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보 보 보 보 배배배배 2015. 3. 9. (배) 배배배배 배 9 배 배배배배 배배배배배배배 배배배배배 배 배 배 [배배배배 1 배] 배배배 배배 TEL 02-2188-6040 배배배 배배배배배 TEL 02-2188-6241 보보보 30 보 보보 보보보보 보보보보 <보보보보 보보보보 - 보보 보보보 보보 보보보>(1970) 보보 A Performance to celebrate the 30 th anniversary of MMCA Gwacheon Reenactment of From Phenomenon to Traces-The Event with Fire and Lawn (1970) by Kim Ku-lim ◇ 보보보보 <보보보보 보보보보-보보 보보보 보보 보보보>(1970) 46 보 보보 보보 - 보보보 30 보보보보 보 보 보보보 보보 보보보보보 보보 보보 보보보보보 보보보 보보보 - 보보보 보보보 ‘보보’보 보보보 ‘보보’, 보 ‘보보’보 보보보 보보보 보보 보보보 보보보 보보 - 3 보 18 보(보), 보보 1 보 보보보보보보보 보보보 보보 보보보보보보 보보 보보보보보보보(배배 배배배배배 배배)배 보보보<보보보보 보보보보- 보보 보보보 보보 보보보> (1970)배 46 배 배배 배배배배. 배배 배배배배배 배배 배배 배배배배배 배배배 배배배배배 배배배배배배배배 배배배 배배배 30 배배배배 배 배배배 배배배 배배배 배배배 . <배배배배 배배배배- 배배 배배배 배배 배배배>배 1970 배 4 배 11 배 배배 배배배배 배배배배 배배배 배배 배배 배배배배 배배배 배배 배배배배 배배배배 배배배배배배. 배배배 배배배

 · Web view보 도 자 료 배포일시 2015. 3. 9. (수) 배포수량 총 9매 주관부서 국립현대미술관 기획총괄과 담 당 자 [학예연구 1실] 강승완 실장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보 도 자 료

배포일시

2015. 3. 9. (수)

배포수량

총 9매

주관부서

국립현대미술관 기획총괄과

담 당 자

[학예연구 1실]

강승완 실장 TEL 02-2188-6040

배명지 학예연구사 TEL 02-2188-6241

과천관 30년 기념 퍼포먼스

김구림의 <현상에서 흔적으로 - 불과 잔디에 의한 이벤트>(1970) 재연

A Performance to celebrate the 30thanniversary of MMCA Gwacheon

Reenactment of From Phenomenon to Traces-The Event with Fire and Lawn

(1970) by Kim Ku-lim

◇ 김구림의 <현상에서 흔적으로-불과 잔디에 의한 이벤트>(1970)

46년 만에 재연

-《과천관 30년 특별전》의 첫 포문을 여는 퍼포먼스로

한국 초기 아방가르드 미술을 재조명

- 잔디를 태우는 ‘행위’와 불타는 ‘현상’, 그 ‘흔적’을 예술로 수용한 대지

미술의 역사적 시도

- 3월 18일(금), 오후 1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야외 조각공원에서 재연

국립현대미술관(관장 바르토메우 마리)은 김구림의 <현상에서 흔적으로- 불과 잔디에 의한 이벤트>(1970)를 46년 만에 재연한다. 이번 퍼포먼스는 한국 초기 아방가르드 미술을 재조명하고 국립현대미술관이 마련한 《과천관 30년 특별전》의 시작을 알리는 의미를 갖는다.

<현상에서 흔적으로- 불과 잔디에 의한 이벤트>는 1970년 4월 11일 한강 살곶다리 부근에서 잔디를 불로 태워 삼각형의 흔적을 남긴 김구림의 대표적인 대지미술이다. 한강변 경사진 둑에 지그재그 선을 그어 7개의 삼각형을 만들고 그 모양에 따라 차례로 불을 질러 까맣게 탄 삼각형 4개와 불에 타지 않은 푸른 잔디 삼각형 3개를 남긴 작업이다. 태우는 행위와 과정에서 불에 검게 그을린 잔디와 그렇지 않은 곳의 선명한 차이를 ‘현상’으로 드러낸다. 하지만 새싹이 돋고 자라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그 차이는 점차 흐려져 ‘흔적’을 남기거나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

작가는 불로 태운 곳에 새순이 파랗게 자라는 자연변화 과정을 통해 사람이 태어나고 죽는 생명 순환 과정을 담아내고자 했다. 이에 따라 제목도 ‘현상에서 흔적으로’라고 붙이게 되었다. 작업의 결과로 태워진 삼각형 4개와 타지 않은 삼각형 3개는 죽음과 탄생, 음과 양의 개념을 드러낸다.

<현상에서 흔적으로>에서 주목할 점은 자연에 개입한 최소한의 행위와 그 결과물로서의 현상, 그리고 시간 속에 변화하는 흔적이다. 예술작품의 물성 대신 시간성, 과정, 행위, 공간 등의 비물질성을 예술로 수용한 한국 초기 아방가르드 미술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과천관 30년 특별전》 본 전시 소개

《과천관 30년 특별전》은 상반기부터 연중 개최되며, 8월에는 과천관 전관을 활용한 본 전시가 개최될 예정이다. 이 전시는 미술관 소장품에 대한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현대미술작품이 제작, 유통, 소장, 활용, 보존, 소멸, 재탄생되는 과정과 그 시대적 맥락을 다룰 예정이다.

이 자료와 관련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국립현대미술관 학예1실

배명지 학예연구사(02-2188-6241)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다운로드(이미지)

- 웹하드 주소: http://webhard.mmca.go.kr

- 아이디: mmcapr1

- 암호: 0987

- 상단아이콘 [전용탐색기/웹탐색기/백업] 중 [웹탐색기] 클릭→ [Guest 폴더] → [2016] →

[보도자료] → [김구림 현상에서 흔적으로 재연]

첨부 1. <현상에서 흔적으로-불과 잔디에 의한 이벤트>(1970) 이미지

2. 김구림 작가 소개 및 약력

첨부 1. <현상에서 흔적으로-불과 잔디에 의한 이벤트>(1970) 이미지

사진캡션: 김구림, <현상에서 흔적으로- 불과 잔디에 의한 이벤트>, 1970. 4. 11. 한강 살곶다리 부근

첨부 2. 김구림 작가 소개 및 약력

작가 김구림 (金丘林/ Kim Ku-lim,1936년생) 소개

김구림은 한국 전위미술, 한국 실험미술의 선두로서 한국현대미술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가이다. 1969년 제 4집단 활동을 통하여 예술에 대한 총체적인 체험과 실험성 강한 작품을 창작하였고, 70년대 'AG' 그룹에 참가하며 개념과 프로세스를 강조하는 전위적인 미술활동을 펼쳤다. 관객 참여적 메일아트인 「매스미디어의 유물」(1970)과 대지미술 「현상에서 흔적으로」(1970), 실험영화 「1/24초의 의미」(1969) 및 다양한 퍼포먼스 등 회화·조각·사진·퍼포먼스·영화·연극 등을 넘나드는 그의 실험적 예술 활동은 최근까지도 국내외에서 활발히 조명되고 있다. 2012년 테이트 모던 기획전 ‘A Bigger Splash: Painting after Performance’에 참여하였고, 2013년 서울시립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한바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리움미술관, 영국 테이트모던미술관, 이스라엘미술관(예루살렘), 미국 베켄카운티미술관, 독일 프랑크푸르트시민회관, 일본 훗카이도 근대미술관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김구림 (金丘林/ Kim Ku-lim)

1936 경북 상주 출생

주요 개인전 및 단체전, 퍼포먼스

1958 첫 개인전, 공보관화랑, 대구

1964 ‘태양의 죽음’ 시리즈 발표

1965 ‘신작가 협회 창립전’, 신문회관, 서울

1968 조선호텔 지하 보석상 인테리어 작업

‘회화68그룹전’ 참여

1969 오태석의 ‘웨딩드레스’시츄아숑 극단 앵글562 연출, 대구시립종합문화회관, 대구

‘산하억만년’ 무대미술 참여, 국립극장, 서울

한국최초 메일아트 우편예술 MASS MEDIA의 유물 발표, 서울전역

‘바디페인팅’ 발표 (T.B.C TV,방영), 서울

1969 한국최초 일렉트릭 아트 ‘공간구조’ 발표`

한국청년작가 11인전, Solidaridad 화랑, 필리핀, 마닐라

실험영화 8mm’문명, 여자, 돈’ 연출

영상과 퍼포먼스 ‘무제’ 발표, 아카데미음악실, 서울

실험영화 16mm’1/24초의 의미’ 제작

1970 제 1회 서울국제현대음악제 백남준 작품 ‘피아노 위의 정사’ 연출, 국립극장, 서울

제 4집단 결성식, 서울 을지로 소림다방

예술단체 제4집단 대표취임, 서울

불가해의 예술 발표, 공간지 지면

퍼포먼스 도<道> 경복궁 현대미술관, 서울

제 4집단 정찬승, 고호와 ‘가두퍼포먼스’ 총괄연출, 서울

퍼포먼스 육교 위에서 풍선으로 길을 가로막는 퍼포먼스, 신세계백화점앞 육교. 서울

퍼포먼스 ‘콘돔과 카바마인’ 서울대 문리대 정문 앞, 서울

제 4집단과 ‘기성문화예술과 기존체제의 장례식 및 전국 결성대회’, 사직공원, 서울

‘무체전’ 제 4집단 해체 선언, 공보관, 서울

‘제1회 AG전: 환원과 확장의 역학’ , 국립중앙공보관, 얼음작품 ‘현상에서 흔적으로’ 발표

대지예술 ‘현상에서 흔적으로’ 발표, 살곶이 다리 뚝방, 서울

1971 ‘제 7회 파리비엔날레’, 파리 시립미술관, 파리, 프랑스

‘제 2회 AG전: 현실과 실현’, 경복궁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72 ‘제 3회 AG전: 탈 관념의 세계’, 경복궁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73 ‘제 12회 상파울로 비엔날레 출품’, 브라질, 상파울로

‘김구림 설치작품 개인전’, 시로다 화랑, 일본

1974 ‘Signifying’ 국제초대전, 교토 시립미술관, 교토, 일본

‘제 9회 일본국제 판화비엔날레’, 현대미술관, 도쿄, 일본

‘The 2nd International Impact Art Video-74′, 로잔, 스위스, ‘걸레’ 출품

‘서울비엔날레’ 초대작가로 참여

‘개인전’, 갤러리 16, 교토, 일본

‘개인전’, 니레노기 화랑, 도쿄, 일본

1975 ‘제 4회 국제 OPEN ENCOUNTER ON VIDEO 초대전’, 부에노스 아이레스,아르헨티나

백남준과 ‘Rencontre International Ouverte de Video’ 출품, 파리, 프랑스

‘에콜드서울’, 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76 ‘제 5회 Open Encounter on Video 초대전’, 벨기에

이정환의 『유리별대합실』 소설 삽화, 경향신문

‘제7회 까뉴 국제회화제’, 초대 출품, 까뉴, 프랑스

‘몬테카를로 국제 회화제’ 초대 출품, 몬테카를로, 모나코

1977 ‘한국 현대 미술의 단면전’, 도쿄 센트럴 미술관, 도쿄, 일본

‘개인전’, 가네꼬 아트 갤러리, 도쿄, 일본

대한민국 연극제 ‘참새와 기관차’ 극단 에저또, 무대미술, 쎄실극장, 참여, 서울

1978 판토마임 ‘돼지들의 산책’ 극단 에저또 공간사랑 소극장, 서울

‘제 4회 인도 트리엔날레’, 인도, 뉴델리

‘서울 국제 판화교류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79 『공간지』에 “서울의 도시계획 :꿈의 스케치

‘드로잉, 판화, 조각, 회화’, 공간미술관, 부산

1980 ‘아시아 현대미술전’, 후쿠오카 미술관, 후쿠오카, 일본

1981 퍼포먼스 ‘손톱과 시’ 발표, 공간사랑, 서울

창작무용 ‘이상의 날개’ 연출, 안무, 의상, 무대미술, 세종문화회관, 서울

‘한국 드로잉전’ 브룩클린 미술관, 뉴욕, 미국

제 16회 상파울로 비엔날레 ‘NUCLEUS 1 MAIL ART’, 초대작가로 사진작품 출품,

브라질, 상파울로

구림 판화공방 개설, 신영동, 서울

1982 연극 ‘통막살’ 무세중과공연, 문예진흥원 문예회관 극장, 서울

‘최은희의 춤’, 연출 및 무대미술, 문예회관 대극장, 서울

‘한국현대미술의 위상전’, 교토 시립미술관, 교토, 일본

1983 ‘유고슬라비아 국제 판화 비엔날레’, 유고슬라비아

한국현대미술전 ‘70년대 후반 하나의 양상’ 도쿄도 미술관, 도쿄, 일본

1984 ‘개인전’ 아마노 갤러리, 오사카, 일본

‘제 8회 브리티시 국제 판화 비엔날레’, 영국

‘개인전’, Riverdale 갤러리, 뉴욕, 미국

1985 ‘미국 우수작가 선발전’, 뉴욕 링컨 센터, 뉴욕, 미국

1986 ‘개인전’, 갤러리 뉴욕, 뉴욕, 미국

‘뿌리에서 현실로’, 루이스 아브론스 아트센터, 뉴욕, 미국

‘개인전’, 돌로레스안 갤러리, 뉴욕, 미국

‘ARTISTIC LICENSE ‘BRVCE NAUMAN외 7인’ 전, 갤러리 뉴욕, 뉴욕, 미국

1987 ‘오늘의 미술가 6인’ 예술센터, 뉴저지, 미국

1988 ‘한국현대미술의 모더니즘 1970-1979′,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트리엔날레 몽디알 데스땅쁘-쁘띠 포르마’, 프랑스

1989 ‘KOREAN CONTEMPORARY OF ART’, 버겐카운티 미술관, 뉴저지, 미국

‘L.A 아트페어 L.A 컨벤션센터’, L.A, 미국

1990 ‘침묵의 대화, 서양과 일본의 정물화’, 시즈오카 현립미술관, 일본

1991 ‘개인전’, The Modern Museum of Art, 캘리포니아, 미국

‘김구림, 백남준, 임충섭 3인전’, LACA갤러리, LA, 미국

1992 ‘김구림, 백남준 2인전: Discontinuities’, 찰스 위처치 갤러리, 캘리포니아, 미국

1993 ‘한국현대판화 40년 전’,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 과천

1996 ‘한국모더니즘의 전개 근대의 초극’, 금호미술관, 서울

1997 작품 ‘카페’ 낙서화, 토탈야외미술관, 경기도, 장흥

1999 ‘한국현대미술전’, 와이오밍 미술관, 미국

‘한국현대미술전 The Edwin A Ulrich Museum of Alliance’, 켄사스, 미국

2000 개인전 ‘현존과 흔적’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초대전,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서울

2001 한국 현대미술과 전개 ‘전환과 역동의 시대’,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 과천

2002 개인전 ‘김구림의 작은 회화전’, 문예진흥원 마로니에미술관, 서울

2003 드로잉의 새로운 지평, 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아트북 아트’,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 과천

2004 ‘1950년대 격동기의 한국미술’,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서울

2005 ‘2005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6 ‘한국미술 100년 전통,인간,예술,현실’,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 과천

2007 개인전 ‘이인성 미술상 수상작가 초대전’,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한국의 행위미술 1967-2007′,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 과천

2008 ‘한국현대판화 1958-2008′,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 과천

‘한국드로잉 100년 1870-1970′, 소마미술관, 서울

‘NOW JUMP 백남준 아트센터 개관전’, 경기도, 용인

2009 ‘퍼프밍더씨티 Kunst Aktionismus im Stadt Raum 60er and 70er Jaher’, 독일, 뮌헨,

이태리,밀라노, 프랑스,파리, 등 세계 각 도시 순회전

2010 타이완 국제실험영화제 ‘1/24초의 의미’ 출품, 타이완

1970-80년대 한국의 역사적 개념미술 ‘팔방미인’,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2011 Art Edition, ‘국제에디션아트페어’, 서울

2012 ‘RES(V)OLUTION 1960-2013′, DNA 베를린 갤러리, 베를린, 독일

‘A Bigger Splash: Painting after Performance’, 테이트 모던, 런던, 영국

2013 개인전 ‘잘 알지도 못하면서’, 1960-1970년대 작품 서울시립미술관 초대전, 서울

2014 개인전 ‘사라진 아름다움’, 퍼포먼스 및 설치, 플레이스막, 서울

‘홍콩 아트 바젤’, 홍콩, 중국

Part 1. 개인전 ‘그는 아방가르드다; Works from 50’s – 90’s’, 아라리오 갤러리, 천안

Part 2. 개인전 ‘진한 장미’, 아라리오 갤러리, 서울

2015 ‘소멸에서 생성으로’ 퍼포먼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거대한 초생달: 1960년대 예술과 동요-일본,한국,타이완’, 모리미술관, 일본, 도쿄

‘동북아시아 지역사와 시대정신’, 시안미술관, 중국, 시안

‘Embeddedness: 60년대부터 현재까지 한국의 필름과 비데오전’, 테이트모던, 런던

Lille 3000 페스티발 ‘르네상스’, 프랑스, 릴

수상

1983 대한민국무용제 무대미술상, 연극 미술상

2006 이인성 미술상

2014 서울문화투데이 문화대상

저서

판화 컬렉션, 서문당

동화집, 별하나 나 하나, 동화 출판사

서양판화가 100인과 판화감상, 미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