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송 연 숙 * · 유 수 경 ** 본 연구는 현장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유아교사의 직무를 도출하고 이에 대해 현직교 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기법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무적용의 우선순 위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 현장전문가와의 워크삽 후 도출된 유아교사의 직무 모형검증을 위해 명의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사의 직무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수행도에 비해 높게 나왔으나 직무제반에 걸쳐 중요도와 수행도 모 두 평균보다 높게 나왔다 중요도와 수행도가 가장 높은 직무로는 건강 안전 영양지도 영유아 이해 및 생활지도 상담 등의 영유아보호관련 직무들이었으며 다음으로 교육관련 직무인 교수 학습활동 직무와 기관운영방침 및 교육계획 수립 직무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결과 유 아교사의 직무 중 강화유지 집중관리 우선순위 직무들을 파악하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방 안에 대한 의미있는 논의를 제공할 수 있었다 주제어 유아교사 교육과정 직무분석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승인 울산과학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교신저자 울산과학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생태유아교육연구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2016. 제15권 제2호 , 201 - 226

직무분석과 IPA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송 연 숙* · 유 수 경**

요 약

본 연구는 현장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유아교사의 직무를 도출하고 이에 대해 현직교

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IPA기법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무적용의 우선순

위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 현장전문가와의 워크삽 후 도출된 유아교사의 직무

모형검증을 위해 275명의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사의

직무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수행도에 비해 높게 나왔으나 직무제반에 걸쳐 중요도와 수행도 모

두 평균보다 높게 나왔다. 중요도와 수행도가 가장 높은 직무로는 건강·안전·영양지도, 영유아

이해 및 생활지도·상담 등의 영유아보호관련 직무들이었으며, 다음으로 교육관련 직무인 교수

학습활동 직무와 기관운영방침 및 교육계획 수립 직무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IPA 분석결과, 유

아교사의 직무 중 강화유지, 집중관리, 우선순위 직무들을 파악하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방

안에 대한 의미있는 논의를 제공할 수 있었다.

주제어 유아교사(early childhood teacher)

교육과정(early childhood curriculum)

직무분석(teachers’ job analysis)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논문접수 : 2016. 04. 20 / 수정본 접수 : 2016. 05. 30 / 게재승인 : 2016. 06. 07* 울산과학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 울산과학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

Page 2: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20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Ⅰ. 서 론

오늘날의 산업구조는 지식·기술·정보의 경쟁력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적합한 전문 인력

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산업체가 요구하는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이들

의 경력을 개발하며, 능력을 평가·인증하는 역량 기반 사회로의 패러다임 변화는 교육의 사

회적 책무성이라는 관점에서 학교교육과 산업현장 간의 괴리를 지속적으로 지적해 왔다(나승

일, 김주섭, 김주일, 정연양, 구자길, 김강호, 문세연, 2007; 박민정, 2008; 백종면, 박양근, 2012;

Rothwell & Graber, 2012; Voorhees, 2001; Wiek, Withycombe & Redman, 2011). 이러한 상

황 속에서 교육과 일자리를 연계하는 국가 차원의 노력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이하 NCS)이 개발 보급되고 있다.

NCS는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지식 기술 소양 등의 능력을 국가

차원에서 산업부문별 수준별로 체계화, 표준화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특성화고, 전문대학, 4

년제 대학 등 각 학급학교의 교육 개혁에 중대한 방향을 제공하고 있다(교육부, 2013; 김성국,

신수영, 2004). 교육부는 NCS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 개편을 실천과제로 설정하여 2014년부

터 250개 직무분야에 대해 NCS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 운영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를 국가

사업의 필수조건으로 제시하고 있고, 대학평가지표 배점에서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교육부, 2014; 변경숙, 조영대, 김창섭, 2015), NCS 기반의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하는 것은

대학의 생존과 발전을 위한 필수조건이 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유아교육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느끼는 양성기

관과 현장과의 연계성 및 실효성은 낮은 편이며, 특히 초임교사들이 신규채용으로 임명받고

유아교육현장에 적응함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며 유아교사양성기관에서의 교육과 현

장과의 괴리감을 경험하고 있음을 여러 연구(고선아, 2008; 고현정, 2004; 안인원, 2014; 이지

영, 2000; 이현경, 2000)들이 입증하고 있다. 즉 교사 양성과정에서 실제적으로 학습한 것이

현장과 연계되는 것이 부족하고 실습 중심의 체험적 교수방법이 부족함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은 현장에서 요구되는 교사의 다양한 직무를 실제 경험하는 실무중심의 교육과

정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이처럼 유아교사와 관련된 현장에서 발생하는 직무관련 문제를 원활히 해결하고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양성과정에서부터 직무관련능력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한다. 다른 산

업분야와 달리 유아교육분야는 현재 NCS 직무에서 유보분야로 구분되어 있으나 NCS 체제

에 따른 산업체의 수요를 반영하는 현장중심의 실무교육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개편의 방향

Page 3: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직무분석과 IPA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203

을 권고 받고 있다.

교육과정이란 학교의 교육목적 및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내용을 선정·조직, 실천, 평가

하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교육계획(이성호, 2004)으로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고려할 점은

최근의 직업교육 패러다임을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학과중심보다는 교육현장중심으로,

과목중심에서 직무중심 즉 학문중심에서 역량중심으로 교육이 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NCS 기반의 교육과정이란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직무중심의 교육과정을 개

발한다는 점에서 현재의 직업교육 패러다임을 잘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같은 맥락으로 현재 3년제 교원양성기관에서는 최근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현장전문가(SME : Subject Matter Expert)와 함께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중요 직무를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교육과정 개발에 현

장 전문가가 참여하여 함께 하는 것은 현장과 밀착된 교원을 양성하려는 최근의 유아교육 흐

름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교육과정 개발의 방법으로 직무분석이 활용되고

있는데, 이는 어떤 직무를 구성하고 있는 업무의 내용과 이러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담

당자에게 요구되는 경험, 자질, 기능, 지식, 능력과 책임과 그 직무가 타 직무와 구별되는 요

인을 명확히 밝히어 기술하는 절차라고 할 수 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

다‘라는 말이 있듯이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바른 의식과 높은 자질, 그리고

교사로서의 직무수행을 위한 전문능력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직무능력이다.

따라서 전문성을 갖춘 유아교사를 양성하기에 앞서 유아교사의 직무에 대한 논의가 우선

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된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직무에 대한 분석보다는 직

무만족 혹은 직무스트레스 등 직무관련 변인간의 관계나 차이를 분석한 연구들이 대부분이

며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교사의 업무 영역이나 직무를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관련 연구

들을 소수 찾아볼 수 있다. 먼저 유치원 교사의 직무를 분석한 연구로 김은영(2006)은 유치원

교사의 직무를 교수학습준비, 교수학습실제, 교수학습평가, 전문성 신장, 유아보호 관련 업무,

학부모 관련 업무, 행사관련 업무, 사무 관련 업무, 시설설비 관련 업무, 대인관계 및 사회적

인 업무 총 10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정화(2007)는 유치원 교사의 직무영역을 유아의 지도 및

보호, 전문성 신장, 학급경영 및 담당업무 처리 활동, 관계조성 및 유지 영역 등으로 구분하였

으며, 장주혜(2008)는 유아의 보호 및 지도, 프로그램 운영, 전문성 신장, 기관장과의 관계, 동

료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행정적 업무, 시설·설비 및 안전관리, 시간관리로 구분하였다. 어

린이집 교사의 직무를 분석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강문숙(2008)은 면담분석을 통해 보육교사

의 직무를 김은영(2006)의 연구와 동일하게 10가지로 구분하고 있으며, 오현미(2009)는 교육

과정 및 교수학습영역,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인간관계, 업무수행, 전문성 개발 등 5가지로 구

Page 4: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20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를 포괄한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

로 김영회, 송승민(2010)은 유아교사는 가르치는 일 외에도 교수학습을 위한 준비, 시행, 평

가, 부모와의 관계 유지, 행정 사무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다양하다고 하였으며 정선아, 조

대연(2013)은 유아교사의 직무를 보육 및 생활지도, 교육 및 교수활동, 상담 및 정서적 지원,

연구 및 반성적 실천, 대인관계 및 업무수행 5가지 역량으로 구분하였다. 최근 진행된 임옥경

(2014)의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의 역량을 유아 학습지원, 교육과정 이해, 개인적 자질, 유아

보호, 학급운영, 교육계획 수립, 교육과정 실행 7가지로 제시하였으며, 김은영, 조혜주(2013),

허수연(2014)는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10가지 직무에 대한 수행

도, 어려움, 중요도 등을 분석한 결과, 직무에 대한 유치원 교사나 보육교사의 인식이 유사함

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들 연구들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교사의 다양한 직무 형태를 밝히고 있으나 연구자들

마다 중첩되는 부분이 상당히 많으며 이러한 요소들은 유아교사의 직무를 구성하는 영역 및

하위요인을 도출하는 근거가 된다. 종합해보면 유아교사의 직무란 교사와 영유아간에 이루어

지는 모든 교육 및 보육활동으로, 교수학습활동 계획·수행·평가, 생활지도 및 상담, 영유아 보

호, 학부모 및 대인관계, 행정 및 사무, 운영관리, 전문성 개발과 관련된 영역이 공통적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김은영, 조혜주(2013), 정선아, 조대연

(2013), 허수연(2014)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유치원교사나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분석을 각각

수행하였고 함께 비교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도출된 유아교사의 직무를 구체화하고 이러한 직무수행에 요구되

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직무능력을 숙달시키도록 각 직무별 목표, 내용,

수행준거 등을 추출하는 과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단순한 관찰이나 설문지

등의 한 가지 방법보다는 문헌을 고찰하는 법,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으는 방법, 현장 교사들

의 직무 검증에 대한 설문 조사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지며, 나아

가 현장중심의 교육과정이 개발·운영되기 위해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유아교사 직무

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과 수행정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더욱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도입된 공통과정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운영으로 교사의 공통적인 직무가 기대되며, 현

재 진행 중인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시점에서 두 기관의 교사가 인

식하는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에 있어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는 것은 유아교사 양성기

관의 교육과정 운영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IPA(Importance-Performace Analysis)는 1970년대 Martilla와 James(1977)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 전통적으로 수요자가 어떤 요소를 중요하게 여기는지 조사하고, 경험 후에

Page 5: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직무분석과 IPA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205

는 수행도를 평가하게 하여 각각의 요소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도와 수행도를 동시에 비교 분

석하는 평가기법이다(김준희, 구본길, 오왕규, 2013).

이 분석방법은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의사결정 및 우선순위를 정하는 효과적인 도구로 사

용되고 있으며 많은 학자들(김진영, 이진욱, 2015; 박주호, 유기웅, 2014; 민부자, 조호제,

2010; 신경희, 신원섭, 김현식, 연평식, 정성호, 이효은, 2011; 이병화, 김수현, 2013)은 IPA기법

을 이용하여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여 이 방법이 직무의 중요도 분석을 위해서 효

용성 있는 연구방법임을 검증한 바 있다. 따라서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수행도를 분석하

면 유아교사의 다양한 직무 중 우선 선정해야 할 직무를 선별할 수 있고, 제한된 시간과 여건

속에서 집중 노력해야 할 직무를 밝힐 수 있어 향후 유아교사 양성교육의 방향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및 운영 편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을 통한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질적 내실화

를 도모하기 위해 유아교사의 직무를 도출하고 이에 대해 현장교사들은 어느 정도로 인식하

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IPA기법(직무의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활용하여 유아교사

의 직무에 대한 중요도, 수행도를 살펴보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실제 교육현장에서 직무

적용의 우선순위 가능성을 탐색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수용도가 높은 직무유형과 실제 적용가

능성이 낮은 직무들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 운영방안을 제언

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유아교사 직무에 대한 인식(중요도, 수행도)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IPA기법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직무분석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1) 직무별 현장 전문가 및 교육전문가

해당 전문가 인력풀에 대한 구성 요건 및 역할은 다음 표를 참조하였고 이에 맞는 현장전

문가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현장전문가는 다음의 구성요건을 충족하는 유치원과 어리

이집의 전문가로 현장 경력이 많고 전공자격을 갖춘 교사 2인과 유치원 원장 1명, 어린이집

원장 2인, 유치원 원감 1인 총 6명으로 선정하여 구성하였다.

Page 6: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20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표 1> 전문가 인력 Pool 구성 요건 및 역할

전문분야 구성 요건 역 할

현장

전문가

Ÿ 해당 개발 분야에서 5년 이상 근무

Ÿ 현재 해당 분야에서 근무

Ÿ 유치원 및 어린이집 내에서 우수성

과자(Best Performer)로 인정받는

전문가

Ÿ 학생들의 졸업 후 직무와 현장중심의 직

무별 능력단위에 대한 매칭 작업

Ÿ 수행준거, 적용범위, 평가지침 등 작성 및

상호 검토

Ÿ 각 단계별 타당성 검증

Ÿ 직무별 능력단위에 대한 최종 교과목 확정

교육

전문가

Ÿ 해당 개발 분야에서 10년 이상의

교육 관련 업무 수행

Ÿ 현재 교육 관련 업무를 수행

Ÿ 해당 개발 분야의 교육 체계를 전

반적으로 이해하는 전문가

Ÿ 능력단위의 교육으로의 활용성 검토

Ÿ 각 단계별 결과물에 대한 타당성 검토

Ÿ 능력단위에 대한 최종 교과목 확정

현장전문가와 교육전문가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1) 현장전문가(SME : Subject Matter Expert)

연구대상 직무분야 소속근무

경력학력 직급

참여

1차 2차 3차

박00 유치원교사 00유치원 30 박사 원장 ○ ○ ○

김00 보육교사 00어린이집 20 석사 원장 ○ ○ ○

이00 유치원교사 00유치원 19 박사 원감 ○ ○ ○

김00 보육교사 00어린이집 18 석사 원장 ○ ○ ○

이00 유치원교사 00유치원 15 석사 교사 ○ ○ ○

고00 보육교사 00어린이집 5 학사 교사 ○ ○ ○

(2) 유아교육 전문가

연구대상 소속 근무경력 학력 직급참여

1차 2차 3차

윤00 00대학 유아교육과 31 박사 교수 ○ ○ ○

박00 00대학 유아교육과 21 박사 교수 ○ ○ ○

김00 00대학 유아교육과 20 박사 교수 ○ ○ ○

송00 00대학 유아교육과 25 박사 교수 ○ ○ ○

유00 00대학 유아교육과 11 박사 부교수 ○ ○ ○

최00 00대학 유아교육과 31 박사산학

부교수○ ○ ○

Page 7: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직무분석과 IPA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207

2) 직무에 대한 인식조사를 위한 설문대상

유아교사 직무와 관련된 문헌분석과 현장 및 교육전문가와의 워크삽을 통해 도출된 유아

교사의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살펴보기 위해 유치원, 어린이집의 규

모 및 교육경력 등을 고려하여 현직 교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중 회수된

설문지 300부를 토대로 무응답이거나 성실하게 응답하지 않아 통계처리가 불가능한 25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275를 최종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배경은 표 2와 같다.

<표 2> 유아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조사 설문 응답자의 배경 N(275)

문항 항목 빈도(N) 비율(%)

기관

국공립유치원 15 5.5

사립유치원 151 54.9

국공립어린이집 8 2.9

직장법인어린이집 11 4.0

민간어린이집 90 32.7

연령

25세 미만 57 20.7

25-29세 91 33.1

30-39세 57 20.7

40-49세 61 22.2

50세 이상 9 3.3

경력

1-3년 미만 69 25.1

3-6년 미만 137 49.8

6-10년 미만 30 10.9

10년 이상 39 14.2

학력

2년제 12 4.4

3년제 176 64.0

4년제 68 24.7

석박사 19 6.9

직급

교사 223 81.1

주임교사 18 6.5

원감 13 4.7

원장 11 4.0

기타(방과후) 10 3.6

합 계 275 100.0

2. 연구절차

본 연구의 실행을 위해 먼저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된 절차 및 유아교사의 직무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전문가의 협의를 거쳐 최종 직무영역을 도출하여 체계화하였다. 또한 직

Page 8: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20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표 3> 연구절차 및 수행내용

단 계 구 분 연구자수행내용

1단계현장전문가조직

2015. 7.22

•NCS 및 현장중심 교육과정 개발 이해

- 유아교육과 관련 직무 Pool 선정: 유아교육과 교수,

유치원 원장 및 교사, 어린이집 원장 및 교사

2단계직무도출 워크샵 1차

2015. 9. 7

•NCS 및 현장중심 교육과정 개발 이해

- NCS 교육과정 개발 배경 및 절차

- 현장중심 교육과정 개발 절차

• 인력양성 유형 결정

- 유아교육의 NCS는 미개발이어서 직무분석 실시

• 유치원/보육교사의 직무 종합 검토

3단계직무도출 워크샵 2차

2015. 9. 20

• 유아교사 직무관련 문헌 연구 분석

- 유치원 교사의 직무분석

-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분석

• 공통 직무영역 검토 및 유형별 직무 정의

• 유아교사 직무 종합 검토

4단계직무도출 워크샵 3차

2015. 10. 7

• 유치원/보육교사의 Duty(능력단위), Task(능력단위요

소), 수행준거 및 지식, 기술, 태도를 개발

• 각 직무별 능력단위에 대한 수행준거 및 지식, 기술,

태도의 필요도와 중요도 관점에서 7점 척도로 각 위원

별로 점수화하여 이의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유아교육

과의 교육과정에 반영할 능력단위 선정

5단계전문가 내용 타당성 검증

2015. 10. 10

•유아교육 현장전문가 및 교육전문가, 타대학 유아교

육과 교수 2인의 직무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

- 유아교사 직무 8개 능력단위, 31개 능력단위 요소

6단계

유아교사 직무모형 검증

설문지 제작 및 인식조사

2015. 10. 19 ~ 2015.11.15

• 도출된 직무별 능력단위 요소에 대한 중요성, 수행도,

직무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사의 직무모형

검증을 위한 설문지 제작 후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

7단계인식조사 및 IPA 결과분석

2015. 11. 15 ~ 2015. 12. 5

• 유아교사의 직무에 대한 분석

-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

- 직무의 중요도, 수행도, 적합도 분석

- 강점, 지속유지, 점진개선, 개선 영역 파악

• 직무의 중요도와 필요도 평균이 5점 이상인 능력단

위요소를 NCS 기반의 현장중심 교과목으로 연계함

무분석 관련 설문지를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 표 3과 같은 절차와 내용으로 연구

자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Page 9: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직무분석과 IPA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209

8단계

교육과정 운영 제고방안

제안

2015. 12. 11 – 2016. 1.

30

•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개발

- 분석결과에 따른 교육과정 학년별 배치

- 직무별 수행준거 / 교과목 명세서 / 교육계획서

/ 진단평가서 / 평가계획서 작성

- 교육과정 운영 제고방안 제시

- NCS기반 현장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체계 확립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유치원 현장경험이 풍부하고 박사

학위를 소지한 유아교육전문가 2인의 관점과 조언 그리고 평가를 연구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요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자 스스로가 놓쳐버린 연구문제, 관점, 준거들을 상기시켜 보다

신선하고 대안적인 아이디어들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1) 문헌분석을 통해 유아교사 직무 추출

유아교육과 보육이 이원화되어 있고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의 임무나 직무를 다른 법에

서 규정하고 있으나, 이미 3-5세 공통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시점에서 유치원 교사와 보

육교사의 역할과 직무의 유사성이 기대된다는 점에서 유아교사라는 인재육성을 공통 목적으

로 설정하였다. 전문성을 갖춘 유아교사를 양성하기 전 유아교사가 수행하는 직무에 대한 명

확한 분석이 이루어야 하는데,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 분석(강문숙, 2008; 김은영,

2006; 김은영, 조혜주, 2013; 이가은, 2015; 이정화, 2007; 임옥경, 2014; 정선아, 조대연, 2013;

허수연, 2014)을 통해 유아교사가 공식적으로 수행하는 직무를 추출하였다. 유치원 교사 및

보육교사의 직무와 관련 선행논문들을 분석하여 연구자들 간에 중복되는 요인들을 유아교사

직무의 잠정적 하위 요인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치원 및 보육교사의 직무로는 공통적으

로 교수학습준비, 교수학습실제, 교수학습평가, 전문성 신장, 영유아보호 관련 업무, 학부모

관련 업무, 행사관련 업무, 사무 관련 업무, 시설설비 관련 업무, 대인관계 및 사회적인 업무

등으로 구분되어 있음을 파악하였고 이를 잠정적으로 유아교사의 직무로 정리하였다.

2) 전문가 협의를 통한 유아교사직무 점검 및 도출

문헌분석을 통해 도출된 유아교사의 직무에 대해 현장전문가들의 협의를 통해 내용검토

과정을 거쳤다. 이를 위해 각 능력단위의 직무에 해당되는 세부 직무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현장전문가와 교육전문가의 3차례 워크삽을 통해 주요직무의 범위를 선정하고 그 분류체제

와 절차를 규정하였다. 주요직무의 범위가 규정된 후 각 직무하위영역별 직무를 수행하는 과

Page 10: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21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정에서 드러나는 주요 사건이나 상황을 정확하게 기술하고 그러한 직무들의 하위 과제들을

분류하고 관련 직무와의 연계성들을 검토하여 실제로 유아교사가 하고 있는 직무영역과 내

용을 다시 확인 조정하는 과정을 거쳐 유아교사의 직무내용의 적절성을 검토하였고, 이를 토

대로 직무내용, 수행준거,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수정, 통합, 분리, 첨가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

8개의 직무영역과 31개의 직무능력단위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유아교사의 직무에 대한 현장

검증으로 현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타당성 검증을 통해 최종적으로 직무모형을 확증하였다.

<표 4> 유아교사의 직무 영역 및 직무내용

직무 직무 내용문헌

고찰

전문가

협의

직무

적합도

(N=256)

1.기관운영방침

및 교육계획수립

1.1.연간운영방안 수립하기, 1.2.교육계획안

수립하기, 1.3.연간 행사 계획하기○ ○

6.19

(1.15)

2.교수학습활동2.1.교수학습활동 계획하기, 2.2.교수학습활동

수행하기, 2.3.교수학습활동 평가하기○ ○

6.29

(.88)

3.기관 환경구성

3.1.교실 환경 구성하기, 3.2.실내외 환경

구성하기, 3.3.시설, 설비, 비품 관리하기,

3.4.활동자료 관리하기

○ ○6.05

(1.12)

4.영유아 이해 및

생활지도·상담

4.1.영유아 발달이해하기, 4.2.특수아 이해하기,

4.3.기본생활습관 지도하기, 4.4.영유아

인성지도하기, 4.5.영유아 관찰하기, 4.6.영유아

상담하기,

○ ○6.38

(.92)

5.건강·안전·영양

지도

5.1.영유아 건강지도하기, 5.2.영유아

5.3.안전지도하기, 5.4.영유아 영양지도하기○ ○

6.36

(.97)

6.기관 및 학급

운영 관리

6.1.인사(원아)관리하기, 6.2.행정관리하기,

6.3.학급관리하기○ ○

6.23

(1.20)

7.가족·지역사회·

교사 협력

7.1.부모 상담하기, 7.2.부모 교육하기, 7.3.교사

협력하기, 7.4.지역사회 협력하기○ ○

6.07

(1.01)

8.인성 및 전문성

신장

8.1.교사연수 참여하기, 8.2.수업장학하기,

8.3.멘토링 하기, 8.4.인성함양하기, 8.5.자기

계발하기

○ ○6.18

(1.07)

3) 유아교사 직무모형 설문제작 및 인식조사

문헌분석과 현장전문가 협의를 통해 도출된 8개영역, 31개 능력단위요소를 기초로 유아교

사의 직무인식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내용별

Page 11: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직무분석과 IPA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211

중요도, 수행도 정도를 조사한 선행연구(강문숙, 2008; 김은영, 조혜주, 2013)들을 참조하여 현

장전문가와 워크삽을 통해 도출된 직무와 하위 직무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설문지를 제

작하였다. 도출된 직무별 능력단위요소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친 후 유치원과 어린이

집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31문항, 7점 평정척도로 구성되었

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다.

<표 5> 유아교사 직무에 관한 문항수 및 신뢰도

직무 문항수신뢰도

중요도 수행도

1. 기관 운영방침 및 교육계획 수립 3 .91 .93

2. 교수학습활동 3 .95 .93

3. 기관 환경구성 4 .91 .89

4. 영유아 이해 및 생활지도·상담 6 .94 .91

5. 영유아 건강·안전·영양 지도 3 .92 .88

6. 기관 및 학급 운영 관리 3 .90 .89

7. 가족·지역사회·교사 협력 4 .88 .87

8. 인성 및 전문성 신장 5 .92 .91

전체 31 .97 .97

유아교사의 직무에 관한 교사들의 설문조사에 대한 Craonbach’s a 계수는 모든 직무영역

에서 .87-.97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유아

교사의 직무영역별 중요도와 수행도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 기술분석을 수행하였다. 이후

IPA 분석기법에 따라 중요도와 수행도의 격자도를 작성하여 분석하였다.

IPA는 평가 요소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평균값를 측정하여 2차원 도면상에 표시하고 그 위

치에 따라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중심점을 기준으로 나누어진 4사분면에 대해 각각 ‘유지’,

‘집중’, ‘낮은 순위’, ‘과잉’으로 표시함으로써 각 변수 값이 표시된 좌표를 통해 쉽게 우선 순

위를 파악하는 분석기법이다. IPA 격자도의 형태는 그림 1과 같다.

Page 12: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21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높음 집중관리 영역(Ⅱ사분면)

(Concentrate Here)

강화유지 영역(Ⅰ사분면) :

(Keep Up The Good Work)

우선순위가 낮은 영역(Ⅲ사분면)

(Low Priority)

과잉 영역(Ⅳ사분면)

(Possible Overkill)낮음

낮음 높음

수행도

[그림 1] IPA(중요도․-수행도) 분석 모형

출처 : Martilla & James(1977) 그림 재구성

격자도의 형태에서 알 수 있듯이,Ⅰ사분면의 유지는 중요도도 높고, 수행도도 높은 영역으

로 계속해서 현재의 노력 수준을 유지해야 할 항목이다. Ⅱ사분면의 집중은 중요도는 높은데

반해 수행도가 낮은 영역으로 비중 있게 다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수행정도가 낮아 집중

하여 개선해야할 영역임을 의미한다. Ⅲ사분면의 낮은 순위는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낮은

영역으로 과잉으로 집중할 필요가 없으며 제한된 시간과 노력을 분배할 경우 상대적으로 우

선순위가 낮은 항목이다. 마지막 Ⅳ사분면의 과잉은 낮은 중요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

준의 실행이 이루어짐에 따라 교사들의 과도한 노력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 영역이다(민부자,

조호제, 2010).

Ⅲ. 연구결과

1. 유아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

1) 유아교사의 직무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유아교사의 직무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순위중심으

로 제시한 결과는 다음 표 6, 표 7과 같다.

Page 13: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직무분석과 IPA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213

<표 6> 유아교사의 직무 영역별 중요도, 수행도 인식 (N=275)

직무영역 중요도 M(SD) 순위 수행도 M(SD) 순위

영유아 이해 및 생활지도·상담 6.48( .85) 1 6.13(.90) 2

영유아 건강·안전·영양 지도 6.43( .87) 2 6.19(.95) 1

교수학습활동 6.16(1.06) 3 5.83(1.04) 4

기관 운영방침 및 교육계획 수립 6.14(1.06) 4 5.95(1.05) 3

가족·지역사회·교사 협력 6.10( .96) 5 5.78(1.04) 5

기관 및 학급 운영 관리 5.99(1.18) 6 5.73(1.28) 6

인성 및 전문성 신장 5.95(1.02) 7 5.52(1.22) 8

기관 환경구성 5.89(1.06) 8 5.69(1.01) 7

합계 6.16( .83) 5.88(.91)

<표 7> 직무 영역별 중요도, 수행도에 대한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N=275)

직무영역유치원 M(SD) 어린이집 M(SD)

중요도 수행도 중요도 수행도

영유아 이해 및 생활지도·상담 6.33(1.02) 5.98( .97) 6.66(.52) 6.32(.77)

영유아 건강·안전·영양 지도 6.27(1.00) 6.06(1.07) 6.62(.64) 6.36(.74)

교수학습활동 6.02(1.18) 5.71(1.11) 6.31(.86) 5.98(.92)

기관 운영방침 및 교육계획 수립 6.01(1.12) 5.79(1.12) 6.32(.93) 6.14(.92)

가족·지역사회·교사 협력 6.00(1.02) 5.70(1.07) 6.23(.85) 5.87(.98)

기관 및 학급 운영관리 5.90(1.24) 5.64(1.31) 6.10(.09) 5.84(.96)

인성 및 전문성 신장 5.85(1.09) 5.54(1.14) 6.06(.92) 5.49(.99)

기관 환경구성 5.77(1.08) 5.62(1.06) 6.07(.98) 5.77(.95)

합계 6.04(.95) 5.82(1.04) 6.30(.62) 5.96(.72)

표 6에 의하면, 유아교사의 직무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평균 6.16(SD=.83)이며, 이들 직무

에 대한 수행도 인식은 평균 5.88(SD=.91)로 나타났다. 중요도의 경우, 직무영역별로 평균

5.89-6.48의 범위를 보여 해당되는 직무 모두에 있어 유아교사들 대부분이 중요하게 인식하

고 있으며, 직무영역별 수행도도 평균 5.52-6.19의 범위를 보여 유아교사들 대부분이 해당 직

무들을 적절히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건강·안전 지도, 영유아 이해 및 생활지

도·상담, 기관 운영방침 및 교육계획 수립, 교수학습활동 영역에서 중요도와 수행도가 다소

높은 반면 기관 환경구성, 인성 및 전문성 신장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중요도

가 높을수록 수행도도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표 7에 의하면,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로 구분하여 직무별로 중요도와 수행도를 살펴보았

을 때, 대부분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이 높았으며, 특히 영유아 이해 및 생활지도·상담, 건강·

Page 14: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21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안전·영양 지도, 교수학습활동, 기관운영방침 및 교육계획 수립에서 유치원, 어린이집 모두

직무의 중요도, 수행도 인식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2) 유아교사의 하위 직무별 중요도, 수행도 분석

유아교사의 31개 하위 직무별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 표 8과 같다.

<표 8> 유아교사의 하위 직무별 중요도, 수행도 인식 (N=275)

직무영역 중요도 M(SD) 순위 수행도 M(SD) 순위연간운영방안 수립하기(1.1) 6.13 17 5.93 12

교육계획안 수립하기(1.2) 6.21 11 6.05 10

연간 행사 계획하기(1.3) 6.07 19 5.88 15

교수학습활동 계획하기(2.1) 6.19 15 5.93 12

교수학습활동 실행하기(2.2) 6.20 13 6.05 10

교수학습활동 평가하기(2.3) 6.08 18 5.88 15

교실환경 구성하기(3.1) 5.95 21 5.79 17

실내외 환경 구성하기(3.2) 5.85 27 5.69 20

시설·설비·비품 관리하기(3.3) 5.81 29 5.63 25

활동자료 관리하기(3.4) 5.94 22 5.64 23

영유아 발달 이해하기(4.1) 6.56 3 6.21 5

기본생활습관 지도하기(4.2) 6.53 4 6.30 2

영유아인성 지도하기(4.3) 6.60 1 6.27 3

영유아 관찰하기(4.4) 6.50 5 6.23 4

영유아 상담하기(4.5) 6.42 6 6.13 7

특수아 이해하기(4.6) 6.28 10 5.66 22

영유아 건강지도하기(5.1) 6.38 8 6.13 7

영유아 안전지도하기(5.2) 6.60 1 6.38 1

영유아 영양지도하기(5.3) 6.30 9 6.08 9

인사(원아) 관리하기6.1) 6.03 20 5.74 19

행정 관리하기(6.2) 5.79 31 5.52 29

학급 관리하기(6.3) 6.15 16 5.93 12

부모 상담하기(7.1) 6.39 7 6.17 6

부모 교육하기(7.2) 6.20 13 5.75 18

교사 협력하기(7.3) 5.94 22 5.67 21

지역사회 협력하기(7.4) 5.89 26 5.53 27

교사연수 참여하기(8.1) 5.94 22 5.64 23

수업 장학하기(8.2) 5.81 29 5.47 30

멘토링 하기(8.3) 5.85 27 5.39 31

인성 함양하기(8.4) 5.93 25 5.55 26

자기계발하기(8.5) 6.21 11 5.53 27

합계 6.16(.83) 5.88(.91)

Page 15: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직무분석과 IPA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215

직무영역유치원 M(SD) 어린이집M(SD)

중요도 수행도 중요도 수행도연간운영방안 수립하기(1.1) 5.94(1.24) 5.76(1.18) 6.38(.94) 6.14(.99)

교육계획안 수립하기(1.2) 6.05(1.19) 5.88(1.17) 6.41(.92) 6.26(.91)

연간 행사 계획하기(1.3) 5.99(1.17) 5.77(1.21) 6.17(1.27) 6.03(1.11)

교수학습활동 계획하기(2.1) 6.08(1.20) 5.78(1.15) 6.31(.90) 6.02(.99)

교수학습활동 실행하기(2.2) 6.07(1.19) 5.76(1.14) 6.36(.87) 5.96(.97)

교수학습활동 평가하기(2.3) 5.92(1.34) 5.60(1.27) 6.27(.93) 5.95(1.01)

교실환경 구성하기(3.1) 5.84(1.21) 5.75(1.17) 6.06(1.24) 5.84(1.15)

실내외 환경 구성하기(3.2) 5.69(1.20) 5.56(1.20) 6.04(1.17) 5.84(1.11)

시설·설비·비품 관리하기(3.3) 5.72(1.21) 5.59(1.20) 5.92(1.27) 5.69(1.19)

활동자료 관리하기(3.4) 5.83(1.19) 5.59(1.19) 6.09(1.07) 5.70(1.09)

영유아 발달 이해하기(4.1) 6.34(1.12) 6.00(1.11) 6.82(.49) 6.46(.79)

기본생활습관 지도하기(4.2) 6.43(1.12) 6.17(1.06) 6.65(.66) 6.45(.78)

영유아인성 지도하기(4.3) 6.46(1.05) 6.13(1.10) 6.77(.58) 6.44(.86)

영유아 관찰하기(4.4) 6.35(1.12) 6.07(1.06) 6.68(.62) 6.44(.78)

영유아 상담하기(4.5) 6.32(1.10) 6.01(1.15) 6.54(.78) 6.28(.99)

특수아 이해하기(4.6) 6.09(1.19) 5.53(1.31) 6.51(.99) 5.82(1.47)

영유아 건강지도하기(5.1) 6.23(1.06) 6.01(1.15) 6.57(.70) 6.27(.98)

영유아 안전지도하기(5.2) 6.47(1.03) 6.23(1.09) 6.76(.57) 6.56(.69)

영유아 영양지도하기(5.3) 6.16(1.12) 5.93(1.18) 6.51(.86) 6.26(1.03)

인사(원아) 관리하기6.1) 5.87(1.33) 5.60(1.43) 6.22(1.13) 5.91(1.37)

표 8에 의하면, 유아교사의 직무 중 영유아발달 이해하기, 기본생활습관 지도하기, 인성지

도하기, 관찰하기, 상담하기 등의 영유아 이해 및 생활지도·상담영역의 직무와 영유아 건강지

도하기, 안전지도하기, 영양지도하기와 같은 영양·안전·건강지도 영역, 그리고 부모상담하기

직무에서 중요도 인식과 수행수준이 높게 나타난 반면 시설·설비·비품관리하기, 활동자료 관

리하기 등 일부 기관 환경구성의 직무, 가족·지역사회·교사 협력하기 직무 중 교사 협력하기,

지역사회 협력하기와 같은 직무, 교사연수 참여하기, 수업장학하기, 멘토링하기, 인성 함양하

기와 같은 인성 및 전문성 신장 관련 직무들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수행수준이 낮게 나타났

다. 유아교사의 직무 중 중요도 인식이 가장 높은 것은 영유아 인성지도와 안전지도이며 가

장 낮은 것은 행정관리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직무의 수행도가 가장 높은 것은 영유아 안전

지도와 기본생활습관지도이며 가장 낮은 수행을 보인 직무는 멘토링하기와 수업장학으로 나

타났다. 기관운영방침과 교육계획수립 관련 직무들과 교수학습활동 실제 관련 직무들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수행수준은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다음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로 구분하여 31개 하위직무별 중요도와 수행도를 살펴본

결과이다.

<표 9> 하위 직무별 중요도, 수행도에 대한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N=275)

Page 16: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21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행정 관리하기(6.2) 5.72(1.34) 5.48(1.44) 5.87(1.41) 5.55(1.54)

학급 관리하기(6.3) 6.09(1.28) 5.84(1.38) 6.21(1.17) 6.05(1.20)

부모 상담하기(7.1) 6.33(1.09) 6.07(1.19) 6.46(.93) 6.29(1.02)

부모 교육하기(7.2) 6.07(1.18) 5.68(1.25) 6.35(.93) 5.82(1.18)

교사 협력하기(7.3) 5.87(1.24) 5.63(1.29) 6.02(1.14) 5.72(1.24)

지역사회 협력하기(7.4) 5.74(1.21) 5.41(1.27) 6.07(1.09) 5.67(1.22)

교사연수 참여하기(8.1) 5.77(1.27) 5.60(1.39) 6.14(1.00) 5.69(1.50)

수업 장학하기(8.2) 5.74(1.34) 5.50(1.36) 5.91(1.16) 5.42(1.58)

멘토링 하기(8.3) 5.82(1.26) 5.42(1.32) 5.88(1.15) 5.34(1.51)

인성 함양하기(8.4) 5.80(1.21) 5.60(1.23) 6.08(1.06) 5.50(1.46)

자기계발하기(8.5) 6.09(1.39) 5.58(1.33) 6.35(1.01) 5.48(1.62)

합계 6.04(.95) 5.82(.98) 6.30(.62) 5.96(.72)

표 9에 의하면,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로 구분하여 직무 전체에 대한 하위직무별 중요도

와 수행도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이 모든 직무에 걸쳐 대부분 높게 나타났다.

유치원의 경우, 직무의 중요도에서는 안전지도, 영유아 인성지도, 기본생활습관 지도에서 높

은 점수를 보인 반면 실내외 환경 구성, 시설·설비·비품관리, 행정관리에서 다소 낮은 점수를

보였다. 직무의 수행도에서도 안전지도, 기본생활습관지도, 영유아 인성지도에서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지역사회협력, 멘토링하기에서 다소 낮은 수행수준을 보였다. 어린이집의 경우, 직

무의 중요도에서는 영유아 발달이해, 영유아 인성지도, 안전지도에서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멘토링하기, 수업 장학에서 다소 낮은 점수를 보였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모두 영유아

이해 및 생활지도·상담영역의 직무, 건강·안전·영양 지도영역의 직무, 부모상담 직무에서 중

요도 인식과 수행수준이 높은 반면 인성 및 전문성 신장 영역의 직무, 교사협력과 지역사회

협력 직무, 기관 환경구성 영역의 일부 직무인 시설·설비·비품관리, 활동자료 관리에서 낮은

중요도 인식과 수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 IPA 기법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직무분석

1) 유아교사의 전반적인 직무에 대한 IPA(중요도-수행도 차이) 분석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직무 각 부분이 어느 정도 중요하고, 이에 부응하는 수행도는

어느 정도 되는지 그 현상을 파악하고자 다음과 같은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X

축을 수행도(Performance), Y축을 중요도(Importance) 점수로 하여 격자도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2는 유아교사 직무에 대한 전체 문항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평균값을 IPA

격자도로 표시로 한 것이다. 표 10은 그림 2의 특성을 요약한 것이다.

Page 17: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직무분석과 IPA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217

[그림 2] 유아교사의 직무별 중요도(M=6.16) - 수행도(M=5.88) 분석

<표 10> 유아교사의 하위직무별 IPA 분석결과

영역 하위직무 하위직무 영역

집중관리

영역

(2분면)

2. 교수학습활동

7. 기관 및 학급 운영관리

1. 기관 운영방침 및 교육계획 수립

4. 영유아 이해 및 생활지도·상담

5. 영유아 건강·안전·영양

강화유지

영역

(1분면)

저 순위

영역

(3분면)

3. 기관 환경구성

6. 가족·지역사회·교사 협력

8. 인성 및 전문성 신장

과잉

영역

(4분면)

표 10을 보면, 분석결과 1사분면(지속유지 영역)에 3개, 2사분면(집중관리 영역)에 2개, 3사

분면(우선 순위가 낮은 항목)에 3개의 직무가 위치하였다. 제1사분면에 위치한 변수들은 기

관 운영방침 및 교육계획 수립, 영유아 이해 및 생활지도·상담, 건강·안전·영양의 항목들로

분석되었다. 제2사분면에 위치한 변수는 유아교사의 직무부문에 대해 매우 중요한 업무로 인

식되지만 잘 수행되고 있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교수학습활동, 기관 및 학급 운영관리로

나타났다. 제3사분면에 위치한 변수들은 유아교사의 직무부문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가 낮

게 나타나는 항목들로 기관 환경구성, 가족·지역사회·교사 협력, 인성 및 전문성 신장 항목들

로 분석되었다. 제4사분면에 위치한 변수는 유아교사의 직무부문에 대해 낮은 중요도에 비해

높은 수행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개선하지 않아도 지속적인 실행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

는 항목들로 본 연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Page 18: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21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영역 하위직무 하위직무 영역

집중

관리

영역

(2분면)

16. 특수아이해하기(4.6)

24. 부모교육하기(7.2)

31. 자기계발하기(8.5)

2. 교육계획안 수립하기(1.2)

4. 교수학습활동 계획하기(2.1)

5. 교수학습활동 수행하기(2.2)

11. 영유아 발달 이해하기((4.1)

12. 기본생활습관지도하기(4.2)

13. 영유아 인성지도하기(4.3)

14. 영유아 관찰하기(4.4)

15. 영유아 상담하기(4.5)

17. 영유아 건강지도하기(5.1)

18. 영유아 안전지도하기(5.2)

19. 영유아 영양지도하기(5.3)

23. 부모 상담하기(7.1)

강화

유지

영역

(1분면)

저 순위

영역

(3분면)

6. 교수학습활동 평가하기(2.3)

7. 교실환경 구성하기(3.1)

8. 실내외 환경 구성하기(3.2)

1. 연간운영방안 수립하기(1.1)

3. 연간행사계획 수립하기(1.3)

22. 학급 관리하기(6.3)

과잉

영역

(4분면)

2) 유아교사의 하위직무별 IPA(중요도- 수행도 차이) 분석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31개 하위직무별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IPA 분석을 실시하였

다. 표 11은 그림 3의 특성을 요약한 것이다. 분석결과 1사분면(지속유지 영역)에 12개, 2사분

면(집중관리 영역)에 3개, 3사분면(우선순위 낮은 영역)에 13개, 4사분면(과잉 영역)에 3개의

직무가 위치하였다.

[그림 3] 유아교사의 직무별 중요도(M=6.16) - 수행도(M=5.88) 분석

<표 11> 유아교사의 하위직무별 IPA 분석결과

Page 19: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직무분석과 IPA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219

9. 시설·설비·비품 관리하기(3.3)

10. 활동자료 관리하기(3.4)

20. 인사(원아) 관리하기(6.1)

21. 행정 관리하기(6.2)

25. 교사 협력하기(7.3)

26. 지역사회 협력하기(7.4)

27. 교사연수 참여하기(8.1)

28. 수업 장학하기(8.2)

29. 멘토링 하기(8.3)

30. 인성함양하기(8.4)

표 11에 의하면, 제1사분면에 위치한 변수들은 교육계획안 수립하기, 교수학습활동 계획하

기, 교수학습활동 수행하기, 영유아발달 이해하기, 기본생활습관 지도하기, 영유아 인성지도

하기, 영유아 관찰하기, 영유아 상담하기, 영유아 건강지도하기, 영유아 안전지도하기, 영유아

영양지도하기, 부모 상담하기 항목들로 분석되었다. 이 항목들은 유아교사의 직무부문에 있

어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고 수행도 또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2사분면에 위치한 변수

는 유아교사의 직무부문에 대한 높은 중요성 인식에 비해 낮은 수행도를 보이는 것으로 특수

아이해하기, 부모교육하기, 자기계발하기가 해당되었다.

제3사분면에 위치한 변수들은 유아교사의 직무부문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가 낮게 나타

나는 항목들이다. 교수학습활동 평가하기, 교실환경 구성하기, 실내외 환경 구성하기, 시설·설

비·비품관리하기, 활동자료 관리하기, 인사(원아) 관리하기, 행정 관리하기, 교사 협력하기, 지

역사회 협력하기, 교사연수 참여하기, 수업 장학하기, 멘토링하기, 인성함양 관련 경험구축하

기 항목들로 분석되었다. 제4사분면에 위치한 변수는 유아교사의 직무부문에 대한 낮은 중요

도에 비해 높은 수행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간 운영방안 수립하기, 연간 행

사계획 수립하기, 학급 관리하기로 나타났다.

Ⅳ. 논 의

본 연구에서 연구문제의 검증을 통해 밝혀진 결과들을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문헌분석과 전문가와의 협

의를 통해 도출된 유아교사의 직무는 8개 영역, 31개 항목이었다. 이에 대해 현직교사를 대상

으로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알아본 결과, 유아교사의 직무에 대한 중요도 인식(M=6.16)

은 수행도(M=5.88)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선행연구(김은영, 2006; 김은영, 조혜주,

Page 20: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22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2013; 허수연, 2014)의 결과와 유사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들이 직무의 중요성 인식에

비해 실제 직무를 수행하는 실행정도는 다소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유아교사의 직무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제 적용의 실천 측면의 괴리가 있음을 보여주는데, 유아교사들로 하여

금 직무에 대한 단순한 이해의 차원을 넘어 적극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할 필요

가 있다. 그러나 직무영역별 중요도와 수행도가 평균 4점보다 높은 점을 감안할 때 모든 직

무영역들을 대체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들 직무들도 비교적 높게 수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직무의 중요도에서는 영유아 이해 및 생활지도·상담, 건강·안전·영양지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교수학습활동, 기관운영방침 및 교육계획수립 관련 업무였다. 직무의 수행도

역시 다른 직무에 비해 영유아 이해 및 생활지도·상담, 건강·안전·영양 지도 관련 직무가 가

장 높게 나타난 반면 인성 및 전문성 신장, 기관 환경구성 직무의 수행은 다소 낮게 나타났

다. 전반적으로는 직무의 중요도가 높을수록 수행도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들

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영유아 보호와 관련된 업무가 더 중요시되고 있는 사회적 상황

과 유아교사의 주된 직무 영역이 가르침과 돌봄인 점(강문숙, 2008; 김은영, 조혜주, 2013; 정

선아, 조대연, 2013), 또한 영유아 이해 및 생활지도·상담은 일정한 시간이 아닌 유치원, 어린

이집 생활 전반에 걸쳐 수행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이와 관련된 직무의 중요도 및 수행도

가 높게 나타남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 구분하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살펴보면, 대체로 본 연구에서

는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직무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인식 차이

는 보이나 두 집단 모두 중요도와 수행도에 있어 평균 5점 이상으로 나타난 점과 전혀 수행

되지 않는 직무가 없는 점을 고려할 때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가 많이 다르지 않음

을 시사하며, 특히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이 많이 달라졌음을 보여준다. 또한 유

치원과 어린이집 모두 영유아 이해 및 생활지도·상담, 건강·안전·영양 지도, 기관운영방침 및

교육계획 수립, 교수학습활동 순으로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가 높게 나타난 점을 고려할 때

이전의 연구들과는 차별적인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통적으로 교육관련 부분에서

는 유치원 교사의 인식이 높고, 보호관련 업무에서는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이 높다는 기존의

통념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두 유아보호 관련 직무, 교육계획 관련 직

무 순으로 유사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성 및 전문성 신장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누리과정의 운영, 공보육의 확대 등으로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역할과 직무

가 유사해진 결과이며, 아동학대 및 영유아의 안전사고와 같은 사회적 쟁점이 부각되면서 보

Page 21: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직무분석과 IPA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221

호 관련 업무의 비중이 점점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가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는 일부연구(김은영, 2013; 정선아, 조대연, 2013; 허수연, 2014)에서 제기되

었던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기능 및 교사의 역할과 직무가 유사해진다는 결과를 지지하는 것

이며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가장 핵심적인 직무는 영유아 보호관련 직무와 교육 및 교수

학습활동 직무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양성과정에서 이와 관련 직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과 이에 적합한 교육과정 교과목의 개발, 편성 및 운영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유아교사의 직무에 있어 하위직무별로 그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한 결과 또한 전체

직무분석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31개 직무 중 안전지도와 인성지도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였고, 행정관리가 가장 낮게 나타냈다. 수행도에서는 31개의 직무 중 안전지도에

서 가장 높은 수행도가 나타났고, 멘토링하기에서 가장 낮은 수행을 보였다. 대체로 직무의

중요도가 높을수록 수행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전반적으론 영유아 이해 및 생활지

도·상담, 건강·안전·영양지도, 부모 상담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가 높았으며, 교육관련 직무

들은 중간 정도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보였다. 다소 낮은 중요도와 수행도를 보인 직무들은

주로 교사연수참여, 수업장학, 멘토링, 인성함양과 같은 인성 및 전문성 신장, 그리고 교사협

력 및 지역사회 협력, 시설·설비·비품 관리, 활동자료 관리, 행정관리로 나타났다. 특히 인성

및 전문성 신장과 관련하여 교육기본법, 유아교육법, 영유아보육법에 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명시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하위직무들 모두 낮은 중요도와 수행도를 보인 점

을 고려할 때 이들 직무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며 현장에서 이를 위한 연수나 장학, 멘토

링 등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나 여건 등을 제공하는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하며, 또

한 양성과정에서부터 교사의 성장과 관련된 내용을 집중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

방법 또한 재고의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

유치원와 어린이집으로 구분하여 하위직무별 중요도와 수행도를 살펴보았을 때, 어린이

집 교사의 인식이 대부분 높게 나타났으나,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두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론 유아교사의 전반적인 직무분석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 제반에 대한 IPA 분석 결과, 높은 중요도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이

는 직무(2사분면)로는 교수학습활동, 기관 및 학급 운영관리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중

요한 직무로 인식됨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수행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본 연구에서는

교수학습활동 계획, 실행, 평가가 포함되는 교수학습활동 실제나 원아관리, 학급관리, 사무 및

공문서 등의 행정관리를 포함하는 기관 및 학급운영관리로 지적된다. 이는 이러한 직무의 성

격상 단기적으로 숙달되기 어려운 직무유형으로 양성과정의 전 학년에 걸쳐 지속적인 교육

Page 22: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22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직무로는 기관운영방침 및 교육계획수립, 영유아 이해 및 생

활지도·상담, 영유아 건강·안전·영양 지도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가 유지

강화되어야 할 직무로 양성과정에서부터 예비교사들이 이러한 직무를 인식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개설 및 교육현장에서의 지속적인 재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중요도는 낮으나 수행도는 높은 직무로는 본 연구에서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유아교사의

직무 중 비효율적으로 수행되어지는 직무가 없다고 해석할 수 있다. 중요도, 수행도가 모두

낮게 나타난 직무(3사분면)로는 기관 환경구성, 가족·지역사회·교사 협력, 인성 및 전문성 신

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1, 2사분면의 직무뿐만 아니라 중요성 인식과 수행이

낮은 3사분면에 속한 직무들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전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전체 31개의 직무들을 대상으로 IPA분석을 한 결과,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직무로

는 교육계획안 수립, 교수학습활동 계획, 교수학습활동 실행, 영유아발달 이해, 기본생활습관

지도, 영유아 인성지도, 영유아 관찰하기, 영유아 상담하기, 영유아 건강지도하기, 영유아 안

전지도하기, 부모상담하기로 나타났다. 주로 영유아 이해 및 생활지도·상담 관련 직무, 건강·

안전지도 직무, 교수학습활동 관련 직무들이 이에 속하는 것으로 이러한 직무역량을 유지 강

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운영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중요도는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직무로는 특수아 이해하기, 부모교육하기, 자기계발하기가

속하였으며,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낮은 직무로는 교수학습활동 평가, 교실환경구성, 실내

외 환경 구성, 시설·설비·비품 관리, 활동자료 관리, 인사(원아)관리, 행정관리, 교사 협력, 지

역사회 협력, 교사연수 참여, 멘토링하기, 인성함양으로 나타났는데 주로 기관 환경구성 관련

직무, 기관 및 학급 운영관리 관련 직무, 가족·지역사회·교사 협력 관련 직무, 인성 및 전문성

신장 관련 직무로 나타났다. 중요도는 낮으나 수행도는 높은 직무 즉 과잉 노력을 지양해야

하는 직무는 연간 운영방안 수립, 연간 행사계획 수립, 학급관리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러한

직무수행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부족함을 보여준다. 유치원 교사

들의 행사관련 업무의 수행빈도가 높다는 선행연구(김은영, 2013)을 뒷받침하는 결과라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분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교사양성기관에서 교육과정을 운영할 때 특히 1사

분면과 2사분면에 속한 직무들에 대해 우선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이와 관련된 직무역량을 함

양시키는 교수방안이나 관련 교과목의 개설 및 배치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직무의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이 부족한 직무인 특수아 이해, 부모교육, 자기계발은 유치

원 및 보육 현장에서 이러한 역량들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므로 이와 같은

Page 23: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직무분석과 IPA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223

직무들에 대한 개선의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 교사들이 학부모 관련 업무를 어려워한다는

결과(고선아, 2008; 김숙희, 2003; 김은영, 2006; 김은영, 조혜주, 2013; 이현경, 2000), 전문성

신장을 위한 기회나 시간의 부족으로 이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가 낮다는 결과(김은영,

2013; 윤영옥, 2003)와 유사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직무들은 현장과의 연계성 속에서 개선될

필요가 있는데, 특수아 이해나 부모관련 업무, 자기계발 관련 내용들은 교사양성과정에서 이

와 관련된 단순한 지식의 축적이 아닌 현장의 다양성 속에서 발생하는 교육 실제를 제공하고

실제적 상황에서 요구되는 직무역량을 경험해 보는 기회를 제공하고 관련 내용을 체계적이

고 집중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영유아교육의 질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유아교사

들의 중요성에 비례하여 교사 전 생애를 통해 자신의 전문성을 계발해 가야하는 당위성에 대

한 집중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이상의 결과를 통해 현장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

고 그 수행수준도 가장 높은 직무를 중심으로 예비교사단계에서부터 이러한 직무역량을 함

양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양성교육과정의 내용과 방법을 검토·조정해야 할

것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무내용을 밝히고 이에 대한 중요도, 수행도를 살펴보는데 집중하였

기에 집단별, 변인별 차이나 요구도 차이는 살펴보지는 않았다. 향후 집단별, 경력이나 기관

별 등 다양한 변인에 따른 차이검증이나 직무역량에 대한 요구도, 교육과정에의 기여도 등을

후속연구로 진행한다면 보다 현장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 발전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으로 판단된다. 둘째, 유아교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반영한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져

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의 직무에 대한 분석과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교직실무편람

에 제시된 자격관련 교과목, 유아교육법, 영유아보육법에 명시되는 교사의 역할 및 직무, 지

역사회의 현황분석 등을 통해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현장중심 교육과정을 어떻게 개발·운영시

켜야 될지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직무분석을 토대로 강화유지, 집중 관리해야 하는 직무, 그

리고 인식의 제고가 필요한 직무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직무를 토대로 이러한 직무와

관련된 교과목 개설 및 배치, 교수방안, 교육과정 운영결과에 대한 논의 및 피드백, 졸업생 역

량에 대한 점검 등을 통해 실무중심의 전문가 역할 강화가 뒷받침되는 교육과정의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age 24: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22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참고문헌

강문숙(2008).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내용분석 및 인식조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선아(2008).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가 학부모관계에서 겪는 어려움과 보람에 관한 이

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현정(2004). 공·사립 유치원 초임교사가 지각한 교사의 역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교육부(2013).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및 활용 계획 확정. 교육부 인재직무능력정책과.

(2014). 전문대학 육성사업 시행계획.

김영회, 송승민(2010). 공립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과 교사효능감

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5(6), 1-24.

김성국, 신수영(2004). 국가직업능력표준 개발 사례 연구- 작업분석 및 역량분석을 중심으로. 경영

논총, 22(1), 1-19.

김숙희(2003).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의 현장문제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영(2006). 유치원 교사의 직무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및 수행여부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0(2), 121-145.

김은영, 조혜주(2013).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 수행빈도, 중요도, 난이도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 7(2), 215-244.

김준희, 구본길, 오왕규(2013). 서울 경기지역 외식조리 전공 대학생의 중요 대학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IPA) 분석.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6(4), 967-974.

김진영, 이진욱(2015). 영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1),

349-371.

나승일, 김주섭, 김주일, 정연양, 구자길, 김강호, 문세연(2007). 국가직업능력표준 실용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1), 191-215.

박민정(2008).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육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6(4), 173-197.

박주호, 유기웅(2014).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만족도 및 교육과정 개선 요구에 관한 요구. 교

양교육연구, 8(2), 43-82.

변경숙, 조영대, 김창섭(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포항대학

교 외식호텔조리산업계열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30(3), 125-150.

백종면, 박양근(2012). 대학교육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 촉진 방안 연구, 대한경영학

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2012(11), 45-62.

Page 25: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직무분석과 IPA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225

민부자, 조호제(2010). 수석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의 중요도 및 수행도 차이분석. 교육과정연구,

28(4), 103-133.

신경희, 신원섭, 김현식, 연평식, 정성호, 이효은(2011). Delphi와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적용한 산

림치유 직무교육과정 개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5(4), 105-117.

안인원(2014). 유치원초임교사가 겪는 어려움 분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현미(2009). 초임보육교사 지원에 대한 인식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영옥(2003).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수준과 교직전문성 발달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가은(2015). 초등교원 직무분석을 토대로 한 초등교원 양성교육과정 개선방안.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병화, 김수현(2013). 전문대학 졸업생 역량분석을 통한 전문대학 교육과정 방향성 제고. 한국산

학기술학회지, 14(11), 5448-5454.

이성호(2004). 교육과정 개발의 원리. 서울: 학지사

이정화(2007). 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지영(2000). 유치원 초임교사의 지원 요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경(2000). 유치원 초임교사가 교직 수행 시 직면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수도권 사립유치원

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5(2), 185-204.

임옥경(2014). 유치원교사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장주혜(2008).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 어려움과 소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선아, 조대연(2013). 유아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유아교육연구, 33(1), 299-321.

허수연(2014).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인식 비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Martilla, J. A., & James, J. C.(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13-17.

Rothwell, W. J., & Graber, J. M.(2012). Competency-based training basics. Danvers, MA:

ASTD Press.

Voorhees, R. A.(2001). Competency-based learning models: A necessary future. In R. A.

Voorhees (Ed). Measuring what matters: Competency-based learning models in higher

education (pp. 5-13). San Francisco, CA: Jossey-Bass.

Wiek, A., Withycombe, L., & Redman, C. L.(2011).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A

reference framework for academic program development. Sustainability Science, 6(2),

203-218.

Page 26: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직무분석과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안에 관한

22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Abstract

A study on improvement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using job analysis of teacher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Yeon Sook Song · Soo Kyung Yo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job areas on fiel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was to get improvement on curriculum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

Consequently, 275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the Ulsan area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urvey creat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consultation with professionals.

To measure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an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questionnaires(Song,

Yoo, 2016)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conducting this study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frequencies, averages, standard deviations, and Cronbach’s alpha with SPSS 18.0. In

addition, the jobs were classified and positioned in four dimensional grids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cop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uties can be

subdivided into eight categories and 31 detailed views of the categorized tasks; the importance

perception of the job appeared higher than the performance perception, but the importance

performance was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 Tasks related to protection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those related to education. Second, IPA results showed tasks with higher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d those with higher importance but lower performance. Based on this,

strengthening and intensive care jobs could be identified and could provide meaningful discussion

on curriculum improv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