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대한골절학회지 제 20 권, 제 2 호, 2007년 4월 Journal of the Korean Fractrure Society Vol. 20, No. 2, April, 2007 190 연성 골수정을 이용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의 치료 주석규김진환오형근김동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적: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골수강내 고정술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수강내 고정술을 이용하여 치료한 22예의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적으로 평균 유합 시기, 각형성 변형, 골절의 정복 유지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임상적으로는 최종 추시상 기능의 회복 및 합병증의 발생 여부에 대해 평가하였다. 과: 평균 추시 기간은 13.9개월 (6 24개월)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10.8세 (6 16세)이었다. 평균 골유합 시기는 5.2주였으며 최종 추시상 각형성 변형없이 전례에서 정상적인 관절 운동 및 기능을 회복하였다. 5예에서 골수정 말단부의 자극으로 인한 연부 조직 자극 증상이 발생하였으나 골수정 제거 후 증상은 소실되었다. 론: 수술이 필요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 시 골수강내 고정술의 이용은 만족할 만한 기능 회복을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이며 안전한 술식이라고 사료된다. 색인 단어: 소아 전완골 간부골절, 골수강내 고정술 Pediatric Forearm Bone Fractures Treated with Flexible Intramedullary Nail Suk Kyu Choo, M.D., Jin Hwan Kim, M.D., Hyung Keun Oh, M.D., Dong Hyun Kim,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Goyang, Korea Purpose: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flexible intramedullary fixation in pediatric forearm diaphyse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22 cases of forearm diaphyseal fractures treated with flexible intramedullary nail and K-wire. The radiographic assessment was based on the time to union, maintenance of reduction and angular deformity. The functional outcome was assessed with the range of motion and complications at last follow up. Results: Average length of follow up was 13.9 months with mean age of 10.8 years and the time to union was 5.2 weeks. There were no angular deformity and fuctional results were excellent in all cases. There were 5 cases of soft tissue irritation of nail insertion site as post operative complication which was resolved after nail removal. Conclusion: Flexible intramedullary for pediatric forearm bone fractures is an effective and safe method which gives a good functional outcome. Key Words: Pediatric forearm bone fracture, Intramedullary fixation 통신저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2240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형외과 Tel 031-910-7330 Fax 031-910-7967 E-mail [email protected] *본 논문의 요지는 2005년도 제31차 대한골절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 되었음.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in Hwan Kim,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240, Daehwa-dong, Ilsan-seo-gu, Goyang 411- 706, Korea Tel 82-31-910-7330 Fax 82-31-910-7967 E-mail [email protected]

연성 골수정을 이용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의 치료 · 전위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 시 소아골의 특성상 도수 정 복 및 석고 고정으로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연성 골수정을 이용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의 치료 · 전위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 시 소아골의 특성상 도수 정 복 및 석고 고정으로

대한골절학회지 제 20 권, 제 2 호, 2007년 4월Jou rn al o f th e K orean F ractru re S ocie tyV ol. 20 , N o . 2 , A p ril, 2007

190

연성 골수정을 이용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의 치료

주석규․김진환․오형근․김동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목 적: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골수강내 고정술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수강내 고정술을 이용하여 치료한 22예의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적으로 평균 유합 시기,

각형성 변형, 골절의 정복 유지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임상적으로는 최종 추시상 기능의 회복 및 합병증의 발생 여부에 대해 평가하였다.

결 과: 평균 추시 기간은 13.9개월 (6~24개월)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10.8세 (6~16세)이었다. 평균 골유합 시기는 5.2주였으며

최종 추시상 각형성 변형없이 전례에서 정상적인 관절 운동 및 기능을 회복하였다. 5예에서 골수정 말단부의 자극으로 인한 연부 조직

자극 증상이 발생하였으나 골수정 제거 후 증상은 소실되었다.

결 론: 수술이 필요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 시 골수강내 고정술의 이용은 만족할 만한 기능 회복을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이며 안전한

술식이라고 사료된다.

색인 단어: 소아 전완골 간부골절, 골수강내 고정술

Pediatric Forearm Bone Fractures Treated with Flexible Intramedullary NailSuk Kyu Choo, M.D., Jin Hwan Kim, M.D., Hyung Keun Oh, M.D., Dong Hyun Kim,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Goyang, KoreaPurpose: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flexible intramedullary fixation in pediatric forearm diaphyseal fractures.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22 cases of forearm diaphyseal fractures treated with flexible intramedullary nail and K-wire. The radiographic assessment was based on the time to union, maintenance of reduction and angular deformity. The functional outcome was assessed with the range of motion and complications at last follow up.Results: Average length of follow up was 13.9 months with mean age of 10.8 years and the time to union was 5.2 weeks. There were no angular deformity and fuctional results were excellent in all cases. There were 5 cases of soft tissue irritation of nail insertion site as post operative complication which was resolved after nail removal.Conclusion: Flexible intramedullary for pediatric forearm bone fractures is an effective and safe method which gives a good functional outcome.Key Words: Pediatric forearm bone fracture, Intramedullary fixation

통신저자:김 진 환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2240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형외과Tel:031-910-7330․Fax:031-910-7967 E-mail:[email protected]

*본 논문의 요지는 2005년도 제31차 대한골절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

되었음.

Address reprint requests to:Jin Hwan Kim, M.D.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240, Daehwa-dong, Ilsan-seo-gu, Goyang 411- 706, KoreaTel:82-31-910-7330․Fax:82-31-910-7967E-mail:[email protected]

Page 2: 연성 골수정을 이용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의 치료 · 전위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 시 소아골의 특성상 도수 정 복 및 석고 고정으로

연성 골수정을 이용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의 치료 191

Fig. 1. (A) 12-year old male sustain a displaced diaphyseal forearm fracture.(B) Flexible intramedullary nailing is done with satisfactory union and alignment.

서 론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은 소아 상지 골절의 약 30%를 차

지하며16) 성장에 따라 자연 교정이 가능한 소아골의 특성상

성인과 달리 도수 정복 및 석고고정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불안정성 골절에서 보존적 치료 시 정복의 유지가

어렵고 오랜 기간의 석고 고정, 석고안에서의 정복 소실, 빈

번한 방사선적 추시가 요구되며 각 변형 및 회전 변형의 허

용 범위, 골의 예상 재형성 정도를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10세 이상의 소아에서는 골의 재형성력이 떨어지고

부정 유합으로 인한 각형성 변형시 전완의 회내외전 기능의

소실을 초래할 수 있어 정복 소실의 가능성이 있는 불안정성

골절, 정복 상태가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 정복후 유지가 안

되는 경우에서는 수술적 치료가 요구된다.

저자들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22예의 소아 전완골 간

부 골절에서 골수강내 고정술식의 치료 결과 및 유용성에 대

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5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내원한 소아 전완골 간

부 골절 환자 중 골수강내 고정술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고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10.8세 (6~16세), 평균 추시 기간은

13.9개월 (6~24개월)이었으며 골절의 원인으로는 모두 놀이

나 운동 중 넘어지면서 수상한 경우였다.

수술의 적응증은 도수 정복 후에도 10도 이상의 각형성

변형을 보이거나 도수 정복 시 불안정하여 정복의 유지가 어

려운 경우, 도수 정복 후 이차적으로 재전위되어 보존적 치

료에 실패하거나 재골절이 발생한 경우에 시행하였다.

사용한 연성 골수정은 티타늄 합금으로 환자의 골수강의

직경에 따라 2.5 mm, 3.0 mm 직경의 골수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였으며 골수정의 말단부는 30o 정도 구부러져 있어 회

전 변형에 대한 안정성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골수강

의 직경이 좁은 어린 소아에서는 2.0 mm K-강선을 이용하

여 골수강내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적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상 당시, 정복 후, 수

술 후, 추시 시에 전완골 전후면 및 측면 사진을 촬영하여

골유합 여부 및 시기와 골절 정복의 유지 정도, 최종 추시상

각형성 변형 여부에 대해 관찰하였으며 각 증례별로 수술 기

간과 골수정 및 K-강선의 크기 및 석고 고정기간을 조사하였

다.

임상적으로 술 후 합병증의 발생 여부 및 최종 추시상 전

완의 관절 운동 범위와 기능 회복을 평가하였다.

1. 수술 방법

전신 마취 상태에서 영상 증폭기하에 골절의 도수 정복을

시행하였고 양골 동시 골절의 경우 정복의 유지가 어렵거나

각형성 변형이 심한 골절부부터 연성 골수정 및 K-강선을 삽

입하였으며 주로 요골부터 시행하였다.

골수정의 삽입부는 요골의 경우 경상돌기에서 삽입할 수

도 있으나 요골신경표재분지의 손상가능성이 있으며 리스터

결절의 내측으로 장모지신건이 돌아가므로 리스터 결절을

해부학적 지표로 삼아 저자는 장모지신건과 총수지신건을

벌리고 그 사이의 원위 골간단 근위부에 삽입하는 것이 경상

돌기 근위부에 삽입하는 것보다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편리

하여 신전건 제 3, 4 구획 사이의 원위 골간단 근위부에 골

수정을 삽입하였다. 그리고 골수정이 신전건옆에 바로 위치

하게되므로 골수정이 신전건을 자극하지 않도록 말단부를

구부린 뒤 절단하여 골막하까지 깊이 삽입하였다. 척골의 경

우 척골신경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경피적으로 근위 골간단

부를 촉지한 뒤 척골의 후방내측면에 1~2 cm 정도의 피부

절개를 한 후 영상증폭기로 성장판 손상여부를 확인하면서

척골의 골간단부에 4.5 mm 천공기로 30o정도 비스듬하게

피질골을 천공하여 골수정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였다.

환자의 골수강의 직경에 따라 2.5 mm 및 3.0 mm 직경의

연성 골수정을 T형 손잡이를 이용하여 골수강내에 삽입하면

서 미리 구부러져 있는 골수정 말단부를 회전하며 전위된 골

절을 정복하였으며 정복이 어려운 경우에는 골절부에 작은

피부 절개창을 통하여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였다. 골수강

내 직경이 좁은 어린 소아에서는 2.0 mm K-강선을 연성골

Page 3: 연성 골수정을 이용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의 치료 · 전위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 시 소아골의 특성상 도수 정 복 및 석고 고정으로

192 주석규, 김진환, 오형근, 김동현

Fig. 3. (A) 13-years old female is treated with long arm casting for 2 months The radiographs show malalignment and displacement of forearm bones in the cast due to loss of reduction.(B) Closed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flexible intramedullary nailing is done with satisfactory alignment.

Fig. 2. (A-1) 9-years old male with both forearm bone fracture is treated by closed reduction and casting.(A-2) Refracture is occured at the initial fracture site by slip down.(B) AP and lateral radiographs show a good alignment after flexible intramedullary nailing.

수정과 같은 술식으로 골수강내에 삽입하였다. 영상 증폭기

로 골절의 정복 상태 및 안정성을 확인하고 골수정 및 K-강

선의 말단부를 구부린 후 절단하여 골막하까지 삽입하였다

(Fig. 1).

술 후 단상지 석고로 3~4주간 고정한 후 관절 운동을 시

작하였으며 제거는 방사선 추시상 견고한 골유합이 확인되

는 3개월여 후 전신 마취하에 시행하였다.

결 과

총 22예의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중 15예는 요골 및 척골

의 양골 골절이었고 주위관절의 탈구를 동반하지 않은 요골

단독 골절 2예 및 척골 단독 골절이 2예, Monteggia 골절 3

예였다.

수상 후 평균 4.7일에 수술을 시행하였으나 1예에서는 지

역 병원에서 도수 정복 및 석고 고정 후 정복의 소실 및 각

형성 변형이 발생하여 수상 후 2개월에 수술을 시행하였고

(Fig. 2) 1예에서는 보존적 치료 후 골유합을 얻었으나 낙상

후 재골절이 발생하여 수술을 시행하였다 (Fig. 3).

평균 수술 시간은 마취 시간을 포함하여 48분 (20~115

분)이었으며 도수 정복이 용이하지 않았던 2예에서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였다.

Page 4: 연성 골수정을 이용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의 치료 · 전위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 시 소아골의 특성상 도수 정 복 및 석고 고정으로

연성 골수정을 이용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의 치료 193

사용한 골수정의 크기는 양골골절을 척골골절과 요골골절

로 따로 계산하여 총 37예로 하였을 때 2.5 mm 21예, 3.0

mm 골수정이 6예였으며 골수강이 좁은 어린 소아 10예에서

는 2.0 mm K-강선을 사용하였다. 평균 방사선적 골유합 시

기는 5.2주였으며 전례에서 골 유합 시까지 안정적으로 정복

이 유지되었다.

요척골 각형성 변형은 술 전 방사선 사진상 요골이 관상

면 및 시상면상 전위각도는 평균 10도, 16도 척골의 경우는

평균 10도, 15도였으나 최종 추시상 5도 이상의 각형성 변형

을 보인 예는 없었다.

술 후 5예에서 피부밑에 위치한 골수정 말단부 자극으로

인한 관절 주위 통증을 호소하였으나 술 후 6주째에 골수정

제거 후 증상이 소실되었고 피부 감염 및 신경 손상 등의 합

병증은 없었다.

임상적으로 최종 추시상 전례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정상

적인 관절 운동 범위와 기능을 회복하였고 골수정의 제거는

술 후 평균 14주에 전신 마취하에 제거하였으며 K-강선을 사

용한 경우에는 국소 마취로 제거가 가능하였고 골수정 및 K-

강선 제거 후 재골절을 보인 예는 없었다.

고 찰

전위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 시 소아골의 특성상 도수 정

복 및 석고 고정으로 좋은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지만6,21,31,33)

부정유합으로 인한 각변형이 성장함에 따라 자연적으로 교정

되지 않을 경우 전완의 회전 운동 제한이 올 수 있다3,16,18,28,34)

.

소아골의 재형성 능력은 환자의 나이, 골절의 위치, 초기

전위 정도, 각형성 변형의 정도에 따라 다르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Carey 등3)은 10세 이상의 소아에서의 각형성 변형은

그 이하의 소아보다 더 많은 회전 장애가 온다고 하였다.

Chan 등4)은 10세 이상의 소아에서의 도수 정복 및 석고

고정 시 고정의 실패로 인한 반복적인 도수 정복술이 11%

이상의 환자에서 필요하였다고 보고하였고4,29) Kay 등10)은

보존적 치료로 인한 실패율이 너무 낮게 평가되고 있다고 보

고한 바 있어 재형성력이 떨어지는 10세 이상의 소아에서는

석고 고정 이외의 방법이 필요하다.

사체 실험을 통해 전완골 간부의 10도 이상의 각형성 변

형은 16도 정도의 회전 장애를 초래한다고 밝혀진 바 있으며25)

소아는 일상 생활에 제한이 있지 않으면 관절 운동의 제한을

인지하지 못하나 Price15)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의

52.8%에서 관절 운동의 제한이 관찰되었다고 하였다. Yung

등35)은 124명의 환자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평균 8.9도의 전

완 회전 장애를 보고한 바 있어 일반적으로 10도 이상의 각

형성 변형은 수술적 치료의 기준이 된다.

또한 석고 고정 후 정복의 소실은 초기 수상 당시 연부 조

직의 손상과 관련된 골막의 손상, 골절부의 근육 감입 등과

골절의 분쇄, 분절 골절, 골절의 양상 등과 관련된 골의 불안

정성과 관련되어 있어 초기 정복 시 연부 조직의 손상을 최

소화하면서 골절의 회전 및 각 정렬을 유지할 수 있는 수술

적인 방법이 고려되어야 한다.

금속판 고정은 해부학적인 정복을 얻을 수 있고 좋은 결

과들이 보고되고 있지만1,26,32) 소아에서는 연부 조직 손상으

로 인한 감염, 신경 혈관계의 손상, 지연 유합, 교차 유합 등

의 합병증과 금속판의 제거와 관련된 재골절의 위험성이 보

고되면서11,16) 폐쇄성 골수강내 삽입술이 골간부나 골간단부

골절의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보고되고 있다7,26,34)

.

Van der Reis 등23)과 정 등6)은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에

서 금속판 고정과 골수강내 고정을 비교하면서 최종 추시상

의 결과 차이는 없었으나 수술 시간의 단축과 미용적 측면의

우수성, 연부 조직의 손상이 적은 점, 골유합 후 금속 제거술

의 간편성, 금속 제거 후 조기 관절 운동 등에서 골수강내

고정술이 우수하다고 보고하였다.

골수강내 고정술은 생역학적으로 골절의 삼점 고정으로

정복을 유지하며 전완골에서 회전 변형에 안정성을 갖는 것

으로 입증되었으며27)

골절부의 제한적 운동으로 가골 형성을

촉진하며17) 연부 조직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

다.

골수강내 고정술 시 Steinman 핀 및 Rush 핀 등은 직경이

굵고 유연성이 떨어지며 요골의 만곡에 맞추어 삽입이 어렵

기 때문에20,22,30) 유연성이 있으며 가격이 저렴한 K-강선의

사용과 장상지 석고 고정이 효과적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Calder 등2)은 연성 골수정과 K-강선을 이용한 소

아 전완골 간부 골절의 치료에서 양군의 결과의 차이는 없지

만 연성 골수정의 역학적 우수성에 대해 보고하였고 Street23)

은 길이가 짧거나 직경이 가는 골수강내 고정물의 사용은 지

연 유합 및 불유합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적절한 크기의

고정물의 선택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저자들의 경우에서는 골수강의 직경이 좁은 어린 소아에

서는 K-강선을 사용하였지만 골수강이 넓은 10세 이상의 소

아 전례에서 만족할 만한 정복의 유지와 골유합을 얻을 수

있어 회전 변형에 안정적이고 삽입이 용이한 연성 골수정의

사용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골수강내 고정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비교적 드물며5,14)

골에 골수정 삽입 시 천부 요골 신경의 손상을 줄이기 위해

배-척측 접근법 (dorsal-ulnar approach)이 보고된 바 있다19).

Jubel 등9)은 골수정 삽입구의 금속물에 의한 주위 연부 조

직 자극 증상이 총 51예 중 8예에서 발생하였다고 보고하면

서 피부 및 근막의 충분한 절개와 골수강내로 골수정의 말단

부를 삽입하라고 하였다.

저자들의 경우에도 신경 손상 및 건파열의 경우는 없었으

Page 5: 연성 골수정을 이용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의 치료 · 전위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 시 소아골의 특성상 도수 정 복 및 석고 고정으로

194 주석규, 김진환, 오형근, 김동현

나 총 37예 중 5예에서 피부밑에 위치한 골수정 말단부에 의

한 연부 조직의 자극 증세가 발생하여 수술 시 이에 대한 세

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연성 골수정 고정술식 후 석고 고정여부 및 기간에 대해

Lascombes 등12)

은 석고 고정 없이 조기 관절 운동을 시작하

였다고 하였고 Calder 등2)은 석고 고정을 시행한 환자와 조

기 관절운동을 시행한 환자간에 최종 추시상 골유합 기간 및

전완의 회전 범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석고 고정을 하지 않

은 환자에서 부모들의 불안감이 증가함을 보고한 바 있다.

Jubel 등9)은 골절부의 골편이 있는 경우 회전 변형을 예방

하기 위해 일시적인 장상지 석고 고정의 필요성에 대해 보고

하였고 저자들의 경우에는 통증 조절 및 연부 조직의 종창이

감소할 때까지 평균 3~4주간의 단상지 석고 고정을 하면서

조기 관절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최종 추시상 지연 유합 및

회전 변형 없이 정상적인 관절 운동 범위를 얻을 수 있었다.

연성 골수정의 제거는 금속판 제거에 비해 용이하며 술

후 재골절의 가능성이 낮지만26)

Shoemaker 등20)

은 골수정

제거를 4주에 시행한 환자 3명에서 재골절이 발생하였다고

보고하면서 방사선 추시상 골절선이 보이지 않고 견고한 골

유합이 이루어지는 3개월 이후에 골수정을 제거할 것을 주장

하였다.

연성 골수정을 이용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의 치료는

비교적 술식이 용이하고 안전한 유용한 술식이지만 대부분

의 저자들의 보고와 같이 골수정 제거를 위한 이차적인 전신

마취가 요구되어 골수강이 좁은 어린 소아에서는 비교적 제

거가 용이한 K-강선도 선택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

된다.

결 론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 시 골수강내 고정술을 이용한 수

술적 치료는 최소 침습적이고 안전한 술식으로 수술 시 세심

한 주의가 요구되지만 안정적인 골유합을 얻을 수 있고 정상

적인 관절 기능 회복을 위한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1) Bhaskar AR, Roberts JA: Treatment of unstable fractures of the forearm in children. Is plating of a single bone adequate? J Bone Joint Surg Br, 83: 253-258, 2001.

2) Calder PR, Achan P, Barry M: Diaphyseal forearm fractures in children treated with intramedullary fixation: outcome of K- wire versus elastic stable intramedullary nail. Injury, 34: 278- 282, 2003.

3) Carey PJ, Alburger PD, Betz RR, Clancy M, Steel HH:

Both-bone forearm fractures in children. Orthropedics, 15: 1015-1019, 1992.

4) Chan CF, Meads BM, Nicol RO: Remanipulation of forearm fractures in children. N Z Med J, 110: 249-250, 1997.

5) Cullen MC, Roy DR, Giza E, Crawford AH: Complications of intramedullary fixation of pediatric forearm fractures. J Pe-diatr Orthop, 18: 14-21, 1998.

6) Echarlos RM: Pediatric fractures of the forearm. Clin Orthop Relat Res, 432: 65-72, 2005.

7) Han SH, Cho DY, Yoon HK, Kim BS, Kang SH, Kim TH: Reduction of pediatric forearm diaphyseal fractures by pin leverage technique. J Korean Fracture Soc, 17: 59-64, 2004.

8) Jeong SY, Moon U, Yim SJ, Yoon SR, Rah SK, Choi CU: Clinical comparision in intramedullary fixation to plate fixation on treatment of the both forearm bone fracture. J Korean Fracture Soc, 8: 893-901, 1995.

9) Jubel A, Andermahr J, Isenberg J, Issavand A, Prokop A, Rehm KE: Outcomes and complications of elastic stable intra-medullary nailing for forearm fractures in children. J Pediatr Orthop B, 14: 375-380, 2005.

10) Kay S, Smith C, Oppenheim WL: Both-bone midshaft fore-arm fractures in children. J Pediatr Orthop, 6: 306-310, 1986.

11) Langkamer VG, Ackroyd CE: Removal of forearm plates: a review of complications. J Bone Joint Surg Br, 72: 601-604, 1990.

12) Lascombes P, Prevot J, Ligier JN, Metaizeau JP, Poncelet T: Elastic stable intramedullary nailing in forearm shaft frac-tures in children: 85 cases. J Pediatr Orthop, 10: 167-171, 1990.

13) Mann DC, Rajmaira S: Distribution of physeal and nonphy-seal fractures in 2,650 long-bone fractures in children aged 0~16 years. J Pediatr Orthop, 10: 713-716, 1990.

14) Ogonda L, Wong-Chung J, Wray R, Canavan B: Delayed union and non-union of the ulna following intramedullary nailing in children. J Pediatr Orthop B, 13: 330-333, 2004.

15) Price CT: Injuries of the shafts of the radius and ulna. In: Rockwood CA Jr, Green DP eds. Fractures in children. 3rd ed. Philadelphia, J.B. Lippincott Co: 1994.

16) Price CT, Scott DS, Kurzner ME, Flynn JC: Malunited fore-arm fractures in children. J Pediatr Orthop 10: 705-712, 1990.

17) Richter D, Ostermann PA, Ekkernkamp A, Muhr G, Hahn MP: Elastic intramedullary nailing: a minimally invasive con-cept in the treatment of unstable forearm fractures in children. J Pediatr Orthop, 18: 457-461, 1998.

18) Roberts JA: Angulation of the radius in children's fractures. J Bone Joint Surg Br, 68: 750-754, 1986.

Page 6: 연성 골수정을 이용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의 치료 · 전위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 시 소아골의 특성상 도수 정 복 및 석고 고정으로

연성 골수정을 이용한 소아 전완골 간부 골절의 치료 195

19) Schmitsch EH, Richards RR: The effect of malunion on functional outcome after plate fixation of fractures of both bones of the forearm in adults. J Bone Joint Surg Am, 74: 1068-1078, 1992.

20) Shoemaker SD, Comstock CP, Mubarak SJ, Wenger DR, Chambers HG: Intramedullary Kirschner wire fixation of open or unstable forearm fractures in children. J Pediatr Orthop, 19: 329-337, 1999.

21) Smith VA, Goodman HJ, Strongwater A, Smith B: Treat-ment of pediatric both-bone forearm fractures: a comparison of operative techniques. J Pediatr Orthop, 25: 309-313, 2005.

22) Song BY, Kwak Hy, Bae SW, et al: Operative treatment of diaphyseal forearm fracture in children. J Korean Orthop As-soc, 37: 518-524, 2002.

23) Street DM: Intramedullary forearm nailing. Clin Orthop Relat Res, 212: 219-230, 1986.

24) Sun YQ, Penna J, Haralatos SS, Carrion WV: Intramedul-lary fixation of pediatric forearm diaphyseal fractures. Am J Orthop, 30: 67-70, 2001.

25) Tarr RR, Garfinkel AI, Sarmiento A: The effects of angular and rotational deformities of both bones of the forearm: in vitro study. J Bone Joint Surg Am, 66: 65-70, 1984.

26) Van der Reis WL, Otsuka NY, Moroz P, Mah J: Intrame-dullary nailing versus plate fixation for unstable forearm fractures in children. J Pediatr Orthop, 18: 9-13, 1998.

27) Verstreken L, Delronge G, Lamoureux J: Shaft forearm fractures in children: intramedullary nailing with immediate mo-

tion: a preliminary report. J Pediatr Orthop, 8: 450-453, 1988.28) Vittas D, Larsen E, Torp-Pedersen S: Angular remodeling of

midshaft forearm fractures in children. Clin Orthop Relat Res, 265: 261-264, 1991.

29) Voto SJ, Weiner DS, Leighley B: Redisplacement after closed reduction of forearm fractures in children. J Pediatr Orthop, 10: 79-84, 1990.

30) Waseem M, Paton RW: Percutaneous intramedullary elastic wiring of displaced diaphyseal forearm fractures in children. A modified technique. Injury, 30: 21-24, 1999.

31) Wilkins KE: Operative management of chidren's fractures: is it a sign of impertuousness or do the children really benefit? J Pediatr Orthop, 18: 1-3, 1998.

32) Wyrsch B, Mencino GA, Green N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pediatric forearm fractures. J Pediatr Or-thop, 16: 644-650, 1996.

33) Younger AS, Tredwell SJ, Mackenzie WG: Factors affecting fracture position at cast removal after pediatric forearm frac-ture. J Pediatr Orthop, 17: 332-336, 1997.

34) Younger AS, Tredwell SJ, Mackenzie WG, et al: Accurate prediction of outcome after pediatric forearm fracture. J Pediatr Orthop, 14: 200-206, 1994.

35) Yung SH, Lam CY, Ng KW, Maffuli N, Chang JCY: Percutaneous intramedullary Kirschner wiring for diaplaced diaphyseal forearm fractures in children. J Bone Joint Surg Br, 80: 91-94,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