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
노르웨이 국기 덴마크와의 동맹기간(1380~1814)동안 사회·문화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아「단데브로그」(덴마크 국기)를 바탕으로 청색 십자가를 첨가한 형 태로 제작 청·백·적색은 1814년 제정된 「에이츠볼 헌법」에서 강조하는 기본이 념인 자유·평등·박애를 각각 상징 1898년 노르웨이 왕국 국기법에 의해 제정

2012.8월 노르웨이개황

Embed Size (px)

DESCRIPTION

 

Citation preview

Page 1: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 국기

• 덴마크와의 동맹기간(1380~1814)동안 사회·문화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아「단데브로그」(덴마크 국기)를 바탕으로 청색 십자가를 첨가한 형태로 제작

• 청·백·적색은 1814년 제정된 「에이츠볼 헌법」에서 강조하는 기본이념인 자유·평등·박애를 각각 상징

• 1898년 노르웨이 왕국 국기법에 의해 제정

Page 2: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 지도

Page 3: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목 차

Ⅰ. 개 관 ························································································································ 7Ⅱ. 약 사

1. 선사시대 ·············································································································· 112. 바이킹 시대(800~1050) ··················································································· 113. 스베레(Sverre) 왕가의 성립과 스칸디나비아 3국 연합

(Union of the three crowns)의 형성 ··························································· 124. 덴마크와의 연합(1523~1814) ·········································································· 135. 나폴레옹 전쟁후 독립 선포와 스웨덴과의 연합 형성(1814) ························· 146. 스웨덴과의 연합(1814~1905)과 연합의 분리 ················································ 147. 1․2차 세계 대전과 노르웨이 ·············································································· 158. 주요 사건일지 ····································································································· 16

Ⅲ. 정 치1. 정치제도 ············································································································ 192. 정치정세 ············································································································ 26

Ⅳ. 외 교1. 기본 외교정책 ··································································································· 352. 안보 정책 ·········································································································· 353. 북극 정책 ·········································································································· 364. 대EU 정책 ········································································································ 375. 대러시아 정책 ··································································································· 386. 개발도상국 원조정책 ························································································ 397. 해양정책 ············································································································ 408. 동북아 정세관 ··································································································· 409. 지역협력기구에 대한 평가 ··············································································· 41

Ⅴ. 경 제1. 경제 발전사 ······································································································ 452. 경제 현황 ·········································································································· 473. 최근 경제 동향 및 전망 ··················································································· 534. 교역 현황 ·········································································································· 545. 투자 현황 ·········································································································· 616. 노르웨이 시장의 특성 ······················································································ 64

Page 4: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Ⅵ. 국 방1. 기본정책 ·············································································································· 692. 병 력 ·············································································································· 703. 병력제도 ·············································································································· 714. 국방예산 ·············································································································· 71

Ⅶ. 사회 및 문화1. 사회복지제도 ····································································································· 752. 양성평등정책 ····································································································· 773. 교 육 ············································································································ 794. 세금제도 ·············································································································· 805. 언 론 ·············································································································· 826. 문 화 ·············································································································· 847. 기타 사회제도 및 관습 ···················································································· 86

Ⅷ. 한국과의 관계1. 대한 정책 ·········································································································· 912. 주요 외교관계 ··································································································· 913. 주요 인사교류 ··································································································· 934. 정책협의회 ········································································································ 965. 경제협력관계 ····································································································· 966. 협정체결현황 ····································································································· 977. 명예총영사관 ····································································································· 988. 교민현황 ············································································································ 989. 친한관계 ··············································································································· 98

Ⅸ. 북한과의 관계1. 대북한 정책 ···································································································· 1032. 주요 외교관계 ································································································· 1043. 주요 인사교류 ································································································· 1044. 경제관계 ·········································································································· 1065. 북한-노르웨이 협정 ······················································································ 1066. 문화교류사업 ·································································································· 107

Ⅹ. 참고사항1. Svalbard 군도 ································································································· 1112. 주요인사 약력 ································································································· 1123. 각료 명단 ········································································································ 1164. 노르웨이 외무부 조직표 ·················································································· 117 5. 노르웨이 왕실 계보 ························································································· 118

Page 5: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Ⅰ. 개 관

Page 6: 2012.8월 노르웨이개황
Page 7: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Ⅰ. 개관

7

◦ 국 명 : 노르웨이 왕국(The Kingdom of Norway)◦ 수 도 : 오슬로(Oslo : 인구 59만명)◦ 면 적 : 386,958㎢(남한의 약 4배)

- 본 토 : 323,878㎢(3%농토, 21%산림), Svalbard 군도 : 62,700㎢,Jan Mayen섬 : 380㎢

◦ 인 구 : 498만명(2012.1월 기준) ※ 인구밀도는 유럽에서 아이슬란드 다음으로 적음.

◦ 인 종 : 노르웨이인

◦ 언 어 : 덴마크어의 영향을 받은 Bokmal語, 노르웨이 지방 고유어인

Nynorsk語 ※ 두개 언어 모두 공식언어로 통용

◦ 종 교 : 루터 복음교(94%) ※ 헌법상 국교로 지정, 신앙의 자유 보장

◦ 정 체 : 입헌군주제

◦ 정부형태 : 내각책임제

◦ 국 회 : 단원제

◦ 주요인사

- 국가원수 : 하랄드 5세 국왕(King Harald V)- 총 리 : 옌스 스톨텐베르그(Jens Stoltenberg) (노동당)

※ 2005 취임, 2009.10 연임- 외무장관 : 요나스 가르 스퇴레(Jonas Gahr Støre) (노동당)

※ 2005 취임, 2009.10 연임◦ 헌 법 : 1814.5.17 제정

◦ 대외정책 기조 : 친서방, NATO 회원국, 북구제국과의 협력

◦ 유엔가입 : 1945.11.27(원가맹국)

Page 8: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8

◦ 국 경 일 : 5.17(1814.5.17 제헌기념일)◦ 경제지표(2011)

- 국내총생산(GDP) : 4,848억불

- 1인당 국민소득 : 58,073불(미화 기준 구매력평가지수 사용)- 대외무역 : 2,610억불(수출 1,681억불, 수입 929억불)

◦ 화폐단위 : 노르웨이 크로네(Norwegian kroner : NOK)- 환율 : US $ 1 = 5.84NOK(2012.5.11)

◦ 기 후 : 전체적으로 겨울이 길고 여름이 짧음. 서해안은 Gulf Stream의 영

향으로 겨울은 평균 기온 -1~-2℃로 온화하며, 여름은 평균기온

9~17℃임. 내륙 산악지역과 북부는 대체로 서해안보다 한냉하고

바람이 강함.※ 오슬로의 기후(1961~2011년간 평균)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월 평균기온(℃) -4.3 -4.0 -0.2 4.5 10.8 15.2 16.4 15.2 10.8 6.3 0.7 -3.1

월 평균 강수량(㎜) 49 36 47 41 53 65 81 89 90 84 73 55

Page 9: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Ⅱ. 약 사

Page 10: 2012.8월 노르웨이개황
Page 11: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Ⅱ. 약사

11

1. 선사시대

◦ 노르웨이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빙하기 말기인 BC 9000년경으로

추정

◦ BC 1500~BC 500년경 암각화에는 가축을 기르고 농경을 하는 모습을 찾

아볼 수 있으며, 주거지는 대부분 해안을 따라 형성

2. 바이킹 시대(800~1050)

가. 정착지 확대와 활발한 교역

◦ 노르웨이 바이킹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서기 800년경에 등장

※ 그리스어로 작성된 한 기록은 노르웨이 바이킹들을 ‘숲에 사는 유쾌한 민족으로 춤과 노래를 즐기고 장수하는 민족’이라고 묘사

◦ 바이킹들은 유럽 전역에 걸친 약탈 및 영토 확장을 통해 강력한 세력으로

부상

- 노르웨이 바이킹들은 Isle of Man, 헤브리디스(Hebrides), 북부 스코틀

랜드, 아일랜드 등을 정복하였고 그린란드와 아이슬란드에도 정착

◦ 바이킹들은 대대적인 원정을 통해 안정적인 교역로를 확보함에 따라 활발

한 교역활동을 전개

- 카스피해, 흑해까지 진출, 아랍 및 그리스 상인들과 교역

※ 바이킹의 활동이 활발할 수 있었던 원인① 프랑크 왕국의 카를 대제(742~814) 사후 유럽에서의 사회 해체 현상② 바이킹들의 탁월한 전투 능력과 항해술

◦ 활발하였던 바이킹의 활동도 1000년대에 들어 막을 내리게 되는데, 이는

중서부 유럽에서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한 잘 정비된 국가들의 출현 및 남

부 러시아에서의 민족이동 등의 결과

Page 12: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12

나. 통일 및 기독교의 전파

◦ 885년경 하랄드 1세(Harald Hårfagre: Harald Fair Hair)에 의해 처음으

로 통일을 달성하나 통일국가의 완성은 보지 못함.- 하랄드 1세의 후계자들이 통치하던 기간중, 노르웨이는 끊임없는 내란

과 덴마크의 침략으로 혼란을 겪음.◦ 995년경 ‘해상의 왕’으로 유명했던 올라프 1세(Olav I Tryggvesson)는 강

력한 왕권을 확립하고 기독교 전파에 노력하였으나, 덴마크와의 전쟁에서

전사

◦ 노르웨이의 재통일과 기독교로의 개종은 올라프 하랄드손(Olav Haraldsson, 재위 : 1016~1028)을 기점으로 확고하게 뿌리를 내리게 됨

- 기독교로의 개종과정에서 올라프 하랄드손은 많은 적을 만들게 되고

1028년 덴마크의 카누테 왕(King Canute)과 결탁한 노르웨이 귀족들

에 의해 축출되었다가 1030년 왕권을 탈환하기 위한 전투에서 전사

※ 서기 1000년을 노르웨이에 기독교가 전래된 기점으로 삼음.

3. 스베레(Sverre) 왕가의 성립과 스칸디나비아 3국 연합(Union of

the three crowns)의 형성

가. 스베레 왕가(1184~1319)

◦ 1130년부터 50년간 왕권을 둘러싼 귀족들간의 내란이 계속되었고 마침내

1184년 스베레 시구르드손(Sverre Sigurdsson)이 강력한 통일국가를 완성

- 1184~1319간은 스베레 왕가 시대로, 동 시기에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등으로 노르웨이의 영토를 확장하고 왕위를 장자가 상속하게 하는 등

국력이 신장되고 제도가 정비됨.

나. 스칸디나비아 3국(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연합(1397~1523)

◦ 칼마르 동맹의 형성(1397)- 노르웨이 호콘 6세의 미망인이며 덴마크의 발데마르 4세의 딸인 마가

Page 13: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Ⅱ. 약사

13

레테(Margarethe) 여왕은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함께 통치하고 있었는

데, 스웨덴을 포함하는 스칸디나비아 3국간 연합을 형성하는데 성공

- 연합의 국왕은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의 원로원간 합의를 통해 선출

하였는데, 연합의 첫 국왕은 에릭왕(King Erik)※ 연합형성 배경

① 스칸디나비아 3국은 왕실간 친인척관계로 복잡하게 연결② 문화적, 언어적 유사성③ 독일 세력에 대한 공동의 대처 필요성

- 1448년, 스칸디나비아 3국 연합 국왕 선출을 둘러싸고 덴마크와 스웨덴

간의 분쟁이 발생, 결국 노르웨이 지배권을 둘러싸고 패권 경쟁을 벌임.- 패권 경쟁에서 덴마크가 우세하게 됨에 따라, 노르웨이는 덴마크 영향

력하에 남게 됨.◦ 1523년, 연합의 왕이던 크리스티안 2세의 폭정에 항거 스웨덴의 구스타프

바사가 봉기, 크리스티안 2세를 스웨덴에서 축출하고 스웨덴 국왕이 됨에

따라, 스칸디나비아 3국 연합은 해체됨.

4. 덴마크와의 연합(1523~1814)

◦ 덴마크 지배하의 노르웨이는 덴마크의 경제적 수탈과 정치적 탄압에 항거

하기도 하였으나 독립을 위한 투쟁은 모두 실패

※ 16세기초 오슬로의 Akershus성에서 덴마크의 경제적 수탈에 항거하여 일어난 Alvsson의 독립운동은 덴마크 군대에 의해 잔혹하게 진압됨.- 노르웨이의 유명한 극작가 입센(Ipsen)은 “At Akershus”라는 詩에서 Alvsson

의 죽음을 “노르웨이의 심장을 강타”한 사건으로 묘사◦ 덴마크의 지배는 노르웨이 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침

- 종교적인 측면에서 이전에 대다수가 가톨릭 신자였던 노르웨이는 덴마

크의 영향을 받아 종교개혁을 통해 신교도화

- 언어적인 측면에서 노르웨이 지배층의 대다수가 덴마크 귀족들로 구성

됨에 따라, 덴마크어의 영향을 받게 됨.◦ 노르웨이는 이전까지 주로 어업과 농업에 종사하였으나, 1700년대 부터

상업의 발달로 노르웨이 경제가 활기를 띄기 시작

Page 14: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14

- 목재와 생선을 주로 수출

- 수출입을 위한 상선단이 점차로 확대

5. 나폴레옹 전쟁후 독립 선포와 스웨덴과의 연합 형성(1814)

◦ 나폴레옹 전쟁시 노르웨이는 덴마크와 함께 나폴레옹 진영에 소속

◦ 나폴레옹 전쟁이 종료되는 시점인 1814년 스웨덴은 덴마크를 침공, 킬

(Kiel)에서 강화조약 체결

- 동 강화조약에는 덴마크는 스웨덴에 노르웨이를 양도

◦ 킬 강화조약에도 불구하고 노르웨이는 에이츠볼(Eidsvold)에서 독립을 선

포하고 당시 유럽에서 가장 진보적인 헌법을 채택(1814.5.17)- 이러한 노르웨이 독립 시도에 스웨덴의 칼 14세는 노르웨이를 전격 침

공하고, 노르웨이는 스웨덴과의 연합 수립을 인정하게 됨

- 스웨덴과의 연합은 이루어졌지만, 노르웨이는 1814.5월에 채택된 헌법

을 간직하게 되었으며, 헌법상으로는 독립국가가 됨.

6. 스웨덴과의 연합(1814~1905)과 연합의 분리

◦ 스웨덴과의 연합기간은 노르웨이에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변화의

시기

- 정치적으로는 다당제를 기본으로 하는 민주주의가 정착되고 경제적으

로는 산업사회로의 진전 및 상업선단의 급성장이 이루어짐.- 아울러, 1825년 미국으로의 첫 이민이 이루어진 후, 1910년까지 약 40

만명의 노르웨이인들이 북미 대륙으로 이주

◦ 노르웨이는 1814년 독립이 좌절된 이후, 지속적으로 연합내 평등권 획득

을 주장

- 1890년대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관계는 노르웨이가 독자적인 영사권을

주장하면서 악화됨.- 1901년 스웨덴과 노르웨이는 영사제도에 관하여 협상을 하였으나, 실

Page 15: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Ⅱ. 약사

15

패함.※ 스웨덴은 노르웨이가 스스로 영사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승인할 의사를 표명하

였으나, 이는 스웨덴 외무성의 감독을 받아야 한다는 부대조건을 전제로 한 것이었으므로, 노르웨이측이 이를 거부함.- 1905.6월 노르웨이 의회가 내각의 제안으로 독자적인 영사제도 수립을 결의하

자, 스웨덴왕은 이를 거부함.◦ 1905.9월, 독자적인 영사제도를 둘러싼 양국간의 갈등은 양국이 각기 육

군과 해군에 동원령을 내릴 정도로 심각한 양상으로 치닫는데, 결국 양국

대표들이 회합을 가진 칼스타드(Karlstad)에서 스웨덴은 노르웨이의 완전

한 독립과 연합의 분리를 승인

7. 1,2차 세계대전과 노르웨이

가. 제1차 세계대전 중의 노르웨이

◦ 1914.8월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노르웨이 등 스칸디나비아 3개국은

즉각 중립을 선포

- 노르웨이의 중립은 존중되었으며, 1차 대전의 직접적 피해를 겪지 않음.

나. 제2차 세계대전 중의 노르웨이

◦ 1차 세계대전 후 노르웨이는 복지국가 건설을 위한 정책을 실시

- 1935년 새로운 경제정책을 도입, 노르웨이 정부는 복지국가 건설을 목

표로 세금 징수를 늘리고 공공사업을 확대

◦ 1940년 2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노르웨이의 복지국가 건설 과정은 일시

중단

◦ 독일군은 1940.4월 덴마크를 점령하고 노르웨이의 일부지역을 점령

- 자체 군사력이 약했던 노르웨이는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이 철수하자

전 국토를 독일군에게 점령당함.- 이에 노르웨이 정부와 왕실은 영국으로 탈출, 망명 정부를 세우고 노르

웨이 상선단 대부분은 연합국의 관리하에 편입됨.

Page 16: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16

◦ 독일 점령기간중 점령군에 대한 저항운동이 계속되었으며, 35,000명의 노

르웨이인들이 집단수용소나 감옥에 수용

◦ 1945년 2차 세계대전이 종료된 후, 노르웨이는 국제연합(UN)에 창설 회

원국으로 참여하게 되고 1949년에는 전통적인 중립정책에서 친서방 정책

으로 전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가입

8. 주요 사건일지

◦ 1913 여성참정권 인정

◦ 1914~18 1차 세계대전시 중립 유지

◦ 1925 Svalbard 복속

◦ 1940~45 2차 세계대전(독일에 의해 점령) ◦ 1953 Nordic Council 발족에 참여

◦ 1957 King Olav V 즉위

◦ 1959 EFTA 창설국

◦ 1962 및 67 EC 가입신청

◦ 1972 국민투표에서 EC 가입 부결

◦ 1973 EC와 통상조약 체결

◦ 1991.1 King Harald V 즉위

◦ 1992.10 EEA 협정 비준(94.1 발효)◦ 1992.11 WEU 준회원 국가

◦ 1992.12 EU 가입 신청

◦ 1994.11 국민투표에서 EU 가입 부결(반대 52%, 찬성 48%)◦ 1999.3 Schengen 협정(회원국간 국경통제 철폐) 준회원 가입

◦ 2001.3 Schengen 협정 발효

◦ 2008.2 Svalbard 국제 씨앗 저장고

◦ 2010.4 놀-러 바렌츠해 및 북극해에서의 해양 경계 확정 및 협력

협정 채택(2011.7 발효)◦ 2011.7 오슬로 정부청사 차량 폭탄 및 Utøya 총격 난사 사건 발생

Page 17: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Ⅲ. 정 치

Page 18: 2012.8월 노르웨이개황
Page 19: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Ⅲ. 정치

19

1. 정치제도

가. 개 요

◦ 1905년 평화적인 방법으로 스웨덴에서 분리 독립, 덴마크의 왕자였던

Carl을 국왕(Haakon VII)으로 추대한 이후 입헌군주제 유지

※ 노르웨이는 1814.5월 나폴레옹 전쟁후 최초로 헌법을 제정, 헌법상 독립을 이룸. 1814~1905간 스웨덴과 연합을 형성

◦ 노르웨이 헌법은 1814.5월 제정된 이래, 수차례 개정되었으며, 입헌군주제

하의 내각책임제를 근간으로 하는 정치체제

※ 현행 제도적 관행은 영국과 유사

나. 국왕

◦ 헌법상 국왕은 교회의 수장이며, 총리 및 각료 임명권, 법률거부권, 국군

통수권을 보유하나, 형식적임.◦ 현 국왕 : 하랄드 5세 (King Harald V)(91.1.21 즉위)

- 손야 왕비(Queen Sonja), 호콘 왕세자(Crown Prince Haakon), 메테-마릿 왕세자비(Crown Princess Mette-Marit), 루이즈 공주(Prince Märtha Louise)

◦ 노르웨이 왕실은 국가통합의 상징으로, 국민들로부터 폭넓은 인기를 향유

다. 행정부

◦ 총리실을 비롯하여 총 18개 部, 18명의 장관(외교부의 경우 장관 2명)으로

구성

◦ 내각은 총리와 각료로 구성되며, 총리는 의회 동의하에 형식상 국왕이 임명

◦ 2005년 총선 이래 노동당, 중앙당, 사회주의좌파당 연합 중도좌파정권이

집권중

- 총리 : 옌스 스톨텐베르그(Jens Stoltenberg)

Page 20: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20

※ 행정부 현황부처 장관(소속 정당)

외교부 Jonas Gahr Støre(외교장관, 노동당), Heikki Holmås(국제개발장관, 사회주의좌파당)

재정부 Sigbjørn Johnsen(노동당)국방부 Espen Barth Eide(노동당)교육․연구부 Kristin Halvorsen(사회주의좌파당)노동부 Hanne Bjurstrøm(노동당) 아동․평등․사회통합부 Inga Marte Thorkildsen(사회주의좌파당)수산․연안부 Lisbeth Berg-Hansen(노동당)행정․개혁․교회부 Rigmor Aasrud(노동당)보건복지부 Anne-Grete Strøm-Erichsen(노동당)법무․치안부 Grete Faremo(노동당)지방자치․지역발전부 Liv Signe Navarsete(중앙당)문화부 Anniken Huitfeldt(노동당) 농업식품부 Lars Peder Brekk(중앙당)환경부 Bård Vegard Solhjell(사회주의좌파당)통상산업부 Trond Giske(노동당)석유․에너지부 Ola Borten Moe(중앙당)교통통신부 Magnhild Meltveit Kleppa(중앙당)

※ 지방제도- 총429개(2012.1.1현재)의 지방자치체(municipality)가 법률의 범위내에서, 과세, 사회복

지 정책 등에 있어 자치권을 보유- 오슬로가 가장 인구가 많은 지방자치체(599,250명)로, 지방자치체의 인구는 평균

11,500명 이하임.

라. 입법부

(1) 개요◦ 1814년 이래 노르웨이 의회(Storting)는 양원제로 운영되었으나(전체

의원의 1/4은 상원인 Lagting에, 3/4은 하원인 Odelsting에 소속), 2009.10월 양원제 시스템을 공식적으로 폐지

◦ 의회는 19개 州(County)에서 선출되는 총 169명의 의원(임기 : 4년)

Page 21: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Ⅲ. 정치

21

으로 구성

- 지역・비례대표제를 채택, 선거구별로 크기 및 인구수에 따라 일정수

(4~15명) 선출

- 의회 해산에 관한 규정이 없음.- 차기 총선 : 2013.9월※ 1920년대부터 약 반세기 동안 150명이었으나, 1973년 155명, 1984년 157명,

1989년 165명, 2003년 169명으로 각각 증가◦ 의회내 정당은 크게 사회주의, 중도, 우파계열로 구분 가능

- 사회주의 계열 : 노동당, 사회주의 좌파당

- 중도 계열 : 기독민주당, 중앙당, 자유당

- 우파 계열 : 보수당, 진보당

(2) 선거제도◦ 총선은 4년마다 실시되며, 지방선거도 4년마다 총선 중간에 실시되어

2년마다 전국적인 선거 실시

◦ 선거권 및 피선거권 연령은 18세- 1898년에 도입된 보통선거권은 남성에게만 주어졌으며, 1913년부

터는 여성에게도 부여

◦ 보궐선거(by-election)가 없으며, 의원의 사망, 병, 기타 이유로 궐석

시 해당 정당의 비례대표 리스트 순위에 따라 승계

◦ 헌법상 규정은 없으나 특별한 정치적 문제는 직접 국민투표에 회부하는

것이 관례

- 1905년의 政体문제, 양차 세계대전 중의 禁酒문제, 1972년의 EC 가입문제, 1994년의 EU 가입문제 등

(3) 운영◦ 상임위원회를 중심으로 운영

◦ 내각 또는 의원에 의해 발안된 법률안은 먼저 상임위원회에 제출된 후

전체회의에서 first reading, second reading(경우에 따라 third reading)을 거쳐 법률안이 채택됨.※ first reading, second reading 은 2/3 다수결, third reading은 1/2 다수결 표결

Page 22: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22

(4) 정당별 의석 분포 현황(2009.9월 총선결과)구 분 정당명(대표) 의석수

사회주의계열 노동당(Yens Stoltenberg) 64석사회주의좌파당(Audun Lysbakken) 11석

중도계열 기독민주당(Knut Arild Hareide) 10석중앙당(Liv Signe Navarsete) 11석자유당(Trine Skei Grande) 2석

우파계열 보수당(Erna Solberg) 30석진보당(Siv Jensen) 41석

계 169석※ 여성의원수 : 총66명(전체의 39%)

(5) 의장단(2012.5월 현재)◦ 의장 : Dag Terje Andersen (노동당)◦ 부의장

- Øyvind Korsberg (진보당)- Per-Kristian Foss (보수당)- Marit Nybakk (여, 노동당)- Akhtar Chaudry (사회주의좌파당)- Dagfinn Høybråten (기독민주당)

(6) 상임위원회(12개)위원회 위원장(소속 정당)

상공위원회 Terje Aasland(노동당)교육․연구․교회위원회 Marianne Aasen(노동당)에너지․환경위원회 Erling Sande(중앙당)가족․문화위원회 Gunn Karin Gjul(노동당)재정․경제위원회 Torgeir Micaelsen(노동당)외교․국방위원회 Ine M. Eriksen Søreide(보수당)보건․복지위원회 Bent Høie(보수당)법사위원회 Per Sandberg(진보당)노동․사회위원회 Robert Erikkson(진보당)지방자치․행정위원회 Heikki Holmås(사회주의좌파당) 감사․헌법위원회 Anders Anundsen(진보당)교통․통신위원회 Knut Arild Hareide(기독민주당)

Page 23: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Ⅲ. 정치

23

(7) 주요 정당(가) 노동당(Labour Party)

◦ 1887년 창당, 1930년이래 최대당을 유지하면서, 온건한 현실주의적

인 사회주의사회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타국의 사회당과 긴밀

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당수 : Jens Stoltenberg(2005년 이래)

(나) 보수당(Conservative Party)◦ 1885년 창당, 온건한 진보적 보수주의를 옹호하는 당의 주요 목표

는 경제성장 및 온건한 국가재정의 유지이며, 민주적 정부, 개인의

소유권, 개인의 창의와 자유를 내세움.◦ 당수 : Erna Solberg(여, 2004년 이래)

(다) 중앙당(Centre Party)◦ 1920년 농민당으로 창당, 1959년 당명 개칭, 민주적 정부와 법과

질서를 옹호하고 모든 전복활동에 대해 국가와 사회를 방어하고

행정기구 축소정책을 목표로 함. ◦ 당수 : Liv Signe Navarsete(여, 2008년 이래)

(라) 기독민주당(Christian Democratic Party)◦ 1933년 창당, 기독교적 가치에 입각하여 민주적 정책을 추진함을

목표로 함.◦ 당수 : Knut Arild Hareide(2011년 이래)

(마) 자유당(Liberal Party)◦ 1884년 창당, 경제・사회・문화 등을 점차적으로 개혁함으로써 국가

와 민족의 발전을 추진함을 목표로 함.◦ 당수 : Trine Skei Grande(여, 2010년 이래)

(바) 사회주의 좌파당(Socialist Left Party)◦ 1975년 창당, 1973년 선거에서 사회인민당, 공산당, 사민당의 연합

Page 24: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24

세력이 1975년 사회주의 좌파당으로 개편됨. 공산당은 별도로 활동

하고 있음.◦ 당수 : Audun Lysbakken(2012.3 선출)

(사) 진보당(Progress Party)◦ 1973년 창당, 1989년 및 1997년 총선에서 급신장한 가장 우파적인

정당임.◦ 당수 : Siv Jensen(여, 2006년 이래)

※ 정당지지도(2012.4월)- 노동당(30.6%), 보수당(29.6%), 중앙당(4.9%), 기독민주당(5.0%), 자유당

(5.4%), 사회주의좌파당(4.9%), 진보당(16.7%)

(8) 옴부즈맨 제도◦ 노르웨이 의회는 총선이 치러진 다음해 1.1부터 4년 임기로 의회옴부

즈맨(Parliamentary Ombudsman)을 임명(現 옴부즈맨은 Arne Fliflet)- 옴부즈맨은 변호사 자격을 갖춘 사람으로 의원일 필요는 없음.

* 現 의회옴부즈맨인 Arne Fliflet은 1990년에 최초로 임명, 2009년 총선 후 5번째로 재임명됨.

* 옴부즈맨 제도는 1809년 스웨덴에서 유래◦ 동 제도의 취지는 개인이 정부(국가, 주, 시정부)의 부당한 행위로 고

통받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

- 옴부즈맨은 정부와 개인사이에서 독립적이고 공정한 중재인으로서

그의 판정은 명령이 아닌 권고임.◦ 옴부즈맨은 제출된 불만사항을 검토하고 성명을 발표하는데, 만약 정부

의 행위가 위법이거나 명백히 부당하다고 옴부즈맨이 판정할 경우, 해당 관청이나 관료는 해당건을 재고하고 일반적으로 옴부즈맨의 권고를

따르게 됨.◦ 1962년 옴부즈맨법은 옴부즈맨이 의회에 매년 보고서를 제출토록 하고

있음.- 결과적으로 옴부즈맨은 의회의 감시 기능을 보조하는 역할 수행

Page 25: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Ⅲ. 정치

25

◦ 노르웨이는 이외에도 군인 또는 공익근무요원을 위한 옴부즈맨 제도도

운영중

마. 사법부

◦ 사법부는 대법원(Høyesterett), 고등법원, 지방법원으로 구성

- 대법원은 대법원장과 17명의 대법관으로 구성

※ 대법관은 종신제이며, 내각의 권고에 따라 국왕이 임명- 개별 사건 심의시, 법원은 5명의 대법관으로 구성되며, 이들 5명중 1명

이 위원장 역할 수행

◦ 고등법원

- 소송 절차 개정에 따라 고등법원은 항소법원으로의 역할만 담당

- 법률 적용 및 소송 절차, 판결 등에 하자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항소

가능

- 통상적인 항소심의 경우, 3인의 법관과 4명의 법률비전문가(lay people)로 구성되는 법원이 심의하며, 징역 6년이상의 중대한 범죄의

항소심의 경우, 3인의 법관과 10인의 법률비전문가로 구성되는 법원이

심의

◦ 지방법원

- 민사 및 형사사건의 제1심 법원

- 통상적인 경우, 1인의 법관과 2인의 법률비전문가로 구성되는 법원이

심의하며, 중대한 형사사건의 경우, 2인의 법관과 3인의 법률비전문가

로 구성되는 법원이 심의

- 민사사건의 경우, 통상 1인의 법관이 심의하나, 일방 당사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3인의 법관으로 구성되는 법원이 심의할 수 있음.・ 3인의 법관으로 법원이 구성되는 경우, 일방 당사자의 요청이 있으

며, 4인의 법률비전문가가 심의에 참여할 수 있음.※ 소송 절차 개정(1995.8)

- 징역 6년 이상의 중대한 형사사건은 고등법원이 제1심 법원이 되도록 하였던 규정을 개정, 모든 형사사건은 지방법원에서 제1심을 담당・ 소송 절차 개정에 따라, 고등법원은 지방법원에서 항소된 사건만을 심의

Page 26: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26

2. 정치정세

가. 개 요

◦ 노르웨이는 입헌군주국으로서 내각책임제 정부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제도

적 관행상 영국과 유사한 정치체제

◦ 비례대표제도로 인해 군소정당이 난립하고는 있으나, 사회주의계와 비사회

주의계(보수계)로 구분, 비교적 안정적으로 정국 운영

◦ 2차대전후 국내정치의 주안점은 경제정책이었는 바, 사회주의계와 비사회

주의계간에 사유재산권의 범위, 공업화 및 도시화에 따른 장단점이 주요

논쟁대상이 되었고, 특히 1960년대에는 북해에서 원유와 가스가 발견됨에

따라 개발을 둘러싼 국가의 역할문제가 큰 논란거리를 형성

◦ 세금, 사회보장문제, 북해유전문제 등 경제문제 이외에 교육문제, 노인복

지, 의료개혁, 환경, 대NATO 정책, EU 가입문제 등이 오랜 정치 쟁점

나. 최근 정치정세(1981년 이후)

(1) 보수계 집권(1981.10~1986.5)◦ 1981.9.13 총선거에서 1945년 이래 장기집권(1963~73기간 제외) 해

온 노동당이 실각하고, Kaare Willoch의 보수당 단독 소수정부가 성립, 기민당, 중앙당의 협조를 받아 안정적으로 정국 주도

◦ 1981년 총선직후부터 연정구성이 거론되기도 하였으나, 정책이견으로

성립되어 오지 못하다가 1983.6 Willoch 보수당수를 총리로 하는 보수

당, 기민당, 중앙당 연정이 구성, 총의석 155석중 79석을 확보, 안정세

력을 이룩하였음.◦ 1985.9월 실시된 총선거에서 Willoch 총리가 이끄는 중도우익 연합(보

수, 기민, 중앙)이 사회주의계 야당(노동, 사회주의좌파)의 강한 도전

을 물리치고 신승, 재집권함. 이는 집권 4년 동안 국제경기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완만한 경제성장, 인플레 진정, 실업률 감소, 공공지출 감축

Page 27: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Ⅲ. 정치

27

등 성공적 경제 치적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남성 및 청소년층을 기반

으로 한 보수계 정당의 인기가 꾸준히 유지된 데 기인하였음.◦ 그러나, 총의석 157석 중 중도 우익 연합이 78석으로 사회주의계 77석

에 비해 1석이 많은 상태로 보수계, 진보당 2석의 향배 여하에 따라서

는 집권당의 의회내 과반수 의석이 위협을 받게 되는 불안정 요인을

안고 있었음.◦ 중도우익 연정은 1985.12 예산안 채택 과정에서 진보당의 협조로 1차

의회 신임을 받았음.

(2) 노동당 집권(1986.5~1989.10)◦ 중도우파 정부는 1986년초 유가급락에 따른 세수보전을 위해 유류 등

소비성 물품에 대한 세율인상과 각종 보조금 감축등 예산지출 삭감 등

을 내용으로 하는 긴축예산 및 생필품 세율인상안을 의회에 제출하였

으나, 정부안이 79:78로 부결(진보당이 야당에 합세)됨에 따라, 퇴진하

고 브룬트란트(Brundtland)를 총리로 하는 노동당 소수 내각이 발족

◦ 노동당 정부는 경제 회복책으로 소비억제, 내핍 재정정책 추구, 크로나

평가절하 조치 등 세부시책을 마련, 소득의 공정한 재분배 및 공공지출

억제를 강조하고, 대외정책으로서 기존 외교 정책에 입각, 동서간 긴장

완화, 군축, 원자력 국제안전장치 수립, 북구 비핵지대화 추구, 유가안

정을 위한 OPEC과의 협력 계획을 천명

◦ 노동당 정부의 경제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1986년이래 지속적 국내수

요 감소, 경제성장 둔화, 경기침체와 실업증가 등에 따라 장래에 대한

불안감이 사회전반에 파급되어 노동당 정부에 대한 지지도가 현저히

하락

(3) 보수계 재집권(1989.10~1990.11)◦ 1989.9.11 실시된 총선에서 양대 정당인 노동당과 보수당이 예상외로

참패하고 극우(진보당), 극좌(사회주의 좌파당) 성향의 정당이 압승하

였음. 이러한 현상은 경제난국이 과격한 정책전환이 없는 한 해결이 어

렵다는 일반의 심각한 우려를 반영

Page 28: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28

◦ 1989년 총선 결과 노동당 정부가 퇴진하고 Syse 보수당 당수가 이끄는

비사회주의 계열 3당(보수당, 기민당, 중앙당)의 연립 정부가 1989.10.13 출범

◦ 그러나 Syse 내각은 노르웨이의 EC 가입(EEA 협상 포함) 문제를 둘

러싸고 연립정부 파트너간의 심각한 대립상태(보수당은 가입을 찬성한

반면, 중앙당은 절대 반대 입장)에 빠진데다 총리의 개인적 인기도 없

어 출범 1년만에 붕괴

(4) 노동당 재집권(1990.11~1997.9)◦ 이에 따라 Brundtland 노동당 당수를 총리로 하는 노동당 단독 정부가

1990.11.3 구성되었음. Brundtland는 3번째로 노동당 정부를 이끄는

거물로서 노동당은 중앙당 및 사회주의 좌파당과 사안에 따라 연합하

여 소수정부를 유지

◦ Brundtland 정부는 EEA 협상과정에서 EC 가입문제를 둘러싼 여론의

양극화에 다시 봉착, 국민다수의 반대여론에도 불구하고 이를 강행, 의회에서 1992.10월 EEA 협정을 비준하였으며, 1992.11월 의회는 EC 가입신청을 가결하였음.

◦ 노동당 정부는 계속되는 실업과 EC 가입문제로 지지도가 집권 초기에

비해 현저히 하락하였으나, 1993.9월 의회 의원 총선에서 1989년 총선

시 지지율 34.3%보다 증가한 약 37%의 지지율을 얻음으로써 의회에

서 각 사안별로 각 정당과의 연합을 통해 보다 안정된 정부를 유지

◦ 1994.11 EC 가입에 관한 국민투표에서 찬성 47.6%, 반대 52.4%로

EC 가입안이 부결됨. Brundtland 총리는 96.10.23 의회에서 총리직 사

임의사를 전격적으로 밝히고 1992년 후계자로 지목했던 Jagland 노동

당 당수에게 총리직을 인계하였음.

(5) 중도연립정부(1997.10~2000.3)◦ 1997.9월 총선에서 노동당은 의회 165석중 65석을 얻어(1993년 선거

시 67석) 최대당의 위치는 유지하였으나, Jagland 총리의 선거 공약에

따라 (1997년에는 35% 득표) 총리직을 사임함.

Page 29: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Ⅲ. 정치

29

※ Jagland 총리는 노동당이 97년 총선에서 93년 총선 득표율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사임할 것을 공약- 노동당 득표율 : 93년 36.9%, 97년 35%

◦ 이에 따라 Bondevik 기독민주당 당수가 개인적인 인기를 배경으로 자

유당 및 중앙당과 소수 중도연립정부 수립. 동 연립정부는 의회에서 총

42석(기민당 25석, 중앙당 11석, 자유당 6석)의 의석밖에 없어 법안

또는 예산안 통과를 위해 의원들의 개별적인 지지를 얻거나 좌파 또는

우파정당과의 협의를 통해 국정을 운영하였음.

(6) 노동당 소수 정부(2000.3~2001.10)◦ 노동당내 일부의원들은 의회 최대의석을 보유하면서 Jagland 전 총리의

선거 공약에 의해 집권을 하지 못하고 있는데 대해 불만이 있었음. 이에 Jagland 당수는 2000.2월 Stoltenberg 부당수를 총리후보로 결정하

여 노동당의 재집권 태세를 갖추도록 하였음. 이후 노동당은 의회에서

보수당과 연합, 가스화력 발전소 건립문제를 둘러싸고 중도연립 정부를

압박하였으며, 환경보호를 이유로 가스화력발전소 건립에 반대한

Bondevik 총리는 3.9 정부안이 81:91로 부결(보수당, 진보당이 노동당

에 합세)되자 총리직을 사임하였음.◦ 2000.3월 출범한 Stoltenberg 총리가 이끄는 노동당 소수단독 정부(전

체 165석중 65석 점유)는 경제과열 억제를 위한 균형예산 편성, Statoil 및 Telenor를 국영기업의 사유화 추진 등을 통해 정권 재창출

을 도모하였으나, 당내 권력의 이원화, 국민적 인기가 없는 EU 가입

추진, VAT 인상 등을 추진함으로써, 2001.9월 총선에서 1920년이래

최악 득표율(24.3%)을 기록하는 참패를 하였음.

(7) 중도우파 연립 정부(2001.10~2005.9) ◦ 한편, 총선에서 약진을 한 보수당(21.2%)은 중도파인 기독민주당

(12.4%) 및 자유당(3.9%)과 연정을 구성하고, 기독민주당의 Bondevik 전총리를 총리로 추대하여, 2001.10.19 노동당으로 부터 정권을 이양

받았음.◦ 보수당과 연립한 중도 2당이 조세, EU가입 등에 있어 상이한 정책을

Page 30: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30

추진하고 있고, 극우파인 진보당의 지지를 받아야만 의회 과반수를 확

보할 수 있는 매우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었음.

(8) 중도좌파 연립 정부(2005.9~현재)◦ 2005.9월 총선에서 노동당이 사회주의좌파당 및 중앙당과 연합(적녹연

합)을 구성, 우파연정을 제치고 다수의석을 차지, 노동당으로서는 2차대전 이후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 최초로 구성한 연정으로 노동당 Yens Stoltenberg 총리와 실용적인 성향의 前사회주의좌파당 대표 Kristin Halvorsen의 좋은 관계가 연정 구성을 가능하게 했다는 평가가 있음.

◦ 2009.9월 총선에서 재집권(총 169석 중 86석), 노동당은 2005년에 비

해 3석을 더 얻은데 비해, 사회주의좌파당은 4석을 잃음.◦ 2011.7.22 노르웨이 사회를 뒤흔든 정부청사 및 청년 노동당원에 대한

극우 테러사건에 대해 극단주의 지양, 민주주의와 포용이라는 기치하에

단합함으로써 정치적 안정 유지

◦ 2013.9월 총선시 현재의 노동당 주도 연정이 재집권할지, 정권교체가

이루어질지는 예측하기 어려우나, 주재국의 양대 주요정당인 노동당과

보수당의 중도적 성향에 따라 총선 결과 여부와 관계없이 정치적 안정

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

Page 31: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Ⅲ. 정치

31

다. 1935년이래 조각현황

기 간 내 각 구 성 총 리1935-1965 노동당1965-1971 보수당, 기민당, 중앙당, 자유당 (중앙당) Per Borten

1971.3-1972.9 노동당 Trygve Bratteli1972.9-1973.10 중앙당, 자유당, 기민당 (기민당) Lars Korvald1973.10-1978.1 노동당 Trygve Bratteli1978.1-1981.2 노동당 Odvar Nordli1981.2-1981.10 노동당 Gro Harlem Brundtland(여)1981.10-1983.6 보수당 Kaare Willoch1983.6-1985.9 보수당, 기민당, 중앙당 (보수당) Kaare Willoch1985.9-1986.5 보수당, 기민당, 중앙당 (보수당) Kaare Willoch1986.5-1989.10 노동당 Gro Harlem Brundtland(여)1989.10-1990.11 보수당, 기민당, 중앙당 (보수당) Jan P. Syse1990.11-1996.10 노동당 Gro Harlem Brundtland(여)1996.10-1997.10 노동당 Thorbjoern Jagland1997.10-2000.3 기민당, 중앙당, 자유당 (기민당)Kjell Magne Bondevik2000.3-2001.10 노동당 Jens Stoltenberg2001.10-2005.9 보수당, 기민당, 자유당 (기민당)Kjell Magne Bondevik

2005.9-현재 노동당, 중앙당, 사회주의좌파당 (노동당)Jens Stoltenberg

Page 32: 2012.8월 노르웨이개황
Page 33: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Ⅳ. 외 교

Page 34: 2012.8월 노르웨이개황
Page 35: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Ⅳ. 외교

35

1. 기본외교정책

가. 개 요

◦ 노르웨이 외교정책은 노르웨이의 지리적 위치, 역사, 경제적 이해관계를

근간으로 결정

- 지리적으로, 유럽의 외곽지역에 위치하고 러시아와 접경하고 있어, 인접 강대국인 러시아와의 선린관계 유지를 전통적으로 중요시

- 역사적으로, 노르웨이는 스웨덴, 덴마크와 연합을 형성한 바 있으며, 비교적 최근인 1905년에야 독립을 쟁취.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노르웨

이의 친서방 안보정책 및 EU 불가입 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침.- 경제적으로, 노르웨이는 對EU회원국 의존도가 높으며, EU 회원국이

아님에도 불구, EU와의 협력을 중요시

※ 2011년 노르웨이 수출의 63.3%, 수입의 65%를 EU와의 교역이 차지◦ 개발도상국 원조 및 UN 등 국제기구에서의 개도국 지원 사업에 적극 참여

- 매년 GNI의 약 1%를 개도국 개발에 지원

2. 안보정책

가. 기본 목표

◦ 자국 및 주변지역에서의 전쟁방지, 주권과 자유의 옹호 및 사회 발전의 보

장, 세계평화에 대한 공헌을 안보 정책의 기본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안보국방정책은 NATO를 기본 축으로 하고 있음.

나. 안보문제

◦ 노르웨이는 러시아의 최서단에 접경하는 국가로서, 특히 북부연안 및 영토

의 경제적, 전략적 가치가 증대함에 따라 동 지역의 효과적인 방어가 전통

적인 안보상 과제

- 노르웨이는 미국 중심부와 러시아 중심부를 연결하는 최단 항로상에

위치하며, 노르웨이 북부국경으로부터 100㎞ 미만에 위치한 Kola 반도

Page 36: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36

는 러시아의 군사 요충지역임.

다. 외국 군사기지에 관한 정책

◦ 자국이 공격을 받거나 공격의 위협을 받지 않는 한 영토내에 외국군사기

지 설치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기본 방침을 취하나, 유사시에 한하여

NATO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도록 하는 한편, NATO 회원국가의 군사원

조, 우방국 군대 사용을 위한 중장비 사전 비축, 자국 영내에서 합동 군사

연습을 허용하고 있음. ◦ 1979년 소련의 아프간 침공 사태 이후 대소련 견제를 위해 1980.3.27 유

사시 파견될 미군 병력이 노르웨이의 항만, 공항, 철도 및 통신시설을 이

용하는 절차를 규정한 “미・노르웨이간 병참지원에 관한 협정”을 체결하였

으며, 1981.1.16 유사시 사용할 미군의 전략물자를 노르웨이 영내에 사전

비축하기로 합의하는 “US・Norway Agreement on Military Reinforcements”를 체결함.

라. 핵무기에 관한 정책

◦ 1961년 국방백서에서 노르웨이 영토내에 핵무기 비축을 허용하지 않는다

는 정책을 채택, 시행하고 있음.- Halden 및 Kjell에 연구용 목적의 핵원자로 보유

◦ 러시아 및 구소련 지역에 산재해 있는 핵무기 및 핵물질의 제거 및 안전

한 관리를 위한 지역협력 및 IAEA 강화를 중요시함.※ 2011.12.29 러시아 무르만스크 지역 핵잠수함 화재사건으로 핵안전에 대한 우려 제기

3. 북극정책

◦ Stoltenberg 총리는 2005년 집권 이후 북극을 경제 및 안보면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역으로 판단, 북극지역의 자원개발, 환경보전, 조사

연구 등 북극정책(High North Policy)을 최우선의 정책으로 추진

◦ Støre 외교장관은 2011.11월 노르웨이 최초의 북극정책 백서를 발표, 북

Page 37: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Ⅳ. 외교

37

극정책은 대외정책과 국내정책이 결합된 정책으로서, 모든 정부부처의 참

여 및 민·관의 협력을 포함하며, 향후 몇 년간이 아니라 한 세대 차원에서

장기적인 안목으로 추진해야 할 국가정책이라고 강조

- 북극정책의 목표를 1)북극지역에서 평화와 안정, 예측가능성의 확보, 2)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 및 이용에 기초를 둔 통합 에코시스템의 확

보, 3)국제협력 및 국제법질서의 강화, 4)고용, 가치창출 및 복지 토대

의 강화라고 하면서, 북극 정책의 추진에 있어서 7가지 중점 분야를 발

표함.◦ 북극이사회(Arctic Council)의 회원국으로서, 2011년 제7차 각료회의시

노르웨이 트롬소에 북극이사회 상설사무국 설치가 결정됨.※ 우리나라는 2008년 노르웨이가 의장국 수임 임시 옵저버 지위를 획득

- 노르웨이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다른 나라의 옵저버 참여를 환영하는 입장

4. 대 EU 정책

◦ 서유럽 국가들과의 협력관계 강화는 노르웨이 대외정책의 지주의 하나임. 노르웨이의 EC 가입안 및 EU 가입안이 각각 1972년 및 1994년 국민투

표에서 부결되기는 하였으나, 이는 EU와의 협력강화의 형태 즉, 방법론에

대한 국민들간의 상반된 견해에서 나온 결과라고 해석됨. 특히 국가주권의

국제기구에의 이양반대라는 정치적 이유와 어업자원 등 부존자원 관련 주

권 제약에 대한 국민적 우려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EU 가입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EEA 협정

(92.10)을 통해 EU와의 협력증진을 모색하고 있음. ※ EU 가입에 대해서는 전통적으로 노동당 및 보수당은 찬성 입장을 취한 반면, 농어민을

기반으로 하는 중앙당과 극좌계열인 사회주의 좌파당은 반대하였으나, 유럽 경제위기의 영향으로 현재 EU 가입 찬성 비율이 20% 이하로 떨어진 상태

◦ EEA Review Committee의 지난 20여년간 EEA가 노르웨이의 경제·사회

전반에 미친 영향에 대한 정부위탁 연구보고서(2012.1)에 따르면, 노르웨

이는 75%의 EU regulation을 수용하였으며, EEA 발효후 노르웨이 경제

는 60% 성장, 고용은 25% 증가한 것으로 평가

- 2012년 가을에 국회에 백서(white paper) 제출 예정

Page 38: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38

◦ 노르웨이와 EU간의 경제분야 상호의존관계는 밀접하며, 특히 원유, 천연

가스, 해운분야에서의 의존도가 큼. - EU는 노르웨이 수출입의 약 2/3를 점하는 최대 교역상대임.- 따라서, 유럽 경제위기가 지속될 경우, 노르웨이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증가

※ 노르웨이 정부는 2011.12월 IMF의 유럽경제위기 해결을 위한 프로그램에 의회승인을 전제로 550억NOK(약92.7억 USD) 추가기여를 제안

◦ 노르웨이는 또한 유럽협력의 일환으로 유럽원자력연구센타(CERN), 유럽

분자생물실험실(EMBL), 유럽과학기술연구협력(COST), 유럽우주국(ESA), 유럽공동기술개발기구(EUREKA) 등에 가입하고 있음.

◦ 새로 EU에 가입한 발틱(Baltic)(2004) 및 중유럽(2007) 10개국에 2004년부터 EEA-Norway grant 지원(1.79 billion EUR(2009~2014))

5. 대러시아 정책

◦ 러시아에 대하여 안보, 정치외교 차원에서는 항시 경계하면서도 경제통상

및 환경면에서 협력관계를 유지하여 연례 어업회담 개최, 간헐적인 인사

교환 방문, 문화교류 추진 등 양면정책을 취하여 왔음. 그러나 구소련의

해체와 국제분위기의 변화로 러시아와 우호관계 유지의 필요성을 인식, 정치, 경제, 문화면에서 긴밀화를 추구하고 있음.- 1998년초 주노르웨이 러시아 외교관이 첩자를 고용하였다는 이유로 외

교관 맞추방 사건이 발생하였으나, 이후 양국관계가 개선되었고, 2000.8월 바렌츠해에서의 러시아 Kursk 잠수함 침몰시 노르웨이가 구

조작업에 적극 협조함에 따라 관계가 호전됨. ◦ 대륙붕 경계 설정 문제

- 양국간 40년간 최대 외교현안이었던 「바렌츠해 및 북극해 경계획정

및 협력 협정」이 2010.9.15 서명, 2011.7.7 발효됨으로써 양국관계의

전기 마련

- 향후 바렌츠해 자원개발이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

※ 노르웨이는 바렌츠해 노르웨이 경계내 자원개발을 위한 지질조사를 2011년 여름에 개시하였으며, 노르웨이의 기존 북해 가스 파이프라인을 바렌츠해까지 확장할 것인

Page 39: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Ⅳ. 외교

39

지 여부가 정부, Statoil 및 Gassco에서 검토 중◦ Svalbard 군도문제

- Svalbard 군도는 1920년 스발바르조약에 의해 노르웨이 주권에 속하게

되었으며, 계약당사국의 균등한 경제적 이익이 보호되나 군사목적 사용

이 금지됨으로써 동 군도는 노르웨이 북부지역의 정치적, 전략적 현실

을 바탕으로 특별한 지위를 부여받게 되었음.- 과거 10~15년간 많은 변화로 인하여 동 군도에서의 활동이 보다 구체

적으로 규정되어야 하나, 러시아의 반대에 부딪치고 있음.- 노르웨이는 러시아가 Svalbard 및 북부지역에서의 노르웨이의 행동을

제한하여 현실적으로 양국 공동관리(condominium) 하에 두려고 한다

고 판단, 이를 반대하고 있음.◦ 환경문제

- 러시아 북해 함대에 의한 해양오염 문제가 양국간 현안

※ 1996년 노르웨이의 환경보호단체인 벨로나 재단(The Bellona Foundation)은 러시아 해군 장교출신인 니키틴(Aleksandr Nikitin)이 작성한 보고서 “Sources of radioactive contamination: The Russian Northern Fleet”를 발표- 보고서를 작성한 니키틴은 국가기밀을 유포한 혐의가 인정되어 반역죄로 러시

아에서 복역하다가 석방됨.

6. 개발도상국 원조정책

◦ 매년 GNI의 약 1%를 후진국 개발을 위해 지원(2011년 49억 USD)- 2011년 OECD 회원국내 ODA/GNI비율(공적개발원조가 GNI에서 차지

하는 비중)이 1.00%(2010년 1.10%)로 스웨덴에 이어 2위◦ 원조 계획은 노르웨이 대외정책상 영향력 확대보다는 주로 인도적인 견지

에서 수립하여 실시함. ◦ 원조형태는 주로 UNDP, UNICEF, UN Habitat 등 유엔기구를 통한 다자

간 지원형태로 균등하게 시행되며, 원조사업은 외무부 산하 노르웨이개발

청(NORAD)에 의해 집행됨.※ 2011년 對탄자니아 ODA 지원금 관련 부패 스캔들 등으로 인해 ODA 관리 및 평가 개

Page 40: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40

선이 중요 이슈로 논의됨.◦ 2012.5월 Holmås 국제개발장관은 노르웨이 정부의 3대 개발정책분야를

Green Electricity to All(UN과 “Energy+” 프로젝트 시행 중), 성과에 기

반한 포용적 개발정책, Gender Equality라고 언급함.

7. 해양정책

◦ 노르웨이는 해양국가로서의 역사적 특성과 1960년대 북해에서의 석유발굴

에 따라 해양자원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음.◦ 대륙붕 범위에 관해서는 1963년 결정되었는 바, 개발능력에 의거하여 개발

한다는 원칙을 정하고 있으며, 해저(Seabed)의 자연자원개발 및 연구에

관한 배타적 권한을 보유하며, 대륙붕 경계선은 국가간 협의에 의하여

결정됨.◦ 1977.1.2 200해리(대륙붕이 200해리 초과시 확장 가능) 경제수역을 선포

하여 동 수역내 자연자원(생물 및 광물자원)에 대한 권리를 확보하고 있음.◦ 북해, Barents해, Svalbard 군도에서의 경제적, 전략적 가치 증대는 인접

국 특히 러시아와의 관계에 미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

8. 동북아 정세관

◦ 중국의 개방정책과 러시아의 민주화로 동북아 정세는 과거 대립관계에서

협력관계로 전환되고 있다고 보고 있음. ◦ 한반도에서의 전쟁 재발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 이러한

평가는 북한이 중국, 러시아의 동의나 지원 없이는 단독으로 전면적인 전

쟁을 수행할 능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북한의 경제적 어려움으로 북한이

전쟁을 도발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라고 판단하는데 기인함. 그러나

북한이 스스로 문호를 개방하지 않는 한 자포자기적 상황에서 군사적 도

발을 감행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음.

Page 41: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Ⅳ. 외교

41

◦ 일본의 경제력, 중국 경제의 잠재력, 한국 및 동남아 신흥 개도국의 부상

현상 등이 태평양시대의 개막을 의미하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에 대하여는 방대한 경제시장으로 인식하고 자원개발 협력 내지는 기

술수출을 위해 정부차원의 적극적 지원을 실시하고 있음.◦ ASEM 등 EU와 아시아간의 협력이 늘어나는 가운데, EU 비회원국인 노

르웨이는 아시아 각국과의 양자관계 증진에 관심을 갖고 노력 중임.※ 2012.3월 ASEM 고위관리회의에서 노르웨이의 ASEM 가입 잠정 승인※ 2010년 중국의 반체체인사 류사오보에 대한 노벨평화상 시상 이후 놀·중 관계는 현재

까지 공식적인 접촉이 없는 냉각상태 지속

9. 지역협력기구에 대한 평가

가. 개 요

◦ 1948년 이후 비동맹 정책을 포기하고 친서방정책을 채택, NATO, EFTA, 북구 이사회(Nordic Council)등 안보, 경제분야 지역협력기구에 적극 참여

하고 있으며, 지역협력증진이 적극적으로 세계 평화와 안정에 기여한다는

관점에서 각종 지역협력기구에 대해 긍정적 입장에서 적극 참여하고 있음.

나. NATO

◦ 지리적, 전략적 특수성(2차대전중 독일군의 점령, 희박한 인구, 협소하고

긴 국토, 러시아와의 접경 등) 으로 인해 국가안보면에서 타국과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고려에서 1949년 NATO에 가입하였는 바, NATO는 노르웨이

국가안보정책의 기조를 형성하고 있음.◦ 그러나 NATO 가입으로 인한 구소련(러시아)에 대한 불필요한 자극을 피

하기 위해 전시 또는 전쟁의 위협이 있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평화시의 외국군 주둔 불허, 외국군의 국내기지 사용 불허, 핵무기 배치

및 핵유도탄 발사시설 설치 금지 등 정책을 취하고 있음.- 러시아는 NATO 미사일 방어(MD) 체계 배치 관련, 노르웨이측이 미

함정의 노르웨이 북부 해역 진입 및 러시아 접경 지역 내 레이더 기지

Page 42: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42

설치 결정 등에 대하여 불만감을 표출

다. Nordic Council

◦ 북구 5개국(스칸디나비아 3국, 아이슬란드 및 핀란드)간의 문화적인 유사

성 및 정책의 동일성을 점진적으로 발전시켜 정치, 경제상의 협력체제로

발전시키려는 노력에 동참하고 있음.◦ 또한 법률, 문화, 사회, 통신 등 각 분야에서의 보다 긴밀한 협력이 각 참

가국의 정책입안 및 집행에 적극 반영되고 특히 환경오염 개선문제를 시

급히 해결하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하기를 희망하고 있음.◦ 노르웨이는 2012년 “Nordic Council of Ministers”의 의장국을 수임, 의장

국 수임기간 동안 중점 추진할 협력분야를 아래와 같이 제시

- Nordic Welfare State, Employment & Sustainability, Accessible Services, Green Growth & Climate issues, Cross border Activity, Nordic Neighbors

Page 43: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Ⅴ. 경 제

Page 44: 2012.8월 노르웨이개황
Page 45: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Ⅴ. 경제

45

1. 경제 발전사

가. 1800년대 초

◦ 당시 노르웨이의 소득 수준은 유럽의 최하위로서 목재, 수산물, 철광석 수

출이 주 수입원이었음. 80% 이상의 국민이 수산해양업에 종사한 반면, 전체 면적의 3% 정도에 불과한 경작지, 극한 기후 및 낮은 인구 밀도 등으

로 인해 농업 및 기타 산업이 발달하지 못하였음.

나. 1800년대 중후반

(1) 목재, 수산업 발달◦ 영국으로의 목재 및 수산물 수출이 증가하였음. 아울러 영국 외 유럽

시장으로도 수출이 시작되었으며, 관세 인하 및 목재 가격 상승에 힘입

어 국가 수입이 증가하였음.

(2) 조선업 호황◦ 1820년대 이후 발전하기 시작하여 1800년대 후반 전성기를 누림.

1878년 기준 미국, 영국 다음으로 큰 규모의 조선산업으로 발전하였

으며, 1860~1914년간 전체 수출액의 40%를 차지하는 등 노르웨이 산

업 발전의 핵심으로 성장함.◦ 특히, 1849년 조선업 보조금 지원금지법이 채택되면서 영국의 조선산

업 독과점이 해소되어 노르웨이 조선산업이 호황기에 접어든 계기가

되었음. 아울러 노르웨이 목재 및 수산물, 원자재 수출이 조선산업의

호황으로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산업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음.

(3) 2차 산업 발달 ◦ 1840년 노르웨이 최초의 섬유공장이 설립되면서 2차 산업이 발달하기

시작하였음. 특히 영국이 기계 및 기술 수출 금지를 해지하면서 노르웨

이는 영국 등 선진국의 기술과 기계를 수입하여 제지산업 및 가공산업

등 2,3차 산업 발전의 속도에 박차를 가하였음.

Page 46: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46

◦ 1870년대 들어 수산자원 고갈 및 조선산업 경쟁력 약화로 노르웨이 경

제에도 위기가 찾아왔으나, 재빨리 신산업 기술 개발 및 숙련 노동 인

구 유입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였음. 특히 1800년대 후반 급증하던 종

이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의 제지공장을 설립하였으며, 1880년대에는 전세계 제지산업 시장을 장악함.

(4) 수력발전 개발◦ 수력발전의 최적의 자연환경을 가진 노르웨이는 19세기 말 전기가 발

명되면서 외국으로부터 자본과 기술을 도입, 대규모 수력발전소를 설립

하여, 현재 세계 최고 수준의 수력발전 시설을 갖추게 됨.

다. 1800년대 후반 및 1900년대 초반

◦ 1900년대 초반 풍부한 원자재, 발달된 제지산업, 조선산업, 비교적 저렴한

에너지 가격(수력발전)을 바탕으로 가공산업이 발달함. ◦ 1차 세계대전 이후 노르웨이 산업도 타격을 받은 듯 했으나, oil fired 선

박 및 tanker 선박 수요가 증가면서 조선산업이 중흥함. 이후 2차 세계대

전을 겪으면서 노르웨이 선박 수요가 급증하면서 노르웨이 경제는 golden year(1945~1973)로 들어섬. 이때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5%를 넘었으며, 국민 10명중에 2명이 차를 소유했을 정도로 국민 소득이 대폭 증가하였

음. 이러한 배경으로는 수산물 가격 급등, 노동 인구 유입이 1차적 원인이

며, Marchall plan 참여(1948), EFTA 가입(1960, 노르웨이가 주도)이 주

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됨. ◦ 1930년대에는 노르웨이 포경산업도 발달해 전 세계 whale-oil의 70%가

량이 노르웨이에서 생산되었음. 그러나 이후 지나친 포획으로 IWC가 설립

되는 등 포경이 금지되기 시작하여, 1970년대 이후 포경산업은 사양화됨.

라. 1970년 이후

◦ 1969.12월 북해에서 발견된 원유를 1970년부터 수출하기 시작한 노르웨

이는 1973년 오일파동시 급증한 오일가격으로 인해 얻은 수익을 바탕으로

현재의 경제 발전을 이루게 됨.

Page 47: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Ⅴ. 경제

47

2. 경제 현황

가. 주요 경제지표

주요지표 2008 2009 2010 2011 2012(전망)GDP(US$억) 4,539 3,748 4,175 4,848 4,574

1인당 GDP(US$ at PPP) 61,272 54,815 56,923 58,073 59,803인구 (천명) 4,737 4,799 4,920 4,979 5,010

실질성장률(%) 0.0 -1.6 0.7 1.6 1.4물가상승률(%) 3.8 2.2 2.4 1.3 1.5

실업률(%) 2.6 3.2 3.6 3.3 3.4상품수출(US$억, FOB) 1,727 1,160 1,327 1,681 1,561상품수입(US$억, FOB) 871 672 743 929 890평균환율(NOK/1US$) 5.64 6.29 6.04 5.60 6.02평균환율(NOK/1EUR) 8.29 8.74 8.04 7.79 7.71

※ 자료원: Statistics Norway(www.ssb.no), EIU

나. 경제 개요

◦ 노르웨이 경제 발전의 기초는 제조업이 아닌 원유 개발(1969년 Ekofisk에서 처음 발견)에서 시작됨. 따라서 노르웨이 경제의 특성상 국민 경제는

석유산업 의존도가 매우 높음. 이에 따라 노르웨이의 경우 제조업이 상대

적으로 취약한 반면, 서비스 부문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해마다

다소 변동은 있으나 주요 경제 개요는 아래와 같음.- 산업 구조 : 서비스업(민간+공공) 53%, 제조업 45%, 농업 2%- 주요 수출품 : 석유・가스 65%, 기계·운송장비 11%, 기타 24%- 주요 수입품 : 기계・운송장비 40%, 공산품 15%, 화학제품 1%, 기타 44%- 주요 부존자원 : 원유, 천연가스, 철광석

- 경제적 강점 : 에너지자원 풍부

- 경제적 약점 : 국내시장 협소

Page 48: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48

다. 특징

(1) 1인당 GDP 세계 2위의 부국 : 에너지, 해운, 해양, 수산업 강국◦ 노르웨이의 경제규모는 적은 인구 등으로 비교적 소규모 경제에 해당

하여 명목 GDP 기준, 19개 서유럽 국가 중 12번째 경제규모를 보유하

고 있으나 1인당 GDP 기준으로는(‘09년 기준 $79,085) 룩셈부르크에

이어 세계2위임.◦ 노르웨이 경제구조의 기반은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정부의 재정 운용과

경제 정책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임. 최근 이슈화가 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따른 대응방안 및 전략 역시 노르웨이 경제 구조 및

정책에 주요한 관심사항으로 반영되어 있음.

(2) 석유 및 가스 생산은 노르웨이 경제 발전의 원동력◦ 노르웨이는 석유 관련 세계 제8위의 생산국이자 5위의 수출국이며, 천연

가스 관련 7위 생산국이자 수출은 러시아, 캐나다에 이어 3위 수출국

(EU 47개 국가 가스 소비량의 18% 공급)으로 석유 및 가스 수출은

노르웨이 GDP의 25%, 국가 재정수입의 33%, 수출액의 52%를 차지함.- 석유관련 산업의 고용자는 약 14만명에 이르며, 석유산업은 다른

산업에도 큰 파급 효과를 초래함. 현재 매장량의 약 30%가 생산되

었으며, 앞으로 석유는 50년, 가스는 100년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노르웨이의 2011년도 원유생산량은 97.3백만Sm³(1일 260만배럴),

천연가스 판매량은 101.3백만Sm³, 액화천연가스(NGL)는 20.7백만

Sm³를 기록하였음.- 2010년도 원유수출물량은 578백만배럴로 전년대비 약 10% 감소하

였으며 수출금액으로는 2,825억 NOK(약 468억불)을 기록함.◦ 정부는 석유산업에 대한 개입을 통해 유전개발 활동의 안정화, 국내경

제 보호 및 고용, 복지정책에 긍정적 효과 창출 등을 위해 노력함.- 북해 생산 석유의 수출수익금은 석유 기금(The Petroleum Fund)으

로 적립, 전액 해외 투자함으로써 유가 등락으로부터의 국내경제 보

호 및 국내 고령화에 따른 복지정책 운영의 부담을 대비하고 있음.

Page 49: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Ⅴ. 경제

49

(3) 해운 및 해양 관련 산업◦ 노르웨이의 조선업계에는, 국제 경쟁력을 가지고 고도의 기술을 갖춘

중소 조선소가 50개사 이상 있으며, 주로 선박의 수리를 비롯하여 특

수선박의 건조에 중점을 두고 있음. 이와 관련 해양 플랜트 및 기자재

등의 분야도 발달함.

(4) 수산업◦ 수산업은 유럽 최대의 규모로 어획량은 년간 250만∼300만 톤에 달하

며, 연안 어업 및 양식업에 주력하고 있음. 주요 생산어종은 청어, 고등어(포획), 연어, 송어(양식) 등임. - 수산물 수출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로, 2008년도의 경우 NOK 374

억을 수출하여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9%에 달했으며, 2010년의 경우에는 NOK 538억으로 이중 58%가 EU에 수출되어

석유 다음으로 노르웨이의 가장 큰 수입원이 됨(이중 연어 수출액

이 314억 NOK)※ 우리나라도 연어, 고등어, 알류 등 수입(‘09년 0.6억불 규모)

(5) 에너지 산업◦ 노르웨이 에너지 산업의 경우 세계 제6위의 수력 발전국으로서, 호수가

많은 산악지형과 풍부한 수량 등 수력발전에 적합한 지형조건을 이용

하여 일찍부터 수력발전을 시작함.- 국내전력소비의 대부분을 수력발전으로 충당하고 있으며, 수력 이외의

대체 에너지 자원에는 파력, 태양 에너지, 풍력, 바이오매스가 있음.

(6) EU 미가입, EFTA 회원국◦ EC 가입안 및 EU 가입안이 각각 1972년 및 1994년 국민투표에서 부결

되었음. 이는 국가주권의 이양 반대라는 정치적 이유와 석유, 어업자원 등

부존 자원에 대한 주권포기 우려에서 기인함. 노르웨이는 1450~1814년간 덴마크, 1814~1905년간 스웨덴의 지배 경험으로 주권문제에 민

감함. 지금도 EU 가입 필요성에 대한 토론이 지속중이며 현재로서는

EU의 대외 정책 및 안보 정책에 동참하고 경제협력을 유지하는 등 EU

Page 50: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50

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함. ◦ 노르웨이는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스위스 등 EU에 비가입한 서유

럽 국가들간에 자유무역지역인 EFTA에 가입함. 우리나라는 EFTA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 2006.9.1 한-EFTA FTA가 발효됨. 한국과 노

르웨이는 상호 보완적인 경제로, 한-EFTA 발효후 양국간 교역은 지

속적 증가 추세임.

라. 거시 경제 상황

◦ OECD의 노르웨이 경제보고서(2012.2.15)에 따르면 노르웨이 경제는 석

유관련 막대한 수익에도 불구하고 재정적자 규모를 석유관련 수입으로 적

립된 펀드(Government Pension Fund Global; GPFG)의 일정 규모(4%) 이하로 유지하는 재정규칙을 대체로 잘 준수하는 가운데 건전한 거시정책

을 수행함으로써 현재 유로위기 영향으로부터 비교적 양호한 경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 경제 안정화를 우선시하는 노르웨이의 경제정책은 높은 고용률, 지속가능 개발정책, 공

평한 수입의 분배 그리고 잘 구성된 복지시스템 구축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친환경과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전략적 바탕 위에 이루어짐.

(1) 유로지역의 높은 불확실성에도 견조한 성장세 유지◦ 노르웨이 경제는 유로지역을 둘러싼 높은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석유

산업관련부문 및 공공서비스부문의 호조 등에 힘입어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최근 글로벌 경기둔화의 영향으로 2012년에는 성장에 다소 제약을

받을 것이나 2013년에는 성장률이 2.7%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

(2) 재정 및 통화 정책◦ 1994년 통화정책에 관한 정책을 채택하여, 중앙은행인 Norges Bank의

독립성을 보장, 환율안정을 유지하도록 규정함.- 공식적으로 규정된 환율 등락폭(Formal fluctuation band)은 없으

나, 중앙은행이 대체로 1Euro=8.23~8.39, 노르웨이 크로네를 유지

코자 노력하고 있음.

Page 51: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Ⅴ. 경제

51

◦ 재정정책에서 석유를 통한 수익은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함. 그리고 석

유기금으로 운용되는 자금에서의 기대 수익 실현을 위해 단계적인 지

원을 하고 있음.◦ 최근 재정정책을 통한 부양 규모가 2009~2010년에 확장(GPFG의

4.4~4.1%)된 이후 2011년 다소 축소(3.5%)되었으며 2012년중 원유

관련 수익 등을 제외한 구조적 재정적자는 글로벌정부연금기금

(Government Pension Fund Global; GPFG) 규모*의 4%미만**(3.9%)으로 설정됨에 따라 부양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평가

* 원유관련 수입으로 적립된 기금으로 2010년말 GPFG 규모는 GDP의 160%이며 노르웨이 재무부는 유가 72달러의 경우 2025년까지 185%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됨.

** 석유수입 및 경기 순환적 요인을 제외한 중앙정부의 적자규모(구조적 적자규모)가 예산년도 직전말 GPFG 자산규모의 4%(평균 투자수익률)와 평균적으로 일치하여야 한다는 재정규칙이 있음.

◦ 한편 통화정책은 2011년 상반기에 정상화를 시작하였으나 글로벌 금융

시장이 불안정해지고 소비자물가도 목표치 2.5%를 하회함에 따라 긴축

정책을 중지한 이후 2011년 12월 정책금리를 인하함.

(3) 노동시장◦ 노동시장 성과는 낮은 실업률 및 높은 노동참가율 등의 측면에서 매우

좋은 상황임.◦ 한편 근로가능인구당 노동시간으로 측정한 평균노동시간을 국제적으로

비교할 경우 낮은 수준인데 이는 자발적인 시간제근로자 및 질병휴직

자의 수준*이 높은데 기인함.* OECD회원국중 노르웨이의 질병휴직자 비율(고용인구의 5.5%)이 가장 높은 가운데

혜택도 매우 좋은 상황이며 고령노동인구(60~64세)의 경우 질병휴직자 비율이 8%에 달함

- 장애인 비율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15~64세 인구의 9%가 장애연

금 혜택을 받고 있는데 이는 많은 장기질병 휴직자들이 장애연금

혜택자로 전환되는데 기인함. ◦ 공공부문의 조기퇴직제도*하에서 근로자들은 65세가 아닌 62세에 퇴직

Page 52: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52

하면서 65세 퇴직시와 동일한 혜택을 받고 있는데 이는 조기퇴직에 대

한 강한 유인을 제공함.* 민간부문의 경우 과거 동일한 제도를 운영하였으나 연금제도 개혁을 통해 2011년부

터 새로운 연금가입자에 대해서는 조기퇴직유인을 제거◦ OECD에 따르면 노동시장에 대한 참가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을 시행할 필요가 있음. - 민간부문에 적용된 조기퇴직에 대한 규칙이 공공부문의 조기퇴직제

도에도 적용되어야 함.- 일반의의 질병 및 장애 판정에 대한 독립적인 검증 및 강화된 일자

리 복귀제도(back-to-work plan)의 시행 등을 통해 질병 및 장애

혜택제도의 수여를 엄격히 운용하여야 함.- 위와 같은 엄격한 자격부여조건에도 불구하고 수여자 비율이 줄어

들지 않을 경우 장기병가에 대한 혜택 대체비율을 낮추고 더 많은

비용을 고용주에게 부담시켜야 함.- 장애혜택 수급자들에 대한 작업능력 평가시스템을 보다 강화하는

한편 동 장애혜택제도를 가능한 경우 일자리로 복귀하도록 운용하

여야 함.

마. 분야별 권고(OECD)

(1) 공공지출 효율성 제고◦ 노르웨이는 공공지출이 경제활동에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음.

- 특히 석유 자원에 따른 富는 공공지출이 매우 높은 수준으로 유지

될 수 있는 원천이 됨. 비록 재정규칙이 효율적으로 작용하고 있지

만 노르웨이의 GDP 대비 공공지출의 비중은 OECD 회원국에서 가

장 높은 수준임. ◦ 이에 따라 공공재원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

를 갖추는 것이 중요함.

(2) 자본세제 개혁◦ 세제의 성과는 높으나 자본세제에 왜곡요인이 존재함.

Page 53: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Ⅴ. 경제

53

- 노르웨이 세제는 경제적 성과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환경의 외부효

과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가운데 높은 수준의 수입을 거두는 한편

높은 수준의 수익 재분배를 달성하는 등 대체적으로 구조화가 잘되

어 있는 것으로 평가됨. ◦ 다만 자본에 대한 세제는 아직까지 저축에 대한 왜곡을 가져오는 체계

임. 이는 주거자산에 대해 낮은 세율, 부유세의 경우 자산종류에 따라

다른 세율을 적용하는 데에 기인함. 이에 따라 현재의 일반적인 누진체

계를 유지하는 가운데 보다 높은 세율의 중립성(tax neutrality)을 달

성할 수 있는 세제 개혁이 필요함.

3. 최근 경제 동향 및 전망

◦ 노르웨이는 세계적인 경제위기의 영향을 받아 2008년부터 3년간 경제침

체를 겪어 왔으며 2011년부터는 1.6%의 경제성장률이 예상되어 다소 경

제가 회복 기미가 있으나 유럽재정위기 여파로 인해 2012년에는 1.4%의

매우 낮은 성장률이 예상됨.

◦ 노르웨이는 석유와 가스자원으로 인한 富의 쿠션효과로 다른 유럽국가와

Page 54: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54

같이 경제위기상황에서 대외채무 지불문제나 재정적자 문제 등에 시달리

지 않을 것으로 전망됨. 그러나 석유생산량 감소추세 등에 따라 경제위기

이전 10년간의 경제 성장보다는 향후 낮은 경제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

상됨.◦ 노르웨이 크로나화는 유럽재정위기로 인해 2011년도중 달러화 및 유로화

대비 모두 절상된 바 있으나 2012년도에는 달러화대비 약세를 보이는 반면

유로화대비는 계속적인 강세를 보이면서 전반적으로는 안정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2010년 GDP 기준, 노르웨이의 수출액은 GDP의 31.7%, 수입액은 18.3%

로 무역의존도가 약 50%임. 노르웨이의 원유 및 가스수출액도 GDP의

19.5%를 차지함. ◦ 노르웨이는 2011년 재정수지가 GDP의 14%의 흑자를 보이고 있어서 최

근 일부 유럽국가의 재정위기에 견주어 세계에서도 드물게 매우 안정적인

재정상태를 보임. ◦ 2011년 5월, 노르웨이 중앙은행은 1년간 유지해온 기준금리를 인플레이션

사전예방 차원에서 2%에서 2.25%로 인상한 후 2012년 1월 1.75%로 다

시 인하함.

4. 교역 현황

가. 노르웨이 대외 교역 현황

(1) 수출입 동향 (단위 : 억불)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수 출 1,364 1,727 1,147 1,314 1,681수 입 803 906 690 773 929

무역수지 561 822 457 541 752※ 자료원 : OECD, *EIU 추정

Page 55: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Ⅴ. 경제

55

◦ 노르웨이의 수출은 2011년 기준 원유와 천연 가스수출이 전체 수출의

각각 37%, 21%를 차지할 정도로 원유와 가스수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실정임.◦ 그밖에 노르웨이의 주요 수출품목은 수산물, 비철금속, 화학제품, 일반

기계 등이며, 주요 수입품목은 자동차, 선박, 정보통신기기 등이 차지

하고 있음. ◦ 2010년 기준, 주요 노르웨이의 수출대상국가는 영국(26.7%), 네덜란드

(12.1%), 독일(11.4%), 스웨덴(7.0%) 순임. 노르웨이가 주로 수입하

는 국가로는 스웨덴(14.1%), 독일(12.4%), 중국(8.5%), 덴마크

(6.3%) 등임. ◦ 2011년 EU 비회원국인 노르웨이는 수출의 63.3%를 EU국가에 수출하

였으며 수입의 65%를 EU국가로부터 수입하여 EU국가와의 높은 무역

의존도를 나타냄. 반면, 아시아 국가들과의 교역비중을 보면, 노르웨이

의 수출의 15%, 수입의 16%를 차지하고 있는 바, 최근 대아시아 수입

은 증가추세이나 수출은 감소추세임.◦ 2011년도 노르웨이의 품목별 수출입 현황을 보면,

- 2011년도 노르웨이의 원유수출은 전년도 569백만배럴에서 513백만

배럴로 감소하였으나 수출금액으로는 3,251억 NOK로 전년대비

17%증가함. 이는 세계적인 유가 상승에 따라 배럴당 수출가격이

2010년 평균 487 NOK에서 2011년도 평균 634 NOK로 증가한데

기인함.- 천연가스 수출의 경우, 수출물량은 2010년 974억 m³에서 2011년

942억 m³로 감소하였으나 수출액은 전년보다 222억 NOK 증가한

1,908억 NOK을 기록함.- 2011년 선박, 석유시추시설, 원유 및 천연가스의 수출을 제외한 품

목의 수출액은 3,595억 NOK로서 전년대비 8% 증가하여 세계적인

경기침체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정유제품은 2010년대비 60% 증가한 506억 NOK을 기록하였으며

화학제품은 전년대비 2% 증가한 458억 NOK을 기록함. 종이 및 판

지제품의 수출은 2010년대비 7% 감소한 62억 NOK, 금속제품 수

출은 금속제품가격 상승에 따라 590억 NOK로 증가함.

Page 56: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56

- 수산물 수출은 1.2% 감소한 517억 NOK를 기록하였는데 이중 42%는 냉장 양식연어 수출로서 218억 NOK의 수출액, 68.3만톤의 수출

물량으로 최대를 기록하였으나 연어 가격 하락으로 인해 전체 수출

액이 감소함.- 또한 냉동고등어 수출도 31억 NOK, 냉동청어 수출도 17억 NOK을

기록하여 역대 최고를 기록함. - 반면, 수입의 경우, 선박과 석유시추물을 제외하고 전년대비 9% 증

가한 4,911억 NOK를 기록하였음. 이중 기계류 및 수송장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전년대비 10% 증가한 160억 NOK를

기록함. 승용차 수입대수는 195,000대를 기록하여 2010년대비

12,000대 물량이 증가함. - 전기기기 수입액은 51억 NOK로 감소하였으며 의약품의 경우도 전

년대비 4%감소한 108 NOK를 기록함.

노르웨이 대외교역 현황(단위: 백만 NOK)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총 수입액 468,918 504,481 430,363 466,810 508,320- 선박 8,262 13,069 8,193 17,632 8,338총 수출액 795,366 959,002 717,965 792,575 889,540- 선박 9,044 10,998 10,331 7,052 5,910- 원유・가스 451,770 588,291 402,647 451,849 524,200무역수지 326,448 454,521 287,602 325,765 381,220

※ 자료원 : 노르웨이 통계청

(2) 노르웨이 수출입 통계노르웨이 주요 수출 대상국

(단위: 백만 NOK)수출대상국 2007 2008 2009 2010

총 액 795,366 957,834 756,811 794,4251 영 국 208,590 265,910 175,893 212,2132 네덜란드 81,743 95,899 86,228 95,8853 독 일 97,896 123,005 99,013 90,501

Page 57: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Ⅴ. 경제

57

수출대상국 2007 2008 2009 20104 스웨덴 52,041 59,919 43,110 55,7345 프랑스 63,735 89,648 61,387 51,0696 미 국 49,050 41,191 36,065 39,5217 덴마크 25,789 31,643 29,895 25,1848 벨기에 19,794 24,293 20,120 21,2819 이태리 21,811 29,804 23,819 19,82510 스페인 18,816 18,273 17,427 14,91011 중 국 9,433 10,689 15,210 14,18712 캐나다 25,327 22,465 16,245 13,07713 한 국 7,278 9,062 14,575 12,144

※ 자료원 : 노르웨이 통계청

노르웨이 주요 수입대상국(단위: 백만 NOK)

수입대상국 2007 2008 2009 2010총 액 468,918 497,378 432,378 464,653

1 스웨덴 68,621 70,868 59,295 65,4802 독 일 63,536 66,677 54,963 57,5103 중 국 28,294 32,089 33,385 39,6174 덴마크 29,986 34,209 29,008 29,0535 영 국 32,279 29,728 25,723 27,3306 미 국 22,574 26,894 26,425 24,9337 네덜란드 17,351 20,467 16,711 17,4168 프랑스 17,089 18,115 15,583 16,5819 캐나다 20,070 14,037 9,500 15,00410 한 국 4,334 6,628 8,161 14,15811 폴란드 9,752 12,204 11,743 11,73112 이태리 15,409 16,479 13,371 12,64713 러시아 11,545 11,083 7,062 11,927

※ 자료원 : 노르웨이 통계청

Page 58: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58

주요 품목별 수출 실적(10대 품목)(단위: 백만 NOK)

순위 품 목 명 2009 2010금액 점유율

총 계 756,811 729,425 100.01 석유∙석유제품 279,709 320,643 40.42 천연 및 제조가스 207,190 185,805 23.43 수산물 43,481 52,424 6.64 비철금속 33,732 44,084 5.55 일반산업용 기계 및 장비 21,145 18,423 2.36 화학원료 및 화학제품 14,144 18,007 2.37 특수산업용 기계 16,839 12,806 1.68 전기기계 및 장비 11,789 11,958 1.59 철강 9,529 11,893 1.510 선박 및 기타 수송장비 13,763 9,272 1.2

※ 자료원 : 노르웨이 통계청

주요 품목별 수입 실적(10대 품목)(단위 : 백만 NOK)

순위 품 목 명 2009 2010금액 점유율

총 계 432,378 464,653 100.01 차량 34,988 43,811 9.42 선박 및 기타 수송장비 31,261 30,863 6.63 잡제품 23,189 23,675 5.14 석유 및 석유제품 18,736 22,851 4.95 전기기계 및 장비 22,333 22,795 4.96 금속광석 및 금속스크랩 15,371 22,247 4.87 일반산업용 기계 및 장비 26,010 21,901 4.78 통신기기 및 장비 18,115 18,607 4.09 금속제품 18,617 18,256 3.910 특수산업용 기계 16,457 15,828 3.4

※ 자료원 : 노르웨이 통계청

Page 59: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Ⅴ. 경제

59

(3) 한-노르웨이 교역 현황 □ 우리나라의 대노르웨이 수출입현황

(단위 : 백만불, %)연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

수출 수입 수출 수입 수출 수입 수출 수입금액 2,080 2,202 1,606 2,869 2,801 3,673 666 2,595

증가율 248.8 43.4 -22.8 30.3 74.4 28.0 -76.2 -29.4 ※ 자료원 : KITA

◦ 한국의 대노르웨이 수출액은 2011년 기준 약 6.7억불로서 전년대비

76% 크게 감소하였으며 노르웨이로부터의 수입도 전년대비 29% 감소

한 26억불을 기록함. 특히 한국의 대노르웨이 선박수출이 2010년 26억불에서 2011년 4.4억불로 크게 감소함. - 수출호조 : 승용차, 의료용전자기기, 건설중장비, 요업제품, 합성수지 등

- 수출부진 : 선박, 타이어, 철강선, 편직제 의류, 화물자동차 등

◦ 조선 분야 중심의 상호보완적 산업협력 구조로 조선, 선박 분야가 양국

교역량의 약 50%를 차지함. 한국은 유조선 등 대형 선박 중심인 반면, 노르웨이는 석유시추선 등 특수선에 역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선박의

설계, 안전 설비, 고도정밀부품 생산 등 첨단 선박기술을 보유함.◦ 우리나라의 대노르웨이 수출액의 약 70%가 선박 및 선박용 부품이 차

지하고 있으며 수입액의 40%가 선박용 기기 및 부품, 원유 및 LNG가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노르웨이로부터의 수입은 냉동고등어, 냉동연

어 수입 등 냉동수산물의 수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액화천연가

스 및 규소 등의 수입이 급증함.◦ 2011년 교역액 기준, 우리나라의 대노르웨이 수출액은 전세계 교역 국

가중 70번째로 큰 규모이며 대노르웨이 수입액은 30번째 규모임.

Page 60: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60

우리나라의 대노르웨이 TOP 10 수출품목

순위 품목명 2010년 (백만불,%) 2011년 (백만불,%)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총 계 2,801 74.4 666 -76.21 선 박 2,575 116.2 443 -82.82 승용차 15 128.8 76 400.33 타이어 17 72.5 13 -21.64 무선수신기 11 -25.7 11 0.15 철강선 10 -18.2 9 -14.66 의료용전자기기 6 159.1 7 19.07 건설중장비 3 44.4 5 52.88 기타요업제품 3 -26.7 5 72.19 합성수지 2 13.9 5 91.110 편직제의류 5 -12.9 5 -4.4

※ 자료원 : KITA

우리나라의 대노르웨이 TOP 10 수입품목

순위 품목명 2010년 (백만불,%) 2011년 (백만불,%)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총 계 3,673 28.0 2,595 -29.41 기타 기계류 656 91.8 295 -55.12 원 유 0 - 246 -3 선박용 부품 309 -26.1 202 -34.64 천연가스 58 - 192 231.05 운반하역기계 339 114,2 154 -54.46 배전 및 제어기 214 44.3 130 -39.07 기타정밀화학원료 54 27.6 130 139.98 건설중장비 199 281.1 126 -36.99 기타어류 86 44.2 121 40.610 주철 129 23.5 90 -30.1

※ 자료원 : KITA

Page 61: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Ⅴ. 경제

61

5. 투자 현황

가. 일반 동향

◦ 2010년도 노르웨이의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액은 약 122억불로서 전년대

비 57% 감소하였고, 노르웨이의 해외투자금액은 118억불로서 전년대비

16% 감소함. ◦ 노르웨이의 외국인 투자유치금액의 약 60%가 EU국가이며 스웨덴, 미국이

1, 2위 투자국가이고, 그밖에 네덜란드, 영국, 덴마크의 순으로 외국인투

자가 많이 이루어졌음.

나. FDI 유출입 동향

(1) 외국인 직접 투자 유입현황구 분 2008년 2009년 2010년

단위 : 백만불 25,954 28,615 12,194 ※ 자료: OECD 2011, Country statistical profile

(2) 해외 직접 투자 유출현황구 분 2008년 2009년 2010년

단위 : 백만불 10,766 14,070 11,856 ※ 자료: OECD 2011, Country statistical profile

Page 62: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62

노르웨이의 국가별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액(단위: 백만 NOK)

순위 국가명 2008 2009 2010총액 - 799,356 871,819 1,007,4281 스웨덴 126,150 136,642 151,9102 미 국 126,259 120,593 103,4913 네덜란드 45,004 70,011 95,2414 영 국 61,317 74,513 90,5405 덴마크 67,311 60,221 62,3526 프랑스 52,656 51,072 55,0397 독 일 23,613 33,319 53,4028 스위스 27,025 24,319 27,4619 핀란드 11,960 11,108 11,09110 일 본 3,840 4,944 5,119

※ 자료원 : 노르웨이 통계청

노르웨이의 업종별 해외투자 유치액 (직접투자)(단위: 백만 NOK)

업 종 2008 2009 2010 광업 및 채굴업 224,067 262,906 287,555 제조업 166,953 163,065 188,469 건설업 5,537 6,512 4,491 도소매업, 호텔및음식점 66,090 63,709 65,259 수송 및 통신 70,958 61,131 86,632 금융중개.보험.부동산 및 상업서비스 192,119 226,342 244,660 기 타 73,636 87,661 130,368

※ 자료원 : 노르웨이 통계청

◦ 노르웨이의 주요 세율

- 법인세 : 28%(석유회사의 원유 시추, 가공 및 수송으로부터 발생한 소

득에 대해 추가 50% 부과)- 자본이득세 : 28%(주식 수익이나 기업배당금 수익은 과세면제)- 부가세 : 25%(단, 식품류 14%, 교통, 영화, 대중방송, 호텔숙박업은

Page 63: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Ⅴ. 경제

63

8% 적용) - 사치세(Luxury tax) : 16.79~18.7% (보석, 화장품, 주류, 아이스크림,

초콜릿, 담배, 석유, 자동차 등에 판매시 부과)

다. 한-노르웨이 투자 동향

(1) 노르웨이의 대한국 직접투자현황 (단위 : 신고건수, 천불)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11 61,663 6 4,182 7 2,193 8 2,988

※ 자료원 : 지식경제부, Invest KOREA

◦ 양국간 투자는 2006년 한-EFTA간 FTA 체결이후 급증하여 노르웨이

의 대한투자는 2008년까지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2009년부터 세계 경

제위기 영향으로 대한투자도 주춤한 상태임. 2011년도말까지 노르웨이

기업의 대한국 직접투자 신고금액은 약 4.7억불이며 이중 3.7억불이

실제 투자됨. 한국에 법인설립 또는 지분투자를 통해 직접투자를 한 노

르웨이 기업은 41개사임.◦ 한국에 투자한 대표적인 노르웨이 기업은 세계적인 제지 회사인 Norske

Skogg社(1998년), 선박자동화 사업부문의 선두 기업인 Kongsberg Maritime社(1999년), 선급인증 부문의 DNV社(2000년) 등임. 아울러

세계 최대 화학물질 물류업체인 Odfjell社(2002년)가 아시아물류본부를

온산항에 설립하였으며, 2004년에는 세계 최대 자동차 운반선 사업기

업인 빌헬름센社가 (주)글로비스의 주식 25%를 인수하였음. - 기타 주요 투자기업 : Nokord, Fearnley Fonds, Jotun, Kongsberg

Automotive, Wilh. Wilhlmsen, Ignis 등

(2) 한국의 대노르웨이 투자동향 ◦ 한국의 대노르웨이 투자는 한국수출입은행 통계기준 2011년도 9월말

누적기준으로 총 16.2억불이 투자되었으며 10개의 신규법인 설립이 신

Page 64: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64

고되었음. ◦ 노르웨이에 주재하고 있는 한국진출기업은 총 9개사임.

- STX Europe 법인, 현대자동차 법인, 두산중공업 법인, 대한항공 화

물 지사, 삼성중공업 지사, 현대중공업 지사, 대우조선해양 지사, 삼성전자 사무소, LG전자 사무소

◦ 한국의 STX社는 2007.10.23 아커야즈(Aker Yards)社의 지분 39.23% 주식을 매입하여 아커야즈社 제 1주주가 되었으며, 2008.8.18 주식

92.4%를 매입하여 완전 인수하였고(총 14.5억불 투자), 2008.9.4 아커

야즈社명을 STX 유럽 ASA로 변경하였음. ※ Aker Yards社는 노르웨이 오슬로에 본사를 둔 유럽 최대 규모의 조선사로 핀란드,

프랑스, 독일, 브라질 등 8개국 18개 조선소를 운영하며 총매출액 중 유람선이 44%를 차지하는 세계 2위 조선업체

6. 노르웨이 시장의 특성

가. 시장 및 소비자 특성

◦ 노르웨이는 전통적인 농수산업 중심에 선박 및 해운산업 위주의 경제구조

를 유지해 오다, 1968년 북해산 원유 발굴을 계기로 경제 발전의 초석을

마련하여 해양 플랜트와 석유 시추, 선박 기자재, 각종 첨단 기계 산업이

세계적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음.- 풍부한 석유 수출 자금을 활용하여 사회간접시설 및 복지시설 등에의

투자가 지속되면서 노르웨이 시장도 꾸준한 성장세를 견지하고 있음. 그러나 노동력 부족, 자연환경 보전 등으로 국내산업이 일부 첨단산업

및 서비스산업에 편중되어 있어 소비재를 중심으로 하는 일반 공산품

등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소비재 및 산업재의 높은 해외 의존도로 인해 외국과의 교역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며 외국제품에 대해서도 품질과 가격만 괜찮다면 거부감

을 가지고 있지는 않음. 안정된 수입과 잘 발달된 사회보장제도로 인해

높은 품질의 내구성이 좋은 제품을 선호하며, 자국산 제품에 대해서는

매우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음.

Page 65: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Ⅴ. 경제

65

◦ 노르웨이 시장은 부가가치가 높은 내구성 제품 시장과 일반 소비재 제품

시장으로 구분이 가능함. 대부분의 노르웨이 국민들이 내구성 제품에 대해

서는 유명 브랜드나 자국산 제품에 대해 강한 애착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품질 수준과 적극적인 A/S를 요구하고 있음. 하지만, 일반 소비재 제품에

대해서는 가격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품질과 가격을 철저히 비교함.◦ 소비자들의 연령별 소비특성

- 높은 사회복지제도를 유지하는 관계로 젊은 층은 소득의 4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함으로서 가처분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연금 소

득을 받는 67세 이상의 노인층의 가처분 소득이 높아 이들을 대상으로

한 실버산업이 상당히 발달되어 있음. 노르웨이 소비자들의 소비 취향

이 상당히 보수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됨.

나. 수입상

◦ 역사적으로도 인근 노르딕 국가의 지배를 받았던 과거로 인해 자체적인

상술의 발달이 상당히 지연되었음. 따라서 노르웨이 바이어가 직접 공급

업체로부터 수입하기 보다는 덴마크나 스웨덴의 대형 수입상과 공동으로

수입하여 필요 물량을 분배 받는 간접적 수입 형식을 취하고 있는 경우가

많음. 물론 이러한 간접 수입은 노르웨이 인구가 적어 직접 수입할 경우

최소 주문량을 충족시키기가 어렵다는 점에 기인하기도 함.- 노르웨이 바이어들도 인근국가의 바이어에 의존하기 보다는 직접 공급

업체와 거래를 통해 수입하고자 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 그러나 수입 물량이 크지 않은 관계로 수출업체와의 거래도 가격 수준보다는

장기간 안정적으로 신뢰관계를 구축해 가는데 더 큰 관심을 보이고 있음.◦ 현재 대부분의 생활용품 시장은 대형 유통업체들이 판매 시장을 석권하고

있으며, 이들 회사에 납품하는 기업들이 수입 시장을 장악해 나가고 있음.

다. 유통 채널

◦ 유통 구조 개황

- 1990년대로 들어오면서 오슬로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품목별 대형 전

Page 66: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66

문점 및 다품목 할인점 등을 선두로 전국적인 체인망을 구축하는 등

유통 구조가 재정비되어 현재는 대형 체인점을 중심으로 상품의 유통

구조가 정착되고 있음. - 이는 점차 격해지고 있는 시장 경쟁 상황에 대비하여 가능한 물류 비용을

절약하고 대량구매를 통한 비용절감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결과로 해석됨.- 일반적인 상업 거래 관행을 살펴보면, 철저히 신용을 바탕으로 하는 거

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구매 후 자유로운 반환 등 소비자에 대한 보

호가 철저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특히 높은 품질 수준을 요구하고 있으

며 납기도 엄격하게 지켜지고 있음.◦ 도매 유통

- 도매상들은 대부분 수입상을 겸하거나 인근 덴마크나 스웨덴 수입상으

로부터 상품을 공급받아 시중 소매상들에게 공급하는 것이 주류를 형

성하고 있음. 노르웨이 기업들의 경우에는 지역별로 대리점이나 전문

취급점을 통해 시장 관리를 하고 있음.- 생선 등 해산물이나 낙농제품 등의 농산물 및 노르웨이에서 생산되는

일반 소비 완제품들은 공급업체-도매상-소매상의 전통적인 유통 구조

를 유지하고 있음.- 반면, 일반 공산품 분야에서는 직접거래가 중심이고, 대형 유통 체인점

들의 시장 영향력 확대로 도매상의 역할이 지속 위축되고 있음.◦ 소매 유통

- 대도시를 중심으로 볼 때 소매 유통의 가장 큰 특징은 대형 전문 체인

점 중심으로 상권이 변화해 가고 있다는 점임.- 일반 생활용품도 ICA, MEGA등 체인점 형태로 운영되고 있고, 북구

최대의 일반 가구 및 가정용품 체인인 IKEA가 전국 주요 도시에 체인

을 형성하고 있음. - 스포츠 용품, 가전 제품, DIY제품분야 등 각 분야별 시장도 체인점 형

태의 유통 구조가 정착되고 있음. - 모든 소매 상점이 문을 닫는 토요일 오후 및 일요일의 틈새 시장을

7-ELEVEN이 광범위하게 분포하면서 소비자들의 긴급 수요를 담당하

고 있으며 특히 2000년 이후 최대의 전국적 판매망을 가지고 있는 주

유소가 적극적으로 생필품 시장에 뛰어들고 있어 그 중요도가 점차 증

가하고 있음.

Page 67: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Ⅵ. 국 방

Page 68: 2012.8월 노르웨이개황
Page 69: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Ⅵ. 국방

69

1. 기본정책

◦ Kola 반도에서 구소련(러시아)과 국경을 접하고 있어 NATO에 가입하여

NATO와의 협력을 노르웨이 안보 국방정책의 주축으로 삼고 있음.- 노르웨이 남서도시인 Stavanger에 NATO 북구 총사령부가 소재하고

있으며, 동 사령부 산하에 북부 노르웨이 사령관, 남부 노르웨이 사령

관, 발틱해안 사령관 등이 소속되어 있음.◦ 2001.2월 이후부터 4년간(2002~2005)간 장기 방위계획을 발표, 국방 근

대화와 구조조정을 추진해 왔음.- 복잡하게 되어있는 지휘체계를 통합, 합동 작전사령부(National Joint

Operation HQ)를 신설, 노르웨이 남서부 Stavanger 소재 NATO 북부

총사령부와 공동작전 수행체제 구축

◦ 2012.3월 Espen Barth Eide 국방장관은 과거 10년간의 국방 근대화

(modernization)와 구조조정(adjustments)이 성공적으로 추진되어 왔으며, 그 결과 현재 노르웨이 군은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목적과 자원의 균형을 이루었다고 평가, 향후 이러한 기반 위에서 군의 작

전능력(operational facility)을 강화하기 위한 투자 및 훈련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하면서, 새로운 국방백서(2013~2016)를 발표

- 국제환경의 변화를 반영하는 중점분야로 1)High North에서의 주권행사

및 활동의 중요성, 2)NATO 및 UN과의 협력 및 해외활동 참여, 3)군의 작전능력 강화 지속을 강조함.

※ 국방백서(2013~2016) 주요내용- 공군 : F-35 전투기(총 52대) 구매개시를 당초보다 앞당기는 한편(2016→

2015), 최종 완료시기를 연장(up to 2023/2024)할 예정, 총 구매금액은 220~280억 NOK(약 38~48억 USD)에 달할 것으로 예상, 공군기지의 수는 작전의 효율성 및 주변환경에 대한 최소영향을 고려하여 Ølrand와 Evenes 두 기지로 축소할 예정

- 육군 : 현재 3개의 대대(battalion)를 유지하되, 육군의 유연성 및 대응성을 향상 및 직업군인의 수 증가

- 방위군 : 방위군의 규모 및 현재 11개의 방위지구는 그대로 유지될 것이며, civil security 강화 수요 및 7/22와 같은 위기상황에 더 잘

Page 70: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70

대응할 수 있도록 조정- 국제활동 : 노르웨이의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는 계속될 것이나, 아프간 철

수에 따른 예산절감분 634 백만NOK(약 110 백만USD)는 국내적으로 특히, 육군 및 방위군 강화에 사용될 예정

- 군 인력의 전문성 향상 : 징집제를 기본으로 하는 모델을 유지하되 전문성과 비용효과성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고려, 여성 및 다양한 인종적 배경이 반영될 수 있도록 군인 모집을 다양화하고, 군인의 이직(특히, 해군의 민간 해운·선박 분야로의 이직)률을 낮추기 위한 인센티브 강화

- 사이버 안보 : 육/해/공 뿐만 아니라 사이버 공간상의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사이버 공간에서의 군의 작전, 감시, 첩보 능력 강화

2. 병 력

가. 상비군 병력(2011)

◦ 총병력 : 10,163명- 육군 : 4,405명- 해군 : 2,411명- 공군 : 2,807명- 방위병 : 540명

나. 비상시 동원가능병력(상비군 포함)

◦ 총병력 : 18,008명- 육군 : 9,187명

- 해군 : 3,971명- 공군 : 4,200명- 방위군 : 650명

Page 71: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Ⅵ. 국방

71

3. 병력제도

◦ 남자는 징병제, 여자는 지원제

◦ 복무기간 : 육군 12개월, 해군 12개월(해안경비대 9개월), 공군 12개월

4. 국방예산

◦ 2012년 국방예산은 약405억 NOK(약68억 USD)이며, 국가 총예산의 약

3.7%에 해당(전년도 대비 약 3.35% 증가)

Page 72: 2012.8월 노르웨이개황
Page 73: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Ⅶ. 사회 및 문화

Page 74: 2012.8월 노르웨이개황
Page 75: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Ⅶ. 사회 및 문화

75

1. 사회복지제도

가. 개 요

◦ 1967.1.1 사회보장법(National Insurance Act)이 발효하여 그 이전에 시

행되었던 각종 사회복지제도를 대체하여 시행되어 오다가 1997.2월 “국가

보험법(National Insurance Act)”제정을 계기로 노르웨이 사회복지제도의

근간인 국가보험제도(National Insurance Scheme)가 시행되고 있음. - 국가보험제도의 종류는 ①국민연금(National Pension Insurance), ②실

업보험(Unemployment Insurance), ③국민의료보험(National Health Insurance), ④직업재해보험(Occupational Injuries Insurance), ⑤출산·아동보험 등으로 대별되며, 이로써 노인연금, 의료혜택(질병, 신체적불

구, 임신, 출생 등), 구호금 지원, 실업자·무능력자·직업상해자·기타 대

상자(과부, 홀아비, 미혼모 등)에 대한 보호, 사망 경우 지원 등 포괄

적인 사회보장이 가능케 됨.- 노르웨이 거주자는 국적에 관계없이 동 사회보장 혜택을 받음. 다만,

외국정부 또는 국제기구에 고용되어 노르웨이 내에서 근무하는 외국인

은 동 혜택에서 제외됨.◦ 현재 노르웨이 총인구의 20%인 110만명이 동 제도의 재정지원을 받음.

이중 90만명이 노령연금 대상자이며, 잔여 20만명은 재활보조금, 출산수

당 또는 병가보조금 등을 지급받고 있음. ◦ 광범위한 의료보호 혜택을 위한 재원은 주로 고용주와 피고용주의 국민의

료 기여금과 고용주의 고용세(payroll tax)를 통해 마련됨.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인구의 노령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병가보상금 및 장

애자자격 신청자가 급증하여 향후 재정운용의 어려움이 크게 가중될 것으

로 전망되자 인구 노령화에 따른 복지제도 운영 부담에 대처하기 위하여

정부는 연금법 개정(2011.1.1), 긴축재정기조유지 및 석유기금 조성·운영

등의 노력을 하고 있음.- OECD는 석유기금을 제외하고 노르웨이의 연금 및 의료보험 기금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955년 17.5%에서 2030년 28%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Page 76: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76

나. 제반 사회보장제도

(고령연금)◦ 2011.1.1 연금법 개혁을 통해 연금 수령 가능 연령을 기존 67세에서 62

세로 낮추는 대신, 근로 기간이 길수록 많은 연금을 주는 ‘퇴직 연령 탄력

운영제’ 도입

◦ 고령연금은 기본연금, 보조/특별연금, 가족부양연금으로 구성

- 기본연금 : 16~62세간 3년이상 연금기여금을 불입한 가입자에게 지급

하며 근로 기간이 길수록 기본연금 수령액 증가. 연금 비수령자인 배우

자가 있을 경우 50%까지 증액되고, 18세 이하 자녀가 있을 경우에는

40%까지 증액 지급

- 보조연금 : 은퇴후 급격한 생활수준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1967년

도입

- 특별보조연금 : 보조연금이 없거나 적은 경우 지급

(가족연금, Survivors' Benefits)◦ 배우자 연금 : 67세 미만의 미망인에게 지급

◦ 자녀연금 : 부모 모두 사망한 18세 미만 자녀에게 지급

(장애자 연금)◦ 출생시부터 장애인인 경우 지급하며, 기본수당, 재활·치료수당(attendance

benefit), 장애수당으로 구성

(재활연금, Rehabilitation Benefits)◦ 질병으로 인해 매월 연금을 받던 대상자가 기간의 만료로 연금 지급이 중

지된 경우 이전 근로소득을 반영한 일정 비율의 연금 지급

(질병보험)◦ 사회보장 가입자는 약품 및 입원비 포함 모든 치료비가 무료 제공되나, 병

원 이외의 기관에서 받는 일반치료나 특수치료에 소모되는 비용은 일정부

Page 77: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Ⅶ. 사회 및 문화

77

분 부담

- 단, 7세 미만 아동에 대한 내과, 심리치료 등의 경우는 환자가 자담하지

않음.◦ 상기 외에 질환에 걸린 아동을 보호하기 위해 부모가 근로하지 못한 경우

지급되는 수당 등이 있음.

(출산/입양수당)◦ 임산부는 52주 출산휴가를 받을 수 있으며 임신전 근로소득의 100% 보전

을 42주간 받을 수 있음.- 동 수당 대신 일시금으로 33,583 NOK(약 5,330불) 지급 가능

◦ 15세 미만 아동을 입양할 경우 39주간 일비 보조금을 지급 받거나 일시금

으로 23,400 NOK(약 3,774불)를 지급 받음.

(실업수당)◦ 소정의 자격을 갖춘 실직 근로자의 경우, 과거 근로소득을 기준으로 일정

액의 소득을 보전하며, 수당지급 기간은 이전 근로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

으나 기본적으로 최소 78주(1.5년)에서 최장 2년까지 가능

(기타 수당)◦ 홀부모수당(Single Parent Benefit), 장례보조금(최고 20,000 NOK), 자녀

수당(자녀당 11,664 NOK), 영․유아수당 등이 있음.

2. 양성평등정책

가. 관련 기관

◦ 아동평등통합부(Ministry of Children, Equality and Inclusion)- 양성평등 및 여성에 관한 일반적인 정책의 수립 및 시행을 담당함.

◦ 평등·반차별 옴부즈맨(Equality and Anti-discrimination Ombudsman)- 양성평등정책에 관한 연구 및 대정부 정책 권고, 양성평등에 위반되는

Page 78: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78

법령 등에 대한 개폐조치의 대정부 권고와 아울러 기업 등 민간분야에서

의 양성평등 위반 행위에 대한 시정권고 등 사후적 구제기능도 담당함.

나. 관련 법령

◦ 양성평등법(Gender Equality Act)- 1978년에 제정되었으며, 교육․고용 등 사회 제분야에서 여성에 대한 차

별을 방지 및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함.◦ 기타 결혼법, 상속법, 성명법(姓名法), 시민권법 및 근로관계 법령 등에서

양성간 지위 평등 및 여성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는 규정들을 두고 있음.

다. 분야별 제도 및 현황

◦ 정치 분야

- 여성에 대한 선거권 및 피선거권은 일찍이 20세기초(1913년)에 주어

졌으나, 정치 분야에서의 여성의 지위 신장은 여성들의 정계 진출이 활

발해진 최근 20~30년간 집중적으로 이루어짐.※ 여성의 공직 점유 비율(2008년 기준) - △중앙의회 : 총 169명중 64명(38%), △중

앙정부(2008년) : 약 40%◦ 고용 분야

- 여성인구중 70% 이상이 취업중이며 이중 50% 이상이 파트타임직

- 양성평등법은 채용·승진·해고시 성별에 따른 차별 및 임신을 이유로 한

해고를 금지하고 있음.- 양성평등법 및 기업법은 550여개에 달하는 공기업 및 상장기업에게 이

사진의 40% 이상을 여성에 할당할 것을 의무화함. 동 법에 따라 회사

가 요건을 충족 못할 경우 회사 폐쇄도 가능함.◦ 가족법 분야

(결혼)- 결혼후에도 부부는 별성(別姓)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자녀의 성도

부모중 일방의 것을 선택 가능

- 부부가 1년이상 공식적으로 별거할 경우 자동적으로 이혼 성립

Page 79: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Ⅶ. 사회 및 문화

79

- 강요에 의한 결혼은 피해자가 신고시 무효 처리

(상속)- 아들과 딸의 상속지분은 동일하며, 부인 역시 동일한 상속지분 보유

- 농토의 경우 과거에는 장자가 상속하는 것이 관행이었으나, 지금은 장

녀도 상속 가능

◦ 육아 및 출산 정책(여성 근로자에 대한 보육지원)- 임신한 여성근로자는 최장 42주간 유급의 출산휴가를 받을 수 있으며,

임금의 80% 수령 선택시 휴가기간은 52주까지 연장 가능

- 남성이 배우자(또는 파트너) 대신 위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아울러 최

소 4주간의 육아휴가를 받음. - 15세 미만의 아동을 입양한 여성근로자는 최장 39주간의 육아휴가를

받을 수 있으며, 임금의 80% 수령 선택시 휴가기간은 49주까지 연장

가능

- 12세 미만의 자녀가 질병에 걸렸을 경우 부모중 1인은 10일간의 유급

휴가 가능

- 2세 이하 자녀를 둔 부모가 자녀를 보육시설에 위탁하지 않고 직접 양

육하는 경우 연간 36,000 NOK(약 6천불)의 지원금 지급

3. 교육

가. 구분

◦ 초등(primary school), 중등(lower secondary school), 고등(upper secondary school), 대학과정(Universities and colleges)으로 구분

(2009/2010 학년도)- 초등 과정 : 6~13세, 1~7학년으로 구성. 학생들의 실력을 등수나 점

수를 매기지 않고, 선생님의 comment만 하도록 되어 있음.- 중등 과정 : 13~16세

· 초등 및 중등과정 학교수 2,997개 / 학생수 613,928명- 고등 과정 : 16~19세

· 학교수 454개 / 학생수 246,314명

Page 80: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80

- 대학 과정

· 학교수 70개 / 학생수 221,934명

나. 특징

◦ 초등학교부터 대학원까지 정부지원으로 무상교육(외국인도 동일)이 실시

됨. 다만 대학중에서 University는 모두 국가 보조금으로 운영되나 college 및 사립대학 등은 수업료를 지불해야 함. 등록금 및 수업료가 무료이더라

도, 교재비, 생활비 충당을 위해 많은 학생들이 학자금 대출을 이용하고

있음.◦ 무상급식은 실시하지 않고 있으며, 일부 학교에서 유상급식을 실시

◦ 개인의 발전과 학교에서의 사회화에 교육의 중점을 두며, 영어는 기초 교

육 과정에서 의무이고, 약 60%의 학생들이 불어와 독어를 추가로 선택하

고 있음.

4. 세금 제도

가. 개요

◦ GDP에서 세입이 차지하는 비율은 41%(OECD 평균 34.8%, 한국 25.6%)임. 2008년의 경우 세입 규모는 1,114 billion NOK($190.7 billion)로서

이중 44.9%(개인, 기업)는 소득세 및 부유세, 사회보장세 23.8%, VAT 및 기타 관세 28.2%, 부동산세 3% 등으로 이루어짐. 세입은 주로 중앙정

부(86%) 및 지방정부(14%) 로부터 얻음.

나. 세제별 내용

(소득세 및 부유세)◦ 1992년, 2006년 두차례 세제안 개편을 통해 현재의 세금 시스템을 운영

◦ 28%의 소득세를 기본으로 소득에 따라 가중 부유세(extra wealth tax)를

Page 81: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Ⅶ. 사회 및 문화

81

납입

- 연소득이 456,400NOK($78,121) 이상인 경우 9%, 741,700NOK ($127,000) 이상인 경우 12% 추가(연소득 741,700NOK 이상인 경우

총 49% 소득세 및 부유세 부과)◦ 북부지방(Troms, Finnmark)의 인구 유입을 유도하기 위해 동 지역에 이

주하는 주민의 소득세를 24.5%로 낮추고, 학자금 대출 이자 및 고용세를

대폭 인하함.◦ GDP 중 소득세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9년 기준 10.2%(OECD 평균 9%,

한국 3.6%)

(법인세)◦ 개인 소득세와 동일(28%)◦ 무한회사의 주식 배당 수익에 관한 세금은 면제

◦ 선박회사 법인세 면제. 다만 선박 소유에 대한 세금은 납입

◦ GDP에서 법인세가 차지하는 비율은 8.2%로 OECD 평균 3.5% 보다 높은

세율

(석유자원 활동 소득세)◦ 석유 자원 개발을 통한 수입에 대한 세금은 28%의 기본 소득세에 50%를

가산, 총 78%의 세금을 납입

(부가가치세)◦ 25%(식품 14%, 교통요금 8%, 책․신문 VAT 없음)

(사회보장세) ◦ 근로자, 고용인, 국가 등 3자가 법정의 비율에 따라 공동 부담

- 근로자 : 기준소득의 7.8% 납입(62세부터는 납입비율이 낮아짐)- 자영업자 : 기준소득의 10.7% 납입

- 고용자 : 지역에 따라 차등 비율로 납입(지역별 차등비율 : 14.1%, 10.6%, 6.4%, 5.1%, 0%)

Page 82: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82

5. 언 론

◦ 언론 행정은 문화부에서 업무를 관장하고 있으며, 언론의 자유는 법률로

보장되고 있음.

가. 신 문

◦ 1900년 이전에는 노르웨이의 험난한 지형에 기인한 인근 지역간 통신의

단절로 인해 많은 신문사가 난립하였으나, 통신수단의 개선과 경쟁 격화에

따라 신문사의 수가 급감하고 현재는 대도시를 제외하고는 소도시에 1~2개의 신문사가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3개의 신문사(Verdens Gang, Aftenposten, Dagbladet)만이 전국적인 독자망을 갖고 있음.- 2000년 현재 전국적으로 221개 신문사가 있으며, 이중 82개는 주 4회

이상 신문을 발간하고 있음.◦ 신문별 발행부수

- Verdens Gang(37만부) : 오슬로에 소재하는 대중지(tabloid) - Aftenposten 조간(28.6만부) : 전국적으로 배포

석간(19.1만부) : 오슬로 광역지역에만 배포

- Dagbladet지(20.4만부)◦ 노르웨이는 매일 296만 2천부의 신문을 발행하고 있으며, 전체 국민의 약

90%가 매일 신문을 구독

- 신문 구독율에 있어 세계 최고 수준

◦ 초창기에 신문들은 정당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었고 일부는 정당이 소유하

기도 하였으며, 현재는 정당과 완전히 독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편

향을 보이기도 함.◦ 한편, 전국적으로 특정 정치성향의 독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음과 같은

소형 신문들이 있음.- Dagsavisen Arbeiderbladet(4만부) : 노동당계

- Finansavisen(1.1만부) : 금융, 경제계

- Nationen(1.9만부) : 농민

- Vaart Land(3만부) : 기독민주당계

Page 83: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Ⅶ. 사회 및 문화

83

- Klassekampen(8천부) : 좌익, 막시스트계

나. 통 신

◦ 노르웨이 최대 통신사는 1867년 설립된 NTB(Norsk Telegrambyraa)로

동 통신은 그후 1918년 노르웨이 언론사들이 공동 출자, 회사규모 및 업

무를 대폭 확장, 현재 노르웨이 국내 67개 언론사 및 공공기관 등에 기사

를 정기적으로 공급하고 있음.- Reuters, AFP, DPA 등 외국통신사의 노르웨이판 기사를 제공하는

한편, 주요 주재국 도시에 주재하는 자사 기자를 통해 노르웨이 전역을

취재

◦ 이밖에도 노동당의 APOR 통신을 비롯 각 정당들은 자체 정당활동 및 정

보를 알리는 자체 통신 서비스 체제를 운영하고 있음.

다. 주간지 및 기타 정기간행물

◦ 주간지는 최대부수를 자랑하는 Se og Hoer(Look & Listen : 37만부)를

비롯 18종 발간, 총 270만명이 구독하고 있음.◦ 기타 정기 및 부정기 간행물 1,200종 발간, 구독부수는 480만부에 달함.

라. 방 송

◦ 국영 NRK를 비롯 민방 TV2, TV Norge, TV3 등 다양한 채널을 갖고 있음. 국영 NRK는 1933년 노르웨이 의회에 의해 설립되어 처음에는 라디오 방

송만을 실시해 오다 1960년 NRK1 텔리비젼 방송을 개시한데 이어 1996년부터 NRK2 방송을 하고 있음. NRK1은 주로 뉴스, 시사논평 외 일반

교양물을, NRK2는 주로 청소년 대상 및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방송함.◦ 한편 민영 방송으로는 1988년 TV Norge와 TV3가 방송을 시작하여

1992년 베르겐에 본사를 둔 순수 민간 상업방송인 TV2가 탄생, 국영

NRK와 함께 노르웨이 TV 방송가를 양분하고 있음.- TV 시청율

Page 84: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84

① NRK1 43%② TV2 32%③ TV Norge 7%④ TV3 6%⑤ NRK2 1%⑥ 기타 11%

◦ 이밖에도 Eurosports, CNN, BBC, NBC Super Channel, Euronews 등은

Cable TV 방송망을 통해 시청 가능함.

마. 언론관계법

◦ 노르웨이는 별도의 언론법을 두고 있지 않으며 다만 방송내용 전반에 관

해 일반형법 조항을 적용하고 있음.- 헌법 100조에는 “법규 위반, 종교․도덕․헌법기관 모독, 타인에 대한 거

짓증언 또는 비방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언론의 자유를 보장한다”고 규

정하고 있음.◦ 1970년 의회는 다른 법률에서 제한하거나, 안보를 이유로 비밀처리가 된

문서가 아닌한 모든 관공서 문서에 대한 일반인의 접근을 허용하는 법을

제정하여 일반인의 정보접근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음.

6. 문 화

가. 개 관

◦ 문화예술계의 대표적 인물로 에드워드 뭉크(미술), 에드워드 그리그(음악) 그리고 헨리크 입센(문학) 3인을 꼽고 있음. 오랜 식민역사로 인해 전통

문화의 취약성을 안고 있는 점 때문에 현대 문화예술 진흥에 역점을 두고

있음. ◦ 노르웨이 정부는 문화예술진흥부문에 GDP의 3%를 지원하고 있고 베르겐

국제 페스티벌, 노르웨이 국제영화제 등 국제행사 외에도 지역별로 각종

Page 85: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Ⅶ. 사회 및 문화

85

행사를 펼치고 있음.

나. 문 학

◦ 국제펜클럽 노르웨이 지부, 노르웨이 작가연맹 등을 중심으로 시, 소설, 희곡작품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다. 음 악

◦ 국립 오슬로 필하모니 오케스트라를 비롯 크리스챤산드, 베르겐, 트론하임

등지에 시립 심포니오케스트라를 두고 정기 및 부정기적으로 연주회를 가

지고 있음. 특히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솔베이지 송”의 작곡가 에드워드

그리그의 생전의 예술활동을 기리는 그리그 기념 사업회는 매년 베르겐에

서 ‘그리그 추모음악제’를 개최하여 성황을 이룸.◦ 한편 노르웨이 서중부에 위치한 Molde시에서 매년 여름 세계 유명 재즈

음악인을 초대하여 대규모 재즈음악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12월에는 노르

웨이 노벨위원회 주관으로 노벨평화상 수상자를 위한 축하 음악회를 열고

있음.

라. 미 술

◦ 국민화가로 지금까지도 칭송을 받고 있는 에드워드 뭉크의 이름을 본따서

만든 오슬로 소재 뭉크박물관에서는 그의 생전에 작품들을 장르별로 연중

전시하고 있음. 이밖에도 소수의 민간화랑과 국립박물관 등지에서 국내외

현대 작가의 작품 전시회를 자주 갖고 있어, 1~2년전에 전시 계약을 해야

할 정도임.

마. 영 화

◦ 노르웨이 국제영화제, 노르웨이 단편영화제 및 Film from the South등 주

요 영화제를 개최, 세계작품 초청 시사회를 갖고 있음.◦ 정부의 영화산업 진흥을 위한 투자에 비해 외국 작품의 범람과 당지의 높

Page 86: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86

은 인건비로 인한 대외 경쟁력이 약해 노르웨이 작품 활동은 미미한 편임. 한편, 노르웨이 정부는 현재 소수민족인 Sami족의 언어를 사용하는 영화

제작도 지원하고 있음.

7. 기타 사회제도 및 관습

◦ 시민권

- 노르웨이내 출생 어린이는 부모중 어느 1명이 노르웨이 국적이면 노르

웨이 시민권을 보유하게 됨.- 외국인도 7년간 거주하고 18세 이상으로 적절한 생활수단을 가진 자는

시민권 신청이 가능함.- 결혼하여 노르웨이에서 4년 거주(외국에서 결혼하여 4년 거주한 경우

최소 2년간 노르웨이에 거주)하면 시민권 신청이 가능함.◦ 결혼

- 부모 승낙없이 결혼할 수 있는 최저연령은 18세임.- 노르웨이인과 결혼한다고 하여 자동적으로 노르웨이 시민권이 부여되

는 것은 아님(노르웨이 거주요건 부과)- 결혼후 어떤 姓을 가질 것인지 결정해야 함. 부인은 결혼전 성에 남편

성을 추가할 수 있고, 남편 성으로 바꿀 수도 있음. 남편이 원하면 부

인 성을 따를 수도 있으며, 각자 고유성을 간직할 수도 있음.◦ 낙태

- 임신 12주까지는 낙태가 자유이나, 그 이상의 경우 병원의 낙태 위원

회에 신청해야 함.◦ 노동

- 노동시간 : 통상 1일 7.5시간, 주 37.5시간

- 퇴직연령 : 보통 67세- 법정휴가기간 : 5주 + 3일- 공휴일 : 설날, 부활절 연휴(약 5일), 5.1 노동절, 5.17 헌법제정일, 예

수승천일, 성령강림일, 성탄절(12.25~26)

Page 87: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Ⅶ. 사회 및 문화

87

◦ 신분증

- 운전면허증이 신분증의 표준임. 여권, 학생신분증 또는 군인신분증으로

갈음할 수 있음.◦ 운전

- 음주운전시 체포되어 죄가 있다고 판명될 경우, 벌칙(최소 1년간 면허

정지, 21일간 구류 및 벌금)이 부과됨.- 18세 이상 성인만 운전을 할 수 있음.- 겨울철에는 스노우타이어 사용이 의무이며, 법규위반(과속, 불법주차)

시 고액의 벌금이 부과됨.

Page 88: 2012.8월 노르웨이개황
Page 89: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Ⅷ. 한국과의 관계

Page 90: 2012.8월 노르웨이개황
Page 91: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Ⅷ. 한국과의 관계

91

1. 대한정책

◦ 노르웨이는 NATO 회원국으로 친서방노선을 대외정책의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와는 1959.3월 이래 상호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또한 6.25전쟁 발발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외과 병원단을 파견한 바 있으며, 그후 Medical Center 운영 지원 등을 통하여 양국관계는 계속 발전되어

왔음.※ Medical Center는 국립의료원의 전신으로, 스칸디나비아 3국(노르웨이, 스웨덴, 덴마

크), 유엔한국재건단(UNKRA) 및 우리 정부가 공동으로 1958년에 설립, 1968년 우리 정부가 운영권을 인수

◦ 노르웨이는 보편주의 원칙에 따라 1973.6월 북한과 외교관계를 수립하였

으며, 남북한 수교후 대남북한 형평관계 유지를 표방하고 있어 친서방이라

고는 하나 실리가 없는 한 우리나라에 편중된 관계유지를 회피하려는 경

향이 있었음. 한국과의 경제관계가 증진됨으로써 한·놀 관계는 심화되고

있음.◦ 최근 2006년 한-EFTA FTA 발효 이후 한-노르웨이 양국간 교역량이 4배,

투자 규모가 15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평가되며, 특히 상호보완적인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향후 경제․통상 협력 잠재력이 매우 크다고 판단됨.◦ 2009년 한-노르웨이 수교 50주년을 계기로 향후 50년간의 새로운 협력

동반자 관계를 위해 지속 협력키로 하고, 특히 녹색성장이라는 양국의 미

래 공동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녹색미래를 위한 파트너쉽’을 구축 모색해

나가기로 함.

2. 주요외교관계

1950.7 유엔안보리의 결의에 따라 UNKRA에 $ 1,700,000 기증

1951.3 6.25 동란중 외과병원단 파한

1959.3 외교관계 수립 합의

1959.5 김유택 주영대사, 겸임대사 신임장 제정

1961.11 대사급 승격 합의

Page 92: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92

1962.2 김용식 주영대사, 겸임대사 신임장 제정

1963.6 이형근 주영대사, 겸임대사 신임장 제정

1964.5 유재흥 주스웨덴대사, 겸임대사로 신임장 제정

1966.6 Knut Thommersen 주일노르웨이대사, 겸임대사 신임장 제정

1968.1 강문봉 주스웨덴대사, 겸임대사로 신임장 제정

1972.2 방희 주스웨덴대사, 겸임대사로 신임장 제정

1972.12 Christian Berg-Nielsen 주일노르웨이대사, 겸임대사 신임장 제정

1972.12 주노르웨이 상주대사관 설치

1973.8 남철 초대 상주대사 신임장 제정

1976.6 한상국 상주대사 신임장 제정

1976.10 Bjorn Blakstad 주일노르웨이대사, 겸임대사 신임장 제정

1980.6 Nils Nissen 초대 주한 상주대사 신임장 제정

1980.12 최석신 대사 신임장 제정

1984.4 이규현 대사 신임장 제정

1985.12 송성한 대사 신임장 제정

1986.5 Lars Tangeraas 제2대 주한 상주대사 신임장 제정

1989.4 김정훈 대사 신임장 제정

1990.11 Gunnar Lindeman 제3대 주한 상주대사 신임장 제정

1991.2 김병연 대사 신임장 제정

1993.11 최대화 대사 신임장 제정

1995.1 Ragne Birte Lund 대사 신임장 제정

1995.3 권영민 대사 신임장 제정

1997.10 Torolf Raa 대사 신임장 제정

1997.10 양세훈 대사 신임장 제정

1999.4 박경태 대사 신임장 제정

2001.9 Arild Braastad 대사 신임장 제정

2002.9 최병효 대사 신임장 제정

2005.3 김영석 대사 신임장 제정

2006.10 Didrik Tønseth 대사 신임장 제정

2007.9 최병구 대사 신임장 제정

Page 93: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Ⅷ. 한국과의 관계

93

2010.9 이병현 대사 신임장 제정

2011.11 Torbjørn Holthe 대사 신임장 제정

3. 주요인사교류

◦ 방 문

1971.8.7 윤석헌 외무부 차관

1972.8.7 장상문 외무부 차관보

1973.2 장상문 외무부 차관보

1973.8.20 함병춘 특사

1974.6.19-22 백두진 의원

1974.10.31-11.2 최규하 특사

1975.3.9-12 최규하 특사

1976.9.8 김경원 특보

1977.10.20 한국민속예술단 공연

1979.5.31-6.3 최각규 상공부장관

1984.3.19-22 의원친선사절단(이진우, 이흥수 의원 등 3명)1984.5 이호 등 국정자문위원

1985.6 금진호 상공부장관

1986.7.2-5 국회문공위 의원단 5명(단장 : 박권흠 위원장)1989.5 한승수 상공부장관

1990.8.2-5 최호중 외무부장관

1994.1 김대중 아태평화재단 이사장

1994.8 한승주 외무부장관

1996.5 한.놀의원친선협회(서정화 의원 등 4명)1996.5 고중석 헌법재판관

1996.7 김종호 의원(세계 스카우트 의원 연맹 참석차)1998.6 박태영 산자부장관

1999.6.8-9 선준영 외무차관

Page 94: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94

2000.6.23-25 한덕수 통상교섭본부장(제1차 경제공동위 개최)2000.12.8-12 김대중 대통령(노벨평화상 시상)2001.5 이만섭 국회의장(양국 국회의장 회담)2001.6 정우택 해양수산부장관(수산분야 회담)2001.12 김대중 대통령(노벨상 100주년 심포지엄)2002.9 최성홍 외교장관

2004.5 김대중 전 대통령

2006.10 이상득 국회부의장

2007.9 강무현 해양수산부장관

2007.9 한덕수 국무총리

2008.9 김대중 전 대통령

(스타방에르 Point of Peace Summit 참석)2009.5 권종락 외교부 제1차관

2009.11 장윤석, 강승규 대통령 특사

◦ 방 한

1974.3.19-22 노르웨이 무역대표단

1974.10.12-15 노르웨이 IPU 대표단

1975.3.1-4 Mueller 공업차관

1975.9.21-25 Einar Magnussen 통상해운장관

1978.4.30-5.6 노르웨이 하원의원단 3명(단장 : Asbjorn Haugstvedt 하원의장)

1978.10.10-18 노르웨이 산업사찰단 50명(단장 : Olav Haukvik 공업부장관)

1979.1.6-11 Arvid Johansson 상공위원장 일행

1979.4.18-25 노르웨이 의원단 3명(단장 : Jo Benkow 법사위원장)1983.9.30-10.12 Langlo 의원 등 제 70차 IPU 총회 대표단

1983.11.23-26 Asbjorn Haugstvedt 상무해운장관

1985.4.25-27 Johan J. Holst 국제문제연구소장

1985.6.29-7.5 Lars Roar Langslet 문화과학장관

Page 95: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Ⅷ. 한국과의 관계

95

1986.9.23-28 Finn Kristensen 공업부장관

1988.9.13-14 Gro Harlem Brundtland 총리(비공식)1992.9.9-12 Johan J. Holst 국방장관(서울개최 IISS 총회 참석차)1993.10 K. Nordheim-Larsen 개발협력장관

1993.10 Johan J. Holst 외무장관

1995.9 Carl I. Hagen 진보당 당수

1996.5 J. Rasmussen 어업부 차관

1996.10 Grimstad 국회부의장(의원 8명 방한)1997.4 Inger Karin Nerheim 통상산업부 차관(아주지역 공관장

회의 참석)1997.6 Siri Bjerke 외무차관

1997.10 Olav Harald V 국왕(비공식)1998.11 Odds Hellesnes 통상산업부 정무차관 및 Odd

Fosseidbratten 차관

1999.10 Kaare Gjoennes 농업장관(양국 농업장관 회담 개최)1999.10 Lars Sponheim 통상산업부 장관(노르웨이 해양 기자재

전시회 참석, 양국간 경제협력협정 개정)2000.5 Bjarne Lindstroem 외무 사무차관(제3차 정책협의회

개최)2000.8 Kjell Magne Bondevik 전총리(아․태민주지도자회의 초

청 개인자격 방한)2000.10 Kjell Magne Bondevik 전총리(서울 평화음악회 참석차)2000.11 John Bjørnebye 외무부 경제담당 차관보(노르웨이 산

업의날 참석차)2001.3 Grete Knudsen 통상산업부 장관(산업자원부장관과 회담)2001.3 Otto Oregussen 수산부 장관(해양수산부장관과 회담)2002.1 Bondevik 총리

2003.5 Ludvigcen 수산장관

2007.5 Haakon 왕세자 내외

2008.7 Solheim 환경장관(외교부 국제개발장관 겸임)

Page 96: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96

2010.6 Bondevik 전총리

2010.9 Roger Ingebrigtsen 국방차관

2011.6 Kongstad 외교부 안보북극정책국장

2011.11 Solheim 환경장관(외교부 국제개발장관 겸임)2012.3 Jens Stoltenberg 총리(서울 핵안보정상회의 참가)2012.5 Haakon 왕세자, Trond Giske 통상산업부장관(여수엑스

포 참가)

4. 정책협의회

- 1997. 6. 제1차(서울) 이기주 차관 / 비에르케 차관

* 1998. 2. 린드스트롬 사무차관 제2차 정책협의회 참석차 방한하였으나, 고열 등 이유로 취소후 조기 귀국

- 1999. 6. 제2차(오슬로) 선준영 차관 / 린드스트롬 차관

- 2000. 5. 제3차(서울) 반기문 차관 / 린드스트롬 차관

* 2004. 3. 린드스트롬 사무차관 제4차 정책협의회 참석차 방한 추진하였으나, 방한 직전 부인 부상으로 계획 취소

- 2005. 2. 제4차(서울) 이태식 차관 / 린드스트롬 차관

- 2006. 3. 제5차(서울) 윤병세 차관보 / 브로네바크 차관보

- 2007. 5. 제6차(서울) 심윤조 차관보 / 스투브홀트 외교부 정무차관

- 2009. 5. 제7차(오슬로) 권종락 제1차관 / Walaas 외교차관

5. 경제협력관계(주요 경제협의체)

(1) 경제공동위◦ 1999년 개정된 경제산업 기술협력협정에 따라, 양국간 정례적인 경제

공동위 개최

(2) 민간경협위원회◦ 우리 전경련과 노르웨이 전경련(The Federation of Norwegian Business

Page 97: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Ⅷ. 한국과의 관계

97

and Industries : NHO) 간 민간경제협력위원회(Korea-Norway Economic Cooperation Committee)가 78.10 설립된 후, 합동회의를 개최

◦ 위원장(2012.5월 현재)- 우리측 위원장 : 노인식 삼성중공업 사장

- 놀측 위원장 : 헨릭 마센(Mr. Henrik Madsen) 노르웨이 선급협회

(DNV) 회장

◦ 신재생에너지 및 조선 분야의 글로벌 논의 동향을 파악하고, 양국 기업

간 협력방안을 모색

6. 협정체결현황(발효기준)

1956.3.13 메디칼센터 설치 및 운영협정

1964.6.19 메디칼센터 설치 및 운영협정 5개년 연장

1965.5.24 특허・의장 및 상표권 상호보호 협정

1969.10.1 사증면제협정

1973.2.2 국제운수에 있어서 범죄 및 선박 및 항공기의 운영에 대한 상호

면제협정

1982.10.6 경제・기술・산업협력협정

1984.3.1 이중과세 방지협정

1984.9.17 해운협정

1985.1.1 섬유협정

1999.11.30 경제・기술・산업협력협정 개정 의정서

2006.9 한-EFTA 자유무역협정 체결

2008.7 한-놀 환경분야 협력 MOU 체결

2010.10 한-놀 사회보장협정 최종문안 가서명

Page 98: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98

7. 명예총영사관

◦ 주 Bergen 명예총영사관

- 개설일자 : 2004.7- 명예총영사 : Mr. Trond Mohn

8. 교민현황(2012.5월 현재)

◦ 교민 : 650명(시민·영주권자 392명)◦ 교민단체

- 단체명 : 주노르웨이 한인회(Korean Resident's Association)- 설립일 : 1972.12.30- 회 장 : 김호현

◦ 입양인 단체

- 입양인 수 : 현재 노르웨이의 한인 입양인은 약 6,5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한국전 이후 1954년경부터 시작)- 단체명 : 한국인 입양인 협회(Forum for Korean Adoptees, Norway)- 설립일 : 1990.8월- 회 원 : 300명- 회 장 : 에이릴 로그스타드(Ms. Eirill Rogstad)

9. 친한단체

◦ 노르웨이 한국전 참전용사회(Norwegian Korea Veterans Association)- 설립일 : 1977. 12. 1- 회 장 : Mr. Nils Egelien(예비역 소령)- 회원수 : 약 100명(한국전 당시 이동외과병원 근무자, 전후 메디칼 센터

근무 의사, 간호원, 기술자 및 그들의 가족으로 구성)- 기 타 : 회원들의 고령화로 활동이 점차 쇠퇴됨에 따라, 참전용사의

가족들도 회원으로 받아들이기 시작

Page 99: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Ⅷ. 한국과의 관계

99

◦ 노르웨이・한국친선협회(Norwegian-Korean Friendship Association)- 설립일 : 2009.9.25- 회 장 : Ms. Lucie Paus Falck 초대 참전용사회장(작고)의 장녀

- 회 원 : 약 337명 및 7개 법인 가입(IOC 위원, 국회의원 등 노르웨이

각계 인사 및 입양한인, 교민 참여)

Page 100: 2012.8월 노르웨이개황
Page 101: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Ⅸ. 북한과의 관계

Page 102: 2012.8월 노르웨이개황
Page 103: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Ⅸ. 북한과의 관계

103

1. 대북한 정책

◦ 노르웨이는 NATO 회원국으로 친서방 노선을 대외정책의 근간으로 하고

있으나, 동서긴장완화 및 보편주의 원칙에 따라 1973.6월 북한과 상호외

교관계를 수립하였음. 북한은 1973.8월 노르웨이에 상주 공관을 개설하였

으며, 노르웨이도 북경주재 대사로 하여금 겸임토록 하였음. 노르웨이와

우리나라와의 관계는 실질협력관계로 성장하고 있는 반면, 북한과의 관계

는 별무함.◦ 1976.10.18 북한 공관원의 마약 및 술, 담배 밀매에 따라 덴마크에 이어

북한 공관원 전원에 대해 추방령을 내린바 있음. 그 이후 참사관(대리대

사)과 기타 북한 공관원이 근무하고 있다가 1978.8월 상주대사가 부임하

였음. ◦ 북한의 1976년 밀수사건, 1983년 KAL기 폭파 사건 및 미얀마사건, 김일

성 우상화 체제, 북한의 허구적인 선전 책동으로 인하여, 노르웨이는 북한

에 대하여 매우 부정적 인식을 가지게 되어 대북관계는 제한적 또는 소극

적이었음.◦ 북한대사는 1991.3월 경제사정으로 오슬로 주재 대사관을 폐쇄하고, 스웨

덴에서 겸임하기로 하였다고 노르웨이에 통보한 후 북한대사는 4.6 철수

하고 북한대사관은 4.30 완전 철수하였음.◦ 북한의 폐쇄성과 예측 불가능성 그리고 경제적 파탄 및 권력 세습 등으로

북한에 대한 노르웨이의 인식은 매우 나쁘나, 일부 공산주의 사상을 가진

노르웨이인들은 북한을 옹호하고자 하는 태도를 아직도 갖고 있는 경우가

있음.◦ 노르웨이는 북한 요청에도 불구하고 개발원조를 하지 않고 있으나, 인도차

원에서는 매년 대북지원을 해오고 있음. 2011년의 경우 15백만 NOK(2.7백만미불 상당)의 인도적 지원이 제공되었으며, 이 중 10백만 NOK는 노

르웨이 적십자사를 통해서 5백만 NOK는 WFP를 통해 지원됨.

Page 104: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104

2. 주요외교관계

1972.8.1 북한공보관 오슬로에 개설

1973.6.15 북한승인

1973.6.22 외교관계수립 합의

1973.8.15 주노르웨이 북한상주대사관 개설

1973.11.2 Per Raven 주북경 노르웨이 대사 겸임대사로 신임장 제정

1974.1.2 무역협정 체결

1975.5.5 Torleiv Anda 주북경대사 겸임대사로 신임장 제정

1976.10.10 밀수행위로 인한 북한대사관 공관원 전원 추방령, 이에 의거

10.22 전원 출국

1978.8.15 김봉록 상주대사 신임장 제정(초대 상주대사)1980.1.5 Tancre Ibsen 주북경 대사 겸임대사로 신임장 제정

1982.2 김경은 대사 신임장 제정(제2대 상주대사)1982.2.12 Arne Arnesen 주북경 대사 겸임대사로 신임장 제정

1984.9.13 김용수 대사 신임장 제정(제3대 상주대사)1988.6 Jan Tore Holvik 주북경 대사 겸임대사로 신임장 제정

1989.6 신우광 대사 신임장 제정(제4대 상주대사)1991.4 신우광 대사 철수(대사관 폐쇄)1992.4.23 엄경식 대사 신임장 제정(제5대 스웨덴 상주)1996.1 김흥림 대사 신임장 제정

1998.2 손무신 대사 신임장 제정

2003.9 전인찬 대사 신임장 제정

2004.9 Arild Braastad 주한 노르웨이대사 겸임대사로 신임장 제정

2008.4 리희철 대사 신임장 제정

3. 주요인사교류

◦ 노르웨이 방문

1964.8 북한 통상사절단

1972.3 북한 사절단

1972.7 주소련 북한대사

Page 105: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Ⅸ. 북한과의 관계

105

1973.2 북한무역대표단

1973.8.24 북한국립평양곡예단

1973.11.1 북한 공산당 대표단

1974.4.19 오만석 북한외교부 부부장

1974.8.19 양문소 외교부 부부장

1975.3.11 장철 문화예술부 부부장

1975.11.12 양문소 외교부 부부장

1976.3.15 고등교육부장

1979.2.27-3.7 김관섭 대외문화연락위원회 위원장(노르웨이 사회주의

좌파당 연차총회 참석)1980.4.24-29 북한 외교부 부부장 김충일 일행(4명)1984.5 태권도 시범단

1985.4.12-16 노동당 중앙위원회 공숙 외 2명1985.7.10 수산청 부청장 외 2명1986.5.15-19 손성필 최고인민회의 부의장

1990.5.17-19 전인철 외교부 부부장

1997.3 김창룡 외교부 부부장

1999.11 전람총국 대표단

2000.5 외무부 대표단 2명(UNDP회의 참석차)2000.9 대외문화연락위 대표단 2명2000.10 노동당 대표단 2명(림희복, 박현찬)2001.5 윤이상 앙상블 공연단

2004.10 김춘국 외교부 구주국장

2009.10 김춘국 외교부 구주국장

◦ 방 북

1969.11 노르웨이 공산당 대표단

1972.8 노르웨이 외무성 직원

1974.6.5 노르웨이 사회인민당 의장

1974.8.31 노르웨이 노동당 대표단

1974.10.25 노르웨이 상무장관

1976.6 노르웨이 사회주의좌파당 대표

1977.9.14-18 사회주의좌파당 대표단

1978.5.25-6.10 Nor-북한 친선협회 회장

Page 106: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106

1982.2 노르웨이 노총 부위원장 등 6명1985.7 IPU 단장 Langlo 의원 등 5명1986.9 노동당 닝에 스탈드리크 의원, 공산당 페트르 한센

중앙위 위원

1991.4 IPU 단장 Verdal 의원 등 8명1993.2 노르웨이 공산당 대표단

1996.10 의회대표단(Bondevik 기민당 원내총무 등)1997.9 외무부 대표단(Pulsen 정무2과장 등)2000.11 외무부 대표단

2009.5 외무부 대표단

2011.4 외무부 대표단

4. 경제관계

◦ 현재 노르웨이의 UN 차원의 대북한 국제 제재 동참, 북한 체제의 정치․경제적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놀-북간 경제 교류가 극히 미미한 상황임. 향후 북한 체제 개방시 농업․어업․에너지․기간산업 분야의 협력이 가능할 것

으로 기대

5. 북한-노르웨이 협정

가. 무역협정

◦ 협 정 명 : Trade Agreement◦ 체결일자 : 1974.10.28

나. 북한의 대노르웨이 섬유제품 수출에 관한 협정

◦ 협 정 명 : Agreement relating to the exports from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of certain textile products for import into the Kingdom of Norway

Page 107: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Ⅸ. 북한과의 관계

107

◦ 체결일자 : 1991.12.20

6. 문화교류 사업

◦ 2011년 바렌츠 축제(Barents Spektakel)에 최초로 북한대표단 2명이 참

가하였고, 2012년에는 11명의 대표단이 방문함. 북한측의 동 행사 참가는

친북성향의 노르웨이 다큐 영화감독 모르텐 트로빅(Morten Traavik)의

주선에 의해 성사되었음.- 바렌츠 축제는 2004년 러시와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노르웨이 최북단

Kirkenes에서 다양한 문화예술 교류를 통해 양국 국경지대의 화합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됨 행사임

Page 108: 2012.8월 노르웨이개황
Page 109: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Ⅹ. 참고사항

Page 110: 2012.8월 노르웨이개황
Page 111: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Ⅹ. 참고사항

111

1. Svalbard 군도

가. 위 치

◦ Svalbard 군도는 북위 74°와 81° 사이, 동경 10°와 35° 사이에 위치하며, 61,020㎢의 면적(노르웨이 국토의 16% 해당)으로 Spitsbergen 등 9개 주

요 섬 및 기타 수많은 작은 섬으로 구성됨.

나. 역 사

◦ 12세기에 알려져 17세기에는 고래사냥의 중심지로서 영국, 네덜란드, 덴마크, 노르웨이의 영유권 분쟁이 있었으며, 20세기초 석탄 매장이 발견됨

에 따라 세계의 관심이 고조됨.◦ 1920년 조약에 의해 노르웨이의 주권이 인정되고, 국제적 접근 및 경제개

발이 합의되었으나, 군사목적 사용 및 요새건설은 금지되었음.

다. 행 정

◦ 1920년 스발바르 조약에 의거 노르웨이는 1925년 Mining Code를 제정하

고 4노트 마일(7.4㎞)의 영해를 확장하고 Spitsbergen의 상주 Governor가

행정권을 행사하고 있음.◦ 1941년에는 연합군에 의해 전쟁기간중 주민이 소개된 바 있으며, 1944년

소련은 전략적 이해 때문에 Svalbard 일부를 구소련 및 노르웨이의

condominium 하에 두자고 주장을 한 바 있으나, 실패함.◦ 가입국(영국・미국・프랑스・이탈리아・일본・네덜란드・덴마크・노르웨이・스웨

덴, 소련(1925년 추가) 등 41개국)은 Svalbard 지역에서의 노르웨이의 주

권을 인정하고, 노르웨이가 제정, 집행하는 법․제도를 준수할 의무를 가지

도록 규정, 현재 노르웨이의 민사․형사․행정절차법규가 동 지역에 적용되고

있음(1조 및 2조). 반면 가입국은 어업․수렵․통항․통신․채굴권(3조~8조) 등에 대해 타 체약국들과 동등한 권리를 향유.

Page 112: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112

라. 경 제

◦ 석탄광 캠프 3개 운영중(노르웨이 1, 러시아 2)◦ 2009년 석탄생산량 : 노르웨이(2.6백만톤)

- 스발바르 경제의 50% 이상을 차지

◦ 인구(2011년) : 약 2,400명(노르웨이 2,017명, 러시아 340명)

2. 주요인사 약력

가. 국 왕

◦ 성 명 : 하랄드 5세 (H. M. King Harald V)◦ 공식명칭 : His Majesty King Harald Ⅴ◦ 생년월일 : 1937.2.21◦ 주요학력

- 1955 오슬로 카테드랄 학교 수학

- 1959 기병장교 양성학교 및 육군사관학교 수학

- 1960~62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역사, 경제학, 정치학 수학

◦ 주요경력

- 1957년 이래 왕궁 정례 금요내각회의 참석

- 1958 국왕대리권 수행

- 1957~90 노르웨이 왕실 대표 자격으로 국내외 각종 행사참석

- 1991.1.21 국왕 취임

◦ 가 족 : 1968.8.29 평민출신 소냐(Queen Sonja)와 결혼, 슬하에 왕통

계승왕자 호큰 마그누스(Prince Haakon Magnus, 1973.7.20생) 및 메르타

루이즈 공주(Princess Martha Louise)를 둠.◦ 취 미 : Sailing, 스키, 사냥, 낚시

◦ 기 타 : 1964, 1968, 1972년 하계 올림픽 Sailing 노르웨이 대표 선수

로 출전

Page 113: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Ⅹ. 참고사항

113

나. 소냐(Sonja) 여왕

◦ 성 명 : 소냐(Sonja) ◦ 공식칭호 : Her Majesty Queen Sonja◦ 생년월일 : 1937.7.4(국왕과 동갑)◦ 출 생 지 : 오슬로 (평민출신)◦ 학력·경력

- 1954 중학과정 수료

- 1954~55 오슬로 직업학교 수료(dressmaking, tailoring 전공)- 1961 스위스 여성전문학교(고교과정) 수료

(패션디자인 등 전공)- 1968.3.19 약혼

- 1968.8.29 결혼

- 1971 오슬로대학 졸업(학사학위, 영어, 불어, 예술사 전공)

Page 114: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114

다. 옌스 스톨텐베르그(Jens Stoltenberg) 총리

◦ 생년월일 : 1959.3.16◦ 출 생 지 : 오슬로

◦ 학 력

- 오슬로 대학 경제학 석사

◦ 주요경력

- 1990~1991 환경부 부장관

- 1993~1996 통상·에너지부 장관

- 1996~1997 재무부 장관

- 2000~2001 총리

- 2005~ 총리 * 2002년 이후 노동당 당대표

◦ 가족관계 : 부인(Ingrid Schulerud) 및 2자녀(1남1녀)* 부인이 외교부 유럽국 부국장임.

◦ 특기사항

- 1979~1981 “Arbeiderbladet”(현 “Dagsavisen”으로 과거 노동당

기관지였음) 기자로 활동

- 1985~1989 노동당 청소년 연맹(AUF) 대표, 국제 사회주의 청소년

동맹 부대표

- 1993년 이래 국회(Storting) 멤버(오슬로시)- 개발이슈에 관심이 많으며 UN의 강력한 지지자

Page 115: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Ⅹ. 참고사항

115

라. 요나스 가르 스퇴레(Jonas Gahr Støre) 외교장관

◦ 생년월일 : 1960.8.25◦ 소속정당 : 노동당

◦ 학력 : 노르웨이 해군사관학교, 정치․역사․사회경제학 전공

◦ 경력

- 1986 하버드법대 협상분야 교수부

- 1986~1989 Norwegian School of Management 연구원

- 1989~1995 총리실 특별보좌관

- 1995~1998 총리실 국제국장

- 1998 제네바대표부 대사

- 1998~2000 세계보건기구(WHO) 대표단장

- 2000~2001 총리실장

- 2002~2003 ECON Analysis Working Chair- 2003~2005 노르웨이 적십자사 총재

- 2005~현재 외교장관

Page 116: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116

3. 각료 명단(2012.5.14 기준)

부처 장관(소속 정당)외교부 Jonas Gahr Støre(외교장관,노동당), Heikki

Holmås(국제개발장관,사회주의좌파당)재정부 Sigbjørn Johnsen(노동당)국방부 Espen Barth Eide(노동당)교육․연구부 Kristin Halvorsen(사회주의좌파당)노동부 Hanne Bjurstrøm(노동당) 아동․평등․사회통합부 Inga Marte Thorkildsen(사회주의좌파당)수산․연안부 Lisbeth Berg-Hansen(노동당)행정․개혁․교회부 Rigmor Aasrud(노동당)보건복지부 Anne-Grete Strøm-Erichsen(노동당)법무․치안부 Grete Faremo(노동당)지방자치․지역발전부 Liv Signe Navarsete(중앙당)문화부 Anniken Huitfeldt(노동당) 농업식품부 Lars Peder Brekk(중앙당)환경부 Bård Vegard Solhjell(사회주의좌파당)통상산업부 Trond Giske(노동당)석유․에너지부 Ola Borten Moe(중앙당)교통통신부 Magnhild Meltveit Kleppa(중앙당)

Page 117: 2012.8월 노르웨이개황

Ⅹ. 참고사항

117

4. 노르웨이 외무부 조직표

Page 118: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개황

118

5. 노르웨이 왕실계보

Page 119: 2012.8월 노르웨이개황

노르웨이 개황인쇄 ∙ 2012년 8월발행 ∙ 2012년 8월

발행처 ∙ 외교통상부 유럽국 서유럽과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8길 60

전화 ∙ (02)2100-7448팩스 ∙ (02)2100-7957

인쇄 ∙ 마스타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