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2

2013.2 이집트 개황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2013.2 이집트 개황
Page 2: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국기

≪ 국기 해설 ≫

1984년에 제정된 것으로 빨강은 혁명(반식민주의)을, 흰색은

영광을, 검정은 종식된 과거의 암흑을 상징하며, 중간 황금빛

독수리는 12세기에 이집트와 시리아를 통치한 Ayubbid 술탄의

문장을 나타낸다.

Page 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지도

Page 4: 2013.2 이집트 개황

I. 이집트 개관 ··················································································· 1II. 이집트 정세

1. 정치정세 ················································································· 72. 대외관계 ··············································································· 363. 경제 정책 및 최근 경제 동향 ············································· 524. 국방현황 ··············································································· 665. 문 화 ··············································································· 76

Ⅲ. 한・이집트 관계

1. 한・이집트 기본관계 ····························································· 852. 한・이집트 경제․통상관계 ····················································· 953. 한・이집트 문화 협력 ························································· 1044. 한・이집트 국방 협력 ························································· 1135. 영사・교민관계 ···································································· 115

Ⅳ. 이집트・북한 관계 ··································································· 119Ⅴ. 참고자료

1. 주요인사 인적사항 ····························································· 1272. 아랍연맹 개관 ···································································· 1613. 이집트 27개주(州) 현황 ··················································· 1634. 주요 연락처 ······································································· 1645. 이집트 관련 웹사이트 ······················································· 169

Ⅵ. 부 록

1. 여행정보 ············································································· 1732. 이집트 약사 ······································································· 1933. 이집트 종교 ······································································· 201

목 차

Arab Republic of Egypt

Page 5: 2013.2 이집트 개황
Page 6: 2013.2 이집트 개황

Ⅰ. 이집트 개관

Page 7: 2013.2 이집트 개황
Page 8: 2013.2 이집트 개황

3

Ⅰ. 이집트 개관

◦ 국 명 : 이집트 아랍공화국(Arab Republic of Egypt)◦ 수 도 : 카이로(인구 1,601만 명, 2012년 통계청)◦ 면 적 : 100.1만㎢ (한반도의 5배, 전국토의 95% 사막)◦ 인 구 : 9,100만 명(국내 8,300만 명, 국외 800만 명)

* 2012.8월 통계청 발표

◦ 민 족 : 이집트인, 베두윈, 베르베르인으로 구성된 햄족 99%, 그리스, 누비안, 아르메니아인 등 소수 민족 1%

◦ 종 교 : 수니파 회교(약 90%), 콥틱교(7-10%) * 공식 통계가 없어 수치가 다양하게 주장됨.

◦ 언 어 : 아랍어(공용어), 영어 및 불어 통용(지식층)◦ 정부형태 : 대통령 중심제(4년 중임제)◦ 국가원수 : Mohamed Morsy 대통령

* 총 리 : Hesham Kandil * 외교장관 : Mohamed Kamel Amr

◦ 의 회 : House of Representatives(하원, 최소350석, 해산 이전 508석), Shura Council(상원, 최소 150석, 현재 270석)

- 양원 모두 시민혁명후 해산되었다가 2011.11월~2012.2월간 선거를 통

해 구성되었으나, 2012.6월 최고헌법재판소의 판결에 따라 하원은 해산

되어 2013년 상반기 선거를 실시할 예정이며, 現상원은 신헌법에 의해

하원선거 이후 6개월 이내 재선거 예정(2013.1월 현재)◦ 경제규모(2011/2012 회계년도)

* 회계년도 : 매년 7.1~다음해 6.30

Page 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4

- GDP : 2,295억불(2011년, 세계 42위, WB)- 1인당 GDP : 2,781불(2011년, WB) - GDP 성장률 : 1.8%(2011년, WB)- 실업률 : 12% (2011년 추정, CIA)- 물가상승률 : 11.2%(2011년, WB)- 무역규모 : 수출 305.3억불, 수입 589억불, 교역량 894.3억불(2011, WTO)- 경상수지 : 79.2억불 적자

(무역수지 -316.9억불, 서비스수지 +53.6억불, 이전수지 +184.1억불)- 대외부채 : 343.8억불(2012.6월 기준)- 외환 보유고 : 150.4억불(2012.9월말 기준) - 주요자원 : 원유 (매장량 44억 배럴, 생산 66만 B/D)

천연가스 (매장량 78조 입방피트)◦ 교 육 : 의무교육 9년, 문맹률 28.6%(남 17%, 여 40.6%)

- 학제(초등 6년, 중등 3년, 고등 3년, 대학 4년)◦ 공 휴 일 : 금, 토 (토요일 비 휴무 직종 다수 있음) ◦ 시 차 : GMT + 2시간(한국보다 7시간 늦음)◦ 언 론

- 통신사 : MENA(Middle East News Agency)- 주요일간지 :Al Ahram지(100만부), Al Akhbar지(130만부),

Al Gomhouria(60만부), Al-Alam El-Yom Daily(17만부), Al Wafd지(5만부), Egyptian Gazette지(11만부, 영자지)

- TV ․ Ch 1-2 : 전국 방송, Ch 3-8 : 지방 방송

․ Nilesat : 위성 방송(TV 290 채널, 라디오 94 채널)- 라디오 : AM 39 채널, FM 6 채널

Page 10: 2013.2 이집트 개황

Ⅱ. 이집트 정세

Page 11: 2013.2 이집트 개황
Page 12: 2013.2 이집트 개황

7

Ⅱ. 이집트 정세

1. 정치정세

1-1. 정치체제

◦ 대통령 중심제에 내각책임제 요소를 가미한 중앙 집권적 정부형태

가. 대통령

◦ 임기 : 4년, 1회에 한해 연임 가능

◦ 권한

- ① 국가원수, ② 행정수반, ③ 군 최고통수권자, ④ 국무총리 임명권, ⑤ 군․관 인사권, ⑥ 비상사태 선포, ⑦ 특별사면권

◦ 대통령 선거 입후보 자격 (헌법 제135조)- ① 40세 이상의 이집트 국적이어야 하며, 부모 및 배우자 역시 이집

트 국적이어야 함, ② 최소20명 이상 상․하원 의원의 추천, 또는 10개 이상의 州에서 최소 2만 명 이상 유권자들의 추천(州당 최소 1천명 이상 유권자의 서명)

◦ 대선 관련 규정(2011.3월 헌법 개정)- 유효 투표의 50% 이상을 득표한 후보자가 대통령으로 선출되며,

50% 이상의 득표자가 없을 경우 상위 득표자 2인을 대상으로 결선

투표 실시

- 사법위원회가 대통령선거 감독 및 개표 관장

※ 과거에는 행정부(법무부)에서 대통령선거 업무를 관장하였으나 선거부정 폐해 심각

- 대통령 취임 후 30일 이내에 국무총리 임명

Page 1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8

나. 하원(People's Assembly)

◦ 2011.9.27 확정된 의회선거법에 따라 2011.11.28~2012.1.11간 3차에

걸쳐 하원선거 실시

★ 하원 의석 구성 및 분포

- 제적의원 수 : 총 508석(선출직 498석, 임명직 10석)․ 정당별 비례대표제(Party List System) : 332석․ 개인후보제(Individual Candidate System) : 166석․ 군최고위원회 임명 : 10석

- 하원선거 결과 자유정의당 235석(47.1%), Nour당 123석(24.6%) 등 이슬람 세력이 전체 의석의 70% 이상을 석권

◦ 그러나 의회선거법에 대한 위헌 소송이 제기되고 2012.6.14 최고헌법재

판소의 의회선거법 위헌 결정에 따라 하원은 해산된 상태

- 향후 하원선거는 신헌법 제정에 따라 2013년 상반기 실시 예정

◦ 임기 및 정원 : 5년, 최소 350명◦ 권한

- ① 입법권, ② 예결권, ③ 내각 불신임권, ④ 대통령 탄핵소추권

◦ 하원의원 선거 입후보 자격

- ① 25세 이상의 이집트 국적자, ② 초등교육 수료자, ③ 2/3 정당별

비례대표제, 1/3 개인후보제로 선출, ④ 정당소속 후보자의 개인후보

제 출마 허용, ⑤ 의회의 50%는 농민과 노동자 대표, ⑥ National Democratic Party(NDP, 과거집권당) 출신 고위인사의 향후 10년간

피선거권 박탈

다. 상원(Shura Council) :

◦ 기능 : 대통령과 하원에 대한 자문역, 하원 해산시 입법권 행사

◦ 자문사항

- 헌법의 일부 조항 개정에 관한 제안

Page 14: 2013.2 이집트 개황

9

- 헌법 개정 법안

- 경제・사회 개발 계획

- 국가의 영토와 주권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조약

- 국내정책 또는 대외정책 중 대통령이 의회에 회부하는 법안 및 기타

- 국영 신문사 수석 편집국장 임명 및 기준

◦ 정원 : 총 270명(정당별 비례대표제 120명, 개인후보제 60명, 나머지

90명은 대통령이 임명)- 2012.1월~2월 실시된 상원선거에서 자유정의당 105석(58.3%),

Nour당 45석(25%) 등 이슬람 세력이 전체 의석의 80% 이상을 석권

◦ 임기 및 정원 : 6년, 최소 150명, 3년마다 총원의 50% 선출, 대통령이 전체 인원의 10% 임명 가능

◦ 상원의원 선거 입후보 자격

- ① 35세 이상의 이집트 국적자, ② 고등교육 수료자

라. 정 당

◦ Mubarak 정권 시절에는 집권 여당(국민민주당)의 사무총장을 대표로

하는 정부위원회의 승인 없이는 정당 설립이 불가능하였으나, 시민혁명

이후 「정당 설립에 관한 법률 개정(2011.3월)」에 따라 사법위원회에

‘신고(notification)’만으로 정당 설립 가능

◦ 이에 따라 무슬림형제단, 살라피스트(이슬람 근본주의) 등 과거 정당

설립이 금지되었던 이슬람 세력들이 잇달아 당을 설립하며 본격적으로

정치 무대에 뛰어들게 되었으며, 특히 하원선거(2011.11월~2012.1월)를 앞두고 수많은 신생 정당이 출범

※ 주요 정당- 자유정의당(무슬림형제단) : 2011.5월 창당, 하원선거에서 제1당 - Nour당(이슬람 근본주의) : 2011.6월 창당, 하원선거에서 제2당 - Wasat당(온건 이슬람주의) : 2011.2.19 정식 인가- 건설개발당(이슬람 근본주의) : 2011.6월 창당- Wafd당 : 이집트내 가장 오랜 역사의 정당(1919년 창당)

Page 1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0

- 자유 이집트당(세속주의 정당) : 2011.4월 창당- 이집트 사회민주당: 2011.3월 창당- Tagammu당(좌파 정당) : 1976년 창당- New Tomorrow당 : 2006년 창당- 나세르당 : 1992년 창당- Dignity당 : 2011년 창당

마. 사법부

◦ 헌법상 법원과 재판관의 독립성 보장

◦ 조직 : 3개 기관으로 구성

- 기초법원(Primary Court)- 행정법원(Administrative Judiciary)- 대법원(The Supreme Court of Appeal or Cassation Court)

◦ 헌법재판소(The Supreme Constitutional Court)- 재판소장과 10명의 판사로 구성, 대통령이 임명

◦ 검찰총장의 임기는 4년이며, 대통령이 임명

바. 이집트 정부 각료 명단(2013.1.6 현재, 총리 이하 35개 부처)

연번 직 책 성 명1 총리

(Prime Minister) Hesham Kandil2 외교부장관

(Minister of Foreign Affairs) Mohamed Kamel Amr3 국방부장관

(Minister of Defense & Military Production) Abdel Fatah Al-Sisi4 내무부장관

(Minister of Interior) Mohamed Ibrahim5 재무부장관

(Minister of Finance) El-Morsy El-Sayed Hegazy6 법무부장관

(Minister of Justice) Ahmed Mekky

Page 16: 2013.2 이집트 개황

11

연번 직 책 성 명7 교육부장관

(Minister of Education) Ibrahim Ahmed Gonim8 공보부장관

(Minister of Media) Saleh Abdel Maqsook9 문화부장관

(Minister of Culture) Saber Ibrahim Arab10 관광부장관

(Minister of Tourism) Hisham Abbas Zaezou11 종교재산부장관

(Minister of Religious Endowments (Awkaf) Talaat Afify12 전력에너지부장관

(Minister of Electricity and Energy) Ahmed Imam13 산업통상부장관

(Minister of Industry and Trade) Hatem Saleh

14정보통신부장관

(Minister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

Atef Helmy

15 주택도시개발부장관(Minister of Housing & Urban Development) Tarik Wafik Mohamed

16 석유부장관(Minister of Petroleum) Osama Mohamed Kamal

17 방산물자담당 국무장관(Minister of State for Military Production) Reda Mahmoud Hafez

18기획국제협력부장관

(Minister of Planning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shraf El-Araby

19 민간항공부장관(Minister of Civil Aviation) Wael El Meadawy

20 환졍부장관(Minister of State for Environment Affairs) Khaled Mohamed Fahmy

21 사회복지부장관(Minister of Insurance and Social Affairs) Nagwa Khalel(여)

22 조달부장관(Minister of Supply and Interior Trade)

Bassem Kamel Mohamed Ouda

23 고등교육부장관(Minister of Higher Education) Mustafa El Sayed Mosaad

Page 17: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2

연번 직 책 성 명24 보건부장관

(Minister of Health and Housing) Mohamed Mustafa25 교통부장관

(Minister of Transportation) Hatem Abdel Latif

26농업부장관

(Minister of Agriculture and Lands Cultivation)

Saleh Abdel-Moamen

27 노동이민부장관(Minister of Manpower and Immigration) Khaled El-Azhary

28수자원관개부장관

(Minister of Water Resources and Irrigation)

Bahaa El-Din Saad

29 과학연구부장관(Minister of Scientific Research) Nadia Eskndar Zakhary(여)

30 문화재담당 국무장관(Minister of State for Antiquities Affairs) Mohamed Ibrahim Ali Said

31 지역개발담당 국무장관(Minister of State for Local Development) Mohamed Ali Bashar

32의회담당 국무장관

(Minister of State for Parliamentary Councils Affairs)

Omar Salem

33 청소년담당 국무장관(Minister of State for Youth) Osama Yassin Abdel Wahab

34 체육담당 국무장관(Minister of State for Sports) Al-Amary Farouk

35 투자부장관(Minister of Investment) Osama Saleh

36식수위생부장관

(Minister of Drinking Water and Sanitation Facilities)

Abdel-Qawi Khalifa

※ 굵은 글씨 : 무슬림형제단 소속※ 지방 정부 : 총 27개주

Kafr El-Sheikh, Aswan, Damietta, Cairo, Giza, Suez, Sohag, Matrouh, Port Said, Qaliubiya, North Sinai, El-Monofeya, Red Sea, Ismailia, Gharbiya, South Sinai, Qena, Al Wadi al Jadid, Assiut, Beni Sueif, Daqahliya, Alexandria, Beheira, Minya, Sharqiya, Fayoum, Luxor

Page 18: 2013.2 이집트 개황

13

1-2 국내 정세

가. 이집트 시민혁명<2011.1.25>

◦ 튀니지에 이어 이집트에서 시민 봉기 가능성이 유력하다는 국내외의

분석이 제기되기 시작(2011.1월초)- 빈곤(인구의 40%가 1일 2달러 이하로 생활), 고실업, 높은 물가상

승률, 장기 독재정권 및 부정부패 등

- 뚜렷한 시위 주도세력은 없었으나「4.6청년운동」, 「혁명청년연합」을

비롯한 청년 단체들이 중심이 되어 인터넷, 페이스북 등 SNS를 통

한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

◦ 2011.1.25 ‘경찰의 날’을 계기로 카이로 도심의「타흐리르 광장」을 비

롯 수에즈, 알렉산드리아 등 전국의 주요 도시에서 반정부 시위 발발

※ 이집트의 최대 반정부・종교 단체인 무슬림형제단은 1.27 시위 참여★ 시민혁명 주요 일지

- 1.25 반정부 시위 최초 발생

- 1.28 금요 기도회 직후 전국적 시위로 확산, 경찰과 충돌. 경찰

병력 철수, 인터넷 및 휴대전화 불통, 야간통행 금지 실시. 최소 53명 사망

- 1.29 Mubarak 대국민 연설(내각 해산 및 정치개혁 약속)- 2. 1 최대 규모의 반정부 시위(타흐리르 광장 20만, 전국 100만) - 2. 2 親-反 Mubarak 시위대간 유혈 충돌. 13명 사망, 1200명 부상

- 2. 3 정부측, 야권과의 대화 시도. Mubarak 대통령, 하야 요구 거부

- 2. 5 오바마 미대통령, 이집트의 신속한 권력이양 요구

- 2. 6 시위세력, 정부와의 협상 거부 및 시위 계속 입장 선언

- 2. 8 Wael Ghonim 석방(반정부 시위 촉발 페이스북 운영자) - 2.10 Mubarak 대통령, 퇴진 거부 대국민 연설

- 2.11 Mubarak 대통령 하야. 군부에 권력 이양 발표

◦ 18일간의 시민혁명 기간 중 사망자 846명, 부상자 6,467명 발생

Page 1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4

나. 이집트 과도정국

(1) 군최고위원회 정권 장악 및 과도정국 운영

◦ 2011.2.11 Mubarak 장기집권 체제 붕괴 이후 군최고위원회(위원장

Tantawi 국방장관)가 이집트의 과도정국 운영

- 3.7(월) Essam Sharaf 총리 등 총 29개 부처 1차 과도 내각 출범

- 12.7(수) El Ganzouri 총리 등 30개 부처 2차 과도 내각 출범

◦ 군최고위원회는 2011.2.13 성명을 통해 △헌법의 효력 정지 △의회 해

산 △헌법 개정 △향후 6개월 이내에 국회의원 선거 및 대통령 선거 실

시 이후 권력의 민간이양 등 정치개혁 일정 제시

◦ 군최고위원회의 권한 및 임무(2011.3.23 발표 헌법선언 제56조)- 국가의 주요 공공 정책 및 예산에 관한 결정 및 발표

- 선출된 하원 의원의 임명

- 입법에 대해 공포 또는 반대할 수 있는 권한

- 국내외적으로 국가를 대표, 조약 및 협정의 서명

- 총리 및 각료 임명권

- 민, 군, 정계의 주요 인사 임면권, 외교사절 승인

- 사면권

- 기타 법과 규정에 근거하여 대통령이 결정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권

한 및 책임 등

(2) 2011년 개정헌법

◦ 8명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개헌위원회가 2011.2.26 대통령선거 출마 자

격 완화 및 연임 제한 등을 골자로 하는 헌법개정안 마련

- 동 헌법개정안은 3.19(토)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77.2%의 찬성으로

가결(역대 최고의 투표율 : 41.19%)★ 2011 개정헌법의 주요 내용

- 대통령 후보는 40세 이상의 이집트 국적을 가져야 하며, 부모 및 배우

자 역시 이집트 국적이어야 함

Page 20: 2013.2 이집트 개황

15

- 대통령 입후보는 최소 30명 이상의 하원 또는 상원 의원들의 추천, 또는 최소 15개 선거구에서 3만명 이상 유권자들의 추천, 또는 상원이나

하원에서 최소 1석 이상을 보유한 정당의 지명에 의해 가능

- 대통령 임기는 4년, 1회에 한해 연임 가능

- 사법위원회가 대통령 및 의회선거 감독 및 개표 관장

・ 동 사법위원회는 항소법원장, 최고헌법재판소, 파기원, 행정법원의 각

대표들로 구성되며 위원장은 최고헌법재판소장

- 대통령 취임 후 60일 이내에 부통령 임명

- 비상조치법은 의회의 승인을 얻어 발동되며, 6개월 이상 지속 불가

※ 구 헌법상 대통령 입후보 자격은 ①상・하원 또는 주의원 중 250명 이상의 추천 ②선거 전 5년 이상 정당법상 등록 ③최근 선거에서 상・하원 의석 1석 이상을 보유한 정당의 당원으로 규정. 대통령 임기는 6년이며, 연임 제한 조항 없음

◦ 군최고위원회는 국민투표를 통해 확정된 개정 헌법을 근거로 하여 대통령

및 의회 선거, 신헌법 제정 등 과도기 정치 일정과 군최고위원회의 임무 및

권한 등을 담은 헌법선언을 발표(2011.3.23), 군최고위원회의 과도 국정

운영 및 정치 일정 추진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

(3) 의회선거

■ 의회선거 실시 동향

◦ 군최고위원회는 당초의 일정보다 다소 지연된 아래 일정으로 의회

선거를 실시(2011.9.27 의회선거법 개정) - 하원 선거 : 1차(2011.11.28-29), 2차(2011.12.14-15),

3차(2012.1.3-4)- 상원 선거 : 1차(2012.1.29-30), 2차(2.14-15)

◦ 의회선거법 개정 추진 시(2011.9월) 군최고위원회는 정당별 비례대

표제와 개인후보제에 의한 의원 선출을 50:50으로 하고 개인후보제

에 정당 소속 후보 출마를 배제하는 선거법 초안을 마련하였으나, 개인후보제에 의한 의원 선출을 반대하고 의원 전원을 정당별 비례

대표제에 의한 선출을 주장하는 정치권의 요구와 팽팽히 맞서, 결국

정당별 비례대표제에 의해 2/3, 개인후보제에 의해 1/3을 선출하는

Page 2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6

혼합형 의원 선출 방식과 정당 소속 후보의 개인후보제 출마를 허용

하는 방향으로 의회선거법 개정

◦ 군최고위원회는 의회선거를 앞두고 세속주의 정치 세력과 연계하여

신헌법 가이드라인 제정(Selmy Document)을 추진하였으나, 이것이

국방예산에 대한 신성불가침과 군부가 과도 정국 이후에도 계속하여

국정에 간여하려는 의도로 알려지면서 전국적인 대규모 반군부 시위

를 초래하고 총선 직전까지도 예정대로 선거가 실시될지 유동적이었

으나, 군최고위원회가 총선 실시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거듭 천명하

여 총선이 실시됨. ■ 의회선거 결과

◦ 2011.11월~2012.2월간 실시된 총선은 과거와는 달리 비교적 투명

하게 실시

- 선거 결과, 자유정의당 47.1%, Nour당 24.6% (하원 기준) 등 이

슬람 계 정당들의 압도적인 승리. 반면 전통 야당인 Wafd당, 세속주의 정당, 시민혁명 세력들은 저조하였으며, 구 정권의 국민민

주당(NDP) 인사들도 몰락

★ 정당별 의석 획득 결과

정당명 하원 상원 비고자유정의당 235석(47.1%) 105석(58.3%) 무슬림형제단

Nour당 123석(24.6%) 45석(25%) 살라피스트 정당Wafd당 38석(7.6%) 14석(7.9%) 자유주의 전통 야당

Egyptian Bloc 34석(6.8%) 8석(4.4%) 세속주의 정당 연합Wasat당 11석(2.2%) 중도 이슬람 정당

RCA 7석(1.4%) 시민혁명 청년세력 연합기타 군소정당 29석(5.8%) 4석(2.2%)

무소속 21석(4.2%) 4석(2.2%)소 계 498석 180석

통수권자 임명 10석 (90석)총 의석 508석 270석

Page 22: 2013.2 이집트 개황

17

■ 최고헌법재판소의 의회선거법 위헌 판결(2012.6.14) ◦ 시민혁명 이후 최초로 실시된 의회선거가 국민들의 높은 참여 가운

데 비교적 투명하고 공정하게 치러졌다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일단

의 변호사 및 정치 활동가들은 동 의회선거가 헌법이 보장하는 평등

의 원칙에 위배된다며 위헌 소송을 제기

◦ 동 의회선거 위헌 소송에 대한 공판이 대통령선거 결선투표(6.16-17)를 앞둔 미묘한 시점인 6.14(목) 최고헌법재판소(SCC)에서 열렸으며, 동 헌법재판소는 최종 선고에서 의회선거법에 대해 위헌 판결

- 이에 앞서 최고헌법재판소 이사회는 2012.5월 보고서에서 ▲ 하

원의원 정원의 2/3가 정당별 비례대표제, 1/3이 개인후보제에 의

해 선출되도록 되어 있어 정당 소속 후보들에게 우선권이 부여되

었으며, ▲의회 법령에 따르면 정당 소속 후보가 개인후보제에 출

마할 수 없도록 되어 있으나 개인후보제에 정당원의 출마를 허용

함으로써, 무소속 후보의 피선거권이 침해되었으며, ▲재외 부재

자선거에서 사법 감독이 아닌 외교관에 의한 감독이 이루어졌고

비 선거가 보장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을 제기

◦ 군최고위원회(SCAF)는 최고헌법재판소의 상기 판결에 따라 6.15(금) 하원 해산 조치를 취함.

(4) 대통령선거

■ 대통령선거 일정(2012.2.29 대통령 선거위원회 발표)◦ 후보자 등록 : 2012.3.10~4.8◦ 공식 선거 운동 : 2012.4.30~5.21◦ 1차 투표 : 2012.5.23~5.24◦ 결선 투표 : 2012.6.16~6.17

■ 대선 입후보 동향 및 결과

◦ 총 23명의 후보자가 등록을 하였으나 대통령선거위원회의 검증 결과, 10명이 탈락되고 13명의 후보만이 대통령선거 후보자명부에 등재

Page 2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8

◦ 2012.5.23-24간 실시된 대통령선거에 전체 유권자 50,996,746명

중 23,265,516명이 참여하였으며, 46.6%의 투표율 기록

★ 대통령선거 개표 결과

- Mohamed Morsy 후보(무슬림형제단) : 5,764,952표 (24.7%)- Ahmed Shafiq 후보(전 총리) : 5,505,327표 (23.6%)- Hamdeen Sabahy 후보(좌파, 나세르주의자) : 4,820,273표 (20.7%)- Abul Fotouh 후보(무슬림형제단 간부 출신) : 4,065,239표(17.5%)- Amr Moussa 후보(전 아랍연맹 사무총장) : 2,588,850표(11.1%)

◦ 상기 투표결과 어느 후보도 과반수이상 지지를 얻지 못함에 따라 상

위 1,2위를 차지한 Mohamed Morsy 후보와 Ahmed Shafiq 후보가

결선투표에 진출

다. Mohamed Morsy 대통령 취임<2012.6.30>

(1) 대통령 당선 및 의의

◦ 6.16(토)-17(일) 실시된 대통령선거 결선투표에서 무슬림형제단 출신

의 Mohamed Morsy 후보가 Ahmed Shafiq 후보(전 총리)에게 88만여

표 차이로 승리, 대통령에 당선

- Mohamed Morsy 후보 : 13,230,131표 (51.73%)- Ahmed Shafiq 후보 : 12,347,380표 (48.27%)

◦ Morsy 대통령은 6.30(토) 정오 최고헌법재판소에서 대통령 선서식을

행함으로써 1952년 왕정체제 종식 이후 이집트의 제5대 대통령으로서

취임하였으며, 선서식에 이어 카이로대학에서 행한 취임 연설을 통해

대통령으로서의 포부를 대내외에 천명

◦ 그러나 약 60년간의 군사 통치를 종식시키고 민주선거를 통해 취임한

이집트 최초의 민선 대통령이라는 역사적인 의미에도 불구하고 Morsy 대통령은 출범부터 대통령으로서의 전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군부와 권

력을 공유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

- Morsy 대통령은 최고헌법재판소보다는 하원의사당에서 선서식을 갖

Page 24: 2013.2 이집트 개황

19

기를 희망하였으나 관철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상황에 대한 대안으

로서 선서식 전날(6.29) 타흐리르 광장의 시위 군중 앞에서 상징적

인 대통령 선서식을 가짐.※ 군부의 대통령 권한 제한 조치(보완 헌법선언 발표)

◦ 군부는 신헌법 제정이 늦어진다는 구실로 대통령선거 개표 직전인 6.17(일)‘보완 헌법선언(The Complementary Declaration)'을 발표, 대통령의 권한을 대폭 제한하고 대통령 선출 이후에도 군부의 권한을 유지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

◦ 보완 헌법선언 주요 내용 - 의회 해산에 따라 최고헌법재판소에서 대통령 선서 실시- 군과 관련된 모든 문제는 군최고위원회(SCAF)가 관장. 군최고위원회 위

원장은 신헌법 제정 시까지 군총사령관(군 통수권자) 및 국방부장관 겸직- 대통령은 SCAF 승인 하에 외국과의 전쟁 선포 - 대통령은 SCAF의 승인 하에서 군에게 임무 부여 가능- SCAF는 신헌법 제정 시까지 헌법선언 제56조의 권한 보유 - 제헌회의가 임무를 수행할 수 없을 경우, SCAF에게 새로운 제헌회의 구

성 권한 부여- SCAF에게 신헌법 제정 개입 권한 부여

(2) Morsy 대통령의 권력 기반 강화 활동

■ 총리 임명 및 내각 구성

◦ 시민혁명(2011.1월) 이후 17개월간의 과도기간 동안 극심한 치안

불안 및 경제 침체를 겪으면서 사회안정 및 경제재건의 과제를 앉고

출범한 Morsy 대통령은 취임 100일 이내에 시급히 해결해야 할 5대

과제로서 치안, 식량, 에너지, 교통, 환경 문제를 제시

◦ 그러나 군부와의 권력 분점, 대통령 당선 후 탈퇴한 조직인 무슬림

형제단과의 관계 등 제반 사정에 의해 내각 구성이 상당 기간 지연

되어 대통령 취임 후 24일 만인 7.24(화) Hesham Kandil 총리를

지명하였고, 이후 수차례의 내각 구성 지연 등 진통을 거쳐 8.2(목) 총 35개 부처의 내각을 발표

Page 2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20

◦ 새 내각은 비교적 해당 분야의 전문가(Bureaucrat 또는 Technocrat)들로 진용이 갖추어진 것으로 평가. 실제로 무슬림형제단은 각료의

50% 할당을 희망하였으나 5명의 장관을 확보하는 데 그쳤으며, Nour당(살라피스트 정당)도 5개 내외의 장관직을 요청하였으나 환

경장관 1자리만 제의받자 동 각료직을 반납하고 신내각에 불참

◦ 그러나 과거 군사 정권과 구별되는 새로운 정부의 출범에도 불구하

고 새 내각은 총 35명의 각료 중 6명(외교, 국방, 재무, 방산물자, 과학연구, 사회복지, 문화재)이 유임되는 등 다소 퇴색된 면이 있었

는바, 이러한 배경에는 ① 대선에서 핵심 지지층이었던 무슬림형제

단 및 살라피스트 세력, 군부, 혁명 세력 등 제반 정치 세력과 신임

총리 내정자 등의 이해가 서로 상충되고, ② 향후 신헌법 제정과 하

원 선거 등 중요한 정치 일정을 앞두고 내각의 단명 가능성이 점쳐

지면서 하마평에 오른 상당수의 인사들이 각료직을 고사하였기 때문

인 것으로 분석

■ 대통령위원회(Presidential Team) 발족 및 주지사 교체

◦ Morsy 대통령은 8.27(월) 4명의 보좌역(Assistant)과 17명의 자문단

(Advisory) 등 「대통령위원회(Presidential Team)」를 발표

- 4명의 보좌역에는 콥틱교도와 여성을 대표하여 각각 1명, Nour 당의 Abdel Ghafour 당수(소통 담당) 및 Essam Al-Erian 무슬

림형제단 고위 간부(외교 및 국제협력 담당)가 임명되었으며, 17명의 자문단은 무슬림형제단 간부 출신 5명, Nour당 2명, 언론인

4명, 이슬람주의 사상가 및 제헌회의 위원 등으로 구성

◦ 정치권은 대통령위원회의 발족에 대해 기대감을 나타내는 한편, 4명의 보좌역 중 3명과 17명의 자문역 중 10명이 이슬람을 배경으로

하는 인사라는 점에 불만을 표출하였으며, 일각에서는 대통령위원회

의 실질적인 역할 및 기능에 대해서도 의구심을 제기

◦ 한편, 9.4(화) 전국 27개주 중 카이로 주지사를 비롯한 10명의 주지

사가 교체

Page 26: 2013.2 이집트 개황

21

■ 국방장관 및 군총참모장 등 군 수뇌부 전격 경질 조치

◦ Morsy 대통령은 8.12(일) Tantawi 군최고위원장(국방장관 겸임) 및

Samy Anan 군총참모장 등 군부의 핵심 간부를 전격 경질하는 한편, 대통령 취임 후에도 상당한 권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2012.6월 군최

고위원회(SCAF)에 의해 제정된 ‘보완 헌법선언’의 폐지를 골자로 하

는 새로운 헌법선언(New Constitutional Declaration)을 발표

★ 주요 조치 내용

- Tantawi 국방장관을 해임하고 대통령 자문관으로 임명. 후임 국방장

관에 Abdel Fatah Al-Sisi 군 정보부장을 임명

- Samy Anan 군총참모장을 해임하고 대통령 자문관으로 임명. 후임

군총참모장에 Sobhy Sayed Ahmed 제3 야전군 사령관을 임명

- Aly Sabry 방산물자부 장관을 해임하고 후임에 Mohamed Hafez 공군총사령관을 임명. 이밖에 해군총사령관, 방공군총사령관, 국방부차

관을 경질

- ① ‘보완 헌법선언’의 폐지, ② 헌법선언 제56조의 주체를 ‘군최고위

원회’에서‘대통령’으로 교체, ③ 제헌회의가 신헌법 제정 임무를 제대

로 수행하지 못할 경우 새로운 제헌회의를 구성할 수 있는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한다는 요지의 제1차 헌법선언 발표

◦ 상기 조치를 통해 Morsy 대통령은 취임 이후 군부와 권력을 분점해

온 “반쪽자리 대통령”에서 벗어나, 신헌법 제정 시까지 SCAF에게 부

여된 입법권, 예산권, 군 통수권 등 일체의 권한을 보유

◦ 시민혁명이후 과도 정국을 이끌어 왔으며 전통적으로 막강한 영향력

을 행사해 온 군부에 대해 Morsy 대통령이 국정수행 과정에서 권력

의 분점에서 오는 무력감을 실감, 전격적인 군 수뇌부 경질 카드를

꺼낸 것으로 분석

- 8.5(일) 시나이반도에서 국경수비대원 16명이 무장괴한에게 살해

되는 사건의 발생으로 인해 군부에 대한 비판 여론이 고조되고

이에 대한 대처 과정에서의 보고 지연, 무장세력 소탕 작전 및 책

임자 경질 과정에서의 의견 충돌 등을 겪은 것도 요인으로 작용

- 일부에서는 Morsy 대통령이 그동안 은 히 군부 내에 Tantawi 위원장에 대한 대안 세력들을 발굴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Page 27: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22

SCAF내 소장파 그룹(새로 임명된 국방장관, 차관을 중심으로 한

50세 중반 그룹)과 Tantawi 위원장을 비롯한 60세 이상의 노장

파 그룹간 분열 가능성, 즉 보직 및 처우 등에 있어 불만이 팽배

해 있던 소장파 그룹들이 단결하여 Morsy 대통령의 조치를 지지

한 것으로 관측

◦ Al-Sisi 신임 국방장관은 취임 직후 약 70명의 노장파 장군들을 전

역 조치하는 등 대대적인 인사 조치를 단행한 데 이어, SCAF 위원

도 2명을 제외하고 새로운 보직을 받은 장군들로 대폭 교체

■ 부통령 임명

◦ Morsy 대통령은 8.12(일) 군부에 대한 조치와 더불어 Mahmoud Mekky 대법원 판사를 부통령에 임명(Ahmed Mekky 법무장관과 형제)

■ 이-팔문제 중재를 비롯한 활발한 방문 외교의 추진

◦ Morsy 대통령은 치안 회복 등 국내적으로 시급한 과제의 해결 및

권력 기반 강화에 주력하면서도 대외적으로 이집트의 위상 강화 및

국제사회의 경제재건 지원 확보를 위한 방문 외교를 활발히 전개

★ 취임 이후 해외 방문 활동

- 사우디아라비아(7.11-12) : 양국 우호관계 강화 및 경제 원조 확보

- 에티오피아(7.15-16) : AU 정상회의 참석

- 사우디아라비아(8.14) : OIC(이슬람협력기구) 정상회의 참석

- 중국(8.27-29) : 양국간 우호 증진 및 경제 협력

- 이란(8.30) : 비동맹 정상회의 참석

- 브뤼셀(EU) 및 이태리(9.13-16)- UN 총회(9.24-27), 터키(9.30), 우간다(10.9-10)

◦ Morsy 대통령은 AU(에티오피아), 비동맹(이란), OIC 정상회의(사우디), 아랍연맹회의(카이로) 등 여러 계기에 미국 등 서방 국가 위

주의 과거 대외정책에서 탈피하여 ‘균형 적인 외교 정책’의 추진 및

국제평화 기여 의지를 표명

- OIC 회의에서는 시리아사태 해결을 위한 4개국(이집트, 터키, 사

Page 28: 2013.2 이집트 개황

23

우디, 이란) Contact Group회의 제안

◦ 2012년 11월 이스라엘과 하마스(팔레스타인 가자지구)간 무력분쟁

이 발발하였으며 이집트는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개입, 정전협상을

성공적으로 중재함

-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정정합의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냄으로서

직접적인 당사자 및 이해관계국들로부터 중재능력을 인정받음

라. 신헌법 제정<2012.12.25.>

(1) 제헌회의의 신헌법 초안 마련

◦ 2012.5월 정치세력 간 합의에 따라 상․하원은 2차 제헌회의를 발족시켰

으나, 6.14(목) 최고헌법재판소(SCC)의 의회선거 위헌 판결의 영향을

받아 동 제헌회의는 존폐의 위기 가운데에서 신헌법 제정 작업을 수행

- 8.12(일) Morsy 대통령은 신헌법선언을 통해 「제헌회의」가 헌법제

정 작업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경우 새로운 제헌회의를 구성할 수

있음을 밝힘.※ 제1차 제헌회의는 2012.3월 구성되었으나 이슬람세력이 과도하게 동 제헌회의

를 점유(총 100명의 위원 중 70% 이상)함으로 인해 국민들의 거센 반발을 초래하고 행정법원의 해산 명령(4.10)으로 해체됨

◦ 제2차 제헌회의는 10.12(금) 헌법 제1차 초안을 대외 발표하고 이에

대한 여론을 수렴

- 신헌법 초안이 과거의 헌법에 비해 국민의 기본권이 잘 보장되어 있

고 민주적이라는 일반적인 평가예도 불구하고, 이슬람진영(무슬림

형제단, 살라피스트 등)와 비이슬람진영(자유주의, 세속주의, 콥틱

계) 모두 동 신헌법 초안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며 거부

- 특히, 비이슬람진영은 신헌법 초안이 지나치게 보수적이고 종교적인

관점에서 쓰여 있어 오히려 인간의 존엄성 및 기본권을 침해하고 있

으며, 여성 및 아동의 권리 보장도 미흡하다고 주장

◦ 한편, 10.23(화) 행정법원은 제2차 제헌회의 구성에 대한 위헌소송을

Page 2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24

최고헌법재판소로 이송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최고헌법재판소는 이를 45일 이내에 처리해야 함.

(2) Morsy 대통령의 헌법선언을 통한 신헌법 제정 강행

■ 대통령 권한을 강화하는 헌법선언 발표

◦ 신헌법 제정의 최종단계(국민투표)를 앞두고 이슬람세력과 반이슬람

세력의 대립이 고조되는 가운데, Morsy 대통령은 최고헌법재판소의

제헌의회 해산을 저지하고 신헌법 제정을 강행하기 위해 11.22(목) 대통령의 권한을 강화하는 제2차 헌법선언을 발표

★ 주요 조치 내용

- Morsy대통령취임이후 발표한 헌법선언 및 포고령은 신헌법이 제정

되고 하원이 구성될때까지 최종적이며, 어떤 방법으로도 취소되거나

보류될 수 없으며 이에 관한 법정 소송은 무효

- 사법기관은 “상원(Shura Council)"이나 제헌회의를 해산할 수 없음

- 검찰총장 해임 및 대통령에게 국가와 혁명을 보호하기 위한 필요조

치 시행 권한 부여

■ Morsy 대통령의 헌법선언에 대한 반발

◦ 초법적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한 2차 헌법선언에 반발하여 전국적

인 반대시위 발생

- 이집트 시민혁명의 상징인 타흐리르 광장을 비롯한 주요도시에서

Morsy 대통령의 헌법선언에 대한 반대시위가 일어났으며, 반대세

력과 지지세력간의 충돌로 다수의 유혈사태 발생

■ 신헌법 최종안 제정 완료 및 국민투표 예고

◦ 11.29(목) 100명의 제헌회의 의원 중 85명(콥틱교도 대표, 세속주의

의원은 11월 중순 탈퇴)은 236조의 신헌법 최종안을 전격 통과시킴

◦ Morsy 대통령은 신헌법 최종안을 국민들에게 발표하고 12.15(토) 이 최종안에 대한 찬반투표를 실시할 것을 예고

Page 30: 2013.2 이집트 개황

25

★ 헌법조항 비교

구분 1971년 헌법 2012년 신헌법안 비고구성 총 211조 총 236조

종 교

o 헌법 제2조 - 이슬람이 국가의 종교이며,

이슬람 율법(Sharia)의 원칙들(Principles)이 입법의 주요 원천

o 종교 및 종교 의식의 자유 보장 (제46조)

o 헌법 제2조 : 좌동 - Sharia의 원칙들(Principles)

에 대해 순니파 교리 및 사회에서 통용되는 일반적 증거, 기본규범, 법 규정 등 명문화(제219조)

- Sharia의 원칙 규정시 Al-Azhar에게 협의 권한(Consultative Position)을 부여(제4조)

o 종교의 자유는 침해할 수 없는 권리이며, 유일신의 종교(heavenly religions)의 의식 및 예배 장소의 보장(제43조),예언자에 대한 모독 금지(제44조)

o 신헌법 제정시 이슬람 세력들은‘Sharia가 입법의 주요 원천’으로 개정코자 하였으나, 1971년 헌법조항이 그대로 유지됨.

o 쟁점이 되어온 제2조 대신에 다른 조항에 이슬람 종교 색채를 추가한 것으로 분석

o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고 하면서도 유일신으로 국한하여 여타 소수 종교의 자유를 제한

대통령

o 임기 6년이며, 연임 제한 규정 없음(제77조)o 250명 이상의 상・하원 또는

지방의원의 추천으로 입후보

o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비상

사태를 선포하며, 선포후 15일 이내에 하원에 보고(제148조)

- 비상사태는 한정된 기간에만 가능하며, 연장할 경우에는 하원의 동의 필요

o 임기 4년, 1회에 한해 연임 가능(제133조)

o 최소 20명의 상․하원 의원의 추천 또는 최소 10개주에서 2만명 이상 유권자의 동의를 받아 입후보 가능(제135조)

o 국무회의와 협의를 거쳐 비상사태를 선포해야 하며, 선포후 7일 이내에 하원에 보고(제59조)

- 비상사태는 6개월을 초과할 수 없으며, 6개월 초과시에는 국민투표를 거쳐야 함

- 비상사태 기간 중 하원을 해산시킬 수 없다는 조항 추가

(제148조)

Page 3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26

구분 1971년 헌법 2012년 신헌법안 비고구성 총 211조 총 236조

대통령

o 대통령이 외국과의 조약 체결시 하원에 보고해야 하며, 비준 및 공포 등의 절차를 거쳐 발효

(제151조)

o 대통령의 외국과의 조약 체결시 의회 승인 절차 강화(제145조)

- 평화조약, 동맹, 통상 또는 주권과 관련되거나 국민들에게 재정부담이 수반되는 조약의 체결시에는 상․하원에서 각각 2/3 이상의 찬성이 필요

의회

o 임기 및 정원(제 82조) - 하원 : 임기 5년, 최소 350명 - 상원 : 임기 6년, 최소 132명 * 대통령이 상원 의원의 1/3

임명

o 선출 방식(제88조) - 선거 및 의원 선출 방식에

대해 법률로 규정

o 하원의 내각 불신임권 및 대통령의 국회 해산권

- 하원은 총리 및 장관들에 대해 과반수 의원의 찬성으로 불신임 결정(제126조)

- 대통령은 필요시 하원을 해산할 수 있으며, 해산후 60일 이내에 하원선거 실시(제136조)

o 임기 및 정원(제114조, 제128조)

- 하원 : 임기 5년, 최소 350명 - 상원 : 임기 6년, 최소 150명 * 대통령이 상원 의원의 10%

임명o 선출 방식(제231조) - 정당별 비례대표제에 의해

2/3, 개인후보제에 의해 1/3을 선출하며, 정당소속 후보자들의 개인후보제 출마를 허용

o 의회의 내각 불신임권 및 대통령의 의회 해산권

- 총리 및 장관들에 대해 과반수 의원의 찬성으로 불신임 결정(제126조)

- 대통령이 의회 해산시 20일이내에 국민투표를 거치도록 요건 강화(제127조)

o 2011.11월~2012.2월 실시된 의회 선거시는 하원 508석, 상원 180석

사법부

o 최고헌법재판소의 구성을 법률로 정함(제176조)

o 최고헌법재판소(SCC)는 재판소장과 10명의 판사로 구성되며 대통령이 임명(제176조)

o 대통령이 검찰총장 임명

o 종전에는 17명의 판사로서 구성되었으며, 최고헌법재판소 전체회의에서 최고헌법재판소장 선출

Page 32: 2013.2 이집트 개황

27

구분 1971년 헌법 2012년 신헌법안 비고구성 총 211조 총 236조

군부

o 대통령을 의장으로 하는 「국방위원회(National Defense

Council)」가 구성되어, 동 위원회에서 국가안보문제 심의

(제182조)

o 군사 법정 운영에 대해 법률로 규정

o 「국방위원회(National Defense Council)」에서 국가안보문제 및 군 예산 등 심의(제193조, 제197조)

- 대통령은 선전포고시 국방위원회와 협의(제146조)

o 군을 해롭게 하는 범죄를 제외한 민간인의 군사재판 금지(제198조)

o 신헌법안에서는 국방위원회는 대통령을 의장으로 하고 상․하원 의장, 총리, 국방, 외교, 재무, 내무장관, 정보부장, 군총참모장 및 각군 총사령관 등으로 구성된다고 명시

o 2012.10월 발표된 초안에서는 민간인에 대해 예외 없는 군사 재판 금지를 규정하였으나, 군부의 압력에 따라 군을 해롭게 하는 범죄를 제외한 민간인의 군사재판 금지로 후퇴

언론

o 언론, 출판 등의 자유 보장. 그러나 비상사태 또는 전쟁시 출판물에 대한 검열 가능 (제48조)

o 언론에 대한 통제는 금지되며 전쟁 또는 국민 동원(public mobilization)시에 한해 예외적으로 검열 가능(제48조)

국민의

권리와

자유

o 모든 국민은 법 앞에서 평등하며,인종, 언어, 종교 또는 신념에 의한 차별 금지 (제40조)

o 국가는 어머니와 어린이를 보호하고, 젊은이들이 능력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여건을 제공(제10조)

o 아동 노동에 대한 규정 없음

o 모든 국민은 법앞에 평등하며, 차별이 없음(제33조)

o 국가는 어머니와 어린이에게 무료로 건강서비스를 제공하고 여성에게 가정에서의 의무와 일에 있어 조화를 이루도록 보장(제10조)

o 의무 교육 연령에 달하지 못했거나 아동에 적합지 않은 노동을 금지(제70조)

o 인권단체들은 차별 금지에 대해 보다 명백하게 신헌법에 규정되기를 희망

o 전문가들은‘여성의 의무(The Duties of Woman)' 문구의 삭제를 요구

o 아동에 적합지 않은 노동을 금지한다고 하여 오히려 일정 분야에서 아동 노동을 허용하고 있다는 비판제기

지방의회 구성 및

기타

o 지방의회는 점진적 구성하며, 지방의회의 구성 절차, 권한, 재정 조달 등은 법률로 정함 (제162~제163조)

o 자율적인 지방 의회의 구성 및 활동 보장. 단 주지사 임명 및 절차에 대해서는 법으로 규정 (제188-192조)o 현 대통령의 4년 임기 보장 (제226조)o 신헌법 제정후 60일 이내에 하원선거 실시(제229-230조)

o 새로운 지방행정체제는 향후 10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도입

o 시민혁명 이후 군최고위원회 및 대통령이 발표한 헌법선언은 신헌법 발효와 동시에 철회(제234조)

o 상원은 하원이 구성될 때까지 입법 권한을 보유하며, 하원 구성후 6개월 이내에 상원선거 실시

Page 3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28

■ 제3차 헌법선언(2차 헌법선언의 무효) 및 국민투표 강행

◦ 국민투표 찬반세력간의 충돌이 격화되는 가운데 Morsy 대통령은 제

2차 헌법선언을 취소하는 내용의 제3차 헌법선언을 12.8(토) 발표

★ 주요 조치 내용

- 11.22 발표한 헌법선언 무효

- 신헌법 국민투표가 부결될 경우, 대통령은 3개월 이내에 제헌의회 재구성

- 발표된 모든 헌법선언에 대해 사법당국은 이의제기를 할수 없음

◦ 국민투표 반대세력의 투표연기 요구에도 불구하고 12.15 국민투표

강행 천명

(3) 국민투표 실시, 신헌법 통과

■ 판사들의 국민투표감독 반발에 의해 2회에 걸쳐 국민투표 실시

◦ 선거관리위원회는 신헌법 찬반국민투표를 12.12(수) 전세계 재외공

관의 재외부재자 투표를 시작으로, 12.15(토) 본투표를 실시하려고

하였으나 사법부 판사들의 대규모 투표감독 거부로 인해 본투표를

15일과 22일 두차례로 나누어 실시하기로 함

- 제1차(12.15) : 카이로, 알렉산드리아 등 10개주

- 제2차(12.22) : 기자, 수에즈, 룩소르 등 17개주

■ 찬성 63.8%로 신헌법 통과

★ 투표결과

투표수 비율 찬성 10,693,911 63.83% 반대 6,061,011 36.17%

유효득표수 16,754,922 98.22%무효표 303,395 1.78%합계 17,058,317 100.00%

투표율 32.86%투표인단 수 51,919,067

찬성 █ 반대 █

Page 34: 2013.2 이집트 개황

29

마. 이집트의 향후 정치 일정

(1) 하원 선거

◦ 시민혁명 이후 최초로 실시된 의회 선거(2011.11월-2012.2월)는 이집

트의 선거 역사상 비교적 공정하고 투명하였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동

선거에 대한 위헌 소송이 제기되고, 2012.6.14 최고헌법재판소(SCC)의

판결에 의해 하원이 해산된 상태

- Morsy 대통령은 7.8(일) 하원 재소집 포고령을 발표하여 한때 하원

이 소집되기도 하였으나, SCC의 동 포고령 위헌 판결에 따라 하원

소집은 재차 중단

◦ 시민혁명 이후의 정치 일정상에는 「의회선거후 헌법 제정」 수순이었으

나, 하원 해체 이후 「신헌법 제정 후 의회선거 실시」로 변경

◦ 지난 의회선거 및 대통령선거에서 참패를 경험한 야권 세력(세속자유주

의, 좌파 및 나세르주의, 급진 개혁주의 등)은 하원선거에 대비, 이슬람

세력에 맞서는 야권 동맹 구축을 위해 노력을 경주할 것으로 전망되며, 현재는 각 정파별로 세력의 규합에 치중하고 있는 상황

★ 주요 야권 연합 세력

① 「The National Salvation Front, NSF」 : 야당 구국 연합

Egyption Popular Current, Al-Dustour, al-Tajammu, Free Egyptian, New Wafd, Democratic Front, The Egyptian Social Democratic Party, Nasserist Democratic Party, Conference Party 등 자유주의, 세속주의 좌파 그룹이 2012.11.22. Morsy대통령이 발표한 무소불위

의 헌법선언을 계기로 규합하여 구성한 최대 야권 연합. 전 IAEA사

무총장 Mohammed ElBaradei, 전 아랍연맹 사무총장 Amr Moussa, 전 나세르당 대선후보 Hamdeen Sabahi를 중심으로 결집

② 「National Front」 : 좌파 및 나세르주의 연합. 사회 정의 및 아랍민

족주의 성향으로 지난 대선에서 3위를 차지한 Hamdeen Sabahy를

중심으로 결집(이집트 사회민주당, 사회주의 인민동맹당 등)③ 「Egyptian Nation」: 세속주의 및 자유시장 경제, 전통 야당인 Wafd

당과 전 아랍연맹사무총장인 Amr Moussa(대선에서 5위)를 중심으

로 형성

Page 3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30

④ 「National Congress」: 20개 군소 정당 연합, Ayman Nour(Al-Ghad당 당수, 2005년 대선에서 Mubarak 전 대통령에 이어 2위)를 중심

으로 결집

⑤ 「United Revolutionary Front」: 군소 사회개혁 정당 및 공산주의

정당, 급진 사회주의 리더인 Kamal Khalil 이 주도

⑥ 「Misr Al-Qaweya」: 중도 온건 이슬람 세력, 대선에서 4위를 차지

한 Abul Fotouh를 중심으로 강력한 국가 건설을 목표(Al-Wasat당, 이집트 미래당 등)

◦ 2013년 상반기 실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하원 선거에서는 이슬람 세력

들이 지난 하원 선거와 같이 압승하지는 못할 것이라는 의견과 계속 다

수를 점할 것이라는 의견으로 양분되어 있으며, 향후 남은 기간의 정국

동향이 변수가 될 전망

무슬림형제단

1. 배경 및 연혁- 무슬림형제단은 세계에서 가장 큰 순니(Sunni) 이슬람주의 운동 단체. 이

집트를 비롯한 많은 아랍국에서 최대 규모의 정치 조직- 이집트 무슬림형제단은 영국의 식민 통치 및 무능한 이집트 왕정의 세속

화, 급속한 서구 사상의 전파 등으로 붕괴되는 아랍사회를 이슬람 근본정신으로의 회귀를 통해 해결하려는 목적으로 1928년 Hasan Al-Banna에 의해 결성된 후 중동 각국에도 지부 형성

- 연 혁 ․ 1928 영국의 식민 지배 및 세속화에 대항하여 창설 ․ 1945 지부 5,000개, 조직원 1백만 명으로 확대 ․ 1948 정부요인 암살 주도 혐의로 강제 해산 ․ 1950 정권 교체로 합법적 지위 회복 ․ 1954 Nasser의 친영정책에 반발, 암살기도, 이후 불법화 ․ 1964 급진 혁명적 성향의 조직 재건 ․ 1981 Mubarak 대통령 취임 이후 무슬림형제단에 학생운동 세력이 합류

하면서, 정계 등 사회 각 분야 진출 ․ 1990 민주적 정치제도 요구. 정부의 대대적인 탄압 ․ 2005 ‘케파야 운동(enough)’참여. 11월 총선에서 88의석 확보 ․ 2011.1월 시민혁명 참여. 사실상 합법단체로 인정

Page 36: 2013.2 이집트 개황

31

․ 2011.4월 자유정의당 창당 ․ 2011.11월~2012.2월 의회 선거에서 제1당으로 부상 ․ 2012.6월 대선에서 무슬림형제단 출신의 Morsy 대통령 당선

2. 각 지부 - 알제리, 바레인, 시리아, 팔레스타인, 요르단, 이란, 이라크, 이스라엘, 사우

디아라비아, 수단, 이라크, 소말리아, 튀니지, 미국, 리비아, 몰디브 등3. 무슬림형제단에 대한 국민들의 평가

- 80년대부터 학생운동과 합류한 무슬림형제단은 학생들과 종교인 등 오랜 독재 체제 하에서 개혁을 갈망하는 국민들의 폭넓은 지지를 얻음

- '케파야 운동’에 참여하면서 Mubarak의 독재 기반을 흔든 것이 Mubarak 정권에 염증을 느낀 민심을 끌어내는데 성공했다는 평가

- 그러나 과도 정치 일정을 거치면서 무슬림형제단의 영향력이 과도하게 확대되자 무슬림형제단에 대한 거부감도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

4. 무슬림형제단의 향후 진로- 시민혁명 이후 최초로 실시된 하원선거(11.11월-12.1월)에서의 제1당 확

보(47.1%), 2012.6월 대통령을 배출하면서 제반 분야에서 영향력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으나, 이 과정에서 세속․자유주의 세력과의 대립 및 권력 투쟁이 심화될 전망

1-3. 이집트 치안 및 테러 정세

가. 무슬림-기독교도간 종교 갈등

◦ 이집트 인구의 약 10% 내외를 점하고 있는 소수 콥틱교도와 다수 무슬

림과의 종교간 갈등은 이집트 국민들의 화합을 저해하고 사회 불안을

야기하는 고질적인 문제

◦ 이집트 시민혁명 당시 무슬림과 콥틱교도들이 시위 현장에서 서로 협력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으나, 이후 살라피스트 등 이슬람 근본주의

자들의 자유로운 활동이 허용되면서 양 종교간 갈등 문제가 심화되고

Page 37: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32

있는 추세

★ 무슬림-콥틱교도간 최근 분쟁 일지

- 2008.5월 카이로 콥틱교도 보석 가게 총격(5명 사망), Minya주 소재

콥틱 수도원 습격 사건

- 2010.1.6(콥틱교의 크리스마스 이브) Qena주 Nagaa Hammadi 지역의

콥틱교회에서 성탄예배를 마치고 나오는 신도들을 향해 무슬림 범인들

의 총기 난사 (신도 6명, 경비경찰 1명 사망) - 2011.1.1 알렉산드리아 Al-Qiddissein 교회 차량 폭탄 테러(21명 사망,

97명 부상)- 2011.3.8 카이로 모카탐 지역에서 양측 교도 간 대규모 유혈 충돌 (13

명 사망, 140명 부상)- 2011.4.15 Qena주 기독교 출신의 주지사 임명 반대 시위

- 2011.5.7 Imbaba 교회 방화 및 양측 교도 간 충돌(10명 사망, 186명

부상)- 2011.10.9 카이로 도심 마스페로에서 과격 이슬람주의자들의 아스완주

신축 교회 습격에 대한 항의 시위 중 콥틱 교도와 군경간 유혈 충돌

(25명 사망, 327명 부상) ◦ 종교를 둘러싼 갈등 문제는 정치세력 간 갈등과도 무관하지 않은 바,

무슬림형제단을 비롯하여 이슬람국가 건설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있

는 이슬람 정치세력과 세속주의 국가를 도모하는 정치세력 간 갈등 및

대립이 점차 심화될 것으로 전망

- 시민혁명 이후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의 활동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

나. 치안 불안 및 경제 침체

◦ 2011.1월 시민혁명 이후 과도 정국 내내 악화되어 왔던 치안 불안 문제

는 이집트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사안

- 시민혁명 당시 근무 현장에서 철수하였다가 복귀한 경찰도 폭력 진

압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을 의식하여 적극적인 업무 수행 회피

◦ 특히 시나이반도 치안 부재 및 안보 문제가 심각하게 부각(리비아 등지

로부터의 무기 및 마약 수, 알카에다 활동 가능성 등 대두)

Page 38: 2013.2 이집트 개황

33

- 2012.1월 이후 한국인 관광객 납치 사건(2.10)을 비롯하여 베두인족

에 의한 외국인 관광객 납치 사건(미국, 브라질, 체코, 중국 등)이

빈번이 발생

◦ 치안 불안은 관광객 감소로 이어져 경기 회복을 지연시키고, 고물가 및

높은 실업률 등은 다시 사회 불안 및 민생범죄 증가 등으로 악순환

-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서 납치, 절도, 차량 탈취 및 강도 등 민생범죄

가 눈에 띄게 증가

◦ Mohamed Morsy 대통령은 취임(2012.6.30) 이후 100일 이내에 시급

히 해결해야 할 5대 과제로서 치안, 식량, 에너지, 교통, 환경 문제를

제시하며 치안 회복 및 사회 안정에 진력하고 있으며, 치안 문제는 조

금씩 개선되고 있는 추세

다. 테러 및 외국인 납치 사건 동향

◦ Mubarak 정권하에서는 테러에 대한 강경 대응으로 이집트내 테러 발생

이 비교적 소강 상태를 보였으나, 시민혁명 이후 경찰력이 약화되고 치

안 부재 상태가 계속되면서 테러발생의 위험성이 고조되고 있는 추세

◦ 특히, 시나이반도의 치안부재 상태가 장기화되면서 이스라엘, 요르단 등

지로 공급되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이 무장 괴한에 의해 시민혁명 이후

15회나 폭파되고, 외국인 여행객 납치 사건 등이 빈번히 발생

- 이집트 정부는 2011.8월 이스라엘의 양해 하에 군병력(약 1천명)을

시나이반도에 투입하여 무장 세력에 대한 대대적인 소탕작전을 벌인

바 있으며, 2012.8월에도 무장 세력에 의한 이집트 국경수비대원 사

살 사건(16명 사망)을 계기로 시나이 북부 무장세력 은신처에 대한

대대적인 토벌 작전을 전개

★ 2012년 이후 시나이반도 테러 및 외국인 납치 사건 발생 일지

- 1.28 샤름 엘 셰이크 환전거래소 강도(프랑스인 1명 사망, 독일인 1명

부상)- 1.31 중국인 근로자 25명 납치(북부 시나이)- 2. 3 미국인 여행객 2명 납치(시아이산 인근)

Page 3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34

- 2. 5 북부시나이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폭파(시민혁명 이후 12번째)- 2.10 한국인 여행객 3명 납치(시나이산 인근)- 3. 5 북부시나이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폭파(시민혁명 이후 13번째)- 3.18 브라질 여성 2명 납치(시나이산 인근)- 3.22 체코 여성 가이드 1명 납치(남부 시나이)- 4. 9 북부시나이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폭파(시민혁명 이후 14번째)- 5.31 미국인 관광객 2명 납치(시나이산 인근)- 7.13 미국인 관광객 2명 납치(다바지역)- 7.22 북부시나이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폭파(시민혁명 이후 15번째)- 8.5 무장 세력의 이집트 국경 검문소 공격(국경 수비대 16명 사망)

※ 우리정부는 시나이산 인근 아국인 여행객 납치 사건(2012.2.10)을 계기로 시나이반도 전 지역에 대한 여행경보를 2단계(여행자제)에서 3단계(여행제한)로 상향하였으나, 이집트 신정부 출범(6.30) 이후 치안 상황 개선 등을 고려하여 2012.10.16 시나이반도에 대해서는 경보 세분화, 여타지역은 하향 조정함.- 3단계(여행제한) : 시나이반도 내륙, Aqabah항 연안 지역- 2단계(여행자제) : 시나이반도 샴 엘 세이크 및 수에즈 연안 지역, 엘살롬

등 리비아 국경 인근 지역 - 1단계(여행유의) : 카이로 등 여타 이집트 지역

이집트 경찰조직 현황

가. 이집트 경찰 일반 현황 (1) 조직 일반 o 중앙 집권적 국가경찰 체제 o 내무부(장관, 경찰총수) 산하 각 주별 27개 지방 경찰청 o 지역별 10개 공안국(National Security Sector) o 지방 경찰청 산하 일선 경찰서(지구대 또는 파출소 제도 없음) o 경찰학교(Police Academy) 산하 3개의 경찰교육기관 및 1개의 연구기관 o 경찰병원 및 Police Club, 호텔 등 복지시설 (2) 특수 목적 경찰활동 o 마약전담 수사국 o 출입국관리 경찰(Immigration Dpt)

Page 40: 2013.2 이집트 개황

35

o 관광경찰 o 공항만 경찰(항만경찰 : 해양 경찰의 기능 수행) o 문화재 보호 경찰 등 (3) 경찰 인력 규모 o 간부 경찰 3만 5천명 o 일반 경찰 및 의무경찰 포함 시 총 20만명 규모나. 조직 체계

내무부장관(소장)경찰교육기관

경찰병원 및 복지기관수석차관보

차관보18개국

27개 지방경찰청일선경찰서

다. 계급 체계 o 軍 계급과 동일한 구조로 운영 o Lieutenant에서 Major General(소장)까지 8개 계급(11개 등급)

Page 4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36

2. 대외관계

가. 이집트 시민혁명 및 신정부 출범 이후의 외교정책 방향

◦ 이집트 신정부는 Mubarak 정권 시절의 이집트 외교정책이 장기 독재

및 정권 세습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미국 일변도의 외교정책

을 추구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 이집트의 위상이 실추되었다는 인식하에

미국 등 편향적 외교정책에서 벗어나 ‘균형 외교’를 추진한다는 입장

- 향후 이집트의 외교정책은 개방 정책(Open Door Policy)을 추구하

고, 모든 국가와 균형적인 관계를 갖되, 외국이 이집트의 국내정치에

개입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는 입장

- 미국과의 관계를 호혜적인 관계로 재정립하며, 그동안 등한시하였던

아프리카 국가, 특히 나일강 연안 국가들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중국

등 아시아 신흥국들과의 관계도 강화한다는 입장

- 시민혁명 이후 외국인 투자 철수, 관광객 급감 등으로 경제가 심각

히 악화됨에 따라 경제 재건이 국가적 최우선 과제라는 인식 하에

외국인 투자 유치, 관광산업 진흥을 위해 종교적 이념에 얽매이지

않고 실리 외교를 추진한다는 입장

- 전통 우방국인 사우디 등 중동지역의 왕정국가들이 ‘아랍의 봄'의 영

향이 자국에까지 미칠 것을 우려하고 있음을 감안, 이집트는 시민혁

명을 수출하지 않을 것이며 걸프지역의 안보가 이집트의 안보에도

직결된다는 입장

- 개발도상국들이 소외되어 있는 불공정한 현 국제 질서를 재편하여

개발도상국들이 국제사회의 문제 해결에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공정한 새로운 국제 질서가 확립되어야 한다는 입장

- 유엔 안보리를 확대․개편하여 아프리카 국가가 안보리 상임이사국에

포함되어야 하며, 유엔 총회가 국제평화와 안보 문제에서 보다 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총회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입장

◦ Mubarak 정권 시절에는 대통령을 중심으로 외교정책이 결정되었으나, 시민혁명 이후에는 이집트 사회가 민주화되면서 외교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행위자(actors)들이 대통령, 군부, 의회, 정당, 사회단체, 언론

등으로 다원화되고 있는 추세

Page 42: 2013.2 이집트 개황

37

- 특히, 외교정책 결정 과정에서 언론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늘어나

고 있는바, 예를 들어 Mubarak 정권 시절에는 사우디 등 주변 산유

국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는 이집트 근로자들의 상황이 이집트 언론

에 보도되지 않아 관심을 끌지 못하였으나 시민혁명 이후에는 이들

의 상황이 이집트 언론에 보도되기 시작하면서 주변 산유국들과의

관계에서 외교적인 마찰 요인이 되기 시작

나. 주요 역내 현안에 대한 주재국 입장

(1) 이-팔 평화협상

(가) 팔레스타인 문제 해결을 위한 주재국 기본 입장

◦ 팔레스타인 문제가 오랫동안 해결되지 못하고 있으나, 팔레스타인

문제가 공정하고 포괄적으로 해결될 때까지 이집트 외교정책의 최우

선 과제의 하나가 될 것이라는 입장

◦ 팔레스타인인들의 자결권과 팔레스타인인들이 자신들의 땅에 국가를

세울 수 있는 권리를 지지하며, 팔레스타인 문제는 현재의 팔레스타

인 지역에 있는 팔레스타인인들 뿐 만 아니라 주변국에 흩어져 있는

팔레스타인 난민들의 의사도 반영하여 해결되어야 한다는 입장

- 유엔 회원국의 지위를 획득하려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의

노력을 지지하며, 팔레스타인의 유엔 회원국 지위 획득을 위해 아

랍권이 국제사회에 압력을 가해야 한다는 입장

(나) 팔 제정파간 내부 화해 및 대화 중재

◦ 이집트는 팔레스타인이 대이스라엘 관계에서 유리한 입장에 서서 협

상을 하기 위해서는 팔레스타인 제정파간 화합이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이를 적극 후원

◦ 이집트의 중재 하에 2011.5월 카이로에서 팔 제정파간 화해 협약이

서명되어 과도 관료정부 및 총선ㆍ대선 준비를 위한 협상이 진행되

고 있으나, 파타와 하마스간 신뢰 부족, 하마스 내부 분열 등으로 과

도정부 구성이 지연되고 있는 중

Page 4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38

◦ 그러나, 이집트는 팔레스타인 제정파간 화해를 위한 중재 노력을 지

속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이며, 팔레스타인 제정파들에게도 이스라엘

의 점령을 종식시킨다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화해 협약을 조속 이행

할 것을 촉구 중

- 하마스가 이집트 무슬림형제단의 분파임에도 불구하고 이집트 정

부는 특정 팔레스타인 정파에 편파적이지 않고 중립적인 입장을

견지

(다) 이스라엘-하마스(팔레스타인 가자지구)간 충돌 중재

◦ 2012년 11월 이스라엘과 하마스(팔레스타인 가자지구)간 무력분쟁

이 발발하였으며 이집트는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개입, 정전협상을

성공적으로 중재함

- UN사무총장의 셔틀외교와 더불어 이집트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정정합의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냄으로서 직접적인 당사자 및

이해관계국들로부터 중재능력을 인정받음

- 미국 클린턴 국무장관이 배석한 가운데 Amr 이집트 외교장관이

정전 합의를 발표함으로써 미국측 역할을 부각시킴

◦ 정전합의의 후속조치로 이스라엘의 동의하에 카타르정부의 가자지구

재건사업에 필요한 건축자재의 Rafah Crossing을 통한 반입을 허용

◦ 정전합의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과 가자지구간의 도발행위가 계속되

고 있어 정전합의가 언제까지 유지될수 있을지 확실치 않음

(2) 중동 비핵지대화 문제

◦ 이집트는 1995년 NPT 평가회의시 중동 비핵지대화 및 중동내 대량살

상무기의 폐지에 관한 결의안이 통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 15년간

아무런 진전이 없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2010.5월 제8차 NPT 평가회의

시 아래 두 가지 사안을 제기

- ‘중동 비핵지대(Middle East Nuclear Weapon Free Zone)’ 창설 및

이를 위해 △ 이스라엘의 NPT 가입, △ 이스라엘의 핵능력에 대한

IAEA의 전면적 사찰 촉구

- 모든 중동국가(이스라엘 및 이란 포함) 및 여타 국가들이 참여하는

Page 44: 2013.2 이집트 개황

39

가운데 ‘중동 비핵지대’ 창설을 위한 국제회의 개최

◦ 이집트는 2012.12월로 예정되었던 헬싱키 개최 중동 비핵지대 국제회

의가 중동 비핵지대화 구상을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으로 보고

적극적인 입장을 보였으나, 미국의 입장 변화로 동회의는 2013년으로

연기됨

(3) 나일강 수자원 배분 문제

(가) 배경

◦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나일강 상류국은 나일강 수자원의 불평등

이용 문제를 제기

- 상류국들은 하류국인 이집트가 나일강 수자원을 과도하게 사용

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이의 시정을 요구

★ 나일강 수자원에 관한 기존 협정

△ 1929년 이집트는 나일강 상류지역을 식민통치하던 영국과 나일강

이용에 관한 협약을 체결, 이집트의 수자원 이용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거부권 확보

△ 1959년 이집트는 수단과의 협정을 통해 아스완 하이댐에 유입되는

연간 수자원 840억㎥ 중, 자연 증발되는 100억㎥를 제외한 740억㎥

중 이집트가 555억㎥를 사용하고, 수단이 185억㎥를 이용하도록 합의

◦ 에티오피아, 케냐, 우간다, 부룬디, 르완다, DR콩고 등은 상기 협정

체결 당시 자신들은 배제되었다는 이유를 들어 이의를 제기

- 케냐와 우간다는 나일강 연안국 전체가 관여하지 않은 협정은 무

효라면서 새로운 협정의 체결을 강력히 요구

◦ 이러한 문제 제기에 따라 1997년 이집트의 주도로 나일강 연안 9개국(이집트, 수단, 에티오피아, 우간다, 케냐, 탄자니아, 콩고, 루안다, 부룬디)이 나일강 수자원의 효과적 이용 및 연안국간 협력 증진을

위한 'Nile Basin Initiative'를 창설

◦ 1997년 이후 「나일강 유역 협력을 위한 기본협정(Agreement for

Page 4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40

Nile Co-operative Framework)」체결을 위한 협상이 시작되었으나, 이집트가 강력히 주장하고 있는 ① 수자원 안보, ② 상류 국가의 프

로젝트에 대한 사전 통지 제도, ③ 주요 프로젝트에 대한 거부권 인

정 등 주요 쟁점 사안에 대한 회원국 간 이견으로 공전을 거듭

◦ 2010.4월 카이로 개최 나일강 수자원 관련국 장관회의에서도 협정

체결에 실패하자, 에티오피아, 케냐, 우간다, 탄자니아, 르완다, DR콩

고, 브룬디 등 7개 연안국들은 이집트와 수단이 불참한 가운데 나일

강 유역 기본협정 서명 추진 의사 표명

- 이집트는 동 협정 체결을 위해서는 모든 참가국들의 만장일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이에 강력히 반발하고, 대안으로 ⌜나일강

고위급 위원회(A Higher Commission for the Nile Basin)」창설

을 제의(여타 7개 연안국측은 ‘나일강 유역 기본협정’ 서명을 지

연시키려는 전략이라면서 이를 비난)◦ 2011.5월 우간다 엔테베에서 에티오피아, 케냐, 르완다, 우간다, 탄

자니아, 부룬디 6개국이 공정한 나일강 수자원 사용 권한을 규정한

‘엔테베 조약’(Entebbe Treaty)에 서명

(나) 주재국 입장

◦ Murarak 정권 당시 주재국은 나일강에 대한 이집트의 역사적인 권

리를 주장하는 한편, 나일강 수자원 확보를 사활적 이익으로 간주하

고, 나일강 수자원에 대한 기존의 권리가 침해될 경우 모든 수단을

통해 이를 해결해 나간다는 입장 고수

◦ 그러나 시민혁명 이후의 이집트 정부는 나일강 연안국가들과의 협력

을 통해 나일강 연안지역이 수자원 배분 문제로 인한 분쟁지역이 되

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는 방향으로 선회

- 이집트 정부는 Entebbe 조약의 서명은 계속 거부하면서, ‘Nile Basin Initiative'을 통해 모든 연안국가들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해 나가자는 입장 견지

Page 46: 2013.2 이집트 개황

41

다. 주변국과의 관계

(1) 이스라엘

◦ Mubarak 정권은 친미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이스라엘과도 비교적 긴

한 관계를 유지하였는바, 이-팔 문제를 둘러싸고 정치적인 목적에서 긴

장을 조성하기도 하였으나, 경제적으로는 협력관계를 유지

- 이집트-이스라엘 평화협정 체결(1979) 이래 양자간 군사협의회를

운영하는 등 비교적 긴 한 협력관계 유지

- 2002.4월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에 대한 과도한 무력사용을 이유로

주이스라엘 대사를 소환한 바 있으나 2005.3월 재 파견

- 2004.12월 이집트-이스라엘-미국 3자간 일종의 자유무역 협정인

QIZ(Qualified Industrial Zones) 협정 체결

- 2008.2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을 통해 대이스라엘 가스 수출 시작

- 무슬림형제단을 자신의 정권 유지에 최대의 위협 세력으로 본 Mubarak 대통령은 무슬림형제단의 분파인 Hamas에 대해서도 적대적인 태도를

견지하였는바, 2007년 Hamas의 가자지구 장악 이후 이스라엘의 대가자지

구 봉쇄 정책에 동조하여 가자지구-이집트간 국경 검문소(Rafah Crossing)를 폐쇄

◦ 시민혁명 이후 무슬림형제단이 주요 정치세력이 되고 무슬림형제단 출

신인 Morsy가 대통령에 당선됨에 따라 대이스라엘 관계 재정립 문제가

주요 이슈의 하나로 부상

- Mubarak 정권이 대미 굴종적 외교의 연장선상에서 이-팔 문제에

대해서 제대로 목소리를 내지 못하였다는 인식 하에 Rafah Crossing 개방, 이집트-이스라엘 평화조약 파기, 대이스라엘 천연가스 수출

중단을 요구하는 여론이 증대

- 이집트 과도정부는 2011.5월 Rafah Crossing을 개방하고 팔레스타

인 제정파간 화해협정 서명을 중재하는 등 이-팔 문제에 보다 적극

적으로 개입하기 시작

- 2011.8월 이스라엘 군이 테러단체를 소탕하는 과정에서 이집트 영토

인 시나이 반도에 진입하여 이집트 국경수비대원 6명을 살해하는 사

건이 발생하자 2011.9월 이집트 시민들이 주카이로 이스라엘대사관

Page 47: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42

에 진입, 이스라엘 국기를 끌어내리는 사건 발생

- 이집트 국영 가스공사는 2012.4월 이스라엘측이 4개월분의 천연가스

공급 대금을 지불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천연가스 공급 계약을 파기

- Morsy 대통령은 이집트가 기 체결한 국제협약을 존중한다는 입장이

나, 2012.8.5 시나이 반도의 테러세력들이 이스라엘 국경 부근 국경

수비대 초소를 공격하여 이집트 국경수비대원 16명이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 시나이반도에 이집트 군병력의 배치를 제한하는 이집트-이

스라엘 평화조약을 개정하여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는 중

◦ 2012년 11월 이스라엘과 하마스(팔레스타인 가자지구)간 무력분쟁이

발발하였으며 이집트는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개입, 정전협상을 성공적

으로 중재함으로써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이집트의 중립적

중재자로서의 역할 인정

(2) 요르단

◦ 이집트와 요르단은 전통적인 우방국으로서 긴 한 협력 관계 유지

- 요르단의 2005.2월 중동평화 4자 정상회담(샴 엘 셰이크) 참석을

비롯, 중동평화협상 등 대외정책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긴 한 협력

관계 유지

◦ 2009.11월 양국 총리를 수석대표로 하는 고위 공동위를 개최, 경제, 무역, 투자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고 양국관계를 아랍간 연대에 기

초한 「전략적 핵심 파트너 관계」로 격상

- 양국간 교역액이 2007년 3억6천8백만 달러에서 2011년 9억3천9백만 달러로 급격히 신장

- 파이프라인을 통한 이집트 천연가스의 요르단 수출 및 요르단을 경

유한 파이프라인을 통해 레바논, 시리아, 터키로 천연가스 수출

◦ 이집트 시민혁명 이후 시나이반도를 관통하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이

과격세력에 의해 15회 이상 공격을 받아 요르단으로의 천연가스 수출이

중단됨에 따라 요르단 경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침.

Page 48: 2013.2 이집트 개황

43

(3) 시리아

◦ 이집트와 시리아는 Nasser 이집트 대통령을 중심으로 1958-1961년간

연방국가(United Arab Republic)를 형성한 바 있으나, 시리아측이 동

연방에서 탈퇴

◦ Hafez al-Assad 대통령 시절(1971-2000)의 긴장관계를 벗어나 Bashir al-Assad 정권(2000~)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우호적 입장 견지

- Hariri 레바논 前 총리 암살사건 사실 규명을 위한 UN의 시리아 조

사와 관련 중재 노력 전개

- 그러나 주재국의 對시리아관계 개선은 시리아의 對이란관계 수위 하

향 조정 및 이집트의 對이란관계 개선과 연계되어 있는 상황

- 특히, 이란의 지원 하에 시리아가 對헤즈볼라 및 하마스를 지원하고

있는 것이 역내 평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이집트측의

비난에 따라 갈등관계 지속

- 정치적 측면에서의 소원한 관계에 비해 경제관계는 상대적으로 긴

한 바, 2011년 양국간 교역액은 약 10억 달러에 달함.◦ 2011년 아랍의 봄의 영향으로 시리아에서 시민봉기가 계속됨에 따라

이집트 정부는 시리아사태 해결 노력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나, 시리아

사태는 외부세력의 개입 없이 아랍권의 자체 노력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는 입장을 견지

- 시리아사태 해결을 위한 아랍연맹 및 유엔의 노력이 별다른 성과를

보이지 못하자 Morsy 대통령은 OIC 정상회의(2012.8.14, 메카)에서

시리아사태 해결을 위한 역내 4개국 협의체(이집트, 사우디, 터키, 이란) 구성을 제의한 바 있으며, 비동맹정상회의(2012.8.30, 테헤

란), 아랍연맹회의(2012.9.5, 카이로) 및 유엔총회(2012.9.26) 연설

을 통해 Assad 정권의 퇴진을 요구하고 아랍권 및 국제사회가 시리

아 국민들의 민주화 노력을 적극 지지할 것을 호소

(4) 이라크

◦ 이라크의 안정과 영토 주권의 일체성 유지를 지지하며, 전후 이라크 재

건에 있어 UN의 중심적 역할 수행 기대

Page 4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44

- 2004.11월 이라크 안정화를 위한 국제회의(샴 엘 셰이크) 주선, 2005.6월 이라크 지원 국제회의 준비위원회 참여, 2005.6.22 이라크

지원 브뤼셀 각료회의시 정치 분야 의장직 수행, 2005.11.19-21 이라크 화해회의 주선 등 이라크 안정화 노력 지원

◦ 2005.7월 주이라크 이집트 대사의 피랍․피살로 인해 양국관계는 일시적

으로 경색되었으나, 2009.11월 이라크 주재 대사관을 재개설

◦ 이라크내 이란의 영향력 확대에 대한 경계심을 피력하는 등 아랍 내부

문제에 있어 외부 세력의 개입 가능성 경계

(5) 수단

◦ 1990년대 중반 냉각되었던 양국 관계가 1990년대 후반 이후 복원

※ 1995년 Mubarak 대통령의 에티오피아 방문시 발생한 암살 미수 사건으로 양국 관계는 1990년대 후반까지 긴장 국면 노정(수단 관련설 대두)- 현 Bashir 수단 대통령의 정적인 니메이리 전 대통령에 대한 이집트의

망명처 제공, 이집트 남부 국경지대 소유권 분쟁, 나일강 수자원 배분 문제 등이 양국관계 긴장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 1999.11월 수단의 Bashir 대통령과 Al-Turabi 전국회의 의장간의

권력 투쟁에서 이집트가 Bashir 대통령을 적극 지지

- 그간 공석이었던 주수단 이집트대사를 2000년초 재 파견함으로써

양국관계 회복

◦ 이집트는 남북 수단의 분리가 ① 자국 안보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 및

② 나일강 연안국간 수자원 배분을 복잡하게 만들 가능성 등을 감안, 이를 반대

- 남・북 수단간 갈등 및 다르푸르사태 등 수단의 불안정이 자국의 국

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판단 하에 평화와 안정을 위한 수단의 통

합・유지를 적극 지지(수단 정부의 정통성 및 영토의 일체성이 유지

되어야 한다는 입장)- ICC의 Bashir 수단 대통령에 대한 기소 역시 수단의 정치적 안정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견지에서 이를 반대

- 2005년에 체결된 남북 수단간 포괄적 평화협정(CPA)의 적극적인

Page 50: 2013.2 이집트 개황

45

이행 분위기 조성을 위한 평화유지군(1500여명/군경 혼성) 및 다르

푸르의 평화 유지를 위한 2400여명의 평화유지군 파견

◦ 2010.3월 카이로 ‘다르푸르 재건과 개발을 위한 국제원조회의’ 개최를

통해 수단의 재건을 위한 국제사회의 지원 노력을 결집

◦ 시민혁명 이후에는 카이로-카르툼을 연결하는 고속도로 건설, 국경지대

에 공동 농경지 개발, 이집트 중앙은행의 수단 지점 개설 등 경제협력

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추진 중

- 2011.7월 남 수단의 분리 독립 이후에는 이집트가 남북 수단 간의

분쟁을 조정하는 역할을 자처하여 담당

(6) 사우디

◦ Mubarak 정권은 같은 수니파 국가이자 친미 진영에 속해 있는 사우디

와 이-팔 문제, 이라크 문제, 이란 문제 등 아랍 이슬람권에서 일어나

는 역내 문제 해결에 있어 동일한 관점으로 공고한 협력 관계 유지

- 4년마다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이집트-사우디 공동 고위급 위원회」를 비롯하여 공동 기술위원회 개최 등 경제 각 분야에서 협력 도모

- 사우디는 중동지역내 이집트의 최대 투자국(약 270억불)이자 제 5위 무역 상대국(2011년 44억불)이며, 사우디에는 약 170만명의 이

집트인들이 취업, 이들이 본국에 송금해 오는 돈은 이집트 해외근로

자 전체 송금액의 절반에 해당

◦ 이집트 시민혁명 이후에는 양국관계에 긴장 요인들이 발생하고 있는 바, 양국 지도부가 어떤 방식으로 긴장 요인들을 관리해 나가느냐에 따라

향후 양국관계가 영향을 받게 될 전망

- 사우디는 Mubarak 대통령이 시민혁명으로 하야한 후 재판에 회부된

것에 대해 불만을 표명하고 이집트가 시민혁명을 사우디에 수출하려

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는 반면, 이집트에서는 사우디 왕실이

Mubarak 독재정권을 적극 지지하였고 사우디 「와하비즘(Wahabism)」의 영향으로 이집트에서 급진 살라피스트들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

고 사우디 체류 이집트인들이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는 점 등에 대

해 불만 여론이 표출

Page 5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46

- 그러나 사우디로서는 이란에 대적할 수 있는 아랍 국가는 이집트 밖

에 없다는 점을 잘 인식하고 있고, 이집트도 경제 재건을 위해서는

사우디와 우호적인 관계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잘

인식하고 있는 상황

- 2012.4월 이집트 변호사(al-Gizawi)가 사우디의 젯다 공항에서 체

포되자 이집트인들이 사우디 총영사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고 사우디

정부는 이에 항의하여 자국 대사를 소환하고 총영사관을 폐쇄하는

등 강경조치를 취함.◦ Morsy 대통령은 2012.7.11-12간 사우디를 방문, Abdullah 국왕과 회

담을 갖고 양국 관계를 강화

(7) 이란

◦ 팔레비 국왕, Sadat 대통령 시절에 이집트-이란 관계가 절정에 달하였

으나, 1979년 이란혁명 및⌜이집트-이스라엘 평화조약」체결을 계기로

양국관계가 급속히 악화, 양국은 1980년에 외교관계를 단절

◦ Mubarak 대통령 시절에 이집트가 친미 정책을 추구한 반면, 이란은

반미 정책의 일선에 서게 됨에 따라 양국간에 적대적인 관계가 지속

- Mubarak 대통령 시절에 미국이 이란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이란

과 경제관계를 맺을 것을 권유하여 1990년대 말에 이집트와 이란이

각각 상대국에 ‘이익대표부’를 설치하였으나, 양국 간에는 거의 교류

가 이루어지지 못함.◦ 시민혁명 이후 대이란 관계 격상 문제가 논의되고 있으나 이집트 정부

는 양국관계를 격상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 이란이 타국의 내정에 간

섭하지 말아야 하며, △ 이란 핵문제가 원만히 해결되어야 한다는 입장

을 견지

- 1980년 외교관계 단절 이후 이집트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Morsy 대통령이 비동맹 정상회의 참석차 테헤란을 방문(2012.8.30)하여

Ahmadinejad 이란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가졌으나, 이집트-이란 관

계 복원에 부정적인 미국, 사우디 등 전통 우방국의 입장을 고려하

여 양자관계 복원 문제는 논의하지 않음.

Page 52: 2013.2 이집트 개황

47

(8) 리비아

◦ 리비아의 경제적․안보적 가치를 고려, 협조적 관계 유지

- 이집트 노동 인구에 대한 취업 기회 제공 및 역내 이슬람 극단주의

자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지대로서의 역할 등이 공동 이해

관계의 단초를 제공

◦ 아프리카 지도 국가로서의 역할과 관련해서는 양국간 경쟁과 이견이 간

헐적으로 노정

- 리비아는 아프리카 문제에 관한 한, 자국이 주도적으로 나서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아프리카의 지도국가로 자처하고 있는 이집트와

경쟁 관계

- 가다피 리비아 지도자의 아프리카 연합국 창설 주도에 대해서는 이

집트의 국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입장에서 소극적 태도 견지

◦ 가다피 정권의 몰락 이후에는 리비아 재건사업에의 참여를 기대하면서

리비아와의 관계를 재설정하는 방향으로 추진 중

(9) 예멘

◦ 남북 예멘의 통합을 지지하며, 이란 등 예멘의 통합을 저해하는 외부

세력의 개입에 따른 반군 활동을 반대한다는 입장

- 이란의 예멘 반군 지원이 예멘에서의 광신적 행위의 확산을 조장할

가능성에 우려

◦ 2010.1월 런던 개최 예멘 문제에 대한 국제회의 시 現예멘 정부에 대한

지지 의사 표명

◦ Houti 반군 및 알카에다 연계조직 소탕에도 동참 의사 표명

- 이집트는 Houti 반군 및 알카에다 연계 세력의 예멘내 활동이 아라

비아 반도와 홍해 주변 국가에서 시아파 세력 확대를 위한 교두보

확보를 위한 것으로 보고 아라비아 반도, 에리트리아, 지부티 등 홍

해 건너편 지역에 대한 이란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

◦ 현 예멘사태에서는 이집트가 독자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GCC

Page 5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48

Initiative를 뒤에서 지지하는 정도의 역할에 그치고 있음.

(10) 마그레브 국가

◦ 걸프지역 및 모로코, 튀니지, 알제리 등과는 빈번한 경제, 정치 교류 등

을 통해 계속적인 협력 관계 유지

◦ 2004.2월 이집트, 요르단, 튀니지, 모로코, 4개국간 자유무역지대 설립

협정(Agadir Agreement) 체결

라. 對서방 관계

(1) 미국

◦ 이집트는 Nasser 대통령 시절에 친소련 외교정책을 추진하였으나, Sadat 대통령 시절에 친미적 외교정책으로 방향을 전환한 이후 미국과

긴 한 우호ㆍ협력관계를 유지

- 미국의 중재하에 1979년 이집트가 이스라엘과 평화조약을 체결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미국은 매년 13억불 정도의 군사 원조를 이집트

에 제공 중

◦ Mubarak 대통령은 이집트 경제의 침체로 국제사회에서 이집트의 위상

이 계속 추락하는 상황에서도 장기독재에 유리한 국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친미국적 외교정책을 강화하였으며, 특히 대테러 분야, 이-팔 문

제에서 미국에 적극 협조

- 「부시」행정부 시절 미국이 중동 민주화 구상 아래 이집트의 인권 문

제를 거론하면서 정치개혁을 강력 촉구함으로써 한 때 양국관계가

경색되고 Mubarak 대통령은 부시 행정부에 대한 불만의 표시로 부

시 행정부 2기 4년간 미국을 방문하지 않음.- 「오바마」대통령이 2009.6월 미국의 對중동정책 발표 장소로 카이로

를 선택한 데 대해 고무되어 Mubarak 대통령은 2009.8월 미국을 방

문하여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시도

◦ 시민혁명 이후 이집트 신정부는 Mubarak 대통령 시절의 굴종적인 대미

Page 54: 2013.2 이집트 개황

49

외교에서 벗어나 호혜적인 외교를 추진한다는 입장

- Obama 행정부도 시민혁명 이후의 이집트가 민주화를 이룩하고 안정

을 되찾는 것이 중동지역 전체의 안정에 긴요하다고 보고 이집트의

경제 재건을 지원 중

◦ 2012.9월 모하메드 모독영화로 촉발된 이집트 군중들의 미국영사관 난

입에 대해 Morsy 정부는 미온적인 초기대응을 취함.- Obama 대통령은 공개적으로 ‘이집트는 미국의 동맹도 적도 아니다’

라는 발언을 함으로써 불만을 표출하자 Morsy대통령이 뒤늦게 TV담화를 통해 이 사태에 사과 표명

(2) EU

◦ 이집트는 중동평화협상에 있어서 EU국가들의 역할 강화 및 팔레스타인

입장 지지를 요청

◦ 2004.6월 발효된 ⌜EU-이집트 자유무역협정(Egypt-EU Association Agreement)」을 통해 EU와의 경제협력 관계 확대 노력

- EU는 이집트의 최대 교역 파트너로서 이집트 수출의 42%, 수입의

37%를 점유

◦ 2008.7월 프랑스 파리에서 지중해 연합 발족 정상회의를 공동 주관

(유럽-프랑스, 남지중해-이집트)하고 동 연합의 창설을 적극 지지

- 지중해 연합은 지중해 지역을 ‘평화, 민주주의, 협력, 번영의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공동 노력을 경주하기로 하고, 지중해 오염

제거, 물류운송 인프라 건설, 에너지 개발 및 연구 협력 강화, 기업

활동 강화 등 6개 행동계획 확정

◦ 이집트 시민혁명 이후 EU는 이집트의 민주화에 지대한 관심을 표명하

면서 EU 고위 외교정책 대표단의 빈번한 카이로 방문 등 영향력 확대

를 모색

- Mubarak 대통령 일가 및 구정권 인사들이 영국, 스페인, 스위스 등

EU 국가들에 빼돌린 불법 재산의 환수 문제도 이집트-EU 관계에서

주요 현안으로 등장

Page 5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50

마. 對아시아 관계

◦ 동아시아 국가들의 급속한 경제성장, 국제사회에서의 위상 제고 등에

따라 기존의 서구 중심에서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관계 강화 방향으

로 외교정책 지평 확대 중 (“Look East" 정책)- 08.4월 ⌜제2차 아시아-중동 대화(AMED)」를 샴 엘 셰이크에서

개최하고, ‘아시아-중동간 우호협력 원칙 선언문’을 채택

◦ 이집트는 아프리카, 중동 국가들 중에서는 제일 먼저 1956년 중국과 외

교관계를 수립하고, 1999년에는 양국이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협정」을 체결하는 등 중국과 긴

한 관계를 유지해 옴. - 중국은 2006.6월 원자바오 총리의 이집트 방문시 양국 외교부 장관

간 ‘연례 전략대화’ 개최에 합의하고 이를 통해 주요 국제 문제에 대

한 공동 인식을 확대해 나가기로 하였으며, 2006.11월 ⌜제1차 중국

-아프리카 포럼(Mubarak 대통령 방중)」, 2009.11월 ⌜제2차 중국

-아프리카 포럼(샴 엘 셰이크 개최, 원자바오 총리 참석)」을 통해

양국간 협력관계 발전 방안 모색

- Morsy 대통령이 취임(12.6.30) 이후 사우디, 에티오피아 등 역내 국

가를 제외하고는 제일 먼저 대규모 경제 사절단을 이끌고 중국을 방

문(12.8.27~29)하여 8개의 경제협력 협정을 체결하였으며, 중국도

아프리카 진출의 교두보로서 이집트와의 경제협력 강화에 적극적인

자세

◦ 일본은 시민혁명 이후 이집트의 재건을 적극 지원한다는 전략 하에 주

요 인사의 이집트 방문 및 ODA 지원을 강화 중

- ODA 지원 관련 기존의 사회, 경제적 지원 이외에 교통, 전력 등 경

제 인프라 구축 지원 강화

・ 카이로 지하철 3호선에 12.9억불 유상 저리 융자 지원

◦ 아세안은 싱가포르의 주도로 ‘이집트 경제인협회(EBA : Egyptian Businessmen's Association)’와 ‘이집트-아세안 경제인협의회’를 발족

(2012.3.21)시켜 양자간 협력 강화 추진

Page 56: 2013.2 이집트 개황

51

바. 제3세계 관계

(1) 비동맹국 관계

◦ Nasser 전 대통령이 Tito 유고 대통령, Sukarno 인도네시아 대통령 등

과 함께 1961년 비동맹 운동의 창설을 주도

- 이집트는 2회(1964~70년, 2009~12년)에 걸쳐 비동맹운동 의장직

수행

◦ 2009.7월 비동맹회의 의장국으로 샴 엘 셰이크에서 비동맹 정상회의 개최, 국제무대에서 비동맹회의의 역할 강화 협의

- 세계 금융위기 극복을 가장 큰 당면 과제로 제시하고, 비동맹 국가

단결의 중요성과 IMF, 세계은행 등 기존 국제 경제․금융 기구 개혁

의 필요성 강조

- 제17차 비동맹각료회의 개최(2012.5.7-5.10, 샴 엘 셰이크) - 2012.8월 테헤란 개최 제16차 비동맹정상회의에서 비동맹 의장국

지위를 이란에 넘겨줌.

(2) 對아프리카 관계

◦ AU 정상회담, COMESA 활동 등을 통해 다자관계 유지에 집중

- 수단 다르푸르(Darfur) 사태 및 남북 수단 분리 독립, 에티오피아-에리트리아 분쟁 관련 AU 결의안을 주도하는 등 아프리카 내 중심

국으로서 지역현안에 대한 조정자 역할 수행

- 1998.6월 COMESA(Common Market for East and South Africa) 가입을 통해 동남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 및 시장진출 확대

노력 중

◦ 시민혁명 이후 대아프리카 외교를 강화하고 있으며, 2012.3월 이집트, 튀니지, 리비아 외교장관이 튀니지에 모여 3개국 협력 방안을 논의, 그

결과로 'Tunis Declaration‘을 채택

- 나일강 수자원 배분 문제에 있어서 나일강 인접 국가들과 평화적 해

결 모색 중

Page 57: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52

3. 경제 정책 및 최근 경제 동향

가. 개관

◦ 이집트는 2011년도 GDP 2,357억불(세계 43위), 외환보유고 150.4억불

(2012.9월 기준), 연간 교역량 856.5억불(2011/2012년도) 달성

- 2011/2012년도 경제성장률은 2.2%(잠정), 경상수지는 79.2억불 적자

- 2011년도 1인당 GDP는 $2,932로 상위 10%인 700만 명 정도가 연

간 소득 $15,000 수준인 반면 전체 인구의 40%는 절대 빈곤층으로

빈부의 격차가 심화

◦ 산업구조는 농업 30%, 제조업 20%, 서비스 50% 등으로 구성

- 이집트의 주요 산업인 관광산업은 매년 1,000만명 이상의 해외 관광

객을 유치하여 100억불 이상의 외화 가득(2011.1월 시민혁명 여파

로 관광수입이 2009/2010년도 125억불 대비 2010/2011년도 106억불, 2011/2012년도 94억불로 감소)

- 2011/2012 회계년도 수에즈운하 통과료 수입은 52.3억불(2010/2011년 51억불), 해외근로자 수입은 178억불로 전년도 대비 43% 증가

◦ 2012.6.30 취임한 Mohamed Morsy 대통령은 시민혁명 이후 침체된 경

제회복이야말로 정권의 사활이 걸린 과제라고 보고 외국의 경제 지원

및 투자유치 확보를 위한 활발한 대외 정책을 추진

- 각종 보조금 제도의 개선 등을 통한 재정 건전성을 제고시키는 한편, 실업률 완화를 위한 중소기업 육성 정책, 유류 및 식량 파동 해소, 교통 문제 및 전력난 해결, 시나이반도 및 남부 이집트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 등 중장기 국가발전 경제 정책을 추진할 전망

◦ 이집트는 아랍 및 제3세계에 대한 영향력 확대를 위해 각국 정부와 자

유무역협정(FTA : Free Trade Agreement)을 활발하게 추진

- 2012.9월 현재 GAFTA(아랍권 FTA, '98.1), 남동아프리카공동시장

(COMESA, '94.12), EU-Partnership('04.6), 터키(’07.3), EFTA('07.8) 등 세계 50여국과 자유무역협정을 체결

- 2004.12월 이집트․이스라엘․미국 3자간 ⌜QIZ (Qualified Industrial Zone) 협정」을 체결하여 부분적으로 FTA 효과 거양

Page 58: 2013.2 이집트 개황

53

- EU와는 2004년 체결한 이집트-EU 자유무역협정(일명 Association Agreement)의 2010.1.1 발효 및 EU・지중해연합(’08.7) 등에 의거

포괄적 경제협력관계 유지

나. 이집트 경제 동향

(1) 거시 경제 동향

■ 경제 성장

◦ 이집트 경제는 국제 식량가격 상승, 미국발 세계 경제위기 속에서도

2004년 이래 매년 4%이상의 견실한 성장을 보여 왔으나, 2011.1월

시민혁명을 계기로 외국인 관광객 급감, 외국인 투자 위축 및 국내

산업생산 부진 등으로 경제성장이 급격히 둔화

- 2010/2011년 경제성장률 1.8% 시현

◦ 2011/2012년도 경제성장률은 2.2%(잠정)이나, 동 회계년도 전반기

(2011.7~12월)의 0.3% 성장에 비해 후반기(2012.1~3월)에 비교적

호조(5.2% 성장)를 보여주고 있는 바, 이는 개인 소비 및 공공지출

의 증가 등에 기인

◦ Morsy 대통령의 취임(6.30)이후 사회 안정 및 경제 회복에 주력하

고 있고 향후 정치 일정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이집트의 경제는

점차 회복될 것으로 전망

≪ 경제성장률 현황 및 전망 ≫(단위 : %)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세계은행1) 4.7 5.0 1.8 2.1 3.1 4.2

IMF2) 4.7 5.1 1.8 1.5 3.3 없음1) 2012.6월 Global Economic Prospects2) 2012.4월 World Economic Outlook

Page 5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54

■ 물가

◦ 이집트 소비자 물가는 2008.8월(전년도 대비 23% 상승)을 정점으

로 계속 하향 안정세 시현

- 2010년 11.7%, 2011년 11.3%, 2012년은 8.2% 전망(2012.7월

6.4%)◦ 소비자 물가 안정의 주된 요인은 오락, 여가 및 문화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분야에서 가격 상승이 둔화된 것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식

품 가격의 안정이 크게 기여

- 빵 및 시리얼(-7.3%), 오일 및 지방(1.6%), 설탕(1.3%)

≪ 물가상승률 현황 및 전망 ≫(단위 : %)

2009 2010 2011 2012 2013 2017IMF 16.2 11.7 11.1 9.5 12.1 7.0

* 2012.4월 World Economic Outlook

■ 국제 수지

◦ 관광객의 감소에 따른 서비스 수지의 적자 및 무역수지 적자 증가로

인해 2011/2012년 이집트의 교역량은 856.5억불, 경상수지는 전년

대비 적자폭 확대(60.8억불→79.2억불) - 수입은 8.5% 증가하여 586.7억불, 수출은 전년도와 거의 동일한

269.8억불을 기록, 무역수지 적자가 316.9억불로 전년도 동기에

비해 8.5% 증가

◦ 이집트는 만성적인 무역수지 적자국으로 서비스 및 이전수지 흑자로

무역수지 적자를 보전하는 상황이나, 이집트인 해외 근로자로부터의

송금은 크게 증가한 반면 외국인 관광객의 감소에 따른 서비스 수지는

악화

- 동 기간 중 해외 근로자로부터의 국내 송금액은 178억불로서 전

년 동기(124억불)에 비해 43% 증가

- 수에즈 운하 수입도 약 1% 증가한 52.3억불 기록(2010/2011년 51억불). 반면 관광수입은 94억불(2010/2011년 106억불)로 11.2% 감소

Page 60: 2013.2 이집트 개황

55

≪ 최근 경상수지 동향 ≫(단위 : 억불)

구분 2009/2010 2010/2011 2011/2012 무역수지(수출)(수입)

▽251.2(238.7)(489.9)

▽271(269.9)(540.9)

▽316.9(269.8)(586.7)

서비스수지 103.4 78.8 53.6이전수지 104.67 131.4 184.1경상수지 ▽43.2 ▽60.8 ▽79.2

* 2012.8월 이집트 중앙은행

■ 실업률

◦ 이집트 통계청은 2012년 2/4분기 실업률이 12.6%(약 340만명)로

전년 동기의 11.8%에 비해 0.8% 증가하였다고 발표

- 동 실업인구 중 77.5%가 청년 실업(15세~29세)이며, 취업했다가

실직당한 실업자도 26.3%◦ 현재 이집트의 노동인구는 2,683만명으로 2011년도에 비해 2.1%

(약 55만명) 증가하였으며, 높은 인구증가율로 인해 노동인구는 해

마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

- 2012.8월 이집트 인구(통계청 발표): 9,100만명 (국내 8,300만, 국외 800만명)

☞ 이집트 인구 전망(UN) : 1억(2020년), 1.4-1.5억(2050년)

(2) 미시경제 동향

■ 환율 및 외환 보유고

◦ 이집트 시민혁명 이후 외국인 투자 감소 및 자본의 해외 유출 등으

로 이집트 파운드화는 지속적으로 약화 추세이며 이집트 정부는 파

운드화의 약세 방어를 위해 외환보유고를 지출

- 2011.12월 달러 대비 6.0을 넘어선 이래 2012.10월 현재 6.10선

유지

Page 6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56

◦ 이집트의 외환보유고는 시민혁명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오다가

2012.3월 이후 사우디, 카타르 등 주변국들의 자금 지원 등으로 150억불 선을 유지

≪ 외환 보유고 추이 ≫(단위 : 억불)

2012.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163.5 157.2 151.2 152 155.2 155.3 144.2 151.3 150.4

* 이집트중앙은행(CBE)

※ Rania A. Al-Mashat 이집트 중앙은행 부총재는 「환율」의 경우 당초 전문가들의 예상(15~20% 이집트화 가치 하락)과는 달리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고, 앞으로도 국내경제 제반 여건상 계속 안정세를 유지할 것이며, 외환 보유고는 2012년 상반기 중 바닥을 쳐서 앞으로는 증가세로 전환될 것이라고 전망함.

■ 금리

◦ 2012.9.6 이집트중앙은행 통화정책위원회(MPC) 발표

- 1일 대출금리 10.25%, 예금금리 9.25%- 7일물 환매 이자율 9.75%, 할인율 9.5%* 2011.11.24 이래 총 6차례에 걸쳐 계속하여 금리 동결 조치.

■ 재정수지 및 국가 채무

◦ 2011.7월/2012.5월간 GDP 대비 재정적자는 전년도 동 기간의 8.2% (1,126억 LE)보다 다소 증가한 8.8%(1,365억 LE)를 시현

- 동 기간중 수입은 소득세 및 재산세 수입이 각각 22.8%와 45% 증가하고 카타르 등 외국 정부로부터의 자금 지원 등에 따라 총

2,597억 LE를 달성(전년 동기에 비해 29.4% 증가)- 반면 지출은 급여 증가(27.2 %), 원금 및 이자율 지급(31.3%),

각종 보조금 외 사회복지비용 증가(33%) 등 총 3,967억 LE를

지출(전년 동기에 비해 25.9% 증가)◦ 이집트 중앙은행은 2012.3월말 기준 대외 채무가 334억불로 2011.12

Page 62: 2013.2 이집트 개황

57

월에 비해 15억불(4.3%) 감소했다고 7.10(화) 발표

≪ 재정수지 동향 및 전망 ≫(단위 : GDP 대비 %)

2008/2009 2009/2010 2010/2011 2011/2012 1-3분기 2012/20136.9 8.1 9.8 8.8 7.6

≪ 대외 부채 ≫(단위 : 백만불)

2008.6월 2009.6월 2010.6월 2011.6월 2012.3월33,893 31,531 33,694 34,906 34,384

다. 이집트 정부의 경제재건 활동

(1) 대외 경제협력 및 투자유치 활동

■ 양자 관계

(가) 사우디

◦ Morsy 대통령은 2012.7.11-12간 사우디를 방문하여 Abdullah 사우

디 국왕 및 Salman 왕세제를 각각 면담, 사우디내 이집트 근로자의

고용 확대, 사우디의 대이집트 투자 보장 및 투자 확대 등 협의

- 사우디의 대이집트 투자 규모는 2011년말 기준 270억불, 800여개의 프로젝트에 참가하고 있으며, 약 150만명의 이집트인 근로

자가 사우디에 취업 중. ◦ 시민혁명 이후 사우디는 이집트의 경제 재건을 위해 약 30억불의 자

금 지원을 약속하였으나, 이중 5억불만이 지원 완료

(나) 중국

◦ Morsy 대통령은 약 80명의 기업인들을 대동하여 2012.8.27~8.29간

중국을 방문, 후진타오 주석, 시진핑 부주석, 원자바오 총리 등을 면

담하고 양국간 경제 협력 및 투자 확대 문제를 중점 논의

Page 6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58

◦ 동 정상회담에서 중국은 인프라, 전기, 환경 분야에서의 양국 공동

사업을 위해 4.5억 위안(약 7천만 불)을 이집트에 무상 지원키로 하

였으며, 약 2억불의 차관 제공을 포함한 8개의 경제협력 협정 체결

(다) 카타르

◦ Hamad bin Khalifa Al-Thani 카타르 국왕은 2012.8월초 이집트를

방문, Morsy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향후 5년간 180억불의 투자와 이

집트의 국제수지 적자 개선을 위해 20억불의 자금 지원(이중 5억불

은 8월말 이집트 중앙은행에 예치)을 약속

- Hamad bin Jassim 카타르 총리 겸 외교장관은 향후 5년에 걸쳐

수에즈운하 인근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 및 천연가스 사업에 80억불, 북부 해안가 관광 리조트 설립에 100억불을 투자할 것이라고

밝힘. ◦ 카타르는 시민혁명 이후 이집트에 100억불의 재정 지원을 발표하였

으며 12월 말 이중 20억불을 제공함으로써 이집트의 외환보유고 회

복에 기여함

(라) 미국

◦ 미국은 이집트의 경제 및 정치 안정을 위해 이집트에 제공한 30억불

의 차관 중 10억불을 탕감하기로 결정

◦ 미 국무부는 구글 등 약 50개 기업에서 100여명의 경영인으로 구성

된 대규모 무역사절단을 2012.9.8 이집트에 파견

(마) 유럽연합 등

- 유럽연합(EU) : 150~200백만 유로의 금융 지원 및 500백만 유로

규모의 경제 지원

- 이태리 : 800백만 유로의 대이집트 투자 협정 서명

- 터키 : 10억불의 재정 지원 포함 총 20억불 규모의 경제 지원

- 프랑스 : 300백만 유로 지원 예정

Page 64: 2013.2 이집트 개황

59

■ 국제 금융 기구

(가) IMF 차관 도입

◦ Christine Lagarde IMF 총재가 2012.8.21-22간 이집트를 방문하여

Mohamed Morsy 대통령, Hesham Kandil 총리 등 정부 고위 관리들

과 IMF의 차관 지원 문제를 협의하였으나, 헌법 찬반투표시 촉발된

정국불안으로 48억불 차관 도입 협상은 잠정 연기상태

◦ Lagarde 총재는 IMF 차관이 이집트의 경제안정과 투자촉진, 일자리

창출 등에 기여할 것이며, 협상을 마무리 짓기 위해 IMF 대표단이

추가로 이집트를 방문할 것이라고 언급

(나) World Bank◦ 2012.8.14 이집트 정부와 20억불의 차관(상환 기간 28년, 이자율

1.3%) 제공 협정 서명

◦ 이집트 정부는 IMF와 협상 지연에 대비, 세계은행으로부터 차관 확

대 방안 협의 중

(다) EBRD◦ 설립 목적이 폴란드, 체코, 헝가리 등 중유럽국가들의 시장체제 전환

을 지원하는 것이었으나, 그 목적이 거의 달성됨에 따라 역외 지역

(특히 모로코, 튀니지, 이집트, 요르단)에 대한 금융 지원이 가능토

록 설립 정관 개정을 논의 중

- 상기 4개 국가들에 대한 지원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2012.9월초

EBRD 총재가 이집트 등을 방문

(2) 보조금제도 개편 추진

◦ Hesham Kandil 총리는 2012.9월초 만성적인 재정 적자 해소를 위해

연료비 보조 등 각종 보조금 제도 개편안을 발표

- 제1단계 조치로서 2012.10월중 ‘부탄가스 배급제’ 또는 ‘Smart Card제’ 실시 예정(동 제도 정착 시 연간 40억 LE 절감 기대)

- 향후 수개월 이내에 가솔린, 전기, 상수도, 빵 등에 대한 보조금 삭감

추진

Page 6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60

☞ 보조금 지원은 이집트 정부 예산 중 25%를 차지하고 있으며 해마다

증가 추세(2011/2012년 보조금 집행 총액은 1,323억 LE)

☞ 2011/2012년 보조금 집행액 중 72%가 연료비 보조(디젤, 가스 등)

이며, 빵 보조는 8%, 생필품 보조는 6%임.

◦ 보조금 제도 개편의 성패는 60년 이상 보조금제도의 혜택을 누려 왔으

며 절대 빈곤층이 40%에 달하는 국민들이 보조금 삭감 이후 생활을 견

뎌 낼 수 있느냐의 문제

- 국민 대다수는 보조금제도의 개편을 원하지 않으며, 과거에도 보조

금 제도 개편을 여러 차례 추진하였으나 결국 실패

◦ 일부에서는 금번 보조금제도 개편 추진이 IMF의 자금지원 요건을 충족

시키기 위한 조치로 해석

(3) 수에즈운하 대규모 종합개발 프로젝트

◦ 이집트 정부는 2027년 완성을 목표로 테크노벨리 및 자유무역 지대 설

립을 포함하는 수에즈 운하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를 발표

- 이를 위해 주택, 교통, 투자부 장관 등이 2012.9.2 회동하여 동 프로

젝트의 Action Plan 및 재원 조달 방안 등을 협의

≪ 프로젝트 개요 ≫구 분 내 용

농업 및 개간 - 74천 에이커 규모의 토지 개간 사업(수에즈운하 동쪽 지역)- 수에즈 및 포트사이드 지역 양식장 개발 사업

산업 - 제1단계 테크노밸리 조성 공사 (3,200에이커 규모)- 수산물 가공공장 건립 (Qantara 및 Port Said 지역)- 선박 및 컨테이너 조립/ 정비 센터(포트사이드, 수에즈)- 포트사이드 산업단지 조성- 산업대학, 과학 및 의학 도시 건설 (포트사이드 동부)

무역 및 운송- 국제 무역 연구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센터 - 자유무역지대 조성(수에즈, 이스마일리아)- 포트사이드 컨테이너 터미널 확장- Qantara시 산업단지 및 선박/컨테이너 조립 공장 확장 - Tourist Center 건립 (동부 포트사이드)

에너지 - 태양열 발전소 2기 건설(수에즈 북부 지역)- 풍력 발전소 건설(수에즈 북부 지역)

☞ 상기와는 별도로 이집트 軍도 시나이반도 개발 프로젝트를 검토 중

Page 66: 2013.2 이집트 개황

61

(4) 전력난 해소 추진 계획

◦ 여름철 전력 사용 증가로 심각한 전력난(2012년 여름 전력 소비량

12% 증가)을 겪고 있는 이집트는 총리실 산하에 기술위원회를 구성하

고 2013년 전력난 해소를 위한 특별 대책 마련에 착수

- 전력에너지부는 2013년 Ain Sokhna, Benha, Abu Oir 발전소를 가

동하여 3,000MW의 전력을 추가로 공급할 예정이며, 2017년까지 발

전소 건설 예정

◦ 한편, Morsy 대통령은 지중해 연안의 El Dabaa 지역에 원자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 재개를 발표할 예정

- 이집트 정부는 시민혁명 이후 정권 교체기에도 일관되게 원자력 발

전소 건설 방침을 유지해 왔으며, 전력에너지부는 2012.9월초 동 프

로젝트를 대통령 및 총리에게 보고

Page 67: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62

이집트 신정부의 향후 주요 경제정책 과제

◦ 외환보유고 확보 (이집트 정부가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 IMF 차관, G8 및 걸프국가 원조 조기 집행

- 관광산업 회복

- 환율안정 등

◦ 정책 일관성 유지 및 대내외 신뢰도 회복

- 무엇보다도 정세 및 치안의 안정이 가장 중요

- 국가신용등급 회복, 국내외 투자 활성화 등

- FDI 유치 확대를 통해 외환보유고 제고 및 일자리 창출 추진

※ 무슬림 형제단 등 이슬람주의자들이 향후 입법 추진 시 이슬람율법(샤리아)의 원칙(Principles) 적용 정도에 특별히 주목할 필요- 샤리아 적용시 이집트 경제정책에 일변 대 변혁이 발생(작은 정부 지향, 대

출시 이자수령 금지, 의무적인 기부 시행을 위해 무슬림들로부터 2.5%의 소득세 강제 징수 등)

◦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정부정책 마련 및 시행

- 신정부를 위한 경제개발계획 사전 수립

- 외국정부 및 국제금융기구 ODA 지원효과 극대화 등

◦ 일자리 창출을 통한 실업률(특히 청년 실업률) 완화

- 도로, 지하철, 철도, 항만 등 SOC 확충

◦ 재정 건전성 확보

- 보조금 제도 개혁 등 정부지출 시스템 개선

- 소득세 등 세제 개편을 통한 정부 수입 제고

◦ , 부탄가스 등 주요 생필품 확보를 통한 물가안정 도모

◦ 교통난 해소

- 지하철 노선, 도로 확충 등 대중교통 공급 확대

- 에너지 보조금 철폐 또는 축소 등 유가 현실화

Page 68: 2013.2 이집트 개황

63

※ 이집트 정부(교통부)는 2027년을 목표로 한 교통마스터플랜 초안을 마련하였으며, 2012.2.15 원조국회의를 통해 동 플랜 대상을 발표한 바 있으며, 앞으로 관계부처 및 공청회를 거쳐 최종 확정, 발표할 계획임.

◦ 빈부 격차 해소 등

≪ 이집트 경제지표 ≫

구 분 단위 2007/2008 2008/2009 2009/2010 2010/2011실질GDP성장률 % 7.2 4.7 5.2 1.8

1인당 GDP 불 2,093 2,457 2,583 2,7891인당 GDP(구매력) 불 5,445 5,650 5,893 5,937소비자물가상승률 % 18.3 11.8 11.1 13.3

재정수지 %/GDP -6.8 -6.6 -8.1 -9.9무역수지 억불 -268 -225 -265 -238

․수출 억불 298 231 250 270․수입 억불 566 456 515 508

외환보유고 억불 346 313 352 271대외부채 억불 334 333 353 367

대미 평균환율 EGP/$ 5.541 5.490 5.582 5.800실업률 % 8.7 9.4 9.0 12.2

FDI 억불 132 81 68 13

(자료원 : KOTRA)

Page 6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64

이집트 FTA 체결 현황(2012.9.8 현재)

명 칭 발효일 주요 내용

동남아프리카 공동시장 (COMESA)

1994.12.8

◦아프리카 최초이자 최대의 경제공동시장 (인구3.8억명)◦회원국 : 동남아프리카 21개국 - 남아공은 옵저버◦ 21개국중 11개국은 상호 무관세

범아랍자유무역 협정(PAFTA) 1998.1.1

◦회원국 : 아랍연맹 17개국 -이집트는 걸프 7개국과 별도 협정 체결◦국가별 관세수과 및 면제대상 상이

EU-이집트 연합협정* (EU/EGYPT ASSOCIATION AGREEMENT)

2004.6.1

◦15개 EU회원국과 이집트간 FTA◦이집트, 대EU 공산품 무관세 수출 EU 15개 회원국, 2019년까지 4개품목군에 걸쳐 점진적 인하 및 철폐 (예) 자동차 관세는 2010~2019간 매년

10%씩 인하◦농산품 일부 쿼터해제 및 관세인하 또는 철폐

QIZ 협약 (Protocol on Qualified Industrial Zone)

2005.1.1.

◦이집트, 이스라엘, 미국 3국간 협약◦이집트가 이스라엘 원부자재 10.5%(11.7% 에서 2008.1.1부로 10.5%로 변경) 이상, 국내산 원부자재 35%이상 사용시 대미 무관세 수출 가능◦이집트내 QIZ 수혜기업은 500여개, 2011년

이집트 QIZ의 대미 수출액은 103억불 ※ USTR은 이집트내 3개의 QIZ(카이로,

알렉스, 수에즈)를 지정하였고, 2005.12월 4번째 QIZ로서 중앙델타지역을 지정한 바 있음.

* EURO-MEDITERRANEAN AGREEMENT(EMFTA)의 일부

Page 70: 2013.2 이집트 개황

65

명 칭 발효일 주요 내용

Agadir 협정 2006.7.1◦회원국 : 이집트, 요르단, 튀니지, 모로코◦농산물에 대한 즉각적인 관세 철폐 ※ EMFTA내에서 남남협력을 통해 EMFTA

통합을 가속화하는 장치로 간주, EU로부터 수혜

이집트-터키 FTA 2007.3.1◦대터키 수출 : 협정발효 즉시 무관세◦대이집트 수출 : EU-이집트 FTA에 준해 4개 품목군에 따라 2020년까지 점진적 관세 인하 및 철폐

이집트-EFTA FTA 2007.8.1

◦EFTA : 노르웨이, 스위스,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4개국◦대EFTA 수출 : 16개 품목을 제외하고 발효 즉시 관세철폐◦대이집트 수출 : 2020년까지 4개 품목군에 따라 점진적 인하 및 관세 철폐

이집트-남미공동 시장(MERCOUR)

2010.8.2 서명

2012.9.8 현재 미발효

◦MERCOUR : 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우루과이◦육류, 밀, 옥수수 등 : 대해 즉시 관세면제◦우유, 산업제품 : 4년내 관세 면제◦기타 협상 품목 : 8~10년후 관세 면제

아프리카 대자유 무역협정(African Grand FTA)

2011.6.12 26개국 정상간

창설 합의

◦COMESA, SADC(남아프리카개발공동체), EAC(동아프리카공동체)간 FTA◦인구 5.5억명로 아프리카전체인구의 57% - 아프리카 전체 GDP의 58%(8,300억불)

아프리카 FTA 논의중◦2011.12월 가나 아크라개최 아프리카 통상 장관회의시 2017년까지 자유무역지대 창설 및 2019년까지 관세동맹 달성 로드맵에 합의 ※ 이집트는 동 자유무역지대 창설에 적극적

Page 7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66

4. 국방 현황

가. 이집트 국방 일반 현황

(1) 국방 정책

◦ 외국의 침략으로부터 자국 영토 보호

◦ 지역 안정에 필요한 적절한 군사력 유지

◦ 양보다 질 위주의 장비 현대화

◦ 조속한 자주 국방 태세 확립

(2) 일반 현황

◦ 아・중동 지역 군사강국 중의 하나

◦ 병력 규모 : 46.85만- 육군 : 34만- 해군 : 1.85만- 공군 : 3만- 방공군: 8만* 경찰 : 35만

◦ 군 구성 : 4군 체제(육·해·공·방공군)◦ 병역제도 : 개병주의(학력에 따라 12~36개월 차등 기간 복무)

(3) 국방비(2012년) : 56억불(미 군사원조 13억불 포함)

◦ 아프리카 국가 중 최대 규모이나 인접국인 이스라엘(140억 불) 및 사

우디아라비아(390억 불)에 비해서는 작은 규모

◦ 시민혁명 이전까지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였으나, 신정부 구성 이후에는

정체 또는 감소 전망

Page 72: 2013.2 이집트 개황

67

(4) 지휘 체계

◦ 편 성

대 통 령

Minister of Defense & Military Production / The Commanding General of the Armed Forces

방산물자부장관

국방부장관 겸 방위산업장관/ 군 최고사령관

Minister of State forMilitary Production 총참모장

(육군총사령관겸임)

국 부총사무국(장관/총참모장보좌)

①작전 ②훈련③편성/행정④연구개발⑤군수⑥전력(ArmamentAuthority) ⑦시설, ⑧자동화

①보병 ②기갑 ③포병 ④정보(DMI) ⑤공병 ⑥통신 ⑦수송 ⑧군규

해군사 공군사 방공군사 군사학교

공정사 유격사 지역사(5)(중부,동,서,남,북) 국경수비대

◦ 통합군 형태로 국방장관이 총참모부의 보좌를 받아 전군 지휘

◦ Chain of Command : 대통령(군 통수권자) → 국방부장관(군 최고사령관) → 총참모장 → 해/공/방공군 총사령관 및 육군 각 지역군 사령관

◦ 신헌법 제정에 따라 국방위원회(National Defense Council) 신설

- 국가안보문제 및 군예산 등 심의

Page 7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68

- 대통령의 선전포고시 국방위원회와 협의

- 대통령을 의장으로 하며 상,하원 의장, 총리, 국방, 외교, 재무, 내무

장관, 정보부장, 군 참모총장, 각군 총사령관으로 구성

(5) 주요 부대

◦ 육 군

- 중부지역사령부(카이로) ・ 남부지역사령부(알렉산드리아)- 동부지역사령부(이스마일리아)

* 예하 2군사(수에즈 북부지역), 3군사(수에즈 남부지역)- 서부지역사령부(메사 마트룬) ・ 북부지역사령부(아스완)

◦ 해 군(사령부 : 알렉산드리아) - 지중해작전부(알렉산드리아) ・ 홍해작전부(후르가다)

◦ 공 군(사령부 : 카이로) - 예하 9개 전투비행연대, 3개 수송비행연대, 2개 정찰비행여단

◦ 방 공 군(사령부 : 카이로)- 예하 3개 방공연대

◦ 기 타 : 공정사령부, 유격사령부, 국경수비대

(6) 주요 장비

◦ 육 군

- 주전차(MBT) : M1A1(General Dynamics/Egyptian Tank Plant), M60A1/ M60A3(General Dynamics), 구소련 T계열(54, 55, 62) 전차 등 2,460대

- 보병전투차량(IFV) : 950대(구소련 및 서유럽 장비 혼재)- 장갑차(APC) : 4,600대(구소련 및 서유럽 장비 혼재)- 야포 : 155미리 SP(BAE System) 350여 문, 155미리 견인포(수 미상)

◦ 해 군 : 잠수함(4척), 호위함, 고속정, 상륙함, 소해함 등 40여 척

- 임무의 중요성(연안 방어, 해상 교역로 방호) 대비 전비 수준 미흡

Page 74: 2013.2 이집트 개황

69

- 차기 군현대화 5개년 계획 시, 우선 투자 분야

◦ 공 군

- 주력 전투기 : F-16(Lockheed Martin) 195대 등 총 380여 대

- 주력 수송기 : C-130 Hercules 등 총 40여 대

- 훈련기 : L-59E(고등훈련기) 등 317대* 상당수 L-59E(총 50대) grounding 상태(Jane's 공개 첩보), 전력화 소요 발

생 전망(차기 군 현대화 5개년 계획 시 공군 중점사업 분야)

(7) 주요 직위자

◦ 국방부장관(Minister of Defense & Military Production)- 성명/계급 : Abdel Fatah Al-Sisi / 대장

- 출생연도 : 1954년

- 주요경력 : 북부지역사령관, 기계화보병사단장, 주사우디 국방무관, 군 정보부 차장, 군 정보부장, 2012. 8. 12 현직 부임

◦ 총참모장(Chief of Staff of the Armed Forces)- 성명/계급 : Sedyi Sobhy Sayed Ahmed/ 육군 중장

- 주요경력 : 대대장, 여단장, 3야전군사령관, 2012. 8. 12 현직 부임

◦ 방산물자담당 국무장관(Minister of State for Military Production)- 성명/계급 : Reda Mahmoud Hafez / 예비역 공군중장

- 주요 경력 : 편대장, 대대장, 전대장, 공군사 참모장, 공군총사령관, 2012. 8. 12 현직 부임

◦ 해군총사령관(CIC, EN) : 오사마 아흐메드 엘겐디 중장

◦ 공군총사령관(CIC, EAF) : 유니스 알사이네드 하메드 중장

◦ 방공군총사령관(CIC, EADF) : 압둘 모니엄 이브라힘 중장

* 육군총사령관은 별도 보직되어 있지 않으며, 총참모장이 실질적 육군총사령관 역할 수행

Page 7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70

나. 이집트 방산 현황

(1) 이집트 방산 능력

(가) 방위산업 육성 배경

◦ 2차 세계대전 후, 방위산업을 국가 주요산업으로 선정, 육성

◦ 이집트가 아・중동 지역 중심국가로 등장하기 위한 필수적 조건으로

판단

◦ Nasser 대통령은 아랍 국가들의 독자적 안보 능력 확보를 위해서 방

산물자의 대외 의존도 감소 정책 추진

- 아랍권 국가 내에서 자체생산 및 공동 사용의 개념 하에 동 역할

을 이집트가 할 수 있다고 판단

(나) 방위산업 운영 기본 개념

◦ 무기 구매선 다변화

- 국제정치 환경의 변화에 의한 무기 및 장비 그리고 수리 부속품

의 공급 제한 사항 해소

◦ 방위산업에 대한 무리한 투자는 국가경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고려 하에 모든 군수공장들을 독립 채산제로 운영, 자체 이

윤 창출 강조(구소련의 붕괴 교훈)◦ 양보다는 질의 중요성 강조, 외국 업체와 합작하는 경우, 외국 업체

의 무기체계 기술 수준이 최우선 고려사항(1991년 Gulf전 교훈)

(다) 방위산업 육성 경과

◦ 1950년대에 방산물자 생산시설 건설, 1954년에 최초로 소형 탄약

생산

◦ 이후, 국가적 차원에서 여러 분야에 투자, 방산시설 적극적 가동

- 무기류 : 권총으로부터 기관총, 포병무기, 대전차미사일, 지대지미

사일, 부분적인 지대공 미사일 등 생산

- 탄약류 : 권총탄으로부터 거의 전 구경의 탄약 자체 생산

Page 76: 2013.2 이집트 개황

71

- 통신장비 : HF, VHF 장비 생산, 이집트 군 소요 통신장비의

90%를 생산, 공급

- 항공산업 : 1960년대 브라질 Tucano 훈련기 생산 허가 이후, 2000.1월 중국과 협력, KE-8 훈련기 조립 생산 중

◦ 1975년 AOI(Arab Organization for Industrialization) 창설, 외국 업

체와 합작 또는 조립 생산 활발 추진

- 미국 제너럴 다이나믹스社 : M1A1 전차 조립생산

* 1980년대 후반 이후 총 11개 계약 체결

* 최근 계약 : M1A1 전차 125대(2014년 까지) - 미국 크라이슬러社 : 4×4 짚차 합작 생산

- ABD(Arab-British Dynamics/영국과 합작투자) : Swingfire(대전

차 미사일) 허가 생산

(라) 방위산업 현 수준

◦ 현재 방산물자부 예하의 25개 군수공장들은 초기 대규모 투자로 비

교적 훌륭한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나, 군 소요 감소에 따라 가동률

이 30% 미만으로 감소

- 예 : 200 군수공장(미 군원자금으로 건설, 1993년부터 월 12대

M1A1전차 생산 능력 보유)은 군 소요 감소에 따라 현재 월 4대

정도의 생산, 가동률 저하 및 기술 노화 현상 노정

◦ 방산물자부는 가동률 향상을 위해 민간기업 경영시스템을 일부 채택, 민수용품 수주 및 생산 등 이익 극대화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 전시

대비 군수공장 본연의 역할 변질

Page 77: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72

(2) 방위산업 육성 조직

국방장관 겸방위산업장관

방산물자부 장관

NOMP AOI(16개 공장) (9개 공장)

* NOMP(National Organization for Military Production): 국가 소유 방위

산업체(방산물자부에 의해 직접 관리) * AOI(Arab Organization for Industrialization) : 다국적 소유의 방위 산

업체

(가) 국방장관 겸 방산장관 : NOMP 및 AOI 직접 통제

* AOI는 조직표 상으로는 방산물자부 장관의 통제를 받게 되어 있으

나, AOI 회장은 통상 총참모장 역임자로 보직, 국방장관 겸 방산장

관과 직접 대화, 독자적 계획 및 운영

(나) 방산물자부 장관 : 국방부의 소요에 의한 방산 분야의 실무 업무 관장

(다) NOMP : 16개 군수공장 관리 운영

(라) AOI : 9개 군수공장 관리 운영

◦ 1975년 이집트의 주도로 걸프지역 국가들의 풍부한 Oil(원유) 자본

과 이집트의 산업기술 능력을 활용, 아랍권의 독립적 안보협력체제

구축 의도 하에 설립. 사우디아라비아, UAE, 카타르 등 참여

◦ 1979년 Camp David 평화협정 이후, 아랍국가들의 참여 기피로

1979-1988간은 거의 이집트 단독으로 운영하였으나, 현재는 4개

국가(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UAE)에 의해 공동 운영

◦ 산하 9개 공장(종사자 18,000 여명) 운영

Page 78: 2013.2 이집트 개황

73

다. MFO(Multinational Forces & Observers)

(1) 창설 배경

- 제4차 중동전 이후 캠프데이비드협정에 따른 평화조약(1979.3.26)에

따라 MFO 창설, Protocol 서명(1981.8.3)에 의거 1982. 4. 25부로

이스라엘의 시나이반도 반환 및 MFO 임무 개시

(2) 참여국 : 이집트/이스라엘 외 12개국

- 병력 파견국 : 미국, 콜롬비아, 피지(이상 각 1개 대대 규모), 호주, 카나다, 프랑스, 헝가리, 이탈리아, 뉴질랜드, 노르웨

이, 우루과이 등

- 재정 지원국 : 이집트, 이스라엘, 미국, 독일, 일본, 스위스, 네덜란

드, 노르웨이

(3) 임무 : 평화조약 위반사항 관측, 보고, 검증(observe, report, verify)

- Zone'A' : 이집트 병력(1개 기보사단/22,000명 이내)- Zone'B' : 이집트 병력(4개 국경수비 대대)- Zone‘C' : 군인은 MFO만 배치. 이집트 군 국경수비대(750명 이내)/

경찰 배치.- Zone'D' : 이스라엘 영토 내 3km 폭/이스라엘 병력(4개 보병대대/

4,000명 이내)

Page 7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74

(4) 편성

(가) MFO 본부 : 로마

(나) Representative Office(2) : 카이로, 텔아비브

(다) MFO 군 편성(2개 Camp로 구성)◦ 북부 Camp(엘 고라) : MFO 군 본부, 콜롬비아/피지 대대

Page 80: 2013.2 이집트 개황

75

* 현 MFO 군 부대장은 소장 Ludvigsen(노르웨이)◦ 남부 Camp(샴 엘 세이크) : 미국 대대, 지원대대(미국)◦ 기타 직할부대 : 항공대(프랑스), 해안순찰대(이태리), 수송/공병대

(우루과이), 헌병대(헝가리), 훈련대(뉴질랜드), 항공관제팀(카나다) 등◦ 양 당사국은 Liaison System 운영

・ 군사연락사무소(양국 수도에 위치, 장군 지휘)* 이집트의 경우 정보국 예하 LAWIO(Liaison Agency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에서 담당.・ 야전 연락 사무소(이집트 : 라파, 엘 아그와, 타바, 샴 엘 세이크)

Page 8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76

5. 문 화

가. 언론 및 방송 현황

(1) 시민혁명 이후 동향

◦ 시민혁명이후 언론의 자유는 개선되고 있으나, 아직도 국영 언론사들의

기관장들이 상원 언론최고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임명

◦ 그러나 Morsy 대통령의 취임 이후 방송계에서도 종교적 표현이 비교적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있음. 일례로 이집트 국영방송 정오뉴스의 여성

앵커가 ‘히잡’을 착용하고 뉴스를 진행하기 시작하였는데, 이집트에서는

그동안 종교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여성 앵커의 ‘히잡’ 착용이 허용되지

않았었음.◦ 또한 Mubarak 정권하에서는 대통령 및 가족들에 관한 기사는 금기시

되었으나, Morsy 대통령은 자신에 대한 비난성 글을 실어 구속된 한

신문사 편집장을 석방하는 등 표현의 자유를 존중

◦ 한편, 언론·방송을 관장하는 공보부는 언론·방송을 정부의 직접 통제를

받지 않는 특정 위원회에서 감독하는 방안을 모색

◦ 신헌법에 의해 언론에 대한 통제는 금지되며, 전쟁 또는 국민동원

(Public Mobilization)시에 한해 예외적으로 검열 가능

(2) 현황

(가) 방송

◦ 이집트 국영 지상파 방송은 지역별로 나누어 8개의 채널과 위성채널

을 보유

- 지상파 방송: CH1(전국방송/ 국내), CH2(전국방송/외화등), CH3 (카이로 주변도시), CH4(수에즈), CH5(이집트 북부 알렉산드리아

지역), CH6(포트사이드), CH7(남부이집트), CH8(남부이집트)- 위성방송 : NILESAT 위성은 1998년 설립되어 현재 600여개의

Page 82: 2013.2 이집트 개황

77

국내외 TV 채널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시청권은 아라비아반도 및

북부아프리카 등

☞ 이집트 위성방송을 관장하는 곳은 NILE TELEVISION NETWORK (NTN)이며,

이집트정부가 운영하는 위성채널은 13개사임

◦ 이집트 민간TV 방송사는 지상파가 아닌 위성으로 송출

- 2000년 이후에 도입되었으며, 7개 민간 TV 방송사

☞ NILESAT 위성을 통해 아리랑 TV 및 Korea TV 민간방송 시청 가능

(나) 신문

■ 국영언론사

◦ MENA(Middle East News Agency)- 창 립 일 : 1956- 발행부수 : 70,000

PPR-50,000(격주) 경제 주간지-50,000(매주)- 주요독자 : 외교관, 외국인, 학자층

- 보도성향 : 친정부 우익

◦ Al-Akhbar (아랍어일간지)- 창 립 일 : 1952- 발행부수 : 평일-1,319,700

주말(토요일)-1,622,850- 주요독자 : 일반대중(중산층)- 보도성향 : 친정부/우익

◦ Al-Ahram (아랍어일간지)- 창 립 일 : 1875.12.7- 발행부수 : 평일-1,000,000

주말(금요일)-1,200,000- 주요독자 : 일반대중(주로 지식층)- 보도성향 : 친정부/우익

◦ Al-Gomhouria (아랍어일간지)- 창 립 일 : 1953

Page 8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78

- 발행부수 : 평일-600,000 주말(목요일)-900,000

- 주요독자 : 일반대중

- 보도성향 : 친정부/우익

◦ Rose El-Yousef (아랍어일간지)- 창 립 일 : 1925- 발행부수 : 100,000- 주요독자 : 일반대중

- 보도성향 : 친정부/우익

◦ Al-Ahram El-lqtisady(아랍어월간지)- 창 립 일 : 1959- 발행부수 : 105,000- 주요독자 : 경제계, 금융인, 대학교수 등

- 보도성향 : 친정부/우익

◦ The Egyptian Gazette (영어일간지)- 창 립 일 : 1880- 발행부수 : 평일-110,000

주말(토요일)-120,000- 주요독자 : 이집트 상주외국인, 정부, 의회

- 보도성향 : 친정부/우익

■ 민간언론사

◦ Al-Wafd(야당・정당 일간지)- 창 립 일 : 1984- 발행부수 : 평일-50,000, 주말(목요일)-80,000- 주요독자 : 일반대중, 정부기관, 정당, 중산층

- 보도성향 : 정당지/우익

◦ Al-Masry Al-Youm (아랍어일간지) - 창 립 일 : 2004- 발행부수 : 150,000- 주요독자 : 중산층(지식인)

Page 84: 2013.2 이집트 개황

79

- 보도성향: 자유주의/반정부

◦ Al-Alam El-Yom Daily (아랍어일간지) - 창 립 일 : 1990- 발행부수 : 170,000- 주요독자 : 경제전문가, 사업가

- 보도성향: 친정부/우익

나. 문화 동향

■ 시민혁명 이후 동향

◦ 시민혁명 이전에는 문화부에서 일반문화 및 고고학 정책을 관장. ◦ 시민혁명 이후 고고학을 관리하는 독립된 기관이 신설(문화재부)되

어 5천년 전통의 파라오 유물 관리 및 유적 발굴 등 총괄

■ 주요 문화 시설

≪ 이집트박물관 ≫- 카이로 도심의 타흐리르광장 주변에 위치, 12만 여점의 유물 전

시(16만여점은 창고에 보관 중)- 시민혁명 이전 동 박물관의 규모가 협소하여 기자지역에 새로운

박물관을 건설하기로 결정하였으며, 현재 동 박물관 건립 중

(2015년 완공 예정) - 이집트 국립박물관의 하이라이트는 2층에 전시되어 있는 투탕카

멘왕(BC1350)의 유물로서, 현재 1600여점의 유물 전시

- 파라오 왕 중의 왕인 람세스 2세의 미이라가 2층에 전시

≪ 이집트 국립 오페라하우스 ≫- 문화부 산하 카이로 오페라하우스, 알 굼후리야 극장, 알렉산드리

아시의 다마후르 오페라하우스 등이 이집트 국민의 문화생활 향

상에 기여. 외국 예술단의 공연은 주로 오페라하우스에서 개최

- 카이로 오페라하우스는 1971년 화재로 소실되어, 1988년 일본의

원조에 의해 현재의 카이로 오페라하우스가 건축됨.

Page 8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80

≪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 알렉산드리아는 동서양의 문화가 만나 찬란한 헬레니즘 문화를 창

출한 지중해변의 아름다운 항구도시로 기원전부터 유럽 등에 널리

알려짐.-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는 학술·번역 등 역사적인 도서가 소장되어

있었으나 화재로 사라졌으며, UNESCO 및 주변 아랍권 국가의

지원으로 1995년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착공되어 2002년 완공

-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도서관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박물관, 전시장 및 학술연구센터 등 8개 분야(알렉산드리아·지중해연구센

터, 예술센터, 아랍서체센터, 헬레니즘연구센터 등)로 나누어 운

영하면서 각종 국제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

다. 이집트 정부의 문화재 관련 정책

◦ 2002년 문화부 산하 문화재청은 유물반환국을 설치하여 2012년 기준

6000여점의 유물을 해외에서 반환받았음.- 시민혁명 이후 문화재청은 문화재부(Ministry of State for Antiquities)

로 승격

◦ 1970년 유네스코는 불법 국내반입, 국외유출, 국내유통을 금지하는 유

네스코 협약을 제정한 후, 이집트는 1973년에 유네스코 협약에 가입하

여 세계에 산재되어있는 자국 유물의 반환을 위하여, 1973년 UNESCO 유물반환관련 규정과 이집트 국내법, 유물이 보존되어 있는 국가법에

따라 문화제 반환 소송절차를 진행하고 있음.◦ 이집트 문화재부는 인터넷 검색과 현지방문을 통하여 반출된 이집트 유

물을 찾고 있으며, 1973년 이전에 반출된 유물들은 이집트 측에 등록된

유물인 경우 반환소송을 하며, 동 유물이 도난당한 이집트 유물이 확실

한 경우 반환소송 절차를 밟고 있음.- 단 공식적인 절차에 의하여 1829년 반출된 경우인 파리 콩코드광장

에 전시된 람세스 2세의 오벨리스크 및 1980년 이전까지 이집트 지

도자들의 선물로 반출된 경우는 해당이 되지 않으나, 경매에 붙여진

경우 반환을 요구할 수 있음.

Page 86: 2013.2 이집트 개황

81

- 반환소송 및 요청은 강제력을 갖고 있지 않아 이집트 정부는 자국의

유물을 다량 보유하고 있는 국가들과 협정을 맺어 반환을 요청

◦ 현재 이집트국내에는 다양한 국적의 고고학 발굴팀이 있는데 각 팀이

발굴하는 유물은 문화재부에 등록해야 하며, 그중 절반은 공식적으로

반출이 가능하나 소장 및 전시용에 제한됨.- 과거 1912년의 문화재법에 의해 외국과의 문화재 거래 및 반출이

광범위하게 허용되었음. 문화재가 경매에 의해 거래되었으며, 이집트

정부도 경매의 지분을 보유

- 그러나 1983년 문화재법이 제정된 이래 문화재 거래가 금지되었고

1988년, 2000년 두 차례에 걸쳐 문화재 거래가 더욱 엄격히 금지됨.

라. 교육제도

◦ 이집트의 학교제도는 국립과 사립학교로 나뉘며, 국립학교의 경우 초등

학교부터 대학까지 무상교육 실시(중학교까지 의무교육)- 알 아즈하르 종교기관에서 운영하는 알 아즈하르 초·중·고등학교 및

대학교도 국립학교에 속하며 무상교육 서비스 제공

※ 알 아즈하르 교육기관 : 1천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는 이슬람순니교육기관으로서 초등학교부터 대학까지 일반 교육기관과 같은 제도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집트 및 아랍세계, 전 세계 무슬림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슬람 교육을 실시

◦ 교육 기간(국립, 사립학교 동일)- 초등학교(6년), 중학교(3년), 고등학교(3년)- 일반 대학교(4년), 공대(5년), 약대(5년), 이슬람 법대(5년), 의대(7년)

◦ 주요 대학

- 카이로내 4년제 국립대학 : 카이로대학교, 아인샴스대학교, 헬완대학교

- 이외의 국립 대학교는 각 지방행정도시 수도를 비롯, 종교대학인 알

아즈하르 대학교 등 18개 국립대학교

- 카이로 아메리칸대학교 등 16개 사립대학교(2010년 기준)

Page 87: 2013.2 이집트 개황
Page 88: 2013.2 이집트 개황

Ⅲ. 한・이집트 관계

Page 89: 2013.2 이집트 개황
Page 90: 2013.2 이집트 개황

85

Ⅲ. 한・이집트 관계

1. 한・이집트 기본관계

가. 한-이집트 관계 정책기조

(1) 우리의 대이집트 정책 기조

◦ 이집트는 아랍권내 최대 인구(9,100만)를 가진 국가이며, 아프리카, 중동, 유럽을 잇는 중심지로서 이집트와의 우호・협력 관계를 강화함으로

써 아・중동 진출의 교두보로 활용

◦ 중동 지역의 안정은 우리나라 에너지 안보 및 경제이익 확보에 긴요하

므로 중동 평화 및 안정을 위한 이집트의 노력을 평가하고 지지

(2) 이집트의 대한반도 정책 기조

◦ 우리와의 실질 협력 관계 중시 정책

- 1970년대 중후반 실용주의 정책에 따라 우리와의 정치・경제적 관계

를 보다 중시하는 방향으로 서서히 정책 전환

◦ 한국 경제발전 경험 공유 및 우리 기업들의 이집트 투자진출 확대 희망

◦ 한반도 비핵화, 북핵문제 평화적 해결 및 한반도 긴장 완화 지지

나. 이집트의 대한국 관계 발전 단계

◦ 한・이집트 관계는 첫 번째 분수령인 1995.4.13 국교 수립(1994.7월 김

일성 사망 후)과 두 번째 분수령인 2011.2.11 Mubarak 대통령 하야 및

2012.6.30 Morsy 대통령 취임을 기점으로 3단계로 구분

◦ 1952년 군사 정부 등장 이래 이집트의 한국에 대한 기본 인식은 군 출

신 대통령의 성향에 따라 차이를 보였음.

Page 9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86

(1) 국교정상화 이전 단계(1952~1995년) : 군사정부 출범 후 한국과의

수교 시까지

◦ 이집트는 Nasser 대통령(1954-1970)과 Sadat 대통령(1970-1981) 초기인 1970년대 중반까지는 1950년대 이래의 비동맹 운동, 1973년

중동전쟁시 북한의 대이집트 군사 지원 등 국제무대에서 친북한 일변도

정책 견지

- 1963년 북한과 국교를 수립하면서도 한국과는 영사관계만 유지

◦ Sadat 대통령은 1970년대 후반부터 문호개방 정책을 표방, 친서방 정책을

추구함에 따라 한국과의 경제․통상관계도 점차 신장되어 한국과의 실질적

경제관계를 중요시하면서도 미수교 상태는 계속 견지

◦ 1973년 중동전쟁 당시 공군 총사령관이었던 Mubarak 대통령(1981-2011)은 북한의 공군 지원을 의식하여 한국과 미수교 상태를 유지해오다 1990년대 초 냉전 종식, 1994년 김일성 사망으로 인한 한반도 정세 변화에 편승하여

1995.4.13 한국과 국교를 수립, 비로소 공식적으로 남・북한 동등 외교 관계

수립

- 한국과의 실질적 경제 관계는 계속 증대

(2) 국교 정상화와 제한적 발전 단계(1995~2010년) : 한국과의 수교 이

후 시민혁명 직전까지

◦ 1995.4.13 수교 이후 정치․경제․문화 등 제반 분야에서 양국간 협력관계

는 더욱 긴 화

- 1999.4월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 국빈 방한, 2006.3월 노무현 대통

령 이집트 국빈 방문

- 특히, 경제․통상 분야의 협력이 꾸준히 확대. 90년대 초반 2억불 수

준의 교역액이 2010년 31.8억불(수출 22.4억불, 수입 9.4억불)로 15배 이상 증가, 이집트 교역 순위 10위(수입은 미, 중, 독, 이, 불, 러에 이어 7위)로 부상

- 문화・학술 분야 협력도 확대, 2010년 수교 15주년 기념 한국문화

페스티벌 및 한・중동 학술세미나 개최를 비롯하여 한국영화제, 태권

도 대회 및 K-POP 경연대회 등을 연례적으로 개최, 우리 문화에

Page 92: 2013.2 이집트 개황

87

대한 이해 제고 및 한류 확산 지속

◦ 우리 국민의 이집트 방문자 수도 2006년 5만 7천, 2007년 6만 8천, 2008년 5만 8천명 선으로 5만명 이상 유지

- 시민혁명의 여파로 2011년 2만6천명, 2012.8월 현재 1만9천명으로

감소한 상태이나, 이집트 사회의 안정화로 서서히 회복

◦ 그러나 Mubarak 대통령의 장기 집권은 한-이집트 관계 발전에 인적

장애요인으로 작용

(3) 완전 정상화 단계(2011/2012년~) : 이집트 시민혁명 및 민주정부

출범 이후

◦ 2011.1.25 이집트의 시민혁명, 특히 2.11 Mubarak 대통령 하야와 민주

선거에 의한 2012.6.30 Morsy 대통령 취임으로 이집트는 전환기를 맞

이하여 대외정책 전반에 대한 점검 과정에 있으며, 경제우선 정책 하에

한국과의 관계를 중시할 것으로 예상

- 무슬림형제단, Nour당의 고위 간부들도 한국의 경제 성장에 대해 지

속적으로 관심을 표명

※ Morsy 대통령은 2012.10.8 유명환 대통령 특사 면담시, 한국의 경제 발전 경험을 공유하기를 희망함.

◦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공유하고 있는 양국은 정상급 교환방문과 2015년 수교 20주년을 계기로 제반 분야에서 격상된 상호 협력관계 모색 필요

- 2012.11.27 한ㆍ이집트 장관급 공동위 설치 협정 발효

다. 관계 연표

1961.12. 5 영사관계 수립

1962. 5. 1 주카이로총영사관 개설

1991. 8.19 주서울이집트총영사관 개설

1995. 4.13 한・이집트 수교

2005. 4.13 수교 10주년

Page 9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88

라. 협정체결 현황

◦ 과학협력 양해각서

(1979. 5 한국과학재단 - 이집트과학․기술 아카데미)◦ 항공협정(1988. 6)◦ 문화・과학・기술협력 협정(1989. 6)◦ 이중과세방지 협정(1994년)◦ 투자보장 협정(1997년)◦ 청년봉사단파견 양해각서(1997년)◦ 서울시-카이로시간 우호협력 협정(1997년)◦ 무역 협정(1998년)◦ 외교관・관용여권 사증면제 협정(1998년)◦ 과학기술양해각서(1999. 4)◦ 연구원간 협력 약정(1999.11)◦ 원자력 협력 협정(2002. 6)◦ 2004-2006년간 문화교류시행계획서(2004. 4)◦ 체육분야 협력 양해각서(2005. 8)◦ 청소년 교류 양해각서(2005.12)◦ 정보통신 기술협력 양해각서(2006. 3)◦ 소프트웨어진흥원-ITIDA간 전자서명 Public Key 인프라구축 협력 양

해각서(2006. 3)◦ KOTRA-GAFI간 투자협력 양해각서(2006. 3)◦ 한전-EEHC간 정보기술 교류 등 상호협력 양해각서(2006. 3)◦ 한전-NREA간 신에너지, 재생가능 에너지 협력 양해각서(2006. 3)◦ 중소기업진흥공단-SFD간 중소기업 산업협력 양해각서(2006. 3)◦ 한국산업기술재단-NRC간 산업 기술협력 양해각서(2006. 3)◦ 수출보험공사-ECGE간 상호협력 양해각서(2006. 3)◦ 수출보험공사-Fiani&Partners/Kompass간 data 이용 양해 각서(2006. 3)◦ 한-이 환경부간 MOU(2006.11)

Page 94: 2013.2 이집트 개황

89

◦ 한국방송위원회-ERTU간 상호협력 양해각서(2007. 4)◦ 한-이집트 문화교류 시행계획서(2007. 9)◦ 한-이 감사원간 교류협력 양해각서(2007. 9)◦ 한-이 행정서비스 협력 양해각서(2007. 10)◦ 대전시-이집트 고등교육과학부간 Mubarak 과학단지 건설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 교류협력 양해각서(2008. 4)◦ 한-이집트 표준화기관 간 양해각서(2009. 4)◦ 한-이 관광협력 양해각서(2010. 1)◦ 한국정보사회진흥원과 이집트 행정발전부간 전자정부 분야 양해각서

(2010. 3)◦ 한-이 통계청간 양해각서(2012. 2)◦ 한-이 장관급 공동위원회설치 협정 발효(2012.11)

마. 주요 인사 교류 현황

(1) 방 문

1995. 6 박운서 통상산업부 차관

1995. 9 이시윤 감사원장(15차 INTOSAI 총회 참석)1996. 8 이기주 외교차관(제1차 한・이 정책협의회 참석)1996. 11 홍재형 전부총리(제3차 MENA 경제회의 참석)1997. 4 조순 서울시장(서울 - 카이로 자매 결연)1997. 9 정재문 통일 외무위원장(IPU총회 참석)1997. 10 송영식 제 1차관보

1998. 9 이종찬 국정원장

1998. 11 박태영 산자부장관

1999. 1 김봉호 국회부의장

1999. 2 김종필 총리

1999. 7 국회 외교통상위원회(단장: 유흥수 의원)1999. 10 고건 서울특별시장

1999. 11 홍순영 외교통상부장관

Page 9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90

1999. 11 권진호 국정원 차장

2000. 4 김경한 법무차관

2000. 5 최기선 인천광역시장(인천-알렉산드리아 자매결연)2000. 8 한덕수 통상교섭본부장

2000. 12 김윤기 건교부장관

2001. 1 국회 행정자치위원회(단장 : 이용삼 의원)2001. 1 국회정보위원회(김명섭 의원 단장)2001. 3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단장 : 박헌기 의원)2001. 4 황병기 감사위원

2001. 4 황두연 통상교섭본부장

2001. 7 국회 운영위원회 (단장 : 이상수 의원)2001. 8 한승수 외교통상부장관

2001. 11 김종호 국회부의장

2002. 3 이만섭 국회의장

2002. 8 국회예결위원회(단장 : 이상득 의원)2003. 1 국회행자위원회(단장 : 박종우 의원)2003. 3 국회문광위원회(단장 : 이협 의원)2003. 5 국회통외통위원회(단장 : 유흥수 의원)2003. 6 김재철 무역협회장

2003. 6 황두연 통상교섭본부장

2003. 7 조부영 국회부의장

2003. 8 변재일 정보통신부차관

2004. 2 반기문 외교통상부장관

2004. 3 진대제 정보통신부장관

2004. 4 허성관 행자부장관

2004. 7 국회예결위 대표단

2004. 9 최영진 외교부차관

2004. 11 김만흠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

2004. 11 윤영관 전 외교부장관(아라파트 장례식 조문단장)2005. 1 국회 교육위원회(단장 : 황우여 의원)2005. 3 국회 문화관광위원회(단장 : 이미경 의원)2005. 6 이태식 외교부차관

2005. 10 국정감사단(,단장 : 임채정 외통위 위원장)

Page 96: 2013.2 이집트 개황

91

2005. 12 최영희 청소년위원장

2006. 1 국회 예산결산위원회(강봉균 의원 외 3인) 2006. 3 노무현 대통령 국빈 방문

(반기문 외교통상부장관, 정세균 산업자원부장관, 진대제

정보통신부장관, 송민순 안보정책실장 수행)국회 교육위원회(황우여 의원 외 6인)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김덕규 의원 외 4인)2006. 5 국회 IPU 대표단(손봉숙 의원 외 2인) 2006. 8 국회 문광위 대표단(이광철 의원 외 3인)

국회 과기정위 대표단(임인배 의원 외 3인)국회 환노위 대표단(홍준표 의원 외 4인)

2006. 10 국회 국정감사단(진영 의원 외 5인)윤병세 외교부 차관보

2006. 11 이치범 환경부장관

국회 평창동계올림픽 유치특위(이원영 의원 외 2인)2006. 12 한・이집트 의원친선협회(조일현 의원 외 6인)2007. 1 국회 예결위 대표단(이한구 의원 외 4인)

국회 법사위 대표단(안상수 의원 외 4인)국회 정무위 대표단(이계경 의원 외 4인)

2007. 3 국회 산자위 대표단(이규택 의원 외 5인)국회 통외통위 대표단(김용갑 의원 외 5인)국회 국방위 대표단(안영근 의원 외 4인)국회 재경위 대표단(엄호성 의원 외 4인)

2007. 3 김성호 법무부장관

2007. 4 조창현 방송위원장

2007. 5 이강국 헌법재판소장

송민순 외교통상부장관

임채진 법무연수원장

2007. 9 전윤철 감사원장

이주흠 외교안보연구원장

2007. 10 임성준 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국회 국정감사단(이화영 의원 외 6인)2007. 11 강무현 해양수산부 장관

Page 97: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92

2008. 6 이용준 외교부 차관보(제5차 한-이 정책협의회)2008. 9 국회 국정감사단(박선영 의원 외 4인)2009. 1 김형오 국회의장

2009. 3 신각수 외교부 제2차관

김희옥 헌법재판관

2009. 5 대통령 특사일행(홍준표 의원 외 3인) 국회 의약품 전달 대표단(진영 의원 외 4인)국회 행정안전위 대표단(조진형 의원 외 3인)

2009. 7 이용준 차관보(중동지역 공관장 회의)2009. 8 강병규 행정안전부 제2차관

2009. 8 유종필 국회도서관장

2009. 8 국회 원내 대표단(김성식 의원 외 2인)2009. 10 국회 국정감사단(문학진 의원 외 4인)

대통령 특사일행(사공일 무역협회장 등) 2010. 1 이만의 환경부 장관

2010. 3 고성식 특허청장

국회 예결위 대표단(나성린 의원 외 2인)2010. 10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2010. 10 이주영 국회예결위원장

2010. 10 김형오 전 국회의장

2010. 11 장수만 방위사업청장

2010. 11 이 참 한국관광공사 이사장

2011. 1 윤증현 기획재정부장관

2011. 1 정종환 국토해양부장관

2011. 5 김진선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 특임대사

2011. 7 이재오 특임장관

2012. 3 윤원중 국회사무총장

2012. 3 백운찬 기획재정부 세제실장

2012. 4 김재신 외교부 차관보(제7차 한-이집트 정책협의회)2012 7 이관섭 지식경제부 에너지자원실장(제2차 원전설명회) 2012. 8 최종구 기획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

2012. 10 유명환 대통령 특사

2012. 10 국정감사단(이병석 의원 외 5인)

Page 98: 2013.2 이집트 개황

93

(2) 방 한

1995. 4 El Gharieb 투자청장

1995. 7 Ibrahim Soliman 신도시개발장관

1995. 11 Omar Ads 경찰대학장

1995. 12 El Meniawy 국제협력부차관

1996. 3 Amr Moussa 외교장관

1996. 9 El Tatawy 국제협력장관

1996. 10 Sorour 국회의장(Abdellah 외무위원장 수행) 1997. 4 Sorour 국회의장(IPU 총회 참석)

1999. 4 Mubarak 대통령 국빈 방한

1999. 4 Bahha El-Din 교육부장관

2000. 4 Ghatrifi 외교부 아주차관보(제2차 한․이 정책협의회)2003. 9 Saleh 통상부 국제전시청장

2004. 12 Ezzat Saad 외교부 아주차관보

2006. 10 Raghib 외교부 기획관리실장

2006. 11 Farahat 외교부 아프리카 부차관보

2007. 10 Darwish 행정발전 담당 국무장관

2008. 5 Talawy 아랍연맹 특별조정관

2008. 6 Kamel 정보통신부 장관

2008. 7 Zahi Hawas 문화재 청장

2008. 9 Maher 헌법재판소장

2008. 12 Mohie El-Din 투자부 장관(비공식)2009. 2 Hussein Haridi 외교부 아태담당 차관보(제6차 한・이

정책협의회)2009. 11 Ahmed Fatallah 외교부 아태담당 차관보(제7차 한・이

정책협의회 및 제2차 한․아프리카 포럼)2010. 1 Zoheir Garranah 관광부장관 2010. 5 Osama Saleh GAFI 청장

2010. 6 Mohyee El-Din 투자부장관

2010. 6 Boutros Ghali 재무부장관

2010. 6 Maged George 환경부장관

2010. 7 Alla Fahmy 교통부장관

Page 9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94

2010. 11 Boutros Ghaly 재무부장관

2011. 4 Said Hindam 외교부정책기획차관보

2012. 3 Mohamed Kamel Amr 외교장관 (핵안보정상회의 참석)2012. 5 Mohamed Abdel Aziz el Shenawy 및 Adel Omar Sherif

헌법 재판소 부소장 (아시아헌법재판소연합 창립총회)2012. 7 Ahmed El-Dib 박람회청장

2012. 9 Moustafa Hussein Kamel 환경부장관(세계자연보전 총회)2012. 10 Moustafa Hussein Kamel 환경부장관(기후변화협상회의)

바. 역대 공관장

순서 공관장 기간초대 윤석헌 총영사 1962. 6-1963. 4제2대 강춘희 총영사 1963. 5-1966. 8제3대 홍성욱 총영사 1966. 9-1969.11제4대 문철순 총영사 1969.12-1972. 4제5대 최운상 총영사 1972. 5-1974. 4제6대 장위돈 총영사 1974. 4-1976.10제7대 함영훈 총영사 1976.11-1979. 6제8대 공로명 총영사 1979. 7-1980.12제9대 한탁채 총영사 1981. 1-1984.12제10대 김세택 총영사 1985. 1-1987. 3제11대 신기복 총영사 1987. 3-1990. 5제12대 박동순 총영사 1990. 6-1993. 4제13대 정태익 총영사/대사 1993. 5-1996. 3제14대 임성준 대사 1996. 4-1999. 2제15대 심경보 대사 1999. 3-2001. 2제16대 오윤경 대사 2001. 2-2004. 3제17대 최승호 대사 2004. 3-2006. 9제18대 정달호 대사 2006.10-2009. 3제20대 윤종곤 대사 2009. 3-2012. 2제20대 김영소 대사 2012.3-현재

☞ 주한 이집트 대사제1대 : Mohamed Amin Elsholkamy (1991~1997) 제2대 : Hussein Derar(1997~2001)제3대 : Amr Helmy (2001~2005)제4대 : Mohamed Reda Kamel El- Tarify (2005~2009)제5대 : Mohamed Abdel Rahim El-Zorkny(2009~현재)

Page 100: 2013.2 이집트 개황

95

2. 한・이집트 경제・통상관계

가. 통상관계

(1) 양국간 교역 규모

◦ 한국과 이집트 교역량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매년 40% 이상 증가

하여 왔으나 2011년은 시민혁명의 여파로 2010년 31.8억불 대비 24% 감소한 24.2억불 기록(수출 : 17.3억불, 수입 6.9억불)- 2012.8월 현재 한-이집트 교역은 17.4억불(수출은 11.2억불, 수입

6.2억불) ☞ 이집트의 교역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이집트 산업통상부 통계 기

준으로 2010년도 및 2011년도에 각각 10위(교역 규모 23억불로 전체교역

량 802억불 중 2.86%)와 15위(교역규모 20.8억불로 전체 교역량 856.5억

불 중 2.42%)를 기록. 반면 2011년 우리나라 교역에서 이집트가 차지하

는 비중은 24.2억불로 전체 교역량 1조 796억불 중 0.22%로 49위에 해

당(무역협회 통계)

(2) 주요 수출품목

◦ 2011년도 대이집트 수출 품목은 승용차, 자동차부품, 선박, 합성수지, 석유화학제품, 변압기, 평판디스플레이, 철 구조물, 무선전화기 등이며, 2010년 대비 22.9% 감소

- 승용차, 자동차부품, 선박 및 합성수지가 전체 수출의 52%

(3) 주요 수입품목

◦ 2011년도 대이집트 수입은 나프타(47.2%) 및 천연가스(42.0%)가 전

체 수입액의 89.2% 차지

Page 10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96

≪ 한-이집트 교역총액 ≫(단위 : 억불)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교역액 13(43%) 17.7(36%) 28.8(63%) 19.9(-30%) 31.8(59%) 24.2(-24%)수출액 8.5(20%) 11.6(36%) 15.5(34%) 15.3(-1%) 22.4(46%) 17.3(-22.7%)수입액 4.5(225%) 6.1(36%) 13.3(218%) 4.6(-65%) 9.4(104%) 6.9(-26%)

무역수지 4.0 5.5 2.2 10.6 13.0 10.4(출처 : 무역협회)

☞ 한국산 자동차의 이집트 판매 현황

- 이집트내 자동차 판매 시장은 2010년 25만대였으나 시민혁명의 여파로

2011년 18만대로 감소(전년대비 28% 감소). 2012년도에는 전년대비

11% 증가하며 회복 중

- 전통적으로 이집트 자동차 시장에서는 현대차와 Chevrolet가 강세

(2011년 기준 각각 25.3%와 23.8%의 차지)- 2011년 기준 이집트 시장내 한국차의 점유율은 32.5%(이중 기아차

6.9%)이며, 향후 한국차 판매는 더욱 호조를 보일 전망

- 2012. 1~8월간 이집트내 판매량 75,292대 중 한국차는 35,071대로

46.6% 점유

☞ 현대로템, 이집트 Metro 전동차 180량 공급계약 체결

- 이집트 교통부 산하 터널청에서 발주한 카이로 1호선 전동차 180량(4억불 규모) 공급계약을 일본기업과의 경쟁을 통해 수주

- 향후, 메트로 2,3,4호선의 총 376량 추가발주에도 유리한 입지 구축

☞ 이집트 교역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

(2011년기준, 단위 : 백만불)순위 국가 수출 수입 교역규모1 미국 1,596 6,308 7,9042 중국 603 5,386 5,9893 이태리 2,670 3,000 5,6704 독일 770 3,735 4,5055 사우디 1,880 2,528 4,4086 터키 1,512 2,582 4,094

Page 102: 2013.2 이집트 개황

97

순위 국가 수출 수입 교역규모7 인도 2,246 1,538 3,7848 프랑스 1,280 1,963 3,2439 쿠웨이트 253 2,785 3,03810 러시아 352 2,145 2,49711 브라질 271 2,144 2,41512 스페인 1,291 1,049 2,34013 네덜란드 699 1,630 2,32914 영국 961 1,175 2,13615 한국 432

(1.41%)1,657

(2.81%)2,089

(2.33%)16 우크라이나 112 1,799 1,91117 벨기에 564 1,293 1,85718 일본 361 1,313 1,674

총교역규모 30,611 58,940 89,551*출처 : 이집트 산업통상부 EITP

※ 우리나라 교역에서 이집트가 차지하는 비중(2011년기준) : 우리나라 교역량 1조 796억불중 24억불로 0.22% 수준(제49위 교역상대국)

나. 건설 진출

(1) 현지 건설시장의 특성

◦ 시공 품질보다 가격을 더 중시

◦ 정부공사의 경우 현지 건설업체에 15%의 특혜 부여

◦ 일반공사의 경우 현지 대형업체의 급부상으로 공개경쟁 입찰에서 우리

업체의 가격 경쟁력 약화

◦ 입찰방식이 BOOT(Build, Own, Operate and Transfer ; 시공운영후

인도 조건)방식으로 시공자 자본참여를 요구, 자본력에서 열세인 우리

기업의 입지가 축소되는 경향

Page 10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98

(2) 실 적

(단위 : 억 불)연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금액 1.5 3.5 - - 23 - 3.5 2.7

◦ 프로젝트 발주 방식이 BOOT방식 또는 시공자 자본조달 방식으로 원조

공여국이나 자본력이 앞선 선진국기업에게 발주 물량이 주어지고 있는

실정

◦ 2004.9월 삼성물산(건설부문)의 AUC(American University in Cairo) 신축 캠퍼스 건설공사 수주(1억 5천만 불 규모)하여 2008.6 완공하였

으며, 2005년도에는 GS건설이 알렉산드리아 인근 알킬벤젠(세제원료) 공장 건설을 수주, 2008.7월 완공(3.5억불 규모)- 2007.8월 GS 건설이 수주한 카이로 북부 모스트로드 복합정유공장

프로젝트(23억불 규모)는 2008년 하반기 발생한 세계 금융위기 여

파에 의한 자금조달 문제로 공사 착공이 지연되었으나, 2012.6월 자

금조달이 완료되어 2012.10월 현재 공사 시공 준비 중

◦ 2010년 대우인터내셔널과 현대중공업이 화력발전소 송배전 분야에서 1억불을 수주하였고, 2011.9월 SK가 미국 엔지니어링회사인 Shaw Group와 합작 벤처를 구성, 이집트 민간기업인 Carbon Holdings사가 발

주한 35억불 규모의 에틸렌 석유화학단지 건설 참여를 위한 공동합의서

를 체결하고, 2012.10월 현재 재원 조달 중

다. 대이집트 투자

(1) 현 황

◦ 1999년 Mubarak 대통령의 방한 이후 10여건에 달하는 우리기업들의

투자진출이 이루어졌으나 복잡한 투자진출 절차, 국내시장의 악화, 관료

주의의 만연 등으로 2000년 이후로는 정체 현상

Page 104: 2013.2 이집트 개황

99

(2) 주요 현지투자 현황

◦ 2012.10월 현재 우리나라의 총 투자 건수는 신고기준으로 71건, 367백만 불, 실제 투자는 238백만 불 수준임.

◦ 주요 투자기업으로는 삼성전자, LG전자, 삼성물산, SK, Noor Midas, DOO BAE RA, 동일방직 등임.

◦ 2012.9월 삼성전자-베니수에프州(이집트 남부)간 ⌜TV 생산공장 설립

을 위한 투자 계획서」에 서명하고 현재 공장 건설 중

- 삼성전자는 총 3억불 규모의 투자 계획 하에 우선 제1단계 공사로서

1억불 투자 예정

라. 이집트 진출 주요 아국업체 현황(2012.10월 현재 44개사)

◦ 현지법인(18개사) : 삼성전자, 동일방직, LG전자, 석유공사, Texchem, 현대 모비스, Nour Midas, MISR KOREA

◦ 지사(4개사) : 삼성건설, 두산중공업, GS건설, 범한판토스, ◦ 연락사무소(15개사) : 금호타이어, 기아자동차, 대우인터내셔널, 대우일

레트로닉스, 삼성엔지니어링, 포스코, 토탈소프트뱅크(IT솔루션), 한산

실업(종합무역), 한국타이어, 현대종합상사, 현대자동차, 한국유리, 코오

롱(종합무역), LG전선, OCI상사

◦ 교민직접투자(7개사) : A-zin Milisys(공군용 제품), C&C(화학), GS Tech(사출성형), Golden Hill(건설), KCC(섬유), 대성이집트(섬유), Dain Revotech(무역) 등

※ 이집트의 대한국 투자 : 없음.

마. 대이집트 개발협력 추진(KOICA 협력사업)

(1) 지원 개요

Page 10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00

■ 1991-2011년 지원 실적 : 총 4,611만불

연도 91-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계지원액 516 50 185 122 197 406 527 542 747 569 390 360 4,611

■ 2012년 지원 계획 : 약 315만불(잠정)

(2) 지원 방향 및 분야

이집트 국가개발계획 및 우리의 비교우위 분야에서의 「선택과 집중」 전략

에 따라 3개 분야를 중점 지원함으로써 원조효과 제고

◦ 산업에너지(Industry & Energy)- 이집트 정부의 지속가능한 경제사회발전 토대 마련을 위해 전력, 원

자력, 도로, 철도 등 기초 산업인프라 구축 역량 배양 및 관련 기술

지원 (*우리 기업 진출 측면 지원)◦ 공공행정(Governance)

- 이집트 정부의 발전 지향적 제도 구축(Institution Building) 및 공무

원 역량 배양(Capacity Building)을 통한 Good Governance 및 전자

정부 구축 지원

◦ 직업훈련(Vocational Training)- 이집트의 인적자원개발, 산업 선진화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한 숙련

기능 인력 양성 및 고용 창출 지원

(3) 국별 프로그램

지원프로그램 사업유형 사업명직업훈련역량강화 프로젝트 이집트 자동차분야 직업훈련시스템 개선사업

(2008-2012/500만불)정부행정역량강화

프로젝트 공산품 품질관리청 전산화 2단계사업(2011-2012/113만불)

국별연수 이집트 통계기법

Page 106: 2013.2 이집트 개황

101

지원프로그램 사업유형 사업명

에너지 및 산업인프라

개선

프로젝트 배전자동화 시스템 구축 마스터플랜 수립 및 자동화 시스템 확장사업(2011-2013/260만불)

국별연수 도로운영 역량강화(2010-2012)국별연수 철도운영 역량강화(2010-2012)국별연수 원자력 안전규제요원 역량강화(2010-2012)

(가) 프로젝트

■ 이집트 자동차분야 직업훈련시스템 개선사업(2008-2012/500만불)◦ 사업 목적

- 직업훈련원 교육 시스템 및 시설 개선, 숙련 기능 인력 양성

◦ 사업 수행기관

- 우 리 측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이집트측 : 직업훈련청(Productivity and Vocational Training Department)

◦ 추진 현황

- 2008.5월 : 실시협의단 파견 및 협의의사록(RD) 체결

- 2008.11월 : 양국 정부간 합의문(EN) 교환

- 2011.7월 : 개발교재 전달식

- 2012.8월 : 카프리엘자이엣 직훈원 개원식

■ 공산품 품질관리청 전산화 2단계 사업(2011-2012/113만불)◦ 사업 목적

- 공산품 품질관리청 업무 생산성 증대 및 전자 정부 구축

◦ 사업 수행기관

- 우 리 측 : 현대오토에버시스템

- 이집트측 : 공산품 품질관리청(Industrial Control Authority)◦ 추진 현황

- 2010년 7월 : 실시협의단 파견 및 협의의사록(RD) 체결

- 2011년 10월 : 정부 간 합의문(EN) 교환

Page 107: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02

- 2011년 11월 : 사업 착수 전문가 파견

- 2012년 2월 : 직무교육 전문가 파견

■ 배전자동화 시스템 구축 마스터플랜 수립 및 자동화 시스템 확장사업

(2011-2013/260만불)◦ 사업 목적

- 이집트 정전 및 배전 손실 감소를 위한 배전자동화 시스템 구축

및 마스터 플랜 수립

◦ 사업 수행기관

- 우 리 측 : 한국전력

- 이집트측 : 북부카이로배전공사(North Cairo Electricity Distribution Co.)

◦ 추진 현황

- 2011년 10월 : 실시협의단 파견 및 협의의사록(RD) 체결

- 2012년 : 정부간합의문(EN) 교환 추진

(나) 국별 연수

■ 원자력 안전규제요원 역량강화

◦ 사업 수행기관

- 우 리 측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이집트측 : NRRA(Nuclear and Radiological Regulation Authority)◦ 추진 현황

- 1차년도(2010년) : 원자력 안전 및 원전 안전설계 기본 과정(45명)- 2차년도(2011년) : 원자력 안전 심사 고급 과정(23명) - 3차년도(2012년) : 안전 해석 컴퓨터 코드 및 심사 방법(15명)

■ 도로운영 역량강화

◦ 사업 수행기관

- 우 리 측 : 한국도로공사

- 이집트측 : 도로교량육상운송청(GARBLT)

Page 108: 2013.2 이집트 개황

103

◦ 추진 현황

- 1차년도(2010년) : 도로 관리 및 교통 안전(15명)- 2차년도(2011년) : 도로 품질관리 및 포장 유지관리(15명) - 3차년도(2012년) : 도로 안전(15명)

■ 철도운영 역량강화

◦ 사업 수행기관

- 우 리 측 : 한국철도공사

- 이집트측 : 철도청(ENR)◦ 추진 현황

- 1차년도(2010년) : 철도운영 현대화(16명) - 2차년도(2011년) : 철도정책 및 경영(16명) - 3차년도(2012년) : 철도 안전(15명)

(4) 글로벌 프로그램

(가) 연수생 초청사업

◦ 다국가 연수(Regular Training) : 16과정 32명◦ 장기 연수(Scholarship Program) : 상반기 5과정, 하반기 10과정

◦ 연수생 사후관리 : 귀국연수생 861명(2011년 기준)- 귀국연수생 홈페이지 구축 및 운영(facebook.com/koicaegyptoffice)- 귀국연수생 동창회 매년 실시

(나) 봉사단 파견사업

◦ 활동인원 : 총 43명(2012.10.16 기준)- 일반단원 40명, 협력요원 3명

◦ 활동분야

컴퓨터 한국어 태권도 특수교육 자동차 간호 전자 사서 의류 기계 합계7 19 5 1 1 4 1 1 1 3 43

Page 10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04

3. 한・이집트 문화 협력

가. 문화행사 개최 현황

1993. 9 대전엑스포 계기 이집트 민속무용단 방한

1994. 9 한국주간행사 개최

(Korean Night 행사, 국립예술단 공연, 한・이 학술세미나, 앙드레김 의상발표회, Piano Trio Recital, 한국영화주간, 김희진 전통매듭전시회, 한정혜 한국전통음식축제)

1995. 12 한국화전시회

1996. 3 한국문화행사 개최(앙드레김 의상 발표회)1996. 11 도예전 개최

1997. 4 한국어 웅변대회 개최

1997. 7 국립발레단 공연

1997. 9 김복희 무용단 공연

1998. 2 금호현악 4중주단 공연

1998. 10 한국어 웅변대회 개최

1998. 11 제22회 카이로 국제영화제 참가

1999. 7 국립무용단 공연

2000. 9 제12회 카이로 국제실험연극제 참석

2000. 10 알렉산드리아 민속공연단 방한

2001. 4 금호현악 4중주단 공연

2002. 9 제14회 카이로 국제실험연극제 참가

2002. 10 제26회 카이로 국제영화제 참가

2003. 9 제15회 카이로 국제실험연극제 참가

․ 우리나라 극단 ‘여행자’ 최우수작품상 수상

2003. 10 제27회 카이로국제영화제 참가, 한국영화특별전 개최

2004. 8 드라마 ‘가을동화’ 이집트 방영(ERTU, Ch2)2004. 9 극단 ‘초인’ 제16회 카이로 국제실험연극제 참가

2004. 12 부산 동래 전통탈춤공연단 카이로 공연

2005. 9 이집트 민속공연단 과천 한마당 축제 참가

(한・이집트 수교 10주년 기념)2005 한・이집트 수교 10주년 기념 문화행사 개최

Page 110: 2013.2 이집트 개황

105

․ 1월 드라마 ‘겨울연가’ 이집트 방영(ERTU, Ch2) ․ 3월 한・이집트 현대미술교류전 개최

․ 4월 정동극장 전통예술단 공연(카이로, 오페라하우스) ․ 5월 국가대표 태권도시범단 시범(카이로) ․ 11월 한・이집트 학술세미나(카이로대학 아시아연구소)

2006. 2 드라마 '대장금' 이집트 국영방송 방영(ERTU CH2)2006. 4 강능 단오 관노가면극 공연(카이로, 오페라하우스)2006. 8 청소년교류사업 일환, 한국대표단 방이

2006. 11 제1회 한국어말하기대회(아인샴스대학교, 한국어과)2006. 12 한국현대미술전 개최

2007. 3 국립남도국악원 전통예술단공연(카이로,/알렉산드리아)2007. 4 해외국악문화학교, 아인샴스대학교 및 대사관 한국어강좌

학생 지도

2007. 4 한국방송위원회, 이집트 국영방송(ERTU)와 MOU 체결

2007. 10 카이로대학교 아시아연구소 한국학세미나 개최

2007. 10 양국 청소년교류사업 일환, 한국대표단 방이

2007. 11 제2회 한국어말하기대회(아인샴스대학교, 한국어과)2007. 12 한국학 세미나(아인샴스대학교, 교육대학원)2008. 4 국립진도국악원 전통공연단 공연(카이로/알렉산드리아)2008. 4 한국영화 2회 상영(카이로, 오페라하우스야외극장)2008. 5 방한언론인, 한국관련 세미나 개최(이집트 언론조합) 2008. 6 한국화 전시회(카이로 오페라하우스 전시장)2008. 6 한국어 교수 워크숍(아인샴스대학교, 한국어과)2008. 6 한국음식페스티벌(메리어트호텔 주관, 당관 후원)2008. 9 김희선 피아노 독주회(카이로 오페라하우스 small홀)2008. 10 한국 청소년 대표단 이집트 방문

․ 이집트 대표단 방한(2008.11)2008. 10 특급카라반 행사, 서예전 개최(시연회 및 워크숍)2008. 11 한국문학번역원, 이집트 국립번역원과 MOU체결

2008. 11 제2회 한·중동포럼 계기 미술전시회(11.20)

2008. 11 한국학세미나 개최(11.26) 및 한국학소개 강좌(4주)2008. 12 제3회 한국어말하기대회(아인샴스대학교, 한국어과)

Page 11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06

2008. 12 한국 농식품 홍보행사(마아디, 카르푸) 2009. 5 제1회 한국문학 독후감 대회

2009. 5 한류확산 일환, 한국영화 상영

․ 한국어강좌 학생 및 이집트 국민 대상

2009. 6 한국청소년, 현대미술전 개최

2009.6/8 한국학 소개 강좌(카이로대, 아시아연구센터)2009. 8 이집트 Nilesat, 한국민간방송 Korea TV 송출

2009. 10 한국 청소년 대표단 이집트 방문

․ 이집트 청소년 대표단 방한(10.2)2009. 10 제2회 한-아랍 우호 친선 카라반 행사,

․ 비보이 및 사물놀이 공연, 영화제, 태권도 공연

2009. 12 중동아프리카 한국어말하기 대회

2009. 12 한국청소년, 바이올린, 피아노 연주회

2010. 2 이집트 청소년대표단 방한

2010. 6 한국문화 페스티발(수교 15주년 기념)2010. 12 제7차 한・중동 포럼

2011. 4 재외동포 예술인 현대미술전

2011. 7 제1회 K-POP 경연대회

2011. 10 글로벌태권도인재양성, 태권도 무료 강좌

․ 중소도시(파이움, 탄타, 아스완)에서 실시

2011. 11 한국대사배 태권도대회 및 태권도 시범공연

2011. 12 알렉산드리아 한국영화페스티벌

2011. 12 중동아프리카 한국어말하기대회

2012. 1 한국문학 세미나

2012. 1 알렉산드리아 어린이 그림전시회

2012. 3 한국문화 페스티발(강연, 서예 강좌, 한복패션쇼, 사진전 등)2012. 5 알렉산드리아 한국문학의 밤(세미나, 리셉션, 영화제 등)2012. 7 Quiz 대회

2012. 9 글로벌태권도 무료 강좌(파이윰, 이슬마일리아, 아스완, 포트사이드)

2012. 10 제1회 포트사이드 한국문화한마당

2012. 10 제2회 K-POP 경연대회

Page 112: 2013.2 이집트 개황

107

나. 이집트내 한류 현황

(1) 개 관

◦ 이집트내 한류의 시작은 한국 드라마가 이집트 국영방송국에서 방영한

후 확산되기 시작하였음.- 가을동화(04), 겨울연가(05), 대장금(06) 등이 방영

- 특히 겨울연가 방영 이후에 2005.9월 아랍권에서는 최초의 정규 대

학내 한국어과 개설

◦ 한류 확산의 영향으로 주재국 위성방송(나일교육방송)에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12.9부터 토/일 방영

◦ 또한 K-POP 등 한류 팬들이 자생적으로 증가, 2011.7월 제1회 K-POP 경연대회 개최로 큰 호응을 받음.

(2) 한국어(학)를 통한 한류

◦ 한국어(학) 교육기관

- 2005.9월 중동아랍권 최초의 정규 대학내 한국어과 설치

・ 아인샴스대학교, 한국어과(학부, 석사과정)・ 교수진: KF 파견 교수 2인, KOICA 파견 단원 12인・ 학생수 : 1-4학년까지 약 85명・ 2009.8월 제1회 졸업생 배출(총3회 : 약 70명 졸업)・ 2009.10월 대학원 석사과정 개설(약 12명)

- 헬완대학교 관광학부, 룩소 관광고등원, 포트사이드 청소년센터, 메

노페이아대학 관광학부에서 한국어 강좌 개설

・ 상기 기관들에 KOICA 단원 6인 파견

- 대사관, 일반인 대상 한국어 강좌 개설

・ 1994년 한국어 강좌 개설

・ 08.2 이래 초급 2개 반, 중급 1개 반 운영(주 2회, 매 2시간)・ 현 수강인원: 초급(150명), 중급(40명)・ 강사 : 현지 한국어과 조교 3인 및 한국인 1인・ 2002년 이래 현재까지 약 1,200명이 수강

Page 11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08

◦ 이집트 국영 위성 TV(Nile 교육방송) 한국어 강좌 초급과정 개설

- 2012.9월부터 이집트 국민 대상으로 매주 토, 일요일 한국어 초급과

정 방송

- 동 위성 TV는 주재국뿐만 아니라 아랍권 전역을 시청권으로 하고

있어, 한국어 교육을 통한 아랍권 전역에 한류확산에 기여 할 것

으로 봄

◦ 카이로대학교 아시아연구센터 한국학 프로젝트

- 한국 정치·경제 관련 연구 및 회의, 출판 프로젝트(1995년-현재)- 2008년부터 한국학 소개 강좌 개설(2011년 95명 수강)

(3) 태권도를 통한 한류

◦ 이집트 태권도 인구는 현재 12,000 여명으로 집계되며, 태권도는 클럽

중심으로 지도하고 있음.(1,100여개 클럽 중 850여개 클럽에서 태권도

지도) * 협회 등록 수: 54,000여명

◦ 한국 대사배 태권도 대회를 2007년부터 매년 14세 이하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자라나는 청소년이 지속적으로 태권도에 관심을 갖

도록 장려.(특히 11년부터 현지 젊은이들로 태권도 시범단을 육성하고

있음.) ◦ 2010년부터 태권도 무경험자 및 초급자를 대상으로 태권도 무료강좌를

지방도시에서 실시(금년 1차는 파이움, 아스완, 이스마일, 포트사이드시

에서 실시)◦ 금년 2차는 <고객을 찾아가는 태권도교실> 슬로건으로 상기 지역 초

등학교를 방문하여 지도토록 추진 중

◦ 현재 이집트 태권연맹회장은 Mr. Ahmed Fouly이며 동인은 WTF 부회

장 겸 아랍아프리카연맹회장 직을 갖고 있음.◦ 우리나라 태권도 사범은 정기영(품새 감독/84년 도착), 임한수(KOICA

파견/86년 도착), 이효주(현 이집트 국가대표 겨루기 감독/08년 도착)임.

Page 114: 2013.2 이집트 개황

109

(4) K-POP을 통한 한류

◦ 2011.7월 제1회 K-POP 경연대회를 개최하여, 주재국내 K-POP 확산

의 토대를 다짐.◦ 또한 대사관에서는 K-POP 회원들의 정례모임을 격주로 대사관에 모

여, K-POP 따라하기 등 프로그램을 운영

◦ 금년 K-POP 대회는 40여개 팀이 예선전을 거쳐 10.21(일) 한인 집

지역에서 개최 예정

(5)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한류

◦ 현지어(아랍어)로 페이스북을 운영, 주재국 젊은이들과 한국 문화 소통

(페이스북 주소: korean cultural center in egypt) ◦ 당관은 한류 팬들이 정기적으로 모일 수 있는 장소 제공 및 작은 이벤

트 행사(K-POP 따라하기, 한글쓰기 대회, 한류팬 모임 및 한식 시식

등)를 수시 개최, 주재국 한류 팬들이 지속적으로 한류에 관심을 갖도

록 장려

* 한류 팬 클럽은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한류 팬들이 클럽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8개의 팬클럽이 있음

(6) 도서를 통한 한국 문화 확산

◦ 2011.5월 이집트 국립도서관 한국 자료실 개설, 현 문화부장관이 국립

도서관 관장시 설치함.- 4,000여 권의 도서 및 영상물 비치, 향후 5년간 200여 한국 관련 자

료 제공 예정

(7) 언론을 통한 공공외교 활동 (2011년 이후)

2011.1 The Egyptian Gazette지 기획재정부장관 인터뷰 지원

- ‘한국 기획재정부 장관은 말하다’ 제하

2011.4 Nile Int. TV 김현주 미술작가 인터뷰 지원

Page 11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10

- 한국의 현대미술전

2011.5 주재국 국영TV CH2 대사 인터뷰

- 이집트 국립도서관 한국관 개설 관련

2011.6 Al-Masry Al-Youm 영자지 홍보관 인터뷰

- ‘한류, 이집트 국립도서관을 강타’ 제하

2011.9 MENA 국영통신사 대사 인터뷰

- 민주화 이후, 양국간 협력 방안

2011.9 al-Akbar지 대사 인터뷰

- 민주화 이후 양국관계 및 전망

2012.1 연합뉴스 신년 인터뷰

- 투자교역 등 양국관계 조명

2012.5 알렉산드리아 국영 TV 대사 인터뷰

- 알렉산드리아 문화행사 의미 등

2012.7 al-Ahram지 대사 인터뷰

- 이집트 시민혁명 이후의 양국관계 조명

2012.8 Nile Int. TV 대사 인터뷰

- 이집트 시민혁명 이후의 정치, 경제 문화 등 양국관계 조명

2012.8 The Egyptian Gazette지 대사 인터뷰

- 문화, 경제 등 양국 협력 관계 조명

2012.9 al-Ahram al-Arabi지 대사 인터뷰

- 한-아프리카포럼 및 양국관계 조명

2012.10 이집트 국영 TV 대사 인터뷰

- 국경일 행사 의미 및 양국관계

Page 116: 2013.2 이집트 개황

111

향후 한류확산 방안

① 고객을 찾아가는 한류- 이집트내 한류의 저변 확산을 위하여 문화행사를 수도 중심에서 지방 도

시로 확산하여 주재국내 한류 뿌리를 강화 ② 한류팬 클럽 활동 지원③ 양국 수교 20주년 문화행사를 통한 한류

- 이집트 정서에 맞는 문화 장르를 선별(비보이, 부채춤, 퓨젼 음악 등) 현·구와 함께하는 공연 및 한국 영화 페스티벌, 한·아랍어 서체 연구 세미나 등 개최

④ 양국간 스포츠 교류를 통한 한류- 태권도 무료교실을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하여 우리나라 국기인 태권도를

활용한 국가 이미지 제고 ⑤ 신설될 한국문화원을 활용한 홍보강화

- 주재국 정서에 맞는 맞춤식 한류 장르 선정, 일일 홍보강화

다. 한국 문화원 설립

◦ 우리정부도 이집트에 문화원을 설치하기로 결정, 2013년초 문화원 개설

을 목표로 이집트 정부와 문화원 설치에 관한 양국간 협정서(Protocol) 체결 추진 중

- 일본, 중국 등 약 40여 개국이 이집트에 문화원 설치 운영 중

◦ 중동아랍권에 최초의 한국 문화원을 신설하는 것으로 이집트를 비롯한

주변 아랍권에 체계적이고 정교한 맞춤형 한류를 전파하여 국가이미지

제고 및 한류의 저변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라. 한·이집트 자매결연, 청소년교류 등 각종 교류 사업

◦ 서울시-카이로 자매결연

- 1997년 4월 27일 조순 서울시장 해외순방시 조인

Page 117: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12

- 카이로-서울시 자매결연 기념으로 1998.9월 카이로에 서울공원 조성

- 2012.2월 보수 공사 실시 완료

◦ 인천시-알렉산드리아 자매결연

- 2000년 5월 17일 최기순 인천시장 중동순방시

◦ 대학간 자매결연

- 한국외대-카이로대 : 1977. 10. 11. 한국외대에서 문화교류협정 조인

- 상명대-Beni Suef대 : 2009. 5. 13. 주한이집트대사관에서 체결

- 한국외대-Ain Shams대 : 2010. 11. 30. 이집트에서 학술교류협정

체결

- 고등광기술연구소-카이로대 NILES : 2007. 6. 14. 이집트에서 조인

◦ 한・이집트 청소년 교류사업

- 2005.12월 양국간 청소년 교류 약정 체결

- 2006-11년 한국 청소년 10명 방이

- 2010-11년 이집트 청소년 10명 방한

◦ 국립국제교육원사업

- 2011년 대학생 초청 외국인 연수프로그램(대학생 2명)- 2012년 정부초청 외국인 학부장학생 선발(대학생 2명)- 2012년 정부초청 외국인 대학원 장학생 선발(2명)

◦ 한・이집트 문화공동위

- 제1차 (2000.10월, 카이로)- 제2차 (2004.4월, 서울)- 제3차 (2007.9월, 카이로)

Page 118: 2013.2 이집트 개황

113

4. 한-이집트 국방 협력

가. 한-이집트 방산 협력

◦ 2004년까지는 방산 파트너에서 제외, 다만 일부 틈새시장에서는 예외

- 2001년까지 방산 불모지, 방산거래 실적 전무

* 친북 성향의 국방장관으로 인해 한국과의 방산협력 회피

- 2002~2005년 간 방산협력 내용 : 특수차량 등 일반 장비에 국한

・ 항공기 급유차, 활주로 청소차 및 조명 체계, 다목적 굴삭기

◦ 2005년 이후 우리나라의 기술력 인정, 방산협력 모색 및 무기체계 기술

력 도입 희망

◦ 2006.3월 한-이집트 정상회담 이후, 155미리 탄약 생산 및 K-9 자주

포 생산기술 이전 등 추진

◦ 최근 계약 및 협정체결 현황

- 2007. 8월 : 155미리 중구경탄 생산 기술 이전 계약(1억불) - 2009.10월 : 코리아일레콤, 마일즈(4천만불)- 2009.10월 : 현대중공업, Loader/부속(77만불)- 2009.12월 : 방산물자부 장관 방한

- 한-이집트 방산협력 양해각서(MOU) 체결

- 한-이집트 K-9 자주포 의향서(LOI) 체결

- 2011. 6월 : 삼성테크윈, 120/130미리 탄약 R&D(100만불)* 방사청장(2010.11월) 및 방산교역센터장(2010.12월) 이집트 방문, 방산물자

부 장관 예방 ◦ 2009.12월 방산물자부장관 방한, 한국 방사청과 방산협력 MOU 및

K-9 자주포 LOI 체결

◦ 2010.11월 한국 방사청장 방이, 한-이간 방산협력 강화 합의

◦ 2010.9월 이집트 국방부 시찰단, K-9 성능 점검을 위해 방한, K-9 생산공장 및 운용부대 방문

Page 11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14

◦ 2012.10월 유명환 대통령 특사, Morsy 대통령 면담시 K-9 자주포, T-50 고등훈련기 등 방산협력 논의

나. 군사외교 / 협력 추진

◦ 군 고위인사 상호교류

- 육군참모총장(2008.6), 정보본부장(2010.2), 방위사업청장(2010.11) 방이

◦ 이집트 군 장교 6명, 한국군 교육기관 2013년 과정 수탁교육 추진

- 국방대학교(대령 1명), 육・해・공군대학(각 군 중령 각 1명), 국방어

학원(소령 2명)◦ 한국군 장교 1명, 이집트 군 교육기관(육군지휘참모대학) 2013년 과정

위탁교육 추진

◦ 이집트 국방언어학교(MODLI) 한국어과 개설 지원(2012년)- KOICA 한국어 교관 파견 및 한국어 교육 교재 지원

◦ 한국 해군순항훈련전단 알렉산드리아 기항(’05, ’07, ’08, ’09)◦ 주재 무관단과 교류협력 강화 : 48개국, 72명

- 당관 국방무관, 주재 무관단 부단장(Deputy Dean) 피선

◦ 겸임국 군사외교활동 강화 : 수단, 리비아, 에티오피아

Page 120: 2013.2 이집트 개황

115

5. 영사・교민관계

가. 우리 국민 이집트 방문 현황

(단위 : 명)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8월 현재)56,976 68,230 57,857 27,585 44,700 26,212 18,916

※ 2009년 신종플루, 2011년 이집트 시민혁명으로 여파로 방문객 급감

나. 한인 동포 현황

◦ 연도별 추세

연 도 2008 2009 2010 2011 2012인원(명) 980 955 936 974 1,001

◦ 직업별 분포(2012.8월 현재)구 분 인 원 계소속인원 가족

정부, 공기업, KOICA 봉사단원지상사 섬유업여행업 및 요식업기타 자영업유학생종 교기타

77132375136458442

6616550655774344

14329787116935212786

계 504 497 1,001

※ 기타는 국제결혼(자녀포함), 장기체류(여행 및 사업구상), 자녀학업 체류

Page 12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16

다. 한인단체 현황

◦ 이집트한인회

- 창립 : 1980.12.5- 회장 : 이진영

- 활동 : 연례행사 2회(4월 총회, 추석행사) 수시행사(불우이웃돕기 등)

◦ 이집트 지상사 협의회

- 창립 : 1988.4- 회장 : 박덕규(삼성전자 지점장)- 회원 : 44개 지상사

- 활동 : 경제・통상 분야 정보교환 및 협력 등

◦ 이집트부인회

- 창립 : 1979.1.27- 회장 : 채수미

- 회원 : 약 100여명

- 활동 : 회원 문화 활동, 현지 정착 협력 등

◦ 기타

- KPGA : 한인 골프회(회장 오종권)- KRBA : 한인 기업인 골프회(회장 고상원)- 한인축구회 : 캄신 축구회(회장 차종세)

◦ 종교단체

구 분 성 명 직 위 활동 지역이・ 한 선교협회 이영주 회장(선교사) 카이로, 알렉산드리아,

이스마일리아 등(85명)카이로 한인교회 최윤철 목사 카이로애굽 한인교회 김인용 목사 카이로애굽 선교센터 김신숙 선교사 카이로

소망교회 김상대 목사 카이로관음사 이집트 분원 장국향 분원장 불교단체

Page 122: 2013.2 이집트 개황

117

라. 카이로 한국학교

◦ 연 혁

- 79.12.5 개교

- 1980. 4. 15 교육부 설립 인가

◦ 운영

- 교장 : 임재웅(2011. 2.10 부임)- 교사 : 16 명(정부파견 1명, 현지 채용 교사 6명, 강사 9명)- 학생 : 초등학교 6학급 30명(2012.10월 현재)- 2000.9월 교사 신축 이전

- 한국학력 인정학교로서 주로 단기체류자 및 자영업 종사자 자녀 재학

마. 한・이집트 영사 협력(사증문제)

◦ 외교관, 관용여권 사증면제협정 체결(98.6.24)- 90일간 무비자 체류

◦ 일반여권 소지자의 경우 상호지정에 의한 무사증입국 대상국가 국민으

로 분류

- 일반여권 소지 우리 국민이 이집트 방문시 공항에서 단기체류 비자

(Visa on Arrival) 취득 가능(수수료 15불)- 이집트 국민은 우리나라에 30일간 무사증 입국 가능

◦ 이집트는 외국인에 대하여 영주권을 발급치 않으며 원칙적으로 외국인

의 취업을 인정하지 않고 있는 바, 합작투자사 및 지․상사 근무 임직원, 기술직, 요리사 등은 노동허가를 받아 이집트내에서 영업 또는 취업 활

동 가능

Page 123: 2013.2 이집트 개황
Page 124: 2013.2 이집트 개황

Ⅳ. 이집트・북한 관계

Page 125: 2013.2 이집트 개황
Page 126: 2013.2 이집트 개황

121

Ⅳ. 이집트・북한 관계

1. 연 혁

◦ 1958. 7. 9 주카이로 북한무역대표부 개설

◦ 1961. 7.30 주카이로 북한 총영사관 설치 합의

◦ 1961.11.27 주카이로 북한 총영사관 개설

◦ 1963. 8.25 외교관계 수립(대리대사급)◦ 1963. 8.28 주이집트 북한대사관 설치

◦ 1964.12.26 대사급 외교관계 승격 합의

◦ 1970. 4. 6 주이집트 북한문화원 개설

◦ 1998. 8.16 주이집트 북한문화원 폐쇄

◦ 2013. 8.25 이집트-북한 수교 50주년

2. 이집트-북한 관계

◦ 양자간 수교(63.8)이래 양측이 상주 대사관을 유지해 오다가 제4차 중동전

(73.10)시 북한 조종사 파견 및 Mubarak 대통령의 4차례 방북(80․83․85․90)등 긴 한 정치․외교적 협력관계 유지

- 제4차 중동전 당시 Mubarak는 공군총사령관으로 활약 ◦ 그러나, 90년대 이후 이집트의 실용주의 대외정책 추진, 제1차 걸프전(91.1)

당시 북한의 이라크 지지, 김일성 사망(94.7)에 따른 Mubarak대통령의 개인

적 친 관계 부담 해소 및 한․이집트 수교(95.4), 북한 외교관의 마약류

반입 적발(98.7, 04.7) 사건 등이 이어지면서 양국 관계 지속 악화

- 한-이집트 수교 이후에는 Mubarak 대통령 방북 없음.◦ 북한은 김영남 상임위원장의 Mubarak 대통령 5차 연임 축하 방문(05.9)

및 친선 방문(07.7), 제15차 비동맹정상회의 참가(09.7) 등 대이집트 관계

Page 127: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22

회복을 지속 시도하고 있으나,「나지프」실용 내각 출범(04) 및 북한의 경

제낙후로 과거의 협력수준 복원 실패. 더구나 2011.1월 Mubarak 대통령의

퇴진으로 최고위급 인적 유대는 사실상 단절 상태

◦ 양자간 경제․통상 관계는 무역(57.12, 87.10), 투자보장(97.8) 및 이중과세

방지협정(00.3) 등 경협확대 기반을 모색하고 있으나, 북한의 경제난으로

연간 5천만 불 미만의 미미한 교역관계 유지

◦ 한편, 2008.1월 이래 이집트의 Orascom사가 북한의 이동통신사업 및 상

원 시멘트공장 현대화사업, 유경호텔 건축사업 참여를 통해 대규모 투자

사업을 진행

★ 이집트-북한 군사관계

◦ 1973년 제4차 중동전 시, 2개 편대 규모의 북한 공군 이집트 파견, 제공방

어 지원으로 상당기간 친북정책 견지, 상호 상주 무관부 운영

- 이집트 주재 북한 무관부는 북한의 총 8개 무관부(중, 러, 이집트, 베트

남, DR콩고, 시리아, 이란, 쿠바)중 하나임.◦ 현재 북한과 정치 군사관계는 상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실정으로, 일부

구소련 계열 장비 수리부속품 수입 등과 관련한 협력관계 유지

3. 이집트-북한 주요 인사 교류

◦ 북한 고위인사 방이

1990. 3 이종옥 부주석(김일성 특사)1990. 8 지수원 외교부 부부장

1991. 9 김영남 외교부장

1992. 1 양형섭 최고인민회의 의장

1992. 3 이종옥 부주석

1992. 3 김달현 부총리겸 무역부장

1993. 1 장승길 외교부 부부장

1993. 5 황진태 사회안전부 부장

1994. 3 최기룡 교육위원회 위원장(김일성 특사)

Page 128: 2013.2 이집트 개황

123

1994. 5 김영남 외교부장(제11차 비동맹 각료회의 참석)1994. 5 최수헌 외교부 부부장

1995. 5 채화섭 관광총국 부국장

1998. 8 박길연 외교부 부부장

1998. 10 정창렬 인민무력부 부부장

2001. 3 문재철 대외문화연락위 위원장(대리) 2001. 3 신해복 국가안전보위부 부부장

2005. 6 최수헌 외무성 부상

2007. 7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2009. 7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2010. 6 김형준 외무성 부상

2012. 11 이명산 북한무역부 부상

◦ 이집트측 고위인사 방북

1990. 5 Mubarak 대통령

1990. 10 Rashid 이집트 노총위원장 일행

(북 노동당 창당 기념대회 참석)1991. 4 Sorour 국회의장 (IPU 참석)1992. 4 Yousef 문화부차관

1993. 6 Shawky 공보부차관

1993. 10 내무부장관

1994. 4 Rahman 문화부차관(4월 평양축제 참석)1996. 4 Ali Abu Shady 문화부차관

1998. 4 Hussein Adel Moneim Tolba 문화부 차관

1999. 4 Omar Gamil Goneim 문화부 차관보

2000. 4 Muhamed Al Ayonbi 문화부 차관보

2000. 9 Ghatrifi 외교부 차관보

2005. 9 Nagda Abu Heaf 공보부 부국장

2005. 12 Mohamed El Fathalla 외무성 대사

2007. 1 Nagib Sawiras 오라스콤통신사 사장

2008. 9 Nagib Sawiras 오라스콤통신사 사장

2009. 2 Hussein Haridi 외교부 아태차관보

2012. 2 Mohamed Hegazy 외교부 아태차관보

Page 12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24

4. 이집트-북한 협정체결 현황

1957. 12 무역협정(1987.10월 갱신)1963. 11 보도교환 및 상호협조에 관한 협정

1969. 4 문화교류협정(2001.3월 갱신)1969. 4 과학기술협정

1969. 5 군사협력협정

1975. 6 항공운수에 관한 협정

1983. 4 경제과학기술 및 문화협조에 관한 일반협정

1993. 10 사회안전・내무 협정

1996. 2 해운협력협정

1997. 8 투자보장협정

1997. 11 의류 및 의약품 지원 협정

1999. 9 공보협력협정

2000. 3 이중과세방지협정

2000. 5 보건협력협정

2001. 1 차관(700만불) 협정

Page 130: 2013.2 이집트 개황

Ⅴ. 참고자료

Page 131: 2013.2 이집트 개황
Page 132: 2013.2 이집트 개황

127

Ⅴ. 참고사항

1. 주요인사 인적사항

가. Mohamed Morsy 대통령

◦ 출 생 : 1951.8.20(61세), 이집트 북동부 Sharqiya주◦ 학 력

- 1975 카이로대학교 공과대학 학사

- 1978 카이로대학교 금속공학 석사

- 1982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공학박사

◦ 경 력

- 1979 무슬림형제단 가입

- 1982-85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교수

- 1985-2010 Zagazig대학교 재료공학과 교수 겸 학과장

- 1992 무슬림형제단 정치국

- 1995-2000 하원의원

- 2005 무슬림형제단 대변인

- 2011.4.30 자유정의당 대표

- 2012.6.30 대통령 취임

◦ 기 타

- 이슬람주의, 대선시 「이슬람이 해결책이다(Islam is the Solution)」선거구호 채택

- 1978년 결혼, 부인 및 4남 1녀

나. Hesham Kandil 총리

◦ 출 생 : 1962.9.17(50세)◦ 학 력

- 1984 카이로대학교 공학 학사

Page 13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28

- 1988 유타대학교 관개배수학 석사

- 1993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관개배수학 박사

◦ 경 력

- 1999-2005 수자원관개부 장관실장

- 2000년대초 아프리카개발은행 수자원 국장

- 2011.7.21 수자원관개부장관

- 2012.7.24 총리

◦ 기 타

- 2010.11월 아프리카개발은행 재직시 한국 농림수산식품부장관 초청

으로 '아프리카 농업개발회의' 참석차 방한

- Morsy 대통령과 함께 아프리카연합 정상회의(2012.7.15-16)참석

다. 정부 각료

(1) Mohamed Kamel Amr 외교장관

◦ 출 생 : 1942.12.1 (69세)◦ 학 력

- 1965 알렉산드리아대학교 정치․경제학 학사

◦ 경 력

- 1982-87 유엔 대표부 참사관

- 1983-84 유엔 안보리 이집트 대표

- 1989-93 주 미국대사관 공사

- 1993-95 외교부 아프리카담당 부차관보

- 1995-97 주사우디아라비아 대사

- 1997-09 세계은행이사회 아랍지역 대표 이사

- 2011.7 외교장관

◦ 기 타

- 국제연합(UN), 아프리카연합(AU), 아프리카경제위원회(ECA), 아프리카 개발은행(ADB), 비동맹 운동, 이슬람회의기구(OIC) 등

국제회의에서 이집트 대표직 역임

- 부인, 자녀 2명

Page 134: 2013.2 이집트 개황

129

(2) Abdel Fatah Al-Sisi 국방장관

◦ 출 생 : 1954.11.19(58세)◦ 학 력

- 1977 육군사관학교 졸업

- 1987 지휘참모대학 군사학 석사

- 1992 영국 지휘참모대학 군사학 석사

◦ 경 력

- 주사우디아라비아 무관

- 북부지역 참모총장

- 북부지역 사령관

- 2011.2.11. 군 정보부 사령관

◦ 기 타

- 군최고위원회(SCAF) 최연소 위원

(3) Mohamed Ibrahim 내무부장관

◦ 출 생 : 1953.4.10(60세) ◦ 학 력

- 1976 경찰대학교 졸업

◦ 경 력

- 1980-93 수에즈경찰서 범죄수사과

- 1994-95 Dakahlia 경찰서 형사과

- 1995-97 Qena 경찰서 범죄수사과

- 1997-2004 Ismailia 경찰서 범죄수사과

- 2006-10 내무부 감사과

- 2010-11 Asiyut 경찰서 부서장

- 2011-12.8 Asiyut 경찰서장

- 2012.8~ 내무부장관 제1차관보 (4) El-Morsy Hegazi 재무부장관

◦ 출 생 : 1948.3.26(65세)

Page 13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30

◦ 학 력

- 1976 알렉산드리아대학교 경제학 석사

- 미국 Connecticut대학교 경제학 박사

◦ 경 력

- 1999-2001 베이루트대학교 경제학 교수

- 2003~ 알렉산드리아대학교 경제학 교수

(5) Ahmed Mekky 법무부장관

◦ 출 생 : 1941.1.5(71세)◦ 학 력

- 1961 알렉산드리아대학교 법학과 졸업

◦ 경 력

- 1985-89 항소법원(Court of Apeal) 고문

- 1989 항소법원 부원장

- 2010 최고사법위원회(Supreme Judicial Council) 위원

(6) Ibrahim Ahmed Gonim 교육부장관

◦ 학 력

- 1984 Assiut 대학교 교육학 학사

- 1990 Assiut 대학교 교육학 석사

- 1994 Assiut 대학교 교육학 박사

◦ 경 력

- 1994-99 Assiut 대학교 교육학 강사

- 1999-2005 수에즈운하 대학교 교육학 교수

- 수에즈운하 대학교 부총장

(7) Saleh Abdel Maqsook 공보부장관

◦ 출 생 : 1958년(54세)◦ 학 력

- 1980 카이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Page 136: 2013.2 이집트 개황

131

◦ 경 력

- 1992 Basheer지 편집장

- 1999 Quds지 편집장

- 아랍미디어센터 이사장

- 2005 이집트 언론조합 대표

(8) Saber Ibrahim Arab 문화부장관

◦ 출 생 : 1948년(64세)◦ 경 력

- 1994 아즈하르대학교 역사문명학과 교수

- 1994-2005 아랍연구소 교수

- 1999-2004 국가기록원 중앙관리위원장

- 국립도서관장

(9) Hisham Abbas Zaezou 관광부장관

◦ 출 생 : 1954.1.15(58세)◦ 학 력

- 1976 아인샴스대학교 무역학과 졸업

◦ 경 력

- 2004-07 이집트 관광협회 이사

- 2008-12 관광부 제1차관보

(10) Talaat Afify 종교재산부장관

◦ 출 생 : 1953.12.20(59세)◦ 학 력

- 1979 아즈하르대학교 신학과 졸업

- 아즈하르대학교 신학과 석사

- 1986 아즈하르대학교 신학과 박사

◦ 경 력

- 아즈하르대학교 이슬람문화학 학과장

- 2001-05 아즈하르대학교 Al-Da'wa대학 학장

Page 137: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32

(11) Ahmed Imam 전력에너지부장관

◦ 출 생 : 1944.4.12(68세), 알렉산드리아

◦ 학 력

- 1966 알렉산드리아대학교 공학과 졸업

◦ 경 력

- 1996-2002 West Delta 전력생산회사 생산부장

- 2002-2011 카이로 전력생산회사(CEPC) 회장

- 2012 전력에너지부 차관

(12) Hatem Saleh 산업통상부장관

◦ 경 력

- Gozour 식품산업기업 CEO - El-Hadara당 부대표

(13) Atef Helmy 정보통신부장관

◦ 출 생 : 1950.4.23(63세), 카이로

◦ 학 력

- 1973 군사기술대학 졸업

- 1979 아인샴스대학교 통신학과 졸업

◦ 경 력

- 1996-2005 Oracle 전무이사(managing director) - Oracle 북아프리카담당 국장

- 2009-10 정보통신기술회의소(Chamber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소장

(14) Tarik Wafik Mohamed 주택도시개발부장관

◦ 학 력

- 카이로대학교 건축학과 졸업

-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도시계획학 박사

◦ 경 력

- 카이로대학교 도시계획학과 교수

Page 138: 2013.2 이집트 개황

133

- 자유정의당 정책위원회 위원

◦ 기 타

- 시장경제 및 신자유주의 기반 경제 추구

(15) Osama Mohamed Kamal 석유부장관

◦ 출 생 : 1959.4.5(53세)◦ 학 력

- 1982 카이로대학교 화학・핵공학과 졸업

◦ 경 력

- 1984-2000 Enppi 석유화학산업회사 프로젝트 매니저

- 2000-2002 Petroject 기술컨설팅 및 석유사업이사

- 2002-2009 석유화학지주회사 이사

- 2009-2010 Mopco 시멘트회사 사장

◦ 기 타

- 부인 및 3녀

(16) Reda Mahmoud Hafez 방산물자담당 국무장관

◦ 출 생 : 1952.3.3(60세)◦ 학 력

- 1972 공군사관학교 졸업

◦ 경 력

- 2003 공군 남부지역 사령관

- 2004 공군 북부지역 사령관

- 2007 공군 참모총장

- 공군사령관

◦ 기 타

- 부인 및 2남 2녀

(17) Ashraf El-Araby 기획국제협력부장관

◦ 학 력

- 2004 미국 Kansas대학교 경제학 박사

Page 13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34

◦ 경 력

- 아랍쿠웨이트기획연구소 고문

- 기획국제협력부 고문

- 기획국제협력부 기술국장

(18) Wael El Meadawy 민간항공부장관

◦ 출 생 : 1949.9.26(63세)◦ 학 력

- 공학과 졸업 ◦ 경 력

- Smart 항공회사 사장

- 이집트 공항・항법지주회사(Egyptian Holding Company for Airports and Air Navigation) 회장

- 공군참모차장(Assistant Chief of Staff)(19) Khaled Mohamed Fahmy 환경부장관

◦ 출 생 : 1953.11.9(60세), 카이로

◦ 학 력

- 환경경제학 박사 ◦ 경 력

- 지역개발부 지방분권사업 부책임자

(20) Nagwa Khalel 사회복지부장관(여)

◦ 출 생 : 1954년(58세)◦ 학 력

- 1986 카이로대학교 언론학 박사

◦ 경 력

- 1976 국가사회범죄연구센터 연구원

- 2008 국가사회범죄연구센터 소장

Page 140: 2013.2 이집트 개황

135

(21) Bassem Kamel Mohamed Ouda 조달부장관

◦ 출 생 : 1970.3.16(43세)◦ 학 력

- 카이로대학교 자연공학과 졸업 ◦ 경 력

- 자유정의당 에너지위원회 위원장

- Morsy 대통령 취임 100일 프로젝트 에너지 담당

(22) Mustafa El-Sayed Mosaad 고등교육부장관

◦ 출 생 : 1950년(62세)◦ 경 력

- 카이로대학교 공학과 교수

- Morsy 대통령 선거운동 교육정책 담당

(23) Mohamed Mustafa 보건부장관

◦ 출 생 : 1955년(57세)◦ 학 력

- 1980 카이로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카이로대학교 방사선과 석・박사

◦ 경 력

- 2003 카이로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2006-11 보건부장관 보좌관

(24) Hatem Abdel Latif 교통부장관

◦ 학 력

- 1980 공학과 졸업

- 1985 공학 석사

- 1990 공학 박사 ◦ 경 력

- 아인샴스대학교 공과대학 교수

Page 14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36

(25) Saleh Abdel-Moamen 농업부장관

◦ 학 력

- 1997 미국 텍사스대학교 농업과학 박사

◦ 경 력

- 식물병리학연구소 소장

- 농업연구소 소장

(26) Khaled El-Azhary 노동이민부장관

◦ 출 생 : 1966.12.16(46세)◦ 학 력

- 2002 법학과 졸업

◦ 경 력

- 아랍 석유・광산・화학 노동자연합 홍보담당관

- 석유노동조합 홍보담당관

- Giza 무슬림청소년협회 이사회 위원

- 하원 인력위원회 부위원장

(27) Bahaa El-Din Saad 수자원관개부장관

◦ 출 생 : 1947년(65세)◦ 경 력

- 국립수자원연구소 부소장

- 2003-05 수자원관개부 저수지과 과장

- 2005-07 수자원관개부 제1차관

(28) Nadia Eskndar Zakhary 과학연구부장관(여)

◦ 학 력

- 1974 아인샴스대학교 이공학부 졸업

- 카이로대학교 생화학 박사

◦ 경 력

- 국립사회연구센터 소장

- 국립암연구소 생화학 및 종양 전문 교수

Page 142: 2013.2 이집트 개황

137

(29) Mohamed Ibrahim Ali Said 문화재담당 국무장관

◦ 출 생 : 1953년(59세), Daqahliya◦ 학 력

- 1975 카이로대학교 고고학과 졸업

- 1987 프랑스 리옹대학교 지리역사학과 석사

- 1991 프랑스 리옹대학교 이집트고고학 박사

◦ 경 력

- 아인샴스대학교 호텔관광학과 학과장

- 아인샴스대학교 고고학과 교수

(30) Mohamed Ali Bashar 지역개발부장관

◦ 출 생 : 1951.2.14(62세), Menoufia◦ 학 력

- 전기공학 박사 ◦ 경 력

- Menoufia 대학교 명예교수

- Menoufia 주지사

(31) Omar Salim 의회담당장관

◦ 출 생 : Menya ◦ 학 력

- 1990 파리대학교 형법 박사

◦ 경 력

- 카이로대학교 법학대학 교수

- 카이로대학교 범죄연구소 소장

- 2012.5~8 의회담당장관

(32) Osama Yassin Abdel Wahab 청소년담당 국무장관

◦ 출 생 : 1964년(48세), 카이로

Page 14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38

◦ 학 력

- 아인샴스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1995 아인샴스대학교 소아학 석사

- 2008 아인샴스대학교 소아학 박사

◦ 경 력

- 1985 무슬림형제단 가입

- 무슬림형제단 지도부 위원

- 자유정의당 최고위원회 위원

- 하원 청소년위원회 위원장

(33) Al-Amary Farouk 체육담당 국무장관

◦ 경 력

- Ahly Club 이사회 위원

◦ 기 타

- 2004 특수교육개척자상(교육부) 등 수상

(34) Osama Saleh 투자부장관

◦ 출 생 : 1960년(52세), 카이로

◦ 학 력

- 1982 카이로대학교 무역학과 졸업

◦ 경 력

- 이집트 American Express Bank Ltd 은행장

- 2005-09 주택금융청 청장

- 투자・자유무역청 청장

(35) Abdel-Qawi Khalifa 식수위생부장관

◦ 출 생 : 1946년(66세), Beheira주

◦ 학 력

- 1969 공학 학사

- 1976 미국 석유공학 석사

- 1980 캐나다 윈저대학교 토목공학 박사

Page 144: 2013.2 이집트 개황

139

◦ 경 력

- 식수위생지주회사 사장

- 2011 카이로 주지사

(36) Ahmed Samir El-Rafie 행정개발부장관

◦ 출 생 : 1955.9.23(57세), 카이로

◦ 학 력

- 1974 카이로대학교 전자공학과 졸업

- 1978 카이로대학교 전자공학 석사

- 1986 카이로대학교 컴퓨터공학 박사

◦ 경 력

- 2005 행정개발부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담당 보좌관

- 행정개발부 국가데이터베이스사업 기술고문

- 행정개발부 정책・프로그램 과장

라. 대통령 보좌역(4명)

(1) Pakinam El-Sharkawy 정치담당 보좌역

◦ 출 생 : 1966년(46세), 포트사이드

◦ 학 력

- 카이로대학교 정치경제학과 졸업

- 카이로대학교 정치학 석・박사 ◦ 경 력

- 카이로대학교 정치학 교수

- 카이로대학교 연구소(Center for Civilization Studies and Dialogue of Cultures) 소장

◦ 기 타

- Morsy 대통령의 보좌역 4명 중 유일한 여성

- 남편, 1남1녀

Page 14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40

(2) Samir Morcos 민주화담당 보좌역

◦ 출 생 : 1959년(53세)◦ 학 력

- 생화학 박사

- The Norwegian Academy of Literature and Freedom of Expression 졸업

◦ 경 력

- 2011 카이로 부지사

◦ 기 타

- 기독교 사상가

- ‘The Arab Group for Christian Muslim Dialogue' 창립 멤버

(3) Emad Abdel-Ghafour 소통담당 보좌역

◦ 출 생 : 1960년(52세), 알렉산드리아

◦ 학 력

- 1983 알렉산드리아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경 력

- 1977 Salafi Call 가입

- 2011 군최고위원회(SCAF) 자문위원회 위원

- 2011 Nour당 창당

- 2011 Nour당 대표

◦ 기 타

- 아프가니스탄 구호작업 참여

- 터키인 부인, 자녀 5명

(4) Essam Hadad 외교담당 보좌역

◦ 출 생 : 1962년(50세), 알렉산드리아

◦ 학 력

- 알렉산드리아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영국 Aston대학교 경영학석사(NBA)

Page 146: 2013.2 이집트 개황

141

◦ 경 력

- 무슬림형제단 지도국 위원

- Morsy 대통령 선거 운동 사무장

◦ 기 타

- Morsy 대통령 최측근 중 1명

- 부인, 5남1녀

마. 대통령 자문역 17명

(1) Essam El-Erian

◦ 출 생 : 1954.4.28(58세), Giza주

◦ 학 력

- 1977 카이로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1992 카이로대학교 임상병리 석사

◦ 경 력

- 1986 이집트 의사협회 이사회 위원

- 1987-90 하원 의원

- 무슬림형제단 지도부 위원

- 2012.4 자유정의당 당수 대리

(2) Rafik Habib Samuel

◦ 학 력

- 1985 아인샴스대학교 문학학부 졸업

- 1988 아인샴스대학교 철학박사

◦ 경 력

- 자유정의당 부대표

◦ 기 타

- 복음주의 기독교도(Evangelical Christian)- 정치 및 종교에 대한 저서 12권 집필

Page 147: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42

(3) Umayma El-Salamouny (여)

◦ 출 생 : 1961년생(51세) ◦ 학 력

- 1985 카이로대학교 의학 학사

- 1990 카이로대학교 공중보건학 석사

- 1994 카이로대학교 공중보건학 박사

◦ 경 력

- 2005 카이로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자유정의당 최고위원회 위원

- 하원선거 자유정의당 비례대표제 후보

- 제헌회의 위원

(4) Hussein El-Qazaz

◦ 학 력

- 미국 오하이오대학교 경영학 석・박사

◦ 경 력

- 알렉산드리아대학교 경역학과 강사

- 무슬림형제단 경제 고문

- 부흥(Nahda)사업 경제부문 담당

(5) Mohey Hamed

◦ 출 생 : 1959년(53세)◦ 학 력

- 1985 자가지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경 력

- 무슬림형제단 지도부 위원

(6) Bassam El-Zarqa

◦ 학 력

- 알렉산드리아대학교 외교연구소(Diplomatic Institute) 졸업

Page 148: 2013.2 이집트 개황

143

◦ 경 력

- Nour당 알렉산드리아주 위원장

- Nour당 최고위원회 위원

- 내과 의사

(7) Khaled Elm El-Din

◦ 경 력

- Nour당 지도자

- 알렉산드리아대학교 해양학과 교수

◦ 기 타

- 2012.8월 출범한 새 내각에서 환경부장관직에 지명된 바 있으나

Nour당의 결정에 따라 동 장관직을 거절함. (8) Mohamed Salim Al-Awa

◦ 출 생 : 1942년(70세), 알렉산드리아

◦ 경 력

- 국제이슬람학자연합(International Union for Muslim Scholars) 사무총장

- 이슬람사상가

- 상법전문 변호사

- 2012년 대통령선거 후보

(9) Ayman Ali

◦ 출 생 : 1965년(47세), Damietta주◦ 학 력

- 1991 카이로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경 력

- 유럽이슬람기구연합(FIOE) 사무총장

- 제헌회의 재외국민 대표

◦ 기 타

- 오스트리아 거주

Page 14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44

(10) Seif El-Din Abdel-Fatah

◦ 출 생 : 1954년(58세)◦ 학 력

- 1978 카이로대학교 정치경제학과 졸업

- 이슬람정치학 석・박사

◦ 경 력

- 카이로대학교 정치경제학과 교수

(11) Ayman El-Sayad

◦ 출 생 : 1956년(56세), Gharbiya주◦ 학 력

- 1983 카이로대학교 언론학과 졸업

◦ 경 력

- ‘Magala’지 편집장

- ‘Weghat Nazar’지 편집장

(12) Sakina Fouad (여)

◦ 출 생 : 1945년(67세), Port Said주

◦ 학 력

- 1964 카이로대학교 인문학부 졸업

◦ 경 력

- Democratic Front 당 부대표

- 상원의원

- ‘Radio and Television’지 편집장

(13) Amr El-Keithy

◦ 경 력

- ‘Khamis’지 편집장

- ‘90 minutes’, ‘One of the people’ TV 프로그램 진행

Page 150: 2013.2 이집트 개황

145

(14) Farouk Goweda

◦ 출 생 : 1945년(67세), Kafr El-Sheikh주◦ 학 력

- 1967 신문방송학과 졸업

◦ 경 력

- Al-Ahram지 경제부 편집자

- Al-Ahram지 문화부 부장

(15) Emad Abdallah

◦ 경 력

- 경찰대학 학장

- 내무부 차관보

- 제헌회의 위원

(16) Mohamed Esmat Seif Al-Dawla

◦ 출 생 : 1979년(33세), Qena주◦ 학 력

- 2002 카이로대학교 컴퓨터정보학과 졸업

- 카이로대학교 컴퓨터정보학 석・박사

◦ 경 력

- Essam Sharaf 전 총리 내각 고문

- 아랍연맹 전략계획 고문

(17) Ahmed Omran

◦ 경 력

- 민족주의 사상가

- 정치분석가

Page 15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46

바. 정당 대표

(1) Mohamed Saad Al-Katatny 자유정의당 당수

◦ 출 생 : 1952.4.3(60세), Sohag州

◦ 학 력

- 1974년 Minya대학교 식물학과 졸업

- 1979년 Minya대학교 미생물학 석사

- 1984년 Minya대학교 미생물학 박사 ◦ 경 력

- Minya대학교 미생물학 교수

- 2005-10년 무슬림형제단 의회담당 국장

- 2008-11년 무슬림형제단 지도부 위원

- 2010-11년 무슬림형제단 언론 대변인

- 2011.4월 자유정의당 사무총장

- 2012.1월 하원 의장

- 2012.3월 제헌회의 의원

- 2012.10.19 자유정의당 대표

◦ 기 타

- 국제사면위원회 회원

(2) El-Sayid El-Badawi 당수(Wafd당)

◦ 출 생 : 1950년(62세), Gharbiya주

◦ 학 력

- 1973 알렉산드리아대학교 약학과 졸업

◦ 경 력

- 1983 Wafd당 가입

- 2000-05 Wafd당 사무총장

- 2006-10 Wafd당 최고위원회 위원

- 2010 Wafd당 당수

◦ 기 타

- 'Al Haya TV' 이사회 대표

Page 152: 2013.2 이집트 개황

147

- ‘Sigma’ 제약회사 이사회 위원

- 이집트 상공회의소연합 제약산업부 부장

(3) Ahmed Hassan Saeed 당수(자유이집트당)

◦ 출 생 : 1961.12.28(51세), 카이로

◦ 학 력

- 1985 카이로아메리칸대학교(AUC) 정치학과 졸업

- 1988 런던대학교 정치학 석사

- 2002 카이로대학교 정치학 박사

◦ 경 력

- 1997 ‘Global Brands'사 설립

- 2011 자유이집트당 창당 멤버

◦ 기 타

- 사회개발기금 문맹퇴치사업 책임자

- 이집트 오픈 수영 선수권대회 우승(15세) - 부인 및 1남 2녀

(4) Mohamed Abul Ghar 당수(사회민주당)

◦ 출 생 : 1940.7.2(72세), Monofeya주

◦ 학 력

- 1969 카이로대학교 의학 박사

◦ 경 력

- 카이로대학교 산부인과 교수

- National Association for Change 대변인

- Sawiris 사회개발재단 이사회 위원

◦ 기 타

- 이집트 최초 체외수정 성공

- 대학의 독립성을 주장하는 ‘3월9일 운동' 공동 창설자

(5) Rifaat Al-Saeed 당수(Tagammu당)

◦ 출 생 : 1932.10.11(80세)

Page 15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48

◦ 경 력

- 현 상원 의원

◦ 기 타

- 1978년 Anwar Sadat 전 대통령 영부인에 대한 글을 게재한 후

투옥됨.(6) Abul Ela Madi 당수(Al-Wasat당)

◦ 출 생 : 1958.4.3(54세), Minya주

◦ 학 력

- 1984 Minya대학교 공학과 졸업

- 2008 카이로대학교 법학 학사

◦ 경 력

- 1996 Al-Wasat당 창당

- 비영리단체 ‘Egypt for Dialogue and Culture’ 창립 멤버

- The Arab Group for Christian Muslim Dialogue 회원

◦ 기 타

- 무슬림형제단 탈퇴 이후 온건이슬람주의 정당인 Al-Wasat당 창당

- ‘Kefaya 운동’(Mubarak 통치가 충분하다 라는 의미, Mubarak 퇴진을 요구한 최초의 시위)의 공동 창설자

(7) Sameh Ashour 당수(Democratic Arab Nasserite당)

◦ 출 생 : 1953년(59세), Sohag주

◦ 학 력

- 1974 카이로대학교 법학과 졸업

◦ 경 력

- 이집트변호사협회 회장

- 아프리카변호사협회 부회장

- 국가인권위원회 위원

- 1995-2000 하원 의원

- 2010 아랍변호사연합 사무차장보

- 2011 Democratic Arab Nasserite당 대표

Page 154: 2013.2 이집트 개황

149

(8) Emad Sayed Ahmed 당수(Al-Adly당)

◦ 출 생 : 1978.6.25(34세)◦ 학 력

- 인문학부 졸업

◦ 경 력

- Al-Wafd지 기자

- 2008 Al-Masry Al-Youm지 기자

◦ 기 타

- 대학시절 Wafd당에 가입한 바 있으나, 대학 졸업 후 탈퇴함. - Georgia International Institution for Journalism, Ahram Regional

Center for Journalism에서 저널리즘 공부

(9) Anwar Esmat El-Sadat 당수(개혁개발당)

◦ 경 력

- 2005 하원 의원

- 하원 외교위원회 및 경제위원회 위원

- 이집트외교협의회(ECFA) 위원

- Sadat 개발・사회복지협회(Sadat Association for Development and Social Welfare) 설립

◦ 기 타

- Anwar Sadat 전 대통령 조카

사. 주지사

(1) Osama Kamal 카이로 주지사

◦ 출 생 : 1959.4.5(53세)◦ 학 력

- 1982 카이로대학교 화학공학과 졸업

◦ 경 력

- 1984-2000 ENPPI사 석유공학 프로젝트 매니저

Page 15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50

- 2000-02 PETRO JET사 부사장

- 2002-09 이집트석유화학지주회사 이사회 위원

- 2009-10 MOBCO 상무이사

- Banha대학교 부총장

◦ 기 타

- 부인 및 3녀(2) Saad El-Husseini Kafr el-Sheikh 주지사

◦ 출 생 : 1959.2.18(53세)◦ 학 력

- 1982 Mansura대학교 공학과 졸업

- 2000 Tanta대학교 법학과 졸업

- 2004 Tanata대학교 이슬람법학 수료

◦ 경 력

- Gharbiya 주지사

- 2005-10 하원의원

- 2005-10 무슬림형제단 Parliamentary bloc 부대변인

- 2008 무슬림형제단 지도국 위원

(3) Mustafa Eissa Farghaly Minya 주지사

◦ 학 력

- 카이로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카이로대학교 의과대학 석사

◦ 경 력

- Minya대학교 산부인과 교수

- Minya대학교 불임치료센터 소장

◦ 기 타

- 부인 및 2남 2녀(4) Yehia Keshk Assiut 주지사

◦ 경 력

Page 156: 2013.2 이집트 개황

151

- 무슬림형제단 최고위원회 위원

- Assiut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기 타

- 부인 및 1남 2녀

- 영국 유학 당시 무슬림형제단 가입

(5) Samir Aglan Suez 주지사

◦ 출 생 : 1951.9.3(61세), 카이로

◦ 학 력

- 군사기술대학 졸업

◦ 경 력

- 석유회사 사무처장

(6) Mohamed Ali Beshr Monofeya 주지사

◦ 출 생 : 1951년(61세), Monofeya◦ 학 력

- 1974 Monofeya대학교 공학과 졸업

◦ 경 력

- 1979 무슬림형제단 가입

- 1989-97 기술인협회 사무총장

- Monofeya 대학교 공학부 조교수

◦ 기 타

- 부인 및 2남 1녀

아. El-Araby 아랍연맹 사무총장

◦ 출 생 : 1935. 3. 15(77세)◦ 학 력

- 1955 카이로대학교(법학)- 1969 뉴욕대학 석사(법학)- 1971 뉴욕대학 박사(법학)

Page 157: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52

◦ 경 력

- 1981-83 주인도대사

- 1987-91 주제네바대사

- 1991-99 주유엔대사

- 1994-2004 유엔국제법위원회 위원

- 2001-2006 국제사법재판소 판사

- 2011.3 외교장관

- 2011.7 아랍연맹 사무총장

자. 기타 주요 인사

(1) Amr Mahmoud Moussa 전 아랍연맹 사무총장

◦ 출 생 : 1936년

◦ 학 력 : 카이로대학교 법학과 졸업

◦ 경 력

- 1958 외교부 입부

- 1977-81 외교부 국제기구국장

- 1981-83 주유엔대표부 부대사

- 1983-86 주인도대사

- 1986-90 외교부 국제기구국장

- 1990-91 주유엔대표부대사

- 1991-2001 외교장관

- 2001-2011.5 아랍연맹 사무총장

- 2012.5 대통령선거 출마

◦ 방 한

- 1996.3 공로명 외교장관 초청으로 방한

- 1999.4 Mubarak 대통령 방한시 수행

(2) Abdel Moneim Abul Fotouh

◦ 출 생 : 1951.10.15(61세)

Page 158: 2013.2 이집트 개황

153

◦ 학 력

- 1976 카이로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 카이로대학교 법과대학 석사

◦ 경 력

- 1987-2009 무슬림형제단 지도부 위원

- 2000- 현재 아랍의사연맹(AMU) 사무총장

- 2012.5월 대통령 선거 출마

◦ 기 타

- 온건 이슬람주의, 자유주의

- 무슬림형제단 지도부의 방침을 어기로 대선 출마 선언으로 무슬

림형제단에서 제명

- 카이로대학교 학생회장 당시 Anwar Sadat 대통령을 위선자라고

공개 비난한 사건으로 유명

- 2003년 군사재판에서 불법무기 소지 혐의로 5년형 선고 및 수감

(3) Ahmed Shafiq

◦ 출 생 : 1941.11.25(71세)◦ 학 력

- 1961 이집트 공군사관학교(Egyptian Air Academy) - 국가우주전략(National Strategy of Outer Space) 군사학 석・박사

◦ 경 력

- 1984-86 주이태리 대사관 무관

- 1991-96 공군참모총장

- 1996-2002 공군총사령관

- 2002-2011 민간항공부장관

- 2011.1.31-3.3 총리

- 2012.5월 대통령 선거 출마

◦ 기 타

- 무소속, 자유주의

- 북예멘 내전, 제3・4차 중동전쟁 참전

Page 15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54

(4) Hamdeen Sabahy

◦ 출 생 : 1954.7.5 (58세)◦ 학 력

- 카이로대학교 언론학 학사

◦ 경 력

- 1996 Al-Karama당 설립

- 2000 언론위원회 대표, 무소속 하원의원

- 2005-2010 Al-Karama지 편집장

- Al-Karama당 당수

- 2012.5월 대통령 선거 출마

◦ 기 타

- 나세르주의자(아랍민족주의, 범아랍주의, 아랍사회주의) ・ 카이로대학 재학 당시 나세르주의클럽(Nasserist club) 설립

- 1977년 Anwar Sadat 전 대통령과 카이로대학교 학생대표들이

만난 자리에서 Sadat 대통령의 Infitah(개방)정책과 이스라엘과의

평화정책을 비난

- 2003년 하원의원 당시 미국의 대이라크 침공을 지지하는 Hosni Mubarak 정권에 대한 반정부시위를 주도한 혐의로 면책특권을

박탈당하고 투옥됨.. - 2004년 Mubarak의 장기집권과 Gamal Mubarak로의 정권세습에

반대하는 ‘이집트변화운동(Egyptian Movement for Change)’을

주도

(5) Mohamed Badie 무슬림형제단 대표(General Guide)

◦ 출 생 : 1943.8.7(69세)◦ 학 력

- 1965 카이로대학교 수의학 학사

- 1977 Zagazig대학교 수의학 석사

- 1979 Zagazig대학교 수의학 박사

◦ 경 력

- 1987 카이로대학교 Beni Sueif 캠퍼스 수의학 교수

Page 160: 2013.2 이집트 개황

155

- 1990 Beni Sueif 대학교 병리학과 학과장

- 1993 Beni Sueif 대학교 수의대 부학장

- 1993 무슬림형제단 지도부

- 2010.1.16 무슬림형제단 제8대 최고지도자

◦ 기 타

- 1965년 무슬림형제단원이라는 이유로 군사재판에서 15년형을 선고

받고 복역하다가 1974년 가석방

- 이집트 국가정보서비스(Egypt State Information Service)가 발간한

「아랍과학백과사전(1999년)」에서 100인의 학자 중 한명으로 선정

(6) Mohamed ElBaradei 전 IAEA 사무총장

◦ 출 생 : 1942.6.17(70세), 카이로

◦ 학 력

- 1962 카이로대학교 법학 학사

- 1974 뉴욕대학교 법학 박사

◦ 경 력

- 1980년 유엔훈련조사국 상임위원

- 1984-93 국제원자력기구(IAEA) 법률 고문

- 1993-97 IAEA 사무부총장

- 1997-2009 IAEA 사무총장

- 2010.2 ‘변화를 위한 국민연대’ 창설

- 2012.4 ‘헌법당(Constitution Party)’ 창당

◦ 기 타

- 2005년 핵에너지가 군사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막고, 평화적

목적에 사용될 수 있도록 노력한 공로로 노벨평화상 수상

- 2004년 제54차 퍼그워시 서울총회 참석 및 2007년 한-IAEA 기술협력 50주년 기념 국제회의 참석차 방한

- 2010년 Morsy 대통령 등과 함께 ‘변화를 위한 국민연대’ 활동을 전개

하였으며, 2011.1월 시민혁명 당시 타흐리르 광장에서 Mubarak 퇴진

시위에 가담

- 2011.3월 대선 출마를 선언하였으나, 2012.1월 “진정한 민주주의

Page 16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56

체제가 아닌 이상, 나의 양심이 대통령을 비롯한 공직에 오르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고 말하면서 대선 불출마 선언

(7) Khairat El-Shater 무슬림형제단 부대표(Deputy General Guide)

◦ 출 생 : 1950.5.4(62세), Daqahliya州◦ 학 력

- 1974 알렉산드리아대학교 공학 학사

- 만수라대학교 공학 석사 ◦ 경 력

- 1974 무슬림형제단 가입

- 1995 무슬림형제단 카이로 지부장

- 무슬림형제단 지도국(Guidance Bureau) 위원

- 무슬림형제단 부대표

◦ 기 타

- 무슬림형제단의 자금 총책

- 1995년 무슬림형제단 부활 시도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은 바 있으

며, 2007년 대학생들에게 무기를 공급하고 군사훈련을 시킨 혐의로

7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하다가 시민혁명 직후인 2011.3월 석방

- 2012.4월 무슬림형제단 대선 후보로 출마했다가 Mubarak 정권

시절 징역형을 받았다는 이유로 후보자격이 박탈됨.(8) Sedqi Sobhy Sayed Ahmed 총참모장

◦ 출 생 : 1956.12.12(56세)◦ 경 력

- 2009 제3야전군 사령관

- 2012.8.12 총참모장

◦ 기 타

- 제4차 중동전쟁(1973.10월) 참전

(9) Maher al-Beheiry 최고헌법재판소장

◦ 출 생 : 1943.3.17 (69세)

Page 162: 2013.2 이집트 개황

157

◦ 학 력

- 1964 카이로대학교 법학과 졸업

- 1969 카이로대학교 법학대학원 졸업

- 1974 아즈하르대학교 이슬람법 석사

◦ 경 력

- 1987-91 대법원(Court of Cassation) 부원장

- 1991-2012 최고헌법재판소 판사

- 2012.7.1 최고헌법재판소장

차. 이집트 역대 대통령

(1) Mohamed Naguib 초대 대통령

◦ 출 생 : 1901.2.20, 수단 Khartoum◦ 학 력

- 육군사관학교 졸업

- 파드 1세 대학 법률・정치・경제학

◦ 경 력

- 1952.7.23 쿠데타, Farouk 국왕 축출

- 1952.9 총리

- 1953.6 초대 대통령 취임

- 1954.11 Nasser에 의해 실각

◦ 기 타

- 1953.6월 초대 대통령이 되었지만 Nasser와의 대립으로 1954.11월

실각하여 감금되었다가 1960년 석방된 이후 정치 일선에서 물러남. - 1984.8월 사망

(2) Gamal Abdel Nasser 제2대 대통령

◦ 출 생 : 1918.1.15, Alexandria州◦ 학 력

- 1938년 육군사관학교 졸업

Page 16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58

◦ 경 력

- 1952.7.23 쿠데타 성공 후 혁명위원회 지도자

- 1953.6 부총리 겸 내무장관

- 1954 총리

- 1956-1970 제2대 이집트 대통령

- 1958-1962 아랍연합공화국 총리

- 1964-1965 아프리카단결기구 회장

- 1964-1970 비동맹회의 사무총장

◦ 기 타

- 제2차 세계대전 중 영국이 이집트 국왕을 무력으로 위협하여 친

영인사를 총리로 임명한데 분노하여 외세 타파를 위한 비 조직

‘청년장교단'을 결성하고, Naguib를 단장으로 세움. 1952.7.23 Nasser가 이끈 '자유장교단’의 쿠데타가 성공함.

- 1955년 유고슬라비아 티토 대통령 및 인도 네루 총리와 친교를

맺고 반둥회의(아시아-아프리카회의)에 출석하여 적극적인 중립

주의·비동맹주의 외교정책을 추진함.- 1956.7월 아스완 하이댐 건설계획에 대한 미국과 영국의 자금원

조 철회로 수에즈운하의 국유화를 선언함. 국유화 선언 3개월 후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 연합군이 수에즈운하로 진격하며 수에즈

전쟁이 발발하였고, 이집트 군은 패전을 거듭함. 그러나 국제사회

의 비난여론을 이기지 못한 영국과 프랑스가 협상 끝에 물러남으

로써, 수에즈운하는 이집트의 소유이자 주요 외화벌이 수단이 됨. - 1958.2월 시리아와의 합병에 의해 아랍연합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1961.9월 시리아에 쿠데타가 발생, 아랍연합공화국

에서 이탈함

- 1970.9월 사망

(3) Mohamed Anwar Sadat 제3대 대통령

◦ 출 생 : 1918.12.25, Monofeya州◦ 학 력

- 1938 육군사관학교 졸업

Page 164: 2013.2 이집트 개황

159

◦ 경 력

- 1950 ‘자유장교단’ 가입

- 1961 국민의회 의장

- 1962-64 대통령평의회 의원

- 1964 부통령

- 1970 대통령

- 1976 대통령 재선

- 1978 캠프데이비드 협정 조인, 노벨평화상 수상

◦ 기 타

- 1952.7.23 쿠데타에 적극 가담함. - 1977년 이집트 수반으로서는 처음으로 이스라엘을 방문하여 아랍

-이스라엘간 평화 노선을 열기 시작함. 1978년 캠프데이비드 협

정에 조인하여 이스라엘로부터 시나이 반도를 돌려받음. 1979년

미국 워싱턴에서 이스라엘과의 평화협정에 서명함. - 1978년 이스라엘 Menachem Begin 총리와 함께 노벨 평화상 수상

- 아랍국가들은 이스라엘과의 평화 정책을 비난하면서 동인을 ‘아랍

세계의 배반자’로 비난함. - 1970.9월 대이스라엘전쟁(제4차 중동전) 승리 기념 군사 퍼레이드 중

Khalid Isalambully등 과격 이슬람 원리주의자의 총에 맞아 암살당함. - 사망 후 장례식에는 전 미국 대통령 및 서방 국가들의 정상들이

참석하였으나, 아랍 국가들의 정상들은 거의 참석하지 않음. (4) Hosni Mubarak 제4대 대통령

◦ 출 생 : 1928.5.4(84세), Monofeya州◦ 학 력

- 1949 육군사관학교 군사학 졸업

- 공군사관학교 비행학

◦ 경 력

- 1964 구소련 이집트 군 대표단 단장

- 1966 공군사관학교 교장

- 1972 공군참모총장

- 1973년 공군대장

Page 16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60

- 1975.4 부통령

- 1981.10 대통령

- 1987 대통령 재선

- 1993 대통령 3선- 1999 대통령 4선- 2005 대통령 5선- 2011.2.11 대통령직 사퇴

◦ 기 타

- 이스라엘 평화 협정 이행에 힘쓰는 등 외교적으로는 Sadat 노선

을 계승하면서 독자적인 외교를 전개, Sadat 시대에 단절되었던

소련과의 외교관계를 재개함. - 1992년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의 본거지를 습격

- 2011.1월 이집트 경제의 장기 불황과 오랜 독재 정치를 견디지

못한 이집트 국민들은 Mubarak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반정

부시위를 벌였고, 시위 18일째가 되던 2.11 시위대의 퇴진 요구

를 이기지 못하고 대통령직에서 물러남. - 2011.8.3 시위대에 대한 폭력행위 및 부정축재 혐의로 Mubarak

에 대한 재판 시작

- 2012.6.2 종신형을 선고받고 카이로 근교 Tora 형무소에 수감 중.

Page 166: 2013.2 이집트 개황

161

2. 아랍연맹 개관

가. 출범 및 회원국

◦ 1945.3월 아랍 각국의 주권 확보와 중동의 평화, 반이스라엘 운동의

일환으로 출범

- 사무국 : 카이로

- 현 사무총장 : Nabil El-Araby (전 이집트 외교장관)◦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오만, 쿠웨이트, 바레인, 카타르, 아랍에미레이트,

이라크,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집트, 수단, 리비아,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모리타니, 소말리아, 지부티, 코모로 등 22개 회원국

- 1979.3월 이집트-이스라엘간 평화조약이 체결된 후, 이집트의 회원

국 자격을 일시 정지시키고 사무국을 튀니지로 이전하였으나, 1989년 이집트의 회원국 자격이 회복되고, 사무국도 카이로로 복귀

나. 조직

◦ 연 1회 정상회의 개최

◦ 연 2회 개최되는 각료급 이사회 산하에 정치․경제․군사․인권 등 11개 상

임위원회 구성

◦ 주요 문제에 대해서는 회원국 2/3의 찬성으로 결정

다. 주요 활동

◦ 출범 초기에는 경제 분야의 활동에 역점을 두었으나, 이스라엘 건국

(1948) 및 이집트 혁명(1952) 등을 계기로 “범아랍주의”에 기초한 정치․군사 분야의 활동이 강화됨. 단, 회원국간 이해관계가 달라 주요 정치 문

제에 대해 일사 분란한 모습을 보여주는 데는 한계를 노정함으로써 느슨

한 정부 결속체로 운영(이집트 및 사우디아라비아가 주요 리더 역할)

Page 167: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62

◦ 2011년 튀니지에서 시작된 '아랍의 봄' 이후에는 리비아사태에 무력 개

입을 주도하고 시리아사태의 해결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면서 아랍연

맹의 역할을 강화해 나가려는 추세

(1) 정치 분야

◦ 대이스라엘 강경 기조 견지

- 1967년 제3차 중동전쟁 패배를 계기, 「불강화, 불승인, 불교섭」이라

는 대이스라엘 3원칙을 채택

- 2002년 베이루트 정상회의에서 이스라엘이 아랍 점령지에서 완전

철수하고, 팔레스타인 독립국 창설과 팔레스타인 난민 귀환권을 보

장하는 조건하에 아랍권과 이스라엘의 관계정상화 방안에 합의(사우

디아라비아 제의)- 2005년 알제리 정상회의에서 상기 합의 재확인

◦ ‘이라크 화해회의’ 준비 등을 통해 이라크 안정화 노력 지원

- 2005.11월 ‘이라크 화해 준비회의’ 개최 ◦ 하라리 전 레바논 총리 암살 관련 시리아의 문제 해결 노력 지지

- 시리아 정부의 협조 노력을 지지하며, 시리아에 대한 제재는 직접적인 관련 증거가 명확하게 드러날 때에 고려 가능하다는 입장 견지

◦ 기구 개혁 동향

- 임시 아랍의회 창설(2005.12), 의사결정 방식 개선(주요 문제에 대

해 종전 만장일치에서 2/3 찬성으로 변경), 아랍헌법재판소, 아랍안

보위원회 창설 협의 특별위원회 구성 등

(2) 경제 분야

◦ 지중해 연안 아랍국가들간 자유무역지대 창설 발표(2006.7.1)※ 연간 교역량은 4,600억달러, 역내 총생산은 1조 2천억 달러 규모

(3) 사회․인권 분야

◦ 민주주의와 인권, 여성과 시민사회 역할 증진 문제 등 사회개혁 문제를 논의

Page 168: 2013.2 이집트 개황

163

3. 이집트 27개주(州) 현황

주 주도 면적(㎢) 인구(명) 주지사1 Cairo Cairo 3,085 8,858,503 Osama Kamal2 Giza Giza 13,184 7,056,091 Rahman Youssef3 Sharqiya Zagazig 4,911 6,082,046 Abdel Rahman4 Daqahliya Mansura 3,538 5,622,098 Ibrahim Al-Maadawi5 Beheira Damanhur 9,826 5,327,000 Al Hamalawy6 Qaliubiya Banha 1,124 4,808,188 Adel Zayed7 Minya Minya 2,262 4,756,998 Eissa Farghaly8 Alexandria Alexandria 2,300 4,547,853 Mohamed Atta Abbas9 Gharbiya Tanta 1,942 4,484,692 Qader Abdallah10 Sohag Sohag 11,218 4,260,955 Hassanein Mekheimar11 Assuit Assiut 13,720 3,937,076 Yehia Keshk12 Monofeya Shibin el-Kom 2,499 3,699,079 Mohamed Ali Beshr13 Kafr el-Sheikh Kafr el-Sheikh 3,467 2,974,590 Saad El-Husseini14 Fayoum Fayoum 6,068 2,923,840 Ahmed Ali15 Qena Qena 8,980 2,834,549 Labib Metwally16 Beni Sueif Beni Sueif 10,954 2,629,465 Al-Zaher Babers17 Aswan Aswan 62,726 1,337,291 El-Sayeed Ahmed18 Damietta Damietta 910 1,255,736 Abdel Rahman19 Ismailia Ismailia 5,067 1,089,066 Imbaby Soliman20 Luxor Luxor 2,960 1,074,491 El-Din Al-Borai21 Port Said Port Said 1,345 634,392 Abdallah Mohamed22 Suez Suez 9,002 583,191 Samir Aglan23 North Sinai Arish 27,564 400,839 Abdel-Fatah Harhour24 Matrouh Marsa Matrouh 166,563 396,096 El-Sayed Mohamed25 Red Sea Hurghada 120,000 323,970 Mohamed Kamel26 New Valley Kharga 440,098 210,695 Abdel Tawwab27 South Sinai el-Tor 31,272 159,989 Seddiq Mohamed

Page 16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64

4. 주요 연락처

가. 대사관

◦ 청 사

주소 : 3 Boulos Hanna St., Dokki, Giza, A.R.ETEL : 3761 - 1234~7FAX : 3761 - 1238, 3335 - 7066

◦ 관 저

주소 : 45, Road 83, Maadi, Cairo, A.R.ETEL : 2378 - 3124, 2750 - 9631FAX : 2380 - 3663

나. KOICA(이집트사무소)

주소 : 3 Boulos Hanna St., Dokki, Giza, A.R.ETEL : 3761 - 1234~7FAX : 3338 - 9340

다. KOTRA(카이로무역관)

주소 : 25 Misr Helwan St., Maadi(Entrance1), 4th Foor, El-Zeini Tower Building, Cairo, A.R.E

TEL : 2380 - 0072, 380 - 0092FAX : 2359 - 9178

라. 한국학교

주소 : 5th Zone, 1st Residential Area, New Cairo, A.R.ETEL : 2627- 3428, 2617-3430(FAX)

마. 종교단체

◦ 카이로한인교회 012-2376-7992◦ 애굽한인교회 012-2144-6556

Page 170: 2013.2 이집트 개황

165

◦ 소망교회 010-0881-1672◦ 카톨릭 한인공동체 010-6710-4216◦ 관음사 이집트분원 0127-737-3430

바. 범죄 및 화재신고

◦ 범죄신고 122◦ 화재신고 180

사. 호 텔(Five Star Hotel)

CONRAD 2580-8000MARRIOTT 2411-5588

MERIDIAN HELIOPOLIS 2290-5055 MARRIOT(자말렉) 2728-3000

JW MARRIOT(MIRAGE) 2411-9428 NILE HOTEL 2578-0444/666 RAMSES HILTON 2577-7444, 2574-4400 SOFITEL AL GEZIRAH 2737-3737

SOFITEL MAADI 2526-0601 CAIRO SHERATON 3336-9700,9800 SHERATON HELIOPOLIS 2267-7730 RESIDENCE 2358-7189 MAADI HOTEL 2358-5050 SONESTA 2262-8111, 2261-7100 INTERCONTINENTAL(시티스타) 2480-0100, 2480-0200(F) SEMRAMIS INTERCONTINENTAL 2795-7171, 2796-3020(F) HELNAN SHEPHEARD 2355-3800/900

GRAND NILE TOWER 2362-1234 FOUR SEASONS(기자) 3570-4310

FOUR SEASONS(카이로) 2791-7000, 6846(F)PYRAMISA 3336-7000, FAIMONT HELOIPOLIS 2267-7730, 3760-5347(F)HELIOPOLIS MOVENPICK 291-9400

Page 17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66

아. 한국인 운영 여행사

◦ Salco Travel 012-2216-5826◦ Kouni Korea Travel 012-22349-0653◦ Blue Marble Travel 010-0566-0834◦ Blue Sky Travel 012-2210-9667◦ Meryland Tour 012-2212-5502◦ Egypt Tour 012-2767-4878◦ Biblus Travel 012-2213-6131◦ Tour Nile 012-2232-3714◦ Red Sea Tour 012-2243-7757◦ Camel Caravan Tour 012-8291-0100◦ Bestway Tour 012-8141-7772◦ Hapi Tour 011-1527-8052◦ ANI Tour 010-0535-4308◦ Planet Tours & Travel 010-0924-6956◦ Pyramid Tour 012-2734-9322

자. 식 당

◦ 한국식당

가야 2519-7769가야스시 2519-9860김가네 2527-2474김가네(룩소) 095)238-6742미나 2519-3413BOSS 2519-3806산마리노 2519-2451서울갈비 2753-7328실로암(누웨바) 069)350-0062아리랑 2519-3739한강(누웨바) 069)350-0970한국(누웨바) 010-645-0101

Page 172: 2013.2 이집트 개황

167

◦ 일본식당

Saporo(Cairo Sheraton) 3336-9700Shogun(Intercontinental Heliopolis) 2480-0100Okashi(Grand Hyatt) 2365-1234Torri(Cairo Marriott) 2728-3000

◦ 중국식당

Peking(마디) 2591-2381Spice(Four Seasons Nile Plaza) 2791-7000

◦ 태국식당

Lai Thai(Four Seasons Giza) 3573-1212Birdcage(Semiramis Garden City) 2795-7171

◦ 불란서식당

Four Corners(자말렉) 2735-1647Swiss Chalet(기자) 3761-0165Le Pasha(자말렉) 2735-5734Vendome(자말렉) 2737-3737

◦ 이탈리아식당

Seasons(Four Seasons Giza) 2736-2188Ristorante Tuscany(Cairo Marriot Hotel) 2728-3000Bella(Four Seasons Nile Plaza) 2791-7000Vino(Semiramis InterContinental) 2795-7171Maestro(InterContinental Citystars) 2480-0100

◦ 양식당

JW Steakhouse(Cairo Marriott) 2728-3000Steaks(Four Seasons Nile Plaza) 2791-7000Al Bustan Grill(InterContinental Citystars) 2480-0100

◦ 중동식당

El Magharbel(양고기) 3337-7479Zitouni(기자) 2791-7000

Page 17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68

Abou el Sid(자말렉) 2735-9640El Kebabgy(자말렉) 2737-3737Fayruz(InterContinental Citystars) 2480-0100

◦ Seafood RestaurantFish Market(기자) 3570-9643Fish Market(마디) 2380-4232

◦ Delivery 맥도날드 19991K.F.C 19019피자헛 19000모멘 16600쿡도어 16999도미노피자 2520-0055

차. 병 원

◦ Al Salam(무한디신) 3303-0502◦ As-Salam International(마디) 2524-0250◦ Cairo Medical Center 2248-1206◦ Dr. Osman 2526-0168◦ Ghaly Clinic 2380-9995◦ Dr. Albert(외과, 가정의) 2358-5621◦ Dr. Moheb(소아과, 피부과) 2358-3259◦ Dr. Ihab Daoud Hanna(내과 전문의) 2291-3458◦ Dr. Mahmoud(소아과 전문의) 012-358-1432

카. 응급전화

◦ 화재신고 180◦ 응급환자이송 123◦ 경찰 122◦ 고속도로 견인 136◦ 전화안내 140

Page 174: 2013.2 이집트 개황

169

5. 이집트 관련 웹사이트

가. 이집트 정부기관

www.alhokoma.gov.egEgypt's government-on-line homepage, with links to many ministrieswww.presidency.gov.egEgyptian Presidencywww.sis.gov.egState Information Servicewww.parliament.gov.egEgyptian Parliamentwww.cbe.org.egCentral Bank of Egyptwww.mfti.gov.egMinistry of Industry and Foreign Tradewww.mfa.gov.egMinistry of Foreign Affairswww.visitegypt.gov.egMinistry of Tourism

나. 비정부기관

www.eces.org.egEgyptian Center for Economic Studieswww.amcham.org.egAmerican Chamber of Commerce on Egypt

Page 17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70

www.lasportal.orgArab League Websitewww.wto.org/english/thewtoˍe/countries e/egyptˍe.htmWorld Trade Organization Website - Egypt Pagewww.ahram.org.egAl Ahram Newspaperwww.elakhbar.org.egAl Akhbar Newspaperwww.gn4me.com/alalamalyoum/index.jspAl Alam Alyom Newspaperwww.touregypt.netTour Egyptwww.tourism.egnet.netEgypt's Tourism Net

다. 기타 관련사이트

www.egypt.usembassy.govHomepage of the U.S. Mission to Egyptwww.exim.govExport-Import Bank of the United States

www.usaid.gov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Page 176: 2013.2 이집트 개황

Ⅵ. 부 록

Page 177: 2013.2 이집트 개황
Page 178: 2013.2 이집트 개황

173

Ⅵ. 부 록

1. 여행정보

가. 입 국

◦ 모든 방문객은 비자와 6개월 이상의 유효여권을 가지고 있어야 함.(단, 외교관·관용여권 90일간 무비자 체류)

◦ 비자발급처 : 주한 이집트대사관 또는 이집트 입국시 공항에서 발급

나. 대한항공 인천-카이로 직항 일정

◦ 2013.1.7~3.1 일시 운항재개 (주 2회), 9월부터 재개항 예정.

다. 주요관광지

카이로 지역

(1) 기자 피라미드(Giza Piramid)

◦ 개 요

- 카이로 인근 기자지역에 위치한 3개의 피라미드는 제4왕조(BC 2613-2494)의 쿠푸(Khufu)왕, 카프레(Khafre)왕, 멘카우레(Menkaure) 왕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존하는 100여개 피라미드 중 가장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음.* 단순한 왕의 무덤이 아니라 사후세계의 신앙과 관련된 신성한 건축물로

보는 학자들도 있음.- 이중 Khufu왕의 피라미드는 일명 대피라미드(Great Pyramid)이라고

도 하며 고대 이래로 불가사의한 건축물의 하나로 받아들여져 세인

Page 17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74

의 관심을 모으고 있음.․ 피라미드 내부 및 외부에 피라미드에 관련된 문자나 그림 등의 기

록이 남아있지 않음. ◦ 대피라미드(Great Pyramid)

- 크기 및 방향

․ 높이 146m, 밑변 길이 230m(각변의 길이 오차는 0.1 - 0.2% 내외의 정 도 유지)

* 풍화작용으로 현재 높이는 137m임.․ 피라미드 입구 방향은 정확하게 정북을 지향

․ 피라미드 경사각 약 52도- 구 조

․ 무게 2톤~20톤의 석회암(카이로 인근에서 채취) 내장석 약 230만개를 쌓아 올렸으며, 과거에는 피라미드 전체가 백색 외장석으로

덮여 있었다고 함(외장석과 내장석간에는 백색 모르타르로 접합된

흔적이 남아 있음).․ 피라미드 내부는 왕의 방, 왕비의 방, 대회랑, 내려가는 통로, 올라가는 통로, 수평 통로, 환기통 등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음 (내부 방 및 대회랑 등에 사용된 석재는 화강암으로서 남부 아스완에

서 운송해 온 것으로 추정됨).․ 내려가는 통로는 그리스․로마시대부터 발견되었으나, 올라가는 통로

(왕의 방, 왕비의 방 및 대회랑과 연결)는 9세기 압바스(Abbas) 왕조의 Mamun 왕이 처음 발견하였다고 함(당시 Mamun 왕이 만

든 통로는 현재 관광객들의 출입구로 사용).- 건 축

․ 그리스의 역자학자 Herodotus는 약 10만명의 인원이 약 10년간에

걸쳐 건축하였다고 추산함.․ 현대 일부 건축학자들은 피라미드 건축의 정 도 등을 감안 4~5천명의 숙련되고 조직된 기능인들이 건축하였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으나, 건축방식에 대해서는 의문점이 해명되지 않고 있음.◦ Khafre왕과 Menkaure왕의 피라미드

- Khafre왕은 Khufu왕의 아들이며, Menkaure왕은 Khufu왕의 손자로서

각 피라미드 높이는 Khufu왕(146m), Khafre왕(143m), Menkaure왕

Page 180: 2013.2 이집트 개황

175

(69m)순임.- Khafre왕의 내부 현실은 지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으며, Menkaure

왕의 현실은 지하에 있음.- Khafre왕의 피라미드 상부에는 외장석이 아직 많이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음.◦ 스핑크스

- Khafre왕의 피라미드 동쪽에 피라미드의 수호신으로 알려진 스핑

크스상이 있음.․ 거대한 자연석을 깎아 만든 것으로서 길이 75m, 높이 22m․ 얼굴에 채색 흔적이 아직 남아 있으며, 턱수염은 대영 박물관에 전

시 중

- 스핑크스의 건축 연대는 기자 피라미드 건축연대와 비슷한 시기로

보고 있으나, 일부 학자들은 스핑크스상에 물에 침식된 흔적이 남

아있는 점 등을 근거로 약 BC 10,000년전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

- 18왕조 Tuthmosis 4세(BC 1425 - 1417간 재위)가 꿈에 계시를

받아 당시 모래속에 파묻혀 있던 스핑크스를 발굴하고 스핑크스 앞

에 기념비를 세웠다고 함.․ Tuthmosis 4세는 원래 차남이었으나 후에 왕이 되었는 바, 이를

출애굽기의 모세의 재앙(장자 사멸)과 관련짓기도 함.

(2) 이집트 박물관(Egyptian Museum)

◦ 개 요

- 이집트 고대 파라오 왕조 유물은 과거 그리스․로마시대부터 해외로

반출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슬람 시대에는 모스크 건축 등의 자재로

사용하기 위해 석조 유물 등이 다수 파손됨.- 19C 샹폴리용(프랑스인)의 이집트 상형문자 해독으로 이집트 역사

및 문화의 중요성이 인식됨에 따라 이집트 유물 보존 조치에 관심을

갖기 시작

․ 1834년 이집트 유물 보호국 설립

․ 1858 August Mariette이 유물감독관으로 임명됨.․ 1863 Ismail 왕이 Bulaq 지역에 유물보관소(구 박물관) 건립

Page 18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76

- 현 이집트 박물관 건물(카이로 시내 Tahrir 광장에 소재)은

1895-1902년간 국제입찰로 건축(Mariette이 건축 감독 및 지휘)되었으나, 박물관이 협소함.

- 1층 51개 전시실에는 고왕조, 중왕조, 신왕조의 유물과 Greco-Roman시대의 유물이(정문 입구에서 시계방향으로) 전시되어 있으며, 2층

전시실에는 투탕카멘왕의 무덤에서 발굴된 유물과 이집트 신왕조시

대 왕들의 미이라 및 기타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음.․ 선사시대부터 Greco-Roman시대까지 총 12만 여점 유물 전시

◦ 1층 주요 전시물

- 고왕조 시대의 유물

․ Menkaure왕과 두 여신의 석상, Khafre왕의 석상, 서기관의 좌상, 촌장의 목상, 귀족(Rahotep) 부부상, 거위 벽화 등

- 중왕조 시대의 유물

․ Mentuhotep 1세의 석상, 귀족(Harhotep)의 분묘 벽화 등

- 신왕조 시대의 유물

․ Hatshepsut 여왕의 석상, Tuthmosis 3세의 석상 Hathor신 의 석

상, Akhenaten과 부인 Nefertiti의 석상, Ramses 2세의 석상 등

- 기타 석관, 목선, 미이라 수술대, 로제타 스톤 모형 등 전시

◦ 2층 주요 전시실

- Tutankamun왕의 유물

․ 1922년 영국인 Howard Carter가 Luxor 왕들의 계곡에서 발굴한

Tutankamun왕의 유물 전시

․ 왕의 전차, 목관, 황금관, 황금 마스크, 알라바스타 항아리, 침대, 의자, 우산 등

- 미이라실

․ 람세스(Ramses) 2세 등 18~20왕조 왕들의 미이라 수 구 전시

․ 미이라실 입구에는 미이라 수술 도구 및 재료가 전시되어 있고,미이라 수술 방법이 간략히 설명되어 있음.

(3) 사카라(Sakkar)

◦ 개 요

Page 182: 2013.2 이집트 개황

177

- 카이로 남쪽 약 25km 떨어진 나일강 좌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집

트 고(古)왕국시대의 피라미드 소재지로서 기자·아부시르·다슈르 등

과 함께 유명함.-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피라미드인 제3왕조 조세르왕(BC

2650?~BC2575?)의 계단식 피라미드를 비롯하여, 10여 개의 피라미

드군(群)이 현존함.․ 조세르왕의 계단식 피라미드는 기자 피라미드의 원형이 되었으며, 특히 최초로 돌을 사용한 피라미드임.

․ 현재는 피라미드 일부가 부식작용으로 인해 허물어져 복원작업이

진행되고 있음.

(4) 멤피스(Memphis)

◦ 개 요

- BC 3100년경 제1왕조의 창시자 메네스가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의

접점인 이곳을 통일왕국의 도읍으로 한 데서 시작되어 고왕국시대의

수도로 번창함.- 시(市)의 옛이름인 멤 노펠 메리는 ‘피라미드의 아름다움은 의연하

다’라는 뜻이며, 여기에서 그리스 이름인 멤피스가 생겨남. - 현재는 멤피스 박물관에 람세스 2세의 거대한 와상을 비롯한 일부

유물만이 남아 있음.

(5) 시타델(Citadel)

◦ 개 요

- 카이로 남동쪽의 무카탐(Muqattam) 언덕에 위치. 시타델은 ‘성벽’이라는 뜻으로 1176~83년 중세 아랍의 전설적인 영웅인 살라딘이 십

자군전쟁으로부터 이집트를 지키기 위해 세운 요새

- 아부딘 왕궁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약 700년 동안 이집트 이슬람 왕

조의 왕궁과 정치의 중심지였음. - 시타델에는 칼라운 모스크(1318년 건축), 술레이만 파샤 모스크

(1528), 모하메드 알리 모스크(1828)가 있으며, 국립군사박물관과

알-가우하라 궁전 등이 있음.

Page 18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78

◦ 모하메드 알리 모스크

- 오스만 투르크에서 파견한 모하메드 알리 총독이 1828년 이스탄불

의 블루모스크(Blue Mosque)를 모방하여 건축함.- 2개의 높은 첨탑과 거대한 돔이 특징이며, 외벽에 다량의 수려한 석

고가 건축에 쓰였기 때문에 ‘앨러배스터(alabaster, 설화석고) 모스

크’라고도 부름. 내부는 거대한 샹들리에와 스테인드 글라스, 수많은

램프로 장식. 모스크 외곽의 위로 나가면 카이로시가 외에 나일강, 기자의 피라미드까지 보이는 웅장한 조망이 전개

(6) 카이로 구시가(Old Cairo)

◦ 개 요

- 이집트 기독교의 오랜 흔적들이 남아 있으며, 1천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이집트 고대 초대교회들이 존재함. 당시 기독교인들과 유대인

들이 집해서 살던 곳이기도 함. ․ 올드 카이로는 ‘바벨론’이라고도 부르는데, 그 기원은 기원전 13세기 초 람세스 2세에게 붙잡혀 왔던 페르시아인들이 람세스 2세에

대항하여 멤피스 방향의 하빈 시타델을 점령하고 항전하였으며, 람세스 2세가 이들에게 자유와 안전을 보장하자 올드 카이로에 거주

하면서 그들의 고국 수도를 그리워하며 ‘바벨론’이라고 명명한 것

으로부터 비롯됨. ◦ 초기 그리스도 교회

- 올드 카이로에 남아있는 콥트시대의 교회들 중에는 4세기말에서 5세기 초에 건립된 교회들과 10세기에 재건된 교회들(성 기르기스교회, 성 바르바라 교회, 성 조지 교회, 공중교회)이 있음.

◦ 공중교회(바벨론 성채, 알무알라카 교회)- 교회 건물이 옛 바벨론 성채의 남서 두 요새로 통하는 통로에 얹혀

있어서 알 무알라카 교회(Al Moallaka church, ‘매달린 교회’라는

뜻)라고도 부름. -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 가운데 하나로 최초의 건축은 26왕조

느고왕(기원전 605~593년)이 했을 것으로 추정됨. 이후 로마의 아우구스투스 황제에 의해 현재의 자리에 세워졌고, AD

Page 184: 2013.2 이집트 개황

179

98년에 로마의 트라얀 황제가 비잔틴 양식을 덧붙여 개축하였으며, AD 395년 아르카디우스가 재건함.

- 망대 사이의 입구는 수문이며, 현재의 지표면보다 6m가 낮은 곳에

위치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됨.◦ 모세기념교회(Ben Ezra Sinagogue)

- AD 4세기에 공중교회의 부속건물로서 지어져 AD 9세기 전까지는

성미카엘교회 또는 가브리엘 천사교회로 불림. - 제56대 교황 마카일 4세때 아흐메드 이븐 툴룬(이집트 이슬람왕조,

AD 868-905)이 ‘이븐 툴룬 모스크’ 건축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기

독교도들에게 부과한 고액의 세금을 감당하기 위해 매각한 예배당들

중 하나로 유대인들이 매입하여 회당으로 개조하여 사용함. 알하킴

(AD 996-1021)때 다시 파괴됨. - 이 회당이 다시 지어진 당시에는 주위에 29개의 사원과 20개의 예배

당이 존재하고 있었음. 133,000명의 무슬림들과 10,000명의 콥틱 기독

교인, 42명의 유대인들이 올드 카이로 지역에 살고 있었음(기록들에

의하면 종교가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가족 공동체처럼 살았다고 함). - 이 자리에 세워졌던 최초의 회당은 BC 350년경이며, 당시의 이름은

선지자 '예레미아 시나고그'였음. 그러던 것이 BC 30년경 로마에 의

해 파괴되었다가, 로마로부터 재 탈환된 이후 콥틱 교회에서 예배당

을 건설함. ◦ 아기예수 피난교회(The Church of Abu Serga)

- 4세기 중반 요셉과 마리아 그리고 아기예수 성가족이 헤롯왕을 피해

애굽(이집트)으로 피난하던 중 100여일을 숨어서 지냈던 성스러운

장소에 세운 교회로, 천정이 노아의 방주 모양으로 만들어졌다고 함.- 건축 당시 교회는 AD 303년 시리아에서 로마 황제 막시 란

(Maximilan)의 손에 순교 당한 성자이자 군인인 세르지우스

(Sergius)와 바쿠스(Bacchus)에게 바쳐진 것으로 알려짐.◦ 콥트 박물관(Coptic Museum)

- 이집트내 그리스도교도인 콥트인들의 예술품을 보존하기 위하여

1908년에 설립. 콥트문화와 관계된 약 1,300점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음.

Page 18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80

- 1933년부터 정부가 관리하기 시작함.- 전시품들은 4~11세기 이집트 기독교시대의 것으로서 고대왕조와 그

리스․로마 문화의 영향이 강하게 느껴지며, 대략적인 연대기순으로

정리되어 있는데, 1950년대와 1960년대 아스완댐에 의해 수몰되기

전에 여러 마을에서 보존해 온 누비안(Nubian) 그림들과, 예술적 가

치가 뛰어난 회화와 직물들, 금속, 나무, 유리, 상아로 만든 수공예품

등이 대표적임.- 꼭대기 층에는 20세기 중반에 이집트 나그하마디(Nag Hammadi)에서

발견되어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고대문서가 보존되어 있음.- 박물관 부지 안에는 1168년 이후 로마 지배의 흔적인 수도시설, 탑

등이 남아 있음. - 이집트 정부는 약 6백만 달러를 들여 3년 동안 개․보수 공사를 하였

으며, 2006.6월 재개관함.

(7) 칸 엘 칼릴리 시장(Khan el-Khalili)

◦ 개 요

- 중세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카이로에서 가장 매력적인 관

광지 중 하나로 꼽히는 전통시장으로 현재 약 1,500개 상점이 있음.- 1382년 술탄 바르쿠크의 아들 알-칼릴리 왕자가 대상들을 위해 세

운 숙소들을 중심으로 형성됨. - 시장 주변으로는 파티마 왕조가 이집트로 본거지를 옮기면서 세운

최초의 모스크로, 파티마 왕조의 대표적 건축물인 ⌜알-아즈하르 모

스크」가 위치함.

알렉산드리아

(1) 알렉산드리아 도서관(Bibliotheca Alexandria)

◦ 개 요

- 기원전 3세기에 지어졌다가 화재로 소실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현대적으로 재현한 도서관으로 이집트 정부가 유네스코 및 여러 국

가로부터 지원을 받아 2002.10월 개관함.

Page 186: 2013.2 이집트 개황

181

- 현재 약 8백만권의 장서를 소장하고 있으며, 전체 열람석은 약 2천석으로 플라네타리움과 과학박물관 시설도 갖추고 있음.

- 아스완에서 채굴된 화강암으로 마감한 외부 벽에는 전 세계의 알파

벳(한글 포함)이 적혀 있음.

(2) 카이트베이 요새(Qait bay Fort)

◦ 개 요

- 15세기 Mamluk 왕조의 술탄 카이트베이가 세운 성채로, 성벽으로

올라가면 지중해를 비롯하여 알렉산드리아의 주요 명소들을 볼 수

있음. - 세계 최초의 등대로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파로스(pharos)등대'

가 지진으로 무너짐에 따라 동 등대에 사용되었던 석재를 이용하여 요새

를 건축한 것으로 유명함.

(3) 카타콤베(Kom al-Shugafa Catacombs)

◦ 개 요

- 지하 35m까지 파고 들어간 고대 로마의 공동묘지로 고대 이집트의

장례 문화와 그리스 문화를 느낄 수 있는 곳임.

(4) 폼페이 기둥(Pompeius Pillar)

◦ 개 요

- 높이 30m의 코린트 양식을 한 고대에서 가장 높은 분홍색 기둥으로

인근에는 람세스 2세의 화강암 석상과 스핑크스, 스카라베 조각 등

이 있음.

(5) 몬타자 궁전(Montazah Palace)

◦ 개 요

- 20세기 초 세워진 터키식 궁전으로 왕가의 여름 별장으로 사용되기

도 함. 궁전 내부는 입장 불가

Page 187: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82

사 막

(1) 시와 오아시스(Siwa Oasis)

◦ 개 요

- 카이로에서 북서쪽으로 820km, 리비아 국경에서 100km 떨어진 곳

에 위치하며, 온천이 풍부하여 대추야자와 올리브 나무가 많고 곡식

과 과일이 풍성함.- 자전거나 당나귀 마차를 타고 클레오파트라 광천, 아문신전, 오라클

신전 등을 하루에 돌아볼 수 있음.- 사륜구동을 타고 사막으로 들어가 일몰을 감상하거나 모래언덕에서

샌드보드를 탈 수 있으며, 사막에서 하룻밤을 지내는 것도 가능함. - 카이로에서 시와 오아시스까지 가는 버스는 투르고만 버스터미널에

서 하루에 1대가 있으며 약 10시간이 소요됨.

(2) 바하리야 오아시스 (Bahariya Oasis)

◦ 개 요

- 바하리야 사막은 백사막, 흑사막, 크리스탈 사막 등 다양한 사막의

모습을 가지고 있음.- 바하리야 사막까지 운행하는 버스는 투르고만 버스터미널(하루 2대)

이나 엘 모닙 부근 버스정류장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4시간 30분이

소요됨.

홍 해

(1) 샴 엘 셰이크(Sharm El Sheikh)

◦ 개 요

- 시나이반도 남단에 위치한 유명 해양 리조트로, 일대가 라스 무함마드

해양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을 정도로 해저 관광의 명소로 꼽힘.․ 스노클링, 스킨스쿠버, 다이빙, 윈드서핑, 카이트서핑 등 다양한 해

Page 188: 2013.2 이집트 개황

183

양 스포츠를 즐길 수 있음. - 카이로에서는 항공편(1시간 소요)으로 샴 엘 셰이크 국제공항을 이

용하거나, 투르고만 버스터미널 및 압바시야 버스터미널에서 버스를

이용(7~8시간 소요)하거나, 육로로 5~6시간 걸리는 후르가다에서

배편으로 홍해를 횡단하는 방법이 있음.

(2) 후르가다(Hurghada)

◦ 개 요

- 카이로에서 남동쪽으로 53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후르가다는 홍해

연안에서 가장 큰 도시로 1년 내내 기온이 높아 휴양지로 각광받고

있음. ․ 다이빙 등 다양한 해양 스포츠로 각광받고 있음.

- 후르가다 공항이 있어 카이로에서 항공편, 승용차, 버스(5~6시간 소

요) 이용이 가능함.

(3) 다합(Dahab)

◦ 개 요

- 아랍어로 ‘금’을 뜻하는 다합은 샴 엘 셰이크에서 북동쪽으로 100km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

- 저렴한 숙박시설과 식당이 집되어 있어 젊은이들에게 인기 있는

휴양지 중 하나임.- 도시 남쪽으로는 고급 호텔, 레스토랑 등이 자리 잡고 있음.- 스킨스쿠버들이 즐겨찾는 명소 ‘블루 홀’이 다합 북동쪽에 위치해 있

으며, 사륜구동이나 낙타를 이용한 사막 체험이 가능함.

룩소르 지역

(1) 왕들의 계곡(Valley of the Kings)

◦ 개 요

- 룩소르(Luxor) 지역 나일강 서안에 위치한 석회암 계곡으로서 고대

Page 18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84

이집트 신왕조(18~20 왕조, BC 1567~1085)시대 왕들의 무덤 62개소가 발굴됨.․ 무덤 일련번호는 발굴된 순서를 의미

- 자연 석회암 계곡에 토굴을 파고, 토굴 벽면에 ⌜사자의 서」(고대

이집트 종교와 관련된 내용) 등을 기록한 뒤 시체 및 유물을 안장

․ 고왕조시대 왕들의 무덤인 피라미드와는 달리 외부 노출을 피함으

로써 도굴 방지를 기도하였으나, 대부분의 유물이 도굴됨.◦ 무덤 형태 및 구조

- 신왕조 초기 무덤인 Tuthmosis 3세의 무덤을 제외한 모든 무덤은

통로가 직선 형태임.- 또한, 신왕조 초기 무덤은 내부 벽화 바탕색이 엷은 황색(파피루스

색)이고 사자의 서 내용도 단순한데 반해 후기 무덤은 오렌지색 벽

화 바탕에 다양한 내용의 사자의 서를 기록

◦ 무덤 발굴

- 신왕조말 정국의 혼란이 야기되자 왕들의 시신을 보호하기 위한 조

치로서 별도의 은닉 장소에 이들 시신을 옮기는 작업이 진행됨.․ Deir Al-Bahari 묘역(Hatshepsut 신전 지역)에서 Ramses 2세 및

3세, Tuthmosis 3세, Seti 1세의 시신 발견(1881)․ Amenhotep 2세의 무덤에서 동인의 시신 포함 7구의 왕들의 시신

발견(1898)- 일부 무덤들은 그리스․로마시대부터 발굴되었으나, 대부분의 무덤들

이 18-19C 유럽인들에 의해 발굴되었으며, 발굴 당시 부장된 유물

들은 모두 도굴된 상태였음.․ 그러나 1922년 영국인 Howard Carter가 발굴한 Tutankamun 왕의

무덤(62호)에서는 시신과 함께 부장품이 모두 발굴되었으며, 현재

시신은 동 무덤내에, 부장품은 이집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음.

(2) 카르낙 신전(Temple of Karnak)

◦ 개 요

- 태양신 Amun 신전을 중심으로 좌우에 Mut 신전, Montu 신전, Khonsu 신전 등 Luxor의 수호신들을 모신 신전들이 기본 신전들로

Page 190: 2013.2 이집트 개황

185

배치되어 있으며, Tuthmosis 3세의 신전, Amenhotep 2세 및 3세의 신전, Ramses 3세의 신전 등 다수의 소규모 신전들도 복합적으

로 배치되어 있음.- 고대 이집트 중왕국 시대의 제12왕조(BC 20세기)때부터 건축되기

시작하여 Ptolemies 왕가(BC 1세기)에 이르기까지 약 2000년에 걸

쳐 계속 증축되어 왔으나, 기본 구조는 제1탑문(Pylon)이 건설된 제

25왕조(BC 7세기)때 완성된 것으로 알려짐.- 전체 신전 배치는 남북으로 되어 있으나, Amun 신전은 동서로 배치

․ 신전 규모는 남북으로 2km, 동서로 500-600m 정도 크기임.◦ 주요 구조물(Amun 신전)

- Amun 신전 제1탑문(정문) 앞 입구에는 양의 머리에 사자의 몸통을

가진 스핑크스들이 도열한 스핑크스 대로가 남쪽으로 약 2km 떨어

진 룩소르 신전 입구까지 연결됨.- Amun 신전의 제1탑문을 지나면 제22왕조 때 건축된 대광장(Great

Court)이 나옴

․ 넓이가 약 8,650평방미터에 달하는 대광장의 북쪽에는 Amun신, Mut신, Khonsu신의 성스러운 배를 모셔두었던 Seti 2세의 신전이

있고, 대광장의 남쪽에는 Ramses 3세의 신전이 있음.- 대광장을 지나면 제2탑문 앞에 붉은 화강암으로 조각된 Ramses 2세

의 석상을 볼 수 있음. 제2탑문은 제18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인

Horemhep이 건축을 시작하여 제19왕조 Ramses 2세 때 완성됨.- 제2탑문을 지나면 열주전(Great Hypostyle Hall)이 나오는데 그 넓

이는 5,356평방미터로서 로마의 성베드로 성당과 런던의 성바울 성

당의 크기를 합친 것과 같다고 함. 이 열주전은 134개의 기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 12개(좌우 6개씩) 기둥은 Amenhotep 3세가

건축하였으며 외곽의 파피루스 모양의 122개 기둥들은 Seti 1세가

건축하기 시작하여 람세스 2세때 완공됨.․ 가운데 12개 기둥과 외곽의 122개 기둥간의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햇살을 받아들이는 창문을 천장에 건축함.․ 고대에 기둥을 채색한 흔적이 아직도 기둥 윗부분에 약간씩 남이

있음.- 제3탑문은 Amenhotep 3세때 건축되었으며, 제4탑문은 Tuthmosis 1

Page 19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86

세때 건축된 것을 Seti 2세가 복원함.․ 제3탑문과 제4탑문 사이에는 작은 광장(Small Court)이 위치하며, 동 광장에는 Tuthmosis 1세의 Obelisk가 있음(높이 23미터, 무게

143톤)․ 제4탑문 안쪽에는 Hatshepsut 여왕의 Obelisk가 있음(높이 27.5미터, 무게 320톤)

- Tuthmosis 1세와 3세가 건설한 제5탑문과 제6탑문을 지나면 태양

신 Amun의 지성소에 도달함. 지성소는 동쪽과 서쪽으로 개방되어

일출과 일몰 때 햇살이 Amun신의 지성소를 비출 수 있게 설계되어

있음.․ 지성소는 2중 구조로 되어 있는데 외실은 Tuthmosis 3세가 건축한

것이며 내실은 기원전 3년경 Ptolemise 왕조가 건설함.- 지성소 남쪽에는 제사장들이 종교의식을 행하기 전 목욕재계를 하던

성스러운 호수가 있고, 호수 입구에는 고대 이집트에서 신성한 동물

로 여겨졌던 딱정벌레(Scarab)의 석상이 있음. ․ 호수 입구쪽에 Hatshepsut 여왕의 누워있는 Obelisk가 쓰러져 있음.

※ 카르낙신전 내에 Obelisk가 12개 있었으나, 현재는 2개만 존재

(3) 룩소르 신전(Temple of Luxor)

◦ 개요

- 제18왕조 Amenhotep 3세(BC 1417-1379간 재위)때 건축하기 시작

하여 제19왕조 Ramses 2세(BC 1304-1237간 재위)때 탑문(Pylon)이 완공됨.․ 탑문과 입구쪽 광장은 Ramses 2세때 증축된 것이며, 그 안쪽의

내부 광장 및 Amun신 지성소 등은 이에 앞서 Amenhotep 3세때

건축된 것임.- 동 신전은 나일강 동안에 나일강을 따라 남북으로 건축되었으며 폭

40-70m, 길이 180-200m 정도의 규모이며 태양신 Amun을 숭배하

기 위한 신전임(Karnak 신전에 비해 규모가 작음).◦ 주요 구조물

- 스핑크스 대로

Page 192: 2013.2 이집트 개황

187

․ 신전 탑문 앞에서 시작되는 스핑크스 대로는 3Km 정도 떨어진

Karnak 신전까지 연결되어 있었다고 함.- 정문 외벽

․ 정문 외벽에는 Kadesh 전투(Ramses 2세가 Hittites 족을 격퇴) 장면이 벽화로 묘사되어 있으며, 정문 좌우에 Ramses 2세의 좌상

2개 및 입상 4개가 세워져 있었으나, 현재는 좌상 2개와 입상 1개만 남아 있음(입상 2개는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

․ 또한, 정문 좌우에 원래 2개의 Obelisk가 있었으나 하나는 19 세기

에 Muhammad Ali 왕이 프랑스에 기증(콩코드 광장에 전시)함으로

써 현재 하나만 남아 있음.- Ramses 2세 광장

․ 탑문 안쪽 Ramses 2세 광장에는 Tuthmosis 3세(BC 1504-1450간 재위) 당시 건축된 성소가 남아 있으며, 또한 후대에 건축된 이

슬람 모스크 건물이 광장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음.․ 동 광장 주위를 74개의 기둥이 2중으로 둘러싸고 있음.

- Amenhotep 3세의 열주

․ Ramses 2세 광장을 지나면 Amenhotep 3세의 열주(16m 높이의

파피루스 모양을 가진 기둥 14개) 있으며 Ramses 2세의 석상들

이 기둥사이에 위치하고 있음.- Amenhotp 3세의 광장

․ 열주를 지나면 Amenhotep 3세의 광장(약 2,400평방미터)이 나오

는데 Ramses 2세의 광장과 모양이 유사하며 파피루스 모양의 기

둥이 광장 3면을 2중으로 둘러싸고 있음.- 신전 내부

․ Amenhotep 3세의 광장을 지나면 32개의 기둥이 배열된 다주식 광

장(Hypostyle Hall)이 나오며 다주식 광장을 지나면 8개의 기둥이

있었던 제1전실에 이름.․ 제1전실(Ante Chamber)은 서기 4세기에 기둥들이 제거된 후 콥틱

교회 예배장소로 변경되었으며 그 흔적이 아직도 남아 있음.․ 제1전실을 지나면 4개의 기둥이 있었던 제2전실이 있고 그 안쪽에

태양신 Amun의 성스러운 배를 모셨던 지성소가 위치함.

Page 19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88

(4) 핫셉수트 신전(Temple of Hatshepsut)

◦ 개 요

- 제18왕조 Hatshepsut 여왕(BC 1503 - 1482간 재위)이 8년에 걸쳐

건축한 신전으로서 왕들의 계곡 뒤편에 위치

․ 여왕 자신과 여왕의 부친인 Tuthmosis 1세를 기념하기 위한 신전

․ 여왕의 시신이 동 신전 지하에 매장된 것으로 알려짐.- Hatshepsut 여왕은 원래 Tuthmosis 2세의 왕비였으나, Tuthmosis

2세가 요절하자 첩 소생 아들인 Tuthmosis 3세를 대신하여 왕위에

즉위하였는 바, Hatshepsut 여왕 때문에 20여년간 억압된 생활을 강

요받은 Tuthmosis 3세는 여왕 사후 왕위에 즉위하자마자 여왕에 대

한 복수로 신전의 많은 부분을 파손

◦ 신전 구조(3층)- 1층 좌측 벽화에는 카르낙(Karnak) 신전의 Obelisk에 사용될 화강암

을 7개월에 걸쳐 운송해 오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고, 우측 벽화에는

여왕이 Amun 신에 제물을 바치는 모습 및 왕들의 조상이 새겨져

있음.- 2층 좌측 벽화에는 여왕이 Punt(아프리카 홍해 연안지역)로 원정대

를 보내 향료 및 몰약을 구입해 오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고, 우측

벽화에는 여왕이 탄생을 신성화하여 자신을 Amun 신의 딸로 묘사한

그림이 남아 있음

․ 2층 좌․우단에는 각각 Hathor신(풍요를 상징하는 암소신) 지성소와

Anubis신(자칼 얼굴을 가진 저승의 신) 지성소가 있음.- 3층에는 여러 개의 기둥이 있는 큰 홀과 홀 안쪽의 Amun 신 지성

소, 홀 좌측의 작은 방들, 홀 우측의 Re-Harakhty신(지평선의

Horus) 지성소 등이 있음.․ 신전 3층에는 과거 콥틱교 수도원 건물이 건축되어 있었다고 하나, 현재 모두 철거되었음.

Page 194: 2013.2 이집트 개황

189

아스완

(1) 아부심벨(Abu Simbel)

◦ 개 요

- 람세스 2세 시절 거대한 바위산을 직접 파서 만든 거대한 신전

- 아스완 하이댐의 건설로 수장될 위기에 있었으나 유네스코 및 세계

각국의 노력으로 원형 그대로 이전되어, 인류가 구한 문화유산이라

는 별명을 가지고 있음.

(2) 아스완 하이댐(Aswan High Dam)

◦ 개 요

- 아스완 하이댐 건설로 인해 나일 강 하류의 홍수를 막을 수 있게 되

었으나, 델타지역으로 토사를 실어다 주던 물길이 막히면서 인공비료

사용이 증가하고 수량이 줄어들면서 나일강 하류의 염도가 증가함.- 아울러 아스완 하이댐 하류지역에서는 나일강 악어가 멸종됨.

(3) 필레 신전(Philae Temple)

◦ 개 요

- 아스완 남쪽으로 약 7km 정도 떨어진 아질키아 섬에 있는 필레 유

적지는 이시스 여신에게 바친 신전이 있는 곳으로 보트를 타고 섬에

들어가야 볼 수 있음.

시나이 반도

(1) 시나이 산(Mt. Sinai)

◦ 개 요

- 구약 성경의 출애굽기의 배경. 고대 이스라엘 백성이 모세를 따라

가나안의 땅으로 들어가려고 머물렀던 곳으로 모세가 하나님으로부

터 십계명을 받은 곳.

Page 19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90

- 겨울에는 눈이 쌓이기 때문에 매우 춥고, 여름에도 해발 고도가 높

아 일출을 보기 위해 등산하는 경우 두터운 외투 필요

(2) 성 카타리나 수도원(Saint Catherine's Monastery)

◦ 개 요

- 527년에 비잔틴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에 의해서 건립. 수도원의

명칭은 4세기 초 알렉산드리아에서 순교했다는 성녀 ‘카타리나’에 유

래함. - 수도원에는 다수의 고사본, 전례 예술작품이 있으며, 시나이사본이

발견된 곳이기도 함..

(3) 수에즈운하(Suez Canal)

◦ 개 요

- 이집트 시나이반도 서쪽에 건설된 세계 최대의 운하로 지중해의 포

트사이드(Port Said) 항구와 홍해의 수에즈(Suez) 항구를 연결하고

있음. 수에즈운하는 무엇보다도 아프리카 대륙을 우회하지 않고 곧

바로 아시아와 유럽이 연결되는 통로라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

고 있음.- 수에즈 지협에 운하를 파서 항행할 수 있게 되면 지중해와 홍해의

교통 발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착상은 고대부터 시작됨. 운하

를 건설하려는 최초의 시도는 이집트 파라오 왕조 제12왕조의 세누

스레트 3세(BC1878~BC1839)가 홍해 연안의 투 라트 계곡(Wadi Tumilat)을 통해 나일강과 홍해를 연결하고자 착공했던 공사로 추정

됨. 그러나 공사 결과 내륙의 푼트(Punt) 지방 까지만 나일강이 연

결되었을 뿐 홍해와는 연결되지 못함.․ 파라오 제18왕조의 핫셉수트 여왕(BC1479~BC1458)이 푼트 지방

에서부터 홍해로 이어지는 운하 공사를 시도했다는 흔적도 남아있

으나 성공하지 못했던 것으로 추정됨. 그 후에도 BC 1380년경에

나일강과 홍해를 잇는 운하가 개착(開鑿)되었음. 이 후 동 운하는

천재(天災)와 전재(戰災)로 메워졌으나 여러 차례에 걸친 개수(改修)로 로마 시대와 아랍 지배하에서 중요한 수로로 존속됨.

Page 196: 2013.2 이집트 개황

191

․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의 기록에 따르면, BC 600년 경 제26왕조의 파라오 네카우 2세(BC610~BC595)에 의해 운하가 다시 개

착되었으며, 그 후 이집트를 정복한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1세(BC522~BC486)에 의해 완성되었다고도 함. 계속해서 헤로도토스

는 이집트의 프톨레미 2세(Ptolemy II)가 BC 250년경 운하를 정

비했다고 기록되고 있음. 이후 아바스조 칼리프 알 만수르

(al-Mansur)가 AD 767년 델타 지역으로 침입하는 반란군을 막기

위해 운하를 폐쇄할 때까지 약 1000년간 파괴와 보수가 반복되었

다고 전해지고 있음.- 16세기에는 베네치아의 상인이 수에즈 지협에 해양 운하를 개착하여

포르투갈·에스파냐의 해운 무역에 대항하려고 했고, 17∼18세기에는

프랑스의 루이 14세와 독일의 라이프니츠가 수에즈 운하를 건설하여

영국·네덜란드의 아시아 무역에 대항하려고 했으나 모두 토목기술이

발달하지 않아서 실현하지 못함.- 18세기 말에 이르러 나폴레옹이 이집트를 정복한 뒤 지중해와 홍해

를 연결하는 운하를 완공하고자 시도함. 나폴레옹은 1799년에 찰스

르 페레(Charles Le Pere)에게 운하 프로젝트를 위임함. 그러나 나

폴레옹은 홍해와 지중해의 수위 차가 10미터에 달하며, 운하 중간에

거대한 바위들이 많다는 사전 조사 결과를 보고 계획을 포기하였으

나 이 보고서는 당시의 전쟁 상황으로 미루어 볼 때 정확하지 못했

던 것으로 추정됨.- 이후 1833년, 생-시몽주의자(공상적 사회주의자)로 알려진 프랑스

지식인 그룹이 카이로에 도착하여 운하 착공에 관심을 보였으나, 당시 이집트 총독 무하마드 알리(Muhammad Ali)는 이에 관심을 보이

지 않았음. 오히려 그는 운하를 개착하면 이집트의 독립유지가 불가

능해진다는 이유로 프랑스인 푸르네의 신청(1834)과 오스트리아 메

테르니히의 출원(1838, 1841)을 각하함. 이후에도 생-시몽주의자들

은 1846년에 프랑스·영국·오스트리아 등의 지식인의 협력을 얻어 수

에즈 운하 연구협회를 설립하고, 국제 기업에 의한 운하 개착을 구

체적으로 계획하였으나 영국의 자본가와 정계는 자기들의 이익을 지

키기 위해 강경히 반대함.- 1854년 이집트의 총독이 된 무함마드 사이드 파샤(Muhammad Said

Pasha)는 무함마드 알리와 달리 유럽에 개방적이었음. 그는 프랑스

Page 197: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92

인 페르디낭 드 레셉스(Ferdinand de Lesseps)에게 운하 개착 특허

권과 수에즈 지협 조차권을 주었고, 1856년에는 이집트의 종주국이

던 오스만 투르크제국도 이를 승인함. 레셉스는 1858년 ‘만국 수에

즈 해양운하회사(Universal Company of the Maritime Suez Canal)’를 이집트 법인으로서 설립하였으며, 2억 프랑(800만 파운드)의 자

본금에 주식을 국제적으로 공개함. 주식은 1주 500프랑이었으며, 프랑스인이 20만 7000주를 소화하고, 이집트 총독이 17만 7000주를

인수하였으며, 운하 개통 후 99년간 소유권을 법인이 보유했다가 그

후 이집트 정부에 소유권을 이양하는 데에 합의함. ․ 이리하여 레셉스는 1859.4.25 지중해안의 포트사이드에서 기공식

을 거행하고 공사를 시작하였으나 고대의 운하를 개수(改修)하여

음료수의 공급과 수송로가 확보된 단계에서 영국이 수만 명의 이

집트인을 강제노동에 동원했다는 점과 6만 ha에 이르는 농경지 조

차를 이유로 들어 이집트 정부에 항의했기 때문에 운하의 개착 공

사가 일시적으로 중지되었음. 영국의 계속되는 방해로 공사가 늦어

지고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불어나자 ‘만국 수에즈 해양운하회

사’는 영국 및 오스만 투르크제국과 대립함.․ 이러한 사태는 1864년 나폴레옹 3세의 중재로 해결되었으며, 1866년 ‘만국 수에즈 해양운하회사는 이집트의 회사이며, 이집트의 법과

관습에 따른다’라는 내용이 포함된 새로운 협정이 조인되었고, 같은

해에 오스만 투르크제국 황제의 최종 공사허가서가 나왔다. 이리하

여 운하는 개통되었고, 1869.11.17 세계 각국의 국가원수·귀빈·명사가 초대된 성대한 개통식을 가짐.

Page 198: 2013.2 이집트 개황

193

2. 이집트 약사

* Sources : 이집트관광청, Egypt State Information Service

가. 고대 이집트(파라오 왕조)

(1) 개 요

◦ BC 8000년부터 나일강 유역에 농경생활을 시작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

과 더불어 최초의 고대 문명을 탄생시켰으며 BC 3100년(Menes 왕이

최초로 남‧북 이집트 통합, Memphis에 도읍)부터 BC 332년(Alexander 대왕의 이집트 정복)까지 약 2800년간 지속

◦ 고대 파라오 왕조는 30개 왕조가 흥망을 거듭하였으며 통상 고왕조시

기, 중왕조 시기 및 신왕조 시기의 3기로 시대 구분

- 고왕조 시기(BC 3,100~2040 약 1000년간) : 10개의 왕조(1~10 왕조)가 변천하는 기간 약 40명의 왕이 통치

- 중왕조 시기(BC 2040~1567 약 500년간) : 7개의 왕조(11~17 왕

조)가 변천하는 기간 약 30명의 왕이 통치

- 신왕조 및 후기왕조(BC 1567~332 약 1200년간) 시기 : 13개의 왕

조(18~30 왕조)가 변천하는 기간 약 80명의 왕이 통치

(2) 고왕조 시기(BC 3100-2040)

◦ 1왕조의 Menes 왕은 최초의 파라오로서 남‧북 이집트 통합후, Memphis에 도읍(BC 3100경)

◦ 3왕조 Zozer 왕은 공사장 Imhotep의 도움으로 Saqqarah 지역에 최초의

피라미드(계단식)를 건축하고, 시나이 반도 정벌

◦ 4왕조 Khufu왕, Khafre 왕, Menkaure 왕은 Giza 피라미드 건축

◦ 5왕조 Unas 왕부터 피라미드에 문자기록(Pyramid Text)를 남기기 시작

- 5왕조 기간중 리비아, 누비아, 시나이 등을 정벌한 기록

- 태양신 Ra를 숭배한 기록 등

Page 19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94

◦ 6왕조부터 왕권이 쇠퇴하여, 7~10왕조 기간중에는 지방 세력들이 활거

(3) 중왕조 시기(BC 2040-1567)

◦ 11왕조 Menthuhotep 2세는 남‧북 이집트를 재 통합

◦ 12왕조는 국가 체제를 정비하고, 국력을 신장

- Senusert 3세는 지방 족벌들을 평정하고 강력한 중앙집권 확립

- 12왕조 기간중 리비아, 누비아, 시나이, 시리아, 푼트 지역을 정벌

- 12왕조 시대부터 왕과 왕위 계승자간 공동 통치(Co-Regency) 관행

발생

◦ 13-17왕조는 힉소스 등 외적의 침입으로 쇠퇴기

(4) 신왕조 및 후기왕조 시기(BC 1567-332)

◦ 18왕조부터 국력이 다시 번성하여 동쪽으로 유프라테스강, 남쪽 으로

수단 지역까지 지배

- Hatshepsut 여왕은 Thebes(Luxor) 지역에 최초의 신전 건축

- Tuthmosis 3세(Hatshepsut 여왕의 조카) 통치기간 중 최대 영토 확장

- Amenhotep 3세는 Luxor 신전, Memnon 거상 등 건축

- Amenhotep 4세는 Akhetaten (Amarnah) 지역으로 일시 천도하고, 전통적 Amun 신 숭배에서 벗어나 Aten 신을 숭배(기존의 제사장

그룹과 갈등을 피하고 정치에도 무관심)- Amenhotep 4세와 왕비 Nefertiti 사이에서 태어난 Tutankhamun 왕

이 요절하고, 그 뒤를 이은 Ay왕도 단명함에 따라 Horemheb, Ramses 1세 등 장군 출신들이 왕위를 승계(18 왕조 멸망)

◦ 19왕조는 국력을 정비하고, 신전 건축 등을 통해 고도의 문화 창달

- 19왕조 Seti 1세는 아시아 지역을 정벌하고, Abydos 신전 등을 건축

- Ramses 2세(Seti 1세의 아들)는 Hittites의 침입을 격퇴(Kadesh 전투)하고, Abu Simbel 신전 등을 건축

◦ 20왕조는 아시아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함에 따라 왕권이 약해진

반면 제사장의 권한이 강화됨.

Page 200: 2013.2 이집트 개황

195

◦ 22왕조에 이르러 왕권은 Delta(나일강 하류) 지역에만 미치고, Upper Egypt(나일강 상류)는 제사장들이 관할

◦ 25왕조 시기에 Assyria의 침입을 받은 후 국력이 급격히 쇠퇴

◦ 27~30왕조 기간은 Persia의 속국으로 전락

- Persia 출신 파라오가 지배

나. 그리스, 로마 시대

(1) Ptolemies 왕조(BC 332-30)

◦ Alexander 대왕은 이집트 정복 후 Ptolemy 장군을 이집트 총독으로 임

명하고, Alexandria에 새로운 수도 건설

- Alexandria는 Hellenism 문명의 중심지로 발전

- Fayyum을 농업 중심지로 개발

- Ptolemies 왕조의 해군은 지중해 및 홍해의 해상활동 지배

◦ Ptolemies 왕조는 국가통합 차원에서 파라오왕조 시대의 건축 양식을

답습한 신전을 건축하고(Dendarah, Philae, Edfu 지역), 파라오 왕조시

대의 이집트 신들을 모방한 그리스신화 도입

(2) 로마 제국시대(BC 30 - AD 638)

◦ 로마 황제 Octavian이 로마 장군 Antony와 이집트 여왕 Cleopatra의 연

합군을 Actium 해전에서 물리치고, 이집트를 정복하여 로마의 속국으로

합병(BC30)- 이집트는 로마의 식량 공급기지 및 로마와 인도간의 중계 무역장소

역할 수행

- Philae, Dendarah, Esna 지역에 신전 건축

◦ 기독교의 유입으로 콥틱어 사용이 유행하고, 수도원이 창설됨(전통 종

교 몰락)- Constantine 황제, 기독교 포교를 승인(312)

Page 20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96

- 성 ⌜마가」의 이집트 포교(AD 50년 경)◦ 이집트에 대한 지배권이 동로마제국(Constantinople)으로 넘어간 후 리

비아, 누비아, 페르시아 등의 침입이 5~6세기까지 지속

다. 이슬람시대

(1) 이슬람군의 이집트 정복(AD640-969)

◦ Khalif(이슬람 수장) Umar의 명령에 따라 Amr Ibn Alas가 지휘하는

이슬람군이 동로마제국의 지배하에 있던 이집트를 정복(AC 640)◦ 이후 Ummayya(다마스커스) 왕조 및 Abbasid(바그다드) 왕조 등으로

부터 파견된 이슬람 총독이 이집트를 지배

- 이 기간중 많은 콥틱 교도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하고 아랍어가 콥틱

어를 대체

- Tulun 총독 시기에는 바그다드의 지배로부터 벗어나 반독립적 세력

형성(Tulun 왕조)

(2) Fatimah 왕조의 이집트 지배(969-1171)

◦ Fatimah 왕조는 예언자 Muhammad의 사위인 Ali(예언자의 딸 Fatimah와 결혼)를 정통 Khalif로 인정하는 시아파 이슬람 왕조로서 순니파

Ummayya 및 Abbasid 왕조의 Khalif 승계에 도전하였으며, 969년 이집

트를 정복

- 초기에는 Fatimah 왕조의 Khalif들이 직접 이집트를 통치하였으나, 후기에는 군출신 총독을 파견

- 알렉산드리아에서 카이로로 천도

(3) Ayyub 왕조(1171-1250)

◦ 이집트를 침입한 십자군에 대항하기 위해 Saljuk Turkey의 Sultan이 파견

한 Salah Al Din이 십자군을 물리친 후 이집트 지역을 실질적으로 지배

- Fatimah 왕조를 폐지하고 Abbas 왕조를 전통 Khalif 승계자로 인정

Page 202: 2013.2 이집트 개황

197

(시아파 척결)- 십자군의 공격에 대해 카이로 주변에 Citadel 축조(십자군은

Damietta, Mansurah 지역 점령)

(4) Mamluk 왕조(1250-1517)

◦ Ayyub 왕조는 십자군에 대항하기 위해 터키계 노예 출신인 Mamluk족을 수비대로 활용하였으나, Mamluk족의 반란으로 몰락(1250)

◦ Mamluk 장군 Baybar(후에 Sultan직 승계)는 몽고군의 침입을 격퇴하

고, 십자군 세력, Ayyub 왕조 잔당, 아르메니아, 누비아 등을 정벌한 후

순니 이슬람의 보호자 역할 수행

◦ Mamluk 왕조 시대에는 터어키어가 널리 사용되었으며, 내정은 불안하

였으나 대외적인 관계는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대체로 안정 유지

(5) Ottoman Turkey의 지배(1517-1882)

◦ Ottman 왕조의 Salim 1세가 Mamluk 왕조를 멸하고, 이집트를 정복

(1517)- Ottoman 왕조에서 파견한 총독 Pasha가 이집트 지배(후기에는 군출

신 귀족 Bay들이 사병의 힘을 토대로 Pasha의 권위에 도전)- 이집트는 문화 중심지로서의 역할이 쇠퇴하였으나, 이슬람 종교 중

심지로서의 중요성 확보

라. 근대 이후

(1) 19세기의 변천

◦ 프랑스의 이집트 지배(1798-1801)- 나폴레옹의 이집트 정복(1798)- 프랑스 학자들에 의한 ‘Rosetta Stone’ 발견(1799) 등 많은 고고학

적 유물 및 유적 발굴

Page 203: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198

◦ 이집트 근대 왕조 성립

- 무하마드 알리(Muhammad Ali 1769-1849)는 원래 프랑스의 이집

트 침입에 대항하기 위해 터어키 왕조에서 파견한 장군이었으나 이

집트 정착 후 정치, 군사, 경제개혁 단행 등 근대 이집트 건설의 기

초를 닦고, 수단 정벌(1820), 팔레스타인 지역 및 아라비아 반도 파

병 등 세력 확장

- Ali의 장손 이스마일(Ismail the Magnificent, 1863-79)은 대규모

국토 개발계획(수에즈 운하 건설, 철도, 통신, 공장, 관개수로 등)을

추진함으로써 외채가 누적(1875 영국 정부의 수에즈운하 주식 43% 매입)

- 1876년 외채 상환이 정지됨에 따라 공채정리위원회(영, 불, 독, 이, 오)에 의한 국가재정 관리 실시(식민지화의 길)

◦ 영국의 군사점령과 통치(1882-1952)- 1882 영국군의 알렉산드리아 상륙(Arabi 등 민족주의 그룹이 주도

한 알렉산드리아 반영 폭동 진압) 및 카이로 점령 이후 사실상 영국

총영사에 의한 국정 수행

- 1914 영국 보호령 선포(1차 대전중)- Wafd당(Saad Azgloul 등이 주도)의 범이슬람주의, 입헌제 운동

(1919 혁명)- 1922년 영국으로부터 독립 쟁취, 국제연맹 가입(1936까지 영국의

실질적 지배 지속)

(2) 독립 이후

◦ 2차 대전 당시 영국을 도와 연합군에 참전

- 1942년 Al Alamayn 전투에서 독일군 침공 저지

◦ 1948년, 제1차 중동전쟁 참전

- 이스라엘 독립국가 건설(1947 UN의 팔레스타인 분할 결의안)에 반

대한 아랍국가들이 이-팔간 내전에 개입, 이스라엘을 공격하였으나

결과적으로 패배

◦ 1952년 Nasser 중령 휘하의 자유장교단 혁명

Page 204: 2013.2 이집트 개황

199

- 왕정 폐지, 이집트아랍공화국 건립

- BC 341년이래 약 2300년간에 걸친 이민족 지배 종지부

◦ 1956년 Nasser 대통령, 수에즈운하 국유화

- 영‧불 및 이스라엘의 이집트 공격으로 제2차 중동전쟁 발발, 유엔(미‧소)의 중재로 휴전(아랍의 자존심 회복, Nasser 대통령은 아랍 민족

주의의 영웅으로 부상)◦ 1958년 이집트-시리아 아랍연방공화국 결성(1961 시리아 탈퇴)◦ 1967년 6일 전쟁(제3차 중동전쟁)

- 소련의 지원을 받은 시리아, 이집트, 요르단 등이 군사동맹을 체결하

고 팔레스타인 지원, 이스라엘의 Tiran항 봉쇄 조치 등을 취하자, 미‧영의 지원을 받은 이스라엘이 이집트 등을 기습 공격

- 이스라엘은 시나이반도, 가자지구, 요르단 서안 및 골란고원 점령

◦ 1970년 Sadat 대통령 취임(Nasser 대통령 지병으로 사망)- 친서방 온건 노선 추구

◦ 1973년 10월 전쟁(제4차 중동전쟁)- 시나이 반도 등 회복을 위해 이집트를 비롯한 아랍 연합군이 이스라

엘을 공격하였으나 실패(이집트측은 승전 주장)- 이집트‧이스라엘 평화협상의 계기 마련(아랍에 대한 서구 및 이스라

엘의 인식 전환)◦ 이집트‧이스라엘 관계 정상화

- 1978년 캠프 데이비드 협정 체결(미국 중재)- 1979년 이집트‧이스라엘 평화협정 체결

- 1982년 시나이 반도에서 이스라엘군 철수 완료

◦ 1981.10월 Mubarak 대통령 취임(Sadat 대통령 피살)- Nasser의 아랍 민족주의와 Sadat의 친서구주의의 장점을 모두 활용

할 수 있는 중도주의를 지향

◦ 1991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에 대항, 걸프전 참전

- 이집트‧이스라엘 평화협정 체결이래 이집트는 아랍권으로부터 소외당

Page 205: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200

했으나, 걸프전 참전 계기 아랍의 중심국으로 재 부상(1979년 평화

협정체결 당시 아랍연맹본부를 이집트에서 튀니지로 옮겼으나, 1989년 아랍연맹 본부를 카이로로 다시 이전)

◦ 1997년 Luxor 테러사건 발생(외국인 58명 희생)◦ 1999년 이집트 최대 이슬람 과격단체인 ‘Gamma Islamiya’, 대정부 투

쟁 종식 선언

◦ 1999.10월 Mubarak 대통령 4선 당선(6년 임기)◦ 2005.9월 Mubarak 대통령 5선 당선

◦ 2011.1.25 이집트 시민혁명

◦ 2011. 2.11 Mubarak 대통령 하야

◦ 2012.6.30 Mohamed Morsy 대통령 취임

◦ 2012.12.25 신헌법 제정 공포

Page 206: 2013.2 이집트 개황

201

3. 이집트의 종교

가. 고대 이집트 종교

(1) 고대 이집트 종교에 관한 기록

◦ 고왕조 시대 : 5-6왕조 시대의 Pyramid Text에 기록

◦ 중왕조 시대 : 목관, 석관 등에 기록

◦ 신왕조 시대 : 파피루스에 '사자의 서'를 기록하여 시신과 함께 부장

(2) 고대 이집트 신화

◦ 창조신화(Heliopolis 지역에서 숭배되는 9신)- 최초의 혼돈상태(Nun)에서 땅이 생긴 뒤 태양신 Atum (Amun-Ra)

이 나타남.- 태양신으로부터 공기신(Shu)과 습기신(Tefunt)이 태어났으며, 다시

이 두 신으로부터 토지신(Geb)과 하늘여신(Nut)이 탄생함.- 토지신과 하늘여신 사이에서 Osiris, Seth, Isis, Nephthys 등 4형제

신이 탄생함.◦ 투쟁 신화

- Osiris는 이집트에 최초로 문명을 도입한 신이었으나, 동생 Seth에

의해 살해됨. - Osiris의 여동생이자 아내인 Isis가 Seth의 방해에도 불구, 오랜 세월

끝에 Osiris의 시신을 찾아 저승의 신으로 부활시키고, Osiris와 Isis 사이에서 태어난 Horus는 Seth와의 왕권 쟁탈전에서 결국 승리함.

(3) 종교 의식

◦ 왕(Paraoh) 또는 제사장 주재로 매일 신전에서 신에게 제물을 바치고

제사 거행

- 성직자는 제사 의식을 통해 악으로부터 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

- 제사의식을 통해 세상이 혼돈에 빠지지 않도록 하고, 질서를 유지하

Page 207: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202

도록 한다고 믿음.◦ 일반 대중들은 일상적인 제사의식에는 참여할 수 없었으나, 질병치료

등을 위해 신전 출입은 허용됨.◦ 각 신전들은 1년에 몇 차례씩 고유의 축제 행사를 개최(나일강 범람 계

기 등 농경생활과 관련)- Thebes(Luxor)에서 거행된 Opet 축제는 나일강 범람 익월에

Karnak 신전에서 Luxor 신전까지 Amun신이 Mut와 Khonsu신(Thebes의 수호신들)을 대동하고 행진하는 축제행사임.

(4) 사후 세계

◦ Osiris 부활 신화 등의 영향으로 시신을 보존하기 위한 미이라 수술이

왕족 및 귀족층을 중심으로 유행

◦ 인간에게는 생명이 끊어져도 파괴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사후세계에 대비 무덤속에 노예의 모형, 배, 식량, 집모형 등을 함께 부장

(5) 고대 이집트 주요신

◦ Amun(Ra) : 태양신, 두 개의 깃털 달린 모자 착용

◦ Anubis : 사자의 신, 자칼 머리를 가진 신

◦ Aten : 태양 원반신, 손 모양의 햇살을 비춤

◦ Hathor : 암소신

◦ Horus : 이승의 신, 매의 머리를 가진 신, Osiris와 Isis의 아들

◦ Isis : 사자를 보호하는 신, 왕조 모양의 모자 착용, Osiris의 아내

◦ Osiris : 저승의 신, 원추형 왕관 착용, Isis의 남편

◦ Montu : Thebes의 전쟁신

◦ Khonsu : Thebes의 월신

◦ Mut : Thebes의 수호신, Amun의 아내

◦ Ptah : Memphis의 창조신

Page 208: 2013.2 이집트 개황

203

나. 콥틱교

(1) 기독교 포교

◦ ⌜마가」가 AD 50년경 Alexandria 근교 Baucalis에서 기독교 공동체

창설, 포교활동 시작

- AD 68년경부터 부활절 기념행사 거행

◦ 3세기 후반까지 Alexandria를 중심으로 기독교 교세 확장

- Gnosticism(신비적 직관주의), Mani교 등 이단적인 종교에 대항하

기 위해 Alexandria에 교리문답 대학이 설립됨(Pantaenus, Heraclas 등 기독교 이론가 배출)

- 로마에서는 기독교 박해가 심하였으나, Alexandria에서는 상대적으로

평온 유지

◦ 284년(콥틱 순교 원년) Diocletial이 로마 황제 즉위 후, 이집트 지역을

점령하고 기독교를 체계적으로 박해하기 시작하였으나, Constantine 황제는 312년 라노 칙령을 발표, 종교의 자유 허용

- Athansius파(3위일체설 주장)와 Arius파(예수의 신격 부인)간의 종

교 재판에서 Athanasius파가 정통으로 인정됨에 따라 Athanasius파가 Alexandria 교구 관할

(2) 수도원 문화 발생

◦ 서기 270년경 성 Anthony가 최초로 홍해 연안에서 은둔생활을 하면서

수도원 창시

- 성 Makarius, 성 Palemon 등은 Nile Valley쪽에 수도원 설립

◦ 성 Pachomius 이래 수도원 조직에 군대식 규율이 도입되고, 노동교육, 신에 대한 헌신 등을 사명으로 하는 수도원 생활 확립

- 이집트에서 발생한 수도원 문화는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에티오피

아)등지로 파급

◦ 성 Shenute, Theophilus 등은 이교도를 배척하고, 기독교를 수호하기

위해 폭력행사 및 파괴활동도 불사

Page 209: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204

(3) Alexandria와 Constantinople간의 종교 분쟁

◦ Alexandria(예수의 인성보다 신성 강조)와 Constantinople(예수의 인성

과 신성 양면성 인정) 간에 예수의 신성 문제를 둘러싼 종교분쟁 발생

- Alexandria의 Cyril과 Constantinople의 Nestorius간의 종교 재판

(431년)은 Cyril이 승리(예수와 성모의 신성 강조)- 로마의 Marcian 황제가 451년 종교재판에서 Constantinople의 종교

적 우위를 인정하고 Alexandria의 Dioscorus 대주교를 추방한 이래

Alexandria의 일체주의(Monophytism)가 쇠퇴

- Justinian 황제는 Christianity를 유일한 종교로 인정하고 이교도 및

Monophytism 박해

(4) 콥틱 교회 조직

◦ 수장 : Alexandria 교황(Pope)- 수도원 협의체에서 선출

- Alexandria 및 Cairo 교구장 겸임

- 원래 교구 본부는 Alexandria였으나 11세기에 Cairo로 이전

◦ 교황을 정점으로 대주교(Archbishop, 해외 교구 관할), 주교(Bishop 국내 교구 및 수도원 관할), 사제(Priest), 집사(Deacon) 신도(Reader) 등의 계층조직으로 구성

다. 이슬람교

(1) 예언자 Muhammad의 일생

◦ AD 570 Mecca에서 탄생, 삼촌 Abu Talib 밑에서 성장한 후 과부

Khadijah와 결혼하여 2남 4녀를 둠.◦ 40세 되던 해의 Ramadan월(이슬람역 9월)에 Hira산에서 기도중 천사

Gabriel로부터 최초의 계시를 받고, 그후 사람들에게 Allah(신)의 메시

지를 전달

- Allah의 계시를 받은지 12년째 되던 해에 예루살렘에서 승천 체험

Page 210: 2013.2 이집트 개황

205

◦ 포교 13년째 Mecca 지도층의 암살기도를 피하여 Medina로 도피

(Hijrah)하였으나, 그 뒤 Mecca로 다시 돌아와 Kabah(Ibrahim이 Allah에게 처음으로 제물을 바친 곳)의 우상들을 파괴하고 Mecca 및 Arabia 반도 사람들을 Muslim으로 개종시킴.

◦ Hijrah 이후 9년째 되던 해에 약 12만명의 Muslim 신도를 이끌고 성지

Mecca를 순례하였으며(Hajj), 그 이듬해 사망함.◦ Muhammad 사후 Abu Bakr, Umar, Uthman, Ali 등 제자들이 Khalif직

을 승계하면서 이슬람을 전파(북아프리카, 아시아지역 등)- 상기 4인을 이슬람 초기의 지도자를 의미하는 4대 칼리프라고함.

(2) 코란(Quran)의 주요 내용

◦ 예언자 Muhammad가 천사 Gabriel을 통해 계시받은 Allah의 메시지를

그대로 기록

- 신앙편, 봉사편, 거래편, 도덕편, 처벌편 등 5개장으로 구성

◦ 알라는 유일한 신이라는 점, 알라와 인간을 매개시켜주는 천사는 알라의

충실한 종이라는 점, 코란은 알라의 계시를 가장 진실하게 수록하였다는

점(기독교의 성경도 알라의 메시지를 담고 있으나, 코란과 불일치하는

부분은 인간에 의해 잘못된 내용이 수록되었기 때문임), 인간은 사후세

계에서 다시 부활하여 영생한다는 점, 모든 것은 신의 뜻에 따라 예정

조화된다는 점 등 6가지에 대한 신앙이 필수적이라고 강조(신앙편)◦ 이슬람 신자(Muslim)는 ① 알라가 유일신이고 Muhammad는 알라의

메신저 임을 증언하고(신앙의 고백), ② 하루에 5번 기도하며(예배), ③

수입의 일부를 가난한 자를 돕는데 쓰고(의무 희사), ④ Ramadan월에 금

식하고, ⑤ Mecca로 성지 순례하는 5대 의무를 수행하여야 함(봉사편).◦ 결혼, 상속, 상거래에 관한 코란의 규범을 기술(거래편)◦ 이슬람 신자로서 가져야 할 마음가짐과 정서적인 측면을 기술(도덕편)◦ 인명 및 재산에 피해를 주거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행위 등에 대해서

Page 211: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

206

는 엄격한 처벌 강조(처벌편)- 이슬람의 법체계(Sharia)는 최고의 법인 코란, Sunnah(예언자

Muhammad의 언행), Ijma(이슬람 학자들의 견해), Qiyas(유추 해

석) 등으로 구성되며, 동 법규범 순서에 따라 적용됨.

(3) 이슬람 종교 조직

◦ 이슬람에는 성직자 제도가 없으며 모스크(이슬람 사원) 예배는 연장자

인 남자 또는 이슬람 교리에 밝은 남자가 인도

◦ 또한, 이슬람교에서는 은둔주의 또는 수도원 생활 등이 엄격하게 금지

되어 있기 때문에 이슬람 교리에 충실한 사람들이 그룹(Sufi)을 형성하

여 사회현실에 참여하면서 이슬람원리주의에 따라 사회개혁을 추구하려

는 전통이 있음. 끝.

Page 212: 2013.2 이집트 개황

이집트 개황인쇄 ∙ 2013년 2월발행 ∙ 2013년 2월

발행처 ∙ 외교통상부 아프리카중동국 중동1과주이집트아랍공화국대사관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8길 60전화 ∙ (02)2100-7477팩스 ∙ (02)2100-7961

편집 및 인쇄 ∙ 마스타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