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 갈수록 급변하는 사회는 수자원과 관련된 많은 문제들을 야기시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수자원 관련 전문지 식을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리고, 또한 전문가들을 더욱 체계적으로 육성할 수 있다면 이러한 대책마련에 큰 도 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관련 지식에 대한 대중성 확보를 위한 출판활성화와 수자원 및 이와 관련한 방 재, 기후변화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를 동시에 아우를 수 있는 전문가의 육성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수자 원 및 관련 방재 분야의 사회적 요구를 해결해줄 수 있는 출판프로그램과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사례를 심층 조사하였다. 교육과 관련해서 국내 플랜트 교육, 학회․협회에서 운영하는 교 육, 행정기관에서 운영하는 교육 등의 현황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해외 사례로는 미국토목학회와 미 국공병단의 수자원 분야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했으며, 수준 높은 온․오프라인 강좌들이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 었다. 출판과 관련된 국내외 사례를 분석했으며, 일반인들을 위한 다양한 전문서적들이 출판되고 있었다. 특히 미국의 사례를 통해 일반인과 전문가들이 느끼는 관심 분야에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시사 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수자원 분야 교육과 출판을 위한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했으며, 추 후 구체적인 사업 추진을 통한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후변화로 인한 물 관련 재해의 발생 빈도와 사회/경제적 피해는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다. 지 속적인 해수면의 상승, 가뭄으로 인한 담수 가용성의 변동성 증가, 열대성 싸이클론의 발생 빈도 및 규모 증가가 일관적으로 관측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도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1970년 에서 2008년까지 방글라데시에서 발생한 12건의 대규모 싸이클론은 62만 명의 사망자를 야기하였으 며, 4천500만 명에게 피해를 입혔다. 1983년과 1984년에 발생한 엘니뇨 사상으로 인한 홍수는 우루 과이의 70개 도시에 40,000여명에게 피해를 입혔으며, 태평양 일부 지역에서는 라니냐가 구동인자가 된 재앙적인 가뭄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물 관련 재난은 전 지구적으로 관측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그 예외가 될 수 없 * 서경대학교 토목건축공학과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Dept. of Civil Engineering, Seokyeong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email protected]) ** 한국방재협회 부설 방재기술센터 부센터장 Vice Center Manager, Korea Disaster Prevention Association, Seoul, Korea ***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Dept. of Civil Engineering,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다. 2010년 여름에 발생한 국지성 호우로 인한 광화문, 강남 일대 도심지역의 침수 및 산사태, 2012 년 여름에 발생한 가뭄 등은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한다. 지난 수십 년 간 기록되고 있는 수자원 관련 재난의 발생 빈도 및 피해의 불규칙성 및 불확실성을 고려해보았을 때, 우리나라에서 이보다 더 큰 대규모 수자원과 관련된 많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대 책마련이 필요하다. 이런 상황에서 수자원 관련 전문지식을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리고, 또한 전문가들을 더욱 체계적 으로 육성할 수 있다면 이러한 대책마련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관련 지식에 대한 대 중성 확보를 위한 출판활성화와 수자원 및 이와 관련한 방재, 기후변화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를 동시 에 아우를 수 있는 전문가의 육성은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출판 대중화를 위한 방안 마련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하다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이러한 수자원 및 관련 방재 분야의 사회적 요구를 해결해줄 수 있는 출판프로그램과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사례를 심층 조사하였다. 대표적인 정부 지원 프로그램 사례인 플랜트 분야 교육은 표 2.1~2.3과 같이 건설기술교육원, 해 외건설협회 등이 플랜트엔지니어링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는 대학졸업자(예정자)를 대상으로 운영하는 해외취업 인력양성 단기과정이다. 과정명 시간 교육과목 1. 입문과정 50 해외건설동향 및 지원정책 한국건설기업의 해외경쟁력강화방안 세계건설시장 지역별 소개 등 8과목 2. 수주 및 계약관리과정 60 수주관리기법, 해외공사PQ작성 견적기법, 국제계약실무 Bid Document작성법 등 8과목 3. 개발사업 관리과정 20 해외개발사업 추진방안, 해외개발 타당성조사 해외개발사업자금조달방안 해외개발사업 추진사례 등 4과목 4. 금융관리과정 16 해외공사 PF기법, 해외PF관련계약실무 해외건설관련 자금지원제도 수출보험제도 등 6과목 5. 공사관리규정 30 해외공사수행절차, 자재조달 인력조달, 원가관리, 공정관리 프로젝트메니지먼트 등 7과목 6. 실무영어과정 16 수주관리영어, 계약관리영어 공사관리영어, 해외건설 개발사업 영어 해외건설금융 영어 5과목 7. 해외건설 실무심화과정 48 리스크매니지먼트, 클레임실무 사업성분석사례, 조달실무, 파이낸싱사례 구제기구 차관공사추진실무 등 8과목 8. 기타 20 Workshop. 평가 등 8개 과정 260시간(7주) 총 46과목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83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

A Development of a Platform for Expanding Education and Publication

in the Field of Water Resources

안재현*/ 김영희

**/ 김동균

***

Ahn, Jaehyun / Kim, Young-Hee / Kim, Dong-Gyun

···················································································································································································

요 지

갈수록 급변하는 사회는 수자원과 관련된 많은 문제들을 야기시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수자원 관련 전문지식을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리고, 또한 전문가들을 더욱 체계적으로 육성할 수 있다면 이러한 대책마련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관련 지식에 대한 대중성 확보를 위한 출판활성화와 수자원 및 이와 관련한 방재, 기후변화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를 동시에 아우를 수 있는 전문가의 육성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수자원 및 관련 방재 분야의 사회적 요구를 해결해줄 수 있는 출판프로그램과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사례를 심층 조사하였다. 교육과 관련해서 국내 플랜트 교육, 학회․협회에서 운영하는 교육, 행정기관에서 운영하는 교육 등의 현황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해외 사례로는 미국토목학회와 미국공병단의 수자원 분야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했으며, 수준 높은 온․오프라인 강좌들이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출판과 관련된 국내외 사례를 분석했으며, 일반인들을 위한 다양한 전문서적들이 출판되고 있었다. 특히 미국의 사례를 통해 일반인과 전문가들이 느끼는 관심 분야에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수자원 분야 교육과 출판을 위한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했으며, 추후 구체적인 사업 추진을 통한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핵심용어 : 수자원, 교육, 출판

···················································································································································································

1. 서 론

기후변화로 인한 물 관련 재해의 발생 빈도와 사회/경제적 피해는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다. 지속적인 해수면의 상승, 가뭄으로 인한 담수 가용성의 변동성 증가, 열대성 싸이클론의 발생 빈도 및 규모 증가가 일관적으로 관측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도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1970년에서 2008년까지 방글라데시에서 발생한 12건의 대규모 싸이클론은 62만 명의 사망자를 야기하였으며, 4천500만 명에게 피해를 입혔다. 1983년과 1984년에 발생한 엘니뇨 사상으로 인한 홍수는 우루과이의 70개 도시에 40,000여명에게 피해를 입혔으며, 태평양 일부 지역에서는 라니냐가 구동인자가 된 재앙적인 가뭄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물 관련 재난은 전 지구적으로 관측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그 예외가 될 수 없

* 서경대학교 토목건축공학과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Dept. of Civil Engineering, Seokyeong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email protected])** 한국방재협회 부설 방재기술센터 부센터장

Vice Center Manager, Korea Disaster Prevention Association, Seoul, Korea***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Dept. of Civil Engineering,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84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다. 2010년 여름에 발생한 국지성 호우로 인한 광화문, 강남 일대 도심지역의 침수 및 산사태, 2012년 여름에 발생한 가뭄 등은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한다. 지난 수십 년 간 기록되고 있는 수자원 관련 재난의 발생 빈도 및 피해의 불규칙성 및 불확실성을 고려해보았을 때, 우리나라에서 이보다 더 큰 대규모 수자원과 관련된 많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이런 상황에서 수자원 관련 전문지식을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리고, 또한 전문가들을 더욱 체계적으로 육성할 수 있다면 이러한 대책마련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관련 지식에 대한 대중성 확보를 위한 출판활성화와 수자원 및 이와 관련한 방재, 기후변화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를 동시에 아우를 수 있는 전문가의 육성은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출판 대중화를 위한 방안 마련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하다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이러한 수자원 및 관련 방재 분야의 사회적 요구를 해결해줄 수 있는 출판프로그램과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사례를 심층 조사하였다.

2. 수자원 분야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활성화 방안

2.1 국내 교육사례 조사

2.1.1 플랜트 분야 교육

가. 정부 지원 프로그램

대표적인 정부 지원 프로그램 사례인 플랜트 분야 교육은 표 2.1~2.3과 같이 건설기술교육원, 해외건설협회 등이 플랜트엔지니어링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는 대학졸업자(예정자)를 대상으로 운영하는 해외취업 인력양성 단기과정이다.

표 2.1 해외건설협회 교육과정

과정명 시간 교육과목

1. 입문과정 50해외건설동향 및 지원정책한국건설기업의 해외경쟁력강화방안세계건설시장 지역별 소개 등 8과목

2. 수주 및 계약관리과정 60수주관리기법, 해외공사PQ작성견적기법, 국제계약실무Bid Document작성법 등 8과목

3. 개발사업 관리과정 20해외개발사업 추진방안, 해외개발 타당성조사해외개발사업자금조달방안해외개발사업 추진사례 등 4과목

4. 금융관리과정 16해외공사 PF기법, 해외PF관련계약실무해외건설관련 자금지원제도수출보험제도 등 6과목

5. 공사관리규정 30해외공사수행절차, 자재조달인력조달, 원가관리, 공정관리프로젝트메니지먼트 등 7과목

6. 실무영어과정 16수주관리영어, 계약관리영어공사관리영어, 해외건설 개발사업 영어해외건설금융 영어 5과목

7. 해외건설 실무심화과정 48리스크매니지먼트, 클레임실무사업성분석사례, 조달실무, 파이낸싱사례구제기구 차관공사추진실무 등 8과목

8. 기타 20 Workshop. 평가 등8개 과정 260시간(7주) 총 46과목

Page 2: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85

총 46개 과목을 교육하고 있으며, 교육 후 즉시 현업에 투입하여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신규 인력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표 2.2 건설기술교육원 교육과정

과 정 명 시 간 과 목

1. 해외건설 실무과정 24 해외건설실무과정 1과목(필수건설용어, 실무 영문서한 작성, 비즈니스영어 등)

2. 플랜트공사 일반과정 30 플랜트공사개론, Contract & 기술시방서 이해, 발전소계통 시스템이해 등 7과목

3. 플랜트건설공사 실무과정 61 플랜트 배관설치공사, 전기공사, 계장공사, 철골설치공사, 건축공사, 시운전 등 10과목

4. 플랜트프로젝트 관리과정 68 입찰 및 계약관리, 설계관리, 구매관리, 공정관리, 안전관리, 현장자재관리 등 12과목

5. 플랜트건설 기술실무과정 57 검사, 시험, 계측장비관리, 용접이해, 기술수준의 이해 비파괴검사이해, 열처리이해 등 10과목

5개 과정 240시간(7주) 총 40 과목

표 2.3 해외건설 취업인력양성 교육기관 비교

교육기관 해외건설협회 건설기술교육원교육과정 대학생 해외건설취업 인력양성 해외플랜트 건설기술인력 양성과정교육시간 7주(총 260시간) 7주(총 240시간)교육대상 대학졸업 예정자 및 졸업 후 2년 이

내 구직자대학졸업 예정자 및 취업준비자(35세 미만)

교육과목(일부)

수주 및 계약관리 과정(총 8과정 중 일부)

플랜트공사 일반과정(총 5과정 중 일부)

교육내용수주관리기법, 해외공사 PQ 작성견적기법, 국제계약실무, Bid Document작성법 등 8과목

플랜트공사개론, Contract & 기술시방서 이해,발전소계통 시스템이해 등 7과목

교육효과 대부분의 교육과목이 상당한 경험을 요하는 전문과정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30-60시간에 7-8과목을 교육하는 것은 무리이며 원하는 교육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움.

나. 대학교 운영 프로그램

한양대학교 플랜트엔지니어링 석사과정은 플랜트엔지니어링에서 다루는 구체적인 설비 및 시설분야에 대한 교육과정이다. 전력사업 분야의 수력, 화력발전 및 원자력 발전분야, 화공분야의 화석연료 처리분야, 석유화학분야, 정밀화학분야, 시멘트 생산설비분야, 그리고 환경친화설비분야 등에 대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그 중 전공분야는 플랜트 엔지니어링 공통기술 분야, 에너지 및 기계관련 플랜트, 환경, 정유 및 석유화학관련 플랜트, 그리고 플랜트 사업의 추진과 수행에 관련되는 금융이론과 기법을 교육하고 있다. 이 과정은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기계 및 산업공학과 내에 5개 전공과정 중 하나로서 운영하고 있다. 또한 전 교과과정이 전공 선택과목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2학점제로 운영되고 있다.

• 기계공학전공• 산업 및 정보시스템공학전공• 플랜트엔지니어링전공• 산업안전 및 인간공학전공• 프로젝트관리학 등

86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표 2.4 한양대학교 플랜트엔지니어링전공 교육과정

구 분 교육과정

플랜트엔지니어링

◦프로젝트파이낸싱 ◦발전프랜트학론 ◦환경플랜트 ◦플랜트전기계장론◦플랜트정보공학 ◦사업타당성 분석론 ◦국제계약 및 클레임관리론 ◦리스크관리론◦스케줄관리론 ◦플랜트품질관리론◦플랜트엔지니어링관리론 ◦플랜트투자평가론◦프로젝트관리론

2.1.2 건설 관련 분야 교육 사례

가.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는 건축분야에 대한 교육을 수행하여 건축문화산업의 발전을 이루고자 본 학회 정관에 따라 2010년 5월 학회 부설로 교육원을 설립하였다. 교육목적은 차별화된 교육시스템을 구축하고, 수요자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학회의 우수한 교육을 바탕으로 일반 국민 및 건축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수준 높은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교육운영은 원장, 부원장과 교육프로그램별 운영위원을 두고 있으며 교육전담실무팀이 지원하고 있다.

□ 교육원 주요활동• 건축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건축 교육 컨텐츠 개발• 건축 교육훈련기관 지정 신청 추진• 건축 교육과정 개발

□ 교육원 주관 프로그램 • 건축강좌 : 건축의 새로운 정보와 기술을 회원들에게 보급하고, 각종 주요 프로젝트 소개• 건축문화대학 : 건축의 재미있는 이야기를 일반 국민들에게 알리고, 각종 주요 프로젝트 소개• 건축리더십아카데미 AAL : 지속가능하게 발전할 수 있는 건축문화산업을 리드하고 건축의 사회

적 역할을 제고할 수 있도록 미래 사회의 지식과 최첨단 정보 소개• 어린이건축 창의교실 : 초등학교 어린이를 대상으로 건축, 인테리어, 도시 등의 3차원 조형물에

대한 이해를 돕고, 만들기 작업을 통해 창의적 사고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함• 건축이론아카데미 : 진지하게 숙고하고 토론하는 마당을 열고자 하며, 얼버무림을 용인하던 관성

에서 벗어나 사고를 벼리고자 하며, 새로운 건축의 방향성을 함께 모색하고자 함

□ 건축리더십아카데미 AAL교육대상은 고급 공무원, 대기업 임원, 중소기업 대표, 책임연구원 등으로 1차 서류심사와 2차

면접에 의하여 교육생을 선발하고 있으며 매월 화요일 20주차 교육과 함께 특별 프로그램(야외 워크숍, 가족동반 특강 및 문화활동, 학술회, 골프회, 등산회 등)과 병행하고 있으며 수료생에게는 대한건축학회 회장명의 수료증을 수여하고 있다.

□ 어린이건축 창의교실미국 매사추세츠주의 어린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초등학교 2-5학년을 대상으로

Page 3: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87

연간 3회 어린이건축 창의교실을 개강하고 있으며 기초반과 심화반을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책임튜터, 공동튜터 방식으로 지도(1개반 10명 내외 지도)하고 있다. 교육진행은 15분 강의 및 슬라이드 학습과 1시간 내외의 프로그램 실습으로 이루어지며 수료 후 대한건축학회 회장명의 수료증이 수여하고 있다.

표 2.5 어린이건축 창의교실 프로그램 예시

교시 기 초 반 심 화 반123

- 자기집 그리고 만들기- 동화책 속의 집에 대한 이야기와 형태 표현- 트러스 구조물 만들기

- 스케일 공간 만들기- 특별한 장소의 집- 신문지를 이용한 구조물

12-3

- 창 밖의 풍경 만들기- 동네 답사후 인지도 만들기

- 입면으로 표현하기- 세계적 건물 스케치하기

123

- 동네에 필요한 건물 만들기- 마을 만들기- 프리젠테이션

- 스카이라인, 디테일 그리기- 수직마을만들기- 프리젠테이션

□ 건설경영 실무(CAP)건설사, 건축사사무소, 전문건설사 등을 대상으로 건설경영 실무 및 재무 교육을 매주 목요일 3시

간씩 10회차 과정을 실시하고 있으며 수료생에게 대한건축학회장 명의의 수료증을 수여하고 있다. • 1회차 : 개강식 / 건설법• 2회차 : 계약 및 클레임• 3회차 : 현장 개설에서 준공까지• 4회차 : 건설원가 관리 실무• 5회차 : 발주 및 구매• 6회차 : 현장 견학 / 교류의 시간• 7회차 : 건설자금의 흐름_• 8회차 : 재무실무 Ⅰ• 9회차 : 재무실무 Ⅱ• 10회차 : 계약관리와 클레임 분석 / 수료식

나. 한국전산구조공학회

한국전산구조공학회에서는 전산구조해석 및 설계분야 대학생 및 대학원생, 엔지니어, 연구원 등을 대상으로 기술강습회를 주로 시행하고 있다. 주요 강습과정의 주제는 ‘하루만에 배우는 전산구조 전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해석’, ‘Abaqus를 이용한 유한요소 이론 및 실습’ 등으로 1일 또는 2일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는 MATLAB 전산구조 설계기술 교육을, 2013년부터는 구조해석 소프트웨어인 Opensees와 Abaqus 의 사용법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었다. 두 교육 프로그램 모두 학부나 대학원 과정에서 자세하게 다루지 않으면서 실무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가르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 강습주제• Unique Course : 대학 강의나 서적으로 배울 수 없는 실무와 연구에 필요한 특화기술을 강습• Intensive Course : 하루 강좌이지만 효율적 강의 준비 및 조교 지원 통해 집중학습 구현

88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 Hands-On Course : 강사진이 제공하는 코드를 노트북으로 직접 실습함으로써 학습효과 극대화□ 수강자격• 전산구조해석 및 설계 분야에 관심이 있는 학부 3-4학년 및 대학원생• 전산구조해석 및 설계 관련 현업에 종사하는 엔지니어와 연구원• 공학수학 및 수치해석 프로그래밍에 관한 기초지식이 있는 사람

표 2.6 세부 교육과정 예시

시 간 1일차 2일차0830-0930 등 록0930-1030 OpenSees 소개 / 정적해석 유한요소 수식화 및 ABAQUS 개론1030-1050 Coffee Break1050-1230 OpenSees 비선형 시간이력해석 유한요소 특성 및 ABAQUS 실습1230-1330 중 식1330-1500 전산 소성 기초 이론 기하/재료 비선형 수식화1500-1520 Coffee Break1520-1700 J2 소성모델의 적분 알고리즘 실습 ABAQUS 실습을 통한 유한요소 해석

다. 한국콘크리트학회

한국콘크리트학회는 건설기술인력 교육기관으로 지정되어 구조물과 콘크리트 기술에 대한 강의를 회원 및 학생,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주요교육과정은 건설기술인력 교육훈련(전문교육), 전문분야별 기술강좌, 통합 콘크리트표준시방서 및 구조설계기준 해설강좌 등이 있다.

주요 기술강좌주제는 콘크리트구조물의 균열, 품질관리, 유지관리, 설계 및 시공, 역학, 시방서 및 설계기준 해설 등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으로 1일 또는 3일, 5일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다음은 홈페이지 게시된 기술강좌 사례이다.

그림 2.1 한국콘크리트학회의 기술강좌 사례

특히 2000년부터 콘크리트 실무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강좌들을 60여회에 걸쳐 제공하였다. 한국

Page 4: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89

전산구조공학회의 교육과의 차이점은 교육이 대학(원)생이 아닌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교육의 내용이 학술적인 부분보다는 실무적인 부분에 집중되어 시행된다는 점이다.

라.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 지하수 수리 및 환경 단기교육- 내용: 지하수리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이론/실무적 지식(매년 주제가 바뀜)- 교육규모: 약 35명- 수강비: 모듈별 50만원, 학생: 30만원, 총 2개 모듈- 수강대상자: 토양환경/지하수 관련 기술자/공무원, 토양환경기사/기술사 수험생- 대학강의실 대여하여 강의실로 사용- 강사: 교수 및 연구원- 교육기간: 3일

2) 토양환경 실무자 전문가 심화과정 교육- 2013년까지 총 12회 실시되었음.- 교육규모: 약 100명- 수강비: 45만원, 학생: 15만원 (교재/식비 포함)- 수강대상자: 토양환경/지하수 관련 기술자/공무원, 토양환경기사/기술사 수험생- 대학 강의실을 대여하여 사용- 강사: 교수 및 연구원- 교육기간 3일

마. 철강협회

표 2.7 철강협회 교육과정

교육 과정 운영 현황전기로제강기술교육강관기술교육형강압연기술교육철강공정 요소기술교육철강무역실무전문가 과정철강물류실무교육선재가공기술교육스테인리스강 전문가양성교육압연기술교육철강재표면처리기술교육신입사원철강연수교육

- 가격: 200,000-300,000원(중식, 교재비 포함)- 교육기간: 3일- 참여인원: 20-30명- 내용: 교수들의 강의도 다수 있지만, 대부분의 강사

가 대기업(포스코 등)의 실무 전문가들로 이루어져 있어, 실무 위주의 교육임

- 실무 위주의 다양한 교육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보아 업계의 교육에 대한 수요가 큰 것으로 보임

바.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지질, 광상 단기교육

- 교육기간: 4일 (연 1회 실시)- 대상: 지질/자원 관련학과 학부 3-4학년, 대학원 1-2학기, 업체 종사자- 가격: 45만원(숙식 포함)- 내용: 광산 견학

90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사. 한국수자원학회 수공학워크샵

한국수자원학회에서는 1993년부터 매년 수공학워크샵을 실시하고 있으며, 2013년 8월까지 총 29회가 개최되었다. 수공학워크샵 실시의 목적은 수자원 분야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실무에서 활용도가 높은 주제를 선정하여 새로운 실무기법의 소개 및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수자원 관련 기술수준 향상이다. 표 2.8 한국수자원학회 수공학워크샵

회 년 월 일 주 제제 1회 1993.01.27~28 ㆍ합리식과 우수관ㆍILLUDAS모형ㆍHEC-2모형ㆍQUALⅡE모형제 2회 1994.02.22~23 ㆍ저수유출관리시스템 ㆍGIS와 수문, 수자원관리 제 3회 1995.02.09~10 ㆍHEC-6모형 ㆍKentucky모형제 4회 1996.01.25~26 ㆍ설계홍수의 추정ㆍ도시유역의 배수계통 설계를 위한 SWMM모형제 5회 1997.02.13~14 ㆍKYPIPE2모형 ㆍ하천교각의 세굴심 추정과 교각의 기초설계

제 6회 1998.02.12~13 ㆍ개발사업으로 인한 토양손실량 예측 및 침사지 설계 ㆍ관수로 내 수격작용의 해석 및 응용

제 7회 1999.02.04~05 ㆍ하천, 호소수질 예측모형 ㆍ지하수 개발영향 검토제 8회 2000.02.10~11 ㆍHEC-RAS모형 ㆍHEC-HMS모형제 9회 2001.02.08~09 ㆍ2차원 하천해석 모형ㆍ수공학에서의 GIS 활용제10회 2002.02.05~06 ㆍSMS모형 ㆍ수문모형시스템(WMS를 중심으로)제11회 2003.02.05~06 ㆍMODSIM모형 ㆍHEC-FDA모형제12회 2004.02.06~07 ㆍFARD를 이용한 강우통계 분석 ㆍ어도설계실무제13회 2004.11.13 ㆍHEC-HMS의 이론과 실무적용 ㆍHEC-RAS의 이론과 실무적용 제14회 2005.02.24~25 ㆍ하천과 저수지의 세굴과 퇴적 예측 ㆍMOUSE모형의 실무적용제15회 2006.02.25~26 ㆍAdvanced HEC-RAS ㆍFLDWAV 모형을 이용한 홍수해석

제16회 2006.10.28 ㆍHEC-RAS를 이용한 홍수추적 ㆍ치수구조물의 경제성 분석ㆍFLDWAV모형을 이용한 홍수추적

제17회 2007.02.22~23 ㆍGIS를 이용한 유역유출해석ㆍFARD2006을 활용한 강우빈도해석

제18회 2008.02.26~27 ㆍPMF 산정 ㆍ댐 붕괴 해석제19회 2008.08.29 ㆍHEC모형개발과 HEC-HMS의 고급 활동제20회 2009.02.23~24 ㆍvflo™에 의한 수문해석 ㆍ홍수범람도 작성제21회 2009.09.24 ㆍ유사이동 및 하상변동제22회 2010.02.25~26 ㆍSWMM-GE모형 ㆍFLOW-3D모형제23회 2010.08.26 ㆍRAMS를 활용한 하천거동 해석제24회 2011.02.17~18 ㆍFFC2Q모형 ㆍFFC1-RFA모형제25회 2011.8.24 ㆍSWMM을 이용한 침수해석 이론 및 실습제26회 2012.02.17~18 ㆍSWAT모형 ㆍ유역 물순환 해석모형 이론과 실습제27회 2012.8.24 ㆍHyGIS-GRM을 이용한 분포형 강우-유출 해석 이론 및 실습

제28회 2013.2.21~22 ㆍ기후변화와 장기유출해석ㆍHEC-RAS를 이용한 강변저류지 설계

제29회 2013.8.22~23 ㆍ고정확도 1차원 하천수치모형ㆍ안정하도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한 하천 저수로 단면 설계

Page 5: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91

2.1.3 행정기관 교육운영 사례

가. 수문조사종사자 교육

2009년 개정된 하천법 제18조(국토교통부장관은 수문조사를 수행하는 방법과 기준 등을 표준화 하여야 한다)에 따라, 수문조사 분야에 종사하는 인력은 반드시 법정기준을 만족하는 수문조사종사자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현재, 수문조사종사자 교육은 한국수자원공사와 유량조사사업단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수문조사종사자 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국가에서 지정한 하천법에 따른 교육으로서 제도적인 뒷받침이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수문조사라는 수공학분야의 세부주제에 국한하여 교육이 제공되므로 수준 높은 교육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교육에 대한 수요가 아주 많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수요에 대한 확대발전을 통해 교육의 지속적인 활성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이다.

(1) 한국수자원공사의 수문조사종사자 교육한국수자원공사(K-Water)는 2008년 9월부터 수문조사종사자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수

위/유량측정, 유사량 측정 장치의 현장사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교육과정은 1일 7시간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간별 교육내용의 예는 다음 표 2.9와 같다.

한국수자원공사의 수문조사종사자 교육의 경우 다음에 소개되는 유량조사사업단의 교육과 비교하였을 때, 이론적인 내용 보다는 실습위주의 교육프로그램이며, 교육기간이 짧아 시간적인 제약이 있는 수강생들에게 적합하다. 이러한 이유로, 페루, 방글라데시 등 개발도상국의 교육생들도 다수 수강하고 있다.

표 2.9 수자원공사의 수문조사종사자 교육 시간표 예

시 간 시간별 교육내용1000-1100 (실내) 이론교육1100-1200 (현장실습) 도섭법1300-1400 (현장실습) 전자파표면유속계1400-1500 (현장실습) ADCP1500-1630 (현장실습) 교량추리내림법1630-1800 (현장실습) 유사량측정법

(2) 유량조사사업단의 수문조사종사자 교육유량조사사업단은 수문조사 분야의 인력을 양성하는 종합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매해 4박 5

일 일정의 교육프로그램이 3회 운영되고 있으며, 상반기에는 2회의 초급 교육, 하반기에는 1회의 중급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초급과정은 13개의 주제에 대한 강의가 30시간동안 제공되며, 중급과정은 17개의 주제에 대한 강의가 30시간 동안 제공된다. 교육비용은 35만원(중식비 포함, 숙박비 제외)이며, 안동에 위치한 하천실험센터에서 교육이 진행된다. 다음 표 2.10~2.11에 유량조사사업단에서 제공하는 초급 및 중급과정의 교과목을 요약하였다.

92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표 2.10 유량조사사업단 제공 초급 수문조사종사자 교육

교 과 목 내 용 시간1.수문조사 개론 교육과정 안내, 수문조사 소개 2H2.수문조사와 하천법 개정 하천법 교육 및 국가수문조사 업무현황 소개 1H3.우량, 수위관측 관측소 소개, 측정방법,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운영원리 2H4.유사량 측정 관측소 소개, 측정방법,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운영원리 1H5.수문조사와 하천계획 하천기본계획 및 하천관련 실무 소개 2H6.하천수 하천수 관리 및 하천수에 관한 교육 2H7.홍수예보 홍수예보절차 및 홍수예보 목적 교육 2H8.수문조사시설 유지관리 각 관측소별 장비 유지관리법 소개 2H9.유량측정(유속계, 부자) 유량조사방법 및 절차, 유속계, 부자 등 2H10.첨단유량측정(ADCP) ADCP 이론 및 현장활용법 교육 2H

11.유량측정실습 및 안전관리 유속계 및 부자를 이용한 유량측정 현장실습 8H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대비교육12.수문자료 품질관리 조사된 자료의 품질관리 방법 등 2H13.교육평가 측정을 통한 유량자료 산정 및 평가 2H

계   30H

표 2.11 유량조사사업단 제공 중급 수문조사종사자 교육

교 과 목 내 용 시간1.수문조사 개론 교육과정 안내,수문조사 소개 1H2.수문조사와 하천법 개정 하천법 교육 및 국가수문조사 업무현황 소개 1H3.하천수 하천수관리 및 하천수에 관한 교육 1H4.홍수예보 홍수예보절차 및 홍수예보 목적 교육 1H5.강우레이더 강우레이더 소개 1H6.우량, 수위관측 관측소 소개, 측정방법,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운영원리 2H7.유사량 측정 관측소 소개, 측정방법,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운영원리 1H

8.수위-유량관계곡선식 개발 활용 유량자료산정법, 불확실도 산정법, 신뢰도분석, 평가 등 2H

9.유량측정(유속계, 부자) 유량조사방법 및 절차 (유속계, 부자) 2H10.첨단유량측정(ADCP) ADCP 이론 및 현장활용법 교육 2H

11.유량측정실습 및 안전관리 유속계 및 부자를 이용한 유량측정 현장실습 8H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대비교육12.수문자료의 공인 수문조사자료의 공인기준 1H13.수문조사시설 유지관리와 기기검정 수문조사시설의 유지관리와 수문조사기기의 기기검정 2H

14.수문자료의 유통 수문자료의 저장 및 배포와 유통 시스템 1H15.수문조사 표준화 수문조사 방법 및 기준의 표준화 2H16.수문자료 품질관리 조사된 자료의 품질관리 방법 1H17.교육평가 측정을 통한 유량자료 산정 및 평가 1H

계   30H

Page 6: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93

나. 소방방재청의 방재전문인력 양성

소방방재청은 ’05.1.27 자연재해대책법 개정으로 풍수해분야 대한 구조적/비구조적인 대책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각종 재해예방계획 수립 등 새로운 방재제도를 도입함에 따라 동 제도를 이해하고 추진할 수 있는 민간 방재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방재분야 전문교육을 시행하기 위해 .한국방재협회를 위탁교육기관으로 지정 풍수해 분야 방재특수전문교육과정을 운영하게 하고 있다.

한국방재협회는 방재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인에 대하여 재해예방제도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 등 방재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소정의 시험을 거쳐 합격자에게 소방방재청장 명의의 방재전문인력 인증서를 발급하고 있다. 2013. 9.30기준 총 교육수료인원 2,500여명 중 인증서 발급받은 인원은 총 2,200여명이다.

표 2.12 법적 근거

※ 자연재해대책법 제65조(공무원 및 기술인 등의 교육)

- 재해관련 기술인을 고용한 자는 소방방재청장이 실시하는 교육을 받게 하여야 한다.

※ 자연재해대책법 시행령 제57조 및 제58조

- 교육대상자 : 재해관련업종에 종사하는 기술인(영 57조 제1항 제3호)

- 특수전문교육과정 운영 : 소방방재청장은 특수한 기술과 지식을 필요로 하는 종사자들에 대한 특수전문교육

과정을 별도로 운영하거나 외부 전문기관 및 단체에 위탁하여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영 제58조 제2항)

- 소방방재청장은 특수전문교육과정을 이수하고 교육기관에서 실시한 시험에 합격한 공무원 및 기술인에게

방재전문인력 인증서를 교부할 수 있다(영 제58조 제3항)

□ 교육참가자 기술사 자격증 보유현황방재특수전문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은 하천, 수자원분야가 90%을 포함하고 있지만 기술사 보유 교

육생 총 563명 중 수자원개발 분야는 106명으로 20% 차지하고 있다.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기술사자격증보유현황>

그림 2.2 기술사 자격증 보유 현황

□ 교육과정별 교과목 및 교육시간총 교육시간은 136시간으로 기본과정은 재난관리론과 관련 법규에 대하여 온라인으로 교육을 하

고 있으며 전문 과정은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른 방재안전대책수립 대행 업무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수립 등 4개 과목에 대하여 집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94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표 2.13 과정별 교과목

구분 교육방법 교과목 교과목표 교육시간

기본과정 온라인교육 ‧재난관리론 ‧자연재해법규 재난관리 및 법령의 이해 27시간

전문과정 집합교육 ‧풍수해 EAP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사전재해영향성검토 ‧재해복구사업평가

방재안전대책수립대행업무의 실무 이해 109시간

표 2.14 교과목별 교육내용

과목명 교 과 내 용 과목명 교 과 내 용

재난관리론

◦ 방재안전관리의 이해

풍수해 EAP

◦ 풍수해EAP의 기본기능 및 수행과정◦ 재해양상과 21세기 자연재해 대책 ◦ 댐저수지 붕괴 대비 EAP 표준안 소개◦ 지진일반 및 지진방재종합대책 ◦ 댐저수지 붕괴 위험도평가 및 피해예측기법◦ 한국의 기상여건과 재해특성 ◦ 댐저수지 붕괴 등을 포함한 재해지도 작성 및 활용◦ 재난발생 및 대응사례(태풍, 호우)

◦ EAP에서의 주요 시설물의 기능유지 방법◦ 재난발생 및 대응사례(가뭄, 대설, 황사)

◦ 댐, 저수지 재해위험도 분석◦ 기후변화대응과 방재

◦ 댐저수지 붕괴시 EAP작성 실무◦ 위험사회와 위기관리

◦ 해일대비 EAP 표준안 소개◦ 지역 재난관리와 민·관 협력체계

◦ 해일 위험도 평가기법◦ 재난대비 구조적․비구조적 대응방안

◦ 해일 EAP작성 실무◦ 재난위험요소 및 위험도 분석방법

◦ EAP 훈련실습 및 평가◦ 도시방재계획의 이해

풍수해저감종합계획

◦ 풍수해 저감 종합계획 제도일반◦ 재난심리의 이해

◦ 풍수해 특성조사◦ 유비쿼터스 방재시스템

◦ 하천재해 위험도분석◦ 재해위험도 관리일반 ◦ 내수침수 위험도분석

자연재해관계법규

◦ 자연재해관련 법규 ◦ 토사 및 사면재해 위험도 분석 ◦ 수방시설 설계기준의 이해 ◦ 해안 및 바람재해 위험도 분석◦ 내풍설계기준의 이해 ◦ 풍수해위험지구 선정 기법◦ 내설설계기준의 이해 ◦ 풍수해저감대책 수립

◦ 방재분야 표준품셈의 이해◦ 도시계획측면의 풍수해저감종합계획수립◦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작성 실습 및 토론

사전재해영향성검토

◦ 사전재해영향성검토협의 제도일반

재해복구사업평가

◦ 재해복구사업평가 제도일반◦ 사전재해영향성검토협의서 작성방법 ◦ 수해복구 추진지침 및 추진방안◦ 사전재해영향성검토협의서 작성사례(1) ◦ 복구제도 및 피해조사 실무◦ 사전재해영향성검토협의서 작성사례(2) ◦ 재해복구사업평가 대상 지역조사및평가기법◦ 유형별 재해위험 검토기법 ◦ 재해복구사업 수립, 추진단계 평가◦ 유형별 재해위험 저감대책 수립기법 ◦ 재해복구사업 사후분석 평가◦ 사전재해영향성검토협의서 작성실무 및 토론 ◦ 종합평가 및 사례분석

Page 7: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95

다. 기상청의 기상과학아카데미

기상청의 ‘기상과학아카데미’는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로 기상, 기후정보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요소로 부각됨에 따라 대국민 공감대형성 및 기상과학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기 위하여 대국민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도 증진 및 기상서비스를 통한 국민과의 소통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기상, 기후, 지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수요자에 따라 차별화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표 2.15 기상과학아카데미 프로그램

구분 교육대상 학습목적 주요내용

방재기상 방재업무 종사자각종 방재기상 정보 활용법을 익히고 호우, 태풍, 안개 등 위험기상 사례와 위험기상 대응방안을 학습하여 기상재해 대응능력 향상

‧ 방재기상정보시스템 활용‧ 위험기상사례 및 대응‧ 기상특보 및 정보이해‧ 지역 기후변화 특성‧ 지진및지진해일 정보 등

해양기상 해양관련 종사자 및 유관기관 관계자

기상예·특보정보서비스 현황을 소개하고 기상 및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날씨 변화를 이해한다.

‧ 해양날씨 변화 이해‧ 해양기상 예·특보‧ 해양기상 관측 및 정보서비스‧ 해양기상 자료 해석‧ 기후변화와 해양 등

군기상 군기상관계자군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상·기후에 대한 지식을 전파하고, 군 작전 및 훈련에 필요한 기상정보를 알리고자 한다

‧ 기상예보의 중요성‧ 위험기상 이해 및 군 대응‧ 기상관측의 종류‧ 기상자료 분석 등

교통기상교통관련 업무종사

및 유관기관 방재담당자

폭우, 폭설,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한 철도 및 도로상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유관기관 종사자에게 대응방안 및 방재기상정보시스템 활용법을 소개하고, 관련 지식 및 정보를 전달하고자 한다.

‧ 기상예보의 중요성‧ 위험기상 이해‧ 도로기상 정보의 활용‧ 기후변화와 교통‧ 방재기상정보시스템 활용 등

항공기상 항공업무종사자

항공기상 관련 종사자 및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기상자료 활용법 및 기상청의 기상정보 서비스 등을 소개하여 개인의 항공업무 활용능력을 키우고자 한다

‧ 항공기상업무 이해‧ 항공기상 예·특보‧ 기상위성, 기상레이더, 일기도, 항공기상 정보 활용‧ 현장견학 등

기상산업인력양성 기상사업자 등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현상으로 경제적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기상업무 및 기상산업정책이 중요해지고 있으므로 이와 관련한 정보를 소개하고, 기상정보의 경제적 가치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한다.

‧ 기상예보의 중요성‧ 기상산업 육성정책‧ 융합 기상서비스 활용‧ 기상장비, 기상정보의 경제적 가치‧ 기상마케팅 이해 등

기상기후

해설사일반인

국민들에게 기상과 관련한 다양한 정

보(날씨변화, 기상현상 등)와 기후변화

에 대한 최근 정보 및 지식을 쉽게 전

파할 수 있는 중간역할자(해설자)를 양

성하고자 한다.

기상기후 해설사 이해

기상관측 프로세스

일기예보 프로세스

기상용어와 예보용어

위험기상 현상 이해 및 대응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생활기상 정보, 산업기상, 스

토리텔링 이해 및 활용

현장체험 등

96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표 2.15 기상과학아카데미 프로그램(계속)

구분 교육대상 학습목적 주요내용

기상정보서비스 상담사 131콜센터 종사자

지역별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전화서비스인 131 콜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기상 정보와 지식,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기후변화 현황을 전달함으로써 기상상담 업무 량을 강화시키고자 한다.

‧ 일반기상‧ 기상자료 분석‧ 기상현상별 정의 및 특징‧ 기상관측, 기상용어 바로 알기

‧ 기후변화 전망 등

어업기상 어업관련 종사자

해양기상정보는 어업에 있어 매우 중요한 정보이므로 어업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어업에 필수적인 기상예보 및 정보를 제공하고, 지구온난화로 인한 수온상승으로 발생할 수 있는 변화 및 문제점을 익힘으로써 어업종사자의 전문성을 높이고자 한다.

‧ 해양날씨 변화 이해‧ 해양기상 예·특보‧ 기상과 어업활동‧ 기상청과의 소통‧ 해양기상 정보 서비스 등

농업기상 귀촌, 귀농 농민농업 유관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기상 및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별 농업환경 변화를 소개하고, 농업생활 속 기상정보의 중요성을 일깨우고자 한다

‧ 생활기상정보‧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환경 변화‧ 지역 기상·기후 변화‧ 현장견학 등

관측기술지원 교장, 교감

학생들의 기후변화 학습에 중점을 두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교장·교감을 대상으로 기상청 기상업무 및 기후변화 정책 등을 소개함으로써 교수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기상관측 현황 및 이해‧ 지상기상관측 이해‧ 표준기상관측 이해‧ 고층기상관측 이해‧ 관측자료 품질관리 등

기후변화정책 교장, 교감

학생들의 기후변화 학습에 중점을 두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교장·교감을 대상으로 기상청 기상업무 및 기후변화 정책 등을 소개함으로써 교수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기상예보의 중요성‧ 기후변화 이해‧ 녹색성장 국가시책‧ 날씨와 우리생활‧ 기후 현장체험‧ 기상 현장체험‧ 기상정보의 경제적 가치‧ 기상청과의 소통 등

기상청 직업체험 중, 고등학생

지역별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기상청 예보센터 견학, 기상에 필요한 기본 지식 및 관련정보를 익힘으로써 기상에 대한 관심도 및 흥미를 유발하고자 한다

‧ 예보관련 직업소개‧ 기상예보의 중요성‧ 일기도 그리기 체험‧ 기상청 견학 등

하늘과 과학캠프 중, 고등학생

지역별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기상청 예보센터 견학, 기상에 필요한 기본 기상·기후 지식 등을 소개하여 기상 꿈나무 양성을 이루고자 한다.

‧ 기상업무 이해 및 예보의 중요성‧ 다시 보는 기상청‧ 기후변화와 우리 미래‧ 기상현장 체험‧ 기후 현장체험‧ 일기도그리기 체험‧ 기후변화 실천 팀빌딩‧ 날씨와 생활 등

기상과학축전 지역일반인 및 학생

기후변화로 인해 태풍, 폭염 등 이상기후현상이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정보가 중요해짐에 따라 지역별 과학축전과 연계한 기상청 홍보관 부스를 운영하여 학생 및 일반인에게 기상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자 한다.

‧ 기상·기후 교구활동‧ 신기한 기상사진전‧ 날씨그림 페이스페인팅‧ 기상캐스터 체험‧ 기후변화 판넬 전시 등

Page 8: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97

‘기상과학아카데미’는 온라인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2011년 총 203회, 2012년 총 86회, 2013년 총 66회 교육을 실시하여 수료생은 각각 15,047명, 4,773명, 4,580명이 수료하였다.

주요 개설 교육과정으로는 방재기상, 해양기상, 군기상, 교통기상, 항공기상, 기상산업인력양성, 기상정보서비스 상담사, 기상기후해설사, 농업기상, 어업기상, 관측기술지원, 기후변화정책, 기상교육 강사양성, 기상청 직업체험, 하늘과 과학캠프, 기상과학축전 등 16개 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라. 고용노동부의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고용노동부는 중소기업 재직자 직업훈련, 전략사업 인력육성, 지역별 직업훈련 기반 조성 등을 목적으로 사업주단체, 기업 등 운영기관이 기업 등과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협약을 체결하고 교육운영에 필요한 제반 비용을 지원하는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운영기관 선정을 위한 공모절차는 다음과 같다.

운영기관공모·접수

⇨예비심사

⇨본심사

(서류, 인터뷰,현장심사)

⇨심의위원회

(운영기관 선정)

⇨훈련실시

⇨지원금정산

그림 2.3 운영기관 선정 공모절차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사업유형은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지원형, 전략분야 인력양성형, 지역 공동훈련형 등이 있으며 특히 전략분야 인력양성형은 신성장 동력으로서 전략적으로 산업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사업이다. 고용노동부는 다음의 표와 같이 사업유형에 따라 교육시설 인프라 및 장비, 교육운영비 등을 지원해 주고 있다.

표 2.16 고용노동부 사업

구 분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지원형 전략분야 인력양성형 지역 공동훈련형

사업성격 자체 사업(’01년~) 부처 통합 사업(’11년~) 지자체 공동 컨소시엄사업(’12년)

컨소시엄대 상(운영기관)

중소기업 30개 이상과 협약특정 산업·직종 기업 30개

이상과 협약(단, 부처 추천시 예외)

중소기업 30개 이상과 협약

지원내용

·훈련비·훈련수당·교육인프라 지원비

(시설·장비비, 인건비,훈련프로그램개발비 등) ※ 항목별 구분 지원

·훈련비·훈련수당·교육인프라 지원비

(시설·장비비, 인건비,훈련프로그램개발비 등)

※ 총액 지원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지원형과 같으나 지원규모 2배

지원사례 LG CNS, 코오롱인더스트리,아주대학교 등 113개

한국건축사협회, 한국엔지니어링협회 등 22개 대한상의 인천인력개발원 등 2개

전략분야 인력양성 사업 참여방안은 매년 고용노동부와 관련부처의 신규인력 양성 수요 조사 및 심사를 거쳐 사업 적합성에 따라 컨소시엄 운영기관으로 선정될 수 있다. 국토부는 ’09년부터 경기침체에 따른 청년층 미취업자 및 국내 잉여 건설인력을 해외건설인력으로 양성하여, 실업해소 및 해외건설 수주 지원하기 위해 ‘해외건설전문인력 양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건설기술교육, 중앙대, 한양대 등이 운영기관으로 선정되어 운영하고 있다.

98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12년 기준으로 관계부처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사업은 총 24개, 33,520백만원, 인원 35,510명이다. 현재까지 추진된 사업현황을 살펴보면 수자원, 하천방재분야 전문인력 양성 사업이 부재한 상황으로 향후 전략적으로 일자리 창출 및 청년 실업 해소 등을 목적으로 이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표 2.17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사업

연번 부처 사 업 명 ‘11년 사업규모예산 인원

1 농림부 식품산업전문인력양성 580 1,1752 문체부 문화콘텐츠전문인력양성 180 2003 문체부 현장영화인전문인력양성4 환경부 환경기술전문인력양성 400 4605 지경부 산업전문인력양성(13) 27,700 28,3006 지경부 에너지전문인력양성 2,750 2,6857 국토부 물류전문인력양성 400 1,9508 국토부 해외건설전문인력양성 550 1909 환경부 미래친환경전문인력양성 500 25010 국토부 U-City전문인력양성 200 25011 기재부 국제금융전문인력양성 - -12 복지부 병원국제마케팅인력양성 260 50

마.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지하수와 지질자원에 대한 다양한 수업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이 중에는 수자원과 관련된 강의(기후변화와 수자원 대응 기술: 물의 위기와 지하수 활용 및 보전), 방재와 관련된 강의 (산사태 재해 위험도 평가 과정, 화산 재해저감 연구과정)도 포함되어 있었다. 지질자원연구원에서 제공하는 교육들의 특징은 해외에서 각 분야의 권위자를 강사로 초빙하여 교육이 영어로 진행된다는 점, 타 학회제공 교육프로그램보다 수강료가 다소 비싸다는 점, 반복적이지 않은 새로운 주제에 대한 교육이 제공된다는 점이었다.

교육프로그램의 가격은 대부분이 20-30만원사이에 위치하였으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교육은 각 모듈당 20-30만원으로, 하나의 교육프로그램이 제공하는 2-3개의 모듈에 모두 참여하는 경우 40-60만원의 비용이 소요되었다.

1) 연안 지질과 재해 교육과정- 목표: 지질자원 전문인력 양성- 교육대상: 일반기업체 및 유관기관, 관련분야 대학(원)생- 내용: 지질조사/석유,광물 및 지하수자원 탐사와 관련한 이론/실무 및 야외지질조사- 인원: 40명- 기간: 총 12일- 강사: 해외 및 국내 전문가.- 장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내 강의실- 가격: 모듈별 20만원 (총 2개 모듈)

2) 석유 해저 맞춤형 교육 과정- 내용: 석유가스 탐사 및 개발을 위한 기본개념과 응용- 인원: 30명

Page 9: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99

- 수강료: 무료- 강사: 해외 대학 교수- 특이사항: 수강료가 무료이며, 국가나 기업차원의 자금지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됨- 교육기간: 3일

3) 층서와 지질도 작성 기법- 내용: 지구과학관련 기술 전문인력 양성- 인원: 30명- 수강료: 15만원- 대상: 관련분야 일반기업체 및 대학(원)생- 강사: 해외대학 교수

4) TOUGH2/TOUGHREACT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최적화- 내용: 실무적인 시뮬레이션 최적화 기술분야 전문인력 양성- 교육기간: 5일- 수강료: 60만원, 학생: 20만원- 인원: 40명- 강사: 해외대학 교수

5) 산사태 재해위험도 평가 과정- 내용: 산사태 관련 국내 기술전문인력 양성- 교육기간: 4일- 수강료: 50만원, 학생: 20만원- 인원: 40명- 강사: 해외대학 교수

6) 화산 재해저감 연구과정- 교육기간: 4일- 가격: 모듈당 30만원, 총 4개 모듈- 인원: 40명- 강사: 해외 전문가(USGS)

7) 기후변화와 수자원 대응 기술 : 물의 위기와 지하수 활용 및 보전- 교육기간: 3일- 가격: 모듈당 30만원, 총 3개 모듈- 인원: 40명- 강사: 국내대학 교수

바. K-Water 수자원 전문 교육과정

K-Water는 수자원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80여개의 전문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이는 총 40여개의 수자원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미국 토목학회와 비교하여도 손색이 없는 세계 최고 수준의 수자원 교육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목표로 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요구되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100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표 2.18 공무원 교육

구분 내 용목적 물분야 공무원의 수자원 관련 전문지식 함양

특징 수도법에 근거한 수도법정교육, 온/오프라인 교육 병행, 전임교수,전문연구원, 관계공무원, 학계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성 있는 강사진

교육내용상수도와 관련한 공학적/행정적/실무적/국제적 지식을 아우르는 52개의 프로그램 제공. 상수도 관련 최고급 전문가의 육성이 가능한 독립적 프로그램

교육비 15만원에서 28만원 사이, 대부분 22만원교육기간 2박3일-3박4일교육장소 오프라인의 교육의 경우 교육원내 숙박시설 이용

표 2.19 기업체 교육

구분 내 용목적 수자원과 관련하여 기업체에서 요구하는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 제공

특징(1) 현업 담당자의 기술력 향상을 통한 경쟁력 제고(2) 이론 및 실무 교육을 통한 실제적인 문제해결능력 향상(3) 지하수 관련 기술 인력의 직무능력 향상 및 정보/노하우 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실무 위주의 교육과정교육내용 상하수도, 수문조사, 수자원시스템 운영과 관련한 11개의 프로그램교육비 15만원에서 28만원 사이, 대부분 22만원

교육기간 2박3일 또는 3박4일교육장소 오프라인의 교육의 경우 교육원내 숙박시설 이용

표 2.20 지하수 법정교육

구분 내 용

목적 지하수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국가 지하수 선진화 도모, 지하수 개발 및 보전, 관리에 관한 지하수 종사자의 업무 역량 향상

특징 지하수법에 근거한 법정교육

교육내용 지하수 관련 법 및 정책, 지하수 개발 및 보전, 관리에 관한 기술,지하수의 적절한 개발, 이용 및 보전,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들

이 외에도 K-Water에서는 건설기술인력 전문교육 (법정 교육), 국제교육, 임직원교육 등,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지금까지 소개한 K-Water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세부 내용을 분석해서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공무원교육과 지하수교육의 경우, 법령에 근거한 것으로, 일정 크기의 강의 규모를 상시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 공무원 교육과정의 경우, 특정 세부 분야의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뛰어넘어, 수자원 분야의 전문가를 육성할 수 있도록 수자원의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수업들이 개설되어 있었다.

• 온/오프라인 강의를 병행함으로써, 강사의 일정으로 인한 교육과정의 제공 제한을 줄였다.

Page 10: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101

2.2 해외 교육사례 조사

2.1.1 미국토목학회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미국토목학회(이후 ASCE)의 경우 “Continuing Education”이라는 이름으로 토목의 모든 세부전공 분야에 걸쳐 전문가 양성을 위한 약 710여개의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ASCE는 기술사 (Professional Engineer) 자격증을 교육과정과 연계시켜 자격증 유지를 위해 정해진 기간 동안 교육을 통하여 반드시 교육기간량의 CEU (Continuing Education Unit-연속교육학점)를 습득하도록 하고 있으며, CEU는 토목학회를 통한 교육프로그램의 수강 및 이를 검증하는 시험의 통과를 통해 획득이 가능하다. 즉, 기술사 자격증의 유지를 위해 토목학회가 제공하는 교육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엔지니어들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와 비슷한 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나, ASCE의 경우 인터넷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온라인교육 제도가 정착되어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보였다. 아울러 교육기간량의 세부전공 프로그램을 수강한 엔지니어들에게 (1) 토목공학 일반, (2) 지반공학, (3) 수자원공학, (4) 해안/항만/항해 공학, 총 4분야에 걸쳐 “Professional Specialty Certificate” (세부전공 인증서)를 수강생들에게 수여함으로써 전문성을 제고하고 있다. 미국토목학회의 Continuing Education은 제공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되어 엔지니어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1) Live Webinars

세부전공의 한 토픽(예: 유사이송, 홍수통제 등)에 관심이 있는 4인 이하의 엔지니어들이 한 위치에 모여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강사에게 60분에서 90분 가량의 강의를 받는 형식이며, 수강생들은 1에서 3 PDH(Professional Development Hours, 전문과목수강학점)를 수여 받음. 2013년 8월 현재, 총 191개의 수업이 제공되고 있음

2) On-Demand Webinars

Live Webinar와 비슷하나, 실시간으로 강사가 강의를 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녹화된 Live Webinar를 통해 강의를 진행함. 1인이 수강하는 것도 가능함. 제공 과목수는 총 717개로 방대함

3) Face-to-Face Seminars

강사가 10여명의 엔지니어들이 모인 곳으로 직접 찾아가 교육하는 방식으로, 2013년 8월 현재 143여개의 수업이 제공되고 있음. Live Webinar와의 차이점은 직접 강사에게 강의를 받는다는 점, 습득 가능한 CEU가 높다는 점임(1.4-2.4 CEU 습득가능, 14-24 PDH에 해당)

4) Live P.E. Exam Review

Live Webinar로 미국 기술사 (PE) 시험을 치르는 수험생들에게 필요한 과목들이 제공됨. 1인 수강 가능하고, (1) 12개 기본 강의 코스, (2) 17개 심층 강의 코스, (3) 구조공학 세부전공 추가 강의 코스, (4) 환경공학 세부전공 추가 강의 코스 등, 총 4 가지로 분류되어 제공됨

다음 표에 미국토목학회의 Continuing Education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수자원 관련 수업들을 요약하였다. 총 113개의 온/오프라인 수업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동일한 내용을 가진 중복된 수업들을 제외하면 총 42개의 수업이 제공되고 있다.

102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표 2.21 미국토목학회에서 제공하는 수자원 관련 온/오프라인 수업

연번 영어 수업명 한글 수업명1 Advanced Bridge Hydraulics with HEC-RAS HEC-RAS를 사용한 교량수리학 (고급)

2 Advanced Culvert Hydraulics with HEC-RAS HEC-RAS를 사용한 암거수리학 (고급)

3 An Introduction to HEC-HMS HEC-HMS의 소개

4 An Introduction to HEC-RAS Culvert Hydraulics HEC-RAS를 사용한 암거수리학 (기초)

5 An Overview of Unsteady Flow Simulations Using HEC-RAS HEC-RAS를 사용한 비정상흐름의 모의

6Avoiding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Poorly Planned Growth on the Provisions

of Water and Sewer Service

잘못된 개발계획이 상하수도 서비스에 미치는 경제적 피해를 피하는 방법

7 Bridge Scour Computations With HEC-RAS HEC-RAS를 사용한 교각세굴 모의

8 Calculation and Use of Time Concentration 유역 집중시간의 계산과 사용

9 Construction Stormwater BMPs 홍수방지 저영향개발

10 Creating Design Storms for Rainfall-Runoff Models 설계강우 산정법

11 Culvert Analysis Using FHWA HY8 Software FHWA HY8 를 사용한 암거 분석

12 Culvert Design for Fish Passage- Concepts and Fundamentals

물고기의 이동을 위한 암거의 설계 – 기본개념

13 Culvert Design for Fish Passage- Design Steps and Examples

물고기의 이동을 위한 암거의 설계 – 설계단계와 예시

14 Design of Erosion Control Measures for Small Channels 소규모 하천에서의 침식방지 방법

15 Design of Erosion Control Measures Using RipRap RipRap을 사용한 침식방지방법

16 Designing for Flood LoadsUsing ASCE 7 and ASCE 24

ASCE7과 ASC24를 사용한 홍수저감 설계법

17 Designing Water Balance Covers 물수지 유지를 위한 설계법

18 Estimating Flood Flows Using Regression Methods 회귀법을 이용한 홍수량 산정

19 Floodplain Mapping Using HEC-GeoRAS RAS Mapper

HEC-GeoRAS와 RAS Mapper를 사용한 홍수지도 작성법

20 Geometry Pre-Processing in HEC-RAS HEC-RAS의 기하 전처리 방법21 HEC-RAS Bridge Hydraulics HEC-RAS 교량 수리학

22 HEC-RAS On-Demand Webinar Package HEC-RAS 강의 패키지

23Hydrologic Trespass and Nuisance

Considerations in Stormwater Management Design

홍수 저감 설계에 있어 고려해야 할 수문학적 침해 및 분쟁요소

Page 11: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103

표 2.21 미국토목학회에서 제공하는 수자원 관련 온/오프라인 수업(계속)

연번 영어 수업명 한글 수업명

24 Innovative Water Supply Strategies for Sustaining Environmental Health

지속가능한 환경 유지를 위한 혁신적 물공급 전략

25 Introduction to Runoff Analysis Using Unit Hydrographs 단위유량도를 사용한 유출량 분석

26Preparing and Implementing

Construction Site Storm Water Pollution Prevention Plans

건설현장에서 홍수 발생시 환경 오염방지를 위한 계획 및 실행법

27 Project Planning On-Demand Webinar Package 프로젝트 계획 강의 패키지

28 Runoff Analysis Using WinTR-55 WinTR-55를 사용한 유출량 분석

29 Seismic Assessment and Design of Sewers 하수도 설계시 지진위험성 분석

30 Storm Water Management Alternatives for Small Commercial Sites

작은 상업지구를 위한 대책홍수저감 기법

31 Stormwater Constructed Wetland Design 홍수를 이용한 습지의 설계

32Stormwater Infiltration Basin Design -

Design Considerations and Example Projects

홍수의 지하 침투를 위한 유역 설계설계시 고려사항과 설계 예시

33 Stormwater Management On-Demand Webinar Package 홍수 저감 설계 강의 패키지

34 Subsurface Flow/Gravel WetlandsThree Design Examples 지하수/자갈 습지–설계 예시

35Sustainability in Biosolids TreatmentSan Antonio's Commercial Biosolid

SolutionBiosolid 처리와 지속가능성

36 Sustainability On-Demand Webinar Package 지속가능 개발 강의 패키지

37Tractive Force Analysis and Design

Key to Better Self-Cleansing in Gravity Sanitary Sewers

인력 분석과 설계중력 하수시스템에서 개선된 자가 세척을

위한 방법

38 Understanding HEC-RAS Errors, Warnings and Notes HEC-RAS의 에러 및 경고의 이해

39 Understanding the Use of Ineffective Flow Areas in HEC-RAS HEC-RAS에서 비영향면적의 이해

40 Use of Geosynthetics for Waterproofing Critical Hydraulic Structures

방수가 중요한 수공구조물에서 Geosynthetics의 사용

이러한 미국토목학회의 수업내용을 분석한 결과 수자원 관련 수업들이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04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1) 수공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를 동시에 아우르는 강의 다수 존재유역수문학 및 하천공학과 관련하여 미국 수자원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툴 (HEC-RAS, HEC-HMS, FHWA 등) 의 자세한 사용법과 그 이론적 배경을 다루는 강의가 총 42개의 과목 중 13개로 전체 과목의 약 30%를 차지하였다.

이 과목들의 내용을 살펴보면 대학 학부과정에서 시간의 제한으로 미처 다루지 못한 소프트웨어의 자세한 기능들(예를 들어 다리, 컬버트, 비정상성 흐름, 교각세굴, Ineffective Area, HEC소프트웨어와 GIS의 연계 등)의 이론적 배경과 툴의 실질적인 사용법에 대한 것들이었다. 이는ASCE가 수공학의 다양한 분야에 대하여 이론적/실무적 지식을 다루는 수업을 제공함으로써 학계와 산업계 사이의 가교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방증한다.

2) 다수의 친환경 및 지속가능성 관련 수업 제공총 42개의 수업 중, 환경친화적이며 지속가능한 수공 설계와 관련한 수업이 총 7개로써 전체의 약

17%를 차지하였다. 도시화의 수공학적 부작용을 최소화 하는 저영향개발, 생태의 다양성을 극대화 하는 습지의 설계, 물고기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관거의 설계와 관련한 과목이 있었다.

이는 ASCE가 기본적인 수공구조물의 설계와 아울러, 환경의 보호 및 지속가능한 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엔지니어의 역할을 함양하는 것도 중요하게 다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ASCE의 교육과정이 가지는 장점과 우리나라의 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고유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연구에서 목표로 하는 수자원 및 관련 방재 분야 전문가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구축을 위해 도입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1) 기술사 제도와의 연계를 통해 전문교육과정 이수를 필수화하고 있다.(2) 제공하는 전문교육과정의 수업이 토목의 세부전공의 모든 분야에 대하여 제공되며, 그 수도

300여개로써 방대하다.(3) 우리나라의 경우 세부전공 학회 위주로 교육이 편성되어 있고 특정 주제에 대한 세미나 형식

으로 체계적이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나, 미국토목학회의 경우 교육과정을 학회에서 중앙집중형으로 제공하고 있다.

(4) 인터넷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수강생들이 원하는 경우 인터넷이 있는 경우라면, 언제 어디서나 수업의 수강이 가능하도록 조치하고 있다.

ASCE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장점들을 다음과 같이 국내 적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1) 방대한 수업의 콘텐츠를 구축하고, 이를 기술사 및 기사 자격증과 본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을 연계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2) ASCE 제공 수업들의 경우, 산업계에서 실무적으로 필요로 하는 주제들이 잘 파악되어 이를 중심으로 수업이 편성되어 있다. 또한, 주제를 세분화하고 이에 대한 심층적인 이론 및 실무적인 지식들을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기초 단계인 수업 콘텐츠 결정 단계부터 산업계의 요구를 활발히 수렴하여야 할 것이며, 수업의 질 또한 해당 분야 국내 최고의 전문가를 초빙하여 최고급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3) 제한된 수강인원만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조치하고, 수업 제공 후 수강생들의 이해 및 숙지의 정도를 검증할 수 있는 시험을 실시하여 통과한 인원에 대하여만 교육학점을 인증함으로써, 교육학점확보자와 미확보자가 차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age 12: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105

2.2.2 미국 공병단 (US Army Corps of Engineers)

미국 공병단(이후 USACE)의 경우 Learning Center를 통해 수자원을 비롯한 토목 및 방재의 종합적인 분야에 걸쳐 방대한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HEC-RAS 및 HEC-HMS를 개발한 USACE의 산하기관인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이후 HEC) 에서는 수자원 전문인으로서 요구되는 필수적인 주제에 대한 21개의 short-course들을 제공하고 있다.

다음의 표에 USACE-HEC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을 요약하였다. 확인이 불가능한 몇몇을 제외한 대부분 교과목의 교육기간은 4박5일 36시간이었으며, 수강인원 한도는 18~30명 사이였다. 수강료는 $2,500에서 $3,190 사이였다. 모든 수업은 USACE-HEC의 본사가 위치한 California-Davis에서 진행되고 있다.

표 2.22 미국 공병단에서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

Short-course 제목 수강비 교육내용

Advanced 1D/2D Modeling with HEC-RAS

$3,190 HEC-RAS 고급 사용법. 2차원모의를 위한 지형모델링, 2차원 계산 격자 생성법, 2차원 흐름면적에 대한 경계조건 산정법, 1차원/2차원 모델링 결과사이의 연계 등.

Advanced Applications of HEC-HMS

N/AHEC-HMS를 사용한 분산형 수문모형 구축방안, 토양수분 정밀모의방안 등, 기초 HEC-HMS 코스에서 다루지 않았던 내용을 다룸.

Advanced Steady Flow Analysis with HEC-RAS

$2,915HEC-RAS를 사용한 1차원 모의. 다리, 컬버트, 수문, 위어 등의 수공구조물 모의, 사류, 혼합류 모의, Geo-RAS와의 연계방법 등을 다룸

Consequence Estimation with HEC-FIA

$2,700제방, 수로, 저수지 등 홍수 피해 완화 프로젝트에 대한 경제적 손실을 분석하기 위한 HEC-FIA를 다룸. 다양한 공간적 특성에 따라 H&H를 생성하고, 지역의 경제 및 농업의 종류에 따라 변수를 입력하는 방법을 강의와 사례들을 통해 다룸.

CWMS Modeling for Real-Time Water

Management$2,805

수문학과 수리학적 모델에서 CWMS의 사용법을 다룸. 실제 모델 변수의 최적화와 검증. 모델 구축, 수문기상학의 적용 가능성 평가, 저수지 운영에 있어 실제 가능한 시나리오를 통한 개선 방법을 다룸.

Flood Frequency Analysis $2,695이론적 빈도 분석 기초와 "Guidelines for Determining Flood Flow Frequency“에 포함된 빈도해석 방법 및 HEC-SSP를 사용한 빈도해석 방법을 다룸.

H&H for Dam Safety Studies $2,790댐 안정성의 수문학적 분석을 목적으로 함. 가능최대강수량, 가능최대홍수량의 개선, 부등류로 인한 댐 경보, 홍수 범람지도, 홍수 경보 시스템의 구축 등을 다룸.

Hydrologic Analysis For Ecosystem Restoration

$2,805생태계의 복원에 있어 수문학자들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고려한 계획과 설계에서 필요한 다양한 지식을 제공.

Hydrologic Engineering Applications for GIS

$2,725 수문 모의를 위한 데이터 및 모형 구축, 그리고 모형 모의의 결과 분석에 있어 GIS를 활용하는 방법을 다룸.

Hydrologic Modeling with HEC-HMS

$2,805

수문학 모델링에 대한 소개와 강우, 침투, 표면유출, 홍수추적, 매개변수 산정 등을 통하여 HEC-HMS를 사용해 유역 수문현상을 모의하는 것에 대한 지식 제공. 다양한 가상의 시나리오로 구성된 각각의 수업들은 수문학적 모델링의 구축, 도시화 영향 분석, 하천 유량의 변화 평가, 저수지 영향 조사 등을 심층적으로 다룸.

106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표 2.22 미국 공병단에서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계속)

Short-course 제목 수강비 교육내용

Reservoir System Analysis with HEC-ResSim

$2,730

컴퓨터 모의를 통하여 저류 시스템을 연구 및 분석하는 방법을 제공. 저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HEC-ResSim를 통해 홍수 조절, 상수도, 수력발전과 다목적댐 조작 방법 등을 다룸.

Risk Analysis For Flood Risk Management

$2,800

홍수 피해 완화 프로젝트를 위한 위험도 분석에 대한 소개. 유량, 수위, 피해에 있어서 불확실성을 결정하는 방법론을 제공하고, 프로젝트의 규모와 이러한 변수에서 불확실성을 고려한 비용계산의 방법을 다룸.

Sediment Transport Analysis With HEC-RAS

$2,985

하천에서의 유사이송의 1차원적 수리 모델링을 위한 강좌. HEC-RAS의 유사량 추적 기능, 하상의 움직임 분석에 초점을 맞춤. 모델 구축, 계산 수행, 결과의 시각화 방법 등을 포함.

Statistical Methods in Hydrology

N/A 홍수 피해감소, 생태계, 급수계통의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통계적 방법에 대한 지식을 제공.

Steady Flow with HEC-RAS $2,530개수로 정상 흐름의 개념을 배움. 정상 흐름의 분석을 위해 요구되는 자료, HEC-RAS 입력 자료, 교량과 암거 추적, 수로 변형 분석, 홍수로 결정, 출력 분석을 포함.

Unsteady Flow Analysis with HEC-RAS

$2,595 개수로의 부정류의 점차적인 변화의 1차원적 분석을 위한 HEC-RAS 프로그램의 사용에 초점을 맞춤.

Water Data Management with HEC-DSSVue

$2,680

HEC-DSSVue와 관련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HEC-DSS의 공학적 자료 분석, 관리, 개발을 제공하는 자세한 지침. HEC-DSS는 수리학, 수질, 홍수 피해 분석을 포함한 다양한 응용보조를 위한 편리한 데이터 저장 체계를 제공.

Water and the Watershed $2,900

이 과정은 유역에서의 수문학적 분석을 위한 개념적, 기술 및 제도 관련 지식 및 관리를 위한 컴퓨터 모델, 및 데이터 확보 방법을 다룸. 유역 수문학의 각 과정들을 분석 하기 위한 모델 구축 방법 및 결과 분석을 위한 GIS와 데이터 관리 도구들에 대한 강의를 포함.

Water Quality Modeling with HEC-RAS

$1,695HEC-RAS를 통해 수온, 수질 연구를 수행하는 공학자들에게 필요한 지식을 다룸. 다음과 같은 주제를 포함함: 정상류, 부정류의 수리학적 계산, 수온 모델링, 강가의 그늘진 곳의 영향, DO와 BOD, 영양 순환 모델링.

Water Resource Analysis Using HEC-WAT

$2,910

공학, 경제학 전문가들의 작업을 종합하고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유역 분석 툴인 HEC-WAT의 사용법을 다룸. 수문학적 분석, 수리학적 모델링, 저수지 시스템 분석 등의 결과를 종합하여 종합적인 수자원의 분석을 위해 필요한 지식을 다룸

Page 13: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107

USACE-HEC에서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모든 과목이 4박 5일, 36시간에 걸쳐 수업이 제공되며, 이는 우리나라 공과대학의 한 과목이 주 3시간, 15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대학의 한학기의 강의 분량에 해당하는 집중과정이다.

(2) 대부분 프로그램의 주제가 대학에서 강의시간의 한계로 인하여 다루기 힘들면서도 실무에서 그 필요성 및 활용성이 매우 높은 내용들을 다루고 있어, 산학간의 빈틈을 충실히 매우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3) 각 과목내의 소주제(예를 들어 Advanced HEC-HMS과목의 Parameter Calibration 소주제)에 대하여 1-2시간 정도의 이론에 대한 자세한 강의, 그리고 그 이론을 실제로 모형 구축 및 모의에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는 2-3시간 내외의 실무 워크샵이 결합된 형태로 강의가 제공되어 수강생의 교육효율을 극대화하고 있다.

(4) 모든 과목은 그 수강자가 과목의 내용에 대한 초보자 수준에서 시작하여 실무에 즉시 투입될 수 있을 정도의 전문적 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3 교육 활성화 방안

지금까지 국내외 관련 전문 교육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장래 수자원 분야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들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것으로 판단되었다.

(1) 우리나라에서 “수자원”라는 구체적인 주제를 가지고 제공하는 체계적인 전문교육 프로그램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주제와 관련한 전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에 따른 전문가의 지속적인 양성은 중장기적으로 수자원 분야의 사회적 요구를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특정 분야의 세부적인 지식을 전달하기 보다는 전문가 육성을 목표로 하는 체계적이며 방대한 커리큘럼을 구축하는 방안이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해 도움이 되리라 판단된다. 이와 관련하여, 처음부터 방대한 커리큘럼의 구축을 목표하는 것 보다는 구축되는 수업들을 하나씩 온라인 콘텐츠화 하여, 제공될 수 있는 수업의 개수를 순차적으로 늘리는 방안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안을 통해 온라인 수업이 가능해진다면 별도의 인력 및 비용 투자 없이 수강생들의 수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3) 수자원 전문가 양성을 위한 단기 교육프로그램은 단일 대학교 등에서 다루기에는 그 다양성의 범위가 다소 넓어 다학제간의 협업이 필수적이므로, 수자원 분야의 산/학/연 전문가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IHP 사업 차원에서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하는 편이 교육 프로그램의 전문성을 확보하는데 있어 좋은 방안이 되리라 판단된다.

이와 같은 연구 내용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수자원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 운영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 기본 방향• 국내대학과 교육연계로 공동협력• R&D 연구기관과 교육연계추진• 정부와 업계의 지원, 협력 추진• 산학연의전문가에 의한 우수한 교육과정 및 강사진 구축

108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 고려 사항모든 교육과정 개발과 강의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은 대학교수, 해당업체 전문종사자, 관련 연구소

담당 연구원, 행정기관 및 관련 교육계에서 풍부한 경력을 쌓은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교육수요자의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교육과정과 교재개발에 있어서 기초과정 및 심화과정의 개발, 외국 유수 교육, 연구기관의 첨단교육 프로그램 제공, 산업현장 실무교육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 집체 강의 뿐만 아니라 실제 체험실습, 문제해결형 그룹토의 등 다양한 교육방법으로 진행하여 실무적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지속적인 수자원분야 전문인력 관리를 위해 해당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인력공급의 허브역할을 수행하고 전문인력에 대한 해당 사업체의 진출을 적극 지원하는 방향으로 교육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수자원학회의 지속가능한 자립운영을 위해서도 차별화된 수자원 전문인력 교육기회 제공, 대학 등 교육기관과 연계교육 사업 개발, 수공학 전문기술 활용 워크숍 운영, 교육수요자의 평가를 반영한 교육과정 개발 등에 역점을 두어 추진해야 한다.

표 2.23 교재 개발방향 및 기대효과

교재 개발방향 기대효과

초급과정, 심화과정, 전문과정 등 단계별 교재를 개발 ★ 수준별 적합한 선택 단계별 수강기회제공

실무에 사용하는 양식,사양서 및 계산식을 최대한 제공 ★ 교육의 질을 높이고 맞춤형 교육효과

회사의 실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매뉴얼 수준으로 개발 ★ 교재활용도 제고

수행사례를 교재로 개발. ★ 실무형 교재

Page 14: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109

3. 수자원 분야 대중화를 위한 출판 활성화 방안

3.1 국내 사례

3.1.1 통계청 ‘어린이 통계만화’

통계청은 초동학교 4-6학년 어린이들 대상으로 통계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교육하여 어릴 때부터 일상생활 속에서 통계를 친근한 것으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어린이 통계만화’를 출판, 보급했다. 주요내용은 통계란 어떤 것인지, 우리의 생활 속에서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 우리는 어떻게 이용할 수 있으며, 어떻게 보고 해석해야 하는지 등을 쉽게 설명하고 있다.

교재 형식은 도입부에서는 통계의 친화성을 높이기 위해 만화를 사용하고 본문에서는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캐릭터를 사용하여 tip을 달아 설명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페이지마다 흥미유발을 위한 일러스트를 활용하여 가독성을 높이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통계청은 국가통계를 활용하는 교재를 보급함으로서 통계청을 홍보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또한 통계청 홈페이지 웹페이지를 삽입하여 어린이 교육에 통계가 깊숙이 관련되어 있음을 알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그림 3.1 통계청의 어린이 대상 통계 만화

3.1.2 소방방재청 ‘우리나라에도 지진이’

소방안전분야의 경우 5개년(’05-’09년)에 걸쳐 총사업비 19억원을 투입, 연령별 교재 제작(유아/ 초등 저・고/ 청소년/ 성인 등 5단계) 완료, 순차적으로 교재 증보판 개발 및 지도서 제작 배포했으며 지난. ‘11.3.11. 일본 동북지방 대지진 계기, 지진・지진해일 재난대응 교육 강화를 위해 최우선적으로 초등학생용 교재를 개발했다.

지진・지진해일 재난대응을 위한 교재의 경우 학년별 사고 및 행동수준을 고려, 학습내용의 난이도, 구성에 따른 저/고학년용으로 구분하여 실제상황 발생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행동요령 연습 및 체험 중심으로 구성하고 있다.

110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주요 내용은 지진・지진해일의 발생원인, 크기(규모), 현상, 국내외 피해사례, 상황별 행동요령, 평시 대비요령 및 비상용품 목록, 우리동네 지진・지진해일 대피장소・대피로 알기 등의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교사(학부모)용 초등학생 지도자료 개발하여 교육자료의 의도와 원칙, 강의내용의 구성과 강의지침, 강의교안, 보조교재 및 관련 자료를 수록하여 교과과정 일반과목 수업시, 가정 등에서 연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소방방재청은 초등학교 및 지자체에 초등학생 교육자료를 보급함으로서 각종 지진, 지진해일 대비 훈련 홍보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그림 3.2 소방방재청의 어린이 대상 지진과 지진해일 소개 책자

3.1.3 한국콘크리트 학회

한국콘크리트 학회는 다음과 같이 콘크리트 전문 정기간행물 및 출판물을 발간하고 있다. 시방서, 설계기준 등 주로 전문서적 위주로 지금까지 총 27권을 출판하고 있으며 학회 홈페이지에서도 도서구입을 할 수 있다.

• 콘크리트학회지, 논문집, 영문논문집 발간 • 콘크리트표준시방서 및 구조설계기준 발간 • 콘크리트 전문도서 발간• 건설 제기준 발간

Page 15: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111

그림 3.3 한국콘크리트학회 출판 도서 예

3.2 해외 사례 조사

3.2.1 미국 토목학회 출판 사례

미국 토목학회는 토목의 전 분야에 걸쳐 1,500 여권에 이르는 방대한 출판물을 간행하였다. 출판물의 내용은 설계 시방서, 설계 기준 해설 및 설계예제, 전문위원 보고서, 학회 간행물이 주를 이루었다. 이중 수자원 분야에서 출판된 간행물은 총 194편이었으며 그 구성은 다음 그래프와 같다.

그림 3.4 미국 토목학회 출판 수자원분야 E-books 대분류별 서적 개수

수공학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설계 및 시공예제를 다루는 실용지침서가 105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자원 관련 학회 프로시딩 모음집이 67권, 설계시방서가 14권, 교육관련 서적

112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이 8권으로 그 뒤를 이었다.다음 그림은 미국토목학회에서 출판한 수자원분야 E-book의 연도별 출판물의 누적개수를 보여주

고 있다. 1975년부터 시작한 미국토목학회에서 수자원 분야 출판활동은 1997년부터 급격히 상승하였다. 1997년 이전에는 2-3권 정도의 출판물이 새로 출간되었던 반면, 이후에는 10권 내외의 출판물이 꾸준히 새로 발간되고 있다.

그림 3.5 미국 토목학회 연도별 수자원분야 출판물 누적 개수

1) 실용지침서수공학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설계 및 시공예제를 다루는 실용지침서가 105권

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수공학 분야 출판 규모와 비교하였을 때 방대한 규모이다. 표 3은 105권의 실용지침서를 내용별로 구분한 결과이다. 하수도의 환경적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수처리 방법을 다루는 서적이 총 14권으로 가장 많았으며, 지하수 이용에 있어 필수적인 사항들 (대수층 분석방법, 모니터링, 오염물질의 확산 및 정화 등)을 다루는 서적이 12권으로 그 다음을 이었다. 댐, 수로, 하천에 건설되는 시설물의 설계 방법 및 예시를 다루는 서적이 총 7권, 수공관련 시설물의 유지 및 관리 방법을 다루는 서적이 총 7권, 수자원 활용을 전반적으로 다루는 서적이 7권이었다. 수자원 관련 방재를 다루는 서적들은 총 6권이 있었다. 다음 표에 미국토목학회에서 발간하는 모든 실용지침서들의 내용을 요약하였다.

표 3.1 미국 토목학회 출판 실용지침서의 내용별 분류

내용별 분류 서적개수 내용별 분류 서적개수수처리 14 관개 4

지하수 12 홍수방재 3

하천시설 7 해안 3

시설물관리 7 에너지 3

수자원활용 7 환경 2

유사이송 및 퇴적 6 소프트웨어 활용 2

방재 6 물환경 2

물분배 6 하천환경 1

하천수리 4 시설물 관리 1

물공급 4 가뭄 1

기후변화 4

Page 16: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113

표 3.2 미국 토목학회 출판 실용지침서 요약

영문제목 출판년도 내용 내용

Inland Navigation 2013 하천에서 배가 다닐 수 있도록 하천을 개보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

하천수리

Pipelines for Water Conveyance and Drainage 2013 통수와 준설을 위한 11 가지의 파이프의 공학적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천시설

Agricultural Salinity Assessment and Management 2012 농업용 개수와 물분배 및 물공급을 위해 물의

염도를 측정하고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 관개Concentrate Management in

Desalination 2012 해수 담수화로 인해 오염되는하천의 제어 방법을 설명

하천환경

Desgin of Urban Stormwater Controls 2012 통상적인 홍수 제어 방법과 녹색 홍수 제어방법을

함께 구현하는 방법을 주로 다룸홍수방재

Membrane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s 2012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멤브레인의

효과적인 사용 방법을 다룸 물환경Sea Level Rise and Coastal

Infrastructure 2012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한 예견 및 위험 및 해결방안을 설명

기후변화

Toward a Sustainable Water Future 2012 21 세기의 환경과 수자원 상태를 바라보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은 2050 년 비전에 관한 설명기후변화

Water Control Gates 2012 수문 제어 관련 기술 및 정보에 대한 설명 시설물관리

Water Treatment Plant Design 2012 물처리 시설에 관한 포괄적인 지침서 수처리Groundwater Quantity and

Quality Management 2011 수량과 수질의 상호관계에 초점을 맞춘 지하수 관리방안 서술 지하수

Guidelines for the Physical Security of Water Utilities

and of Wastewater/Stormwater Utilities (57-10)

2011폐수 처리 및 폭우 시스템 뿐만이 아니라 음용수 자원, 처리, 분배 시스템에 관한 시설의 안전에

관한 설명시설물 관리

Sediment Dynamics upon Dam Removal 2011

댐들이 수로에 의해 제거 되었을때 침전물 움직임에 관한 수치적, 물리적 모델링에 관한

지침을 제공유사이송 및 퇴적

Selected Coastal Engineering Papers of Robert L. Wiegel 2011 Robert L. Wiegel 이 57 년간 가르치고 연구한

해안공학에 핵심 기술정보들을 제공 해안

Bioenergy and Biofuel from Biowastes and Biomass 2011

Biowastes 와 Biomass 로 부터 얻어진 생물 연료와 에너지에 관련한 깊이있는 기술 정보를

설명 에너지

Design of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Fifth Edition2010 도시수처리시설에 관한 포괄적인 설명과 설계 및

시공 예제 수처리

Guideline for Monitoring Stormwater Gross Solids 2010 홍수시 거대 부유물 제거를 위한 표준화된 절차 및

관련 자료 모음홍수방재

So, You Live Behind a Levee! 2010 미래 홍수 위험으로 부터 자신을 지키는 방법을 설명

홍수방재

Standard Guideline for the Geostatistical Estimation and

Block-Averaging of Homogeneous and Isotropic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54-10)

2010 지질학적 추정에 초점을 맞추어 수리학적 전도성, 지하수 모수의 핵심에 관한 이해 및 특징을 설명 지하수

Sustainable Wastewater Management in Developing

Countries2010

말레이시아, 태국 등 다른 나라에서 영감을 받은 폐수처리 및 관리 개선 및 혁신에 대한 경험을

설명수처리

TMDLs in the Urban Environment 2010 도시환경에서의 독성물질을 다룸 물환경

2009 Report Card for America's Infrastructure 2009 사회기반시설 등급 평가법을 다룸 시설물

관리Buried Flexible Steel Pipe 2009 플렉서블 강관의 분석 및 구조적 설계에 관한 정보 물공급

Comprehensive Transboundary Water Quality

Management Agreement2009 포괄적인 수질 향상 계획 및 수자원 관리를 위한

방법을 다룸수자원활용

Field Guide to Environmental Engineering for

Development Workers2009 개발 지역에서의 올바른 기술의 실행에 필요한

도구들을 제공 환경

114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표 3.2 미국 토목학회 출판 실용지침서 요약(계속)

영문제목 출판년도 내용 내용

Low Impact Development 2009 LID 기법을 사용한 지속적인 폭우 관리법에 대한 설명 방재

Marine Outfall Construction 2009 해양 폐수의 처리 및 배출구 건설에 관한 지침서 수처리Nanotechnologies for Water Environment Applications 2009 나노 기술의 환경적인 효과 뿐만 아니라 나노

물질의 특징과 종합체의 현 실태에 관한 설명 수처리River Training and Sediment Management with Submerged

Vanes2009 하상구조물을 통한 Sedimentation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다룸유사이송 및 퇴적

Sustainable Sludge Management 2009

바이오 플라스틱, 효소, 비료 같은 가치있는 슬러지의 생물 변환에 관한 현재 추세 및 최근

정보를 설명수처리

The Role of Technology in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2009 과거와 현재, 물 자원 계획 및 관리 기술의

영향력에 대해 설명수자원활용

Verification and Validation of 3D Free-Surface Flow

Models2009 자유 지표수 흐름을 모의 실험한 모델을 통해

새로운 엄격하고 조직적인 분류 확인 절차를 설명하천수

리Natural Processes and

Systems for Hazardous Waste Treatment

2009위험한 합성물의 희석을 통한 다양한 자연적 처리법과 저렴한 자연적 시스템 안에서 이 처리법들을 적용시킬 방법에 대해 설명.

수처리

Sedimentation Engineering (2-Book Set) 2008 침전 과련 문제와 이에 대한 조사 방법, 해결을

위한 실용적인 접근법을 설명유사이송 및 퇴적

Sedimentation Engineering (Manual 110) 2008 침전 공학에 특화된 분야에서 이에 관현한 조사,

측정, 분석의 폭넓은 진척상황을 설명유사이송 및 퇴적

Standard Guideline for Fitting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Using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and for Calculating the Effectiv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2008 지하수 흐름과 오염물 이동의 정확하고 효과적인 측정을 통한 수리학적 전도성을 설명 지하수

Treatment System Hydraulics 2008 수처리에 있어 사용되는 수리학적 지식을 다룸 수처리Appropriative Rights Model

Water Code 2007 현존하는 물 배급법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법의 요체에 관한 설명 물분배

Civil Works for Hydroelectric Facilities 2007 수력 전기 시설에 재건 기술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 에너지Energy Production and Reservoir Water Quality 2007 에너지 생산과 저수지 수질 간의 관계에 관한 조사 에너지

Gravity Sanitary Sewer Design and Construction 2007 중력 하수 시스템의 설계와 시공에 관한 이론과

실례 수처리Remediation Technologies for

Soils and Groundwater 2007 오염된 지역의 정화에 사용된 종래의 공학적 처리와 기술에 대한 종합적이고 철저한 검토 지하수

Risk and Reliability Analysis 2007 토목, 환경공학에서 널리 퍼진 문제점에 대한 위험과 신뢰도를 분석

위험도분석

The New Orleans Hurricane Protection System 2007

허리케인 Katarina 에 의한 발생한 직접적이고 물리적인 피해와 방재 시스템의 실패 원인을

분석방재

BMP Technology in Urban Watersheds 2007 도시유역 운영에 사용된 BMP 사례 방재

Climate Variations, Climate Change, and Water Resources

Engneering2007 기후변화와 수자원공학의 상호관계에 대한 개요 기후

변화

Design for Dry Feet 2006 네덜란드의 수세기를 걸친 물의 통제와 운영에서의 독특한 도전을 탐구하고, 공학적 랜드마크를 다룸

수자원활용

Guidelines for Cloud Seeding to Augment Precipitation 2006 인공강우를 위한 기술을 다룸 가뭄

Sharing Water in Times of Scarcity 2006 효과적으로 공유된 수자원 운영에서의 이론과

실례를 연결, 결합 물분배

Page 17: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115

표 3.2 미국 토목학회 출판 실용지침서 요약(계속)

영문제목 출판년도 내용 내용

State Water Resources Planning in the United States 2006 1986 년부터 State Water 계획의 특징과 경향을

분석수자원활용

Animal Waste Containment on Lagoons 2005 축산폐기물 운영에 대한 종합적인 관점과 조사

기술에 대한 지침 제공 수처리Artificial Neural Networks in

the Supply Engneering 2005 인공신경망 (ANN) 기술의 상수도 공학 문제에 적용에 대한 검토 물공급

ASCE Standardized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quation 2005

품질검사와 통제된 기후 자료를 얻기 위한 절차와 기후 자료로부터 참고증발산을 계한하는 표준화된

방정식을 제공관개

Biological Nutrient Removal (BNR) Operation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s2005

다양한 환경에서 생물학적 영양소 제거 (BNR)를 최대한 좋게 만들기 위한 이론, 장비, 실제

기술을 서술수처리

Hydraulic Structures 2005 현장에서 일어날 법한 이론과 그의 적용을 소개 하천수리

Hydrosystems Engneering Uncertainty Analysis 2005 지속가능한 hydrosystem 의 설계과 운영의

불확실성 분석의 적용에 초점을 맞춤 방재Natural Attenuation of

Hazardous Wastes 2004 오염된 지역의 정화에 대한 규제력을 지친 체계, 공학적 원리, 자연적 희석의 적용을 제공 수처리

Water Resources Engneering 2004 매일매일 행해지는 수자원공학에서 일반적으로 접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법 제공

수자원활용

Hydraulic Design of Labyrinth Weirs 2003

이론에서 현재 적용까지 레버린스 여수로의 수리학적 설계에 대한 종합적인 안내서 편집과

레버린스 위어의 효과적인 설계 방법 제공하천시설

Long-Term Groundwater Monitoring 2003 지하수 모니터링 관망 설계에대한 방법론의 세세한

서술과 다양한 지반 상태의 실행지침을 제공 지하수Seismic Screening Checklists

for Water and Wastewater Facilities

2003 상하수도 시스템 요소의 지진에의한 취약성을 평가하는 체크리스트 제공

시설물관리

Control of Microorganisms in Drinking Water 2003 상수도에서 미생물 통제하는 기술의 종합적인 조사

제공 물공급Environmental Fluid

Mechanics 2003 환경유체역학 환경GIS Tools for Water,

Wastewater, and Stormwater Systems

2003연구, 예시, 그리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저장, 실행에 관계된 비용을 포괄하는

GIS 의 적용의 단계적인 접근을 제공소프트웨어 활용

Model Water Sharing Agreements for the

Twenty-First Century2002 두 개 이상의 자치기관 간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물 공유 기준과 원칙을 제시 물분배

Riparian Water Regulations 2002 법률 시스템의 최소한의 개입을 통해 물 소비를 효율적이고 공정하게 조절하는 방법을 다룸 물분배

Stochastic Methods in Subsurface Contaminant

Hydrology2002 다공성 매체를 통한 오염물질의 수송을 기존의

방법과 확률적 분석을 통한 방식으로 다룸 지하수

Waterbody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ing 2002 소프트웨어 실습을 통해 수체 유체역학 및 수질

모델링 기법과 다른 모델의 특성을 소개소프트웨어 활용

Groundwater and Soil Remediation 2001

오염 된 토양 및 지하수를 관리하는 기존의 처리 기술에 대해 소개하며 그 설계 방식과 비용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지하수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Organic Pollutants 2001 오염된 대수층의 치료에 사용되는 중요한 기술에

관련 조사 지하수Subsurface Drainage for Slope

Stabilization 2001 사면 안정을 위한 지하 배수 분야에서 최신 방법과 사례에 대하여 설명 방재

Underwater Investigations 2001 다양한 수중 구조물 검사에 대한 레포트 및 현재 사례, 문서 기준을 대표하는 지침등을 제공

시설물관리

Coastal Processes in Tideless Seas 2000 비응집퇴적물의 이동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학을 종합적으로 다룸 해안Conveyance of Residuals from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2000 잔여물의 처리 특성을 결정하고 적절한 운반 시스템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 수처리

116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표 3.2 미국 토목학회 출판 실용지침서 요약(계속)

영문제목 출판년도 내용 내용

Coupled Processes in Subsurface Deformation, Flow,

and Transport2000

다공성 또는 골절 지질 매체에서의 변형, 흐름, 수송의 상호 결합 작용을 나타내는 기본 원리와

분석 및 수치 방법을 설명지하수

Diatomaceous Earth Filtration for Safe Drinking Water 2000 낮은 탁도로 공급되는 수자원을 식수로 처리할 때

규조토 여과에 관련하여 제안 물공급Guidelines for 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s for Monitoring Dam Performance

2000 댐의 모든 유형의 모니터링 성능 계측 및 측정에 대한 유용하고 포괄적인 정보 제시

시설물관리

Hydraulic Modeling 2000 모델 디자인과 유압 모델링 방법의 넓은 사용범위의 대해 설명

하천수리

Using Meteorology Probability Forecasts in Operational

Hydrology2000

날씨에 따른 현상을 예측하고 시공시 리스크를 평가하기 위해 대기 예측을 단순화 하는 방식을

제안방재

GIS Modules and Distributed Models of the Watershed 1999 유역 유출에 대한 가장 유용한 GIS 모듈과 분산

모델을 선택하는 방법 제안소프트웨어 활용

Guidelines for the seismic Evaluation and Upgrade of

Water Transmission Facilities1999 내진 평가 및 물 전송 시설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지침을 제공시설물관리

Potential Climate Change Effects on Great Lakes

Hydrodynamics and Water Quality

1999 호수에서의 유체 역학 및 수질에 기후 변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

기후변화

Stream Stability and Scour at Highway Bridges 1999 스트림의 불안정성과 다리의 세굴 평가의 컨셉을

제안하천수리

Water Resources 1998현재의 환경 법규 및 수자원 계획 간의 조정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며, 수자원 산업의 현재

문제사항을 해결방안 제안수자원활용

Design of Hydraulic Steel Structures 1997 유압 강철 구조물 설계를 위한 LRFD 설계 및

파괴제어에 관한 규정을 제시하천시설

Ground Water 1997 지하수 오염의 발생과 지하수 보호 방법에 관한 일반적인 지질학적 정보를 제공 지하수

Guidelines for Retirement of Dams and Hydroelectric

Facilities1997 댐과 수력발전시설의 은퇴에 적용되는 기술, 방법

및 절차에 대한 설명시설물관리

Regualted Riparian Model Water Code 1997 물에대한 권한으로 인한 충돌문제 해결을 위한

권리 할당제도에 관한 보고서 물분배Structural Design of Closure Structures for Local Flood

Protection Projects1997 내륙지역의 홍수 방지를 위해 제방과 홍수벽 개폐

구조물에 관한 지침하천시설

Fundamentals of Hydraulic Dredging 1996 준설 사업자, 및 관련 직종인들을 위한 용어 및

준설 기본 원칙 교육하천수리

Hydrology Handbook Second Edition 1996 수문학자들을 위한 기본적인 참고자료

(데이터 수집 및 계산법) 수공학Quality of Ground Water

Guidelines for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Frequently

Used Models1996 지하수의 질에 의한 지하수 모델 평가 지침 지하수

Hydraulic Design of Flood Control Channels 1995 미군에서 출판된 기술엔지니어링 및 설계 가이드

(수로의 설계분석 및 설계기준)하천시설

Hydraulic Design of Spillways 1995 미군에서 출판된 기술엔지니어링 및 설계 가이드 (홍수조절이나 다목적댐의 유출시 유압조절한 지침)

하천시설

NAFTA Handbook for Water Resources Managers and

Engineers1995 북미 자유무역협정이 캐나다, 멕시코의 수자원

계획 및 관리에 미치는 영향 설명수자원활용

Coastal Groins and Nearshore Breakwaters 1994 미 육군에 적용된 해변 안정화 지역의 일반적 지침

및 설계 제공 해안Reliability and Uncertainty

Analyses in Hydraulic Design

1993 수공 구조물의 설계 및 안전 신뢰성 분석 하천시설

Page 18: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117

표 3.2 미국 토목학회 출판 실용지침서 요약(계속)

영문제목 출판년도 내용 내용

Management,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s1991 관개 및 배수시스탬의 관리, 운영 전략및 이익

창출을 위한 지침 관개

Risk Assessment for Groundwater Pollution Control 1990 지하수의 오염 및 오염 완화를 위한 방안 및

관리의 중요성 설명 지하수Reliability Analysis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1989 물 배분 시스템의 실효성 분석 물분배

Physics of Sediment Transport by Wind and Water 1988 퇴적물에 관한 Bagnold 의 논문들

유사이송 및 퇴적

Land Application of Wastewater Sludge 1987 수질오염을 하수 슬러지, 토양 슬러지의 작용에

대한 연구 제시 수처리Principles of Project

Formulation for Irrigation and Drainage Projects

1982 관개 및 배수 프로젝트에 대한 계획 및 검토방안 제시 관개

Residential Storm Water Management Objectives, Principles, and Design

Considerations1975 주택 건설자 협회에서 출판 방재

Sedimentation Engineering 1975 수문, 지형, 퇴적, 토지, 환경, 농업관련 엔지니어를 위한 퇴적 공학 교육서

유사이송 및 퇴적

2) 교육 지침서미 토목학회에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지침서를 발간하고 있다. 비전문가들이 수공학분

야에서 이뤄낸 주목할만한 성과들을 소개하는 책자가 많았으며, 고대 잉카문명 등, 수공학의 역사에 대한 소개의 주제를 가지고 있는 서적들도 다수 있었다. 다음 표에 미국 토목학회가 출판한 모든 교육용 책자의 내용을 요약하였다.

표 3.3 미국 토목학회 출판 교육용 책자

영문제목 출판 연도 내용

Water Resources Systems Analysis through Case Studies 2013

학생 대상 교육용 지침서로서, 수공엔지니어들이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해결한 수공학 분야의

10 가지 사례를 설명.H2Oh! 2012 학생 대상 교육용 지침서로서, 학생들이 물과

관련하여 수행할 수 있는 45 개의 예제를 수록Inca Engineering Three-Book

Set 2011 잉카인들이 물자원을 이용한 방법에 대해 설명

Moray 2011치수와 이수에 대한 공학적인 시스템 뿐만 아니라

잉카 모레이에서의 측량 작업에 대한철저한 조사 결과를 설명

Great Rivers History 2009미래의 환경적 요구에 따라 개발과 성장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공학적 도전을세계의 강들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

Great Works on Urban Water Resources (1962-2001) 2006 도시 수자원 개발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둔 업적들을 설명Tipon 2006 저자가 먼 산지로부터 물을 끌어온 사회기반시설인

Tipon 의 수로, 광장, 수도교, 분수를 여행하며 기록Machu Picchu 2000 잉카의 사라진 도시의 수자원활용에 대한 소개

3) 설계 시방서미국토목학회의 분야별 전문위원들은 분야별로 설계 기준 및 시방서를 작성하고, 이를 면밀한 검

118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토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공식적인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출판하고 있다. 미 토목학회는 지금까지 14권의 설계시방서를 출판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표면수/지하수의 이용과 관련된 수공학 분야는 물론, 불분쟁, 수법 분야 등 수공학과 관련한 포괄적인 설계기준을 포함한다. 다음 표에 미국 토목학회가 출판한 모든 설계시방서의 내용을 요약하였다.

표 3.4 미국 토목학회 출판 설계시방서

영문제목 출판 연도 내용

Water Resources Systems Analysis through Case Studies 2013 학생 대상 교육용 지침서로서, 수공엔지니어들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수공학 분야 10 가지 사례를 설명H2Oh! 2012 학생 대상 교육용 지침서로서, 학생들이 물과 관련하여

수행할 수 있는 45 개의 예제를 수록Inca Engineering Three-Book Set 2011 잉카인들이 물자원을 이용한 방법에 대해 설명

Moray 2011 치수와 이수에 대한 공학적인 시스템 뿐만 아니라 잉카 모레이에서의 측량 작업에 대한 철저한 조사결과를 설명

Great Rivers History 2009미래의 환경적 요구에 따라 개발과 성장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공학적 도전을 세계의 강들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 Great Works on Urban Water

Resources (1962-2001) 2006 도시 수자원 개발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둔 업적들을 설명

Machu Picchu 2000 잉카의 사라진 도시의 수자원활용에 대한 소개Guidelines for Development of

Effective Water Sharing Agreements

2012둘 이상의 정치단체가 조화롭게 물을 이용할 수 있는

계약을 수립하고 체결하는데 있어 필요한 기준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

Curve Number Hydrology 2009 폭풍우로 부터 발생한 지표수의 반응을 추정함으로써 곡선계수 방법의 사용, 역할, 적용, 발전 등을 조사

Measurement of Oxygen Transfer in Clean Water 2007 확산된 기체와 기계적 산소포화장치의 산소 전달률을

측정하는 최근의 방법을 설명Standard Guidelines for the Design (12-05), Installation (13-05), and Operation and

Maintenance (14-05) of Urban Subsurface Drainage

2006 도시 지표 밑 하수 시스템의 설계, 시공, 유지에 관한 가이드라인 제공

Standard Guidelines for the Design (45-05), Installation (46-05), and Operation and

Maintenance (47-05) of Urban Stormwater System

2006 도시 우수 시스템의 설계, 시공, 유지에 관한 가이드라인 제공

Standard Pracrice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Supercooled

fog Dispersal Projects (44-05)2005 과냉각 안개 분산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제공

Regulated Riparian Model Water Code (40-03) 2004 강변의 이용과 관련한 수법(water law)의 제정과 수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Standard Practice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Precipitation

Enhancement Projects (42-04)2004 강수량 증가를 위한 이미 개발된 인공강우기술의 적용

Standard Practice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Hail

Suppression Projects (39-03)2003 해일 억제를 위한 가이드라인과 설계지침 제공

Guidelines for Quality Assurance of Installed Fine-Pore Aeration

Equipment(35-01)2002 미세 기공 폭기 장치를 지정하기 위한 기술과 지침을

제공Comprehensive Transboundary

International Water Quality Management Agreement

2001 물에 관련하여 종합 품질 계획 및 공유된 수자원 관리를 위한 최신의 모델 제공

Standard Guidelines for Artificial Recharge of Ground Water 2001 지하수의 인공적인 충전을 위한 기준과 가이드라인

Standard Guidelines for In-process Oxygen Transfrer

Testing1997 산소전송시험의기준과 가이드라인

Page 19: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119

미국 토목학회의 출판물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수공학 분야 출판의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1) 풍부한 설계 및 시공사례집설계 및 시공사례에 대한 심층적인 해설을 수록한 책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필수적이고, 그 대

중적인 수요가 상당할 것이라 판단된다.실무의 수행에 있어 구전을 통한 지식의 전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설계 및 시공사례집은 엔지

니어들이 실질적인 설계 및 시공에 있어 통일된 지식과 노하우를 전달하여, 좀 더 숙련된 전문가들을 양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필수적이다.

요즈음의 공학분야 대학 교육은 학생들에게 이론적인 지식과 아울러, 설계에 대한 기본적인 경험을 얻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실무 수준의 설계 및 시공 경험을 대학 차원에서 전문성 높게 교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교강사진이 참조하여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는 설계 및 시공사례집이 발간된다면 수자원 분야의 설계와 시공에 있어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학생들의 양성이 대학차원에서 가능해지리라 판단된다.

2) 출판물의 질적 완성도 추구미국 토목학회의 경우, 출판물들이 엄격한 동료의 평가(Peer-Review)를 거쳐 내용의 질적 완성도

를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출판물들의 상당수가 실무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출판물의 질적 완성도는 높은 판매량 및 수익과 직결되고, 이는 다음 출판물을 기획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어, 출판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 선택과 집중을 통한 출판의 효율성 제고미국 토목학회의 경우, 국가 및 기업 차원의 재정적 지원이 활발하고, 학회 회원들의 연회비 또한

상당해 출판을 위한 재정적 지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다양한 출판물의 출판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의 상황을 고려하였을 때, 이러한 수준의 출판 활동은 불가능하리라 판단되므로, 수자원계의 출판에 대한 수요를 정밀하게 판단하고, 정해진 출판의 주제에 대한 우리나라 최고의 출판물을 출판하여 효율성을 제고해야 할 것이다.

3.2.2 미국 아마존 출판물 분석

본 장에서는 대중에게 다가갈 수 있는 수자원 출판물의 주제 도출을 위하여 미국의 최대 규모 도서판매사인 Amazon에서 판매하고 있는 관련 출판물의 주제를 조사하였다. 도서 검색을 위하여 “Water Disaster”와 “Flood” 두 개의 주제어를 사용하여 검색된 상위 50개의 서적 중 하천 및 방재와 관련되어 있는 28편의 서적을 도출하였으며, 각 서적의 제목/내용/키워드 및 인기도(사용자 리뷰의 개수)를 분석하였다.

가. 분류별 출판물 수

총 28권의 서적 중, 19편이 과거 단일 재난(예: 허리케인 카트리나 등)에 대한 서적이었고, 재난 발생 시 생존가이드 5권, 홍수 및 허리케인에 대한 과학적인 고찰 1편, 재난 역사 이야기 1편 등이 그 뒤를 이었다.

120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그림 3.6 아마존의 수자원 분야 출판물 수 비교

나. 분류별 서적 인기도

Amazon에서는 각 서적에 대하여 독자들이 리뷰를 남길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 리뷰의 개수가 서적의 인기도를 반영한다고 가정하였다. 생존가이드로 분류된 서적의 평균 리뷰개수는 120.2로 다른 분류로 구분되는 서적에 비하여 압도적인 인기도 및 관심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는 과거 단일재난 이야기의 인기도가 40 내외로 높았고, 재난역사이야기의 인기도는 20 내외를 가졌다. 과학적 고찰을 다룬 서적들의 평균 인기도는 2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다.

그림 3.7 아마존의 수자원 분야 출판물의 인기도 비교

다. 세부주제별 출판물 수

각 서적의 주제를 살펴본 결과, 홍수와 관련된 서적이 총 17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자원 확보, 재난, 허리케인의 주제를 가진 서적이 총 4편이었다.

그림 3.8 아마존의 수자원 분야 세부 주제별 출판물 수 비교

Page 20: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121

라. 세부주제별 인기도

하천/방재 관련 상위 50개 서적에 대한 주제별 인기도 (각 주제에 포함된 서적의 평균 리뷰개수)를 조사한 결과, (물 관련)재난 발생시 생존을 위한 가이드, 과거 극심한 피해를 유발한 허리케인을 다룬 서적의 인기도가 물확보/홍수 등 다른 주제를 다루고 있는 서적의 인기도와 비교하였을 때 압도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그림 3.9 아마존의 수자원 분야 세부 주제별 인기도 비교

마. 홍수 관련 인기서적 Top 10 요약

다음 표에 “홍수”의 주제어를 가진 서적 중 가장 높은 인기도를 가진 서적의 제목/저자/인기도/내용을 요약하였다. 대부분이 허리케인/대홍수 등 과거단일재난을 다루는 서적이었으며, 노아의 홍수를 과학적으로 고찰한 서적이 한편 있었다.

표 3.5 홍수관련 인기 출판물

연번 제목 저자 리뷰수 내용 주제 분류1 Issac’s Storm Larson,

Erik 408 1900년 텍사스 남부허리케인 허리케인 과거단일재난

이야기2 Rising Tide Barry, John

M. 155 1927년 미시시피대홍수 대홍수 과거단일재난이야기

3 The Great Deluge Brinkley, Douglas 140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 허리케인 과거단일재난이야기

4 Noah’s Flood William Ryan 88 노아의 홍수에 대한

과학적 고찰 대홍수 과학적 고찰

5Facing the Wave: A

Journey in the Wake of the Tsunami

Ehrilch, Gretel 38 2011년 일본 대지진과

지진해일에 대한 이야기 지진해일 과거단일재난이야기

6Come Hell or High Water: Hurricane Katrina and the

Color of DisasterMichael

Eric Dyson 342005년

허리케인카트리나 이야기

허리케인 과거단일재난이야기

7Roar of the Heavens: Surviving Hurricane

CamilleStefan Bechtel 27 1969 웨스트버지니아

허리케인 카밀리이야기 허리케인 과거단일재난이야기

8The Storm: What went wrong and why during hurricane Katrina–The inside story from one

Louisiana ScientistMike Bryan 23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에 대한과학적

고찰허리케인 과학적 고찰

9Devastation of the

Delaware: Stories and Images of the Deadly

Flood of 1955Mary A. Shafer 18 1955년 델러웨어

대홍수에 대한이야기 대홍수 과거단일재난이야기

10Dark Water: Flood and

Redemption in Florence – The City of Masterpieces

Robert Clark 16

1966년 이탈리아 플로랑스 홍수로

인해침수된 문화재이야기

대홍수 과거단일재난이야기

122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바. 미국 아마존 서적 분석 결과

미국 최대 서적 판매 웹사이트인 Amazon에서 홍수 및 방재 관련 서적을 분석한 결과, 수자원 및 방재분야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사는 수자원 전공자들의 관심사와 크게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허리케인, 지진해일 등 대중들의 생명에 직접적인 위협이 가해졌을 때 생존을 위한 가이드가 가장 큰 관심도를 보였는데, 이는 대중들이 수자원 관련 지식의 함양이라는 학구적인 주제 보다는,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제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반영한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대중의 이러한 요구가 수자원 분야 대중의 인식 고취를 위한 출판물의 주제 선정에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겠다.

3.2.2 일본 토목학회 출판 사례

일본토목학회는 각종 위원회 조사연구 성과와 편찬 도서 등 잡지 이외의 출판 활동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출판하고 있는 도서의 유형은 토목기술 표준 시방서, 토목기술사 시험관련 교재, 콘크리트, 포장, 터널, 시공, 구조, 복합구조, 강구조, 건설관리, 암반, 토질, 토목시공 상담, 교량연보, 계획, 수공학, 해안, 항만, 지진, 지반 공학, 등 전문서적과 토목역사, 기술자 윤리, 토목일반, 한신·아와지 대지진 조사 보고서, 재해·방재 등 일반인 대상의 다양한 일반서적 등으로 다양하다.

최근에는 창립 100주년 기념 출판으로 ‘동일본 대지진 그날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방재안전기술자를 위한 ‘구조공학 시리즈’, ‘일본의 하천기술’(수공학위원회 편찬) 등이 편찬되었다.

또한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대상인 대표적인 재해, 방재 도서는 ‘일본에서 살기 위한 필수 방재지식’(2005)을 DVD 제작과 함께 매년 리뉴얼하여 출판하고 있으며 ‘쓰나미로부터 살아남기’(2009)는 토목학회 지진해일 전문가 60여명의 논의를 거쳐 과거 쓰나미 재해 교훈을 바탕으로 해일재해에서 살아남기 위한 지식품목을 일반인에게 알기 쉬운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일본 토목학회는 매년 10종에서 20종 이상 주제별로 각종 분과위원회 논의를 거쳐 출판규정과 출판위원회규칙 등을 제정하여 체계적인 출판 및 저작물을 관리하고 있으며 출판물은 홈페이지에서 직접 판매하기도 하고 시중 서점 등에서 토목학회 간행물 코너를 통해 일반인에게도 판매하고 있다. 

최근 출간된 160여종을 분석한 결과 수험서, 전문서적, 재해/방재, 재해조사보고서 순으로 가장 많이 출간되었고 이외에도 초등학교, 중등학교 학생 등을 대상으로 토목역사, 지진해일 등을 발간하였으며, 기술자윤리 등 기술관련 서적도 출간하고 있다.

수험서, 50

전문서적, 40

토목역사, 10

기술자윤리, 10

재해조사보고

서, 20재해/방재, 30

그림 3.10 일본토목학회 출판 유형 분석

Page 21: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123

그림 3.11 일본토목학회 출판위원회 홈페이지

3.3 출판 활성화 방안

수자원분야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들에게 수자원, 하천 등과 관련된 내용의 출판물을 제공하기 위해 5개년 계획을 수립하였다. 여기에는 전문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필요한 교재를 포함해서 소그룹별 연구 활동을 통한 연구성과 보고서의 대중화, 수리/수문분야의 관련 수험서 및 전문서적이 포함된다. 또한 어린이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서적 발간과 수자원, 하천 등과 관련된 통합지식 홈페이지 구축까지 계획하였다.

표 3.6 출판 5개년 계획

구 분 추진목표 상세업무

1차년도 - 교육교재 개발 교육프로그램 과목별 교재 개발

2차년도 - 소그룹별 연구성과 보고서 연구성과 및 기술보고서

3차년도 - 수험서 및 전문서적 개발 수자원관련 수험서 및 설계 지침 등 전문서적 개발

4차년도 - 어린이, 일반인 대상 알기 쉬운 수자원, 하천 관련 일반서적 개발

어린이 학교교재, 일반인 대상 수자원 관련 에세이 등 보다 일반적이고 알기 쉬운 콘텐츠 취합 출판

5차년도 - 수자원, 하천 등과 관련된 통합지식 거래 홈페이지 개설 지식 거래, 공유 및 활성화

124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이러한 출판 사업의 추진을 위해서는 추진 주체의 설정이 필요하다. 국내외 사례로부터 판단해볼 때 해당 사업은 주로 학회나 협회 등에서 주로 담당하고 있었으며, 이는 해당 기관의 전문성 및 인력 풀 활용의 편리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장단기적인 수자원 분야 출판물 제작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내외 관련 사례들을 참고해서 관련 학회나 협회 등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4. 결론

수자원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각종 사례를 조사 및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교육 및 출판 분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토된 내용과 제시된 방안을 전체적인 큰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며, 추후 구체적인 사업 추진 시에는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중심이 되어서 세부내용을 구성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내용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교육사례들은 플랜트 분야 교육, 건설관련 분야 교육, 행정기관 운영 교육 등을 위주로 살펴보았다. 플랜트 분야 교육은 해외건설협회와 건설기술교육원에 정부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며,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개설해서 운영하는 과정도 있었다. 건설 관련 분야 교육은 대한건축학회, 한국전산구조공학회, 한국콘크리트학회, 한국지하수토양학회,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철강협회, 한국수자원학회 등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행정기관에서 운영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하천법에 근거한 수문조사종사자 교육, 소방방재청의 방재전문인력 양성과 기상청의 기상과학아카데미, 고용노동부의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한국수자원공사(K-Water) 교육과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교육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2) 해외 교육사례로 미국토목학회와 미국공병단의 프로그램들을 살펴보았다. 미국토목학회 프로그램에서는 (1) 기술사 제도와의 연계를 통해 전문교육과정 이수를 필수화, (2) 전문교육과정의 수업이 토목의 세부전공의 모든 분야에 대하여 제공되며 그 수도 300여개로써 방대, (3) 우리나라의 경우 세부전공 학회 위주로 교육이 편성되어 있고 특정 주제에 대한 세미나 형식으로 체계적이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나, 미국토목학회의 경우 교육과정을 학회에서 중앙집중형으로 제공, (4) 인터넷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수강생들이 원하는 경우 인터넷이 있는 경우라면, 언제 어디서나 수업의 수강이 가능하도록 조치하는 점 등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3) 미국공병단의 프로그램의 특징으로는 (1) 모든 과목이 4박 5일, 36시간에 걸쳐 수업이 제공되며, 이는 우리나라 공과대학의 한 과목이 주 3시간, 15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대학의 한학기의 강의 분량에 해당하는 집중과정임, (2) 대부분 프로그램의 주제가 대학에서 강의시간의 한계로 인하여 다루기 힘들면서도 실무에서 그 필요성 및 활용성이 매우 높은 내용들을 다루고 있어, 산학간의 빈틈을 충실히 매우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3) 각 과목내의 소주제(예를 들어 Advanced HEC-HMS과목의 Parameter Calibration 소주제)에 대하여 1-2시간 정도의 이론에 대한 자세한 강의, 그리고 그 이론을 실제로 모형 구축 및 모의에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는 2-3시간 내외의 실무 워크샵이 결합된 형태로 강의가 제공되어 수강생의 교육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음, (4) 모든 과목은 그 수강자가 과목의 내용에 대한 초보자 수준에서 시작하여 실무에 즉시 투입될 수 있을 정도의 전문적 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점들을 알 수 있었다.

4)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교육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1) 우리나라에서 “수자원”라는 구체적인 주제를 가지고 제공하는 체계적인 전문교육 프로그램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주제와 관련한 전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에 따른 전문가의 지속적인 양성은 중장기적으로 수자원 분야의 사회적 요구를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2) 특정 분야의 세부적인 지식

Page 22: 수자원 분야 교육 및 출판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ihpkorea.or.kr/DATA/140208_02.pdf · 2014. 9. 18. · 문기술’, ‘OpenSees를 이용한 비선형 구조동역학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제7단계 제6차년도 125

을 전달하기 보다는 전문가 육성을 목표로 하는 체계적이며 방대한 커리큘럼을 구축하는 방안이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해 도움이 되리라 판단된다. 이와 관련하여, 처음부터 방대한 커리큘럼의 구축을 목표하는 것 보다는 구축되는 수업들을 하나씩 온라인 콘텐츠화 하여, 제공될 수 있는 수업의 개수를 순차적으로 늘리는 방안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안을 통해 온라인 수업이 가능해진다면 별도의 인력 및 비용 투자 없이 수강생들의 수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판단됨, (3) 수자원 전문가 양성을 위한 단기 교육프로그램은 단일 대학교 등에서 다루기에는 그 다양성의 범위가 다소 넓어 다학제간의 협업이 필수적이므로, 수자원 분야의 산/학/연 전문가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IHP 사업 차원에서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하는 편이 교육 프로그램의 전문성을 확보하는데 있어 좋은 방안이 되리라 판단됨

5) 이러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기본 방향으로 국내대학과 교육연계로 공동협력, R&D 연구기관과 교육연계추진, 정부와 업계의 지원 및 협력 추진, 산학연의전문가에 의한 우수한 교육과정 및 강사진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6) 국내 출판물 발간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통계청, 소방방재청, 한국콘크리트학회 등의 성과를 조사하였다. 통계청의 경우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통계지식을 쉽게 전파하는 어린이 통계만화를 제작해서 보급했으며, 소방방재청도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지진과 지진해일에 대한 소개 책자를 제작해서 보급하고 있다. 한국콘크리트학회에서는 시방서, 설계서, 전문도서 등의 출판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7) 해외 사례로는 미국의 최대 온라인 서점 아마존에서 관련 출판물 현황을 조사하였다. 분야별 출판물 수와 인기도에 대한 조사를 통해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수자원 분야의 어떤 출판물들이 대중성을 확보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과거의 대규모 태풍이나 홍수 등의 재난에 대한 소개나 설명 등에 대한 출판물들이 높은 인기를 얻고 있었다. 이를 통해 다음을 알 수 있었다. 수자원 및 방재분야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사는 수자원 전공자들의 관심사와 크게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허리케인, 지진해일 등 대중들의 생명에 직접적인 위협이 가해졌을 때 생존을 위한 가이드가 가장 큰 관심도를 보였는데, 이는 대중들이 수자원 관련 지식의 함양이라는 학구적인 주제 보다는,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제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반영한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대중의 이러한 요구가 수자원 분야 대중의 인식 고취를 위한 출판물의 주제 선정에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겠다.

8) 일본 토목학회의 출판사례를 살펴보았으며, 재해와 방재 도서를 중심으로 매우 적극적으로 출판사업을 추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최근 출간된 160여종을 분석한 결과 수험서, 전문서적, 재해/방재, 재해조사보고서 순으로 가장 많이 출간되었고 이외에도 초등학교, 중등학교 학생 등을 대상으로 토목역사, 지진해일 등을 발간하였으며, 기술자윤리 등 기술관련 서적도 출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9)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자원 분야 출판 활성화를 위한 5개년 계획을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전문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필요한 교재를 포함해서 소그룹별 연구 활동을 통한 연구성과 보고서의 대중화, 수리/수문분야의 관련 수험서 및 전문서적이 포함된다. 또한 어린이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서적 발간과 수자원, 하천 등과 관련된 통합지식 홈페이지 구축까지 계획하였다.

10) 이러한 교육 및 출판 사업의 추진을 위해서는 추진 주체의 설정이 필요하다. 국내외 사례로부터 판단해볼 때 해당 사업은 주로 학회나 협회 등에서 주로 담당하고 있었으며, 이는 해당 기관의 전문성 및 인력 풀 활용의 편리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장단기적인 수자원 분야 교육프로그램 운영이나 출판물 제작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내외 관련 사례들을 참고해서 관련 학회나 협회 등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126 국토교통부 / 한국수자원학회

참 고 문 헌

기상청, http://www.kma.go.kr/미국토목학회, http://www.asce.org/아마존, http://www.amazon.com/일본토목학회, http://www.jsce.or.jp/한국수자원공사, http://www.kwater.or.kr/한국수자원학회, http://www.kwra.or.kr/한국콘크리트학회, http://www.kci.or.kr/gate/default.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