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과학상점 누구나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는 세상을 꿈꾸다 김민준 김지혜 신지민 원종빈 LG 글로벌챌린저 24기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과학상점누구나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는 세상을 꿈꾸다

김민준김지혜신지민원종빈

LG 글로벌챌린저 24기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여는말

대한민국 헌법 제 127조 1항

우리나라는 625 전쟁 이후 세계 최빈국 중 하나였지만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정부의 끊임없는 투자와 연구자들의헌신을 바탕으로 눈부신 경제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대다수 시민들은 전문가의 영역인과학기술과 유리되었고 우리 삶의 질과 직결된 이슈들은경제 발전라는 그늘 아래 주목받지 못했습니다

국가는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 및 인력의 개발을 통하여국가경제의 발전에 노력하여야 한다

우리는 질문했습니다lsquo 과학기술은 무엇을 위해 존재할까요rsquo

우리의 도전은 여기서부터 시작됐습니다

INDEX

대안 제시왜 과학상점인가 9

과학상점 소개 10-14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기능2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과학상점 형태

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 15-16

과학상점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18-21

해외탐방 22-35

SNSF Science et Citeacute

Bonn Science Shop Living Knowledge Network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ampus Engage

과학상점20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38-48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제도화

과학상점 카페

기대효과 49

문제 제기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4-5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6-7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36

문제제기

01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NO 1

PART 01 문제제기 04

우리나라는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정부의 아낌없는 투자를 통해 소위 lsquo한강의 기적rsquo이라 불리는 경이로운 발전을 이루었다 625 전쟁을 겪은 1950년대 우리나라는자본과 자원이 부족한 가운데 집중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수출주도형 경제구조를 탄생시켰다

국민총소득(GNI)

한나라의 국민이 국내외 생산 활동에참가하거나 생산에 필요한 자산을 제공한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

출처 통계용어 middot 지표의 이해 2015 4 통계청

이렇듯 쉴 틈없이 경제개발을위해 달려온 지난 수십년동안 과학기술의 잠재력이나또 다른 쓰임에 대해 생각할여유가 없었다

대한민국 발전의 초석이 된 과학기술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28380 $

압축성장기(산업화 민주화)

전환기(정보화 국제화)

기술자립기반조성

기술드라이브정책전개

세계시장 확보정책추진

세계시장 선도정책추진

과학기술을 통한경제 재도약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17년 기준1인당 국민총소득

단위 달러

국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과학기술을 고민해야 한다

POINT

2016년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이생각하는 국가핵심전략기술 선정의 기준 중 lsquo삶의 질rsquo 항목이60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실제 RampD 투자는lsquo경제 연구 성장 제품rsquo을 키워드로 한 활동에 집중되었기 때문에국민들의 바람을 충분히 담지 못했다

하지만 lsquo발전rsquo의 나무에 lsquo삶의 질rsquo이란 열매는 없었다

과학기술 강국으로 우뚝 선 오늘날의 대한민국

그 결과 우리나라 국민총소득은2017년 기준 28380 달러를 달성했고반도체 휴대폰 조선 디스플레이 등주력 산업에서 세계시장 1위를기록하는 경제강국이 되었다

반도체 (D램)

731

휴대폰

24

조선

34

디스플레이

422

2017년 4분기 기준 세계 시장점유율

삶의

602

경제발전

435

국민이 생각하는국가핵심전략기술은

실제 정부 RampD 투자비율은

2016 미래창조과학부

01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기술의 경제개발적 쓰임에 주목했던 정부1

출처 사회발전과 과학기술 20031 과학기술정책연구원

PART 01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 방사선 안전관리법 기준치

연간 1mSv 초과 금지

08 2410 6

모 침대업체 매트리스 7종연간 피폭선량 조사결과

기존의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대한 성찰로

lsquo국민생활연구rsquo가 주목받고 있다 우리 사회의

도전 과제 (Societal challenge) 해결이

최우선 목표인 것이다 고령화 기후변화 안전

문제 보건 middot 의료 문제 양극화 문제 등 사회

전체가 공동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를 다룬다

이는 특정 산업 기업 육성이나 과학기술 분야

그 자체의 발전을 우선시하는 전통 접근과는

결이 다르다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매우 공공성 강한

활동이고 우리 사회를 더욱더 지속 가능하고

살 만한 곳으로 전환시키는 노력이다

살충제 계란 미세먼지 가습기 살균제 라돈 침대까지hellip

국민들은 과학기술을 활용한 더 나은 삶을 원한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살충제 계란 파동 미세먼지 등 다양한 사회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근원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 역할에 대해 국민들의 요구가 점점 증가해왔으나 그 기대에 완벽히 부응하지는 못했다

정부 lsquo국민생활연구rsquo를 확대하다

기존연구개발체계

Change

최근연구개발체계

필요성느끼는

정책담당하는

연구개발수행하는

국가전략또는경제성장삶의질향상

과학기술의혜택이모든국민에게

과학기술경쟁력확보 사회문제해결

공급자중심의연구개발수요자참여형연구개발

기술+ 인문사회+ 법제도융합

연구개발부서중심 연구개발부서와정책부서협업

논문특허등연구산출물 새로운사회적서비스 제품

목적

목표

특징

주체

결과

안전

환경

건강

편리

재해 교통사고사이버 범죄

대기 수질 소음유해 화학물질

질병 의료식품 위생

고독사공공서비스

middot 도심 지하붕괴 인명 탐지 및 구조middot 한국형 조기경보체계 구축

middot 미세플라스틱의 해양생태계 middot인체 middot 위협 대응middot 인공강우 유발을 통한 가뭄 대응

middot 감염병 예측 및 감시망 구축middot 화학물질 첨가 식품 위해성 차단

middot IoT 기반 독거노인 생활 복지 서비스 제공middot 시각장애인을 위한 문화 향유 보조

분야 주요 문제 연구 내용

주요 국민생활문제 및 연구분야(예시)

01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경제개발 뿐 아니라 삶의 질에 주목하는 과학기술2

PART 01 문제제기 06

대학은고등교육기관으로서 과학기술을 다루는올바른방향성을 습득하는 장소가되어야 한다

과학기술교육자와전문가들은이공계대학현장을어떻게바라보고있을까

우리는 대학생 시절 과학기술의 발전 방향과 가치에 대한 교육을 받고 스스로 고민한 결과 lsquo발전을 위한 발전rsquo만이

아닌 lsquo사회적인 가치를 높이는 연구rsquo를 하고 있는 공학도를 만났다 현재 특수 분야 세척기를 제작하는 회사에서 설계

및 연구직으로 근무중인 조성열 님은 대학에서의 경험을 통해 자신이 전공한 기계 공학분야의 지식이 소비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민하게 되었다 현재 그는 더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과학기술의방향을고민해본사람이 과학기술의가치를높일수있다

가까운 미래에 과학기술 발전의 가장 역동적인 주역이 되는 것은 이공계 대학생들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기술

자체뿐 아니라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교육이 마련되어야 바람직한 이공계 인재 육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대학도 과학기술이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을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조성열 님

전공 기계공학부전공 기계 금속

교육학

해당연도 학기 과목명 과목 내용

2014년 2-2학기 공업 윤리 철학적 관점을 통해 기술로 인해 발생할수 있는 윤리적 이슈를 해석

2015년도 3-2학기2016년도 4-1학기

창의적 공학설계 팀 체제로 공학적 아이디어를 구상하여실제 제작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학습

2016년도 4-2학기 문화와 기술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기술이 사회의 문화와 어떻게 접목되는지 학습하며 수치로 정의할 수 없는 감성의 영역 탐구

2016년도 4-2학기 공업교육론 공업교육을 실제 사회와 연결하는 과정을 학습하며 공업 교사로서 방향성 습득

대학에서 다양한 과학기술학 과목을 수강했습니다 실생활에서 과학기술이 어떻게 쓰이는지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었죠

제가 하는 일이

언제나 제

자신과

지인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학 시절 수강한 과학기술학 과목

과학기술학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철학 과학기술사회학 과학기술정책학 등을 일컫는 분야

02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hellip) 과거에 비해 과학기술을 단순히 경제성장 산업발전의 도구로만 보는 시각에서는 어느 정도 탈

피했다고 할 수 있지만 아직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성에 주목하는 분위기는 낮은 상태입니다

(hellip) 대학생들도 교내에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측면에 대해 고민하고 토론하는 활동이 필요합니다2018 03 24 메일 인터뷰

이영희 교수님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한경희 교수님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hellip)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인 lsquo미래설계공학을 가르

치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산업의 효율성 경제성 등을 높이는 방법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이 가진 근본

적인 의미에 대해서도 고민할 수 있어야 한다는 믿음 때문입니다

(hellip) 과학기술과 사회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고민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방문 인터뷰

(hellip) 그동안의 과학기술 모델은 기술이 사회를 결정하느냐 사회가 기술을 결정하느냐 였습니

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기술과 사회의 앙상블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기술과 사회를 분리하지

만 발전하기 위해서 함께 해야 하죠 이 둘이 만나야 고도화 될 수 있습니다 너무나 유리되어

있는 이 부분을 어떻게 붙여줄 수 있을까요 저는 대학의 교육으로 엮을 수 있다고 봅니다

성지은 박사님과학기술정책연구원 소속

2018 07 12 창원리빙랩포럼방문2018 07 23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방문 인터뷰

PART 01 문제제기 07

하지만학생들은과학기술의사회적쓰임새를배울기회가부족하다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에 대해 고민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전국 이공계열 대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자체 설문조사를 한 결과 현재 재학 중인 대학에 과학기술학 관련

과목이 개설되어있다는 사실을 들어본 적 있는 학생은 51명 이 중 실제로 해당 과목을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은 28명에 불과했다 약 19에 해당하는 이공계 대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에

접하고 있었으며 이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를 배울 기회가 부족함을 의미한다

실제로배워본학생들의 만족도와의견은

1 2 3 4 5

해당과목을들은학생23명에게만족도를물었다

매우불만족스럽다 1 ~ 매우만족스럽다 5

POINT

이과생도 과학기술분야 내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함께 고민해야 하지

그런데 강의실에서 이런 부분을 학습하거나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

다고 생각해 내가 배우는 지식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가치 있게 활용될지

는 잘 모르겠어

N = 146

2018 08 31 ~ 2018 09 03전국 이공계열 대학생(자연공학사범계열)대상 자체 설문조사

Yes (45)

YesNo(66)

34 과학기술학을들어본적있는대학생51명에게

해당과목수강경험을물었다

No55

현재재학중인대학에과학기술학관련과목이개설되어있다는사실을들어본적있습니까

해당과목을수강한경험이있습니까

28명

51명

23명95명

과학기술학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철학 과학기술사회학 과학기술정책학 등을 일컫는 분야

( hellip )

( hellip )

( hellip )

이공계 학생들이 들어야 하는필수 교양과목이라고 생각한다

내 삶과 와닿지 않는다생각했던 내용과 수업느낌이 많이 달랐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사회에미친 영향과 사회의 요구를통해 발전된 과학 기술에 대해배운 것은 흥미 있었으나 일반적인 역사 수업과 크게다른 점이 느껴지지 않았다

과학기술에 대한 윤리의식을 배울 수 있었다

동일 설문에서 해당 교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 23명을 대상으로 수강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lsquo만족스럽지 않다 (2점)rsquo (8명) lsquo보통이다 (3점)rsquo (8명)을 선택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

이 수업의 취지에는 공감을 했으나 과학사에만 치중된 수업 컨텐츠에 아쉬움을 느꼈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다양한 교과목들이 생기기를 바랐다

2명

8명 8명

5명4명

02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안혜진 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화공생명공학과

4학년 재학

대안제시

02왜 과학상점인가

과학상점 소개

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

왜과학상점인가

PART 02 대안제시 09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현실을 진단하다STEP 1

대한민국 정부는 RampD 분야에 경제 개발을 목적으로 막대한 예산을 투자

했지만 국민들의 원하는 lsquo삶의 질 향상rsquo 분야의 투자는 비교적 이루어지지

않았다 경제적 풍요를 이룬 지금 과거처럼 성장만을 위해 달려가기보다

우리 사회가 품은 문제를 해결할 때이다

가까운 미래에 과학기술 발전의 가장 역동적인 주역이 되는 대학생들 지식과

교육에 대한 흡수력이 높은 대학생이 과학기술의 쓰임과 발전 방향에 대해

고민할 때 기술의 가치는 더 높아질 수 있다 대학은 그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STEP 2

시민들이 과학상점의 문을 스스럼없이 두드리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학상점 과학을 전문가들의 전유물로 여기던 관념을

탈피해 누구나 과학기술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한다

과학상점은 과학과 대중의 거리를 좁힌다

과학상점은 과학기술로 우리 지역의 사회 문제를 해결한다

과학상점에서 가능성을 발견하다

과학상점은 지역주민과 시민단체가 의뢰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비영리 단체이다 지역 사회는 이를 통해 더 나은 의사결정의 근거를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과학상점으로현실을 처방하다

① 해당 의뢰가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② 과학상점 이외에는 연구를 수행할 가능성이 없는지

③ 해당 과학상점이 가진 인프라(장비 해당 분야 인력)로 해결가능한지

④ 그 결과를 활용할 주체적인 집단과 역량이 있는지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지역주민과시민단체가의뢰하는사회문제

과학상점은

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코디네이터는 의뢰 받은 문제를 관련 전공의 연구자나 학생들에게 부여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과학상점의 코디네이터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선별 절차를 거친다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에는참여 주체들을잇고 의뢰 받은문제를 선별하는

가 있다

이후 대학과 정부가 마련한 재정을 활용하여 연구자들을 섭외한다

➊문제해결➋문화활동

과학상점 활동은

으로 나뉜다

문제해결

1

이메일 전화 이용

시민문제의뢰

코디네이터기준에 따라

문제 선별

2 3

코디네이터학생 교수

전문기관 등과프로젝트 매칭

연구 주체1 현장답사

2 해결방안 고안3 결론도출

4

코디네이터홈페이지로시민들과결과 공유

5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은 지역주민 주민회

시민단체 여성단체 노동조합 등의

개인이나 단체로부터 과학기술에

관련된 문제를 의뢰받아 지역의

연구기관이나 대학의 연구자들이

시민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지역에 기반을 둔 비영리

연구센터이다 필요에 따라 다른

과학상점 혹은 전문기관과 연계하여

연구를 진행하기도 한다

10

메커니즘

문화활동

과학적 이해와 소통의 계기를 마련하고 과학이 대중 문화에 깊숙이 스며들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축제 컨텐츠 등을 제공한다

(ex) Science et Citeacute (아고라프로젝트 어린이 로봇교실 미친과학자축제)

NCCPE (Glastonbury)

과학상점은 과학물품을 파는 곳이 아닙니다 물건이 필요하면 상점을 가듯

시민들이 일상에서 과학이 필요할 때 누구든지 언제나 방문할 수 있는 기관입니다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2018년 8월 8일 바헤닝언 과학상점 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활동요청지원

연구비 및 제도적 지원

POINT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ART 02 대안제시 11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도로 위 대기 질 측정 프로젝트공학 분야

실제 문제해결 사례

사회 분야네덜란드 바헤닝언

녹지 보존과 주거 수요 충족의 균형

해당 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암스테르담 시의회가주거지 개척보다 녹지 보존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 단체의 의뢰로 시작한 연구가 결국 정부정책에도 영향을 준 과학상점의 성공 사례이다

주거건물 9채를 지을 때 얻는 이익보다 녹지손실 비용인이 더 크다고 발표했다 또한 생태계 다양성 사회 응집성등의 역할이 사라지는 부작용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주거시설확대보다 암스테르담 녹지에 대한 소중함을 강조했다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OINT

실제 문제해결 사례

시민들이 의뢰한 문제를 전문가들이 연구함으로써 정부의 정책에도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제시되었고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더 쾌적한 도로 환경을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도로 위 대기오염 상태가 웹사이트에공개되었고 자전거 이용자들은 이 결과를 통해 이동경로를 선택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연구 자료는정부에 대기오염 개선을 촉구하는 자료로 사용되었다

TEEB 도시 방법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에 의해 제공되는 혜택을 인식하고경제적 측면에서 가치를 입증하는 평가 방법

과정

결과

의의

과정

결과

의의

2000년대 중반 네덜란드 자전거이용자 연합 (Dutch Cyclist UnionDCU)은도로의 대기질을 모니터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전거 이용자들이 공기오염이 덜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자전거에 부착할수 있는 대기질 측정 기구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과학상점에 의뢰하였다 과학상점을 중개로 이 분야의 전문가로 알려진 위트레흐트 환경역학과 교수와함께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네덜란드 시민단체 GPA(The Groen Platform Amsterdam) 는 도시 내의주거시설에 대한 수요와 녹지 보존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바헤닝언과학상점에 연구를 의뢰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lsquoTEEB 도시 방법rsquo을 통해도시 녹지의 다양한 이익을 계산했다 이를 통해 주거지역 개발로 인해 부담해야할 녹지훼손 비용을 탐구했고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PART 02 대안제시 12

우리 기관은 과학과 사회를

잇는 Science communication

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

방안으로 Science et cite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및 문화활동 행사를 개최하여

시민들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매년 lsquo미친 과학자 축제rsquo를 개최한다 최근 행사의 경우 스위스의 베른 박물관에서

진행했다 다과를 먹고 다양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면서 가볍고 재미있는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다 이 축제에서 사람들은 영화 혹은 소설에서 등장하는 괴짜

과학자의 분장을 하고 나타난다 실제 과학자들이 이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과학자에 대한 편견을 깨면서 사람들에게 웃음을 줄 수 있고 친숙함을

선사할 수 있다

스위스에 위치한 Science et Citeacute 재단은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그들은 먼저 시민들이 과학에

대한 거리감을 걷어내고 친근감을 느껴야 한다고 말한다 Science et Citeacute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시옹스 에 시테 시네마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는 자연 과학 기술 등을

주제로 대학생 영화 제작자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상영하는 행사이다 영화

제작자 및 관심있는 아마추어 간의 네트워킹을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NCCPE 영국에 위치한 NCCPE는 대학의 시민참여 연구를 지원하고 대학과 대중의교류를 위해 다양한 문화사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또한 고등교육의 올바른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National Co-ordinating Center

for Public Engagement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Deputy Director

Sophie Duncan 대학생들이 지역사회 축제 프로그램을

기획해서 진행 워크샵 공연 교육 세션등을 통해 학생들이 대중을 만나는방식으로 축제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대학생은 고등 교육기관에서 배운 전공을바탕으로 사회 공헌에 참여하는 방법을익힐 수 있다

대학생 축제 기획 프로그램

실제 문화활동 사례

실제 문제해결 사례

01과학상점 소개

2018년 8월 6일Science et cite 기관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과학상점에서 활동했던

학생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다

암스테르담Athena 과학상점

PART 02 대안제시 13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2 기능2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암스테르담 Athena과학상점 인턴

KarilynGastelbondo

과학상점을 처음 어떻게 알게 되었나요Athena 기관은 Amsterdam 대학교와 연합하여 운영 중입니다 Athena

기관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을 때 자연스럽게 과학상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생도 함께 한다는 말을 듣고 찾아가 시작하였습니다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얻는 benefit은 무엇인가요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했나요 인상 깊었던 점은 무엇이었나요

과학상점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과학기술이 경제적인 부분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알리기 위해서

과학상점이 더욱 필요합니다

과학상점은 많은 사람들과

질문하고 토론하고 고민하는

기관입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성급하지 않게 나아가야

합니다

2018년 8월 10일암스테르담 인터뷰 내용 진행

Master degree과정의 학생들은 장학금을 받거나 학점을 인정받는

형식으로 benefit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바쁜 현실에 살고 있기 때문에 사회를 개선하거나 바꾸는데

선뜻 나서지 못합니다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기도 하구요

하지만 분명히 고쳐져야 하는 많은 문제들이 널려 있습니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서 시민과 과학자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사회와 만나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준다고

생각합니다 강의 시간에 이론만을 배우거나 좁은 실험실 안에서만

연구하다 보면 시야가 협소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좁은 안목으로

바라보는게 아니라 더 넓은 세상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는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Amsterdam Athena 과학상점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모니터링 하는 일에

참여하고 있죠 프로젝트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처음에 의도한 방향을

잘 유지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상점의 전반적인 운영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과학상점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생각할 수 있는 프로젝트였어요 과학상점이 지역사회에 안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굉장히 필요하고 좋은 영향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

니다

지금은 방학 10주 동안 바르셀로나 IrsiCaixa 과학상점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HIV에 관한 연구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에이즈

연구기관과 함께 협업하고 있죠 수업시간에는 접해보지 못했을 분야지만

과학상점을 통해 저도 배우고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을 통해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기쁩니다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14

과학상점 형태3

대학기반

프로그램 인턴 형태의 과학상점과 달리 코디네이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 스스로 코디네이터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유럽에서는 많은 과학상점들이 대학의 부속기구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들은 다양한 운영형태로 과학상점에 참여하고 있다

시민의 의뢰를 받아 코디네이터가 연구 적절성을 판단한 후 연구 팀을 구성한다

교내 위원회나 상위 부서로부터 예산을 조달 받으며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예산

지급 여부 및 예산액이 결정된다

(ex)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Athena Science Shop VU University Amsterdam)

(ex) 유럽 내 대부분 대학기반 과학상점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Victoria) 호주 시드니 공과대학교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학생 연구자 및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을 이룬다 특징으로 다른 과학상점 및 기관에

인턴을 파견하여 해당 기관의 연구와 작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ex)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공과대학 (University of Technology Eindhoven)

미국(UC Berkeley Science Shop

학생자체운영(동아리)

프로그램

인턴

비정부기구

대학과 독립적으로 비정부기구로 운영되는 과학상점이다 지역에 기반을 둔 NGO에

의해 조직되어 운영되며 지역주민에게 사회 기술 환경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

할 수 있는 자원 및 설비를 제공한다 또 그들이 직접 행동할 수 있도록 법과 정책

등을 통해 돕는 일을 한다 대학기반유형보다 전문적 인력이 운영한다

(ex) 미국 대부분의 과학상점 독일 본 과학상점 아일랜드 캠퍼스 인게이지 아일랜드 NCCPE 로고

비정부기구지역middot국가middot국제적으로 조직된자발적인 비영리시민단체사회복지학사전(2009)

POINT

유럽의 대부분의 과학상점이 대학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 네트워크로 구성돼 있는 반면미국의 과학상점은 독립적이고 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연구센터가 중심이 된다

과학상점이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형태를 띤 것은 아니었다

초기에는 과학상점이란 용어조차 없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는 과학상점이 명함상자 하나로 시작되었다

명함상자를 며칠 놓아두고 해결하고 싶은 문제와 의뢰인이 적힌

명함이 가득 차기를 기다렸다 상자를 다시 가져 와서 명함의 내용을

조사한 후 과학자들을 찾아가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문의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1979년 네덜란드 교육과학부가 암스테르담 대학

과학상점을 공식화하면서 과학상점 제도화의 기틀이 마련됐다A History of Science Shops in the Netherlands (The University of Amsterdam

Masters Thesis UU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Jurgen Sijbren Sijbrandij)

네덜란드에서 과학상점이 공식 기구임을 입증하는 논문

02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PART 02 대안제시 15

과학기술을 좀 더 평화적이고 대중적으로 발전시키고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하고자 했던 전문가들 세금으로

지원받은 학비를 시민들에게 보답하고자 하는

대학생들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정부의

삼박자로 lsquo과학상점 운동rsquo이 시작되었다

마침내 1974년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에서 최초의

과학상점인 lsquo화학상점rsquo이 개설된다

1970년대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했던 과학자와 대학생들은 과학상점을 창안해냈다시간이 흐르면서 그 시대가 가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조금씩 변해가며 오늘날까지 발전하고 있다

최초의 과학상점 lsquo화학상점rsquo 이 개설되다

네덜란드 이외의 유럽 국가인 프랑스 독일 덴마크

벨기에 등지에 과학상점이 확산되었다 당시

환경운동이 성장하며 환경 과학 관련 학과들이 대학에

생겨났고 환경오염에 대해 고민하는 전문가들과

학생들로부터 과학상점이 설립되게 된다

1980년대

당대의 이슈 환경운동과 함께 확산되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과학상점 간의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이는 2000년 과학상점들의 국제

네트워크 발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과학상점은 유럽을 너머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등으로 퍼져 나간다

1990년대

과학상점 네트워크 형성으로세계로 뻗어 나가다

1960년대

1955년 11월 1일 발발하여 1975년 4월 30일까지

약 20여년간 지속된 베트남 전쟁 본격적으로

화학전이 시작된 전쟁으로 당시 과학자들은 무자비한

화학전이 펼쳐지는 것을 보며 전쟁이 빚어 낸 파괴적

지식의 성찰을 공유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다

PART 02 대안제시 16

현재 전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인 과학상점

최초의 과학상점이 생긴 후 약 40년이 지난 지금 Living Knowledge Network (이하 LKN) 가입 여부를 기준으로 전 세계 87여개의 과학상점이 27개국에 존재한다

2018년 5월 30일-6월 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전 세계 33 개국 약 250명 참석

유럽 과학상점 분포 현황

전 세계 과학상점을 하나로 연결하는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리빙놀리지네트워크 관계자가 주최하는 비정기적 온라인과학기술 동향 토론회 소셜 미디어 라이브로 진행하며 이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1-2년 간격으로 컨퍼런스를 개최 연구 성과 공유 지속 가능한발전에 대한 논의 유럽 연합 커미션 아젠다 토론 등을 진행한다

Living Knowledge Conference 개최

뉴스레터 배부

각 과학상점에 대한 최신 동향을알리는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발행하여 LKN에 소속된 과학상점에배부한다

Web-inar (web+seminar) 진행

정기 행사

활동 공유

국제 과학상점 네트워크로 2000년 과학상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제도적 지원

비정기 행사

이처럼 과학상점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 있고 같은 가치를 공유하며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유럽 각지에서 과학상점 전통이이어지고 있다

Living Knowledge Network 가입기준

유럽22개국66개비유럽6개국20개

0 2 4 6 10개 이상

비유럽국가분포현황

오스트레일리아(1) 캐나다(6)아이티(1)

이스라엘 (1) 미국(10)남아프리카공화국(1)

과학상점 10

03과거 국내 과학상점

해외탐방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2: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여는말

대한민국 헌법 제 127조 1항

우리나라는 625 전쟁 이후 세계 최빈국 중 하나였지만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정부의 끊임없는 투자와 연구자들의헌신을 바탕으로 눈부신 경제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대다수 시민들은 전문가의 영역인과학기술과 유리되었고 우리 삶의 질과 직결된 이슈들은경제 발전라는 그늘 아래 주목받지 못했습니다

국가는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 및 인력의 개발을 통하여국가경제의 발전에 노력하여야 한다

우리는 질문했습니다lsquo 과학기술은 무엇을 위해 존재할까요rsquo

우리의 도전은 여기서부터 시작됐습니다

INDEX

대안 제시왜 과학상점인가 9

과학상점 소개 10-14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기능2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과학상점 형태

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 15-16

과학상점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18-21

해외탐방 22-35

SNSF Science et Citeacute

Bonn Science Shop Living Knowledge Network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ampus Engage

과학상점20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38-48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제도화

과학상점 카페

기대효과 49

문제 제기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4-5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6-7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36

문제제기

01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NO 1

PART 01 문제제기 04

우리나라는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정부의 아낌없는 투자를 통해 소위 lsquo한강의 기적rsquo이라 불리는 경이로운 발전을 이루었다 625 전쟁을 겪은 1950년대 우리나라는자본과 자원이 부족한 가운데 집중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수출주도형 경제구조를 탄생시켰다

국민총소득(GNI)

한나라의 국민이 국내외 생산 활동에참가하거나 생산에 필요한 자산을 제공한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

출처 통계용어 middot 지표의 이해 2015 4 통계청

이렇듯 쉴 틈없이 경제개발을위해 달려온 지난 수십년동안 과학기술의 잠재력이나또 다른 쓰임에 대해 생각할여유가 없었다

대한민국 발전의 초석이 된 과학기술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28380 $

압축성장기(산업화 민주화)

전환기(정보화 국제화)

기술자립기반조성

기술드라이브정책전개

세계시장 확보정책추진

세계시장 선도정책추진

과학기술을 통한경제 재도약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17년 기준1인당 국민총소득

단위 달러

국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과학기술을 고민해야 한다

POINT

2016년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이생각하는 국가핵심전략기술 선정의 기준 중 lsquo삶의 질rsquo 항목이60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실제 RampD 투자는lsquo경제 연구 성장 제품rsquo을 키워드로 한 활동에 집중되었기 때문에국민들의 바람을 충분히 담지 못했다

하지만 lsquo발전rsquo의 나무에 lsquo삶의 질rsquo이란 열매는 없었다

과학기술 강국으로 우뚝 선 오늘날의 대한민국

그 결과 우리나라 국민총소득은2017년 기준 28380 달러를 달성했고반도체 휴대폰 조선 디스플레이 등주력 산업에서 세계시장 1위를기록하는 경제강국이 되었다

반도체 (D램)

731

휴대폰

24

조선

34

디스플레이

422

2017년 4분기 기준 세계 시장점유율

삶의

602

경제발전

435

국민이 생각하는국가핵심전략기술은

실제 정부 RampD 투자비율은

2016 미래창조과학부

01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기술의 경제개발적 쓰임에 주목했던 정부1

출처 사회발전과 과학기술 20031 과학기술정책연구원

PART 01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 방사선 안전관리법 기준치

연간 1mSv 초과 금지

08 2410 6

모 침대업체 매트리스 7종연간 피폭선량 조사결과

기존의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대한 성찰로

lsquo국민생활연구rsquo가 주목받고 있다 우리 사회의

도전 과제 (Societal challenge) 해결이

최우선 목표인 것이다 고령화 기후변화 안전

문제 보건 middot 의료 문제 양극화 문제 등 사회

전체가 공동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를 다룬다

이는 특정 산업 기업 육성이나 과학기술 분야

그 자체의 발전을 우선시하는 전통 접근과는

결이 다르다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매우 공공성 강한

활동이고 우리 사회를 더욱더 지속 가능하고

살 만한 곳으로 전환시키는 노력이다

살충제 계란 미세먼지 가습기 살균제 라돈 침대까지hellip

국민들은 과학기술을 활용한 더 나은 삶을 원한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살충제 계란 파동 미세먼지 등 다양한 사회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근원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 역할에 대해 국민들의 요구가 점점 증가해왔으나 그 기대에 완벽히 부응하지는 못했다

정부 lsquo국민생활연구rsquo를 확대하다

기존연구개발체계

Change

최근연구개발체계

필요성느끼는

정책담당하는

연구개발수행하는

국가전략또는경제성장삶의질향상

과학기술의혜택이모든국민에게

과학기술경쟁력확보 사회문제해결

공급자중심의연구개발수요자참여형연구개발

기술+ 인문사회+ 법제도융합

연구개발부서중심 연구개발부서와정책부서협업

논문특허등연구산출물 새로운사회적서비스 제품

목적

목표

특징

주체

결과

안전

환경

건강

편리

재해 교통사고사이버 범죄

대기 수질 소음유해 화학물질

질병 의료식품 위생

고독사공공서비스

middot 도심 지하붕괴 인명 탐지 및 구조middot 한국형 조기경보체계 구축

middot 미세플라스틱의 해양생태계 middot인체 middot 위협 대응middot 인공강우 유발을 통한 가뭄 대응

middot 감염병 예측 및 감시망 구축middot 화학물질 첨가 식품 위해성 차단

middot IoT 기반 독거노인 생활 복지 서비스 제공middot 시각장애인을 위한 문화 향유 보조

분야 주요 문제 연구 내용

주요 국민생활문제 및 연구분야(예시)

01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경제개발 뿐 아니라 삶의 질에 주목하는 과학기술2

PART 01 문제제기 06

대학은고등교육기관으로서 과학기술을 다루는올바른방향성을 습득하는 장소가되어야 한다

과학기술교육자와전문가들은이공계대학현장을어떻게바라보고있을까

우리는 대학생 시절 과학기술의 발전 방향과 가치에 대한 교육을 받고 스스로 고민한 결과 lsquo발전을 위한 발전rsquo만이

아닌 lsquo사회적인 가치를 높이는 연구rsquo를 하고 있는 공학도를 만났다 현재 특수 분야 세척기를 제작하는 회사에서 설계

및 연구직으로 근무중인 조성열 님은 대학에서의 경험을 통해 자신이 전공한 기계 공학분야의 지식이 소비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민하게 되었다 현재 그는 더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과학기술의방향을고민해본사람이 과학기술의가치를높일수있다

가까운 미래에 과학기술 발전의 가장 역동적인 주역이 되는 것은 이공계 대학생들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기술

자체뿐 아니라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교육이 마련되어야 바람직한 이공계 인재 육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대학도 과학기술이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을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조성열 님

전공 기계공학부전공 기계 금속

교육학

해당연도 학기 과목명 과목 내용

2014년 2-2학기 공업 윤리 철학적 관점을 통해 기술로 인해 발생할수 있는 윤리적 이슈를 해석

2015년도 3-2학기2016년도 4-1학기

창의적 공학설계 팀 체제로 공학적 아이디어를 구상하여실제 제작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학습

2016년도 4-2학기 문화와 기술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기술이 사회의 문화와 어떻게 접목되는지 학습하며 수치로 정의할 수 없는 감성의 영역 탐구

2016년도 4-2학기 공업교육론 공업교육을 실제 사회와 연결하는 과정을 학습하며 공업 교사로서 방향성 습득

대학에서 다양한 과학기술학 과목을 수강했습니다 실생활에서 과학기술이 어떻게 쓰이는지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었죠

제가 하는 일이

언제나 제

자신과

지인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학 시절 수강한 과학기술학 과목

과학기술학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철학 과학기술사회학 과학기술정책학 등을 일컫는 분야

02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hellip) 과거에 비해 과학기술을 단순히 경제성장 산업발전의 도구로만 보는 시각에서는 어느 정도 탈

피했다고 할 수 있지만 아직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성에 주목하는 분위기는 낮은 상태입니다

(hellip) 대학생들도 교내에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측면에 대해 고민하고 토론하는 활동이 필요합니다2018 03 24 메일 인터뷰

이영희 교수님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한경희 교수님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hellip)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인 lsquo미래설계공학을 가르

치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산업의 효율성 경제성 등을 높이는 방법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이 가진 근본

적인 의미에 대해서도 고민할 수 있어야 한다는 믿음 때문입니다

(hellip) 과학기술과 사회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고민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방문 인터뷰

(hellip) 그동안의 과학기술 모델은 기술이 사회를 결정하느냐 사회가 기술을 결정하느냐 였습니

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기술과 사회의 앙상블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기술과 사회를 분리하지

만 발전하기 위해서 함께 해야 하죠 이 둘이 만나야 고도화 될 수 있습니다 너무나 유리되어

있는 이 부분을 어떻게 붙여줄 수 있을까요 저는 대학의 교육으로 엮을 수 있다고 봅니다

성지은 박사님과학기술정책연구원 소속

2018 07 12 창원리빙랩포럼방문2018 07 23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방문 인터뷰

PART 01 문제제기 07

하지만학생들은과학기술의사회적쓰임새를배울기회가부족하다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에 대해 고민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전국 이공계열 대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자체 설문조사를 한 결과 현재 재학 중인 대학에 과학기술학 관련

과목이 개설되어있다는 사실을 들어본 적 있는 학생은 51명 이 중 실제로 해당 과목을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은 28명에 불과했다 약 19에 해당하는 이공계 대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에

접하고 있었으며 이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를 배울 기회가 부족함을 의미한다

실제로배워본학생들의 만족도와의견은

1 2 3 4 5

해당과목을들은학생23명에게만족도를물었다

매우불만족스럽다 1 ~ 매우만족스럽다 5

POINT

이과생도 과학기술분야 내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함께 고민해야 하지

그런데 강의실에서 이런 부분을 학습하거나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

다고 생각해 내가 배우는 지식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가치 있게 활용될지

는 잘 모르겠어

N = 146

2018 08 31 ~ 2018 09 03전국 이공계열 대학생(자연공학사범계열)대상 자체 설문조사

Yes (45)

YesNo(66)

34 과학기술학을들어본적있는대학생51명에게

해당과목수강경험을물었다

No55

현재재학중인대학에과학기술학관련과목이개설되어있다는사실을들어본적있습니까

해당과목을수강한경험이있습니까

28명

51명

23명95명

과학기술학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철학 과학기술사회학 과학기술정책학 등을 일컫는 분야

( hellip )

( hellip )

( hellip )

이공계 학생들이 들어야 하는필수 교양과목이라고 생각한다

내 삶과 와닿지 않는다생각했던 내용과 수업느낌이 많이 달랐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사회에미친 영향과 사회의 요구를통해 발전된 과학 기술에 대해배운 것은 흥미 있었으나 일반적인 역사 수업과 크게다른 점이 느껴지지 않았다

과학기술에 대한 윤리의식을 배울 수 있었다

동일 설문에서 해당 교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 23명을 대상으로 수강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lsquo만족스럽지 않다 (2점)rsquo (8명) lsquo보통이다 (3점)rsquo (8명)을 선택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

이 수업의 취지에는 공감을 했으나 과학사에만 치중된 수업 컨텐츠에 아쉬움을 느꼈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다양한 교과목들이 생기기를 바랐다

2명

8명 8명

5명4명

02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안혜진 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화공생명공학과

4학년 재학

대안제시

02왜 과학상점인가

과학상점 소개

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

왜과학상점인가

PART 02 대안제시 09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현실을 진단하다STEP 1

대한민국 정부는 RampD 분야에 경제 개발을 목적으로 막대한 예산을 투자

했지만 국민들의 원하는 lsquo삶의 질 향상rsquo 분야의 투자는 비교적 이루어지지

않았다 경제적 풍요를 이룬 지금 과거처럼 성장만을 위해 달려가기보다

우리 사회가 품은 문제를 해결할 때이다

가까운 미래에 과학기술 발전의 가장 역동적인 주역이 되는 대학생들 지식과

교육에 대한 흡수력이 높은 대학생이 과학기술의 쓰임과 발전 방향에 대해

고민할 때 기술의 가치는 더 높아질 수 있다 대학은 그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STEP 2

시민들이 과학상점의 문을 스스럼없이 두드리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학상점 과학을 전문가들의 전유물로 여기던 관념을

탈피해 누구나 과학기술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한다

과학상점은 과학과 대중의 거리를 좁힌다

과학상점은 과학기술로 우리 지역의 사회 문제를 해결한다

과학상점에서 가능성을 발견하다

과학상점은 지역주민과 시민단체가 의뢰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비영리 단체이다 지역 사회는 이를 통해 더 나은 의사결정의 근거를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과학상점으로현실을 처방하다

① 해당 의뢰가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② 과학상점 이외에는 연구를 수행할 가능성이 없는지

③ 해당 과학상점이 가진 인프라(장비 해당 분야 인력)로 해결가능한지

④ 그 결과를 활용할 주체적인 집단과 역량이 있는지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지역주민과시민단체가의뢰하는사회문제

과학상점은

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코디네이터는 의뢰 받은 문제를 관련 전공의 연구자나 학생들에게 부여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과학상점의 코디네이터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선별 절차를 거친다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에는참여 주체들을잇고 의뢰 받은문제를 선별하는

가 있다

이후 대학과 정부가 마련한 재정을 활용하여 연구자들을 섭외한다

➊문제해결➋문화활동

과학상점 활동은

으로 나뉜다

문제해결

1

이메일 전화 이용

시민문제의뢰

코디네이터기준에 따라

문제 선별

2 3

코디네이터학생 교수

전문기관 등과프로젝트 매칭

연구 주체1 현장답사

2 해결방안 고안3 결론도출

4

코디네이터홈페이지로시민들과결과 공유

5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은 지역주민 주민회

시민단체 여성단체 노동조합 등의

개인이나 단체로부터 과학기술에

관련된 문제를 의뢰받아 지역의

연구기관이나 대학의 연구자들이

시민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지역에 기반을 둔 비영리

연구센터이다 필요에 따라 다른

과학상점 혹은 전문기관과 연계하여

연구를 진행하기도 한다

10

메커니즘

문화활동

과학적 이해와 소통의 계기를 마련하고 과학이 대중 문화에 깊숙이 스며들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축제 컨텐츠 등을 제공한다

(ex) Science et Citeacute (아고라프로젝트 어린이 로봇교실 미친과학자축제)

NCCPE (Glastonbury)

과학상점은 과학물품을 파는 곳이 아닙니다 물건이 필요하면 상점을 가듯

시민들이 일상에서 과학이 필요할 때 누구든지 언제나 방문할 수 있는 기관입니다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2018년 8월 8일 바헤닝언 과학상점 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활동요청지원

연구비 및 제도적 지원

POINT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ART 02 대안제시 11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도로 위 대기 질 측정 프로젝트공학 분야

실제 문제해결 사례

사회 분야네덜란드 바헤닝언

녹지 보존과 주거 수요 충족의 균형

해당 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암스테르담 시의회가주거지 개척보다 녹지 보존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 단체의 의뢰로 시작한 연구가 결국 정부정책에도 영향을 준 과학상점의 성공 사례이다

주거건물 9채를 지을 때 얻는 이익보다 녹지손실 비용인이 더 크다고 발표했다 또한 생태계 다양성 사회 응집성등의 역할이 사라지는 부작용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주거시설확대보다 암스테르담 녹지에 대한 소중함을 강조했다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OINT

실제 문제해결 사례

시민들이 의뢰한 문제를 전문가들이 연구함으로써 정부의 정책에도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제시되었고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더 쾌적한 도로 환경을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도로 위 대기오염 상태가 웹사이트에공개되었고 자전거 이용자들은 이 결과를 통해 이동경로를 선택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연구 자료는정부에 대기오염 개선을 촉구하는 자료로 사용되었다

TEEB 도시 방법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에 의해 제공되는 혜택을 인식하고경제적 측면에서 가치를 입증하는 평가 방법

과정

결과

의의

과정

결과

의의

2000년대 중반 네덜란드 자전거이용자 연합 (Dutch Cyclist UnionDCU)은도로의 대기질을 모니터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전거 이용자들이 공기오염이 덜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자전거에 부착할수 있는 대기질 측정 기구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과학상점에 의뢰하였다 과학상점을 중개로 이 분야의 전문가로 알려진 위트레흐트 환경역학과 교수와함께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네덜란드 시민단체 GPA(The Groen Platform Amsterdam) 는 도시 내의주거시설에 대한 수요와 녹지 보존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바헤닝언과학상점에 연구를 의뢰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lsquoTEEB 도시 방법rsquo을 통해도시 녹지의 다양한 이익을 계산했다 이를 통해 주거지역 개발로 인해 부담해야할 녹지훼손 비용을 탐구했고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PART 02 대안제시 12

우리 기관은 과학과 사회를

잇는 Science communication

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

방안으로 Science et cite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및 문화활동 행사를 개최하여

시민들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매년 lsquo미친 과학자 축제rsquo를 개최한다 최근 행사의 경우 스위스의 베른 박물관에서

진행했다 다과를 먹고 다양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면서 가볍고 재미있는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다 이 축제에서 사람들은 영화 혹은 소설에서 등장하는 괴짜

과학자의 분장을 하고 나타난다 실제 과학자들이 이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과학자에 대한 편견을 깨면서 사람들에게 웃음을 줄 수 있고 친숙함을

선사할 수 있다

스위스에 위치한 Science et Citeacute 재단은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그들은 먼저 시민들이 과학에

대한 거리감을 걷어내고 친근감을 느껴야 한다고 말한다 Science et Citeacute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시옹스 에 시테 시네마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는 자연 과학 기술 등을

주제로 대학생 영화 제작자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상영하는 행사이다 영화

제작자 및 관심있는 아마추어 간의 네트워킹을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NCCPE 영국에 위치한 NCCPE는 대학의 시민참여 연구를 지원하고 대학과 대중의교류를 위해 다양한 문화사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또한 고등교육의 올바른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National Co-ordinating Center

for Public Engagement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Deputy Director

Sophie Duncan 대학생들이 지역사회 축제 프로그램을

기획해서 진행 워크샵 공연 교육 세션등을 통해 학생들이 대중을 만나는방식으로 축제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대학생은 고등 교육기관에서 배운 전공을바탕으로 사회 공헌에 참여하는 방법을익힐 수 있다

대학생 축제 기획 프로그램

실제 문화활동 사례

실제 문제해결 사례

01과학상점 소개

2018년 8월 6일Science et cite 기관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과학상점에서 활동했던

학생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다

암스테르담Athena 과학상점

PART 02 대안제시 13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2 기능2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암스테르담 Athena과학상점 인턴

KarilynGastelbondo

과학상점을 처음 어떻게 알게 되었나요Athena 기관은 Amsterdam 대학교와 연합하여 운영 중입니다 Athena

기관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을 때 자연스럽게 과학상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생도 함께 한다는 말을 듣고 찾아가 시작하였습니다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얻는 benefit은 무엇인가요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했나요 인상 깊었던 점은 무엇이었나요

과학상점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과학기술이 경제적인 부분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알리기 위해서

과학상점이 더욱 필요합니다

과학상점은 많은 사람들과

질문하고 토론하고 고민하는

기관입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성급하지 않게 나아가야

합니다

2018년 8월 10일암스테르담 인터뷰 내용 진행

Master degree과정의 학생들은 장학금을 받거나 학점을 인정받는

형식으로 benefit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바쁜 현실에 살고 있기 때문에 사회를 개선하거나 바꾸는데

선뜻 나서지 못합니다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기도 하구요

하지만 분명히 고쳐져야 하는 많은 문제들이 널려 있습니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서 시민과 과학자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사회와 만나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준다고

생각합니다 강의 시간에 이론만을 배우거나 좁은 실험실 안에서만

연구하다 보면 시야가 협소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좁은 안목으로

바라보는게 아니라 더 넓은 세상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는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Amsterdam Athena 과학상점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모니터링 하는 일에

참여하고 있죠 프로젝트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처음에 의도한 방향을

잘 유지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상점의 전반적인 운영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과학상점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생각할 수 있는 프로젝트였어요 과학상점이 지역사회에 안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굉장히 필요하고 좋은 영향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

니다

지금은 방학 10주 동안 바르셀로나 IrsiCaixa 과학상점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HIV에 관한 연구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에이즈

연구기관과 함께 협업하고 있죠 수업시간에는 접해보지 못했을 분야지만

과학상점을 통해 저도 배우고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을 통해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기쁩니다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14

과학상점 형태3

대학기반

프로그램 인턴 형태의 과학상점과 달리 코디네이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 스스로 코디네이터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유럽에서는 많은 과학상점들이 대학의 부속기구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들은 다양한 운영형태로 과학상점에 참여하고 있다

시민의 의뢰를 받아 코디네이터가 연구 적절성을 판단한 후 연구 팀을 구성한다

교내 위원회나 상위 부서로부터 예산을 조달 받으며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예산

지급 여부 및 예산액이 결정된다

(ex)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Athena Science Shop VU University Amsterdam)

(ex) 유럽 내 대부분 대학기반 과학상점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Victoria) 호주 시드니 공과대학교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학생 연구자 및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을 이룬다 특징으로 다른 과학상점 및 기관에

인턴을 파견하여 해당 기관의 연구와 작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ex)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공과대학 (University of Technology Eindhoven)

미국(UC Berkeley Science Shop

학생자체운영(동아리)

프로그램

인턴

비정부기구

대학과 독립적으로 비정부기구로 운영되는 과학상점이다 지역에 기반을 둔 NGO에

의해 조직되어 운영되며 지역주민에게 사회 기술 환경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

할 수 있는 자원 및 설비를 제공한다 또 그들이 직접 행동할 수 있도록 법과 정책

등을 통해 돕는 일을 한다 대학기반유형보다 전문적 인력이 운영한다

(ex) 미국 대부분의 과학상점 독일 본 과학상점 아일랜드 캠퍼스 인게이지 아일랜드 NCCPE 로고

비정부기구지역middot국가middot국제적으로 조직된자발적인 비영리시민단체사회복지학사전(2009)

POINT

유럽의 대부분의 과학상점이 대학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 네트워크로 구성돼 있는 반면미국의 과학상점은 독립적이고 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연구센터가 중심이 된다

과학상점이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형태를 띤 것은 아니었다

초기에는 과학상점이란 용어조차 없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는 과학상점이 명함상자 하나로 시작되었다

명함상자를 며칠 놓아두고 해결하고 싶은 문제와 의뢰인이 적힌

명함이 가득 차기를 기다렸다 상자를 다시 가져 와서 명함의 내용을

조사한 후 과학자들을 찾아가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문의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1979년 네덜란드 교육과학부가 암스테르담 대학

과학상점을 공식화하면서 과학상점 제도화의 기틀이 마련됐다A History of Science Shops in the Netherlands (The University of Amsterdam

Masters Thesis UU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Jurgen Sijbren Sijbrandij)

네덜란드에서 과학상점이 공식 기구임을 입증하는 논문

02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PART 02 대안제시 15

과학기술을 좀 더 평화적이고 대중적으로 발전시키고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하고자 했던 전문가들 세금으로

지원받은 학비를 시민들에게 보답하고자 하는

대학생들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정부의

삼박자로 lsquo과학상점 운동rsquo이 시작되었다

마침내 1974년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에서 최초의

과학상점인 lsquo화학상점rsquo이 개설된다

1970년대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했던 과학자와 대학생들은 과학상점을 창안해냈다시간이 흐르면서 그 시대가 가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조금씩 변해가며 오늘날까지 발전하고 있다

최초의 과학상점 lsquo화학상점rsquo 이 개설되다

네덜란드 이외의 유럽 국가인 프랑스 독일 덴마크

벨기에 등지에 과학상점이 확산되었다 당시

환경운동이 성장하며 환경 과학 관련 학과들이 대학에

생겨났고 환경오염에 대해 고민하는 전문가들과

학생들로부터 과학상점이 설립되게 된다

1980년대

당대의 이슈 환경운동과 함께 확산되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과학상점 간의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이는 2000년 과학상점들의 국제

네트워크 발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과학상점은 유럽을 너머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등으로 퍼져 나간다

1990년대

과학상점 네트워크 형성으로세계로 뻗어 나가다

1960년대

1955년 11월 1일 발발하여 1975년 4월 30일까지

약 20여년간 지속된 베트남 전쟁 본격적으로

화학전이 시작된 전쟁으로 당시 과학자들은 무자비한

화학전이 펼쳐지는 것을 보며 전쟁이 빚어 낸 파괴적

지식의 성찰을 공유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다

PART 02 대안제시 16

현재 전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인 과학상점

최초의 과학상점이 생긴 후 약 40년이 지난 지금 Living Knowledge Network (이하 LKN) 가입 여부를 기준으로 전 세계 87여개의 과학상점이 27개국에 존재한다

2018년 5월 30일-6월 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전 세계 33 개국 약 250명 참석

유럽 과학상점 분포 현황

전 세계 과학상점을 하나로 연결하는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리빙놀리지네트워크 관계자가 주최하는 비정기적 온라인과학기술 동향 토론회 소셜 미디어 라이브로 진행하며 이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1-2년 간격으로 컨퍼런스를 개최 연구 성과 공유 지속 가능한발전에 대한 논의 유럽 연합 커미션 아젠다 토론 등을 진행한다

Living Knowledge Conference 개최

뉴스레터 배부

각 과학상점에 대한 최신 동향을알리는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발행하여 LKN에 소속된 과학상점에배부한다

Web-inar (web+seminar) 진행

정기 행사

활동 공유

국제 과학상점 네트워크로 2000년 과학상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제도적 지원

비정기 행사

이처럼 과학상점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 있고 같은 가치를 공유하며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유럽 각지에서 과학상점 전통이이어지고 있다

Living Knowledge Network 가입기준

유럽22개국66개비유럽6개국20개

0 2 4 6 10개 이상

비유럽국가분포현황

오스트레일리아(1) 캐나다(6)아이티(1)

이스라엘 (1) 미국(10)남아프리카공화국(1)

과학상점 10

03과거 국내 과학상점

해외탐방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3: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INDEX

대안 제시왜 과학상점인가 9

과학상점 소개 10-14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기능2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과학상점 형태

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 15-16

과학상점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18-21

해외탐방 22-35

SNSF Science et Citeacute

Bonn Science Shop Living Knowledge Network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ampus Engage

과학상점20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38-48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제도화

과학상점 카페

기대효과 49

문제 제기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4-5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6-7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36

문제제기

01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NO 1

PART 01 문제제기 04

우리나라는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정부의 아낌없는 투자를 통해 소위 lsquo한강의 기적rsquo이라 불리는 경이로운 발전을 이루었다 625 전쟁을 겪은 1950년대 우리나라는자본과 자원이 부족한 가운데 집중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수출주도형 경제구조를 탄생시켰다

국민총소득(GNI)

한나라의 국민이 국내외 생산 활동에참가하거나 생산에 필요한 자산을 제공한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

출처 통계용어 middot 지표의 이해 2015 4 통계청

이렇듯 쉴 틈없이 경제개발을위해 달려온 지난 수십년동안 과학기술의 잠재력이나또 다른 쓰임에 대해 생각할여유가 없었다

대한민국 발전의 초석이 된 과학기술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28380 $

압축성장기(산업화 민주화)

전환기(정보화 국제화)

기술자립기반조성

기술드라이브정책전개

세계시장 확보정책추진

세계시장 선도정책추진

과학기술을 통한경제 재도약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17년 기준1인당 국민총소득

단위 달러

국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과학기술을 고민해야 한다

POINT

2016년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이생각하는 국가핵심전략기술 선정의 기준 중 lsquo삶의 질rsquo 항목이60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실제 RampD 투자는lsquo경제 연구 성장 제품rsquo을 키워드로 한 활동에 집중되었기 때문에국민들의 바람을 충분히 담지 못했다

하지만 lsquo발전rsquo의 나무에 lsquo삶의 질rsquo이란 열매는 없었다

과학기술 강국으로 우뚝 선 오늘날의 대한민국

그 결과 우리나라 국민총소득은2017년 기준 28380 달러를 달성했고반도체 휴대폰 조선 디스플레이 등주력 산업에서 세계시장 1위를기록하는 경제강국이 되었다

반도체 (D램)

731

휴대폰

24

조선

34

디스플레이

422

2017년 4분기 기준 세계 시장점유율

삶의

602

경제발전

435

국민이 생각하는국가핵심전략기술은

실제 정부 RampD 투자비율은

2016 미래창조과학부

01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기술의 경제개발적 쓰임에 주목했던 정부1

출처 사회발전과 과학기술 20031 과학기술정책연구원

PART 01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 방사선 안전관리법 기준치

연간 1mSv 초과 금지

08 2410 6

모 침대업체 매트리스 7종연간 피폭선량 조사결과

기존의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대한 성찰로

lsquo국민생활연구rsquo가 주목받고 있다 우리 사회의

도전 과제 (Societal challenge) 해결이

최우선 목표인 것이다 고령화 기후변화 안전

문제 보건 middot 의료 문제 양극화 문제 등 사회

전체가 공동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를 다룬다

이는 특정 산업 기업 육성이나 과학기술 분야

그 자체의 발전을 우선시하는 전통 접근과는

결이 다르다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매우 공공성 강한

활동이고 우리 사회를 더욱더 지속 가능하고

살 만한 곳으로 전환시키는 노력이다

살충제 계란 미세먼지 가습기 살균제 라돈 침대까지hellip

국민들은 과학기술을 활용한 더 나은 삶을 원한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살충제 계란 파동 미세먼지 등 다양한 사회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근원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 역할에 대해 국민들의 요구가 점점 증가해왔으나 그 기대에 완벽히 부응하지는 못했다

정부 lsquo국민생활연구rsquo를 확대하다

기존연구개발체계

Change

최근연구개발체계

필요성느끼는

정책담당하는

연구개발수행하는

국가전략또는경제성장삶의질향상

과학기술의혜택이모든국민에게

과학기술경쟁력확보 사회문제해결

공급자중심의연구개발수요자참여형연구개발

기술+ 인문사회+ 법제도융합

연구개발부서중심 연구개발부서와정책부서협업

논문특허등연구산출물 새로운사회적서비스 제품

목적

목표

특징

주체

결과

안전

환경

건강

편리

재해 교통사고사이버 범죄

대기 수질 소음유해 화학물질

질병 의료식품 위생

고독사공공서비스

middot 도심 지하붕괴 인명 탐지 및 구조middot 한국형 조기경보체계 구축

middot 미세플라스틱의 해양생태계 middot인체 middot 위협 대응middot 인공강우 유발을 통한 가뭄 대응

middot 감염병 예측 및 감시망 구축middot 화학물질 첨가 식품 위해성 차단

middot IoT 기반 독거노인 생활 복지 서비스 제공middot 시각장애인을 위한 문화 향유 보조

분야 주요 문제 연구 내용

주요 국민생활문제 및 연구분야(예시)

01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경제개발 뿐 아니라 삶의 질에 주목하는 과학기술2

PART 01 문제제기 06

대학은고등교육기관으로서 과학기술을 다루는올바른방향성을 습득하는 장소가되어야 한다

과학기술교육자와전문가들은이공계대학현장을어떻게바라보고있을까

우리는 대학생 시절 과학기술의 발전 방향과 가치에 대한 교육을 받고 스스로 고민한 결과 lsquo발전을 위한 발전rsquo만이

아닌 lsquo사회적인 가치를 높이는 연구rsquo를 하고 있는 공학도를 만났다 현재 특수 분야 세척기를 제작하는 회사에서 설계

및 연구직으로 근무중인 조성열 님은 대학에서의 경험을 통해 자신이 전공한 기계 공학분야의 지식이 소비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민하게 되었다 현재 그는 더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과학기술의방향을고민해본사람이 과학기술의가치를높일수있다

가까운 미래에 과학기술 발전의 가장 역동적인 주역이 되는 것은 이공계 대학생들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기술

자체뿐 아니라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교육이 마련되어야 바람직한 이공계 인재 육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대학도 과학기술이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을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조성열 님

전공 기계공학부전공 기계 금속

교육학

해당연도 학기 과목명 과목 내용

2014년 2-2학기 공업 윤리 철학적 관점을 통해 기술로 인해 발생할수 있는 윤리적 이슈를 해석

2015년도 3-2학기2016년도 4-1학기

창의적 공학설계 팀 체제로 공학적 아이디어를 구상하여실제 제작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학습

2016년도 4-2학기 문화와 기술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기술이 사회의 문화와 어떻게 접목되는지 학습하며 수치로 정의할 수 없는 감성의 영역 탐구

2016년도 4-2학기 공업교육론 공업교육을 실제 사회와 연결하는 과정을 학습하며 공업 교사로서 방향성 습득

대학에서 다양한 과학기술학 과목을 수강했습니다 실생활에서 과학기술이 어떻게 쓰이는지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었죠

제가 하는 일이

언제나 제

자신과

지인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학 시절 수강한 과학기술학 과목

과학기술학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철학 과학기술사회학 과학기술정책학 등을 일컫는 분야

02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hellip) 과거에 비해 과학기술을 단순히 경제성장 산업발전의 도구로만 보는 시각에서는 어느 정도 탈

피했다고 할 수 있지만 아직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성에 주목하는 분위기는 낮은 상태입니다

(hellip) 대학생들도 교내에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측면에 대해 고민하고 토론하는 활동이 필요합니다2018 03 24 메일 인터뷰

이영희 교수님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한경희 교수님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hellip)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인 lsquo미래설계공학을 가르

치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산업의 효율성 경제성 등을 높이는 방법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이 가진 근본

적인 의미에 대해서도 고민할 수 있어야 한다는 믿음 때문입니다

(hellip) 과학기술과 사회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고민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방문 인터뷰

(hellip) 그동안의 과학기술 모델은 기술이 사회를 결정하느냐 사회가 기술을 결정하느냐 였습니

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기술과 사회의 앙상블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기술과 사회를 분리하지

만 발전하기 위해서 함께 해야 하죠 이 둘이 만나야 고도화 될 수 있습니다 너무나 유리되어

있는 이 부분을 어떻게 붙여줄 수 있을까요 저는 대학의 교육으로 엮을 수 있다고 봅니다

성지은 박사님과학기술정책연구원 소속

2018 07 12 창원리빙랩포럼방문2018 07 23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방문 인터뷰

PART 01 문제제기 07

하지만학생들은과학기술의사회적쓰임새를배울기회가부족하다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에 대해 고민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전국 이공계열 대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자체 설문조사를 한 결과 현재 재학 중인 대학에 과학기술학 관련

과목이 개설되어있다는 사실을 들어본 적 있는 학생은 51명 이 중 실제로 해당 과목을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은 28명에 불과했다 약 19에 해당하는 이공계 대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에

접하고 있었으며 이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를 배울 기회가 부족함을 의미한다

실제로배워본학생들의 만족도와의견은

1 2 3 4 5

해당과목을들은학생23명에게만족도를물었다

매우불만족스럽다 1 ~ 매우만족스럽다 5

POINT

이과생도 과학기술분야 내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함께 고민해야 하지

그런데 강의실에서 이런 부분을 학습하거나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

다고 생각해 내가 배우는 지식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가치 있게 활용될지

는 잘 모르겠어

N = 146

2018 08 31 ~ 2018 09 03전국 이공계열 대학생(자연공학사범계열)대상 자체 설문조사

Yes (45)

YesNo(66)

34 과학기술학을들어본적있는대학생51명에게

해당과목수강경험을물었다

No55

현재재학중인대학에과학기술학관련과목이개설되어있다는사실을들어본적있습니까

해당과목을수강한경험이있습니까

28명

51명

23명95명

과학기술학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철학 과학기술사회학 과학기술정책학 등을 일컫는 분야

( hellip )

( hellip )

( hellip )

이공계 학생들이 들어야 하는필수 교양과목이라고 생각한다

내 삶과 와닿지 않는다생각했던 내용과 수업느낌이 많이 달랐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사회에미친 영향과 사회의 요구를통해 발전된 과학 기술에 대해배운 것은 흥미 있었으나 일반적인 역사 수업과 크게다른 점이 느껴지지 않았다

과학기술에 대한 윤리의식을 배울 수 있었다

동일 설문에서 해당 교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 23명을 대상으로 수강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lsquo만족스럽지 않다 (2점)rsquo (8명) lsquo보통이다 (3점)rsquo (8명)을 선택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

이 수업의 취지에는 공감을 했으나 과학사에만 치중된 수업 컨텐츠에 아쉬움을 느꼈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다양한 교과목들이 생기기를 바랐다

2명

8명 8명

5명4명

02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안혜진 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화공생명공학과

4학년 재학

대안제시

02왜 과학상점인가

과학상점 소개

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

왜과학상점인가

PART 02 대안제시 09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현실을 진단하다STEP 1

대한민국 정부는 RampD 분야에 경제 개발을 목적으로 막대한 예산을 투자

했지만 국민들의 원하는 lsquo삶의 질 향상rsquo 분야의 투자는 비교적 이루어지지

않았다 경제적 풍요를 이룬 지금 과거처럼 성장만을 위해 달려가기보다

우리 사회가 품은 문제를 해결할 때이다

가까운 미래에 과학기술 발전의 가장 역동적인 주역이 되는 대학생들 지식과

교육에 대한 흡수력이 높은 대학생이 과학기술의 쓰임과 발전 방향에 대해

고민할 때 기술의 가치는 더 높아질 수 있다 대학은 그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STEP 2

시민들이 과학상점의 문을 스스럼없이 두드리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학상점 과학을 전문가들의 전유물로 여기던 관념을

탈피해 누구나 과학기술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한다

과학상점은 과학과 대중의 거리를 좁힌다

과학상점은 과학기술로 우리 지역의 사회 문제를 해결한다

과학상점에서 가능성을 발견하다

과학상점은 지역주민과 시민단체가 의뢰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비영리 단체이다 지역 사회는 이를 통해 더 나은 의사결정의 근거를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과학상점으로현실을 처방하다

① 해당 의뢰가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② 과학상점 이외에는 연구를 수행할 가능성이 없는지

③ 해당 과학상점이 가진 인프라(장비 해당 분야 인력)로 해결가능한지

④ 그 결과를 활용할 주체적인 집단과 역량이 있는지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지역주민과시민단체가의뢰하는사회문제

과학상점은

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코디네이터는 의뢰 받은 문제를 관련 전공의 연구자나 학생들에게 부여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과학상점의 코디네이터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선별 절차를 거친다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에는참여 주체들을잇고 의뢰 받은문제를 선별하는

가 있다

이후 대학과 정부가 마련한 재정을 활용하여 연구자들을 섭외한다

➊문제해결➋문화활동

과학상점 활동은

으로 나뉜다

문제해결

1

이메일 전화 이용

시민문제의뢰

코디네이터기준에 따라

문제 선별

2 3

코디네이터학생 교수

전문기관 등과프로젝트 매칭

연구 주체1 현장답사

2 해결방안 고안3 결론도출

4

코디네이터홈페이지로시민들과결과 공유

5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은 지역주민 주민회

시민단체 여성단체 노동조합 등의

개인이나 단체로부터 과학기술에

관련된 문제를 의뢰받아 지역의

연구기관이나 대학의 연구자들이

시민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지역에 기반을 둔 비영리

연구센터이다 필요에 따라 다른

과학상점 혹은 전문기관과 연계하여

연구를 진행하기도 한다

10

메커니즘

문화활동

과학적 이해와 소통의 계기를 마련하고 과학이 대중 문화에 깊숙이 스며들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축제 컨텐츠 등을 제공한다

(ex) Science et Citeacute (아고라프로젝트 어린이 로봇교실 미친과학자축제)

NCCPE (Glastonbury)

과학상점은 과학물품을 파는 곳이 아닙니다 물건이 필요하면 상점을 가듯

시민들이 일상에서 과학이 필요할 때 누구든지 언제나 방문할 수 있는 기관입니다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2018년 8월 8일 바헤닝언 과학상점 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활동요청지원

연구비 및 제도적 지원

POINT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ART 02 대안제시 11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도로 위 대기 질 측정 프로젝트공학 분야

실제 문제해결 사례

사회 분야네덜란드 바헤닝언

녹지 보존과 주거 수요 충족의 균형

해당 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암스테르담 시의회가주거지 개척보다 녹지 보존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 단체의 의뢰로 시작한 연구가 결국 정부정책에도 영향을 준 과학상점의 성공 사례이다

주거건물 9채를 지을 때 얻는 이익보다 녹지손실 비용인이 더 크다고 발표했다 또한 생태계 다양성 사회 응집성등의 역할이 사라지는 부작용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주거시설확대보다 암스테르담 녹지에 대한 소중함을 강조했다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OINT

실제 문제해결 사례

시민들이 의뢰한 문제를 전문가들이 연구함으로써 정부의 정책에도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제시되었고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더 쾌적한 도로 환경을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도로 위 대기오염 상태가 웹사이트에공개되었고 자전거 이용자들은 이 결과를 통해 이동경로를 선택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연구 자료는정부에 대기오염 개선을 촉구하는 자료로 사용되었다

TEEB 도시 방법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에 의해 제공되는 혜택을 인식하고경제적 측면에서 가치를 입증하는 평가 방법

과정

결과

의의

과정

결과

의의

2000년대 중반 네덜란드 자전거이용자 연합 (Dutch Cyclist UnionDCU)은도로의 대기질을 모니터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전거 이용자들이 공기오염이 덜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자전거에 부착할수 있는 대기질 측정 기구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과학상점에 의뢰하였다 과학상점을 중개로 이 분야의 전문가로 알려진 위트레흐트 환경역학과 교수와함께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네덜란드 시민단체 GPA(The Groen Platform Amsterdam) 는 도시 내의주거시설에 대한 수요와 녹지 보존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바헤닝언과학상점에 연구를 의뢰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lsquoTEEB 도시 방법rsquo을 통해도시 녹지의 다양한 이익을 계산했다 이를 통해 주거지역 개발로 인해 부담해야할 녹지훼손 비용을 탐구했고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PART 02 대안제시 12

우리 기관은 과학과 사회를

잇는 Science communication

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

방안으로 Science et cite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및 문화활동 행사를 개최하여

시민들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매년 lsquo미친 과학자 축제rsquo를 개최한다 최근 행사의 경우 스위스의 베른 박물관에서

진행했다 다과를 먹고 다양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면서 가볍고 재미있는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다 이 축제에서 사람들은 영화 혹은 소설에서 등장하는 괴짜

과학자의 분장을 하고 나타난다 실제 과학자들이 이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과학자에 대한 편견을 깨면서 사람들에게 웃음을 줄 수 있고 친숙함을

선사할 수 있다

스위스에 위치한 Science et Citeacute 재단은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그들은 먼저 시민들이 과학에

대한 거리감을 걷어내고 친근감을 느껴야 한다고 말한다 Science et Citeacute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시옹스 에 시테 시네마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는 자연 과학 기술 등을

주제로 대학생 영화 제작자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상영하는 행사이다 영화

제작자 및 관심있는 아마추어 간의 네트워킹을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NCCPE 영국에 위치한 NCCPE는 대학의 시민참여 연구를 지원하고 대학과 대중의교류를 위해 다양한 문화사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또한 고등교육의 올바른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National Co-ordinating Center

for Public Engagement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Deputy Director

Sophie Duncan 대학생들이 지역사회 축제 프로그램을

기획해서 진행 워크샵 공연 교육 세션등을 통해 학생들이 대중을 만나는방식으로 축제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대학생은 고등 교육기관에서 배운 전공을바탕으로 사회 공헌에 참여하는 방법을익힐 수 있다

대학생 축제 기획 프로그램

실제 문화활동 사례

실제 문제해결 사례

01과학상점 소개

2018년 8월 6일Science et cite 기관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과학상점에서 활동했던

학생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다

암스테르담Athena 과학상점

PART 02 대안제시 13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2 기능2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암스테르담 Athena과학상점 인턴

KarilynGastelbondo

과학상점을 처음 어떻게 알게 되었나요Athena 기관은 Amsterdam 대학교와 연합하여 운영 중입니다 Athena

기관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을 때 자연스럽게 과학상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생도 함께 한다는 말을 듣고 찾아가 시작하였습니다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얻는 benefit은 무엇인가요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했나요 인상 깊었던 점은 무엇이었나요

과학상점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과학기술이 경제적인 부분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알리기 위해서

과학상점이 더욱 필요합니다

과학상점은 많은 사람들과

질문하고 토론하고 고민하는

기관입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성급하지 않게 나아가야

합니다

2018년 8월 10일암스테르담 인터뷰 내용 진행

Master degree과정의 학생들은 장학금을 받거나 학점을 인정받는

형식으로 benefit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바쁜 현실에 살고 있기 때문에 사회를 개선하거나 바꾸는데

선뜻 나서지 못합니다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기도 하구요

하지만 분명히 고쳐져야 하는 많은 문제들이 널려 있습니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서 시민과 과학자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사회와 만나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준다고

생각합니다 강의 시간에 이론만을 배우거나 좁은 실험실 안에서만

연구하다 보면 시야가 협소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좁은 안목으로

바라보는게 아니라 더 넓은 세상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는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Amsterdam Athena 과학상점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모니터링 하는 일에

참여하고 있죠 프로젝트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처음에 의도한 방향을

잘 유지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상점의 전반적인 운영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과학상점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생각할 수 있는 프로젝트였어요 과학상점이 지역사회에 안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굉장히 필요하고 좋은 영향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

니다

지금은 방학 10주 동안 바르셀로나 IrsiCaixa 과학상점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HIV에 관한 연구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에이즈

연구기관과 함께 협업하고 있죠 수업시간에는 접해보지 못했을 분야지만

과학상점을 통해 저도 배우고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을 통해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기쁩니다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14

과학상점 형태3

대학기반

프로그램 인턴 형태의 과학상점과 달리 코디네이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 스스로 코디네이터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유럽에서는 많은 과학상점들이 대학의 부속기구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들은 다양한 운영형태로 과학상점에 참여하고 있다

시민의 의뢰를 받아 코디네이터가 연구 적절성을 판단한 후 연구 팀을 구성한다

교내 위원회나 상위 부서로부터 예산을 조달 받으며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예산

지급 여부 및 예산액이 결정된다

(ex)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Athena Science Shop VU University Amsterdam)

(ex) 유럽 내 대부분 대학기반 과학상점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Victoria) 호주 시드니 공과대학교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학생 연구자 및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을 이룬다 특징으로 다른 과학상점 및 기관에

인턴을 파견하여 해당 기관의 연구와 작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ex)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공과대학 (University of Technology Eindhoven)

미국(UC Berkeley Science Shop

학생자체운영(동아리)

프로그램

인턴

비정부기구

대학과 독립적으로 비정부기구로 운영되는 과학상점이다 지역에 기반을 둔 NGO에

의해 조직되어 운영되며 지역주민에게 사회 기술 환경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

할 수 있는 자원 및 설비를 제공한다 또 그들이 직접 행동할 수 있도록 법과 정책

등을 통해 돕는 일을 한다 대학기반유형보다 전문적 인력이 운영한다

(ex) 미국 대부분의 과학상점 독일 본 과학상점 아일랜드 캠퍼스 인게이지 아일랜드 NCCPE 로고

비정부기구지역middot국가middot국제적으로 조직된자발적인 비영리시민단체사회복지학사전(2009)

POINT

유럽의 대부분의 과학상점이 대학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 네트워크로 구성돼 있는 반면미국의 과학상점은 독립적이고 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연구센터가 중심이 된다

과학상점이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형태를 띤 것은 아니었다

초기에는 과학상점이란 용어조차 없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는 과학상점이 명함상자 하나로 시작되었다

명함상자를 며칠 놓아두고 해결하고 싶은 문제와 의뢰인이 적힌

명함이 가득 차기를 기다렸다 상자를 다시 가져 와서 명함의 내용을

조사한 후 과학자들을 찾아가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문의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1979년 네덜란드 교육과학부가 암스테르담 대학

과학상점을 공식화하면서 과학상점 제도화의 기틀이 마련됐다A History of Science Shops in the Netherlands (The University of Amsterdam

Masters Thesis UU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Jurgen Sijbren Sijbrandij)

네덜란드에서 과학상점이 공식 기구임을 입증하는 논문

02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PART 02 대안제시 15

과학기술을 좀 더 평화적이고 대중적으로 발전시키고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하고자 했던 전문가들 세금으로

지원받은 학비를 시민들에게 보답하고자 하는

대학생들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정부의

삼박자로 lsquo과학상점 운동rsquo이 시작되었다

마침내 1974년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에서 최초의

과학상점인 lsquo화학상점rsquo이 개설된다

1970년대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했던 과학자와 대학생들은 과학상점을 창안해냈다시간이 흐르면서 그 시대가 가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조금씩 변해가며 오늘날까지 발전하고 있다

최초의 과학상점 lsquo화학상점rsquo 이 개설되다

네덜란드 이외의 유럽 국가인 프랑스 독일 덴마크

벨기에 등지에 과학상점이 확산되었다 당시

환경운동이 성장하며 환경 과학 관련 학과들이 대학에

생겨났고 환경오염에 대해 고민하는 전문가들과

학생들로부터 과학상점이 설립되게 된다

1980년대

당대의 이슈 환경운동과 함께 확산되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과학상점 간의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이는 2000년 과학상점들의 국제

네트워크 발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과학상점은 유럽을 너머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등으로 퍼져 나간다

1990년대

과학상점 네트워크 형성으로세계로 뻗어 나가다

1960년대

1955년 11월 1일 발발하여 1975년 4월 30일까지

약 20여년간 지속된 베트남 전쟁 본격적으로

화학전이 시작된 전쟁으로 당시 과학자들은 무자비한

화학전이 펼쳐지는 것을 보며 전쟁이 빚어 낸 파괴적

지식의 성찰을 공유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다

PART 02 대안제시 16

현재 전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인 과학상점

최초의 과학상점이 생긴 후 약 40년이 지난 지금 Living Knowledge Network (이하 LKN) 가입 여부를 기준으로 전 세계 87여개의 과학상점이 27개국에 존재한다

2018년 5월 30일-6월 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전 세계 33 개국 약 250명 참석

유럽 과학상점 분포 현황

전 세계 과학상점을 하나로 연결하는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리빙놀리지네트워크 관계자가 주최하는 비정기적 온라인과학기술 동향 토론회 소셜 미디어 라이브로 진행하며 이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1-2년 간격으로 컨퍼런스를 개최 연구 성과 공유 지속 가능한발전에 대한 논의 유럽 연합 커미션 아젠다 토론 등을 진행한다

Living Knowledge Conference 개최

뉴스레터 배부

각 과학상점에 대한 최신 동향을알리는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발행하여 LKN에 소속된 과학상점에배부한다

Web-inar (web+seminar) 진행

정기 행사

활동 공유

국제 과학상점 네트워크로 2000년 과학상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제도적 지원

비정기 행사

이처럼 과학상점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 있고 같은 가치를 공유하며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유럽 각지에서 과학상점 전통이이어지고 있다

Living Knowledge Network 가입기준

유럽22개국66개비유럽6개국20개

0 2 4 6 10개 이상

비유럽국가분포현황

오스트레일리아(1) 캐나다(6)아이티(1)

이스라엘 (1) 미국(10)남아프리카공화국(1)

과학상점 10

03과거 국내 과학상점

해외탐방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4: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문제제기

01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NO 1

PART 01 문제제기 04

우리나라는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정부의 아낌없는 투자를 통해 소위 lsquo한강의 기적rsquo이라 불리는 경이로운 발전을 이루었다 625 전쟁을 겪은 1950년대 우리나라는자본과 자원이 부족한 가운데 집중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수출주도형 경제구조를 탄생시켰다

국민총소득(GNI)

한나라의 국민이 국내외 생산 활동에참가하거나 생산에 필요한 자산을 제공한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

출처 통계용어 middot 지표의 이해 2015 4 통계청

이렇듯 쉴 틈없이 경제개발을위해 달려온 지난 수십년동안 과학기술의 잠재력이나또 다른 쓰임에 대해 생각할여유가 없었다

대한민국 발전의 초석이 된 과학기술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28380 $

압축성장기(산업화 민주화)

전환기(정보화 국제화)

기술자립기반조성

기술드라이브정책전개

세계시장 확보정책추진

세계시장 선도정책추진

과학기술을 통한경제 재도약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17년 기준1인당 국민총소득

단위 달러

국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과학기술을 고민해야 한다

POINT

2016년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이생각하는 국가핵심전략기술 선정의 기준 중 lsquo삶의 질rsquo 항목이60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실제 RampD 투자는lsquo경제 연구 성장 제품rsquo을 키워드로 한 활동에 집중되었기 때문에국민들의 바람을 충분히 담지 못했다

하지만 lsquo발전rsquo의 나무에 lsquo삶의 질rsquo이란 열매는 없었다

과학기술 강국으로 우뚝 선 오늘날의 대한민국

그 결과 우리나라 국민총소득은2017년 기준 28380 달러를 달성했고반도체 휴대폰 조선 디스플레이 등주력 산업에서 세계시장 1위를기록하는 경제강국이 되었다

반도체 (D램)

731

휴대폰

24

조선

34

디스플레이

422

2017년 4분기 기준 세계 시장점유율

삶의

602

경제발전

435

국민이 생각하는국가핵심전략기술은

실제 정부 RampD 투자비율은

2016 미래창조과학부

01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기술의 경제개발적 쓰임에 주목했던 정부1

출처 사회발전과 과학기술 20031 과학기술정책연구원

PART 01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 방사선 안전관리법 기준치

연간 1mSv 초과 금지

08 2410 6

모 침대업체 매트리스 7종연간 피폭선량 조사결과

기존의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대한 성찰로

lsquo국민생활연구rsquo가 주목받고 있다 우리 사회의

도전 과제 (Societal challenge) 해결이

최우선 목표인 것이다 고령화 기후변화 안전

문제 보건 middot 의료 문제 양극화 문제 등 사회

전체가 공동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를 다룬다

이는 특정 산업 기업 육성이나 과학기술 분야

그 자체의 발전을 우선시하는 전통 접근과는

결이 다르다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매우 공공성 강한

활동이고 우리 사회를 더욱더 지속 가능하고

살 만한 곳으로 전환시키는 노력이다

살충제 계란 미세먼지 가습기 살균제 라돈 침대까지hellip

국민들은 과학기술을 활용한 더 나은 삶을 원한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살충제 계란 파동 미세먼지 등 다양한 사회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근원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 역할에 대해 국민들의 요구가 점점 증가해왔으나 그 기대에 완벽히 부응하지는 못했다

정부 lsquo국민생활연구rsquo를 확대하다

기존연구개발체계

Change

최근연구개발체계

필요성느끼는

정책담당하는

연구개발수행하는

국가전략또는경제성장삶의질향상

과학기술의혜택이모든국민에게

과학기술경쟁력확보 사회문제해결

공급자중심의연구개발수요자참여형연구개발

기술+ 인문사회+ 법제도융합

연구개발부서중심 연구개발부서와정책부서협업

논문특허등연구산출물 새로운사회적서비스 제품

목적

목표

특징

주체

결과

안전

환경

건강

편리

재해 교통사고사이버 범죄

대기 수질 소음유해 화학물질

질병 의료식품 위생

고독사공공서비스

middot 도심 지하붕괴 인명 탐지 및 구조middot 한국형 조기경보체계 구축

middot 미세플라스틱의 해양생태계 middot인체 middot 위협 대응middot 인공강우 유발을 통한 가뭄 대응

middot 감염병 예측 및 감시망 구축middot 화학물질 첨가 식품 위해성 차단

middot IoT 기반 독거노인 생활 복지 서비스 제공middot 시각장애인을 위한 문화 향유 보조

분야 주요 문제 연구 내용

주요 국민생활문제 및 연구분야(예시)

01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경제개발 뿐 아니라 삶의 질에 주목하는 과학기술2

PART 01 문제제기 06

대학은고등교육기관으로서 과학기술을 다루는올바른방향성을 습득하는 장소가되어야 한다

과학기술교육자와전문가들은이공계대학현장을어떻게바라보고있을까

우리는 대학생 시절 과학기술의 발전 방향과 가치에 대한 교육을 받고 스스로 고민한 결과 lsquo발전을 위한 발전rsquo만이

아닌 lsquo사회적인 가치를 높이는 연구rsquo를 하고 있는 공학도를 만났다 현재 특수 분야 세척기를 제작하는 회사에서 설계

및 연구직으로 근무중인 조성열 님은 대학에서의 경험을 통해 자신이 전공한 기계 공학분야의 지식이 소비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민하게 되었다 현재 그는 더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과학기술의방향을고민해본사람이 과학기술의가치를높일수있다

가까운 미래에 과학기술 발전의 가장 역동적인 주역이 되는 것은 이공계 대학생들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기술

자체뿐 아니라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교육이 마련되어야 바람직한 이공계 인재 육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대학도 과학기술이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을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조성열 님

전공 기계공학부전공 기계 금속

교육학

해당연도 학기 과목명 과목 내용

2014년 2-2학기 공업 윤리 철학적 관점을 통해 기술로 인해 발생할수 있는 윤리적 이슈를 해석

2015년도 3-2학기2016년도 4-1학기

창의적 공학설계 팀 체제로 공학적 아이디어를 구상하여실제 제작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학습

2016년도 4-2학기 문화와 기술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기술이 사회의 문화와 어떻게 접목되는지 학습하며 수치로 정의할 수 없는 감성의 영역 탐구

2016년도 4-2학기 공업교육론 공업교육을 실제 사회와 연결하는 과정을 학습하며 공업 교사로서 방향성 습득

대학에서 다양한 과학기술학 과목을 수강했습니다 실생활에서 과학기술이 어떻게 쓰이는지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었죠

제가 하는 일이

언제나 제

자신과

지인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학 시절 수강한 과학기술학 과목

과학기술학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철학 과학기술사회학 과학기술정책학 등을 일컫는 분야

02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hellip) 과거에 비해 과학기술을 단순히 경제성장 산업발전의 도구로만 보는 시각에서는 어느 정도 탈

피했다고 할 수 있지만 아직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성에 주목하는 분위기는 낮은 상태입니다

(hellip) 대학생들도 교내에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측면에 대해 고민하고 토론하는 활동이 필요합니다2018 03 24 메일 인터뷰

이영희 교수님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한경희 교수님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hellip)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인 lsquo미래설계공학을 가르

치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산업의 효율성 경제성 등을 높이는 방법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이 가진 근본

적인 의미에 대해서도 고민할 수 있어야 한다는 믿음 때문입니다

(hellip) 과학기술과 사회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고민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방문 인터뷰

(hellip) 그동안의 과학기술 모델은 기술이 사회를 결정하느냐 사회가 기술을 결정하느냐 였습니

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기술과 사회의 앙상블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기술과 사회를 분리하지

만 발전하기 위해서 함께 해야 하죠 이 둘이 만나야 고도화 될 수 있습니다 너무나 유리되어

있는 이 부분을 어떻게 붙여줄 수 있을까요 저는 대학의 교육으로 엮을 수 있다고 봅니다

성지은 박사님과학기술정책연구원 소속

2018 07 12 창원리빙랩포럼방문2018 07 23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방문 인터뷰

PART 01 문제제기 07

하지만학생들은과학기술의사회적쓰임새를배울기회가부족하다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에 대해 고민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전국 이공계열 대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자체 설문조사를 한 결과 현재 재학 중인 대학에 과학기술학 관련

과목이 개설되어있다는 사실을 들어본 적 있는 학생은 51명 이 중 실제로 해당 과목을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은 28명에 불과했다 약 19에 해당하는 이공계 대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에

접하고 있었으며 이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를 배울 기회가 부족함을 의미한다

실제로배워본학생들의 만족도와의견은

1 2 3 4 5

해당과목을들은학생23명에게만족도를물었다

매우불만족스럽다 1 ~ 매우만족스럽다 5

POINT

이과생도 과학기술분야 내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함께 고민해야 하지

그런데 강의실에서 이런 부분을 학습하거나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

다고 생각해 내가 배우는 지식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가치 있게 활용될지

는 잘 모르겠어

N = 146

2018 08 31 ~ 2018 09 03전국 이공계열 대학생(자연공학사범계열)대상 자체 설문조사

Yes (45)

YesNo(66)

34 과학기술학을들어본적있는대학생51명에게

해당과목수강경험을물었다

No55

현재재학중인대학에과학기술학관련과목이개설되어있다는사실을들어본적있습니까

해당과목을수강한경험이있습니까

28명

51명

23명95명

과학기술학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철학 과학기술사회학 과학기술정책학 등을 일컫는 분야

( hellip )

( hellip )

( hellip )

이공계 학생들이 들어야 하는필수 교양과목이라고 생각한다

내 삶과 와닿지 않는다생각했던 내용과 수업느낌이 많이 달랐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사회에미친 영향과 사회의 요구를통해 발전된 과학 기술에 대해배운 것은 흥미 있었으나 일반적인 역사 수업과 크게다른 점이 느껴지지 않았다

과학기술에 대한 윤리의식을 배울 수 있었다

동일 설문에서 해당 교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 23명을 대상으로 수강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lsquo만족스럽지 않다 (2점)rsquo (8명) lsquo보통이다 (3점)rsquo (8명)을 선택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

이 수업의 취지에는 공감을 했으나 과학사에만 치중된 수업 컨텐츠에 아쉬움을 느꼈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다양한 교과목들이 생기기를 바랐다

2명

8명 8명

5명4명

02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안혜진 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화공생명공학과

4학년 재학

대안제시

02왜 과학상점인가

과학상점 소개

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

왜과학상점인가

PART 02 대안제시 09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현실을 진단하다STEP 1

대한민국 정부는 RampD 분야에 경제 개발을 목적으로 막대한 예산을 투자

했지만 국민들의 원하는 lsquo삶의 질 향상rsquo 분야의 투자는 비교적 이루어지지

않았다 경제적 풍요를 이룬 지금 과거처럼 성장만을 위해 달려가기보다

우리 사회가 품은 문제를 해결할 때이다

가까운 미래에 과학기술 발전의 가장 역동적인 주역이 되는 대학생들 지식과

교육에 대한 흡수력이 높은 대학생이 과학기술의 쓰임과 발전 방향에 대해

고민할 때 기술의 가치는 더 높아질 수 있다 대학은 그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STEP 2

시민들이 과학상점의 문을 스스럼없이 두드리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학상점 과학을 전문가들의 전유물로 여기던 관념을

탈피해 누구나 과학기술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한다

과학상점은 과학과 대중의 거리를 좁힌다

과학상점은 과학기술로 우리 지역의 사회 문제를 해결한다

과학상점에서 가능성을 발견하다

과학상점은 지역주민과 시민단체가 의뢰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비영리 단체이다 지역 사회는 이를 통해 더 나은 의사결정의 근거를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과학상점으로현실을 처방하다

① 해당 의뢰가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② 과학상점 이외에는 연구를 수행할 가능성이 없는지

③ 해당 과학상점이 가진 인프라(장비 해당 분야 인력)로 해결가능한지

④ 그 결과를 활용할 주체적인 집단과 역량이 있는지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지역주민과시민단체가의뢰하는사회문제

과학상점은

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코디네이터는 의뢰 받은 문제를 관련 전공의 연구자나 학생들에게 부여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과학상점의 코디네이터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선별 절차를 거친다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에는참여 주체들을잇고 의뢰 받은문제를 선별하는

가 있다

이후 대학과 정부가 마련한 재정을 활용하여 연구자들을 섭외한다

➊문제해결➋문화활동

과학상점 활동은

으로 나뉜다

문제해결

1

이메일 전화 이용

시민문제의뢰

코디네이터기준에 따라

문제 선별

2 3

코디네이터학생 교수

전문기관 등과프로젝트 매칭

연구 주체1 현장답사

2 해결방안 고안3 결론도출

4

코디네이터홈페이지로시민들과결과 공유

5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은 지역주민 주민회

시민단체 여성단체 노동조합 등의

개인이나 단체로부터 과학기술에

관련된 문제를 의뢰받아 지역의

연구기관이나 대학의 연구자들이

시민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지역에 기반을 둔 비영리

연구센터이다 필요에 따라 다른

과학상점 혹은 전문기관과 연계하여

연구를 진행하기도 한다

10

메커니즘

문화활동

과학적 이해와 소통의 계기를 마련하고 과학이 대중 문화에 깊숙이 스며들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축제 컨텐츠 등을 제공한다

(ex) Science et Citeacute (아고라프로젝트 어린이 로봇교실 미친과학자축제)

NCCPE (Glastonbury)

과학상점은 과학물품을 파는 곳이 아닙니다 물건이 필요하면 상점을 가듯

시민들이 일상에서 과학이 필요할 때 누구든지 언제나 방문할 수 있는 기관입니다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2018년 8월 8일 바헤닝언 과학상점 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활동요청지원

연구비 및 제도적 지원

POINT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ART 02 대안제시 11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도로 위 대기 질 측정 프로젝트공학 분야

실제 문제해결 사례

사회 분야네덜란드 바헤닝언

녹지 보존과 주거 수요 충족의 균형

해당 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암스테르담 시의회가주거지 개척보다 녹지 보존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 단체의 의뢰로 시작한 연구가 결국 정부정책에도 영향을 준 과학상점의 성공 사례이다

주거건물 9채를 지을 때 얻는 이익보다 녹지손실 비용인이 더 크다고 발표했다 또한 생태계 다양성 사회 응집성등의 역할이 사라지는 부작용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주거시설확대보다 암스테르담 녹지에 대한 소중함을 강조했다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OINT

실제 문제해결 사례

시민들이 의뢰한 문제를 전문가들이 연구함으로써 정부의 정책에도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제시되었고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더 쾌적한 도로 환경을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도로 위 대기오염 상태가 웹사이트에공개되었고 자전거 이용자들은 이 결과를 통해 이동경로를 선택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연구 자료는정부에 대기오염 개선을 촉구하는 자료로 사용되었다

TEEB 도시 방법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에 의해 제공되는 혜택을 인식하고경제적 측면에서 가치를 입증하는 평가 방법

과정

결과

의의

과정

결과

의의

2000년대 중반 네덜란드 자전거이용자 연합 (Dutch Cyclist UnionDCU)은도로의 대기질을 모니터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전거 이용자들이 공기오염이 덜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자전거에 부착할수 있는 대기질 측정 기구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과학상점에 의뢰하였다 과학상점을 중개로 이 분야의 전문가로 알려진 위트레흐트 환경역학과 교수와함께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네덜란드 시민단체 GPA(The Groen Platform Amsterdam) 는 도시 내의주거시설에 대한 수요와 녹지 보존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바헤닝언과학상점에 연구를 의뢰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lsquoTEEB 도시 방법rsquo을 통해도시 녹지의 다양한 이익을 계산했다 이를 통해 주거지역 개발로 인해 부담해야할 녹지훼손 비용을 탐구했고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PART 02 대안제시 12

우리 기관은 과학과 사회를

잇는 Science communication

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

방안으로 Science et cite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및 문화활동 행사를 개최하여

시민들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매년 lsquo미친 과학자 축제rsquo를 개최한다 최근 행사의 경우 스위스의 베른 박물관에서

진행했다 다과를 먹고 다양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면서 가볍고 재미있는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다 이 축제에서 사람들은 영화 혹은 소설에서 등장하는 괴짜

과학자의 분장을 하고 나타난다 실제 과학자들이 이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과학자에 대한 편견을 깨면서 사람들에게 웃음을 줄 수 있고 친숙함을

선사할 수 있다

스위스에 위치한 Science et Citeacute 재단은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그들은 먼저 시민들이 과학에

대한 거리감을 걷어내고 친근감을 느껴야 한다고 말한다 Science et Citeacute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시옹스 에 시테 시네마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는 자연 과학 기술 등을

주제로 대학생 영화 제작자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상영하는 행사이다 영화

제작자 및 관심있는 아마추어 간의 네트워킹을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NCCPE 영국에 위치한 NCCPE는 대학의 시민참여 연구를 지원하고 대학과 대중의교류를 위해 다양한 문화사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또한 고등교육의 올바른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National Co-ordinating Center

for Public Engagement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Deputy Director

Sophie Duncan 대학생들이 지역사회 축제 프로그램을

기획해서 진행 워크샵 공연 교육 세션등을 통해 학생들이 대중을 만나는방식으로 축제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대학생은 고등 교육기관에서 배운 전공을바탕으로 사회 공헌에 참여하는 방법을익힐 수 있다

대학생 축제 기획 프로그램

실제 문화활동 사례

실제 문제해결 사례

01과학상점 소개

2018년 8월 6일Science et cite 기관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과학상점에서 활동했던

학생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다

암스테르담Athena 과학상점

PART 02 대안제시 13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2 기능2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암스테르담 Athena과학상점 인턴

KarilynGastelbondo

과학상점을 처음 어떻게 알게 되었나요Athena 기관은 Amsterdam 대학교와 연합하여 운영 중입니다 Athena

기관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을 때 자연스럽게 과학상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생도 함께 한다는 말을 듣고 찾아가 시작하였습니다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얻는 benefit은 무엇인가요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했나요 인상 깊었던 점은 무엇이었나요

과학상점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과학기술이 경제적인 부분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알리기 위해서

과학상점이 더욱 필요합니다

과학상점은 많은 사람들과

질문하고 토론하고 고민하는

기관입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성급하지 않게 나아가야

합니다

2018년 8월 10일암스테르담 인터뷰 내용 진행

Master degree과정의 학생들은 장학금을 받거나 학점을 인정받는

형식으로 benefit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바쁜 현실에 살고 있기 때문에 사회를 개선하거나 바꾸는데

선뜻 나서지 못합니다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기도 하구요

하지만 분명히 고쳐져야 하는 많은 문제들이 널려 있습니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서 시민과 과학자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사회와 만나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준다고

생각합니다 강의 시간에 이론만을 배우거나 좁은 실험실 안에서만

연구하다 보면 시야가 협소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좁은 안목으로

바라보는게 아니라 더 넓은 세상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는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Amsterdam Athena 과학상점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모니터링 하는 일에

참여하고 있죠 프로젝트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처음에 의도한 방향을

잘 유지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상점의 전반적인 운영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과학상점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생각할 수 있는 프로젝트였어요 과학상점이 지역사회에 안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굉장히 필요하고 좋은 영향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

니다

지금은 방학 10주 동안 바르셀로나 IrsiCaixa 과학상점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HIV에 관한 연구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에이즈

연구기관과 함께 협업하고 있죠 수업시간에는 접해보지 못했을 분야지만

과학상점을 통해 저도 배우고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을 통해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기쁩니다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14

과학상점 형태3

대학기반

프로그램 인턴 형태의 과학상점과 달리 코디네이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 스스로 코디네이터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유럽에서는 많은 과학상점들이 대학의 부속기구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들은 다양한 운영형태로 과학상점에 참여하고 있다

시민의 의뢰를 받아 코디네이터가 연구 적절성을 판단한 후 연구 팀을 구성한다

교내 위원회나 상위 부서로부터 예산을 조달 받으며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예산

지급 여부 및 예산액이 결정된다

(ex)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Athena Science Shop VU University Amsterdam)

(ex) 유럽 내 대부분 대학기반 과학상점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Victoria) 호주 시드니 공과대학교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학생 연구자 및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을 이룬다 특징으로 다른 과학상점 및 기관에

인턴을 파견하여 해당 기관의 연구와 작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ex)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공과대학 (University of Technology Eindhoven)

미국(UC Berkeley Science Shop

학생자체운영(동아리)

프로그램

인턴

비정부기구

대학과 독립적으로 비정부기구로 운영되는 과학상점이다 지역에 기반을 둔 NGO에

의해 조직되어 운영되며 지역주민에게 사회 기술 환경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

할 수 있는 자원 및 설비를 제공한다 또 그들이 직접 행동할 수 있도록 법과 정책

등을 통해 돕는 일을 한다 대학기반유형보다 전문적 인력이 운영한다

(ex) 미국 대부분의 과학상점 독일 본 과학상점 아일랜드 캠퍼스 인게이지 아일랜드 NCCPE 로고

비정부기구지역middot국가middot국제적으로 조직된자발적인 비영리시민단체사회복지학사전(2009)

POINT

유럽의 대부분의 과학상점이 대학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 네트워크로 구성돼 있는 반면미국의 과학상점은 독립적이고 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연구센터가 중심이 된다

과학상점이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형태를 띤 것은 아니었다

초기에는 과학상점이란 용어조차 없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는 과학상점이 명함상자 하나로 시작되었다

명함상자를 며칠 놓아두고 해결하고 싶은 문제와 의뢰인이 적힌

명함이 가득 차기를 기다렸다 상자를 다시 가져 와서 명함의 내용을

조사한 후 과학자들을 찾아가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문의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1979년 네덜란드 교육과학부가 암스테르담 대학

과학상점을 공식화하면서 과학상점 제도화의 기틀이 마련됐다A History of Science Shops in the Netherlands (The University of Amsterdam

Masters Thesis UU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Jurgen Sijbren Sijbrandij)

네덜란드에서 과학상점이 공식 기구임을 입증하는 논문

02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PART 02 대안제시 15

과학기술을 좀 더 평화적이고 대중적으로 발전시키고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하고자 했던 전문가들 세금으로

지원받은 학비를 시민들에게 보답하고자 하는

대학생들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정부의

삼박자로 lsquo과학상점 운동rsquo이 시작되었다

마침내 1974년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에서 최초의

과학상점인 lsquo화학상점rsquo이 개설된다

1970년대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했던 과학자와 대학생들은 과학상점을 창안해냈다시간이 흐르면서 그 시대가 가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조금씩 변해가며 오늘날까지 발전하고 있다

최초의 과학상점 lsquo화학상점rsquo 이 개설되다

네덜란드 이외의 유럽 국가인 프랑스 독일 덴마크

벨기에 등지에 과학상점이 확산되었다 당시

환경운동이 성장하며 환경 과학 관련 학과들이 대학에

생겨났고 환경오염에 대해 고민하는 전문가들과

학생들로부터 과학상점이 설립되게 된다

1980년대

당대의 이슈 환경운동과 함께 확산되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과학상점 간의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이는 2000년 과학상점들의 국제

네트워크 발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과학상점은 유럽을 너머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등으로 퍼져 나간다

1990년대

과학상점 네트워크 형성으로세계로 뻗어 나가다

1960년대

1955년 11월 1일 발발하여 1975년 4월 30일까지

약 20여년간 지속된 베트남 전쟁 본격적으로

화학전이 시작된 전쟁으로 당시 과학자들은 무자비한

화학전이 펼쳐지는 것을 보며 전쟁이 빚어 낸 파괴적

지식의 성찰을 공유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다

PART 02 대안제시 16

현재 전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인 과학상점

최초의 과학상점이 생긴 후 약 40년이 지난 지금 Living Knowledge Network (이하 LKN) 가입 여부를 기준으로 전 세계 87여개의 과학상점이 27개국에 존재한다

2018년 5월 30일-6월 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전 세계 33 개국 약 250명 참석

유럽 과학상점 분포 현황

전 세계 과학상점을 하나로 연결하는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리빙놀리지네트워크 관계자가 주최하는 비정기적 온라인과학기술 동향 토론회 소셜 미디어 라이브로 진행하며 이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1-2년 간격으로 컨퍼런스를 개최 연구 성과 공유 지속 가능한발전에 대한 논의 유럽 연합 커미션 아젠다 토론 등을 진행한다

Living Knowledge Conference 개최

뉴스레터 배부

각 과학상점에 대한 최신 동향을알리는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발행하여 LKN에 소속된 과학상점에배부한다

Web-inar (web+seminar) 진행

정기 행사

활동 공유

국제 과학상점 네트워크로 2000년 과학상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제도적 지원

비정기 행사

이처럼 과학상점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 있고 같은 가치를 공유하며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유럽 각지에서 과학상점 전통이이어지고 있다

Living Knowledge Network 가입기준

유럽22개국66개비유럽6개국20개

0 2 4 6 10개 이상

비유럽국가분포현황

오스트레일리아(1) 캐나다(6)아이티(1)

이스라엘 (1) 미국(10)남아프리카공화국(1)

과학상점 10

03과거 국내 과학상점

해외탐방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5: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NO 1

PART 01 문제제기 04

우리나라는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정부의 아낌없는 투자를 통해 소위 lsquo한강의 기적rsquo이라 불리는 경이로운 발전을 이루었다 625 전쟁을 겪은 1950년대 우리나라는자본과 자원이 부족한 가운데 집중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수출주도형 경제구조를 탄생시켰다

국민총소득(GNI)

한나라의 국민이 국내외 생산 활동에참가하거나 생산에 필요한 자산을 제공한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

출처 통계용어 middot 지표의 이해 2015 4 통계청

이렇듯 쉴 틈없이 경제개발을위해 달려온 지난 수십년동안 과학기술의 잠재력이나또 다른 쓰임에 대해 생각할여유가 없었다

대한민국 발전의 초석이 된 과학기술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28380 $

압축성장기(산업화 민주화)

전환기(정보화 국제화)

기술자립기반조성

기술드라이브정책전개

세계시장 확보정책추진

세계시장 선도정책추진

과학기술을 통한경제 재도약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17년 기준1인당 국민총소득

단위 달러

국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과학기술을 고민해야 한다

POINT

2016년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이생각하는 국가핵심전략기술 선정의 기준 중 lsquo삶의 질rsquo 항목이60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실제 RampD 투자는lsquo경제 연구 성장 제품rsquo을 키워드로 한 활동에 집중되었기 때문에국민들의 바람을 충분히 담지 못했다

하지만 lsquo발전rsquo의 나무에 lsquo삶의 질rsquo이란 열매는 없었다

과학기술 강국으로 우뚝 선 오늘날의 대한민국

그 결과 우리나라 국민총소득은2017년 기준 28380 달러를 달성했고반도체 휴대폰 조선 디스플레이 등주력 산업에서 세계시장 1위를기록하는 경제강국이 되었다

반도체 (D램)

731

휴대폰

24

조선

34

디스플레이

422

2017년 4분기 기준 세계 시장점유율

삶의

602

경제발전

435

국민이 생각하는국가핵심전략기술은

실제 정부 RampD 투자비율은

2016 미래창조과학부

01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기술의 경제개발적 쓰임에 주목했던 정부1

출처 사회발전과 과학기술 20031 과학기술정책연구원

PART 01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 방사선 안전관리법 기준치

연간 1mSv 초과 금지

08 2410 6

모 침대업체 매트리스 7종연간 피폭선량 조사결과

기존의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대한 성찰로

lsquo국민생활연구rsquo가 주목받고 있다 우리 사회의

도전 과제 (Societal challenge) 해결이

최우선 목표인 것이다 고령화 기후변화 안전

문제 보건 middot 의료 문제 양극화 문제 등 사회

전체가 공동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를 다룬다

이는 특정 산업 기업 육성이나 과학기술 분야

그 자체의 발전을 우선시하는 전통 접근과는

결이 다르다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매우 공공성 강한

활동이고 우리 사회를 더욱더 지속 가능하고

살 만한 곳으로 전환시키는 노력이다

살충제 계란 미세먼지 가습기 살균제 라돈 침대까지hellip

국민들은 과학기술을 활용한 더 나은 삶을 원한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살충제 계란 파동 미세먼지 등 다양한 사회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근원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 역할에 대해 국민들의 요구가 점점 증가해왔으나 그 기대에 완벽히 부응하지는 못했다

정부 lsquo국민생활연구rsquo를 확대하다

기존연구개발체계

Change

최근연구개발체계

필요성느끼는

정책담당하는

연구개발수행하는

국가전략또는경제성장삶의질향상

과학기술의혜택이모든국민에게

과학기술경쟁력확보 사회문제해결

공급자중심의연구개발수요자참여형연구개발

기술+ 인문사회+ 법제도융합

연구개발부서중심 연구개발부서와정책부서협업

논문특허등연구산출물 새로운사회적서비스 제품

목적

목표

특징

주체

결과

안전

환경

건강

편리

재해 교통사고사이버 범죄

대기 수질 소음유해 화학물질

질병 의료식품 위생

고독사공공서비스

middot 도심 지하붕괴 인명 탐지 및 구조middot 한국형 조기경보체계 구축

middot 미세플라스틱의 해양생태계 middot인체 middot 위협 대응middot 인공강우 유발을 통한 가뭄 대응

middot 감염병 예측 및 감시망 구축middot 화학물질 첨가 식품 위해성 차단

middot IoT 기반 독거노인 생활 복지 서비스 제공middot 시각장애인을 위한 문화 향유 보조

분야 주요 문제 연구 내용

주요 국민생활문제 및 연구분야(예시)

01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경제개발 뿐 아니라 삶의 질에 주목하는 과학기술2

PART 01 문제제기 06

대학은고등교육기관으로서 과학기술을 다루는올바른방향성을 습득하는 장소가되어야 한다

과학기술교육자와전문가들은이공계대학현장을어떻게바라보고있을까

우리는 대학생 시절 과학기술의 발전 방향과 가치에 대한 교육을 받고 스스로 고민한 결과 lsquo발전을 위한 발전rsquo만이

아닌 lsquo사회적인 가치를 높이는 연구rsquo를 하고 있는 공학도를 만났다 현재 특수 분야 세척기를 제작하는 회사에서 설계

및 연구직으로 근무중인 조성열 님은 대학에서의 경험을 통해 자신이 전공한 기계 공학분야의 지식이 소비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민하게 되었다 현재 그는 더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과학기술의방향을고민해본사람이 과학기술의가치를높일수있다

가까운 미래에 과학기술 발전의 가장 역동적인 주역이 되는 것은 이공계 대학생들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기술

자체뿐 아니라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교육이 마련되어야 바람직한 이공계 인재 육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대학도 과학기술이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을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조성열 님

전공 기계공학부전공 기계 금속

교육학

해당연도 학기 과목명 과목 내용

2014년 2-2학기 공업 윤리 철학적 관점을 통해 기술로 인해 발생할수 있는 윤리적 이슈를 해석

2015년도 3-2학기2016년도 4-1학기

창의적 공학설계 팀 체제로 공학적 아이디어를 구상하여실제 제작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학습

2016년도 4-2학기 문화와 기술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기술이 사회의 문화와 어떻게 접목되는지 학습하며 수치로 정의할 수 없는 감성의 영역 탐구

2016년도 4-2학기 공업교육론 공업교육을 실제 사회와 연결하는 과정을 학습하며 공업 교사로서 방향성 습득

대학에서 다양한 과학기술학 과목을 수강했습니다 실생활에서 과학기술이 어떻게 쓰이는지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었죠

제가 하는 일이

언제나 제

자신과

지인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학 시절 수강한 과학기술학 과목

과학기술학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철학 과학기술사회학 과학기술정책학 등을 일컫는 분야

02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hellip) 과거에 비해 과학기술을 단순히 경제성장 산업발전의 도구로만 보는 시각에서는 어느 정도 탈

피했다고 할 수 있지만 아직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성에 주목하는 분위기는 낮은 상태입니다

(hellip) 대학생들도 교내에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측면에 대해 고민하고 토론하는 활동이 필요합니다2018 03 24 메일 인터뷰

이영희 교수님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한경희 교수님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hellip)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인 lsquo미래설계공학을 가르

치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산업의 효율성 경제성 등을 높이는 방법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이 가진 근본

적인 의미에 대해서도 고민할 수 있어야 한다는 믿음 때문입니다

(hellip) 과학기술과 사회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고민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방문 인터뷰

(hellip) 그동안의 과학기술 모델은 기술이 사회를 결정하느냐 사회가 기술을 결정하느냐 였습니

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기술과 사회의 앙상블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기술과 사회를 분리하지

만 발전하기 위해서 함께 해야 하죠 이 둘이 만나야 고도화 될 수 있습니다 너무나 유리되어

있는 이 부분을 어떻게 붙여줄 수 있을까요 저는 대학의 교육으로 엮을 수 있다고 봅니다

성지은 박사님과학기술정책연구원 소속

2018 07 12 창원리빙랩포럼방문2018 07 23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방문 인터뷰

PART 01 문제제기 07

하지만학생들은과학기술의사회적쓰임새를배울기회가부족하다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에 대해 고민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전국 이공계열 대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자체 설문조사를 한 결과 현재 재학 중인 대학에 과학기술학 관련

과목이 개설되어있다는 사실을 들어본 적 있는 학생은 51명 이 중 실제로 해당 과목을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은 28명에 불과했다 약 19에 해당하는 이공계 대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에

접하고 있었으며 이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를 배울 기회가 부족함을 의미한다

실제로배워본학생들의 만족도와의견은

1 2 3 4 5

해당과목을들은학생23명에게만족도를물었다

매우불만족스럽다 1 ~ 매우만족스럽다 5

POINT

이과생도 과학기술분야 내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함께 고민해야 하지

그런데 강의실에서 이런 부분을 학습하거나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

다고 생각해 내가 배우는 지식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가치 있게 활용될지

는 잘 모르겠어

N = 146

2018 08 31 ~ 2018 09 03전국 이공계열 대학생(자연공학사범계열)대상 자체 설문조사

Yes (45)

YesNo(66)

34 과학기술학을들어본적있는대학생51명에게

해당과목수강경험을물었다

No55

현재재학중인대학에과학기술학관련과목이개설되어있다는사실을들어본적있습니까

해당과목을수강한경험이있습니까

28명

51명

23명95명

과학기술학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철학 과학기술사회학 과학기술정책학 등을 일컫는 분야

( hellip )

( hellip )

( hellip )

이공계 학생들이 들어야 하는필수 교양과목이라고 생각한다

내 삶과 와닿지 않는다생각했던 내용과 수업느낌이 많이 달랐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사회에미친 영향과 사회의 요구를통해 발전된 과학 기술에 대해배운 것은 흥미 있었으나 일반적인 역사 수업과 크게다른 점이 느껴지지 않았다

과학기술에 대한 윤리의식을 배울 수 있었다

동일 설문에서 해당 교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 23명을 대상으로 수강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lsquo만족스럽지 않다 (2점)rsquo (8명) lsquo보통이다 (3점)rsquo (8명)을 선택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

이 수업의 취지에는 공감을 했으나 과학사에만 치중된 수업 컨텐츠에 아쉬움을 느꼈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다양한 교과목들이 생기기를 바랐다

2명

8명 8명

5명4명

02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안혜진 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화공생명공학과

4학년 재학

대안제시

02왜 과학상점인가

과학상점 소개

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

왜과학상점인가

PART 02 대안제시 09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현실을 진단하다STEP 1

대한민국 정부는 RampD 분야에 경제 개발을 목적으로 막대한 예산을 투자

했지만 국민들의 원하는 lsquo삶의 질 향상rsquo 분야의 투자는 비교적 이루어지지

않았다 경제적 풍요를 이룬 지금 과거처럼 성장만을 위해 달려가기보다

우리 사회가 품은 문제를 해결할 때이다

가까운 미래에 과학기술 발전의 가장 역동적인 주역이 되는 대학생들 지식과

교육에 대한 흡수력이 높은 대학생이 과학기술의 쓰임과 발전 방향에 대해

고민할 때 기술의 가치는 더 높아질 수 있다 대학은 그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STEP 2

시민들이 과학상점의 문을 스스럼없이 두드리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학상점 과학을 전문가들의 전유물로 여기던 관념을

탈피해 누구나 과학기술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한다

과학상점은 과학과 대중의 거리를 좁힌다

과학상점은 과학기술로 우리 지역의 사회 문제를 해결한다

과학상점에서 가능성을 발견하다

과학상점은 지역주민과 시민단체가 의뢰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비영리 단체이다 지역 사회는 이를 통해 더 나은 의사결정의 근거를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과학상점으로현실을 처방하다

① 해당 의뢰가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② 과학상점 이외에는 연구를 수행할 가능성이 없는지

③ 해당 과학상점이 가진 인프라(장비 해당 분야 인력)로 해결가능한지

④ 그 결과를 활용할 주체적인 집단과 역량이 있는지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지역주민과시민단체가의뢰하는사회문제

과학상점은

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코디네이터는 의뢰 받은 문제를 관련 전공의 연구자나 학생들에게 부여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과학상점의 코디네이터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선별 절차를 거친다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에는참여 주체들을잇고 의뢰 받은문제를 선별하는

가 있다

이후 대학과 정부가 마련한 재정을 활용하여 연구자들을 섭외한다

➊문제해결➋문화활동

과학상점 활동은

으로 나뉜다

문제해결

1

이메일 전화 이용

시민문제의뢰

코디네이터기준에 따라

문제 선별

2 3

코디네이터학생 교수

전문기관 등과프로젝트 매칭

연구 주체1 현장답사

2 해결방안 고안3 결론도출

4

코디네이터홈페이지로시민들과결과 공유

5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은 지역주민 주민회

시민단체 여성단체 노동조합 등의

개인이나 단체로부터 과학기술에

관련된 문제를 의뢰받아 지역의

연구기관이나 대학의 연구자들이

시민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지역에 기반을 둔 비영리

연구센터이다 필요에 따라 다른

과학상점 혹은 전문기관과 연계하여

연구를 진행하기도 한다

10

메커니즘

문화활동

과학적 이해와 소통의 계기를 마련하고 과학이 대중 문화에 깊숙이 스며들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축제 컨텐츠 등을 제공한다

(ex) Science et Citeacute (아고라프로젝트 어린이 로봇교실 미친과학자축제)

NCCPE (Glastonbury)

과학상점은 과학물품을 파는 곳이 아닙니다 물건이 필요하면 상점을 가듯

시민들이 일상에서 과학이 필요할 때 누구든지 언제나 방문할 수 있는 기관입니다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2018년 8월 8일 바헤닝언 과학상점 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활동요청지원

연구비 및 제도적 지원

POINT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ART 02 대안제시 11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도로 위 대기 질 측정 프로젝트공학 분야

실제 문제해결 사례

사회 분야네덜란드 바헤닝언

녹지 보존과 주거 수요 충족의 균형

해당 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암스테르담 시의회가주거지 개척보다 녹지 보존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 단체의 의뢰로 시작한 연구가 결국 정부정책에도 영향을 준 과학상점의 성공 사례이다

주거건물 9채를 지을 때 얻는 이익보다 녹지손실 비용인이 더 크다고 발표했다 또한 생태계 다양성 사회 응집성등의 역할이 사라지는 부작용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주거시설확대보다 암스테르담 녹지에 대한 소중함을 강조했다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OINT

실제 문제해결 사례

시민들이 의뢰한 문제를 전문가들이 연구함으로써 정부의 정책에도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제시되었고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더 쾌적한 도로 환경을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도로 위 대기오염 상태가 웹사이트에공개되었고 자전거 이용자들은 이 결과를 통해 이동경로를 선택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연구 자료는정부에 대기오염 개선을 촉구하는 자료로 사용되었다

TEEB 도시 방법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에 의해 제공되는 혜택을 인식하고경제적 측면에서 가치를 입증하는 평가 방법

과정

결과

의의

과정

결과

의의

2000년대 중반 네덜란드 자전거이용자 연합 (Dutch Cyclist UnionDCU)은도로의 대기질을 모니터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전거 이용자들이 공기오염이 덜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자전거에 부착할수 있는 대기질 측정 기구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과학상점에 의뢰하였다 과학상점을 중개로 이 분야의 전문가로 알려진 위트레흐트 환경역학과 교수와함께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네덜란드 시민단체 GPA(The Groen Platform Amsterdam) 는 도시 내의주거시설에 대한 수요와 녹지 보존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바헤닝언과학상점에 연구를 의뢰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lsquoTEEB 도시 방법rsquo을 통해도시 녹지의 다양한 이익을 계산했다 이를 통해 주거지역 개발로 인해 부담해야할 녹지훼손 비용을 탐구했고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PART 02 대안제시 12

우리 기관은 과학과 사회를

잇는 Science communication

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

방안으로 Science et cite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및 문화활동 행사를 개최하여

시민들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매년 lsquo미친 과학자 축제rsquo를 개최한다 최근 행사의 경우 스위스의 베른 박물관에서

진행했다 다과를 먹고 다양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면서 가볍고 재미있는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다 이 축제에서 사람들은 영화 혹은 소설에서 등장하는 괴짜

과학자의 분장을 하고 나타난다 실제 과학자들이 이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과학자에 대한 편견을 깨면서 사람들에게 웃음을 줄 수 있고 친숙함을

선사할 수 있다

스위스에 위치한 Science et Citeacute 재단은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그들은 먼저 시민들이 과학에

대한 거리감을 걷어내고 친근감을 느껴야 한다고 말한다 Science et Citeacute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시옹스 에 시테 시네마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는 자연 과학 기술 등을

주제로 대학생 영화 제작자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상영하는 행사이다 영화

제작자 및 관심있는 아마추어 간의 네트워킹을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NCCPE 영국에 위치한 NCCPE는 대학의 시민참여 연구를 지원하고 대학과 대중의교류를 위해 다양한 문화사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또한 고등교육의 올바른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National Co-ordinating Center

for Public Engagement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Deputy Director

Sophie Duncan 대학생들이 지역사회 축제 프로그램을

기획해서 진행 워크샵 공연 교육 세션등을 통해 학생들이 대중을 만나는방식으로 축제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대학생은 고등 교육기관에서 배운 전공을바탕으로 사회 공헌에 참여하는 방법을익힐 수 있다

대학생 축제 기획 프로그램

실제 문화활동 사례

실제 문제해결 사례

01과학상점 소개

2018년 8월 6일Science et cite 기관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과학상점에서 활동했던

학생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다

암스테르담Athena 과학상점

PART 02 대안제시 13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2 기능2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암스테르담 Athena과학상점 인턴

KarilynGastelbondo

과학상점을 처음 어떻게 알게 되었나요Athena 기관은 Amsterdam 대학교와 연합하여 운영 중입니다 Athena

기관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을 때 자연스럽게 과학상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생도 함께 한다는 말을 듣고 찾아가 시작하였습니다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얻는 benefit은 무엇인가요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했나요 인상 깊었던 점은 무엇이었나요

과학상점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과학기술이 경제적인 부분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알리기 위해서

과학상점이 더욱 필요합니다

과학상점은 많은 사람들과

질문하고 토론하고 고민하는

기관입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성급하지 않게 나아가야

합니다

2018년 8월 10일암스테르담 인터뷰 내용 진행

Master degree과정의 학생들은 장학금을 받거나 학점을 인정받는

형식으로 benefit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바쁜 현실에 살고 있기 때문에 사회를 개선하거나 바꾸는데

선뜻 나서지 못합니다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기도 하구요

하지만 분명히 고쳐져야 하는 많은 문제들이 널려 있습니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서 시민과 과학자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사회와 만나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준다고

생각합니다 강의 시간에 이론만을 배우거나 좁은 실험실 안에서만

연구하다 보면 시야가 협소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좁은 안목으로

바라보는게 아니라 더 넓은 세상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는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Amsterdam Athena 과학상점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모니터링 하는 일에

참여하고 있죠 프로젝트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처음에 의도한 방향을

잘 유지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상점의 전반적인 운영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과학상점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생각할 수 있는 프로젝트였어요 과학상점이 지역사회에 안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굉장히 필요하고 좋은 영향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

니다

지금은 방학 10주 동안 바르셀로나 IrsiCaixa 과학상점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HIV에 관한 연구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에이즈

연구기관과 함께 협업하고 있죠 수업시간에는 접해보지 못했을 분야지만

과학상점을 통해 저도 배우고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을 통해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기쁩니다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14

과학상점 형태3

대학기반

프로그램 인턴 형태의 과학상점과 달리 코디네이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 스스로 코디네이터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유럽에서는 많은 과학상점들이 대학의 부속기구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들은 다양한 운영형태로 과학상점에 참여하고 있다

시민의 의뢰를 받아 코디네이터가 연구 적절성을 판단한 후 연구 팀을 구성한다

교내 위원회나 상위 부서로부터 예산을 조달 받으며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예산

지급 여부 및 예산액이 결정된다

(ex)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Athena Science Shop VU University Amsterdam)

(ex) 유럽 내 대부분 대학기반 과학상점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Victoria) 호주 시드니 공과대학교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학생 연구자 및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을 이룬다 특징으로 다른 과학상점 및 기관에

인턴을 파견하여 해당 기관의 연구와 작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ex)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공과대학 (University of Technology Eindhoven)

미국(UC Berkeley Science Shop

학생자체운영(동아리)

프로그램

인턴

비정부기구

대학과 독립적으로 비정부기구로 운영되는 과학상점이다 지역에 기반을 둔 NGO에

의해 조직되어 운영되며 지역주민에게 사회 기술 환경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

할 수 있는 자원 및 설비를 제공한다 또 그들이 직접 행동할 수 있도록 법과 정책

등을 통해 돕는 일을 한다 대학기반유형보다 전문적 인력이 운영한다

(ex) 미국 대부분의 과학상점 독일 본 과학상점 아일랜드 캠퍼스 인게이지 아일랜드 NCCPE 로고

비정부기구지역middot국가middot국제적으로 조직된자발적인 비영리시민단체사회복지학사전(2009)

POINT

유럽의 대부분의 과학상점이 대학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 네트워크로 구성돼 있는 반면미국의 과학상점은 독립적이고 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연구센터가 중심이 된다

과학상점이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형태를 띤 것은 아니었다

초기에는 과학상점이란 용어조차 없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는 과학상점이 명함상자 하나로 시작되었다

명함상자를 며칠 놓아두고 해결하고 싶은 문제와 의뢰인이 적힌

명함이 가득 차기를 기다렸다 상자를 다시 가져 와서 명함의 내용을

조사한 후 과학자들을 찾아가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문의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1979년 네덜란드 교육과학부가 암스테르담 대학

과학상점을 공식화하면서 과학상점 제도화의 기틀이 마련됐다A History of Science Shops in the Netherlands (The University of Amsterdam

Masters Thesis UU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Jurgen Sijbren Sijbrandij)

네덜란드에서 과학상점이 공식 기구임을 입증하는 논문

02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PART 02 대안제시 15

과학기술을 좀 더 평화적이고 대중적으로 발전시키고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하고자 했던 전문가들 세금으로

지원받은 학비를 시민들에게 보답하고자 하는

대학생들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정부의

삼박자로 lsquo과학상점 운동rsquo이 시작되었다

마침내 1974년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에서 최초의

과학상점인 lsquo화학상점rsquo이 개설된다

1970년대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했던 과학자와 대학생들은 과학상점을 창안해냈다시간이 흐르면서 그 시대가 가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조금씩 변해가며 오늘날까지 발전하고 있다

최초의 과학상점 lsquo화학상점rsquo 이 개설되다

네덜란드 이외의 유럽 국가인 프랑스 독일 덴마크

벨기에 등지에 과학상점이 확산되었다 당시

환경운동이 성장하며 환경 과학 관련 학과들이 대학에

생겨났고 환경오염에 대해 고민하는 전문가들과

학생들로부터 과학상점이 설립되게 된다

1980년대

당대의 이슈 환경운동과 함께 확산되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과학상점 간의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이는 2000년 과학상점들의 국제

네트워크 발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과학상점은 유럽을 너머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등으로 퍼져 나간다

1990년대

과학상점 네트워크 형성으로세계로 뻗어 나가다

1960년대

1955년 11월 1일 발발하여 1975년 4월 30일까지

약 20여년간 지속된 베트남 전쟁 본격적으로

화학전이 시작된 전쟁으로 당시 과학자들은 무자비한

화학전이 펼쳐지는 것을 보며 전쟁이 빚어 낸 파괴적

지식의 성찰을 공유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다

PART 02 대안제시 16

현재 전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인 과학상점

최초의 과학상점이 생긴 후 약 40년이 지난 지금 Living Knowledge Network (이하 LKN) 가입 여부를 기준으로 전 세계 87여개의 과학상점이 27개국에 존재한다

2018년 5월 30일-6월 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전 세계 33 개국 약 250명 참석

유럽 과학상점 분포 현황

전 세계 과학상점을 하나로 연결하는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리빙놀리지네트워크 관계자가 주최하는 비정기적 온라인과학기술 동향 토론회 소셜 미디어 라이브로 진행하며 이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1-2년 간격으로 컨퍼런스를 개최 연구 성과 공유 지속 가능한발전에 대한 논의 유럽 연합 커미션 아젠다 토론 등을 진행한다

Living Knowledge Conference 개최

뉴스레터 배부

각 과학상점에 대한 최신 동향을알리는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발행하여 LKN에 소속된 과학상점에배부한다

Web-inar (web+seminar) 진행

정기 행사

활동 공유

국제 과학상점 네트워크로 2000년 과학상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제도적 지원

비정기 행사

이처럼 과학상점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 있고 같은 가치를 공유하며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유럽 각지에서 과학상점 전통이이어지고 있다

Living Knowledge Network 가입기준

유럽22개국66개비유럽6개국20개

0 2 4 6 10개 이상

비유럽국가분포현황

오스트레일리아(1) 캐나다(6)아이티(1)

이스라엘 (1) 미국(10)남아프리카공화국(1)

과학상점 10

03과거 국내 과학상점

해외탐방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6: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PART 01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 방사선 안전관리법 기준치

연간 1mSv 초과 금지

08 2410 6

모 침대업체 매트리스 7종연간 피폭선량 조사결과

기존의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대한 성찰로

lsquo국민생활연구rsquo가 주목받고 있다 우리 사회의

도전 과제 (Societal challenge) 해결이

최우선 목표인 것이다 고령화 기후변화 안전

문제 보건 middot 의료 문제 양극화 문제 등 사회

전체가 공동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를 다룬다

이는 특정 산업 기업 육성이나 과학기술 분야

그 자체의 발전을 우선시하는 전통 접근과는

결이 다르다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매우 공공성 강한

활동이고 우리 사회를 더욱더 지속 가능하고

살 만한 곳으로 전환시키는 노력이다

살충제 계란 미세먼지 가습기 살균제 라돈 침대까지hellip

국민들은 과학기술을 활용한 더 나은 삶을 원한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살충제 계란 파동 미세먼지 등 다양한 사회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근원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 역할에 대해 국민들의 요구가 점점 증가해왔으나 그 기대에 완벽히 부응하지는 못했다

정부 lsquo국민생활연구rsquo를 확대하다

기존연구개발체계

Change

최근연구개발체계

필요성느끼는

정책담당하는

연구개발수행하는

국가전략또는경제성장삶의질향상

과학기술의혜택이모든국민에게

과학기술경쟁력확보 사회문제해결

공급자중심의연구개발수요자참여형연구개발

기술+ 인문사회+ 법제도융합

연구개발부서중심 연구개발부서와정책부서협업

논문특허등연구산출물 새로운사회적서비스 제품

목적

목표

특징

주체

결과

안전

환경

건강

편리

재해 교통사고사이버 범죄

대기 수질 소음유해 화학물질

질병 의료식품 위생

고독사공공서비스

middot 도심 지하붕괴 인명 탐지 및 구조middot 한국형 조기경보체계 구축

middot 미세플라스틱의 해양생태계 middot인체 middot 위협 대응middot 인공강우 유발을 통한 가뭄 대응

middot 감염병 예측 및 감시망 구축middot 화학물질 첨가 식품 위해성 차단

middot IoT 기반 독거노인 생활 복지 서비스 제공middot 시각장애인을 위한 문화 향유 보조

분야 주요 문제 연구 내용

주요 국민생활문제 및 연구분야(예시)

01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경제개발 뿐 아니라 삶의 질에 주목하는 과학기술2

PART 01 문제제기 06

대학은고등교육기관으로서 과학기술을 다루는올바른방향성을 습득하는 장소가되어야 한다

과학기술교육자와전문가들은이공계대학현장을어떻게바라보고있을까

우리는 대학생 시절 과학기술의 발전 방향과 가치에 대한 교육을 받고 스스로 고민한 결과 lsquo발전을 위한 발전rsquo만이

아닌 lsquo사회적인 가치를 높이는 연구rsquo를 하고 있는 공학도를 만났다 현재 특수 분야 세척기를 제작하는 회사에서 설계

및 연구직으로 근무중인 조성열 님은 대학에서의 경험을 통해 자신이 전공한 기계 공학분야의 지식이 소비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민하게 되었다 현재 그는 더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과학기술의방향을고민해본사람이 과학기술의가치를높일수있다

가까운 미래에 과학기술 발전의 가장 역동적인 주역이 되는 것은 이공계 대학생들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기술

자체뿐 아니라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교육이 마련되어야 바람직한 이공계 인재 육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대학도 과학기술이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을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조성열 님

전공 기계공학부전공 기계 금속

교육학

해당연도 학기 과목명 과목 내용

2014년 2-2학기 공업 윤리 철학적 관점을 통해 기술로 인해 발생할수 있는 윤리적 이슈를 해석

2015년도 3-2학기2016년도 4-1학기

창의적 공학설계 팀 체제로 공학적 아이디어를 구상하여실제 제작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학습

2016년도 4-2학기 문화와 기술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기술이 사회의 문화와 어떻게 접목되는지 학습하며 수치로 정의할 수 없는 감성의 영역 탐구

2016년도 4-2학기 공업교육론 공업교육을 실제 사회와 연결하는 과정을 학습하며 공업 교사로서 방향성 습득

대학에서 다양한 과학기술학 과목을 수강했습니다 실생활에서 과학기술이 어떻게 쓰이는지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었죠

제가 하는 일이

언제나 제

자신과

지인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학 시절 수강한 과학기술학 과목

과학기술학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철학 과학기술사회학 과학기술정책학 등을 일컫는 분야

02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hellip) 과거에 비해 과학기술을 단순히 경제성장 산업발전의 도구로만 보는 시각에서는 어느 정도 탈

피했다고 할 수 있지만 아직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성에 주목하는 분위기는 낮은 상태입니다

(hellip) 대학생들도 교내에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측면에 대해 고민하고 토론하는 활동이 필요합니다2018 03 24 메일 인터뷰

이영희 교수님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한경희 교수님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hellip)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인 lsquo미래설계공학을 가르

치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산업의 효율성 경제성 등을 높이는 방법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이 가진 근본

적인 의미에 대해서도 고민할 수 있어야 한다는 믿음 때문입니다

(hellip) 과학기술과 사회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고민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방문 인터뷰

(hellip) 그동안의 과학기술 모델은 기술이 사회를 결정하느냐 사회가 기술을 결정하느냐 였습니

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기술과 사회의 앙상블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기술과 사회를 분리하지

만 발전하기 위해서 함께 해야 하죠 이 둘이 만나야 고도화 될 수 있습니다 너무나 유리되어

있는 이 부분을 어떻게 붙여줄 수 있을까요 저는 대학의 교육으로 엮을 수 있다고 봅니다

성지은 박사님과학기술정책연구원 소속

2018 07 12 창원리빙랩포럼방문2018 07 23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방문 인터뷰

PART 01 문제제기 07

하지만학생들은과학기술의사회적쓰임새를배울기회가부족하다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에 대해 고민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전국 이공계열 대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자체 설문조사를 한 결과 현재 재학 중인 대학에 과학기술학 관련

과목이 개설되어있다는 사실을 들어본 적 있는 학생은 51명 이 중 실제로 해당 과목을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은 28명에 불과했다 약 19에 해당하는 이공계 대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에

접하고 있었으며 이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를 배울 기회가 부족함을 의미한다

실제로배워본학생들의 만족도와의견은

1 2 3 4 5

해당과목을들은학생23명에게만족도를물었다

매우불만족스럽다 1 ~ 매우만족스럽다 5

POINT

이과생도 과학기술분야 내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함께 고민해야 하지

그런데 강의실에서 이런 부분을 학습하거나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

다고 생각해 내가 배우는 지식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가치 있게 활용될지

는 잘 모르겠어

N = 146

2018 08 31 ~ 2018 09 03전국 이공계열 대학생(자연공학사범계열)대상 자체 설문조사

Yes (45)

YesNo(66)

34 과학기술학을들어본적있는대학생51명에게

해당과목수강경험을물었다

No55

현재재학중인대학에과학기술학관련과목이개설되어있다는사실을들어본적있습니까

해당과목을수강한경험이있습니까

28명

51명

23명95명

과학기술학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철학 과학기술사회학 과학기술정책학 등을 일컫는 분야

( hellip )

( hellip )

( hellip )

이공계 학생들이 들어야 하는필수 교양과목이라고 생각한다

내 삶과 와닿지 않는다생각했던 내용과 수업느낌이 많이 달랐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사회에미친 영향과 사회의 요구를통해 발전된 과학 기술에 대해배운 것은 흥미 있었으나 일반적인 역사 수업과 크게다른 점이 느껴지지 않았다

과학기술에 대한 윤리의식을 배울 수 있었다

동일 설문에서 해당 교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 23명을 대상으로 수강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lsquo만족스럽지 않다 (2점)rsquo (8명) lsquo보통이다 (3점)rsquo (8명)을 선택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

이 수업의 취지에는 공감을 했으나 과학사에만 치중된 수업 컨텐츠에 아쉬움을 느꼈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다양한 교과목들이 생기기를 바랐다

2명

8명 8명

5명4명

02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안혜진 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화공생명공학과

4학년 재학

대안제시

02왜 과학상점인가

과학상점 소개

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

왜과학상점인가

PART 02 대안제시 09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현실을 진단하다STEP 1

대한민국 정부는 RampD 분야에 경제 개발을 목적으로 막대한 예산을 투자

했지만 국민들의 원하는 lsquo삶의 질 향상rsquo 분야의 투자는 비교적 이루어지지

않았다 경제적 풍요를 이룬 지금 과거처럼 성장만을 위해 달려가기보다

우리 사회가 품은 문제를 해결할 때이다

가까운 미래에 과학기술 발전의 가장 역동적인 주역이 되는 대학생들 지식과

교육에 대한 흡수력이 높은 대학생이 과학기술의 쓰임과 발전 방향에 대해

고민할 때 기술의 가치는 더 높아질 수 있다 대학은 그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STEP 2

시민들이 과학상점의 문을 스스럼없이 두드리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학상점 과학을 전문가들의 전유물로 여기던 관념을

탈피해 누구나 과학기술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한다

과학상점은 과학과 대중의 거리를 좁힌다

과학상점은 과학기술로 우리 지역의 사회 문제를 해결한다

과학상점에서 가능성을 발견하다

과학상점은 지역주민과 시민단체가 의뢰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비영리 단체이다 지역 사회는 이를 통해 더 나은 의사결정의 근거를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과학상점으로현실을 처방하다

① 해당 의뢰가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② 과학상점 이외에는 연구를 수행할 가능성이 없는지

③ 해당 과학상점이 가진 인프라(장비 해당 분야 인력)로 해결가능한지

④ 그 결과를 활용할 주체적인 집단과 역량이 있는지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지역주민과시민단체가의뢰하는사회문제

과학상점은

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코디네이터는 의뢰 받은 문제를 관련 전공의 연구자나 학생들에게 부여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과학상점의 코디네이터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선별 절차를 거친다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에는참여 주체들을잇고 의뢰 받은문제를 선별하는

가 있다

이후 대학과 정부가 마련한 재정을 활용하여 연구자들을 섭외한다

➊문제해결➋문화활동

과학상점 활동은

으로 나뉜다

문제해결

1

이메일 전화 이용

시민문제의뢰

코디네이터기준에 따라

문제 선별

2 3

코디네이터학생 교수

전문기관 등과프로젝트 매칭

연구 주체1 현장답사

2 해결방안 고안3 결론도출

4

코디네이터홈페이지로시민들과결과 공유

5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은 지역주민 주민회

시민단체 여성단체 노동조합 등의

개인이나 단체로부터 과학기술에

관련된 문제를 의뢰받아 지역의

연구기관이나 대학의 연구자들이

시민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지역에 기반을 둔 비영리

연구센터이다 필요에 따라 다른

과학상점 혹은 전문기관과 연계하여

연구를 진행하기도 한다

10

메커니즘

문화활동

과학적 이해와 소통의 계기를 마련하고 과학이 대중 문화에 깊숙이 스며들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축제 컨텐츠 등을 제공한다

(ex) Science et Citeacute (아고라프로젝트 어린이 로봇교실 미친과학자축제)

NCCPE (Glastonbury)

과학상점은 과학물품을 파는 곳이 아닙니다 물건이 필요하면 상점을 가듯

시민들이 일상에서 과학이 필요할 때 누구든지 언제나 방문할 수 있는 기관입니다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2018년 8월 8일 바헤닝언 과학상점 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활동요청지원

연구비 및 제도적 지원

POINT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ART 02 대안제시 11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도로 위 대기 질 측정 프로젝트공학 분야

실제 문제해결 사례

사회 분야네덜란드 바헤닝언

녹지 보존과 주거 수요 충족의 균형

해당 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암스테르담 시의회가주거지 개척보다 녹지 보존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 단체의 의뢰로 시작한 연구가 결국 정부정책에도 영향을 준 과학상점의 성공 사례이다

주거건물 9채를 지을 때 얻는 이익보다 녹지손실 비용인이 더 크다고 발표했다 또한 생태계 다양성 사회 응집성등의 역할이 사라지는 부작용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주거시설확대보다 암스테르담 녹지에 대한 소중함을 강조했다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OINT

실제 문제해결 사례

시민들이 의뢰한 문제를 전문가들이 연구함으로써 정부의 정책에도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제시되었고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더 쾌적한 도로 환경을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도로 위 대기오염 상태가 웹사이트에공개되었고 자전거 이용자들은 이 결과를 통해 이동경로를 선택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연구 자료는정부에 대기오염 개선을 촉구하는 자료로 사용되었다

TEEB 도시 방법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에 의해 제공되는 혜택을 인식하고경제적 측면에서 가치를 입증하는 평가 방법

과정

결과

의의

과정

결과

의의

2000년대 중반 네덜란드 자전거이용자 연합 (Dutch Cyclist UnionDCU)은도로의 대기질을 모니터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전거 이용자들이 공기오염이 덜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자전거에 부착할수 있는 대기질 측정 기구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과학상점에 의뢰하였다 과학상점을 중개로 이 분야의 전문가로 알려진 위트레흐트 환경역학과 교수와함께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네덜란드 시민단체 GPA(The Groen Platform Amsterdam) 는 도시 내의주거시설에 대한 수요와 녹지 보존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바헤닝언과학상점에 연구를 의뢰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lsquoTEEB 도시 방법rsquo을 통해도시 녹지의 다양한 이익을 계산했다 이를 통해 주거지역 개발로 인해 부담해야할 녹지훼손 비용을 탐구했고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PART 02 대안제시 12

우리 기관은 과학과 사회를

잇는 Science communication

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

방안으로 Science et cite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및 문화활동 행사를 개최하여

시민들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매년 lsquo미친 과학자 축제rsquo를 개최한다 최근 행사의 경우 스위스의 베른 박물관에서

진행했다 다과를 먹고 다양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면서 가볍고 재미있는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다 이 축제에서 사람들은 영화 혹은 소설에서 등장하는 괴짜

과학자의 분장을 하고 나타난다 실제 과학자들이 이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과학자에 대한 편견을 깨면서 사람들에게 웃음을 줄 수 있고 친숙함을

선사할 수 있다

스위스에 위치한 Science et Citeacute 재단은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그들은 먼저 시민들이 과학에

대한 거리감을 걷어내고 친근감을 느껴야 한다고 말한다 Science et Citeacute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시옹스 에 시테 시네마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는 자연 과학 기술 등을

주제로 대학생 영화 제작자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상영하는 행사이다 영화

제작자 및 관심있는 아마추어 간의 네트워킹을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NCCPE 영국에 위치한 NCCPE는 대학의 시민참여 연구를 지원하고 대학과 대중의교류를 위해 다양한 문화사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또한 고등교육의 올바른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National Co-ordinating Center

for Public Engagement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Deputy Director

Sophie Duncan 대학생들이 지역사회 축제 프로그램을

기획해서 진행 워크샵 공연 교육 세션등을 통해 학생들이 대중을 만나는방식으로 축제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대학생은 고등 교육기관에서 배운 전공을바탕으로 사회 공헌에 참여하는 방법을익힐 수 있다

대학생 축제 기획 프로그램

실제 문화활동 사례

실제 문제해결 사례

01과학상점 소개

2018년 8월 6일Science et cite 기관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과학상점에서 활동했던

학생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다

암스테르담Athena 과학상점

PART 02 대안제시 13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2 기능2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암스테르담 Athena과학상점 인턴

KarilynGastelbondo

과학상점을 처음 어떻게 알게 되었나요Athena 기관은 Amsterdam 대학교와 연합하여 운영 중입니다 Athena

기관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을 때 자연스럽게 과학상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생도 함께 한다는 말을 듣고 찾아가 시작하였습니다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얻는 benefit은 무엇인가요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했나요 인상 깊었던 점은 무엇이었나요

과학상점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과학기술이 경제적인 부분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알리기 위해서

과학상점이 더욱 필요합니다

과학상점은 많은 사람들과

질문하고 토론하고 고민하는

기관입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성급하지 않게 나아가야

합니다

2018년 8월 10일암스테르담 인터뷰 내용 진행

Master degree과정의 학생들은 장학금을 받거나 학점을 인정받는

형식으로 benefit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바쁜 현실에 살고 있기 때문에 사회를 개선하거나 바꾸는데

선뜻 나서지 못합니다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기도 하구요

하지만 분명히 고쳐져야 하는 많은 문제들이 널려 있습니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서 시민과 과학자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사회와 만나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준다고

생각합니다 강의 시간에 이론만을 배우거나 좁은 실험실 안에서만

연구하다 보면 시야가 협소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좁은 안목으로

바라보는게 아니라 더 넓은 세상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는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Amsterdam Athena 과학상점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모니터링 하는 일에

참여하고 있죠 프로젝트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처음에 의도한 방향을

잘 유지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상점의 전반적인 운영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과학상점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생각할 수 있는 프로젝트였어요 과학상점이 지역사회에 안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굉장히 필요하고 좋은 영향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

니다

지금은 방학 10주 동안 바르셀로나 IrsiCaixa 과학상점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HIV에 관한 연구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에이즈

연구기관과 함께 협업하고 있죠 수업시간에는 접해보지 못했을 분야지만

과학상점을 통해 저도 배우고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을 통해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기쁩니다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14

과학상점 형태3

대학기반

프로그램 인턴 형태의 과학상점과 달리 코디네이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 스스로 코디네이터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유럽에서는 많은 과학상점들이 대학의 부속기구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들은 다양한 운영형태로 과학상점에 참여하고 있다

시민의 의뢰를 받아 코디네이터가 연구 적절성을 판단한 후 연구 팀을 구성한다

교내 위원회나 상위 부서로부터 예산을 조달 받으며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예산

지급 여부 및 예산액이 결정된다

(ex)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Athena Science Shop VU University Amsterdam)

(ex) 유럽 내 대부분 대학기반 과학상점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Victoria) 호주 시드니 공과대학교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학생 연구자 및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을 이룬다 특징으로 다른 과학상점 및 기관에

인턴을 파견하여 해당 기관의 연구와 작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ex)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공과대학 (University of Technology Eindhoven)

미국(UC Berkeley Science Shop

학생자체운영(동아리)

프로그램

인턴

비정부기구

대학과 독립적으로 비정부기구로 운영되는 과학상점이다 지역에 기반을 둔 NGO에

의해 조직되어 운영되며 지역주민에게 사회 기술 환경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

할 수 있는 자원 및 설비를 제공한다 또 그들이 직접 행동할 수 있도록 법과 정책

등을 통해 돕는 일을 한다 대학기반유형보다 전문적 인력이 운영한다

(ex) 미국 대부분의 과학상점 독일 본 과학상점 아일랜드 캠퍼스 인게이지 아일랜드 NCCPE 로고

비정부기구지역middot국가middot국제적으로 조직된자발적인 비영리시민단체사회복지학사전(2009)

POINT

유럽의 대부분의 과학상점이 대학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 네트워크로 구성돼 있는 반면미국의 과학상점은 독립적이고 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연구센터가 중심이 된다

과학상점이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형태를 띤 것은 아니었다

초기에는 과학상점이란 용어조차 없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는 과학상점이 명함상자 하나로 시작되었다

명함상자를 며칠 놓아두고 해결하고 싶은 문제와 의뢰인이 적힌

명함이 가득 차기를 기다렸다 상자를 다시 가져 와서 명함의 내용을

조사한 후 과학자들을 찾아가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문의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1979년 네덜란드 교육과학부가 암스테르담 대학

과학상점을 공식화하면서 과학상점 제도화의 기틀이 마련됐다A History of Science Shops in the Netherlands (The University of Amsterdam

Masters Thesis UU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Jurgen Sijbren Sijbrandij)

네덜란드에서 과학상점이 공식 기구임을 입증하는 논문

02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PART 02 대안제시 15

과학기술을 좀 더 평화적이고 대중적으로 발전시키고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하고자 했던 전문가들 세금으로

지원받은 학비를 시민들에게 보답하고자 하는

대학생들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정부의

삼박자로 lsquo과학상점 운동rsquo이 시작되었다

마침내 1974년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에서 최초의

과학상점인 lsquo화학상점rsquo이 개설된다

1970년대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했던 과학자와 대학생들은 과학상점을 창안해냈다시간이 흐르면서 그 시대가 가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조금씩 변해가며 오늘날까지 발전하고 있다

최초의 과학상점 lsquo화학상점rsquo 이 개설되다

네덜란드 이외의 유럽 국가인 프랑스 독일 덴마크

벨기에 등지에 과학상점이 확산되었다 당시

환경운동이 성장하며 환경 과학 관련 학과들이 대학에

생겨났고 환경오염에 대해 고민하는 전문가들과

학생들로부터 과학상점이 설립되게 된다

1980년대

당대의 이슈 환경운동과 함께 확산되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과학상점 간의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이는 2000년 과학상점들의 국제

네트워크 발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과학상점은 유럽을 너머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등으로 퍼져 나간다

1990년대

과학상점 네트워크 형성으로세계로 뻗어 나가다

1960년대

1955년 11월 1일 발발하여 1975년 4월 30일까지

약 20여년간 지속된 베트남 전쟁 본격적으로

화학전이 시작된 전쟁으로 당시 과학자들은 무자비한

화학전이 펼쳐지는 것을 보며 전쟁이 빚어 낸 파괴적

지식의 성찰을 공유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다

PART 02 대안제시 16

현재 전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인 과학상점

최초의 과학상점이 생긴 후 약 40년이 지난 지금 Living Knowledge Network (이하 LKN) 가입 여부를 기준으로 전 세계 87여개의 과학상점이 27개국에 존재한다

2018년 5월 30일-6월 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전 세계 33 개국 약 250명 참석

유럽 과학상점 분포 현황

전 세계 과학상점을 하나로 연결하는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리빙놀리지네트워크 관계자가 주최하는 비정기적 온라인과학기술 동향 토론회 소셜 미디어 라이브로 진행하며 이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1-2년 간격으로 컨퍼런스를 개최 연구 성과 공유 지속 가능한발전에 대한 논의 유럽 연합 커미션 아젠다 토론 등을 진행한다

Living Knowledge Conference 개최

뉴스레터 배부

각 과학상점에 대한 최신 동향을알리는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발행하여 LKN에 소속된 과학상점에배부한다

Web-inar (web+seminar) 진행

정기 행사

활동 공유

국제 과학상점 네트워크로 2000년 과학상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제도적 지원

비정기 행사

이처럼 과학상점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 있고 같은 가치를 공유하며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유럽 각지에서 과학상점 전통이이어지고 있다

Living Knowledge Network 가입기준

유럽22개국66개비유럽6개국20개

0 2 4 6 10개 이상

비유럽국가분포현황

오스트레일리아(1) 캐나다(6)아이티(1)

이스라엘 (1) 미국(10)남아프리카공화국(1)

과학상점 10

03과거 국내 과학상점

해외탐방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7: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PART 01 문제제기 06

대학은고등교육기관으로서 과학기술을 다루는올바른방향성을 습득하는 장소가되어야 한다

과학기술교육자와전문가들은이공계대학현장을어떻게바라보고있을까

우리는 대학생 시절 과학기술의 발전 방향과 가치에 대한 교육을 받고 스스로 고민한 결과 lsquo발전을 위한 발전rsquo만이

아닌 lsquo사회적인 가치를 높이는 연구rsquo를 하고 있는 공학도를 만났다 현재 특수 분야 세척기를 제작하는 회사에서 설계

및 연구직으로 근무중인 조성열 님은 대학에서의 경험을 통해 자신이 전공한 기계 공학분야의 지식이 소비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민하게 되었다 현재 그는 더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과학기술의방향을고민해본사람이 과학기술의가치를높일수있다

가까운 미래에 과학기술 발전의 가장 역동적인 주역이 되는 것은 이공계 대학생들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기술

자체뿐 아니라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교육이 마련되어야 바람직한 이공계 인재 육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대학도 과학기술이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을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조성열 님

전공 기계공학부전공 기계 금속

교육학

해당연도 학기 과목명 과목 내용

2014년 2-2학기 공업 윤리 철학적 관점을 통해 기술로 인해 발생할수 있는 윤리적 이슈를 해석

2015년도 3-2학기2016년도 4-1학기

창의적 공학설계 팀 체제로 공학적 아이디어를 구상하여실제 제작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학습

2016년도 4-2학기 문화와 기술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기술이 사회의 문화와 어떻게 접목되는지 학습하며 수치로 정의할 수 없는 감성의 영역 탐구

2016년도 4-2학기 공업교육론 공업교육을 실제 사회와 연결하는 과정을 학습하며 공업 교사로서 방향성 습득

대학에서 다양한 과학기술학 과목을 수강했습니다 실생활에서 과학기술이 어떻게 쓰이는지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었죠

제가 하는 일이

언제나 제

자신과

지인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학 시절 수강한 과학기술학 과목

과학기술학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철학 과학기술사회학 과학기술정책학 등을 일컫는 분야

02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hellip) 과거에 비해 과학기술을 단순히 경제성장 산업발전의 도구로만 보는 시각에서는 어느 정도 탈

피했다고 할 수 있지만 아직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성에 주목하는 분위기는 낮은 상태입니다

(hellip) 대학생들도 교내에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측면에 대해 고민하고 토론하는 활동이 필요합니다2018 03 24 메일 인터뷰

이영희 교수님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한경희 교수님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hellip)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인 lsquo미래설계공학을 가르

치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산업의 효율성 경제성 등을 높이는 방법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이 가진 근본

적인 의미에 대해서도 고민할 수 있어야 한다는 믿음 때문입니다

(hellip) 과학기술과 사회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고민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방문 인터뷰

(hellip) 그동안의 과학기술 모델은 기술이 사회를 결정하느냐 사회가 기술을 결정하느냐 였습니

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기술과 사회의 앙상블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기술과 사회를 분리하지

만 발전하기 위해서 함께 해야 하죠 이 둘이 만나야 고도화 될 수 있습니다 너무나 유리되어

있는 이 부분을 어떻게 붙여줄 수 있을까요 저는 대학의 교육으로 엮을 수 있다고 봅니다

성지은 박사님과학기술정책연구원 소속

2018 07 12 창원리빙랩포럼방문2018 07 23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방문 인터뷰

PART 01 문제제기 07

하지만학생들은과학기술의사회적쓰임새를배울기회가부족하다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에 대해 고민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전국 이공계열 대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자체 설문조사를 한 결과 현재 재학 중인 대학에 과학기술학 관련

과목이 개설되어있다는 사실을 들어본 적 있는 학생은 51명 이 중 실제로 해당 과목을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은 28명에 불과했다 약 19에 해당하는 이공계 대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에

접하고 있었으며 이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를 배울 기회가 부족함을 의미한다

실제로배워본학생들의 만족도와의견은

1 2 3 4 5

해당과목을들은학생23명에게만족도를물었다

매우불만족스럽다 1 ~ 매우만족스럽다 5

POINT

이과생도 과학기술분야 내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함께 고민해야 하지

그런데 강의실에서 이런 부분을 학습하거나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

다고 생각해 내가 배우는 지식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가치 있게 활용될지

는 잘 모르겠어

N = 146

2018 08 31 ~ 2018 09 03전국 이공계열 대학생(자연공학사범계열)대상 자체 설문조사

Yes (45)

YesNo(66)

34 과학기술학을들어본적있는대학생51명에게

해당과목수강경험을물었다

No55

현재재학중인대학에과학기술학관련과목이개설되어있다는사실을들어본적있습니까

해당과목을수강한경험이있습니까

28명

51명

23명95명

과학기술학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철학 과학기술사회학 과학기술정책학 등을 일컫는 분야

( hellip )

( hellip )

( hellip )

이공계 학생들이 들어야 하는필수 교양과목이라고 생각한다

내 삶과 와닿지 않는다생각했던 내용과 수업느낌이 많이 달랐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사회에미친 영향과 사회의 요구를통해 발전된 과학 기술에 대해배운 것은 흥미 있었으나 일반적인 역사 수업과 크게다른 점이 느껴지지 않았다

과학기술에 대한 윤리의식을 배울 수 있었다

동일 설문에서 해당 교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 23명을 대상으로 수강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lsquo만족스럽지 않다 (2점)rsquo (8명) lsquo보통이다 (3점)rsquo (8명)을 선택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

이 수업의 취지에는 공감을 했으나 과학사에만 치중된 수업 컨텐츠에 아쉬움을 느꼈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다양한 교과목들이 생기기를 바랐다

2명

8명 8명

5명4명

02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안혜진 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화공생명공학과

4학년 재학

대안제시

02왜 과학상점인가

과학상점 소개

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

왜과학상점인가

PART 02 대안제시 09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현실을 진단하다STEP 1

대한민국 정부는 RampD 분야에 경제 개발을 목적으로 막대한 예산을 투자

했지만 국민들의 원하는 lsquo삶의 질 향상rsquo 분야의 투자는 비교적 이루어지지

않았다 경제적 풍요를 이룬 지금 과거처럼 성장만을 위해 달려가기보다

우리 사회가 품은 문제를 해결할 때이다

가까운 미래에 과학기술 발전의 가장 역동적인 주역이 되는 대학생들 지식과

교육에 대한 흡수력이 높은 대학생이 과학기술의 쓰임과 발전 방향에 대해

고민할 때 기술의 가치는 더 높아질 수 있다 대학은 그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STEP 2

시민들이 과학상점의 문을 스스럼없이 두드리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학상점 과학을 전문가들의 전유물로 여기던 관념을

탈피해 누구나 과학기술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한다

과학상점은 과학과 대중의 거리를 좁힌다

과학상점은 과학기술로 우리 지역의 사회 문제를 해결한다

과학상점에서 가능성을 발견하다

과학상점은 지역주민과 시민단체가 의뢰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비영리 단체이다 지역 사회는 이를 통해 더 나은 의사결정의 근거를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과학상점으로현실을 처방하다

① 해당 의뢰가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② 과학상점 이외에는 연구를 수행할 가능성이 없는지

③ 해당 과학상점이 가진 인프라(장비 해당 분야 인력)로 해결가능한지

④ 그 결과를 활용할 주체적인 집단과 역량이 있는지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지역주민과시민단체가의뢰하는사회문제

과학상점은

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코디네이터는 의뢰 받은 문제를 관련 전공의 연구자나 학생들에게 부여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과학상점의 코디네이터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선별 절차를 거친다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에는참여 주체들을잇고 의뢰 받은문제를 선별하는

가 있다

이후 대학과 정부가 마련한 재정을 활용하여 연구자들을 섭외한다

➊문제해결➋문화활동

과학상점 활동은

으로 나뉜다

문제해결

1

이메일 전화 이용

시민문제의뢰

코디네이터기준에 따라

문제 선별

2 3

코디네이터학생 교수

전문기관 등과프로젝트 매칭

연구 주체1 현장답사

2 해결방안 고안3 결론도출

4

코디네이터홈페이지로시민들과결과 공유

5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은 지역주민 주민회

시민단체 여성단체 노동조합 등의

개인이나 단체로부터 과학기술에

관련된 문제를 의뢰받아 지역의

연구기관이나 대학의 연구자들이

시민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지역에 기반을 둔 비영리

연구센터이다 필요에 따라 다른

과학상점 혹은 전문기관과 연계하여

연구를 진행하기도 한다

10

메커니즘

문화활동

과학적 이해와 소통의 계기를 마련하고 과학이 대중 문화에 깊숙이 스며들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축제 컨텐츠 등을 제공한다

(ex) Science et Citeacute (아고라프로젝트 어린이 로봇교실 미친과학자축제)

NCCPE (Glastonbury)

과학상점은 과학물품을 파는 곳이 아닙니다 물건이 필요하면 상점을 가듯

시민들이 일상에서 과학이 필요할 때 누구든지 언제나 방문할 수 있는 기관입니다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2018년 8월 8일 바헤닝언 과학상점 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활동요청지원

연구비 및 제도적 지원

POINT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ART 02 대안제시 11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도로 위 대기 질 측정 프로젝트공학 분야

실제 문제해결 사례

사회 분야네덜란드 바헤닝언

녹지 보존과 주거 수요 충족의 균형

해당 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암스테르담 시의회가주거지 개척보다 녹지 보존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 단체의 의뢰로 시작한 연구가 결국 정부정책에도 영향을 준 과학상점의 성공 사례이다

주거건물 9채를 지을 때 얻는 이익보다 녹지손실 비용인이 더 크다고 발표했다 또한 생태계 다양성 사회 응집성등의 역할이 사라지는 부작용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주거시설확대보다 암스테르담 녹지에 대한 소중함을 강조했다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OINT

실제 문제해결 사례

시민들이 의뢰한 문제를 전문가들이 연구함으로써 정부의 정책에도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제시되었고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더 쾌적한 도로 환경을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도로 위 대기오염 상태가 웹사이트에공개되었고 자전거 이용자들은 이 결과를 통해 이동경로를 선택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연구 자료는정부에 대기오염 개선을 촉구하는 자료로 사용되었다

TEEB 도시 방법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에 의해 제공되는 혜택을 인식하고경제적 측면에서 가치를 입증하는 평가 방법

과정

결과

의의

과정

결과

의의

2000년대 중반 네덜란드 자전거이용자 연합 (Dutch Cyclist UnionDCU)은도로의 대기질을 모니터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전거 이용자들이 공기오염이 덜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자전거에 부착할수 있는 대기질 측정 기구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과학상점에 의뢰하였다 과학상점을 중개로 이 분야의 전문가로 알려진 위트레흐트 환경역학과 교수와함께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네덜란드 시민단체 GPA(The Groen Platform Amsterdam) 는 도시 내의주거시설에 대한 수요와 녹지 보존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바헤닝언과학상점에 연구를 의뢰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lsquoTEEB 도시 방법rsquo을 통해도시 녹지의 다양한 이익을 계산했다 이를 통해 주거지역 개발로 인해 부담해야할 녹지훼손 비용을 탐구했고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PART 02 대안제시 12

우리 기관은 과학과 사회를

잇는 Science communication

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

방안으로 Science et cite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및 문화활동 행사를 개최하여

시민들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매년 lsquo미친 과학자 축제rsquo를 개최한다 최근 행사의 경우 스위스의 베른 박물관에서

진행했다 다과를 먹고 다양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면서 가볍고 재미있는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다 이 축제에서 사람들은 영화 혹은 소설에서 등장하는 괴짜

과학자의 분장을 하고 나타난다 실제 과학자들이 이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과학자에 대한 편견을 깨면서 사람들에게 웃음을 줄 수 있고 친숙함을

선사할 수 있다

스위스에 위치한 Science et Citeacute 재단은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그들은 먼저 시민들이 과학에

대한 거리감을 걷어내고 친근감을 느껴야 한다고 말한다 Science et Citeacute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시옹스 에 시테 시네마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는 자연 과학 기술 등을

주제로 대학생 영화 제작자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상영하는 행사이다 영화

제작자 및 관심있는 아마추어 간의 네트워킹을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NCCPE 영국에 위치한 NCCPE는 대학의 시민참여 연구를 지원하고 대학과 대중의교류를 위해 다양한 문화사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또한 고등교육의 올바른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National Co-ordinating Center

for Public Engagement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Deputy Director

Sophie Duncan 대학생들이 지역사회 축제 프로그램을

기획해서 진행 워크샵 공연 교육 세션등을 통해 학생들이 대중을 만나는방식으로 축제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대학생은 고등 교육기관에서 배운 전공을바탕으로 사회 공헌에 참여하는 방법을익힐 수 있다

대학생 축제 기획 프로그램

실제 문화활동 사례

실제 문제해결 사례

01과학상점 소개

2018년 8월 6일Science et cite 기관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과학상점에서 활동했던

학생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다

암스테르담Athena 과학상점

PART 02 대안제시 13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2 기능2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암스테르담 Athena과학상점 인턴

KarilynGastelbondo

과학상점을 처음 어떻게 알게 되었나요Athena 기관은 Amsterdam 대학교와 연합하여 운영 중입니다 Athena

기관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을 때 자연스럽게 과학상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생도 함께 한다는 말을 듣고 찾아가 시작하였습니다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얻는 benefit은 무엇인가요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했나요 인상 깊었던 점은 무엇이었나요

과학상점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과학기술이 경제적인 부분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알리기 위해서

과학상점이 더욱 필요합니다

과학상점은 많은 사람들과

질문하고 토론하고 고민하는

기관입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성급하지 않게 나아가야

합니다

2018년 8월 10일암스테르담 인터뷰 내용 진행

Master degree과정의 학생들은 장학금을 받거나 학점을 인정받는

형식으로 benefit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바쁜 현실에 살고 있기 때문에 사회를 개선하거나 바꾸는데

선뜻 나서지 못합니다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기도 하구요

하지만 분명히 고쳐져야 하는 많은 문제들이 널려 있습니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서 시민과 과학자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사회와 만나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준다고

생각합니다 강의 시간에 이론만을 배우거나 좁은 실험실 안에서만

연구하다 보면 시야가 협소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좁은 안목으로

바라보는게 아니라 더 넓은 세상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는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Amsterdam Athena 과학상점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모니터링 하는 일에

참여하고 있죠 프로젝트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처음에 의도한 방향을

잘 유지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상점의 전반적인 운영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과학상점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생각할 수 있는 프로젝트였어요 과학상점이 지역사회에 안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굉장히 필요하고 좋은 영향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

니다

지금은 방학 10주 동안 바르셀로나 IrsiCaixa 과학상점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HIV에 관한 연구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에이즈

연구기관과 함께 협업하고 있죠 수업시간에는 접해보지 못했을 분야지만

과학상점을 통해 저도 배우고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을 통해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기쁩니다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14

과학상점 형태3

대학기반

프로그램 인턴 형태의 과학상점과 달리 코디네이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 스스로 코디네이터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유럽에서는 많은 과학상점들이 대학의 부속기구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들은 다양한 운영형태로 과학상점에 참여하고 있다

시민의 의뢰를 받아 코디네이터가 연구 적절성을 판단한 후 연구 팀을 구성한다

교내 위원회나 상위 부서로부터 예산을 조달 받으며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예산

지급 여부 및 예산액이 결정된다

(ex)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Athena Science Shop VU University Amsterdam)

(ex) 유럽 내 대부분 대학기반 과학상점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Victoria) 호주 시드니 공과대학교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학생 연구자 및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을 이룬다 특징으로 다른 과학상점 및 기관에

인턴을 파견하여 해당 기관의 연구와 작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ex)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공과대학 (University of Technology Eindhoven)

미국(UC Berkeley Science Shop

학생자체운영(동아리)

프로그램

인턴

비정부기구

대학과 독립적으로 비정부기구로 운영되는 과학상점이다 지역에 기반을 둔 NGO에

의해 조직되어 운영되며 지역주민에게 사회 기술 환경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

할 수 있는 자원 및 설비를 제공한다 또 그들이 직접 행동할 수 있도록 법과 정책

등을 통해 돕는 일을 한다 대학기반유형보다 전문적 인력이 운영한다

(ex) 미국 대부분의 과학상점 독일 본 과학상점 아일랜드 캠퍼스 인게이지 아일랜드 NCCPE 로고

비정부기구지역middot국가middot국제적으로 조직된자발적인 비영리시민단체사회복지학사전(2009)

POINT

유럽의 대부분의 과학상점이 대학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 네트워크로 구성돼 있는 반면미국의 과학상점은 독립적이고 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연구센터가 중심이 된다

과학상점이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형태를 띤 것은 아니었다

초기에는 과학상점이란 용어조차 없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는 과학상점이 명함상자 하나로 시작되었다

명함상자를 며칠 놓아두고 해결하고 싶은 문제와 의뢰인이 적힌

명함이 가득 차기를 기다렸다 상자를 다시 가져 와서 명함의 내용을

조사한 후 과학자들을 찾아가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문의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1979년 네덜란드 교육과학부가 암스테르담 대학

과학상점을 공식화하면서 과학상점 제도화의 기틀이 마련됐다A History of Science Shops in the Netherlands (The University of Amsterdam

Masters Thesis UU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Jurgen Sijbren Sijbrandij)

네덜란드에서 과학상점이 공식 기구임을 입증하는 논문

02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PART 02 대안제시 15

과학기술을 좀 더 평화적이고 대중적으로 발전시키고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하고자 했던 전문가들 세금으로

지원받은 학비를 시민들에게 보답하고자 하는

대학생들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정부의

삼박자로 lsquo과학상점 운동rsquo이 시작되었다

마침내 1974년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에서 최초의

과학상점인 lsquo화학상점rsquo이 개설된다

1970년대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했던 과학자와 대학생들은 과학상점을 창안해냈다시간이 흐르면서 그 시대가 가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조금씩 변해가며 오늘날까지 발전하고 있다

최초의 과학상점 lsquo화학상점rsquo 이 개설되다

네덜란드 이외의 유럽 국가인 프랑스 독일 덴마크

벨기에 등지에 과학상점이 확산되었다 당시

환경운동이 성장하며 환경 과학 관련 학과들이 대학에

생겨났고 환경오염에 대해 고민하는 전문가들과

학생들로부터 과학상점이 설립되게 된다

1980년대

당대의 이슈 환경운동과 함께 확산되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과학상점 간의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이는 2000년 과학상점들의 국제

네트워크 발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과학상점은 유럽을 너머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등으로 퍼져 나간다

1990년대

과학상점 네트워크 형성으로세계로 뻗어 나가다

1960년대

1955년 11월 1일 발발하여 1975년 4월 30일까지

약 20여년간 지속된 베트남 전쟁 본격적으로

화학전이 시작된 전쟁으로 당시 과학자들은 무자비한

화학전이 펼쳐지는 것을 보며 전쟁이 빚어 낸 파괴적

지식의 성찰을 공유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다

PART 02 대안제시 16

현재 전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인 과학상점

최초의 과학상점이 생긴 후 약 40년이 지난 지금 Living Knowledge Network (이하 LKN) 가입 여부를 기준으로 전 세계 87여개의 과학상점이 27개국에 존재한다

2018년 5월 30일-6월 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전 세계 33 개국 약 250명 참석

유럽 과학상점 분포 현황

전 세계 과학상점을 하나로 연결하는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리빙놀리지네트워크 관계자가 주최하는 비정기적 온라인과학기술 동향 토론회 소셜 미디어 라이브로 진행하며 이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1-2년 간격으로 컨퍼런스를 개최 연구 성과 공유 지속 가능한발전에 대한 논의 유럽 연합 커미션 아젠다 토론 등을 진행한다

Living Knowledge Conference 개최

뉴스레터 배부

각 과학상점에 대한 최신 동향을알리는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발행하여 LKN에 소속된 과학상점에배부한다

Web-inar (web+seminar) 진행

정기 행사

활동 공유

국제 과학상점 네트워크로 2000년 과학상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제도적 지원

비정기 행사

이처럼 과학상점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 있고 같은 가치를 공유하며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유럽 각지에서 과학상점 전통이이어지고 있다

Living Knowledge Network 가입기준

유럽22개국66개비유럽6개국20개

0 2 4 6 10개 이상

비유럽국가분포현황

오스트레일리아(1) 캐나다(6)아이티(1)

이스라엘 (1) 미국(10)남아프리카공화국(1)

과학상점 10

03과거 국내 과학상점

해외탐방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8: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PART 01 문제제기 07

하지만학생들은과학기술의사회적쓰임새를배울기회가부족하다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에 대해 고민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전국 이공계열 대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자체 설문조사를 한 결과 현재 재학 중인 대학에 과학기술학 관련

과목이 개설되어있다는 사실을 들어본 적 있는 학생은 51명 이 중 실제로 해당 과목을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은 28명에 불과했다 약 19에 해당하는 이공계 대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에

접하고 있었으며 이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새를 배울 기회가 부족함을 의미한다

실제로배워본학생들의 만족도와의견은

1 2 3 4 5

해당과목을들은학생23명에게만족도를물었다

매우불만족스럽다 1 ~ 매우만족스럽다 5

POINT

이과생도 과학기술분야 내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함께 고민해야 하지

그런데 강의실에서 이런 부분을 학습하거나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

다고 생각해 내가 배우는 지식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가치 있게 활용될지

는 잘 모르겠어

N = 146

2018 08 31 ~ 2018 09 03전국 이공계열 대학생(자연공학사범계열)대상 자체 설문조사

Yes (45)

YesNo(66)

34 과학기술학을들어본적있는대학생51명에게

해당과목수강경험을물었다

No55

현재재학중인대학에과학기술학관련과목이개설되어있다는사실을들어본적있습니까

해당과목을수강한경험이있습니까

28명

51명

23명95명

과학기술학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철학 과학기술사회학 과학기술정책학 등을 일컫는 분야

( hellip )

( hellip )

( hellip )

이공계 학생들이 들어야 하는필수 교양과목이라고 생각한다

내 삶과 와닿지 않는다생각했던 내용과 수업느낌이 많이 달랐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사회에미친 영향과 사회의 요구를통해 발전된 과학 기술에 대해배운 것은 흥미 있었으나 일반적인 역사 수업과 크게다른 점이 느껴지지 않았다

과학기술에 대한 윤리의식을 배울 수 있었다

동일 설문에서 해당 교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 23명을 대상으로 수강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lsquo만족스럽지 않다 (2점)rsquo (8명) lsquo보통이다 (3점)rsquo (8명)을 선택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

이 수업의 취지에는 공감을 했으나 과학사에만 치중된 수업 컨텐츠에 아쉬움을 느꼈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다양한 교과목들이 생기기를 바랐다

2명

8명 8명

5명4명

02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안혜진 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화공생명공학과

4학년 재학

대안제시

02왜 과학상점인가

과학상점 소개

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

왜과학상점인가

PART 02 대안제시 09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현실을 진단하다STEP 1

대한민국 정부는 RampD 분야에 경제 개발을 목적으로 막대한 예산을 투자

했지만 국민들의 원하는 lsquo삶의 질 향상rsquo 분야의 투자는 비교적 이루어지지

않았다 경제적 풍요를 이룬 지금 과거처럼 성장만을 위해 달려가기보다

우리 사회가 품은 문제를 해결할 때이다

가까운 미래에 과학기술 발전의 가장 역동적인 주역이 되는 대학생들 지식과

교육에 대한 흡수력이 높은 대학생이 과학기술의 쓰임과 발전 방향에 대해

고민할 때 기술의 가치는 더 높아질 수 있다 대학은 그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STEP 2

시민들이 과학상점의 문을 스스럼없이 두드리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학상점 과학을 전문가들의 전유물로 여기던 관념을

탈피해 누구나 과학기술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한다

과학상점은 과학과 대중의 거리를 좁힌다

과학상점은 과학기술로 우리 지역의 사회 문제를 해결한다

과학상점에서 가능성을 발견하다

과학상점은 지역주민과 시민단체가 의뢰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비영리 단체이다 지역 사회는 이를 통해 더 나은 의사결정의 근거를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과학상점으로현실을 처방하다

① 해당 의뢰가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② 과학상점 이외에는 연구를 수행할 가능성이 없는지

③ 해당 과학상점이 가진 인프라(장비 해당 분야 인력)로 해결가능한지

④ 그 결과를 활용할 주체적인 집단과 역량이 있는지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지역주민과시민단체가의뢰하는사회문제

과학상점은

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코디네이터는 의뢰 받은 문제를 관련 전공의 연구자나 학생들에게 부여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과학상점의 코디네이터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선별 절차를 거친다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에는참여 주체들을잇고 의뢰 받은문제를 선별하는

가 있다

이후 대학과 정부가 마련한 재정을 활용하여 연구자들을 섭외한다

➊문제해결➋문화활동

과학상점 활동은

으로 나뉜다

문제해결

1

이메일 전화 이용

시민문제의뢰

코디네이터기준에 따라

문제 선별

2 3

코디네이터학생 교수

전문기관 등과프로젝트 매칭

연구 주체1 현장답사

2 해결방안 고안3 결론도출

4

코디네이터홈페이지로시민들과결과 공유

5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은 지역주민 주민회

시민단체 여성단체 노동조합 등의

개인이나 단체로부터 과학기술에

관련된 문제를 의뢰받아 지역의

연구기관이나 대학의 연구자들이

시민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지역에 기반을 둔 비영리

연구센터이다 필요에 따라 다른

과학상점 혹은 전문기관과 연계하여

연구를 진행하기도 한다

10

메커니즘

문화활동

과학적 이해와 소통의 계기를 마련하고 과학이 대중 문화에 깊숙이 스며들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축제 컨텐츠 등을 제공한다

(ex) Science et Citeacute (아고라프로젝트 어린이 로봇교실 미친과학자축제)

NCCPE (Glastonbury)

과학상점은 과학물품을 파는 곳이 아닙니다 물건이 필요하면 상점을 가듯

시민들이 일상에서 과학이 필요할 때 누구든지 언제나 방문할 수 있는 기관입니다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2018년 8월 8일 바헤닝언 과학상점 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활동요청지원

연구비 및 제도적 지원

POINT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ART 02 대안제시 11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도로 위 대기 질 측정 프로젝트공학 분야

실제 문제해결 사례

사회 분야네덜란드 바헤닝언

녹지 보존과 주거 수요 충족의 균형

해당 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암스테르담 시의회가주거지 개척보다 녹지 보존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 단체의 의뢰로 시작한 연구가 결국 정부정책에도 영향을 준 과학상점의 성공 사례이다

주거건물 9채를 지을 때 얻는 이익보다 녹지손실 비용인이 더 크다고 발표했다 또한 생태계 다양성 사회 응집성등의 역할이 사라지는 부작용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주거시설확대보다 암스테르담 녹지에 대한 소중함을 강조했다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OINT

실제 문제해결 사례

시민들이 의뢰한 문제를 전문가들이 연구함으로써 정부의 정책에도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제시되었고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더 쾌적한 도로 환경을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도로 위 대기오염 상태가 웹사이트에공개되었고 자전거 이용자들은 이 결과를 통해 이동경로를 선택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연구 자료는정부에 대기오염 개선을 촉구하는 자료로 사용되었다

TEEB 도시 방법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에 의해 제공되는 혜택을 인식하고경제적 측면에서 가치를 입증하는 평가 방법

과정

결과

의의

과정

결과

의의

2000년대 중반 네덜란드 자전거이용자 연합 (Dutch Cyclist UnionDCU)은도로의 대기질을 모니터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전거 이용자들이 공기오염이 덜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자전거에 부착할수 있는 대기질 측정 기구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과학상점에 의뢰하였다 과학상점을 중개로 이 분야의 전문가로 알려진 위트레흐트 환경역학과 교수와함께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네덜란드 시민단체 GPA(The Groen Platform Amsterdam) 는 도시 내의주거시설에 대한 수요와 녹지 보존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바헤닝언과학상점에 연구를 의뢰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lsquoTEEB 도시 방법rsquo을 통해도시 녹지의 다양한 이익을 계산했다 이를 통해 주거지역 개발로 인해 부담해야할 녹지훼손 비용을 탐구했고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PART 02 대안제시 12

우리 기관은 과학과 사회를

잇는 Science communication

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

방안으로 Science et cite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및 문화활동 행사를 개최하여

시민들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매년 lsquo미친 과학자 축제rsquo를 개최한다 최근 행사의 경우 스위스의 베른 박물관에서

진행했다 다과를 먹고 다양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면서 가볍고 재미있는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다 이 축제에서 사람들은 영화 혹은 소설에서 등장하는 괴짜

과학자의 분장을 하고 나타난다 실제 과학자들이 이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과학자에 대한 편견을 깨면서 사람들에게 웃음을 줄 수 있고 친숙함을

선사할 수 있다

스위스에 위치한 Science et Citeacute 재단은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그들은 먼저 시민들이 과학에

대한 거리감을 걷어내고 친근감을 느껴야 한다고 말한다 Science et Citeacute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시옹스 에 시테 시네마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는 자연 과학 기술 등을

주제로 대학생 영화 제작자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상영하는 행사이다 영화

제작자 및 관심있는 아마추어 간의 네트워킹을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NCCPE 영국에 위치한 NCCPE는 대학의 시민참여 연구를 지원하고 대학과 대중의교류를 위해 다양한 문화사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또한 고등교육의 올바른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National Co-ordinating Center

for Public Engagement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Deputy Director

Sophie Duncan 대학생들이 지역사회 축제 프로그램을

기획해서 진행 워크샵 공연 교육 세션등을 통해 학생들이 대중을 만나는방식으로 축제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대학생은 고등 교육기관에서 배운 전공을바탕으로 사회 공헌에 참여하는 방법을익힐 수 있다

대학생 축제 기획 프로그램

실제 문화활동 사례

실제 문제해결 사례

01과학상점 소개

2018년 8월 6일Science et cite 기관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과학상점에서 활동했던

학생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다

암스테르담Athena 과학상점

PART 02 대안제시 13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2 기능2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암스테르담 Athena과학상점 인턴

KarilynGastelbondo

과학상점을 처음 어떻게 알게 되었나요Athena 기관은 Amsterdam 대학교와 연합하여 운영 중입니다 Athena

기관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을 때 자연스럽게 과학상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생도 함께 한다는 말을 듣고 찾아가 시작하였습니다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얻는 benefit은 무엇인가요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했나요 인상 깊었던 점은 무엇이었나요

과학상점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과학기술이 경제적인 부분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알리기 위해서

과학상점이 더욱 필요합니다

과학상점은 많은 사람들과

질문하고 토론하고 고민하는

기관입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성급하지 않게 나아가야

합니다

2018년 8월 10일암스테르담 인터뷰 내용 진행

Master degree과정의 학생들은 장학금을 받거나 학점을 인정받는

형식으로 benefit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바쁜 현실에 살고 있기 때문에 사회를 개선하거나 바꾸는데

선뜻 나서지 못합니다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기도 하구요

하지만 분명히 고쳐져야 하는 많은 문제들이 널려 있습니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서 시민과 과학자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사회와 만나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준다고

생각합니다 강의 시간에 이론만을 배우거나 좁은 실험실 안에서만

연구하다 보면 시야가 협소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좁은 안목으로

바라보는게 아니라 더 넓은 세상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는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Amsterdam Athena 과학상점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모니터링 하는 일에

참여하고 있죠 프로젝트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처음에 의도한 방향을

잘 유지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상점의 전반적인 운영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과학상점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생각할 수 있는 프로젝트였어요 과학상점이 지역사회에 안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굉장히 필요하고 좋은 영향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

니다

지금은 방학 10주 동안 바르셀로나 IrsiCaixa 과학상점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HIV에 관한 연구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에이즈

연구기관과 함께 협업하고 있죠 수업시간에는 접해보지 못했을 분야지만

과학상점을 통해 저도 배우고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을 통해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기쁩니다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14

과학상점 형태3

대학기반

프로그램 인턴 형태의 과학상점과 달리 코디네이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 스스로 코디네이터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유럽에서는 많은 과학상점들이 대학의 부속기구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들은 다양한 운영형태로 과학상점에 참여하고 있다

시민의 의뢰를 받아 코디네이터가 연구 적절성을 판단한 후 연구 팀을 구성한다

교내 위원회나 상위 부서로부터 예산을 조달 받으며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예산

지급 여부 및 예산액이 결정된다

(ex)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Athena Science Shop VU University Amsterdam)

(ex) 유럽 내 대부분 대학기반 과학상점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Victoria) 호주 시드니 공과대학교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학생 연구자 및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을 이룬다 특징으로 다른 과학상점 및 기관에

인턴을 파견하여 해당 기관의 연구와 작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ex)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공과대학 (University of Technology Eindhoven)

미국(UC Berkeley Science Shop

학생자체운영(동아리)

프로그램

인턴

비정부기구

대학과 독립적으로 비정부기구로 운영되는 과학상점이다 지역에 기반을 둔 NGO에

의해 조직되어 운영되며 지역주민에게 사회 기술 환경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

할 수 있는 자원 및 설비를 제공한다 또 그들이 직접 행동할 수 있도록 법과 정책

등을 통해 돕는 일을 한다 대학기반유형보다 전문적 인력이 운영한다

(ex) 미국 대부분의 과학상점 독일 본 과학상점 아일랜드 캠퍼스 인게이지 아일랜드 NCCPE 로고

비정부기구지역middot국가middot국제적으로 조직된자발적인 비영리시민단체사회복지학사전(2009)

POINT

유럽의 대부분의 과학상점이 대학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 네트워크로 구성돼 있는 반면미국의 과학상점은 독립적이고 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연구센터가 중심이 된다

과학상점이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형태를 띤 것은 아니었다

초기에는 과학상점이란 용어조차 없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는 과학상점이 명함상자 하나로 시작되었다

명함상자를 며칠 놓아두고 해결하고 싶은 문제와 의뢰인이 적힌

명함이 가득 차기를 기다렸다 상자를 다시 가져 와서 명함의 내용을

조사한 후 과학자들을 찾아가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문의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1979년 네덜란드 교육과학부가 암스테르담 대학

과학상점을 공식화하면서 과학상점 제도화의 기틀이 마련됐다A History of Science Shops in the Netherlands (The University of Amsterdam

Masters Thesis UU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Jurgen Sijbren Sijbrandij)

네덜란드에서 과학상점이 공식 기구임을 입증하는 논문

02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PART 02 대안제시 15

과학기술을 좀 더 평화적이고 대중적으로 발전시키고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하고자 했던 전문가들 세금으로

지원받은 학비를 시민들에게 보답하고자 하는

대학생들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정부의

삼박자로 lsquo과학상점 운동rsquo이 시작되었다

마침내 1974년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에서 최초의

과학상점인 lsquo화학상점rsquo이 개설된다

1970년대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했던 과학자와 대학생들은 과학상점을 창안해냈다시간이 흐르면서 그 시대가 가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조금씩 변해가며 오늘날까지 발전하고 있다

최초의 과학상점 lsquo화학상점rsquo 이 개설되다

네덜란드 이외의 유럽 국가인 프랑스 독일 덴마크

벨기에 등지에 과학상점이 확산되었다 당시

환경운동이 성장하며 환경 과학 관련 학과들이 대학에

생겨났고 환경오염에 대해 고민하는 전문가들과

학생들로부터 과학상점이 설립되게 된다

1980년대

당대의 이슈 환경운동과 함께 확산되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과학상점 간의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이는 2000년 과학상점들의 국제

네트워크 발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과학상점은 유럽을 너머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등으로 퍼져 나간다

1990년대

과학상점 네트워크 형성으로세계로 뻗어 나가다

1960년대

1955년 11월 1일 발발하여 1975년 4월 30일까지

약 20여년간 지속된 베트남 전쟁 본격적으로

화학전이 시작된 전쟁으로 당시 과학자들은 무자비한

화학전이 펼쳐지는 것을 보며 전쟁이 빚어 낸 파괴적

지식의 성찰을 공유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다

PART 02 대안제시 16

현재 전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인 과학상점

최초의 과학상점이 생긴 후 약 40년이 지난 지금 Living Knowledge Network (이하 LKN) 가입 여부를 기준으로 전 세계 87여개의 과학상점이 27개국에 존재한다

2018년 5월 30일-6월 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전 세계 33 개국 약 250명 참석

유럽 과학상점 분포 현황

전 세계 과학상점을 하나로 연결하는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리빙놀리지네트워크 관계자가 주최하는 비정기적 온라인과학기술 동향 토론회 소셜 미디어 라이브로 진행하며 이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1-2년 간격으로 컨퍼런스를 개최 연구 성과 공유 지속 가능한발전에 대한 논의 유럽 연합 커미션 아젠다 토론 등을 진행한다

Living Knowledge Conference 개최

뉴스레터 배부

각 과학상점에 대한 최신 동향을알리는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발행하여 LKN에 소속된 과학상점에배부한다

Web-inar (web+seminar) 진행

정기 행사

활동 공유

국제 과학상점 네트워크로 2000년 과학상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제도적 지원

비정기 행사

이처럼 과학상점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 있고 같은 가치를 공유하며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유럽 각지에서 과학상점 전통이이어지고 있다

Living Knowledge Network 가입기준

유럽22개국66개비유럽6개국20개

0 2 4 6 10개 이상

비유럽국가분포현황

오스트레일리아(1) 캐나다(6)아이티(1)

이스라엘 (1) 미국(10)남아프리카공화국(1)

과학상점 10

03과거 국내 과학상점

해외탐방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9: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대안제시

02왜 과학상점인가

과학상점 소개

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

왜과학상점인가

PART 02 대안제시 09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현실을 진단하다STEP 1

대한민국 정부는 RampD 분야에 경제 개발을 목적으로 막대한 예산을 투자

했지만 국민들의 원하는 lsquo삶의 질 향상rsquo 분야의 투자는 비교적 이루어지지

않았다 경제적 풍요를 이룬 지금 과거처럼 성장만을 위해 달려가기보다

우리 사회가 품은 문제를 해결할 때이다

가까운 미래에 과학기술 발전의 가장 역동적인 주역이 되는 대학생들 지식과

교육에 대한 흡수력이 높은 대학생이 과학기술의 쓰임과 발전 방향에 대해

고민할 때 기술의 가치는 더 높아질 수 있다 대학은 그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STEP 2

시민들이 과학상점의 문을 스스럼없이 두드리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학상점 과학을 전문가들의 전유물로 여기던 관념을

탈피해 누구나 과학기술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한다

과학상점은 과학과 대중의 거리를 좁힌다

과학상점은 과학기술로 우리 지역의 사회 문제를 해결한다

과학상점에서 가능성을 발견하다

과학상점은 지역주민과 시민단체가 의뢰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비영리 단체이다 지역 사회는 이를 통해 더 나은 의사결정의 근거를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과학상점으로현실을 처방하다

① 해당 의뢰가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② 과학상점 이외에는 연구를 수행할 가능성이 없는지

③ 해당 과학상점이 가진 인프라(장비 해당 분야 인력)로 해결가능한지

④ 그 결과를 활용할 주체적인 집단과 역량이 있는지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지역주민과시민단체가의뢰하는사회문제

과학상점은

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코디네이터는 의뢰 받은 문제를 관련 전공의 연구자나 학생들에게 부여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과학상점의 코디네이터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선별 절차를 거친다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에는참여 주체들을잇고 의뢰 받은문제를 선별하는

가 있다

이후 대학과 정부가 마련한 재정을 활용하여 연구자들을 섭외한다

➊문제해결➋문화활동

과학상점 활동은

으로 나뉜다

문제해결

1

이메일 전화 이용

시민문제의뢰

코디네이터기준에 따라

문제 선별

2 3

코디네이터학생 교수

전문기관 등과프로젝트 매칭

연구 주체1 현장답사

2 해결방안 고안3 결론도출

4

코디네이터홈페이지로시민들과결과 공유

5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은 지역주민 주민회

시민단체 여성단체 노동조합 등의

개인이나 단체로부터 과학기술에

관련된 문제를 의뢰받아 지역의

연구기관이나 대학의 연구자들이

시민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지역에 기반을 둔 비영리

연구센터이다 필요에 따라 다른

과학상점 혹은 전문기관과 연계하여

연구를 진행하기도 한다

10

메커니즘

문화활동

과학적 이해와 소통의 계기를 마련하고 과학이 대중 문화에 깊숙이 스며들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축제 컨텐츠 등을 제공한다

(ex) Science et Citeacute (아고라프로젝트 어린이 로봇교실 미친과학자축제)

NCCPE (Glastonbury)

과학상점은 과학물품을 파는 곳이 아닙니다 물건이 필요하면 상점을 가듯

시민들이 일상에서 과학이 필요할 때 누구든지 언제나 방문할 수 있는 기관입니다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2018년 8월 8일 바헤닝언 과학상점 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활동요청지원

연구비 및 제도적 지원

POINT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ART 02 대안제시 11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도로 위 대기 질 측정 프로젝트공학 분야

실제 문제해결 사례

사회 분야네덜란드 바헤닝언

녹지 보존과 주거 수요 충족의 균형

해당 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암스테르담 시의회가주거지 개척보다 녹지 보존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 단체의 의뢰로 시작한 연구가 결국 정부정책에도 영향을 준 과학상점의 성공 사례이다

주거건물 9채를 지을 때 얻는 이익보다 녹지손실 비용인이 더 크다고 발표했다 또한 생태계 다양성 사회 응집성등의 역할이 사라지는 부작용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주거시설확대보다 암스테르담 녹지에 대한 소중함을 강조했다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OINT

실제 문제해결 사례

시민들이 의뢰한 문제를 전문가들이 연구함으로써 정부의 정책에도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제시되었고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더 쾌적한 도로 환경을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도로 위 대기오염 상태가 웹사이트에공개되었고 자전거 이용자들은 이 결과를 통해 이동경로를 선택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연구 자료는정부에 대기오염 개선을 촉구하는 자료로 사용되었다

TEEB 도시 방법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에 의해 제공되는 혜택을 인식하고경제적 측면에서 가치를 입증하는 평가 방법

과정

결과

의의

과정

결과

의의

2000년대 중반 네덜란드 자전거이용자 연합 (Dutch Cyclist UnionDCU)은도로의 대기질을 모니터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전거 이용자들이 공기오염이 덜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자전거에 부착할수 있는 대기질 측정 기구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과학상점에 의뢰하였다 과학상점을 중개로 이 분야의 전문가로 알려진 위트레흐트 환경역학과 교수와함께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네덜란드 시민단체 GPA(The Groen Platform Amsterdam) 는 도시 내의주거시설에 대한 수요와 녹지 보존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바헤닝언과학상점에 연구를 의뢰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lsquoTEEB 도시 방법rsquo을 통해도시 녹지의 다양한 이익을 계산했다 이를 통해 주거지역 개발로 인해 부담해야할 녹지훼손 비용을 탐구했고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PART 02 대안제시 12

우리 기관은 과학과 사회를

잇는 Science communication

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

방안으로 Science et cite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및 문화활동 행사를 개최하여

시민들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매년 lsquo미친 과학자 축제rsquo를 개최한다 최근 행사의 경우 스위스의 베른 박물관에서

진행했다 다과를 먹고 다양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면서 가볍고 재미있는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다 이 축제에서 사람들은 영화 혹은 소설에서 등장하는 괴짜

과학자의 분장을 하고 나타난다 실제 과학자들이 이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과학자에 대한 편견을 깨면서 사람들에게 웃음을 줄 수 있고 친숙함을

선사할 수 있다

스위스에 위치한 Science et Citeacute 재단은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그들은 먼저 시민들이 과학에

대한 거리감을 걷어내고 친근감을 느껴야 한다고 말한다 Science et Citeacute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시옹스 에 시테 시네마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는 자연 과학 기술 등을

주제로 대학생 영화 제작자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상영하는 행사이다 영화

제작자 및 관심있는 아마추어 간의 네트워킹을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NCCPE 영국에 위치한 NCCPE는 대학의 시민참여 연구를 지원하고 대학과 대중의교류를 위해 다양한 문화사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또한 고등교육의 올바른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National Co-ordinating Center

for Public Engagement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Deputy Director

Sophie Duncan 대학생들이 지역사회 축제 프로그램을

기획해서 진행 워크샵 공연 교육 세션등을 통해 학생들이 대중을 만나는방식으로 축제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대학생은 고등 교육기관에서 배운 전공을바탕으로 사회 공헌에 참여하는 방법을익힐 수 있다

대학생 축제 기획 프로그램

실제 문화활동 사례

실제 문제해결 사례

01과학상점 소개

2018년 8월 6일Science et cite 기관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과학상점에서 활동했던

학생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다

암스테르담Athena 과학상점

PART 02 대안제시 13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2 기능2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암스테르담 Athena과학상점 인턴

KarilynGastelbondo

과학상점을 처음 어떻게 알게 되었나요Athena 기관은 Amsterdam 대학교와 연합하여 운영 중입니다 Athena

기관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을 때 자연스럽게 과학상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생도 함께 한다는 말을 듣고 찾아가 시작하였습니다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얻는 benefit은 무엇인가요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했나요 인상 깊었던 점은 무엇이었나요

과학상점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과학기술이 경제적인 부분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알리기 위해서

과학상점이 더욱 필요합니다

과학상점은 많은 사람들과

질문하고 토론하고 고민하는

기관입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성급하지 않게 나아가야

합니다

2018년 8월 10일암스테르담 인터뷰 내용 진행

Master degree과정의 학생들은 장학금을 받거나 학점을 인정받는

형식으로 benefit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바쁜 현실에 살고 있기 때문에 사회를 개선하거나 바꾸는데

선뜻 나서지 못합니다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기도 하구요

하지만 분명히 고쳐져야 하는 많은 문제들이 널려 있습니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서 시민과 과학자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사회와 만나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준다고

생각합니다 강의 시간에 이론만을 배우거나 좁은 실험실 안에서만

연구하다 보면 시야가 협소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좁은 안목으로

바라보는게 아니라 더 넓은 세상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는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Amsterdam Athena 과학상점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모니터링 하는 일에

참여하고 있죠 프로젝트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처음에 의도한 방향을

잘 유지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상점의 전반적인 운영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과학상점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생각할 수 있는 프로젝트였어요 과학상점이 지역사회에 안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굉장히 필요하고 좋은 영향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

니다

지금은 방학 10주 동안 바르셀로나 IrsiCaixa 과학상점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HIV에 관한 연구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에이즈

연구기관과 함께 협업하고 있죠 수업시간에는 접해보지 못했을 분야지만

과학상점을 통해 저도 배우고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을 통해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기쁩니다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14

과학상점 형태3

대학기반

프로그램 인턴 형태의 과학상점과 달리 코디네이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 스스로 코디네이터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유럽에서는 많은 과학상점들이 대학의 부속기구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들은 다양한 운영형태로 과학상점에 참여하고 있다

시민의 의뢰를 받아 코디네이터가 연구 적절성을 판단한 후 연구 팀을 구성한다

교내 위원회나 상위 부서로부터 예산을 조달 받으며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예산

지급 여부 및 예산액이 결정된다

(ex)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Athena Science Shop VU University Amsterdam)

(ex) 유럽 내 대부분 대학기반 과학상점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Victoria) 호주 시드니 공과대학교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학생 연구자 및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을 이룬다 특징으로 다른 과학상점 및 기관에

인턴을 파견하여 해당 기관의 연구와 작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ex)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공과대학 (University of Technology Eindhoven)

미국(UC Berkeley Science Shop

학생자체운영(동아리)

프로그램

인턴

비정부기구

대학과 독립적으로 비정부기구로 운영되는 과학상점이다 지역에 기반을 둔 NGO에

의해 조직되어 운영되며 지역주민에게 사회 기술 환경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

할 수 있는 자원 및 설비를 제공한다 또 그들이 직접 행동할 수 있도록 법과 정책

등을 통해 돕는 일을 한다 대학기반유형보다 전문적 인력이 운영한다

(ex) 미국 대부분의 과학상점 독일 본 과학상점 아일랜드 캠퍼스 인게이지 아일랜드 NCCPE 로고

비정부기구지역middot국가middot국제적으로 조직된자발적인 비영리시민단체사회복지학사전(2009)

POINT

유럽의 대부분의 과학상점이 대학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 네트워크로 구성돼 있는 반면미국의 과학상점은 독립적이고 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연구센터가 중심이 된다

과학상점이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형태를 띤 것은 아니었다

초기에는 과학상점이란 용어조차 없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는 과학상점이 명함상자 하나로 시작되었다

명함상자를 며칠 놓아두고 해결하고 싶은 문제와 의뢰인이 적힌

명함이 가득 차기를 기다렸다 상자를 다시 가져 와서 명함의 내용을

조사한 후 과학자들을 찾아가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문의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1979년 네덜란드 교육과학부가 암스테르담 대학

과학상점을 공식화하면서 과학상점 제도화의 기틀이 마련됐다A History of Science Shops in the Netherlands (The University of Amsterdam

Masters Thesis UU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Jurgen Sijbren Sijbrandij)

네덜란드에서 과학상점이 공식 기구임을 입증하는 논문

02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PART 02 대안제시 15

과학기술을 좀 더 평화적이고 대중적으로 발전시키고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하고자 했던 전문가들 세금으로

지원받은 학비를 시민들에게 보답하고자 하는

대학생들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정부의

삼박자로 lsquo과학상점 운동rsquo이 시작되었다

마침내 1974년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에서 최초의

과학상점인 lsquo화학상점rsquo이 개설된다

1970년대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했던 과학자와 대학생들은 과학상점을 창안해냈다시간이 흐르면서 그 시대가 가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조금씩 변해가며 오늘날까지 발전하고 있다

최초의 과학상점 lsquo화학상점rsquo 이 개설되다

네덜란드 이외의 유럽 국가인 프랑스 독일 덴마크

벨기에 등지에 과학상점이 확산되었다 당시

환경운동이 성장하며 환경 과학 관련 학과들이 대학에

생겨났고 환경오염에 대해 고민하는 전문가들과

학생들로부터 과학상점이 설립되게 된다

1980년대

당대의 이슈 환경운동과 함께 확산되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과학상점 간의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이는 2000년 과학상점들의 국제

네트워크 발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과학상점은 유럽을 너머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등으로 퍼져 나간다

1990년대

과학상점 네트워크 형성으로세계로 뻗어 나가다

1960년대

1955년 11월 1일 발발하여 1975년 4월 30일까지

약 20여년간 지속된 베트남 전쟁 본격적으로

화학전이 시작된 전쟁으로 당시 과학자들은 무자비한

화학전이 펼쳐지는 것을 보며 전쟁이 빚어 낸 파괴적

지식의 성찰을 공유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다

PART 02 대안제시 16

현재 전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인 과학상점

최초의 과학상점이 생긴 후 약 40년이 지난 지금 Living Knowledge Network (이하 LKN) 가입 여부를 기준으로 전 세계 87여개의 과학상점이 27개국에 존재한다

2018년 5월 30일-6월 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전 세계 33 개국 약 250명 참석

유럽 과학상점 분포 현황

전 세계 과학상점을 하나로 연결하는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리빙놀리지네트워크 관계자가 주최하는 비정기적 온라인과학기술 동향 토론회 소셜 미디어 라이브로 진행하며 이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1-2년 간격으로 컨퍼런스를 개최 연구 성과 공유 지속 가능한발전에 대한 논의 유럽 연합 커미션 아젠다 토론 등을 진행한다

Living Knowledge Conference 개최

뉴스레터 배부

각 과학상점에 대한 최신 동향을알리는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발행하여 LKN에 소속된 과학상점에배부한다

Web-inar (web+seminar) 진행

정기 행사

활동 공유

국제 과학상점 네트워크로 2000년 과학상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제도적 지원

비정기 행사

이처럼 과학상점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 있고 같은 가치를 공유하며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유럽 각지에서 과학상점 전통이이어지고 있다

Living Knowledge Network 가입기준

유럽22개국66개비유럽6개국20개

0 2 4 6 10개 이상

비유럽국가분포현황

오스트레일리아(1) 캐나다(6)아이티(1)

이스라엘 (1) 미국(10)남아프리카공화국(1)

과학상점 10

03과거 국내 과학상점

해외탐방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10: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왜과학상점인가

PART 02 대안제시 09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현실을 진단하다STEP 1

대한민국 정부는 RampD 분야에 경제 개발을 목적으로 막대한 예산을 투자

했지만 국민들의 원하는 lsquo삶의 질 향상rsquo 분야의 투자는 비교적 이루어지지

않았다 경제적 풍요를 이룬 지금 과거처럼 성장만을 위해 달려가기보다

우리 사회가 품은 문제를 해결할 때이다

가까운 미래에 과학기술 발전의 가장 역동적인 주역이 되는 대학생들 지식과

교육에 대한 흡수력이 높은 대학생이 과학기술의 쓰임과 발전 방향에 대해

고민할 때 기술의 가치는 더 높아질 수 있다 대학은 그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STEP 2

시민들이 과학상점의 문을 스스럼없이 두드리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학상점 과학을 전문가들의 전유물로 여기던 관념을

탈피해 누구나 과학기술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한다

과학상점은 과학과 대중의 거리를 좁힌다

과학상점은 과학기술로 우리 지역의 사회 문제를 해결한다

과학상점에서 가능성을 발견하다

과학상점은 지역주민과 시민단체가 의뢰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비영리 단체이다 지역 사회는 이를 통해 더 나은 의사결정의 근거를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과학상점으로현실을 처방하다

① 해당 의뢰가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② 과학상점 이외에는 연구를 수행할 가능성이 없는지

③ 해당 과학상점이 가진 인프라(장비 해당 분야 인력)로 해결가능한지

④ 그 결과를 활용할 주체적인 집단과 역량이 있는지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지역주민과시민단체가의뢰하는사회문제

과학상점은

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코디네이터는 의뢰 받은 문제를 관련 전공의 연구자나 학생들에게 부여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과학상점의 코디네이터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선별 절차를 거친다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에는참여 주체들을잇고 의뢰 받은문제를 선별하는

가 있다

이후 대학과 정부가 마련한 재정을 활용하여 연구자들을 섭외한다

➊문제해결➋문화활동

과학상점 활동은

으로 나뉜다

문제해결

1

이메일 전화 이용

시민문제의뢰

코디네이터기준에 따라

문제 선별

2 3

코디네이터학생 교수

전문기관 등과프로젝트 매칭

연구 주체1 현장답사

2 해결방안 고안3 결론도출

4

코디네이터홈페이지로시민들과결과 공유

5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은 지역주민 주민회

시민단체 여성단체 노동조합 등의

개인이나 단체로부터 과학기술에

관련된 문제를 의뢰받아 지역의

연구기관이나 대학의 연구자들이

시민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지역에 기반을 둔 비영리

연구센터이다 필요에 따라 다른

과학상점 혹은 전문기관과 연계하여

연구를 진행하기도 한다

10

메커니즘

문화활동

과학적 이해와 소통의 계기를 마련하고 과학이 대중 문화에 깊숙이 스며들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축제 컨텐츠 등을 제공한다

(ex) Science et Citeacute (아고라프로젝트 어린이 로봇교실 미친과학자축제)

NCCPE (Glastonbury)

과학상점은 과학물품을 파는 곳이 아닙니다 물건이 필요하면 상점을 가듯

시민들이 일상에서 과학이 필요할 때 누구든지 언제나 방문할 수 있는 기관입니다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2018년 8월 8일 바헤닝언 과학상점 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활동요청지원

연구비 및 제도적 지원

POINT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ART 02 대안제시 11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도로 위 대기 질 측정 프로젝트공학 분야

실제 문제해결 사례

사회 분야네덜란드 바헤닝언

녹지 보존과 주거 수요 충족의 균형

해당 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암스테르담 시의회가주거지 개척보다 녹지 보존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 단체의 의뢰로 시작한 연구가 결국 정부정책에도 영향을 준 과학상점의 성공 사례이다

주거건물 9채를 지을 때 얻는 이익보다 녹지손실 비용인이 더 크다고 발표했다 또한 생태계 다양성 사회 응집성등의 역할이 사라지는 부작용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주거시설확대보다 암스테르담 녹지에 대한 소중함을 강조했다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OINT

실제 문제해결 사례

시민들이 의뢰한 문제를 전문가들이 연구함으로써 정부의 정책에도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제시되었고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더 쾌적한 도로 환경을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도로 위 대기오염 상태가 웹사이트에공개되었고 자전거 이용자들은 이 결과를 통해 이동경로를 선택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연구 자료는정부에 대기오염 개선을 촉구하는 자료로 사용되었다

TEEB 도시 방법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에 의해 제공되는 혜택을 인식하고경제적 측면에서 가치를 입증하는 평가 방법

과정

결과

의의

과정

결과

의의

2000년대 중반 네덜란드 자전거이용자 연합 (Dutch Cyclist UnionDCU)은도로의 대기질을 모니터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전거 이용자들이 공기오염이 덜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자전거에 부착할수 있는 대기질 측정 기구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과학상점에 의뢰하였다 과학상점을 중개로 이 분야의 전문가로 알려진 위트레흐트 환경역학과 교수와함께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네덜란드 시민단체 GPA(The Groen Platform Amsterdam) 는 도시 내의주거시설에 대한 수요와 녹지 보존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바헤닝언과학상점에 연구를 의뢰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lsquoTEEB 도시 방법rsquo을 통해도시 녹지의 다양한 이익을 계산했다 이를 통해 주거지역 개발로 인해 부담해야할 녹지훼손 비용을 탐구했고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PART 02 대안제시 12

우리 기관은 과학과 사회를

잇는 Science communication

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

방안으로 Science et cite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및 문화활동 행사를 개최하여

시민들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매년 lsquo미친 과학자 축제rsquo를 개최한다 최근 행사의 경우 스위스의 베른 박물관에서

진행했다 다과를 먹고 다양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면서 가볍고 재미있는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다 이 축제에서 사람들은 영화 혹은 소설에서 등장하는 괴짜

과학자의 분장을 하고 나타난다 실제 과학자들이 이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과학자에 대한 편견을 깨면서 사람들에게 웃음을 줄 수 있고 친숙함을

선사할 수 있다

스위스에 위치한 Science et Citeacute 재단은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그들은 먼저 시민들이 과학에

대한 거리감을 걷어내고 친근감을 느껴야 한다고 말한다 Science et Citeacute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시옹스 에 시테 시네마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는 자연 과학 기술 등을

주제로 대학생 영화 제작자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상영하는 행사이다 영화

제작자 및 관심있는 아마추어 간의 네트워킹을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NCCPE 영국에 위치한 NCCPE는 대학의 시민참여 연구를 지원하고 대학과 대중의교류를 위해 다양한 문화사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또한 고등교육의 올바른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National Co-ordinating Center

for Public Engagement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Deputy Director

Sophie Duncan 대학생들이 지역사회 축제 프로그램을

기획해서 진행 워크샵 공연 교육 세션등을 통해 학생들이 대중을 만나는방식으로 축제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대학생은 고등 교육기관에서 배운 전공을바탕으로 사회 공헌에 참여하는 방법을익힐 수 있다

대학생 축제 기획 프로그램

실제 문화활동 사례

실제 문제해결 사례

01과학상점 소개

2018년 8월 6일Science et cite 기관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과학상점에서 활동했던

학생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다

암스테르담Athena 과학상점

PART 02 대안제시 13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2 기능2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암스테르담 Athena과학상점 인턴

KarilynGastelbondo

과학상점을 처음 어떻게 알게 되었나요Athena 기관은 Amsterdam 대학교와 연합하여 운영 중입니다 Athena

기관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을 때 자연스럽게 과학상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생도 함께 한다는 말을 듣고 찾아가 시작하였습니다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얻는 benefit은 무엇인가요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했나요 인상 깊었던 점은 무엇이었나요

과학상점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과학기술이 경제적인 부분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알리기 위해서

과학상점이 더욱 필요합니다

과학상점은 많은 사람들과

질문하고 토론하고 고민하는

기관입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성급하지 않게 나아가야

합니다

2018년 8월 10일암스테르담 인터뷰 내용 진행

Master degree과정의 학생들은 장학금을 받거나 학점을 인정받는

형식으로 benefit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바쁜 현실에 살고 있기 때문에 사회를 개선하거나 바꾸는데

선뜻 나서지 못합니다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기도 하구요

하지만 분명히 고쳐져야 하는 많은 문제들이 널려 있습니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서 시민과 과학자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사회와 만나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준다고

생각합니다 강의 시간에 이론만을 배우거나 좁은 실험실 안에서만

연구하다 보면 시야가 협소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좁은 안목으로

바라보는게 아니라 더 넓은 세상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는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Amsterdam Athena 과학상점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모니터링 하는 일에

참여하고 있죠 프로젝트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처음에 의도한 방향을

잘 유지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상점의 전반적인 운영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과학상점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생각할 수 있는 프로젝트였어요 과학상점이 지역사회에 안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굉장히 필요하고 좋은 영향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

니다

지금은 방학 10주 동안 바르셀로나 IrsiCaixa 과학상점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HIV에 관한 연구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에이즈

연구기관과 함께 협업하고 있죠 수업시간에는 접해보지 못했을 분야지만

과학상점을 통해 저도 배우고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을 통해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기쁩니다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14

과학상점 형태3

대학기반

프로그램 인턴 형태의 과학상점과 달리 코디네이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 스스로 코디네이터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유럽에서는 많은 과학상점들이 대학의 부속기구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들은 다양한 운영형태로 과학상점에 참여하고 있다

시민의 의뢰를 받아 코디네이터가 연구 적절성을 판단한 후 연구 팀을 구성한다

교내 위원회나 상위 부서로부터 예산을 조달 받으며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예산

지급 여부 및 예산액이 결정된다

(ex)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Athena Science Shop VU University Amsterdam)

(ex) 유럽 내 대부분 대학기반 과학상점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Victoria) 호주 시드니 공과대학교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학생 연구자 및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을 이룬다 특징으로 다른 과학상점 및 기관에

인턴을 파견하여 해당 기관의 연구와 작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ex)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공과대학 (University of Technology Eindhoven)

미국(UC Berkeley Science Shop

학생자체운영(동아리)

프로그램

인턴

비정부기구

대학과 독립적으로 비정부기구로 운영되는 과학상점이다 지역에 기반을 둔 NGO에

의해 조직되어 운영되며 지역주민에게 사회 기술 환경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

할 수 있는 자원 및 설비를 제공한다 또 그들이 직접 행동할 수 있도록 법과 정책

등을 통해 돕는 일을 한다 대학기반유형보다 전문적 인력이 운영한다

(ex) 미국 대부분의 과학상점 독일 본 과학상점 아일랜드 캠퍼스 인게이지 아일랜드 NCCPE 로고

비정부기구지역middot국가middot국제적으로 조직된자발적인 비영리시민단체사회복지학사전(2009)

POINT

유럽의 대부분의 과학상점이 대학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 네트워크로 구성돼 있는 반면미국의 과학상점은 독립적이고 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연구센터가 중심이 된다

과학상점이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형태를 띤 것은 아니었다

초기에는 과학상점이란 용어조차 없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는 과학상점이 명함상자 하나로 시작되었다

명함상자를 며칠 놓아두고 해결하고 싶은 문제와 의뢰인이 적힌

명함이 가득 차기를 기다렸다 상자를 다시 가져 와서 명함의 내용을

조사한 후 과학자들을 찾아가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문의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1979년 네덜란드 교육과학부가 암스테르담 대학

과학상점을 공식화하면서 과학상점 제도화의 기틀이 마련됐다A History of Science Shops in the Netherlands (The University of Amsterdam

Masters Thesis UU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Jurgen Sijbren Sijbrandij)

네덜란드에서 과학상점이 공식 기구임을 입증하는 논문

02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PART 02 대안제시 15

과학기술을 좀 더 평화적이고 대중적으로 발전시키고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하고자 했던 전문가들 세금으로

지원받은 학비를 시민들에게 보답하고자 하는

대학생들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정부의

삼박자로 lsquo과학상점 운동rsquo이 시작되었다

마침내 1974년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에서 최초의

과학상점인 lsquo화학상점rsquo이 개설된다

1970년대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했던 과학자와 대학생들은 과학상점을 창안해냈다시간이 흐르면서 그 시대가 가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조금씩 변해가며 오늘날까지 발전하고 있다

최초의 과학상점 lsquo화학상점rsquo 이 개설되다

네덜란드 이외의 유럽 국가인 프랑스 독일 덴마크

벨기에 등지에 과학상점이 확산되었다 당시

환경운동이 성장하며 환경 과학 관련 학과들이 대학에

생겨났고 환경오염에 대해 고민하는 전문가들과

학생들로부터 과학상점이 설립되게 된다

1980년대

당대의 이슈 환경운동과 함께 확산되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과학상점 간의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이는 2000년 과학상점들의 국제

네트워크 발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과학상점은 유럽을 너머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등으로 퍼져 나간다

1990년대

과학상점 네트워크 형성으로세계로 뻗어 나가다

1960년대

1955년 11월 1일 발발하여 1975년 4월 30일까지

약 20여년간 지속된 베트남 전쟁 본격적으로

화학전이 시작된 전쟁으로 당시 과학자들은 무자비한

화학전이 펼쳐지는 것을 보며 전쟁이 빚어 낸 파괴적

지식의 성찰을 공유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다

PART 02 대안제시 16

현재 전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인 과학상점

최초의 과학상점이 생긴 후 약 40년이 지난 지금 Living Knowledge Network (이하 LKN) 가입 여부를 기준으로 전 세계 87여개의 과학상점이 27개국에 존재한다

2018년 5월 30일-6월 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전 세계 33 개국 약 250명 참석

유럽 과학상점 분포 현황

전 세계 과학상점을 하나로 연결하는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리빙놀리지네트워크 관계자가 주최하는 비정기적 온라인과학기술 동향 토론회 소셜 미디어 라이브로 진행하며 이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1-2년 간격으로 컨퍼런스를 개최 연구 성과 공유 지속 가능한발전에 대한 논의 유럽 연합 커미션 아젠다 토론 등을 진행한다

Living Knowledge Conference 개최

뉴스레터 배부

각 과학상점에 대한 최신 동향을알리는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발행하여 LKN에 소속된 과학상점에배부한다

Web-inar (web+seminar) 진행

정기 행사

활동 공유

국제 과학상점 네트워크로 2000년 과학상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제도적 지원

비정기 행사

이처럼 과학상점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 있고 같은 가치를 공유하며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유럽 각지에서 과학상점 전통이이어지고 있다

Living Knowledge Network 가입기준

유럽22개국66개비유럽6개국20개

0 2 4 6 10개 이상

비유럽국가분포현황

오스트레일리아(1) 캐나다(6)아이티(1)

이스라엘 (1) 미국(10)남아프리카공화국(1)

과학상점 10

03과거 국내 과학상점

해외탐방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11: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① 해당 의뢰가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② 과학상점 이외에는 연구를 수행할 가능성이 없는지

③ 해당 과학상점이 가진 인프라(장비 해당 분야 인력)로 해결가능한지

④ 그 결과를 활용할 주체적인 집단과 역량이 있는지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지역주민과시민단체가의뢰하는사회문제

과학상점은

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코디네이터는 의뢰 받은 문제를 관련 전공의 연구자나 학생들에게 부여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과학상점의 코디네이터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선별 절차를 거친다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에는참여 주체들을잇고 의뢰 받은문제를 선별하는

가 있다

이후 대학과 정부가 마련한 재정을 활용하여 연구자들을 섭외한다

➊문제해결➋문화활동

과학상점 활동은

으로 나뉜다

문제해결

1

이메일 전화 이용

시민문제의뢰

코디네이터기준에 따라

문제 선별

2 3

코디네이터학생 교수

전문기관 등과프로젝트 매칭

연구 주체1 현장답사

2 해결방안 고안3 결론도출

4

코디네이터홈페이지로시민들과결과 공유

5

Leneke Pfeiffer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과학상점

코디네이터

과학상점은 지역주민 주민회

시민단체 여성단체 노동조합 등의

개인이나 단체로부터 과학기술에

관련된 문제를 의뢰받아 지역의

연구기관이나 대학의 연구자들이

시민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지역에 기반을 둔 비영리

연구센터이다 필요에 따라 다른

과학상점 혹은 전문기관과 연계하여

연구를 진행하기도 한다

10

메커니즘

문화활동

과학적 이해와 소통의 계기를 마련하고 과학이 대중 문화에 깊숙이 스며들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축제 컨텐츠 등을 제공한다

(ex) Science et Citeacute (아고라프로젝트 어린이 로봇교실 미친과학자축제)

NCCPE (Glastonbury)

과학상점은 과학물품을 파는 곳이 아닙니다 물건이 필요하면 상점을 가듯

시민들이 일상에서 과학이 필요할 때 누구든지 언제나 방문할 수 있는 기관입니다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2018년 8월 8일 바헤닝언 과학상점 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활동요청지원

연구비 및 제도적 지원

POINT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ART 02 대안제시 11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도로 위 대기 질 측정 프로젝트공학 분야

실제 문제해결 사례

사회 분야네덜란드 바헤닝언

녹지 보존과 주거 수요 충족의 균형

해당 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암스테르담 시의회가주거지 개척보다 녹지 보존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 단체의 의뢰로 시작한 연구가 결국 정부정책에도 영향을 준 과학상점의 성공 사례이다

주거건물 9채를 지을 때 얻는 이익보다 녹지손실 비용인이 더 크다고 발표했다 또한 생태계 다양성 사회 응집성등의 역할이 사라지는 부작용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주거시설확대보다 암스테르담 녹지에 대한 소중함을 강조했다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OINT

실제 문제해결 사례

시민들이 의뢰한 문제를 전문가들이 연구함으로써 정부의 정책에도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제시되었고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더 쾌적한 도로 환경을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도로 위 대기오염 상태가 웹사이트에공개되었고 자전거 이용자들은 이 결과를 통해 이동경로를 선택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연구 자료는정부에 대기오염 개선을 촉구하는 자료로 사용되었다

TEEB 도시 방법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에 의해 제공되는 혜택을 인식하고경제적 측면에서 가치를 입증하는 평가 방법

과정

결과

의의

과정

결과

의의

2000년대 중반 네덜란드 자전거이용자 연합 (Dutch Cyclist UnionDCU)은도로의 대기질을 모니터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전거 이용자들이 공기오염이 덜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자전거에 부착할수 있는 대기질 측정 기구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과학상점에 의뢰하였다 과학상점을 중개로 이 분야의 전문가로 알려진 위트레흐트 환경역학과 교수와함께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네덜란드 시민단체 GPA(The Groen Platform Amsterdam) 는 도시 내의주거시설에 대한 수요와 녹지 보존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바헤닝언과학상점에 연구를 의뢰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lsquoTEEB 도시 방법rsquo을 통해도시 녹지의 다양한 이익을 계산했다 이를 통해 주거지역 개발로 인해 부담해야할 녹지훼손 비용을 탐구했고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PART 02 대안제시 12

우리 기관은 과학과 사회를

잇는 Science communication

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

방안으로 Science et cite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및 문화활동 행사를 개최하여

시민들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매년 lsquo미친 과학자 축제rsquo를 개최한다 최근 행사의 경우 스위스의 베른 박물관에서

진행했다 다과를 먹고 다양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면서 가볍고 재미있는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다 이 축제에서 사람들은 영화 혹은 소설에서 등장하는 괴짜

과학자의 분장을 하고 나타난다 실제 과학자들이 이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과학자에 대한 편견을 깨면서 사람들에게 웃음을 줄 수 있고 친숙함을

선사할 수 있다

스위스에 위치한 Science et Citeacute 재단은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그들은 먼저 시민들이 과학에

대한 거리감을 걷어내고 친근감을 느껴야 한다고 말한다 Science et Citeacute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시옹스 에 시테 시네마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는 자연 과학 기술 등을

주제로 대학생 영화 제작자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상영하는 행사이다 영화

제작자 및 관심있는 아마추어 간의 네트워킹을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NCCPE 영국에 위치한 NCCPE는 대학의 시민참여 연구를 지원하고 대학과 대중의교류를 위해 다양한 문화사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또한 고등교육의 올바른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National Co-ordinating Center

for Public Engagement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Deputy Director

Sophie Duncan 대학생들이 지역사회 축제 프로그램을

기획해서 진행 워크샵 공연 교육 세션등을 통해 학생들이 대중을 만나는방식으로 축제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대학생은 고등 교육기관에서 배운 전공을바탕으로 사회 공헌에 참여하는 방법을익힐 수 있다

대학생 축제 기획 프로그램

실제 문화활동 사례

실제 문제해결 사례

01과학상점 소개

2018년 8월 6일Science et cite 기관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과학상점에서 활동했던

학생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다

암스테르담Athena 과학상점

PART 02 대안제시 13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2 기능2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암스테르담 Athena과학상점 인턴

KarilynGastelbondo

과학상점을 처음 어떻게 알게 되었나요Athena 기관은 Amsterdam 대학교와 연합하여 운영 중입니다 Athena

기관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을 때 자연스럽게 과학상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생도 함께 한다는 말을 듣고 찾아가 시작하였습니다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얻는 benefit은 무엇인가요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했나요 인상 깊었던 점은 무엇이었나요

과학상점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과학기술이 경제적인 부분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알리기 위해서

과학상점이 더욱 필요합니다

과학상점은 많은 사람들과

질문하고 토론하고 고민하는

기관입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성급하지 않게 나아가야

합니다

2018년 8월 10일암스테르담 인터뷰 내용 진행

Master degree과정의 학생들은 장학금을 받거나 학점을 인정받는

형식으로 benefit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바쁜 현실에 살고 있기 때문에 사회를 개선하거나 바꾸는데

선뜻 나서지 못합니다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기도 하구요

하지만 분명히 고쳐져야 하는 많은 문제들이 널려 있습니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서 시민과 과학자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사회와 만나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준다고

생각합니다 강의 시간에 이론만을 배우거나 좁은 실험실 안에서만

연구하다 보면 시야가 협소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좁은 안목으로

바라보는게 아니라 더 넓은 세상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는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Amsterdam Athena 과학상점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모니터링 하는 일에

참여하고 있죠 프로젝트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처음에 의도한 방향을

잘 유지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상점의 전반적인 운영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과학상점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생각할 수 있는 프로젝트였어요 과학상점이 지역사회에 안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굉장히 필요하고 좋은 영향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

니다

지금은 방학 10주 동안 바르셀로나 IrsiCaixa 과학상점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HIV에 관한 연구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에이즈

연구기관과 함께 협업하고 있죠 수업시간에는 접해보지 못했을 분야지만

과학상점을 통해 저도 배우고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을 통해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기쁩니다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14

과학상점 형태3

대학기반

프로그램 인턴 형태의 과학상점과 달리 코디네이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 스스로 코디네이터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유럽에서는 많은 과학상점들이 대학의 부속기구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들은 다양한 운영형태로 과학상점에 참여하고 있다

시민의 의뢰를 받아 코디네이터가 연구 적절성을 판단한 후 연구 팀을 구성한다

교내 위원회나 상위 부서로부터 예산을 조달 받으며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예산

지급 여부 및 예산액이 결정된다

(ex)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Athena Science Shop VU University Amsterdam)

(ex) 유럽 내 대부분 대학기반 과학상점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Victoria) 호주 시드니 공과대학교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학생 연구자 및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을 이룬다 특징으로 다른 과학상점 및 기관에

인턴을 파견하여 해당 기관의 연구와 작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ex)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공과대학 (University of Technology Eindhoven)

미국(UC Berkeley Science Shop

학생자체운영(동아리)

프로그램

인턴

비정부기구

대학과 독립적으로 비정부기구로 운영되는 과학상점이다 지역에 기반을 둔 NGO에

의해 조직되어 운영되며 지역주민에게 사회 기술 환경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

할 수 있는 자원 및 설비를 제공한다 또 그들이 직접 행동할 수 있도록 법과 정책

등을 통해 돕는 일을 한다 대학기반유형보다 전문적 인력이 운영한다

(ex) 미국 대부분의 과학상점 독일 본 과학상점 아일랜드 캠퍼스 인게이지 아일랜드 NCCPE 로고

비정부기구지역middot국가middot국제적으로 조직된자발적인 비영리시민단체사회복지학사전(2009)

POINT

유럽의 대부분의 과학상점이 대학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 네트워크로 구성돼 있는 반면미국의 과학상점은 독립적이고 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연구센터가 중심이 된다

과학상점이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형태를 띤 것은 아니었다

초기에는 과학상점이란 용어조차 없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는 과학상점이 명함상자 하나로 시작되었다

명함상자를 며칠 놓아두고 해결하고 싶은 문제와 의뢰인이 적힌

명함이 가득 차기를 기다렸다 상자를 다시 가져 와서 명함의 내용을

조사한 후 과학자들을 찾아가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문의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1979년 네덜란드 교육과학부가 암스테르담 대학

과학상점을 공식화하면서 과학상점 제도화의 기틀이 마련됐다A History of Science Shops in the Netherlands (The University of Amsterdam

Masters Thesis UU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Jurgen Sijbren Sijbrandij)

네덜란드에서 과학상점이 공식 기구임을 입증하는 논문

02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PART 02 대안제시 15

과학기술을 좀 더 평화적이고 대중적으로 발전시키고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하고자 했던 전문가들 세금으로

지원받은 학비를 시민들에게 보답하고자 하는

대학생들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정부의

삼박자로 lsquo과학상점 운동rsquo이 시작되었다

마침내 1974년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에서 최초의

과학상점인 lsquo화학상점rsquo이 개설된다

1970년대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했던 과학자와 대학생들은 과학상점을 창안해냈다시간이 흐르면서 그 시대가 가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조금씩 변해가며 오늘날까지 발전하고 있다

최초의 과학상점 lsquo화학상점rsquo 이 개설되다

네덜란드 이외의 유럽 국가인 프랑스 독일 덴마크

벨기에 등지에 과학상점이 확산되었다 당시

환경운동이 성장하며 환경 과학 관련 학과들이 대학에

생겨났고 환경오염에 대해 고민하는 전문가들과

학생들로부터 과학상점이 설립되게 된다

1980년대

당대의 이슈 환경운동과 함께 확산되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과학상점 간의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이는 2000년 과학상점들의 국제

네트워크 발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과학상점은 유럽을 너머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등으로 퍼져 나간다

1990년대

과학상점 네트워크 형성으로세계로 뻗어 나가다

1960년대

1955년 11월 1일 발발하여 1975년 4월 30일까지

약 20여년간 지속된 베트남 전쟁 본격적으로

화학전이 시작된 전쟁으로 당시 과학자들은 무자비한

화학전이 펼쳐지는 것을 보며 전쟁이 빚어 낸 파괴적

지식의 성찰을 공유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다

PART 02 대안제시 16

현재 전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인 과학상점

최초의 과학상점이 생긴 후 약 40년이 지난 지금 Living Knowledge Network (이하 LKN) 가입 여부를 기준으로 전 세계 87여개의 과학상점이 27개국에 존재한다

2018년 5월 30일-6월 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전 세계 33 개국 약 250명 참석

유럽 과학상점 분포 현황

전 세계 과학상점을 하나로 연결하는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리빙놀리지네트워크 관계자가 주최하는 비정기적 온라인과학기술 동향 토론회 소셜 미디어 라이브로 진행하며 이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1-2년 간격으로 컨퍼런스를 개최 연구 성과 공유 지속 가능한발전에 대한 논의 유럽 연합 커미션 아젠다 토론 등을 진행한다

Living Knowledge Conference 개최

뉴스레터 배부

각 과학상점에 대한 최신 동향을알리는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발행하여 LKN에 소속된 과학상점에배부한다

Web-inar (web+seminar) 진행

정기 행사

활동 공유

국제 과학상점 네트워크로 2000년 과학상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제도적 지원

비정기 행사

이처럼 과학상점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 있고 같은 가치를 공유하며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유럽 각지에서 과학상점 전통이이어지고 있다

Living Knowledge Network 가입기준

유럽22개국66개비유럽6개국20개

0 2 4 6 10개 이상

비유럽국가분포현황

오스트레일리아(1) 캐나다(6)아이티(1)

이스라엘 (1) 미국(10)남아프리카공화국(1)

과학상점 10

03과거 국내 과학상점

해외탐방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12: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PART 02 대안제시 11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도로 위 대기 질 측정 프로젝트공학 분야

실제 문제해결 사례

사회 분야네덜란드 바헤닝언

녹지 보존과 주거 수요 충족의 균형

해당 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암스테르담 시의회가주거지 개척보다 녹지 보존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 단체의 의뢰로 시작한 연구가 결국 정부정책에도 영향을 준 과학상점의 성공 사례이다

주거건물 9채를 지을 때 얻는 이익보다 녹지손실 비용인이 더 크다고 발표했다 또한 생태계 다양성 사회 응집성등의 역할이 사라지는 부작용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주거시설확대보다 암스테르담 녹지에 대한 소중함을 강조했다

과학상점은 단순한 연구나 실험 결과를 내놓는 기관이 아니다 수요자를 위해 수요자에 의해 더 큰 의사결정의 근거를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기관이다

POINT

실제 문제해결 사례

시민들이 의뢰한 문제를 전문가들이 연구함으로써 정부의 정책에도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제시되었고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더 쾌적한 도로 환경을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도로 위 대기오염 상태가 웹사이트에공개되었고 자전거 이용자들은 이 결과를 통해 이동경로를 선택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연구 자료는정부에 대기오염 개선을 촉구하는 자료로 사용되었다

TEEB 도시 방법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에 의해 제공되는 혜택을 인식하고경제적 측면에서 가치를 입증하는 평가 방법

과정

결과

의의

과정

결과

의의

2000년대 중반 네덜란드 자전거이용자 연합 (Dutch Cyclist UnionDCU)은도로의 대기질을 모니터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전거 이용자들이 공기오염이 덜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자전거에 부착할수 있는 대기질 측정 기구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과학상점에 의뢰하였다 과학상점을 중개로 이 분야의 전문가로 알려진 위트레흐트 환경역학과 교수와함께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네덜란드 시민단체 GPA(The Groen Platform Amsterdam) 는 도시 내의주거시설에 대한 수요와 녹지 보존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바헤닝언과학상점에 연구를 의뢰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lsquoTEEB 도시 방법rsquo을 통해도시 녹지의 다양한 이익을 계산했다 이를 통해 주거지역 개발로 인해 부담해야할 녹지훼손 비용을 탐구했고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PART 02 대안제시 12

우리 기관은 과학과 사회를

잇는 Science communication

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

방안으로 Science et cite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및 문화활동 행사를 개최하여

시민들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매년 lsquo미친 과학자 축제rsquo를 개최한다 최근 행사의 경우 스위스의 베른 박물관에서

진행했다 다과를 먹고 다양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면서 가볍고 재미있는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다 이 축제에서 사람들은 영화 혹은 소설에서 등장하는 괴짜

과학자의 분장을 하고 나타난다 실제 과학자들이 이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과학자에 대한 편견을 깨면서 사람들에게 웃음을 줄 수 있고 친숙함을

선사할 수 있다

스위스에 위치한 Science et Citeacute 재단은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그들은 먼저 시민들이 과학에

대한 거리감을 걷어내고 친근감을 느껴야 한다고 말한다 Science et Citeacute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시옹스 에 시테 시네마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는 자연 과학 기술 등을

주제로 대학생 영화 제작자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상영하는 행사이다 영화

제작자 및 관심있는 아마추어 간의 네트워킹을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NCCPE 영국에 위치한 NCCPE는 대학의 시민참여 연구를 지원하고 대학과 대중의교류를 위해 다양한 문화사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또한 고등교육의 올바른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National Co-ordinating Center

for Public Engagement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Deputy Director

Sophie Duncan 대학생들이 지역사회 축제 프로그램을

기획해서 진행 워크샵 공연 교육 세션등을 통해 학생들이 대중을 만나는방식으로 축제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대학생은 고등 교육기관에서 배운 전공을바탕으로 사회 공헌에 참여하는 방법을익힐 수 있다

대학생 축제 기획 프로그램

실제 문화활동 사례

실제 문제해결 사례

01과학상점 소개

2018년 8월 6일Science et cite 기관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과학상점에서 활동했던

학생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다

암스테르담Athena 과학상점

PART 02 대안제시 13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2 기능2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암스테르담 Athena과학상점 인턴

KarilynGastelbondo

과학상점을 처음 어떻게 알게 되었나요Athena 기관은 Amsterdam 대학교와 연합하여 운영 중입니다 Athena

기관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을 때 자연스럽게 과학상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생도 함께 한다는 말을 듣고 찾아가 시작하였습니다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얻는 benefit은 무엇인가요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했나요 인상 깊었던 점은 무엇이었나요

과학상점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과학기술이 경제적인 부분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알리기 위해서

과학상점이 더욱 필요합니다

과학상점은 많은 사람들과

질문하고 토론하고 고민하는

기관입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성급하지 않게 나아가야

합니다

2018년 8월 10일암스테르담 인터뷰 내용 진행

Master degree과정의 학생들은 장학금을 받거나 학점을 인정받는

형식으로 benefit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바쁜 현실에 살고 있기 때문에 사회를 개선하거나 바꾸는데

선뜻 나서지 못합니다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기도 하구요

하지만 분명히 고쳐져야 하는 많은 문제들이 널려 있습니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서 시민과 과학자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사회와 만나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준다고

생각합니다 강의 시간에 이론만을 배우거나 좁은 실험실 안에서만

연구하다 보면 시야가 협소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좁은 안목으로

바라보는게 아니라 더 넓은 세상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는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Amsterdam Athena 과학상점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모니터링 하는 일에

참여하고 있죠 프로젝트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처음에 의도한 방향을

잘 유지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상점의 전반적인 운영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과학상점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생각할 수 있는 프로젝트였어요 과학상점이 지역사회에 안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굉장히 필요하고 좋은 영향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

니다

지금은 방학 10주 동안 바르셀로나 IrsiCaixa 과학상점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HIV에 관한 연구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에이즈

연구기관과 함께 협업하고 있죠 수업시간에는 접해보지 못했을 분야지만

과학상점을 통해 저도 배우고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을 통해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기쁩니다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14

과학상점 형태3

대학기반

프로그램 인턴 형태의 과학상점과 달리 코디네이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 스스로 코디네이터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유럽에서는 많은 과학상점들이 대학의 부속기구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들은 다양한 운영형태로 과학상점에 참여하고 있다

시민의 의뢰를 받아 코디네이터가 연구 적절성을 판단한 후 연구 팀을 구성한다

교내 위원회나 상위 부서로부터 예산을 조달 받으며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예산

지급 여부 및 예산액이 결정된다

(ex)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Athena Science Shop VU University Amsterdam)

(ex) 유럽 내 대부분 대학기반 과학상점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Victoria) 호주 시드니 공과대학교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학생 연구자 및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을 이룬다 특징으로 다른 과학상점 및 기관에

인턴을 파견하여 해당 기관의 연구와 작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ex)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공과대학 (University of Technology Eindhoven)

미국(UC Berkeley Science Shop

학생자체운영(동아리)

프로그램

인턴

비정부기구

대학과 독립적으로 비정부기구로 운영되는 과학상점이다 지역에 기반을 둔 NGO에

의해 조직되어 운영되며 지역주민에게 사회 기술 환경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

할 수 있는 자원 및 설비를 제공한다 또 그들이 직접 행동할 수 있도록 법과 정책

등을 통해 돕는 일을 한다 대학기반유형보다 전문적 인력이 운영한다

(ex) 미국 대부분의 과학상점 독일 본 과학상점 아일랜드 캠퍼스 인게이지 아일랜드 NCCPE 로고

비정부기구지역middot국가middot국제적으로 조직된자발적인 비영리시민단체사회복지학사전(2009)

POINT

유럽의 대부분의 과학상점이 대학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 네트워크로 구성돼 있는 반면미국의 과학상점은 독립적이고 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연구센터가 중심이 된다

과학상점이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형태를 띤 것은 아니었다

초기에는 과학상점이란 용어조차 없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는 과학상점이 명함상자 하나로 시작되었다

명함상자를 며칠 놓아두고 해결하고 싶은 문제와 의뢰인이 적힌

명함이 가득 차기를 기다렸다 상자를 다시 가져 와서 명함의 내용을

조사한 후 과학자들을 찾아가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문의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1979년 네덜란드 교육과학부가 암스테르담 대학

과학상점을 공식화하면서 과학상점 제도화의 기틀이 마련됐다A History of Science Shops in the Netherlands (The University of Amsterdam

Masters Thesis UU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Jurgen Sijbren Sijbrandij)

네덜란드에서 과학상점이 공식 기구임을 입증하는 논문

02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PART 02 대안제시 15

과학기술을 좀 더 평화적이고 대중적으로 발전시키고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하고자 했던 전문가들 세금으로

지원받은 학비를 시민들에게 보답하고자 하는

대학생들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정부의

삼박자로 lsquo과학상점 운동rsquo이 시작되었다

마침내 1974년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에서 최초의

과학상점인 lsquo화학상점rsquo이 개설된다

1970년대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했던 과학자와 대학생들은 과학상점을 창안해냈다시간이 흐르면서 그 시대가 가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조금씩 변해가며 오늘날까지 발전하고 있다

최초의 과학상점 lsquo화학상점rsquo 이 개설되다

네덜란드 이외의 유럽 국가인 프랑스 독일 덴마크

벨기에 등지에 과학상점이 확산되었다 당시

환경운동이 성장하며 환경 과학 관련 학과들이 대학에

생겨났고 환경오염에 대해 고민하는 전문가들과

학생들로부터 과학상점이 설립되게 된다

1980년대

당대의 이슈 환경운동과 함께 확산되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과학상점 간의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이는 2000년 과학상점들의 국제

네트워크 발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과학상점은 유럽을 너머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등으로 퍼져 나간다

1990년대

과학상점 네트워크 형성으로세계로 뻗어 나가다

1960년대

1955년 11월 1일 발발하여 1975년 4월 30일까지

약 20여년간 지속된 베트남 전쟁 본격적으로

화학전이 시작된 전쟁으로 당시 과학자들은 무자비한

화학전이 펼쳐지는 것을 보며 전쟁이 빚어 낸 파괴적

지식의 성찰을 공유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다

PART 02 대안제시 16

현재 전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인 과학상점

최초의 과학상점이 생긴 후 약 40년이 지난 지금 Living Knowledge Network (이하 LKN) 가입 여부를 기준으로 전 세계 87여개의 과학상점이 27개국에 존재한다

2018년 5월 30일-6월 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전 세계 33 개국 약 250명 참석

유럽 과학상점 분포 현황

전 세계 과학상점을 하나로 연결하는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리빙놀리지네트워크 관계자가 주최하는 비정기적 온라인과학기술 동향 토론회 소셜 미디어 라이브로 진행하며 이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1-2년 간격으로 컨퍼런스를 개최 연구 성과 공유 지속 가능한발전에 대한 논의 유럽 연합 커미션 아젠다 토론 등을 진행한다

Living Knowledge Conference 개최

뉴스레터 배부

각 과학상점에 대한 최신 동향을알리는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발행하여 LKN에 소속된 과학상점에배부한다

Web-inar (web+seminar) 진행

정기 행사

활동 공유

국제 과학상점 네트워크로 2000년 과학상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제도적 지원

비정기 행사

이처럼 과학상점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 있고 같은 가치를 공유하며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유럽 각지에서 과학상점 전통이이어지고 있다

Living Knowledge Network 가입기준

유럽22개국66개비유럽6개국20개

0 2 4 6 10개 이상

비유럽국가분포현황

오스트레일리아(1) 캐나다(6)아이티(1)

이스라엘 (1) 미국(10)남아프리카공화국(1)

과학상점 10

03과거 국내 과학상점

해외탐방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13: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PART 02 대안제시 12

우리 기관은 과학과 사회를

잇는 Science communication

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

방안으로 Science et cite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및 문화활동 행사를 개최하여

시민들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매년 lsquo미친 과학자 축제rsquo를 개최한다 최근 행사의 경우 스위스의 베른 박물관에서

진행했다 다과를 먹고 다양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면서 가볍고 재미있는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다 이 축제에서 사람들은 영화 혹은 소설에서 등장하는 괴짜

과학자의 분장을 하고 나타난다 실제 과학자들이 이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과학자에 대한 편견을 깨면서 사람들에게 웃음을 줄 수 있고 친숙함을

선사할 수 있다

스위스에 위치한 Science et Citeacute 재단은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그들은 먼저 시민들이 과학에

대한 거리감을 걷어내고 친근감을 느껴야 한다고 말한다 Science et Citeacute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시옹스 에 시테 시네마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는 자연 과학 기술 등을

주제로 대학생 영화 제작자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상영하는 행사이다 영화

제작자 및 관심있는 아마추어 간의 네트워킹을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NCCPE 영국에 위치한 NCCPE는 대학의 시민참여 연구를 지원하고 대학과 대중의교류를 위해 다양한 문화사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또한 고등교육의 올바른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National Co-ordinating Center

for Public Engagement

미친 과학자 축제 (Mad Scientist festival)

과학 도시 영화관 (Science et Citeacute Cineacutema)

Deputy Director

Sophie Duncan 대학생들이 지역사회 축제 프로그램을

기획해서 진행 워크샵 공연 교육 세션등을 통해 학생들이 대중을 만나는방식으로 축제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대학생은 고등 교육기관에서 배운 전공을바탕으로 사회 공헌에 참여하는 방법을익힐 수 있다

대학생 축제 기획 프로그램

실제 문화활동 사례

실제 문제해결 사례

01과학상점 소개

2018년 8월 6일Science et cite 기관방문 인터뷰 내용 일부 발췌

1 기능1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과학상점에서 활동했던

학생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다

암스테르담Athena 과학상점

PART 02 대안제시 13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2 기능2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암스테르담 Athena과학상점 인턴

KarilynGastelbondo

과학상점을 처음 어떻게 알게 되었나요Athena 기관은 Amsterdam 대학교와 연합하여 운영 중입니다 Athena

기관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을 때 자연스럽게 과학상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생도 함께 한다는 말을 듣고 찾아가 시작하였습니다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얻는 benefit은 무엇인가요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했나요 인상 깊었던 점은 무엇이었나요

과학상점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과학기술이 경제적인 부분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알리기 위해서

과학상점이 더욱 필요합니다

과학상점은 많은 사람들과

질문하고 토론하고 고민하는

기관입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성급하지 않게 나아가야

합니다

2018년 8월 10일암스테르담 인터뷰 내용 진행

Master degree과정의 학생들은 장학금을 받거나 학점을 인정받는

형식으로 benefit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바쁜 현실에 살고 있기 때문에 사회를 개선하거나 바꾸는데

선뜻 나서지 못합니다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기도 하구요

하지만 분명히 고쳐져야 하는 많은 문제들이 널려 있습니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서 시민과 과학자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사회와 만나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준다고

생각합니다 강의 시간에 이론만을 배우거나 좁은 실험실 안에서만

연구하다 보면 시야가 협소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좁은 안목으로

바라보는게 아니라 더 넓은 세상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는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Amsterdam Athena 과학상점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모니터링 하는 일에

참여하고 있죠 프로젝트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처음에 의도한 방향을

잘 유지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상점의 전반적인 운영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과학상점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생각할 수 있는 프로젝트였어요 과학상점이 지역사회에 안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굉장히 필요하고 좋은 영향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

니다

지금은 방학 10주 동안 바르셀로나 IrsiCaixa 과학상점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HIV에 관한 연구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에이즈

연구기관과 함께 협업하고 있죠 수업시간에는 접해보지 못했을 분야지만

과학상점을 통해 저도 배우고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을 통해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기쁩니다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14

과학상점 형태3

대학기반

프로그램 인턴 형태의 과학상점과 달리 코디네이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 스스로 코디네이터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유럽에서는 많은 과학상점들이 대학의 부속기구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들은 다양한 운영형태로 과학상점에 참여하고 있다

시민의 의뢰를 받아 코디네이터가 연구 적절성을 판단한 후 연구 팀을 구성한다

교내 위원회나 상위 부서로부터 예산을 조달 받으며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예산

지급 여부 및 예산액이 결정된다

(ex)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Athena Science Shop VU University Amsterdam)

(ex) 유럽 내 대부분 대학기반 과학상점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Victoria) 호주 시드니 공과대학교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학생 연구자 및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을 이룬다 특징으로 다른 과학상점 및 기관에

인턴을 파견하여 해당 기관의 연구와 작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ex)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공과대학 (University of Technology Eindhoven)

미국(UC Berkeley Science Shop

학생자체운영(동아리)

프로그램

인턴

비정부기구

대학과 독립적으로 비정부기구로 운영되는 과학상점이다 지역에 기반을 둔 NGO에

의해 조직되어 운영되며 지역주민에게 사회 기술 환경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

할 수 있는 자원 및 설비를 제공한다 또 그들이 직접 행동할 수 있도록 법과 정책

등을 통해 돕는 일을 한다 대학기반유형보다 전문적 인력이 운영한다

(ex) 미국 대부분의 과학상점 독일 본 과학상점 아일랜드 캠퍼스 인게이지 아일랜드 NCCPE 로고

비정부기구지역middot국가middot국제적으로 조직된자발적인 비영리시민단체사회복지학사전(2009)

POINT

유럽의 대부분의 과학상점이 대학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 네트워크로 구성돼 있는 반면미국의 과학상점은 독립적이고 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연구센터가 중심이 된다

과학상점이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형태를 띤 것은 아니었다

초기에는 과학상점이란 용어조차 없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는 과학상점이 명함상자 하나로 시작되었다

명함상자를 며칠 놓아두고 해결하고 싶은 문제와 의뢰인이 적힌

명함이 가득 차기를 기다렸다 상자를 다시 가져 와서 명함의 내용을

조사한 후 과학자들을 찾아가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문의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1979년 네덜란드 교육과학부가 암스테르담 대학

과학상점을 공식화하면서 과학상점 제도화의 기틀이 마련됐다A History of Science Shops in the Netherlands (The University of Amsterdam

Masters Thesis UU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Jurgen Sijbren Sijbrandij)

네덜란드에서 과학상점이 공식 기구임을 입증하는 논문

02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PART 02 대안제시 15

과학기술을 좀 더 평화적이고 대중적으로 발전시키고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하고자 했던 전문가들 세금으로

지원받은 학비를 시민들에게 보답하고자 하는

대학생들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정부의

삼박자로 lsquo과학상점 운동rsquo이 시작되었다

마침내 1974년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에서 최초의

과학상점인 lsquo화학상점rsquo이 개설된다

1970년대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했던 과학자와 대학생들은 과학상점을 창안해냈다시간이 흐르면서 그 시대가 가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조금씩 변해가며 오늘날까지 발전하고 있다

최초의 과학상점 lsquo화학상점rsquo 이 개설되다

네덜란드 이외의 유럽 국가인 프랑스 독일 덴마크

벨기에 등지에 과학상점이 확산되었다 당시

환경운동이 성장하며 환경 과학 관련 학과들이 대학에

생겨났고 환경오염에 대해 고민하는 전문가들과

학생들로부터 과학상점이 설립되게 된다

1980년대

당대의 이슈 환경운동과 함께 확산되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과학상점 간의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이는 2000년 과학상점들의 국제

네트워크 발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과학상점은 유럽을 너머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등으로 퍼져 나간다

1990년대

과학상점 네트워크 형성으로세계로 뻗어 나가다

1960년대

1955년 11월 1일 발발하여 1975년 4월 30일까지

약 20여년간 지속된 베트남 전쟁 본격적으로

화학전이 시작된 전쟁으로 당시 과학자들은 무자비한

화학전이 펼쳐지는 것을 보며 전쟁이 빚어 낸 파괴적

지식의 성찰을 공유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다

PART 02 대안제시 16

현재 전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인 과학상점

최초의 과학상점이 생긴 후 약 40년이 지난 지금 Living Knowledge Network (이하 LKN) 가입 여부를 기준으로 전 세계 87여개의 과학상점이 27개국에 존재한다

2018년 5월 30일-6월 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전 세계 33 개국 약 250명 참석

유럽 과학상점 분포 현황

전 세계 과학상점을 하나로 연결하는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리빙놀리지네트워크 관계자가 주최하는 비정기적 온라인과학기술 동향 토론회 소셜 미디어 라이브로 진행하며 이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1-2년 간격으로 컨퍼런스를 개최 연구 성과 공유 지속 가능한발전에 대한 논의 유럽 연합 커미션 아젠다 토론 등을 진행한다

Living Knowledge Conference 개최

뉴스레터 배부

각 과학상점에 대한 최신 동향을알리는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발행하여 LKN에 소속된 과학상점에배부한다

Web-inar (web+seminar) 진행

정기 행사

활동 공유

국제 과학상점 네트워크로 2000년 과학상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제도적 지원

비정기 행사

이처럼 과학상점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 있고 같은 가치를 공유하며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유럽 각지에서 과학상점 전통이이어지고 있다

Living Knowledge Network 가입기준

유럽22개국66개비유럽6개국20개

0 2 4 6 10개 이상

비유럽국가분포현황

오스트레일리아(1) 캐나다(6)아이티(1)

이스라엘 (1) 미국(10)남아프리카공화국(1)

과학상점 10

03과거 국내 과학상점

해외탐방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14: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과학상점에서 활동했던

학생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다

암스테르담Athena 과학상점

PART 02 대안제시 13

01과학상점 소개 기능 2 기능2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암스테르담 Athena과학상점 인턴

KarilynGastelbondo

과학상점을 처음 어떻게 알게 되었나요Athena 기관은 Amsterdam 대학교와 연합하여 운영 중입니다 Athena

기관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을 때 자연스럽게 과학상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생도 함께 한다는 말을 듣고 찾아가 시작하였습니다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얻는 benefit은 무엇인가요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했나요 인상 깊었던 점은 무엇이었나요

과학상점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과학기술이 경제적인 부분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알리기 위해서

과학상점이 더욱 필요합니다

과학상점은 많은 사람들과

질문하고 토론하고 고민하는

기관입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성급하지 않게 나아가야

합니다

2018년 8월 10일암스테르담 인터뷰 내용 진행

Master degree과정의 학생들은 장학금을 받거나 학점을 인정받는

형식으로 benefit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바쁜 현실에 살고 있기 때문에 사회를 개선하거나 바꾸는데

선뜻 나서지 못합니다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기도 하구요

하지만 분명히 고쳐져야 하는 많은 문제들이 널려 있습니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서 시민과 과학자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사회와 만나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준다고

생각합니다 강의 시간에 이론만을 배우거나 좁은 실험실 안에서만

연구하다 보면 시야가 협소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좁은 안목으로

바라보는게 아니라 더 넓은 세상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는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Amsterdam Athena 과학상점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모니터링 하는 일에

참여하고 있죠 프로젝트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처음에 의도한 방향을

잘 유지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상점의 전반적인 운영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과학상점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생각할 수 있는 프로젝트였어요 과학상점이 지역사회에 안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굉장히 필요하고 좋은 영향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

니다

지금은 방학 10주 동안 바르셀로나 IrsiCaixa 과학상점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HIV에 관한 연구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에이즈

연구기관과 함께 협업하고 있죠 수업시간에는 접해보지 못했을 분야지만

과학상점을 통해 저도 배우고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을 통해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기쁩니다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14

과학상점 형태3

대학기반

프로그램 인턴 형태의 과학상점과 달리 코디네이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 스스로 코디네이터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유럽에서는 많은 과학상점들이 대학의 부속기구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들은 다양한 운영형태로 과학상점에 참여하고 있다

시민의 의뢰를 받아 코디네이터가 연구 적절성을 판단한 후 연구 팀을 구성한다

교내 위원회나 상위 부서로부터 예산을 조달 받으며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예산

지급 여부 및 예산액이 결정된다

(ex)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Athena Science Shop VU University Amsterdam)

(ex) 유럽 내 대부분 대학기반 과학상점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Victoria) 호주 시드니 공과대학교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학생 연구자 및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을 이룬다 특징으로 다른 과학상점 및 기관에

인턴을 파견하여 해당 기관의 연구와 작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ex)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공과대학 (University of Technology Eindhoven)

미국(UC Berkeley Science Shop

학생자체운영(동아리)

프로그램

인턴

비정부기구

대학과 독립적으로 비정부기구로 운영되는 과학상점이다 지역에 기반을 둔 NGO에

의해 조직되어 운영되며 지역주민에게 사회 기술 환경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

할 수 있는 자원 및 설비를 제공한다 또 그들이 직접 행동할 수 있도록 법과 정책

등을 통해 돕는 일을 한다 대학기반유형보다 전문적 인력이 운영한다

(ex) 미국 대부분의 과학상점 독일 본 과학상점 아일랜드 캠퍼스 인게이지 아일랜드 NCCPE 로고

비정부기구지역middot국가middot국제적으로 조직된자발적인 비영리시민단체사회복지학사전(2009)

POINT

유럽의 대부분의 과학상점이 대학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 네트워크로 구성돼 있는 반면미국의 과학상점은 독립적이고 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연구센터가 중심이 된다

과학상점이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형태를 띤 것은 아니었다

초기에는 과학상점이란 용어조차 없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는 과학상점이 명함상자 하나로 시작되었다

명함상자를 며칠 놓아두고 해결하고 싶은 문제와 의뢰인이 적힌

명함이 가득 차기를 기다렸다 상자를 다시 가져 와서 명함의 내용을

조사한 후 과학자들을 찾아가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문의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1979년 네덜란드 교육과학부가 암스테르담 대학

과학상점을 공식화하면서 과학상점 제도화의 기틀이 마련됐다A History of Science Shops in the Netherlands (The University of Amsterdam

Masters Thesis UU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Jurgen Sijbren Sijbrandij)

네덜란드에서 과학상점이 공식 기구임을 입증하는 논문

02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PART 02 대안제시 15

과학기술을 좀 더 평화적이고 대중적으로 발전시키고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하고자 했던 전문가들 세금으로

지원받은 학비를 시민들에게 보답하고자 하는

대학생들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정부의

삼박자로 lsquo과학상점 운동rsquo이 시작되었다

마침내 1974년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에서 최초의

과학상점인 lsquo화학상점rsquo이 개설된다

1970년대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했던 과학자와 대학생들은 과학상점을 창안해냈다시간이 흐르면서 그 시대가 가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조금씩 변해가며 오늘날까지 발전하고 있다

최초의 과학상점 lsquo화학상점rsquo 이 개설되다

네덜란드 이외의 유럽 국가인 프랑스 독일 덴마크

벨기에 등지에 과학상점이 확산되었다 당시

환경운동이 성장하며 환경 과학 관련 학과들이 대학에

생겨났고 환경오염에 대해 고민하는 전문가들과

학생들로부터 과학상점이 설립되게 된다

1980년대

당대의 이슈 환경운동과 함께 확산되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과학상점 간의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이는 2000년 과학상점들의 국제

네트워크 발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과학상점은 유럽을 너머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등으로 퍼져 나간다

1990년대

과학상점 네트워크 형성으로세계로 뻗어 나가다

1960년대

1955년 11월 1일 발발하여 1975년 4월 30일까지

약 20여년간 지속된 베트남 전쟁 본격적으로

화학전이 시작된 전쟁으로 당시 과학자들은 무자비한

화학전이 펼쳐지는 것을 보며 전쟁이 빚어 낸 파괴적

지식의 성찰을 공유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다

PART 02 대안제시 16

현재 전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인 과학상점

최초의 과학상점이 생긴 후 약 40년이 지난 지금 Living Knowledge Network (이하 LKN) 가입 여부를 기준으로 전 세계 87여개의 과학상점이 27개국에 존재한다

2018년 5월 30일-6월 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전 세계 33 개국 약 250명 참석

유럽 과학상점 분포 현황

전 세계 과학상점을 하나로 연결하는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리빙놀리지네트워크 관계자가 주최하는 비정기적 온라인과학기술 동향 토론회 소셜 미디어 라이브로 진행하며 이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1-2년 간격으로 컨퍼런스를 개최 연구 성과 공유 지속 가능한발전에 대한 논의 유럽 연합 커미션 아젠다 토론 등을 진행한다

Living Knowledge Conference 개최

뉴스레터 배부

각 과학상점에 대한 최신 동향을알리는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발행하여 LKN에 소속된 과학상점에배부한다

Web-inar (web+seminar) 진행

정기 행사

활동 공유

국제 과학상점 네트워크로 2000년 과학상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제도적 지원

비정기 행사

이처럼 과학상점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 있고 같은 가치를 공유하며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유럽 각지에서 과학상점 전통이이어지고 있다

Living Knowledge Network 가입기준

유럽22개국66개비유럽6개국20개

0 2 4 6 10개 이상

비유럽국가분포현황

오스트레일리아(1) 캐나다(6)아이티(1)

이스라엘 (1) 미국(10)남아프리카공화국(1)

과학상점 10

03과거 국내 과학상점

해외탐방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15: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01과학상점 소개PART 02 대안제시 14

과학상점 형태3

대학기반

프로그램 인턴 형태의 과학상점과 달리 코디네이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 스스로 코디네이터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유럽에서는 많은 과학상점들이 대학의 부속기구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들은 다양한 운영형태로 과학상점에 참여하고 있다

시민의 의뢰를 받아 코디네이터가 연구 적절성을 판단한 후 연구 팀을 구성한다

교내 위원회나 상위 부서로부터 예산을 조달 받으며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예산

지급 여부 및 예산액이 결정된다

(ex)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Athena Science Shop VU University Amsterdam)

(ex) 유럽 내 대부분 대학기반 과학상점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Victoria) 호주 시드니 공과대학교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학생 연구자 및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을 이룬다 특징으로 다른 과학상점 및 기관에

인턴을 파견하여 해당 기관의 연구와 작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ex)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공과대학 (University of Technology Eindhoven)

미국(UC Berkeley Science Shop

학생자체운영(동아리)

프로그램

인턴

비정부기구

대학과 독립적으로 비정부기구로 운영되는 과학상점이다 지역에 기반을 둔 NGO에

의해 조직되어 운영되며 지역주민에게 사회 기술 환경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

할 수 있는 자원 및 설비를 제공한다 또 그들이 직접 행동할 수 있도록 법과 정책

등을 통해 돕는 일을 한다 대학기반유형보다 전문적 인력이 운영한다

(ex) 미국 대부분의 과학상점 독일 본 과학상점 아일랜드 캠퍼스 인게이지 아일랜드 NCCPE 로고

비정부기구지역middot국가middot국제적으로 조직된자발적인 비영리시민단체사회복지학사전(2009)

POINT

유럽의 대부분의 과학상점이 대학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 네트워크로 구성돼 있는 반면미국의 과학상점은 독립적이고 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연구센터가 중심이 된다

과학상점이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형태를 띤 것은 아니었다

초기에는 과학상점이란 용어조차 없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는 과학상점이 명함상자 하나로 시작되었다

명함상자를 며칠 놓아두고 해결하고 싶은 문제와 의뢰인이 적힌

명함이 가득 차기를 기다렸다 상자를 다시 가져 와서 명함의 내용을

조사한 후 과학자들을 찾아가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문의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1979년 네덜란드 교육과학부가 암스테르담 대학

과학상점을 공식화하면서 과학상점 제도화의 기틀이 마련됐다A History of Science Shops in the Netherlands (The University of Amsterdam

Masters Thesis UU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Jurgen Sijbren Sijbrandij)

네덜란드에서 과학상점이 공식 기구임을 입증하는 논문

02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PART 02 대안제시 15

과학기술을 좀 더 평화적이고 대중적으로 발전시키고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하고자 했던 전문가들 세금으로

지원받은 학비를 시민들에게 보답하고자 하는

대학생들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정부의

삼박자로 lsquo과학상점 운동rsquo이 시작되었다

마침내 1974년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에서 최초의

과학상점인 lsquo화학상점rsquo이 개설된다

1970년대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했던 과학자와 대학생들은 과학상점을 창안해냈다시간이 흐르면서 그 시대가 가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조금씩 변해가며 오늘날까지 발전하고 있다

최초의 과학상점 lsquo화학상점rsquo 이 개설되다

네덜란드 이외의 유럽 국가인 프랑스 독일 덴마크

벨기에 등지에 과학상점이 확산되었다 당시

환경운동이 성장하며 환경 과학 관련 학과들이 대학에

생겨났고 환경오염에 대해 고민하는 전문가들과

학생들로부터 과학상점이 설립되게 된다

1980년대

당대의 이슈 환경운동과 함께 확산되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과학상점 간의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이는 2000년 과학상점들의 국제

네트워크 발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과학상점은 유럽을 너머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등으로 퍼져 나간다

1990년대

과학상점 네트워크 형성으로세계로 뻗어 나가다

1960년대

1955년 11월 1일 발발하여 1975년 4월 30일까지

약 20여년간 지속된 베트남 전쟁 본격적으로

화학전이 시작된 전쟁으로 당시 과학자들은 무자비한

화학전이 펼쳐지는 것을 보며 전쟁이 빚어 낸 파괴적

지식의 성찰을 공유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다

PART 02 대안제시 16

현재 전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인 과학상점

최초의 과학상점이 생긴 후 약 40년이 지난 지금 Living Knowledge Network (이하 LKN) 가입 여부를 기준으로 전 세계 87여개의 과학상점이 27개국에 존재한다

2018년 5월 30일-6월 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전 세계 33 개국 약 250명 참석

유럽 과학상점 분포 현황

전 세계 과학상점을 하나로 연결하는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리빙놀리지네트워크 관계자가 주최하는 비정기적 온라인과학기술 동향 토론회 소셜 미디어 라이브로 진행하며 이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1-2년 간격으로 컨퍼런스를 개최 연구 성과 공유 지속 가능한발전에 대한 논의 유럽 연합 커미션 아젠다 토론 등을 진행한다

Living Knowledge Conference 개최

뉴스레터 배부

각 과학상점에 대한 최신 동향을알리는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발행하여 LKN에 소속된 과학상점에배부한다

Web-inar (web+seminar) 진행

정기 행사

활동 공유

국제 과학상점 네트워크로 2000년 과학상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제도적 지원

비정기 행사

이처럼 과학상점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 있고 같은 가치를 공유하며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유럽 각지에서 과학상점 전통이이어지고 있다

Living Knowledge Network 가입기준

유럽22개국66개비유럽6개국20개

0 2 4 6 10개 이상

비유럽국가분포현황

오스트레일리아(1) 캐나다(6)아이티(1)

이스라엘 (1) 미국(10)남아프리카공화국(1)

과학상점 10

03과거 국내 과학상점

해외탐방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16: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02과학상점 역사 및 현황PART 02 대안제시 15

과학기술을 좀 더 평화적이고 대중적으로 발전시키고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하고자 했던 전문가들 세금으로

지원받은 학비를 시민들에게 보답하고자 하는

대학생들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정부의

삼박자로 lsquo과학상점 운동rsquo이 시작되었다

마침내 1974년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에서 최초의

과학상점인 lsquo화학상점rsquo이 개설된다

1970년대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했던 과학자와 대학생들은 과학상점을 창안해냈다시간이 흐르면서 그 시대가 가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조금씩 변해가며 오늘날까지 발전하고 있다

최초의 과학상점 lsquo화학상점rsquo 이 개설되다

네덜란드 이외의 유럽 국가인 프랑스 독일 덴마크

벨기에 등지에 과학상점이 확산되었다 당시

환경운동이 성장하며 환경 과학 관련 학과들이 대학에

생겨났고 환경오염에 대해 고민하는 전문가들과

학생들로부터 과학상점이 설립되게 된다

1980년대

당대의 이슈 환경운동과 함께 확산되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과학상점 간의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이는 2000년 과학상점들의 국제

네트워크 발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과학상점은 유럽을 너머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등으로 퍼져 나간다

1990년대

과학상점 네트워크 형성으로세계로 뻗어 나가다

1960년대

1955년 11월 1일 발발하여 1975년 4월 30일까지

약 20여년간 지속된 베트남 전쟁 본격적으로

화학전이 시작된 전쟁으로 당시 과학자들은 무자비한

화학전이 펼쳐지는 것을 보며 전쟁이 빚어 낸 파괴적

지식의 성찰을 공유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다

PART 02 대안제시 16

현재 전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인 과학상점

최초의 과학상점이 생긴 후 약 40년이 지난 지금 Living Knowledge Network (이하 LKN) 가입 여부를 기준으로 전 세계 87여개의 과학상점이 27개국에 존재한다

2018년 5월 30일-6월 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전 세계 33 개국 약 250명 참석

유럽 과학상점 분포 현황

전 세계 과학상점을 하나로 연결하는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리빙놀리지네트워크 관계자가 주최하는 비정기적 온라인과학기술 동향 토론회 소셜 미디어 라이브로 진행하며 이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1-2년 간격으로 컨퍼런스를 개최 연구 성과 공유 지속 가능한발전에 대한 논의 유럽 연합 커미션 아젠다 토론 등을 진행한다

Living Knowledge Conference 개최

뉴스레터 배부

각 과학상점에 대한 최신 동향을알리는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발행하여 LKN에 소속된 과학상점에배부한다

Web-inar (web+seminar) 진행

정기 행사

활동 공유

국제 과학상점 네트워크로 2000년 과학상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제도적 지원

비정기 행사

이처럼 과학상점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 있고 같은 가치를 공유하며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유럽 각지에서 과학상점 전통이이어지고 있다

Living Knowledge Network 가입기준

유럽22개국66개비유럽6개국20개

0 2 4 6 10개 이상

비유럽국가분포현황

오스트레일리아(1) 캐나다(6)아이티(1)

이스라엘 (1) 미국(10)남아프리카공화국(1)

과학상점 10

03과거 국내 과학상점

해외탐방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17: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PART 02 대안제시 16

현재 전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인 과학상점

최초의 과학상점이 생긴 후 약 40년이 지난 지금 Living Knowledge Network (이하 LKN) 가입 여부를 기준으로 전 세계 87여개의 과학상점이 27개국에 존재한다

2018년 5월 30일-6월 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전 세계 33 개국 약 250명 참석

유럽 과학상점 분포 현황

전 세계 과학상점을 하나로 연결하는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리빙놀리지네트워크 관계자가 주최하는 비정기적 온라인과학기술 동향 토론회 소셜 미디어 라이브로 진행하며 이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1-2년 간격으로 컨퍼런스를 개최 연구 성과 공유 지속 가능한발전에 대한 논의 유럽 연합 커미션 아젠다 토론 등을 진행한다

Living Knowledge Conference 개최

뉴스레터 배부

각 과학상점에 대한 최신 동향을알리는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발행하여 LKN에 소속된 과학상점에배부한다

Web-inar (web+seminar) 진행

정기 행사

활동 공유

국제 과학상점 네트워크로 2000년 과학상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제도적 지원

비정기 행사

이처럼 과학상점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 있고 같은 가치를 공유하며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유럽 각지에서 과학상점 전통이이어지고 있다

Living Knowledge Network 가입기준

유럽22개국66개비유럽6개국20개

0 2 4 6 10개 이상

비유럽국가분포현황

오스트레일리아(1) 캐나다(6)아이티(1)

이스라엘 (1) 미국(10)남아프리카공화국(1)

과학상점 10

03과거 국내 과학상점

해외탐방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18: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과학상점 10

03과거 국내 과학상점

해외탐방

한 장으로 요약하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발자취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19: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8

국내 과학상점 역사1

1998년

1999년

서울대 학생들의 소개

전북대 국내 최초로 설립

과학상점의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시민참여연구센터

2004년~현재

대중강좌및 세미나

과학기술정책연구

청소년 과학교육문화 활동

시민체감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ex) 과학기술과사회(STS)독서세미나 회원세미나 찾아가는시민교육 어린이과학책 기후변화등 대중강좌

(ex) 과학기술관련 사회 이슈연구조사 아티언스 캠프

(ex) 대전 12 공단환경오염 및 악취대책활동 지하수식수 오염도 조사 카이스트 연구실안전 체계 구축을위한 프로젝트

(ex) 시민사회단체와 부문별정책연대 및지역의제 발굴 과학기술의 민주적계획과 통제에대한 정책연구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들로 이루어진 lsquo과학상점운동 관악학생특별위원회rsquo에

의해 대학개혁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상점 운동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학 신문인 lsquo이공대

저널rsquo에 유럽의 과학상점이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자체 조사연구 능력 및 연구비 부족

등의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해 곧 사라지게 된다

전북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한민국 최초로 lsquo과학상점rsquo을 설립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총장 차원의 지원으로 순조롭게 시작되었으나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질적 활동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총장 교체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시민참여연구센터(CPPR Center for Peoplersquos Participatory Research) 과학상점

운동의 한 형태로서 대전을 중심으로 세워진 연구센터이다 2002년 3월 대전과학상점

준비모임을 시작으로 2004년 7월 1일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lsquo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그 지역주민들이 다른 누구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rsquo라는 철학을 가지고 지역사회와 시민단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20: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19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2

시민참여연구센터현장

이야기를들어보기위해

김민수운영위원장님과

인터뷰를진행하였다

2018 03 10

대전 방문 인터뷰

혁신이란내가할수있는작은것에서부터시작하며타인과의결합과확산을통해 힘이모이는것이다

주변의작은도움들 의식들을통해작은성과를만들어나가는것 과학상점의성패는거기서결정될것이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비영리 기구입니다 하지만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예산을 마련하시나요Q

A활동비 조달 및 연구 장비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연구센터 초기에는 과학기술 노동조합들과 접촉하여 조합비를 받아

연구비를 충당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여 활동 범위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보통 센터 회원들의 회비나 관련 기관들 혹은 정부 부처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습니다 또한 연구 장비를 이용할 때는 KAIST나 다른 연구 기관 간부들이

협조해주기도 합니다 2006년부터는 과학기술 총연합회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기도 해서 주변에 가용 자원으로 쓸 수 있는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학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소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 받아 지역 사회 문제 발굴 조사 운동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21: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2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모델이 순환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QA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지속되려면 어떤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하시나요QA

대학 기반이든 아니든 시민참여연구센터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lsquo운동의

영역rsquo에서는 lsquo재생산rsquo 가능 여부가 문제입니다 lsquo자원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느냐rsquo라는 거죠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후배 세대들이 축적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문젯거리를 찾아내야 합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도 활동거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지 못해 성과를 만들지 못했죠

그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사회적 상황 환경이 달라져서 1인 창업으로도 충분히

기반을 닦을 수 있고 3d 프린터나 아두이노를 통해 시제품을 쉽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과거보다 많으므로 작은

시도라도 가능성을 찾아보고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겁니다

QA

문화과학상점에 지역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시민이 없었습니다

문제를 알더라도 과학기술로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했죠 오랫동안 그

지역이 품었던 문제 그냥 속 썩이는 문제로 감수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습니다

시민들이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학 기술자들은 본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잘 몰랐습니다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에 참여 동기가 부족했죠 결국 모델이 순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전문가들을 어떻게 끌어내고 참여시킬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인력 장비 예산 부족 외에 어떠한 이유 때문에과거 과학상점 도입 시도가 실패했나요

요즘은 RampD 사회문제 해결 등 사업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과 과학자들 사이에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퍼지고 있습니다 또 정부 다부처 사업 등

여러 기회들이 새로 생기고 있고 연구자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과학기술 민주화는 연구자 주도의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현장

사용자들에게 직접적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및 참여 공간들도 만들어져야 합니다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22: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01과거 국내 과학상점PART 03 과학상점 10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1

제도화QA

자원 20년 전 국내 과학상점 운동 당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나요

만약 대학에서 과학상점에 대한 공감을 얻기 힘들 경우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Q

A

당시과학상점활동이

실패한이유는무엇이었는지

실제과학상점활동을

주도했던 서울창업허브

김병윤파트장님과

이야기를나눠보았다

[ 김병윤 파트장님 ]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과학과 92학번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96학번 현재 서울창업허브 파트장

1998년 석사 과정을 밟던 중 공과대학신문사 활동을 통해 과학상점을 알게되어 과학상점 홍보에 앞장섰다

Profile

21

1998년 여름 저와 동료들은 서울대학교 공대신문사에 모여 과학 기술 민주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습니다 한 학기에 거친 논의 끝에 과학상점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게 되었지만 대학교라는 울타리 내에서 대학생들의 힘으로만 제도화를

이루기에는 예산 인프라 등 벽이 높았습니다 네덜란드 내 최초의 과학상점들을

찾아보더라도 1960년대 여러 가지 운동으로 대학이 바뀌는데 앞장 선 것은

교수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먼저 움직였죠 결국 대학교

안에서 교수나 그 이상의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움직여야 자원을 조달할 수 있고

제도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총장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과학상점이 설립되었던 전북대학교의 사례처럼 말이죠

대학 내에서 자원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장학재단이나 기업의 CSR

부서에 협조를 요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와 대학생들의 뜻 깊은 움직임에 공감해주는 기관에 문의해 본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23: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해외탐방 이것만큼은 꼭 배워오자

과학상점을 활발히 이용하는 시민들의 의식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문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느낀 계기는 무엇인가

왜 과학상점을 만들게 되었는가

과학상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과학상점 구성원의 역량을 어떻게향상시켜 왔을까

자원

과학상점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필요한 자원을 위해 다른 단체와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

운영

시민의 의뢰부터 문제 해결까지 어떤과정으로 진행될까

과학상점의 홍보는 어떻게 이루어지고있을까

다른 과학상점과의 교류는 어떻게이루어지고 있을까

POINT

1

2

3

4

1

2

3

1

2

3

25 32 35 P

26 30 35 P

13 15 P

28 32 P

30 P

16 P

16 P

10 30 45 46 P

28 32 P

25 35 P

과학상점을지속시키기 위한

문화 형성 방법자원 확보 방법운영 방법을 배워서

국내도입의청사진을 그려보자

PART 03 과학상점 10 22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24: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유럽으로 떠나 나아갈 길을 찾다큰 뜻을 품고 출 발한 우리나라의 과학상점은 아쉽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사라졌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는 요즘 과학상점의 역할이 다시 중요해지고 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유럽에 있는 과학상점 및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우리 팀은 우리나라 정책과 과학상점 역사에 대해 발표하고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깨달음을 얻었다

왜 유럽인가

유럽은 과학상점의 본거지이다

1970년대 네덜란드 정부 주도하에 위트레흐트 대학에 최초로 생겨났으며 여러국가 도시로 퍼졌다 Living knowledge Network에는 21개국 67개 이상의

과학상점이 유럽에 존재한다

과학상점이 처음 생겨나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럽 그 곳에서 오랜시간동안 축적된 유럽 과학상점의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다

과학기술의 사회기여를 장려하는 분위기유럽연합(EU)는 연구개발의 수요자를 산업에서 사회로 이동시켰다 연구개발의사회적 책임과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RRI(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프로젝트를 통해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이같은 고민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는 우리는 유럽사람들에게 어떤 의식이 자리잡고 있기에 과학기술의 사회기여가 장려되고 또과학상점이 부흥할 수 있었는지 배웠다

대학기반의 과학상점이 활성화 되어있다

1

2

3

2

네덜란드의 바헤닝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아일랜드의 캠퍼스인게이지 등 많은 대학교가 과학상점을 두고 있으며 교수 학생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과학상점을 통해 이공계 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운 전공지식을실제 사회에 적용하며 공학적 과학적 지식의 쓰임을 체험하고 있다

PART 02 대안제시 23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25: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ART 03 과학상점 10 24

03해외탐방

스위스의 과학수준을 최고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를 위해 SNSF는 다양한 과학 연구 자체를 지원하고 과학을 대중과

가깝게 하는 science communication도 진행한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Bern Switzerland2018년 8월 6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① SNSF (Swis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② Science et cite

스위스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의 대화를 위해 1998년 설립된 국립 기관으로

과학기술과 대중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많은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26: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5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Science communication

사회에서 과학 지식의 전달과정을연구하는 분야로 과학기술자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와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과학기술자들과 다른 분야 전문가들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다룸

출처 커뮤니케이션북스

lsquo우리나라 과학정책과 과학상점 역사rsquo 슬기로운 대학생활 김민준 팀원 발표

문화

과학 문화 활동에서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Science communication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Burkard 공간을 창출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좁은 방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모든 방식에 대해 사고방식을 열어야

합니다 쇼핑센터나 공원처럼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Roduit 저희 기관에서는 lsquo아고라 프로젝트rsquo를 진행합니다 시민들에게는

생활 속 과학기술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연구가들에게는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했습니다

SNSF와 Science et Citeacute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요

Roduit 기술은 양면성을 지닙니다 좋게만 쓰이면 좋지만 모든 기술이 좋은

방향으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 모두가 적극적으로

토의해봐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도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Charles Roduit

SNSF Scientific

collaborator

Philpp Burkard

Science et CiteacuteDirector

Burkard 스위스 정부는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요시합니다 천연자원이 없기

때문이죠 김민준 학생의 발표를 들어보니 한국과 비슷한 상황인 것 같군요

가진 것은 과학 기술 은행 산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과 교육은

공익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27: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과학과 시민의 소통 방법

Science communication 방법을 배우다

SNSF Science et Citeacute

PART 03 과학상점 10 26

스위스 베른

03해외탐방

Roduit 연구자들은 자신의 여러 연구 분야 중에서 자유롭게 분야를 선정하여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이후 lsquo과학자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국제 위원회rsquo에서

내용과 목표 청중과의 소통기획 파급효과 등의 기준을 통해 선정합니다

아고라 프로젝트 참가 연구자들을 어떻게 확보하여 선정하나요

이름 (연구 분야) 내용

Mathema (인터렉티브 수학) 우리사회에 수학과 과학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중요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

(모바일 앱으로 출시)

Emission Impossible (게임) 기후 보호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

작용과 부작용 (대중 참여 실험) 청중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진행 의학실험이

진행되는 방식 및 연구진이 계획된 프로토콜을 지키지 않

을 때 발생하는 일에 대해 탐색

공포-친구인가 적인가(전시) 공포가 발생하는 기작을 이해하고 공포라는 감정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변화Scienc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2067 million)

(2032million)

(860 million)

Projects46

Careers

Programs

(68 million)

(4347 million)

22

22

9

1

2016년 기준SNSF가 지원받은 국가지원 예산

20

11 12 13 14 15 16 17 18

SNSF에서 아고라 프로젝트에배정하는 예산 추이

30

40

아고라 프로젝트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예산은 어떻게배정하나요

Roduit SNSF는 국가로부터 매년 약 900million CHF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그 중 Science Communication은 약 7million CHF 그리고 아고라

프로젝트에 배당되는 예산은 약 4million CHF으로 전체 예산에 비해서는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과 중요도는 크다고 생각하여 점점

비중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아고라 프로젝트의 경우 선정된 각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예산은 5천에서 20만 CHF으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최대

3년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고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lsquo평가

철학rsquo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기준으로 성과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SNSF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프로젝트의 가치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최소 10년을 바라보고 투자합니다

자원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28: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PART 03 과학상점 10 27

03해외탐방

Bonn Science Shop amp

Living Knowledge Network (LKN)

Bonn Germany2018년 8월 7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과학상점 혹은 과학상점과 같은 뜻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의 커뮤니티이다 많은 기관들은 리빙놀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현황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단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협력해 나가는 것은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도입하고자 하는 과학상점의 최종적인 발전 형태이기도

하다 우리는 리빙놀리지 네트워크 탐방을 통해 각 기관별 협업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고자 하였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29: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Born Science shopLKN

(Living Knowledge Network)

PART 03 과학상점 10 28

독일 본

03해외탐방

전 세계에 있는 과학상점들의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과의 협업 방식과

네트워크 형성 노하우를 배우다

과학상점의 공통적인 운영 방식과 철학이 있나요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 과학상점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인적자원이나 기기를 공유하거나 각 과학상점마다 특화된

분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기도 합니다 과학상점들의 교류로

지역사회의 작은 문제부터 국제사회문제까지 더 다양한 분야를 다룰 수

있으며 더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매 1~2년에 한번씩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과학상점들이 모여 그들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또한 서로의 노하우를

배우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논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과학상점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홍보할 수 있는

Living Knowledge Newsletter를 매 달 발간하고 있습니다 과학상점의

구성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신청하여 구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1000명이 구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연구자 학생이 서로 격의 없이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학상점을

만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Living Knowledge이 Control

tower는 아닙니다 모든 과학상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과학상점은 그들의 상황에 맞는 운영방식이나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코디네이터가 과학상점 안에 있지만 각 과학상점의

경제적 제도적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Living Knowledge Network는 그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서로의 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NorbertSteinhaus

LKN director

과학상점은 시민이언제든지 찾아와 서로편하게 이야기 나누는곳입니다

운영

lsquo슬기로운 대학생활 팀rsquo과 lsquo탐방 목적발표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원종빈 팀장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30: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PART 03 과학상점 10 29

03해외탐방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Wageningen The Netherlands2018년 8월 8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대학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 많은 학생과 코디네이터 지역주민이 함께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상점이다 프로젝트를 통해 네덜란드 지역사회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고 과학기술의 적절한

쓰임을 모두가 함께 고민하는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Leneke Pfiffier

Coordinator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31: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PART 03 과학상점 10 30

네덜란드 바헤닝언

03해외탐방

과학상점의 운영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운영

Wageningen University amp Research

Science Shop

프로젝트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나요

Leneke Pfiffier

Coordinator

자원

과거에는 시민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식으로 의뢰를 받았으나 요즘은 통신이

발달하여 전화나 홈페이지로 의뢰를 받습니다 의뢰를 문의하는 시민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는 경우도 있고 우연히 과학

상점을 접한 사람들도 있죠 그렇게 의뢰가 들어온 문제들은 바헤닝언 과학

상점에서 약 1년간 진행됩니다 코디네이터는 적절한 지식을 가진 전문 분

야 인력을 배치합니다 만약 바헤닝언 과학상점에서 전문적으로 다루기 어려

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과학상점과 함께 고민하기도 합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프로젝트당 예산은 평균적으로 3500유로입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4년마다 이루어지는 운영결과 평가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3500유로 정도를 바헤닝언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의 운영예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구성원들로부터 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세금을 의미하죠 따라서

학교의 구성원들이 과학상점을 통해서 사회에 보답을 해야한다는 책임감

또한 갖고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 문제의뢰 페이지

코디네이터 학생 시민 연구자와의 끊임없는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과학상점 참여자의 역량은 어떻게 강화할까요

과학상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역량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바헤닝언 과학상점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합니다 또한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죠

대학 기반 과학상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어떤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배우다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32: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PART 03 과학상점 10 31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Utrecht The Netherlands 2018년 8월 9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oordinator

Floor Vogels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과학상점과 관련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을

사회에 직접 응용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특별한 커리어를 쌓아 나간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33: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PART 03 과학상점 10 3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문화네덜란드에 있는 많은 과학상점이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네덜란드 정부는 과학의 사회적 기여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EU 또한

RRI나 Horizon 2020 처럼 과학기술의 사회적 올바른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agenda를 설정하여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정부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으로 네덜란드의 많은 과학상점이 지금까지 잘 이어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대학에서도 사회적 기여를 넘어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제도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과학상점을 홍보하여 학생들을 모으고 있나요

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는 2003년 처음 대두된개념으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rsquo를 말한다 lsquoScience with and for Societyrsquo 라는 목표로 사회를위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연구와혁신 과정에서 대중을 참여시키는것이 핵심이다

출처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s Horizon 2020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동안약 800억 유로의 예산을 조달하는연구 혁신 프로그램이다 범 국가차원에서 산업계 학계 연구분야 지역사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의 일부로science shop에 예산을 지원하기도 한다(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출처 European Commission

암스테르담 아테네 과학상점활동사례 홈페이지 개시

현재 저희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또

시민들이 언제든지 과학상점을 이용하고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학생들이 활동했던 프로젝트의 보고서를 시민들이 보기

쉽게 가공하여 업로드 하고 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과학

컨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를 개설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 올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과학상점 인턴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과학상점이

인턴십과 연계되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더 많은 학생들과

함께 하여 풍성해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지금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상점에서 인턴십을 했던 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과학상점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상점을 더

단단하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홈페이지 외의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34: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PART 03 과학상점 10 33

03해외탐방

Amsterdam Athena Science Shop

Coordinator

Floor Vogels

운영학부 수준 전공지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 하고과학상점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연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학부생이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어려움은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것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과학상점에서의 경험과 강의실에서 배우는 지식들은 실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민들을 만나고 지역사회를 관찰하며 사회문제에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기까지는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당연히 어설프고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는 고민을 함께 할 동료들과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교수님

더 멀리는 현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과학상점

활동을 통해 성장합니다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며 올바른 과학기술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게 됩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턴십 형태의 과학상점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설명해주세요

아테나 기관 과학상점에서는 Master Year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인 FPT Canadian Immunization Committee Canadian

Immunization Research Network와 협력하는 인턴십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국가의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국민들의 면역 상태도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캐나다의 비정부

기구와 함께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과학상점의 중요한 자격요건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려는노력과 의지입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제도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35: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PART 03 과학상점 10 34

03해외탐방

Campus Engage

Dublin Ireland 2018년 8월 13일 방문

기관소개

탐방목적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내 17개의 고등교육기관이 모여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고민하는 연합이다 이곳은 아일랜드 정부의 후원을 받아 대학의

대중을 위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는 교육정책을 고안한다 이런 정책들과

비전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36: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Campus EngageManager

Kate Morris

PART 03 과학상점 10 35

03해외탐방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배우다Campus Engage

의식

아일랜드 더블린

Campus Engage의 교육정책에 담긴 철학은 무엇인가요

운영

우리는 지식이 어떻게 하면 실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지식을 쉽게 받아들일 때 대학의 사회적 기능을 다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지식인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과 사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와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영철학을 반영하여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일랜드의 한 교육센터인 MSC(Mathematics Support Centre)는 수학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교육하는 단체입니다 이곳은 아일랜드의 NUIM대학에

재학중인 학부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성장해

오며 활동하고 있는 이곳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무료 수학교실을 시작했습

니다

수업은 일주일에 두 시간 정도 진행합니다 대학생들은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은 어렵고 복잡하기만 하다고 느꼈

던 수학에 대한 생소함을 줄일 수 있죠 실제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은

ldquo이 곳에 오기전 저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지 몰랐어요 하지만 지금 저는 더

높은 것도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어요rdquo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리니티 대학(Trinity College Dublin)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트

리니티 대학에서 환경과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두 학생들이 고안한 Food

Clou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 앱은 남겨지는 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빈곤 문제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데요

잉여음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두 학생 덕분에 현재

22개의 업체에서 남는 음식을 기부 받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 어플리케이션은

Green Entrepreneur Award(친환경 기업가 대회)에서 우승을 하기도 했죠

정부는 사회 분위기를이끌어 나갈 힘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육커리큘럼을 고민하는 것에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자원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예산은 어떻게 확보하나요

캠퍼스 인게이지는 아일랜드 교육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국가 운영의 운전

자(driver)인 정부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예산을 얻으며 이에 힘입

어 우리는 더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37: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슬기로운대학생활팀의발자취

과학상점 10

문제제기

과학기술 발전 방향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과학상점은 교육적 효과가 있다

정부 lsquo경제발전rsquo에서 lsquo삶의 질rsquo로 눈길을 돌리다

과학상점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대안제시

01

02

03

과거 국내 과학상점 한계

과학자도 시민도 참여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문화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으로

원활한 예산 공급과 인적 자원 확보가 어려웠다자원

운영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

PART 03 과학상점 1036

해외 과학상점 탐방 결과

1 Science communication의 활성화를 통해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화

2 과학상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자원

운영

1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대한 공감과 꾸준한

관심으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

2 과학상점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1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중들의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

2 과학상점 유사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업한다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38: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과학상점 20

04한 눈에 알아보는 과학상점 20

기대효과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39: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과학상점 20

PART 04 과학상점 20 38

대학 기반 과학상점의 핵심은 지속성 이다

과학상점의 운영 취지에 공감하는 lsquo학생rsquo으로부터 시작되어

lsquo대학rsquo에서의 제도화를 통해 안정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다

이후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 방식을 정부에 제안한다

과학상점 20은 대학생 으로부터 시작된다

학생과 시민들의 참여 부재 정부와 대학 차원의 공감 부족 문화와 자원의 부족을 해결할

운영 능력의 부족으로 과거 국내 과학상점은 실패하였다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히 과학상점을 알리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국내 과학상점의 한계를 분석하고 해외탐방을 통해 배운 점을 적용하여

과학상점의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계획을 세웠다

02운영

01홍보

홍보와 운영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다

STEP

STEP

우리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난관에 부딪혔던 것은 lsquo함께 이 문제를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의 부재rsquo였다 과학상점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림으로써 이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lsquo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rsquo 개최를 구상했다

과학상점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운영 방식과 제도화 방법을 고민해보았다 우리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쓰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장을 대학의 시스템 안에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안정화 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접 시범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 과학상점의 활동을 가시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으로 과학상점 카페를 우리 대학에 제안한다

정부대학생 대학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40: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한 눈에 보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POINT

과학상점 페스티벌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01

홍보STEP

02

운영STEP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정부의 지원 속에 안정된 자원을 갖춘 과학상점을 위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의 도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학상점 카페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 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과학문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과학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PART 04 과학상점 20 39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41: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구상하다 01

01

과학상점페스티벌

행사 기획 과정을 배우다 02

기획을 구체화하다 03

학교측과 장소 시간 협의예산안 작성 및 컨펌

일반 참가자 모집행사 시뮬레이션 진행포럼 관련 최종 승인

프로모션 컨텐츠 제작 및 배포연사자 강연 버스킹 참가자 모집부스 기획 및 컨텐츠 제작후원 협찬 섭외

국제한국학포럼(GKSF)은 한국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하는 포럼이다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된 국제한국학포럼은 2014년 11월 학과의 공식

사업으로 인정되어 올해 4회를 맞이했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이 행사의 제 1대 디렉터 양소희님을 만나 학생 주도의

행사 기획과 운영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과학상점 정착의 핵심 열쇠는 과학상점 운영의 취지에

공감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의

첫 발걸음으로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갈 중심

구성원인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4학년 양소희님 -

이제 국제한국학포럼은 국제한국학과 학생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혔어요 이것이 4년째 이 행사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죠

한국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나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면서 한국학에 대한 애정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나의 잠재력을 깨닫기도 합니다

과학상점 페스티벌도 학생들의 힘으로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결코 쉽진

않을 거에요 하지만 여러분이 꿈꾸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인터뷰

20180714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포럼 방문 사무국구성 (201811)

기획구체화 (201812 ~201902)

기획추진 (2019 02~ 201904)

행사점검 (2019 05) rarr 행사개최 (201905)

사무국 킥오프미팅

문화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

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42: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bull 명칭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bull 내용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주체가 되어 개인의 역할을 논의하는 장

bull 일시 2019년 5월 말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ull 주최주관 과학상점 페스티벌 사무국

bull 참가대상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싶은 누구나

행사 개요

참가자 구성 및 선발방법

bull 자격 국내외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인

bull 인원 200명 - 300명

bull 참가자 구성

기획 의도

① 일반 참가자

- 역할 각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자의 강연을 듣고

자유롭게 부스 체험하는 일반 시민

- 선발인원 약 200명 ndash 300 명

- 모집시기 2019년 4월 말 ~

- 선발방법 홈페이지 선착순 접수

② 코어 및 사무국원

- 선발인원 총 24명

- 모집시기 2018년 11월 초 - 11월 말

- 선발방법 교내 동아리 회원과 지인들을 대상으로

협조요청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면접 후 선발

③ 발표 세션

- 역할 과학기술의 올바른 쓰임을 고민하고

실천해온 경험을 참가자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냄

- 초청인원 총 5명 내외

- 초청방법 디렉터 1명 부디렉터 1명

세션기획 팀장 3명이 후보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직접 컨택

④ 버스킹 참가자

- 역할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해 자신이

경험한 것 전공의 쓰임에 대해 고민한

것을 비롯해 이 포럼의 취지와 관련된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

- 선발인원 조기모집 3명 + 현장모집 7명

- 선발방법

(1) 조기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참가 신청서와

강연 계획안을 작성 사무국에서 평가 후 선발

(2) 현장모집

참가 희망자에 한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 비고 조기모집의 경우 1인당 10분

현장모집의 경우 1인당 3분 내외로

시간 제한

기획안

1 우리 사회에 급증하는 국민생활연구 수요와

그 필요성에 발맞춘 행사를 마련하기 위함

2 차세대 과학기술계를 이끌어 갈 이공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

3 해외 선진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관 탐방과 과학

참여 문화를 체험하며 깨달은 것을 나누기 위함

이공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지역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과학기술에 대해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과학상점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다면 과학상점 페스티벌은 국내 과학상점 정착의 씨앗이 될 것이다

PART 04 과학상점 20 41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43: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01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상점 페스티벌

협찬 요청

bull LG 전자 마케팅팀 (부스 노트북 핸드폰 협찬 요청)

bull LG 소셜캠퍼스 소속 스타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부스 전시체험 물품 협찬 요청)

출입구

스타트업제품체험

과학상점 문제의뢰

과학

상점

홍보

포스

터 적정

기술

아이

디어

포스

터이벤

트진

행네

트워

스타트업제품전시

1

4

2

3

5

6

행사 구성

발표 세션 (백주년 기념관 1층)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 기념관 2층)

bull 동시 진행

bull 행사 시간 100 PM ndash 630 PM

행사 컨텐츠

전시체험 부스 (백주년기념관 2층)발표 세션 (백주년기념관 1층)

구분 내용

세션1

제목 과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한계와지향점

연사 정부부처관계자

소개 과거 과학기술정책이 일으킨 문제 및 한계점과 앞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강연

세션2

제목 ldquo두유 노 과학상점rdquo

연사 시민단체 대표 1인 슬기로운 대학생활팀 대표 1인

소개 해외 과학상점 역할과 활동내용 소개 현재 과학상점 역할 재조명

세션3

제목 ldquo살아있는 실험실 리빙랩을 아시나요rdquo

연사 리빙랩 전문가

소개 최근 사례를 통한 리빙랩 활동 소개

세션4

제목 인문학과 연결 짓는 과학기술

연사 과학 커뮤니케이터

소개 일상 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위주 강의

세션5

제목 CSR로 바라본 시민사회와 과학기술

연사 기업 CSR 담당자

소개 과학기술로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가치를 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이슈를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

강연버스킹

제목 모두의 MIC

연사 시민 학생 등 페스티벌 참가자 누구나

소개 과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체험담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구분 내용

부스1

내용 슬기로운 대학생활팀의 해외탐방 후기와 자료를 소개하고 공유함

목적 해외의 과학상점 사례를 공유하여 참가자의 견문을 넓힘

부스23

내용 과학기술로 소셜 미션을 수행하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소개

목적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하는 기업의 실제 사례를소개

부스4

내용 평소에 생각했던 지역사회 문제를 참가자가 직접 의뢰

목적 문제 인식에 그치지 않고 직접 문제 원인을 고민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할 수있을지 고민

부스5

내용 학생들이 고안한 적정기술 아이디어 아이템창의 융합 제품 소개

목적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들에게도 과학기술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과기회가 있음을 상기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44: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행사 시간표

시간 내용

1300 ~ 1330 현장 등록

1330 ~ 1420 개막 (개회사 축사 축하영상 귀빈소개 일정안내)

1420 ~ 1430 쉬는시간

장소 백주년 기념관2층 백주년 기념관1층

1430 ~ 1500 - 발표 세션1

1500 ~ 1530 부스 운영 발표 세션2

1530 ~ 1600 발표 세션3

1600 ~ 1630 강연 버스킹(조기 신청자)

1630 ~ 1700 발표 세션4

1700 ~ 1730 발표 세션5

1730 ~ 1800 - 강연 버스킹(현장 신청자)

1800 ~ 1830 폐막

예산안 (장소 대여비 강사 초청비 등 제외)

물품 수량 금액

무대 현수막(50090) 1 20000

부스 조형물 1 200000

등록부스 부스 포스터(A1) 50 50000

포토존(500500) 1 200000

다과 대량구매 200000

티켓 500 50000

수료증 300 90000

팜플렛 300 160000

쇼핑백 300 90000

홍보 현수막 (50090) 2 40000

포스터 100 100000

길안내스티커 5000

사무국원 명찰 30 5000

단체티 18 540000

여유 자금 (총액의 5) - 175000

총합 - 1925000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3

제 1회 과학상점 페스티벌 계획서 일부

01 과학상점 페스티벌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45: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A

A

A

Q

실제 과학상점 코디네이터에게 묻다 01

02

제도화 과학상점은 정해진 형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턴 동아리 등 학교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과학상점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나요

- 네덜란드 바헤닝언 과학상점 Leneke Pfiffier -

A

과학상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묻다 02

과학상점을 정의하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이고 후배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rdquo ndash 실천 경영 동아리 Enactus 파운더 現 Google Korea 소속 안은정 님 -

경남대학교의 경우 총장님과 링크사업단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

교내 리빙랩 활동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열정을 이끌 수 있는 누군가와 만난다면

과학상점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 ndash 경남대학교 지역사회혁신센터 정은희 센터장님 -

Q우리나라에서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능할까요

국내 도입 방법을 고민하다 03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방문 인터뷰

우리 학교는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비율이 타 학교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우리학교가 공학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공대생도 인문학적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과학상점 프로그램의 취지는 이에 매우 부합한다고 봅니다ndash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 교수님 -

과학상점을 도입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을 생각했고 본교 대학교육혁신원 김남섭교수님께 자문을 구했다

제도화 방안을 담당자에게 발표하다 04

해외에서 배워온 것을 우리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에서

발표하고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이공계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설계과목

(미래설계공학)을 가르치고 계신 한경희 교수님께 피드백을 얻었다

20180729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0301 화상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lsquo지속가능성을 확보하라rsquo과학상점의 일원으로 활동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모을 방법은

대학생 수준에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 활동 성과들을 먼저 제시하면 더욱 설득력 있지 않을까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피드백

2018 09 07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방문 인터뷰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

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2018 07 29 인액터스 파운더 안은정님 논현동 카페 인터뷰

2018 07 12 창원 리빙랩포럼 방문 인터뷰

2018 07 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김남섭 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백주년기념관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위원회 발표

2018 07 23 세종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님 방문 인터뷰

2018 07 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권혁동교수님 방문 인터뷰

2018 08 23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교수님 방문 인터뷰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46: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02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bull 명칭 과학상점 시범운영

bull 참여 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학교 구성원

bull 목적 교내 과학상점 활동 수요를 파악하여 현실 가능성을 진단함 추후 과학상점 운영의 확장 방안 모색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ull 내용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개요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1) 참여 인원 모집 기간 2018년 11월 2일 ~ 2018년 11월 30일

(2) 시범연구 활동 기간 2019년 1월 ~ 2019년 2월

(3) 시범연구 활동 보고서 작성 2019년 3월

(4) 활동 보고서 배포 2019년 4월

(5) 활동 확장 2019년 5월 이후

과학상점 시범연구 추진 계획

참여자모집

시범 연구추진

활동 보고서작성 및 배포

교내 게시판 SNS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 인스타그램 계정

scienceshop_korea) 를 이용하여 연구 기획단(학생 교수)을 모집한다

학생복지위원회 학생회관 쉼터 등 교내 기관 곳곳에 문제 의뢰함을 설치하여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를 조사한다

대학교육혁신원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 담당)에 활동 보고서를 배포하여 성과를알린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 1동 2동 동사무소와 협의 후 의뢰함을 설치하여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상점 활동을 확장한다

지역사회활동 확장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5

왜 비교과 프로그램인가

1 참여 학생들의 평가 방법이 유연하다

2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3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47: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02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시범 연구 주제 예시

결국 A씨는 과학상점 문을

두드렸고 붕어방의 실태가 어떤지

수질을 지금보다 개선할 수 있는지

물었다 A씨의 의뢰를 받은

과학상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연구과제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못 lsquo붕어방rsquo수질 조사 및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성명 슬대생 생년월일 950123

학교서울과학기술

대학교소속 환경공학과

키워드수질조사 수질개선 pH BOD COD SS T-N T-P Chl-a NO3-N

NH3-N PO4-P

의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일동

연구참가자

노원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 교수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 개요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 및 주민 교내 연못 악취 문제 의뢰

2 붕어방 수질 측정

3 관계전문가 교직원 및 학생 의견 수렴

4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 연구 진행

연구 목적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내에 위치한 연못인 붕어방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정화하여 교내 조경과 환경을 개선함

연구 내용및 방법

1 연구 기간 2019년 3월~ 2019년 6월

2 연구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붕어방

3 연구 방법 붕어방 연못의 산성도 오염도

오염물질 농도를 파악하고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도를 낮춤

연구 규모

[인력] (예산 별도 첨부)

-노원구 녹색환경과 공무원 2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상점 학부생 연구원 6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1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명

기대 효과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상징적 자연못인 붕어방의 수질 개선을 통해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을 증진

2 학생과 연구자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효과를 체험

목록 사용처 거래처 비용 내역 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중금속 측정 분석기기ICP-MS

붕어방 토양시료중금속 농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시간당 20(수업진행용은 무료)

12

12시료 전처리기기

핫플레이트시료 가열건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화학 실험실

0

유기물 농도 분석기기Optima 7300DV

붕어방 물 시료 내유기물 농도 측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기재료 및 물성분석 연구실

0

재료 및전산처리

시료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수질 상태현황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동실험실습관 대여

45 45 45

연구홍보비

자료 출력배포용

보고서 출력교내 인쇄소 장당 50원 10 10

총계 70

참고 자료 용곡저수지 오염원인 조사 및 수질개선대책 연구 보고서 청주시 2015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중인 A씨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캠퍼스를 걷기가 부담스럽다

학교의 상징인 연못 lsquo붕어방rsquo 으로부터

풍기는 악취 때문이다 연못 가운데에

설치된 큰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면 비릿하고 꼬릿한 냄새를 품은

물보라가 바람에 날려 피부에 닿는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만을 토로하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STEP 01 시범연구

PART 04 과학상점 20 46

단위 만원시범 연구 예산안 예시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48: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제도화 STEP 02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은 대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이다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은 과학상점 활동을

경험해보고 싶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을 모아 교내의 자그마한 문제를 시범 연구로 진행하고 과학상점

활동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후 과학상점을 제도화 하는 방안으로 교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타 대학에 성과를 알려 전국 규모의 과학상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과학상점 비교과 프로그램 추진 개요

PART 04 과학상점 20 47

02

1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 문제는 시민들의 의뢰에 기반한다 시민들의 의뢰는 접근성이

쉬운 교내 과학상점 카페 의뢰부스나 과학상점 홈페이지를 통해 받을 예정이다

2 과학상점 활동 결과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과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나 컨텐츠를 제작

하여 게시한다

3 과학상점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전 세계 과학상점 네트워크인 Living Knowledge Network에 가입하여 제도화

방법을 배우며 활동 내역을 공유한다 또한 매년 전 세계 과학상점과 관련 기관들이 모여 공유하고 토론하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에 참가한다

비교과 프로그램 구체 계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 및 상담 취업 지원 창업 지원과 같은 네 가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lsquo학습역량 강화 지원rsquo 에 지원하여 과학상점 프로그램을 제안할 예정이다

제1절 학습역량 강화 지원

제11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 학습역량 강화 지원 범위는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한다

제12조(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①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등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② 학습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의 종류는 특강 워크숍 동아리 활동 상담 튜터링 클리닉 학습법 등으로 한다

(1) 모집대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재학생이면 누구나

(2) 모집인원 총 20명 (4명X5팀)

(3) 모집기간 방학 중 (1~2월 7~8월)

(4) 활동기간 학기 중 (3월~6월 9월~12월)

(5)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로 신청

(6) 활동내용 1) 지역사회 문제 해결

2) 과학 문화활동 기획 및 추진

(7) 지원혜택 활동비 제공 우수활동자는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참가 지원

(8) 문의 홈페이지번호

(9) 활동 종료 후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홈페이지 개시

Living Knowledge Conference 매년 5월 전 세계 과학상점 연합체인

lsquoLiving Knowledgersquo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각국의 과학상점 활동과 성과를 공유함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49: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03

슬기로운 대학생활 팀이 제안하는 과학상점 20

과학카페

교내에 새로 들어올 카페를 학교 측에 과학상점 컨셉으로 제안한다 이곳은 과학상점활동이 실제 이루어 지는 공간이자 카페 lsquo갈다처럼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을 진행한다

bull 소개 과학 컨셉의 카페 운영

다양한 과학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bull 컨텐츠 월별 행사 lsquo과학의 밤 진행

지역아동 방과 후 프로그램 lsquo우리동네 실험실rsquo운영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제안 중)

bull 인테리어 과학상점 활동 결과 교류

과학관련 도서 과학상점 활동 포스터 비치

일회용품이나 머그잔 대신 플라스크 잔 이용

bull 기대효과 과학에 느끼는 막연한 부담감과 거부감 완화

과학상점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 증가

과학상점 활동 결과 공유

카페 소개 컨텐츠 소개

강연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lsquo과학인의 밤

bull 내용 대학(원)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나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 등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강연 프로그램

bull 일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밤

bull 장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스타트홀

bull 참가대상 교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 누구나

bull 기대효과

-학생 과학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지역주민 과학기술계의 흐름을 파악

과학상점에 사회문제 의뢰 역량 향상

유사사례 소개 시민들에게 한발 다가가는 과학 책방 갈다(GalDar)

bull 소개 서울시 삼청동에 위치한 과학 책방 lsquo갈다(GalDar)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서적이 있는 책방이다 고전 과학에서부터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과학이슈까지 폭넓은 주제로 강연 및 독서모임 활동도 진행함

bull 운영철학 Cultivating ndash 밭을 갈다(과학문화의 밭을 경작하다)

Grinding ndash 부드럽게 갈다(딱딱한 과학을 부드럽게)

Disrupting ndash 바꾸다(지식의 판을 교체하다)

bull 주요활동

과학 토크 콘서트 과학문화 체험활동 과학관련 서적 판매

과학계의 유명인들이다양한 주제로 강연을진행한다

일반 시민들이 쉽게읽을 수 있는 과학교양서적을 판매한다

정재승 「열두발자국」책 큐레이션

통영 1박 2일과학자를 만나다

지역시민들이 직접 신청하여 과학문화 컨텐츠와행사에 참여한다

이대열 「지능의탄생」

갈다(GalDar)는 유명한 과학

계 인사를 초청할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원활하게 운영

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

의 수요가 있기 때문이죠 이미 충

분한 수요가 형성된 이 시점에서

갈다(GalDar)와 같이 과학문화 활

동을 제공하는 장소가 많아져야

합니다

서울창업허브

김병윤 파트장님

기획안

PART 04 과학상점 20 4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50: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전문가의 영역이라 여겨 접근하지 못했던 lsquo과학rsquo에 가까이 다가가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골칫거리와 같은 문제들을 실제로 해결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대학 기반 과학상점은 대학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과학상점은 시민들이 의뢰한 지역 문제를 대학이 해결하게 하고 시민들에게 과학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장이 된다

교과서 강의실 실험실에서 배울 수 있는 지식을 넘어 과학기술의 시민사회와 어떻게 공존하는지 체험한다

과학상점 프로젝트를 통해 공학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기대효과

비로소 과학기술의 주인이 되다

과학기술의 쓰임에 대해 고민하는 장을 제공하다

전공 지식의 쓰임새를 생각하는 인재로 성장하다

시민사회

우리는누구나과학기술의주인이

되는세상을꿈꿉니다

대학

대학생

2018 Living Knowledge Conference 사진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51: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맺음말

과학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한 대한민국 정부 대학과 연구자도 같은 곳을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공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를 위해 쓰일 수 있는지 체험하고과학기술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 녹아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과학상점은 누구나 과학이 필요할 때 찾아올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시민도 학생도 연구자도

과학이라는 언어로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나누어 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 세상 모두가 과학기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

Page 52: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8-11-19 · PART 01 / 문제제기 05 2.18 1.94 4.45 7.60 8.69 9.35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기준치 연간1mSv 초과금지 10 8

도움 주신 분들

STEPI 성지은 박사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최형섭 교수님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이영희 교수님

연세대학교 한경희 교수님

경남대학교 정은희 지역사회혁신센터장님

시민참여연구센터장 김민수 박사님

서울창업허브센터장 김병윤 센터장님

공주대학교 기계공학전공 졸업생 조성열님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재학생 양소희님

Google Korea 안은정님

WUR 과학상점 Leneke Pffier 님

본 과학상점 Norbert Steinhaus 님

SNSF Charles Roduit 님

Science et Cite Philipp Burkard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Floor Vogels 님

암스테르담 아테나 과학상점 Karilyn Gastelbondo 님

캠퍼스 인게이지 Kate Morris 님

서적

lt과학기술과 민주주의gt문학과지성사_이영희

논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대학연구 지원정책의 현황 및 과제김성수1999

네덜란드 과학문화활동의 지형도김병윤 외 1명2003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안두현 외 1명201002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 연구성지은 외 6명201502

과학기술정책 핵심의제 발굴 및 대한 모색이정원201701

-그 외-

독일의 과학대중활동 최근 동향과 교훈서지영

세계의 학교 시민교육양설2008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조영하2008

프로보노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심미승 외 1명20160416

대전지역 비영리민간단체의 현황 및 실태조사정선기 외3명2016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국민생활연구송완호2018328

기사 및 사설

과학상점 운동 특별위원회를 찾아 lsquo대학 과학민주화 방관만 할 것인가rsquo중대신문_홍윤신19980525

대중과 과학기술을 잇는 가교 (과학상점)연세춘추_조익신19980921

과학상점에 노크하세요한겨레21_김수병20040408

지역주민과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과학상점포항공대신문_김주연20041013

과학상점운동 벌이는 관악학생특별위원회여성신문_김정희20050512

과학과 대중의 만남 lsquo과학상점rsquo ldquo일반인들이 요구하는 기술 연구해드립니다한국경제신문_김동윤20061218

과학을 나누어 드립니다 과학상점SK 대학생 자원봉사단_류주현20120814

네덜란드의 lsquo과학상점rsquo을 아십니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_이상동20150429

상위 20 위한 국가 RampD 바꾸자Science Times_조인혜20161103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_송위진20170324

헌법 제127조 제1항의 문제점 및 대안ESC_김래영20171123

기술로 우리 동네를 디자인하다 리빙랩 코디네이터SKT Insight20171226

ldquo헌법 제127조 1항은 독소조항rdquohelliprsquo경제rsquo 위한 과학기술 탈피해야교수신문_최성희20180205

헌법 개정안에 들어간 lsquo정보기본권rsquo 뭔가요BLOTER_김병훈20180408

과학기술이 국가로부터 해방되면 인류의 삶은 더 나아질까교수신문_양도웅20180409

지역 문제 해결에 나선 대학 RampSDScience Times_김순강201804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신명호 인터뷰과학문화실험실_전치형 외 3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