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 Upload
    trannga

  • View
    219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Page 2: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1차시 -

2주차 2차시 -

3주차 1차시 -

3주차 2차시 -

4주차 1차시 -

4주차 2차시 -

5주차 1차시 -

5주차 2차시 -

6주차 1차시 -

6주차 2차시 -

7주차 1차시 -

7주차 2차시 -

가족의 이해1...................................................................................................

가족의 이해2..................................................................................................

가족복지의 이해1...........................................................................................

가족복지의 이해2...........................................................................................

가족복지서비스적 접근방법1....................................................................

가족복지서비스적 접근방법2....................................................................

가족복지서비스적 접근방법1....................................................................

가족복지서비스적 접근방법2....................................................................

맞벌이가족과 가족복지1.............................................................................

맞벌이가족과 가족복지2.............................................................................

외둥이가족과 가족복지1.............................................................................

외둥이가족과 가족복지2.............................................................................

노인가족과 가족복지1..................................................................................

노인가족과 가족복지2..................................................................................

9

12

16

19

22

26

29

31

37

41

46

50

53

57

기말고사

범위

9주차 1차시 -

9주차 2차시 -

10주차 1차시 -

10주차 2차시 -

11주차 1차시 -

11주차 2차시 -

12주차 1차시 -

12주차 2차시 -

13주차 1차시 -

13주차 2차시 -

14주차 1차시 -

14주차 2차시 -

이혼/재혼가족과 가족복지1.......................................................................

이혼/재혼가족과 가족복지2.......................................................................

다문화가족과 가족복지1.............................................................................

다문화가족과 가족복지2.............................................................................

한부모/미혼모가족과 가족복지1..............................................................

한부모/미혼모가족과 가족복지2..............................................................

빈곤가족/소년소녀가족과 가족복지1.....................................................

빈곤가족/소년소녀가족과 가족복지2.....................................................

폭력가족과 가족복지1..................................................................................

폭력가족과 가족복지2..................................................................................

입양가족과 가족복지1..................................................................................

입양가족과 가족복지2..................................................................................

62

68

72

76

81

86

92

99

104

110

113

119

Page 3: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과목명 가족복지론운영

교․강사명한주빈

학점/

이수시간

3학점/

15주(45시간)

과목목표

현대 사회의 급속하고 변화 속에서 이에 따른 가족의 역할 및 의미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이혼, 폭력,

세대 간 가치관 갈등 등 다양한 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위해 가족의 정의와 기능·역할, 가족구조, 가족에 대한 전통적 이해 및 변화된 이해, 한국 가족의

변화를 기초로 한다.

또한 가족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가족복지정책의 개념 및 영역, 내용, 현황을 살펴보고,

가족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가족치료모델을 이해한다.

마지막으로 빈곤, 이혼 및 재혼, 폭력, 학대 등 가족복지실천분야에서의 이슈와 쟁점들을

미시적·거시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개입과정 및 개입 방안을 탐색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변화에 따른 가족의 다양한 변화에 대한 이해와 한국의 가족복지정책과 서비스

등에 대한 실제적 이해를 기반으로 가족들의 다양한 문제와 욕구에 대한 사정, 효과적 해결을 위한

실천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수업목표

1. 현대 사회의 급속하고 변화된 속에서 가족의 역할 및 의미에 대하여 인식하고 이혼 및 폭력으로

부터 고통받고 있는 현대 가족의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다양한 가족문제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2. 가족의 정의와 기능·역할, 가족구조, 가족에 대한 전통적 이해 및 변화된 이해, 한국 가족의 변화를

기초로 외국의 가족역할·기능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3. 가족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가족복지정책의 개념 및 영역, 내용, 현황을 살펴보고, 가족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가족치료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4. 빈곤, 이혼 및 재혼, 폭력, 학대 등 가족 복지실천분야에서의 중점적으로 떠오르는 이슈와 쟁점들을

미시적, 거시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 이를 예방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한적으로 제시가 가능하다.

5. 가족의 다양한 변화에 대한 이해와 한국의 가족복지정책과 서비스 등에 대한 실제적 이해를

기반으로 가족들의 다양한 문제와 욕구에 대한 사정, 효과적 해결을 위한 실천기술을 토의할 수 있다.

콘텐츠

접속 URL http://www.koreahrd.org

평가기준

중간고사: 25 %, 기말고사: 25 %, 과제물: 20 %, 출석: 15 %,

수업참여도(자료실,Q&A 등): 10 %, 토론: 5 %

※ 출석률 80% 미만인 경우 성적에 관계없이 낙제(F학점)

성적분포

총점 90점 이상(A ~ A+) : 총 정원의 20%이하

총점 80점 이상 90점 미만(B ~ B+) : 총 정원의 40% 이하

총점 70점 이상 80점 미만(C ~ C+) : 총 정원의 30% 이하

총점 60점 이상 70점 미만(D ~ D+) : 총 정원의 10% 이하

※ 총점 60점 미만, 출석률 80% 미만은 과정 수료 불가(자동 F 처리)

주교재

(저자,출판

사,출판년도

포함)

『가족복지론』저자 : 김혜경 외 6명

출판사 : 공동체

출판년도 2011

부교재

(저자,출판사,출판

년도 포함)

『가족복지론』권진숙 외 4명 (2006) 공동체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

Page 4: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주차 차시 차시별 강의내용수업방법

(원격/출석)

학습자료(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포함)

1주차

1차시

1)강의제목 : 가족의 이해1

2)강의주제 : 가족의 정의 및 이론적 관점

3)강의세부내용 :

(1) 가족의 정의와 특성

(2) 가족에 대한 이론적 관점

(3) 가족의 기능과 구조(가족치료모델)

원격주교재 1장

동영상, 교안, MP3

2차시

1)강의제목 : 가족의 이해2

2)강의주제 : 가족생활주기와 가족변화와 특성

3)강의세부내용 :

(1) 가족생활주기

(2) 현대사회의 가족변화와 특성

원격주교재 1장

동영상, 교안, MP3

2주차

1차시

1)강의제목 : 가족복지의 이해12)강의주제 : 가족복지의 대상

3)강의세부내용 :

(1) 가족복지의 이해

(2) 가족복지의 대상

원격주교재 2장

동영상, 교안, MP3

2차시

1)강의제목 : 가족복지의 이해2

2)강의주제 : 가족복지의 실천방법론

3)강의세부내용 : (1) 가족복지의 실천방법론

원격주교재 2장

동영상, 교안, MP3

3주차

1차시

1)강의제목 : 가족정책적 접근방법1

2)강의주제 : 가족복지정책의 개념 및 유형

3)강의세부내용 : (1) 가족과 복지국가

(2) 가족복지정책의 개념

(3) 가족복지정책의 유형

원격주교재 3장

동영상, 교안, MP3

2차시

1)강의제목 : 가족정책적 접근방법2

2)강의주제 : 가족복지정책의 사례3)강의세부내용 :

(1) 우리나라의 가족복지정책

(2) 외국의 가족복지정책

원격주교재 3장

동영상, 교안, MP3

4주차

1차시

1)강의제목 : 가족복지서비스적 접근방법1

2)강의주제 : 가족복지서비스의 정의 및 이론적 근거3)강의세부내용 :

(1) 가족복지서비스의 정의 및 목적

(2) 가족복지서비스 실천의 이론적 근거

원격주교재 4장

동영상, 교안, MP3

2차시

1)강의제목 : 가족복지서비스적 접근방법2

2)강의주제 : 가족복지서비스의 유형에 따른 실천과정

3)강의세부내용 : (1) 가족복지서비스 실천 유형

(2) 가족복지서비스의 유형에 따른 실천과정

원격주교재 4장

동영상, 교안, MP3

Page 5: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주차 차시 차시별 강의내용수업방법

(원격/출석)

학습자료(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포함)

5주차

1차시

1)강의제목 : 맞벌이가족과 가족복지12)강의주제 : 맞벌이가족의 개념 및 발생원인

3)강의세부내용 :

(1) 맞벌이가족의 개념

(2) 맞벌이가족의 발생원인

원격주교재 5장

동영상, 교안, MP3

2차시

1)강의제목 : 맞벌이가족과 가족복지2

2)강의주제 : 맞벌이가족의 문제에 대한 복지대책3)강의세부내용 :

(1) 맞벌이가족의 현황

(2) 맞벌이가족의 문제

(3) 맞벌이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원격주교재 5장

동영상, 교안, MP3

6주차 1차시

1)강의제목 : 외둥이가족과 가족복지12)강의주제 : 외둥이가족의 특징과 문제

3)강의세부내용 :

(1) 외둥이 및 외둥이가족의 개념

(2) 외둥이가족의 현상과 이론적 관점

(3) 외둥이가족의 아동 특징과 문제

원격

주교재 6장

동영상, 교안, MP3

<과제>10주차 종료일

까지

<토론>11주차 종료일

까지

<과제/토론출제>

※ 과제물 제출 시 유의사항

1) 분량 A4 3매, 글씨 크기 10.0으로 통일

2) 과제는 hwp(한글), doc, docx(마이크로소프트 워드)로 작성

3) 파일명, 본문에 학습자 성함과 과목명을 반드시 기입

4) 제출기한 초과 시 제출 불가하므로 제출기한 확인(기한 내

수정/재업로드 가능)

5) 아래 사항을 반드시 숙지

- 똑같은 답안이 두 개 이상 나왔을 시 같은 답안 제출자

모두 0점

- 분량(10포인트 기준 A4 2매)이 90% 이하인 경우

(참고문헌 미포함)감점

- 참고문헌이 없을 경우 감점

- 인터넷 검색자료를 복사해 그대로 사용한 경우 감점

- 필수 기재사항(성명, 과목명) 미기재시 감점

※ 주의 : 타인의 과제를 도용할 경우(모사답안)

"0" 점 처리함

Page 6: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주차 차시 차시별 강의내용수업방법

(원격/출석)

학습자료(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포함)

2차시

1)강의제목 : 외둥이가족과 가족복지22)강의주제 : 외둥이가족의 부모양육 태도 및 복지대책

3)강의세부내용 :

(1) 외둥이가족의 부모양육태도

(2) 외둥이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원격주교재 6장

동영상, 교안, MP3

7주차

1차시

1)강의제목 : 노인가족과 가족복지1

2)강의주제 : 노인가족의 특성 및 현황3)강의세부내용 :

(1) 노인가족의 개념과 특성

(2) 노인가족의 현황

원격주교재 7장

동영상, 교안, MP3

2차시

1)강의제목 : 노인가족과 가족복지2

2)강의주제 : 노인가족의 문제와 복지대책3)강의세부내용 :

(1) 노인가족의 욕구와 문제

(2) 노인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원격주교재 7장

동영상, 교안, MP3,

8주차 -

<중간고사>

1) 시험범위 : 1주~7주차 강의내용

2) 문항수(배점)

: 객관식 20문항(각 1점), 주관식 5문항(각 1점) 총 25점 만점

3) 시험시간 60분

4) 유의사항

(1) 시험 응시 기회는 1회이며, 시험 제한 시간 내 응시

완료해야 합니다.

(2) 시험 미응시 시 다른 대체방법은 없습니다.

(단, 공결로 인한 미응시는 일주일 이내 재응시 기회 1회

부여)

원격 중간고사

9주차

1차시

1)강의제목 : 이혼/재혼가족과 가족복지12)강의주제 : 이혼가족과 가족복지3)강의세부내용 : (1) 이혼가족의 개념 (2) 이혼가족의 실태 및 문제 (3) 이혼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원격주교재 8장

동영상, 교안, MP3

2차시

1)강의제목 : 이혼/재혼가족과 가족복지22)강의주제 : 재혼가족과 가족복지3)강의세부내용 : (1) 재혼가족의 개념과 특성 (2) 재혼가족의 실태와 문제 (3) 재혼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원격주교재 9장

동영상, 교안, MP3

Page 7: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주차 차시 차시별 강의내용수업방법

(원격/출석)

학습자료(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포함)

10주차

1차시

1)강의제목 : 한부모/미혼모가족과 가족복지1

2)강의주제 : 한부모가족과 가족복지

3)강의세부내용 :

(1) 한부모가족의 개념과 유형

(2) 한부모가족의 현황과 문제

(3) 한부모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원격주교재 10장

동영상, 교안, MP3

2차시

1)강의제목 : 한부모/미혼모가족과 가족복지2

2)강의주제 : 미혼모가족과 가족복지

3)강의세부내용 :

(1) 미혼모가족의 개념과 현황

(2) 미혼모가족의 발생원인과 문제

(3) 미혼모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원격

주교재 12장

동영상, 교안, MP3

리포트 제출 마감

11주차

1차시

1)강의제목 : 다문화가족과 가족복지1

2)강의주제 : 국제결혼의 특성 및 현황

3)강의세부내용 :

(1) 국제결혼의 개념과 특성

(2) 국제결혼의 현황

원격주교재 11장

동영상, 교안, MP3

2차시

1)강의제목 : 다문화가족과 가족복지2

2)강의주제 : 다문화가족의 문제와 복지정책

3)강의세부내용 :

(1) 다문화가족의 생활실태와 문제

(2) 다문화가족의 복지정책과 서비스 현황

(3) 다문화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원격

주교재 11장

동영상, 교안, MP3

토론 제출 마감

12주차

1차시

1)강의제목 : 빈곤가족/소년소녀가족과 가족복지1

2)강의주제 : 빈곤가족과 가족복지

3)강의세부내용 :

(1) 빈곤의 개념 및 특성

(2) 우리나라의 빈곤가족 현황

(3) 빈곤가족에 대한 사회복지정책 및 서비스 현황

원격주교재 13장

동영상, 교안, MP3

2차시

1)강의제목 : 빈곤가족/소년소녀가족과 가족복지2

2)강의주제 : 소년소녀가족과 가족복지

3)강의세부내용 :

(1) 소년소녀가족의 개념 및 발생원인

(2) 소년소녀가족의 현황 및 문제

(3) 소년소녀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원격주교재 14장

동영상, 교안, MP3

Page 8: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주차 차시 차시별 강의내용수업방법

(원격/출석)

학습자료(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포함)

13주차

1차시

1)강의제목 : 폭력가족과 가족복지1

2)강의주제 : 가정폭력의 개념과 실태

3)강의세부내용 :

(1) 가정푝력의 사회적 구성

(2) 가정폭력의 개념 규정과 유형

(3) 가정폭력의 실태와 원인

원격주교재 15장

동영상, 교안, MP3

2차시

1)강의제목 : 폭력가족과 가족복지2

2)강의주제 : 가정폭력의 복지대책

3)강의세부내용 :

(1) 가정폭력의 실체와 허상

(2) 폭력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원격주교재 15장

동영상, 교안, MP3

14주차

1차시

1)강의제목 : 입양가족과 가족복지1

2)강의주제 : 입양가족의 현황과 문제

3)강의세부내용 :

(1) 입양가족의 개념 및 현황

(2) 입양가족의 문제

(3) 입양의 유형과 구성요건

원격주교재 16장

동영상, 교안, MP3

2차시

1)강의제목 : 입양가족과 가족복지2

2)강의주제 : 입양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3)강의세부내용 :

(1) 입양사업의 과정

(2) 입양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원격

주교재 16장

동영상, 교안, MP3,

기말고사

요약본 제공

15주차 -

<기말고사>

1) 시험범위 : 9주~14주차 강의내용

2) 문항수(배점)

: 객관식 20문항(각 1점), 주관식 5문항(각 1점) 총 25점 만점

3) 시험시간 60분

4) 유의사항

(1) 시험 응시 기회는 1회이며, 시험 제한 시간 내 응시

완료해야 합니다.

(2) 시험 미응시 시 다른 대체방법은 없습니다.

(단, 공결로 인한 미응시는 일주일 이내 재응시 기회 1회

부여)

원격 기말고사

Page 9: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9

가족복지론 1주차 1차시 - 가족의 이해1

1. 가족의 정의와 특성

1) 가족의 정의

가족은 개인의 인성 형성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며 사회 공통의 행동 특징문화 규범을 습득시키는

사회화 과정을 담당하는 사회의 가장 기본 집단이며 사회를 존속시키는 기본단위이다.

(1) 가족의 고전적 정의

ⓛ Murdock

"가족은 공동의 거주, 경제적 협동, 생식(재생산)의 특징을 갖는 집단으로 사회적으로 인정받은

성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최소한의 성인 남녀와

한 명 이상의 자녀로 이루어진다."

② Levi-Strauss

"가족은 결혼에 의해 출발하며 부부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되지만, 이 핵

집단에 다른 근친자가 포함될 수 있다. 가족 구성원은 법적 유대, 경제적.

종교적, 그 외에 다른 권리와 의무, 성적 권리와 금지, 애정, 존경, 경외 등 다양한 심리적 정감으로

결합되어 있다."

③ 국내 학자들의 정의

*김두헌(1969)은 "가족은 일반적으로 영속적 결합에 의한 부부와 거기에서 생긴 자녀로 된

생활공동체“

*최재석(1966)은 "가족은 가례를 공동으로 하는 친족집단".

*유영주(1993는 “가족은 부부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되는 기본적 사회집단으로서, 이들의

이익관계를 떠난 애정적 혈연집단이며, 같은 장소에서 기거하고 취사하는 동거동재를 뜻함.

(2) 가족의 현대적 정의

① 국외 학자들의 정의

* '가족은 한 집에 거주하는 서로 관련된 두 명 이상의 사람들로 구성된다."(Us. Bureau of the

Census, 1992)

* "가족이란 둘 또는 그 이상의 가족원들이 서로 돕고 몰입되어 있으며, 애정과 친밀감, 가치관과

의사 결정, 자원을 서로 나누는 집단이다."(Olson &DeFrain, 1994),

* 가족은 도움을 필요로 할 때 도움을 주며, 가족원의 중요성을 인정해 주는 다른 가족원을 통해

안도감의 욕구가 충족되는 장소(Erber &Erber, 2001 ; 정현숙 외, 2001, 재인용).

② 국내 학자들의 정의

* "인간의 본질적 특성인 개체성과 반개체성, 즉 개인으로서의 '나'와 관계로서의 '나'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상호작용하는 생활 공동체적 집단"(유영주, 2000)

* "가족은 사회의 영향을 받기만 하는 집단이라기보다는 사회의 영향에 대해 나름대로의 의미를

부여하며 적응, 변화하는 집단이다."(정현숙 외, 2001)

Page 10: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10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주차 1차시 - 가족의 이해1

2) 가족의 특성

① 가족은 일차적 집단(Primary group).

Cooley : 인간이 출생과 동시에 참여하는 집단이 일차적 집단으로 가족성원 상호간의 관계가

직접적 (face-to-face)이고, 친밀하며, 그 관계가 항구적으로 지속. 구성원들은 하나의 공통된 전체

속에 융합되어 우리 의식으로 강한 일체감을 유지. 간접적 거리를 가지고 접촉하는 결합관계를

갖는 것으로 조직, 국가, 사회 등은 이차적 집단은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제도화되어 있다.

② 가족은 공동사회집단(gemeinschaft).

Tonnis : 희생사회, 성원 상호간의 애정과 이해로 결합되어 외부적 장애에 의해 결코 분열되지 않는

본질적 결합관계. 가족원간의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한 정의적·감정적 기초로 성립되는 관계.

이익사회(gesellschaft)는 "어떠한 결합에도 불구하고 본질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사회"를 말한다.

이러한 결합에도 불구하고 본질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사회, 정당, 사회, 조합 등의 집단을 의미한다.

③ 가족은 폐쇄집단(closed group)

- 구성원이 되기 위한 자격의 획득이나 포기가 용이하지 않은 집단. 개인은 누구나 원한다고 해서

특정 가족의 구성원이 될 수도 없는 것, 혈연으로 특정 가족에 태어난 이상 그 가족관계를

자유롭게 포기할 수도 없는 것이다.

④ 가족은 형식적 집단(formal group)이나 가족관계는 비형식적 (in-formal).

- 객관적 조직과 특정한 관습적 절차 체계를 지니며, 이것에 의하여 행동이 통제되는 집단. 가족은

결혼이라는 법적 절차에 의하여 부부관계를 성립하므로

이러한 관계에서는 형식적이고 제도적인 집단 가족원 상호간의 관계는 자유스럽고 솔직하며,

형식에 얽매이지 않으며, 인간적 감정으로 연결되어 있는 비형식적 관계로 비교적 자유로운

관계라고 할 수 있다.

2. 가족에 대한 이론적 관점

1) 구조기능주의 이론

가족이 사회와 개인에 대해 어떤 기능을 하고 사회와 연계되어 있는지를 설명한다. 다양한

가족형태 중에서도 핵가족을 친족집단의 기본단위로 보고 산업사회에 가장 잘 기능할 수 있는 가족

구조로 생각한다.

2)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인간행동은 인간 상호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결정되고 설명된다.

개인의 사회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사회화 과정이 개인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심을

둔다.

3) 갈등이론

인간의 기본적 속성과 사회자원의 제한성 등으로 인하여 갈등은 피할 수 없는 것이며 갈등은

사회적 진보를 위하여 필요한 것을 칭한다.

Page 11: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11

가족복지론 1주차 1차시 - 가족의 이해1

4) 체계이론

가족은 여러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전체로 가족체계의 원리는 ‘전체성’에 입각하고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고 보며, 이러한 결과는 가족원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가능하다고 보는 이론이다.

5) 건강가족적 관점

가족의 건강성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건강요인을 파악하여 가족원의 잠재력을 개발,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 성장과 변화를 유도한다. (*건강가족의 공통요소 : 가족의 응집성, 융통성, 의사소통)

3. 가족의 기능과 구조

‘가족의 기능’이란 가족이 수행하는 역할, 행위를 뜻하는 것으로 사회의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시대의 흐름과 문화의 발전에 따라 가족의 가정 내 역할(대내적 기능)이나 사회적 역할(대외적 기능)이

달라지고 있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1) 가족의 기능(역할)

(1) 성적 통제 기능: 성적 무질서를 방지, 결혼을 제도화하는 이유는 성적

관계를 규제하기 위함.

(2) 생식의 기능 : 구성원을 충원하기 위해 재생산하는 기능.

(3) 애정의 기능 : 사랑을 가족으로부터 제공받아야 하기 때문.

(4) 자녀양육과 사회화의 기능 : 사회에서 잘 기능하고, 바람직한 인간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역할.

(5) 지위부여의 기능 : 가족 내 지위부여(출산순위, 성별), 직업 성취에도 중요한 요인

(6) 경제의 기능 : 최초의 생산과 소비

(7) 종교의 기능: 종교적 의례나 형식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매일의 생활에 감사하고 삶의

진리를 깨달으며, 인간 능력의 한계를 겸허하게 인정하고 기도하는 자세로 살아가는 생활 태도를

말한다.

(8) 휴식 및 오락의 기능 : 복잡한 사회생활로 인한 스트레스와 긴장, 갈등을 해소하고 몸과 마음을

쉴 수 있는 안식처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각 가족원의 에너지를 재충전시켜 줌으로써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2) 가족의 구조

* 핵가족: 부부로 구성 또는 부부(또는 한부모)와 그 미혼자녀로 구성

* 직계가족: 부부와 양친(편친)부모와 미혼자녀로 구성

현대사회는 편부모가족, 가족공동체적 가족, 노인공동체, 미혼 남성어른과 다자녀가족, 집합가족,

조부모가족, 등 다양하고 새로운 가족유형이 나타나고 있으며, 증가하는 추세이다.

Page 12: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12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주차 2차시 - 가족의 이해2

가족생활주기단계 특징과제

형성기

신혼기

- 새로운 가정과 부부관계의 기초 확립

- 부모가정과의 협력관계

- 가정의 장기기본계획(교육, 주택, 노후설계)

- 가족계획(임신, 출산준비), 주부의 가사노동 합리화

- 부부와 함께하는 여가 계획, 가계부 기록

유아기

- 유아 중심의 생활 설계, 유치원, 놀이방 활용 계획

- 조부모와의 협력관계, 가사노동의 능률화와 시간의 합리화

- 자녀의 성장에 대한 가계 설계

- 자녀중심의 교육비와 주택 중심을 장기가계 계획 재검토

- 부부역할의 재조정

확대기

학교교육전기

- 가족여가를 위한 지출 계획

- 자녀의 교육비와 부부의 교양비 설계

- 자녀 성장에 따른 용돈계획

- 자녀의 공부방 계획

- 자녀 성장에 따른 부부역할 재검토

학교교육후기

- 단체 활동 참가

- 자녀의 진학과 교육비 계획

- 자녀의 학습 환경 설계

- 수험생 자녀를 위한 의식주 계획

- 자녀의 역할 분담

- 성인교육 참가 계획

축소기 자녀독립기

- 부부관계 재조정

- 부인회 활동 등과 단체 활동에의 적극 참가

- 자녀부부와의 역할 기대 관계 조정

1. 가족생활주기

1) 사회변화에 따른 가족생활주기의 특징

- 가족형성기는 만혼의 추세로 결혼 전 독립기가 길어지고 출산율의 감소로 가족확대기는 짧아지게

되었다.

- 가족확대기는 첫 자녀 출생에서 막내가 태어날 때까지로 종래에는 다산으로 기간이 길었지만

최근에는 저출산으로 짧아졌고 기혼여성들의 취업에 영향을 준다.

- 가족확대 완료기는 막내 출생에서 첫째 결혼까지의 기간으로 보는데 종래보다 길어졌으며, 그

이유는 결혼이 늦어져 자녀를 적게 낳는 반면에 막내 출산은 빨라졌기 때문이다. 부모는

자녀양육과 교육으로 부담이 가장 많은 시기이다.

- 가족축소기는 첫째 결혼에서 막내 결혼까지의 기간으로 자녀가 적기 때문에 모든 자녀가

결혼하기 전까지에는 불과 몇 년밖에 걸리지 않는다. 이때부터 가족은 축소되는 시기에 접어든다. -

이와 같은 가족생활주기의 변화는 사회변화와 가족의 생활 모습과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며,

가족생활주기의 변화 현상은 많은 시사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만혼화 현상과 고학력주의,

부양의식의 변화, 여성 취업의 일반화, 저출산 등의 현상이 나타나지만 이러한 현상은 또

가족생활주기의 변화에 계속적으로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다.

2) 가족생활주기 단계별 발달과업

Page 13: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13

가족복지론 1주차 2차시 - 가족의 이해2

- 노부부를 위한 가계 소득, 지출(저축, 연금, 퇴직금, 재산소득)의

설계 유산분배 계획

- 자녀의 취직, 결혼지도

관계

재정립기노부부기

- 노부생활 설계

- 건강과 취미를 위한 자주적 생활시간 설계

- 사회적 활동시간, 성인병 예방, 건강 증진 계획

- 취미, 문화그룹의 참가, 노인학교, 노인그룹 참가

2. 현대사회의 가족 변화와 특성

1) 현대사회와 가족변화

- 현대사회의 가족 변화 영향 요인은 사회문화적 환경, 산업화, 도시화 등 다양한 요인들을 들 수

있지만 많은 학자들은 산업화, 도시화의 영향력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사실 산업화 이후 급속한

변화를 가져온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을 반박하기도 하는데, 비교문화적 연구와

가족사적 연구에서는 현재의 가족 유형이 과거 가족 유형의 연속이라는 점을 지적하면서 산업화가

가족 변화의 분기점이라는 것에 합의하지 않기도 한다.

- 결국 현대의 가족 유형은 적어도 자신의 과거와 그 가족이 처해 있는 경제적 상황에 따라

결정되는 것(유영주 외, 2004)으로 파악해야 함을 말한다. 산업화 이후 현대까지의 사회변동 중

하나는 정보화사회 환경으로, 사회관계뿐만 아니라 가족관계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리라고 본다.

① 산업화 가족

- 가족의 기능을 축소 또는 변화

- 자녀의 사회화와 애정 등 정서적 측면은 사회로 이전될 수 없고 어떤 사회적 관계에서도

충족시킬 수 없는 영역이므로 가족의 중요성이 더욱 강화 , 사회가 경쟁적이고 비인간적인 요소로

팽배해 질수록 가족의 고유 영역으로 한정.

- 변화의 핵심, 평등한 가족관계, 가족유대와 결속력의 약화, 가족구성원의 개인주의화

- 여성의 경제력 확보, 가정 내 지위와 가족생활 변화, 남녀 간 역할분담의 재편성에 의해 가사를

전담하는 남편, 양성평등을 위한 사회적 노력과 각종 법 개정과 더불어 부계제의 친족관계가

양계제를 향함.

② 정보화 사회의 사회적 관계

- 느슨하면서도 자율적 사회관계의 확산

- 남성과 여성 간의 상호 독립성의 증대

- 세대 간 독립의식의 증대 : 정보의 접근성과 정보 해독에서 젊은 세대가 기성세대를 능가하고

압도해 버리는 현실

③ 정보화 사회의 가족

- 가족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 CMC)과 가상 공동체.

- 가상공동체는 가상공간에 출현하는 집단들로 서로 관심과 유사한 목표를

추구하는 사람들끼리 구축해 나가는 경향을 갖는다.

Page 14: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14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주차 2차시 - 가족의 이해2

2) 한국 가족의 변화적 특성

① 가족의 형태적 측면

- 핵가족, 소인수 가족으로 가족 규모가 축소. 핵가족의 형태는 과거 대가족관계에서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는 인간관계의 기초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박탈.

- 현대가족은 물리적 단절로 친족들과 친족이 감소, 심리적 지원과 상호부조의 정신이 약화.

- 배우자 선택에 있어서 결혼은 두 당사자 사이의 문제로 한정되고 이성이 만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짐에 따라 자유연애 결혼의 형태가 보편화.

- 연령을 불문하고 부부만의 독립된 가구를 선호하게 되었다.

- 남녀평등사상에 따라 가계계승이 부계단위인 만큼 인간관계의 범위가 부부와 자녀의 관계로

옮겨졌다.

② 가족의 기능적 측면

- 경제적 기능: 가족의 생산 기능 약화와 소비 단위로서의 기능 강화로 다양한 상품 중에서 어떻게

현명하게 물자 구입을 해서 소비하느냐가 가장 큰 문제.

- 자녀양육 및 사회화 기능 : 부모는 출산을 , 양육은 전문적 시설로.

- 성적 및 재생산 기능 : 자녀 생산에 대한 선택적 사고

- 정서적 치료적 기능 : 현대사회의 경제적 사회관계가 긴장이 높아짐에 따라 완화와 정서적

위로를 위한 공감으로서 가정의 중요성이 강조.

- 여가의 기능 : 가족원 간의 공유 시간이 줄어듦에 따라 대화와 접촉 부족으로 인해 가족이

문제가 되고 있다.

* 가족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가족문화 프로그램이나 가족 단위 봉사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의

필요성이 제안.

▶ Duvall(1977)은 가족의 기능 중, 인간의 발달과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단위로서의 기능에

중점을 두고, 현대가족의 기능으로 특히

(1) 가족 간의 애정

(2) 가족의 안정과 수용(인정, 용납)

(3) 가족의 만족감과 목표 달성

(4) 동료감과 협동감의 지속

(5) 사회적 역할 수행과 사회화

(6) 올바른 가치관의 확립 등을 강조하고 있다.

③ 가족생활주기상 측면

- 결혼 연령이 높아지고 독신을 선택하는 경향도 증가하고 있다.

- 자녀의 출산율이 낮아지고 있다.

- 가족 축소기 이후 두 부부만 남는 ‘빈 둥지 시기’가 급격히 확대되는 변화를 보인다.

④ 가족 가치관의 측면

- 권위주의적 가치, 인간관계와 사회윤리를 규정하는 기본 원리는 철저하게 상하 위계적인

서열관계로 인식되고 조작되어있었다.

- 집합주의적 가치, 개인의 사회적 지위는 그가 어떤 신분의 가족에서 태어났느냐에 따라

귀속적으로 결정되었으나 현대는 개인의 업적이나 성취에 의해 획득.

- 인본주의적 가치, 인복주의는 물질적 가치보다 정신적 가치, 인간적 가치를 강조하는 것.

Page 15: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15

가족복지론 1주차 2차시 - 가족의 이해2

3) 미래가족의 방향

- 첫째, 가족의 다양화로 획일적 가족생활을 영위하는 일이 없이 한 사람의 일생 동안 나름대로의

여러 형태의 가족을 경험할 것.

- 둘째, 취업 여성의 증가 현상에 따라 맞벌이가족이 새로운 유형.

- 셋째, 현대 과학은 남자 없이도 여성의 난자만으로 아이를 낳을 수 있다고 봄.

- 넷째, 정보화 사회의 컴퓨터는 부작용도 있지만 인간생활, 직업 역할의 영역에서는 생산을 위해

직장에 있는 시간을 줄여 주고 여가활동 시간을 대폭 증가 시켜 주며 직장과 가정이 구별되지 않는

전자주택의 시대를 열어주었고 갈수록 재택근무자가 늘어 갈 전망.

- 다섯째, 앞으로는 정보의 세계화로 인해 결혼과 가족에 있어서 동서양의 뚜렷한 구분 보다는

각각의 장점을 살린 생활양식을 취할 것.

- 여섯째, “미래에도 결혼과 가족제도는 유지될 것인가?” 라는 질문에 아마도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그래 왔던 것처럼 어떠한 형태로든 유지될 것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지금의 형태가

유력하게 지속될 것.

Page 16: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16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2주차 1차시 - 가족복지의 이해1

1. 가족복지의 이해

1) 가족복지의 개념

* 김만두 : 가족의 집단성을 확립, 개개 가족 구성원의 인격의 성장과 발달을 원조, 항상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하여 적극적인 적응 능력을 가질 수 있는 대사회적으로 적응하는 가족으로서의

확립이라고 하는 목표를 가지고 전개하는 활동

* 김형모 : 가족의 생활을 강화, 가족 내의 관계와 가족 성원의 사회적응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정부와 민간이 개입을 행하는 사회적 대책.

→ 가족복지

- 가족의 욕구를 자력으로 충족하도록 잠재력을 개발

- 가족문제의 예방 및 해결,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동원한 제도적, 정책적, 기술적 서비스 가족

구성원 개인이나 가족 전체에 관심을 두는 과정

- 구체적인 실천 활동까지 포함하는 개념

2) 가족복지의 의의

- 가족과 국가와의 관계- 사회는 가족을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단위, 사회가 가족의 기능과 구조 →

가족의 존속과 발전을 위해서 필요

- 사회변동에 따라 가족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경우 사회를 대표하는 실체인

국가가 가족의 복지 기능을 강화, 보완 또는 대리하기 위한 제도적인 노력 → 복지국가를 성립

- 가족기능의 일부를 사회의 다른 제도가 수행할 수 는 있지만, 다양하고 복합적 기능을

일시적으로는 몰라도 장기적으로 대행하여 수행할 수 있는 사회체계는 없다는데 가족복지의 의의가

있다.

3) 가족복지의 목표

▶ 목표

- 가족복지가 추구하는 목표는 한 사회의 경제, 정치 및 역사적 배경에 따라 그 목표에도 다양한

변화가 있을 수 있다.

- 일반적인 목표는 개인과 가족의 복지-자유, 권리 보장, 정의, 사회적 통합, 효율성, 평등성 등이

가족복지의 목표가 될 수 있다.

(1) 가족의 안녕 도모

* 가족복지는 개인 및 가족의 안녕을 도모.

* 가족의 문제와 욕구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

(2) 가족원 간의 권리 보장과 평등 증진

* 현행의 가족 관련 법률에 가족정책은 가족간의 권리 보장과 평등의 증진이라는 목표를

반영하는데 아직 미진.

* 다양한 가족원 간의 문제 (예를 들면 학대 및 유기 문제 등)를 해결하고 예방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장치가 가족원의 권리와 평등을 보장하는 데 목표를 둔 정책- 실천이 이루어져야

한다.

Page 17: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17

가족복지론 2주차 1차시 - 가족복지의 이해1

(3) 새로운 가족 형태의 인정

* 새로운 가족 형태의 출현을 인정하고 이를 위한 정책 전통적인 직계가족, 핵가족뿐, 새로이

나타나고 있는 한부모가족, 소년소녀가족, 노인단독가족 등의 가족 형태에 대한 인정과 이들의

기능을 보완하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해 나가야 한다.

(4) 사회문제의 근본 해결

* 사회복지의 시작은 바로 가족의 문제 해결. 인간이 끊임없이 추구해 온 가치, 즉 평등과 자유의

개념을 실현하는 수단이 되며 이를 통한 사회변화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2. 가족복지의 대상

1) 가족복지의 대상

- 국가와 가족의 입장에서 본 가족의 문제와 가족의 욕구.

- 가족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가족의 문제가 사회문제가 되므로 욕구와 문제는 밀접한 관련.

- 가족복지의 대상은 가족의 구조와 기능, 가족의 주기에 따라 구체적으로 다음 세 가지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성영혜․송주미, 1997).

◌ 첫째. 가족구조상의 특성에 따른 대상: 맞벌이가족, 미혼모가족, 이혼 및 재혼가족,

소년소녀가족, 노인가족, 핵가족 등 가족의 구조상의 다양화

◌ 둘째. 가족기능상의 문제에 따른 대상:학대, 알코올중독이나 약물중독, 청소년 비행 및

실직으로 인한 소득의 상실 등 가족이 지닌 병리적이거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기능상의 결손을

경험하는 가족과 장애로 인한 심리적․의료적 문제를 겪고 있는 가족의 경우.

◌ 셋째. 가족의 주기에 따라 다양한 욕구에 따른 대상:부부만의 시기, 자녀 출산 및 양육기,

미취학아동기, 학동기, 청소년기, 독립기, 중년기, 노년기 등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복지 개입을

다르게 한다.

* 인구추세: 유년인구(0-14세) 감소, 노령인구(65세 이상) 증가, 평균수명의 연장 : 74.4세

2002년 -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7.9%,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2019년 - 14.4%에 도달,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할 전망

2030년 - 노인인구가 1,000만 명을 넘어 전 인구의 1/5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

▶ 초고령사회 통계청, 1997

→ 우리나라 고령사회 진입속도는 세계적으로 빠른 수준으로, 향후 보건, 의료, 복지 등의 문제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 --> 노인부양 부담 증가 

2002년 - 노인부양비(노인인구/생산연령인구)는 11.1%, 인구 9명 중 1명이 노인을 부양해야 함.

2019년 - 19.8%로 증가, 약 2명의 노인을 부양

2) 가족의 욕구와 가족문제

‣ 가족의 욕구

소득과 의료, 교육, 주택 및 조세정책에 의한 욕구 해결뿐만 아니라 전문적 사회복지서비스로

인한 해결 가능한 욕구 모두.

‣ 가족의 문제

빈곤과 같은 경제적 문제와 각종 질병과 장애와 같은 의료 및 심리적 문제, 이혼, 미혼부모,

독신가족 등 가족구조상의 문제

Page 18: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18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2주차 1차시 - 가족복지의 이해1

(1) 가족의 욕구

- 욕구(needs)란 어떠한 목적을 위해 좋은 것, 필요한 것 또는 필수적인 것이 결여되거나 결핍된

상태를 지칭한다. 해결되어야 할 문제(problem)라는 의미로 볼 때 욕구와 문제는 같은 의미로

사용.

○ 첫째, 사람이 일생을 영위하는 데 연령별 혹은 생애의 시기별로 욕구가 다양

○ 둘째, 인간의 생활 전반에 걸쳐 또한 생애 전반에 걸쳐 국가는 국민의 욕구 해결을 위해, 국가나

사회가 원조하여야 한다는 측면이 강하게 부각되었기 때문.

(2) 가족문제

- 문제(problem)란 해결 욕구를 유발시키는 불만족스런 상태 또는 조건을 지칭, 가족복지에서

문제는 일단 가족 욕구와 연관.

- 문제와 욕구는 일대일(1:1)의 대응관계를 지니고 있어 가족복지를 통한 욕구 충족은 문제

해결과 예방으로 연결, 인간다운 생활의 보장이라는 목표 달성으로 연결.

* 가족문제의 정의

- 청소년 약물남용의 문제, 가정폭력문제, 한부모 가족문제, 소년소녀가족의 문제, 장애인 문제,

노인문제와 성의 자유화로 인한 미혼모와 그 자녀의 문제, 배우자 부정문제, 별거, 이혼 등

가족해체문제 등 가족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

- 산업화 발전에 따른 물질적 풍요로움, 높은 소비수준 등의 분위기를 사회적으로 즐기고 있는,

경제적 발전이라는 사회 이면에는 여러 가지 사회문제도 동시에 등장.

- 가족문제는 사회문제, 사회문제란 영향력 있는 집단이 특정한 사회현상을 두고서 그것이

사회가치관을 저해한다고 규정할 때, 주체로는 국가 및 민간조직. 민간조직으로는 각종

사회복지기관과 단체 및 종교기관.

* 가족문제의 성격

: 가족규모의 축소와 노인․소년소녀가족가구등의 단독가구의 증가, 여성의 취업 증가로 인한 가족

내의 아동, 장애인, 노인 등에 대한 보호 기능의 약화 현상, 이혼율의 증가, 개인주의적 가치관의

발달, 가족관계의 평등화 경향, 가족과 관련된 사회병리 현상의 증가 등.

① 경제적 부양 문제:가족소득의 문제, 가정의 빈곤문제, 가족구조상 취업 여성의 증가, 가족

간의 빈부 차이에 의한 상대적 박탈감

② 가족의 보호 기능 약화 문제:핵가족화에 따른 약자 가족성원(약자:어린이, 노인, 장애인)에

대한 가족의 보호 기능이 약화되는 데서 오는 문제가 증가, 가족공동체로서의 사회화, 정서적

지지의 기능 수행이 점점 약화.

③ 가족의 통제 기능 약화 혹은 상실 문제:부부불화문제, 고부관계문제, 배우자 부정문제,

배우자(아내 혹은 남편) 학대와 아동학대 등의 가정폭력문제를 들 수 있다.

④ 결손가정의 증가에 따른 문제:부부의 별거 혹은 이혼의 증가, 배우자 부정, 또는 향락산업의

발달 등으로 결손가정이 증가. 정신적․정서적․심리적장애아동, 가출 및 비행청소년 등의 문제아동

수가 증가하는 문제. 이들 가족원의 각종 심리적․경제적․사회적문제와 또는 소외문제 약화되고

변질된 가족의 기능을 보완, 대체해 주어야 할 사회복지제도와 서비스는 그 양과 질이 미약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역부족인 상황.

Page 19: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19

가족복지론 2주차 2차시 -가족복지의 이해2

1. 가족복지의 실천방법론

1) 가족복지의 주체

* 가족복지의 담당자는 누구인가?

- 가족의 복지의 주체는 개인 및 가족, 국가, 기업 및 민간단체

* 전통적 우리나라 가족복지의 주체를 가족 또는 부부(부모)로 생각.

* 복지의 주체는 국가만도 아니고, 가족 자체도 아니며 민간 차원의 노력만으로도 불가능하다.

세계경제의 변화는 복지와도 직결되어 있어 국가는 민간의 복지참여를 더욱 유도할 것.

* 자본주의 사회에서 민간복지의 대표적 주체는 기업이다. 근로자 복지는 자녀를 위한

직장보육사업의 참여, 여성에 관한 고용평등과 모성보호를 위한 조치 및 의료 및 노후보장을 위한

기업복지가 가족복지에 기여한다. 자원봉사를 통한 가족복지 구현-지발적인 복지참여

2) 가족사회사업

(1) 가족사회사업의 목적

① 가족이 변화에 대한 준비를 갖추도록 가족의 강점 강화(혹은 개입)

② 가족이 효과적인 가족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족치료 이후 추가 지원을 제공

③ 효과적이고 만족스러운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가족 기능에 구체적 변화를 창출하는 것

등의 구체적 목표.

(2) 가족사회사업의 특성

* 가족의 일상생활과 일상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가정과 지역사회에 기반.

* 가정은 문제가 발생하는 곳이기도 하지만 해결책이 모색될 수 있는 세팅.

* 가족사회사업의 궁극적 목적은 지지, 교육 , 새로운 기술의 발달을 통해서 가족원들에게 보다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환경을 발달시키는 것.

3) 가족치료

* 발달 초기에 주로 정신질환자. 가족의 역기능적 관계 유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접근.

* 점차 전반적인 가족문제의 해결을 위한 접근 방법으로 활용

(1) 가족치료의 개념

* 인간문제의 원인을 개인적 요인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가족 성원 간의 관계의 문제로 보고

해결하고자 하는 접근, ‘환경 속의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방법. 그리고 한 개인에게 나타나는

문제나 증상을 가족원 간의 밀접한 상호작용의 문제.

(2) 대 상

* 아이들의 정서적․행동적문제, 학교부적응 문제, 우울증, 불안증, 가족 성원 간의 의사소통문제,

폭력 및 강한 적개심 등의 분노 조절 문제

* 결혼 및 가정생활에 대한 지속적인 불만족의 문제, 가족생활주기상의 변화에 따른 적응상의

문제, 결혼이나 가정생활의 향상을 원하는 것 등의 다양한 범주가 모두 가족치료의 대상.

Page 20: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20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2주차 2차시 -가족복지의 이해2

4) 가족사회복지사의 역할

① 감정이입적 지지자의 역할

- 가족사회복지사의 주도적 철학은 가족의 강점을 규명해서 강화하는 것이며 강점을 알리는 것은

가족사회복지사가 가족과 동참할 수 있게 하고 변화를 향한 동기와 낙관주의를 창출할 수 있는

유대를 발달시킬 수 있게 한다. 모든 가족은 강점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족사회복지사는 일차적으로 가족문제에 초점을 둠으로써 역기능을 강화하게 될 수도 있는

역기능과 병리문제에 사로잡히는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② 교사․훈련자의 역할

- 가족이 결핍되어 있거나 기술 또는 지식에서 부족한 영역을 가족사회복지사가 배양하도록 돕는

것이다. 문제가 될 수 있는 영역은 의사소통, 부모역할 기술, 문제해결, 분노 조절, 갈등 해결, 가치

명료화, 금전 관리, 일상생활기술 등에서의 결핍을 포함한다. 때로 교사의 역할은 부모가 자녀에게

언어로 징계하는 것을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부모-자녀 상호작용으로 대체하도록 돕는 데 관여하며

가족사회복지사는 부모가 긍정적 행동을 강화하고 부정적이고 비난받는 행동을 못하게 함으로써

아동의 문제행동을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부모를 교육한다.

③ 자문가의 역할

- 가족사회복지사는 현재 진행되는 특정 문제에 대해서 가족에게 조언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은 일반적으로 잘 기능해 왔지만, 자녀가 청소년기에 들어서면서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어려운

시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족사회복지사는 상담자로서, 부모에게 전형적이고 또는 정상적인

10대 행동에 관한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족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사 이외의 다른

곳에서 전혀 이러한 피드백을 받을 수 없는 부모와 자녀들에게 지속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④ 가능하게 하는 자의 역할

- 가족사회복지사는 가족이 다른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기회를 확장해 줄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가족에게 알려 주고 이들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그 가족의 능력과

힘을 강화시켜 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민가족은 그들의 특수한 욕구에 적절한 다양한 서비스와

친근하지 않을 수 있다.

⑤ 동원자의 역할

- 가족사회복지사는 돕는 자원의 사회관계망에서 사회복지사의 고유한 위치를 점한다. 또한 가족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지역집단과 자원들에 관여하면서 이를 활성화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가족과

함께 일하도록 지역복지관을 동원할 수 있다.

⑥ 중재자의 역할

- 가족사회복지사는 갈등이 일어나는 양편 사이에서 스트레스와 갈등을 다룬다. 또한 가족이

지역사회와 갈등에 직면할 때 해결을 중재할 수 있고, 또는 더 좁은 수준에서 갈등관계에 있는

가족구성원 간을 중재할 수도 있다.

Page 21: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21

가족복지론 2주차 2차시 -가족복지의 이해2

⑦ 옹호자의 역할

- 가족사회복지사는 때론 클라이언트 가족을 위해 행동을 취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족문제가 보다

넓은 사회맥락에서 어떤 조건에 근거하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고유한 위치에 있다.

5) 가족복지서비스

(1) 가족기능 지원서비스

- 가족에 대한 지지적 서비스(supportive service)로, 가족상담과 가족치료서비스, 가족생활교육 및

부모교육서비스, 문화 또는 여가생활 및 각종의 생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등이 있다.

(2) 가족기능 보충서비스

- 가족문제를 해결하여 가족이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사회가 가족의 기능을 일부 보충해 주는

서비스(supplementary service). 가족의 기능을 보충해 주는 서비스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저소득층 가정에 제공되는 보호.

(3) 가족기능 대리서비스

- 가족 스스로가 그들이 당면한 문제를 도저히 극복하거나 해결할 수 없을 때에 가족의 기능을

전적으로 대리하는 서비스(substitute service)로, 일시 또는 장기간의 가정위탁보호, 입양, 노인 및

장애인이나 아동을 수용하는 시설보호 등.

Page 22: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22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3주차 1차시 - 가족정책적 접근방법1

1. 가족과 복지국가

- 가족과 복지국가의 관계에 대한 비교연구를 시도한 에스핑-앤더슨은 복지의 책임 소재를

분석하였다. 복지의 책임이 가족에게 어느 정도 있는가, 이러한 책임과 시장과는 어떠한 관계에

놓여있는가, 그리고 가족과 시장이 국가와는 어떠한 관계를 맺어나가는가 등의 가족관련 변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가족중심의 책임을 강조하는 가족주의(familialism)와 가족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탈가족화(de-familization)의 양축을 중심으로 서구국가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족 스스로의 책임과 가족의 기능을 강조하고, 가족의 책임 수행이 어려울 때 국가가 개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가족주의 체제는 이탈리아나 독일이 포함된다. 이에 반하여 탈가족주의는 주로

북구유럽 국가들에서 나타나는데, 가족의 부양 및 자녀양육의 책임은 당연히 국가에게 있음을

인지하고 이러한 근거 하에 가족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 또한 국가와 시장경제, 그리고 가족 간의 관계에는 몇 가지 다른 유형을 발견하였다. 복지국가의

형태를 탈상품화(decommodification) 정도에 따라 자유주의 복지체제(liberal welfare state),

조합주의 체제(corporatist regime), 사회민주주의 체제(social democratic regime)로 분류하였다.

1) 자유주의 복지체제

l 이 모델에서는 사회적 개혁이 전통적인 자유주의적 노동의식규범에 의하여 제약을 받으며,

급여의 대상은 곧 저소득층에 집중되며, 급여대상 자격기준은 매우 까다롭다. 따라서

급여대상자에게 복지서비스가 혜택이라기보다는 사회적 낙인으로 남게 된다.

l 국가는 시장체계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적인 복지체계를 대신한다. 그리하여 노동의 탈상품화의

효과를 최소화하고 다양한 사회계층을 유발시킨다. 복지수혜자들은 빈곤의 평등을 경험하게

되지만, 시장에서의 역할에 따라 복지혜택도 다르게 된다.

l 이러한 체제에서는 전통적인 가족의 기능과 역할이 강조되면서 가족이 복지의 제1차적인

책임을 진다. 가족의 책임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국가의 개입이 이루어지며, 그것도

최소한의 개입에 그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체제는 미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 볼 수 있다.

2) 조합주의 복지체제

l 조합주의 체제는 역사적인 조합주의적 국가체제의 잔여인데 새로운 신산업주의 계급구조와

맞물려 나타난 것이다. 시장의 효율성이나 노동의 상품성은 큰 관심사가 아니며 사회권 여부도

논의대상이 아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계층 차이를 얼마나 유지하는가 하는 문제이며, 모든

권리가 계층과 지위에 달려 있다. 여기서는 국가가 주된 사회복지 제공자의 역할을 도맡아

하므로 민간주도하의 복지가 상대적으로 덜 강조된다. 사적보험이나 직업상의 혜택은 복지의

역할을 담당하지 못하며 계층 차이를 강조하는 국가의 정책으로 인하여 부의 재분배효과는 그리

크지 못하다.

l 조합주의 체제는 전통적인 가족주의를 고수하며 개인에 대한 복지의 일차적 책임을 가족에

두고, 자유주의 복지체제와 마찬가지로 국가는 이차적인 책임을 담당할 뿐이다. 전업주부는

사회보험에서 제외되며, 가족관련 급여만이 모성을 보호한다. 보육이나 기타 이와 유사한 각종

가족복지서비스들은 매우 미흡한 실정으로, 가족이 기능을 다하지 못할 때에만 국가가 개입하는

최소한의 복지가 행하여진다. 이러한 체제는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그리고 이탈리아에서 볼

수 있는데, 가족기능을 충분히 보완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유주의 복지체제와 크게

다르지는 않다.

Page 23: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23

가족복지론 3주차 1차시 - 가족정책적 접근방법1

3) 사회민주주의 복지체제

l 사회민주주의 체제에서는 보편주의 원칙과 사회권의 탈상품화가 신중산층에게까지 확대되어

있으며, 국가가 복지의 중심 역할을 담당한다. 국가와 시장 혹은 노동자계층과 중산층이라는

이중성을 허용하지 않고, 최소한의 욕구의 평등성보다는 최고 수준의 평등성을 추구한다. 각종

가족관련 복지서비스는 신중산층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수준까지 높인다. 또한 사회의

모든 계층이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하나의 복지체계에 포함되며, 시장이나 민간부분의 역할은

최소한으로 이루어진다. 사회구성원이 모두 함께 복지혜택을 받는 동시에 복지비용을 지불해야

할 책임도 지닌다.

l 사회민주주의 체제에서는 가족의 기능에 보완하는 정책이 아니라 가족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가족 기능의 사회화에 국가가 앞장을 선다. 그리하여 국가는 가족복지정책을 통하여

사회구성원들에게 사적 생활을 영위해나가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가족 관련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해나가는 책임을 다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등의 북구유럽에서

볼 수 있다.

2. 가족복지정책의 개념

l 가족복지를 현실에서 실현하기 위하여서는 가족복지정책이 구체화되어야 한다. 즉,

가족복지정책은 가족복지를 현장에서 실천하는 제도적․법적인 틀을 제시하고, 다른 영역과의

상호관계를 통하여 가족복지의 효율성을 높이는 정책이다. 가족복지정책은 가족의 실체를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따라 다른 입장을 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족을 바라보는 시각은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남성과 여성이 만나 자녀를 낳고 생활하는 사적인 개념의

가족(개인중심 가족), 사회구성원을 양육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사회적 가족의 개념(사회적 가족),

사회변화에 따른 정치적 도구로의 공공 개념의 가족(공공가족) 등 다양한 가족의 실체가

존재한다.

l 가족에 대한 공공 개념에 기초한 가족정책은 ‘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사회가

가족에 대해 원하는 바가 무엇인가를 묻고, 원하는 것과 현재 가지고 있는 것을 구별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새로운 인간유대의 실현을 추구하는 의도적인 일련의 정책’을 의미한다(이혜경,

1996). 이러한 정책을 사회복지정책이라는 틀에서 볼 때는 곧 가족복지정책이라고 볼 수도 있다.

3. 가족복지정책의 유형

▶ 1) 가족복지정책을 유형으로 나누어 보면, 각국을 비교하기 쉽고 또한 각국의 가족복지정책

실현에 있어서 사회적 정당성 및 가치관을 엿볼 수 있다. 전통적인 가족 기능이 약화된 가족을

비정상적 가족으로 보고 이에 대한 보완과 대체를 추구하는 정책인가, 아니면 실질적인 가족의

변화를 인정하고 수용하여 새로운 가족형태에 적용 가능한 정책을 추구하는가에 따라서

가족복지정책은 차이가 난다. 가족복지정책에 대한 가장 보편적인 접근은 카머만과 칸(Kamerman

& Kahn, 1978)이 제시한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이들은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국가의 공적 정책을

가족정책이라고 설명하면서, 서구의 14개 국가의 가족복지 관련 정책을 비교 분석한 결과 상이한

유형을 제시하였다.

- 첫째, 가족복지정책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의 한 분야(as a field)로 보는 유형이다. 즉,

가족복지정책을 하나의 정책 영역으로서 인식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여 그 정책을

이루어나가는 형태를 의미한다. 가족정책을 포괄적인 다른 사회문제해결 정책의 한분야로 다루면서

특히 다른 정책들과의 연계성을 강조하게 된다. 가령 아동정책, 보육정책, 빈곤가족정책, 여성정책,

주택정책 및 고용정책 등과 관련된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들이 이에 해당된다.

Page 24: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24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3주차 1차시 - 가족정책적 접근방법1

- 둘째, 정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가족정책을 하나의 매개체로 활용하는 것으로서

가족정책의 독립적인 영역보다는 다른 정책을 보조하는 잔여적인 성향이 강하다. 가령 부족한

노동인력을 위한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을 장려하기 위하여 모성보호제도나 보육시설 증가 정책을

시도하다가, 실업률이 높아지면, 다시 여성의 가정내 역할을 강조하는 등의 정책들이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저출산․ 고령화사회를 탈피하기 위한 관련정책들은 이에 해당된다.

- 셋째, 가족복지정책을 다른 사회정책의 선택 및 정책평가의 기준이나 관점(as a criterion or

perspective)으로 접근하는 유형이다. 이 유형은 사회구성원들의 전반적인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가족이 가장 접근하기 용이하고 정책효과가 크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다른 정책(가령

노동정책, 의료정책, 교통정책, 주거정책 등)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가족의 전반적 복지를 기준으로

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경우이다.

○ 위의 세 유형은 가족복지정책의 궁극적 목표를 어디에 두는가에 대한 관점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가족을 정책의 직접적 대상단위로 한다는 점, 그리고 가족구성원 개개인이 아니라 가족을

하나의 통합적 단위로 보고 접근한다는 점은 일치한다. 이러한 일치점은 가족복지정책이 아동,

여성, 노인 혹은 장애인을 위한 복지와는 다른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일깨워준다. 특정

개별집단에 대한 복지정책은 그 집단의 욕구에 민감하게 대응하게 마련이고, 다른 집단과의

이해관계에 있어서 충돌이 생기는 경우에 상호협조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가족복지정책은 이 모든

집단을 포함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사회의 기본단위인 가족의 복지를 증진시킴으로써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이상적인 사회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2) 가족정책의 목표의 명료성이나 의도의 명시성에 따른 가족복지정책의 범주 분류

- 첫째, 명시적 가족정책을 정부나 행정기관이 특정한 기획과 정책을 수행할 때 정책의 수혜대상이

가족이라고 분명하게 제시하고, 가족을 위하여 추구하고자 하는 목표가 구체적이고 명확한

정책(북구유럽, 프랑스).

- 둘째, 묵시적 가족정책을 가족정책 이외의 다른 영역에서 행해진 정책들이 가족에게 영향을 주는

정책(영국이나 미국).

▶ 3) 권위주의 모델 : 가족의 형태나 행동약식을 국가가 원하는 방향으로 강화하기 위한 정책과

법적 조치를 취하는 모델.

▶ 4) 자유방임모델 : 국가가 가족에 대한 간섭을 하지 않고, 사적인 영역을 보호함으로써 특별한

가족정책을 제시하지 않는 모델.

▶ 5) 중간개입모델 : 앞의 두 모델의 중간유형으로서 가족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적절한 수준에서

인정하고 가족통제를 도하면서도, 가족의 자율적인 측면을 존중하면서 가족기능의 보완내지는

대체정책을 제시

▶ 6) 국가와 가족의 정책적 협조를 하여 국가의 통제 정도에 따라서 5가지 유형

① 특정영역에서 가족생활을 통제하는 유형

② 긍정적 인센티브를 활용함으로써 국가가 원하는 방향으로 가족행동을 촉진시키는 유형

③ 제한적인 가설 에서 묵시적인 가족정책을 활용함으로써 직접적인 통제는 없지만 가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④ 가족을 대체하거나 가족을 측면에서 지원하는 유형

⑤ 명확한 정책방향을 정하지 않고 가족의 변화에 따른 수요와 욕구에 대응하는 유형

Page 25: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25

가족복지론 3주차 1차시 - 가족정책적 접근방법1

▶ 7) 국내 학자들의 주장

- 최경석(2001)은 가족복지정책은 국가의 역할에 따라 구분된다고 하였다. 즉, 가족복지를 위하여

국가는 최소한의 책임을 지고, 가족이나 친족들이 주요 책임을 지는 형태 혹은 국가가 정책 기준을

제시하여 기준에 적합한 가족을 지원하는 형태, 그리고 전반적인 가족 친화적인 복지국가를

실현하기 위한 국가의 주도적 역할 형태 등으로 분류하였다.

Page 26: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26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3주차 2차시 - 가족정책적 접근방법2

1. 우리나라의 가족복지정책

1) 가족복지정책의 기본계획

*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의 가족가치관의 현주소는 무엇인가?

* 인구 및 가족구조는 어떤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가?

* 출산력의 변화와 고령화 속도는 어느 정도인가?

* 노동시장에서의 노동력 수요와 공급은 어떠한가?

*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어떠한가? 이에 따른 보육지원은 어떠한가?

* 결혼, 이혼 그리고 재혼실태는 어떠한가?

* 새로운 가족형태의 출현과 증가 추세는 어떠한가?

* 가족의 병리현상은 어떠한가?

* 가족 및 사회에서의 양성평등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 임금노동과 돌봄 노동의 사회적 인식은 어떠한가?

2) 가족복지정책의 필요성

- 첫째, 개별가족의 기능적 과부하를 초래.

- 둘째, 가족형태 혹은 가치관이 다양해짐으로써 예전과 같은 획일 적인 대응방안이 더 이상

효율성을 발휘할 수 없다는 것.

- 셋째, 가족정책은 사회의 성장 원동력인 인적자원개발을 위해서도 필요한 점.

3) 가족관련 정책들이 미비한 이유

- 첫째, 지금까지의 가족정책 혹은 가족복지정책은 가족의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소위 “요보호가족”에 대한 정책을 위주로 함으로써 극지 제한적인 정책을

펼쳐왔기 때문

- 둘째, 이러한 제한적인 정책들조차 대부분 사후개입을 원칙으로 하여 문제가 발생한 후에 비로소

지원을 하는 매우 소극적인 정책

- 셋째, 가족관련 정책들이 정부부서의 다양한 곳에서 파편적으로 다루어져서 정책의 일관성이

결여되고 정책의 책임소재도 모호.

4) 가족정책의 6가지 영역

① 가족에 다양한 지원 확립

② 안전한 가족생활 보장

③ 열린 가족문화 조성

④ 돌봄 노동의 사회분담체계 구축

⑤ 가족 친화적 사회 환경 조성

⑥ 가족정책 추진 인프라 구축

5) 건강가족기본법(2004년에 제정되어 2005년 1월1일부터 시행)

(1) 입법 목적과 이념

- 제 1장 1조 “이 법은 건강한 가정생활의 영위와 가족의 유지 및 발전을 위한 국민의 권리

의무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책임을 명백히 하고 가정문제의 적절한 해결방안을 강구하며,

가족구성원의 복지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지원정책을 강화함으로써 건강가정 구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age 27: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27

가족복지론 3주차 2차시 - 가족정책적 접근방법2

- 제 2조 “가정은 개인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사회 통합을 위하여 기능할 수 있도록

유지, 발전되어야 한다.”

(2) 주요조직

제2장에서는 건강가정정책을 구체적으로 규정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국무총리 소속하의

중앙건강가정정책위원회를 설치하여 건강가정에 관한 주요 시책들을 심의 담당하도록 하고, 각

시도에 시도건강가정위원회를 두어 구체적인 건강가정정책의 실행에 관련된 주요사항들을

심의하도록 규정하였다.

▶ 중앙건강가정정책위원회에서 심의하는 건강가정에 관한 주요 시책

① 건강가정 기본계획 수립 빛 시행에 관한 사항

② 건강가정을 위한 중장비 발전방향

③ 건강가정제도의 개성에 관한 사항

④ 건강가정정책의 평가

⑤ 건강가정 전담인력의 선발과 관리에 관한 기본법안

⑥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및 비용부담

⑦ 그 밖에 위원장이 부의하는 사항

▶ 시도 위원회에서 심의하는 사항

① 건강가정에 관한 시행계획의 심의

② 건강가정을 위한 재정지원

③ 건강가정과 관련된 사업

④ 그 밖에 위원장이 부의하는 사항

▶ 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① 가족 기능의 강화 및 가정의 잠재력 개발을 통한 가정의 자립 증진대책

② 사회통합과 문화계승을 위한 가족공동체 문화 조성

③ 다양한 가족의 욕구충족을 통한 건강가정 구현

④ 민주적인 가족관계와 양성평등적인 역할 분담

⑤ 가정친화적인 사회 환경의 조성

⑥ 가족의 양육 부양 등의 부담완화와 가족해체 예방을 통한 사회 비용 절감

⑦ 위기가족에 대한 긴급 지원책

⑧ 가족의 건강증진을 통한 건강사회 구현

⑨ 가족지원정책의 추진과 관련한 재정조달 방안

(3) 건강가정사업

= 제 21조에서 33조까지 규정되어 있는 건강가정사업의 내용

제21조 가정에 대한 지원

제22조 자녀양육지원강화

제23조 가족단위 복지 증진

제24조 가족의 건강증진

제25조 가족 부양 지원

제26조 민주적이고 양성평등한 가족관계 증진

제27조 가족 단위의 시민적 역할

Page 28: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28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3주차 2차시 - 가족정책적 접근방법2

제28조 가정생활 문화발전

제29조 가정의례

제30조 가정봉사원

제31조 이혼예방 및 이혼가정 지원

제32조 건강가정교육

제33조 자원봉사활동 지원

(4) 건강가정사업의 전달체계

* 제4장은 건강가정 전담조직에 대한 규정으로서 가족정책사업에 대한 포괄적인 전달체계를 명시.

* 제 5장 보칙 제 36조에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건강가정사업을 수행하는 단체 또는 개인에

대하여 필요한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조하거나 그 업무수행에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 건강가정복지법은 가족봉지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국가의 책임과 의무를 강조하고 명문화하는 데

중요한 의미

2. 외국의 가족복지정책

가족정책은 가족의 복지를 목적으로 하는 정부의 정책이나 프로그램을 말한다.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이거나 가족정책은 가족과 가족구성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가족정책은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 그리고 직접적 혹은 간접적이든 간에 가족 기능 수행을 위한 일련의

공공활동의 결과를 따지게 된다. 여기서 가족정책은 기본적으로 개인 및 사회적 정체성을 확보하고,

물질적․경제적 지원을 하며, 가족의 자녀출산 및 양육기능을 지원하고, 자립이 힘든 가족에 대한

지원을 통하여 가족유지기능을 보호하는 것을 포함한다. 동일한 영역의 문제를 경험하면서

효과적인 가족복지의 방향을 모색하려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선진국의 가족정책을 통해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타 국가정책의 분석이 유용한 시각을 제공해 줄 수 있다.

1) 외국의 가족복지정책 형성과정

- 전반적인 인구감소, 생산인구는 감소되고 노령인구는 증가하는 연령구조의 변화, 결혼의 감소,

이혼의 증가, 출산력 저하, 사망률 감소 등의 인구학적 변화는 노동시장의 인력공급 측면에서

새로운 자원을 필요.

▶ 필요성

* 양성 평등적 시각의 확산과 더불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시켰고,

* 노동시장에 원활한 인력을 공급하기 위하여서는 국가가 가족을 지원하는 복지정책을 수행하는

방안을 찾기 시작

2) 외국의 가족복지 전략

- 스웨덴의 경우에는 여성의 취업과 아동양육의 병행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삼고 있다.

- 여성의 높은 취업률에도 불구하고 높은 출산율을 보이고 있다.

- 결혼신고를 하지 않고 동거하는 가족에게도 가족관련 급여가 동일하게 적용되어 혼외 출생아라고

해서 복지지원에서 제외되지 않는다.

- 미국의 경우에는 종합적인 가족정책보다는 자유경쟁체제하에서 소득재분배를 시도하는

수준에서의 가족정책(자유주의)

- 일본의 경우에는 가족복지정책을 서구에 비하여 가족유대감을 강조하는 유교적 전통.

-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 및 고령화에 대비하고자 하는 목적

- 1979년에 도입한 가족수당제도도 1999 에는 아동에 초점을 두는 방향으로 개정. 1980년대 말

엔젤플랜을 도입, 국,공립보육시설의 확충, 소득비례 보육료, 보육프로그램의 다양화.

Page 29: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29

가족복지론 4주차 1차시 - 가족복지서비스적 접근방법1

1. 가족복지서비스의 정의 및 목적

1) 가족복지서비스의 정의 및 목적

- 가족복지 : 가족 구성원들이 가족과 사회 내의 원활한 적응을 통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가족과 가족 구성원의 역기능적 문제를 예방 혹은 치료하는 것을 목적

- 가족복지서비스 : 가족이 직면하는 모든 문제와 상황을 직 ․간접적,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지식

기반의 기술을 의미

- 접근방법

① 미시적 : 상담, 가족치료와 같은 개인적 접근

② 거시적 : 빈곤정책과 같은 서비스 매우 다양

(1) 가족복지서비스의 정의

- Richmond(1971): 개별사회사업을 실천하기 위하여 개인의 생활 배경으로서 가족환경의 중요성을

강조, 가정과 지역사회에 기반을 두고 가족을 강화함으로써 가족원의 성공적인 사회적 적응을 목표.

- 미국 가족복지서비스: 1980년대 이래 가족자원 지지 및 교육서비스, 가족중심서비스, 집중적

가족중심서비스, 다양한 가족의 강화를 위한 서비스

(2) 가족복지서비스의 목적

- 지지, 교육, 새로운 서비스 기술로 가족과 가족원들을 임파워먼트함으로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환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 가족복지서비스는 모든 가족원의 발달적․정서적 욕구를 충족, 가족이 보다 완전하게 기능을 돕는

것을 일차적 목적으로 한다.

▶ 구체적 목적

- 첫째, 가족이 변화에 대한 준비를 갖추도록 가족의 장점을 강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둘째, 가족이 상실한 기능을 회복하고 가족기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치료

제공과 지속적 추가 지원/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 셋째, 효과적이고 만족스러운 일상생활 유지, 가족의 전체적 기능에 구체적 변화를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가족복지서비스 실천의 이론적 근거

(1) 가족 중심 가치 및 가족기반서비스

: 가정은 문제가 발생하는 장소인 동시에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장소, 가족복지서비스를 실천할 때

가정과 지역사회, 가족 중심적 접근은 매우 중요한 관점이 된다.

* 가정을 기반으로 하여 사정하고 개입한다는 점.

* 문제가 발생한 자연적 세팅에서 더욱 정확한 평가 가능,

* 직접적 개입을 함이 효과적, 치료 및 서비스에 대한 부정적 태도, 물리적 장애 등 클라이언트의

거부적 반응을 감소,

* 접근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중도 탈락을 감소시키며, 전가족의 관여를 촉진.

Page 30: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30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4주차 1차시 - 가족복지서비스적 접근방법1

(2) 생태체계론적 접근

: 생태체계론적 관점에서 볼 때, 가족은 사회로부터 고립된 체계가 아니며 주변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체계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가족은 매우 중요한 1차적 환경이 되며,

가족은 문화적 맥락, 장소, 성차, 라이프스타일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또는

영향을 줌으로써 서로 적응적이 된다. 그러나 가족원의 생애 발달과정에 따르는 심리적 변화, 역할

및 지위 등의 사회적 변화, 발달과업욕구, 가정의 물리적 공간과 구조, 가족원들 간의 다양한

관계의 역동성과 같은 가족 내적인 환경과 그러한 가족을 담고 있는 사회와 국가의 특성 등의 제반

요인들은 가족원과 가족의 욕구와 환경과의 적합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3) 임파워먼트

개인이나 집단이 경험하는 억압과 불평등이 악순환 되는 것을 지양하기 위하여 심리적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조명하고 자신과 환경에 대한 인식 제고, 통제력을 강화,

클라이언트가 문제를 규정하고 해결할 수 있는 결정권을 부여, 능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빈곤가족이나 장애가족 등에 대한 접근에 유용하게 활용한다.

* 첫째: 적극적·긍정적인 자의식과 자신감 및 통합적 시각의 개발

* 둘째: 사회적·정치적 환경의 분석적 시각.구체적 지식, 능력의 획득

* 셋째: 사회복지사와의 협력적 파트너 관계를 통한 적극적 참여와 자기결정의 원리 강조

Page 31: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31

가족복지론 4주차 2차시 - 가족복지서비스적 접근방법2

1. 가족복지서비스 실천 유형

: 가족복지서비스는 가족복지관이 주로 부부불화, 부모/자녀 관계의 문제, 세대 간의 갈등과 같은

문제에 전문가가 개입하게 되는 방법, 단기 . 장기로 나누어지며, 방법은 직접적 면접을 통한 상담,

가족 구성원과 초기 만남, 계약, 개입방법의 선택, 개입, 평가 등의 과정

1) 가족보호 (family caregiving)

*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장애문제에 보호를 제공

* 가족의 역할 수행과 능력 고취를 향상시키는 기능 수행

ex) 발달장애 아동을 가진 가족, 치매노인가족, 만성질환자를 가진 가족 등에 대한 각종 서비스를

말한다.

2) 가족생활교육 (family life education)

* 정의: 아동에서 노인까지 개인과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고 다양한 문제해결을 돕기 위해 개인과

가족의 잠재력을 계발하고 강화시키는 평생교육(정현숙,2007)

* 서비스의 목적은 가족 구성원들로 하여금 집단 및 지역사회생활의 요소를 이해하도록 하여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고 상황적 위기를 예방 혹은 완화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대표적 서비스는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이다.

* 교육방법은 집단 참여자의 지적․정서적 경험을 활용하여 자신의 현실을 이해하고 가족이 당면한

문제의 해결 및 치료에 참여하게 하는 것이다.

3) 가족계획사업

* 가족계획사업은 재생산적 건강보호서비스의 일종으로 임신 전 위험 사정, 임신 중절, 성병에

대한 보호, 영양, 자녀수에 대한 계획, 임신을 위한 서비스 등을 제 공함으로써 건강한 가족생활을

하도록 한다. 또한 예방성과 치료성을 띤 혼전, 혼후 상담서비스가 있는데, 이는 훈련을 받은

전문가가 혼전, 혼후에 파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정에 참여하여 행복한

결혼에 대비케 하고 만족한 부부관계를 유지토록 하기 위한 일종의 치료적 상담이다.

4) 가족보존과 가정기반서비스 (family preservation and home-based services)

* 다양한 가족의 욕구 충족과 가족보존 위하여 여러 서비스,

① 가정부 서비스, ② 형제자매결연(big brother-big sister) 서비스,

③ 가정법률상담, ④ 가정우애방문, ⑤ 여행자 보조,

⑥ 학령 전 아동, 노인 및 정신질환자를 위한 주간보호,

⑦ 집단가정(group home), ⑧ 재정상담, ⑨ 캠핑,

⑩청소년, 노인, 장애인을 위한 상황적 보호 프로그램,

⑪ 빈민을 위한 치과 진료 및 보건 유지 프로그램, ⑫ 개별학습(tutoring),

⑬ 직업안내, ⑭ 학령 전 아동의 인지 기술과 사회성 및 정서적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모자

프로그램, ⑮ 공공부조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가족의 특수한 요구 및 공공부조의 수혜 대상이 되지

못하면서 빈곤한 가족을 위한 경제적 원조 제공 등을 들 수 있다.

- 이 외에도 가정위탁보호, 입양, 한계 인구 층, 즉 소수인종집단, 빈민, 노인, 알코올중독자,

미혼모가족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있다.

Page 32: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32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4주차 2차시 - 가족복지서비스적 접근방법2

5) 가족치료(family therapy)

* 가족을 단위로 하는 사회사업, 치료 및 상담 등의 방법을 절충하는 다양한 모델의 가족치료가

가족복지기관 및 사회복지 관련 분야에서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6) 가족옹호(family advocacy)

* 지역사회에 필요한 변화를 위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가족의 생활 조건을 향상시키도록 계획된

전문적 서비스이다. 목표는 공적 및 민간서비스와 그 전달체계의 향상, 지역사회에 적합한 새롭고

변화된 형태의 서비스를 개발

* 가족에게 영향을 미치는 약물중독, 알코올중독, 정신지체 및 인권의 남용과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그 지역 가족들의 협동적 사회행동을 하도록 하는 데 목표.

* 가족들에게 직접적 개입을 통하여 서비스를 확보, 개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전략이다.

* 가족복지서비스 관련기관들은 특수 집단이나 지역사회의 응급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특수

프로그램, 가족보호, 가족생활교육, 가족옹호와 같이 다양한 서비스 등을 제공, 가족서비스기관은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에 입각해서 개인의 인권 및 가족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 가족복지서비스

종 류 설 명 예시 내용

가족관계증진사업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가족교육, 부모교육, 가족역할 훈련, 대인관계 훈련, 의사소통 향상 교육 등

상담, 검사 부부상담, 부모상담, 가족상담 등

가족기능보완사업

아동 대상 프로그램 방과후 아동보호 및 보육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공부방 및 도서관 운영, 사회성 향상, 감성교육, 심성 발달 프로그램, 진로 탐색 및 지도, 학교사회사업

종 류 설 명 예시 내용

가정문제해결

․치료사업

신체적 장애 관련 프로그램 장애아동 조기교육, 특수치료, 장애인 사회적응 프로그램

정신적 장애 관련 프로그램 정신보건서비스, 알코올 및 약물중독 치료, 정신장애인, 정신지체인, 발달장애인 서비스 등

청소년 프로그램 범죄예방사업, 학교부적응 또는 징계학생을 위한 지도 프로그램 등

위기가족문제 이혼가족, 해체위기가족 등

폭력, 학대 아동학대 및 방임, 노인학대, 성폭력, 가정폭력

부양가족지원사업

치매노인가족 지원 요양보호서비스, 가족돌봄지원, 가정봉사원파견사업

장애인가족 지원 장애인돌봄서비스, 장애아돌봄사업

만성질환자 부양가족모임 정신보건사업

장애아동 부모상담

기타 부양가족 지원사업 아이돌보미사업

Page 33: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33

가족복지론 4주차 2차시 - 가족복지서비스적 접근방법2

2. 가족복지서비스의 유형에 따른 실천과정

1) 가족상담에 대한 이해와 기술

* 상담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전문적 훈련을 받은 사람과의 관계에서 생활과제의 해결,

사고, 감정, 행동 측면의 인간적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학습과정(이장호, 1988)이다.

* 가족 상담 과정은 시작단계(접수면접과 관여) → 초기단계(자료수집과 사정) →

중기단계(상담목표설정 및 대안모색) → 종결단계(종결 및 추수평가)로 구성 된다.

(1) 시작단계 : 접수면접 및 관여

* 첫 상담 시의 일정과 상담시간 등 세심한 주의, 첫인상에 영향을 주어 라포형성, 상담진행에

상담자에 대한 신뢰 기초, 상담초기의 가장 중요한 과업

* 상담자는 내담자 가족의 문제와 가족원들 확인, 상담동안 상호역할, 책임성, 한계 등 동의를 얻을

필요가 있다.

(2) 초기단계: 자료수집과 가족사정

① 가족사정(family assessment)의 개념과 틀

- 가족을 하나의 단위로 보고, 가족 내 및 가족 외부 요인 상호작용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종합하여 그 가족에 대한 개입을 계획하는 과정이다(조흥식 외, 2002).

가족복지실천에 개입의 목적을 설정, 핵심적 과정, 개입의 효과성은 정확한 사정에 달려 있다.

▶ 사정의 다섯 가지 객관적 자료 수집, 분석

- 첫째, 클라이언트 문제의 본질,

- 둘째, 클라이언트 및 중요한 타인의 대처 능력,

- 셋째, 클라이언트 문제와 관련된 체계 및 클라이언트 간의 상호작용,

- 넷째, 클라이언트 문제의 해결을 위한 이용 가능한 자원,

- 다섯째, 문제를 해결하려는 클라이언트의 동기 등이다.

* 가족사정에서는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가족을 하나의 단위로 본다.

* 가족원의 문제를 가족의 기능이나 역동과 관련하여 이해, 가족에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체계와

관련하여 그 상호작용의 양상을 이해하려는 것을 의미한다.

② 사정내용

- 초기 사정은 개입의 전 단계에서 직관이나 느낌보다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관찰이나 기록, 관련

문헌 연구 등 경험적 자료에 기초하여야 하며,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반응체계에 관심을 갖고

강점이나 긍정적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가족에 대한 사정의 내용

- 구성원 간의 관계를 사정하는 것 : 가족체계의 하위체계(부부), 부모자녀, 형제자매

체계(상호작용)를 비롯하여 가족에 대한 규칙과 신념, 의사소통 등이 포함된다.

- 외부 환경과의 관계를 사정하는 것 : 사회적․물리적․환경적자원의 양과 질, 교류 정도, 생태도,

사회적 지지망 등을 통해 사정할 수 있다.

Page 34: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34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4주차 2차시 - 가족복지서비스적 접근방법2

③ 사정 도구

㉠ 가계도

- 면접 초기에는 수차례의 면접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것보다 가계도를 그리고 해석하는 것이

가족의 장점뿐 아니라 가족의 스트레스나 불안, 고통을 이해하는 데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 생태도

- 가계도보다 널리 사용되지는 않지만 클라이언트가 상호작용하는 외부 환경들을 명료하게 해 줄

뿐 아니라 그 환경 간의 상호작용의 성격과 질, 지지와 자원의 흐름까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준다.

㉢ 가족조각(family sculpture)

- 가족체계 안에서 고통스럽지만 암묵인 관계나 규칙들을 드러내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정서적으로 관계를 맺는 양식과 신념을 행동적 방식으로 가시화하는 것은 낡은 행동방식을 떨쳐

버리고 새롭고 더 기능적인 패턴이나 규칙을 만들어 내도록 할 수 있다.

㉣ 가족생활력표

- 클라이언트 삶의 중요한 사건이나 삶의 시기별로 중요한 문제의 발전 과정에 대한 전개에 대해

표나 그래프로 나타내는 것이다. 클라이언트의 현재 기능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발달 단계상 특정

시기의 생활 경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사회적 관계망

- 가족이 주거하고 있는 이웃과 지역사회를 포함하여 외부의 사회체계는 지속적으로 가족과

상호작용하며, 사회복지사는 이웃 관계 탐방(neighborhood walk)을 비롯한 다양한 도구들을

활용하여 가족이 외부의 사회체계들로부터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사정 평가해야 한다.

(3) 중기단계 : 상담의 목표설정 및 대안 모색(개입)

- 사정을 통하여 드러난 문제들 가운데 상담과정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거나(가능성), 해결해야

하는(긴급성 혹은 필수성) 표적문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여 개입하는 과정이다.

가족체계가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하나의 개입모델 혹은 실천원칙들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문제의 원인과 유형, 그리고 개입계획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의 유형 등에 따라 다양한 실천 모델과 기술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가족체계 혹은 가족구성원 간의 관계뿐 아니라 가족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보다 큰 환경체계에

개입할 수 있는 실천기술들은 다음과 같다.

① 가족구성원과 세대 간 관계에 대한 개입

- 가족 구성원 간의 문제는 대부분 관계와 의사소통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입 모델 혹은 기법들은 다양한 가족치료 접근에서 얻을 수 있다. 가족복지실천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법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탈삼각화(detriangulation) 기법

㉡ 가족조각기법(경험적 모델에서 주로 사용)

㉢ 재구조화 기법(restructuring)

㉣ 역할연습(role-play) 기법

㉤ 빈의자(empty chair) 기법

Page 35: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35

가족복지론 4주차 2차시 - 가족복지서비스적 접근방법2

㉥ 로프기법

㉦ 전략적 기법(역설적지지, 재구성)

㉧ 순환적질문 (circular questioning) 기법

㉨ 이야기 치료 기법

㉩ 해결 중심 치료 기법

㉪ 가족중재(family mediation) 기법

㉫ 의사소통 기법(경청/감정이입, 나-전달법)

② 외부 환경에 대한 개입

- 사회복지사는 가족 성원 개개인과 가족의 변화와 향상을 목표로 가족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개입한다.

㉠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 지역사회 자원 활용

㉢ 가족관계망(family network) 개입

㉣ 의뢰

(4) 평가와 종결

- 마지막 단계인 종결 단계에서는 사정과 개입 과정에서 나타난 가족의 변화를 확인하고, 가족이

변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필요한 경우 사후 면접을 계획한다. 예기치 못한 종결이

발생하여 초기에 계획되었던 실천의 목표와 과제를 모두 성취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예외적 상황에 대한 지식과 민감성도 필요하다.

① 종결의유형

* 가족의 문제가 해결되었을 때 종결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 환경적 상황이 변하거나 가족원이 중도 종결을 원하여 종결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종결은

계획된 것일 수도 있고, 예기치 않은 것일 수도 있다.

* 가족과 종결하게 되는 경우는 대략 가족의 문제가 성공적으로 해결되어 종결되는 경우

㉠ 종결시점을 계획한 경우

㉡ 가족문제에서 진전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 가족성원이 비협조적이거나 저항이 심한 경우

② 종결의 과제

* 현재 문제 상태가 어떠한가?

* 가족개입 이후 어떤 변화가 있었는가?

* 개입 과정에서 성원들은 각각 어떤 역할을 수행하였는가?

* 유사한 문제가 생긴다면 가족은 이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 문제에 대한 가족의 생각이 어떻게 달라졌는가?

* 개입 종결에 대해 성원들은 어떻게 느끼는가?

* 다시 가족개입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 사후 면접에서 가족 향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자원은 무엇인가?

Page 36: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36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4주차 2차시 - 가족복지서비스적 접근방법2

㉠ 종결에 대한 준비

㉡ 목표 및 변화의 평가

㉢ 종결과 관련된 정서적 문제

㉣ 변화의유지 및 사후 관리

㉤ 의뢰

2) 가족대상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 및 수행

(1)프로그램의 계획과 설계

대상자의 욕구, 기대, 강점이해-목적과 목표개발-프로그램 설계 시행-

평가-피드백 (대상자의 욕구 교육 계획은 프로그램 성과를 높이기 위함)

(2) 프로그램의 개발

① 프로그램구성의 철학

② 대상 및 접근방식 선정 

③ 목적과 목표선택

④ 내용구성

⑤ 예산계획

(3) 프로그램의 실행과 평가

① 도입단계

② 전개단계

③ 종결단계

Page 37: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37

가족복지론 5주차 1차시 - 맞벌이가족과 가족복지1

1. 맞벌이 가족의 개념

- 맞벌이가족은 남편과 아내가 동시에 직업을 가짐으로써 자아실현의 욕구 충족, 사회적 지위 확보,

가정경제 기여 등 자아만족과 행복감을 경험하는 새로운 가족형태라 할 수 있다. 맞벌이가족은

부부가 함께 경제활동을 한다는 면에서 기능적 측면이나 가족관계 측면에서 가족 내부적인 규범적

변화, 즉 가족의 역할 분담이나 가족 이데올로기의 변화까지 포함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남편은

도구적 역할을 하고 아내는 표현적 역할을 하는 기존의 가족형태에서 역기능적 가족문제가

지적되면서 과거의 상이하고 분담적인 부부역할 수행보다는 역할의 공유, 동등한 의사결정, 평등한

동반자적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점을 가지고 있다.

1) 맞벌이 가족의 유형

- 우리나라 맞벌이가족의 실태에 관한 정확한 통계자료는 별로 많지 않다. 그러나 계속 늘어나고

있는 맞벌이가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면서 많은 사람들의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맞벌이가족에 대한 실태 분석에 따르면 취업 여성의 취업 동기나 직종 차이, 사회계층 차이, 취업

여성의 인생주기, 도시와 농촌 간의 지역적 요인 등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가 나타난다. 여성의

취업 동기에 따라 맞벌이가족의 형태는 다음과 같이 생계유지형, 내조형, 자아실현형, 여가활용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생계유지형 맞벌이가족

* 가족의 경제적 필요성에 의하여 기혼 여성이 자발적 혹은 비자발적으로 취업을 하는 형태이다.

학력이 낮을수록 많고 연령층이 40대 이상일 경우 특히 많다.

(2) 내조형 맞벌이가족

* 생계 위협을 받지는 않지만 가족의 더 나은 경제적 여유를 위하여 취업을 하는 경우와 남편의

학업이나 출세를 위하여 여성이 생계를 전적으로 담당함으로써 파생되는 형태이다. 취업은

하였지만 여성의 성 역할 태도는 매우 보수적이며 남편에 종속된 위치를 수용한다. 도시가

농촌보다 많고 학력수준이 낮을 수록 이 유형에 속한다.

(3) 자아실현형 맞벌이가족

* 중산층 이상 고학력의 여성이 가사노동의 사회적 불안정 속에서 취업을 통하여 자아를 실현하고

근대적인 성 역할 태도에 입각하여 평등한 부부관계를 정립하려는 형태이다. 이들은 주로 도시에

많으며 학력수준은 대졸 이상이 가장 많고 젊은 연령층이 이 형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4) 여가활용형 맞벌이가족

* 주로 중산층을 중심으로 경제적 이유, 내조 또는 자아실현 등을 크게 의식하지 않고 자신의

취미를 살리면서 여가를 활용하기 위하여 직업을 가지고자 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다른 유형의

맞벌이가족에 비해 여가활용형의 취업 동기는 적은 편이다.

맞벌이가족을 위와 같이 분류할 때, 우리나라 취업 여성의 상당수는 생계유지형에 해당하며, 나머지

세 유형의 비율은 그다지 높지 않다. 그러나 후기 산업사회로 접어들어 정보화 사회가 진전되면

여성 인력의 요구가 더욱 높아지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점차적으로 높아지리라

전망된다.

Page 38: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38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5주차 1차시 - 맞벌이가족과 가족복지1

2) 맞벌이 가족의 특성

- 개인중심적 산업화 사회에서 여성 개인의 경제적 욕구 충족이 사회적 인력 수요와 맞물려 점증

추세에 있는 맞벌이가족은 전통적 확대가족이나 기존의 핵가족과는 다른 몇 가지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가족구조

* 맞벌이가족은 구조적으로 확대가족이나 핵가족형태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자녀양육이나 가사노동의 편의를 위하여 확대가족 비율이 약간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핵가족구조를

보이는 경우에도 친인척들이 근거리에 거주하여 상호부조가 쉬운 수정핵가족 내지

수정확대가족형태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즉, 맞벌이가족은 홀벌이가족의 경우보다 주변의 지원이

더욱 필요하며 시댁이나 친정 혹은 그 밖의 친인척을 통한 지원체계를 확보하는 가족구조를

보인다.

(2) 취업 이유와 양상

* 기혼 여성의 취업 이유는 생계비 보조 등의 경제적 이유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저축, 자녀교육비

순이다. 그러나 여성의 자아실현이나 사회적 공헌 등은 상대적으로 낮아서 기혼 여성의 취업

동기가 극히 가족중심적․경제적이득으로 국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취업 양상을 보면 기혼 여성의 취업 직종은 지역에 따른 산업구조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농촌에서는 대부분 농업 관련직이고 도시에서는 판매직과 서비스직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음으로 생산직이다. 취업 직종의 분포는 기혼 여성의 교육수준과도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데 농업

관련직은 저학력, 판매․서비스직은 중간 수준 그리고 전문 기술직, 사무직에는 고학력층이 편중되어

있다.

(3) 부부역할 분담 및 권력관계

* 여성의 취업이 과연 평등하고 민주적 부부관계를 정립하는 데 기여하는가 하는 점에 대하여 선행

연구들의 결과가 일치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맞벌이가족에서 여성은 재정권 강화로 가정 내

역할 분담이나 권력관계에서 비교적 대등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저소득층이나

노동계층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인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와 경직된 사회적 규범 때문에 자신의 경제적 지원을 권력 분배를 위한 협상에

사용하려고 시도하지는 않는다.

* 부부의 성 역할 태도 역시 여성의 취업 여부와 관련이 있다. 부부가 함께 근대적 성 역할 태도를

가진 경우 맞벌이가족 형태를 취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또한 부인의 취업을 통하여 남편의 성

역할 태도가 근대적으로 바뀔 수도 있다. 그러나 부부의 성 역할 태도와 취업과의 상관관계가

반드시 기혼 취업 여성의 생활의 질을 높여 준다고 할 수는 없다.

(4) 부부적응 및 가족갈등

* 맞벌이가족에서 부부 간의 적응 양상은 ‘남편-직업/부인-가정’의 홀벌이가족과 큰 차이는 없다.

여성의 취업은 자신의 다중역할 간의 갈등을 증가시키기는 하지만 이로 말미암아 배우자와의

적응도가 낮아지기보다는 오히려 자신의 직업을 통하여 만족을 얻음으로써 전반적인

결혼만족도에는 좋은 영향을 미친다. 그 이유는 여성의 취업 여부 자체보다 취업에 대한 여성의

만족도가 부부의 적응 양상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Page 39: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39

가족복지론 5주차 1차시 - 맞벌이가족과 가족복지1

형성과정 내용

1단계 : 과도기

(여성노동참여의 원조기,

1900~광복이전)

1900년대 초 일본이 조선의 공업화를 추진하기 시작하면서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 시작

2단계 : 사회적 혼란기

(여성노동의 인식 전환기,

광복이후~1960년 이전)

1950년 한국전쟁으로 남성노동력이 상대적으로 부족,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늘어나기 시작, 여성의 경제활동에 대한 인식도

개선

3단계 : 초기산업화시기

(여성노동력의 양적 팽창기)

1960년대 초부터 시작된 5개년 경제개발계획

-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하는 요인

- 여성의 경제활동 인구를 빠르게 증가시킴4단계 : 산업화 가속화시기

(여성노동력의 질적 변화기,

1980~현재)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 1980년대 이전까지는 미혼 여성의 참여율이

높았으나 1980년대 이후부터는 기혼 여성의 참여율이 높음

- 시간제 취업률도 나타남

* 한편 여성의 직업만족도가 높을수록 배우자와의 적응도가 높다. 이와 동시에 남편이 부인의

취업을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적응도가 높다. 여성의 취업 선택 여부도

부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데 부인이 선택에 의하여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경우가 필요에 의해서

참여하는 경우보다 부부적응도가 높다. 즉, 자발적 취업 여성의 생활만족도는 비자발적 취업

여성이나 비자발적 비취업 여성보다 높은 것이다.

맞벌이가족의 가족갈등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자녀와의 관계이다. 취업 여성의 자녀관계는

사회적 계층, 직종, 자녀의 연령과 성별 등의 복합 요인에 따라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자녀양육 대행자는 시․친정부모나 가정부, 파출부인데 전자의 경우 과잉보호에 대한 갈등, 후자의

경우 애정 없는 양육에 대한 우려가 문제이다. 그리고 형제끼리 방임하는 경우에는 자녀에 대한

죄의식 등으로 대부분의 취업 여성들은 자녀와의 관계에서 심각한 갈등을 느낄 수 있다.

2. 맞벌이가족의 발생원인

1) 맞벌이가족의 형성과정

2) 맞벌이 가족의 영향

(1) 가계경제에 미치는 영향

- 한 가정에서 기혼 여성의 취업은 곧 그만큼의 금전적 수입증가를 가져온다. 그러나 주부의 수입,

주부 자신이 인지하는 재산 형성기여도, 가정생활을 위한 제반 지출 경비 분담 정도 등을 고려할

때 여성은 자신이 돈을 버는 일보다 쓰는 일을 더 많이 맡고 있다. 즉, 생산 기능의 역할 인식보다

소비 기능 역할 인식이 높으며 그 돈이 재산 증식 기여도를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주부의 취업이 가정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 첫째, 주부의 취업으로 인한 가정의 생활 패턴 변화가 야기하는 영향이다. 주부의 취업은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비용을 요구하며 취업 주부의 시간 부족으로 인한 가계 소비 행태의 변화를

가져온다. 주부가 취업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출퇴근을 위한 교통비, 자녀가 있는 경우 탁아

비용 등의 지출을 필요로 한다. 또한 취업 주부는 제한된 시간으로 직장노동과 가사노동을

병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가정의 생활양식이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노동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편의 위주로 바뀌게 된다.

Page 40: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40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5주차 1차시 - 맞벌이가족과 가족복지1

* 둘째, 추가소득에 힘입은 가정의 구매력증대 효과이다. 주부의 취업은 가계 소득 증가를 통해

구매력 증대로 연결된다. 주부 취업에 따라 추가된 소득은 열등재가 아닌 한 모든 지출 항목의

증가를 가져오지만 증가의 폭은 소득 탄력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2)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

- 현대 가정의 이상적 부부관계는 평등성 지향이다. 전통적 가정에서 부권은 남녀관계를 종속적

관계로 유지시키는 중요한 기제이다. 그러나 향상된 교육수준과 여성 취업률에 의해 배우자

선택에서부터 남녀의 종속관계는 탈피되고 있으며 가족형태에서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는

맞벌이가족의 가족기능 수행 변화는 전통적 부권 위주의 관계를 불가능하게 한다.

- 부부관계 불평등성에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가정 안의 불평등이 곧 가정 밖의 남녀 불평등을

야기하는 직접적 이유가 되기 때문이다. 여성이 가족 내에서 평등을 누리는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은 남성과 공히 가정과 직장에서 의무와 책임을 훌륭히 해내면서 인간화된 삶을 살 수 있는 전제

조건이다. 결혼으로 어느 한쪽의 잠재력 개발이 중단된다면 그 결혼은 잘못된 것이라는 의견에

대부분의 여성이 동의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결혼은 남녀 모두의 잠재력 개발과 자기완성이

이루어져야 하고 여성에게만 피해를 강요하는 것은 잘못되었다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3) 자녀양육에 미치는 영향

- 자녀는 부부관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요인이다. 자녀 출생으로 가족구조 면에서 부부

간의 양자 관계는 부모와 자녀라는 삼자 관계로 바뀌게 되며 부부 상호작용 형태가 부모역할

부상으로 재편성되면서 부부역할에도 변화가 일어난다. 자녀는 부부관계에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동시에 준다. 자녀는 부모에게 역할 수행을 요구하게 되는데 그 결과 부부는 공동 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더욱 상호 의존성이 강화되고 인간적으로 성숙된다. 그러나 취업 주부들이

많은 부담을 안게 되어 그들의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 취업 주부는 전업 주부에 비해 자녀양육에 더 어려움을 겪으며 자녀의 대리양육문제로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해결하는 일차적 방안은 육아 및 교육 기능의 이전,

예를 들면 유아원, 유치원, 미취학아동 대상 학원 이용 등인데 아직도 그 활용도는 그다지 높지

않다. 게다가 저소득층 가정의 경우 자녀양육의 문제는 누가 어린 자녀들을 돌볼 것인지에

집중되어 있어 가정 내 역할 분담 정도로는 해결될 수 없다. 이 문제는 탁아기관의 증가와 활성화

등 국가의 탁아정책으로 해결해 나가야 한다.

Page 41: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41

가족복지론 5주차 2차시 - 맞벌이가족과 가족복지2

1. 맞벌이가족의 현황

1)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

- 맞벌이가족은 경제구조의 급격한 변동과 전통적 성 역할 개념이 변화하면서 한국 사회의 보편적

가족형태로 등장하고 있다. 개인의 삶에서 직업노동의 의미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교육수준이

꾸준히 높아지는 점과 가족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측면에서 맞벌이가족형태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우리나라의 경제활동참가율은 1990년에 47.1%에 60%였지만 조금씩 높아져서 2008년에는

61.5%에 이르고 있다. 이중 남성은 73.5%이지만 여성은 그보다 낮은 50.0%이다(표 5-1). 한편

고용률은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해보면 남성의 고용률은 1990년의 71.8%에서 2008년에 70.9%로

낮아진데 반하여 여성의 고용률은 같은 기간 중 46.2%에서 48.7%로 높아졌다. 그러나 아직도 전체

고용률(59.5%)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 한편 여성의 15세 이상 인구는 1992년의 1,657만 명에서 2008년에 2,027만 3천 명으로 연평균

1.4%나 늘어나 남성인구 증가율보다 높았으며 경제활동인구의 증가속도도 남성을 웃돌았다.

여성취업자도 1992~2008년 중 29.2% 늘어나 연평균 1.8%에 달했다. 여성실업율은

경기침체기였던 1998~99년 중 5%를 상회하였으나 2008년에는 2.6%로 1990년대 중반수준과 거의

같았다.

- 여성취업자를 직업별로 보면 2008년의 경우 관리자 및 전문가가 19.8%로 가장 많고

서비스종사자(18.1%), 사무조사자(17.1%), 단순노무자(15.5%)의 순이었다(표 5-3). 그리고

판매종사자, 농림어업 숙련종사자, 기능․장치․기계조작자는 감소한 반면 관리자․전문가, 사무종사자

등은 증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여성취업자를 연령계층별로 보면 2008년의 경우 40~49세(27.1%)가 가장 많고, 30~39세(22.4%),

20~29세(20.8%), 50~59세(17.4%)의 순이었다(표 5-4). 한편 15~19세, 20~29세, 30~39세의

젊은 여성의 취업자수는 감소하고 있지만 40세 이상의 취업자는 증가하고 있다.

- 통계청의 사회조사보고서에 의하면 2009년의 경우 남편과 부인 모두가 수입을 목적으로 일을

하고 있다는 가구주 부부(맞벌이)는 40.1%였다(표 5-5). 가구주 연령을 보면 40대의 맞벌이 비율이

48.1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50대 43.1%, 30대 39.3% 순이다.

맞벌이 부부 중 여자배우자의 1주일 평균 근로시간은 36시간 이상(전일제)이 76.1%로 조사되었다.

여자배우자의 전일제 근무비율을 보면 20대 이하는 84.7%, 30대는 80.3%에 이르고 있다.

한편 가구당 월평균소득을 보면 2009년의 경우 300만 원 이상의 소득수준에 있어 맞벌이부부의

비율이 높았고 그 이하의 수준에서는 양벌이부부의 비율이 높았다.

2) 맞벌이부부의 가사 분담률

- 통계청이 2002년 2월에 발표한 사회통계조사에서 맞벌이가족의 가사 분담 실태를 보면 [그림

5-1]과 같다. 이 조사에서 “평소 가사노동을 공평하게 분담한다.”는 응답은 8.1%였다. 1998년의

조사 때(5.7%)보다 다소 늘었지만,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2002년49.7%)을 감안한다면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응답 가운데 “아내가 주로 하고 남편도 주로 분담한다.”가 51.0%로 가장 많았고, “아내가

전적으로 책임진다.”는 응답도 37.9%나 되었다.

Page 42: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42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5주차 2차시 - 맞벌이가족과 가족복지2

- 여성부가 2001년 이화여대 문숙재 교수 팀에 맡겨 실시한 “무보수 가사노동 위성계정 개발을

위한 연구”에서는 가사노동의 가치가 국내총생산의 30~35.4%에 이르는 연간 143~169조 원으로

산출됐다. 이는 그동안 평가된 가치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이다. 그 이유는 주부만이 아니라

가족구성원 전체의 가사노동을 가치로 평가했기 때문이다. 또 가치를 계산할 때도 남성 평균

임금의 60%에 불과한 여성 평균 임금 대신 노동자 전체의 평균 임금을 적용하였다.

3) 맞벌이의 사회현실

- 맞벌이로 인해 생활에서 불편한 것이 무엇인가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 대해 자녀양육 및

교육에 문제점이 있다는 대답이 전체의 89.4%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가사노동(74.8%), 시댁 등

친척관계(16.5%), 부부관계(11.3%), 과소비(3.5%) 등의 순으로 나왔다.

- 집안일은 여성이 해야 한다는 전통적 유교관이 아직도 뿌리 깊기 때문에 분담 문제로 갈등이

일어나는 부작용이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또 시부모 등 친척들은 맞벌이 여성들이 집안의

대소사와 관련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경향에 대해 못마땅하게 보고 있는 그런 현실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 통계청의 사회조사보고서(2009)에 의하면 2002년도의 조사에서와 같이 여성취업의 가장 큰

장애요인은 육아부담(47.6%)이었으며 다음이 사회적 편견관행(20.9%), 불평등한 근로여건(10.7%),

가사부담(6.1%)의 순이었다. 여성이 남성보다 더 민감하게 느끼는 요인은 육아부담, 불편등한

근로여건, 가사부담 등이었다.

4) 맞벌이 가족의 현황

(1) 맞벌이에 대한 사회의 인식

- 맞벌이를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호감도를 묻는 질문에 전체의 76%가 바람직하다고 응답한 반면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 사람은 5%에 그쳤고 그저 그렇다고 대답한 사람은 19%였다. 이를 성별로

보면 여성의 경우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78.6%로 남성의 73.0%와 5.6%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 연령대별로 보면 나이가 적을수록 긍정적 반응을 나타내는 모습을 보이는데, 20대가 78.6%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40대(74.7%), 30대(73.3%), 50대(71.4%)의 순으로 나타났다. 40대가 30대보다

맞벌이에 대해 긍정적인 것은 어느 정도 자녀양육이나 교육에 대한 부담을 덜었기 때문에 그만큼

더 일하는 데 적극적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학력별로 보면 고졸과 대졸이 각각 77.3%와 77.1%의 높은 호감도를 보인 반면 중졸 이하는

65.6%로 다소 낮았다. 대학원졸 이상 고학력자의 호감도가 58.3%로 떨어지는 기현상을 보였다.

- 맞벌이를 바람직하게 생각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대해 대부분 경제적 문제해결(50.50%)과

여성의 자아실현(37.1%)을 들었다. 다음으로 사회적 인력낭비 방지(7.4%), 양성평등(2.9%), 거스를

수 없는 사회적 추세(2.1%) 등의 순이었다.

- 맞벌이에 대해 부정적인 사람들은 자녀양육 및 교육문제와 전통적 유교관을 그 이유로 들었다.

자녀교육 때문에 부정적인 사람들은 전체의 48%로 가장 많았고 전통적 유교적 입장에서 여성이

가정에 충실해야 한다고 생각한 사람은 32%였다.

- 통계청의 사회조사보고서(2009)에 의하면 여성취업에 대하여 ‘직업은 가지는 것이 좋다’라는

견해는 83.8%, ‘가정 일에 전념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9.3%이었다. 직업을 가질 경우 어느

시기에 취업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 ‘가정일에 관계없이 계속 취업’이 53.5%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서 맞벌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따라서 맞벌이가족은 앞으로 더욱 늘어날 추세일 것으로 판단된다.

Page 43: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43

가족복지론 5주차 2차시 - 맞벌이가족과 가족복지2

(2) 맞벌이가족의 가계수지

- 2004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맞벌이가족의 소득은 비맞벌이가족의 소득에 비하여 35.9%나 높은

수준이었다. 소비 지출은 연간 5.4% 늘어났는데 식료품 비중이 높았으며 외식, 교육, 교통통신 등의

순이었다. 이것은 생활의 질적 향상을 위한 지출이 큰 몫을 담당하고 있었다.

2. 맞벌이 가족의 문제

1) 자녀양육 및 교육문제

- 맞벌이가족의 가장 큰 당면 문제는 자녀양육 및 교육문제를 들 수 있다. 취업 때문에 가족

내에서 생기는 가장 큰 문제들이다. 특히 36개월 이하의 영아를 둔 취업 여성의 경우 자녀양육상의

어려움을 더 많이 호소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자녀를 보살피는 모든 책임을 일차적으로

여성에게 맡기고 있다. 아기에게 먹이고 기저귀를 갈아 주고 씻기고 입히고 재우고 놀아 주는

역할은 전적으로 엄마에게 책임이 부과된다. 기혼 여성의 취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초기

단계이고 보육시설도 미비한 상태에서의 이 문제는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

- 그러므로 취업 기혼 여성으로 하여금 자녀양육의 책임에서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도록

모성보호정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기혼 여성 인력 자원의 효과적 활용이라는 점에서도 보육시설의

양적․질적확대 보급은 매우 중요하다.

2) 가사 역할 분담 문제

- 가사 역할은 음식 준비, 세탁, 청소 등 전통적으로 여성의 역할로 간주되어 온 부분으로 아직도

여성의 역할로 기대하고 있다. 일부 남편에 의해 해결되고 있기는 하지만 사회에서 가사 역할

수행을 남성에게 기대하지는 않는다. 남성은 직업을 가져도 가사노동의 책임을 느끼지 않는 반면

여성에게는 취업을 하였다 해도 가사노동으로부터 해방되는 기회를 주지 않는다.

경제발전에만 궁극적 목표를 두어왔던 한국의 현실에서 부부역할 분담은 산업화를 지원해 온

가족의 도구적 역할만을 남편에게 강조하였다. 또한 이데올로기가 지배적 상황에서 여성이 직장을

가졌기에 오히려 가사노동을 더 잘 해내야 한다는 자격지심까지 작용하였다. 그러므로 기혼 여성이

가정에서의 역할을 재조정하지 않는 한 현재나 미래의 취업문제에서 야기되는 문제들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 취업 기혼 남성․여성의 역할전환 문제는 먼저 취업 당사자와 가족구성원의 유기적 관계를

재구성하여야 한다. 사회적으로 남녀 간의 공평한 기회가 제도적으로 보장될 수 있는 공동체로서

가족의 기능을 강구하여 수직적 부부관계에서 수평적 부부관계로 전환되어야 하며 가사노동과

임금노동의 가치 불균형을 해소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3) 가족관계 문제

- 취업률이 높아지면서 주부의 취업이 맞벌이가족 부부의 역할구조나 다른 구성원들과의 관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주부의 취업은 부부 간의 외면적

역할뿐 아니라 내면적 태도와 관계의 변화까지 가져와 부부 및 가족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Page 44: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44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5주차 2차시 - 맞벌이가족과 가족복지2

- 이제 맞벌이가족은 소수 계층이 아니라 보편적 가족의 생활 유형으로 자리 잡고 있어 그들의

삶의 질 향상 문제를 가족과 사회의 문제로 인식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맞벌이가족의

부부관계는 물론 부모-자녀관계 다른 가족구성원과의 관계 그리고 노부모, 장애아 부양문제로

인한 인간관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변인과 함께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4) 저출산문제

- 저출산의 원인은 여성의 학력 향상과 사회진출, 양육비․교육비의부담, 젊은 세대의 결혼관․가치관

변화 등 다양하다. 그러나 가장 근본적 원인은 여성이 출산과 육아를 책임져야 한다는 사회의

고정관념이다. 한국 사회는 빠른 속도로 변화해 왔으나 여성의 ‘성 역할’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

가부장적 사회가 출산을 막는 벽이 되어 온 것이다.

- 출산과 육아가 사회생활을 하는 여성에게 걸림돌이 되는 현실이 여성으로 하여금 출산을

포기하게 하는 주원인이 되고 있는 셈이다.

- 출산이라는 첫 번째 위기를 무사히 넘기더라도 육아문제에서 해답을 찾지 못해 직장을 그만두고

재취업을 포기하거나 출산을 연기하는 사례도 빈번하다. 육아 부담으로 인해 30대 초반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이 가장 낮다는 통계도 나왔다. 즉, 여성에게 있어 출산은 사회활동에 큰 장애가

되어 가고 있다.

3. 맞벌이 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1) 거시적 복지대책

(1) 자녀 출산․양육 관련 복지대책

-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자녀 출산과 양육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맞벌이가족을 위한 복지대책으로 자녀 출산 및 보육 관련 정책과 서비스는 가장

효과적이라고 본다.

① 산전․산후 휴가제도 및 육아휴직제도

출산을 전후한 취업 여성의 보호는 「근로복지법」에 근거를 두고 있다. 기업들은 법규정에 따라

산전․산후휴가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나 결혼퇴직, 임시퇴직의 관습에 따르는 기업체도 있다. 2001년

6월 국회는 출산휴가를 60일에서 90일로 연장하고 그 비용은 고용보험에서 부담토록 하는 내용의

모성보호법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 유산, 조산, 사산의 경우에는 노동고용부의 산전․산후 휴가 부여 기준에 대한 지침에 따라 의사의

소견서 등 객관적 증빙 자료를 첨부하여 심각한 의학적 문제가 있는 경우로 제한한다. 그 기간

동안의 임금을 유급 또는 무급으로 할 것인지에 관한 별도의 법적 규정은 없다. 따라서 실제

유산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인공유산의 경우 법이나 지침에 보장된 보호를 받을 수 없는

실정이다.

② 보육제도

- 보육사업의 궁극적 목적은 가정복지 증진으로 영유아의 건전한 육성 도모와 보호자의

경제적․사회적 활동을 지원하는 것(보육사업안내, 1999)으로 되어 있다. 「영유아보육법」에 이 법은

보호자가 근로 또는 질병, 기타 사업으로 인하여 보호하기 어려운 영아 및 유아를 심신의 보호와

건전한 교육을 통하여 건강한 사회성원으로 육성함과 아울러 보호자의 경제적․사회적 활동을

원활하게 하여 가정복지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Page 45: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45

가족복지론 5주차 2차시 - 맞벌이가족과 가족복지2

(2) 근로 관련 복지대책

① 남녀차별제도의 시정

- 취업부모가족을 위한 정책을 펴는 데는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으로 야기되는 문제가 법적,

제도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이 갖는 문제점은 고용 기회의 균등, 취업

여성의 근로 조건 개선, 육아시설의 확대, 육아휴직제의 정착, 채용과 모집, 승진 등에 있어서의 성

차별 근절이다.

- 우리나라의 「의료보험법」은 전통적 가족부양 원칙을 전제로 피보험자와 그에 의한 생계 의존자로

구성되는 특정 가족 유형은 피보험자 1인의 보험료로 가족원 모두 혜택을 받지만 맞벌이가족의

일방이나 단신가족은 본인만의 의료보험수급권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②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해결

- 취업한 기혼 여성들의 상당수가 고임금의 안정된 노동시장보다는 저임금, 미숙련의 불안정한

직종에 편중되어 있다. 높은 노동 강도 속에서 낮은 임금을 감수하면서 장기간의 노동 시간에

시달리며 일하고 있는 것이다.

③ 성차별 의식 전환 보급 확대

- 가족정책뿐만 아니라 학교교육의 평등화, 여성 취업 훈련의 강화, 여성 사회교육 기회의 확대,

가정 지원 및 복지 증진(건전한 가족규범의 정착, 요보호여성의 복지 증진, 여성개발지원체계의

강화) 등을 통해 우리 사회의 남녀차별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나 인습적 모습을 일소해야 한다.

④ 시간제 근무 및 여성고용할당제

- 종일 근무를 일정한 작업장에서 하던 방식이 생활수준의 향상과 여가에 대한 욕구 증가로

근무시간을 단축하는 시간제 근무나 자신의 근무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하는 탄력근무제(flextime

system) 등 신축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생산성을 단순히 직장에서 보낸 시간으로 계산하는

구태의연한 관행은 사라져야 함을 뜻한다. 그러나 시간제 근무가 저임금과 일체의 후생 혜택을

받지 못하는 불안정한 고용으로 여성 인력을 악용하지 못하도록 정부가 철저히 관리․감독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2) 미시적 복지대책

(1) 보육서비스

- 현재 특수아동이나 영아를 위한 보육시설은 여전히 크게 부족한 상태이며 민간보육시설의 보육

수급 불균형 문제, 보육환경과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저하 문제, 교사의 전문성 문제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2) 직장보육시설

- 기업의 보육 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확대하고 사업장 내 시설

설치 위주에서 탈피해 고용주의 보육비용 분담 방안을 다양화하는 측면도 바람직하다.

(3) 학교급식 실시 확대와 질적 개선

- 학교급식의 확대 실시는 국민 영양적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맞벌이가족의 자녀 도시락 준비에

투자하는 시간과 노력의 문제를 해결하여 여성 노동력을 활용한다는 점에서도 시급히 정착되어야

한다.

(4)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 맞벌이가족의 부부관계 및 가족관계를 강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는

부모-자녀관계 증진 프로그램(부모교육 프로그램), 자녀의 학습을 도와주는 학습지도 프로그램 및

예능교육 프로그램, 청소년 자녀를 위한 단체생활학습 및 각종 활동 프로그램 등이 필요하다.

Page 46: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46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6주차 1차시 - 외둥이가족과 가족복지1

1. 외둥이 및 외둥이 가족의 개념

- 외둥이(only child)의 사전적 의미에 의하면 교육학대사전에는 “외둥이는 부부 사이에 하나밖에

없는 어린이를 말한다. 물론 외아들일 수도 있고, 외딸일 수도 있다. 한국어 사전에 의하면

외둥이란 외아들, 즉 형제가 없는 단 하나만을 일컫는다. 요즈음 저출산으로 아이가 하나인 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외둥이란 용어를 더 즐겨 사용하고 있다.

- 따라서 외둥이란 남녀 형제의 구별 없이 가정에서 단 하나만 성장하고 있는 아동을 말하고

형제아(sibling child)는 출생순위나 형제자매의 성별 구성과 상관없이 두 자녀 이상의 가정에서

성장하고 있는 아동을 말한다. 그리고 외둥이가족이란 아동의 성(性)에 관계없이 한 가정 내에

자녀가 한 명뿐인 가족을 말한다.

2. 외둥이가족의 현상과 이론적 관점

1) 외둥이가족의 현상

<직접요인>

- 초혼 연령의 상승

- 조혼인율 감소와 이혼율 증가

- 자녀양육비 부담

<간접요인>

- 산업화, 도시화, 가치관의 변화

- 가족구조의 변화

- 여성 사회참여 및 역할 확대

- 과거 가족계획정책

- 노동 환경의 변화: child penalty

* 하나만 낳는 이유

경제적부담 > 육아문제 > 자신의 일 > 건강상 문제

2) 외둥이가족의 이론적 관점

① 결핍 메커니즘

w 외둥이 지능의 비연속성을 통해서 설명.

w 가족의 지적 환경 요인과 형제의 가르치는 요인.

w 외둥이의 경우가 지능에 있어서는 가장 높을 것으로 가정되지만

w 외둥이와 막내인 경우에는 어린 동생을 가르칠 기회가 없기 때문에

w 지적발달에 도움이 되는 기회를 상실하는 불이익을 경험하게 된다.

▶ 외둥이의 경우 : 아동초기에는 두 자녀 가정의 아동보다 지능검사 점수가 높으나 형제가 서로를

위한 지적 자원으로 쓰이게 되는 아동기, 청년기 동안에 점차 역전하며 성인 초기가 되면 외둥이가

두 자녀 가정의 맏이보다 낮은 점수를 보인다고 주장되고 있다.

Page 47: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47

가족복지론 6주차 1차시 - 외둥이가족과 가족복지1

② 독자성 메커니즘

w 외둥이가 경험하게 되는 독자성을 강조.

w 동생으로 인해 자기의 지위에서 쫓겨나는 일이 없다는 점에서 막내와 유사.

w 태어나서 몇 년 동안 부모의 전적인 관심을 받는다는 점에 있어서는 맏이와 유사.

w 외둥이는 다른 아동과 달리 외둥이라는 그 자체로써 전 가족의 크기를 대표하기 때문에

독자적이다.

w 외둥이 발달에 있어 자기중심성과 같은 부정적 측면과 함께 리더십과 같은 긍정적인 측면도

함께 설명하고 있다.

③ 부모- 자녀 관계 메커니즘

w 부모-자녀 간의 상호작용적 측면이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강조 : 일정 기간 동안은

부모에게 외둥이로서 혹은 맏이로서 혼자 길러지고 이 때 부모들은 아동양육에 대한 경험이

전혀 없기 때문에 더욱 불안하게 되고, 따라서 아동의 행동에 대해 더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비현실적이 된다.

w 부모 -자녀관계는 부모의 충분한 관심과 배려로 아동이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

외둥이나 맏이로 하여금 더 우호적이게 하고 성취동기나 내적 통제력을 향상시키는 요인이

된다고 본다.

3. 외둥이가족의 아동 특징과 문제

1) 외둥이의 일반적 특성

(1) 외둥이의 장점

* Hurlock은 외둥이가 형제가 없기 때문에 사회성이나 인간적인 면의 발달이 더딜 우려는 있으나

형제간의 경쟁심이나 질투에 의해 성격이 비뚤어지게 될 가능성이 적은 장점도 있다고 하였다.

* Tony Falbo는 외둥이 집단과 형제아 집단의 개인 성격을 비교한 결과 외둥이 집단에서 오히려

성취욕 및 자존심 항목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고 보고하고 있다.

- 특성

* 독립심이 강하다

* 삶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 리더쉽이 있으며 진취적인 사람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 어른들로부터 많은 자극을 받아 자아개념과 지적호기심이 강하다.

* 형제들과 경쟁을 하지 않아 정서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성장한다.

* 어른들과 주된 대화를 나누므로 성숙하고 교양이 있으며 언어능력이 높다.

(2) 외둥이의 단점

- 우리나라의 사회적 관념

“ 너무 귀엽게 자라서 아무것도 모르지”

“ 제 맘대로 커서 버릇이 없어 “

“ 자기만 아는 이기적 아이”

“ 겁이 많고 의지가 약해”

∴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견해

Page 48: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48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6주차 1차시 - 외둥이가족과 가족복지1

- Gardner 등은 외둥이는 모든 면에서 장애를 가지며, 외둥이는 형제아가 지닌 동일한 적응 능력을

갖고 인생을 살아갈 수 있으리라 기대할 수 없다고 했다.

- 따라서 외둥이는 혼자 생각하는 것처럼 자신만이 특별하거나 중요한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가르쳐 줄 형제자매가 없다는 점에서 사회적으로나 정서적으로 미숙하여 외롭고 제멋대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여긴다. 이와 같이 외둥이는 형제아보다 더 자기중심적이고 덜 협동적이며 환경에

잘 적응하지 못할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는 형제관계는 아동에게 결정적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에 형제의 부재로 인한 불이익을 경험하게 된다는 견해이다.

- 근래에는, 자녀의 수나 출생순위는 성격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 아니라 자녀가 많아야

성격이 좋다는 말은 하나의 편견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짐.

- 따라서, 외둥이가 인격적으로 성숙하고 잘 적응된 사람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가장 가까이 있는

부모의 양육 태도에 따라 좌우된다는 것이 최근의 주장.

(3) 외둥이가족의 문제

- 중국: 1979년부터 ‘1가구 1자녀 정책(one child per family)’을 시행. 외둥이들의 과보호에 의한

이기적 행동 등에 대해 ‘소황제(little emperor)’라고 지칭.

- 즉, 형제자매와의 관계에서의 다양한 경험은 아동의 성장, 발달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형제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타인의 느낌과 의도, 그리고 사회의 규칙을 이해하게 되는 등의 중요한

사회적, 인지적 기술을 습득한다는 이유로 형제자매가 없는 외둥이에 대한 부정적 견해와 연구들이

많았다.

- 또한, 외둥이는 부모의 과잉보호적 양육태도와 불안의 요소가 있기 때문에 이기적이거나

의존적인 행동 특성을 야기하는 사회정서발달에 문제가 있다고 여김.

-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외둥이와 형제아 사이에 사회정서발달에는 차이가 없다는 결과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형제의 존재 혹은 부재가 아동의 사회정서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더라도 그 자체가

결정적인 것이 될 수 없으며 중요한 것은, 외둥이들의 부모 양육태도에 좌우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2) 외둥이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1) 부모의 특성

- 아버지의 부재’혹은 ‘부모의 보은 관심’등이 외둥이와 형제아간의 차이를 설명해 줄 수 있다.

- 외둥이의 경우 사별, 이혼 등에 의한 결손 가정에서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

* 첫째, 우선은 형제아에 비하여 외둥이는 한부모일 가능성이 높은데 이것이 외둥이의 발달적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둘째, 부모-자녀관계의 성질 또한 외둥이의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2) 외둥이의 특성

① 사회정서발달 특징

* 외둥이의 사회성 발달에 차이가 형제자매의 부재, 부모의 양육태도, 자녀의 성, 사회계층과 같은

다른 변인들과 관계되었다,

* 기존연구는 출생 순위, 가족 크기 등의 영향을 연구하며 다루어졌었는데 이런 연구들이 문화나

측정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제시.

* 초기의 연구는 외둥이가 사회생활에 잘 적응 할 수 있느냐에 관심이 있었다,

Page 49: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49

가족복지론 6주차 1차시 - 외둥이가족과 가족복지1

* 그 외에도 다른 예시를 볼 때, 부모의 양육태도, 형제자매의 부재, 외동이의 배경변인 등의 여러

변인에 대한 것들이 외동이에 대한 연구와 관계되어 있다고 말을 할 수 있다.

② 외둥이의 성취수준 및 지적발달

ㄱ. 성취수준

* 연구결과들은 외둥이와 소가족아동, 특히 맏이인 경우에 보다 긍정적 발달이 있다고 보고.

* 부모의 높은 기대 수준은 아동에게 비교적 초기에 높은 기준을 제공함으로서 아동의 성취동기의

발달을 촉진 시키는데, 이런 경우는 맏이와 외둥이 부모에게 적용될 수 있다,

* blake는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하여 외둥이가 대가족의 아이들보다 직업위치 등 더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는 등의 사실을 밝히면서 외둥이의 우수성을 지적.

* 또한 ‘성취수준’에 있어서 나이를 먹을수록 더욱 우수함을 보인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제가

없는 만큼 없는 형제분의 재정적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이것이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ㄴ. 지적발달

지적발달’에 있어서는 외둥이에 관한 연구들은 일관된 결과를 내리지 못하고 있다.

* belmont와 marolla(1973)의 19세대상의 연구의 경우는 맏이, 소가족에 비해 외동이의 성적이

그리좋지 않은 반면 청소년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zajonc 와 markus(1975)는 외동이가 다른 순위

아동보다 지능지수가 낮았다고 했으며, 4~7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brachial과 nichol(1982)은 다른

아동들과의 별 차이가 없다고 했다.

* 중국 아동을 대상으로 한 chinj는 3~15세 이동 중 외동이가 우수하다고 밝혔다.

* zamboni는 confluence model을 제시하며 외둥이가 동생을 가르칠 기회가 없다는 것보다는

한부모가족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는 등의 요소가 외동이에게 부정적 영행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함.

* chinj,farrell과 dayton의 연구에서는 결손가정의 경우 영향력이 통제 됐을 경우 외동이가 다른

아동들보다 인지적 수행 면에서 더 우수함을 보였다고 하였다.

* 그 후 falbo와 polit(1986)는 광범위한 외둥이 연구들을 종합하여 양적분석을 시도하였는데 그

결과 외둥이가 다른 비교집단에 비해 지능이 높았으며 지능발달에 긍정적이라고 분석하였다.

Page 50: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50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6주차 2차시 - 외둥이가족과 가족복지2

1. 외둥이가족의 부모양육 태도

1) 외둥이가 지각하는 부모 양육태도

(1)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견해1

- 부모의 양육 태도를 아동의 입장에서 볼 때 부모의 실제 양육 태도와는 달리 지각될 수 있다.

Schaefer(1965)는 부모의 실제 행동보다 부모의 양육 태도에 대한 지각이 자녀의 적응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하여 아동이 지각하고 있는 부모의 양육 태도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부모의 양육 태도를 애정적, 자율적으로 지각한 집단이 절대적, 통제적이라고

지각한 집단보다 좋은 적응력을 나타냈다(유영희, 1980).

- 외둥이는 가정에서 부모-자녀관계가 유일한 초기 사회화의 수단이 되며, 형제아의

부모-자녀관계와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형제아는 또 다른 형제의 출생으로 새로운 관계가

첨가되어 부모 태도의 미묘한 변화를 겪게 되지만, 외둥이는 부모관계의 변화보다는 지속적으로

많은 관심과 주의를 받게 된다. 지금까지 외둥이에 대한 부모-자녀관계는 학자들마다 달리

해석되고 있다(도미향, 2005b).

(2)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견해2

① 긍정적 견해 : 부모의 충분한 관심 때문에 자신감 있고 자존심이 높으며 성공에 관한 집착이

커서 가능성이 크다.

② 부정적 견해 : 형제자매가 없어서 관심이 집중되어 과보호를 받기 쉽다. 그래서 책임감이 없고

자기중심적이며 사회성이 결핍 될 수 있다.

(3) 사회인구학적 배경과의 관계

①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

- 외둥이나 형제아 모두 중 하류층의 아버지가 상류층의 아버지보다 더 애정적 양육 태도를

보이고, 중하류층의 어머니가 중상류층의 어머니보다 더 합리적 양육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도미향 외, 2004). 이것은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부모의 양육 태도가 수용적이고,

자녀교육에 관심을 많이 가지는 것으로 밝히고 있는 기존의 연구들(김이수, 1997;최은석,

1997)과는 다른 결과로 부모가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가정 이외의 사회생활에서 더 많은 활동과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자녀에 대한 관심과 시간을 내는 것이 더욱 어려울 수 있다는 점과 무조건적

허용이 아니라 이성적 판단에 따른 양육으로 인해 아동이 부모를 보다 덜 애정적으로 지각할 수

있다고 유추할 수 있겠다.

② 외둥이의 성별

- 도미향 등(2003)의 연구에 따르면 아버지 양육 태도에서 형제 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아버지는 외둥이에게 더 애정적 양육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어머니 양육

태도에서는 형제 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지만,

어머니는 외둥이에게 더 애정적이고, 통제적인 양육 태도를 나타냈으며, 외둥이와 형제아의

부모양육 특성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 양육 태도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남자 외둥이보다 여자 외둥이에게 더 성취적 양육 태도를

보였고, 형제아의 경우는 남아에게 성취적 양육 태도를 나타냈다.

Page 51: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51

가족복지론 6주차 2차시 - 외둥이가족과 가족복지2

2) 외둥이에 관한 부모의 관점과 양육태도

① 과잉 보호는 금물!

② 지나친 기대 NO!

③ 야단은 부모 중 한 사람만

④ 때로는 무관심하기

⑤ 물질적인 보상은 절제하기

⑥ 또래들과 어울리는 기회 많이 제공하기

⑦ 친구 같은 부모 형제 같은 부모 되기

⑧ 나누는 법을 가르쳐 주기

⑨ 아이 수준에 맞는 적절한 예절 습관 가르치기

⑩ 외동아이라는 편견을 버리자

2. 외둥이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 현재의 저출산율 추세로 인해 외둥이가족은 향후 점점 더 증가하게 될 것이라는 예상 속에서

외둥이가족에 대한 대책과 관련하여 외둥이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서는 외둥이의 특성을 잘 알고

그에 맞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과 아동양육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가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 및 지원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 외둥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 현재 외둥이의 실태를 보면 남아선호사상의 전통적 자녀관이 잔재하고 있어 출산 성비의

불균형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외둥이 성별 구성에 있어서 남아가 여아에 비해 더 많아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교육기관에서 남아에 비해 여아의 부족으로 짝을 형성하지 못하는

데서 오는 남아의 심리적 불편감, 이들이 성장한 후 결혼과정에서의 어려움 등을 예견해 볼 때,

실질적으로 교육기관에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교육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1) 외둥이가족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외둥이에게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부모이며, 가정이라는 환경 속에서 가족의

양육태도이다.

* 외둥이가족이 사회에서 외둥이가족이라는 이유만으로 불이익을 경험하거나 결함을 지닌

가족이라는 부정적 관심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함

- 프로그램의 예

아동 및 부모를 위한 상담시설

외둥이를 위한 훈련프로그램

외둥이 자녀를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

* 고려할 점

① 부모는 아이를 항상 즐겁게 해 줘야 한다는 부담감에서 벗어나야 한다. 맞벌이 부모인 경우

하루 일과를 마치고 집에 돌아와 쉬고 싶지만 아이가 하나뿐이라는 죄책감 때문에 무리를 한다.

이때 아이에게 부모도 힘들고 쉬고 싶다는 사실을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

② 일찍부터 협동하고 어울리는 기회를 자주 주도록 한다. 외둥이에게 ‘동네 놀이친구’를 만들어

주고, 외둥이의 부모는 아이와 자주 대화하며 형제 대신 놀이친구 구실을 해 주고, 역할놀이 등을

통해 서로 입장을 바꿔 보고 상대방의 처지를 헤아릴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줘야 한다.

Page 52: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52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6주차 2차시 - 외둥이가족과 가족복지2

③ 과잉보호하지 말고, 아이에게 지나친 기대도 하지 말아야 한다. “엄마, 아빠는 너뿐이다. 그러니

너는 잘해야 돼”라는 식의 기대는 아이에게 스트레스만 줄 뿐이다. 아이를 완벽하게 키우려고

애쓰기보다 아이가 제대로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④ 부모의 일관된 양육 태도가 필요하다. 아이가 말썽을 부렸을 때 외둥이는 다른 형제에게 그

책임을 미룰 여지가 없다. 따라서 부모가 야단을 칠 때는 한 사람만 하도록 하고, 때로는

무관심해질 필요가 있다. 아이의 실수에 관대해져서 부모가 항상 지켜보고 있다는 부담감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아이의 행동에 때로는 무관심한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 좋다.

⑤ 물질적 보상은 절제하고, 아이 수준에 맞는 적절한 예절을 알려 주며, 외둥이라는 편견을 버리는

것이 좋다.

2) 외둥이가족을 위한 제도적 지원

* 가족 내 양육 기능의 강화

- 가족수당제도 도입을 통한 양육의 금전적 부담 경감

- 육아유업법의 기능 강화

- 취업모를 위한 보육서비스 확충

- 가족상담사업의 지원

* 관련법의 정비 : 늘어나는 외둥이에 관한 가족양육지원강화사업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기존관계법률의 보완 및 통합적인 법적 기준의 마련이 필요

- 중앙 및 지방정부는 적절한 가족복지 재정을 확보, 분담하고, 가족에 대한 통합적이고 전문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아동과 그 가족의 문제와 욕구를 파악하기 위한 지역사회 조사를 실시해야

Page 53: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53

가족복지론 7주차 1차시 - 노인가족과 가족복지1

1. 노인 가족의 개념과 특성

1) 노인가족의 개념

- 노인가족은 최근 사회의 변화에 따른 환경과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생활 형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자녀와 함께 사는 노인의 비율은 감소하고 노인만 사는 노인가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노부모 스스로 자녀와 동거를 원하지 않는 경우가 증가하고, 부모와 동거를 원하지

않는 자녀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평균 수명의 연장에 따른 노인 인구의 증가는

노인가구의 증가를 예상하게 한다.

-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노인복지법에서는 노인의 범위를 달력상의 연령으로 65세 이상으로

정하고 있으며, 생활보호법에서도 보호노인 대상자를 65세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노인가구는

노인 혼자 생활하는 단독가구 노인, 노인들로만 구성된 노인가족을 포함하는데 노인 혼자서 가정을

형성하고 있는 노인단독가구를 노인가족의 범주에 포함시키는지의 여부에는 논란이 있다.

- 일반적으로 복지적 관점에서 노인가족이란 65세 이상, 노인 2인 이상으로 구성된 가족이라 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노부부 가족과 또는 인척관계에 있는 노인들로 구성된 가족을 들 수 있다.

2) 인구고령화에 대한 전망

(1)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는 고령화는 이 지구를 그 어떤 시대나 사회보다 훨씬 늙은

사회로 탈바꿈시킬 것이다.

(2) 노인인구의 폭발적인 증가는 근로인구에게 엄청난 경제적 부담을 안겨줄 것이다.

(3) 인류의 고령화는 수명이 늘어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4) 노인들 중에서도 후기노인(85세 이상노인)의 수는 젊은 노인(65~74세까지의 노인)인구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증가할 것이다.

(5) 인류 고령화는 결과적으로 전세계인구의 감소를 불러온다.

(6) 인류 고령화는 가계도의 형태를 극단적으로 좁고 길게 늘여 놓음으로써 가족의 모습에

혁명적인 변화를 불러올 것이다.

(7) 인류의 고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화될 것이라고 추정하는 낙관적인

시각은 틀릴 수도 있다. : 기대수명과 출산율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3) 노인 가족의 현황

- 최근 급속한 고령화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됨에 따라 사회 각 부문에서의 노년기의 삶에 대해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2018년에는

고령사회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으며 이런 현상을 고령인구의 고령화라고 하며, 2026년에는 초

고령 사회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65세 이상 인구의 성비(여자노인 100명당 남자노인

비율)는 68.1%로 10년 전보다 7.8명이 높다. 이것은 남자 고령자의 사망률이 낮아져 성비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노령화 지수로 추산해보면 2016년이 되면 노인인구가

유소년인구를 추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 노인 가족의 현황

1) 노인 인구의 증가 현황

- 인구의 고령화는 세계적 현상이지만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는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어서

선진국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사례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OECD의 통계에 의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1990년에는 전체 인구 중 약

12.5%이었지만 2010년 이후 급속히 증가하여 2030년에는 약 24.3%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OECD, 2004).

Page 54: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54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7주차 1차시 - 노인가족과 가족복지1

- 우리나라는 2018년에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나 그 시기는 더 앞당겨질

가능성이 높다.

- 이러한 노인 인구의 증가 원인은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의학기술의 발달, 교육의 대중화,

환경위생과 주거환경의 개선 등에 따른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은 노인층의

성별․Х 사망률이 줄고 특히 남자고령자의 사망률이 낮아져 남녀노인성비(100:68.1, 2009년

통계청)의 차이가 좁혀지고 남자노인의 사망률이 여자노인보다 2.5배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나 단순히 노인 인구만 증가한다는 것만이 아니라, 이와 더불어 노인만으로 구성된 가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 또한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사회의 발전에 따른 도시화, 산업화의 단계에서 농업사회가 상공업 중심의 사회로 전이됨에 따라

주거와 직장이 분리되기 시작하였고, 직장을 따라 옮겨 다니기 쉬운 부부와 그 자녀만으로 구성된

핵가족을 구성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가족구조는 사회구조와 가치관을 변화시키게 되어

노인부양세대와 노인의 사고를 변화시키게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 가치관의 변화는 개인주의와 이기주의에 의해 가족이라는 집단을 먼저 생각하기보다는 개인의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게 됨에 따라 부모부양에 대한 의식이 약화되고 부모 동거를 기피하는 현상이

증가하는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이 같은 현상으로 인해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노인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

빈도는 점차 높아져 노인문제는 한 개인의 문제를 넘어서서 사회적 차원의 문제로 대두되었다.

또한 노부모의 부양의식 약화와 노인 스스로의 독립의식으로 노인도 경제적 여유가 있다면 자녀와

별거를 희망하는 경향이 증가되고 있어서 자녀 출가, 정년퇴직 이후 노부부끼리 지내게 되는

부부노년기가 연장되고 있다.

▶ 특히 노인 인구 중 고령 인구의 증가는 다양한 사회적 변화를 갖는다.

- 첫째, 노인부양 부담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평균 수명의 증가와 인구 피라미드의 경향을 보면

점차 노년층이 유소년층보다 두터워지는 인구구조로 변화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통계청(2008.10) 자료에 의하면 노인부양비는 증가하고 경제활동인구는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와

경제활동인구 한 명당 노인부양 부담이 커지게 된다. 즉, 2010년에는 노인 1명을 경제활동인구

6.6명이 부양해야 하며, 2020년에는 4.6명, 2030년에는 2.7명, 2050년에는 1.6명이 부양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년부양비(比)는 2010년 현재 15%로 15년 전인 1995년 8.3%에 비해 6.7%

증가하였고, 이는 향후 2020년에 21.8%, 2030년에는 37.7%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노령화 지수는 유년 인구(0~14세) 100명당 노인 인구비율로 2010년에는 67.7%, 2020년에는

125.9%로 크게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2016년 노령화 지수는 100.7로 노인 인구가 유년

인구를 초과할 것으로 추정되어 노령화 지수가 100%를 넘어섬으로써 노인부양 부담이 유년부양

부담을 역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노인의 부양 부담을 가족에게만 맡길 수는 없으며

사회와의 적절한 역할 분담을 기초로 사회적 보호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 둘째, 이로 인한 경제성장의 둔화와 노동시장의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 고령 인구의 증가와

경제활동인구의 감소는 노동력 부족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노동력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유휴 여성

인력이나 노동력이 있는 퇴직 연령층을 다시 경제활동인구로 흡수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경제활동인구가 고령화될 것이다.

Page 55: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55

가족복지론 7주차 1차시 - 노인가족과 가족복지1

- 셋째, 노인 인구가 세력집단으로 등장한다. 노인층은 유소년층과는 달리 투표권과 단체결성권을

갖기 때문에 정치적 권리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집단을 결성하여

정치 세력화되어 영향력을 갖게 된다.

- 넷째, 고령 인구의 증가는 오래 사는 사람이 많다는 것인 만큼 생산력이 떨어지고 수입원이

적어진 상황에서 살아가는 기간이 연장되었기 때문에 빈곤한 노인층이 많아질 것이며, 노인을 위한

사회적 비용이 늘어나고 개인적으로는 길어진 노후의 삶을 위한 다양한 준비가 필수적이다.

2) 노인의 가정생활

(1) 노인의 혼인상황

- 평균수명의 연장은 노년기가 길어지는 생활주기의 변화로 노년기 가족생활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점차 노인의 독립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노후 부부관계가 관심을 받게 되고 노년기

부부관계의 질이 노후생활에 대한 만족도와 직결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혼인관계는 부부 중 한

명이 사망하면서 끝이 나지만 최근에는 노년기 황혼이혼과 재혼이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 고령자 재혼․이혼 건수를 보면, 1994년과 2007년을 비교하여 남편 기준 이혼 건수는 6배, 처

기준 이혼 건수는 8.5배 증가하였고, 전체 이혼 건수에서 65세 이상 고령자의 이혼이 차지하는

비중도 남편(2.9%), 여자(1.1%)로 증가하였다. 고령자의 재혼 건수도 계속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남성 노인의 경우가 여성 노인보다 이혼․재혼률이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이혼과 재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가 노인층에게도 영향을 주었지만 여전히 여성

노인에게는 전통적 가족을 유지하려는 가치가 강한 것으로 생각된다.

(2) 노인의 가구형태

- 우리나라의 가구형태는 정서상으로는 직계가족을 가장 이상적인 형태로 생각하고 있지만 실제

상황은 핵가족의 형태가 대부분(83%)으로 되어 있다. 전국조사(2008. 10.)에 의하면 자녀와

동거하는 노인(38.2%)은 도시지역(44.5%)이 농촌(25.6%)보다 많았고,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노인(61.8%)은 그 이유를 “따로 사는 것이 편해서(35.6%)”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이어

“독립생활이 가능해서(23.2%)”, “자녀에게 부담이 될까 봐(23.1%)”, “자녀의 직장․학업 때문(14.1%)”,

“자녀와의 불화 때문에(1.7%) 등을 꼽았다. 현재 따로 살고 있는 노인가구 비율이 높은 것을

감안하면 사회변화에 따라 노인의 ‘황혼 독립’ 욕구가 확산되고 있고, 노인의 황혼 독립 욕구는

노인단독가구와 노인부부가족의 계속적 증가를 말해 준다.

- 연령별로 보면 65~69세 연령층은 1세대 가구에, 70세 이상은 3세대 이상 가구에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서 연령의 증가에 따라 돌봄을 받을 수 있는 가족과 동거하는

것을 말해 주며, 노인의 거동 능력과 가구 형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으로는

노인부부가족과 가족구성원에 노인이 있는 가족이 증가하여 고령사회로 가면서 점차 세대가 중첩된

확대가족의 비율도 높아지리라고 예상할 수 있다.

- 노인가구의 형태는 가구원에 누가 속해 있는지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사회의

변화는 노인의 생활방식과 거주 지역에 영향을 주었고 이러한 영향으로 가족형태에 변화를

가져왔다.

Page 56: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56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7주차 1차시 - 노인가족과 가족복지1

- 노인가구의 전국적 경향은 노인으로만 형성된 가구는 증가하고, 자녀동거 노인가구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고령화는 도시지역에 비하여 농촌지역(읍․면부지역)에서 훨씬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서 농촌지역은 2000년에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14.7%로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그 속도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보다는 농촌노인가구의 비율이 높아서

앞으로 노인동거주택이나 노인전용주택을 마련하는 등 노인가구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노인가구의 다양한 복지적 문제는 농촌 노인가구가 갖는 문제와 관련이

깊다고 볼 수 있다.

(3) 노인의 경제상황

-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2008.10.)에 의하면 65세 이상 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31.3%)과

고용률(31.1%)이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취업의사는 고령층의 절반이상이

향후취업하기를 희망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생활비에 보탬이 되어서’라고 응답하였다.

연령계층별로는 55~64세의 장래 취업희망율(71.5%)이 65~79세(41.7%) 보다 높게 나타나 앞으로

중노년층 노인의 소득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 취업희망이유는 노년기의 고통 요소인 ‘할 일 없음’과 ‘빈곤’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의 취업임을

보여주며, 은퇴가 빨라지는 사회적 경향을 고려하여 퇴직 후 노후에 소득도 있고 소일거리도 되는

일감 개발이 시급하다.

Page 57: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57

가족복지론 7주차 2차시 - 노인가족과 가족복지2

1. 노인가족의 욕구와 문제

1) 노인가족의 욕구와 문제 발생 배경

* 노인의 욕구는 기본적으로 세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즉, 건강, 영양, 일상적 활동과 관련된

신체적 안녕과 주관적 행복, 소속감, 사기, 만족 등과 같은 심리적 안녕 및 사회적 원조, 경제적

안정, 안정된 주거 등으로 구성되는 사회적 안녕으로 볼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어느 것이

우선이라고 할 수 없게 상호 연관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노인의 욕구는 생존과 관련되는 기본적인

것에서부터 개선된 서비스나 삶을 윤택하게 하는 질적 욕구를 갖게 되며, 여가와 교육 등

선택적이고 자기발전적 항목으로 욕구가 변화한다고 본다.

* 그러나 노인의 생물학적 노화는 여러 측면에서의 쇠퇴와 상실을 겪게 됨에 따라 사회적 역량이

떨어지고, 그들 스스로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문제를 갖게 된다. 이와 더불어

사회의 노인에 대한 인식과 노인 스스로의 노화에 대한 자각이 부정적이기 때문에 소극적으로

변하게 되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 일반적으로 노인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는 건강문제로 노화로 인한 신체 및 운동 능력의 저하,

질병으로 인한 신체적 문제와 사회적 유용감의 상실, 가족으로부터의 소외 등으로 인한 심리적

문제, 소득원의 상실로 인한 경제적 문제를 들 수 있다. 노인가족은 자녀와 함께 사는 노인이나

혼자 생활하는 노인에 비해 생활상의 긍정적 측면도 있다. 그것은 손자녀의 보호 및 자녀부양

등에서 벗어나 노부부 내지는 노인들만의 생활을 즐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 특히 노부부의 경우 자녀들로부터 자유로워져서 제2의 신혼생활로 돌아가는 듯한 생활로

변화되어서 골든 에이지(golden age)라고 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경제적 여유와 건강이 있으면서

둘만의 노후생활을 미리 계획하고 기다렸던 통크족(Two Only No Kids:TONK)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다.

* 노인가족이 집단으로서의 강한 조직성을 확보하는 데 영향을 주는 자원으로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경제적 자원, 가족과 친척 및 친구 등의 사회적 자원이 확보되었을 때 건강한 노인가족이

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 그러나 한편으로는 여러 가지 자원이 부족한 노인가족은 많은 부담을 갖게 되는데 그 이유는

다른 가족과 동거하는 노인보다 소득원이 적고 수입이 낮으며, 일상생활에의 지원과 서비스뿐만

아니라 정서적 지지도 적게 받고 있기 때문에 심리적 안정도도 낮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노인세대들은 자녀로부터 정기적 혹은 비정기적 방문을 받는다거나 생활비 혹은 용돈의 보조를

받는 것으로 자녀들과의 가족관계를 유지하고 있어서 노인의 안전, 건강 등의 문제가 제기될 뿐만

아니라, 손자들로부터 조부모로서의 존경을 받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최일섭, 1985).

* 현대 사회의 노인복지의 방향은 생산복지와 자율적 노인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노인은

스스로에게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인식을 가져야하며 주변 사람들도 노인에 대해 잠재력과 능력을

인정해 주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를 설명하는 명명이론(labeling theory)에

의하면 인간은 다른 사람들이 자기를 어떻게 규정짓고 어떻게 대하느냐에 따라서 자기 자신을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본다.

Page 58: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58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7주차 2차시 - 노인가족과 가족복지2

* 따라서 노인과 사회에서 노인에 대한 부정적사고를 바꾼다면 노인의 욕구 해결을 위해 스스로

보다 적극성을 갖게 될 것이고 노인문제도 감소할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 노후에는 시간적 여유와 더불어 여생을 효율적으로 보내고자 하는 욕구도 높기 때문에 노후

시간활용은 전반적인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주요한 요소이다. 또한 점차 증가하는 노인세대, 그리고

베이비붐세대의 노년층 편입에 따라 노인을 위한 여가 및 시간활용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노인복지예산 중에 노인을 위한 다양한 교육기회제공서비스 및

평생교육 확산을 통한 시도가 요구된다.

2) 노인가족의 문제

(1) 노화에 의한 신체적 쇠퇴와 건강보호

* 노화에따른신체적쇠퇴현상은개인에따라차이가크다 그러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신체적으로

의존적이 되는 것은 노년기의 가장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노년기의 질병은 만성적이면서

장기적인 치료가 요구되고 합병증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노인은 젊은이에 비해 와병률이

2~3배에 달한다고 한다(김양희, 1991). 때에 따라서는 노인을 돌보는 간호자가 상주해야 하기

때문에 의료비의 지출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

* 한편으로는 노인의 신체적 부자유와 질병을 단순한 노화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치료를 하지 않아

질병을 방치하는 경향이 있으며, 장기적 질병을 감당할 만한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 더 신체적으로

쇠퇴하고 병약한 생활을 하게 되기도 한다.

* 노인부부가족의경우는단독가구노인보다는나은편이지만 가족구성원이 모두 노인인 경우 연령

증가에 따라 신체적 쇠퇴에 따른 부자유와 질병 때문에 돌봄 인력이 없이는 생활이 곤란하다.

(2) 역할 상실에 따른 소외와 할 일 없음

* 과거 사회 속에서 노인의 역할은 전통 윤리와 지혜를 후세에게 전하는 사회교육자로서의 사회적

지위가 확고하였고, 가정 내에서도 최종적 결정권자로서 가풍과 가계를 계승하여 가정문화를

전달하였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는 노인의 역할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핵가족화 현상이

보편화되면서 영향을 받게 되었다. 퇴직에 따른 소득 상실과 사회적 역할 상실, 무용해진 지식

등으로 자연히 부양자에서 피부양자의 위치로 바뀌게 되면서 권한과 책임이 줄어들게 되고 점점

소외되었다.

* 또한 노인도 핵가족이나 단독가구를 형성하여 사는 노인은 세대 분리에 따라 가정생활의 여러

면에서 제외되고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시간은 많고 역할과 할 일이 없게 되어 무료한 시간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많은 노인이 노년기에 대한 준비가 없었고 노인을 위한 여가나 오락시설이

충분하지 못한 현실에서 노인만으로 이루어진 가족의 무료함은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도

젊은이와 노인 모두 비동거의 독립적 생활을 선호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어서 소외와 고독은 더욱

문제가 되리라고 본다.

(3) 경제적 문제

* 경제적 문제는 대부분의 노인이 당면하는 문제로 노년기 생활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문제이다.

노인가족이 겪는 경제적 문제는 경제활동에서 물러나게 됨으로써 오게 되는 수입원의 감소 혹은

상실이 주원인이다.

Page 59: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59

가족복지론 7주차 2차시 - 노인가족과 가족복지2

* 저축이나연금의수혜를받는경우에는사정이다르지만 그렇지 못한 대부분의 노인가족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다. 노인가구의 주 수입원은 자녀 원조가 가장 많고, 경제활동을 할 경우에는

자영업이나 가족단위사업에 참여하는 형태이고, 농촌의 경우는 농사를 짓거나 일일 품삯으로

소득을 갖는다. 특히 여성 노인의 경우는 남성 노인에 비해 경제활동참여율이 낮아 여성노인의

경제적 기여는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노년기 경제적 어려움은 일상적 생활비뿐만 아니라 어느

시기보다도 신체적 쇠퇴 과정에 있기 때문에 저항력이 약화되고, 질병에 대한 이환율이 높아서

의료비의 지출이 증가하여 어려움이 더욱 가중된다고 할 수 있다.

(4) 가족관계

* 노인이 되면서 재조정해야 할 관계가 가족관계이다. 남성은 은퇴 전 사회적 관계를 중시하고

가족관계에 소홀했던 생활로 인해 가족에게서 소외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노년기를 함께 보내야 할

가족과의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 노년기에는 남성과 여성의 역할전환이

일어난다고 보고 있다. 여성은 점차 중성화되어 가고 남성은 가정 일에 관심이 증가하게 되어 부부

간의 갈등이 심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서로 간의 협동적 역할 조정이 필요하다. 함께 보내는

시간이 길어졌으므로 함께 할 수 있는 운동이나 취미생활을 개발하여 노년기의 풍부한 환경 조성에

노력해야 한다.

2. 노인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 최근 국가는 저출산․고령사회에 대응하는 국가실천전략의 비전을 ‘건강하고 활력 있는

고령사회’로 정하고 있다. 노인복지서비스를 위한 정책 분야는 일반적으로 고용․인력정책 분야와

보건․복지 분야로 나뉘며, 현안 과제로는 노인요양보장제도와 노인일자리 창출을 들 수 있다.

고용․복지분야는 관련 제도와 고용 관행 개선, 고용 기회 확대 및 능력 개발이 있고, 보건․복지정책

분야는 안정적 노후소득보장과 건강한 노후생활보장, 교육․여가, 문화 향상․주거 환경 개선 및 세대

간 이해 증진 강화 등을 위한 정책을 다루고 있다.

* 노인의 취업 욕구가 높아지고 건강한 노인이 증가함에 따라 ‘일하고 싶은 사람은 최대한 일할 수

있도록 노동시장 제도 및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있다.

* 노인가족은 다른 대상 가족과는 달리 노인들로만 구성되므로 일반 노인을 위한 복지대책과

유사한 내용으로 접근한다. 즉, 노인을 위한 복지대책은 경제적 안정, 가족관계의 안정, 주택의

보장, 의료와 건강의 보장, 교육의 기회, 사회적 협동의 기회 등을 주로 다루고 있지만

현대사회에서는 노후의 4苦를 해결하고 적극적 노후를 위해 생산적 복지를 중시하면서

직업(일자리) 안정을 강조하고 있다.

* 특히 노인단독가족의 문제는 건강보호 문제, 경제적 문제, 주거생활문제, 가족관계문제, 여가와

사회생활 문제가 있으며 이를 위한 가족복지대책으로는 경제적 안정 지원, 신체적․정신적 건강

지원, 편리한 주거와 근린생활 지원, 일상생활 지원, 다양한 여가생활과 사회적 관계 형성 지원,

독신단독가구 지원, 노인단독가족과 자녀가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실시 등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1) 노인복지서비스 대책

(1) 노후소득보장 대책

* 노인에게 소득과 건강은 노후 생활의 생활만족도를 좌우 할만큼 중요한 요소들이다. 노후

프로그램 중에서 소득보장프로그램은 스스로 가계를 꾸려가야 하는 노인단독가구가 증가하게 되고

노인의 욕구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그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Page 60: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60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7주차 2차시 - 노인가족과 가족복지2

* 기초노령연금제도를 2008년도부터 점차적으로 확대실시하고 있다.

* 국민연금제도란 나이가 들어 은퇴하거나 불의의 사고 또는 질병으로 장애를 입거나, 사망할 경우

닥치는 경제적 어려움에 대비하여 근로자, 사용자, 정부가 상호 협조하여 일정한 금액을 일정

시기부터 평생 동안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사회보장제도의 하나이다.

* 공공부조인 생활보호는 생활 보호법의 적용 범위에 해당하는 노인 및 노인가족이 받을 수 가

있으며, 사회보험방식인 국민연금제도의 일환으로 고령 시에 제공받을 수 있는 노령연금도

실시되고 있다.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매우 제한된 노인이 생활보호대상으로 생계보호를 비롯한

각종 보호를 받고 있으나, 선진 외국과 같은 사회보험방식에 의한 노후소득보장이 필요할 것이다.

(2) 거주대책

* 노인가족의 경우는 일반 가족과 다르게 노인이라는 신체적․정서적 특성과 경제적 문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노인을 위한 주거시설은 특별히 계획되어야 한다.

(3) 의료대책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의 사유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제공하는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지원 등의 장기요양급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노후의 건강증진 및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그 가족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 그 동안 가족의 부양 영역에 맡겨져 왔던 치매 중풍 등 노인에 대한 장기간에 걸친 간병,

장기요양문제를 사회연대원리에 따라 국가와 사회가 분담함으로써 노인뿐만 아니라 장기요양을

직접 담당하던 중장년층과 자녀 등 모든 세대에게 혜택을 주는 제도이다.

(4) 교육대책

* 노인의 학력과 경제적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노인교육의 욕구수준이 높고 다양해진다. 또

사회교육 내지 평생교육이라는 차원에서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노인가족의 복지를

위해서도 중요하다.

(5) 휴식 및 여가 관련 대책

* 노인이 여가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는 개인차가 많다. 노인에 따라 지루하기만한 긴 시간으로

혹은 생활고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즐거울 수 있는 시간으로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휴식과 여가에

대한 대책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별할 수 있는데, 여가에 대한 인식의 제고와 계몽, 여가를 위한

기회의 평준화, 여가를 위한 기능 습득의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노인의 욕구에 부응하는 시설의

다양화와 재정 보조, 노인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여가 종류 개발 등이다.

(6) 생활서비스 대책

* 요양보호사의 구체적인 서비스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신체활동지원 서비스:식사, 목욕, 대소변처리, 옷 갈아입기, 이동, 욕창예방을 위한 운동과

체위변경, 간단한 재활훈련(산책, 병원동행, 보행훈련 등), 심리적 지원 및 기타 일상생활수행능력

지원

② 가사활동지원 서비스:세탁, 물건사기, 식사준비 및 조리지원, 은행일 업무지원

③ 기타 서비스:외출 시 동행, 일상 업무대행, 우애서비스 등 정서지원(말벗, 격려 및 위로,

생활상담, 의사소통)

Page 61: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61

가족복지론 7주차 2차시 - 노인가족과 가족복지2

(7) 정서적․ 심리적 대책

* 노인가족의정서적․ 심리적문제의 해결은 노인상담과 가족상담 및 치료를 이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노인가족을 포함한 노인상담은 다른 상담 분야에 비해서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편이다. 이는 상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노인상담제도가

개발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 노인상담은 관련자가 방문상담의 형식으로 하는 경우가 있으며, 노인복지법에 의하면 노인의

복지를 위한 상담 및 지도의무를 다하기 위하여 시․군․구에 노인 상담원을 두도록 조치하고 있으나,

전문상담인력의 부족과 예산 부족으로 아직도 미비한 부분이 많다. 정서 및 심리적 대책을

위해서는 상담 외에도 교육과 취미활동을 통한 심리적 안정을 얻을 수도 있다.

2)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검토과제

*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은 부모 부양과 자녀 양육의 이중부담으로 노후 준비가 부족한 샌드위치

세대로 자신을 위한 준비가 되지 않은 세대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은퇴 후에도 편안한 노후를

생각하기 어렵고 일자리와 소득이 필요한 집단이다.

* 이들 세대의 욕구는 학력이 고학력으로 능력도 있고 사회참여와 여가에 대한 욕구가 강한

집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식생활과 환경의 변화로 만성질환과 유병률이 급속히 증가하는

특성도 보여 이들에 의한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등 사회보험에 대한 지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견하고

있다.

▶ 정부의 선제적 대응책으로 각 부처에서는 각각 대비검토하고 있다.

* 첫째는 베이비붐세대 은퇴에 대비한 선제 대응책으로 노후소득보장체계개선, 계속근로, 사회참여

활성화, 사전 예방적 건강관리를 위한 정책.

* 두 번째는 저출산 극복을 통한 미래성장잠재력 확보책으로 제2차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맞벌이와 다자녀 등 보육서비스 강화, 불임 등 출산지원강화 등의 정책이다.

* 미래노인빈곤방지를위한노후생활안정지원정책으로베이비붐세대 55~63년생의 노인빈곤방지를

위한 국민연금과 기초노령연금의 역할분담 방안을 마련하고자 연금제도의 재구조화를 계획하고

있다.

Page 62: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62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9주차 1차시 - 이혼/재혼가족과 가족복지1

1. 이혼가족의 개념

1) 이혼가족과 가족복지

- 최근 우리 사회의 이혼율은 증가율과 변화 양상에 있어서 개인의 문제를 넘어서 사회문제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이혼율의 증가와 함께 결혼율 및 출산율의 감소 등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가족해체와 가족제도 구조에 대한 문제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제 이혼은 이혼 당사자

간의 문제만이 아니라 가족, 사회, 국가 등이 사회환경체계 입장에서 원인과 구조적 진단이 시급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 이혼으로 인한 가족해체를 보는 측면은 조정하기 어려운 부부갈등을 해결하여 행복한 삶을

찾는다는 긍정적 시각과 부모의 이혼은 자녀의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가능한 한 참고

살아야 한다는 부정적 시각이 있다. 최근에는 의식의 변화로 이혼을 더 이상 개인의 이기적

판단으로 보기보다는 새로운 삶의 시작이라는 개념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즉, 이혼이 절대 안 되는

것에서 어쩔 수 없어 할 수도 있는 것 혹은 적극적으로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해되면서 이혼을 불행한 결혼관계로부터의 해방이나 결혼에서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 그리고 새로운 자기발견의 기회라는 긍정적인 측면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

- 그러나 이혼은 배우자의 사망 다음으로 스트레스를 주는 충격적인 사건으로 경제적․정서적․사회적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이혼가족이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이해와 함께 개인, 지역사회, 국가가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2) 이혼가족의 개념

- 이혼은 결혼관계에서 생긴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법률상으로 유효하게

성립된 혼인관계를 결혼 당사자들이 모두 살아 있는 동안에 결혼 당사자들의 협의 또는 재판상의

절차를 거쳐서 그 부부관계를 해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인위적으로 혼인관계를

해소시킨다는 점에서 부부 중 어느 일방의 사망에 의한 혼인관계 해소와 달리 부부관계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에서 탈피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며 동시에 부부관계를 해소시킬 방법을

법률상으로 인정하는 제도이다. 그리고 이혼가족이란 이혼에 의해 축소된 가족을 말한다.

- 그러나 이혼은 부부관계가 소멸되는 것으로 부모가 이혼을 하더라도 그 관계를 통해 형성된

부모-자녀관계는 그대로 지속되기 때문에 가족의 해체로 규정지을 수는 없다. 급속히 증가하는

이혼의 현상에 대해 가족이 해체되는 징후라고 우려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전통적인 초혼

핵가족을 이상적인 가족으로 여기면서 이혼은 극복해야 할 사회적 문제라는 부정적 관점으로 보는

데 근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혼을 병리적이거나 일탈적 관점으로 다루기보다는

이혼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제에 초점을 두어 예방적 차원의 결혼준비교육이나 이혼이 불가피한

가족에게는 당면 문제를 해결하게 하고 이혼 후의 적응에 관심을 쏟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이혼은 하루아침에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단편적 사건이 아니라 오랜 과정 속에서 어렵게

도달하게 되는 경험으로 결혼생활에서 갈등이 누적되고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나름대로의

행동을 취한 후에 최종적으로 이혼을 결심하게 되는 이혼의 과정 전반에 걸친 어렵고 고통스러운

문제로 보는 경향이 있다(곽배희, 1994;Bursik, 1991;이소희, 2003 재인용).

- 이와 같이 이혼은 일련의 과정으로 부부관계의 해체는 법정에서 이혼이 확정되기 이미 오래

전부터 시작되는 과정이다. 즉, 대부분 모든 이혼은 점진적이며 매우 유사한 과정을 경험하게 되어

부부가 이혼하기까지의 과정은 상당히 예측 가능한 일련의 단계를 거쳐 간다. 대개 심한 갈등

단계를 거쳐 그 갈등을 극복하지 못하면서 서서히 침묵과 냉전 단계가 일상화되어 표면적으로는

이상적 결혼관계를 유지하지만 서로의 마음이 단절되어 있는 상태인 정서적 이혼의 단계로

Page 63: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63

가족복지론 9주차 1차시 - 이혼/재혼가족과 가족복지1

이어지며 이 단계가 심화되어 법적 이혼 단계에 이르게 된다. 대부분의 가족들은 이혼을 피하려

하며 최후의 방편으로 이혼을 선택하지만 일단 이혼이 발생하면 그것은 가족체계의 복잡한 발달적

과정을 가동시킨다.

- 즉, 법적 이혼으로 모든 것이 끝나게 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 요소들이 상호작용하여 심각한

스트레스를 주게 되는 복합적 과정이다.

- 이에 따라 Ahrons와 Levinger는 이혼 과정을 부부 간의 갈등 단계, 사실상 부부관계 해체 단계,

이혼 후 단계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인류학자 Bohanan(1970)은 이혼을 정서적

이혼(emotional divorce), 법적 측면에서의 이혼(legal divorce), 경제적 측면에서의 이혼(economic

divorce), 부모역할 측면에서의 이혼(coparental divorce),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의 이혼(community

divorce), 심리적 측면에서의 이혼(psychic divorce) 등 여러 영역에 걸쳐서 서로 연결되고 중복되는

복합적 과정으로 보았다.

- 즉, 이혼은 이와 같이 단일의 생활 위기나 사건이라기보다 다양하고 복합적인 심리사회적

과정이어서 법적 이혼은 이루어져 있으나 여타 나머지 영역의 이혼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생활할

수도 있고, 또는 법적 이혼은 이루어져 있지 않으나 여타 나머지 영역은 이혼한 채 생활할 수도

있다.

2. 이혼가족의 실태 및 문제

1) 이혼의 실태 및 원인

(1) 이혼의 실태

- 이혼율은 과거 15년 대비로 꾸준히 증가하다가 2003년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20년

이상의 장기 동거 부부의 이혼은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고, 한국인과 외국인 부부의 이혼은

증가추세에 있다, 평균 이혼연령은 남녀 모두 상승에가 지속되고 있으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혼 부부의 상당수가 미성년 자녀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이혼가족의 자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더욱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2) 이혼의 방법 및 이혼 원인

- 협의이혼은 부부 당사자가 서로 이혼할 것을 합의하고 가정법원에 가서 이혼에 대한 안내를

받아야 하고, 안내를 받은 날로부터 양육하여야 할 자(포태 중인자를 포함)가 있는 경우에는 3월,

없는 경우에는 1월의 기간이 지난 후에 이혼의사의 확인을 판사로부터 받은 다음 본적지나

주소지의 호적계에 이혼신고서를 제출함으로써 부부관계를 해소하는 방법이다(민법 제834조,

제837조, 호적법 제79조).

- 재판이혼은 법률이 정해 놓은 일정한 이혼 사유가 생겨 부부 중 일방은 이혼하려 하는데 다른

일방은 이에 합의하지 않을 때 가정법원의 조정을 거쳐 이혼소송을 청구하여 법정에서의 판결에

의해 성립되는 이혼이다.

Page 64: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64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9주차 1차시 - 이혼/재혼가족과 가족복지1

* 민법 제840조에 명시되어 있는 재판상의 이혼 사유(원인).

① 배우자에게 부정한 행위가 있을 때

② 배우자가 악의로 다른 일방을 유기한 때

③ 배우자 또는 그 직계존속으로부터 심히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

④ 자기의 직계존속의 배우자로부터 심히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

⑤ 배우자의 생사가 3년 이상 분명하지 아니한 때

⑥ 기타 혼인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가 있을 때

이 중 ①~⑤까지는 책임을 근거로 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⑥은 부부관계가 파탄되어 회복될

가능성이 없는 다양한 이유를 포함함으로써 추상적․상대적 이혼 사유를 제시하고 있다.

2) 이혼가족의 문제

- 이혼은 행복한 삶을 살아 나가기 위한 또 다른 도약의 계기가 될 수도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으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있어서 이혼은 매우 고통스러운 인생사건 중의 하나로 가족에게 심한

충격을 주는 어려운 과정이다. 따라서 개인의 생활양식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이혼을 경험한

당사자나 그들의 자녀들은 이혼 후 첫 2년여 동안 여러 가지 많은 문제를 보인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위기의 시기가 지나게 되면 여러 문제점을 극복하고 정상적으로 기능하게 되지만, 일부는

지속적으로 극단적 문제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일부 아동의 경우는 성인기까지 부모의 이혼으로

인한 상처를 극복하지 못하고 여러 문제를 보이기도 한다(Hetherngton & O’Conner, 1993;이정숙,

2004 재인용).

- 이혼 후 경험하는 어려움으로는 경제적 어려움, 심리적 갈등, 자녀와의 관계, 사회적 지원체계

등이 있으며(변화순, 1996), Hetherington과 Kelly는 가사 혼란, 경제적 어려움, 정서적 변화, 사회적

관계, 성적 및 친밀한 관계의 영역에서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한다.

- 또한 이혼으로 인해 겪게 되는 문제들은 부부에게 미치는 문제, 자녀에게 미치는 문제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부부에게 미치는 문제는 경제적 문제, 대인관계 및 사회적 문제, 신체적․정신적

건강상의 문제 등으로 볼 수 있다. 그 중에는 남녀가 공통으로 겪는 문제도 있고, 경제적

어려움처럼 문제의 양상에서 성차를 보이는 것도 있다.

(1) 이혼이 부부에게 미치는 영향

① 신체적⋅정신적 건강문제

- 이혼은 남녀 모두에게 정서적 어려움으로 신체적․정신적 건강문제를 가져오게 된다. 즉, 여러

가지 문제의 협상 및 요구 등으로 인한 이혼과정 동안의 긴장은 신체적 건강을 악화시키고 심리적

장애를 초래할 가능성이 많아지게 된다. 이혼을 경험한 직후 남녀 모두 대개 정서적으로

불안정하며, 분노하고, 우울하고, 불안해하고, 충동적․반사회적 행동을 보인다.

② 대인관계 및 사회적 문제

- 이혼을 하면 사회적 관계망은 급격하게 변화되어 어떤 형태로든 대인관계의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성정현, 1998). 이혼 후 겪는 문제 중 심각한 것은 가장 큰 심리적 지지를 해 줄 수 있는

친족이나 친구가 이혼의 고통과 경험을 이해하고 지지해 주기보다는 외면하는 경우가 보통이어서

이들로 인해 상처를 받고 고통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Page 65: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65

가족복지론 9주차 1차시 - 이혼/재혼가족과 가족복지1

③ 경제적 문제

- 이혼한 사람이 가장 직접적으로 당면하게 되는 문제는 경제적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전업

주부의 경우 충분한 재산이 없는 한 이혼 후 직면하는 가장 큰 문제는 경제적 문제이며, 이는 가장

큰 성차를 보이는 것으로 여성의 경우 이혼 후에 겪어야 하는 경제적 어려움이 남성에 비해 훨씬

심각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남성도 경제적 어려움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양상에 있어 여성과

차이가 있다.

(2) 이혼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 월러스테인(Wallerstein)의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 첫째, 이혼은 가족에게 구조적인 변화를 가져올 뿐 아니라 부모와 자녀가 서로에게 가지는

의식적 및 무의식적  심리적 욕구, 소망 그리고 기대를 변화시킨다.

- 둘째, 보모-자녀 관계는 이혼 시점에 변할 뿐 아니라 그 후에도 계속 변화할 수 있다.

- 셋째, 이혼가족이 가지는 만성적인 불확실성은 아동에게 지속적인 불안감을 유발한다.

- 넷째, 이혼가족과 재혼가족에서 아동은 훨씬 더 빨리 성장해 버린다.

- 다섯째, 전형적으로 아동은 부모의 헤어짐에 대해 부모가 주는 설명을 거부하고 나름대로의

견해를 가지고 있다.

- 여섯째, 이혼 후 부모의 형편에 차이가 많이 날 때, 아동은 성장기 동안 이를 고통스럽게

인식하며 보다 어려운 처지에 있는 부모에 대한 사랑과 연민을 가진다.

- 일곱째, 전반적으로 이혼가정의 자녀는 일반가정의 자녀보다 놀이 시간이 유의미하게 적었으며

스포츠와 음악 그리고 기타 성장 프로그램 등 과외활동에 훨씬 덜 참여하였다.

3. 이혼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 이혼으로 인해 야기되는 여러 문제들을 고려해 볼 때 가족해체의 비율이 급속도로 증가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한 예방적 대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재혼과 같이 재조직화될 때 발생하는 가족구조상의

혼란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하는 것도 새로이 제기되고 있는 중요한 과제이다.

- 이혼은 부부 두 사람이 자신들의 관계를 해소하는 것이지만 이혼으로 인한 문제는 부부관계의

해체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로 인한 문제가 가족 전체의 문제로 파급될 만큼 심각한 사건이며 더

나아가 사회문제로 되고 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이혼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에 대한 해결이

대부분 개별 가족구성원의 차원에서 미미하게 이루어져 왔을 뿐이다. 앞으로 이혼으로 인한

가족해체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므로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혼이

불가피한 가족에게는 당면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게 하고 이혼 후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용기와

정신적 지원을 해 줄 수 있는 사회적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Page 66: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66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9주차 1차시 - 이혼/재혼가족과 가족복지1

1) 이혼 예방 대책

(1)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 가장 높은 이혼율을 보이는 초기의 부부 이혼은 결혼에 대한 충분한 인식이 부족한 상태에서

결혼을 서둘렀다가 이혼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정의

건강성을 유지하고 지원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성 역할과 이성 교제, 배우자

선택과 결혼, 가족관계에 대한 교과 내용을 강화하고 혼인 적령기 성인과 결혼 예비부부를

대상으로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과 같은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급변하는 사회에 알맞은

결혼관과 새로운 부부의 역할 및 윤리관 등 결혼 전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2) 가족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

- 한편 갈등이나 위기 상태로 문제가 있는 부부를 대상으로 하여 위기의 원인이나 상태에 따라

이혼 예방과 이혼 위기 극복을 위한 부부상담, 가족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하며,

아울러 이혼 후의 생활에 통찰력을 길러 주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병행되어야 한다.

2) 이혼과정상의 대책

- 이혼을 결정한 후에는 자녀문제, 법적 문제에 대한 조정과 중재를 할 수 있도록 법률서비스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1) 조정 및 중재

- 이혼을 고려하고 있거나 결심한 부부에게는 신중을 기하도록 권고하고 또한 부부관계를 다시

회복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조정 및 중재를 시도해야 한다. 그래도 이혼을 해야 할

때에는 당사자와 자녀 모두가 상처를 덜 받고 상호 협조적인 이혼 협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부

당사자의 판단을 돕기 위한 이혼과 관련된 법률상담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2) 법률적 재판

- 화해, 조정, 중재가 잘 안 되면 법률적 재판을 하게 되는데 재판과정에서는 재산분할, 위자료,

자녀에 대한 양육권 및 양육비, 면접교섭권 등에 대해서도 남녀가 공평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혼 후 불리해지는 배우자를 고려하여야 한다. 아이가 있는 경우 가장 문제되는 게 양육비와

면접교섭권이다.

(3) 이혼숙려제도

- 2008년 6월 22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이혼숙려제란 협의이혼을 신청하는 부부들이 이혼 전에

일정기간의 숙려기간이 지난 후 이혼의사의 확인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경솔한

이혼을 방지하고 이혼 결정에 대해 다시 한 번 재고할 기회를 준다”는 취지로 가정폭력 등 급박한

사유를 제외하고 일정한 숙려기간 후에 협의이혼 의사를 확인해 주는 제도다. 가정법원에 이혼

확인 신청을 하면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3개월, 없으면 1개월이 지난 후에 이혼의사를 확인 받을

수 있다. 다만 가정폭력 등 이혼해야 할 급박한 사정이 있다고 가정법원이 인정한 경우에 한해 그

기간을 단축하거나 면제할 수 있다.

Page 67: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67

가족복지론 9주차 1차시 - 이혼/재혼가족과 가족복지1

(4) 자녀에 대한 배려

- 자녀에게는 부모의 이혼 그 자체만으로도 충격이 되는데 준비 없이 갑작스럽게 이혼을

받아들여야 할 때에는 더욱 충격이 된다. 따라서 자녀가 이해할 수 있는 마음의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이혼 전에 자녀와의 대화를 통해 상황을 이해시키고 수용하도록 노력하여 자녀 자신에게

나름대로 대처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3) 이혼 후의 대책

- 이혼 후의 남녀에게는 다양한 대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이혼상담, 인간관계를 통한 지원강화,

사회경제적 지원 강화, 이혼가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이혼 후 잘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

(1) 경제적 지원 제도 마련:정부 차원에서

∙ 자녀양육비 및 교육비 보조

∙ 의료비 보조

∙ 한부모수당 지급

∙ 직업훈련 기회 제공 및 취업알선

∙ 주택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경비 보조

∙ 영구임대주택 입주 지원

(2) 자녀양육 및 교육 프로그램:정부나 정부의 지원에 의한 사회단체에서

∙ 다양한 형태의 탁아 프로그램 실시

∙ 방과후 자녀 생활지도 프로그램과 이용시설 제공

∙ 부모역할교육 프로그램 실시

∙ 이혼 자녀 대상 교육 및 상담기구 운영-정부 지원, 사회단체에서 운영-전화상담, 대면상담 등

다양한 방법 개발

∙ 자녀가 유기되는 경우의 방안 모색-가정위탁보호 방안

(3) 심리적․사회적 지지:사회단체 차원에서

∙ 독립의식 고취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실시

∙ 이혼 후의 심리적 적응 및 성장을 위한 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 실시

∙ 정서적 지지를 위한 이혼자 모임 주선

∙ 재혼 기회 마련

∙ 이혼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방안 마련

Page 68: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68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9주차 2차시 - 이혼/재혼가족과 가족복지2

1. 재혼가족의 개념과 특성

1) 개념과 유형

(1) 개념 : 재혼가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용어로는 remarried family를 step-family와 혼용하여

사용한다.

* 미국 : 배우자 한쪽이나 양쪽 모두가 재혼 이상의 결혼으로 자녀가 있거나 없으면서, 하나의

가구를 유지하는 남편과 아내로 구성된 가정.

* 국내 : 이미 한 번 또는 그 이상 결혼하여 가정을 이룬 남성이나 여성이 다른 배우자와 새롭게

가정을 재구성하는 것.

(2) 재혼가족의 유형

2) 재혼의 특성

- 이혼한 뒤 재혼한 사람은 초혼의 사람들과는 매우 다른 특성을 갖는다.

(1) 유사한 결혼 조건을 갖는 사람을 선택하려고 한다. 그리하여 이혼한 사람끼리 재혼하는 경향이

있다.

(2) 대부분의 이혼한 사람들은 전 배우자의 자녀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배우자의 전

배우자와의 자녀들과 친밀한 관계나 신뢰감 사랑을 느끼는데 시간이 걸린다.

(3) 초혼을 통해 배우자를 이해하는 것이 결혼생활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경험했기 때문에 초혼의

경우보다 인간적으로 성숙된다.

(4) 초혼의 파경 원인이 재혼의 경우에도 계속 남아 있어 초혼의 경우보다 더 많이 이혼한다.

3) 재혼과 자녀

- 재혼에 있어서 중요한 적응 중 한 가지는 자녀와 계부, 계모간의 관계이다.

어떤 사람들은 자녀들이 적응에 문제를 갖지 않고 자신들의 계부, 계모와 적극적인 관계를

형성하지만 또 다른 어떤 사람들은 상당히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자녀와의 적응에서 자녀의 나이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아주 어린 영,유아기의 자녀들과 성인 자녀들은 사춘기에서 보다는 훨씬 용이하게 계부, 계모를

받아들인다. 또, 사별에 의한 경우보다는 이별에 의한 재혼일 때 자녀들은 더 쉽게 받아들인다.

Page 69: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69

가족복지론 9주차 2차시 - 이혼/재혼가족과 가족복지2

2. 재혼가족의 실태와 문제

1) 재혼의 실태

- 1995년 남자 초혼 구성비는 89.3%였으나 2004년 81.2%로 다소 감소.

재혼은 1995년도 10.0%에서 2004년 18.2%로 2배 가량증가

여성의 경우 초혼 구성비는 78.9%로 1996년의 89.3%에 비해 많이 줄었으나 재혼은 1995년

10.0%에서 2004년 20.4%로 두 배 이상 증가.

- 즉 남녀의 초혼 구성비는 낮아지고 있는 반면에 재혼 구성비는 꾸준히

높아지고 있으며 여성의 재혼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아 여성의 재혼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 재혼가족의 문제점

* 재혼가족에서의 심각한 문제는 새로 결합한 부부의 관계보다 강력하고 친밀한 부모 자녀관계에

있다. 재혼부부는 초혼과 같이 자녀의 출생 전까지의 허니문 기간이 없기 때문에 계자녀의

훈육이나 부모의 역할에서 한계 등에 대해 갈등을 겪을 수 있다.

* 이혼가족의 자녀는 재혼한 양부모의 두 가정을 번갈아 다니는 생활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자녀는

경쟁과 불안감을 느끼며 문화적 충격으로 고통 받을 수도 있다 이는 청소년의 문제와 복합되어

일탈을 감행하기도 한다.

(1) 적응문제

- 이혼 후의 적응은 일반적으로 2~5년이 소요된다. 예전에는 재혼을 하거나 전 배우자와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되는 상황을 적응이라고 했으나 지금은 전 배우자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독립적

정체감을 확립하고 일상생활의 제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획득을 말하고 있다.

① 사별 후의 재혼적응문제

* 배우자를 잃었을 경우, 이혼보다 급작스럽게 준비 없이 당하게 되므로 적응 하는데 곤란함을

느끼게 된다. 특히 여성의 경우 경제적. 사회적 지장을 가져오게 되고 이는 노인의 자살률의 증가로

나타난다.

* 사별초기 주의사람들의 동정이나 가능한 면의 원조를 받을 수 있고, 사별초기의 정신적 타격을

견딜 수 있다면 새로운 각오와 가족 간의 단결이 강화될 수도 있다.

② 이혼 후의 재혼 적응 문제

* 이혼은 이미 별거 또는 가출 유기 등의 비정상적 형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배우자의 사망의

역할 변화보다 변화기가 충분히 있는 경우가 많다.

* 가족, 친구 및 기타 사회적 지원망은 여러 종류의 생애 위기에 대한 적응에 중요한 매개변인

역할을 하여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거나 자아확립에 도움을 준다.

* 여자는 남자보다 여러 유형의 복합적인 문제를 경험하며 외로움, 자녀 돌볼 시간의 부족,

주변사람들의 부정적인 인식에 대한 어려움을 남자보다 더 심각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③ 자녀의 적응 문제

* 아버지나 어머니가 사망하였을 때에는 상실감 고독감으로 인한 불안정, 부적절감으로 고통

받으나, 부모가 이혼할 경우 양부모에 대한 충성심에 갈등을 느끼게 된다.

Page 70: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70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9주차 2차시 - 이혼/재혼가족과 가족복지2

⊙ 이혼기간이 길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많이 이용할수록 이혼 후 생활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현재의 양육 부모나 비친권 부모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자녀들의 적응에 좋은 영향을 미쳤다.

⊙ 외국의 동성부모가설과 달리 남아가 부모의 친권유무에 관계없이 적응을 잘한다.

3. 재혼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1) 가족생활교육

- 첫째. 재혼준비를 위한 예비교육이 요구된다.

- 둘째. 재혼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화한 자료의 제공이 필요하다.

- 셋째. 부모역할 및 계부모의 역할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 넷째. 다양한 가족 유형에 대한 교육을 하여야 한다.

2) 가족상담 및 치료

재혼가족을 대상으로 상담활동을 할 때 유의해야 할 지침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온전한 가족에 대한 정서적인 개념을 극복하는 일은 어렵지만 매우중요하다. 그래서

계부모가족을 핵가족 틀에 맞추려는 시도는 쓸모 없다.

- 둘째. 계부모 가족을 초혼가족과 다르게 평가하는 것이 유용하다.  

- 셋째. 성공적인 계부모가족과 관련된 문제를 치료하는데 가장 중요한 치료적 중재는 정당성교육,

무력감의 감소, 부부관계의 강화이다.

- 넷째. 치료하는 과정에 새로운 부부와 더불어 전 배우자, 조부모 혹은 다른 중요한 사람을

포함시키는 것이 때로는 필요하다.

- 다섯째. 치료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치료자의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역전이 현상이 계부모가족

상황을 다룰 때 강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것은 치료를 불가능 하게 할 수 있다.

3) 동년배 지지집단 형성

- 첫째.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재혼가족)끼리 자신들의 문제와 갈등을 나눈다.

- 둘째. 가족구성원 간의 갈등과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기술 및 부모역할 등에 대한 교육을 받는다.

- 셋째. 유사한 상황에 처한 다른 사람들이 문제에 대처하는 창조적인 방법에 대해 듣고 자신의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제공받을 수 있다.    

- 넷째. 공식적 모임이 끝난 뒤에도 동년배 지지집단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4) 재혼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인식의 전환

- 첫째. 가족 전문가는 연구를 통해 잘 적응하는 가족의 사례를 발견, 이를 대중매체를 통해

일반인의 인식을 전환시키도록 해야 한다.    

- 둘째. 계모에 대해 나쁜 선입견을 갖게 하는 전래동화 같은 것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교육을 해야 한다.

- 셋째. 신문이나 방송 드라마와 같은 대중매체에서도 계모나 재혼가족에 대해 부정적 이미지보다는

긍정적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관심이 모아져야 함.

- 넷째. 계모나 재혼가족에 대해 부정적 이미지 보다는 긍정적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관심이 모아져야 한다.

Page 71: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71

가족복지론 9주차 2차시 - 이혼/재혼가족과 가족복지2

5) 재혼가족을 위한 지원프로그램

(1) 재혼가족을 위한 준비교육

- 첫째. 프로그램의 목적 :  재혼가족생활에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하여 사전 의논를 통해

스스로 합리적이고 바람직한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자 함.

- 둘째. 프로그램 내용

* 첫번째 모임 : 재혼 바로 보기

* 두번째 모임 : 서로를 감싸 안기

* 세번째 모임 : 우리들의 재혼 터놓고 이야기하기

* 네번째 모임 : 재혼가족에서의 부모역할 점검하기

Page 72: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72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0주차 1차시 - 한부모/미혼모가족과 가족복지1

1. 한부모가족의 개념과 유형

-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급속한 변화로 다양한 가족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는데 그 중 최근에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가족형태 중의 하나가 한부모가족이다. 한부모가족은 현대에 들어 이혼, 사망, 별거,

유기 그리고 미혼모 등의 발생 증가로 그 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우리 사회는

앞으로 더 많은 이혼과 한부모가족을 양산해 낼 수밖에 없는 사회적 환경 속에 살고 있다. 즉,

산업화 이후 고도로 발전된 경제성장과 사회변동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 가족의 행복보다는 개인의

행복을 더 추구하는 개인주의적 성향, 개정된 가족법의 영향, 복잡한 사회환경으로 인한 교통사고,

산업재해, 높은 스트레스, 각종 성인병, 과로사 등 40대 남성의 사망률 증가로 그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개인주의의 확산과 더불어 결혼생활에 대한 만족 여부가 이혼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었고, 재산분할청구권, 자녀양육권, 면접교섭권 등 여성에게 불리했던 법들이 개정되면서

2020년까지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통계청, 2003).

1) 한부모가족의 개념과 유형

- 한부모가족이란 부모 중 한쪽의 사망, 이혼, 유기, 별거 및 미혼모(미혼부)로 인하여 한쪽 부모가

없거나 법적으로 또는 현실적으로 한쪽 부모역할을 할 수 없는 한부, 한모로 이루어진 가족을

의미한다. Again Orthner, Brown, Ferguson 등은 한 가정에 사는 한쪽 부모와 요보호아동으로

구성된 가족으로 규정하기도 한다(Trost, 1980).

한부모가족의 유형은 발생 원인과 결합 형태에 따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발생 원인에 따른

분류는 한부모가족 발생의 원인이 부모 중 어느 한쪽의 사망, 이혼, 유기, 미혼모 등 어디에

속하느냐 하는 것이고, 결합 형태에 따른 분류는 아이를 누가 맡아 양육하느냐 하는 것으로 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부자가족과 모와 자녀로 이루어진 모자가족으로 구분된다.

- 또한 한부모가족을 자발성과 일시성을 기준으로 구분해 보면 스스로 재혼을 미루기는 하지만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재혼을 하려는 의사를 가진 자발적이고 일시적인 유형, 마땅한 배우자가 없이

탐색 기간을 거치는 비자발적 일시적 유형, 연령이나 기타 주변 여건 때문에 스스로 한부모 생활을

계속하고자 하는 자발적 장기적 유형, 그리고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한부모 생활을 할 수밖에

없는 비자발적 장기적 유형들이 있다. 과거에는 자발적 장기적 유형이 많았으나 근래에 와서는

비자발적 일시적 유형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는 한부가족과 한모가족의 차이가 크다(유영주 외,

2004).

- 이렇게 한부모가족을 분류하는 기준은 다양하며 이는 한부모가족의 특성이 얼마나 다양한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한부모가족은 계속 증가 추세에 있고, 발생원인별로 볼 때

배우자의 사망에 의한 한부모가족이 다수를 차지하였으나 점차적으로 이혼과 별거의 증가,

미혼모의 발생, 과거에 발생하지 않았던 비정형적 가족 유형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선택적

가족 유형이 되고 있는 만큼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책임지고 보완해 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다.

Page 73: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73

가족복지론 10주차 1차시 - 한부모/미혼모가족과 가족복지1

2. 한부모가족의 현황과 문제

1) 한부모가족의 현황

한부모가족은 배우자의 사망, 이혼, 별거, 유기, 그리고 미혼부모 등으로 발생하며, 과거에도

상당수 존재하였으나 현대에 와서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2005)에 의하면 전체 가구 중 한부모가족이 차지하는 비율은 1985년에 848만

가구로 8.9%, 1990년에 889만 가구로 7.8%, 1995년에는 960만 가구로 7.4%였다가 2000년에는

1,124가구로 7.9%였다가 2005년 1,370만 가구8.6%로 증가하였다. 즉, 우리나라의 가구 전체에서 열

가구 중 한 가구는 한부모가족인 것이다. 또한 2005년도의 전체 한부모가족 중 80.4%가

모자가족으로 2,359,708가구이며, 부자가족은 593,427가구로 전체의 19.6%를 차지하여 모자가족이

부자가족의 4배를 차지하고 있다. 연령별 분포에서는 30, 40대에서 증가하고 있는 현상이 나타나

이 연령층에서의 이혼율 상승으로 인한 이혼한 여성 가구주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통계청,

2005). 이혼 부부의 연령 계층별 분포의 변동을 보면 20대의 구성비는 감소한 반면 40대의

구성비는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어 자녀를 가진 한부모가족 비율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한부모가족의 문제

(1) 모자가족의 문제

* ① 경제적 문제

* ② 심리사회적 문제

㉠ 역할갈등 ㉡ 상실감과 소외감 ㉢ 자녀의 부적응 ㉣ 사회적지지 및 편견과 차별

(2) 부자가족의 문제

* 부자가족(motherless family) : 최근 이혼율이 증가하면서 부자가족의 비율도 높아짐에 따라

부자가족의 문제도 새롭게 등장.

통계청에 따르면 이혼과 아내 가출 등으로 인한 부자가족이 2000년 22만 4,572가구에서 2005년

24만 2,129가구로 꾸준히 증가.

<이는 어디까지나 공식적인 수치이고 통계에 잡히지 않는 경우까지 합하면 훨씬 많다는 게

전문가들의 추정이다.>

* 부자가족이 겪는 어려움 : 경제적`심리적 문제와 자녀양육과 가사 역할 등 적응하기 힘든 역할로

경우에 따라서는 모자가족보다 더 큰 부담감과 어려움을 겪고 있다.

① 경제적인 문제

*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부자가족도 모자가족과 마찬가지로 경제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다. 물론

경제적 문제는 부자가족이 모자가족보다는 적게 겪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부자가족의 부의

경우 자녀양육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므로 그의 업무상 중요한 활동(예:근무 시간 외 활동,

지방 출장, 퇴근 후 비공식적 음주, 야간 이동 등)에 시간을 할애할 수 없게 되어 고용주들이

이들의 승진을 꺼리게 되는 불이익을 당하게 된다.

Page 74: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74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0주차 1차시 - 한부모/미혼모가족과 가족복지1

② 가사 및 자녀양육 문제

* 자녀양육과 가사문제로 부가 일차적으로 직면하는 어려움이며, 모자가족보다 훨씬 문제를 많이

겪는 측면이다.

③ 심리사회적 문제

* 자녀는 모의 부재로 인해 감정이나 애정을 표현하는 등의 표현적 경험을 가질 기회가 박탈되어

가족원을 비롯한 타인과의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 어려움을 가진다.

3. 한부모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1) 한부모가족에 대한 복지대책의 문제점

- 한부모가족복지란 한부모가족의 부, 모, 자뿐만 아니라 그들이 하나의 독립된 가족으로서 가족

간의 상호작용과 사회의 기초 단위로 적응할 수 있도록 사회적 기능 강화와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 활동을 말한다.

• 한부모가족이 겪는 다양한 어려움에 비해 아직까지 한부모 가족에 대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지원정책이 부재하다.

• 모자가족의 경제적 안정을 위한 별도의 복지대책에 대한 고려가 매우 부족하다.

• 실직적 보호 내용에 있어서는 극빈층을 제외한 층에 대한 보호는 미비하다.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나 모.부자복지법에 의한 지원 내용이나 지급수준도 미흡하여 현실적으로

생활을 안정하고 자립을 이루어 나가지 위한 방편이 되지 못하고 있다.

• 경제적 자립을 위한 직업훈련의 필요성이 역설되고 있지만 모자가구주를 둘러싼 제반 여건에

대한 고려가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 아동양육비 지원이나 자녀 학비 지원수준도 상향 조정할 필요성이 있다.

• 저소득 한부모가족을 위한 영구임대아파트에 우선 입주할 수 있는 지원 내용이 있으나

한부모가족의 주택 안정이 크게 위협받고 있으며 대기 기간이나 영구임대주택 공간의 협소함이

개선되어야 할 점이다.

• 저소득 한부모가족이 아닌 일반 한부모가족에 대한 서비스는 현실 생활에 실제적 도움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1) 한부모가족지원법을 중심으로

1. 선정기준을 완화해야 한다.

2. 지원대상을 늘려야 한다.

3. 소득환산액의 환산율을 현실화해야 한다.

4. 아동양육비의 지원연령을 확대하고 지원액을 인상해야한다.

5. 생계비를 지원해야 한다.

6. 아동학자금을 지원해야 한다.

7. 보호시설을 확충해야 한다.

8. 보호시설의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9. 보호시설에 운영위원회를 두어야 한다.

10. 종사자의 자격기준을 강화한다.

11. 한부모 가족복지 단체를 지원해야 한다.

Page 75: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75

가족복지론 10주차 1차시 - 한부모/미혼모가족과 가족복지1

(2) 그 외 한부모가정 복지정책

1. 의료비 급여를 제공하여야 한다.

2. 한부모가정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

3. 한부모가정지원센터를 설립해야 한다.

4. 한부모가정의 날과 한부모가정 주간을 선포한다.

5. 한부모가정과 이혼 이해교육 실시한다.

6. 위기 기간동안 집중적인 통합지원을 해야 한다.

7. 모자가정과 부자가정의 고충에 따라 정책을 달리해야 한다.

Page 76: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76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0주차 2차시 - 한부모/미혼모가족과 가족복지2

1. 미혼모가족의 개념과 현황

1) 미혼모가족의 개념

- 미혼모란 그 개념상 미혼 상태에서 혼전 임신 및 출산, 인공임신중절과 별거, 이혼, 사별

상태에서 혼전 임신 및 출산, 인공임신중절과 별거, 이혼, 사별 상태에서 배우자와 관계없는 아이를

가진 경우를 의미한다(NASW, 1965). 그리고 사전에서의 정의를 보면 합법적이고 정당한 결혼 절차

없이 아기를 임신 중이거나 출산한 여성이라고 한다. 법적인 측면에서는 첫째, 혼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를 임신하여 분만을 한 여성, 둘째, 이미 혼인한 기혼녀가 이혼, 과부 등의 상태에서

법적 배우자가 아닌 남자와의 관계에서 임신했을 경우, 셋째, 혼외의 경우인 독신녀가 인공수정한

경우를 말한다.

- 여성학계에서는 ‘미혼모’ 대신 ‘비혼모’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미혼모라는 말은 지금은 결혼을

하지 않았지만 이후 결혼이라는 제도 안으로 흡수되어야 하는 존재로 보는 시각이 담겨 있는 반면

비혼모는 결혼을 거부 또는 선택의 문제로 사고하는 용어로 보고 있다.

-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혼외의 경우는 미혼모라 부르지 않고 단지 혼전 임신에 한해서

미혼모라 하는 것이 상례로 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미혼모는 주로 10대 미혼모(teen pregnancy)

혹은 20대 초반의 미혼모에 국한하여 사용된다(Williams, 1995).

2) 미혼모가족의 현황

- 서구의 성해방 풍조가 급격히 밀어닥치고 이성 교제의 기회가 많아지고, 대중매체를 통한 성적

자극이 만연함에 따라 청소년의 성에 대한 태도와 행동은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양상을 띠게

되었다. 청소년들은 쉽게 성적 충동을 느끼고, 성에 대해서 보다 허용적 태도를 가지게 되어

사회적으로 이들에게 적절한 성교육은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 하에서 성도덕은 문란해지고

성범죄, 혼전 성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미혼모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은데

그 이유는 공식적 창구를 통해 보호를 요청하지 않고 은닉해 버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1) 미혼모가족 아동의 수

- 미국의 경우 1999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미혼모 출산아가 130만을 넘어 전체 출산아의 3분의 1을

차지했다(세계일보, 2001. 4. 30).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우 보건복지부의 통계(2009)에 따르면

요보호아동 발생 수 중 미혼모 아동은 2005년 이후 줄어들다가, 2009년의 경우 40.1%에 달한다.

(2) 미혼모의 연령

- 우리나라의 보건복지부 통계(2007)에 따르면 2003년에서 2007년 동안 16~20세의 미혼모가

3,805명으로 가장 많고, 21~25세가 3,474명, 26~30세가 1,304명으로 나타났다. 15세 이하인

미혼모도 256명이나 차지하고 있었는데 10대 학생미혼모가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3) 미혼모가족 아동의 입양

- 연도별 국내외 입양아동 가운데 미혼모의 아이가 전체가구수의 10% 이상이고, 해가 지나갈수록

늘어났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출산 후 아기 문제에 대해서 68.3%가 입양을, 31.7%가 양육을

선택하였으며, 입양을 선택한 미혼모는 아이에 대한 죄책감(46.1%)과 아이에 대한 미련(34.6%)으로

매우 힘들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을 양육할 수 없는 주요 이유로는 “경제적 문제”(42.0%)와

“아이의 장래”(20.4%)를 꼽았다. 특히 입양을 선택한 미혼모 중 37.7%가 경제적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아이를 양육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여성가족부, 2005).

Page 77: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77

가족복지론 10주차 2차시 - 한부모/미혼모가족과 가족복지2

- 그리고 시설에 거주한 미혼모 140명 가운데 107명(76.4%)이 입양을 선택한 반면 33명(23.6%)이

양육을 선택하여 입양을 선택한 비율이 높다는 연구 결과(노충래 외, 2004)를 볼 때도 미혼모의

자녀는 대다수 입양될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4) 미혼모의 사회인구학적 요인

- 미혼모의 직업

미혼모의 직업은 1990년대에는 무직이 48.7%, 학생이 8.7%에서 2000년대로 오면서 무직이

48.2%로 감소하고 학생이 16.7%로 증가하였으며 다양한 직업으로 확대 되고 있다(이명순 외,

2010).

- 미혼모의 학력

미혼모의 학력은 고등학교 이상이 1990년대 74.9%, 200년대는 84.9%로 증가하였고 대학생 이상도

19.2%로 미혼모의 고학력화 현상을 보인다(이명순 외, 2010). 그러나 10대 의 경우 연령 자체가

낮기 때문에 교육수준이 낮고, 학업을 중단하고 가출을 하는 경우도 많아 학업 지속이 곤란하므로

자연스럽게 저학력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청소년 미혼모의 87.6%가 학업을 지속하기를 원했지만

71%가 학업을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국가인권위원회, 2008). 이는 청소년 미혼모들은 학교로부터

자퇴나 휴학을 권유받거나 스스로 학업을 포기하는 상황이고, 특히 중학생의 경우 의무교육으로

인해 자퇴나 휴학을 학교에서 권고하지 못하지만 ‘유예처리’로 실제 휴학이 종용되기도 하여 이러한

학업 중단은 학생 미혼모의 학습권과 인격권이 박탈되고, 미혼모로 하여금 실업과 빈곤의

악순환으로 빠져들게 하는 이유가 된다.

- 미혼부와의 관계

미혼모들은 미혼부를 친구 소개(37%), 우연히(16.4%), 직장 동료(13.4%)로서 만나 이성 교제 중에

자연스럽게 성관계를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여성가족부, 2005). 미혼모의 상대자로 애인, 친구나

일시 교제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이들의 성 활동은 활발한 데 반하여 피임 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출산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임신 후 미혼부와의 관계를 보면, “헤어졌다”가 62.1%, “가끔 왕래”가 10.8%인 데 반해,

“결혼 예정”은 6.0%, “교제 중”인 경우가 19.4%로 나타나 관계가 유지되는 경우는 25.4%에

불과하였다(여성가족부, 2005). 이는 미혼부들이 이성 교제 시 혼전 성관계에 대해서는 자유로운

사고를 갖고 있으나, 예상치 못한 임신에 대한 책임은 주로 미혼모 혼자서 감당해야 하는 상황임을

보여주고 있다.

- 임신의 이유

실제 보호시설 미혼모 중 16%가 피임 실패, 66%가 “교제 중 원치 않게 임신”이라고 답한 것을

보면 82%가 원하지 않는 임신으로, 성에 대한 무지의 결과로 임신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아기를 갖기 위해서”라는 이유가 7.5%로 자발적 미혼모의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Page 78: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78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0주차 2차시 - 한부모/미혼모가족과 가족복지2

단계 분류 내용

1 무감각과 부인의 단계상실에 대한 고통에 대처하기 위한 방어기제로써 부인을 활용

하며, 기쁨, 사랑 같은 긍정적 감정을 허용하지 않음

2 감정의 폭발우울한 감정들과 슬픔, 공포, 두려움, 분노, 절망, 죄의식, 수치

심 등의 감정을 폭발적으로 겪음

3자신의 결정을

수용하고 인정

입양의 결정 자체가 어렵고 힘든 만큼 오랫동안 자신의결정이

옳았는지를 생각하고 수용하게 됨

4불확실성에 대한 적

응과 삶

상실을 현실로 받아들이게 되며 점차 자신의 감정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되고, 적응하게 됨. 여기서 적응이란 자신이

내린 결정에 따라 살아가는 것을 배우는 것의 지표이며, 미래의

자녀와의 만남이나 관계 형성에 대한 불명확한 상황을 수용하

며 살아가는 것을 의미함

5 재평가와 재정립

자기 사진에 대한 감정을 재평가하는 과정은 계속되며, 여기에

는 자신을 바라보는 관점,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인식하는

것 등을 포함함

2. 미혼모가족의 발생원인과 문제

1) 미혼모가족의 발생원인

① 정신분석학적 접근

: 미혼모 발생을 그 개인의 잠재의식 속에 깊이 뿌리박고 있는 갈등에 의한 것으로 보는 관점

② 심리학적 접근

: 충동성, 초자아 발달의 결함, 성에 대한 불안, 가족 간의 의사소통 장애에 의한 것

③ 사회문화적 접근

: 사회문화적 상황이 미혼모 발생을 조장하는 것으로서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사회적 변화가

미혼모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

④ 성행태적 접근

: 누구라도 혼전 성행위를 할 수 있다는 가정에 근거. 즉, 성 지식과 성태도, 성욕이 영향을

미친다는 입장

* 입양 선택 미혼모의 슬픔과정

2) 미혼모가족의 문제

- 10대 미혼모는 학교 중퇴, 저임금 업종에의 종사, 한부모됨, 건강, 인지문제 등에 있어서 다른

또래나 20대 이후 미혼모에 비해 취약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Hofferth & Hayes,

1987;Luker, 1996). 이러한 입장에 있는 미혼모의 가장 큰 문제는 자녀양육 의사의 여부, 경제적

문제, 미혼부나 부모와의 관계, 결혼 의사의 여부 등의 문제를 들 수 있다. 미혼모가 아이를

출산하기 전 문제로는 대부분의 10대 미혼모는 임신 중기 이후부터 학업을 포기한 상태에서

가출하였거나, 재학 중의 임신으로서, 정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부모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이고, 또한 미혼부로부터 유기되어 혼자서 자녀를 출산, 양육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 그리고 이들은 가정과의 결별, 기본적 생활 유지, 산전 및 산후 관리, 자녀 출산 및 출산자녀양육,

사회에서의 고립 등의 복합적 문제를 안고 있다.

Page 79: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79

가족복지론 10주차 2차시 - 한부모/미혼모가족과 가족복지2

- 미혼모의 자녀 출산 후 문제는 미혼모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과 미혼모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

미혼모의 부모가 받는 영향, 미혼부가 받는 영향으로 나눌 수 있다.

* 미혼모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사생아라는 오명을 들으면서 자라게 되므로 좋은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며, 어려운

가정여건으로 학업성취도가 비교적 낮고, 이로 인해 비행청소년이 될 우려가 있다.

* 미혼모의 부모가 받는 영향

자녀의 임신으로 인한 실망과 충격을 느끼며, 손자의 양육문제에 대해 여러 가지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는다.

* 미혼모에게 미치는 영향

가족으로부터의 소외감, 자녀에 대한 죄책감을 가지게 되고, 또한 아버지 없이 경제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서 자녀를 키우게 된다. 자녀를 입양시키게 되는 경우 친권 포기

이후의 상실감과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게 되는 친모증후군의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 미혼부가 받는 영향

미혼부가 청소년인 경우에는 어린 시기의 임신과 부모됨이 심리적 압박과 더불어서 아이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3. 미혼모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1) 외국의 미혼모가족복지서비스

- 미혼모를 위한 외국의 사회복지서비스를 살펴보면, 프랑스의 경우 2010년 현재 전체 신생아의

50% 이상이 혼외 출산으로 태어났으며, 1990년대 출산율이 1.63명까지 떨어졌지만 정부가 미혼모

가정과 미혼남녀 동거가정에 대한 법적 지원 제도를 완비하고 사회적 차별을 철폐함으로써

출산율이 유럽 1위로 높아졌다(경향신문, 2010. 8. 8). 그리고 스웨덴에서는 사회보장제도의 보호

속에서 의식주를 보장받고, 차별 없는 고용을 통해 독립할 수 있으며, 학생인 경우 수업료 면제와

함께 한 학기에 270만 원 정도의 학비를 보조하고 있다.

- 덴마크에서는 미혼모에게 모성보호법, 임신건강법, 국민건강보호법 등 모든 복지관계법의 수혜

권리가 부여되며, 복지 수혜 자격에 결혼의 합법성에 따른 불평등이 존재하지 않는 보편적 수혜

원칙이 적용되어 출산 급부, 가족수당, 가사보조서비스, 법적 서비스 상담 등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경제적 차원까지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혼외에 출생한 아이의 미혼부로 확인될

경우, 법적으로 부양책임을 져야 하는 ‘미혼부 책임의 법제화’가 되어 있다. 따라서 미혼모에게서

태어난 아이는 아버지의 성을 따를 권리 및 보호를 받을 권리 그리고 재정적 후원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

- 독일에서는 민법 및 청소년복지법 등에서 미혼모와 그 자녀에 대한 미혼부의 책임을 강화시켜

자녀양육비와 생활비 등 모든 경제적 지원의 책임을 일차적으로 미혼부에게 부과하고 있다. 또한

아동양육 지원을 중심으로 복지서비스가 실시되어 국가는 미혼모에게 아동수당, 주거비 보조,

생활비 보조, 양육비 가불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Page 80: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80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0주차 2차시 - 한부모/미혼모가족과 가족복지2

2) 우리나라의 미혼모가족 관련법

-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미혼모와 관련된 조항들은 헌법, 민법, 사회복지법, 아동복지법,

한부모가족지원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의료보호법, 입양특례법, 모자보건법, 청소년기본법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이들 관련법규들을 근거로 한 지원사업은 주로 예방적 차원에서의 지지적 사업보다는 가족복지의

제3차 방어선이라 할 수 있는 대리적 서비스에 치중하고 있어 그 또한 미혼모 자녀의

입양서비스와 미혼모의 산전․산후 관리 서비스 등 극히 부분적 지원에 머무르고 있다. 특히 10대

미혼모의 경우 전체 미혼모보호시설에 입소한 미혼모의 63%(국민일보, 2001. 1. 15)임을 감안할 때

이들을 위한 별도의 제도와 시설을 제공해 줌이 필요하나 아직은 정비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3) 우리나라 미혼모가족복지서비스

- 현재 미혼모를 위하여 실시하고 있는 복지서비스를 살펴보면 예방적 차원에서의 성교육과 상담실

운영, 사후적 서비스로서 미혼모시설보호서비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미혼모 발생 예방을 위하여 중․고등학교의 정규 교과목 과정 중에서 또는 가족계획협회 등과의

연결을 통하여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상담서비스로는 혼전에 성관계를 가졌거나, 임신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은 전국 청소년종합상담소, 여성복지상담소, 성폭력피해상담소, 미혼모시설,

입양알선기관, 국내입양지정기관 등의 상담소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여성 1366’을 통하여

미혼모 등이 복지서비스를 수혜받을 수 있다.

한편 시설보호서비스는 미혼모시설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시설에서 보호받을 수 있는데

현재로서는 그 수가 부족해서 이용에 어려움이 따른다.

Page 81: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81

가족복지론 11주차 1차시 - 다문화가족과 가족복지1

1. 국제결혼의 개념과 특성

1) 국제결혼의 개념

- 국제결혼은 ‘국적을 달리하는 남녀가 결혼하는 일’을 말한다. 국제결혼하여 한국에 정착하여 사는

신부를 지칭할 때 국내인권단체에서는 ‘이주여성’이라는 표현을 흔히 사용하고 있으나, 이주여성은

① 여성이주노동자, ② 여성결혼이민자, ③ 성매매 종사 외국인(또는 이민자) 여성, ④ 국제적

인신매매 피해 여성을 아우르는 복합 개념이므로, 혼인이민자를 지칭하는 용어로 적절하지 못하다.

- 그렇기 때문에 ‘결혼이주여성’ 혹은 ‘결혼이민자’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국제결혼은 국제 노동력 이동과 관련지어 크게 세 가지 유형(보건복지부, 2005)으로 나누어져 왔다.

20세기 초 ‘사진신부(picture brides)’,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전쟁신부(war brides, military brides

또는 GI brides, colonial brides)’, 그리고 1970년 이후 미국과 유럽 등 일부 선진국으로의

‘우편주문신부(mail order brides)’가 있다.

- 첫 번째 유형인 사진신부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미국으로 이주한 일본인, 중국인,

한국인들이 몇 장의 사진을 보고 고국 여성 가운데 한 사람을 선택하여 자신의 배우자로 초청한

것으로, 고국 땅의 여성도 남편이 될 사람의 사진 한 장을 들고 멀리 하와이로 또는 미국 본토로

태평양을 건너간 경우를 가리킨다.

- 이러한 현상은 당시 인종차별적인 미국의 법이 ‘백인’과 ‘유색인종’ 간의 결혼을 금지하고 있어서,

유럽으로부터의 이주자를 제외한 멕시코인이나 아시아인들은 미국 내 백인과 결혼할 수 없으므로,

고국으로부터 여성을 불러와 결혼을 하였던 것이다(Schaeffer-Gabriel, 2003). 그러므로 이는 국가를

건너간 국제결혼이기는 하나, 같은 민족 내 결혼이었다. 이러한 사진신부 현상은 역사적인 과거의

사건으로만 머물지 않고, 최근에는 해외 이주민 사회에서 주로 남성 이주민들이 고국에서 신부감을

찾는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Thai, 2002).

- 두 번째 유형인 전쟁신부 또는 미군 아내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 한국, 필리핀 등에 미군이

주둔하게 되면서, 그들 미군과 결혼하여 미국으로 이주한 여성을 가리킨다. 이 유형은

결혼이주로서의 인종 간 국제결혼의 효시이나, 그들은 경제적 또는 정치적 이주자가 아니라 가족

재결합을 위해 남편을 ‘따라가는 자(tied-movers 동반자)’로 이해되어, 학계의 관심을 끌지는

못하였다. 한편 송출국에서도 그들 여성을 기지촌 매춘여성의 결혼이라는 부정적 시각이

대부분이었으나 여지연(2002)의 한국인 미군 아내에 대한 연구에서 그들의 상당수가 매춘과 직접적

관련이 없다는 것을 밝혔다.

- 세 번째 유형인 우편주문신부란 서구에서는 1970년대 이후 여성의 국가 간 이주를 부추기는

현상으로 중매기관이 상업화되면서 그 규모가 크게 증가한 현상이다. 우편주문신부는 최근의

인터넷의 발달로 ‘인터넷주문신부(internet order brides)’ 또는 ‘사이버주문신부(cyber order

brides)’라 불리기도 한다. 매스컴과 시민단체와 일부 여성주의 학자들은 우편주문신부를 제3세계

여성들이 경제적 동기에서 또는 이주 목적으로 한 일종의 위장결혼자로 또는 상업화된

국제중매기관의 희생자 또는 인신매매의 희생자로 묘사해 왔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이러한

시각을 비판(Piper & Roces, 2003)하고 있다.

Page 82: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82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1주차 1차시 - 다문화가족과 가족복지1

2) 국제결혼의 특성

- 1990년대 이전까지는 한국 사회에서 국제결혼이란 매우 드문 현상이었으며 국제결혼이란 주로

여성의 문제로 여겨졌었다. 그러나 이후 한국에서는 남성들이 아시아 여러 나라 또는 구소련

출신의 여성과 결혼하여 한국에 사는 현상이 증가하였으며, 여성보다는 남성이 국제결혼을 많이

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5).

- 여성이 국제결혼을 통해 다른 나라로 이주하는 현상은 그의 개인적 선택의 문제로 보이지만 그

배후에는 전 지구적 자본주의 체계, 송출국과 유입국 사회와 정부, 국제결혼중개업체의 상혼 등

다양한 사회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 즉, ① 자본주의 세계체계에서 나라 간의 불균등 발전과 여성의 상품화, ② 가난과 실업이 만연한

송출국 사회와 자국인의 여성 송출을 장려 또는 방관하는 정부정책 및 가부장제적 문화, ③ 신부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외국에서 여성을 충원 하려는 유입국 사회와 그것을 조장하는 정부정책, ④

국제결혼을 성사시킴으로써 영리를 추구하는 국제결혼중개업체 등을 국제결혼이주 증가원인으로

파악하고 있다.

- 특히 단일민족이라는 정체성을 고집스럽게 유지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국제결혼이 증가하고 있는

한국의 사회적 배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첫째, 편중된 성비례로 인해 결혼하지 못하는 남성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 둘째,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사는 여성이 증가하고 있다.

* 셋째, 한국 여성의 결혼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남성이 저개발국의 여성을 선택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는 농촌에서 살기를 꺼려하는 한국 여성의 가치관이 작용한다.

* 넷째, 정보화, 세계화에 따라 국제결혼에 대한 인식과 가치관이 바뀌고 있다.

* 다섯째, 저임금 외국인 노동자의 고용정책으로 외국인의 한국으로의 이주가 많아졌고, 주변국

여성이 결혼을 통한 한국 이주를 빈곤에서의 탈출로 생각한다.

* 여섯째, 국제결혼중매업체들의 적극적인 상술과 노총각 구제 차원의 국제결혼을 독려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맞물려 국제결혼의 증가 배경이 되고 있다.

- 대부분의 송출국 정부는 자국인의 해외취업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자국 여성의

국제결혼이주에 대하여 방관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으나 국제결혼에 의한 자국여성들의 피해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결혼이주의 조건을 보다 신중하게 고려하는 나라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주노동자와 결혼이민자의 송출은 그 나라의 중요한 외화 획득 원천으로 간주되기도

하여 자국인의 해외송출에 비교적 우호적인 정부정책은 국제결혼중개업체들이 활동하기에 더 없이

좋은 환경이 되고 있다.

-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생활적응은 의사소통과 문화적 차이로 인한 어려움, 주위의 차별 대우,

타국 생활에의 부적응 등 많은 고충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인 문제로 치부되어 사회

정책적 보호를 받지 못했다. 이들의 어려움은 초기에는 다양한 민간단체들의 활동을 통해 도움을

받아 왔으나 국제결혼부부의 수적 증가와 이들이 갖는 문제점은 결국 국가 차원의 정책적 뒷받침이

있어야만 해결 가능한 것이 많음에 따라 국가의 여러 기관에서는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특히

결혼이민자들이 한국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적응이 중요한 만큼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적응을

위한 지원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다.

Page 83: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83

가족복지론 11주차 1차시 - 다문화가족과 가족복지1

2. 국제결혼의 현황

1) 국제결혼의 현황

- 한국 사회는 국제적 지위향상, 세계화 및 외국과의 빈번한 교류,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정보공유의 확산 등으로 국내외 인구이동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한편, 저출산․고령화와

혼인수급의 불균형 등으로 외국인과 결혼하는 국제결혼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국제결혼현황(김승권, 2010)을 보면 1990년도(4,710건)부터 서서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2000년(12,319건)에는 2.6배 증가하였고 2009년도(33,300건)에는 10.8%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해마다

약 3만 건 이상의 국제결혼이 이루어지고 있다. 총 결혼건수와 국제결혼의 추이를 보면 해마다 총

결혼건수는 감소하고 있고 국제결혼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입국인원은 2005년도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별 분포를 보면

2005년 이후 입국자로 24세 이하가 94.3%를 차지했고, 50세 이상은 2000~2004년 입국자가 가장

많았다. 여성결혼이민자의 평균연령은 33.3세, 한국인 배우자는 43.2세로 평균 10세정도의 연령차를

보이지만 현장에서는 24세 이하 여성이 40대 이상과 결혼한 예가 많이 있다. 서울시조사(장명선,

2008)에 의하면 평균 11세의 차이를 보이고, 가장 높은 빈도가 11~20세로 전체의 41.1%에

해당하였으며, 6~10세의 차이도 24.6%를 보였다. 이러한 연령차는 부부 간의 세대차이로 갈등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 여성결혼이민자의 교육수준은 2005년 이후 입국한 경우 초등학교 이하가 70.8%로 보고되고

있어서 앞으로 한국 국민으로서의 인적자원의 질이나 2세 교육, 한국생활적응 등 여러 측면에서

특별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혼인상태를 보면 이혼한 결혼이민자는 2000~2004년의

입국자(37.5%)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 결혼이민자의 출신국을 보면 2005년 이후 입국한 비율은 캄보디아(95.6%), 베트남(87.4%),

중국한족(67.9%), 몽골(55.7%), 필리핀(44.7%)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1995~1999년도에는 일본,

2000~2004년에는 중국조선족, 태국, 북미, 호주, 서유럽 출신 결혼이민자가 많이 입국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국제결혼과정과 배경

(1) 한국의 결혼시장

- 한국 사회 젊은 층의 경향이 전반적으로 고학력화 추세와 여성의 활동참여율이

증대함에 따라 결혼 연령의 상승이 연쇄적으로 이어지면서 만혼화(晩婚化) 현상이 두드러지고,

젊은이들은 독신을 선택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 그 결과 국내 결혼시장에서는 배우자를 구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결혼이민자들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혼시장의 변화를 반영하여 한국인의

국제결혼에 대한 태도는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찬성한다”는 입장에 있다.

- 한국체류 외국인의 인구 구성을 보면 세계인이 한국 사회로 이주해오고 있다고 보여지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이주민은 몇몇 국가출신이 압도적으로 많아 다인종사회는 아직 시기상조(한건수,

2008)라고 하기도 한다. 한편 한국 사회의 국제결혼 흐름은 초기와는 다르게 최근에는 농촌총각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국제결혼의 모습에서 도시근로자와 재혼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증가(홍달아기 외, 2010)하고 있다.

Page 84: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84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1주차 1차시 - 다문화가족과 가족복지1

(2)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

- 정부의 국제결혼중개관련제도 개선정책(여성가족부, 2010)에 의하면 국제결혼 건전화 및

사전정보제공 정책을 마련하여 국제결혼중개업 관리체계를 강화하고, 국제결혼 중개업자는

배우자가 될 사람에 대한 신상정보 가운데 정신 및 신체질환에 대한 병력(病歷)을 반드시 제공해야

하는 등 국제결혼 중개요건과 중개업체 등록요건이 강화되고 있다. 그 내용은 국제결혼

중개관련제도개선책으로 결혼당사자간의 신상정보를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서면

제공하는 것과 국제결혼을 준비하고 있는 내국인에게 사전 소양교육을 의무화하고, 결혼중개업체의

불법행위에 대한 단속 및 관리를 강화하고 관련교육과 홍보를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기로 하였다.

또한 주요 국제결혼 상대국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결혼이주자에 대한 사전교육 및 양국 간

상호지원을 하고 국제결혼이민관(가칭)파견을 검토 중이다.

- 2010년 11월 18일부터 효력을 발생하는 중요규정은 다음과 같다.

① 결혼중개업의 신고 및 등록업무를 시․군․구로일원화,

② 국내결혼중개업의 경우 전자문서에 의한 계약체결허용,

③ 국제결혼중개업자에게 이용자 및 상대방의 신상정보제공의무 및 통번역서비스 제공 의무부과,

④ 결혼중개업자의 표시․광고에 신고번호 또는 등록번호 포함 의무화,

⑤ 국제결혼중개업자의 업무제휴계약 시 서면계약의무화,

⑥ 손해배상책임보장방식 중 예치금방식의 폐지 등이다.

(3) 국제결혼과정

- 국제결혼과정은 4가지 방법이 주를 이루는데, 친구나 친척의 소개, 직접 만남, 종교단체,

결혼중개업체를 통한 방식이다. 아는 사람이 소개한 경우는 중국 동포와 중국 한족이, 직접 만나는

방식은 중국 한족과 몽골 여성이, 종교단체를 통한 방식은 일본, 필리핀, 태국 여성이, 그리고

결혼중개업체를 통한 경우는 주로 베트남, 몽골 및 구소련 여성에게 많았다.

-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2009)에 의하면 중매경로가 결혼중개업체(25.1%)가 가장 많았고,

가족․친척의 소개(23.3%), 친구․동료의 소개(23.1%)로 나타나 절반가량이 가까운 관계에 있는

사람으로부터 배우자를 소개받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소개도

절차상의 문제로 결국 결혼중개업체를 통해 성사가 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외에는 스스로 만난

경우(18.2%)와 종교기관(6.4%)을 통해 만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결혼중개업체를 통한 결혼은

베트남(66.4%), 캄보디아(84.1%)로 높았으며 일본, 필리핀, 태국은 종교기관을 통한 경우가 많았다.

(4) 국제결혼동기

-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입국목적은 결혼, 취업, 친척방문, 사업/ 업무, 유학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결혼을 목적으로 입국한 비율이 79.2%로 가장 높았으며, 취업을 목적으로 입국하여

결혼한 비율이 7.3%, 친척방문차 4.0%, 사업/ 업무차 3.5%를 보였다. 24세 이하의

여성결혼이민자는 95.3%가 결혼을 목적으로 입국하였으며, 국적별로는 캄보디아가 97.9%, 베트남

96.5%, 필리핀 90.1%가 결혼목적 입국이었고, 북미․호주․서유럽은 14.1%(보건복지부, 2010)로

나타났다. 여성결혼이민자가 한국인과 결혼을 한 중요한 이유는 ‘경제적 이유(41%)’나 ‘남편을

사랑해서(37%)’이며, 결혼중개업체를 통한 국제결혼의 경우에는 73%의 여성결혼이민자가 ‘경제적

이유’ 때문에 국제결혼을 선택한 것으로 응답(설동훈, 2005)하고 있다.

Page 85: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85

가족복지론 11주차 1차시 - 다문화가족과 가족복지1

- 또 다른 연구(장명선, 2008)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동기는 ‘배우자와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해’가 80.5%이고, ‘모국가족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기 위해’가 15.7%, ‘경제적 안정을 위해’ 12.2%,

‘한국에서 취직을 하기 위해’ 7.1%로 나타나서 경제적인 이유로 결혼하는 비율이 35%로 나타났다.

한국인 배우자는 ‘사랑하기 때문에’가 38.1%로 가장 많았고, ‘배우자출신국가 사람과 결혼한 친구나

아는 사람의 권유’ 30.3%, ‘순종적이고 부모에게 잘할 것 같아서’ 24.5%, ‘외모가 한국인과

비슷해서’ 16.8%, ‘중개업체의 권유’ 10.3%로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결혼이민자와 한국

배우자 간의 결혼동기가 달라서 서로의 결혼에 대한 기대 또한 다를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부부갈등이나 가족갈등을 야기할 우려를 내포하고 있어서 서로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상담지원이 필요하다.

Page 86: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86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1주차 2차시 - 다문화가족과 가족복지2

1. 다문화가족의 생활실태와 문제

- 국제결혼에 의한 다문화가족의 증가에 따라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가 노출되면서 이들의 생활

실태는 여러 기관에서 관심을 갖고 조사되고 있다. 한국생활에서 가장 힘든 점(보건복지부 외, 2009)은

언어문제(22.5%), 경제문제(21.1%), 자녀문제(14.2%)로 나타났는데 2006년도 조사에서는 외로움과

문화적 차이, 자녀문제, 경제문제의 순으로 어려움을 꼽고 있어서 외로움과 사회적 소외감이 많이

감소한 것으로 그동안 결혼이민자들의 관계망이 형성된 이유도 작용했으리라고 본다.

이주여성인권센터(2004)에서는 ‘이주의 여성화와 국제결혼 심포지엄’에서 국제결혼으로 유입된

이주여성의 문제 유형으로 ① 가정폭력-상습적 구타, ② 성적 학대와 인격 모독, ③ 경제적 빈곤의

문제, ④ 한국 사회 적응문제, ⑤ 임신․출산의 어려움과 육아문제, ⑥ 국제결혼에 대한 한국 사회의

편견과 몰이해, ⑦ 신분상의 불안 문제-체류 문제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의 한국생활에서의

문제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문화적 차이로 인한 고충, 사회적 편견, 차별대우, 시부모의 무시나

학대, 남편의 폭력 등으로 고통받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적응력이 낮다고 보고(채옥희․홍달아기, 2006)하고 있다. 이밖에 배우자의 음주문제, 친정걱정,

자녀양육문제, 경제문제,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불안(김영주 외, 2008) 등을 스트레스요인으로

밝히고 있으며, 결혼이주남성도 역시 한국생활적응 시 경제적인 문제와 언어문제와 편견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노지현․우경임, 2010)고 한다.

1) 다문화가족의 실태와 욕구

(1) 혼인 유형과 가족구조 및 가족가치관

- 다문화가족은 일반적 가족에 비해 재혼비율이 높으며, 국제결혼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국내

이혼율이 높아짐에 따라 중년의 재혼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혼인유형(김승권 외, 2010)은

부부 모두 초혼인 경우가 65%이며 모두 재혼은 18.1%, 부인초혼․남편재혼 9.3%, 부인재혼․남편초혼

7.6%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혼인유형(2008 혼인통계)은 76.1%가 모두 초혼이다.

- 다문화가족의 가족갈등 원인은 문화와 성격차이가 가장 큰 원인인데 이러한 원인은 서로 다른

가치관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의 가족가치는 과거로부터 장자 우선의 가부장 사회로

양성평등을 외치는 최근에도 가부장적 가치는 가족생활 저변에서 면면히 이어져오고 있다. 그러나

결혼이민자들은 남편도 가사노동을 함께 분담해야 하고, 노부모 부양의 책임도 아들․딸 구분 없이

공평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어서 한국 사회의 성 역할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와 전통적 가치관은

현실생활과는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다문화가족의 증가와 함께 글로벌적 사고로의 변화가

요구되는 부분이다.

(2) 부부관계

- 결혼이민자들의 부부싸움의 가장 큰 원인으로 남편과 성격 차이, 생활방식 차이, 경제문제, 음주

등의 순으로 지적한다. 부부불화로 어려움에 처했을 때 주로 상담하는 사람으로 모국 친구를 가장

많이 지적하며, 두 번째가 응답자의 가족이나 친척이다. 그런데 상담하는 사람이 전혀 없다고

응답한 사람도 있어서 이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전문적인 상담기관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부부

간의 갈등은 언어와 문화의 차이, 의사소통의 어려움, 성격과 이해의 차이, 서로에 대한 기대의

차이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갈등 해소방법을 모르거나 무시해 버리는 경우

폭력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혼의 사유(김승권 외, 2010)는 성격차이(29.4%), 경제적 무능력(19%),

외도(13.2%), 학대와 폭력(12.9%) 순으로 나타났으며, 심각한 정신장애 및 기타(9.8%), 음주 및

도박(8.7%), 배우자가족과의 갈등(7%)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2008)는

여성결혼이민자가 급증하면서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고, 그 중 부부폭력문제가 심각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17%가 폭력을 경험하였고 특히 인신매매적 중개과정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와의

Page 87: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87

가족복지론 11주차 2차시 - 다문화가족과 가족복지2

언어소통의 부재, 상대방에 대한 거짓정보, 한국의 가부장적 문화가 강요하는 순종적인 여성상으로

인해 시댁과의 갈등이 발생하여 언어폭력, 가정폭력, 성폭력 등의 폭력과 한국가족의 인격모독과

인종차별, 무시, 타문화에 대한 편견 등으로 인한 갈등이 심각하여 부적응을 초래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3) 자녀관계

여성결혼이민자에게 자녀는 타국에서 유일하게 완전한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는 소중한 존재로

한국생활을 하는데 심리적 거점이 되고 확실한 희망(김상임, 2004)이 되고 있다. 여성결혼이민자가

자녀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만족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출신국, 본인소생의 자녀유무,

취업여부 등이며, 태국과 필리핀 출신의 어머니가 자녀와의 관계에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출신국이 가장 차이를 보이는 요인이며, 본인소생의 자녀가 있고 전업주부인 경우가

전반적으로 자녀와의 관계가 만족스럽다(보건복지부, 2005)고 보고하고 있다.

최근 현황(김승권 외, 2010)을 보면 전체 응답자 중 49.5%가 현재 자녀와 동거하고 있으며, 현 남편과

사이에 자녀가 있는 사람이 41%이다. 한국인과 결혼이 재혼인 여성은 대부분 전 남편과의 사이에

자녀를 두고 있으며(88.2%), 현재 이 자녀와 살고 있는 사람은 16.6%이다. 그리고 현재는 같이 살고

있지 않지만 한국에 자녀를 데려올 의향이 있는 사람은 75.4%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도입국자녀는

입양에 의해 가능하며, 한국입국에 대해 현 남편과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많고, 이들이

입국하여 한국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문제를 갖게 되는 경우가 있어서 또 다른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4) 사례를 통해 본 가족관계

<아내입장>

*남편이 나를 믿어주지 않아서 슬프다. 부부는 서로 믿어야 하는데 나를 믿지 못하니까 남편이

혼자 외출하는 것을 싫어한다. 한번 외출하려면 목사님의 허락을 받아야 하고 시부모님과 남편의

허락도 받아야 하는 내 신세가 한탄스럽다. 왜 같이 살면서 믿지 않는지 짜증이 난다.(중국 한족으로

중국에 아들 1명이 있는 여성(42세)과 초혼인 남성(45세), 재혼+초혼 결혼 6개월)*결혼 4년이 되었는데 아이가 생기지 않는다. 남편이 술을 많이 먹어서 그런 것 같다. 남편은 매일

밤 12시가 넘어서 들어오는데 다른 여자가 있는가 하는 의심도 생긴다. 남편은 다른 여자가 있으면

왜 당신하고 결혼했겠는가, 라고 하지만 필리핀에서는 다른 여자가 있으면 늦게 들어온다.(남편 42세, 부인 23세 모두 초혼)

<남편입장>

“결혼하면 아내가 해주는 밥 먹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닙니까? 물론 나도 밖에 나가 일하고 시간이

되면 아내를 돕지요. 그러나 아내는 밥은커녕 청소, 세탁도 전혀 할 생각이 없어요. 어떻게든

공장에 나가 일할 생각만 하고 있어요.. 돈 벌기위해 결혼했는지 의심스러울 때가 많아요..” (중국 여성

38세, 남편 46세, 모두 재혼, 결혼 6개월)

2) 다문화가족의 문제

- 국제결혼의 증가와 함께 다문화가족이 갖는 문제점도 사회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들이 갖는

문제는 각기 다른 문화와 기회주의적인 부도덕한 상술, 한국배우자의 사회적․경제적 능력부족, 불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사회적으로 부각되고 있으나 다수의 다문화가족들은 비교적 만족스럽게

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문화가족의 문제를 사전 예방하기 위한 교육과 사업이 여성가족부 산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각 지역에서 다양한 프로그램과 사업을 진행되고 있다.

Page 88: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88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1주차 2차시 - 다문화가족과 가족복지2

- 이외에도 지방자치단체와 민간단체 및 기업 등에서도 다문화가족을 지원하는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어서 많은 사회적 관심은 갖고 있으나 아직은 실질적인 사회통합차원에서의 체계적인

운영이 미흡하다. 다문화가족의 한 명 한 명이 우리사회의 구성원이므로 자녀양육 등 적응에

부족함이 없도록 관심과 정책적 배려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1) 사회적 문제

(2) 가정적 문제

(3) 법적 문제

(4) 경제적 문제

2. 다문화가족을 위한 정책

- 다문화가족을 위한 정책은 다문화가족지원법 제12조와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강화대책(2008. 10. 30.)을 추진근거로 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앞으로

확대․설치하여 추진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 다문화가족지원체계는 여성가족부와 중앙관리기관(전국다문화가족사업지원단), 거점센터, 시․군․구

센터의 체계(이하 그림 참조)를 가진다. 상위체계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을 총괄하고 센터 선정 및

운영 안을 마련하여 시․도별 국고지원 센터 배정 및 지원, 센터 관리기관과 거점센터를

지정․관리하고 있다.

- 전국다문화가족사업지원단에서는 프로그램 및 매뉴얼개발, 종사자역량강화교육, 전문 인력교육,

홍보 및 기관연계, 사업관리 등의 사업을 하며, 거점센터와 지역센터에 대한 업무지원 및

사업연계를 도모하고 센터사업을 평가하여 적절한 운영이 이루어지도록 제반 정보를 제공지원하고

있다.

- 거점센터는 권역별로 지정․운영하여 방문교육지도사 양성․관리 및 신규센터 지원 등을 원활히

하기 위해 2008년부터 설치하였으며, 역할은 방문교육(한국어 및 아동양육지원)지도사 교육 및 수혜자

관리 등 방문교육사업지원, 신규센터 운영․사업 전반에 관한 자문 및 프로그램 지원 등 여성가족부

또는 중앙관리기관이 사업지원과 관련하여 요구하는 사항 등을 수행한다.

1) 여성가족부의 다문화가족을 위한 지원정책

- 여성가족부는 ‘가족 모두가 행복한 사회, 함께하는 평등사회’를 비전으로 하면서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지원’을 강화과제로 하고 있다. 또한 ‘일과 생활이 조화롭고 여성․청소년․가족이 건강한

사회조성’을 정책목표로 가족기능과 다양한 가족지원측면에서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과 결혼이민자

인권보호강화 정책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를 하고 있다. 다문화가족을 위한

가족교육․상담․문화 프로그램 등 서비스 제공을 통해 결혼이민자의 한국 사회 조기 적응 및

결혼이민자가족의 안정적인 가족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전국적(’09년 159개소,

’10년 171개소, ’11년 200개소)으로 확산시켜나갈 계획이다. 결혼이민자가족을 위한 정책은 2005년 이후

급속하게 증가하는 결혼이민자의 비율만큼 빠르게 다양한 정책들을 내놓고 있다.

(1) 다문화가족을 위한 지원정책(2010년 현재)

- 여성가족부의 다문화가족을 위한 정책은 결혼이민자의 한국 사회 조기적응과 안정적인

가정생활을 지원하고 사회경제적인 자립을 지원하는 데에 근본적인 목적을 둔다. 정책의 기본

방향은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로 다문화가족을 위한 가족교육, 상담, 문화프로그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Page 89: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89

가족복지론 11주차 2차시 - 다문화가족과 가족복지2

① 1단계:입국 전 결혼 준비기

② 2단계:입국 초 가족관계형성기

③ 3단계:자녀양육 및 정착기

④ 4단계:역량강화기

⑤ 전 단계:다문화 역량강화

(2) 다문화가족을 위한 서비스 발굴 및 관리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지역사회 내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다문화가족을 적극 발굴하여 지속적인

관리 및 정보제공을 한다. 지방자치단체나 출입국관리사무소, 보건소 등 지역 내 관련기관과 연계를

구축하여 발굴된 가족들은 센터에 회원등록을 하고 가족사업실적관리시스템을 필수적으로 등록하게

되어 있으며, 지속적인 접촉을 하며 한국생활적응을 돕는다. 센터에서는 사전교육프로그램 이수

결혼이민자에게 서비스를 우선 제공하고, 한국어교육, 산전․후 건강관리, 자녀양육지원 등 단계별로

필요한 서비스를 안내하고 제공한다.

2) 보건복지부의 다문화가족을 위한 정책

- 다문화가족의 증가는 자녀의 증가를 의미하며, 모의 한국어능력부족과 취업으로 인한 자녀의

보육에 대한 사회적 도움이 필요한 실정임을 고려하여 취약계층 보육대상으로 아동뿐만 아니라

아동의 가정환경도 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서비스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1) 수요자욕구에 맞는 맞춤형 보육서비스 제공

- 다문화가족의 실정과 욕구를 파악하여 영유아 보육서비스를 강화하고 다문화 특성화 보육시설을

지정하여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관련교육을 강화한다.

(2) 보육료 전액지원 대상 확대

- 보육료지원강화 및 다문화가족에 대한 보육시설 이용홍보를 강화한다.

(3) 다문화가족의 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의 문화적 역량강화

- 전국 영유아보육시설종사자 교육과 보수교육과정에 다문화가족 영유아보육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4) 다문화가족 영유아보육프로그램 보급

- 보육통합정보시스템, 보육정보센터 등을 활용하여 다문화가족 영유아 문제행동경감을 위한

프로그램과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여 보급한다.

(5) 기 타

- 그 밖의 건강보험가입의 적극적인 홍보와 외국인 전담진료병원에 대한 홍보, 보건소 중심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건강검진, 진료, 교육, 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활용, 개발하여

국제결혼이주여성 대상 프로그램 제공, 무료 정신건강 상담서비스 안내 등을 하고 있다.

3) 법무부의 다문화가족을 위한 지원정책

- 다문화가족과 관련된 법은 다문화가족지원법, 국적법, 출입국관리법,

사회보장지원관련법(공공부조법, 사회복지서비스법, 국민건강보험법, 의료급여법, 한부모가족지원법, 영유아보육법,

초중등교육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등이 있으며, 외국인의 체류 및 국적취득 등의 업무와

사회통합프로그램 표준화 및 이수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외국인 등록시기에는 외국인

특례조항을 두어 보호를 받고 있으며, 국적취득 이후에는 사회보장지원관련법에 의해 사회적

지원을 내국인과 동등한 지위에서 법적 보호와 권리를 갖는다.

Page 90: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90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1주차 2차시 - 다문화가족과 가족복지2

(1) 안정적인 체류지원

(2) 인권정보제공

(3) 실질적인 법률구조지원

(4) 사회통합프로그램 표준화 및 이수제

4) 문화체육관광부의 다문화가족을 위한 지원정책

- 미래사회의 적응기반 구축을 위한 정책으로 다문화사회의 서로 ‘다름’을 포용하는 다문화이해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확대 실시하고, 문화소외계층에 대한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대상에

여성결혼이민자를 포함하고 언어 및 문화이해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1) 외국인․다문화가족에 대한 한국어 교육

-한국어학습교재 개발과 한국어 전문강사를 양성한다.

(2) 국민들의 다문화 감수성 증진을 위한 캠페인 추진

- 온․오프라인을 통한 적극적인 홍보와 캠페인을 하여 이주민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조명하고,

청소년과 대학생 등 젊은 세대들의 글로벌 시민의식을 제고한다.

(3) 자국문화 소개 및 쌍방향 교류증진 프로그램

- 생활체육교실 운영이나 다양한 국악예술분야 등을 순회공연하거나 다문화 연극제나 영화제를

통한 쌍방향 교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5) 교육과학기술부의 다문화가족을 위한 지원정책

- 급증하는 다문화가정의 학령기 자녀들의 특성을 고려한 현장중심의 맞춤형 교육을 지원함으로써

학교생활에의 조기적응과 학습의 성취를 향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미래의 인재를 기르기 위해

학력을 높이고 교육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교육 복지적 측면에서의 다양한 정책을 진행하고 있다.

(1) 다문화이해교육지원

(2) 다문화가정 학생교육지원

(3) 다문화교육 연구․개발기반구축

(4) 다문화가정 학부모 교육 및 상담지원

3. 다문화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1) 결혼이민자의 시민적 권리 보장, 사회안전망과 사회복지서비스 확충

- 우리 국민의 배우자이면서 한국 국적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호와 서비스 지원의

권리가 발생한다. 즉, ‘배우자’와 ‘모성’이라는 특수성이 사회보장지원관련법에 의해 내국민과 동등한

보호를 받게 되는 것이므로 여성결혼이민자의 개인적인 존엄성의 인정 측면에서 볼 때 진정한

다문화사회로의 전이단계에서 재고해야 할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아직도 현행 제도는 결혼이민자가

일방적으로 ‘동화’되는 경로를 상정하고 있는 부분이 많아서 자신의 출신 국적을 유지하며 살아갈

길은 어렵게 만들고 있다.

- 다문화가족이 필요로 하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전달을 위해서는 서비스에 관한 적극적 홍보와 함께

다양한 경제․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다양한 욕구와 필요에 근거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 또한 기존에 있는 자원들의 효용성을 극대화하고 통합적 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현재

검토되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의 통합적 전달체계 논의에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전달체계에 대한

고민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age 91: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91

가족복지론 11주차 2차시 - 다문화가족과 가족복지2

2) 가족해체의 예방과 다양한 문화․가치관의 공존 지원

- 결혼이민자가 경제적․사회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야 한다. 결혼이민자를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존 사회복지와 여성 관련 프로그램에 그들을

포함시키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도 중요하다. 다문화가족의 가족해체를 예방하기 위해 가족생활과

사회생활에 대한 복지서비스의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다문화가족의 가족구성원 간의 원만한 관계형성을 위한 부부관계상의 정립과 전문적인 상담을

확대 실시한다(김승권, 2010). 부부 간의 적응은 초기적응이 중요하지만, 다문화가족은 언어장벽으로

인해 의사소통이 어렵고 문화적인 차이에 대한 서로의 이해부족으로 인한 갈등이 심화되어

가족해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많다. 다문화가족을 해체로 이끌 수 있는 다양한 가족문제에 초기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 시스템을 마련하여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와 가치관을 인정하고

수용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 가족상담도 통역을 통해 자국의 언어로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도입이 일반화되어야 할 것이다.

3) 미래세대 육성을 위한 지원

- 다문화가족이 저출산 시대의 재생산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부인할 수 없는 만큼 한국의

미래를 구성하게 될 세대에 대한 교육은 대단히 중요한 국가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우리

사회에서는 자녀양육과 교육에 대한 책임을 주부양자인 어머니가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언어장벽을

가진 외국인 어머니에게 자녀양육이란 책임감과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자녀양육과

학습에 대한 다문화가족의 요구는 매우 강하여 다문화가족 아동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원 대상을 확대시켜야 한다. 미취학 자녀를 위한 보육과 교육시설이용을

확대실시하고 있으나 지역적 요건이나 가정형편상 보육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이용하지 못하는

가정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취학연령임에도 불구하고 학습능력이나 학력수준의 미달로 인해

연령에 맞춰 취학하기 어려운 아동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형태의 학습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권보장

- 여성결혼이민자는 국적을 취득하기 전이라도 결혼하여 출생한 자녀를 홀로 양육할 경우

‘한부모가족지원법’에 의해 법적지원을 받을 수 있다. 배우자와 사별 또는 이혼하거나 배우자로부터

유기되었을 경우, 정신 또는 신체장애로 인하여 장기간 노동력을 상실한 배우자를 가졌거나, 미혼인

경우, 배우자의 생사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 배우자 또는 배우자 가족과의 불화 등으로 인하여

가출한 경우, 배우자의 장기복역 등으로 인하여 부양을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홀로

아동양육책임을 부담해야 하며 한부모가족지원법의 지원을 받는다. 여성 결혼이민자에 대한 치료적

접근은 그 유형별 특성에 맞춰져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특히 정신심리적 측면의 경우는 개인이

처한 상황을 잘 파악해서 심도 깊은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비자발적․자발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성보호 측면의 세심한 정책적 배려가 매우 필요하다.

Page 92: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92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2주차 1차시 - 빈곤가족/소년소녀가족과 가족복지1

1. 빈곤가족의 개념 및 특성

1) 빈곤에 대한 경제적 정의

* 절대적 빈곤(absolute poverty)

최저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생계비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상태

▶ 장 점

- 정책결정에 도움이 됨

- 빈곤인구를 파악하는데 요긴

▶ 문제점

- 수준이 다양하며 변화하므로 절대적 빈곤의 개념은 존재하지 않는다.

- 편차가 있으며, 주관적 입장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

- 정책적 사각지대가 존재한다.

* 상대적 빈곤(relative poverty)

- 개인 또는 한 가구가 생존유지는 할 수 있는 소득이 되어도 소속되어 있는 사회 내의 평균소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아 상대적인 박탈감을 갖게 되는 상태

- 빈곤은 개인과 가족이 속한 사회에서 관습이 되어있는 수준에 미달되거나 물리적 기준이

결핍되어 있고 가족활동이나 사회적 활동에 참여할 수 없는 경우라고 정의

▶ 장 점

- 차이와 비교에 도움

- 빈곤의 한 측면을 잘 반영하고 계산이 쉬움

- 경제수준의 변화를 자동적으로 반영

⇰ 빈곤에대한정책적정의는빈곤의절대적인측면과상대적인 측면 즉 기본필요의 충족과 소득

불평등이라는 두 가지 차원을 모두 고려하여 내려야 할 것이다.

* 주관적 빈곤

- 사람들이 자신들의 경제적 상황에 대한 자기평가에 근거하여 산출하는 빈곤개념

- 여론조사 통하여 분석하고 산출

- 그 사회의 현실을 실제로 반영

* 빈곤지수

- 빈곤의 실태와 변화 추이를 나타내는 지표

PR=PH/WH

 PR : 빈곤율, PH: 빈곤가구, PW: 전체가구

2) 빈곤에 대한 문화적 정의

¢ 빈곤이 그 나름대로의 구조, 이론적인 근거, 방어장치가 있다는 점에서 빈곤을 적극적인

개념으로 정의.

Page 93: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93

가족복지론 12주차 1차시 - 빈곤가족/소년소녀가족과 가족복지1

* 빈곤문화의 특징

① 사회의 지배적 가치를 수용할 기회가 단절

② 내적.외적 위험요인이 많아 불안정한 가족관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다.

③ 빈곤문화는 쉽게 체념하고 운명주의자가 되며 출세동기가 약하며 충동적이고 현재중심의

무책임한 생활을 하는 경향이 크다.

④ 세대 간에 전승되고 따라서 빈곤은 악순환 된다.

3) 빈곤가족의 발생요인

(1) 개인적 원인

① 자발적 원인 : 개인의 부적절한 생활태도나 도덕적 해이 등과 같은 개인적 결함에 기초

② 비자발적 원인 : 개인적 요인이기는 하지만 사회구조적 요인들과 밀접히 연관, 빈곤의 악순환을

초래하게 하는 원인

(2) 사회적 원인

① 사회적 요인

- 법적 제도의 잘못된 구조

- 조세제도에서의 재분배 기능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때

- 불로소득이나 비정상적인 부의 축적이 만연

- 사회보장제도를 포함한 사회복지정책의 부실

- 태풍이나 해일, 지진, 화산폭발 등의 천재지변

② 윌슨의 주장

- 사회구조적인 고립과 소외로 인해 기회구조에서 배제되기 때문

- 빈곤층 밀집지역에서 자활사슬반응이 경감

- 범죄, 중독, 복지의존도 등이 증가

-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이 적어져 상호보호 어려움

- 고용기회의 제한, 중산층의 도심 이탈, 성공적인 역할 모델 부재 등

4) 빈곤가족의 특성

(1) 인구사회학적특성

① 빈곤의 노령화와 여성화

가) 빈곤의 여성화

- 가족 해체 및 이혼율의 증가

- 노동 시장적 요소와 가족적 차원의 요인들의 복합 적으로 연결되는

빈곤화 과정

나) 빈곤의 노령화

- 급속한 고령화와 생산양식의 변화

- 가족해체 및 부양의식의 약화 등 가치관의 변화

② 만성적 건강문제

- 건강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여러 가지 물질적 조건의 악화

- 가족기능을 약화, 경제적․ 심리적 자원 고갈→빈곤화 초래

Page 94: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94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2주차 1차시 - 빈곤가족/소년소녀가족과 가족복지1

③ 낮은 교육수준과 불안정한 직업

- 일반 가족보다 교육수준이 낮음

→ 불안정한 직업 및 낮은 소득과 밀접한 관련

(2) 심리사회적 특성

① 스트레스를 주는 환경적 조건과 사건과 관련 높음

② 가정폭력, 자살, 알코올이나 기타 약물중독 등의 복합적인 문제

③ 빈곤가족의 아동과 청소년의 특징

- 적응 유연성 떨어짐

- 부정적인 정서발달 통해 정상적인 발달과업 이루는데 어려움 많음

- 절망감, 우울, 스트레스, 행동문제, 또래갈등, 학업부진과 중퇴 등의 문제

- 약물사용, 비행, 폭력범죄 등

(3) 가족관계적 특성

① 가족해체를 경험 또는 빈곤화되는 과정에서 가정이 해체

② 부부관계 : 폭력과 불화의 특성

③ 부모자녀관계 : 방임과 부적절한 양육태도의 특성

2. 우리나라의 빈곤가족 현황

¢ 우리나라에서 빈곤가족은 노동력이 없는 가난한 자로써 질병, 장애, 노령 등의 이유로

근로능력이 없고 부양능력자가 없는 거택 시설보호 대상 가구이거나 근로능력이 있지만 가난한

자활보호대상자 가구 또는 불의의 사고나 실직 등으로 빈곤에 처할 수 있는 잠재적 빈곤가구 등을

포함한다(노인철 외, 1995:27). 빈곤가족을 일컫는 용어로 가족의 경제적 지위와 소득을 기준으로

영세민 가족, 저소득층 가족, 빈민가족, 생활보호대상자 가족 등이 있다.

¢ 공식적으로 우리나라는 최저생계비를 기초로 하여 빈곤가구율을 추정하고 있는데 빈곤가족은

최저생계비 이하인 기초생활보호법 대상자 가족과 최저생계비 120%에 속하는 차상위계층 정도를

의미하고 있다. 빈곤율 측정의 기준이 되는 최저생계비는 매년 물가상승률을 감안하여(평균 약 3%

내외) 책정된다.

¢ 따라서 절대빈곤층의 규모는 정보의 공공부조 수급자 규모를 통해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2008년 12월 기준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약 152만 9,939명(가구수 854,205가구)으로

전 인구 대비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수급률은 3.2%였다. 일반수급자는 1,444,010명으로 전체

수급자의 94.4%이며, 시설수급자는 85,929명으로 5.6%이었다. 전반적으로 국민기초생활수급자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 성별, 연령, 가구원 및 가구구성, 개인특성 등에 따라 빈곤가구

발생률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2000년 이후로는 경기침체와 자유주의 시장경제 체제에

의한 불안정고용의 증가 등의 고용사정 악화 등으로 신빈곤층의 발생도 증가하고 있어

절대빈곤율과 상대빈곤율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현실이다(반정호, 2009).

Page 95: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95

가족복지론 12주차 1차시 - 빈곤가족/소년소녀가족과 가족복지1

1) 빈곤율의 지속적인 증가와 상대적 빈곤율의 악화

¢ 전반적으로 1960년대 이후 지속적인 고도성장을 이루어 온 한국 사회는 평균소비수준은 꾸준히

높아지고 1996년까지 절대빈곤율과 상대빈곤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왔다. 그러나 1997년 말

외환위기와 더불어 대량실업사태와 근로빈곤층이 급증하면서 절대빈곤율과 상대빈곤율은 모두

상승하였다. 2000년을 지나면서 실업률이 점차 감소하고 우리나라의 가구 빈곤율도 점차

감소하였으나, 2003년 이후 경기침체 및 기타 요인으로 인하여 최저생계비 기준의 전국가구의

빈곤율은 지속적으로 다시 상승하고 있다. 특히 상대빈곤율은 기준(중위소득 40~60%)에 따라 약

4%에서 22%까지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외환위기 극복 후 경제회복을 하는 과정에서

절대빈곤규모가 안정되어 가는 것에 비하여 비정규직 증가 등 불안정 일자리 확대와 소득 양극화로

인한 상대빈곤층의 구조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2) 빈곤의 여성화

¢ 빈곤의 성차별적 분포는 빈곤가구 중에 여성가구주가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빈곤의 여성

집중현상을 말한다. 여성가구주의 비율은 지난 25년간 꾸준히 증가하여 1990년 1,787천

가구(전체가구의 15.7%)에서 2009년 두 배가 넘는 3,372천 가구(전체가구의 20.3%)로

증가하였다(여성통계연보, 2009). 이들 여성가구주의 가구소득은 남성가구주의 75%에 해당하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여성가구주가 빈곤에 처할 확률은 남성의 3배 가량 높게 나타나며 여성가구주

6명 중 1명은 최저생계비 이하로 나타났다(김안나, 2007).

¢ 우리나라는 1998년 경제위기 시 대량실직사태는 남성들의 실직에 따라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여성가장의 수를 증가시켰으며, 가족해체가 가속화되면서 파생된 여성가장 가족을 증가시킴으로써

우리나라의 여성빈곤화 현상을 양적, 질적으로 확대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특히 빈곤 여성가구주는 빈곤 남성가구주와는 달리 30대 초부터 말까지의 연령대와 55세

이후의 노년기에 빈곤율이 증가하는 양극점 형태를 보이고 있다. 30대의 여성가구주는

자녀양육부담으로 인하여 노동시장참여가 어려워 빈곤가구로 전락하게 되며(표 13-2), 이들 가구는

빈곤으로 인한 자녀문제, 부양스트레스 등으로 물질적, 정신적, 신체적 역기능가정으로 전락할

확률이 높으며 빈곤탈출률도 매우 낮다.

¢ 또한 2008년 현재 우리나라 전체 노인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약 7.6%인데 이들 중

여성노인의 수급률은 9.4%로 남성노인 5.0%보다 약 2배에 달하고 있어 여성노인가구의 빈곤의

심각함을 보여준다. 특히 여성노인 단독가구의 증가로 인한 여성고령인구의 고령화 현상은 매우

가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2008년 여성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의 빈곤율은 9.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2009 사회조사, 통계청, 2009).

¢ 학력은 빈곤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데, 성별에 따라 다른 영향력을 갖고 있다. 남녀

모두 저학력일수록 빈곤위험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으나, 대졸여성이 빈곤에 처할 확률은

대졸남성보다 4배나 많아 여성가구주의 경우에는 전 학력층에 빈곤의 위험이 잠재되어 있다.

Page 96: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96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2주차 1차시 - 빈곤가족/소년소녀가족과 가족복지1

3) 빈곤의 노령화

¢ 우리나라의 노인빈곤의 동향 및 빈곤구성에 대한 연구들은 빈곤의 노령화현상’을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1970년대 이후 노인의 경제적 수준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어서 노인

빈곤율이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는 외국의 현실과 다른 상황을 보여준다.

¢ 우리나라 노인가구주의 절대빈곤율은 2003년 이래로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상대빈곤율은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2008년 전체 기초생활수급대상자 가운데 노인세대는 약 26.5%에

달하고 있다. 성별과 연령을 종합해 보면 노년기 수급자중 여성비율이 34.0%, 남성이 16.3%로 타

연령에 비하여 남녀 모두 가장 높았으나 여성노인의 비율이 남성노인의 비율의 2배가 넘어

여성노인의 빈곤화 정도를 실감할 수 있다. 가구원 수에 따른 수급자의 현황을 보면 1인 가구의

비율이 가장 높아서 여성 단독 노인가구의 빈곤화를 알 수 있다. 빈곤위험도는 여성일수록, 농촌과

학력이 낮을수록 더 높았으며, 여성 단독 노인세대의 빈곤위험도가 가장 높다.

4) 도농간 지역에 따른 빈곤율과 양상의 차이

¢ 우리나라의 빈곤가구는 지역과 지역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심하여 지역에 따른 빈부격차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별 수급률을 보면 전북이 6.2%로 최고이며 울산이

1.7%로 최하위로 나타났으며, 전라남도와 북도는 가장 높은 수급률로 최대 3배 이상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5) 단독가구의 빈곤화

¢ 일반 수급 가구 중에서 단독 1인 가구의 빈곤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2010년 우리나라의

독거노인 수는 100만 명을 돌파하였으며 이는 단독가구 빈곤율 증가와 관련이 높다. 이는

빈곤가구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의 개발 및 적용에 시사하는 바가 높다고 하겠다.

3. 빈곤가족에 대한 사회복지정책 및 서비스 현황

¢ 빈곤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정책은 절대 빈곤가족을 대상으로 이들의 기초적 생계를 보호하는

사회보장정책으로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사회복지서비스로 나눌 수 있다.

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의한 빈곤가족 지원

- 2000년 10월 1일부터 시행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1997년 이후 경제위기와 구조조정에 따른

대량실업으로 근로능력이 있는 빈곤인구가 급증하고, 사회문제가 확대되면서 근로능력에 관계없이

최저생계비 이하의 저소득층에게 기초생활을 국가가 보장하되 종합적 자립자활서비스 제공으로

생산적 복지를 구현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생활보호사업과 구별되는 몇 가지 특성

첫째, 시혜적 급여에서 권리적 급여의 성격이 강조되었다는 점

둘째, 과거에는 18세~60이하의 경제활동인구는 대상자격이 없었으나 이를 삭제함으로써 이에

속하는 사람들도 급여를 수급할 수 있다는 점

셋째, 생활보호사업에서는 소득과 재산이 이원적 기준이었으나 기초보장제도는 2003년부터

‘소득인정액’이라는 단일기준에 입각하여 최저생계비 이하인 계층을 모두 포괄하여 보장

Page 97: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97

가족복지론 12주차 1차시 - 빈곤가족/소년소녀가족과 가족복지1

(1) 급여내용

- 기초생활보장법에서 규정하는 급여의 종류와 내용은 생계급여를 기준으로 하여

주거급여, 의료급여, 교육급여, 해산급여, 장제급여, 자활급여가 있다.

(2) 수급자 조건

- 부양의무자가 없거나, 있어도 부양능력이 없고 부양을 받을 수 없는 자인 경우로서 소득인정액이

최저생계비 이하인 사람.

2) 가족유형별 저소득가정에 대한 지원

(1) 소년소녀 가장세대에 대한 지원

- 지원대상–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중에서 10세 미만의 아동으로만 구성된 세대이거나 18세

미만의 아동이 부양능력이 없는 부모와 동거하는 세대

부양의무자와 동거하는 경우에는 대리양육가정으로, 부양의무자가 아닌 경우에는 가정위탁으로

선정하여 지원, 15세 미만의 아동들로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설입소, 가정위탁을 권장하고

있으며 아동이 18세가 넘었지만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일 경우에는 졸업까지 연장.

(2) 기초노령연급과 노인가족 지원

- 1997년 노인복지법이 개정되면서 과거 노령수당이 경로연금제도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2007년

4월 기초노령연금법의 제정 공포에 따라 소득과 재산을 기준으로 65세 이상 전체 노인 중 약

60%인 약 300만 명에게 매달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 월 평균소득의 5%를 지급하는

기초노령연금제도가 실시되었다.

(3) 장애인 가족지원

- 1999년 장애인 복지법이 개정되면서 공공부조제도로서 장애수당이 지급되고 있다. 장애수당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의 생계급여수급자이면서 장애등급이 1,2급인 중증장애인 또는 다른 장애가

중복된 3급 정신지체, 발달장애인, 장애등급이 3~6급이면서 보장시설입소 장애인 및 특례수습

장애인이 아닌 사람에게 지급된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월 6만 원, 경증장애인에게는 월 2만 원이

지급된다.

3) 빈곤아동의 보육 및 교육지원

(1) 보육 및 교육에 대한 제도적 지원정책

* 여성부-2004년 6월 보건복지부로부터 유아보육업무를 넘겨받아 기존의 ‘가족위임형’보육에서

부모와 국가가 책임을 나누는 ‘책임공유형’으로 전환하고 정부의 부육비용부담률을 2003년

28%에서 2008년 50%로 높일 계획이다.

또한 영유아보육법 및 영유아보육법 시행령에 근거하여 유아보호업무를 관리한다. 유아보육시설을

국.공립 보육시설, 직장보육시설, 법인보육시설, 가정보육시설, 부모협동보육시설, 민간보육시설을

의미하며,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자와 여성부령이 정하는 일정소득 이하의 가구자녀의

보육비를 전부 혹은 일부 보조한다.

* 교육인적자원부- 유아교육법 및 유아교육법 시행령에 근거하여 유아교육업무를 관리한다.

Page 98: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98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2주차 1차시 - 빈곤가족/소년소녀가족과 가족복지1

* 보건복지부-국민기초생활보장법과 모·부자복지법에 근거하여 빈곤가정의 아동을 지원한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급여는 생계급여, 주거급여, 해산급여, 장제급여, 의료급여를 제공하며,

급여원칙은 최저생활보장 원칙, 보충급여원칙, 자립지원원칙, 개별성원칙, 가족부양우선원칙,

타법우선원칙을 지향한다.

* 모부자복지법-제12조 제1항은 복지급여로 생계비 이외에 아동교육지원비 및 아동양육비 지원을

규정하고 있다.

(2) 교육 · 문화 · 복지지원서비스

① 지역아동센터

- 2004년부터 민간 공부방이 지역아동센터로 제도화되어 초.중생의 방과 후 보호, 학습지원,

급식제공 등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② 학교사회복지

- 민간단체,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지역교육청 등의 지원으로 지속되어 온 학교사회복지가

2004년부터 교육인적자원부를 통하여 시범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학교 현장에 전임사회복지사를

배치하여 학교폭력을 포함한 다양한 학생문제를 예방, 치료하며, 빈곤가족 아동의 문제에도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③ We-Start 사업

- 저연령에서부터 예방적으로 통합적인 개입을 통하여 빈곤탈피를 목적으로 하고 있는 ‘빈곤대물림

끊어주기’ 사업으로 0~12세 빈곤층 아동들에게 교육, 보건, 주거, 복지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④ 교육복지투자 우선 지역사업

- 지역사회 교육전문가 라는 명칭을 가진 전문인력을 학교에 배치하여 빈곤아동들에게 교육, 복지,

문화서비스를 총괄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4) 자립 및 자활지원 서비스(1) 비취업대상자 빈곤가족을 위한 서비스* 조건부 수급자가 비취업대상자일 경우, 취로형, 공익형, 시장형 자활근로사업으로 구분하여 자활후견기관 등을 통하여 자활사업에 참여한다.* 자활공동체-개인 혹은 공동체 창업을 통하여 자활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장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 자활근로-노동시장에서 취업이 곤란한 장년층을 대상으로 공동창업을 위한 기초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목적* 지역봉사, 재활사업-근로의욕 고취,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

(2) 취업대상자 빈곤가족을 위한 서비스* 빈곤가족이 취업대상자일 경우, 노동부 지원의 구직활동, 자활인턴, 창업지원, 지방자치단체 공공근로에 참여한다.

5) 가족관계향상 서비스 여성가족부는 2005년 건강가족기본법을 제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건강가족지원센터를 설립, 이러한 기관을 통하여 일반가족은 물론 저소득층 가족들에 대한 예방과 교육차원의 다양한 가족관계 증진 및 자원개발 프로그램을 실시.

Page 99: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99

가족복지론 12주차 2차시 - 빈곤가족/소년소녀가족과 가족복지1

1. 소년소녀가족의 개념 및 발생원인

1) 소년소녀가족의 개념

- 소년소녀가족이란 부모가 사망했거나 생존해 있어도 질병, 심신장애, 가출, 이혼, 재혼, 복역

등으로 인해 부모의 보호 및 부양을 받을 수 없거나 노동능력이 없는 직계혈족을 모시고 있거나

생활능력이 없는 방계가족과 더불어 생계가 곤란한 세대로서 만 20세 이하의 청소년이 실질적으로

가계를 책임진 세대를 말한다.

- 소년소녀가족의 명칭은 1985년 ‘소년가장세대지원지침’의 실시 이후 현재까지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다. 초기에는 미성년세대주, 아동세대주, 어린이가장 등으로 불려 왔으나 실질적 가장권을

행사할 수 없는 미성년자라 할지라도 가족 중 연장자 또는 주민등록상의 세대주로 되어 있는

아동을 말하는 소년소녀가장세대로 통일해서 사용하게 되었다. 소년소녀가장이라는 명칭은 보호

대상자를 선별하여 지원하기 위해 편의상 구별하는 이름으로 법률상 가장이 되거나 가장의 역할을

강요하는 것은 아니다. 가장이란 집안 식구를 감독하고 다스리는 감독권, 재산을 관리하는 재산권,

가정을 대표하는 대표권을 가진 자를 의미한다(이소희 외, 1998:228). 그 이후 아동을 위한

국제협약의 비준국인 한국 정부에 대한 국제연합에서의 수정 지시를 통해 2000년 9월

소년소녀가장세대에서 소년소녀가정(youth family)으로 명칭을 변경하게 된다. 이렇게 명칭의

변화와 더불어 소년소녀가족의 아동 연령도 18세 미만에서 현재는 민법상 성인인 20세 이하로

상향 조정되었다.

- 소년소녀가족의 책정을 제한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첫째, 15세 미만의 아동으로만 세대를 구성할 경우로 만일 15세 미만의 아동으로만 세대를

구성할 경우 소년소녀가족의 지정을 제한하고 가정위탁보호나 시설에서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형제자매 등 2인 이상으로 그 아동이 지역사회 내에서 독립적으로 오랫동안 생활해 왔고,

동거하지는 않으나 주변에 친인척 등이 거주하여 수시로 보호받고 있어 가정위탁이나 시설 및

그룹홈 입소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지정을 하도록 되어 있다.

* 둘째, 근로능력이 있는 친인척과 함께 거주하는 경우로 아동이 실질적으로 생계를 책임지고 있지

않으므로 소년소녀가족으로 책정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다만, 함께 거주하는 친인척이 부양

의무자인 경우에는 아동복지법 제10조 제1항 제2호의 대리양육가정으로 선정하고, 부양 의무자가

아닌 친인척과 동거하는 경우에는 아동복지법 제10조 제1항 제3호의 가정위탁으로 책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소년소녀가족은 주변에 친척과 함께 살면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들은 시설입소보다는 지역사회 내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보호 및

후원해야 하는 특수 가족형태라고 할 수 있다(이소희 외, 2004:231).

- 아동과 청소년이 안정된 가정생활과 건전한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보호하고 육성하는 일은

세계적으로 공통적인 과제로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사회구조적

변화는 가족구조의 변화와 가족원의 기능 및 역할의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가족결손 및 가족해체를

야기하여 가족체계가 위기를 맞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나 사회가 보호 및 지원해야 할

요보호아동과 청소년이 증가하는 요인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요보호아동에 대한 국가의

보호 형태는 시설입소 및 시설보호의 형태였다.

Page 100: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100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2주차 2차시 - 빈곤가족/소년소녀가족과 가족복지1

- 그러나 1980년대 중반에 들어오면서부터 대리보호 형태가 가정적 보호 형태를 띤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가정적 보호 형태의 방식이 갖는 의의는 두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조추용 외,

2002:126-127).

* 첫째, 가정적 보호 형태는 시설보호로 인한 아동의 발달과 복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인

시설병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 둘째, 국가 중심의 보호에서 벗어나 이들 요보호아동에 대한 민간 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부족한 국가의 복지 재원을 보충할 수 있고, 나아가 ‘모두가 내 아이’라는 생각을 가진 나눔에

의한 공동체적 삶을 지향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아동복지정책에 있어 기존의 시설 중심의

정책에서 벗어나 가족해체의 위기에 처한 가족에게 가족의 기능을 강화시켜 주는 정책으로의 방향

전환을 시사하는 것으로 그 의의를 갖는다.

- 그러나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문제를 지니고 있다.

* 첫째, 자아정체감의 확립이라는 발달과업을 수행해야 하는 청소년기에 가장이라는 책무를

짊어져야 하는 것은 아동복지의 기본 신념이나 가치에 위배된다는 점이다.

* 둘째,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책은 물질적 서비스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건전한 성장 및 발달을

위한 지원의 관점에서는 부적절하다는 점이다.

* 셋째, 소년소녀가족제도는 소년소녀가족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라기보다는 민간 자원에

의존함으로써 국가의 아동․청소년복지에 대한 경비 부담의 극소화가 목적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앞으로 이들을 위한 복지가 되기 위해서는 이들의 생활 실태를 구체적, 심층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가족복지서비스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2) 소년소녀가족의 발생원인- 1960년대부터 연차적인 경제개발계획을 단계적, 지속적으로 추진해 감에 따라 급격한 산업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사회는 점점 공업화, 도시화, 핵가족화로 변화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는 가정생활에도 직․간접적 영향을 미쳐 소년소녀가족을 발생시키고 있다. 소년소녀가족은

1990년을 기점으로 변화되고 있는데 1990년대 전에는 주로 부모의 사망이나 행방불명, 가출 등의

요인으로 발생되었으나 1990년대 들어서는 가족해체로 인한 이혼, 별거, 가출 등의 이유로

소년소녀가족의 아동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 또한 재혼이 일반화되면서 자녀에 대한 책임감, 인내심, 애정이 약해지면서 자녀의 양육을

기피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다. 특히 이혼 또는 남편의 사망으로 여자가

재혼하는 경우 전남편 자녀들에 대한 법적 보호가 보장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재혼한 가정에 그

자녀를 데려가는 것도 어렵기 때문에 이것이 소년소녀가족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즉, 소년소녀가족은 부모의 가출이나 행방불명, 이혼, 기타 복역과 같은 자발적 요인이나 부모 사망, 폐질, 심신장애, 고령 등의 비자발적 요인으로 발생한다.

Page 101: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101

가족복지론 12주차 2차시 - 빈곤가족/소년소녀가족과 가족복지1

2. 소년소녀가족의 현황 및 문제

1) 소년소녀가족의 현황

현황 내용

연도별 현황l 1985년(4,901세대)~2005년(4,386세대)l 1998년부터 생활보호법에 의해 가정위탁보호, 대리가정양육아동으로

선정ㆍ보호함으로써 최근에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

지역별 현황 l 전북(422가구), 전남(419가구), 충북(320가구), l 울산(46가구), 대전(47가구), 강원(67가구)

연령별 현황 l 15~17세(4,180명)에 가장 많이 분포l 남성(5,004명), 여성(4,575명)

재학 현황 l 총 4,386명 중 고재(1,918명), 중재(1,343명), l 초등재(980명), 미취학자(77명), 기타(미재학 68명)

주거형태 현황 l 친지집 생활(48%), 자가(17%), 영구임대(15%), 전세(10%), 월세(7%)

2) 소년소녀가족의 문제- 소년소녀가족 아동의 실태 현황에 따른 일반적 특징은 연령이 20세 이하이며 중학교나 고등학교 재학 중인 학생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상당수가 친척과 함께 살면서 직․간접으로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들 소년소녀가족의 아동은 시설보호보다는 가정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보호하고 후원하는 편이 더 바람직해 보인다. 따라서 정부, 사회, 지역사회는 가장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기대하기보다는 오히려 안정된 가정 속에서 건전하게 성장하여 사회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요보호아동임을 인식해야 한다. 소년소녀가족에는 경제적, 심리정서적, 사회적응, 교육적, 가정생활 및 주거환경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1) 경제적 문제- 가족부양의 책임자인 부모의 부재 및 상실은 생계유지에 위협이 된다. 소년소녀가족을 구성하고 있는 아동과 청소년은 학교에 다니거나 학교에 다니지 않는 경우에도 직업을 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함께 거주하는 부모, 직계가족, 방계가족 역시 경제적 능력이 없기 때문에 소년소녀가족은 주요 문제로 경제적 문제를 호소하고 있다. 현재 소년소녀가족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해 정부로부터 지원받고 개인, 사회복지기관, 단체로부터 후원금을 지원받고 있으나 소년소녀가족은 생활에 있어서의 큰 어려움으로 경제적 빈곤을 들고 있다(김민정, 1996;이소희 외, 1998;남연희, 2001).- 또한 소년소녀가족의 경제적 문제는 만 18세가 되어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지원이 중단될 때 자립의 문제와도 연결된다. 즉, 소년소녀가족의 아동과 청소년은 취업 시 보증인, 후견인 문제로 불리할 뿐만 아니라 자립을 위한 지원금이 300만 원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빈곤이 악순환될 소지가 있다.

(2) 심리정서적 문제- 첫째, 가족 내 역할의 변화와 관련하여 소년소녀가족의 가족구성원은 부모, 부 또는 모의 부재로 인해 가족구조상의 변화를 가져오므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한다. 즉, 이전의 역할이 갑자기 단절되고 새로운 역할에의 적응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소년소녀가족의 아동과 청소년은 부모의 부재로 인해 갑작스럽게 가장이라는 새로운 역할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역할 변화와 역할 부조화로 인한 어려움과 자신에게 부여된 역할이 스스로 선택한 역할과 동일하지 않다는 것에서 갈등을 경험한다.

Page 102: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102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2주차 2차시 - 빈곤가족/소년소녀가족과 가족복지1

- 둘째, 가족기능의 결여로 감정적․정서적 안정에 지장을 받고 있으며 자긍심과 신뢰감에도 손상을 입게 되어 혼란한 감정을 갖게 되는데 이에 따라 가정․학교․사회․이성 문제에 대해 부적응 현상을 초래할 경향이 있다. 또한 가정 내에서 보호하고 감독할 수 있는 성인의 부재로 비행문제에 대한 지도를 적절하게 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정신적 지주가 되는 부모의 상실 경험으로 인해 정서적․도덕적 능력의 발달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데 적지 않은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3) 사회적응문제- 소년소녀가족의 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가정 안에서 적절한 역할모델의 대상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부모를 통한 가정교육의 기회를 상실함으로써 가치판단이나 사회적응에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소년소녀가족의 아동이 바람직하고 건전한 사회성원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정상적 가정에 비추어 결여된 부분들에 초점을 맞추는 동시에 가정의 기능을 보완한다는 측면에서의 친척, 이웃, 지역사회의 지원과 보호가 있어야 한다.

(4) 교육적 문제- 소년소녀가족의 아동은 부모에 의한 가정교육 기회의 상실로 원만한 성격 및 가치관 형성이라든가 사회적응 면에서 불리할 뿐만 아니라 상급 학교의 진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보건복지부 2005년 상반기 통계에 의하면 총 4,386명 중 1,918명이 고등학교 재학생으로 경제적 어려움과 가장의 역할 수행으로 교육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

5) 가정생활 및 주거환경의 문제- 소년소녀가족의 아동과 청소년들은 식사 준비나 청소, 세탁과 같은 가사, 동생 돌보기, 질병이 있는 부모나 조부모 돌보기, 돈 관리, 중요한 집안일의 결정 등의 가정 관리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그리고 소년소녀가족은 친지의 집에 사는 경우가 48%, 영구임대주택이 15%, 자가가 17%, 전세가 10%, 월세에 살고 있는 경우가 7%로 주거가 매우 불안정 하다. 영구임대주택의 경우 입주 보증금이나 관리비를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주택문제는 경제적 문제를 가중시키고 있으며 특히 영구임대아파트 지역은 슬럼화로 인한 비행청소년들의 근거지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3. 소년소녀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소년소녀가족을 위한 복지대책은 정부나 사회단체 및 기타 후원자의 도움을 받아 소년소녀가족이 자립 능력을 길러 건전한 가정 및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사업의 방침은 정부가 경제적으로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사회단체, 기관, 친척, 이웃 등의 경제적․정서적 도움을 유도하여 후견 및 결연사업을 통해 지역사회의 관심을 제고하도록 하는 데 있다.

- 정부는 1984년에 소년소녀가족에 대한 보호대책을 수립하여 1985년부터 정부사업으로 실시했다. 소년소녀가족에 대해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주거비, 학비 등을 주로 정부가 전담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그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에는 어려운 실정이고 또한 경제적 지원과 함께 정서적 지원이 필요하여 불우아동사업에 포함시켜 결연사업을 실시하도록 추진했다. 후원자 및 후견인을 발굴하고 결연을 맺도록 정부가 유도하였으며 주로 지역사회 주민, 사회단체, 종교단체, 기업체 및 교육기관 등을 결연대상으로 하였다.

- 정부에서는 소년소녀가족의 보호 및 후원단체의 지원을 보다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결연 및 후원 사무를 민간단체인 한국어린이재단에 위탁하여 실시토록 했다. 이 재단은 15개 시․도청 소재지에 지부를 설치․운영하여 같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소년소녀가족의 지원체계는 소년소녀가족을 보호 및 부양할 수 있는 지원자 및 지원기관의 발굴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지원자 간의 지원수준과 그 관리를 총괄하고 조정할 수 있어 소년소녀가족이 요구하는 적정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추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Page 103: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103

가족복지론 12주차 2차시 - 빈곤가족/소년소녀가족과 가족복지1

복지대책 내용

거시적

복지대책

아동복지법

l 1985년 : 별도의 아동복지예산책정, 고교생에게 수험료 지급

l 1987년 : 생활보호예산으로 이전, 실업계고교생 교육비 지급

l 1986년 : 별도의 아동복지예산으로 학용품비도 지급

l 1996년 : 안정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하여 전세금 지원

가정

보호사업

l 목적 : 자립능력 배양 및 건전한 사회인으로의 육성도모

l 지원대상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자 중 18세 미만

아동이 실질적으로 가정을 이끌어 가는 세대, 18세 미만

아동으로만 구성된 세대, 18세 미만의 아동이 부양능력이 없는

부모와 동거하는 세대 등

아동권리

국제협약

l 제3조 : 아동의 보호ㆍ양육 및 그 기관의 감독

l 소년소녀가족의 친척ㆍ법적 후견인이나 법적 책임이 있는 성인의

보호조치

l 가정위탁제도의 도입, 가정봉사원제도 활성화

헌법l 제32조 : 생활능력이 없는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해 국가의

보호

공공부조

l 1961.12.31 : 생활보호법, 소년소녀를 위한 별도의 예산을 책정하여

지급(공적부조)

l 2000.10.01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 시행

l 수급자에 제공되는 생활보호의 종류 : 생계보호, 의료보호,

자활보호, 교육보호, 해산보호, 장제보호

복지대책 내용

미시적

복지대책

사적보호사업

한국복지재단l 정부는 한국복지재단에 결연사업 위탁

l 후원자발굴, 후원금 관리 전담의료보호 l 한국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을 거치지 않고 지원

자활보호l 대중매체의 영향력으로 후원자의 발굴

l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나 지속성 문제정서적

지원

l 소년소녀의 협동캠프, 생활수기 공모 등 정서적 지원 강화

l 후원자의 만남 행사 등 후원 프로그램 활성화

지역사회

복지관의

서비스

l 재가복지 서비스와 전문 프로그램 제공, 공부방프로그램, 학습지도

프로그램

l 진로지도 및 경제생활지원 프로그램, 취업알선 및 취업훈련

프로그램(일부 복지관)

Page 104: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104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3주차 1차시 - 폭력가족과 가족복지1

1. 가정폭력의 사회적 구성

- 가정은 가족성원들의 특정 필요성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곳이 아니라, 개개인의 모든

생활이 용해되고 재창조되는 곳이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정이란 경쟁적 외부 세상에서

돌아와 몸과 마음을 조용히 돌보고 쉬는 ‘휴식처’이며, ‘사랑의 보금자리’라고 생각한다. 오랫동안

가정은 우리에게 사랑과 보호의 성역으로 간주되어 왔다.

-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가정에서 일어나고 있는 숨겨진 현실이 부분적으로 언급되기 시작하고

감추어진 현실이 표출되는 과정에서, 일상생활에서 당연시되어 왔던 ‘가정’과 숨겨진 현실 뒤의

‘가정’과의 커다란 괴리가 발견되기 시작한 것이다.

- 흔히 한국 사회는 가족중심적 사회라고 한다. 또한 남다른 가족애와 가족주의는 가정에서

발생하는 폭력에 대하여 오히려 걸림돌이 되는 경우가 많다. 즉, 가족은 사적인 영역으로

신성시되고, 가족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은 가족구성원 내지는 가까운 친인척들만이 관여될 수

있을 뿐, 가족 외의 타인들이 관여할 일도 아니며 관여해서도 안 된다는 분위기이다. 게다가 지난

30여 년간 쉬지 않고 산업화 과정을 달려온 우리는 급속한 대가족제도의 해체와 더불어

집단주의적․공동체적 가치관에서 벗어나 개인중심적이 되면서 사적 영역을 침해하지 않으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더불어 집단적 공동체 의식과 개인주의가 부정적 측면으로 복합되어 나타난

소위 ‘가족이기주의’ 속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는 더욱 유지되고 이를 존중하는 것이 ‘현대인의

예의’라고까지 생각하게 되었다.

- 우리나라 전통가족은 일제의 지배, 한국전쟁 그리고 1960년 이후의 산업화 과정 등의 사회경제적

소용돌이 속에서 많은 변화를 겪었다. 가령 전통적인 집단주의적 공동체 의식에서 완전히

탈피하지도 못한 채, 개인중심적 사고방식을 받아들이게 됨으로써, 과거의 공동체적 의식과 새로운

개인주의 가치관의 부정적 결합으로 인하여 ‘가족이기주의’가 등장하였다.

- 이와 같은 가족이기주의는 한편으로는 남의 일에 지나친 간섭을 하지 않고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는 장점을 보여주면서도, 동시에 타인이나 다른 가족에 대한 신경이나 주의를 전혀 기울이지

않고 오로지 자신이나 자신의 가족의 안녕에만 만족하는 바람직스럽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한편 가족을 애정으로 결합된 사랑의 장으로 여기면서 더욱 사적인 공간으로 몰아가고, 공적

영역과는 철저하게 분리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가족에 대한 이분법적 태도는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들을 개인적인 것으로 인식시키고, 그에 대한 문제 처리 방식도 사적

차원에 머무르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 왔다. 게다가 옛날부터 내려오는 가정 내의 폭력에 대한

관용과 당위성은 부부싸움에는 타인이 개입되지 않으며, 자녀에 대한 폭력은 사랑의 매로

당연시되어 왔다.

- 구체적으로 보면, 1983년 ‘한국 여성의 전화’가 창립되면서 구타당한 아내를 보호하기 위한

단체활동이 전개되었으며, 1987년에는 서울 마포에 구타당한 아내를 보호하기 위한 ‘매 맞는

아내의 집’이 개설되었다.

- 한편 학대받는 아동을 위하여 1979년 한국 사회복지협의회가 아동학대고발센터를 개설하였고,

1989년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가 창설되면서 본격적인 아동학대 예방 및 치료활동이 전개되었다.

사회의 ‘충격 흡수 장치(shock absorber)’로 인식되던 가정, 자생적이고 문제해결의 자동 조절

장치가 내재되어 있었던 것으로 간주되어 오던 가정에서 사랑의 논리 대신에 갈등이나 힘의 논리가

앞서는 가정폭력이 난무하는 숨겨진 현실에 대하여 냉철한 분석과 더불어 과감한 외부적 개입과

지원이 필요하다.

Page 105: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105

가족복지론 13주차 1차시 - 폭력가족과 가족복지1

- 가정폭력의 심각성을 폭넓게 인정하게 되면서, 1997년 「가정폭력범죄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과

「가정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이러한 법의 공포는 가정 내의

폭력이 더 이상 개인적 차원의 갈등 표출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제재할 수 있는 ‘범죄’로

간주하겠다는 의지를 의미한다. 그리하여 사적인 공간에서 벌어지는 가정폭력은 법률이 지정한

공권력에 의하여 제재를 받게 되고, 강제적 개입을 통하여 해결을 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따라서 자신의 배우자나 자녀에게 단순히 가족구성원이라는 이유로 함부로 폭력을 휘두를 수 없게

되었다.

- 또한 가정폭력방지법의 근원적 목적이 가해자의 처벌이 아니라, 가족의 해체 예방과 건전한

가족의 유지․지원임을 염두에 둔다면, 이 법의 실효성을 거두기 위하여 가족구성원뿐만 아니라

주변의 모든 사람들의 의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법이 제정되어 시행된 지 상당한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가정폭력은 여전히 가족의 안전을 위협하고 사회문제를 야기하는 요인으로

남아 있다. 또한 최근의 가정폭력의 양상이 더욱 다양화되고 있는 실정이기는 하지만, 가정폭력의

피해대상자들이 주로 상호관계상 약자의 위치에 있고, 여성, 아동, 노인과 같은 사회적으로

무력하다고 인식되는 집단이라는 점에서 가정폭력은 단순히 가정 내 폭력이라기보다는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관계적 측면에서 강자가 약자에게 행하는 폭력이라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2. 가정폭력의 개념 규정과 유형

1) 가정폭력의 개념 규정

- 일반적으로 폭력이란 공격 행동의 한 형태로 분류되지만, 개념 규정상으로는 공격행위와

구별된다. 공격행위는 “타인에게 의도적으로 상처를 입히는 것”으로 정의되며, 폭력은 특히 그

정도가 심한 경우를 말한다. 또한 공격행위는 가치중립적으로 긍정적 혹은 부정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폭력은 언제나 부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 가정폭력이란 “가족구성원 중의 한 사람이 타인에게 의도적으로 물리적 힘을 사용하거나 정신적

학대를 통하여 고통을 주는 행위”(Gelles & Straus, 1979)로 정의한다. 이 단순한 물리적․신체적

손상을 주는 행위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해치는 언어적 학대, 성적 학대의 경우도 포함되는

포괄적 의미의 폭력행위이다.

- 가정폭력에 대한 구체적 개념은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정의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가정폭력”이라 함은 “가정구성원 사이의 신체적․정신적 또는 재산상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를 말한다. 여기서 “가정구성원”은 “배우자, 배우자 관계에 있었던 자, 자기 또는 배우자와

직계존비속 관계에 있거나 있었던 자, 계부모와 자의 관계 또는 적모와 서자의 관계에 있는 자,

동거하는 친족관계에 있는 자”로 정의된다. 따라서 가정폭력은 배우자 폭력, 부모와 자녀 간의

폭력, 형제 간의 폭력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현재 함께 살고 있는 가족원뿐만 아니라 전 배우자와

동거하는 친족으로까지 범위를 확대하였다는 것도 주목할 점이다. 이와 같이 가정폭력은 가해자와

피해자가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함께 생활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일반적 폭력과는 다르다.

2) 가정폭력의 유형과 폭력정도

- 가정폭력의 유형은 합법성과 수단적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 의하여 나누어 볼 수 있다.

(1) 합법적․표현적 폭력

- 합법적 공격행위는 긴장과 분노를 완화시키는 카타르시스적 작용을 하므로, 어느 정도의

공격행위를 인정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예를 들어, 자녀들이나 배우자의 행동에 무작정 화를

참기보다는 가벼운 공격행위로 분노를 해소시키는 것이 더욱 격렬한 폭력행위를 유발시키지 않게

된다.

Page 106: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106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3주차 1차시 - 폭력가족과 가족복지1

(2) 비합법적․표현적 폭력

- 가정폭력의 대부분이 이 유형에 속하는데, 상대편에게 과도한 고통이나 상처를 주는 심각한

형태의 폭력으로, 아내구타, 아동구타, 노인학대 등이 있다. 이러한 유형의 폭력은 유기, 학대,

살인으로까지 이어져 사회적 문제가 된다.

(3) 합법적․수단적 폭력

- 가정 내에서 빈번하게 볼 수 있는 유형으로, 어떤 바람직한 행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행사하는

폭력으로, 자식이 잘되라고 때리는 부모의 체벌 등이 이에 속한다.

(4) 비합법적․수단적 폭력

- 폭력의 합법성, 비합법성의 구분은 매우 애매하다. 그러나 부모나 형제, 부부 간의 카타르시스적

폭력이 비록 인정된다 할지라도, 지나치게 심한 고통이나 상처를 주게 되면 학대로 이어지는

비합법적 폭력이 된다. 즉, 초기에는 선의의 의도로 행해진 폭력행위라 할지라도 지나치면

교육적이거나 교화의 목적에서 떠나 권력이나 권위의 남용으로 간주될 수 있다.

▶ 위에서 언급한 폭력의 4가지 유형은 폭력의 정도가 얼마나 심한가에 따라 다시 나누어 볼 수

있다. Strauss(1977)는 폭력의 심각한 정도에 따라 가벼운 폭력행위와 심각한 폭력행위로 나누었고,

각각의 폭력행위를 8가지로 제시하였다.

① 물건던지기

② 밀거나 움켜잡기

③ 손으로 때리기

④ 주먹으로 때리거나 발로 차기

⑤ 주변 물건을 가지고 때리거나 혹은 때리려고 위협하기

⑥ 무차별하게 때리기

⑦ 칼, 망치, 도끼, 총과 같은 흉기로 위협하기

⑧ 칼, 망치, 도끼, 총과 같은 흉기를 사용하기

* 여기서 ①, ②, ③은 가벼운 폭력행위로, ④, ⑤, ⑥, ⑦, ⑧은 심각한 폭력행위로 분류된다.

- 가정폭력에는 구체적으로 부부 간의 폭력, 부모-자녀 간의 폭력(아동학대), 형제 간의 폭력,

그리고 노부모에 대한 폭력 및 학대를 들 수 있다. 부부 간의 폭력은 주로 남편의 아내폭력 및

학대로 나타난다.

- 아동에 대한 폭력행위도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아동폭력은 단순한 폭력행위뿐만

아니라 아동방임이라는 광의의 관점까지 포함한다면 매우 높을 것이다. 아동에 대한 폭력행위는

아동학대, 아동구타, 그리고 아동방임 등의 개념으로 이어지면서, 자녀를 부모의 소유물로 여기는

전통적 가치관이 여전히 남아 있어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게다가 최근의 아동에 대한 성적

학대에 대한 신고 건수도 급격히 증가함으로써 아동폭력은 아동 관련 문제의 중심이 되기

시작하였다.

Page 107: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107

가족복지론 13주차 1차시 - 폭력가족과 가족복지1

- 노부모에 대한 폭력 및 학대는 급격한 사회변화 속에서 노인의 지위 상실과 더불어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추세이다. 지난 20여 년 동안 산업화의 주역을 담당해 왔던 오늘날의 노년세대는

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새로운 기술 혁신에 적응하지 못하고 시대감각이 부족한 ‘사회적

주변인’으로 밀려나기 시작하였고, 가족에서는 구성원들의 무관심과 냉대 속에서 ‘가족 속의

이방인’으로 소외되고 있다. 지금까지 노인폭력 및 학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매우 드물어서

정확히 말할 수 없지만, 신문이나 매스컴을 통한 노인에 대한 무관심, 유기, 폭력 등의 학대행위를

볼 때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 가정폭력의 실태

- 가정폭력 중에서도 아내학대 및 폭력은 가족해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다른 가족구성원에게

장기적이고도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아내구타는 합리적 분노의 표현이라기보다는 충동적이고

자신의 분노를 타인에게 분출하는 투사 행위이다.

- Elbow는 아내학대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① 지배자형(controler):아내의 행동통제를 요구하고 자신이 아내에 대하여 지배력을 잃었다고

느낄 때 아내를 학대하는 유형

② 방어자형(defender):아내를 보호하고자 하고, 아내가 자신에게 의존적이기를 원하며 독립적이

되는 것을 두려워하는 나머지 아내를 학대하기 시작하는 유형

③ 승인 추구형(approval seeker):자기 자신에 대한 불만을 아내에게 표출하지만 곧 죄책감을

느끼고 이런 감정을 만회하기 위하여 아내를 학대하는 유형

④ 혼합형(incorporations):약이나 알코올중독자로서 아내에게 트집을 잡고 괴롭힌다. 남편은

자신의 자아와 아내의 자아를 혼동하고 상대편의 개체성을 인정하지 못하는 유형으로 매우

위험하다.

- 여성긴급전화 1366을 통한 상담 통계에 의하면 대부분 가족 관련 문제들에 대한 상담이었는데,

직접적 가정폭력상담은 30%(2002) 정도에 이르렀다. 또한 최근 국제결혼이주여성 증가함에 따라서

이들에 대한 상담 지원도 시작되고 있으며 동시통역시스템을 이용한 상담이 증가하였다. 최근에는

피해자뿐만 아니라 가해자에 대한 상담이나 재활교육 프로그램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피해자에 대한 지원과 더불어, 가정폭력의 원인 제공자인 가해자에 대한 상담 등은 가정폭력의

재발 방지에 중요한 기능을 할 것이다.

- 배우자 폭력에 있어서 배우자(특히 아내)가 처음으로 구타를 당하는 시기는 결혼 후 1년 이내가

대부분으로 가정폭력은 결혼생활 초기부터 나타남을 알 수 있다.

- 구타방법은 주먹으로 때리거나 발로 차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흉기를 사용하거나 담뱃불로

지지는 등 잔인한 행위도 포함되어 있다. 한 연구에 의하면, 폭력 후 강제적 성관계의 발생률도

매우 높아서, 적어도 10명 중 2~3명의 여성은 구타를 당한 후 공포와 고통의 상황 속에서

성관계까지 치러 내야 하는 노예적 삶을 겪고 있다고 보고되었다(여성의 전화, 형사정책연구원).

- 가정폭력의 피해는 피해자 당사자뿐만 아니라 다른 가족구성원들, 특히 자녀에게 신체적,

정신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두통이나 현기증, 수면장애, 소화불량 등의 경미한 증상에서

타박상, 골절상 등의 신체상해는 물론, 질식, 언어상실증 등의 후유증으로 고통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정신적 피해로는 사람 만나기를 기피한다거나,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매사에 불안하고 자신이

없어지거나 우울증에 빠지기도 한다.

Page 108: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108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3주차 1차시 - 폭력가족과 가족복지1

2) 가정폭력의 발생원인

- 가정 내의 폭력 현상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들이 있으며,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대단히 많을

뿐만 아니라 가족이 처한 환경(경제적, 사회문화적, 그리고 생태학적 환경)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여기서는 크게 네 가지 관점을

소개하고자 한다.

- 즉, 개인병리적 관점, 사회심리적 관점, 생태학적 관점, 그리고 페미니즘적 관점 등이다.

(1) 개인병리적 관점

- 가정폭력을 개인의 정신병리학적 산물이거나 알코올 혹은 약물중독에 따른 비정상적 행동, 또는

가학적 행동의 결과로 본다. 즉, 배우자는 상대편이 지적하는 잔소리나 자극이 자신의 가학적

충동이나 심리적 불안정과 더불어 자아통제성을 상실하여 주체할 수 없는 폭력을 행사하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폭력을 행사하게 되는 사람은 대부분 남편이며, 정신병적 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그러나 모든 폭력 남성을 정신병환자라고 말할 수 없다는 점에서, 가정폭력의

원인을 설명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2) 사회심리적 관점

- 사회심리적 관점의 대표적 이론으로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을 들 수 있다(Bandura,

1973;Steinmetz, 1977). 사회학습이론에 의하면, 가정폭력은 인간의 다른 행동과 마찬가지로

학습된다는 것이다.

- 폭력에 대한 태도는 자신의 원가족, 사회적 가치관, 문화적 영향에 좌우된다고 하겠다. 실제로

이러한 관찰학습의 중요성은 여러 선행 연구에서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Steinmetz, 1977). 또한

폭력행위는 단순한 관찰학습뿐만 아니라 자신이 직접 경험한 폭력으로부터도 학습될 수 있는데,

성장기 폭력 경험의 빈도가 높을수록 피해자는 폭력적인 배우자나 부모가 될 확률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3) 생태학적 관점

- 생태학적 관점에서는 대표적으로 체계이론을 들 수 있다. 체계이론에 의하면, 폭력은 개인적

병리나 학습의 결과가 아니라 체계의 산물이다. 각각의 하부체계(부모, 자녀, 남편, 부인 등)가

주변의 환경이나 다른 체계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서 발생되는 갈등 현상이다(Garbarino, 1977).

예를 들어, 아동폭력이나 학대는 부모와 아동 간의 부적응 내지는 갈등적 환경에서 기인되는

현상이라고 본다. 생태학적 이론에서는 인구(population), 조직(organization), 환경(environment),

그리고 기술(technology)적 차원에서 문제점을 분석한다. 가족의 구성원들은 누구인가? 사회적

지지조직이나 지원서비스는 어떠한가? 가정이 위치한 생태적 환경은 폭력 친화적이지 않은가?

그리고 기술적 측면에서 폭력이 쉽게 발생하도록 촉진시키지는 않는가? 혹은 대처 기능이 부족하지

않은가? 등의 물음을 통하여 폭력을 설명하고자 한다.

(4) 페미니즘적 관점

- 기존의 이론이나 관점들과는 달리, 가정폭력은 성차별적 사회구조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본다(Dobash & Dobash, 1979). 다시 말하자면, 가정폭력은 단순히 개인적 성향이나 학습행위에서

야기될 뿐만 아니라, 폭력을 허용하는 사회문화적 규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근거를 둔 남성의

권위적 태도 및 우월성으로 가득 찬 구조화된 사회적 틀 속에서 발생하는 행위로 본다. 즉,

남성중심적 사회문화구조를 바꾸지 않는 한 여성의 억압 형태를 나타내는 가정폭력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관점이다.

Page 109: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109

가족복지론 13주차 1차시 - 폭력가족과 가족복지1

* 첫째, 남녀차별적 노동시장구조를 꼽을 수 있다. 여성의 경제활동의 위축은 남성에 대한 여성의

경제적 의존도를 심화시키므로 경제적 독립성을 구축할 수 없는 여성은 남편과의 상호관계를

합리적으로 재설정하거나 가정을 벗어나서 생존을 유지할 수 있는 절대적 자원을 소유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 둘째, 여성은 생물학적으로 남성보다 열등하다는 이데올로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이데올로기는

과학적이라는 근거를 내세워 남성에 대한 여성의 종속을 더욱 정당화시켜 우세한 남성이 열등한

여성을 교화시키는 데 행사되는 폭력을 합리화시킨다.

* 셋째, 성 역할의 사회적 규범이다. 여성은 표현적 역할을 담당하고, 순종적이고, 희생적이며

의존적인 존재로 사회화되어 오면서, 여성 자신은 이러한 이데올로기를 내면화시켜, ‘가부장적

이상형’으로부터 일탈된 행동을 하였을 경우에는 스스로 자책감과 죄의식을 느끼도록 길들여져

왔다. 따라서 가정폭력 속에서도 ‘아이들 때문에’, ‘가문의 수치 때문에’ 등의 가부장적 이유로

그대로 생활을 계속하게 되고, 그 속에서 폭력은 재생산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Page 110: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110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3주차 2차시 - 폭력가족과 가족복지2

1. 가정폭력의 실체와 허상

* 가정폭력은 가족 해체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부부갈등은 배우자 학대 및 구타로 이어져서 결혼생활의 기반을 흔들리게 합니다.

* 가정폭력은 자녀에게까지 전수되어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사회에 나아가서는 폭력을 인정하게

되고 행사하는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 가정폭력에 대한 통념과 사회적 폭력과 구별되는 특성

1) 물리적 힘이 아닌 권력의 논리

- 가정폭력은 물리적 힘의 여부보다는 권력의 표현방식이다.

- 폭력은 힘을 가진 자가 가족구성원과의 교환관계에 실패했을 때 일방적으로 휘두르는 무기인

셈이다.

2) 병리 현상으로서의 폭력

- 대부분의 폭력행위는 구체적 이유를 동반하지 않으며 설사 아무리 자신의 폭력행위를

합리화시킨다 할지라도 정당화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3) 폭력의 보편성과 은폐성

- 일반적으로 가정폭력은 특정한 가정환경에 편재되어 있다고 생각 하기 쉽지만 현실적으로는

가족구조나 사회계층에 관계없이 직업이나 교육 정도와 무관하게 폭넓게 발생하고 있다.

가정이라는 제한된 공간 속에 외부적 제재가 쉽지 않다.

4) 공포 속에서의 생존 유지

- 매를 맞으면서도 외부의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는 것은 보복에 대한 공포 때문이다.

5) 폭력의 재생산 논리

- 폭력은 길들여지는 경향이 있고 반복될 확률이 높다. 다음세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2. 폭력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1) 가정폭력에 대한 다양한 지원 유형

(1) 개인적 지원

* 평소 폭력에 대한 이성적 대처의식을 기름

* 초기 폭력에 대하여 즉각적으로 대처하여 폭력의 습관화를 방지

* 폭력이 발생하였을 때는 주위에 알림

* 자신의 피해사실을 숨기지 않음

* 폭력이 발생하였을 때,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전화 번호, 장소 등을 알아둠

(2) 친인척이나 친구 등을 통한 지원

* 주변의 가정폭력 사건을 묵인하지 말고, 여론화 시킴

* 폭력이 발생하였을 때는 피해자를 보호해 주고 관련 기관과 신속한 접촉

* 습관적 폭력에 대해 피해자를 위한 정서적 지지체계를 구축

Page 111: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111

가족복지론 13주차 2차시 - 폭력가족과 가족복지2

(3) 법적 지원

* 가정폭력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법적 보완 장치 절대적으로 필요

(4)경찰제도의 지원

* 폭력을 당하는 피해자가 가장 손쉽게 도움을 청할 수 있는 공공기관

* 가정폭력에서 파생되는 위험들을 충분히 인식해야 함

* 가정폭력 신고를 긴급사항으로 의식

* 중재 또는 분쟁 해결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가짐

(5) 의료적 지원

* 가정폭력은 신체적 손상, 정신적 증상도 보이므로 의료적 지원은 필수적임

* 피해자들을 진단 및 치료, 비밀을 보호하는 등의 심리적 지원도 제공해야 함

(6) 지역사회의 지원

* 주변 이웃이나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장기적 대책 요구

(7) 가정폭력 예방과 대책을 위한 복합적 대응

* 가정폭력에 대한 효과적 예방과 체계적 대처 방안을 위해 개인, 이웃, 사법행정의 관련기관,

지역사회 등이 연계하여 복합적 적량을 수립해야 함

* 폭력의 피해자들이 원하는 대응 방안 : 정신적 치료, 물질적 재정적 지원, 법률적 정보 제공 및

협조 등

2) 가정폭력에 대한 지원서비스

(1) 여성을 위한 긴급 전화상담 서비스

* 여성 1633

* 가정폭력상담소

(2) 가정폭력 상담소

* 상담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과 교육 실시

* 내담자에 대한 통합적 상담 제공

* 가정폭력 피해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지원

* 다양한 정보 제공

* 가정폭력 가해자 및 피해자에 대한 보다 지속적인 지원

(3) 피해자 보호시설

* 가정폭력 피해자에게 잠시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

* 문제를 현명하게 대처하고 해결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짐

* 전문가의 도움으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문제를 의논할 기회를 갖도록 함

* 자녀와 함께 머물 수 있는 지원

Page 112: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112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3주차 2차시 - 폭력가족과 가족복지2

3) 가정폭력에 대한 의식 및 제도개선

* 가정폭력을 방지하기 위해 의식의 전환과 예방 교육이 선행되어야 함

* 예방교육을 실시 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양성

* 지역사회적 차원에서 가정폭력을 신속하게 신고 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 예방 및 조기 발견이

가능하도록 함

* 가정폭력의 가해자나 피해자의 재활 및 재발 방지에도 관심을 가져야 함

* 상담이나 재활 프로그램을 통해 원만한 가족생활을 설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어야 함

Page 113: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113

가족복지론 14주차 1차시 - 입양가족과 가족복지1

1. 입양가족의 개념 및 현황

1) 입양과 입양가족의 개념

- 입양이란 친부모로부터 아동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모든 권리와 의무가 소멸되고 행정적․법적

권한에 의해 혈연관계가 없는 타인에게 양육의 권리와 의무가 이양되는 것을 말한다(이소희, 2005).

미국의 사회사업사전에서도 입양이란 법률에 의해 부모-자녀관계를 맺는 것으로 아동과 친부모

사이에 존재하는 책임과 권리가 양부모와 아동으로 이동하는 것이라 하였다.

- 따라서 입양가족이란 출생에 의하지 않고, 법적․사회적 과정을 통해 친부모-친자와 동등한

관계를 형성하게 된 가족을 말한다. 그리고 법적 과정이라 함은 합법적 가족으로 구성되기 위해

입양과 관련된 법률에 의해 소정의 절차를 마치는 것이고, 사회적 과정은 다른 구성원들로부터

가족으로 인정받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는 가족으로서 정서적 유대와 친밀감을 공유하게 되고,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입양은 친자녀를 입양 보내야 하는 친부모, 출생한

가정에서 성장하지 못하고 사회적 보호를 필요로 하는 입양아동, 자녀를 원하는 입양부모 등 3자를

위한 아동․가족복지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 한편 입양아동은 성장하면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입양아동은 양쪽 부모가

다 있는 가족체계에 놓이게 되고 건강한 양육 기회, 교육 기회를 가질 수 있고, 경제적으로도

안정된 가정에서 양육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면도 있다.

2) 입양가족의 현황

(1) 요보호아동의 발생현황

- 1990년대 이후로 전체 요보호아동의 발생 규모는 증가해 오고 있다(보건복지부, 2009). 특히

성문화 변화에 따른 미혼모 가족의 증가와 더불어 경제적으로 빈곤과 실직, 학대 등에 따른

요보호아동의 증가가 나타났다. 2008년에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의 보호 방법에 따른 보호

내용을 살펴보면, 전체 9,284명 중 45.8%인 4,258명을 시설보호로, 14%인 1,304명을 입양으로,

30.5%인 2,838명을 가정위탁보호로, 1.9%인 178명은 소년소녀가족이다.

- 이와 같이 입양은 시설보호에 비해서는 낮은 편이다. 즉, 우리나라는 여전히 시설보호가

지속적으로 주된 보호방식으로 선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 중에서 입양에 배치된 아동의 비율은 1995년 10.3%에서 2007년 22.4%로 2배

이상 증가하였다.

(2) 입양가족의 현황

① 입양현황

- 입양의 변화 추이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에서 나타났듯이, 1958년부터 1980년까지 20년 동안

입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1980년대 전반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1997년까지 꾸준히

감소하다가, 1998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1997년 말부터 시작된 경제 위기의 여파로

인하여 요보호아동이 증가하였고, 시설보호 중심의 사회적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보호 방법을

지양하고, 가정 내 보호, 즉 가정위탁보호와 입양을 지향하는 아동보호정책 변화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Page 114: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114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4주차 1차시 - 입양가족과 가족복지1

② 국내 및 국외 입양현황

* 2004년 이전까지 우리나라는 국내입양보다 국외입양이 많은 비율.

* 2004년 이후 국내입양이 늘어나면서 전체 입양의 약 40%를 차지

* 2006년까지는 국외입양을 따라잡지는 못하였다

* 2007년 9월 국내입양이 52.3%로 국외입양을 따라잡았다.

* 정부가 2007년부터 추진한 국내 입양 우선 추진제에 따른 것.

③ 입양아동의 특성

* 미혼모 아동에 대한 입양이 압도적으로 많아 영아 입양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국내에서의 장애아 입양이 국외입양에 비해 현저하게 낮다.

(3) 입양의 동기

① 불임에 따른 입양

- 우리나라 입양가족의 입양 동기는 약 80% 이상이 불임 때문인 것으로 나타난다(정기원․김만지,

1993). 불임으로 인해 생물학적 방법으로는 아이를 가질 수 없을 때 입양을 통해 자녀를 얻고자

하는데 이 경우 사회적 또는 인도주의적 이유보다는 개인적 이유로 입양하고 대체로 건강한 아동을

원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입양이 이루어지기 전에 입양가족에 친자녀가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그리고 대를 잇기 위한 입양은 전체의 약 10% 정도로 나타나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혈통

중심의 남아선호사상에서 비롯한 것으로 외국의 경우와 비교하면 꽤 높은 편이라 할 수 있다(성정현

외, 2005).

② 선택적 입양

- 아이를 낳을 수는 있으나 입양을 통해 가족원을 늘리고자 선택하는 부모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개인적이기보다는 아동복지적 또는 인도주의적 동기를 갖고 입양한다. 또한 이 부모들은 자신들과

다른 인종집단의 아동, 연장아동 또는 정서적 문제를 갖고 있는 아동과 같은 특수한 욕구를 가진

아동을 양육하는 데 관심을 갖는 경향이 있다.

2. 입양가족의 문제

1) 입양부모의 문제

① 입양부모, 특히 불임부부인 경우는 불임과 관련되어 여러 가지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불임은 입양부모에게 매우 중요한 상실을 의미한다. 따라서 불임부부는 적절한 애도의 과정을 통해

불임에 대한 수용의 단계에 이르렀을 때 입양을 준비해야 한다.

② 입양부모는 생물학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아동이 실제로 자신들에게 속해 있다고 믿기

어렵기 때문에 불안을 경험한다. 이러한 태도는 아동에게 불안과 긴장감을 유발하여 결과적으로는

전체 가족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생물학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에 대한 불안을 극복하지 못한

입양부모에게 입양아동은 늘 차선책이 되거나 자신이 낳지 못한 ‘이상아’를 대치해 줄 수 있는

완벽한 아동이 되어야 하고, 아동이 경험하는 모든 문제는 ‘나쁜 혈통 탓’으로 돌려질 수 있다.

③ 입양부모는 부모역할에 대한 불안감을 갖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불안감은 완벽한 부모가

되어야 한다는 입양부모의 생각 때문에 가중된다. 사회는 입양을 비정상적인 것으로 묘사함으로써

입양부모가 완벽한 부모역할을 증명해 보여야 하는 욕구를 더 강화시키고 있다.

Page 115: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115

가족복지론 14주차 1차시 - 입양가족과 가족복지1

④ 입양부모는 입양아동이 친부모를 찾아 나서고 친부모를 더 좋아하게 될 것이라는 두려움을 가질

수 있다. 입양부모는 종종 아동이 친부모에 대해서 호기심을 갖는 것을 자신들이 부모로서

실패하였거나 아동이 자신들을 사랑하지 않는 증거라고 생각한다. 입양부모가 자신감을 갖고

입양가족과 일반 가족의 차이를 편안하게 수용할 때 아동도 안정된 상태에서 자라날 수 있다.

2) 입양아동의 문제

① 원가정 및 친부모로부터의 분리

- 입양아동은 원가정 또는 친부모로부터 분리를 경험하게 되면서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입양아동은 나름대로의 독특한 분리와 상실의 역사를 갖고 있다. 특히 연장아동은 많은 적응의

문제를 경험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주로 시설에서의 생활, 친모와 위탁모 같은 보호자로부터의

분리 경험의 충격과 초기 보호자로부터 받은 학대 또는 신체적․정서적 결핍 등과 같은 요인들의

부정적 영향과 연결되어 설명되고 있다.

② 두 가족에 대한 수용

- 입양아동은 자신에게 양부모와 친부모 혹은 두 가족이 있다는 사실도 수용해야 하는 문제를

경험한다.

③ 뿌리 찾기

- 입양아동이 ‘유전학적 당혹감’을 경험하게 되면서 자신의 배경, 가계, 개인력에 대한 궁금증은

뿌리 찾기로 이어지는데, 뿌리 찾기는 입양아동이 출신 배경에 관해 보다 많은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 혹은 친부모를 만나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이 딛고 설 수 있는 생물학적

기초와 현실을 필요로 하는 것이지 양부모가 아닌 또 다른 부모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Kadushin &

Martin, 1988).

④ 국외입양아동의 자아정체감 혼란

- 국외로 입양된 아동은 양부모, 주변 사람과 다른 외모로 인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더욱

혼란스러워 하거나, 자신의 입양 배경 및 친부모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된 심리적 갈등으로 인해

입양가족 및 사회에 적응하는 데 더욱 어려움을 겪는다.

3) 친부모의 문제

① 정보서비스 부족

- 입양을 선택한 친부모가 가지는 문제는 먼저 친권을 포기하기 전 친부모에게 필요한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거의 제공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즉, 친권 포기, 결혼을 통한 자녀의

양육, 친인척의 도움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것, 혼자서 아동을 양육하는 것, 분만 전의 경우

인공유산 등의 대안에 대한 정확한 정보, 친부모로서의 권리, 그리고 입양과정에 대한 정보 등

아동에 대한 친권을 포기하기 전 친부모에게 필요한 서비스나 정보를 거의 제공받지

못한다(Kadushin & Martin, 1988). 이러한 예는 국내의 시설 거주 미혼모에 대한 실증적 연구에서

자녀양육을 선택하는 미혼모 집단이 입양을 선택한 집단보다 복지 수혜 가능성에 대한 인지도가

높다는 연구 결과(노충래․김원희, 2004)에서도 잘 알 수 있다.

Page 116: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116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4주차 1차시 - 입양가족과 가족복지1

② 상실감

- 입양 과정에서 친부모는 부수적 존재로 간주되고 친권 포기 후에 얼마나 강한 상실감과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게 될 것인지, 그런 감정을 표현해도 되는 것인지에 대해 아무런 조언도 듣지 못한다.

또한 친부모에게 친권 포기 서류에 서명을 하는 과정은 매우 충격적이며 무력감과 가족과 친구,

상담원 등에게 배신감을 느끼기도 한다. 특히 입양 과정에서 다른 사람의 설득 혹은 회유로 인해서

입양을 선택했다는 인식이 높을수록 입양 후 심리적 고통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Simone,

1996).

- 주로 친모가 친권 포기 후 경험하는 애도의 반응은 식욕 상실 또는 수면장애와 같은 신체적

문제, 포기한 아동에 대한 비현실적 생각 또는 환상과 같은 부적절한 인지, 죄책감, 분노, 절망감,

슬픔과 같은 정서적 반응, 냉담, 사회적 철회, 강박적인 과도한 활동과 같은 문제행동들로 나타난다.

- 이와 같이 친권을 포기한 여성은 독특한 행동을 보이는 경향도 있는데 이를 Jones(1993)는

친모증후군(birth mother syndrome)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친모증후군에는 충격적 회상, 악몽, 불안,

기피 또는 공포 반응과 같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가 있다.

또한 손상된 자존감과 피동적 자세, 외형적으로는 완벽하고 정상인 것처럼 행동하지만 내적으로는

수치심, 자기저주 또는 고립감을 느끼는 정체감의 이분화 현상, 친권 포기의 순간에 고착되어 있는

것 같은 자기학대, 애정관계, 가족관계, 자녀양육, 직무 태도, 자아상 등 삶 전반에 걸쳐 감정과

행동이 양 극단을 오가는 생활과 같은 증상들이 포함된다.

3. 입양의 유형과 구성요건

1) 입양의 유형

- 입양은 입양아동과 입양부모 사이의 가족관계 유무에 따라 친족입양과 비친족입양으로, 입양이

기관을 통해 이루어지는지, 아니면 개인적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기관입양과 독립입양으로, 입양

사실의 공개 여부와 친부모와의 접촉 유무에 따라 비밀입양과 개방입양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친족입양

- 입양아동이 계부, 계모, 큰아버지 등 혈연관계 또는 부나 모의 재혼으로 인해 가족관계를 이루고

있는 사람에 의해 입양되는 경우를 말하며, 비친족입양은 아동이 전혀 가족관계를 갖고 있지 않은

입양부모에 의해 입양되는 경우를 말한다.

(2) 기관입양

- 기관입양은 국가가 인정하는 입양기관을 통해 입양이 성립되는 것이고, 민간입양(private 혹은

independent adoption)은 기관을 통하지 않고, 개인과 개인이 합의하여 입양하는 것을 말한다.

독립입양은 입양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없는 개인에 의해 입양되는 것으로 입양아동, 친부모,

입양부모, 사회에까지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관입양만을 인정하고 있으나,

미국에서는 기관입양과 함께 민간입양 알선을 할 수 있다. 민간입양의 경우에는 주 정부로부터

인가를 받은 사회복지사 또는 변호사에 한해서 알선 자격이 주어진다(최승희, 2003).

(3) 비밀입양

- 입양 사실을 입양아동은 물론 주변의 모든 사람들에게 비밀로 하며, 마치 입양아동을 출산한

것처럼 가정하며 비밀을 계속 유지하는 입양을 말한다. 물론 친부모와의 관계도 완전히 단절된다.

Page 117: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117

가족복지론 14주차 1차시 - 입양가족과 가족복지1

(4) 개방입양

- 입양 사실을 입양아동은 물론이고 주변의 사람들에게 공개하며, 친부모와도 접촉을 한다. 또한

개방입양은 친부모와의 접촉 시 입양기관의 중재 여부에 따라 반개방입양과 완전개방입양으로

구분된다.

- 먼저 직접적인 접촉 없이 입양기관을 통해 친부모와 연락하는 형태는 반개방입양이라고 하고,

입양기관의 중재 없이 입양아동, 입양부모, 친부모가 지속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완전개방입양이라고 한다.

- 완전개방입양을 통해 입양아동은 입양에 관한 이야기를 자유로이 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친부모에 대해 호기심을 갖고 질문을 하는 것이 입양부모에 대한 충성심이나 사랑의 부족이 아님을

알게 된다. 즉, 입양아동은 죄의식을 느끼지 않고, 친부모와 입양부모, 두 부모를 생각할 수

있으므로, 완전개방입양은 입양아동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에 기여한다. 또한 친부모로부터 아동을

빼앗길 수도 있다는 두려움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입양부모의 정신건강에도 도움을 준다.

2) 입양의 구성요건

(1) 입양아동

- 입양대상 아동은 사생아, 고아, 유기아, 친권 상실 아동, 부모로부터 심한 학대를 받은 아동과

해체가족의 아동 등으로 입양 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2004) 제4조에 따른 입양대상 아동의

법적 자격은 다음과 같다.

∙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자로서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이 보호시설에 의뢰한 자

∙ 부모(부모가 사망 또는 기타 사유로 동의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른 직계존속) 또는 후견인이 입양을 동의하여

보호시설 또는 입양기관에 보호 의뢰한 자

∙ 법원에 의해 친권 상실의 선고를 받은 자의 자로서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이

보호시설에 의뢰한 자

∙ 기타 부양 의무자를 알 수 없는 경우로서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이 보호시설에 보호

의뢰한 자

(2) 입양부모

입양기관에서는 입양부모가 입양 신청을 하게 되면 ‘안정성, 즉 신체적 안정성, 정서적 안정성,

경제적 안정성과 결혼관계의 안정성’ 등을 평가한다.

입양 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 제5조에 의한 우리나라 입양부모의 법적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양자를 부양함에 충분한 재산이 있을 것

∙ 양자에 대하여 종교의 자유를 인정하고 사회의 일원으로서 그에 상응한 양육과 교육을 할 수

있을 것

∙ 가정이 화목하고 정신적, 신체적으로 양자를 부양함에 현저한 장애가 없을 것

∙ 양친이 될 자가 대한민국 국민이 아닌 경우 본국법에 의하여 양친이 될 수 있는 자격이 있을 것

∙ 기타 양자로 될 자의 복지를 위하여 다음의 필요한 요건을 갖출 것

-25세 이상으로서 양자될 자와 연령 차이가 50세 미만일 것. 다만, 양친이 될 자가 대한민국

국민이 아닌 경우에는 25세 이상 45세 미만이어야 함

-자녀가 없거나 자녀의 수가 입양아동을 포함하여 5명 이내일 것

-혼인 중일 것

Page 118: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118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4주차 1차시 - 입양가족과 가족복지1

(3) 친부모

- 입양대상 아동의 친부모는 아동에 대한 친권 포기를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으로 할 수 있다.

친부모가 친자녀의 입양을 위해 자발적으로 친권을 포기하는 원인은 경제적 빈곤, 이혼․별거로

야기된 가족해체․가정결손, 미혼모, 사망 등이며, 친권을 박탈당하는 경우는 아동을 심각하게 학대,

유기하는 경우이다.

Page 119: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119

가족복지론 14주차 2차시 - 입양가족과 가족복지2

1. 입양사업의 과정

1) 입양절차

① 국내입양

(1) 수용보호 의뢰

(2) 후견인 지정 등

(3) 부양 의무자 확인 공고

(4) 기아인 경우, 성 본 창설

(5) 입양대상 아동 확인서 발급 의뢰

(6) 양친될 자의 입양 알선 신청 및 양친 가정조사

(7) 입양 동의

(8) 양부모에게 입양대상 아동 및 소유물품 인계

(9) 양부모는 호적법이 정하는 절차에 따라 신고

② 국내에서 국외입양

- 국내에서 국외입양 하는 경우, 즉 외국인이 국내에서 입양하는 경우는 국내입양 절차와 동일하다.

다만, 아동의 본적지 또는 주소지 관할 가정법원에서 입양 인가를 받아야 한다.

③ 국외에서 국외입양

- 국외에서 국외입양 하는 경우, 즉 외국인이 국외에서 입양하는 경우는 국내입양 절차와

동일하지만, 국외로 출국 전에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해외이주허가를 받아야 한다. 그리고

미아와 친권자가 확인되지 않은 채 보호시설 및 입양기관에 입소된 지 6월 이내인 기아는

해외이주허가가 제한되는데, 그 이유는 입양 후에 친권자가 나타나면, 양육권 분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입양 절차에 따른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면, 입양 상담, 입양 성립 및 사후 관리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2) 입양상담

(1) 입양아동의 발견

① 입양기관 또는 보호시설의 장은 시․군․구청장에게 수용보호를 의뢰한다.

② 입양기관 또는 보호시설의 장은 시․군․구청장에게 입양아동에 대한 후견인 지정을 신청한다.

③ 후견인으로 결정된 보호시설의 장이 보호시설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장․군수․구청장에게 부양

의무자 확인 공고를 의뢰한다. 이때 미혼모를 포함한 친권자 또는 후견인이 입양에 동의한 아동은

제외되며, 기아인 경우는 성, 본을 창설하고, 입양대상 아동 확인서 발급을 의뢰한다. 입양대상

아동의 확인서는 양자로 될 자의 거주지를 관할하는 시․군․구청장이 발급한다.

(2) 친부모 상담

먼저 친자녀의 입양을 원하는 친부모와 친권 포기와 필요한 서류의 작성을 위해 상담을 한다.

Page 120: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120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4주차 2차시 - 입양가족과 가족복지2

(3) 입양부모 상담

① 입양부모 상담

∙ 입양에 관한 관심

∙ 입양 동기

∙ 아이가 없음과 불임에 관한 태도

∙ 아동에 대한 이해 및 아동에 대한 경험

∙ 결혼 기간

∙ 교육 정도

∙ 사회적 참여의 형태

∙ 입양에 대한 가족들의 이해

∙ 불합리하고, 결혼하지 않은 사람(미혼모)이 낳은 아이에 대한 태도

∙ 입양 시 문제해결 능력

∙ 입양기관에 대한 태도

② 입양가정조사

∙ 부부 개별면접을 통하여 결혼 전 가족 배경 및 생활 태도, 결혼관계, 불임 여부, 건강 상태, 경제

상태, 종교의 유무 및 신앙 태도, 입양의 동기 및 태도, 원하는 아동 및 장래 계획 등을 파악한다.

∙ 부부 공동면접을 통하여 부부 간의 관계를 관찰하고 아동에 관한 의견을 나누고 이견이 있을

때에는 조정한다.

∙ 가정방문으로 부부 면접 시의 미흡한 점을 보충하고 가족관계, 가정의 분위기 등을 파악한다.

3) 입양의 성립과 사후조사

- 입양기관은 입양대상 아동에 관해 수집한 모든 자료를 예비 입양부모에게 주고, 신체검사, 사회적

조사, 생활습관 등을 알려 주고, 결연 계획을 세우고 결연과 함께 입양이 이루어진다. 부모가

입양대상 아동을 면접을 통해 결정하면, 입양기관은 입양아동을 입양부모에게 인계하고, 입양부모는

호적법과 「입양 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이 정하는 절차에 따라 신고하면 입양이 성립된다.

입양부모가 입양 신청을 한 후 입양이 성립되기까지는 보통 6개월에서 1년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며, 입양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입양부모는 100만 원에서 300만 원 정도의 입양

수수료를 지불한다.

- 한편 사후 조사로 입양 성립 후에 입양가족방문을 실시하여 아동의 적응도를 조사함으로써

입양의 실질적인 성립을 분석, 평가한다. 그리고 입양 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에 의해

입양기관의 장은 입양 성립 후 6월까지 입양부모와 입양아동의 상호 적응 상태에 대하여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후 관리를 하여야 한다.

2. 입양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1) 입양가족을 위한 가족복지서비스

(1) 입양아동 수업료 및 입학금 면제

- 아동의 장애 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입양 중․고등학교 재학생 또는 입학생에게 중․고등학교 수업료

및 입학금을 면제하고 있다.

Page 121: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가족복지론 교안 121

가족복지론 14주차 2차시 - 입양가족과 가족복지2

(2) 입양아동 의료급여 실시

- 의료급여법(2005)의 제3조 제1항 제4호의 규정에 따라 입양 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에 의하여

국내에 입양된 18세 미만의 아동은 의료급여를 받고 있으며, 동법 시행령 제3조 제2항 제2호에

따라 입양아동은 의료급여 1종에 해당된다.

(3) 장애입양아동 양육보조수당 및 의료비 지원

- 정부는 장애인복지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해 장애아동이 입양된 경우 입양아동 1인당 월

525,000원씩 양육보조수당을 지원하고 있으며, 연간 240만 원 한도 내에서 본인이 부담한 진료,

상담, 재활 및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국립의료원에서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와 동일하게 입양된 장애아동에 대해 무료진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4) 자조집단

- 입양가족을 위한 자조집단은 상호 간 입양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상호 지지, 옹호 기능을

수행하는 자발적 집단이다. 국내에 입양가족의 자조집단이 생기기 시작한 것은 1999년으로

한인입양홍보회(Mission to Promotion Adoption in Korea:MPAK)가 그 시초이다(윤현선, 2001). 이는 현재

가장 대표적인 입양가족 자조집단으로서 입양에 대한 상담, 홍보뿐만 아니라 지역별 자조모임,

입양가족대회 등을 통해 입양가족을 지지하고 공개입양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개선과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2) 입양관련기관 현황

(1) 입양기관

- 입양기관은 홀트아동복지회, 동방사회복지회, 대한사회복지회, 한국 사회봉사회 등 국내․외

입양기관과 성가정입양원 등과 같은 국내입양기관 20개 기관 등 총 43개 입양기관이 있다.

(2) 입양정보센터

- 국내 보호가 어려워 외국 가정에 입양된 입양인이 국내 체류에 불편이 없도록 하고, 모국을 알기

위해 방한하는 입양인에게 신속한 서비스 제공을 하기 위해 운영하며, 4개 국외입양기관이

공동으로 서울에 1개소를 운영하고 있다.

(3) 한국입양홍보회

- 한국입양홍보회는 입양가족이 회원으로 구성된 입양가족단체로 입양가족을 위한 정기모임,

입양부모교육, 입양가족캠프, 입양아동캠프, 입양홍보사업 등의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

사이트(http://www.mpak.org) 및 정기모임을 통해 예비 입양부모, 입양부모, 연장아동 입양부모

등이 입양으로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상담해 주고 있다.

3) 입양가족복지를 위한 과제

(1) 입양가족을 위한 가족복지정책의 정비

① 호적제도의 개선

- 민법에 의한 입양과 입양특례법에 의한 입양 모두 호적법이 정한 바에 의하여 당사자 쌍방과

증인 2인이 서명한 서면으로 신고함으로써 그 효력이 발생하는 창설적 효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입양의 적격성에 대한 가정법원의 판단 여지가 없어 입양의 안정성을 기할 수 없으며, 양자될 자의

이익과 복지 차원에서 신중을 기할 수 없다.

Page 122: 목 차vodfile.koreahrd.org/2014/lesson_plan/0012.pdf · 2015-03-03 · 목 차 가족복지론 강의계획서.....3 중간고사 범위 1주차 1차시 - 1주차 2차시 - 2주차

122 가족복지론 교안

가족복지론 14주차 2차시 - 입양가족과 가족복지2

② 입양 동의의 개선

- 입양 동의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양아동 본인 동의에 관한 연령을 하향 규정하여야

하며, 친부모의 경우는 부부 동의의 원칙을 보다 철저히 지켜야 하며, 친부모가 자녀를

아동복지시설을 비롯한 복지기관에 입소시키고자 할 때 일정 기간 동안 연락을 취하지 않으면

친권을 포기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2) 입양가족에 대한 가족복지서비스의 확대

① 입양아동을 위한 심리치료서비스 제공

- 입양아동은 심각한 분리를 경험하고, 특히 연장아동의 경우는 입양 후 지속적 상담과 심리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더불어 입양아동의 발달 단계에 맞추어 본인이 입양된 사실에 대해 이해하면서,

자아정체감을 잘 형성할 수 있도록 상담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② 입양부모를 위한 상담서비스 제공

- 입양부모를 위한 부모교육은 입양가족의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다양한 입양관련 이슈들을

단계별로 다루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개별입양기관들이 1~2회의 입양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라 중요한 이슈들을 다루는 주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③ 친부모를 위한 상담 및 진로 개발 프로그램 제공

- 친부모에게도 친부모가 필요로 하는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며,

입양과정에서 입양아동, 입양부모와 함께 친부모의 권리도 보장되어야 하며, 입양 후 겪게 될

심리적 문제에 대한 상담과 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특히 입양을 선택한 미혼모들은 자신의

불확실한 장래와 진로 때문에 많은 스트레스를 겪고 있으며, 이들을 위한 진로 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3) 공개입양의 활성화

- 입양의 미공개는 입양아동의 복지를 위해서 바람직하지 않다. 미국의 경우 성인 입양인들의

뿌리찾기 욕구가 표출되면서 개방입양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도 공개입양이

확산되고 입양아동의 뿌리 찾기가 일반화되면, 개방입양의 필요성이 대두될 것이다.

(4) 입양기관에 대한 정부의 지원 및 사후 관리

① 입양기관에 대한 정부 지원의 강화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입양기관의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매년 예산의 범위 안에서 보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가 입양기관에 보조하고 있는 운영비는 상담원 1명의 인건비와

사무용품비에 한정되어, 입양기관의 운영에 실질적 도움을 주기에는 미흡하다(보건복지부, 2005).

따라서 입양전문기관에 대한 정부 지원을 확대하여야 하며, 지정기관에 대한 정부 지원도

물가수준을 고려하여 인상되어야 한다.

② 입양기관의 사후 관리 강화

- 우리나라에서 입양의 사후 관리는 거의 유명무실한 실정이다. 국내입양의 경우 입양이 거의

비공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입양아동이 입양가정에 친자로 입적되어 입양아동에 대한 사후

관리에 관한 현황이 거의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입양부모 역시 사후 관리를 전혀 제공받지 못한

경우가 27%, 3개월 미만인 경우가 34.4% 등으로 나타나, 61.4%의 입양부모가 법정 사후 관리

기간인 6개월까지 사후 관리 서비스를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양가족에 대한 사후

관리 서비스를 강화하여야 하며, 특히 입양부모가 요구한 입양부모교육, 입양부모상담, 입양자녀와

대화 나누기, 미혼모․입양부모 교류 등 사후 관리 서비스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