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
1PAGE PROGRAM MANUAL (CNC: VISION 380M) 대우종합기계㈜ MCT(Machining Center)

MC_380M.pdf

Embed Size (px)

DESCRIPTION

nc

Citation preview

Page 1: MC_380M.pdf

1PAGE

PROGRAM MANUAL(CNC: VISION 380M)

대우종합기계㈜

MCT(Machining Center)

Page 2: MC_380M.pdf

2PAGE

1.목차

1.머시닝센터의정의1-1. 머니싱센터의구조

2.프로그램의구성2-1. 어드레스의의미

3.좌표계4.준비기능(G코드)

4-1.G코드일람표5.프로그램명6.절대지령(G90),증분지령(G91)7.G CODE 기능

7-1.위치결정(G00)7-1-1.수치입력방식7-2.직선보간(G01)7-3.원호보간(G02,G03)7-4.임의각도면취,코너 R기능7-5.휴지(G04)7-6.자동원점복귀(G28)7-7.제2,제3,제4원점복귀(G21)7-8.치구옵셋(G57)7-9.공구경보정(G40,G41,G42)7-10.공구길이보정(G43,G44,G49)

Page 3: MC_380M.pdf

3PAGE

1.목차

7-11.고정사이클7-11-1.G81(드릴링사이클),G82(카운터보링)7-11-2.G83(펙드릴링사이클)7-11-3.G84(탭사이클)7-11-3-1.G84(리지드탭)7-11-4.G85(보링사이클/리이머),G86(보링사이클)7-11-5.G87(스텝사이클)7-11-6.G88(정밀보링)7-11-7.G77(스텝&펙드릴링사이클),G78(가변펙드릴링사이클)7-11-8.G79(백보링사이클)7-11-9.G186(다단보링사이클)7-11-10.G80(고정사이클취소)

7-12.드릴링패턴7-12-1.G111(라인과앵글)7-12-2.G112(부등간라인과앵글)7-12-3.G113,G114(격자)7-12-4.G115(등간격원호)7-12-5.G116(부등간격원호)7-12-6.G117(볼트,서클)7-12-7.G118,G119(사각)7-12-8.G109.G110(지그재그격자)7-12-9.드릴링패턴과프로그램모달호출

Page 4: MC_380M.pdf

4PAGE

1.목차

7-13.프로그램호출(G72,단일호출)7-14.도형복사기능

7-14-1.회전복사(G721)7-14-2.평행복사(G722)7-14-3.회전복사기능을이용한예제7-14-4.평행복사기능을이용한예제

7-15.밀링패턴7-15-1.밀링패턴지령형식7-15-2.G121,G122(페이스밀Ⅰ)7-15-3.G123,G124(페이스밀Ⅱ)7-15-4.G125,G126(포켓밀)7-15-5.G127,G128(라운드밀)7-15-6.G129,G130(내주라운드밀)7-15-7.G131,G132(포켓밀:격자형)

Page 5: MC_380M.pdf

5PAGE

1.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의 정의

범용밀링기계에 CNC장치(주1) 를장착한기계를 CNC밀링이라하고 CNC밀링기계에

공구자동교환장치(ATC:Automatic Tool Changer)를부착하여여러공정의연속적인작업이

필요한공작물을자동으로공구교환해가면서가공하는공작기계를머시닝센터라고한다.

(주1) CNC란?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의약자로컴퓨터화된수치제어장치라는의미로소형컴퓨터를

내장한 NC기계에가공현상,가공조건,가공동작등의데이터를컴퓨터에의해프로그램밍하여

NC데이터를펄스신호화된상태로보유하고기계를가동하는장치를말한다.

Page 6: MC_380M.pdf

6PAGE

1-1. 머시닝센터의 구조

머시닝센터는주축의방향에따라크게두가지종류로구분한다.

-. 수직형(Vertical) 머시닝센터 : 주축(Spindle)이수직방향으로이동-. 수평형(Horizontal) 머시닝센터 : 주축(Spindle)이수평방향으로이동

XY

Z

X

Y

Z

수직형머시닝센터 수평형머시닝센터

주축(Spindle)

Page 7: MC_380M.pdf

7PAGE

2. 프로그램의 구성

프로그램의구성은다음과같이되어있다.

Address + Data

⊙ Address : 프로그램상에사용하는한자리의영문자 (A~ Z)

⊙ Data: 프로그램상에사용하는숫자 (0~9)

⊙Word: Address + Data

⊙ Block: 하나또는여러개의워드(Word)를묶어블럭이라고

하며블록의끝에는 E.O.B(End Of Block : ↓)가붙는다

워드(Word) 블럭(Block) 프로그램

$SAMPLEG90G00 G40 G44G80 ↓

T01M06 ↓

G57 H901 ↓G90G00 X100. Y100. S500 M03 ↓..(이하생략)..M30 ↓

Address

Word

Data

Block

Block

Page 8: MC_380M.pdf

8PAGE

2-1. 어드레스(Address)의 의미

영문자한자리수로지령되며뒤에오는 Data(프로그램상의숫자)의의미를규정하는역할을한다.

VISION 380M에서는어드레스의의미가다음과같다.

기 능 주 소 의 미

Program 번호 $, O Program Number

Block 전개번호 N Sequence Number

준비기능 G NC동작모드 지시

I, J, K 원호중심 지령

R 원호반경

이송기능 F 이송속도, 나사리드의 지정

M 기계측 시퀸스 지정

B 테이블 분할 (제2보조기능)

주축기능 S 주축회전수 및 주속지정

공구기능 T 공구 선택

옵셋번호 H,D 길이 보정, 공구경 보정

휴 지 F,P 휴지시간(Dwell) 지정

반복회수 L 고정사이클 및 보조프로그램 반복횟수

파라메타 P,Q,R,I,J,K,E 진원절삭,고정사이클,패턴사이클 등의 파라메타

NC 제어축의 이동지령

좌 표 치

보조기능

X, Y, Z A, B, C U, V, W

Page 9: MC_380M.pdf

9PAGE

3. 좌표계

3-1. 기계좌표계(Machine Coodinate System)

기계메이커에서 정한기계상에기준이되는점을기계원점이라고하며이점을기준으로하는

좌표계를기계좌표계라한다.

( 전원투입후수동기계원점복귀후 NC에미리설정되어진위치정보를알려줌으로써

기계좌표계가결정된다 )

3-2. 공작물좌표계(Work Coodinate System)

작업자가가공할소재를기준으로설정한점을공작물원점또는프로그램원점이라고하며

이점을기준으로하는좌표계를공작물(Work) 좌표계또는프로그램좌표계라한다.

( 공작물(Work)좌표계를사용하기위해서는작업자가그위치를미리 NC에설정해두워야한다 )

※이하프로그램원점으로표기함

3-3. 로컬좌표계(Local Coodinate System)

프로그램좌표계를기준으로프로그램안에서새로만든좌표계를로컬좌표계라한다.

( G93지령에의해로컬좌표계가설정된다 )

Page 10: MC_380M.pdf

10PAGE

4. 준비기능(G코드)

준비기능은 G다음에 3자리수치로표현되며크게다음의 2종류로구분할수있다.

1)원샷 G코드(One Shot G Code)

:지령된블록(Block)에서만유효한 G코드 (일회성유효 G코드)

2) 모달 G코드(Modal G Code)

:동일그룹의다른 G코드가지령될때까지유효한 G코드 (연속성유효 G코드)

예를들면 ,그룹번호가같은 G00,G01의경우

G01 X100.

Y100.

X0.

Y0.

G00 X-15. Y-15.

G코드가지령되지않은 3블록에서는 G01기능이유효

Page 11: MC_380M.pdf

11PAGE

4-1. G코드 일람표

G코드 그룹 기능 구분 G코드 그룹 기능 구분 G코드 그룹 기능 구분

G000 위치결정 B G028 △ 원점으로 자동복귀 B G056 치구옵셋 Ⅱ(N641~N652) B

G001 직선보간 B G029 △ 원점으로부터 자동복귀 B G057 치구옵셋 Ⅰ B

G002 원호보간 CW/헬리철 보간 CW B G030 3차원 공구보정 취소 O G058 △ 프로그램어블 데이타입력/파라메타 B

G003 원호보간 CCW/헬리철 보간 CCW B G031 3차원 공구보정 O G059 △ 프로그램 파라메타 입력 B

G004 △ 휴지 B G033 01 나사절삭 O G060 △ 한방향 위치 결정 B

G005 △ 매회전 휴지 O G035 평면변환 취소 O G061 △ 스킵기능 O

G006 01 포물선 보간 O G036 평면변환(X,Y,Z→X,Z,-Y) O G062 △ 프로그램 미러이미지 B

G007 △ 가상축 보간 O G037 평면변환(X,Y,Z→X,Z,X) O G063 △ 탭범위 선택 B

G008 △ 자동가속 B G038 평면변환(X,Y,Z→X,Z,Y) O G064 스케일링 취소 B

G009 △ 자동감속 B G039 평면변환(X,Y,Z→Y,Z,-X) O G065 스케일링 B

G010 좌표변환 취소 B G040 공구경보정 취소 B G066 △ 프로그램 미러이미지 B

G011 좌표변환 B G041 공구경보정 좌측 B G067 원통보간 O

G012 △ 진원절삭ⅠCW B G042 공구경보정 우측 B G070 인치지령 O

G013 △ 진원절삭ⅠCCW B G043 공구길이보정 B G071 메트릭 지령 B

G014 02 3차원 좌표변환 O G044 공구길이보정 취소 B G072 △ 서브프로그램 호출 B

G017 XY 평면선택 B G045 △ 공구위치옵셋(1/2신장) B G073 △ 기계좌표계 위치지령 B

G018 XZ 평면선택 B G046 △ 공구위치옵셋(1/2축소) B G074 서브프로그램(매크로) 모달호출Ⅰ B

G019 YZ 평면선택 B G047 △ 공구위치옵셋(신장) B G075 서브프로그램(매크로) 모달호출Ⅱ B

G020 △ 원점복귀 체크 B G048 △ 공구위치옵셋(축소) B G076 서브프로그램(매크로) 취소 B

G021 △ 제2,제3,제4원점 복귀 B G049 07 공구장보정 취소 B G077 고정사이클 복합 펙드릴링 B

G022 △ 진원절삭ⅡCW B G050 자동가감속 B G078 〃 가변 펙드릴링 B

G023 △ 진원절삭ⅡCCW B G051 자동가감속 취소 B G079 〃 백보링 B

G024 축간섭 체크Ⅰ ON B G052 △ CSS최대 회전수 설정 B G080 〃 취소 B

G025 축간섭 체크Ⅰ ON B G053 치구옵셋 취소 B G081 〃 드릴링사이클(스포트) B

G026 축간섭 체크Ⅱ ON B G054 치구옵셋 Ⅱ(N601~N612) B G082 〃 (카운터보링) B

G027 축간섭 체크Ⅱ OFF B G055 치구옵셋 Ⅱ(N621~N632) B G083 〃 펙드릴링 사이클 B

21

22

07

01

02

03

08

09

09

11

15

00

10

04

05

06

Page 12: MC_380M.pdf

12PAGE

4-2. G코드 일람표

G코드 그룹 기능 구분 G코드 그룹 기능 구분 G코드 그룹 기능 구분

G084 〃 탭사이클 B G117 △ 〃 볼트홀 서클 B G972 개입형 매크로(타입Ⅰ) 유효 O

G085 〃 보링사이클(리이머) B G118 △ 〃 사각 B G973 개입형 매크로 무효 O

G086 〃 보링사이클 B G119 △ 〃 사각 B G974 개입형 매크로(타입Ⅱ) 유효 O

G087 〃 스텝사이클 B G121 △ 밀링패턴 페이스밀링1 B G978 △ 공구마모계수 설정 O

G088 〃 정밀보링사이클 B G122 △ 〃 페이스밀링1 B G979 △ 공구마모계수 취소 O

G089 〃 보링사이클 B G123 △ 〃 페이스밀링2 B G980 패턴 기준점 복귀모드 B

G090 절대치지령 B G124 △ 〃 페이스밀링2 B G981 패턴 최종점 복귀모드 B

G091 증분치지령 B G125 △ 〃 포켓밀링 B G984 SHAPE ON O

G092 △ 좌표계 설정 B G126 △ 〃 포켓밀링 B G985 SHAPE OFF O

G093 △ 로칼좌표계 설정 B G127 △ 〃 라운드밀링 B G986 다중버퍼 모드 ON B

G094 분당이송 B G128 △ 〃 라운드밀링 B G987 다중버퍼 모드 OFF B

G095 회전당이송 O G129 △ 〃 내주 라운드밀링 B G990 싱글블럭 정지의 억제 취소 B

G096 주속일정제어ON O G130 △ 〃 내주 라운드밀링 B G991 싱글블럭 정지의 억제 B

G097 주속일정제어OFF O G131 △ 〃 포켓밀링(격자형) B G992 피드홀드의 억제 취소 B

G098 고정사이클 초기점복귀 B G132 △ 〃 포켓밀링(격자형) B G993 피드홀드의 억제 B

G099 고정사이클 R점복귀 B G143 공구축방향 공구길이보정 O G994 오버라이드 유효 B

G100 △ 고정사이클의 구멍가공 무시 B G149 공구축방향 공구길이보정 취소 O G995 오버라이드 무효 B

G105 △ 인볼류트 보간 O G186 11 고정사이클 다단보링사이클 B G996 핸들개입 허가 B

G109 △ 드릴링패턴 지그재그격자 B G190 △ 절삭개시 검지 O G997 핸들개입 금지 B

G110 △ 〃 지그재그격자 B G222 △ 진외원절삭 CW B G998 공구절손,정부하판정 B

G111 △ 〃 직선등간격 B G223 △ 진외원절삭 CCW B G999 공구절손,정부하판정 바이패스 B

G112 △ 〃 부등간 직선등간격 B G571 기계정수보정 ON O

G113 △ 〃 격자 B G581 기계정수보정 OFF O

G114 △ 〃 격자 B G721 △ 회전복사 B

G115 △ 〃 원호 B G722 △ 평형복사 B

G116 △ 〃 부등간 아크 B G811 11 쵸핑모드 ON O

11

12

13

23

14

16

17

18

19

28

27

29

26

20

※ 참고사항 1) 그룹란의 △은 원샷G코드(그외 모달G코드) 2) 구분란의 B는 기본사양,O는 선택사양임

17

25

Page 13: MC_380M.pdf

13PAGE

5. 프로그램명

프로그램명은 $ 뒤에최대 8자리수의영문자,숫자또는—를사용하여지정한다.ex) $SAMPLE (O)

$SAMPLE-1 (O)$123 (O)$P.J.E (X)$SAM,1 (X)$DAE WOO (X) ( .이나 , 또는스페이스를사용할수없음)

(주의사항)1. 프로그램명중 9로시작하여 8자리수의문자열로표현되는 9XXXXXXX대의프로그램은통상기계메이커에서작성하기때문에일반사용자는사용할수없도록인터록이걸려있다.(예 $90000000,$90000001등과같은프로그램명)

2. 프로그램명에제로를붙이면다른프로그램명을의미하기때문에주의해주십시오.380M의경우 $1과 $01은수치적으로는동일하나, 엄연히다른프로그램으로인식된다.참고적으로 FANUC CNC의경우 O1, O01은동일프로그램으로인식됨. 항상 4자리수로기억되고있기때문에 O1→O0001 , O01 →O0001로인신되어동일프로그램이된다.

Page 14: MC_380M.pdf

14PAGE

6. 절대(Absolute)지령,증분(Incremeter)지령

6-1. 절대지령 (G90):프로그램원점을기준으로이동할점의 X,Y,Z축좌표치지령

6-2. 증분지령 (G91):현재공구위치를기준으로이동할점의 X,Y,Z축이동량과방향지령

(현재공구위치가항상 X0,Y0,Z0이된다)

X

Y

Z↑Z>0

↑Y>0

↓Y<0

←X<0

↓Z<0

→X>0

프로그램 원점↙ (X=0, Y=0, Z=0)

Page 15: MC_380M.pdf

15PAGE

6-3. 절대지령,증분지령 예제

예제1) 절대,증분지령을이용하여 아래의도면을프로그램하면다음과같다.

G90G00 X20. Y0 ↓

G90G00 X80. Y40.↓

G90G00 X100.Y80.↓

G90G00 X40. Y80.↓

G90G00 X-20. Y40.↓

G90G00 X-40. Y0 ↓

G90G00 X-60.Y-20.↓

G90G00 X60. Y-40.↓

G90G00 X80. Y-20.↓

G91G00 X20. Y0 ↓

G91G00 X60. Y40. ↓

G91G00 X20. Y40. ↓

G91G00 X-40. Y0. ↓

G91G00 X-60. Y-40.↓

G91G00 X-20. Y-40.↓

G91G00 X-20. Y-20.↓

G91G00 X120.Y-20.↓

G91G00 X20. Y20. ↓

방법 위치

절대지령 증분지령

→ 1

1 → 2

2 → 3

3 → 4

4 → 5

5 → 6

6 → 7

7 → 8

8 → 9

X

Y

1

34

5

6

7

8

9

2

Page 16: MC_380M.pdf

16PAGE

7. G-CODE 기능

7-1. 위치결정(G00)

공구가현재위치에서지령한좌표로급속이송속도로이동한다.급속이송속도(주2)로이동하므로절삭시사용하면충돌할위험이있어절삭하지않는부위에서공구를이동할때주로사용한다.(G00=G000=G0 모두사용가능)

FORMAT:

G00 X__ Y__ Z__ ↓

(주2) 급속이송속도란?

기계상의이송할수있는최고속도라할수있으며기계메이커측에서기종별도설정함으로

사용자가따로설정할필요는없음.(급속이송속도단위: m/min)

X: 이동할점의 X좌표

Y: 이동할점의 Y좌표

Z: 이동할점의 Z좌표

G90G91

Page 17: MC_380M.pdf

17PAGE

7. G-CODE 기능

7-1-1. 수치(DATA) 입력방식

프로그램상의 DATA(수치)는다음의 2가지방법에의하여지령할수있다.

1)전탁형 기본단위: 1X1 → 1mm (1inch)X10 → 10mm (10inch)

2)최소입력단위형 기본단위: 1/1000X1 → 0.001mm (0.001inch)X10 → 0.01mm (0.01inch)X1000 → 1mm (1inch) X1. → 1mm (1inch)X10. →10mm (10 inch)

※참고

1)설정파라메타 NO.0010<0>으로설정가능.NO.0010<0>= 0 일때: 전탁형NO.0010<0>= 1 일때: 최소입력단위형

2)소수점입력이가능한어드레스에서만위의사항이해당됨.(예를들어 N의경우소수점사용이불가능하므로최소입력단위형으로설정되어있어도N1000. 이나 N1000 모두 N1000으로인식함.)

Page 18: MC_380M.pdf

18PAGE

7. G-CODE 기능

7-2. 직선보간(G01)

공구가지령한좌표까지지령된이송속도로직선가공한다.

FORMAT:

G01 X__ Y__ Z__ F__ ↓G90G91

X: 직선종점의 X좌표

Y: 직선종점의 Y좌표

Z: 직선종점의 Z좌표

F: 이송속도 ( Feed : mm/min)

※이송속도(F) 구하는방법Φ20 HSS ENDMILL을사용하여황삭작업시회전수(N),이송속도(F)는 ?

N=1000×V =1000×25π×D π×20

=400

V :절삭속도π:원주율(3.14)D :공구의직경(Diameter)

F=N×Z× S N :회전수Z :공구날수S :이송량(mm/rev)

F=400×2×0.1=80(mm/min)

*위식의 V(절삭속도)와 S(이송량)은공구메이커에서제시한값을참조로한다.

Page 19: MC_380M.pdf

19PAGE

7. G-CODE 기능

7-3. 원호보간(G02/G03)

공구가지령한좌표까지지령된이송속도로원호가공한다.

7-3-1. R값지령

FORMAT: G17 (XY평면일경우)

X__ Y__ R__ F__ ↓

G18 (XZ평면일경우)

X__ Z__ R__ F__ ↓

G19 (YZ평면일경우)

Y__ Z__ R__ F__ ↓G90G91

G02G03

G90G91

G02G03

G02: 시계방향(CW)의 원호보간

G03: 반시계방향(CCW)의 원호보간

X: 원호종점의 X좌표

Y: 원호종점의 Y좌표

Z:원호종점의 Z좌표

R: 원호반경

F: 이송속도 ( Feed )

G90G91

G02G03

Page 20: MC_380M.pdf

20PAGE

7. G-CODE 기능

7-3-2. I, J, K값지령

FORMAT: G17 (XY평면일경우)

X__ Y__ I__ J__ F__ ↓

G18 (XZ평면일경우)

X__ Z__ I__ K__ F__ ↓

G19 (YZ평면일경우)

Y__ Z__ J__ K__ F__ ↓

G90G91

G02G03

G90G91

G02G03

G90G91

G02G03

I : 원호시작점에서 원호중심점까지의

X축 거리와 방향

J : 원호시작점에서 원호중심점까지의

Y축 거리와 방향

K: 원호시작점에서 원호중심점까지의

Z축 거리와 방향

Page 21: MC_380M.pdf

21PAGE

7. G-CODE 기능

7-3-3. R과 I,J,K와의상관관계

1) 0˚ 이상 180˚이하의원호가공時 : R+ 지령2) 180˚이상 360˚미만의원호가공時 : R—지령

3) 360˚일주원호가공時 : I,J,K 지령

(360˚일주원호일경우 R값은지령불가 / I,J,K는 0˚에서 360˚까지모두사용가능 )

※점a와점b를지나는반경 50을만족하는원호는

아래와같이 2개가 발생된다.

X

Y

a

b

b

a

Y

X

Y

a

b

X

R50.

R-50.

<그림1>의 경우

G90G02 X0 Y50.R50.F300

<그림2>의 경우

G90G02 X0 Y50.R-50.F300

<그림1> <그림2>

Page 22: MC_380M.pdf

22PAGE

7. G-CODE 기능

7-3-4. G02,G03 활용프로그램예제

a → b(cw) 절대지령G90G02 X0 Y50. R50. F100 ↓=G90G02 X0 Y50. I50. J0 F100 ↓

b → c(cw) 절대지령G90G02 X0 Y-50. R50. F100 ↓=G90G02 X0 Y-50. I0 J-50. F100 ↓

X

Y

a

b

c

Page 23: MC_380M.pdf

23PAGE

7. G-CODE 기능

7-4. 임의각도면취,코너R

임의의두개의직선또는원호의연결부위에면취또는코너R을자동으로 수행하는기능

※아래의도면과같이두개의직선이만나는교점에 C 또는 R이있는경우두직선이만나는가상의교점(점C,점F)을가공종점의좌표로지령하고그 BLOCK에 C 또는 R의크기를입력하면자동으로면취와코너R의형상을인식하여가공된다.

X

Y

a

bc

d

ef

g

h

※ a를시작점으로시계방향절삭시프로그램

G90G01 X0 Y30.F100 :C5.X30.Y0 :R5.X0 Y-30. X-30.Y0

Page 24: MC_380M.pdf

24PAGE

7. G-CODE 기능

7-5. 휴지(G04: dwell)

휴지지령절에지령된시간만큼일시정지하는기능

FORMAT:

G04 F__ ↓G04 P__ ↓

예를들어, 10초간휴지할경우

G04 F10. 또는, G04 P10.

F, P: 휴지시간(SEC)

Page 25: MC_380M.pdf

25PAGE

7. G-CODE 기능

7-6. 자동원점복귀(G28)

기계메이커에서정한기계상의고유의원점인기계원점으로지령한축을자동으로

복귀시키는기능으로주로사용용도는공구교환이나파레트교환을할때이용한다.

FORMAT:

G28 X__ Y__ Z__ ↓G90G91

X:중간점(경유점)의 X좌표Y:중간점(경유점)의 Y좌표Z:중간점(경유점)의 Z좌표

중간점

기계원점

시점(현재공구위치)

기계원점

시점(현재공구위치)

※ G91G28 X0 Y0 Z0중간점없이 기계원점복귀

Page 26: MC_380M.pdf

26PAGE

7. G-CODE 기능

7-7. 제2,제3,제4원점복귀(G21)

G21 지령에의해지령된축이제2,제3,제4원점으로자동복귀되는기능이다.단, 제2,제3,제4원점은작업자에의해정해지므로반드시사용전제2,3,4원점의위치를해당파라메타에미리설정시켜놓아야한다.

FORMAT:E2

G21 X__ Y__ Z__ ( E3 ) ↓E4

E2: 제2원점(시스템파라메타: N6081~N6083)E3: 제3원점(시스템파라메타: N6101~N6103)E4: 제4원점(시스템파라메타: N6121~N6123)※E2,E3,E4 모두생략시제2원점으로선택됨

G90G91

X:중간점(경유점)의 X좌표Y:중간점(경유점)의 Y좌표Z:중간점(경유점)의 Z좌표

중간점

제2원점

시점(현재공구위치)

제2원점

시점(현재공구위치)

※ G91G21 X0 Y0 Z0중간점없이 기계원점복귀

Page 27: MC_380M.pdf

27PAGE

7. G-CODE 기능

7-8. 치구옵셋(G57)가공을하기위해작업자가공작물(소재)의원점을정할수있으며이때원점을프로그램원점이라한다. 프로그램원점(work 좌표계)은미리 NC에설정하여야하며이설정된프로그램원점을프로그램상에서호출하는기능을치구옵셋이라한다.

기계원점

X

Y

X-100X-200X-300X-400X-450X-500

Y-100

Y-200

Y-230

Y-300Z

Z-100

Z-200

기계원점

프로그램원점(H901)

프로그램원점

FORMAT:

G57 H×××

H901~H999: 치구옵셋번호

보정 1.공구보정 2.치구옵셋 3.치구옵셋2 4.계측보정 5.팔레트

H901 H902 H903 H904 H905

X -45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Y -23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Z -20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H906 H907 H908 H909 H910

X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Y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Z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치구옵셋 설정 화면>

Page 28: MC_380M.pdf

28PAGE

7-9.공구경 보정(G40,G41,G42) 기능

프로그램작성시도면상의치수를공구이동할좌표로사용할경우공구는공구중심을기준으로

이동하기때문에그림<1>과같은경우과절삭이발생되므로그림<2>와같이공구반경만큼을이동시켜공구경로를만들어야한다.공구반경만큼이동된경로를기준으로프로그램을작성시형상이복잡한경우좌표를구하기가

어려우므로프로그램상에 G41,G42지령에의해자동으로공구경을보정해주는기능을이용하여프로그램을작성할수있다.

X

Y

⑥가공시점,

& 종점

프로그램 경로

실가공 경로

X

Y

그림<1>공구경보정전 그림<1>공구경보정후

Page 29: MC_380M.pdf

29PAGE

7-9.공구경 보정(G40,G41,G42)

FORMAT:

X__ Y__ D__ ↓G41G42

G40: 공구경보정취소G41: 왼쪽공구경보정G42: 오른쪽공구경보정D01~D499 공구경보정번호

G42: 공구진행방향에서봤을때공구가소재의오른쪽에있을때

G41: 공구진행방향에서봤을때공구가소재의왼쪽에있을때

X

Y Y

X

G42 G41

G00G01

Page 30: MC_380M.pdf

30PAGE

7-9.공구경 보정 예제 프로그램

$EX-1 (프로그램명)G90G00G40G44G80 (현재 모달중인 G코드)T01M06(1번 공구를 호출하여 공구교환)G57H901(H901에 들어있는 기계좌표를 프로그램 원점으로 설정)G90G00X-15.Y-15.S400 M03(공구를 가공시작점 X-15,Y-15로 급속이송하면서 회전수400으로 주축정회전)G43 Z10. H01 M08(공구길이 보정후 Z축 소재근처로 접근하기 위해 10mm로 급속이송하며 절삭유 ON)G01 Z-10.F80(가공할 깊이 Z-10.으로 이송속도 80mm/min으로 접근)G42(X-15.) Y0 D01

X200.(Y0)(X200.)Y100.X0 (Y100.)(X0) Y-15.

(공구경 보정번호 10번에 들어있는 공구 반경만큼 오른쪽공구경보정후 지령한 가공경로를 따라 직선으로 절삭)

G40G00 X-15.(Y-15.)(공구경 보정 취소 후 X,Y축가공종점으로 급속이송)G00 Z200.(Z축 방향으로 200mm 안전한 위치로 급속이송)M30 (프로그램 종료)

X

Y

Z

사용공구 T01: Φ20 엔드밀

200

Page 31: MC_380M.pdf

31PAGE

7-9.공구경 보정 사용시 주의사항

1)G40/G41/G42코드는 G00/G01블럭에서만지령가능(G02/G03블럭에서는지령불가)2)G40은보정축(XY평면일경우 X나 Y축) 이동시에지령하여야취소됨3)공구경보정코드(G41,G42)를사용시같은블럭에지령한공구경보정번호(D01~D499)에사용중인공구의직경또는반경을반드시입력시켜두어야한다.

4)공구경보정치직경/반경설정가능설정파라메타 NO.0011 <4>= 0의경우: 직경설정파라메타 NO.0011 <4>= 1의경우: 반경 <공구보정화면>

보정 1.공구보정 2.치구옵셋 3.치구옵셋2 4.계측보정 5.팔레트

H번호 길이보정치 마모량 D번호 직경보정치 마모량

H001 0.0000 0.0000 D001 20.0000 0.0000

H002 0.0000 0.0000 D002 0.0000 0.0000

H003 0.0000 0.0000 D003 0.0000 0.0000

H004 0.0000 0.0000 D004 0.0000 0.0000

H005 0.0000 0.0000 D005 0.0000 0.0000

H006 0.0000 0.0000 D006 0.0000 0.0000

H007 0.0000 0.0000 D007 0.0000 0.0000

H008 0.0000 0.0000 D008 0.0000 0.0000

H009 0.0000 0.0000 D009 0.0000 0.0000

H010 0.0000 0.0000 D010 0.0000 0.0000

Page 32: MC_380M.pdf

32PAGE

7-10.공구길이 보정(G43,G44,G49)

공구길이보정이란?한프로그램안에여러개의공구를사용할경우, 각공구는서로다른길이를가지고있어공구길이에맞추어프로그램을작성하는것은어려우므로각공구길이를측정하여 <공구보정>화면에입력한후프로그램상에서공구길이보정기능을이용하여프로그램원점을기준으로프로그램을작성하는

기능이다.

<TYPE 1>FORMAT:

G43 Z__ H__

G44: 공구길이보정취소

Z: 길이보정후이동할 Z좌표

H: 공구길이보정번호(H1~H499)

※<TYPE 1>과 <TYPE 2> 어느쪽을유효로할것인가는설정파라메타 N0011의비트<3>으로설정가능

<TYPE 2>

FORMAT:

G43 Z__ H__

G44 Z__ H__

G49

G43: +축공구길이보정G44: -축공구길이보정G49: 공구길이보정취소

Page 33: MC_380M.pdf

33PAGE

7-10.공구길이 보정(G43,G44,G49)

공구길이보정은주로 3가지방법이사용된다.1)기준공구길이와의차이를입력하는방법2)기계좌표치직접입력방법3)각공구의길이를직접입력하는방법

위의 3가지방법중 1번째방법을이용할경우다음과같다.1)<그림1>과같이공구중기준공구를선택하여주축에장착한후기계원점에서수동으로공구날끝이

프로그램원점에닫을때까지이동한다

2)이때기계좌표Z값을 확인한후이값을치구옵셋번호(H901~H999)의 Z값에입력한다.예를들어, 치구옵셋번호를 H901로설정할경우 <그림1>의경우기계좌표Z가 -400이므로H901의 Z에 -400입력.

WORK(공작물)

TABLE

기계원점

프로그램원점(Z0)

기준공구(T01) (T03)(T02)

<그림1>

H901

X

Y

Z -400.000

Page 34: MC_380M.pdf

34PAGE

7-10.공구길이 보정(G43,G44,G49)

3)이상태에서기계를움직이지않고상태좌표Z를 “0”으로설정한후공구보정화면에결정한공구길이보정번호(H01)에길이보정량도“0”으로입력

4)다음공구(T02)를교환후같은방법으로공구날끝을프로그램원점으로

이동하여상대좌표 Z에나타난수치를공구보정번호 H02에입력한다.5)나머지공구도 4)와같은방법으로입력한다.

길이보정량

H01 0.0000

H02 10.0000

H03 -30.0000

H04

.

.

WORK(공작물)

TABLE

※편의상 공구번호와 공구길이보정번호를

같은번호로 가정함

기계원점

프로그램원점(Z0)

기준공구(T01) (T03)(T02)

Page 35: MC_380M.pdf

35PAGE

7-10.공구길이 보정(G43,G44,G49)

공구길이보정이완료된후 T02공구를사용할경우프로그램은다음과같다.

T02M06G57 H901 ------------- Z-400.G90G43 Z0 H02- ---- Z=-400+10= -390.

(T02 프로그램원점위치)Z축기계좌표 -390으로이동한다.

공구길이보정이완료된후 T03공구를사용할경우프로그램은다음과같다.

T03M06G57 H901 -------------- Z-400.G90G43 Z50. H03 ---- Z=-400+(-30)= -430.

(T03 프로그램원점위치) Z= -430+50=-380Z축기계좌표 -380으로이동한다.

WORK(공작물)

TABLE

Page 36: MC_380M.pdf

36PAGE

7-10. 공구길이보정 화면

※ 380M의공구길이보정화면은다음과같다.

보정 1.공구보정 2.치구옵셋 3.치구옵셋2 4.계측보정 5.팔레트

H번호 길이보정치 마모량 D번호 직경보정치 마모량

H001 0.0000 0.0000 D001 0.0000 0.0000

H002 10.0000 0.0000 D002 0.0000 0.0000

H003 -30.0000 0.0000 D003 0.0000 0.0000

H004 0.0000 0.0000 D004 0.0000 0.0000

H005 0.0000 0.0000 D005 0.0000 0.0000

H006 0.0000 0.0000 D006 0.0000 0.0000

H007 0.0000 0.0000 D007 0.0000 0.0000

H008 0.0000 0.0000 D008 0.0000 0.0000

H009 0.0000 0.0000 D009 0.0000 0.0000

H010 0.0000 0.0000 D010 0.0000 0.0000

Page 37: MC_380M.pdf

37PAGE

7-11.고정사이클

1)고정사이클이란?사이클이란 1블럭지령으로복수의이동을자동적으로실행하는기능이며그중고정사이클은구멍가공에관련된기능을간단하게지령하는기능이다.

2)고정사이클동작은다음과같다.①지령된 XY좌표점에급속이송② Z축으로 R점까지급속이송③ R점에서지령된 Z점까지절삭이송④초기점또는 R점까지복귀

3)고정사이클동작과관련된다음의G코드가있다① G98 초기점복귀② G99 R점복귀

초기점

R 점

Z점

(구멍최종깊이)

Z0

Z점

(구멍최종깊이)

Z0R 점

초기점

G98 초기점복귀 G99 R점복귀

Page 38: MC_380M.pdf

38PAGE

7-11-1. G81(드릴링 사이클)/G82(카운타 보링)

FORMAT

G81 (X__) (Y__) Z__ R__ (P__) F__ (L__)

X: 가공구멍의 X좌표

Y: 가공구멍의 Y좌표

Z: 최종구멍깊이 Z좌표

R: R점(Clearance점)

F: 이송속도

P: 간헐절삭유

(단위:SEC)

L: 반복횟수

(생략시 1회)

G98G99

초기점

R 점

Z점

(구멍최종깊이)

Z0

G99

G98(P)

FORMAT

G82 (X__) (Y__) Z__ R__ (P__) F__ (L__)

X: 가공구멍의 X좌표

Y: 가공구멍의 Y좌표

Z: 최종구멍깊이 Z좌표

R: R점(Clearance점)

F: 이송속도

P: 휴지시간

(단위:SEC)

L: 반복횟수

(생략시 1회)

G98G99

초기점

R 점

Z점

(구멍최종깊이)

Z0

G99

G98

(P)

Page 39: MC_380M.pdf

39PAGE

7-11-2. G83(펙드릴링 사이클)

FORMAT

G83 (X__) (Y__) Z__ R__Q__ (J__) (P__) F__ (L__)

X: 가공구멍의 X좌표

Y: 가공구멍의 Y좌표

Z: 최종구멍깊이 Z좌표

R: R점(Clearance점) Q: 1회 절입량

J: 인선인발량

F: 이송속도

P: 휴지시간

(단위:SEC)L: 반복횟수

G98G99

초기점

R 점

Z점

(구멍최종깊이)

Z0

Z점

(구멍최종깊이)

Z0R 점

초기점

1) J(인선인발량) 생략할경우 2) J(인선인발량) 지령할경우

Page 40: MC_380M.pdf

40PAGE

7-11-3. G84(탭 사이클)

FORMAT

G84 (X__) (Y__) Z__ R__(P__) F__ (L__) (E__)

X: 가공구멍의 X좌표

Y: 가공구멍의 Y좌표

Z: 최종구멍깊이 Z좌표

R: R점(Clearance점) F: 회전수 ×피치(일반탭)P: 간헐절삭유

(단위:SEC)L: 반복횟수

E: 휴지시간

G98G99

초기점

R 점

Z점

(구멍최종깊이)

Z0

G99

G98(P)

(E) 스핀들 역회전

스핀들 정회전

스핀들 정회전

Page 41: MC_380M.pdf

41PAGE

7-11-3-1. G84(리지드 탭:RIGID TAP)

RIGID TAP이란?G84 탭사이클의경우일반탭과리지드모드의탭을사용할수있다. 일반모드에서탭을사용할경우,주축의회전방향만바꿔주는형태로작업을수행하나, 정확한탭을내기위해서는주축의회전에동기하는 Z축이송이있어야하며이러한작업의수행은리지드모드에서가능하다.리지드모드에의한탭핑에서는탭핑축의일정이송(나사리드)마다주축이 1회전한다.그러므로리지드모드를이용한탭은 Float Tap을별도로사용할필요가없고, 고속고정도의탭핑을행할수있다.

FORMAT. (생략)

G90G00 X__ Y__ G43 Z50. H01 M08G63 S__ -------탭범위선택M843 ----------리지드탭 ONG99G84 X__ Y__ Z__ R__ F__

X__ Y__X__ Y__

G80G00 Z__M845 ------------리지드탭 OFF

. (이하생략)

※주의사항

1) 리지드탭의경우 F는나사의리드(피치)를지령

2) 리지드탭의경우M03(주축정회전) 지령불가

3) 역리지드탭의(역회전절삭후정회전도피)

경우M843 대신M844로지령

Page 42: MC_380M.pdf

42PAGE

7-11-4. G85(보링사이클:리이머)/G86(보링사이클)

FORMAT

G85 (X_) (Y_) Z_ R_ (P_) F_ (L_) (E_)

X: 가공구멍의 X좌표

Y: 가공구멍의 Y좌표

Z: 최종구멍깊이 Z좌표

R: R점(Clearance점)

F: 이송속도

P: 간헐절삭유

(단위:SEC)

L: 반복횟수

E: 휴지시간

G98G99

FORMAT

G86 (X__) (Y__) Z__ R__ (P__) F__ (L__)

X: 가공구멍의 X좌표

Y: 가공구멍의 Y좌표

Z: 최종구멍깊이 Z좌표

R: R점(Clearance점) F: 이송속도

P: 휴지시간

(단위:SEC)L: 반복횟수

G98G99

Z점

(구멍최종깊이)

Z0R 점

초기점

주축정지

G99

G98

(P)

초기점

R 점

Z점

(구멍최종깊이)

Z0

G99

G98

(P)

(E)

Page 43: MC_380M.pdf

43PAGE

7-11-5. G87(스텝 사이클)

FORMAT

G87 (X__) (Y__) Z__ R__Q__ F__ (L__)

X: 가공구멍의 X좌표

Y: 가공구멍의 Y좌표

Z: 최종구멍깊이 Z좌표

R: R점(Clearance점) Q: 1회 절입량

F: 이송속도

L: 반복횟수(생략시 1회)

G98G99

Z점

(구멍최종깊이)

Z0R 점

초기점

Page 44: MC_380M.pdf

44PAGE

7-11-6. G88(정밀보링)

정밀보링이란?G85,G86을이용하여보링작업을할경우, G85는절삭이송속도로절삭하며 R점혹은초기점복귀,G86은구멍바닥에서주축정지후급속이송속도로 R점, 초기점복귀되므로가공후엔날이멈춘위치에줄이발생되므로정도가좋은보링가공시부적절하므로 G88 정밀보링기능을이용하면구멍바닥에서주축이정지하여 공구가소재에닿지않게이동후 Z축으로빠져나오므로가공면이좋은보링작업가능

FORMAT

G88 (X__) (Y__) Z__ R__ I__ J__ Q__ (P__) F__ (L__)

X: 가공구멍의 X좌표

Y: 가공구멍의 Y좌표

Z: 최종구멍깊이 Z좌표

R: R점(Clearance점) I : X축 공구 이동량(SHIFT량)J : Y축 공구 이동량(SHIFT량)Q: Z축 도피량

P: 휴지시간

F: 이송속도

L: 반복횟수(생략시 1회)

G98G99

Page 45: MC_380M.pdf

45PAGE

7-11-6. 정밀보링 작업순서

※정밀보링작업순서

①지령된 XY좌표점에급속이송

②초기점에서 R점까지급속이송

③ R점에서구멍최종점(Z점)까지절삭이송

④구멍바닥면에서 Z축으로 Q만큼도피(생략가능)

⑤주축오리엔테이션후 I,J만큼도피

⑥ R점,초기점복귀후 I,J만큼복귀후주축정회전초기점

R 점

Z점

(구멍최종깊이)

Z0

주축 오리엔테이션(M19)

주축 정회전

주축 정회전

(P)

Page 46: MC_380M.pdf

46PAGE

7-11-7. G77(스텝 & 펙드릴링 사이클)/G78(가변 펙드릴링 사이클)

FORMAT

G77 (X__) (Y__) Z__ R__ Q__K__ F__ (L__)

X: 가공구멍의 X좌표

Y: 가공구멍의 Y좌표

Z: 최종구멍깊이 Z좌표

R: R점(Clearance점)

Q: 1회 절입량

K: 인선인발량

F: 이송속도

L: 반복횟수

(생략시 1회)

G98G99

FORMAT

G78 (X__) (Y__) Z__ R__ Q__ K__ F__ (L__)

X: 가공구멍의 X좌표

Y: 가공구멍의 Y좌표

Z: 최종구멍깊이 Z좌표

R: R점(Clearance점) Q,K: 절입량

F: 이송속도

L: 반복횟수

(생략시 1회)

G98G99

Z점

(구멍최종깊이)

Z0R 점

초기점 초기점

R 점Z0

Z점

(구멍최종깊이)

Page 47: MC_380M.pdf

47PAGE

7-11-8. G79(백보링 사이클)

FORMAT

G79 (X__) (Y__) Z__ R__I__ J__Q__ F__ (L__)

X: 가공구멍의 X좌표, Y: 가공구멍의 Y좌표

Z: 최종구멍깊이 Z좌표

R: R점(Clearance점) I : X축 공구 이동량(SHIFT량)J : Y축 공구 이동량(SHIFT량)Q: Z축 도피량, F: 이송속도

L: 반복횟수(생략시 1회)

※백보링 작업순서

①지령된 XY좌표점에급속이송②초기점에서주축오리엔테이션후 I,J만큼도피

③ R점까지급속이송

④ I,J만큼복귀후주축정회전

⑤ R점에서구멍최종점(Z점)까지절삭이송

⑥구멍바닥면에서 Z축으로 Q만큼도피(생략가능)

⑦주축오리엔테이션후 I,J만큼도피

⑧초기점복귀후 I,J만큼복귀후주축정회전

초기점

R 점

Z점

(구멍최종깊이)

Z0

주축 오리엔테이션

주축 정회전

주축 오리엔테이션

주축 정회전

Page 48: MC_380M.pdf

48PAGE

7-11-9. G186(다단 보링사이클)

FORMAT

G186 (X__) (Y__) Z__ R__I__ K__ J__ Q__ F__ (L__)

X: 가공구멍의 X좌표

Y: 가공구멍의 Y좌표

Z: 최종구멍깊이 Z좌표

R: R점(Clearance점) I: 첫번째단의 종점 Z좌표

K: 두번째단의 시점 Z좌표

J: 두번째단의 종점 Z좌표

Q: 세번째단의 시점 Z좌표

F: 이송속도

L: 반복횟수(생략시 1회)

※ 여러단이 있는 보링작업시 가공하지 않는

부위를 급속이송속도로 이동하므로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G98G99

초기점

R 점

Z점

(구멍최종깊이)

Z0

G99

G98

I점

K점

J점

Q점

Page 49: MC_380M.pdf

49PAGE

7-11-10. G80(고정사이클 취소)

고정사이클모드의취소는 G80(고정사이클취소)을사용한다.

※고정사이클사용시주의사항

1)고정사이클실행블럭에M,S,T,B기능은지령불가(다른블럭에지령)2)고정사이클 FORMAT중소괄호 “( )”안의어드레스는생략가능3)G83,G87,G77,G78 사이클의도피량,접근량을나타내는 1mm은설정파라메타 NO.503번으로설정한다.

4)반복횟수(L)을생략시 1번실행하며절대지령(G90)모드에서반복횟수를 L2이상지령시동일구멍을지령회수만큼반복하므로주의

반복회수 L을지령할경우, 증분(G91)모드라야한다.

Page 50: MC_380M.pdf

50PAGE

7-12. 드릴링 패턴

1)드릴링패턴이란?규정된패턴에따른위치에위치결정을실행한다. 즉위치좌표를쉽게구할때사용하며주로고정사이클과같이사용한다.

2)종류

① G111 라인과앵글② G112 부등간라인과앵글③ G113 격자(제1축우선)④ G114 격자(제2축우선)⑤ G115 원호⑥ G116 부등간격원호⑦ G117 볼트,서클⑧ G118, G119 사각⑨ G109, G110 지그재그격자

Page 51: MC_380M.pdf

51PAGE

7-12-1. G111(라인과 앵글)

FORMAT

G111 I__ J__ K__( E__ E__ … )

I :피치(위치간의간격,I>0)J :기준점에서위치결정라인과 X축과의각도( |J|<360。, CCW: +, CW: -)

K:개수(K>0)E: 생략번호(최대지령갯수 30개)

예제풀이)

. (생략)G90G00 X0 Y0 S__ M03G43 Z50. H01 M08G99G81 Z-20.R3.F__G111 I20.J0 K6 E4G80G00 Z200.. (생략)

Y

X기준점 1 2 3 4 5 6

O 위치결정점×생략점

Page 52: MC_380M.pdf

52PAGE

7-12-2. G112(부등간 라인과 앵글)

FORMAT

G112 I__ K__ I__ K__ … I__ K__ J__

I :피치(위치간의간격, I>0)J :기준점에서위치결정라인과 X축과의각도( |J|<360。, CCW: +, CW: -)

K:개수(K>0)※I와 K의조합최대개수 10개

예제풀이)

. (생략)G90G00 X0 Y0 S__ M03G43 Z50. H01 M08G99G81 Z-20.R3.F__G112 I50.K2 I20.K3 I30.K1 J30.G80G00 Z200.. (생략)

Y

X기준점

2

1

3

4

5

6

O 위치결정점

Page 53: MC_380M.pdf

53PAGE

7-12-3. G113,G114(격자)

FORMAT

G113 I__ J__ P__ K__ ( E__ E__ … )G114 I__ J__ P__ K__ ( E__ E__ … )

I :기준점에서가장먼점의 X축좌표J :기준점에서가장먼점의 Y축좌표P: X축방향의개수(P>0)K:Y축방향의개수(K>0)

E: 생략번호 (최대지령갯수 30개)

예제풀이)

. (생략)G90G00 X70. Y0 S__ M03G43 Z50. H01 M08G99G81 Z-20.R3.F__G113 I170.J-60.P6 K3 E6 E8G80G00 Z200.. (생략)

Y

X기준점 21 3 4 5

1011 789 6

1714 15 1612 13

Y

X기준점 65 11 12 17

41 13107 16

158 9 142 3

O 위치결정점×생략점

1) G113 지령시(X축우선)

2) G114 지령시(Y축우선)

Page 54: MC_380M.pdf

54PAGE

Y

X기준점

5

1

3

2

4

6

7-12-4. G115(등간격 원호)

FORMAT

G115 I__ J__ Q__ K__ ( E__ E__ … )

I :원호반경J :원호중심에서첫번째위치와

X축과의각도Q:위치간의각도(CCW:+,CW:-)K:갯수(K>0)E:생략번호 (최대지령갯수 30개)

예제풀이)

. (생략)G90G00 X0. Y0 S__ M03G43 Z50. H01 M08G100G99G81 Z-20.R3.F__G115 I50.J30.Q20.K6 E4G80G00 Z200.. (생략)

※원호중심점 X0Y0는가공하는위치가아니므로 G100:고정사이클의구멍가공무시(원샷 G코드)

O 위치결정점×생략점

Page 55: MC_380M.pdf

55PAGE

Y

X기준점

6 5 4 3

2

1

7

7-12-5. G116(부등간격 원호)

FORMAT

G116 I__ J__ Q__ K__ Q__ K__ … Q__K__

I :원호반경J :원호중심에서첫번째위치와

X축과의각도Q:위치간의각도(CCW:+,CW:-)K:갯수(K>0)※Q와 K의조합최대개수 10개

예제풀이)

. (생략)G90G00 X100. Y100. S__ M03G43 Z50. H01 M08G100G99G81 Z-20.R3.F__G116 I50.J30.Q20.K3Q10.K3Q30.K1G80G00 Z200.. (생략)

O 위치결정점×생략점

Page 56: MC_380M.pdf

56PAGE

Y

기준점

6

5

4

3

2

1

7

8

X

7-12-6. G117(볼트,서클)

FORMAT

G117 I__ J__ K__ (E__ E__… )

I :원호반경J :원호중심에서첫번째위치와

X축과의각도K:갯수(CCW: +, CW:- )E:생략번호 (최대지령갯수 30개) ※K의부호에따라위치결정순서가결정됨

예제풀이)

. (생략)G90G00 X100. Y100. S__ M03G43 Z50. H01 M08G100G99G81 Z-20.R3.F__G117 I50.J0.K8 E3 E5G80G00 Z200.. (생략)

O 위치결정점×생략점

Page 57: MC_380M.pdf

57PAGE

7-12-7. G118,G119(사각)

FORMAT

G118 I__ J__ K__P__ ( E__ E__ … )G119 I__ J__ K__P__ ( E__ E__ … )

I :X축방향의간격(정방향:+,역방향:-)J :Y축방향의간격(정방향:+,역방향:-)K: X축방향의개수(K>0)P : Y축방향의개수(P>0)

E: 생략번호 (최대지령갯수 30개)

예제풀이)

. (생략)G90G00 X70. Y0 S__ M03G43 Z50. H01 M08G99G81 Z-20.R3.F__G118 I20.J30.K4 P2 E5G80G00 Z200.. (생략)

O 위치결정점×생략점

1) G118 지령시(X축우선)

2) G119 지령시(Y축우선)

Y

X기준점 1011 9 8

1 7

4 5 62 3

Y

X기준점 21 3 4

11 5

8 7 610 9

Page 58: MC_380M.pdf

58PAGE

7-12-8. G109,G110(지그재그 격자)

FORMAT

G109 I__ J__ K__P__ Q__ R__ ( E__ … )G110 I__ J__ K__P__ Q__ R__ ( E__ … )

I :X축방향의간격(정방향:+,역방향:-)J :Y축방향의간격(정방향:+,역방향:-)K: X축방향의스타트점을제외한 1줄에서의위치결정점수(K>0)P : Y축방향의왕복횟수-1의값(P>0)Q: X축방향의어긋난간격 (정방향: +, 역방향: -) R: Y축방향의어긋난간격 (정방향: +, 역뱡향: -)E: 생략번호 (최대지령갯수 30개)

Page 59: MC_380M.pdf

59PAGE

Y

X기준점 21 3 4

78 569

11 12 141310

19 18 17 1516

Y

X기준점

2

1

34

78

5

69

1112

14

1310

19

18

17

1516

23

22

21

20

7-12-8. G109,G110(지그재그 격자)

예제풀이)

. (생략)G90G00 X30. Y0 S__ M03G43 Z50. H01 M08G99G81 Z-20.R3.F__G109 I15.J-25.K4 P1 Q10.R-10.E5 E15 E18G80G00 Z200.. (생략)

예제풀이)

. (생략)G90G00 X30. Y0 S__ M03G43 Z50. H01 M08G99G81 Z-20.R3.F__G110 I18.J15.K2 P3 Q10.R5G80G00 Z200.. (생략)

O 위치결정점×생략점

2) G110 지령시(Y축우선)

1) G109 지령시(X축우선)

Page 60: MC_380M.pdf

60PAGE

7-12-9. 드릴링 패턴과 프로그램 모달 호출

프로그램모달호출의 G74,G75모드중에드릴링패턴을지령하면패턴이동을한다. 드릴링패턴의각위치결정점에서지정한프로그램을호출할수있다.

G74: 서브프로그램모달호출Ⅰ(위치결정후프로그램모달호출)G75: 서브프로그램모달호출Ⅱ (현위치에서프로그램호출후위치결정점에서모달호출)

Y

X

1)MAIN PROGRAMG90G00 X0Y0Z5.G75 $SUBG113 I140.J80.P8 K5

2)SUB PROGRAM$SUBG90G01 Z-5. F__G91 X10.

Y10.X-10.Y-10.

G90G00 Z3.M02

※주의사항

1)서브프로그램 가공경로는 증분지령(가공경로는 절대지령 사용불가)2) 공구경보정을 사용할수 없음

Page 61: MC_380M.pdf

61PAGE

7-13. 프로그램 호출(G72, 단일호출)

하나의프로그램안에동일한내용이여러블럭반복지령될경우이것을서브(SUB)프로그램으로사전에메모리에등록하여놓으면프로그램을간단하게할수있다.서브프로그램은메인(MAIN) 프로그램으로부터호출할수있으며이것을서브프로그램호출이라한다.

FORMAT

G72 $____ , L__

G72: 서브프로그램호출

$: 서브프로그램명

L: 반복횟수( 0~99)

(주의사항)※프로그램호출지령블럭에서반복횟수 L을사용하는경우, 프로그램명과 L을구별하기위해콤마(,)를공백사이에넣습니다.

※반복횟수 L 생략시 1회실행※M02: 서브프로그램종료(메인프로그램으로자동복귀)

Page 62: MC_380M.pdf

62PAGE

7-13. 프로그램 호출(G72, 단일호출)

※호출된서브프로그램이또다른서브프로그램호출이가능하며이것을네스트라한다.네스트는 5레벨까지가능하다.

메인 프로그램

$0001

.

.

G72 $0002

.

.

M30

서브 프로그램

$0002

.

.

G72 $0003

.

.

M02

네스트 레벨1

서브 프로그램

$0003

.

.

G72 $0004

.

.

M02

네스트 레벨2

서브 프로그램

$0004

.

.

G72 $0005

.

.

M02

네스트 레벨3

서브 프로그램

$0005

.

.

G72 $0006

.

.

M02

네스트 레벨4

서브 프로그램

$0005

.

.

.

.

.

M02

네스트 레벨5

Page 63: MC_380M.pdf

63PAGE

7-14-1. 도형복사기능(G721,회전복사)

서브프로그램으로지령된형상을 G721,G722을이용하여회전또는평행이동시켜반복실행을시킬수있다.

1)회전복사(G721)

FORMATG17 G721 $__ , L__ X__ Y__ R__G18 G721 $__ , L__ X__ Z__ R__G19 G721 $__ , L__ Y__ Z__ R__

$: 서브프로그램명L: 반복횟수X,Y,Z: 회전중심좌표R: 회전각도(CCW: +, CW: -)

Y

X(X_,Y_)

R

Page 64: MC_380M.pdf

64PAGE

7-14-2. 도형복사기능(G722,평행복사)

2)평행복사(G722)

FORMATG17 G722 $__ , L__ I__ J__G18 G722 $__ , L__ I__ K__ G19 G722 $__ , L__ J__ K__

$: 서브프로그램명L: 반복횟수I,J,K: X,Y,Z축방향이동량

※주의사항

1)서브프로그램가공경로는절대지령가능2)공구경보정사용가능

Y

X

Page 65: MC_380M.pdf

65PAGE

7-14-3. 회전복사기능을 이용한 예제

메인프로그램$1..

G90G00 X_ Y_ (점0)G01G17G42 X_ Y_ D01 F50 (점1)G721 $2, L3 X0 Y0 R120.G40G01 X_ Y_ (점0)..M30

서브프로그램$2G03 X_ Y_ R30. (점2)G01 X_ Y_ (점3)G03 X_ Y_ R10. (점4)G01 X_ Y_ (점5)G03 X_ Y_ R30. (점6)M02

Y

X1

02

34

56

Page 66: MC_380M.pdf

66PAGE

7-14-4. 평행복사기능을 이용한 예제

메인프로그램$1..G90G00 X0 Y0 G01G17G41 X_ Y_ D01 F50 (점0)Y_ (점1)X_ (점2)G722 $2, L3 I50.J0X_ Y_ (점8)X_ Y_ (점0)G40G00 Y-20...M30

서브프로그램$2G90G01 X_ (점3)Y_ (점4)G02 X_ R_ (점5)G01 Y_ (점6)X_ (점7)M02

Y

X1

0

2 3

4 5

6 7

8

Page 67: MC_380M.pdf

67PAGE

7-15. 밀링패턴

1)밀링패턴이란?밀링에의해반복가공을패턴으로행할수있다.

2)종류

① G121, G122 훼이스밀(Ⅰ)② G123, G124 훼이스밀(Ⅱ)③ G125, G126 포켓밀④ G127, G128 라운드밀⑤ G129, G130 내주라운드밀⑥ G131, G132 포켓밀(격자형)

Page 68: MC_380M.pdf

68PAGE

7-15-1. 밀링패턴 지령형식

G17(XY평면,Z축절입)일경우

FORMAT

G__ X__ Y__ Z__ R__ K__ Q__ D__ P__ F__

G: 밀링패턴의 G코드종류X,Y: 현재위치에대한밀링각축의최종점좌표치

(G90모드는절대좌표치,G91모드는현재점에서의상대치)Z: 가공최종 Z축좌표치

(G90모드는절대좌표치,G91모드는 R점부터의거리)R: R점(CLEARANCE점) Z축급속이송위치

(G90모드는절대좌표치,G91모드는현재점(초기점)부터의거리)K: 첫번째 Z축절입위치

(G90모드는절대좌표치,G91모드는 R점부터의거리)Q: Z축절입량(Q>0,G90/G91모드관계없이증분지령)D: 공구경보정번호(D01~D499)P: 공구쉬프트퍼센트비(100≥P≥1)

(공구경에대한퍼센트지(%)로주어진다. 실제공구쉬프트량은, 공구경×P/100로구한다.)F: 이송속도

(생략시이전의 F를사용, 모달데이타임)

Page 69: MC_380M.pdf

69PAGE

7-15-2.G121,G122(페이스밀Ⅰ)

1.G121(제1축우선) 페이스밀2.G122(제2축우선) 페이스밀

G121 X__ Y__ Z__ R__ K__ Q__ D__ P__ F__G122 X__ Y__ Z__ R__ K__ Q__ D__ P__ F__

3. 동작순서1)X,Y축이시작점(Xo,Yo)에서 P1점으로급속이송2)Z축이 R점까지급속이송후, 이송속도 F의 1/2로 K점까지절삭이송3)X,Y축이 P1→P2→P3 … Pe의순서로절삭4)Pe점에도달후, Z축으로급속이송속도로αmm만큼도피(αmm는설정파라메타 NO. 503으로설정가능)

5)Pe에서 P1로급속이송속도로복귀6)Z축으로이송속도 F의 1/2로 (Q+α)mm이송

(이송한마지막깊이가 Z를넘는경우 Z좌표까지이송)7)Z축이최종절입위치 Z좌표에도달할때까지 3)에서 6)을반복수행8)가공종료후 Z축이초기점에급속으로복귀후 XY축으로시작점(Xo,Yo)에복귀

※G17(XY평면)인경우제1축은 X축을, 제2축은 Y축을말한다.

Page 70: MC_380M.pdf

70PAGE

7-15-2.G121,G122(페이스밀Ⅰ)

1.G121(제1축우선) 페이스밀

시작점(Xo,Yo)

지령점(X,Y)

초기점급속이송

절삭이송

Page 71: MC_380M.pdf

71PAGE

7-15-2.G121,G122(페이스밀Ⅰ)

2.G122(제2축우선) 페이스밀

급속이송

절삭이송

지령점(X,Y)

시작점(Xo,Yo)

Page 72: MC_380M.pdf

72PAGE

7-15-3.G123,G124(페이스밀Ⅱ)

1.G123(제1축우선) 페이스밀2.G124(제2축우선) 페이스밀

G123 X__ Y__ Z__ R__ K__ Q__ D__ P__ F__G124 X__ Y__ Z__ R__ K__ Q__ D__ P__ F__

3. 페이스밀(Ⅰ)은선택한평면을이동할때항상시작점(Xo,Yo)를중심으로시작하나,페이스밀(Ⅱ)은종점(지령점 )에도달하면그점에서역방향으로이동을개시한다.

1)X,Y축이시작점(Xo,Yo)에서 P1점으로급속이송2)Z축이 R점까지급속이송후, 이송속도 F의 1/2로 K점까지절삭이송3)X,Y축이 P1→P2→P3 … Pe의순서로절삭4)Pe점에도달후, Z축으로이송속도 F의 1/2로 Qmm이송(이송한마지막깊이가 Z를넘는경우 Z좌표까지이송)

5)X,Y축이역방향 Pe→…P4→P3→P2→P1의순서로절삭6)P1점에도달후, Z축으로이송속도 F의 1/2로 Qmm이송(이송한마지막깊이가 Z를넘는경우 Z좌표까지이송)

7)Z축이최종절입위치 Z좌표에도달할때까지 3)에서 6)을반복수행8)가공종료후 Z축이초기점에급속으로복귀후 XY축으로시작점(Xo,Yo)에복귀

Page 73: MC_380M.pdf

73PAGE

7-15-4.G125,G126(포켓밀)

1.G125(제1축우선) 포겟밀2.G126(제2축우선) 포켓밀

G125 X__ Y__ Z__ R__ K__ Q__ D__ P__ F__G126 X__ Y__ Z__ R__ K__ Q__ D__ P__ F__

3. 동작순서1)X,Y축이시작점(Xo,Yo)에서 P1점으로급속이송

(P1점은시작점에서 X,Y방향으로짧은방향의길이의 1/2에서각축으로 d×p/2앞이다)2)Z축이 R점까지급속이송후, 이송속도 F의 1/2로 K점까지절삭이송3)X,Y축이 P1→P2→P3 →P4→P1 의순서로절삭후, P5로이동하여 P5→P6→P7 →P8→P5순서로절삭.외측으로이동하면서사이클을반복수행한다

(단,공구이동위치가가공최종형상에서 d/2를뺀위치를넘을경우 d/2에서절삭)4)Pe점에도달후, Z축으로급속이송속도로αmm만큼도피(αmm는설정파라메타 NO. 503으로설정가능)

5)P1로급속이송속도로복귀6)Z축으로이송속도 F의 1/2로 (Q+α)mm이송

(이송한마지막깊이가 Z를넘는경우 Z좌표까지이송)7)Z축이최종절입위치 Z좌표에도달할때까지 3)에서 6)을반복수행8)가공종료후 Z축이초기점에급속으로복귀후 XY축으로시작점(Xo,Yo)에복귀

Page 74: MC_380M.pdf

74PAGE

7-15-4.G125,G126(포켓밀)

1.G125(제1축우선) 포켓밀

시작점(Xo,Yo)

지령점(X,Y)

초기점

급속이송

절삭이송

Page 75: MC_380M.pdf

75PAGE

7-15-4.G125,G126(포켓밀)

2.G126(제2축우선) 포켓밀

시작점(Xo,Yo)

지령점(X,Y)

초기점

급속이송

절삭이송

Page 76: MC_380M.pdf

76PAGE

7-15-5.G127,G128(라운드밀)

1.G127(제1축우선) 페이스밀2.G128(제2축우선) 페이스밀

G127 X__ Y__ Z__ R__ K__ Q__ D__ P__ F__G128 X__ Y__ Z__ R__ K__ Q__ D__ P__ F__

3. 동작순서1)X,Y축이시작점(Xo,Yo)에서 P1점으로급속이송2)Z축이 R점까지급속이송후, 이송속도 F의 1/2로 K점까지절삭이송3)X,Y축이 P1→P2→P3 →P4→P1 의순서로절삭4)절삭완료후 Z축으로이송속도 F의 1/2로 Qmm이송

(이송한마지막깊이가 Z를넘는경우 Z좌표까지이송)5)Z축이최종절입위치 Z좌표에도달할때까지 3)에서 4)을반복수행6)가공종료후 Z축이초기점에급속으로복귀후 XY축으로시작점(Xo,Yo)에복귀

Page 77: MC_380M.pdf

77PAGE

7-15-5.G127,G128(라운드밀)

1.G127(제1축우선) 라운드밀

시작점(Xo,Yo)

지령점(X,Y)

초기점

급속이송

절삭이송

Page 78: MC_380M.pdf

78PAGE

7-15-5.G127,G128(라운드밀)

2.G128(제2축우선) 라운드밀

시작점(Xo,Yo)

지령점(X,Y)

초기점

급속이송

절삭이송

Page 79: MC_380M.pdf

79PAGE

7-15-6.G129,G130(내주라운드밀)

1.G129(제1축우선) 내주라운드밀2.G130(제2축우선) 내주라운드밀

G129 X__ Y__ Z__ R__ K__ Q__ D__ P__ F__G130 X__ Y__ Z__ R__ K__ Q__ D__ P__ F__

3. 동작순서1)X,Y축이시작점(Xo,Yo)에서 P1점으로급속이송2)Z축이 R점까지급속이송후, 이송속도 F의 1/2로 K점까지절삭이송3)X,Y축이 P1→P2→P3 →P4→P1 의순서로절삭4)절삭완료후 Z축으로이송속도 F의 1/2로 Qmm이송

(이송한마지막깊이가 Z를넘는경우 Z좌표까지이송)5)Z축이최종절입위치 Z좌표에도달할때까지 3)에서 4)을반복수행6)가공종료후 Z축이초기점에급속으로복귀후 XY축으로시작점(Xo,Yo)에복귀

Page 80: MC_380M.pdf

80PAGE

7-15-6.G129,G130(내주라운드밀)

1.G129(제1축우선) 내주라운드밀

초기점급속이송

절삭이송

지령점(X,Y)

시작점(Xo,Yo)

Page 81: MC_380M.pdf

81PAGE

7-15-6.G129,G130(내주라운드밀)

2.G130(제2축우선) 내주라운드밀

초기점급속이송

절삭이송

지령점(X,Y)

시작점(Xo,Yo)

Page 82: MC_380M.pdf

82PAGE

7-15-7.G131,G132(포켓밀:격자형)

1.G131(제1축우선) 포켓밀(격자형)2.G132(제2축우선) 포켓밀(격자형)

G131 X__ Y__ Z__ R__ K__ Q__ D__ P__ F__G132 X__ Y__ Z__ R__ K__ Q__ D__ P__ F__

3. 동작순서1)X,Y축이시작점(Xo,Yo)에서 P1점으로급속이송2)Z축이 R점까지급속이송후, 이송속도 F의 1/2로 K점까지절삭이송3)X,Y축이 P1→P2→P3 →… P14 →P15 의순서로절삭4) Pe점에도달후, Z축으로급속이송속도로αmm만큼도피(αmm는설정파라메타 NO. 503으로설정가능)

5)P1로급속이송속도로복귀6)Z축으로이송속도 F의 1/2로 (Q+α)mm이송

(이송한마지막깊이가 Z를넘는경우 Z좌표까지이송)7)Z축이최종절입위치 Z좌표에도달할때까지 3)에서 6)을반복수행8)가공완료후격자형으로가공한사각형보다 1mm외측을사각형상으로절삭9)가공종료후 Z축이초기점에급속으로복귀후 XY축으로시작점(Xo,Yo)에복귀

Page 83: MC_380M.pdf

83PAGE

7-15-7.G131,G132(포켓밀:격자형)

1.G131(제1축우선) 포켓밀(격자형)

초기점급속이송

절삭이송

지령점(X,Y)

시작점(Xo,Yo)

Page 84: MC_380M.pdf

84PAGE

7-15-7.G131,G132(포켓밀:격자형)

2.G132(제2축우선) 포켓밀(격자형)

초기점급속이송

절삭이송

지령점(X,Y)

시작점(Xo,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