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2019. 6. 11. · pj,¯ª9j c/0 pnökp )Ýj+C} 9 mm ... ïjklj o° '7 ^/0jim rph B 1 ,jk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안전시책 및 안전사고

    사후처리 실태 특정감사 결과

    2017. 3.

    감 사 위 원 회

    (안전감사담당관)

  • 목 차

    1. 감사 개요 ········································································ 1

    2. 감사결과 처분요구 내역 및 조치현황 ···················· 2

    3.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 4

  • - 1 -

    Ⅰ. 감사실시 개요

    1. 감사배경 및 목적

    m 서울특별시는 재난대비 대응체계 강화를 위해 안전관련 조직을 대폭

    정비하였는데 그 간의 안전시책 계획과 집행실태를 점검하고,

    m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등 시민생활과 밀접한 4개 투자기관의

    안전사고에 대한 처리실태를 점검하여 동일한 사고가 재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추진내용

    m 감사대상 : 안전총괄본부, 물순환안전국, 소방재난본부 [안전시책분야]

    서울도시철도공사, 서울시설공단, 서울주택도시공사,

    농수산식품공사 [안전사고 사후처리 분야]

    m 감사기간 : 2016. 9. 5.~10.31.(기간 중 25일)

    m 감사인원 : 안전감사1팀장 등 6명

    3. 감사중점

    m 시책추진 조직, 인력 및 목적의 적정성

    m 시책추진 대비 추진실적 달성도

    m 사고처리 및 보고실태 적정 여부

    4. 지적사항 총괄 (단위 : 건)

    합 계변상

    (금액)

    징계

    (인원)

    시정(금액)주의

    (인원)개선 권고 통보

    고발

    (인원)총건수신분상조치인원

    재정상조치금액

    소계 추징(환수) 감액 기타

    10 - - - - - - - - 2 6 - 2 -

  • - 2 -

    Ⅱ. 감사결과 처분요구 내역 및 조치현황

    연번 처분요구 제목 처분유형 조치현황 비고

    1도로시설물 보수․보강공사

    하반기 집중개선요구

    ○ 금년 3월중 도로시설물 보수․보강 사업 시행

    사전절차 단축에 관한 개선방안 수립하여

    상반기 중 공사발주 추진

    조치예정

    2

    수중구조물 점검결과 이력

    관리 및 현장점검 인력확보

    미흡

    개선요구

    ○ 정밀안전진단용역 시 점검(보수)에 대해 손상

    진행상태 비교 검토 및 점검․보수이력 대장

    별도 작성토록 개선(2017.1.23.)

    ○ 현장 점검인원은 ‘17년 1월 1명 추가 배치함

    (2017.2.10.)

    조치완료

    3도로동공 탐사조직 이원화에

    따른 비효율통보

    ○ 중복탐사 방지를 위해 도로함몰 관리시스템

    공동사용으로 중복탐사 원천방지 조치함

    (2016.11.18.)

    - 도로관리과는 도로상에 발생하는 함몰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일상 동공탐사업무를

    정기적으로 수행하고, 도로포장연구센터에서는

    동공탐사․분석기술 향상 등 연구중심으로 수행

    조치완료

    4건설공사 하도급 부조리

    10대 개선방안 추진 미흡통보

    ○ 「건설정보관리시스템(One-PMIS) 운영지침」을

    개정하여 모든 공사장에 대한 작업인원 투입

    현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방안 수립중(3월중)

    ○ 대금e바로 시스템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서울시 발주 모든 공사장에 대하여 대금e바로

    시스템 적용토록 함(2017.2.15.)

    조치예정

    5

    대형굴착공사장

    유출지하수 점검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점검실시

    개선요구

    ○ 유출지하수 현장 점검항목 개발․보완하여 점

    검항목 추가 및 상시 점검반 구성(4명) 운영

    (2017.1.20.)

    조치완료

    6

    출동 프로세스 목표달성

    노력 미흡 및 출동시간

    산정기준 용어정의 불일치

    개선요구

    ○ 재난현장 도착 출동 장애요인 분석계획 수립

    하여 개선대책 마련 중 (2016.11.21.)

    - 소방서별 문제점 파악 개선할 수 있도록 자료

    제공 및 출동시간 산정기준 용어 통일

    조치예정

  • - 3 -

    7

    안전사고 보고체계

    미준수, 형식적인

    안전교육 및 사고사례

    전파 미흡

    주의요구

    ○ 전 부서에 「안전사고 보고 및 사고 예방대책

    전파교육 철저 지시」(2017.1.25.)

    - 철도사고 등 안전사고 발생 시 보고체계에 따른

    보고 철저

    - 안전사고 예방교육 시 사고사례 중심으로 시행,

    사고 재발방지대책을 전 부서에 전파교육

    - 안전지도점검 시 사례교육 이행여부 점검

    조치완료

    8

    안전관리 조직 이원화 및

    유관부서 간 협조체계

    미흡

    개선요구

    ○ 산재, 교통사고 등 안전사고 전반에 관한 원인

    분석, 교육, 재발방지 방안 등 종합대책을 마련,

    전부서 전파․공유 완료(2017.2.17.)

    조치완료

    9

    안전사고 후 재발방지

    대책 미흡, 자체 안전사고

    매뉴얼 및「건설기술진흥법」

    미준수

    주의요구

    ○ 건설공사 안전관리 및 사고관리 매뉴얼 개정

    배포 (2016.12.28.)

    - 중대재해에 대한 기록관리 및 사고현황을 관련

    부서에 전파토록 매뉴얼 개정 및 조치사항 준수

    철저 지시

    조치완료

    10하역장비 등에 의한

    안전사고 방지대책 미흡개선요구

    ○ 물류운반장비 실태조사 및 시장 외곽도로 전동차

    운행금지 홍보 실시 (2017.1.20.)

    - 전동차 전용램프에 교통통제 안전요원 배치

    조치완료

  • - 4 -

    Ⅲ.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연번 감사분야 관련기관 지적내용

    처분요구처분

    종류

    신분상

    조 치

    재정상 조치

    종류 금액

    01

    안전시책

    추 진

    안전총괄본부도로시설물 보수․보강공사 하반기

    집중개선요구 - - -

    02 안전총괄본부수중구조물 점검결과 이력관리 및

    현장점검 인력확보 미흡개선요구 - - -

    03 안전총괄본부도로동공 탐사조직 이원화에 따른

    비효율통보 - - -

    04안전총괄본부

    도시기반시설본부

    건설공사 하도급 부조리 10대

    개선방안 추진 미흡통보 - - -

    05 물순환안전국대형굴착공사장 유출지하수

    점검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점검실시개선요구 - - -

    06 소방재난본부

    출동 프로세스 목표달성 노력 미흡

    및 출동시간 산정기준 용어정의

    불일치

    개선요구 - - -

    07

    안전사고

    사후처리

    서울도시철도공사

    안전사고 보고체계 미준수,

    형식적인 안전교육 및 사고사례

    전파 미흡

    주의요구 - - -

    08 시설관리공단안전관리 조직 이원화 및 유관부서 간

    협조체계 미흡개선요구

    09 서울주택도시공사

    안전사고 후 재발방지 대책 미흡,

    자체 안전사고 매뉴얼 및

    「건설기술진흥법」미준수

    주의요구 - - -

    10 농수산식품공사하역장비 등에 의한 안전사고

    방지대책 미흡개선요구 - - -

  • - 5 -

    (No.1) 감사결과 처분요구

    부서·기관명시행년도

    (처분요구일)처분요구

    종류

    재정상조치 신 분 상조치인원

    감사자

    조치방법 금액

    안전총괄본부(도로시설과)

    2016(’17. 1. )

    개선요구 -

    제 목 도로시설물 보수․보강공사 발주시기 하반기 집중

    【 지적 내용 】

    ○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이하 “ 시설물안전법 ”이라 한다) 제6조(안전점검의실시)의

    규정에 따른 서울특별시 안전점검 대상 도로시설물은 총 560개로 이중 415개는

    안전총괄본부가, 자동차전용도로상 도로시설물 145개는 ’15.1.1.부터 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이하 “시설관리공단”이라한다)이 관리하고 있다.

    < 도로시설물 유지관리 현황 >

    구분 합계 한강교량일반교량

    고가차도

    입체교차 터널

    지하차도

    복개구조 공동구

    언더패스

    합계 560 21 224 83 34 34 104 48 6 6

    안전총괄본부(교량안전과)

    51 20 16 15 - - - - - -

    안전총괄본부(도로사업소) 364 - 151 47 11 30 78 47 - -

    시설관리공단 145 1 57 21 23 4 26 1 6 6

    ○ 도로시설물 보수․보강 공사는 전년도 정밀점검(진단)용역 등의 결과 결함이 발견된

    시설물을 대상으로 당해 연도에 실시설계, 계약심사, 교통심의(용역) 등의 절차를 거쳐

    추진되며, ’16년에는 64개사업 72개 시설물에 대한 보수․보강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 ’16년 보수․보강공사 현황 >

    구 분 합계안전총괄본부

    시설관리공단교량안전과 도로사업소 기타(송파구)

    사업수(시설수)

    64(72)

    19(19)

    25(26)

    1(1)

    19(26)

    ※ ’16.9.30. 현재 평균 공정률 44%

  • - 6 -

    1) 사전절차 : 실시설계, 계약심사, 교통대책수립용역, 교통심의등

    ○ 도로시설물 보수․보강공사시 실시설계, 계약심사, 교통심의(용역) 등의 사전절차1)에

    7~8개월이 소요되어 연말에 공사가 집중되는 현상이 매년 반복되고 있다.

    - ’16년도 보수․보강사업의 경우에도 9월말 현재 평균 공정률이 44%이고, 이 중 27개

    사업은 30% 미만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 보수 보강공사 시행과정 >

    안전점검(진단) 용역(전년도) ➡

    실 시 설 계(1~4월) ➡

    계 약 심 사(5월)

    담당부서 담당부서 담당부서↔계약심사과(3~4개월 소요) (1개월 소요)

    ➡예산 (재)배정 요청

    (6월) ➡교통심의 용역 및 심의

    (7~8월) ➡발주 및 공사

    (8월~) ➡준 공

    담당부서→주무부서→예산담당관→주무부서→담당부서 담당부서↔심의부서 담당부서

    (1개월 소요) (1~2개월 소요) (1개월 소요)

    ○ 보수․보강공사의 사전절차를 단축하기 위하여 교통심의(용역)를 실시설계 등과

    병행추진 하는 방안 등의 검토가 가능한데도

    - 관행적으로 사전절차를 이행하여 동절기 공사에 따른 공사품질 저하우려 및 연내

    공기를 맞추려고 무리하게 공사를 진행할 경우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어 보수․

    보강공사의 사전절차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 조치할 사항 】

    ○ 안전총괄본부장은

    - 교통심의를 실시설계 등과 병행추진 하는 등 보수․보강공사 사전절차를 조정하여

    동절기 공사집중 현상을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바랍니다.(개선요구)

  • - 7 -

    도로시설물 보수·보강공사 공정률 현황

    (2016.9.30. 현재)

    연번 공 사 명 공정(%) 연번 공 사 명 공정(%)

    1 거여고가 하부 환경개선 설계중 33 중랑상단IC교외 1개시설 보수 40%

    2 정릉천2복개 구조물 보수공사 0% 34 마들지하차도외 2개소 보수 및 포장 40%

    3 두모교 내진성능개선 추가공사 0% 35 한강대교 보수공사 43%

    4 올림픽대로 궁산램프 방음시설 설치 0% 36 청담1교 보수공사 44%

    5 성산대교 성능개선 공사 3% 37 개봉철도고가 보수공사 50%

    6 사천교 성능개선 5% 38 한남1고가 보수공사 50%

    7 서호교 외 2개시설 보수 6% 39 구로역지하차도보수공사 50%

    8 경인1지하차도 보수공사 7% 40 도림고가 보수공사 55%

    9 경인2지하차도 보수공사 7% 41 노들남고가 보수공사 60%

    10 청담대교 보수공사 7% 42 석촌지하차도 보수공사 60%

    11 탄천1고가교 보수공사 7% 43 도림천1복개 보수공사 60%

    12 탄천2고가교 보수공사 7% 44 대방천복개 포장 및 보수공사 60%

    13 삼각지고가 보수공사 10% 45 안양천교(독산2교) 보수공사 60%

    14 도림천고가 보수공사 10% 46 정릉터널 환기소외 2개동 옥상방수 공사 60%

    15 녹천지하차도외 1개소 보수공사 10% 47 목동교 성능개선 65%

    16 내곡IC 보수공사 13% 48 사당고가 보수공사 70%

    17 북악스카이웨이1교 개축공사 15% 49 반포천1복개 보수공사 70%

    18 북부고가교 보수공사 15% 50 도림천4복개구조물 보수보강공사 70%

    19 양재천교 보수공사 15% 51 청계천복개구조물(좌안) 보수공사 70%

    20 모래내고가 보수공사 20% 52 도림천복개(좌안)보수공사 70%

    21 현저고가 보수공사 23% 53 등촌지하차도보수공사 70%

    22 정릉천고가 보수공사 25% 54 광진교 보수공사 73%

    23 동호대교 보수공사 30% 55 장안교 성능개선 78%

    24 원효대교 보수공사 30% 56 반포대교(잠수교) 보수공사 80%

    25 길음교 보수공사 30% 57 동작대교 보수공사 82%

    26 청계천교량 강구조물 도장공사 30% 58 서강대교 보수공사 83%

    27 보라매고가 보수공사 30% 59 이화교 보수공사 85%

    28 성동지하차도 보수공사 30% 60 탄천교 보수공사 95%

    29 홍지문터널 보수공사 30% 61 면목천복개구조물 보수공사 95%

    30 가양대교 보수공사 35% 62 노량교 보수공사 95%

    31 욱천복개1구간 보수공사 35% 63 청량제1고가 성능개선 99%

    32 불광천복개1구간 보수공사 35% 64 신정교 보수공사 100%

  • - 8 -

    (No.2) 감사결과 처분요구

    부서·기관명시행년도

    (처분요구일)처분요구

    종류

    재정상조치 신 분 상조치인원

    감사자조치방법 금액

    안전총괄본부(교량안전과)

    2016(’17. 1. )

    개선요구 -

    제 목 수중구조물 점검결과 이력관리 및 현장 점검인력 확보 미흡

    【 지적 내용 】

    ○ 서울시 안전총괄본부(교량안전과)는 시설물안전법 제6조(안전점검의 실시) 및 시설물의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실시 등에 관한 지침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467호)의 규정에

    따라 한강교량 교각 등 수중구조물(1,360기)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 점검대상 수중구조물 현황 >

    구 분 교량수수중구조물

    계 본교 램프

    계 32 1,360 1,207 153

    한강교량횡단 19 830 714 116

    종단 5 477 450 27

    지천교량

    안양천 3 14 11 3

    중랑천 4 37 30 7

    탄천 1 2 2 -

    ○ 수중구조물 안전점검은 구조물당 5년을 주기로 실시하며, 2000년도 최초 점검을

    시작한 이래 3차까지 총 3,061기에 대한 점검을 완료하였고, ’16년 현재 4차

    점검을 진행중에 있으며

    < 1차~3차 수중구조물 점검 실적 >

    구 분 점검기간 점검실적 점검인력

    합 계 3,061기

    1차 ’00년 ~ ’04년 674기 4명

    2차 ’05년 ~ ’09년 1,027기 7명

    3차 ’10년 ~ ’14년 1,360기 5명

    4차 ’15년 ~ ’19년 진행중 3명

  • - 9 -

    - 4차 점검은 ’15년 203기, ’16년은 303기 점검목표 중 9월말 현재 207기에 대한 점검을

    완료하고 96기는 점검을 진행중에 있다.

    < ’16년 점검현황 >

    구분 계 획 점 검 실 적

    점검대상 9개 시설 303기 7개 시설 207기

    시설명

    한강교량행주대교, 가양대교, 양화대교, 마포대교,

    동호대교, 반포대교, 잠수교

    행주대교, 가양대교, 양화대교, 마포대교,

    동호대교

    지 천 군자교, 성동교 군자교, 성동교

    ○ 수중구조물 안전점검은 점검전 청소 용역사의 구조물 표면청소, 점검자의 수중촬영,

    데이터분석등절차로 진행된다.

    < 수중구조물 점검 체계 >

    구조물표면 청소

    → 구조물수중 촬영

    → 데이터 작성및 분석

    → 보수 보강방안 검토

    ○ 한편, 안전총괄본부의수중구조물점검인력은담당자 1명(점검계획수립)과현장점검인력

    3명으로, 현장 점검은 자체직원 3명과 용역사 직원 1명이 포함된 2개조(2인 1조)로

    운영하고, 담당자는 현장점검 결과 데이터판독및보수보강업무를담당하고있다.

    < 인원 및 장비현황 >

    점검조직 점검 전담인력 점검장비 보유현황

    교량안전과 기술점검팀4명

    (담당직원 1, 현장점검 3)

    수중점검모선 1척, 점검선 2척, 휴대용 점검

    장비 1대, 이동형 보트 2척, 점검차량 1대

  • - 10 -

    1. 수중구조물 점검결과에 대한 이력관리 미비

    ○ 안전총괄본부(교량안전과)는 5년 주기로 수중구조물 안전점검을 하면서, 구조물의

    결함사항, 보수․보강내용 등에 대한 이력관리를 통해 구조물의 점검시기별 변화

    상태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데도

    - ’00년도 수중구조물 점검실시 이래 점검결과를 당해 년도의 보수․보강 자료로만 사용하고

    결함사항, 보수․보강 내역 등 이력관리를 하지않아 점검시기별로 시설물의 결함 진전

    여부 등을 비교 관리할 수 있는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2. 수중구조물 점검인력 확보 및 전문성 배양 미흡

    ○ 도로시설물 증가, 시설물 노후화가 심화함에 따라 수중 구조물의 점검인력 확충 및

    전문성 배양이 요구되는데도

    - 현장 점검 인력은 ’07년 7명을 정점으로 ’12년 5명, ’15년 이후에는 3명으로 오히려

    감축되어 3명의 점검인력으로는 300여기의 점검(조당연 150여기)에 한계가 있고

    - 또한, 수중 점검장비 특성상 침수상태에 장기간 노출됨에 따라 연 2~5회 고장이 발생하고

    있으나 현재는 장비를 수리할 수 있는 인력(종래 점검직원은 점검장비 자체 수리능력 보유)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 이로 인해 경미한 고장에도 자체정비시보다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외부 업체에 수리를

    맡기게 됨에 따라 점검중단 장기화가 불가피하므로 장비 수리기간의 단축을 위해 자체

    인력의 전문성 배양이 필요하다.

    < 자체 외부 수리 비교 >

    구 분 고장빈도 수리기간(회당) 비 고

    자체수리연 2~5회

    4~5일

    외부수리 1개월 내외 제작사에서 수리

    【 조치할 사항 】

    ○ 안전총괄본부장은

    - 수중구조물 점검결과 결함 및 보수부분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이력관리를 철저히 하고,

    점검인력 보강 및 전문성 배양 방안을 마련하기 바랍니다.(개선요구)

  • - 11 -

    (No.3) 감사결과 처분요구

    부서·기관명시행년도

    (처분요구일)처분요구

    종류

    재정상조치 신 분 상조치인원

    감사자조치방법 금액

    안전총괄본부(도로관리과)

    2016(’17. 1. )

    통 보 -

    제 목 도로동공 탐사 조직 이원화에 따른 비효율

    【 지적 내용 】

    ○ 서울시는 ’14년 송파구 석촌호수 주변 도로함몰 사고발생을 계기로, 도로함몰 위험

    지역의 사전확인 및 원인 제거를 위해 노후 상․하수관 매설지역, 굴착공사장 주변,

    간선도로 등을 대상으로 ’15년부터 자체 및 용역을 통해 도로동공 탐사를 아래와 같이

    시행하고 있다.

    < 도로동공 탐사 실적 > (단위:개소)

    구분’15년 ’16. 10. 17. 현재

    탐사연장(Km) 동공발견 조치실적 탐사연장(Km) 동공발견 조치실적

    자체탐사 73 13 13 331 35 35

    용역탐사 541 238 227 149 42 조치중

    ○ 도로 동공탐사는 서울시에서 직접 수행하는 자체탐사와 용역회사를 통해

    수행하는 용역탐사로 나누어지며, 자체탐사는 기술심사담당관 산하 품질

    시험소(도로포장연구센터)에서 직접 수행하고 용역탐사는 안전총괄본부(도로관리과)에서

    계획을 수립하고 민간업체를 통해 용역으로 수행한다.

    - 안전총괄본부(도로관리과)는 도로동공탐사 총괄 부서로서 동공탐사의 총괄계획과더불어 외부용역 업체를 통해 간선도로에 대한 탐사를 실시하고

    - 기술심사담당관(품질시험소)에서는 차량탑재형 멀티 GPR (’14년 도로관리과 구매)로노후하수관 매설지역 등 특정지점을 대상으로 자체탐사를 실시한다.

    ○ 안전총괄본부(도로관리과)는 ’14년 송파구 석촌호수 주변 도로함몰 사고를 계기로 자체

    탐사를 목적으로 탐사장비를 구매(662백만원)한 후 안전총괄본부 내에 장비를 운영할

  • - 12 -

    인력이 없게 되자 기술심사담당관 산하 품질시험소(도로포장연구센터)에 넘겨 운영토록

    하였고, 이와 별도로 ’15년에는 도로함몰 예방을 위해 도로관리과내에 동공탐사

    업무를 강화하였다.

    - 그런데 위와 같이 탐사조직 이원화 결과 기관 간 정보교환이 부족하여 자체탐사

    완료지역을 용역탐사 업체가 재탐사 하는 등 20개 노선, 총 180Km구간에서

    아래와 같이 중복탐사가 발생하는 등 중복탐사로 행정력을 낭비하고 있다.

    중복탐사 구간

    【 조치할 사항 】

    ○ 안전총괄본부장은

    - 기술심사담당관(품질시험소 도로포장연구센터)과 안전총괄본부(도로관리과)로 이원화된 도로공동

    탐사조직을 일원화하여 효율적 탐사가 추진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바랍니다.(통보)

  • - 13 -

    (No.4) 감사결과 처분요구부서·기관명

    시행년도(처분요구일)

    처분요구종류

    재정상조치 신 분 상조치인원

    감사자조치방법 금액

    안전총괄본부(시설안전과)

    도시기반시설본부(건설총괄부)

    2016(’17. 1. )

    통 보 -

    제 목 건설공사 하도급 부조리 10대 개선방안 추진 미흡

    【 지적 내용 】

    ○ 안전총괄본부(시설안전과)는 도시기반시설본부(건설총괄부)등과 함께 사당종합체육관

    공사장 붕괴 사고(’15.2월)를 계기로 유사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현장인력 투명

    관리 전자시스템 도입 등 10대 개선방안을 수립(행정2부시장 방침, 건설안전과-8260호,

    ’15.6.5.)하여 추진하고 있다.

    < 10대 개선방안 >

    연번 추진부서(혐조부서) 주 요 내 용

    1도시기반시설본부

    (발주부서)

    현장인력 투명관리 전자시스템 단계별 도입

    - 전자인력 관리 및 실시간 위치 확인 시스템 도입 검토

    2도시기반시설본부

    (발주․점검부서)

    대금 e-바로 시스템 서울시 발주 모든 공사장에 적용

    - 연내 100% 사용, 하도급대금 투명관리 및 체불해소

    3안전감사담당관

    (시설안전과)

    상습 대금체불업체 ‘삼진아웃제’ 실시

    - 1년내 3회 이상 대금체불 시 영업정지, 기획감사 실시

    4안전감사담당관

    (신고센터 운영부서,시설안전과)

    민간공사 하도급부조리까지 접수․처리

    - 하도급부조리신고범위 확대 및온라인창구 개설

    5시설안전과

    (발주․점검부서)

    하도급 및 공사품질 관리 강화

    - 100개 이상 공사현장 점검, 시공상세도 작성․시공 확인, 품질

    확보시까지 재시공 조치

    6 시설안전과(발주부서)표준하도급계약서 하도급 관리의무 추가

    - 원․하도급사의 재하도급과 품떼기 금지 관리의무 추가

    7시설안전과(도시기반시설본부,

    상수도사업본부, 서울주택공사)

    ‘건설공사 모범공사장’ 지정·운영

    - 공정하도급 및 무재해 공사현장 모델 정립 후 확산

    8시설안전과

    (도시기반시설본부)

    건설업계 자구노력 강화

    - 상생협약 체결, ‘을’ 항변대회, 우수업체 표창 등

    9시설안전과

    (발주부서)

    ‘하도급 감독관제’ 도입 검토

    - 원도급 업체에 ‘하도급 감독관’ 지정 및 이중 감시

    10 시설안전과 ‘특별사법경찰’ 불법 하도급 감시(건의)

  • - 14 -

    1. 현장인력 관리시스템 실행 미흡

    ○ 도시기반시설본부(건설총괄부)는 건설공사 현장근로자 투입현황 파악을 위한 ‘현장인력

    투명관리 전자시스템’을 단계적으로 도입하기로 하고, 1단계로 ‘건설정보관리시스템

    (One-PMIS)’ 인력투입 관리기능에 매일 작업일보(공사명, 공사일, 공정․공종별 진도율, 작업

    내용, 공종별 인원․자재․장비투입현황)를 실시간(당일 변경사항 반영)으로 등록하도록

    개선(’15년 4월)하고도

    - ’16.1월~8월간 실시한 건설공사 109건 중 32건은 작업일보를 미등록, 16건은

    1~4일간 지연등록 하였고, 4건은 작업일보 등록대상에서 누락 시키는 등 작업

    일보 등록을 소홀히 하였다.

    - 또한, 건설정보관리시스템(One-PMIS) 시스템 운영지침 (’14.7월, 도시기반시설본부)에

    도급비 5억 미만, 1년 미만 단기공사의 경우 건설정보관리시스템(One-PMIS)

    등록의무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어 현장인력 투명관리 전자시스템을 도입하는 대책과

    모순되는 규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실제로 ’15.11월~’16.3월까지 발주한 공사 5

    건에 대하여는 이러한규정을들어 작업일보 등록을 누락시켜 현장 투입인력 관리에 허점이

    노출되고 있다.

    < 작업일보 등록 제외․누락 건설공사 현황 > (단위:백만원)

    연번 발주기관 공사명 공사기간 도급비 비 고

    1도기본

    (건축부)

    도심권 50+캠퍼스 및

    복지타운 리모델링공사

    ’15.11.9.

    ~’16.10.31.3,801

    구조보강공사 및 1년미만 공사

    라는 이유로 작업일보 등록제외

    2도기본

    (설비부)

    도심권 50+캠퍼스 및

    복지타운조성 전기공사

    ’15.12.17.

    ~’16.10.27.1,509

    1년미만 공사라는 이유로 작업일보

    등록제외

    3도기본

    (건축부)

    강북청소년수련관

    증축공사

    ’15.12.24.

    ~’16.10.30.1,074

    4도기본

    (설비부)

    북부여성창업플라자

    조성전기공사

    ’16.3.7.

    ~’17.1.6.1,100

    5도기본

    (토목부)

    사가정길(장안삼거리~

    전농동사거리)확장공사

    ’16.2.26.

    ~’16.12.31.1,854

    6도기본

    (설비부)

    강남순환4공구 건설

    전기공사

    ’10.5.17.

    ~’19.11.30.2,250

    ’16.7.15.부터 작업일보 등록

    대상이나 공사 감독관이 착공기간

    연장 미입력, 작업일보 미등록7

    도기본

    (설비부)

    강남순환8공구 건설

    전기공사

    ’16.2.15.

    ~’18.7.31.3,707

    8도기본

    (설비부)

    동부간선도로 확장

    (2공구) 전기공사

    ’08.12.23.

    ~’17.12.31.5,473

    ’15.12.30, ’13.12.31.부터

    등록대상이나 공사감독 공무원이

    준공기한 연장 미입력 및 작업일보

    미등록9

    도기본

    (설비부)

    동부간선도로 확장

    (3공구) 전기공사

    ’08.6.24.

    ~’17.12.31.1,672

  • - 15 -

    2. 일부 공사장 대금e-바로시스템 미사용

    ○ 안전총괄본부에서는 ‘건설 하도급 부조리 개선대책’(’15.6.)을 수립하여 서울시 발주

    모든 공사장에 대하여 대금 e-바로시스템을 사용하기로 방침을 수립하고도

    - ’16.1월~9월 기간 시공중인 공사장(계약금액 10억원 이상 공사장 샘플조사) 중 ‘남부

    순환로 평탄화 공사’ 등 7건에 대하여 대금 e-바로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았고

    - ‘세운상가 공공공간 조성공사’는 대금 e-바로시스템을 사용했는데도 노무비 지급내역서가

    없는 등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였다.

    < 대금e바로시스템 미사용 현황 > (단위:백만원)

    연번

    공사명 계약기간계약금액

    대금e바로 사용 여부(사용 ○, 미사용 ×)

    계좌내역서

    노무비지급내역서

    장비·자재대금지급내역서

    1 남부순환로 평탄화공사 ’16.3.24.~’19.3.24. 15,445 ○ × ×

    2 서울창업허브 리모델링공사 ’16.2.3.~’17.4.11. 12,763 ○ ○ ×

    3 시립영보요양원 증축공사 ’16.1.21.~’17.3.21. 1,895 ○ ○ ×

    4 강북청소년수련관 증축공사 ’15.12.24.~’16.10.30. 1,074 ○ × ×

    5 9호선3단계 918공구 건설공사 ’15.12.30.~’18.12.22. 140,388 ○ × ×

    6 하남선(5호선 연장)1-2공구공사 ’09.9.15.~’16.11.30. 39,264 ○ × ×

    7 9호선연장건설 (3단계)신호보안공사 ’09.9.15.~’16.11.30. 5,622 ○ × ×

    8 세운상가 공공공간 조성공사 ’16.3.23.~’17.7.9. 18,682 ○ × ○

    - 한편, 감사위원회(안전감사담당관)에서 ’16.5.30.~6.17. 기간 동안 2,254건의 발주

    공사(’15.1월~’16.4월 중 발주)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6년 대금 e-바로 운영실태’ 점검

    결과에서도 미적용률이 ’15년 9.7%, ’16년 4.3%로 나타나는 등 대금 e-바로시스템이

    일부 공사장에서는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 16 -

    【 조치할 사항 】

    ○ 도시기반시설본부장은

    - 건설정보관리시스템(One-PMIS) 에 작업일보를 실시간 등록을 확행하고, 건설정보관리시

    스템(One-PMIS) 운영지침 을 개정하여 모든 공사장에 대한 작업인원 투입현황을 실시간

    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바랍니다.(통보)

    ○ 안전총괄본부장, 도시기반시설본부장은

    - ‘건설 하도급 부조리 개선대책’(’15.6월)에 따라 서울시 발주 모든 공사장에 대하여 대금

    e-바로시스템을 적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바랍니다.(통보)

  • - 17 -

    (No.5) 감사결과 처분요구부서·기관명

    시행년도(처분요구일)

    처분요구종류

    재정상조치 신 분 상조치인원

    감사자조치방법 금액

    물순환안전국(물순환정책과)

    2016(’17. 1. )

    개선요구 -

    제 목 대형굴착공사장 유출지하수 점검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점검 실시

    【 지적 내용 】

    ○ 물순환안전국(물순환정책과)에서는 용산역 앞 보도침하를 계기로 대형 굴착공사장 유출

    지하수를 관리하고 있으며 ’15.2월~’16.10월 현재까지 대형굴착 공사장 1,415개소

    지하수 유출실태를 아래와 같이 점검하였다.

    < 최근 2년간 유출지하수 점검 현황> (단위:개소)

    점검시기 점검기간점검대상

    계 공공기관발주공사장 민간건축공사장

    합 계 1,415 382 1,033

    ’15. 상반기 ’15.1.~2. 347 139 208

    ’15. 하반기 ’15.9.~10. 270 63 207

    ’16. 상반기 ’16.3.4.~31. 393 89 304

    ’16. 하반기 ’16.9.7.~30. 405 91 314

    ○ 대형 굴착공사장 점검은 물순환안전국(물순환정책과)에서 총괄계획을 수립하여 자치구를

    통해서 점검하고, 자치구는 점검결과 유출지하수 배출 미신고, 계측기 미설치 미봉인

    등 위반사항에 대해 시정명령 또는 과태료 부과 등의 조치를 해오고 있다.

    < 지하수 유출실태 점검결과 > (단위:개소)

    구 분 유출지하수(유출개소/점검개소)

    지하수발생공사장관리실태조치사항배출신고여부

    (신고/미신고)계측기설치여부(설치/미설치)

    계측기봉인여부(봉인/미봉인)

    ’15년상반기 108/347 56/52 49/59 43/6 행정조치

    ’15년하반기 93/270 67/26 65/28 62/3 행정조치

    ’16년상반기 50/393 20/30 7/43 1/6 행정조치

    ’16년하반기 123/405 90/33 83/40 79/4 행정조치

  • - 18 -

    1. 유출지하수 점검목적과 도로함몰 예방 상관관계 불분명

    ○ 대형굴착공사장 유출지하수 관리실태 점검목적은 굴착공사장 유출지하수로 인한 도로

    함몰 예방을 위한 것으로 이에 부합하는 점검항목을 설정하여야 하는데도

    - 공공하수도 사용개시 신고여부, 계측기 설치 및 계측기 봉인 여부 등 종전과 같은

    단속위주의 업무에 국한되어 도로함몰 예방을 위한 실질적인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 유출지하수 점검운영팀 미구성

    ○ 물순환안전국(물순환정책과)에서는 ‘굴착공사장 현장점검 강화를 위한 유출지하수 현장

    점검팀 운영계획’(’15.6월)을 수립하고 현장점검팀이 대형굴착 공사장을 점검하기로

    하였으나

    - ’16.10월 현재 까지도 현장점검팀을 구성하지 않고 담당직원 1명(기계직 7급)이 각

    구청으로부터 점검한 실적만 수합하는 등 점검을 위한 인프라가 갖추어지지 않았다.

    【 조치할 사항 】

    ○ 물순환안전국장은

    - 도로함몰 사전 예방이라는 점검목적에 부합하도록 현장 점검항목을 개발 보완하고,

    유출지하수 점검 실효성 및 점검품질 확보를 위하여 ‘유출지하수 현장점검팀’을 계획에

    따라 구성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바랍니다.(개선요구)

  • - 19 -

    (No.6) 감사결과 처분요구

    부서·기관명시행년도

    (처분요구일)처분요구

    종류

    재정상조치 신 분 상조치인원

    감사자

    조치방법 금액

    소방재난본부(현장대응단)

    2016(’17. 1. )

    개선요구 -

    제 목 출동 프로세스 목표달성 노력 미흡 및 출동시간 산정기준 용어정의 불일치

    【 지적 내용 】

    ○ 소방재난본부는 긴급 출동(신고접수 → 출동지령 → 차고탈출 → 현장도착 → 활동개시)’시 신고

    접수부터 활동개시까지 7분이내를목표로하는 ‘재난현장출동프로세스개선계획’(재난대응과

    -19692호, ’14.8.26.)을마련하여일선소방서등에자체개선계획을수립하도록하였다.

    1. 목표시간 달성노력 미흡

    ○ 소방재난본부에서는 긴급출동시 신고접수에서 활동개시까지 7분이내를 목표로

    제시하고 있음에도

    - 소방방재센터의 자료에 의하면 ’15년~’16년간 긴급신고 접수에서 현장 도착․

    활동개시까지의 목표시간(7분) 달성률은 50% 내외에 불과하며

    - 이를 단계별로 분석하면, 신고접수~출동지령 단계의 달성률은 ’15년 24~53%,

    ’16년 39~67%이고, 출동지령~차고탈출 단계 달성률은 ’15년 4~9%, ’16년

    5~18%이며

    - 차고이탈~현장도착 단계는 ’15년 52~78%, ’16년 53~78%이다.

    < 화재 구조 구급 출동 프로세스 목표시간 달성률 >

    연도 목표시간(초)

    신고접수 ~

    출동지령

    출동지령 ~

    차고이탈

    차고이탈 ~

    현장도착

    현장도착 ~

    대응개시

    전체

    (평균)

    60 40 260 60 420

    ’15년

    출동건수 279,724 279,724 279,724 249,724 272,224

    목표시간내도착건수 142,225 14,757 151,410 235,358 135,938

    달성률(%) 50.8 5.3 54.1 94.2 49.9

    ’16년

    ( 9월말)

    출동건수 204,538 204,446 204,446 204,446 204,469

    목표시간내도착건수 133,095 12,408 115,119 162,396 105,755

    달성률(%) 65.1 6.1 56.3 79.4 51.7

  • - 20 -

    2) 각 기관별 긴급출동 분야별, 출동단계별 소요시간 및 달성률 등

    ○ 한편, 소방재난본부는 ’14.8월 ‘재난현장 출동프로세스 개선계획’을 마련하여 일선

    소방서가 자체실정에 맞는 출동 프로세스 개선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면서도

    - 자체 개선계획 수립을 위해 필요한 소방서별 구체적인 자료2) 제공을 하지않아

    해당 소방서(119 안전센터 포함)에서 스스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기 어려웠고

    - 6개 소방서(광진, 동작, 강북, 강남, 서초, 관악)에서는 개선대책을 수립하지 않는 등

    출동프로세스 목표달성을 위한 노력이 미흡하였다.

    2. 목표시간 측정기준 불명확

    ○ 소방재난본부는 재난현장 대응활동 사용용어 표준을 정립(현장대응단-676호,

    ’15.1.15.)하면서 차고탈출 단계 측정시점을 ‘출동차량이 차고 바깥선을 벗어난 시점’

    으로 정의하고 있음에도

    - 출동시간을 실제 측정하는 소방방재센터는 ‘차량이 주차장을 벗어나 외부 GPS 수신

    신호 시점’으로 산정하고 있어 소방재난본부의 재난현장 대응활동 사용용어 정의와 소방

    방재센터의 측정시점이 상이하게 운영되고 있다.

    【 조치할 사항 】

    ○ 소방재난본부장은

    - 각 소방서에서 문제점을 스스로 파악 개선할 수 있도록 관련자료(출동단계별 소요시간 등)를

    제공하는 등 출동시간 목표달성을 위한 개선대책을 마련하고, 차고탈출 단계 측정시점에

    대한 용어정의를 명확히 하기 바랍니다.(개선요구)

  • - 21 -

    (No.7) 감사결과 처분요구

    부서·기관명시행년도

    (처분요구일)처분요구

    종류

    재정상조치 신 분 상조치인원

    감사자조치방법 금액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2016

    (’17. 1. )주의요구 -

    제 목 안전사고 보고체계 미준수, 형식적인 안전교육 및 사고사례 전파 미흡

    【 지적 내용 】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이하 “도시철도공사”라 한다)는 지방공기업법 제49조 및 서울

    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에 따라 ’94.3.15. 설립되어

    지하철 제5·6·7·8호선을 운영하고 있다.

    ○ 도시철도공사에서는 최근 3년간(’13년~’16.8월) 총 12건의 안전사고로 인명피해 10명

    (사망 2, 부상 8), 재산피해 90백만원이발생하였다.

    < 안전사고 발생현황 >

    구분 발생(건)인명피해(명) 재산피해

    (백만원)소계 사망 부상

    계 12 10 2 8 90

    2013년 2 - 1 1 -

    2014년 1 - - 1 -

    2015년 7 - - 5 90

    2016.8월 현재 2 - 1 1 -

    - 인명피해 사고 10건 중 3건은 도시철도공사의 차량운행 및 유지관리, 3건은 시설공사중,

    나머지 4건은 개인적 부주의에 의한 사고이다.

    구분 합계 차량운행 및 유지관리 시설공사 개인 부주의 등

    계 10 3 3 4

    2013년 2 - 1 1

    2014년 1 1 - -

    2015년 5 1 1 3

    2016.8월 현재 2 1 1 -

  • - 22 -

    1. 안전사고 보고체계 미준수

    ○ 도시철도공사 내규 사고 및 장애보고조사처리규정 에 따르면 철도사고 등 안전사고

    발생시 보고체계에 따라 안전총괄실 등에 보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도

    - 최근 3년간 발생한 사고 12건 중 5건은 보고를 누락하고, 2건은 현업부서로부터

    보고를 받고도 관제센터가 임의 판단하여 자체 종결하였다.

    < 철도사고 등 미보고 내역 >

    연번 사 고 명 일 자 위 치 사고개요 처리주체 비고

    1 사다리 전도사고 ’14.2.21. 태릉입구역종점환기실에서 공조기댐퍼점검 중 이동식

    사다리미끄러지면서추락자체 미보고

    2 운전실 문 손가락 끼임 사고 ’15.4.17.석촌역(상선)제8244열차

    관제센터로부터 객실안내표시 표출 불량고장 접수, 점검 후 직원의 손가락이운전실 문에 끼어 부상

    자체 미보고

    3여성고객 후송 중 직원전도사고

    ’15.4.22. 고속터미널역실신 고객 들것으로 이동 중 고객 몸무게하중으로 인한 척추 압박골절 사고

    자체관제센터종결처리

    4승무교대를 위하여 이동 중계단에서 오른발 접질림

    ’15.7.5. 신풍역(상선)승무보고 완료 후 교대 이동 중 내려가는 계단 중간부근에서 접질려 발목 부상

    자체 미보고

    5주박지 차량 유치 후 하차중 운전실에서 추락

    ’15.9.23. 군자역주박 후 관제 지시에 의거 유치 위치이동 후 계단위치 벗어나 운전실에서 추락, 허리미세골절 등

    자체 미보고

  • - 23 -

    2. 사고 재발방지대책 실행 미흡

    ○ 사고발생후 재발방지 대책을 충실히 이행하고 해당 사례를 타부서에도 전파

    하여 유사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도

    - 도시철도공사는 ’15년 발생한 승무교대 중 넘어짐 사고, 운전실 하차 중 추락사고 등과

    관련하여 재발방지교육을 실시한다는 계획을 수립하고도 실제 교육내용은 해당 사고와

    무관한 전염병 예방교육을 실시하였고

    사고내용 교육계획 실제 교육내용

    승무교대 중 계단에서 오른발

    접질림사고- 산업안전보건에관한교육

    - 메르스대처교육

    - 폭염관련사업장행동요령

    - 산업재해발생보고(산업안전보건법시행규칙제4조)

    주박지 차량유치 후 하차 중 운

    전실추락사고

    - 안전교육(협착재해, 전도재해 및 안전사고사례), 보건

    교육(콜레라정의및예방관리)

    - 협착재해, 전도재해유형및예방대책

    - 자동운전중장비(D/L)의보전작업중협착사례등

    - 콜레라예방관리

    - ’14년 사다리 전도사고, ’16년 전동차 검수 중 추락사고는 타 부서에 사례전파를 하지않은 채 해당 부서 직원만을 상대로 교육하고 종결하는 등 유사사례 예방을 위한 사후

    조치가 미흡하다.

    【 조치할 사항 】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사장은

    - 철도사고 등 발생시 사고 및 장애보고조사처리규정 의 보고체계에 따른 보고를 철저히 하

    - 안전사고 예방교육시 사고사례를 중심으로 하는 등 교육 실효성을 확보하고, 사고 발생시

    재발방지대책을 전 부서에 전파하여 동일유형의 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조치하기 바랍

    니다.(주의요구)

    6 전동차 검수중 추락사고 ’16.2.23. 천왕차량사업소738편성 전동차 차외 스피커 상태 점검중 장애물(수도시설)에 걸려 W3선 유치선 아래(약 1.3M)로 추락

    자체 미보고

    7직원(기관사)이 자택 아파트옥상에서 투신하여 사망

    ’13.1.19 자가출근을 위해 자택(아파트)에서 나선 후동 엘리베이터를 이용, 옥상(14층)에서투신 사망

    자체관제센터종결처리

  • - 24 -

    (No.8) 감사결과 처분요구

    부서·기관명시행년도

    (처분요구일)처분요구

    종류

    재정상조치신 분 상조치인원

    감사자

    조치방법 금액

    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2016

    (’17. 1. )개선요구 -

    제 목 안전관리 조직 이원화 및 유관부서 간 협조체계 미흡

    【 지적 내용 】

    ○ 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이하 “시설관리공단” 이라 한다)은 지방공기업법 제76조,

    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설치 및 운영에관한 조례에따라 설립되어 서울특별시장이

    지정하는 시설물을 관리한다.

    ○ 시설관리공단은 최근 3년간 총 36건의 안전사고로 인명피해 35명(사망 4명, 부상 31명),

    재산피해 73백만원이 발생하였다.

    < 안전사고 발생현황 >

    구분 발생(건)

    인명피해(명)재산피해(백만원)

    소계 사망 부상

    계 36 35 4 31 73

    2013 7 9 2 7 18

    2014 14 13 1 12 12.5

    2015 9 8 1 7 15.5

    2016.8월 현재 6 5 - 5 27

    ○ 시설관리공단은 안전관리를 전담한다는 목적으로 ’15.1.1. 안전관리처를 신설하였

    음에도

    - 안전관리처는 산재보험이 수반된 안전사고 업무만 처리하고, 그 외 산재보험 대상이아닌 사고는 각 담당부서에서 처리하게 하는 등 안전관리처가 안전관리 업무를 총괄

    하지 못하고 있으며

  • - 25 -

    - 이러한 결과, 시설관리공단 전체 사고의 19%를 차지하는 장애인택시 교통사고는 산재

    보험처리 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시설관리공단 종합 안전관리 계획인 ‘2016년 산업

    안전보건관리계획’에서 누락되었고

    - 담당부서인 ‘장애인콜택시운영처’에서도 산업안전보건법 에 규정한 정기교육 등만 실시

    하고 있어 사고예방을 위한 체계적 접근이 되지 않고 있다.

    ○ 또한, 시설관리공단 도로관리처와 도로환경처는 자동차전용도로 유지․관리의

    유사업무를 처리하면서 사고 발생시에는 사고원인, 재발방지 대책을 상호 공유

    하여 유사사고 예방을 하여야 함에도

    - ’13 ~ ’14년 각 부서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원인, 방지대책 등을 공유하지 않고 각기

    소속 부서 관계자만을 대상으로 재발방지 교육을 실시하는 등 유관부서 간 안전사고 예방

    활동 협조(공조)가 미흡하였다.

    < 자동차전용도로 유지관리 관련 사고 현황 >

    사고일자 피해규모 소관부서

    ’13. 2. 20. 사망 1명 도로환경처

    ’13. 6. 4. 사망 1명, 부상 2명 도로관리처

    ’14. 6. 6. 사망 1명, 부상 1명 도로환경처

    【 조치할 사항 】

    ○ 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은

    - 안전관리 및 재발방지 대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 조직체계를 정비하고,

    유사사고에 대하여는 사례전파․교육실시․재발방지 대책을 유사업무 수행부서와 공유

    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바랍니다.(개선요구)

  • - 26 -

    (No.9) 감사결과 처분요구부서·기관명

    시행년도(처분요구일)

    처분요구종류

    재정상조치 신 분 상조치인원

    감사자조치방법 금액

    서울특별시 서울주택도시공사2016

    (’17. 1. )주의요구 -

    제 목 안전사고후재발방지대책미흡, 자체안전사고매뉴얼및 건설기술진흥법 미준수

    【 지적 내용 】

    ○ 서울특별시 서울주택도시공사(이하 “서울주택공사”라 한다)는 지방공기업법 제49조,

    서울특별시 서울주택도시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에 따라 설립되어 토지의

    취득 개발 ․공급, 주택의 건설․개량․공급, 임대․관리와 서울특별시에서 위탁

    하는 대행 사업을 수행한다.

    ○ 서울주택공사에서 ’13년~’16.8월 까지 총 119건의 안전사고로 인명피해 123명(사망

    9명, 부상 114명)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13년~’15년간 동일 유형(로프 파단)에

    의한 사고가 3건 발생하여 3명의 인명피해(사망2, 부상1)가 발생하였다.

    < 년도별 안전사고 발생현황 >

    구분 발생(건)인명피해(명)

    소계 사망 부상

    계 119 123 9 114

    2013 43 44 6 38

    2014 44 44 2 42

    2015 26 26 1 25

    2016.8. 현재 6 9 - 9

    1. 유사 원인에 의한 반복사고 재발방지 대책 미흡

    ○ 서울주택공사가 발주한 공사장에서 로프파단에 의한 사고가 ’13년, ’14년 반복 발생

    하여 사망사고가 발생 하였는데도

    - 서울주택공사는 사고원인 조사 및 재발방지대책을 수립하지 않았고, ’15.8월 유사한

    사고(세곡2지구 추락사망 사고)가 다시 발생시에도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하거나 사고사례를

    타 공사장에 전파하지 않는 등 사고 재발방지를 위한 노력이 미흡하였다.

  • - 27 -

    < 동일원인(로프파단)에 의한 사고 재발 사례 >

    발생일자 공사명 사고내용

    ’13.12.27.은평뉴타운 3지구

    12단지 건설공사

    - 철근가공 작업준비 중, 주변에서 철근자재 인양 작업을 하던

    중 타워크레인의 와이어로프가 파단 되면서 약 30m 상부의

    높이에서 떨어지는 훅 블록(Hook Block)에 맞아 1명 사망

    ’14.12.14.천왕여성안심주택

    건설공사

    - 도시가스 공사 중 재해자가 로프를 타고 외부배관 도색작업 중

    3층 높이에서 지탱하던 로프가 중간에서 끊어져 추락(부상1명)

    ’15.8.1.세곡2지구 6,8단지

    아파트 건설공사

    - 8층건물(아파트) 7층 위치 외벽 도시가스 배관 도색작업 중

    달비계 작업발판의 로프가 끊어져 작업자 추락(사망1명)

    2. 안전관리 매뉴얼 등 이행 미흡

    ○ 서울주택공사의 안전관리 매뉴얼(’15.12월 제정)에 따르면 용역발주시 건설안전을

    고려한 4개 항목(설계 안전성검토 보고서, 시공법 절차에 관한 사항, 지반조사서, 위험요소

    위험성 저감대책)을 성과품에 명시해야 하고, 설계완료시 이를 최종 확인해야하는데도,

    - 택지사업본부 및 건설안전사업본부에서는 ’09년부터 ’16년까지 34건의 설계용역을 시행

    하면서 설계조건(과업지시서) 등에서 해당 내용을 일부 누락하거나,

    - 최종 성과품 수령시 설계 안전성검토 보고서, HRA(위험요소/위험성/저감대책)에 관한 사항을

    확인하지 않고 준공처리 하였다.

    ○ 건설기술진흥법 제62조(건설공사의 안전관리) 제1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98조

    제4항에따르면 시설물안전관리에관한특별법에따른 1종및 2종시설물건설공사는

    한국시설안전공단에 안전관리계획의 검토를 의뢰하여야 함에도

    - 건설사업부, 건축공사부에서는 문정법무시설 신축공사 및 항동지구 3단지 아파트 건설

    공사시 한국시설안전공단에 안전관리계획의 검토를 의뢰하지 않았고,

    < 1․2종 시설물 공사 안전관리계획 검토 미의뢰 내역 >

    연번 공사명 공사기간 시설물 안전법 대상 내용

    1문정법무시설 신축공사

    (132천제곱미터)

    ’14.08.21~

    ’16.12.07

    공동주택 외의 건축물로 연면적 5만제곱

    미터 이상의 건축물

    2서울항동공공주택지구 3단지 아파트

    건설공사(지하2층~지상18층)

    ’16.05.02~’

    18.08.28공동주택으로서 16층 이상의 공동주택

  • - 28 -

    - 건축공사부, 건축사업부, 위례사업부, 조경사업부, 건설사업부에서는 오금보금자리주택지구

    아파트 건설공사 등 6건의 건설공사 안전관리계획을 검토의뢰 하여 한국시설안전공단으로

    부터 공사장 주변 안전관리대책 등 보완요구를 받고도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

    【 조치할 사항 】

    ○ 서울특별시 서울주택도시공사 사장은

    - 안전사고 발생시 현장조사를 철저히 하고 재발방지 대책 수립 후 유사사고 위험에 노출된

    타 공사장에도 적극 전파하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 용역시행시 서울주택공사 2015 건설공사 안전관리 및 사고관리 매뉴얼 에 따라 건설안전을

    고려한 설계조건 등이 용역성과에 포함될 수 있도록 감독을 철저히 하고, 시설물안전법 에

    따른 1,2종 시설물 건설공사에 대하여 안전관리계획 검토 의뢰 및 지적사항 보완 등

    건설기술진흥법 의 관련규정을 준수하기 바랍니다.(주의요구)

  • - 29 -

    (No.10) 감사결과 처분요구부서·기관명

    시행년도(처분요구일)

    처분요구종류

    재정상조치 신 분 상조치인원

    감사자조치방법 금액

    서울특별시 농수산식품공사2016

    (’17. 1. )개선요구 -

    제 목 하역장비 등에 의한 안전사고 방지대책 미흡

    【 지적 내용 】

    ○ 서울특별시 농수산식품공사(이하 “농수산공사”라 한다.)는 지방공기업법 제49조,

    서울특별시 농수산식품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에 따라 농수산물 등의 원활한

    유통 도모와 가격안정 등을 위해 설립되었다.

    ○ 가락, 양곡, 강서시장에서는 농수산물 등을 유통하면서 지게차, 전동차 등 하역 운송

    장비(이하 “하역장비”라 한다.)를 이용한 작업이 상시 이루어지고 있으며, 농수산공사

    에서 최근 3년간 발생한 사망사고 2건이 모두 하역장비와 관련된 사고이다.

    < 하역관련 장비 현황 >

    구 분 합 계 지게차 전동차 콘베어 대차 파렛트 핸드카 손수레

    합 계 16,440 487 1,845 17 3 13,334 403 351

    가락시장 12,694 452 1,816 - 3 9,934 237 252

    양곡시장 2,229 4 - - - 2,200 25 -

    강서시장 1,517 31 29 17 - 1,200 141 99

    - 농수산공사에서는 하역장비에 의한 사고발생후 안전요원 배치, 반사조끼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을 수립․시행하였다.

    < 하역장비에 의한 사망사고 발생 현황 >

    사 고 개 요 재발방지 조치

    ○ 사고일자 : ’16.5.9. 20:58

    ○ 사고위치 : 가락몰 전동차 및 차량 전용 램프

    ○ 사고내용

    - 채소박스를 리어카로 운반중 차량 진출입램프

    를 통해 지하1층으로 내려오다 무게와 속도를

    이기지 못하고 넘어져 발생한 사고(사망 1명)

    ○ 램프 내 리어카 진입금지 안내 표지판 부착

    및 홍보실시 등

    ○ 사고발생 램프에 교통질서 요원(24시간 배치)

    배치

    ○ 사고일자 : ’14.1.10. 13:30

    ○ 사고위치 : 가락시장 무,배추 경매장

    ○ 사고내용

    - 컨테이너 하차 작업 중 가락종합물류 지게차

    운전 부주의로 사망사고 발생(사망 1명)

    ○ 안전표지판 설치

    ○ 안전운행 실시 및 안내책자 제작 배포

    ○ 운방장비 안전운행 캠페인 실시

    ○ 반사조끼 지급 등

  • - 30 -

    1. 사고재발방지 대책 미흡

    ○ 농수산공사에서는 하역 및 운송장비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표지판 설치,

    안전운행 실시 및 안내책자 제작 배포, 운반장비 안전운행 캠페인 실시, 반사조끼

    지급 등 재발방지 대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 지게차, 전동차 등 화물 운송장비에 대한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요원 상시배치 등 근본적인

    대책이 누락되어 있고

    - 감사당시 조사결과 무등록 하역장비도 다수 발견되어 이들 차량에는 농수산공사 재발방지

    조치사항들이 이행되지 않고 있다.

    < 하역장비 재발방지 조치 미이행 사례 >

    2. 남1문 전동차 전용램프 교통통제 요원 미배치

    ○ ’16.5월에는 손수레 운반상이 자동차 전용램프를 통해 물건을 운반하다 속도를 이기지

    못하고 넘어져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고, 농수산공사에서는 사고 이후 사고램프를

    포함한 3개소에 교통안전요원을 배치하는 등 재발방지 조치를 취하였다.

    - 그런데, 남1문 전동차 전용램프(’16. 9월 개통)는 채소중매인 점포와 판매동 사이에 위치하여

    ’16.5월 발생한 손수레 전도 사망사고와 같은 유사사고 발생이 우려되는 장소인데도 교통

    안전요원을 배치하지 않고 있다.

  • - 31 -

    < 사고재발 위험지역 안전요원 미배치 >

    안전요원 미배치

    안전요원 배치

    【 조치할 사항 】

    ○ 서울특별시 농수산식품공사 사장은

    - 지게차, 전동차, 손수레 등 하역장비에 대한 안전요원 배치 등 사고예방 대책을 마련하고,

    손수레 등이 전동차 전용램프로 진입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남1문 전동차 전용램프에

    안전요원을 배치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바랍니다.(개선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