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1994: 31(4): 601-606 CT MRI ) plxus papilloma) (oligodendroglioma)OI CT CT CT T1 Gd-DTPA 2.5cm CT MRI CT MRI MRI CT MRI CT - 601

제 4뇌설 종양의 CT및 MRI소견1 - KoreaMed Synapse · 2016-12-30 · 뇌실을 확장 시키고 있었다. 이 종괴는 모두 제4뇌실의 전 정부에서 발생 했으며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대 한 방사선 의 학회 지 1994: 31(4): 601-606

제 4 뇌설 종양의 CT 및 MRI 소견1

김택근·노회정 · 변재영 · 이한진·정명희·최규호·신경섭

목 적 : 뇌실내 종앙은 뇌종앙의 약 10%를 차지하는 종앙으로, 이중 저14뇌실내 종앙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4뇌실내 종앙의 CT 및 MRI 소견을 분석하여 조직학적 진단에 접근할 수 있는 소견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최근 5년간 저자들의 병원에 내원하여 CT(7여1 ) 및 MRI(9여1)을 시행하여 종괴가 제4

뇌실을 확장시키고 뇌실모앙을 따르며, 수술소견상 주로 저14뇌실에 위치하면서 조직학적으로 판명된

9명의 제4노|실내 종앙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9여|의 제4뇌실내 종앙중 상의세포종(ependymoma)OI

4예, 수모세포종(medu lIoblastoma)과 맥락총유두종(choroid plxus papilloma) 각각 2여1. 핍지교종

(oligodendroglioma)O I 1 여| 였다.9예에서 MRI소견을 분석하고 CT 와 MRI를 모두 시행한 7예에서 CT

와 MRI소견을 종앙의 위치, 크기. CT 밀도.MR신호강도 등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저14뇌실내 종앙이 전정부에서 발생한 경우가 상의세포종 3여1. 수모세포종 2예였고 기저부에

서 발생한 경우가 상의세포종 1예였으며 발생부위를 정하기 힘든 경우가 나머지 3예 있었다. MRI상 T1

강조영상에서 돔등신호강도를 보인 상의세포종 3여|를 제외한 전예에서 저신호강도를 나타냈으며, 앙

자밀도강조영상 및 T2강조영상에서는 전예가 고신호강도를 보였고. Gd-DTPA 조영증강후 약한 조영증

강을 보인 상의세포종 1예를 제외한 나머지 8여|에서 강한 조영증강을 보였다. CT는 MRI에 비해 조영전

후 다양한 음영과 조영증강 소견을 보였다.

종앙 병소내 석회화는 맥락층유두종과 핍지교종 각각 1예에서 보였다. 수두증은 6예에서 보였는데

상의세포종 2예와 핍지교종 1여|등 크기가 2.5cm 이하인 3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종앙내 출혈은 상

의세포종 2예에서만 보였고 낭성변화 및 종앙 괴사는 상의세포종 3예, 맥락층유두종 과 핍지교종 각각

1예에서 관찰되었다. 종앙이 Magendie공과 Luschka공을 통하여 후기저조로 파급된 경우가 5예에서

발견 되었는데 이들은 각각 상의세포종 2예, 맥락총유두종 2예, 수모세포종 1예였다. 뇌척수액을 통한

전이는 상의세포종 2예에서만 보였다.

결 론:저14뇌실에 생긴 상의세포종(4예). 수모세포종(2예). 맥락총유두종(2예) 및 핍지교종( 1예)

의 CT및 MRI소견은 비특이적 이었다. 그러나 뇌실내 종앙 발생위치, 종앙 CT 밀도 및 MRI 신호강도 차

이, 조영증강후 영상 그리고 병변의 파글 및 전이된 앙상을 참고하면 저14뇌실내 종양의 조직학적 감별

에 어느정도 도움이 되리라 사료 된다.

서 론

저자들은 최근 5년간 경험한 9명의 제4뇌실내 종양의 CT 및 MRI 소견을 검토해 보고, 조직학적 진단에 도움이 되 는 소견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뇌실내 종양은 뇌종양의 약 10%를 차지하는 종양이며,

이중 제4뇌실종양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1 - 3). 제4뇌

실 종양은 CT나 MRI 로서 쉽게 발견할 수 있지만, 정확 한조직학적 진단을결정하기가쉽지 않고국내 문헌상제

4뇌실내 종양의 CT 및 MRI 소견에 대한 보고가 없어서,

대상및방법

l가톨릭대학교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이 논문은 1994년도 가톨릭 중앙의료원 학술연구 보조비로 이루어졌음

이 논문은 1994년 4월 26일 접수하여 1994년 8월 17일에 채택되었음

1988년 2월부터 1993년 2월까지 가톨릭의대 부속병원에

두통, 시야장애 및 보행장애등을 주소로 내원하여 CT 및

MRI를 시행한 결과 종괴가 제4뇌실을 확장시키고 뇌실

모양을 따르며, 수술 소견상 주로 제4뇌실내에 위치해 있

고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9명의 제4뇌실내 종양환자를 대

- 601

제4뇌실내 종양의 조직학적 진단, 나이 및 성별, 발생부

위 및 크기, 조영 증강전후의 MRI 신호강도 및 CT 밀도,

그리고 M R I 및 CT상 특정적 소견은 Table 1 - 2에 기술

한 바와같다.

7 :1 ε프

상의세포종

상의세포종은 4예 (40% )로서 가장 많았다. 종양이 전정

부(roof) 에서 발생한 경우가 3예 , 기저부( floor ) 인 경우가

l예 였다. MRI상 T1강조영상에서 3예에서는 동등신호강

도, 1예에서는 저신호 강도를 보였으며, 양자농도강조영상

과 T2강조영상에서 4예 모두 고신호강도를 나타냈다. 조영

천 MRI상 각각 2예씩에서 균칠성과 비균질성으로 보였

다. G d • DTPA 조영층강후 4예는 모두 조영증강을 나타냈

는데 3예에서 강한 조영증강, 1예에서 약한 조영증강을 보

였다. 조영전 CT상 4예중 2예에서는 종괴가 균질성으로

보였으며 , 2예는 불균질성을 나타냈다. 또한 이 종괴는 3예

에서 동등밀도를 보였고, 1예에서는 저밀도를 나타냈다. 조

영후 CT상 4예 모두 조영증강을 보였는데, 각각 2예씩에

서 강한 조영증강 빛 약한 조영층강을 나타냈다. Lusch ka

공을 통해 후기저조로 파급된 경우가 2예 있였으며 (Fig.

1b) , 뇌척수액을 통해 측뇌실, 제3뇌실, 양측 대뇌 교각조

(c -p an gle cistern ) 전방 대뇌반구열구, 주위조, 각칸조 및

후기저조로의 파급이 2예에서 관찰되었다. 종양괴사는 3예

에서, 종양출혈은 2예에서 보였다( Fig. 1a) .

수두증은 2예에서 관찰되었고, 종양주위의 부종은 전예

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상으로 하였다. 성별은 남자가 5예, 여자가 각각 4예 였으

며 , 연령분포는 6세에서 57세로 평균 28세 였다. 9예의 제4

뇌실내 종양중 상의세포중(ependymoma) 이 4예, 수모세

포종(medulloblastoma)과 맥 락총유두종(choroid p lexu s

papilloma)이 각각 2예 , 핍지교종( oli godendroglioma)이

1예 였다. MRI는 9명 전예에서 시행되었으며 사용된 기종

은 1.5 T esla(Si gn a A dvan tage, G E , Milwaukee, USA)

와 0.5 T esla ( Gyr oscan T 5, Phi llips, Nederland )이였으

며 , 통상의 spin -ech o 기법 으로 횡단, 시상 및 관상영상을

얻였고, G d - DTPA ( Magn evi st, Sch ering, Germany)로

O.lmmol/ kg을 정맥주사 하여 조영증강을 실시 하였다.

CT는 수모세포종 환자 2명을 제외한 7명에서 시행되었

고, Somatom DR과 Somatom plus을 사용하였으며 조영

증강 전후 횡단영상을 얻었다. CT와 M RI 소견은 종양의

크기, 위치, 모양, CT 밀도, MR 신호강도, 석회화, 낭종 혹

은 괴사, 출혈, 수두증등의 여부를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분

석하였다.

대 한 방사 선 의 학회 지 1994 : 31 ( 4) : 601 - 606

Table 1 . Operative Diagnosis and Location of 4th Ventricular

Tumors in 9 Patients

ependymoma

ependymoma

ependymoma

ependymoma

medulloblastoma

medulloblastoma

choroid plexus

pap’Iloma

choro id plexus

papilloma

Oligodendroglioma

Note : ? - Undetermined cases

Site of orig in Size(cm) nu

?I

nU

A4

nu

n。

r。

끼4

。、)CJ

‘l A야 A

꺼、ν

roof

floor

roof

roof

roof

roof

?

Age/Sex

42/M

321M

6/F

141M

151M

9/M

42/F

Case Diagnosis 1l

끼4

。、)A에 R니 c。

?I

수모세포종

수모세포종은 2예 (20% )로서 , 수술소견상 종괴가 주로

제4뇌실내에 위치해 있었고 뇌실 모양을 따르고 또한 제4

3. 9

2.5

?

?

5/F

57/F

8

9

Extravent’­extensíon

Cystl Necrosis

Table 2. Summary of CT and MRI Findings of 9 Tumors in 4th Ventricle

MRI CT Edema CSF-seeding Hem。 ’

CE Intensity

PDWI T2WI

CE Calcif’ Density Dx Caseι

strong

slight

slight

strong

strong

strong

strong

strong

strong

Note : Ep-ependymoma, MB-medulloblastoma, CPP-choroid plexus pap illoma

ODG-oligodendroglioma

Calcif-calcification , hem。’ -hemorrhage

extravent’ -extraventricular

T1WI 1

2

3

4

5

6

7

8

9

+ +

+ + +

+

+ +

+ +

- 1+ - 1+ -1 +

-1-

- 1-

+1 --1+

strong

strong

slight

strong

strong

strong

strong

strong

strong

니U 니” 니” 니” 니” 니” u”

니” 니”

니” 니n 니” 니” u”

니” 니” 니” 니”

L

· m m m L

L

L

L

L + +

Ep

Ep

Ep

Ep

MB

MB

CPP i s。

CPP high

ODG mixed

ISO

ISO

low

ISO

- 602 -

뇌실을 확장 시키고 있었다. 이 종괴는 모두 제4뇌실의 전

정부에서 발생 했으며 균질성으로 보였다. MRI에서는 2

예 모두 Tl강조영상에서 저신호 강도를, 양자밀도강조 영

상과 T2강조영상에서 고신호 강도를 나타냈다. 2예모두

Gd -DTPA 조영증강후 강한 균질성 조영증강을 보였다 (Fig.2).

2예중 1예에서는 Luschka공을 통해 후기저조로 파급된

것을관찰할수있었다.

그리고 수두증은 2예, 종괴주위 부종은 1예에서 발견되

었다. 석회화, 낭성변화, 종양괴사 및 종양출혈은 2예 모두

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a b

매라츠등 。 I즈드 -;;;":;=;0 ìTT C)

김 택근 외 : 제 4 뇌실 종앙의 CT 및 MRI

맥락총 유두종은 2예 (20% )로서, 2예 모두에서 종괴와

소뇌 및 뇌간과의 경계가 분명하여 발생부위를 정할 수 없

었다.MRI상 종괴는 2예 모두균질성으로 나타났고, Tl강

조영상에서 저신호강도, 양자밀도강조영상과 T2강조영상

에서 고신호 강도를 냐타냈다. 또한 종괴는 Gd-DTPA 조 영증강후 강한 균질성 조영증강을 보였다. 조영전 CT상

불균질성 동등밀도음영 혹은 균질성 고밀도음영을 보였고,

조영후 CT상 균질성의 강한 조영증강을 보였다. 종괴는 2

예모두 Magendie공을 통해 후기 저조로 파급 되 었고, 수두

증이 관찰 되였으며, 석회화 및 냥성변화는 각각 1예에서

관찰 되었다(Fig.3).

Fig. 1. (Case 2) Ependymoma 01 the 4th

ventricle in 32-year-old man

a. Axial T1-weighted MR image(TR 400/TE

15) shows a round mass in the 4th ven­

tricle meazuring 3.7cm in diameter. The

mass is inhomogenously isointense.

Hemorrhage(arrowhead) and necrosis(ar­

row) are noted with in the mass

b. On axial T2-weighted MR image(TR

2500/TE 90) . the hyperintense mass see­

ms to extend to posterior basal cistern

through the foramen Luschka.

a 0 c Fig . 2 . (Case 5) Medulloblastoma 01 4th ventricle in 15-year-old man

a. Axial T1-weighted MR image(TR 400/TE 16) shows a homogenous hyp이 ntense mass within the 4th ventricle

b. Th is mass reveals hyperintensity on axial T2-weighted MR image(TR 2500/TE 90) . Subtle peritumoral edema(arrow) is seen

c. Axi al T1-weighted MR image alter Gd-DTPA enhancement shows homogenous strong enhancing mass

- 603 -

대 한 방사 선 의 학회 지 1994 : 31(4) : 601-606

a b C

Fig. 3. (Case 8) Choroid plexus papilloma involving the 4th ventricle in 5-year-old female

a. Axial enhanced CT scan shows a 3.9cm sized homogenously enhancing mass with stippled calcifications in the 4th ventricle

b. Axial T1-weighted MR image(TR 560/TE 20) shows cystic change within the tumor

c. On sagittal T1-weighted MR image after Gd-DTPA enhancement , this mass extends to the posterior basal cistern through the

foramen Magendie(arrow)

Hydrocephlus is noted in the 3rd and 4th ventricles

핍지교종

핍지교종은 1예로서, 종괴는 제4뇌실을 거의 완전히 차

지하고 있었으며, 종괴와 소뇌 및 뇌간과의 경계가 분명하

며 발생부위를 정하기 어려웠다. MRI상 종괴는 T1강조영

상에서 불균질성의 저신호강도, 양자밀도강조영상 및 T2

강조영상에서 고신호강도를 보였으며, Gd-DTPA 조영증

강후 불균질성의 강한 조영증강을 보였다. 조영전 CT상에

-• 서는 종괴가 불균질성의 혼합밀도 병변으로 나타났고, 조

영증강후 CT상 균질성의 강한 조영증강을 보였다. 그리고

석회화및 종양괴사가동반되었다.

고 찰

뇌실내 종양은 모든 중추신경계 종양의 약 10%를 차지

하며, 이중 제4뇌실내 종양은 20%( 18.9- 25%) 내외를 차지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3) .

뇌실내 종양은 뇌의 갚숙한 콧에 위치하므로 수술이 어

렵고 뇌척수액의 흐름을 방해해서,두통 및 수두증을 유발

시키며, 또한 뇌척수액을 통한 전이가 매우 흔하다. 환자의

연령과 종양의 발생위치가 조직학적 진단에 도움이 되는

경향을 보이냐 CT 밀도, 종괴의 형태학적 특정 및 MRI

신호강도는 종양의 조직학적 진단을 예측하는데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 2). 조영증강을 보이는 제4뇌

실내 종양을 빈도순으로 보면 수모세포종, 상의세포종, 상

의하세포종(subependymoma) , 맥락총 유두종 및 동정맥

기형 등이며, 또한 조영증강이 없는 종양들은 표피양종

( epi dermoi d) , 뇌낭미충증, 유피종(dermoid)등이 있다(1,

3). 수모세포종은 가장 흔한 원발성 악성 뇌종양으로서 모든

소아 뇌 종양의 13-20%를 차지하며, 소아의 후두와 종양

의 약 33%를 차지한다. 수모세포종은 하연수장막(infer

ior medullary velum)의 원시신경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a며, 하연수장막은 정상적으로 상측방

으로 이통하며 소뇌의 외측 과립층(external granular

layer)을 형성하는데, 이 개념은 소아의 수모세포종이 일

반적으로 제4뇌실의 전정부 즉 소뇌충부를 따라 중앙부에

위치하고, 반면에 성인 수모세포종의 경우에는 소뇌반구

의 측방에 위치하는 사실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수모세포종은 뇌실계나 지주막하 공간을 통해 전야 할 수

있으며, 드물게 혈관이나 분로(shunt)를 통해 뇌 바깥 즉

뼈나 럼프절 등으로 전이하는 경우가 있다(1, 4, 5)_

수모세포종의 약 47%에서 비전형적 특성 즉 낭성변화

및 괴사, 석회화, 종양내 출혈, 조영층강이 없거나 편심적

위치 그리고 직접적인 천막상부 파급 등을 나타내서 (5) 진

단에 어려움을 주기도 한다. 경도 혹은 중등도의 종양주변

부 부종은 대부분의 경우에 관찰되고, 수두증은 약 95%에

서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RI상 T1강조영상에서

저신호강도, 양자밀도강조영상빛 T2강조영상에서 동등신

호강도 흑은 고신호강도를 보이고, Gd- DTPA 조영후 강

한 조영증강을 보인다(1, 4).

조영전 CT상주로고밀도음영,드물게 동등밀도음영으

로 보이며, 조영후 CT상 균질성 조영증강을 보이나 드물

게는 비균질성 조영증강을 보이기도 한다(1, 3, 4, 5) . 위와 같은 소견은 본 연구에서 시행한 MRI소견상 2예 모두 위

의 소견과 일치 하였고, 1예에서는 Magendie공을 통한 종

양파급을보였다.

상의세포종은 60-70%에서 주로 천막하에 위치하며, 5

셰 이하의 소아와 30 -40세의 성인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604-

얄려져 있다(1, 4, 6) . 또한 Luschka공, Magendie공 빛 양

측 대뇌교각조를 통해 종양이 흔하게 파급되고, 뇌척수액

을 통해 전이를 잘 일으키며 육안적 소견상 용해된 양초

(melted wax) 소견을 보이며 이를 성형 상의세포종(plas­

tic ependymoma) 이 라고 부른다(6).

상의세포종은 외장성 (exophyti c) 및 침윤성(infiltrat­

ive) 성장을하기 때문에 수모세포종과는달리 소뇌기능마

비와 연관된 특이한 소견뿐만 아니라, 뇌압 상승과 연관된

비특이적 소견이 흔하며, Magendie공과 뇌간 주위로 파급

되어, 뇌신경마비, 사경( tortilcollis) 및 경부강직 등의 증

상이 발생한다. 또한 종양내 출혈, 낭성변화 및 석회화 등

이 수모세포종 보다 좀더 흔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되어있

다(1, 4, 6) . MRI상 종양내 출혈, 석회화, 낭성변화 및 종

양내 혈관등에 의해 보통 불균질성으로 보인다. 조영전

CT상 동등밀도음영, 고밀도음영, 저멀도음영, 혹은 흔합

밀도음영등 다양하게 나타나며, 조영후 CT상 불균질성 혹

은 균칠성 조영층강을 보이며, 때로는 전혀 조영증강이 없

을 수 였다(4, 6) . 저자들의 증례에서 MRI상 종괴는 불균 칠성을 보인 경우가 2예 있었으며, 조영전 CT상 동등밀도

음영 및 저밀도음영을보인 경우가각각 3예와 1예에서 관

찰되었고,조영후 CT에서 불균칠성의 약한 조영층강과균

질성의 강한 조영증강을 보인 경우가 각각 2예로 역시 다

양하였다. 종양내 석회화 및 냥성변화는 전예에서 발견되

지 않았고, 종양내 출혈이 2예, 괴사 및 혈관이 3예에서 발

견되었다.

맥락총유두종은 10세 미만에서는 측뇌실의 삼각부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고, 30세 이상에서는 약 50%에서 제4뇌

실에서 발생하는것으로알려져 있으며(1,7),특히 교통성

수두증이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종양이

뇌척수액을 과다생산하고, 종양 자체가 약하고, 부서지기

쉬워서 출혈이 잘 발생되어 지주막염 (arachnoditis)을 일

으키거냐, 재흡수 계통을 막아서 뇌척수액의 홉수를 방해

하기 때문언 것으로 알려져 있다. Luschka공을 통하여 종

양파급이 잘되며, 대뇌 교각조 종괴처럼 나타나고, CT와

MR상 조영증강후 강한 조영증강을 보이고, 드물게 종괴

내 석회화도 관찰된다(1, 3) . 저자들의 증례에서도 CT와

MR에서 조영후 2예 모두 강한 조영증강을 보였으며

Luschka공을 통하여 후기저조로 파급되었고, 1예에서는

석회화도 관찰되었다. 핍지교종은 중추신경계의 핍지세포

에서 발생하며, 핍지 세포는 중심부 수초(central m yelin)

을 만드는 보조세포이다. 핍지교종은 35-45세에 호발하

며, 전뇌부와 측뇌부에서 잘 발생하고, 소뇌와 뇌간에서의

발생은 아주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조직학적으로

유사한 종양이 투명중격 (septum pellucidum) , 측뇌실 및

저13뇌실에서 기원하며 대뇌반구의 중심선에서 종종 보이

는데, 이를 핍지교정으로 흔히 오인하게 되는데, 이는 중심

신경세포종(central neurocytorna)으로 알려져있으며,

Barbosa등은 이러한 종양을 뇌설내 신경세포종이라 명명

605

김택근외 저14 뇌실 종앙의 CT 및 MRI

한 바 있다(8, 9) . 이 종양은 병리학적으로 광학현미경검사

법으로 핍지교종과 감별이 힘들고 투과전자현미경 (trans­

rnission electron microscopy)과 면역조직화학검사에서

synaptophysin에 대 한 검 사를 해 야 확진 할 수 있다. 저 자

들의 예에서는 조직검사상 Grade m의 악성 종양으로 보

고되어 양성 종양인 뇌실내 신경세포종과 구별할 수 있었

다. 핍지교종의 특정은 종괴내 석회화인데, CT상 91%정

도에서 발견되며,종괴내 출혈도비교적 흔하게 관찰된다.

그러나 저자들의 증례에서, 종괴내 출혈은 보이지 않았으

나, MR상 괴사소견이 관찰 되었다.

제4뇌실내 종양을 진단하는데 MRI와 CT의 가치를 비

교해 볼때, MRI는종양의 크기와모양,종양의 범위와파

급, 괴사, 출혈등을 감별하는데 CT보다 우수했으나, 병소

내 석 회화를 발견하는데는 CT가 MRI보다 우월하였다.

결론적으로 제4뇌실내 종양의 CT 및 MRI소견은 비특

이척이며 또한 저자들의 증례 수가 적고 감별진단이 어려

웠으나, 뇌실내 발생위치, 종양내 CT 밀도 빛 MRI 신호

강도차이,조영증강후영상그리고병변의 파급및 전이된

양상을 참고로 하면 제4뇌실내 종양의 조직학적 감멸에 어

느정도도움이 되리라사료된다.

참 고 C그

τr 헌

1. Tien RD. Intraventricular mass lesions of the brain : CT and

MR findings. AJR 1991 ;157:1283.1290 2. Kendall B, Reider.Grosswasser 1, Valentine A. Diagnosis of

masses presenting within the ventricles on computed tom.

。graphy. Neuroradiology 1983 ; 25 : 11.22

3. Morrison G, Sobel DF, Kelly WN, Norman D. Intraventricular

mass lesions. Radiology 1984 ; 153: 435.442 4. Gusnard Dedra A. Cerebellar neoplasms in children.

Seminars in Roentgenology 1990; 263.279 5. Zee 0 , Segall HD, Miller C, and Ahmadi J. et al. Less com.

mon CT features of medulloblastoma. Radiology 1982; 144 : 97.102

6. Zimmerman RA, Bilaniuk L T, Pahlajani H. Spectrum of

medulloblastoma demonstrated by computed tomogram

Radiology 1978 ; 126 : 137.141

7. Swartz JD, Zimmerman RA, Bilaniuk LT. Computed tomogra.

phy of intracranial ependymoma. Radiology 1982 ; 23 : 431.445

8. Jelinek J, Smirniotopoulos JG, Parisi JE, Kanzer M. Lateral

ventricular neoplasms of the brain: differentisl diagnosis

based on clinical , CT and MR findings. AJNR 1990;155:

365.372

9. Goergen SK, Gonzales MF, Mc Lesn CA. Intraventricular

neurocytoma : radiologic featur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Radiology 1992 ; 182 : 7787.792 10. Barbosa MO, Balsitis M, Jaspan T J, Lowe J. Intraventricular

neurocytoma ‘ a clinical and pathological study of three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Neurosurgery 1990 ;26 ’

1045.1054

11 . Tadmor R, Harwood.Nash OC, Scotti G. et al. Intracranial

neoplasm in children: the effect of computed tomography on

age distribution. Radiology 1982; 145 : 371.373

대 한 방사 선 의 학회 지 1994 : 31(4) : 601-606

Journ al of the Korean Rad iologica l Society, 1994 : 31 (4) : 601 - 606

CT and MRI Findings of 4th Ventricular Tumors

Taek Geun Kim, M.D. , Hee Jeong Ro, M.D. , Jae Young Byun, M.D. ,

Han Jin Lee, M.D., Myung Hee Chung , M.D., Kyu Ho Choi , M.D. ,

Kyung Sub Shinn, M.D.

Department of Radiology ,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evaluate characteristic features of 4th ventricular tumors in CT and

MR I.

Materials and Methods: Pathologically proved 9 patients with 4th ventricular tumor were examined by CT

and/or MRI. 4th ventricular tumors were epedymoma(4 cases) , medulloblastoma(2 cases) , choroid plexus papil­

loma(2 cases) , and 0ligodendroglioma(1 case).

Included in our study were only those mass lesions that were located at surgery predominently within 4th ven­

tricle with or without ventricular expansion.

Results: The origin of 4th ventricular tumor was the roof (epedymoma 3 cases, medulloblastoma 2 cases) ,

the floor (epedymoma 1 case) , and the undetermined(remaining 3 cases). On MRI , all tumors were hypointense

exept ependymoma(3 cases) showing isointensity on T1 WI. AII tumors were hyperintense on PDWI and T2WI.

On Gd-DTPA enhanced T1 WI , strong enhancement was seen in all but epedymoma(1 case) which showed mild

enhancemen t. On CT, as compared with MR images, various density on precontrast and postcontrast images

were seen. Calcification was seen in choroid plexus papilloma(1 case) and 0ligodendroglioma(1 case) . Hydro­

cephalus is seen in all cases exept ependymoma(2 cases) and 이 igodendrogl ioma(1 case).

Hemorrhage within tumor was present only in epedymoma(2 cases). Cystic change or necrosis of tumor was

seen in ependymomma(3 cases) , choroid plexus papilloma(1 case}, and 0ligodendroglioma(1 case). Peritumoral

edema was seen in medulloblastoma(1 case). Extension through the foramen Luschka and the Magendie was

seen in ependymoma(2 cases) , choroid plexus papilloma(2 cases) , and medulloblastoma(1 case). Seeding

along the CSF pathway was seen only in ependymoma(2 cases)

Conclusion : The results of our study may suggest that specific diagnosis of 4th ventricular tumor can be

suggested preoperatively by analysing the origin in 4th ventricle , difference of CT density or MRI signal inten­

sity , presence of extension or seeding through cerebrospinal fluid of the lesion.

Index Words: Brain neoplasms, CT

Brain neoplasms, MR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Tael‘ Geun Kim, M .D., Depar tment of Radiology,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 ty Medical College, 505 Banpo-D.ong Socho-ku, Seoul, 137 -701 K orea. Tel. 82-2-590 -1114 Fax.82-2-532-2649

- 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