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한국중동학회논총 |제35권 제1호 [2014. 06]: 55~89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 |손태우**, 김홍배***, 홍문영****| Sohn, Tae-woo, Kim, Hong-Bae, Hong, Moon-Young 1)2) Study on the Sharia Committee in Islamic Finance Even Islamic finance has emerged in recent decades, it has recognized one of the most important trends in the financial world due to its stability in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and popular demand of Islamic monetary resources. Islamic finance is a form of finance which is based on Sharia, or the body of Islamic law. Unlike conventional finance, Islamic finance must be Sharia-compliant, such as no interest, no haram investment, risk and profit sharing, and Sharia committee compliance. Sharia committee or Sharia board is a key institution or organ for Sharia compliance in Islamic finance. It typically involves as following: (i) presiding over the Sharia compliance of all the transactions in the financial institutions (ii) supervised the development of Sharia-complaint products, investments and procedures (iii) certifying Sharia compliance of the instutions' product documents, contracts and agreements (iv) advising on training staffs for Sharia compliance. [Key words: Sharia committee, Islamic finance, Fatwa, AAOIFI, IFSB, Riba, Islamic law, Sharia] * 이 논문은 2013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1-330-B00106) **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1저자), E-mail: [email protected] *** 동서대학교 경영학부 부교수 (교신저자), E-mail: [email protected] ****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대학원생, E-mail: [email protected]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kames1979.or.kr/cont/105/tab1_file/2014063501... · 2015. 1. 2. · 은행 상품에는 무라바하(Murabaha), 무다라바(Mudarabah),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55~89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

    |손태우**, 김홍배***, 홍문영****|

    Sohn, Tae-woo, Kim, Hong-Bae, Hong, Moon-Young

    1)2)

    Study on the Sharia Committee in Islamic Finance

    Even Islamic finance has emerged in recent decades, it has recognized one of the most important trends in the financial world due to its stability in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and popular demand of Islamic monetary resources. Islamic finance is a form of finance which is based on Sharia, or the body of Islamic law. Unlike conventional finance, Islamic finance must be Sharia-compliant, such as no interest, no haram investment, risk and profit sharing, and Sharia committee compliance. Sharia committee or Sharia board is a key institution or organ for Sharia compliance in Islamic finance. It typically involves as following: (i) presiding over the Sharia compliance of all the transactions in the financial institutions (ii) supervised the development of Sharia-complaint products, investments and procedures (iii) certifying Sharia compliance of the instutions' product documents, contracts and agreements (iv) advising on training staffs for Sharia compliance.

    [Key words: Sharia committee, Islamic finance, Fatwa, AAOIFI, IFSB, Riba, Islamic law, Sharia]

    * 이 논문은 2013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1-330-B00106)

    **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제1저자), E-mail: [email protected]

    *** 동서대학교 경영학부 부교수 (교신저자), E-mail: [email protected]****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대학원생, E-mail: [email protected]

  • 56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Ⅰ. 서론

    2007년부터 발생한 유례 없는 국제금융위기는 서구 금융기관의 무분별한 금

    융상품 개발로 인한 자산, 부채 버블이 그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었다. 이러한

    위기 상황으로 각국은 금융제도에 대한 비판과 각성의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

    데, 이슬람 금융이 서방의 무분별한 금융 관행을 치유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각

    되었다. 이는 금융위기 속에서 이슬람 금융상품이 이슬람 규범에 의해 파생상

    품 같은 복잡한 투자를 하지 않고 과도한 레버리지를 통한 투기를 하지 않는

    특성으로 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김정렬 2011, 1231-1232; 손

    태우, 김홍배, 김분태, 정희진 2013, 2 참고). 한편 무슬림은 세계인구의 약 20퍼

    센트인 16억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동지역에서 유래되는 오일머니를

    위시한 이슬람 자본은 이슬람 금융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M&A 시장뿐만 아

    니라 대형 프로젝트사업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슬람 국가에서 자금조달 수

    단으로 사용되는 이슬람 채권인 수쿠크는 전 세계적으로 연평균 40% 성장률과

    더불어 2011년 2분기부터 2012년 2분기까지 발행한 금액만으로도 미국달러화

    시가기준 25조 달러에 이르고 있다(한국금융연수원 2010, 270-279; Zawya

    Research(http://www.zawya.com)).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보아도 우리 금융기관

    · 업계 · 정부당국이 이슬람 금융자본의 국내 이용 및 관련 사업 참여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됨은 당연하다.

    이 논문에서는 이슬람 금융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슬람

    금융이 우리나라에 진출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가정하고, 향후 우리나라에

    서의 이슬람 금융제도 도입시 필요한 제도인 샤리아위원회에 대해 논하고자 한

    다. 이슬람 금융제도 하에서 필수적 기관 역할을 하고 있는 샤리아위원회는 이

    슬람 금융상의 모든 거래가 이슬람법 즉 샤리아에 적합하게 운영될 수 있는지

    혹은 운영되고 있는지를 자문하고 감독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물론 이슬람 국

    가마다 샤리아위원회의 설치 형태와 법적 지위에 대해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 |손태우, 김홍배, 홍문영|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 | 57

    샤리아위원회의 본연의 임무는 동일하다. 이러한 샤리아위원회를 논하기 위해

    서는 먼저 샤리아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는 것이 필요한데, 이슬람 금융이 샤리

    아에 근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샤리아위원회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샤리아위원회의 형태와 운영이 국가마다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대표적인 국가별 샤리아위원회를 살펴보고, 이러한 국가별로 상이한 샤리아위

    원회로 인한 샤리아 해석의 비일관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된 샤리아위원

    회 관련 국제금융기구를 살펴볼 것이다. 이후 샤리아위원회의 국내 도입 가능

    성과 더불어 샤리아위원회의 국내 법적 지위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이로써 이

    슬람 금융에서 빼놓을 수 없는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일반론과 국내 도입시 그

    법적 지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 분야에 대한 국내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Ⅱ. 이슬람 금융

    1. 이슬람 금융의 규모 및 현황

    이슬람 국가라 하더라도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모든 금융기관이 이슬람

    금융을 취급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 금융과 이슬람 금융을 다 허용하고 있는

    말레이시아의 경우에는 이슬람 은행이 자산 기준으로 전체 은행권의 22% 수준

    의 비중을 가지고 있다. 이슬람 신도 비중이 높은 중동국의 경우에도 은행의

    10%~40% 정도만 이슬람 금융으로 분류되고 있다(위키피디아

    (http://en.wikipedia.org); http://www.bloomberg.com). 그러나 이슬람 금융의 비

    중이 점차 커지고 있고 해당 국가의 발전 속도가 빠르다는 점을 감안할 때 최

    근 이슬람 금융의 빠른 성장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펀드투

    자 3,000억 불, 예금 2,500억 불 등 8,000억 불 수준의 중동지역 자금이 유럽계를

    중심으로 하는 해외 금융기관을 이용하고 있다(한국금융연수원 2010, 266-270;

  • 58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Daud Vicary Abdullah, Keon Chee 2010, 2-4). 또한 3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는

    중동의 부호를 대상으로 하는 PB(Private Banking)1) 업무에서도 이슬람 금융 수

    요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이슬람 금융이 국제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후반과 2000년

    대 초반부터이다. 이후 점점 많은 국가들이 이자 또는 부채가 없는 시스템을

    실행할 수 있다는 개념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Hossein Askari, Zamir Iqbal, and

    Abbas Mirakhor 2009, 3-4). 중동의 석유 수입의 증가로1970년대 이슬람 금융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나, 순자산 등급에 한정되었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최근

    의 이슬람 금융의 증가는 소규모 투자자들과 소매 소비자들을 포함한 더 넓은

    계층의 수요로 인한 결과이다. 이슬람 금융이 휴면상태에 있었던 일부 국가들

    도 샤리아를 준수하는 금융상품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경험하고 있다. 예

    컨대 사우디아라비아는 오랜 기간 동안 이슬람 금융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고

    있었고 이슬람 금융의 성장에 별다른 장려책을 두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이슬

    람 금융에 대한 국민들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자국의 가장 큰 은행인

    국가상업은행(National Commercial Bank)의 전체 지점망에 샤리아 원칙에 입각

    한 금융운영체제로 전환했다(Hossein Askari 외 2명, 앞의 책, 5).

    이러한 이슬람 금융에 대한 인식은 두 가지 주요 요인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첫째, 30년이 넘는 이슬람 금융의 역사 동안 주요 이슬람 은행이 운영

    상 실패한 곳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더불어 이들 은행은 기존의 서구식 은행

    처럼 효율적이고 수익성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물론 실패한 이슬람 은행도 있

    지만 그 실패는 위험 관리의 부족과 불량한 지배구조에 기인한 것이지, 이슬람

    금융상품의 문제가 아니다. 둘째, 이슬람 금융 이론의 진보이다. 샤리아의 法源에서 이슬람 금융상품에 관한 포트폴리오 이론이나 금융 중개이론에 필요한 이

    론적 기초를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이자없는 이슬람 금융이 종래 서구식 금융

    업을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안정성이 실증됨으로써 새로운 이슬람 금

    1) 은행이 거액 자산가들을 대상으로 자산을 종합 관리해 주는 고객 서비스를 말한다. 출처: 매일경

    제 경제용어 사전: (2013.11.13. 접속)

  • |손태우, 김홍배, 홍문영|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 | 59

    융상품 개발이론을 자극하고 있다(Hossein Askari 외 2명, 앞의 책, 3-4).

    2. 이슬람 금융의 분류

    이슬람 학자들은 다양한 금융 상품의 샤리아 적합여부를 판단할 준거들을

    개발해 왔다(패트릭 숙데오 2009, 98; 김정렬, 앞의 논문, 1228-1230). 이러한 준

    거들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개발된 이슬람 금융 상품은 크게 은행 상품, 이슬람

    채권인 수쿠크(Sukuk), 그리고 보험 상품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은행 상품에는 무라바하(Murabaha), 무다라바(Mudarabah), 무샤라카

    (Musharaka), 이자라(Ijara), 이스티스나(Istisna'a)가 있다. 무라바하는 이슬람 은

    행과 고객간의 매매계약으로 은행이 고객을 위해 부동산 혹은 동산을 구매하고

    거기에 부대비용 및 이윤을 포함시켜 고객에게 재매매한다. 이때 고객은 대금

    지불을 할부형태로 하고, 이슬람은행은 고객이 대금을 지급할 때까지 구매물건

    의 소유권을 보유한다(Gohar Bilal 1999, 145; Nik Norzrul Thani, Mohamed Ridza

    Abdullah, Megat Hizaini Hassan 2010, 75-78; 최태영 2008, 143-144). 무다라바는

    일방의 파트너가 자본을 공여하는 형태이다. 자본을 제공하는 파트너는 라발말

    (rabbalmal)로 서구식 은행의 예금자에 해당되며, 경영을 담당하는 파트너인 무

    다리브(mudarib)는 은행에 해당된다. 일방이 100%의 자본을 제공하고 경영 전

    문가는 자본의 투자 계획을 경영하는 전문 지식과 노력을 제공한다. 이익이 발

    생할 경우 사전에 정해진 분배율에 따라 나누고, 손실이 발생할 경우 자본을 제

    공한 측에서 전액을 부담한다(Umar F. Moghul 2006, 3; Nik Norzrul Thani 외 2명,

    앞의 책, 66-70). 무샤라카는 합작회사 형태로 관련된 모든 당사자가 공동출자

    하는 계약이다. 각 당사자는 출연재원에 관계없이 합의된 비율에 따라 이윤을

    분배받지만, 손실은 각자 재원 출연분에 따라 분담한다(Bilal Khan 2010, 441,

    452; Nik Norzrul Thani 외 2명, 앞의 책, 70-73). 이자라는 공장, 자동차, 사무용품

    등 특정자산을 획득하기를 원하는 고객을 위해 은행이 그들을 대신하여 그 자

    산을 구입하고 그들로부터 일정한 임대료를 받고 사용케 하는 것이다(Adbus

  • 60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Samad, Norman D. Gadner & Bradley J. Cook 2005, 69, 76; Nik Norzrul Thani 외

    2명, 앞의 책, 60-65). 이스티스나는 은행이 일정 목적물을 생산할 고객에게 비

    용을 주고, 장래에 그 목적물이 완성되면 은행이 이를 취득하여 최종소비자에

    게 재판매하는 것이다(Bilal Khan, 앞의 책, 454; Nik Norzrul Thani 외 2명, 앞의

    책, 59-61; 김정렬, 앞의 논문, 1228).

    이슬람 채권으로 불리는 수쿠크는 투자자들이 해당 채권을 발행하는 기업이

    나 프로젝트의 공동 투자자가 되어 사후에 이익을 향유하는 방식을 취한다. 최

    근 국제 금융시장에서 수쿠크 발행의 비약적인 증가는 이슬람 금융을 한 차원

    도약시키는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수쿠크는 자산 거래와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계약의 내용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누어져 있다(Muhammad

    al-Bashir Muhammad al-Amine 2012, 101-114; Raj Bhala 2011, 764-778 참고). 현재

    수쿠크는 일반채권과 마찬가지로 각 국의 증권거래소에 상장이 허용되고 있으

    며, 유로 클리어(Euro-Clear)2)등 기존 증권결제기구를 통해 결제도 가능하다(한

    동훈, 이원삼, 안수현 2009, 110-114).

    이슬람보험은 ‘타카풀(Takaful)’로 불리우는데, 이는 상호부조의 정신에 입

    각하여 각 타카풀 계약자로부터 기부형태로 자금을 출연받아 공동기금을 형성

    하여 갹출된 기금을 다른 계약자의 사고로 인한 손해를 보전하는데 사용하겠다

    는 계약이다(Mohamad B.A. Hamid, Nor I.B. Yaa'kub, Nik M.B.N. AB. Rahman

    2010, 140). 이처럼 계약자는 보험회사에 대해 일정 기간 일정 보험료를 지급하

    는 계약을 체결하지만, 보험금 및 배당 지급은 보험회사가 운용 이익의 일정 비

    율에 따라 계약자에게 지급된다.

    2) 유러채의 결제기관으로 1968년말 Morgan Guarantee Trust Co.에 의하여 설립되었다. 출처: 매일경

    제 경제용어 사전, (2013.11.13. 접속).

  • |손태우, 김홍배, 홍문영|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 | 61

    3. 이슬람 금융의 구조

    서구식 금융에서는 정부의 규제와 감독 및 정부의 인 · 허가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금융거래의 외부 효과와 신용 위험, 규모의 경제 효과, 시스템 위험

    등의 이유 때문이다. 이슬람 금융 역시 금융 산업에 속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

    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샤리아를 준수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해 낸 이슬람

    고유의 금융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슬람 금융은 샤리아에 근거하여 이

    에 일치하는 금융 서비스 및 금융 상품을 제공하는 금융 및 금융 기관이다. 이

    때 이자의 지급 대신 거래의 대가로 수익을 창출하고 이를 배분하는 구조를 이

    용하는데, 샤리아에서 이자(Riba)의 지급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슬람 금융에 따르면 금융기관의 자금 공급은 일반적인 대출 형태가 아니고, 상

    호출자 혹은 이익손실 공유의 형태로 이루어진다(이충열, 이영수, 제상영 2011,

    19-21; 한동훈 외 2명, 앞의 논문, 83; 오영표 2010, 36). 이슬람 금융의 특정 금융

    상품 또는 금융 거래가 ‘샤리아에 적합한 적격 금융(Shari'ah Compliance)’으

    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이자 금지의 원칙3)뿐만 아니라 다른 샤리아의 원칙4)을

    준수하여야 한다(Daud Vicary Abdullah 외 1명, 앞의 책, 3-7; 이충열 외 2명, 앞

    의 책, 48-50; 한동훈 외 2명, 앞의 논문, 84-87; 김한수, 김보영 2013, 3-5). 예컨

    대, 불명확성 금지의 원칙5), 손익 공동 부담의 원칙6), 하람(Haram) 금지의 원

    3) 이자의 금지는 샤리아상 엄격히 금지되고 있는 바, 이는 실물거래가 수반된 상업거래가 아니라

    단지 금전을 대여하고 이자는 받는 것은 서비스의 제공없이 시간의 경과만으로 금전이 스스로

    증식되는 것이기 때문에 기생행위 내지 부당이득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이충열 외 2명, 앞의

    논문, 48면; 안수현, 최근 일본의 이슬람금융 활성화를 위한 법제 정비와 국내 시사점, 충남대

    법학연구, 2012.6. 177면.

    4) 샤리아 율법의 원칙을 본문에서 제시한 여섯 가지 원칙에서 자금퇴장금지의 원칙과 샤리아위원

    회의 승인 획득 원칙을 제외하고 네 개로 보는 견해도 있다. 오영표, 앞의 논문, 36-37면.

    5) 샤리아는 거래 당시 거래의 모든 사항이 명확히 확정되고 거래 대상 상품이 현존하고 인도 가능

    한 상태가 되길 요구한다. 이는 우월한 거래교섭력이 있는 자의 횡포를 막고 투기나 도박을 막

    기 위함이다. 따라서 선물이나 옵션과 같은 파생금융상품을 금지하고 도박(Maisir 마이시르)성

    있는 거래를 금한다. 참조 손태우 외 3명, 앞의 논문, 81면; 이충열 외 2명, 앞의 책 50면; 안수현,

    앞의 논문 127면.

    6) 이슬람 금융거래는 원칙적으로 공동투자를 근간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제공된 자금의 원본 상환

  • 62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칙7), 자금 퇴장(退藏) 금지의 원칙8) 그리고 샤리아위원회의 승인 획득 원칙이다. 이 중 맨 후자는 이슬람 금융기관이 이슬람 금융과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

    기 위해서는 사전에 샤리아에 적합한지 여부를 이슬람 학자로 구성된 샤리아위

    원회(Sharia Committee 혹은 Sharia Supervisory Board)의 승인 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원칙이다. 이처럼 샤리아위원회는 샤리아에의 적격성 심사를 담당하며,

    이슬람 금융거래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이들 기관의 적격성 판단을

    거쳐야 한다. 이 때 샤리아위원회는 각 국가의 최고 종교심의기관이 될 수 있

    고, 중앙은행이나 금융 감독기관에 부설된 위원회일 수 있다(이충열 외 2명, 앞

    의 책, 50; 한동훈 외 2명, 앞의 논문, 87).

    이슬람 금융이 복잡한 거래에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는 샤리아의 요구는 물

    론 세속적인 법률의 준수와 소비자의 상업적 목적도 동시에 충족시켜야 하는

    점이다. 자본시장 구조의 상품은 많은 업무 연속성이 요구되며, 샤리아위원회

    는 특히 이와 관련된 많은 문서를 면밀히 조사하고 승인하고 있으며, 파트와

    (Fatwa)9)를 발표한다. 그러므로 업무적인 관점에서 볼 때, 가능한 한 빨리 샤리

    이나 사전에 확정되는 수익을 보장하는 것을 금지한다. 이에 따라 자금조달자인 금융기관과 고

    객은 상호 사업파트너로서 참여한 것으로 보고 자금조달한 사업의 수익과 손실을 분담하는 것

    으로 본다. 이충열 외 2명, 앞의 책, 50면; 한동훈 외 2명, 앞의 논문, 86면; 손태우 외 3명, 앞의

    논문, 81면.

    7) 하람은 신이 금지한 행위로 무슬림은 하람 행위를 절대로 해서는 안되며, 그 위반 시 처벌받는다.

    하람의 예로는 술, 돼지고기, 카지노, 음란물, 담배, 이자를 받는 금융 등이다. Daud Vicary

    Abdullah 외 1명, 앞의 책, p.6; 이충열 외 2명, 앞의 책, 49면, 안수현, 앞의 논문, 178면; 손태우

    외 3명, 앞의 논문, 82면.

    8) 샤리아는 물건이나 화폐 따위를 쓰지 않고 묵혀 두는 행위를 비도덕적인 행위로 간주하여 보유

    한 자금은 모두 경제행위에 투입되어야 하며 자금의 저장은 금지된다. 이로써 부의 축재를 막고

    공동체의 경제발전을 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를 보완하는 차원에서 자산의 일정 비율을

    자선사업에 희사하도록 자카트(Zakat)를 의무화시키고 있다. 이충열 외 2명, 앞의 책, 50면; 한동

    훈 외 2명, 앞의 논문, 86면; 손태우 외 3명, 앞의 논문, 82면.

    9) 파트와는 어떤 사안이 이슬람법에 저촉되는지를 해석하는 권위있는 이슬람 판결으로 종교적 유

    권해석에 의한 칙령이다. 즉 그것은 법적인 최종 판결이 아니며 중대한 사안에 대한 종교적인

    답변에 불구하다. 그러나 이슬람 세계에서 법 이상의 권위를 갖고 있는 칙령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슬람 교도라면 누구나 종교적 의무로 파트와를 따른다. 출처: ( 2013.11.13. 접속); Daud Vicary Abdullah 외 1

    명, 앞의 책, p.81.

  • |손태우, 김홍배, 홍문영|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 | 63

    아위원회로부터 이슬람 금융 상품구조에 대해 최초의 승인을 얻는 것이 중요하

    다. 이슬람 금융에 대한 협상이 완료되더라도 샤리아위원회로부터 그 내용에

    대한 승인을 받지 않는 한 언제든지 내용이 수정되거나 계약완료가 연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Richard T de Belder, Denton Wilde Sapte LLP 2008, 86).

    Ⅲ. 샤리아위원회의 의의 및 구성

    1. 샤리아위원회의 의의

    무슬림출신이 이끄는 주요 금융기관 혹은 금융그룹10)은 1970년대 석유의 세

    계적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에서 샤리아에 적합한 금융상품 및 금융기법을 개

    발하고자 저명한 이슬람 학자 및 지도자에게 그 임무를 맡겼다. 예컨대 이라크

    의 알 파이살 왕자는 1970년대 초반 유가의 급격한 상승에서 발생한 석유자본

    으로 샤리아에 적합한 투자를 하기 위해 이집트의 저명한 무프티(Mufti)인 세이

    크 무하마드 카드를 그 위원장으로 하는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

    의 고위 공직자였던 세이크 살레 카말은 많은 나라에서 샤리아 기반의 무이자

    (Riba-Free: RF) 금융 코드를 개발하기 위해 최고 종교기관의 그룹을 임명했다.

    이 종교기관의 그룹은 샤리아위원회의 전신으로 후에 ‘샤리아위원회’로 불

    리게 되는데, 서구에서 무이자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임무를 부여받았

    다. 이후 동 그룹은 이슬람 은행 용어, 규칙과 규제, 운영 기준, 금융 메커니즘,

    상품과 서비스를 샤리아에 부합하도록 개발했고, 이는 무역 금융, 자동차 금융,

    10) 이라크 파이살 왕의 아들 무하마드 알 파이살 왕자가 스위스 제네바에서 거점을 둔 다르 알-마

    알 아 이슬라미(Dar Al-Maal Al Islami), 이라크 출신의 쿠웨이트인인 세이크 바지 알 야신이 대주

    주로 있는 쿠웨이트에 소재한 베이트 알 타뮐 알 쿠웨이티-쿠웨이트 금융 하우스(Bayl at

    Tamweel Al Kuwaiti-Kuwait Fiance House) 그리고 세이크 살레 카말에 의해 설립된 사우디 아라

    비아의 제다에 소재한 달라 알 바라카 그룹(Dallah Al Baraka Group) 등이다. 참조 출처:

    (2014.3.25. 접속).

  • 64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주택 모기지, 비즈니스 융자뿐만 아니라 주식 시장에의 투자 등의 분야에서 기

    존의 이자 기반의 금융에 대한 무이자 금융의 대안으로써 제공되었다(Yahia

    Abdul-Rahman 2009, 75-76; Daud Vicary Abdullah 외 1명, 앞의 책, 7-12).

    이 후 이슬람 금융기관이 위와 같은 샤리아위원회를 구성하고 그로부터 내

    려진 샤리아 판결과 파트와에 구속되는 것이 일반적 관행으로 정착되었다. 일

    부 이슬람 금융기관은 자체적으로 ‘샤리아 검토 및 회계감사 부서(Shariah

    Review and Audit Department)’나 샤리아위원회를 지원하는 부서를 만들기도

    한다. 이처럼 샤리아위원회는 이슬람 금융을 취급하는 기관마다 설치되어 있어

    이슬람 금융을 통한 자금의 용도가 샤리아에 적합하도록 지도 · 관리 및 감독

    하므로 사실상 샤리아위원회의 승인이 있어야만 해당거래를 할 수 있다.

    이슬람 금융을 도입한 국가별로 다양한 형태의 샤리아 지배구조제도를 설치

    하고 있다. 예컨대 국가 단위의 샤리아위원회를 설치하여 샤리아 지배 시스템

    을 법규 형식으로 제정한 국가도 있고, 시장 규율에 완전히 맡기는 방법을 도입

    한 국가도 있다. 한편 이슬람 금융창구만을 영업하는 전통적인 금융기관의 경

    우에는 금융기관 내부에 샤리아위원회를 설치할 필요 없이 외부의 샤리아자문

    회사(Shari'ah advisory firm)와 업무위탁계약을 체결하여 샤리아자문회사로 하여

    금 당해 금융기관이 판매하는 이슬람 금융상품에 대한 샤리아 적격성을 확보하

    는 방법도 취하고 있다(오영표, 앞의 논문, 62-63). 또한 샤리아위원회는 펀드영

    업에서도 찾을 수 있다. 샤리아 준수 펀드들은 펀드투자가를 만족시키는 샤리

    아위원회를 가지고 있다. 때때로 샤리아 준수 펀드를 규율하는 법률이 있는 경

    우에는 관련 펀드의 샤리아위원회의 역할과 책임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샤리

    아위원회의 설립법규 뿐만 아니라 이슬람 금융기관 혹은 샤리아 준수 펀드 설

    립 관련 문서 속에서도 샤리아위원회의 조직 및 기능을 다루고 있다(Habiba

    Anwar, Roderick Millar 2008, 184). 그러나 샤리아위원회에 대해 일부 우려도 존

    재한다. 예컨대 중앙은행의 상위 샤리아 기관이 이슬람 금융기관의 상품을 승

    인할 때 혹은 중앙은행의 상위 샤리아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샤리아 어드바이

    저가 특정 이슬람 금융기관에서 일하는 경우에 이해관계로 인한 충돌 가능성이

  • |손태우, 김홍배, 홍문영|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 | 65

    있다는 것이다. 특히 샤리아 어드바이저가 동종 업계에서 하나 이상의 이슬람

    금융기관에서 근무하는 경우에 업무 비밀 준수여부가 문제시 된다. 이에 샤리

    아위원회 위원은 하나 이상의 이슬람 금융기관에서 일하는 것은 제한되고 있

    다.11)

    2. 샤리아위원회의 구성

    1) 샤리아위원회의 구성

    샤리아위원회는 무아마라트(Muamalat)12)에 관한 전문 이슬람 법학자들 이외

    의 위원들을 포함시킬 수 있다. 단 그들은 이슬람 금융기관의 활동이 샤리아에

    준수되는 지를 지도 · 검토 및 감독할 의무를 가지기 때문에 이슬람 금융에

    대한 전문가이어야 한다(Habiba Anwar 외 1명, 앞의 책, 208). 이슬람 금융기관

    회계감사기구(Accounting & Auditing Organization for Islamic Financial Institutions:

    AAOIFI) 기준에 의하면 샤리아위원회는 최소한 3명 이상의 위원13)으로 구성되

    어야 한다. 현재 관행은 대부분 이슬람 금융기관이 샤리아위원회에 3명에서 6

    명의 위원들을 지명하고 있다(Daud Vicary Abdullah 외 1명, 앞의 책, 82). 또한

    샤리아위원회는 경영 · 경제 · 법학 · 회계 그리고 이 밖에 다른 분야에서의

    전문가에게 자문을 요청할 수 있으나, 이슬람 금융기관의 이사나 대주주가 포

    11) 이러한 샤리아위원회 위원의 복수 금융기관의 겸임금지는 이해관계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고,

    비밀유지가 되며 새로운 인재들이 시장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지만, 샤리아

    위원회 위원이 거시 · 미시 경제에 대한 시대에 뒤처지는 지식을 가질 수 있다거나 숙련된 샤

    리아위원회 위원과 비숙련된 샤리아위원회 위원 간에 상호작용이 없어진다는 단점도 있다. see

    Aznan Bin Hasan, OPTIMAL SHARIAH GOVERNANCE IN ISLAMIC FINANCE, 출처:

    (2014.3.8 접속), p.35.

    12) 非이슬람교도의 권리의 권리와 의무 등에 관해 적용되며 계약 · 행동 · 범죄 · 형벌과 같이 인간 상호간의 관계 -개인적 또는 집단적-를 정립한 것으로 예배 · 단식 · 자카트 · 순례 ·

    선언 등과 같은 신과 인간과의 관계를 정립한 이바다트(Ibadat)를 제외한 모든 것을 말한다. 참

    조 한동훈 외 2명, 앞의 논문, 27면.

    13) 이때의 위원들은 샤리아 학자를 지칭한다: Muhammad Ayub, 앞의 책, pp.387-388. 그러나 일부

    국가는 최소 1명부터 말레이시아처럼 최소 3명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 66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함되어서는 안 된다(Muhammad Ayub, 앞의 책, 387-388).

    이처럼 이슬람 금융기관이 자신의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적절히 운영하기 위

    해서는 서로 보완적인 식견을 가진 금융 전문가그룹, 이슬람 법학자그룹, 변호

    사그룹 들이 필요하다. 금융 전문가그룹은 전통 금융상품에 숙달되고, 이슬람

    금융상품에 대한 무슬림 공동체의 필요를 알고 있는 자로 구성된 그룹이다. 이

    슬람 법학자그룹은 모든 가능한 샤리아 제한들을 준수하는 현재의 금융상품이

    기반을 두어야 할 전통적인 샤리아의 규범을 발견할 수 있는 자로 구성된 그룹

    이다. 변호사 그룹은 이슬람 금융상품에 대한 정의 및 내용구성에 관여하며 그

    와 관련된 국내외 법규범을 준수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자로 구성된 그

    룹이다(패트릭 숙데오, 앞의 책, 81-84 참조).

    2) 샤리아 어드바이저

    이슬람 금융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해당거래의 샤리아 적

    합성 여부이다. 이를 위해서 샤리아 전문가에게 조언을 얻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자를 샤리아 어드바이저라고 부른다(미야자키 데츠야 2008, 59 참

    조). 샤리아 어드바이저는 샤리아 위원회와는 달리 이슬람 금융에 대한 수요자

    뿐만 아니라 공급자에게 사업이나 상거래시 샤리아에 적합한 내용을 준수하고

    있는지 여부를 조언하며 계약서나 신고서부터 계약조건의 구체적인 내용까지

    기본적인 요소를 지도한다. 그리고 거래당사자들 사이에서 사업이나 거래가 샤

    리아에 근거한 내용이 되도록 지도한다(미야자키 데츠야, 앞의 책, 175-176). 이

    처럼 샤리아 어드바이저는 비즈니스 거래와 상업 계약의 자세한 내용을 종합적

    으로 자세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Dr Salman Khan 2009, 359-360).

    이슬람 금융이 널리 보급될 경우 샤리아 어드바이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본다. 샤리아위원회의 대부분 위원은 샤리아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가진

    샤리아 학자로 구성되어 있으나, 실제 현실적으로는 샤리아에 대한 지식은 물

    론 금융에 대해서도 상세한 지식을 겸비한 인물이 요구된다. 이처럼 양자의 지

  • |손태우, 김홍배, 홍문영|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 | 67

    식을 겸한 샤리아 위원회의 위원은 극소수이기 때문에 금융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일부의 샤리아 학자에게 의뢰가 집중되고, 복수의 샤리아위원회를 겸직하

    고 있는 학자들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향후 이슬람 금융이

    성장 확대되는 상황에서는 샤리아 어드바이저로 활약할 수 있는 인재도 턱없이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이슬람 금융의 2대 지주 중 하나인 바레인에서

    는 2005년에 이슬람 금융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이슬람 금융기관에서 종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또한 이슬람 금융의 다른 한 거점인 말레이시

    아에도 2005년에 이슬람 금융의 전문가 양성기관인 이슬람 금융교육 국제센터

    (The Inter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in Islamic Finance: INCEIF)가 설립하여

    ‘공인 이슬람 금융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비이슬람권이지만 이슬람 금융

    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는 싱가포르는 PERGAS(Persatuan Ulama, &

    Guru-Guru-Agama Islam Singapura)라는 샤리아 학자 단체가 샤리아 어드바이저

    자격을 인정해 주는 ‘샤리아 어드바이저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

    다(미야자키 데츠야, 앞의 책, 179-181).

    3. 샤리아위원회의 기능

    영국재정청(Financial Services Authority: FSA)14)에 따르면 샤리아위원회의 주

    요 목적은 금융 기업의 상품과 거래의 모든 영역에 있어 샤리아 준수를 보증하

    는 것이라고 규정한다(Michael Ainley, Ail Mashayekhi, Robert Hicks, Arshadur

    14) 영국재정청은 영국의 금융 시장을 감시 감독하는 기관이다. 한국의 금융감독위원회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영국재정청이 처음 세워진 것은 1997년이다. 이전까지 영국의 금융시장을 감독했

    던 기구는 개인 투자자들을 감독하던 영국개인투자관리청(Personal Investment Authority), 시장

    감시를 주력으로 하던 영국투자관리청(Investment Management Regulatory Organization), 그리고

    시장 감독을 총괄하던 증권투자위원회 등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1997년 영국 정부가 금융 감독

    체계를 일원화하는 금융 개혁 방안을 발표하면서 세 기구를 통합한 영국재정청이 세워졌다. 출

    처: [네이버 지식백과]영국재정청 [Financial Services Authority, 英國財政廳] (네이버 기관단체사전: 경제 분야, 2011.8.5, Human &Books) (2014.3.27 접속)].

  • 68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Rahman and Ali Ravalia 2008, 181-182). 이외에도 샤리아위원회는 거래 구조뿐만

    아니라 문서에 대한 검토와 평가를 실시한다. 또한 완료된 거래가 실제로 샤리

    아를 준수하는 방법으로 수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샤리아 준수 회계감사를 수행

    하며, 마케팅 자료를 검토하고 승인하는 기능도 한다. 이와 더불어 이슬람 금융

    전반에 샤리아와 관련하여 교육을 하고 조언을 제공한다(Habiba Anwar 외 1명,

    앞의 책, 185-186; Daud Vicary Abdullah 외 1명, 앞의 책, 81).

    1) 샤리아 준수 여부 검토

    샤리아위원회는 금융상품과 관련 문서 및 계약의 과정을 포함한 금융구조가

    샤리아를 준수하고 있는지를 검토한다. 이에 샤리아위원회의 감사보고서는 재

    무제표 상 주주와 예금자 사이의 이익 배분이 샤리아 기준에 적합하게 이루어

    졌음을 명확히 밝혀야 하며, 거래에서 발생한 이익의 모두가 결과적으로 샤리

    아 원칙에 적합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위반사실을 명시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모두를 자선단체에 기부하도록 밝힐 수 있다.15)

    AAOIFI는 또한 샤리아위원회에 의한 샤리아 검토와 각 은행의 독립적인 내

    부 감사부서에 의한 내부 샤리아 검토에 관한 기준을 발행해오고 있다

    (www.aaoifi.com 참조). 내부 샤리아 검토는 샤리아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지침

    에 비추어 샤리아 규칙의 준수 정도를 검사하고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어야 한

    다(Muhammad Ayub, 앞의 책, 387-388).

    2) 파트와(Fatwa)의 결정

    파트와는 샤리아에 입각한 의견 혹은 판단으로 샤리아위원회에서도 내려지

    며, 금융 거래의 구조나 관련 문서가 샤리아에 준수하는지를 판단한다(Habiba

    15) 예컨대 무라바하(Murabaha) 거래에서 실제로 소유권이 이전되는 자산의 매도와 매입이 없는 경

    우, 샤리아위원회가 이를 이자부 허위 임대계약으로 결론 짓는다고 가정한다면 이 경우 샤리아

    위원회는 무라바하 거래에서 발생한 어떠한 이윤도 포기되어져야 하고 자선단체에 기부되어져

    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Habiba Anwar 외 1명, 앞의 책, p.186.

  • |손태우, 김홍배, 홍문영|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 | 69

    Anwar 외 1명, 앞의 책, 185; Daud Vicary Abdullah 외 1명, 앞의 책, 81). 통상적

    으로 파트와는 검토대상인 문건들을 적시하고 가능하다면 특히 새로운 거래구

    조와 특정 핵심 분야를 기술하고 있다.

    일단 파트와에 의해 해당 금융거래가 허용되면 이슬람 금융기관, 해당 거래

    의 참여자나 투자자에게 동 거래가 샤리아를 준수한다는 보증을 받는다. 이에

    개인투자가는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고, 이러한 투자는 기존의 서구식 금융기

    관 또는 비무슬림을 포함한 이슬람 금융거래에 참가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에게

    개방된다. 물론 샤리아의 해석에서 샤리아 학파들의 견해가 다르기 때문에, 때

    로 승인이 나지 않아 투자에 참여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런 경우 투자

    자는 샤리아를 준수하는 방법으로 재투자하려고 할 것이다(Habiba Anwar 외 1

    명, 앞의 책, 186-187).

    이러한 파트와도 발행된 이후에 수정되거나 무효로 될 수 있는지, 또는 다른

    이슬람 학자의 권한에 의해 번복될 수 있는지가 의문이다. 일부 견해에 의하면

    파트와가 한번 내려지면 그 파트와 결정자가 이 후에 자신의 견해를 수정하더

    라도 이미 판정을 내린 파트와는 유효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AAOIFI 기준에 따

    르면 샤리아위원회가 향후에 더 이상 이전의 파트와를 따르지 않는 상황도 발

    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Habiba Anwar 외 1명, 앞의 책, 187-189). 예컨대 동 기

    준 제29조 제11절에 의하면, “1. 위원회는 만약 자신의 판단이나 상위기관의

    검증에 잘못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지는 경우 파트와를 철회해야 한다. 이 경우

    위원회는 판단과 그 판단의 효과를 해결하기 위해 금융기관에 통보해야 한다.

    금융기관은 잘못된 파트와에 근거한 모든 행위를 바로잡아야 하고 더 이상 적

    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 위원회는 자체 발의나 금융기관의 요청에 대해 이

    전의 파트와를 검토할 권한을 가지며, 그로 인해 이전의 파트와와 모순되는 새

    로운 파트와를 내릴 수 있다. 이 경우 금융기관은 향후 새로운 파트와를 따라

    야 하며 이전의 파트와의 효과와 결과를 수정해야 한다(www.aaoifi.com 참

    조).” 물론 이전의 파트와가 향후 변경 · 수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일단 내려진 파트와는 그 당시 샤리아 학자 또는 샤리아위원회의 샤리아 준수

  • 70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여부에 대한 최종판단이므로 그 효과는 새로운 파트와에 의해 소급해서 무효화

    되지 않는다고 한다(Habiba Anwar 외 1명, 앞의 책, 188).

    3) 샤리아위원회의 자문 영역

    샤리아위원회의 자문 및 판단과정에 관여하는 주요 참여자는 크게 샤리아

    학자, 상거래에 정통한 이슬람 법학자(피끄 울 무아마라트) 그리고 관련 분야의

    기술적 전문가 등이다(Dr Salman Khan, 앞의 책, 358). 이들 위원들은 어떤 금융

    상품이나 상업적 거래가 샤리아에 부합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이슬람 법

    과 무아마라트에 정통해야 할 뿐만 아니라 관련 금융 및 거래업무와 관련된 기

    술적 · 전문적 사항을 정확하게 이해한 상태에서 자문 혹은 판단을 내려야 한

    다. 물론 새로운 금융상품이나 거래형태는 기존 사용되고 있는 것에서의 변형

    혹은 발전된 형태이기 때문에 샤리아위원회의 위원이나 샤리아 어드바이저는

    기준 금융상품이나 거래유형과 운영에 전문적인 지식을 갖출 것이 요구된다(Dr

    Salman Khan, 앞의 책, 59-360).

    그러나 이슬람 금융 전반에 이슬람 금융전문가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샤리

    아 학자 역시 부족하다고 한다. 물론 바레인의 이슬람 금융 연구센터, 말레이시

    아의 INCEIF 혹은 싱가포르의 PERGAS에서 젊은 세대의 샤리아 학자가 양성되

    고 있지만, 많은 샤리아위원회에서 요구되는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미야자키 데츠야, 앞의 책, 179-181 참조). 이에 이슬람 금융상품 혹은 그 운영

    에 관한 샤리아위원회의 견해와 판단을 신속하게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많은 샤리아위원회가 운영되는 데서 샤리아 학자들 상호간에 견해가 충돌

    될 수 있다. 이는 샤리아위원회의 위원들이 금융산업 전반에 대한 지식보다는

    자신의 개인적 전문지식에 의존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고 한다

    (Habiba Anwar 외 1명, 앞의 책, 188).

  • |손태우, 김홍배, 홍문영|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 | 71

    4. 샤리아위원회의 대체 조직

    위에서 언급한 샤리아위원회의 운영상 어려운 점을 타개하기 위해 샤리아

    자문회사(Shari'ah Advisory Firm)를 대안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샤리아 학자들에

    의해 운영되는 이러한 자문회사는 금융상품의 구조와 관련 문서가 샤리아에 준

    수되는지를 검토 · 조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이며, 그와 관련된 파트

    와도 제시한다. 샤리아 자문회사를 이용하는 이점은 종전의 샤리아위원회보다

    빠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Habiba Anwar 외 1명, 앞의 책, 189).

    샤리아위원회의 또 다른 대안으로 샤리아 자문위원회(Sharia'aa Advisory

    Committee)를 제시하는 견해도 존재한다. 이 견해에 따르면 샤리아 자문위원회

    에 무슬림 학자만 포함시키는 것이 아니라 유태인, 기독교인 그리고 다른 종교

    인들도 포함시킴으로써 종교적 통합발상에서 오는 신뢰성과 융합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Yahia Abdul-Rahman, 앞의 책, 80-81).

    그 밖에도 개별 샤리아위원회보다는 전체 금융 산업에 관여하는 샤리아위원

    회를 설립하자는 제안도 있다. 이는 개별 금융기관에서의 샤리아위원회의 운영

    과 구조가 유능한 샤리아 학자의 부족에서 오는 능력한계, 비표준화된 위원회

    의 운영 및 불투명한 구조 등으로 그 본래의 기능을 못하자, 샤리아 규제기관과

    관련 금융기관과의 긴밀성을 높이고 모든 이해관계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 감독기관으로 통합된 단일조직으로 샤리아위원회를 제시하고 있다. 통

    합된 단일조직으로써의 샤리아위원회는 각 금융기관이 설치해야 하는 샤리아

    위원회를 운영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샤리아를 위시한 금융 전반에 박식

    한 위원들로 하여금 통일된 기준과 파트와를 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

    가 종래 샤리아위원회가 샤리아 준수여부에 대한 내부감사라고 평가하고 외부

    의 공인된 샤리아 감사회사를 두어 외부감사를 실시할 것을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즉 샤리아 감사회사의 감사를 통해 샤리아 준수를 강화시키고 샤리아 해

    석과 적용에 일관성을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이다(Hossein Askari 외 2명, 앞의 책,

    68).

  • 72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Ⅳ. 개별국가 및 국제금융기관에서의 샤리아위원회

    1. 개별국가에서의 샤리아위원회

    1) 개요

    샤리아위원회의 규제력이 미치는 범위와 영향은 국가별로 다르다. 그것은

    샤리아의 法源(손태우 2013, 6-19 참조)인 꾸란, 순나, 이즈마, 끼야스를 해석하는 데 지역적인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적 차이는 이슬람 법원

    의 해석에 있어 성격이 다른 학파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16)

    또한 샤리아위원회가 설치되는 단계에 따라 해당국의 중앙은행에 설치되는

    단계와 이슬람 개별 금융기관에 설치되는 단계로 나뉘고, 단계마다 다른 형태

    의 샤리아위원회가 설치된다(Nik Norzrul Thani 외 2명, 앞의 책, 356-370). UAE

    의 아부다비와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를 제외한 국가들에서는 중앙은행 설

    치단계의 샤리아위원회가 구성된다. 유의할 것은 이슬람 개별 금융기관 설치단

    계의 샤리아위원회도 해당 국가에 별도의 샤리아위원회가 구성되어 있다는 점

    이다. 물론 개별 금융기관의 샤리아위원회가 인증한 금융상품에 대해 말레이시

    아와 같이 중앙은행에 설치된 샤리아위원회의 인증을 받아야 금융상품으로써

    인증되는 국가도 있지만, 개별 금융기관의 샤리아위원회에서만 인증받으면 별

    도의 중앙은행의 샤리아위원회로부터 인증 여부를 받을 필요가 없는 국가도 있

    다. 또한 말레이시아와 같이 국가적 차원, 즉 중앙은행인 뱅크 네가라(Bank

    Negara Malaysia) 및 증권위원회에서 파트와를 공표하지만, 대부분 국가에서는

    AAOIFI와 같은 국제 금융기관이나 이슬람 아카데미에서 샤리아 적합여부에 대

    한 기초작업을 실시한다. 나아가 금융상품에 대한 샤리아의 적합여부는 샤리아

    16) 그러한 학파는 지역적으로 크게 하나피 학파, 말리키 학파, 샤피 학파, 한발리 학파의 네 가지로

    구분된다. 각 학파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손태우, 앞의 논문(주 67), 20-23면; 한동훈 외 2명, 앞의

    논문, 22-23면; 이충열 외 2명, 앞의 논문, 82-84면; 출처:(2013.8.28. 접속).

  • |손태우, 김홍배, 홍문영|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 | 73

    위원회 이외에도 이슬람 은행법이 관여한다. 여기에도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이

    별도의 이슬람 은행법이 존재하지 않는 국가도 있지만, 말레이시아와 같이 은

    행법 이외에도 타카풀법, 증권위원회법 등 다양한 제정법을 통해 샤리아 적합

    여부를 심사하는 국가도 있다(이충열 외 2명, 앞의 논문, 84-86; Nik Norzrul

    Thani 외 2명, 앞의 책, 356-370).

    아래에서는 이슬람 금융이 활성화되어 있는 대표적인 국가들을 선별해서 해

    당국가에서의 샤리아위원회의 지위와 구성을 논하고자 한다.

    2) 이슬람 국가

    (1)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은행 및 금융기관법(Banking and Financial Institutional Act 1989:

    BAFIA) 제124조(7)에 근거하여 샤리아 자문위원회(SAC: Shariah Advisory Council)

    를 말레이시아 네가라 은행에 설치했다. 샤리아 자문위원회는 다음과 관련된

    문제들에 대해 최종적인 자문 및 판단 권한을 가지는데, 이슬람 은행사업, 타카

    풀 사업, 이슬람 금융사업, 이슬람 개발 금융사업 또는 샤리아 원칙에 기초해

    있거나 말레이시아 네가라 은행에 의해 감독 및 규제를 받는 기타 사업이 그것

    이다. 법원이나 중재인은 샤리아 문제들을 포함한 이슬람 은행과 금융 그리고

    타카풀과 관련된 분쟁들을 해결할 때 차이점을 갖는다. 말레이시아 네가라 은

    행의 샤리아 자문위원회의 결의에 대해 중재인은 의무적으로 동 자문위원회의

    결의에 구속되는 반면 법관은 동 자문위원회의 결의사항을 참조할 뿐이다(Nik

    Norzrul Thani 외 2명, 앞의 책, 356-357). 또한 말레이시아 네가라 은행은 이슬람

    금융기관의 샤리아위원회의 체제에 관한 가이드라인(Guidelines of the

    Governance of Shariah Committees for Islamic Financial Institutions: BNM/GPS1)을

    발행한다(www.bnm.gov.my 참조). 이에 따르면 ‘샤리아위원회(Shariah

    Committee)’라고 할 수 있는 샤리아 기관은 모든 이슬람 은행, 이슬람 창구와

    타카풀 사업자마다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모든 샤리아위원회는 말레이시아

  • 74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네가라 은행의 샤리아 자문위원회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유의할 것은 말레이시아 네가라 은행의 샤리아 자문위원회의 위원들은 어떠

    한 금융기관에서도 근무할 수 없다는 것이다.17) 마찬가지로 하부 샤리아 위원

    회의 위원도 같은 업종의 금융기관 한 곳의 샤리아위원회에서만 위원이 될 수

    있다.18) 또한 중앙은행에 설치된 샤리아 자문위원회가 각 이슬람 금융기관에

    설치된 샤리아위원회보다 최종 판단권한이 앞선다(Nik Norzrul Thani 외 2명, 앞

    의 책, 356-375).

    (2) 중동국가

    우선 쿠웨이트는 이슬람 금융기관의 자체 샤리아 감사위원회에 의한 샤리아

    적합성을 실시하고 있기에 별도로 쿠웨이트 중앙은행 소속의 샤리아 자문위원

    회가 없다. 쿠웨이트 중앙은행법에 따라 모든 이슬람 금융기관은 자체적으로

    샤리아 감사위원회(Shariah Supervisory Board)를 설치해야 한다(Central Bank of

    Kuwait Law 32/1968, Chapter 3 Section 10 참조). 샤리아 해석에 관련하여 샤리아

    감사위원회의 위원 간 의견 충돌이 있을 경우, 지정된 이슬람 금융기관의 이사

    회는 그 문제를 정부의 이슬람 부처(the Ministry of Awqaf and Islamic Affairs)의

    파트와 위원회(Fatwa Board)로 이전할 수 있다. 이슬람 부처의 파트와 위원회는

    청원된 문제에 대한 최종적인 판단 권한을 가지며, 쿠웨이트 중앙은행의 외부

    기관의 역할을 한다. 쿠웨이트 중앙은행법에는 샤리아위원회와 관련하여 어떠

    한 제한을 언급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파트와 위원회의 위원도

    모든 이슬람 금융기관에서 아무런 제한없이 근무하고 있다. 같은 맥락으로 샤

    리아 감사위원회의 위원도 하나 이상의 이슬람 금융기관에서 근무하는 것에 아

    무런 제한이 없다( Aznan Bin Hasan, 앞의 책, 19). 이처럼 쿠웨이트는 샤리아위

    17) 말레이시아 중앙은행법(Central Bank of Malaysia Act 2009: CBMA), sections 52 & 55. CBMA는 구

    말레이시아 중앙은행법(Central Bank of Malaysia Act 1958)을 2009년에 개정한 입법이다.

    18) 말레이시아에서는 이슬람 은행, 타카풀, 증권거래업을 각각 다른 금융업종으로 보고 있다. see

    Nik Norzrul Thani 외 2명, supra note 11, p.356-375.

  • |손태우, 김홍배, 홍문영|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 | 75

    원회에 해당하는 샤리아 감사위원회만이 이슬람 금융기관에 존재하며, 동 감사

    위원회가 샤리아 준수여부의 최종 권한을 가진다.

    바레인의 경우, 바레인 중앙은행의 상품에 한하여 샤리아 준수를 확인하고

    감시하기 위해서 바레인 중앙은행에 국가 샤리아위원회(National Shariah Board

    of the Central Bank of Bahrain)가 설치되어 있다. 그 밖에 다른 모든 이슬람 금

    융기관은 샤리아 감사위원회(Shariah Supervisory Committee)를 설치하여 AAOIFI

    의 이슬람 금융기관 지배구조표준 제1호 및 제2호(AAOIFI's Goveranace

    Standards for Islamic Financial Institutions No. 1 and No. 2)를 준수해야 한다. 국

    가 샤리아위원회의 위원이 어떠한 금융기관에서 근무하든 제한이 없으며, 하나

    의 금융 기관에서만 근무해야 한다는 제한 역시 없다(Nik Norzrul Thani 외 2명,

    앞의 책, 334). 이처럼 바레인에서 샤리아위원회는 중앙은행과 이슬람 금융기관

    에 각각 존재하며, 최종적인 권한은 중앙은행에 설치된 샤리아위원회가 갖는

    다.

    UAE는 이슬람 은행, 금융기관 그리고 투자 회사들을 감독하기 위해 상위 샤

    리아 기관(Higher Shariah Authority)을 설치하고 있다(U.A.E., Federal Law No. 6

    of 1985, Art. 5 참조). 동 기관은 이슬람 은행과 금융의 샤리아 문제에 대해 최

    종적인 판단권한을 갖는다. 금융기관 수준에는 샤리아 감사기관(Shariah

    Supervision Authority)이 설치되어 있다(U.A.E., Federal Law No. 6 of 1985, Art. 6

    참조). 그렇지만 샤리아 감사기관에 관한 제한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도 없다

    (Aznan Bin Hasan, 앞의 책, 20). UAE에서 샤리아위원회는 중앙은행과 이슬람

    금융기관이 각각 존재하며, 최종적인 권한은 중앙은행에 설치된 샤리아위원회

    가 갖는다.

    마지막으로 카타르는 자국의 이슬람 은행들이 자체규제를 실시하고 있다.

    카타르 중앙은행에는 샤리아 자문위원회(Shariah Advisory Board)가 설치되어 있

    지 않다. 하지만 정부의 이슬람부처에 소속되어 있는 샤리아 최고위원회

    (Supreme Shariah Council)가 있어 금융기관의 샤리아위원회를 감독한다. 또한

    카타르 중앙은행도 개별 사례에서 발생하는 샤리아 준수문제에 관해 샤리아 학

  • 76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자들을 임명하는데, 이들 고문은 하나 이상의 이슬람 금융기관에서 샤리아위원

    회의 위원이 되는 것에 제한받지 않는다(Nik Norzrul Thani 외 2명, 앞의 책,

    337). 이처럼 카타르는 이슬람 금융기관만이 샤리아위원회를 두며, 동 위원회가

    샤리아 준수여부에 대한 최종판단을 가진다.

    (3) 파키스탄

    파키스탄 국영은행(State Bank of Pakistan: SBP)에 샤리아위원회(Shariah

    Board)가 설치되어 있다(Nik Norzrul Thani 외 2명, 앞의 책, 307; Aznan Bin

    Hasan, 앞의 책, 29-32). 샤리아위원회는 이슬람 금융에 관한 문제들에 대해 독

    점적 권한을 갖는다. 이슬람 금융기관에 대해 샤리아 자문회의 설립을 요구한

    다. 파키스탄 국영은행의 샤리아위원회의 위원은 말레이시아와 달리 금융기관

    의 샤리아 자문회에서 일할 수 있다. 하지만 샤리아 자문회의 위원은 하나의

    금융기관에서만 근무할 수 있다.19) 이처럼 파키스탄에서 샤리아위원회는 중앙

    은행과 이슬람 금융기관 각각 존재하며, 최종적인 권한은 중앙은행에 설치된

    샤리아위원회가 갖는다.

    3) 비이슬람국가의 이슬람 금융 도입

    여기에서는 비이슬람국가 중에서 이슬람 금융을 비교적 적극적으로 이용하

    고 있는 영국과 최근 이슬람 금융의 도입을 위한 일련의 법령을 개정 · 시행하

    고 있는 일본을 중심으로 자국 내의 이슬람 금융의 실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적인 금융기관을 규제하는 영국의 재정청(FSA)은 이슬람 금융기관 및 금

    융 상품거래에 대한 규제를 총괄하고, 그 규제 범위, 방식, 절차 및 수준 또한

    전통적 금융기관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다만, FSA가 금융기관의 인 · 허가 내

    지 금융상품의 신규 출시 등과 관련하여 법을 집행할 때 당해 이슬람 금융기관

    이 샤리아위원회를 적법하게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는지와 당해 금융상품이 샤

    19) 파키스탄은 이슬람 은행과 타카풀을 별도의 금융업종으로 보고 있지 않다. Nik Norzrul Thani

    외 2명, 앞의 책, p.307.

  • |손태우, 김홍배, 홍문영|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 | 77

    리아를 준수하는지에 대하여 이슬람 금융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유연하게 규제

    하고 있다. 또한 FSA는 이슬람 금융기관 내부에 샤리아위원회를 설치하도록 하

    고 있다(오영표, 앞의 논문, 52-54).

    한편 일본은 2006년 5월 정부계 금융기관인 국제협력은행(Japan Bank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JBIC)에 샤리아 학자를 기용하여 ‘샤리아 자문그룹’

    이라는 샤리아위원회를 설치하였고, 2007년 3월에는 재무성 산하에 ‘이슬람

    금융연구회’를 설립하는 등 일본 내 이슬람 금융에 관한 관심을 제고하였다.

    이어 2008년 12월에는 은행법 시행규칙 일부를 개정하여 일본 국내은행의 자회

    사가 이슬람 금융을 취급할 수 있도록 이슬람 금융사업을 새롭게 정의하고 이

    것을 금전대출과 동일시 할 수 있다고 규정하였다(안수현, 앞의 논문, 191; 김정

    렬, 앞의 논문, 1234). 그러나 일본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본 내 이슬람

    금융관련 법규의 불명확성과 상충으로 일본 금융기관이 이슬람 금융업무에 진

    출하는 데는 어려움이 많아 이슬람권 현지 금융기관과의 제휴를 통한 간접 진

    출 사례가 늘고 있다(한국금융연수원, 앞의 책, 73).

    2. 국제금융기관에서의 샤리아위원회

    1) 개요

    이슬람 금융의 표준의 식별 및 구현과 규제와 관련하여 특정한 제품이나 서

    비스의 샤리아 준수 여부에 대한 법적인 판결인 피끄(Fiqh) 역시 지역 · 국가

    별로 상이할 뿐만 아니라 같은 지역 내에서도 일치되지 않는다는 것이 널리 알

    려져 있다. 이러한 샤리아 해석의 차이는 이슬람 금융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국

    가들 사이의 이슬람 금융 표준화 및 이용 확대에 큰 지장을 줄 수 있다(이충열

    외 2명, 앞의 논문, 84-86). 아울러 이것은 국제적 금융규범의 표준화를 추구하

    고 있는 국제 금융시장의 경향에 비추어 이슬람 금융산업의 국제화 및 세계화

    에 걸림돌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국제적이고 보편적인 금융시장 및 경

  • 78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제계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이슬람 금융산업을 이루기 위해서 각 국의 중앙

    은행, 금융규제 관련위원회 뿐만 아니라 AAOIFI, IFSB와 같은 이슬람 금융기관

    들의 이슬람 금융 표준을 제시하고 집행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병행하

    여 샤리아의 통일적 해석과 전문적 교육을 위해 이슬람 금융관련위원회와 각종

    교육기관의 역할이 중요시된다(Dr Salman Khan, 앞의 책, 359-360).

    이슬람 금융과 관련된 주요 국제기구는 이슬람 금융기관 회계감사기구

    (AAOIFI), 이슬람 금융 서비스위원회(IFSB) 등이 있다. 이외에도 이슬람 은행 및

    금융기관 일반 자문위원회(General Council for Islamic Banks and Financial

    Institutions: CIBAFI)20), 국제이슬람 금융시장(International Islam Financial Market:

    IIFM)21), 이슬람 신용평가기관(International Islamic Rating Agency: IIRA)22), 이슬

    람 금융 국제교육센터(Inter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in Islamic Finance:

    INCEIF)23), 유동성관리센터(Liquidity Management Center: LMC)24), 바레인 통화청

    20) CIBAFI는 2001.5.23 바레인에서 각국의 중앙은행에 의해 규제받은 은행 및 금융기관을 회원으로

    하여 개별 은행 간의 정보제공 업무를 수행하고 모든 이슬람 금융기관들 간의 협력과 조화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또한 CIBAFI는 이슬람 금융서비스에 관한 구체적인 업무의 개념과

    규칙을 발전시켜서 이슬람 금융시장에 참여하는 이들에게 이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알리는 것

    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출처:(2014.4.8 접

    속).

    21) 2001년 11월 바레인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수단 및 사우디에 기반을 둔 이슬람 개발은행

    (Islamic Development Bank: IDB)과 함께 국제이슬람금융시장(IIFM)을 창설하는 협정을 체결하였

    다. 샤리아 준수 금융상품을 다루는 IIFM은 컬프만의 금융허브인 바레인에 설립되었으며, 유통

    시장에서 거래플랫폼, 결제 등 이슬람 금융상품과 서비스의 국제표준화를 도모하고 있다. see

    Nik Norzrul Thani 외 2명, 앞의 책, p.29; 한동훈 외 2명, 앞의 논문, 97면.

    22) 이슬람 금융의 투명성 촉진을 목적으로 이슬람 금융기관의 신용등급을 결정하기 위해 2005년에

    국제이슬람 신용평가기구가 설립되었다. 이 기관은 신용위험과 샤리아준수적격성에 기초하여

    신용등급을 평가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현재 바레인에 IIRA의 본사가 있다. see Nik Norzrul

    Thani 외 2명, 앞의 책, p.29.

    23) INCEIF는 2006년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이 설립하여 이슬람 금융실무자 및 전문가 육성을 목표로

    하는 대학기관이다. INCEIF는 이슬람 금융제도에 대한 학문적인 연구보다 실무자양성을 위한

    전문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이다. 출처:(2014.4.8 접속).

    24) LMC는 상품거래를 증권화하여 현물상품 대신 증권매매 형태로 자금교환을 중개함으로써 유동

    성 관리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유동성관리센터는 이슬람증권인 수쿠크 발행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데 앞장 섰으며, 거래량 증가에 수반하여 시장조성기능을 담당하는데 힘쓰고 있다. 한

    동훈 외 2명, 앞의 논문, 97면.

  • |손태우, 김홍배, 홍문영|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 | 79

    (Bahrain Monetary Agency: BMA)25) 등이 있고, 이들이 제정한 규정은 샤리아 표

    준규범, 기업지배구조와 건전성 규정, 지역별 샤리아 기준 등이 있다. 아래에서

    는 위 기관들 중에서 AAOIFI와 IFSB에서의 샤리아위원회의 구성 및 역할을 중

    심으로 보고자 한다.

    2) 이슬람 금융기관 회계감사기구(Accounting and Auditing Organization

    for Islamic Financial Institutions: AAOIFI)

    1990년 AAOIFI는 샤리아 준수와 이슬람 은행에 기존의 재무보고 기준을 적용

    하는 데 있어서 발생하는 격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업계의 자율 규제기관

    으로서 바레인에 설립되었다(Daud Vicary Abdullah 외1, supra note 5, 87).

    AAOIFI의 회원은 24개국의 약 97개의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AAOIFI는 회

    계, 감사, 지배 구조, 윤리 및 샤리아 기준에 관한 50개의 기준을 발행해 오고

    있다. 바레인과 수단과 같은 많은 국가는 이슬람 은행이 AAOIFI의 기준을 따르

    도록 금융감독을 실시하고 있으며, 카타르와 사우디아라비아는 금융감독 가이

    드라인을 AAOIFI의 기준에 맞추고 있다(Hossein Askari 외 2명, 앞의 책, 13).

    AAOIFI가 제정한 표준기준은 이슬람 금융기관에 강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

    니라 각 이슬람 금융기관의 회계, 감사 기준 나아가 상품 개발의 기준으로 활용

    되고 있다(한국금융연수원, 앞의 책, 80; Daud Vicary Abdullah 외1, 앞의 책, 88).

    이러한 이유로 중동의 이슬람 금융기관이 AAOIFI가 정한 회계 기준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어 AAOIFI는 동 지역에서 금융기관에 대한 회계감사에 관한 국제적

    기구로서 지위를 획득하고 있다.26)

    AAOIFI 내의 샤리아위원회는 AAOIFI의 회원인 이슬람 금융기관의 샤리아 감

    25) 특히 BMA는 2001년 이슬람 개발은행(Islamic Development Bank), 러부언 연안 재정지원기관

    (Labuan Offshore Financial Services Authority: LOFSA), 수단은행(Bank of Sudan), 브루네이 재정장

    관(Brunei Ministry of Finance)과 이슬람 자본시장을 구축 ·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MOU를

    체결하였고, 그 결과로 IIFM이 바레인에 설립되었다. 한동훈 외 2명, 앞의 논문, 97면.

    26) AAOIFI의 국제기구로서의 지위는 2008년 2월 동 기구가 현재 발행된 수쿠크의 상당수가 샤리아

    에 위반된다고 발표하여 이슬람 금융과 이슬람 자본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킨 것에도 알 수 있

    다. 참조 한동훈 외 2명, 앞의 논문, 95면; 이충열 외 2명, 앞의 논문 86-88면 참조.

  • 80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사위원회와 중앙은행의 샤리아 감사위원회의 피끄 학자들로 구성되며, 이들은

    이사회에 의해 임명되는 임기 4년의 20명 이상의 위원들이다. AAOIFI의 샤리아

    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권한을 가진다(www.aaoifi.com 참조; Nik Norzrul Thani

    외 2명, 앞의 책, 30-31). 첫째, 이슬람 금융기관의 샤리아 감사위원회가 파트와

    를 적용하거나 이를 응용할 때, 이슬람 금융기관들과의 모순이나 불일치를 피

    하기 위하여 파트와의 개념 및 그 응용의 조화와 통합을 추구한다. 둘째, 샤리

    아 적합성유무 판단기관의 형성을 돕는다. 이슬람 금융기관이 금융, 투자 및 기

    타 금융 서비스의 분야에서 발생하는 샤리아 적합성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기

    관이나 방식에 관한 연구와 조언을 담당한다. 셋째, 샤리아 감사위원회 또는 이

    슬람 금융기관의 샤리아위원회으로부터 회부받은 문의사항을 검토한다. 즉

    AAOIFI는 문의사항에 대하여 샤리아의 해석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거나 관점의

    상이한 점을 해결하는 중재인 역할을 한다. 넷째, 이슬람금융에 대한 샤리아의

    원칙 준수를 보장하기 위해서 AAOIFI에서 발행한 회계, 감사 및 적법 절차 등에

    걸쳐 있는 기준을 검토 · 연구한다.

    3) 이슬람 금융서비스위원회(Islamic Financial Services Board: IFSB)

    이슬람 금융서비스위원회는 2002년 11월 이슬람 중앙은행을 중심으로 이슬

    람 금융의 건전성 확보, 국제화 및 표준화를 지향하며 말레이시아의 쿠알람푸

    르(Kuala Lumpur)에 설립되었으며, 이슬람 금융거래의 국제기준(은행, 증권, 보

    험 포함) 제정 등 이슬람 금융관련 규제와 감독을 주목적으로 설립되었다(See

    Daud Vicary Abdullah 외 1명, 앞의 책, 89; Nik Norzrul Thani 외 2명, 앞의 책,

    28-29). IFSB는 국제결제은행(Bank of International Settlement: BIS), 국제증권감독

    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Securities Commissions: IOSCO), 국제보험감독

    자협의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Insurance Supervisors: IAIS)와 같은 주요 국

    제금융 감독기구로 인정받고 있다. IFSB는 설립 시부터 기본 인프라 정비에 특

    히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수쿠크 발행과 관련한 국제기준을 마련

  • |손태우, 김홍배, 홍문영|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 | 81

    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또한 IFSB는 이슬람 금융기관이 바젤 II(Basel Ⅱ)27)를

    이행하는데 필요한 기준 마련과 IIFM과 함께 시장참가자가 참여한 테스크 포스

    를 설치하여 샤리아 적격의 단기 금융 상품들을 개발 · 거래하는데 장애가 되

    는 점들을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한동훈 외 2명, 앞의 논문, 96; 이충

    열 외 2명, 앞의 논문, 89-91 참조).

    AAOIFI는 많은 국가들에 의해 채택되거나 인정된 회계와 샤리아 기준을 마

    련하는데 성공적이었지만,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금융 규제 및 감독 당국은

    IMF의 도움으로 금융조직의 안정성과 다양한 거버넌스 및 이슬람 금융 서비스

    산업에 관한 규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용 규제 기구가 필요하게 되었고 그

    러한 연유에서 IFSB가 설립되었다(Hossein Askari 외 2명, 앞의 책, 13).

    한편 IFSB는 샤리아위원회라는 정식 명칭은 붙어 있지 않으나 그와 같은 역

    할을 하는 기구가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가 있다. 동 기술위원회는 이

    사회에서 선임된 임기 3년의 15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또한 기술위원회 산하

    에 실무 그룹(Working Group), 태스크 포스(Task Forces), 편집위원회(Editing

    Committee)가 있으며, 이들은 각각 표준 및 지침 초안의 작성, 임시 작업의 수

    행, 영어에서 아랍어로 IFSB 문서의 번역을 담당한다.28)

    3. 샤리아위원회의 국내 도입

    전통적으로 금융기관에 대한 규제는 관련법령이나 중앙은행이나 독자적인

    27) 바젤II 프로젝트는 2007년부터 시행될 신바젤II 협약에 근간을 두고 있다. 신바젤II란 국제결제

    은행(BIS)의 바젤위원회(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 Vision)에서 2001년 1월 BIS 자기자본

    규제제도의 리스크 민감도를 높이고, 개별 은행의 리스크 측정 시 재량권을 부여하는 신자기자

    본협약(BaselⅡ) 초안을 발표,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바젤II는 기존 최

    저자기자본규제(Minimum Capital Requirement, 자산의 8% 이상을 자기자본으로 적립)조항에 더

    해 감독당국의 점검(Prudential Supervisory Review, 감독당국이 은행의 자본 적정성과 리스크 관

    리 체계를 점검 및 평가)조항과 시장 규율(Market Discipline, 은행의 리스크 수준과 자본 적정성

    에 관한 정보를 시장에 공시)조항을 추가해 은행의 자기자본비율에 대한 감독기능을 강화하고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see 출처: (2014.4.1 접속).

    28) 출처: (2013.9.13. 접속).

  • 82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기관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컨대, 한국에서는 금융감독원과 금융위원회가 개별

    금융기관을 감독하고 규제한다. 또한 각 금융 산업별로 관련법령이 제정되고,

    해당 금융기관은 법령상 준수의무와 공시의무 등을 이행하고 있다. 한편 이를

    담당하는 독자적인 감독기구가 없을 경우 중앙은행이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

    즉 중앙은행은 은행법에 따라 금융기관의 인 · 허가 및 감사 등 금융기관 설립

    및 영업 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이에 맞지 않는 기관에 대해서는 시장으로의 진

    입 불가 또는 시장에서의 퇴출을 지시한다. 은행의 경우 대부분의 국가에서 자

    국의 은행법을 가지고 은행 설립 및 운영을 하고 있으며, 증권이나 보험도 마찬

    가지이다. 중요한 것은 전통적인 금융 감독기구 시스템 하에서 개별 금융기관

    은 관련법률에 따라 그 의무만 다하면 되지만, 이슬람 금융기관은 관련 제정법

    규 이외에도 종교적 규범도 준수해야 하기 때문에 그 규제의 폭이 휠씬 넓다

    (이충열 외2, 앞의 논문, 84-86).

    샤리아위원회가 우리나라에 도입될 경우, 재무 및 운영 측면에서 권한을 부

    여받은 회사 내의 샤리아위원회가 기업의 경영에 관련하여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어떻게 미치는지를 알 필요가 있다. 또한 샤리아위원회가 금융기관

    의 업무집행에 실질적으로 관여하는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조언하는데 그치는

    것인지를 밝혀야 할 것이다(Michael Ainley 외 3명, 앞의 책, 181-182).

    만일 샤리아위원회가 집행역할을 할 경우 샤리아위원회의 구성원 모두는 인

    증된 사람(approved person)이어야 할 뿐 아니라 상시적 역할을 수행해야 하므

    로 회사의 이사가 되어야 하는 반면, 샤리아위원회가 자문역할만 수행할 경우

    그 구성원은 인증된 사람일 필요가 없다. 그리고 금융기관간의 이해상충 문제

    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한 사람이 여러 이슬람 금융기관의 샤리아위원으로서

    활동할 수 없다(오영표, 앞의 논문, 54; Aznan Bin Hasan, 앞의 책, 35). 문제는

    샤리아위원회의 구성원을 소위 인증된 사람으로 충원하고자 하는 경우에 FSA

    에서와 같이 승인된 사람에 대한 적절하고 적합한 테스트 기준

    (http://fshandbook.info/FS 참조)이 마련되지 않고서는 구성원의 역량과 자질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샤리아위원회의 구성원이 회사의 이사

  • |손태우, 김홍배, 홍문영|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 | 83

    로 된다면 사외이사보다는 사내이사로서 경영에 적극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므

    로 다른 회사의 샤리아위원회의 구성원과의 샤리아 해석차이로 인한 이익충돌

    이 생길 수 있다. 나아가 제품개발에서 생산까지 긴 시간을 요하는 산업 등에

    서 샤리아위원회가 사후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샤리아 불일치를 선언한다

    면 해당 기업은 큰 타격을 입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먼저 샤

    리아위원회의 구성원에 금융산업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가진 덕망있는 샤리아

    위원을 양성해서 충원시키면 되고, 샤리아위원회의 역할을 적극적 경영관여 보

    다는 자문 및 권고역할을 함으로써 해당 산업이 샤리아원칙에 입각해서 경영하

    도록 하면 상호 이익충돌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제품개발에 긴 시간

    이 요하는 산업에서는 샤리아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현장직원을 많이 채용해서

    사전에 제품의 샤리아 적합성을 진단하는 방법도 제시하고 있다(Michael Ainley

    외 3명, 앞의 책, 181-182).

    이처럼 이슬람금융은 종래 서구식 금융제도의 성격과 종교적 규제대상으로

    써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금융당국은 금융 감독기관 산하에 샤리아

    위원회를 두어 이슬람 금융기관이 준수하여야 하는 샤리아에 대한 실질적인 기

    준 자체를 설정하는 ‘실질적 규제방식’과 금융 감독기관이 각 금융기관 자체

    가 샤리아 준수여부를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금융 기관 내부 시스템 및 절차

    를 제정해주는 ‘형식적 규제방식’을 도입할 수 있다.29) ‘실질적 규제방식’

    은 금융위원회가 금융위원회 산하에 샤리아위원회를 설립하여 이슬람 금융상

    품 및 그 거래에 대한 실질적인 기준을 법규형식으로 마련해야 할 것이다. 감

    독규제 측면이 아닌 자율규제 측면에서 보면 이슬람 증권의 경우 금융투자협

    회, 이슬람 은행 취급 상품의 경우 은행연합회 산하에 샤리아위원회를 설치하

    여 현행 표준내부통제기준과 유사하게 ‘이슬람 금융상품 취급 관련 표준통제

    29) 전자는 금융 감독당국이 샤리아 준수를 위한 실질적 기준을 정하여 줌으로써 이슬람 금융상품

    의 표준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후자는 ‘형식적 규제방식’으로 각 이슬람 금융기관

    산하에 샤리아위원회를 둠으로써 이슬람 금융상품에 대한 표준화를 이루지 못하나 샤리아율법

    이라는 종교적 · 정신적 영역에 대한 금융감독기관의 침범이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오영표,

    앞의 논문, 52-54면.

  • 84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기준’을 마련하여 배포하고, 각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이를 기반으로 각 개별

    금융기관에 적합한 이슬람 금융상품 통제기준을 마련하는 방안도 하나의 대안

    으로 검토할 수 있다(오영표, 앞의 논문, 52-54). 그러면 이슬람 금융상품을 취

    급하는 은행, 금융 투자업자 및 여신전문금융회사는 샤리아위원회를 설치하여

    금융위원회의 샤리아위원회가 제정한 이슬람 금융 상품에 대한 법규를 기준으

    로 개별 이슬람 금융상품 판매 시 당해 상품이 샤리아를 준수하는지 사전 심사

    를 진행하는 될 것이다. 그리고 ‘형식적 규제방식’인 금융기관 내의 샤리아

    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서 동 위원회의 법적지위를 현재 금융기관의 준법감시

    인과 유사한 지위를 부여하고, 선임 절차 · 샤리아위원의 독립성 및 신분보장

    장치 또한 준법감시인에 준하여 보장하면 될 것이다. 준법감시인의 업무는 금

    융투자업자가 법령을 준수하고 자산을 건전하게 운영하며 이해상충방지 등 투

    자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금융기관의 임직원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준수하

    여야 할 적절한 기준 및 절차인 내부통제기준을 설정하고 이러한 내부통제기준

    의 준수여부를 조사하여 감사위원회 또는 감사에게 보고하는 자를 말하는 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28조 제1항 및 제2항 참조), 샤리아위

    원회 역시 이슬람 금융상품이 샤리아 준수 여부에 대한 감독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업무의 성격상 준법감시인의 지위와 유사하기 때문이다(오영표, 앞의

    논문, 64면-65).

    그러나 준법감시인은 실질적인 구속력을 가지지 못한 체 감독기능을 수행하

    는 사후적인 역할만 하는데 그칠 것이지만, 샤리아위원회는 이슬람 금융상품을

    비롯한 전반에 대해 실질적인 구속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 영향력도 사후적으로

    만 미치는 것이 아니라 사전적으로도 미친다는 점에서 단순한 준법감시인으로

    볼 수 없다.

    샤리아위원회가 우리나라에서 실질적 규제방식으로 혹은 형식적 규제방식

    으로 운영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 전제조건인 샤리아의 준수의식 및 필요성

    이 충족되지 못한다면 성공할 수 없을 것이다. 즉 우리나라 대부분 국민이 무

    슬림이 아니기 때문에 샤리아위원회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설사

  • |손태우, 김홍배, 홍문영|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 | 85

    샤리아위원회가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이슬람국가에서처럼 동 위원회에 대한

    권위와 명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금융기관 내에 존재하는 기존

    의 감사기구와 충돌과 금융감독원과의 권한분배도 해결하기 어려운 숙제이다

    (Yahia Abdul-Rahman, 앞의 책, 79-80).

    V. 결론

    세계적으로 이슬람 금융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은행 상품과 이슬람 채

    권 및 보험 상품 등 다양한 금융상품들이 개발되고 있는 현황을 고려할 때, 우리나

    라에도 이슬람 금융이 도입될 날이 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슬람 금융은 전통

    적인 서구식 금융과 달리 이자의 지급이 금지되는 등 특유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유한 구조를 지니게 된 이유는 이슬람 금융이 그 고유한 원리인 샤리아

    에 뿌리내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슬람 금융상 모든 거래나 구조 등은 샤리아를 준

    수하여야 하는데, 이것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관여하여 이슬람 금융을 규제하고

    감독하는 역할을 하며 최종적인 승인을 하는 것이 샤리아위원회이다. 그렇기 때문

    에 이슬람 금융에서 샤리아위원회의 역할은 매우 중요할 수 밖에 없다.

    이슬람 금융은 1970년대 중반 석유 수입의 급격한 증가의 영향으로 처음으로 주

    목받기 시작했다. 이 때 이슬람 금융이 국제적으로 나아가려는 과정에서 샤리아를

    기반으로 하는 금융 코드가 개발되어야 했고, 이러한 금융 코드개발에 기반한 금

    융상품과 서비스의 개발 및 샤리아 준수를 감시 · 감독한 역할을 한 것이 오늘날

    샤리아위원회의 기원이 되었다. 샤리아위원회는 이슬람 금융상품 또는 거래가 샤

    리아를 준수하는지 검토하고, 파트와를 발행하며, 샤리아를 위반한 부분에 대해서

    제재를 부과하고 샤리아 해석의 자문을 제공하는 등 이슬람 금융 전반을 규제하고

    감독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86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그런데 샤리아위원회의 규제력의 범위와 영향은 국가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샤

    리아위원회가 중앙은행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고 개별 금융 기관에 설치되는 경우

    도 있는 등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이슬람 금융과 관련된 국가 차원

    의 규범인 파트와의 존재 역시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각 국가별로,

    심지어는 한 국가 내의 동일한 지역 내에서조차 샤리아의 해석에 있어서 성격이

    각기 다른 법학파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샤리아의 해석에 대해 차이를 보인다. 또

    한 이슬람 금융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샤리아 학자가 많이 부족하여 복수

    의 샤리아위원회에서 겸직을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샤리아위원회 간 이해의 충돌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특히 샤리아 해

    석의 문제와 관련하여 그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해석의 비일관성의 문제가 발생했

    다. 이를 해결할 대안으로 샤리아자문회사나 샤리아자문위원회 등이 제시되었으나

    샤리아위원회가 가지는 문제점들은 온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슬람 금융의 표준화를 목표로 샤리아 해석의 통일과 전문가의 양성을 위

    해 주요 이슬람 국제금융기구들이 설립되었다. 이슬람 금융과 관련된 국제기구들

    이 여러 개 존재하나 이 논문에서는 AAOIFI의 샤리아위원회와 IFSB의 기술위원회

    를 살펴 보았는 바, 명칭상의 상이점은 있으나 금융상품의 샤리아 적합성에 대한

    기준마련 및 감독역할을 통해 회원 상호간의 샤리아 적합성의 통일성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이슬람 금융이 우리나라에 도입된다면 샤리아위원회는 금융기관의 업무

    집행에 실질적으로 관여할 것이지 아니면 형식적 조언에 그칠 것인지는 현행 금융

    감독기관들과의 업무분장 및 각 금융기관내에 있는 감사기구와 준법감시인과의

    관계를 고려해서 심도있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이슬람 금융이 국내에 도

    입되기 위해서는 샤리아에 대한 인식변화와 더불어 관련 법규의 개정이 전제되어

    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이 향후 우리나라에의 이슬람 금융 도입시 샤리아위

    원회의 설치 형태와 그 지위와 관련하여 필요한 기본적 이론과 문제점을 제시하는

  • |손태우, 김홍배, 홍문영| 이슬람 금융에서의 샤리아위원회에 대한 연구 | 87

    데 일익이 되고자 한다.

    [주제어: 샤리아위원회, 이슬람 금융, 파트와, 이슬람 금융기관 회계감사기

    구, 이슬람 금융 서비스위원회, 리바, 이슬람법, 샤리아]

  • 88 |한국중동학회논총||제35권 제1호 [2014. 06]

    참고 문헌

    김정렬 (2011), “한국과 일본의 이슬람금융 도입에 관한 비교 연구”, 『대한경영학지』 제24권 제2호, 1225-1245.

    미야자키 데츠야 (2008), 김종원 번역, 『이슬람 금융이 다가온다』, 서울, 물푸레.

    손태우 (2013), “샤리아(이슬람법)의 법원에 관한 연구”, 『부산대 법학연구』 제54권 제1호, 143-174.

    손태우, 김홍배, 김분태, 정희진 (2013), “이슬람금융상품의 국내도입을 위한 이슬람은행에 관한 연구”, 『부산대 법학연구』 제54권 제2호, 77-105.

    안수현 (2012), “최근 일본의 이슬람금융 활성화를 위한 법제 정비와 국내 시사점”, 『충남대 법학연구』제23권 제1호, 173-228.

    오영표, (2010), “이슬람 금융의 이해 및 국내 도입을 위한 법적 검토”, 『역외금융연구』 제3권, 제주발전연구원.

    이충열, 이영수, 제상영 (2011), 『이슬람 금융 : 이론과 현실 및 활용방안』,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최태영 (2008), “이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