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
청년희망 청년희망 청년희망 청년희망 청년희망 청년희망 청년희망 청년희망 청년희망 청년희망 청년희망 청년희망 청년희망 청년희망 청년희망 청년희망 , , , , , , , , , , , , , , , , 경제혁신 경제혁신 경제혁신 경제혁신 경제혁신 경제혁신 경제혁신 경제혁신 경제혁신 경제혁신 경제혁신 경제혁신 경제혁신 경제혁신 경제혁신 경제혁신 , , , , , , , , , , , , , , , , 민생안정 민생안정 민생안정 민생안정 민생안정 민생안정 민생안정 민생안정 민생안정 민생안정 민생안정 민생안정 민생안정 민생안정 민생안정 민생안정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을 위한 2016년 예산안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ldquoldquoldquoldquoldquoldquoldquoldquoldquoldquoldquoldquoldquoldquoldquoldquoldquo청년희망청년희망청년희망청년희망청년희망청년희망청년희망청년희망청년희망청년희망청년희망청년희망청년희망청년희망청년희망청년희망 경제혁신경제혁신경제혁신경제혁신경제혁신경제혁신경제혁신경제혁신경제혁신경제혁신경제혁신경제혁신경제혁신경제혁신경제혁신경제혁신 민생안정민생안정민생안정민생안정민생안정민생안정민생안정민생안정민생안정민생안정민생안정민생안정민생안정민생안정민생안정민생안정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rdquordquordquordquordquordquordquordquordquordquordquordquordquordquordquordquordquo을 을 을 을 을 을 을 을 을 을 을 을 을 을 을 을 위한위한위한위한위한위한위한위한위한위한위한위한위한위한위한위한을 위한

2016년 예 산 안

2015 9

목 차

Ⅰ 2016년 예산안 모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 기본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재정총량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3 분야별 재원배분 모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Ⅱ 투자의 중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1 청년 희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2 경제 혁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3 문화 융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4 민생 안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Ⅲ 재정개혁 추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lt별첨gt 분야별 재원배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 1 -

Ⅰ 2016년 예산안 모습

1 기본방향

저성장이 지속되고 중국경제 둔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

청년고용 여건을 개선하고 창의ㆍ융합 기반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여 경제 재도약과 민생안정 지원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재정의 역할을 지속

ㅇ 대내외 여건 악화로 인한 경기 둔화 흐름을 극복하고

lsquo15년 추경 등으로 조성된 경기회복 모멘텀을 유지ㆍ확산

ㅇ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지원하고 4대 구조개혁 이행을 통해

경제 체질개선을 뒷받침

청년희망 경제혁신 문화융성 민생안정에 중점 투자

ㅇ (청년 희망) 취업ㆍ창업 역량 제고 세대간 상생 및 기업과의

상생협력 전달체계 개선으로 청년 일자리 확대

ㅇ (경제 혁신) 벤처ㆍ창업 활성화 수출ㆍ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등

경기 회복과 미래 성장동력 지속 창출

ㅇ (문화 융성) 자생적 창작 생태계 조성 및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민생 안정) 취약계층 맞춤형 복지 지원 국민안심 생활 여건

조성과 함께 평화통일 기반 투자 강화

중장기 재정건전성 회복을 위한 강도 높은 재정개혁 추진

ㅇ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사업수 총량관리 유사ㆍ중복사업 통폐합

전달체계 개편 등 재정운용 방식 및 제도 개선

ㅇ 국가채무 증가요인을 엄격히 관리하고 재정준칙 도입 추진

- 2 -

참 고참 고 2016년 예산안의 틀

ldquo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 rdquo

- 2016년 예산안 -

재정

기조

경제 활성화 및

구조개혁을 통한 체질 개선을 뒷받침

투자

중점

청년 희망 경제 혁신

세대간 상생 기업과의 상생

협력으로 청년 일자리 확대

고용디딤돌 등 맞춤형 훈련

으로 취업역량 제고

실업급여 등 고용안전망 확충

벤처ㆍ창업생태계 활성화

수출활력 제고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RampD 및 기술혁신 ICT융복합

산업 선제적 투자

문화 융성 민생 안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화 및

문화콘텐츠 창업 지원 강화

콘텐츠 관광 의료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lsquo문화가 있는 날rsquo 확대 등

생활 속 문화향유 증진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강화

일을 통한 빈곤 탈출

감염병 재난 폭력으로부터

국민 보호

방위능력 확보 병영문화

선진화 및 통일시대 준비

재정

개혁

재정건전성 기반 조성

기존사업을 성과와 타당성 중심으로 원점 재검토

유사ㆍ중복사업 통폐합

사업수 총량 관리

복지사업 전달체계 개편

재정준칙 도입 추진

4대 구조개혁 이행성과 제도화

- 3 -

2 재정총량

총지출 증가율을 총수입보다 높여 경제활력 제고를 뒷받침

강력한 재정개혁 추진 등 재정건전화 노력 강화

총수입은 3915조원(rsquo15예산 대비 24)

ㅇ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국세는 rsquo15년 본예산 대비 09 증가

ㅇ 기금수입은 사회보장성 기금 수입증가(70) 등으로 56 증가

총지출은 3867조원(rsquo15예산 대비 30)

ㅇ 어려운 세입여건 하에서 경제 활성화를 지원하고 중장기

재정건전성도 유지

[ 2016년 재정운용 모습 ]

(조원 )

rsquo15예산(A)

16예산안(B)

증감(B-A)

총수입 3824 3915 91 24

예 산 2488 2503 15 06

(국세수입) 2211 2231 20 09

기 금 1336 1412 76 56

총지출 3754 3867 113 30

예 산 2601 2631 30 12

기 금 1153 1236 83 72

- 4 -

재정수지와 국가채무는 rsquo15년보다 악화

ㅇ (재정수지) rsquo15년 21(GDP 대비)에서 rsquo16년 23로 악화

ㅇ (국가채무) rsquo16년 401 수준으로 전망

- 그간 누적된 세수결손 rsquo15년 추경편성 부동산 거래 증가에

따른 주택채 발행 확대 등으로 국가채무 증가

부동산 거래 증가로 강제소화 방식의 주택채 발행물량 증가 추세

(rsquo15년 상반기 주택거래량은 611만건으로 rsquo06년 이후 최대치)

(조원 )

rsquo15예산(A)

rsquo16예산안(B)

증감(B-A)

재정수지 334 370 36

(GDP 대비) (21) (23) (02p)

국가채무 59511 6452 501

(GDP 대비) (385) (401) (16p)

1 rsquo14년 결산(주택채+지방채+지방교육채 62조원) rsquo15년 추경 주택채 물량확대 등 포함

중기적으로 재정건전성 회복 전망

ㅇ 강도 높은 재정개혁 재정지출 증가율 조정 등 건전화 노력 강화

ㅇ 구조개혁 성과 가시화로 경제 성장 rarr 세입기반 확충 rarr 재정

건전성 제고 의 선순환 구조 유도

[ 재정수지 단계적 회복 ] [ 국가채무 40대 유지 ]

- 5 -

3 분야별 재원배분 모습

사회분야는 인구구조 변화 대응 및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여 투자 확대

경제분야는 성과중심으로 효율화하고 핵심역량 위주 지원

(조원)

구 분rsquo15예산

(A)rsquo16예산안

(B)증감(B-A)

총지출 3754 3867 113 30

1 보건 복지 노동 1157 1229 72 62

일자리 140 158 18 128

2 교 육 529 532 03 05

지방교육재정교부금 394 413 19 47

3 문화체육관광 61 66 05 75

4 환 경 68 68 - 04

5 RampD 189 189 - 02

6 산업 중소기업 에너지 164 161 03 20

7 SOC 248 233 15 60

8 농림수산식품 193 193 - 01

9 국 방 375 390 15 40

10 외교통일 45 47 02 39

11 공공질서안전 169 175 05 30

안전투자 147 148 01 11

12 일반 지방행정 580 609 29 49

지방교부세 349 362 13 37

- 6 -

Ⅱ 투자의 중점

투자중점

핵심 추진 과제

청년

희망

1 일자리 기회 확대청년 취업역량 제고창업ᆞ취업 지원고용인프라 지원

2 고용안전망 확충사회보험 보장성 강화복지ᆞ창업 연계 고용서비스

경제

혁신

3 성장동력 창출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RampD 성과 제고

4 수출ᆞ중소기업 및

신산업 창출 지원

수출 활력 제고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제조업 혁신

5 지역경제 활성화교통ᆞ물류망ᆞ지역산업기반시설지역맞춤형 투자

문화

융성

6 문화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문화창조융합벨트융복합ᆞ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7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8 문화향유 기회 확충문화 체험ᆞ교육 확대창작ᆞ공연 여건 개선

민생

안정

9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장애인

아동ᆞ어르신 여성 국가유공자 농어민

10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학생 중장년 어르신

11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 역량 제고 생활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준비

- 7 -

1 일할 능력을 키우고 일할 기회를 늘리는 「청년희망 예산」

재정지원 방향

일자리 기회

확대

양질의 직업훈련을 통한 청년 취업역량 제고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대학 구조개편 선취업후진학 NCS 보급

준비된 CEO 육성 및 상생협력을 통한 일자리 확대

권역별 청년 창업기지 창업인턴세대간 상생고용 중견기업 인턴제 등

일자리 사업 통합ᆞ원스톱 지원

창조경제혁신센터(고용zone 신설) 창조일자리센터 청년내일패키지

고용안전망

확충

사회보험 보장성 강화 rarr 노동시장 구조개혁 뒷받침

실업급여 확대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복지ᆞ창업과 연계한 고용서비스 강화

고용복지+센터 확대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ㆍ운용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청년 일자리수 48만개 64만개

기업수요맞춤형유망직종직업훈련

59만명

124만명

유망청년CEO창업 910개社 1160개社

고용복지+센터 40개 70개

실업급여(지급률) 평균임금 50(지급기간) 90~240일

(지급률) 평균임금 60(지급기간) 120~270일

- 8 -

1 청년의 일자리 기회 확대

(1) 청년 취업역량 제고

① 훈련 기업주도 유망업종 중심으로 재편

ㅇ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유망업종의 대기업 등이 우수한 훈련

시설을 활용해 청년 1만명을 직접 교육하고 채용기회 제공(418억원)

(예) 바이오 태양광에너지 지능형로봇 사물인터넷 전자정보 등

참여기업은 청년에게 lsquo직무교육 rarr 현장 인턴경험 rarr 채용연계

(협력업체 취업알선 및 입사시 가점 등)rsquo까지 일자리 기회 통합 제공

정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고용복지+센터를 통해 훈련생과

참여기업을 발굴하고 참여기업의 시설장비비와 교육훈련비 지원

ㅇ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국가기간전략산업 분야의 훈련 지원을

대폭 확대(35rarr77만명)하여 양질의 기업수요 맞춤형 직업훈련 강화

lsquo16년부터 훈련기관 지원시 취업성과에 따라 훈련비를 차등

지급하는 인센티브 시스템 도입

ㅇ (일학습병행제) 기업 채용 후 현장업무와 교육훈련을 병행하여

우수한 실무인재를 양성하는 일학습병행제 확대(3300rarr6300개社)

대학교 재학중에 장기간에 걸쳐 산업체 현장훈련을 병행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프로그램 확대(10rarr20개)

대학 3~4학년 대상 4~10개월간 기업현장훈련

- 9 -

② 교육 일자리 수요-공급간 미스매치 해소

ㅇ (대학 구조개편) 진로역량 제고와 변화하는 산업수요에 부합

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구조 및 교육과정 혁신

산업수요를 토대로 대학 정원 및 학사구조를 개편하는 산업

연계교육 활성화 대학을 선정하고 집중 지원(신규 2362억원)

대학당 지원 평균 50~200억원 최대 300억원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도입하여 後진학자의 평생학습을 지원

야간 주말과정 학점 월별 등록금제 다학기제 집중이수제 허용 등

후진학자의 학업학비 부담 완화

ㅇ (선취업후진학) 산학일체형 도제학교(9rarr40개校)를 확대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교육과정(Uni-Tech 16개 사업단) 도입

고등학교 2sim3학년(고교전문대는 전문대 2년 포함) 기간에 일학습병행제 학습

근로자로 채용되어 학교 수업과 기업 업무 병행 졸업후 해당기업 정규직 채용

공동훈련센터로 지정된 거점형 도제학교(10개校)에 시설장비를

지원(최대 20억원)하고 일반 도제학교(30개校)와 함께 이를 활용

고교-전문대-기업 공동으로 직무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해당 기업 취업과 연계(160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 확산) 개발이 완료된 800여개 국가직무

능력표준(NCS)의 기업 보급 및 활용 확대

공공기관의 NCS 기반 인사시스템 구축을 확대하고(20rarr100개)

민간 확산 유도를 위해 국가기술자격검정시험의 NCS 적용 확대

NCS기반 기술자격평가(100개 신규) 과정평가형 자격제도(15rarr30개 직종)

- 10 -

(2) 창업ᆞ취업 지원 강화

① 창업 원스톱ᆞ밀착 지원으로 준비된 청년CEO 육성

ㅇ (권역별 청년창업기지) 창업선도대학 창업사관학교 등에서

지역의 청년창업자를 발굴하여 사업화까지 원스톱 지원

lsquo창업선도대학rsquo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고려하여 확대(28rarr34개)

권역별 대학이 차별화된 창업지원 모델을 개발운영

lsquo청년창업사관학교rsquo는 우수기술자 선발 비중을 확대(30rarr40)하고

사업 기획부터 창업공간 사업화 판로확보 등을 패키지로 지원

ㅇ (창업기업 인턴) 유망 벤처기업 등에서 현장근무 경험을 통해

준비된 청년 창업가 양성(50rarr100명)

② 취업 기업과 상생협력으로 민간의 청년일자리 확대

ㅇ (중견기업 인턴제) 청년층이 선호하는 중견기업의 청년인턴

채용 및 정규직 전환유지시 장려금 지급(3만명)

(기업) 인턴기간 3개월간 월50만원 정규직 전환후 1년간 유지시

연390만원 지원(6개월마다 195만원 지급)하여 인건비 부담 완화

(청년) 정규직전환 후 장기근속시 취업지원금(제조업 생산직

300만원 그 외 180만원) 지원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 임금피크제 등 임금체계를 개편하면서

청년을 신규 채용하는 기업에 年 1080만원을 지원(청년 1만명)

대기업공공기관은 연 540만원 지원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른 근로자의 임금감소분 지원 확대

(320 rarr 521억원)

- 11 -

(3) 고용 인프라 지원

① 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화

ㅇ (혁신센터 기능 강화) 지역별 lsquo창조경제혁신센터rsquo를 청년구직자와

기업을 연결하는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로 운영

혁신센터 內 고용존(Zone)을 신설하고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청년일자리 사업을 연계 집행 rarr 효과성 제고

ㅇ (대학과 연계) 대학청년고용+센터는 창조일자리센터로 전환ㆍ

확대(40개)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분소 기능 수행

대학내 취업지원 조직ㆍ기능 통합 + 전문상담인력 확충(대학별 7~8명) rarr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원스톱 제공(대학별 평균 年 5억원)

lsquo상담-훈련-취업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lsquo청년내일패키지(10rarr13만명)rsquo 등

청년 일자리 지원의 전진기지化

청년구직자 rArr

창조경제혁신센터(전국 17개) 고용존(Zone)rarr청년일자리사업 연계 집행

lArr 대기업지역중소기업

청년인턴제 일학습병행제 고용디딤돌

선취업후진학 청년내일패키지등

대학내 창조일자리센터(전국 40개) 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② K-Move 센터 등 청년의 해외취업 등 지원

ㅇ (현지 지원) 기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해외현지 일자리 발굴과

현지정착을 돕는 해외소재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lsquo15년 현재) 도쿄 프랑크푸르트 두바이 베이징 싱가포르 실리콘밸리등 10개

(rsquo16년 추가 5개) 뉴욕 오사카 홍콩 도하(카타르) 상파울루(브라질)

ㅇ (국내 지원) 혁신센터 창조일자리센터와 연계한 서비스 제공

- 12 -

2 고용안전망 확충

① 사회보험 실업급여 확대 및 사각지대 해소 강화

ㅇ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 실업급여 인상(실직전 임금의 50rarr60)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41 rarr 51조원)

근로유인 제고 및 소요재원 마련을 위해 급여 상한액 조정과

보험료율 조정도 병행

(현행) 상한액 4만3천원 rarr (개편) 5만원

ㅇ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저소득 근로자의 고용보험 및 국민

연금 가입 유도를 위해 신규가입자 보험료 지원율 인상(50rarr60)

기존 가입자는 사중손실 방지를 위해 지원율 인하(50rarr40)

② 고용서비스 복지창업 등과 연계한 One-stop 지원

ㅇ 실직자들이 일자리와 복지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고용복지+센터 확대(40rarr70개)

lsquo취업상담 rarr 맞춤형 교육훈련 rarr 재취업 알선rsquo까지 One-stop 서비스 제공

고용복지+센터 확충 규모를 당초 계획 대비 확대(lsquo16년 20rarr30개)

하여 lsquo17년 100개소 조성 완료 계획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ㆍ운용을 통해 취업 지원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고용복지+센터의 구직직업훈련 수요를 맞춤형으로 지원

- 13 -

2 경제 재도약을 적극 뒷받침하는 「경제혁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성장동력

창출

맞춤형 통합 지원으로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창업중소기업 全단계 원스톱 지원 제2 판교밸리 조성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기업지원자금 전용 프로그램 TIPS

선택ᆞ집중 수요에 기반한 RampD 성과 제고

기초연구 미래먹거리(IoT 무인이동체 등) 제조업 혁신RampD 바우처 한국형 프라운호퍼 연구소 일몰제 도입

수출ᆞ중소

기업의 성장

신산업 지원

시장ᆞ품목 다각화로 수출 활력 제고

할랄식품시장 개척 FTA 계기 해외진출 수출마케팅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산업단지 혁신 환경개선펀드 산학융합 지구 조성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전통시장 활력 제고

제조공정 혁신 에너지 신산업 창출

스마트공장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교통ᆞ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확충

지역주도 발전프로젝트 추진

지역특화프로젝트 지역행복생활권 포괄보조금 확대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RampD 사업화 실적 17만건 18만건

RampD바우처 지원 - 2700여개 기업(신규공급)

FTA체결국 교역 비중 41 62

국가산단 가동률 809 811

전체교역량중 FTA 체결국가와의교역량이차지하는비중 (한 중 FTA 발효시)

- 14 -

1 성장동력 창출

(1)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① 벤처ᆞ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ᆞ연계

ㅇ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재편하여 지역혁신거점으로 육성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rarr 멘토링과 투자 연계 rarr 사업화

rarr 실패기업 재도전」까지 창업 全주기 지원

6개월 챌린지 플랫폼 98rarr 113억원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등

중소기업 애로 해소 중소기업 지원사업간 연계ㆍ맞춤형

지원으로 지역내 신산업 창출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ICT융합스마트공장보급확산 40rarr 112억원 등

ㅇ (글로벌 혁신생태계 구축) 제2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첨단기업이

집적화된 세계적인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lsquo15년內 착공)

「창조성장혁신」이 공존하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지원 허브에

대한 토지매입비(164억원) 및 창조공간 기획비 지원(30억원)

창업 오디션을 통한 글로벌 스타트업 발굴 인큐베이팅 등

성장지원 및 문화콘텐츠 육성 등을 통한 글로벌 창업 거점화

Pan-Asia 그랜드 챌린지 프로그램 50억원(신규) 첨단 융복합 게임 개발

및 제작지원 39억원(신규) 등

- 15 -

② lsquo죽음의 계곡rsquo(창업 2~5년차) 극복과 조기성장 지원

ㅇ (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 2~5년차 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및 자금지원 확대

창업 후 상용화 판로확보 등 어려움으로 기업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시기

창업기업지원자금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전용

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여 수익모델 창출 지원

ㅇ (성장 지원) 민간 주도의 엑셀러레이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여 창업기업의 조기성장을 지원

성공한 벤처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 지원(365rarr425억원)으로 창업의 질적 향상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 창업rsquo 확대(53rarr120억원)

③ 생계형 창업에서 유망창업 기술창업 지원으로 전환

ㅇ (창업 정보)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25rarr35억원)

과밀지수제공범위확대(서울2개업종rarr전국30개 업종) 창업가상체험개발

ㅇ (유망창업) 소상공인사관학교 및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지원 확대로 시장 창출형 유망창업 유도(358rarr495억원)

ㅇ (기술창업) 시니어 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기술창업스쿨(10rarr

16개소) 확대로 은퇴 후 생계형보다는 기술형 창업으로 유도

- 16 -

(2) RampD 성과 제고

① 선택과 집중으로 투자 성과 가시화

ㅇ (미래먹거리 창출) 미래 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IoT 무인이동체(드론 신규 60억원) 5G 이동통신(410rarr 699억원)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 중점 투자

ㅇ (기술사업화middot제조업 혁신)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 및 제조업

공정개선 등을 통해 산업 활력 제고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의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한 후속연구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적극 유도(302rarr 379억원)

ICTㆍ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ㅇ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16조원) 및 융합연구 활성화

②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혁신

ㅇ (수요 기반)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성과 기반) 관행적으로 지원되어 온 장기계속 RampD에 대한

사업기간 설정(일몰제)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좀비기업 방지를 위한 기업지원 RampD 자부담 조정(25rarr 35)

(예) 출연연 지역분원 설립시 지방비 부담 조정(40rarr 50) 등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2: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목 차

Ⅰ 2016년 예산안 모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 기본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재정총량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3 분야별 재원배분 모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Ⅱ 투자의 중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1 청년 희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2 경제 혁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3 문화 융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4 민생 안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Ⅲ 재정개혁 추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lt별첨gt 분야별 재원배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 1 -

Ⅰ 2016년 예산안 모습

1 기본방향

저성장이 지속되고 중국경제 둔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

청년고용 여건을 개선하고 창의ㆍ융합 기반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여 경제 재도약과 민생안정 지원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재정의 역할을 지속

ㅇ 대내외 여건 악화로 인한 경기 둔화 흐름을 극복하고

lsquo15년 추경 등으로 조성된 경기회복 모멘텀을 유지ㆍ확산

ㅇ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지원하고 4대 구조개혁 이행을 통해

경제 체질개선을 뒷받침

청년희망 경제혁신 문화융성 민생안정에 중점 투자

ㅇ (청년 희망) 취업ㆍ창업 역량 제고 세대간 상생 및 기업과의

상생협력 전달체계 개선으로 청년 일자리 확대

ㅇ (경제 혁신) 벤처ㆍ창업 활성화 수출ㆍ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등

경기 회복과 미래 성장동력 지속 창출

ㅇ (문화 융성) 자생적 창작 생태계 조성 및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민생 안정) 취약계층 맞춤형 복지 지원 국민안심 생활 여건

조성과 함께 평화통일 기반 투자 강화

중장기 재정건전성 회복을 위한 강도 높은 재정개혁 추진

ㅇ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사업수 총량관리 유사ㆍ중복사업 통폐합

전달체계 개편 등 재정운용 방식 및 제도 개선

ㅇ 국가채무 증가요인을 엄격히 관리하고 재정준칙 도입 추진

- 2 -

참 고참 고 2016년 예산안의 틀

ldquo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 rdquo

- 2016년 예산안 -

재정

기조

경제 활성화 및

구조개혁을 통한 체질 개선을 뒷받침

투자

중점

청년 희망 경제 혁신

세대간 상생 기업과의 상생

협력으로 청년 일자리 확대

고용디딤돌 등 맞춤형 훈련

으로 취업역량 제고

실업급여 등 고용안전망 확충

벤처ㆍ창업생태계 활성화

수출활력 제고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RampD 및 기술혁신 ICT융복합

산업 선제적 투자

문화 융성 민생 안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화 및

문화콘텐츠 창업 지원 강화

콘텐츠 관광 의료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lsquo문화가 있는 날rsquo 확대 등

생활 속 문화향유 증진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강화

일을 통한 빈곤 탈출

감염병 재난 폭력으로부터

국민 보호

방위능력 확보 병영문화

선진화 및 통일시대 준비

재정

개혁

재정건전성 기반 조성

기존사업을 성과와 타당성 중심으로 원점 재검토

유사ㆍ중복사업 통폐합

사업수 총량 관리

복지사업 전달체계 개편

재정준칙 도입 추진

4대 구조개혁 이행성과 제도화

- 3 -

2 재정총량

총지출 증가율을 총수입보다 높여 경제활력 제고를 뒷받침

강력한 재정개혁 추진 등 재정건전화 노력 강화

총수입은 3915조원(rsquo15예산 대비 24)

ㅇ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국세는 rsquo15년 본예산 대비 09 증가

ㅇ 기금수입은 사회보장성 기금 수입증가(70) 등으로 56 증가

총지출은 3867조원(rsquo15예산 대비 30)

ㅇ 어려운 세입여건 하에서 경제 활성화를 지원하고 중장기

재정건전성도 유지

[ 2016년 재정운용 모습 ]

(조원 )

rsquo15예산(A)

16예산안(B)

증감(B-A)

총수입 3824 3915 91 24

예 산 2488 2503 15 06

(국세수입) 2211 2231 20 09

기 금 1336 1412 76 56

총지출 3754 3867 113 30

예 산 2601 2631 30 12

기 금 1153 1236 83 72

- 4 -

재정수지와 국가채무는 rsquo15년보다 악화

ㅇ (재정수지) rsquo15년 21(GDP 대비)에서 rsquo16년 23로 악화

ㅇ (국가채무) rsquo16년 401 수준으로 전망

- 그간 누적된 세수결손 rsquo15년 추경편성 부동산 거래 증가에

따른 주택채 발행 확대 등으로 국가채무 증가

부동산 거래 증가로 강제소화 방식의 주택채 발행물량 증가 추세

(rsquo15년 상반기 주택거래량은 611만건으로 rsquo06년 이후 최대치)

(조원 )

rsquo15예산(A)

rsquo16예산안(B)

증감(B-A)

재정수지 334 370 36

(GDP 대비) (21) (23) (02p)

국가채무 59511 6452 501

(GDP 대비) (385) (401) (16p)

1 rsquo14년 결산(주택채+지방채+지방교육채 62조원) rsquo15년 추경 주택채 물량확대 등 포함

중기적으로 재정건전성 회복 전망

ㅇ 강도 높은 재정개혁 재정지출 증가율 조정 등 건전화 노력 강화

ㅇ 구조개혁 성과 가시화로 경제 성장 rarr 세입기반 확충 rarr 재정

건전성 제고 의 선순환 구조 유도

[ 재정수지 단계적 회복 ] [ 국가채무 40대 유지 ]

- 5 -

3 분야별 재원배분 모습

사회분야는 인구구조 변화 대응 및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여 투자 확대

경제분야는 성과중심으로 효율화하고 핵심역량 위주 지원

(조원)

구 분rsquo15예산

(A)rsquo16예산안

(B)증감(B-A)

총지출 3754 3867 113 30

1 보건 복지 노동 1157 1229 72 62

일자리 140 158 18 128

2 교 육 529 532 03 05

지방교육재정교부금 394 413 19 47

3 문화체육관광 61 66 05 75

4 환 경 68 68 - 04

5 RampD 189 189 - 02

6 산업 중소기업 에너지 164 161 03 20

7 SOC 248 233 15 60

8 농림수산식품 193 193 - 01

9 국 방 375 390 15 40

10 외교통일 45 47 02 39

11 공공질서안전 169 175 05 30

안전투자 147 148 01 11

12 일반 지방행정 580 609 29 49

지방교부세 349 362 13 37

- 6 -

Ⅱ 투자의 중점

투자중점

핵심 추진 과제

청년

희망

1 일자리 기회 확대청년 취업역량 제고창업ᆞ취업 지원고용인프라 지원

2 고용안전망 확충사회보험 보장성 강화복지ᆞ창업 연계 고용서비스

경제

혁신

3 성장동력 창출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RampD 성과 제고

4 수출ᆞ중소기업 및

신산업 창출 지원

수출 활력 제고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제조업 혁신

5 지역경제 활성화교통ᆞ물류망ᆞ지역산업기반시설지역맞춤형 투자

문화

융성

6 문화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문화창조융합벨트융복합ᆞ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7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8 문화향유 기회 확충문화 체험ᆞ교육 확대창작ᆞ공연 여건 개선

민생

안정

9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장애인

아동ᆞ어르신 여성 국가유공자 농어민

10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학생 중장년 어르신

11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 역량 제고 생활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준비

- 7 -

1 일할 능력을 키우고 일할 기회를 늘리는 「청년희망 예산」

재정지원 방향

일자리 기회

확대

양질의 직업훈련을 통한 청년 취업역량 제고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대학 구조개편 선취업후진학 NCS 보급

준비된 CEO 육성 및 상생협력을 통한 일자리 확대

권역별 청년 창업기지 창업인턴세대간 상생고용 중견기업 인턴제 등

일자리 사업 통합ᆞ원스톱 지원

창조경제혁신센터(고용zone 신설) 창조일자리센터 청년내일패키지

고용안전망

확충

사회보험 보장성 강화 rarr 노동시장 구조개혁 뒷받침

실업급여 확대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복지ᆞ창업과 연계한 고용서비스 강화

고용복지+센터 확대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ㆍ운용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청년 일자리수 48만개 64만개

기업수요맞춤형유망직종직업훈련

59만명

124만명

유망청년CEO창업 910개社 1160개社

고용복지+센터 40개 70개

실업급여(지급률) 평균임금 50(지급기간) 90~240일

(지급률) 평균임금 60(지급기간) 120~270일

- 8 -

1 청년의 일자리 기회 확대

(1) 청년 취업역량 제고

① 훈련 기업주도 유망업종 중심으로 재편

ㅇ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유망업종의 대기업 등이 우수한 훈련

시설을 활용해 청년 1만명을 직접 교육하고 채용기회 제공(418억원)

(예) 바이오 태양광에너지 지능형로봇 사물인터넷 전자정보 등

참여기업은 청년에게 lsquo직무교육 rarr 현장 인턴경험 rarr 채용연계

(협력업체 취업알선 및 입사시 가점 등)rsquo까지 일자리 기회 통합 제공

정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고용복지+센터를 통해 훈련생과

참여기업을 발굴하고 참여기업의 시설장비비와 교육훈련비 지원

ㅇ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국가기간전략산업 분야의 훈련 지원을

대폭 확대(35rarr77만명)하여 양질의 기업수요 맞춤형 직업훈련 강화

lsquo16년부터 훈련기관 지원시 취업성과에 따라 훈련비를 차등

지급하는 인센티브 시스템 도입

ㅇ (일학습병행제) 기업 채용 후 현장업무와 교육훈련을 병행하여

우수한 실무인재를 양성하는 일학습병행제 확대(3300rarr6300개社)

대학교 재학중에 장기간에 걸쳐 산업체 현장훈련을 병행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프로그램 확대(10rarr20개)

대학 3~4학년 대상 4~10개월간 기업현장훈련

- 9 -

② 교육 일자리 수요-공급간 미스매치 해소

ㅇ (대학 구조개편) 진로역량 제고와 변화하는 산업수요에 부합

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구조 및 교육과정 혁신

산업수요를 토대로 대학 정원 및 학사구조를 개편하는 산업

연계교육 활성화 대학을 선정하고 집중 지원(신규 2362억원)

대학당 지원 평균 50~200억원 최대 300억원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도입하여 後진학자의 평생학습을 지원

야간 주말과정 학점 월별 등록금제 다학기제 집중이수제 허용 등

후진학자의 학업학비 부담 완화

ㅇ (선취업후진학) 산학일체형 도제학교(9rarr40개校)를 확대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교육과정(Uni-Tech 16개 사업단) 도입

고등학교 2sim3학년(고교전문대는 전문대 2년 포함) 기간에 일학습병행제 학습

근로자로 채용되어 학교 수업과 기업 업무 병행 졸업후 해당기업 정규직 채용

공동훈련센터로 지정된 거점형 도제학교(10개校)에 시설장비를

지원(최대 20억원)하고 일반 도제학교(30개校)와 함께 이를 활용

고교-전문대-기업 공동으로 직무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해당 기업 취업과 연계(160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 확산) 개발이 완료된 800여개 국가직무

능력표준(NCS)의 기업 보급 및 활용 확대

공공기관의 NCS 기반 인사시스템 구축을 확대하고(20rarr100개)

민간 확산 유도를 위해 국가기술자격검정시험의 NCS 적용 확대

NCS기반 기술자격평가(100개 신규) 과정평가형 자격제도(15rarr30개 직종)

- 10 -

(2) 창업ᆞ취업 지원 강화

① 창업 원스톱ᆞ밀착 지원으로 준비된 청년CEO 육성

ㅇ (권역별 청년창업기지) 창업선도대학 창업사관학교 등에서

지역의 청년창업자를 발굴하여 사업화까지 원스톱 지원

lsquo창업선도대학rsquo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고려하여 확대(28rarr34개)

권역별 대학이 차별화된 창업지원 모델을 개발운영

lsquo청년창업사관학교rsquo는 우수기술자 선발 비중을 확대(30rarr40)하고

사업 기획부터 창업공간 사업화 판로확보 등을 패키지로 지원

ㅇ (창업기업 인턴) 유망 벤처기업 등에서 현장근무 경험을 통해

준비된 청년 창업가 양성(50rarr100명)

② 취업 기업과 상생협력으로 민간의 청년일자리 확대

ㅇ (중견기업 인턴제) 청년층이 선호하는 중견기업의 청년인턴

채용 및 정규직 전환유지시 장려금 지급(3만명)

(기업) 인턴기간 3개월간 월50만원 정규직 전환후 1년간 유지시

연390만원 지원(6개월마다 195만원 지급)하여 인건비 부담 완화

(청년) 정규직전환 후 장기근속시 취업지원금(제조업 생산직

300만원 그 외 180만원) 지원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 임금피크제 등 임금체계를 개편하면서

청년을 신규 채용하는 기업에 年 1080만원을 지원(청년 1만명)

대기업공공기관은 연 540만원 지원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른 근로자의 임금감소분 지원 확대

(320 rarr 521억원)

- 11 -

(3) 고용 인프라 지원

① 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화

ㅇ (혁신센터 기능 강화) 지역별 lsquo창조경제혁신센터rsquo를 청년구직자와

기업을 연결하는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로 운영

혁신센터 內 고용존(Zone)을 신설하고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청년일자리 사업을 연계 집행 rarr 효과성 제고

ㅇ (대학과 연계) 대학청년고용+센터는 창조일자리센터로 전환ㆍ

확대(40개)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분소 기능 수행

대학내 취업지원 조직ㆍ기능 통합 + 전문상담인력 확충(대학별 7~8명) rarr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원스톱 제공(대학별 평균 年 5억원)

lsquo상담-훈련-취업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lsquo청년내일패키지(10rarr13만명)rsquo 등

청년 일자리 지원의 전진기지化

청년구직자 rArr

창조경제혁신센터(전국 17개) 고용존(Zone)rarr청년일자리사업 연계 집행

lArr 대기업지역중소기업

청년인턴제 일학습병행제 고용디딤돌

선취업후진학 청년내일패키지등

대학내 창조일자리센터(전국 40개) 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② K-Move 센터 등 청년의 해외취업 등 지원

ㅇ (현지 지원) 기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해외현지 일자리 발굴과

현지정착을 돕는 해외소재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lsquo15년 현재) 도쿄 프랑크푸르트 두바이 베이징 싱가포르 실리콘밸리등 10개

(rsquo16년 추가 5개) 뉴욕 오사카 홍콩 도하(카타르) 상파울루(브라질)

ㅇ (국내 지원) 혁신센터 창조일자리센터와 연계한 서비스 제공

- 12 -

2 고용안전망 확충

① 사회보험 실업급여 확대 및 사각지대 해소 강화

ㅇ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 실업급여 인상(실직전 임금의 50rarr60)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41 rarr 51조원)

근로유인 제고 및 소요재원 마련을 위해 급여 상한액 조정과

보험료율 조정도 병행

(현행) 상한액 4만3천원 rarr (개편) 5만원

ㅇ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저소득 근로자의 고용보험 및 국민

연금 가입 유도를 위해 신규가입자 보험료 지원율 인상(50rarr60)

기존 가입자는 사중손실 방지를 위해 지원율 인하(50rarr40)

② 고용서비스 복지창업 등과 연계한 One-stop 지원

ㅇ 실직자들이 일자리와 복지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고용복지+센터 확대(40rarr70개)

lsquo취업상담 rarr 맞춤형 교육훈련 rarr 재취업 알선rsquo까지 One-stop 서비스 제공

고용복지+센터 확충 규모를 당초 계획 대비 확대(lsquo16년 20rarr30개)

하여 lsquo17년 100개소 조성 완료 계획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ㆍ운용을 통해 취업 지원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고용복지+센터의 구직직업훈련 수요를 맞춤형으로 지원

- 13 -

2 경제 재도약을 적극 뒷받침하는 「경제혁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성장동력

창출

맞춤형 통합 지원으로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창업중소기업 全단계 원스톱 지원 제2 판교밸리 조성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기업지원자금 전용 프로그램 TIPS

선택ᆞ집중 수요에 기반한 RampD 성과 제고

기초연구 미래먹거리(IoT 무인이동체 등) 제조업 혁신RampD 바우처 한국형 프라운호퍼 연구소 일몰제 도입

수출ᆞ중소

기업의 성장

신산업 지원

시장ᆞ품목 다각화로 수출 활력 제고

할랄식품시장 개척 FTA 계기 해외진출 수출마케팅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산업단지 혁신 환경개선펀드 산학융합 지구 조성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전통시장 활력 제고

제조공정 혁신 에너지 신산업 창출

스마트공장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교통ᆞ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확충

지역주도 발전프로젝트 추진

지역특화프로젝트 지역행복생활권 포괄보조금 확대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RampD 사업화 실적 17만건 18만건

RampD바우처 지원 - 2700여개 기업(신규공급)

FTA체결국 교역 비중 41 62

국가산단 가동률 809 811

전체교역량중 FTA 체결국가와의교역량이차지하는비중 (한 중 FTA 발효시)

- 14 -

1 성장동력 창출

(1)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① 벤처ᆞ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ᆞ연계

ㅇ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재편하여 지역혁신거점으로 육성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rarr 멘토링과 투자 연계 rarr 사업화

rarr 실패기업 재도전」까지 창업 全주기 지원

6개월 챌린지 플랫폼 98rarr 113억원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등

중소기업 애로 해소 중소기업 지원사업간 연계ㆍ맞춤형

지원으로 지역내 신산업 창출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ICT융합스마트공장보급확산 40rarr 112억원 등

ㅇ (글로벌 혁신생태계 구축) 제2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첨단기업이

집적화된 세계적인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lsquo15년內 착공)

「창조성장혁신」이 공존하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지원 허브에

대한 토지매입비(164억원) 및 창조공간 기획비 지원(30억원)

창업 오디션을 통한 글로벌 스타트업 발굴 인큐베이팅 등

성장지원 및 문화콘텐츠 육성 등을 통한 글로벌 창업 거점화

Pan-Asia 그랜드 챌린지 프로그램 50억원(신규) 첨단 융복합 게임 개발

및 제작지원 39억원(신규) 등

- 15 -

② lsquo죽음의 계곡rsquo(창업 2~5년차) 극복과 조기성장 지원

ㅇ (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 2~5년차 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및 자금지원 확대

창업 후 상용화 판로확보 등 어려움으로 기업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시기

창업기업지원자금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전용

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여 수익모델 창출 지원

ㅇ (성장 지원) 민간 주도의 엑셀러레이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여 창업기업의 조기성장을 지원

성공한 벤처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 지원(365rarr425억원)으로 창업의 질적 향상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 창업rsquo 확대(53rarr120억원)

③ 생계형 창업에서 유망창업 기술창업 지원으로 전환

ㅇ (창업 정보)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25rarr35억원)

과밀지수제공범위확대(서울2개업종rarr전국30개 업종) 창업가상체험개발

ㅇ (유망창업) 소상공인사관학교 및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지원 확대로 시장 창출형 유망창업 유도(358rarr495억원)

ㅇ (기술창업) 시니어 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기술창업스쿨(10rarr

16개소) 확대로 은퇴 후 생계형보다는 기술형 창업으로 유도

- 16 -

(2) RampD 성과 제고

① 선택과 집중으로 투자 성과 가시화

ㅇ (미래먹거리 창출) 미래 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IoT 무인이동체(드론 신규 60억원) 5G 이동통신(410rarr 699억원)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 중점 투자

ㅇ (기술사업화middot제조업 혁신)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 및 제조업

공정개선 등을 통해 산업 활력 제고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의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한 후속연구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적극 유도(302rarr 379억원)

ICTㆍ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ㅇ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16조원) 및 융합연구 활성화

②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혁신

ㅇ (수요 기반)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성과 기반) 관행적으로 지원되어 온 장기계속 RampD에 대한

사업기간 설정(일몰제)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좀비기업 방지를 위한 기업지원 RampD 자부담 조정(25rarr 35)

(예) 출연연 지역분원 설립시 지방비 부담 조정(40rarr 50) 등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3: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1 -

Ⅰ 2016년 예산안 모습

1 기본방향

저성장이 지속되고 중국경제 둔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

청년고용 여건을 개선하고 창의ㆍ융합 기반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여 경제 재도약과 민생안정 지원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재정의 역할을 지속

ㅇ 대내외 여건 악화로 인한 경기 둔화 흐름을 극복하고

lsquo15년 추경 등으로 조성된 경기회복 모멘텀을 유지ㆍ확산

ㅇ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지원하고 4대 구조개혁 이행을 통해

경제 체질개선을 뒷받침

청년희망 경제혁신 문화융성 민생안정에 중점 투자

ㅇ (청년 희망) 취업ㆍ창업 역량 제고 세대간 상생 및 기업과의

상생협력 전달체계 개선으로 청년 일자리 확대

ㅇ (경제 혁신) 벤처ㆍ창업 활성화 수출ㆍ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등

경기 회복과 미래 성장동력 지속 창출

ㅇ (문화 융성) 자생적 창작 생태계 조성 및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민생 안정) 취약계층 맞춤형 복지 지원 국민안심 생활 여건

조성과 함께 평화통일 기반 투자 강화

중장기 재정건전성 회복을 위한 강도 높은 재정개혁 추진

ㅇ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사업수 총량관리 유사ㆍ중복사업 통폐합

전달체계 개편 등 재정운용 방식 및 제도 개선

ㅇ 국가채무 증가요인을 엄격히 관리하고 재정준칙 도입 추진

- 2 -

참 고참 고 2016년 예산안의 틀

ldquo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 rdquo

- 2016년 예산안 -

재정

기조

경제 활성화 및

구조개혁을 통한 체질 개선을 뒷받침

투자

중점

청년 희망 경제 혁신

세대간 상생 기업과의 상생

협력으로 청년 일자리 확대

고용디딤돌 등 맞춤형 훈련

으로 취업역량 제고

실업급여 등 고용안전망 확충

벤처ㆍ창업생태계 활성화

수출활력 제고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RampD 및 기술혁신 ICT융복합

산업 선제적 투자

문화 융성 민생 안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화 및

문화콘텐츠 창업 지원 강화

콘텐츠 관광 의료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lsquo문화가 있는 날rsquo 확대 등

생활 속 문화향유 증진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강화

일을 통한 빈곤 탈출

감염병 재난 폭력으로부터

국민 보호

방위능력 확보 병영문화

선진화 및 통일시대 준비

재정

개혁

재정건전성 기반 조성

기존사업을 성과와 타당성 중심으로 원점 재검토

유사ㆍ중복사업 통폐합

사업수 총량 관리

복지사업 전달체계 개편

재정준칙 도입 추진

4대 구조개혁 이행성과 제도화

- 3 -

2 재정총량

총지출 증가율을 총수입보다 높여 경제활력 제고를 뒷받침

강력한 재정개혁 추진 등 재정건전화 노력 강화

총수입은 3915조원(rsquo15예산 대비 24)

ㅇ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국세는 rsquo15년 본예산 대비 09 증가

ㅇ 기금수입은 사회보장성 기금 수입증가(70) 등으로 56 증가

총지출은 3867조원(rsquo15예산 대비 30)

ㅇ 어려운 세입여건 하에서 경제 활성화를 지원하고 중장기

재정건전성도 유지

[ 2016년 재정운용 모습 ]

(조원 )

rsquo15예산(A)

16예산안(B)

증감(B-A)

총수입 3824 3915 91 24

예 산 2488 2503 15 06

(국세수입) 2211 2231 20 09

기 금 1336 1412 76 56

총지출 3754 3867 113 30

예 산 2601 2631 30 12

기 금 1153 1236 83 72

- 4 -

재정수지와 국가채무는 rsquo15년보다 악화

ㅇ (재정수지) rsquo15년 21(GDP 대비)에서 rsquo16년 23로 악화

ㅇ (국가채무) rsquo16년 401 수준으로 전망

- 그간 누적된 세수결손 rsquo15년 추경편성 부동산 거래 증가에

따른 주택채 발행 확대 등으로 국가채무 증가

부동산 거래 증가로 강제소화 방식의 주택채 발행물량 증가 추세

(rsquo15년 상반기 주택거래량은 611만건으로 rsquo06년 이후 최대치)

(조원 )

rsquo15예산(A)

rsquo16예산안(B)

증감(B-A)

재정수지 334 370 36

(GDP 대비) (21) (23) (02p)

국가채무 59511 6452 501

(GDP 대비) (385) (401) (16p)

1 rsquo14년 결산(주택채+지방채+지방교육채 62조원) rsquo15년 추경 주택채 물량확대 등 포함

중기적으로 재정건전성 회복 전망

ㅇ 강도 높은 재정개혁 재정지출 증가율 조정 등 건전화 노력 강화

ㅇ 구조개혁 성과 가시화로 경제 성장 rarr 세입기반 확충 rarr 재정

건전성 제고 의 선순환 구조 유도

[ 재정수지 단계적 회복 ] [ 국가채무 40대 유지 ]

- 5 -

3 분야별 재원배분 모습

사회분야는 인구구조 변화 대응 및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여 투자 확대

경제분야는 성과중심으로 효율화하고 핵심역량 위주 지원

(조원)

구 분rsquo15예산

(A)rsquo16예산안

(B)증감(B-A)

총지출 3754 3867 113 30

1 보건 복지 노동 1157 1229 72 62

일자리 140 158 18 128

2 교 육 529 532 03 05

지방교육재정교부금 394 413 19 47

3 문화체육관광 61 66 05 75

4 환 경 68 68 - 04

5 RampD 189 189 - 02

6 산업 중소기업 에너지 164 161 03 20

7 SOC 248 233 15 60

8 농림수산식품 193 193 - 01

9 국 방 375 390 15 40

10 외교통일 45 47 02 39

11 공공질서안전 169 175 05 30

안전투자 147 148 01 11

12 일반 지방행정 580 609 29 49

지방교부세 349 362 13 37

- 6 -

Ⅱ 투자의 중점

투자중점

핵심 추진 과제

청년

희망

1 일자리 기회 확대청년 취업역량 제고창업ᆞ취업 지원고용인프라 지원

2 고용안전망 확충사회보험 보장성 강화복지ᆞ창업 연계 고용서비스

경제

혁신

3 성장동력 창출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RampD 성과 제고

4 수출ᆞ중소기업 및

신산업 창출 지원

수출 활력 제고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제조업 혁신

5 지역경제 활성화교통ᆞ물류망ᆞ지역산업기반시설지역맞춤형 투자

문화

융성

6 문화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문화창조융합벨트융복합ᆞ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7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8 문화향유 기회 확충문화 체험ᆞ교육 확대창작ᆞ공연 여건 개선

민생

안정

9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장애인

아동ᆞ어르신 여성 국가유공자 농어민

10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학생 중장년 어르신

11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 역량 제고 생활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준비

- 7 -

1 일할 능력을 키우고 일할 기회를 늘리는 「청년희망 예산」

재정지원 방향

일자리 기회

확대

양질의 직업훈련을 통한 청년 취업역량 제고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대학 구조개편 선취업후진학 NCS 보급

준비된 CEO 육성 및 상생협력을 통한 일자리 확대

권역별 청년 창업기지 창업인턴세대간 상생고용 중견기업 인턴제 등

일자리 사업 통합ᆞ원스톱 지원

창조경제혁신센터(고용zone 신설) 창조일자리센터 청년내일패키지

고용안전망

확충

사회보험 보장성 강화 rarr 노동시장 구조개혁 뒷받침

실업급여 확대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복지ᆞ창업과 연계한 고용서비스 강화

고용복지+센터 확대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ㆍ운용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청년 일자리수 48만개 64만개

기업수요맞춤형유망직종직업훈련

59만명

124만명

유망청년CEO창업 910개社 1160개社

고용복지+센터 40개 70개

실업급여(지급률) 평균임금 50(지급기간) 90~240일

(지급률) 평균임금 60(지급기간) 120~270일

- 8 -

1 청년의 일자리 기회 확대

(1) 청년 취업역량 제고

① 훈련 기업주도 유망업종 중심으로 재편

ㅇ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유망업종의 대기업 등이 우수한 훈련

시설을 활용해 청년 1만명을 직접 교육하고 채용기회 제공(418억원)

(예) 바이오 태양광에너지 지능형로봇 사물인터넷 전자정보 등

참여기업은 청년에게 lsquo직무교육 rarr 현장 인턴경험 rarr 채용연계

(협력업체 취업알선 및 입사시 가점 등)rsquo까지 일자리 기회 통합 제공

정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고용복지+센터를 통해 훈련생과

참여기업을 발굴하고 참여기업의 시설장비비와 교육훈련비 지원

ㅇ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국가기간전략산업 분야의 훈련 지원을

대폭 확대(35rarr77만명)하여 양질의 기업수요 맞춤형 직업훈련 강화

lsquo16년부터 훈련기관 지원시 취업성과에 따라 훈련비를 차등

지급하는 인센티브 시스템 도입

ㅇ (일학습병행제) 기업 채용 후 현장업무와 교육훈련을 병행하여

우수한 실무인재를 양성하는 일학습병행제 확대(3300rarr6300개社)

대학교 재학중에 장기간에 걸쳐 산업체 현장훈련을 병행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프로그램 확대(10rarr20개)

대학 3~4학년 대상 4~10개월간 기업현장훈련

- 9 -

② 교육 일자리 수요-공급간 미스매치 해소

ㅇ (대학 구조개편) 진로역량 제고와 변화하는 산업수요에 부합

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구조 및 교육과정 혁신

산업수요를 토대로 대학 정원 및 학사구조를 개편하는 산업

연계교육 활성화 대학을 선정하고 집중 지원(신규 2362억원)

대학당 지원 평균 50~200억원 최대 300억원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도입하여 後진학자의 평생학습을 지원

야간 주말과정 학점 월별 등록금제 다학기제 집중이수제 허용 등

후진학자의 학업학비 부담 완화

ㅇ (선취업후진학) 산학일체형 도제학교(9rarr40개校)를 확대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교육과정(Uni-Tech 16개 사업단) 도입

고등학교 2sim3학년(고교전문대는 전문대 2년 포함) 기간에 일학습병행제 학습

근로자로 채용되어 학교 수업과 기업 업무 병행 졸업후 해당기업 정규직 채용

공동훈련센터로 지정된 거점형 도제학교(10개校)에 시설장비를

지원(최대 20억원)하고 일반 도제학교(30개校)와 함께 이를 활용

고교-전문대-기업 공동으로 직무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해당 기업 취업과 연계(160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 확산) 개발이 완료된 800여개 국가직무

능력표준(NCS)의 기업 보급 및 활용 확대

공공기관의 NCS 기반 인사시스템 구축을 확대하고(20rarr100개)

민간 확산 유도를 위해 국가기술자격검정시험의 NCS 적용 확대

NCS기반 기술자격평가(100개 신규) 과정평가형 자격제도(15rarr30개 직종)

- 10 -

(2) 창업ᆞ취업 지원 강화

① 창업 원스톱ᆞ밀착 지원으로 준비된 청년CEO 육성

ㅇ (권역별 청년창업기지) 창업선도대학 창업사관학교 등에서

지역의 청년창업자를 발굴하여 사업화까지 원스톱 지원

lsquo창업선도대학rsquo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고려하여 확대(28rarr34개)

권역별 대학이 차별화된 창업지원 모델을 개발운영

lsquo청년창업사관학교rsquo는 우수기술자 선발 비중을 확대(30rarr40)하고

사업 기획부터 창업공간 사업화 판로확보 등을 패키지로 지원

ㅇ (창업기업 인턴) 유망 벤처기업 등에서 현장근무 경험을 통해

준비된 청년 창업가 양성(50rarr100명)

② 취업 기업과 상생협력으로 민간의 청년일자리 확대

ㅇ (중견기업 인턴제) 청년층이 선호하는 중견기업의 청년인턴

채용 및 정규직 전환유지시 장려금 지급(3만명)

(기업) 인턴기간 3개월간 월50만원 정규직 전환후 1년간 유지시

연390만원 지원(6개월마다 195만원 지급)하여 인건비 부담 완화

(청년) 정규직전환 후 장기근속시 취업지원금(제조업 생산직

300만원 그 외 180만원) 지원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 임금피크제 등 임금체계를 개편하면서

청년을 신규 채용하는 기업에 年 1080만원을 지원(청년 1만명)

대기업공공기관은 연 540만원 지원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른 근로자의 임금감소분 지원 확대

(320 rarr 521억원)

- 11 -

(3) 고용 인프라 지원

① 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화

ㅇ (혁신센터 기능 강화) 지역별 lsquo창조경제혁신센터rsquo를 청년구직자와

기업을 연결하는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로 운영

혁신센터 內 고용존(Zone)을 신설하고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청년일자리 사업을 연계 집행 rarr 효과성 제고

ㅇ (대학과 연계) 대학청년고용+센터는 창조일자리센터로 전환ㆍ

확대(40개)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분소 기능 수행

대학내 취업지원 조직ㆍ기능 통합 + 전문상담인력 확충(대학별 7~8명) rarr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원스톱 제공(대학별 평균 年 5억원)

lsquo상담-훈련-취업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lsquo청년내일패키지(10rarr13만명)rsquo 등

청년 일자리 지원의 전진기지化

청년구직자 rArr

창조경제혁신센터(전국 17개) 고용존(Zone)rarr청년일자리사업 연계 집행

lArr 대기업지역중소기업

청년인턴제 일학습병행제 고용디딤돌

선취업후진학 청년내일패키지등

대학내 창조일자리센터(전국 40개) 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② K-Move 센터 등 청년의 해외취업 등 지원

ㅇ (현지 지원) 기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해외현지 일자리 발굴과

현지정착을 돕는 해외소재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lsquo15년 현재) 도쿄 프랑크푸르트 두바이 베이징 싱가포르 실리콘밸리등 10개

(rsquo16년 추가 5개) 뉴욕 오사카 홍콩 도하(카타르) 상파울루(브라질)

ㅇ (국내 지원) 혁신센터 창조일자리센터와 연계한 서비스 제공

- 12 -

2 고용안전망 확충

① 사회보험 실업급여 확대 및 사각지대 해소 강화

ㅇ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 실업급여 인상(실직전 임금의 50rarr60)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41 rarr 51조원)

근로유인 제고 및 소요재원 마련을 위해 급여 상한액 조정과

보험료율 조정도 병행

(현행) 상한액 4만3천원 rarr (개편) 5만원

ㅇ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저소득 근로자의 고용보험 및 국민

연금 가입 유도를 위해 신규가입자 보험료 지원율 인상(50rarr60)

기존 가입자는 사중손실 방지를 위해 지원율 인하(50rarr40)

② 고용서비스 복지창업 등과 연계한 One-stop 지원

ㅇ 실직자들이 일자리와 복지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고용복지+센터 확대(40rarr70개)

lsquo취업상담 rarr 맞춤형 교육훈련 rarr 재취업 알선rsquo까지 One-stop 서비스 제공

고용복지+센터 확충 규모를 당초 계획 대비 확대(lsquo16년 20rarr30개)

하여 lsquo17년 100개소 조성 완료 계획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ㆍ운용을 통해 취업 지원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고용복지+센터의 구직직업훈련 수요를 맞춤형으로 지원

- 13 -

2 경제 재도약을 적극 뒷받침하는 「경제혁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성장동력

창출

맞춤형 통합 지원으로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창업중소기업 全단계 원스톱 지원 제2 판교밸리 조성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기업지원자금 전용 프로그램 TIPS

선택ᆞ집중 수요에 기반한 RampD 성과 제고

기초연구 미래먹거리(IoT 무인이동체 등) 제조업 혁신RampD 바우처 한국형 프라운호퍼 연구소 일몰제 도입

수출ᆞ중소

기업의 성장

신산업 지원

시장ᆞ품목 다각화로 수출 활력 제고

할랄식품시장 개척 FTA 계기 해외진출 수출마케팅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산업단지 혁신 환경개선펀드 산학융합 지구 조성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전통시장 활력 제고

제조공정 혁신 에너지 신산업 창출

스마트공장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교통ᆞ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확충

지역주도 발전프로젝트 추진

지역특화프로젝트 지역행복생활권 포괄보조금 확대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RampD 사업화 실적 17만건 18만건

RampD바우처 지원 - 2700여개 기업(신규공급)

FTA체결국 교역 비중 41 62

국가산단 가동률 809 811

전체교역량중 FTA 체결국가와의교역량이차지하는비중 (한 중 FTA 발효시)

- 14 -

1 성장동력 창출

(1)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① 벤처ᆞ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ᆞ연계

ㅇ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재편하여 지역혁신거점으로 육성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rarr 멘토링과 투자 연계 rarr 사업화

rarr 실패기업 재도전」까지 창업 全주기 지원

6개월 챌린지 플랫폼 98rarr 113억원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등

중소기업 애로 해소 중소기업 지원사업간 연계ㆍ맞춤형

지원으로 지역내 신산업 창출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ICT융합스마트공장보급확산 40rarr 112억원 등

ㅇ (글로벌 혁신생태계 구축) 제2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첨단기업이

집적화된 세계적인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lsquo15년內 착공)

「창조성장혁신」이 공존하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지원 허브에

대한 토지매입비(164억원) 및 창조공간 기획비 지원(30억원)

창업 오디션을 통한 글로벌 스타트업 발굴 인큐베이팅 등

성장지원 및 문화콘텐츠 육성 등을 통한 글로벌 창업 거점화

Pan-Asia 그랜드 챌린지 프로그램 50억원(신규) 첨단 융복합 게임 개발

및 제작지원 39억원(신규) 등

- 15 -

② lsquo죽음의 계곡rsquo(창업 2~5년차) 극복과 조기성장 지원

ㅇ (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 2~5년차 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및 자금지원 확대

창업 후 상용화 판로확보 등 어려움으로 기업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시기

창업기업지원자금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전용

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여 수익모델 창출 지원

ㅇ (성장 지원) 민간 주도의 엑셀러레이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여 창업기업의 조기성장을 지원

성공한 벤처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 지원(365rarr425억원)으로 창업의 질적 향상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 창업rsquo 확대(53rarr120억원)

③ 생계형 창업에서 유망창업 기술창업 지원으로 전환

ㅇ (창업 정보)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25rarr35억원)

과밀지수제공범위확대(서울2개업종rarr전국30개 업종) 창업가상체험개발

ㅇ (유망창업) 소상공인사관학교 및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지원 확대로 시장 창출형 유망창업 유도(358rarr495억원)

ㅇ (기술창업) 시니어 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기술창업스쿨(10rarr

16개소) 확대로 은퇴 후 생계형보다는 기술형 창업으로 유도

- 16 -

(2) RampD 성과 제고

① 선택과 집중으로 투자 성과 가시화

ㅇ (미래먹거리 창출) 미래 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IoT 무인이동체(드론 신규 60억원) 5G 이동통신(410rarr 699억원)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 중점 투자

ㅇ (기술사업화middot제조업 혁신)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 및 제조업

공정개선 등을 통해 산업 활력 제고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의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한 후속연구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적극 유도(302rarr 379억원)

ICTㆍ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ㅇ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16조원) 및 융합연구 활성화

②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혁신

ㅇ (수요 기반)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성과 기반) 관행적으로 지원되어 온 장기계속 RampD에 대한

사업기간 설정(일몰제)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좀비기업 방지를 위한 기업지원 RampD 자부담 조정(25rarr 35)

(예) 출연연 지역분원 설립시 지방비 부담 조정(40rarr 50) 등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4: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2 -

참 고참 고 2016년 예산안의 틀

ldquo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 rdquo

- 2016년 예산안 -

재정

기조

경제 활성화 및

구조개혁을 통한 체질 개선을 뒷받침

투자

중점

청년 희망 경제 혁신

세대간 상생 기업과의 상생

협력으로 청년 일자리 확대

고용디딤돌 등 맞춤형 훈련

으로 취업역량 제고

실업급여 등 고용안전망 확충

벤처ㆍ창업생태계 활성화

수출활력 제고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RampD 및 기술혁신 ICT융복합

산업 선제적 투자

문화 융성 민생 안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화 및

문화콘텐츠 창업 지원 강화

콘텐츠 관광 의료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lsquo문화가 있는 날rsquo 확대 등

생활 속 문화향유 증진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강화

일을 통한 빈곤 탈출

감염병 재난 폭력으로부터

국민 보호

방위능력 확보 병영문화

선진화 및 통일시대 준비

재정

개혁

재정건전성 기반 조성

기존사업을 성과와 타당성 중심으로 원점 재검토

유사ㆍ중복사업 통폐합

사업수 총량 관리

복지사업 전달체계 개편

재정준칙 도입 추진

4대 구조개혁 이행성과 제도화

- 3 -

2 재정총량

총지출 증가율을 총수입보다 높여 경제활력 제고를 뒷받침

강력한 재정개혁 추진 등 재정건전화 노력 강화

총수입은 3915조원(rsquo15예산 대비 24)

ㅇ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국세는 rsquo15년 본예산 대비 09 증가

ㅇ 기금수입은 사회보장성 기금 수입증가(70) 등으로 56 증가

총지출은 3867조원(rsquo15예산 대비 30)

ㅇ 어려운 세입여건 하에서 경제 활성화를 지원하고 중장기

재정건전성도 유지

[ 2016년 재정운용 모습 ]

(조원 )

rsquo15예산(A)

16예산안(B)

증감(B-A)

총수입 3824 3915 91 24

예 산 2488 2503 15 06

(국세수입) 2211 2231 20 09

기 금 1336 1412 76 56

총지출 3754 3867 113 30

예 산 2601 2631 30 12

기 금 1153 1236 83 72

- 4 -

재정수지와 국가채무는 rsquo15년보다 악화

ㅇ (재정수지) rsquo15년 21(GDP 대비)에서 rsquo16년 23로 악화

ㅇ (국가채무) rsquo16년 401 수준으로 전망

- 그간 누적된 세수결손 rsquo15년 추경편성 부동산 거래 증가에

따른 주택채 발행 확대 등으로 국가채무 증가

부동산 거래 증가로 강제소화 방식의 주택채 발행물량 증가 추세

(rsquo15년 상반기 주택거래량은 611만건으로 rsquo06년 이후 최대치)

(조원 )

rsquo15예산(A)

rsquo16예산안(B)

증감(B-A)

재정수지 334 370 36

(GDP 대비) (21) (23) (02p)

국가채무 59511 6452 501

(GDP 대비) (385) (401) (16p)

1 rsquo14년 결산(주택채+지방채+지방교육채 62조원) rsquo15년 추경 주택채 물량확대 등 포함

중기적으로 재정건전성 회복 전망

ㅇ 강도 높은 재정개혁 재정지출 증가율 조정 등 건전화 노력 강화

ㅇ 구조개혁 성과 가시화로 경제 성장 rarr 세입기반 확충 rarr 재정

건전성 제고 의 선순환 구조 유도

[ 재정수지 단계적 회복 ] [ 국가채무 40대 유지 ]

- 5 -

3 분야별 재원배분 모습

사회분야는 인구구조 변화 대응 및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여 투자 확대

경제분야는 성과중심으로 효율화하고 핵심역량 위주 지원

(조원)

구 분rsquo15예산

(A)rsquo16예산안

(B)증감(B-A)

총지출 3754 3867 113 30

1 보건 복지 노동 1157 1229 72 62

일자리 140 158 18 128

2 교 육 529 532 03 05

지방교육재정교부금 394 413 19 47

3 문화체육관광 61 66 05 75

4 환 경 68 68 - 04

5 RampD 189 189 - 02

6 산업 중소기업 에너지 164 161 03 20

7 SOC 248 233 15 60

8 농림수산식품 193 193 - 01

9 국 방 375 390 15 40

10 외교통일 45 47 02 39

11 공공질서안전 169 175 05 30

안전투자 147 148 01 11

12 일반 지방행정 580 609 29 49

지방교부세 349 362 13 37

- 6 -

Ⅱ 투자의 중점

투자중점

핵심 추진 과제

청년

희망

1 일자리 기회 확대청년 취업역량 제고창업ᆞ취업 지원고용인프라 지원

2 고용안전망 확충사회보험 보장성 강화복지ᆞ창업 연계 고용서비스

경제

혁신

3 성장동력 창출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RampD 성과 제고

4 수출ᆞ중소기업 및

신산업 창출 지원

수출 활력 제고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제조업 혁신

5 지역경제 활성화교통ᆞ물류망ᆞ지역산업기반시설지역맞춤형 투자

문화

융성

6 문화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문화창조융합벨트융복합ᆞ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7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8 문화향유 기회 확충문화 체험ᆞ교육 확대창작ᆞ공연 여건 개선

민생

안정

9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장애인

아동ᆞ어르신 여성 국가유공자 농어민

10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학생 중장년 어르신

11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 역량 제고 생활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준비

- 7 -

1 일할 능력을 키우고 일할 기회를 늘리는 「청년희망 예산」

재정지원 방향

일자리 기회

확대

양질의 직업훈련을 통한 청년 취업역량 제고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대학 구조개편 선취업후진학 NCS 보급

준비된 CEO 육성 및 상생협력을 통한 일자리 확대

권역별 청년 창업기지 창업인턴세대간 상생고용 중견기업 인턴제 등

일자리 사업 통합ᆞ원스톱 지원

창조경제혁신센터(고용zone 신설) 창조일자리센터 청년내일패키지

고용안전망

확충

사회보험 보장성 강화 rarr 노동시장 구조개혁 뒷받침

실업급여 확대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복지ᆞ창업과 연계한 고용서비스 강화

고용복지+센터 확대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ㆍ운용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청년 일자리수 48만개 64만개

기업수요맞춤형유망직종직업훈련

59만명

124만명

유망청년CEO창업 910개社 1160개社

고용복지+센터 40개 70개

실업급여(지급률) 평균임금 50(지급기간) 90~240일

(지급률) 평균임금 60(지급기간) 120~270일

- 8 -

1 청년의 일자리 기회 확대

(1) 청년 취업역량 제고

① 훈련 기업주도 유망업종 중심으로 재편

ㅇ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유망업종의 대기업 등이 우수한 훈련

시설을 활용해 청년 1만명을 직접 교육하고 채용기회 제공(418억원)

(예) 바이오 태양광에너지 지능형로봇 사물인터넷 전자정보 등

참여기업은 청년에게 lsquo직무교육 rarr 현장 인턴경험 rarr 채용연계

(협력업체 취업알선 및 입사시 가점 등)rsquo까지 일자리 기회 통합 제공

정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고용복지+센터를 통해 훈련생과

참여기업을 발굴하고 참여기업의 시설장비비와 교육훈련비 지원

ㅇ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국가기간전략산업 분야의 훈련 지원을

대폭 확대(35rarr77만명)하여 양질의 기업수요 맞춤형 직업훈련 강화

lsquo16년부터 훈련기관 지원시 취업성과에 따라 훈련비를 차등

지급하는 인센티브 시스템 도입

ㅇ (일학습병행제) 기업 채용 후 현장업무와 교육훈련을 병행하여

우수한 실무인재를 양성하는 일학습병행제 확대(3300rarr6300개社)

대학교 재학중에 장기간에 걸쳐 산업체 현장훈련을 병행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프로그램 확대(10rarr20개)

대학 3~4학년 대상 4~10개월간 기업현장훈련

- 9 -

② 교육 일자리 수요-공급간 미스매치 해소

ㅇ (대학 구조개편) 진로역량 제고와 변화하는 산업수요에 부합

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구조 및 교육과정 혁신

산업수요를 토대로 대학 정원 및 학사구조를 개편하는 산업

연계교육 활성화 대학을 선정하고 집중 지원(신규 2362억원)

대학당 지원 평균 50~200억원 최대 300억원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도입하여 後진학자의 평생학습을 지원

야간 주말과정 학점 월별 등록금제 다학기제 집중이수제 허용 등

후진학자의 학업학비 부담 완화

ㅇ (선취업후진학) 산학일체형 도제학교(9rarr40개校)를 확대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교육과정(Uni-Tech 16개 사업단) 도입

고등학교 2sim3학년(고교전문대는 전문대 2년 포함) 기간에 일학습병행제 학습

근로자로 채용되어 학교 수업과 기업 업무 병행 졸업후 해당기업 정규직 채용

공동훈련센터로 지정된 거점형 도제학교(10개校)에 시설장비를

지원(최대 20억원)하고 일반 도제학교(30개校)와 함께 이를 활용

고교-전문대-기업 공동으로 직무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해당 기업 취업과 연계(160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 확산) 개발이 완료된 800여개 국가직무

능력표준(NCS)의 기업 보급 및 활용 확대

공공기관의 NCS 기반 인사시스템 구축을 확대하고(20rarr100개)

민간 확산 유도를 위해 국가기술자격검정시험의 NCS 적용 확대

NCS기반 기술자격평가(100개 신규) 과정평가형 자격제도(15rarr30개 직종)

- 10 -

(2) 창업ᆞ취업 지원 강화

① 창업 원스톱ᆞ밀착 지원으로 준비된 청년CEO 육성

ㅇ (권역별 청년창업기지) 창업선도대학 창업사관학교 등에서

지역의 청년창업자를 발굴하여 사업화까지 원스톱 지원

lsquo창업선도대학rsquo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고려하여 확대(28rarr34개)

권역별 대학이 차별화된 창업지원 모델을 개발운영

lsquo청년창업사관학교rsquo는 우수기술자 선발 비중을 확대(30rarr40)하고

사업 기획부터 창업공간 사업화 판로확보 등을 패키지로 지원

ㅇ (창업기업 인턴) 유망 벤처기업 등에서 현장근무 경험을 통해

준비된 청년 창업가 양성(50rarr100명)

② 취업 기업과 상생협력으로 민간의 청년일자리 확대

ㅇ (중견기업 인턴제) 청년층이 선호하는 중견기업의 청년인턴

채용 및 정규직 전환유지시 장려금 지급(3만명)

(기업) 인턴기간 3개월간 월50만원 정규직 전환후 1년간 유지시

연390만원 지원(6개월마다 195만원 지급)하여 인건비 부담 완화

(청년) 정규직전환 후 장기근속시 취업지원금(제조업 생산직

300만원 그 외 180만원) 지원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 임금피크제 등 임금체계를 개편하면서

청년을 신규 채용하는 기업에 年 1080만원을 지원(청년 1만명)

대기업공공기관은 연 540만원 지원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른 근로자의 임금감소분 지원 확대

(320 rarr 521억원)

- 11 -

(3) 고용 인프라 지원

① 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화

ㅇ (혁신센터 기능 강화) 지역별 lsquo창조경제혁신센터rsquo를 청년구직자와

기업을 연결하는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로 운영

혁신센터 內 고용존(Zone)을 신설하고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청년일자리 사업을 연계 집행 rarr 효과성 제고

ㅇ (대학과 연계) 대학청년고용+센터는 창조일자리센터로 전환ㆍ

확대(40개)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분소 기능 수행

대학내 취업지원 조직ㆍ기능 통합 + 전문상담인력 확충(대학별 7~8명) rarr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원스톱 제공(대학별 평균 年 5억원)

lsquo상담-훈련-취업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lsquo청년내일패키지(10rarr13만명)rsquo 등

청년 일자리 지원의 전진기지化

청년구직자 rArr

창조경제혁신센터(전국 17개) 고용존(Zone)rarr청년일자리사업 연계 집행

lArr 대기업지역중소기업

청년인턴제 일학습병행제 고용디딤돌

선취업후진학 청년내일패키지등

대학내 창조일자리센터(전국 40개) 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② K-Move 센터 등 청년의 해외취업 등 지원

ㅇ (현지 지원) 기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해외현지 일자리 발굴과

현지정착을 돕는 해외소재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lsquo15년 현재) 도쿄 프랑크푸르트 두바이 베이징 싱가포르 실리콘밸리등 10개

(rsquo16년 추가 5개) 뉴욕 오사카 홍콩 도하(카타르) 상파울루(브라질)

ㅇ (국내 지원) 혁신센터 창조일자리센터와 연계한 서비스 제공

- 12 -

2 고용안전망 확충

① 사회보험 실업급여 확대 및 사각지대 해소 강화

ㅇ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 실업급여 인상(실직전 임금의 50rarr60)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41 rarr 51조원)

근로유인 제고 및 소요재원 마련을 위해 급여 상한액 조정과

보험료율 조정도 병행

(현행) 상한액 4만3천원 rarr (개편) 5만원

ㅇ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저소득 근로자의 고용보험 및 국민

연금 가입 유도를 위해 신규가입자 보험료 지원율 인상(50rarr60)

기존 가입자는 사중손실 방지를 위해 지원율 인하(50rarr40)

② 고용서비스 복지창업 등과 연계한 One-stop 지원

ㅇ 실직자들이 일자리와 복지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고용복지+센터 확대(40rarr70개)

lsquo취업상담 rarr 맞춤형 교육훈련 rarr 재취업 알선rsquo까지 One-stop 서비스 제공

고용복지+센터 확충 규모를 당초 계획 대비 확대(lsquo16년 20rarr30개)

하여 lsquo17년 100개소 조성 완료 계획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ㆍ운용을 통해 취업 지원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고용복지+센터의 구직직업훈련 수요를 맞춤형으로 지원

- 13 -

2 경제 재도약을 적극 뒷받침하는 「경제혁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성장동력

창출

맞춤형 통합 지원으로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창업중소기업 全단계 원스톱 지원 제2 판교밸리 조성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기업지원자금 전용 프로그램 TIPS

선택ᆞ집중 수요에 기반한 RampD 성과 제고

기초연구 미래먹거리(IoT 무인이동체 등) 제조업 혁신RampD 바우처 한국형 프라운호퍼 연구소 일몰제 도입

수출ᆞ중소

기업의 성장

신산업 지원

시장ᆞ품목 다각화로 수출 활력 제고

할랄식품시장 개척 FTA 계기 해외진출 수출마케팅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산업단지 혁신 환경개선펀드 산학융합 지구 조성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전통시장 활력 제고

제조공정 혁신 에너지 신산업 창출

스마트공장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교통ᆞ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확충

지역주도 발전프로젝트 추진

지역특화프로젝트 지역행복생활권 포괄보조금 확대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RampD 사업화 실적 17만건 18만건

RampD바우처 지원 - 2700여개 기업(신규공급)

FTA체결국 교역 비중 41 62

국가산단 가동률 809 811

전체교역량중 FTA 체결국가와의교역량이차지하는비중 (한 중 FTA 발효시)

- 14 -

1 성장동력 창출

(1)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① 벤처ᆞ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ᆞ연계

ㅇ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재편하여 지역혁신거점으로 육성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rarr 멘토링과 투자 연계 rarr 사업화

rarr 실패기업 재도전」까지 창업 全주기 지원

6개월 챌린지 플랫폼 98rarr 113억원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등

중소기업 애로 해소 중소기업 지원사업간 연계ㆍ맞춤형

지원으로 지역내 신산업 창출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ICT융합스마트공장보급확산 40rarr 112억원 등

ㅇ (글로벌 혁신생태계 구축) 제2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첨단기업이

집적화된 세계적인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lsquo15년內 착공)

「창조성장혁신」이 공존하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지원 허브에

대한 토지매입비(164억원) 및 창조공간 기획비 지원(30억원)

창업 오디션을 통한 글로벌 스타트업 발굴 인큐베이팅 등

성장지원 및 문화콘텐츠 육성 등을 통한 글로벌 창업 거점화

Pan-Asia 그랜드 챌린지 프로그램 50억원(신규) 첨단 융복합 게임 개발

및 제작지원 39억원(신규) 등

- 15 -

② lsquo죽음의 계곡rsquo(창업 2~5년차) 극복과 조기성장 지원

ㅇ (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 2~5년차 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및 자금지원 확대

창업 후 상용화 판로확보 등 어려움으로 기업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시기

창업기업지원자금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전용

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여 수익모델 창출 지원

ㅇ (성장 지원) 민간 주도의 엑셀러레이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여 창업기업의 조기성장을 지원

성공한 벤처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 지원(365rarr425억원)으로 창업의 질적 향상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 창업rsquo 확대(53rarr120억원)

③ 생계형 창업에서 유망창업 기술창업 지원으로 전환

ㅇ (창업 정보)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25rarr35억원)

과밀지수제공범위확대(서울2개업종rarr전국30개 업종) 창업가상체험개발

ㅇ (유망창업) 소상공인사관학교 및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지원 확대로 시장 창출형 유망창업 유도(358rarr495억원)

ㅇ (기술창업) 시니어 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기술창업스쿨(10rarr

16개소) 확대로 은퇴 후 생계형보다는 기술형 창업으로 유도

- 16 -

(2) RampD 성과 제고

① 선택과 집중으로 투자 성과 가시화

ㅇ (미래먹거리 창출) 미래 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IoT 무인이동체(드론 신규 60억원) 5G 이동통신(410rarr 699억원)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 중점 투자

ㅇ (기술사업화middot제조업 혁신)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 및 제조업

공정개선 등을 통해 산업 활력 제고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의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한 후속연구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적극 유도(302rarr 379억원)

ICTㆍ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ㅇ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16조원) 및 융합연구 활성화

②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혁신

ㅇ (수요 기반)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성과 기반) 관행적으로 지원되어 온 장기계속 RampD에 대한

사업기간 설정(일몰제)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좀비기업 방지를 위한 기업지원 RampD 자부담 조정(25rarr 35)

(예) 출연연 지역분원 설립시 지방비 부담 조정(40rarr 50) 등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5: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3 -

2 재정총량

총지출 증가율을 총수입보다 높여 경제활력 제고를 뒷받침

강력한 재정개혁 추진 등 재정건전화 노력 강화

총수입은 3915조원(rsquo15예산 대비 24)

ㅇ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국세는 rsquo15년 본예산 대비 09 증가

ㅇ 기금수입은 사회보장성 기금 수입증가(70) 등으로 56 증가

총지출은 3867조원(rsquo15예산 대비 30)

ㅇ 어려운 세입여건 하에서 경제 활성화를 지원하고 중장기

재정건전성도 유지

[ 2016년 재정운용 모습 ]

(조원 )

rsquo15예산(A)

16예산안(B)

증감(B-A)

총수입 3824 3915 91 24

예 산 2488 2503 15 06

(국세수입) 2211 2231 20 09

기 금 1336 1412 76 56

총지출 3754 3867 113 30

예 산 2601 2631 30 12

기 금 1153 1236 83 72

- 4 -

재정수지와 국가채무는 rsquo15년보다 악화

ㅇ (재정수지) rsquo15년 21(GDP 대비)에서 rsquo16년 23로 악화

ㅇ (국가채무) rsquo16년 401 수준으로 전망

- 그간 누적된 세수결손 rsquo15년 추경편성 부동산 거래 증가에

따른 주택채 발행 확대 등으로 국가채무 증가

부동산 거래 증가로 강제소화 방식의 주택채 발행물량 증가 추세

(rsquo15년 상반기 주택거래량은 611만건으로 rsquo06년 이후 최대치)

(조원 )

rsquo15예산(A)

rsquo16예산안(B)

증감(B-A)

재정수지 334 370 36

(GDP 대비) (21) (23) (02p)

국가채무 59511 6452 501

(GDP 대비) (385) (401) (16p)

1 rsquo14년 결산(주택채+지방채+지방교육채 62조원) rsquo15년 추경 주택채 물량확대 등 포함

중기적으로 재정건전성 회복 전망

ㅇ 강도 높은 재정개혁 재정지출 증가율 조정 등 건전화 노력 강화

ㅇ 구조개혁 성과 가시화로 경제 성장 rarr 세입기반 확충 rarr 재정

건전성 제고 의 선순환 구조 유도

[ 재정수지 단계적 회복 ] [ 국가채무 40대 유지 ]

- 5 -

3 분야별 재원배분 모습

사회분야는 인구구조 변화 대응 및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여 투자 확대

경제분야는 성과중심으로 효율화하고 핵심역량 위주 지원

(조원)

구 분rsquo15예산

(A)rsquo16예산안

(B)증감(B-A)

총지출 3754 3867 113 30

1 보건 복지 노동 1157 1229 72 62

일자리 140 158 18 128

2 교 육 529 532 03 05

지방교육재정교부금 394 413 19 47

3 문화체육관광 61 66 05 75

4 환 경 68 68 - 04

5 RampD 189 189 - 02

6 산업 중소기업 에너지 164 161 03 20

7 SOC 248 233 15 60

8 농림수산식품 193 193 - 01

9 국 방 375 390 15 40

10 외교통일 45 47 02 39

11 공공질서안전 169 175 05 30

안전투자 147 148 01 11

12 일반 지방행정 580 609 29 49

지방교부세 349 362 13 37

- 6 -

Ⅱ 투자의 중점

투자중점

핵심 추진 과제

청년

희망

1 일자리 기회 확대청년 취업역량 제고창업ᆞ취업 지원고용인프라 지원

2 고용안전망 확충사회보험 보장성 강화복지ᆞ창업 연계 고용서비스

경제

혁신

3 성장동력 창출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RampD 성과 제고

4 수출ᆞ중소기업 및

신산업 창출 지원

수출 활력 제고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제조업 혁신

5 지역경제 활성화교통ᆞ물류망ᆞ지역산업기반시설지역맞춤형 투자

문화

융성

6 문화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문화창조융합벨트융복합ᆞ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7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8 문화향유 기회 확충문화 체험ᆞ교육 확대창작ᆞ공연 여건 개선

민생

안정

9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장애인

아동ᆞ어르신 여성 국가유공자 농어민

10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학생 중장년 어르신

11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 역량 제고 생활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준비

- 7 -

1 일할 능력을 키우고 일할 기회를 늘리는 「청년희망 예산」

재정지원 방향

일자리 기회

확대

양질의 직업훈련을 통한 청년 취업역량 제고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대학 구조개편 선취업후진학 NCS 보급

준비된 CEO 육성 및 상생협력을 통한 일자리 확대

권역별 청년 창업기지 창업인턴세대간 상생고용 중견기업 인턴제 등

일자리 사업 통합ᆞ원스톱 지원

창조경제혁신센터(고용zone 신설) 창조일자리센터 청년내일패키지

고용안전망

확충

사회보험 보장성 강화 rarr 노동시장 구조개혁 뒷받침

실업급여 확대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복지ᆞ창업과 연계한 고용서비스 강화

고용복지+센터 확대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ㆍ운용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청년 일자리수 48만개 64만개

기업수요맞춤형유망직종직업훈련

59만명

124만명

유망청년CEO창업 910개社 1160개社

고용복지+센터 40개 70개

실업급여(지급률) 평균임금 50(지급기간) 90~240일

(지급률) 평균임금 60(지급기간) 120~270일

- 8 -

1 청년의 일자리 기회 확대

(1) 청년 취업역량 제고

① 훈련 기업주도 유망업종 중심으로 재편

ㅇ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유망업종의 대기업 등이 우수한 훈련

시설을 활용해 청년 1만명을 직접 교육하고 채용기회 제공(418억원)

(예) 바이오 태양광에너지 지능형로봇 사물인터넷 전자정보 등

참여기업은 청년에게 lsquo직무교육 rarr 현장 인턴경험 rarr 채용연계

(협력업체 취업알선 및 입사시 가점 등)rsquo까지 일자리 기회 통합 제공

정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고용복지+센터를 통해 훈련생과

참여기업을 발굴하고 참여기업의 시설장비비와 교육훈련비 지원

ㅇ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국가기간전략산업 분야의 훈련 지원을

대폭 확대(35rarr77만명)하여 양질의 기업수요 맞춤형 직업훈련 강화

lsquo16년부터 훈련기관 지원시 취업성과에 따라 훈련비를 차등

지급하는 인센티브 시스템 도입

ㅇ (일학습병행제) 기업 채용 후 현장업무와 교육훈련을 병행하여

우수한 실무인재를 양성하는 일학습병행제 확대(3300rarr6300개社)

대학교 재학중에 장기간에 걸쳐 산업체 현장훈련을 병행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프로그램 확대(10rarr20개)

대학 3~4학년 대상 4~10개월간 기업현장훈련

- 9 -

② 교육 일자리 수요-공급간 미스매치 해소

ㅇ (대학 구조개편) 진로역량 제고와 변화하는 산업수요에 부합

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구조 및 교육과정 혁신

산업수요를 토대로 대학 정원 및 학사구조를 개편하는 산업

연계교육 활성화 대학을 선정하고 집중 지원(신규 2362억원)

대학당 지원 평균 50~200억원 최대 300억원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도입하여 後진학자의 평생학습을 지원

야간 주말과정 학점 월별 등록금제 다학기제 집중이수제 허용 등

후진학자의 학업학비 부담 완화

ㅇ (선취업후진학) 산학일체형 도제학교(9rarr40개校)를 확대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교육과정(Uni-Tech 16개 사업단) 도입

고등학교 2sim3학년(고교전문대는 전문대 2년 포함) 기간에 일학습병행제 학습

근로자로 채용되어 학교 수업과 기업 업무 병행 졸업후 해당기업 정규직 채용

공동훈련센터로 지정된 거점형 도제학교(10개校)에 시설장비를

지원(최대 20억원)하고 일반 도제학교(30개校)와 함께 이를 활용

고교-전문대-기업 공동으로 직무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해당 기업 취업과 연계(160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 확산) 개발이 완료된 800여개 국가직무

능력표준(NCS)의 기업 보급 및 활용 확대

공공기관의 NCS 기반 인사시스템 구축을 확대하고(20rarr100개)

민간 확산 유도를 위해 국가기술자격검정시험의 NCS 적용 확대

NCS기반 기술자격평가(100개 신규) 과정평가형 자격제도(15rarr30개 직종)

- 10 -

(2) 창업ᆞ취업 지원 강화

① 창업 원스톱ᆞ밀착 지원으로 준비된 청년CEO 육성

ㅇ (권역별 청년창업기지) 창업선도대학 창업사관학교 등에서

지역의 청년창업자를 발굴하여 사업화까지 원스톱 지원

lsquo창업선도대학rsquo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고려하여 확대(28rarr34개)

권역별 대학이 차별화된 창업지원 모델을 개발운영

lsquo청년창업사관학교rsquo는 우수기술자 선발 비중을 확대(30rarr40)하고

사업 기획부터 창업공간 사업화 판로확보 등을 패키지로 지원

ㅇ (창업기업 인턴) 유망 벤처기업 등에서 현장근무 경험을 통해

준비된 청년 창업가 양성(50rarr100명)

② 취업 기업과 상생협력으로 민간의 청년일자리 확대

ㅇ (중견기업 인턴제) 청년층이 선호하는 중견기업의 청년인턴

채용 및 정규직 전환유지시 장려금 지급(3만명)

(기업) 인턴기간 3개월간 월50만원 정규직 전환후 1년간 유지시

연390만원 지원(6개월마다 195만원 지급)하여 인건비 부담 완화

(청년) 정규직전환 후 장기근속시 취업지원금(제조업 생산직

300만원 그 외 180만원) 지원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 임금피크제 등 임금체계를 개편하면서

청년을 신규 채용하는 기업에 年 1080만원을 지원(청년 1만명)

대기업공공기관은 연 540만원 지원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른 근로자의 임금감소분 지원 확대

(320 rarr 521억원)

- 11 -

(3) 고용 인프라 지원

① 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화

ㅇ (혁신센터 기능 강화) 지역별 lsquo창조경제혁신센터rsquo를 청년구직자와

기업을 연결하는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로 운영

혁신센터 內 고용존(Zone)을 신설하고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청년일자리 사업을 연계 집행 rarr 효과성 제고

ㅇ (대학과 연계) 대학청년고용+센터는 창조일자리센터로 전환ㆍ

확대(40개)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분소 기능 수행

대학내 취업지원 조직ㆍ기능 통합 + 전문상담인력 확충(대학별 7~8명) rarr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원스톱 제공(대학별 평균 年 5억원)

lsquo상담-훈련-취업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lsquo청년내일패키지(10rarr13만명)rsquo 등

청년 일자리 지원의 전진기지化

청년구직자 rArr

창조경제혁신센터(전국 17개) 고용존(Zone)rarr청년일자리사업 연계 집행

lArr 대기업지역중소기업

청년인턴제 일학습병행제 고용디딤돌

선취업후진학 청년내일패키지등

대학내 창조일자리센터(전국 40개) 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② K-Move 센터 등 청년의 해외취업 등 지원

ㅇ (현지 지원) 기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해외현지 일자리 발굴과

현지정착을 돕는 해외소재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lsquo15년 현재) 도쿄 프랑크푸르트 두바이 베이징 싱가포르 실리콘밸리등 10개

(rsquo16년 추가 5개) 뉴욕 오사카 홍콩 도하(카타르) 상파울루(브라질)

ㅇ (국내 지원) 혁신센터 창조일자리센터와 연계한 서비스 제공

- 12 -

2 고용안전망 확충

① 사회보험 실업급여 확대 및 사각지대 해소 강화

ㅇ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 실업급여 인상(실직전 임금의 50rarr60)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41 rarr 51조원)

근로유인 제고 및 소요재원 마련을 위해 급여 상한액 조정과

보험료율 조정도 병행

(현행) 상한액 4만3천원 rarr (개편) 5만원

ㅇ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저소득 근로자의 고용보험 및 국민

연금 가입 유도를 위해 신규가입자 보험료 지원율 인상(50rarr60)

기존 가입자는 사중손실 방지를 위해 지원율 인하(50rarr40)

② 고용서비스 복지창업 등과 연계한 One-stop 지원

ㅇ 실직자들이 일자리와 복지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고용복지+센터 확대(40rarr70개)

lsquo취업상담 rarr 맞춤형 교육훈련 rarr 재취업 알선rsquo까지 One-stop 서비스 제공

고용복지+센터 확충 규모를 당초 계획 대비 확대(lsquo16년 20rarr30개)

하여 lsquo17년 100개소 조성 완료 계획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ㆍ운용을 통해 취업 지원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고용복지+센터의 구직직업훈련 수요를 맞춤형으로 지원

- 13 -

2 경제 재도약을 적극 뒷받침하는 「경제혁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성장동력

창출

맞춤형 통합 지원으로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창업중소기업 全단계 원스톱 지원 제2 판교밸리 조성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기업지원자금 전용 프로그램 TIPS

선택ᆞ집중 수요에 기반한 RampD 성과 제고

기초연구 미래먹거리(IoT 무인이동체 등) 제조업 혁신RampD 바우처 한국형 프라운호퍼 연구소 일몰제 도입

수출ᆞ중소

기업의 성장

신산업 지원

시장ᆞ품목 다각화로 수출 활력 제고

할랄식품시장 개척 FTA 계기 해외진출 수출마케팅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산업단지 혁신 환경개선펀드 산학융합 지구 조성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전통시장 활력 제고

제조공정 혁신 에너지 신산업 창출

스마트공장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교통ᆞ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확충

지역주도 발전프로젝트 추진

지역특화프로젝트 지역행복생활권 포괄보조금 확대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RampD 사업화 실적 17만건 18만건

RampD바우처 지원 - 2700여개 기업(신규공급)

FTA체결국 교역 비중 41 62

국가산단 가동률 809 811

전체교역량중 FTA 체결국가와의교역량이차지하는비중 (한 중 FTA 발효시)

- 14 -

1 성장동력 창출

(1)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① 벤처ᆞ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ᆞ연계

ㅇ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재편하여 지역혁신거점으로 육성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rarr 멘토링과 투자 연계 rarr 사업화

rarr 실패기업 재도전」까지 창업 全주기 지원

6개월 챌린지 플랫폼 98rarr 113억원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등

중소기업 애로 해소 중소기업 지원사업간 연계ㆍ맞춤형

지원으로 지역내 신산업 창출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ICT융합스마트공장보급확산 40rarr 112억원 등

ㅇ (글로벌 혁신생태계 구축) 제2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첨단기업이

집적화된 세계적인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lsquo15년內 착공)

「창조성장혁신」이 공존하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지원 허브에

대한 토지매입비(164억원) 및 창조공간 기획비 지원(30억원)

창업 오디션을 통한 글로벌 스타트업 발굴 인큐베이팅 등

성장지원 및 문화콘텐츠 육성 등을 통한 글로벌 창업 거점화

Pan-Asia 그랜드 챌린지 프로그램 50억원(신규) 첨단 융복합 게임 개발

및 제작지원 39억원(신규) 등

- 15 -

② lsquo죽음의 계곡rsquo(창업 2~5년차) 극복과 조기성장 지원

ㅇ (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 2~5년차 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및 자금지원 확대

창업 후 상용화 판로확보 등 어려움으로 기업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시기

창업기업지원자금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전용

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여 수익모델 창출 지원

ㅇ (성장 지원) 민간 주도의 엑셀러레이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여 창업기업의 조기성장을 지원

성공한 벤처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 지원(365rarr425억원)으로 창업의 질적 향상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 창업rsquo 확대(53rarr120억원)

③ 생계형 창업에서 유망창업 기술창업 지원으로 전환

ㅇ (창업 정보)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25rarr35억원)

과밀지수제공범위확대(서울2개업종rarr전국30개 업종) 창업가상체험개발

ㅇ (유망창업) 소상공인사관학교 및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지원 확대로 시장 창출형 유망창업 유도(358rarr495억원)

ㅇ (기술창업) 시니어 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기술창업스쿨(10rarr

16개소) 확대로 은퇴 후 생계형보다는 기술형 창업으로 유도

- 16 -

(2) RampD 성과 제고

① 선택과 집중으로 투자 성과 가시화

ㅇ (미래먹거리 창출) 미래 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IoT 무인이동체(드론 신규 60억원) 5G 이동통신(410rarr 699억원)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 중점 투자

ㅇ (기술사업화middot제조업 혁신)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 및 제조업

공정개선 등을 통해 산업 활력 제고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의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한 후속연구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적극 유도(302rarr 379억원)

ICTㆍ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ㅇ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16조원) 및 융합연구 활성화

②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혁신

ㅇ (수요 기반)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성과 기반) 관행적으로 지원되어 온 장기계속 RampD에 대한

사업기간 설정(일몰제)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좀비기업 방지를 위한 기업지원 RampD 자부담 조정(25rarr 35)

(예) 출연연 지역분원 설립시 지방비 부담 조정(40rarr 50) 등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6: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4 -

재정수지와 국가채무는 rsquo15년보다 악화

ㅇ (재정수지) rsquo15년 21(GDP 대비)에서 rsquo16년 23로 악화

ㅇ (국가채무) rsquo16년 401 수준으로 전망

- 그간 누적된 세수결손 rsquo15년 추경편성 부동산 거래 증가에

따른 주택채 발행 확대 등으로 국가채무 증가

부동산 거래 증가로 강제소화 방식의 주택채 발행물량 증가 추세

(rsquo15년 상반기 주택거래량은 611만건으로 rsquo06년 이후 최대치)

(조원 )

rsquo15예산(A)

rsquo16예산안(B)

증감(B-A)

재정수지 334 370 36

(GDP 대비) (21) (23) (02p)

국가채무 59511 6452 501

(GDP 대비) (385) (401) (16p)

1 rsquo14년 결산(주택채+지방채+지방교육채 62조원) rsquo15년 추경 주택채 물량확대 등 포함

중기적으로 재정건전성 회복 전망

ㅇ 강도 높은 재정개혁 재정지출 증가율 조정 등 건전화 노력 강화

ㅇ 구조개혁 성과 가시화로 경제 성장 rarr 세입기반 확충 rarr 재정

건전성 제고 의 선순환 구조 유도

[ 재정수지 단계적 회복 ] [ 국가채무 40대 유지 ]

- 5 -

3 분야별 재원배분 모습

사회분야는 인구구조 변화 대응 및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여 투자 확대

경제분야는 성과중심으로 효율화하고 핵심역량 위주 지원

(조원)

구 분rsquo15예산

(A)rsquo16예산안

(B)증감(B-A)

총지출 3754 3867 113 30

1 보건 복지 노동 1157 1229 72 62

일자리 140 158 18 128

2 교 육 529 532 03 05

지방교육재정교부금 394 413 19 47

3 문화체육관광 61 66 05 75

4 환 경 68 68 - 04

5 RampD 189 189 - 02

6 산업 중소기업 에너지 164 161 03 20

7 SOC 248 233 15 60

8 농림수산식품 193 193 - 01

9 국 방 375 390 15 40

10 외교통일 45 47 02 39

11 공공질서안전 169 175 05 30

안전투자 147 148 01 11

12 일반 지방행정 580 609 29 49

지방교부세 349 362 13 37

- 6 -

Ⅱ 투자의 중점

투자중점

핵심 추진 과제

청년

희망

1 일자리 기회 확대청년 취업역량 제고창업ᆞ취업 지원고용인프라 지원

2 고용안전망 확충사회보험 보장성 강화복지ᆞ창업 연계 고용서비스

경제

혁신

3 성장동력 창출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RampD 성과 제고

4 수출ᆞ중소기업 및

신산업 창출 지원

수출 활력 제고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제조업 혁신

5 지역경제 활성화교통ᆞ물류망ᆞ지역산업기반시설지역맞춤형 투자

문화

융성

6 문화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문화창조융합벨트융복합ᆞ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7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8 문화향유 기회 확충문화 체험ᆞ교육 확대창작ᆞ공연 여건 개선

민생

안정

9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장애인

아동ᆞ어르신 여성 국가유공자 농어민

10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학생 중장년 어르신

11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 역량 제고 생활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준비

- 7 -

1 일할 능력을 키우고 일할 기회를 늘리는 「청년희망 예산」

재정지원 방향

일자리 기회

확대

양질의 직업훈련을 통한 청년 취업역량 제고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대학 구조개편 선취업후진학 NCS 보급

준비된 CEO 육성 및 상생협력을 통한 일자리 확대

권역별 청년 창업기지 창업인턴세대간 상생고용 중견기업 인턴제 등

일자리 사업 통합ᆞ원스톱 지원

창조경제혁신센터(고용zone 신설) 창조일자리센터 청년내일패키지

고용안전망

확충

사회보험 보장성 강화 rarr 노동시장 구조개혁 뒷받침

실업급여 확대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복지ᆞ창업과 연계한 고용서비스 강화

고용복지+센터 확대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ㆍ운용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청년 일자리수 48만개 64만개

기업수요맞춤형유망직종직업훈련

59만명

124만명

유망청년CEO창업 910개社 1160개社

고용복지+센터 40개 70개

실업급여(지급률) 평균임금 50(지급기간) 90~240일

(지급률) 평균임금 60(지급기간) 120~270일

- 8 -

1 청년의 일자리 기회 확대

(1) 청년 취업역량 제고

① 훈련 기업주도 유망업종 중심으로 재편

ㅇ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유망업종의 대기업 등이 우수한 훈련

시설을 활용해 청년 1만명을 직접 교육하고 채용기회 제공(418억원)

(예) 바이오 태양광에너지 지능형로봇 사물인터넷 전자정보 등

참여기업은 청년에게 lsquo직무교육 rarr 현장 인턴경험 rarr 채용연계

(협력업체 취업알선 및 입사시 가점 등)rsquo까지 일자리 기회 통합 제공

정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고용복지+센터를 통해 훈련생과

참여기업을 발굴하고 참여기업의 시설장비비와 교육훈련비 지원

ㅇ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국가기간전략산업 분야의 훈련 지원을

대폭 확대(35rarr77만명)하여 양질의 기업수요 맞춤형 직업훈련 강화

lsquo16년부터 훈련기관 지원시 취업성과에 따라 훈련비를 차등

지급하는 인센티브 시스템 도입

ㅇ (일학습병행제) 기업 채용 후 현장업무와 교육훈련을 병행하여

우수한 실무인재를 양성하는 일학습병행제 확대(3300rarr6300개社)

대학교 재학중에 장기간에 걸쳐 산업체 현장훈련을 병행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프로그램 확대(10rarr20개)

대학 3~4학년 대상 4~10개월간 기업현장훈련

- 9 -

② 교육 일자리 수요-공급간 미스매치 해소

ㅇ (대학 구조개편) 진로역량 제고와 변화하는 산업수요에 부합

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구조 및 교육과정 혁신

산업수요를 토대로 대학 정원 및 학사구조를 개편하는 산업

연계교육 활성화 대학을 선정하고 집중 지원(신규 2362억원)

대학당 지원 평균 50~200억원 최대 300억원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도입하여 後진학자의 평생학습을 지원

야간 주말과정 학점 월별 등록금제 다학기제 집중이수제 허용 등

후진학자의 학업학비 부담 완화

ㅇ (선취업후진학) 산학일체형 도제학교(9rarr40개校)를 확대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교육과정(Uni-Tech 16개 사업단) 도입

고등학교 2sim3학년(고교전문대는 전문대 2년 포함) 기간에 일학습병행제 학습

근로자로 채용되어 학교 수업과 기업 업무 병행 졸업후 해당기업 정규직 채용

공동훈련센터로 지정된 거점형 도제학교(10개校)에 시설장비를

지원(최대 20억원)하고 일반 도제학교(30개校)와 함께 이를 활용

고교-전문대-기업 공동으로 직무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해당 기업 취업과 연계(160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 확산) 개발이 완료된 800여개 국가직무

능력표준(NCS)의 기업 보급 및 활용 확대

공공기관의 NCS 기반 인사시스템 구축을 확대하고(20rarr100개)

민간 확산 유도를 위해 국가기술자격검정시험의 NCS 적용 확대

NCS기반 기술자격평가(100개 신규) 과정평가형 자격제도(15rarr30개 직종)

- 10 -

(2) 창업ᆞ취업 지원 강화

① 창업 원스톱ᆞ밀착 지원으로 준비된 청년CEO 육성

ㅇ (권역별 청년창업기지) 창업선도대학 창업사관학교 등에서

지역의 청년창업자를 발굴하여 사업화까지 원스톱 지원

lsquo창업선도대학rsquo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고려하여 확대(28rarr34개)

권역별 대학이 차별화된 창업지원 모델을 개발운영

lsquo청년창업사관학교rsquo는 우수기술자 선발 비중을 확대(30rarr40)하고

사업 기획부터 창업공간 사업화 판로확보 등을 패키지로 지원

ㅇ (창업기업 인턴) 유망 벤처기업 등에서 현장근무 경험을 통해

준비된 청년 창업가 양성(50rarr100명)

② 취업 기업과 상생협력으로 민간의 청년일자리 확대

ㅇ (중견기업 인턴제) 청년층이 선호하는 중견기업의 청년인턴

채용 및 정규직 전환유지시 장려금 지급(3만명)

(기업) 인턴기간 3개월간 월50만원 정규직 전환후 1년간 유지시

연390만원 지원(6개월마다 195만원 지급)하여 인건비 부담 완화

(청년) 정규직전환 후 장기근속시 취업지원금(제조업 생산직

300만원 그 외 180만원) 지원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 임금피크제 등 임금체계를 개편하면서

청년을 신규 채용하는 기업에 年 1080만원을 지원(청년 1만명)

대기업공공기관은 연 540만원 지원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른 근로자의 임금감소분 지원 확대

(320 rarr 521억원)

- 11 -

(3) 고용 인프라 지원

① 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화

ㅇ (혁신센터 기능 강화) 지역별 lsquo창조경제혁신센터rsquo를 청년구직자와

기업을 연결하는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로 운영

혁신센터 內 고용존(Zone)을 신설하고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청년일자리 사업을 연계 집행 rarr 효과성 제고

ㅇ (대학과 연계) 대학청년고용+센터는 창조일자리센터로 전환ㆍ

확대(40개)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분소 기능 수행

대학내 취업지원 조직ㆍ기능 통합 + 전문상담인력 확충(대학별 7~8명) rarr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원스톱 제공(대학별 평균 年 5억원)

lsquo상담-훈련-취업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lsquo청년내일패키지(10rarr13만명)rsquo 등

청년 일자리 지원의 전진기지化

청년구직자 rArr

창조경제혁신센터(전국 17개) 고용존(Zone)rarr청년일자리사업 연계 집행

lArr 대기업지역중소기업

청년인턴제 일학습병행제 고용디딤돌

선취업후진학 청년내일패키지등

대학내 창조일자리센터(전국 40개) 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② K-Move 센터 등 청년의 해외취업 등 지원

ㅇ (현지 지원) 기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해외현지 일자리 발굴과

현지정착을 돕는 해외소재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lsquo15년 현재) 도쿄 프랑크푸르트 두바이 베이징 싱가포르 실리콘밸리등 10개

(rsquo16년 추가 5개) 뉴욕 오사카 홍콩 도하(카타르) 상파울루(브라질)

ㅇ (국내 지원) 혁신센터 창조일자리센터와 연계한 서비스 제공

- 12 -

2 고용안전망 확충

① 사회보험 실업급여 확대 및 사각지대 해소 강화

ㅇ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 실업급여 인상(실직전 임금의 50rarr60)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41 rarr 51조원)

근로유인 제고 및 소요재원 마련을 위해 급여 상한액 조정과

보험료율 조정도 병행

(현행) 상한액 4만3천원 rarr (개편) 5만원

ㅇ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저소득 근로자의 고용보험 및 국민

연금 가입 유도를 위해 신규가입자 보험료 지원율 인상(50rarr60)

기존 가입자는 사중손실 방지를 위해 지원율 인하(50rarr40)

② 고용서비스 복지창업 등과 연계한 One-stop 지원

ㅇ 실직자들이 일자리와 복지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고용복지+센터 확대(40rarr70개)

lsquo취업상담 rarr 맞춤형 교육훈련 rarr 재취업 알선rsquo까지 One-stop 서비스 제공

고용복지+센터 확충 규모를 당초 계획 대비 확대(lsquo16년 20rarr30개)

하여 lsquo17년 100개소 조성 완료 계획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ㆍ운용을 통해 취업 지원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고용복지+센터의 구직직업훈련 수요를 맞춤형으로 지원

- 13 -

2 경제 재도약을 적극 뒷받침하는 「경제혁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성장동력

창출

맞춤형 통합 지원으로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창업중소기업 全단계 원스톱 지원 제2 판교밸리 조성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기업지원자금 전용 프로그램 TIPS

선택ᆞ집중 수요에 기반한 RampD 성과 제고

기초연구 미래먹거리(IoT 무인이동체 등) 제조업 혁신RampD 바우처 한국형 프라운호퍼 연구소 일몰제 도입

수출ᆞ중소

기업의 성장

신산업 지원

시장ᆞ품목 다각화로 수출 활력 제고

할랄식품시장 개척 FTA 계기 해외진출 수출마케팅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산업단지 혁신 환경개선펀드 산학융합 지구 조성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전통시장 활력 제고

제조공정 혁신 에너지 신산업 창출

스마트공장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교통ᆞ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확충

지역주도 발전프로젝트 추진

지역특화프로젝트 지역행복생활권 포괄보조금 확대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RampD 사업화 실적 17만건 18만건

RampD바우처 지원 - 2700여개 기업(신규공급)

FTA체결국 교역 비중 41 62

국가산단 가동률 809 811

전체교역량중 FTA 체결국가와의교역량이차지하는비중 (한 중 FTA 발효시)

- 14 -

1 성장동력 창출

(1)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① 벤처ᆞ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ᆞ연계

ㅇ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재편하여 지역혁신거점으로 육성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rarr 멘토링과 투자 연계 rarr 사업화

rarr 실패기업 재도전」까지 창업 全주기 지원

6개월 챌린지 플랫폼 98rarr 113억원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등

중소기업 애로 해소 중소기업 지원사업간 연계ㆍ맞춤형

지원으로 지역내 신산업 창출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ICT융합스마트공장보급확산 40rarr 112억원 등

ㅇ (글로벌 혁신생태계 구축) 제2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첨단기업이

집적화된 세계적인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lsquo15년內 착공)

「창조성장혁신」이 공존하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지원 허브에

대한 토지매입비(164억원) 및 창조공간 기획비 지원(30억원)

창업 오디션을 통한 글로벌 스타트업 발굴 인큐베이팅 등

성장지원 및 문화콘텐츠 육성 등을 통한 글로벌 창업 거점화

Pan-Asia 그랜드 챌린지 프로그램 50억원(신규) 첨단 융복합 게임 개발

및 제작지원 39억원(신규) 등

- 15 -

② lsquo죽음의 계곡rsquo(창업 2~5년차) 극복과 조기성장 지원

ㅇ (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 2~5년차 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및 자금지원 확대

창업 후 상용화 판로확보 등 어려움으로 기업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시기

창업기업지원자금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전용

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여 수익모델 창출 지원

ㅇ (성장 지원) 민간 주도의 엑셀러레이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여 창업기업의 조기성장을 지원

성공한 벤처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 지원(365rarr425억원)으로 창업의 질적 향상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 창업rsquo 확대(53rarr120억원)

③ 생계형 창업에서 유망창업 기술창업 지원으로 전환

ㅇ (창업 정보)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25rarr35억원)

과밀지수제공범위확대(서울2개업종rarr전국30개 업종) 창업가상체험개발

ㅇ (유망창업) 소상공인사관학교 및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지원 확대로 시장 창출형 유망창업 유도(358rarr495억원)

ㅇ (기술창업) 시니어 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기술창업스쿨(10rarr

16개소) 확대로 은퇴 후 생계형보다는 기술형 창업으로 유도

- 16 -

(2) RampD 성과 제고

① 선택과 집중으로 투자 성과 가시화

ㅇ (미래먹거리 창출) 미래 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IoT 무인이동체(드론 신규 60억원) 5G 이동통신(410rarr 699억원)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 중점 투자

ㅇ (기술사업화middot제조업 혁신)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 및 제조업

공정개선 등을 통해 산업 활력 제고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의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한 후속연구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적극 유도(302rarr 379억원)

ICTㆍ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ㅇ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16조원) 및 융합연구 활성화

②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혁신

ㅇ (수요 기반)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성과 기반) 관행적으로 지원되어 온 장기계속 RampD에 대한

사업기간 설정(일몰제)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좀비기업 방지를 위한 기업지원 RampD 자부담 조정(25rarr 35)

(예) 출연연 지역분원 설립시 지방비 부담 조정(40rarr 50) 등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7: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5 -

3 분야별 재원배분 모습

사회분야는 인구구조 변화 대응 및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여 투자 확대

경제분야는 성과중심으로 효율화하고 핵심역량 위주 지원

(조원)

구 분rsquo15예산

(A)rsquo16예산안

(B)증감(B-A)

총지출 3754 3867 113 30

1 보건 복지 노동 1157 1229 72 62

일자리 140 158 18 128

2 교 육 529 532 03 05

지방교육재정교부금 394 413 19 47

3 문화체육관광 61 66 05 75

4 환 경 68 68 - 04

5 RampD 189 189 - 02

6 산업 중소기업 에너지 164 161 03 20

7 SOC 248 233 15 60

8 농림수산식품 193 193 - 01

9 국 방 375 390 15 40

10 외교통일 45 47 02 39

11 공공질서안전 169 175 05 30

안전투자 147 148 01 11

12 일반 지방행정 580 609 29 49

지방교부세 349 362 13 37

- 6 -

Ⅱ 투자의 중점

투자중점

핵심 추진 과제

청년

희망

1 일자리 기회 확대청년 취업역량 제고창업ᆞ취업 지원고용인프라 지원

2 고용안전망 확충사회보험 보장성 강화복지ᆞ창업 연계 고용서비스

경제

혁신

3 성장동력 창출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RampD 성과 제고

4 수출ᆞ중소기업 및

신산업 창출 지원

수출 활력 제고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제조업 혁신

5 지역경제 활성화교통ᆞ물류망ᆞ지역산업기반시설지역맞춤형 투자

문화

융성

6 문화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문화창조융합벨트융복합ᆞ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7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8 문화향유 기회 확충문화 체험ᆞ교육 확대창작ᆞ공연 여건 개선

민생

안정

9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장애인

아동ᆞ어르신 여성 국가유공자 농어민

10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학생 중장년 어르신

11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 역량 제고 생활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준비

- 7 -

1 일할 능력을 키우고 일할 기회를 늘리는 「청년희망 예산」

재정지원 방향

일자리 기회

확대

양질의 직업훈련을 통한 청년 취업역량 제고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대학 구조개편 선취업후진학 NCS 보급

준비된 CEO 육성 및 상생협력을 통한 일자리 확대

권역별 청년 창업기지 창업인턴세대간 상생고용 중견기업 인턴제 등

일자리 사업 통합ᆞ원스톱 지원

창조경제혁신센터(고용zone 신설) 창조일자리센터 청년내일패키지

고용안전망

확충

사회보험 보장성 강화 rarr 노동시장 구조개혁 뒷받침

실업급여 확대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복지ᆞ창업과 연계한 고용서비스 강화

고용복지+센터 확대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ㆍ운용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청년 일자리수 48만개 64만개

기업수요맞춤형유망직종직업훈련

59만명

124만명

유망청년CEO창업 910개社 1160개社

고용복지+센터 40개 70개

실업급여(지급률) 평균임금 50(지급기간) 90~240일

(지급률) 평균임금 60(지급기간) 120~270일

- 8 -

1 청년의 일자리 기회 확대

(1) 청년 취업역량 제고

① 훈련 기업주도 유망업종 중심으로 재편

ㅇ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유망업종의 대기업 등이 우수한 훈련

시설을 활용해 청년 1만명을 직접 교육하고 채용기회 제공(418억원)

(예) 바이오 태양광에너지 지능형로봇 사물인터넷 전자정보 등

참여기업은 청년에게 lsquo직무교육 rarr 현장 인턴경험 rarr 채용연계

(협력업체 취업알선 및 입사시 가점 등)rsquo까지 일자리 기회 통합 제공

정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고용복지+센터를 통해 훈련생과

참여기업을 발굴하고 참여기업의 시설장비비와 교육훈련비 지원

ㅇ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국가기간전략산업 분야의 훈련 지원을

대폭 확대(35rarr77만명)하여 양질의 기업수요 맞춤형 직업훈련 강화

lsquo16년부터 훈련기관 지원시 취업성과에 따라 훈련비를 차등

지급하는 인센티브 시스템 도입

ㅇ (일학습병행제) 기업 채용 후 현장업무와 교육훈련을 병행하여

우수한 실무인재를 양성하는 일학습병행제 확대(3300rarr6300개社)

대학교 재학중에 장기간에 걸쳐 산업체 현장훈련을 병행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프로그램 확대(10rarr20개)

대학 3~4학년 대상 4~10개월간 기업현장훈련

- 9 -

② 교육 일자리 수요-공급간 미스매치 해소

ㅇ (대학 구조개편) 진로역량 제고와 변화하는 산업수요에 부합

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구조 및 교육과정 혁신

산업수요를 토대로 대학 정원 및 학사구조를 개편하는 산업

연계교육 활성화 대학을 선정하고 집중 지원(신규 2362억원)

대학당 지원 평균 50~200억원 최대 300억원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도입하여 後진학자의 평생학습을 지원

야간 주말과정 학점 월별 등록금제 다학기제 집중이수제 허용 등

후진학자의 학업학비 부담 완화

ㅇ (선취업후진학) 산학일체형 도제학교(9rarr40개校)를 확대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교육과정(Uni-Tech 16개 사업단) 도입

고등학교 2sim3학년(고교전문대는 전문대 2년 포함) 기간에 일학습병행제 학습

근로자로 채용되어 학교 수업과 기업 업무 병행 졸업후 해당기업 정규직 채용

공동훈련센터로 지정된 거점형 도제학교(10개校)에 시설장비를

지원(최대 20억원)하고 일반 도제학교(30개校)와 함께 이를 활용

고교-전문대-기업 공동으로 직무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해당 기업 취업과 연계(160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 확산) 개발이 완료된 800여개 국가직무

능력표준(NCS)의 기업 보급 및 활용 확대

공공기관의 NCS 기반 인사시스템 구축을 확대하고(20rarr100개)

민간 확산 유도를 위해 국가기술자격검정시험의 NCS 적용 확대

NCS기반 기술자격평가(100개 신규) 과정평가형 자격제도(15rarr30개 직종)

- 10 -

(2) 창업ᆞ취업 지원 강화

① 창업 원스톱ᆞ밀착 지원으로 준비된 청년CEO 육성

ㅇ (권역별 청년창업기지) 창업선도대학 창업사관학교 등에서

지역의 청년창업자를 발굴하여 사업화까지 원스톱 지원

lsquo창업선도대학rsquo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고려하여 확대(28rarr34개)

권역별 대학이 차별화된 창업지원 모델을 개발운영

lsquo청년창업사관학교rsquo는 우수기술자 선발 비중을 확대(30rarr40)하고

사업 기획부터 창업공간 사업화 판로확보 등을 패키지로 지원

ㅇ (창업기업 인턴) 유망 벤처기업 등에서 현장근무 경험을 통해

준비된 청년 창업가 양성(50rarr100명)

② 취업 기업과 상생협력으로 민간의 청년일자리 확대

ㅇ (중견기업 인턴제) 청년층이 선호하는 중견기업의 청년인턴

채용 및 정규직 전환유지시 장려금 지급(3만명)

(기업) 인턴기간 3개월간 월50만원 정규직 전환후 1년간 유지시

연390만원 지원(6개월마다 195만원 지급)하여 인건비 부담 완화

(청년) 정규직전환 후 장기근속시 취업지원금(제조업 생산직

300만원 그 외 180만원) 지원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 임금피크제 등 임금체계를 개편하면서

청년을 신규 채용하는 기업에 年 1080만원을 지원(청년 1만명)

대기업공공기관은 연 540만원 지원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른 근로자의 임금감소분 지원 확대

(320 rarr 521억원)

- 11 -

(3) 고용 인프라 지원

① 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화

ㅇ (혁신센터 기능 강화) 지역별 lsquo창조경제혁신센터rsquo를 청년구직자와

기업을 연결하는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로 운영

혁신센터 內 고용존(Zone)을 신설하고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청년일자리 사업을 연계 집행 rarr 효과성 제고

ㅇ (대학과 연계) 대학청년고용+센터는 창조일자리센터로 전환ㆍ

확대(40개)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분소 기능 수행

대학내 취업지원 조직ㆍ기능 통합 + 전문상담인력 확충(대학별 7~8명) rarr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원스톱 제공(대학별 평균 年 5억원)

lsquo상담-훈련-취업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lsquo청년내일패키지(10rarr13만명)rsquo 등

청년 일자리 지원의 전진기지化

청년구직자 rArr

창조경제혁신센터(전국 17개) 고용존(Zone)rarr청년일자리사업 연계 집행

lArr 대기업지역중소기업

청년인턴제 일학습병행제 고용디딤돌

선취업후진학 청년내일패키지등

대학내 창조일자리센터(전국 40개) 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② K-Move 센터 등 청년의 해외취업 등 지원

ㅇ (현지 지원) 기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해외현지 일자리 발굴과

현지정착을 돕는 해외소재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lsquo15년 현재) 도쿄 프랑크푸르트 두바이 베이징 싱가포르 실리콘밸리등 10개

(rsquo16년 추가 5개) 뉴욕 오사카 홍콩 도하(카타르) 상파울루(브라질)

ㅇ (국내 지원) 혁신센터 창조일자리센터와 연계한 서비스 제공

- 12 -

2 고용안전망 확충

① 사회보험 실업급여 확대 및 사각지대 해소 강화

ㅇ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 실업급여 인상(실직전 임금의 50rarr60)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41 rarr 51조원)

근로유인 제고 및 소요재원 마련을 위해 급여 상한액 조정과

보험료율 조정도 병행

(현행) 상한액 4만3천원 rarr (개편) 5만원

ㅇ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저소득 근로자의 고용보험 및 국민

연금 가입 유도를 위해 신규가입자 보험료 지원율 인상(50rarr60)

기존 가입자는 사중손실 방지를 위해 지원율 인하(50rarr40)

② 고용서비스 복지창업 등과 연계한 One-stop 지원

ㅇ 실직자들이 일자리와 복지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고용복지+센터 확대(40rarr70개)

lsquo취업상담 rarr 맞춤형 교육훈련 rarr 재취업 알선rsquo까지 One-stop 서비스 제공

고용복지+센터 확충 규모를 당초 계획 대비 확대(lsquo16년 20rarr30개)

하여 lsquo17년 100개소 조성 완료 계획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ㆍ운용을 통해 취업 지원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고용복지+센터의 구직직업훈련 수요를 맞춤형으로 지원

- 13 -

2 경제 재도약을 적극 뒷받침하는 「경제혁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성장동력

창출

맞춤형 통합 지원으로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창업중소기업 全단계 원스톱 지원 제2 판교밸리 조성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기업지원자금 전용 프로그램 TIPS

선택ᆞ집중 수요에 기반한 RampD 성과 제고

기초연구 미래먹거리(IoT 무인이동체 등) 제조업 혁신RampD 바우처 한국형 프라운호퍼 연구소 일몰제 도입

수출ᆞ중소

기업의 성장

신산업 지원

시장ᆞ품목 다각화로 수출 활력 제고

할랄식품시장 개척 FTA 계기 해외진출 수출마케팅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산업단지 혁신 환경개선펀드 산학융합 지구 조성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전통시장 활력 제고

제조공정 혁신 에너지 신산업 창출

스마트공장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교통ᆞ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확충

지역주도 발전프로젝트 추진

지역특화프로젝트 지역행복생활권 포괄보조금 확대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RampD 사업화 실적 17만건 18만건

RampD바우처 지원 - 2700여개 기업(신규공급)

FTA체결국 교역 비중 41 62

국가산단 가동률 809 811

전체교역량중 FTA 체결국가와의교역량이차지하는비중 (한 중 FTA 발효시)

- 14 -

1 성장동력 창출

(1)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① 벤처ᆞ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ᆞ연계

ㅇ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재편하여 지역혁신거점으로 육성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rarr 멘토링과 투자 연계 rarr 사업화

rarr 실패기업 재도전」까지 창업 全주기 지원

6개월 챌린지 플랫폼 98rarr 113억원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등

중소기업 애로 해소 중소기업 지원사업간 연계ㆍ맞춤형

지원으로 지역내 신산업 창출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ICT융합스마트공장보급확산 40rarr 112억원 등

ㅇ (글로벌 혁신생태계 구축) 제2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첨단기업이

집적화된 세계적인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lsquo15년內 착공)

「창조성장혁신」이 공존하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지원 허브에

대한 토지매입비(164억원) 및 창조공간 기획비 지원(30억원)

창업 오디션을 통한 글로벌 스타트업 발굴 인큐베이팅 등

성장지원 및 문화콘텐츠 육성 등을 통한 글로벌 창업 거점화

Pan-Asia 그랜드 챌린지 프로그램 50억원(신규) 첨단 융복합 게임 개발

및 제작지원 39억원(신규) 등

- 15 -

② lsquo죽음의 계곡rsquo(창업 2~5년차) 극복과 조기성장 지원

ㅇ (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 2~5년차 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및 자금지원 확대

창업 후 상용화 판로확보 등 어려움으로 기업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시기

창업기업지원자금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전용

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여 수익모델 창출 지원

ㅇ (성장 지원) 민간 주도의 엑셀러레이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여 창업기업의 조기성장을 지원

성공한 벤처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 지원(365rarr425억원)으로 창업의 질적 향상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 창업rsquo 확대(53rarr120억원)

③ 생계형 창업에서 유망창업 기술창업 지원으로 전환

ㅇ (창업 정보)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25rarr35억원)

과밀지수제공범위확대(서울2개업종rarr전국30개 업종) 창업가상체험개발

ㅇ (유망창업) 소상공인사관학교 및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지원 확대로 시장 창출형 유망창업 유도(358rarr495억원)

ㅇ (기술창업) 시니어 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기술창업스쿨(10rarr

16개소) 확대로 은퇴 후 생계형보다는 기술형 창업으로 유도

- 16 -

(2) RampD 성과 제고

① 선택과 집중으로 투자 성과 가시화

ㅇ (미래먹거리 창출) 미래 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IoT 무인이동체(드론 신규 60억원) 5G 이동통신(410rarr 699억원)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 중점 투자

ㅇ (기술사업화middot제조업 혁신)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 및 제조업

공정개선 등을 통해 산업 활력 제고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의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한 후속연구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적극 유도(302rarr 379억원)

ICTㆍ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ㅇ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16조원) 및 융합연구 활성화

②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혁신

ㅇ (수요 기반)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성과 기반) 관행적으로 지원되어 온 장기계속 RampD에 대한

사업기간 설정(일몰제)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좀비기업 방지를 위한 기업지원 RampD 자부담 조정(25rarr 35)

(예) 출연연 지역분원 설립시 지방비 부담 조정(40rarr 50) 등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8: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6 -

Ⅱ 투자의 중점

투자중점

핵심 추진 과제

청년

희망

1 일자리 기회 확대청년 취업역량 제고창업ᆞ취업 지원고용인프라 지원

2 고용안전망 확충사회보험 보장성 강화복지ᆞ창업 연계 고용서비스

경제

혁신

3 성장동력 창출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RampD 성과 제고

4 수출ᆞ중소기업 및

신산업 창출 지원

수출 활력 제고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제조업 혁신

5 지역경제 활성화교통ᆞ물류망ᆞ지역산업기반시설지역맞춤형 투자

문화

융성

6 문화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문화창조융합벨트융복합ᆞ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7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8 문화향유 기회 확충문화 체험ᆞ교육 확대창작ᆞ공연 여건 개선

민생

안정

9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장애인

아동ᆞ어르신 여성 국가유공자 농어민

10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학생 중장년 어르신

11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 역량 제고 생활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준비

- 7 -

1 일할 능력을 키우고 일할 기회를 늘리는 「청년희망 예산」

재정지원 방향

일자리 기회

확대

양질의 직업훈련을 통한 청년 취업역량 제고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대학 구조개편 선취업후진학 NCS 보급

준비된 CEO 육성 및 상생협력을 통한 일자리 확대

권역별 청년 창업기지 창업인턴세대간 상생고용 중견기업 인턴제 등

일자리 사업 통합ᆞ원스톱 지원

창조경제혁신센터(고용zone 신설) 창조일자리센터 청년내일패키지

고용안전망

확충

사회보험 보장성 강화 rarr 노동시장 구조개혁 뒷받침

실업급여 확대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복지ᆞ창업과 연계한 고용서비스 강화

고용복지+센터 확대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ㆍ운용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청년 일자리수 48만개 64만개

기업수요맞춤형유망직종직업훈련

59만명

124만명

유망청년CEO창업 910개社 1160개社

고용복지+센터 40개 70개

실업급여(지급률) 평균임금 50(지급기간) 90~240일

(지급률) 평균임금 60(지급기간) 120~270일

- 8 -

1 청년의 일자리 기회 확대

(1) 청년 취업역량 제고

① 훈련 기업주도 유망업종 중심으로 재편

ㅇ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유망업종의 대기업 등이 우수한 훈련

시설을 활용해 청년 1만명을 직접 교육하고 채용기회 제공(418억원)

(예) 바이오 태양광에너지 지능형로봇 사물인터넷 전자정보 등

참여기업은 청년에게 lsquo직무교육 rarr 현장 인턴경험 rarr 채용연계

(협력업체 취업알선 및 입사시 가점 등)rsquo까지 일자리 기회 통합 제공

정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고용복지+센터를 통해 훈련생과

참여기업을 발굴하고 참여기업의 시설장비비와 교육훈련비 지원

ㅇ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국가기간전략산업 분야의 훈련 지원을

대폭 확대(35rarr77만명)하여 양질의 기업수요 맞춤형 직업훈련 강화

lsquo16년부터 훈련기관 지원시 취업성과에 따라 훈련비를 차등

지급하는 인센티브 시스템 도입

ㅇ (일학습병행제) 기업 채용 후 현장업무와 교육훈련을 병행하여

우수한 실무인재를 양성하는 일학습병행제 확대(3300rarr6300개社)

대학교 재학중에 장기간에 걸쳐 산업체 현장훈련을 병행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프로그램 확대(10rarr20개)

대학 3~4학년 대상 4~10개월간 기업현장훈련

- 9 -

② 교육 일자리 수요-공급간 미스매치 해소

ㅇ (대학 구조개편) 진로역량 제고와 변화하는 산업수요에 부합

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구조 및 교육과정 혁신

산업수요를 토대로 대학 정원 및 학사구조를 개편하는 산업

연계교육 활성화 대학을 선정하고 집중 지원(신규 2362억원)

대학당 지원 평균 50~200억원 최대 300억원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도입하여 後진학자의 평생학습을 지원

야간 주말과정 학점 월별 등록금제 다학기제 집중이수제 허용 등

후진학자의 학업학비 부담 완화

ㅇ (선취업후진학) 산학일체형 도제학교(9rarr40개校)를 확대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교육과정(Uni-Tech 16개 사업단) 도입

고등학교 2sim3학년(고교전문대는 전문대 2년 포함) 기간에 일학습병행제 학습

근로자로 채용되어 학교 수업과 기업 업무 병행 졸업후 해당기업 정규직 채용

공동훈련센터로 지정된 거점형 도제학교(10개校)에 시설장비를

지원(최대 20억원)하고 일반 도제학교(30개校)와 함께 이를 활용

고교-전문대-기업 공동으로 직무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해당 기업 취업과 연계(160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 확산) 개발이 완료된 800여개 국가직무

능력표준(NCS)의 기업 보급 및 활용 확대

공공기관의 NCS 기반 인사시스템 구축을 확대하고(20rarr100개)

민간 확산 유도를 위해 국가기술자격검정시험의 NCS 적용 확대

NCS기반 기술자격평가(100개 신규) 과정평가형 자격제도(15rarr30개 직종)

- 10 -

(2) 창업ᆞ취업 지원 강화

① 창업 원스톱ᆞ밀착 지원으로 준비된 청년CEO 육성

ㅇ (권역별 청년창업기지) 창업선도대학 창업사관학교 등에서

지역의 청년창업자를 발굴하여 사업화까지 원스톱 지원

lsquo창업선도대학rsquo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고려하여 확대(28rarr34개)

권역별 대학이 차별화된 창업지원 모델을 개발운영

lsquo청년창업사관학교rsquo는 우수기술자 선발 비중을 확대(30rarr40)하고

사업 기획부터 창업공간 사업화 판로확보 등을 패키지로 지원

ㅇ (창업기업 인턴) 유망 벤처기업 등에서 현장근무 경험을 통해

준비된 청년 창업가 양성(50rarr100명)

② 취업 기업과 상생협력으로 민간의 청년일자리 확대

ㅇ (중견기업 인턴제) 청년층이 선호하는 중견기업의 청년인턴

채용 및 정규직 전환유지시 장려금 지급(3만명)

(기업) 인턴기간 3개월간 월50만원 정규직 전환후 1년간 유지시

연390만원 지원(6개월마다 195만원 지급)하여 인건비 부담 완화

(청년) 정규직전환 후 장기근속시 취업지원금(제조업 생산직

300만원 그 외 180만원) 지원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 임금피크제 등 임금체계를 개편하면서

청년을 신규 채용하는 기업에 年 1080만원을 지원(청년 1만명)

대기업공공기관은 연 540만원 지원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른 근로자의 임금감소분 지원 확대

(320 rarr 521억원)

- 11 -

(3) 고용 인프라 지원

① 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화

ㅇ (혁신센터 기능 강화) 지역별 lsquo창조경제혁신센터rsquo를 청년구직자와

기업을 연결하는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로 운영

혁신센터 內 고용존(Zone)을 신설하고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청년일자리 사업을 연계 집행 rarr 효과성 제고

ㅇ (대학과 연계) 대학청년고용+센터는 창조일자리센터로 전환ㆍ

확대(40개)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분소 기능 수행

대학내 취업지원 조직ㆍ기능 통합 + 전문상담인력 확충(대학별 7~8명) rarr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원스톱 제공(대학별 평균 年 5억원)

lsquo상담-훈련-취업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lsquo청년내일패키지(10rarr13만명)rsquo 등

청년 일자리 지원의 전진기지化

청년구직자 rArr

창조경제혁신센터(전국 17개) 고용존(Zone)rarr청년일자리사업 연계 집행

lArr 대기업지역중소기업

청년인턴제 일학습병행제 고용디딤돌

선취업후진학 청년내일패키지등

대학내 창조일자리센터(전국 40개) 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② K-Move 센터 등 청년의 해외취업 등 지원

ㅇ (현지 지원) 기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해외현지 일자리 발굴과

현지정착을 돕는 해외소재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lsquo15년 현재) 도쿄 프랑크푸르트 두바이 베이징 싱가포르 실리콘밸리등 10개

(rsquo16년 추가 5개) 뉴욕 오사카 홍콩 도하(카타르) 상파울루(브라질)

ㅇ (국내 지원) 혁신센터 창조일자리센터와 연계한 서비스 제공

- 12 -

2 고용안전망 확충

① 사회보험 실업급여 확대 및 사각지대 해소 강화

ㅇ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 실업급여 인상(실직전 임금의 50rarr60)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41 rarr 51조원)

근로유인 제고 및 소요재원 마련을 위해 급여 상한액 조정과

보험료율 조정도 병행

(현행) 상한액 4만3천원 rarr (개편) 5만원

ㅇ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저소득 근로자의 고용보험 및 국민

연금 가입 유도를 위해 신규가입자 보험료 지원율 인상(50rarr60)

기존 가입자는 사중손실 방지를 위해 지원율 인하(50rarr40)

② 고용서비스 복지창업 등과 연계한 One-stop 지원

ㅇ 실직자들이 일자리와 복지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고용복지+센터 확대(40rarr70개)

lsquo취업상담 rarr 맞춤형 교육훈련 rarr 재취업 알선rsquo까지 One-stop 서비스 제공

고용복지+센터 확충 규모를 당초 계획 대비 확대(lsquo16년 20rarr30개)

하여 lsquo17년 100개소 조성 완료 계획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ㆍ운용을 통해 취업 지원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고용복지+센터의 구직직업훈련 수요를 맞춤형으로 지원

- 13 -

2 경제 재도약을 적극 뒷받침하는 「경제혁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성장동력

창출

맞춤형 통합 지원으로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창업중소기업 全단계 원스톱 지원 제2 판교밸리 조성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기업지원자금 전용 프로그램 TIPS

선택ᆞ집중 수요에 기반한 RampD 성과 제고

기초연구 미래먹거리(IoT 무인이동체 등) 제조업 혁신RampD 바우처 한국형 프라운호퍼 연구소 일몰제 도입

수출ᆞ중소

기업의 성장

신산업 지원

시장ᆞ품목 다각화로 수출 활력 제고

할랄식품시장 개척 FTA 계기 해외진출 수출마케팅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산업단지 혁신 환경개선펀드 산학융합 지구 조성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전통시장 활력 제고

제조공정 혁신 에너지 신산업 창출

스마트공장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교통ᆞ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확충

지역주도 발전프로젝트 추진

지역특화프로젝트 지역행복생활권 포괄보조금 확대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RampD 사업화 실적 17만건 18만건

RampD바우처 지원 - 2700여개 기업(신규공급)

FTA체결국 교역 비중 41 62

국가산단 가동률 809 811

전체교역량중 FTA 체결국가와의교역량이차지하는비중 (한 중 FTA 발효시)

- 14 -

1 성장동력 창출

(1)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① 벤처ᆞ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ᆞ연계

ㅇ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재편하여 지역혁신거점으로 육성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rarr 멘토링과 투자 연계 rarr 사업화

rarr 실패기업 재도전」까지 창업 全주기 지원

6개월 챌린지 플랫폼 98rarr 113억원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등

중소기업 애로 해소 중소기업 지원사업간 연계ㆍ맞춤형

지원으로 지역내 신산업 창출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ICT융합스마트공장보급확산 40rarr 112억원 등

ㅇ (글로벌 혁신생태계 구축) 제2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첨단기업이

집적화된 세계적인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lsquo15년內 착공)

「창조성장혁신」이 공존하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지원 허브에

대한 토지매입비(164억원) 및 창조공간 기획비 지원(30억원)

창업 오디션을 통한 글로벌 스타트업 발굴 인큐베이팅 등

성장지원 및 문화콘텐츠 육성 등을 통한 글로벌 창업 거점화

Pan-Asia 그랜드 챌린지 프로그램 50억원(신규) 첨단 융복합 게임 개발

및 제작지원 39억원(신규) 등

- 15 -

② lsquo죽음의 계곡rsquo(창업 2~5년차) 극복과 조기성장 지원

ㅇ (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 2~5년차 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및 자금지원 확대

창업 후 상용화 판로확보 등 어려움으로 기업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시기

창업기업지원자금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전용

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여 수익모델 창출 지원

ㅇ (성장 지원) 민간 주도의 엑셀러레이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여 창업기업의 조기성장을 지원

성공한 벤처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 지원(365rarr425억원)으로 창업의 질적 향상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 창업rsquo 확대(53rarr120억원)

③ 생계형 창업에서 유망창업 기술창업 지원으로 전환

ㅇ (창업 정보)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25rarr35억원)

과밀지수제공범위확대(서울2개업종rarr전국30개 업종) 창업가상체험개발

ㅇ (유망창업) 소상공인사관학교 및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지원 확대로 시장 창출형 유망창업 유도(358rarr495억원)

ㅇ (기술창업) 시니어 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기술창업스쿨(10rarr

16개소) 확대로 은퇴 후 생계형보다는 기술형 창업으로 유도

- 16 -

(2) RampD 성과 제고

① 선택과 집중으로 투자 성과 가시화

ㅇ (미래먹거리 창출) 미래 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IoT 무인이동체(드론 신규 60억원) 5G 이동통신(410rarr 699억원)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 중점 투자

ㅇ (기술사업화middot제조업 혁신)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 및 제조업

공정개선 등을 통해 산업 활력 제고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의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한 후속연구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적극 유도(302rarr 379억원)

ICTㆍ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ㅇ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16조원) 및 융합연구 활성화

②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혁신

ㅇ (수요 기반)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성과 기반) 관행적으로 지원되어 온 장기계속 RampD에 대한

사업기간 설정(일몰제)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좀비기업 방지를 위한 기업지원 RampD 자부담 조정(25rarr 35)

(예) 출연연 지역분원 설립시 지방비 부담 조정(40rarr 50) 등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9: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7 -

1 일할 능력을 키우고 일할 기회를 늘리는 「청년희망 예산」

재정지원 방향

일자리 기회

확대

양질의 직업훈련을 통한 청년 취업역량 제고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대학 구조개편 선취업후진학 NCS 보급

준비된 CEO 육성 및 상생협력을 통한 일자리 확대

권역별 청년 창업기지 창업인턴세대간 상생고용 중견기업 인턴제 등

일자리 사업 통합ᆞ원스톱 지원

창조경제혁신센터(고용zone 신설) 창조일자리센터 청년내일패키지

고용안전망

확충

사회보험 보장성 강화 rarr 노동시장 구조개혁 뒷받침

실업급여 확대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복지ᆞ창업과 연계한 고용서비스 강화

고용복지+센터 확대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ㆍ운용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청년 일자리수 48만개 64만개

기업수요맞춤형유망직종직업훈련

59만명

124만명

유망청년CEO창업 910개社 1160개社

고용복지+센터 40개 70개

실업급여(지급률) 평균임금 50(지급기간) 90~240일

(지급률) 평균임금 60(지급기간) 120~270일

- 8 -

1 청년의 일자리 기회 확대

(1) 청년 취업역량 제고

① 훈련 기업주도 유망업종 중심으로 재편

ㅇ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유망업종의 대기업 등이 우수한 훈련

시설을 활용해 청년 1만명을 직접 교육하고 채용기회 제공(418억원)

(예) 바이오 태양광에너지 지능형로봇 사물인터넷 전자정보 등

참여기업은 청년에게 lsquo직무교육 rarr 현장 인턴경험 rarr 채용연계

(협력업체 취업알선 및 입사시 가점 등)rsquo까지 일자리 기회 통합 제공

정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고용복지+센터를 통해 훈련생과

참여기업을 발굴하고 참여기업의 시설장비비와 교육훈련비 지원

ㅇ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국가기간전략산업 분야의 훈련 지원을

대폭 확대(35rarr77만명)하여 양질의 기업수요 맞춤형 직업훈련 강화

lsquo16년부터 훈련기관 지원시 취업성과에 따라 훈련비를 차등

지급하는 인센티브 시스템 도입

ㅇ (일학습병행제) 기업 채용 후 현장업무와 교육훈련을 병행하여

우수한 실무인재를 양성하는 일학습병행제 확대(3300rarr6300개社)

대학교 재학중에 장기간에 걸쳐 산업체 현장훈련을 병행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프로그램 확대(10rarr20개)

대학 3~4학년 대상 4~10개월간 기업현장훈련

- 9 -

② 교육 일자리 수요-공급간 미스매치 해소

ㅇ (대학 구조개편) 진로역량 제고와 변화하는 산업수요에 부합

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구조 및 교육과정 혁신

산업수요를 토대로 대학 정원 및 학사구조를 개편하는 산업

연계교육 활성화 대학을 선정하고 집중 지원(신규 2362억원)

대학당 지원 평균 50~200억원 최대 300억원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도입하여 後진학자의 평생학습을 지원

야간 주말과정 학점 월별 등록금제 다학기제 집중이수제 허용 등

후진학자의 학업학비 부담 완화

ㅇ (선취업후진학) 산학일체형 도제학교(9rarr40개校)를 확대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교육과정(Uni-Tech 16개 사업단) 도입

고등학교 2sim3학년(고교전문대는 전문대 2년 포함) 기간에 일학습병행제 학습

근로자로 채용되어 학교 수업과 기업 업무 병행 졸업후 해당기업 정규직 채용

공동훈련센터로 지정된 거점형 도제학교(10개校)에 시설장비를

지원(최대 20억원)하고 일반 도제학교(30개校)와 함께 이를 활용

고교-전문대-기업 공동으로 직무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해당 기업 취업과 연계(160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 확산) 개발이 완료된 800여개 국가직무

능력표준(NCS)의 기업 보급 및 활용 확대

공공기관의 NCS 기반 인사시스템 구축을 확대하고(20rarr100개)

민간 확산 유도를 위해 국가기술자격검정시험의 NCS 적용 확대

NCS기반 기술자격평가(100개 신규) 과정평가형 자격제도(15rarr30개 직종)

- 10 -

(2) 창업ᆞ취업 지원 강화

① 창업 원스톱ᆞ밀착 지원으로 준비된 청년CEO 육성

ㅇ (권역별 청년창업기지) 창업선도대학 창업사관학교 등에서

지역의 청년창업자를 발굴하여 사업화까지 원스톱 지원

lsquo창업선도대학rsquo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고려하여 확대(28rarr34개)

권역별 대학이 차별화된 창업지원 모델을 개발운영

lsquo청년창업사관학교rsquo는 우수기술자 선발 비중을 확대(30rarr40)하고

사업 기획부터 창업공간 사업화 판로확보 등을 패키지로 지원

ㅇ (창업기업 인턴) 유망 벤처기업 등에서 현장근무 경험을 통해

준비된 청년 창업가 양성(50rarr100명)

② 취업 기업과 상생협력으로 민간의 청년일자리 확대

ㅇ (중견기업 인턴제) 청년층이 선호하는 중견기업의 청년인턴

채용 및 정규직 전환유지시 장려금 지급(3만명)

(기업) 인턴기간 3개월간 월50만원 정규직 전환후 1년간 유지시

연390만원 지원(6개월마다 195만원 지급)하여 인건비 부담 완화

(청년) 정규직전환 후 장기근속시 취업지원금(제조업 생산직

300만원 그 외 180만원) 지원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 임금피크제 등 임금체계를 개편하면서

청년을 신규 채용하는 기업에 年 1080만원을 지원(청년 1만명)

대기업공공기관은 연 540만원 지원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른 근로자의 임금감소분 지원 확대

(320 rarr 521억원)

- 11 -

(3) 고용 인프라 지원

① 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화

ㅇ (혁신센터 기능 강화) 지역별 lsquo창조경제혁신센터rsquo를 청년구직자와

기업을 연결하는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로 운영

혁신센터 內 고용존(Zone)을 신설하고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청년일자리 사업을 연계 집행 rarr 효과성 제고

ㅇ (대학과 연계) 대학청년고용+센터는 창조일자리센터로 전환ㆍ

확대(40개)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분소 기능 수행

대학내 취업지원 조직ㆍ기능 통합 + 전문상담인력 확충(대학별 7~8명) rarr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원스톱 제공(대학별 평균 年 5억원)

lsquo상담-훈련-취업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lsquo청년내일패키지(10rarr13만명)rsquo 등

청년 일자리 지원의 전진기지化

청년구직자 rArr

창조경제혁신센터(전국 17개) 고용존(Zone)rarr청년일자리사업 연계 집행

lArr 대기업지역중소기업

청년인턴제 일학습병행제 고용디딤돌

선취업후진학 청년내일패키지등

대학내 창조일자리센터(전국 40개) 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② K-Move 센터 등 청년의 해외취업 등 지원

ㅇ (현지 지원) 기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해외현지 일자리 발굴과

현지정착을 돕는 해외소재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lsquo15년 현재) 도쿄 프랑크푸르트 두바이 베이징 싱가포르 실리콘밸리등 10개

(rsquo16년 추가 5개) 뉴욕 오사카 홍콩 도하(카타르) 상파울루(브라질)

ㅇ (국내 지원) 혁신센터 창조일자리센터와 연계한 서비스 제공

- 12 -

2 고용안전망 확충

① 사회보험 실업급여 확대 및 사각지대 해소 강화

ㅇ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 실업급여 인상(실직전 임금의 50rarr60)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41 rarr 51조원)

근로유인 제고 및 소요재원 마련을 위해 급여 상한액 조정과

보험료율 조정도 병행

(현행) 상한액 4만3천원 rarr (개편) 5만원

ㅇ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저소득 근로자의 고용보험 및 국민

연금 가입 유도를 위해 신규가입자 보험료 지원율 인상(50rarr60)

기존 가입자는 사중손실 방지를 위해 지원율 인하(50rarr40)

② 고용서비스 복지창업 등과 연계한 One-stop 지원

ㅇ 실직자들이 일자리와 복지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고용복지+센터 확대(40rarr70개)

lsquo취업상담 rarr 맞춤형 교육훈련 rarr 재취업 알선rsquo까지 One-stop 서비스 제공

고용복지+센터 확충 규모를 당초 계획 대비 확대(lsquo16년 20rarr30개)

하여 lsquo17년 100개소 조성 완료 계획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ㆍ운용을 통해 취업 지원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고용복지+센터의 구직직업훈련 수요를 맞춤형으로 지원

- 13 -

2 경제 재도약을 적극 뒷받침하는 「경제혁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성장동력

창출

맞춤형 통합 지원으로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창업중소기업 全단계 원스톱 지원 제2 판교밸리 조성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기업지원자금 전용 프로그램 TIPS

선택ᆞ집중 수요에 기반한 RampD 성과 제고

기초연구 미래먹거리(IoT 무인이동체 등) 제조업 혁신RampD 바우처 한국형 프라운호퍼 연구소 일몰제 도입

수출ᆞ중소

기업의 성장

신산업 지원

시장ᆞ품목 다각화로 수출 활력 제고

할랄식품시장 개척 FTA 계기 해외진출 수출마케팅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산업단지 혁신 환경개선펀드 산학융합 지구 조성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전통시장 활력 제고

제조공정 혁신 에너지 신산업 창출

스마트공장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교통ᆞ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확충

지역주도 발전프로젝트 추진

지역특화프로젝트 지역행복생활권 포괄보조금 확대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RampD 사업화 실적 17만건 18만건

RampD바우처 지원 - 2700여개 기업(신규공급)

FTA체결국 교역 비중 41 62

국가산단 가동률 809 811

전체교역량중 FTA 체결국가와의교역량이차지하는비중 (한 중 FTA 발효시)

- 14 -

1 성장동력 창출

(1)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① 벤처ᆞ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ᆞ연계

ㅇ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재편하여 지역혁신거점으로 육성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rarr 멘토링과 투자 연계 rarr 사업화

rarr 실패기업 재도전」까지 창업 全주기 지원

6개월 챌린지 플랫폼 98rarr 113억원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등

중소기업 애로 해소 중소기업 지원사업간 연계ㆍ맞춤형

지원으로 지역내 신산업 창출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ICT융합스마트공장보급확산 40rarr 112억원 등

ㅇ (글로벌 혁신생태계 구축) 제2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첨단기업이

집적화된 세계적인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lsquo15년內 착공)

「창조성장혁신」이 공존하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지원 허브에

대한 토지매입비(164억원) 및 창조공간 기획비 지원(30억원)

창업 오디션을 통한 글로벌 스타트업 발굴 인큐베이팅 등

성장지원 및 문화콘텐츠 육성 등을 통한 글로벌 창업 거점화

Pan-Asia 그랜드 챌린지 프로그램 50억원(신규) 첨단 융복합 게임 개발

및 제작지원 39억원(신규) 등

- 15 -

② lsquo죽음의 계곡rsquo(창업 2~5년차) 극복과 조기성장 지원

ㅇ (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 2~5년차 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및 자금지원 확대

창업 후 상용화 판로확보 등 어려움으로 기업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시기

창업기업지원자금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전용

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여 수익모델 창출 지원

ㅇ (성장 지원) 민간 주도의 엑셀러레이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여 창업기업의 조기성장을 지원

성공한 벤처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 지원(365rarr425억원)으로 창업의 질적 향상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 창업rsquo 확대(53rarr120억원)

③ 생계형 창업에서 유망창업 기술창업 지원으로 전환

ㅇ (창업 정보)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25rarr35억원)

과밀지수제공범위확대(서울2개업종rarr전국30개 업종) 창업가상체험개발

ㅇ (유망창업) 소상공인사관학교 및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지원 확대로 시장 창출형 유망창업 유도(358rarr495억원)

ㅇ (기술창업) 시니어 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기술창업스쿨(10rarr

16개소) 확대로 은퇴 후 생계형보다는 기술형 창업으로 유도

- 16 -

(2) RampD 성과 제고

① 선택과 집중으로 투자 성과 가시화

ㅇ (미래먹거리 창출) 미래 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IoT 무인이동체(드론 신규 60억원) 5G 이동통신(410rarr 699억원)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 중점 투자

ㅇ (기술사업화middot제조업 혁신)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 및 제조업

공정개선 등을 통해 산업 활력 제고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의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한 후속연구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적극 유도(302rarr 379억원)

ICTㆍ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ㅇ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16조원) 및 융합연구 활성화

②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혁신

ㅇ (수요 기반)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성과 기반) 관행적으로 지원되어 온 장기계속 RampD에 대한

사업기간 설정(일몰제)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좀비기업 방지를 위한 기업지원 RampD 자부담 조정(25rarr 35)

(예) 출연연 지역분원 설립시 지방비 부담 조정(40rarr 50) 등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10: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8 -

1 청년의 일자리 기회 확대

(1) 청년 취업역량 제고

① 훈련 기업주도 유망업종 중심으로 재편

ㅇ (고용디딤돌 프로그램 도입) 유망업종의 대기업 등이 우수한 훈련

시설을 활용해 청년 1만명을 직접 교육하고 채용기회 제공(418억원)

(예) 바이오 태양광에너지 지능형로봇 사물인터넷 전자정보 등

참여기업은 청년에게 lsquo직무교육 rarr 현장 인턴경험 rarr 채용연계

(협력업체 취업알선 및 입사시 가점 등)rsquo까지 일자리 기회 통합 제공

정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고용복지+센터를 통해 훈련생과

참여기업을 발굴하고 참여기업의 시설장비비와 교육훈련비 지원

ㅇ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국가기간전략산업 분야의 훈련 지원을

대폭 확대(35rarr77만명)하여 양질의 기업수요 맞춤형 직업훈련 강화

lsquo16년부터 훈련기관 지원시 취업성과에 따라 훈련비를 차등

지급하는 인센티브 시스템 도입

ㅇ (일학습병행제) 기업 채용 후 현장업무와 교육훈련을 병행하여

우수한 실무인재를 양성하는 일학습병행제 확대(3300rarr6300개社)

대학교 재학중에 장기간에 걸쳐 산업체 현장훈련을 병행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프로그램 확대(10rarr20개)

대학 3~4학년 대상 4~10개월간 기업현장훈련

- 9 -

② 교육 일자리 수요-공급간 미스매치 해소

ㅇ (대학 구조개편) 진로역량 제고와 변화하는 산업수요에 부합

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구조 및 교육과정 혁신

산업수요를 토대로 대학 정원 및 학사구조를 개편하는 산업

연계교육 활성화 대학을 선정하고 집중 지원(신규 2362억원)

대학당 지원 평균 50~200억원 최대 300억원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도입하여 後진학자의 평생학습을 지원

야간 주말과정 학점 월별 등록금제 다학기제 집중이수제 허용 등

후진학자의 학업학비 부담 완화

ㅇ (선취업후진학) 산학일체형 도제학교(9rarr40개校)를 확대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교육과정(Uni-Tech 16개 사업단) 도입

고등학교 2sim3학년(고교전문대는 전문대 2년 포함) 기간에 일학습병행제 학습

근로자로 채용되어 학교 수업과 기업 업무 병행 졸업후 해당기업 정규직 채용

공동훈련센터로 지정된 거점형 도제학교(10개校)에 시설장비를

지원(최대 20억원)하고 일반 도제학교(30개校)와 함께 이를 활용

고교-전문대-기업 공동으로 직무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해당 기업 취업과 연계(160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 확산) 개발이 완료된 800여개 국가직무

능력표준(NCS)의 기업 보급 및 활용 확대

공공기관의 NCS 기반 인사시스템 구축을 확대하고(20rarr100개)

민간 확산 유도를 위해 국가기술자격검정시험의 NCS 적용 확대

NCS기반 기술자격평가(100개 신규) 과정평가형 자격제도(15rarr30개 직종)

- 10 -

(2) 창업ᆞ취업 지원 강화

① 창업 원스톱ᆞ밀착 지원으로 준비된 청년CEO 육성

ㅇ (권역별 청년창업기지) 창업선도대학 창업사관학교 등에서

지역의 청년창업자를 발굴하여 사업화까지 원스톱 지원

lsquo창업선도대학rsquo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고려하여 확대(28rarr34개)

권역별 대학이 차별화된 창업지원 모델을 개발운영

lsquo청년창업사관학교rsquo는 우수기술자 선발 비중을 확대(30rarr40)하고

사업 기획부터 창업공간 사업화 판로확보 등을 패키지로 지원

ㅇ (창업기업 인턴) 유망 벤처기업 등에서 현장근무 경험을 통해

준비된 청년 창업가 양성(50rarr100명)

② 취업 기업과 상생협력으로 민간의 청년일자리 확대

ㅇ (중견기업 인턴제) 청년층이 선호하는 중견기업의 청년인턴

채용 및 정규직 전환유지시 장려금 지급(3만명)

(기업) 인턴기간 3개월간 월50만원 정규직 전환후 1년간 유지시

연390만원 지원(6개월마다 195만원 지급)하여 인건비 부담 완화

(청년) 정규직전환 후 장기근속시 취업지원금(제조업 생산직

300만원 그 외 180만원) 지원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 임금피크제 등 임금체계를 개편하면서

청년을 신규 채용하는 기업에 年 1080만원을 지원(청년 1만명)

대기업공공기관은 연 540만원 지원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른 근로자의 임금감소분 지원 확대

(320 rarr 521억원)

- 11 -

(3) 고용 인프라 지원

① 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화

ㅇ (혁신센터 기능 강화) 지역별 lsquo창조경제혁신센터rsquo를 청년구직자와

기업을 연결하는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로 운영

혁신센터 內 고용존(Zone)을 신설하고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청년일자리 사업을 연계 집행 rarr 효과성 제고

ㅇ (대학과 연계) 대학청년고용+센터는 창조일자리센터로 전환ㆍ

확대(40개)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분소 기능 수행

대학내 취업지원 조직ㆍ기능 통합 + 전문상담인력 확충(대학별 7~8명) rarr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원스톱 제공(대학별 평균 年 5억원)

lsquo상담-훈련-취업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lsquo청년내일패키지(10rarr13만명)rsquo 등

청년 일자리 지원의 전진기지化

청년구직자 rArr

창조경제혁신센터(전국 17개) 고용존(Zone)rarr청년일자리사업 연계 집행

lArr 대기업지역중소기업

청년인턴제 일학습병행제 고용디딤돌

선취업후진학 청년내일패키지등

대학내 창조일자리센터(전국 40개) 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② K-Move 센터 등 청년의 해외취업 등 지원

ㅇ (현지 지원) 기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해외현지 일자리 발굴과

현지정착을 돕는 해외소재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lsquo15년 현재) 도쿄 프랑크푸르트 두바이 베이징 싱가포르 실리콘밸리등 10개

(rsquo16년 추가 5개) 뉴욕 오사카 홍콩 도하(카타르) 상파울루(브라질)

ㅇ (국내 지원) 혁신센터 창조일자리센터와 연계한 서비스 제공

- 12 -

2 고용안전망 확충

① 사회보험 실업급여 확대 및 사각지대 해소 강화

ㅇ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 실업급여 인상(실직전 임금의 50rarr60)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41 rarr 51조원)

근로유인 제고 및 소요재원 마련을 위해 급여 상한액 조정과

보험료율 조정도 병행

(현행) 상한액 4만3천원 rarr (개편) 5만원

ㅇ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저소득 근로자의 고용보험 및 국민

연금 가입 유도를 위해 신규가입자 보험료 지원율 인상(50rarr60)

기존 가입자는 사중손실 방지를 위해 지원율 인하(50rarr40)

② 고용서비스 복지창업 등과 연계한 One-stop 지원

ㅇ 실직자들이 일자리와 복지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고용복지+센터 확대(40rarr70개)

lsquo취업상담 rarr 맞춤형 교육훈련 rarr 재취업 알선rsquo까지 One-stop 서비스 제공

고용복지+센터 확충 규모를 당초 계획 대비 확대(lsquo16년 20rarr30개)

하여 lsquo17년 100개소 조성 완료 계획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ㆍ운용을 통해 취업 지원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고용복지+센터의 구직직업훈련 수요를 맞춤형으로 지원

- 13 -

2 경제 재도약을 적극 뒷받침하는 「경제혁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성장동력

창출

맞춤형 통합 지원으로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창업중소기업 全단계 원스톱 지원 제2 판교밸리 조성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기업지원자금 전용 프로그램 TIPS

선택ᆞ집중 수요에 기반한 RampD 성과 제고

기초연구 미래먹거리(IoT 무인이동체 등) 제조업 혁신RampD 바우처 한국형 프라운호퍼 연구소 일몰제 도입

수출ᆞ중소

기업의 성장

신산업 지원

시장ᆞ품목 다각화로 수출 활력 제고

할랄식품시장 개척 FTA 계기 해외진출 수출마케팅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산업단지 혁신 환경개선펀드 산학융합 지구 조성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전통시장 활력 제고

제조공정 혁신 에너지 신산업 창출

스마트공장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교통ᆞ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확충

지역주도 발전프로젝트 추진

지역특화프로젝트 지역행복생활권 포괄보조금 확대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RampD 사업화 실적 17만건 18만건

RampD바우처 지원 - 2700여개 기업(신규공급)

FTA체결국 교역 비중 41 62

국가산단 가동률 809 811

전체교역량중 FTA 체결국가와의교역량이차지하는비중 (한 중 FTA 발효시)

- 14 -

1 성장동력 창출

(1)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① 벤처ᆞ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ᆞ연계

ㅇ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재편하여 지역혁신거점으로 육성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rarr 멘토링과 투자 연계 rarr 사업화

rarr 실패기업 재도전」까지 창업 全주기 지원

6개월 챌린지 플랫폼 98rarr 113억원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등

중소기업 애로 해소 중소기업 지원사업간 연계ㆍ맞춤형

지원으로 지역내 신산업 창출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ICT융합스마트공장보급확산 40rarr 112억원 등

ㅇ (글로벌 혁신생태계 구축) 제2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첨단기업이

집적화된 세계적인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lsquo15년內 착공)

「창조성장혁신」이 공존하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지원 허브에

대한 토지매입비(164억원) 및 창조공간 기획비 지원(30억원)

창업 오디션을 통한 글로벌 스타트업 발굴 인큐베이팅 등

성장지원 및 문화콘텐츠 육성 등을 통한 글로벌 창업 거점화

Pan-Asia 그랜드 챌린지 프로그램 50억원(신규) 첨단 융복합 게임 개발

및 제작지원 39억원(신규) 등

- 15 -

② lsquo죽음의 계곡rsquo(창업 2~5년차) 극복과 조기성장 지원

ㅇ (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 2~5년차 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및 자금지원 확대

창업 후 상용화 판로확보 등 어려움으로 기업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시기

창업기업지원자금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전용

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여 수익모델 창출 지원

ㅇ (성장 지원) 민간 주도의 엑셀러레이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여 창업기업의 조기성장을 지원

성공한 벤처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 지원(365rarr425억원)으로 창업의 질적 향상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 창업rsquo 확대(53rarr120억원)

③ 생계형 창업에서 유망창업 기술창업 지원으로 전환

ㅇ (창업 정보)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25rarr35억원)

과밀지수제공범위확대(서울2개업종rarr전국30개 업종) 창업가상체험개발

ㅇ (유망창업) 소상공인사관학교 및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지원 확대로 시장 창출형 유망창업 유도(358rarr495억원)

ㅇ (기술창업) 시니어 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기술창업스쿨(10rarr

16개소) 확대로 은퇴 후 생계형보다는 기술형 창업으로 유도

- 16 -

(2) RampD 성과 제고

① 선택과 집중으로 투자 성과 가시화

ㅇ (미래먹거리 창출) 미래 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IoT 무인이동체(드론 신규 60억원) 5G 이동통신(410rarr 699억원)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 중점 투자

ㅇ (기술사업화middot제조업 혁신)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 및 제조업

공정개선 등을 통해 산업 활력 제고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의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한 후속연구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적극 유도(302rarr 379억원)

ICTㆍ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ㅇ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16조원) 및 융합연구 활성화

②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혁신

ㅇ (수요 기반)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성과 기반) 관행적으로 지원되어 온 장기계속 RampD에 대한

사업기간 설정(일몰제)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좀비기업 방지를 위한 기업지원 RampD 자부담 조정(25rarr 35)

(예) 출연연 지역분원 설립시 지방비 부담 조정(40rarr 50) 등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11: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9 -

② 교육 일자리 수요-공급간 미스매치 해소

ㅇ (대학 구조개편) 진로역량 제고와 변화하는 산업수요에 부합

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구조 및 교육과정 혁신

산업수요를 토대로 대학 정원 및 학사구조를 개편하는 산업

연계교육 활성화 대학을 선정하고 집중 지원(신규 2362억원)

대학당 지원 평균 50~200억원 최대 300억원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도입하여 後진학자의 평생학습을 지원

야간 주말과정 학점 월별 등록금제 다학기제 집중이수제 허용 등

후진학자의 학업학비 부담 완화

ㅇ (선취업후진학) 산학일체형 도제학교(9rarr40개校)를 확대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교육과정(Uni-Tech 16개 사업단) 도입

고등학교 2sim3학년(고교전문대는 전문대 2년 포함) 기간에 일학습병행제 학습

근로자로 채용되어 학교 수업과 기업 업무 병행 졸업후 해당기업 정규직 채용

공동훈련센터로 지정된 거점형 도제학교(10개校)에 시설장비를

지원(최대 20억원)하고 일반 도제학교(30개校)와 함께 이를 활용

고교-전문대-기업 공동으로 직무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해당 기업 취업과 연계(160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 확산) 개발이 완료된 800여개 국가직무

능력표준(NCS)의 기업 보급 및 활용 확대

공공기관의 NCS 기반 인사시스템 구축을 확대하고(20rarr100개)

민간 확산 유도를 위해 국가기술자격검정시험의 NCS 적용 확대

NCS기반 기술자격평가(100개 신규) 과정평가형 자격제도(15rarr30개 직종)

- 10 -

(2) 창업ᆞ취업 지원 강화

① 창업 원스톱ᆞ밀착 지원으로 준비된 청년CEO 육성

ㅇ (권역별 청년창업기지) 창업선도대학 창업사관학교 등에서

지역의 청년창업자를 발굴하여 사업화까지 원스톱 지원

lsquo창업선도대학rsquo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고려하여 확대(28rarr34개)

권역별 대학이 차별화된 창업지원 모델을 개발운영

lsquo청년창업사관학교rsquo는 우수기술자 선발 비중을 확대(30rarr40)하고

사업 기획부터 창업공간 사업화 판로확보 등을 패키지로 지원

ㅇ (창업기업 인턴) 유망 벤처기업 등에서 현장근무 경험을 통해

준비된 청년 창업가 양성(50rarr100명)

② 취업 기업과 상생협력으로 민간의 청년일자리 확대

ㅇ (중견기업 인턴제) 청년층이 선호하는 중견기업의 청년인턴

채용 및 정규직 전환유지시 장려금 지급(3만명)

(기업) 인턴기간 3개월간 월50만원 정규직 전환후 1년간 유지시

연390만원 지원(6개월마다 195만원 지급)하여 인건비 부담 완화

(청년) 정규직전환 후 장기근속시 취업지원금(제조업 생산직

300만원 그 외 180만원) 지원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 임금피크제 등 임금체계를 개편하면서

청년을 신규 채용하는 기업에 年 1080만원을 지원(청년 1만명)

대기업공공기관은 연 540만원 지원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른 근로자의 임금감소분 지원 확대

(320 rarr 521억원)

- 11 -

(3) 고용 인프라 지원

① 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화

ㅇ (혁신센터 기능 강화) 지역별 lsquo창조경제혁신센터rsquo를 청년구직자와

기업을 연결하는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로 운영

혁신센터 內 고용존(Zone)을 신설하고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청년일자리 사업을 연계 집행 rarr 효과성 제고

ㅇ (대학과 연계) 대학청년고용+센터는 창조일자리센터로 전환ㆍ

확대(40개)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분소 기능 수행

대학내 취업지원 조직ㆍ기능 통합 + 전문상담인력 확충(대학별 7~8명) rarr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원스톱 제공(대학별 평균 年 5억원)

lsquo상담-훈련-취업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lsquo청년내일패키지(10rarr13만명)rsquo 등

청년 일자리 지원의 전진기지化

청년구직자 rArr

창조경제혁신센터(전국 17개) 고용존(Zone)rarr청년일자리사업 연계 집행

lArr 대기업지역중소기업

청년인턴제 일학습병행제 고용디딤돌

선취업후진학 청년내일패키지등

대학내 창조일자리센터(전국 40개) 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② K-Move 센터 등 청년의 해외취업 등 지원

ㅇ (현지 지원) 기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해외현지 일자리 발굴과

현지정착을 돕는 해외소재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lsquo15년 현재) 도쿄 프랑크푸르트 두바이 베이징 싱가포르 실리콘밸리등 10개

(rsquo16년 추가 5개) 뉴욕 오사카 홍콩 도하(카타르) 상파울루(브라질)

ㅇ (국내 지원) 혁신센터 창조일자리센터와 연계한 서비스 제공

- 12 -

2 고용안전망 확충

① 사회보험 실업급여 확대 및 사각지대 해소 강화

ㅇ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 실업급여 인상(실직전 임금의 50rarr60)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41 rarr 51조원)

근로유인 제고 및 소요재원 마련을 위해 급여 상한액 조정과

보험료율 조정도 병행

(현행) 상한액 4만3천원 rarr (개편) 5만원

ㅇ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저소득 근로자의 고용보험 및 국민

연금 가입 유도를 위해 신규가입자 보험료 지원율 인상(50rarr60)

기존 가입자는 사중손실 방지를 위해 지원율 인하(50rarr40)

② 고용서비스 복지창업 등과 연계한 One-stop 지원

ㅇ 실직자들이 일자리와 복지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고용복지+센터 확대(40rarr70개)

lsquo취업상담 rarr 맞춤형 교육훈련 rarr 재취업 알선rsquo까지 One-stop 서비스 제공

고용복지+센터 확충 규모를 당초 계획 대비 확대(lsquo16년 20rarr30개)

하여 lsquo17년 100개소 조성 완료 계획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ㆍ운용을 통해 취업 지원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고용복지+센터의 구직직업훈련 수요를 맞춤형으로 지원

- 13 -

2 경제 재도약을 적극 뒷받침하는 「경제혁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성장동력

창출

맞춤형 통합 지원으로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창업중소기업 全단계 원스톱 지원 제2 판교밸리 조성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기업지원자금 전용 프로그램 TIPS

선택ᆞ집중 수요에 기반한 RampD 성과 제고

기초연구 미래먹거리(IoT 무인이동체 등) 제조업 혁신RampD 바우처 한국형 프라운호퍼 연구소 일몰제 도입

수출ᆞ중소

기업의 성장

신산업 지원

시장ᆞ품목 다각화로 수출 활력 제고

할랄식품시장 개척 FTA 계기 해외진출 수출마케팅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산업단지 혁신 환경개선펀드 산학융합 지구 조성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전통시장 활력 제고

제조공정 혁신 에너지 신산업 창출

스마트공장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교통ᆞ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확충

지역주도 발전프로젝트 추진

지역특화프로젝트 지역행복생활권 포괄보조금 확대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RampD 사업화 실적 17만건 18만건

RampD바우처 지원 - 2700여개 기업(신규공급)

FTA체결국 교역 비중 41 62

국가산단 가동률 809 811

전체교역량중 FTA 체결국가와의교역량이차지하는비중 (한 중 FTA 발효시)

- 14 -

1 성장동력 창출

(1)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① 벤처ᆞ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ᆞ연계

ㅇ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재편하여 지역혁신거점으로 육성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rarr 멘토링과 투자 연계 rarr 사업화

rarr 실패기업 재도전」까지 창업 全주기 지원

6개월 챌린지 플랫폼 98rarr 113억원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등

중소기업 애로 해소 중소기업 지원사업간 연계ㆍ맞춤형

지원으로 지역내 신산업 창출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ICT융합스마트공장보급확산 40rarr 112억원 등

ㅇ (글로벌 혁신생태계 구축) 제2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첨단기업이

집적화된 세계적인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lsquo15년內 착공)

「창조성장혁신」이 공존하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지원 허브에

대한 토지매입비(164억원) 및 창조공간 기획비 지원(30억원)

창업 오디션을 통한 글로벌 스타트업 발굴 인큐베이팅 등

성장지원 및 문화콘텐츠 육성 등을 통한 글로벌 창업 거점화

Pan-Asia 그랜드 챌린지 프로그램 50억원(신규) 첨단 융복합 게임 개발

및 제작지원 39억원(신규) 등

- 15 -

② lsquo죽음의 계곡rsquo(창업 2~5년차) 극복과 조기성장 지원

ㅇ (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 2~5년차 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및 자금지원 확대

창업 후 상용화 판로확보 등 어려움으로 기업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시기

창업기업지원자금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전용

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여 수익모델 창출 지원

ㅇ (성장 지원) 민간 주도의 엑셀러레이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여 창업기업의 조기성장을 지원

성공한 벤처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 지원(365rarr425억원)으로 창업의 질적 향상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 창업rsquo 확대(53rarr120억원)

③ 생계형 창업에서 유망창업 기술창업 지원으로 전환

ㅇ (창업 정보)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25rarr35억원)

과밀지수제공범위확대(서울2개업종rarr전국30개 업종) 창업가상체험개발

ㅇ (유망창업) 소상공인사관학교 및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지원 확대로 시장 창출형 유망창업 유도(358rarr495억원)

ㅇ (기술창업) 시니어 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기술창업스쿨(10rarr

16개소) 확대로 은퇴 후 생계형보다는 기술형 창업으로 유도

- 16 -

(2) RampD 성과 제고

① 선택과 집중으로 투자 성과 가시화

ㅇ (미래먹거리 창출) 미래 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IoT 무인이동체(드론 신규 60억원) 5G 이동통신(410rarr 699억원)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 중점 투자

ㅇ (기술사업화middot제조업 혁신)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 및 제조업

공정개선 등을 통해 산업 활력 제고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의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한 후속연구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적극 유도(302rarr 379억원)

ICTㆍ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ㅇ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16조원) 및 융합연구 활성화

②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혁신

ㅇ (수요 기반)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성과 기반) 관행적으로 지원되어 온 장기계속 RampD에 대한

사업기간 설정(일몰제)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좀비기업 방지를 위한 기업지원 RampD 자부담 조정(25rarr 35)

(예) 출연연 지역분원 설립시 지방비 부담 조정(40rarr 50) 등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12: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10 -

(2) 창업ᆞ취업 지원 강화

① 창업 원스톱ᆞ밀착 지원으로 준비된 청년CEO 육성

ㅇ (권역별 청년창업기지) 창업선도대학 창업사관학교 등에서

지역의 청년창업자를 발굴하여 사업화까지 원스톱 지원

lsquo창업선도대학rsquo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고려하여 확대(28rarr34개)

권역별 대학이 차별화된 창업지원 모델을 개발운영

lsquo청년창업사관학교rsquo는 우수기술자 선발 비중을 확대(30rarr40)하고

사업 기획부터 창업공간 사업화 판로확보 등을 패키지로 지원

ㅇ (창업기업 인턴) 유망 벤처기업 등에서 현장근무 경험을 통해

준비된 청년 창업가 양성(50rarr100명)

② 취업 기업과 상생협력으로 민간의 청년일자리 확대

ㅇ (중견기업 인턴제) 청년층이 선호하는 중견기업의 청년인턴

채용 및 정규직 전환유지시 장려금 지급(3만명)

(기업) 인턴기간 3개월간 월50만원 정규직 전환후 1년간 유지시

연390만원 지원(6개월마다 195만원 지급)하여 인건비 부담 완화

(청년) 정규직전환 후 장기근속시 취업지원금(제조업 생산직

300만원 그 외 180만원) 지원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 임금피크제 등 임금체계를 개편하면서

청년을 신규 채용하는 기업에 年 1080만원을 지원(청년 1만명)

대기업공공기관은 연 540만원 지원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른 근로자의 임금감소분 지원 확대

(320 rarr 521억원)

- 11 -

(3) 고용 인프라 지원

① 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화

ㅇ (혁신센터 기능 강화) 지역별 lsquo창조경제혁신센터rsquo를 청년구직자와

기업을 연결하는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로 운영

혁신센터 內 고용존(Zone)을 신설하고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청년일자리 사업을 연계 집행 rarr 효과성 제고

ㅇ (대학과 연계) 대학청년고용+센터는 창조일자리센터로 전환ㆍ

확대(40개)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분소 기능 수행

대학내 취업지원 조직ㆍ기능 통합 + 전문상담인력 확충(대학별 7~8명) rarr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원스톱 제공(대학별 평균 年 5억원)

lsquo상담-훈련-취업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lsquo청년내일패키지(10rarr13만명)rsquo 등

청년 일자리 지원의 전진기지化

청년구직자 rArr

창조경제혁신센터(전국 17개) 고용존(Zone)rarr청년일자리사업 연계 집행

lArr 대기업지역중소기업

청년인턴제 일학습병행제 고용디딤돌

선취업후진학 청년내일패키지등

대학내 창조일자리센터(전국 40개) 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② K-Move 센터 등 청년의 해외취업 등 지원

ㅇ (현지 지원) 기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해외현지 일자리 발굴과

현지정착을 돕는 해외소재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lsquo15년 현재) 도쿄 프랑크푸르트 두바이 베이징 싱가포르 실리콘밸리등 10개

(rsquo16년 추가 5개) 뉴욕 오사카 홍콩 도하(카타르) 상파울루(브라질)

ㅇ (국내 지원) 혁신센터 창조일자리센터와 연계한 서비스 제공

- 12 -

2 고용안전망 확충

① 사회보험 실업급여 확대 및 사각지대 해소 강화

ㅇ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 실업급여 인상(실직전 임금의 50rarr60)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41 rarr 51조원)

근로유인 제고 및 소요재원 마련을 위해 급여 상한액 조정과

보험료율 조정도 병행

(현행) 상한액 4만3천원 rarr (개편) 5만원

ㅇ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저소득 근로자의 고용보험 및 국민

연금 가입 유도를 위해 신규가입자 보험료 지원율 인상(50rarr60)

기존 가입자는 사중손실 방지를 위해 지원율 인하(50rarr40)

② 고용서비스 복지창업 등과 연계한 One-stop 지원

ㅇ 실직자들이 일자리와 복지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고용복지+센터 확대(40rarr70개)

lsquo취업상담 rarr 맞춤형 교육훈련 rarr 재취업 알선rsquo까지 One-stop 서비스 제공

고용복지+센터 확충 규모를 당초 계획 대비 확대(lsquo16년 20rarr30개)

하여 lsquo17년 100개소 조성 완료 계획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ㆍ운용을 통해 취업 지원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고용복지+센터의 구직직업훈련 수요를 맞춤형으로 지원

- 13 -

2 경제 재도약을 적극 뒷받침하는 「경제혁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성장동력

창출

맞춤형 통합 지원으로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창업중소기업 全단계 원스톱 지원 제2 판교밸리 조성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기업지원자금 전용 프로그램 TIPS

선택ᆞ집중 수요에 기반한 RampD 성과 제고

기초연구 미래먹거리(IoT 무인이동체 등) 제조업 혁신RampD 바우처 한국형 프라운호퍼 연구소 일몰제 도입

수출ᆞ중소

기업의 성장

신산업 지원

시장ᆞ품목 다각화로 수출 활력 제고

할랄식품시장 개척 FTA 계기 해외진출 수출마케팅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산업단지 혁신 환경개선펀드 산학융합 지구 조성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전통시장 활력 제고

제조공정 혁신 에너지 신산업 창출

스마트공장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교통ᆞ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확충

지역주도 발전프로젝트 추진

지역특화프로젝트 지역행복생활권 포괄보조금 확대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RampD 사업화 실적 17만건 18만건

RampD바우처 지원 - 2700여개 기업(신규공급)

FTA체결국 교역 비중 41 62

국가산단 가동률 809 811

전체교역량중 FTA 체결국가와의교역량이차지하는비중 (한 중 FTA 발효시)

- 14 -

1 성장동력 창출

(1)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① 벤처ᆞ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ᆞ연계

ㅇ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재편하여 지역혁신거점으로 육성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rarr 멘토링과 투자 연계 rarr 사업화

rarr 실패기업 재도전」까지 창업 全주기 지원

6개월 챌린지 플랫폼 98rarr 113억원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등

중소기업 애로 해소 중소기업 지원사업간 연계ㆍ맞춤형

지원으로 지역내 신산업 창출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ICT융합스마트공장보급확산 40rarr 112억원 등

ㅇ (글로벌 혁신생태계 구축) 제2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첨단기업이

집적화된 세계적인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lsquo15년內 착공)

「창조성장혁신」이 공존하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지원 허브에

대한 토지매입비(164억원) 및 창조공간 기획비 지원(30억원)

창업 오디션을 통한 글로벌 스타트업 발굴 인큐베이팅 등

성장지원 및 문화콘텐츠 육성 등을 통한 글로벌 창업 거점화

Pan-Asia 그랜드 챌린지 프로그램 50억원(신규) 첨단 융복합 게임 개발

및 제작지원 39억원(신규) 등

- 15 -

② lsquo죽음의 계곡rsquo(창업 2~5년차) 극복과 조기성장 지원

ㅇ (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 2~5년차 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및 자금지원 확대

창업 후 상용화 판로확보 등 어려움으로 기업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시기

창업기업지원자금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전용

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여 수익모델 창출 지원

ㅇ (성장 지원) 민간 주도의 엑셀러레이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여 창업기업의 조기성장을 지원

성공한 벤처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 지원(365rarr425억원)으로 창업의 질적 향상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 창업rsquo 확대(53rarr120억원)

③ 생계형 창업에서 유망창업 기술창업 지원으로 전환

ㅇ (창업 정보)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25rarr35억원)

과밀지수제공범위확대(서울2개업종rarr전국30개 업종) 창업가상체험개발

ㅇ (유망창업) 소상공인사관학교 및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지원 확대로 시장 창출형 유망창업 유도(358rarr495억원)

ㅇ (기술창업) 시니어 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기술창업스쿨(10rarr

16개소) 확대로 은퇴 후 생계형보다는 기술형 창업으로 유도

- 16 -

(2) RampD 성과 제고

① 선택과 집중으로 투자 성과 가시화

ㅇ (미래먹거리 창출) 미래 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IoT 무인이동체(드론 신규 60억원) 5G 이동통신(410rarr 699억원)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 중점 투자

ㅇ (기술사업화middot제조업 혁신)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 및 제조업

공정개선 등을 통해 산업 활력 제고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의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한 후속연구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적극 유도(302rarr 379억원)

ICTㆍ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ㅇ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16조원) 및 융합연구 활성화

②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혁신

ㅇ (수요 기반)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성과 기반) 관행적으로 지원되어 온 장기계속 RampD에 대한

사업기간 설정(일몰제)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좀비기업 방지를 위한 기업지원 RampD 자부담 조정(25rarr 35)

(예) 출연연 지역분원 설립시 지방비 부담 조정(40rarr 50) 등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13: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11 -

(3) 고용 인프라 지원

① 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화

ㅇ (혁신센터 기능 강화) 지역별 lsquo창조경제혁신센터rsquo를 청년구직자와

기업을 연결하는 청년일자리 창출의 허브로 운영

혁신센터 內 고용존(Zone)을 신설하고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청년일자리 사업을 연계 집행 rarr 효과성 제고

ㅇ (대학과 연계) 대학청년고용+센터는 창조일자리센터로 전환ㆍ

확대(40개)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분소 기능 수행

대학내 취업지원 조직ㆍ기능 통합 + 전문상담인력 확충(대학별 7~8명) rarr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원스톱 제공(대학별 평균 年 5억원)

lsquo상담-훈련-취업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lsquo청년내일패키지(10rarr13만명)rsquo 등

청년 일자리 지원의 전진기지化

청년구직자 rArr

창조경제혁신센터(전국 17개) 고용존(Zone)rarr청년일자리사업 연계 집행

lArr 대기업지역중소기업

청년인턴제 일학습병행제 고용디딤돌

선취업후진학 청년내일패키지등

대학내 창조일자리센터(전국 40개) 정부 프로그램 취업ㆍ기업정보

② K-Move 센터 등 청년의 해외취업 등 지원

ㅇ (현지 지원) 기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해외현지 일자리 발굴과

현지정착을 돕는 해외소재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lsquo15년 현재) 도쿄 프랑크푸르트 두바이 베이징 싱가포르 실리콘밸리등 10개

(rsquo16년 추가 5개) 뉴욕 오사카 홍콩 도하(카타르) 상파울루(브라질)

ㅇ (국내 지원) 혁신센터 창조일자리센터와 연계한 서비스 제공

- 12 -

2 고용안전망 확충

① 사회보험 실업급여 확대 및 사각지대 해소 강화

ㅇ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 실업급여 인상(실직전 임금의 50rarr60)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41 rarr 51조원)

근로유인 제고 및 소요재원 마련을 위해 급여 상한액 조정과

보험료율 조정도 병행

(현행) 상한액 4만3천원 rarr (개편) 5만원

ㅇ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저소득 근로자의 고용보험 및 국민

연금 가입 유도를 위해 신규가입자 보험료 지원율 인상(50rarr60)

기존 가입자는 사중손실 방지를 위해 지원율 인하(50rarr40)

② 고용서비스 복지창업 등과 연계한 One-stop 지원

ㅇ 실직자들이 일자리와 복지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고용복지+센터 확대(40rarr70개)

lsquo취업상담 rarr 맞춤형 교육훈련 rarr 재취업 알선rsquo까지 One-stop 서비스 제공

고용복지+센터 확충 규모를 당초 계획 대비 확대(lsquo16년 20rarr30개)

하여 lsquo17년 100개소 조성 완료 계획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ㆍ운용을 통해 취업 지원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고용복지+센터의 구직직업훈련 수요를 맞춤형으로 지원

- 13 -

2 경제 재도약을 적극 뒷받침하는 「경제혁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성장동력

창출

맞춤형 통합 지원으로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창업중소기업 全단계 원스톱 지원 제2 판교밸리 조성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기업지원자금 전용 프로그램 TIPS

선택ᆞ집중 수요에 기반한 RampD 성과 제고

기초연구 미래먹거리(IoT 무인이동체 등) 제조업 혁신RampD 바우처 한국형 프라운호퍼 연구소 일몰제 도입

수출ᆞ중소

기업의 성장

신산업 지원

시장ᆞ품목 다각화로 수출 활력 제고

할랄식품시장 개척 FTA 계기 해외진출 수출마케팅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산업단지 혁신 환경개선펀드 산학융합 지구 조성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전통시장 활력 제고

제조공정 혁신 에너지 신산업 창출

스마트공장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교통ᆞ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확충

지역주도 발전프로젝트 추진

지역특화프로젝트 지역행복생활권 포괄보조금 확대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RampD 사업화 실적 17만건 18만건

RampD바우처 지원 - 2700여개 기업(신규공급)

FTA체결국 교역 비중 41 62

국가산단 가동률 809 811

전체교역량중 FTA 체결국가와의교역량이차지하는비중 (한 중 FTA 발효시)

- 14 -

1 성장동력 창출

(1)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① 벤처ᆞ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ᆞ연계

ㅇ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재편하여 지역혁신거점으로 육성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rarr 멘토링과 투자 연계 rarr 사업화

rarr 실패기업 재도전」까지 창업 全주기 지원

6개월 챌린지 플랫폼 98rarr 113억원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등

중소기업 애로 해소 중소기업 지원사업간 연계ㆍ맞춤형

지원으로 지역내 신산업 창출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ICT융합스마트공장보급확산 40rarr 112억원 등

ㅇ (글로벌 혁신생태계 구축) 제2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첨단기업이

집적화된 세계적인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lsquo15년內 착공)

「창조성장혁신」이 공존하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지원 허브에

대한 토지매입비(164억원) 및 창조공간 기획비 지원(30억원)

창업 오디션을 통한 글로벌 스타트업 발굴 인큐베이팅 등

성장지원 및 문화콘텐츠 육성 등을 통한 글로벌 창업 거점화

Pan-Asia 그랜드 챌린지 프로그램 50억원(신규) 첨단 융복합 게임 개발

및 제작지원 39억원(신규) 등

- 15 -

② lsquo죽음의 계곡rsquo(창업 2~5년차) 극복과 조기성장 지원

ㅇ (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 2~5년차 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및 자금지원 확대

창업 후 상용화 판로확보 등 어려움으로 기업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시기

창업기업지원자금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전용

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여 수익모델 창출 지원

ㅇ (성장 지원) 민간 주도의 엑셀러레이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여 창업기업의 조기성장을 지원

성공한 벤처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 지원(365rarr425억원)으로 창업의 질적 향상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 창업rsquo 확대(53rarr120억원)

③ 생계형 창업에서 유망창업 기술창업 지원으로 전환

ㅇ (창업 정보)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25rarr35억원)

과밀지수제공범위확대(서울2개업종rarr전국30개 업종) 창업가상체험개발

ㅇ (유망창업) 소상공인사관학교 및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지원 확대로 시장 창출형 유망창업 유도(358rarr495억원)

ㅇ (기술창업) 시니어 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기술창업스쿨(10rarr

16개소) 확대로 은퇴 후 생계형보다는 기술형 창업으로 유도

- 16 -

(2) RampD 성과 제고

① 선택과 집중으로 투자 성과 가시화

ㅇ (미래먹거리 창출) 미래 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IoT 무인이동체(드론 신규 60억원) 5G 이동통신(410rarr 699억원)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 중점 투자

ㅇ (기술사업화middot제조업 혁신)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 및 제조업

공정개선 등을 통해 산업 활력 제고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의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한 후속연구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적극 유도(302rarr 379억원)

ICTㆍ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ㅇ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16조원) 및 융합연구 활성화

②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혁신

ㅇ (수요 기반)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성과 기반) 관행적으로 지원되어 온 장기계속 RampD에 대한

사업기간 설정(일몰제)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좀비기업 방지를 위한 기업지원 RampD 자부담 조정(25rarr 35)

(예) 출연연 지역분원 설립시 지방비 부담 조정(40rarr 50) 등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14: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12 -

2 고용안전망 확충

① 사회보험 실업급여 확대 및 사각지대 해소 강화

ㅇ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 실업급여 인상(실직전 임금의 50rarr60)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41 rarr 51조원)

근로유인 제고 및 소요재원 마련을 위해 급여 상한액 조정과

보험료율 조정도 병행

(현행) 상한액 4만3천원 rarr (개편) 5만원

ㅇ (사회보험 가입률 제고) 저소득 근로자의 고용보험 및 국민

연금 가입 유도를 위해 신규가입자 보험료 지원율 인상(50rarr60)

기존 가입자는 사중손실 방지를 위해 지원율 인하(50rarr40)

② 고용서비스 복지창업 등과 연계한 One-stop 지원

ㅇ 실직자들이 일자리와 복지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고용복지+센터 확대(40rarr70개)

lsquo취업상담 rarr 맞춤형 교육훈련 rarr 재취업 알선rsquo까지 One-stop 서비스 제공

고용복지+센터 확충 규모를 당초 계획 대비 확대(lsquo16년 20rarr30개)

하여 lsquo17년 100개소 조성 완료 계획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ㆍ운용을 통해 취업 지원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대중소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고용복지+센터의 구직직업훈련 수요를 맞춤형으로 지원

- 13 -

2 경제 재도약을 적극 뒷받침하는 「경제혁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성장동력

창출

맞춤형 통합 지원으로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창업중소기업 全단계 원스톱 지원 제2 판교밸리 조성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기업지원자금 전용 프로그램 TIPS

선택ᆞ집중 수요에 기반한 RampD 성과 제고

기초연구 미래먹거리(IoT 무인이동체 등) 제조업 혁신RampD 바우처 한국형 프라운호퍼 연구소 일몰제 도입

수출ᆞ중소

기업의 성장

신산업 지원

시장ᆞ품목 다각화로 수출 활력 제고

할랄식품시장 개척 FTA 계기 해외진출 수출마케팅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산업단지 혁신 환경개선펀드 산학융합 지구 조성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전통시장 활력 제고

제조공정 혁신 에너지 신산업 창출

스마트공장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교통ᆞ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확충

지역주도 발전프로젝트 추진

지역특화프로젝트 지역행복생활권 포괄보조금 확대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RampD 사업화 실적 17만건 18만건

RampD바우처 지원 - 2700여개 기업(신규공급)

FTA체결국 교역 비중 41 62

국가산단 가동률 809 811

전체교역량중 FTA 체결국가와의교역량이차지하는비중 (한 중 FTA 발효시)

- 14 -

1 성장동력 창출

(1)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① 벤처ᆞ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ᆞ연계

ㅇ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재편하여 지역혁신거점으로 육성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rarr 멘토링과 투자 연계 rarr 사업화

rarr 실패기업 재도전」까지 창업 全주기 지원

6개월 챌린지 플랫폼 98rarr 113억원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등

중소기업 애로 해소 중소기업 지원사업간 연계ㆍ맞춤형

지원으로 지역내 신산업 창출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ICT융합스마트공장보급확산 40rarr 112억원 등

ㅇ (글로벌 혁신생태계 구축) 제2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첨단기업이

집적화된 세계적인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lsquo15년內 착공)

「창조성장혁신」이 공존하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지원 허브에

대한 토지매입비(164억원) 및 창조공간 기획비 지원(30억원)

창업 오디션을 통한 글로벌 스타트업 발굴 인큐베이팅 등

성장지원 및 문화콘텐츠 육성 등을 통한 글로벌 창업 거점화

Pan-Asia 그랜드 챌린지 프로그램 50억원(신규) 첨단 융복합 게임 개발

및 제작지원 39억원(신규) 등

- 15 -

② lsquo죽음의 계곡rsquo(창업 2~5년차) 극복과 조기성장 지원

ㅇ (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 2~5년차 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및 자금지원 확대

창업 후 상용화 판로확보 등 어려움으로 기업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시기

창업기업지원자금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전용

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여 수익모델 창출 지원

ㅇ (성장 지원) 민간 주도의 엑셀러레이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여 창업기업의 조기성장을 지원

성공한 벤처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 지원(365rarr425억원)으로 창업의 질적 향상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 창업rsquo 확대(53rarr120억원)

③ 생계형 창업에서 유망창업 기술창업 지원으로 전환

ㅇ (창업 정보)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25rarr35억원)

과밀지수제공범위확대(서울2개업종rarr전국30개 업종) 창업가상체험개발

ㅇ (유망창업) 소상공인사관학교 및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지원 확대로 시장 창출형 유망창업 유도(358rarr495억원)

ㅇ (기술창업) 시니어 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기술창업스쿨(10rarr

16개소) 확대로 은퇴 후 생계형보다는 기술형 창업으로 유도

- 16 -

(2) RampD 성과 제고

① 선택과 집중으로 투자 성과 가시화

ㅇ (미래먹거리 창출) 미래 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IoT 무인이동체(드론 신규 60억원) 5G 이동통신(410rarr 699억원)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 중점 투자

ㅇ (기술사업화middot제조업 혁신)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 및 제조업

공정개선 등을 통해 산업 활력 제고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의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한 후속연구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적극 유도(302rarr 379억원)

ICTㆍ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ㅇ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16조원) 및 융합연구 활성화

②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혁신

ㅇ (수요 기반)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성과 기반) 관행적으로 지원되어 온 장기계속 RampD에 대한

사업기간 설정(일몰제)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좀비기업 방지를 위한 기업지원 RampD 자부담 조정(25rarr 35)

(예) 출연연 지역분원 설립시 지방비 부담 조정(40rarr 50) 등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15: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13 -

2 경제 재도약을 적극 뒷받침하는 「경제혁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성장동력

창출

맞춤형 통합 지원으로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창업중소기업 全단계 원스톱 지원 제2 판교밸리 조성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기업지원자금 전용 프로그램 TIPS

선택ᆞ집중 수요에 기반한 RampD 성과 제고

기초연구 미래먹거리(IoT 무인이동체 등) 제조업 혁신RampD 바우처 한국형 프라운호퍼 연구소 일몰제 도입

수출ᆞ중소

기업의 성장

신산업 지원

시장ᆞ품목 다각화로 수출 활력 제고

할랄식품시장 개척 FTA 계기 해외진출 수출마케팅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산업단지 혁신 환경개선펀드 산학융합 지구 조성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전통시장 활력 제고

제조공정 혁신 에너지 신산업 창출

스마트공장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교통ᆞ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확충

지역주도 발전프로젝트 추진

지역특화프로젝트 지역행복생활권 포괄보조금 확대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RampD 사업화 실적 17만건 18만건

RampD바우처 지원 - 2700여개 기업(신규공급)

FTA체결국 교역 비중 41 62

국가산단 가동률 809 811

전체교역량중 FTA 체결국가와의교역량이차지하는비중 (한 중 FTA 발효시)

- 14 -

1 성장동력 창출

(1)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① 벤처ᆞ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ᆞ연계

ㅇ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재편하여 지역혁신거점으로 육성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rarr 멘토링과 투자 연계 rarr 사업화

rarr 실패기업 재도전」까지 창업 全주기 지원

6개월 챌린지 플랫폼 98rarr 113억원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등

중소기업 애로 해소 중소기업 지원사업간 연계ㆍ맞춤형

지원으로 지역내 신산업 창출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ICT융합스마트공장보급확산 40rarr 112억원 등

ㅇ (글로벌 혁신생태계 구축) 제2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첨단기업이

집적화된 세계적인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lsquo15년內 착공)

「창조성장혁신」이 공존하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지원 허브에

대한 토지매입비(164억원) 및 창조공간 기획비 지원(30억원)

창업 오디션을 통한 글로벌 스타트업 발굴 인큐베이팅 등

성장지원 및 문화콘텐츠 육성 등을 통한 글로벌 창업 거점화

Pan-Asia 그랜드 챌린지 프로그램 50억원(신규) 첨단 융복합 게임 개발

및 제작지원 39억원(신규) 등

- 15 -

② lsquo죽음의 계곡rsquo(창업 2~5년차) 극복과 조기성장 지원

ㅇ (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 2~5년차 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및 자금지원 확대

창업 후 상용화 판로확보 등 어려움으로 기업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시기

창업기업지원자금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전용

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여 수익모델 창출 지원

ㅇ (성장 지원) 민간 주도의 엑셀러레이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여 창업기업의 조기성장을 지원

성공한 벤처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 지원(365rarr425억원)으로 창업의 질적 향상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 창업rsquo 확대(53rarr120억원)

③ 생계형 창업에서 유망창업 기술창업 지원으로 전환

ㅇ (창업 정보)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25rarr35억원)

과밀지수제공범위확대(서울2개업종rarr전국30개 업종) 창업가상체험개발

ㅇ (유망창업) 소상공인사관학교 및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지원 확대로 시장 창출형 유망창업 유도(358rarr495억원)

ㅇ (기술창업) 시니어 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기술창업스쿨(10rarr

16개소) 확대로 은퇴 후 생계형보다는 기술형 창업으로 유도

- 16 -

(2) RampD 성과 제고

① 선택과 집중으로 투자 성과 가시화

ㅇ (미래먹거리 창출) 미래 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IoT 무인이동체(드론 신규 60억원) 5G 이동통신(410rarr 699억원)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 중점 투자

ㅇ (기술사업화middot제조업 혁신)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 및 제조업

공정개선 등을 통해 산업 활력 제고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의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한 후속연구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적극 유도(302rarr 379억원)

ICTㆍ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ㅇ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16조원) 및 융합연구 활성화

②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혁신

ㅇ (수요 기반)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성과 기반) 관행적으로 지원되어 온 장기계속 RampD에 대한

사업기간 설정(일몰제)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좀비기업 방지를 위한 기업지원 RampD 자부담 조정(25rarr 35)

(예) 출연연 지역분원 설립시 지방비 부담 조정(40rarr 50) 등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16: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14 -

1 성장동력 창출

(1) 벤처ᆞ창업 생태계 활성화

① 벤처ᆞ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ᆞ연계

ㅇ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재편하여 지역혁신거점으로 육성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rarr 멘토링과 투자 연계 rarr 사업화

rarr 실패기업 재도전」까지 창업 全주기 지원

6개월 챌린지 플랫폼 98rarr 113억원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등

중소기업 애로 해소 중소기업 지원사업간 연계ㆍ맞춤형

지원으로 지역내 신산업 창출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ICT융합스마트공장보급확산 40rarr 112억원 등

ㅇ (글로벌 혁신생태계 구축) 제2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첨단기업이

집적화된 세계적인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lsquo15년內 착공)

「창조성장혁신」이 공존하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지원 허브에

대한 토지매입비(164억원) 및 창조공간 기획비 지원(30억원)

창업 오디션을 통한 글로벌 스타트업 발굴 인큐베이팅 등

성장지원 및 문화콘텐츠 육성 등을 통한 글로벌 창업 거점화

Pan-Asia 그랜드 챌린지 프로그램 50억원(신규) 첨단 융복합 게임 개발

및 제작지원 39억원(신규) 등

- 15 -

② lsquo죽음의 계곡rsquo(창업 2~5년차) 극복과 조기성장 지원

ㅇ (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 2~5년차 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및 자금지원 확대

창업 후 상용화 판로확보 등 어려움으로 기업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시기

창업기업지원자금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전용

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여 수익모델 창출 지원

ㅇ (성장 지원) 민간 주도의 엑셀러레이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여 창업기업의 조기성장을 지원

성공한 벤처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 지원(365rarr425억원)으로 창업의 질적 향상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 창업rsquo 확대(53rarr120억원)

③ 생계형 창업에서 유망창업 기술창업 지원으로 전환

ㅇ (창업 정보)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25rarr35억원)

과밀지수제공범위확대(서울2개업종rarr전국30개 업종) 창업가상체험개발

ㅇ (유망창업) 소상공인사관학교 및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지원 확대로 시장 창출형 유망창업 유도(358rarr495억원)

ㅇ (기술창업) 시니어 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기술창업스쿨(10rarr

16개소) 확대로 은퇴 후 생계형보다는 기술형 창업으로 유도

- 16 -

(2) RampD 성과 제고

① 선택과 집중으로 투자 성과 가시화

ㅇ (미래먹거리 창출) 미래 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IoT 무인이동체(드론 신규 60억원) 5G 이동통신(410rarr 699억원)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 중점 투자

ㅇ (기술사업화middot제조업 혁신)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 및 제조업

공정개선 등을 통해 산업 활력 제고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의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한 후속연구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적극 유도(302rarr 379억원)

ICTㆍ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ㅇ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16조원) 및 융합연구 활성화

②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혁신

ㅇ (수요 기반)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성과 기반) 관행적으로 지원되어 온 장기계속 RampD에 대한

사업기간 설정(일몰제)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좀비기업 방지를 위한 기업지원 RampD 자부담 조정(25rarr 35)

(예) 출연연 지역분원 설립시 지방비 부담 조정(40rarr 50) 등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17: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15 -

② lsquo죽음의 계곡rsquo(창업 2~5년차) 극복과 조기성장 지원

ㅇ (죽음의 계곡 극복) 창업 2~5년차 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및 자금지원 확대

창업 후 상용화 판로확보 등 어려움으로 기업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시기

창업기업지원자금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전용

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여 수익모델 창출 지원

ㅇ (성장 지원) 민간 주도의 엑셀러레이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여 창업기업의 조기성장을 지원

성공한 벤처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 지원(365rarr425억원)으로 창업의 질적 향상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 창업rsquo 확대(53rarr120억원)

③ 생계형 창업에서 유망창업 기술창업 지원으로 전환

ㅇ (창업 정보)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25rarr35억원)

과밀지수제공범위확대(서울2개업종rarr전국30개 업종) 창업가상체험개발

ㅇ (유망창업) 소상공인사관학교 및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지원 확대로 시장 창출형 유망창업 유도(358rarr495억원)

ㅇ (기술창업) 시니어 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기술창업스쿨(10rarr

16개소) 확대로 은퇴 후 생계형보다는 기술형 창업으로 유도

- 16 -

(2) RampD 성과 제고

① 선택과 집중으로 투자 성과 가시화

ㅇ (미래먹거리 창출) 미래 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IoT 무인이동체(드론 신규 60억원) 5G 이동통신(410rarr 699억원)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 중점 투자

ㅇ (기술사업화middot제조업 혁신)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 및 제조업

공정개선 등을 통해 산업 활력 제고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의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한 후속연구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적극 유도(302rarr 379억원)

ICTㆍ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ㅇ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16조원) 및 융합연구 활성화

②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혁신

ㅇ (수요 기반)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성과 기반) 관행적으로 지원되어 온 장기계속 RampD에 대한

사업기간 설정(일몰제)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좀비기업 방지를 위한 기업지원 RampD 자부담 조정(25rarr 35)

(예) 출연연 지역분원 설립시 지방비 부담 조정(40rarr 50) 등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18: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16 -

(2) RampD 성과 제고

① 선택과 집중으로 투자 성과 가시화

ㅇ (미래먹거리 창출) 미래 성장동력 분야 투자 확대

IoT 무인이동체(드론 신규 60억원) 5G 이동통신(410rarr 699억원)

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 중점 투자

ㅇ (기술사업화middot제조업 혁신) 공공기술 사업화 촉진 및 제조업

공정개선 등을 통해 산업 활력 제고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의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한 후속연구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적극 유도(302rarr 379억원)

ICTㆍ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ㅇ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16조원) 및 융합연구 활성화

②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혁신

ㅇ (수요 기반)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성과 기반) 관행적으로 지원되어 온 장기계속 RampD에 대한

사업기간 설정(일몰제)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좀비기업 방지를 위한 기업지원 RampD 자부담 조정(25rarr 35)

(예) 출연연 지역분원 설립시 지방비 부담 조정(40rarr 50) 등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19: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17 -

2 수출ᆞ중소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 지원

(1) 수출 활력 제고

① 유망시장 진출 및 수출 다각화 지원

ㅇ 중소기업 신시장 개척 지원을 선진국 중심에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수출국으로 확대 (513rarr752억원)

인도 한국상품전 개최 베트남 FTA해외활용센터 운영 글로벌기업 수요

발굴 연계 및 벤더등록 등 글로벌 공급망 참여 지원을 신흥국으로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우리 기업 및

우수 기술의 해외진출을 돕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 8380 rarr 8937억원 (산업 농업 산림 ODA) 495 rarr 539억원

ㅇ 거대식품시장인 할랄시장 수출 확대를 위해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인증비용 지원(신규 95억원)

(할랄 도축장도계장 지원) 2개소 55억원 (인증지원) 100개소 20억원

(할랄식품종합센터 구축) 1개소 15억원 (할랄외식업체시설지원) 2개소 5억원

② 한중FTA 및 정상외교를 활용한 수출마케팅 지원

ㅇ 차이나하이웨이 중국인증 획득 FTA활용 컨설팅 등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 진출 지원 확대 (244rarr451억원)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전략 수립 법률 교육 서비스 등 원스톱 지원

ㅇ 해외순방 정상방한 연계 11 상담회 개최 및 온라인 특별

할인전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355rarr463억원)

해외전시회 (rsquo15) 135 rarr (rsquo16) 155회 해외특별전 (rsquo15) 7 rarr (rsquo16) 9회

해외지사화 (rsquo15) 2600개사 rarr (rsquo16) 3000개사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20: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18 -

(2)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①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ㅇ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전환

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하고 산학융합지구

지원을 늘려(7rarr10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산업단지형 어린이집(24개 신규)과 근로자 건강센터(20rarr21개)를

확대하여 근로자들의 육아 및 건강 문제 해소

노후산업단지 진입도로를 확충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지원하여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변모 유도(신규 164억원)

②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전통시장 활력 제고

ㅇ (역량시스템 강화) 소상공인 대상 경영컨설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 상품공급망 확보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 지원

경영컨설팅은 성장촉진자금(융자 신규 2000억원)과 연계하여 체계화

하고(50rarr70억원) 유망 소상공인은 프랜차이즈화 지원(15rarr25억원)

중소유통물류센터 체계화(신규 10억원)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나들가게는 선도지역 중심으로 우수모델 확산(25rarr35억원)

ㅇ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조성으로 젊은 층이 찾는 시장으로 변화를

유도(신규 128억원)하고 시장별 특성화 지원도 확대(509rarr559억원)

시장단위 조성계획 하에 공동시설 점포리모델링 마케팅 등 종합 지원

전통시장 화재공제 상품 도입을 위해 운영비를 한시 지원 rarr

상인 스스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신규 11억원)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21: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19 -

(3) 신산업 창출 지원

①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제조공정 혁신 지원

ㅇ 제조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및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제품 기획설계 제조공정 유통판매 등 全과정을 IT로 통합하여 최소

비용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보급 (rsquo15년) 100개사(40억원) rarr (rsquo16년) 200개사(87억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구입 등 지원

ㅇ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자동화

시스템 설치 지원 (rsquo16신규 25억원)

취약한 중소 제조분야에 로봇엔지니어링-중소제조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의 패키지 지원

②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창출

ㅇ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직면한 제조업의 에너지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적극 지원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사업을 신규로 추진(314억원)하여 공장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 인프라 구축 및 컨설팅 제공

rsquo16simrsquo18년간 총사업비 3722억원(국비 660 민간 2866 지자체 19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 신설(500억원)

ESSmiddotEMS 융합시스템을 산업단지에 보급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모델 육성(신규 155억원)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22: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20 -

3 지역경제 활성화

(1) 교통물류망 및 지역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① 기간교통망 착공 및 조기 확충

ㅇ (도로) 고속도로국도 등 기간교통망 확충

광주-강진고속도로(16년 착공 100억) 상주-영덕고속도로(lsquo16년 완공 2239억)

ㅇ (철도) 주요 철도망 적기 개통으로 국민편익 도모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포항-삼척 철도건설(포항-영덕 구간 lsquo16년 완공 747억)

② 지역 공항 조성 및 항만 개발

ㅇ (공항) 교통오지 지역에 항공 SOC 구축으로 관광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울릉도 공항(lsquo16년 착공 60rarr85억) 흑산도 공항(설계 20rarr20억)

ㅇ (항만) 특성화된 항만 개발 및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신항(국제물류 허브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③ 산업기반시설 적기 구축

ㅇ (산단여건 개선) 노후공단 재정비 공업용 수도 공급개발

지속 지원하여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

ㅇ (물류체계 구축) 산단 진입도로인입철도 등 물류인프라 확충

산단 진입도로 오창테크노 등 신규 11개소 lsquo16년안 73억원

산단 인입철도(군장포승-평택 산단 등 4개) (lsquo15) 2054 rarr (rsquo16안) 2083억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23: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21 -

(2) 지역 맞춤형 투자

① 지역특화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지역 주도의 차별화된 성장을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15개 프로젝트 지원(3764rarr3821억원)

프로젝트는 해당 시middot도의 요구를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중앙

정부는 재정투자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

계속사업은 성과 조기창출을 위해 lsquo18년까지 사업비를 집중

지원하고 신규사업은 계획이 구체화된 경우 추진 지원

②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확대

ㅇ 지역특성에 맞추어 복지 문화 관광 기반시설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을 대폭 확대(1200rarr 1380억원)

인접 시군 연계사업인 행복생활권 선도사업 30개소 추가(총 140개

rsquo16년 650억원) 취약지역개조사업도 47개소 확대(총 132개 rsquo16년 700억원)

ㅇ 지역이 원하는 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는 포괄보조금 확대

(47049 rarr 47876억원)

마을기업 작은 도서관 등 주민밀착형사업 총 10개 사업을 이관

③ 지역공약 추진

ㅇ 조기 완공이 가능한 사업은 집중 투자하고 기타 계속사업은

연차별 소요 지원

lsquo16년 완공(예시) 성남-여주복선전철(lsquo16년 완공 693억)

ㅇ 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타당성 검증이 완료된 사업은 본격 추진 지원

지하철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예타 중)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30억원)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24: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22 -

3 문화 창조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융성 예산」 재정지원 방향

문화 창조

선순환 기반

구축

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

lsquo기획-제작-구현(공연장)-재투자rsquo의 선순환 체계 구축

융복합ᆞ지역 기반 콘텐츠 발굴

융합벨트-혁신센터공동프로그램 역사등지역문화콘텐츠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육성

한류와 콘텐츠의 융복합 지원

킬러콘텐츠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한국문화 체험 등

특화관광자원 개발 및 보건ᆞ의료산업 육성

지역고유 관광자원 한류의료스포츠 연계 패키지 개발

의료기관 해외 진출모델 개발 해외환자 유치

문화 향유

기회 확충

문화체험 기회와 교육 확대

지역 순회 공연 문화가 있는 날 운영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 초중고 실버세대 등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창작준비금 지원 성장가능장르 지원 공연장 추가 조성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문화창조융합벨트 -- 문화창조융합센터-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

콘텐츠산업 매출액 99조원 104조원

외래관광객 1550만명 1760만명

문화예술관람률 713 723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25: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23 -

1 문화 창조의 선순환 기반 구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자생적 창작 생태계 허브 조성

ㅇ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 및 창작자간 협업을 통해 융ㆍ복합

콘텐츠를 기획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 신규 지원(상암동 5억원)

ㅇ (제작) 콘텐츠 제작기업의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lsquo15년말 청계천 관광공사)

융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벤처기업 40개 소규모 스타트기업 100개 입주

ㅇ (구현) 한류 콘텐츠 시현을 위한 랜드마크 조성

융복합 미디어 콘텐츠 체험 쇼핑 숙박이 가능한 한국형 첨단

문화컴플렉스 K-Culture Valley 조성(lsquo17년말 경기 고양)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허브 K-Experience 조성(lsquo17년 1단계 서울 송현동)

K-POP 상시 공연이 가능한 국내 최초 대형 아레나 공연장

마련(230억원 올림픽 체조경기장 리모델링)

ㅇ (재투자) 현장형 융복합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 개원(rsquo163월 서울 청계천rarr lsquo17년 홍릉)

② 융합벨트-혁신센터 융 복합 지역기반 콘텐츠 발굴

ㅇ 융합벨트-혁신센터의 제작설비 및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융복합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지원(85억원)

ㅇ 고유의 역사풍속 등에 기반한 지역문화콘텐츠 발굴사업을

확대(100rarr140억원)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업화 지원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26: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24 -

2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 육성

① 콘텐츠 한류와 콘텐츠의 융 복합 rarr 해외 확산

ㅇ 킬러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여 한류 영역을 확대하고 우수한

전통문화를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현대화 추진

게임산업 육성(210 rarr 329억원) 전통문화 진흥(40rarr83억원)

ㅇ 전세계 28개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거점을 통해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한류체험 프로그램(신규 44억원) K-pop 아카데미(신규 16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신규 지원(25억원)

② 관광 특화관광자원 개발로 해외관광객 유치 확대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188억원) 지역명인 활용 관광콘텐츠개발(신규 5억원)

ㅇ 한류 의료 동계 올림픽과 연계하는 패키지 관광상품 개발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형 관광 확대

한류 K-culture 개최(6rarr1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③ 의료 중동middot중남미 의료기관 진출 및 해외환자 유치

ㅇ 중남미 등 전략국가 현지 시장조사 국가별 진출 모델 개발

맞춤형 IT헬스 비즈니스 모델 구축rarr의료기관 해외진출 촉진

전략국가별 해외진출 표준매뉴얼 개발 IT헬스시스템 시범사업 실시(페루)

ㅇ 외국인환자 진료 全주기별 정보제공 의료분쟁middot법률상담 지원

전용 콜센터 운영 통역middot교통 등 종합서비스 창구 마련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27: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25 -

3 문화향유 기회 확충

① 문화 수요자 문화 체험 기회와 문화교육 확대

ㅇ (체험기회 확대) 생활 주변에서 문화ㆍ예술 향유를 적극 지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순회 공연

(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90rarr150억원) 확대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을 확대하고 박물관 등 지역문화

시설을 활용한 인문학 강좌 등으로 지역주민 문화생활 증진

공공도서관 야간이용(427 rarr 500개소) 길 위의 인문학(280 rarr 320개소)

ㅇ (문화예술 소양)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문화교육 확대

유아기 창의력감수성 계발을 위한 유아문화예술교육

(신규 10억원) 및 초중고 학교예술강사 확대(5575rarr6575명)

복지시설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단지 등 소외특수계층의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263rarr303억원)

ㅇ (행복한 실버세대) 어르신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여건 조성

생활문화센터문화원 등을 활용한 실버세대 맞춤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운영(200rarr300개소)

실버세대의 지혜와 흥을 전 세대가 나눌 수 있도록 문화나눔

봉사단(105rarr200개소) 및 인생나눔교실(2000rarr3500회) 확대

경로당 등의 생활체육지도자 파견(1080rarr1280명) 및 어르신

종목 교실강습(13rarr15개) 확대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28: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26 -

② 예술인 예술창작과 공연여건 개선

ㅇ (창작환경)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창작여건 조성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예술인 파견(400rarr900명) 확대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 206 rarr 248억원

시간제 보육시설(1rarr2개소) 및 심리치유상담(270rarr500명)을

확대하여 예술인의 양육의료비 부담 완화

ㅇ (창작물 시현) 문화예술 공연장 추가조성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노후 공연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연환경 조성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건립(190 rarr 369억원) 국립극장 리모델링(11억원)

무대세트를 전문적으로 보관해 주는 공연용품 보관장소를

신규 건립하여 대형 무대세트 재활용 및 공연제작비 절감 유도

무대예술종합아트센터 건립(신규 14억원)

ㅇ (창작역량 강화) 뛰어난 예술가를 육성하여 우수작품 생산 유도

문학 시각예술 공연 등 신진예술가를 대상으로 창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로 지원하여 창작 역량 강화(217rarr261억원)

그동안 소외되었으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의 창작 지원

음악창작소 인디밴드 음악프로그램 운영(신규 10억원)

ㅇ (공연장 안전)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점검 및 개선 확대

안전에 취약한 영세 소규모 공연장의 무대시설 안전점검을

확대(170rarr240개소)하여 사고 발생 예방

안전점검 결과 시설 개보수가 요구되는 소규모 공연장의

안전시설 교체 지원(신규 20억원 200개소)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29: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27 -

4 맞춤형 복지 안전한 생활여건 조성 등 「민생 든든 예산」

재정지원 방향

수혜대상별

생활안정

지원

저소득층 맞춤형 급여체계 정착 일을 통한 빈곤탈출

장애인 취업ㆍ일상활동 지원 치료시설 확충

아동ᆞ어르신 자립기반 제고 돌봄 확대

여 성 육아 경력단절 여성 지원 여성보호

유공자 보상금ㆍ수당 인상 의료서비스 확대

농어민 농촌활력 소득ㆍ경영안정 FTA피해 지원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영유아 보육체계 개편 대체ㆍ보조교사 확대 국공립 확충

학 생 학비경감(국가장학금 든든학자금) 행복기숙사 지원

중장년 임대주택확대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포괄간호서비스

어르신 노인돌봄 치매치료 실버복지주택

안전ᆞ신뢰

사회 조성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ᆞ치안서비스 지속 확충

국민이 신뢰하는 방위능력 확보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기대 효과

lsquo15년 lsquo16년

생계급여 최대지급액 4인가구기준

105만원월 127만원월

기초연금 수급자 수 464만명 480만명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 수

58만명 61만명

병 봉급 인상(상병기준)

154800원 178000원 (15)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30: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28 -

1 수혜대상별 생활 안정

① 저소득층 개별급여 정착 일을 통한 빈곤 탈출

ㅇ (개별급여 정착) 수요 맞춤형 개별급여 체계 전면 적용

기초생활보장 7개 급여 (rsquo15) 88 rarr (rsquo16) 96조원 (+86)

(생계급여) 지급수준을 최대 월 105만원rarr 127만원(4인가구

기준)으로 대폭 확대

중위소득(4) 최저보장수준(중위소득 28rarr29) 인상

(주거교육급여) 주택임차료 교육분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

하여 지원수준을 각각 24 14 인상

(의료급여) 4대 중증질환 임플란트 틀니 등 보장성을 강화

하고 3대 비급여를 개선(lsquo16년 47조원)

ㅇ (영아 지원) 12개월 이하 영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

(월 32만원)와 조제분유(43만원) 지원

lsquo15년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rarr rsquo16년부터 연중 지원 확대

ㅇ (일을 통한 빈곤탈출) 일하는 저소득층의 저축을 지원

(희망키움통장) 민간 부문에서 일하는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의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을 확대

희망키움통장Ⅰ은 신규 3rarr5천가구로 확대 Ⅱ는 신규 2만가구 수준 유지

(내일키움통장) 자활근로 참여 수급자의 자산형성을 촉진

하기 위해 신규 지원(15만가구)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매칭

ㅇ (사각지대 해소) 사례관리를 읍면동(700개)까지 확대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31: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29 -

② 장애인 일상 활동 지원과 치료 시설 확충

ㅇ (취업 지원) 근로역량 개발과 맞춤형 근로 여건 개선

진로탐색 직업체험ㆍ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직업

능력개발센터를 추가 신설(1rarr2개소)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여 직장 적응을 돕는

근로지원인 확대(600rarr880명) 및 지원단가 인상(6000rarr6300원)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중증여성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고용장려금 지원 인상(1인당 월 50rarr60만원)

ㅇ (활동지원)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575rarr61만명)와 장애 정도와

지원 필요성에 따라 서비스 수가 차등 인상(3~5)

스스로 옮겨앉기 자세바꾸기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려운

lsquo최중증와상장애인rsquo을 중심으로 지원 확대(서비스 수가 5 인상)

ㅇ (문제행동치료시설) 지방의 국립대학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을 신규(2개소)로 지원

③ 아동ᆞ어르신 미래 자립기반 제공 및 돌봄 확대

ㅇ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소득 확보가 어려운 아동ㆍ노인에게

소득 지원

(아동) lsquo아동발달지원계좌rsquo 가입 연령을 만12세에서 13세까지로

확대하여 기존에 개설하지 못한 아동에게 가입기회 제공

(노인) 직접일자리를 전년대비 5만개 늘어난 39만개 제공하고

기초연금 수급자 수를 확대(464rarr480만명 76rarr79조원)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32: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30 -

ㅇ (지역돌봄) 한부모ㆍ취약가정 아동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 돌봄서비스 확충

취약계층 아동에게 방과후 돌봄ㆍ급식ㆍ학습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운영비 지원 강화(월 443rarr453만원 +10만원)

독거노인(22만명) 안전 확인 복지서비스 연계 등 기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재가스감지 등 장비설치 확대(9rarr10만개)

ㅇ (초등돌봄) 초등 1~2학년 취약계층 아동(저소득층 한부모 맞벌이

가정 등)을 중심으로 초등돌봄 서비스를 차질없이 제공

(초등 3~4학년) 방과후학교 연계형 교실을 통해 돌봄수요 충족

ㅇ (장애아동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아동 가족의 심리상담 교육

지원 대상을 확대(3730 rarr 7460명)

④ 여성 취업 지원과 여성보호 강화

ㅇ (육아기 여성) 마음편히 일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조성

직장어린이집 지원(620rarr757개)과 출산ㆍ육아휴직 대체인력

대폭 확대(5702rarr7120명)

기업의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소요비용의 40~90 지원) 보육교사

인건비(근로시간 비례 30~120만원 지원) 등 지원

30일 이상 채용된 대체인력 1인당 월 30~60만원 지원(고용보험)

육아와 일의 병행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신규로 창출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5700rarr14605명)

시차출퇴근 탄력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지원 신설

(30만원월)

남성 육아문화 확산을 위한 lsquo아빠의 달rsquo 지원 확대(1rarr3개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

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33: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31 -

ㅇ (경력단절 여성) 온라인 교육 및 취업 상담서비스를 8 rarr 17개

시도로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강화

ㅇ (여성보호)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1개소 추가 설치하고 성매매

피해자 안전 보장 등을 위해 주거시설(10개소) 개량

여성 긴급 피난처 종사자를 증원(18명)하여 위기 여성에 대한

24시간 상담체제 가동

ㅇ (자궁경부암)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추가

ㅇ (아이 돌봄) 저소득층 미취학 아동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소득분위별 지원율을 조정

⑤ 국가유공자 보상금과 의료서비스 대상 및 호국ᆞ보훈정신 함양

ㅇ (보상강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를 위해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

ㅇ (생활안정) 생계 곤란 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개선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중 생활조정수당 미수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간호지원) 간호지원이 필요한 중상이 국가유공자(12급)의

일상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수당 인상(216rarr223만원)

ㅇ (의료서비스 질 제고) 보훈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처방 약제비 보전 확대(85rarr123억원)

ㅇ (호국ㆍ보훈정신 함양)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호국ㆍ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34: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32 -

⑥ 농어민 안정적 소득 창출 여건 확충

ㅇ (농촌활력) 인력 자본의 농촌유입을 통한 농촌경제 지속가능성 제고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활기찬 농촌 프로젝트 추진 (신규 101억원)

3년간 6개 시범지역에 총 480억원 신규 지원

청년 취농인을 대상으로 창업안정지원금 지원(신규 26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농식품 벤처창업 촉진(신규 24억원)

창업안정지원금 월 80만원 times 연간 최대 9개월 times 300명 최대 2년

창조경제혁신센터내벤처창업특화센터설치 기술가치평가현장창업보육등지원

ㅇ (소득안정) FTA 피해 최소화 및 연금ㆍ보험 지원

FTA 등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농수산물

수출지원(8556 rarr 10069억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수출전문 원예생산시설(16ha 약 30호) 할랄식품산업 육성(신규 95억원) 지원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지원 확대(394 rarr 498억원)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농어민 안전사고시

간병급여 직업재활급여(최대 500만원) 등 보장내용 추가 확대

농작물재해보험 (lsquo15) 46 rarr (rsquo16안) 49개 수산물 (lsquo15) 21 rarr (rsquo16안) 24개

ㅇ (경영안정) 농어업 생산성 제고 및 농어가 경영비 절감

농어가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농어업 정책자금 금리인하

(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농어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신규 30억원) 등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촉진

예시 들녘경영체가겨울철에재배하는국산보리를활용하여수제맥주사업추진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35: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33 -

2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① 영유아 양질의 공공보육 서비스 제공

ㅇ (보육체계 개편) 보육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보육체계를 맞춤형

으로 개편하고 시간제 어린이집도 확대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가 필요시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월 15시간 긴급보육 바우처 지급

가정보육 부모가 시간제로 일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반을 전국 380개로 확대(lsquo15년 230개)

ㅇ (보육의 質 개선)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여건과 보육의 질을 개선

보육교사 휴가 및 직무교육 등 일시적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교사를 2배 이상으로 확대(449 rarr 1036명)

평가인증을 유지하는 우수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채용을 지원

(12344명)하여 보육교사 업무부담 경감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 어린이집은 지속 확충(신규 150개)

ㅇ (육아종합지원)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신규 2개소)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

ㅇ (누리과정) lsquo16년부터 누리과정 예산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

하여 학부모 아이들이 마음놓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36: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34 -

② 학생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ㅇ (교육비) 대학생 학비부담 경감

국가장학금(38rarr39조원) 대학생 근로장학금(10rarr121만명) 및

중소기업 취업전제 희망사다리 장학금(2500rarr2667명) 지속 지원

다자녀(셋째 이상) 국가장학금 지원대상 확대(1~2학년 rarr 1~3학년)

ㅇ (기숙사) 민간기숙사보다 저렴(월 24만원 이하)한 행복기숙사

건립(lsquo15년 2300명rarrrsquo16년 3500명)

③ 중장년 주거ᆞ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노후도 대비

ㅇ (주거) 서민middot중산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영구 국민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 인상(rsquo15년 대비 3)

공급 호수(준공 기준) (rsquo15) 110 rarr (rsquo16안) 115만호

중산층의 주거비 절감 및 주거 안정을 위해 기업형 민간임대

주택(뉴스테이) 공급 확대(10rarr15만호)

ㅇ (의료) 4대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과 포괄간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비 경감

(4대 중증질환)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

유전자 검사법 등 필수검사 급여 전환

(포괄간호서비스) 간호인력 양성(2400명)과 포괄간호서비스

제공 병원의 조기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100개 병동)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37: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35 -

④ 어르신 돌봄 및 의료 서비스 확대

ㅇ (일상 생활)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가사지원 목욕보조 등

lsquo노인돌봄서비스rsquo 지원 대상자 확대(31rarr38만명 +7천명)

활동보조 식사도움 옷입기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월 24~35만원 바우처)

ㅇ (치매 노인) 지역사회 치매관리 정책사업 수행 확대를 위해

광역치매센터 2개소 신규 설치(13rarr15개소)

노인 수 증가와 치매치료 필요자 증가에 따라 저소득 노인

대상 치매치료비 지원(103rarr105만명)

저소득치매노인대상약제비 진료비등본인부담실비 3만원월한도내지원

ㅇ (노인무릎수술비 지원) 수요 증가에 따라 대상자 확대

(1850 rarr 2600명 +750명)

저소득 노인 대상 본인부담금의 80 100만원 한도 지원

ㅇ (실버 복지주택) 주거 취약계층인 고령자들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실버 복지주택 건설 신규 지원(6개동 각 500호 내외)

주거동과 고령자를 위한 복지시설(1sim2층)이 복합된 공동주택

ㅇ (민간 돌봄) 노인돌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새로

구축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노인돌봄문화를 활성화

돌봄 1시간당 1포인트 적립하여 추후 본인(65세 이후) 또는 가족 등이

자원봉사형태의 노인돌봄서비스(가사 및 정서지원 등) 이용 가능

lsquo16년에는 돌봄봉사자 8500명 등록 및 활동계획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38: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36 -

3 안전ᆞ신뢰사회 조성

(1)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4118rarr5476억원 +33)

① 유입차단 및 예방ᆞ연구 인프라 확충

ㅇ (유입차단) 해외유입 관문인 국제공항검역소(제주)에 격리시설과

진단검사실을 설치하고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장비 보강

(추경) 인천공항 검역소 격리시설 및 진단검사실 설치(50억원)

검역소 검역관리 예산 (rsquo15) 55 rarr (rsquo16안) 111억원

ㅇ (약품비축) 적정 수준의 항바이러스제 비축(30)을 통해 신종

플루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유행시 국민 건강 보장

(추경) 항바이러스제 비축 확대(25rarr30) 반영(380만명분 555억원)

(rsquo16안) 교체소요 등 반영하여 30 유지(301만명분 512억원)

ㅇ (연구개발) 신ㆍ변종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연구개발 확대

감염병 RampD 예산 (rsquo15) 308 rarr (rsquo16안) 410억원

② 현장대응능력 강화 및 진단체계 선진화

ㅇ (상황관리) 긴급상황실을 신설(총사업비 200억원)하고 109 감염병

콜센터를 상시화하여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ㅇ (관리체계) 시ㆍ도 감염병 관리본부를 단계적으로 확대(신규

2개소)하고 감염병 관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비확충)국립보건연구원과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시설ㆍ장비

확충을 통해 신ㆍ변종 감염병 진단능력 제고(60rarr110억원)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39: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37 -

(2) 생활안전ᆞ치안서비스 확충

①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 구축

ㅇ (대형특수재난 대응) 재난발생시 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사고 지반함몰 등에 대한 예방 투자 확대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연안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해상안전교육센터 신설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산업화학사고의 대응을 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

(1108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생활 안전) 국민생활 안전 인프라 지속 확충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의식 확산 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ㆍ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 설치(6개소)

ㅇ (지자체민간) 자발적인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 투자 뒷받침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을 위해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

(4900rarr 5302억원) 및 안전설비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40: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38 -

②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서비스 확충

ㅇ (생활치안 서비스 확충) 파출소ㆍ지구대 등 현장 경찰관 대폭

증원(1880명) 야간 우범지역 기동순찰대 확대(30rarr50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CCTV 설치 (3306개소)

ㅇ (범죄의 사전대응력 강화) 전자발찌 범죄 징후 사전 포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원) 성범죄자 보호관찰 신속대응팀 증설(38rarr48개)

과거범죄유형 전자발찌위치시간등에대한빅데이터분석을통한범죄예측

ㅇ (범죄 피해자 보호) 스마일센터 성폭력 상담소 등 피해자 지원

시설 확충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확대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생계비(10rarr12억원) 등

③ 선진 법질서 확립 뒷받침

ㅇ (공정 투명 선거) 제20대 총선 경비(1921억원) 사전투표제(313억원)와

재외선거제도(88억원) 정착 및 불법 부정선거 단속 수사 지원

ㅇ (법령과 규제정비) 풀뿌리 규제완화를 위한 지자체 조례정비 (7억원)

OECD 규제평가(신규 5억원) 특허법원 IP 허브코트 구축(5억원)

특허법원 국제부 설치준비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ㅇ (법률구조와 인권보호 확대) 나홀로소송 지원시스템 구축(신규 23억원)

경찰 피해자 가해자 분리 수사시설 확충(신규 13억) 아동 장애인

온라인 지문등록 시스템 도입(신규 10억원)

ㅇ (의정활동 지원) 20대 국회 개원 지원 (62억원) 시민대상 국회 연수

프로그램 신설(14억원) 등 국민과의 소통 프로그램 확충

인문학 강좌 북한이탈 주민 민주주의 교실 스피치 토론대회 등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41: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39 -

(3)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강한 전쟁억제력 확보

① 국방예산을 전략적으로 확대 (375 rarr 390조원)

ㅇ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를 상회하는 4 증액 (+15조원)

ㅇ 북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 구축에 집중 투자

방위력개선비 증가율 (lsquo11~rsquo15) 연평균 32 (lsquo16) 61

② 北 도발에 대응할 핵심전력 강화

ㅇ (DMZ 전력) 北 기습도발을 신속히 탐지한 후 즉시 타격할 수

있는 전력 극대화 (21rarr30조원)

차기대포병탐지레이더 HUAV(고고도 정찰용무인기) 등

탐지능력 K9자주포 K2전차 차기다련장 등 타격능력 강화

소형전술차량(신규) 등 전방 기동력 비금속 지뢰탐지기

장애물(지뢰) 개척 전차 등 지뢰대응 능력 강화

ㅇ (對잠수함 전력) 3천톤급 잠수함(장보고Ⅲ) 양산 개시 이지스

구축함 첨단음향 탐지체계 개발착수 등 (16rarr17조원)

ㅇ (북핵 대응) 핵 미사일 등 공격징후 사전포착 후 선제공격

(KillChain) 적 미사일 공중요격(KAMD) 능력 강화 (09rarr15조원)

③ 장병 사기진작을 위한 복지안전 투자 확대

ㅇ (복지) 병사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등 인상

전방근무 병사수당 50 인상 특전사 저공낙하 수당 40 인상

ㅇ (안전) GOP부대 응급구조사 증원(16명) 예비군 사격훈련장(226개)

개선 정신건강증진센터 증설(수도병원 양주병원)

ㅇ (생활여건) 제초 시설관리 등 전방 전투경계부대의 잡무의

민간위탁 병영도서관 도서구입비 2배 인상 등 지원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42: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40 -

(4) 평화통일 협력기반 구축 및 외교 역량 강화

① 상호신뢰를 위한 남북 교류ᆞ협력 확대

ㅇ (경협기반 확대)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

총사업비1508억(1단계1291억 2단계217억 117km) (15)32rarr(16) 630억원

정배수장 증설 제2소방소 건립 등 개성공단 기반시설(666억원)

ㅇ (인도적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협력 확대(786rarr927억원)

ㅇ (민간 협력) 개성역사지구ㆍ고구려 문화발굴 등 학술연구

태권도축구 체육분야 등 사회 문화 교류 활성화(140rarr163억)

② 통일에 대한 실질적 준비 본격화

ㅇ (통일 공감대 확산) 통일준비 전문인력 양성 대학 통일옴니버스

강좌 신설 인터넷 통일방송 지원 등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통일교육원 시설 확충(28rarr54억) 통일옴니버스 강좌(5억원 신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 조기 정착을 위한 안내ㆍ교육훈련 강화

청소년 학습능력 제고 지원

북한이탈주민 재단(213억원) 탈북민 청소년 학교 지원(32억원)

③ 전략적 외교역량 인프라 확충

ㅇ (동북아 협력) 한 중 일 3국 워크숍 유력인사 방한 초청 등

21세기 新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협력(54rarr61억원) 등 지원

ㅇ (대미 협력) 美 대선을 앞두고 학계ㆍ싱크탱크와 네트워크 구축

(23rarr39억원) 등 공공외교 강화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43: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41 -

Ⅲ 재정개혁 추진

1 재정사업 효율화로 아껴쓰는 「알뜰 예산」

① 유사ᆞ중복 사업 통폐합

ㅇ 부처간부처내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낭비요인 제거

ㅇ lsquo15년 예산 370개 rsquo16년 예산안 300여개 사업 통폐합을 통해

600개 사업 통폐합 조기 달성(lsquo17년rarrrsquo16년)

lt 유사중복 통폐합 사례 gt

①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 지원 사업이 국토부(주거급여) 복지부(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에서 중복 운영(벽지장판 교체 후 보일러 수리 등으로

인해 벽지장판을 재교체해야 하는 경우 발생)

국토부 주거급여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불필요한 공사 및 중복

지원을 예방하여 효율성을 제고

② lsquo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지원 사업rsquo을 산업부(석박사급)미래부(퇴직과학

기술자)중기청(학사 이하)에서 각각 운영

산업인력 양성을 총괄하는 산업부로 집행체계를 일원화하여

사업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

③ 한국학 관련 lsquo해외대학 내 한국학 교수 파견rsquo 및 lsquo학술연구 지원 사업rsquo을

외교부와 교육부에서 중복 운영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수 파견은 외교부로 학술연구 지원은

교육부로 통합하여 기능별로 특화

④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구매를 전제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을 중기청과 국토부에서 각각 운영

중소기업 지원 전담 부처인 중기청으로 통합하여 RampD지원과 판로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44: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42 -

② 재정사업 원점재검토

ㅇ 사업평가 외부지적 집행실적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및

성과가 낮은 80여개 사업은 예산을 50이상 삭감 또는 폐지

ㅇ 특히 모든 보조사업에 대해 보조사업운용평가를 실시하고

재정사업 자율평가 등 성과평가 결과를 재정 지원과 연계

lt 재정사업 원점 재검토 사례 gt

① 해외자원개발융자(산업부 rsquo15년 1438억원) 성공불 융자 방식으로 인해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대기업 위주 지원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어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② 자활장려금(복지부 rsquo15년 150억원) 기초생활수급자도 근로장려세제

대상자에 포함됨에 따라 중복적으로 지원되는 자활장려금 사업 폐지

(내일키움통장을 신규 도입하여 사각지대 보완)

③ 모태펀드출자(중기청ㆍ특허청 rsquo15년 1770억원) 추가적인 정부출연 없이

회수재원만으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신규약정 및 투자금 지급이 가능

하므로 rsquo16년 예산안은 전액 감액

③ 사업수 총량관리

ㅇ 보조사업수를 10 감축(1818rarr1523개)하고 非보조사업수를

lsquo15년 이하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사업 신설 차단

기존사업 폐지시에 한해 신규사업 추진 허용(one-out one-in)

강도 높은 재정사업 효율화 노력을 통해 연 2조원 수준

절감하고 일자리 문화 융성 서민생활 지원 등에 재투자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45: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43 -

2 제도 선진화로 건전재정 기반 조성

①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ㅇ 국고보조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보조사업 일몰제(3년) 도입

등 보조금 관리 체계 개선

ㅇ 보조사업자 이력 자금내역 등 보조사업 관련 정보를 공시

하고 일정금액 이상 보조사업자 등의 회계감사(매 2년)를 의무화

ㅇ 보조금 부정수급 차단ㆍ재발방지를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사후제재를 강화

부정수급금 5배 이내 범위에서 제재부가금 부과 부정수급자 명단 공표 등

② 재정정보 투명성 제고

ㅇ 한 곳에서 모든 재정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재정

정보공개시스템인 lsquo열린재정rsquo(wwwopenfiscaldatagokr) 구축

알기쉬운 재정정보ㆍ통계 맞춤형 재정지원 정보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국민들의 재정정보 접근성 제고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46: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44 -

별 첨 분야별 재원배분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2 교육 분야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4 RampD 분야

5 산업ᆞ중소기업ᆞ에너지 분야

6 SOC 분야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8 환경 분야

9 국방 분야

10 외교ᆞ통일 분야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47: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45 -

1 보건ㆍ복지ㆍ고용 분야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확대를 포함한 차질없는 맞춤형 급여체계 지원 및 일을 통한 복지 구현

ㅇ 중위소득 인상(4)을 반영하고 최저보장수준을 중위소득의 29로 상향하여 생계급여 지원 확대(+06조원 +21 증)

생계급여 월평균 최대지급액(4인가구) (rsquo15상)105 rarr (rsquo16)127만원

ㅇ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가입을 확대하여 자산형성 촉진

희망키움통장 추가 25만가구 내일키움통장 신규 15만가구 지원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를 확대(575rarr61만명)하고 장애정도와 지원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수가 인상(중증 5 일반 3)

ㅇ 읍면동 사례관리 사업비를 지원(700개 읍면동 6백만원씩)하여 취약계층의 복합적 욕구 및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생애단계별 생활안정 지원

ㅇ 보육체계를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교사 근무여건을 개선

맞춤형 보육반 이용 부모에게 월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급 가정양육부모들의 일시보육지원을 위해 시간제 보육반 확대(230rarr380개)

ㅇ 취약가정 아동 지원을 위해 아동발달지원계좌 가입연령을 확대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아동발달지원계좌가입연령 만12세rarr만12~13세 지역아동센터운영비 월 443rarr453만원

ㅇ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준공 11rarr112만호) 및 기업형 민간임대주택(10rarr15만호) 확대를 통한 주거비 절감

ㅇ 기초연금 수급자(464rarr480만명) 및 지원수준을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확충(337rarr387만개)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보장 강화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감염병 관련 (rsquo15) 4118 rarr (rsquo16안) 5476억원(+33 증)

ㅇ 긴급상황실 신설 109 콜센터 상시화를 통해 24시간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도 감염병관리 본부를 단계적 확대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48: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46 -

청년 일자리 확충 근로자 사회안전망 강화 일가정 양립 지원 등 취약계층 중심의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강화

ㅇ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1만명) 중견기업 청년인턴 확대(3만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양적질적으로 개선

청년 직접일자리 48 rarr 64만개 (증 315)

ㅇ 실업급여 지급수준(평균임금의 50rarr60) 및 상한액 인상(43rarr5만원)

지급기간 확대(90~240일 rarr 120sim270일 +30일)를 통한 보장성 강화

보험료율 인상 전제 (현행) 13 rarr (lsquo167월) 17(+04p)

ㅇ 시간선택제 일자리(5700rarr14605명) 직장어린이집 (620rarr757개소) 및아빠의 달 지원 확대(1rarr3개월) 등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 지원(150만원월 한도)

ㅇ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상담 서비스를 확대하여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확대 온라인 상담 및 취업상담 (lsquo15) 8개소 rarr (rsquo16) 17개

국가유공자와 유족에 대한 보상 강화 및 국민의 호국정신 함양

ㅇ 보상금 지급 수준을 전년대비 35 인상하고 생활조정수당의 수급자 선정방식을 변경하여 수혜대상 확대

(개선전) 신청제 rarr (개선후) 기초수급자 중 생활조정수당 미지급자 확인안내 생활조정수당 대상자 수 (lsquo15) 3903명 rarr (rsquo16) 5111명

ㅇ 국민의 애국심 고취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해 나라사랑 교육 강화 나라사랑 정신 계승발전 (lsquo15) 26억원 rarr (rsquo16) 10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기초생활보장 94773 101305생계급여(26988rarr 32728)

공적연금 396612 427073국민연금 급여(165875rarr 185488)

보육가족여성 54278 55571양육수당(11018 rarr 12192)보육교직원인건비 등(6746 rarr 7794)

노동 155162 172920구직급여(41084rarr 51228)

보훈 46376 47404보훈보상금(23435rarr 24539)

주택 183867 192943행복주택(10454rarr 13211)

노인청소년 90362 93890기초연금지급(75824rarr 78692)

취약계층 23688 24886장애인활동지원(4679rarr 5009)

보건 104010 104918감염병 대응(4118 rarr 5476)

사회복지일반 7697 7916지역자율사회서비스 투자(2136rarr2337)

합 계 1156824 1228828 62 증가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49: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47 -

lt참고gt 일자리 분야

최근 심각한 청년취업난 해소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주력

(lsquo15) 48 rarr (rsquo16) 64만개

일가정 양립 지원 및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투자 확대 지속(140조원rarr158조원)

ㅇ 직접일자리 사업은 청년노인 등 상대적으로 고용여건이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확대

직접일자리 규모 (rsquo15) 659 rarr (rsquo16안) 698만개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로의 취업 유도

ㅇ (청년) 중견기업 청년인턴을 확대(3만명)하고 lsquo상담-훈련-취업

알선rsquo으로 이어지는 청년내일찾기패키지 확대(10rarr13만명)

- 해외 K-Move 센터 확대(10rarr15개소) K-Move 스쿨 장기과정

전환 등을 통해 청년의 해외취업 역량 강화

ㅇ (여성) 유연근무제 지원금(30만원월) 재택원격근무 지원금

(20만원월) 신설로 일가정양립을 지원

-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을 확대(06 rarr 15만명)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도 지속 확충(110 rarr 156개소)

ㅇ (중장년) 민간부문의 임금피크제 도입 유도를 위해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08 rarr 11만명)

ㅇ (장애인)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600rarr880명) 및 발달장애인 능력

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중증여성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10만원월)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50: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48 -

우수 직업훈련 강화 및 고용장려금고용서비스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 확충 및 사회안전망 강화

ㅇ (직업훈련)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강화(35rarr77만명) 및 대기업 등의

우수한 교육훈련 인프라를 활용한 lsquo고용디딤돌 프로그램rsquo 도입

대기업 등이 직접 직무교육 실시 rarr 직접고용 또는 협력업체 채용 유도

- lsquo선취업후진학rsquo 정착을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확대

(9rarr10+30개校)하고 고교-전문대 통합과정 신설(Uni-Tech 16개)

ㅇ (고용장려금)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을 확대(1만명)하여 청년

정규직 신규채용 지원 강화

- 저임금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사회보험 신규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 인상(두루누리 사업)

(현행) 旣가입자신규가입자 50rarr (개편) 旣가입자 40 신규가입자 60

ㅇ (고용서비스) 고용복지+센터를 확대(40rarr70개)하여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연계운용 강화

- 청년 취업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창조일자리센터(40개) 확충

ㅇ (실업급여) 근로자 실직시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

지급액 인상 및 수급기간 30일 연장

(지급액) 실직전 임금의 50 rarr 60 (수급기간) 90sim240일 rarr 120sim270일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직접일자리 24663 26302노인일자리 운영(3012rarr 3571)

직업능력개발훈련 17857 19683일학습병행운영지원(812rarr 1089)

고용서비스 6102 6915취업성공패키지(2746rarr 3136)

고용장려금 25961 28307세대간상생고용지원(0rarr 619)

창업지원 18339 19001창업사업화지원(946rarr 1133)

실업소득 유지ㆍ지원 46832 57478실업급여(41084rarr51228)

합 계 139754 157685 128 증가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51: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49 -

2 교육 분야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및 평생교육 기회 확대

학생 누구나 꿈과 끼를 키우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대학체질 개선 등을 통해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기능 강화

ㅇ 사회수요 중심으로 대학구조를 개편하는 우수 선도대학을

지원하여 대학생의 진로역량 강화 및 인력 미스매치 해소

대학당 평균 50~200억원(최대 300억원) 지원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지원 2362억원

- 동시에 인문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인문대학 역량강화 지원

대학인문역량 강화사업 344억원

ㅇ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을 확대하고(547rarr847개)

개발된 학습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 확대

특성화고 신입생 전면적용 특성화 전문대 적용 확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rsquo15) 243 rarr (rsquo16안) 247억원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의 명품강의를 모든 국민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ㅇ 성인학습자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신규 육성하여

先취업 後진학 인프라 기반 강화

평생교육단과대학 육성 300억원

ㅇ 대학 우수 강의의 온라인 공개확대를 통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rsquo15) 23 rarr (rsquo16안) 35억원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52: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50 -

교육비 부담경감으로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누리과정을 의무지출경비로 지정하여 학부모와 아이들이 현장에서 안심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개정(lsquo1510월 예정)

ㅇ 다자녀 가구(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맞춤형 국가장학금 행복기숙사지원확대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부담을 경감

세자녀 이상 국가장학금 (현행) 1~2학년 rarr (확대) 1~3학년

행복기숙사(억원) (lsquo15) 865 rarr (rsquo16안) 1077억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인재 양성 지원

ㅇ lsquo13년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413조원 +19조원)의 효율적 집행방안 마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조원) (lsquo12)384 (rsquo13)411 (lsquo14)409 (rsquo15)394 (lsquo16)413

lsquo16년 공자기금 지방교육채 인수규모 15조원까지 감안시 428조원

- 교부금 배분기준에 학생수 비중을 확대(31rarr50)하여 최종수요자인 학생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지출구조 확립

ㅇ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하여 자유로운 진로탐색 활동과 적성개발 등 지원

자유학기제 시행학교(교) (rsquo13)42 rarr (rsquo14)811 rarr (rsquo15)2551 rarr (rsquo16)3204

자유학기제 지원(특별교부금) (lsquo15) 523 rarr (rsquo16안) 684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유아초중등교육 414568 431002

지방교육재정교부금(394rarr 413조원)

지방교육채 인수(19rarr 15조원)

국립부설학교 학력증진(480rarr482)

고등교육(대학운영비 등 제외시)

107449

(92351)

92938

(92938)

산업연계교육활성화(2362 신규)

대학인문역량강화(344 신규)

행복기숙사지원(865rarr 1077)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38456rarr39445)

평생직업교육 6150 6569특성화전문대학 육성(2969rarr 2972)

K-MOOC 강좌개발(23rarr 35)

교육 일반 1020 1103 인건비(567rarr623) 기본경비(275rarr263)

합 계 529187 531613 05 증가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53: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51 -

3 문화ᆞ체육ᆞ관광 분야

문화융성 체감 확산 및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창작여건 조성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육성 및 국제경기대회 준비 뒷받침

lsquo문화창조융합벨트rsquo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문화산업 생태계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신규 1319억원)

ㅇ 융middot복합 콘텐츠 제작기업 입주 및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벤처단지 프로그램 운영

(초기) 교육컨설팅 rarr (성장) 투자유치마케팅 rarr (성숙) 해외진출

ㅇ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원(lsquo163월)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 조성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문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주변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ㅇ 군부대 농어촌 등 소외지역을 위한 순회 공연(180rarr350억원)

문화가 있는 날 야외문화행사(90rarr150억원) 확대

ㅇ 능동적인 문화향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아(신규 10억원)

부터 어르신(39rarr47억원)까지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예술인이 본연의 예술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창작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 확충

ㅇ 경제적 애로를 겪는 예술인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창작준비금(3500rarr4000명) 심리상담(270rarr500명) 지원

ㅇ 복합문화예술공간 신설 노후공연장 리모델링 등 쾌적한 공연

환경을 조성하고 무대세트 보관장소 건립으로 제작비 절감 유도

국립극장 리모델링 11억원 무대예술아트센터 건립 신규 14억원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54: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52 -

우수 콘텐츠 제작지원을 확대하고 재외한국문화원 등 해외

거점을 통해 한류의 지속적인 해외 확산 촉진

ㅇ 애니메이션(121rarr151억원) 게임(210rarr329억원) 등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고 재외문화원 한국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신규 44억원)

ㅇ 한류와 상품수출 관광 문화예술 등을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신규 25억원)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경기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

ㅇ 한강 등 자연 생태를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의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자원 개발 지원

한강 관광자원화(문화부 40억원) 동계올림픽 관광특구 개발(70rarr150억원)

ㅇ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진입도로(2976rarr3418억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적기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궁궐 등 우리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를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지속 확대(109rarr17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문화예술부문 23610 25848문화창조융합벨트(신규 1319)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90rarr 150)소외지역 순회공연(180rarr350)

관광 부문 13719 14681

국내관광 활성화 및 지역관광 개선(159rarr185)한강 관광자원화 조성(신규 40)폐광 및 동계올림픽특구 관광자원화(102rarr289)

체육 부문 13541 14873국가대표종합훈련장 건립(460rarr1154)동계스포츠 육성(159rarr 179)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88rarr 130)

문화재 부문 등 10331 10378 문화재보수정비(2800rarr 3000)문화유산활용 진흥(109rarr 170)

합 계 61201 65780 75 증가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55: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53 -

4 RampD 분야

창의성 기반의 성장동력 및 미래 신산업 창출

RampD 기술사업화 촉진 및 국민밀착형 RampD 지원 강화

시장수요와 성과에 기반한 RampD 지원시스템 구축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middot선도형 RampD 투자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핵심 창업중소기업 RampD자금의

연계지원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거점 역할 제고

창업성장자금 300rarr 635억원 지역특화산업 240rarr 366억원 등

ㅇ 사물인터넷(IoT)무인이동체(드론)5G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유망 미래먹거리 분야에 중점 투자

범부처기가코리아 410rarr 699억원 무인이동체선도핵심기술개발 60억원(신규) 등

ㅇ ICT디자인 기술 접목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하고 창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확대(15rarr 16조원)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50rarr 99억원 디자인혁신역량강화 366rarr 420억원 등

공공 RampD성과물 사업화 촉진 및 기술력 신장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견인

ㅇ 후속연구middot시제품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연구성과 활용 제고 및

민간부문으로의 공공기술 이전 활성화 유도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 302rarr 379억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2rarr 433억원

ㅇ 중소ㆍ중견기업 투자비중(lsquo15년 175)을 rsquo16년에 18까지 확대

하여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육성

창업성장기술개발 1624rarr 1888억원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 685rarr 906억원등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56: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54 -

국민 안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국민체감형 RampD 추진

ㅇ 메르스 등 전염병 관리와 재난재해 대응 정보보호 등에 대한

과학기술적 기반 구축을 통해 모두가 체감하는 안전한 사회 구현

감염병 대응 308rarr 410억원 e-Navigation 85억원(신규) 정보보호 299rarr 412억원등

ㅇ 전기차ESS 등 에너지 신산업(115rarr 268억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middot고령화 사회 대비 등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465rarr 528억원 차세대바이오그린 460rarr 561억원 등

RampD 지원시스템을 시장수요성과 중심으로 개편

ㅇ 중소ㆍ중견기업 RampD 바우처(04조원) 지원과 lsquo한국형 프라운호퍼rsquo

방식 시범 도입을 통한 출연硏의 기업연구소 역할 강화

ETRI 전기연 등 산업형 출연연 6개(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하여 출연금 지급)

ㅇ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미흡 사업 등 구조조정 추진

(lsquo16년) 21개 RampD사업 일몰(신규내역 미반영) 약 900억원 감축

ㅇ 지역RampD센터 건립시 사전타당성 검토 의무화지자체 책임성

제고 및 대형 연구장비 통합관리를 통한 장비 활용 제고

장비도입(1억 이상) 및재활용처분(03억 이상)시미래창조과학부에서통합심의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기초middot나노 22980 21900middot 과학벨트조성(2170rarr2466)middot 개인middot집단연구 지원(7364rarr7657)

에너지middot환경 24675 23162middot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465rarr528)middot C1가스 리파이너리(40rarr140)

우주항공middot생명 등 46700 47887middot 한국형발사체 및 달탐사(2555rarr2800)middot 바이오 의료기술개발(1656rarr1930)

기계middot제조middot공정 22783 22532 middot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784rarr855)

전자middot정보 26495 24715middot ITmiddo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486rarr648)middot 범부처 Giga Korea(410rarr699)

기타 45267 49167 middot 국립대학 인건비 등

합 계 188900 189363 02 증가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57: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55 -

5 산업middot중소기업middot에너지분야

수출 지원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경제활력 제고

창업 후 2~5년차 지원 강화 및 유망 자영업 창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본격 추진

FTA 경제외교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생산성 향상 지원

ㅇ 한 중 FTA 활용 촉진 및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수출 품목

지역 다각화를 위한 수출 지원 확대(599rarr1039억원)

할랄시장 수출확대(95) 경제사절단 파견 및 11상담회(35) 수요연계형

글로벌진출지원(30) 온라인특별할인전(8) 등 신규지원

ㅇ 환경개선펀드 대폭 확대(270rarr600억원) 및 산학융합지구 조성

확충(7rarr10개)을 통해 청년들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 지원

창업 후 2~5년차에 맞이하는 ldquo죽음의 계곡rdquo 극복을 위해 사업화

지원 창업자금 등 지원체계 강화

ㅇ 사업화지원은 창업 2~5년차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100억원)하고

시제품제작 중심에서 수익모델 창출 중심으로 지원방식을 개선

창업사업화지원 (lsquo15) 423 rarr (rsquo16안) 523억원

ㅇ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을 확대(13rarr15조원)하고 창업 2~5년차

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을 확대하여 정책자금 뒷받침 강화

ㅇ 창업 초기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는 lsquo본-글로벌형

창업rsquo 활성화를 통해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53rarr120억원)

ㅇ 민간중심으로 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 TIPS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창업의 질적 향상(365rarr425억원)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성공벤처주도엑셀러레이터를통해유망한

창업팀을 엄선하여 민간 엔젤투자에 RampD-해외마케팅 등 정부 지원 연계

RampD자금 300rarr350 사업화 지원 50rarr60억원 강남 lsquoTIPS 타운rsquo 15억원 등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58: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56 -

생계형과밀업종 창업을 억제하고 유망업종 중심으로 지원

ㅇ 전국 주요업종 상권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생계형 업종의 과잉

창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

과밀지수 제공 범위 확대 서울2개 업종 rarr 전국30개 업종 (25rarr35억원)

ㅇ 유망분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소상공인사관학교 등 신사업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 기술창업센터기술창업스쿨을 확충

신사업육성 21rarr58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 67rarr87억원 소상공인사관학교창업융자

270rarr350억원 시니어기술창업스쿨(10rarr16개소) 시니어기술창업센터(20rarr22개소)

ㅇ 소상공인 성장촉진자금 신설(2000억원)로 유망 자영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젊은 층이 찾을 수 있는 전통시장 lsquo청년몰rsquo 육성(128억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lsquo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rsquo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신산업 본격 추진

ㅇ lsquo스마트그리드 확산rsquo을 지원(신규 314억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는 lsquo스마트그리드 지역 거점rsquo을 전국적으로 확산

ㅇ 에너지신산업 모델 구현을 위해 lsquo에너지신산업 자금지원(융자)rsquo을

신설(신규 500억원)하고 산업단지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산업진흥고도화 86206 86269소상공인지원(20039rarr 20197)산업단지환경조성(375rarr 690)

무역 및 투자유치 5679 5744 중소중견기업수출경쟁력강화(478rarr526)

에너지 및 자원개발 39733 35134해외자원개발( 3588rarr1202)스마트그리드확산(0rarr314)

산업중소기업 일반 5065 5276 자유무역지역관리(36rarr45)

산업금융지원 15188 16003 신성장기반자금융자(10270rarr11500)

산업기술지원 12345 12574 개발기술사업화자금(3000rarr3500)

합 계 164216 161000 20 감소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59: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57 -

6 SOC 분야

SOC 투자규모의 정상화 및 투자효율성 제고

예방중심의 SOC 안전관리 강화 및 항만ㆍ산단 등

기반시설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

그간 축적된 SOC 스톡 등을 감안하여 SOC 투자규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를 추진하고 투자효율성 제고에 중점

G20 중 한국의 국토면적당 연장 순위 고속도로 1위 국도 3위 철도 6위

도로는 계속사업의 완공 및 교통안전 강화에 중점

ㅇ 계속사업은 완공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고 신규사업은 지역

공약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필수적인 사업 중심으로 최소화

국도 완공사업 (rsquo15) 29건 3279억원 rarr (rsquo16안) 61건 9656억원

ㅇ 고위험 교량 터널의 정비 도로포장 정비 차량방호 울타리

및 충격흡수시설 설치 등 교통 안전시설 보강

도로 안전투자 (rsquo15) 12조원 rarr (rsquo16안) 13조원

국가 간선철도망 적기구축 및 철도 SOC 안전투자 확대

ㅇ 주요 철도망 적기 구축 지원으로 개통 편익 극대화

이천-문경 철도건설 (lsquo15) 800 rarr (rsquo16) 1112억원

하남선 복선전철 (lsquo15) 800 rarr (rsquo16) 1250억원

ㅇ 노후화된 선로시설 교체 및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여

철도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

일반철도 시설개량 (rsquo15) 4149 rarr (rsquo16안) 4488억원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60: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58 -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재해예방능력 강화

ㅇ 공업용수도 광역상수도 등 용수공급 확대 및 안정화 지원

용수공급 및 개발(19개) (lsquo15) 691 rarr (rsquo16안) 1116억원

ㅇ 가뭄장마 대비 소규모댐 건설 본격 추진

소규모댐 건설(3개) (rsquo15) 28 rarr (rsquo16안) 187억원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된 항만개발 지원 강화

ㅇ 부산항 등 물류 중심 항만 개발사업 적극 지원

부산신항 (rsquo15) 1374 rarr (rsquo16안) 1844억원 평택당진항 (rsquo15) 363 rarr (rsquo16안) 521억원

ㅇ 노후유휴항만을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3개항만(부산광양인천) 클러스터조성 기본계획 수립(lsquo16 신규 6억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입도로 건설 및 노후공단

재정비를 지속 지원하고 도시첨단 산업단지도 신규 지원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신규) (rsquo16안) 164억원

쇠퇴 도심을 재생하여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지속 지원하고

새만금세종시 등 주요 지역개발계획 추진 뒷받침

도시재생사업 (rsquo15) 420 rarr (rsquo16안) 480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도로 90845 83720 도로안전투자(12rarr 13조원)

철도 74051 71828 일반철도 시설개량(4149rarr 4488억원)

해운항만 16643 17183 부산신항(1374rarr1844억원)

산업단지 8903 6300 판교기업지원허브 조성지원(164억원)

수자원 22731 21749 용수공급 및 개발(691rarr1116억원)

물류 지역및도시 등 34895 32339 혼잡도로(778rarr800억원)

합 계 248069 233119 60 감소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61: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59 -

7 농림ᆞ수산ᆞ식품 분야

농수산식품 수출경쟁력 제고 및 농어가 소득경영 안전망 강화

농어촌으로의 자본인구 유입 확대 및 농어업 경쟁력강화

시장개방에 대응해 농어가 피해 최소화 및 수출경쟁력 제고

ㅇ 한-중 한-베 한-뉴 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야 차질없이 지원

FTA 보완대책(lsquo16~rsquo25년) 8970억원 lsquo16안 1047억원

ㅇ 중국 및 할랄 등 수출유망시장 개척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전문단지 육성 등 수출인프라 지원 확대(8556 rarr 10069억원)

할랄식품산업육성 (lsquo16신규) 95억원 할랄도축가공시설인증지원센터구축지원

수출전문 첨단스마트팜 온실 (lsquo16신규) 100억원 ICT융복합 첨단 온실 지원

도시자본과 우수인력의 농어촌 유입을 통해 농어촌 활력 제고

ㅇ 인력 자본유치를 위해 지역이 원하는 산업 문화 복지 등의

기반시설을 패키지 지원(3년간 6개 지역 480억원)

활기찬농촌프로젝트 시범사업 (lsquo16신규) 101억원 6개 시범지역에 지원

ㅇ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창업보육 기술가치평가 크라

우드펀딩 지원 등 농식품 벤처창업 지원 (lsquo16신규 24억원)

전남 강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내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 설치

농어업의 규모화기계화 및 ICT융복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신성장 동력 창출

ㅇ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공동경영체 육성 및 기계화를

지원하고 ICT 융복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 제고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 (lsquo16신규) 15개소 25억원 농기계임대 (lsquo15) 220rarr (rsquo16안) 264억원

ㅇ 지역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한 지역특화형 모델 발굴 등

6차산업화 촉진을 통해 농어업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농업6차산업화지구4개소추가지정(9rarr13개소) 어촌특화지원센터2개소설치(5억원 lsquo16신규)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62: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60 -

농어가 소득경영안정 및 복지체감도 제고

ㅇ 정책자금 금리인하(lsquo158월 36개)에 따른 소요를 차질없이 지원

하고 수입보장보험 및 재해보험 대상품목 확대 농어업안전

재해보험 보장내용 한도 확대

농업정책자금 금리 05~12p 인하 최대 837억원 이자절감 효과

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 (lsquo15) 505 rarr (rsquo16안) 660억원

ㅇ 고령농을 위한 농지연금 확대 여성친화형 농기계 보급 낙도

어업인 안전쉼터 등 정책 대상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대

농지연금 (lsquo15) 394 rarr (rsquo16안) 498억원 여성친화형농기계보급 (lsquo16신규) 30억원

낙도지역 어업인 안전쉼터 조성 (lsquo16신규) 10억원

안전시설 확충 및 재해예방 투자 확대

ㅇ 수리시설 확충 및 지하수 관리 강화로 가뭄ㆍ홍수에 대응하고

구제역 예방접종 확대(1rarr2회) 방역장비 확충으로 가축질병대응

농촌용수관리 (lsquo15) 331 rarr (rsquo16안) 370억원

겨울철구제역발생최소화위해주요거점지역에스팀소독기10개설치(3억원 lsquo16신규)

ㅇ 수산질병 및 적조 확산을 사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업활동이

가능하도록 백신 지원 적조 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지원 확대

적조방제장비 운영middot임차 (lsquo15) 30 rarr (rsquo16안) 38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농업농촌 144862 143219농어업인 안전재해보험(505rarr660)농지연금(394rarr498)

수산어촌 19952 20537수산물 수출(1724rarr2199)수산정책보험(1147rarr1368)

임업산촌 19854 20136산림병해충방재(987rarr1021)청정임산물이용증진(501rarr545)

식품업 8397 9272할랄식품산업육성(신규 95)수출인프라강화(360rarr397)

합 계 193065 193165 01 증가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63: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61 -

8 환경 분야

기투자된 수질개선 축소 싱크홀 대비 등으로 투자 전환

온실가스 감축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폐기물 광역화 유도 등

으로 투자 다변화

수질개선 투자는 싱크홀 대비 노후하수관 교체보수에 투자를

집중하고 완공소요 위주로 투자 강화

노후하수관 교체보수 (lsquo15) 1108억원 rarr (rsquo16안) 2450억원 uarr1211

수질개선완료 하수관정비 95개소 하수처리장 39개소 농어촌하수도 74개소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실시간 대기질

측정망을 확대세분화하여 대국민 예경보 서비스 능력 강화

전기차 보급 (rsquo15) 788억원 3000대 rarr (rsquo16안) 1485억원 8000대

대기측정망 구축운영 (lsquo15) 165억원 rarr (rsquo16안) 203억원

대형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고위험 유해물질 취급기관

상시 점검 및 사고 대응 능력 강화

유해화학물질 테러사고대비 (lsquo15) 121억원 rarr (rsquo16안) 155억원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보조율 상향 등을 통한 광역화 유도

및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자원회수시설 등 (lsquo15년) 30 rarr (rsquo16안) 단독 30 + 광역화 +10~20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lsquo15) 2057억원 rarr (rsquo16) 2450억원 (증 19)

ㅇ 갯벌복원 해양쓰레기통합관리 등 해양환경개선 투자를 강화

해양플라스틱쓰레기 통합관리체계구축 (rsquo16 신규) 5억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상하수도수질 45323 43192기투자된 하수관(보급율 921) 등 구조 조정

대 기 3390 4277친환경차(1385rarr 2286)

폐기물 3105 3590폐기물재활용산업육성융자(1036rarr1301)

자연 및 해양환경 7399 7982낙동강생물자원관(95 rarr 174 )

환경 일반 8901 9382환경산업실증연구단지(382 rarr 734 )

합 계 68119 68424 04 증가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64: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62 -

9 국방 분야

국방비는 총지출 증가율 30 보다 높은 40 증액

북한 도발 대비 핵심전력 보강 및 행복한 복무환경 조성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 대비태세 확립

ㅇ 국방비를 총지출 증가율(30)을 상회하는 40 수준으로

증액하고 특히 북한 위협에 대비한 핵심방위력을 적극 보강

방위력개선비 전년 대비 증가율() (lsquo15) 48 rarr (rsquo16안) 61

ㅇ 북한의 DMZ 도발에 대비한 접적 지역 전력을 강화하고

SLBM 및 잠수함 등에 대응한 對잠수함 전력을 조기에 구축

DMZ 접적 지역 전력(억원) (lsquo15) 21361 rarr (rsquo16안) 30028 (+8667 406)

ㅇ 마일즈 장비 보급 확대 등으로 과학화 훈련 강화

장병 사기를 높이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선진 병영문화 정착

ㅇ 병 봉급 15 인상 위험임무 수행장병 수당 인상 격오지부대

응급구조사 확충 도서 구입비 2배 증액 등 추진

ㅇ 전 군 인성교육 추진 및 장병 자기계발 기회 확대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병력운영 155962 163520병사 봉급 15 인상(8234rarr9512 )기본 급식비 2 인상(13956rarr 14246)지뢰보호장구 (5rarr9)

전력유지 108459 109233군수지원 및 협력(47375rarr 46992)교육훈련(5131rarr 5356)군사시설 건설운용(26081rarr27068 )

방위력 개선 110140 116803DMZ 지역 전력(21361rarr30028)對잠수함 전력(15904 rarr 16758)Kill ChainmiddotKAMD(9298rarr 15292)

합 계 374560 389556 40 증가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65: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63 -

10 외교ᆞ통일 분야

외교역량 강화 및 ODA 지속 확대를 뒷받침

드레스덴 통일구상의 지속적인 이행 지원

핵심 국가와의 전략적 외교역량 강화 및 재외국민 안전강화

ㅇ 동북아 주요국가와의 대북정책 공조 및 한 미 동맹 강화

대미 협력 등 북미지역 관계 강화(23rarr39억원) 동북아 교류(54rarr61억원)

ㅇ 해외 대형재난 및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해외안전

정보 제공 재외공관 대테러 대비 등 재외국민 보호 강화

대테러 특별 경호middot경비 및 보안시설 강화 (lsquo15) 70 rarr (rsquo16안) 161억원

Post-2015 출범을 맞아 ODA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 지속 확대

ㅇ 개도국의 경제사회 발전 및 인프라 구축과 우리 기업 및 인력의

해외진출을 함께 지원하는 상생형 ODA 중점 추진

(대개도국차관)8380rarr8937억원(교원파견)24rarr300명(ODA청년인턴)550rarr800명

ㅇ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해외긴급구호지원을 확대하고 경협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ODA 지원 강화

(해외긴급구호지원) 403rarr450억원 (아프라카연합 평화기금) 23억원(신설)

lsquo드레스덴 한반도 통일구상rsquo 이행을 지속 지원

ㅇ 경원선 복원 1단계(백마고지~월정리) 착공(630억원) 및 개성공단

용수 소방시설 확충 등 경협 인프라 구축 지원(666억원)

ㅇ 이산가족 상봉 지원 북한 영 유아 백신 접종 의료기기 등 보건

의료 협력 지원 강화 학술 연구 및 체육 문화 활성화

모자패키지 이산가족 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786rarr927억원)

개성역사지구등 유적지 공동발굴 체육 문화 교류 확대(140rarr163억)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외교 부문 29931 31504대테러 특별경호경비(70rarr 161)

통일 부문 15025 15189 남북협력기금 (12347rarr 12575)

합 계 44956 46693 39 증가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66: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64 -

11 공공질서ᆞ안전 분야

생활치안 기반확대 및 범죄예방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사고시 현장대응능력 제고 및 예방 투자강화로 안전생활환경 조성

국민 최접점 민생치안 인력증원 야간 시간대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성범죄 등에 대한 범죄예방 활동 강화

ㅇ 지구대파출소 등 민생치안 경찰인력 대폭 증원(1880명) 및

기동순찰대 확대 운영(30rarr50개소) 등 현장 대응력 강화

ㅇ 성범죄자 등 관리강화를 위한 신속 대응팀 전국 확대(24시간 신속

대응팀 38rarr48팀) 등 보호관찰 강화

ㅇ 전자발찌의 단순 위치추적의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lsquo범죄징후 사전알림시스템rsquo 구축(신규 10억원)

전자발찌 이동 정보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시스템 개발

범죄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과 일상 복귀를 위한 범죄피해자

구조지원 대폭 확대 및 피해자 신변안전 보호 강화

ㅇ 범죄피해자 구조금(90rarr98억원) 치료비(11rarr22억원) 긴급 생계비

(10rarr12억원) 위치추적 및 임시 안전숙소 제공(3rarr8억원) 등

유사시 골든타임 내 초동대응 등 현장대응능력 제고 상시적

안전점검ㆍ재난취약지역 예방투자 등 안전환경 조성

ㅇ 헬기 도입 확충(1rarr3대) 특수구조단 장비확충(5rarr12억원) 중궤도 위성

조난시스템 신규 구축(5억원) 및 재해예방사업 지속 지원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법무 및 검찰 30863 31955 범죄예방활동(800rarr874)

경 찰 96936 101028 경찰인력증원(1880명 순증)

법원 및 헌재 16820 18211 사법제도개선기금신설 (0rarr497)

해 경 12185 12772 구조헬기(2대) 연안구조정(8대) 확충

재난관리 12627 10596 재해위험지역정비(3773) 소하천정비(2110)

합 계 169431 174562 30 증가

lsquo15추경先반영(1189억원) 노후소방장비(1000억원) 사업종료대신소방안전교부세증액(4147억원)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67: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65 -

lt참고gt 안전 예산

안전예산 규모를 지속 확충하고「안전예산사전협의제도」

운용을 통한 투자 효율화

투자분야는 대형 특수재난 대응력 강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지자체민간의 안전투자 확대에 중점

안전예산은 rsquo16년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추경 先투자분 감안시 실질적으로는 80 증가

ㅇ (14) 124조원 rarr (15 본예산) 147조원(19증)

rarr (15 추경) 10조원 rarr (16예산+15추경) 158조원(80증)

15년 예산은 전년대비 19 대폭 증액된 수준

15년 추경에 재해예방시설 소방장비 확충 감염병 대책 등 10조원 반영

「안전예산 사전협의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하여 국민안전처가

제시한 투자확대의견 사업의 80 수준을 증액 반영

투자확대의견 사업(116개) 중 증액된 사업(96개) 신종 감염병 대응대책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등

투자분야는 ① 대형특수재난 대응 ②생활안전 인프라 확충

③지자체민간 안전투자 역량제고 등에 집중

ㅇ 재난발생시 경제사회적 파장이 큰 신종 전염병 해상재난

대형 교통재난 지반함몰(싱크홀)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

해상재난 예방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후여객선

교체 펀드 조성(100억원) 구조정(8대)ㆍ구조헬기(2대) 확충

대형 교통재난 예방을 위해 고속철 유지보수 확대(500rarr550억원) 및

산업화학사고에 대비한 전용 방제정 추가 도입(1rarr2대)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68: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66 -

중장기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신규 85억원) 등 안전 RampD 투자(06조원) 지원

지반함몰(싱크홀)에 대응하여 노후 하수관 교체투자 확대(1108

rarr2450억원)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신규 27억원)

ㅇ 국민생활 밀착형 안전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생활속

안전문화 정착을 유도

실시간 국민신고ㆍ대응을 위해 긴급신고전화 통합시스템

구축(273억원) 및 중앙 119구급상황센터 설치(25억원)

20여개 신고전화를 3개(119 112 110)로 통합

안전캠페인(26rarr31억원) 실전형 안전한국훈련(17rarr19억원) 체험형

안전교육관(안산진도) 고령자 교통안전 체험시설(6개소)

ㅇ 지자체 및 민간의 자발적 안전투자 확대를 유도

소방안전교부세 및 재난안전특교를 증액(8078rarr9293억원)하여

소방장비 재해 취약지구 정비 등 지자체 안전투자 확대 유도

풍수해 보험 등 재해보험 활성화(4900rarr5302억원) 및 안전설비

투자펀드 조성 지원(500억원) 등으로 민간의 안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lsquo15 rsquo16안 비고

안전시스템 구축운영 32817 31330시도가축방역(1126) 연안VTS구축(314)

위험시설 기능강화 33811 32239수리시설개보수(5400) 고속철도 개선(550)

교육훈련 1192 1399소방방재교육연구단지(400)

안전 RampD 5405 5549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85)

안전시스템 지원보완 6546 6884대형함정건조(1361) 항공기도입(273)

재해예방SOC 구축운영 44536 42239국가하천정비(4250) 지방하천정비(6305)

안전관련 포괄 재원 22465 28739소방안전교부세(4147) 재해예비비(18000)

합 계 146772 148378 11증가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69: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67 -

12 일반ᆞ지방행정 분야

지방교부세 증액 및 지자체 재정운용의 자율성ㆍ책임성 강화

정부30 공직인사 혁신 등을 통해 유능한 정부 구현 가속화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정하고 차질 없는 준비 지원

성실납세 문화 정착 및 체납middot조사관리 등 혁신으로 세입기반 확충

지방교부세를 전년대비 13조원 증액(349rarr362조원) 지원하고

고령화 등 행정수요 변화에 맞춰 배부기준을 합리적으로 개편

ㅇ 교부세 산정시 사회복지 수요 가산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20rarr30) 자치구 복지부담 완화를 위해 조정교부금 제도 개편

ㅇ 세출절감세입확대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특별교부세 배분기준 실적 공개 등 투명성책임성 강화

ㅇ 지자체의 일시적 재원부족에 대비하여 14조원 규모의

지방채를 국가에서 인수

지자체의 자발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노력유도를 위하여 규제개선middot

세출효율화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 재정인센티브를 제공

조례 등 규제개혁 실적과 유사중복 행사사업 구조조정 등을 신설

lsquo개방 공유 및 소통 협력rsquo의 정부30 프로젝트를 지속 뒷받침

ㅇ 정부30 프로젝트 예산규모를 15 수준 확대(3806 rarr 3863억원)

ㅇ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용자 편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정책정보(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지원 (rsquo15) 10 rarr (rsquo16안) 80억원

나홀로 소송 법률지원 (rsquo15) 0 rarr (rsquo16안) 23억원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

Page 70: 청년희망, 경제혁신, 민생안정을 위한 2016년 예산안ww2.mynewsletter.co.kr/kcplaa/201509-2/issue1.pdf · 2015-09-11 · 창업선도대학은 지역의 수요 증가를

- 68 -

공직의 전문성개방성 강화 요구에 부합하는 인사시스템

마련 및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가치 재정립

ㅇ 국민인재 발굴을 위한 인재 DB개편 및 채용 제도 개선

ㅇ 인사혁신 우수사례 보급 및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공무원 양성

공직사회인사혁신확산 (rsquo16) 34억원 국가인재DB내실화 (rsquo15) 24 rarr (rsquo16) 78억원

공정선거를 위한 위법행위 예방middot단속 및 선거 참여율 제고를

위한 투표편의 확대 등에 중점 지원

국회의원선거 비용정당보조금 (rsquo12년) 3368억원 rarr (rsquo16년) 3809억원

ㅇ 최근 도입된 사전투표 및 재외선거 정착을 차질 없이 뒷받침

사전투표(모든선거에 실시) (rsquo13년부터) 재보선 rarr (rsquo14년) 제6회 지방선거

재외선거(대선국선에 실시) (rsquo12년) 제19대 국선 제18대 대선

성실신고자진납부 유도 및 지원 강화 체납정리조사관리

소송대응 체계 혁신으로 세입기반의 안정적 확충

ㅇ lsquo사전적 성실신고 지원rsquo 확대 FIU(금융정보분석원) 정보 활용으로

체납액 현금정리 실적 제고 송무 및 탈세대응 역량 강화

탈세제보포상금 (rsquo15) 108 rarr (rsquo16안) 123억원

50억이상고액조세소송지원강화(소송대리인선임건수) (rsquo15) 145 rarr (rsquo16안) 235건

정책금융기관(산은 기은)의 설비투자펀드 조성(rsquo14~rsquo17년 총 9조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중소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촉진

(억원)

구 분 rsquo15 rsquo16안 비고

지방행정재정지원(교부세 지방채인수 제외시)

371592(7831)

382998(6899)

지방교부세(348881rarr 361694)지방채인수(14881rarr14406)

재정금융 166164 180665복권사업비(20275rarr22265 )

입법 및 선거관리 8503 12136공직선거관리(494rarr 3809)

국정운영 5298 5400정부출연연지원(4611rarr 4666)

정부자원관리 등 7738 7002 전자정부지원(1215rarr 1237)

일반행정 20969 20549국가기록물관리(369)과학수사 장비현대화(58)

합 계 580264 608751 49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