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4
-1- 이슈페이퍼 09-03 2009. 5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 역할 조용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1 -

이슈페이퍼 09-03

2009. 5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 역할

조용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Page 2: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2 -

머 리 말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아 침체에 빠진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고 국민의 일자리

와 소득을 안정시키려는 각국 정부의 노력이 비상한 수준으로 전개되고 있다 특히.

선후진국을 막론하고 많은 나라들이 작금의 경제위기 극복과 미래 성장력 확보 차

원에서 국가차원의 산업기술 정책을 강화하고 환경 바이오 등 미래 유망 산업, , IT,

기술의 글로벌 주도권 확보를 위해 부심하고 있기도 하다.

본 이슈페이퍼의 목적은 시장친화적인 산업기술 정책의 의미와 시대적 당위성 그,

리고 구체적인 정부의 역할과 선진국 사례 등을 살펴보는 데 있다 날로 격화되고.

있는 글로벌 차원의 산업기술 경쟁 양상과 비즈니스 생태계의 급속한 진화 그리고,

점점 더 복잡다양화 세분화되는 수요자들의 니즈 등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자유경ㆍ

쟁체제에서 생겨나는 시장의 힘 을 산업기술 발전의 핵심 원동력으로 활용하는 정‘ ’

책추진 체계 전반의 시장친화성 강화가 긴요하다 정부를 포함해 연구기관 기업. , ,

소비자 등 다양한 시장참가자들이 자유롭고 투명한 그리고 공정한 게임의 틀 속에,

서 각자의 역할에 최선의 노력을 경주할 때 국가 산업기술의 경쟁력 제고라는 정책

목표는 더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이슈페이퍼는 시장 친화적인 산.

업기술 정책으로의 전환이 결코 정책기능의 약화를 의미하지는 않으며 시장의 형,

성과 경쟁촉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부의 기능과 역할은 더욱 중요해 질 수 있음

을 다양한 선진국 사례를 통해 잘 보여주고 있다 세기 글로벌 시장의 환경변화. 21

와 산업기술 혁신 추세에 어울리는 미래지향적인 국가 산업기술 발전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데 있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여 줄 수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이글의 내용은 필자의 견해이며 본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공식적인 의, ,

견이 아님을 밝힌다.

년 월2009 5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원장 김 용 근

Page 3: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3 -

목 차

머리말.Ⅰ

미래 트렌드와 세기 산업기술 패러다임 변화. 21Ⅱ

세기 글로벌 시장수요 트렌드 개관1. 21

가 경쟁의 글로벌화.

나 인구사회구조의 변화.

다 웹 과 지식정보화. 2.0

라 자원 환경 이슈의 도전. ㆍ

마 가치관 및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바 트렌드로 살펴 본 미래사회의 모습.

미래 산업기술패러다임의 진화 방향2.

가 미래 기술진화의 대 트렌드. 7

나 세기 산업진화의 뉴 패러다임. 21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의 의미와 성공조건.Ⅲ

산업기술정책의 패러다임에 대한 고찰1.

가 산업기술정책의 개념.

나 산업기술정책의 유형.

다 국가별 산업기술정책 유형.

산업기술정책 환경의 변화와 발전 방향2.

Page 4: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4 -

시장친화적인 산업기술정책의 의미와 성공조건3.

가 시장친화성 이란 무엇인가. ‘ ’

나 경제정책의 시장친화성과 규제.

다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의 의미.

라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의 핵심 요소.

시장친화적 산업정책과 정부의 역할4.

선진국의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 사례5.

가 배출권 시장설계 를 통해 글로벌 환경산업기술 패러다임을. (market design)

바꾼 유럽연합(EU)

나 세계 최고수준의 신재생에너지산업 기술 경쟁력을 확보한 독일의 시장친화.

적 정책 사례

다 세계최고 수준의 에너지효율 기술을 달성한 일본의 톱러너 제. (Top runner)

라 규제와 시장메커니즘의 조합으로 산성비 문제를 해결한 미국의. (acid rain)

청정대기법 사례

시장친화성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의 시대별 산업기술정책.Ⅳ

년대 산업기술정책 국가주도의 공업화 주력1. 1960 :

년대 산업기술정책 국가 산업기술 역량 및 기반 강화2. 1970 :

년대 산업기술정책 산업구조조정과 민간자율의 점진적 확장3. 1980 :

년대 산업기술정책 지식경제시대의 새로운 기술혁신체제 모색4. 1990 :

년대 이후 산업기술정책의 전략성 강화5. 2000 :

맺음말.Ⅴ

참고문헌

Page 5: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5 -

표 목 차

표 세계 산업 패러다임과 주도산업의 변화< -1>Ⅱ

표 시대별 산업진화 패러다임 비교< -2>Ⅱ

표 우리나라 기업환경 순위< -1>Ⅲ

표 국가들의 친환경 산업기술정책< -2> EUⅢ

표 톱 러너 방식에 의한 효율성 향상과 도달 기한< -3>Ⅲ

표 주요 후발국의 초기 기술능력 발전 유형< -1>Ⅳ

표 공공연구기관의 역할 변화< -2>Ⅳ

Page 6: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6 -

그림목차

그림 주요국 글로벌화 지수[ -1]Ⅱ

그림 체결 추이[ -2] FTAⅡ

그림 국제교역량의 증가 추이[ -3]Ⅱ

그림 지역 중산층 증가 추이[ -4] BRICsⅡ

그림 글로벌 인구구조의 변화[ -5]Ⅱ

그림 전세계 인터넷 사용자수 증가 추이[ -6]Ⅱ

그림 전세계 환경재해 추이[ -7]Ⅱ

그림 회원국 생산물시장 규제지수[ -1] OECDⅢ

그림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의 메커니즘[ -2]Ⅲ

그림 미국의 풍력발전 신규설비 추이[ -3]Ⅲ

그림 주요국들의 풍력발전 설비용량[ -4]Ⅲ

그림 세계 태양광 발전시장[ -5]Ⅲ

그림 주요국의 산업용 전력 요금 비교[ -6]Ⅲ

그림 정부와 민간의 연구개발투자금액 추이[ -1]Ⅳ

그림 연구주체별 특허출원 건수[ -2]Ⅳ

Page 7: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7 -

머리말.Ⅰ

세기 지식기반경제로의 패러다임 전환과 글로벌 경쟁의 심화로 현재 세계 각21੦국의 정부와 기업들은 미래의 생존과 성공전략 구축을 위해 부심하고 있음.

지난 세기와는 판이하게 달라진 글로벌 경쟁의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각국- 20

정부는 자국 기업과 국민의 경제적 이익을 담보하고 한걸음 더 나아가 미래를 향,

한 글로벌 산업 생태계 변화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특히 년 이후 본격화된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주요국 정부는 자국의- 2008

경제 성장 및 고용 증진을 위한 유력한 정책수단으로서 국가차원의 산업기술정책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자국의 실정에 맞는 경쟁력 있는 산업기술정책의 수립,

과 효과적인 집행을 모색하고 있음.

전통적으로 산업부문에 대한 국가의 개입과 간섭을 자제하고 개별 산업과 관련੦기업들의 자유 경쟁을 중시하던 미국도 최근 대통령 직속 정부부처 합동 국가 과학

기술위원회 등을 통해 국가차원의 미(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래 산업기술 발전 로드맵과 추진과제 선정 등의 작업을 수행하고 있음.

이외에도 주요 산업기술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 약화에 직면한 유럽연합 각(EU)੦회원국들은 물론 동아시아의 일본 대만 등도 글로벌 산업기술 경쟁구도 변화 추세,

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산업기술 정책의 전략적 유효성 강화에 주력하고 있음.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년대 초 경제개발계획 이래 상당기간 동안 금융 및, 1960 ,੦조세 지원 과학기술 인력 양성 공공 수요창출 등 정부의 규제와 지원을 통해 국가, ,

차원의 산업기술 및 과학기술 발전 정책을 성공적으로 전개해 왔음.

이러한 정부주도의 산업기술발전 정책 특히 선진시장에서 사업성이 입증된 기술- ,

과 비즈니스 모델을 들여와 모방 이식하는 산업발전전략은 지난 여 년이라는 짧, 20

은 시간 내에 한국의 주요 산업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

한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음.

Page 8: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8 -

특히 반도체 자동차 조선 이동통신 디스플레이 등 우리나라의 주력 기간산업- , , , ,

들은 년대 들어 글로벌 단위의 산업경쟁력을 확보하기에 이르렀으며 일부 품2000 ,

목의 경우 수출을 통해 글로벌 최고 수준 의 위치 획득, (Top-tier)

주력 기간산업 분야의 이러한 눈부신 성장의 이면에는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나-

라 정부와 기업이 추구해 온 산업기술 측면에서의 전략적인 선택과 집중이 주효했

으며 특히 지난 년대 중화학공업 부문에의 투자가 소중한 밑바탕이 되어, 1970~90

왔다고 할 수 있음.

그러나 년대 후반 외환위기를 경험하면서 우리나라의 산업기술정책은 이전1990੦까지의 정부주도형 정책수행 방식에서 탈피하는 모습을 보여 왔음.

민간부문의 자율과 창의성 그리고 자유시장 원리가 중시되면서 정부공공 부문의- ,

직접적인 개입보다는 산업기술 발전을 위한 제반 환경 정비에 주력하는 쪽으로 방

향을 선회하게 되었음

이에 따라 년대 이후에는 국가핵심기술의 개발전략 수립 기술혁신 인프라- 2000 ,

의 강화 지식기반 혁신역량의 확충 기술거래 확산 및 사업화 촉진 국제협력 및, , , ,

네트워크화 추진 등이 주된 정책수단으로 등장하였음.

이러한 정책기조의 선회는 세기 지식정보시대로의 전환 등과 같은 산업기술21੦생태환경의 변화 글로벌 시장경쟁 구도 재편 그리고 민간부문의 지속적인 역량 제, ,

고 등이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음.

한편 한국경제는 외환위기 이후 특히 년대 중반을 전후해 저성장 추세가, , 2000੦완연해 지고 있음.

인구의 고령화와 주 일제 효과 그리고 기업들의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노동과- 5 ,

자본 투입의 증가 속도가 크게 둔화된 데다 경제규모의 확대와 더불어 노동과 자,

본의 투입 증가에 따른 성장유발 효과 자체가 과거에 비해 크게 약화되었음.

Page 9: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9 -

요소투입 측면에서의 이러한 성장둔화 요인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체의 시੦스템적 효율성의 제고를 통한 총요소생산성 의 지속(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적인 증가를 기대할 수밖에 없음.

향후 정부정책은 노동력 및 자본투자의 양적 질적 수준 향상은 물론 각종 법제- ㆍ

도의 개선 교육 및 의 질적 수준 제고 정보 통신 물류 등 인프라 수준의 향, R&D ,

상 기업경영 효율화 사회 구성원간의 통합성 제고 등 경제 및 사회전반의 시스템, ,

효율성 제고 노력에 집중될 필요가 있음.

지금까지 한국경제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던 산업기술 정책도 과거੦성공적인 정책수행의 경험과 교훈을 이어받으며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 산업 환경, ㆍ

에 발맞추어 발전적 진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음.

년대 들어 우리 산업은 내부적으로는 인구 고령화 기업가정신 약화 등에2000 ,੦따른 저성장 또는 정체 구조의 고착화 우려를 타개하고 외부적으로는 거의 모든,

산업부문에서 전방위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선진국들의 경제와 중국 등 후발개도국

의 추격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음.

이러한 관점에서 향후 산업기술정책은 국내 산업기술 전반의 혁신- (innovation)

역량 강화를 도모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유망 산업 기술의

발굴과 효과적인 육성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함.

특히 세기 글로벌 산업경제의 패러다임이 과거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시대와- 21 ㆍ

는 크게 차별화되고 있는 만큼 국가 산업기술정책의 초점을 글로벌 산업 기술 생,

태계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시장 에 맞출 필요가 있음‘ (market)’ .

이에 본 이슈페이퍼는 세기 국가 산업기술정책의 한 진화된 패러다임으로서21੦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을 제시하고자 함‘ (Market-friendly)’ .

Page 10: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10 -

시장친화적인 산업기술정책은 정책의 목표와 실행 과정 정책 수단 등(process),੦에 있어 장 단기적인 시장의 변화 트렌드를 적극 반영하며 산업기술관련 생태계,ㆍ

를 형성하고 있는 정부당국 대학과 연구소 기업 그리고 소비자 등 다양한 이해당, , ,

사자들의 자율적인 참여와 경쟁에서 배태되는 시장의 힘 을 정책 성공의 지렛대로‘ ’

활용하는 정책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음.

본 이슈페이퍼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੦

제 장에서는 산업기술정책을 둘러싼 환경변화 즉 미래를 향한 수요 및 기술 트- II ,

렌드의 진화 방향과 함께 세기 바람직한 산업기술정책의 발전 방향에 대해 살펴21

볼 예정임.

다음 제 장에서는 본 보고서가 제안하고자 하는 미래 산업기술정책의 진화 패러- III

다임으로서의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의 구체적인 의미와 핵심요건 그리고 정부‘ ’ ,

의 역할과 주요국 벤치마킹 사례 등에 대해 살며 볼 예정임.

제 장에서는 시장친화성의 관점에서 년대 이후 우리나라 산업기술정책의- 1960Ⅳ

발전과정을 평가하고 제 장에서는 우리나라 산업기술정책의 발전적 진화를 위한, Ⅴ

제언으로 본 보고서의 결론을 갈음하고자 함.

Page 11: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11 -

미래 트렌드와 세기 산업기술 패러다임 변화. 21Ⅱ

이 장에서는 년대 들어 급변하고 있는 산업기술정책 환경의 제 측면에 대해2000੦살펴보고 예상되는 환경 변화에 대응해 국가차원의 산업기술정책이 어떤 방식으로,

변화 또는 진화해 나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함, .

먼저 본 장에서 다루는 정책 환경 의 의미는 정책 수립 집행 성과창출 피드‘ ’ , , , ,੦백 개선 등 일련의 정책 프로세스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제반 환경요소를,

총칭함.

거시경제 산업 및 시장경쟁 환경은 물론 다양한 수준의 개별 정책참여자 즉 정- , ,

책의 공급주체인 정부와 공공부문과 정책수요자인 민간기업 대학 및 연구기관 소, ,

비자 가계 근로자 등 다양한 정책참여자들의 가치관 및 행동 그리고 이들( ), , NGO ,

사이의 역학관계 등의 요소까지 포괄하는 것으로 규정하고자 함.

국가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 수요자들의 가치관 및 행동 역학관계 등의 변화,੦는 정책 자체의 성공적인 수립과 집행 성과 창출을 위해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고,

할 수 있음.

따라서 정책 수요자들의 우호적인 반응을 유발하고 실질적인 행동변화를 유도하-

는 것이 정책 성공의 필요조건인 만큼 개별 정책참여자들과 관련된 트렌드 변화의,

다양한 측면을 살피는 일은 진화된 산업기술정책 패러다임의 모색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음.

본 장의 구성을 개관하면 아래의 제 절에서는 향후 년 동안 지속될 글로벌, 1 5~10੦시장의 메가 트렌드 변화를 살펴보고 제 절에서는 미래를 열어가는 가장 큰 원동, 2

력인 기술 트렌드 가운데 최근 수요나 실현 가능성에서 주목 받고 있는 미래 유망

기술 트렌드와 세기 산업진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해 짚어 볼 것임21 .

Page 12: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12 -

이러한 작업을 통해 기존 산업기술정책의 기본 가정과 여러 전제조건들이 현재는੦물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더 이상 유효하게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

고 그 한계와 제약에 대한 성찰 위에서 형 산업기술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21C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

아울러 미래 글로벌 시장의 메가트렌드와 함께 시장이 주목하고 있는 유망기술에੦대한 광범위하고도 지속적인 그리고 주기적인 고찰을 통해 국가 산업기술정책의,

핵심 기능 가운데 하나인 미래 유망 산업기술 발굴 작업의 시장 친화성을 제고 할‘ ’

수 있음.

지금까지의 정부주도 공급자중심 기술중심주의적인 미래 유망산업 논의에서 벗- , ,

어나 정부와 민간의 공동 참여 수요자 지향성 강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고른 참, ,

여기회 보장 그리고 기술 그 자체가 아니라 시장의 수용환경을 중시하는 방식으로,

정책의 시장친화성을 확장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미래 시장수요와 기술 트렌드에 대

한 거시적이고 종합적인 관찰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음.

세기 글로벌 시장수요 트렌드 개관1. 21

이 절에서는 향후 최소 년 동안 글로벌 산업지형과 시장 구조 전반에 중10~20੦대한 영향을 미칠 가지 메가 트렌드 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산업기5 (Mega trends) ,

술정책의 진화 방향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기로 함.

이하에서 살펴 볼 경쟁의 글로벌화 인구사회구조 변화 웹 시대와 지식, , 2.0▲ ▲ ▲੦정보화 자원 환경 이슈의 도전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등의 가지 경, , 5▲ ▲⦁향은 국내외 유수의 석학들과 연구기관들이 공통적으로 주목하고 있는 경향으로서,

향후 그 실현 가능성이나 글로벌 경제 및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의 지속성 등의 측

면에서 상대적으로 주목할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음.

Page 13: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13 -

가 경쟁의 글로벌화.

상품 노동력 자본의 자유로운 국가간 이동을 의미하는 글로벌화는 세기 후반, , 20੦이해 세계의 정치와 경제 산업 문화 등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글로벌 트렌드로, ,

작용해 왔음.

년대 초반 세계무역기구 체제의 출범과 년대 지역별 자유 무1990 WTO( ) 2000 FTA(੦역협정 확산 등 세계 무역자유화를 위한 규범이 정립되었고 중국 인도 동남아시) , ,

아와 동유럽 등 전세계 많은 후발개도국들이 경제 개혁 개방 흐름에 동참하면서,

글로벌화는 핵심 트렌드로 성장

그림 주요국 글로벌화 지수[ -1]Ⅱ

그림 체결 누적 추이[ -2] FTA ( )Ⅱ

Page 14: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14 -

한편 정보통신 분야와 항공급송 초대형 컨테이너선박, , RFID(Radio Frequency੦등 물류관련 기술 및 서비스의 획기적인 발전도 글로벌 단위의 상Identification)

품 정보지식 자본의 이동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담당했음, , .

또한 인터넷과 위성미디어의 영향으로 전세계 소비자들의 가치관과 라이프스타-

일 그리고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니즈의 동질화 추세도 나타나고 있음, .

글로벌화 추세가 급진전을 이루면서 상품 및 서비스의 국제 교역규모가 빠른 속੦도로 늘어나는 동시에 글로벌 시장이 하나의 거대단일 시장으로 통합되는 양상을

보여 왔음.

그림 국제교역량의 증가추이[ -3]Ⅱ

이러한 상품과 서비스 시장의 글로벌화가 가져 온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੦

첫째 글로벌 단위의 거대 통합시장을 향한 움직임이 가속되면서 상품 및 서비, ,੦스 가격은 물론 각종 생산요소의 가격 임금과 자본 비용 의 차이도 축소되는 경향( )

을 보이게 되었음.

Page 15: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15 -

글로벌 노동 이동의 확대 글로벌 기업의 인력수요 증가 등으로 선진국과 후발- ,

개도국의 임금격차가 줄어들고1) 글로벌 금융중개 서비스의 발달로 지역별자본조달,

비용의 차이도 과거에 비해 크게 축소

둘째 상품시장의 개방과 미디어의 영향으로 전세계 수 십억명 소비자들의 수요,੦패턴 또는 가치관이 동질화 유사화되면서 글로벌 경쟁의 패러다임이 과거와는 판, /

이하게 달라짐.

즉 미국과 같은 선진시장 에서 가치를 인정받은 상품이나 서비- , (leading market)

스는 유럽과 일본 등 여타 선진시장은 물론 전세계 신흥시장에서도 두루 통하는

시장의 동조화 현상이 나타남‘ ’ .

이에 따라 기업들은 글로벌 공통 플랫폼 구축을 통해 전세계 소비자- , (platform)

니즈에 동시적으로 대응하면서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는 막대한 규모의 경제

와 수확체증 의 이익을 누릴 수(economies of scale) (increasing returns to scale)

있게 되었음.

셋째 글로벌화에 힘입어 중국 등 후발개도국이 고속성장을 지속하면서 수 억 명,੦의 새로운 글로벌 중산층이 생겨나고 있음.

신흥시장의 중산층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국가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 BRICs ( , , ,

국 의 중산층 규모는 년 억 명에서 년 억 명으로 그리고 년에) 2005 2.5 , 2020 14 , 2030

는 억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24 (Goldman Sachs, 2005).

1) 중국인민은행 통계 에 따르면 중국 도시근로자의 평균임금은 년을 으로(2008) , 2000 100

했을 경우 년 현재 수준으로 연평균 의 상승률을 기록하였음2007 266 15% .

Page 16: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16 -

그림 지역 중산층 증가 전망[ -4] BRICsⅡ

여기에다 지역에 상관없이 계층 연령 문화 종교 라이프 스타일 등을 공통분모- , , ( )

로 한 글로벌 롱테일(Long tail)2) 시장도 등장하고 있음.

선진시장의 소비자들과는 다른 소비패턴을 지닌 신흥시장의 성장 그리고 글로벌- ,

단위의 롱테일 시장의 등장은 향후 글로벌 상품 및 서비스 시장 전반에 큰 변화를

예고

거대 글로벌 통합시장의 형성과 상품 및 요소가격의 격차 축소 시장의 동조화, ,੦그리고 신흥시장 중산층의 부상 등의 움직임은 글로벌 산업기술 경쟁 측면에서 볼

때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내포하고 있음.

첫째 경쟁의 글로벌화 추세의 가속화가 전망됨,੦ 3).

2) 롱테일 은 매출순위별로 상위 를 제외한 나머지 상품이나 시장의 경우에 각각(Longtail) 20%

의 매출액 규모는 작지만 이들을 잘 공략하면 상위 에 못지 않은 매출이나 수익창출이, 20%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

3) 글로벌 금융위기 발발 이후 고용 및 소득안정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선후진 각국 정,

부의 보호주의 정책기조로 인해 향후 국제 교역 문화 등 글로벌화 트렌드의 후퇴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나 인터넷 등 전지구적 차원의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이동수,

단의 발전 세계 소비자 및 시장의 동조화 주요 제조업 분야의 생산 조달 판매망을 거미줄, , ⦁ ⦁처럼 연결하는 글로벌 가치사슬 구조 확립 등과 같은 제반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감안하면 정

부정책 측면에서의 부분적인 제약에도 불구하고 경쟁의 글로벌화 추세는 향후에도 지속적으‘ ’

로 강화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Page 17: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17 -

특히 산업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한 경쟁 양상은 과거의 지역단위에서 글로벌 단-

위로 확대된 초경쟁 의 양상으로 전개될 전망이며 특히 고성장(Hyper-competition) ,

신흥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기업간 경쟁이 치열해 짐.

선진시장이 성장 지체 현상을 보이는 것과 대조적으로 신흥시장은 소비자들의 왕-

성한 소비욕구를 기반으로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만큼 신흥시장이 글로벌 산업,

기술 경쟁의 진정한 승자를 가리는 싸움터가 될 것임.

글로벌화에 따라 이제 기업들은 국적을 떠나 전세계 최고의 인재와 생산입지 그,੦리고 파트너 기업을 선택 조합하여 해당 비즈니스의 가치사슬 의 최적, (value chain)

화 나아가 고객가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됨, .

글로벌 경쟁의 승자는 글로벌 시장 전체를 아우르는 독점적 경쟁우위를 구축하면੦서 천문학적인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음.

산업기술의 글로벌 표준을 장악하고 세계시장 전체에서 통할 수 있는 유니버설- ,

플랫폼 을 능숙하게 개발 운용하는 기업이 글로벌화에 따른 이(Universal platform) ,

익을 가장 크게 누릴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함.

따라서 유망 산업기술의 글로벌 표준과 플랫폼을 장악하기 위한 전세계 국가 및-

기업간 경쟁도 매우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음.

글로벌 초경쟁의 전개에 따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최첨단 과학기술 지식정보,੦제품이나 부품소재 관련 기술특허 디자인 등을 둘러싼 기업간 경쟁이나 마찰도 급,

증하는 추세이며 고급 지식정보를 가진 핵심 전문인력을 유치하려는 경쟁도 심화,

되고 있음.

글로벌 기업들의 수요 증가로 글로벌 경쟁력을 지닌 인재는 점점 부족해지는 추-

세이며 중국 인도 러시아 등지의 고급 산업기술 인력의 임금도 계속 상승, , ,

Page 18: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18 -

나 인구사회구조의 변화.

저출산 고령화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 도시화 가속 사회양극화 등 인구사회 구, , ,ㆍ੦조의 변화는 미래 산업의 지형도와 시장구조에 심대한 변화를 가져올 메가트렌드라

고 할 수 있음.

특히 고령화로 상징되는 인구구조의 중장기 트렌드는 기존 산업 및 기술에 대한-

시장수요의 저변을 근본적으로 변모시키는 요인이 됨.

현재 일본과 유럽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물론 우리나라와 중국 등에서 출산율이੦현저히 낮아지고 있는 가운데 고령인구의 비중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등 인구의,

고령화 추세가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우리나라의 경우 통계청의 장기인구 추계에 따르면 년 현재 전체인구에서- 2008

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으며65 10.3% , 2020

년에는 고령자 비중이 전체 인구의 약 수준에 이르러 본격적인 고령사회로 진16%

입할 것으로 예상됨.

그림 글로벌 인구구조의 변화[ -5]Ⅱ

Page 19: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19 -

인구의 고령화는 소비시장의 활력저하 고령자 실업 및 빈곤 심화 공공의료 및, ,੦연금 재정 악화 등 심각한 사회경제적 부담과 부작용을 야기할 것이며 전체적으로,

새로운 혁신이나 리스크를 기피하는 안정지향형 사회로의 전환을 초래.

고령사회로의 전환을 계기로 향후 선진시장에서는 고령친화적 상품 및 서비스에੦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과거의 고령자들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젊고 건강하며 동시에 높은 수준의 구매- ,

력을 지닌 새로운 고령소비자 계층이 늘어나면서 개인 및 사회 차원에서 이들의 왕

성한 활동을 지원하고 제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 관련 기술 수,

요가 늘어날 전망

따라서 내구소비재의 경우 제품의 외관이나 기능 설계에 있어 고령 친화성을 제-

고하는 일이 핵심이슈로 등장하며 서비스 부문에서도 의료서비스 가사대행 자산, , ,

관리 생활안전 등 고령자 관련 비즈니스 기회가 크게 확장될 것으로 예상됨, .

한편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 등 사회구성원들의 가치관 및 라이프스타일 변화가੦계속되면서 결혼 출산 가족구성 주거형태 취업 활동 공간 등에서 많은 새로운, , , , ,

현상들이 나타나게 됨.

과거에는 흔히 찾아 볼 수 없던 이질적인 삶의 방식이 폭넓게 확산되면서 시장수-

요의 다양성과 복잡성은 더욱 증가할 것이며 이러한 다양성과 복잡성을 지원하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 전망.

소비자들의 가치관 및 라이프 스타일 변화는 궁극적으로 단일 기술에 근거한 대-

량생산과 획일화된 소비행동을 전제로 한 지금까지의 기존 산업기술 패러다임에도

근본적인 변화를 야기함.

선진국의 인구고령화 트렌드와는 대조적으로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등 대부분, ,੦의 후발개도국에서는 향후 상당기간 동안 청장년 인구 비중이 높은 피라미드형 인

구구조가 유지될 전망임.

Page 20: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20 -

서남아시아 중동아프리카 등지의 저개발국에서는 청년인구의 과잉과 실업등 사- ,

회경제적인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나 중국 인도 동유럽 중남미 등지의, , , ,

국가들에서는 중산층의 성장과 더불어 대중소비시장 의 본격적인 개(Mass market)

화기를 맞게 될 것으로 전망됨.

후발개도국의 경우 평균적인 구매력 수준은 선진시장에 비해 낮지만 개인휴대,੦폰 인터넷 등 첨단 기기 및 관련 서비스에 대한 청장년 소비자들의 수용력이 예, IT

상외로 높고 글로벌화의 영향으로 소비자들의 가치관이나 라이프 스타일도 빠른 속

도로 서구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따라서 향후 경제규모의 지속적인 성장 및 소득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자동차 주- ,

택 전자기기 등 고가 내구재는 물론 교육 의료 오락 환경 등 삶의 질과 관련된, , , ,

다양한 서비스 부문에서 커다란 시장 잠재력을 발휘하고 있음.

다 웹 과 지식정보화. 2.0

지난 세기 후반 인류는 지식과 정보가 가치창출의 원천이 되는 경제 패러다임20੦의 대대적인 전환을 목격하였음.

특히 년대 초반 닷컴 버블 의 붕괴 이후 나타난 웹- 2000 (dotcom bubble) ‘

트렌드는 글로벌 경제와 산업 생태계 전반에 지식정보화를 가속시키2.0(Web2.0)’

는 새로운 전기를 제공하고 있음4).

웹 트렌드는 년대 인터넷 정보 기술의 획기적 진화를 기반으로 세상의2.0 2000੦변화를 가속시키는 원동력이 되고 있음.

인터넷상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확대되고 사용자들이 주고 받는 컨텐츠의 양- ,

과 질이 폭발적으로 진화하면서 온라인은 물론 현실 세계에서도 다양한 변화의 물,

결이 발생하고 있음

4) 웹 은 년 월 오라일리 미디어사의 대표 팀 오라일리 에 의해 처음‘ 2.0’ 2004 10 (Tim O'reilly)

도입된 개념으로 개방 공유 참여를 기본으로 하는 사용자 참여 중심의 새로운 인터넷 환경을, ,

의미함.

Page 21: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21 -

이러한 인터넷의 진화는 양과 질 모든 측면에서 전지구적 차원의 지식정보 생산੦과 유통을 활성화 시키고 경제 주체들 사이의 상호 관계와 가치교환 방식에도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음.

부를 창출하고 거래하는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가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개- ,

인과 개인 개인과 조직 조직과 조직 시장과 사회 그리고 국가와 국가 사이의 관, , , ,

계에 획기적인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음.

웹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생겨난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로는 정보의 폭발적2.0 ‘੦증가 를 꼽을 수 있음 인터넷 인프라의 확장과 기기의 발전 등으로 웹 활용 인구와’ .

사용시간 및 빈도가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임.

일례로 년대 중반 중국의 인터넷 사용자 수는 매년 씩 증가해- 2000 70~80%

년 현재 약 억 천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초고속인터넷 망2008 2 5 .

등 정보인프라가 잘 정비되어 있는 선진국은 물론 아시아와 동유럽 중남미 등에서,

도 최근 인터넷에 대한 접근성과 연결성이 빠른 속도로 개선되면서 정보의 양적 팽

창과 질적 개선이 가속되고 있음.

정보의 양적 팽창은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찾੦을 수 있는 편의성과 활용성을 증폭시키며 사용자들 사이의 자율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사회 전체의 창의성과 혁신 가능성을 확장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

이러한 집단작용의 빈번한 형성은 경우에 따라서는 가치충돌의 일상화라는 부정- ,

적인 현상을 낳을 수 있지만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될 경우 소위 집단지성, ‘

또는 집합적 창의성 출현의 핵심적인 기반이 될 수 있음(Collective intellectual)’, .

Page 22: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22 -

그림 전세계 인터넷 사용자수 증가추이[ -6]Ⅱ

한편 웹 은 웹 자체의 변화뿐만 아니라 글로벌화 인구사회구조 변화 등 여타2.0 ,੦트렌드의 변화를 가속시키는 촉매 가 되고 있음‘ ’ .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글로벌 단위의 정보교류의 확대와 거래 편의성 증대는-

소비의 글로벌화 동질화를 확산시키는 중요 동인이 되고 있음, .

아울러 웹과 일상의 연동성이 증가하면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속도도 가속화-

한국의 싸이월드 미국의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 등과 같- , (Myspace), (Facebook)

은 사회적 네트워크 를 통한 관계의 양적 질적 증가는 사용자를 중(Social Network)

심으로 한 특정 가치관과 생활양식의 확산에 결정적으로 기여

다음으로 웹 은 사회 시장 내부에서 힘의 분산과 재조합 을 촉진2.0 ( ) ‘ ’ .੦

정보생산 도구가 일반화하면서 정보 접근 및 생성이 자유로워지고 소통방식 또- ,

한 과거의 일방향적인 형태에서 쌍방향적인 소통으로 변모하고 있음.

누구나 정보를 손쉽게 조합 생산 배포할 수 있는 도구 를 가질 수 있게 되- (tool)ㆍ ㆍ

면서 지식정보의 독과점 구조가 붕괴되는 현상이 생겨나고 있음.

Page 23: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23 -

실제로 특정 주제나 사건이 이슈화될 경우 인터넷 상에는 수많은 네티즌들이 다,੦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토론을 진행하고 있음.

대부분의 경우 해당분야의 전문가와 비전문가를 쉽게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고-

급 전문 지식정보의 보편화 대중화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

지식과 정보의 원천에 대한 장악력을 기초로 형성되어 온 전통 권력과 권위 체계੦는 급속하게 해체되고 다수의 대중과 네트워크 즉 이슈나 이해관계 관심에 따라, ,

이합집산하는 사회적 네트워크 동호회 연구회 등 로의 힘의 이동과 분산이 가속되( , )

고 있음.

이에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 사이의 힘의 불일치 및 마찰의 증가가 사회적 불안-

정성을 유발하는 사례도 생겨나고 있음.

웹 이 주도해 나가는 세기 지식정보 혁명은 비단 개인과 개인 개인과 사회2.0 21 ,੦사이의 힘의 관계뿐만 아니라 부의 창출 방식 즉 기업들의 비즈니스 모델 및 산업,

기술 전반의 혁신 방식에도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음(innovation) .

글로벌 생산기지 이전 외주화 분사 전후방- (offshoring), (outsourcing), (spin-off),

산업의 비즈니스 파트너 확보 온라인 매출 확대 고객 커뮤니케이션 강화 등과 같, ,

은 가치사슬 전반의 비용 최적화 및 가치창출 능력 강화는 웹 적인 기술과 도구2.0

를 활용한 빠르고 값싼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뒷받침되면서 더욱 가속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글로벌 시장경쟁이 치열해 질수록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산업기술 분야의੦혁신 방법론 측면에서도 웹 은 유용한 틀을 제공하고 있음‘ ’ 2.0 .

불특정 다수의 참여와 수평적인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하는 웹 의 다- 2.0

양한 도구들을 활용할 경우 다수의 협력과 집단지성의 발현을 통해 창의적이고 혁,

신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할 수 있음.

Page 24: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24 -

소수의 전문가들이 주도하는 기존의 폐쇄적 혁신 방식이 지닌 한계와 비효율을‘ ’੦극복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혁신역량을 적극 수용하고 내부에 잠재되어 있는 창의,

적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열린 혁신 으로의 과감한 전‘ (open innovation)’

환이 요구됨.

특히 국가차원의 산업기술 혁신체제를 구축하는 경우 웹 방식의 개방형 혁신- , 2.0

을 극대화하여 국내외의 다양한 전담 조직 사이에 긴 한 네트워크를 구축하, R&D

고 조직간 조직내부 구성원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는 일이 매우 중요,

함.

라 자원 환경 이슈의 도전. ㆍ

년대 들어 세계경제가 고성장을 지속하면서 원유를 비롯한 주요 자원과 에2000੦너지 부족 문제가 향후 세계경제의 성장에 최대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빠르

게 확산되었음.

각종 천연자원과 곡물 수자원 등에 대한 세계 각국의 수요증가와 공급 부문의- ,

애로 현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년 중 국제유가가 최고 달러에 육박하2008 150

기도 하였음.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와 경기침체로 년 하반기 이후 원유를 비롯한 주요 원- 2008

자재 가격은 급락추세를 보였으나 향후 실물경기의 회복과 함께 글로벌 자원위기가

재연될 가능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고 있음.

석유 석탄 등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발전 운송 철강 석유화학 등 자원 다소비- , , , ,

형 산업의 경우 비즈니스의 중장기 지속가능성 자체가 커다란 도전에 직면

이외에도 아프리카의 사하라지역 중동 아시아 등지에서는 물 자원의 부족으로- , ,

인한 가난과 기아 대량유민의 발생과 수자원 관련 국경분쟁 증가 등 세계 곳곳에,

서 국지적 불안정성이 발생하고 있음.

Page 25: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25 -

한편 물 공기 토양 삼림 등 인류의 생존과 후생 증진 관점에서 필수불가결 한, , ,੦청정 환경자원의 희소성도 커지고 있음.

개도국의 산업화 선진국의 화석연료 과다사용 등으로 초래된 기후변화 지구 온- , (

난화 추세와 이상기후로 인한 환경재해의 빈발은 현시점에서 인류가 직면한 최대)

현안과제로 꼽히고 있음.

지난 년대 후반부터 유엔을 비롯한 국제기구와 선후진국 정부 그리고 시민- 1990 ,

단체 등은 온실가스 배출 규제 등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범지구적인 행동에 나섰으

며 지난 여년의 준비 끝에 년 초 발효된 교토의정서 는 이, 10 2008 (Kyoto Protocol)

러한 지구적 차원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의 결실

그림 전세계 환경재해 추이[ -7]Ⅱ

교토의정서 체제는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 인도 등 온실가스 대량 배출국들의 불참에도 불구하고 인류가 지구온난화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실제 행동에 나선 최초의 행동이라

는 점에서 그 의미를 높이 평가 받고 있음.

한편 년 말 합의를 목표로, 2009 UNFCCC੦ 5)가 주도하고 있는 포스트 교토의정서

체제논의 실제 적용은 년 이후 의 최종 향방은 세계 각국의 복잡한 이해 충돌( 2013 )

로 인해 아직 불확실한 상태에 머물러 있음.

5) 유엔기후변화협약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

Page 26: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26 -

현재 온실가스 감축의무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개국 외에 그 동안 감축- 39

의무에 불참해 온 미국과 우리나라 그리고 중국을 비롯한 다수의 개도국이 일정,

수준의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부과 받을 가능성이 큼.

에너지자원의 부족과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지구차원의 공동노력 강화 등 자원 환੦경 측면의 이슈들은 세기 글로벌 산업지형에 매우 근본적이고 도전적인 변화를21

초래할 것으로 예상됨.

석유 석탄 등 화석자원의 고갈과 가격 급등 온실가스 배출 규제 강화 등의 추- , ,

세는 산업계의 자원과 에너지 사용에 커다란 제약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음.

따라서 값싸고 풍부한 천연자원과 에너지 사용 환경을 전제로 구축된 개별 국가-

차원의 산업 전략이나 기업차원의 비즈니스 모델은 조만간 지속가능성 측면의 재검

토와 더불어 대대적인 혁신이 불가피함.

실제로 자원환경 문제의 글로벌 이슈화는 이미 많은 국가들의 정부 정책기조와੦소비자들의 상품 및 서비스 선택 기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환경오염물질이나 기후변화를 야기하는 온실가스에 대한 규제에서 한걸음 더 나-

아간 저탄소경제 체질로의 전환을 위하여 전세계 정부들이(Low-Carbon Economy)

각종 규제와 지원을 강화하고 있음.

대표적인 사례로 미 오바마 행정부의 그린뉴딜 우리 정부의- (Green New deal),

저탄소 녹색성장 전략 등을 들 수 있음.

저탄소 친환경 관점에서 지금보다 더 적게 쓰고 적게 누리는 것이 모두에게 이- ,ㆍ

롭다는 소비자들의 가치관과 소비행동 패턴의 변화도 기업들에게 새로운 차원의 사

회적 책임 을 요구하고 있음(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Page 27: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27 -

한편 산업기술 관점에서 보면 자원 개발 및 확보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신,੦재생 에너지 개발 보급 폐기 자원의 재활용 과 사용기한 연장 온실가스의, (recycle) ,

감축과 처리 등 인류가 당면한 자원 부족 문제의 극복과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하는

미래형 산업과 관련 기술에서 막대한 부가가치가 발생함.

이외에도 최근 지구전역에서 심각한 부족상태로 진입하고 있는 물 문제의 해결੦역시 신기술 신공법의 개발이나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 등 산업기술 측면에서 다양ㆍ

한 도전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마 가치관 및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글로벌화 인구사회구조의 변화 웹 시대와 지식정보화 자원 환경 이슈의 도, , 2.0 , ㆍ੦전 등과 같은 메가 트렌드는 글로벌 산업지형과 시장구조를 바꾸는 개별 트렌드로

서의 독자적 의미가 클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가치관 및 라이프 스타일의 근본적,

인 변화를 유발해 결과적으로 시장수요에 중대한 영향을 주고 있음.

이외에도 경제성장으로 인한 부와 소득수준의 상승 정치 사회 문화 의식의 발- , ㆍ ㆍ

달 그리고 과학기술 분야의 새로운 발견과 기존 이론의 진화 등은 소비자들의 가,

치관과 라이프 스타일의 지속적인 변화를 초래하는 중요한 힘이 되고 있음.

이상의 여러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미래의 글로벌 시장 소비자들은 지-

금과는 현저하게 다른 행동 패턴을 보이게 됨.

우선 소득의 증가와 저출산 고령화 추세 등으로 삶의 질 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 ’੦심이 높아지고 실제 소비행동에서도 이러한 가치관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 경주될

것으로 보임.

질 높은 삶 이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 가에 대해서는 여러 관점이 있을 수 있겠- ‘ ’

지만 건강 쾌적 편리 안전 문화적 정서적 경험을 통한 자아의식의 고양 등에 보, , , , , ·

다 많은 가치와 비중을 두는 삶의 형태로 규정할 수 있음.

Page 28: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28 -

이에 따라 시간이 흐를수록 건강 환경 편의 안전 문화적 가치 등이 소비시장, , , ,੦의 핵심코드로 등장할 것이며 소비자들이 지향하는 이러한 편익과 가치를 보다 적,

은 비용으로 더 간편하게 제약 없이 누릴 수 있게 해주는 혁신 기술은 소비대중의,

뜨거운 관심과 호응을 받을 것으로 예상.

한편 저출산 트렌드가 지속되고 개인의 독립된 의지와 자발적 선호에 기반을 둔੦다양한 선택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개인주의적인 삶의

양식은 심화되고 가족이나 집단에 대한 연대의식은 약화되는 양상을 보임.

휴대폰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 등 인 미디어의 증가 사이버 공간에서- , MP3 , 1 ,

활동하는 시간의 증가 등은 현대인의 개인주의적인 삶의 양식을 상징.

향후 주거형태나 교통수단 정보통신기기 미디어 건강용품 기기나 서비스 등에- , , ,

서 이러한 개인중심적 개인지향적인 수요 트렌드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이외에도 글로벌화로 인한 사람 상품 정보의 이동 확대는 이동성 과 속, , (mobility)੦도 에 대한 소비자 대중의 요구 수준을 지속적으로 확장시켜 나갈 것이며(speed) ,

시공간 이동에 따른 마찰이 최소화된 매끄러운 이동에 대한 요구도 증가(seamless)

할 전망.

예를 들어 전세계 언어를 자국어로 통역해 주는 휴대용 통역기 지구촌 어디에- , ,

서든 별도의 로밍 서비스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시차에 따른 육체적 피로를,

제거하는 약품 등 공간이동의 거부감을 줄여주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웹 사용이 늘어나면서 사이버 공간에서의 정보 생성 및 거래활동이 기하급수적으੦로 늘어나는 추세임.

이러한 사이버상의 정보활동 증가는 사회 전체적으로 정보비용을 줄여주고 생산-

성을 높여주는 반면 개인 프라이버시 훼손 사이버상의 테러와 범죄 등과 같은 부, ,

작용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Page 29: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29 -

지능화하는 사이버 범죄에 대응한 정보보안 시스템 구축 및 방어능력 확보가 정-

보화 사회의 지속적인 발전 여부를 좌우하는 핵심 사안이 되고 있음.

바 트렌드로 살펴 본 미래사회의 모습.

이상에서 살펴 본 가지 트렌드를 종합하면 미래 사회 미래 시장의 특징은 다5 , ‘੦양성 과 통합 으로 요약할 수 있음(Diversity)’ ‘ (Integration)’ .

사회제도 및 시장구조 전반에 걸쳐 다양성의 수준을 획기적으로 끌어 올리는 요੦인들이 등장하고 있음.

인구 및 사회 구성의 다양화 또는 세분화와 관련해서는 비혼 만혼 동거 이혼- , , , ,

과 재혼의 증가 그리고 외부모 가정 조손 가정 다문화가정, (single parent) , ( ) ,祖孫

등 기존의 핵가족 개념에서 한걸음 더 나아간 가족형태의 재 핵분열과 새로운( )再

형태의 가족 형태의 출현 등을 예로 들 수 있음.

이외에도 개인들의 자아중시 현상 글로벌화에 따른 사고 및 활동공간의 확장- , ,

국내외 상품 및 서비스시장의 개방에 따른 신유통 채널의 확대 등이 시장전반에 다

양성을 획기적으로 높여 주는 요인이 되고 있음.

때문에 과거 공급자에 의해 일방적으로 규정되었던 재화나 서비스의 컨텐츠 그,੦리고 규제당국의 편의에 의해 설정되었던 규제의 형식과 내용 전달방식 등은 다양,

성을 중시하는 소비자와 사회구성원들이 갖고 있는 세분화된 기대나 욕구 수준을

충족시키는 데 있어 중대 한계에 봉착할 것으로 예상됨.

한편 사회내부의 다양성 증대는 필연적으로 갈등과 모순 충돌을 초래하기도 함, .੦

사회구성원들은 사회 내부의 복잡 다양성 증대에 따른 혼잡과 정체- · (congestion)

에 따른 비용을 지불하게 되며 소비자들은 인지능력의 한계를 넘어선 다양한 선택,

가능성 앞에 혼란을 느끼기도 함.

Page 30: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30 -

특히 엄청난 양의 데이터와 정보의 생산과 유통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경제 패러-

다임은 이러한 현상을 가속시키는 요인

때문에 사회와 시장 전반의 다양성 증가에 따른 혼란과 갈등 충돌을 막아주고,੦선택 비용을 줄여주는 통합 기능에 대한 수요도 시간이 흐를수록 증‘ (integration)’

가할 전망임.

소비자들은 다양한 대안 속에서 자신의 니즈에 맞는 최선의 선택을 가능케 하는-

통합된 정보를 원하게 될 것이며 기업들 역시 빠르게 변모하는 시장 환경에 신속,

대응하기 위한 차원에서 각종 정보의 통합을 추구하게 됨.

결국 다양성을 더욱 풍부하게 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통합 선택할 수 있도록 지, ㆍ੦원하는 속성은 미래 산업기술 경쟁에서 성공으로 가기 위한 필수조건으로 작용하게

됨.

다양성과 통합에 대한 시장의 요구는 이미 비즈니스 패러다임에 중대한 변화를੦야기하고 있음.

즉 미래에는 단일 제품 단일 서비스가 아니라 다양성 속에서 최선의 선택이라- , ,

는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제품과 서비스가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하는 미래

비즈니스의 주된 패러다임이 되고 있음.

미래 산업기술의 진화 방향2.

이 절에서는 향후 주요 산업을 관통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의 핵심진화 트렌드੦와 미래의 산업발전 패러다임에 대해 각각 살펴보기로 함.

이하에서는 최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추구되고 있는 시공간을 초월한 상호 연▲੦결성 증대 사물과 기기의 인간화 질병으로부터의 해방(inter-connectivity) , , ,▲ ▲ ▲

녹색성장 마이크로 모바일 세계의 구현 지능화되는 생활공간 세상으로 나오, / , ,▲ ▲ ▲

는 디지털 비트 등 가지 미래 기술진화의 핵심테마들을 살펴볼 것임7 .

Page 31: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31 -

위에서 언급한 가지 기술테마는 년 후의 먼 미래에나 가능한 상상 속의7 20~30੦기술이 아니라 가까운 미래에 실현되면서 인류의 생활양식을 실제로 바꾸어 나갈

기술 테마라는 점에서 향후 산업기술정책 관점에서 주목할 만한 분야라고 할 수 있

음.

다음으로 이 절의 후반부에서는 세기 산업패러다임의 변화를 융합21 ‘੦이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함으로써 향후 우리가 지향해야 할 바람직(convergence)’

한 국가 미래 산업기술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구하고자 함.

가 미래 기술진화의 대 트렌드. 7

시공간을 초월한 상호 연결성의 증대(1)

글로벌화 및 지식정보화의 진전과 더불어 물리적 시공간을 초월한 사람 사물, ,੦정보의 자유로운 이동과 교환에 대한 갈망이 커지고 있음.

먼저 전세계를 최단 거리 최단 시간 내에 이어주는 교통수단의 초고속화 편리성- ,

강조 개인화 등이 심화되면서 자동항법 에어택시 무인 비행기 위그선 수면 위를, , , (

나는 배 등이 유망 기술 제품으로 주목 받고 있음) / .

또한 사물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해 글로벌 단위의 지능형 물류 네트워크 구축이-

진전되면서 스마트 등이 유망기술로 부각될 전망임RFID .

정보의 상호 연결성 확보를 위해서는 이음새 없는 통신네트워크의 구축이 필요해੦질 것이며 이에 따라 기지국 없이 이용자 편의에 맞춰 자유로운 이동통신망 구성,

이 가능한 메쉬 네트워크 기술 유무선 통합을 실현하는 통신(mesh networks) , 4G

기술 기기간 연결 을 지원하는 커뮤니케이션 모듈 등이 유망 기술 제품으로, (M2M) /

부상하고 있음.

정보 측면의 상호 연결성을 지원하기 위한 혁신적 기술로 그리드 컴퓨팅(grid੦이 있음computing) .

Page 32: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32 -

그리드 컴퓨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컴퓨터를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단일 시스템처-

럼 사용하는 기술임 그리드 컴퓨팅이 이상적으로 구현될 경우 컴퓨터뿐만 아니라.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 각종 모바일 기기 최신 실험 장비 등 보다 다양한 기기들, ,

의 기능을 자신의 컴퓨터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

사물과 기기의 인간화(2)

인간의 능력을 획기적으로 증강 시키고 보다 편리한 삶을 가능케 하는 일은( )增强੦현대 과학기술이 추구해 온 오랜 테마라고 할 수 있음.

사물과 기기의 인간화 기술을 통해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고 여러 즐거움을 제공- ,

받기 위한 종착점은 인간을 닮은 휴머노이드 로봇임(humanoid) .

그러나 이러한 이상적인 형태의 로봇이 출현하는 데는 향후 적어도 년이- 20~30

소요될 것으로 보이며 그 중간 단계에서는 인간의 사고 감각 육체 등에 보다 가, , ,

깝게 가기 위한 세부 요소 기술 개발이 꾸준히 시도되고 있음.1

먼저 인간의 사고를 닮고자 하는 측면에서 자율 제어 인지 판단 학습 감성재현, / , ,੦등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이 급진전될 것으로 보이며 인간의 감각을 느끼,

고 표현하는 오감 인식 기술 예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음( , smart sensor) .

인간의 근육처럼 다양하고 섬세한 움직임을 지원하는 나노 액추에이터나 인공근-

육 인공 피부 등과 같은 대체물질과 대체소재의 개발이 향후 과학기술 분야의 핵,

심 과제로 부각되고 있음.

질병으로부터의 해방(3)

미래에는 의학 생체공학 바이오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을 바탕으로 더 오래 더, , ,੦건강하고 아름답게 살고 싶다는 인간본연의 욕구가 더욱 강화되고 있음.

건강과 장수에 대한 욕망은 온 인류의 오랜 꿈이지만 미래에는 이를 최대한 구현-

하는 구체적인 기술이 속속 출현할 전망.

Page 33: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33 -

아울러 이러한 질병으로부터의 해방 노력은 고령화 현상과 소득수준 향상 삶의- ,

질 추구 등의 트렌드와 맞물리면서 중장기적으로 인류의 삶과 사고방식에 혁명적인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보임.

질병으로부터의 해방을 위한 미래의 기술 발전은 대략 다음과 같은 가지 방향3੦으로 진행될 전망임.

인류의 잠재적 공포 대상인 암 백혈병 당뇨 등과 같은 난치병을 완치하- , , AIDS,

는 기술로 줄기세포 스마트 필 등의 개발과 더불어 생체공학을 이용한, (smart pill)

인공 장기 인공 수족 등의 개발이 활발하게 추구되고 있음, .

여기에다 노화를 자연현상이 아닌 질병으로 인식하는 샹그릴라 신드롬이 확산됨-

에 따라 노화 비만 아토피 등을 예방 치료하는 관련 의약 기, , / QOL(Quality of life)

술도 크게 발전할 전망.

다음으로는 개인 특성에 맞는 맞춤형 치료를 위한 기술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개-

인의 유전자 정보를 담은 스마트 카드와 유전자 정보를 읽고 분석해 내는 판독기

등이 유망 기술제품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됨.

녹색성장(4) (Green Growth)

지구 온난화 문제 자원 고갈 가속 고유가 기조 지속 등으로 환경규제와 자원, ,੦문제가 인류의 보편적인 생활양식은 물론 국민경제와 기업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

향력도 증대할 전망임.

특히 이상 기후에 따른 재난 재해 발생이 빈번해지면서 이에 대한 대비가 중요한- /

기술 이슈로 부각될 것으로 보이며,

또한 지구전체의 자원 고갈이 가속되면서 자원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높고 에너지- /

다소비형 산업구조를 가진 우리나라를 비롯한 선후진 각국의 경제에 심각한 도전과

제가 될 것임.

Page 34: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34 -

환경 문제와 관련된 세부 유망 기술로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분야를 들 수 있음.੦

먼저 사전 예방 차원에서 재해 재난 감시 시스템 오염 물질 배출 자체를 억제하- / ,

는 순환형 시스템 온실가스 격리 고정 시스템, / (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

관련 기술 등을 들 수 있음.

또한 현재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청정 에너지 개발분야로서 연료전지 태- ,

양전지 바이오 연료관련 기술 그리고 심해에 매장된 얼음 상태의 천연가스인 하이, ,

드레이트 활용기술 등이 유망.

친환경 부품 소재의 활용이 확산되면서 차세대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조관련 기술- /

도 향후 유망할 것으로 전망됨.

마이크로 모바일 세계의 구현(5) /

인간이 사용하는 모든 기기를 휴대하기 편리하게 만들면서도 필요한 여러 기능을੦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은 인류의 건강 문제 환경 에너지 문제 편리한 삶, / ,

의 추구 등의 이슈를 총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름길임.

따라서 미래에는 기기 또는 부품의 초소형화 극미세화를 통해 보다 정 하고 정- /

확하게 인간 사물과 현상을 진단하고 그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며 고 도 고/ , /

집적을 통해 고속 대용량과 저전력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와 자원문제 해/

결의 핵심대안으로 자리잡게 될 전망.

마이크로 세계를 구현하는 핵심적인 기술로는 우선 나노 기술이 있음‘ (nano)’ .੦

컴퓨터 나노 로봇 등은 나노 기술을 활용한 대표적인 와해성 기술제품으- DNA ,

로 컴퓨터는 에너지 효율 저장용량 프로세서 성능 등에서 기존 컴퓨터의 개, DNA , ,

념을 근본적으로 혁신해 나갈 것으로 예상되며 나노 로봇은 초미세 로봇으로 인체,

의 혈액 순환계 내에서 병원체나 퇴화한 세포 바이러스 등을 공격하여 치료할 것,

으로 전망.

Page 35: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35 -

한편 위치에 관계없는 연속적 커뮤니케이션과 정보 접근 선호 서비스 속도의 증,੦대 및 리얼타임 서비스에 대한 요구 증대 등으로 정보통신 기기의 모바일화도 꾸준

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데 이러한 모바일화 수요를 지원하기 위해서도 부품,

및 기기의 소형화 미세화가 필수적임/ .

이와 관련해서는 고 도 차원 실장 설계기술 압전효과 응용부품- 3 ( ) , , SDR實裝

등이 핵심 유망기술로 부각될 전망임(Software Defined Radio) .

지능화되는 생활 공간(6)

더 안락하고 쾌적한 삶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는 현실 세계의 주요 생활공੦간을 자동화 지능화하는 기술을 끊임없이 요구됨, .

특히 인간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가정과 자동차의 지능화를 구현한 스마트- ,

홈 과 스마트 자동차 관련 기술의 개발이 크게 주목받고(smart home) (smart car)

있음.

스마트 홈은 인터넷 등의 정보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홈 오토메이션(home੦시스템 환경을 구비하여 주거의 편리성 쾌적함 안전성 오락성 정보automation) , , , ,

화 등을 증진시킨 주택임.

스마트 홈과 관련하여 각종 사고와 범죄로부터의 안전성을 크게 높인 홈 시큐리-

티 시스템 온도 습도 먼지 등을 자동 조절하는 환경 제어 시스(home security) , , ,

템 요리 청소 세탁 등 가사지원 시스템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과 헬스케어, , , , U-

시스템 등이 유망 기술로 대두될 전망임(Ubiquitous Healthcare) .

한편 인간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또 다른 공간인 자동차의 경우도 지능화 추세가੦진행되면서 편의성 안전성 등이 크게 제고되면서 자동 항법 및 무인 운전 기술 등,

이 와해성 기술로 부각되고 있음.

이외에도 기업의 사무용 공간이나 공공건물의 지능화 자동화 관련 기술도 향후,੦꾸준히 추구된 미래 유망기술 테마라고 할 수 있음.

Page 36: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36 -

현실세계의 한계 초월(7)

언제 어디서든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인터넷에 일상적으로 접속하는 유비티즌੦의 증가로 현실세계에서 누릴 수 없는 다양한 재미(Ubitizen, Ubiquitous+Netizen)

와 감성을 사이버 공간에서 추구하는 이들의 수요 트렌드가 팽창함.

미래에는 현실세계의 각종 다양한 경험과 체험을 사이버공간에 실제상황과 최대-

한 가깝게 구현하는 기술이 유망함.

이러한 트렌드의 핵심 기술로는 가상현실 기술을 들 수 있음(Virtual Reality) .੦

컴퓨터가 창조한 가상공간에서의 다양한 상황들을 현실 세계에서처럼 입체감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버추얼 감각 디스플레이 웨3 , ,

어러블 컴퓨터 등이 유망 기술로 주목 받음(wearable) .

나 세기 산업진화의 뉴 패러다임. 21

세기 후반 산업혁명 이래 약 년을 주기로 세계 산업 패러다임과 주도산업이18 50੦크게 변화해 왔음 다음 페이지의 표 은 의 분류에. < -1> Freeman & Soete(1997)Ⅱ

따라 시기별 산업 패러다임의 특징과 핵심요소 주도산업을 요약한 것임, .

한편 세기의 산업진화 패러다임은 지난 세기의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시대21 20 ,੦와는 큰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과거의 산업진화 패러다임은 각 산업 내 기술발전에 의한 점진적 선형적 진화였- ,

다면 세기의 산업진화는 산업간 융합 에 따른 카오스 적, 21 ‘ (convergence)’ (chaos)

변환이 급속하게 전개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 특징.

에는 산업간 경계가 유지되면서 타 산업에서 개발된 기술이 일부 차용되는- 20C

간헐적 부분적 상호작용에 그쳤다면 에는 산업간 경계가 붕괴되고 산업간 상, , 21C

호작용을 넘어선 상호 융합이 빈번하게 발생할 전망임.

Page 37: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37 -

이에 따라 유망산업이나 비즈니스의 출현 패턴도 과거에는 산업 내 수요나 기술੦발전 정책의 변화에 기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결과적으로 기존의 기술이나, ,

게임의 룰이 그대로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음.

표 세계 산업 패러다임과 주도산업의 변화< -1>Ⅱ

산업혁명기(1780~1840)

공업화 시대(1840~1890)

대량생산 시대(1890~1940)

산업고도화시대

(1940~1990)

정보화 혁명시대

(1990~ )

특징

섬유 산업-중심으로 공장시스템 도입

농림수산업에서-경공업 중심으로산업 구조 변화증기기관의 동-

력화

컨베이어 벨-트형 대량 생산시스템의 확산석유 전기의- ,

동력화

공장 자동화-전자 기기의-

확산합성화학물-

의 융성

사물의 네트-워크화 지능화, ,인간화,소재 바이오- ,

혁명산업의 서비-

스화

핵심 요소

면화-철- (Iron)공장 시스템-기계-

석탄-철- (Iron)증기기관 동력- ( )철도 증기선- ,

석유 동력 전- ( )기철강- (Steel)

석유 동력- ( ,플라스틱)기계-트랜지스터- /

반도체

전자기기 광- ,양자 회Device/

로신소재-광대역 네트-

워크 디지털 정,보

주도 산업

섬유 등-경공업

철강 산업- 석유 산업-전력 산업-자동차 산업-

기계 산업-항공 산업-석유화학 산-

업전자 산업-

정보전자 산-업소재화학 생- /

명 공학통신 서비스- /IT

산업

자료 : Chris Freeman and Luc Soete, The Economics of Industrial Innovation,MIT Press(1997)

그러나 세기에는 다양한 기술의 융합으로 산업과 산업의 경계에서 돌파적 혁21੦신 이 발생하며 지금까지의 산업 범주에서 벗어난 전혀 새로운 개념(breakthrough) ,

과 유형의 산업이 창출됨.

즉 기존의 게임 룰이나 비즈니스 모델은 완전히 무력화되며 혁신 리더들이 새- , ,

로운 게임의 규칙을 만들어 나가게 됨.

실제로 그 동안 산업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산업간 융합 트IT ‘ (convergence)’੦렌드가 최근 산업 전반으로 확장되면서 산업진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음.

Page 38: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38 -

지금까지 융합은 산업 내에서 컴퓨터 통신 등 전자기기 간의 융합을 중- IT , , AV

심으로 전개되어 왔음 이종 제품과 기술을 결합시킨 카메라 폰 폰 스마트. , MP3 ,

폰 인터넷 폰 등은 그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음, .

최근 의 활용범위가 보다 확대되고 타 산업분야 기술과의 접목이 활발해 지면IT੦서 새로운 융합기술이 창출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융합기술을 활용한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의 급진전으로 와 타 산업간의 융합 또- IT

한 빈번해지고 있으며 융합 영역에서 새로운 시장과 수요가 창출되고 있음, .

금융과의 융합 인터넷 및 모바일 금융 방송과의 융합 자동차와의 융합- ( ), (IPTV),

지능형자동차 건설과의 융합 스마트홈 스마트빌딩 물류와의 융합 물류 정보네( ), ( , ), (

트워크 의료와의 융합 등이 그 사례임), (Ubiquitous Healthcare) .

산업간 융합은 기술을 허브 로 한 케이스들이 가장 빈번하게 거론되지만IT (hub) ,੦이외의 이종산업 이종 기술간의 융합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임IT , .

일본 한국 등이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산업은- , (humanoid)

메카트로닉스와 인지공학 기술이 접목한 사례라고 할 수 있으며 전자기술과 화학,

소재 기술이 결합한 연료전지기술에 대한 각국 정부와 기업들의 높은 관심과 투자

역시 이종산업간 융합 트렌드를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음.

산업간 융합은 기존의 산업 내 제품 및 서비스로는 창출하기 힘든 고객효용을 만੦들어 내기 위한 모색의 결과라고 할 수 있음.

기존 산업 내부의 기술진화가 더 이상 어려운 포화상태에 다다름 따라 산업내 혁-

신을 통한 소비자 효용 증대는 뚜렷한 한계에 봉착하게 되었고 이에 산업간 융합,

에서 다양한 혁신의 생성과 획기적인 효용 증대를 모색하게 되었음

또한 광대역 통신망 반도체를 통한 초소형화 미세화 기술 인공지능 기술 등의, ,ㆍ੦발전이 다양한 산업간 융합 시도를 지원할 수 있는 기술적인 토대가 되고 있음.

Page 39: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39 -

정체상태에 있던 기존 산업기술에 기술 등 첨단 신기술이 접목되면서 정보화- IT

와 자동화 지능화 그리고 네트워크화 및 통합화가 가속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 ,

모든 산업에 걸쳐 비즈니스 모델의 다양한 혁신 시도를 가능케 하고 있음.

산업간 융합의 확산은 관련 융합영역에서 새로운 시장기회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੦시장 구조 및 경쟁 패러다임에도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함.

먼저 시장 구조 측면에서는 산업의 소프트화 서비스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서- ,

비스 산업의 비중이 증가하고 무형자산의 부가가치 기여도도 높아질 전망.

아울러 산업 전체적으로는 산업간 비즈니스간 유기적 결합이 확산되면서 네트워- ,

크형 산업구조로의 전환이 가속되고 있음( ) .型

경쟁측면에서는 산업 내부의 기존 가치사슬이 해체되고 통합과 분화가 진행되면੦서 새로운 가치사슬 형성이 전망되며 가치의 원천은 하드웨어 중심에서 부품이나,

소재 컨텐츠 솔루션 및 서비스로 이전하는 현상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됨, , .

이에 따라 경쟁은 산업내 제품간 서비스간 경쟁에서 산업을 초월한 비즈니스 모- ,

델간 경쟁으로 변모할 것임 일례로 기존 방송 사업자와 유선 케이블 방송망 사업.

자 인터넷 망사업자의 등이 동일한 컨텐츠를 둘러싸고 경쟁하는 구조로 전환, IPTV

하고 있음.

마지막으로 사업영역의 붕괴로 산업간 상호진입이 활발해지면서 연결성 호환성,੦확보를 위해 기술의 표준화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보임.

이러한 표준화 활동은 다양한 융합기술에 대응하고 시장 개척 비용 부담을 줄이-

기 위해 개별 기업차원 보다는 긴 한 제휴를 통한 기업군 차원으로 진행.

일례로 기존 를 대신할 차세대 저장매체 개발과 관련해 최근까지 소니- DVD HD ,

삼성전자 전자 등의 전세계 주요 가전기업들이 주축을 이룬 블루 레이, LG (Blue

진영과 일부 가전기업과 유니버설 파라마운트 등 미국 헐리우드 메이저 영화ray) ,

사들이 지원하는 진영으로 나뉘어 표준화 경쟁을 전개HD-DVD .

Page 40: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40 -

친환경 자동차 부문에서는 전기 가솔린 하이브리드 자동차 상용화에 앞- - (hybrid)

선 토요다 혼다 등이 엔진효율 제고와 판매 확대에 주력하고 있는 반면, ,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일본 업체에게 선수를 빼앗긴 등 미국자동차 업체들- GM

은 최근 전기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양산을 본격 추진하는 등 차세대

자동차를 둘러싼 양대 자동차 진영간의 치열한 경쟁으로 전환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6).

표 시대별 산업진화 패러다임 비교< -2>Ⅱ

세기의 산업 진화20 세기의 산업 진화21

산업간

상호 작용

방식의 변화

간헐적 부분적 상호작용-

산업간 경계를 유지하며 간헐적 부분, ,ㆍ

적으로 상호 작용

타 산업 기술 도입 등( )

산업간 융합 사례는 소수 제한적,ㆍ

전면적 광범위 상호 융합-

산업간 경계의 붕괴 현상(Blur )ㆍ

산업간 상호 작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ㆍ

산업들이 상호 융합

제조 서비스 차 산업Ex) + 2.5→

산업 진화

방식의 변화

단선적 진화-

산업 내 기술 발전에 의한 점진적 선,ㆍ

형적 진화

비선형적 진화-

산업간 융합에 따라 적 변환이 급Chaosㆍ

속히 전개

산업 혁신

형태의 변화

산업 내 혁신-

기존 기술 진화 중심의 산업 내 혁신ㆍ

간혹 타 산업 기술과의 재조합을 통해,ㆍ

혁신이 발생Breakthrough

산업 경계 혁신-

산업 내 혁신은 한계 봉착 대신 산업 경...ㆍ

계에서 다양한 돌파적 혁신 발생 정보전자(

소재 혁명 유비쿼터스 혁명, )

신사업

창출 패턴의

변화

산업 내 신사업 창출-

산업 내 수요 기술 정책 변화로 인해, ,ㆍ

산업 테두리 내에서 신사업 창출 기존 기(

술 게임 룰이 유효, )

산업간 신 사업 창출-

다양한 기술의 융합으로 산업 경계에서ㆍ

신사업 창출 기존 게임 룰 무력화→

단품 판매가 아니라 Solution, Biz Modelㆍ

차원의 신사업 창출

결국 산업 융합의 확산과 더불어 산업을 초월하여 기술 융합을 주도하는 거대 기੦업의 출현이 빈번해 지면서 컨버전스 시대의 경쟁구도는 기업간 경쟁에서 기업군간

경쟁으로 전환해 나갈 것으로 보임.

6) 미국최대의 자동차 메이커인 은 년 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인 시보레 볼트GM 2008 9

모델을 공개하고 년 하반기부터 양산에 들어간다고 발표하였음, 2010 .

Page 41: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41 -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의 의미와 성공조건.Ⅲ

앞에서 살펴 본 중장기 관점의 다양한 시장수요 변화 및 기술발전 트렌드 그리,੦고 세기형 산업진화 패러다임의 부상 등에 비추어 볼 때 지난 여 년 동안 한21 , 40

국 산업기술 발전에 중요한 축을 담당해 왔던 국가주도형 산업기술 발전 방식은‘ ’

향후 국가 산업기술의 지속적인 혁신과 발전을 담보하는 데 있어 상당한 한계가 있

을 것으로 판단됨.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미래 산업기술 패러다임의 변화 추세에 부합하는 21੦세기 국가 산업기술 정책의 핵심 요소로서 정책의 시장친화성 강화에 주목하고‘ ’ ,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의 의미와 시대적 당위성 그리고 성공조건 등에 대해 차,

례로 짚어볼 예정임.

본 장에서는 먼저 산업기술정책의 기존 패러다임을 제 절에서 간략하게 서술하1੦고 제 절에서는 년대 산업기술 환경의 제반 변화상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기, 2 2000

존 산업기술정책의 한계와 향후 정책 전환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함.

다음 제 절에서는 시장친화적 경제정책 특히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의 구체적3੦의미와 핵심적인 구성요소를 논의하고 산업기술정책의 시장친화성 강화를 위한 정,

부의 역할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함.

산업기술정책 패러다임에 대한 고찰1.

가 산업기술정책의 개념. 7)

산업기술 은 기본적으로 제조업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모든(industrial technology) ‘੦산업의 발전에 관련된 기술 로서 원칙적으로 이윤추구를 목표로 하는 기업이 그’ ,

생산 활동에 필요로 하는 제반 과학기술 연구개발 및 그와 연관된 전 후방활동을, ㆍ

총칭하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음.

7)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가산업기술정책동향 및 기술개발지원제도의 선진화 의 내용, (2000)

을 참조

Page 42: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42 -

기업이 아닌 대학 연구소 등이 활동 주체 또는 정책 대상이라고 하더라도 그 활- ,

동이 다양한 확산 채널을 통한 경제적 이익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산업기술

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

한편 산업기술정책은 산업의 경쟁력을 목표로 산업기술 발전의 요인 속도 방향‘ , ,੦과 관련된 정부의 제반 정책 으로 기술을 명시적으로 이용하는 산업정책 이라고’ ‘ ’

정의할 수 있음.

때문에 산업기술정책은 특정 산업부문의 육성 발전을 위한 정부의 선택적 경제- ㆍ

정책과 이를 구현하는 유인정책이 산업정책 의 핵심 축이라고 할 수 있음‘ ’ .

산업기술정책의 범위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 볼 수 있음.੦

먼저 기능적인 측면으로 산업기술과 관련된 인프라 연구개발 실용화 및 확산- , , , ,

이와 관련된 환경적 여건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는 제반 시책을 들 수 있음.

다음으로 수단적 측면에서는 산업기술과 관련한 세제지원제도 연구개발 보조제- , ,

도 투융자제도 구매제도 인력제도 등 산업기술과 관련한 제반 활동의 비용이나, , ,

수익 또는 혁신구조 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산업기술의 발전 촉(facilitating structure)

진을 위한 모든 지원수단을 들 수 있음.

나 산업기술정책의 유형.

산업기술정책을 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지원 분야 및 방법에 따라 조직 개편 및,੦법령제정 인력 양성 및 인프라 확충 재정지원 및 거시경제정책 외자유치 및 기술, , ,

이전 정책 등으로 분류될 수 있음.

또한 국가의 개입형태를 중심으로 기술수요기반 형성에 주력하는 수요창출형‘ ’੦정책과 기술개발 및 공급을 중시하는 공급촉진형 정책 그리고 특정 기술개발이나‘ ’ ,

산업목적 달성을 위한 정책자원에 집중하는 임무지향형 정책과 경제시스템 전체의‘ ’

기술능력 확장을 주도하는 확산지향형 정책으로 각각 분류할 수 있음‘ ‘ 8).

8) 윤진효 참조(2006)

Page 43: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43 -

이 가운데 우선 수요창출 정책 은 첨단기술에 대한 수요기반 확충에 주력하는‘ ’੦정책으로 수입대체 또는 수출지향 산업화를 위한 국내 산업기술 육성에 중점, .

수요창출형 정책은 주요 산업기술간 경쟁의 촉진 또는 제한을 주요 수단으로 하-

며 정책의 내용과 성공여부는 국내소비의 규모 및 심화 정도에 좌우됨, .

이를 위해 정부는 첨단기술에 대한 공공부문의 우선 구매 신기술 제품에 대한- ,

경험 또는 학습 기회 제공 기술정보센터를 통한 각종 기술정보의 제공 그리고 기, ,

업들의 기술수요를 지원하는 공공연구기관 설치 등 기술수요 촉진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동원함.

기술 공급촉진 정책 은 신기술 공급능력의 확장을 도모하는 정책으로서 고급 인‘ ’੦력의 선별적 육성 등 인적자원 개발 첨단 유망기술 개발투자에 대한 정부의 선택,

적인 개입 첨단 제조공정 장비채택에 대한 보조금 및 세제혜택 부여 기술표준 및, ,

특허설정을 통한 자본투자나 신기술 성과의 불확실성 감소 등을 중시함.

아울러 외국인 직접투자 유인을 통한 첨단기술의 국내 이전 활성화 자체 기술능- ,

력과 외부기술원천간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접근 확대 기술 라이센싱 등 국가간,

기술이전 채널의 확보도 공급촉진형 정책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됨.

임무지향적 정책 이란 중앙집권화된 의사결정을 통해‘ ’(mission-oriented policy)੦특정 기술을 전략기술 종목으로 선택하고 소수의 대기업이나 연구기관에 대한 집중

적인 정책지원을 통해 해당 기술의 개발 및 상용화를 수행하는 정책 방식임.

기술은 기술 수명주기 상 유아기나 성장기에 있는 기반기술- (life-cycle) (generic

로서 충분한 기술 인프라를 갖춘 소수의 대기업을 선정 지원하거나 해technology) ,

당 역량을 보유한 연구기관에 임무를 부여하여 대형 연구 과제를 수행함.

Page 44: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44 -

반면 확산지향적 정책 은 기술 인프라 확충 기술 이‘ ’(diffusion-oriented policy) ,੦전 확대 협동연구 활성화 등 행위자들간의 공식 비공식적인 연계를 통한 경제 시, ,

스템 전체의 기술혁신 능력 제고를 목적으로 하며 새로운 노하우나 기술의 광범위,

한 이전과 확산을 지향함.

특히 광범위한 산업 및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기술 의 확산- (key technology)

에 주력하며 기술 수명주기상 다양한 스펙트럼에 걸쳐 있는 기술을 대상으로 함, .

다 국가별 산업기술정책 유형.

의 주요국 산업기술정책 유형별 분류 에 의하면 산업기술정책은 크OECD ‘ ’(1991)੦게 영미 형 프랑스 이탈리아형 독일 스웨덴형 그리고 일본형으로 나누어( ) , , ,英美 ㆍ ㆍ

볼 수 있음9).

이러한 분류는 과학기술 발전 및 산업정책에 대한 국가의 개입 정도와 더불어 국-

가와 민간 사이의 관계설정 형태에 따른 것으로서 년대 후반 글로벌 산업기술, 1990

경쟁이 심화되면서 전통적인 국가별 구분이 어려워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기도 함.

우선 영미형 산업기술정책은 과학 산업분야의 모험적이고 혁신적인 연구활동을ㆍ੦강조하지만 민간기업과 연계된 기술활동 연구결과의 확산 교육활동에는 관심이 상, ,

대적으로 적음.

산업기술 전반에 대한 정부의 개입을 경계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국방과 보건 등- ,

의 공익적 목적과 긴 하게 관련을 맺고 있는 분야에서의 정부 개입은 대체로 적극

수용하는 입장임.

아울러 외부 세계와의 연계활동에 대해서는 매우 개방적인 자세를 취하는 것이-

특징.

9) 윤진효 참조(2006)

Page 45: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45 -

프랑스 이탈리아의 산업기술정책은 과학적인 연구나 기술활동을 강조하지만 확,ㆍ੦산 및 교육활동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형태임.

국가의 강력한 제도 범위 안에서 개인들의 연구 및 혁신활동이 이루어지는 형태-

이며 대외적으로 개방적이기는 하나 인력의 이동이나 해외직접투자 등에서 영미형,

에 비해 모험적인 경향이 두드러지지는 못함.

독일 스웨덴의 경우 과학기술 연구에 투자를 많이 하면서도 산업기술 활동과 산ㆍ੦업기술의 광범위한 확산과 교육에 큰 비중을 두고 있음.

협동주의적 전통이 강하며 정부의 위치는 영미형과 프랑스 이탈리아형의 중간- , ㆍ

정도이나 국가적 이해가 걸린 분야에 대해서는 대대적인 투자와 함께 적극적인 시

장관리를 감행하기도 함.

아울러 국제적인 과학기술 교류에 대단히 개방적이고 적극적이나 외부의 과도한- ,

침투는 경계하는 경향을 보임.

일본의 경우 산업기술 활동 측면에서 독일 스웨덴형과 유사하며 전반적인 산업,ㆍ੦기술 확산 및 교육에 큰 비중을 두고 있음.

서구형에 비해 과학과 연구에 대한 노력은 적은 편이며 대외적으로 비개방적이라-

는 특징을 갖고 있음.

한편 최근 산업분야간 경계가 불분명해질 정도로 상호간 연관도가 증대하고 혁,੦신 경쟁의 강도와 범위가 확대되면서 거의 대부분의 나라들에서 국가 산업기술정책

의 기본 패러다임이 수렴되는 경향을 보임.

요소투입과 비용우위에 기초한 경제성장이 한계에 직면하고 과학기술 및 산업기- ,

술 분야 혁신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더욱 중시되면서 정부가 기술혁신 주체인 민간

부문과 공공부문을 묶어 하나의 국가혁신 시스템으로 육성하는 혁신 시스템 경쟁‘ ’

이 전개되고 있음.

Page 46: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46 -

산업기술정책 환경의 변화와 발전 방향2.

지난 년대 이후부터 외환위기 직전인 년대 중반까지 약 여 년간 지1960 1990 30੦속된 한국경제의 고도성장 및 산업화의 압축적 달성은 기본적으로 정부주도의 투‘

자 및 수출드라이브 전략 에 힘입은 것이었음’ .

제한된 자원을 정부가 설정한 산업발전 계획에 따라 특정 산업과 기술부문에 집-

중 투입하고 생산을 담당한 국내 기업들이 해외수요를 적극적으로 발굴함으로써,

국내산업 전반의 양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전략이 매우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었음.

국가가 강력한 권위를 바탕으로 경제성장과 산업발전에 필요한 각종 생산자원을-

효과적으로 동원하고 이를 성장목표의 우선순위에 따라 배분하며 경쟁 메커니즘에, ,

대한 직간접적인 통제를 통해 전략산업 부문의 사업전개에 수반되는 각종 리스크를

국가가 최소화하거나 대신 부담하는 식의 중앙집중적 성장 전략을 구사함으로써‘ ’

전례가 없을 정도의 산업성장과 기술발전을 실현하였음.

이러한 국가주도의 발전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우리੦경제가 추격의 초기 단계에 있었다는 단계적 특수성이 존재함.10)

즉 과거 우리 경제는 선진국을 모방하고 추격하는 단계에 있었으며 이 단계에- , ,

서는 목표와 경로가 비교적 명확했기 때문에 필요한 곳을 선택하고 그 곳에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하는 과정이 용이하게 추진될 수 있었음.

그러나 년대 후반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이러한 국가주도의 자원 동원과 집1990੦중 투자를 통한 양적 성장 전략의 모순과 한계가 여실히 드러났고 특히 년대, 2000

글로벌화와 지식정보화 시대로의 전환은 기존 산업기술 정책 패러다임의 발전적 진

화를 불가피하게 만들고 있음.

10) 김창욱(2002)

Page 47: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47 -

우선 과거 선진국에서 사업성이 입증된 산업과 기술 아이템 그리고 비즈니스 모- ,

델을 모방하여 국내에 그대로 이식 전개하는 산업기술 전략은 우리 산업과 기술의,

성장에 따라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되었음.

국내 산업기술 수준이 이미 많은 분야에서 선진국 수준에 필적하거나 일부 넘어੦서는 양적 질적 도약을 성취함에 따라 과거와 같은 선진국의 산업기술에 대한 일,ㆍ

방적 추격을 전제로 한 산업기술 정책에서 벗어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글로벌 산업기술 시장을 선도하는 돌파적 혁신 또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 ,

운 제품과 서비스 그리고 비즈니스 모델을 창조하는 독자성에 중점을 둔 산업기술,

정책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음.

다음으로 지식정보가 가치창출의 핵심원천이 되는 세기 경제패러다임의 확산, 21੦으로 산업기술의 발전은 과거와 같은 유형자원의 양적 투입 증가가 아닌 독창적인

창의성과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같은 무형자원의 창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

특히 지식 정보의 증가에 따른 복잡성과 불확실성이 과거에 비해 크게 증폭된 만-

큼 지식과 정보의 효용 가치를 판단하는 일 그리고 미래 시장의 소비자들이 요구, ,

하는 창의성과 혁신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일은 더 이상 국가 주도의 계획

과 자원 동원 및 배분 국가의 간섭과 개입 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행되기(Planning) ( )

어려워졌음.

아울러 글로벌화의 진전도 기존의 국가 산업기술정책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변화੦의 필요성을 말해주고 있음.

글로벌화는 기업의 경쟁범위를 전세계로 확장시켰으며 그 결과 글로벌 단위에서- ,

최적의 사업환경을 갖춘 국가나 지역을 찾아 생산기지를 이전하거나 아예 비즈니,

스 거점을 이전하는 일도 드물지 않게 발생.

Page 48: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48 -

대부분 산업의 제품과 서비스 그리고 관련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의 가치와 생명- ,

주기 는 글로벌 시장에 참여하는 수많은 기업과 소비자들의 합리적 판단(life cycle)

에 근거한 상호작용 즉 시장메커니즘에 의해 결정됨, .

때문에 국가가 이러한 시장의 판단에 개입하거나 영향을 미칠 여지는 과거에 비-

해 크게 축소 국가가 시행하는 공공구매 등의 경우는 예외적( )

미래 유망 산업이나 기술의 선별이라는 관점에서도 시장메커니즘은 더 우월한 성੦과를 창출할 수 있음.

다양한 시장 참가자 공급자와 수요자 들이 미래에 대한 나름의 기대와 예측을 바- ( )

탕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조정하는 상호작용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생산량과 가격

을 결정하는 방식이 미래에는 정부 혹은 공공부문이 주도해서 특정기술과 산업분,

야를 육성하는 경우에 비해 더 나은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음.

뿐만 아니라 과거와 같이 특정 산업기술 분야가 정부의 정책적 판단에 의한 지원੦이나 규제 예를 들면 보호관세 등 무역장벽 의 보호막에 숨어 지대 를 누리는( ) (rent)

일도 불가능해 졌음.

시장개방과 탈규제로 인한 진입장벽 철폐는 국내외 기업간 경쟁을 심화시키며- ,

글로벌 차원에서 기업 와 분할 사업교환 전략적 제휴 등 다양한 형태의 기업M&A , ,

간 경쟁과 협력을 통해 최적의 자원배분을 이끌어내고 있음.

이러한 글로벌 경쟁 환경의 변화는 계획과 규제 보호와 통제를 주요 수단으로,੦삼아 온 기존의 국가 산업기술 정책이 작용할 수 있는 공간을 크게 축소시켰음.

실제로 외국 기업이 국내외 기업간 경쟁제한 차별 자국산업 보호 등을 빌미로- ( ),

특정국 정부를 에 제소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정부의 산WTO

업기술 부문에 대한 개입 여지가 크게 줄어든 것이 사실임.

Page 49: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49 -

기술환경의 변화가 가속되면서 기술혁신 주기가 크게 단축되고 있음.੦

특정 신기술의 발견 발명으로부터 실용화까지의 격차가 점점 짧아지는 추세이- ,

며 기존 기술의 우위를 퇴색시키는 혁신기술의 출현 빈도가 증가,

아울러 과학과 기술의 경계가 흐려지고 상호작용이 가속화되는 경향이 나타나고੦있음.

반도체 생물공학 등 첨단 산업부문에서 기초과학과 응용기술간의 경계- , (the

가 빠르게 붕괴되고 있음science-technology interface) .

또한 기술의 활용도가 우세한 기술이 타 분야의 기술과 결합 또는 융합하여 새로-

운 형태의 기술이 탄생되고 있음.

이상과 같은 세기 글로벌 산업기술 정책 환경의 극적인 변화로 인해 국가의21੦직간접적인 개입과 규제를 핵심수단으로 하는 기존 정책 패러다임의 기반은 크게

약화되었다고 할 수 있음.

결국 국가산업전략을 기획하는 정부 를 담당하는 대학 등 연구기관 상업화- , R&D ,

를 주도하는 기업 그리고 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소비자 등과 같은 다양한 시, ‘

장 참가자들의 집합적 창의성과 자율조정 메커니즘을 산업기술 발전의 원동력으로’

활용하는 시장친화적 산업기술 정책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모색되어야 할 시점임.

시장친화적인 산업기술정책의 의미와 성공조건3.

이 하에서는 년대 산업과 기술 환경의 변화상에 발맞추어 향후 우리나라 산2000੦업기술정책이 지향해야 할 올바른 방향에 대해 살펴보기로 함.

년대 산업과 기술환경의 변화 가운데 가장 주목할 부분은 시장 의 역할과2000 ‘ ’੦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커져 왔다는 점임.

Page 50: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50 -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의 진행 및 대응 과정에서 산업기술 부문에 대한 국가의 보-

호 개입이 다시금 강화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지난 년대 이후 계속되어 온 탈, 1990

규제 자유화 흐름이 중대한 전기를 맞고 있는 것은 사실임, .

그러나 국경을 초월한 경쟁의 글로벌화 추세와 더불어 산업기술 부분의 혁신 속-

도가 가속되고 소비자 수요의 다양화 세분화가 확대되어 온 그동안의 흐름에 비추

어 볼 때 정부의 특정 산업부문에 대한 개입과 보호가 해당 부문의 글로벌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미미할 것으로 판단됨.

궁극적으로 민간부문의 자율능력과 이에 기반한 창의성과 혁신능력이 글로벌 시-

장에서의 성패를 가르는 핵심관건이 되고 있음.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향후 산업기술정책의 올바른 지향성은 정부의 힘에 바탕,੦을 둔 전통적인 중앙집권적인 계획 과 개입 보다는 정부와(planning) (intervention)

기업 등 시장참가자들의 자유롭고 역동적인 상호관계를 통해 국가 전체의 산업기술

혁신과 미래 지향성 강화라는 바람직한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제반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데 있는 것으로 판단됨.

물론 시장 중시 정책이 정부의 존재 의미나 역할을 전면 부정하지는 않음.੦

정부가 종종 비능률과 비효율을 동반하는 불완전성으로 정부의 실패 를 야기하- ‘ ’

는 것과 마찬가지로 시장 역시 참여자들 사이의 힘의 불균형으로 인해 불공정경쟁, ,

담합 등 시장실패를 야기함.

이러한 경우에도 정부는 시장이 자발적으로 실패 요인을 제거하고 질서를 창출- , ,

하며 스스로 바람직한 균형 상태를 찾아 나갈 수 있도록 제반 조건을 마련하는데

주력하는 것이 바람직함.

이하에서는 산업기술정책의 진화 모델로서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이 갖는21C੦의미와 성공조건을 살펴보기로 함.

Page 51: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51 -

이를 위해 먼저 시장친화성 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 정부의 경제정책과 어떻게- ‘ ’ ,

조화될 수 있는 지의 문제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기술정책의 구체적인 프,

로세스에 시장친화성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를 짚어 보기로 함.

아울러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의 성공을 위해 필요한 핵심 구성요소에 대해 살-

펴 볼 예정임.

가 시장친화성 이란 무엇인가. ‘ ’ 11)

아담 스미스 이래 주류 경제학자들의 일관된 주장은 인간의 자유로운(A. Smith)੦이익추구가 경제성장의 가장 중요한 원천이라는 점임.

시장경제에서 개인들에게 경제적 자유가 주어지면 개인들은 어떠한 재화나 서비-

스를 생산 소비하는 것이 가장 좋을지를 스스로 판단하게 되고 이는 상호 이익이,

되는 자발적인 거래로 이어지게 된다고 주장.

또한 사적재산권이 보장될 때 개인들의 생산활동에 대한 인센티브는 증가하며 자-

원은 그 희소가치에 따라 효율적으로 배분됨 그 결과 경제성장은 촉진되며 경제의. ,

효율성이 향상됨.

자본주의 체제는 개인의 자유롭고 자발적인 경제행위를 통해 경제성장과 사회통,੦합을 지향하고 있음.

정부는 자발적인 거래와 선택의 자유 그리고 노동시장과 생산물 시장에서의 진- ,

입과 경쟁의 자유를 해치는 활동을 최대한 삼가 하여야 하며 이런 측면에서 과도,

한 규제는 개인의 자유와 자발적인 거래 그리고 시장 조정기구의 작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음.

11) 김병연 외 의 시장친화성의 개념 중요성 및 측정 한국의 주요정책과 관련하여(2007) “ , : ”

참고

Page 52: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52 -

물론 시장의 실패가 발생하여 정부의 규제가 필요한 영역도 존재하지만 중요한, ,੦점은 정부의 규제가 반드시 필요한 부문과 그렇지 않은 부문을 제대로 분별하는 것

이며 정부의 규제가 필요한 경우에도 시장친화적인 규제를 시행해야 함, .

정부의 규제가 필요한 영역에 대해서는 경제학자들 사이에 다음과 같은 대략적인੦합의가 존재함.

독과점에 대한 정부에 의한 규제는 시장에서의 경쟁이 갖는 역할을 대체하며 전- ,

력산업이나 통신산업 등 기간산업에 적용되는 가격규제가 예가 될 수 있음.

이러한 개입은 단일사업자에 의한 자연독점이 사회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수준의-

생산량에 미달하거나 사업자의 과도한 가격책정으로 인한 소비자 후생의 침해가 발

생할 우려가 있을 경우 정당화될 수 있음.

다음으로 일정한 기간 동안 시장을 창출하기 위해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는 경우੦를 들 수 있음.

경쟁이 미약한 산업에서 경쟁을 유도하기 위해서 정부의 시장개입이 이루어지지-

만 이 개입은 한정된 기간에 그치며 스스로 작동하는 경쟁적 시장이 형성된 이후,

에는 개입을 중단할 계획으로 한시적인 시장개입을 감행하는 경우임.

마지막으로 환경 노동 안전기준 등과 같이 공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경우, ,੦임.

시장이 자율적인 조절기능을 통해 공공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 정부의-

규제를 통해 이를 관철해야 함.

이러한 세 가지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시장에 대한 정부의 개입은 시장원리에서੦벗어난 비 시장친화적인 정책이나 규제로 간주될 수 있음( ) .非

Page 53: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53 -

이상에서 살펴 본 개별 경제주체의 자유로운 선택과 자발적 거래 이들 간의 자,੦유로운 경쟁 가격기구의 원활한 작동 그리고 사유재산권의 보호 등의 개념은 시, , ‘

장친화성 을 규정하는 다섯 가지의 원리라고 할 수 있으며 혹(Market friendliness)’ ,

자는 이를 경제적 자유 로 부르기도 함(economic freedom) .

여기서 시장친화성은 시장원리를 강조하는 경제학적 측면이 두드러지고 후자는,੦시장경제는 자유에 기초한다는 철학적 성격이 강한 것으로 양자는 상호 교환할 수,

있는 개념으로 판단할 수 있음 김병연( (2007)).

나 경제정책의 시장친화성과 규제.

이상에서 살펴 본 시장친화성의 의미를 감안할 경우 경제정책 측면에서도 자, ▲੦유 시장경제의 기본 원리에 충실한 정책 즉 개인과 기업 등 경제주체들의 자유로,

운 선택을 보장하며 선택의 폭을 확장하는 정책 전체가 아닌 개별 주체의 자유, ,▲

의지와 합리적 판단에 근거한 자발적 거래를 장려하며 자유로운 경쟁을 바탕으, ▲

로 가격기구가 원활하게 작동함으로써 최대한 효율적인 자원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정책 그리고 경쟁과 혁신의 결과인 재산권을 비롯한 각종 경제적 권리, ▲

를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정책을 시장친화적인 정책 이라고(Market-friendly policy)

할 수 있음.

이상과 같은 시장친화성의 개념과 시장친화적 정책 정의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੦라 정부의 제반 정책 기조는 시장친화성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적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정부의 규제를 통한 민간 경제주체들의 활동에 대한 과도한 개입과 시장기능의-

약화 그리고 경제 산업 전반의 비효율성으로 나타나고 있음, .

다음의 표 는 세계은행 자료에 의한 년 현재 우리나라 기업환경 순< -2> 2007Ⅲ੦위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림 에 나타나 있는 회원국 생산물시장 규제, [ -2] OECDⅢ

지수 비교는 외환위기 이후 지난 여 년 동안의 규제개혁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제10

적 자유도 또는 정책의 시장친화성은 선진국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음.

Page 54: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54 -

표 우리나라 기업환경 순위< -1>Ⅲ

그림 회원국 생산물시장 규제지수[ -1] OECDⅢ 12)

특히 세계은행이 발표한 년 규제품질의 국가별 순위에서 우리나라는 전세계2005੦총 개국 가운데 위를 차지하였음204 58 .

12) 생산물 시장 규제지수 는 국가의 통제 기업활동에 대한 장벽 국제무역(PMR Indicator) , ,

및 투자에 대한 장벽 등 세 가지 하위 부문에 대한 지수와 이를 종합한 총지수로 구성됨.

규제의 정도를 최소 에서 최대 으로 지수화하고 있음 숫자가 클수록 규제가 심한 것을‘0’ ‘6’ .

의미함 룩셈부르크와 슬로바키아는 년 데이타 없음. 1998 .

Page 55: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55 -

이는 년의 위에 비해 계단 후퇴한 것으로 특히 기업의 창업 투자자 보- 2002 49 9 ,

호 국제무역 등 기업활동 여건과 관련한 가지 평가 분야 전체에 걸쳐 어느 한, 10

분야에서도 긍정적인 규제개혁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음.

그 원인을 분석해 보면 그 동안 우리나라 규제개혁이 규제의 수를 줄이는 규제완-

화 차원의 양적 접근에 머물러 있으며 한 차원 높은 규제의 품질관리 나아가 기업, ,

과 가계의 성과 향상 등을 아우르는 규제관리 수준으로(regulation management)

발전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됨.

글로벌 경쟁체제 확산에 따라 세계경제가 급속히 통합되는 추세에 있고 자국의,੦경제성장과 기업의 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민간뿐만 아니라 공공부문까지도 적극적

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정부역할에 대한 요구가 확산됨.

규제 정책 역시 단순히 규제의 수를 줄이는 전통적인 양적 절감방식으로부터 영-

역별 규제의 품질 수준을 제고하는 질적 고도화의 영역으로 전환되고 있음.

이는 일시적으로 악화된 경제상황 타개와 시장환경 및 기업 경영환경 개선을 위੦한 한시적 부분적 규제완화 의 단계를 넘어 변화된 세계경제의 경쟁, (deregulation)

방식과 대외경제 여건을 반영한 규제개혁의 상시화 제도화를 요구하고 있음, .

반시장적인 규제조항들의 폐지나 개선 차원을 넘어 규제정책의 입안과 집행이 시-

장메커니즘과 기업 경영활동의 동태적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함.

결국 규제 품질수준의 제고를 통해 자유시장 원리의 작동을 원활하게 만들고 시੦장성과를 지원하는 일이 향후 경제정책 전반의 시장 친화성을 향상시키는 요체가

되고 있음.

참고로 가 선진국들의 과거 규제개혁 내용을 분석 종합하여 제시한 좋은, OECD , ‘੦규제의 원칙 에 따르면 좋은 규제 란 명확히 정(Principles of Good Regulation)’ ‘ ’ ▲

의된 정책 목표 탄탄한 법적 기반 비용을 정당화하는 편익 시장 왜곡의 최, , ,▲ ▲ ▲

소화 수요자 입장 중시 대내외 경쟁 교역 투자촉진 원칙과의 병립 등을 충족, , , ,▲ ▲

시키는 규제로 정의되어 있음.

Page 56: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56 -

다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의 의미.

여기에서는 이러한 시장친화성의 관점을 산업기술정책으로 확장하여 시장친화적,੦인 산업기술정책의 의미와 구체적 실행 방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함.

의 개념 정의에 따르면 산업기술정책은 국가 산업기술의 효율성 제고와 성OECD੦장을 위한 제반 조치로 규정할 수 있음.

따라서 이러한 목표의 달성과 관련된 정책 프로세스 전반에 시장친화성을 구성하-

는 제반 요소 즉 시장참가자들의 자유로운 선택과 자발적 거래 자유로운 경쟁을, ,

바탕으로 한 가격메커니즘 그리고 재산권을 비롯한 각종 경제적 권리 보장 등의,

요소들이 충실하게 구현되는 정책을 시장친화적인 산업기술 정책 이라고 규정할 수‘ ’

있음.

장단기적인 시장의 변화 트렌드를 적극 반영하며 산업기술 생태계를 형성하고- ,

있는 수많은 이해당사자들의 자율적인 참여와 협력 그리고 여기에서 추출된 다양,

하고 창의적 정책 아이디어 또는 시장의 힘 을 지렛대로 활용하는, ‘ (market force)’

정책으로서 국가 차원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산업기술정책 목표를 최대한 효과적인,

방식으로 달성하는 정책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음.

한편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은 시장경제 원리의 중시 불합리한 규제완화와, ,੦개방 등을 중요 요소로 한다는 점에서 친기업적 산업기술정책 또는 기업 친화적,

산업기술정책과 동일한 맥락에 있으나 기업 은 시장 을 형성하는 다양한 주체들, ‘ ’ ‘ ’

가운데 한 당사자이며 시장에는 기업 이외에도 많은 참여자들이 공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업친화적인 정책과 시장친화적인 정책의 의미는 다소 차이를 보일 수 있

음.

기업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은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과 이를 통한 경제적 성과제고੦에 초점을 맞추어 불필요한 기업 관련 규제 개선 기업 활동에 대한 각종 세, , R&D

제금융상의 인센티브 제공 기업이 요구하는 교육인적자원 개발 투자 확대 등과 같,

은 산업기술 측면의 지원 활동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음.

Page 57: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57 -

기업친화적인 정책은 많은 경우 시장친화적인 정책의 방향과 일치하겠지만 사안- ,

에 따라서는 시장의 판단이나 여타 시장참가자들의 이익과 충돌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음.

물론 기업이 국가전체의 산업기술 혁신이나 발전에 큰 몫을 담당하는 만큼 기업੦의 이익을 최우선적으로 염두에 두고 정책을 수립 집행할 수는 있음, .

그러나 기업이 시장 그 자체는 아니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대학 등 연구기관 산- , ,

업기술과 무관한 기업이나 금융기관 그리고 최종 소비자 등 시장을 형성하는 여타,

주체들의 판단과 이해관계를 정책과정에 충분히 반영하고 이해충돌을 사전적으로

조정하는 데 실패할 경우 비록 기업친화적 정책이라 하더라도 시장친화적인 정책,

과는 거리가 먼 정책이 될 수 있음.

한편 시장친화적인 정책은 정책의 최우선순위를 시장참가자들에 두고 시장의 요,੦구와 압력에 무기력하게 끌려 다니는 시장추수적 정책 또는 시장참가자들( ) ,追隨的

만의 이익을 중시하는 시장중심적 정책과도 다른 의미를 지님‘ ’ .

기업이 시장의 한 구성원에 불과하듯이 시장 역시 국가 사회의 한 축을 형성하- ,

는 부분집합에 불과한 만큼 정부는 정책수립 및 집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시장참가자들의 이해관계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과 소비자 근로자 등 여타 공공의,

이익과 가치를 균형적으로 고려하고 반영할 필요가 있음13).

결국 시장친화적인 산업기술정책은 자유로운 선택 자율적인 거래 경쟁과 가격, ,੦메커니즘 재산권 보호 등 제반 자유시장경제 원칙이 다양한 산업기술정책 분야에,

서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정부가 견인함으로써 시장 고유의 역동성과 창의성

이 산업기술 분야에서 최대한 발현되도록 하는 정책임

또한 궁극적으로는 국가 산업기술의 지속적인 혁신과 국민경제의 성장 나아가- ,

민주주의의 발전을 지향한다고 할 수 있음.

13) 이러한 맥락에서 공공이익 확보나 시장 실패의 극복을 위해 필요한 경우 시장의 왜곡을‘ ‘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제한적으로 개입과 규제를 병행하는 것도 시장친화적인 정책의 일환

이라고 할 수 있음.

Page 58: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58 -

그림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의 메커니즘[ -2]Ⅲ

라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의 핵심 요소.

이하에서는 시장친화성의 요소들을 산업기술정책의 제반 측면과 접목시켜 시장친੦화적 산업기술정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고려해야 할 핵심요소들을 제시하기로

함.

자유로운 선택과 자발적 거래(1)

시장친화성의 첫 번째 요건은 시장의 모든 참가자 또는 주체들이 자신의 의지에,੦따라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음.

이는 자유로운 선택을 통해 해당 경제주체들의 개별적인 효용 을(individual utility)੦극대화할 수 있음.

산업기술 정책의 관점에서 보면 관련 정책 당사자인 기업이나 대학 연구소 등- ,

연구기관 혹은 개별 독립적인 연구자들이 미래의 유망 산업이나 기술분야를 자신,

의 경험과 지식 미래에 대한 독자적인 전망을 토대로 자유롭고 독립적인 환경 속,

에서 결정하고 선택하도록 보장한다는 점을 의미할 수 있음.

Page 59: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59 -

다음으로 이러한 선택을 바탕으로 개별 시장주체들이 확보한 산업기술 역량을 국੦가의 통제나 간섭이 아닌 시장참가자 스스로의 자유의지와 합리적 판단에 근거해

별도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거래하도록 장려하는 일도 중요함.

각자가 지닌 비교우위에 근거해서 자신이 최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부분에-

서 역량을 키우고 그 산출물을 자발적으로 교환하도록 할 때 거래 당사자간 상호,

이익은 물론 국가전체의 산업기술 역량을 비롯한 경제적 비경제적 이익의 총합이,

극대화될 수 있음.

자유시장 경쟁과 가격 메커니즘(2)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 구현을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또 다른 요소로는 시੦장 참여자들간의 자유로운 경쟁 과 가격메커니즘 의 원활한 작동을 들 수 있음‘ ’ ‘ ’ .

먼저 시장 내부의 자유로운 경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부 정책당국 각종 연구,੦기관 등 혁신 주체 제품화를 맡는 기업 및 부품소재업체 관련 소요자금을 공급하, ,

는 금융기관 그리고 최종 소비자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열린 시장 생태계를 확보하는 일이 필요함‘ ’ .

특히 기존에 없던 신기술의 경우 정부는 필요한 법 제도와 규제 및 지원의 설정- ,

을 통해 시장을 설계하고 시장의 안정적 성장을 지원할 수 있음14).

국가 산업기술의 혁신과 진화를 위한 각종 아이디어와 창의성 혁신 방법론 등이,੦시장이라는 열린 공간에서 정부 정책당국을 포함한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골고루

참여하는 균형 있는 토론과 활발한 검증작업 그리고 엄정한 평가를 통해 창출될,

때 산업기술 정책의 효율성이 극대화되고 궁극적으로 국가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음.

14) 다만 이때의 규제와 지원은 또 다른 시장왜곡과 자원의 비효율적인 배분을 초래할 수도,

있을 것인 만큼 그 합목적성 타당성 이 반복적으로 검증되어야 함, ( ) .

Page 60: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60 -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정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간의 경쟁이 요구됨 정부와 공공.੦부문이 모든 측면에서 민간부문에 비해 압도적인 힘을 갖고 있는 상황에서는 경쟁

을 통한 정책의 효율성 추구가 불가능함.

특히 정보와 재원 인력 측면에서 정부와 민간부문 사이의 과도한 비대칭성을 해- ,

소해 정부의 일방적인 독주가 아닌 정부와 민간부문 간 선의의 경쟁이 가능해 질,

때 국가전체의 산업기술 혁신과 정책 효율성의 제고가 가능함.

국가 산업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시장참여자 사이의 자유로운 경쟁과 상호작용੦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음.

유망 산업기술 테마의 선정이나 기술의 표준 및 구현 방식 제품화를 위한 생산- ,

기술 필요 자본조달 등의 다양한 이슈와 관련해 민간의 해당 주체들이 자신의 기, ,

술이나 방법론을 시장에 제시하고 시장참가자들의 최종적인 선택을 얻어 내기 위,

해 공정경쟁의 원칙을 기반으로 자유롭게 활동하는 과정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

성 높은 기술이나 혁신 방법론이 생겨날 수 있기 때문임.

시장참여자들 사이의 경쟁은 현대 산업기술 패러다임이 요구하는 복잡성과 불확-

실성을 상당부분 수용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국가 산업기술의 지속적인 혁신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유발.

기술 재산권의 보호(3)

지적재산권을 비롯한 각종 경제적 권리를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일도 시장친화적੦산업기술 정책의 핵심요소.

국가 산업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시장 참여자들의 자유로운 선택과 자발적 거-

래 그리고 자유경쟁을 통해 생겨난 산업기술의 혁신 성과가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

고 지속적으로 새로운 혁신을 유발하도록 해야 함15).

15) 과도하게 강력한 지적재산권 보호는 연구개발 비용의 상승과 독점(excessively strong)

형성 등으로 시장내부의 지속적인 혁신과 경쟁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음을 경계하

는 의견도 있음(Stiglitz, 1999).

Page 61: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61 -

산업기술의 진화와 발전 혁신에 기여한 주체들이 자신의 노동과 투자에 대해 상,੦응하는 유무형의 대가 금전적 인센티브 포함 를 받을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질 때 장( )

기적으로 더 많은 혁신주체들이 생겨나게 되고 국가전체의 산업기술 수준은 높아질

수 있음.

아울러 타인의 혁신성과를 존중하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고의로 침해하지 않는-

시장참가자들의 인식전환도 매우 중요함.

따라서 국가산업기술 정책의 장기적인 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특허기술 실용신,੦안 디자인 등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하는 확고한 사법제도 및 공정한 법집행 절차를,

구축하고 정부는 물론 시장참가자들 모두가 이를 충실하게 이행하도록 유도하는 일

이 필요함.

시장친화적 산업정책과 정부의 역할4.

국가전략 차원에서 미래 유망산업이나 핵심기술을 탐색하고 거시적인 관점에서,੦자원을 효과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각국 정부는 주도적으로 노력해 왔음.

독일이나 일본의 경우에서 잘 알 수 있듯이 시장주체들의 자율적인 선택이나 자-

발적인 거래 보다는 정부의 강력한 산업기술 정책이 산업의 형성과 기술 발전에 중

요 원동력으로 작용해 왔음.

과거 우리나라도 년대 수차례의 경제개발계획 수립과 집행과정에서 정부가1960੦전지적 관점에서 국가 주력산업의 선택과 자원의 집중 및 배분 영역 선정( )全知的

등을 주도적으로 결정하고 기업 등 민간 시장주체들은 정부정책을 추종하는 수동,

적인 위치에 머물러 있었음.

특히 년대에는 선진기술의 모방과 이식을 통한 추격 전략이 가장 효1960~1980੦과적인 국가산업발전 전략이었고 기업이나 연구기관 등 시장의 역량이 정부를 대,

체할 만큼 제대로 성장 또는 형성되지 못한 상황이었던 만큼 정부주도 정책은 시, ,

대적 당위성과 합리성을 지니고 있었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음.

Page 62: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62 -

그러나 년대 이후 글로벌 체제의 무한경쟁시대가 열리면서 선진국 따라잡기1990੦전략을 통한 후발자 이익의 향유는 더 이상 기대할 수 없게 되었으며 앞으로는 새,

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선점할 수 있는 프론티어 창출형 산업기술전략이 필요함.

아울러 년대를 거치면서 정부의 역량을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 시장주체들1990੦의 역량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산업기술의 진화속도가 빨라지고 글로벌 시장경쟁,

룰의 복잡다양성이 증대되면서 정부가 독자적 이니셔티브를 쥐고 특정 산업기술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 자체가 커다란 한계에 봉착하였다는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정부 정책은 초기 의도와는 별개로 사후적으로 후유증을 남기거나 별다른 성과- ,

를 창출하지 못하거나 또는 과학기술 발전의 잠재적 가능성을 오히려 훼손하는 등,

의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도 있었음.

세기 급변하는 산업기술 환경 속에서 정부의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 역할을21੦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먼저 미래 유망 산업기술 분야 및 담당 주체의 선정 신기술 개발 및 상업화 방,੦식 등에 정부가 자의적으로 개입하거나 통제를 시도하기 보다는 시장의 힘에 맡기

는 자세가 필요함.

정부가 시장을 선도하기 보다는 시장참가자들의 자유로운 선택과 자발적인 상호-

작용 혹은 거래 자유경쟁 원리와 같은 시장메커니즘을 통해 문제점들을 시장 스스( ),

로 결정하고 해결하도록 해야 함.

정부는 시장의 자율 조정기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제반 환경을 조성하는੦데 정책적 노력을 경주해야 함.

보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투명하고 공정한 시장질서 혹은 시장규율 가 유지됨으- , ( )

로써 자유 시장경쟁 메커니즘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조정하고 관리하는데

정책의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유무형의 진입장벽과 기득권에 기반한 지대 추, (rent)

구행위 담합 등 불공정 거래 관행 등을 제거하는 데 주력해야 함, .

Page 63: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63 -

특히 정부는 진입장벽 구축과 지대추구 행위의 발생 원인이 되는 불합리한 규제,੦와 지원을 과감하게 축소하여 다양한 방면에서 혁신 역량과 도전 의식에 충만한,

신규 진입자들이 자유롭게 시장에 참여하여 시장전반의 경쟁 활력을 제고할 수 있

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

예를 들어 기술 경쟁력이나 사업역량이 극히 취약한 기업들이 정부의 지원 대상- ,

이 되어 시장에서 퇴출되지 않고 생명을 연장할 경우 결과적으로 시장 자율조정,

기능에 의한 구조조정과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은 기대하기 어려워짐.

따라서 국가 산업기술 혁신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직간접적인 금융 및 세제상의-

지원은 필요에 따라 강화해 나가되 이러한 지원의 생산성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작, ,

업도 적극적인 의미의 규제혁신 차원에서 반드시 수반되어야 함.

국가 전략관점에서 중요한 특정 산업기술의 초기 시장을 만들어 나가는 시장 설੦계 도 정부의 중요한 역할이 될 수 있음 이러한 정부의 역할이 필(market design) .

요한 분야로는 다음과 같은 경우를 들 수 있음.

어떤 특정 산업기술이 미래 관점에서 매우 필요하고 성장가능성도 크지만 현존- ,

기술의 한계 수요 부족 대체상품 또는 기술 에 의한 혁신 지연 등 기술 시장의 불, , ( ) /

확실성이 커서 시장 생태계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할 경우 예 태양광 발전( , )

본격 성장궤도에 막 진입하였지만 선진국 기업과 국내 기업간의 기술 격차가 크- ,

고 아직도 대규모 투자 및 초기 시장기반이 요구되어 정부와 민간의 협력이R&D

필요한 경우.

이 경우 정부가 법 제도와 규제 그리고 금융세제상의 지원 등의 다양한 정책수,੦단을 활용해 시장주체들의 참여를 견인하고 필요한 경우 시장 내부의 게임의 룰과,

가격결정 메커니즘 설정에도 개입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시장 을 형성하고 제대로‘ ‘

작동하도록 시장설계자 역할을 한시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 제 절 선진국의 시장친( 5

화적 산업정책 사례 참조).

Page 64: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64 -

한편 시장형성을 위한 정부의 개입은 원칙적으로 일단 스스로 작동되는 경쟁적੦시장이 형성된 이후에는 중단되어야 함.

사후적으로 자연 독점 과잉투자 기업의 도덕적 해이 등과 같은 심각한 시장 실- , ,

패가 야기될 경우 시장 기능을 회복시키는 보정적 차원에서 정부가 시장에, ( )補正的

제한적으로 개입하는 경우도 가능함.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정부는 최소한의 규제와 간섭을 통해 시장기능을 회복하는-

데 그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부 개입이 시장기능을 대체할 수는 없음, .

이외에도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을 위해 정부가 반드시 해야 할 일 가운데는੦시장 메커니즘이 성장하고 작동하는 데 필수적인 사람 자본 지식과 정보 등의 요, ,

소들이 충분히 시장에 공급되고 자유롭게 유통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이 있음.

국가 산업기술 인력양성 시스템을 선진화하는 일과 더불어 정보 흐름의 개선을-

통해 특정 기술분야에 대한 투자의 쏠림 현상을 방지하는 일 기술 거래 시스템 개,

선을 통한 혁신기술의 이전 및 확산 유도 다양한 분야에서 산업기술 진화와 발전,

의 기회가 탐색될 수 있도록 기술역량은 보유하였으나 자본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이

나 연구자 등에 대한 금융지원을 강화하는 일 등이 포함될 수 있음.

Page 65: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65 -

선진국의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 사례 환경 에너지분야를 중심으로5. - ㆍ

최근 와 일본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정부 주도의 기존 산업기술정책의 한계EU ,੦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수단들이 동원되고 있는 바 산업기술 발전을 통,

한 성장활력과 고용증진 그리고 정책의 지속가능성 이라는 목표를 달, (sustainability)

성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시장친화적 정책수단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음.

이에 본 장에서는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 가속화 등에 따라 최근 범세계적인 정੦책 아젠다 로 주목 받고 있는 환경 관련 산업기술정책 사례 가운데 유럽(agenda) ‘ ’

연합 독일 일본 미국 등 선진국 정부가 사용하고 있는 시장친화적 정책 사례(EU), , ,

에 대해 살펴보기로 함.

가 배출권 시장설계 를 통해 환경산업기술 패러다임을 바꾼 유럽연합. (market design)

(EU)

탄소거래제도는 이산화탄소(CO੦ 2 등 온실가스 배출 한도를 배출원 별로 할당하)

고 배출권 한도내에서 자율적인 감축활동을 전개하도록 한 다음 잉여분과 부족분, ,

을 해당기업들이 자율적으로 거래하도록 유도하여 시장을 형성하는 시장 메커니즘

설계 의 대표적인 사례임(market mechanism design) .

년대 후반 영국이 자국내부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고안 시행한1990 ,੦에 뿌리를 두고 있는 유럽연합UKETS(United Kingdom Emission Trading Scheme)

의 배출권 거래제 는 굴뚝 산업의 온실가스 감축을 넘어 온실가스 감(EU) (EU ETS)

축 관련 기술 개발 금융 법률 서비스 인증지원 사업 등 서비스 분야까지 포괄하, ,ㆍ

는 거대 온실가스 관련 산업을 형성하고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었음.

Page 66: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66 -

차원에서 전개된 일련의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 정책이 성공을 거두면서 배출EU੦권 거래제 청정개발체제, (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16) 공동이행제도,

등을 골자로 하는 지구온난화 대응을 위한 국제적인 공조의(JI, Joint Implement)

틀인 교토의정서 체제가 년 초 시행되기에 이르렀음(Kyoto Protocol) 2008 .

배출권 거래제의 특징은 온실가스 배출이라는 부정적인 외부효과(negative੦를 억제하기 위해 강제적 규제나 처벌 혹은 기술개발이나 설비 투자externality) , ,

활동에 대한 보조금 지급 등과 같은 기존의 전통적인 산업기술 패러다임이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행위에 대해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가격 신호를 만들어 내는 시장을

형성하였다는 점임.

이러한 시장메커니즘의 형성과 활용은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개-

별 기업 자체 비용으로 인식하게 만들었으며 결과적으로 배출 기업 스(internalize) ,

스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하도록 히는 유인으로 작용17).

일부 회원국의 경우 시장설계에 의해 배출권 거래제가 안착함에 따라 시장 설계,੦를 정교하게 발전시켜 기존 산업정책과의 정책적 시너지 효과를 모색하기도 함.

예를 들어 전망이 밝은 신산업 영역에 대해 더 많은 양의 배출권을 무상할당 해- ,

주는 방식을 사용할 경우 배출권의 무상할당은 규정이 금지하고 있는 기존의WTO

산업 보조금을 대체할 수 있는 유력한 수단이 될 수 있음.

배출권 거래제가 성공적으로 구축됨에 따라 최근 호주가 식의 배출권 거EU , EU੦래제를 도입했고 미국 등 여타 선진국들도 배출권 거래제를 도입 준비 중임.

16) 청정개발체제 란 교토의정서를 비준한 개국 정부 혹(Clean Development Mechanism) 39

은 기업들이 자국의 자본과 기술을 동원해 중국 인도 아프리카 등 후발개도국의 온실가스 감, ,

축 활동을 지원하고 그 실제 감축분 만큼을 본국에서의 온실가스 저감 활동과 동일하게 인정,

받는 제도임 청정개발체제를 통해 획득한 크레딧은 본국에서의 감축의무를 충족시키는 데 사.

용하거나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시장에 내다 팔 수 있음, .

17) 물론 온전히 시장의 힘으로 배출권 거래 시장이 형성된 것은 아니며 온실가스 감축 목표,

불이행 시 일정한 벌칙금 을 부과하는 조항이 기업들의 목표준수를 독려하는 현실적(penalty)

으로 가장 중요한 원동력임은 부인할 수 없음 그러나 이러한 규제와 시장설계. (market

가 결합해서 정책적으로 매우 큰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였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음design) .

Page 67: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67 -

의 배출권 거래 제도는 유럽을 넘어 점차 전세계적인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며- EU

글로벌 표준으로 정착될 것으로 전망됨.

는 년까지 년 대비 온실가스 감축 여타 선진국 참여시- EU 2020 1990 20% , 30%

온실가스 감축 달성이라는 높은 목표를 제시하면서 여타 선진국들을 압박.

글로벌 배출권 거래시장이 형성될 경우 유럽기업들이 가장 큰 혜택을 볼 것으로,੦전망됨 이들은 자체 배출권 거래제에서 이미 충분한 경험을 쌓아 세계 시장에서.

앞서 나갈 가능성이 높음18).

현재 배출권을 실제로 거래하는 시장으로는 유럽기후거래소 유럽에너지거- (ECX),

래소 노르웨이 오슬로 등이 있는 데 모두 유럽을 기반으로 형성(EEX), Nord Pool( )

되어 있으며 미국의 시카고 등 기타시장의 거래비중은 매우 미미한 수준에, CCX( )

불과함.

인증이나 거래시장 외에도 사업 컨설팅 자본 투자 등 새로운 서비스 산업- CDM ,

전반에서도 유럽기업들은 시장 설계 기능 선점을 기반으로 세계시장에 대한 영향력

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됨.

나 세계 최고수준의 신재생에너지산업 기술 경쟁력을 확보한 독일의 시장 친화적.

정책 사례

효과적인 시장 설계는 잠재적으로 신재생에너지 개발 에너지 다사용 산업부문의,੦설비효율화 등을 통해 기존 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침.

지금까지 신재생에너지나 설비효율화 사업은 대부분 정부의 보조금이나 규제에-

크게 의존해 왔고 그 결과 보조금 중단이나 설비가격 상승 등 외부의 변화가 발생,

하면 산업기반이 쉽게 붕괴되는 양상을 보였음.

18) 실제로 사업 등록 및 인증 분야 상위 개 기업 중 일본 기업 곳을 제외하고CDM 10 2

나머지 개가 유럽 기업이며 유럽기업들의 시장점유율은 에 이르고 있음 반면 한국8 , 95% . ,

일본 미국 중국 등 비유럽계는 모두 합쳐 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 , 5% .

Page 68: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68 -

실제로 미국 연방정부의 대대적인 조세감면을 통한 풍력산업의 시장 활성화가 수੦차례 모색되었지만 정부의 조세감면 시효가 만료된 년 년 년에 신, 2000 , 2002 , 2004

규 설비용량이 전년 대비 각각 씩 축소되었음93%, 73%, 77% 19).

지속적인 정책적 뒷받침 없이 보조금에만 의존한 인위적인 시장 형성 노력은 소-

기의 정책적 효과를 거두기가 매우 어렵다는 사실을 반증하는 사례임.

따라서 정책 목표의 입법화 등 시장 메커니즘 설계를 통해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시장의 장기수요를 예측하고 안정적인 사업계획을 추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

그림 미국의 풍력발전 신규설비 추이[ -3]Ⅲ

한편 는 시장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성장 이라, EU (sustainable growth)੦는 목표 아래 산업구조적 전환을 모색하고 있음 또한 부족한 부분은 각종 제도적.

보완을 통해 수행해 나가고 있음.

실제로 유럽연합은 역내 기업들이 시장 내에서 엄격한 의 환경기준에 따라 선EU੦도적으로 활동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자신들의 엄격한 환경기준을 글로벌 스탠더

드로 만들어가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음.

19) 미국의 풍력산업이 정부의 보조금에 기반한 천수답형 산업이었다면 유럽의 풍력산업은,

년까지의 장기적인 전망과 안정된 시장 기반을 보유한 관개 관개 산업이라는 평가가2020 ( )

나오고 있음.

Page 69: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69 -

일례로 특정 유해물질사용 제한지침 이나 폐전기전자처리 지침 등- (RoHS) (WEEE)

환경기준은 이미 글로벌 차원에서 적용되기 시작했고 자동차 산업의 배기가스 규,

제 도 글로벌 차원의 영향력을 얻어가고 있음(EURO4.5) .

이는 역내기업들이 역외기업들에 앞서 글로벌 환경기준을 맞추고 이를 통해 글로-

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선제적 환경규제를 도입한 것임.

그 결과 의 환경산업은 년 현재 억 유로 규모로 유럽연합 전체EU 2007 2,270੦의 를 차지하고 있으며 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였고 유럽은 풍력과GDP 2.2% 340 ,

태양광 시장 등에서 세계 신재생 에너지 발전시장의 이상을 점유40% .

의 경우 개별회원국 상황을 고려한 산업기술정책이 다양하게 구사되고 있음EU .੦

예를 들어 독일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활성화를 통해 원자력 발전을 대체하고- ,

있으며 덴마크는 바람이 많은 자연조건을 활용한 풍력발전에 대해 전폭적으로 지,

원하고 있으며,

네덜란드는 투자 감세 신재생 에너지 강제구매 그린 모기지- , , (green mortgage,・친환경주택 구매 시 보조금 지급 사업에 이르는 전방위적인 정책을 사용하는 등)

국가별로 다양한 형태로 추진되고 있음.

그림 주요국들의 풍력발전 설비용량[ -4] (MWp)Ⅲ

Page 70: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70 -

그림 세계 태양광 발전시장[ -5] (MWp)Ⅲ

특히 독일의 경우 최근 친환경 산업정책의 주안점을 신재생 에너지 분야의 시장੦화에 두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함.

정부의 확고한 신재생 에너지 사용 정책에 힘입어 신재생 에너지 사용 비중이 급-

격히 늘어났을 뿐 아니라 충분한 내수기반 확보에 힘입어 관련 산업 또한 세계적,

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었음.

독일 정부는 가정용 태양광 장비 설치시 전체 태양광 설비 비용의 가량을- 70%

수준의 저리로 년 기한으로 지원하고 있음 태양광 설비를 가동해 생산4% 10~20 .

한 전력을 판매할 때 거둘 수 있는 수익을 고려할 경우 주택소유자는 연 이상5%

의 수익을 얻을 수 있음.

독일의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가계와 기업 등 시장 주체들의 자원 효율성 제고를੦위한 규제와 지원이 강화되고 있음.

마부르크 시의 경우 모든 신규 및 재건축 주택에 태양광 설비 도입이- (Marburg)

의무화되어 가정내 에너지 효율 향상을 꾀하고 있음.

이러한 설비비용 지원 이외에도 독일 정부는 신재생 에너지관련 산업의 활성화੦및 기술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강력한 수요 드라이브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Page 71: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71 -

독일의 경우 신재생 에너지 전력 비중을 년 년 년- 2012 12.5%, 2020 20%, 50

등으로 끌어 올릴 계획인데 이를 위해 풍력은 당 센트 태양에너지50% , 1kw 5~14 ,

센트 등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음45.7~62.4 .

한편 독일 등 의 주요국들은 이러한 보조금을 통한 시장 형성 정책과 함께 기EU੦업이나 가정의 에너지 사용에 수반되는 사회적 비용을 알려주는 신호로서 가격기구

의 역할을 활성화함으로써 에너지자원 절약을 유도하고 있음.

독일의 경우 산업용 전력요금이 미국 일본 한국 등 여타 회원국 평균에- , , OECD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인 데 고율의 전력요금 정책을 장기간 유지함으로써 시,

장 참가자들에게 에너지 효율화를 촉구하고 추가적으로 확보된 재원을 자원절약,

및 신재생 에너지 기술개발 지원을 위한 재원으로 활용하고 있음20).

그림 주요국의 산업용 전력 요금 비교[ -6]Ⅲ

년 신재생 에너지법 제정 등 정부 차원의 강력한 시장 조성 지원정책은 직2000੦접적인 기술개발 지원과 함께 독일의 환경 에너지산업 기술경쟁력을 향상시키고,・결과적으로 상당한 신성장산업 육성 효과를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20) 산업용 전력가격이 회원국 가운데 가장 낮은 그룹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경우도 장OECD

기적으로 평균 수준으로 높여나갈 것이라는 시그널을 장기적으로 제공하여 국내 기업OECD

의 에너지 효율화를 촉진하고 신재생 에너지 개발 재원을 확보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함, .

Page 72: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72 -

년 신재생 에너지법 시행 이후 독일의 신재생 에너지 생산이 급증하는 추세2000੦를 보이고 있는 데 년 연평균 성장에 그쳤던 신재생 에너지 생산1990~1999 5.7%

은 년 연평균 성장으로 성장세가 배 이상 높아졌음2000~2007 14.1% 2 .

독일 환경청의 자료에 의하면 환경관련 일자리의 규모가 전체 일자리의 에- , 3.5%

해당하는 만개에 이르며 년경에는 추가적으로 만개의 환경 관련 일자리150 , 2030 70

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특히 신재생 에너지 부문의 경우 고용 증가세가 매우 빠른 데 년 만- , 2004 16 500

명 불과하던 일자리가 년에는 만 명으로 늘어나 연평균 의 증가2007 24 9,300 15.8%

율을 기록하였음.

독일의 신재생 에너지 산업은 넓어진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높은 생산성을 확보하੦면서 세계시장에서도 점유율 면에서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음.

실제로 높은 인건비에도 불구하고 독일의 태양광 시설 설치 비용은 경쟁국 대비-

약 에 머물고 있음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중심으로 한 독일의 환경관련 해외80% .

수출 규모는 년 억유로 년과 년에는 각각 억유로 억유2005 460 , 2006 2007 560 , 595

로에 달하고 있으며 전세계 시장 점유율로는 약 에 달해 미국의 일16.1% 14.9%,

본의 를 추월하고 있음9.2% .

결국 독일의 환경산업 특히 신재생 에너지 산업은 정부의 잘 조율된 관련 제도,੦법규제 의 도입과 가격메커니즘 활용 등 적극적인 시장 조성정책에 힘입어 유력한( )

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음.

정부 지원 시장 조성 및 시장 규모확대 규모의 경제에 의한 생산성 향상- → → →

산업의 국제경쟁력 확보라는 독일 환경 에너지 산업정책의 성공사례는 향후 친환ㆍ

경 녹색기술 분야를 분야에 이어 제 의 성장동력으로(GT, Green Technology) IT 2

육성하고 있는 우리의 산업기술정책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음.

Page 73: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73 -

독일을 비롯한 국가들은 신재생 에너지의 가능성을 다각도로 점검하여 중점EU੦분야를 발굴 육성하는 노력을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기울여 왔음, .

결국 신재생 에너지와 같은 차세대 신성장 산업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장기-

적 안목을 가지고 일관성 있는 정책시행이 필수조건임을 알 수 있음21).

아래의 표 는 장단기 효과 발생시기를 기준으로 한 의 친환경 산업 정- < -2> EUⅢ

책의 전개 방식을 도식화하였음.

표 국가들의 친환경 산업기술정책< -2> EUⅢ

정책수단 내용 및 효과

단기

벤치마킹

기업간 네트워킹 지원

보조금 제도

선발기업 모방으로 신속한 후발기업의 효율성 향상ㆍ

산업내부의 친환경 관련 기술 확산 등에 효과 발휘ㆍ

친환경 설비의 개체 및 보수 등에 대한 보조금 지급ㆍ

중기

라벨링

자율규제

조세

배출권 거래세

환경 에너지효율 라벨의 설정을 통한 소비자 선택( )ㆍ

지원

업계내부 자율규제를 통한 자원절감 및 온실가스 감축ㆍ

목표설정 중소기업에게 효과적( )

환경 탄소 세 도입을 통한 효율적 자원활용 강화( )ㆍ

대규모 자원사용업체의 중장기적 전략 변화 유도ㆍ

장기 목표 설정 년 앞을 내다보는 장기적 목표 설정50ㆍ

자료 이서원: (2008)

다 세계최고 수준의 에너지효율 기술을 달성한 일본의 톱 러너 제도. (Top-runner)

일본 정부의 환경산업기술 발전전략은 자국 산업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소੦기의 정책목적을 달성해 나가는 친기업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톱 러너 방식, ‘ ’

이라는 벤치마킹에 의한 효율성 지표의 관리가 대표적인 사례임.

톱 러너 전략은 기준연도의 한 산업 내에서 에너지 효율이 가장 높은 기업 즉,੦톱 러너의 생산성을 목표 연도까지 다른 기업들이 달성하도록 만든 것임.

21) 지원과 규제를 상황에 따라 자의적으로 혹은 불규칙하게 하는 식의 정책, ‘Stop and Go’

은 시장주체들의 일관적기대 형성을 저해해 시장조성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될 수 있음을 인식

할 필요가 있음.

Page 74: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74 -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정부는 세금 경감이나 친환경 고효율 인증제도 등의 각종 정-

책 수단을 동원하였음.

예를 들어 가솔린 승용차의 경우 년 달성하고자 하는 연비 효율을 초- , 2010 20%

과 달성한 차량에 대해서는 취득세를 연 만엔 경감하고 보유세를 깎아주는30 , 50%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를 초과 달성한 차량에 대해서도 취득세를 만엔 보유, 10% 15 ,

세를 경감시켜 주는 방식으로 혜택을 제공함20% .

이러한 톱 러너 제도를 통해 년 달성하고자 했던 가솔린 리터당 의2010 1 15.1km੦연비 목표를 년에 이미 달성하였음 아울러 이러한 톱 러너 방식은 자동차 이2005 .

외에도 복사기 컴퓨터 등 사무기기에서부터 에어컨 냉장고 전기밥TV, VCR, , AV , ,

솥 등 생활가전에 이르기까지 개 품목에서 진행되었음21 .

표 톱 러너 방식에 의한 효율성 향상과 도달 기한< -3>Ⅲ

톱 러너 방식은 벤치마킹에 의한 효율성 향상 이외에도 이른 바 부분별 특성을੦고려한 공정성 기준을 활용함.

산업별 또는 품목별로 차등화된 효율화 목표를 제시하는 방안으로 자동차 산업- ,

의 경우 소형차 및 경차에 집중하고 있는 기업과 대형차에 집중하고 있는 기업에

대해 각각 차등화된 목표를 제시함

즉 어느 특정 기업이 톱 러너 방식에 의한 효율성 달성 드라이브에서 유리한 위- ,

치를 점하지 않도록 정책의 공정성을 유지하자는 취지임.

Page 75: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75 -

기본적으로 톱 러너 방식은 대기업에게 다소 유리한 정책으로 알려지고 있음.੦

실제로 대량생산을 통해 규모의 경제에 의한 높은 효율을 누리고 관련 특허를- ,

다수 보유하여 기술적 우위를 획득한 일본의 대기업들이 산업별 톱 러너로 지정되

어 각종 혜택을 보고 있음.

반면 중소기업들은 대기업 수준의 효율성에 도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해야-

만 함.

이러한 일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톱 러너 방식은 동일한 산업 내에서 가장 효율੦적인 기술이나 가장 효율적인 기업이 보유한 기술에 따라 기준이 정해지므로 산업,

현실과 괴리된 정책당국의 일방적인 기준설정과 같은 부작용이 없음.

기업의 자발적인 기술목표 수준의 설정 및 달성을 장려하고 나아가 산업전체의- ,

기술수준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가전체의 특정 산업기술의 목표 달

성을 위한 시장친화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음.

라 규제와 시장메커니즘의 조합으로 산성비 문제를 해결한 미국의 청정대. (acid rain)

기법 사례22)

지난 년 미국 연방정부는 산성비를 유발하는 아황산가스1970 (Sulfur dioxide,੦SO2 문제 해결을 위해 연방환경청 을 설립하고 석탄을 사용하는 화력발전소) (EPA) ,

에 대해 구체적인 아황산가스 배출제한 의무를 규정한 청정대기법 을(Clean Air Act)

제정.

그러나 청정대기법은 각자 다른 석탄을 사용하는 서부지역과 중서부 지역 발전소-

들의 이해 대립으로 관련 주정부 노조 및 환경운동가들의 반발로 년 한차례의, 1977

법 개정이 있었지만 실제 화력발전소의 아황산가스 감축에는 큰 효력을 발휘하지,

못했음.

22) 박헌준 에서 발췌 인용(2008.8)

Page 76: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76 -

한편 년대 중반 환경문제가 미국사회의 이슈로 본격 부상하자 연방의회 환1980 , ,੦경단체 발전사업자 등은 수차례 청정대기법 수정을 위한 협상을 벌였지만, ,

아황산가스의 대폭 감축을 강제하려는 환경론자와 비용을 우려한 성장론자 사이-

의 대립으로 년 대통령 선거 당시까지 별다른 결론을 내리지 못하였음1988 .

년 월 당시 조지 부시 대통령 당선자는 당선직후 즉각 환경팀을 구성하여1988 11੦이 문제의 해결에 돌입하였으며 년 월 취임 직후에는 연방환경청 에너지청, 1989 2 , ,

예산처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수석보좌관실 정책개발실 등의 대표들이 참여하는, , ,

범정부 환경작업그룹을 가동시켜 아황산가스 감축이라는 대통령 공약을 지키기 위

한 방법과 과정을 설계하는 데 착수하였음.

당시 환경보호론자들은 강력한 환경법안의 제정을 통해 최소 만톤 최대1,000 ,੦만톤의 아황산가스 감축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주장했으나 행정부 내 환경1,200 ,

전문 관료들은 만톤 이상의 감축은 기업들이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고 고비용성700

대규모 감축의 혜택조차 불확실하다고 주장하였음.

양측의 의견이 팽팽하게 엇갈리는 가운데 부시 행정부가 선택한 해결방안은 전- ,

국 규모의 환경단체인 환경보호기금 이 제시한(EDF, Environmental Defense Fund)

시장 유인 을 활용한 환경목표의 달성이었음‘ ’ .

부시대통령 취임 직후인 년 월 당시 는 아황산가스 배출권 거래 계획1989 2 EDF੦안을 발표하였음.

계획안의 골자는 연방전부가 모든 석탄연소 화력발전소마다 아황산가스 배출 한-

도를 부여하고 년마다 단계별로 축소해 년 뒤에는 만톤의3 10 1,200 SO2 감축을 달,

성한다는 목표를 설정.

대신 발전소들은 집진기 스크러버 설치 저유황 석탄으로의 전환 한계 비용이- ( ) , ,

낮은 발전소의 SO2 감축 권리 구입 등 여러 대안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목표를 달

성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부여하였음.

Page 77: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77 -

부시대통령의 정권 인수팀에서는 정책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의 시장 접근EDF੦방식이 가장 바람직한 해결책이라고 확신하고 산성비 문제의 해결을 위해 누구의,

정책이 올바른가라는 정치적 승패 의 차원이 아닌‘ ’ , SO2를 얼마나 감축해야 하느냐

의 시장의 문제 로 전환시키는 데 주력함‘ ’ .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강한 의견대립과 마찰로 인해 교착상태에 빠져 있는 사안-

의 경우 시장의 선택에 맡겨서 문제를 해결방안을 찾도록 하고 정부는 구체적인,

개입이나 규제 대신 시장의 힘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시간적 여유와 인내심을 갖고

대처하는 시장친화적 인 선택을 하였음‘ ’ .

그 결과 년 월 수정된 청정대기법은 대기 중의 아황산가스 배출량 감축1990 11 2੦단계 목표를 설정하여 년부터 년간 아황산가스 배출량을 만톤에서, 1995 5 1,890 890

만톤으로 줄이며 단계인 년 이후 만톤의 한도를 유지하도록 규정, 2 2000 890 .

이러한 법 개정에 따라 미국 내 발전소와 전력회사들은 청정대기법의 규제준수를੦위한 운영전략을 수립해야 했음.

전력회사들은 당시의 전력판매 단가 킬로와트당 평균 센트 와 발전소 별 매출- ( 5.6 )

액 발전소의 잔존수명과 신규 건설에 소요되는 자본비용 등 여러 가지 기본적인,

제약조건과 함께,

기존의 고유황 석탄을 사용하면서 공개시장에서 부족한 배출권 한도를 구입하- ①

는 방법 단가가 상대적으로 비싸지만 아황산가스 배출이 적은 저유황 석탄으로, ②

전환하면서 시간을 유예하는 방법 설치에 시간이 소요되고 자본비용이 크지만, ,③

아황산가스 발생이 없는 집진기를 장착하고 남는 배출권 한도를 시장에 공급하는

방법들 가운데 각자의 상황에 맞는 가장 효율적인 아황산가스 감축 대안을 선택할

수 있었음.

한편 연방환경청은 년 아황산가스 배출권 거1991 (tradable pollution allowance)੦래 시장을 설치하고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의 배출권 거래가격을 공식적으로 발표하

였으며 시장참여자들의 재고와 교환거래에 대한 기록을 관리 공표하였음, .

Page 78: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78 -

이를 통해 각 발전소와 전력회사들은 각 옵션별로 규제 준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추계하는 데 필요한 가격 신호 를 확보할 수 있었음(price signal) .

이 법안의 시행결과 미국내 발전소들의 저유황 석탄 사용 전환이 가속화되고, ,੦나아가 에너지효율이 높은 신형 발전소 건설이 촉진되는 등 여러 긍정적인 변화가

발생했으며,

전력산업 전체의 실제 아황산가스 배출 총량도 허용한도보다 훨씬 더 낮은 수준-

으로 하락하였음.

년 이후 년을 끌어 오던 아황산가스 감축과 산성비 문제가 정부의 강압적- 1970 20

규제와 징벌장치가 아닌 시장 메커니즘 의 활용을 통해 해결되었음‘ ’ .

Page 79: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79 -

시장친화성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의 시대별 산업 기술정책.Ⅳ

년대의 산업기술정책 국가주도의 공업화 주력1. 1960 : 23)

경제개발 초기 우리나라의 산업기술정책은 수출주도형 공업화 전략과 함께 주로੦모방학습을 통해 기술을 조기에 습득하고 내재화하는 작업에 주력하는 양상을 보였

음.

한국과 대만 일본 등은 자체 능력을 기반으로 독자적 기술능력 축적에 주력한- ,

중국과 인도 등의 자주개발형 전략이나 중남미와 홍콩 싱가포르 등의 기술종속형, ,

전략과 달리 선진국 기술의 적극적인 모방과 역동적인 내재화 작업을 통해 국가산

업기술 수준을 조기에 끌어 올리는 데 주력하였음.

표 주요 후발국의 초기 기술능력 발전 유형< -1>Ⅳ

기술능력 발전유형 모방학습형 자주개발형 기술종속형

해당국가한국 대만, ,일본 년대(1960 )

인도 중국, 남미 홍콩 싱가포르,

주된 기술획득방법

모방 기술협약, ,외국인직접투자

자체개발 외국인직접투자

외국인직접투자정책

선 기술능력 발전,후 외국인직접투자

유치확대

외국인직접투자를통한 기술능력의상업화 세련화,

추구

선 외국인투자 유치,후 자체기술능력확보 노력

기술정책의 주안점획득기술의내재화를 위한적극적 노력

독자적 기술능력축적

기술능력 및기술자립도의점진적 향상

정부의 역할

수입규제,적극적인 산업 및기술정책을 통한

개입

기초 및 응용연구활성화 유도

관료제적 산업규제

자료 윤진효 한국기술정책론: , (2006)

23) 이하 년대 산업기술정책의 주요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을 참조하였1960~1990 (2000)

음.

Page 80: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80 -

이 시기에는 수출산업 육성에 국가의 정책적 역량을 총동원한 가운데 국가산업,੦기술 기반 형성을 위한 각종 정부 부처의 설립과 법제도 그리고 인프라 형성 등이,

추진되었음.

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종합적 기본정책 수립과 계획을 종합 조정하고 기술협력-

및 기타 과학기술진흥 업무를 관장하는 과학기술처를 설립 년 하였으며 같은(1967 ) ,

해에 과학기술진흥시책을 법률로 규정한 과학기술진흥법이 제정되었음.

이외에도 특정산업육성법 공업표준화법 특허법 실용신안법 및 의장법 등의 제- , , ,

정과 표시제도의 시행 등을 통한 산업기술 기반 제도의 확립 노력이 경주되었KS

음.

당시 차 산업의 비중이 에 육박하고 차 산업이 에 불과한 전형적인1 40% , 2 15%੦후진국형 산업구조였던 만큼 정부는 공업화의 방향을 소비재 생산 및 수입대체와

경공업 제품의 수출확대에 비중을 두었으며 비료 시멘트 합판 섬유 전력 등의, , , ,

분야를 주요 전략산업으로 선정하였음.

이에 따라 기술발전 전략은 동 전략산업을 육성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선진국으੦로부터 확보하여 이를 국내에 토착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음.

외자도입촉진법 년 과 자본재 도입에 관한 특별조치법 년 외자도입법으- (1960 ) (1966

로 일원화 등의 제정에 근거하여 해외자본 및 기술의 국내도입을 추진)

이 밖에도 국가 고급 산업기술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연구개발 기-

관인 가 설립되었고 기술인력개발을 위한 고등교육기회의 확대 및 과학기술계KIST ,

인력수급계획 실시 중앙직업훈련원 설립 등 산업인력 개발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

었음.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근대적인 의미의 경제정책을 본격적으로 펼치기 시작੦한 년대는 우리나라 산업기술 정책의 태동기라고 할 수 있음 비록 정부주도의1960 .

정책이라는 한계는 있었지만 기술 인력 금융 등 기술생태계 형성을 위해 필요한, ,

자원 이 체계적으로 동원되고 축적되기 시작한 시기라고 할 수 있음(resources) .

Page 81: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81 -

자체 기술기반의 부족으로 인한 성장애로를 절감한 정부에 의해 산업기술 진흥을-

위한 법 제도 확충 시장형성 고급 산업인력 인력 육성 소요 자본의 동원 및 축적, ,

등의 노력이 펼쳐지기 시작한 시기라는 점에 의미가 있음.

특히 수입대체 및 국산화를 위한 체계적인 산업기술 육성 노력이 수행되면서 불-

모지였던 국내 산업기술부문의 시장 생태계가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기업 학계, ㆍ

등 민간부문이 정부정책에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 열리기 시작했다는 점은 이 시기

산업기술정책의 성과로 평가되고 있음.

년대의 산업기술정책 국가 산업기술 역량 및 기반 강화2. 1970 :

년의 제 차 오일쇼크로 인한 전세계적인 스태그플레이션 베트남 전쟁과 남1973 1 ,੦북긴장 고조 등으로 인한 국가안보 문제가 부각되면서 중화학공업 육성과 수출증대

를 통한 경제안보의 중요성이 매우 중시되었던 시기였음.

당시 정부는 수출 억 달러 인당 소득 달러 달성을 목표로 철강 비철100 , 1 1,000 ,੦금속 자동차 및 기계 조선 전자 및 화학 등을 대 국가기간산업으로 선정하고 법, , , 6

령 정비 산업지원 목적의 각종 세제 및 금융제도 시행 인력양성 및 외자유치 등, ,

국가의 정책 역량을 총동원하여 집중적인 육성작업에 나섬.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과학기술 활동을 국가차원에서 조정 통합하기 위해 종합- ,

기술과학기술심의회를 설치하였으며 산업계를 지원하기 위한 기구로서 공업진흥청,

과 특허청 이 발족되었음(1973) (1977) .

이 시기에는 중화학공업 진흥을 위한 자원배분의 일환으로 국민투자기금법-

이 제정되었으며 해당 분야에 대해 소득세 직접감면 투자세액공제 특별상(1973) , , ,

각 등 다양한 조세혜택이 부여되었음 년 조세감면규제법 개정(1974 ).

금융측면에서도 한국산업은행과 중소기업은행을 통한 기술개발자금이 지원되었으-

며 정책금융이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못하도록 여신관리제도를 도입하였음.

Page 82: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82 -

정부주도의 중화학공업 육성으로 기술적 수요가 급속히 팽창하였으나 국내 대학,੦이나 연구소 등은 기술연구 기반이 취약하여 관련 기술 및 인력의 조기확보를 위한

정부의 정책추진 과정에서 국내 산업기술 생태계 전반에 급격한 구조변화가 발생하

였음.

정부는 대기업으로 하여금 제조 공정기술 엔지니어링 기술 등을 해외에서 확보- ㆍ

하도록 독려하는 등 국가전체의 산업기술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었음.

아울러 국내기업의 기술력 향상을 위해 국산화 시책을 강력하게 추진하였으며- ,

국립공과대학 특성화 대학 지정 기능인력 병역특례 제도 등도 시행하였음, .

산업현장에 필요한 인력의 공급이 중요한 현안과제로 등장하면서 공업계 고등학-

교 및 이공계 대학정원의 급속한 증가가 이루어졌으며 기존 대학과 연구소의 기술,

공급 능력의 한계를 극복하고 민간기업의 기술확보를 지원하기 위한 전략으로 산업

부문별 정부 출연연구소가 다수 태동하였음24).

표 공공연구기관의 역할 변화< -2>Ⅳ

구분설립 형성기(1060~70)

구조 조정기(1980)

성장기(1990)

미래 원천기술개발 단계(2000)

국내여건

민간기업과 대학의 연구기반 취약

민간기업과 대학의연구능력의 부분적신장

민간주도

기술혁신체제 확립/대학의 연구역량 확대

글로벌 기술혁신 가속화지재권 보호 강화출연연구기관의 저효율 문제 제기

임무및역할

정보 및 산업계의 기술수요와연계한 목표 지향적 연구개발활동 수행

출연 연 이 국가( )적 차원에서 산업기술 개발 주도

정부연구개발사업의대리수행 주체로 역할 및 성격조정

범국가적 추진이 요구되는 대형 연구개발 사업 추진 및 산학연협동연구의 구심체로서의 역할 부각

미래지향적 대형 첨,단기술개발사업에 주력민간 및 대학 연구능력의 획기적 제고와 함께 출연 연 위( )상 재정립을 포함한새로운 도약기반 마련의 필요성 대두

연구회에 의한 출연연 관리체제 도입( )(’99)미래지향적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주력공공복지 삶의 질ㆍ향상과 관련된 수요증대지속적 경제성장 기여

연구영역

성장산업기의 단순기술 모방

성숙기 기술개발 미래형 첨단기술 모방

독창적 연구개발을통한 미래형 첨단 기술 개발

미래 원천 및 신산업 창출기술 개발

자료 김갑수 외 에서 재인용: (2008)

24) 정부출연연구기관은 다른 선진국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제도로서 한국 정부가

과학기술정책을 추진하는 주요한 매개체로 작용해 왔음 박승덕( , 1998).

Page 83: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83 -

년대는 국내외 불확실한 경제환경과 국내외 정치안보의 불안정성 고조에도1970੦불구하고 정부의 강력한 정책의지를 기반으로 향후 한국경제의 고도성장에 필요한

제반 산업기술 역량 확충에 많은 성과를 거두었던 시기로 평가할 수 있음.

이 시기 동안 정부의 국가 산업기술 역량 확충을 위한 정책 수단은 법제도 개편- ,

국가 조직재편 금융조세 수단 발굴 연구개발 인프라 강화 교육훈련 투자 확대 등, , ,

다방면에서 년대의 정책에 비해 조직화 체계화되는 양상을 보였음1960 , .

이는 수출증대와 국민소득 증가 민간기업의 성장 등으로 국가적으로 동원할 수- ,

있는 가용자원의 규모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임.

년대의 고도성장 경험이 중첩되면서 산업기술의 중요성이 사회 전체적으로- 1960

공유되었고 결과적으로 대학전공 직업선택 등과 관련한 사회구성원들의 인식전환, ,

이 이루어지는 등 국가전체의 기술개발 인프라도 크게 개선되었음.

특히 기업 대학 연구소 등 민간부분의 산업기술 역량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 ,

시작한 점은 한국 산업기술 발전 경로상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음.

한편 이 시기의 산업기술정책은 정부가 국가경제 운용상 필요한 전략산업을 선정੦하고 직간접적인 정책수단을 통해 금융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자원의 해당 분야 집, ,

중을 유도했다는 점에서 국가주도 산업기술정책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일부,

시장친화적인 정책수단이 보조적으로 시용되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함.

예를 들어 특허청 설립과 국산 신기술 보호제도 도입 등 시장참가자들의 혁신성- ,

과에 대한 권리보호 개념이 도입되었고 국내최초 벤처캐피털 기업인 한국기술진흥,

이 의 출자로 설립되는 등 신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시장조성에도 관심을KIST (1974)

보인 바 있음.

이외에도 민간기업의 기술역량 확충을 위한 민간 연구소 연구요원 병역특례 제도-

도입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해결 및 기술지도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산업 기술연구,

조합 설치 등을 통해 민간부문의 산업기술 관련 시장 형성을 견인하고 기반 인프,

라를 강화함으로써 관련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던 점은 정책의 시장친화적

관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함.

Page 84: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84 -

년대의 산업기술정책 산업구조조정과 민간자율의 점진적 확장3. 1980 :

년대는 년대 말 촉발된 차 오일쇼크와 전세계적 스태그플레이션 중1980 1970 2 ,੦화학부문 과잉투자 후유증 등을 극복하기 위한 산업구조조정이 본격적으로 추진되

었고 산업전반의 기술 집약화를 위한 정책이 수행된 시기였음.

먼저 산업기술정책 측면에서 정부가 전략적 산업육성의 한계를 인식하고 민간 자੦율과 시장의 역할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하였음.

년 경제기획원이 발표한 년대 산업정책의 과제와 지원시책 개편방향- 1983 ‘1980 ’

에서는 민간자율 경쟁 체제로의 산업정책 전환 방침이 발표되었음.ㆍ

핵심내용은 주요산업에 대한 지원제도를 기술 및 인력개발 에너지 지원 등- ,▲

기능별 지원제도로 개편하고 개방과 경쟁의 폭을 확대하여 각종 규제 요소를, ,▲

대폭 축소하며 민간의 자율과 시장기능에 맡기기 어려운 분야에 명확한 지원기, ▲

준과 시한을 설정하여 예외적으로 개입한다는 것 등이었음.

후발개도국의 등장에 따른 경쟁압력의 심화 임금상승으로 인한 노동집약적 산업,੦의 퇴조 조짐 선진국의 지적재산권 공세 및 기술이전 기피 등으로 기술 우위 정책,

기조가 부상하고 산업기술의 집약화가 중요 정책과제로 대두되었음.

기술정책전반에 걸친 논의의 활성화를 통한 기술우위정책기조의 확산을 위해 대-

통령이 주재하는 기술진흥확대회의가 설치되었으며 프로젝트 중심의 국가 연구개,

발사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면서 각 부처별 과기처 상공부 등 연구개발사업이 경( , )

쟁적으로 전개되었음.

아울러 산업구조를 기술집약적 고부가가치 산업위주로 고도화시키기 위하여-

년부터 첨단기술산업 육성시책이 전개되었고 부품소재 및 기계류 국산화를 위1988 ,

한 단계별 시책이 년부터 시행되었음1983 .

Page 85: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85 -

또한 이 시기에는 년대 중화학공업 일변도의 정책에 대한 반성의 일환으로- 1970

중소기업 육성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으며 미래 유망산업기술 분야로서 정보통,

신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과기처 상공부 체신부 등 각 부처별 역할분담을 통한, ,

정부차원의 육성 작업이 수행되었음.

이외에도 국가전체의 기술역량 강화를 위해 외국기술 도입 및 이전 촉진 국제간,੦과학기술 협력 외국의 지적소유권 보호 요구에 대해 전향적 자세로 전환하였음, .

외자도입법 개정에 의한 민간기업의 외국기술 도입 자유화 조치를 시행하고 미- ,

국 일본 독일 등과의 국가간 과학기술협력협정을 체결하였으며 미국의 물질특허, , ,

보호 및 광범위한 지적소유권 보호 요구에 대응해 관련법을 개정하였음.

한편 년대에 민간주도 기술혁신체제가 확산되기 시작하였다는 점도 중요한1980੦의미를 갖는 데 민간기업의 자체적인 기술개발 투자 확대와 더불어 자주적 기술개,

발 역량 확보를 위한 각 부처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 등 정부의 민간 기술개발

지원이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음.

국가 연구개발투자비에서 민간과 정부가 차지하는 구성비는 년 에서- 1980 32:68

년에는 으로 역전되었음1990 72:26 .

이 기간 동안 정부는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해소를 위한 산업기술 개발 부품 소- ,

재 등의 국산화 수출대체 기술개발 등에 중점을 두었으며 나아가 시장의 기술수요, ,

에 기초한 원천기술 및 미래지향적 기술개발에도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음.

이외에도 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등의 기술금융 지원 공업 발전- , , ,

기금 산업기술향상자금 등 기금에 의한 융자 한국기술개발 등 벤처 캐피탈사에 의, ,

한 투융자 활성화 등도 민간부문의 기술개발투자 확대에 기여하였음.

Page 86: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86 -

그림 정부와 민간의 연구개발투자금액 추이[ -1]Ⅳ

년대 산업기술정책 역사 과거 정부주도 전략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으나1980੦시대적 상황의 변화에 발맞추어 민간자율과 시장기능을 인정하고 활용하는 방향으

로 정책기조가 부분적이나마 전환을 시도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음.

대부분의 정책영역에서 정부가 조세지원 금융자원 배분 등 막강한 정책수단을- ,

보유하면서 정부의 산업기술정책상의 전략과 의도를 민간부문의 시장참가자 들에

대해 관철하는 국가우위의 기존 정책추진 방식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음.

상당한 위험이 수반되는 산업기술 영역에서의 자유로운 투자와 실효성 있는 시장-

경쟁 등을 감행하기에는 기업을 중심으로 한 국내 민간부문의 위험감수(risk taking)

역량이 여전히 취약했던 점도 중요한 이유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산업기술 환경의 변화와 민간부문의 역੦량 확대로 인한 정부주도형 정책의 한계를 인식하고 각종 계획의 수립과정에 민간,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의 전문가 참여를 확대하였으며 민간부문의 자율과 경쟁을, , ,

위한 제도적 기반을 정비하였음.

한편 고급인력 확보 등 민간부문의 기술혁신 역량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 ,

들을 강구하였다는 점에서 이전의 정책기조에 비해 시장친화성이 상대적으로 진일

보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음.

Page 87: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87 -

년대의 산업기술정책 지식경제시대의 새로운 기술혁신체제 모색4. 1990 :

년대는 산업기술정책 관점에서 체제의 출범 등으로 인한 각종 기술 지1990 WTO੦원제도의 개편과 더불어 핵심산업기술 개발 추진 산업기술 혁신 인프라 강화 등,

기술드라이브 정책기조가 한층 다원화 고도화된 시기라고 할 수 있음, .

아울러 년대 후반에는 구체금융체제 하에서 기업과 금융에 대한 구조개- 1990 IMF

혁이 추진되는 가운데 지식중심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지식기반 경제로의 이21C

행을 다방면에서 모색한 시기였음.

우선 민간주도의 기술혁신체제를 정착시키고 정부의 역할을 재정립하려는 노력이੦기술정책의 핵심사항으로 등장하였음.

국가연구개발투자의 이상을 민간부문이 담당하는 등 정책 환경의 변화에 따- 80%

라 규제 완화 민간 참여 확대 정부지원시책의 효율화 등이 강조되었음, , .

정부의 역할을 재정립하기 위해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과학기술장관회의 등이- ,

설치되었으며 행정체계도 상공부가 통상산업부로 체신부가 정보통신부로 개편되, ,

는 등 산업환경 변화를 반영한 역할과 기능 조정을 단행하였음.

선택과 집중을 위한 특정분야 세계일류 수준의 기술경쟁력 확보 노력이 경주되었-

으며 이를 위하여 중장기 기술예측이 강조되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특징이며 이, ,

를 위해 공업발전법을 산업발전법으로 개정하여 지식기반 경제에 적합한 산업기술

발전계획을 추진하였음.

대학을 국가 혁신체제의 주체로 인식하면서 대학의 연구여건 조성과 이공계 대-

학 육성이 강조되었으며 산학연간 협동연구를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 장치,

마련을 위한 협동연구개발촉진법이 제정되었음.

국가차원의 연구개발사업이 활성화되면서 선도기술개발사업 생명공학 우주개발, , ,੦해양개발 등 중대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이 부처별로 다양하게 추진되었으며 연구개,

발 사업예산의 비중이 급격히 팽창하였음.

Page 88: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88 -

이 과정에서 산업계의 기술개발 수요가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었-

는데 정부와 민간이 연구개발비를 공동 부담하는 형태로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정부의 정책결정과정에 민간 기업들이 참여하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음.

이와 관련해 년대에는 정부출연 연구기관 민간기업 연구소 대학의 기능과- 1990 , ,

역할분담이 모색되는 과정에서 연구기관별 연구생산성 향상과 운영 효율화 문제가

처음으로 표면화되었음.

이외에도 기술과 금융간 연계강화를 위한 기술평가제도 도입 공부문의 기술이전,੦과 민간의 기술거래를 뒷받침하는 기술이전촉진법 제정 및 한국기술거래소 신설 등

이 추진되었음.

벤처캐피탈 육성 등 민간부문의 기술개발 역량 확대를 위한 조세 및 금융 지원활-

동도 크게 강화되었음.

한편 년대는 국가혁신시스템 구축 차원에서 민간의 산업기술 혁신을 효율적1990੦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기술 인프라 및 확산시책이 크게 강화되었던 점이 주요 특징

으로 꼽을 수 있음.

예를 들어 통상산업부는 년부터 기술인력 기술정보 전자상거래 기반 표준- 1995 , ,

화와 함께 테크노파크 지역혁신센터 창업보육 산학연 공동연구시설 등에 관한 사, , ,

업을 추진하였음.

그림 연구주체별 특허출원 건수[ -2]Ⅳ

Page 89: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89 -

년대에는 연구개발투자규모 연구인력 수 특허출원 및 등록 등의 측면에서1990 , ,੦민간부문의 기술혁신역량이 빠르게 성장하여 정부를 능가함에 따라 민간주도의 기(

술혁신체제 구축 정부의 산업기술정책 기조가 인프라 강화 및 확산 등 민간부문),

의 기술혁신 활동 지원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는 쪽으로 변화하기 시작했음.

특히 년대 후반의 경우 체제 극복을 위한 규제완화 등 공공부문의 기능- 1990 IMF

과 역할 조정이 강도 높게 추진됨에 따라 산업기술분야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인 개

입이 줄어든 반면 정책의 시장친화성은 강화되는 양상을 보였음.

년대를 거치면서 산업기술 관련 정책결정 과정에 대한 민간부문의 참여가- 1990

확대되고 공공부문의 정부출연 연구기관과 민간부문의 대학 기업연구소간에 혁신, ,

역량을 둘러싼 경쟁과 협력이 가시화되었음.

특히 연구개발사업 공동추진을 위한 산학연 협력체제가 다양한 형태로 구축되면-

서 민간자율과 경쟁 협력 등 시장경제원리가 더욱 강조되는 양상을 보였음, .

여기에다 금융 구조개혁 주식시장의 활성화 등과 더불어 기존의 정부 정책 금융- ,

을 대체하는 민간부문의 기술 거래 및 기술금융 조달 벤처 캐피탈 도 빠르게 성장( )

하는 등 정부출연연구소 대학 대기업 및 중소기업 연구소 기술 관련 벤처 등 민, , ,

간부문의 시장참여자들로 구성된 국내 산업기술 생태계 전반이 양적 질적 차원에,

서 크게 확장되는 모습을 보였음.

년대 이후 산업기술정책의 전략성 강화5. 2000 :

민간자율의 확장과 시장기능의 강화라는 산업기술정책의 기조는 년대 들어2000੦서도 유지되는 가운데 국가 산업기술정책의 전략성 강화에 초점을 맞추어 왔음, .

정부는 산업기반기술 개발사업의 주요 프로그램별 전략성과 연계성 강화 핵심- ,

부품소재 분야의 전략기술 조기 확보 등에 주력하였음.

Page 90: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90 -

일례로 정보통신 분야의 급속한 성장에 발맞추어 초고속망 핵심- , (IT) IMT-2000,

장치 기반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정보단말기 고성능 멀티미디어 서버 등 관, ATM , ,

련 핵심기술이 국가 중점 개발대상으로 지목되었으며 결과적으로 국내 관련 산업,

의 대외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하였음.

새로운 성장동력의 발굴지원을 위해 주력기간산업 미래전략산업 지식기반 서비, ,੦스업 등 분야별로 성장유망 업종을 발굴하고 기술개발 인프라구축 인력 양성 국, , ,

제협력 등에 산업기술자금을 집중 지원하는 등의 정책적 노력도 경주하였음.

이러한 맥락에서 년 디지털 방송 디스플레이 지능형 로봇 미래형 자동- 2003 TV/ , , ,

차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이동통신 지능형 홈네트워크 디지털 콘텐츠 솔루션, , , , /SW ,

차세대 전지 바이오 신약 장기분야 등 대 신성장 동력산업 분야가 선정되었음, / 10 .

한편 산업기술의 획기적 발전과 산업경쟁력의 제고를 위해서는 보다 시스템적,੦사고와 전략적 접근이 더욱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년부터 국가혁신시스템, 2004

구축을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하였음(National Innovation System) 25).

산업기술 예산규모에 걸맞는 투자 성과 및 정책실효성 확보를 위해 연구개발과-

기반조성사업간의 연계를 강화하고 중간평가 및 예산 차등지원 평가관리의, , R&D

전문성과 투명성 강화 등의 제도 혁신을 추진하였음.

또한 주력기간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전략기술 개발 미래 전략산업 창출을- ,

위한 신기술 개발 등을 적극 추진하였으며,

개발된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를 통한 기술혁신의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키기 위-

해 기술거래시장의 개최 횟수를 늘리고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한편 지역기술 혁신,

및 이전 거점을 육성하는 등의 방안을 추진하였음.

25) 구체적인 내용은 오영호 를 참조(2004.1)

Page 91: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91 -

기술혁신 인프라와 관련해서는 산업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현장기술인력 재교육- ,

퇴직 및 전직 산업기술인력 전환지원 사업 등을 확대하였으며 대학교육 인증사업,

등 대학의 산업기술인력 양성체제를 산업계의 수요에 적합하도록 개편하는 등의 작

업을 추진하였음.

글로벌 경쟁체제하에서 기술표준 과 디자인 등이 새로운 시장지배 수단으로 부‘ ’੦상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여 국가산업표준 의 국제표준 부합화 국제표준 직도(KS) ,

입 확대 등과 더불어 기업의 디자인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노력을 병행하

였음.

년대에 규제완화 민간자율 중시 등이 경제정책의 중심 기조를 이루면서 산2000 , ,੦업기술 정책도 민간부문의 기술혁신 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개입을 자제하고 간접적

인 지원수단에 집중하는 시장친화적 성향을 보임.

정부를 중심으로 수요지향적인 미래 유망산업 예측 활동이 강화되고 국가기술개- ,

발의 목표를 제시하는 로드맵 과 정부 사업의 연계강화를 통해(Roadmap) R&D R&D

주체들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는 기능이 보강됨.

이에 따라 민간과 경쟁하는 를 지양하고 시장이 필요로 하지만 자체 해결이- R&D ,

어려운 부문을 보완하려는 경향이 나타남.

연구개발 성과 평가의 전문성 및 투명성 강화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 기술거- , ,

래 확대 그리고 지역기술혁신 거점 확보 등의 정책은 국내 산업기술 생태계의 저,

변을 확장하고 자율경쟁원리를 통해 시장참가자의 기술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

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시장친화성이 강화된 진일보한 정책 방향이었다고 할 수

있음.

Page 92: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92 -

맺음말.Ⅴ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미래 국가 산업기술정책의 진화 방향으로서 시장친화적 인‘ ’੦산업기술정책의 의미와 시대적 당위성 그리고 구체적인 정부의 역할과 선진국의,

사례 등을 살펴보았음.

먼저 제 장에서 살펴 본 다양한 미래 시장수요 트렌드와 주요 산업기술 관련 트Ⅱ੦렌드는 시장친화적인 산업기술 정책 패러다임으로의 조속한 전환 필요성을 잘 말해

주고 있음.

정부가 산업기술의 발전을 선도하는 과거의 방식으로는 글로벌화 지식정보화에- ,

따른 세계적 산업기술 경쟁 패러다임의 급격한 변화를 따라잡을 수 없으며 인구,全

구조 및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기인하는 시장 소비자들의 복잡 다양한 수요변화 추

세에 부응하는 데도 상당한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음.

세기 글로벌 산업기술 환경 변화 추이와 시장참여자들의 전반적인 역량 제고21੦와 같은 시대적 변화 흐름에 비추어 볼 때 정부의 과다한 개입과 통제 보다는 시장

의 자유경쟁 메커니즘에서 생겨나는 시장의 힘 을 국가 산업기술 발전의 핵심 원동‘ ’

력으로 활용하는 산업기술정책의 시장친화성 강화가 시급히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

할 수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의 의미와 핵심요소 그리고,੦정부에게 요구되는 역할에 대해 서술하고 있음 제 장( ).Ⅲ

본 연구에서는 김병연 등 이 제시한 경제정책 관점에서 본 시장친화성 개- (2007) ‘ ’

념을 발전시켜 국가 산업기술의 효율성 제고와 성장을 위해 시장참가자들의 자유, “

로운 선택과 자발적 거래 자유로운 경쟁을 바탕으로 한 가격메커니즘 그리고 재산, ,

권을 비롯한 각종 경제적 권리 보장 등의 요소들을 충실하게 구현하는 정책을 시”

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이라고 보았음.

Page 93: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93 -

다른 모든 경제정책과 마찬가지로 산업기술정책 역시 다양한 시장주체들이 자유੦롭고 투명한 그리고 공정한 게임의 룰 하에서 각자 자신의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

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도록 유도한다면 결과적으로 국가 산업기술의 경,

쟁력 제고와 경제발전이라는 소기의 정책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

이러한 맥락에서 향후 정부는 특정 산업기술을 직접 발굴하고 육성하는 경기자੦의 역할이 아니라 시장 내부에서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 메커니즘이 작동하(player) ,

도록 감독하는 심판자 의 역할에 주력하는 것이 바람직함(umpire) .

한편 국가 산업기술의 발전과 시장 생태계 형성 및 역동성 제고를 위한 법제도, ,੦인력 자본 정보 등 환경기반을 조성하는 후원자 로서의 역할은 더욱 강, , (supporter)

화될 필요가 있음.

이러한 관점에서 정책의 시장친화성 확대는 정부의 기능 및 역할 축소를 의미하-

는 것은 결코 아니며 시장형성과 경쟁촉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부 정책의 기능,

과 역할은 더욱 중요해 질 수 있음26).

실제로 최근 유럽연합 회원국들과 일본 미국 등 선진국 정부들은 글로벌 환(EU) ,੦경 이슈의 부상을 계기로 자국 에너지 환경 관련 산업기술의 효율성 증대 및 글로ㆍ

벌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음.

이들은 초기 시장형성 설계 경쟁 촉진 가격메커니즘 기능 활성화 등 다양한 시- ( ), ,

장친화적 정책수단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소기의 정책목표를 달성해 나가고 있

음.

이는 기존 주력 산업기술의 혁신 미래 유망산업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확대 및- ,

대외경쟁력 조기 확보 등의 산적한 정책 과제를 앞두고 있는 우리나라의 산업기술

정책당국에도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음.

26) 기술이 가치혁신과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가 되는 현재의 산업기술 패러다임 하에서 정

부는 중심적인 경제주체로서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역할과 더불어 환경변화에 적합한 제도 수

립자로서의 역할을 맡아야 함 이를 위해 정부는 정책의 유기적 연관성 확보 산학연 연계 인. , ,

적자원의 양성 및 활용 기술개발 인프라의 구축 기술거래 및 이전을 위한 체계 구축 등의 역, ,

할을 할 수 있음 홍형득( . 2007).

Page 94: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94 -

우리나라의 산업기술정책 역시 지난 년대를 전환점으로 민간의 자율과 참1980੦여 자유경쟁 등의 시장친화성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진화해 왔음, .

민간부문의 산업기술 혁신 역량이 크게 확대되면서 첨단기초연구 강화 산학연- ,

연계를 통한 기반기술 연구 기술인력 양성 신기술 이전 및 거래 확대 등 산업기술, ,

혁신 인프라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정책 전환이 이루어져 왔음.

다만 과거 정부의 규제 완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자유시장경제 원리에 어긋나는-

불합리한 정부의 규제와 지원 관행이 남아 있으며 기업 등 민간부문의 시장 참여,

자들을 통제와 규제 또는 보호와 관찰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정부당국의 가부장적,

마인드도 상존하고 있음.

향후에도 자유시장경제 원리와 민간자율 중시라는 정책기조가 산업기술 정책의੦제반 측면에 일관성 있게 지속적으로 관철될 때 한국 주력산업의 대외경쟁력 강화, ,

미래 유망산업의 글로벌 주도권 확보 등 소기의 성과를 차질 없이 달성할 수 있음.

Page 95: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95 -

참 고 문 헌

Bardach, E. and Kagan, R. A., Going by the Book: The Problem of Regulatory

Unreasonableness, New Brunswick: Transactions Publishers, 2002

Farrell, D., The Productivity Imperative, McKinsey Quarterly, 2005

Freeman, C. and Soete, L., The Economics of Industrial Innovation, MIT

Press, 1997

OECD, Reducing the Risk of Policy Failure: Challenges for Regulatory

Compliance, 2000

Stiglitz, J., Public Policy for a Knowledge Economy, Remarks at the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and Center for Economic Policy Research,

1999

World Bank/IFC, Doing Business Report, 2004~2008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가산업기술정책 동향 및 기술개발지원제도의 선진화, , 2000

김갑수 외 한국의 산업기술정책연구통계 한국산업기술재단, 2008, , 2008

김병연 외 참여정부 주요 경제정책의 시장친화성 평가 서강대학교 시장경제연구, ,

소, 2007

김창욱 산업기술정책의 새 패러다임 모색 진화론적 접근 과학기술정책 권 호, : , 12 3 ,

2002

박승덕 출연연구기관의 역할 과거 현재 미래 기술혁신연구 제 권 호 기술 경, : , , , 6 1 ,

영경제학회, 1998

박헌준 년 환경논란 해결한 시장의 힘 동아비즈니스리뷰 권 동아일보사, 20 , 14, 15 , ,

2008

산업연구원 지식기반 성장시대의 규제개혁 추진 방안, , , , 2002Ⅰ Ⅱ Ⅲ

송성수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특성에 관한 시론적 고찰 과학기술학연구 권 호, , 2 1 ,

한국과학기술학회, 2002

오영호 참여정부의 산업기술정책 방향과 과제 공학교육과 기술 권 호 한국, , 10 2 ,

설비공학회, 2004

Page 96: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96 -

윤진효 한국기술정책론 경문사, , , 2006

이서원 녹색성장정책의 베스트 프랙티스 호 경제연, , LG Business Insight 1009 , LG

구원, 2008

조용수 미래 트렌드와 차세대 유망산업 전경련 신성장동력포럼 발표자료, , , 2007

조용수 외 글로벌 탄소시장의 동향과 향후 전망 호, “ ”, LG Business Insight 993 ,

경제연구원LG , 2008

조준일 고객관점에서 본 가지 미래 기술 트렌드 호, 7 , LG Business Insight 859 ,

경제연구원LG , 2005

조준일 미래수요 트렌드와 유망사업 기회 호 경제연, , LG Business Insight 846 , LG

구원, 2005

한국경제연구원 전국경제인연합회 규제개혁 종합연구 보고서/ , , 2007

홍석빈 시장친화적인 규제개혁을 위한 조건 호 경제, , LG Business Insight 977 , LG

연구원, 2008

홍형득 제 세대 패러다임에서 정부 민간의 역할 산업기술정책동향, 4 R&D / , 2007 ,Ⅰ

한국산업기술평가원, 2007

Page 97: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97 -

저 자 소 개

조 용 수▣

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동 미래연구실장- LG /

Page 98: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98 -

발간된 리스트< >

이슈페이퍼◎

구분 호수 제 목 저자 소속

이슈

페이퍼05-1

년 분기 연구개발종합지수2004 4/4

작성 결과와 시사점(RSI)

정반석

외한국산업기술재단

이슈

페이퍼05-2 간 업종별 기술격차와 전망韓 中ㆍ

정반석

외한국산업기술재단

이슈

페이퍼05-3 년 산업기술인력 부족률 심각2004

홍성민

이병윤한국산업기술재단

이슈

페이퍼05-4

년 분기 연구개발종합지수2005 1/4

조사결과의 특징 및 시사점(RSI)

정반석

외한국산업기술재단

이슈

페이퍼05-5

경제양극화 현상에 대한 기업체감도 조

사 결과 및 시사점

정반석

외한국산업기술재단

이슈

페이퍼05-6

년 분기 연구개발종합지수2005 2/4

조사결과의 특징 및 시사점(RSI)

정반석

외한국산업기술재단

이슈

페이퍼05-7

대 차세대성장동력 분야의 기술경쟁10

력 분석

황태형

백상규

한국산업기술재단

주 윕스( )

이슈

페이퍼05-8

산학협력의 허와 실 현황 진단과 정:

책과제손병호

한국과학기술 기

획평가원

이슈

페이퍼05-9

일본의 산업클러스터 정책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류태수 한양대학교

이슈

페이퍼05-10

중소 벤처기업의 구조조정시장 이슈ㆍ

분석이경원 동국대학교

이슈

페이퍼05-11

기술 및 산업 경쟁력 평가지표의 비교

분석과 한국형 지표개발의 방향조윤애 산업연구원

이슈

페이퍼05-12

직무발명 보상제도의 한 일 비교와 정ㆍ

책과제김삼수 서울산업대학교

이슈

페이퍼06-1

실리콘밸리에서 본 나노기술투자와 비

즈니스 전략조영태 지식경제부

이슈

페이퍼06-2

혁신형 중소기업의 고급인력 확보를 위

한 정책방안민철구

과학기술 정책연

구원

이슈

페이퍼06-3

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의 지역혁신5

정책 연계방안

정성훈

윤성필

강원대학교 한국

산업기술재단

이슈

페이퍼06-4

우리나라의 유비쿼터스 정책 및 산업

현황과 발전 방향이성국

과학기술연합 대

학원대학교

Page 99: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99 -

구분 호수 제 목 저자 소속

이슈

페이퍼06-5 산업기술 사업 성과평가의 대응과제R&D 황용수

과학기술 정책연구

이슈

페이퍼06-6

년 분기 연구개발종합지수 조2006 1/4 (RSI)

사결과의 특징과 시사점

홍성민

유민화한국산업기술재단

이슈

페이퍼06-7

년 분기 연구개발종합지수 조2006 2/4 (RSI)

사결과의 특징과 시사점박형민 한국산업기술재단

이슈

페이퍼06-8 일본의 산학연계 정책의 현황과 시사점 류태수 한양대학교

이슈

페이퍼07-1

정 화학산업의 현황과 발전전망

한국화학연구원 창립 주년을 기념하며< 30 >정명희 한국화학연구원

이슈

페이퍼07-2

산업정책 활용도 제고를 위한 기업체 연구개

발활동 결과의 미시적 분석문혜선

한국과학기술 기획

평가원

이슈

페이퍼07-3 중국의 산업화와 과학기술인력 정책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이슈

페이퍼07-4

세계 대 제조업체의 주요 산업별 비교1,000

분석박상혁 진주산업대학교

이슈

페이퍼07-5

일본 단괴세대 퇴직기술자의 현황과 활용방

안송낭옥

일본오카야마소재

중국단기대학

이슈

페이퍼07-6 미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인력정책 조황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이슈

페이퍼07-7

부품 소재 대중국 투자 및 수출입 동향 분ㆍ

박준영

외한국기계산업진흥회

이슈

페이퍼07-8

글로벌화 시대의 해외 센터 유치R&D R&D ㆍ

활용 전략 재조명장윤종 산업연구원

이슈

페이퍼07-9

산업기술인력 양성의 대안적 모형:

호주의 직업교육훈련

이기성

이병윤

숭실대학교 한국산

업기술재단

이슈

페이퍼07-10

다국적기업의 중국 투자 동향과 영향R&D對

분석남수중 공주대학교

이슈

페이퍼07-11 서비스 산업의 혁신 서비스 사이언스- 최상현

한국정보통신 기술

사협회

이슈

페이퍼07-12 광역 클러스터 모델개발과 구축방안

김대래

주수현

신라대학교 부산발

전연구원

이슈

페이퍼08-1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적재산권 관리법제의 개

선방안윤종민 충북대학교

Page 100: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100 -

구분 호수 제 목 저자 소속

이슈

페이퍼08-2 부품소재의 중핵기업의 실태와 시사점 이광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이슈

페이퍼08-3

대학부문 국가 연구개발 활동의 미시적

분석 및 시사점

양혜영

정상기

한국과학기술기획평

가원

이슈

페이퍼08-4

창조산업 의 혁신 영국의(Creative Industry) :

사례와 한국의 과제윤병운 동국대학교

이슈

페이퍼08-5 서비스산업구조 및 생산성통계 국제비교

김현수

김갑수

국민대학교

한국산업기술재단

이슈

페이퍼08-6 기업 주도의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박용규 삼성경제연구소

이슈

페이퍼08-7 정부의 대학 연구사업비 관리제도 개선방안 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이슈

페이퍼08-8 출연 연 의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김용환 기술경제경영연구원

이슈

페이퍼08-9 국제 공동 연구개발 지원 체계 비교 분석 임경희 중앙대학교

이슈

페이퍼08-10

클러스터 클러스터 정책의 이론 쟁점 및,

사례 검토윤진효

대구경북과학기술연

구원

이슈

페이퍼08-11

산업기술 관점에서의 지식서비스인력 양성

방안진미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슈

페이퍼08-12 한국 벤처 생태계의 발전과정과 시사점

한정화

신중경

한양대학교

기은경제연구소

이슈

페이퍼08-13 지식기반서비스산업의 연구개발 혁신통계 김현수 국민대학교

이슈

페이퍼08-14 정부 연구개발지원의 규범 저촉성 연구WTO 안덕근 서울대학교

이슈

페이퍼09-01

국가연구개발사업 해외 주체 참여 활성화

방안

이길우

한국과학기술

기획평가원

이슈

페이퍼09-02

출연 연 글로벌화 추진방안( ) R&D : KIST

사례를 중심으로원유형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슈

페이퍼09-03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 역할 조용수 경제연구원LG

Page 101: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101 -

기술정책자료집◎

구분 호수 제 목 저자 소속

기술정책자료집

05-1중국 산업기술정책 체계의 특성과시사점

장보영 한국산업기술재단

기술정책자료집

05-2 러시아의 산업기술정책 송용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기술정책자료집

05-3 인도의 산업기술정책 이운용 인도코리아센타

기술정책자료집

05-4 일본의 국가비전으로서 지적재산입국 김승군 한국지식재산연구원

기술정책자료집

05-5 의 산업원천기술 지원정책EU 원종근 한국외국어대학교

기술정책자료집

05-6 브라질의산업기술정책김원호권기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기술정책자료집

05-7 이스라엘의 산업기술정책 이종범한국 이스라엘ㆍ산업연구개발재단

기술정책자료집

05-8 중국의 첨단기술단지 육성 동향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기술정책자료집

05-9 아세안의 산업기술정책 이완형 서울사이버대학교

기술정책자료집

05-10

미국의 연구개발 프로그램 평가방법 및체계분석

장용석조지워싱턴대학교국제과학기술정책연

구소

기술정책자료집

06-1호 혁신기업High -end Product

성공사례 조사 분석ㆍ송위진 외

과학기술정책연구원외

기술정책자료집

06-2 베트남의 산업기술정책 박진화 외 기술과가치 주( )

기술정책자료집

06-3나노 테크놀러지 연구개발을 통해 본독일의 첨단기술 육성정책

정진상 선문대학교

기술정책자료집

06-4 European technology platform 송위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기술정책자료집

06-5중소기업기술지원정책의 변천사법 제도를 중심으로- -ㆍ

정용환인프라정보기술연구소

기술정책자료집

06-6영국 포사이트 프로그램의(Foresight)특징과 시사점

권기석 한국천문연구원

Page 102: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102 -

구분 호수 제 목 저자 소속

기술정책자료집

06-7 영국의 공학교육의 혁신사례와 시사점 정대진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기술정책자료집

06-8 한국의 산업기술 통계2006 박형민 한국산업기술재단

기술정책자료집

07-1우리나라 제조업 시계열 분석기업체 규모별 업종별 세부 통계- ,

깁갑수박형민

한국산업기술재단

기술정책자료집

07-2 호주의 산업기술정책 김영옥 사우스웨일즈대학

기술정책자료집

08-1 기술전략맵 2007 박의석 한국산업기술재단

기술정책자료집

08-2 중국 제조업의 발전 전략 설성수 한남대학교

기술정책자료집

08-3 한국의 산업기술 통계 2008 박형민 한국산업기술재단

기술정책자료집

08-4 한국의 산업기술 정책 연구통계 2008ㆍ김갑수외

한국산업기술재단

기술정책자료집

08-5 페루의 산업기술정책이상현권기수

한국외국어대학교대외경제정책연구원

기술정책자료집

08-6 전략기술 분야별 해외 주요 로드맵2008박의석외

한국산업기술재단한국과학기술원

Page 103: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103 -

Page 104: 시장친화적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역할 - ITFIND · ੦아울러미래글로벌시장의메가트렌드와함께시장이주목하고있는유망기술에 대한광범위하고도지속적인

- 104 -

시장친화적 산업기술정책과 정부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