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최창곤 교수(전북대학교)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최창곤교수(전북대학교)

Page 2: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Page 3: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1)

최 창 곤*

<요 약>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정도를 이해하고 그 정도가 일

자리 창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성장에 따른 고용효과가

크지 않거나 또는 고용없는 성장이라는 현상에 대하여 수급불일치의

정도가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즉, 성장의 고

용효과가 감소하였다면 그 원인들이 다양할 터인데, 수급불일치의 정

도가 커진 것도 그 원인들의 하나일수 있다. 분석결과 여러 부문별 수

급불일치의 정도를 비교하여 보면 (2007년을 기준) 임금별, 학력별, 연

령별의 순으로 수급불일치의 정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

과는 채용시에 학력차별이나 연령차별을 억제하거나 나아가서 금지시

키는 것도 일자리 창출과 결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

에 경제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

측되었던 직종별 수급불일치의 정도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으며, 또한 지역별 수급불일치는 최근에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나서 지역균형발전정책의 추구에 기인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Ⅰ. 서 언

최근에 일자리창출은 경제정책의 중요한 과제가 되었으며, 한국경제가 많은 문제들을

직면하고 있지만 그 중 일자리 부족문제는 어떤 문제보다도 시급히 해결해야할 중요한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정책과 관련하여 정책을 수립하기 전에 정확하게 파악해

야하는 일은 실업문제의 구조적 특징이다. 먼저, 노동시장에는 항상 구인과 구직자가 항

상 존재하고, 실업의 종류에는 마찰적, 구조적 및 경기적 실업이라는 교과서적인 사실을

* 전북대학교 경제학부 [email protected]

49

Page 4: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50 한국노동경제학회 2009년 하계학술대회

전제한다면 100명의 실업자가 존재한다고 하여도 추가로 필요한 일자리가 100개가 아니

라는 점이다. 그 중에는 일자리를 창출해야 해결될 것 들이 있고 있는 일자리들 간의

수급불일치를 조정해서 해결할 수 있는 것들이 있을 것이다. 각각의 개념에 비추어 보

면, 마찰적 또는 구조적 실업에 대해서는 구인구직정보제공, 직업훈련 및 노동이동지원

등이 적절하고, 경기적 실업부분의 해결에 추가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 2007년 현재

100만 여개의 구인광고가 있으면서 그에 상당한 실업자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노동시장

에서 수급불일치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달리 말하면 실업구조(Structure of

Unemployment)와 평균 실업률(The average level of unemployment)간에는 밀접한 관

련이 있고 따라서 실업률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적절한 정책을 도출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된다.

그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노동시장에서 Mismatch(수급불일치)의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1) 국내에서 Mismatch 라는 용어는 종종 사용

되어 왔지만 그 정도를 측정한 연구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먼저, Mismatch 의 개념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그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의하고 추정하는 과정에서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외국의 경우 측정을 위한 연구가 오래전에 진행되어 왔는데, Paoda

Shioppa(1991)은 이 개념을 설명하면서 미국 쪽의 학자들은 대체로 단기간의 일시적인

현상으로 간주하는 반면에 유럽 쪽의 학자들은 단기간이 아닌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문

제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하였다. 전자의 학자들의 관점에서 본 수급 불일치는

Lilien(1982)의 변동지수(Turbulence Index)가 대표적이다. 거시노동시장에서는 서로 상

쇄되지만 부문별 노동시장에서 일시적으로 실업과 빈 일자리가 증가되는 정도를 측정하

는 개념을 의미하였다. 반면에 후자들의 관점에서 정의한 개념들은 수급 불일치가 장기

적이고 구조적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는데 본 고에서는 Padoa Shioppa(1991)와

Jackman, Layard and Savouri (1991)가 제안한 방법들을 사용한다. 이 들 방법들은 마

찰적 실업은 불가피한 것으로 전제한다는 공통점이 있고,2) 반면에 차이점은 Mismatch의

정도를 측정하면서 기준이 되는 균형실업률을 어떻게 볼 것이냐에 대해 다른 견해를 표

현한 것으로, 전자에 따르면 최적실업률은 구인/구직비율이 모든 개별 노동시장에서 동

일한 상황에서의 실업률을 의미하고,3) 후자의 방법에서는 최소실업률을 모든 개별노동시

장에서 실업률이 동일한 상황에서의 실업률을 의미한다. Jackman, Layard and Savouri

(1991)의 방법은 불일치의 정도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통계량의 차이에 따라 두 가지로

1) Mismatch 를 수급불일치라고 번역이 가능하지만 학계 및 현장에서 영어적 표현이 많이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이하

에서 두 용어를 구분하지 않고 혼용하여 표현하기로 한다.

2) 마찰적 실업까지를 포함하는 다른 방법론은 Dreze and Bean(1990)을 참고.

3) 이 방법에 대한 이전의 연구는 Jackman and Roper(1987) 참고.

Page 5: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51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구분이 되는 데, 첫 번째는 구조적인 균형을 갖기 위하여 다른 노동시장으로 이동해야하

는 실업자의 수를 추정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전체 실업율에 대하여 구조적인 수급불일

치가 기여하는 정도를 추정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여러 부문별 수급불일치의 정도를 비교하여 보면 (2007년을 기준) 임금별

(=0.393), 학력별(=0.369), 연령별(=0.275) 의 순으로 수급불일치의 정도가 존재하여 이

결과는 채용시에 학력차별이나 연령차별을 억제하거나 나아가서 금지시키는 것도 일자리

창출과 결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많은 예산을 들

이지 않고도 사회적 합의나 제도적 정비를 통하여 고용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음을 의미

한다. 최근에 경제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측되었던

직종별 수급불일치의 정도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형태별 수급 불일

치의 변화 추세는 일정한 특징이 있었다. 지역별 및 직종별 불일치는 같은 모습으로 증

감 - 2004-5 년에 증가하다가 2006-7년에는 감소하는 현상- 을 경험하고 있고, 반면에

연령별, 학력별 및 임금별 불일치의 변화 방향 - 2004-5년에 감소하다가 2006-7년에 증

가하는 현상 - 이 대체로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에서 본 고는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2장에서 Mismatch의 추정방법에 대한 이론

적인 방법들을 소개하고 그 특징들을 이해한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소개된 방법론에 따

라 구인,구직 통계를 이용하여 수급불일치를 추정하고 그 의미를 해석한다. 4장에서는

본 연구를 맺는다.

II. Mismatch의 이론과 추정

2.1 Mismatch 의 개념

노동시장의 수급불일치는 개념상 수요와 공급이 존재하지만 서로의 조건이 다르기 때

문에 거래가 형성되지 못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노동시장에서 생각할 수 있는 수급불일

치의 종류는 지역별, 직업별, 산업별, 학력별 및 임금별 불일치 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Mismatch를 세 가지 방법으로 추정한다.4)

(1)

4) 보다 자세한 도출과정은 Jackman and Roper (1987)

Page 6: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52 한국노동경제학회 2009년 하계학술대회

여기에서 는 전체실업대비 해당 개별 노동시장에서의 실업비율을 의미하고 는

전체 구인대비 해당 개별 노동시장에서의 구인비율을 의미한다. 이 측정방법들은 마찰적

실업은 불가피한 것으로 간주하고 Mismatch 를 실제실업률과 최적실업률사이의 차이로

추정하는 것인데, 과 의 경우 최적실업률은 구인/구직비율이 모든 개별 노동시

장에서 동일한 상황에서의 실업률을 의미하고, 일정한 조건하에서 거시노동시장에서 채

용률(Hiring rate)을 극대화하는 실업률을 의미한다.5) 두 가지 측정방법의 차이는 은

구조적인 균형을 갖기 위하여 다른 노동시장으로 이동해야하는 실업자의 수를 추정하

는 것이고, 는 전체 실업률에 대하여 구조적인 수급불일치가 기여하는 정도에 대한

추정치를 의미하게 된다.6)

세 번째 방법인 는 NAIRU(Non-accelerating inflation rate of unemployment) 의

관점에서 측정하는데, 가격안정성(Price Stability)하에서의 최소실업률과 실제 실업률과의

차이를 Mismatch 로 측정한다.7) 최소실업률은 모든 개별노동시장에서 실업률이 동일한

상황에서의 실업률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제한다. 세 번째 방법과 처음 두 가지 방법과

의 차이는 Mismatch의 정도를 측정하면서 기준이 되는 균형실업률을 어떻게 볼 것이냐

에 대해 다른 견해를 표현한 것이다. 이 방법은 구인통계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

이 있는 반면에 몇 가지 강한 가정을 필요로 한다. 첫째는 부문별 노동시장에서 임금함

수(Sectoral wage function)가 볼록하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해당 노동시장에서 임금결정이

실업률에 영향을 받고, 세 번째는 임금함수에서 상수항을 제외하고 모든 노동시장에서

임금함수가 동일하다는 점이다. 달리 말하면, 에서

이고 가 노동시장별로 다르지 않다는 것 (sector-specific)을 의미한다.8)

다음절에서 위에서 설명한 추정방법을 구인 ․구직통계에 적용하여 mismatch의 정도를

측정한다. 구인/구직배율은 노동시장 mismatch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대표적인 통계

치이고, 그 비율의 증가는 mismatch의 증가로 해석할 수 있는데, Paoda Shioppa(1991)

는 구인/구직배율이 증가하는 경우 그 해석에 신중하여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첫째는 거

5) 반면에 마찰적 실업까지를 포함하여 수급불일치를 정의하는 방법은 Dreze and Bean(1990)을 참고. 기본가정은 각

개별노동시장에서 수요와 공급 중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요인이 고용을 결정하는데, 거시노동시장의 관점에서 보면,

일부 부문에서 채워지지 않은 일자리가 있고 다른 부문에서 실업이 공존하여, 고용의 크기는 거시노동수요와 거시

노동공급 중 작은 요인보다 작게 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 균형실업은 거시노동시장에서 노동수요와 노동공급이 동

일한 수준에서의 실업을 의미하고 균형실업에서의 이탈을 Mismatch의 정도로 본다.

6) 두 측정변수 모두에서 추정치 값이 0에 근사할 수록 수급 불일치의 정도가 낮은 것임.

7) Jackman, Layard and Savouri (1991) 을 참고.

8) 적지 않은 연구들에서 이러한 가정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였고, 실증분석에서 이 조건들이 성립하는 경우가 적

다고 지적하였다. Padoa Shioppa(1991), Grubb(1985), Bean, Layard and Nickell(1986) 등이 그 예이다. Padoa

Shioppa(1991) 는 이 추정치는 노동시장별로 실업통계의 분산을 나타낼 뿐이지 수급불일치의 정도로 받아 들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에 Jackman, Layard and Savouri (1991) 는 영국과 미국자료에서 이러

한 가정들이 성립되었다고 주장하였다.

Page 7: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53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시노동시장에서 불균형의 감소에 따른 것으로 이 경우는 주어진 Beverage곡선을 따라

(좌측으로) 상향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두 번째는 비버리지곡선자체의 상향이동이 발생

한 경우인데, 그 원인은 개별 노동시장에서 마찰이 증가하거나 또는 구인과 구직의 부문

별 불일치가 증가한 경우라는 것이다. 구인/구직배율의 증가가 Mismatch의 증가에 대한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이 아니고 다음 조건들을 확인해야 한다고 하였다. 첫째는 그 과

정에서 실업의 증감 여부인데, Mismatch의 증가에 의해 구인/구직 배율이 증가하였다면

실업이 증가해야 하고 노동수요의 증가에 의한 것이라면 실업이 감소해야 한다는 것이

다. 추가의 조건은 그 과정에서 개별 노동시장 부문별 구인/구직배율의 증감 여부인데

mismacth에 의한 것이라면 그 수치가 증가할 것이라는 것이다.

III. Mismatch의 추정결과

본 절에서는 구인 구직 통계를 이용하여 Mismatch의 정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앞에서

정의한 세 가지의 추정방법을 사용한다.

3.1 자료

추정에 사용되는 자료는 노동부 Work-net에서 수집되고 있는 구인 ․구직 통계들이다.

이러한 자료가 작성된 기간이 길지 않아서 표본기간은 2002년 이후 부터이고, 대상은

직종별, 학력별, 연령별, 임금별 및 지역별 등이다. 수급불일치와 관련하여 기존의 국외

연구들이 일반적으로 관심을 갖는 대상은 산업별, 직종별 및 지역별인데, 현재 국내의

이용가능한 통계로는 그 중 지역별과 직종별이 가능하다. 여기에 국내 노동시장의 특징

이라는 관점에서 학력별, 연령별 및 임금별 불일치를 추정한다.

3.2 추정결과와 해석

1) 직종별

직종별로 보면 과 의 추정치는 2002 년 이후 약간 증가하다가 최근에 다시

미미하지만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는 기간내내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9) 직종별 불일치의 발생원인은 일반적으로 산업구조변화에 따른 직종별

로 초과수요와 초과공급일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최근의 새로운 산업구조의 확산에

Page 8: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54 한국노동경제학회 2009년 하계학술대회

<표 1> 직종별 Mismatch

직종별(전국) M1 M2 M3

2002 0.1807 0.0316 0.0021

2003 0.1918 0.0314 0.0020

2004 0.2454 0.0406 0.0018

2005 0.2451 0.0378 0.0017

2006 0.2267 0.0330 0.0014

2007 0.2284 0.0341 0.0012

M1, M2, M3 - 직종별

0.0000

0.0500

0.1000

0.1500

0.2000

0.2500

0.30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연도

M1

M2

M3

따라 그 불일치의 정도가 클 것으로 추정하였는데 아래에서 소개되는 다른 형태의 불일

치에 비하여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점은 주목할 만하다.10)

2) 지역별

지역별 불일치는 어느 지역에서는 빈 일자리가 존재하는 반면에 다른 지역에서는 구

직자가 존재하는 경우의 정도를 측정한 것으로 근로자들의 노동이동이 자유롭다면 그

정도가 감소할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그렇지 않기 때문에 존재할 것이다. 따라서 근로자

9)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Padoa Shioppa(1991)의 견해를 따라서 보다는 의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

결과를 해석한다.

10) 이러한 결과는 표본 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직접비교는 어렵지만 Jackman, Layard and Savouri (1991) 과 유사한

결과이다.

Page 9: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55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의 이동이 용이하고 또한 일자리가 균형적으로 분포하면 그러한 불일치의 정도는 감소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관점에서 지역별 수급 불일치는 지역간의 불균형 발전과 관

련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최근의 한국경제의 관점에서 흥미롭다. 지역별 수급 불일치

의 추정결과를 보면 , 와 모두가 2002년 이후 약간 증가하다가 2004-5 년

이후 감소하고 있다. 지역별 수급 불일치의 감소가 최근에 한국정부가 노력한 지역균형

발전정책에 영향을 받은 것인지의 여부는 추가분석 대상이다. Jackman, Layard and

Savouri (1991)는 산업별, 직업별 및 지역별 수급 불일치를 추정한 결과 대부분의 국가

에서 산업별 및 직업별 불일치는 그 정도가 대체로 일정하거나 크게 증가하지 않았지만

지역별 불일치의 정도가 오히려 크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전자는 경기침체시에 증가하지

만 후자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표 2> 지역별 Mismatch

지역별(전국) M1 M2 M3

2002 0.0859 0.0073 0.0021

2003 0.0826 0.0057 0.0019

2004 0.1404 0.0126 0.0028

2005 0.1372 0.0121 0.0026

2006 0.1006 0.0064 0.0022

2007 0.0860 0.0062 0.0020

M1, M2, M3 - 지역별

0.0000

0.0200

0.0400

0.0600

0.0800

0.1000

0.1200

0.1400

0.16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연도

M1

M2

M3

Page 10: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56 한국노동경제학회 2009년 하계학술대회

3) 학력별

학력별 수급 불일치의 정도를 보면, 과 의 추정치가 비교적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증가율도 높지만 수급불일치의 추정치 자체도 다른 형태의

추정치에 비하여 큰 편이다. 이점은 종종 지적되어온 학력별 불일치의 정도를 확인해주

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국의 교육시장구조가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데

종종 지적하는 대로 지나치게 많은 대졸학력자의 공급에 기인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증가율이 높다는 것은 잘못된 교육시장구조가 변화하는 노동시장의 필요성에 따라 변화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3> 학력별 Mismatch

학력별(전국) M1 M2 M3

2002 0.2258 0.1831 0.0189

2003 0.1956 0.1980 0.0157

2004 0.1808 0.2501 0.0105

2005 0.1749 0.2423 0.0106

2006 0.3529 0.2448 0.0141

2007 0.3699 0.2573 0.0144

M1, M2, M3 - 학력별

0.0000

0.0500

0.1000

0.1500

0.2000

0.2500

0.3000

0.3500

0.40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연도

M1

M2

M3

Page 11: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57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4) 연령별 불일치

연령별 불일치의 정도에 대한 과 의 추정치를 보면 학력별에 대한 것보다는

적은 값이지만 그 외 다른 형태의 추정치보다는 큰 것으로 나타나서 고령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연령별 수급 불일치문제도 상당히 심각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 정도가 2002년

이후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양한 수급 불일치들 중에서 연령별 불일

치는 다른 요인보다는 한국의 독특한 문화적인 관습이 중요한 결정요인일 가능성이 있

다. 채용 및 고용조정과정에 연령차별을 억제하는 것이 수급불일치의 해소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부분적으로는 채용자에 의한 연령차별외에도 구직자의 구직과정에서 일

자리의 선택시 연령별로 스스로 제한을 두지 않는 것도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표 4> 연령별 Mismatch

연령별(전국) M1 M2 M3

2002 0.2262 0.0475 0.0237

2003 0.2193 0.0430 0.0225

2004 0.2251 0.0500 0.0223

2005 0.2386 0.1041 0.0168

2006 0.2593 0.1224 0.0143

2007 0.2758 0.1114 0.0160

M1, M2, M3 - 연령별

0.0000

0.0500

0.1000

0.1500

0.2000

0.2500

0.30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연도

M1

M2

M3

Page 12: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58 한국노동경제학회 2009년 하계학술대회

5) 임금별

임금별 수급 불일치는 2002년 매우 높았는데 점점 감소하다가 2006년 이후 다시 증가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아래에서도 설명을 하겠지만 임금별 불일치의 정도는 다른

형태의 불일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서 이 문제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필요하다면 적

절한 정책을 시행하는 것은 일자리 문제해결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임금별

수급불일치는 라는 조건에서 근로자들의 유보임금이 기업들의

제시임금과 괴리가 있다는 것을 의미 하는데, 그 원인들은 다양할 것이다. 첫째로 근로

자들이 원하는 고임금 직종이 적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두 번째는 제시된 일자리에

대하여 기업의 제시임금과 근로자의 요구임금사이에 괴리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원인이 근로자의 요구임금이 너무 높기 때문일 수 도 있지만 다른 원인에 기인할 수도

<표 5> 임금별 Mismatch

임금별(전국) M1 M2 M3

2002 0.4242 0.0554 0.0011

2003 0.3016 0.0241 0.0022

2004 0.2814 0.0211 0.0032

2005 0.2989 0.0209 0.0036

2006 0.3820 0.0314 0.0040

2007 0.3931 0.0390 0.0038

M1, M2, M3 - 임금별

0.0000

0.0500

0.1000

0.1500

0.2000

0.2500

0.3000

0.3500

0.4000

0.45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연도

M1

M2

M3

Page 13: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59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있다. 오히려 한국의 일부 노동시장에서 임금이 너무 경직적이어서 임금의 결정요인인

생산성이나 근로조건을 신축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즉, 수요독

점적인 노동시장구조에서 일부 업종에서는 임금이 지나치게 높고 반대로 다른 업종에서

는 적정수준이하의 임금이 책정되고 있는 양극화현상에 기인할 수도 있다. 즉, 임금별

불일치는 모든 일자리들에서의 임금수준이 임금결정요인의 상대적 수급에 따라 결정이

된다면 상당부분 해소가 될 수 있을 것인데 현실적으로 그렇지 않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6) 부문별 수급불일치의 비교와 함의

위에서 정리된 여러 부문별 수급불일치의 정도를 비교하여 보면 (2007년 을 기

준) 임금별(=0.393), 학력별(=0.369), 연령별(=0.275) 의 순으로 수급불일치의 정도가 다

른 형태의 불일치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채용시에 학력차별이

나 연령차별을 억제하거나 나아가서 금지시키면 일자리 결합이 더욱 증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많은 예산을 들이지 않고도 사회적 합의나 제도적

정비를 통하여 고용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지역별과 직종별 수급불일치를

보면 직종별 수급불일치는 예상보다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경제구조

가 급격히 변화하는 과정에서 직종별 또는 산업별로 수급 불일치가 심각할 것으로 추정

할 수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은 선행연구인 Jackman,

Layard and Savouri (1991) 에서도 확인이 되었다. 끝으로 지역별 불일치는 지역경제들

이 균형적으로 발전할수록 그 불일치의 정도를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균형발전을 추구해야할 이유가 되기도 한다.

다양한 형태의 수급불일치에 대하여 모든 노동정책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겠지

만 다음과 같은 정책이 제 형태의 수급불일치에 대하여 보다 직접적인 효과를 갖을 것

이다. 먼저, 구인, 구직을 알선하는 고용지원서비스의 성과는 임금별 수급불일치를 개선

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이고, 직업훈련정책은 직종별 수급불일치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즉, 직종별로 일자리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많은 경우에 추가의 새로운 직업훈련

이 필요하거나 유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지역별 불일치는 무엇보다 지역간의 불균형적인

발전이 중요한 원인일수 있을 것인데 그 이유는 근로자들의 노동이동이 쉽지 않은 상황

에서 지역의 불균형한 발전은 일자리 기회가 지역별로 불균형을 갖게 되고 그 결과 불

일치가 커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학력별 수급불일치는 고용정책의 직접적인 대상이기

보다는 장기적인 수급 정책과 교육정책의 문제이겠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노동시장에서의

학력별 임금격차의 구조도 중요한 결정요인일 수 있다. 즉, 균형임금격차(Equilibrium

Wage Differentials) 이상으로 고학력자에 높은 임금을 제시하는 노동시장에서 사람들은

Page 14: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60 한국노동경제학회 2009년 하계학술대회

추가의 학력(Diploma)을 추구하는 비용에 비하여 편익이 크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고학

력을 추구하게 되고 그 결과 학별별 수급불일치는 더욱 증가하는 현상이 나탄게 된다.

연령별 수급 불일치는 연령차별금지정책을 더욱 강력하게 시행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

한다.

끝으로, 형태별 수급 불일치의 변화 추세는 일정한 특징이 있다. 지역별 및 직종별 불

일치는 같은 모습으로 증감을 경험하고 있고 - 2004-5 년에 증가하다가 2006-7년에는 감

소하는 현상-, 반면에 연령별, 학력별 및 임금별 불일치의 변화 방향이 대체로 서로 일

치- 2004-5년에 감소하다가 2006-7년에 증가하는 현상-11) 한다.

V. 결어 및 제안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정도를 이해하고 그 정도가 일자리 창출에 미

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성장에 따른 고용효과가 크지 않거나 또는 고용없는

성장이라는 현상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는 현실에서 수급불일치의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임금별, 학력별, 연령별의 순으로 수급불일치의 정도가 존재하

여 이 결과는 채용시에 학력차별이나 연령차별을 억제하거나 나아가서 금지시키는 것도

일자리 창출과 결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지역균형발전정책의 추구는

지역별 수급불일치를 감소시켜서 일자리창출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으로 추정된다. 직

종별 수급불일치는 예상하였던 것보다는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균형적

인 발전은 지역별 수급불일치를 감소시켜서 일자리창출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으로

추정된다. 추후에 수급불일치의 정도가 취업탄력성의 변화나 다른 노동시장의 구조와 어

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은 일자리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

로 판단된다.

11) 이 부분에 대한 것은 추후 그 원인을 이해한다면 고용문제를 이해하고 정책의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Page 15: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61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부록 : 실증분석 자료]

직종별 M1

0.0000

0.0500

0.1000

0.1500

0.2000

0.2500

0.30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연도

직종별 M2

0.0000

0.0050

0.0100

0.0150

0.0200

0.0250

0.0300

0.0350

0.0400

0.045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연도

Page 16: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62 한국노동경제학회 2009년 하계학술대회

직종별 M3

0.0000

0.0005

0.0010

0.0015

0.0020

0.0025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연도

지역별 M1

0.0000

0.0200

0.0400

0.0600

0.0800

0.1000

0.1200

0.1400

0.16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연도

Page 17: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63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지역별 M2

0.0000

0.0020

0.0040

0.0060

0.0080

0.0100

0.0120

0.014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연도

지역별 M3

0.0000

0.0005

0.0010

0.0015

0.0020

0.0025

0.003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연도

Page 18: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64 한국노동경제학회 2009년 하계학술대회

학력별 M1

0.0000

0.0500

0.1000

0.1500

0.2000

0.2500

0.3000

0.3500

0.40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연도

학력별 M2

0.0000

0.0500

0.1000

0.1500

0.2000

0.2500

0.30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연도

Page 19: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65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학력별 M3

0.0000

0.0020

0.0040

0.0060

0.0080

0.0100

0.0120

0.0140

0.0160

0.0180

0.02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연도

연령별 M1

0.0000

0.0500

0.1000

0.1500

0.2000

0.2500

0.30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연도

Page 20: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66 한국노동경제학회 2009년 하계학술대회

연령별 M2

0.0000

0.0200

0.0400

0.0600

0.0800

0.1000

0.1200

0.14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연도

연령별 M3

0.0000

0.0050

0.0100

0.0150

0.0200

0.025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연도

Page 21: 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µœ창곤_하계_09.pdf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1) 최 창 곤*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수급불일치의

67노동시장 Mismatch의 구조와 특징

∥참고문헌∥

Dreze, J.C.R. and C.R.Bean, 1990, “Europe’s Employment Problem: Introduction and

Synthesis”, in European Unemployment : Lessons from a Multi-Country Econometric

Study.

Jackman, R. and S. Roper, 1987, “Structural Unemployment”,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49(1). 9-37.

Jackman, R. ,Layard, R and S. Savouri, 1991, “Mismatch: A Framework for Thought”,

in Mismatch edited by Paoda Schioppa, 1991, 44-104.

Kapos, Stepen, 2005 “The employment intensity of growth: Trends and macroeconomic

determinants” ILO.

Lilien, D. M. 1982, “Sectoral Shifts and Cyclical Unemployment”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0(4) 779-93.

Paoda Shcioppa, 1991, “Sectoral Mismatch in the 1980s”, in Mismatch edited by Paoda

Schioppa, 1991, 1-43.

Shimmer, M., 2005, “The Cyclical Behavior of Equilibrium Unemployment and Vacancie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