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ck here to load reader
View
0
Download
0
Embed Size (px)
보안과제( ), 일반과제(○ )
창조경제 중장기 발전전략 연구
(A Study on Long-term Strategy fo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conomy)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미래창조과학부
2014. 2. 10
- 1 -
제 출 문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귀하
이 보고서를 “2013년 과학기술종합조정지원사업”과제(세부과제 “창조
경제 중장기 발전전략 연구”)의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년 2월 10일
주관연구기관
총 괄 책 임 자
참 여 연 구 원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김정언 연 구 위 원
: 나성현 연 구 위 원
임 준 연 구 위 원
염수현 부연구위원
김용재 부연구위원
이경선 부연구위원
김규남 부연구위원
조유리 부연구위원
최 충 부연구위원
공영일 부연구위원
김민식 부연구위원
이경남 부연구위원
정현준 부연구위원
강유리 전문연구원
진홍윤 연 구 원
허유민 연 구 원
정원준 인턴연구원
이원태 연 구 위 원
김민철 연 구 위 원
박유리 부연구위원
김원중 교수(건국대)
정성영 부장(한국전자통신연구원)
- 3 -
과제고유번호 해당단계 연구기간 2013. 5. 1~2014. 2. 10 단계구분 1/1
연구사업명 중 사 업 명 2013년 과학기술종합조정지원사업
세부사업명 창조경제 중장기 발전전략 연구
연구과제명 대 과 제 명 2013년 과학기술종합조정지원사업
세부과제명 창조경제 중장기 발전전략 연구
연구책임자 김 정 언
해 당 단 계
참 여
연 구 원 수
총:
내부:
외부:
22명
18명
4명
해 당 단 계
연 구 비
정부:
기업:
계:
280,000천원
천원
천원
총연구기간
참 여
연 구 원 수
총:
내부:
외부:
22명
18명
4명
총 연 구 비
정부:
기업:
계:
280,000천원
천원
천원
연구기관명 및
소속부서명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창조경제연구실 참여기업명: 해당사항 없음
국제공동연구 상대국명: 해당사항 없음 상대국 연구기관명: 해당사항 없음
위탁연구 연구기관명: 정보통신정책학회 연구책임자: 김 원 중
보고서 면수: 371
◦우리나라는 산업화, 민주화를 거치면서 빠른 속도로 경제성장을 이루었으나, 양적 성장에 치중한 나머지 삶의 질 등 질적 성장은 미흡
◦최근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잠재성장률 하락, 일자리 부족, 재정적자와 투자의 감소 등을 해결하고, 삶의 질 증진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국가발전전략이 시급
-성장 측면에서는 글로벌 경쟁 심화, 중국의 부상, 성장에 대한 불확실성 등 단기적으로 직면한 문
제들을 극복하고, 요소투입을 통한 성장의 한계 극복, 총요소생산성의 역할 강화, 규제완화와 상생
의 경제 추구 등을 통해 성장잠재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
◦박근혜 정부는 성장과 복지를 위한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를 핵심 국정목표로 설정, 기존의 추격 형 전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발전전략의 필요성을 강조
◦본 연구는 창조경제의 구현을 위한 장기 비전, 중장기 목표, 중점 추진전략 등을 제시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관련 국정과제를 충실히 반영할 수 있는 핵심과제를 발굴, 제시
-R&D, 중소벤처 ․ 창업, 인력양성, 성장동력, 그리고 창조문화 등의 분과를 중심으로 창조경제실현 계획의 5대 분야를 포괄하는 비전 및 전략을 제시
◦우리나라의 성장전략 고찰, 경제 및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구조적 문제점 분석 등을 통해 향후의 발전방향을 도출, 제시
색인어
(각 5개 이상)
한글 창조경제, ICT, 과학기술, 중장기 발전전략, 패러다임 변화
영어 Creative economy, ICT, Science & Technology, mid/long-term development
strategy, paradigm shift
- 5 -
요 약 문
Ⅰ. 제 목
◦ 창조경제 중장기 발전전략 연구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연구의 필요성
◦ 우리나라는 산업화, 민주화를 거치면서 빠른 속도로 경제성장을 이루었으나, 양적 성 장에 치중한 나머지 삶의 질 등 질적 성장은 미흡
-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국민 행복 수준은 여전히 낮은 상황
※ 국민행복지수: 우리나라 국민의 행복지수(Happiness Index)는 10점 만점에 4.2점으
로 OECD 34개 회원국 중 32위로 평균(6.23점)에도 크게 못 미치는 수치(OECD, 2012)
◦ 최근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잠재성장률 하락, 일자리 부족, 재정적자와 투자의 감소 등 을 해결하고, 삶의 질 증진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국가발전전략이 시급
◦ 박근혜 정부는 2013년 6월 ‘창조경제 실현계획’을 확정하고,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해 “창조경제를 통한 국민행복과 희망의 새 시대 실현”을 비전으로 제시
◦ 정부는 성장률 제고와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둔 ‘창조경제’를 새 시대의 국정목표로 제 시하고 ‘창조경제실현계획(2013. 6)’을 발표, 이의 연장선상에서 구체적인 실행 계획과
중장기적 관점의 전략 마련 필요
□ 연구개발의 목적: 창조경제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 추진
◦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서는 경제사회 구조와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새로운 정책수요에 대응할 필요가 있으나, 중장기 발전전략의 부재로 인한 일관성 있는 정책 수립이 미흡
- 창조경제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 지원을 통해 한국경제의 체질 개선과 지속가능한 성
장을 위한 지원이 요구되는 시점임
- 6 -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연구개발의 내용
◦ 본 연구는 창조경제의 구현을 위한 장기 비전, 중장기 목표, 중점 추진전략 등을 제시 - 새로운 변화에 대응한 창조경제 건설을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을 제시하고, 2013년
6월 발표한 ‘창조경제 실현계획’의 연장선상에서 추진해야 할 정책 이슈와 과제를
발굴
- R&D, 중소벤처 ․ 창업, 인력양성, 성장동력, 그리고 창조문화 등의 분과를 중심으로 창조경제 실현계획의 5대 분야를 포괄하는 비전 및 전략을 제시
- 각 부처에서 수립되었거나 수립 중인 창조경제 관련 계획을 분석하여 협업 가능한
과제를 도출
◦ 우리나라의 과거 성장전략을 고찰하고, 최근 진행되고 있는 경제 및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구조적 문제점 분석 등을 통해 향후의 발전방향을 도출, 제시
- 성장 원천, 혁신 전략, 산업구조, 인력양성 등의 측면에서 성장전략의 변화, 구조적
문제점 분석
◦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관련 국정과제를 충실히 반영할 수 있는 핵심과제를 발굴, 제시
-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 세부적으로 R&D, 중소벤처 ․ 창업, 인력양성, 성장동력, 그리고 창조문화의 5개 부문을 구분
- 5개 부문의 환경변화, 현황 및 문제점 분석, 그리고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주요 이슈
와 정책과제를 발굴
※ 창조경제 관련 국정과제: 중소기업 성장 희망사다리 구축, IT ․ SW 융합을 통한 주력 산업 구조 고도화, 과학기술을 통한 창조경제 기반 조성, 농림축산업의 미래성장산
업화, 서비스산업 전략적 육성기반 구축, 청년취업 ․ 창업 활성화 및 해외진출 지원, 정보통신 최강국 건설 등
□ 창조경제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 추진체계
◦ KISDI 창조경제연구실 총괄하에 5대분과(R&D, 창업/중소벤처, 인력양성, 성장동력, 창 조문화)를 전문가 중심으로 구성, 정책방향과 추진과제 도출을 위한 역량 결집
- 7 -
- 총괄에서는 경제 및 산업 패러다임, 국내 경제 현황과 구조적 문제점, 중장기 전망,
국제경쟁력 비교 분석 등을 수행하고, 중장기 발전전략의 비전 및 목표를 제시, 각
분과별 작업 내용 조율, 의견수렴 협의체 운영
◦ KISDI, 정부기관, 학계, 산업계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5대분과에 참여, 분과별 현황 및 이슈 분석, 기본방향과 주요 추진과제를 도출, 제시
- 국가 R&D혁신기반 구축, 창업 생태계 조성과 중소벤처 경쟁력 강화, 인적자원 양성
과 활용체계 구축, 미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전략 및 추진과제 도출, 창조문화 조
성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