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
연구개발 2006-2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책임연구자 : 최원석(고용개발원 보조공학센터) 공동연구자 : 이성규(서울시립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임창규(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원)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연구개발 2006-2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책임연구자 : 최원석(고용개발원 보조공학센터)

▪공동연구자 : 이성규(서울시립 사회복지학과 교수)

임창규(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원)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Page 2: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머 리 말

첨단 과학기술은 인간을 좀 더 편리하게 만들기 해 발 하고 있으며 이 과정

에서 장애인들을 한 환경도 변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부터 보조공

학에 한 심이 증 되기 시작하여 2000년 에 들어서면서 장애인의 재활에 필

요한 보조공학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조공학은 장애인을 둘러싸고 있는 물리 환경들을 개선하는데 을

두고 있는 매우 효과 인 수단 의 하나로써 장애인들이 지니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실질 인 도움을 주고 있으며, 장애인이 일상생활을 하며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해 다.

직업재활과정에서 보조공학은 장애인의 안정된 직업생활 정착과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주어 장애인이 이 까지 할 수 없다고 생각되었던 새로운 직무를 수행 가

능하도록 해 다. 따라서 수요자 심에서 한 보조공학 서비스가 제공되어질

때 효과성은 직 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조공학 서비스의 수요자인 사업체 담당자, 장애인근로자,

장애인 직업 훈련생에 한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보조공학 서비스에 한 효과

성을 검증하고자 하 으며, 이를 토 로 수요자 심에서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 다.

본 연구는 실제로 보조공학 서비스를 받고 있는 수요자의 만족도를 심으로 조

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직 인 서비스 개선을 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특

히, 본 조사에서는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체 담당자와 사업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장애인근로자에게 생산성 향상성 등에 해 조사함으로써 보조공학 서비스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 다. 따라서 본 연구와 같은 기 자료가 보조공학 서비스

의 ․장기 인 발 방향을 마련하는데 주요한 연구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2006년 12월

고용개발원장 김 종 진

Page 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5 -

목 차

I. 이론 배경 ·································································································· 11

1. 장애인에 한 패러다임 변화 ·······································································12

1) 의료 는 재활 패러다임(Rehabilitation paradigm) ····························12

2) 인권 자립생활 패러다임(Independent paradigm) ······························14

2. 보조공학에 한 정의 ····················································································16

1) 공학의 개념 ··································································································16

2) 보조공학의 개념 ··························································································17

3) 보조공학에서 바라본 장애에 한 이해 ··················································18

4) 보조공학의 근 방법 ·················································································19

5) 보조공학의 목 필요성 ·······································································20

6) 보조공학의 범주 ··························································································30

7) 보조공학기기의 분류 ··················································································36

8) 보조공학 서비스 기본 구성요소 ·······························································37

3. 선진국의 보조공학 지원 황 ·······································································39

1) 일본 ···············································································································39

2) 미국 ···············································································································45

3) 유럽연합 ·······································································································59

4. 우리나라의 보조공학 황 ·············································································64

1) 보조공학 련 규정 ····················································································64

2) 보조공학 교육 연구 서비스 기 ························································71

3) 보조공학기기 지원제도 황 ·····································································73

5. 보조공학과 련된 문제 ·············································································79

1) 법과 제도의 체계 인 정비 ·······································································79

Page 4: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6 -

2) 보조공학기기 련 수요 악 ···································································80

3) 보조공학의 연구 개발 문인력 양성 ················································80

4) 효과 인 서비스 달 체계 마련 ······························································82

5) 보조공학 련 산업 육성 지원 ····························································83

6) 보조공학기구에 한 인식 ·········································································85

Ⅱ. 조사방법 ··········································································································86

1. 연구문제 조사 상 ····················································································86

2. 조사방법 자료분석 ····················································································87

Ⅲ. 조사결과분석 ·································································································88

1. 장애인근로자 설문조사 결과 ·········································································88

1) 조사 상자의 특성 ······················································································88

2)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과 지원형태 ··························································91

3)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 ·············································································93

4) 보조공학기기 만족도 ················································································100

5) 보조공학기기 활용도 ················································································105

6) 보조공학기기 생산성 향상 기여도 ··························································106

7)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향상과 개선사항 ··················································108

2. 사업체 담당자 설문조사 결과 ·····································································119

1) 보조공학기기 신청 사업체의 일반 특성 ············································119

2)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과 지원형태 ························································121

3)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 ···········································································123

4) 보조공학기기의 활용도 ·············································································131

5) 보조공학기기 생산성 향상 기여도 ··························································132

6)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향상과 개선사항 ··················································134

Page 5: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7 -

3. 장애인 직업훈련생 설문조사 결과 ·····························································136

1)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 지원형태 ······················································136

2)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 ···········································································137

3) 보조공학기기 활용도 ················································································139

4)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향상과 개선 사항 ················································139

Ⅳ. 결론 제언 ·······························································································141

1. 보조공학 서비스 달체계 개선 지원품목 확 ·································141

2. 보조공학 체험․ 시 기기 체험(탐색) 로그램 확 ···················142

3. 보조공학기기 조작 메뉴얼 보 품질개선 ··········································142

4. 국 인 인 라 구축과 맞춤 보조공학기기 지원 확 를 통한 서비스 강화 143

5. 보조공학 문가 확보와 활용 방향 ····························································144

6. 보조공학 지원사업의 안정 인 산 확보 ················································145

․ 참고문헌 ·········································································································146

․ 부록 ··················································································································151

장애인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조사(사업체용) ·············································152

장애인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조사(장애인근로자용) ··································158

장애인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조사(직업훈련생용) ·····································165

Page 6: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8 -

표 목차

< 표 Ⅰ-1 > 재활 패러다임과 자립생활 패러다임의 비교 ······························16

< 표 Ⅰ-2 > 의학·교육·직업·사회복지 측면에서 본 장애인에 한 지원 · 18

< 표 Ⅰ-3 > 보조공학 제품 분류 ········································································36

< 표 Ⅰ-4 > 보조공학에 한 미국 정부방침의 발 ······································52

< 표 Ⅰ-5 > 보조도구 지 기 ········································································60

< 표 Ⅰ-6 > 보조공학 련 규정 비교 ·······························································69

< 표 Ⅱ-1 > 설문조사 응답률 ··············································································86

< 표 Ⅲ-1 > 조사 상자의 일반 특성 ·····························································89

< 표 Ⅲ-2 > 조사 상자의 직업 특성 ·····························································90

< 표 Ⅲ-3 > 지원형태별 장애인근로자가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 ·················92

< 표 Ⅲ-4 >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과 종류 ·····················································93

< 표 Ⅲ-5 > 보조공학기기 지원까지 걸린 시간 ················································95

< 표 Ⅲ-6 > 반 인 보조공학기기 지원 차 과정 ··································96

<표 Ⅲ-7 > 보조공학기기 지원방식 ···································································97

< 표 Ⅲ-8 > 보조공학기기 지원한도액 ·······························································98

< 표 Ⅲ-9 > 불만족 장애인들의 보조공학기기 지원 정 한도액 ·················99

< 표 Ⅲ-10 > 보조공학기기의 조작성 ······························································100

< 표 Ⅲ-11 > 보조공학기기의 편리성 ······························································102

< 표 Ⅲ-12 > 보조공학기기의 내구성 ······························································103

< 표 Ⅲ-13 > 보조공학기기의 디자인 ······························································104

< 표 Ⅲ-14 > 보조공학기기의 활용도 ······························································105

< 표 Ⅲ-15 > 보조공학기기의 생산성 향상 기여도 ········································107

< 표 Ⅲ-16 > 보조공학기기에 한 사용교육 ·················································108

< 표 Ⅲ-17 > 문가의 컨설 ··········································································110

< 표 Ⅲ-18 > 보조공학기기 지원 체험 기회 ·············································111

Page 7: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9 -

< 표 Ⅲ-19 > 맞춤 보조공학기기 지원 ····························································112

< 표 Ⅲ-20 > 보조공학기기 시 운 ·························································114

< 표 Ⅲ-21 > 보조공학 서비스의 국 인 인 라 구축 ······························115

< 표 Ⅲ-22 > 지원 보조공학기기의 사용 어려움 유무 ··································117

< 표 Ⅲ-23 > 지원 보조공학기기의 불편사항(복수응답) ·······························118

< 표 Ⅲ-24 > 보조공학 서비스의 개선 (복수응답) ·······································119

< 표 Ⅲ-25 > 조사 상업체의 특성별 분포 ·····················································120

< 표 Ⅲ-26 > 업종별 장애유형별 장애인근로자 비 ····································121

< 표 Ⅲ-27 > 지원형태별 사업장에 지원한 보조공학기기 ····························122

< 표 Ⅲ-28 >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 ····························································123

< 표 Ⅲ-29 > 보조공학기기 제공 담당자 친 수 ······································124

< 표 Ⅲ-30 >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과 종류 ·················································125

< 표 Ⅲ-31 > 보조공학기기 지원까지 걸린 시간 ···········································126

< 표 Ⅲ-32 > 반 인 보조공학기기 지원 차 과정 ····························127

< 표 Ⅲ-33 > 보조공학기기 지원 방식 ····························································128

< 표 Ⅲ-34 > 보조공학기기의 사후 리 기간 ·················································129

< 표 Ⅲ-35 > 보조공학기기 지원한도액 ···························································130

< 표 Ⅲ-36 > 보조공학기기 지원 정 한도액 ···············································131

< 표 Ⅲ-37 > 보조공학기기의 활용도 ······························································132

< 표 Ⅲ-38 > 보조공학기기의 생산성 향상 기여도 ········································133

< 표 Ⅲ-39 > 업종별 보조공학 서비스 필요성 ···············································134

< 표 Ⅲ-40 > 사업체 규모별 보조공학 서비스 필요성 ··································135

< 표 Ⅲ-41 > 보조공학 서비스의 개선 (복수응답) ·······································135

< 표 Ⅲ-42 >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 지원형태 ········································136

< 표 Ⅲ-43 >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 ····························································138

< 표 Ⅲ-44 > 보조공학기기 만족도 ··································································138

< 표 Ⅲ-45 > 보조공학기기 활용도 ··································································139

< 표 Ⅲ-46 > 보조공학 서비스 필요성 ····························································139

Page 8: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0 -

< 표 Ⅲ-47 > 보조공학기기 사용상 불편사항(복수응답) ·······························140

< 표 Ⅲ-48 > 보조공학 서비스의 개선 (복수응답) ·······································140

Page 9: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1 -

그림 목차

(그림 Ⅰ-1) ··········································································································· 38

Ⅰ. 이론 배경

기술이 발달하는 이유는 은 시간과 노력을 들이고도 같은 결과, 혹은 더 높은

효과를 얻고자 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불편을 최소화 시키려는 인간의 욕구가

기술의 발달을 가져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기술의 발달은 모든 사람에게 정 효과를 가져다주지만 특히, 장애인에게는

그 의미가 남다르다. 장애인은 비장애인과 같은 환경에서 일상생활을 해 나

가기 해서는 많은 불편을 감수해야만 한다. 그러나 장애인복지의 기본이념은 장

애인의 완 한 사회참여와 평등을 통한 사회통합을 이루는 데 있으므로 국가와 사

회는 장애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의무와 책임이 있

다. 그러므로 이를 해서는 장애인에게 취업이 용이한 환경을 만들어 주고 교육의

기회를 풍부하게 제공해 주며,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장애’라는 이유로 소외되

지 않도록 한 환경을 조성해 줘야 한다. 그러한 노력 에 하나가 ‘보조공학

(Assistive Technology)’을 발 시키는 것이라 하겠다.

Page 10: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2 -

보조공학은 장애인을 의존으로부터 해방시켜 수 있으며, 독립 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노동 장에서 노동자로서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도와

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보조공학에 한 개념 필요성도 정확하

게 정립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조공학 발 지원에 한 제도 근거도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반해 미국이나 독일,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보조공학 기술을 발 시키기 한 법 근거 마련, 재정 투자 등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동안 보조공학은 첨단과학의 발달, 재활에 한 인식개선, 장애인에 완 한 참

여와 평등이라는 사회운동의 변 등으로 그 역과 범 가 확 되어 왔다. 종래의

의료나 평가를 한 도구나 보장구 정도로만 여겨지던 보조공학을 장애인의 자립

생활, 통신, 이동, 교통, 크리에이션, 직업과 사회통합에 이르기까지 그 범 와

역이 확 되어 오고 있으며 그에 따라 장애인의 생애 체와 련된 연구·개발이

더 필요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 변화는 장애인 문제를 바라보는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발 과도 맥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1. 장애인에 한 패러다임 변화

보조공학은 장애인이 처해 있는 환경을 변화시켜 장애인의 사회참여를 높일 수

있는 획기 인 방법이다. 타인과 의사소통에 불편을 겪는 언어 장애인이 보조공학

기기의 도움을 받아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다면 그 사람에게 있어 언어장애는

사회 으로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를 들어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세계

인 물리학자 스티 호킹도 루게릭병으로 의사소통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보조공학기기의 도움을 받아 강의 발표를 무리 없이 소화해 낸다. 이러한 서비

스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스티 호킹’이라는 특정한 개인뿐만 아니라 장애로 인

해 불편을 겪는 모든 사람이 가능해져야지만 통합사회라 할 수 있다. 이를 해서

는 장애를 바라보는 시각부터 바 어야 하고, 이에 따른 사회 환경도 따라서 바

어야 한다.

그러나 그동안의 장애인복지 서비스는 장애를 개인의 문제로 보고 개인이 사회

환경에 맞추어 살아가도록 서비스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장애는 결코 개인만

의 문제가 아니다. 사회 환경이 장애를 만들 수도 있고, 없앨 수도 있기 때문에

Page 11: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3 -

장애인 개인에게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이 속해 있는 사회를 변화시

키려는 노력이 요한 것이다. 이러한 사회 흐름에 따라 장애인복지 서비스의 패

러다임도 개별 모델 재활 패러다임에서 사회 모델과 인권 자립생활 패

러다임으로 변화·발 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패러다임 변화로 인하여 보조공학의

필요성은 더욱 증 되고 있다.

1) 의료 는 재활 패러다임(Rehabilitation paradigm)

재활 패러다임에서는 장애인들이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이유를 설명할 때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보고 문제의 원인이 장애인 개인에게 있으며 개인의 의

지나 치료, 훈련의 노력 여부에 따라 장애의 극복 가능성이 결정된다고 보았다.

이 패러다임은 주로 장애인 개인에 을 맞춰 각종 서비스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부분 의사의 진단과 처방에 의해 서비스 체계가 구성된다. 장

애를 손상(impairment)으로 받아들여 이를 치료하고 장기 으로 재활 로그램에 참

여하면서 극복해야 하는 상으로 여기는 것이다(이성규, 2000).

재활 패러다임에는 크게 두 가지에 심을 보이고 있는데, 첫째는 개인의 장애

‘문제’에 그 핵심을 둔다. 즉 장애는 질병, 사고 혹은 여타의 원인으로 장기간 동안

생활의 불편을 겪는 당사자의 문제로 본다.

두 번째는 장애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는 개인의 심리 인 상실에 기인한다고 본

다. 그러므로 장애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장애인 개인에게 을 맞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며 이를 의학 치료가 신해 다고 본다.

한 Parson(1951)은 장애를 질병으로 인식하고 이를 병리 인 상과 련된 행

동으로 분석했다. Parsons의 모델에서는 질병이 있는 사람은 병자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보는데, 이와 같은 가정에 근거해 질병이나 질환(illness and disease)은 개

인의 심리‧사회학 인 능력에 향을 미치게 된다고 보았다. 뿐만 아니라 병자인

사람은 자동 으로 개인에게 요구되는 특정한 책임과 사회 인 역할 수행에 한

기 가 제외될 뿐만 아니라 개인이 수행하여야 할 모든 일상 인 일들로부터 그

책임이 면제되어지게 되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이 모델은 으로 자연 인 조

Page 12: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4 -

건이나 사회‧경제 인 요인이 배제된 상태로서 질병이 있는 모든 환자들이 같은

유형으로 행동할 것이라 가정하고 있다는 데 그 문제가 있다. 한 이러한 가정에

서는 이를 회복하기 해 의료분야 문가의 책임을 요구하고 있을 뿐 재활에

한 사회학 인 심과 견해, 를 들어 질환과 손상 사이의 차이 등에 해서는 논

의조차 이 지지 않았다(오혜경, 1999).

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경우, 완 히 비장애인이 될 가능성이 없을 경우 장애 자

체뿐만 아니라 장애인 스스로의 인격자체도 비정상 이고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장애인 스스로 자신의 문제에 자주 으로 처하는 능력을

약화시키고, 사회 으로 모든 면에서의 책임성을 경감시켜주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러한 견해와 다른 측면에서 Safilios-Rothschild(1970)는 재활을 강조했는데

이것은 신체 손상을 입은 개인이 자신의 신체 조건을 이해하고 실로 받아들

이며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해 나가는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는 것이다. 그 지만 이

것 역시 장애인은 문가들과의 조 인 활동을 통해 재활의 새로운 방법을 조성

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만을 시하 을 뿐, 장애인의 재활에 한 사회 인 책

임과 사회 환경과 구조 인 변화 노력에 한 언 은 이 지지 않고 있다.

2) 인권 자립생활 패러다임(Independent paradigm)

자립생활 패러다임은 장애라는 상을 장애를 가진 사람의 사회통합 에서

‘사회 인(social)' 문제로 간주하며, 그동안 권리가 부정되어 왔던 장애인의 권리

회복에 을 맞춘다. 이 패러다임의 기 에는 사회 모델이 녹아있는데, 이 모

델 한 장애를 바라보는 한 패러다임으로 장애인의 어려운 상태를 개선하기 하

여 신체 , 경제 기술을 연마하는 것보다 외 사회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가능

하다고 보았다. 사회 모델을 바탕으로 한 자립생활 패러다임은 재활 패러다임에

서 요시 했던 ‘장애는 개인만의 문제’라는 개념을 완 히 무시하고 장애인의 인

권에 심을 가지며, 장애는 개인에게 귀속된 것이 아니라 사회 환경에 의해 창

조된 조건들의 복잡한 집합체로 본다. 즉 장애란 장애인에 한 제한을 함축하는

모든 것으로 편견에서 제도 인 차별까지, 근 불가능한 공공건물에서 사용 불가

능한 교통 체계까지, 분리교육에서 노동에서의 배제까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장애

Page 1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5 -

는 사회 내에 존재하는 것이며, 장애인 개인에게 있는 개별 인 제한이 아니고 장

애인의 욕구를 사회조직 내에서 수용하고 이에 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한 사회의 실패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의 실패의 결과는 단순하고 무작

으로 개인에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고, 이러한 실패를 경험한 집단으로서 장애인

들에게 사회 체를 통하여 체계 으로 제도화된 차별을 통하여 달되는 것이다.

Goffman(1963)은 낙인(stigma)이란 개념을 사용했는데, 이는 장애인을 열등한 존

재로 인식함으로써 낮은 가치를 부여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회 실에

서 장애인은 천시, 멸시, 차별의 상이 되어 왔으며, 건 한 사회참여나 생활 활동

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사람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므로 장애인들이 직

면하는 문제의 부분은 사회 낙인에서부터 비롯된 것이라고 보았다.

Oliver(1990)와 Finkelstein(1991)은 물질주의자들이 요하게 여기는 장애와 생산

성에 계에 해 비 하 다. 장애는 자본주의 생산의 사회 계 안에서 오히려 생

산된 결과로 인식하여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Oliver(1996)는 억압당하는

상들 장애인들의 시각에서 논리를 개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그는

각종 차별, 공공기 과 교통시설에의 근 불가능, 분리교육 작업장으로부터의

축출 등 역에 한 강요된 제약을 문제 삼고 있다. 이러한 제약들을 사회

실패로 받아들이며 이 결과는 장애인 개개인의 차원을 넘어 체 장애인에게 구조

이고도 제도 인 차별 억압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고 분석하고 있다. 즉, 장

애인에 한 사회의 구조 차별은 장애인들의 삶을 억압하게 되고 이에 한 책

임은 사회의 실패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사회억압이론을 강력하게 주장했다고 볼

수 있다(이성규, 2000).

그러므로 그는 장애의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사회행동’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장애인이 역의 사회생활에 완 히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한 ‘환경

개정’을 필수요건으로 삼으며, 이를 실천함은 사회의 집합 인 책임으로 본다.

이 패러다임은 사회 변화를 요구하는 태도이고 이데올로기 인 것이며, 정치 으로

는 인권과 련된 것이다(김용득‧유동철, 2005). 따라서 장애 문제해결을 한 모든

의도와 목 은 매우 정치 이어야 하며, 장애인과 련된 주요 과제는 장애인들이

직면하고 있는 편견과 차별의 해결에 있다고 한다. 일명 소수집단모델이라고도 하

며, 장애에 한 사회‧정치학 정의가 이에 해당된다(이익섭, 1993).

Page 14: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6 -

자립생활 패러다임에서 최종 으로 원하는 결과는 장애인이 자립생활(Indepen-

dent living)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증 장애인의 경우도 취업을 통한 경제활동은

할 수 없을지라도 사회로부터 재활서비스를 받아 자립 인 생활은 가능하도록 해

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자립생활 패러다임은 장애인 당사자주의와 함께 더욱 확 논의되고 있으

며, 장애인 당사자의 권리의식 신장과 함께 이 패러다임이 장애인복지 정책에도

차 확 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보조공학에 한 이해와 필요성이 증 되고 있는 것도 이와 같이 장애에 한

패러다임이 변화한 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보조공학은 장애인 개인이 사회에

맞춰 살아가도록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이 속한 사회를 ‘공학’을 활용하여

사회 환경 자체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담겨있기 때문이다.

<표Ⅰ-1> 재활 패러다임과 자립생활 패러다임의 비교

항목재활 패러다임

(rehabilitation paradigm)

자립생활 패러다임

(independent paradigm)

문제의 정의 신체 손상/작업기술의 부족 문가, 친척 등에 의존

문제의 치 개인에게 사회 환경 안에

문제의 해결의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직업재활사 등에 의한 문가 개입소비자 주권, 장애 제거

사회 역할 환자/클라이언트 소비자

통제의 주체 문가 소비자

원하는 결과 최 한의 일상생활 활동, 유 취업 자립생활

자료:조성열,「장애와 사회」(2003)

2. 보조공학에 한 정의

1) 공학의 개념

공학이라고 하면 다수 사람들은 기계 장치나 기계류와 련되어 있는 단순

Page 15: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7 -

한 의미로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공학은 기계 인 도구나 장치가 포

함될 뿐만 아니라 실제 인 사고나 과정이 포함되는 범 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Galbraith(1967)는 공학이란 과학 는 조직화된 지식을 실제 인 과제의

해결에 체계 으로 용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Finn(1965)은 공학을 기계

생산품 는 발명품 이상으로 체계 사고의 과정이라고 정의하고 있다(이인숙,

2000 재인용). 이것은 공학의 개념에 기계류가 필수 으로 포함되는 것은 아니며,

과학 방법에 의해서 체계화된 지식을 문화된 기법으로 용하고 있느냐의 여

부가 주요 건이 됨을 의미한다. 즉 공학은 과학기술 발 의 결과로 이루어진 어

떤 장치나 기계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과학기술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Heinich 등(1999)은 공학은 기계류와 련된 하드웨어와 소 트웨어를 포함할 수

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으로서 어떤 특정의 과제를 수행하는 데 필요

한 실천 문제 기법을 의미하는 것이라고도 말한다. Clark(1983)에 의하면 “공학은

과학 학문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해서 필수 수단으로 간주되

어야 하며, 어떠한 이론과 법칙의 용을 통한 합리 도구이다”라고 하고 있다.

이것은 공학이 과학 지식을 다루는 모든 학문과 련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어떠한 분야에 있어서도 문제해결을 한 기 로서 과학 이론과 법칙이 필요하

며, 이를 실제로 용하기 한 공학 원리와 기법이 필요하다(김종량, 1995).

Borgmann(1985)은 과학과 공학을 비교하여 “과학이 하나의 기능성을 가지고 있

는 세계를 논리 으로 규명해 주는 것이라면 공학은 그 가능성의 세계를 실 시켜

주는 것이다”라고 규정하 다. 이러한 개념의 공학은 이제 교육의 실제와 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하여 매우 필요한 것이 되고 있으며, 다방면에서 근을 시도하

고 있다(박상호, 1986 재인용).

2) 보조공학의 개념

보조공학(Assistive Technology)이란 용어는 1980년 후반부터 미국에서 사용되

기 시작하 다. 그 에는 특수교육공학(Special Education Technology), 재활공학

(Rehabilitation Technology), 재활 엔지니어링(Rehabilitation Engineering)이란 용어

를 사용하 다(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2002).

Page 16: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8 -

보조공학은 개인이 사회정서 인 측면과 지 인 측면에서 장애를 경험하는 것을

이거나 이를 경험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어 많은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때문에

장애인의 자립에 심을 갖는 모든 사람들은 장애인들의 교육 환경, 노동환경 등

일상생활 반에 요구되는 부분들을 충족시키기 한 해결책으로서 잠재 가능성

을 가지고 있는 테크놀로지의 활용에 많은 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에서 많은 학자들은 보조공학에 해 다양한 정의를 내리고 있는데

Lewis(1998)는 장애인이 가진 개인의 수행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모든 장치라고 했

으며, Hasselbring(1998)은 장애인들이 학교와 지역사회의 통합된 개체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라고 하 다. 미국의 주 정부에 한 기술지원법에서는 보

조공학을 ‘상업 으로 시 되어 언제든지 쉽게 구입할 수 있거나, 개조‧변형하거나

주문 제작할 수 있는 장애인 개개인의 기능 역량을 증진, 유지 는 향상시키기

해 사용될 수 있는 물품이나 장비 는 생산시스템’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3) 보조공학에서 바라본 장애에 한 이해

국제 장애인의 해 행동계획에 있는 세 가지 계층별 구분에 해 세계보건기구

(WHO)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 기능장애(Impairment):기능의 감소를 가져다 구 는 일시 인 병리

상태

‧ 능력 장애 혹은 기능 하(Disability):생산 인 일상생활을 보내기 한 기능

능력의 감소, 이것은 정신 ·신체 손상의 결과일 뿐만 아니라 그 상태에 한

개인의 응 결과

‧ 사회 불리(Handicapped):선천 으로 는 노령, 질병, 사고 등으로 인해 그

신체 , 정신 상태가 일시 는 구 으로 손상되어 그 결과 독립성, 교

육, 취직 등이 해되고 있는 상태

Page 17: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9 -

<표 Ⅰ-2> 의학·교육·직업·사회복지 측면에서 본 장애인에 한 지원

의학 측면

(재활의학,

보조공학)

교육 측면

(특수교육)직업 측면

사회복지

측면(사회보장 ·

사회복지)

기능장애

Impairment

(생물학

단계)

‧합병증 방

‧내·외과 치료

간 회복

‧훈련 측면의

재활간호

‧지 발달 진

‧사회성발달

‧정서 발달

‧직업 성 정

‧직종개발

‧직업재활 훈련

‧의료비보장

‧의료기 정비

‧교육기 정비

능력장애

Disability

(일상생활

단계)

의지, 보장구 휠체

어, 가구, 가옥의

개조, 심리 개조

상담

의사소통 노동 용구

(기계) 개조

‧자조구 여

‧ 크리에이션

스포츠

불리·차별

Handicap

(사회

단계)

‧장애인먼 운동

‧사회계몽

(고용자, 가족 등)

‧통합교육고교

‧ 학개방

‧일반시스템

통합교육

‧보호직장의 확

‧일반직장 수용

‧기본권보장

‧기업보조

‧지원고용제도

정착

‧경제보장

‧주택보장

‧가정보조원

Page 18: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20 -

4) 보조공학의 근 방법

보조공학은 다양한 근방법으로 인간재활과 복지성취에 기여하고 있고, 첨단사

회라는 시 상황과 함께 변 을 보이고 있다. 의학 방법에서는 의용생체공학,

인체공학, 의료공학 등의 형태로 지난 30여 년간 보장구와 의수족의 발 에 큰 진

이 있었다. 시각장애인을 한 음 안경, 옵타콘, 인공수정체의 개발, 양다리

가 단된 지체장애인에게 컴퓨터와 자시스템이 장착된 의족을 끼워 100m를 18

에 달리게 한 것과 청각장애인의 인공 이, 인공내이, 심지어는 ‘복제양’이나 ‘복

제원숭이’가 나올 만큼 활발한 발 을 보이고 있다.

사회 방법으로써는 교통, 건축, 도시구조, 편의시설 등은 보조공학의 다른

근방법으로서 장애인과 노약자의 이동권(Mobility Right), 근권(Access Right)을

보장하여 사회통합(Social Integration)을 진하고 있다. 이미 1984년 뉴욕 장애인

올림픽 때 일어설 능력조차 없는 증뇌병변 장애인이 자세보조용 walk about를

끌고 성화 주자로 참여한 것을 비롯하여, 신마비 장애인이 입으로 운 하는 동

휠체어 등 보조공학은 사회활동과 참여를 증 시키고 있다. 이외에도 외선 반도

체 이 를 사용하여 보행 장애물을 탐지하는 장치를 지팡이에 부착하여 방, 하

방, 상방의 3방향의 장애물을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장애물의 치나 고 를 알려주

는 시각장애인용 이 지팡이와 자센스카드 등도 있다. 교육 방법에서도 정

보 달미디어, 교육기기, 학습기 시스템 개발을 한 교육공학 분야는 본 괘도에

진입한지 오래다.

직업 방법에서는 직업평가에서부터 직무수정(Job Modification)에 이르기까지

역에서 보조공학의 근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역할도 크다 하겠다.

특히 체감각을 이용하는 장치들인 음성인식장치와 음성합성장치 등의 발달과

자동번역시스템 그리고 컴퓨터의 소형화, 고기능화가 가까운 장래에 실 이 되고,

여러 가지의 장애인 인터페이스 등이 개발되어 청각장애인과 시각장애인이 화하

고 함께 일을 하는 시 로 어들었다.

Page 19: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21 -

5) 보조공학의 목 필요성

(1) 의존 환경 개선

앞서도 밝혔지만 패러다임 변화로 인하여 보조공학의 필요성은 증 되고

있는 추세이다. 개별 모델 재활 패러다임은 마치 의료 처치가 인간이 지니

는 모든 문제를 해결 가능한 것처럼 잘못 인식하는 의료 맹신주의를 토 로 하고

있다. 따라서 장애인이 기능상실로 인해 갖고 있는 능력의 한계에 주로 을 맞

추고 그에 해 근본 으로 해결하기 해서는 신체 혹은 직업 능력을 향상시

키기 한 로그램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이러한 패러다임이

갖는 치명 인 문제 은 수많은 장애인들로 하여 그들이 지니고 있는 기능 문

제의 회복이나 경감이 마치 치료 재에 의해 가능한 것처럼 믿게 함으로써 그

들의 삶의 부분을 그것을 해 소모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러나 결국에는 그들

은 그러한 수 에 도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재활 문가들 역시도 장애인들이

그러한 수 에 도달하지 못할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개별

모델에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도록 한 구체 인 계기는 1970년 반 미국에서 척

추손상, 근육 디스트로피, 뇌성마비, 다발성 경화증, 소아마비 등의 의식 있는 신체

장애인들이 주도한 자립생활운동(independent living movement)을 통해서이다. 이

운동을 계기로 장애인의 문제를 이 의 개별 모델과는 다른 에서 바라

볼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되었는데, 이것이 곧 사회 모델, 환경 심의

모델 는 소수집단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새로운 패러다임은 장애란 환경과의 연 성 속에 비로소 정의 될 수 있는 것

이지 환경을 떠나서는 정의될 수 없는 것이며, 장애문제의 진정한 소재지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능 능력이나 직업 기술의 한계보다는 오히려 장애인에게 불리한

물리 환경과 사회 반에 팽배해 있는 차별 사회 환경이라는 을 제공한다.

아무리 훌륭한 의료, 직업재활 로그램이라 하더라도 장애인의 신체 직업 기

능의 완벽한 회복을 달성하기는 불가능하며, 한 장애문제의 해결이 장애인의 그

러한 기능의 향상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고 본다.

따라서 재활분야의 문가들에게 장애인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장애인의

기능 한계를 극복하거나 제거하기 해, 치료나 교육‧훈련 재에만 치 할 것

Page 20: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22 -

이 아니라 장애인의 주변 환경을 어떻게 하면 효과 으로 개선할 것인가에 좀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인식의 환을 요구한다. 보조공학은 바

로 장애인들을 둘러싸고 있는 물리 환경들을 개선하는데 을 두고 있으며

한 그에 매우 효과 인 수단 의 하나로써 장애인들이 지니고 있는 문제들을 해

결하는데 실질 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오길승, 2005).

1973년 제정되어 1978년 개정된 미국연방정부의 재활법에는 장애인 자립생활이

지니는 재활이론과 이념 세 가지를 설명하고 있다. 첫째는 의존으로부터의 해방인

데 이것은 재활과정을 통해 가능한 의존을 이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신

체 , 정서 , 환경 제 조건이 포함된다. 즉 보조공학 여건의 개선과 개발이 요

구된다는 것이다. 둘째는 자립을 한 재활인데 장애인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잔존

능력을 최 한 개발하는 재활을 통해 자립을 추구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통 인

직업재활서비스와 독립해서 살 수 있는 생의 방안을 다각 으로 강구하는 것을 말

한다. 특히 직종개발에 있어서 보조공학은 자립을 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다.

셋째는 자립 인 생활을 하는 것인데, 재활은 때로 퇴보를 막기 해서도 계속

으로 선택된 서비스가 필요한 것이므로 자립 인 생활 그 자체가 일상의 재활을

해서 요구되는 사항이다. 이와 같은 자립생활의 개념은 시설복지의 진일보 된 개

념이며 자립생활 그 자체를 이루기 해 필연 으로 보조공학 내지는 기술 , 문

인 개발과 연구, 그것에 한 투자와 심이 뒤따르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되

었다.

이와 같은 철학이나 이념은 장애인에게 제공된 보장구를 비롯한 보조기구의 선

택권과 결정권이 장애인 스스로의 몫으로 돌아감으로써 엄청나게 변화되는 보조공

학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즉 장애인이 소비자로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물건 등

보조도구를 자기 신체구조나 여건에 맞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법, 제도 인 시

행이 뒤따름으로 보조공학이 산업 으로 육성되고 발 될 수 있는 기가 마련되

었다.

한편, 자립생활운동의 상이 증뇌병변, 척추장애 등을 포함하고 있어 이들에

맞는 편의시설의 설치와 보조공학 설계, 혼자 생활할 때 최소한의 장벽도 제거해

주는 쪽으로 재활공학이 획기 으로 발 하게 되었다.

Lewis(1998)는 보조공학의 두 가지 목 을 제안하 는데 첫째, 테크놀로지는 장

Page 21: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23 -

애의 향을 없앰으로써 개인의 능력을 확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테

크놀로지는 과제를 수행하기 한 안 방법들을 제공함으로써 장애가 보상되거

나 무시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보조공학은 그 역이 다양하고 범 하다. 단순히 장애인들이 가진 장애를 보

완하고 체하는 개념으로부터 장애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하여 활용할 수 있는

모든 공학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인간의 범 한 생활 역에 걸쳐, 각 역별로 다양한 보조공학 기구

들이 세계 으로 많이 개발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잘 활용한다면 일상생활, 교

육, 직업, 건강, 취미, 여가, 크리에이션, 스포츠, 문화 등 거의 모든 생활 역에서

장애인을 둘러싸고 있는 장애물들을 극복하는 것이 가능해 짐으로써 궁극 으로

그들의 삶의 질에 획기 인 향상을 가져다 수 있다.

한 이 의 우리나라 장애인등록제도에서 등록 상으로 포함되었던 지체장애,

시각장애, 언어‧청각장애, 정신지체의 4가지 장애유형에서부터, 최근에 새롭게 포함

된 장루‧요루 등의 장애에 이르기 까지 거의 모든 유형의 장애인들의 손상된 기능

을 보완하거나 체해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보조공학 기구나 의료장비들도

개발되어 장애유형별 필요와 욕구에 따라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보조공학은

장애인들이 타인의 도움을 최소화하여 더 이상 의존 인 존재가 아닌 독립 인 존

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도와 다.

(2) 직업재활 확 고용 진을 한 보조공학

‘노동을 통한 욕구충족’의 권리는 독일의 철학자 헤겔(Hegel)이 말한 우리가 살아

가고 있는 시민사회의 규범이다. 이러한 시민사회의 규범은 18~19세기 유럽의 산업

명 시기에 발생된 것이지만 21세기에도 유효하다고 볼 수 있다. 하이테크와 자동

화 생산체제를 통해 기계가 인간의 노동을 신함으로써 OECD 국가들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게 되었고, 이로 인해 ‘노동을 통한 욕구 충족’의 규범이

을 받고 있다. 이런 실이 자연법 인 규범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인간은 어떤

방법을 통해서든 일자리를 창출하려고 노력하게 된다. 장애인이 일자리를 찾는 노

력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인간보다 훨씬 효과 으로 재화를 생산할 수

있는 기계 앞에서 인간은 모두 경제 의미에서 장애인이다. 같은 논리로 보자면

Page 22: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24 -

장애인은 평범한 사람에 비해 생산성에 있어서 덜 효과 일 수 있겠지만 기업의

입장에서 볼 때 그들도 ‘노동을 통한 욕구충족’이라는 자연법 규범에 의거하여

한 인간으로서 느끼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해 ‘노동’을 찾고자 노력하는 것이다.

미국 인구센서스 통계국(U.S Bureau of Census)에 따르면 16세와 64세 사이의

사람 에 시간제나 임제 직업에 종사하는 미국인은 개 1억 800만명으로 나타

났다. 이들 연령사이에 분포되어 있는 사람의 78%가 직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집계

는데, 이 연령 에 있는 장애인은 35%만이 시간제 이상의 직업을 갖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 에서도 증장애인은 10.2%만이 직장에서 일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어 미국 역시 장애인의 고용이 어려운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런 결과가 나

타난 원인으로는 고용주의 편견, 문지식과 훈련의 부족, 교통이동체계의 한계, 경

제성의 결여 등도 있었지만 가장 핵심 인 이유로는 특별한 기구나 장비가 필요한

보조 공학 이유가 직업을 갖지 못한 경우의 장애인이 무려 23%를 차지하는 것으

로 조사 다(Smith, 1993). 이 같은 사실은 보조공학이 다양한 작업환경에서 장애인

고용을 진할 수 있는 가장 큰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 다.

미국은 2001년 New Freedom Initiative라는 장애인 정책을 내놓았는데 이 정책

의 목표는 모든 미국인들이 배우고 기술을 연마하여 생산 인 일에 참여하고 거주

지와 지역사회 참여에 해 선택할 권리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정책 목표 달성

을 해 재활 보조기구와 공용품에 한 근과 연구를 확장하고 장애인들도 일자

리를 얻고 공동체에 참여하는 데 방해되는 장벽을 제거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정책의 목 은 미국 스콘신스타우트 학교(University of Wisconsin-Stout) 직업

재활 연구소 내 보조공학 연수센터의 Jim Hubbard와의 인터뷰에서도 나타나는데

그는 다른 나라들과 미국의 재활복지 체계를 구분할 수 있는 요한 측면을 “장애

인들이 일자리를 가짐으로 해서 그들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담당할 뿐

만 아니라 정부의 지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목표”라고 하 다. 이런 과

정 속에서 보조공학사의 역할은 가장 효과 인 방식으로 장애인들이 그들의 일자

리로 돌아오게 하는 것이라고 언 하 다(Langton & Ramseur, 2001; 신 욱, 2004

재인용).

재 우리나라의 직업재활 실무자들에게 보조공학은 낯선 역이지만 증 장애

인의 직업재활에 이 맞추어지면서 지원고용에 한 심이 증가하고 있다. 지

Page 2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25 -

원고용에서 직무지도원의 역할을 보조공학 지원을 통해 보완하도록 한다면 취업

성공의 비율이 높아질 것이다(변경희. 2001).

이와 같은 사실은 보조공학이 다양한 직업 환경에서 장애인 고용을 진시킬 수

있는 가장 큰 용인이 된다는 것을 단 으로 증명해주고 있다. 더 나아가서 심상완

(2002)등은 장애인, 노인 등 신체 기능이 약한 국민이 일할 수 있는 사회 근로

환경을 만들어야 하는 시 가 되었으며, 이를 해 보조공학 지원이 확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 Schneider(1999)는 보조공학이 지원고용과 결합된다면,

장애인 고용의 기회는 더욱더 확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① 일반 근로 장에서의 보조공학 활용

보건복지부 2005년 장애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취업 장애인의 취업 분야

는 주로 단순노무직(27.6%), 농·어업(19.0%), 기능원· 련 기능근로자(12.3%)에 편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취업 장애인의 반 이상이 ‘생산직’에 종사하고 있

다. 이 듯 장애인들의 취업구조가 열악하여 장애인에 한 교육 문기술 양성

과 함께, 장애인 지향 취업 아이템 개발이 필요하다(보건복지부, 2005). 그러나

재 장애인들이 많이 종사하고 있는 직종이 생산직이고 이 분야에서라도 장애인이

편안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기 해서는 보조공학의 활용이 실하다.

즉 블루칼라 작업 환경에 장애 특성이나 능력에 알맞은 공장세 으로 작업환경

을 개선하고 장애인에게 분업화와 제조공정의 자동화, 첨단화로 장애인이 제조 장

에서도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제조공정의 방법의 표 화(standardization)가 이 진

다면 장애인 고용 진의 도모가 가능하다.

한 사무실 환경에서도 장애인 고용 진을 도모할 수 있는데 미국의 경우 직업

의 약 70%가 사무실 환경인 서비스산업과 연 되어 있다. 서비스 산업에는 매직,

헬스 어, 산업, 산업, 정보 수집 그리고 통역 등이 속하는데 최근 속도

로 성장하고 있다. 이 분야는 사무자동화와 사무실 환경 개선, 그리고 필요한 도구

의 근으로 장애인도 업무 수행이 충분히 가능하다.

따라서 미국은 사무실의 산화를 통하여 네트워킹이 용이하도록 만들고 있

다. 이와 같은 경향은 자기기를 장애인의 특성 유형별로 개발하여 활용 가능

하도록 돕는다면 장애인이 사무실 환경의 응을 더욱 쉽고 용이하게 하여 고용의

Page 24: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26 -

기회를 더욱 확 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② 재택근무에서의 보조공학 활용

장애인은 이동에 많은 불편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재택 근무는 장

애인들에게 이동의 불편을 주지 않으면서도 노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므로

장애인들의 고용 진에 매우 효과 이다.

고용주가 장애인을 고용하여 장애인근로자가 근무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기

해서는 여러 가지 제반 시설이 갖추어져야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 부담이 있을

수 있다. 한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의 입장에서 본다면 사업장까지 이동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보다는 집에서 할 수 있는 일을 더 선호할 것이다. 그 다면 이동

에 불편을 겪는 장애인의 경우 집에서도 근무할 수 있도록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해

주고 이동 시간을 약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면 장애인의 취업은 기존의

환경보다 훨씬 용이할 것이다.

③ 장애인의 자립 동기 부여 삶의 질 향상

장애인들은 그들이 가진 신체 장애로 인하여 학습이나 생활에서 기능 으로

상당히 제한을 받는다. 기능 제한 요소를 제거해 다면 장애인들은 얼마든지 자

립하여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해 나갈 수 있다.

보조공학은 장애인에게 장애를 보완하거나 이 에 하지 못했던 것을 할 수 있도

록 하는데 도움을 다. 이들의 기능 장애를 보완·보상할 수 있는 보조공학 서비

스를 제공하면 비장애인들이 경험하는 모든 활동들을 유사하게 할 수 있으므로 삶

에 한 자립의지는 더욱 확고해 진다고 볼 수 있다.

장애인 노동자는 자신의 장애로 인해 비장애인 노동자들이 할 수 있는 것을 잘

하지 못해 자아상이 정 이지 못하거나 자신감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자

아상과 낮은 자신감은 장애인 개인에게 많은 향을 미쳐 능력이나 소질을 히

개발하지 못하고 삶의 희망을 잃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장애인들에게 있어

보조공학 기구의 활용은 신체 기능상의 장애를 완화시켜 과 동시에 직업 사

회·심리 재활을 보다 증진시킴으로써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사회

통합과 독립생활의 기회를 폭넓게 제공해 주는 요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권선

Page 25: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27 -

진, 1997). 한 장애인들은 보조공학을 통하여 주류사회에 보다 자유롭게 근할

수 있다(Riemer-Reiss & Wacker, 2000).

④ 보편 디자인으로서의 근

‘보편 디자인(universal design)’ 혹은 ‘모두를 한 디자인(design for all)’의 개

념은 환경의 개선을 통해 ‘barrier free를 실 하는 디자인(accessible design)’ 개념

이다. 이는 1960년 미국의 건축분야에서 처음 두되었다. 이후 이 개념은 건축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제품의 디자인 분야로까지 확 되었다.

최근에는 장애인에게 특별한 필요를 배려한 디자인을 뜻하는 adaptable

design/adjustable design 개념을 거쳐 universal design 개념으로 통합되고 있다.

보편 디자인은 장애를 이유로 특별한 응을 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가능한

최 한 많은 사람들에게 이용 가능하도록 제품, 건물, 환경 등을 디자인하는 원칙

을 가리킨다.

1990년 Ronald Mace가 처음 사용한 보편 디자인 개념은 제품의 설계에 장애

를 이유로 특별한 응을 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가능한 최 한 많은 사람에

게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건물, 환경의 디자인을 의미한다(심상완, 2002).

우리나라에서 보편 인 디자인의 개념은 건축과 디자인에서 먼 용되었다. 강

병근(1999)은 ‘보편 인 디자인(universal design)'이란 모든 생활 역에서 동시에

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개개인의 주택에서는 물론, 주거지역, 공공 교통시설 고

공 건축물, 직장, 여가시설 등 어느 곳이든지 장애의 여부를 떠나 이용이 가능해야

한다고 말한다.

미국의 경우에는 ADA(American with Disabilities Act)에서 장애인에 한 차별

을 자세히 규정하고 있는데, 이 법을 기 로 하여 모든 사람이 쉽게 근할 수 있

는 제품을 만들기 한 제품가이드 표 을 만들었으며, 비장애인 뿐만 아니라 장애

인도 쉽게 근할 수 있는 건물, 지 기, 보조 청취시스템, 문자공 화기 설

치, 국가 역 계 서비스 제공 등을 요구하고 있다(장 숙 외, 2002).

일본의 경우는 복지용구, 공용품이란 용어를 사용하여 장애로 인한 재활의 의미

에서 보편 인 약자를 한 복지로서의 의미로 확 사용하고 있다. 일본은 공용품

생산 시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최 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제작·설계하여 장애와

Page 26: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28 -

연령에 계없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제품 개발로 자국 내의 련 산업을 활성화

할 수 있는 계기로 만들었다(장 숙 외 2002).

유럽연합에서는 주로 공용품(design for all)이란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나이,

성별, 능력, 문화 인습에 계없이 모든 사람이 우리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 제품, 서비스의 재”를 말하며 간략히 정의하면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란 용어로 사용된다. 유럽연합은 공용품의

개념 도입을 통해 모두에게 사회경제 혜택이 될 수 있는 기회로 인식하고 있다.

한 장애인이 자신의 필요에 부응하는 제품을 스스로 주장하고 자신들의 권리를

변하고 옹호하는 운동이 확 됨에 따라 장애인들이 서비스 잠재력을 소유한

상으로 인식하게 되어 시장 기회가 향상되고 있다(심상완, 2002).

미국, 일본, 유럽연합에서 용되고 있는 ‘보편 디자인’의 개념은 사회 소수

자인 장애인에게 보조 공학기구를 제공하기 해 사용되는 막 한 자원 투자에 한

계를 느끼는 과정에서 고령 사회를 맞아 그 요성이 확 되었다. 부분의 선진국

에서 기치 않은 장애나, 노화로 차 신체 기능의 한계를 갖게 되는 인구의 증가

를 경험하면서, 보편 인 편리함을 추구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도구를 개발하는 것

이 다가오는 21세기의 략 인 산업으로 가치가 있음을 알게 되어 그에 역 을

두게 된 것이다.

이러한 시 흐름은 구나 장애로 인한 제한을 가질 수 있는 사회에서 모든

사람이 근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어가야 하는 시 가 되고 있으며, 이것은 한 사

람의 사회 구성원인 장애인에게 이미 주어졌어야 할 당연한 권리로 재활서비스

장에서도 우선 으로 확 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⑤ 보조공학 활용을 통한 경제 효과 달성

보조기구 사용의 가장 요한 목표는 장애로 인해 제한된 신체 , 심리 기능을

보완하여 수행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시키기 해서 개별화

된 용(individualized application)이 필수 이다.

개별화된 보조공학 서비스의 제공을 해서는 우선 으로 서비스 상 장애인의

욕구를 악하여야 한다. 장애인이 재 수행하고자 하는 과제가 무엇인지를 악

하고, 다음으로 장애로 인해 제약된 신체 , 기능 장애를 분석하는 것이다. 즉

Page 27: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29 -

재 장애인이 하고 싶은 과제를 수행하지 못하도록 제약하는 신체 ‧기능 장애가

어떤 부분인지를 악하는 것이다. 상자의 욕구와 장애 특성이 악되고 나면 과

제가 수행될 환경을 고려하여 한 제품을 선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은 보조공학 서비스의 달이 모두 다른 욕구와 장애 특성, 수행 환경을 가지는 장

애인 개인마다 각기 다른 서비스가 용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보조공학 서비

스는 장애유형과 등 , 학력, 근로직종과 같은 집단 속성보다 개인의 욕구와 수

행과제, 장애특성, 사용 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여 개별 으로 용되어야 한다는 것

이다(오길승 외, 2005).

보조공학 서비스는 원래 이와 같은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를 지향하기 때문에, 장

애인 개인에게 보조기구를 용하는데 있어서 무조건 고가의 고 공학(high

technology) 기구를 우선 으로 용하기보다는 사용자의 개별 인 욕구와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한 기구를 선정하고 용하는 방식을 통해, 지난 몇 년 동안

재활분야 일각에서 실시되고 있는 보조기기의 무상지원 사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산 집행의 효율성 하와 서비스의 실효성 감소 등의 상을 방지할 수 있

다.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 원칙에 기 하여 보조공학 서비스가 제공될 때, 사업자

체로는 cost-benefit을 최 한으로 높일 뿐 아니라 보조공학 기구를 사용하는 장애

인에게도 그것을 사용하는 효과가 즉각 이고 매우 유용하게 나타나는 것이 가능

하다.

한 앞에서도 언 한 것처럼, 보조공학 기구의 종류와 가지 수가 워낙 다양하고

많아서 다양한 장애유형과 장애수 의 욕구를 범 하게 수용가능하다는 사실 자

체만으로도, 보조공학 서비스는 단 사업으로서 기존의 다른 어느 재활사업보다

cost-benefit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장애종류와 상태, 욕구에 부합된

한 보조공학 기구를 찾아낸다면, 그러한 보조공학 기구가 사용자의 삶에 가져다

주는 변화는 수년씩 제공되는 각종 재활치료나 특수교육, 직업훈련 등의 다른 재활

서비스에 비해 으로 쉽게 목격할 수 있을 만큼 빠르고 신속하며 하게 나타

날 수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보조공학 서비스에 한 수요는 지속 으로 증가할 것으

로 망된다. 그것은 다원화된 선진국형 민주사회를 지향하면서 사회복지에 한

국가 심과 정책 배려는 확 될 것이고 삶의 질을 강조하는 과학기술의 발

Page 28: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30 -

은 보조공학에 한 연구개발과 기술발 을 가져올 것이며, 각종 산업재해와 교통

사고 등에 의한 신체 장애인, 물질만능주의와 도덕 황폐화로부터 간 으로

생겨나는 정신 장애인, 그리고 노령화사회로 인한 노령 장애인의 발생으로 보조

공학에 한 사회 수요를 창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한 정보

화 사회, 지식기반경제의 도래에 따라 신체 장애인들이 생산 인 경제활동과 정

상 인 사회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는 확 될 가능성이 높으며 장애인들이 그러한

활동을 원활히 하는데 궁극 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보조공학 서비스의 요성은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우리나라는 이미 1999년 말을 기 으로 체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노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 이 7%를 넘는 ‘고령화 사회’에 어들었고 2019년에는 14%를

돌 하는 ‘고령사회’로 그리고 2026년에는 20%를 넘어서는 ‘ 고령 사회’로 변화할

것으로 측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령화는 새로 장애를 갖게 되는 사람들(ageing

into disabilities)과 장애를 가진 상태에서 노령화하는 사람들(ageing with disabi-

lities)들을 증가시킴으로써 장애인구의 증을 래할 것임에 분명하다.

이와 같은 사회 상에 해 부분의 선진국들은 장애인과 노인을 별도의 다

른 집단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동질 인 성격의 집단으로 규정하고, 그에 한 공동

인 책을 마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인식하는 추세이다. 사실상 유럽연

합 국가들은 이미 일 부터 노인과 장애인을 한 기술정책을 통합하여 운 해 왔

으며, 일본의 경우에도 복지용구에 한 기술정책은 노인과 장애인을 구별하지 않

고 있고, 미국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강조되고 있다(심상완, 2002).

이러한 국제 추세에 따른 보조공학 산업의 성장과 아울러 새로운 시장 기회의

확 는 커다란 고용창출 잠재력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고용창출의 기회가 부분

소기업부문에서 열릴 것으로 보고, 여러 선진 국가들은 이 분야에 한 연구

제품개발에 집 인 투자를 증가시키고 있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의 보조공학 분

야의 경우, 기업의 규모가 세하고 기술수 은 외 경쟁력을 갖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재의 추세 로라면 국내시장을 남에게 내어 주어야 하는 것은 물론 성장

일로에 있는 세계시장에도 참여하는 기회를 놓치게 될 것이다.

결론 으로, 보조공학의 활성화는 노인과 장애인을 한 새로운 기술기기와 용

을 개발하여 이들이 독립 으로 생활하고 사회경제 생활에 보다 온 하게 참여하

Page 29: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31 -

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 측면과 노인과 장애인의 필요에 부응하는 제품과

서비스 부문의 산업과 시장을 향상시킨다는 산업 측면 모두에서 아주 요한 의

미를 가지고 있다.

6) 보조공학의 범주

보조공학은 장애인들을 둘러싸고 있는 물리 환경, 생활도구, 보장구, 설비, 시설

주택 등의 개선에 목공, 기계, 자, 컴퓨터, 건축공학 등의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장애인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범 한 분야를 포함한다.

이근민(1999)은 보조공학의 각 역을 10가지로 구분하 다. 보조공학의 10가지

역과 각 역을 표할 수 있는 보조공학 도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감각장애인을 한 보조공학

(Sensory Aids for Persons with Visual, Auditory, or Tactile Impairment)

시·청각 장애인용의 기기는 많은 연구가 진 되어 오래 부터 실용화되고 있다.

특수학교의 어린이 교육을 한 각종 기기나 시스템의 개발, 개량의 연구가 수행되

어져 왔다.

① 시각장애

시각장애인용의 보조기기로는 크게 문자 해독을 한 장치와 유도 장치로 구분

할 수 있다. 문자 해독 장치는 자에 련된 무지 자기, 자 인쇄기와 자 린

터기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약시자 용으로 확 경이 주로 개발되어 사용

되고 있다. 한, 시각장애인을 한 시스템으로서 자 신문 시스템을 가공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자로 일반용 신문의 내용을 그 로 제공하는 자 신문 자 번

역기의 연구도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문자 패턴을 피부 자극으로 달하여 자

를 손가락 피부 진동 자극으로 달하는 각식 문자 독기가 개발되어 있다. 한

자의 경우에 인식률이 좋지 못한 결 이 있고 한 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좋은 인

식률을 나타내고 있다.

이외에 근래에는 카메라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고 컴퓨터로 처리, 소리로 합성하

Page 30: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32 -

여 출력하는 연구와 간단한 장치로 문자에 한 소리의 주 수 변화 등 여러 방식

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시각장애인 유도 장치는 자 보행 보조기기(Electronic Travel Aids:ETA)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가장 기본 인 용도의 기기는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보조

하기 한 기기로서 흰지팡이와 맹도견이 표 이다.

맹도견의 경우 체로 최근의 로 기술을 이용한 맹도견 로 이 연구되고 있으

나 아직까지는 맹도견과 같은 기능은 갖고 있지 않다. 이 로 은 계속 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므로 각종 센서의 개발에 의해 맹도견의 기능을 가질 수 있는 시스

템의 출 이 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 음 신에 이 를 발사하여 장

애물에 되돌아오는 원리를 이용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소리 정보를 얻

는 지팡이(laser cane)도 이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연구된 시각장애인용 보조기기에 한 연구로는 시각장애인용 문자 읽

기 장치, 시각장애인용 유도 장치, 컴퓨터를 이용한 자 번역 장치, 시각장애인용

음 안경 등이 있다(한국재활 회, 2003).

② 청각장애

난청인들 는 증 청각장애인들은 환경음 는 음성 정보를 받아들이는데 어

려움을 격고 있다. 청각장애인들의 의사소통 장벽을 해결하려는 공학 인 방법에는

두 가지 주요 방법이 있는데, 잔존 청력을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청각

입력을 확 하는 방법과 청각 정보를 보충하거나 체하기 해 다른 종류의 수

단을 추가하는 방법이다. 청각 입력을 확 하는 도구로는 보청기, 소리 증폭기

등이 있고 청각 정보를 다른 감각으로 체하는 도구로는 진동 알람시계, 골도

화기, 문자 화기, 청각자료를 시각자료로 환하는 보조도구나 소 트웨어, 소리

를 빛으로 알려주는 신호장치, 소리를 진동으로 알려주는 신호장치, TV자막 수신

장치 등이 있다.

(2) 체 근(Adaptive Access)

체 근이란 장애인들이 표 화된 일반 키보드나 마우스와는 다른 특별한 입/

출력장치나 특별히 고안된 스 치 등으로 컴퓨터나 기타 련 기기를 히 사용

Page 31: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33 -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장애인을 해 체입력방법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과정이기 때문에 장

애인 개개인마다 정확한 평가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의 필요와 능력에 맞는 체입

력 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체 근 도구는 체키보드, 체마우스, 입력보조장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

데, 체키보드는 표 형 키(key)보다 큰 키를 가지고 있어 미세한 근육조 이 어

렵거나 손의 떨림으로 표 키보드의 사용이 어려운 경우에 사용하는 확 키보드,

의 활동범 가 제한되어 정상 인 키보드의 사용이 어려운 경우에 사용하는

축소 키보드, 좌측과 우측이 분리되고 각도 조 이 사용자에 따라 조 가능한 인

체공학 키보드, 한쪽 손이 없거나 그 기능이 상실된 사람을 한 한손 키보드,

학습장애 는 정신지체의 훈련에 합한 키 배열 가능 키보드, 스크린에서 키보드

와는 다른 형태로 키를 입력하는 화면 키보드 등이 있다. 체마우스는 마우스를

뒤집어 놓은 형태의 트랙볼, 머리의 움직임으로 마우스 포인터를 제어하는 헤드마

우스, 조이스틱, 화면을 손가락으로 직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화살표 키를 러

마우스를 제어하는 키패드, 동자의 움직임을 읽어 마우스를 제어하는 -응시 시

스템 등이 있다. 입력 보조장치로는 마우스 클릭, 키보드 키를 신하는 스 치장

치, 입, 머리, 손가락 등에 끼워서 키보드 입력을 보조하는 각종 스틱, 손의 흔들림

으로 인해 동시에 두 개 이상의 키를 르는 것을 방지하는 키 가드, 키 걸쇠장치,

키 유도장치 등이 있다(김형우, 2005).

(3) 보완 체 의사소통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s)

보완 체 의사소통 체계란 ‘ 증의 표 의사소통 장애가 있는 사람의 결손

장애 형태가 구 이든 일시 이든지 간에 이를 보상하고자 시도되는 임상 인

실행의 역’을 말한다(ASHA, 1989). 보완 체 의사소통 체계를 사용하는 궁극 인

목 은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환경 내에서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표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고(김 선 외, 1995) 이를 통해 보완 체 의사소통 체계는

증의 의사소통 장애가 있는 사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한경임,

1997).

Page 32: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34 -

보완 체 의사소통 기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징기호를 직 선택할 수도 있고,

스캐닝 방식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직 선택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직 의사소통

보조기기의 상징 기호를 지 하는데 손가락, 머리, 손, 팔꿈치, 발가락, 코, 등

신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 으로 상징기호를 지 하는 것이다. 간

선택방법으로 가장 표 인 방법이 스캐닝(scanning)이다. 스캐닝 방법에는 자동

스캐닝(automatic scanning), 순서 스캐닝(step scanning), 그룹 스캐닝(group

scanning), 행렬 스캐닝(row-column scanning), 역 스캐닝(inverse scanning), 선형

스캐닝(linear scanning) 등이 있다.

(4) 일상생활동작(Activities fort Daily Living)

일상생활동작(Activities for Daily Living)이란 생활 속에 필요한 모든 동작으로서

인간 각 개인이 매일 매일의 생활을 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동작 군의 총칭이

며, 개인이나 가정생활 뿐 아니라 사회 구성원의 하나로서 상호 련을 가지고 생활

하기 한 매일 매일의 필요한 모든 동작을 의미한다. 이러한 일상생활동작은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째, 자조활동(self-care activities), 둘째, 보행

(ambulation), 높낮이 이동(elevation) 이동(traveling), 셋째, 손을 이용한 활동

(hand activities)이다.

(5) 이동(Technologies for Personal Mobility)

이동은 자기 보호, 작업과 학습, 놀이와 여가 활동과 같이 각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한 기 활동과 각자의 실행 역에 꼭 필요한 기능이다. 더욱이 이동성

면에서 증가된 자립 능력의 획득은 정 자아 개념, 사회 상호작용과 건강 유

지와 같은 다른 목표들을 성취할 수 있게 한다. 재 이동 보행이 가능하도록

도움을 주는 보조도구에는 수동 동 휠체어, 스쿠터, 다양한 동 휠체어 조정

장치( , Sip and Puff:불기/빨기 스 치를 사용해서 휠체어를 조정), 휠체어 리

트, 장애인 용 자동차(자동차 개조)와 같은 종류가 있다.

(6) 착석 자세(Seating and Position)

올바른 착석과 자세는 환자의 건강 2차 기형에 한 방 뿐 아니라 휠체어

Page 3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35 -

는 기타 착석 상황에서 기능 인 활동을 하는데 있어 매우 요한 역할을 한다.

착석과 자세를 한 장치의 주요 목 은 모든 일상생활(자기보호, 직장 혹은 학교,

놀이 는 여가)에서 그 사람의 능력을 최 화시키는 것이다. 좋은 착석 시스템은

장애인들에게 근육의 긴장을 정상화하고, 원시반사를 감소시키고, 가동범

(ROM)를 유지하도록 돕고, 자세의 안정성을 증가시켜서 2차 기형을 감소시키며,

무엇보다 장애인들에게 자신감을 부여하는 동기를 가져다 다.

(7) 환경조정(Environmental Control)

환경조정은 쉽게 말해서 가정에서 사용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가 제품을 하나

의 스 치로 쉽게 제어하거나 조 하는 것을 의미한다. 환경조정장치는 가정, 학교,

직장, 그리고 환경에서 최 한의 기능 인 능력과 자립을 한 스 치, 음성

인식기, 원격 조정, 컴퓨터 인터페이스, 그리고 다른 공학 장치를 통하여 하나

는 그 이상의 기 인 보완 체장치로, 환경을 조정하거나 환경과 상호작용 하도

록 하는 것이 목 이다.

(8) 주택 직장환경개조(Home and Environment Modification)

이동기기나 일상생활동작 보조도구는 장애인의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다

수 있다. 하지만 더욱 확실한 도움을 주기 해서는 장애인들의 생활공간을 장애유

형에 맞추어 변경하거나 개조하여야 한다. 주택 직장 환경 개조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일상생활의 독립성을 확 시켜 다. 개조는 집이나 직장의 가구를 재배치

하는 것과 같이 매우 단순할 수도 있고, 휠체어 사용자에게 합하도록 침실을 구

조 으로 변경하거나 환경을 조정할 수 있는 비싼 기 장치를 구입하는 것과

같이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 수도 있다.

주택 환경 개조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단어는 “Barrier Free"일 것이다.

Barrier Free라는 말은 사회에서 생활을 하면서 불이익을 받기 쉬운 사람

(사회 약자)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환경과 도구를 만드

는 사고방식이고, 사람, 물건, 사물의 경계를 없애고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이다. 따

라서 Barrier Free의 목 을 한마디로 말하면 사회 약자를 포함한 사회 체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Page 34: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36 -

주택 직장의 환경을 개조함으로써 장애인의 독립 인 생활이 가능할 수 있도

록 자립성을 높일 수 있고, 개조된 직장 환경을 통해 능률을 높이고 고용 창출을

늘릴 수 있다. 각종 가구, 공간, 작업도구들을 장애인의 요구 직장환경에 합하

게 인간공학 으로 개조를 하여 장애인의 주택 직장환경에의 응을 도울 수

있다(김형우, 2005).

(9) 여가 활동(Leisure and Recreation Activities)

여가 활동을 한 보조공학기기의 종류는 개인, 활동, 그리고 환경 인 것들이

있다. 개인 인 것은 경주용 휠체어와 같이 주로 개인이 자신에게 맞는 장치를 착

용하여 자기가 원하는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개인의 여가 활

동용 보조도구는 여가 활동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활용이 되는 장치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활동 목 으로 사용되는 장치는 주로 교통 의사소통에 필요한 것들

로 자 거, 단일스키, 비디오게임, 보트 등이 해당된다. 환경 인 장치로는 일상생

활에 필요한 것들로 편의 시설을 한 램 , 피소, 음식물, 스키리 트, 지도, 표

식 등이 해당된다.

여가활동을 한 보조공학기기는 가능하면 간단하고 렴한 가격으로 최 한 효

과를 얻을 수 있는 장비를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장비 구입 보조원에 한 자

조달방법도 고려가 되어야 된다.

(10) 보조공학을 이용한 농업

보조공학을 이용한 농업은 농업에 고용된 장애인들을 보조하기 해 만들어졌다.

그것은 비 리 장애 서비스 단체의 동 서비스와 연계하여 농업과 시골 생활에

있어서 독립성을 향상시키기 해 실질 인 교육과 보조를 제공한다. 보조공학을

이용한 농업의 계획은 그들이 선택한 직업에 종사하고 시골의 생활을 추구하는 장

애를 가진 농부와 농장주, 다른 일꾼들을 돕기 해 교육 실질 인 지도와 기술

보조를 제공한다.

이 밖에도 Blackhurst(1997)에 의하면 장애인들을 해 사용되고 있는 보조공학에

는 말하는 키보드와 같은 고 테크놀로지에서부터 연필 손잡이와 같은 테크

놀로지까지 다양한 장치가 존재하며, 이들 장치들의 사용을 가르치거나 훈련시키는

Page 35: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37 -

<표 Ⅰ-3> 보조공학 제품 분류

분류 상세 설명

건축물 문 개폐 장치, 문손잡이, 승강기, 경사로, 안 장치, 기타

의사소통 장치 보완 체의사소통기기, 음성합성기, 의사소통보드, 토킹 북, 기타

통신 장비 유무선 화기, 문자 화기(TTY), 화 확성기, 문자 송기, 기타

감각보조기구보청기, 청취보조기, 시/청각 장애를 한 청취보조기구, 체장비,

자기구, 가변 자기, 기타

데 필요한 로그램을 무테크놀로지 해결(no-tech solutions)이라는 이름으로 보조

공학 역에 포함하고 있다. Blackhurst가 제안한 보조공학의 연속 구성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 고 테크놀로지(high-tech):컴퓨터나 상호작용 멀티미디어 시스템과 같은 정

교한 장치

‧ 테크놀로지(medium-tech):비디오 장치나 휠체어와 같은 덜 복잡한 기

장치나 기계장치

‧ 테크놀로지(low-tech):개조된 수 손잡이나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해 책상의 높이를 올리는 것과 같은 덜 정교화된 기기나 장치를 의미

‧ 무테크놀로지 해결책(no-tech solution):어떠한 장치나 기기를 요구하지 않으

며, 이들 해결책은 체계 인 교수 차를 사용하는 것이나 물리치료사나 직업치

료사와 같은 련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를 받는 것을 포함

7) 보조공학기기의 분류

미국 상무부 산업안 사무국(Bureau of Industry and Security U.S. department

of commerce:BIS)에서는 2003년 보조공학 산업 기술평가(Technology Assessment

of the U.S. Assistive Technology Industry)에서 아래<표 Ⅰ-3>과 같이 보조공학기

구의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있다.

Page 36: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38 -

분류 상세 설명

컴퓨터하드웨어, 소 트웨어, 액세서리, 기타 화면낭독기, 화면확 기,

문자재인식장치, 자출력기, 기타

환경조정 무선조정기 - 문 개폐, 화, 동, 가 제품, 기타

일상생활 보조기구 용변, 의보, 세면, 목욕, 치장, 미용, 치과, 피부미용, 가정생활, 기타

이동성장거리 이동시 안정성 확보, 차량 이동, 보행보조기, 휠체어,

착석 시스템, 기타 이동과 련된 보조기구

의지/보조기 척추보조기, 상하지 보조기, 의수족, 기능 자의지 보조기, 기타

여가생활

체육활동

근성을 고려한 장난감, 실내놀이, 술 활동, 사진, 체력단련, 정원

가꾸기, 캠핑, 하이킹, 낚시, 사냥, 체육활동, 음악활동, 기타

가구 테이블, 등, 의자, 침 , 높이조 가구, 작업용 가구, 기타

자료:U. S. Department of Education/National Institute of Disability and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Research(NIDRR)(김형우, 2005 재인용)

8) 보조공학 서비스 기본 구성요소

미국의 주 정부에 한 기술 지원법(Technical Assistance to the states Act)과

C.F.R(the Code of Federal Regulations) 34조 300.6에서 보조공학 서비스란 “장애인

이 보조공학 기구를 선택, 획득, 사용할 수 있도록 직 으로 도움을 주는 어떤

서비스”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는 첫째, 보조공학에 해 장애인 소비자가 갖고 있

는 욕구와 재의 신체 인 기능을 사정하고 이에 따른 보조공학 기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평가하는 것이며, 둘째, 보조공학 기구를 획득하기 해 필

요한 기 을 받아낼 수 있는 곳을 확보하는 것, 셋째 한 보조공학 시스템과 디

자인을 개선하고 조정하여 완성하는 것, 넷째, 보조공학 서비스를 장애인 소비자가

받는 다른 재활서비스와 통합 조정하는 것, 다섯째 장애인 그리고 그와 더불어 일

하는 사람(활동보조인, 가족, 친구, 동료, 이웃 등)모두에게 보조공학 기구를 효과

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이 포함된다(Cook & Hussey, 2002와 이근민,

1998).

Page 37: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39 -

Smith는 보조공학의 기본 구성요소를 (그림Ⅰ-1)로 정리하여 보여주고 있다. 이

그림을 통해서 보여주는 모든 과정들이 유기 으로 긴 한 계를 이루어야만 만

족스런 보조공학 서비스가 이 진다고 할 수 있는데 소비자 소비자 직 서비

스를 심축으로 모든 구성요소들이 연 되어 있는 것은 보조공학은 소비자, 즉 장

애인의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해야지만 효과 인 보조공학 서비스가 효과 으로 이

지기 때문이다.

(그림 Ⅰ-1) 보조공학 구성요소. 소비자에게 달되는 직 서비스를

심으로 각 구성요소가 서로 간에 향을 미침을 보여 다(Smith

RO: Models of service delivery in rehabilitation technology. In

Perlman LG and Enders A: Rehabilitation service delivery: a

practical guide, Wanshington, DC, 1987, REANA에서 수정,한국장

애인고용 진공단 2005년 재인용).

소비자 및 소비자직접 서비스

응용연구기초연구

교육 및 훈련

정보 및 의뢰

신상품 보급

제조

신상품 개발

Page 38: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40 -

3. 선진국의 보조공학 지원 황

1) 일본

일본의 보조기구의 품목을 보면 단순히 의지‧보장구나 휠체어와 같은 기 인

범 를 넘어 노인들을 한 기 귀, 욕실 생 련 용품, 의치 등과 같은 실버

용품에서부터 안경, 개호용품, 상 정보기기등과 같은 다양한 용품까지 폭넓게

포함하고 있다. 일본의 재활기기 련 업체는 소기업을 심으로 발 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후생성과 통상산업성에서 연구‧개발에 필요한 보조 을 지원받고 있

는데, 후생성과 통상산업성은 재활기기산업의 발 을 하여 재활보조기구의 실용

화 개발 추진사업, 의료복지기기 기술 연구 개발사업, 재활보조기구와 련된 정보

수집‧분석‧제공 사업 등의 사업을 통해 재활기기 련 업체를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치료‧이동 등에 을 두어 제품을 개발하므로 재활 일상생

활 확보에 그 목 이 있으나 일본의 경우는 한 차원 더 높은 ‘복지를 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그 로, 일본의 경우 제품개발 동향은 재활이 아닌 복지 그 자체

로서 재활 련 용품을 재활보조기구라기 보다는 ‘복지용구’라는 용어로 사용하고

있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1).

일본은 이 산업의 발 을 하여 정부 지원 기에는 연구와 개발에 련된 보

조 을 지원하여 왔으나 투자에 한 기 효과가 낮다고 단하여 재에는 시장

의 확 와 활성화를 지원하는 개념으로 향하여 지원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한,

재활기기산업에 련된 객 인 데이터를 얻기 해 매년 생산, 유통, 이용측면에

서 보조기기산업 반에 한 통계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 데이터를 토 로 정

부의 정책과 제도를 수립하고 있다.

(1) 일본의 보조공학 련법과 공 기 달 체계

일본에서는 1993년에 후생성(후생노동성)과 통상성(경제산업성)이 공동으로 복지

용구법을 제정하 다. 제1조에서는 심신의 기능이 하되어 일상생활을 하는데

지장이 있는 노인 심신장해자의 자립 진 이러한 사람의 개호를 행하는 자

Page 39: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41 -

의 부담경감을 도모하기 우해 복지 용구의 연구개발 보 을 진하여 복지증진

에 기여하고 아울러 산업기술의 향상에 이바지한다는 것으로 목 으로 하고 있다.

제2조에는 복지용구에 한 정의를 밝 놓고 있는데, 이는 심신의 기능이 하되

어 일상생활을 하는데 지장이 있는 노인 는 심신장해자의 일상생활의 편의를 도

모하기 한 용구 기능훈련을 한 용구와 보장구라고 명시하고 있다. 제3조에

의하면 후생노동 신과 경제산업 신은 복지용구의 연구개발과 보 을 진하기

한 조치에 기본방침을 수립하여야 하며, 기본방침으로 정해야 할 사항으로는 ①

복지용구의 연구 개발 보 의 동향에 고나한 사항, ②복지용구의 연구개발

보 의 목표에 한 사항, ③복지용구의 연구개발 보 을 진하기 한 시책의

기본사항, ④복지용구의 연구개발 보 을 진하기 한 사업자 시설 개설자

가 해야 할 조치에 한 사항, ⑤기타 요사항 등이다. 이 게 해서 작성된 ‘복지

용구의 연구 개발 보 을 진하기 한 조치에 한 기본방침 1993년 후생성

통상산업성 고시 제4호에 따라 후생노동성과 경제산업성이 주요 소 정부부처로

서로 긴 하게 연계 조하여 정책을 입안 시행하고 있다. 기 연구와 첨단기술의

연구 개발 혹은 실용화 개발은 경제산업성에서 주로 다루고, 보 진은 후생노동

성에서 주로 장하는 식으로 업무분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두 부처의 긴 한 연

계 조가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은 1950년부터 공공기 에서 보장구 교부시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1973년부

터는 보장구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용구까지 확 하여 약 50여 종류의 용구를 정부

재정으로 지 하고 있다. 일본의 복지용구 공 지원제도는 주로 신체장애인복지법

과 노인복지법에 의해 실시되고 있다. 건강보험 등에 의한 부제도도 있지만 보험

재정상의 문제 낮은 국민인지도 등으로 인해 그다지 많이 이용되지 않고 있다

(장황신 외, 2001).

장애인을 상으로 한 제도로는 보장구 교부 수리사업과 증 신체장애인 일상

생활용구 부 등 사업이 있으며, 노인을 상으로 하는 제도로는 노인 일상생활용

구 부 등의 사업이 있다. 어느 경우에는 교부받은 복지용구를 반납할 필요가 없

는 물 여가 원칙이나 특수침 나 리 트 등은 여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보장

구 교부 수리사업은 장애인의 신체기능을 체 보완하기 한 용구로 장애의 내용

정도에 따라 맞춤식 용구를 지원하며, 증 신체장애인 는 노인의 일상생활용구

Page 40: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42 -

부 등 사업에서는 일상생활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한 기성제품을 지원한다(심상

완, 2002). 이러한 지원사업의 실시주체는 일본 국의 3,200여개 기 지방자치단체

(시정 )이며, 기 지방단체 담당 창구는 장애인 복지 담당과가 담당한다(변용찬

외, 2003).

기본 으로 일본에는 국민연 , 장애기 연 , 후생연 의 장애후생연 , 각종

공제조합의 장애공제연 , 노동재해의 장애(보상)연 , 공개건강피해보상법의 장애

보상비, 상이군인 등에 한 상병연 등이 있다. 이 국민연 , 후생연 , 공제조

합 간에는 공통된 기 연 제도로 되어 있어 장애후생연 , 장애공제연 1

는 2 수 자는 동시에 장애 기 연 1 는 2 을 수 하고 있다. 기타 연

에는 심신장애인 부양공제제도, 신체장애인 재활자 제도, 세제상의 장애인 공제,

재활보조기구를 구입하거나 여비의 일부를 지 할 수 있게 된다(장 숙 외 2002).

① 의료보험제도에 의한 서비스 기

의료보험제도는 국민의 질환과 사고 치료에 해 상호부조에 기 를 둔 국민개

보험제도의 일환으로 보험에 가입한 사람이 질병 는 사고 때문에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 해당 치료비를 부담하는 시스템이다.

기본 으로 치료비는 보험 여에서 부담하지만 보험제도에 따라 지 액

일부는 개인이 부담하는 경우도 있다. 상조제도의 추지 가입하는 사람의 직업

등에 따라 보험제도는 사회보험, 국민건강보험, 공무원 공제조합보험, 일일 임시노

동자건강보험, 선원 보험 등 각각 다르다. 이 제도의 용이 곤란한 사람에

해서는 생활보호법에 의한 의료보호가 용되어 진다.

재의 보건의료에 있어서는 물 여방식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즉 건강보험법

에 따르는 경우에는 보건의료기 (거의 부분 병원이 해당됨)이 일련의 의료서비

스의 여를 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개인부담을 제외한 치

료비는 의료기 이 직 수속 기 인 각 보험사무소에 청구하는 시스템이다.

② 노동재해 보험제도에 의한 보장구 여제도

노동재해 보험제도는 업무상에 발생한 부상이나 질병에 해 보상을 행하는 제

도로서, 피고용인의 노무재해, 공무재해에 하여 고용인이 책임 잇는 보상을 하는

Page 41: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43 -

것으로 다른 보험이나 복지제도에 우선한다. 그러나 모든 업무상 재해에 용되는

것은 아니고 한 노동 감독서가 재해라고 인정한 경우에만 해당하며 근로재해 보

험제도의 종류에는 노동자 재해보상보험, 공무원 재해보상보험, 선원보험(직무상),

학교건강센터 제도가 있다.

보장구 여제도는 치료단계에서 보장구가 지 되는 의료보험제도와 동일하고,

치료용 보장구나 훈련용 가의지 등의 여 방식도 ‘요양비 지불’ 시스템과 동일하

다. 의료보험제도와 다른 은 수 기 이 노동기 감독서라는 것과 근로재해보험

제도에서는 개인부담이 없다는 것이다. 치료가 종료되었으나 증상이 고착되면 장애

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보장구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노동 복지사업을 통하여

갱생용 의지·갱생용 장구 등의 지 이 계속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치료용 보장구 ·

훈련용 가의지의 지 차는 의료보험제도와 거의 동일하고, 노동기 감독서에

비용 청구를 한다는 것이 차이 이다.

③ 후생연 보험제도에 의한 보장구 여제도

후생연 보험 가입자가 장애를 입은 경우, 피보험자의자부담 없이 보장구 등을

지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후생연 보험 가입자가 장애를 입은 경우 피보험자

가 자부담 없이 보장구 등을 지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후생연 보험은 노동자

가 노령·폐질·사망 등에 처해 있을 경우 노동자 는 그 유족의 생활안정과 복지향

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

국민의 빈곤화를 래하는 사고, 질병, 부상 등을 비교 단기간 소멸하기 해

사회보험 에서 ‘단기보험’이 용되는데, 이는 술한 의료보험제도에 해당하며,

비교 장기간의 부를 필요로 하는 사람을 해 후생연 보험과 같은 ‘장기보험’

이 용된다. 일본의 연 제도에는 후생연 외에 국민연 , 공무원 공제조합보험

등이 있으나 보장구 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후생연 을 재원으로 많은 사업이 운 되고 있는데, 재단법인 후생단이 경 하는

후생연 병원은 의료 업무를 행하고 있으며, 연 가입자 이외의 사람들에게도 개

방하고 있다. 이러한 후생연 병원에서 보장구의 지 업무를 장하고 있다.

Page 42: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44 -

④ 신체장해자복지법에 의한 보장구 여제도

일본의 경우 보장구 공 부제도의 기본 골격은 1950년의 신체장해자복지법

에 따라 정해졌다. 신체장해자복지법의 주요 골자는 신체장해자의 자립과 사회참여

를 진하고 그 재활에 필요한 보호를 하고 궁극 으로 장애인의 복지를 도모하는

데 있다.

신체장해자복지법에 의한 보장구 여는 공 부시스템으로, 그 재원은 국세

는 지방세에 의해 조달되고 있는데, 지 받는 장애인의 거주지가 시의 경우에는 국

1/2+시1/2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경우에는 국2/4+ 1/4+지방자치단체1/4로 이루어

진다. 한 장애인이 속한 세 의 년도 소득상태(납세액)에 따라 일부 자부담이

있다.

⑤ 상병자 특별보호법에 의한 보장구 여제도

상병자특별보호법은 상병자에 한 국가 보상의 정신에 기본 인 원호를 목

으로 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보장구의 지 이 있다. 이 제도에 의한 보장구

지 은 액국고부담이므로, 본인부담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보장구 지 차는

신체장해자복지법에 한다.

⑥ 생활보호법에 의한 보장구 여제도

생활보호제도는 생활이 곤궁한 국민의 생활을 공 으로 보장하는 것으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산, 능력 그 외 여러 가지의 것들을 활용하여도 최 생활을 유지할

수 없을 경우를 제로 하고 있다. 그 외 여러 가지의 것들이란 타법·타시책의

부를 가리키며 타 법에 의한 조치를 우선한다. 생활보호법에 의한 보장구 지

차는 치료용 장비를 필요로 하는 경우 ‘보호변경신청서’에 의사로부터 처방 을 받

아 할 복지사무소에 제출하여 허가받은 후에 치료용 장비를 지 받는다. 한 치

료가 끝난 후의 장애에 해서는 신체장해자복지법 등의 복지제도가 우선하여

용된다.

⑦ 개호보험제도에 의해 보장구 여제도

개호보험법에 의해 2000년 4월부터 개호보험제도가 실시됨에 따라 개호 서비스

Page 4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45 -

가 제공되고 있다. 개호 서비스는 크게 재택 서비스와 시설 서비스로 분류할 수 있

으며, 재택 서비스는 복지용구 여 서비스( 여에 합하지 않은 특수변기 등 특

정복지용구의 경우 구입비 지 )가 포함된다. 시정 의 인정을 받은 이용자는 임

요 의 10%를 부담함으로써 도도부 지사의 지정을 받은 사업자로부터 복지용구

를 직 임차하고, 여사업자는 보험자로부터 나머지 요 의 90%를 지불 받게 되

었다(변용찬 외, 2003).

(2) 일본 장애인의 보조공학 이용 실태 산업 황

일본 장애인의 보조공학기기 이용실태를 살펴보면 1996년 재 약 293만 명의

장애인이 보조공학기구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 유형별로 살펴보

면, 시각장애인은 맹인용 지팡이(20.0%), 안경(10.5), 자기기(5.9%)의 순으로 사용

하고 있으며 청각·언어장애인은 보청기(54.9%), 보행지팡이(3.1%), 인공후두(1.7), 휠

체어(1.7%)를 사용하고 있었다. 지체장애인은 보행지팡이(22.0%), 휠체어(16.1%), 보

조기(12.5%)의 순으로 사용하고 있고, 내부 장애인은 장루용품(8.5%), 보행지팡이

(4.2%)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일본의 보조공학 산업의 가장 큰 특징은 신체 장애나 기능 하가 있는 사람뿐

만 아니라 건강한 사람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용품’시장이 확 되고 있는데

2003년 경제산업성이 발표한 복지용구 시장규모 조사결과에 따르면, 복지용구의 시

장 규모는 체 으로 매년 꾸 히 증가하고 있으며, 커뮤니 이션 기기, 퍼스

어기기, 의지·보조기가 차지하는 시장규모가 체 복지용구에서 차지하는 비 이

70%가 넘는 것으로 악되고 있다. 2001년 재 의의 복지 용구 시장규모는 1조

1,927억 엔으로 공용품을 포함한 의의 복지용구 시장 구모는 3조 2,421억 엔으로

추계되고 있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3) 연구 개발 지원제도

경제산업성의 지원으로 HCR(Home Care & Rehabilitation Exhibition)이라는 재

활보조기구 시회를 개최하고 있는데 일본 최 의 복지기기 시회로서 매년 50

개 이상의 외국기업들이 참여하 고, 2002년에는 캐나다, 덴마크, 랑스, 독일, 네

덜란드, 스웨덴, 만, 미국 등 15개국에서 약 100여개의 국외업체가 참가하 다.

Page 44: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46 -

시품목으로는 이동기기 이동보조제품 침 련용품, 입욕용품, 화장실용품

기 귀, 일상생활용품, 통신기기 용품, 건축·주택설비, 시설용 설비, 재택 련시

설서비스, 경 정보 시스템 등이다.

그 외에도 매년 미국과 유럽을 방문하여 복지용구에 한 정보를 습득 하기

해 일본복지기기 회(Japan Welfare Equipment Industries Association)의 지원이

있으며, 일본 내의 외국기업 유치를 한 시회 비즈니스 미 을 주최하는 ‘EU

Gateway to Japan', 일본무역진흥회(JETRO)에서 매년 개최하는 수입품 심의

시회인 “American & European Unique Assistive Devices Exhibition'이 있다(한국

보건사회연구원, 2003).

2) 미국

한국에 비해서 장애인들을 해 각종 서비스를 법 으로 보장하고 있는 미국에

서도 보조공학의 역사는 사실 그리 길지 않다. 1988년 까지는 각종 장애인 련

법에서 장애인들에게 보조공학의 잠재된 역할을 서술하고는 있지만 그 어떤 법도

장애인들의 보조공학 사용을 의무화하지는 않았었다. 그러다가 1988년 장애인을

한 공학 련지원법(the Technology Related Assistanc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ct of 1988)에는 장애인들의 보조기기와 서비스 사용을 의무화 하 다.

이후 1998년 이 법이 보조공학법(the Assistive Technology Act of 1998)로 체되

어 재까지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 법은 모든 연령의 장애인들에게 보조공학

로그램을 용하기 해 재정 인 지원을 함으로써 재활공학 발 에 크게 이바지

하 다. 그러나 이 법이 장애인들의 보조기기와 보조공학 서비스를 처음으로 의무

화하기는 했지만 미 공립학교에서의 보조기기 서비스 의무화를 명시해 법은

1997년 장애인교육법(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of 2004,

IDEA)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외에 미국의 보조공학에 향을 미치고 있는 법은 미

국장애인교육법(the American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1990년 제정)과 재

활법(the Rehabilitation Act, 1973년 제정)이 있다.

Page 45: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47 -

(1) 법과 제도

1900년도 에 직업재활법을 통해서 처음으로 보조공학에 한 자 지원이 시작

되었다. 이 법은 직업재활법의 한 부분으로서 상이군인들의 성공 인 고용훈련을

한 서비스 기기(보조공학)를 제공했다(Wallace et al., 1995). 하지만 이 법은

장애인의 공학 근을 배제하는 2가지 조건을 제시했다. 첫째는, 상이군인이어야 하

고, 둘째는 고용이 가능해야 했다. 1943년에 와서 직업재활법안이 통과되면서 연방

주정부의 재활 상이 정신지체 지체장애인까지 확산되었다. 1954년부터 1965

년까지가 제도측면에서 성기 다. 1954년에 처음으로 연방정부 재활 로그램에서

주정부에게 지 하는 기 이 증가하 고 보조공학서비스가 확 되었으며 보조공학

구입비가 포함되었다.

앞서 밝힌 것처럼 미국의 보조공학과 련된 법은 크게 4가지로 볼 수 있는데

재활법, 장애인교육법, 미국장애인법, 보조공학법 등이다. 재활법은 장애인들을

한 최소 제한 환경을 정의하고 있고, 장애인교육법은 장애인 교육에 필요한 보조공

학 제공을 의무화 하고 있으며 미국장애인법은 장애인이 차별 인 환경에 놓이지

않도록 보조공학 지원에 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보조공학법은 정부의 지원을

강화하고 국가의 보조 이나 융자 지원을 통한 보조공학 장치의 구입과 보조공

학 서비스 기회를 확 하는 등 보조공학 지원에 한 부분을 더욱 구체화 시키고

있다. 이 게 보조공학 발 의 근간이 된 4가지 법의 변화 발 단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1973년 재활법(Rehabilitation Act of 1973)

재활법은 하 법안을 근간으로 해서 몇 가지 요한 원칙을 만들었다. 이 가장

요한 것은 고용과 등교육에서의 합당한 편의의 개념이다. 행법은 연방기 을

받는 고용주와 등교육기간이 장애를 가진 고용인과 학생들의 요구를 조정하도록

명령했다. 이것은 장애를 가진 단 하나만의 이유로 학 로그램에 입학하는 것이

나 고용에 있어서 차별을 지한다. 이 법의 503조항(교육기간)과 504조항(연방기

을 받는 고용주)은 합당한 편의와 최소제한환경(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모

두를 설명하고 가능한 범 에서 직장 는 학 로그램에서의 조정 는 수정하

도록 권유하고 있다. 1973년 재활법의 결과로, 많은 고용주와 학은 장애물을

Page 46: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48 -

이기 해 엘리베이터가 건물에 설치되고, 경사로가 만들어지고 턱이 없어지며, 시

각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편의성 근을 제공하기 해 표지(엘리베이터를 포함

한)에 음성과 자표지가 부가되었다. 최소제한환경에서 편의를 얻기 한 다수

의 노력은 보조공학의 사용을 수반했다(Cook, 1995).

재활법은 1986년에 개정되었는데 여기에는 보조공학장치에 해서 몇 가지 제도

가 포함되어 있다. 그 첫째는 재활과정을 수행하는 기간동안 각 주에 속해 있는

직업재활계획(재활엔지니어링이나 공학을 규정한 PL. 99-506)내에 보조공학의 제공

을 요구하고 있다. 이 계획의 실행으로써 각 주가 직업재활에 한 연방자 을 받

아 공학과 련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주어지는 기 가 되었다. PL.

99-506에는 합한 보조공학장치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개인 직업계획(Individual Work Plans)속에 포함되어야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PL. 99-506에는 1973년 재활법 508조항이 용되어 있다. 이 조항에서는 연방정

부에서 일하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 자사무기기”가 반드시 제공되어야 한

다고 되어 있다. 이 법안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있어서 컴퓨터의 디자인과 제

조 그리고 그들의 근에 해서 요한 향을 미쳤다. 시각장애를 가진 사람들과

키보드를 사용하기 어려운 사람들은 508조항으로 인해서 기 이 마련되었고, 몇몇

제조회사에서는 컴퓨터시스템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근율을 높이는 공학 인 디

자인을 실시하게 되었다(Cook, 1995;Cook, A. M. & Hussey, S. M, 2002 재인용).

1992년 미의회는 재활법 재승인안(Reauthorization of the Rehabilitation Act of

1973)을 심의‧통과시켰다. 이 법안(PL 102-569)은 미국 장애인법(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의 원칙과 일치하며 좀더 소비자 심으로 되어 있다. 재활공학

(Rehabilitation Technology)에 한 정의가 되어 있으며 이는 재활엔지니어링

(Rehabilitation Engineering)과 보조공학(Assistive Technology)을 포함한다고 규정

되어 있다. 이 법에 따라 각 주정부는 특별한 보조공학 장치와 서비스를 실행해야

하거나 작업장의 평가도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개별재활계획서(IWRP:Individual

Written Rehabilitation Plan)에는 재활공학서비스가 어떻게 ‧장기간의 목 에 도

움을 제공할 수 있는지도 포함되어야 한다. 직업재활에 사용되는 자 이 다른 재원

에 계없이 보조공학장치의 구입자 으로 이용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이 법안에 따르면 재활공학연구센터는 지속되어야 하며 좀더 핵심

Page 47: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49 -

인 분야에 연구와 개발을 집 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Cook, 1995;Cook, A.

M. & Hussey, S. M, 2002 재인용).

② 1988년 장애인을 한 보조공학 련지원법

(Technology-Related Assistance for Individual with Disabilities Act of

1988, 이하 Tech Act)

보조공학 련지원법은 지난 10년 공학에서, 특히 마이크로 로세서와 도구가 주

로 발달하 기 때문에 제정되었다. 미의회는 보조공학장치와 서비스의 공 이 장애

를 가진 일부 사람들로 하여 좀더 독립 으로, 교육, 고용, 가족, 그리고 지역사

회 활동에 참여를 증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경정했다. 이 법에 따라, 주정부

는 모든 연령의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한 공학 련 보조의 주 체의 포 인

고객 반응을 개발시키기 해 연방정부의 기 을 받았다. 공학법의 목 은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보조공학에 한 정보를 주는 것이다. 이는 주정부가 그들의 주

체 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하는가에 달려있다. 한 그 법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활동환경 반에서 한 보조공학으로의 근도 다루고 있다. 이는 “장애를 가진

모든 연령의 사람들이 일상생활 간에 이하는 것처럼 최 한 하게 보조공학

장치의 소유를 보장하고 지속시킬 수 있는 개연성을 증진시키기” 한 노력이다.

보조와 련된 공학 달에 한 략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로 하여 출 , 공교

육, 세미나, 워크 , 그리고 설명회를 통해 보조공학의 혜택을 인식하도록 하는 인

식 로그램을 포함한다. 생산품, 보조기구, 그리고 장치에 한 공학 정보를 달하

는 것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기능 인 한계를 조 하는데 있어서 매우 요할

수 있고, 궁극 으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한 고용과 독립 생활의 기회를 강

화시킨다. 한 이것은 교사와 재활 문가에게 공학 인 생산품 사용, 그리고 고용

주서비스와 자 의 사용을 진시킨다.

보조공학 련지원법은 다음에 제시된 바와 같이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보조공

학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①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요구 평가 ② 보조공학장치

의 구입, 선택, 디자인, 맞춤, 주문 제작, 개조 응용, 유지, 보수, 그리고 장치의 교

체, 임 , 는 공 ③ 다른 치료사부터의 조정과 지원 그리고 ④ 개인, 가족,

는 문가들에게 훈련 제공(Tech Act, 1988).

Page 48: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50 -

이 법은 1994년 개정되었는데 system change 로젝트를 통한 보조공학 정책 활

동을 더욱 강화할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경쟁에 의한 주 지원 보조 을 3년 간 지

원하기로 한 것을 추가로 5년을 더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보조 을 지원 받

는 주들은 system change에 따른 활동을 수행할 것을 요구받는다. 미 의회는 연방

자 제공이 종료되는 주는 주정부 시스템 안으로 보조공학 서비스 개발 실행

시스템을 흡수할 것을 유도하고 있다(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2002).

③ 1990년 미국장애인법(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of 1990)

“보조공학 장치와 서비스”라는 용어가 ADA에 나타나있지는 않지만, 보조공학이

“합당한 편의(reasonable accommodation)”와 “보조기구와 서비스” 모두의 한 부분

으로 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의미하고 있다. 25인 이상의 종업원을 가진 회사는

1992년 7월까지 ADA의 요구에 응해야 하는 반면, 15명에서 24명의 종업원을 가진

회사는 1994년까지 응해야 한다. 고용주들은 장애인들로 하여 그들의 일을 수행

하게 하기 해 건물구조의 개조 는 직업 요구에 의한 합당한 편의를 만들어

낼 것을 요구받는다. 이러한 결과로 가의 보조공학을 해 새로운 시장이 조성될

수 있다.

미국장애인법은 공공과 민간부문 고용, 공공 편의시설, 교통수단, 주정부 지방

정부 서비스, 자통신에서의 차별을 한다(Hager & Smith, 2003). 고용, 주정부와

지방정부 서비스, 공공 민간 편의시설에서 장애인에게 보조도구(auxiliary aids)

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는데 여기에 보조공학기기와 서비스가 포함되는데

보조도구와 서비스에는 다음의 내용이 포함된다(육주혜, 2005).

·인증받은 독기, 컴퓨터 설비, 독서기, 오디오 기록장치, 자로 된 도구, 확

인쇄도구, 녹음된 텍스트, 는 시각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한 다른 시각

도구

·인증받는 통역사, 필기도구(notetaker), 폐쇄자막해독기(open and closed cap-

tioning), 화보조기구, 보청기, 원거리통신장비, 는 청각장애를 가진 사람들

을 한 청각도구

·장치의 구입과 개조와 다른 유사한 서비스와 활동

Page 49: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51 -

④ 1990년 장애인교육법(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장애인교육법(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은 1975년에 심신장애

자교육법의 개정안이다. IDEA에 따르면, 이서비스(개별화 이 로그램)는 16세

이 의 장애를 가진 모든 학생들에게 제공되어야 하나, 한 경우에는 이 에 시

작 할 수도 있다.

IDEA는 장애인을 한 공학과 련된 보조법은 “보조공학 장치”와 “보조공학

서비스”의 동일한 정의를 공유하고 있다. “보조공학장치”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기능 능력을 증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기 해 사용되는 상업 으로 구입가능

하거나, 혹은 개조 혹은 주문생산 가능한 모든 품목, 장치부품, 는 생산시스템을

의미한다가 그것이다(IDEA, 1990; Lewis, 1993).

IDEA가 그 학생의 개별화된 교육 로그램의 일부분으로 보조공학 서비스 는

보조공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은 분명하다. 만약 학생이 보조공학 장치나 서비스를

원한다면, 그리고 그 학생의 개별화 로그램이 이를 요구한다면 그 학생은 지방교

육청이나 주 체의 시스템으로부터 그것을 얻을 수 있다. IDEA의 306항은 “모범

인 로그램과 훈련을 기발하고 하는 것은 학생이 등과정 후의 교육, 직업

훈련, 경쟁고용(지원고용을 포함한) 그리고 계속 인 교육 는 성인에 한 서비스

로 이하는 것과 같이 보조공학 장치와 보조공학 서비스를 이용하는 학생의 독특

한 요구에 응한다(IDEA, 1990)“라고 말함으로써 의 설명을 지지한다(한국장애인

고용 진공단, 2002).

2004년 개정된 미국의 장애인교육법에서는 장애인의 교육 결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Section 674에서 공학의 개발, 시범, 활용; 미디어 서비스 ; 인쇄된 학습 교

재의 변환에 참여하는 기 에게 산을 지원하도록 규정하고 있다(육주혜, 2005).

⑤ 재활보조공학법(Assitive Technology act of 1998)

1988년 제정된 장애인을 한보조공학 련지원법(Technology-Related Assistanc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ct of 1988)은 처음으로 재활보조공학을 재활보

조공학기기와 재활보조공학 서비스로 구분하여 정의하 다. 보조공학 련지원법은

주가 아동을 포함한 모든 연령의 장애인에게 주 단 의 소비자, 반응 심(consume-

responsive) 공학 련 서비스 로그램을 개발하도록 명하 다(육주혜, 2005).

Page 50: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52 -

1998년 미의회는 이 법을 개정하면서 재활보조공학법(Assistive Tech- nology Act

of 1998)으로 명칭을 바꾸었고 구 ·종합 주 단 공학 련 재활보조공학 로

그램을 개발하도록 50개 주와 6개 지역에 기 을 확장하 다. 재활보조공학의 정의

는 공학 련지원법에서의 정의를 그 로 사용하 다(Hager & smith, 2003 ; 육주혜,

2005 재인용).

2004년에는 재활보조공학법이 개정되어 산 배정 기간이 연장되었을 뿐만 아니

라 1998년 제정된 재활보조공학법에서 복잡하고 모호한 규정들을 보다 체계 으로

정비하여 법규의 내용이 반 으로 수정되었다(Assistive Technology Act of 2004,

ATA). 이 법에 따르면 재활보조공학기기(Assistive Technology Device)란 장애인의

기능을 증진·유지·향상시키기 해 사용하는 기존 는 개작 제품이나 맞춤 제작한

장비와 제품 시스템을 말한다. 재활보조공학서비스란 재활보조공학기기를 선택·구

입·사용하는데 장애인을 직 으로 돕는 일이다. 이러한 재활보조공학 서비스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ATA, 2004).

·장애인의 일상 환경에서 한 재활보조공학과 서비스 제공 효과의 기능

평가를 포함한 장애인의 재활보조공학 요구 평가

·장애인의 재활보조공학기기 입수를 해 제공되는 구입, 임 , 기타 련서비스

·재활보조공학기기의 선택, 설계, 조정(fitting), 맞춤, 변형, 용, 보존, 수리,

교환 기증 서비스

·교육·재활 계획 로그램 련 치료, 재, 서비스와 같이 재활보조공학기기

와 함께 필요한 치료, 재, 서비스의 조정 는 활용

·장애인 는 필요한 경우 그 가족 구성원, 보호자 권익옹호자, 리인에 한

훈련 는 기술 지원

· 문가(교육·재활과 서비스 제공자와 재활보조공학기기 제작자 는 매자 포

함), 고용주, 고용·훈련 서비스 제공자, 장애인에게 이외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장애인을 고용하거나 장애인의 주생활 기능에 실질 으로 계가 있는 기타 개

인들에 한 훈련 는 기술 지원

·장애인에게 자정보기술(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을 포함한 공학

에 근성을 확장하는 서비스

Page 51: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53 -

이번 재활보조공학법(ATA of 2004)을 1998년 재활보조공학법과 비교하면 재활보

조공학 서비스의 정의에 변화를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재활보조공학기기를

기증받는 서비스가 추가되어 미국의 기증문화가 법제도에 반 된 것으로 볼 수 있

다. 둘째, 재활보조공학에 한 인식과 개념, 기기 사용법 등의 훈련을 받아야 하는

상이 교육·재활 문가와 고용주뿐만 아니라 재활보조공학 제작자와 매자로 그

범 가 확 되었다. 재활보조공학에 한 기본 인 지식과 실제를 재활보조공학기

기 산업 분야의 인력들이 악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정보기술

을 포함한 공학에 장애인의 근이 용이하도록 돕는 서비스가 새롭게 추가 다. 지

식기반사회에서 장애인의 정보 근권과 공학 환경에 근권 실행 의지가 반

된 것으로 볼 수 있다(육주혜, 2005).

<표 Ⅰ-4> 보조공학에 한 미국 정부방침의 발

년도 발 효 과

1918

직업재활법

(Vocational Rehabilitation Act of

1918, PL. 65-178 )

‧최 의 연합정부 재활 로그램

‧성공 인 고용훈련에 필요한 서비스 기기

(보조공학)제공

‧보조공학에 한 최 의 자 조달

1954

개정직업재활법

(Vocational Rehabilitation Act

Amendment of 1954, PL. 82-565)

‧연방정부 재활 로그램에서 주정부에게 지 하

는 기 증가

‧보조공학서비스가 확

‧보조공학 구입비 포함

1972미국 교육부와 재향군인 리국에서

상품 실험 실시

‧보조공학 제품 표 검증에 한 기 수립

1973

재활법(Rehabilitation Act of 1973,

PL. 93-112)

‧합당한 편의(reasonable accommodation) 제공

‧연방정부 자 받는 최소제한 환경의 고용

교육 명령:보조공학서비스, 기기 필요

1975

모든 장애아동을 한 교육법

(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 of 1975, PL. 94-

142)

‧합당한 편의 연장

‧최소제한환경교육 5세서 21세로 연장

‧각 장애아 등에 IEP 명령

‧보조공학이 교육 인 로그램에 근하는데

주요 역할을 함

Page 52: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54 -

년도 발 효 과

1976미 교육부 기술 으로 우수 센터

설립장애연구와 평가 해 재활공학센터 설립

1978

개정재활법(Rehabilitation Act

Amendment of 1978, PL. 95-602)

‧NIHR(National institute on Handicapped

Research) 설립

‧재활공학센터 활성화 함

1986

개정재활법(Rehabilitation Act

Amendment of 1986, PL. 99-506)

‧직업재활계획과정에서 보조공학 정의하고 역할

이 확 됨

‧모든 주정부에게 각 의뢰인의 주정부 계획

IWRP에 보조공학 서비스 제공하는 것을 포함

하도록 요구

‧ 508조에는 연방정부 고용인들은 자사무용기

기를 공평하게 근할 수 있도록 명령

1986

장애를 가진 미국인의 고용기회

련법(Employment Opportunity for

Disabled American Act of 1986,

PL. 99-463) 개정 장애인교육법

(Education of the Handicapped

Act Amendment of 1986, PL. 99-

457)

‧공학기기를 구입할 수 있도록 사회안정장애보

험(SSDI)과 추보안 소득(SSI)수령인에게 보조

지 확보

‧장애학생 교육시키는데 사용하기 한 공학의

체 설계 명령:Part H를 통해 조기 재

통해 유아(0-3세)와 그의 가족들이 보조공학

혜택받을 수 있는 권리확보

1987

개정 발달장애인 보조 권리법

(Development Disabilities Assis-

tance and Bill of Right Act

Amendment of 1987, PL. 100-

407)

보조공학 우선으로 하는 “우수한 실습(best

practice)” 원조와 서비스 정의

1988

장애인을 한 보조공학 련 지원

법(Technology-Related Assis tance

for Individual with Disabilities Act

of 1988, PL. 100-407)

‧구체 으로 보조공학과 련된 첫번째 제도

‧ 508조를 보조자 받는 모든 주로 확

‧소비자 심의 보조공학서비스와 주정부체제 범

변화

1990

미국장애인법(Americans with Disa-

bilities Act of 1990, PL. 101-336)

장애인교육법(Individuals with Disa-

bilities Education Act, PL.101-476)

‧장애인을 한 시민법:503, 504, 508조를 연

장시키고 모든 국민에게 공공편의(public

Accommodation), 개인고용, 교통, 정보통신을

제공

‧보조공학기기와 서비스 정의를 교육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함

Page 5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55 -

년도 발 효 과

1992

개정재활법(Rehabilitation Act

Amendment of 1992, PL .102-569)

‧각 재활단체는 모든 재활과정에 보조공학을 고

려해야 함

‧재활법을 ADA와 동일하게 맞춤:재활공학

(Rehabilitation Technology)을 재활엔지니어링

(Rehabilitation Engineering) 보조공학기기

서비스로 정의함

‧ IWRP에 재활공학 주요혜택 포함시킬 것 명령

1994

장애인을 한보조공학 련지원법개

정안(Technology-Related

Assistance for Individual with

Disabilities Act Amendment of

1994, PL. 103-218)

‧운 체계 변화 계획을 해 정부의 책임이 더

욱 요구 됨:옹호 서비스들은 더 큰 역할을 해

야 함

1997

장애인교육법개정안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Amendment of

1997:IDEA 97)

‧장애 유아(출생부터 2세까지의 연령) 한 서

비스 규정

‧이로 인해 보조공학 기구나 서비스 받는 장애

유아들이 확 됨

‧보조공학기구사용 진에 극 역할을 함

1998

보조공학법(Assistive Technology

Act of 1998)

‧보조공학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주정부의 수용

능력과 역량유지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함

으로써 장애인의 보조공학에 한 욕구 충족시

킬 수 있게 함.

‧장애인 련 업무 수행하는 연방정부 산하기

과 부처들의 공학에 한 투자 지원

‧보조공학기구나서비스 받기 원하는 장애인에게

부 로그램 통해 재정 지원

2004

보조공학법개정안(Assistive

Technology Act Amendment of

2004:ATA 2004)

‧미국기증문화가 법제도에 반 됨.

‧보조공학에 한 인식과 개념, 기기사용법 등의

훈련받아야 하는 상이 재활보조공학 제작자와

매자로 범 확 됨.

‧ 자정보기술 포함한 공학에 장애인의 근 용

이토록 돕는 서비스 새롭게 추가.

‧지식기반사회에서 장애인의 정보 근권과 공

학 환경에 근권 실행 의지 반 됨.

Page 54: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56 -

(2) 보조공학기기 여제도

미국의 장애인들을 상으로 한 보조공학기기 여 제도는 크게 두 종류로 구분

되는데 메디 어(Medicare), 메디 이드(Medicaid), 직업재활 서비스(Vacational

Rehabilitation) 등과 같은 사회보험이나 공공부조 혹은 사회복지서비스 로그램

등에 의한 공 여제도와 민간 보험회사에서 보험 가입자를 상으로 지 하는

사 여제도가 있다.

① 공공부조 혹은 사회복지서비스 로그램

가. 메디 어(Medicare)

메디 어는 연방정부가 운 하는 65세 이상의 노인과 구 인 장애를 가진 사람

들을 한 건강 보험 로그램이다. 이 제도는 연방정부의 보건 리재정행정처

(Health care Financing Administration)에서 세 을 주요 재원으로 운 한다. 65세에

정년퇴직할 때 그 동안 공제된 사회보장 세 으로 메디 어 요 이 납입되어 건강

보험이 효력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두 가지 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째, 병원보험(Part A:hospital insurance)은 병원에의 입원, 요양시설, 가정

건강 리, 호스피스 리에 드는 비용을 충당해주고 휠체어, 침 , 산소, 보행기 등

의 구 의료용구(durable medical equipment)의 경우 80%의 경비를 공제받고 있

다. 둘째, 건강보험(Part B; medical insurance)은 메디 어 수혜자 스스로 가입해야

보험혜택을 받을 수 있는 로그램으로 의지, 의안, 보조기(팔, 다리, 허리, 목 등),

안경, 보장구(prosthetic device)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서비스 비용의 20%

는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Cook & Hussey, 2002; 안은 , 2004에서 재인용).

나. 메디 이드(Medicaid)

우리나라 의료보호제도와 유사한 제도로 노인, 장애인 요보호아동을 가진 가정을

한 의료보장 로그램으로 장애인들은 의료서비스인 입원서비스와 외래서비스

이외 재활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재정은 연방 정부에서 비용의 일정률을 보조해

주고 나머지는 주정부에서 부담하는 방식으로 운 되고 있다.

보조공학은 연방정부에 의해 규정된 서비스도 아니며 메디 이드의 선택 서비스

의 리스트에 올라 있지 않지만, 보조공학 서비스와 기구에 한 기 을 받을 자격

Page 55: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57 -

이 있는 8가지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다(Golinker & Mistrett, 1997; 안은 2004에서

재인용).

다. 보훈처(Vetrans Administration; VA)

보훈처에서 마련한 기 을 통해 퇴역군인들에 해 의료기기, 보청기, 의수족, 휠

체어, 기타 보장구 등을 무상 지 하고 있으며, 타 기 들에 비해 보장구 구입이

많은 편이다.

라. 직업재활

연방정부는 모든 주에 장애인들이 고용되고 유지되기 해 필요한 경우 기 을

제공한다. 사실 연방 정부가 지원하는 모든 로그램 에서 직업재활 로그램이

서비스에 한 격성 여부를 결정하기 해 보조공학기기에 한 평가를 받도록

요구하고 있는 유일할 로그램이라고 한다. 지원고용과 보호고용의 기회가 증가함

에 따라 직업재활 로그램의 상이 되는 사람들의 범 가 커지고 있다(Cook &

Hussy, 2002).

② 민간 차원

, 개인 , 신용기 , 부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기구 구입 후 세 상의 공

제를 받는다. Easter Seal Society라는 장애인 련단체는 보조공학 기구의 구매를

돕기 해 교육부 보조 에서 부여된 국가 부 기 을 마련하여 구입 액의

75%까지 지원을 받는다. 제조업자나 매상은 자체 으로 이자 부를 제공하기

도 한다. 개인건강보험을 통해 보조공학 기구와 련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건강

보험에 가입되었을 경우에도 받을 수 있다. 주문형 기구의 제작에 도움을 주는 자

원 사기 도 존재하는데, 재로 비용은 보통 소비자가 부담하고 제작을 한 노력

사를 기 이 담당한다.

(3) 미국의 보조공학기기 이용 실태 산업 황

2000년 미국의 인구센서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의 재가 장애인 수는 약

497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되는데 5세 이상 체 인구 수 2억 5720만 명의

Page 56: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58 -

19.3%에 달하는 수치로서 미국인 5명 1명은 장애인이라고 볼 수 있다. 2001년

재 약 5960만 명인 55세 이상 인구는 2025년에는 1억 27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

정하고 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장애 출 율이 높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이 같

은 노령 인구의 격한 증가는 마찬가지로 장애인구의 격한 증가를 가져올 것으

로 내다보고 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어도 한 가지 이상의 보조기구를 사용해 본

이 있는 장애인은 약 1660만 명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약 840만 명의 장애인이

목욕, 옷 입기, 먹기, 걷기, 외출하기, 화장실 이용하기 등의 기 인 일상생활수행

에 있어서 보조기구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고 응답하 다.

미국의 보조공학기기 산업은 개발, 생산, 조립, 매, 보 , 제품, 시험 경

자문 등의 활동을 하는 모든 업체들을 포함하지만 실제 부분의 보조공학기구 업

체들은 제품의 생산, 조립 매에 주력하고 있다. 이들 업체에서 가장 많이 취

하고 있는 기구는 이동기기로서 체 업체의 20.7%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다음으로 의지·보조기가 12.2%, 일상생활용품이 12%, 그리고 의사소통

기기가 10.4%인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4) 연구 지원제도

미국의 보조공학기구 산업의 연구개발 지원 제도는 연방정부 자체 으로 연구

개발을 진행하는 것과 보조공학기구 업체에 연구개발비를 지원하는 제도 두 개로

나 수 있다. 연방정부가 직 연구 개발을 진행하는 것은 업체의 세성 연구

개발비 부족으로 민간 업체가 수행하기 어려운 것을 연방정부가 직 수행하여 추

후에 업체가 이를 자유롭게 상품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연구개발

비 지원제도는 연방정부가 소정의 공모 차를 통해 선정된 업체에 연구 개발비를

지원하여 업체의 기술 경쟁력을 제고 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연방 정부 자체의 연구는 국립보건원(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과 국립과

학재단, 교육부 산하 국립장애·재활연구소, 보훈처 등이 진행하고 있으며 매년 조

씩 지출액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방정부에서 업체에 지원하는 연구 개발비 가장 규모가 큰 제도는 소기업

청(the Small Business Administration)이 주 하는 ‘ 소기업 신연구개발지원제도

(the Small Business Inovation Research; SBIR)’이다. 이 제도를 통해 지원을 받을

Page 57: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59 -

수 있는 기업은 500인 이하의 소기업으로 한정되어 있다.

(5) 서비스 달체계

미국의 경우 10개 지역으로 나 재활서비스행정청(Rehabilitation Administration

Services: RSA)이 있다. 이곳에서는 장애인의 최종재활인 고용을 증진시키기 해

필요한 제반서비스를 제공한다. 직업에 한 상담이나 알선 등은 물론이고 사업체

가 장애인을 한 합당한 설비를 갖추도록 돕는데 필요한 재활공학서비스를 제공

하는 것도 이 직업 재활 서비스국의 주요 기능 의 하나다. 이 업무를 이해서 보

조공학 문가(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와 보조공학조정자(assistive technology

coordinator)를 두고 있다.

우리 말로는 “보조공학기사”로 불리어지는 보조공학 문가는 보통 직업 장이

나 실험실, 직무수정 장 등에서 재활공학 활용도측면에서 그 장애인(client)을 평가

하는 일부터 시작하며, 그 다음 단계로 클라이언트의 필요성이나 욕구를 충족하기

에 어떤 재활공학용품이 가장 한지, 그것을 가 제작하는지, 어떤 종류의 주

문이 특별히 필요한지, 그리고 구입이나 제작에 필요한 비용과 재정 지원을 어떻

게 해야 할지에 해서도 조사하는 일은 맡게 된다.

보조공학 문가는 한 이러한 정보를 검토한 후에 재활공학서비스를 구체 으

로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에 그 장애인이 필요한 추천사항(Recommendation)을 작

성한다. 그런데, 재활공학조정자는 재활공학 문가의 일을 반 으로 지원하고, 직

업재활서비스 국내의 모든 보조공학서비스를 통합, 조정하는 일을 맡게 된다.

이 게 해서 작성되는 작업 장 수정방안들은 보조공학정보서비스(Rehabilit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RTIS)라는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는 기본 자료로

써 활용되고, 이것은 장애인으로 하여 교용을 획득하거나 고용을 지속 으로 유

지하도록 도움을 주기 해 작업 장을 수정. 개량. 개조하는 방법에 해 자세히

알기 원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 이 있다. 한편 재활과 재

활공학발 을 한 연합학회(RESNA)에서는 재활공학조정자, 직업재활 문가. 그리

고 재활에 심이 있는 사람의 상호 동 인 노력을 통해 제공되는 통합 이고

문 인 재활공학서비스는 장애인의고용이 불가능했던 직종에 고용의 문을 넓 주

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Page 58: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60 -

3) 유럽연합

(1) 독일

독일의 경우 2000년 재 장애정도(Gdb)가 50 이상이 넘는 증 장애인구는 약

663만명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악되고 있다. 여기에 증 장애인보다 장애정도가

조 덜 한 장애인구 140만 명과 등록하지 않은 장애 인구를 합하면 독일의 장애

인구는 체 인구의 약 10%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독일의 경우 조합주의 사회보장제도 하에서 다양한 사회보험제도를 통해 장애

인에게 보조공학기기를 지 하고 있으나 실제 많은 사람들이 지 상에서 배제되

고 있는 실정이라고 한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독일의 경우는 보조공학기기 업체는 지역 단 에서 일부 품목의 보조기구를 공

하는 소기업들과 국단 에서 일반 소비자와 의료 보험 등 재활보조기구

여제도 모두를 상으로 보조기구를 공 하는 기업들, 마지막으로 보조기구의 공

은 물론 생산까지 담당하고 있는 기업들로 구분할 수 있다. 사회보험 형태

로 각 의료재활 담당기 은 재활서비스로서 직업교육을 받는 장애인에게 다음과

같은 비용을 지 하도록 하고 있다.

․필요한 교통비용

․가족의 고향방문 여행경비

․보호자를 한 경비

․보조기구와 기술 인 작업보조도구 비용

․장애인에게 맞게 제작된 자동차 구입비용

․차표 구입비용

․주택보조, 장애인에 합한 주택구입 비용

독일의 장애인을 한 각각의 재활비용의 지불은 법률 으로 그 책임기 이 명

시되어있다. 다양한 재활과정의 비용 에서 의료 비용을 비롯한 보조도구, 특히

동휠체어 비용을 지 할 기 은 다음과 같다.

Page 59: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61 -

<표 Ⅰ-5> 보조도구 지 기

장애의 종류 부조의 종류 의료 비용1)*의 지 기

모든 경우

(Spalten 5-6

를 제외한

경우)

의료보험과 연 보험에 가입했을

경우

의료보험기 /연 보험기

의료보험에는 가입했으나 연 보

험에는 가입하지 않았을 경우의료보험기

연 보험에는 가입했으나 의료보

험에 가입하지 않았을 경우

의료보험기 , 그 이외의

경우는 시회부조담담기

의료보험과 연 보험에 가입하지

않았을 경우(가족이 가입한 보험

에도 해당되지 않을 경우)

사회부조담당기

산업재해, 유치원, 학교, 학에서 발생한 경우

그리고 직업병의 경우

산재보험기 , 그 이외에는 의료

보험기

쟁부상자, 방주사 부작용, 폭력에 의한

장애 등

원호성, 의료보험기

정형외과 원호처

책임기 소재가 불분명한 모든 경우

(Spalten 1-6)연 보험기 , 사회부조담당기

자료:Bundesministerium für Arbeit und Sozialordnung : Ratgeber fϋr behinderte

Menschen. Bonn, W.E. Weinmann, 1999, 18-19쪽

① 재활정보센터(REHADAT)를 통한 보조기기 지

1988년 처음 설립되어 장애인의 직업재활에 필요한 정보터미 과 같은 역할을

하며 직업재활 사회재활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주제별로 정리하여 처리작업을

한 뒤 이를 직업, 사회, 의료재활기 과 각 장애인에게 보 하여 재활네트워크의

* 여기서 의료 비용이란 의학 치료 치과치료, 의약품 의료용품, 물리치료, 행동치료,

언어치료, 작업치료, 의수족장착, 정형외과 보조도구 ( 동휠체어 포함), 병원입원치료, 요양,

가정방문간병의 경우 등등을 의미한다. 동휠체어 보조도구를 구입하려는 당사자는 자신

에게 합한 보조도구를 매하는 의료기 회사들에 한 정보를 취합한 후 상담을 하고, 해당

분야 의사로부터 합한 진단서를 받아 신청서를 비용담당기 에 제출한 다. 담당기 은 신

청된 보조도구가 신청인에게 합한지 검토한 후 합하지 않을 경우는 지 을 하지 않을 수

도 있고 한 공정한 정을 해 원호성 소속의 의료진에게 정을 의뢰할 수 있다. 한

지 않은 경우에 재 에 의해 그 지 기 이 결정되어지기도 한다. 이 게 하여 지 된 보조도

구는 신청인의 개인재산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보조도구 구입비용을 지불한 기 으로부터 빌

려 쓰는 형식을 하여 지 된다.

Page 60: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62 -

심역할을 해 왔다.

모든 직업재활 련 정보를 처리하여 보 하는 이 곳의 주요사업은 주제별 정보

처리 통해 보조도구, 성공사례, 재활 련 기 주소록, 재활훈련 기 목록, 문헌자

료 연수 세미나, 시청각자료들, 법률정보, 장애인작업장 련 정보, 연구 로젝

트 정보 등 모두 10개로 된 데이터뱅크 시스템이다.

10개의 정보은행이 모두 요 사업이지만 그 재활정보센터의 핵심 사업은 보

조도구 개발 황 정보처리작업이다. 독일에는 우리나라의 KS마크 인증과 같은 기

술표 화로서 DIN(Deutsches Institute fuer Normung)이라는 인증기 이 있다. 기

술 으로 세계에서 가장 독보 인 존재인 독일의 DIN은 세계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 요한 치를 차지하고 있다. 직업재활정보

센터의 보조도구 정보 에서는 독일에서 개발된 보조도구들을 수집하고, 이것을

우리의 KS 마크와 같이 독일 규격 표 화에 등록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고

승인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개발된 보조기기는 우선 으로 독일내의 표

화인증을 받아 그 승인번호를 받고 이를 데이터뱅크의 번호로 바로 사용하여 장

애인이 이 번호를 가지고 제품을 손쉽게 주문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정보수집과 복잡한 승인 차는 정보센터에서 단독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독일에 5개의 연결망 역할을 하는 독립회사를 산하에 두고 정기 으로 표자

들이 모여 새로운 제품에 한 토의와 회의를 통해 이루어진다. 공식 인 모임은

연 2회인데 이때 승인 차 등이 의된다. 이 독립기 들은 원래를 각 각의 훈련기

이나 장애인과 함께 하는 장에서 기 에 소속되어 정보센터와 연계를 갖고 일

했는데, 재는 장소 으로는 각 기 들 속에 있지만 모든 운 은 직 재활정보

센터의 주문을 수행하는 독립회사들로 최근에 변형되었다. REHADAT 보조도구

은 노동사회성에서 매년 자체 산을 받아 이들 5개 회사들의 운 을 지원한다.

이 5개의 연결 회사들은 개발된 보조도구의 사양문서를 작성해서 REHADAT 주

으로 갖는다. 이 자리에서 개개의 보조도구에 한 독일표 규격여부 새로운

보조도구 개발 주문 등을 의하고, 정보처리 과정상의 개선 등을 지 하며, 사

업에 한 평가와 향후 방향을 논의하게 된다. 이 회사들은 베를린, 함부르크, 하이

델베르크 폴말슈타인 등 독일 연방에 흩어져 있는데, 이 회의에 참석하는 인원

구성은 독일기술표 회 담당자와 이 5개 회사의 표들 REHADAT의 센터장

Page 61: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63 -

과 보조도구 장 등이다. 이들은 부분 공학자(엔지니어)들로 구성되어 있고, 부분

으로는 사회학이나 경 학, 의학을 공한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5개의 회사

는 직 장애인들이 훈련을 받거나 직업생활과정에서 보조도구의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는 재활기 이나 각 앙지원사무소의 보조도구 상담소가 설치되 있는 곳에

법인체를 두고 활동하면서 장애의 유형 특성에 따라 직업 환경 일상사회생

활에 필요한 보조도구를 찾아 개발하고 이를 규격화시키는 것이다. 노동 사무소와

앙지원사무소에서 지원된 부담 을 통한 고용 진비용과 각 연 이나 재해보험

등을 통한 개인에 맞는 지원제도 덕분에 이런 보조기기를 만들어 매하는 회사들

은 두드러지는 흑자경 을 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보조기기 개발 사례는

재 REHADAT의 보조기기 정보은행에 장된 것만 220,000개에 달한다. 여기에

는 최근의 변동가격, 구체 으로 제품을 볼 수 있도록 9천 여 개의 동 상 사진

을 올려놓고 있다. 이 많은 자료들을 체계 이고 조직 으로 리하는데 독일기술

표 회(DIN)의 규격과 세계기술표 회(ISO)의 표 번호는 도구의 신뢰도와 정

보이용자가 체계 으로 정보에 근하는 것을 매우 용이하게 하는 장 이 있다. 즉

연방에서 개발된 총체 인 재활보조도구들이 개발되면 REHADAT 연구소에서

는 5개 지방 정보망을 형성하고 있는 지역의 표자들 DIN 심사 원과 함께

년 2회 모이는 자리에서 표 규격번호 부여를 심사하고 이를 우선 독일기술표

회(DIN)에 등록시킨다. 그리고 나아가 이 제품이 세계 으로 매가치가 있을 경우

는 더 확실한 공신력을 얻기 해 ISO의 규격번호에 등록 차를 거쳐 올린다.

ISO 등록을 해 매 해 가입국이 순회 으로 국제회의를 개최하는데 여기에

REHADAT 센터장과 보조도구 장이 정기 으로 참가하여 독일의 개발 상황을 보

고하고 새 개발품의 ISO 등록을 한다. REHADAT에 올려진 거의 모든 보조도구들

은 이 ISO번호가 부여되어 체계 인 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외국의 제품도 이 번호

를 통해 쉽게 구입하게 하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한 정기 으로 장애분야별로 개

발된 보조도구들을 시하는 EXPO(세계박람회)를 통해 직 시연하며 장애인들에

게 선보이는 정보제공도 겸하고 있다. 이 보조기기에 한 정보의 보 은 증 지

체장애인을 비롯한 장애인의 직업생활 자립 인 사회생활의 가능여부를 결정하

는 요한 치에 있으므로 REHADAT에 매 6개월마다 추가되고 보완된 30,000개

의 CD와 93,000명의 웹상으로 이용하는 이용자의 70% 이상이 10개 정보은행

Page 62: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64 -

보조도구 련 정보은행을 이용하고 있다.

(2) 국

국의 경우 장애인은 인구의 15% 수 인 약 860만 명인 것으로 추정되며 보

조공학기기 이용 실태와 련한 몇 가지 주요 통계를 살펴보면 우선 약 400만 의

장애인이 국가보건의료서비스 는 지방 정부에서 제공되는 보조공학기기를 사용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장애인에게 필요한 보조공학기기는 국가보건의료서비스 지방정부를 통해 장

애인에게 필요한 재활보조기구를 공 하고 있는데, 조세로 운 되는 국가보건의료

서비스를 통해서는 주로 치료용 보조기구를, 지방정부를 통해서는 가사 일상 생

활용품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앙정부기 은 직 쟁 연 수령자에게 의수족, 휠체어 재활용구 등을

직 제공하며, 매우 증인 장애인을 해서 취업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기기

뿐만 아니라 환경 응과 타이 라이터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1977년 국가보건서비스법 하에서 의료치료와 간호서비스를 한 보조기기가 국

가보건서비스를 통해 제공되었고, 경우에 따라 지방정부 사회서비스국에서 1970년

만성질환자법과 장애인법에 의해 세탁, 옷 입기, 조리와 같은 일상생활을 돕는데

필요한 보조기기를 제공해 주어야 했다. 한 1994년 교육법에서 지방교육당국이

학교나 학에 다니는 장애학생들에게 필요한 보조기기나 설비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개발 계획과 문가 집단들은 원격통신 서비스의 개발을 포함

하여 새로운 기술의 사용과 어떤 방법으로 원격통신을 청각장애인들이 활용할 수

있는지에 하여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국의 보조공학기기 시장은 체 으로 열악한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

는데 보조공학기구 업체의 순익이 낮아 연구 개발에 한 투자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제품의 기술 신은 기 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한다(보건사

회연구원, 2003).

Page 6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65 -

4. 우리나라의 보조공학 황

우리나라의 보조공학은 의지, 보조기 등을 심으로 1964년 원호처 산하 국립직

업재활원 보철구 공장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2006년 재에는 소수의 기 에서 지

원, 연구개발 등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보조공학 서비스를 ‘장애인이 보조공학기기를 선정, 구입,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

을 주는 모든 서비스’라고 볼 때, 보조공학 서비스는 상담 평가, 제조, 보

지원, 정보제공 의뢰, 교육 훈련, 사후 리로 구성되며, 우리나라의 보조공학

서비스 기 황은 학과 학회, 연구 개발기 , 정보 의뢰기 , 보 지

원기 등으로 나 어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보조공학사업은 이제 막 시작되고 있는 단계로 장애인 등 보조공학

기기를 필요로 하는 수요자들이 비용의 부담, 정보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실제로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보조공학기기를 직업생활 일

상생활 속에서 실제 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 하는 것이 무엇보다 요하다.

1) 보조공학 련 규정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조공학에 한 법 인 개념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련 법률에 따라 범 와 품목도 조 씩 다르게 규정되어 있으며 법률조항에

서는 보조공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는 않다.

보조공학 개념 는 그와 유사한 보조기, 보장구 등 그와 비슷한 개념이 언 되

어 있는 법률은 <장애인복지법>,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 <정보격차해소에

한법률>,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국민건강보험법>, <국가유공자 우 지원에

한법률>, <의료 엽>, < 세법> 등이다.

(1) 장애인복지법

장애인복지법 ‘제2장 기본시책의 강구’제16조에 국가 지방자지단체가 보조공

학 지원에 한 책임을 부여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

Page 64: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66 -

장애인의 장애를 보완하기 해 재활보조기구의 제공 등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

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그리고 ‘제5장 재활보조기구’라는 별도의 장을 마련

하여 제55조에서는 재활보조기구의 정의, 제56조에서는 재활보조기구 품목고시 등

에 한 사항, 제57조에서는 재활보조기구의 교부 등에 한 사항, 제58조에서는

재활보조기구업체의 지원·육성에 한 사항, 제59조에서는 재활보조기구 연구개발

의 지원 등에 한 사항으로 나 어 기술하고 있으며, 제60조와 제61조에서는 의

지·보조기제조업소의 개설 폐쇄 등에 한 사항을 명시하고 제63조와 제64조에

서는 각각 의지·보조기 기사 자격증의 교부 등에 한 사항과 의지·보조기 기사 국

가시험에 한 사항에 해 규정하고 있다.

장애인복지법 시행령과 시행규칙 등은 좀 더 세부 인 내용이 담겨 있는데 우선

장애인복지법시행령에서는 제14조 장애인실태조사의 방법 내용과 련하여 제2

항 4호와 5호에서 각각 재활보조기구 사용·복지시설 이용·재활서비스 편의시설

설치욕구 등 복지욕구에 한 사항과 장애수당·재활보조기구교부 장애인등록제

도 등 복지지원 상황에 한 사항을 장애인실태조사 시 포함하도록 명시하고 있으

며, 제18조 상담원의 직무와 련하여 제4호에서 상담원은 장애인에 한 재활보조

기구의 교부와 사용·수리 등에 한 지도의 직무를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 제19조 자 여의 종류 여한도 등과 련하여 제1항 제4호에 기능회복

훈련에 필요한 재활보조기구 구입비에 한 자 여도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제29조와 제30조에서는 각각 장애인복지법 제64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의지‧

보조기 기사 국가시험의 시행 공고 등에 한 사항과 시험과목 합격자 결정

방법에 해 소개하고 있다.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에서는 제37조에 장애인복지법 제57조의 규정에 의하여

재활보조기구의 교부‧ 여 는 수리 등을 신청할 수 있는 자의 자격기 과 신청

방법에 해 구체 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제38조에서는 재활보조기구의 교부 등의

결정 차, 제39조, 제40조, 제41조, 제42조에서는 각각 재활보조기구의 교부 는

수리를 한 의뢰방법, 차, 비용의 청구, 비용의 지 에 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

다. 한 제43조에서는 재활보조기구를 생산하는 우수업체를 상으로 생산장려

의 지 기술지원을 하되 그에 필요한 사항은 매년 산의 범 안에서 보건복

지부장 이 정한다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재활보조기구업체의 지원‧육성 등에

Page 65: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67 -

한 일반사항, 제44조에서는 우수업체의 지정 취소 등의 구체 인 차, 제45조

에는 우수업체에 한 자 의 융자 보조 상 역과 융자한도액‧이율 상환

방법, 보조 지 의 세부기 에 해 명시하고 있다. 한편 제46조에서는 의지‧보

조기제조업소의 개설사실 변경 통보 등에 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제47조에

서부터 제55조까지는 장애인복지법 제63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의지‧보조기 기사

자격증과 련하여 응시 교과목, 교부신청 등, 자격등록 장, 자격증의 재교부신청

등, 자격증의 회수‧반환 등, 보수교육의 상 실시방법 등, 보수교육계획 실

보고, 보수교육 계서류의 보존, 수수료에 해 명시하고 있다.

행 장애인복지법에 의거해 보조공학 련 기기를 제공하고 있는 련부처로는

보건복지부로 국민기 생활수 자 차상 계층이면서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심장장애인등에게 국 240여개 시군구청 사회복지과 장애인복지 이 련기기를

제공하고 있다.

(2)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

이 법에서는 보조공학기기를 장애인 고용과 연 시켜 사업주에 한 지원을 통

해 명시하고 있는데 우선 제19조(시행일 2000년 7월11일)에 “노동부 장 은 장애인

을 고용하거나 하고자 하는 사업주에 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채용‧배

치‧작업보조구‧작업설비 는 작업환경 기타 장애인의 고용 리에 하여 기술

사항에 한 지도를 실시하여야 한다”고 명시해 놓아 사업주가 장애인을 고용한

후 한 근로 환경을 만들기 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밝 놓고 있다. 제

19조의 2(시행일 2006년 1월1일)에는 장애인을 고용하고자 하는 사업주에 한 지

원 내용을 다음과 같이 명시해 놓고 있다.

제19조 2 노동부 장 은 장애인을 고용하거나 고용하고자 하는 사업

주에 하여 장애인 고용에 소요되는 다음 각 호의 비용 는 기기 등

을 융자하거나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증 장애인 여성 장애인을

고용하거나 고용하고자 하는 사업주를 우 하여야 한다.

1. 장애인을 고용하는데 필요한 시설·장비의 구입·설치·수리 등에 소요되

Page 66: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68 -

는 미용

2. 장애인의 직업생활에 필요한 작업보조공학기기 는 장비 등

3. 장애인의 정한 고용 리를 하여 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작업지도

원 는 수화통역사 등을 배치하는데 필요한 비용

4. 그 밖에 제1호 내지 제3호에 하는 것으로서 장애인의 고용에 필요

한 비용 는 기기

(3) 국민건강보험법

국민건강보험법에서는 장애인에게 지 되는 보조공학 련 기기에 한 보험

여에 한 기 이 명시되어 있다. 련 규정을 살펴보면 “제46조(장애인에 한 특

례) 공단(국민건강보험공단)은 <장애인복지법>에 의하여 등록한 장애인인 가입자

피부양자에게는 보장구에 하여 보험 여를 실시할 수 있다”고 되어있는데 이

규정에 의한 보장구에 한 보험 여의 범 ·방법· 차·기타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

지부령으로 정하고 있다. 한 건강보험법 시행규칙 제18조는 장애인 보장구에

한 보험 여기 등이 명시 되어 있다.

(4)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경우는 법 조항 제40조에 요양 여에 한 내용을 명시해

놓으면서 산재 장해자를 해 보조공학 련 기기를 지 하고 있다. 그리고 2005년

4월에 건강보험 장애인 보장구 지 기 이 개선됨에 따라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역

시 요양 여기 을 개정했는데 주요 개정내용은 건강보험에서 보험 여하고 있는

품목(77개)은 기 액, 내구연한, 지 상을 건강보험 기 에 따르고, 건강보험 미

고시품목(54개) 신규 개발 품목(27개)에 하여는 산재보험에서 별도 고시하여

리한다는 내용이다. 추가 지 기 개선 치료 지 상도 확 하 는데

내구연한이 경과하여 추가 지 시에도 의학 소견에 의해 지 할 수 있는 근거

를 마련하 고, 경추부염좌, 무릎 손상 등 진료 상 필요한 경우에는 치료 에

도 지 할 수 있도록 지 상을 확 한다고 밝히고 있다.

Page 67: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69 -

(5) 정보격차해소에 한법률

정보격차해소에 한법률은 장애인들의 정보 근권을 강화하고 직업능력을 강화

하기 하여 정보통신기기 지원에 한 법 근거 조항을 다음과 같이 마련해 놓고

있다.

제9조 (정보통신기기의 지원) ①국가 는 지방자치단체는 다음 각호의 1

에 해당하는 자에 하여 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유상 는 무상으로

정보통신기기를 지원할 수 있다.

1.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장애인

2. 국민기 생활보장법 제2조제1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 권자

3. 기타 경제 ·지역 ·신체 는 사회 제약으로 인하여 정보를 이용

하기 어려운 자로서 통령령으로 정하는 자

②국가 는 지방자치단체는 제10조의 규정에 의한 정보이용시설을 설치·

운 하는 자에게 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정보통신기기를 유상

는 무상으로 지원할 수 있다.

(6) 국가유공자 우 지원에 한법률

국가유공자 우 지원에 한법률에서의 보조공학 련 기기지원은 국가 유공자

들의 상실된 신체기능을 보완하고 일상생활의 편의증진을 한 각종의 보장구를

공 하기 한 것이다.

련 조항은 “제16조에 상군경·공상군경·4.19 명부상자·공상공무원 특별공

로상이자로서 신체상의 장애로 인하여 보철구를 필요로 하는 자에 하여는 통

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보철구 는 보철구 수당을 지 한다”고 되어 있다. 시행

령에는 보철구에 한 정의를 내리고 있는데 련사항은 제66조로 “①보철구는

상군경·공상군경·4.19 명부상자·공상공무원 특별공로 상이자의 신체기능장애나

활동력이 상실된 부분을 보충·정형 는 보완하여 주는 장구로서 그 종류별 사용연

한은 국가보훈처장이 이를 정한다.”로 되어 있다. 제27조에는 보철구 지 에 한

내용이 명시되어 있는데 내용을 살펴보면 “① 할청장 는 지청장은 법 제16조의

규정에 의하여 보철구를 필요로 하는 자에 하여 국가보훈처장이 정하는 기 에

Page 68: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70 -

<표Ⅰ-6> 보조공학 련 규정 비교

구분 용어 상련

부처

제공

품목지원방법

장애인

복지법

재활

보조

기구

‧국민기 생활보장비

수 자 차상 계

층이면서 지체, 뇌병

변, 시·청각,심장장

애인 등

보건복지부

국 240

여개시군구청

(사회복지과

장애인복지 )

의지 휠체

어 등 총60

개 품목

재활보조기기

무상교부

따라 보철구를 지 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보철구를 지 받은 자가 보철구

의 마모 는 고장으로 수리를 받고자 하는 때에는 할청장 는 지청장에게 수

리를 요구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이 법률은 국가보훈처가 련 부처이고 국의

25개 보훈(지)청에서 신청을 받고 보훈병원 내 보장구센터가 직 인 서비스를 실

시하고 있다.

(7) 의료 여법

의료 여법은 장애인의 손상된 신체부 를 보완해 주고 일상생활에 편리함을 더

해주기 한 목 으로 장애인복지법에 등록한 장애인을 상으로 보장구를 지 하

고 있다.

련조항은 동법 제13조에 “(장애인에 한 특례) ①시장·군수·구청장은 장애인복

지법에 따라 등록한 장애인인 수 권자에게 보장구(보장구)에 하여 여를 실시

할 수 있다.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보장구에 한 여의 방법· 차·범 ·상한 등

에 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로 되어 있다. 지 기 은 시

행규칙 25조에 명시되어 있으며, 장애인 보장구 부 정 수 자에 한 조치는 동법

23조와 35조에 따로 명시되어 있다. 보장구 신청은 시행규칙 제25조에서 “장애인

보장구에 하여 여를 받고자 하는 자”로 규정하고 있어, 수 권자 본인, 그 가

족 법정 리인에 한해 신청이 가능하다. 시설에 거주하는 수 자의 경우 시설

의 수 자 규모를 고려하여 지 하는데 동휠체어 는 동스쿠터 등의 고가의

보장구는 의료 여 수 자 5명단 1 를 주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보장구 신

청은 시·군·구 사회복지과 장애인복지 에서 담당하고 있다.

Page 69: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71 -

구분 용어 상련

부처

제공

품목지원방법

국민

건강

보험법

등록장애인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피부양자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

공단36개지사,

3개 건강보험

센터

휠체어 등

총 60개

품목

‧ 보장구유형별상한액의

범 내 실구입가 80%

‧기 액의 20% 상한

액 과 액 장애인부담

산업

재해

보상

보험법

재활

보조

기구

산재요양

산업 재해장해자

노동부

근로복지공단

46개 지사

산재의료

리원 재활

공학연구소

근 동의수

등 총 158개

품목

‧ 산재의료 리원(재활공

학연구소)재활보조기구

물지

‧의지 보조기 이외재

활보조기 시 구입 후

수증 첨부 근로복지공

단(보상부)에 비용 청구

‧의지 보조기의 추가

지 은 산재 의료 리원

재활 공학연구소의 물

공 만 가능

장애인

고용 진

직업

재활법

보조

공학

기기

‧등록장애인

근로자

‧직업훈련생노동부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14개

지사, 보조공학

센터

자정보단

말기등 총33

개 품목(맞춤

제외)

‧무상임 :고가의 상용

보조공학기기 1년단 로

무상임

‧무상지원: 가의 상용

맞춤 보조공학기구

국가유

공자

우에

한법률

‧ 상군경

‧공상군경

‧ 4.19 명부상자‧

공상공무원 특별

공로 상이자

국가보훈처

국15개

국가보훈(지)청,

보훈병원 내

보장구센터

상지보조

등 총 60개

품목

‧지 기 해당자에 해

지 상자임 안내 후

‧무상지원

정보격

차해소

에 한

법률

정보

통신

보조

기기

‧등록장애인

‧국기 생활 보장법

수 권자

‧기타경제·지역·신체·

사회 제약으로 정

보 이용 어려운자

정보통신부

국 8개

체신청

특수키보드

등 총 32개

품목

기기구입

가격 80% 지원, 본인부담

20%

의료

여법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등록한 장애인 동

법 제3조에 수 권자

로 정의된 자

보건복지부

국 240

여개시군구청

(사회복지과

장애인복지 )

동휠체어

등 총 60개

품목

수 격 여부 단하여

무상교부

Page 70: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72 -

(8) 기타 련법

보조공학 련 기기 수입 세 감면에 한 것은 세법 제28조의 6 제1항

제5호, 동 법 시행규칙 제20조 5항에 의거 장애인 용품과 재활의원에서 사용되는

지체, 시각장애인용 진료 용구에 한 세 감면이 있다. 외에도 조세 특례제한법

제105조 제4호, 동 법 시행령 105조에 의거 의수족, 휠체어, 보청기, 보조기, 지체장

애인용 지팡이 목발에 한 부가가치세의 감면에 한 법령이 있다.

2) 보조공학 교육 연구 서비스 기

교육 기 으로는 1996년 구미래 학에 국내 최 로 재활공학과가 신설되어 보

장구사라는 문인을 배출하고 있다. 이후 1997년에 구 학교 재활과학 학 재활

공학과가, 1999년에는 나사렛 학교 재활학부 내에 재활공학과가 신설되었다. 이

학과들은 주로 첨단화된 공학매체 일상생활용 편의기구 등을 이용하여 생활에

불편을 느끼고 있는 장애인의 독립 인 일상생활(ADL) 사회생활 응을 도와주

는 재활공학 문가(장애인 컴퓨터 트 이 , 장애인 주택설계 개조사, 보공학

기술·훈련 문가, 장애인 일상생활 컨설턴트)를 양성하고 있다. 석사 과정은 구

와 나사렛 두 학교에 있으며, 박사과정은 재 구 학교에만 개설되어 있다.

련 부설기 으로는 구 학교의 재활공학센터(Rehabilitation Technology Cen-

ter)와 나사렛 의 재활공학연구소(Assistive Technology Institute)가 설립되어 있다.

학회로는 2001년 구 학교 재활공학과 교수들을 주축으로 다양한 역의 교수

문가로 구성된 한재활공학회(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enginee-

ring and Assistive technology)가 설립되어 각종 재활 련 연구 로그램의 실시,

정보 교류 학술행사와 연수교육, 재활 공학 련 문가 자격인증에 한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 학회에서는 장애인컴퓨터트 이 와 휠체어 치료사 자격연

수와 자격시험을 주 하고 있는데 2005년 재 총 65명에게 자격증을 교부하 다

(박을종, 2005).

연구기 으로는 정부 출연 기 인 재활공학연구소(Korea Orthopedicd &

Rehabilitation Engineering Center)와 1999년 6월에 설립된 연세 학교 의용계측

재활공학연구센터(Reserch Institute for medical Instruments & Rehabilitation

Page 71: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73 -

Engineering), 그리고 라다이스복지재단의 장애아동연구소가 있다. 재활공학연구

소는 노동부 산재의료 리원 소속기 으로 1994년 설립되어 각종 재활보조기구나

인공 과 같은 정형외과 인공 치물, 동휠체어, 휠체어 리 트, 능동제어형 보

행보조장치, 재활의료용 첨단소재, 휴먼컴퓨터 인터페이스 모듈개발 등 연구개발사

업과 규격표 화 시험, 검정사업을 수행하고 장애인운동재활센터를 통해 통합재

활훈련, 일상생활 응훈련, 수 재활훈련 등을 실시하고 있다. 한 국 5개 지역

서비스센터를 통해 의지·보조기·휠체어 등 재활보조기구 지 수리서비스를 제

공하고 있다. 의용계측 재활공학연구센터는 첨단기자재를 이용하여 산·학·연· 간

의 유기 인 력을 창출하며 이를 통해 기반구축과 재활, 의료 자기기 산업을 육

성하고 있다. 라다이스 장애아동연구소는 장애 아동을 한 교육용 소 트웨어의

개발과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공학 근 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정보통신부 소 의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은 ‘정보격차해소에 한법률 제16조’에

의해 설립된 특별 법인이다. 보건복지부 산하 보건산업진흥 문기 인 한국보건산

업진흥원은 보건의료서비스 산업, 식품, 의약·화장품·의료기기산업, 장애인 재활보

조기구 노인용 실버산업 지원에 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보조공학에 한 요성이 높아지자 서비스를 체계 으로 하기 하여 정

부는 2004년 12월 노동부 소 의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에 보조공학센터를 설립

했다. 이 센터에서는 보조공학 상담 평가, 보조공학기기 지원 응 훈련,

보조공학 과년 정보제공, 보조공학 연구개발, 보조공학 시장 운 등을 주된 업

무로 하고 있다. 재 15세 이상 장애인으로서 구직등록한 자, 직업훈련생, 근로기

법에 의한 근로자, 자 업자로서 보조공학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장애

유형과 개인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보조공하기기를 제공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보조공학 지원에 심을 보이기 시작했는데 이를 통해 만들

어진 기 은 경기도의 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이다. 이 센터는 연구조사사업,

재활공학기구 보 지원사업, 후원자 개발 리 사업, 정보수집 제공사업,

교육 홍보사업을 주로 담당하고 이고 서비스 이용 상은 재활보조기구가 필요

한 경기도 거주 장애인이며, 그 서비스의 내용은 재활보조기구에 한 컨설 (상담,

평가, 시험 용), 재활보조기구에 한 정보자료제공, 재활보조기구 여 등이다.

복지 을 통해 서비스가 이 지는 기 은 인천 역시 계양구에 소재하고 있는

Page 72: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74 -

노틀담복지 의 테크니컬에이드센터(Technical Aids Center)인데 이 기 은 2004년

1월 인천의 특별시책수탁사업으로 설립되었다. 이용 상은 장애아동(만 3-12세, 지

체·뇌병변· 복장애인)이며, 국민기 생활수 상자를 우선 상으로 하고 소득가

정, 기타 장애아동도 이용할 수 있다(박을종, 2005). 아산장애인복지 은 2003년 11

월부터 의료재활 에서 ‘공방 오 마인드’와 연계하여 매월 선정된 상자에게 재

활보조기구에 한 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민간연구기 으로는 2001년에 설립된 구 역시에 치한 재활공학연구소

FORT(Institute of Rehabilitation Technology, FORT)이다. 이 기 은 재활공학을 이

용한 장애인의 복지증진, 장애인의 독립생활 사회성 개발지원, 국내 재활 역의

공학 인 발 도모, 재활공학의 인식확 , 서비스를 통해 얻은 수익 정보, 자료

의 재환을 목 으로 설립되었고, 주 사업은 재활치료 도구 개발, 치료도구 교재

/교구 매, 장애인 재활 문가를 한 가상 강좌 개발 운 , 장애 시설(치

료실, 컴퓨터실) 개설 상담, 휠체어 맞춤서비스, 장애 련 홈페이지 제작 운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언어지료 문 포탈사이트인 ‘사이버 언어치료실’과 재활

문 쇼핑몰 ‘알앤샵’을 운 하고 있다.

민간기업으로는 구 역시에 치한 리헵테크(REHAB-Tech)는 과학 인 재활공

학기술을 용하여 장애인의 일상생활의 독립 편의증진을 도모하기 한 제반

서비스 제공을 목 으로 하고 있으며, 한재활공학회와 구 학교 휠체어 이

동기기 연구소, 나사렛 학교 재활공학연구소와 연계하여 재활공학서비스를 하고

있고, 장애인 착석장치 개발 제작, 개별화 컴퓨터 교육을 문으로 한다.

재 보조공학에 한 인식이 조 씩 확산되면서 보조공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 조 씩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체 장애인구에 미루어 볼 때 보조공학 서

비스를 문 으로 제공하는 기 은 아직도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3) 보조공학기기 지원제도 황

재 보조공학서비스를 문 으로 제공하는 기 의 숫자는 그리 많지 않다.

1994년 보건복지부 산하의 국립재활원에서 외국 서 을 번역한 「재활공학」이라

는 책자를 출 함과 동시에 「재활공학 소식지」라는 계간지의 발간을 통해 재활

Page 7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75 -

공학 정보제공 서비스를 국내 최 로 시작하 으나 인식과 재정 지원의 부족으

로 단되었다. 2000년 9월 라다이스복지재단은 특수교육 장애 문포털사이트

‘아이소리’를 통해 보조공학기기를 소개하고 일부 보 활동을 하 고, ‘오 마인드’

등은 휠체어를 장애인의 신체에 맞게 주문 제작 해주고 있지만 국의 많은 학

생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이근민, 1999). 2001년 6월 재활

벤처기업으로 설립된 ‘재활공학연구소 FORT’는 민간으로는 처음으로 문 인 보

조공학서비스를 실시하여 보조공학서비스에 한 민간부분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인천에 치한 노틀담복지 은 ‘테크니컬 에이드 센터(Technical

Aid Center)'를 2002년 7월에 개소하여 주로 좌석 자세유지, 이동 련 재활보

조기구를 인근 지역 장애인들을 상으로 소개하고 공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산장애인복지 은 2003년 11월부터 의료재활 에서 공방 오 마인드와 연

계하여 매월 선정된 상자에게 재활보조기구에 한 근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오길승 외, 2005).

(1)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보조공학센터

장애인 직업유지와 고용 창출을 주된 목표로 하는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용

개발원 보조공학센터는 직업생활에 필요한 장애인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하고 있다.

보조공학센터의 사업내용을 살펴보면, 장애인을 고용하여 사업을 행하거나 하고

자 하는 사업주와 공단 산하 직업능력개발센터 공단 지정 직업훈련실시기 을

상으로 무상임 와 무상지원을 하고 있다. 상용보조공학기기는 무상임 와 무상

지원을 하며 공단이 매년 사업개시 공시한 품목을 상으로 한다. 무상임 한

도는 장애인 1인당 1,000만원( 증은 1,500만원), 총 2억원이며, 무상지원 한도는 장

애인 1인당 300만원내, 총 5,000만원(훈련기 포함)이다. 50만원 미만의 가제품은

무상지원하고, 5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의 증가제품은 재활용 는 소모성 여부

등을 고려하여 무상임 는 무상지원을 결정하고, 100만원 이상 고가제품은 상당

한 이유가 없는 한 무상임 로 한다. 그리고 맞춤제작 보조공학기기는 무상지원을

하며 공단 보조공학센터 내 제작 에서 개인별 맞춤제작ㆍ개조 지원을 하고 있다.

무상지원 한도는 장애인 1인당 300만원 내, 총 5,000만원(훈련기 포함)이다.

한 무상지원 시 동일사유로 지원할 경우 2년 내 재교부는 제한하고 있으며, 무

Page 74: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76 -

상임 일 경우는 지원물품을 1년 단 로 임 하며, 지원기간은 취업(훈련)확정일로

부터 퇴사(훈련종료)일까지며, 임 종료 시 물품반납이행을 해 이행보증보험증권

제출을 의무화하고 있다.

공단은 무상임 ㆍ지원 신청(요청) 내용의 타당성, 시 성, 이용자의 상담ㆍ평가

에 따른 격성, 지원 효과성 등을 센터 내 사례분석회의를 통해 종합 으로 조사

ㆍ확인하여 그 수한 날로부터 30일 이내(1회 연장 가능)로 산 범 내에서 결

정하고, 그 결과를 신청자(요청자)에게 통지하여 상자를 결정한다. 그리고 공단은

장 방문, 화 등을 통한 보조공학기기 이용 장애인을 상담ㆍ평가하여야 하며,

상자 결정을 한 자료로 활용하여야 하며, 직업훈련실시기 의 훈련 목 상 보

조공학기기의 보유가 필요 인 사항으로 인정되는 경우 그 범 내에서 제한할 수

있으며, 무상 임 ㆍ지원 상자를 결정함에 있어서 무상 임 는 지원 품목을

조정할 수 있다.

무상 임 ㆍ지원 상자에 한 사후 리는, 보조공학기기를 임 로 지 받은

상자에 하여 보조공학기기의 사용실태를 임 기간 연 1회 이상 확인ㆍ 검하여

야 하며 최소 년 1회는 확인하여야 한다. 무상 보조공학기기를 지 받은 상자에

하여는 사용 실태를 지 일로부터 1년에 한하여 연 1회 이상 화 등을 통해 확

인하여야 한다. 그리고 보조공학기기의 리를 원활히 하기 해 필요한 경우 유지

ㆍ보수 업체를 지정할 수 있으며, 임 한 지원기기의 사용과정에서 발생한 유지ㆍ

보수는 임차인이 하여야 하며, 임 물품의 내용연수가 만료된 경우 불용결정하고

임차한 사업체 는 직업훈련실시기 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 동 기 에 사용

토록 처분한다.

보조공학기기의 긴 지원은 취업알선을 수행하는 직업재활사업수행기 장 공

단 산하 지사장 는 직업능력개발센터장이 장애인의 취업알선시 는 지원고용(

장훈련)시 보조공학기기의 지원을 통하여 취업가능성이 향상될 것이라고 상되어

지는 긴 한 필요가 있는 경우 긴 지원요청서, 신청기 장의 리책임을 명시한 서

약서 등 구비서류를 작성하여 공단보조공학센터에 긴 지원을 신청할 수 있고, 공단

은 긴 지원 사유의 타당성, 격성, 지원여력 등을 종합 으로 고려하여 신속히 긴

지원여부를 결정하고 지원기간을 명시한 임시 여방식으로 지원할 수 있다. 임시

여 지원기간은 취업알선 시 7일 이내, 지원고용( 장훈련)시 최장 8주내로 한다.

Page 75: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77 -

(2)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 가입 장애인의 소득보존 의료혜택 제공을 목표로 하는 국민건

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는 피부양자로서 장애인복지법에 의한 등록

장애인을 상으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한다.

지 유형은 지체장애인에게는 상하의지, 보조기 등 48종, 동휠체어, 동스쿠

터, 정형외과용 구두를, 시각장애인에게는 시력보조안경, 의안 등 6종을, 청각장

애인에게는 보청기를, 언어장애인에게는 체외용 인공후두를 지 하고 있다. 그리고

보장구 유형별 상한액의 범 내에서 실구입가의 80%를 지 하고, 기 액의 20%

상한액 과 액은 장애인 본인이 부담하며 보장구의 소모품 비용 수리비용은

액 본인부담을 한다.

지 상한기 은 보장구 유형별로 내구연한의 기간 내에 1회, 동일 유형의 상‧하

의지를 양측으로 장착 는 의수지를 2개 이상 장착하는 경우에는 각각 1회로 인

정하며, 내구연한 이내에도 훼손 마모 등으로 계속 장착하기에 부 하거나 기

타 부득이한 경우 교체하여야 할 의학 소견이 있어서 진료 담당의사가 보장구

처방 을 발행한 경우 지 할 수 있다.

(3) 보건복지부

생활이 어려운 소득 장애인에게 일상생활의 편의증진 등을 한 재활보조기구

를 교부함으로써 이들의 생활능력 향상 복지증진 도모를 목표로 하고 있는 재

활보조기구 교부제도는 장애인복지법 제29조의 규정에 의거 등록한 지체‧뇌병변‧

시각‧청각‧심장장애인인 국민기 생활보장법상 수 자 차상 계층을 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교부 우선순 는 장애등 이 상 인 자, 국민기 생활보장법상

수 자, 1가구에 2인 이상의 장애인이 거주하는 자 재가장애인일 경우 우선 으

로 지원받는다. 한 년도에 동 사업지침에 따라 재활보조기구를 교부받은 자와

년도 는 년도에 사회복지단체 등으로부터 년도 교부품목의 재활보조기구

를 지방자치단체를 통하여 지원받은 자에게는 교부에 제한이 있다. 단 손 등으로

시‧군‧구청장이 재교부 필요성을 인정하는 경우에는 재교부가 가능하다.

자세보조용구를 제외한 품목의 교부 차를 보면, 신청을 하고 자격기 검토 후

교부를 한다. 자제보조용구의 경우는 신청을 하고 자격기 검토와 교부 과정 사이

Page 76: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78 -

에 검진을 거친다. 검진 시 진단은 재활의학과의 재활 문의가 있는 의료기 에 의

뢰를 하게 된다.

교부비용은 산상의 지원 기 액을 원칙으로 하되 시장‧군수‧구청장이 필요하

다고 인정되는 경우 추가지원이 가능하다. 그리고 지정된 교부품목을 교부한 후 집

행 잔액이 발생할 경우 시‧군‧구에서 자체실정에 맞게 내부방침을 정하여 기타 재

활보조기구 교부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데, 2003년 주, 북, 남, 경북, 경남에서

는 음성손목시계, 좌변기, 정형외과구두, 등리모콘 등의 품목을 교부한 바 있다.

(4)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신체 , 경제 으로 정보통신에 한 근과 활용이 어려운 상에게 정보활용의

용이성 증 를 목표로 하고 있는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정보통신보조기기 지원제

도는 장애인복지법 제29조에 의해 등록된 장애인을 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선

정 우선순 는 PC 보유자 인터넷 이용자(단, 자정보단말기 FM보청기 신청

자는 제외), 장애등 이 상 인자(신청기기의 장애유형 우선) 국민기 생활보장

법상 수 자일 경우 우선 으로 지원받는다. 단 동사업 년도 보 수혜자는 선정

우선순 에서 제외하고 차순 로 보 한다. 한 동사업 년도 보 수혜자는 신청

할 수 없으나 PC S/W 보 자는 추가로 신청 가능하며 복장애인도 다른 품목

의 제품은 신청이 가능하다.

보 기기는 지체, 청각, 시각 등 장애유형별 정보통신보조기기 특수 S/W, 스

크린리더, 독서확 기, 자단말기, 입력보조기, 특수마우스, 특수키보드, 상 화

기, FM복합보청기, PC 등으로 사업계획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보 단가

는 기기구입가격의 80%를 정부에서 지원하며, 선정된 자는 선정일로부터 15일까지

해당 보 업체로 본인부담 20%를 납부하여야 하며 미납 시에는 보 상에서 제

외한다.

(5)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공단은 산재 장해인의 직업복귀를 돕고 사회복귀를 진하기 해 산재

의료 리원의 재활공학연구소에서 보조공학 련 기기를 지 하고 있다. 재해당시

의 연령 상병 부 에 상 없이 내구연한에 따라 재활보조기구를 후유증 진료비

Page 77: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79 -

용 차원에서 평생 지 함으로써 자비 구입에 따른 경제 부담을 해소하고 상실된

신체 기능을 보완하고자 한다.

근로복지공단에서 지 하는 재활보조기구는 요양 종결 시 지 하되, 내구연한을

과하여 장착이 필요한 경우에는 내구연한 경과 시마다 추가로 지 할 수 있다.

다만, 재 요양기간 재활보조기구의 내구연한이 도래할 경우에는 재요양 종결 시

에 지 하며,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치료 에도 재활보조기구를 지 할 수 있다.

‧ 사지 단환자 는 신경마비로 인하여 운동이 불가능한 환자로서 치료종

결 후에도 계속 인 의지나 보조기 장착이 의학 으로 필요한 경우

‧ 경추, 흉추, 요추 등 척추 손상 는 척추질환의 치료를 해 보조기 착용이 의

학 으로 필요한 경우

‧ 손상 등으로 인한 운동의 제한 는 의 고정을 하여 보조기

착용이 의학 으로 필요한 경우

‧ 하지골 로 인하여 통원 치료 시 목발이 의학 으로 필요한 경우

재활보조기구의 추가지 , 장착에 따른 단순 외과 처치 수리는 산재의료

리원에서 담당하고 있다.

(6) 국가보훈처

국가유공자 우 지원에 한법률에 근거하여 국가유공자보철구기 규정에 명시되

어 있는 지 상자, 상군경, 공상군경, 4·19 명 부상자, 공상공무원 등 국가상이

자에 한아여 보철구를 지 하고 있는데 상자에 한여 할청장 는 지청장이 보

철구 지 상자임을 안내하여 보철구지 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할청장

는 지청장은 매 분기 에 상자에게 사용연한 도래자를 확인하여 사용연한이 도

래되었음을 안내하되 사용이 가능한 보철구에 해서는 계속 사용토옥 하고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재 지 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필요한 보철구는 보훈병

원 보장구센터에서 제작하여 지 하고 있는데 국내 기술 수 으로 제작이 어려운

경우에는 외국에서 수입 는 국내 보철구 제작업체로부터 구입하여 지 하고 있으

며 지 품목은 상지보조기 등 41개 품목이며 무상으로 지원해 주고 있다.

Page 78: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80 -

5. 보조공학과 련된 문제

1) 법과 제도의 체계 인 정비

장애인복지법 련 규정으로 인하여 보조공학이 어느 정도 발 하게 된 것은 주

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것처럼 법이나 제도 등 보는 시각에 따라 용어

가 통일되지 않고 사용됨에 따라 법제도 집행과 보조공학 개발 서비스 장에

서 혼란을 래할 우려가 있다.

미국의 만 보더라도 1973년 재활법에서 이미 보조공학기기와 서비스를 규정하

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도 보조공학기기나 서비스는 불구하고 보조공학 자체에

한 규정조차도 정확하게 명시되어 있는 법이나 제도를 찾아보기 어렵다. 확실한

규정이나 제재를 가할 수 있는 법이나 제도가 마련되지 못한다면 수혜자에게는

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없고, 제공자도 제 로 된 서비스를 제공하기는 어렵

다. 따라서 법 제도 상에 용어에 한 통일성을 기하는 것은 상당히 요한 과제라

하겠다. 한 법에 명시된 사항들을 보다 확실하게 실행하는데 필요한 제도 장치

나 정책 인 지원이 제 로 뒤따르지 않고 있어서 명시되어 있는 법조문들의 실행

이 상당히 미흡하다.

우리나라 장애인들도 선진국의 장애인들처럼 손쉽게 자신에게 합한 보조공학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법 는 제도 정비가 시 한데 우선 보조공학 서비스

에 한 부분을 법에서 명확히 밝 주어야 할 것이다. 미국의 <주정부에 한 기술

지원법(Technical Assistance to the States Act)>에서는 보조공학 서비스

(assistive technology service)를 “장애인이 보조공학 기구를 선택, 획득, 사용할 수

있도록 직 으로 도움을 주는 어떤 서비스”라고 구체 으로 정의하고 그러한 보

조공학 서비스가 활성화 되는데 필요한 조치들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서비스에 한 자세한 법 근거 조항없이 재활

보조기구 품목을 고시하고 단순히 교부하는 등의 사업, 재활보조기구업체의 지원·

육성, 재활보조기구 연구개발의 지원, 각종 보험을 통한 여 기 등에 해서만

명시되어 있다.

Page 79: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81 -

장애인이 가지고 있는 장애의 유형과 상태, 기능 수 은 매우 다양하고 그에

따른 보조공학 기구의 욕구도 매우 다양하며, 그러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보

조공학 기구의 종류도 무수히 많다. 그러므로 이러한 부분을 충족시키기 해서는

법에 보조공학 서비스에 한 법률 조항이 정확하게 명시될 필요성이 있다.

2) 보조공학기기 련 수요 악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05년도 장애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재 우리나라에서 재

활보조기구를 소유하고 있는 장애인은 45.8%이며 장애유형별 재활보조기구 소유율

은 장루‧요루장애인 97.5%, 시각장애인 68.9%, 청각장애인 63.7%, 뇌병변 장애인

63.2%의 순으로 나타났다. 재활보조기구가 필요한데 구입하지 않는 이유로 약

59.9%가 ‘구입비용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합한 재활보조기구가 없어

서’(6.7%), ‘사용 불편’(5.8%) 순으로 나타났다. 이 듯 활용해야 하는 장애인들의 욕

구가 상 으로 크게 나타나고 앞으로도 지속 으로 증가할 것으로 망되나 보

이 제 로 안 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만 놓고 보더라도 보조공학 련기기를 필

요로 하는 인구는 체 장애인의 1/2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을 감안할 때 보

조공학기기의 개발과 보 에 한 략을 체계 으로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장애를 가진 요보호 상의 증가에 응하기 해 드러난 수요 잠

재된 수요와 산업 규모를 정확히 측하고 발 에 필요한 인력, 정보, 인 라 구축

등에 한 장단기 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해서는 정확한 수요 측

이 제되어야 한다.

3) 보조공학의 연구 개발 문인력 양성

보조공학기기산업에 있어서도 문 인력의 양성은 재활보조기구의 개발과 시장

형성에 있어 매우 요한 요소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그들의 장애상태와 수

에 합한 보조공학 기구를 보 하고 지원함으로써 그들의 삶에 획기 인 변화와

독립성을 가져다주는데 도움을 수 있는 서비스 달체계가 확립되어야 할 것이

Page 80: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82 -

다. 미국과 같이 북미재활공학 회(Rehabilitation Engineering and Assistive

Technology Society of North America:RESNA)와 유사한 성격의 기구의 정책 인

육성과 지원을 통해 의지‧보조기 기사 이외에도 보조공학과 련된 다른 문가들

의 양성 자격제도의 설치가 필수 이다(오길승 외, 2005).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구 학교 재활과학 학에 재활과학과가 설립된 이후

2005년 재 67명의 졸업생이 배출되었고, 1999년 나사렛 학교에 재활공학과가

설립되어 2005년 재 66명의 졸업생이 배출되고 있지만 재활공학사에 한 사회

재활분야의 인지부족으로 인해 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한, 2005년

재 구 학교와 나사렛 학교에는 학부과정과 더불어 석‧박사 학원과정을 개

설하여 인력을 배출하고 있다(권 철, 2005).

하지만 아직은 문지식을 가진 재활보조기구 련 문가들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에 따르는 인식의 부재로 재활기기 련 업체에서는 재활보조기구 련 문가

의 존재여부 자체도 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실이며 이로 인해 재활보조기구

의 연구‧개발과 국내 시장을 통한 활성화도 기 하기가 어려운 형편이다.

한편, 문 인력도 부족하지만 실제 보조공학 지원과정에서 훈련받은 보조공학

문가의 개입이 부족하다는 것도 문제이다. 부분 노동부, 보건복지부, 정보통신

부 산하 기 는 지원 기 에서는 장애인 자신이 어떤 보조공학기기를 필요로

하는지 신청토록 하고 이것이 격한가를 단하거나 아니면 격 정 차 없이

장애인 구에게나 보조공학을 무료로 는 약간의 자비부담으로 보 하고 있다.

이러한 보조공학 보 시스템의 첫 번째 문제 은 장애인 당사자가 보조공학의

필요성을 모르거나 필요성을 인식하더라도 어떤 보조공학기기를 필요로 하는지 잘

모를 때 보조공학기기 신청 자체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보건복지부, 2004).

두 번째 문제 은 재활보조공학기기를 보 하는 담당자들이 장애인에게 보조공

학 련 상담과 필요한 기기 선정을 해 문 평가를 할 수 있는 훈련을 받은

문가가 아니고 그러한 문가의 참여를 통한 평가를 거의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보조공학기기의 보 이 실제 필요한 공학 기기를 기 으로 하기보다는

장애유형별로 완 히 구별할 수 있거나 흔히 알려진 기기 심으로 획일 인 지원

이 되고 있다. 무지 자기, 흰지팡이, 보청기 등이 그 이다.

보조공학 서비스를 제 로 하기 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문가가 필요하다. 보

Page 81: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83 -

조공학 서비스를 한 근에 필요한 문가는 재활 문의, 재활치료사(물리·작

업·언어·심리 치료), 특수교육 문가, 사회사업가, 심리 상담가, 직업재활 상담가,

재활 간호원, 의지·보조기 기사, 재활/보조공학사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재 우리

나라는 이 게 근을 통해 체계 인 지원 서비스를 해 만한 문 인력이 상

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미국의 경우는 교육부 산하 재활서비스행정청(RSA)에서는

재활서비스의 질 수 을 확보하기 해 재활서비스 문가 양성에 지원을 하고

있는데 재 재활공학 문가 양성과정에 장기 으로 지원을 해주고 문가를 양성

토록 하고 있다(육주혜, 2005). 그러므로 우리나라도 문인을 양성할 수 있는 기

과 시설이 필요하며 문인 양성을 지원해 국가 인 차원의 법 근거(공인된

자격증) 마련과 정책 인 지원 등이 시 히 해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

인력들이 특수학교에도 근이 허용되도록 법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한국장

애인고용 진공단, 2005).

4) 효과 인 서비스 달 체계 마련

서비스 달체계란 필요할 때에 한 장소에서 한 문가들을 통해

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체제를 말한다. 다시 말해서 장애를 가진 사람들

이 스스로가 원할 때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앞서 살펴본 것처럼 10개 지역으로 나 재활서비스행정청이 있고

각 주 정부마다 직업재활 서비스국이 있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최종 재활인 고

용을 증진시키기 해 필요한 제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보조공학 서비스 달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도 미국과 같이 효과 인 달체계를 마련해 장애인들이 편리하

고 손쉽게 보조공학 련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해서는 장

애를 가진 사람들의 실질 인 자립을 목 으로 문인력 양성을 통해 한 문

요원들이 모인 근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농 과 도시, 지역 사회의

환경과 여건 등에 따라 설치와 운 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야 한

다는 것이다. 미국과 같은 선진국 모델을 도입하는 것도 요하지만 우리나라 실정

을 제 로 악하여 그에 맞는 서비스 달체계를 개발하여 국내 장애인들의 편의

Page 82: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84 -

를 돕는 방안이 극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5) 보조공학 련 산업 육성 지원

처음으로 보조공학에 한 기술이 도입된 것은 1945년 미군이 들어오면서 미군

병원에서 상자의 치료와 재활을 목 으로 시작된 것이다. 그 후 기술이 발 되고

규모 제작소가 생겨나면서 일부 기공학과와 의용기기 공학부에서 재활공학에

한 연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여 히 우리나라의 보조공학은 그 규모나 수 에 있어 세성을 벗어나

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의 사회복지 산은 OECD가입국 최하 수 으

로 서구 선진국과는 비교할 수 없이 미미한 수 인 탓에 보조공학을 발 시키기

한 체계 인 추진체계나 실질 인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이다.

보건복지부의 2005년 장애인실태조사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상당수의 장애인

들이 재활보조기를 사용하고 싶어도 경제 인 이유와 사용하기 불편하여 사용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하고 있다. 이는 재 보조공학기기 련 연구 개발을

한 투자가 부족함으로 인해 고가의 외국 제품을 수입해야만 하고 한 이를 문

으로 제작하여 보 하는 인력의 양성도 크게 미흡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향후 장애인들은 과거의 통 인 ADL이나 기본 기능 심의 보조공학 련

기기에서 조 더 삶의 질을 추구할 수 있는 기능 보조공학기기를 더욱 선호할

것으로 망된다. 그러나 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부분의 련 기기들은 주요 소

재나 부품을 수입해서 제작함으로써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 을 안고 있다. 그러므

로 조 더 장애인들의 일상생활에 편리하면서 가격은 렴한 보조공학 련 기기

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재활기기의 개발과 보 에 있어 가장 요한 역할을 하는 곳은 재활기기

련 업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법은 재활기기산업 육성을 한 법

인 근거를 마련하여 재활기기산업의 육성과 감독에 한 조항을 명문화하고 있다.

하지만 장애인복지법을 통해 재활기기산업 육성에 한 법 인 근거를 마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규정에 의해 실제로 지원받은 업체는 사실 많지 않다. 사실

Page 8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85 -

어떤 업체를 지원할 것인지에 한 분명한 기 이나 근거가 없다는 과 산상의

이유로 인해 지원이 미비한 것이 실이기 때문이다(2001,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우리나라 재활보조기구산업은 그 산업규모나 기술의 세성이 심각한 상태에 있

으며 재활보조기구업체들의 매출액이 5천만 원 미만인 업체가 품목별로 26.7~40.7%

에 달하며, 종사자수가 5인 미만인 업체비율이 품목별로 54.5~89.3%에 달한다. 수입

을 주로 하는 업체를 제외하고는 규모 상 부분의 업체들이 세하다고 볼 수

있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1).

보조공학기구업체들의 세성으로 외국 업체와의 기술 정보교류가 미흡하고

세계 시장에서의 보조기구산업 흐름을 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생산품들

에 한 수출산업화를 이룰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한 재활기기

련 업체들 간의 정보교류를 한 통로의 부재 등으로 좋은 품질의 재활보조기구

를 개발하고도 상품화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량생산이 어려워 규격

화된 부품공 의 확보도 어려우며 이는 가격상승의 요인이 된다.

이처럼, 보조공학기기산업은 실제로 체계 인 산업동향 악 자체가 불가능하다.

국내에서 생산 매되는 보조기구의 수량이나 재활보조기구 산업에 종사하는

인력 등 기 인 자료도 제 로 악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사실상 재활기기

련 업체 수 조차 정확히 악되지 않아 통계조사 체계화는 엄두조차 내지 못

하고 있다. 통계자료의 부재는 재활기기산업의 실체를 악할 수 없게 하며 이는

곧 보조공학기기산업에 한 정책과 지원의 부재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많은 보조공학기기 련 업체가 보조공학 련기기 제조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기 해서는 정책 지원이 있어야 한다. 즉, 연구개발투자에 한 보조

제공, 제조업체에 한 융 세제상의 지원, 상품화에 성공한 신기술제품에 해

일정수량의 공공구매 보장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한 기술력과 자 력이 우 에

있는 기업들도 기업 경 의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는 공의 책임을 할 수 있는

유도정책도 필요하다(김선규, 1997).

6) 보조공학기구에 한 인식

보조공학이라 하면 주로 보장구나 휠체어만을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나 보조공학

Page 84: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86 -

은 장애인들을 둘러싸고 있는 물리 환경, 생활도구, 자조구, 보장구, 설비, 시설주

택 등의 개선에 목공, 기계, 자, 컴퓨터, 건축공학 등의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장애인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범 한 분야를 포함하고 있

다(김 선, 1997).

2005년 오길승 외 3명은 근로 장애인과 구직 장애인을 상으로 ‘2004 보조공학

서비스 욕구 수요 악을 한 실태조사’를 실시하 는데 재활보조기구에 한

인식률에 하여 다음과 같이 보고하 다. 재활보조공학기구에 한 평균 인식률은

설문을 통해 제시된 67개 보조기구의 29% 수 에 불과하고 보조공학기구에 한

낮은 인식률 속에 사용룔 한 2.6%에 불과해 반 인 재활보조기구 활용이 조

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공학기구의 활용이 부족한 원인을 악하기 해 재활보

조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에 해 조사한 문항에서는 첫째로 ‘재활보조기구

련 정보의 부족’과 ‘비싼 가격으로 인한 경제 부담’을 가장 큰 미사용 요인으로

지 되었다. 한 응답자들이 알고 있는 재활보조기구도 이동 련 보조기구와 청각

장애 련 보조기구에 편 되어 있고, 활용 인 재활보조기구에 한 조사에서도

응답자들이 주로 활용하고 있는 제품은 ‘휠체어, 목발, 지팡이, 보청기’와 같이 보편

화된 제품들이 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보조기구에 한 인식수 도 재

활보조기구에 한 수요가 높은 집단 심의 편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보조기구 서비스 욕구 수요 악 조사를 통해

드러난 가장 심각한 문제 은 재활보조기구에 한 인식과 정보의 부족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상은 재활보조기구 활용에 한 경험 부족과 필요한 재활보조기구

에 한 정보부족이 원인인데 이는 순차 으로 후속 문제들을 야기할 것이다.

그러므로 장애인의 완 한 사회통합을 해 보조공학이 필수라는 당 성을 사회

에 확산시키고 장애인이 보조공학을 활용하여 사회활동에 극 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며 이를 해 정부나 생산· 매업체, 재활공학사를 비롯한

재활 문가, 소비자인 장애인 모두 극 인 심이 필요하다.

Page 85: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87 -

Ⅱ. 조사방법

1. 연구문제 조사 상

본 조사는 일차 으로 보조공학센터를 통해 보조공학 서비스를 받은 수요자의

만족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더불어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함으로써

사업주와 장애인근로자가 느끼는 생산성 증 효과가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보조공

학 서비스가 장애인들의 고용안정과 고용기회 확 를 한 유인효과가 있는지 살

펴보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재 시행하고 있는 보조공학센터 보조공학 서비스제도

의 황과 문제 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고 활성화시키기 한 방안을 강구하고

자 한다.

설문의 조사 상자는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보조공학센터로부터 2006년 8월까

지 보조공학기기를 지원받아 사용하고 있는 사업체 267개소의 보조공학기기 신청

담당자, 장애인근로자 958명을 장애인 직업훈련생 125명을 조사 상으로 하 다.

조사기간은 2006년 9월 19일부터 2006년 10월 13일(4주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설문

응답은 장애인근로자가 332명(회수율 34.7%), 사업체 담당자 93명(회수율 34.8%),

장애인 직업훈련생 21명(회수율 16.8%)로 체 응답율은 33%에 달했다. 이 내용

이 부실기재 되었거나 본 연구에 합지 않은 것으로 여겨지는 질문지는 제외되었

다. 본 조사의 설문조사 응답률은 <표 Ⅱ-1>과 같다.

<표 Ⅱ-1> 설문조사 응답률

(단 :명, %)

조사 상 배포인원 회수 인원 회수율

장애인근로자

사업체 담당자

장애인 직업훈련생

958

267

125

332

93

21

34.7

34.8

16.8

합계 1,350 425 33.0

Page 86: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88 -

2. 조사방법 자료분석

조사방법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 으며 설문지 내용은 응답자의 일반 특

성,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에 한 만족도, 보조공학 서비스에 한 만족도, 향후

보조공학 서비스 개선 방향이 포함되어 있다. 설문지 안은 공동 연구자간 내용

타당도 검증 차를 거쳐 장애인근로자용, 사업체 담당자용, 장애인 직업훈련생용

으로 작성되었다. 이 게 작성한 설문지를 우편요 수신자 부담 회수 투, 설문

지 조 요청 공문과 함께 동 하여 우편으로 사업체, 장애인근로자, 직업훈련생에

게 송부하 다. 그리고 설문자의 회수율을 높이기 하여 사업체 담당자와 장애인

근로자, 직업훈련생에게 화로 설문응답을 요청하 다.

회수된 설문지는 코딩작업을 거쳐 SPSS 13.0으로 빈도와 백분율, 최소, 최 , 평

균, 표 편차로 기술 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하 다. 한 장애인근로자의 기

기 서비스 만족도가 장애유형과 등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보기 해 교차분

석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 다. 보조공학기기와 서비스 만족도는 5 척도

를 사용하여 1 을 만족하지 않는다( 는 매우 부정 이다), 3 을 보통이다,

5 을 매우 만족한다( 는 매우 정 이다)로 수화하여 분석하 다.

Page 87: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89 -

Ⅲ. 조사결과분석

1. 장애인근로자 설문조사 결과

1) 조사 상자의 특성

보조공학 서비스를 받은 장애인근로자들의 장애정도에 한 분포를 분석한 결과

는 <표 Ⅲ-1>과 같다. 성별분포는 남성이 191명(58.2%), 여성이 137명(41.8%)로서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장애정도에 따른 성별 분포를 살펴보면, 남성은 장애정도가 한 1~3 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여성은 낮은 등 인 4~6 에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장애정도가 한 1 의 경우, 남성이 여성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

다. 남성이 75.8%이고 여성이 24.2%로서 남성이 3배가량 높았다.

교육수 별로는, 고졸이 40.2%로서 가장 높았으며 졸(23.4%), 졸(17.8%), 등

졸 이하(11.8%) 순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은 교육수 이 높은 학원 이상은 장

애정도가 한 1 에 집 하여 분포되어 있어 교육수 과 장애정도가 련 있음을

보여 다.

장애인근로자의 연령별 분포를 살펴보면, 30 가 37.0%로 가장 높은 비 을 보이

고 있으며 40 (24.8%), 20 이하(20.5%), 50 이상(17.7%)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

인근로자의 거주지역으로서 가장 높은 비 을 보이고 있는 지역은 경기로서 26.2%

이며 남(24.0%), 충청(21.9%) 순이었으며 반면 비 이 낮은 지역은 강원/제주

(6.8%)와 호남(7.9%)이었다.

장애유형별로는 시각장애(26.1%)나 지체장애(25.8%)가 높은 비 을 차지하고 있

는 반면 청각장애(2.4%)나 뇌병변(4.0%)은 비 이 비교 낮게 나타났다. 장애정도

에 따라서 장애유형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데 증인 1 의 경우 시각장애(53.0%)

의 비 이 가장 높았고 2 은 지체장애(상지‧ 신), 3 은 정신지체, 4 은 지체장애

(하지)로 나타났다. 반면에 경증인 5~6 인 경우 지체장애와 시각장애가 장애유형

의 주를 이루었다.

Page 88: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90 -

<표 Ⅲ-1> 조사 상자의 일반 특성

(단 :명, %)

구 분 1 2 3 4 5 6 계

성별

남성

여성

75(75.8)

24(24.2)

50(58.1)

36(41.9)

50(54.3)

42(45.7)

7(30.4)

16(69.6)

4(33.3)

8(66.7)

5(31.3)

11(68.8)

191(58.2)

137(41.8)

체 99(100.0) 86(100.0) 92(100.0) 23(100.0) 12(100.0) 16(100.0) 328(100.0)

교육수

등졸 이하

고졸

학원 이상

5(5.1)

16(16.2)

31(31.3)

29(29.3)

18(18.2)

10(11.8)

13(15.3)

39(45.9)

22(25.9)

1(1.2)

11(12.5)

15(17.0)

41(46.6)

18(20.5)

3(3.4)

9(40.9)

6(27.3)

6(27.3)

1(4.5)

0(0.0)

2(16.7)

2(16.7)

6(50.0)

2(16.7)

0(0.0)

1(6.7)

5(33.3)

6(40.0)

3(20.0)

0(0.0)

38(11.8)

57(17.8)

129(40.2)

75(23.4)

22(6.9)

체 99(100.0) 85(100.0) 88(100.0) 22(100.0) 12(100.0) 15(100.0) 321(100.0)

연령

20세 이하

30~39세

40~49세

50세이상

15(15.3)

41(41.8)

30(30.6)

12(12.2)

23(27.7)

31(37.3)

16(19.3)

13(15.7)

26(28.9)

33(36.7)

21(23.3)

10(11.1)

0(0.0)

6(26.1)

5(21.7)

12(52.2)

1(8.3)

2(16.7)

6(50.0)

3(25.0)

1(6.3)

6(37.5)

2(12.5)

7(43.8)

66(20.5)

119(37.0)

80(24.8)

57(17.7)

체 98(100.0) 83(100.0) 90(100.0) 23(100.0) 12(100.0) 16(100.0) 322(100.0)

거주지역

서울

경기

호남

충청

강원/제주

15(17.4)

20(23.3)

21(24.4)

4(4.7)

20(23.3)

6(7.0)

10(13.3)

24(32.0)

19(25.3)

8(10.7)

11(14.7)

3(4.0)

6(8.0)

23(30.7)

12(16.0)

4(5.3)

23(30.7)

7(9.3)

2(9.5)

3(14.3)

8(38.1)

4(19.0)

4(19.0)

0(0.0)

1(11.1)

1(11.1)

3(33.3)

1(11.1)

1(11.1)

2(22.2)

3(23.1)

2(15.4)

4(30.8)

1(7.7)

2(15.4)

1(7.7)

37(13.3)

73(26.2)

67(24.0)

22(7.9)

61(21.9)

19(6.8)

체 86(100.0) 75(100.0) 75(100.0) 21(100.0) 9(100.0) 13(100.0) 279(100.0)

장애유형

지체장애

(상지, 신)14(14.0) 21(24.4) 14(15.2) 5(21.7) 4(33.3) 6(37.5) 64(19.5)

지체장애

(하지)14(14.0) 19(22.1) 30(32.6) 15(65.2) 5(41.7) 2(12.5) 85(25.8)

뇌병변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기타

3(3.0)

53(53.0)

5(5.0)

10(10.0)

1(1.0)

6(7.0)

12(14.0)

2(2.3)

23(26.7)

3(3.5)

4(4.3)

10(10.9)

1(1.1)

31(33.7)

2(2.2)

0(0.0)

1(4.3)

0(0.0)

0(0.0)

2(8.7)

0(0.0)

3(25.0)

0(0.0)

0(0.0)

0(0.0)

0(0.0)

7(43.8)

0(0.0)

0(0.0)

1(6.3)

13(4.0)

86(26.1)

8(2.4)

64(19.5)

9(2.7)

체 100(100.0) 86(100.0) 92(100.0) 23(100.0) 12(100.0) 16(100.0) 329(100.0)

Page 89: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91 -

조사 상자의 직업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표 Ⅲ-2>와 같다. 조사 상자의 직

종을 살펴보면 단순노무직이 33.1%로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조립/조작종사자, 사

무직의 순으로 장애인근로자들은 부분 단순 기술직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기술을 요구하는 고 직/ 리직(3.4%), 문가(11.9%), 기술공/ 문가(3.1%)

등과 같은 직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도 있지만 이는 체응답자에서 소수를 차지

하고 있다.

임 수 을 조사한 결과 장애인근로자들은 체로 낮은 임 을 받는 것으로 분

석되었다. 월 평균 수입이 80만원 이하라고 응답한 비 이 체 40%를 넘고 있으

며 체 응답자의 80% 이상이 150만원 이하의 임 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2> 조사 상자의 직업 특성

(단 :명, %)

구 분 1 2 3 4 5 6 계

직종

고 직/ 리직

문가

기술공/ 문가

사무직

서비스/ 매직

기능직

조립/조작종사자

단순노무직

7(7.2)

20(20.6)

2(2.1)

28(28.9)

5(5.2)

7(7.2)

11(11.3)

17(17.5)

0(0.0)

10(11.9)

4(4.8)

12(14.3)

3(3.6)

8(9.5)

13(15.5)

34(40.5)

4(4.4)

6(6.6)

2(2.2)

12(13.2)

4(4.4)

3(3.3)

22(24.2)

38(41.8)

0(0.0)

0(0.0)

0(0.0)

1(4.3)

2(8.7)

1(4.3)

9(39.1)

10(43.5)

0(0.0)

1(8.3)

2(16.7)

3(25.0)

2(16.7)

0(0.0)

2(16.7)

2(16.7)

0(0.0)

1(7.7)

0(0.0)

2(15.4)

1(7.7)

1(7.7)

3(23.1)

5(38.5)

11(3.4)

38(11.9)

10(3.1)

58(18.1)

17(5.3)

20(6.3)

60(18.8)

106(33.1)

체 97(100.0) 84(100.0) 91(100.0) 23(100.0) 12(100.0) 13(100.0) 320(100.0)

80만원 이하

80~99만원

100~149만원

150~199만원

200만원 이상

16(17.2)

20(21.5)

25(26.9)

14(15.1)

18(19.4)

38(45.8)

13(15.7)

20(24.1)

6(7.2)

6(7.2)

40(48.2)

18(21.7)

13(15.7)

9(10.8)

3(3.6)

13(68.4)

3(15.8)

3(15.8)

0(0.0)

0(0.0)

6(54.5)

2(18.2)

2(18.2)

1(9.1)

0(0.0)

9(64.3)

0(0.0)

2(14.3)

1(7.1)

2(14.3)

122(40.3)

56(18.5)

65(21.5)

31(10.2)

29(9.6)

체 93(100.0) 83(100.0) 83(100.0) 19(100.0) 11(100.0) 14(100.0) 303(100.0)

직장

규모

10인 이하

10~29인

30~99인

100인 이상

22(22.7)

24(24.7)

36(37.1)

15(15.5)

6(7.8)

20(26.0)

36(46.8)

15(19.5)

3(3.6)

27(32.5)

25(30.1)

28(33.7)

0(0.0)

5(26.3)

8(42.1)

6(31.6)

1(8.3)

9(75.0)

2(16.7)

0(0.0)

0(0.0)

3(21.4)

7(50.0)

4(28.6)

32(10.6)

88(29.1)

114(37.7)

68(22.5)

체 97(100.0) 77(100.0) 83(100.0) 19(100.0) 12(100.0) 14(100.0) 302(100.0)

장애

발생후

근무

기간

2년 이하

2~6년

7년 이상

23(26.1)

37(42.0)

28(31.8)

21(30.0)

36(51.4)

13(18.6)

33(44.6)

27(36.5)

14(18.9)

6(46.2)

6(46.2)

1(7.7)

2(22.2)

7(77.8)

0(0.0)

9(69.2)

3(23.1)

1(7.7)

94(35.2)

116(43.4)

57(21.3)

체 88(100.0) 70(100.0) 74(100.0) 13(100.0) 9(100.0) 13(100.0) 267(100.0)

Page 90: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92 -

근무하고 있는 직장의 규모를 살펴보면 30~99인 규모가 37.7%로서 가장 많고, 10

~29인, 100인 이상, 10인 이하 순으로 부분 소규모 세 사업체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사 상자의 3분의 2 이상이 100인 이하의 종소기업체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임 수 과 근무 직장의 규모를 통해서 살펴본 장애인근로자는

매우 열악한 상황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장애인근로자에 한 실 인

복지 정책이 더욱 많이 요구된다.

장애발생 후 근무기간을 분석한 결과 2~6년이 가장 높은 비 을 차지하고 있으

며 근무경력이 은 2년 이하가 35.2%로, 경력이 많은 7년 이상이 21.3%를 차지하

고 있었다. 장애정도에 따른 근무경력을 살펴보면 체로 증장애인들은 근무경력

이 높은 편이지만 경증장애인들은 근무경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등 1

의 경우 7년 이상의 경력은 31.8%로서 체비 (21.3%) 보다 10% 이상 높게 나타

났다. 반면에 장애등 이 6 인 경우는 2년 이하가 69.2%로서 체 비 (35.2%) 보

다 2배가량 높았다.

직종에 따른 장애등 을 살펴보면 고 직/ 리직, 문직, 사무직등 기술을 요하는

직종에 증장애근로자들의 비 이 높은 반면 조립/조작종사자, 단순노무직 등에는

경증장애인근로자들의 비 이 높았다. 임 수 도 증장애근로자들의 임 분포가

100만원 이상에서 높은 비 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경증장애근로자들은 80만원 이하

에서 높은 비 을 차지하고 있었다. 직장규모에서는 증장애인근로자들은 비교

소규모에서, 경증장애인근로자들은 규모 직장에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과 지원형태

본 조사에 응답한 장애인근로자가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는 무상임 가 251 으

로 58.4%이고 다음으로 무상지원(166 ), 맞춤제작(20 ) 순으로 나타났다. 지원품목

을 사용용도별로 분류하여 살펴보면 작업기구용 보조공학기기가 220 으로 체 지

원기기의 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정보 근용기기(35.7%), 사무보조용 기

기(7.8%), 의사소통용 보조기기(2.3%) 순으로 나타났다. 정보 근용 기기 가장 많

이 지원한 품목은 자정보단말기(35 )이며 작업기구용기기는 특수 작업의자(128

), 의사소통용기기는 화상 화기(5 ), 사무보조용기기는 음성메모기(12 ) 다.

Page 91: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93 -

<표 Ⅲ-3> 지원형태별 장애인근로자가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

(단 :개수)

분류 지원품목지원형태

무상임 무상지원 맞춤제작 계

정보 근

자정보단말기자 린터

화면확 S/W H/W음성출력 S/W H/W확 독서기문서인식 S/W H/W

형모니터특수키보드특수마우스입력보조장치선택장치자세보조장치특수 S/W

2778

13206

13021012

747

14263212052

1000001010100

35111527221217243164

작업기구

높낮이조 작업테이블경사각 작업테이블휠체어용 작업테이블특수작업기구 장비특수 작업의자작업물 운송/운반장치

44403

7618

12201

465

200061

58604

12824

의사소통

신호장치골도 화기문자 화기화상 화기소리증폭장치보완 체의사소통장치

000100

101300

101110

202510

사무보조

음성메모기시각장애인용 계산기책장넘기는 도구수화기 홀드팔 지지물건집게필기보조도구원고홀더

10001000

116333320

00001000

126335320

기타 기타 직업생활에 필요한 기기 3 9 2 14

합계 251 166 20 437

Page 92: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94 -

<표 Ⅲ-4 >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과 종류

(단 :%,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체 67.4 3.78

성별남성

여성

67.4

67.5

3.76

3.82

F = 0.357

Sig. = 0.551

연령

20세 이하

30~39세

40~49세

50세 이상

56.4

72.0

65.4

71.7

3.55

3.79

3.85

3.92

F = 1.888

Sig. = 0.132

학력

등졸 이하

고졸

학원 이상

63.2

74.5

65.8

68.9

63.6

3.79

3.93

3.85

3.69

3.41

F = 1.736

Sig. = 0.142

3)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

보조공학기기를 지원 받아 사용하고 있는 장애인근로자들의 보조공학 서비스 만

족도를 알아보기 해 지원품목과 종류, 지원받기까지의 기간, 지원 차, 지원방식,

지원 액등의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과 종류에 한 만족도

결과는 <표 Ⅲ-4>와 같다. 조사결과 장애인근로자의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과 종류

에 해 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과 종류에 한

만족도 수는 3.78이며 만족비율은 67.4%로서 불만족 비율에 비해 매우 높았다.

직종에 따라서 만족도를 살펴보면 기능직, 서비스/ 매직, 고 직/ 리직에서 만족

도가 상 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문가 직종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장애유형별로

살펴보면 장애유형에 따라서 만족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뇌병변은 만족도 수가

4.23으로 가장 높았고 지체장애(상지, 신)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

살펴보면 남성보다는 여성이 지원품목과 종류에 해 더 만족하고 있다.

Page 9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95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직종

고 직/ 리직

문가

기술공/ 문가

사무직

서비스/ 매직

기능직

조립/조작종사자

단순노무직

81.8

55.3

50.0

75.9

82.4

80.0

56.9

67.7

4.00

3.39

3.50

3.84

4.06

4.10

3.76

3.81

F = 1.937

Sig. =0.064

장애

유형

지체장애(상지, 신)

지체장애(하지)

뇌병변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기타

58.1

66.7

84.6

72.1

50.0

68.4

83.3

3.55

3.80

4.23

3.83

3.67

3.79

4.50

F = 2.019

Sig. = 0.063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만족=1, 조 불만족=2, 보통=3, 조 만족=4,

매우 만족=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만족비율은 ‘매우만족’과 ‘조 만족’의 비 임

장애인근로자들이 보조공학기기 지원까지 걸린 시간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표 Ⅲ-5>와 같다. 보조공학기기 지원까지 걸린 시간에 한 만족도 수는 3.39

으로 보통(3.00 )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상 으로 지원기간에 해 다소

불만족하는 것으로 보인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다. 50세 이상에서 만족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세 이하는 가장 낮

았다. 학력에 따라서는 학원 이상에 비해 졸학력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직종은

기술공/ 문가에 비해 고 직/ 리직의 만족도가 높았다. 그 외 성별, 장애유형

에 해서는 통계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age 94: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96 -

<표 Ⅲ-5> 보조공학기기 지원까지 걸린 시간

(단 :%,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체 46.7 3.39

성별남성

여성

46.4

47.0

3.39

3.38

F = 0.007

Sig. = 0.935

연령

20세 이하

30~39세

40~49세

50세 이상

34.0

41.9

55.4

56.0

3.17

3.30

3.50

3.64

F = 3.065

Sig. = 0.028

학력

등졸 이하

고졸

학원 이상

41.7

45.1

47.7

52.1

31.8

3.36

3.51

3.47

3.38

2.68

F = 3.890

Sig. = 0.004

직종

고 직/ 리직

문가

기술공/ 문가

사무직

서비스/ 매직

기능직

조립/조작종사자

단순노무직

90.9

39.5

30.0

46.4

52.9

45.0

43.2

46.9

4.00

3.05

2.90

3.27

3.59

3.60

3.34

3.52

F = 2.626

Sig. = 0.012

장애

유형

지체장애(상지, 신)

지체장애(하지)

뇌병변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기타

39.3

51.3

38.5

48.2

60.0

45.6

75.0

3.28

3.53

3.54

3.25

3.60

3.47

3.75

F = 1.060

Sig. = 0.387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만족=1, 조 불만족=2, 보통=3, 조 만족=4,

매우 만족=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만족비율은 ‘매우만족’과 ‘조 만족’의 비 임

Page 95: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97 -

<표 Ⅲ-6 > 반 인 보조공학기기 지원 차 과정

(단 :%,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체 51.2 3.52

성별남성

여성

53.1

48.2

3.52

3.51

F = 0.010

Sig. = 0.920

연령

20세 이하

30~39세

40~49세

50세 이상

42.9

46.2

59.2

62.5

3.39

3.42

3.59

3.79

F = 2.619

Sig. = 0.051

학력

등졸 이하

고졸

학원 이상

31.4

60.0

55.7

53.5

36.4

3.26

3.74

3.67

3.42

2.95

F = 5.150

Sig. = 0.001

직종

고 직/ 리직

문가

기술공/ 문가

사무직

서비스/ 매직

기능직

조립/조작종사자

단순노무직

63.6

48.6

37.5

58.5

52.9

52.6

46.5

48.5

3.64

3.30

3.25

3.45

3.65

3.74

3.53

3.56

F = 0.740

Sig. = 0.638

F = 0.740

Sig. = 0.638

장애

유형

지체장애(상지, 신)

지체장애(하지)

뇌병변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기타

49.1

54.1

75.0

51.8

60.0

40.0

100.0

3.44

3.59

3.92

3.41

3.80

3.51

4.00

F = 1.078

Sig. = 0.376

장애인근로자들의 보조공학기기 지원 차 과정에 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는 <표 Ⅲ-6>과 같다. <표 Ⅲ-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 으로 볼 때, 만족도는

3.52이며 만족비율은 51.2%로서 다소 만족하는 편이었다.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만족=1, 조 불만족=2, 보통=3, 조 만족=4,

매우 만족=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만족비율은 ‘매우만족’과 ‘조 만족’의 비 임

Page 96: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98 -

<표 Ⅲ-7> 보조공학기기 지원방식

(단 :%,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체 61.3 3.75

성별남성

여성

59.2

64.6

3.72

3.80

F = 0.497

Sig. = 0.481

연령

20세 이하

30~39세

40~49세

50세 이상

53.1

65.0

53.4

75.0

3.57

3.79

3.64

4.04

F = 3.082

Sig. = 0.028

학력

등졸 이하

고졸

학원 이상

57.1

60.8

65.5

55.6

68.2

3.74

3.76

3.84

3.63

3.73

F = 0.649

Sig. = 0.628

직종

고 직/ 리직

문가

기술공/ 문가

사무직

서비스/ 매직

기능직

36.4

65.8

50.0

63.0

70.6

68.4

3.55

3.74

3.60

3.69

3.94

4.00

F = 0.555

Sig. = 0.792

지원 차 과정에 한 만족도는 연령과 학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별로 보면 지원시간에 한 만족도와 같이 연령이 높을수록 만족

도가 높게 나타났다. 50세 이상이 3.79 으로 가장 만족했으며 20세 이하가 3.39로

서 가장 불만족 했다. 학력에 있어서도 지원시간 만족도와 같이 고학력일수록 불만

족 정도가 심하게 나타났다.

보조공학기기 지원방식 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표 Ⅲ-7>과 같다. 체

으로 볼 때, 보조공학기기 지원방식에 해 만족도 수가 3.75이고 만족비율이

61.3%를 차지하고 있어 장애인근로자들은 보조공학기기 지원방식에 해 만족하고

있는 편이었다. 연령에 따라서는 50세 이상(4.04 )과 30 연령 (3.79 )가 다른

연령 에 비해 만족도가 높다. 그외 성별, 학력, 직종, 장애유형에 해서는 통계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age 97: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99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직종조립/조작종사자

단순노무직

58.1

60.2

3.81

3.71

장애

유형

지체장애(상지, 신)

지체장애(하지)

뇌병변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기타

63.9

54.7

61.5

65.9

60.0

60.0

75.0

3.79

3.77

3.77

3.73

3.80

3.69

4.00

F = 0.133

Sig. = 0.992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만족=1, 조 불만족=2, 보통=3, 조 만족=4,

매우 만족=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만족비율은 ‘매우만족’과 ‘조 만족’의 비 임

장애인근로자들의 보조공학기기 지원한도액에 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표

Ⅲ-8>과 같다. <표 Ⅲ-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 으로 볼 때, 만족도 수는 3.41

이며 만족비율은 45.6%로서 다소 만족하는 편이었다. 지원한도액에 한 만족도는

연령과 직종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별로 보면 연령이 높

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50세 이상이 3.74 으로 가장 만족했으며 20세 이

하가 3.20로서 가장 불만족 했다. 직종에 따라서는 서비스/ 매직과 기능직이 다른

직종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다. 반면 기술공/ 문가와 문가 직종은 다른 직종에

비해 만족도가 낮았다.

<표 Ⅲ-8 > 보조공학기기 지원한도액

(단 :%,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체 45.6 3.41

성별남성

여성

44.0

48.1

3.34

3.53

F = 3.051

Sig. = 0.082

연령

20세 이하

30~39세

40~49세

50세 이상

32.7

48.2

41.4

56.5

3.20

3.40

3.31

3.74

F = 3.448

Sig. = 0.017

Page 98: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00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학력

등졸 이하졸

고졸졸학원 이상

51.631.346.647.240.9

3.613.293.433.383.09

F = 1.388Sig. = 0.238

직종

고 직/ 리직문가

기술공/ 문가사무직서비스/ 매직기능직조립/조작종사자단순노무직

27.336.822.258.564.747.140.044.6

3.183.083.003.553.653.533.353.51

F = 1.850Sig. = 0.078

장애유형

지체장애(상지, 신)지체장애(하지)뇌병변시각장애청각장애정신지체기타

40.442.972.750.650.037.375.0

3.323.474.003.383.333.333.75

F = 1.212Sig. = 0.300

지원한도액에 해 불만족하는 장애인근로자들의 정 한도액의 분포는 <표 Ⅲ

-9>와 같다.

<표 Ⅲ-9> 불만족 장애인들의 보조공학기기 지원 정 한도액

(단 :명, %)

구 분 빈도 비율

50만원 100만원 200만원 300만원 400만원 500만원1000만원2000만원3000만원5000만원

1141124621

4.34.3

17.44.34.38.7

17.426.18.74.3

체 23 100.0

Page 99: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01 -

<표 Ⅲ-10> 보조공학기기의 조작성

(단 :%,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체 65.7 3.75

성별남성여성

68.6

61.2

3.78

3.71

F = 0.534Sig. = 0.466

연령

20세 이하30~39세40~49세50세 이상

66.0

64.7

72.7

59.3

3.62

3.72

3.88

3.81

F = 1.179Sig. = 0.318

학력

등졸 이하졸

고졸졸학원 이상

53.8

54.7

67.9

68.5

90.9

3.59

3.64

3.81

3.73

4.05

F = 1.381Sig. = 0.240

4) 보조공학기기 만족도

보조공학기기를 지원 받아 사용하고 있는 장애인근로자들의 보조공학기기에

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해 보조공학기기의 조작성, 편리성, 내구성, 디자인 등의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장애인근로자들의 보조공학기기 조작성에 한 만족도를 조

사한 결과는 <표 Ⅲ-10>과 같다. 반 인 보조공학기기의 조작성에 한 만족도

수는 3.75이고 만족비율이 65.7%를 차지하고 있어 보조공학기기를 다루는데 큰

불편한 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공학기기의 조작성 만족도는 장애유형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시각장애인은 만족도(4.05 )가 높아서 부분이 보조

공학기기를 다루는데 불편이 없는데 비해 지체장애인(상진, 신)들은 만족도가

3.34 으로 다른 유형의 장애인보다 기기를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많은 것을 나타났

다. 그 외 성별, 연령, 학력, 직종에 해서는 통계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Page 100: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02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직종

고 직/ 리직문가

기술공/ 문가사무직서비스/ 매직기능직조립/조작종사자단순노무직

81.8

73.0

40.0

77.2

64.7

83.3

54.0

60.0

3.82

3.76

3.50

3.91

3.82

4.06

3.66

3.67

F = 0.961Sig. = 0.460

장애

유형

지체장애(상지, 신)지체장애(하지)뇌병변시각장애청각장애정신지체기타

45.2

63.8

76.9

81.2

60.0

64.3

83.3

3.34

3.78

3.69

4.05

3.40

3.71

4.50

F = 5.518Sig. = 0.000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만족=1, 조 불만족=2, 보통=3, 조 만족=4,

매우 만족=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만족비율은 ‘매우만족’과 ‘조 만족’의 비 임

다음은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가 원하는 로 잘 작동되는지를 질문하 다. 보조

공학기기 사용상 편리성에 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표 Ⅲ-11>과 같다. 체

으로 볼 때, 기기의 사용상 편리성에 한 만족도 수는 3.70이며 만족비율은

61.3%로서 체로 만족하는 편이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40 이상 연령에서 사

용 상 편리하다고 응답하는 비율이 높았다. 40 에서는 만족도 수가 3.83으로 가

장 높았으며 50 이상에서는 만족비율(65.5%)이 가장 높았다. 이에 비해 20 이

하 연령에서는 만족비율이 56.6%로서 가장 낮았다. 장애유형에 있어서도 만족도에

차이가 났다. 시각장애인들과 뇌병변장애인들은 보조공학기기가 사용하기 편리하다

고 느끼는 비율(81.0%, 76.9%)이 높은데 비해 지체장애인(상지, 신)들과 정신지체

인들은 만족비율(46.9%, 47.4%)이 반을 넘지 못해 사용상 불편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01: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03 -

<표 Ⅲ-11> 보조공학기기의 편리성

(단 :%,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체 61.3 3.70

성별남성

여성

64.9

55.8

3.76

3.61

F = 2.103Sig. = 0.148

연령

20세 이하

30~39세

40~49세

50세 이상

56.6

60.0

64.5

65.5

3.53

3.62

3.83

3.87

F = 2.140Sig. = 0.095

학력

등졸 이하

고졸

학원이상

51.3

56.6

57.7

68.5

77.3

3.56

3.64

3.68

3.75

3.86

F = 0.520Sig. = 0.721

직종

고 직/ 리직

문가

기술공/ 문가

사무직

서비스/ 매직

기능직

조립/조작종사자

단순노무직

63.6

70.3

50.0

73.2

76.5

63.2

52.1

53.0

3.55

3.84

3.70

3.86

3.82

3.84

3.58

3.59

F = 0.826Sig. = 0.567

장애

유형

지체장애(상지, 신)지체장애(하지)뇌병변시각장애청각장애정신지체기타

46.9

60.8

76.9

81.0

60.0

47.4

50.0

3.31

3.71

4.00

4.10

3.60

3.51

3.50

F = 5.836Sig. = 0.000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만족=1, 조 불만족=2, 보통=3, 조 만족=4,

매우 만족=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만족비율은 ‘매우만족’과 ‘조 만족’의 비 임

Page 102: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04 -

보조공학기기의 내구성에 한 만족도 조사 결과는 <표 Ⅲ-12>와 같다. 체 으로

볼 때, 만족도 수는 3.69이며 만족비율은 60.9%로서 체로 만족하는 편이었다. 조사

결과 성별이나 연령, 학력, 직종, 장애유형에 따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아, 기기의 내구성에 한 의견은 특정한 집단에 편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12> 보조공학기기의 내구성

(단 :%,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체 60.9 3.69

성별남성

여성

58.9

63.9

3.68

3.71

F = 0.129

Sig. = 0.720

연령

20세 이하

30~39세

40~49세

50세 이상

52.8

67.0

59.2

61.1

3.49

3.74

3.76

3.72

F = 1.118

Sig. = 0.342

학력

등졸 이하

고졸

학원 이상

59.0

55.8

60.4

68.5

54.5

3.54

3.65

3.71

3.84

3.50

F = 1.004

Sig. = 0.405

직종

고 직/ 리직

문가

기술공/ 문가

사무직

서비스/ 매직

기능직

조립/조작종사자

단순노무직

54.5

64.9

50.0

67.9

70.6

68.4

58.3

56.0

3.73

3.73

3.30

3.86

3.76

3.89

3.67

3.61

F = 0.808

Sig. = 0.581

장애

유형

지체장애(상지, 신)

지체장애(하지)

뇌병변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기타

57.1

60.8

76.9

64.3

40.0

57.9

75.0

3.54

3.77

4.08

3.75

3.00

3.61

4.00

F = 1.475

Sig. = 0.186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만족=1, 조 불만족=2, 보통=3, 조 만족=4,

매우 만족=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만족비율은 ‘매우만족’과 ‘조 만족’의 비 임

Page 10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05 -

보조공학기의 디자인에 한 만족도 결과는 <표 Ⅲ-13>과 같다. 반 인 보조공

학기기의 모양이나 크기 등 디자인에 한 만족도 수는 3.56이고 만족비율이

52.8%를 차지하고 있어 체로 만족하는 편이었다. 세부 조사결과 성별이나 연령,

학력, 직종, 장애유형에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없었으며 부분의 응답자들이 지

원받은 기기의 디자인은 체로 무난하다고 평가했다.

<표 Ⅲ-13> 보조공학기기의 디자인 (단 :%,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체 52.8 3.56

성별남성여성

50.356.8

3.533.60

F = 0.425Sig. = 0.515

연령

20세 이하30~39세40~49세50세 이상

47.251.855.359.3

3.473.483.643.70

F = 1.035Sig. = 0.378

학력

등졸 이하졸

고졸졸학원 이상

57.947.251.860.340.9

3.553.553.573.633.27

F = 0.619Sig. = 0.649

직종

고 직/ 리직문가

기술공/ 문가사무직서비스/ 매직기능직조립/조작종사자단순노무직

54.554.130.051.870.657.953.250.0

3.733.513.103.503.593.793.573.57

F = 0.594Sig. = 0.761

장애유형

지체장애(상지, 신)지체장애(하지)뇌병변시각장애청각장애정신지체기타

45.953.861.561.920.043.975.0

3.313.643.773.683.003.513.75

F = 1.512Sig. = 0.174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만족=1, 조 불만족=2, 보통=3, 조 만족=4,

매우 만족=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만족비율은 ‘매우만족’과 ‘조 만족’의 비 임

Page 104: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06 -

<표 Ⅲ-14> 보조공학기기의 활용도

(단 :%, )

구분 활용비율 활용 수 유의도

체 74.4 4.08

성별남성

여성

76.6

71.0

4.09

4.08

F = 0.003

Sig. = 0.955

연령

20세 이하

30~39세

40~49세

50세 이상

72.2

75.7

71.8

76.4

4.02

4.07

4.08

4.16

F = 0.212

Sig. = 0.888

학력

등졸 이하

고졸

학원 이상

63.2

65.5

75.2

79.5

90.9

3.87

3.89

4.20

4.07

4.36

F = 1.924

Sig. = 0.106

5) 보조공학기기 활용도

장애인근로자들의 보조공학기기에 한 활용도를 알아보기 해 지원받은 보조

공학기기를 실생활에서 얼마나 활용하는지와 직장에서 보조공학기기를 활용하여

생산성 향상이 있는지 있다면 얼마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장애인근로자들의

보조공학기기 활용도를 조사한 결과는 <표Ⅲ-14>와 같다. 체 으로 볼 때, 보조

공학기기의 활용 수는 4.08이며 활용비율은 74.4%로서 기기의 활용도는 상당히 높

게 나타났다. 성별이나 연령, 학력에 따른 활용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직종과 장애

유형에 따라 활용도의 차이가 있었다. 직종에 따른 차이를 보면 사무직(4.45 )이나

기능직(4.42 ), 고 직/ 리직(4.36 )에서 기기의 활용도가 높았으며 문가(3.89

)나 단순노무직(3.80 )에서는 상 으로 기기의 활용도가 낮았다. 장애유형에

따라서도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데 시각장애인들(4.46 )과 하지 지체장애인들(4.14

)의 활용도가 높은 반면 상 으로 청각장애인들(3.67 )의 활용도는 낮았다.

Page 105: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07 -

구분 활용비율 활용 수 유의도

직종

고 직/ 리직

문가

기술공/ 문가

사무직

서비스/ 매직

기능직

조립/조작종사자

단순노무직

81.8

78.4

70.0

87.5

88.2

84.2

72.5

62.4

4.36

3.89

4.20

4.45

4.24

4.42

4.16

3.80

F = 3.346

Sig. = 0.002

장애

유형

지체장애(상지, 신)

지체장애(하지)

뇌병변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기타

61.9

74.1

92.3

89.4

66.7

63.6

66.7

3.79

4.14

4.08

4.46

3.67

3.84

4.00

F = 4.169

Sig. = 0.000

주:1) 활용 수는 ‘ 그 지 않다=1, 그 지 않다=2, 보통=3, 체로 그 다=4,

매우 그 다=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활용비율은 ‘매우 활용’와 ‘조 활용’의 비 임

6) 보조공학기기 생산성 향상 기여도

보조공학기기의 생산성 향상기여도와 생산성 향상율 분석결과는 <표Ⅲ-15>와 같

다. 체 으로 볼 때, 생산성 기여 수는 3.88이며 생산성 향상율 59.08%, 생산성

기여율 65.13%로서 기기의 활용이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

조공학기기를 어떤 집단에서 사용하느냐에 따라 생산성 향상의 차이를 보 다. 연

령별로 살펴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생산성 기여도가 높았다. 50세 이상의 생산성 기

여 수는 4.04 으로 가장 높았으며 40 (4.03 ), 30 (3.89 ), 20 (3.53 ) 순으로

나타났다. 직종별로는 고 직(4.18 )이나 기술공/ 문가(4.10 ) 직종이 단순노무

직(3.49 )에 비해 생산성 기여도가 높았다. 장애유형별로는 시각장애인들(4.38 )의

생산성기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청각장애자들(3.50 )은 가장 낮게 나타

났다.

Page 106: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08 -

<표 Ⅲ-15> 보조공학기기의 생산성 향상 기여도

(단 :%, )

구분생산성

향상율

생산성

기여율

생산성

기여 수유의도

체 59.08 65.13 3.88

성별남성

여성

59.62

58.25

69.40

58.68

3.95

3.79

F = 2.047

Sig. = 0.153

연령

20세 이하

30-39세

40-49세

50세 이상

57.67

60.08

50.29

70.00

49.06

68.14

68.83

70.91

3.53

3.89

4.03

4.04

F = 3.293

Sig. = 0.021

학력

등졸 이하

고졸

학원 이상

46.40

60.63

59.07

63.70

58.13

52.63

51.85

64.55

72.60

86.36

3.68

3.69

3.89

3.99

4.18

F = 1.611

Sig. = 0.171

직종

고 직/ 리직

문가

기술공/ 문가

사무직

서비스/ 매직

기능직

조립/조작종사자

단순노무직

69.17

52.25

58.33

65.22

52.08

78.09

51.92

47.80

72.73

70.27

70.00

83.64

88.24

72.22

71.43

43.00

4.18

3.97

4.10

4.20

4.00

4.11

4.04

3.49

F = 3.854

Sig. = 0.001

장애

유형

지체장애(상지, 신)

지체장애(하지)

뇌병변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기타

35.93

54.33

51.88

74.38

56.67

48.40

65.00

54.69

59.49

92.31

88.10

66.67

43.64

75.00

3.66

3.81

4.08

4.38

3.50

3.51

4.00

F = 6.316

Sig. = 0.000

주:1) 생산성 기여율은 ‘매우 그 지 않다=1, 그 지 않다=2, 보통=3,

체로 그 다=4, 매우 그 다=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생산성 향상율은 ‘매우 향상’과 ‘조 향상’의 비 임

3) 생산성 기여 수는 ‘ 그 지 않다=1, 그 지 않다=2, 보통=3,

체로 그 다=4, 매우 그 다=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Page 107: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09 -

<표 Ⅲ-16> 보조공학기기에 한 사용교육

(단 :%, )

구분 필요비율 수 유의도

체 54.7 3.54

성별남성

여성

58.8

48.3

3.60

3.43

F = 2.239

Sig. = 0.136

연령

20세 이하

30~39세

40~49세

50세 이상

47.3

58.1

52.1

55.1

3.53

3.57

3.47

3.53

F = 0.176

Sig. = 0.913

학력

등졸 이하

고졸

학원 이상

69.4

58.8

48.6

52.7

63.6

3.86

3.61

3.41

3.47

3.68

F = 1.702

Sig. = 0.150

7)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향상과 개선사항

(1) 보조공학 서비스 향상 요구 수요

재 보조공학 서비스의 합성과 향후 서비스 향상을 해 보조공학기기에

한 사용교육, 문가 컨설 , 보조공학기기 지원 체험 기회, 맞춤 보조공학기기

지원, 보조공학 서비스의 국 인 인 라 구축 등에 한 필요성을 조사하 다.

보조공학기기 지 후 보조공학기기에 한 사용교육 필요성에 한 조사결과는

<표 Ⅲ-16>과 같다. 체 으로 볼 때, 보조공학기기에 한 사용교육 필요성 수

는 3.54이며 필요성을 인식하는 비율은 체응답자 반을 약간 상회하는 54.7%

로 나타났다. 보조공학기기의 사용교육 필요성에 해 성별, 연령, 학력, 직종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장애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지체장애인(하지)들을 다소

낮은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는 반면 청각장애인들(4.00 )과 정신지체인들(3.79 )은

보조공학기기의 사용교육의 강화가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Page 108: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10 -

구분 필요비율 수 유의도

직종

고 직/ 리직

문가

기술공/ 문가

사무직

서비스/ 매직

기능직

조립/조작종사자

단순노무직

45.5

50.0

28.6

57.1

35.3

31.6

61.2

63.9

3.36

3.50

3.29

3.55

3.24

3.16

3.55

3.72

F = 1.262

Sig. = 0.269

장애

유형

지체장애(상지, 신)

지체장애(하지)

뇌병변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기타

53.3

44.7

61.5

56.5

66.7

64.3

40.0

3.45

3.29

3.77

3.60

4.00

3.79

3.20

F = 2.055

Sig. = 0.059

주:1) 수는 ‘매우 불필요=1, 체로 불필요=2, 보통=3, 체로 필요=4,

매우 필요=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필요비율은 ‘매우 필요’와 ‘조 필요’의 비 임

구직상담, 취업알선 단계에서 문가 컨설 의 필요성에 한 결과는 <표 Ⅲ-17>

과 같다. 조사결과 조사 상자의 부분이 문가 컨설 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조사결과 문가 컨설 필요성 평균 수가 3.86이고 필요성을 느끼는 비율이

70%에 육박하고 있다.

직종에 따라서 살펴보면 조립/조작종사자들의 문가 컨설 필요성 수가 4.11

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사무직(4.07 ), 문가 (4.03 )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외 성별, 연령, 학력, 장애유형은 통계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age 109: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11 -

<표 Ⅲ-17> 문가의 컨설

(단 :%, )

구분 필요비율 수 유의도

체 69.4 3.86

성별남성

여성

69.4

69.3

3.86

3.86

F = 0.002

Sig. = 0.968

연령

20세 이하

30~39세

40~49세

50세 이상

66.0

76.3

65.3

65.3

3.79

3.98

3.74

3.88

F = 1.403

Sig. = 0.242

학력

등졸 이하

고졸

학원 이상

65.7

71.4

67.9

72.6

77.3

3.71

3.88

3.86

3.92

3.82

F = 0.357

Sig. = 0.839

직종

고 직/ 리직

문가

기술공/ 문가

사무직

서비스/ 매직

기능직

조립/조작종사자

단순노무직

63.6

76.3

62.5

81.8

58.8

47.1

80.4

60.8

3.55

4.03

3.88

4.07

3.76

3.47

4.11

3.66

F = 2.918

Sig. = 0.006

장애

유형

지체장애(상지, 신)

지체장애(하지)

뇌병변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기타

75.4

58.1

69.2

74.7

83.3

67.3

100.0

3.87

3.70

4.08

3.94

4.33

3.78

4.67

F = 1.529

Sig. = 0.168

주:1) 수는 ‘매우 불필요=1, 체로 불필요=2, 보통=3, 체로 필요=4,

매우 필요=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필요비율은 ‘매우 필요’와 ‘조 필요’의 비 임

Page 110: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12 -

보조공학기기 지원 기기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한가에 한 질문에

해 조사 상자의 70% 이상이 필요성이 있다고 응답했다. 보조공학기기 지원

체험기회의 필요성에 한 결과는 <표 Ⅲ-18>과 같다. 반 으로 지원 체험의

필요성 수가 3.95로 필요성을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공학기기

지원 필요성은 성별, 학력, 직종 장애유형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여성보다는

남성이, 학력자보다는 고학력자가 필요성을 더 많이 인식했다. 직종에 따라서는

문가(4.32 )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고 직/ 리직(4.27 ), 사무직(4.25 ) 순

으로 체험 필요성을 더 많이 인식했다. 장애유형에 따라서 살펴보면 시각장애자들

과 뇌병변장애인들이 상 으로 필요성을 더 많이 인식했으나 청각장애인들은 상

으로 필요성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18> 보조공학기기 지원 체험 기회

(단 :%, )

구분 필요비율 수 유의도

체 70.9 3.95

성별남성

여성

77.5

60.5

4.07

3.77

F = 7.204

Sig. = 0.008

연령

20세 이하

30~39세

40~49세

50세 이상

77.4

74.1

72.2

57.1

4.08

4.02

3.97

3.67

F = 1.997

Sig. = 0.115

학력

등졸 이하

고졸

학원 이상

58.3

55.1

67.9

85.1

95.5

3.78

3.71

3.96

4.08

4.36

F = 2.702

Sig. = 0.031

직종

고 직/ 리직

문가

기술공/ 문가

사무직

서비스/ 매직

기능직

조립/조작종사자

단순노무직

90.9

94.7

62.5

91.1

70.6

55.6

65.2

55.2

4.27

4.32

3.88

4.25

3.82

3.72

3.91

3.73

F = 3.059

Sig. = 0.004

Page 111: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13 -

구분 필요비율 수 유의도

장애

유형

지체장애(상지, 신)

지체장애(하지)

뇌병변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기타

67.2

60.3

92.3

89.3

50.0

58.9

75.0

3.87

3.78

4.15

4.27

3.67

3.80

3.50

F = 2.898

Sig. = 0.009

주:1) 수는 ‘매우 불필요=1, 체로 불필요=2, 보통=3, 체로 필요=4,

매우 필요=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필요비율은 ‘매우 필요’와 ‘조 필요’의 비 임

상용 보조공학기기 개조를 통한 개인별 맞춤 기기 지원의 필요성에 한 조사결

과는 <표 Ⅲ-19>와 같다. 체 으로 볼 때, 평균 필요성 수는 4.05이며 필요비율

은 75.7%로서 맞춤 보조공학기기 지원을 매우 필요로 했다. 맞춤 보조공학기기 지

원의 필요성은 연령, 학력, 직종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30 (4.26 )에서 가장 많이 필요성을 느끼고 그 다음으로 40 (3.99 ), 50 이상

(3.92 ), 20 이하(3.83 )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학원 이상의 필요성

수가 4.32로서 교육수 이 높을수록 맞춤 보조공학기기 지원의 필요성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종별로는 사무직(4.39 ), 문가(4.34 ), 서비스/ 매직

(4.29 )에서 맞춤 보조공학기기에 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표 Ⅲ-19> 맞춤 보조공학기기 지원

(단 :%, )

구분 필요비율 수 유의도

체 75.7 4.05

성별남성

여성

77.3

73.0

4.09

3.99

F = 0.959

Sig. = 0.328

연령

20세 이하

30~39세

40~49세

50세 이상

69.2

83.5

71.8

70.8

3.83

4.26

3.99

3.92

F = 3.988

Sig. = 0.008

Page 112: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14 -

구분 필요비율 수 유의도

학력

등졸 이하

고졸

학원 이상

64.7

73.5

72.9

83.8

86.4

3.88

3.90

3.97

4.26

4.32

F = 2.530

Sig. = 0.041

직종

고 직/ 리직

문가

기술공/ 문가

사무직

서비스/ 매직

기능직

조립/조작종사자

단순노무직

81.8

86.8

62.5

89.3

88.2

76.5

75.0

64.2

4.09

4.34

3.88

4.39

4.29

3.88

4.09

3.79

F = 3.812

Sig. = 0.001

장애

유형

지체장애(상지, 신)

지체장애(하지)

뇌병변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기타

78.0

78.1

92.3

75.0

83.3

65.5

100.0

4.02

4.15

4.31

4.12

4.00

3.80

4.33

F = 1.274

Sig. = 0.269

주:1) 수는 ‘매우 불필요=1, 체로 불필요=2, 보통=3, 체로 필요=4,

매우 필요=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필요비율은 ‘매우 필요’와 ‘조 필요’의 비 임

보조공학기기에 한 이해 등을 한 시 운 필요성에 한 조사결과는 <표

Ⅲ-20>과 같다. 체 으로 볼 때, 보조공학기기에 한 시 운 필요성 수는 3.84

이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65.6%로서 체응답자의 반이상이 보조공학 시

운 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종별로 살펴보면 서비스/ 매직(4.18 ), 사무직

(4.14 ), 문가(4.08 )에서 시 운 의 필요성이 높았다.

Page 11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15 -

<표 Ⅲ-20> 보조공학기기 시 운

(단 :%, )

구분 필요비율 수 유의도

체 65.6 3.84

성별남성여성

69.160.2

3.873.80

F = 0.494Sig. = 0.483

연령

20세 이하30~39세40~49세50세 이상

66.073.962.558.3

3.814.033.713.75

F = 2.269Sig. = 0.081

학력

등졸 이하졸

고졸졸학원 이상

63.956.360.281.177.3

3.753.733.774.054.09

F = 1.959Sig. = 0.101

직종

고 직/ 리직문가

기술공/ 문가사무직서비스/ 매직기능직조립/조작종사자단순노무직

63.681.662.582.182.450.070.550.0

3.914.083.384.144.183.613.823.64

F = 2.925Sig. = 0.006

장애유형

지체장애(상지, 신)지체장애(하지)뇌병변시각장애청각장애정신지체기타

67.262.576.977.480.050.025.0

3.823.794.004.044.003.663.00

F = 1.754Sig. = 0.109

주:1) 수는 ‘매우 불필요=1, 체로 불필요=2, 보통=3, 체로 필요=4,

매우 필요=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필요비율은 ‘매우 필요’와 ‘조 필요’의 비 임

Page 114: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16 -

보조공학 서비스의 체계 인 지원과 보 을 해 국 인 인 라 구축의 필요

성을 묻는 질문에 해 부분의 응답자들이 필요성에 해 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 으로 볼 때, 필요성 수는 4.03이

며 필요비율은 73.9%로서 보조공학 서비스의 국 인 인 라 구축을 매우 필요로

했다. 국 인 인 라 구축의 필요성은 학력, 직종, 장애유형에 따라서 차이를 보

이고 있다. 조사 상자를 학력별로 살펴보면 고학력일수록 필요성을 더 많이 느끼

고 있었으며 직종별로는 서비스/ 매직(4.41 ), 사무직(4.40 ), 고 직/ 리직(4.27

), 문가(4.24 )에서 더 많은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장애유형별로는 뇌병변

(4.31 ), 시각장애인(4.29 )들이 국 인 인 라 구축의 필요성에 매우 정 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표 Ⅲ-21> 보조공학 서비스의 국 인 인 라 구축

(단 :%, )

구분 필요비율 수 유의도

체 73.9 4.03

성별남성

여성

77.1

68.8

4.06

3.99

F = 0.413

Sig. = 0.521

연령

20세 이하

30~39세

40~49세

50세 이상

69.8

77.4

75.7

72.3

3.83

4.17

4.06

3.96

F = 2.172

Sig. = 0.092

학력

등졸 이하

고졸

학원 이상

60.0

56.3

72.0

87.7

90.9

3.71

3.75

4.02

4.25

4.41

F = 5.182

Sig. = 0.000

직종

고 직/ 리직

문가

기술공/ 문가

사무직

서비스/ 매직

기능직

조립/조작종사자

단순노무직

72.7

89.2

85.7

89.1

88.2

72.2

82.2

51.6

4.27

4.24

4.14

4.40

4.41

3.94

4.18

3.58

F = 7.749

Sig. = 0.000

Page 115: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17 -

구분 필요비율 수 유의도

장애

유형

지체장애(상지, 신)

지체장애(하지)

뇌병변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기타

64.4

78.9

84.6

88.0

83.3

53.6

75.0

3.86

4.15

4.31

4.29

4.17

3.63

3.75

F = 4.862

Sig. = 0.000

주:1) 수는 ‘매우 불필요=1, 체로 불필요=2, 보통=3, 체로 필요=4,

매우 필요=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필요비율은 ‘매우 필요’와 ‘조 필요’의 비 임

(2) 보조공학기기의 사용상 불편사항 개선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면서 느끼는 불편한 는 재 사용상 큰 문

제는 없지만 좀 더 쾌 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향상을 해

불편사항과 개선 을 조사하 다. 지원 보조공학기기의 사용 어려움 유무에 한

조사결과는 <표 Ⅲ-22>와 같다. 체응답자 의 45.5%가 사용 시에 어려움을 느낀

다고 응답해 반정도의 응답자들이 지원 받은 보조공학기기를 수월하게 사용하지

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으로 살펴보면, 성별로는 여성이며 연령별로는

20 이하, 학력은 등졸 이하, 직종별로는 단순노무직종사자, 장애유형별로는 청

각장애인들이 보조공학기기의 사용에 있어서 상 으로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

Page 116: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18 -

<표 Ⅲ-22> 지원 보조공학기기의 사용 어려움 유무

(단 :명, %)

구분 쉬움 어려움 계

체 152(54.5) 127(45.5) 279(100.0)

성별남성

여성

99(56.9)

55(50.0)

75(43.1)

55(50.0)

174(100.0)

110(100.0)

연령

20세 이하

30~39세

40~49세

50세 이상

25(48.1)

56(52.3)

42(60.9)

28(54.9)

27(51.9)

51(47.7)

27(39.1)

23(45.1)

52(100.0)

107(100.0)

69(100.0)

51(100.0)

학력

등졸 이하

고졸

학원 이상

15(45.5)

25(47.2)

54(53.5)

42(60.0)

16(72.7)

18(54.5)

28(52.8)

47(46.5)

28(40.0)

6(27.3)

33(100.0)

53(100.0)

101(100.0)

70(100.0)

22(100.0)

직종

고 직/ 리직

문가

기술공/ 문가

사무직

서비스/ 매직

기능직

조립/조작종사자

단순노무직

6(60.0)

26(70.3)

5(62.5)

33(58.9)

8(61.5)

13(81.3)

21(50.0)

40(42.1)

4(40.0)

11(29.7)

3(37.5)

23(41.1)

5(38.5)

3(18.8)

21(50.0)

55(57.9)

10(100.0)

37(100.0)

8(100.0)

56(100.0)

13(100.0)

16(100.0)

42(100.0)

95(100.0)

장애

유형

지체장애(상지, 신)

지체장애(하지)

뇌병변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기타

26(44.1)

47(65.3)

8(61.5)

50(63.3)

1(20.0)

22(41.5)

1(25.0)

33(55.9)

25(34.7)

5(38.5)

29(36.7)

4(80.0)

31(58.5)

3(75.0)

59(100.0)

72(100.0)

13(100.0)

79(100.0)

5(100.0)

53(100.0)

4(100.0)

지원 보조공학기기 사용 상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 기기 조작상의 어려움과 사용

법을 몰라서 어려움을 겪는다는 응답이 각각 56.3%와 52.4%로서 높은 비 을 차지

했다. 그 다음으로 기기가 본인에게 잘 맞지 않는 응상의 어려움(24.6%), 잦은 고

Page 117: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19 -

장(10.3%), 작업능률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10.3%)는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를 세부 으로 살펴보면, 사용법을 몰라서 가장 어려움을 겪는 그룹들은

성별로는 남성이고 연령 로 30 , 장애유형은 정신지체로 조사되었으며 기기 조작

상에 있어서 어려움을 가장 느끼는 그룹들은 성별로는 여성이고 연령 는 30 , 장

애유형은 정신지체로 조사되었다.

<표 Ⅲ-23> 지원 보조공학기기의 불편사항(복수응답)

(단 :명, %)

구분사용법

무지

조작상

어려움

잦은

고장

응상

어려움

작업

도움의

부족

기타 계

체 66(52.4) 71(56.3) 13(10.3) 31(24.6) 13(10.3) 14(11.1) 126(100.0)

남성

여성

42(57.5)

24(45.3)

38(52.1)

33(62.3)

8(11.0)

5(9.4)

15(20.5)

16(30.2)

8(11.0)

5(9.4)

6(8.2)

8(15.1)

73(100.0)

53(100.0)

20세 이하

30~39세

40~49세

50세 이상

11(42.3)

30(60.0)

16(59.3)

8(38.1)

14(53.8)

33(66.0)

15(55.6)

7(33.3)

1(3.8)

6(12.0)

5(18.5)

1(4.8)

10(38.5)

11(22.0)

4(14.8)

6(28.6)

5(19.2)

3(6.0)

4(14.8)

1(4.8)

2(7.7)

7(14.0)

1(3.7)

4(19.0)

26(100.0)

50(100.0)

27(100.0)

21(100.0)

지체장애

(상지, 신)19(57.6) 17(51.5) 3(9.1) 12(36.4) 1(3.0) 2(6.1) 33(100.0)

지체장애(하지)

뇌병변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기타

6(26.1)

3(60.0)

15(53.6)

1(25.0)

22(73.3)

10(43.5)

2(40.0)

15(53.6)

1(25.0)

25(83.3)

1(33.3)

1(4.3)

8(28.6)

1(25.0)

9(39.1)

3(10.7)

3(75.0)

3(10.0)

1(33.3)

7(30.4)

1(20.0)

2(50.0)

1(3.3)

1(33.3)

4(17.4)

6(21.4)

2(6.7)

23(100.0)

5(100.0)

28(100.0)

4(100.0)

30(100.0)

3(100.0)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개선 에 한 조사결과는 <표 Ⅲ-24>와 같다. 가장 시 히

개선되어야 할 서비스로는 보조공학기기 지원 품목 종류 확 와 보조공학기기

지원을 늘리기 한 산확 로 조사되었다. 그 다음으로 개인특성에 맞는 보조공

학기기 련 정보제공, 보조공학기기 개발 개조 서비스, 보조공학기기 지원 한

도액의 확 , 련 문상담 평가 서비스등 순으로 나타났다.

Page 118: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20 -

<표 Ⅲ-24> 보조공학 서비스의 개선 (복수응답)

(단 :명, %)

구 분 빈도 비율

보조공학기기 지원을 한 산 확

보조공학기기 지원 품목 종류 확

보조공학기기 지원 한도액 확

보조공학기기 개발 개조 서비스

보조공학기기 련 문 상담, 평가 서비스

보조공학기기 활용인식개선 사회 공감 확산

보조공학기기 사용법 교육

개인특성에 맞는 보조공학기기 련 정보 제공

직장내 환경 개선에 한 종합 평가 지원

기타

170

177

121

132

107

93

112

134

96

22

57.2

59.6

40.7

44.4

36.0

31.3

37.7

45.1

32.3

7.4

체 297 100.0

2. 사업체 담당자 설문조사 결과

1) 보조공학기기 신청 사업체의 일반 특성

보조공학기기 신청 사업체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는 <표 Ⅲ-25>와 같다. 조사결과

체 92개 사업체에 상시근로자수 4,140명에 장애인근로자수는 1,421명이었다. 업종

별로 살펴보면 보건복지업 사업체수가 36개로 가장 높은 비 을 차지하고 있으며

제조업은 28개, 사업서비스업은 11개, 교육서비스업은 8개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근로자가 가장 많은 업종은 제조업으로 반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보건복지업

(18.9%), 교육서비스업(11.7%) 순으로 나타났다.

사업체가 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분포를 살펴보면 서울지역이 14개소, 경기지역이

16개소, 남지역이 28개소, 충청지역이 18개소 등의 분포를 보이고 있어 서울‧경

기지역을 제외하면 남지역에 사업체가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다.

Page 119: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21 -

<표 Ⅲ-25> 조사 상업체의 특성별 분포

(단 :개소, 명, %)

구분

사업체 상시근로자 장애인근로자

사업체

수%

근로자

수%

근로자

수%

업종

제조업

도소매업

통신업

융보험 부동산임

사업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복지

공공개인서비스

28

3

1

2

11

8

36

3

30.3

3.3

1.1

2.2

12.0

8.7

39.1

3.3

1,383

59

80

870

352

488

746

162

33.5

1.4

1.9

21.0

8.5

11.8

18.0

3.9

736

24

1

46

69

166

268

111

51.7

1.7

0.1

3.2

4.9

11.7

18.9

7.8

계 92 100.0 4,140 100.0 1,421 100.0

사업체

소재지

서울

경기

호남

충청

강원/제주

14

16

28

7

18

8

15.4

17.6

30.7

7.7

19.8

8.8

1,479

886

738

185

627

143

36.4

21.8

18.2

4.6

15.5

3.5

330

278

299

66

296

55

24.8

21.0

22.6

5.0

22.4

4.2

계 91 100.0 4,058 100.0 1,324 100.0

조사업체의 업종별 장애유형별 장애인근로자 비 을 조사한 결과는 <표 Ⅲ-26>

과 같다. 사업체 근무 장애인의 비 을 장애유형별로 살펴보면, 정신지체가 29.9%

로서 가장 높은 비 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지체장애(상지, 신), 지체장

애(하지), 시각장애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 업종 가장 높은 비 을 차지하고

있는 제조업에 있어서도 체비 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장애인근로자들 에

지체장애(상지, 신, 하지)와 정신지체가 체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Page 120: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22 -

<표 Ⅲ-26> 업종별 장애유형별 장애인근로자 비

(단 :명, %)

제조업 도소매업 통신업

융보험

부동산

사업

서비스

교육

서비스

보건

복지

공공개인

서비스계

계723

(100.0) 24

(100.0) 1

(100.0) 6

(100.0) 69

(100.0) 134

(100.0) 259

(100.0) 111

(100.0) 1,327

(100.0)

지체장애(상지, 신)

212(29.3)

11(45.8)

1(100.0)

2(33.3)

6(8.7)

1(0.7)

59(22.8)

48(43.2)

340(25.6)

지체장애(하지)

139(19.2)

2(8.3)

- 4

(66.7) 30

(43.5) 5

(3.7) 19

(7.3) 6

(5.4) 205

(15.4)

뇌병변18

(2.5) 1

(4.2) - -

9(13.0)

- 11

(4.2) 14

(12.6) 53

(4.0)

시각장애17

(2.4) 3

(12.5) - -

11(15.9)

57(42.5)

73(28.2)

10(9.0)

171(12.9)

청각장애언어장애

60(8.3) 9(1.2)

- -

- -

- -

5(7.2) -

2(1.5) -

2(0.8) 3(1.2)

19(17.1) 2(1.8)

88(6.6) 14(1.1)

정신지체228

(31.5) 2

(8.3) - -

1(1.4)

69(51.5)

87(33.6)

10(9.0)

397(29.9)

발달장애신장장애심장장애간장애

안명장애간질장애

3(0.4) 31(4.3) 1(0.1) 1(0.1) 2(0.3) 2(0.3)

- 4(16.7)

- 1(4.2) - -

- - - - - -

- - - - - -

1(1.4) 6(8.7) - - - -

- - - - - -

- 5(1.9) - - - -

- -

2(1.8) - - -

4(0.3) 46(3.5) 3(0.2) 2(0.2) 2(0.2) 2(0.2)

2)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과 지원형태

사업장에 지원한 보조공학기기는 지원형태는 <표 Ⅲ-27>과 같다. 지원형태별로

보면 무상임 가 164개 사업장으로 가장 많고 무상지원이 83개소, 맞춤제작이 5개

소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용용도별로 지원 품목을 보면 정보 근용기기 가장 많

이 지원한 품목은 자정보단말기로 22개 사업장에 지원했으며 작업기구용기기는

높낮이조 작업테이블로 35개소, 의사소통용기기는 신호장치로 3개소, 사무보조용

기기는 음성메모기로 6개소의 사업장에 지원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121: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23 -

<표 Ⅲ-27> 지원형태별 사업장에 지원한 보조공학기기

(단 :개소)

분류 지원품목지원형태

무상임 무상지원 맞춤제작 계

정보

자정보단말기

자 린터

화면확 S/W H/W

음성출력 S/W H/W

확 독서기

문서인식 S/W H/W

형모니터

특수키보드

특수마우스

입력보조장치

선택장치

자세보조장치

특수 S/W

20

8

6

4

15

4

12

3

1

2

0

1

1

2

5

7

6

3

3

0

5

3

0

0

3

1

0

0

0

0

0

0

0

0

0

0

0

0

0

22

13

13

10

18

7

12

8

4

2

0

4

2

작업

기구

높낮이조 작업테이블

경사각 작업테이블

휠체어용 작업테이블

특수작업기구 장비

특수 작업의자

작업물 운송/운반장치

32

0

2

0

24

19

2

0

0

3

11

1

1

0

0

0

0

0

35

0

2

3

35

20

의사

소통

신호장치

골도 화기

문자 화기

화상 화기

소리증폭장치

보완 체의사소통장치

1

1

0

2

1

0

2

0

0

0

0

0

0

0

0

0

0

0

3

1

0

2

1

0

사무

보조

음성메모기

시각장애인용 계산기

책장넘기는 도구

수화기 홀드

팔 지지

물건집게

필기보조도구

원고홀더

1

1

1

0

1

0

0

0

5

3

1

3

4

4

4

0

0

0

0

0

0

0

0

1

6

4

2

3

5

4

4

1

기타 기타 직업생활에 필요한 기기 1 2 3 6

합계 164 83 5 252

Page 122: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24 -

3)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

보조공학기기를 지원 받아 사용하고 있는 사업체의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를 알아

보기 해 보조공학기기 지원 서비스, 보조공학기기 제공 담당자의 친 수 , 지원품

목과 종류, 지원까지 걸린 시간, 지원 차, 지원방식, 사후 리기간, 보조공학기기 지

원 한도액 등의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보조공학기기 지원 서비스에 한 만족도 결과

는 <표 Ⅲ-28>과 같다. 조사결과 사업체의 지원 서비스에 해 상당히 만족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보조공학기기 지원 서비스에 한 만족도 수는 4.27 이며 만족비율은

85.9%로서 다수의 사업체에서는 지원 서비스에 해 만족하고 있었다. 업종이나 사

업체규모, 사업체 소재지에 따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보조공학기기

지원 서비스에 한 만족정도는 특정 사업체에 편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28>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단 :%,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체 85.9 4.27

업종

제조업도소매업통신업

융보험 부동산임사업서비스교육서비스보건복지공공개인서비스

82.166.70.0

100.090.987.591.766.7

4.114.003.004.504.364.134.503.67

F = 1.687Sig. = 0.123

사업체규모

10인 이하10~29인30~99인100인 이상

90.089.375.0

100.0

4.454.294.034.50

F = 1.942Sig. = 0.129

사업체소재지

서울경기

남호남충청강원/제주

85.793.889.371.483.387.5

4.074.384.184.144.394.63

F = 0.907Sig. = 0.481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만족=1, 조 불만족=2, 보통=3, 조 만족=4,

매우 만족=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만족비율은 ‘매우만족’과 ‘조 만족’의 비 임

Page 12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25 -

보조공학기기 제공 담당자 친 수 에 한 만족도 결과는 <표 Ⅲ-29>와 같다.

반 인 보조공학기기 제공 담당자의 친 수 에 한 만족도 수는 4.38이고 만

족비율은 90.2%로서 보조공학기기 제공 담당자들에 해 매우 친 하다고 평가하

고 있다. 세부조사 결과 업종, 사업체규모, 사업체소재지에 따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거의 부분의 사업체에서 보조공학기기 제공 담당자들의 친 함

을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29> 보조공학기기 제공 담당자 친 수

(단 :%,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체 90.2 4.38

업종

제조업

도소매업

통신업

융보험 부동산임

사업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복지

공공개인서비스

89.3

66.7

0.0

100.0

100.0

87.5

94.4

66.7

4.25

4.33

3.00

5.00

4.64

4.25

4.47

4.00

F = 1.464

Sig. = 0.191

사업체

규모

10인 이하

10~29인

30~99인

100인 이상

100.0

92.9

81.3

100.0

4.35

4.54

4.19

4.70

F = 2.160

Sig. = 0.099

사업체

소재지

서울

경기

호남

충청

강원/제주

78.6

87.5

96.4

85.7

100.0

87.5

4.29

4.31

4.32

4.57

4.50

4.63

F = 0.532

Sig. = 0.751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만족=1, 조 불만족=2, 보통=3, 조 만족=4,

매우 만족=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만족비율은 ‘매우만족’과 ‘조 만족’의 비 임

Page 124: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26 -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과 종류에 한 만족도 결과는 <표 Ⅲ-30>과 같다. 사업체

에서는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과 종류에 해 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과 종류에 한 만족도 수는 3.82이며 만족비율은 64.1%로

서 불만족 비율에 비해 매우 높았다. 업종에 따라서 만족도를 살펴보면 융보험

부동산임 (4.50 ), 사업서비스(4.06 ), 보건복지(4.06 ), 도소매업(4.00 )에서

만족도가 상 으로 높았다.

<표 Ⅲ-30>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과 종류

(단 :%,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체 64.1 3.82

업종

제조업

도소매업

통신업

융보험 부동산임

사업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복지

공공개인서비스

53.6

66.7

0.0

100.0

72.7

50.0

77.8

0.0

3.57

4.00

3.00

4.50

4.09

3.63

4.06

2.33

F = 2.997

Sig. = 0.007

사업체

규모

10인 이하

10~29인

30~99인

100인 이상

70.0

67.9

53.1

70.0

3.95

3.93

3.59

3.90

F = 1.068

Sig. = 0.367

사업체

소재지

서울

경기

호남

충청

강원/제주

64.3

81.3

60.7

57.1

55.6

75.0

3.79

4.25

3.68

3.43

3.72

4.25

F = 1.884

Sig. = 0.106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만족=1, 조 불만족=2, 보통=3, 조 만족=4,

매우 만족=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만족비율은 ‘매우만족’과 ‘조 만족’의 비 임

Page 125: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27 -

사업체에 보조공학기기 지원까지 걸린 시간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표 Ⅲ-31>

과 같다. 보조공학기기 지원까지 걸린 시간에 한 평균 만족도 수는 3.53으로

보통(3.00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원기간에 해 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사업체 소재지별로 살펴보면 강원/제주(4.38 ), 경기(3.81 )소재지 사업

체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며 호남(3.29 ), 충청(3.56 )소재지 사업체에서는 만족도가

다소 낮았다. 그 외 업종이나 사업체 규모에서는 통계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

나지 않았다.

<표 Ⅲ-31> 보조공학기기 지원까지 걸린 시간

(단 :%,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체 55.4 3.53

업종

제조업

도소매업

통신업

융보험 부동산임

사업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복지

공공개인서비스

50.0

66.7

0.0

0.0

54.5

75.0

61.1

33.3

3.43

3.67

2.00

2.00

3.64

3.63

3.72

3.00

F = 1.689

Sig. = 0.123

사업체

규모

10인 이하

10~29인

30~99인

100인 이상

55.0

64.3

50.0

50.0

3.70

3.75

3.31

3.30

F = 1.618

Sig. = 0.191

사업체

소재지

서울

경기

호남

충청

강원/제주

14.3

68.8

57.1

57.1

55.6

87.5

2.64

3.81

3.61

3.29

3.56

4.38

F = 5.639

Sig. = 0.000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만족=1, 조 불만족=2, 보통=3, 조 만족=4,

매우 만족=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만족비율은 ‘매우만족’과 ‘조 만족’의 비 임

Page 126: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28 -

장애인근로자들의 보조공학기기 지원 차 과정에 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는 <표 Ⅲ-32>와 같다. 체 으로 볼 때, 평균 만족도는 3.70이며 만족비율은

62.6%로서 체로 만족하는 편이었다.

지원 차 과정에 한 만족도는 사업체 소재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 강원/제주, 경기 소재지 사업체에서는 지원 차에 한 만족도가

높았지만 반면 서울, 남 소재지 사업체에서는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표 Ⅲ-32> 반 인 보조공학기기 지원 차 과정

(단 :%,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체 62.6 3.70

업종

제조업

도소매업

통신업

융보험 부동산임

사업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복지

공공개인서비스

64.3

66.7

0.0

50.0

63.6

50.0

65.7

66.7

3.82

3.67

3.00

3.00

3.73

3.50

3.74

3.33

F = 0.494

Sig. = 0.836

사업체

규모

10인 이하

10~29인

30~99인

100인 이상

55.0

71.4

54.8

70.0

3.65

3.89

3.61

3.60

F = 0.707

Sig. = 0.551

사업체

소재지

서울

경기

호남

충청

강원/제주

46.2

75.0

53.6

57.1

66.7

87.5

3.23

3.94

3.57

3.71

3.72

4.38

F = 2.407

Sig. = 0.043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만족=1, 조 불만족=2, 보통=3, 조 만족=4,

매우 만족=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만족비율은 ‘매우만족’과 ‘조 만족’의 비 임

Page 127: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29 -

보조공학기기 지원방식 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표 Ⅲ-33>과 같다. 체

으로 볼 때, 보조공학기기 지원방식에 해 평균 수가 3.83이고 만족비율이

70.7%를 차지하고 있어 장애인근로자들은 보조공학기기 지원방식에 해 만족하고

있는 편이었다. 업종이나 사업체규모, 사업체 소재지에 따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아 보조공학기기 지원 방식에 한 만족은 특정 사업체에 편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33> 보조공학기기 지원 방식

(단 :%,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체 70.7 3.83

업종

제조업

도소매업

통신업

융보험 부동산임

사업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복지

공공개인서비스

57.1

66.7

100.0

50.0

81.8

37.5

86.1

66.7

3.64

3.67

4.00

3.50

4.00

3.25

4.08

3.67

F = 1.247

Sig. = 0.287

사업체

규모

10인 이하

10~29인

30~99인

100인 이상

70.0

75.0

65.6

60.0

3.75

3.89

3.78

3.70

F = 0.165

Sig. = 0.920

사업체

소재지

서울

경기

호남

충청

강원/제주

71.4

68.8

60.7

71.4

72.2

87.5

3.86

3.88

3.57

3.86

3.83

4.25

F = 0.825

Sig. = 0.535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만족=1, 조 불만족=2, 보통=3, 조 만족=4,

매우 만족=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만족비율은 ‘매우만족’과 ‘조 만족’의 비 임

Page 128: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30 -

보조공학기기의 사후 리 기간에 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표 Ⅲ-34>와 같

다. 반 인 보조공학기기의 사후 리 기간에 한 만족도 수는 3.72 이고 만

족비율이 65.2%를 차지하고 있어 사후 리 기간에 해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세부조사 결과 업종, 사업체규모, 사업체소재지에 따라 통계 으로 유의

한 차이가 없었으며 거의 부분의 사업체에서 사후 리 기간에 해 만족하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34> 보조공학기기의 사후 리 기간

(단 :%,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체 65.2 3.72

업종

제조업

도소매업

통신업

융보험 부동산임

사업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복지

공공개인서비스

57.1

66.7

100.0

50.0

72.7

50.0

72.2

66.7

3.68

3.67

4.00

4.00

3.91

3.25

3.81

3.33

F = 0.546

Sig. = 0.797

사업체

규모

10인 이하

10~29인

30~99인

100인 이상

60.0

67.9

65.6

60.0

3.55

3.75

3.75

3.80

F = 0.275

Sig. = 0.843

사업체

소재지

서울

경기

호남

충청

강원/제주

64.3

68.8

53.6

85.7

66.7

87.5

3.57

3.94

3.46

4.14

3.67

4.38

F = 2.084

Sig. = 0.075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만족=1, 조 불만족=2, 보통=3, 조 만족=4,

매우 만족=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만족비율은 ‘매우만족’과 ‘조 만족’의 비 임

Page 129: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31 -

사업체의 보조공학기기 지원한도액에 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표 Ⅲ-35>

와 같다. 체 으로 볼 때, 평균 만족도는 3.55이며 만족비율은 54.5%로서 다소 만

족하는 편이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융보험 부동산임 (5.00 ), 사업서비스

(4.00 ), 공공개인서비스업(4.00 )에서는 평균이상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지만 교육

서비스(2.75 ), 통신업(3.00 )에서는 평균이하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어서 업종별로

정 지원한도액에 해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36>은 사업

체에서 원하는 정 지원한도액의 분포이다.

<표 Ⅲ-35> 보조공학기기 지원한도액

(단 :%, )

구분 만족비율 만족도 수 유의도

체 54.5 3.55

업종

제조업

도소매업

통신업

융보험 부동산임

사업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복지

공공개인서비스

50.0

66.7

0.0

100.0

72.7

12.5

57.1

100.0

3.50

3.67

3.00

5.00

4.00

2.75

3.54

4.00

F = 2.086

Sig. = 0.055

사업체

규모

10인 이하

10~29인

30~99인

100인 이상

45.0

70.4

46.7

44.4

3.40

3.74

3.43

3.56

F = 0.759

Sig. = 0.520

사업체

소재지

서울

경기

호남

충청

강원/제주

38.5

60.0

55.6

57.1

41.2

87.5

3.38

3.80

3.41

3.57

3.35

4.13

F = 1.334

Sig. = 0.258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만족=1, 조 불만족=2, 보통=3, 조 만족=4,

매우 만족=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만족비율은 ‘매우만족’과 ‘조 만족’의 비 임

Page 130: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32 -

<표 Ⅲ-36> 보조공학기기 지원 정 한도액

(단 :명, %)

구 분 빈도 비율

1000만원

2000만원

3000만원

5000만원

10000만원

20000만원

1

1

1

1

3

1

12.5

12.5

12.5

12.5

37.5

12.5

체 8 100.0

4) 보조공학기기 활용도

사업체에서 보조공학기기를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를 알아보기 해 활용정도와

생산성 향상정도를 살펴보았다. 사업체에서 보조공학기기 활용도를 조사한 결과는

<표 Ⅲ-37>과 같다.

체 으로 볼 때, 보조공학기기의 활용 수는 4.47이며 활용비율은 90.2%로서

기기의 활용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사업체 소재지에 따른 활용도의 차이는 없었

으나 업종이나 사업체규모에 따라 활용도의 차이가 있었다.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

면 융보험 부동산임 업(5.00 )이나 보건복지(4.67 ), 제조업(4.50 )에서 기

기 활용도가 매우 높았으며 통신업(3.00)이나 공공개인서비스업(3.33 )에서는 활용

도가 상 으로 미약했다.

사업체 규모에 따라서도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데 10~29인 규모 사업체에서는 활

용도가 매우 높았지만 30~99인 규모 사업체에서 상 으로 활용도가 낮게 나타

났다.

Page 131: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33 -

<표 Ⅲ-37> 보조공학기기의 활용도

(단 :%, )

구분 활용비율 활용 수 유의도

체 90.2 4.47

업종

제조업

도소매업

통신업

융보험 부동산임

사업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복지

공공개인서비스

96.4

66.7

0.0

100.0

90.9

87.5

91.7

66.7

4.50

4.00

3.00

5.00

4.36

4.25

4.67

3.33

F = 2.311

Sig. = 0.033

사업체

규모

10인 이하

10~29인

30~99인

100인 이상

95.0

96.4

78.1

100.0

4.60

4.68

4.13

4.60

F = 3.112

Sig. = 0.030

사업체

소재지

서울

경기

호남

충청

강원/제주

85.7

93.8

89.3

100.0

94.4

87.5

4.43

4.63

4.32

4.43

4.72

4.50

F = 0.747

Sig. = 0.590

주:1) 활용 수는 ‘ 그 지 않다=1, 그 지 않다=2, 보통=3,

체로 그 다=4, 매우 그 다=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활용비율은 ‘매우 활용’과 ‘조 활용’의 비 임

5) 보조공학기기 생산성 향상 기여도

보조공학기기의 생산성 향상기여도와 생산성 향상율 분석결과는 <표 Ⅲ-38>과 같

다. 체 으로 볼 때, 생산성 기여 수는 4.29이며 생산성 향상율 58.48%, 생산성

기여율 86.7%로서 기기의 활용이 생산성 향상에 매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성 향상의 차이는 업종과 사업체 규모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업종별로

는 융보험 부동산임 (5.00 ), 보건복지(4.53 ), 사업서비스업(4.45 )에서 생산

Page 132: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34 -

성향상 기여 수가 높았으며 반면 통신업(3.00 )이나 교육서비스업(3.88 )에서는

상 으로 낮게 나타났다. 사업체규모별로는 30인 이하의 세기업에서는 생산성

향상 기여 수가 높았지만 30~99인 규모 사업체에서는 상 으로 낮게 나타났다.

<표 Ⅲ-38> 보조공학기기의 생산성 향상 기여도

(단 : %, )

구분생산성

향상율

생산성

기여율

생산성

기여 수유의도

체 58.48 86.7 4.29

업종

제조업

도소매업

통신업

융보험 부동산임

사업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복지

공공개인서비스

30.31

63.33

95.00

61.25

60.83

68.62

75.00

100.0

82.14

66.67

-

100.00

100.00

62.50

91.67

100.00

4.07

4.33

3.00

5.00

4.45

3.88

4.53

4.00

F = 2.329

Sig. = 0.032

사업체

규모

10인 이하

10~29인

30~99인

100인 이상

73.68

52.75

46.67

83.75

100.00

96.43

71.88

80.00

4.55

4.50

4.00

4.20

F = 3.691

Sig. = 0.015

사업체

소재지

서울

경기

호남

충청

강원/제주

57.78

66.00

60.68

45.83

55.00

58.00

85.71

87.50

85.71

85.71

83.33

87.50

4.29

4.31

4.14

4.29

4.33

4.75

F = 0.852

Sig. = 0.517

주:1) 생산성 기여율은 ‘매우 그 지 않다=1, 그 지 않다=2, 보통=3,

체로 그 다=4, 매우 그 다=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생산성 향상율은 ‘매우 향상’과 ‘조 향상’의 비 임

3) 생산성 기여 수는 ‘ 그 지 않다=1, 그 지 않다=2, 보통=3,

체로 그 다=4, 매우 그 다=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Page 13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35 -

6)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향상과 개선사항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향상을 해 개선사항과 강화해야 할 서비스를 조사하 다.

업종별 보조공학 서비스 필요성에 한 조사결과는 <표 Ⅲ-39>와 같다. 체 으로

볼 때 국 인 인 라 구축(4.27 )에 한 필요성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맞춤보조 공학기기 지원(4.02 ), 보조공학기기 시 운 (3.96 ), 지원 체험기

회(3.8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체결과와 같이 국 인 인

라 구축이 거의 업종에 걸쳐 필요성이 가장 높았으나 두 번째 순 는 업종별

로 차이가 있었다. 지원 체험기회는 보건복지업, 맞춤 보조공학기기 지원은 제조

업, 교육서비스업, 공공개인서비스업으로, 보조공학기기 시 운 은 도소매업과

사업서비스업으로 나타났다.

<표 Ⅲ-39> 업종별 보조공학 서비스 필요성(단 : 수)

업종 제조업도소매

업통신업

융보험

부동산

사업

서비스

교육

서비스

보건

복지

공공개인

서비스체

사용교육

문가컨설

지원 체험기회

맞춤 보조공학기기 지원

보조공학기기 시 운

국 인 인 라 구축

2.68

3.39

3.61

3.82

3.64

3.89

2.33

3.33

3.67

3.67

4.00

3.67

4.00

4.00

5.00

5.00

5.00

5.00

2.00

3.50

4.00

4.00

4.00

4.50

3.73

4.00

4.09

4.18

4.45

4.55

3.00

3.63

3.63

4.00

3.63

4.38

3.47

3.50

4.17

4.11

4.11

4.53

3.33

3.67

3.00

4.33

3.67

3.67

3.15

3.54

3.89

4.02

3.96

4.27

주:1) 필요성 수는 ‘매우 불필요=1, 체로 불필요=2, 보통=3, 체로 필요=4,

매우 필요=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기업체 규모별로 살펴보면 체결과와 동일하게 국 인 인 라 구축이 거의

업종에 걸쳐 필요성이 가장 높았으나 두 번째 순 는 업종별로 차이가 있었다.

지원 체험기회는 10인 이하 기업규모에서, 맞춤 보조공학기기 지원은 30~99인

기업규모에서, 보조공학기기 시 운 은 10~29인 기업규모에서 서비스 필요성이

높았다.

Page 134: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36 -

<표 Ⅲ-40> 사업체 규모별 보조공학 서비스 필요성(단 : 수)

사업체규모 10인이하 10~29인 30~99인 100인 이상 체

사용교육

문가컨설

지원 체험기회

맞춤 보조공학기기 지원

보조공학기기 시 운

국 인 인 라 구축

3.90

3.65

4.00

3.75

3.80

4.40

2.96

3.81

4.11

4.29

4.32

4.39

2.81

3.35

3.59

3.87

3.78

4.03

3.20

3.50

4.10

4.30

3.80

4.30

3.14

3.58

3.90

4.02

3.96

4.26

주:1) 필요성 수는 ‘매우 불필요=1, 체로 불필요=2, 보통=3, 체로 필요=4,

매우 필요=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보조공학 서비스 개선 에 한 조사결과는 <표 Ⅲ-41>과 같다. 향후 개선해야 할

보조공학기기 서비스는 지원 품목 종류 확 가 80.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지원

을 한 산 확 가 60.9%, 보조공학 련 정보제공이 56.5%, 지원 한도액 확 가

51.1%, 보조공학기기 개발 개조 서비스가 45.7% 순으로 나타났다.

<표 Ⅲ-41> 보조공학 서비스의 개선 (복수응답)

(단 :명, %)

구 분 빈도 비율

보조공학기기 지원을 한 산 확

보조공학기기 지원 품목 종류 확

보조공학기기 지원 한도액 확

보조공학기기 개발 개조 서비스

보조공학기기 련 문 상담, 평가 서비스

보조공학기기 활용인식개선 사회 공감 확산

보조공학기기 사용법 교육

개인특성에 맞는 보조공학기기 련 정보 제공

직장내 환경 개선에 한 종합 평가 지원

기타

56

74

47

42

27

26

26

52

30

7

60.9

80.4

51.1

45.7

29.3

28.3

28.3

56.5

32.6

7.6

체 92 100.0

Page 135: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37 -

<표 Ⅲ-42>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 지원형태

(단 :개수)

분류 지원품목지원형태

무상임 무상지원 맞춤제작 계

정보 근

자정보단말기

자 린터

화면확 S/W H/W

음성출력 S/W H/W

확 독서기

문서인식 S/W H/W

형모니터

특수키보드

특수마우스

입력보조장치

선택장치

자세보조장치

특수 S/W

0

0

0

0

0

0

5

0

0

0

0

0

0

0

5

0

0

5

0

1

4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5

0

0

5

0

6

4

0

1

0

1

0

작업기구

높낮이조 작업테이블

경사각 작업테이블

휠체어용 작업테이블

특수작업기구 장비

특수 작업의자

작업물 운송/운반장치

1

0

0

0

1

0

0

0

0

1

0

0

2

0

0

0

0

0

3

0

0

1

1

0

3. 장애인 직업훈련생 설문조사 결과

1)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 지원형태

직업훈련기 에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받은 자를 상으로 기기의 지원품목과

지원형태를 조사하 다. 그 조사결과는 <표 Ⅲ-42>와 같다. 조사 상 장애인훈련생

이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는 무상임 9 , 무상지원 19 , 맞춤제작 3 으로 부

분 무상지원제품을 지원 받았으며, 사용용도별로 보면, 정보 근용기기가 22 , 작

업기구용기기가 5 , 사무보조용기기가 2 , 기타 2 으로 나타났다.

Page 136: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38 -

분류 지원품목지원형태

무상임 무상지원 맞춤제작 계

의사소통

신호장치

골도 화기

문자 화기

화상 화기

소리증폭장치

보완 체의사소통장치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사무보조

음성메모기

시각장애인용 계산기

책장넘기는 도구

수화기 홀드

팔 지지

0

0

0

0

0

0

0

0

0

2

0

0

0

0

0

0

0

0

0

2

사무보조

물건집게

필기보조도구

원고홀더

0

0

0

0

0

0

0

0

0

0

0

0

기타 기타 직업생활에 필요한 기기 2 0 0 2

합계 9 19 3 31

2)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

보조공학기기를 지원 받아 사용하고 있는 장애인 직업훈련생들의 보조공학 서비

스 만족도를 알아보기 해 지원품목과 종류, 지원받기까지의 기간, 지원 차, 지원

방식, 지원 액등의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5가지의 만족도 평가항목 에 보조공학

기기의 지원방식에 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지원품목

과 종류, 지원방식 순으로 나타났다.

Page 137: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39 -

<표 Ⅲ-43>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

(단 :명, 수, 만원)

구 분 빈도 평균 수 표 편차

지원품목과 종류

지원 받기까지 걸린 기간

지원 차(과정)

지원방식

지원 한도액

응답자의 정 한도액

21

21

20

21

20

4

3.76

3.10

3.30

3.90

3.35

1272.50*

0.8

0.7

0.8

0.8

1.0

2485.05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만족=1, 조 불만족=2, 보통=3, 조 만족=4,

매우 만족=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의 단 는 만원임.

장애인 직업훈련생들이 지원 받아 사용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에 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해 보조공학기기의 조작성, 편리성, 내구성, 디자인 등의 만족도를 살펴

보았다. 보조공학기기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표 Ⅲ-44>와 같다. 4가지의 만족도

평가항목 에 보조공학기기의 조작성에 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편리성, 내구성 순으로 나타났다. 반 으로 만족도 결과가 만족도의

간 수(3.00)보다 높게 조사되어 보조공학기기에 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다만 기기의 디자인은 4가지 평가항목 에 가장 낮게 평가되어 미 감각을

고려한 기기 제작이 요구된다.

<표 Ⅲ-44> 보조공학기기 만족도

(단 :명, 수)

구 분 빈도 평균 수 표 편차

기기의 조작성

기기의 사용상 편리성

기기의 내구성

기기의 디자인

21

21

21

21

3.62

3.48

3.33

3.14

0.8

0.9

0.9

1.2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만족=1, 조 불만족=2, 보통=3, 조 만족=4,

매우 만족=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Page 138: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40 -

3) 보조공학기기 활용도

장애인 직업훈련생들의 보조공학기기의 활용도와 직업훈련 도움 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표 Ⅲ-45>와 같다. 보조공학기기 활용 수가 3.95 으로 지원받은 기기를

실생활에서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보조공학기기의 직업훈련 도

움 정도를 살펴보면 직업훈련 도움 수는 3.86으로 실제로 직업훈련에 도움이 되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움 기여도는 66.94%로 조사되었다.

<표 Ⅲ-45> 보조공학기기의 활용도

(단 :명, 수, %)

구 분 빈도 수 표 편차

보조공학기기 활용

보조공학기기의 직업훈련 도움

직업훈련 도움 기여도

21

21

16

3.95

3.86

66.94*

1.0

0.7

21.59

주:1) 만족도 수는 ‘ 그 지 않다=1, 그 지 않다=2, 보통=3, 체로 그 다

=4, 매우 그 다=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2) *의 단 는 %임

4)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향상과 개선사항

장애인 직업훈련생의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필요성에 한 조사결과는 <표 Ⅲ

-46>과 같다.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에서 지원 체험 기회의 필요성이 가장 높

았으며 그 다음으로 맞춤 보조공학기기 지원, 국 인 인 라 구축 필요성 순으로

나타났다.

<표 Ⅲ-46> 보조공학 서비스 필요성

(단 :명, 수)

구 분 N 평균 수 표 편차

사용교육

문가컨설

지원 체험기회

맞춤 보조공학기기지원

보조공학기기 시 운

국 인 인 라 구축

21

20

20

20

20

20

3.57

3.90

4.20

4.10

4.00

4.05

0.9

1.0

0.8

1.0

0.9

1.0

주:1) 만족도 수는 ‘매우 불필요=1, 체로 불필요=2, 보통=3, 체로 필요=4,

매우 필요=5’를 기 으로 하여 계산한 수치임

Page 139: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41 -

체 응답자 21명 지원기기 사용하는데 어려움 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38%로서 8명이었다. <표 Ⅲ-47>은 보조공학기기 사용상 불편한 을 조사한 결과이

다. 보조공학기기 사용상 가장 큰 불편한 으로 기기 조작성의 어려움과 기기의 낮

은 합성으로 나타났다. 기타 사항으로 작업능률 향상에 도움이 안됨을 지 했다.

<표 Ⅲ-47> 보조공학기기 사용상 불편사항(복수응답)

(단 : 명, %)

구 분 빈도 비율

기기 사용법을 몰라서

기기 조작상의 어려움

기기가 자주 고장 나서

기기가 나에게 잘 맞지 않아서

작업능률 향상에 도움이 안돼서

기타

0

4

2

4

1

1

0.0

50.0

25.0

50.0

12.5

12.5

체 8 100.0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개선 에 한 조사결과는 <표 Ⅲ-48>과 같다. 가장 시 히

개선되어야 할 서비스로는 보조공학기기 지원 품목 종류의 확 로 조사되었다.

그 다음으로 지원을 한 산확 , 보조공학기기 련 문상담‧평가서비스, 사용

법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표 Ⅲ-48> 보조공학 서비스의 개선 (복수응답)

(단 :명, %)

구 분 빈도 비율

보조공학기기 지원을 한 산 확

보조공학기기 지원 품목 종류 확

보조공학기기 지원 한도액 확

보조공학기기 개발 개조 서비스

보조공학기기 련 문 상담, 평가 서비스

보조공학기기 활용인식개선 사회 공감 확산

보조공학기기 사용법 교육

개인특성에 맞는 보조공학기기 련 정보 제공

직장내 환경 개선에 한 종합 평가 지원

기타

10

14

8

8

9

5

9

8

8

0

52.6

73.7

42.1

42.1

47.4

26.3

47.4

42.1

42.1

0.0

체 19 100.0

Page 140: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42 -

Ⅳ. 결론 제언

본 연구조사는 보조공학 서비스의 수요자인 사업체 담당자, 장애인근로자, 장애

인 직업훈련생을 상으로 실시한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를 통해 보조공학 서비

스에 한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 으며, 이를 토 로 보조공학 서비스의 효과성

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조공학 서비스에 한 필요성과 활용범 , 선진국의 보조

공학 련 제도 황 등을 분석 등을 분석하 다. 한 보조공학 서비스를 제공

받은 사업체 담당자, 장애인근로자, 장애인 직업훈련생을 상으로 보조공학 서비

스에 한 반 인 만족도와 효과성 등을 조사하 다.

본 장에서는 조사된 연구결과를 토 로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을 제고하기

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1. 보조공학 서비스 달체계 개선 지원품목 확

보조공학 서비스 보조공학기기 지원까지 걸린 시간에 한 만족도 수는

3.39, 지원 차 과정 3.52, 지원방식 3.85 으로 기기 지원까지 걸린 시간에 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체 응답자의 반 이상이 2006년 6월

이 에 기기를 지원받은 상자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지원 차 과정에

한 만족도 수는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치로 서비스 달체계에 한 개선이

요구되어진다.

한 지원품목과 종류에 한 만족도 수는 3.75이고 만족비율은 67.4%로 불만

족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재 보조공학센터에서 지원하는 지원품목이

직업 역의 보조공학기기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보조공

학기기 지원사업에 있어 첨단 과학기술이 용된 고 공학(high technology) 기기

뿐만 아니라 정신지체인이 사용하기에 유용한 을 읽어주는 펜(reading pen) 등과

같은 하 공학(low technology)이 용된 다양한 보조공학기기의 보 확 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비싸지 않은 하 공학(low technology)이 용된 기기라고 할지라도

Page 141: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43 -

기기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면 첨단 과학기술이 용된 고가의 고

공학(high technology) 기기 못지 않은 효과를 볼 수 있다.

2. 보조공학 체험․ 시 기기 체험(탐색) 로그램 확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보조공학기기 시 운 에 한 필요성 수는 3.84이

고 필요비율은 65.6%로서 체 응답자의 반이상이 보조공학 시 운 을 원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기 지원 체험의 기회가 필요성에 한 수는

3.95, 필요비율은 70.9%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은 재 보조공학 시 과 기기

체험(탐색) 로그램이 보조공학센터에서만 운 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지방에 거주하는 장애인들도 보다 쉽게 보조공학기기에 한 정보를 얻

고 그에 따라 자신에게 합한 보조공학기기를 체험해 볼 수 있도록 보조공학 체

험․ 시 기기체험(탐색) 로그램이 확 되어져야 한다.

보조공학 체험․ 시 설치 운 은 공단의 5개 직업능력개발센터를 활용하여

각 권역별로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하며, 기존의 단순한 시 으로써의 기능만을

가지고 운 되기 보다는 장애인들이 보조공학기기를 신청하기 에 자신에게 합

한 기기가 무엇인지를 직 체험해 볼 수 있는 기기 체험(탐색) 로그램이 함께

운 되어져야 한다. 특히, 기기 체험(탐색) 로그램은 보조공학기기에 한 비장애

인들의 인식개선을 한 단순 기기 체험(탐색) 로그램과 장애인들이 직업능력개

발센터의 평가사,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등과 개별 인 상담․평가 후 자신에게

합한 기기를 체험(탐색)할 수 있는 문 기기 체험(탐새) 로그램으로 나 어서

로그램을 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보조공학기기 조작 메뉴얼 보 품질개선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번 인 보조공학기기에 해 만족도는 조작성 3.75

(65.7%), 편리성 3.70 (61.3%), 내구성 3.69 (60.9%), 디자인 3.56 (52.8%) 순으로

나타났으며,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한데 어려움이 있다는 응답은 체의 45.5%를 차

Page 142: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44 -

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 으로 살펴보면, 조작상 어려움과 사용법을 몰라서 어려움을 겪는다는

응답이 각각 56.3%와 52.4%로 높은 비 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은 지원된

보조공학기기의 다수가 외국 제품이거나 그동안 장애인들이 보조공학기기를 체험

해 보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려움이라고 생각한다.

결국 아무리 장애인의 욕구와 직무 환경이 고려된 보조공학 서비스가 장애인에

게 제공되어진다고 할지라도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낀다면 보조공

학기기는 히 활용될 수 없다. 따라서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는 장애인들이 기

기조작에 한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기기 조작에 한 메뉴얼을 동 상으로

제작․보 하는 방법과 기기에 한 개별 인 조작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아울러 보조공학기기에 한 성능, 내구성, 디자인뿐만 아니라

기기에 한 추가 보완사항이 없는지에 한 평가가 이루어져 차후 장애인들의 욕

구에 부합하는 기기가 개발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마련되어져야 한다.

4. 국 인 인 라 구축과 맞춤 보조공학기기 지원 확 를 통

한 서비스 강화

연구 조사결과에 의하면, 보조공학 서비스의 체계 인 지원과 보 을 한 국

인 인 라 구축의 필요성에 해 체 으로 살펴볼 때 필요성 수는 4.03

(73.9%)으로 나타나 보조공학 서비스의 국 인 인 라 구축이 매우 필요한 것으

로 나타났다. 여기서 국 인 인 라 구축이란 장애인들이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

는 과정에서 필요할 때 한 장소에서 문가에게 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체계이다. 다시 말해서 장애인이 스스로 원하는 서비스를 받고자 할 때 서비

스를 용이하게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보조공학센터에서는 보조공학 서비스의 과정을 수행하다보니 서비스

달 시간이 지연되거나 서비스를 장애인에게 하게 제공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2006년 6월부터 수와 상담평가, 사후 리 등을 공단 14개 지사로 확 함으로써

보조공학 서비스 달체계를 개선하 다. 따라서 서비스에 한 만족도는 지속 으

로 향상될 것으로 상된다. 그러나 맞춤 보조공학 서비스는 아직 보조공학센터에

Page 14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45 -

서만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어 이에 한 서비스 확 가 이루어져야 한다.

개인별 맞춤 서비스에 근거한 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장애인의 생산성과

사업주의 경제 cost-benefit을 최 한 높이기 해서는 공단 5개 직업능력개발센

터 한 곳을 선정하여 맞춤 보조공학 서비스를 단계 으로 확 하는 방안을 검

토해야 한다.

5. 보조공학 문가 확보와 활용 방향

직업재활 과정에서 보조공학은 장애인의 삶의 질과 생산성 향상을 통해 직업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다. 여기서 직무조정(job accommodation)은 장애인이

작업 장에서 직무를 수행하는데 가지고 있는 기능 인 문제 들을 악하고 작업

환경을 개선하거나 수정․조정해 주는 과정으로써 장애인에게 한 편의

(reasonable accommodation)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장애로 인해 제한된 장애인의 신체 , 심리 기능을 보완하고 환경 인

요소 등을 고려하여 장애인의 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한 효과 인 서비스가 제

공되기 해서는 보조공학 서비스 기 의뢰과정에서부터 철 한 장애인의 장애상

태와 직무분석에 한 사정(assesment)과 평가(evaluation)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

히, 장애인의 기능 특성과 장애 질환의 이해, 공학 기술, 환경 요소 등의

다양한 지식과 경험에 근거한 학문 인 기반이 목되어야 한다. 이러한 보조공학

의 특성상 학문 인 기반을 바탕으로 하는 문인력의 활용은 필수 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보조공학 서비스는 장애인 개개인의 다양한 장애수 과 유형, 기능 특성을 이

해하여 사용자의 개별 인 욕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한다는 에서 각 분야의 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직업재활사, 직업평가사,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청각사 등의

문인력으로 구성된 다학제 인 근(multi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이 필

요하다. 이를 해서 공단 14개 지사와 5개 직업능력개발센터의 직업재활사, 직업

평가사,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기계, 자 등의 문인력을 최 한 활용하는 것

이 바람직하며 문인력 간의 임상경험에 한 정보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

조공학 련 문 역별 컨퍼런스와 워크샾 등이 개최되어야 한다.

Page 144: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46 -

한 다양하고 복잡한 장애인의 장애특성과 그에 따른 장애인의 개별 인 욕구

를 충족시켜 주어야 한다는 에서 보조공학 서비스 각 단계별로 련 제반사항을

객 으로 사정(assesment), 평가(evaluation)할 수 있는 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져

야 한다.

6. 보조공학 지원사업의 안정 인 산 확보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보조공학센터(이하 ‘보조공학센터’)는 2004 12월 국무총

리 복권 원회의 지원을 받아 로 복권기 에 의해 조성된 재정으로 장애인의 직

업재활을 한 보조공학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보조공학 지원사업에

한 재정지원이 5년간 한시 으로 지원됨에 따라 지속 으로 사업을 수행하는데 어

려움이 상되고 있다.

본 조사 결과에서도 언 되었지만 부분의 장애인근로자와 사업주가 지원된 보

조공학기기를 작업 장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지원된 보조공학기기가 생산성 향상

에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보조공학기기에 한 장애인과 사업주

의 욕구는 높아질 것으로 된다. 따라서 보조공학 지원사업의 안정 인 재정확

보를 통해 보조공학을 통한 장애인고용 활성화와 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Page 145: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47 -

- 참고문헌 -

강병근(1999), 「생애주택 계획과 생활체험 : Barrier free 건축이란 모두를 한 보

호막을 만드는 것이다」, 화 사

강석동 외(2005), 「수요자 심의 보조공학 서비스 활성화 방안: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보조공학센터를 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보조공학센터.

권선진(2001), “장애인의 보장구 활용실태와 정책 과제”, 보건복지포럼 5월호,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권 철(2005), “국내 재활공학 련 제도와 재활공학 인력양성의 방향”, 제 1차 재활

공학 산학연계 세미나:국내 재활공학의 동향과 인력양성 방안(3-14), 교육인

자원부 주 NURI 사업 나사렛 학교 재활공학과.

권 철, 정동훈, 공진용 역(2004), 「임상 용을 한 재활보조공학」, 문출 사

김 선, 고윤정(1995), “장애인을 한 컴퓨터 테크놀로지의 용”, 제10회 한국특수

교육학회 심포지엄, 한국특수교육학회.

김선규(1997), “한국재활공학의 실과 개선방안에 한 연구”, 복‧지체부자유아

교육 제29권, 66-82.

김용득‧유동철 외(2005). 「한국장애인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김인서(2000), “효과 인 재활서비스를 한 학 내 보조공학 센터 모델 제시”,

구 학교 석사학 논문.

김종량(1991), 「교육공학」, 문음사

김형우(2005), “재활기기산업의 활성화 방안연구”, 재활공학연구소 FORT

박상호(1986), “교육공학 교육방법”, 집문당

박을종(2005), “보조공학서비스 활성화를 한 련기 의 효과 력 방안”, 보조

공학세미나 자료집,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변경희(2001), “보조공학 목을 통한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성공 인지원고용 향상방

안”, 한국직업재활학회

변용찬 외(2003), “장애인 보장구 보험 여 기 개선방안”, 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2004), 장애인 재활보조기구 교부사업 활성화, 열린자료방 장애인복지

Page 146: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48 -

389, http://www.mohw.go.kr.

신 욱(2004), “보조공학이 미국의 지원고용 결과에 미치는 향에 한연구”, 한국

직업재활학회 Vol.14

심상완(2002), “고령사회 비 복지 과학기술 정책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안은 (2004), “장애인복지 에 근무하는 재활 문가의 보조공학 서비스에 한 인

식조사”, 한신 학교 석사학 논문

오길승(2004), 보조공학 서비스 욕구 수요 악을 한 실태조사, 한국장애인 고

용 진공단.

오길승(2005), “재활공학 서비스 황과 활성화 방안”. 정보격차해소를 한 국회

연구모임 주최 제3회 정책 세미나 자료집.

오길승, 김형우, 오도 , 남세 (2005), “보조공학 서비스 욕구 수요 악을 한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오혜경(1999), 장애인과 사회복지실천, 아시아미디어리서치

육주혜(2005), “미국의 재활공학 련 법‧제도”, 정보격차해소를 한 국회 연구 모

임 주최 제3회 정책 세미나 자료집.

이근민(1999), “장애인을 한 보조공학 근 방안”, 복‧지체부자유아동교육 제

33권, 1-28.

이근민, 최 철(2004), 장애인 고용을 한 보조공학서비스 달체계연구, 한국장애

인 고용 진 공단.

이성규(2000), 「사회통합과 장애인 복지 정치」, 나남출

이익섭(1993), “한국장애인복지정책의 이념정립을 한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이인숙(2000), “교육공학과 체제학”, 교육공학연구 제16권 제3호

장 숙, 김은경, 박수경, 김동석(2002). “노인의 재활보조기구 이용실태 요구도에

한 실태조사”, 한국노년학회지 제22권 제1호

정근모(1996), “장애인재활공학정책의 과제와 망”, 한국장애인재활 회 주최 제5

차 재활심포지움 자료집.

조성열(2003), “바람직한 장애인당사자 주의를 하여”, 「장애와 사회」, 우경서원

한경임(1997), “보완 체 의사소통체계 사용자의 삶의 질에 한 논의”, 복·지체

부자유아교육 제29권

Page 147: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49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4), 「우수재활보조기구업체지정기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1), 「재활보조기구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2002), 「보조공학을 통한 고용환경개선 연구」

한국재활 회(2003), 「아‧태장애인 10년(1993-2002)평가 논문집」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5). 2005년도 정보통신 보조기술 개발 지원 세부시행 계획.

Alliance for Technology Access(2000). “Computer and Web Resour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 Guide to Exploring Today's Assistive Technology”

,Hunter House Inc., Publishers

Assistive Technology Act(ACT) Programs(2004), http://www.ataporg.org

Blackhurst, A. E(1997). “Perspective on technology in special education”, Teching

Exceptional Children

Bureau of Industry and Security U.S. Department of Commerce(2003).

Clark, B. et al.(1983). “Creating Web pages: Is anyone considering visual

literac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08990.

Cook, A. M. &Hussey, S. M.(1995a). Assistive technology:Principles and

practice. Saint Louis, MO:Mosby.

Cook, A. M. &Hussey, S. M.(2002a). “Assistive Technologies: Principles and

Practice(2nd Ed.)”, Mosby.

Finkelstein, V.(1991), 「Attitudes and Disabled People」, World Rehabilitation

Goffman,E.,(1963), 「Stigma, Englewood Cliffs」 NJ:Prentice Hall

Hager, R. M & Smith, D.(2003), "the Public School's special edication system as

an assistive technology funding source:The cutting edgeBuffalo, NY:

neighborhood Legal Service, Inc

Hasselbring(1998), "Using Assistive Technology Plan", http;//natri.uky.edu/

resources/presentations/pdf

Hedman, G.(1990). “Rehabilitation Technology.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 Volume 10, Number 2: The Harworth Press, Inc.

Page 148: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50 -

Heinich, R. (1999). The proper study of instructional technoloizv.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Journal, 32 (2)

IDEA(1990),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mprovement Act

J. H. Galbraith(1967), 「the New Industrial State, Boston」, Houghton Mifflin

Lesar, S. (1998). “Use of assistive technology with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urrent status and training needs”,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Lewis, R. B.(1993a). Special education technology:Classroom applications.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Lewis, R. B.(1998b), "Traning needs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and rehabilitation

teachers in state vocational rehabilitation agencies serving individual with

visual disabilit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Lewis, R. B. (1998) 「Special Education technology:classroom applications.

Pacific Grove」, CA: Brooks/Cole

Oliver, M.(1996), 「Understanding & Disability, London」, Macmillan

Pasrsons, T.(1951) 「The Social system」, New York:Free Press

Safilio-Rothchild, C.(1970), 「The sociology and Social Psychology of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New York: random House

Smith, R. O.(1987). “Models of service delivery in rehabilitation technology. In

Rehabilitation technological service delivery: a practical guide,

Washington”, DC, RESNA Press.

Tech Act(1998), Technology Related Assistanc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ct

Technology Assessment of the U.S. Assistive Technology Industry.

Wallace, J. F. , Flippo, K. F., Barcus, J. M., & Behrmann, M. M. (1995).

Legislative found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policy in the united states.

In K. F. Flippo, K. J. Inge, & J. M. Barcus (Eds.), Assistive technology: A

resource for school, work and community (pp3-21). Baltimore: Paul

Brooks.

Page 149: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51 -

http://www.abledata.com

http://www.naric.com

http://www.resna.org

http://www.mohw.go.kr/ 

http://www.moleg.go.kr/ 

http://www.rehadat.de

http://natri.uky.edu/

Page 150: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부 록

∙장애인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조사(사업체용)

∙장애인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조사(장애인근로자용)

∙장애인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조사(직업훈련생용)

Page 151: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53 -

리스트

PAGE

장애인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 조사(사업체용)

안녕하십니까?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보조공학센터에서는 복권기 의 지원을 받아 사업체,

장애인근로자와 직업훈련생을 상으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와

련하여 본 조사에서 보조공학 서비스를 받은 분들로부터 만족도와 개선 요구사

항을 수렴함으로써 향후 보조공학 서비스의 질 향상을 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귀하께서 응답하신 내용은 보조공학서비스 개선을 한 기 자료와 연구목 으

로만 사용되며, 통계법 제13조와 제14조에 의거하여 개인의 비 이 보장되오니 바

쁘시더라도 소 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2006년 9월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보조공학센터장 윤 성 호

연구자:최원석(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보조공학센터, [email protected], 02-523-7240)

이성규(서울시립 학교 사회복지학과, [email protected])

임창규(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email protected])

☞ 설문 응답 요령

- 시각장애인과 정신지체인에 한 낭독, 필을 요망합니다.

※ 작성된 설문지는 동 해 드린 회송용 투에 넣어 2006년 10월 13일까지 우편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Page 152: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54 -

① 지체장애(상지, 신) 명

③ 뇌병변 명

⑤ 청각장애 명

⑦ 정신지체 명

⑨ 정신장애 명

⑪ 심장장애 명

⑬ 간장애 명

⑮ 간질장애 명

② 지체장애(하지) 명

④ 시각장애 명

⑥ 언어장애 명

⑧ 발달장애 명

⑩ 신장장애 명

⑫ 호흡기장애 명

⑭ 안면장애 명

⑯ 장루, 요루장애 명

4. 귀 사업장의 장애유형별 장애인근로자 인원을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5. 귀 사업장의 소재지를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특별시/ 역시) 시(군, 구)

<일반 사항>

❚ 다음은 귀하의 사업장에 한 일반 질문입니다.

1. 재 귀 사업장의 주요 사업 업종은 무엇입니까?

① 농림‧어‧ 업

③ 기가스

⑤ 도소매업

⑦ 운수업

⑨ 융보험 부동산임

⑪ 행정국방

⑬ 보건복지

⑮ 공공개인서비스

② 제조업

④ 건설업

⑥ 숙박음식

⑧ 통신업

⑩ 사업서비스

⑫ 교육서비스

⑭ 오락문화

2. 재 귀 사업장의 체 상시근로자 수는 몇 명입니까? 명

3. 재 귀 사업장의 체 상시근로자 장애인근로자 수는 몇 명입니까?

❚ 다음은 귀하의 사업장 소재지와 장애인근로자에 한 질문입니다.

Page 15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55 -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 지원형태>

❚ 다음은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에 한 질문입니다.

6. 귀하가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과 지원형태를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분류 지원품목 지원형태무상임대 무상지원 맞춤제작

정보 근

자정보단말기

자 린터

화면확 S/W H/W

음성출력 S/W H/W

확 독서기

문서인식 S/W H/W

형모니터

특수키보드

특수마우스

입력보조장치

선택장치

자세보조장치

특수 S/W

작업기구

높낮이조 작업테이블

경사각 작업테이블

휠체어용 작업테이블

특수작업기구 장비

특수 작업의자

작업물 운송/운반장치

의사소통

신호장치

골도 화기

문자 화기

화상 화기

소리증폭장치

보완 체의사소통장치

사무보조

음성메모기

시각장애인용 계산기

책장넘기는 도구

수화기 홀더

팔 지지

물건집게

필기보조도구

원고홀더

기타 기타 직업생활에 필요한 기기

Page 154: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56 -

<보조공학 서비스에 한 만족도>

❚ 다음은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에 한 질문입니다.

7. 보조공학 서비스에 한 반 만족 정도를 선택해 주십시오.평가요소 매우

만족대체로만족 보통 대체로

불만족매우

불만족1) 보조공학기기 지원 서비스에 해

어느 정도 만족 하십니까?

2) 보조공학기기 제공 담당자들의 친

수 (친 하다)에 만족하십니까?

3) 보조공학기기 지원 품목과 종류에

만족하십니까?

4) 보조공학기기를 신청하여 지원받기

까지 걸린 기간에 만족하십니까?

5) 반 인 보조공학기기 지원 차

(과정)에 만족하십니까?

6) 보조공학기기 지원 방식(무상임 ,

무상지원)에 만족하십니까?

7) 보조공학기기의 사후 리 기간에

만족하십니까?

무상임 5년, 무상(맞춤)지원 2년

8) 보조공학기기 지원 한도액에 만족

하십니까?

⇒ 8-1) 만족하지 않는다면 지원형태에 따른 한도액이 얼마면 정하다고 생각하십

니까? 약 ( )원

Page 155: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57 -

❚ 다음은 보조공학기기 활용도에 한 질문입니다.

8. 보조공학기기에 한 만족 정도를 선택해 주십시오.

평가요소 매우 그렇다

대체로그렇다 보통 그렇지

않다전혀

그렇지 않다

1)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를 사업장에

서 많이 활용하고 있습니까?

2)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가 장애인근

로자(훈련생)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

이 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 2-1) 도움이 되었다면 얼마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약 ( )%

❚ 다음은 보조공학 서비스 필요성에 한 질문입니다.

9. 보조공학 서비스에 한 필요 정도를 선택해 주십시오.

평가요소 매우 필요

대체로필요 보통 대체로

불필요매우

불필요1) 보조공학기기 지 후 보조공학기기에

한 사용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 구직상담, 취업알선 단계에서 문가의 컨

설 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3) 보조공학기기 지원 기기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4) 상용 보조공학기기 개조를 통한 개인별 맞

춤기기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5) 보조공학기기에 한 이해 등을 해 시

운 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6) 보조공학 서비스의 체계 인 지원과 보

을 해 국 인 인 라 구축이 필요하다

고 생각하십니까?

Page 156: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58 -

❚ 다음은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개선 에 한 질문입니다.

10. 가장 시 하게 개선되어야 된다고 생각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① 보조공학기기 지원을 한 산 확

② 보조공학기기 지원 품목 종류 확

③ 보조공학기기 지원 한도액 확

④ 보조공학기기 개발 개조 서비스

⑤ 보조공학기기 련 문 상담, 평가 서비스

⑥ 보조공학기기 활용에 한 인식개선 사회 공감 확산

⑦ 보조공학기기 사용법 교육

⑧ 개인특성에 맞는 보조공학기기 련 정보 제공(온라인 오 라인)

⑨ 직장 내 환경 개선에 한 종합 평가 지원

⑩ 기타(구체 으로)

※ 성심껏 설문에 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Page 157: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59 -

리스트

PAGE

장애인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 조사(장애인근로자용)

안녕하십니까?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보조공학센터에서는 복권기 의 지원을 받아 사업체,

장애인근로자와 직업훈련생을 상으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와

련하여 본 조사에서 보조공학 서비스를 받은 분들로부터 만족도와 개선 요구사

항을 수렴함으로써 향후 보조공학 서비스의 질 향상을 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귀하께서 응답하신 내용은 보조공학서비스 개선을 한 기 자료와 연구목 으

로만 사용되며, 통계법 제13조와 제14조에 의거하여 개인의 비 이 보장되오니 바

쁘시더라도 소 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2006년 9월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보조공학센터장 윤 성 호

연구자:최원석(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보조공학센터, [email protected], 02-523-7240)

이성규(서울시립 학교 사회복지학과, [email protected])

임창규(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email protected])

☞ 설문 응답 요령

- 시각장애인과 정신지체인에 한 낭독, 필을 요망합니다.

※ 작성된 설문지는 동 해 드린 회송용 투에 넣어 2006년 10월 13일까지 우편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Page 158: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60 -

① 지체장애(상지, 신)

③ 뇌병변

⑤ 청각장애

⑦ 정신지체

⑨ 정신장애

⑪ 심장장애

⑬ 간장애

⑮ 간질장애

⑰ 국가유공자

② 지체장애(하지)

④ 시각장애

⑥ 언어장애

⑧ 발달장애

⑩ 신장장애

⑫ 호흡기장애

⑭ 안면장애

⑯ 장루, 요루장애

5. 귀하의 등록된 장애유형(주장애)을 하나만 선택해 주십시오.

<사회 ‧ 인구학 사항>

❚ 귀하의 인 사항에 한 질문입니다.

1. 성별 2. 연령

① 남성 ② 여성 만 세

❚ 귀하의 최종학력과 거주지역에 한 질문입니다.

3. 거주지역 도(특별시/ 역시) 시(군, 구)

4. 최종학력

① 등졸 이하

② 졸(고등학교 퇴 포함)

③ 고졸( 학교 퇴 포함)

④ 졸( 문 포함)

⑤ 학원 이상

❚ 다음은 귀하의 장애유형과 장애등 에 한 질문입니다.

Page 159: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61 -

① 1

④ 4

⑦ 7

② 2

⑤ 5

③ 3

⑥ 6

6. 귀하의 등록된 장애등 을 선택해 주십시오.

① 오른손(팔)

③ 오른발(다리)

⑤ 시각

⑦ 언어

⑨ 정신

⑪ 기타( )

② 왼손(팔)

④ 왼발(다리)

⑥ 청각

⑧ 지 기능

⑩ 내부장기

7. 장애로 인해 매우 불편하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신체부위를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 다음은 귀하의 직업에 한 질문입니다.

① 고 직/ 리직)

③ 기술공/ 문가

⑤ 서비스/ 매직

⑦ 기능직

⑨ 단순노무직

② 문가

④ 사무직

⑥ 농/임/어업

⑧ 조립/조작종사자

8. 귀하가 근무하고 계신 직종은?

9. 귀하의 월 평균 임 (수당 모두 포함)은 얼마입니까?

월 평균 만원

10. 재 귀 사업장의 체 상시근로자 수는 몇 명입니까? 명

11. 장애발생 이 11-1. 장애발생 이후

직장에서의 근무기간

년 개월

직장에서의 근무기간

년 개월

Page 160: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62 -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 지원형태>

❚ 다음은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에 한 질문입니다.

12. 귀하가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과 지원형태를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분류 지원품목 지원형태무상임대 무상지원 맞춤제작

정보 근

자정보단말기

자 린터

화면확 S/W H/W

음성출력 S/W H/W

확 독서기

문서인식 S/W H/W

형모니터

특수키보드

특수마우스

입력보조장치

선택장치

자세보조장치

특수 S/W

작업기구

높낮이조 작업테이블

경사각 작업테이블

휠체어용 작업테이블

특수작업기구 장비

특수 작업의자

작업물 운송/운반장치

의사소통

신호장치

골도 화기

문자 화기

화상 화기

소리증폭장치

보완 체의사소통장치

사무보조

음성메모기

시각장애인용 계산기

책장넘기는 도구

수화기 홀더

팔 지지

물건집게

필기보조도구

원고홀더

기타 기타 직업생활에 필요한 기기

Page 161: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63 -

<보조공학 서비스에 한 만족도>

❚ 다음은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에 한 질문입니다.

13. 보조공학 서비스에 한 반 만족 정도를 선택해 주십시오.평가요소 매우

만족대체로만족 보통 대체로

불만족매우

불만족1) 보조공학기기 지원 품목과 종류에

만족하십니까?

2) 보조공학기기를 신청하여 지원 받

기까지 걸린 기간에 만족하십니까?

3) 반 인 보조공학기기 지원 차

(과정)에 만족하십니까?

4) 보조공학기기 지원 방식(무상임 ,

무상지원)에 만족하십니까?

5) 보조공학기기 지원 한도액에 만족

하십니까?

⇒ 5-1) 만족하지 않는다면 지원형태에 따른 한도액이 얼마면 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약 ( )원

❚ 다음은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 만족도에 한 질문입니다.

14. 보조공학기기에 한 만족 정도를 선택해 주십시오.평가요소 매우

만족대체로만족 보통 대체로

불만족매우

불만족1) 지원받은 기기의 조작성(원하는 로 잘 작

동됨)에 해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2) 지원받은 기기의 사용상 편리성(원하는 로

잘 작동됨)에 해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3) 지원받은 기기의 내구성(고장이 고 튼튼

함)에 해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4) 지원받은 기기의 디자인(모양, 크기 등)에

해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Page 162: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64 -

❚ 다음은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 활용도에 한 질문입니다.

15. 지원된 보조공학기기의 활용 정도를 선택해 주십시오.

평가요소 매우 그렇다

대체로그렇다 보통 그렇지

않다전혀

그렇지 않다

1) 귀하는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를 많이 활용

하고 계십니까?

2)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가 귀하의 생산성 향

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 2-1) 도움이 되었다면 얼마나 생산성이 향상 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약 ( )%

❚ 다음은 보조공학 서비스 필요성에 한 질문입니다.

16. 보조공학 서비스에 한 필요 정도를 선택해 주십시오.평가요소 매우

필요대체로필요 보통 대체로

불필요매우

불필요1) 보조공학기기 지 후 보조공학기기에 한

사용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 구직상담, 취업알선 단계에서 문가의 컨설

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3) 보조공학기기 지원 기기를 체험할 수 있

는 기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4) 상용 보조공학기기 개조를 통한 개인별 맞

춤기기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5) 보조공학기기에 한 이해 등을 해 시

운 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6) 보조공학 서비스의 체계 인 지원과 보 을

해 국 인 인 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Page 16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65 -

❚ 다음은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 사용에 한 질문입니다.

17. 귀하께서 제공받은 보조공학기기의 사용상 불편한 에 한 질문입니다.

17-1. 지원받은 기기를 사용하는데 어려운 이 있었습니까?

① 어려운 이 없었다 (☞ 12번으로)

② 어려움 이 있었다 (☞ 11-2번으로)

17-2. 지원받은 기기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면 가장 큰 이유를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① 기기의 사용법을 몰라서

② 기기의 사용법을 알지만 조작하기가 어려워서

③ 기기가 자주 고장 나서

④ 기기가 나에게 잘 맞지 않아서

⑤ 작업능률 향상에 도움이 안돼서

⑥ 기타

❚ 다음은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개선 에 한 질문입니다.

18. 가장 시 하게 개선되어야 된다고 생각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① 보조공학기기 지원을 한 산 확

② 보조공학기기 지원 품목 종류 확

③ 보조공학기기 지원 한도액 확

④ 보조공학기기 개발 개조 서비스

⑤ 보조공학기기 련 문 상담, 평가 서비스

⑥ 보조공학기기 활용에 한 인식개선 사회 공감 확산

⑦ 보조공학기기 사용법 교육

⑧ 개인특성에 맞는 보조공학기기 련 정보 제공(온라인 오 라인)

⑨ 직장 내 환경 개선에 한 종합 평가 지원

⑩ 기타(구체 으로)

※ 성심껏 설문에 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Page 164: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66 -

리스트

PAGE

장애인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 조사(직업훈련생용)

안녕하십니까?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보조공학센터에서는 복권기 의 지원을 받아 사업체,

장애인근로자와 직업훈련생을 상으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와

련하여 본 조사에서 보조공학 서비스를 받은 분들로부터 만족도와 개선 요구사

항을 수렴함으로써 향후 보조공학 서비스의 질 향상을 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귀하께서 응답하신 내용은 보조공학서비스 개선을 한 기 자료와 연구목 으

로만 사용되며, 통계법 제13조와 제14조에 의거하여 개인의 비 이 보장되오니 바

쁘시더라도 소 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2006년 9월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보조공학센터장 윤 성 호

연구자:최원석(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보조공학센터, [email protected], 02-523-7240)

이성규(서울시립 학교 사회복지학과, [email protected])

임창규(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email protected])

☞ 설문 응답 요령

- 시각장애인과 정신지체인에 한 낭독, 필을 요망합니다.

※ 작성된 설문지는 동 해 드린 회송용 투에 넣어 2006년 10월 13일까지 우편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Page 165: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67 -

<일반 사항>

❚ 다음은 귀하의 사업장에 한 일반 질문입니다.

1. 재 귀 훈련기 의 체 훈련생 수는 몇 명입니까? 명

❚ 다음은 귀하의 사업장 소재지와 장애인근로자에 한 질문입니다.

2. 귀 사업장의 장애유형별 직업훈련생 인원을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①지체장애(상지, 신) 명

③뇌병변 명

⑤청각장애 명

⑦정신지체 명

⑨정신장애 명

⑪심장장애 명

⑬간장애 명

⑮간질장애 명

②지체장애(하지) 명

④시각장애 명

⑥언어장애 명

⑧발달장애 명

⑩신장장애 명

⑫호흡기장애 명

⑭안면장애 명

⑯장루, 요루장애 명

3. 귀 훈련기 의 소재지를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특별시/ 역시) 시(군, 구)

Page 166: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68 -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 지원형태>

❚ 다음은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에 한 질문입니다.

4. 귀하가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과 지원형태를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분류 지원품목 지원형태

무상임대 무상지원 맞춤제작

정보 근

자정보단말기

자 린터

화면확 S/W H/W

음성출력 S/W H/W

확 독서기

문서인식 S/W H/W

형모니터

특수키보드

특수마우스

입력보조장치

선택장치

자세보조장치

특수 S/W

작업기구

높낮이조 작업테이블

경사각 작업테이블

휠체어용 작업테이블

특수작업기구 장비

특수 작업의자

작업물 운송/운반장치

의사소통

신호장치

골도 화기

문자 화기

화상 화기

소리증폭장치

보완 체의사소통장치

사무보조

음성메모기

시각장애인용 계산기

책장넘기는 도구

수화기 홀더

팔 지지

물건집게

필기보조도구

원고홀더

기타 기타 직업생활에 필요한 기기

Page 167: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69 -

<보조공학 서비스에 한 만족도>

❚ 다음은 보조공학 서비스 만족도에 한 질문입니다.

5. 보조공학 서비스에 한 반 만족 정도를 선택해 주십시오.평가요소 매우

만족대체로만족 보통 대체로

불만족매우

불만족1) 보조공학기기 지원 품목과 종류에

만족하십니까?

2) 보조공학기기를 신청하여 지원받기

까지 걸린 기간에 만족하십니까?

3) 반 인 보조공학기기 지원 차

(과정)에 만족하십니까?

4) 보조공학기기 지원방식(무상임 ,

무상지원)에 만족하십니까?

5) 보조공학기기 지원 한도액에 만족

하십니까?

⇒ 5-1) 만족하지 않는다면 지원형태에 따른 한도액이 얼마면 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약 ( )원

❚ 다음은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 만족도에 한 질문입니다.

6. 보조공학기기에 한 만족 정도를 선택해 주십시오.평가요소 매우

만족대체로만족 보통 대체로

불만족매우

불만족1) 지원받은 기기의 조작성(원하는 로 잘 작

동됨)에 해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2) 지원받은 기기의 사용상 편리성(원하는 로

잘 작동됨)에 해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3) 지원받은 기기의 내구성(고장이 고 튼튼

함)에 해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4) 지원받은 기기의 디자인(모양, 크기 등)에

해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Page 168: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70 -

❚ 다음은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 활용도에 한 질문입니다.

7. 지원된 보조공학기기의 활용 정도를 선택해 주십시오.

평가요소 매우 그렇다

대체로그렇다 보통 그렇지

않다전혀

그렇지 않다

1) 귀하는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를 많이 활용

하고 계십니까?

2)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가 귀하의 직업훈련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 7-1) 도움이 되었다면 얼마나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약 ( )%

❚ 다음은 보조공학 서비스 필요성에 한 질문입니다.

8. 보조공학 서비스에 한 필요 정도를 선택해 주십시오.평가요소 매우

필요대체로필요 보통 대체로

불필요매우

불필요1) 보조공학기기 지 후 보조공학기기에 한

사용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 구직상담, 취업알선 단계에서 문가의 컨설

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3) 보조공학기기 지원 기기를 체험할 수 있

는 기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4) 상용 보조공학기기 개조를 통한 개인별 맞

춤기기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5) 보조공학기기에 한 이해 등을 해 시

운 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6) 보조공학 서비스의 체계 인 지원과 보 을

해 국 인 인 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Page 169: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 171 -

❚ 다음은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 사용에 한 질문입니다.

9. 귀하께서 제공받은 보조공학기기의 사용상 불편한 에 한 질문입니다.

9-1. 지원받은 기기를 사용하는데 어려운 이 있었습니까?

① 어려운 이 없었다 (☞ 12번으로)

② 어려움 이 있었다 (☞ 11-2번으로)

9-2. 지원받은 기기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면 가장 큰 이유를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① 기기의 사용법을 몰라서

② 기기의 사용법을 알지만 조작하기가 어려워서

③ 기기가 자주 고장 나서

④ 기기가 나에게 잘 맞지 않아서

⑤ 작업능률 향상에 도움이 안돼서

⑥ 기타

❚ 다음은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개선 에 한 질문입니다.

10. 가장 시 하게 개선되어야 된다고 생각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① 보조공학기기 지원을 한 산 확

② 보조공학기기 지원 품목 종류 확

③ 보조공학기기 지원 한도액 확

④ 보조공학기기 개발 개조 서비스

⑤ 보조공학기기 련 문 상담, 평가 서비스

⑥ 보조공학기기 활용에 한 인식개선 사회 공감 확산

⑦ 보조공학기기 사용법 교육

⑧ 개인특성에 맞는 보조공학기기 련 정보 제공(온라인 오 라인)

⑨ 직장 내 환경 개선에 한 종합 평가 지원

⑩ 기타(구체 으로)

※ 성심껏 설문에 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Page 170: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문제의 정의를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이나 결함(impairment), 작업기술의 부족과 미 숙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연구개발 2006-23

보조공학 서비스 효과성 제고 방안 인 쇄 2006년 12월 발 행 2006년 12월 발행처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보조공학센터 (137-725) 서울 서 구 서 동 1674-4 하림빌딩6층

TEL : (02) 523-7240

FAX : (02) 522-7244

인쇄처 자유기획인쇄 TEL:(02) 2263-0270

ISBN 89-5813-543-3-93330 *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