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4
CONTENTS Ⅰ. 개 관 1. 일 반 ····························································································3 2. 약 사 ····························································································5 3. 지역현황 ······················································································ 10 4. 주요도시 ······················································································ 14 Ⅱ. 정 치 1. 정치체제 ······················································································ 19 2. 헌법 ····························································································· 19 3. 입법부 ··························································································21 4. 행정부 ··························································································23 5. 사법부 ··························································································26 6. 정당 ····························································································· 27 7. 최근 정치정세 ············································································· 29 Ⅲ. 외 교 1. 대외관계 기조 ············································································· 35 2. 외교조직 ······················································································ 37 3. 재외공관 현황 ············································································· 37 4. 국제기구 가입 현황 ···································································· 38 5. 주요국과의 대외관계 동향 ························································· 39 Ⅳ. 군 사 1. 국방정책 기조 ············································································· 49 2. 군부 동향 ···················································································· 49 3. 군사력 현황 ················································································· 49 4. 2011년 국방예산 ········································································ 50 5. 주요국 관계 ················································································· 51 Ⅴ. 경제통상 1. 아르헨티나 경제의 특징 ····························································· 55 2. 경제약사 ······················································································ 56 3. 주요 경제지표 ············································································· 59 4. Fernandez 정부 1기 경제정책 평가 및 향후 전망 ·················· 59 5. 최근 수출입 동향 및 전망 ························································· 67

아르헨티나개황2011

Embed Size (px)

DESCRIPTION

 

Citation preview

Page 1: 아르헨티나개황2011

CONTENTS

Ⅰ. 개 관

1. 일 반 ···························································································· 32. 약 사 ···························································································· 53. 지역현황 ······················································································ 104. 주요도시 ······················································································ 14

Ⅱ. 정 치

1. 정치체제 ······················································································ 192. 헌법 ····························································································· 193. 입법부 ·························································································· 214. 행정부 ·························································································· 235. 사법부 ·························································································· 266. 정당 ····························································································· 277. 최근 정치정세 ············································································· 29

Ⅲ. 외 교

1. 대외관계 기조 ············································································· 352. 외교조직 ······················································································ 373. 재외공관 현황 ············································································· 374. 국제기구 가입 현황 ···································································· 385. 주요국과의 대외관계 동향 ························································· 39

Ⅳ. 군 사

1. 국방정책 기조 ············································································· 492. 군부 동향 ···················································································· 493. 군사력 현황 ················································································· 494. 2011년 국방예산 ········································································ 505. 주요국 관계 ················································································· 51

Ⅴ. 경제・통상

1. 아르헨티나 경제의 특징 ····························································· 552. 경제약사 ······················································································ 563. 주요 경제지표 ············································································· 594. Fernandez 정부 1기 경제정책 평가 및 향후 전망 ·················· 595. 최근 수출입 동향 및 전망 ························································· 67

Page 2: 아르헨티나개황2011

6. 자유무역협정 추진현황 ······························································· 697. 주요 경제기관 및 단체 웹사이트 ··············································· 73

Ⅵ. 자원・에너지

1. 농업 현황 ···················································································· 792. 광업 현황 ···················································································· 813. 석유・가스현황 ············································································· 844. 신재생에너지 현황 ······································································ 855. 원자력 현황 ················································································· 886. 자원・에너지 관련 주요기관 웹사이트 ······································· 90

Ⅶ. 사회・문화・교육

1. 사회 ····························································································· 932. 노조현황 및 사회보장제도 ························································· 953. 문화 ····························································································· 964. 교육제도 ···················································································· 1015. 언론 및 대중매체 ······································································ 1036. 공휴일 ························································································ 104

Ⅷ 우리나라와의 관계

1. 대한반도 정책 ··········································································· 1072. 외교관계 연표 ··········································································· 1073. 주요인사 교류 ··········································································· 1094. 주요 협정 및 약정 체결 ··························································· 1135. 양국간 협의체 운영 현황 ························································· 1146. 교역 관계 ·················································································· 1157. 투자 관계 ·················································································· 1178. 주요에너지・자원 분야 협력 ····················································· 1189. 문화 교류 ·················································································· 11910.영사․교민 관계 ·········································································· 121

Ⅸ 북한과의 관계

1. 외교 관계 ·················································································· 1292. 대북한관계 일지 ········································································ 1293. 통상 관계 ·················································································· 1304. 북한의 대 아르헨티나 관계 ····················································· 131

Page 3: 아르헨티나개황2011

Ⅰ. 개 관

Page 4: 아르헨티나개황2011
Page 5: 아르헨티나개황2011

3

1. 일 반

◦ 국명 : 아르헨티나 공화국(República Argentina)- 영문 국명 : Argentine Republic

* 아르헨티나는 라틴어로 ‘은(銀)’이란 뜻의 말에서 유래- 23개 주 및 1개 연방수도로 구성

(각 주는 독자적인 행정권과 사법권 보유)- 남위 23-55도, 서경 54-74도(동: 브라질, 우루과이, 서: 칠레, 남: 남대

서양, 북: 볼리비아, 파라과이와 경계) ◦ 수도(Capital Federal) : 부에노스아이레스 자치시(300만명)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약 1,383만명) ◦ 인구 : 4,010만명(인구 증가율 : 1.017%, ‘10년)◦ 면적 : 2,791,810㎢(남극대륙의 964,847㎢ 및 남부도서 4,617㎢제외)

- 한반도의 약12.5배, 남한의 약28배 크기- 전국토의 61%가 비옥한 경작 가능지인 평원(Pampa)으로 구성- 남북간 거리 : 3,800km, 동서간 거리 : 1,425km

◦ 언어 : 까스떼야노(스페인어)◦ 인종 : 유럽계 백인 97%(대부분 이태리계 및 스페인계), 원주민계 및 기타 3%◦ 종교 : 카톨릭(92%), 기독교(2%), 유태교(2%), 기타(4%)◦ 독립일 : 1816. 7. 9◦ 국경일 : 5.25(1810년 독립혁명 기념일)◦ 국민소득 : GDP 3,703억불(‘10년), 1인당 GDP 9,092불(‘10년)◦ 경제성장률 : 9.2%(‘10년)

Page 6: 아르헨티나개황2011

4

◦ 물가상승률 : 10.9%(’10년) * 5대 민간경제연구소 평균치는 25.8% ◦ 실업률 : 7.3%(‘10년)◦ 외채 : 1,325억불('10년) ◦ 수출 : 685억불('10년) ◦ 수입 : 564억불('10년) ◦ 무역수지 : 121억불 흑자('10년) ◦ 외환보유고 : 522억불('10년) ◦ 화폐단위 : Peso ◦ 환율 : USD 1 = 4.28 Pesos('11.11.10 현재)◦ 정부형태 : 대통령 중심제(임기4년, 1차에 한해 연임 가능)◦ 대통령 : Cristina Fernández de Kirchner(‘07.12.10/‘11.12.10 취임) ◦ 부통령 : Amado Boudu(상원의장 겸직, '11.12.10 취임) ◦ 외무장관 : Héctor Marcos Timerman('10.6.18 취임) ◦ 의 회 : 양원제

- 상원 : 72명(임기 6년으로 재선 가능하며 매2년마다 1/3씩 교체)- 하원 : 257명(임기4년으로 재선 가능하며 매2년마다 1/2씩 교체)

◦ 정 당 : 정의주의당(PJ, 페론당 여당), 혁신당(UCR: 일명 라디깔당), 시민연합당(CC), 공화당(PRO) 등

◦ 사법제도 : 3심제(1심, 항소심, 대법원)◦ 병력 : 77,500명(육군 45,000명, 해군 18,500명, 공군 14,000명) ◦ 기후 : 북부-아열대, 중부-온대, 남부-한대(남극)

Page 7: 아르헨티나개황2011

5

- 4계절이 있으며 밤낮과 계절은 한국과 정반대* 지역별 평균기온구 분 연평균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Bs.As. 17.7 22.6 23.3 22.8 16.4 14.5 11.6 11.0 13.3 15.4 17.7 20.4 23.7

Cordoba 17.0 21.6 23.7 20.5 15.5 14.0 10.4 9.4 13.4 16.5 17.5 19.5 21.6 Posadas 21.6 26.8 26.4 26.7 21.0 17.2 15.7 15.0 18.2 21.0 21.7 23.0 27.0 Ushuaia 6.3 9.8 8.7 8.4 7.7 4.7 2.5 3.3 2.3 3.6 6.5 9.3 8.4

* 지역별 강우량 구 분 연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Bs.As. 1,094.4 199.4 199.0 157.6 53.5 47.2 15.7 120.5 101.3 74.4 29.3 42.0 54.5

Cordoba 1,314.6 142.0 39.0 299.0 108.7 14.0 10.5 0.4 3.0 70.3 203.2 175.0 249.5Posadas 1,794.0 124.1 185.0 137.0 215.0 133.0 120.5 150.1 19.1 227.1 155.0 111.0 217.1Ushuaia 437.8 22.1 61.8 51.4 39.4 26.0 15.3 14.1 26.3 38.7 73.0 26.7 43.0

◦ 시 차 : 서울과 12시간 차이(-12시간)

2. 약 사

가. 스페인 식민지 시대◦ 1516년 스페인 항해사 Juan de Solis에 의해 발견된 후 1580년 스페인

식민이 시작되었으며, 이후 뻬루 총독의 지배를 받아 뻬루와 인접한 북서쪽 지역(뚜꾸만, 꼬르도바 등)이 중심부로서 발전

◦ 1776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아르헨티나 총독부 설치후 부에노스아이레스가 유럽과의 중심 무역항으로 발전

Page 8: 아르헨티나개황2011

6

나. 독립과 국가 형성기◦ 1810.5.25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스페인의 부왕체제가 붕괴(5월 혁명)

되고 1816.7.9 뚜꾸만주가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선언, 리오 데 라 쁠라따 연합주(Las Provincias Unidas del Rio de la Plata)결성※ 아르헨티나의 독립영웅인 Jose de San Martin 장군에 의해 칠레와 페루도

스페인으로부터 독립◦ 독립이후 부에노스아이레스를 포함하는 전지역 합병을 주장하는 중앙집

권주의자(부에노스아이레스 중심의 상업자본가)와 현상유지를 지지하는 연방주의자(서부 내륙지방 군벌(Caudillo)) 간 대립으로 정치적 혼란 지속

다. 연방정부 출범과 발전◦ 1853.5.1, 연방헌법(임기 6년 대통령제 및 양원제) 제정으로 지방 군벌

들의 자치권을 인정하는 연방주의적 국가체제 확립- Urquiza 장군이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부에노스 아이레스를

포함하는 최초의 단일 연방국가 탄생은 1861. 10월 Mitre 장군의 대통령 취임으로 실현

◦ 1880년 부에노스아이레스시가 주에서 분리, 연방수도가 되면서 실질적인 아르헨티나 연방정부 출범

◦ 1880년 이후 1930년대까지는 아르헨티나 역사상 최고 황금기로서 농목축업에 기초, 곡물 및 육류의 유럽 수출로 국부를 축적, 세계 5대 경제부국으로 발전- 그러나 외국 자본(특히 영국 자본 등)의 투자에 의한 철도, 도로, 전기,

통신 등 국가 기간시설의 건설로 외국자본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심화- 또한, 대공황의 여파로 수출 감소, 농촌인구 도시이주 및 노동 빈민계

층 형성,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 증대 및 국가주의 의식 확산 등 변화의 물결 시작

Page 9: 아르헨티나개황2011

7

라. Peron과 군사정부◦ 1943.6.4 국가주의적 의식을 가진 청년장교 중심의 군사쿠데타가 발생

하였으며, Juan Domingo Peron 대령이 부통령 겸 노동장관으로 취임하여 노동자들의 권익을 보호하는 정책을 추진

◦ 이후 1946.6월 대통령에 취임한 Peron은 재임 기간중(1946.6-1955.9, 1973.10-1974.7) 서민 대중과 노동자들의 경제적 지위 및 복지 향상을 표방한 뻬론이즘(Peronism)정책을 추진(1949년 헌법개정)하는 한편, 수입대체 산업육성을 위한 공업화 정책 강력 추진 - Peron 대통령은 1955.9월 군부 쿠데타로 스페인으로 망명하였다가,

1973.10월 대통령으로 다시 복귀했으나 1974.7월 서거하여 3번째 부인이자 부통령이던 María Estela Martinez가 대통령직 승계

마. 군부 독재 시대 ◦ 1976.3월 군사 쿠데타로 집권한 군부는 헌정을 중단시키고 의회해산, 노

조활동 금지 등 탄압 정치 실시- 좌익인사와 노동운동가에 대한 “더러운 전쟁(dirty war)"이라고 불리

는 탄압을 실시하였으며, 1982.4.6 말비나스(포크랜드) 전쟁 패배로 군사정부가 무너질 때까지 반정부 인사 납치․살인 등 공포정치 시행

◦ 1978-80년 금융자유화, 무역자유화 등 대외개방정책 추진으로 과도한 외자도입이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해 외채 증가 및 대규모 금융파동이 발생되었으며 경제혼란 야기- 1982년 말비나스 전쟁으로 외환사정 악화(당시 외채 450억불, 인플

레이션 430%)

바. 민주주의 회복과 메넴 정부 ◦ 1983.12.10 혁신당(UCR)의 Raul Ricardo Alfonsin대통령 취임으로 민

주정부가 출범하였으나, 인권위반 조사를 둘러싼 군부와의 마찰과 노조

Page 10: 아르헨티나개황2011

8

파업 등 사회적 혼란으로 초 인플레(89년 4,900%) 발생- 서민층의 폭동과 약탈 사태 등으로 Alfonsin 대통령은 5개월 앞당겨

조기 정권이양◦ 1989.7.8 정의주의당(PJ, 일명 Peron당)의 Carlos Saul Menem 대통령

이 취임한 후 화폐를 개혁하고(austral에서 peso로) 고정환율정책(미 달러와 뻬소화의 환율을 1:1로 고정), 시장 개방조치 등 물가안정 정책과 및 공기업 민영화 등 신자유주의 경제정책 추진 - 그러나 집권 2기(1995. 5월 재선)에 들어 고정환율정책의 부작용과

방만한 경제운영으로 재정적자 확대 초래

사. De la Rúa 대통령의 하야 및 디폴트 선언◦ 1999.12.10 혁신당(UCR)과 Frepaso당의 연합야당(Alianza) 후보인

Fernando de la Rua 대통령 취임- 2001.12월 긴축재정 정책 일환으로 예금인출 제한조치가 실시되자

이에 반대하는 과격한 민중시위에 의해(삐께떼로, piquetero 등장) 2001.12.20 De la Rúa 대통령 하야

◦ Ramon Puerta 상원의장이 48시간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수행하였으며, 2001.12.22 의회에서 Rodriguez Saá 산루이스 주지사를 임시대통령으로 선출- 2001.12.24 1,320억불에 달하는 외채상환유예(moratorium) 선언으로

국가 부도사태 발생◦ 2001. 12 .31 의회 상하 양원 합동회의는 De la Rua 대통령의 잔여임기

기간 동안의 임시대통령으로 Eduardo Duhalde 상원의원을 선출- Duhalde 대통령은 절박한 경제난 타개를 위해 IMF로부터의 구제금융

지원 획득을 위한 교섭과 정치안정에 주력 하면서 2002.1.7 고정환율정책을 폐지하고 평가절하 추진(1미불=1페소를 1미불=3페소로)

- 페소화 평가절하로 1인당 GNP가 7,500미불에서 2,500미불로 급감

Page 11: 아르헨티나개황2011

9

- 정부는 예금동결 해제 방안으로서 예금의 강제 채권화를 골자로 하는 법안을 의회에 상정하였으나, 예금주들의 강력한 반발과 의회의 거부권 행사로 인해 실패로 돌아갔으며, 동결된 예금의 즉각적인 반환을 요구하는 시위 지속

◦ 연이은 각종 시위 발생으로 사회불안이 가중되어 왔으며, 2002.6월 하순 Bs.As.시 근교에서 시위대와 경찰간 유혈충돌 사태(2명 사망, 90여명 부상)가 발생하자, Duhalde 대통령은 경제사정 악화에 따른 사회불안과 IMF와의 교섭부진 등 총체적 위기 극복을 위한 민심수습책의 일환으로 대통령 선거를 2003.4.27 실시, 5.25 정권교체 계획발표

아. Kirchner 정부 ◦ 2003.1월 Duhalde 대통령은 자신의 정적인 Menem에 대적할 수 있는

당내 후보로 개혁좌파성향의 Kirchner 산타크루스 주지사를 차기 대선 후보로 지지하고 나섰으며, 이로써 페론당 내에서는 Kirchner, Menem, Rodríguez Saá 3명이 각축- 2003.4.27 대선 1차 투표 결과, 메넴 후보가 24.3% 지지율로 1위,

키르츠너 후보가 22%의 지지율로 2위를 차지◦ 1차 투표후 여론조사에서 약 30% 이상의 격차로 키르츠너 후보가 우세

한 것으로 나타나고, 대부분의 정치전문가들이 키르츠너 후보의 승리를 예측하자, 대세를 감지한 메넴은 5.14 자신의 후보사퇴를 공식 발표함으로써 Kirchner 후보가 결선투표 없이 대통령 당선자로 확정되었으며, 5. 25 대통령으로 취임

자. Fernandez 정부 ◦ 2007.10.28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여당(정의당 또는 페론당)에서

Cristina Fernandez 상원의원(Kirchner 전대통령 부인)이 야당인 UCR의 Cobos 멘도사 주지사를 러닝메이트로 출마하여, 야당후보인 Lavagna 전 경제장관(혁신당 등 지지), Carrio 후보(ARI)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

Page 12: 아르헨티나개황2011

10

- Fernandez(대통령)-Cobos(부통령) 후보가 45%이상의 지지를 확보하고, 2위 후보(Carrio)와 22%의 격차를 보여 결선투표 없이 당선

- 아르헨티나 역사상 선거로 당선된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선거를 통한 부부간 정권이양

◦ 취임초기, 2008.1월 60%대를 웃돌았던 페르난데스 대통령의 지지율이 2008.3월 곡물류에 대한 변동 수출세 부과로 시작된 정부와 농업계간의 갈등, 지속적인 인플레이션과 경제활동의 둔화로 페론당내 반대 여론 그리고 독선적이고 권위적인 통치 스타일로 중산층의 거부감 등이 겹쳐 신뢰도가 하락하였으며, 2009년 중간 선거에서 야당에 참패

◦ 그러나, 2010.10월 집권 정의당 총재이자 페르난데스 대통령의 부군으로서 사실상 통치권력의 핵심역할을 수행해 오던 Kirchner 전대통령이 갑작스런 심장마비로 서거한 직후 페르난데스 대통령에 대한 동정 등 요인으로 지지율 급상승 - 국제곡물가 상승에 따른 경기 호황 또한 정국 안정 및 페르난데스 정

부 지지율 상승에 기여◦ 페르난데스 대통령을 비롯, 7명의 후보가 출마한 가운데 10.23 실시된

주재국 대선 1차 투표에서 페르난데스 대통령이 54.11%를 득표, 결선투표 없이 대통령에 재선 - 중남미 국가중 연임에 성공한 최초의 여성 대통령- 1차 투표에서 당선됨으로써 2011.12.10 제2기 페르난데스 대통령 정

부 출범

3. 지역현황

가. 위치 및 면적◦ 아르헨티나는 남아메리카 대륙의 최남단에서 동쪽의 대서양과 서쪽의 안

데스 산맥사이에 위치하며, 면적은 2,766,890km2로 브라질에 이어 남아

Page 13: 아르헨티나개황2011

11

메리카에서 두 번째, 전 세계적으로는 8번째로 큰 면적 보유- 남북 최장거리는 3,700km, 동서 최대거리는 1,700km

◦ 북쪽으로 파라과이, 볼리비아, 북동쪽은 브라질, 우루과이, 서쪽과 남쪽으로 칠레와 접경- 남극중 97만 km2의 지역에 대해 영유권 주장

나. 지리적 특성에 따른 지역 구분◦ 아르헨티나는 지리적 특성에 따라 중부 빰빠, 남부 빠따고니아, 중서부

꾸요, 북서, 북부 그란차코, 메소포타미아의 6개 지역으로 구분 가능◦ 중부 빰빠지역(Región Pampeana)

-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서쪽과 북쪽에 펼쳐진 대평원 지역으로, 부에노스아이레스주, 꼬르도바주, 산타페주를 포괄하며, 라팜파주와 산루이스주의 일부도 포함

- 비옥한 토양을 바탕으로 한 농업의 중심지이며, 제조업 또한 발달한 아르헨티나의 경제 중심지

- 해안지역보다 건조하고 바람이 많으며 여름 기온은 최고 38도까지 상승◦ 남부 빠따고니아지역(Región Patagónica)

- 리오네그로강에서 마젤란해협에 이르는 스텝초원 지역으로 네우켄주, 리오네그로주, 추붓주, 산타크루스주, 띠에라델푸에고주 및 라빰빠주 포함

- 목양지로서 유명하며, 석유 등 자원지대로서 중요- 바람이 많고 건조하며 온대기후 지역이나, 띠에라델푸에고주는 바다의

영향으로 서늘하고 다습◦ 중서부 꾸요지역(Región Nuevo Cuyo)

- 안데스 산맥 동쪽에 위치한 아르헨티나 중서부 지역으로 라리오하주, 산후안주, 멘도사주 및 산루이스주 포함

Page 14: 아르헨티나개황2011

12

- 칠레 국경지역에는 안데스 산맥 최고봉인 높이 6,960m의 아콩카과산 위치

- 고산지대에서 녹은 물을 바탕으로 멘도사주와 산후안주에서 과실 재배 및 와인 생산 활발

- 건조하며 북쪽으로 갈수록 더운 편 ◦ 북서지역(Región NOA)

- 아르헨티나 북서부의 고원지대로 살따주, 까따마르까주, 후후이주 및 뚜꾸만주 포함

- 광물자원이 풍부하며, 특히 칠레, 볼리비아와 접경한 살따주, 까따마르까주 지역은 리튬 매장량 풍부

- 열대지역으로 고온 다습◦ 북부 그란차코지역(Región Gran Chaco)

- 북부의 아열대평원 지역으로, 포르모사주, 차코주, 산띠아고델에스떼로주 포함

- 주로 목화를 재배하고 가축을 방목- 열대지역으로 계절에 따라 건조하거나 다습

◦ 메소포타미아 지역(Región Mesopotamia)- 북동부 지역의 파라나강과 우루과이강 사이에 위치하며, 엔뜨레리오

스주, 꼬리엔떼스주 및 미시오네스주 포함- 목축과 식물재배에 적합한 평야지역- 아열대 지역으로 아열대우림과 이과수 폭포 소재

다. 23개주 현황◦ 아르헨티나는 23개주, 1개 자치시(부에노스아이레스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는 독자적인 행정부, 사법부 및 입법부로 구성

Page 15: 아르헨티나개황2011

13

주 이름 주 수도 면적(㎢)

인구(‘10)

재정자립도(‘11, %)

1) BUENOS AIRES La Plata 307,571 15,594,428 57

2) CATAMARCASan Fernando del Valle de Catamarca

102,602 367,820 10.8

3) CHACO Resistencia 99,633 1,053,466 12.54) CHUBUT Rawson 224,686 506,668 34.55) CORDOBA Córdoba 165,321 3,304,825 37.16) CORRIENTES Corrientes 88,199 993,338 12.27) ENTRE RIOS Paraná 78,781 1,236,300 22.28) FORMOSA Formosa 72,006 527,895 6.19) JUJUY San Salvador

de Jujuy 53,219 672,260 11.210) LA PAMPA Santa Rosa 143,440 316,940 22.911) LA RIOJA La Rioja 89,680 331,847 7.312) MENDOZA Mendoza 148,827 1,741,610 3213) MISIONES Posadas 29,801 1,097,829 2114) NEUQUEN Neuquén 94,078 550,344 43.215) RIO NEGRO Viedma 203,013 633,374 25.116) SALTA Salta 155,488 1,215,207 20.217) SAN JUAN San Juan 89,651 680,427 15.718) SAN LUIS San Luis 76,748 431,588 22.219) SANTA CRUZ Río Gallegos 243,943 272,524 29.620) SANTA FE Santa Fé 133,007 3,200,736 35.721) SANTIAGO DEL

ESTEROSantiago del Estero 136,351 896,461 9.9

22) TIERRA DEL FUEGO, ANTARTIDA E ISLAS DEL ATLANTICO SUR

Ushuaia 986,418 126,190 24

23) TUCUMAN San Miguel de Tucumán 22,524 1,448,200 26.3

Page 16: 아르헨티나개황2011

14

4. 주요도시

가. Buenos Aires ◦ 아르헨티나의 수도이자 유일한 자치시(Ciudad Autónoma de Buenos

Aires)이며, 남미 대륙에서 상파울루와 리오데자네이루에 이어 세 번째로 큰 대도시(인구 300만, 면적 약 200km2)- 라플라타강 하구에 위치한 항구도시로서, 부에노스아이레스 사람들은

자신들을 항구사람이라는 의미와 세련된 도회지 사람이란 의미를 합쳐서 포르테뇨(porteño)라고 지칭

◦ 시는 행정구역상 48개 지구로 나뉘며, 몬세라트, 산니콜라스, 레티로, 산텔모, 푸에르토마데로, 보카, 레콜레타, 팔레르모 등 8개 지구가 대표적 - 도시 곳곳에 유럽풍의 건축 양식이 남아 있어서 흔히「남미의 파리」로

별칭 - 시장 : 마우리시오 마끄리(2011.7.31 재당선)/시의원 : 60인- 2011.12.10일부터 15개의 구청제도가 운영될 예정이며, 각 구는 선

거를 통해 당선된 구청장 1인과 6인의 간부진으로 구성 예정※ 한인밀집지역 담당 구청장 : Guillermo Peña 제7구청장 (플로레스 지역, 빠르께 차까부꼬 지역 담당)

나. Córdoba ◦ 아르헨티나 제2의 도시(인구 127만)이자 꼬르도바주의 주도로서, 지리

적으로 아르헨티나의 중심(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서북쪽 700km 지점)에 위치한 교통의 중심지

◦ 1573년 볼리비아쪽에서 식민지를 확장해온 스페인인 Jerónimo Luis de Cabrera가 건설한 이후 부에노스 아이레스보다 일찍 발달- 1613년 아르헨티나 최초의 대학인 꼬르도바 국립대학이 설립되었고,

반정부 운동과 대학혁명운동도 이곳을 중심으로 각지로 파급

Page 17: 아르헨티나개황2011

15

다. Rosario ◦ 수도인 부에노스아이레스시의 북서쪽에 위치한 산타페주의 도시로 아르

헨티나 제3의 도시(인구 115만)◦ 서쪽 파라나강을 끼고 있는 140헥타에 달하는 항구를 통해 농산물 수출

및 국내 수송의 중계지 역할을 하고 있는 상공업도시이자, 주요 철도가 통과하는 아르헨티나 북동부 교통의 중심지

라. La Plata◦ 라플라타시는 1880년 부에노스아이레스시가 부에노스아이레스주에서 분

리되어 수도로 지정된후 부에노스아이레스주의 주도로서 결정되어 발달한 계획도시(인구 60만)

마. Mar del Plata◦ 부에노스아이레스시 남쪽 400km에 위치한 아르헨티나 최대의 해안 휴

양지로서 매년 여름(12월-2월)에 200만명의 관광객 방문◦ 해변 안쪽으로 끝없는 대초원이 펼쳐져 있으며, 해변쪽으로 약간 경사진

풍경을 가지고 있어서 「대서양의 진주」라 별칭

바. Mendoza◦ 멘도사주의 주도로서,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서북쪽으로 1,060km 떨어

져 있으며, 안데스 산맥의 끝자락에 있는 분지에 위치(높이 해발 750m)- 안데스산맥의 최고봉인 아콩카과산(6,960m) 입구로서 등산가들이 중

간 기점으로 많이 방문◦ 세계 제5위의 와인 생산국인 아르헨티나 와인 생산의 중심지이자 세계

9대 와인 생산 도시중 하나로서, 특히 말벡(Malbec)와인으로 유명하며, 매년 3월 와인 수확제 개최

Page 18: 아르헨티나개황2011

16

사. San Carlos de Bariloche◦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남서쪽으로 1,720km 떨어진, 표고 770m의 나우

엘우아피호 호반에 위치한 도시로 흔히 「남미의 스위스」라 불리며, 주변 2,000-3,000m 높이의 산들과 목조식 건물들이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운 풍경을 제공

◦ 캠프, 낚시, 크루즈, 트레킹 등 다양한 야외스포츠를 즐길 수 있으며, 특히 겨울에는 스키 애호가들로 성황

Page 19: 아르헨티나개황2011

Ⅱ. 정 치

Page 20: 아르헨티나개황2011
Page 21: 아르헨티나개황2011

19

1. 정치 체제

◦ 국체 : 공화국, 정체 : 대통령 중심제◦ 각 주의 자치권을 대폭 인정하면서도 강력한 권한을 가진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연방주의 채택- 3권 분립 원칙에 따라 연방정부와 주정부에 각각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

존재◦ 연혁

- 독립초기 입헌군주제를 선호하는 세력이 있였으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지사인 Rosas(1829-32, 35-52)의 독재정치 후 공화제로 변화

- 부에노스아이레스 상업자본가를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주의자와 북서부내륙지방을 중심으로 하는 연방주의자간 대립이 있었으나, 각 주의 자치권을 인정하는 연방제도 채택

- 19세기 초 강력한 주(洲)중심의 연방체제는 1930년대 이후 수입대체산업화 과정에서 약화되면서 연방정부의 권한이 강화되었으며, 70년대 군사정부(1976-83) 및 80년대 민간정부 출범 이후 지방분권화 정책 시행

2. 헌법

가. 구성 ■ 전문■ 파트 1 : 기본권

◦ 제1장 : 기본권 선언 및 보장(1-35조)◦ 제2장 : 새로운 권리 및 보장(36-43조)

■ 파트 2 : 국가조직◦ 제1부 : 연방국가

Page 22: 아르헨티나개황2011

20

- 제1편 : 입법부․ 제1장 : 하원(44-53조)․ 제2장 : 상원(54-62조)․ 제3장 : 양원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조항(63-74조)․ 제4장 : 의회의 권한(75-76조)․ 제5장 : 법률 제정 및 시행(77-84조)․ 제6장 : 감사원(85조)․ 제7장 : 옴부스맨(86조)

- 제2편 : 행정부․ 제1장 : 특성 및 임기(87-93조)․ 제2장 : 대통령․부통령 선거 절차 및 시기(94-98조)․ 제3장 : 행정부의 권한(99조)․ 제4장 : 각료(100-107조)

- 제3편 : 사법부․ 제1장 : 특성 및 임기(108-115조)․ 제2장 : 사법부의 권한(116-119조)

- 제4편 : 검찰(120조)◦ 제2부 : 주정부(121-129조)

■ 잠정조항

나. 연혁◦ 1853.5.1 제정 헌법 : 남미국가 최초로 제정된 헌법으로서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되는 임기 6년의 대통령제 및 양원제 의회 채택◦ 1860 부에노스아이레스주가 연방에 가입◦ 1880 부에노스아이레스시가 주에서 분리, 연방수도가 됨으로써 정치적

통일 달성◦ 1949 Peron대통령의 헌법개정으로 광범위한 사회복지 조항 포함◦ 1955 쿠데타로 집권한 역대 군사정권 하에서의 헌법 효력 제한

Page 23: 아르헨티나개황2011

21

◦ 1976 쿠데타로 국회 해산, 정당 및 노조활동 금지 등 헌정 기능이 중단되었으나, 1983 민간정부 출범으로 헌정 재개

◦ 1994년 Menem 대통령의 헌법개정으로 대통령 중임허용(4년 임기), 상원의원수 확대(주당 3명), 부에노스아이레스 자치시 설치 조항 포함

3. 입법부

가. 입법부의 구성 및 권한◦ 아르헨티나의 연방의회는 상․하 양원으로 구성되며, 상원은 개별 자치주

(또는 자치도시)를 대표하고 하원은 국민을 대표◦ 상원 의석은 72석이고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6년

- 각 자치주(또는 자치도시)별로 3명의 의원을 선출하는데 매 2년마다 선거를 실시하여 의석의 1/3을 교체

- 대통령에 의해 지명된 고위 군 간부, 대사, 대법관, 연방법원 판사 후보 등의 임명에 대해 승인권 보유

- 대통령, 수석장관, 행정 각부의 장관 및 대법관에 대한 탄핵소추 의결권 보유

◦ 하원 의석은 257석이고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4년- 매 2년마다 선거를 실시하여 의석의 1/2을 교체- 예산안 승인 및 조세부담이 있거나 병력 소집을 요하는 법안을 발의할

권한을 지니며 이러한 법안들은 하원의 의결을 거친 후 상원에 상정- 대통령, 수석장관, 행정 각부의 장관 및 대법관에 대한 탄핵소추 발의권

보유◦ 아르헨티나 의회는 연방헌법 제75조에 따라 무역세 부과 및 관련 규정

제정, 조세의 신설 및 폐지, 연방 세입 시스템의 설정, 외채의 도입 및 상환, 정부 예산의 확정, 필요시 지방 정부 정책에 대한 연방 정부의 개

Page 24: 아르헨티나개황2011

22

입 명령, 아르헨티나 군대의 파견 및 외국 군대의 아르헨티나 주둔, 국경선 획정, 조약의 승인 등에 관한 사항을 의결

나. 입법 절차◦ 헌법에 의해 규정된 예외적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하 양원 모두 법안 발

의 가능- 모든 법안은 상․하 양원에서 가결된 후 행정부의 묵시적 또는 명시적

추인 필요- 상원이든 하원이든 법안을 발의한 쪽이 해당 법안에 대해 더 많은 권

한을 보유- 하원이 발의한 법안이 상원에 상정되면 상원은 법안을 원안대로 가결

하거나 수정하여 가결 가능- 수정 가결할 경우 법안은 다시 하원에 회부되는데 하원은 상원이 수

정한 법안을 수정된 상태로 가결하거나 하원의 원안대로 가결 가능- 상원이 수정한 법안을 하원이 원안대로 가결하려면 상원의 수정 가결

시 단순과반수가 요구된 경우에는 단순과반수, 2/3 이상 찬성이 요구된 경우에는 2/3 이상 득표 필요

- 상원이 법안을 발의한 경우에도 동일한 절차 적용- 의회에서 가결된 법안에 대해 행정부는 10일 이내에 거부권 또는 추

인권을 행사 가능- 행정부는 법안의 기본 이념이 변형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법안의 일

부만 거부 가능- 행정부가 거부한 법안을 의회가 다시 가결하려면 상․하 양원에서 각각

의원 2/3 이상 찬성 필요

Page 25: 아르헨티나개황2011

23

다. 의석 분포 현황(2011.11.10 현재)∙ 하원(257석)정당 의석수정의주의당내 Victory Front 114Victory Front 연합세력 21여권 총계 135급진당(UCR) 41페론당 비주류 36진보연합(FAP) 22공화당(PRO) 12시민연합(Coalicion Civica), 기타 15 야권 총계 122

∙ 상원(72석)정당 의석수정의주의당내 Victory Front 32Victory Front 연합세력 6여권 총계 38급진당(UCR) 17페론당 비주류 9진보연합 4기타 4야권 총계 34

4. 행정부

가. 조직 ◦ 구성 : 3권분립 원칙하의 대통령 중심제

- 대통령은 국가원수, 행정부 수반이며 군 최고 통수권자- 부통령은 상원의장 겸직

Page 26: 아르헨티나개황2011

24

◦ 대통령 선거 및 임기- 임기 4년, 중임 가능- 피선자격 : 아르헨티나 국적 보유(속지주의, 예외적 속인주의), 상원

의원 피선자격 보유- 대통령 유고시 부통령이 승계하며, 부통령도 유고시에는 의회에서 임

시 대통령 선출- 선거방법 : 1차 투표에서 유권자의 45%이상 득표하거나 40% 이상

득표인 동시에 2위와의 표차가 10%이상일 경우 당선이 확정되며, 그밖의 경우는 2차 투표에서 투표자의 단순 과반수 득표로 당선

◦ 대 통 령 : Cristina Fernández de Kirchner◦ 부 통 령 : Amado Boudou

나. 대통령 약력 ◦ 생년월일 : 1953.2.19◦ 출생지 : Buenos Aires주 La Plata시◦ 최종학력 : La Plata 국립대학 법학전공(1979년졸)◦ 경력

- Santa Cruz주 의회 하원의원(1989-1995)※ 1994년 연방헌법 개정을 위한 개헌회의에 Santa Cruz주 대표로 참석

- Santa Cruz주 연방 상원의원(1995-2005)※ 2003.5월 남편 Nestor Kirchner가 대통령에 취임

- Buenos Aires주 연방 상원의원(2005-2007)- 대통령(2007.12~/2011.12.10 2기 취임식)

◦ 특기사항- La Plata대학에서 함께 법학을 전공하던 Kirchner 전 대통령과 연애 결혼

Page 27: 아르헨티나개황2011

25

- 선거로 당선된 최초 여성 대통령- 종교는 카톨릭

◦ 가족관계 : 자녀 2명(아들:Máximo, 딸:Florencia), 남편 Kirchner 전 대통령은 2010.10월 심장마비로 서거- 아들 Máximo(34세)는 친 키르츠네르계 청년 정치그룹(Cámpora) 리

더로써 Kirchner 사후 정치적 영향력 급증

다. 행정부 주요인사(2011.11.10현재) * 2기 정부에서 다수 변경 예상직위 이름

내각 수석장관Jefatura del Gabinete de Ministros Anibal Fernández

내무장관Ministerio del Interior Anibal Florencio Randazzo

외교통상종교장관Ministerio de Relaciones Exteriores,

Comercio, Internacional Y CultoHéctor Timerman

국방장관Ministerio de Defensa Arturo Puricelli

경제장관Ministerio de Economia y Finanzas Amado Boudou

연방기획재정장관Ministerio de Plantificacion Federal, Inversion

Publica y ServiciosJulio Miguel De Vido

법무, 인권장관Ministerio de Justicia, y Derechos Humanos Julio Alak

교육장관Ministerio de Educacion Alberto Sileoni

과학기술혁신장관Ministerio de Ciencia y Tecnologia e

Innovacion ProductaLino Barañao

산업장관Ministerio de Industria Debora Giorgi

노동장관Ministerio de Trabajo, Empleo y Seguridad

Social Carlos Alfonso Tomada

Page 28: 아르헨티나개황2011

26

직위 이름보건장관

Ministerio de Salud Juan Luis Manzur사회개발장관

Ministerio de Desarrollo Social Alicia Margrita Kirchner  치안장관

Ministerio de Seguridad Nilda Garré농축수산장관

Ministerio de Agricultura Ganadería y Pesca Julián Domínguez관광장관

Ministerio de Turismo Carlos Enrique Meyer대통령비서실장(대통령 직속)

Secretaria General de La Presidencia Oscar Isidro Jose Parrilli법무자문실장(대통령 직속)

Secretaria Legal y Tecnica  Carlos Zannini국가정보원장(대통령 직속)Secretaria de Inteligencia Hector Icazuriaga

마약청장(대통령 직속)Secretaria de Programacion Para La

Prevencion de La Drogadiccion y La Lucha Contra El Narcotrafico

Jose Ramon Granero

문화청장(대통령 직속)Secretaria de Cultura Jorge Coscia

5. 사법부

가. 법원 체계◦ 연방법원과 주법원으로 구성되며, 연방법원은 국가적인 사안이나 서로

다른 주나 주민들이 상호 당사자인 사안 관할- 연방법원과 주법원 공히 3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방대법원은 국

가의 최고 법원

Page 29: 아르헨티나개황2011

27

나. 연방 대법원◦ 주정부간 분쟁, 외국과 관련된 분쟁 관할◦ 대법관은 대통령이 지명하여 상원의 인준을 받도록 되어 있으며, 현재 7

명으로 구성(정원은 9명이나 2명 공석)◦ 대법원장 : Ricardo Luis Lorenzetti

다. 사법위원회(Consejo de la Magistratura)◦ 1994년 개정 헌법에 의해 창설된 사법위원회는 연방판사 임명 및 징계

등 사법부 운영을 관장하는 기구◦ 2006년 당시 키르츠네르 대통령이 위원회 규모를 20명에서 13명으로

축소, 동 기구의 친여 성향을 강화- 동 기구 축소로 위원회를 구성하던 변호사협회, 학계, 소수정당 임명

위원 감축

6. 정당

가. 정의주의당(PJ:Partido Justicialista, 일명 Perón당)◦ 1946년 Perón부통령 겸 노동장관이 결성한 노동당이 기원◦ 1946년 Perón 대통령 당선(1951년 재선, 1973년 삼선)◦ 내셔널리즘적 대중운동을 추구, 국가에 의한 계획경제, 공업진흥, 부의

균등분배를 위한 급여인상정책 등 추진◦ 1989.5월 Carlos Saul Menem 대통령 당선(95.5월 재선), 신자유주의적

경제정책 추진◦ 1999.10월 대선에서 Eduardo Duhalde 후보 패배◦ 2003.5월 대선에서 Néstor Kirchner 후보 당선

Page 30: 아르헨티나개황2011

28

◦ 2007.10월 대선에서 Cristina Fernández 후보 당선◦ 2011.10월 대선에서 Cristina Fernández 대통령 재선 성공◦ 총재 : Daniel Scioli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지사(직무대행)

나. 혁신당(UCR:Unión Cívica Radical)◦ 1880년 창당되어 이데올로기적으로는 정치적 자유, 경제적으로는 국가

개입정책 추진◦ 1916년 제2대 총재인 Yrigoyen이 대통령에 당선◦ 1983년 Raúl Alfonsín 대통령 당선◦ 1999.10 Fernando de la Rúa 대통령 당선◦ 2001.12 De la Rúa 대통령 하야 이후 정치계에서 혁신당의 영향력이 급

격히 약화◦ 2011.10월 대선에서 중도우파연합(UDESO)을 이끌던 Ricardo Alfonsin

후보가 11.5% 득표로 3위 기록 ◦ 총재 : Ernesto Sanz 상원 의원

다. 사회당(Partido Socialista)◦ 1896년 창설되었으며 사회적 민주주의에 기반◦ 2011.10월 대선에서 사회당 주도로 결성된 중도좌파연합(Frente Amplio

Progresista) 후보 Hermes Binner 산타폐 주지사가 17%의 득표로 2위 기록

◦ 총재 : Ruben Guistiniani 산타페주 상원의원

라. 시민 연합당(Coalición Cívica)◦ 시민 연합당은 2007.4월 창설된 정당 연합이며, 이데올로기적으로는 자

Page 31: 아르헨티나개황2011

29

유주의, 진보 성향◦ 2007.10월 Elisa Carrió 전 하원의원 대선 출마, 2위 득표하였으나,

2011.10월 대선에서 1.85% 득표로 최하위(7위) 기록◦ 총재 : Elisa Carrió(직제상 공식적인 당수는 없음)

마. 공화당(PRO)◦ 공화당은 2005.5월 창설되었으며 중도우파 성향◦ 2005년 총선에서 Macri 당수 연방 하원의원 당선◦ 2007년 Macri 하원의원 부에노스아이레스시장 당선◦ 2011년 Macri 시장 재당선◦ 총재 : José Torello

7. 최근 정치 정세

가. 페르난데스 대통령 1기 정부◦ 취임초기인 2008.1월 60%대를 웃돌았던 페르난데스 대통령의 지지율은

2008.3월 곡물류에 대한 변동 수출세 부과 법안 발의로 시작된 정부와 농업계간의 갈등이 100일 넘게 지속되면서 정치적 불안이 가중됨에 따라 하락하여 2010.3월 20%대까지 하락- 변동 수출세 관련 법안은 2008.7월 의회에서 Cobos 상원의장 겸 부

통령의 casting vote로 부결됨에 따라 페르난데스 정부는 정치적 타격을 받았으며, 그 결과 2009.6월 실시된 의원 중간선거에서 집권여당이 패배

◦ 농민층과의 갈등을 제대로 풀어나가지 못했던 것이 지지도 하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에 더해 지속적인 인플레이션과 경제활동의 둔화, 페론당내 반대 여론 그리고 권위적인 스타일에 대한 중산층의 거부감 등이

Page 32: 아르헨티나개황2011

30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 하락에 영향 - 페르난데스 대통령에 이어 키르츠네르 전대통령이 2011.10월로 예정

된 대선에 출마할 예정이었으며, 당내부의 지지 기반이 미약한 페르난데스 대통령의 국정 장악 능력에 대한 회의적 시각 확산

◦ 집권 정의당 총재이자 페르난데스 대통령의 부군으로서 사실상 통치권력의 핵심역할을 수행해 오던 키르츠네르 전대통령이 2010.10.27 갑작스런 심장마비로 서거하면서 권력 구조에 커다란 공백 발생- 그러나 키르츠네르 전 대통령의 급서를 계기로 페르난데스 대통령에

대한 국민들의 동정심등이 작용, 지지율이 급상승하였으며, 국제곡물가 상승에 따른 경기 호황이 정국 안정 및 페르난데스 정부 지지율 상승에 기여

◦ 페르난데스 정부는 농업가(지주), 기업, 교회, 언론, 야당, 페론주의내 타 계파(federalismo)를 적대시 하는 한편(Cobos 부통령 등 야당 인사, Duhalde 前대통령 등 여권내 타 계파 인사의 키르츠네츠 전 대통령 조문 금지 통보 등), 친여 노조(CGT) 및 인권 단체 등과의 연대 하에 이들을 통한 권력을 집중

◦ 권력 기반 강화를 위해 임금 인상 등 노조의 요구를 수용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20%를 상회하는 체감 인플레이션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페르난데스 대통령의 국민적 인기 꾸준히 상승

나. 페르난데스 2기 정부1) 대선(2011.10.23) 결과

◦ 페르난데스 대통령을 비롯, 총 7명의 후보가 출마한 가운데 2011.10.23 실시된 대선 1차 투표결과 페르난데스 대통령이 54.11% 를 득표, 결선 투표 없이 대통령에 재선- 부통령(러닝 메이트) : Amado Boudu 경제장관- 페르난데스 대통령은 동 대선에서 주재국 군사독재(1976-83) 종

식에 따른 민주주의 회복후 7차례에 걸쳐 실시된 대선 중 최고의

Page 33: 아르헨티나개황2011

31

득표율을 기록하였으며, 중남미 국가 여성 대통령 중 최초로 연임에 성공

◦ 대선과 동시에 실시된 총선(상원의원 1/3 및 하원의원 1/2 선출) 결과, 집권 여당이 상하 양원 공히 과반수 의석 확보

◦ 이와 동시에 10개주에서 실시된 정‧부주지사 선거에서도 여당연합측이 산루이스주를 제외한 9개주를 석권- 주재국 총 23개주 중 20개주 주지사가 집권여당 소속

2) 페르난데스 대통령 승리(재집권) 요인 분석◦ 대선의 강력한 예비 주자였던 키르츠네르 前대통령(페르난데스 대통

령 부군)이 2010.10 급서함에 따라 페론당내 反키르츠네르파 및 야당들에게 정치 공세의 대상이 소멸- 반면, 페르난데스 대통령에 대한 국민들의 동정심이 동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 급상승으로 연결- 아울러, 2009년 총선 중간선거에서 야권이 승리하면서 형성되었던

反키르츠네르 연합전선이 붕괴되고, 야권의 가장 유력한 대선 후보였던 마루리시오 마끄리 부에노스 아이레스 시장마저 대선에서의 승산이 없다는 이유로 후보를 사퇴하면서 페르난데스 대통령의 안정적 독주 체제 강화

◦ 키르츠네르 前대통령이 집권한 2003년 이후 연평균 7-8%대 경제 성장 달성- 각종 수입규제 조치 등을 통한 국내 산업 보호, 임금인상 및 재정

확대를 통한 국내 소비진작, 저소득층에 대한 각종 지원금, 보조금 확대 등 소위「아르헨티나식 Model 정책」 추진

- 현 정부의 상기 경제 정책에 대한 야당의 대안 부재◦ 지속되는 경제 호황하에서 변화를 바라지 않는 기득권층 및 꾸준한

복지 혜택을 희구하는 저소득층 공히 현상 유지를 희망 ◦ 야권의 경우, 페르난데스 대통령에게 대항할 수 있는 국민적 인기를

가진 인물의 부재와 더불어 대선 과정에서의 후보 단일화 등 범야권

Page 34: 아르헨티나개황2011

32

연대 실패에 따른 응집력 부족이 가장 큰 패배 요인으로 작용 - 일부 전문가들은 급진당(UCR)과 진보연합(FAP)간 연합을 여당에

실질적으로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으로 평가하였으나 초기 단계에서 동 연합 형성 무산

- 야권은 일찍이 대선에서의 패배를 기정사실화 하고 의회내 의석 증대에 관심을 집중하였으나 여당 연합 세력의 의석수 확대로 총선에서도 패배

3) 전망◦ 페르난데스 대통령의 압승과 더불어 총선에서도 집권 여당 연합이 의

석수를 확대함으로써 향후 정부 여당의 독주에 대한 야권의 견제력은 보다 약화될 것으로 전망

◦ 페르난데스 대통령은 금번 대선 압승은 기존 주요 지지 세력인 노총(CGT) 등의 조직적 지원 보다는 국민적 인기가 주동인으로 작용한 바, 집권 2기에서는 권력이 대통령에게 보다 집중될 것으로 전망- 주재국 정치에서 의회의 영향력은 크지 않으나 여당이 의회에서

과반수를 확보함으로써 대통령의 권력이 보다 강화될 전망◦ 또한, 향후 페론당내 기존 정치 세력을 점진적으로 배제하면서 새로

운 권력 기반으로 양성하고 있는 페론당 청년조직(Campora) 등 소장 정치인들을 중심으로 권력을 장악해 나갈 것으로 전망

Page 35: 아르헨티나개황2011

Ⅲ. 외 교

Page 36: 아르헨티나개황2011
Page 37: 아르헨티나개황2011

35

1. 대외관계 기조

가. 개관◦ 아르헨티나는 지리적으로는 라틴아메리카에 속해 있으면서도 1940년대

이전까지는 경제적 이해관계 및 문화적 요인 등으로 지나치게 유럽(특히 영국)에 편중된 대외관계를 유지해 오다 1980년대를 전후하여 대외관계의 다변화 및 역내국과의 관계 강화 추진- 브라질, 칠레 등 인접국이외의 여타 중남미국은 대외관계에서 작은

비중 차지 - 1982년 영국과의 말비나스 전쟁 이후 정치적 민주화와 더불어 역내

국가간 협력 강화 필요성을 인식하고 브라질과 함께 Mercosur 결성- Mercosur, Unasur, OAS 등 중남미 지역기구를 통한 대외 협상력 제고- 영국과의 말비나스 영유권 문제는 UN을 통한 대영국 압박, 칠레, 우

루과이 등 인접국과의 양자문제는 국제중재나 ICJ를 통해 해결 모색- 세계경제위기 극복 및 국제경제질서 개편 문제 관련 G20정상회의에

적극 참여- 특히 인권 문제를 외교의 주요 핵심으로 삼고 있으며 소규모 군사력

에도 불구, 유엔 PKO 파병에는 적극적 입장으로 평화 유지, 민주주의, 인권 중시국이라는 국가 이미지 제고에 주력

◦ Menem 대통령은 1990.2월 영국과 국교를 회복하면서 유럽제국과의 관계 강화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으며, 대서방 접근 외교정책의 일환으로 1991.9.19 비동맹에서 탈퇴- Gulf전 참전, 크로아티아 파병, 아이티 파병 등 유엔의 PKO 활동 참

여, NPT 가입(95.2월) 등 국제비확산체제 지지 및 유엔안보리 비상임이사국 피선(04년 재선)등 국제사회의 다자외교에 적극 참여

- 아울러 메넴대통령은 95년 2월, 국제기아퇴치운동(일명 White Helmet Initiative)을 주창, 세계적인 지도자로서의 부상 도모

Page 38: 아르헨티나개황2011

36

◦ 그러나, 키르츠네르 및 페르난데스 정부가 남미 인근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 최우선 외교 정책으로 추진하면서 미국 및 유럽 제국과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약화 - 인근 국가들과의 통합 가속화를 강조하여 왔으나, 무역 분쟁 등으로

인해 브라질, 칠레, 우루과이 등 핵심 역내 국가들과의 가시적이 통합이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상황

- 특히 대미 관계에 있어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과의 밀착 및 아르헨티나 중산층 및 빈곤층에 팽배해 있는 반미 정서를 자극함으로써 미국과는 지속적인 갈등 관계를 노정

◦ 한편 키르츠네르 대통령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수출 증대를 최우선 목표로 삼았으며, 중국을 중심으로 대아시아 수출이 늘어나면서(특히 콩 등 농산품) 아시아 지역과의 통상협력 증진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페르난데스 정부도 동 정책을 유지- 2010년 아시아 지역은 아르헨티나 대외 수출의 19% 점유

나. 페르난데스 2기 정부 외교정책 전망◦ 페르난데스 정부는 2011.10월 대선에서의 압승을 바탕으로 집권 2기에

도 집권 1기(2007-2011)에서 견지해온 외교정책 기조를 그대로 유지해 나갈 것으로 전망- 베네수엘라, 에쿠아돌, 볼리비아 등 중남미 ‘좌파정부(Circulo Bolivariano)’

와 공고한 관계를 유지하는 동시 칠레, 콜롬비아 등 우파정부와도 관계 강화 모색(좌우파 정부간 중간자적 역활 모색)

- '남미국가연합(UNASUR)'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특히, 역내 강국 브라질과의 경제위기 최소화를 위한 긴밀한 공조체제 유지

◦ G-20 회원국으로써 국제금융질서 개편 등 주요 국제 이슈에 대한 참여 및 역활 강화

◦ 대미관계 개선, 이란과의 관계 정립(1994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소재 아르헨티나-유대인 친선협회 건물 폭파 테러에 이란의 배후 개입설), 말

Page 39: 아르헨티나개황2011

37

비나스 문제 등 주요 외교 현안에 대한 해결 시도

2. 외교조직

◦ 2011년 외교국제통상종교부 예산은 5.1억불 규모로 정부 예산의 1% 가량을 차지하며, 인원은 총 2,207명(외교직 949명)- 본부 고위직은 72명(장관 등 정무직 12명, 국장 등 고위 간부직 60명)

◦ 신규 외교관 채용 방식 - 선발된 외교관 지망자는 외교연구원(ISEN : National Institute for

Foreign Service)에 개설된 2년의 과정을 이수하여야 하며, 동 과정 이수자후 3등 서기관으로 채용※ 외교연구원의 역할

- 외교관 선발 및 훈련 - 현외교직 대상 교육훈련- 주요 외교정책 및 이슈에 대한 연구, 개발 - 아르헨티나의 국익과 연관 주요 국제문제에 대한 연구 등

- 전통적으로 매년 25명의 외교직을 선발하여 왔으며, 2009년 이후에는 50명 선발

3. 재외공관 현황

◦ 전체 재외공관 : 총 131개- 대사관(76), 국제기구 대표부(9), 총영사관 및 영사관(46개)

◦ 유럽지역 : 38개- 대사관(26), 국제기구 대표부(5), 총영사관 및 영사관(7)

◦ 북미지역 : 24개- 대사관(14), 국제기구 대표부(2), 총영사관 및 영사관(8)

Page 40: 아르헨티나개황2011

38

◦ 남미지역 : 38개- 대사관(10), 국제기구 대표부(1), 총영사관 및 영사관(27)

◦ 아시아ㆍ중동지역 : 21개- 대사관(17), 총영사관 및 영사관(4)

◦ 아프리카지역 : 10개- 대사관(9), 국제기구대표부(1)

4. 국제기구 가입 현황

◦ 카리브국가연합(ACS),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비지역회원국), 호주그룹(AG), 중미경제통합은행(BCIE), 국제결제은행(BIS), 안데스공동체(CAN, 준회원국), 유엔 중남미․카리브경제위원회(ECLAC), 국제식량기구(FAO), 자금세탁방지기구(FATF), G20, G77, 미주개발은행(IADB), 국제원자력기구(IAEA), 미주개발은행(IADB), 국제원자력기구(IAEA), 세계은행(IBRD),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국제형사재판소(ICC), 국제적십자위원회(ICRC), 국제개발협회(IDA),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국제금융공사(IFC), 국제수로기구(IHO), 국제노동기구(ILO), 국제해사기구(IMO), 국제이동위성기구(IMSO), 국제형사경찰기구(Interpol),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국제이주기구(IOM), 국제의원연맹(IPU), 국제표준기구(ISO), 국제통신위성기구(ITSO), 국제통신연맹(ITO), 국제노동조합연맹(ITUC), 중남미경제체제(LAES), 중남미통합연합(ALADI), 남미공동시장(MERCOSUR), 국제투자보증기구(MIGA), 서부사하라선거지원단(MINURSO), 아이티안정화지원단(MINUSTAH), 비동맹운동(NAM), 원자력공급국그룹(NSG), 미주기구(OAS), 중남미핵무기금지기구(OPANAL), 화학무기금지기구(OPCW), 리오그룹(RG), 중미통합체제(SICA), 국제연합(UN), 남미국가연합(UNASUR), UN무역개발위원회(UNCTAD), UN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키프러스UN평화유지군(UNFICYP), UN난민기구(UNHCR), 라틴연합(Union Latina, 업저버), UN휴전감독기구(UNTSO), UN세계관광기구(UNWTO), 국제우편기구(UPU), 세계관세기구(WCO), 세계노동조합연맹(WFTU), 세계보건기구

Page 41: 아르헨티나개황2011

39

(WH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세계기상기구(WMO), 세계무역기구(WTO), 쟁거위원회(ZC)

5. 주요국과의 대외관계 동향

가. 대미 관계◦ Peron 정권이 등장한 이후 외국자본의 국유화 정책을 광범위하게 추진

하면서 미국과의 관계가 소원해지기 시작◦ 1982년 Malvinas(포클랜드) 전쟁을 계기로 군부독재가 종식되고 민간

정부가 들어서면서부터 전통적인 친유럽 기조에서 친미 기조로 선회 ◦ 특히 1990년대 메넴 정권하에서는 미국에 적극적인 협조를 제공하였으

며, 경제적으로도 대미의존도 심화- 1989.9월 메넴 대통령의 미국 방문 및 1990.12월 미국 Bush 대통령

의 아르헨티나 답방을 계기로 양국관계는 급속히 개선 - 1991.4월 아르헨티나가 만성적 인플레이션 치유책으로 아르헨티나

페소를 동가로 미국 달러에 연계시킴으로서(소위 Convertibility Plan) 미국정부의 경제정책이나 뉴욕 증권시장의 이자율 움직임이 그대로 아르헨티나 경제에 파급

- 1995년초 이래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약 20억불의 차관을 공여받는 대가로 동기구의 국내경제 정책 간여권을 인정한 이후, 경제정책에 있어서 대미 의존도 더욱 심화

◦ 2003.5.25 중도좌파인 키르츠네르 대통령 취임 이후, 합동군사훈련 참가 미군에 대한 특권면제 부여 거부, FTAA를 둘러싼 이견표명 등 과거와 달리 미국과 거리를 두는 외교정책 추진 - 2005.11월 Mar del Plata 아메리카 정상회의에서 미국이 역점 추진

하고 있는 아메리카 자유무역지대(FTAA)에 반대하는 한편, 중남미 반미의 선봉장인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과 협력을 강화함에 따라

Page 42: 아르헨티나개황2011

40

미국과의 관계가 다소 악화- 2006.1월 IMF에 대한 채무 96억불을 일시에 상환함으로써 경제정책

의 독립성 확보◦ 2007.12.10 출범한 페르난데스 정부는 키르츠네르 정부보다 미국과의

관계 개선, 특히 오바마 정부와의 관계 개선에 기대를 가졌으나 오바마와 페르난데스 대통령 간 단독 정상회담 미개최 등 양국 간 관계에 진전이 없는 상황 - 페르난데스 정부와 베네수엘라 차베스 정권과의 정치, 경제적 밀착관

계는 아르헨티나-미국관계를 불편하게 만드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2011.3월 오바마 대통령의 중남미 3개국(칠레, 브라질, 엘살바도르) 방문시 아르헨티나 제외

- 아르헨티나 정부가 2011.2월 연방경찰의 특수훈련을 지원하기 위해 에세이사 국제공항에 착륙한 미군 군용기에서 미신고 무기와 장비를 압수(동 수색을 티메르만 외교장관이 직접 참석, 지휘)하면서 미국과 신경전을 벌였으나 6월초 아르헨티나 정부가 압수물품을 반환키로 결정하여 외교적 갈등 일단락

◦ 2011.10월 대선에서 페르난데스 대통령의 압승을 계기로 아르헨티나와 미국 공히 관계 개선 시도- 미국은 2011.11.3-4 칸느 개최 G-20 정상회담 계기 오바마-페르

난데스 정상회담 개최를 제의하였으며, 아르헨티나측은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2011.11.4 정상회담 개최)

- 양국 정상은 공히 국가 이익 및 국제관계에 있어서의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서는 갈등의 해결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유

- 미국측은 대 남미 관계에 있어 브라질과 함께 아르헨티나와의 원활한 관계 유지라는 지역적 이유 외에 이란의 대중남미 접근시도와 관련, 反테러를 위한 연합 전선 구축 등 미국의 세계 전략상 아르헨티나와의 협력이 필요

- 아르헨티나측으로서는 파리클럽 채무(약 70억불) 변제 문제 및 세계

Page 43: 아르헨티나개황2011

41

은행, 미주개발은행 등 국제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차관 확보를 위해서는 미국의 협조가 필요

나. 주변국 관계■ 남미공동시장(Mercosur)

◦ 제29차 Mercosur 정상회의(우루과이, 2005.12)에서 베네수엘라의 정회원 가입이 결정되고, 2006.7월 베네수엘라의 Mercosur 가입 의정서가 서명됨으로써 Mercosur는 남미 전체 경제의 3/4 이상을 차지하는 역내 통합체로서의 위상 강화

◦ 금년도 Mercosur 창설 20주년을 맞이하여 4개 회원국 외교장관은 공동성명에서 회원국간 교역액이 1991년 45억 달러에서 2010년 450억달러로 10배가 늘어나는 등 큰 성과가 있었음을 강조하였으나, 일반적인 평가에 따르면 공동시장 형성을 위한 진전이 매우 더디고, Mercosur의 대외적 비중도 감소해 나가는 추세- Mercosur가 주요 지역기구로 확고히 자리를 잡기는 하였으나 ①

통합가속화를 위한 정치적 의지 결여, ②회원국간 합의 불이행(미국-우루과이 무역협정 등 양자주의, 일방주의), ③작은 문제 방조로 인한 문제 확대, ④각 회원국 사회적 요구의 합의 반영 미비 및 Mercosur의 사회적 확산 부족, ⑤각 회원국내 관료주의, ⑥Mercosur를 대표할 수 있는 상징적 정치인 부재, ⑦회원국간 상이한 통합 목표(브라질의 글로벌 강국 부상에 따른 이해관계 차이 등), ⑧ 각 회원국 산업별 이해관계의 차이와 비대칭적인 통합 인센티브 등이 장애요인으로 거론

◦ 한편, 2008년 하반기 이후 아르헨티나의 수입제한조치 강화에 따라 Mercosur 회원국인 브라질, 우루과이 및 파라과이와의 통상마찰 지속 - 아르헨티나 페르난데스 대통령은 2011.6월 아순시온 개최 Mercosur

정상회의에 건강상 이유로 불참

Page 44: 아르헨티나개황2011

42

■ 칠 레◦ 칠레와는 1세기에 걸친 비글해협 문제로 인하여 긴장상태를 이어 왔

으나, 1979.1월 교황청의 중재로 양국이 남미 대륙 남단의 비글해협에 위치한 3개 도서 영유권 관련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계기를 찾게 되었으며, 1994.11.29 양국간 평화우호조약이 발효됨에 따라 양국간 분쟁은 일단락- 또한 1991.8.2 국경선 조약에 서명함으로써 그밖의 영토와 관련된

분쟁요인을 제거◦ 칠레가 중남미 제국 중 가장 건실한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고, 1996.6

Mercosur와 자유무역협정에 서명함에 따라 아르헨티나의 대칠레 접근이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 1996.4.26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아르헨티나와 칠레 양국은 물적․

인적 자원의 원활한 수송을 위한 국경지역 도로건설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국경협정에 서명하고, 1996.6.26 양국간 광업장비 및 광산물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는 광업협정을 체결, 국경지대에서 생산되는 광산물의 원활한 흐름을 촉진할 수 있는 계기 마련

- 2003.10 Lagos 칠레대통령의 아르헨 방문시 양국 정상은 경제통상관계 심화 및 안데스산맥 지역을 관통, 양국을 연결하는 수송망 등 인프라 건설협력에 합의

◦ 2008.10 Bachelet 칠레 대통령 아르헨 방문, 페르난데스 대통령의 부군인 Kirchner 전 대통령의 UNASUR 사무총장 입후보 지지 등 양국 우호 협력관계 확인

◦ 현 보수우파 Sebastian Piñera 대통령하에서는 좌파성향 아르헨티나 정부와 칠레 테러범 인도 불허 결정 등으로 관계가 다소 경색

■ 브라질◦ 브라질과는 역사적으로 선의의 경쟁자로서 또는 남미대륙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경쟁과 대립관계를 유지하여 왔으나 최근 양국간 국력 격차

Page 45: 아르헨티나개황2011

43

로 인해 브라질이 주도적 위치 확보◦ 양국은 Parana강 이용권 및 이과수폭포 지역 확보 문제를 둘러싸고

각축을 벌인바 있으나, 1980년대 후반 양국의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인근 국가로서의 우호협력관계 기조 공고화- 특히, 1986년에는 양국이 남미공동시장(Mercosur)의 모체가 되는

경제공동체 협정에 서명함으로써 자유시장 원리를 기축으로 한 경제통합을 공동의 목표로 채택

◦ 1995.1월 남미공동시장(Mercosur) 협정이 발효됨에 따라 Mercosur의 양대 주축으로 양국관계는 새롭게 발전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자동차 무역, 외환정책상의 이해관계 차이로 갈등 관계 지속- 1999.1월 브라질 Real화 평가절하로 자동차, 농산물 교역관련 마찰

심화◦ 2003년 양국의 중도좌파 성향의 대통령 취임으로 양국관계는 이념적

으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양국간 공산품 무역역조, 브라질의 역내주도권 장악 움직임, Mercosur 통합보다 글로벌 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브라질의 전략 등으로 양국관계는 과거에 비해 긴밀성 희석- 한편, 2005.11월 Mar del Plata 아메리카 정상회의 계기 브라질,

아르헨티나 및 베네수엘라가 전략적으로 협력, FTAA 조속추진을 주장하는 멕시코등과 대립하는 국면 전개

◦ 2007.12.10 취임한 페르난데스 아르헨티나 대통령은 브라질과의 관계를 중시하겠다고 천명하였고, 2008.9 브라질을 공식방문, 양국간 무역 결제시 미 달러화 배제(자국화폐 사용)에 합의하는 등 양국간 긴밀한 경제협력관계 유지를 위해 노력- 하지만 08년 하반기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아르헨티나의 보호무역

정책이 강화됨에 따라 브라질과의 통상관련 마찰 지속◦ 브라질 Dilma 대통령 취임후 2011.1월 아르헨티나 페르난데스 대통

령이 외국 정상으로는 최초로 브라질을 방문하면서 양국관계의 공고

Page 46: 아르헨티나개황2011

44

함을 상징적으로 과시했으나 상호 수입규제 정책 등으로 실질사안과 관련해서는 마찰 지속- 아르헨티나로서는 총 수출의 약 20%(공산품 수출의 40%)를 차지

하고 있는 브라질 경제의 지속적 성장이 절대적으로 중요

다. EU와의 관계◦ 아르헨티나는 전통적으로 유럽 국가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 하여왔으나

1982년 영국과의 Malvinas 전쟁을 계기로 EU가 아르헨티나에 대해 제한적 경제제재 조치를 취함에 따라 양 지역간 협력관계는 다소 소원한 관계를 유지

◦ 1989.7월 메넴 대통령이 집권, 적극적인 대 유럽 접근정책을 펼친 결과, 1990.2월 아르헨티나와 영국간 외교관계가 복원- 이를 계기로 유럽 소재 다국적 기업이 당시 아르헨티나가 추진하고

있던 국영기업의 민영화 계획에 적극 참여함으로서(예 : 스페인 Iberia 항공사의 아르헨티나 국영항공사 인수등) 양 지역간 경제 협력 관계는 급속히 긴밀화되기 시작

◦ 1994년 하반기이래 EU는 미국의 NAFTA 확대 시도에 맞서, EU와 Mercosur간 자유무역협정을 정식 제안한바, 아르헨티나는 자국의 산업구조가 미국보다는 유럽과 보다 상호보완적이라는 판단하에 이에 찬성- 1995.12.15 마드리드에서 양지역 정상들이 EU-Mercosur간 경제협력

협정에 서명, 2008년까지 자유무역지대를 창설키로 선언- 2006.5월 오스트리아 개최 EU-중남미 정상회의에서 양지역간 전략적

제휴관계 강화, 민주주의와 인권, 테러리즘, 에너지 등 12개항의 비엔나선언문 채택

◦ 2010.5.17 라틴아메리카-EU 정상회의에서 조속한 FTA 재개에 합의하고 2011.11월 몬테비데오 제7차 협상까지 개최하였으며, 2012.3월 브뤼셀에서 제8차 협상 개최 예정- 2012.6월 칠레 산티아고에서 “EU-라틴아메리카 카리브 정상회의”

Page 47: 아르헨티나개황2011

45

개최 계기, “EU-MERCOSUR 정상회의” 개최 예정- 농산물 교역관련 쿼터의 확대, 관세인하 및 각종 보조금 철폐, 일반특

혜관세의 유지 등이 협상의 주요 쟁점

라. 대 아시아 관계◦ 2001년 아르헨티나의 경제위기 이후 수출확대를 경제회복의 관건으로

보고 아시아의 높은 경제성장에 따른 아르헨티나산 상품 수입수요의 증대 가능성을 감안,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강화에 관심

◦ 중국의 WTO 가입을 계기로 중국 시장 진출 및 농산물 가공분야에서의 투자유치 등을 위해 2004. 6 키르츠네르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 양국간 관계를 ‘전략적 연합’으로 격상키로 합의- 아르헨티나 정부는 2004.11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 방아시 중국의

시장경제 지위 인정◦ 중국은 아르헨티나의 수입제한조치에 대한 보복조치로 2010년초 아르헨

티나산 대두유에 대한 수입을 금지한 바 있으나, 최근년 양국간 무역 및 투자규모는 지속 확대되는 추세- 2010.7월 페르난데스 대통령의 중국 방문에 이어, 2011.5월 첸 데밍

중국 상무장관의 방아시 아르헨티나산 대두유 수입 재개 선언- 2010년 기준 중국은 아르헨티나의 제2대 무역 상대국(무역규모 135

억 달러)이며, 동시에 중국은 아르헨티나에 대한 제1의 투자국(2010년 투자액 55.5억 미불)

◦ 아르헨티나는 인도도 잠재적인 농산물 주요 수출시장으로 보고, 관심을 갖고 경제관계 확대 추진중

◦ 한편, 아르헨티나 정부는 대아시아 관계 강화 차원에서 유럽 주재 무관부를 축소하는 대신 한국(2008년 기설치), 인도, 호주 및 일본 주재 자국 대사관에 무관부 설치

Page 48: 아르헨티나개황2011
Page 49: 아르헨티나개황2011

Ⅳ. 군 사

Page 50: 아르헨티나개황2011
Page 51: 아르헨티나개황2011

49

1. 국방정책 기조

◦ 주변국과 군사력 균형 및 지역 안정유지◦ 군 현대화 및 연합·합동작전 수행능력 향상◦ 유엔 평화유지활동 강화로 국가위상 제고

2. 군부 동향

◦ 아르헨티나 군은 국가설립 이후 전통적으로 아르헨티나 국가 정책 및 전략 수립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

◦ 그러나, 1982년 영국과 말비나스 전쟁 패배를 계기로 한 1983년 군부독재 종식, 민간정부 출현 및 이후 역내 직접적 적대세력의 소멸 등에 따라 군부의 위상이 급격히 추락하기 시작- 1978-82년 사이에는 칠레와의 전쟁 위협 및 연이은 말비나스 전쟁 등

으로 국방비 예산이 역대 최고수준인 GDP의 약 3%를 차지한데 비해, 지속적인 국방비 삭감에 따라 2010 예산은 GDP의 0.9% 규모로 남미국가들 중 최하위이자 역대 최저수준

◦ 아르헨티나 정계는 군부를 여전히 위협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군부가 위기를 이용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군부의 위상 약화를 지속적으로 추진

3. 군사력 현황

◦ 총병력 : 77,500명- 육군 : 45,000명. 3개 군단, 11개 여단, 전차 470대, 장갑차 540대, 야포

270문, 대공포 410문, 헬기 55대 등 - 해군 : 18,500명, 구축함 5척, 잠수함 3척, 프리게이트 9척, 항공기 48대,

Page 52: 아르헨티나개황2011

50

상륙장갑차 60대 등- 공군 : 14,000명, 전투기 91대, 수송기 39대, 헬기 37대 등

※ 보안군 : 국경수비대 18,000명, 해안경비대 13,000명이 있었으나, 내무부로 소속 변경(‘96.6월)

◦ 병역제도 : 지원병제 시행(‘95.3월 시행, 복무기간 2년) ◦ UN 평화유지군 : 아이티, 싸이프러스 등 총5개 지역 863명 파병

4. 2011년 국방 예산

◦ 2011년 국방 예산은 약 122.1억 페소(약 30억 US$)로 정부예산 대비 4.5% 비중이며, 그중 대부분인 91억 페소는 급여 및 연금 등에 할당

◦ 군별 예산- 육군 : 51억 페소(약 13억 US$)- 해군 : 31억 페소(약 8억 US$)- 공군 : 26억 페소(약 7억 US$)

< 아르헨티나 국방비 추이 >국방예산(10억미불) 국방예산/정부총예산(%) 국방예산/GDP(%)

2006 1.9 6.2 1.02007 2.1 5.4 0.92008 2.6 5.2 0.82009 2.8 4.7 1.020010 3.1 4.7 0.9

※ 2009년 남미 제국 국방비 현황(출처 : International Institute for the Research on Peace)/단위 : 10억미불

- 아르헨티나 : 2,849- 브라질 : 29,124

Page 53: 아르헨티나개황2011

51

- 볼리비아 : 0.268- 칠레 : 5,683- 콜롬비아 : 10,055- 에쿠아돌 : 1,821- 파라과이 : 0,140- 페루 : 1,502- 베네주엘라 : 3,254- 우루과이 : 0,496

5. 주요국 관계

◦ 인접국인 칠레 및 브라질과의 영토 및 정치적 분쟁 대부분 해결- 브라질과의 핵개발 경쟁은 1991.6월 양국간 평화적 목적에 적합한 원자

력 개발에 합의함에 따라 종식- 브라질의 경우 Mercosur 창설 및 브라질이 역내 맹주로 부상하면서, 아

르헨-브라질 간 군사적 경쟁은 종식 - 칠레의 경우, 1984년 양국간 우호평화조약이 체결되면서 양국간 영토분

쟁이 해결될 수 있는 기틀 마련

Page 54: 아르헨티나개황2011
Page 55: 아르헨티나개황2011

Ⅴ. 경제・통상

Page 56: 아르헨티나개황2011
Page 57: 아르헨티나개황2011

55

1. 아르헨티나 경제의 특징

가. 중남미 3위 경제대국, 스페인어권 남미경제의 중심축◦ 중남미에서 GDP․교역 면에서 멕시코․브라질에 이어 3위

- 인구 4,010만명으로 비교적 큰 자체시장 형성◦ 2010년 1인당 GDP는 구매력(PPP) 기준 15,716 달러로 중남미 최고 수준

- 칠레 15,056달러, 멕시코 15,793달러, 브라질 11,196달러

나. 전통적 농목축업 중심의 경제◦ 아르헨티나는 세계 8위, 남미 2위의 국토면적을 가진 국가로 전국토의

60%(1억 7,000만 ha)가 농업에 적합한 조건을 갖춘 대평원- 1차 대전 전후에 대규모 유럽 이민자들이 유입되면서 농업발전이 본

격화되어 한때 세계 5위의 경제대국으로 성장◦ 인구의 약 10%가 농목축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2010년 기준 농업 총생

산은 GDP 비중의 7% 수준이나, 수출액은 총수출액의 60%, 연방정부 총세입의 25%를 차지

다. 풍부한 자원․에너지 보유◦ 아르헨티나 광물자원(금, 은, 동, 납, 아연, 리튬 등) 잠재보유량은 세계

6위며, 자본부족으로 전체 국토의 75%의 지역이 미개발된 상태 - 현재 칠레, 볼리비아 국경과 인접한 길이 4,500㎞에 달하는 안데스

산맥을 중심으로 다양한 탐사 및 채굴활동 진행중

라. 공공채무 상황 개선◦ 2011.3월말 기준 아르헨티나의 공공채무액은 1,844억 미불이며, 중앙은

행 및 사회보장청 등 공공기관이 보유한 채권(총 공공채권의 50%)을

Page 58: 아르헨티나개황2011

56

제외한 민간부문에 대한 순공공채무는 980억미불(GDP의 26% 규모) 수준으로 과거 1980-90년대에 비해 양호- 2001년 디폴트를 선언한 약 1,000억 달러의 공공 채무중 92.4%에

대한 채무 재조정을 완료하였으며(2005년 및 2010년 3차례) 남은 공공채권은 민간채권단이 보유하고 있는 약 60억 미불과 파리클럽 채권단에 대한 약 70억 미불 등 총 130억 미불 수준

- 총 외채 잔액은 1,398억 미불로 GDP 대비(약 35%) 여전히 과중한 수준

마. 노동자 위주의 경제정책◦ 아르헨티나는 전통적으로 노동권이 세계에서 가장 강한 나라 중 하나로

노조 활동이 활발하여 생산활동에 많은 애로 존재◦ 노사간 문제 발생시 정부, 법원은 대부분 근로자의 입장에서 법규를 해

석하며, 사용주의 해고비용이 매우 높은 상황◦ 2011년 아르헨티나의 최저임금은 2,300페소(약 547 미불)로 중남미 최고

수준

2. 경제 약사

◦ 1875년 이후 곡물과 육우 수출 및 영국과 프랑스의 대규모 투자를 통해 비약적인 경제적 발전을 이루기 시작- 1880년-1905년간 연평균 8% 성장하여 동 기간중 GDP가 7.5배 증가하

였으며, 1890년-1939년간 1인당 소득은 프랑스, 영국 및 캐나다 수준◦ 1929년의 대공황 이후 농산물 수출이 정체됨에 따라 해외시장을 중심으로한

외향적 경제성장에서 국내시장을 대상으로 한 내향적 경제성장으로 전환- 1929년 소고기의 대유럽 수출량은 1924년 대비 1/3로 하락- 소비재를 중심으로 한 수입대체공업 발전을 위해 관세 인상, 수입통제정책

도입

Page 59: 아르헨티나개황2011

57

◦ 1947년 Peron 대통령이 경제의 다양화 및 자립도 확대를 위한 공업화 우선정책을 강력히 추진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농축산물 수출 위축

◦ 1962년 집권한 군사정부는 국영기업 축소, 사회복지관련 지출삭감, 자율 가격제도 도입 등 자유개방정책을 추진하였으나, 빈번한 쿠데타와 정권교체로 일관성 있는 정책 추진 실패- 폐쇄적 경제정책으로 1960년대 평균 관세율은 84%에 달하고 수출액은

GNP의 2%에 불과- 경제 실정으로 경제력 급감(‘50년 아르헨티나의 1인당 소득은 스페인의

2배였으나 ’75년에는 스페인의 1인당 소득이 추월, ‘50년대 일본대비 3배의 1인당 소득을 기록하였으나 ’80년대 초반에 상황 역전)

◦ 1983년 출범한 민간정부는 물가안정에 주안점을 두고 공산품 가격 동결, 공공요금 단계적 인하, 국영기업의 민영화 촉진 등을 실시하였으나 초인플레이션(89년 4,900%) 극복 실패

◦ 1989.7월 취임한 Menem대통령은 국내적으로는 전기, 철도, 수도, 석유, 항공 등 주요 국영기업 민영화, 행정규제 완화, 재무구조 개선, 달러 대 페소가치를 1대1로 고정한 고정환율정책(1991년) 추진과 동시에 대외적으로는 외국인 투자촉진, 시장개방 등 신자유주의 경제정책 실시- 그러나 인위적 고정환율정책으로 인한 지속적인 무역적자 및 임기 후반

부의 방만한 경제운영으로 재정적자 확대 초래◦ 1999.12월 취임한 De la Rúa 대통령은 정부구조개혁 및 세수확대를 통한

재정적자 축소를 도모하였고, 2000.12월 IMF의 구제금융을 지원 받았음에도, 2001년 하반기에 재정적자 누적, 외채 과중 등으로 국제 신뢰도가 급속히 하락- 2001.12.1 예금인출 억제 및 해외송금 제한, 경제달러화를 골자로 하는

긴급조치 발동에도 불구, 예금대량인출, 국가위험지수 급등, IMF의 금융지원 보류 등 상황 악화

- 정부의 예금인출 제한조치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소요사태로 확산되어 12.20 De la Rúa 대통령 전격 사임

Page 60: 아르헨티나개황2011

58

- 12.23 Rodriguez Saá 임시대통령은 1,320억달러에 달하는 대외부채 중 민간부문 부채에 대한 상환유예(Moratorium)를 선언, 사실상 디폴트 상태에 빠졌으며, 2002.1.6 Duhalde 임시대통령은 고정환율제도를 폐지하고 변동환율제도 실시

◦ 2003.5.25 취임한 Kirchner 대통령은 경제위기 극복을 최우선의 정책목표로 두고 △수출상품의 경쟁력 유지를 위한 고환율 정책(페소 대 달러 환율을 1:3 수준 유지), △ 재정수지 흑자 유지(GDP 대비 3-4% 수준, 이를 위해 1차산품에 수출세 부과), △외채 상환의무 이행(2005년 디폴트 채무중 76%에 대한 채무재조정 완료, 2006년 IMF 채무 96억 미불 일시 상환), △외환보유고 중시(임기중 110억 미불에서 430억 미불로 증가) 정책 등 실시- 이와 더불어 높은 1차 산품가격, 낮은 이자율 수준, 전세계적 경기 호황

에 따른 국제교역 증대 등 유리한 대외환경에 힘입어 ‘03-’07년 기간중 연 8-9%의 높은 경제 성장 달성

- ‘01년 -4%, ’02년 -11%로 하락한 경제성장률은 ‘03년 9%로 반전◦ 2007.12.10 취임한 Fernandez 대통령은 전임 정부의 정책기조를 승계하였

으나, 2008년 하반기부터 정부의 농축산물 수출세 인상 추진을 둘러싼 농업계와 정부간의 대립 심화, 연금국유화 등 국내 경제정책상의 문제와 곡물가 하락, 글로벌 금융위기 등 외부적 악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2009년 성장률이 0.9%로 급락

◦ 2010년 들어서 세계경기 회복 및 곡물가 상승에 따른 수출증가 및 임금인상에 따른 민간소비 증가로 경제가 빠르게 반등하여 9.2%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2011년에도 8-9% 성장 예상- 다만 높은 인플레이션, 환율 상승 압력, 재정수지 및 무역수지 악화 문

제 등은 2011.12월 출범하는 페르난데스 정부 2기가 해결해야할 과제

Page 61: 아르헨티나개황2011

59

3. 주요 경제지표

구 분 단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경제성장률 % 9.2 8.5 8.7 6.8 0.9 9.2

GDP 십억 USD 183.1 211.7 260.1 328.5 308.7 370.31인당 GDP USD 4,715 5,463 6,623 8,224 7,643 9,092물가 상승률 % 12.3 9.8 8.4 7.2 7.7 10.9대달러환율 페소 2.92 3.06 3.12 3.16 3.73 3.91

실업률 % 10.1 8.7 7.5 7.3 8.4 7.3외채규모 U$억 1,286 1,367 1,447 1,458 1,471 1,325

총외채/GDP % 70.2 64.5 55.6 44.4 47.7 35.8금리 % 7.1 7.0 10.2 15.8 9.4 9.1수출 십억 USD 40.3 46.5 55.9 70.0 55.7 68.5수입 십억 USD 28.7 32.5 42.5 54.6 37.1 53.8

무역수지 십억 USD 11.6 14.0 13.4 15.4 18.6 14.7경상수지 십억 USD 5.3 7.7 7.4 6.7 9.7 3.6

출처 : INDEC(아르헨티나 통계청), 아르헨티나 중앙은행, EIU

4. Fernandez 정부 1기(2007-2011) 경제정책 평가 및 향후 전망

가. Fernandez 정부 1기 주요 경제정책 ◦ 2007.12월 취임한 Fernandez 대통령은 기본적으로 전임 Kirchner 대통

령의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성장 우선의 경제정책 기조를 이어 받아 확장적 거시 정책 및 소비진작 정책을 강하게 추진 - 재정지출 규모는 2003년 GDP의 25%에서 2010년 38%로 확대되었

으며, 2011년 총 144백만 미불(전년대비 41% 증가)에 달하는 공공분야 투자계획을 발표

- 통화(M2) 증가율은 2008년 40.5%, 2009년 38.3%, 2010년 31.9%에 이어, 2011.6월 현재 36.1% 수준

- 이와 더불어 노동자 임금인상(최근 4-5년간 매년 20% 이상 인상),

Page 62: 아르헨티나개황2011

60

할부 등 소비자 금융 확대(은행권 총여신의 85%가 소비자 금융), 이전비(연금, 자녀수당), 보조비(대중교통, 에너지) 지급 등 구매력 보전을 통한 소비진작 정책 실시

◦ 통상 부문에서도 Fernandez 대통령은 국가의 시장간섭을 정당화하면서 보호무역주의적 통상정책 확대 시행- 2007.8월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이 총 수입금액의 10%를 초과하자

최저수입가격 제도 강화 - 2008.10월 글로벌 경제 위기 영향으로 평가절하된 브라질산 제품 수

입이 급증하기 시작하자 최저수입가격제도 확대 적용- 2009년 3월 섬유 제품류, 목재 가구류, 너트류, 농기계류 및 트랙터,

에어컨 등 브라질 및 중국산 제품 200여개에 대해 사전수입허가제 추가 강화

- 2011.2월 수입허가제 대상 품목을 기존의 400개에서 고급승용차, 자전거, 전자제품, 원사 및 원단 등 포함 총 600개로 확대

- 2011년 3월에는 자동차 수입업체에 비공식적인 통로로 "수입 1불=수출 1불" 의무를 부과한데 이어 이후 동 원칙을 오토바이, 농기계를 비롯한 대부분의 수입허가제 대상 품목으로 확대 적용※ WTO, 세계은행 자문기구인 GTA(Global Trade Alert)에 따르면 아르헨티

나는 2011.9월 현재 148개의 관세․비관세 무역장벽을 적용하고 있는 세계 제1의 수입규제․보호주의 국가(2위 러시아 125개, 3위 인도 96개)

◦ 한편, Fernandez 정부는 국외 외환표시 재보험 금지, 국내 환전업자 외환거래량 제한 등 간접적으로 외환 지출을 줄일수 있는 제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생산 및 서비스 기업과의 가격안정화 협약 강화, 대규모 소매업자에 대해 주요 제품가격 불인상 공개 서약 요구 등 단기적, 행정적 수단 활용

나. Fernandez 정부 1기 경제정책 평가◦ Fernandez 대통령은 상기 확장적 거시경제 정책 및 소비진작 정책과 더

Page 63: 아르헨티나개황2011

61

불어 △아르헨티나의 주요 수출품인 대두 등 곡물의 유례없이 높은 국제시세, △중국, 브라질 등 주요 교역대상국으로부터의 수입 증가 등 유리한 대외환경의 영향으로 2008-2011년 임기중 연평균 6.1%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달성(2011년 8-9% 성장 전망)

< 경제성장률 >구 분 단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경제성장률 % 8.8 9.0 9.2 8.5 8.7 6.8 0.9 9.21인당 GDP U$ 3,380 3,980 4,715 5,463 6,623 8,224 7,643 9,092

자료: 아르헨티나 통계청(INDEC), 아르헨티나 중앙은행(BCRA), EIU

◦ 다만 2011년 대선을 앞두고 한층 강화된 상기 정책은 인플레이션 문제를 비롯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였는바, 향후 세계경제위기 등 외부적 충격이 발생할 경우 최약한 경제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

■ 정부 공식 물가통계의 신뢰성 상실 및 정부의 자의적 시장개입◦ ‘07년 이후 국립통계원의 공식 물가통계는 정부가 인위적으로 개입하

여 조작되고 있다는 의혹이 국내외적으로 만연하며, 20-30% 수준의 민간, 지방 정부 통계가 노사 임금협상시 기준으로 활용되는 등 공식 통계보다 신뢰받고 있는바, 정부 공식통계의 신뢰성 상실은 아르헨티나 경제정책의 불확실성을 가중시켜 기업의 투자를 저해하고 있으며, 국제 신용등급 결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 ※ Economist지(2011.1월)에 따르면 아르헨티나는 2001-2010년간 정부 공

식 물가상승률 통계(10%)와 Big Mac 지수 상승률(19%)간 괴리(9%)가 세계에서 가장 큰 국가(2위 브라질 4%, 3위 남아공 2.2%)로 공식물가 통계는 실제물가 수준보다 과소하게 측정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

※ 국제신용평가기관인 Fitch는 대선 3일전 발표된 보고서에서 아르헨티나 신용등급을 B로 평가하면서, 인플레이션 및 경제적 불확실성을 가중시켜고 있는 아르헨티나 정부의 자의적 경제정책을 이유로 지적

◦ 2011.3월에는 정부의 통계조작을 주장하면서 자체 조사결과를 발표

Page 64: 아르헨티나개황2011

62

한 5대 경제연구소에 각 50만 페소(약 12만달러)의 벌금을 부과함에 따라 이후 연방 하원 표현의 자유 상임위원회가 민간통계 평균을 바탕으로 물가를 발표하기 시작

◦ 아울러 정부는 인플레 억제를 위해서 기업과의 가격안정화 협약 및 대규모 소매업자에 대한 주요제품 가격 불인상 요구 등 단기적, 행정적 수단을 활용해 왔는바, 일례로 Economist지는 정부가 지난 4월 맥도날드의 Big Mac 가격 인상을 억제하고 메인 메뉴에서 삭제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추정※ 이후 지난 6월 발표된 2011년 Big Mac 지수에서도 1인당 GDP로 조정

시 아르헨티나 페소화는 기준치인 미국 달러화 대비 101% 과대평가되어 있으며, 이는 브라질(149%), 콜롬비아(108%)에 이어 세계 3위 수준

< 물가상승률 >구 분 단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물가상승률(정부) % 3.7 6.1 12.3 9.8 8.4 7.2 7.7 10.9물가상승률(민간) % 4.0 7.0 13.0 15.0 25.7 23.5 15.0 25.8

자료: 정부발표 국립통계원(INDEC), IADE 등 5대 민간경제연구소 평균치

◦ 또한 아르헨티나는 에너지(가스, 석유, 전기) 분야에서 가격 통제 및 보조금 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쇠고기 등 농축산물에도 수출세를 부과하고 있는바, 이와 같은 정부의 자의적 시장개입 및 가격 왜곡으로 자원의 효율적 배분 및 생산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평가

■ 무역수지 악화, 수입규제 강화 및 자본이탈 가속화◦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높은 물가상승률에 따른 환율 상승(페소화 평

가절하) 압력에도 불구하고 외환시장 개입을 통해 이를 억제하는 정책을 실시해 왔으나, 이에 따라 가격체계가 왜곡되어 수출가격 경쟁력이 상실되는 한편 수입수요 증가를 유발하는 부작용이 발생(2011.11.10 현재 달러대 페소화 공식환율은 1:4.28 수준이나 전문가들은 1:5 내지 1:5.5 정도를 적정환율로 평가)

Page 65: 아르헨티나개황2011

63

◦ 정부는 외환지출을 줄이기 위해 국외 외환표시 재보험 금지, 국내 환전업자의 외환거래량 제한 등 간접적으로 외환지출을 줄일수 있는 제반 정책을 시행해 오는 한편, 수입증가로 인한 무역수지 악화를 막기 위해 비자동수입허가제도 대상품목 확대(‘11.2월), 자동차 수입액 상응 수출의무 부과(’11.3월) 등 보호주의적 수입규제 조치를 강화해 왔는바, 국내산업에 대체 공급능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수입규제로 인한 공급제약 문제는 인플레이션을 더욱 유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

◦ 상기와 같은 수입규제 정책에도 불구하고, 수입액 증가에 따른 무역수지 악화로 금년말 경상수지 적자 전환이 예상되고 있으며, 브라질 레알화 평가 절하에 따른 아르헨티나 수출상품의 가격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 환율을 인상할 수 밖에 없을 것이란 대중적 기대가 만연하게 됨에 따라 최근 달러에 대한 수요 증가 및 자본 이탈이 가속화 되고 있는 추세(중앙은행 외환보유고는 2011년초 521억 달러에서 2011.11.9 기준 468억 달러로 감소)

◦ 한편, Fernandez 정부는 10.23 대선 승리후, 환율안정 문제를 당면한 최우선의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광물․석유․가스 수출대금의 국내 외환시장에서의 매도 의무화, △아르헨티나 소재 보험회사의 해외 투자 및 유동자산의 국내 환원, △외환거래시 사전에 국세청의 온라인 허가 요건 부과, △환전상 및 암시장 단속 강화, △수입품 통관규제 강화 등 연일 각종 외환통제책을 발표하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근본원인인 인플레이션 문제에 대한 해결 없이 환율 상승이 불가피함을 지적

< 환 율 >구 분 단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11

대미환율 페소 2.95 2.94 2.92 3.06 3.12 3.16 3.73 3.91 4.29자료 아르헨티나 중앙은행, EIU

Page 66: 아르헨티나개황2011

64

■ 복지지출 증가 및 재정수지 악화◦ 정부는 대선을 앞두고 인플레로 인한 실질소득 감소 보전 및 구매력

보전을 위해 최저임금을 인상(2,300페소, 약 580미불로 중남미 최고 수준)하는 한편, 공공 요금(버스, 철도, 전기 등) 보조금 지급(600억 페소, 약 150억 미불), 저소득층 가족보조금(200억 페소, 약 50억 미불) 및 퇴직연금 수혜대상 확대(1,000억 페소, 약 250억 미불) 등 일각에서 포퓰리즘이라고 비판받는 복지정책을 강화

◦ 상기 보조금 지급 등으로 인한 재정지출 증가로 2011년말 약 2% 재정적자가 예상되고 있으며(EIU 보고서), 동 보조금 정책은 곡물 수출세 징수액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국제 곡물가 하락시 현재의 경제정책 유지가 어려울 전망이나, 보조금을 해제할 경우 추가적 인플레(약 20%)가 예상되는 딜레마 상황인 것으로 평가- 정부는 대선후인 11.2 향후 보조금 제도 전반에 대한 개혁을 실시

할 예정이라며, 우선 1단계 조치로 △석유, 가스, 광물회사, △카지노, 빙고장, 경마장, △은행 및 보험회사, △공항 및 항만여객터미널에 지급하던 전기, 가스 및 석유 보조금을 즉시 폐지한다고 발표

■ 국제규범 미준수로 대 IMF 및 대미 관계 악화◦ 아르헨티나는 IMF 및 미국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상황으로, 향

후 세계은행(World Bank)이나 미주개발은행(IDB) 등 국제자본시장에서의 차입 접근에 어려움 예상

◦ 아르헨티나는 2001년 경제위기가 IMF의 잘못된 처방에 기인하였다는 인식하에 IMF의 회원국 감독을 위한 정보제공 등 IMF 회원국의 의무(헌장 제4조 및 제8조)를 이행하지 않고 있는바, 이는 앞서 보호무역주의적 통상정책과 더불어 G20회원국으로서 자격 논란을 일으키는 요인

◦ IMF는 2011.9월 발표한 “World 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아르헨티나 정부가 공식물가지수 작성 방법을 개선하겠다고 약속했음에도

Page 67: 아르헨티나개황2011

65

불구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최소 2013년 이후에나 동 물가지수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공식 물가 통계 대신에 지방정부 또는 민간컨설팅 회사의 통계를 참고하겠다는 입장을 발표

◦ 아르헨티나는 국제상사중재재판소(ICSID)에서 세계 최대인 18건의 사건이 계류중으로, 미국계 회사인 Azurix, CMS Energy에 유리하게 내린 중재판정을 이행하지 않고 있으며, 또한 2001년 디폴트 선언한 채무중 그동안 채무재조정 협상에 참여하지 않은 미국계 투자자들(이른바 hold-outs)과의 채무지불 협상을 거부하고 있는바, 미국은 향후 세계은행 및 미주개발은행에서 국제규범을 준수하지 않고 있는 아르헨티나에 대한 대출 결정시 반대하겠다는 입장(각각 30%, 17% 지분 보유)

다. Fernandez 정부 2기 경제정책 기조 전망◦ 페르난데스 대통령은 선거운동 기간중 재선 성공시 향후에도 확장적 거

시경제정책 및 환율 안정 등 기존의 경제정책을 지속 유지할 것("profundizar el modelo")이라고 수차례 공약한 바 있으나, 동 경제정책은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많은 구조적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어서 중장기적으로 지속되기는 어려운 상황- 다만 세계경제위기의 강도, 아르헨티나의 주요 수출품이자 세입원인

대두 등 곡물의 국제가격 수준, 중국․브라질 등 주요 교역국의 경제상황 등 외부 환경변수에 따라 기존 경제모델의 단기적 지속 가능성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

◦ 먼저 유럽발 세계경제위기가 현실화되지 않거나 국제곡물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주요 교역국의 경제상황이 좋은 유리한 대외환경을 가정할 경우, 기존 경제정책 기조가 단기적으로 지속될 여지가 있는 것으로 평가- 그러나 이 경우에도 두 자리수의 높은 물가상승률로 인해 노동비용이

증가하고, 재정수지와 무역수지가 악화되는 상황에서 대선 이전과 같은 급격한 임금인상 허용 및 극도록 확장적인 거시경제정책은 다소

Page 68: 아르헨티나개황2011

66

완화될 수 밖에 없는 상황- 또한 브라질 레알화의 평가절하 등을 고려한 수출상품의 가격경쟁력

회복 필요성과 자본이탈로 인한 중앙은행의 외환보유고 감소 상황 등을 감안시, 점진적인 환율인상(페소화 가치 평가절하)이 불가피

- 한편 기존의 보호주의적 통상정책 및 가격통제 등 정부의 자의적 시장개입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제도․행정의 불투명성, 약한 법치주의는 기업활동 및 투자의 장애요인으로 계속 남아있을 것으로 예상

◦ 마약 유럽발 세계경제위기가 구체화되어, 국제곡물가가 대폭 하락되고 주요교역국들로부터의 수입 수요가 감소하는 외부적 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는 기존 경제정책의 대폭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2011.11월초 현재 세계경기침체로 인한 브라질 경기 둔화가 이미 아르헨티나

경제에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주재국 언론에 보도- 정부재원 조달이 어려워짐에 따라 공공요금 보조금 축소 등을 통한

긴축재정정책 모드로의 전환 및 시장의 자동조정에 따른 환율의 급격한 상승 예상

- 만약 국제자본시장에서의 대출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2008년 세계경제위기시 정부재원 조달을 위해 국민연금을 국유화하고 중앙은행의 외환보유고를 외채상환 자금으로 활용하기 시작한 전례를 감안시, 국유화 등 변칙적인 수단을 통한 자금조달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

- 또한 정부의 보호주의적 통상정책 및 외환․물가 통제를 위한 행정적 수단 활용 등 자의적 시장개입정책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 존재

- 정부의 공식물가 통계치 개선은 최소 2013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IMF에의 정보제공 등 국제규범에 순응하는 방향으로의 전향적 정책전환도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

Page 69: 아르헨티나개황2011

67

5. 최근 수출입 동향 및 전망

가. 개관◦ 수출은 2003년 이후 지속 증가하였으나 글로벌 경제 위기 영향으로

2008년 하반기부터 감소하여 2009년 전년대비 감소를 기록한 후, 2010년에 다시 증가

◦ 2010년 수출은 전년대비 약 22.9% 증가한데 비해, 수입은 약 45.6% 증가하면서, 무역수지 흑자는 전년대비 29.0% 감소한 120억 달러 기록

◦ 2011년 상반기에는 수입액 증가에 따른 무역수지 흑자규모 감소로 경상수지 흑자 규모도 전년 동기 대비 절반가량 줄어든 16억불 기록하였으며, 2011년말 적자전환 예상- 수출 가격이 20% 이상 상승한 반면, 수출물량은 소폭(0.6%) 감소- 수입규제에도 불구하고 페소화 실질 평가절상, 강한 국내수요에 따라

수입물량이 28% 증가하였으며, 수입규모 38% 증가< 아르헨티나 최근 교역동향 >

(단위 : 십억 미불, %)연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9수출 26 26 30 34 40 46 55 70 55 68 63

(증감) 1.6 -2.2 16.4 13.5 17.4 20.0 20.4 26.5 -20.4 22.9 25.0수입 20 8 13 22 28 34 44 57 38 56 55

(증감) -19.6 -55.8 54.1 62.1 27.8 31.0 31.1 28.4 -32.5 45.6 36.0수지 6.2 17.0 16.4 11.9 11.6 12.3 11.0 13.1 16.9 12.0 8.1

(증감) 610.5 171.7 -3.4 -27.5 -2.1 5.5 -10.0 18.9 28.9 -29.0자료 아르헨티나 통계청(INDEC)

나. 품목별 교역 동향■ 수출

◦ 2010년 기준 품목별로는 대두 및 관련제품이 수출 순위 1위(대두박)

Page 70: 아르헨티나개황2011

68

및 3위(대두)를 기록하며 전체 수출의 30% 차지◦ 2010년 대부분의 품목은 전년대비 증가세를 나타냈으나, 쇠고기 수출

은 도축량 감소와 내수충당으로 인해 감소세

< 품목(분야)별 수출통계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 2010 증가율계 40,352 46,456 55,779 70,020 55,750 68,500 22.9

1차산품 8,098 8,953 12,351 16,083 9,151 15,171 65.8농축산가공품 13,138 15,244 19,187 23,883 21,550 22,910 6.3

공산품 11,984 14,825 17,321 22,059 18,958 24,018 26.7원유 등 7,132 7,759 6,918 7,996 6,092 6,401 5.1

자료: 아르헨티나통계청(INDEC)

■ 수입◦ 2010년 금액규모 면에서 중간재, 자본재, 소비재 순으로 비중을 차지

하였으며, 자본재 부품이외 모든 수입이 증가◦ 2010년에는 모든 품목에서 전년대비 수입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승용

차, 석유와 역청유 및 이동통신기기가 수입의 상위를 차지 - 특히 자동차 부문에서만 수입증가로 63억불 무역적자 기록

< 품목(분야)별 수입통계 >(단위: U$백만, %)

구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증가율계 28,689 34,151 44,707 57,422 38,771 56,443 45.6

자본재 7,011 8,385 10,397 12,635 8,852 12,070 36.4중간재 10,377 11,893 15,371 20,225 12,579 17,694 40.7

자본재 부품 4,859 6,137 8,065 9,959 7,031 4,443 -36.8소비재 3,162 3,849 5,208 6,292 5,069 11,001 117.0자동차 1,603 2,038 2,709 3,874 2,514 6,612 163.0석유 등 1,545 1,730 2,845 4,334 2,597 4,482 72.6

기타 132 118 114 103 127 142 11.8자료원 : 아르헨티나통계청(INDEC)

Page 71: 아르헨티나개황2011

69

다. 국별 교역동향■ 수출

◦ 2010년 경기회복세로 인해 국가별 수출은 전년 대비 거의 대부분 증가하였으며, 브라질, 중국, 칠레, 미국 등 4개국이 수출액의 42% 점유- 브라질, 우루과이, 파라과이(이상 Mercosur 회원국) 및 베네수엘

라는 모두 상위권 수출 상대국으로서의 교역규모 유지 - 대중국 수출은 전년대비 58% 증가하였으며, 아르헨티나 제2위의

수출대상국■ 수입

◦ 2010년 아르헨티나의 수입은 전년대비 44.9% 증가하였으며, 국가별로는 브라질, 중국, 미국 등 3개국으로부터의 수입금액이 총 312억 달러 이상으로 총 수입의 55.7%가량을 차지- 전통적으로 브라질에 치중한 수입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2007년 8

월 중국으로 부터의 수입 억제를 위한 수입최저 가격제도 강화에도 불구하고, 2010년 대중국 수입의존도는 12% 차지

- Mercosur 회원국 중 파라과이를 제외하고는 모두 상위 20위권 내의 수입대상국이나 회원국 가입이 예정된 베네수엘라로부터 의 수입은 극히 저조

6. 자유무역협정 추진현황

가. 개 관 ◦ 아르헨티나는 남미공동시장(메르코수르 Mercosur) 회원국으로 자유무역

협정(FTA)의 경우 남미 공동 시장 차원에서 공동으로 추진◦ Kirchner 정부 및 Fernandez 정부는 보호무역주의 정책기조하에 대체로

한국과 같이 제조업 강국 또는 지역블록과 자유무역 협정 추진에 소극적

Page 72: 아르헨티나개황2011

70

나. 자유무역협정(기발효 또는 서명)◦ 칠레

- 향후 15년간 점진적인 무역자유화를 목표로 1996년 서명 및 발효◦ 볼리비아

- 향후 18년간 점진적인 무역자유화를 목표로 1997년 서명 및 발효◦ 안데안 공동체(볼리비아, 콜롬비아, 페루, 에콰도르, 베네수엘라)

- 향후 15년간 점진적인 무역 자유화를 목표로 2004년 서명◦ 베네수엘라

- 베네수엘라는 2006.7월 MERCOSUR 회원국 가입의정서에 서명하였으나, 파라과이 의회에서 승인 거부중

◦ 이스라엘- 2007.12월 서명되었으며, 2011.3월 아르헨티나 의회가 비준함에 따

라 발효◦ 이집트

- 2010.8월 서명되었으며, 현재 각국 의회의 비준 대기중

다. 특혜무역협정(Preferential Trade Agreements)◦ 인도

- 양측간 완전 무역자유화를 위한 1단계 조치로 총 800개 품목에 대한 관세인하

- 2005.3월 서명되어 현재 발효중◦ 남아프리카 관세동맹

(SACU: 남아공, 보츠와니, 레소토, 나미비아, 스와질란드)- 양측간 1,050개 품목에 대한 관세인하

Page 73: 아르헨티나개황2011

71

- 2009.4월 서명되었으나, 아직 미발효 ◦ 멕시코

- MERCOSUR 회원국은 예외적으로 멕시코와 개별국가 차원에서 무역자유화협정을 협상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이에 따라 아르헨티나는 수년간 협상을 거쳐 2006.6월 멕시코와의 무역자유화 협정 체결

- 총 4,500개 품목의 관세 인하 및 무관세를 2007.1월 적용- 무역자유화 품목은 대체로 제조품(화학, 화장품, 플라스틱 등)이며,

멕시코측의 요청에 따라 식료품이 제외된 반면, 아르헨티나측의 주장에 따라 섬유 제외

◦ 쿠바- 2006.7월 서명되었으나, 현재 미발효

라. 진행중 협상■ Mercosur-EU FTA

◦ EU는 FTA 협상을 주도하는 미국의 중남미 주도권 견제와 중남미에서의 무역 및 투자 확대를 위해 1995년 말 협상을 시작하였으나, EU와 메르코수르는 협상시한으로 정한 2004.10월 협상안 타결에 실패

◦ 2010년 5월 17일 개최된 라틴아메리카-EU 정상회의에서 Mercosur 및 EU 회원국 정상들은 조속한 FTA 재개에 합의하고 2011.11월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에서 제7차 협상까지 개최하였으며, 양측은 2012년중 상호 관세감축안 교환 계획- 2012.3월 벨기에 브뤼셀에서 제8차협상 개최 예정- 2012.6.7-8간 칠레 산티아고에서 “EU-라틴아메리카 카리브 정상

회의” 개최 계기, “EU-MERCOSUR 정상회의” 개최 예정

Page 74: 아르헨티나개황2011

72

< 협상 주요 쟁점사항 >구 분 쟁점사항 협상 내용

MERCOSUR 농산물 개방농산물 보조금 지급

EU, 농산물 수입쿼터 확대 제안(쇠고기, 닭고기, 옥수수, 에탄올 등)

EU 자동차 시장 개방통신 등 서비스 시장 개방

메르코수르, 향후 18개월간 수입관세 점진적 인하 제안

■ FTAA◦ 미국 주도로 1994년 1월 미주정상회담(마이애미)에서 쿠바를 제외한

미주지역 34개 회원국을 단일시장으로 통합하는 FTAA 추진에 합의- 출범시 인구 8억 명, GDP 12조 달러, 교역량 3조 달러에 달하는

세계 최대의 단일 시장이 출범할 것으로 예상◦ 2005년 11월 아르헨티나 마르델플라타에서 개최된 제4차 미주정상회

담에서 메르코수르 4개 회원국 및 베네수엘라는 미국이 주도하는 FTAA에 반대 입장을 명확히 함으로써 현재 협상 동결중-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은 FTAA 창설협상에 앞서 메르코수르의 입

지를 탄탄히 한 후 FTAA 를 추진하자는 입장■ 기타

◦ 걸프협력이사회(GCC)- 2005.5월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목표로하는 기본협정이 체결

되었으나, 원산지, 분쟁해결, 세이프가드, 투자 규정에 대한 이견으로 현재 교착상태

◦ 파키스탄- 특헤무역협정을 목표로 한 기본협정이 2006.7월 서명되어 현재 협상

진행중

Page 75: 아르헨티나개황2011

73

◦ 모로코- 특혜무역협정 체결을 목표로하는 기본협정이 2004년 서명되어 2010.

4월 발효

마. 협상개시 사전 검토단계◦ 한국

- 2007.10월 한-MERCOSUR 공동연구 보고서 채택- 2009.7월 한-MERCOSUR간 무역과 투자의 증진을 위한 공동협의체

설립 양해각서 체결◦ 캐나다

- 2005.2월 대화 개시후 기본협정 체결 실패로 교착상태◦ 중국

- 협상개시를 위한 사전회의가 1997년 및 2004년 개최되었으나 파라과이가 중국을 국가로 미승인하고 있어서 진전 별무

◦ 기타- 일본, 싱가폴, 파나마, 도미니카, 카리브국가연합(CARICOM), 중미통

합체제(SICA)등과 사전 협의

7. 주요 경제기관 및 단체 웹사이트

가. 정부 기관◦ 아르헨티나 경제부 : www.mecon.gov.ar

- 관보 및 각종 경제정보 제공- 장관 : Amado Boudou

Page 76: 아르헨티나개황2011

74

◦ 아르헨티나 중앙은행 : www.bcra.gov.ar- 금융정보/통계, 경제현황 및 정보검색, 환율변동정보 제공- 은행장 : Mercedes Marcó del Pont

◦ 아르헨티나무역위원회(CNCE) : www.mecon.gov.ar/cnce/index.htm- 아르헨티나 반덤핑 규제 현황 등 제공- 위원장 : Ramiro Bertoni

◦ 투자촉진차관보실 : www.prosperar.gov.ar- 아르헨티나 투자현황 및 비즈니스 정보 - 차관보 : Cecilia Nahón

◦ 아르헨티나 정부입찰청(Oficina Nacional de Contrataciones) :www.argentinacompra.gov.ar- 청장 : Guillermo Bellingi

◦ 아르헨티나 통계청(INDEC) : www.indec.gov.ar - GDP, 물가, 실업률, 무역통계 등 각종 통계 제공 - 청장 : Ana María Edwin

나. 경제 단체◦ 아르헨티나 상업회의소(CAC) : www.cac.com.ar

- 회원사/기업정보, 무역자료검색, 시장조사 등 - 회장 : Carlos de la Vega

◦ 아르헨티나 자동차생산협회 : www.adefa.com.ar- 자동차 생산현황, 통계, 생산업체 리스트 등 - 회장 : Viktor Klima

Page 77: 아르헨티나개황2011

75

◦ 아르헨티나 정보통신협회 : www.cicomra.org.ar- 컴퓨터, 통신산업 기술발전, IT산업현황 등 - 회장 : Norberto Capellán

다. 연구소 ◦ FIEL : www.fiel.org

- 마치네아 前경제장관역임 최고권위 연구소- 소장 : Juan Luis Bour

Page 78: 아르헨티나개황2011
Page 79: 아르헨티나개황2011

Ⅵ. 자원・에너지

Page 80: 아르헨티나개황2011
Page 81: 아르헨티나개황2011

79

1. 농업 현황

가. 개요◦ 농업총생산은 국내 총생산(GDP)의 약 7%수준에 불과하나, 농산물 수출

액(대두유 등 1차 가공품 포함)은 총 수출액의 60%에 이르고, 농산물수출세 수입이 연방정부 총 세입의 25% 차지(2010년 기준)

◦ 농림축산업에 이용 가능한 토지는 1억7천만ha(남한면적의 17배, 총면적 2억7천9백만ha의 60%)이고, 그 중 4천만ha는 곡물․사료작물 경작지 및 조림지, 9천만ha는 방목지 등으로 사용, 4천만ha는 활용이 되지 않고 천연임지 상태인바, 최근 방목지를 곡물경작지로 개간하는 사례 급속히 증가

◦ 총인구(4천만명 내외) 대비 곡물생산량이 많아 생산된 곡물 대부분은 북반구 지역으로 수출- 곡물생산자는 항상 국제곡물동향을 예의 주시하면서 수확 후 현물관

리, 차년도 재배 작목 및 면적을 정하는 등 수출지향적 사업운영◦ 연간 1억톤 곡물을 생산하는 아르헨티나의 농업은 대규모화․기계화 되어

있고, 파종, 방제, 수확, 저장, 가공, 운반 등 단계별 분업화된 상황◦ 곡물농업에 투입되는 농기계는 구입․유지비용이 높고 농장주가 이를 직

접 소유, 관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대규모 농기계 작업은 기계화 영농단이 위탁받아 대행

나. 농산물 수출세◦ 수출세율은 상황에 따라 변동되기도 하지만 과일 및 채소 5%, 포도주

2.5%, 쇠고기 15%, 주요곡물 20% 이상이고, 특히 대두 38.5%, 대두유 35%로 높은 편

◦ 제도 도입 기본배경- 농산물 수출세 수입이 정부 전체수입의 1/4를 차지하는 등 정부재정의

Page 82: 아르헨티나개황2011

80

주요 수입원 역할※ 대두(대두유 포함) 수출세 수입이 전체 농산물 수출세 수입의 1/2 차지

- 아르헨티나 수출 농축수산물은 국제시장에서 2-30% 상당 수출세를 납부하더라도 가격경쟁력이 있고, 농장주는 수출세를 내더라도 경영이익이 있는 것으로 평가

- 국내시장 식료품 가격을 국제곡물가보다 낮게 공급 보장

다. 수출농업 인프라◦ 아르헨티나는 곡물생산량이 증대됨에 따라 저장 및 가공시설이 증설되

고, 선적시설이 비교적 양호하게 구비◦ 주요 가공시설은 대두유, 해바라기 기름 및 올리브유 등 식물성 기름 가

공시설과 밀 제분시설이며, 부가가치를 높여 수출하기 위하여 전략적으로 농산물 가공시설을 증설중- 10여개 회사의 대두가공시설은 그 규모가 세계적인 수준이며, 연간

대두생산량의 절반인 25백만 톤을 대두유 및 바이오 디젤로 가공되어 수출

- 2009년 대두유는 약 3백만톤(30억 달러)을 생산하여 이중 45%는 중국, 3%는 한국(소비량 약 70-80%에 해당)으로 수출

◦ 로사리오항, 산 로렌소항 등 플라타강 및 파라나강을 이용한 25개 하천항만을 통하여 8만톤 규모 곡물 운반선까지 접안할 수 있는 등 선적 및 수송시스템이 양호

라. 대두농업 집중◦ 직파농법 도입, GMO 종자 사용 등으로 영농비를 절감할 수 있고, 국제

시세가 높으며, 수출쿼터가 없고, 대두유 가공 원료용으로 수요가 많으며, 기계화 영농이 가능하여 대두농업으로 단작화되고 있는 추세

◦ 대두농업 집중화 경향으로 종전 복합영농 형태가 사라지고 농장주들은

Page 83: 아르헨티나개황2011

81

자녀교육 등 문제로 농장인근 주택을 비워두고 지방 거점도시로 옮겨 살면서 주로 파종 및 수확시기에만 농장을 방문하는 사례가 다수※ 과거 아르헨티나의 전통적인 농촌 모습은 토양에 적합한 다양한 작물을 재

배하면서 목축/낙농을 겸하면서 농장주들은 농장인근에 거주◦ 대두농업을 위해 목축을 줄인 결과, 전체 소사육두수가 5천만 두 이하로

감소하여 쇠고기 가격 상승, 국민 1인당 쇠고기 연간 소비량이 1958년 98kg, 2000년대 중반 75kg대에서 2011년 54kg까지 하락하였고 대두작물 연작피해 등 지력약화 사례 발생

마. 수출쿼터제 운영◦ 2006년부터 국내가격 안정을 위하여 쇠고기, 밀 및 옥수수에 대한 수출

쿼터제를 도입- 품목별 생산량 및 국내 소비량을 감안하여 수출 쿼터를 정하고 있으

며, 수출업체 쿼터배정은 과거 수출실적을 기준으로 배분 ◦ 2010/11년도 경우, 국내 공급 필요량을 밀 650만톤, 옥수수 800만 톤으

로 먼저 정하고 이 물량을 초과하여 생산된 밀 600만톤, 옥수수 700만톤에 대하여 수출쿼터를 배정

2. 광업 현황

가. 자원개발 환경◦ 아르헨티나의 국토면적은 한반도의 12.6배인 270만km2로 국토의 75%가

자원 미탐사 지역으로 자원개발 잠재력 다대※ 자원관련 전문잡지인 “Mining Journal"은 국별 자원 잠재매장량 평가에서 아

르헨티나를 세계 6위로 평가◦ 아르헨티나의 경우, 칠레 및 볼리비아와의 국경지대에 위치한 길이 4,500km

에 달하는 안데스 산맥을 중심으로 다양한 자원 탐사 및 채굴활동 진행중

Page 84: 아르헨티나개황2011

82

나. 광업 동향◦ 아르헨티나는 1993년 광업 개발촉진을 위한 광업투자법 24196/93호가

제정된 이후 광업이 급속도로 성장◦ 외국자본 중심의 광업투자는 2003년 이후 5년 연속 증가했으며, 세계금

융 위기의 영향으로 아르헨티나의 전 산업이 침체되었던 2009년에도 광업 분야만은 예외적으로 현상 유지

◦ 2009년 기준, 석유․가스 및 광업 분야의 투자가 전체 투자액 282억 3천만 미불 중 63%인 179억불 기록

◦ 기존에는 캐나다, 미국 및 유럽 기업 위주로 투자가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중국,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도 대아르헨티나 자원개발 투자에 관심을 보이는 추세

다. 아르헨티나 정부의 광업개발계획 ◦ 2010.5월 Jorge Mayoral 아르헨티나 광업차관은 2020년까지 금, 은, 리

튬, 칼륨, 붕산염 및 구리의 6대 전략광종 분야에서 세계 최대의 생산국가 대열에 합류하겠다는 청사진 제시

< 아르헨티나의 6대 전략광종별 2020년 세계 생산순위 목표 >전략광종 2009년 세계 생산순위 2020년 세계 생산순위 목표

금 13위 4-6위은 13위 2-3위

리튬 4위 1-2위칼륨 - 4-5위

붕산염 2위 2위구리 17위 6-7위

◦ 금(세계 4-6위 목표)- 2009년 기준으로 아르헨티나의 금 생산량은 세계 13위

Page 85: 아르헨티나개황2011

83

※ 동 분야 1위는 중국으로 연간 300 M/T(메트릭톤)을 생산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호주가 200 M/T, 미국 210 M/T, 페루 180 M/T순

- 아르헨티나가 10년내에 세계 4-6위권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연간 200 M/T 정도를 생산해야 하는데, 이는 현재 생산량의 4배 수준으로 아르헨티나 최대의 금광인 Pascua Lama의 생산량을 대폭 확대해야 가능할 것으로 전망

◦ 은(세계 2-3위 목표)- 2009년 기준으로 아르헨티나의 은 생산량은 세계 13위이며, 최대 은

광인 Santa Cruz주 Manantial Espejo 광산 생산이 호조를 보이고 있으므로 10년후에는 3,200 M/T 생산 가능 예상※ 주요국 2009년 “은” 생산규모 - 페루(3,900 M/T), 중국(3,000 M/T), 멕시코(2,500M/T)

◦ 리튬(세계 1-2위 목표)- 미국 광물연구기관인 USGS(US Geological Survey)에 의하면 아르헨

티나의 리튬 확인 매장량은 현재 80만 M/T이나 잠재 매장량은 250만 M/T으로 볼리비아(900만 M/T), 칠레(750만 M/T)에 이어 세계 3위

- 2009년 생산규모는 2,200 M/T으로 세계 4위이며, 최근 Salta주와 Jujuy주의 리튬광산에 대한 투자가 급속히 확대되는 추세로 향후 10년내에 세계 1-2위의 생산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 주요국 2009년 “리튬” 생산규모 - 칠레(7,400 M/T), 호주(4,400 M/T), 중국(3,200 M/T)

◦ 칼륨(세계 4-5위 목표)- 칼륨의 경우 아르헨티나는 현재 생산대국은 아니나, 북부 Mendoza

주의 Rio Colorado 광산의 생산량이 증대될 전망으로 세계 5위권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주요국 2009년 “칼륨” 생산규모

- 캐나다(650만 M/T), 벨라루스(380만 M/T), 러시아(360만 M/T), 중국(270만 M/T), 독일(230만 M/T), 이스라엘(200만 M/T)

Page 86: 아르헨티나개황2011

84

◦ 붕산염(세계 2위 목표)- 아르헨티나의 2009년 붕산염 생산량은 79만 M/T으로 세계 2위이며,

1위 터키와의 생산량 차이가 워낙 커서 10년 후에도 2위 수준을 유지하되 간격을 좁힐 것으로 예상 ※ 주요국 2009년 “붕산염” 생산규모

- 터키(210만 M/T), 칠레(58만 M/T), 러시아(41만 M/T), 페루(35만 M/T)

◦ 구리(세계 6-7위 목표)- 아르헨티나의 2009년 구리 생산량은 17만 M/T으로 세계 17위이며,

Catamarca 주의 Bajo de la Alumbrera와 Agua Rica 광산 개발을 확대하여 향후 10년내 세계 6-7위권 진입 목표※ 주요국 2009년 “구리” 생산규모 - 칠레(530만 M/T), 페루(120만 M/T), 미국(110만 M/T)

3. 석유․가스 현황

◦ 아르헨티나의 석유 및 가스 생산량·매장량은 지난 10여년간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 - 석유 생산은 2010년에 35.26m3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1998년 최대 생산

수준에서 약 30% 감소된 수준이며, 매장량은 2009년에 398백만m3를 기록하였는바, 이는 현재 소비량 기준으로 향후 11년간의 소비량으로, 1998년 최대 수준에서 22%감소된 수준

- 천연가스 생산은 2010년에 47.1 십억m3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2006년 최대 수준보다 8% 감소된 수준이며, 매장량은 2009년에 378.9 십억m3

를 기록하였는바, 이는 향후 약 8년간 소비량으로, 2000년 최대수준보다 약 55% 감소된 수준

Page 87: 아르헨티나개황2011

85

< 아르헨티나 석유 생산량 및 매장량 >(단위 : 백만m3)

연도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생산량 43.6 42.75 40.15 38.32 38.27 37.31 36.65 36.15매장량 448.27 425.11 393.87 349.10 411.23 415.9 400.7 398.2

< 아르헨티나 가스 생산량 및 매장량 > (단위 : 십억m3)

연도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생산량 44.08 48.88 50.25 48.74 51.79 51.00 50.51 48.42매장량 663.40 612.73 542.01 438.95 446.12 441.9 398.5 378.86

출처 : IAPG(아르헨티나 석유·가스 연구소)

◦ 전문가들은 생산량과 탐사활동의 감소가 △현존 매장지(reservoir)에서의 잔여 보유량 소진 심화, △지난 10여년간 추진된 지속 불가능한 가격 정책 및 △탐사활동에의 투자를 유인할 법적, 제도적 장치의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 화석연료(석유 및 가스)는 아르헨티나 에너지 소비량의 88%를 차지하며, 최근

년 아르헨티나 정부는 에너지 가격 동결을 위해 보조금 정책을 실시- 2010년의 경우 거주용 전기 및 가스 요금을 동결하여 위해 240억페소(약

60억 미불)의 보조금을 지원한 것으로 추산

4. 신재생에너지 현황

가. 재생에너지를 통한 전력생산 현황 ◦ 아르헨티나의 2010년도 총 발전량은 28,143MW이며, 이는 화력 발전

56%, 수력 발전 34%, 원자력 발전 8%, 기타 2%로 구성 ◦ 재생에너지(풍력, 바이오연료 등)를 통한 전력생산 비중은 매우 낮은 수

준(2.4%)이며 대부분 연방전력망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실정

Page 88: 아르헨티나개황2011

86

나. 재생에너지원별 현황◦ 풍력 발전

- 14개의 풍력발전 단지에서 55MW의 전력 생산중- 현재 총 발전용량 196MW 규모의 4개 풍력 프로젝트가 추진중이며,

향후 수년간 754MW 규모의 프로젝트가 재생에너지 전력 구매 프로젝트(GENREN)의 일부로 진행될 예정

- 세 개의 회사(IMPSA Wind, NRG Patagonia, INVAP)가 자체 풍력 발전용 터빈(wind turbine) 모델 개발중

◦ 태양광 발전- 현재 총 발전 용량은 12MW로 추정- 2011.4월 San Juan주 Ullum지역에 스페인계 Comsa사가 1,050만 달

러를 투자하여 1.2MW 규모의 태양광 발전단지 건설 완공- 현재 San Juan주 Caῇada Honda에 2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건

설중◦ 바이오매스

- 현재 최대 재생에너지원으로 총 발전 용량은 720MW로 추정- 156MW 용량의 발전 단지 건설 추진 중

◦ 지열 - Neuquen주 Copahue 지역에 지열 발전소 1기 가동중(0.67MW)- 상기 지역에 30MW 규모의 지열 발전소 추가 건설 추진 중

◦ 바이오 연료- 아르헨티나 2010년 바이오연료 시장 규모는 총 21.2억 미불로 추산

(바이오연료ㆍ수소 협회)ㆍ 바이오디젤 수출 13억 미불, 국내 판매 7억 미불 및 바이오에탄올

판매 1.2억 미불

Page 89: 아르헨티나개황2011

87

ㆍ 주요 바이오디젤 기업은 Cargill, Bunge, AGD, Vientin, Glencoreㆍ 주요 바이오에탄올 기업은 La Florida, Ledesma, San Martín del

Tabacal- 2006년에 의회를 통과한 바이오 연료 사용 촉진법(Law 26,093)에

의하면 2010.1.1부터 휘발유 및 디젤유에 바이오에탄올과 바이오디젤유를 각각 5%씩 혼합하도록 규정(발효일부터 15년간 유효, 4년단위로 연장 가능)ㆍ 바이오디젤유의 디젤유 혼합비율은 2010.8월 종전 5%에서 7%로

상향조정되었으며, 바이오에탄올 혼합 의무 관련 규정은 2011.7월 현재까지 미시행

- 아르헨티나에는 현재 23개의 바이오디젤 생산공장이 운영중이며 2010년 생산량 190만톤(전년 대비 51% 증가)중 68%(130만톤) 수출ㆍ 아르헨티나 재생에너지협회(CADER)는 2011년 바이오디젤 시장

규모가 325만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46%수출, 46% 국내판매, 8% 발전)

ㆍ Cargill사와 Unitec Bio사가 각각 연간 24만톤, 22만톤 생산 규모의 바이오디젤 공장을 Santa Fe주에 건설중(현재 Santa Fe주는 바이오디젤 생산시설의 80% 차지)

ㆍ 식물성 기름 수출업자들이 31.5%의 수출세를 납부하는데 비해 바이오디젤 수출업자들은 상대적으로 유리한 16.67%가량의 낮은 수출세 납부

- 아르헨티나의 바이오디젤 산업은 아르헨티나의 주요 재배 작물인 대두 생산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향후에도 수출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나 바이오 에탄올의 경우 아르헨티나의 사탕수수 재배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수출경쟁력을 갖추기 힘들 것으로 예상

다. 재생에너지 정책◦ 아르헨티나 정부는 미국의 ‘Green New Deal'과 같은 재생에너지 관련

종합 정책 및 목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산업 진흥을 목

Page 90: 아르헨티나개황2011

88

표로 하는 2개의 법률 및 개별 프로젝트 발표를 통해 동 분야의 발전을 도모- 1998년 제정된 법률 25,019는 풍력 및 태양광 에너지 프로젝트 분야

투자에 대해 15년간 면세 혜택 및 보조금 혜택 부여- 2006년 제정된 법률 26,190은 상기 법률의 수혜 범위를 여타 재생에

너지 분야(바이오 가스, 바이오 매스, 지열 에너지 등)로 확대하는 한편, 발전차액 지원제도(feed-in tariff system)를 도입하여 재생에너지원을 통해 생산되는 전력에 대해 MW/시간 당 15페소를 추가 지급 ※ 발전차액지원제도(feed-in tariff system)는 2011.7월 현재 미실시

◦ 아르헨티나는 2016년까지 총 전력 생산의 8%를 재생에너지원을 통해 생산할 계획이며, 재생에너지 개발 활성화를 위해 재생에너지 전력 구매 프로젝트(GENREN) 추진중- 2010.6.30 아르헨티나 정부는 동 프로젝트에 대한 입찰 결과를 발표

하고 총발전 용량 895MW 규모의 32개 프로젝트를 선정(풍력 754MW, 바이오연료를 이용한 화력발전 110.4MW, 소형 수력발전 10.6MW, 태양광 20MW)ㆍ 주요 선정 기업은 Emagasud, Patagonian Wind Energy, Energías

Sustentables, 스페인계 Isolux-Corsan, Impsa, Iecsa, Centrales Térmicas Mendoza

ㆍ 아르헨티나 정부는 동 프로젝트로 총 25억 미불의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추산

- 2단계 재생에너지 전력구매 프로젝트(GENREN Ⅱ)는 2012년 발주 예상

5. 원자력 현황

가. 아르헨티나 원자력 발전소 현황◦ 현재 원자력 발전소 2기(Atucha 및 Embalse) 가동중

Page 91: 아르헨티나개황2011

89

- 원자력 발전소 제3호기 AtuchaⅡ는 1994년말 80% 공정 진행 단계에서 정치적․예산상 문제로 중단되었다가 키르츠네르 전 대통령이 2006년 원전건설 재개시를 발표, 국영 Nucleoelctrica Argentina S.A(NASA)가 시행사가 되어 공사를 진행중이며 2012년초 가동 예상

- 현재 아르헨티나의 원자력 발전 비중은 전체 전력의 8%

< 아르헨티나 원자력 발전소 내역 >원전 AtuchaⅠ(CNA 1) Embalse(CNE) Atucha Ⅱ

설치지역부에노스아이레스시에서 100km 떨어진 Zarate 지역 Parana강 인근

Cordoba주 Rio Tercero 지역 Embalse 남부 해안 AtuchaⅠ 인근

원자로 PHWR형(우라늄 연료, 중수로)

PHWR형(우라늄 연료, 중수로)- CANDU 기술

PHWR형(우라늄 연료, 중수로)

용량 1179Mwt화력, 357 Mw 전력 648 Mw 전력 745 Mw 전력

운영회사 NASA NASA NASA가동시기 1974년 국가 전력배급

시스템망에 연결1984년 국가 전력배급 시스템망에 연결 2012년초 완공 예상

나. 아르헨티나 원전건설 프로젝트◦ 아르헨티나 정부는 신규 원전 4호기 AtuchaⅢ 건설을 추진하기 위해

09.11.26 상원에서 원자력법을 통과시킴으로서 법적기반 마련- 당초 2011년 상반기중 공개입찰이 개시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2011.3월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2011.10월 실시된 대선 등 상황으로 인해 향후 일정이 다소 불확실

◦ 이밖에 아르헨티나 정부는 Embalse 원전의 수명연장 사업 2011.8월 캐나다 CANDU Energy사와 4억 4천만불에 체결하였으며, 2019년 완공을 목표로 원전 5호기 건설을 구상중

Page 92: 아르헨티나개황2011

90

6. 주요 자원․에너지 관련 기관 웹사이트

가. 정부 기관◦ 아르헨티나 광업차관실 : www.mineria.gov.ar/nnhome.asp

- 차관 : Jorge Mayoral◦ 아르헨티나 에너지차관실 : www.energia3.mecon.gov.ar/home

- 차관 : Daniel Cameron◦ 아르헨티나 국립원자력위원회 : www.cnea.gov.ar

- 위원장 : Norma Boero

나. 협회 및 공기업 ◦ 아르헨티나 석유가스협회(IAPG) : www.iapg.org.ar

- 회장 : Ernesto López Anadón◦ 아르헨티나 신재생에너지협회 : www.argentinarenovables.org

- 회장 : Carlos St. James◦ 아르헨티나 국영 원전회사 NASA(Nucleoelectrica Argentina S.A) :

www.na-sa.com.ar- 사장 : Eduardo Messi

Page 93: 아르헨티나개황2011

Ⅶ. 사회・문화・교육

Page 94: 아르헨티나개황2011
Page 95: 아르헨티나개황2011

・ ・

93

1. 사 회

가. 사회 특징○ 1816년 독립시까지 스페인 식민지로서의 역사적 배경○ 국민의 대다수가 이민자의 후손

- 아르헨티나 인구는 1869년 처음으로 실시한 인구 조사에서 180만명밖에 지나지 않았으나, 1869년부터 지금까지 23배 가량 증가

- 이민자 다수 사회하에서 기득원 세력이 소수인 배경이 서민층을 대상으로한 페론주의가 성공하고 있는 사유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

- 유럽, 특히 스페인과 이탈리아로부터의 이민자들이 1880년과 1940년 사이 대거 이주하였으며, 이후 볼리비아, 파라과이, 우루과이, 칠레 등 인접 국가에서도 많은 인구가 유입

○ 정치, 경제적 불안정- 1930년과 1983년 사이에 군사 쿠데타로 인해 민주정부가 수없이 중단- 아르헨티나 경제는 역사적으로 높은 성장과 급격한 후퇴의 순환 속에

서 반복- 최근 30년 간 경제는 여러 중요한 경제적 위기 경험(1975, 1982,

1989, 최근에는 2001년과 2002년)

나. 사회구성◦ 유럽계 백인이 전체인구의 약 97%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스페

인과 이태리 등 남부유럽계 백인이 절반 이상 차지◦ 원주민인 인디오는 전체 인구의 1%에 불과 ◦ 외국인수는 약 180만명으로 전체의 4.5% 차지(2010년 기준)

- 파라과이(23%), 볼리비아(19%), 페루(8.7%), 이탈리아(6.5%), 스페인(5.2%), 브라질(2.3%), 중국(0.5%), 기타 미주(3.8%), 기타 유럽

Page 96: 아르헨티나개황2011

94

(3.2%), 기타 아시아(1.2%) 순◦ 인구

- 총인구 : 4,010만 명(인구증가율 1.05%)- 주요 주별 인구 : 부에노스아이레스주 1,500만, 꼬르도바주 322만,

산타페주 324만, 부에노스아이레스시 305만- 성 비율 : 남 48.7%, 여 51.3%- 인구밀도 : 14.29명/㎢

다. 국민성○ 20세기초 한때 경제대국으로 부상한 경험과 풍부한 자원 등으로 인한

강한 우월의식 및 실질보다 외양적으로 우월해 보이는데 치중(Borges등이 지적)

○ 권력을 장악한 강자에게는 극히 순종적이고, 약자에 대해서는 과도하게 권력을 행사하는 사회에서 개인 스스로의 자구책 추구 성향이 발달(Sarmiento 등이 지적)※ 유엔개발계획(UNDP)의 ‘위기 이후 아르헨티나, 기회의 시기’ 설문조사에서

아르헨티나인의 자기 이미지 평가 결과- 부정적 : 허풍쟁이(9%), 부패(9%), 거만(8%), 게으름(7%), 개인주의(5%)- 긍정적 : 남을 도와줌(9%), 부지런함(4%), 도전정신(3%)- 기타 : 축구(5%), 마떼(4%), 국기(4%), 탱고(3%)

라. 최근 치안 상황○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중남미 국가 중 치안이 가장 좋은 나라중의

하나였으나, 2001년 말에 발생한 경제침체 이후 치안상태 악화- 은행 주변 오토바이 이용 날치기, 3~4인조 주거침입 강도, 금품 요구

를 위한 납치사건이 많으며, 2011년초 대통령 해외여행경비도 오토바이 이용 강도에 의해 강탈

Page 97: 아르헨티나개황2011

・ ・

95

◦ 야간에는 도심 변두리, 인적이 드문 곳을 도보로 이동 하기에 위험하며, 지하철 날치기 및 택시기사에 의한 위조지폐 사기 주의 필요- 고속버스를 이용해 이동시 고속버스 정류장 인근 공원에서 가방 등을

강취당하는 사례 있으므로 지나치게 호의를 보이는 사람이나 옷에 이물질을 묻히면서 접근하는 사람에 대한 주의 요망

- 외국인의 경우 택시 이용은 가급적 자제하는 것이 좋으며, 택시 이용시 콜택시(radio 택시)나 레미스(Remis, 콜택시와 유사하며 일반 개인승용차 형태)를 이용하는 것이 안전

- 단체 이동시 호텔로비에서 Check-in 대기중 가방을 분실하는 사례가 있으며, 여성이 포함된 사기단이 많아 지하철이나 거리에서 여자가 신체를 부딪치며 접근할 때 주변을 잘 살필 필요

2. 노조현황 및 사회보장 제도

가. 노동법 및 노조현황 ◦ 아르헨티나 정부는 노동시장의 유연성 확보를 위해 2004년 4월에 노동

법(법률 제 25877호) 개정- 근로자 수습기간을 180일에서 90일로 축소- 수습기간인 근로자는 15일전 통지 조건으로 해고 보상금 없이 해고

가능 - 5년 이상 근속 근로자 해고 시 2개월 전 통지 필요(5년 이하는 1개월

전 통지) - 해고 보상금은 근무 연수 당 1개월 분 급여 지급(5년 근속인 경우 5

개월 분 급여) ◦ 현재 1,317개의 공식노조와 공식 등록이 안 된 1,104개의 비공식 노조

존재 - 노조 가입자만 1,32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경우 고

Page 98: 아르헨티나개황2011

96

용원의 60%가 노조에 가입◦ 파업건수는 경제위기 영향으로 2002~2003년에 감소하였다가 2005년부

터 경제 회복이 본격화되자 다시 증가 추세※ 연도별 파업건수

- 2006년 770건, 2007년 838건, 2008년 840건, 2010년 상반기 497건

나. 사회보장제도◦ 사회보장세율은 고용주 23.0%, 근로자 11.0% 이고, 고용주가 근로자 부

담액을 원천 징수하여 납부- 고용주 부담액은 원칙적으로 23.0%이나 행정 수수료 등이 포함되어

24.0%로 계산※ 고용주의 사회보장세율 부담 내역

- 연금기금(11.7%~14.88%),가족수당(4.4%~5.56%), 실업수당 (0.89%~1.11%), 의료보험(6.0%), 산재보험(0.5%~5.0%)

◦ 고용주와 근로자의 사회보장세 부담액의 합은 4,800페소(약 1,200미불)가 최고로, 이를 초과할 때는 4,800페소만 지급

◦ 근로자의 선택에 따라 사회보장세 중 의료보험 부담액(9%) 한도 내에서 본인이 원하는 민간 의료보험 등을 선택 가능

3. 문화

가. 문화적 특징 ■ 다수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문화, 학술강국

(노벨상 수상자 5인을 배출하였으며, 볼펜, 헬리콥터, Animation영화는 아르헨티나인이 발명)○ Carlos Saavedra Lamas(1878-1959)

Page 99: 아르헨티나개황2011

・ ・

97

- 외교부 장관, 볼리비아와 파라과이 사이에 있었던 분쟁에 개입하여 해결한 공로로 1936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

○ Bernardo Alberto Houssay(1887-1971)- 1947년 글리코겐의 촉매작용에 의한 전환방법 발견, 당 대사에서

뇌하수체 호르몬기능 연구로 미국의 Carl Ferdinand Cori, Gerty Theresa Cori와 공동으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

○ Luis Federico Leloir(1906-1987)- 1970년 탄수화물의 생합성 매커니즘 연구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

○ Adolfo Pérez Esquivel(1931-)- 평화와 정의 봉사협회를 창설하여 카톨릭 평화주의 입장에서 인권

옹호활동으로 1980년 노벨평화상을 수상○ Cesar Milstein(1927-2002)

- 1984년 단일클론항체 개발에 대한 업적으로 독일의 Georges J.F. Kohle, 영국의 Niels K. Jerne와 공동으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

■ 음식문화에 대한 자부심 [아사도/Asado]

○ Asado는 전통적인 아르헨티나 음식으로 미국의 바베큐와 비슷한 형태의 음식으로 Asador라는 기구로 조리된 고기들이 계속해서 나오는 것- 보통 소의 각종 부위들과 아르헨티나식 소세지와 순대, 구운 치즈

와 구운 야채, 혹은 간단한 샐러드 등을 곁들여 식사※ 아르헨티나는 세계에서 가장 좋은 육질의 쇠고기를 생산 하는 것으로 유

명한바, 2010년 현재 주로 중북부 지방에서 총 4천9백만 마리 사육- ’09년 심한 가뭄 및 수출세 부과로 소고기 생산량이 337만톤에서 ’10

년 261만톤으로 감산되었으며, 이에 따라 수출량도 ‘09년 66만톤에서 ’10년 31만톤으로 감소

- 아르헨티나인의 1인당 연간 쇠고기 소비량은 2010년 기준 60kg(추정)

Page 100: 아르헨티나개황2011

98

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우리나라 8kg, 미국 40kg) [Dulce de Leche]

○ Dulce de Leche는 우유를 기본으로 만든 아르헨티나 특산품으로서 라틴 아메리카 전체에서 인기가 있으나 특히 아르헨티나에서는 각종 디저트, 케이크, 사탕, 아이스크림에까지 다양하게 활용

○ Dulce de Leche는 19세기 아르헨티나의 독재자(1829-32, 1835-52년간 집권)였던 Juan Manuel de Rosas에서 유래- 어느 겨울날 Rosas의 집에서 한 하녀가 Lechada라는 설탕을 넣은

우유를 끓이다가 누군가가 문을 두드려 나갔다 돌아오니 Lechada가 타버리고 갈색의 잼으로 변해 있었는데 이것이 바로 오늘날의 Dulce de Leche

■ 대중 문화 [축구]

○ 아르헨티나는 프로 축구에 있어서 오랜 전통을 갖고 있고, 2번의 월드컵(1978, 1986)을 비롯해 총 230여개의 국제 대회에서 우승한 축구 강국으로서 최근에는 2008년도 베이징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

○ 축구는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로서 축구장에 가는 것은 전형적인 주말의 여가활동이고, 경기는 TV에서 중계되어 주말은 온통 축구열기로 가득

○ 수년에 걸쳐 아르헨티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축구 선수들을 배출해 냈고, Maradona, Messi 등이 축구 영웅으로 각광

[탱고]○ 탱고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아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1800년대 중

반에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도착한 가난한 유럽이민자들과 하층민들의 삶의 애환을 표현하는데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

○ 1880년대에 아카데미와 극장이 생겨났고, 연극, 사르수엘라(스페인

Page 101: 아르헨티나개황2011

・ ・

99

음악극) 등에서 배우들은 탱고음악을 부르고, 탱고를 추기 시작○ 변두리 음악이었던 탱고는 조금씩 도시 중심으로 확장되고, 발전을

거듭해 유럽까지 건너가 인기를 얻게 되었으며 아르헨티나를 대표하는 음악과 춤으로 세계유수의 문화장르로 자리매김

■ 주요 인물○ José de San Martín 장군(1778-1850)

- 아르헨티나의 독립 영웅으로서 시몬 볼리바르(Simón Bolívar)와 함께 남미제국에서 독립의 아버지로 추앙

○ Juan Domingo Perón(1895-1974)- 아르헨티나 현대사에서 매우 중요한 정치인으로서 페론당(정의주

의당 : Partido Justicialista)의 창설자이고, 후에 아르헨티나 대통령직을 세 번 역임(1946-52, 1952-55, 1973-74)

○ Eva Perón(1919-1952)- Juan Domingo Perón의 부인으로 빈민층의 기수로서의 역할 등으

로 페론주의의 핵심 상징으로 추앙 ○ Ernesto "Che" Guevara(1928-1967)

- 1950년대에 바티스타(Batista) 정권을 무너뜨리고 피델 카스트로(Fidel Castro)를 정상에 올린 쿠바 혁명의 주요 인물로 칭송받고 있으며, 1967년 볼리비아 혁명세력을 지원하다가 사망한 혁명의 국제적 상징

○ Jorge Luis Borges(1899-1986)- 아르헨티나 문학가로 스페인어권 현대 작가들 중 가장 중요한 인

물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으며, “픽션들(Ficciones)", "알렙(El Aleph)", "둘로 갈라지는 길들의 정원(El jardín de los senderos que se bifurcan)" 등이 주요 작품

Page 102: 아르헨티나개황2011

100

○ Diego Maradona(1960-)- 브라질의 펠레와 함께 역사상 가장 훌륭한 축구 선수로 알려져 있으

며 마약 중독 등의 문제들에도 불구하고 많은 아르헨티나인들의 우상

나. 문화시설◦ 박물관 : 국립미술관(Museo Nacional de Bellas Artes)등 300여개◦ 공연장 : 꼴론극장(Teatro Colon) 등 400 여개

※ 꼴론극장은 이태리 밀라노의 스칼라극장, 프랑스 파리의 오페라극장과 함께 세계 3대 극장 중의 하나로 평가 받는 중남미 최고의 예술의 전당- 말발굽 모양의 관람석은 2,487석이고, 1,000명이 서 있을 수 있는 공간과,

넓이 20m, 높이 15m, 깊이 20m에 달하는 무대를 갖추고 있으며 음향시설이 매우 훌륭

- 시내 중심부 9 de Julio대로, Libertad, Arturo Toscanini 그리고 Tucumán 거리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2006년 10월부터 보수하여 2010년 5월 아르헨티나 독립 200주년 기념행사 계기로 재개관

◦ 영화관 : 씨네막(Cinemark), 빌리지 레꼴레타(Village Recoleta) 등 1,300 여개

다. 주요 국제행사◦ 영화제 : ‘마르 델 플라타 국제 영화제’(Festival Internacional de Cine

de Mar del Plata, 11월), 부에노스 아이레스 국제독립 영화제 (BAFICI, 3월)

◦ 도서전 : 부에노스 아이레스 국제 도서전(Feria Internacional del Libro, 4월, 중남미 최대 규모)

◦ 미술전 : 부에노스 아이레스 현대 미술전(ArteBA, 5월, 상파울로 비에날레와 함께 중남미 최고 권위 미술전 중의 하나로 평가)

Page 103: 아르헨티나개황2011

・ ・

101

4. 교육제도

가. 개관◦ 2007년 연방교육법 개정에 따라 유치원(Inicial), 초등과정(Educación

Primaria) 7년, 중·고등과정(Educación Secundaria) 5년의 의무교육 기간(총 12년)으로 변경

◦ 부에노스 아이레스시 및 지방정부 운영 학교는 중·고등과정을 포함한 12년 의무교육과정이 대부분 무료

나. 학제◦ 구분

Inicial(유치원 과정)

Educación Primaria

(초등 과정)Educación Secundaria

(중·고교 과정)EducaciónSuperior

(전문·대학과정)현행안 1학년 ~ 7학년 1학년 ~ 5학년 2년제~6년제연령별 3세~5세 6세~12세 13세~17세 18세~

의무교육 12년

◦ 유치원 과정(Inicial)- 3-5세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세반은 의무교육- 초등학교 입학을 위해서는 5세반 과정 이수증명서 필수- 유치원수 : 약 17,507개(09년)

◦ 초등교육과정(Educación Primaria)- 6-12세까지 7년의 의무교육 과정- 학교수 : 약 22,187개(09년)

◦ 중·고등교육과정(Educación Secundaria)- 기본5년으로서 한국의 중·고등학교 과정에 해당

Page 104: 아르헨티나개황2011

102

- 본인의 희망에 따른 대학 진학 또는 사회진출을 위한 준비과정- 학교수 : 약 14,779개(09년)

※ 학교성격에 따라 6년제 중·고등학교도 있음◦ 고등교육과정(Educación Superior)

- 한국의 대학과정에 해당하며, 대학 졸업시 학사학위 수여- 철저한 학점제로 운영되며 졸업율(약23%) 저조 - 학교수 : 약 2,206개(전문대 포함)- 학생수 : 국공립대 : 1,270,000명( UBA 322,000명)

사립대 : 296,000명※ 부에노스 아이레스 대학(UBA)

ㆍ 학생수 32만여명(연간 예산 4억 미불)으로 중남미 최대 대학의 하나ㆍ 교수중 절반 이상이 무보수로 일하며, 박사학위 소지자는 30%ㆍ UBA의 졸업생중 55%는 사립중고교 출신으로 80%가 중상위권ㆍ 외국 대학과의 학사 인정 MOU 체결 등 교류 실적 거의 부재

다. 아르헨티나 한국학교◦ 아르헨티나 한국학교는 전일제 학교로서 1995년 한국정부로부터 인가를

획득◦ 초등학교(150명) 및 병설 유치원(170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토요 한글

학교(200명)도 운영◦ 교지는 3,500m2, 교사 연건평은 830m2, 교실수는 22개, 특별 교실 4개,

강당 및 식당 등으로 구성◦ 수업은 한국어 및 스페인어 병행 사용

Page 105: 아르헨티나개황2011

・ ・

103

5. 언론 및 대중매체

◦ 일간지 : 300여종◦ 정기간행물 : 2,700여종◦ 텔레비젼 방송국 : 5개(60여개의 케이블 방송국이 있음)◦ 라디오 방송국 : 180개◦ 주요일간지(수도권)

- La Nación(35만부) - Clarín(평일 67만부, 일요일 100만부), - La Prensa(19만부), - Ámbito Financiero(11만부), - Buenos Aires Herald(영문, 2만부)※ 방송법 개정 관련 사항

◦ 페르난데스 정부가 추진한 정부의 방송사업에 대한 통제권 강화 및 거대 방송기업의 독점 제한을 요지로 하는 개정방송법(09.10.9) 시행령이 10.9.1 발효- 단일 기업이 운영할 수 있는 TV 및 라디오 방송사의 최대 개수를 현행

24개에서 10개로 축소- 단일 기업의 동일 지역에서 지상파 TV 및 유선 TV 겸업 금지- 단일 기업의 방송시장 점유율 35% 초과 금지- 케이블 TV를 공공서비스로 재분류함으로써 시장 점유율 및 가격 통제

근거 마련◦ 야당 및 거대언론사는(Clarin 그룹) 동법을 통해 정부가 언론 탄압을 도

모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일부 조항에 대해 위헌 소송 제기 - 예컨대, 동법 161조는 은 1년내 초과 자산 매각을 규정하고 있으나,

동 조항 위헌 판결(10.10)

Page 106: 아르헨티나개황2011

104

6. 공휴일

1.1 신정3월 카니발 휴일3.24 진실․정의 기념일4.2 말비나스 주권일4월 부활절5.1 노동절5.25 혁명 기념일6.20 국기의 날(벨그라노 장군 서거일) 7.9 독립 선언일8.17 산 마르틴 장군 서거일10.12 미대륙 발견일(다문화 존중의 날)11.20 주권의 날12.8 성모 잉태일12.9 관광 진흥의 날12.25 성탄절

Page 107: 아르헨티나개황2011

Ⅷ. 우리나라와의 관계

Page 108: 아르헨티나개황2011
Page 109: 아르헨티나개황2011

107

1. 대한반도 정책

◦ 전통적으로 한국과의 우호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UN등 각종 국제무대에서 한국의 입장을 적극지지

◦ 남북 당사자간 직접 대화를 통한 한반도 문제해결을 지지하면서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을 위한 한국정부의 노력을 평가

◦ 한국의 경제발전 및 경제위기 극복을 높이 평가하고, 양국간 통상, 경제협력, 투자, 기술이전 등 실질협력관계 심화에 큰 관심

2. 외교관계 연표

가. 우리측◦ 62. 2.15 국교수립 합의 공동발표◦ 63. 1.16 정일권 주미대사 초대대사(겸임)로서 신임장 제정◦ 65. 1.26 배의환 제2대 대사 신임장 제정◦ 66. 6.28 군사혁명으로 수립된 아르헨티나 신정부를 7.9자로 승인◦ 67.11. 9 김동성 제3대 대사 신임장 제정◦ 76. 6 남철 제4대 대사 신임장 제정◦ 78. 9.12 노석찬 제5대 대사 신임장 제정◦ 81. 8.27 이수우 제6대 대사 신임장 제정◦ 85. 6. 3 이복형 제7대 대사 신임장 제정◦ 88. 4.19 이상진 제8대 대사 신임장 제정◦ 91.12.20 김해선 제9대 대사 신임장 제정◦ 94. 9.22 조기성 제10대 대사 신임장 제정◦ 97. 9.12 경창헌 제11대 대사 신임장 제정◦ 00. 9.20 김승영 제12대 대사 신임장 제정

Page 110: 아르헨티나개황2011

108

◦ 02. 9.18 신효헌 제13대 대사 신임장 제정◦ 03. 7.8 최양부 제14대 대사 신임장 제정◦ 06. 5.11 황의승 제15대 대사 신임장 제정◦ 09. 7.20 김병권 제16대 대사 신임장 제정

나. 아르헨티나측◦ 66. 3. 5 주한 아르헨티나 상주대사관 개설차 Alejandro A. Galarce

대사가 주한 임시 대사대리로 부임(초대 주한 대사)◦ 67. 9.27 예산사정으로 주한 상주대사관 철수◦ 68. 7.29 Juan R. Martin 제2대 대사 신임장 제정◦ 70. 3.26 Rodolfo U. Freyer 제3대 대사 신임장 제정◦ 70. 9. 4 주한 아르헨티나 상주 대사관 재개설(Graciano Cocimano 대사

대리 부임)◦ 71.10 Jorge Salvador Oria 제4대 대사 신임장 제정◦ 73. 3 Oscar Rasmussen 대사대리 부임◦ 74. 5. 3 아르헨티나 정부, 주한 아르헨티나 대사관을 주일대사 겸임

에서 독립◦ 76. Edgar Enrique Pérez Colman 주한 초대 상주 대사 신임장

제정◦ 76. 12. 2 Henrick S. Wessels 제2대 주한 상주대사 신임장 제정◦ 83. 2. 1 Pons Benítez 제3대 주한 상주대사 신임장 제정◦ 84. 7.19 Juan M. Figuerro Antequeda 4대 주한 상주대사 신임장 제정◦ 90. 1.17 Rubén Antonio Vela 제5대 주한 상주대사 신임장 제정◦ 94. 3. 7 Jorge Teodore Lapsenson 제6대 주한 상주대사 신임장 제정◦ 00. 10.26 Rodolfo Rodríguez 제7대 주한 상주대사 신임장 제정

Page 111: 아르헨티나개황2011

109

◦ 03. 4.28 Alfredo Alcorta 제8대 주한 상주대사 신임장 제정◦ 10.10.12 Carlos Alberto Arganaraz 제9대 주한 상주대사 신임장 제정

3. 주요인사 교류

가. 아국인사 아르헨티나 방문◦ 72.4. 김용식 외무장관 공식방문(중남미 공관장회의 주재)◦ 73.5.25 배의환 경축특사(Héctor J. Campora 대통령 취임식 특사)◦ 73.10.12 최규하 대통령 특별보좌관(Juan D. Perón 대통령 취임식 특사)◦ 74.8. 윤주영 문공부장관 대통령 특사◦ 77.3.21 김종필 대통령 특사◦ 79.8.21 백두진 국회의장◦ 80.12.7 박동진 대통령 특사◦ 81.5.3 서석준 상공부 장관◦ 81.5.14 천명기 보사부 장관◦ 83.12.8 이원경 외무부장관(Raúl Alfonsín 대통령 취임식 특사)◦ 86.2. 이재형 국회의장◦ 88.7.2 김경원 대통령 특사◦ 89.2.8 최광수 대통령 특사◦ 89.7. 김용식 전외무부장관(Carlos Menem 대통령 취임식 특사) ◦ 90.8.12 최광수 대통령 특사◦ 90.11.24 권익현 특사◦ 91.5.16 이승윤 대통령 특사◦ 92.6. 정원식 국무총리 ◦ 94.7. 홍순영 대통령 특사

Page 112: 아르헨티나개황2011

110

◦ 95.7. 황인성 전국무총리(Carlos Menem 대통령 취임식 특사)◦ 95.8. 공로명 외무부 장관◦ 96.3. 이홍구 대통령 특사◦ 96.9. 김영삼 대통령◦ 98.11. 한승헌 감사원장◦ 99.3. 박태영 산자부 장관◦ 99.12. 김종필 국무총리(Fernando de la Rúa 대통령 취임식 특사)◦ 00. 3. 이종남 감사원장◦ 00. 6. 오영교 산자부차관◦ 01. 3. 김혁규 경남도지사◦ 01. 5. 심대평 충남도지사◦ 02. 3. 국회 윤리위원회 대표단(단장: 송광호 의원)◦ 02. 8. 정대철 새천년 민주당 대표(세계박람회 유치 특사)◦ 02. 10 김호식 해양수산부장관(세계박람회 유치사절)◦ 03. 5. 공로명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장, 김진선 강원도지사◦ 03. 5. 문희상 대통령비서실장(Kirchner 대통령 취임식 특사)◦ 03. 7.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대표단(단장: 신영국 의원)◦ 03. 7. 김광림 재경부차관◦ 03. 9. 최낙정 해양수산부차관◦ 04. 11. 노무현 대통령◦ 05. 10. 정동채 문화관광부장관(이민40주년 행사참가)◦ 06. 1. 이규형 외교부 제2차관◦ 06. 3. 반기문 외교장관(제3차 한.아 고위정책협의회)◦ 06. 8. 반기문 외교장관◦ 07. 11. 심윤조 외교부 차관보

Page 113: 아르헨티나개황2011

111

◦ 07. 11. 김종민 문화부장관 ◦ 07. 12. 전윤철 감사원장(Fernández 대통령 취임식 특사)◦ 09. 3 남경필 한-아의원친선협회장 일행 ◦ 09. 3 이완구 충남도지사◦ 09. 7 황진하 의원, 정의용 아사아정당국제회의(ICAPP)사무총장◦ 09. 9 김태호 경남지사◦ 09.10 박진, 이범관, 이춘식, 박선영 의원(국회 국정감사단)◦ 10. 3 심재철, 김광림 의원(국회 예결위)◦ 10. 3 박희태, 조윤선 의원(칠레 Pinera 대통령 취임식 특사)◦ 10. 3. 임인규 국회사무차장◦ 10. 8 장윤석, 정진섭, 서갑원 의원 ◦ 10. 8 이순천 외교안보연구원장◦ 10. 8 정몽준 FIFA 부회장◦ 10.10 최시중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10.11 윤영선 관세청장◦ 11. 3 홍재형 국회부의장◦ 11. 9 이윤성, 최병국, 윤상현 의원(국회 국정감사단)◦ 11.10 김영민 특허청 차장◦ 11.11 최성 고양시장

나. 아르헨티나 인사 아국 방문◦ 66.3.15 Zavala Ortiz 외무장관◦ 79.5.10 Alejandro Estrada 상공장관◦ 85.4.17 Dante Caputo 외무장관◦ 85.5.7 Juan C. Pugliese 하원의장

Page 114: 아르헨티나개황2011

112

◦ 85.8.27 Victor Martínez 부통령겸 상원의장◦ 85.11.11 Carlos Menem 라 리오하 주지사 일행◦ 88.2.24 Victor Martínez 부통령 노태우 대통령 취임식 참석◦ 86.4. Frondizi 전대통령◦ 88.2. Victor Martínez 부통령◦ 91.7. Martínez 이민청장◦ 91.12.12 Guido Di Tella 외무장관◦ 94.5. Cavallo 경제장관◦ 95.9. Carlos Menem 대통령◦ 98.5.6 Jorge Alberto Escobar 산후안 주지사 일행◦ 99. 2. José Manuel de la Sota 꼬르도바 주지사 당선자

(민주주의 시장경제 국제회의 참석)◦ 00.9 José Luis Lizurume 추붓주지사 ◦ 00.10. Chighizola 외교차관 ◦ 01.4. Carlos Rovira 미시오네스 주지사◦ 01.10. Hernan Lombardi 관광장관(세계관광기구 총회 참석)◦ 05.4 Jorge Mayoral 광업차관◦ 05.8 Carlos Cheppi INTA 원장◦ 07.9 Cristian Folgar 연료차관보◦ 08.9 Jorge Mayoral 광업차관◦ 08.10 Victorio Taccetti 외교부 정무차관◦ 09.5 한-아의원친선협회 의원(Cabanchik, Rossi상원의원) ◦ 09.8 Jorge Taiana 외교장관 ◦ 09.10 Lino Baraῇao 과기부 장관 ◦ 10.9 Julio De Vido 기획부장관

Page 115: 아르헨티나개황2011

113

◦ 10.11 Cristina Fernandez Kirchner대통령(G20 정상회의)◦ 11.5 Julio Cobos 부통령(G20 국회의장회의)

4. 주요 협정 및 약정 체결

가. 기체결 협정 및 약정◦ 1968. 8. 8 문화협정 서명(70.1.4 발효)◦ 1972. 8.14 발명특허권 보호협정(72.8.14 발효) ◦ 1980. 2.14 한국전력-아르헨티나원자력위원회 과학기술 협력 협정 체결◦ 1991.10.28 한・아 경제공동위 설립에 관한 양해각서 서명◦ 1992. 7.16 상용 복수 사증발급 각서 교환◦ 1994. 5.17 투자보장협정서명(96.9.24 발효)◦ 1995. 8.30 범죄인 인도 협정 서명(00.11.9 발효)◦ 1996. 9. 9 원자력 협정 서명(97.9.19 발효), 항공업무협력 협정 서명◦ 2000.10.31 과학기술협력 협정 서명(03.2.12 발효)◦ 2003. 9. 1 수산기술협력 약정체결◦ 2003.12.27 일반여권 비자 면제 시행◦ 2004. 4. 1 외교관/관용 여권 비자면제 협정(교환각서)체결(2004.7.31

발효)◦ 2004.11.15 경제무역협력협정 및 교육문화협력협정 서명(기타 자원협력

약정 등 9개 경제관련 약정 서명)◦ 2004.11.29 부에노스아이레스대학내 한국학센터 설립약정 서명◦ 2009. 8.31 한・아 형사사법공조조약 서명◦ 2010. 9.16 한・아 원자력협력약정 서명◦ 2010.11.26 한・아 세관상호지원약정 서명

Page 116: 아르헨티나개황2011

114

나. 지방정부 및 민간교류협력 약정◦ 00.7 인하대-La Plata 교류협력 협정 체결◦ 00.8 서초구청-Posadas시 자매결연 의향서 체결◦ 00.8 서초구청-San Martin시 경제・문화교류협정 체결◦ 00.9 충북-Chubut주 자매결연 협정 체결◦ 01.5 충남-Misiones주 자매결연 협정 체결

다. 체결추진중인 협정 및 약정◦ 이중과세방지 협정◦ 사회보장 협정◦ 운전면허 상호인정협정◦ 정보화협력 약정◦ 체육협력 약정

5. 양국간 협의체 운영 현황

가. 한・아 고위정책협의회- 95.9 고위정책협의회 개최 합의- 99.8 제1차 회의 개최(Bs.As.)- 00.10 제2차 회의 개최(서울, 제2차 공동위 동시 개최)- 06.3 제3차 회의 개최(Bs.As.)- 08.10 제4차 회의 개최(서울)

나. 한・아 경제공동위- 91.10 경제공동위 설립 합의

Page 117: 아르헨티나개황2011

115

- 92.10 제1차 회의 개최(Bs.As.)- 00.10 제2차 회의 개최(서울)- 03.11 제3차 회의 개최(Bs. As.)- 07.10 제4차 회의 개최(Bs.As.)

다. 한・아 문화공동위- 68.8 문화공동위 설립 합의- 99.9 제1차 회의 개최(Bs.As.)- 07.7 제2차 회의 개최(Bs.As.)

※ 11.11 문화국장회의 개최(Bs.As)

라. 한・아 자원공동위- 06.7 제1차 회의 개최(Bs.As.)- 08.9 제2차 회의 개최(서울)

6. 교역 관계

가. 수출입 동향◦ 한-아 양국간 교역액 추이는 아르헨티나 경제위기 이전인 1997년에 9

억불을 기록한 후 계속 감소하다가 2003년 이후 반전되어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유지- 2009년 교역규모는 세계 경기침체의 여파로 11억 미불로 일시 감소

하였으나, 곧 반등하여 2010년 교역액은 역대 최고수준인 17억 미불을 달성하였으며, 2011.9월 현재 약 16억 미불 기록

- 한국은 아르헨티나의 아주지역 제3위 교역국

Page 118: 아르헨티나개황2011

116

< 연도별 교역동향 >(단위 : U$천)

연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수출 161,439 239,144 309,008 330,937 489,140 578,207 494,269 909,449수입 435,670 421,499 371,755 556,021 731,533 914,772 672,257 794,607수지 -274,231 -182,355 -62,747 -225,084 -242,393 -336,564 -177,987 114,842

자료 KOTIS

◦ 우리의 대아르헨티나 수출은 2010년 사상 최고액인 9억9백만 미불(전년대비 84% 증가)을 기록한 이후, 2011.9월 현재 8억 1천만 미불(전년대비 22.6% 증가)를 기록하며 호조세 유지중- 주요 수출 품목은 자동차, 무선통신기기부품, 액정디바이스, 폴리에스

테르수지 등 공산품이며, 한국 브랜드 핸드폰, 가전제품 등은 주로 브라질, 멕시코 등을 경유하여 수출

◦ 우리나라의 대아르헨티나 수입액은 2008년 9억 1천만 미불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2009년 세계경기침체의 영향으로 감소하였다가 2010년이후 다시 증가세로 전환(2011.9월 현재 7억 8천만 미불 기록)- 주요 수입 품목은 대두유, 동광, 박류, 사료, 가죽, 원유, 은 등 농산

물 및 원재료 중심이며, 특히, 대두유 수입량의 70-80%를 아르헨티나로부터 수입

나. 대한 수입규제◦ 아르헨티나 무역위원회(CNCE)는 1995년 이후 한국에 대해 총 12건에

대하여 덤핑 피해사례를 조사한 바 있으며, 현재 2건에 대하여 반덤핑 관세 부과중

Page 119: 아르헨티나개황2011

117

< 대한국 수입규제 현황 >품목 HS코드 유형 조사개시 최종판정 비고

냉연강판7209.15/16/17/18/25/26/27/28/90,

7211.23. 7225.50,7226.92

반덤핑 ‘01.7.19 ‘03.1.10

관세율 60.46%규제기간:행정령 242로 인해 현재 덤핑 재조사중이며, 재조사 기간중 수입규제 적용. 2012년 1월 조사 종료 예정

아연철판7219.49, 7210.61,

7212.30/50, 7225.92/99, 7226.94/99

반덤핑 ‘02.5.30 ‘03.5.27관세율 최소가 규정한국산 U$ 243/톤규제기간 : 연장 (‘09.11.20-‘12.11.19)

자료 아르헨티나 무역위원회

< 2010 대한국 반덤핑 조사 현황 >품목 HS코드 유형 조사개시 비고

종이롤(Paper Rolls)

4810.13.89, 4810.13.90, 4810.19.89, 4810.19.90

반덤핑혐의 조사 중 2010.12.10

제소업체: LEDESMA S.A.A.I.피소국: 한국, 미국, 핀란드, 오스트리아, 중국

에어컨(air conditioning

equipment 용량 6,500 BTU

이하)

8415.108415.83

8418.69.40반덤핑혐의

조사 중 2010.2.16

제소업체: ASOCIACION DE FABRICAS ARGENTINAS TERMINALES DE ELECTRONICA(AFARTE) 피소국: 한국, 태국, 말레이시아, 베트남

자료 아르헨티나 무역위원회

7. 투자 관계

가. 투자진출 현황◦ 우리나라의 대 아르헨티나 투자진출 금액은 2011.6월말 까지 355건, 약 1억

7천만 미불로, 이는 전체 해외투자금액의 0.1%에 해당하는 미미한 수준

Page 120: 아르헨티나개황2011

118

◦ 2002년 아르헨티나 경제위기 심화로 우리기업들이 현지 조직을 대폭 축소하거나 철수한바 있으며, 현재 남아있는 우리기업은 총 8개사 - 전자분야 : 삼성전자, LG전자 판매법인 및 아리온테 크놀로지(케이블

셋톱박스 공급업체) 연락사무소 - 종합상사 : 대우인터네셔널 지점 - 자원 분야 : 골든오일 - 수산 분야 : 한성기업, 동남수산- 의료업체 : 온열치료기 업체 세라젬

8. 에너지․자원 분야 협력

◦ 2006.4.1 주아르헨티나대사관에 남미자원협력센터(Centro para la Cooperacion Coreano-Sudamericana en Energia y Recursos Naturales) 설립(2008.5월 동 센터는 본부 중남미국으로 흡수)- 2006.9월 남미 10개국 자원보고서, 2006.12월 아르헨티나 23개주 자원

보고서, 2007.6월 아르헨티나 바이오 에너지 정책과 개발 및 생산 현황 보고서 및 2007.12월 외국기업의 대아르헨티나 투자사례집 발간

◦ 산자부, 광업진흥공사, 대한석유공사 등 기관이 민간기업과 합작으로 아르헨티나 동 및 원유 생산 진출 검토- 2006.7월 남미자원협력센터 주관으로 본부 관계기관 및 남미공관 자원

담당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1차 남미자원회의 개최◦ 2006.7월 산자부 자원정책실장 등 대표단 아르헨티나 방문, 제1차 한-아르

헨티나 자원공동위 개최◦ 외교부 및 산자부 주최 서울 ‘바이오연료 상용화를 위한 국제회의(2007.

9.17, 서울COEX)에 주재국 연방기획부 Folgar 연료차관보 참석◦ 2008.9월 Mayoral 아르헨티나 광업차관 한국 방문, 제2차 한·아르헨티나

자원 공동위 개최

Page 121: 아르헨티나개황2011

119

◦ 2010.9월 중남미 경제협력 카라반 대표단 산타페주 방문, 농업 및 신재생에너지 분야 협력 증진 방안 모색

◦ 2010.6월 광자공, GS칼텍스, LG상사로 구성된 한국 컨소시엄, 캐나다 리튬 전문기업인 리튬원(Lithium One)과 살데비다 리튬매장지역을 공동 탐사 합작 계약 체결

◦ 2010.9월 최경환 지경부 장관, De Vido 기획부 장관을 방한 초청하여 양국간 원전협력 MOU체결 및 동 분야에서의 협력방안 협의

◦ 2011.7월 국무총리실 에너지․인프라 협력 대표단 아르헨티나 방문

9. 문화 교류

◦ 92.6.11 서울 예술단 내아 공연(Teatro Coliseo)◦ 92.10.6 청소년 유도단(제6회 세계 청소년 대회) 참가차 내아◦ 93.8. 한국 회화전◦ 93.11.25 할렐루야 축구단 방아◦ 94.1 대우 로얄즈 프로 축구단 내아(대 벨레스)◦ 94.12. '88 꿈나무 배구팀 내아◦ 94.12. 성악가 엄정행 등 내아 공연◦ 95.3.6 월드컵 유치 홍보단 내아◦ 95.5. 한국 전통 예술단 내아 공연◦ 95.6. 피아니스트 백혜선 유스필하모닉과 협연(Teatro Colón)◦ 95.7. KBS TV(세계는 지금) 제작팀 취재차 방아◦ 95.9. 현대극단(뮤지컬 장보고 공연)◦ 95.10. 최용수 WBA 복식 참피온전(타이틀 획득)◦ 95.10.31 청소년 배구팀 방아

Page 122: 아르헨티나개황2011

120

◦ 95.12. 태권도 국가대표 시범 공연◦ 95.12.1 월드컵 홍보단(단장 : 이복형 대사)◦ 95.12.1 태권도 시범단 방아 시범경기◦ 96.1.4 현대 조형작가회전◦ 96.2. 일화 천마 축구단 내아 친선경비(대 페로)◦ 97.2. 금호 현악 4중주단 내아 공연◦ 97.8. 리틀 엔젤스 내아 공연◦ 97.11. 롤러 스케이트 국가 대표팀 대회 참가◦ 98.10 한복 패션쇼 개최(그레따리 방문, 대사관저 및 한국학교)◦ 99.10 서울시립무용단 방문 공연◦ 00.8 서라벌국악예술단 황진이 공연(Teatro Cervantes)◦ 01.5. 청소년 여자하키 대표팀◦ 01.10 국립국악원 공연(Teatro Cervantes)◦ 02.3 월드컵계기 평화기원 깃발축제(국립미술박물관)◦ 02.10 한국현대미술전시회(국립미술박물관)◦ 03.11 홍신자 무용단 공연(Teatro Cervantes 극장)◦ 06.11 중남미 한국 문화원 개원◦ 07.4 제33차 부에노스 아이레스 국제도서전 한국관 개관 ◦ 07.7 한·아르헨티나 문화 공동위 대표단 방문 ◦ 07.11 난타 공연 ◦ 08.4 제34회 Bs. As. 국제도서전 한국관 개관◦ 08.9 배재대-UAI대 교류협정 체결◦ 09.10 한-아 도자기 교류전 Bellezas de la Tierra◦ 09.10 FIBA 축제 초인극단 ‘특급호텔’ 참가◦ 09.10 신달자 시낭송회 ‘Cantos Poeticos’ 개최

Page 123: 아르헨티나개황2011

121

◦ 09.11 NOW 무용단 ‘Tan Lejos...Tan Cerca' 방아공연◦ 09.11 EXPOTOON 국제페스티발 주빈국 참가◦ 09.11 라틴아메리카 관광 페스티발(FIT) 한국관 개관◦ 09.12 한국예술종합학교-IUNA&FUC 교류협정 체결 ◦ 10.4 제36회 Bs. As. 국제도서전 한국관 개관◦ 10.10 제1회 중남미 K-POP 경연대회 개최◦ 10.12 강진청자 남미순회전 개최◦ 11.4 제37회 Bs. As. 국제도서전 한국관 개관◦ 11.4 첼리스트 우지연 우슈아이아 국제음악제 참가◦ 11.9 제2회 중남미 K-POP 경연대회 개최◦ 11.10 개천절 계기 한국문화페스티벌 개최(Teatro Avenida)

10. 영사・교민 관계

가. 이주 약사 ◦ 1955. 반공포로 12명 도착(현재 2명 생존)◦ 1965.10.14 대한민국 최초의 농업이민단 18세대(93명) 부에

노스아이레스 항 도착 후 라 마르께 농장 정착◦ 1966. 9 파라과이 등지서 교포들 대규모 재이주, 109촌 집단 거주

시작◦ 1967. 1 한국교민회 발족◦ 1970. 해외개발공사 추진으로 SITARP 수산회사 취업이민 85명

도착◦ 1974. 4 교민들 모금으로 교민회관 구입(Balbastro 615)◦ 1976. 교민 ONCE지역 진출

Page 124: 아르헨티나개황2011

122

◦ 1977. 5 “남미 이민 제한 5. 4조치”로 이민 중단 ◦ 1984. 파라과이, 볼리비아 등지에서 재이민 교포 급증◦ 1985 한-아간 한국이민 송출 및 접수절차에 관한 의정서 체결로

투자이민 허용◦ 1995. 3.27 아르헨티나 한국학교(한국과정 6년제) 개교◦ 1999. 3.11 아르헨티나 한국학교(아르헨티나과정 7년제) 개교◦ 2005.10 아르헨티나 이민 40주년 기념행사 개최

나. 사회구성◦ 한국인 거주 지역 : 플로레스(Flores, 일명 109촌), 아베쟈 네다(Avellaneda),

온세(Once) 등 3개 지역에 밀집◦ 교민 수 : 1980년대말 약 4만명까지 증가하다가 장기간 계속된 주재국

경제불황으로 상당수 교민이 본국, 미국, 멕시코, 브라질 등으로 재 이주하여 1만5천명선까지 줄었으나, 2003. 12. 27 무비자 입국 조치 이후 다시 증가추세- 2011년 현재 약 2만 내지 2만 5천명 추산

◦ 우리 교민들은 대체로 중산층 이상의 비교적 안정된 생활을 하고 있음. 아르헨티나 정부와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학력인정을 받는 한국 학교, 한국 병원, 한인 골프장 등 설립 운영

◦ 주요 기관 및 단체- 한인회(회장 : 노윤호)

․ 꼬르도바한인회 ․ 뚜꾸만한인회․ 네우껜한인회 ․ 멘도사한인회

- 민주평통자문회의 남미서부협의회

Page 125: 아르헨티나개황2011

123

- 대한체육회 지회- 재향군인회 - 재아 상공인 연합회 - 한국학교 - 노인회 - 부인회 - KOWIN 아르헨티나 지회 - 아베자네다상조회 - 온세상조회- 한인타운자치회 - 문인협회 - 미술인협회- 전문인 협회 - 의대생・의사협회 - 한인농업협회

◦ 종교 단체 : 한인교회 37, 한인성당 1, 불교선원 2, 원불교 1◦ 교포언론사

- 한국일보(사장 : 손성래)- KORNET(대표 : 박상수)- BUENEWS(대표 : 이문준)

다. 경제활동◦ 한・아 경제인 연합회(UDECA) 창설(2004.5.6)

- 한・아 상공인 협의회로 개칭

Page 126: 아르헨티나개황2011

124

◦ 교민 대부분이 원사 공장을 제외한 원단생산, 의류 봉제, 도‧소매업, 수입업 등 섬유 의류에 관련된 전후방 연관 산업에 종사

라. 동포들의 직업 분포 ◦ 대부분 의류업과 관련있는 업종에 종사하고 있으며 부에노스아이레스시의

아베쟈네다지역에 약 860여개(의류상 597, 의류부속상 30, 원단상 21, 공장 20, 의류기계점 6, 식당 36, 사무실(의사, 변호사 사무실 등 53, 기타 90여개), 온세지역에 약 250여개, 지방도시에 약 150여개의 의류 점포가 한인들에 의해 운영되고 있음.

◦ 아르헨티나 이민역사 46년이 되면서 교민들의 높은 교육열로 1.5세대 내지는 2세대들이 현지에서 고등교육을 받고 약 100여명이 전문인(회계사, 변호사, 의사, 치과의사)으로 활동하면서 현지 주류 사회에 진출

마. 동포사회의 현안1) 의류업종 업그레이드

- 동포사회의 주업종인 의류업은 비교적 단기간에 경제적 기반을 잡을 수 있게 해 주었던 업종으로 대부분 교민들이 현재 종사하고 있으나, 초저가품의 중국산 의류제품과 한인들로 부터 의류기술을 전수 받은 볼리비아인들이 독립하여 값싼 노임으로 중저가 의류 다량 생산으로 위류업계 위협

- 따라서 한인들이 생산하고있는 중저가 생산품을 고급화, 패션화로 업그레이드하여 타제품과 차등화 필요

2) 업종의 다변화 유도- 전체동포의 90%에 가까운 숫자가 의류업에 의존하고 있어 불경기에

매우 취약하므로 관광, 건설, IT 등 동포사업 주업종 다변화 유도 필요3) 차세대 지도자 양성

- 식량과 부존자원이 풍부한 대중남미지역에 진출을 위해 현지실정에

Page 127: 아르헨티나개황2011

125

정통한 이민 1.5-2세대들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 필요 - 아르헨티나에서 고등교육을 받고 전문인으로 활동하고 있는 1.5-2세

대는 약 100여명이 되며 이들은 한인사회를 위해 기여하고자 하는 의욕을 보이고 있으나 현지사회에 진출시 봉급수준등이 낮아 일부 전문인들은 주류사회 진출을 포기하는 사례도 발생

- 동포사회의 미래를 위해서는 전문인들을 주축으로 차세대지도자들의 적극적인 양성과 주류사회 진출을 위한 후원 필요

4) 교포업체의 불법고용 및 노동환경 개선 - 2006년 4월 볼리비아인 노동자의 대대적인 시위 이후 우리 교포업체

에서도 자성하는 계기가 되어 불법고용 및 노동환경도 점차 개선되어가고 있다고 평가 할수 있으나, 아직도 간혹 노동 착취등의 제하로 주재국 언론 등에 보도되는 경우 발생

- 공관은 영사서비스 자문회의와 한인회 및 교민 주요단체를 통하여 지속적인 추한한국인상 불식 홍보(주재국 법과 질서 준수 등)로 점진적인 개선을 유도

5) 치안악화에 따른 교민 안전 확보- 교민 밀집거주지역의 치안악화로 자체적으로 관할 경찰서등과 협조

범죄예방에 노력- 영사서비스 자문회의, 동포언론 등을 통한 재외국민 안전을 위한 적

극적인 범죄예방 홍보 활동 전개- 연방경찰 및 치안관련부서와 유대관계 형성 및 유지- 최근 절도.강도의 범죄 수법이 다양화 됨에 따라 교민사회 자체 예방

노력과 범죄 예방을 위한 감시카메라 등 설치

Page 128: 아르헨티나개황2011
Page 129: 아르헨티나개황2011

Ⅸ. 북한과의 관계

Page 130: 아르헨티나개황2011
Page 131: 아르헨티나개황2011

129

1. 외교 관계

◦ 73.5.25 페론파 Hector Campora 정권수립 직후 73.6.1 외교관계 수립, 73.8.4 상주공관 개설

◦ 극우 군사정부 출범(76.3)으로 활동에 많은 제약을 받아오던 중 북한공관에 방화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77.5)- 이를 계기로 77.6월 북한 공관원 전원이 무단 철수하였으며 77.6.14자로

아르헨티나 정부는 대북한 단교 조치

2. 대북한관계 일지

1973.5.17-19 Maria Estela Martinez de Peron(페론 전대통령 부인이며, 전 대통령), 중국 방문 후 북한 방문

1973. 5.22 Hector Campora 대통령 취임식에 북한 부주석 강양욱 참석1973. 8.16 북한 대사대리 문성국 부임(8.4 공관개설)1973.10.12 페론 대통령 취임식에 북한 부주석 강양욱 참석1973.11.30 북한-아르헨티나 통상협정 체결(김석진을 단장으로 한 5

명의 통상사절단 파견)1974.4.8 북한대사 정광순 신임장 제정1974.4.6-11 북한 외교부 부부장 김용택을 단장으로 한 사절단 방문1974.10 Italo Luder 상원의장 포함한 5명의 상원의원 및 기자 1명

북한 방문1975.8 북한 부총리 정준기를 단장으로 한 사절단 방문1977.6.14 아르헨티나 군사정부(비델라 대통령), 북한에 대하여 단교

조치1980.7.30 북한 주유엔대사 한시해 등 3명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비동맹 조정국회의" 참석차 아르헨티나 입국

Page 132: 아르헨티나개황2011

130

1983.3.28-4.9 제3차 77그룹 각료회의 참석차 북한대표단(김찬식, 한태혁, 정영융, 오태봉) 입국

1986.4.25-28 Frondizi 전대통령, 동경개최 전직 대통령 및 정부 수반회의 참석 계기 방북

1986.10.11-16 최고인민회의 의장 양형섭 외 6명 IPU 총회 참석차 아르헨티나 방문

1991.10 주페루 북한대사 김경호, 아르헨티나 방문 수교 교섭2003.10 장웅 ITF 총재, 태권도 세미나 참석 계기 아르헨티나 국

가올림픽위원회(NOC) 방문 2007.9 유엔총회 계기 유엔주재 북한대사 요청으로 주재국 외교부

Espeche Hil 정무차관보를 면담한바, 북한측은 복교 희망 의사 전달

3. 통상 관계

가. 교역규모(단위:U$)

구 분 2008 2009 2010대 북한 수출대 북한 수입

8,950,23315,627,686

7,847,1666,389,183

6,862,8853,664,676

(자료원 : NOSIS)- 주요 수출품 : 잎담배, 석유․역청유, 소가죽, 대두, 양모, 주석산, 탄화수소,

가죽류, 냉동육, - 주요 수입품 : 망간류, 유기화합물, 기계류

* 주재국 수출입 통계 및 생산․수출 가능성 등을 종합 고려시 한국과 북한을 혼동할 가능성 다분

Page 133: 아르헨티나개황2011

131

나. 교역방법- 중계무역 내지 간접교역(아르헨티나 기업의 해외지사 또는 제3국 기업의

중계)

4. 북한의 대 아르헨티나 관계

가. 관계일지- 평양 개최 각종 주요회의에 좌익인사 방북초청 및 중남미 친북 핵심인물

활용한 주재국내 친북세력 확산 노력- 1986년 이후 아르헨티나 제3세계 연구소 요원 다수 방북 초청- '87.9월 꼬르도바 대학에서 주체사상 세미나 개최- '89.7월 아르헨티나 ITF 대표단 방북 초청- 주재국 공산당 등 좌익성향 정당과 연대관계 구축 노력- '89.7월 메넴 정부 이후 경제 및 체육교류를 명목으로한 입국 기도 활동

증대 추세- 99.12월 De la Rua 정부출범 이후 MERCOSUR와의 경제협력 확대 명목

으로 관계재개 시도

나. 아르헨티나의 대북한 입장- 동서냉전체제 붕괴와 남북한 유엔가입, 남북 정상회담개최 등 국제정세

의 변화에 따라 아르헨티나의 대 북한관계 개선 가능성 대두- 그러나, 아르헨티나는 북한과의 관계 재개에 앞서 77년 북한 대사관 철

수시 대사관 건물 파괴에 대한 보상(약 30만불)과 미지불 곡물대금 약 1천만불(원금 5백만불, 이자 5백만불)의 변제가 선행되어야만 외교관계 재개 교섭에 응하겠다는 입장

/끝/

Page 134: 아르헨티나개황2011

인 쇄 ∙ 2011년 12월

발 행 ∙ 2011년 12월

발행처 ∙ 외교통상부 중남미국 남미과

주 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37번지

전 화 ∙ (02)2100-7429

팩 스 ∙ (02)2100-7954

인 쇄 ∙ 마스타상사 TEL.(02)730-8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