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물리학과 첨단기술 June 2008 45 불확도의 경쟁, 2011년 질량신정의는 가능한가? 이성준·최인묵 저자약력 이성준 박사는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박사(응집물리)로서 표준과학연구원 진 공기술센터 박사후 연수를 거쳐 현재 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관심 연구분야는 나노질량 및 질량신정의이다. ([email protected]) 최인묵 박사는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 박사(기계제어)로 현재 표준과학연 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영국 NPL 방문연구원을 역임하였고 관 심분야는 압력/중력 표준, CNT센서이다. ([email protected]) 모든 물체는 고유한 질량을 가지고 있어, 질량 측정표준 분야는 그 어떤 측정분야보다도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 . 현재 질량값은 국제도량형국(BIPM)3중 금고에 보관 된 국제킬로그램원기(이하 국제원기라 함)의 질량값을 기준으 로 상대적으로 측정되고 있다. 국제도량형국의 원기둥 형태의 국제원기들은 PtIr(90:10%)의 합금으로 존슨&매티사에서 단 결정 주형(Ingot)에서 가공하는 과정을 거쳐 특별 주문 제작되 고 있다. 역사적으로 굳이 단결정의 PtIr 합금으로 정한 것은 단단하고, 가공이 쉬우며 , 화학적 안정성이 좋고, 밀도가 매우 커서 부피가 작게 제작이 가능하고, 고가의 귀금속이라는 특 징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 또한, 원기의 형태는 작은 표면적을 가지면서도 운반 등을 용이하기 위해 구형이 아닌 원기둥 모 양을 채택하였다. 질량(kg), 길이(m), 시간(s), 온도(K), 전류(A), 물질량(mol), 광도(cd) 등의 7SI 기본단위 중 현재 질량만이 양자역학적 측정방법을 통하지 않고 가공물체(국제원기)를 두고 정의하고 있어 보관이나 관리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 이 때문에, 각 국 가표준기관 (NMI, National Metrology Institute)에서는 1~2 개 정도의 원기밖에 없어 자체 검증이 불가능하고 , 질량표준 을 국제도량형국의 국제킬로그램원기와의 비교를 통해서만 값 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제한된 질량표준 소급성의 문제를 가지 고 있다. 간혹 원기가 화재 등으로 손상되는 경우도 있어 왔 . 이를테면, 질량신정의를 공론화하면서 드는 예는 만일 유 성이 BIPM을 덮쳐 원기들을 소실한다면 어떻게 질량을 정의 할 것인가?”하고 반문한다. 실제로 어떤 국가는 원기를 잃어 버리는 사건도 있었다고 한다 . 무엇보다 측정표준입장에서 심 각한 문제는 공기 중에서 꾸준히 일어나는 표면 흡탈착에 의 해 국제원기자체의 질량값이 변할 수 있어, 절대적인 측정값 을 얻을 수 없는 가능성이다. 국제도량형국에서는 원기교정 시 세척 직후의 국제킬로그램 원기의 질량값을 사용한다. 제로 1889년 이후 최초의 원기들이 만들어져 국제도량형총회 (CIPM)에서 인준된 이후로 19461989년 각국의 질량원기 들을 모두 모아서 비교측정 결과, 114년간 국제킬로그램원기 를 기준으로 약 100 μg 정도의 원기들 간 유동 값을 얻어 이 가정을 뒷받침하고 있다. 질량신정의 측정표준분야에서 이렇게 질량단위만 뒤늦게 정의문제에 봉착하게 된 것은, 몇 가지 요인으로 요약할 수 있겠다. 희소 성으로 인해 원기가 매우 중요한 물체이고 원재료가 고가라 는 이유로 통제가 엄격히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제조된 이 후 국제킬로그램원기를 담고 있는 금고는 국제비교를 위해 단 세 번만 공개적으로 열었다고 한다 . 이러한 환경에서 그 동안 원기 혹은 같은 물질을 대상으로 직접적으로 실험한 사 례는 거의 없었다 . 따라서 관련연구자들의 접근성이 매우 제 한적이어서 시간이 흐른 뒤에야 이러한 문제를 발견하였고 , 그 사이 질량원기에 관한 연구가 없는데 그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고 하겠다 . 21세기의 측정표준 및 물리학에서 큰 화두로 서 질량단위 신정의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 표준분야 의 최고 의결기관인 국제도량형총회(CIPM)2011년까지 2×10 -8 kg의 불확도(측정량 ()값을 합리적으로 추정한 값들 의 분산특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http://mu.kriss.re.kr )를 가지는 새로운 질량단위 정의방법을 고안하는 질량표준 에 대한 연구를 정진하도록 의결한 바 있다. 이를 두고 질량 신정의 혹은 질량재정의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 현재 활발하게 진행 중인 질량단위 신정의 관련 연구로는 와트저울(Watt balance, 미국, 영국, 스위스, 프랑스, 국제도 량형국), 아보가드로 계획(International Avogadro Project,

불확도의 경쟁, 2011년 질량신정의는 가능한가?webzine.kps.or.kr/contents/data/webzine/webzine/...물리학과 첨단기술 June 2008 45 불확도의 경쟁, 2011년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불확도의 경쟁, 2011년 질량신정의는 가능한가?webzine.kps.or.kr/contents/data/webzine/webzine/...물리학과 첨단기술 June 2008 45 불확도의 경쟁, 2011년

물리학과 첨단기술 June 2008 45

불확도의 경쟁, 2011년 질량신정의는

가능한가?

이성준·최인묵

저자약력

이성준 박사는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박사(응집물리)로서 표준과학연구원 진공기술센터 박사후 연수를 거쳐 현재 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관심 연구분야는 나노질량 및 질량신정의이다. ([email protected])

최인묵 박사는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 박사(기계제어)로 현재 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영국 NPL 방문연구원을 역임하였고 관

심분야는 압력/중력 표준, CNT센서이다. ([email protected])

서 론

모든 물체는 고유한 질량을 가지고 있어, 질량 측정표

분야는 그 어떤 측정분야보다도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

다. 재 질량값은 국제도량형국(BIPM)의 3 고에 보

된 국제킬로그램원기(이하 국제원기라 함)의 질량값을 기 으

로 상 으로 측정되고 있다. 국제도량형국의 원기둥 형태의

국제원기들은 Pt‐Ir(90:10%)의 합 으로 존슨&매티사에서 단

결정 주형(Ingot)에서 가공하는 과정을 거쳐 특별 주문 제작되

고 있다. 역사 으로 굳이 단결정의 Pt‐Ir 합 으로 정한 것은

단단하고, 가공이 쉬우며, 화학 안정성이 좋고, 도가 매우

커서 부피가 작게 제작이 가능하고, 고가의 귀 속이라는 특

징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한, 원기의 형태는 작은 표면 을

가지면서도 운반 등을 용이하기 해 구형이 아닌 원기둥 모

양을 채택하 다.질량(kg), 길이(m), 시간(s), 온도(K), 류(A), 물질량(mol), 도(cd) 등의 7개 SI 기본단 재 질량만이 양자역학

측정방법을 통하지 않고 가공물체(국제원기)를 두고 정의하고

있어 보 이나 리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각 국

가표 기 (NMI, National Metrology Institute)에서는 1~2개 정도의 원기밖에 없어 자체 검증이 불가능하고, 질량표

을 국제도량형국의 국제킬로그램원기와의 비교를 통해서만 값

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제한된 질량표 소 성의 문제를 가지

고 있다. 간혹 원기가 화재 등으로 손상되는 경우도 있어 왔

다. 이를테면, 질량신정의를 공론화하면서 드는 는 “만일 유

성이 BIPM을 덮쳐 원기들을 소실한다면 어떻게 질량을 정의

할 것인가?”하고 반문한다. 실제로 어떤 국가는 원기를 잃어

버리는 사건도 있었다고 한다. 무엇보다 측정표 입장에서 심

각한 문제는 공기 에서 꾸 히 일어나는 표면 흡탈착에 의

해 국제원기자체의 질량값이 변할 수 있어, 인 측정값

을 얻을 수 없는 가능성이다. 국제도량형국에서는 원기교정

시 세척 직후의 국제킬로그램 원기의 질량값을 사용한다. 실제로 1889년 이후 최 의 원기들이 만들어져 국제도량형총회

(CIPM)에서 인 된 이후로 1946과 1989년 각국의 질량원기

들을 모두 모아서 비교측정 결과, 114년간 국제킬로그램원기

를 기 으로 약 100 μg 정도의 원기들 간 유동 값을 얻어 이

가정을 뒷받침하고 있다.

질량신정의

측정표 분야에서 이 게 질량단 만 뒤늦게 정의문제에

착하게 된 것은, 몇 가지 요인으로 요약할 수 있겠다. 희소

성으로 인해 원기가 매우 요한 물체이고 원재료가 고가라

는 이유로 통제가 엄격히 이루어졌다. 를 들면, 제조된 이

후 국제킬로그램원기를 담고 있는 고는 국제비교를 해

단 세 번만 공개 으로 열었다고 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그

동안 원기 혹은 같은 물질을 상으로 직 으로 실험한 사

례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련연구자들의 근성이 매우 제

한 이어서 시간이 흐른 뒤에야 이러한 문제를 발견하 고, 그 사이 질량원기에 한 연구가 없는데 그 근본 인 원인이

있다고 하겠다. 21세기의 측정표 물리학에서 큰 화두로

서 질량단 신정의는 이러한 문제 을 보완하고자, 표 분야

의 최고 의결기 인 국제도량형총회(CIPM)는 2011년까지

2×10-8 kg의 불확도(측정량 (참)값을 합리 으로 추정한 값들

의 분산특성을 나타내는 라미터, http://mu.kriss.re.kr 참고)를 가지는 새로운 질량단 정의방법을 고안하는 질량표

에 한 연구를 정진하도록 의결한 바 있다. 이를 두고 질량

신정의 혹은 질량재정의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재 활발하게 진행 인 질량단 신정의 련 연구로는

와트 울(Watt balance, 미국, 국, 스 스, 랑스, 국제도

량형국), 아보가드로 계획(International Avogadro Project,

Page 2: 불확도의 경쟁, 2011년 질량신정의는 가능한가?webzine.kps.or.kr/contents/data/webzine/webzine/...물리학과 첨단기술 June 2008 45 불확도의 경쟁, 2011년

물리학과 첨단기술 June 2008 46

그림 1. 와트저울의 개념 (NIST 제공).

그림 2. 미국 NIST 와트저울의 모사도 (NIST 제공).

독일, 이태리, 일본, 국, 벨기에 등 공동연구), 이온 축

방법(Ion Accumulation, 독일) 등이 있다.

와트저울

그림 1은 와트 울의 원리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계량모

드에서는 질량 m의 분동이 천칭의 한쪽에는 올려지고 이로

인한 력 mg와 같은 크기의 자기력을 발생시켜 균형 을

찾는다. 이때 발생하는 자기력은 력과 반 방향이며 크기

는 일정한 자기장하에 있는 움직이는 코일(moving coil)에 흐

르는 류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설계된다. 를 들어 그림 1의 경우 자기장이 원형 움직이는 코일의 심으로 향하는 화

살표방향 즉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자석, 혹은 구자

석으로 자기회로를 구성하고 원형 움직이는 코일에 류를

흘리면 자기장과 류에 수직한 방향 즉 연직의 력방향으

로 자기력이 발생된다. 이때 발생하는 자기력은 간단한

자기 공식에 의해 IlB로 표시되므로

mg = IlB        (1)

의 공식이 성립한다. 여기서 I는 류의 세기, l은 코일의

체길이, B는 자속 도이다. 다음 이동모드에서 코일을 동일

한 자기장 하에서 등속도 v로 이동시키고, 이때 발 기 원리

에 의해 코일에 발생하는 기 력을 조셉슨 압표 기로 측

정한다. 이때 발생하는 기 력 ε는 자기 공식에 따라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ε = – vlB                                 (2)

식 (2)과 (3)으로부터 공간 배치에 련되는 l과 자기장 B를 제거한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εI = mgv                               (3)

다른 형태의 자기장 코일을 사용하는 와트 울에 해서

도 두 가지 모드의 측정을 통해 공간 배치의 향과 자기

장의 값에 무 한 형태인 (3)식이 성립함을 증명할 수

있다. 즉 자기 와트와 역학 와트의 등가식이 와트 울 실

험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다. 와트 울의 동작시 측정하는 양

은 기 력과 류, 력가속도와 속도이다. 그런데 질량 측정

과 랑크 상수와의 계는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기력은 조셉슨 효과에 의해

ε = nf/(2e/h)                     (4) 로 주어지고 (여기서 n은 총 조셉슨 스텝정수, f는 조셉슨 합

에 인가한 마이크로 주 수) 항은 양자홀 효과에 의해

R = h/(ie2)                           (5)

로 주어지므로 (여기서 i는 실험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정수) 결국 식 (3)에서 질량 m은 다음 식으로 표 된다.

m = (n2i/4)f2h/(gv)                        (6)

여기서 g, v f는 재의 측정표 수 으로 10‐8 이하의

불확도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랑크 상수 h값을 정확히 정

의(상수로 고정)하면  압과 항 표 을 이용하여 질량을 표

할 수 있는 것이다.와 같이 와트 울의 개념은 간단하다. 그 지만, 질량,

압, 항, 길이, 진동수, 력 등의 측정 단 에서 오는 불

확도와 굴 율, 부력, 정렬문제, 설 항, 자기력선 분포 등

Page 3: 불확도의 경쟁, 2011년 질량신정의는 가능한가?webzine.kps.or.kr/contents/data/webzine/webzine/...물리학과 첨단기술 June 2008 45 불확도의 경쟁, 2011년

물리학과 첨단기술 June 2008 47

그림 3. Si crystal for NA measurements (PTB 제공).

의 외부 인 불확도 등 많은 불확도 요인을 가지고 있어 실

험 으로 실 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그림 2는

재 세계 와트 울 측정수 이 가장 앞선 미국 NIST의

장치개념도이다.

아보가드로 상수법

킬로그램 재정의의 후보 하나인 결정은 x‐ray crystal

density molar mass(XRCDMM) 방법에 의한다. 원리를 수

식으로 표 하면 다음 식 (7)로 나타낸다.

   (7)

여기서 : Si의 몰부피, : Si의 몰질량, : 의 부피를

가진 단 셀 안의 원자 수, : 겨자 상수, : 실리콘

도이다.단일 Si 원자가 차지하는 부피는 완벽하고 고순도 Si 크리

스털의 구조와 격자 공간에 의해서 얻어진다. Si 크리스털의

거시 도는 길이와 질량을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 몰질량

은 Si 크리스털 내에 있는 동 원소 즉 28Si, 29Si, 30Si 비율

을 측정하면 된다. 2003년까지는 자연상태의 Si 몰질량을 결

정하는데 기술 인 한계가 있어 3.1×10–7 정도로, 불확도가

재정의 수 에서 많이 벗어나 있는 상태이다. 재는 고순도

의 Si을 만들어 몰질량 측정을 해보고 있는 상태로 2009년

말까지는 CIPM이 제시하는 값에 이를 것으로 자신에 차있는

목소리를 낸다.이와 같이 를 측정하기 해서는 여러 가지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한 NMI에서 감당하기가 어려워 국제 으로 여

러 NMI가 포함된 국제 력체(IAC, International Avogadro Coordination)를 구성하여 운 되고 있다. 이러한 측정환경

으로 인해, 그 진행속도가 매우 느리고, Si 구를 만들어 새로

운 가공의 물체가 등장한다는 문제 을 안고 있다.

금이온축적방법

다른 연구방향 하나는, 이온 축 방법으로 원자

빔을 많은 시간동안 쏘여서 을 축 하여 질량체를 만든다는

개념으로 독일에서 주도 으로 진행되었다. 이 게 단 원자

질량으로부터 거시 인 질량체로 질량값을 연결하기 해서는

수십 시간이 걸리며, 그 불확도는 무려 1.5 %나 되어 다른 방

법에 비해 실화될 가능성은 상 으로 다고 생각된다.

맺음말

질량정의를 새로이 한다고 거시세계에서 살고 있는 우리의

일상생활에는 변화는 거의 없을 것이다. 재의 가장 성능 좋

은 0.1 μg의 분해능을 가진 자 울로도 산업 등의 수많은

일들이 변함없이 진행될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질량 신정의

가 단순한 질량값을 측정에 의해 정의된다는 것 이외에 물리

상수들의 불확도가 낮아져 물리상수의 값이 더 정확해지리라

상된다. 이를테면 재의 질량정의는 질량값을 고정하는 것

으로 재의 자의 하량 측정은 0.085 ppm을 가지지만, 와트 울(h를 고정)과 아보가드로 방법(NA를 고정)으로 채택

될 경우 각각 0.0017 ppm과 0.0050 ppm을 가질 것이다.재, 지상 2층 규모의 미국 NIST의 와트 울이 국제도량

형총국에서 제시한 불확도 값에 꾸 히 근 하여 2011년 질

량신정의후보로 강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NIST 이외

의 표 기 에서 만든 와트 울은 제작 이거나, 불확도를

낮추는데 기계 인 한계를 가지고 있고, 막 한 연구제작비

등의 어려움으로 그 진행속도 역시 빠르지 못하다. 이외에도, 국제표 으로 인정을 받으려면 여러 나라에서 검증해야 하는

재 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아보가드로 방법을 주장하는 연

합 력체를 구성한 표 기 들의 공격도 만만치 않다.궁극 으로 질량이란 무엇인가라는 실 가능한 물리학

인 정의의 한계가 풀리지 않는다면, 이와 같은 측정표 불확

도의 경쟁은 설사 신정의로 이들 혹은 다른 한 방법이 채택

한다 할지라도 다시 불거져 나올 수 있는 미래의 문제로 남

을 것이다.

감사의 글

질량신정의 련 자료를 보내주신 미국 NIST의 R. Steiner 박사와 독일 PTB의 P. Becker 박사에게 감사의 말 을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