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Special Issues 42 | Journal of the Electric World | ● 특집 이윤경 한전 경제경영연구원 선임연구원 1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매년 세계 에너지시장에 대한 중장기 전망을 발표해 오고 있다. 2014년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은 분석기간을 2040년까지 확대해 장기 전망과 분석을 수행했고, 에너지소비와 수급측면의 종합적인 동향과 석유, 천연 가스, 석탄, 전력,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 등의 시장을 분석했다. 2013년 시장 전망에서는 에너지 중심 이동을 강조한 반면, 2014년에는 중동, 러시아 등 에너지공급지역의 정치적 리스크 증가와 불투명한 원자력 정책 등을 이유로 에너지안보 확보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2013년에 전망했던 에너지 중심 이동, 즉 에너지수요와 투자가 중국, 인도 등으로 이동하는 현상은 2014년 전망에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2040년이 되면 세계 에너지 공급믹스는 석유, 가스, 석탄, 원자력 및 저탄소에 너지원이 거의 균일한 비중을 이루게 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화석연료 소비 억제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40년에도 여전히 화석연료가 주력 에너지원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그림1 세계1차에너지수요에너지원비중비교 그림2 지역별화석연료純거래액비교 , , , , , 29% 24% 26% 24% 7% 19% 31% 21% 5% 14%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 본 보고서의 시장 전망 결과는 중심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다. 2 현 황 가. 글로벌 에너지시장 동향 2040년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 본 보고서의 시장 전망 결과는 중심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다. 2 현 황 가. 글로벌 에너지시장 동향 2040년

Special Issues

42 | Journal of the Electric World |

● 특집

� 이�윤�경�

한전 경제경영연구원 선임연구원

1 개 황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매년 세계 에너지시장에 대한 중장기 전망을 발표해

오고 있다. 2014년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은 분석기간을 2040년까지 확대해 장기

전망과 분석을 수행했고, 에너지소비와 수급측면의 종합적인 동향과 석유, 천연

가스, 석탄, 전력,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 등의 시장을 분석했다.

2013년 시장 전망에서는 에너지 중심 이동을 강조한 반면, 2014년에는 중동,

러시아 등 에너지공급지역의 정치적 리스크 증가와 불투명한 원자력 정책 등을

이유로 에너지안보 확보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2013년에

전망했던 에너지 중심 이동, 즉 에너지수요와 투자가 중국, 인도 등으로 이동하는

현상은 2014년 전망에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2040년이 되면 세계 에너지 공급믹스는 석유, 가스, 석탄, 원자력 및 저탄소에

너지원이 거의 균일한 비중을 이루게 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화석연료 소비

억제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40년에도 여전히 화석연료가

주력 에너지원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그림�1 �세계�1차�에너지�수요�에너지원�비중�비교 그림�2 �지역별�화석연료�純�거래액�비교

, ,

, , ,

29%

24%

26%

24%

7%

19%

31%

21%

5%

14%

Page 2: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 본 보고서의 시장 전망 결과는 중심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다. 2 현 황 가. 글로벌 에너지시장 동향 2040년

| March | 43

+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시장 전망에서 세계 GDP 성장률은 연평균 3.4%, 인

구는 0.9%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화석연료

가격은 1.2배에서 1.3배 상승하고 CO2 배출권 가격도

약 2배 증가할 것으로 전제하고 있다.

시장 전망은 기후변화 정책의 실행 수준에 따라 3가

지로 전망하고 있는데 기준이 되는 중심 시나리오는

현재 진행 중이거나 시행이 확정된 정책과 계획 중인

정책이 모두 이행되는 경우를 전제해 시장을 전망하고

있다. 본 보고서의 시장 전망 결과는 중심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다.

2 현 황

가.�글로벌�에너지시장�동향

2040년 세계 1차 에너지 수요는 2012년 대비 3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증가율은 1.1%이다.

2012년까지 과거 20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2% 수준이

었으나 수요증가율은 점차 둔화될 전망이다.

세계 에너지 수요 증가를 견인하는 지역은 중국, 인

도 등으로 바뀌고 2020년대까지 중국이 에너지수요

증가를 선도하겠지만 이후에는 인도가 지배적인 역할

을 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에너지 무역 흐름은 아시

아 시장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될 것이며, 2030년 이후

중국이 석유 최대 소비국이 될 전망이다.

에너지원별로는 신재생에너지가 가장 큰 증가폭을

나타내며 수요성장을 견인하고 원자력, 수력, 가스도

수요성장에 기여하게 된다. 지역별로는 인도의 에너지

수요 증가율이 연평균 2.9%, 아프리카는 2.1%로 중국

의 1.7%보다 높은 증가율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최종 에너지소비 분야에서는 전력이 연평균 2.1%로

다른 에너지원보다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고, 2040년

기준 최종 에너지소비 중 비중은 전기와 가스가 각각

5%, 3%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가스시장

가스는 화석연료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수요가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며 2040년에는 2012년 대비 수요가

56.7%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가스 수요의 80%는

중국, 인도 등 비OECD 국가에서 차지하고 수송부문

이 연 3.4%의 높은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3 �지역�및�에너지원별�1차�에너지�수요�증가율 그림�4 �최종�에너지�소비량�중�에너지원별�점유율

,

,

Page 3: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 본 보고서의 시장 전망 결과는 중심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다. 2 현 황 가. 글로벌 에너지시장 동향 2040년

Special Issues

44 | Journal of the Electric World |

● 특집

가스 공급은 유럽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증가하

며, 특히 중국의 가스생산량이 가장 빠르게 증가할 것

으로 예상된다. 비전통가스는 2030년 이후 셰일가스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받아 점차 증가율이 둔화될 것

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석탄시장

2040년 석탄 수요는 2012년 보다 14.6% 증가한

63.45억 석탄환산톤으로 전망되고, OECD 국가의 수

요는 연평균 1.6%씩 감소하는 반면 비OECD 국가

의 수요는 연평균 1.0%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OECD 국가 중에는 유럽과 한국, 일본의 석탄수요가

가장 크게 감소하고 중국은 2030년 최대 수요를 기록

한 후 감소하는 반면 이후에는 인도의 석탄수요가 지

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미국은 환경규제와 석탄

화력 노후화로 2020년 이후 석탄발전 비중이 급감해

2040년에는 현재 수준의 1/3 수준에 머물게 된다.

석탄 공급은 8개 주요 생산국인 러시아, 서아프리

카, 콜롬비아 미국, 호주, 인도네시아, 인도, 중국이 공

급량의 90% 이상을 점유해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분

석됐다. 향후 높은 생산단가와 지속적인 석탄 수요증

가 및 원유가격 상승으로 인해 석탄의 글로벌 수출입

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보이는데, 2040년 글로벌 평균

석탄 수출가격은 톤당 100달러 수준으로 전망됐다.

라.�전력시장

2040년 전력수요는 3만4,887TWh로 2012년보다

7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수요 증가율이

연평균 2.1%인 반면 중국과 인도 등 비OECD 국가의

수요 증가율은 연평균 3.0%에 달할 것으로 분석됐다.

발전설비 용량은 2040년에 1만716GW로 에너지원

별 설비 점유율은 수력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가 42%

로 가장 높고, 가스와 석탄이 각각 25%, 원자력이 6%,

유류가 2%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40년 발전량

은 4만104TWh로 발전량 중 석탄과 유류의 비중은 감

소하고 원자력이 정체상태를 보이는 반면 가스 및 신

재생에너지 비중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4년부터 2040년까지 전력산업 설비투자는 총

20.8조 달러이고 이 중 비OECD 국가가 63.4%를 차지

할 것으로 보인다. 발전설비 투자비는 12조 달러로 그

그림�5 �지역�및�분야별�가스�수요�변화�전망 그림�6 �국제�LNG�수출�지역�변화�비교

10%5%5%

40%

21%

20%

9%

5%

12%25%

3%

12%

14%

11%

7%

Page 4: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 본 보고서의 시장 전망 결과는 중심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다. 2 현 황 가. 글로벌 에너지시장 동향 2040년

| March | 45

+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중 61%를 신재생에너지 투자가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

는데, 발전원별 투자비 규모는 풍력 및 수력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

글로벌 발전비용은 2012년 1.6조 달러에서 2040년

에 2.9조 달러로 81% 증가하는데 연료비와 탄소가격

인상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미국과 유럽 등은 자

본집약적인 신재생에너지 확대로, 중국 등은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아 탄소가격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된다.

발전 분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 추세는 과거보

다는 완만해지겠지만 배출량은 2012년 132억 톤에서

2040에 154억 톤으로 17% 증가하고 배출량의 71%는

석탄화력발전에서 유래할 것이란 분석이다. OECD 국

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67% 수준으로 감소하지만

비OCED 국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44% 증가할 전

망이다. 중국의 탈탄소정책 이행이 계획대로 실행되지

그림�7 �8개�주요�석탄공급�국가�생산비중�추이 그림�8 �중국·유럽·미국의�발전용�석탄�가격�전망

그림�9 �에너지원별�발전량�및�점유율�전망 그림�10 �지역�및�분야별�투자�전망

,

,

,

,

,

,

,

,

Page 5: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 본 보고서의 시장 전망 결과는 중심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다. 2 현 황 가. 글로벌 에너지시장 동향 2040년

Special Issues

46 | Journal of the Electric World |

● 특집

않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폭이 확대될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는 지적이다.

마.�신재생에너지

신재생 발전설비는 2040년에 4,552GW로 2012년

대비 190% 증가하고 순증가량은 풍력, 태양광, 수력

순으로 늘어난다. 신규 신재생 발전설비의 63%는 개

도국에서 개발되고, 특히 중국의 신재생 설비용량 증

가가 전 세계의 28%를 차지할 것이란 분석이다.

2040년 신재생설비를 이용한 발전량은 1만3,228

TWh에 달하고 발전량 비중은 풍력, 태양광, 바이오

에너지 순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풍력발전은

2020년 이후 신규 건설이 감소하지만 기존 설비 교체

시기가 도래하면서 시장규모는 증가할 것으로 분석된

반면, 태양광발전은 시장포화와 보조금 한계로 신규

건설이 점차 감소할 전망이다.

신재생 분야에는 2040년까지 7.4조 달러가 투자되

고, 투자비는 풍력(34%), 수력(26%), 태양광(23%)에

집중될 전망이다. 지속적인 신재생에너지 확대로 안정

적인 계통연계가 과제로 대두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그 일환으로 신재생에너지 연계를 위한 계통보강에

0.34조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신재생에너지에 지원되는 보조금은 2013년 1,210억

달러에서 2040년 2,050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되는데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보조금의 경우 만기가 도

래하면서 2030년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

망된다.

바.�에너지효율

에너지소비 지표인 글로벌 에너지원단위는 2010년

이후 매년 1%씩 하락해 왔다. 이는 2040년까지 가속화

돼 매년 1.8%씩 하락하고 효율향상으로 12억 석유환산

톤의 에너지가 절감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력소비에서

는 고효율 가전제품과 조명, 전동기 등이 확대되면서

5,400만 석유환산톤의 에너지가 절약될 것으로 보

인다.

에너지효율향상은 에너지가격 인하를 유도하고 이

는 경제활동 증가로 이어져 산업, 수송, 서비스에서 부

가가치 3%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에너지비용은

증가하지만 효율향상으로 에너지소비량과 가격이 하

그림�11 �신재생에너지원별�설비투자�전망 그림�12 �에너지원별�보조금�추이와�전망

Page 6: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 본 보고서의 시장 전망 결과는 중심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다. 2 현 황 가. 글로벌 에너지시장 동향 2040년

| March | 47

+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락하고 가계 수입은 1∼2% 증가하는 효과가 있어 각

가정의 에너지비용 부담은 점차 감소할 전망이다.

2030년까지 효율향상으로 글로벌 GDP 1% 상승효

과가 발생하며 에너지절약으로 EU, 미국, 일본, 중국,

인도에서 총 1조 달러의 에너지수입비용 절감을 기대

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 수단이

있는데 이 중 약 39%가 소비자의 에너지효율향상에서

기인한다는 설명이다.

3 전 망

석유를 대량으로 공급하고 있는 중동의 정치적 혼란

과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충돌로 인한 가스공급 안보

우려 등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소비를 수반하

는 경제성장 국가 위주의 에너지수요는 여전히 증가하

고 있다.

에너지수요 증가 속도가 둔화됨에도 불구하고 에너

지소비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증가하고 있어 지

구기온 상승을 2℃로 억제하기 위한 국제적 목표 달성

에는 매우 부족하다는 평가다. IEA는 이를 위한 특별

보고서를 유엔 기후변화협약 파리총회에 앞서 발표할

예정이다.

세계 각국 모두 에너지공급 리스크를 완화하고 에너

지수요는 충족하면서도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삼

중 균형의 유지, 즉 에너지안보 확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가격과 정책은 에너지 믹스의 효

율을 향상시키는 방향에 맞춰져야 하고 이러한 조치들

은 에너지수입비용 절감과 환경영향 완화뿐만 아니라

에너지안보 우려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다.

장기적으로 에너지시장 변화와 사회경제적인 효과

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저탄소에너지원에 대한 기술개

발과 지원정책이 지속적으로 유지돼야 하며 더불어 국

내 에너지산업의 역량 강화도 절실해 보인다.

그림�13 �1차�에너지원단위�변화�전망 그림�14 �가계수입�중�에너지비용�지출�비중�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