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
금강 보 구간 수생태계 모니터링 3년차 요약보고서(2단계) 2015. 12. 금강수계 2015년도 환경기초조사사업 Aquatic Ecosystem Monitoring in Weirs of the GuemRiver 금강수계관리위원회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11-1480355-000044-10

Ø J ³ @ û ¤ } ä B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23/013/5619947.pdf · - 2 - 제1장서론 하천은 동・식물의 서식처 제공, 물의 순환이나 수질의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금강보구간수생태계모니터링

3년차요약보고서(2단계)

2015. 12.

금강수계 2015년도 환경기초조사사업

AAqquuaattiicc EEccoossyysstteemm MMoonniittoorriinngg iinn WWeeiirrss ooff tthhee GGuueemmRRiivveerr

금강수계관리위원회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355-000044-10

연구기관명: 금강물환경연구소

연구책임자: 〃 윤조희

연구원: 〃 이수형, 김동호, 이준배, 이재정, 홍선화,

〃 이상희, 김병익, 조윤해, 이유경, 조규열,

〃 주현지, 최인찬, 최지원, 박승용, 박향미,

〃 간종범, 윤재용, 김교영, 양윤모, 최지영,

〃 이대희, 박찬홍, 오다연, 태은아, 김상욱,

〃 윤혜영, 김지현, 맹지영, 김완석, 민경옥,

〃 설빛나, 심무준, 길기범, 신유경, 서우미

공동연구책임자: 충남대학교 김성덕

연구원: 〃 정세훈, 김주영, 권민기

공동연구책임자: 충남대학교 안광국

연구원: 〃 최지웅, 윤영진, 김지윤, 김선영, 김보라,

〃 송동근, 박희성

공동연구책임자: 전남대학교 김종선

연구원 : 〃 류성호, 김종원

공동연구책임자:한국환경생태연구소이시완

연구원: 〃 강태한, 김달호, 조해진, 신용운, 임은홍,

한승우, 정상민

공동연구책임자:조류환경자원연구소채승문

연구원: 〃 이광복, 한사랑, 강우희, 김주현, 염경

제 출 문

금강수계관리위원회 귀하

본 보고서를 “금강 보 구간 수생태계 모니터링” (총 연구기간:

2013년 1월 ∼ 2017년 12월)의 3차년도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5 년 12 월 일

역무대행기관: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i -

목 차

제1장 서론 ··········································································································3

제2장 연구내용 및 방법 ··················································································7

제1절 연구 내용 ·······································································································7

제2절 연구 범위 ·······································································································7

제3절 연구 방법 ·········································································································9

제3장 조사연구결과 ························································································13

제1절 기상 및 수리수문 환경 ···············································································13

제2절 이화학적 수질환경 ·······················································································16

제3절 생물상 ·············································································································22

1. 식물플랑크톤 ······································································································22

2. 동물플랑크톤 ······································································································25

3.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27

4. 어류 ······················································································································33

5. 수변식생 ··············································································································37

6. 양서·파충류 ·········································································································39

7. 포유류 ··················································································································41

제4장 결론 ········································································································45

제1장 서 론

금강수계 2015년도 환경기초조사사업금강 보 구간 수생태계 모니터링

- 2 -

- 2 -

제1장 서론

하천은 동・식물의 서식처 제공, 물의 순환이나 수질의 자정작용 등 자연생태계

의 한 부분으로서 환경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동시에 사람에게는 다양한 용도의 물

을 제공하거나 친수 공간을 제공하기도 하며, 이를 위한 관리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최근 더욱 심해지고 있는 게릴라성 폭우 등 이상기후로 인하여 홍수피해의 급증,

수해복구에 따른 과대한 비용 발생, 주기적인 가뭄으로 인한 지역적 물 부족 심화

및 하천 건천화로 인한 수질악화 등의 새로운 물관리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이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하천관리 전략의 일환으로 정부는 2009년부터 4대강

살리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금강수계의 4대강 살리기 사업구간은 주로 대청댐 방류 이후 본류 구간인 금강

중류 및 하류 유역에 해당되며, 이 지역에는 양호한 하천습지나 배후습지가 광범위

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런 서식지를 기반으로 각시붕어, 줄납자루, 중고기, 긴몰개

등의 어류와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붉은머리오목눈이, 멧비둘기, 왜가리 등의 조

류등 특정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육상 및 담수 생물상들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환경부, 2009). 하천의 상ㆍ중ㆍ하류에는 서로 다른 식물군락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류지역에는 침식작용이 우세하여 입자가 작은 토사 퇴적지가

넓게 분포하는 경우는 드물고, 급류에 노출되는 하상의 암석과 암극, 각이 진 자갈

퇴적지 등이 식물군락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중류지역에서는 하천 폭

이 넓어지고, 운반 및 퇴적작용이 우세하여 둥그스름한 자갈과 모래로 이루어진 모

래톱, 모래와 자갈이 쌓인 퇴적지가 발달한다. 이러한 모래톱은 수량이 증가하면 물

에 잠기지만, 평상시에는 매우 건조한 곳이다. 하류지역에서는 하천 폭이 보다 넓어

지고, 흐름이 완만해 지면서 토사의 퇴적작용이 많이 나타난다. 따라서 하천의 상ㆍ

중ㆍ하류에는 각각의 공간 특성에 맞는 서로 다른 식물군락과 그 서식 환경에 적합

한 생물종이 우점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금강살리기 사업 시행 이후의 서식 환경 변화에 따른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를 위한 관리방안 도출을 위해서는 사업 전·후의 수환경 변화와 수생태계 교란

에 대한 조사·연구 및 장기적인 자료 축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

업 전이나 시행중, 완료 이후의 수리·수문, 수질, 수생태계 현황에 대한 조사, 분석

및 평가를 실시하고,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종 보존 및 복원 대책 등 수

생태계 건강성 확보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3 -

- 4 -

제1절 연구내용

제2절 연구 범위

제3절 연구 방법

7

7

9

제2장 연구내용 및 방법

금강수계 2015년도 환경기초조사사업금강 보 구간 수생태계 모니터링

- 6 -

- 3 -

제2장 연구내용 및 방법

제1절 연구 내용

1. 보 설치 공사 후의 수리·수문학적, 물리적 수환경 조사

- 유량, 유입량, 방류량, 강수량 등

2. 보 설치 공사 후의 이화학적 수환경 조사

- 수온, pH, 탁도, 부유물질, 영양염류, 유기물, 중금속 등

3. 보 설치 공사 후의 생물상 조사

-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수변식생 및 식물상,

양서·파충류, 포유류

제2절 연구 범위

1. 시간적 범위

○ 수리수문학적, 물리적 수환경 조사

- 기온, 강수량 : ‘15년 1월 ~ 12월

- 유량, 유입량, 방류량: ‘15년 1월 ~ 12월

○이화학적 수질 조사

- ‘15년 1월 ~ 12월, 주 1회 조사(결빙기 제외)

- 단, 중금속 항목은 월 1회 조사

○ 생물상 조사

- 식물플랑크톤 : ‘15년 1월 ~ 12월, 주 1회 조사

- 동물플랑크톤 : ‘15년 1월 ~ 12월, 월 2회 조사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 동절기를 제외한 계절별 1회 조사

- 어류 : 홍수기 전후 각 1회 조사

- 수변식생 : 연 2회 실시

- 양서․파충류 : 동절기를 제외한 계절별 1회 조사

- 포유류 : 하절기를 제외한 계절별 1회 조사

2. 공간적 범위

○ 수리․수문학적, 물리학 수환경 조사

- 기온, 강수량 : 보 건설 공사구간 인근에 위치한 기상청 관할 대전, 부여, 청

주의 3개 기상관측소

- 7 -

- 4 -

- 유량, 방류량, 유입량 : 3개 보 한국수자원공사 측정 자료 및 환경부 유량측정

망 지점(갑천 말단, 미호천 말단 세종보 상류 및 직상류, 공주보 상류, 백제보

하류) 총 6개 지점

○ 이화학적 수질 조사(동․식물 플랑크톤 포함)

- 이화학적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은 각 보 상류 500 m 지점, 동물플랑크톤은

주요 지천(갑천말단 및 미호천말단) 각 보 상․류 등 9지점(그림 1)

○ 생물상조사

- 주요 유입 지천 보 상하류 제․내외지(그림 2)

GC

SJ-U1MH

SJ-U

SJ-DGJ-U

GJ-D

BJ-U

BJ-D

공주보세종보

백제보

갑천

미호천

대청호GC

SJ-U1MH

SJ-U

SJ-DGJ-U

GJ-D

BJ-U

BJ-D

공주보세종보

백제보

갑천갑천

미호천미호천

대청호대청호

그림 1. 이화학적 수질 및 동‧식물플랑크톤 조사 지점

그림 2. 생물상 조사 지점도

- 8 -

- 5 -

제3절 연구 방법

1. 수리수문학적, 물리적 수환경 조사

○ 기온, 강수량: 기상청 자료 활용

○ 유량, 유입량, 방류량 : 유량측정망, 한국수자원공사 측정자료 활용

2. 이화학적 수질 조사

○ 분석항목 : 수온, pH, DO, 전기전도도, 탁도, BOD, COD, TOC, Chl a, SS, TN,

NO3-N, NH3-N, TP, PO4-P,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 Cd, Pb, Cr6+, As, Hg

○ 분석방법: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3. 생물상 조사

○ 식물플랑크톤 : 주 1회(수질조사지점과 동일), 시기별 현존량, 종수 및 군집구조 현황

○ 동물플랑크톤 : 월 2회, 시기별 현존량, 종수 및 군집구조 현황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 연 3회(동절기 제외), 지점 및 시기별 군집구조 현황

※ 백제보 중앙부(상류 500 m지점 3지점 및 양안) 조사 실시

○ 어류 : 연 2회(봄, 가을), 보 구간 및 지천별 출현종, 개체수 등 군집구조 현황

○ 수변 식생 : 연 2회, 식물상, 식생 구조, 식생단면도, 현존식생도

○ 양서․파충류, 포유류 : 연 3회, 보 구간별 출현종 현황, 서식지 조사

※ 생물상별 멸종위기종 등 법적 보호종 서식현황 별도 조사

- 9 -

- 10 -

제3장 조사연구결과

금강수계 2015년도 환경기초조사사업금강 보 구간 수생태계 모니터링

제1절 기상 및 수리수문 환경

제2절 이화학적 수질환경

제3절 생물상

13

16

22

- 12 -

- 6 -

제3장 조사연구결과

제1절 기상 및 수리·수문 환경

1. 기상

조사 구간 내 위치한 3개의 기상관측소인 대전, 청주 및 부여의 월 평균기온을

비교하였다(그림 3). 조사기간 동안 금강의 중류 구간의 대전과 청주 지역의 기상현

황을 살펴보면 대전은 평균기온이 14.0 ℃(0.0 ~ 26.4 ℃)로 연교차는 26.4 ℃ 였고,

청주는 평균기온이 14.0 ℃(0.3 ~ 26.3 ℃)로 연교차는 26.0 ℃로 나타났다. 하류지역

인 부여의 경우, 평균기온은 12.9 ℃(-0.7 ~ 25.4 ℃)로 중류지역보다 다소 낮게 나

타났고 연교차는 26.1 ℃로 중·하류 구간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당해연도는

2013년과 2014년의 평균기온 보다 약 0.3 ~ 0.7 ℃정도 높게 유지되었다. 조사기간

중 강수량은 대전, 청주, 부여 기상관측소에서 각각 822.6 ㎜, 755.4 ㎜, 844.9 ㎜로

청주지역이 가장 적은 강수량을 기록하였다. 2015년의 경우 각각의 관측소에서 과

거 2년(2013 ~ 2014년))의 평균의 약 70% 정도에 지나지 않아 전년에 이어 기록적

인 가뭄을 보였다. 한편 당해연도에는 11월과 12월의 강수량이 각 관측소에서 145.7

~ 183.0 ㎜를 기록하여 과거 2년의 평균보다 약 61 ~ 79 ㎜ 증가하였다(그림 4). 한

편, 당해연도의 각 보별 연강수량은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가 각각 802.9 ~ 826.5

㎜를 기록하였다. 보 별 관측에서도 예년 대비 큰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Cheongju

Jan

Feb

Ma

r

Ap

r

Ma

y

Ju

n

Ju

l

Au

g

Sep

Oc

t

No

v

De

c

Daejeon

Jan

Feb

Ma

r

Ap

r

Ma

y

Ju

n

Ju

l

Au

g

Sep

Oc

t

No

v

De

c

Air

Te

mp

.(oC

)

-5

0

5

10

15

20

25

30

2013

2014 2015

Buyeo

Jan

Feb

Ma

r

Ap

r

Ma

y

Ju

n

Ju

l

Au

g

Sep

Oc

t

No

v

De

c

그림 3. 최근 3년간 조사지역 월평균 기온 현황 (기상청)

Daejeon

Ja

n

Fe

b

Ma

r

Ap

r

Ma

y

Ju

n

Ju

l

Au

g

Se

p

Oc

t

No

v

De

c

Pre

cip

ita

tio

n (

mm

)

0

50

100

150

200

250

300

Cheongju

Ja

n

Fe

b

Ma

r

Ap

r

Ma

y

Ju

n

Ju

l

Au

g

Se

p

Oc

t

No

v

De

c

2013

2014

2015

Buyeo

Ja

n

Fe

b

Ma

r

Ap

r

Ma

y

Ju

n

Ju

l

Au

g

Se

p

Oc

t

No

v

De

c

그림 4. 최근 3년간 조사지역 강수량 현황 (기상청)

- 13 -

- 7 -

2. 수리․수문

금강수계 주요 지천인 갑천(GC) 및 미호천(MH)의 유량과 본류 구간의 세종보 상

류(SJ-U1), 세종보 직상류(SJ-U), 세종보 하류(GJ-D) 및 백제보 하류(BJ-U) 지점 유량

자료에 대해 당해연도 1월부터 12월까지의 월별 유량을 현황을 그림 5에 나타내었

다. 조사구간의 유입지천(갑천, 미호천 말단) 월별 평균 유량을 살펴보면, 유입 지천

인 갑천과 미호천에서 각각 7.7 ~ 21.9 CMS, 15.8 ~ 77.4 CMS의 분포를 보였다. 본

류 구간의 최상류 지점인 세종보 상류(SJ-U1)에서는 12.4 ~ 97.1 CMS를 나타내었고

최하류 지점인 백제보 하류(BJ-D)에서는 38.2 ~ 107.9 CMS를 나타내어 예년 대비

큰폭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조사 기간 중의 유량은 봄철부터 가을철까지 이어진 강

수량 감소 및 대청조정지댐의 방류량 감소가 조사 구간의 유량에 영향을 미친 것으

로 보인다. 또한, 각 보별 수리·수문 현황을 살펴보면 2015년 평균총방류량(평균유

입량)은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에서 각각 62.9, 72.5, 80.8 CMS를 기록하여 큰폭으로

감소했던 2014년에 이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그림 6).

GC

Flo

w (

m3/s

ec)

0

50

100

150

200

250

300

201320142015

SJ-U1

Flo

w (

m3 /s

ec

)

0

50

100

150

200

250

300

MH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Flo

w (

m3/s

ec)

0

50

100

150

200

250

300

SJ-U

GJ-D

BJ-D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그림 5. 최근 3년간 조사 구간 내 월별 유량 현황

- 14 -

- 8 -

Baekje

1 2 3 4 5 6 7 8 9 10 11 12

Flo

w (

CM

S)

0

500

1000

1500

2000

Pre

cip

itati

on

(m

m)

0

50

100

150

200

250

300

Inflow

Outflow

Precipitation

Sejong

Flo

w (

CM

S)

0

500

1000

1500

2000

Pre

cip

ita

tio

n (

mm

)

0

50

100

150

200

250

300

Inflow

Outflow

Precipitation

Gongju

Flo

w (

CM

S)

0

500

1000

1500

2000

Pre

cip

itati

on

(m

m)

0

50

100

150

200

250

300

Inflow

Outflow

Precipitation

그림 6. 금강 3개 보 수역의 일별 강수량, 유입량 및 방류량 현황 (2015)

- 15 -

- 9 -

제2절 이화학적 수질환경

금강에 설치된 3개의 보 수역(보 상류 500 m 지점)에서 측정한 주요 이화학적 수

질 항목의 연도별(‘13 ~ ‘15년) 연평균 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유기오염물 지표인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은 ‘15년도에 연평균 농도가 2.3 ㎎/L로 ‘13년과 ‘14년(각

각 2.4 ㎎/L, 2.7 ㎎/L)에 비해 다소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학적산소요구량은

(COD)는 연평균 농도가 6.6 ㎎/L로 ‘13년(6.3 ㎎/L)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으나, ‘14

년(6.9 ㎎/L)에 비해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총질소(TN)와 총인(TP)은 `15년도에 각각

3.188, 0.060 ㎎/L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였고, 부유물질(SS)은 강수량이 적었던

‘15년도에도 ‘14년에 이어 감소하였다. 조류 발생 정도를 나타내는 클로로필 a의 연

평균 농도는 평균 46.7 ㎎/㎥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세 개의 보 수역 지

점별로는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및 부유물질(SS)은

상류 보 구간과 하류 보 구간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총질소(TN)과 총

인(TP)의 경우는 하류 보 구간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클로로필

a는 연도에 따라 상류 보 구간에서 하류 보 구간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

내기도 하였고, 그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이는 연도에 따라 보가 설치

된 중·하류 구간에서 조류 발생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수리·수문이 조건이 달라지

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과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의 경년변화를 살펴 보면, 큰 차이 없이 유지되었고, 총질소(TN), 총인(TP) 및 부유

물질(SS)은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태내었다. 그러나 클로로필 a는 2014년과

2015년의 기록적인 강수량 부족 등으로 기인한 물리적 수환경 변화의 영향으로 증

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중금속 항목인 카드뮴, 6가크롬, 비소, 수은은 조사기

간 동안 금강 본류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항목

등급

BOD(㎎/L)

COD(㎎/L)

T-N(㎎/L)

T-P(㎎/L)

SS(㎎/L)

Chl.-a(㎎/㎥)

평균농도

‘13 2.4 6.3 3.395 0.076 12.5 32.1

'14 2.7 6.9 3.447 0.072 12.0 37.8

‘15 2.3 6.6 3.188 0.060 9.7 46.4

표 1. 금강 3개 보의 주요 수질 항목의 연평균 변화(‘13~’15년)

- 16 -

- 10 -

1. 현장측정항목

수온의 경우 기온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그림 7). 금강 3개 보의 연

평균 수온은 15.4 ℃로 조사되었으며, 최저 3.0 ℃ (1월, 공주보), 최고 29.9 ℃ (8월,

공주보)의 범위로 분포하였다. 각 보의 동절기(12월 ~ 1월) 평균 수온은 세종보, 공

주보, 백제보가 각각 5.6, 5.3, 5.0 ℃로 하류보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는

반면, 하절기(7월 ~ 9월)에는 각각 25.0, 25.5, 25.7 ℃로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

냈다. 수소이온농도(pH)는 조사기간 동안의 평균은 8.1로 최저 6.9 (7월, 백제보), 최고

9.1 (6월, 공주보)의 범위로 분포하였다. 전기전도도(EC)는 조사기간 동안의 평균은

396 ㎲/㎝로 최저 225 ㎲/㎝ (7월, 공주보․백제보), 최고 717 ㎲/㎝ (10월, 세종보)의

범위로 분포하였다. 동절기에 비교적 많은 량의 강우가 기록되기 전 9월까지는 평균

전기전도도는 348 ㎲/㎝ (225 ~ 544 ㎲/㎝)였으나 10월부터 12월까지는 평균값이 539

㎲/㎝ (382 ~ 717 ㎲/㎝)로 조사되어 강우의 영향으로 가을철부터 겨울철까지 예년에

비해 높게 유지되었다. 용존산소(DO)는 3개 보 수역에서 대체적으로 수온이 높은

여름철에 낮고 상대적으로 수온이 낮은 시기에 높은 전형적인 계절 변화를 나타냈

다. 조사기간 동안의 평균은 11.3 ㎎/L로 최저 6.3 ㎎/L (7월, 공주보), 최고 15.7 ㎎/L

(6월, 공주보)의 범위로 분포하였다.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Wate

r T

em

p.

(oC

)

0

5

10

15

20

25

30

35

Sejong Weir

Gongju Weir

Baekje Wei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pH

(m

g/L

)

6

7

8

9

10

Sejong Weir

Gongju Weir

Baekje Wei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EC

(u

S/c

m)

0

200

400

600

800Sejong Weir

Gongju Weir

Baekje Wei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DO

(m

g/L

)

0

5

10

15

20

Sejong Weir

Gongju Weir

Baekje Weir

그림 7. 지점별 현장 측정 항목(수온, pH, 전기전도도, 용존산소) 현황

- 17 -

- 11 -

2. 유기오염물질 항목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의 조사기간 동안의 평균은 2.3 ㎎/L 로 최저 0.6 ㎎

/L(12월, 공주보), 최고 4.9 ㎎/L (9월, 세종보)의 범위로 분포하였다. 각 보의 연평균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은 세종보가 2.5 ㎎/L (1.0 ~ 4.9 ㎎/L), 공주보가 2.2 ㎎

/L (0.6 ~ 4.4 ㎎/L), 백제보가 2.2 ㎎/L(0.9 ~ 4.1 ㎎/L)의 분포를 보였다(그림 8).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의 조사기간 동안의 평균은 6.6 ㎎/L로 최저 4.6 ㎎/L(2월,

공주보), 최고 9.8 ㎎/L (11월, 공주보)의 범위로 분포하였다(그림 4-2-2-2). 각 보의 연

평균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세종보가 7.0 ㎎/L (5.1 ~ 9.5 ㎎/L), 공주보가 6.5

㎎/L (4.6 ~ 9.8 ㎎/L), 백제보가 6.5 ㎎/L(4.7 ~ 8.1 ㎎/L)의 분포를 보였다.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의 경우도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과 유사한 시․공간적 분포

경향을 나태었다. 총유기탄소(TOC)의 경우도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와 유사한 연중변화 경향을 나타냈다. 총유기탄소(TOC)의 조사기

간 동안의 평균은 3.9 ㎎/L로 최저 2.0 ㎎/L(2월, 백제보), 최고 9.8 ㎎/L (11월, 공주

보)의 범위로 분포하였다. 부유물질(SS) 농도는 강우가 집중되었던 시기에 일시적으

로 높게 유지되었고 전년에 이어 강수량이 적어 전반적으로 농도가 비교적 높지 않

게 유지되었다. 조사기간의 평균은 9.7 ㎎/L로 최저 1.3 ㎎/L (2월, 세종보), 최고

24.0 ㎎/L (9월, 세종보)의 범위로 분포하였다. 각 보의 연평균 부유물질(SS) 농도는

세종보가 9.9 ㎎/L (1.3 ~ 24.0 ㎎/L), 공주보가 9.4 ㎎/L (1.7 ~ 22.0 ㎎/L), 백제보

가 9.6 ㎎/L (2.3 ~ 23.6 ㎎/L)의 분포를 보였다. 탁도(Turbidity)는 전반적으로 부유

물질(SS)과 유사한 시․공간적 변화 경향을 나타냈다. 조사기간의 평균은 7.0 NTU

로 최저 1.3 NTU (1월, 세종), 최고 23.2 NTU (7월, 공주보)의 범위로 분포하였다

(그림 4-2-2-5). 각 보의 연평균 탁도는 세종보가 5.9 NTU (1.3 ~ 14.5 NTU), 공주보

가 7.0 NTU (1.4 ~ 23.2 NTU), 백제보가 8.0 NTU (1.5 ~ 20.9 NTU)의 분포를 보였

다. 조류발생정도의 지표인 클로로필 a 농도는 봄철 수온 상승과 강수량 감소에 따

른 일조량의 증가로 4월부터 큰 폭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조사기간의 평균은

46.4 ㎎/㎥로 최저 3.0 ㎎/㎥(1월, 공주보), 최고 192.8 ㎎/㎥(8월, 세종보)의 범위로

분포하였다(그림 4-2-2-6). 각 보의 연평균 클로로필 a 농도는 세종보가 53.7 ㎎/㎥

(3.3 ~192.8 ㎎/㎥), 공주보가 46.2 ㎎/㎥(3.0 ~ 138.6 ㎎/㎥), 백제보가 39.2 ㎎/㎥

(5.7 ~ 92.9 ㎎/㎥)의 분포를 보였다. 올해에는 보 구간의 상류부에 위치한 세종보에

서 하류부에 위치한 백제보로 갈수록 점차 클로로필 a의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강수량 부족에 따른 대청조정지댐 방류량 감소로 본류 구간의 유

량 감소로 상류부와 하류부 간의 공간적 분포 특성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본류 유량이 큰폭으로 감소한 시기에는 보 구간 상류의 영양염류 등의 오염도가 높

- 18 -

- 12 -

은 유입지천(갑천과 미호천)이 세종보와 공주보의 조류 발생 정도에 크게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집중강우가 있던 8월 직전에 세종보의 클로로필 a 농도는

100.4 ~ 157.6 ㎎/㎥(2주차~4주차)로 높게 유지되었고, 일시적인 강우가 끝난 후인

8월말에는 연중 최고값 192. 8 ㎎/㎥를 기록하였다. 이후에도 11월 집중강우가 있기

까지 9월부터 10월까지 지속적으로 126.8 ~ 155.1 ㎎/㎥의 범위로 높게 유지되었다

(그림 4-2-2-6). 공주보에서도 10월 1주부터 11월 1주까지 69.7 ~ 138.6 ㎎/㎥의 범위

(평균 114.9 ㎎/㎥)로 높게 유지되었다. 이 시기의 본류 보 구간의 유량은 약 40

CMS 정도였다. 반면, 백제보의 경우 봄철 4월부터 5월까지의 유량은 가을철 보다

많아 약90 ~ 122 CMS의 범위였고, 이 시기의 클로로필 a의 평균값은 68.4 ㎎/㎥로

각각 세종보, 공주보의 평균 26.8, 50.2 ㎎/㎥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BO

D (

mg

/L)

0

2

4

6

8

Sejong Weir

Gongju Weir

Baekje Wei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CO

D (

mg

/L)

0

2

4

6

8

10

12

14Sejong Weir

Gongju Weir

Baekje Wei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TO

C (

mg

/L)

0

2

4

6

8

10

Sejong Weir

Gongju Weir

Baekje Wei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SS

(m

g/L

)

0

5

10

15

20

25

30

Sejong Weir

Gongju Weir

Baekje Wei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Tu

rbid

ity

(N

TU

)

0

5

10

15

20

25

30

Sejong Weir

Gongju Weir

Baekje Wei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Ch

loro

ph

yll

a (

mg

/m3)

0

50

100

150

200

Sejong Weir

Gongju Weir

Baekje Weir

그림 8. 지점별 유기오염물질 항목 현황

- 19 -

- 13 -

3. 영양염류 항목

조사기간 동안의 총질소(TN)의 연평균 농도는 3.188 ㎎/L로 최저 1.461 ㎎/L(8

월, 백제보), 최고 6.097 ㎎/L (12월, 세종보)의 범위로 분포하였다(그림 9). 암모니아

성질소(NH3-N)와 질산성질소(NO3-N) 모두 조사 지점별로는 총질소와 유사한 경향

으로 상류의 오염도가 높은 지천의 영향으로 세종보 에서 높게 유지되다가 하류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인(TP)의 연평균 농도는 0.060 ㎎/L로 최저

0.020 ㎎/L (1월, 백제보), 최고 0.220 ㎎/L (9월, 세종보)의 범위로 분포하였다. 인

산염인(PO4-P)의 연평균 농도는 0.016 ㎎/L로 최저 0.002 ㎎/L , 최고 0.073 ㎎/L의

범위로 분포하였다. 인계열 항목들도 상류부의 유입지천의 영향으로 각 보의 평균

농도는 상류부의 세종보에서 하류부의 백제보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였고, 강우 유출

의 영향을 받아 강우가 집중되었던 시기에 일시적으로 증가하기도 하였다.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TN

(m

g/L

)

0

2

4

6

8

Sejong Weir

Gongju Weir

Baekje Wei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NH

3-N

(m

g/L

)

0

2

4

6

8

Sejong Weir

Gongju Weir

Baekje Wei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NO

3-N

(m

g/L

)

0

2

4

6

8

Sejong Weir

Gongju Weir

Baekje Wei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TP

(m

g/L

)

0.0

0.1

0.2

0.3

0.4

Sejong Weir

Gongju Weir

Baekje Wei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PO

4-P

(m

g/L

)

0.00

0.05

0.10

0.15

0.20

Sejong Weir

Gongju Weir

Baekje Weir

그림 9. 지점별 영양염류 항목 현황

- 20 -

- 14 -

4. 미생물 및 중금속 항목

총대장균군과 분원성대장균군(그림 10)의 경우도 전 지점에 걸쳐 강우가 집중되

던 시기에 높게 나타나는 등 계절 및 기상요소에 의한 연중 변화 경향을 보였으며,

오염도가 높은 갑천과 미호천의 영향을 받아 세종보 상류 지점은 하류 지점보다 높

게 나타났다. 한편 Cd, Pb, Cr6+, As, Hg의 5개 중금속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 본

연구 기간동안 모든 조사 대상 지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To

tal

Co

lifo

rm (

CF

U/1

00

mL

)

0

5000

10000

15000

2000030000

40000

50000

Sejong Weir

Gongju Weir

Baekje Wei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Fe

ca

l C

oli

form

(C

FU

/10

0m

L)

0

5000

10000

15000

20000

Sejong Weir

Gongju Weir

Baekje Weir

그림 10. 지점별 총대장균군 및 분원성대장균군 현황

- 21 -

- 15 -

제3절 생물상

1. 식물플랑크톤

관찰된 식물플랑크톤은 총 7강 17목 34과 75속 193종으로 규조류 73종(37.8%),

남조류 17종(8.8%), 녹조류 91종(47.2%), 기타조류 12종(6.2%)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시기별, 지점별 출현종수는 31종(12월, 세종보) ~ 89종(7월, 백제보)으로 조사되었

다. 지점별 출현종수는 세종보, 공주보에서 155종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백제

보에서 164종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월별 출현종수는 1월에 56종으로 가장 낮

게 나타났으며, 7월에 119 종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우점종은 Cyclotella

meneghiniana, Fragilaria construens, Fragilaria pinnata, Navicula cryptotenella, 등의 규

조류, Merismopedia elegans, Microcystis aeruginosa, Microcystis wesenbergii, Oscillatoria

limosa, Pseudanabaena limnetica 등의 남조류, Pandorina morum, Volvox sp.,

Dictyosphaerium sp.,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uviatile 등의 녹조류, Chroomonas

acuta 등의 기타조류였다. 계절별로는 겨울철(1~2월, 12월)에는 규조류인 Cyclotella

sp., Fragilaria sp., Navicula sp., 남조류인 Oscillatoria sp., 봄철(3~5월)에는 규조류인

Cyclotella sp., Fragilaria sp., Nitzschia sp., 여름철(6~8월)에는 규조류인 Cyclotella

sp., 녹조류인 Pandorina sp., Volvox sp., Dictyosphaerium sp., 남조류인 Merismopedia

sp., Microcystis sp., Oscillatoria sp., Pseudanabaena sp., 기타조류인 Chroomonas sp.,

가 우점하기도 하였고, 가을철(9~11월)에는 규조류인 Cyclotella sp., Fragilaria sp., 녹

조류인 Actinastrum sp., 남조류인 Merismopedia sp., Microcystis sp. 가 우점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3개 보 전체 연평균 현존량은 18,449 cells/mL로 최저 675

cells/mL (2월1주, 세종보), 최고 99,050 cells/mL (9월4주, 백제보)의 범위로 분포하

였다. 각 보의 연평균 현존량은 세종보가 18,186 cells/mL (675~65,420 cells/mL),

공주보가 16,968 cells/mL (730~54,458 cells/mL), 백제보가 20,194 cells/mL (1,385

~99,050 cells/mL)의 분포를 보였다(그림 11). 세종보에서는 봄철로 접어들면서 현존

량이 점차 증가하다가 6월에는 42,050 cells/mL(6월4주)로 급증하였다. 여름철 집중

강우 시에는 일시적으로 감소하였다가 10월말까지 현존량이 높게 유지되었다. 봄철

과 가을철에는 규조류가 우점을 하면서 클로로필 a 농도 증가하였고 여름철에 일시

적으로 남조류가 증가하기도 하였다(그림 12). 공주보와 백제보의 경우도 세종보와

유사하게 봄철과 가을철에 규조류의 번무로 전체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클로로

필 a의 농도가 증가하고 여름철에는 강우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현존량이 감소하

나 남조류 발생의 증가로 전체 현존량이 높게 유지되었다. 남조류는 10월 중순부터

수온이 떨어지고 비교적 많은 강우의 영향으로 11월부터는 출현하지 않거나 낮은

수준(500 cells/mL 이하)으로 유지되었다.

- 22 -

- 16 -

Sejong Wei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Sta

ng

din

g C

rop

of

Alg

ae (

ce

lls/m

L)

0

2e+4

4e+4

6e+4

8e+4

1e+5

Ch

l.-a

(m

g/m

3)

0

50

100

150

200

Da

ily R

ain

fall

(m

m)

0

20

40

60

80

100

Standing Crop

Chl.-a

Daily Rainfall

Gongju Wei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Sta

ng

din

g C

rop

of

Alg

ae (

cell

s/m

L)

0

2e+4

4e+4

6e+4

8e+4

1e+5

Ch

l.-a

(m

g/m

3)

0

50

100

150

200

Dail

y R

ain

fall

(m

m)

0

20

40

60

80

100

Standing Crop

Chl.-a

Daily Rainfall

Baekje Wei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Sta

ng

din

g C

rop

of

Alg

ae

(c

ell

s/m

L)

0

2e+4

4e+4

6e+4

8e+4

1e+5

Ch

l.-a

(m

g/m

3)

0

50

100

150

200

Da

ily R

ain

fall

(m

m)

0

20

40

60

80

100

Standing Crop

Chl.-a

Daily Rainfall

그림 11. 보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클로로필 a 농도, 일강수량 현황(2015)

- 23 -

- 17 -

Se

jon

g W

eir

0

50

00

100

00

150

00

200

00

250

00

300

00

Cy

an

op

hy

cea

ce

Standing Crop of Major Taxa (cells/mL)

0

100

00

200

00

300

00

400

00

500

00

600

00

700

00

800

00

Bacil

lari

op

hyc

eae

0

20

00

40

00

60

00

80

00

100

00

120

00

140

00

160

00

Chlo

rophyce

ae

Ja

nF

eb

Mar

Ap

rM

ay

Ju

nJ

ul

Au

gS

ep

Oc

tN

ov

De

c

0

200

400

600

800

10

00

Oth

ers

Go

ng

ju W

eir

0

5000

10

000

15

000

20

000

25

000

30

000

Cyan

op

hycea

ce

Standing Crop of Major Taxa (cells/mL)

0

10

000

20

000

30

000

40

000

50

000

60

000

70

000

80

000

Bacil

lari

op

hyc

eae

0

2000

4000

6000

8000

10

000

12

000

14

000

16

000

Ch

loro

ph

yce

ae

Jan

Fe

bM

ar

Ap

rM

ay

Ju

nJ

ul

Au

gS

ep

Oc

tN

ov

Dec

0

2000

4000

6000

8000

10

000

Oth

ers

Ba

ek

je W

eir

02e+

4

4e+

4

6e+

4

8e+

4

1e+

5

Cya

no

ph

yc

eac

e

Standing Crop of Major Taxa (cells/mL)

0

1000

0

2000

0

3000

0

4000

0

5000

0

6000

0

7000

0

8000

0

Bacil

lari

op

hyce

ae

0

200

0

400

0

600

0

800

0

1000

0

1200

0

1400

0

1600

0

Chlo

rop

hyc

eae

Ja

nF

eb

Ma

rA

pr

Ma

yJu

nJ

ul

Au

gS

ep

Oc

tN

ov

De

c

0

200

0

400

0

600

0

800

0

1000

0

Oth

ers

그림

12. 보별

식물플

랑크

톤 주

요 분

류군

현존량

현황(2015)

- 24 -

- 18 -

2. 동물플랑크톤

관찰된 동물플랑크톤은 총 4강 11목 23과 48속 80종으로 원생동물 16종(20%),

윤충류 48종(60%), 지각류 9종(11%), 요각류 7종(9%)으로 나타났다. 조사시기별, 지

점별 출현종수는 4종(SJ-D, 12월)∼34종(GJ-D, 6월)으로 조사되었다. 지점별 출현종

수는 백제보 상류(BJ-U)에서 63종으로 가장 높게 출현하였으며, 세종보 상류(SJ-U1)

에서 53종으로 가장 낮게 출현하였다. 월별 출현종수는 9월에 55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2월에 20종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우점종은 Difflugia acuminata,

Arcella vulgaris, Centropyxis acureata, Epistylis plicatilis, Paramecium sp. 등의 원생동

물, Polyarthra vulgaris, Brachionus angularis, Brachionus calyciflorus, Monostyla bulla,

Notholca labis, Asplanchna siieboldii, Philodina roseola, Synchaeta oblonga, Trichocerca

pusilla 등의 윤충류, Diaphanosoma brachyurum, Bosmina longirostris 등의 지각류,

Nauplius(Cyclops) 등의 요각류였다. 동물플랑크톤 개체수는 1,582 Ind./L(BJ-U, 10월)

∼ 5 Ind./L(SJ-U1, 12월)로 조사되었다. 지점별 개체수는 380 Ind./L로 백제보 상류

(BJ-U)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세종보 상류(SJ-U1)에서 56 Ind./L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고 하류로 갈수록 현존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월별 개체수는

9월에 336 Ind./L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12월에 9 Ind./L로 가장 낮게 조사되

었다. 수온이 올라가기 시작한 3월부터 현존량이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10월까

지 증가되었으며, 11월부터 감소되었다(그림 13~14).

그림 13. 조사 구간(본류) 동물플랑크톤 월별 현존량의 공간적 분포

- 25 -

- 19 -

Jan-1

Jan-2

Feb-1

Feb-2

Mar-1

Mar-2

Apr-1

Apr-2

May-1

May-2

Jun-1

Jun-2

Jul-1

Jul-2

Aug-1

Aug-2

Sep-1

Sep-2

Oct-1

Oct-2

Nov-1

Nov-2

Dec-1

Dec-2

Mean Density of Zooplankton (Ind./L)

0

200

400

600

800

Me

an d

ensi

ty o

f Z

oop

lankt

on

SJ

-U1

SJ

-US

J-D

GJ-U

GJ-D

BJ

-UB

J-D

Mean Density of Zooplankton (Ind./L)

0

10

0

20

0

30

0

40

0

50

0

Mea

n d

en

sity

of

Zoo

pla

nkto

n

0

10

0

20

0

30

0

40

0

Pro

tozo

a

0

10

0

20

0

30

0

40

0

Ro

tife

ra

Mean Density of Major Taxa (Ind./L)

0

10

0

20

0

30

0

40

0

Cla

do

cera

Jan-1

Jan-2

Feb-1

Feb-2

Mar-1

Mar-2

Apr-1

Apr-2

May-1

May-2

Jun-1

Jun-2

Jul-1

Jul-2

Aug-1

Aug-2

Sep-1

Sep-2

Oct-1

Oct-2

Nov-1

Nov-2

Dec-1

Dec-2

0

50

10

0

15

0

20

0

Co

pe

po

da

0

50

100

150

200

Pro

tozo

a

0

100

200

300

400

Ro

tife

ra

SJ

-U1

SJ

-US

J-D

GJ-U

GJ

-DB

J-U

BJ

-D

0

50

100

150

200

Co

pep

od

a

0

10

20

30

40

50

60

Cla

do

cera

Mean Density of Major Taxa (Ind./L)

그림 14.조사 구

간(본

류)동

물플

랑크

톤 현

존량

의 시·공

간적

분포

및 주요 분류군별 현

존량

- 26 -

- 20 -

3.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2015년도 금강 수계 보 구간 및 그 지류에서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7강 18목 54과 70속 73종이었다. 이중 절지동물문에 속하는 수서곤충류가 7

목 35과 48속 51종으로 전체 분류군의 69.9 %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외에

연체동물문 2강 4목 10과 11속 11종(15.1 %), 환형동물문 2강 3목 4과 6속 6종

(8.2%), 절지동물문의 갑각강 3목 4과 4속 4종(5.5 %), 편형동물문 1종(1.4 %)이 출현

했다. 수서곤충류 중에서는 하루살이목이 8과 13속 14종(19.2 %)으로 가장 다양한

종이 출현했고, 다음으로 잠자리목 7과 10속 10종(13.7 %), 파리목 7과 8속 9종(12.3

%), 날도래목 5과 6속 7종(9.6 %), 딱정벌레목 4과 6속 6종(8.2 %), 노린재목 3과 4속

4종(5.5 %), 나비목 1종(1.4 %)이었다.

조사 기간 동안 전 지점에서 채집된 총 개체수 현존량은 21,695 개체로 단위면

적당 평균 출현개체밀도는 803 개체/m2였다. 이중 파리목이 9,257 개체/m2로 전체

의 42.7 %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날도래목 24.3 %, 절지동물문

의 갑각강 14.7 %, 하루살이목 8.6 %, 환형동물문 6.5 %, 연체동물문 2.1 %의 순이

었다. 조사시기별로 살펴보면, 봄철 조사에서 624 개체/m2, 여름철 조사에서 621 개

체/m2, 가을철 조사에서 1,165 개체/m2였다(그림 15~16). 우점종은 조사시기 및 조사

지점에 관계없이 주로 환형동물문의 실지렁이와 파리목의 깔따구류가 우점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봄철 조사에서는 갑각강의 물벌레와 노린재목의 꼬마물벌

레, 여름철 조사에서는 환형동물문의 왼돌이물달팽이, 갑각강의 물벌레와 날도래목

의 흰점줄날도래, 가을철 조사에서는 환형동물문의 왼돌이물달팽이, 갑각강의 물벌

레, 날도래목의 꼬마날도래와 흰점줄날도래도 우점종으로 나타났다(표 2).

우점도 지수는 평균 0.83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점별로는 지점 백제보 상류(BJ-U)

에서 평균 0.9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점 세종보 상류(SJ-U1)에서 평균 0.53으

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 외의 지점에서는 평균 0.73 ~ 0.96의 범위로 나타났다.

다양성지수는 평균 1.51로 나타났다. 조사지점별로 살펴보면, 지점 BJ-U에서 평균

0.78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지점 세종보 상류(SJ-U1)에서 평균 2.7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외의 지점에서는 평균 0.90 ~ 2.06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종풍부도 지

수는 평균 0.95로 나타났다. 조사지점별로 살펴보면, 지점 세종보 상류(SJ-U1)에서

평균 1.87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에 지점 백제보 하류(BJ-D)에서 평균 0.35로 가

장 낮게 나타났다. 그 외의 지점에서는 평균 0.47 ~ 1.69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균등

도 지수는 평균 0.61로 나타났다. 조사지점별로 살펴보면, 지점 백제보 하류(BJ-D)에

서 평균 0.7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점 백제보 상류(BJ-U)에서 평균 0.4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 외의 지점에서는 평균 0.52 ~ 0.72의 범위로 나타났다(그림

- 27 -

- 21 -

17). 2015년도 조사에서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중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

위기 Ⅰ 및 Ⅱ급에 속하는 종은 발견되지 않았나, 또한 한국고유종에 속하는 종은

네모집날도래 KUa(Goerodes KUa) 1종과 국외반출승인대상종에 속하는 종은 곳체다

슬기(Semisulcospira gottschei)와 곳체두드럭조개(Lamprotula leai) 2종이 출현하였다.

그림 15. 조사시기별 종 구성 및 개체수 현존량 비율

그림 16. 조사지점별 출현 종수 및 개체수 현존량 현황

- 28 -

- 22 -

시기

지점봄 철 여름철 가을철

GC 깔따구류1/물벌레 깔따구류1/물벌레 꼬마줄날도래/물벌레

MH 깔따구류1/실지렁이 깔따구류1/왼돌이물달팽이 깔따구류4/왼돌이물달팽이

SJ-U1 깔따구류1/실지렁이 흰점줄날도래/물벌레 흰점줄날도래/깔따구류1

SJ-U 깔따구류1/실지렁이 실지렁이/깔따구류 1 깔따구류1/깔따구류4

SJ-D 깔따구류1/실지렁이 깔따구류1/깔따구류4 깔따구류4/깔따구류1

GJ-U 깔따구류1/깔따구류4 깔따구류1/깔따구류4 깔따구류4/깔따구류1

GJ-D 깔따구류1/깔따구류4 깔따구류4/깔따구류1 깔따구류1/깔따구류4

BJ-U 깔따구류4/깔따구류1 깔따구류1/깔따구류4 깔따구류4/깔따구류1

BJ-D 깔따구류1/꼬마물벌레 깔따구류1/실지렁이 깔따구류1/깔따구류4

표 2. 조사 지점별·시기별 우점종

그림 17. 조사지점별 평균 우점도지수, 평균 종균등도지수, 평균 종다양도지수,

평균 종풍부도지수

백제보 상류의 양안과 중앙부를 대상으로 년 3회(봄철, 여름철, 가을철) 조사를

실시하여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3문 6강 15목 25과 26속 27종이었다.

이중 절지동물문에 속하는 수서곤충류가 6목 13과 14속 15종으로 전체 분류군의

55.6%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외에 연체동물문 2강 4목 6과 6속 6종

- 29 -

- 23 -

(22.2%), 환형동물문과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각각 2강 3목 3과 3속 3종과 2목 3과

3속 3종(11.1%) 출현했다. 수서곤충류 중에서는 잠자리목이 3과 4속 4종(14.8%)으로

가장 다양한 종이 출현했고, 다음으로 하루살이목, 딱정벌레목과 파리목이 각각 3종

씩(11.1%), 노린재목과 날도래목이 각각 1종씩(3.7%)이었다. 조사 기간동안 양안조사

와 중앙부 조사 등 전 지점에서 채집된 총 개체수 현존량은 10,545 개체로 단위면

적당 평균 출현개체밀도는 585 개체/m2였다(그림 18~19). 출현 분류군별 개체수 현

존량 비율은 파리목이 전체의 85.9%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환형동

물문 13.4%, 연체동물문 0.3%, 하루살이목 0.2%의 순이었다. 정량조사와 정성조사를

병행한 양안조사에서만 채집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3문 6강 14목 24과 25속 26

종이었다. 이중 절지동물문에 속하는 수서곤충류가 6목 13과 14속 15종으로 전체

분류군의 57.7%로 과반수이상을 차지하였다. 이외에 연체동물문 2강 3목 5과 5속 5

종(19.2%), 환형동물문과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각각 2강 3목 3과 3속 3종과 2목 3

과 3속 3종(11.5%) 출현했다. 수서곤충류 중에서는 잠자리목이 3과 4속 4종(15.4%)으

로 가장 다양한 종이 출현했고, 다음으로 하루살이목, 딱정벌레목과 파리목이 각각

3종씩(11.5%), 노린재목과 날도래목이 각각 1종씩(3.8%)이었다. 양안조사에서 채집된

총 개체수 현존량은 4,254 개체로 로 단위면적당 평균 출현개체밀도는 709 개체/m2

였다. 출현 분류군별 개체수 현존량 비율은 파리목이 전체의 95.0%로 대부분을 차

지하였고, 다음으로 환형동물문 3.3%, 연체동물문 0.6%, 하루살이목 0.5%의 순이었

다. 정량조사만 실시한 중앙부 조사에서 채집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3문 3강

3목 3과 3속 4종이 출현하였는데, 출현한 종으로는 연체동물문의 민물담치

(Limnoperna fortunei), 환형동물문의 실지렁이(Limnodrilus gotoi)와 파리목의 깔따구

류(Chironomus sp.1과 C. 4(red type))로 나타났다. 중앙부조사에서 채집된 개체수 현

존량은 6,291 개체로 단위면적당 평균 출현개체밀도는 524 개체/m2였다. 출현 분류

군별 개체수 현존량 비율은 파리목이 전체의 79.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다음으

로 환형동물문 20.2%, 연체동물문 0.1%의 순이었다(표 3).

우점도 지수는 평균 0.92이었고, 양안조사에서 좌안은 평균 0.87, 우안은 평균

0.98로 나타났으며, 중앙부조사에서는 평균 0.83 ~ 0.96의 범위로 나타났다. 다양도

지수는 평균 1.08이었고, 양안조사에서는 좌안이 평균 1.29, 우안이 평균 0.78로 나

타났고, 중앙부조사에서는 평균 0.91 ~ 1.45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풍부도 지수는 평

균 0.39이었고, 양안조사에서는 좌안과 우안이 각각 평균 0.71과 평균 0.47로 나타났

으며, 중앙부조사에서는 평균 0.25 ~ 0.4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균등도 지수는 평균

0.70이었고, 양안조사에서는 좌안과 우안이 각각 평균 0.54와 평균 0.42로 나타났으

며, 중앙부조사에서는 평균 0.76 ~ 0.86의 범위를 나타내었다(그림 20).

- 30 -

- 24 -

그림 18. 조사시기별 종 구성 및 개체수 현존량 비율

그림 19. 조사지점별 출현 종수 및 개체수 현존량 현황

- 31 -

- 25 -

시기

지점봄 철 여 름 철 가 을 철

양안조사

좌 안깔따구류 4/

깔따구류 1

깔따구류 1/

깔따구류 4

깔따구류 4/

깔따구류 1

우 안깔따구류 1/

깔따구류 4

깔따구류 1/

실지렁이

깔따구류 1/

깔따구류 4

500m

좌 안깔따구류 4/

실지렁이

실지렁이/

깔따구류 4

깔따구류 4/

실지렁이

중 앙깔따구류 4/

실지렁이

실지렁이/

깔따구류 4

깔따구류 4/

실지렁이

우 안깔따구류 4/

깔따구류 1

실지렁이/

깔따구류 4

깔따구류 4/

실지렁이

1,000m 중 앙깔따구류 4/

깔따구류 1

실지렁이/

깔따구류 4

깔따구류 4/

실지렁이

표 3. 조사 지점별·시기별 우점종

그림 20. 조사지점별 평균 우점도지수, 평균 종균등도지수, 평균 종다양도지수,

평균 종풍부도지수

- 32 -

- 26 -

4. 어류

2015년도 금강 수계에서 실시한 어류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채집된 어류는

총 11과 46종 7,208개체이며, 잉어과 (Cyprinidae) 29종, 동자개과 (Bagridae)가 4종,

망둑어과 (Gobiidae)가 3종, 미꾸리과 (Cobitidae)와 검정우럭과 (Centrarchidae)가 각

각 2종, 동사리과 (Odontobutidae) 1종, 그 외 멸치과(Coilia nasus)를 비롯한 5개 과

가 각각 1종씩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끄리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17.0

%), 로서 1,224개체가 채집되어 전체 어종의 17.0 %를 차지하였고, 상대풍부도가 5

% 이상인 어종은 강준치(Erythroculter erythropterus, 16.0 %) 누치 (Hemibarbus

labeo, 14.1 %), 몰개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12.6 %),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8.4 %), 됭경모치 (Microphysogobio jeoni, 5.3 %)의 순으로 나타났다(표

4~7). 본 조사기간 중 채집된 법정보호종은 총 2종 8개체로 총 채집 어류 (7,208개

체) 중 0.11 %의 상대풍부도를 차지하여 종 풍부도가 매우 희박한 것으로 분석되

었다. 금강 수계에서 출현이 보고되는 천연기념물 454호이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I

급인 미호종개 (Iksookimia choii)는 미호천과 지천에서 3개체가 출현하였고, 멸종

위기 야생생물 I급인 흰수마자 (Gobiobotia nakdongensis)는 지천에서 5개체가 출현

하였다(표 4~7). 본 조사기간 동안 금강 수계에서 채집된 외래도입종은 떡붕어

(Carassius cuvieri), 배스 (Micropterus salmoides), 블루길 (Lepomis macrochirus), 이

스라엘 잉어(Cyprinus carpio)로 총 4종 141개체로 나타났으며, 전체 채집 어류의

1.97 %의 상대풍부도를 보였다. 이들 중 가장 높은 상대풍부도를 보인 배스는 12개

구간에서 99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지류 및 본류 구간에 모두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떡붕어는 본류구간인 공주보 상류 및 백제보 하류 구간(BJ-D))에서만 2개체가

채집된 반면, 지류에서는 한 개체도 채집되지 않았고, 블루길은 6개 구간에서 총 39

개체가 출현하였다(표 4~7).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총 출현종수 51 52 50 49 53 46

개체수 7,127 7,313 7,697 8,461 11,706 7,208

우점종(%)긴몰개(18 %)

몰개(20 %)

참몰개(21 %)

몰개(28 %)

몰개(40 %)

끄리(17 %)

법적보호종수(종명)/개체수

2종(미호종개,흰수마자)16개체

1종(흰수마자)6개체

1종(흰수마자)2개체

2종(미호종개,흰수마자)6개체

2종(미호종개,흰수마자)15개체

2종(미호종개,흰수마자)8개체

외래종 개체수(종명)

53(배스, 블루길,

떡붕어)

80(배스, 블루길,

떡붕어)

112(배스, 블루길,

떡붕어)

109(배스, 블루길,

떡붕어)

91(배스, 블루길,

떡붕어)

141(블루길, 떡붕어,

배스,이스라엘잉어)

표 4. 연도별 어류 조사 결과

- 33 -

- 27 -

SJ-U1 SJ-U SJ-D GJ-U1 GJ-U GJ-D BJ-U1 BJ-U BJ-D본류전체

총 출현종수 28 22 25 26 21 23 27 25 20 43

개체수 331 413 253 2,462 385 283 1,000 621 615 6,363

우점종(%)누치(19.3 %)

강준치(33.7 %)

몰개(17.8 %)

끄리(41.2 %)

누치(23.6 %)

모래무지(39.2 %)

강준치(51.3 %)

강준치(37.2 %)

됭경모치(31.5 %)

끄리(18.3 %)

법적보호종수(종명)/개체수

- - - - - - - - - -

외래종개체수(종명)

3(배스)

14(배스,블루길)

20(배스,블루길)

22(배스,블루길)

12(배스,블루길,이스라엘잉어)

4(배스)

11(배스)

19(배스,블루길)

2(배스,떡붕어)

107(배스,블루길,떡붕어)

표 5. 2015년 본류 어류 조사 결과

GC MH JA YG JC 지류전체

총 출현종수 17 21 16 16 18 38

개체수 105 237 69 318 116 845

우점종(%)붕어(22.9 %)

모래무지(26.2 %)

블루길(23.2 %)

모래무지(30.2 %)

끄리(23.3 %)

모래무지(24.1 %)

법적보호종수(종명)/개체수

-1종

(미호종개) 1개체- -

2종(미호종개,

흰수마자) 7개체

2종(미호종개,

흰수마자) 8개체

외래종개체수(종명)

6(배스

-27

(배스, 블루길)-

1(배스)

334(배스, 블루길)

표 6. 2015년 지류 어류 조사 결과

- 34 -

- 28 -

종 명

조사 지

점합계

RA

SJ-U

SJ

SJ-D

GJ-U

GJ

GJ-D

BJ-U

BJ

BJ-D

GC

MH

JAYG

JC

Opsa

rich

thys uncirostris am

urensis 끄리

2724

21

1014

28

59

12

27

021

45

27

122

416.98

Erythrocu

lter erythropterus 강준치

28139

370

36

0513

231

119

08

40

1115

215.98

Hem

ibarbus labeo

누치

6432

12

631

91

2218

20

45

627

929

10

101

614.10

†Squalidus japon

icus co

rean

us 몰개

132

45

313

64

25155

175

77

617

50

13

910

12.62

Pseudogobio eso

cinus 모래무지

1638

13

88

27

111

543

51

19

62

696

21

605

8.39

†Microphysogobio jeoni 됭경모치

10

17

112

120

39

194

00

00

838

35.31

Carassius au

ratus 붕어

4589

341

28

1414

20

10

24

22

00

292

4.05

Zac

co p

latypus 피라미

34

11

46

212

92

00

49

149

018

82.61

†Acanthorhodeu

s gracilis 가시납지리

163

299

31

09

43

00

00

016

72.32

Rhinog

obius brunneu

s 밀어

210

96

020

2210

16

010

322

10

149

2.07

†Microphysogobio y

aluen

sis 돌마자

130

20

00

41

00

016

074

012

81.78

†Hem

iculter eigen

man

ni 치리

22

028

24

636

29

00

10

211

21.55

Acanthorhodeu

s macropterus 큰납지리

1311

49

50

19

63

31

00

111

11.54

‡Micropterus salm

oides 배

스3

614

20

84

1114

16

011

01

99

1.37

Triden

tiger b

revispinis 민

물검정망둑

90

36

00

17

13

00

00

82

76

1.05

†Sarcoch

eilich

thys nigripinnis m

orii 중고기

44

430

46

24

04

03

00

65

0.90

Pseudorasb

ora parva 참붕어

1126

02

00

1210

03

10

00

65

0.90

Hem

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00

87

012

12

30

20

136

54

0.75

Ach

eilognathus lanceolatus 납

자루

60

311

33

05

64

30

60

50

0.69

Squaliobarbus cu

rriculus 눈

불개

15

03

21

32

18

16

01

346

0.64

‡Lep

omis m

acroch

irus 블루길

08

61

30

05

00

016

00

39

0.54

†Squalidus ch

ankaensis tsuch

igae

참몰개

00

15

13

01

02

02

01

10

35

0.49

Ach

eilognathus rhom

beu

s 납

지리

61

05

111

13

10

00

40

33

0.46

Abbottina rivularis 버

들매치

211

00

01

140

00

11

00

30

0.42

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143

30

01

00

02

50

00

28

0.39

†Sarcoch

eilich

thys variegatus wak

iyae 참

중고기

30

12

10

60

00

00

03

227

0.37

Leiocassis n

itidus 밀자개

10

014

06

20

30

00

00

26

0.36

†Odontobutis interrupta 얼

룩동사리

20

10

00

00

015

20

01

21

0.29

표 7. 금

강수계의 각

지점별 채

집된 어

류 종

조성

석표 (1·

2차 통

합)

(단

위 : %)

- 35 -

- 29 -

종 명

조사 지

점합계

RA

SJ-U

SJ

SJ-D

GJ-U

GJ

GJ-D

BJ-U

BJ

BJ-D

GC

MH

JAYG

JC

Pungtungia h

erzi 돌

고기

50

40

00

10

05

00

30

18

0.25

Cyprinus carpio 잉

어1

11

01

00

10

30

12

011

0.15

Rhinog

obius giurinus 갈문망둑

00

00

00

41

10

10

00

70.10

Mugil cephalus 숭어

00

00

00

00

70

00

00

70.10

Coilia

nasu

s 웅

어0

00

00

00

07

00

00

07

0.10

Chan

na argus 가

물치

01

01

00

10

01

11

00

60.08

Pseudobag

rus fulvidraco 동

자개

02

00

00

11

01

00

00

50.07

†Gob

iobotia nak

don

gen

sis 흰수마자

00

00

00

00

00

00

05

50.07

†Ikso

okim

ia choii 미호종개

00

00

00

00

00

10

02

30.04

siniperca sch

erzeri 쏘

가리

00

21

00

00

00

00

00

30.04

†Pseudobag

rus koreanus 눈동자개

00

00

00

00

00

00

20

20.03

‡Carassius cu

vieri 떡

붕어

00

01

00

00

10

00

00

20.03

Misgurnus an

guillicaudatus 미꾸리

10

00

00

00

00

00

01

20.03

†Squalidus gracilis majim

ae 긴

몰개

00

00

10

00

00

00

00

10.01

Leiocassis u

ssurien

sis 대농갱이

00

00

10

00

00

00

00

10.01

Oryzias sinen

sis 대

륙송사리

00

00

00

10

00

00

00

10.01

Silurus asotus메기

01

00

00

00

00

00

00

10.01

†Abbottina

springeri 왜매치

00

00

00

00

00

10

00

10.01

‡Cyprinus carpio

이스라엘잉어

00

00

10

00

00

00

00

10.01

종 수

28

22

25

26

21

2327

25

20

17

21

1616

18

47

표 7. 계

†= 한국 고

유종, ‡= 외

래도입

종, RA: Relative A

bundance (상

대풍

부도

)

* 수

치는 각

연별

총 개

체수를

이용하여

각 종

별 상

대풍

부도

로 나

타냄

.

- 36 -

- 30 -

5. 수변 식생

금강 수계 조사 대상 지역 내 식물상은 총 81과 217속 279종 2아종 32변종 등

총 313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각 조사지점별 출현 종수는 백제보에서 218종이 출

현하여 보 구간에서는 가장 많은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세종보에서

173종, 공주보에서 186종, 갑천 말단부에서 187종, 미호천말단부에서 240종, 유구천

말단부에서 214종, 지천말단부에서 211종이 출현하였다. 조사 대상 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의 과별 출현 종수는 벼과(Graminae) 43종(13.83%), 국화과(Compositae)

34종(110.93%), 콩과(Leguminosae) 27종(8.68%), 마디풀과(Polygonaceae) 17종

(5.47%), 사초과(Cyperaceae) 18종(5.79%), 십자화과(Cruciferae) 12종(3.86%), 장미과

(Rosaceae) 14종(4.50%), 버드나무과(Salicaceae) 6종(1.93%) 등의 순으로 분포하고 있

어 일·이년생 및 다년생의 초본 식물이 우점하는 하천변 식물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8~10).

금강의 3개 보 조사 구간 총 출현 종수는 2010년에 245종, 2011년 242종, 2012년

262종, 2013년 259종, 2014년 280종, 2015년 249종으로 2014년까지 점차 증가하다가

2015년에 다소 감소하였다(표 8~10). 6차년도(2015년) 조사결과 지점별로는 백제보에서

218종이 출현하여 보 구간에서는 가장 많은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세종

보 173종, 공주보 186종, 갑천말단부 187종, 미호천말단부 240종, 유구천말단부 214종,

지천말단부에서 211종이 출현하였다(표 8~10). 귀화식물의 종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공사 후 원래의 수변식생 군락들이 자전거길, 공원 등의 녹지가

조성됨에 따라 외래식물이 유입되어 분포가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특히, 공주

보에서 백제보구간은 2012년 봄철에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였으나 관리 가능한

공간은 제거 되는 등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생태계 교란종 출

현 종수는 지속적으로 4 ~ 5종만이 출현하여 새롭게 유입된 종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지점별 귀화식물 출현 종수 현황을 살펴보면 보 구간인 3개보 지점에서는 42 ~ 45

종 (21 ~ 24%), 유입지천 구간은 37 ~ 41종 (17 ~ 20%)으로 조사되어 보가 설치된 지점

의 귀화식물 유입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 군락의 분포 면적은 2014년부

터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표 8~10).

- 37 -

- 31 -

지점항목

세종보(SJ)

공주보(GJ)

백제보(BJ)

갑천말단부(GC,DC)

미호천말단부(MH)

유구천(YG)

지천(JC)

총 출현종수 173 186 218 187 240 214 211

귀화식물(종수비율)

42(24.3%)

42(22.6%)

45(20.6%)

37(19.8%)

41(17.1%)

37(17.3%)

40(19.0%)

생태계 교란종 4 4 5 4 5 2 3

표 8. 2015년 지점별 식생 조사 결과

출현종과명

종수 비율(%)

벼과 43 13.83

국화과 34 10.93

콩과 27 8.68

마디풀과 17 5.47

사초과 18 5.79

십자화과 12 3.86

장미과 14 4.50

버드나무과 6 1.93

기타 과 140 45.02

표 9. 조사 구간 내 식물의 과별 출현 현황

년도 항목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총 출현종수 245 242 262 259 280 249

귀화식물

종수(비율)34

(14 %)33

(14 %)35

(13 %)46

(18 %)48

(17 %)48

(19 %)

분포면적(비율)7.8 ha(3.4%)

6.6 ha(2.8%)

40.0ha(17.5%)

5.7 ha(2.5%)

62.8 ha(27.5%)

74.4 ha(36.4%)

생태계 교란종

종수 4 4 5 5 5 5

분포면적(비율)0.4 ha(0.2%)

0.4 ha(0.2%)

0.4 ha(0.2%)

1.4 ha(0.6%)

0.6 ha(0.3%)

0.7 ha(0.3%)

표 10. 조사 구간(3개보 구간) 식생 조사 결과 현황

- 38 -

- 32 -

6. 양서․파충류

2015년 3월부터 11월까지 총 6회 조사를 실시한 결과 관찰된 양서ㆍ파충류는

신규조사지역까지 포함하여 총 11종이었다. 그 중 양서류는 무당개구리, 청개구리,

참개구리, 황소개구리, 두꺼비, 도롱뇽 6종이 확인되었으며, 파충류는 자라, 붉은귀

거북, 줄장지뱀, 무자치, 유혈목이 5종이 확인되었다(표 11). 지점별 종수를 보면 미

호천말단(MH)에서 6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백제보(BJ)에서 5종, 갑천말단(GC)과 공

주보(GJ)에서 각각 3종, 세종보(SJ)에서 2종, 금강 합류지점(SJ-U)에서 1종 순으로 확

인되었다. 총 조사 기간(‘10 ~‘15년) 동안 보 3구역 양서·파충류상 조사 결과의 경년

변화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사업이 시작되던 ‘10년에 6종이 출현하였다가, ‘11년에

3종, ‘12년에 3종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3년에 5종으로 다소 증가하였지

만 ‘14년에 다시 3종으로 감소하였다가 ’15년에 6종으로 다소 증가하였다. 보 3구역

양서·파충류의 유생은 ‘10년에 2종이 관찰되었으나 ’11년, ‘12년에는 유생이 관찰되

지 않다가 ’13년에 무당개구리의 유생만이 확인되었고 ‘14년과 ‘15년에는 유생이 관

찰되지 않았다. 생태계교란야생동물은 ‘10년에 황소개구리 1종이 출현하고 ’11년,

‘12년, ’13년까지 출현하지 않다가 ‘14년에 다시 출현하였으며, ‘15년에는 황소개구리

와 붉은거북 총 2종이 출현하였다.

번호 학 명 국 명 GC MH SJ-U SJ GJ BJ

1 Hynobius leechii 도롱뇽 ○

2 Bombina orientalis 무당개구리 ○

3 Bufo gargarizans 두꺼비 ○

4 Hyla japonica 청개구리 ○ ○ ○

5 Rana nigromaculata 참개구리 ○ ○ ○ ○ ○ ○

6 Rana catesbeiana 황소개구리 ○ ○

7 Pelodiscus sinensis 자라 ○

8 Trachemys scripta elegans 붉은귀거북 ○

9 Takydromus wolteri 줄장지뱀 ○

10 Elaphe rufodorsata 무자치 ○

11 Rhabdophis tigrinus 유혈목이 ○ ○

종 수 5종 3종 6종 1종 2종 3종 5종

표 11. 조사 구간에서 확인된 양서․파충류

- 39 -

- 33 -

구분

보항목

사업 중 사업 후

‘10 ‘11 ‘12 ‘13 ‘14 ‘15

금강

3개 보

구간

양서‧파충

류알(난괴),

유생

청개구리(성체+유생)

참개구리(성체+유생)

황소개구리(성체)

무자치(성체)

누룩뱀(성체)

유혈목이(성체)

청개구리(성체)

참개구리(성체)

유혈목이(성체)

청개구리(성체)

참개구리(성체)

옴개구리(성체)

무당개구리(성체, 유생)참개구리(성체)

청개구리(성체)

옴개구리(성체)

유혈목이(성체)

참개구리(성체)

황소개구리

(성체)

줄장지뱀

(성체)

청개구리(성체)

참개구리(성체)

황소개구리(성체)

붉은귀거북(성체)무자치(성체)

유혈목이(성체)

총 종수 6종 3종 3종 5종 3종 6종

생태계교란

야생동물

종수, 종명

1종(황소개구리) - -

1종(황소개구리)

2종황소개구리 붉은귀거북

표 12. 양서·파충류상 경년 변화(보 3지역)

번호 학 명 국 명 GC MH SJ-U SJ GJ BJ

1 Mogere wogura 두더지 ○ ○ ○ ○ ○

2 Pipistrelus javanicus 집박쥐 ○

3 Nyctereutes procyonoides 너구리 ○ ○ ○ ○ ○ ○

4 Canis familialis 개 ○ ○ ○ ○ ○

5 Mustela sibirica 대륙족제비 ○

6 Lutra lutra 수달 ○ ○ ○ ○

7 Prionailurus bengalensis 삵 ○ ○ ○

8 Felis catus 고양이 ○ ○ ○ ○

9 Sus scrofa 멧돼지 ○

10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 ○ ○ ○ ○ ○

11 Sciurus vulgaris 청설모 ○

12 Tamias sibiricus 다람쥐 ○

13 Apodemus agrarius 등줄쥐 ○ ○

14 Micromys minutus 멧밭쥐 ○

종 수 5종 5종 4종 7종 10종 10종

표 13. 조사 구간에서 확인된 포유류

- 40 -

- 34 -

7. 포유류

2015년 3월부터 11월까지 총 6회 조사를 실시한 결과 관찰된 포유류는 신규조사

구역까지 포함하여 총 14종이었다. 지점별 종수를 보면 공주보(GJ)와 백제보(BJ)지역

에서 10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세종보(SJ)지역에서 7종, 미호천말단

(MH)과 갑천말단(GC)지역에서 각각 5종, 금강합류지점(SJ-U)지역에서 4종순으로 나타

났다(표 13). 너구리와 고라니는 전 구간에서 흔적을 통해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두

더지와 개는 금강합류지점을 제외한 전 구간에서, 집박쥐는 금강합류지점, 대륙족제

비는 백제보, 수달은 미호천말단과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삵은 세종보, 공주보, 백

제보, 고양이는 갑천말단과 금강합류지점, 공주보, 백제보, 멧돼지는 공주보, 청설모

는 공주보, 다람쥐는 백제보, 등줄쥐는 세종보와 공주보, 멧밭쥐는 백제보에서 흔적

및 관찰로 서식이 확인되었다(표 13). 총 조사 기간(‘10 ~’15년) 동안 보 3구역 포유

류상 조사 결과의 경년 변화를 표 14에 나타내었다. 사업 직후인 ‘12년에 11종으로

출현하였고, ’13년에는 6종, ’14년에는 7종으로 사업 중과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였

으며. ’15년에는 13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다. 멸종위기종 Ⅰ급인 수달은

‘11년에 보 지역에서 출현하지 않았으나 사업 후인 ’12년부터는 지속적으로 출현하

고 있다. 멸종위기종Ⅱ급인 삵은 지속적으로 보 지역에서 출현하였다.

구분

보항목

사업 중 사업 후

'10 '11 '12 '13 '14 '15

전체 총 출현 종수 8 6 11 6 8 14

금강

3개 보

구간

수달 서식 유무 ● - ● ● ● ●

종수 8종 6종 11종 6종 7종 13

멸종위기 종수,

종명(급)

2종수달(I급),삵(Ⅱ급)

1 종삵(Ⅱ급)

2종수달(I급),삵(Ⅱ급)

2종수달(I급),삵(Ⅱ급)

2종수달(I급),삵(Ⅱ급)

2종수달(I급),삵(Ⅱ급)

생태계교란야생동물

종수, 종명- - - - - -

표 14. 포유류상 경년 변화(보 3지역)

- 41 -

- 42 -

제4장 결 론

금강수계 2015년도 환경기초조사사업금강 보 구간 수생태계 모니터링

- 44 -

- 35 -

제4장 결론

1. 본 연구에서는 금강수계 3개의 보를 중심으로 한 구간(2015. 1 ~ 2015. 12)의 물

리‧화학적 수환경 및 수생태계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 구간은 대청호 방류 지

점 이후 본류로 유입되는 주요 지류인 갑천과 미호천을 포함하여 3개 보의 상·하

류를 대상으로 하였다.

2. 조사 구간 내 위치한 3개의 기상관측소인 대전, 청주 및 부여의 월 평균기온을 비

교하였다. 대전은 평균기온이 14.0 ℃(0.0 ~ 26.4 ℃)로 연교차는 26.4 ℃ 였고, 청

주는 평균기온이 14.0 ℃(0.3 ~ 26.3 ℃)로 연교차는 26.0 ℃로 나타났다. 하류지

역인 부여의 경우, 평균기온은 12.9 ℃(-0.7 ~ 25.4 ℃)로 중류지역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고 연교차는 26.1 ℃로 중·하류 구간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강수량

은 대전, 청주, 부여 기상관측소에서 각각 822.6 ㎜, 755.4 ㎜, 844.9 ㎜로 청주지

역이 가장 적은 강수량을 기록하였다. ’15년의 경우 각각의 관측소에서 과거 2년

(‘13 ~ ’14년)의 평균의 약 70% 정도에 지나지 않아 전년에 이어 기록적인 가뭄

을 보였다. 한편 ‘15년의 경우 11월과 12월의 강수량이 각 관측소에서 145.7 ~

183.0 ㎜를 기록하여 과거 2년의 평균보다 약 61 ~ 79 ㎜ 증가하였다.

3. 조사구간의 유입지천(갑천, 미호천 말단) 월별 평균 유량을 살펴보면, 유입 지천

인 갑천과 미호천에서 각각 7.7 ~ 21.9 CMS, 15.8 ~ 77.4 CMS의 분포를 보였다.

본류 구간의 최상류 지점인 세종보 상류(SJ-U1)에서는 12.4 ~ 97.1 CMS를 나타

내었고 최하류 지점인 백제보 하류(BJ-D)에서는 38.2 ~ 107.9 CMS를 나타내어

예년 대비 큰폭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조사 기간 중(’15.1. ~ 12.)의 유량은 봄철

부터 가을철까지 이어진 강수량 감소 및 대청조정지댐의 방류량 감소가 조사 구

간의 유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각 보별 수리·수문 현황을 살펴보면

(K-water 관측 자료) ‘15년 평균총방류량(평균유입량)은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에

서 각각 62.9, 72.5, 80.8 CMS를 기록하여 큰폭으로 감소했던 ’14년에 이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어 수질인자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4. 유기오염물 지표인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은 ‘15년도에 연평균 농도가 2.3

㎎/L로 `13년과 `14년(각각 2.4 ㎎/L, 2.7 ㎎/L)에 비해 다소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

었다. 화학적산소요구량은(COD)는 연평균 농도가 6.6 ㎎/L로 ’13년(6.3 ㎎/L)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으나, `14년(6.9 ㎎/L)에 비해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총질소

(TN)와 총인(TP)은 `15년도에 각각 3.188, 0.060 ㎎/L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

였고, 부유물질(SS)은 강수량이 적었던 `15년도에도 ‘14년에 이어 감소하였다.

- 45 -

- 36 -

조류 발생 정도를 나타내는 클로로필 a의 연평균 농도는 평균 46.7 ㎎/㎥로 지

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세 개의 보 수역 지점별로는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

(B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및 부유물질(SS)은 상류 보 구간과 하류 보 구간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총질소(TN)과 총인(TP)의 경우는 하류 보 구

간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클로로필 a는 연도에 따라 상류

보 구간에서 하류 보 구간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기도 하였고, 그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이는 연도에 따라 보가 설치된 중·하류 구간

에서 조류 발생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수리·수문이 조건이 달라지기 때문인 것

으로 판단된다.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과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의 경년변

화를 살펴보면, 큰 차이 없이 유지되었고, 총질소(TN), 총인(TP) 및 부유물질(SS)

은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클로로필 a는 `14년과 `15년

의 기록적인 강수량 부족 등으로 기인한 물리적 수환경 변화의 영향으로 증가하

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중금속 항목인 카드뮴, 6가크롬, 비소, 수은은 조사기간

동안 금강 본류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5. 식물플랑크톤은 총 7강 17목 34과 75속 193종으로 규조류 73종(37.8%), 남조류

17종(8.8%), 녹조류 91종(47.2%), 기타조류 12종(6.2%)으로 나타났다. 조사시기별,

지점별 출현종수는 31종(12월, 세종보) ~ 89종(7월, 백제보)으로 조사되었다. 지

점별 출현종수는 세종보, 공주보에서 155종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백제보에

서 164종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월별 출현종수는 1월에 56종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7월에 119 종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우점종은 Cyclotella

meneghiniana, Fragilaria construens, Fragilaria pinnata, Navicula cryptotenella,

Navicula trivialis, Nitzschia palea 등의 규조류, Merismopedia elegans, Merismopedia

glauca, Merismopedia tenuissima, Microcystis aeruginosa, Microcystis wesenbergii,

Oscillatoria limosa, Pseudanabaena limnetica 등의 남조류, Pandorina morum,

Volvox sp., Dictyosphaerium sp.,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uviatile 등의 녹조류,

Chroomonas acuta 등의 기타조류 였다. 계절별로는 겨울철(1~2월, 12월)에는 규조

류인 Cyclotella meneghiniana, Fragilaria pinnata, Navicula cryptotenella, Navicula

trivialis, 남조류인 Oscillatoria limosa, 봄철(3~5월)에는 규조류인 Cyclotella

meneghiniana, Fragilaria pinnata, Nitzschia palea, 여름철(6~8월)에는 규조류인

Cyclotella meneghiniana, 녹조류인 Pandorina morum, Volvox sp., Dictyosphaerium

sp., 남조류인 Merismopedia elegans, Merismopedia tenuissima, Microcystis

aeruginosa, Microcystis wesenbergii, Oscillatoria sp., Pseudanabaena limnetica, 기타조

류인 Chroomonas acuta가 우점하기도 하였고, 가을철(9~11월)에는 규조류인

- 46 -

- 37 -

Cyclotella meneghiniana, Fragilaria construens, 녹조류인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uviatile, 남조류인 Merismopedia glauca, Microcystis aeruginosa, Microcystis

wesenbergii 가 우점하였다.

6. 동물플랑크톤은 총 4강 11목 23과 48속 80종으로 원생동물 16종(20%), 윤충류 48

종(60%), 지각류 9종(11%), 요각류 7종(9%)으로 나타났다. 조사시기별, 지점별 출

현종수는 4종(SJ-D, 12월)∼34종(GJ-D, 6월)으로 조사되었다. 지점별 출현종수는

백제보 상류(BJ-U)에서 63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세종보 상류(SJ-U1)에서

53종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월별 출현종수는 9월에 55종으로 가장 높게 나

타났으며, 12월에 20종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우점종은 Difflugia

acuminata, Arcella vulgaris, Centropyxis acureata, Epistylis plicatilis, Paramecium sp.

등의 원생동물, Polyarthra vulgaris, Brachionus angularis, Brachionus calyciflorus,

Monostyla bulla, Notholca labis, Asplanchna siieboldii, Philodina roseola, Synchaeta

oblonga, Trichocerca pusilla 등의 윤충류, Diaphanosoma brachyurum, Bosmina

longirostris 등의 지각류, Nauplius(Cyclops) 등의 요각류였다.

7. 2015년도 금강 수계 보 구간 및 그 지류에서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7강 18목 54과 70속 73종이었다. 이중 절지동물문에 속하는 수서곤충류가

7목 35과 48속 51종으로 전체 분류군의 69.9 %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

외에 연체동물문 2강 4목 10과 11속 11종(15.1 %), 환형동물문 2강 3목 4과 6속

6종(8.2%), 절지동물문의 갑각강 3목 4과 4속 4종(5.5 %), 편형동물문 1종(1.4 %)

이 출현했다. 수서곤충류 중에서는 하루살이목이 8과 13속 14종(19.2 %)으로 가

장 다양한 종이 출현했고, 다음으로 잠자리목 7과 10속 10종(13.7 %), 파리목 7과

8속 9종(12.3 %), 날도래목 5과 6속 7종(9.6 %), 딱정벌레목 4과 6속 6종(8.2 %),

노린재목 3과 4속 4종(5.5 %), 나비목 1종(1.4 %)이었다. 조사 기간 동안 전 지점

에서 채집된 총 개체수 현존량은 21,695 개체로 단위면적당 평균 출현개체밀도는

803 개체/m2였다. 출현 분류군별 개체수 현존량 비율은 파리목이 전체의 42.7%

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날도래목 24.3%, 절지동물문의 갑각

강 14.7%, 하루살이목 8.6%, 환형동물문 6.5%, 연체동물문 2.1%의 순이었다. 우

점종은 조사시기 및 조사지점에 관계없이 주로 환형동물문의 실지렁이와 파리목

의 깔따구류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봄철 조사에서는 갑각강의 물

벌레와 노린재목의 꼬마물벌레, 여름철 조사에서는 환형동물문의 왼돌이물달팽

이, 갑각강의 물벌레와 날도래목의 흰점줄날도래, 가을철 조사에서는 환형동물문

의 왼돌이물달팽이, 갑각강의 물벌레, 날도래목의 꼬마날도래와 흰점줄날도래도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백제보 상류의 양안조사와 중앙보조사 모두에서 출현한 저

- 47 -

- 38 -

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3문 6강 15목 25과 26속 27종이었다. 이 중 절지동물

문에 속하는 수서곤충류가 6목 13과 14속 15종으로 전체 분류군의 55.6 %로 과

반수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외에 연체동물문 6종, 환형동물문과 절지동물문의 갑

각강이 각각 3종씩 출현했다. 수서곤충류 중에서는 잠자리목이 4종으로 가장 다

양한 종이 출현했고, 다음으로 하루살이목, 딱정벌레목과 파리목이 각각 3종씩

(11.1%), 노린재목과 날도래목이 각각 1종씩(3.7 %)이었다. 조사 기간동안 양안조

사와 중앙부 조사 등 전 지점에서 채집된 총 개체수 현존량은 10,545 개체로 단

위면적당 평균 출현개체밀도는 585 개체/m2였다. 출현 분류군별 개체수 현존량

비율은 파리목이 전체의 85.9%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환형동물

문 13.4%, 연체동물문 0.3%, 하루살이목 0.2%의 순이었다.

8. 2015년도 금강 수계에서 실시한 어류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채집된 어류는 총

11과 46종 7,208개체이며, 잉어과 (Cyprinidae) 29종, 동자개과 (Bagridae)가 4종,

망둑어과 (Gobiidae)가 3종, 미꾸리과 (Cobitidae)와 검정우럭과 (Centrarchidae)가

각각 2종, 동사리과 (Odontobutidae) 1종, 그 외 멸치과(Coilia nasus)를 비롯한 5

개 과가 각각 1종씩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끄리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17.0 %), 로서 1,224개체가 채집되어 전체 어종의 17.0 %를 차지하였

고, 상대풍부도가 5 % 이상인 어종은 강준치(Erythroculter erythropterus, 16.0 %)

누치 (Hemibarbus labeo, 14.1 %), 몰개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12.6 %), 모래

무지 (Pseudogobio esocinus, 8.4 %), 됭경모치 (Microphysogobio jeoni, 5.3 %)의 순

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기간 중 채집된 법정보호종은 총 2종 8개체로 총 채집

어류 (7,208개체) 중 0.11 %의 상대풍부도를 차지하여 종 풍부도가 매우 희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금강 수계에서 출현이 보고되는 천연기념물 454호이며 멸

종위기 야생생물 I급인 미호종개 (Iksookimia choii)는 미호천과 지천에서 3개체

가 출현하였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인 흰수마자 (Gobiobotia nakdongensis)는

지천에서 5개체가 출현하였다. 본 조사기간 동안 금강 수계에서 채집된 외래도

입종은 떡붕어 (Carassius cuvieri), 배스 (Micropterus salmoides), 블루길 (Lepomis

macrochirus), 이스라엘 잉어(Cyprinus carpio)로 총 4종 141개체로 나타났으며, 전

체 채집 어류의 1.97 %의 상대풍부도를 보였다. 이들 중 가장 높은 상대풍부도를

보인 배스는 12개 구간에서 99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지류 및 본류 구간에 모두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떡붕어는 본류구간인 공주보 상류 및 백제보 하류 구

간(BJ-D))에서만 2개체가 채집된 반면, 지류에서는 한 개체도 채집되지 않았고,

블루길은 6개 구간에서 총 39개체가 출현하였다.

9. 금강의 3개 보 조사 구간 총 출현 종수는 '10년 에 245종, '11년 242종, '12년 262종,

- 48 -

- 39 -

'13년 259종, '14년 년 280종, '15년 249종으로 '14년 까지 점차 증가하다가 '15년에

다소 감소하였다. 6차년도(′15년) 조사결과 지점별로는 백제보에서 218종이 출현하

여 보 구간에서는 가장 많은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세종보 173종, 공

주보 186종, 갑천말단부 187종, 미호천말단부 240종, 유구천말단부 214종, 지천말단부

에서 211종이 출현하였다. 귀화식물의 종수는 '14년까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

내다가 '15년에 출현 종수가 감소하였다. 이는 공사 후 원래의 수변식생 군락들이 자

전거길, 공원 등의 녹지가 조성됨에 따라 외래식물이 유입되어 분포가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특히, 공주보에서 백제보구간은 ‘12년 봄철에 비교적 넓은 면적으

로 분포하였으나 관리 가능한 공간은 제거 되는 등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귀화식물의 출현종수는 5차년도('15년) 조사결과, 전년에 비해 6종이

증가하여 54종으로 조사되었다. ’15년도에는 전년 대비 출현 종수가 감소하였으나, ′

13년 이후 40종 이상 지속적으로 출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생태계 교란종 출현 종

수는 지속적으로 4 ~ 5종만이 출현하여 새롭게 유입된 종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점별 귀화식물 출현 종수 현황을 살펴보면 보 구간인 3개보 지점에서는 38 ~ 39종

(20 ~ 21%), 유입지천 구간은 32 ~ 36종 (15 ~ 17%)으로 조사되어 보가 설치된 지점

의 귀화식물 유입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 군락의 분포 면적은 ‘14년부

터 큰폭으로 증가하여 ’15년도에는 분포 면적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10. 양서‧파충류는 2015년 3월부터 11월까지 총 6회 조사를 실시한 결과 관찰된 양

서ㆍ파충류는 신규조사지역까지 포함하여 총 11종 이었다. 그 중 양서류는 무당

개구리, 청개구리, 참개구리, 황소개구리, 두꺼비, 도롱뇽 6종이 확인되었으며,

파충류는 자라, 붉은귀거북, 줄장지뱀, 무자치, 유혈목이 5종이 확인되었다. 기존

조사구역의 각 지역별 종수를 보면 미호천말단(MH)에서 6종으로 가장 많았으

며, 백제보(BJ)에서 5종, 갑천말단(GC)과 공주보(GJ)에서 각각 3종, 세종보(SJ)에

서 2종, 금강 합류지점(SJ-U)에서 1종 순으로 확인되었다.

11. 포유류는 2015년 3월부터 11월까지 총 6회 조사를 실시한 결과 관찰된 포유류

는 신규조사구역까지 포함하여 총 14종이었다. 기존조사구역의 각 지역별 종수

를 보면 공주보(GJ)와 백제보(BJ)지역에서 10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세종보(SJ)지역에서 7종, 미호천말단(MH)과 갑천말단(GC)지역에서 각각 5종, 금

강합류지점(SJ-U)지역에서 4종 순으로 나타났다. 너구리와 고라니는 전 구간에서

흔적을 통해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두더지와 개는 금강합류지점을 제외한 전 구

간에서, 집박쥐는 금강합류지점, 대륙족제비는 백제보, 수달은 미호천말단과 세

종보, 공주보, 백제보, 삵은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고양이는 갑천말단과 금강

합류지점, 공주보, 백제보, 멧돼지는 공주보, 청설모는 공주보, 다람쥐는 백제보,

- 49 -

- 40 -

등줄쥐는 세종보와 공주보, 멧밭쥐는 백제보에서 흔적 및 관찰로 서식이 확인되

었다.

- 50 -

2015년도 환경기초조사사업보고서

□ 발주기관 : 금강수계관리위원회

□ 주 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417

□ 전 화 : 042-865-0824

□ 팩 스 : 042-865-0829

□ 연 구 기 관 :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연구책임자 : 윤조희 연구사

주 의

1. 이 보고서는 금강수계관리위원회‧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

연구소에서 시행한 환경기초조사사업의 연구보고서입니다.

2. 이 보고서 내용을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금강수계관리위원회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에서 시행한 환경기초조사

사업의 연구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3. 국가과학기술 기밀유지에 필요한 내용은 대외적으로 발표

또는 공개해서는 아니 됩니다.

- 51 -

- 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