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2 조 응급간호

Embed Size (px)

DESCRIPTION

2 조 응급간호. 1. 다발성 손상. 1) 1 차사정 * 환자의 의식유무 확인 *기도 ( airway ) 확인 *호흡 ( breathing ) 확인 * 순환 ( circulation ) 확인 : 맥박 촉지 되는가 ? , 심한 출혈이 있는가 ? * 불구 ( Disability ) : 의식수준과 동공을 사정한다 .    AVPU 척도를 사용하여 의식수준을 사정 - A(alert)- 의식은 명료한가 ?   - V(voice)- 언어지식에 반응하는가 ?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2 조 응급간호
Page 2: 2 조 응급간호

1. 다발성 손상

1) 1 차사정* 환자의 의식유무 확인* 기도 ( airway ) 확인* 호흡 ( breathing ) 확인* 순환 ( circulation ) 확인 : 맥박 촉지 되는가 ? , 심한 출혈이 있는가 ?* 불구 ( Disability ) : 의식수준과 동공을 사정한다 .   AVPU 척도를 사용하여 의식수준을 사정 - A(alert)- 의식은 명료한가 ?  - V(voice)- 언어지식에 반응하는가 ? - P(pain)- 통증자극에 반응하는가 ?  - U(unresponse)- 통증자극에도 무반응이다 .* 노출 ( expose ) : 환자의 옷을 벗기고 상처나 피부병변

같은 손상 , 질병이 있는지 사정

Page 3: 2 조 응급간호

신체 사정

Page 4: 2 조 응급간호
Page 5: 2 조 응급간호
Page 6: 2 조 응급간호

2) 2 차사정

* 신경학적 사정환자의 지남력 사정 * 사람 - 누구인가 ( 지남력중 가장 늦게 소실됨 ) *장소 - 어디인가 * 시간 - 날짜 , 달 , 연도를 정확히 아는가 * 사건 - 어떻게 응급간호를 받게 되었는가

글라스코우 혼수 척도 (GCS) -7 점이하 - 혼수상태 -4~5 점 : 깊은 혼수 - 6~10: 의식의 간헐적장애 -10 점이상 : 정상

Page 7: 2 조 응급간호

일반적 관찰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 , 피부색 , 비정상적인

피부의 얼룩 , 이상한 냄새 , 걸음걸이 , 자세 , 환자의 기분과

정서를 사정 . 활력 징후 사정 / 말초 맥박 산소포화도 측정

머리에서 발끝까지 또는 중점적 사정 머리 /얼굴 /귀 - 코 - 목구멍 - 시진 , 촉진 목 - 시진 , 촉진 , 청진 가슴 - 시진 , 타진 , 촉진 , 청진 배 - 시진 , 청진 , 타진 , 촉진 골반 /생식기 - 시진 , 촉진 사지 - 시진 , 촉진 등 - 시진 , 촉진 , 타진

Page 8: 2 조 응급간호

2. 뇌손상 뇌진탕 (concussion): head injury 후 sudden onset

이며 일시적인 신경학적결손은 남기지 않고 회복하는 가역적손상으로 영구적인 구조적인 손상은없는경우

뇌좌상 (contusion); 뇌진탕과 대조적으로 뇌실질의 injuryr 가 초래된경우 연부조직에서 보이는 좌상 (타박상 ) 과 동일한 병변이 뇌에 초래되는 경우이며 뇌가 국소적으로 손상된 경우에는 어떤 특징적인 기능이상의 증상 및 징후를 나타내기도 한다 . 예를 들면 , 이마에 좌상을 입으면서 뇌전두엽에 좌상을 입은 후에 그 환자의 성격이 변한 것이다 . 뇌좌상이나 뇌진탕 후에는 의식수준과 다른 신체적 징후들은 점점 호전되는 것이 보통이다 .

Page 9: 2 조 응급간호

증상

오심 , 구토 , 건망증 , 부분적 시력상실과 의식상실이 올수있다

심한두통 , 서맥 , 혈압상승 , 동공확장 , 동공축소 , 무의식 , 오심 , 구토 , 의식감소 . - 의식상태 , 활력징후 , 동공반사 확인 - 의식상실 확인 ※ 두부외상 환자의 경우는 보온하지 않음 -

뇌손상시 체온상승의 경향이 있음

Page 10: 2 조 응급간호

▣ 두개골 골절단순골절 , 복합골절 , 함몰골절등이 있음 .두부의 함몰 , 커다란 타박상 , 변형 , 부종이 있으면 두개골 골절이 의심된다 .☞ 응급처치 - 골절부위에 드레싱 처치를 하고 즉시 이송한다 .         - 귀나 코에서 흐르는 액체는 막지 않고 이송한다 .         - 박힌 이물질은 제거하지 말고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Page 11: 2 조 응급간호

뇌손상 환자의 기본처치

-NS1L 를 연결해 18G 로 정맥로 확보- 혈액검사-Brain CT 및 SKULL 촬영- 모니터 부착 , 산소투여- 유치도뇨관 삽입- 자발호흡이나 의식이 없는경우 기관삽관- 뇌압상승으로 혈압강하제 사용및 만니톨 ,스테로이드 , 항전간제사용-head up position- 두부외상시 봉합

Page 12: 2 조 응급간호

ICH EDH

Page 13: 2 조 응급간호

IVHSAH

Page 14: 2 조 응급간호

SDH

Page 15: 2 조 응급간호

★ 기도문제와 경추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 확진 시까지 경추손상 환자로 취급하고 기도유지

3. 신체고정

1) 경추손상 경추골절위험이 높은 경우 머리의 둔상 , 목의 외상 , 목 부위의 총상 , 쇄골 윗부분의 손상시 ◆ 고정 : cervical collar 대주기 환자를 단단한 등판에 눕히고 목의 양옆에 수건을 말아 목을 지지

2) 기타 신체 고정 ▶ 주요 외상에 대해 신속히 사정 ▶ 개방 (open) 골절인지 폐쇄 (closed) 골절인지 빠르게 확인 ▶ 폐쇄된 상처 : x-ray 촬영전 일차적으로 wire splint 로 골절부위 고정 ▶ 개방골절인 경우 : 상처 세척후 압박드레싱 하여 지혈을 한 후 고정 ▶ x-ray 촬영 결과에 따라 골절이 심한 경우 : 응급 수술준비

Page 16: 2 조 응급간호

SPINAL CORD INJURY정의 , 원인 , 손상기전

정의 뇌와 척수신경의 신경자극을 초래하는 척수의 압박 또는 탈구에

의해 손상부위 이하의 상 , 하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마비와 감각의 소실이 발생하는 것 ( 호발

부위 : 경추 > 흉추 > 요천추 )원인외상 (70%;교통사고 ) + 비외상 (30%: 종양 , 척수염 및

혈관질환 )손상기전(1)과다굴곡 : 목이 과다하게 굴곡될 때 발생 흔히 자동차사고로 옴

(2)( 호발부위 : C5-6, T12-L1)(2) 과다신전 : 목이 과다하게 신전될때 발생 흔히 자동차사고로 옴

( 호발부위 : C4-5, T12-L1) (3) 중심축 과부하 : 다이빙 또는 추락사고 시 머리가 지면에 직접 닿아서 발생

(4) 과다회전 : 운동범위 이상으로 머리를 돌리면 발생

Page 17: 2 조 응급간호

기도 문제나 경추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확진이 내려질 때까지 경추손상 환자로 취급하여 기도를 유지시킨다 .

Spinal cord injury경추고정

Head-tilt chin-lift (X)Jaw-thrust maneuver (O)

Page 18: 2 조 응급간호

증상목부위 긴장과 통증 , 사지 허약감 또는 무감각 , 혈압하강

응급처치1. 의식상태 , 활력징후 , 동공반사 확인2. 경추 칼라와 골절판 대준다 . 3. EKG & SpO2 monitoring 을 시작4. 처방에 따라 ABGA sample 을 채취한 후 , O2 5L/min 을

공급힌다 .5. 처방에 따라 N/S 1000ml 연결해 angio 18G 로 정맥로

확보하고 , 응급검사물을 수집한다 .( cbc & diff, electro, admission panel, PT/aPTT, LDH, CK, CK-MB, UA )

6. 통증을 심하게 호소할 경우 처방된 진통제 투여7. 처방에 따라 Spinal X-ray 촬영 및 CT 촬영 의뢰8. Spinal cord injury 가 확인이 되면 처방에 따라 Solumerol

투여

Spinal cord injury증상 , 응급처치

Page 19: 2 조 응급간호

Spinal cord injury고정기 종류

Page 20: 2 조 응급간호

5.흉복부 손상 ( 늑골골절 (Rib fracture)

◆ 대부분 외상에 의하며

◆ 4 번에서 8 번까지가 빈번함 .

◆ 뼈가 폐를 손상하여 혈액이 차는 혈흉

(hemothorax) 공기가 차는 기흉

(pneumothorax) 유발 가능 .

Rib 8th Fx 의 사진▶

Page 21: 2 조 응급간호

♠ 처치1. 반좌위 , V/S check.2. Dyspnea 시 ABGA f/u & O2 공급 .3. 처방에 따라 chest PA, Rib serise 등의 X-ray 촬영 .4. 단순골절 시 Bed rest, ice bag.5. 복합골절 시 입원여부 결정 .6. 통증이 심할시 처방에 따라 진통제 투여 .

Page 22: 2 조 응급간호

2) 기흉 (Pneumothotax)

◆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늑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는 것 .

◆ 원인 : 일차성 자연 기흉 키가 크고 마른 남자에게 많이 발생 이차성 기흉-  교통사고나 추락 ,  외상에 의한 폐실질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외상성 기흉- 수술 , 중심정맥 삽관술 같은 시술 중의 폐실질 손상으로 발생하는 의인성

- ( 인위적으로 유발된 )  기흉

흉부 CT 사진▶

Page 23: 2 조 응급간호

♠ 증상1. 운동과는 관계없는 흉통 : 보통 24 시간 이내

호전 .2. 호흡곤란 , 타진시 과도 공명 , 호흡음 감소 .♠ 처치1. 반좌위 , V/S check.2. Dyspnea 시 ABGA f/u & O2 5L/min 공급 .3. 처방에 따라 IV route 확보 , EKG, Chest PA 촬영4. PneumoThorax 확인되면 흉관삽관술 준비5. 시술 후 통증이 심하면 진통제 투여 .

Page 24: 2 조 응급간호

3) 혈흉 (Hemothorax)

• 원인 :- 폐 열상과 혈관의 파열등으로 흉막강내 피가 고이는 상태 .- 출혈은 골절된 늑골에 의해 천공되거나 흉부수술로 인해

발생 .• 증상 : - 흉통 , 청색증 , 혈압하강 , 맥박과 호흡증가 , 호흡곤란 , 호흡음 소실이나 감소 , 병소 흉부의 둔한 탁음 , 종격동 변위 ( 종격동내 기관이 침범 받지 않은 쪽으로 쏠림 ), 쇼크 , 호흡기 장애의 증상이 나타남 .• 진단 : X-RAY 검사 , 흉곽 천자시 혈액이 흉막강 내에 있는 것으로 확진 .

Page 25: 2 조 응급간호

응급 간호 상황 . 필요시 수혈 (P-RBC, FFP)

준비 . Chest bottle water level 확인 .

- 1200ml~1500mL or 시간당 200mL Drain 시 응급 수술 준비 . - 처방에 따라 AST 후

Anti 투여 . One bottle system ▶

Page 26: 2 조 응급간호

6. 고막손상

- 이도를 깨끗하게 흡입해 주고 세척은 하지 않는다 .

- 외상과 동반된 고막파열은 뇌척수액 여부를 파악하여 두개골 기저부 골절과의 관련성을 고려한다 .

Page 27: 2 조 응급간호

고막손상

- 처방에 따라 항생제 치료를 실시하기도 하나 , 폭발음으로 인한 파열이나 귀를 맞아 파열된 경우는 항생제 치료를 하지 않는다 .

- 항상 귀를 건조시키도록 하고 , 샤워 시 petroleum jelly 가 묻은 면봉을 이용하며 수영은 금하도록 한다 .

- 혈액이나 화농성 분비물이 나오는지 유의한다 .

Page 28: 2 조 응급간호

7.Wound managenemt

- 절상 (Incision) : 종이에 베었거나 수술시 절개 부위와 비슷한 상처 - 찰과상 (Abrasion): 마찰로 피부의 표피층이 벗겨진 상태- 열상 (Laceration):칼이나 기계 , 유리조각 등에 의해 피부나 조직이

불규칙하게 찢겨진 상태- 자상 ( Puncture): 끝이 뾰족한 도구로 피부를 뚫게 되는 것- 관통상 (Penetrating): 외부에서 이물질이 매우 빠른 속도로 내장기관을 뚫고 나간 상처로 보통 사고의 경우

Page 29: 2 조 응급간호

상처의 세척 /소독 / 봉합 목적

( 세척 ) 치유되는 상처를 보호 박테리아와 부육 ,

이물질 , 화농성 삼출액 등 오염된 표면을 제거

치유과정 촉진

( 소독 ) 상처치유를 위해 배액을

흡수 기계적 외상으로부터상처 보호 세균감염으로부터 상처 보호 상처에 높은 습도를 제공하고

유지 치유촉진 , 손상예방

( 봉합 ) 신속한 상처 치유 감염기능성 감소 반흔의 최소화

Page 30: 2 조 응급간호

파상풍 위험이 높은상처 - 6 시간이상된상처 - 별모양상처 ( 방사성상처 ) 결출 상처 - 분쇄상처 뚜렷한 감염증상이 있는 상처 - 조직괴사징후있는 상처 - 오염물질포함한 상처

상처 내에 이물질 ( 흙 , 유리조각 ) 유무 X-ray 확인 상처부위의 세척을 철저히 한 후 봉합 , 드레싱한다 간단한 상처의 세척은 싱크대에 대고 식염수를 부어

세척한다 복합적인 상처의 세척은 환부 밑에 비닐을 깔고

그위에 다시 포를 깔고 식염수로 세척하여 무균술을 유지한다

들러붙은 상처는 떼어낸다

Page 31: 2 조 응급간호

8. 안구손상

1) 찰과상

2) 이물질 삽입

3) 타박상 ( 망막분리 , 안와골절 , 안구열상 )

4) 화상 ( 화학약품 , 열 , 빛 )

5) 콘텍트렌즈

Page 32: 2 조 응급간호

증상

1) 빛에 의한 손상 : 3~5 시간이 지나면 심한 통증을 느낌

2) 눈물이 많고 부종 , 발적현상 , 진행하면 결막염으로 발전

3) 타박상의 경우 : 통증 및 복시현상 , 시력감퇴 , 비정상적인 안구운동 관찰

Page 33: 2 조 응급간호

처치

- 손상된 눈을 씻지 않기 - 상처에 연고나 안약을 넣지 않기 - 눈의 출혈과 피딱지등 있는 그대로 두기 - 부종이 있을 경우는 얼음팩을 대기 - 금식시키기 - 환자 안정시키기

3-1) 일반적 안구손상

Page 34: 2 조 응급간호

처치

- 억지로 제거하지 않기

- 종이컵 등을 이용하여 손상되지 않은 눈도 가려주기

- 앞이 보이지 않아서 두려워 하는 환자에게 설명하여 안정시키기

3-2) 이물질이 박힌 경우

Page 35: 2 조 응급간호

처치

- 눈을 압박하거나 비비지 않기

- 안구 노출시 안구가 마르지 않도록 젖은 거즈로 덮기

- 상처 입은 눈과 반대편의 눈도 종이컵 등을 이용하여 덮고 환자를 눕힌 후 안정시켜주기

3-4) 열상을 입은 경우

Page 36: 2 조 응급간호

처치

- 생리식염수로 흘려서 씻어주기

- 이물질의 결막 손상을 주의

3-3) 눈에 작은 이물질이 들어간 경우

Page 37: 2 조 응급간호

처치 - 흐르는 물로 콧등에서 귀쪽으로 20 분 이상 세척하기

- 아교화합물에 의한 손상은 따뜻한 물로 세척하여 굳음을 방지

- 염기성 물질 ( 예 : 양잿물 ) 은 산성물질 ( 예 : 식초 ) 보다 더 치명적 - 화상으로 안구 손상시 세정을 방해할 때를 제외하고는 렌즈를 그대로 두기

3-5) 화학약품에 의해 안구손상을 입은 경우

Page 38: 2 조 응급간호

증상에 따른 처치 1) 안와벽의 파열성 골절 - 증상 : 복시 , 안구함몰 , 안검하수 - 반좌위 , 활력징후 및 시력 사정 , 침상안정 및 코 풀지 않게 설명 , 지혈 및 얼음 주머니 제공

2) 전방출혈 - 증상 : 통증 , 눈부심 , 시력감소 , 외관상 혈액층이 보임 - 반좌위 , 활력징후 및 시력 사정 , 침상안정 및 코 풀지 않게 설명 , 안압측정 , 안대 착용

3) 망막박리 - 증상 : 빛이 번쩍거리고 검은 점이 쏟아지는 것 같다든지 커튼이 처진 것처럼 보임 - 좌위 , 활력징후 및 시력 사정 , 절대안정 및 코 풀지 않게 설명 , 안대착용 , 안과연락

4) 각막 찰과상 및 이물 - 증상 : 날카롭고 찌르는 듯한 통증 , 광과민증 , 누액분비 증가 - 활력징후 및 시력사정 , 젖은 면봉으로 이물제거 , saline 으로 이물세척

Page 39: 2 조 응급간호

9. 사 지 절 단

사지의 일부를 잃어버린 상태 대부분은 외상에 의하여 절단되고 대체로 교통사고 , 산업재해 , 기타 총상 등에 의한

것 청 , 장년층의 남자 , 농부나 공장 근로자 ,

오토바이 타는 사람

Page 40: 2 조 응급간호

보관법- 절단된 사지를 거즈에 싼 후 비닐에 넣어 물이

들어가지 않게 밀봉하여 적절한 온도 (4°C) 를 유지할 만큼의 얼음을 넣은 차가운 생리식염수에 담가오는 것이 가장 좋다 .

수술 금기- 심각한 전신질환이나 고령환자 , 허혈 시간이 너무

심한 경우

주의사항- 절단된 사지를 얼려오거나 생리심염수에 담가오거

나 , 절단된 부위와 얼음이 직접 닿게 하여 가져오는 경우 수술의 성공률이 현저하게 감소하므로 주의 .

Page 41: 2 조 응급간호

활력징후를 사정하고 , NPO 시간을 확인하고 설명한다 .

절단부를 생리식염수로 세척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젖은 거즈에 싸서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한다 .

처방에 따라 수액을 18G 로 정맥로를 확보한다 . 응급혈액검사를 하며 , 수혈준비를 한다 . 절단 부위를 세척 후 무균드레싱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 X-ray 촬영 및 EKG portable 을 찍고 , 응급수술을

준비한다 . 처방에 따라 Netromycin 과 Tetabulin 1 앰플을 근육주사한다 .

처방에 따라 통증에 대해 Tarasyn 또는 Demerol 1 앰플을 근육주사한다 .

Page 42: 2 조 응급간호

10. 골절

골절 (fracture) 은 외부적 힘에 의하여 골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

골절의 종류(1) 완전 골절 - 뼈의 전횡단면에 걸친 골절로 뼈가 이탈

(2) 불안전 골절 - 횡단면 또는 종단면의 일부 골절

(3) 폐쇄 골절 ( 단순골절 )- 피부 ( 점막 ) 는 손상되지 않음

(4) 개방 골절 ( 복합골절 )- 골절에 의해 피부손상

Page 43: 2 조 응급간호

골절

증상 - 급성통증 - 근육경련 - 따끔거림 - 부종 - 무딤 - 기능상실 - 마비감각 - 움직일 때의 연발음 - 국소 반상출혈

Page 44: 2 조 응급간호

골절

처치-v/s 측정 , 외상정도를 신속히 사정- 머리와 경추를 보호- 개방 혹은 폐쇄상처인지를 확인 폐쇄상처 : wire splint 로 골절부위를 고정 개방상처 : 상처 세척 후 압박드레싱으로 지혈- 정맥로 확보 , 처방에 따라 수액을 주입-X-ray 촬영 -> 촬영 후 필요한 부위에 정복 또는 견인 -> 고정후 X-ray 재 촬영- 골절이 심할 경우 응급수술 고려

Page 45: 2 조 응급간호

골절

Clavicle Fx 인 경우 : 8-figure bandage

Page 46: 2 조 응급간호

골절

Shoulder Fx 인 경우 : Velpeau’s bandage

Page 47: 2 조 응급간호

골절

Pelvic fx 인 경우 : Traction

Page 48: 2 조 응급간호

골절

Page 49: 2 조 응급간호

1. 정의: 관절의 가동범위를 초과할 때 일어나며 , 관절의 정상위치에서 뼈 의 위치가 일시적으로 이완되어 두 개의 관절면이 더 이상 접촉하 고 있지 않을 때를 말함 cf: 아탈구 (subluxation): 관절면 사이의 부분적 접촉이 존재하는 파열로 어린이의 요골두에서 흔함

2. 발생부위 – 수지관절 , 어깨관절 , 주관절 , 고관절 , 족관절 등 ① 어깨관절 ( 견관절 ): 탈구가 흔히 일어나는 부위로 전체발생의 50% 차지 전방탈구가 가장 흔함 (95% 이상 ) 외전 , 외회전된 상태로 팔을 뻗치고 넘어질 때 발생하며 흔히 재발됨 ② 고관절 탈구 : 대부분 후방탈구 , 대개 낙상 , 자동차 사고로 물리 적 충격이 무릎에 가해져 대퇴골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발생 심각한 손상으로 외과적 수술에 의한 관절의 정복이 필요 ▶ 합병증 : 좌골신경손상 , 대퇴동맥 및 신경손상 , 24 시간 안에 재 탈골되거나 대퇴골두의 괴사

11.탈구 (Dislocation)

Page 50: 2 조 응급간호

③ 무릎관절 : 흔히 직접적인 강타 , 타박상 , 무릎을 포함한 부위의 비틀린 손상에 의해 발생

3. 탈구의 징후 및 증상 : 관절의 심한 변형 ( 기형 ) / 관절부위의 부종 관절부위 통증 / 운동시에 통증의 악화 정상적인 관절운동 소실 / 관절부위 촉진시 심한 압통 때로 감각상실과 원위부분 맥박 상실 / 탈구된 부위에 혈관 또는 신경이 들어가 있어 눌리거나 파열되면 위험이 올 수 있음

4. 응급처치 및 치료 ① 관절부위를 세심히 관찰 , 부동화 ( 부목 , 삼각건 , 붕대 등 ) ▶탈구부위를 정복하려고 시도하지 말고 고정하여 병원 이송 ② X-ray 촬영하여 골절여부 , 탈구된 손상부위와 정상부위 비교 ③ 정복 (reduction) 시행 ▶통증조절 위해 진통제 ( 예 -Tarasyn), 탈구주변 근육의 심한 경련 진정을 위해 근육이완제 ( 예 -valium) 를 투여 ④ 탈구된 부위의 원위부와 말단부 신경 , 혈관상태를 재평가 ⑤ 정복 후 반드시 방사선 검사 (X-ray) ▶정복 후 골절 및 미정렬의 가능성 때문에 확인 필요 ⑥ 필요시 석고붕대로 모양 고정 ⑦ 부종이 있는 부위에 얼음주머니 적용 ⑧ 손상이 심하고 골절과 관련이 있는 경우는 주로 외과적 수술

Page 51: 2 조 응급간호

12. 화상

1. 화상의 증상 : 화상의 정도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허물이 벗겨지고 붉어진 피부 , 호흡곤란 , 수포 , 피하부종 및 심한 통증의 증상

2. 화상의 중증도 : 화상의 깊이와 범위 , 부위 , 환자의 연령 , 그 외 수반하고 있는 의학적 문제에 따라 분류

3. 화상의 부위 : 얼굴 , 손 , 발 , 생식기 순으로

중요 - 특히 뜨거운 증기 , 폭발물 등 뜨거운 연기나 화염 흡인한 경우 호흡기도에 화상 초래하여 위험

( 호흡장애 초래할 수 있는 화상 )

- 얼굴의 화상- 폐쇄된 공간에서 화재로 뜨거운 공기나 연기 또는 부식성 화학물질 흡인하였을 때- 화상환자에게서 호흡곤란 있을 때- 화상으로 인하여 무의식 상태에 있을 때- 쉰 목소리 , 거친 호흡 및 기침 할 경우 , 가래에 그을음이 섞인 경우

Page 52: 2 조 응급간호

응급실 도착 시 응급처치

- 의식수준과 활력징후 (V/S) 체크- Wound 확인 , electrical burn 일 경우 둘 이상의 상처가 있음을 명심- 섭취량 , 배설량 확인- ABGA 후 O2 공급- 정맥로 확보 , 응급혈액검사 , 요검사- EKG, 산소포화도 모니터링 , 후두개와 성대의 상태 확인- O2 saturation 이 80% 이하일 경우 기관지삽관 시도 고려- 재빨리 화상 부위 깨끗한 드레싱 덮어주고 화상 주위 부위 Cold saline 적신 burn gauze 덮어줌- 얼굴 , 목 , 회음부 화상에는 환부 노출시키는 개방법 사용- 반지 , 팔찌 등을 제거 , 손과 발에는 환부 청결히 하고 폐쇄붕대법 적용 - 물집이 있는 부위 무균바늘로 천자한 후 실바딘 또는 furazin gauze 로 burn dressing- 처방에 따른 항생제 Netromycin 과 Tetabuline, 진통제 (Tarasyn)

투여

Page 53: 2 조 응급간호

화상의 종류에 따른 응급처치 1. 열화상 - 기도유지 상태 확인 - 필요 시 산소 공급 - 의복제거 - 멸균드레싱 - 경미한 경우 화상 부위 냉요법 적용2. 화학물에 의한 화상 - 세척 ( 습식제거 )

- 원인물질 제거하는 방법 :

샤워기 , 호수 이용하여 화상부위 물로 세척하는 것이 가장 좋다 .

( 습식 제거 시 주의사항 )

- 물세척 시 가능한 한 물의 압력이 없어야 한다 .

- 건조한 석회나 페놀에 의한 화상인 경우 물 세척 방법 달리 해야 한다 .

Page 54: 2 조 응급간호

화상의 종류에 따른 응급처치

- 석회 : 물세척 마르기 전 마른 솔로 부드럽게 석회 제거 - 페놀 : 반드시 소독용 알코올 혹은 도수 높은 술을 사용 , 그 다음 오랫동안 물을 부어 닦아낸다 . ( 이유 : 페놀은 불수용성 물질로 물로 세척되지 않음 ) - 화학물울 중화시키려고 중화제를 사용해서는 절대 안 된다 . ( 이유 : 중화제는 원인물질과 화학작용 일으켜 , 이때 발생하는 열로

조직 손상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

3. 전기화상 - 발견 시 먼저 환자가 전도체와 접촉하고 있는지를 확인한 후 , 의식확인 ABC’s 를 적용한 후 병원으로 이송한다 . - 반드시 고무장갑을 끼고 환자를 전도체로부터 떼어낸다 . - 그러나 되도록 전류가 차단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기 전에

환자에게 접근해서는 안 된다 .

Page 55: 2 조 응급간호

13.교상 Snake bites

뱀에 물린 경우 이빨자국 , 부종 , 환부통증 , 사지기능 상실 , 괴저 , 반상출혈 , 점상 출혈등의 증상을 보인다 .

활력징후 (V/S) 를 잰다 물린 상처에서 4인치 넓이로 조여준다 십자 절개하여 독을 흡인해 낸다 처방에 따라 파상풍 예방 (Tetabulin 1 ample IM) 과

항사독소 치료를 한다 뱀을 잡으면 종류를 파악하기 위해 응급실로 가져오도록

한다 .

Page 56: 2 조 응급간호
Page 57: 2 조 응급간호

Dog bites

개에게 물린 부위는 타박상 심한 열상 ∙ ∙조직손상 등을 보이며 , 봉와 직염 감염 ∙ ∙사지기능 상실의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다 .

활력징후 (V/S) 를 잰다 개를 붙잡아 두도록 하여 , 1~2주간 광견병

여부를 확인한다 상처를 소독하고 , 사조직은 debridement

한다 처방에 의하여 Netromycine( 항생재 ) 와

Tetabulin(파상풍 예방 ) 등을 투약한다 .

Page 58: 2 조 응급간호
Page 59: 2 조 응급간호

벌에 물린 교 상

벌에 쏘이면 보통은 쏘인 자리가 아프고 붓는 정도지만 만약 벌 독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이라면 호흡곤란 , 의식 장애 등의 증상과 함께 생명을 잃을 수 도 있다 .

 - 벌 독은 여러 단백질 성분이 함유돼 있기 때문에 알레르기 잘 일으킴

(1) 증상과 징후 국소 홍 반 부종 통증 과민증 경련과 쇼크 - 대부분 피부두드러기 , 심하면 저혈압 , 의식불명 ,천식발작 , 호흡곤란 , 복통 등이 일어남

Page 60: 2 조 응급간호

응급처치

 * 현장에서의 응급처치 1. 손톱이나 칼을 이용해서 독침을 제거하고 , 비누를 이용 ,

상처부위를 세척한다 . 2. 독소가 혈류로 흡수되는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얼음찜질을 한다 . 3. 암모니아 , 베이킹 소다 원액을 바른다 . 4. 필요 시에는 드레싱을 해주고 ,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지

관찰한다 .

* 병원에서의 응급간호 1. 저 감작요법 - 면역치료의 한 형태로 알레르기에

대항하여 예방접종을 하는 치료 2. Epinephrine 주사 0.3ml SC -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