간정보정

책기본계획(2010~2015년)이 수립되어 범국가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경상남도에서는 경상남도

GIS기본계획을 수립하여 2003년부터 2012년(10개년)까지 단계별 계획에 의해 추진하였다.

경상남도는 공간정보체계 구축의 주요 분야인 도로와 7대 지하시설물(상수, 하수, 가스, 전

력, 통신, 난방, 송유관)에 대한 공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사업을 인구가 밀집한 시 지

역의 도로와 상·하수도에 대하여 국비 지원을 받아 우선적으로 추진하여 2010년 창원시를 비

롯한 8개 시 지역 도로와 상·하수도 17,375km의 DB구축을 마무리 하였다. 2011년부터는 군

지역 확산사업에 따라 고성군 도로와 하수도 231km를, 함양군 도로와 상·하수도 73km에 대

하여 DB를 구축하는 등 2015년까지는 도내 군 지역을 마무리 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또한

2012년에 구축 완료된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의 토지정보, 행정정보DB, 항공사진 등과 연계하

여 도시지역의 시설물 공간정보를 행정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2)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 구축」

항공사진의 발전과 높은 활용성으로 행정 분야의 수요 증가, 시·군에서 개별로 추진·구축

된 2차원 지리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도 단위 공간정보기반 구축 필요, 도 및 시·군 간 영상정

보 공동 활용으로 시스템 구축비용 절감, 선진 GIS기술 도입, 도 내 공간정보산업의 저변확대

를 목적으로 2007년 12월부터 사업비 1,290백만 원을 투자하여 2009년 8월 3차원 지리정보시스

템을 구축하였다.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으로 도내 전역의 공간구조 시각화를 완성해 현지조사 및 측량

비용 절감, 항공사진 등의 현실감 있는 공간정보 대민서비스로 도민 만족 행정을 구현하고 있

다. 더불어 2012년에는 행정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인트라넷 사용자를 위한 지적도를

최신자료로 갱신하였고,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촬영한 경남 전역의 최근 항공사진을 제공받아

시스템의 항공사진을 최신의 자료로 갱신하였다. 앞으로도 운영상 미비한 점을 개선하여 도민

의 만족도를 한층 더 높일 계획이다.

Page 84: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82

2013

지역

정보

화백

(3) 「부동산일원화 사업 추진」

토지(임야)대장은 과거 부책식에서 카드화를 거쳐 1991년 토지기록 전산화를 완료한 후 전

국을 온라인망으로 연결·운영하고 있으며, 지적(임야)도면은 1999년부터 5개년에 걸쳐 국

고보조사업으로 지적도면전산화 사업을 완료하여, 기 운용 중에 있던 토지기록전산망과 연계

했다. 또한 2006년에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PBLIS, Parcel Based Land Information System)과

토지종합정보망(LMIS,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을 통합하여 한국토지정보시스템

(KLIS,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으로 전환 후 전산화된 대장과 도면을 한 시스템 내에서

관리하고 있다.

2011년에는 부동산행정정보일원화구축 시범사업을 완료하여 2012년 말 부터는 토지(임야)대

장, 지적(임야)도, 건축물대장, 경계점좌표등록부, 개별공시지가, 개별주택가격, 공동주택가

격, 토지이용계획확인서 등 15종의 장부를 하나의 대장으로 통합하여 2013년부터 일사편리 시

스템으로 민원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으로, 여러 종의 서류를 발급받아야 했던 도민 불편해소

계획을 추진 할 것이다.

라. 산업정보화 : 「u-IT기반 양식장 통합정보관리시스템 구축」

가두리 양식장의 도난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이 필요하

게 되어 최신의 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u-IT기반의 「u-양식장 통합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

하게 되었다.

사업내용은 양식장 운영 생장관리 프로그램 개발, 보안 관제용 CCTV 및 각종 센서 등 장비

설치,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니터링 프로그램 개발, 통합관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등이었다.

「u-양식장 통합정보관리시스템」이 구축되면서 양식장에서 발생하는 주요업무인 구매업무, 사

료 반 출입 업무, 사료 급이 업무가 u-IT기반 전산 시스템을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실시간 적외선 CCTV와 양식장의 대형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주변 환경을 감

시하고 양식장 외부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주·야간 구분 없이 양식장 환경을 감시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더불어 관련정보의 통합을 위해 안정행정부의 새올시스템에 있는 어업권대장 및 어업면허

기본사항 등의 정보를 연계하여 경남지역 양식장관리시스템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기존 연근해 어업분야 외에도 수산 양식분야의 생산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양식

어업정보 현황 파악이 용이해졌고 양식장 환경정보 수집을 통하여 향후 국내 양식분야 기술

및 분석정보가 가능한 기반 체계를 마련하는 등 양식장의 기본정보 외에 생장환경정보 및 생

Page 85: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82 83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산정보의 통합정보 공유체계를 구축하였다.

17.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정보화 사업

1) 1991년 ~ 2011년 지역정보화 사업

연도 사업 내용

1991~2000년

시도행정시스템 구축

- 24개 행정업무 중 18개 업무에 대해 표준화된 시스템을 개발하고 기존 단위업무 중심의 시스템을

시·도행정업무 전체적인 관점에서 새롭게 설계·구현하여 업무에 대한 표준 정보체계 정립 및

업무 공유, 호환성 확대

1991~2000년

- 중앙부처, 시·도, 시·군·구를 수직적으로 연계하여 중앙에서 기초자치단체까지 이어주는 시·

도단위인 지방전자정부의 중심축을 완성

- 급격히 변화하는 행정환경에 발맞추어 시·도별 특화된 업무의 개발·확대, 정책결정 지원 시스

템 구축, 행정시스템 연계 서비스 고도화 추진

2001~2011년

전자문서시스템 구축

- 문서의 결재·생산·유통·보관업무를 전자화한 웹환경의 e-NALA 시스템으로 교체되어 사무처

리기간 단축 등 업무처리 효율을 향상

- 온-나라시스템은 공직사회의 일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자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확

산을 위해 표준모델로 개발된 전자문서시스템으로 기존 업무관리시스템에 문서유통 기능이 추가

- 전자결재 처리비율이 99% 정도로 보안 관련 문서 등 전자화에 부적합 문서를 제외하고는 모두

전자문서시스템으로 처리됨으로써 행정업무의 과학화와 투명성 확보

스마트폰 제주관광통역비서

- 외국인이 제주도 어디를 가든 언어소통이 자유롭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다국어

음성자동통역 애플리케이션

-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내외 관광정보 수요 급증에 따라 「제주관광통역비서」와 「모바일 제주관광

정보」를 융합한 (가칭) 「스마트 관광 지능형 음성 안내 서비스」를 구축하여 고객 중심의 맞춤형 서

비스 제공 및 외국인 관광객 여행 편의를 도모 할 예정

2) 2012년 지역정보화 사업

가. 생활정보화 : 「기후변화대응 농업기술정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

기후의 제약을 많이 받는 제주도의 생활환경과 농업생산 환경을 고려해 다양한 기후변화 정

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더불어 온난화에 따른 최근의 기후변화로 농업재해와 증가하는

병해충 피해에 대응하고자 농업기상과 병해충 정보 및 기타 영농정보를 스마트폰을 이용해 농

업인들에게 신속하게 제공하고자 했다.

본 사업은 농업기술정보 전용서버 구축과 정보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개발

이 주요한 내용이었다. 이 사업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는 주로 영농에 필요한 기상정보와 태풍

정보 그리고 병해충 발생상황과 방제요령을 알려주는 방제정보 등이 중심이었다. 또한 특징적

Page 86: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84

2013

지역

정보

화백

인 기능 중 하나는 바로 단순한 정보의 전달 뿐만 아니라 감귤과 마늘 등 품종에 따라 3~4명으

로 구성된 10개 상담그룹들이 병해충 방제 등 농작물 관리요령을 순환답변하면서 서비스 수요

자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와 함께 본 사업으로 제주도는 최첨단 IT기술 영농현장에 적용 농업인 신뢰성 및 효율적인

지도사업을 전개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 기상재해 및 병해충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 최소화로

농가소득을 증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나. 행정정보화 : 「지하수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지하수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사업은 GIS기반 지하수정보 통합관리·분석시스템을 구축

하는 것으로 수자원본부와 지역사업소 간 지하수 인·허가 및 원수대 부과 등의 업무 연계처

리를 위한 것이었다. 또한 지하수 관련 인·허가 자료의 안정적 관리 및 개인정보의 보호·보

안 관리체계를 확립하려 했다.

사업의 내용은 지하수 개발, 인공함양정, 빗물시설 등 인·허가 민원처리 시스템 개발과 원

수대 부과·징수, 지하수 수질검사 등 관련부서 연계용 시스템 개발로 이루어졌다. 이와 함께

오염원 관리와 허가제한 사항검토 등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GIS기반의 정보관리·분석

시스템 개발과 더불어 SW구입과 메인 서버, DB 서버, 백업시스템 등 장비구입을 통해 본 사업

이 이루어 졌다.

사업을 통해 본부와 사업소 간 지하수정보의 온라인 공유가 이루어짐에 따라 지하수 인·허

가 연계처리와 이력관리·조회 그리고 지하수 원수대의 부과·징수 등에 관한 업무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었다. 더불어 GIS기반 정보관리·분석시스템 구축으로 지하수 오염원 관리, 인·

허가 제한사항 검토, 지하수 사후관리 등 지하수의 과학적 관리체계가 확립되었다.

다. 산업정보화 : 「지역SW융합 지원」

「지역SW융합 지원사업」은 지역 별 특성에 맞는 SW융합산업 육성 및 선도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시장 확대와 제주 IT기업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지역 선도 IT 기술과 연계된 융합사업

추진을 통해 관련시장 선도와 국내·외 시장진출 도모하기 위한 것이었다.

본 사업은 제주광역경제권 선도사업(물, MICE), 제주지역 특화산업(IT, BT) IT융합분야 제

품·솔루션 개발 및 상용화 지원을 주요내용으로 했다. 이를 통해 먼저 4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780백만 원의 사업비를 활용해 제주광역경제권 선도사업(MICE)과 IT융합분야 제품·솔루션 개

발 지원이 이루어졌다. 특히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6건 이루어 졌으며, 동시통역지원

Page 87: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84 85

제1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2편 지

역별

지역

정보

화 추

진방

제2편

지역

별 지

역정

보화

추진

방향

제3편지역별지역정보화추진현황

시스템 1식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SW 7식과 지식재산권 인증 12건의 실적을 올렸다.

다음으로 육묘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 체계 구축을 통해서 밀폐식 육묘시설 구축 그리고

통합 관리 서버 구축과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센서 모듈 개발이 이루어 졌으며, LED

광원 모듈 개발 등이 본 사업에서 도출되었다. 이와 함께 가두리 시설관리 지능형 SW개발,

해상가두리 자가진단 임베디드(Embedded) 시스템 설계와 스마트 생장관리 SW개발이 해상가

두리 시설관리를 위한 지능형 SW 및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로 추진되었다. 끝으로 농업과 IT,

해양과 IT와의 융합제품 개발을 통한 1차 산업과 IT융합제품의 상용화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제주도의 주요 산업부분들과 정보화사업의 융합을 통한 경제산업 기반을 구축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본 사업은 제주광역권 선도 산업분야와 연계한 융합SW의 제품화 그리고 이를 통

한 신시장의 창출을 이끌었다는 것이 큰 성과이다. 이와 함께 IT 융·복합 사업의 추진을 통해

지역 관련기업의 매출 증대 및 고용창출 등 경제 활성화를 기대해 볼 수 있다.

Page 88: 요약본 지역정보화백서maeum.ipdisk.co.kr/publist/VOL1/maeumnet/이진영... · 2013 지역정보화백서 ... 계를 정의하여 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사업 추진을

2013 Local Informatization White Paper

지역정보화백서2013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85, 17~18층 Tel. 02-3279-0800 Fax. 02-3279-0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