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157 연구논문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 연구 -쟝루 펠리시올리 작품을 중심으로 Ⅰ. 서론 1. 연구목적 포스트모더니즘은 근대의 사상체계인 모더니즘의 쇠락을 통해 20세기 중반부터 대두 된 탈 근대화 현상으로 절대적 객관과 규격화된 진리의 원칙을 부정하고 연속보다는 단 절에서 오는 다원성과 상대성에 중점을 두는 사상체계이다. 그것의 기본 원리인 해체와 변용의 정신은 그동안 우리가 무비판적으로 수용해 온 기존의 합리주의적 가치를 재점 검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우리는 사회 전반에 나타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현상 의 원인과 영향력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 우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각종 생활 양식과 문화에 관심을 두고 그 저변에 깔려 있는 개혁의 원인을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시 말해 사회의 특성과 현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재 포스트모더니즘이 문화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현대사회는 기술매체의 발전으로 매스미디어의 보급이 용이해짐에 따라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성장된 정보들이 빠르게 전파되면서 고급문화와 저급문화를 구분 짓던 모더니 즘적 분류의 한계점이 드러났다. 현대의 사회·문화적 현상을 반영하는 척도로서의 대 중문화는 비판적이고 리얼리즘적 성격을 띠며 포스트모더니즘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 세종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박사과정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57 MAC54 2400DPI 175LPI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157

연연구구논논문문

포포스스트트모모더더니니즘즘 애애니니메메이이션션 연연구구

--쟝쟝루루 펠펠리리시시올올리리 작작품품을을 중중심심으으로로

ⅠⅠ.. 서서론론

11.. 연연구구목목적적

포스트모더니즘은 근대의 사상체계인 모더니즘의 쇠락을 통해 20세기 중반부터 대두

된 탈 근대화 현상으로 절대적 객관과 규격화된 진리의 원칙을 부정하고 연속보다는 단

절에서 오는 다원성과 상대성에 중점을 두는 사상체계이다. 그것의 기본 원리인 해체와

변용의 정신은 그동안 우리가 무비판적으로 수용해 온 기존의 합리주의적 가치를 재점

검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우리는 사회 전반에 나타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현상

의 원인과 영향력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 우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각종 생활

양식과 문화에 관심을 두고 그 저변에 깔려 있는 개혁의 원인을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시 말해 사회의 특성과 현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재 포스트모더니즘이

문화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현대사회는 기술매체의 발전으로 매스미디어의 보급이 용이해짐에 따라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성장된 정보들이 빠르게 전파되면서 고급문화와 저급문화를 구분 짓던 모더니

즘적 분류의 한계점이 드러났다. 현대의 사회·문화적 현상을 반영하는 척도로서의 대

중문화는 비판적이고 리얼리즘적 성격을 띠며 포스트모더니즘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

이 혜 원

세종대학교애니메이션학과박사과정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57 MAC54 2400DPI 175LPI

Page 2: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는데, 현대사회에서 대중의 사고에 가장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체를 영상미디어라

볼 수 있으며 애니메이션은 이런 미디어들 중에서도 대중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

는 장르라 할 수 있다.

전형적인 대중문화인 애니메이션은 표현이 자유롭고 재현에 한계가 없다는 점에서 포

스트모던한 특성이 잘 반영된다고 볼 수 있다. 주로 흥미를 유발하고 대중성을 확보해야

하는 상업 애니메이션의 경우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이 선별적이고 단편적으로 나타나

고 있으며 실험성이 가미된 독립 애니메이션의 경우에는 해체와 변형이라는 포스트모더

니즘의 기본 정신이 전반적인 메시지로 등장한다. 특히 단편 애니메이션은 제작 기간이

짧고 흥행에 좌지우지 되지 않는 특성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가의 개성이 창의적으로 표

현되는데 기존의 구조주의적 방식에서 벗어나는 열린 결말의 서술형식이나, 명확한 의

도나 의미를 드러내지 않는 파편화된 이미지들의 나열은 작가와 관객 사이의 일방적 커

뮤니케이션 방식을 깨고 상호작용을 통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이렇

게 애니메이션 속에서 반영된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들은 그것이 만들어지는 문화적 배

경이나 작가의 의도와 어우러지면서 한 나라의 고유한 특색, 정신, 사회·문화적 가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사회 전반적인 현상을 살피는 데도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발생 배경과 특성들의 이론적 근거를 요약해보고 이것을

바탕으로 실험적이고 작가주의 성격이 다분한 유럽 단편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작품에

서 나타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들을 통해 애니메이션이 문화의 지배적인 담론과 현

상들을 어떤 방식과 표현으로 전달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2.. 연연구구문문제제 및및 방방법법

포스트모더니즘을 반영하는 대중문화로서 애니메이션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포스트

모더니즘의 이론을 고찰해 보고 이 특징들을 기반으로 유럽 애니메이션의 성장과정과

특성들을 연관시켜 살펴보고자 한다. 선행되었던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 연구들을

살펴보고 앞장에서 마련된 이론을 토대로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의 분석틀을 마련

하여 프랑스 폴리마주의 애니메이션 감독인 쟝루 펠리시올리 작품에서 나타나는 특성들

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첫째, 쟝루 펠리시올리 작품에 나타나는 포스트모더니

즘 표현유형을 살펴보고자 함에 있고 둘째, 쟝루 펠리시올리 작품에 나타난 포스트모더

니즘의 특성들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개혁을 중심으로 하는 사조

영상기술연구158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58 MAC54 2400DPI 175LPI

Page 3: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인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들을 바탕으로 사회현상의 흐름과 문제점들을 애니메이션이

어떻게 드러내고 비판하고 있는지 알아본다.

ⅡⅡ.. 포포스스트트모모더더니니즘즘의의 이이론론적적 배배경경

11.. 모모더더니니즘즘과과 포포스스트트모모더더니니즘즘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시작의 근간이 되었던 모더니즘과의 관계를

파악해야 한다. 모더니즘은 근대사회와 당대를‘새로운 시대’로 여기는 자의식 속에 성

립되었으며, 이성적인 주체와 그 주체의 인식에 의해 재현될 수 있는 실재, 그리고 그 실

재를 구성하는 본질적 법칙의 합목적인 진보성에 대한 신념으로 특징지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합리화 과정은 도덕적 가치판단의 기준을 무시한 맹목적인 이성의 추구로 이어

졌고 포스트모더니즘은 이런 절대화 과정이 자기소외를 야기할 수 있다며 비판적 반성

을 통해 인간의 한계를 인정하고 새롭게 정립하고자 한다. 이렇게 기존 사상에 대한 비

판인식의 수단으로 시작된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견해는 모더니즘과의 관계를 통해 다

양한 시각으로 비쳐지고 있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이자 비판이론가인 위르겐 하버마스(J. Habermas)는 10세기 계몽

주의와 합리주의의 완성되지 못한 작업의 결과물로‘모던’을 정의 내리고 이 합리주의

적 프로젝트를 거부하는 음모로서 포스트모더니즘을 바라보았다. 마르크스주의 문학이

론가인 프레드릭 제임슨(F. Jameson)은 어네스트 만델(Ernest Mandel)의 이론을 바

탕으로 자본주의의 발전단계를 3단계로 나누어 20세기 전반부를 모더니즘과 연결시키

고 후반부를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와 연결시켰다. 그들의 이러한 관점은 포스트모더니즘

의 독자적 의미를 받아들이지 않으며, 그저 모더니즘에 의해 파생되거나 발생한 사조라

고 치부할 뿐이다. 이에 반해 영국의 마르크스주의자인 페리 앤더슨(P. Anderson)과

미국의 우파 사회학자인 다니엘 벨(D. Bell)은‘모던’과‘포스트모던’이 궁극적으로 같

은 용어라 판단했는데, 후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이 기존의 모더니즘 내에 이미 내재

되어 있던 반사회규범적인 요소들을 중점에 두고 순환적인 운동의 일환으로 출연했다

파악하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을 독자적인 입장으로 바라보는 견해를 살펴보면 미국의 문학평론가

이자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창자 레슬리 피들러(Leslie A. Fiedler)를 살펴볼 수 있는데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 연구 159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59 MAC54 2400DPI 175LPI

Page 4: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그는 사회에서‘모던’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문학이 사망하고 포스트모더니즘이 기존

의 사회적 인식과 예술의 경향과는 뚜렷이 구분되는 고유한 존재임을 밝혀준다고 보았

다.

마지막으로 절충적 입장을 살펴보면 벨쉬(Wolfgang Welsch)는 포스트모더니즘을

현사회와 예술의 맥락으로 새롭게 파악함으로써 모더니즘의 기본 논리를 계승하여 발전

시키고 그 안의 한계와 모순을 탈피함으로써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사조라고 인식하

였다. 이합 핫산(J. Hassen) 역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절충적인 입장을 보이

면서 그의 논문“Toward a concept of postmodernism”을 통해 모더니즘과 포스트모

더니즘의 기본적인 차이점을 도식화 시켰다. 앞서 말한 다원성과 상대성을 기본 정신으

로 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빌어 보았을 때 절충적인 접근방식은 포스트모더니즘

을 적절하게 읽어내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즉 모더니즘의 연속된 뿌리이자 한계점을

절충시키는 새로운 단계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로 포스트모더니즘인 것이다.

22.. 포포스스트트모모더더니니즘즘의의 이이론론적적 고고찰찰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용어는 문자 그대로‘포스트(Post)’라는 접두어와 ’모더니즘

(Modernism)’이라는 단어가 결합되어 생긴 말로‘모더니즘 다음에 오는 현상’을 뜻한

다. 접두어로 쓰인‘포스트’라는 말은‘이후’또는‘탈(脫), 반(反)’을 의미하며 상투적

인 것에 대한 끊임없는 투쟁과 아방가르드의‘연속적인 혁명’을 의미하는데, 이는‘후기

현대’, ‘탈현대’의 특성을 갖기도 하며‘해체주의’, ‘후기 구조주의’, 혹은‘탈구조주

의’, ‘포스트구조주의’등의 다양한 언어로 활용되면서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보여

주고 있다.

이 용어는 1930년대 스페인 작가 페데리코 데 오니스(Federico de Onis)에 의해 현

대주의에 대한 반작용의 의미로서 처음 도입되었고 이를 이어 1942년에는 더들리 피츠

(D. Fits)가 미국의 몇몇 소설가들의 경향을 포스트모던이라 부르면서 모더니즘에 반발

의미로 처음 사용되었다. 그 후 1950년대 말과 1960년대 초에는 문학 비평계에 포스트

모더니즘의 특성이 대두되면서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널리 쓰이기 시작하였다. 이

합 핫산은 모더니즘의 기술만능, 비인간화 등을 비판하고 반권위적, 무정부주의적 포스

트모더니즘 문학을 주장하였다. 레슬러 피들러 역시 특정 계급을 위한 예술의 고급화를

모더니즘의 병폐라 보고 탈백인, 탈남성, 탈인문주의 등의 포스트 시대를 주장하였다.

영상기술연구160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60 MAC54 2400DPI 175LPI

Page 5: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그리하여 1970년대 초부터 모더니즘의 자기 비판적 자아도취적 형식미학에 식상, 그것

에서 이탈하려는 일련의 변화의 동향들이 포스트모더니즘이라 정의1)되었으며 이런 포

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은 문화적 현상과 포스트모던예술을 광범위하게 해석하는 데 사용

되었다. 1970년대에 들어서는 건축분야에서도 찰스 쟁크스(Charles Jencks)와 로버트

벤츄리(Robert Venturi) 등에 의해 포스트모더니즘이 도입되었는데 이론뿐 아니라 실

질적 외형에 있어서도 단순화에서 다양성으로 바뀌는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포스트모더

니즘에 관한 이해를 도왔다.

1970년대 중반부터 미술과 비평가들 사이에서도 모더니즘을 대체하기 위한 문화적·

지적 작업이 진행되면서 팝 아트, 개념미술, 페미니스트 미술까지 포스트모더니즘이 확

산되었다. 무용, 퍼포먼스, 영화, 텔레비전과 관련하여 본격적인 논의가 제시되면서 미

술계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지칭하던 많은 현상들이 저널리즘과 미디어를 통해 더 빠르

고 복잡하게 변형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렇게 다양한 장르에 따라 포스트모더니즘은 다양하게 개념화되어 해석되고 있으며

이는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사상적 지각변동을 드러내는 징후와 기호임에 틀림없음을

알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논쟁의 방향은 현대 삶의 반성과 모색을 통해 그 의도를 이

해하는 쪽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것이 포스트모더니즘의 사회·문화적 현상을

비판하고 이해하는 단계의 시초라 할 수 있겠다.

33.. 포포스스트트모모더더니니즘즘의의 사사회회 배배경경

포스트모더니즘의 사회 문화적 현상을 비판하기 위해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이 나타나

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그 문화적 특성을 통해 보편적인 사조의 성격을 아는 것이 중요

한데, 그 배경을 간단하게 사회, 문화, 경제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2)

첫째, 사회적 배경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 질서가 전지구화(globalization)

의 특징을 보인다. 사회를 지배하던 기존의 이데올로기가 붕괴되면서 집단정체성은 약

화되고 글로벌화 된 상호관계가 강화된다. 특정계급의 가치들이 사라지면서 탈중심화,

반(反)관료주의, 지방자치 등이 드러난다.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 연구 161

1) 이합 핫산, 「포스트모더니즘」, 정정호 역, 종로서적, 1985, p48.

2) 노진호, 「교육의 역사와 철학의 이해」, 백산출판사, 1999 참조.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61 MAC54 2400DPI 175LPI

Page 6: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둘째, 경제적 배경에서는 탈산업시대가 도래하면서 지식과 정보의 경제적 위상이 부

상되었고 다국적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비가 덕목으로 여겨지는 경제구조의 변동이 일어

났다. 표준화된 대량생산·소비의 특징에서 벗어나 소비의 질에 중점을 둔 경제 조직을

구성한다.

셋째, 20세기 문화영역은 사회 속에 내재하며 삶의 방식과 내용마저도 바꿀 수 있는

영향력을 행사한다. 억제된 감성에서 해방된 감성으로 문화의 양상을 보이면서 모더니

즘의 자기절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자기표현으로 탈바꿈되어 소유와 소비의 욕구로 변

환된다.

이렇게 포스트모더니즘이 출현하게 된 배경을 크게 사회, 경제, 문화로 나누어 살펴보

면서 포스트모더니즘이 사회변동의 차원에서 여러 복합적인 요소들에 힘입어 등장했으

며 이는 새로운 대항 이데올로기의 성격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4.. 포포스스트트모모더더니니즘즘의의 특특성성

포스트모더니즘은 그 성격을 드러냄에 있어서도 특정 이론이나 원리를 통해 획일적으

로 규정하고 통제하는 전체적 사고방식을 비판한다. 즉 수많은 담론이 그 나름대로의 정

당성을 인정받게 되는 포스트모던의 기본 성질을 이해할 때 그 특성을 판가름하기란 어

려운 일일 것이다. 우선 이런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대표적인 특성들을 이합 핫산의 분

류를 통해 살펴보고 이것을 바탕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이 작품에서 나타내는 성격 등을

김욱동이 열거한 현상들로 정리하면서 그것이 가지고 있는 창조전략방법들을 마이클뉴

먼의 이론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적인 연구자 이합 핫산이 1987년에 발행한「포스트 모던한 전

망 속의 다원주의」라는 저서에서 다음과 같이 여덟 가지로 정리했다.3) 첫 번째는 불확실

성(Indeterminacy)으로 여기에는 개방성과 해체, 무작위성, 임의성, 다원성, 이단의 정

신 등과 같은 확정적이지 않은 이론들을 포괄한다. 두 번째는 단편화(Fragmentation)

로 종합의 부분으로서의 단편화가 아닌 주체적인 단편의 성질을 보인다. 세 번째는 탈경

전화(Decanonization)로 서구의 전통적인 규범에 대한 도전의 성질을 나나타내며, 기존

의형이상학적인진리, 이성등을거부한다. 네번째는재현불가능성(Unrepresentability)

영상기술연구162

3) 이합 핫산, 「포스트모더니즘 개론 - 현대문화와 문학이론」, 정정호, 이소영 역, 한신문화사, 1991, pp.433-443.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62 MAC54 2400DPI 175LPI

Page 7: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으로 반리얼리즘 혹은 초현실주의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다섯 번째는 혼성모방

(Hybridization)으로 앞서 말한 한계 극복 현상으로 장르가 붕괴되고 혼합되는 성격을

의미한다. 여섯 번째는 대중주의(Populism)로 모더니즘의 주문화인 고급문화에 대한

반감에서 비롯되며 기존 관념을 깨고 대중적인 것에 대한 의식 변화를 촉구한다. 일곱

번째는 행위(Performance)와 참여(Participation)로 직접적인 행위와 대중의 참여는

예술의 변화를 촉구한다는 특성이다. 여덟 번째는 보편내재성(Immensity)으로 상호작

용과 의사소통, 상호 의존을 통해 드러나며 이렇게 나타난 개념들 속에서 가치관의 세계

화, 보편화 경향을 찾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러한 특성들은 작품의 의도를 바꾸고 작품 내의 내용은 물론 작

품 외적인 요소까지 영향을 미치는데, 김욱동은「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와「문단에 부

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바람」을 통해서 이러한 현상들을 열거해 놓았다.4) 첫 번째로, 일관

된 자아의 총체성을 드러내기보다는 자아의 분산, 상실의 문제를 전면화 시킨다. 두 번

째로, 모더니즘에서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던 패러디나 패스티쉬5)를 매우 핵심적이

고 예술적인 장치로 사용하고 있다. 세 번째로, 모더니즘의 일방적이고 고립된 형식들이

포스트모더니즘의 참여와 관심 그리고 실천적 행동으로 바뀌면서 외적 요소에 영향을

미친다. 네 번째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임의성과 우연성은 모더니즘의 질서나 조화를 통

해 비롯된 보편성을 거부하고 유희적인 특성을 살린다. 다섯 번째로, 전통적인 계급의

질서가 붕괴되면서 부정되었던 소수의 집단들이 의미를 얻으며 새로운 계급으로 출현

한다.

지금까지 살펴 본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특성은 마이클 뉴만(Michael Newman)의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을 통해 주요 창조방법으로 분류된다.6) 첫 번째 포

스트모던의 재현(representation)은 리얼리즘처럼 소박하고 낙관적인 것이 아니라 자

기 의식적으로 상상하고 그 창조의 영역 안에서 재현의 존재의미를 일깨워 새롭게 표현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 연구 163

4)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문학과 지성, 1990, pp.433-459.

김욱동, “문단에 부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바람”, 「월간중앙」, 1990년 4월호, pp.534-535.

5) 패러디란 한 작가의 스타일이나 습관을 흉내 내어 원작을 우습게 개작했거나 변형시킨 작품을 가리킨다. 패러디는 기

존의 개념이나 형식과 같은 꼴을 취하면서도 전혀 반대의 얘기를 하는 문학적 기법이다. 포스트모더니즘에서 패러디

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그것이 지금까지 세워진 진리가 허구임을 보여주는 장치이기 때문이다. 이와는 달

리 패스티쉬는 포스트모던한 사회를 반영하는 예술행위 양식의 한 특징인‘혼성모방’을 지칭한다. 패스티쉬는 비판

의식이 상실된 유희적 모방이라고 할 수 있다.

6) 홍민주, “포스트모더니즘과 현대 소셜포스터 표현 연구”, 이화여대 디자인대학원 석사, 2005.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63 MAC54 2400DPI 175LPI

Page 8: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두 번째 패러디(parody)7)는 과거 형식들을 자유롭고, 장식적이

며, 반역사적인 방식으로 인용하고 있다. 세 번째로 이중 코드(plural coding)는 다원적

인 상징적 차원들을 재도입하고 부호체계를 혼합시키며, 지방 특유의 언어들과 지역 전

통을 도용하는 행위들로 나타나게 된다.

ⅢⅢ.. 유유럽럽단단편편 애애니니메메이이션션의의 배배경경과과 이이해해

11.. 유유럽럽 애애니니메메이이션션의의 성성장장과과정정

애니메이션의 역사는 움직임에 관한 환상으로부터 시작된다. 움직이는 이미지에 대한

욕구는 기원전 1만 년에서 5천 년경 스페인 북부 지방의 알타미라(Altamira) 동굴벽화

를 시작으로 시각의 잔상과 운동의 역학관계에 관한 관심으로 이어져 영사기와 관련된

발명품들의 개발로 성장하였다.

1908년 프랑스의 에밀 콜(Emile Cohl)은 <팡타스마고리(Fantasmagorie)>를 제작

하면서 영화에서 벗어나 애니메이션으로 넘어가는 장르적 실험을 시도하였고 영화 촬영

기술의 한 지류를 예술의 형태로 바꿔놓는 데 커다란 공헌을 하였다.

이와는 다른 양상으로 미국에서는 애니메이션이 대중적이고 상업적인 측면에서 가장

먼저 부각되었는데, 그 대표적 인물이 바로 윈저 맥케이(Winsor McCay)였다. 그는 주

로 스토리가 있는 짤막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고 1907년 <잠꾸러기 나라 리틀 니모

(Little Nemo in Slimberland)>를 비롯해 1911년 상영된 <공룡거티(Gertie the

Trained Dinosaur)>는 대중들에게 큰 호응을 얻으며 움직이는 그림을 그리는 예술가로

평가받게 만들었다.

두 작가의 작품 모두 컴퓨터 기술 이전 시대에 이루어졌던 커다란 성과물로 애니메이

션의 재현과 운동이라는 두 특성을 잘 살려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그러나 전자의 작품

들은 너무 편중된 예술성으로 인해 대중에서 멀어진 애니메이션으로 비판받게 되었고

반대로 후자의 대중성과 상업성은 이후 약 10년간 애니메이션을 가족용 코믹오락물로

만 받아들이게 만든 편견의 시초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영상기술연구164

7) 어떤 작품의 부분을 모방하여 그것을 풍자적 또는 조롱삼아 꾸민 것. 작품의 부분을 변경시키거나 과장하여 익살 또

는 풍자의 효과를 노린 경우가 많다. 때로는 아이러닉한 인용, 혼성, 모방, 차용 또는 상호 텍스트성이 포함된다.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64 MAC54 2400DPI 175LPI

Page 9: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1900년대 초 이후 다양한 연령층을 섭렵하며 애니메이션 붐 현상을 일으킨 미국의 상

황과 달리 유럽 애니메이션 작가들의 여건은 좋지가 못했다. 유럽에서는 애니메이션을

산업이자 문화의 양식으로 취급하지 않았고 역량있는 작가들의 실력과 열정만큼 활성화

되지는 못했다. 또한 현실적으로 자체제작보다 수입하는 쪽이 효율적이었기 때문에 투

자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제작 여건은 더욱 빈곤해져 갔다. 하지만 꾸준히 문화적 전통과

실험성을 바탕으로 지속되어 온 유럽 애니메이션은 나라마다 차별성을 키워 나갔다.

유럽의 애니메이션은 개인에서부터 집단까지 현 사회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들에

주력해 왔다. 인간 소외, 사회 부적응, 제국주의 등 인간 내면의 문제와 사회 문제점을 다

룬 작품들이 주를 이루었고 사람들은 애니메이션을 통해 사회구조의 변화와 개혁에 관

해 고민하게 되었다. 헝가리 태생인 애니메이션 감독 존 할라스(John Halas)는 기존의

애니메이션 제작 체제를 탈피하여 항상 새로운 탐구와 실험을 즐겼는데, 1952년 4년여

의 제작 끝에 발표된 <동물농장(Animal Farm)>은 독재 정권의 억압을 고발하고 자유

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회고발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상대적으로 어둡고 호감가지 않

는 이미지들을 바탕으로 오락물이 아닌 실험애니메이션으로서 메시지 전달에 주력한 유

럽 애니메이션만의 특성을 증대시켰다.

특히 이런 작가주의 애니메이션 양산의 중심국이라 할 수 있는 프랑스는 시각예술에

있어서 오랜 전통을 자랑해 왔고 애니메이션의 제작역사 또한 예외는 아니었다. 1920년

대 말부터 1930년대 초까지 러시아 출신의 애니메이션 작가 스타레비치(Starevitch)와

알렉산더 알렉세이에프(Alexander Alekseev), 미국의 클레어 파커(Claire Parker),

헝가리 출신의 바르톨트 바르토쉬(Barthold) 같이 인종과 국가에 상관없이 작품에 관한

차별 없는 지원과 계속되는 실험 작품의 생산은 지금까지도 프랑스가 보여주고 있는 다

양한 애니메이션 제작의 원동력이 되어주고 있는 것이다.

1950년대를 기점으로 프랑스 애니메이션도 산업의 상업적인 면모를 드러내기 시작했

는데, <시골처녀와 굴뚝 청소>, <파리여 안녕>, <아스테릭스> 등 흥행을 목적으로 한 다

양한 장편 애니메이션이 제작되었다. 1970년대 경제침체기를 겪어내며 결국 1980년대

부터 정부 보조금이 장편 영화에 투자되었고 다시 부흥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TV 방송

사의 경우 어린이를 타깃으로 한 애니메이션 뿐 아니라 실험적이고 사회성 메시지를 담

은 성인층 애니메이션을 시리즈로 방영하기 시작했고 애니메이션 장르의 새로운 지평선

을 열게 되었다. 이렇게 프랑스 애니메이션의 지속된 지원과 열린 표현양식의 개발은 지

금껏 상업 애니메이션이 보여줄 수 없었던 독창적인 스타일로 대중들의 사랑을 받았고,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 연구 165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65 MAC54 2400DPI 175LPI

Page 10: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또한 사회를 반영한 메시지 전달은 애니메이션을 단순한 오락물이 사회·문화 매체로

성장시켰다고 볼 수 있다.

22.. 유유럽럽 애애니니메메이이션션의의 특특징징

다양한 영화제와 합작 작품 등을 통해 대두되고 있는 유럽의 애니메이션은 무엇보다

도 고정된 양식 없이 매번 새로운 시도와 독특한 전개 양식으로 인해 주목을 받고 있다.

운동성과 시간성을 미학의 관점에서 풀어내고자 하는 그들의 영상에 관한 예술적 표현

의 의지는 다양한 기법시도로 이어졌고, 생활과 연관된 사회 이슈에 대한 철학적 접근은

인간 내면의 고뇌를 풀어내는 메시지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유럽 애니메이션의 특성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8) 첫 번째, 실험성과 대

중성의 결합이다. 독특한 제작 방식을 기반으로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혹은 쉽게 다

가갈 수 있는 이야기를 전개시킴으로써 대중적이면서도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키는 작품

들이 줄이어 등장했다. 두 번째, 기술이 아닌 예술에 치중한 애니메이션 미학을 추구한

다. 세 번째, 비주얼의 화려함보다는 스토리담론 구조에 집중하고 있다. 스토리의 부분

적 구조와 그것이 담고 있는 메시지의 심층적 전달에 주력하고 있는 것이다. 네 번째, 혁

명 의식을 담고 있는 스토리를 전개하여 저항성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현 사회의 계급

구조적인 모순을 이미지에 적용시켜 애니메이션만의 방식으로 극대화한다. 다섯 번째,

이렇게 전개되는 작품 속의 담론은 대부분 휴머니즘을 전제로 한 미학 속에서 모더니즘

적인 성향을 타파하고 작가주의적 구성요소로 표현된다. 여섯 번째, 표현 수준과 스토리

보드의 파격성에 집중하고 있다. 상업 애니메이션의 매너리즘에 식상한 관객들에게 새

로운 흥미를 제공해주고 있다.

유럽 애니메이션의 이런 차별화된 특성들은 애니메이션의 가치 평가에 변화를 주었

다. 변동된 가치는 개별적인 작가들의 독특하고 창의적인 표현력을 의미하게 됨과 동시

에 스타일화 된 작품은 작가마다 다른 일종의 식별할 수 있는 표지가 되었다.9) 이렇게

유럽의 애니메이션은 미국의 상업 애니메이션보다 창의적이고 정교한 실험을 통해 애니

메이션을 제작하였으며 스토리에 있어서도 단순히 웃고 즐기는 오락물보다는 인간의 내

영상기술연구166

8) 한창완, 「저패니메이션과 디즈니메이션의 영상전략」, 한울 아카데미, 2001, pp.244~254.

9) 존 할라스, 「세계 애니메이션 작가와 작품」, 황선길·박현근 역, 2002, 범우사, p.55.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66 MAC54 2400DPI 175LPI

Page 11: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면을 관찰하려는 철학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다.

ⅣⅣ.. 애애니니메메이이션션의의 포포스스트트모모더더니니즘즘 현현상상

11.. 애애니니메메이이션션의의 포포스스트트모모더더니니즘즘 특특성성

지금까지 알아본 바와 같이 포스트모더니즘의 현상과 특성은 몇몇의 실험적인 애니메

이션에도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애니메이션의 표현은 포스트모더니즘을 나타내

기에 적합한 매체적 기반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다른 영상에 비해 표현의 한계

가 없고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며 여러 장르와의 혼합이 가능한 애니메이션의 특성은 포

스트모더니즘의 성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포스트 모던한 애니

메이션의 특성을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8가지로 간추릴 수 있다.10)11)

첫째, 파편화된 이미지는 수용자가 재창조하는 의미표현으로 서술구조와 시공간을 해체

시킨다. 즉 전통적인 이야기 구조를 전달하는 구성단계를 따르지 않으며 보편적이지 않

은 시간과 공간을 나열한다. 둘째, 기존의 형식을 해체시키고 표현을 확대하기 위하여

예술장르를 혼합시킨다. 회화, 문학, 사진, 영화 등 컴퓨터 그래픽을 통한 복합장르로 표

현된다. 셋째, 패러디(Parody)와 패스티쉬(Pastiche) 표현이 긍정적·가치중립적으로

나타난다. 넷째, 집단 정체성과 사회운동의 변화를 작품에 반영한다. 사회저변의 변화,

소수민족 또는 소외층에 대한 관심, 환경운동 등의 사회적 공론을 작품 속에 반영시켜

표현한다. 다섯째, 전지구화 현상을 보인다. 보편적인 색채 사용의 거부, 불분명한 인종

의 인물화,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사고방식 파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작가 층

의 다양성과 주제의 다양성을 통해서 의미전달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하였다. 여섯째,

메시지 전달의 변형이다. 전통적 애니메이션이 체계적 구성단계를 통한 완전한 이야기

구조를 가지고 있다면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은 대사가 한쪽으로 치우친 이야기 전

달이나 언어 자체가 사용되지 않은 작품이 많다. 일곱째, 일반적으로 카메라의 구조를

파괴하고 관객간의 시선일치를 편중되게 보여준다. 여덟째, 균형적 색채구성 원칙에 기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 연구 167

10) 이안근,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TV광고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현상의 표현유형과 광고효과에 관한 연

구”, 원광대 산업대학원 산업디자인 석사논문, 1994, pp.52-71.

11) 지선영, “한국 단편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표현유형과 내용연구”,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저널리즘

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0, pp.23-26.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67 MAC54 2400DPI 175LPI

Page 12: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초한 전통적 색채를 파괴한다.

이상에 정리된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들은 모든 포스트모던 작품의 절대적 개념으로

사용될 순 없겠지만 작품이 보여주는 그 시대의 현상과 성향을 표현해주는 중요한 잣대

가 되어 줄 것이다.

22.. 포포스스트트모모더더니니즘즘 애애니니메메이이션션 분분석석틀틀

선정된 작품들은 유럽의 애니메이션들 중에서도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스타일로 대중

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프랑스 폴리마주(Folimage)의 쟝루 펠리시올리(Jean-loup

Felicioli)와 알랑 가뇰(Alaln Gahnol)의 단편 애니메이션으로 독립 단편 애니메이션과

TV 시리즈물을 중심으로 분석될 것이다. 이 작품들은 포스트모더니즘 성향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들로 특정한 기교 없이 주인공의 내레이션으로 진행되면서 일상을 무대로

하는 휴머니즘적 저항 메시지를 전달한다. 우연적이고 무질서한 내러티브는 파편화된

이미지들을 통해서 장르간의 경계를 소멸시키고 관객과의 거리를 좁힌다.

이제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의 분석틀을 마련하기 위해서 앞서 논의된 모더니즘

과의 특징적 차이를 설정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고찰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두 사조

간의 변별을 통해 포스트모더니즘의 스타일과 메시지 전달 방식의 틀을 [표 1]과 같이

설정하였다.

영상기술연구168

<표 1> 모던 애니메이션과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

모던 애니메이션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

완결된 서술구조 열린 서술구조와 관객의 참여

시·공간의 일치 시·공간의 해체

형이상학적 미 개성과 표현의 확장

패러디 및 패스티쉬(비판적/창조적) 패러디 및 패스티쉬(긍정적/가치중립적)

메시지 전달의 일방향 메시지의 전달의 쌍방향

고급 대중예술의 구분 대중주의와 자기 반영성

획일화된 사회통념 집단 정체성과 사회비판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68 MAC54 2400DPI 175LPI

Page 13: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ⅤⅤ.. 쟝쟝루루 펠펠리리시시올올리리의의 작작품품 분분석석

프랑스의 폴리마주(Folimage)는 1984년 자크 레미 지레르(Jacques-Remy Girerd)

가 설립한 마이너 스튜디오로 작가주의 단편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면서 작가의 개성과

창의력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그 영향력은 순수 애니메이션의 메이저급으로 인정받고

있다.12) 폴리마주의 유능한 애니메이터 중 한 사람인 가뇰과 펠리시올리는 불규칙적이

고 독특한 양식의 일러스트를 발전시키면서 해체주의에 기반한 그들만의 캐릭터로 사회

전반의 일상적인 사건들과 문제점들을 메시지로 담아내고 있다. 분석될 작품은 포스트

모더니즘의 특성이 잘 드러나는 펠리시올리와 가뇰의 단편애니메이션들로 2000년에

발표된 <창가의 코(Nez a fenetre, Le)>와 1999년도에 TV시리즈물로 방영되었던 단

편 애니메이션 작품들 중 <그에 관해 얘기하는 중 그가 도착했다(Il est arrive quand

on parlait de lui)>, <적절한 때를 기다리는 방법(Il faut savoir attendre le bon

moment)>, <나는 그에게 지난 몇 년 동안 어떻게 지냈는지 물었다(Je lui ai demande

ce qu’il avait fait pendant toutes ces annees)>, <소파(Le canape)>, <만약 당신이

나의 생각을 알게 된다면(Si tu savais ce que j’en pense)>, <논쟁(La dispute)>, <그

게 바로 나일 수 있었다(Ca aurait du etre moi)>, <포크 속의 나이프(Un couteau

dans les fourchettes)>이며 마지막으로 1996년에 발표되었던 <에고이스트(Le

Egoiste)>까지 총 10편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11.. 구구조조의의 해해체체

가. 서술구조와 시공간의 해체

(1) 열린 결말을 통한 관객과의 상호작용

포스트모더니즘 작품의 특징은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의미를 전달하며 정확한 플롯없

이 이야기를 진행시킨다는 데 있다. 관객들은 완결되지 않은 사건의 모호한 영상을 잔상

처럼 되풀이하며 자신들만의 텍스트로 수수께끼를 풀어나간다.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 연구 169

12) 제인 필링, 「21세기 애니메이션의 혁명가들 - 2D애니메이션의 시대를 넘어서」, 한창완·김세훈 역, 한울, 2003,

p.140.

´

´

´

ˇ

ˇˇ

¸

´ ´

··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69 MAC54 2400DPI 175LPI

Page 14: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나는 그에게 지난 몇 년 동안 어떻게 지냈는지 물었다>는 아무 설명 없이 자신을 버

리고 떠난 옛 룸메이트를 우연히 커피숍에서 만나며 일어나는 심리전을 다루고 있다. 두

사람의 만남을 통해 일어날 사건이 이미 작품 외의 시간에 발생함으로써 관객 시점은 과

거로 전복된다. 스토리를 이끄는 주요 쟁점이 과거 룸메이트의 알 수 없는 행동으로 교

체되고 관객들은 이전에 느끼지 못했던 두 남자 사이의 미묘한 분위기를 의식하며 발생

원인을 상상한다. 그러나 이야기 결말은 사건의 풀이로 진행되지 않고 그저 주인공의 심

정이 내레이션을 통해 파편적으로 전달되면서 무덤덤하게 끝을 맺는다. 열린 사건들만

이 나열되고 그 동안 증폭되어 온 관객들의 궁금증은 상상이라는 무한한 공간과 충돌하

며 일방향의 수용에서 벗어나 텍스트 해석이라는 적극적인 참여의 형태로 변형된다. 특

히 작품 전반에 이용된 내레이션의 방식은 열린 결말의 분위기 조성에 큰 역할을 하는데

일방적인 메시지 전달로 비춰질 수 있는 내레이션이 한 사람의 감정을 완전하게 공개하

는 목적으로 이용되면서 관객의 몰입이라는 결과를 이끌어낸다. 즉 수용자는 완벽하게

사건의 상황에 몰입하여 직접 주인공과 주변 인물을 경험하게 되고 작품 전반에 던져진

소재들을 바탕으로 상황 곳곳에 배치되어 있는 다양한 사건들을 상상하고 해석하여 작

품과 교감한다.

또 다른 단편 <그에 관해 얘기하는 중 그가 도착했다>는 주인공이 마련한 저녁식사에

불청객이 들이닥치면서 시작되는데 앞서 살펴본 작품과 반대의 열린 결말을 남긴다. 전

자의 작품이 사건 후 남겨진 피해자의 감정을 그대로 전달하면서 사건의 원인을 살폈다

면 이번에는 사건을 일으킨 당사자의 감정과 변명을 이야기하면서 사건의 결말을 열어

놓는다. 작가는 일부러 주인공이 단독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신을 마련하여 사건의 흐

름과 교차하면서 일의 원인이 된 그의 행동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관객은 다시

주인공의 감정 흐름에 따라 이야기를 전달받으며 작품에 몰입하고 객관적으로 비양심적

인 그의 행동을 중립의 위치에서 이해할 수 있을 때 사건을 열어 놓는다.

이렇게 작품에서 전반에 나타나는 완결되지 않는 이야기와 파편화된 사건들의 나열은

소극적인 열린 형태가 아닌 관객의 텍스트와 해석을 통해 재구성해야 하는 적극적인 결

말 구성으로 마무리 된다. 이런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은 기존의 관념 속에 깃들어 있는

절대성과 중심성의 허구를 드러냄으로써 다양성과 임의성을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해체

를 시도한다.

영상기술연구170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70 MAC54 2400DPI 175LPI

Page 15: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2) 시공간의 해체 - 현실과 허구의 모호한 경계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은 현실의 시간과 공간을 해체시켜 그만의 새로운 축을 형

성한다. 과거에서 현재, 미래로 이어지는 모더니즘의 절대적 시간의 축은 표현하고자 하

는 필요와 상황에 따라 해체되고 재구성되어 반(反)형식적이며 열려진 의미체계를 지니

는데, 펠리시올리 작품에서 나타나는 이런 특성들은 [그림 1]에 나타나 있는 두 작품의

예로 살펴볼 수 있다.

<창가의 코>는 사고로 가족을 모두 잃고 파산의 위기에 놓인 한 남자가 죽음을 맞이하

기 위해 식음을 전폐하다가 창가를 통해 들어온 냄새의 정체를 알기 위해서 마지막 남은

생명력을 다 뽑아내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현실에서 죽어가는 남자의 육체와 이런 남

자를 깨우는 죽음이라는 환상이 어울리면서 현실과 허구의 경계가 해체되게 된다. 죽음

과 삶은 마지막 힘을 다해 결합되기도 하고 엉키기도 하면서 그 엉성한 동작의 흔들림은

생을 향한 제의의식처럼 춤으로 묘사된다. 현실과 환상의 뒤섞임을 통해 모호해진 경계

는 남자가 냄새의 정체를 발견하고 그 노력의 대가가 바로 육체의 본능에 따른 부름이었

단 걸 깨달으면서 현실로 돌아가게 된다.

이별 후 그녀의 집에 있는 소파에서 떠나기 싫은 남자의 심경을 다룬 <소파>는 몰핑과

시공간의 파괴를 이용한다. 시간은 멈춰진 소파를 배경으로 그 주변의 환경이 변화되며

진행되는데, 소파를 파는 가게에서 집으로의 공간변화와 소파를 중심으로 남자와 여자

의 행동들을 통해 시간변화를 보여준다. 그렇게 하나의 공간에서 과거의 순간순간들이

흘러가며 시간의 모호한 경계를 통해 소파의 역사를 대변해 준다.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 연구 171

<그림 1> <창가의 코(Nez a la fenetre, Le)>와 <소파(Le canape)> 의 시·공간의 해체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71 MAC54 2400DPI 175LPI

Page 16: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이렇게 단편적이고 파편화된 형식으로 자유롭게 재구성된 시공간의 영상은 캐릭터에

게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는 환상을 부각시키기도 하고 기존의 관념에서 벗어나는 시공

간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어 캐릭터들의 관계를 강화시키고 그 상황의 분위기를 중첩

시킴으로써 관객의 몰입을 유도한다.

나. 형이상학적 미의 해체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에서 추구하는 이상적인 미의 구조를 해체시킨다. 이런 현

상은 미의 주변부에 머물러 있거나 추의 영역에 있던 새로운 미의 가능성을 찾고 시도하

게 되는데 탈 재현성과 표현성의 부활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림 2>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펠리시올리와 가뇰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미학은 작품

의 분위기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슬픔에 찬 여인의 얼굴은 일그러지고 이기적인 에고이

스트의 이중성은 입체파에 의해 분해된다. 혼란스럽고 정해지지 않은 열린 결말의 스토

리라인은 선명한 색상과 거친 터치를 통해 편안함보다는 강한 인상을 남기고 주변의 건

물들과 나무들은 거짓과 음모 속에서 크기와 거리에 상관없이 비틀어지고 휜 형태로 묘

사된다. 데리다는 기존의 미의 기준을 세워주는 서구의 형이상학 전체가 이분법적 사고

방식을 토대로 계급을 형성한다고 지적하였는데, 포스트모더니즘의 형이상학적 미의 해

체는 바로 이런 부당한 논리를 다양성이란 열쇠로 해결하는 특성이라 할 수 있다.

22.. 큐큐비비즘즘의의 패패러러디디와와 패패스스티티쉬쉬

포스트모던 예술의 특징은 혼합적이다. 창조성과 독창성 대신 다른 작품이나 텍스트

와의 상호성을 중시하고 꼴라주로 대변되는 이 표현들은 모호하고 불안정한 의미를 창

영상기술연구172

<그림 2> 작품의 캐릭터와 배경 이미지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72 MAC54 2400DPI 175LPI

Page 17: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조한다. 펠리시올리는 그들의 분절되고 파편화된 작품에 어울리는 피카소의 캐릭터를

이용하였다. 다분히 그 자체만으로도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피카소의

작품들은 펠리시올리의 작품 제작 공정과도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중적인 면

모를모두드러낸다는점에서애니메이션메시지에부합되어재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에고이스트>는 나르시즘에 빠진 한 남자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펠리시올리는 일

상에서 벌어질 수 있는 상황을 통해 현대의 나르시즘이 어떻게 에고이스트적인 면모로

드러날 수 있는지 경고한다. 그는 혼란스럽고 이중적인 사회 구조를 1907년 파블로 피

카소(Pablo Ruiz Picasso)가 바르셀로나의 유명한 홍등가인 아비뇽을 배경으로 그린 <

아비뇽의 아가씨들(Les Demoiselles d’Avignon)>에서 차용하였는데, 기괴한 형상은

정면과 측면이 겹친 이중상으로 현실과 꿈을 동시에 표현하는 듯하다. 작품에서는 전통

적인 원근법이 사라지고, 여러 각도에서 본 시각이 하나의 평면에 종합되어 나타난다.

가뇰과 펠리시올리의 캐릭터 역시 세상에 완벽하게 적응한 듯 하지만 실제는 자기 자신

만을 사랑하는 남자의 이중적인 면모를 대상의 해체를 통해 드러낸다.

피카소의 작품 <우는 여인(Weeping Woman)>의 일그러진 듯한 인상은 펠리시올리

의 단편 작품 <소파>에서 연인과 헤어진 여인의 고통을 표현하기 위해 인용되었다. 피카

소는 다양한 각도에서 사물을 보아야만 숨겨진 진실을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했고, 그렇

기 때문에 그는 여인의 앞모습과 옆모습을 동시에 화폭에 담는 시도를 하였다. 그렇게

울고 있는 여인의 얼굴은 입체적으로 분해된 뒤 재조립되어 일그러지고 고통스런 얼굴

이 기하학적 형태로 묘사되었다. 펠리시올리의 단편 작품 <소파>는 방금 헤어진 연인들

을 주인공으로 절망에 빠져 울고 있는 여자와 아무 감정의 변화 없이 담담하게 소파에

앉아있는 남자를 묘사함으로써 그 대비에서 오는 분위기를 통해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

고 있다. 헤어짐으로 인한 고통에 사로잡힌 여인의 얼굴은 비대칭 눈의 위치와 일그러진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 연구 173

<그림 3>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들>과 쟝루 펠리시올리의 <에고이스트> 캐릭터,

피카소의 <우는 여인>과 펠리시올리의 <소파>의 우는 여인의 몰핑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73 MAC54 2400DPI 175LPI

Page 18: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형태 그리고 일반적이지 않은 머리카락과 손톱의 강한 색상을 통해 감정을 드러내고 있

다. 펠리시올리는 눈물을 흘리며 얼굴을 감싸고 있던 여성의 손을 말려들어 가는 형태로

재현될 수 없는 움직임을 통해 여자의 슬픔을 강화시켰다.

이렇게 펠리시올리가 차용한 큐비즘의 특성들은 슬픔에 찬 여인의 심정을 일그러진

얼굴로 표현하고 이기적인 에고이스트의 이중성은 분해된 형태로 상징성을 드러낸다.

정해지지 않은 열린 결말의 스토리라인은 선명한 색상과 거친 터치의 이미지들로 전개

되면서 사회 고발성의 강한 메시지를 남기고 주변의 건물들과 나무들은 모더니즘의 이

론을 떠나 크기와 거리에 상관없이 비틀어지고 휜 형태로 묘사되면서 이야기와 그 맥을

함께한다.

33.. 메메시시지지 전전달달의의 쌍쌍방방향향성성

기존의 애니메이션이 대사와 배경음, 효과음의 유기적 관계를 통해 누구나 알기 쉬운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했다면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은 비언어적 기호를 집중적으

로 활용하거나 파편적인 메시지를 나열한다.

분석의 대상이 된 펠리시올리와 가뇰의 전 작품에서 이야기의 주인공은 오직 내레이

션만으로 사건을 진행시킨다. 이렇게 한 사람의 입장에서 진행되는 서술구조는 감정의

변화에 따른 사건들의 나열들로 이루어지며 결말이 없는 열린 형태로 해체되어 수용자

의 개입을 유도하는데, 즉 끊임없이 진행되는 주요인물의 이야기 서술은 관객을 주인공

의 감정에 몰입시키고 그가 전달하는 미완결된 사건의 나열은 수용자가 능동적으로 탐

색하고 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 주면서 일방향이었던 관계를 쌍방향의 관계로 전

환하는 아이러니를 불러일으킨다. 한 사람의 독백으로 시작되고 끝나는 설정은 주인공

과 관객이 일대 일의 대화를 나누는 듯한 느낌을 전달하고 관객은 이야기를 곱씹으면서

대답을 찾으며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작품에 임하게 된다.

44.. 대대중중주주의의와와 자자기기 반반영영성성

가. 일상의 소재 사용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스트모더니즘에 있어 문화는 일상생활과 조우하면서 새로운

영상기술연구174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74 MAC54 2400DPI 175LPI

Page 19: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문화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펠리시올리와 가뇰은 그들의 작품을 통해 사회의 이념과 그

안에서 비롯되는 고질적인 편견들을 일상의 사건들로 풀어낸다.

<포크 속의 나이프>는 아내가 싱크대의 포크를 넣어 놓는 칸에 나이프를 꽂아 놓으면

서 생기는 에피소드를 담고 있다. 보편성에 관한 인류의 습관을 통해 어느 가정에서나

한번쯤 이루어지는 일상의 사건을 다루고 있는데, 남자의 강박증은 일률적이고 합리주

의를 표상하는 모더니즘적 사고로 비쳐질 수 있다. 이전부터 계속 사물을 분리하고 정리

해오던 그의‘차이’에 관한 극단적인 결벽증은 부조화에 관한 강한 불안으로 발병하게

되고‘죽음’보다도중요해진‘제자리’에관한 사고방식은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비판된다.

또 다른 단편 <논쟁(La dispute)>은 작은 다툼으로 집을 나온 여자가 혼자 밤을 지새

우며 생긴 에피소드를 담고 있는데, 이 작품은 하나의 사건을 통해 일상적인 논쟁의 과

정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홀로 늦은 저녁에 뛰쳐나올 정도로 화가 난 그녀의 논

쟁은 어두운 밤거리 묘사를 통해 고립되고 소외된 느낌으로 표현된다. 갑자기 찾아든 노

인은 자기 안에서 빠져 있던 일방적인 시각의 전환을 의미하며, 아무도 없는 거리를 누

비며 쓰레기통을 뒤지는 여우는 논쟁의 해결 과정으로 익숙하지 않으면서도 받아들이는

수용의 자세를 묘사한다. 노인이 떠난 후 잠을 청하는 여자의 모습이 그를 배웅하는 여

자의 모습과 오버랩되면서 방금 전 상황이 모두 꿈인 듯 모호한 경계를 만들고 이 역시

논쟁에 관한 그녀의 환상일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겨준다. 잠에서 깨어나 치장을 하고 차

에서 내렸을 때 보여주는 밝은 도시의 전경은 처음 그녀가 다툼 끝에 뛰쳐나온 어두운

도시의 전경과 대비되면서 논쟁의 끝을 의미해준다.

그 외에도 <그에 관해 얘기하는 중 그가 도착했다>는 험담이나 감정에 치우친 속임수

가 어떻게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보여주며 <그게 바로 나일 수 있었다>는 일상에

서 일어나는 작은 문제점들이 어쩌면 더 커다란 문제점을 피해갈 수 있게 만들지 모른다

는 이야기를 통해 사고의 전환을 유도한다.

이렇게 펠리시올리와 가뇰은 알고 있었지만 깊이 생각해 보지 못한 일상의 사건들을

통해 극단적이거나 은유적인 방식으로 상황을 묘사하여 전달하고 그 비유의 목적을 깨

달을 때 좀 더 세밀하고 발전된 관점에서 삶을 바라보게 만들어준다.

나. 성인 지향 추구

흔히 애니메이션은 오락물이나 하급문화의 키치적 특성을 다분히 품고 있는 것이 사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 연구 175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75 MAC54 2400DPI 175LPI

Page 20: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실이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 표현에 관한 관심과 메시지 전달을 위해 요구되어온 다양

한 표현 양식들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이용해 보다 다원화된 방식으로 성인들이

느끼는 사회의 문제와 집단 정체성에 비판을 가한다.

펠리시올리의 작품 전반에서도 바로 이런 성인지향적인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그 예

로 1996년에 발표된 <에고이스트>는 자기중심적인 현대 사회 인간의 이기심을 낱낱이

고발하고 있다. 이 이야기를 필두로 펠리시올리와 가뇰의 작품은 반복되는 이야기와 유

머에 기초되는 기존의 애니메이션에서 벗어나 현대 성인이라면 누구나 느낄 수 있는 일

상의 소재들을 중심으로 사회적 문제를 다루기 시작한다. 기존의 TV시리즈에서 볼 수

없었던 기괴하고 결론지어지지 않는 스토리라인은 <일상의 고통들(Les Tragedies

Minuscules)>이라는 대주제 하에 단편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제작된다. 성급한 판단과

이기적인 행동에서 오는 상실을 나타내는 <그에 관해 얘기하는 중 그가 도착했다>와 사

회적으로 성공하지 못한 남자가 외부의 시선에서 느끼는 위축감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적절한 때를 기다리는 방법>, 거짓과 음모로 자신의 삶을 유지하는 남자의 이야기인

<만약 당신이 나의 생각을 알게 된다면>, 일상의 소소함에 감사할 줄 모르고 쉽게 흥분

하는 남자의 깨달음을 다룬 <그게 바로 나일 수 있었다> 그리고 유지해야 할 것들에 관

한 강박관념과 그로부터 비롯되는 현대인의 불안을 담은 <포크 속의 나이프> 등은 애니

메이션이 어린이들만을 위한 도구라는 상식을 탈피한다.

55.. 집집단단 정정체체성성과과 사사회회운운동동 변변모모

포스트모더니즘은 합리적이고 통일된 세계를 구축하기보다는 현실과 현상에 귀 기울

인다. 물질만능주의의 사회에서 소외된 인간과 이기주의로 팽배한 인간관계의 문제점들

을 묘사하고 그에 대한 관심과 비판적 사고를 유도한다. 문명의 발달로 이루어진 기계화

는 인간의 활동을 통제하고 자본주의 사회의 논리는 분배의 불균형을 통해 빈곤층을 양

산한다. 익명으로 연결되는 인간관계는 다수 속에 파묻힌 개인의 소외를 야기시키며 파

편화된 자아는 단절된 소통 속에서‘나’밖에 모르는‘나’라는 주체를 형성하고 오직

‘나’의 중요함에 귀 기울인다.

<적절한 때를 기다리는 방법>에서는 창문으로 떨어지는 아내를 붙잡을 수 있을지에

관한 상상과 걱정을 비유로 직장에서 일하는 아내와 집안일을 하는 남자의 사회 통념에

반하는 관계에서 비롯된 심리적 불안감을 묘사한다. 친구의 옛 여자 친구를 뺏은 남자가

영상기술연구176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76 MAC54 2400DPI 175LPI

Page 21: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이를 감추기 위해 절묘한 거짓말로 같은 공간에서 두 사람을 따돌리는 이야기를 다룬 <

만약 당신이 나의 생각을 알게 된다면>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거짓말을 일삼는 비양심

적인 인간상을 보여주며, <그에 관해 얘기하는 중 그가 도착했다>는 편협하고 포용할 줄

모르는 옹졸한 현대인의 실상을 묘사한다.

ⅥⅥ.. 결결론론

이렇게 분석된 쟝루 펠리시올리와 알란 가뇰의 작품을 통해서 애니메이션이 어떤 방

식으로 포스트모더니즘 특성들을 담고 있으며 그 성향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이 무

엇인지 알아보았다. 현 시대를 반영하는 사조로서 포스트모더니즘은 이성을 통한 인간

의 절대화 과정이 궁극적으로 자기소외를 야기할 수 있다고 보며 이성의 절대적 믿음에

관한 비판적 반성을 통해 인간의 한계를 인정하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

고자 한다.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은 포스트모더니즘이 타파하고자 하는 사회 전반

의 편견과 사고를 그 특성들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사회의 변화를 인식하고 삶을 바라보

는 새로운 시각을 키워준다. 이렇게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을 통해 표현되는 평범

한 일상 속 고민과 소외는 과감하고 실험적인 전달 방식들을 통해 사회 문제점들을 고발

한다. 본 논문을 통해 애니메이션이 사회현상을 반영한 사조들의 표현기법들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으며 또한 그 이데올로기가 드러난 현상의 원인들을 어떤 방식으로 고발하

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렇듯 우리는 애니메이션을 현 시대를 반영하는 분석 대상의 중

심으로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것을 해석하는 새로운 시각을 갖추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 연구 177

영영상상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77 MAC54 2400DPI 175LPI

Page 22: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참참고고문문헌헌

<<단단행행본본>>

강명구, 「소비대중문화와 포스트모더니즘」, 믿음사, 1993.

김동욱, 「포스트모더니즘과 예술」, 청하, 1991.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문학과 지성, 1990.

다니엘 벨, 「정보화 사회와 문화의 미래」, 서규환 역, 디자인 하우스, 1992.

레슬리 피들러, 「포스트모더니즘론」, 정정호 역, 도서출판 터, 1989.

린다 허천,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과 전략」, 장성희 역, 해외문화론, 1998.

로버트 앳킨스, 「현대미술의 개념풀이」, 박진선 역, 시공사, 1994,

박명진, 「후기 영상문화의 현상」, 예술과 비평, 1989.

이합핫산, 「포스트모더니즘」, 정정호 역, 종로서적, 1985.

이합핫산, 「포스트모더니즘 개론-현대문화와 문학이론」, 정정호, 이소영 역, 한신문

화사, 1991.

정정호, 이소영, 「포스트모더니즘 개론」, 한신, 1991.

제인필링, 「21세기 애니메이션의 혁명가들 - 2D애니메이션의 시대를 넘어서」, 한창

완·김세훈 역, 한울, 2003.

존 할라스, 「세계 애니메이션 작가와 작품」, 황선길·박현근 역, 2002, 범우사.

해럴드 오즈번 , 「옥스퍼드 20세기 미술사전」, 한국미술 연구소 역, 시공사, 2001.

F. 웹스터, 「정보사회 이론」, 조동기 역, 나남출판, 1997.

<<학학위위논논문문>>

김성기, “포스트모더니즘의 사회이론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1993.

이안근,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TV광고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현상의 표현

유형과광고효과에관한연구”, 원광대 산업대학원 산업디자인 석사논문, 1994.

지선영, “한국 단편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표현유형과 내용연구”, 경희대학

교 언론정보대학원 저널리즘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0.

<<학학술술지지 및및 잡잡지지>>

김욱동, <문단에 부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바람>, 월간중앙, 1990년 4월호.

영상기술연구178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78 MAC54 2400DPI 175LPI

Page 23: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윤평중, <탈현대 논쟁의 척학적 조망>, 세계의 문학, 1999년 가을호.

주진숙, <포스트모던한 영화의 맥을 찾아서>, 언론문화연구 제3집, 서강대학교 언론

문화연구소, 1990.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 연구 179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79 MAC54 2400DPI 175LPI

Page 24: 포스트모더니즘애니메이션연구 - mitak.or.krC0%CC%C7%FD%BF%F8.pdf · 술계에서포스트모더니즘을지칭하던많은현상들이저널리즘과미디어를통해더빠르

Today, we are living in the culture being reforme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changes of medias enable to expand the possibility of

change.

Human society now break the standards-value from modernism and

have a concern about the differences of plurality and relativity from post-

modernism.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characters of

our culture, we have to study how post-modernism has been used in the

culture at the center of a society.

Among them, the critical and realistic characters of the popular culture

have a close association with the post-modernism. Especially the cultural

near to media and that can be the reason the why we have to think that

the animation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and a reflection of

society. The animation is popular entertainment and its artistic

representation as a genre of art has no limits of a various experiments

related to the post-modernism.

This study will search that how the post-modern characters is used in

animation and the phenomenon of post-modernism of our society shows

영상기술연구180

AABBSSTTRRAACCTT

AA ssttuuddyy oonn PPoosstt--mmooddeerrnniissmm AAnniimmaattiioonn--FFooccuusseedd oonn AAnniimmaattiioonnss ooff JJeeaann--lloouupp FFeelliicciioollii

Lee, Hye-Won

Dept. of Anim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이종규 2008.04.03 09:5오후 페이지180 MAC54 2400DPI 175L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