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1 제 14장 복소적분. 14.1 복소평면에서의 선적분. 미분적분학에서와 같이 정적분(definite integral)과 부정적분 (indefinite integral), 또는 역도함수(antiderivative)를 서로구분하기 로 한다. 부정적분(indefinite integral)은 어떤 영역에서 그것의 도함 수가 주어진 해석함수와 같은 함수 이며, 알고 있는 미분공식의 역 을 취하면, 많은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다. 복소정적분(복소)선적분(line integral)이라 불리며,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여기서 피적분함수(integrand) f(z)적분경로(path of integration) 라 부르는 복소평면에서의 곡선 C를 따라 적분된다. C dz z f ) (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 Upload
    others

  • View
    6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1

제 14장 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 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 같이 정적분(definite integral)과 부정적분(indefinite integral), 또는 역도함수(antiderivative)를 서로구분하기로 한다. 부정적분(indefinite integral)은 어떤 영역에서 그것의 도함수가 주어진 해석함수와 같은 함수 이며, 알고 있는 미분공식의 역을 취하면, 많은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다.

• 복소정적분은 (복소)선적분(line integral)이라 불리며, 다음과 같이표시한다.

• 여기서 피적분함수(integrand) f(z)는 적분경로(path of integration)라 부르는 복소평면에서의 곡선 C를 따라 적분된다.

∫C dzzf )(

Page 2: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2

■ 이런 곡선 C를 다음과 같은 매개변수표현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1( btatiytxtz <<+=

■ 이 때 C에 대하여, t가 증가하는 방향을 양의 방향(positive sense)

이라 부르며, 이런 방식으로 식 (1)은 C의 방향을 준다.

■ 곡선 C의 도함수 (그림 336 참고)가 C의 각

점에서 연속이고, 어디서도 0이 아닐 때, C를 매끄러운 곡선

(smooth curve)이라 부른다. 기하학적으로 이것은 C가 유일하고 연

속적으로 변해가는 접선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dtdzz /=&

Page 3: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3

Page 4: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4

복소선적분의 정의

■ 이것은 미적분에서 사용된 방법과 유사하다. C가 식 (1)의 형태

로 표시되는, z평면에서의 매끄러운 곡선이라고 하자.

또 f(z)가 C의 (적어도) 각 점에서 정의된 연속함수라 하자.

그리고 식 (1)에서의 구간 를 점)( bta <<

)(,,,),( 110 btttat nn == −L

으로 나눈다[분할(partition)].

Page 5: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5

여기서 이다. 이들 각 분할점을 C의 분할점nttt <<< L10

)(,,,, 110 Zzzzz nn =−L (그림 337 참조)

을 대응시킨다. 여기서 이다. 그리고 C가 나누어진 각

부분에 임의의 점, 말하자면 와 사이의 점

)( jj tzz =

0z 1z

)],( ,[ 211101 zztztttt 과때의만족할을가즉 =<< ξξ

사이의 점 등을 선택한 다음에, 그 합 Sn을 만든다.2ξ

m

n

mmn zfS ∆=∑

=1)(ξ)2(

1mmm zzz −−=∆여기서

Page 6: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6

왜냐하면, 그 값은 에서부터 까지 C의 호의 길이보다

클 수는 없다.

매끄러운 곡선 C의 호의 길이는 t의 연속함수 이므로, 따라서

후자의 길이 가 0으로 수렴하

기 때문이다.

. 이 때 각각의 에 대해 완전히 독립적인 방법

으로 그 합을 만들지만, n이 무한히 커질 때 가장 큰

이 0에 접근하도록 한다.

이것은 가장 큰 이 0에 접근하는 것을 의미한다.

L,3,2=n

1−−=∆ mmm ttt

mz∆

1−mz mz

) ( 1 길이호의의까지의에서 Czz mm−

Page 7: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7

이렇게 하여 얻은 복소수열 의 극한을 유향곡선(oriented

curve) C를 따른 f(z)의 선적분(line integral, 또는 단순히 적분)이

라 한다. 이 곡선 C는 적분경로(path of integral)라고 부른다.

Z0

Z1

Z2

Zm-1

Z

Zmmξ

mz∆N N

그림 337. 복소선적분

L,, 32 SS

Page 8: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8

만약 C가 닫힌경로(closed path, Z=z0일 때, 즉 C의 끝점이 시

작점과 일치하는 것, 예를 들면 원 또는 8자 모양의 곡선 등)라면,

선적분을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C )d( zzf∫C zzf d)( , 또는

Page 9: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9

일반적 가정.앞으로 복소선적분에 대한 모든 적분경로는 구분적으로 매끄러운

(piecewise smooth) 곡선의 연결, 즉 끝과 끝이 연결된 유한개의

매끄러운 곡선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복소선적분의 세 가지 기본성질

1. 선형성(linearity). 적분은 선형연산자이다. 즉 두(또는 더 이상)함수의 합의적분은 항별로 적분할 수 있고, 상수인자는 적분부호

밖으로 나올 수 있다.

dzzfkdzzfkdzzfkzfkC CzC

)()()]()([ 2112211 ∫ ∫∫ +=+(4)

Page 10: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10

2. 반대방향(sense reversal). 동일한 경로 위의 적분에 대하여 적분의

방향을 거꾸로 하면, 적분값의 부호가 바뀐다.

좌변에서는 에서 까지 적분하고, 우변에서는 에서

까지 적분한다.

3. 경로의 분할(partitioning of path, 그림 338 참조)

∫ ∫−=Z

z

z

Zdzzfdzzf

0

0 )()(

0z Z Z0z

∫∫ ∫ +=21

)()()(CC C

dzzfdzzfdzzf(6)

(5)

Page 11: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11

복소선적분 존재

가 연속이고 C 가 구분적으로 매끄러운 곡선이라는 가정으로

부터, 선적분(3)의 존재가 뒤따른다.

앞 장에서와 같이 로 놓도록 하자. 또한,

으로 놓으면,

)(zf

그림 338 경로의 분할[공식(6)]

)yx,()yx,()( ivuzf +=

mmm iηξξ += 그리고 mmm yixz ∆+∆=∆

Page 12: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12

식(2)는

으로 쓸 수 있다. 여기서 이고, 합은 부터 까지 한다.이제 곱을 하면 을 네 개의 합, 즉

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의 합은 실수가 된다.가 연속이기 때문에, 와 가 연속이다.

∑ ∆+∆+= )yx)(( mmn iivuS

),(),,( mmmm vvuu ηξηξ ==

nS

∑∑∑ ∑ ∆+∆+∆−∆= ]xy[yx mmmmn vuivuS

f u v

(7)

nm =1=m

Page 13: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13

그러므로 앞에서 말한 방식으로 이 무한히 커지면, 가장 큰

과 은 0에 접근하고 우변의 각 합은 실선적분,

가 된다.

이것은 여기의 가정( 가 위에서 연속이고, 가 구분적으로

매끄러운 곡선) 아래서 선적분(3)이 존재하고, 이의 값은 구간을

나누는 방법과 사이점 의 선택에는 무관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n

mx∆my∆

∫ ∫∫∫∫ ++−==∞→ C CCCCnn

vdxudyivdyudxdzzfS ][)(lim

f C C

(8)

Page 14: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14

적분을 계산하는 방법이 복소적분에는 많이 있다. 먼저 그들 중에 두 개를 고찰해 보고, 나머지는 이장의 뒷부분과 15장

에서 다룬다.

이 방법은 다음에 나오는 방법보다 더욱 간단하지만 덜 일반적이다.이 방법은 해석적(analytic) 함수의 경우로 제한된다.

식(9)(아래)는 미적분학 공식과 유사하다.

)]()('[ xfxF =(9) ∫ −=b

aaFbFdxxf )()()(

Page 15: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15

첫 번째 방법 : 부정적분과 극한의 대체

정리 1.[해석함수의 부정적분]를 단순연결 영역 D 내에서 해석적이라고 하자.

그러면 영역 D 내에서 의 부정적분, 즉 D 내에 를

만족하는 해석함수 가 존재하며, D 내의 두 점 와 을

결합하는 D 내의 모든 경로에 대하여

가 성립한다. ( 에서 까지의 임의의 경로 C 에 대해서 똑같은

적분값을 가지므로, C 대신에 와 을 쓸 수 있음을 주목하라.)

)(zf

)(zF)()(' xfxF =)(zf

0z 1z

∫ −=1

0

)()()( 01

z

zzFzFdzzf )]()('[ zfzF =

0z 1z0z 1z

Page 16: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16

이 정리의 증명은 15.4절에서 하게 될 것이다.( 다음 절에서 설명할Cauchy의 적분정리를 사용함으로써)

단순연결은 정리 1에서 꼭 필요하다. (이것은 예제 5에서 확인)

해석함수가 우리의 주관심사이고, 미분공식은 종종 주어진

에 대하여 를 찾는데 도움을 주므로, 현재의 방법은 실제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zF

)()( zFzf ′=

Page 17: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17

만일 가 완전함수(13.5절)이면, 전체 복소평면(확실하게 단순연

결된)을 D 로 취할 수 있다.

예제 1.

예제 2.

)(zf

iizdzzii

32

32)1(

31

31 31

0

31

0

2 | +−=+==++

iiizzdz ii

ii

0972322 .sinhsinsincos | ====−−∫ ππππ

ππ

yxiyxzyxiyxz

sinhcoscoshsinsinsinhsincoshcoscos

+=−=

Page 18: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18

예제 3. 가 주기 인 주기함수이므로

예제 4.

여기서 D 는 0과 음의 실수축( 가 해석적이지 않는)을 제외한

복소평면이며, 명백히 단순연결된 정의역이다.

ze iπ2

∫−

+

+−−

+=−==

i

i

iii

i

zz eeedzeπ

π

πππ

π

38

8

2/42/3438

8

2/2/ 0)(22 |

πππ iiiiiz

dzi

i=−−=−−=∫− )

2(

2)ln(ln

zln

Page 19: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19

두 번째 방법: 경로에 대한 표현식의 사용

정리 2. [경로를 사용한 적분]

C 를 에서 에 의해 표시되는 구분적으로 매끄러

운 경로라 하고, 가 C 위에서 연속인 함수라 하면

이다.

증명.식(10)의 좌변은 식(8)에 의해, 실선적분들의 항으로 주어진다.식(10)의 우변이 또한 식(8)과 같음을 보이도록 하자.

이므로 이다.

bta ≤≤ )(tzz =)(zf

dttztzfdzzfC

b

a)()]([)(∫ ∫

= )(dtdzz =

iyxz +=•••

+= yixz

(10)

Page 20: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20

여기서 와 를 각각 로 간단히

쓰기로 하자.

또한 와 이다. 결국, 식(10)에서의 우변은dtxdx•

= dtydy•

=

∫ ∫∫∫∫

++−=

++−=

++=•••

C C

C

b

a

b

a

vdxudyivdyudx

vdxudyivdyudx

dtyixivudttztzf

)(

)]([

))(()()([

)](),([ tytxu )](),([ tytxv vu,

Page 21: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21

정리 2를 적용하는 과정

(A) 경로 C를 z ( t ) (a ≤ t ≤ b) 의 형태로 표시된다.

(B) 도함수 를 계산한다.

(C) f(z) 의 모든 z 에 z ( t )를 대입한다.

[따라서 x 에는 x ( t ), y 에는 y ( t )를 대입한다].

(D) 를 t 에 대해 a 에서 b 까지 정적분한다.

dtdztz /)( =•

)()]([ tztzf•

Page 22: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22

예제5. 기본적인 결과 : 단위원 주위의 1/z 의 적분

단위원(반지름 = 1, 중심 0인 원, 13.3절 참조)을 따라 반시계방향으

로 1/z 을 적분하면, 다음을 얻는다.

(11) (C는 단위원, 반시계방향)

(풀이) 단위원 C는

와 같은 형태로 나타낼 수 있고 ( 13.3절의 그림 327 참조 ), 여기서

반시계 방향의 적분은 t가 0에서 2π까지 증가하는 것에 대응된다.

미분에 의해서 (연쇄법칙)이고, 이다.itietz =•

)( itetztzf −== )(/))(( 1

)20(sincos)( π≤≤=+= tetittz it

iz

dzC

π2=∫

Page 23: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23

식(10) 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는다.

Z(t) =cos t+i sin t 를 사용하여 결과를 검증하라.

단순연결성은 정리 1에서 필수적이다.

정리 1의 방정식은 (9)는 모든 닫힌 경로에 대해 0이다.

이므로 즉 이기 때문이다. 이제 1/z 은 z = 0

에서 해석적이지 않다.

idtidtieez

dz itit

ππ2

2

0

2

0=== ∫∫∫ −

01 zz = 0)()( 01 =− zFzF

Page 24: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24

그러나 단위원을 포함하는 모든 단순연결영역( simply connected

domain)은 z = 0을 포함해야 하고, 따라서 정리 1은 적용되지 않는

다.

환형(annulus)은 단순연결이 아니므로 환형, 예를 들면

내에서 1/z이 해석적이라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23

21 << z

Page 25: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25

예제6. 정수거듭제곱의 적분

)20( π≤≤ t

dteidzezz itimtmm ρρ ==− , )( 0

∫ ∫ ∫ ++==−C

tmimitimtmm dteidteiedzzzπ π

ρρρ2

0

2

0

)1(10 )(

m이 정수이고 z0가 상수일 때, f(z)=(z-z0)m이라고 하자. 반지름이

ρ이고 중심이 z0인 원 C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f(z)를 적분하라 (그림 339).

풀이)iteztitztz ρρ +=++= 00 )sin(cos)(

C를

와 같은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로 되고, 또한

를 얻는다.

Page 26: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26

와 같아진다.

⎥⎦⎤

⎢⎣⎡ +++∫ ∫+ π π

ρ2

0

2

0

1 )1sin()1cos( tdtmitdtmi m

13.6절의 오일러 공식 (5)에 의해 우변은

일때 ρ m+1 = 1, cos0 = 1, sin0 = 0 이고, 따라서 윗식은 2πi가

된다. 정수 에 대하여, 두 적분은 각각 0이 된다.

1−=m

1−≠m

Page 27: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27

왜냐하면 사인과 코사인의 주기와 동일한 2π의 구간에서 적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과는 다음과 같다.

y

x

z0

ρ

그림 339. 예제 6의 경로

Page 28: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28

경로 의존성.

어떤 함수 를 다른 경로를 따라 점 에서 까지 적분하면,

일반적으로 다른 적분 값을 얻는다.

다른 말로 해서 일반적으로 복소선적분은 경로의 양 끝점에 의존할

뿐 아니라, 경로 그 자체에도 의존한다.

다음 예를 살펴 보자.

( )f z 0z 1z

(12) ∫⎩⎨⎧

=−C

m idzzz

02

)( 0

π (m=-1)

(m≠-1과 정수)

Page 29: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29

<응용 예제> 복소함수 를 그림에 보인 적분경로를 따라 각각 선적분

하여라.

zzf =)(

먼저 경로 위의 점은1C

10 , )1( , )( ≤≤+=+= tdtidzitttz로 나타낼 수 있고, 이므로ittz −=

1 2

)1)(( 1

0

1

01

==

+−=

∫∫dtt

dtiittdzzC

경로 에서는2C

10 , )21( , )( 2 ≤≤+=+= tdttidzitttz

x

y

iz +=11C

2C

22

1

:

:

xyC

xyC

=

=

그림2. 복소선적분의 경로의존성

Page 30: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30

∫ ++=1

0

23 ])2[( dtittt

10

342 ]31)

21

21[( titt ++=

∫ ∫∫ ++−=+−=1

0

1

0

3222

1)22()21)(( dtttiittdttiittdzz

c

i311+=

으로 되어 경로에 따라 복소 선적분의 값이

달라진다.

Page 31: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31

예제7. 비 해석함수의 적분, 경로 의존성

를 0에서 까지 (a) 그림 327에서의 를

따라, (b) 과 로 구성된 를 따라 적분하라.

풀이. (a) 는 로 표시될 수 있고,

따라서 이고, 위에서 이다.

계산하면

가 된다.

( ) Ref z z x= = 1 2 i+ *C

1C 2C C

*C ( ) 2 (0 1)z t t it t= + ≤ ≤

( ) 1 2z t i= +& *[ ( )] ( ) ( )f z t x t t C= =

*

1

0

1 1Re (1 2 ) (1 2 )2 2C

zdz t i dt i i= + = + = +∫ ∫

Page 32: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32

(b) 우선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식(6)을 사용하여 계산하면

를 얻는다. 이 결과가 (a)에서의

결과와 다르다는 점에 유의하라.

그림340. 예제 7의 경로

1

2

: ( ) , ( ) 1, ( ( )) ( ) (0 1): ( ) 1 , ( ) , ( ( )) ( ) 1 (0 2)

C z t t z t f z t x t t tC z t it z t i f z t x t t

= = = = ≤ ≤= + = = = ≤ ≤

&

&

1 2

1 2

0 0

1Re Re Re 1 22C C C

zdz zdz zdz tdt idt i= + = + ⋅ = +∫ ∫ ∫ ∫ ∫

2

1

*C

1C2C

1 2z i= +

x

y

Page 33: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33

적분의 절대값에 대한 한계

복소선적분의 절대값을 대락적으로 구할 필요가 자주 있게 된다.이에 대한 기본 식은

이다. 역서 는 의 길이이고, 은 위의 모든 곳에서

을 만족하는 상수이다.

증명. 식 (2)에 의해 주어지는 에 절대값을 씌우면, 13.2절의

일반화된 삼각형부등식(6)에 의해

( 1 3 ) ( )C

f z d z M L≤∫

L C M C( )f z M≤

nS

1 1 1( ) ( )

n n n

n m m m m mm m m

S f z f z M zζ ζ= = =

= ∆ ≤ ∆ ≤ ∆∑ ∑ ∑

Page 34: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34

을 얻는다. 여기서 는 끝점이 과 인 현의 길이이다..(그림 337참조)

그러므로 우변의 합은 끝점이 인 파선으로 된

현들의 전체 길이 을 나타낸다.

14.1절에서처럼 가장 큰 이 0에 접근하도록 을 무한히

크게 하면, 은 곡선 길이의 정의에 의해 속선 의 길이 에

접근한다.

이것으로 부터 부등식(13)이 증명된다.

식 (13)으로부터는 적분의 실제적인 절대값이 얼마나 한계값 에

mz∆

mz∆

*L

n*L C L

ML

)( , , , 10 Zzzz n =L

1−mz mz

Page 35: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35

근접해 있는지 알 수 없지만, 이러한 사실이 식(13)을 적용하는

데에 아무런 어려움을 주지 않는다.

여기서 간단한 예를 들어, 식(13)의 실제적인 용도를 설명해보자.

예제8. 적분의 추정

다음 적분의 절대값에 대한 상계(upper bound)를 하나 구하라.

( 는 0부터 까지의 선분)

풀이. 이고 위에서 이므로, 식(13)에 의해

2

Cz dz∫ C 1 i+

2L = C 2( ) 2f z z= ≤

2 2 2 2 .8 2 8 4C

z d z ≤ =∫

Page 36: 제14장복소적분. · 1 제14장복소적분. • 14.1 복소평면에서의선적분. • 미분적분학에서와같이정적분(definite integral)과부정적분 (indefinite

36

를 얻는다.

이 적분의 절대값은 이다.(예제1참조)

2 2 2 2 0 .9 4 2 83 3 3

i−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