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 1 - KRF-2013S1A3A2054622 2010년 선정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SSK)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Agenda 연구의제 Leading Global Progress of Community Wellbeing through a Comparative Convergence Approach 본인은 귀 재단이 정한 제반사항 등을 준수하여 성실하게 사업을 추진하 였으며 사실을 토대로 연차보고서를 작성하여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 중형 연구단 연차보고서를 제출합니다 연구책임자 화 인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귀하 Ⅰ. 중형단계 1년간 연구활동 및 성과 -------------------- 1 1. 연구목표 달성도 -------------------- 1 2. 연구실적 및 생산성 -------------------- 2 3. 연구성과의 사업목적 부합성 ----------------- 3 4. 네트워크 활동성과 -------------------- 8 5. 연구결과 및 연차평가 활용 노력 -------------------- 12 Ⅱ. 차년도 연구단 운영 및 연구계획 -------------------- 17 6. 연구팀의 비전과 목표 -------------------- 17 7. 차년도 연구계획의 우수성 -------------------- 18 8. 연구진 운용계획 -------------------- 24 9. 예산편성의 적정성 -------------------- 27 첨부(각종 양식) 양식 1 1년간 연구계획 대비 달성도 및 자체평가의견 양식 2 연구실적 정량평가 서식 (엑셀양식 별첨) 양식 3 공동연구원의 연구실적 정량평가 서식 (엑셀양식 별첨) 양식 4 연구팀의 연구생산성 정량평가 서식 (엑셀양식 별첨) 양식 5 아젠다 및 연구주제와의 관련성 양식 6 사회과학 연구의 필요성 및 적실성 양식 7 학술적 기여 및 우수성 양식 8 네트워크 활동 실적 양식 9 정부정책과 연계 및 반영 실적 양식 10 사회과학분야 신진 연구인력 양성 실적

KRF-2013S1A3A2054622 목 차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 2014-08-13 ·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 화, 타당성 검증 (연구기 간 3년간 계속 지속)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KRF-2013S1A3A2054622 목 차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 2014-08-13 ·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 화, 타당성 검증 (연구기 간 3년간 계속 지속)

- 1 -

과 제 번 호 KRF-2013S1A3A2054622

2010년 선정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SSK)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Agenda

연구의제한국형 커뮤니티 웰빙

연구과제명

국 문 커뮤니티 웰빙의 글로벌 선도를 위한 비교융합연구

영 문Leading Global Progress of Community Wellbeing

through a Comparative Convergence Approach

금회신청액중형단계: 1년차 / 229,910

※ 간접비 제외연구형태 공 동

연구참여자공동연구원: 15 명 / 연구보조원: 0 명

※ 전임연구인력 포함

본인은 귀 재단이 정한 제반사항 등을 준수하여 성실하게 사업을 추진하

였으며, 사실을 토대로 연차보고서를 작성하여『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

(SSK)』중형(연구단)연차보고서를 제출합니다.

2014년 6월 27일

연구책임자 기 영 화 (인)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귀하

목 차

Ⅰ. 중형단계 1년간 연구활동 및 성과 -------------------- 1 1. 연구목표 달성도 -------------------- 1 2. 연구실적 및 생산성 -------------------- 2 3. 연구성과의 사업목적 부합성 ----------------- 3 4. 네트워크 활동성과 -------------------- 8 5. 연구결과 및 연차평가 활용 노력 -------------------- 12Ⅱ. 차년도 연구단 운영 및 연구계획 -------------------- 17 6. 연구팀의 비전과 목표 -------------------- 17 7. 차년도 연구계획의 우수성 -------------------- 18 8. 연구진 운용계획 -------------------- 24 9. 예산편성의 적정성 -------------------- 27

첨부(각종 양식)양식 1 중 1년간 연구계획 대비 달성도 및 자체평가의견

양식 2 연구실적 정량평가 서식 (엑셀양식 별첨)

양식 3 공동연구원의 연구실적 정량평가 서식 (엑셀양식 별첨)

양식 4 연구팀의 연구생산성 정량평가 서식 (엑셀양식 별첨)

양식 5 아젠다 및 연구주제와의 관련성

양식 6 사회과학 연구의 필요성 및 적실성

양식 7 학술적 기여 및 우수성

양식 8 네트워크 활동 실적

양식 9 정부정책과 연계 및 반영 실적

양식 10 사회과학분야 신진 연구인력 양성 실적

Page 2: KRF-2013S1A3A2054622 목 차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 2014-08-13 ·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 화, 타당성 검증 (연구기 간 3년간 계속 지속)

- 1 -

계획 실적 자체평가의견 달성도(%)

1년차

2014년 6월 말 기준: 1. 완료Ÿ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간의

관계 선행 연구 분석, Ÿ 주민 선행연구 분석 Ÿ 기업 선행연구 분석 Ÿ 인적 자본 선행 연구 부

석, Ÿ 환경자본 선행 연구 분석 Ÿ 인프라 선행 연구 분석 Ÿ 문화자본 선행 연구 분석 Ÿ 사회자본 선행 연구 분석

2. 추진중Ÿ 지방, 중앙, 주민, 기업

간 협력 사례 분석 (7월말 종료)

Ÿ 국가별 자본관계 선행 연구 분석 (8월말 종료)

Ÿ 객관, 객관, 주관, 개인,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화, 타당성 검증 (연구기간 3년간 계속 지속)

1년 차 연구계획 전체 달성1. 완료부문Ÿ 계획한 선행 연구 부문은 초과

달성, 현재 게재되었거나, 게재가 확정된 논문, 투고 중, 투고 준비 중 논문에 이론적 틀로 포함 (게재가 확정 된 논문에 대해서는 본 연차보고서 양식 5, 6, 7, 참고. 현재 출간 중이거나 출간 예정중인 업적에 대해서는 추후 보고서를 통해 보고).

Ÿ 상기 선행 연구들을 총망라 커뮤니티 웰빙에 이론 및 선행 연구에 대한 총서로 출간 준비 중이며, 2014년 가을 출간 예정

Ÿ 커뮤니티 웰빙을 자본 영역(인적 자본, 환경자본, 인프라, 문화자본, 사회 자본) 이론으로 접근 모델화한 작업 완료, 현재 출간 작업 중임. 2014년 여름 출간 예정

2. 추진 중Ÿ 추진 중인 연구 계획 역시 계획대

로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음Ÿ 지방, 중앙, 주민, 기업 간 협력

사례 분석 및 국가별 자본관계 서행 연구 분석은 지속적으로 진행.

Ÿ 객관, 객관, 주관, 개인,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화, 타당성 검증 노력은 꾸준하게 지속되어 오고 있으며, 이를 위해:

- 2013년 서울 시민을 대상으로 실시된 1차 커뮤니티 웰빙 서베이 자료 분석 및 논문 발표 작업 지속.

중형 단계 1년차에서 계획한연구들은 2014년6월 말 현재 모두성공적으로수행되었다고평가하며, 2년차로도입, 지속적으로성공적인 연구 과제진행을 위한 중요한토대가마련되었다고평가함.

100%

Ⅰ 중형단계 1년간 연구활동 및 성과

1. 달성도

1.1. 년도 연구목표 대비 달성도

○ 2014 3월부터 6월 사이 완료된 논문 (6편)이외에, 중형 1년차 사업이 마무리되는 8월

말까지 발간예정, 게재 확정, 투고 중인 논문이 다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연구 저

서들 역시 1년차 사업이 마무리되는 시점까지 발간이 완료되는 바, 본 연구단은 중형

단계 1 년차에서 계획한 연구들은 2014년 6월 말 현재 모두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고

평가함(100% 달성).

1.2. 해당 년도 연구목표 달성수준의 적정성

○ 2013년도에 실시한 1차 서울 서베이 분석 결과가 체계적으로 진행, 이들이 논문 및 저

서로 발간 (및 발간 예정) 되고 있는 바, 이는 차년도 핵심과제인 전국 시군구 지방자

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전국단위 커뮤니티 웰빙 조사 연구 및 이를 둘러싼, 차년도 연

구를 성공적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중요한 초석을 제공하고 있다고 평가.

- 2 -

- 1차 서베이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2차 서베이 설계를 위한 작업 지속. 지표 정교화, 타당성, 모델 엄밀성 확보 노력이 지속적으로 실시.- 소형단계부터 구축,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온 해외 연구진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보편 지표 및 모델 개발에 더욱 적극적 노력 기울임. 2013년 9월 중국에서 제 2차 국제 커뮤니티 웰빙 포럼, 2014년 6월 서울에서 제 3차 커뮤니티 웰빙 개최가 그 노력의 일환임 (양식 8 내용 참조)

연번

참여구분

성명 논문제목 학술지명 발행처게재년월

학술지구분

학술지구분인정편수

총저자수

저자수의

인정율

연구성과

총괄점수(비율)

1연구책임자

기영화

Sing, Dance, and BeMerry: The Key toSuccessful UrbanDevelopment?

AsianSocialScience

CanadianCenter ofScience andEducation

2014.4.29

B 1.5 3 0.5 0.75

2연구책임자

기영화

Promoting CommunityWellbeing: The Case

for LifelongLearning for Older

Adults

AdultEducationQuarterly

AmericanAssociationfor Adultand

ContinuingEducation

2014.5.

A 2 2 0.7 1.40

3연구책임자

기영화

An Analysis of theRelative Importance ofComponents in

Measuring CommunityWellbeing: PerspectivesofCitizens,PublicOfficial

s,andExperts

SocialIndicatorsResearch

Springer2014.5.9

A 2 3 0.5 1.00

4연구책임자

기영화

커뮤니티 웰빙평가요소로서

지방행정서비스요인의적합성 분석

지방행정연구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4.6

C 1 3 0.5 0.50

5연구책임자

기영화

지방행정서비스와커뮤니티 웰빙 구성요소간 관계: Kee 모형의6 개 자본요인을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한국행정연구

원2014.6

C 1 3 0.5 0.50

연번

참여구분

성명 논문제목 학술지명 발행처게재년월

학술지구분

학술지구분인정편수

총저자수

저자수의

인정율

연구성과

총괄점수(비율)

1공동연구원

SharanMerriam

Promoting CommunityWellbeing: The Case forLifelong Learning for

Older Adults

AdultEducationQuarterly

AmericanAssociationfor Adultand

ContinuingEducation

2014.4.29

A 2 2 0.7 1.40

2. 연구실적 및 생산성

2.1. 연구책임자 및 공동연구원 논문실적, 저(역)서실적

○ 연구책임자의 연구실적 정량평가 서식

○ 공동연구원의 연구실적 정량평가 서식

Page 3: KRF-2013S1A3A2054622 목 차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 2014-08-13 ·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 화, 타당성 검증 (연구기 간 3년간 계속 지속)

- 3 -

2공동연구원

Seung-JongLee

An Analysis of theRelative Importance ofComponents in

Measuring CommunityWellbeing: Perspectivesof Citizens, PublicOfficials, and Experts

SocialIndicatorsResearch

Springer2014.5.9

A 2 3 0.5 1.00

3공동연구원

이승종

지방행정서비스와커뮤니티 웰빙 구성요소간 관계: Kee 모형의6 개 자본요인을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한국행정연구

원2014.6

C 1 3 0.5 0.50

4전문연구원

서인석

커뮤니티 웰빙평가요소로서

지방행정서비스요인의적합성 분석

지방행정연구지방행정연구

원2014.6

C 1 3 0.5 0.50

5전문연구원

서인석

지방행정서비스와커뮤니티 웰빙 구성요소간 관계: Kee 모형의6 개 자본요인을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한국행정연구

원2014.6

C 1 3 0.5 0.50

6공동연구원

최영출

IPA매트릭스를 활용한행복도 증진 요인 분석: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한국자치행정학회

2014.6.

C 1 3 0.5 0.70

연번참여연구원(성명전체)

논문제목 학술지명 발행처게재년월

학술지구분

학술지구분인정편수

연구성과총괄점수(비율)

1 기영화

Sing, Dance, and BeMerry: The Key toSuccessful UrbanDevelopment?

Asian SocialScience

CanadianCenter ofScience andEducation

2012.01.01

B 1.5 1.5

2 기영화, 이승종

An Analysis of theRelative Importance ofComponents in MeasuringCommunity Wellbeing:

Perspectivesof Citizens, PublicOfficials, and Experts

SocialIndicatorsResearch

Springer2014.5.9

A 2 2

3기영화, SharomMerriam

Promoting CommunityWellbeing: The Case forLifelong Learning for

Older Adults

AdultEducationQuarterly

AmericanAssociationfor Adult andContinuingEducation

2014.5. A 2 2

4 기영화, 서인석

커뮤니티 웰빙평가요소로서

지방행정서비스요인의적합성 분석

지방행정연구 지방행정연구원 2014.6 C 1 1

5서인석, 이승종,기영화

지방행정서비스와커뮤니티 웰빙 구성요소간 관계: Kee 모형의 6개자본요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14.6 C 1 1

6 최영출

IPA매트릭스를 활용한행복도 증진 요인 분석: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한국자치행정학회

2014.6.

C 1 1

2.2. 생산성

○ 연구단의 연구생산성 정량평가 서식

3. 사업목적 부합성 및 우수성

- 4 -

3.1. 아젠다와 연구주제와의 관련성

○ 중형단계 아젠다: “글로컬화 시대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커뮤니티웰빙 연구”

- 아젠다를 기초로 한 연구주제는 크게 커뮤니티 웰빙 개념화와 모델링, 커뮤

니티 웰빙 구성요소와 주요 지표요인의 관련성, 커뮤니티 웰빙의 표준지표체계의 개발,

커뮤니티 웰빙 지표의 정교화 및 일반화를 통한 실천전략의 4가지로 제시되었음

� 커뮤니티 웰빙 개념화와 모델링

* 도시재개발 사업에 초점을 두고 이것이 커뮤니티 웰빙과 어떻게 관련될 수 있는지를

규명하는 연구(Sing, Dance, and Be Merry: The Key to Successful Urban Development?)와 노

년층의 평생교육사업이 커뮤니티 웰빙과 어떻게 관련될 수 있는지를 규명하는 연구

(Promoting Community Wellbeing: The Case for Lifelong Learning for Older Adults)가 진행되

었으며, 1단계 사업시 진행 중이었던 이론적 프레임워크에 대한 저서(Springer)가 발간

예정.

‚ 커뮤니티 웰빙 구성요소와 주요 지표요인의 관련성

* 1단계 사업 시 진행된 이론적 프레임워크의 개념과 하위요소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

구(커뮤니티웰빙 이론개념 구성에 관한 연구: 자원, 자본, 하위지표 간 관계를 중심으로)가 심사 중

에 있으며(한국자치학회보), 이 지표를 활용하여 2차 data의 성격을 지닌 서울시 패널자

료에 접목하고 타당성을 확보하려는 연구(서울시패널자료를 활용한 커뮤니티 웰빙 개념구조와 지표적합성 연구) 역시 심사 중에 있음(한국사회와 행정연구)

ƒ 커뮤니티 웰빙의 표준지표체계의 개발

* 커뮤니티 웰빙의 측정을 위한 지표연구로, 각 지 표와 영역에 대한 시민, 공무원과 전

문가가 인식하는 상대적 중요도를 계량적 방법(AHP)을 통해 분석을 시도하였음(An

Analysi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Components in Measuring Community Wellbeing:

Perspectives of Citizens,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이는 1단계 사업에서 연구단이 수

행한 방식을 다른 국가에 적용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함과 동시에 비교, 중요한 함의

를 얻어낼 수 있을 것임

„ 커뮤니티 웰빙 지표의 정교화 및 일반화를 통한 실천전략

* 1단계 사업에서 모호한 지표들을 정교화하려는 노력을 수행하였음. 특히 지방행정서비

스 영역은 실무적으로는 커뮤니티 웰빙과 관련이 있으면서도 이론적으로는 포함되기

어려운 논의였음. 이에 이 변수를 커뮤니티 웰빙의 개념에서 분리하기 위한 연구(커뮤

니티 웰빙 평가요소로서 지방행정서비스요인의 적합성 분석)를 수행하고, 나아가 지방행정서비

스가 하나의 독립변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연구(지방행정서비스와 커뮤니티

Page 4: KRF-2013S1A3A2054622 목 차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 2014-08-13 ·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 화, 타당성 검증 (연구기 간 3년간 계속 지속)

- 5 -

번구분

중형

연구주제명

(아젠다)

논문제목

(저역서명)아젠다 및 연구주제와의 관련성

1 논문

커뮤니티 웰빙

글로벌 비교

융합 연구

Sing, Dance, and Be

Merry: The Key to

Successful Urban

Development?

*커뮤니티 웰빙 개념화와 관련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토대가 바탕이 되고 있는

건전한 도시 재개발 사례에 주목하고, 이를 커뮤니티 웰빙

측면에서 논의. 문헌 분석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건전한 도시

재개발을 구성하는 8가지 가지 주요 요인을 파악. 평화롭고

성공적인 지역 사회 재개발을 위해서는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노력이 필수 불가결한 요소임을 주장하는 바, 관중심이 아닌

주민 중심의 커뮤니티 웰빙 관점 구축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

2 논문

커뮤니티 웰빙

글로벌 비교

융합 연구

An Analysi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Components in

Measuring Community

Wellbeing:

Perspectives

of Citizens,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커뮤니티 웰빙의 표준지표체계의 개발과 관련

커뮤니티웰빙의 측정을 위한 지표연구로, 각 지 표와 영역에

대한 시민, 공무원과 전문가가 인식하는 상대적 중요도를

계량적 방법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통해 분석.

인식 주체를 세분화 하여 고려함으로써, 커뮤니티 웰빙 지표

개발을 위한 이론적 엄정성 작업에 기여. 커뮤니티 웰빙 지표

이론 연구 및 향후 커뮤니티 웰빙 관련 정책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 제공.

3

논문

커뮤니티 웰빙

글로벌 비교

융합 연구

Promoting Community

Wellbeing: The Case

for Lifelong Learning

for Older Adults

*커뮤니티 웰빙 개념화와 관련

노년층의 평생교육이 커뮤니티 웰빙에 기여하는 하는 바에 주목.

노년층이 지속적으로 적극적으로 교육적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독립적이고 건강하고 활동적인 주체로 지역 사회 및 가정에

자리매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커뮤니티 웰빙 증진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논의. 커뮤니티 웰빙을 평생 교육 영역으로 더욱

적극적으로 확장시키고 있으며, 향후 커뮤니티 웰빙의 이론적 정교화

및 정책 중요한 시사점 제공.

4 논문

커뮤니티 웰빙

글로벌 비교

융합 연구

커뮤니티 웰빙

평가요소로서

지방행정서비스요인의

적합성 분석

*커뮤니티 웰빙 지표의 정교화 및 일반화를 통한 실천전략

1단계 사업을 통해 구분하기 어려운 부분이 지방행정서비스의

포함여부였음. 특히, 1단계 사업에서 진행주이었던 커뮤니티 웰

빙의 이론적 프레임워크인 6개 자본 어느 곳에 포함되거나 위치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근거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었음. 이에

지방행정서비스를 각 요인들에 포함시키거나 포함되지 않을 때

어떤 것이 타당한지 경험적으로 확인하여 그 지위를 부여하고자

하였음. 연구결과는 지방행정서비스는 6개 영역 어디에 포함되

기 보다는 독자적인 영역으로 커뮤니티 웰빙과 관련되거나 포함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5 논문

커뮤니티 웰빙

글로벌 비교

융합 연구

지방행정서비스와

커뮤니티 웰빙

구성요소 간 관계: Kee

모형의 6개 자본요인을

중심으로

*커뮤니티 웰빙 지표의 정교화 및 일반화를 통한 실천전략

지방행정서비스가 독자적인 영역임을 확인하였는 바, 이 변인이

단순히 커뮤니티 웰빙의 하위요소라기 보다는 이를 촉진하고 독

려할 수 있는 변수일 것이라는 부분을 선행연구들을 통해 다시

확인하였음. 이에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증진시킬 수 있는 도구

로써 지방행정서비스를 독립변수로 간주하여 이들 간의 관련성

을 검증해보고자 하였음. 연구결과는 각 구성요소 모두에 지방

행정서비스에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방행정서비스가 커뮤니티 웰빙을 구현하는 중요한 변수임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웰빙 구성요소 간 관계: Kee 모형의 6개 자본요인을 중심으로) 진행함. 이러한 논의는 지표

들의 정교화와 구분을 통해 실무적 활용과 실천전략 제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임

- 6 -

6 논문

커뮤니티 웰빙

글로벌 비교

융합 연구

IPA 매트릭스를 활용한

행복도 증진 요인 분석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커뮤니티웰빙의 표준지표체계의 개발과 관련

제주특별자치도 주민의 행복도를 높이는 요인들의 중요도와

만족도 차이를 파악. 나아가 어떤 요인을 가장 우선적으로

높여야 행복도 수준이 높아지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중요도-만족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실시. 만족도와 중요도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 부문은

건강, 경제, 복지, 행정 순으로 나타났음. 이러한 결과는

제주도민의 행복도를 높이기 위해 건강 영역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 중요도와

만족도라는 영역을 비교-대조함으로써 좀 더 엄밀한 커뮤니티

웰빙 지표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

중형 연구주제명

(아젠다)

논문제목

(저역서명)사회과학 연구의 필요성 및 적실성

1 논 커뮤니티 웰빙 Sing, Dance, and Be *커뮤니티웰빙의 BP 사례제공

3.2. 연구의 필요성 및 적실성

○ 중형단계 아젠다: 국제사회 선도 아젠다 제공 및 표준화를 형성하고 한국주도

의 커뮤니티 웰빙 연구를 진행하며, 지방정부와 국가단위 평가체계로서 지표를

제공하는데 사회과학 연구로서 필요한 상황. 또한, 커뮤니티 웰빙의 BP(best

practice) 사례제공으로 현장중심의 실천도구를 제공하는 것도 사회과학의 적실

성과 관련되는 내용일 것임

- 커뮤니티 웰빙의 측정을 위한 국외지표연구(An Analysi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Components in Measuring Community Wellbeing: Perspectives of Citizens, Public Officials, and

Experts)는 연구단이 국내 공무원, 전문가, 시민을 대상으로 1단계 사업에서 수행한 연

구를 적용한 것임. 따라서, 국제연구의 선도 아젠다 및 연구방법적 기틀로서 자리매김

하고 있는 상황임

- 따라서, 한국주도의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사례연구(Sing, Dance, and Be Merry: The Key to Successful Urban Development?; Promoting Community Wellbeing: The

Case for Lifelong Learning for Older Adults)를 통해 BP 제공 및 현장중심의 실천적 함의

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 아울러, 지방정부와 국가단위 평가체계로서 지표를 제공하는데 있어 커뮤니티 웰빙의 지

표연구(An Analysi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Components in Measuring Community

Wellbeing: Perspectives of Citizens,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및 지표의 명확화와 관련

된 연구들(서울시패널자료를 활용한 커뮤니티 웰빙 개념구조와 지표적합성 연구; 커뮤니티 웰빙 평

가요소로서 지방행정서비스요인의 적합성 분석; 지방행정서비스와 커뮤니티 웰빙 구성요소 간 관계:

Kee 모형의 6개 자본요인을 중심으로)은 지방정부와 국가단위 평가체계를 형성하는 데 초석

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임

Page 5: KRF-2013S1A3A2054622 목 차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 2014-08-13 ·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 화, 타당성 검증 (연구기 간 3년간 계속 지속)

- 7 -

글로벌 비교

융합 연구

Merry: The Key to

Successful Urban

Development?

기존의 관 주도 도시 개발 패러다임에 대응하는 주민 참여 도시

개발 패러다임에 주목. 전자 입장에서 수동적인 객체로

인식되었던 지역 주민들이 후자 입장에서는 도시 개발 및

행정의 주체로 인식되고 있는 바, 이러한 인식의 전환은 향후

지속가능한 도시 재개발을 위해 매우 시의적절하고 중요한

논의라고 할 수 있음. 또한 질적 연구 방식을 차용 기존 양적

방법이 간과하고 있는 사회 현상에 대한 심층적 이해 제공. 향후

도시 개발 정책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 제공.

2논

커뮤니티 웰빙

글로벌 비교

융합 연구

An Analysi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Components in

Measuring Community

Wellbeing:

Perspectives

of Citizens,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국제사회 선도 아젠다 제공 및 표준화를 형성 &

지방정부와 국가단위 평가체계를 형성

인식 주체에 따라 커뮤니티 웰빙을 구성하는 각 영역 및 지표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가 달라질 수 있음에 주목하고, 이를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방법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음. 이러한 엄밀한 분석 작업은 커뮤니티

웰빙 지표 체계 및 이론을 더욱 엄밀하게 구축하고자 하는

과학적 노력의 일환으로 진행. 본 논문은 이러한 사회 과학

연구의 본질적 요구에 부응하며 실질적 정책 제안에

중요한 시사점 제공.

3

커뮤니티 웰빙

글로벌 비교

융합 연구

Promoting Community

Wellbeing: The Case

for Lifelong Learning

for Older Adults

*커뮤니티웰빙의 BP 사례제공

사회 과학 연구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들과의

학제적 연구가 절실한 바, 본 연구는 커뮤니티 웰빙에 대한

연구가 행정, 정책, 도시개발, 사회복지 영역을 넘어서 평생 교육

영역과도 융합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줌. 커뮤니티 웰빙에 대한

다양한 사회 과학의 다양한 접근법과 방법을 접목시키는 노력의

성공적인 성과를 보여 주고 있으며, 향후 평생 교육 관련 정책

발전에 중요한 시사점 제공.

4

커뮤니티 웰빙

글로벌 비교

융합 연구

커뮤니티웰빙 평가요소

로서 지방행정서비스요

인의 적합성 분석

*지방정부와 국가단위 평가체계를 형성

지방행정서비스가 경험적으로 커뮤니티 웰빙과 어떻게 관

련될 수 있는가를 검증함으로써 불분명한 개념과 구분을

명확하게 하여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의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됨

5

커뮤니티 웰빙

글로벌 비교

융합 연구

지방행정서비스와 커뮤

니티웰빙 구성요소 간

관계: Kee 모형의 6개

자본요인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와 국가단위 평가체계를 형성

지방행정서비스가 지역발전에 중요하다는 단순한 논리를

넘어서 커뮤니티 웰빙의 각 요소와의 개별적 관련성을 확

인함으로써 보다 영향을 줄 수 있는 분야 및 영역을 통해

행정서비스 방향과 우선순위를 확인해볼 수 있고, 이것이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해줄 수 있었음

6논

커뮤니티 웰빙

글로벌 비교

융합 연구

IPA 매트릭스를 활용한

행복도 증진 요인 분석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커뮤니티 웰빙의 실천전략 모색

제주도특별시 자치도 주민들에 대한 행복도 연구로

중요도-만족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통해, 행복도 증진을 위해 지방 정부가 우선 순위를

두고 전략적으로 투자해야할 부문이 무엇인지를 검토. 연구

결과 만족도와 중요도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 부문은

건강, 경제, 복지, 행정 순으로 나타났음, 이는 커뮤니티

웰빙를 증진시키기 위한 지방 정부 역할을 규명하고

실제적인 정책적 산출을 도모하는데 중요한 시사점 제공.

나아가 연구의 실천적 적용을 중시하는 사회 과학 연구의

주요 목적에 적극 부합,

3.3 기여 및 우수성

○ 중형단계 아젠다: “글로컬화 시대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커뮤니티웰빙 연구”

- 8 -

중형 연구주제명

(아젠다)

논문제목

(저역서명)학술적 기여 및 우수성

1논

커뮤니티 웰빙

글로벌 비교

융합 연구

Sing, Dance, and Be

Merry: The Key to

Successful Urban

Development?

주민 참여 주도의 도시 개발 패러다임에 주목, 지속가능한

도시 재개발 연구 발전 및 확장에 기여. 심층적 이해를 위한

질적 연구 방법 차용, 기존 도시 개발 연구 영역에 새로운

방법론적 가능성 제시하였으며, 연구 주제의 참신성 및

방법론상의 엄밀성을 인정받아 아시아 개발 부문 해외

학술지 게재.

2논

커뮤니티 웰빙

글로벌 비교

융합 연구

An Analysi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Components in

Measuring Community

Wellbeing: Perspectives

of Citizens,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커뮤니티 웰빙을 구성하는 각 영역 및 지표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 중요도가 달라질 수 있음에 주목한 연구로, 연구

주제상의 창의성을 인정받았을 뿐만 아니라,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방법 활용함으로써,

방법론적 엄밀성을 인정받아, 사회과학 지표 연구

부문 SSCI 저널에 게재.

3

커뮤니티 웰빙

글로벌 비교

융합 연구

Promoting Community

Wellbeing: The Case for

Lifelong Learning for

Older Adults

커뮤니티 웰빙 연구를 평생 교육 영역과 접목, 특히

노년층의 평생교육과 커뮤니티 웰빙의 관계를 새로이

개척하는 연구로 주제의 참신성과 학문 영역 발전에

기여도를 인정 받아 평생 교육 부문 SSCI 저널에 게재.

4논

커뮤니티 웰빙

글로벌 비교

융합 연구

커뮤니티웰빙 평가요소로서

지방행정서비스요인의 적합

성 분석

커뮤니티웰빙의 복잡성으로 인해 불분명한 구분이 일

반적이던 선행연구들의 관점을 개선하고 지방행정서비

스를 구별해내었기에 즉 실무와 이론을 구분하는 논의

를 진행함으로써 커뮤니티웰빙의 개념적/이론적 발전

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임

5논

커뮤니티 웰빙

글로벌 비교

융합 연구

지방행정서비스와 커뮤니티

웰빙 구성요소 간 관계:

Kee 모형의 6개 자본요인

을 중심으로

커뮤니티웰빙이 포함하고 있던 각 구성요소 역시 다른

변수에 의해 상이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확인

함으로써 추상적인 개념변화를 구체화하고 다루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6논

커뮤니티 웰빙

글로벌 비교

융합 연구

IPA 매트릭스를 활용한

행복도 증진 요인 분석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행복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 중요도-만족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기법 활용. 주제의 참신성에 더하여,

엄정한 방법론을 활용함으로써 우수한 학술적 가치를

- 연구는 세계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통합적/통섭적 차원에서 일반화하지 못한

논의를 발전시켜 하나의 모형틀로 제시하고자 하는 부분에서 이론적/학술적 기여가 매

우 높은 연구라 생각됨

- 특히, 개별사례 연구들(Sing, Dance, and Be Merry: The Key to Successful Urban Development?; Promoting Community Wellbeing: The Case for Lifelong Learning for Older

Adults)을 진행하면서 일반화과정에서 누락될 수 있는 요소나 특성들을 지속적으로 환

류하며, 한 번의 지표검증이 아닌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지표검증(An Analysi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Components in Measuring Community Wellbeing: Perspectives of

Citizens,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커뮤니티웰빙 평가요소로서 지방행정서비스요인의 적합성 분석;

지방행정서비스와 커뮤니티웰빙 구성요소 간 관계: Kee 모형의 6개 자본요인을 중심으로)을 수행함

- 이러한 반복적 측정은 한편으로는 일반화 수준을 점차적으로 높여가고, 다른 한편으로

는 학술적 연구의 정밀하고 엄격한 틀을 고수함으로써 어느 국가 또는 어느 지역에서

든 적용될 수 있는 국제연구의 가이드라인으로써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고

판단됨.

Page 6: KRF-2013S1A3A2054622 목 차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 2014-08-13 ·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 화, 타당성 검증 (연구기 간 3년간 계속 지속)

- 9 -

인정 받음. 아울러 표준 지표 개발 및 모델링 설정과

관련한 커뮤니티 웰빙 분야의 후속 연구에 대해서도

중요한 시사점 제공.

번 구분 행사명개최일시 개최장소 참여내용 참여성과

참여역할 비고

1 국외

The 2nd Internatio

nal Communit

y Wellbeing

Forum

2013. 12.6-9

란저우 대학교 행정관리학, 중국

중국,한국,미국,베트남, 타이 등지에서 한국의 커뮤니티 웰빙 연구를 각자 나라에 도입, 적용 발전시키고자 함. 특히 본 연구단에서 개발된 커뮤니티 웰빙 지표를 소개하고, 이 지표를 토대로 향후, 커뮤니티 웰빙 국제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방안 소개. 또한 현재 중국, 베트남, 타이완 등 아시아 국가에서 점차 고조되고 있는 커뮤니티 웰빙에 대한 관심과 국제 네트워킹을 통한 발전 방안 논의. 한국의 본 커뮤니티 웰빙을 중심으로 아시아 국가 뿐만 아니라 미국 등 기존 서구권 국가와의 연계를 강화시키기 위한 방안 논의

본 연구단과 중국 란주 대학과 MOU 체결.본 연구단에서 개발된 커뮤니티 웰빙 지표가 타이완, 중국, 베트남에서 각각 최초의 커뮤니티 웰빙 연구를 위한 기초 서베이 자료로 활용 결정. 추후 이들 나라들에서 실시된 서베이 결과를 토대로 아시아권 커뮤니티 웰빙 지표 개발 협력 약속. 나아가 서구권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커뮤니티 웰빙 지표 개발을 위한 협력 약속.

글로벌 커뮤니티

웰빙 연구의 중심 기관

역할

포럼 조직 및

발표

4. 활동성과

o 활동실적 총괄표(1개년)

학술회의(건) 세미나 포럼 심포지엄 워크샾합계 2 1 2 3 3

네트워크 활동실적 총괄표에 기재된 활동유형의 구분은 예시이며, 연구단 네트워크 활동내용에 맞게 구분하여 작성

o 네트워크 활동실적 총괄표(1년차, 2013.9.~2014.6.)

구분 학술회의(건) 국제 포럼 네트워킹 회의 워크샾국내 2 3국외 3 3

SSK연구단 3기타합계 2 3 3 3

※ 네트워크 활동실적 총괄표에 기재된 활동유형의 구분은 예시이며, 연구단 네트워크 활동내용에 맞게 구분하여 작성

o 네트워크 활동 유형별 실시내용 및 성과(1년차, 2013.9.~2014.6.)

- 10 -

2 국외

The 3rd Internatio

nal Communit

y Wellbeing

Forum

2014. 6.23-25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한국

현재 본 커뮤니티 웰빙 사업단에 공동 연구진으로 참여하고 있는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한국 학자들이 커뮤니티 웰빙의 최신 연구 동향 및 연구 성과, 앞으로 연구 방향 논의.본 연구단에서 개발된 커뮤니티 웰빙 지표를 토대로 조사된 서베이 자료를 검토. 해당 서베이 자료를 통해 연구단에서 실시된 경험 연구 발표, 향후 커뮤니티 웰빙 지표 엄밀화를 위한 논의 전개. 글로벌 커뮤니티 웰빙 연구를 위한 협력 확산 및 공고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 논의.

발표된 논문을 보완한 뒤, 수업, Springer에서 커뮤니티 웰빙 연구에 대한 책자로 발간. 본 연구단에서 개발된 커뮤니티 웰빙 지표를 보완 뒤, 후속 서베이로 활용. 추후 나라간 비교 연구 실시 계획. 국제적인 협력을 공고하기 위해 공동 연구진 간의 활발한 의사 소통 적극 장려. 공통의 연구 아젠다 개발 계획.

글로벌 커뮤니티

웰빙 연구의 중심 기관

역할

포럼 조직 및

발표

3 국외

Seminar: İstanbul Municipal Arts and Crafts Training Courses (İSMEK)

2014. 5.9.

이스탄불, 터키

터키고유 문화 존속과 발전, 평생 교육, 직업 교육, 여성 인력 개발, 지역 사회 발전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올리고 있는 터키 이스탄불 소재 직업 교육 프로그램인 ISMEK이 실시하는 세미나에 참여. İSMEK의 역사적 배경, 성공 요인, 제도적 지원, 현재 성과, 향후 발전 방향 및 국제 협력 관계에 대해 논의. 해외 성인 교육 분야의 세계적인 학자와 İSMEK의 확장 가능성에 대해 논의. 한국 상황에 적용 가능성 및 향후 지속적인 국제 협력 계획.

커뮤니티 웰빙에 대해 직업 교육/평생교육이 지니는 바에 대한 논의 확장. 향후 한국 사회 커뮤니티 웰빙 개선을 위한 정책 제안 고려. 한국 사회의 적용 방안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İSMEK과 지속적인 연계 및 협력 노력 약속.함께 세미나에 참석했던 해외 학자들과 학문적 연계 도모, 커뮤니티 웰빙 연구에 접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공동 연구 추진 계획.

평생-직업교육 개발 및 개선을 위한 국제 협력

세미나 참여

4SSK연구단

SSK-Networking 1-3기 통합 제 1차 심포지엄

2013. 10.25

LW 컨벤션, 서울

본 연구단의 연구 이력 및 목적, 추진 방향을 소개. 연구 주제 및 방향, 방법론에 있어 유사한 점을 공유하고 있는 연구단과의 협력 가능성 논의

다양한 연구 주제 및 접근법을 활용하고 있는 여타 연구단의 연구 성과 및 방향 인지. 향후 공식적, 비공식적으로 네트워킹 도모, SSK 사업이 목표로 하는 연구단 간의 네트워킹 활성화에 기여할 가능성 적극 열어둠.

공식적-비공식적 협력

추진을 위한 중심, 혹은 공동참여자

역할

발표

5SSK연구단

SSK-Networking 제 3차 통합 심포지엄

2014. 4.25

LW 컨벤션, 서울

1차 네트워킹 심포지엄 이후 진행된 연구단의 성과 및 향후 진행 방향 소개. 복지 및 삶의 질 측면에서 유사점을

여러 연구단과 주요 연구 성과 및 추진 방향을 정기적으로 공유함으로써, 현재 시점에서 비록

공식적-비공식적 협력

추진을 위한 중심, 혹은 공동참여자

뱔표

Page 7: KRF-2013S1A3A2054622 목 차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 2014-08-13 ·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 화, 타당성 검증 (연구기 간 3년간 계속 지속)

- 11 -

있는 여타 연구단과 주요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동시에, 향후 연구를 진행해 감에 있어 어떤 전략적 접근법을 통해 연구단 간의 네트워킹을 효율적을 강화시킬 것인지에 대한 논의

공식적인 네트워크 파트너로 제휴하지 않고 있으나, 지속적인 너트워킹 노력을 통해, 잠재적 네트워킹 파트너 후보군을 확장. 시기에 따라 본 연구단 및 해당 연구단 양(혹은 다자)측에 시너지 효과를 불러올 수 있는 최선의 전략적 네트워킹 방안 모색.

역할

6SSK연구단

SSK네트워킹지원사업단 성과발표회 우수사례발표

2014.5.9

한 국 연 구재단 서울청사

네트워킹 활동에서뛰어난 성과를 보인 연구단으로 선정. 소개됨. 본 연구단이 네트워킹, 특히 해외 저명 연구진들과의 연구 협력 노력을 소개하되, 이러한 네트워킹을 구축하기 위한 활용된 노하우 및 전략적 접근법, 현재 상황, 앞으로 발전 방향 등에 대해 소개함으로써 SSK사업단 내 다른 연구단들에게 실질적인 본보기를 제공.

우수 사례 발표를 통해 본 연구단이 해외 네트워킹 강화를 위해 노력해온 궤적을 다시 고찰, 향후 연구단의 질적, 양적 연구 발전을 위해 개선할 수 있는 방안 반추, 이를 즉각 반영, 현재 구축하고 있는 국내외 네트워킹 강화를 위한 다양한 의사소통 및 공동 연구 발전 방안 모색.

네트워킹 우수 연구단

사례발표

7 국내SSK 커뮤니티 웰빙 사업단 1차 워크샾

2013.11.27

지방행정 연구원, 서울

서울 서베이 자료 (2013년 1-2월 실시) 일차 검토. 기술 데이터 및 자료 특징 향후 주요 분석 방안 모색. 지방행정 연구원 연구진들과 협력 및 향후 네트워킹 검토

데이터 처리 및 분석 방향 정함.논문 주제 및 산출 가능 논문 구체화향후 연구단 내외 공식적 비공식적 협력 강화 방안 마련.

연구논쟁점 주도적 해결

발표 및

논의

8 국내 SSK 커뮤니티 웰빙 사업단 2차 워크샾

2013.12.18

지방행정 연구원, 서울

요인 분석 및 커뮤니티 웰빙 모델 설정을 둘러싼 정확한 자료 분석을 기하고자 현재 논쟁이되고 있는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 연구진의 네트워킹 지원 추구. 엄정한 이론적, 방법론적 해소 방안 모색. 해결 방안을 커뮤니티 웰빙 지표의 지속적 개선에 반영

논쟁점 해소 및 더욱 엄정한 분석 방향 설정. 이론적, 방법론적 개선점을 2차 전국 커뮤니티 웰빙 서베이 설계에 반영.

연구논쟁점 주도적 해결

발표 및

논의

9 국내SSK 커뮤니티 웰빙 사업단 3차 워크샾

2014.1.7

지방행정 연구원, 서울

연구단 내 협력을 통해 자료 분석 방법 및 해석, 엄밀한 분석을 위하 처치 방안에 대한 토의.해당 이슈에 대해 외부 통계 전문 인력에 대해 컨설턴트 방안 검토. 향후 지표 개선 방안 및 모델 선정 개선을 위한 노력에 해당 컨설턴트

논의의 중심이 되었던 문제 해결논문 산출 방향 지속적 구체화 필요한 경우 외부 통계 전문인력 컨설턴트 장려. 컨설턴트 내용에 대해서 해당 연구진이 면밀히 검토 후 선별적으로

연구논쟁점 주도적 해결

발표 및

논의

- 12 -

결과 투입 검토 채택, 2차 커뮤니티 웰빙 서베이 설계에 반영.

10 국내

2013 한국행정학회 추계 학술대회

2013.10.19

서울올림픽 파크텔, 서울

"커뮤니티웰빙의 현재와 미래"라는 타이틀로 독립된 세션 구성. 본 연구단이 그간 추진해 온 연구 성과 및 현재 상황, 향후 연구 방향을 소개. 일차적으로 한국 행정학 분야에서 어떻게 자리매김하고 학문적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 이차적으로 행정학뿐만 아니라, 정책, 경제, 재정, 지방행정, 관관 경영 등 다양한 분야들이 본 세션에 초청된 바, 커뮤니티 웰빙의 이론적, 정책적 발전을 위한 광범위한 학제적 네트워킹 가능성 도모.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해석하는 커뮤니티 웰빙의 개념 및 접근법 인지. 본 연구단의 이론적, 방법론적 개선 노력에 선별적으로 적극 반영. 향후 연구를 진행해 감에 있어, 공식적, 비공식적 파트너, 고문, 협력자 역할을 할 수 있는 연구진 포섭 및 이들로부터 적극적 협력 및 지원, 약속 받음. 연구단의 네트워킹 강화를 위한 노력의 기초로 작용.

학제적 네트워킹

강화를 위함 구심적 역할

세션 조직 및

발표

11 국내 지방정부학회2014.2.

27

부산대학교 경제통상관

“서울시 패널자료를 활용한 커뮤니티 웰 빙 구조와 지표 적합성 연구”라는 논문으로 참여하였음. 이는 SSK 사업단에서 진행한 커뮤니티 웰빙 지표를 서울시가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적용, 분석한 것임. 커뮤니티 웰빙의 실체적 실무적 적용성을 타진해보기 위한 글로써 이에 대한 학계로의 환원과 확산을 도모하고, 나아가 충분한 의견들을 수렴하고자 하였음

발표이후 많은 논점과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할 수 있었으며, 이는 단순히 논문을 진행하는 차원을 넘어서 연구의 방향과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기회가 되었음. 현재 이 논문은 “한국사회와 행정연구”라는 학회지에 기고되어 논문심사가 진행 중에 있음

논문발표 및 토론, 이후 논문 수정

및 보완/학계 커뮤니티

웰빙 주제의 관심 유도

발표 및

논의

5. 활용 노력

5.1 연계 및 반영 노력

o 총괄표

정책아젠다 정책연구/사업기획 입법화 성과확산/홍보 합계합계 13 3 0 6 22

o 반영 실적

□ 연구책임자

Page 8: KRF-2013S1A3A2054622 목 차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 2014-08-13 ·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 화, 타당성 검증 (연구기 간 3년간 계속 지속)

- 13 -

○ 연구주제의 국정반영

- 안전이슈제기 및 관련사업의 강조: 2013년 9월부터 2013년 12월

까지 안행부 소속 지자체 평가위원으로써 커뮤니티 안전이슈가 지방차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할 이슈임을 제기. 또한, 2013년 9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안행부 지방 3.0

자문위원으로써 교육의 방향이 평생교육과 같은 커뮤니티 웰빙을 위한 요소를 강조하

여 지역사업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강조하였음.

- 커뮤니티 강조 강연: 연구책임자는 2013년 9월 3일 한국장학재단에서 정부 3.0 가치공

유를 위한 강연을 수행함. 이때 정부 3.0 가치의 핵심으로써 근린자치 및 커뮤니티활성

화를 중요한 부분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강조하였음. 또한, 2013년 9월 27일 지방행정연

구원에서 근린자치 및 커뮤니티활성화를 연구주제로서의 중요성을 강연을 통해 강조.

○ 연구주제의 사업반영

- 사업반영: 연구책임자는 2013년 9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서울시교육청에서 교육복지정

책자문위원으로써 커뮤니티 웰빙 관련 사업들(평생교육, 마을 만들기 사업등)에 지속적

으로 참여하여 커뮤니티의 근린자치를 위한 사업추진에 기여. 또한, 2013년 9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평생학습계좌제 도입 사업에 자문위원으로 활동하여 사업추진 및 성

과에 기여.

○ 공무원 및 단체장 교육

- 공무원 교육: 연구책임자는 2013년 10월 1일 지방행정연수원에서 교육대상 과장급 공무

원들을 대상으로 리더십역량과정 강의를 수행하였음. 이때 지방의 핵심은 공동체 활성

화에 있으며, 지역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경제활동이 중요하다는 점을 교육하였음.

□ 공동연구자

○ 연구주제의 국정반영

- 커뮤니티 이슈제기 및 관련사업의 강조: 공동연구자는 2014년 4월 16일 지방자치발전

20개 추진과제 토론회를 개최하고 관련 위원장 및 사업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커뮤니티

발전과제 포함한 지방자치발전과제를 논의함. 이때 커뮤니티 활성화이슈를 중심으로

과제를 도출.

- 커뮤니티 강조 강연: 2014년 4월 24일 국회 강의를 통해 국회의원 및 보좌관들을 대상

으로 지방자치 발전의 핵심으로 커뮤니티 웰빙을 부각시킴.

○ 공무원 및 단체장 교육

- 14 -

- 공무원 교육: 공동연구자는 2013년 9월 10일 울산시청 시민홀에서 주무관 및 담당공무

원 300여명을 대상으로 커뮤니티 및 행정발전을 중심으로 지방 3.0을 강의하였으며, 유

사한 강연을 2013년 10월 11일 레인보우영동연수원, 2013년 10월 22일 송파구청 간무

및 직원 2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2013년 국립외교원에서 국립외교원 글로벌 리

더십 과정생 4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2013년 10월 28일 서산시청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바 있음. 이때 공무원교육의 핵심으로 커뮤니티 활성화의 중요성을

강조함.

- 단체장 교육: 2013년 10월 15일 지방행정연수원 시·군 부단체장 리더십과정을 통해 40

명의 부단체장들을 대상으로 커뮤니티활성화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을 수행.

Page 9: KRF-2013S1A3A2054622 목 차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 2014-08-13 ·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 화, 타당성 검증 (연구기 간 3년간 계속 지속)

- 15 -

정책명 정책내용(요약) 제공 및 활용기관 제안일 발표일 비고

1커뮤니티 안전이슈제기 및 관련사업의 강조

안전행정부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안행부 지자체 평가단 2013.9-2013.12 연구책임자

2커뮤니티 안전이슈제기 및 관련사업의 강조

안전행정부 지방 3.0 자문 안행부 지자체 자문단 2013.9-2014.2 연구책임자

3 커뮤니티 강조 강연한국장학재단의 정부3.0 가치공유를 우한 강의

한국장학재단 2013.9.3 연구책임자

4 커뮤니티 강조 강연지방행정연구원 커뮤니티웰빙 과 지방정부 강의

지방행정연구원 2013.9.27 연구책임자

5 연구주제의 사업반영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복지정책자문

서울시교육청 2013.9-2013.12 연구책임자

6 연구주제의 사업반영2013년 평생학습계좌제 도입 사업 자문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3.9-2013.12 연구책임자

7 공무원 및 단체장 교육지방행정연수원 과장리더십역량과정 정의

지방행정연수원 2013.10.1 연구책임자

8 공무원 및 단체장 교육울산광역시 지방 3.0 핵심리더 양성 전문과정

울산시청 시민홀 2013.9.1 공동연구원

9 공무원 및 단체장 교육향부숙 제8차교육: 지역창생과 협동의 실천

레인보우영동연수원 2013.10.11 공동연구원

10 공무원 및 단체장 교육 송파구청 직원강의 송파구청 2013.10.22 공동연구원11 공무원 및 단체장 교육

국립외교원 글로벌리더십 과정 국립외교원 2013.10.24 공동연구원12 공무원 및 단체장 교육 서산시청 직원교육 강의 서산시청 2013.10.28 공동연구원

13 공무원 및 단체장 교육지방행정연수원: 시·군 부단체장 리더십과정

지방행정연수원 2013.10.15 공동연구원

o /사업기획 실적(연구보고서)

□ 공동연구자

○ 연구주제의 정책연구반영:

- : 지방행정연구원에서 “지방자치단체 공동체”활성화를 주

- 16 -

제를 강조하고 기획하였음. 이에 2013년 12월 3개의 연구보고서가 출간됨. 즉, 지방자

치단체 주도의 지역공동체 활성화방안; 외국인 밀집지역의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 지

역주도형 지역산업 육성방안 등 3가지 보고서에서 지역공동체 활성화에 대한 내용이

반영 및 강조되었음

연번 주제/기획명 주요내용 제공 및 활용기관 제안일 발표일 비고

1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지역공동체 활성화방안

질적으로 고양된 삶과 행복을 추구하고자 지역공동체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

한국지방행정연구원(국책연

구기관)2013.9 2013.12

공동연구자는 해당기관의 중책을 맡으면서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관련된 주제를 공모, 이를 연구원이 진행하여 도출한 연구내용임

2외국인 밀집지역의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

다문화 가정 및 지역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에서 그들의 행복을 추진할 수 있는 주체로서 지역공동체 강화를 모색

한국지방행정연구원(국책연

구기관)2013.9 2013.12 상동

3 지역주도형 지역산업 육성방안

지역이 가진 특생과 속성에 기초하여 지역주도의 경제활성화, 지역일자리 창출을 모색하여 지역공동체 및 구성원의 삶의 질 고양방안 제시

한국지방행정연구원(국책연

구기관)2013.9 2013.12 상동

o 성과확산/홍보 실적

□ 연구책임자

○ 연구주제의 민간홍보: 연구책임자는 2013년 11월 13일 연구재단이 진행한

“SSK지식나눔”행사를 통해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커뮤니티웰빙의 성과를 홍보

한 바 있음.

○ 연구주제의 확산: 연구책임자는 2014년 1월부터 2014년 4월까지 한국행정학회

운영이사로써 분과위원회로 커뮤니티웰빙 연구회를 구성하고, 지속적으로 학문

주제로 확산되고 다루어질 수 있도록 강조.

Page 10: KRF-2013S1A3A2054622 목 차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 2014-08-13 ·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 화, 타당성 검증 (연구기 간 3년간 계속 지속)

- 17 -

명칭 주요내용제공 및 활용기관

제안일 발표일 비고

1 SSK심포지엄

커뮤니티 웰빙 사업의

내용과 의의를 발표하고

다른 SSK 사업단과 연

계를 모색 및 확산을 도

한국연구재단 2013.10.25 2013.10.25

정부가 지역사

회정책을 강조

하고 ‘행복’을

추진하는 사업

(연구재단)을

진행하고 있다

는 점에서 정

부정책과의 밀

접성이 높음

(연구책임자)

2SSK지식나눔

행사

커뮤니티 웰빙 사업을

일반인에게 홍보하고 지

식확산을 추진

한국연구재단 2013.11.13 2013.11.13 연구책임자

3 SSK심포지엄

주요사업단으로 선정되

어 이를 공개적으로 발

표하고 이와 같은 지식

내용과 사업을 조장하고

확산시키고자 수행함

한국연구재단 2014.4.25 2014.4.25 연구책임자

4커뮤니티웰빙

분과연구회

한국행정학회 운영이사

로써 분과위원회로 커뮤

니티웰빙 연구회를 구성

한국행정학회 2014.1 2014.3 연구책임자

5지방자치실천포

지방자치 실천과제에 대

해 관계자 40명을 대상

으로 포럼 진행

프 레 스 센 터

19층 매화홀2013.9.25 2013.9.25 공동연구자

6

지방자치

발전방안

고나련

세미나

제8차 KRILA-GRIPS

한일공동연구회에서 강

연을 통해 연구주제를

강조

일본정책연구

대학원대학2013.10.7 2013.10.7 공동연구원

□ 공동연구자

○ 연구주제의 민간홍보: 공동연구자는 2013년 9월 25일 제3회 지방자치실천포럼

을 주제로 프레스센터에서 포럼 관계자 40명을 대상으로 지방자치 실천과제에

대해 포럼을 진행함.

○ 연구주제의 확산: 공동연구자는 2013년 10월 7일 제8차 KRILA-GRIPS 한일공

동연구회(일본정책연구대학원대학)에서 지방자치 발전방안 관련 세미나를 개최

하였음. 지방자치 발전방안의 핵심으로써 커뮤니티 웰빙을 강조.

5.2 신진 연구인력 양성

-

- 18 -

Ⅱ 차년도 연구단 운영과 연구계획

6. 비전과 목표

A. 지속가능한 새로운 발전 패러다임 제시

본 연구는 GDP 지상주의 경제발전 패러다임을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대안으로 커뮤니티 웰빙(community well-being) 연구를 제시함. 커뮤니티 웰빙 연구는 주로 개인적 수준, 경제적인 측면에 초점을 둔 기존의 연구 방향과는 본질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는 바, 인간의 사회성을 고려한 집단-커뮤니티 수준에서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적, 물리적, 인적, 제도적 요소를 총체적 접근법으로 규명함을 목적으로 함. 또한 엄정한 이론 작업 토대 위에, 실효성 있는 공공 정책으로 연결시킴으로서 커뮤니티 웰빙 증진에 실질적인 기여하고자 함.

B. 커뮤니티 웰빙 구성요소와 관계성 규명을 통한 표준지표 체계 개발

현재 커뮤니티 웰빙의 선행연구들은 다양한 개념과 구분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정책 입안시 웰빙과 삶의 질, 행복의 개념과 혼동되어 사용되고 있음. 본 연구팀의 소형단계 연구결과 커뮤니티 웰빙 구성요소와 세부요인에 대한 연구는 접근 가능한 공공영역 축적데이터를 활용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규범적 차원의 연 구가 부족한 실정임. 이에 중형단계에서 본 연구팀은 커뮤니티 웰빙의 구성요소와 그 각각의 하위요인에 대한 규범적 실체를 규명하고 이들 요인간의 관계성을 연구하고 상호관련성을 보편적 지표로 전환하는 연구

Page 11: KRF-2013S1A3A2054622 목 차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 2014-08-13 ·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 화, 타당성 검증 (연구기 간 3년간 계속 지속)

- 19 -

를 하고자 함. 특히, 커뮤니티 웰빙 증진에 중심자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로 지방 정부에 주목하는 가운데, 지방 정부의 공공 서비스 생산, 전달, 분배와 관련한 표준화 커뮤니티 웰빙 지표 개발에 주력하고자 함. 이는 궁극적으로 지방정부가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과정에서 커뮤니티 웰빙을 주요 정책 아젠다로 도입하고, 체계적인 설계와 평가를 통해 효과적인 지역 사회 내 커뮤니티 웰빙을 증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C. 커뮤니티 웰빙 증진을 위한 실천전략 모색

본 중형 과제는 개인적-집단적-주관적-객관적 차원을 다면적으로 고려, 커뮤니티 웰빙에 대한 통합적 모델을 구축하고자 함. 현재 웰빙, 삶의 질, 행복에 대한 주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으나, 현재 시사점은 주로 국가 및 지역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지방 정부 단위에서 실천될 수 있는 구체적인 정책적 전략으로는 연계되지 못하고 있음. 또한 커뮤니티 웰빙이 강조하고 있는 사회 발전에 대한 총체적 접근법,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질적 측면 역시 현재 이들 연구에서는 제대로이루어지 못하고 있음. 이에 본 중형과제는 커뮤니티 웰빙 구성 요소 및 관계성 규명, 나아가 국제 표준 지표 개발이라는 이론 과제 에 더하여, 지방정부 과업 설계 과정에서 커뮤니티 웰빙이 핵심 아젠다로 설정될 수 있는 실천 전략 모색을 또 하나의 중점 과제로 채택하고 있음.

D. 커뮤니티 웰빙 세계적 중심 연구 기관

본 연구단은 커뮤니티 웰빙 센터를 커뮤니티 웰빙 연구의 세계적 중심 연구 기관으로 발전시키고자 함. 이를 위해 커뮤니티 웰빙 센터는 국내외 관련 연구들의 자료 및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동시에, 해당 자료들이 국내외 연구진들이 해당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함. 특히 이들 자료들이 국제적 심층적인 비교 연구에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 정보 및 데이터 체계를 수립하고자 함. 이러한 노력은 향후 국제사회에서 커뮤니티 웰빙이 미래사회의 가치와 비전을 제시하는 아젠다로 구축되는 한편, 더욱 활발한 비교 연구가 장려되는 가운데 커뮤니티 웰빙 센터가 세계적인 중심 연구 기관으로 성장하는데 주요한 동력이 될 것으로 봄. 궁극적으로 이를 통해 21세기 선진 사회로 진입을 준비하는 한국 사회가 커뮤니티 웰빙에 대한 시대적 요구를 잘 수용, 연구함에 있어 해당 분야 국제 학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감당할 것으로 기대함.

7. 연구계획의 우수성

7.1. 및 필요성

A. 커뮤니티 웰빙 개념의 종합화 및 표준화 연구

본 연구는 GDP 지상주의 경제발전 패러다임에서 비롯된 각종 사회 병리 현상을 극복하고, 커뮤니티 웰빙(community well-being)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함. 이는 주로 개인적 수준, 경제적인 측면에 초점을 둔 기존의 연구 방향과는 본질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인간의 사회성을 고려한 집단-커뮤니티 수준에서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 및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임. 이와 관련, 현재 커뮤니티 웰빙 연구는 단순히 개인 차원의 경제 수준(주로 GDP per capita로 판단)으로 산출되던 “삶의 질” 평가를 벗어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새로운 모델, 즉, 집단적-커뮤니티 차원의 웰빙(well-being)에 대한 이론 베이스 개발에 주목하고 있음. 커뮤니티 웰빙에 대한 연구는 현재 세계 선진 여러

- 20 -

나라에서 활발하게 시작되고 있으나, 학자 혹은 나라별로 커뮤니티 웰빙에 대한 연구 범위 및 접근 방법이 상이한 것이 사실임. 이는 지역 사회의 웰빙에 기여하는 요인들이 각 나라가 처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임. 커뮤니티 웰빙에 대한 보편적 지표 체계가 없는 가운데, UN, OECD와 같은 국제기구 및 미국, 호주, 캐나다와 같은 서구 선진국에서 개발된 지표들이 차선책으로 활용되고 있기는 하나, 좀 더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 보편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표준 지표 체계 개발이 절실한 실정임.

B. 커뮤니티 웰빙 항목 및 구성 요소 간 관계분석

현재 커뮤니티 웰빙에 대한 연구는 주로 공공 기관에 의해 실시된 서베이 자료에 기초하고 있음. 이들 자료는 커뮤니티 웰빙을 구성하는 개별 항목들에 대한 객관적 자료(예: 지역 내 학교 수, 지방 공무원 수, 경찰 숫자 등), 혹은 이들 항목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주관적 만족도나 평가 수준을 포함하고 있음. 이를 기초로 대부분의 연구들은 객관적 상태나 주관적 만족도를 비교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실제로 이들 개별 항목들을 체계적으로 구성 요소별로 재구성하고, 다시 이들 구성 요소들이 커뮤니티 웰빙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임. 이에 본 연구단은 커뮤니티 웰빙의 구성요소 및 각각의 하위 항목, 그리고 이들 간의 관계성을 규명함으로써, 정교한 커뮤니티 웰빙 연구 지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이를 위해, 국제기구와 외국의 유관 지표들을 지속적으로 비교, 분석 지표 체계 개발 과정에 적극 반영시킴으로써, 보다 다양한 맥락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표준 지표 체계 개발에 박차를 가함.

C. 커뮤니티 웰빙 증진을 위한 지방 지방 정부 역할

현재 커뮤니티 웰빙을 둘러싼 이론 부재는 커뮤니티 웰빙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전략적 실천 방안 부재로 이어지고 있음. 본 연구단은 커뮤니티 웰빙 지표 개발을 통해 지방정부가 커뮤니티 웰빙을 제대로 측정, 정책 수립 및 지방 정부 평가에 적극 활용됨으로써, 지역 사회 내 커뮤니티 웰빙 증진 뿐만 아니라 주민 참여, 지방 행정 투명성 제고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즉, 첫째, 지표 개발 및 활용과 관련, 지역 주민의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함으로써, 지역 사회 정책 수립 및 실행 과정에 주민 참여를 확대할 수 있음. 둘째, 지표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지방 정부의 전반적 정책 수립과 예산 편성 및 집행의 규범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음. 셋째, 관련 정보를 지역 주민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지방 행정의 투명성을 제고를 기대할 수 있음. 국민 개인 차원의 행복이나 삶의 질 또는 관련 정책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공공정책이 개인이 아닌 집합 단 위를 대상으로 수립되고 집행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에 상응하는 커뮤니티 웰빙 지표를 토대로 효과적인 지방 정부 평가 체제를 확립하기 위한 연구에 대한 요구가 절실하다 할 수 있음.

7.2. 중점연구내용, 추진전략 및 방법

중형단계 커뮤니티 웰빙 연구는 소형연구의 결과와 선행연구를 통해 커뮤니티 웰빙이 다른 국제기구나 다른 상황에 있는 국가 간의 일반적 적용에 드러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국제적 연구진으로 구성하여 국제비교연구 및 학문간 융합연구로 수행되어 전공간의 유사개념의 중복과 칸막이 개념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함. 구체적 연구내용은 커뮤니티 웰빙의 진단(diagnosis)과 처방(prescription)이라는 목적에 따라, 진단에 대한 결과물로는 지표 체계(measurement system) 수립을, 처방 및 향후 정책 수립에 대한 결과물은 이론 체계(theory system) 수립으로 설정. 지표체계와 이론체계는 모두 비교융합 접근법을 통해 다수의 정교화 싸이클(elaboration cycle)을 거칠 계획임.

Page 12: KRF-2013S1A3A2054622 목 차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 2014-08-13 ·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 화, 타당성 검증 (연구기 간 3년간 계속 지속)

- 21 -

A. 중점 연구 내용

중형 2년차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은 주요 업무를 1년차에 이어 지속적으로 추진하고자 함.

a. 커뮤니티 웰빙 개념화와 모델 구축

본 연구의 중형 단계가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로 우선 다음 두 가지를 강조: 1) 커뮤니티 웰빙 개념의 규범적 정의를 간과한 채 현장의 데이터 수합에 초점, 2) 국제 수준에서 활용되는 커뮤니티 웰빙 개념과 지방정부자원의 개념이 일반화되지 않고 있는 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는 소형 단계 결과를 토대로 커뮤니티 웰빙 개념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정의하는 한편, 국제적으로 널리 통용될 수 있는 커뮤니티 웰빙 모델 구축하고자 함.

- 22 -

b. 커뮤니티 웰빙 구성요소와 주요 지표 요인의 관계성 분석

자원과 자본의 개념에 기반, 커뮤니티 웰빙의 구성 요소와 각 하위 요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밝히고, 구성 요소 간 상호작용을 통한 관계성을 규명하고자 함. 즉, 현재 소형 단계를 통해 밝혀진 커뮤니티 웰빙 구성 요소 (노동, 보건, 교육, 환경, 주택, 문화, 복지, 지방행정, 주민참여, 재정 및 수입, 지출, 도로교통, 상·하수도 등의 인프라)들이 각각 서로 어떤 상호작용을 하고 있으며, 구성 요소를 대변할 수 있는 적합한 하위 항목을 선별. 이와 더불어, 구성 요소 및 하위 항목의 타당도 및 적합도 검증을 통해, 정밀한 커뮤니티 웰빙의 지표 체계를 구축.

c. 커뮤니티 웰빙의 표준지표 개발

국제기구와 외국의 유관 지표들을 비교 분석한 소형 단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진으로 참여한 5개 국가를 대상으로 커뮤니티 웰빙 지표 체제를 개발하고, 개발된 지표에 대한 공동 연구진의 상호 교차점과 다른 국가 간의 검증을 통해,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표준 지표체계를 개발

d. 커뮤니티 웰빙 지표의 정교화 및 일반화를 통한 실천 전략

개발된 커뮤니티 웰빙 지표를 다른 지역 사회와 국가를 대상으로 측정하고 비교함으로써, 지표의 정교화 및 일반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함과 동시에 지방 정부가 제공하는 공공 서비스와의 연계를 통한 정치적 실천전략을 연구. 특히 커뮤니티 웰빙의 하위 영역인 사회적 자본과 문화자본, 인적 자본과 경제 자본을 구성하는 각각의 세부 요소 (노동, 보건, 교육, 환경, 주택, 문화, 복지, 지방행정, 주민 참여, 재정 및 수입, 지출, 도로교통 상·하수도 등의 인프라)들을 형평과 민주 원칙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생산, 분배 전달할 수 있는 실천 전략을 도출

A. 중형단계 연구 방법

중형 단계 연구 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단은 학제 간 융합연구 및 통합적 연구방법론을 적극 활용. 특히 본 연구는 커뮤니티 웰빙 연구 대상을 현재 서울시 자치구 (지방정부)에서 전국 시군구내 지방자치단체로 확장하고자 함. 즉, 2013년 서울시 내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서베이 자료를 분석한 뒤, 서베이 설계를 개선, 2014년 하반기에 예정되어 있는 전국 시군구 내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커뮤니티 웰빙 서베이를 실시하고자 함.

Page 13: KRF-2013S1A3A2054622 목 차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 2014-08-13 ·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 화, 타당성 검증 (연구기 간 3년간 계속 지속)

- 23 -

a. 학제적 융합 연구

커뮤니티 웰빙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 전문가로 구성된 다양한 전공의 연구진을 활용하여 학제적, 융합적 연구를 실시함. 내용 측면에서는 경제학, 문화정책, 평생교육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 심리학, 지방정책, 지역개발, 행정학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연구자들이 본 중형 연구단에 참여하고 있음.

b. 연구 수준의 다양화와 연구 범위의 확산

개인과 커뮤니티로부터 자방자치단체, 국가 수준까지 연구 단위를 확산하고, 더불어 커뮤니티웰빙 개별 구성요소로 부터 총체적 커뮤니티 웰빙 모델 정립까지 연구 범위를 확장시키고자 함. 아울러 중형 단계에서는 국가 전체로 연구 범위를 확장, 커뮤니티 웰빙에 대한 전국 서비이 실시, 더욱 엄밀한 지표 체계 개발 및 모델화 작업에 매진하고자 함. 외국 연구진과의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는 가운데, 커뮤니티 웰빙 센터를 커뮤니티 웰빙 분야의 세계적인 연구 중심지로 성장시키고, 연구 결과를 확산.

c. 통합적 연구 방법론(mixed methodology)

사회통계 및 양적 방법론 전문가를 비롯하여 질적 연구 방법 전문가가 협력하는 통합적 접근법을 채택. 서베이 및 여러 양적 분석 방법 및 지역 사회 요인에 대한 참여 관찰과 인터뷰, 시스템 다이내믹스, 네트워크 분석 등의 다양한 연구 방법을 세부 연구에 적절하게 활용함으로써 최적의 연구 결과를 산출.

d. 국내-국제 비교융합 연구

호주, 미국, 독일, 이탈리아, 한국 5개 국가의 공동 연구자와 World Bank의 연구진이 협력하여 국제적으로 통용가능한 표준화 지표 개발하고, 보급 및 확산을 위해 노력. 아울러 국가 간 비교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함으로써 더욱 정밀한 지표 개발과 모델이 도출.

e. 유관기관과의 협조

본 중형과제 연구는 커뮤니티 웰빙 증진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주체로 지방 정부에 주목하고 있으며, 개발된 이론을 바탕으로 이론을 바탕으로 지역 사회 내 커뮤니티 웰빙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전략을 추진하는 것이 또 하나의 주요 목적임. 이를 위해 지방 정부 정책 및 지역 개발과 관련된 공공부문의 연구소와 연구센터 그리고 외국의 연구기관들과 공식적-비공식적 협업연구를 추진할 것임. 국내 협력 기관으로는 충북대 사회적 기업 연구소, 지방행정 연구원, 해외 협력 기관으로는 Centre for Social Development Asia (Singapore), National Center for Lifelong Learning (Sweden), Australian Center Quality of Life (Australia), World Bank가 있음. 국내 유관 기관과의 협조는 활발한 워크샾 활동을 통해 아젠다를 공유하고 실질적인 정책을 도입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자 함. 해외 유관 기관은 이메일이나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협력 관계 토대 위에, 학회 세션 공동 구성 및 학회 발표 등을 공유함으로서 오프라인에서의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함.

B. 연구 진행 상황과 향후 연구방향

2014년 6월말 기준, 1년 차에 계획한 다음 과제를 모두 완료하였음.

지방정부와 중앙정부 선행연구 분석

주민 선행연구 분석

기업 선행연구 분석

- 24 -

인적자본 선행 연구 분석

경제자본 선행 연구 분석

환경자본 선행 연구 분석

인프라 선행 연구 분석

문화자본 선행 연구 분석

사회자본 선행 연구 분석

국가별 자본 관계 선행 연구 분석(2년 차까지 연계)

지방-중앙 정부, 주민-기업 간 협력 사례 분석 (2년차 까지 연계)

지방-중앙정부, 주민-기업 간 관계 통합 모델 도출 (2년차 까지 연계)

객관, 주관, 개인,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화, 타당성 검증 (1, 2, 3년 차 전체)

2014년 9월 1일 중형 단계 연구가 2년차에 계획하고 있는 연구 추진 내용은 다음과 같음.

주체와 자본 간 관계 선행 연구 분석

자본 효과간 관계 선행 연구 분석 (3년차까지 연계)

지표 치계의 국가별 pilot study(한국, 미국, 호주, 이탈리아, 독일, 영국) (3년차까지 연계)

자본 통합 모델 도출 (3년차 까지 연계)

커뮤니티 웰빙 통합 모델 개발(3년차 까지 연계)

7.3. 기대 및 실현가능성

A. 비교융합연구를 통한 커뮤니티웰빙의 총체적(holistic) 이론 정립

커뮤니티 웰빙의 중형연구는 학문 분야에서 정치학, 경제학, 교육학, 사회학, 보건학, 복지학, 지역 개발학, 행정학, 문화 정책, 그리고 방법론 측면에서는 양적 및 질적 방법론 전공자들을 포함하고 있는 바, 활발한 학제적 연구를 통해 국제적으로 널리 통용될 수 있는 커뮤니티 웰빙 모델 구축할 것으로 기대.

B. 커뮤니티 웰빙 국제 표준화 지표 개발 및 국제 자료 확보커뮤니티 웰빙 구성 요소 및 하위 항목의 타당도 및 적합도 검증을 통해, 정밀한 커뮤니티 웰빙의 지표 체계를 구축하는 동시에, 국가 간의 검증을 통해,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지표 체계가 개발될 것으로 기대함. 또한 개발된 지표를 효과적으로 보급하기 위해 외국 공동 연구진 및 국제기구와

Page 14: KRF-2013S1A3A2054622 목 차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 2014-08-13 ·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 화, 타당성 검증 (연구기 간 3년간 계속 지속)

- 25 -

적극적으로 협력함으로써 다양한 국제 자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C. 커뮤니티 웰빙 연구 국제적 연구진 협력 체계 구축국제기구의 성공적인 협력은 커뮤니티 웰빙 센터가 해당 분야 연구에서 국제적 연구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중형단계 연구는 서울 지역 뿐만 아니라, 전국 시군구 지방자치단체로 연구 범위를 확장, 커뮤니티 웰빙 연구의 이론적, 실천적 기반을 타당하게 할 것으로 기대함. 또한 다양한 학문 분야의 국내외 연구진이 참여, 향후 커뮤니티 웰빙 연구의 국제적 흐름을 선도하는 연구진 협력체계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하며, 이를 통해 연구 성과 및 새로운 연구 아젠다 공유 또한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

D. 커뮤니티 웰빙의 BP(best practice) 사례를 통한 실천 전략 강화 커뮤니티 웰빙 지표체계는 지역사회를 강화하고 지역시민과 관계를 맺는 데 구체 적인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계획수립과 실행과정에 지역시민 참여를 확대하고 또한 이러한 방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모범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공동연구진과 공유하는 가운데, 실천적 전략 제시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 다음은 이를 토대로 통합적으로 계량화한 예상 기대 성과임.

구분 논문 저서 학회 발표 워크샾 네트워킹

2년차

총 11

해외 (4편)

국내 (7편)

3 20 8 4

8. 구성 및 운용계획

A. 연구단 인력 구성

본 연구단은 한국을 비롯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싱가포르, 이탈리아, 영국, 독일, 스웨덴 출신의 다양한 학문 분야 연구자들이 참여, 활발한 학제 간-국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음. 우선 한국에서는 책임 연구자인 기영화 교수(숭실대 평생교육학, 이하 직함 생략)를 비롯, 공동 연구자로 이승종(서울대 행정학/지방행정연구원), 최영출(충북대 지방행정), 이제민(연세대 경제학), 최현선(명지대 도시계획학), 이채원(숭실대 사회복지 정책)이 참여하고 있음. 또한 충북대 사회적 기업 연구소 및 명지대 문화와 커뮤니티 연구소, 지방행정연구원 역시 핵심적인 협력 기관으로 참여하고 있음. 국외 공동 연구원으로는, Filomena Maggino(University of Florence; social statistics, quality of life measurement, measurement scales; 이탈리아), John Tomaney(University College London; urban regional development, income inequality, regional identity; 영국), David Sloan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rime prevention, urban development, community health; 미국), Geoffrey Woolcock,(Griffith University; community wellbeing measurement, child-friendly cities, city's play space; 오스트레일리아), Rhonda Philips(Arizona State University; community business, sustainability, community development; 미국)이 참여하고 있음. 이처럼 본 연구는 한국을 비롯한 5개 국가에서 행정학, 도시 환경학, 정치학, 사회 통계학, 심리학, 사회 보건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참여하고 있는 바, 이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바는 다음과 같음. 첫째, 다양한 시각과 경험을 가진 연구자들 간 협업을 통해 사고의 전환 및 시너지 효과 창출을 기대하며, 국

- 26 -

내외 연구진 간 매칭을 통해 전공 분야와 접근 방법의 융합을 시도함. 둘째, 다양한 국가 및 전공 출신의 연구자이 참여함에 따라 심층적인 융합 연구를 지향하고, 또한 이를 통해 커뮤니티웰빙에 대해 보편적이고 총체적인 이론 및 모델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셋째, 양적 연구 방법 뿐만 아니라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는 연구단을 구상, 방법론적 다각화를 형성.넷째, 학자뿐만 아니라, 공공 영역과 민간 영역의 실무 경험이 많은 전문가를 다수 포함시킴으로써 실제 정책 활용도가 높은 연구 결과를 산출할 것으로 기대함.

B. 추진 체계 및 전략

a. 효과적인 의사소통 체계 구축한국뿐만 아니라 국제적 상황에서 널리 통용될 수 있는 커뮤니티 웰빙 연구를 목표로 하고 있는 바, 본 연구진에는 다양한 분야의 국내외 학자들이 분포하고 있음. 성공적인 협력을 위해서 연구진 간의 활발한 의사소통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에, 본 연구단은 각 연구진들과 정기적인 온라인-오프라인 연결 모임을 구축. 첫째, 평상시 주로 이메일 및 연구단 홈페이지(http://cwbresearchhub.org)를 통해 연결되는 한편, 정기적으로 세계 여러 학회에 공동으로 참여 특별 세션을 구성함으로써 커뮤니티 웰빙 연구를 알리는 동시에, 중요한 오프라인 회합의 기회로 삼음. 둘째, 또한 매년 정기적으로 국제 포럼을 개최, 공동 연구진들과 집중적인 회의를 통해, 당면한 주요 연구 과제 및 공동의 연구 방향 및 분석 방법을 함께 검토함으로써 공동 연구가 더욱 효과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함.

b. 국내외 연구진 1:1 연합본 중형 연구는 학제적 융합 연구를 지향하고 있으며, 각 세부 연구 주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이를 위한 장치의 하나로서 국내 연구진과 외국 연구진을 세부 연구 주제에 따라 각 1인씩 매칭하여 전공분야와 접근방법의 융합화를 시도. 동시에, 연구의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구자들이 주기적으로 1:1 연합 대상을 순환, 연구진들이 가능한 모든 연구진들과 1:1 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함.

c. 실천적 전략 개발을 위한 유관 기관 협력 구축본 중형과제 연구는 이론을 바탕으로 지역 사회 내 커뮤니티 웰빙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전략을 추진하는 것을 또 하나의 주요 목적으로 삼고 있음. 특히 커뮤니티 웰빙 증진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주체로 지방 정부에 주목하는 바, 지방 정부 정책 및 지역 개발과 관련된 공공부문의 연구소와 연구센터 그리고 외국의 연구기관들과 협업연구를 추진할 것임.

d. 커뮤니티 웰빙의 세계적 연구 거점 기관으로서 전략적 역할 국제기구의 성공적인 협력은 커뮤니티 웰빙 센터가 해당 분야 연구에서 국제적 연구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함. 중형단계 국내외 연구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및 연구 과제, 분석, 결과 조율, 연구결과 확산과 같은 기본적인 연구 관리 기능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웰빙과 관련한 국내외 주요 raw data를 수합, 보관, 관리하는 데이터 매니지먼트 기능을 적극적으로 담당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커뮤니티 웰빙 연구의 실질적 중심지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함. 이는 단순히 커뮤니티 웰빙 연구의 궤적이나 자료를 보관하는 수준이 아니라 앞으로 연구의 향방을 가늠하고, 해당 데이터에 대한 최적의 분석 방향에 대한 논의함으로써 미래 주요 아젠다를 결정하는 영향력을 확보할 수 있음을 의미. 이는 곧 커뮤니티 웰빙 센터가 커뮤니티 웰빙의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는 세계적 연구기관으로 성장할 수 있는데 중요한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임.

Page 15: KRF-2013S1A3A2054622 목 차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 2014-08-13 ·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 화, 타당성 검증 (연구기 간 3년간 계속 지속)

- 27 -

C. 연구 분담 계획

본 중형 연구진은 국내외 다양한 학문 분야 출신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는 바, 개별 연구진들의 연구수행 역할과 내용 및 협업 관계는 다음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음.

본 연구진은 질적연구, 양적연구 전문가를 고루 포함하고 있는 바, 연구목적에 따라 적절한 방법론을 적용함. 연구책임자는 각 연구진이 세부 주제별로 효율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전 조율 역할을 담당하는 동시에, 연구진들의 개별 연구 실적과 협업 주제에 대한 연구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평가함. 구체적으로 당해 연도 연구결과를 총괄하여 연구과정과 연구결과를 서로 공유할 수 있는 국제포럼을 개최하고 그 결과를 연구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조정. 전임 연구인력은 각종 서베이 자료 및 사례 분석 자료를 공유, 효과적인 공동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D. 연구진의 연구력 증진 및 연구주제 분야 인력양성

a. 학문적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온라인-오프라인 연결체계 강화 본 중형 연구 단계는 다양한 연구 분야의 학자들을 포괄하고 있는 바, 각 연구진이 소유하고 있는 연구

- 28 -

역량을 함께 나눔으로써, 서로의 연구력 증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는 바, 이를 위해 우선 국내 연구진들은 학회 및 세미나, 워크샾 등 오프라인 회합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 당면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도출하기 위해 실질적인 노력을 기울임. 국외 연구진들 역시 이메일 및 홈페이지(cwbresearchhub.org)를 통해 지속적으로 정보를 공유하는 가운데, 국제 학회 및 포럼을 전략적 회합 장소로 활용, 역시 커뮤니티 웰빙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참여한 모든 연구진들의 질적, 양적 연구력 증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

b. 후속 인력 양성 현재 공동 연구진에 재직하고 있는 서울대, 숭실대, 충북대, 명지대 석사 및 박사 과정 학생들 가운데 본 연구에 관심있는 학생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공동 연구진 뿐만 아니라 전임 연구인력이 멘토 역할을 수행할 것임. 공동연구진이 참여하는 학회, 포럼, 세미나, 워크샾에도 적극적으로 참여, 참신한 연구 아이디어를 기탄없이 발표할 수 있는 분위기를 형성할 것이며, 또한 제도적으로도 장학금과 같은 지원 체계를 마련, 후속 인력이 더욱 체계적으로 잘 성장, 커뮤니티 웰빙 연구를 선도할 수 있는 후속 주축 인력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임.

9. 적정성

연구팀의 운영 및 연구계획의 효과적 추진을 위한 연구비 사용계획을 기술

※ 세부산출내역 단가는 동 SSK사업 신청요강의 연구비 비목별 계상기준에 따름

Page 16: KRF-2013S1A3A2054622 목 차 중형(연구단) 1년차 연차보고서 · 2014-08-13 · 집합 지표의 구분, 정교 화, 타당성 검증 (연구기 간 3년간 계속 지속)

- 29 -

연구비 신청

⧠ 기 집행액(단위: 천원)

항 목 / 세부항목당초

예산액전용액

전용후

금액집행액 집행잔액 비고

연구보조원 48,0000 0

12,100 35,900

전임연구인력(2인)(1명4개

월공백)58,860

0 047,500 11,360

소 계 106,860 0 0 59,600 47,260

연구

장비

재료

연구시설장비구입

비0 4,380 4,380 3,191 1,188

연 구

활 동

국외 20,0100

0 16,146 3,863

국내 2,1000

0 0 2,100

회의비 10,8000

0 10,552 247

세미나 개최비 11,200 57 11,257 2,310 8,946

자문비 3,9000

0 4,933 -1,033

유인물비 2,1000

0 1,040 1,059

설문조사비 4,000 -3,763 237 0 237

논문기고료 6000

0 387 212

도서구입비 600 -500 100 436 -336

사무용품비 600 -503 96 484 -387

수수료(광고비)0

330 330 1,651 -1,321

비품구입비0

15 -15

학회세미나참가

04,122 -4,122

연구홍보비0

280 -280

소계 55,9100

0 45,547 10,358

연구

수당

연구책임자 4,800 0 0 4,000 800공동연구원(13

인)62,400 0 0 28,027 34,372

소계 67,200 0 0 32,027 35,172계 229,970 0 0 137,179 92,790

※ 집행잔액은 당해 연도 연구기간 만료일을 기준으로 하여 집행완료 및 집행예정 금액을 포함하

- 30 -

여 작성함

⧠ 차년도 신청액※온라인상의 “차년도 연구비 산출내역”에서 산출근거만 수정가능

항 목 / 세부항목 당초예산액 전용액 전용후

금액 집행액 집행잔액 비고

①인건비

연구보조원48,00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전임연구인력58,86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소 계106,86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②직접비

연구활동비

여비국외

14949.6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국내2,10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회의비10,80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세미나 개최비11,20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자문비450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유인물비2,10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설문조사비8,00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논문기고료60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도서구입비100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사무용품비60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수수료(광고비)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비품구입비0

천원0

천원0

천원

학 회 세 미 나참가비

0천원

0천원

0천원

연구홍보비0

천원0

천원0

천원

연 구 장 비 재료비

0천원

0천원

0천원

소계55,85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연구수당

연구책임자4,80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공 동 연 구 원(13인)

62,40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공동연구원(1인)

0천원

00

천원0

천원0

천원

소계67,20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계229,91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

0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