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122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대 이전의 문학 고대 이전에도 원시적인 형태의 문학이 있었겠지만, 온전한 형태로 전하는 이 시대의 작품은 거의 없다. 다만 암각화를 비롯한 당시의 유적이나 오늘날에도 전승되는 구비 문학인 무가(巫歌) 등을 통해 그 양상을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구석기 시대에는 수렵 위주의 경제 활동을 했으므로, 수렵의 성공을 기원하는 이야기와 노래가 있었으리라고 추정된다. 농경 문화가 시작된 신석기 시대에는 노동요를 비롯하여 천지와 인류의 기 원 등을 담은 신화가 나타났을 것으로 짐작된다. 고대의 문학 건국 신화의 탄생 청동기 시대에 국가가 성립되자 건국의 시조를 주인공으로 삼아 건 국의 내력을 밝히고 그 신성성을 칭송하는 건국 신화들이 탄생하였다. 고조선의「단군 신화」 , 고구려의「주몽 신화」 , 가야의「가락국 건국 신화」등과 같은 건국 신화가 역사서에 한문으로 기록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신화는 고난을 영웅적으로 극복하는 건국 시조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이들 건국 신화는 부여의‘영 고’ , 고구려의‘동맹’ , 예의‘무천’과 같은 국중 대회(國中大會)에서 서사시로 구연되었 을 것으로 추정되며, 집단의 결속을 다지고 자긍심을 높이는 역할을 했으리라고 짐작 된다. 전설, 민담, 서정 가요의 발생 고대 문학은 점차 신화 이외의 영역으로 확대되었다. 신화적 질서로는 해결되지 않는 현실을 다루는 과정에서 전설과 민담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예를 들어「낙랑 공주와 호동 왕자」처럼 신화적 능력을 갖춘 주인공이 좌절하 거나 희생되는 이야기 또는 미천한 인물이 의외의 성공을 거두는 백제 무왕의 이야기 등이 있다. 한편 국중 대회와는 별도로 짧은 노래들, 즉「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 「황 조가(黃鳥歌)」 , 「구지가(龜旨歌)」등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다가 한문으로 기록되었다. 이 가운데「공무도하가」나「황조가」는 개인적 서정을 읊은 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이 시기에 한국 문학에서 서정 가요가 발생하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기 문학의 역사적 전개 양상과 갈래별 특질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시기 문학의 주요 작품을 현대적 시각에서 감상할 수 있다. 이 시기의 문학 작품을 감상함으로써 당시의 시대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고대 문학 1 소단원 설정 취지|이 단원은 한국 문학이 발생한 시기에 나타난 문학의 특질을 알아보고 그 역사적 전개 과정을 이해하 위해 설정하였다. 한국 문학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는 우리 선조가 최초로 국가를 세우기 시작한 청동기 시대로, 이 시기에는 건국의 시조를 주인공으로 삼아 건국의 내력을 밝히고 그 신성성을 칭송하는 건국 신화들이 탄생하였으며 이 신화를 통해 집단의 결속을 다지고 자긍심을 높이고자 했다. 그러다 점차 신화 이외의 영역으로 확대되어 전설, 민담, 서정 가요 등이 나타나게 된다. 이 단원에서는‘단군 신화’와‘공무도하가’를 통해 한국 문학 태동기의 특징과 한국 문학 의 전개 과정 및 그 시기의 문화와 시대적 상황을 이해하는 활동을 할 것이다. 원시 시대의 문학 •구석기 시대의 문화와 언어 예술`: 수렵 문화를 바 탕으로 하였으며, 사냥의 성공을 기원하는 이야기를 암각화와 같은 조형 예술 에 담음. •신석기 시대로의 전환`: 농사를 지으면서 부르는 농업 노동요, 추상적 사고 의 상징적 표현을 특징으 로 삼는 신화 같은 것들이 형성됨. 고대의 문학 •건국 신화 시대의 문학`: 국중 대회에서 건국 서사 시로 구연된 건국 신화들 이 탄생됨. •탈신화 시대의 문학`: 신 화적 질서로 해결되지 않 는 현실을 다루는 과정에 서 전설과 민담이 발생하 고, 국중 대회와는 별도로 짧은 노래들이 창작됨. 선사인들이 자신의 바람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커다란 바위 등 성스러운 장소에 새긴 그림 농사와 관련된 문학 구석기 시대 문화의 특징 내용은 추상적이고 상징적이었음.( ‘천지왕 본풀이’와 같은 제주도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서사 무가) 구석기 시대 문학의 내용(울산 반구대 암각화) 무속 의식에서 무당이 구연하는 사설이나 노래 고대 이전(석기 시대)의 한국 문학의 특징 신화 시대의 한국 문학의 특징`-`건국 서사시 탈신화 시대의 한국 문학의 특징`-`전설, 민담, 개인 서정시의 발생 국가의 기원을 설명한 신화 동명왕 신화 나라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나라굿 김수로왕 탄생과 관련된 신화 국중 대회를 통해 유지되던 사회적 질서가 흔들리며 문학의 양상이 달라짐. 전설의 특징`-`세계의 횡포 가락국 시조인 수로왕의 강림 신화 가운데 곁들여 전하는 신화 중의 삽입 가요 구비 문학적 성격 민담의 특징`-`자아의 가능성 교과서 저자 직강(동영상) / 소단원 도입 정리(ppt) 활용

1 고대문학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문학...(雲師) 바람, 비, 구름을 각각 주 관하는 존재. 바람, 비, 구름은 모 두농경과관련된다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1 고대문학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문학...(雲師) 바람, 비, 구름을 각각 주 관하는 존재. 바람, 비, 구름은 모 두농경과관련된다

1 2 2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대이전의문학

고대이전에도원시적인형태의문학이있었겠지만, 온전한형태로전하는이시대의

작품은 거의 없다. 다만 암각화를 비롯한 당시의 유적이나 오늘날에도 전승되는 구비

문학인무가(巫歌) 등을통해그양상을짐작할수있을뿐이다. 구석기시대에는수렵

위주의경제활동을했으므로, 수렵의성공을기원하는이야기와노래가있었으리라고

추정된다. 농경 문화가 시작된 신석기 시대에는 노동요를 비롯하여 천지와 인류의 기

원등을담은신화가나타났을것으로짐작된다.

고대의문학

건국 신화의 탄생 청동기시대에국가가성립되자건국의시조를주인공으로삼아건

국의내력을밝히고그신성성을칭송하는건국신화들이탄생하였다.

고조선의「단군신화」, 고구려의「주몽신화」, 가야의「가락국건국신화」등과같은

건국 신화가 역사서에 한문으로 기록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신화는 고난을

영웅적으로극복하는건국시조의모습을표현하고있다. 이들건국신화는부여의‘영

고’, 고구려의‘동맹’, 예의‘무천’과같은국중대회(國中大會)에서서사시로구연되었

을 것으로 추정되며, 집단의 결속을 다지고 자긍심을 높이는 역할을 했으리라고 짐작

된다.

전설, 민담, 서정 가요의 발생 고대 문학은 점차 신화 이외의 영역으로 확대되었다.

신화적 질서로는 해결되지 않는 현실을 다루는 과정에서 전설과 민담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예를들어「낙랑공주와호동왕자」처럼신화적능력을갖춘주인공이좌절하

거나 희생되는 이야기 또는 미천한 인물이 의외의 성공을 거두는 백제 무왕의 이야기

등이있다. 한편국중대회와는별도로짧은노래들, 즉「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황

조가(黃鳥歌)」, 「구지가(龜旨歌)」등이입에서입으로전해지다가한문으로기록되었다.

이가운데「공무도하가」나「황조가」는개인적서정을읊은작품으로이해할수있는데,

이를통해이시기에한국문학에서서정가요가발생하게되었음을확인할수있다.

■ 이 시기 문학의 역사적 전개 양상과 갈래별 특질을 이해할 수 있다.

■ 이 시기 문학의 주요 작품을 현대적 시각에서 감상할 수 있다.

■ 이 시기의 문학 작품을 감상함으로써 당시의 시대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고대문학1소단원 설정 취지|이 단원은 한국 문학이 발생한 시기에 나타난 문학의 특질을 알아보고 그 역사적 전개 과정을 이해하

기 위해 설정하였다. 한국 문학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는 우리 선조가 최초로 국가를 세우기 시작한 청동기 시대로,

이 시기에는건국의시조를주인공으로삼아건국의내력을밝히고그신성성을칭송하는건국신화들이탄생하였으며이

들 신화를 통해 집단의 결속을 다지고 자긍심을 높이고자 했다. 그러다 점차 신화 이외의 영역으로 확대되어 전설, 민담,

서정가요등이나타나게된다. 이 단원에서는‘단군 신화’와‘공무도하가’를 통해 한국 문학 태동기의 특징과 한국 문학

의전개과정및그시기의문화와시대적상황을이해하는활동을할것이다.

원시시대의문학

•구석기 시대의 문화와

언어 예술:̀ 수렵 문화를 바

탕으로 하였으며, 사냥의

성공을 기원하는 이야기를

암각화와 같은 조형 예술

에담음.

•신석기 시대로의 전환`:

농사를 지으면서 부르는

농업 노동요, 추상적 사고

의 상징적 표현을 특징으

로 삼는 신화 같은 것들이

형성됨.

고대의문학

•건국 신화 시대의 문학:̀

국중 대회에서 건국 서사

시로 구연된 건국 신화들

이탄생됨.

•탈신화 시대의 문학:̀ 신

화적 질서로 해결되지 않

는 현실을 다루는 과정에

서 전설과 민담이 발생하

고, 국중 대회와는 별도로

짧은노래들이창작됨.

선사인들이자신의바람을기원하는마음으로커다란바위등성스러운장소에새긴그림

농사와관련된문학

구석기시대문화의특징

내용은추상적이고상징적이었음.(‘천지왕본풀이’와같은제주도무당굿에서구연되는서사무가)

구석기시대문학의내용(울산반구대암각화)

무속의식에서무당이구연하는사설이나노래

고대이전(석기시대)의 한국문학의특징

신화시대의한국문학의특징`-`건국서사시

탈신화시대의한국문학의특징`-`전설, 민담, 개인서정시의발생

국가의기원을설명한신화

동명왕신화

나라의맨처음이되는조상

나라굿

김수로왕탄생과관련된신화

국중대회를통해유지되던사회적질서가흔들리며문학의양상이달라짐.

전설의특징-̀̀세계의횡포

가락국시조인수로왕의강림신화가운데곁들여전하는신화중의삽입가요

구비문학적성격

민담의특징-̀̀자아의가능성

교과서저자직강(동영상) / 소단원도입정리(ppt) 활용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3 PM 페이지122 mac02 T

Page 2: 1 고대문학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문학...(雲師) 바람, 비, 구름을 각각 주 관하는 존재. 바람, 비, 구름은 모 두농경과관련된다

(1) 이 암각화는 어느 시대의 유물일지 짐작해 보자.

(2) 이러한 암각화를 만든 시대의 사람들은 어떤 내용을 주로 노래했을지 짐작하여 말해

보자.

1 2 3[1] 고대 문학

■다음 자료를 보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이 단원에서는「단군 신화」와「공무도하가」를 학습하게 된다. 건국 신화와 개인 서정 시

가 작품을 통해 한국 문학이 발생하기 시작한 시기에 나타난 작품의 특징과 그 변화 과정

을 알아보자.

들어가기전에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고래 사냥하는 모습 등 여러 가지 생활상이 담겨 있다.

울산대곡리반구대암각화는고래사냥과같은수렵위주의구석기시대경제활동의양상이반영된것으로볼수있다.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 사냥하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고래 사냥이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나‘사냥에서

겪은 시련과 승리 중에서 자랑할 만한 것’을 공동의 기억에다 남길 수 있도록 재현한 것이다. 이로 볼 때 선사 시대에는

이러한선사인들의바람들이문학의내용이되었을것임을짐작할수있다.

들어가기전에(ppt) 활용

이끌기|문학의 모습을 전하는 기록이 이루어지기 전에도 문학

은 구비 문학의 형태로 존재했다. 당시의 생활 방식, 조형 예술

에 남아 있는 자취를 근거로 삼고, 후대 문학에서 찾을 수 있는

방증까지 보탠다면, 사라지고 없는 당시의 문학의 모습을 어렴

풋하게나마 상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문학은 인류가 말로써

의사를 전달하고, 감정을 표현할 때부터 존재해 온 것임을 이해

하고, 조형 예술에 담긴 사연을 노래나 말로 풀이하여 당시 문

학의내용을짐작해볼수있도록지도한다.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3 PM 페이지123 mac02 T

Page 3: 1 고대문학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문학...(雲師) 바람, 비, 구름을 각각 주 관하는 존재. 바람, 비, 구름은 모 두농경과관련된다

1 2 4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단군 신화」는 우리 민족이 세운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건국 신화이다. 국가를 세운 시조의 영웅성과

신성성 등 건국 신화로서의 특징에 주목하여 작품을 읽어 보자.

작품선정취지

「단군 신화」는 우리 민족이 세운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건국 신화로,

다른 건국 신화들의 전거(典據)가 되는 우리나라의 대표 신화이다. 따라서

이를 통해 우리 문학의 처음 모습을 확인하고 그 후대적 계승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도 알 수 있는 작품이기에 이 단원의 제재로 선정

하였다. 학생들은‘단군 신화’를 통해 국가를 세운 시조의 영웅성과 신성

성, 민족적 정체성 고취 등 건국 신화의 특성에 주목해 보고, 이후의 건국

신화에나타나있는시대상을확인해볼수있을것이다.

작품연구

•갈래:̀ 건국 신화

•성격:̀ 서사적, 신이적, 상징적, 설화적

•주제:̀ 고조선의건국과홍익인간의이념

•문체:̀ 역어체

•사상:̀ 광명 사상, 인간 존중사상, 하늘 숭배, 토템 사상

•특징

- 홍익인간이라는건국이념을밝힘.

- 천손의 혈통이라는 민족적 긍지를 반영하고 있는 전형적인 천신 하강

설화임.(‘환인 - 환웅 - 단군’의 3대기)

- 우리 민족의 유구한 단일성, 역사성을 암시하고 있으며, 영웅 설화적

성격을가지고있음.

- 농경 사회의제의적성격을반영하고있으며, 조상들의신앙세계를엿

볼수있음.

- 한국 신화의원형이며, 현전하는최고의설화작품임.

- 천부지모(天父地母)형 모티브를사용함.

•구성

- 기(起)̀: 환웅의강림과인간세계의교화

- 승(承)̀: 곰의 인간변신과단군왕검의탄생

- 전(轉)̀: 고조선의건국

- 결(結)̀: 단군의산신화

핵심정리

1. ‘단군신화’에담긴상징성

•환웅이 인간 세상을 탐내어 구하였고, 널리 인간 세상을 이롭게 하려는

뜻을펼쳤다는내용→인간중심적사고의반영

•환웅이 태백산 신단수 아래로 하강했다는 내용 → 산신을 숭배하고 큰

나무를신성시하는산악숭배사상반영

•환웅이비, 바람, 구름의 신(우사, 풍백, 운사)을 거느리고세상을다스렸

다는내용→농경사회를배경으로형성된신화라는점암시

•곰이 웅녀가 되어 환웅과 혼인한 것 → 동물 숭배 사상(토테미즘) 반영.

곰은 긴 겨울잠을 거쳐 되살아나는 재생력을 상징하는 토템의 대상이었을

것으로 추측됨. 환웅과 웅녀의 결혼은 신과 인간의 결합이자 이주족(移住

族)과 선주족(先住族)의 결합을의미

•쑥과 마늘을 먹고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은 것 → 수성(동물로서의

성격)의 제거를 위한 통과 의례 상징, 새로운 생명으로 태어나기 위한 시

련의시간을의미

•단군이 1천5백 년동안나라를다스린것: 신화적시간관표출

•단군이 은거하다가 1천9백8세에 이르러 산신이 되는 것: 제정일치(祭政

一致) 시대의군장(軍裝)의 신격화

2. ‘단군신화’의다방면에서의해석

•역사적 해석:̀ ‘단군 신화’는 웅녀로 대표되는 신석기 시대 빗살무늬 토

기 문화와 환웅으로 대표되는 청동기 시대 민무늬 토기 문화의 결합을 신

화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또‘단군왕검’은 제정일치 시대의 군장을 의미하

는 말이다. ‘단군’은 제사장을, ‘왕검’은 임금을 뜻한다. 따라서 단군 조선

은 일종의 신정 국가로 볼 수 있다. 단군이 죽어 산신이 된 것도 이런 맥

락에서이해할수있다.

•민속적해석:̀ 신권의 상징인천부인, 토템으로보이는곰과호랑이의존

재, 쑥과 마늘의 주술적 효력, 삼칠일의 금기 등은 민속적으로 의미 있는

요소들이다. 우선 천부인 세 개를 칼·거울·방울로 볼 때, 이는 단군을

무당으로 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쑥과 마늘을 통해 동물성이 제거되고

인간이 되었다는 것은 쑥과 마늘의 독성 제거 효력에 근거한 것이라 할

수있다. 또 삼칠일은출산과관련된민속적금기의기간이다.

•문학적 해석:̀ ‘단군 신화’는 하나의 정형적인 신화이다. 이 신화의 논리

는 크게 보아 천상과 지상의 결합, 광명(태양신의 아들 환웅)과 암흑(웅녀

의 햇빛 보기 금지)의 조화 속에서 인간(생명)이 탄생한다는 것이다. 여기

에 신과인간의결합, 동물과 식물의매개가있다. ‘단군 신화’에나타나는

태백산이나 신단수는 세계 알타이계 신화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세계산,

세계수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이 신화 속의 신화적 요소는 우리 민족의

생성과국가건립의신성성을보여주는것이다.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3 PM 페이지124 mac02 T

Page 4: 1 고대문학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문학...(雲師) 바람, 비, 구름을 각각 주 관하는 존재. 바람, 비, 구름은 모 두농경과관련된다

1 2 5[1] 고대 문학

고기(古記)̀■

에이렇게전한다.

옛날환인(桓因)̀—`제석(帝釋)을이른다.̀—`의서자(庶子)̀■

환웅(桓雄)이계셨는데,

항상 천하(天下)에 뜻을 두고 인간 세상을 탐내어 구하였다. 아버지가 아들의

뜻을알고삼위태백(三危太伯)̀■

을내려다보니, 인간세계를널리이롭게할만하

였다. 이에 천부인(天符印)`■

세 개를 주어, 내려가서 세상을 다스리게 하

였다.

환웅은 그 무리 3천 명을 거느리고 태백산(太伯山) 꼭대기`—`태백산은 지금의

묘향산(妙香山)이다.̀—`의신단수(神壇樹)̀■

아래에내려와서이곳을신시(神市)라고

부르니, 이분이 곧 환웅천왕(桓雄天王)이다. 그는 풍백(風伯)·우사(雨師)·운

사(雲師)̀■

를거느리고곡식·수명·질병·형벌·선악등을주관하고, 인간세상

의삼백예순가지일을맡아서인간세계를다스리고교화(敎化)하였다.

이때곰한마리와범한마리가같은굴에서살았는데, 항상신웅(神雄, 환웅)

에게 사람 되기를 빌었다. 이때 신(神, 환웅)이 신령한 쑥 한 심지와 마늘 스무

개를주면서말하였다.

“너희들이 이것을 먹고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는다면 곧 사람이 될 것

이다.”

곰과범은이것을받아서먹었다. 기(忌)̀■

한지 21일〔三七日〕만에곰은여자가

되었으나, 범은 능히 기(忌)하지 못했으므로 사람이 되지 못했다. 웅녀(熊女)는

그와혼인할상대가없었으므로, 항상단수(壇樹) 아래에서아이를배기를기원

하였다. 이에환웅이임시로변하여웅녀와혼인하여아들을낳으니, 이름을단

군왕검(檀君王儉)이라하였다.

단군은 요(堯)임금이 왕위에 오른 지 50년이 되는 경인년(庚寅年)̀—`요임금이

왕위에오른해는무진년(戊辰年)이다. 따라서요임금 50년은정사년(丁巳年)이지경인

년(庚寅年)이아니다. 아마잘못된부분이있는듯하다.̀—`에평양성(平壤城)̀—`지금의

■ 고기(古記) 옛 기록. 『삼국유

사』를 쓸 때 인용했던 책을 가리키

는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는 전하

지 않는다. ‘고기(古記)’자체가 책

의 이름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 서자(庶子) 첫째 아들이 아닌

둘째 이하의 아들을 이르는 말.

■ 삼위태백(三危太伯) 삼위(三危)

는 세 곳의 높은 산. 태백산은 그

가운데하나. ‘삼위’를고유명사, 즉

산의 이름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 천부인(天符印) 하늘의 위력과

영험함을 표상하는 신물. 방울, 칼,

거울로 추정하기도 한다.

■ 신단수(神壇樹) 신에게 제사를

드리는 제단에 서 있는 나무.

■ 풍백(風伯)·우사(雨師)·운사

(雲師) 바람, 비, 구름을 각각 주

관하는 존재. 바람, 비, 구름은 모

두 농경과 관련된다.

■ 기(忌)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

여 삼가고 경계함.

01 단군신화(檀君神話)

05

10

15

20

25

환웅의강림과인간세계의교화

곰의인간변신과단군왕검의탄생

홍익인간(弘益人間)의 건국이념이드러난구절로우리민족이천손임을보여주고있음. 인간 중시사상

환웅환인인간세상을다스리고싶어함.

무당이모시는신의하나

규모로보아그시대는부족국가시대였을것이라짐작됨.

고대사회에서제(祭), 정(政)의 집회지

→지배자가하늘로부터왔다는것을통해하늘을숭배하는사상이있음을추정할수있음.

당시농경생활을했음을보여주는소재

묶음

금기, 통과의례로서의 의미, 고난과 지혜를 통한 고난 극복의 원형 제시로 위업을 이루기 위해서는 반드시 시련을

극복해야함을보여줌.

‘삼칠일’로민속적금기를나타냄.

‘단군’은종교적인제사장을, ‘왕검’은정치적군장을의미. 따라서단군왕검은당시사회가제정일치사회라는것을보여주는말임.

중국의역사와고조선의건국을비교함으로써독자에게역사적사실일것이라는믿음을줌.

곰을토템으로하는부족이결국은호랑이를토템으로하는부족에게승리했다는것으로도해석할수있음.

쑥과마늘의의미

『본초강목(本草綱目)』에 쑥은

‘사인형(似人形)’하다는 기록으로

보아 인간 형성(形成)과 관계있

으며, 마늘은‘제사독기(除邪毒

氣: 사악한 독기를 제거함.)’하는

효능이 있다는 것으로 보아, 수

성 제거(獸性除去: 동물의 성질

을 없앰.)의 효험이 있는 식물로

풀이된다. 여기서 쑥과 마늘은

주술적 효력을 지니며, 쑥과 마

늘만 먹는 것은 윤리 의식이나

도덕성의 함양과 같이 사회화 과

정에서 요구되는 훈련 과정을 상

징한다.

「단군신화」의원형적특성

‘환인 - 환웅 - 단군’의 삼대기로 구성되어 있는‘단군 신화’는 국조(國祖) 단군의 신성성과 개국의 사실을 상

징화한 이야기이다. 그 서사적 구조는‘신이한 탄생 → 신성한 결혼 → 등극 → 사후의 이적’으로 요약할 수 있는

데, 이런 구조는 주몽, 혁거세, 수로 등 우리나라 건국 시조 신화의 원형이다. ‘단군 신화’에서 신이한 탄생의 화

소는천손강림으로나타난다.

본문제재듣기파일(mp3) / 작품 정리(ppt) 활용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3 PM 페이지125 mac02 T

Page 5: 1 고대문학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문학...(雲師) 바람, 비, 구름을 각각 주 관하는 존재. 바람, 비, 구름은 모 두농경과관련된다

1 2 6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서경(西京)̀`—`̀에 도읍을 정하고, 비로소 조선(朝鮮)이라 일컬었다. 또 백악산(白

岳山) 아사달(阿斯達)로 도읍을 옮겼는데, 그곳을 궁홀산(弓忽山),̀`—`̀‘궁’(弓)은

‘방’(方)으로 된 데도 있다.̀`—`̀또는 금미달(今彌達)이라고도 한다. 단군은 여기서

1천5백년동안나라를다스렸다.

주(周)나라의 무왕(武王)이 왕위에 오른 기묘년(己卯年)에 기자(箕子)를 조선

에 봉하니, 단군은 장당경(藏唐京)̀■

으로 옮겼다. 뒤에 단군은 아사달에 돌아와

은거하다가산신이되었는데, 그때나이가1천9백8세였다.

『삼국유사(三國遺事)』

05

■ 장당경(藏唐京) 황해도 구월산

(九月山) 아래의 땅 이름.

이만익, 「신단수도」

이 작품은 우리 민족이 세운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건국 신화이다. 이 신화에서는 천상의 존재인 환웅이 지상의 존

재인 웅녀와 결합하여 시조인 단군이 탄생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려 내어 우리나라가 천손에 의해 건국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이 작품을 통해 우리 신화의 원형과 당시 사회의 성격을 살펴볼 수 있다.

건국 신화로서의면모를보여주는구절이며, 건국을위한투쟁과정이없는것이특징임.

‘조선(朝鮮)’의본뜻으로추정하기도함. ‘아침해가비치는곳’이란뜻을나타냄.

신화의전형적인종결방식

고조선의건국

단군의산신화

「단군신화」의신성성

•천상적 혈통: 단군은 환인의

손자로서 천상적 혈통을 지닌 고

귀한존재임.

•초월적능력: 단군의아버지환

웅은 자연 현상을 주관하며 인간

을교화하는초월적능력을지님.

•신이한 출생: 단군은 천상적

혈통인 환웅과 곰에서 인간으로

변한웅녀사이에서태어남.

•국가의 시조: 단군은 평양성에

도읍을 정하고 우리 민족 최초의

국가인고조선을건국함.

우리이야기에나타난여인상

•「단군 신화」: 웅녀의 여성 수

난과극복 - 여성의고난과지혜

로운극복모티브의원형제시

•「바리공주」: 자신을 버린 부모

에 대한 효성을 버리지 않는 구

원의여인상제시

•「심청전」: 아버지의 행복을 위

해 죽음의 위협을 두려워하지 않

는희생적여인상제시

•「춘향전」: 자신의 신념과 애정

을 위해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불굴의여인상제시

『삼국유사』와『제왕운기』에나타난단군에대한비교

구분 『삼국유사』 『제왕운기』

환인의 서자 환웅이 웅녀

와혼인하여낳음.

환인의 아들 환웅이 손녀에게 약을

먹여 사람의 몸을 이룬 뒤 혼인하

여낳음.

기록이없음.신라, 고구려, 남북 옥저, 동북 부

여, 예맥 등

단군의

탄생과정

조선의판역

(版域)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3 PM 페이지126 mac02 T

Page 6: 1 고대문학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문학...(雲師) 바람, 비, 구름을 각각 주 관하는 존재. 바람, 비, 구름은 모 두농경과관련된다

1 2 7[1] 고대 문학

2 「단군 신화」에 나타난 신화로서의 성격과 시대 상황에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다음을 참고하여「단군 신화」는 어떤 유형의 신화인지 말하고, 작품 내에서 근

거가되는부분을찾아보자.

신화는 신(神)에 대한 이야기를 신성한 태도로 서술하는 설화이다. 신화에서는 신의

내력을설명하게되는데, 그과정에서우주와천지(天地), 인간과동·식물로부터인간

의문화와제도에이르기까지다양한존재들의기원을다루곤한다. 신화에서다룬내

용을기준으로한다면천지창조신화, 인류기원신화, 문화기원신화, 건국신화등으

로나눌수있다.

1 「단군 신화」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단군이세상에태어나게되기까지의과정을간단히정리해서말해보자.

(2)이신화에나타난건국이념을본문에나온구절을활용하여말해보자.

(3)신화, 전설, 민담 등의 설화에는 특정한 행동이나 말을 금지하는 금기(禁忌)

의요소가흔히나타난다. 이작품에서금기가나타난부분을찾아보자.

다가서기

깊게이해하기

학습활동

건국신화`-`고조선

고조선은 건국 연대가 기원전 2천 년 이전이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기

원전 천여 년 경 청동기 시대의 시작과 더불어 성립된 국가라고 보는 것

이예사이다. 강역은 랴오둥 반도에서 대동강유역에걸쳐있었다. 그곳에

서 청동기 문화를 기반으로 해서 등장한 정치 권력이 주변의 군소 세력을

통합하고 국가를 창건한 내력을 나타내면서, 정치 권력의 이상형을 제시

하고 내부적 결속을 강화한 것이 건국 신화의 내용이고 기능이라고 말할

수 있다. 등장인물을 보면 환인(桓因)·환웅(桓雄)·단군(檀君)의 삼대기이

다. 환인은 초자연적인 존재인 하느님이기만 하다. 환인의 서자라고 하는

환웅은 땅으로 내려와 역사적 시간 속으로 들어왔다. 서자는 장자가 아니

라는 뜻이다. 장자는 하늘을 맡고, 서자는 땅으로 내려왔다는 말이었지만,

나라를 세워야 하는 단계에 이르자 환웅의 하강이 필요하게 되었다고 추

정해 볼 수 있다. 단군은 지상에서 태어난 통치자이며 역사적인 인물로

이해된다. 삼대기의 전개에서 신화가 역사와 겹치다가 역사로 이해되는

데이르는변화를확인할수있다.

환웅은 환웅족이라고 부를 수 있는집단의 시조로인정되는 수호신이라

고 생각된다. 환웅이 웅녀(熊女)와 혼인을 한 것은 천신족과 지신족의 결

합을 뜻한다고 하겠으며, 그런 전개는 해모수와 유화의 경우에서 다시 볼

수 있다. 환웅과 웅녀가 혼인해서 낳은 단군은 순탄하게 왕위에 올라 오

래통치하다가나중에산신이되었다고하는

일대기가나타나있다.

- 조동일, “제4판 한국문학통사 1”(지식산업사, 2005)

이끌기|1-(3) 신화의 내용과

동시에 설화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활동이다. 설화의 여

러 화소(이야기를 구성하는 최

소 단위) 가운데 금기(禁忌)는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그것은

매우많은설화에폭넓게자리

하면서서사전개의핵심축을

이루고 있다. 금기를 축으로

하여 서사의 역동이 이루어지

는 양상이「장자못 전설」이나

「우렁각시」, 「선녀와 나무꾼」

등한국의대표적설화에서공

통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 신

화에서금기의요소는곰과범

이인간이되기를원하였을때

환웅이한말에나타나있다.

이끌기| 2-(1) 단군이 평양성

에 도읍을 정한 것을 근거로

「단군 신화」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활동이 끝난

뒤에‘단군 신화’는 단군의 탄

생과역사에전하는우리민족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건국

과정을다룬건국신화로서민

족공통의정체성을부여한것

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는

점을알수있도록지도한다.

환웅이인간세상에내려가고자함. → 환인이아들환웅의뜻을알고허락함.

→ 환웅이무리를거느리고태백산(지상)으로내려옴. → 곰과범이인간이되기를청하여환웅이시험함.

→ 시험에통과한곰이웅녀(인간)가 됨. → 환웅과웅녀가혼인하여아들(단군)을 낳음.

인간세계를널리이롭게함.

“너희들이이것을먹고 100일 동안햇빛을보지않는다면곧사람이될것이다.”

건국 신화. “단군은 요(堯)임금이 왕위에 오른 지 50년이 되는 경인년(庚寅年)에 평양성(平壤城)에 도읍을 정하고, 비

로소조선(朝鮮)이라일컬었다.

학습활동풀이(ppt) / 넓게 생각하기(ppt) / 문제은행(학습지, 소단원평가) 활용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3 PM 페이지127 mac02 T

Page 7: 1 고대문학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문학...(雲師) 바람, 비, 구름을 각각 주 관하는 존재. 바람, 비, 구름은 모 두농경과관련된다

1 2 8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4)다음설명을참고하여토템신앙의측면에서‘단군신화’의내용을해석해보자.

(3)「단군신화」가형성되던무렵의사람들은어떻게경제생활을했을지작품내에

서찾아구체적인근거를들어말해보자.

토템(totem)은특정한집단에서자신들과특별한관계가있다고여겨서자기집단의

상징물로삼는자연물이나동식물을뜻하는말이다. 국가형성이전의사회에서는부족

마다자기집단을상징하는토템을내세웠을것으로짐작되는데, 이러한토템은신화의

형성과정에서흔히특정집단을대표하는존재로등장한다.

(5)사람들이문자를사용하기이전에는「단군신화」가어떤방식으로향유되었을지

추측해보고, 이렇게향유되던것을한국문학으로볼수있을지친구들과함께

의견을나누어보자.

(2)「단군신화」에서신화로서의신성성을보여주는요소들은어떤것이있는지알

아보자.

‘환웅’의 경우

‘단군’의 경우

이끌기|2-(2) 이 활동은 신화

의특성을이해하기위한활동

이다. ‘신성성’은 인간의 속성

을 초월한 것을 의미한다. 신

성한 인물인환웅과단군이평

범한인물과는어떤점에서다

른지작품에서찾아보게한다.

신화의특성

•신화는 예로부터 전해 내려

오는이야기인설화의한갈래

로일정한구조를지니고있으

며꾸며낸이야기라는점에서

서사문학의근원이다.

•고대인의 원초적 세계관이

반영된 것으로, 신성한 이야기

라는믿음을전제로한다.

•공동체 구성원의 일체감을

조성하는기능을갖고있다.

이끌기|2-(4) 「단군 신화」에

서환웅과웅녀의결합에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환웅과 웅

녀의결합은곰과범을토템으

로 섬기는 종족 중 곰을 숭배

한부족이범을숭배한부족을

눌렀음을 의미한다는 해석도

있음을알려준다.

이끌기|2-(5) 구비 문학도한

국 문학에 포함된다는 사실을

다시한번강조하고확인시키

기위한활동이다.

환웅은 풍백(風伯)·우사(雨師)·운사(雲師)를 거느렸는데 이들은 각각 바람, 비, 구름을 주관하는 존재로 추정된다.

바람, 비, 구름은 농사와밀접한관련을맺는것이므로, 「단군 신화」가형성될시기의사람들의경제생활은농업경제

를기반으로이루어졌음을추측할수있다.

단군 신화의 모계로 설정된‘웅녀’는 곰이 인간으로 변신한 존재이다. 이는 곰을 토템으로 하는 부족이 환웅으로 구

체화된 천신족(天神族)과 결합함으로써 조선이라는 국가의 건설로 이어진 사실을 신화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할

수있다.

문자가없었기때문에구전되었을것이다. 이때 한국어의범위가문자에만국한되는것은아니므로한국문학에포함

된다고 볼 수있다. 특히「단군 신화」는 신성성을 지닌신화였으므로, 특별한 능력을 가진 인물, 예를 들면 무당과 같

은사람이구비서사시(건국영웅을칭송하는구비신화)로 구연하였을것이다.

•천상의존재인환인의아들로태어남.

•하늘의위력과영험함을표상하는신물인천부인을가지고풍백·우사·운사등

을거느리는존재임.

•곰을인간으로변화시킨능력을지님.

•천상적혈통(환웅)을 지닌고귀한존재이며, 신이한탄생을보임.

•고조선을건국하였으며, 퇴위 후에는산신이되어 1천9백8세까지삶.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3 PM 페이지128 mac02 T

Page 8: 1 고대문학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문학...(雲師) 바람, 비, 구름을 각각 주 관하는 존재. 바람, 비, 구름은 모 두농경과관련된다

1 2 9[1] 고대 문학

3 다음은 고구려의 건국 신화인‘주몽 신화’의 일부분이다. 이 글을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천제(天帝)가태자를부여의옛도읍에내려보냈으니, 태자의이름은해모수(解慕漱)이

다. 해모수는다섯마리의용이끄는수레를타고하늘로부터내려왔는데, 흰고니를탄

사람수백명을이끌고왔다. 하늘에는빛나는구름이뜨고땅에는음악소리가울렸다.

십여일동안웅심산(熊心山)에머물렀다가비로소땅에내려오니, 머리에는까마귀깃털

로만든모자를쓰고허리에는용광(龍光)이빛나는보검을찼다. 아침에정사(政事)를돌

보고저녁이면하늘로올라가니, 세상에서는이를천왕랑(天王郞)이라하였다. [중략]

하백(河伯)은 해모수가 참으로 천제의 아들이라 여기고 예를 갖춰 혼인을 하게 하였

다. 하백은왕[해모수]이자신의딸을데려갈마음이없을까두려웠다. 그래서잔치를베

풀고술을권해서크게취하게한뒤에, 딸과함께작은수레에넣어서용거(龍車)에실

어하늘로올라가도록하였다. 그수레가물을채빠져나오기전에왕은바로술이깨어,

여자의황금비녀로가죽수레를찌르고혼자그구멍으로빠져나와하늘로올라갔다.

하백은 크게 노하여 그 딸에게 말하되, “너는 나의 가르침을 따르지 않고 나의 가문

을 욕되게 했다.”하고, 신하들에게 명령해서 딸의 입을 잡아 늘려 그 입술의 길이가

3척이나 되게 만들었다. 그러고는 노비 두 사람만을 붙여서 우발수(優渤水) 가운데로

귀양보냈다.

- 이규보, 『동국이상국집』에서

넓게생각하기

(1)「단군신화」에서「주몽신화」의해모수와비슷한인물은누구인지찾아보고, 그

렇게생각한이유를말해보자.

(2)「단군신화」의곰[웅녀]과「주몽신화」의하백의딸[유화] 사이에는어떤공통점

과차이점이있는지말해보자.

(3)「주몽신화」에서「단군신화」와같이신성성을보여주는부분은어디인지구체

적으로지적해보자.

이끌기|3 고구려 건국 신화

와의비교를통해건국신화의

일반적인 특성과 서사적 구조

의 공통점을 파악해 볼 수 있

도록하기위해만든활동이다.

작품연구|「주몽(동명왕) 신화」

•갈래 :̀ 설화, 신화, 건국 신화

•주제 :̀ 주몽의 탄생과 고구려

의건국내력

•특징

- ‘천제`-`해모수`-`주몽’이라

는 삼대기(三代記)의 구조를

보여줌.

- 난생(卵生) 설화 중 유일하

게 사람이 낳은 알에 대한 이

야기임.

•전체 구성 :̀ 유화가 해모수와

정을 통해 귀양 옴. → 금와가

유화를 거두었으나 유화가 임

신하여 알을 낳음. → 주몽이

껍질을깨고나와비범하게성

장함. → 금와의 장자 대소가

주몽을 경계하고 주몽이 그에

대비함. → 주몽이 죽을 위기

에처하자집을떠나고구려를

건국함.

‘주몽 신화’에서 해모수는 천제(天帝)의 아들로 다섯 마리의 용이 끄는 수레를 타고 고니를 탄 사람 수백 명을 이끌

고 온다. 이는‘단군 신화’에서 제석(帝釋)인 환인의 아들 환웅이 그 무리 3천 명을 거느리고 온 것과 비견된다. 따라

서‘단군신화’에서‘주몽신화’의해모수와대응되는인물은환웅이라고할수있다.

•공통점:̀ 웅녀와 유화 모두 건국 시조의 어머니이면서 동시에 신이한 존재이다. 또 건국 시조의 어머니가 되기까지

일상적인 수준을 넘어서는 고난을 겪어야 했다. 웅녀는 쑥과 마늘을 먹으며 동굴에서 생활해야 했고, 유화는 아버지

하백의처벌에따라흉한모습으로변하여귀양가는고난을겪어야했다.

•차이점:̀ ‘단군 신화’의웅녀는동물에서인간으로변한것이고, 유화는 본래부터신성한존재(물의 신인하백의딸)

이다.

‘해모수는다섯마리의용이끄는수레를타고하늘로부터내려왔는데, 흰 고니를탄사람수백명을이끌고왔다.’는

부분은단군신화에서환웅이그무리 3천명을이끌고하늘에서내려온것같이신성성을보여주는부분이다.

이끌기|3-(2) 교과서에 제시

되어있지는않지만유화는아

들 주몽을 낳고 기르는 동안

다양한 형태의 고난을 지속적

으로 겪는다. 또한 해모수와

유화 사이에는‘알’이 태어난

다. 이 점은 웅녀와 환웅 사이

에서인간이태어난것과는다

른차이점이다.

하늘의신

물의신

유화

고려 시대의 문인. 명문장가로 그가 지은 시풍은 당대를

풍미했으며, 몽골군의침입을‘진정표’로격퇴하기도함.

정치

단군이그무리 3천 명을거느리고온것에비견됨.

해모수의신성성강조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3 PM 페이지129 mac02 T

Page 9: 1 고대문학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문학...(雲師) 바람, 비, 구름을 각각 주 관하는 존재. 바람, 비, 구름은 모 두농경과관련된다

「공무도하가」는 개인의 서정을 노래한 고대 가요이다. 화자의 정서와‘물’의 의미에 주목하면서 작품을

감상해 보자.

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1 3 0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작품선정취지

「공무도하가」는 집단적 의식을 담은 노래에서 점차 개인적인 정서를 담

은 서정시로 넘어가는 시기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따라서 건국 신화로 대

표되는 민족의 집단 서사시가 개인적 서정시로 변모하는 과정을 학습하는

이 단원의 제재로 선정하였다. 학생들은 임을 잃은 슬픔을 애절한 목소리

로 노래하고 있는 이 작품에 대한 학습을 통해서 고대 서정 문학의 모습

을 확인하고 한국 문학사에 면면히 흐르는 한(恨)의 정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작품연구

•갈래:̀ 개인적서정시(4언 4구체의한역시가)

•어조:̀ 여성적화자의탄식과원망, 애절한울부짖음과체념적인어조

•성격:̀ 서정적, 비극적

•주제:̀ 임을 여읜슬픔, 남편의죽음을슬퍼함.

•특징

- 화자의감정을화려한수식없이직접적으로표출함.

- ‘물’의상징적의미를중심으로시상을전개함.

•의의

- ‘황조가’와함께우리나라최고(最古)의 서정가요

- 집단가요에서개인적서정시로넘어가는시기의과도기작품

핵심정리

1. ‘물’의상징적의미

- 1행에서의 물: 충만한 사랑의 이미지, 물을 건너지 말라는 아내의 간곡

한마음을나타냄.

- 2행에서의 물: 임의 부재, 임과 영원한 이별을 하게 만드는 물로 사랑

의종말을나타냄.

- 3행에서의 물: 임의 죽음. 임과 화자 사이의 뛰어넘을 수 없는 단절감

을나타냄.

2. 이 작품에담긴‘한(恨)’의정서가지니는의의

이 노래에서 화자인 여인은 임을 여읜 슬픔을 애절하게 노래하고 있으

며, 우리는 여기에서 전통적인 한국의 여인상을 발견할 수 있다. 남편의

죽음을 보고 뒤따라 죽는 아내의 모습에서 기다림과‘한(恨)’, 체념에 묻혀

살아 온 인종(忍從)의 한국 여인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이다. 흔히 우리

민족의 전통적 정서를‘한’이라고 하는데, 이‘한’은 이별과 죽음에서 나오

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서정시 중에 이별을 다룬 것이 많은 것은, 오랜 옛

날부터우리민족에게‘한’의정서가깊이깃들여있음을나타내는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서정시의 출발이라 할 이 노래는 한국적

정서인‘한’의원류(源流)라 할수있다.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3 PM 페이지130 mac02 T

Page 10: 1 고대문학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문학...(雲師) 바람, 비, 구름을 각각 주 관하는 존재. 바람, 비, 구름은 모 두농경과관련된다

1 3 1[1] 고대 문학

02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公無渡河 임아, 그물을건너지마오.

公竟渡河 임은끝내그물을건너셨네.

墮河而死 물에빠져돌아가시니

當奈公何 가신임을어찌할꼬.

『해동역사(海東繹史)』

백수광부의아내

「공무도하가」의 배경 설화

고조선의뱃사공곽리자고( 里子高)가아침일찍일어나배를저어가는데, 머리가

하얗게 센 미친 사람[白首狂夫]이 술병을 들고 강물을 가로질러 건너고 있었다. 그의

아내가뒤따르며말렸지만, 그는끝내물에빠져죽고말았다. 그러자아내는강가에서

공후에 맞춰 노래를 부르며 통곡하였는데, 이 노래가‘공무도하가’이다. 노래가 끝나

자 아내또한물에몸을던져죽고말았다. 광경을목격한곽리자고는집에돌아와자

기아내인여옥(麗玉)에게이이야기를하면서노래를들려주었다. 여옥은눈물을흘리면

서공후를안고노래를불렀는데, 듣는사람마다눈물을흘렸다. 여옥이이노래를옆집

에사는여용(麗容)에게가르쳐주니, 이노래의악곡명을「공후인( 引)」이라한다.공후

이 작품은 고조선 때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남편을 잃은 슬픔을 간결하면서도 애절하게 읊고 있으며, 이러한 표현 속

에 여인의 비극적 정서가 드러나 있다. 한국 문학에서 개인적인 정서를 담은 초기 서정 시가의 사례로 들 수 있으며, 이

점에서 문학사적인 가치가 높이 평가된다.

「공무도하가」의성격에대한다른견해

「공무도하가」에 관련된 설화를 보면, 기본적으로 물을 건너다 죽은 사람이 누구인가에 대한 해명이 요구된다.

그의 모습이 예사롭지 않은 점을 들어, 죽은 사람이 무당일 것이라는 견해가 설득력을 갖는다. ‘백수’는 무부(巫

夫)인‘박수’를 의미하는 알타이 어‘paxi’와 비슷하여 해석의 타당성은 더욱 확보된다. 무당인 백수광부가 강물

에 뛰어들어 죽음을 이기고 새로운 권능을 확인하는 의식을 거행했다고 하겠는데, 문제는 그렇게 하는 데 실패했

다는 것이다. 그는 왜 실패했는가? 우선 그의 주술적 능력이 뛰어나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정해 볼 수 있

다. 만일 숙련된 무당이었다면 그는 새로운 권능을 얻는 데 성공하였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제를 개인적

차원으로 좁혀서 바라보는 것은, 개인보다 집단을 중심으로 움직여 나가던 고대 사회의 기본 성격을 간과하게 된

다. 여기에서 백수광부의 죽음을 통해 무당으로서의 그의 권위가 이전과 같이 인정받지 못하는 새로운 상황이 초

래되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즉 그가 죽은 이유는 근본적으로 고조선이 국가적인 체제를 확립하면서 사회적

변화에 편승하지 못한 대다수의 무당이 불신되거나 배격되는 사태에서 찾을 수 있을 법하다. 이렇게 보면‘공무

도하가’는 주술적 효험이 붕괴됨과 함께 이전의 그 신성하고도 숭고한 질서가 불신되기 시작하던 신화 시대 말기

의사회상을반영하고있는것으로볼수있다. - 진경환외, “고전문학이야기주머니”(녹두, 1997)

‘공무도하가’의작가와국적문제

‘공무도하가’는고조선사람인백수광부(白首狂夫)의 아내가지은작품으

로널리알려져있으나, 이에 대해서는논란이있다. 우선 곽리자고의아내

인 여옥이 작가라는 견해가 있다. 남편의 죽음을 목격한 아내가 공후를 들

고 와서 노래를 부른다는 것이 이치에 맞지 않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또

국적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의 작품이라는 견해도 있다. 원래 이 노래가 수

록된 문헌이 중국의 것이며, 공후 또한 중국에서 전래한 악기이기 때문이

다. 그렇지만 이러한 반론들의 근거가 명확한 것은 아니다. 한치윤

(1765~1814)이“해동역사”를 편찬하면서 이해한 방식에 따라, 고조선 사

람백수광부의아내가지은작품으로이해하는것이통설이다.

죽음의만류

임과의이별

임의죽음

임의죽음애도

맥락읽기 Q&A

① 이 시의 시적 화자는 누구인

가?

⇡ 백수광부의아내

② 시적 화자가 처해 있는 상황

은?

⇡ 사랑하는 임이 물에 빠져 죽

은상황

③ 물에 빠져 죽은 임에 대한 화

자의감정은?

⇡ 애절한슬픔과사랑

④ 화자의 슬픈 심정이 집약되어

나타난시행은?

⇡ 4행

⑤이시에나타난정서는?

⇡ 한(恨)의 정서

임에대한화자의충만한사랑

임의죽음과그에따른단절감

사랑의종말

「공무도하가」낭송(플래시) / 작품 정리(ppt) /

원문+현대어풀이(공무도하가)

(hwp) 활용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3 PM 페이지131 mac02 T

Page 11: 1 고대문학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문학...(雲師) 바람, 비, 구름을 각각 주 관하는 존재. 바람, 비, 구름은 모 두농경과관련된다

1 3 2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1 「공무도하가」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배경설화를고려할때이작품의화자는어떤상황에처해있는지말해보자.

(2)다음은 이 작품의 시상 전개를 도식화한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화자의 정서가

어떻게바뀌어가는지말해보자.

다가서기

2 「공무도하가」의 문학사적 가치에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다음글을참고하여한국문학사에서「공무도하가」의가치에대해말해보자.

(2)이 작품에서‘물’이 가진 상징적 의미는 무엇인지 말하고, 이와 유사한 의미를

담은작품을더찾아보자.

원시고대의초기시가는집단이공유하고있는정서를담은노래였다. 이러한집단

적인정서를담은노래는주로집단적인행사에서불렸다.

그러다점차개인의삶의영역이확대되면서개인적인정서를담은작품도출현하게

되었다. 개인의정서를다루므로작가의개성이강하게드러나게되었으며, 이를 위한

표현은그개인의고유한표현이되었다.

깊게이해하기

1행

임을만류함.⇡

2행

임이떠남.⇡

3행

임의죽음

4행

화자의탄식

학습활동

이끌기|1-(1), (2) 이 노래의

화자는 물에 빠지려는 남편을

만류하였지만 결국 남편이 물

에 빠져 죽자 그 슬픔에 탄식

하는 여인이라는 점에 주목하

여답하도록지도한다.

이끌기|2-(1) 이 활동을 할

때에는 원시 고대 가요인‘구

지가’를 보여 주어 서로 비교

해 보도록 할 수 있다. ‘구지

가’는 가락국 군중들이 임금을

맞이하기 위해 불렀던 집단적

인 의식요이자 노동요로서 원

시가요의성격을잘드러내고

있다.

‘물’의원형상징

원형 상징이란 한 개인이나

민족 구성원의 차원을 넘어서

고대로부터 현대까지 이어지

며 되풀이되는 인류의 보편적

상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원

형 상징으로서‘물’은 더러운

것을깨끗하게하는속성을지

녔으므로 정화와 순결을 상징

한다. 또한 새 생명을 상징하

기도 하고, 반대로 소멸과 죽

음, 이별, 부활을 상징하기도

한다.

남편(사랑하는임)과의이별(사별)을 겪음.

안타까움의 감정이 슬픔(비애), 탄식, 체념의 감정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때 슬픔과 탄식, 체념의 감정은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이 작품은 슬픔과 한이라는 개인적 정감을 노래한 것으로 개인적 정서를 다루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는‘집단 가요’

에서‘서정시’로이행하는단계에놓인작품으로해석할수있다.

•‘물’의 상징적 의미: 1행에서의 물-̀̀충만한 사랑의 이미지(물을 건너지 말라는 아내의 간곡한 마음을 나타냄.) /

2행에서의 물-̀̀임의 부재(임과 영원한 이별을 하게 만드는 물로 사랑의 종말을 나타냄.) / 3행에서의 물-̀̀임의 죽음

(임과화자사이의뛰어넘을수없는단절감을나타냄.)

•‘공무도하가’와이별을매개하는‘물’의기능이유사한작품의예: 정지상,‘송인(送人)’

학습활동풀이(ppt) / 넓게 생각하기(ppt) / 원문+현대어풀이(황조가)(hwp) / 문제은행(학습지, 소단원평가) 활용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3 PM 페이지132 mac02 T

Page 12: 1 고대문학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문학...(雲師) 바람, 비, 구름을 각각 주 관하는 존재. 바람, 비, 구름은 모 두농경과관련된다

1 3 3[1] 고대 문학

3 다음은 고구려 유리왕의「황조가」와 그 배경 설화이다. 배경 설화와 함께「황조가」를

감상하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가)翩翩黃鳥 펄펄나는저꾀꼬리

(가)雌雄相依 암수서로정답구나.

(가)念我之獨 외로워라이내몸은

(가)誰其與歸 뉘와함께돌아갈꼬.

- 유리왕, 「황조가(黃鳥歌)」

(나) 고구려 제2대 왕인 유리왕의 왕비 송씨가 세상을 떠나자, 왕은 두 사람의 왕비를

새로맞이하였다. 한 사람은골천사람의딸인화희(禾姬)이고, 다른 한사람은중국

한(漢)나라사람의딸인치희(雉姬)였는데, 두왕비가자주다투었기때문에유리왕은

두개의궁궐을지어서각각다른곳에서지내게하였다.

어느날왕이사냥을나갔다가 7일동안돌아오지않았다. 그런데그동안에두왕

비사이에싸움이일어났다. 화희가치희를꾸짖어말하기를,

“너는한나라집안의비천한계집인데, 어찌그리무례한가?”

하니, 치희는한편으로부끄럽고한편으로분하여자기나라로돌아가버렸다. 뒤늦게

돌아온유리왕은급히말을달려따라갔지만, 화가난치희는끝내돌아오지않았다.

어느날유리왕이나무밑에서쉬다가꾀꼬리가날아서모여드는것을보았다. 이

에느낀바가있어노래하였는데, 이것이「황조가」이다.

넓게생각하기

(1)「공무도하가」와「황조가」의화자가처한상황에는어떤공통점과차이점이있는

지정리해보자.

(2)「공무도하가」나「황조가」와같은먼과거의노래가오늘날에도감동을줄수있

는이유가무엇인지말해보자.

「공무도하가」 「황조가」화자가 처한 상황

공통점

차이점

이별이라는상황, 남녀 사이의애정등은세월이흘러도(시대가바뀌어도) 변하지않는보편적인정서이기때문이다.

사랑하는임과의이별

•일반백성간의이별

•죽음으로 인한 이별(결과가 죽음으

로이어짐.)

•서정적상황

•왕과왕비의이별

•질투로인한이별(임은살아있음.)

•서사적 상황 포함(왕의 이별이기 때

문에 부족 간의 화해에 실패한 왕의

비애로해석할수도있음.)

작품연구|「황조가」

•갈래:̀ 4언 4구의 한역(漢譯)

시가

•주제 :̀ 짝을 잃은 슬픔과 외

로움

•특징

-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슬

픔을 꾀꼬리라는 자연물을 빌

려우의적으로표현함.

- 집단 가요에서 개인적 서

정시로 넘어가는 단계의 가요

이자‘공무도하가’와 함께 우

리나라 최고(最古)의 서정

시임.

「공무도하가」에나타난미의식

「공무도하가」는 죽음을 경험

적인 현실의 문제로 받아들이

는아내의비극적인의식을독

백 화법으로 표출하고 있다.

이 노래에서‘현실적인 것’은

남편이 강물에 빠져 죽으려는

것이며, ‘이상적인 것’은 남편

이 강물에 빠져 죽어서는 안

된다는 신념이다. 그러나 노래

의 실제 어조에서는 이상적인

신념의 성취가 어려운 상태에

서‘현실적인 것’에 대한 저항

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상적

인 것’이 불리한 상황에서 이

를추구한다는것은비극적갈

등일 수밖에 없고, 그 결과

‘현실적인 것’에 따른 깊은 상

처나 파멸만 남을 뿐이다. 따

라서 이 노래에 구현된 미(美)

는 신화적 숭고 또는 주술적

숭고의 파탄으로 초래된‘비극

미’라고할수있다.

이러한 점들은 이 노래가 신

화적 질서, 혹은 주술적 힘의

숭고함이 이미 흔들리기 시작

한신화시대말기의사회상과

세계관을 반영한다는 것을 말

해 준다고 하겠다. 이럴 때 신

적(神的)인 인물의 신성성이

의심된다든가 주술 능력이 실

패한다든가 할 경우에는 비극

적인 파멸의 길을 걷지 않을

수 없다는 사실을「공무도하

가」가보여주고있다.

화자의서정을불러일으키는동기암수꾀꼬리의정다움

→선경(先景)

짝을 잃은 나의 외로움

→후정(後情)

화자의외로움이가장고조된상태

고구려제2대왕. 부여로부터아버지동명왕을찾아

고구려에입국하여동명성왕에이어즉위함.

242교과(116~159)수정 2015.12.30 2:3 PM 페이지133 mac02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