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59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ol. 17, No. 3, pp. 59~68, May 2014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신판석 * 이명무 *,† 김윤호 ** ** 홍익대학교 스마트도시과학경영대학원 ** 우송대학교 국제경영학과 Critical Factors for Adoption of PSM Program of Korea Pan-Seok Shin * Myung-Moo Lee *,† Yun-Ho Kim ** ** Graduate School of Smart City Science Management, Hongik University ** Department of International Management, Woosong University ABSTRACT Quality assurance in high level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Many studies have examined means of assuring the quality of education, mostly focusing on what type of graduate we should launch into the real world. However, it has been realized only in technical fields, such as Engineering, Medicine, etc. Here, we discuss the problems of Korean high level education in scientific fields, and present some answers from American innovation policies. The USA has changed the idea about how to innovate, and in recent years has developed the Professional Science Master’s (PSM) degree, which is now awarded by over 100 American universities. PSM programs have produced graduates who can innovate in scientific fields, e.g., in biology, environmental science, and statistics. The degree is highly praised by the Council On Competitiveness, which consists of CEOs of major corporations, university presidents, and heads of labor organizations. The PSM seems to meet their expectations. Interestingly, many research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PSM programs. We examined the reasons why many American universities have accepted the PSM despite their daily duties for research and doctoral education. Finally, we discuss the possibility that programs such as the PSM can succeed in Korean universities. Keywords: PSM, Professional Science Master’s, Korea, Improvement I. 서 1)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이학 및 공학을 국가 발전의 근 간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 분야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 해 과학 교육의 충실, 자연 과학 및 수학, 공학 전공 학생의 지 원 등과 같은 국내외 과학자와 수학자에게 매력적인 환경을 제 공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가경쟁력 강화의 필요성을 배경으로 기술경영(Management of Technology, MOT)과정의 설립이나 산업계의 CTO(Chief Technology Officer)의 신설 등에서 볼 수 있듯이 과학기술연 구개발과 경영관리의 통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 한 가운데 미국의 경쟁력평의회(Council on Competitiveness) 200412월 워싱턴DC에서 전미 혁신서미트(Innovation Received 3 March, 2014; Revised 20 May, 2014 Accepted 22 May, 2014 † Corresponding Author: [email protected] Summit)를 개최하여 ‘Innovative America : Thriving in a World of Challenges and Change’를 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이 보고서에서 첨단적, 학제적 연구의 활성화를 위 해 새로운 대학원과정 PSM(Professional Science Master's) 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전통적인 이공계 대학원은 기초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분석 력과 문제해결 능력(Analytical and problem-solving skills) 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 문제의 해결 능력과 커뮤니케이 션 기술, 팀워크 등 실제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에 대한 교 과과정은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사회에서 요구에 충분히 대응 하고 있지 못하다고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PSM(Professional Science Master's)이다. 이공계 MBA라고도 불리는 PSM은 학사과정에 비해 더 깊이 있는 이공계열 전공지식뿐만 아니라 실제 사회에서 일하는 데 필요한 비즈니스 스킬을 습득하는 것이 특징이다. 199714대학에서 출범 이후 입학자 수는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 2013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2017-01-20 ·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2017-01-20 ·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59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Vol. 17, No. 3, pp. 59~68, May 2014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신판석* ․이명무*,† ․김윤호**

**홍익대학교 스마트도시과학경영대학원**우송대학교 국제경영학과

Critical Factors for Adoption of PSM Program of KoreaPan-Seok Shin* ․Myung-Moo Lee*,† ․ Yun-Ho Kim**

**Graduate School of Smart City Science Management, Hongik University **Department of International Management, Woosong University

ABSTRACTQuality assurance in high level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Many studies

have examined means of assuring the quality of education, mostly focusing on what type of graduate we should launch into the real world. However, it has been realized only in technical fields, such as Engineering, Medicine, etc.

Here, we discuss the problems of Korean high level education in scientific fields, and present some answers from American innovation policies. The USA has changed the idea about how to innovate, and in recent years has developed the Professional Science Master’s(PSM) degree, which is now awarded by over 100 American universities.

PSM programs have produced graduates who can innovate in scientific fields, e.g., in biology, environmental science, and statistics. The degree is highly praised by the Council On Competitiveness, which consists of CEOs of major corporations, university presidents, and heads of labor organizations. The PSM seems to meet their expectations. Interestingly, many research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PSM programs. We examined the reasons why many American universities have accepted the PSM despite their daily duties for research and doctoral education. Finally, we discuss the possibility that programs such as the PSM can succeed in Korean universities.

Keywords: PSM, Professional Science Master’s, Korea, Improvement

I. 서 론1)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이학 및 공학을 국가 발전의 근

간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 분야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

해 과학 교육의 충실, 자연 과학 및 수학, 공학 전공 학생의 지

원 등과 같은 국내외 과학자와 수학자에게 매력적인 환경을 제

공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가경쟁력 강화의 필요성을 배경으로 기술경영(Management

of Technology, MOT)과정의 설립이나 산업계의 CTO(Chief

Technology Officer)의 신설 등에서 볼 수 있듯이 과학기술연

구개발과 경영관리의 통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

한 가운데 미국의 경쟁력평의회(Council on Competitiveness)

는 2004년 12월 워싱턴DC에서 전미 혁신서미트(Innovation

Received 3 March, 2014; Revised 20 May, 2014Accepted 22 May, 2014† Corresponding Author: [email protected]

Summit)를 개최하여 ‘Innovative America : Thriving in a

World of Challenges and Change’를 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이 보고서에서 첨단적, 학제적 연구의 활성화를 위

해 새로운 대학원과정 PSM(Professional Science Master's)

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전통적인 이공계 대학원은 기초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분석

력과 문제해결 능력(Analytical and problem-solving skills)

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 문제의 해결 능력과 커뮤니케이

션 기술, 팀워크 등 실제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에 대한 교

과과정은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사회에서 요구에 충분히 대응

하고 있지 못하다고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PSM(Professional Science Master's)이다.

이공계 MBA라고도 불리는 PSM은 학사과정에 비해 더 깊이

있는 이공계열 전공지식뿐만 아니라 실제 사회에서 일하는 데

필요한 비즈니스 스킬을 습득하는 것이 특징이다. 1997년 14개

대학에서 출범 이후 입학자 수는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 2013년

Page 2: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2017-01-20 ·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신판석․이명무․김윤호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201460

11월 기준으로 173개 대학에서 300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1).

본 연구는 미국의 ‘과학경영석사(Professional Science Master's,

PSM)’의 성과와 과제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한국적 PSM의

성공요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목차를 살펴보면 2장에서는 미국의 혁신 인재 양성정책

과 PSM 교육과정에 대해 소개한다. 3장에서는 국내 PSM 교육

도입 현황과 3개 대학원에서 진행 중인 PSM 과정을 비교 ․ 분석한다. 4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인 국내 PSM 도입의 성공요

인과 PSM 교육의 실천방안을 제시한다.

II. 미국의 혁신 인재 양성 정책과 PSM 교육 현황

1. 미국의 과학기술정책과 혁신

미국은 국가 발전을 위해 과학기술정책을 중요시하고 있으

며, 이를 위해 과학기술인재를 육성하기 위하여 경쟁력평의회

(Council on Competitiveness, COC)를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투자

하고 있다. 1983년 설립된 대통령 산업경쟁력위원회(President's

Commission on Industrial Competitiveness, PCIC)로부터

분리되어 경쟁력평의회(COC)는 1986년에 설립되었으며, 업계

의 유력 인사들이 다수 참여하고 있다. 과거 산업경쟁력위원회

(PCIC) 시절부터 과학기술정책 관련 보고서를 다수 발간하였

으며, 특히 1985년 발표된 Global Competition - The New

Reality(Young Report: HP 회장의 이름에서 유래)와 2004년

발표된 Innovate America(Palmisano Report: IBM 회장의 이

름)는 미국의 과학기술정책의 방향성을 설명하는 핵심 보고서

로 인식되고 있다.

Takai(2006)에 의하면 Young Report에서 Palmisano Report

사이의 기간 동안 혁신 프로그램이 많이 발전한 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Young Report는 혁신에 대해 명시적 정의

는 하지 않고, 과학기술의 범위 내에서 독립 변수로 파악되고

있다. 즉, 산업 정책에서 외부 요인으로 취급되고 있다고 고찰

하고 있다. 따라서 Young Report는 혁신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업화에 초점을 맞췄다가 중요하며, 혁신 자체를 어떻게 창출

하거나 이에 필요한 인재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충분히 논의

되고 있지 않다. 하지만 20년 뒤에 발표된 Palmisano Report

에는 혁신은 다양한 학문 분야의 교차점, 즉, 연구와 최종 수요

의 교차로에 생기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혁신

교육전략의 수립을 위해 이공계 학생의 지원을 위한 PSM 확

대를 주장하였다. 이와 같이 미국에서도 1980년대는 혁신의

1) PSM 홈페이지 (http://www.sciencemasters.com)

Tabel 1 미국 정책 보고서에 나타난 혁신에 대한 시각 변화

세부 내역 Young Report(1985) Palmisano Report(2004)

혁신의 정의

명시적 정의는 없지만, 과학기술의 범위 내에서 독립변수로서 파악

발명과 통찰의 교차점에 있으며, 사회적 ․ 경제적 가치의 창조에 연결되는 것, 가치연쇄의 특정 단계에서 발생함

혁신에 관한 정책적 입장

혁신은 새로운 산업부문을 낳고 규제부문을 소생하는 경쟁력의 수단. 신기술의 창조,

실용화, 보호를 핵심으로 한 주요 4가지 정책 중의 하나로 중시

‘Innovate or Abdicate’를 주제로 한 행동계획으로 제안됨. 혁신 촉진을 초점으로 인재육성, 투자촉진, 혁신 인프라 정비를 종합적으로 제언

주요 정책 분야

• 신기술의 창조, 실용화, 보호• 생산자본의 공급 증대• 노동력의 기능, 순응성 및

의욕 향상 • 통상정책의 중시

• 인재육성국가 혁신교육 전략의 수립(이공계 학생 장학금 지급, PSM의 확대, 미국 대학졸업 외국인 이공학자의 미국 내 취업허가 완화 등)

• 투자에 따른 지원• 혁신 인프라의 정비

출처: Takai(2006), MOT, PSM and Agenda of Knowledge Management : Innovation, Paradox of Cluster, Storytelling, Office automation, 26(4), p.55 요약 발췌

개념이 불명확하였지만 이후 20년에 걸쳐 혁신이 창조를 위해

필요한 요소가 명확화 되어 갔다. 이를 요약하면(Table 1)과 같다.

2. MOT에서 PSM으로 혁신교육의 축이 이동

위에서 살펴본 혁신에 대한 정책적 관심의 변화가 대학원 교

과 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Young Report’의 관점으로 파악한 것이 MOT(Management

of Technology)라면, ‘Palmisano Report’에 대한 대책으로 제

시된 것이 본 연구의 주제인 PSM이다.

미국의 MOT는 우주개발 경쟁, 아폴로 계획 등으로 과학기

술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진 196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최초의 MOT 프로그램은 1962년 개설된 MIT공과 대학의 슬

로언 경영스쿨(Sloan School of Management)이다. 여서서 과

학기술경영(Manag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이라

는 과정이 개설되었다. 이렇게 시작된 과학기술경영이 1981년

부터 이를 MOT라고 명명하면서 MOT가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되었다. 그 후 1990년대에 걸쳐 미국 전역에 퍼지게 되었

다. 이러한 MOT 과정은 그 대부분이 MBA와 동일한 비즈니스

스쿨에서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MOT과정은 경영학의

관점에서 출발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Young Report에서

지적한 것과 같은 외부에서 제공된 혁신을 어떻게 상품화 하는

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따라서 기존의 MBA에 흡수되는 프

로그램도 많았고, 본질적으로 기존 MBA 프로그램과 차별화가

Page 3: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2017-01-20 ·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3), 2014 61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Palmisano Report에서 혁신에 관한

인재 육성의 방법으로 PSM을 제시하고 있다. 즉, Palmisano

Report가 나오면서 혁신교육의 축이 MOT에서 PSM으로 이동

하였다.

3. 미국의 새로운 학위 프로그램 PSM

가. PSM의 등장 배경과 개설 현황

PSM은 1997년 14개 대학의 자연과학 및 수학교육 프로그

램에 슬로언재단(Alfred P. Sloan Foundation)이 자금을 지원

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다시 12개 연구 기관에서 바이오 정

보 프로그램이 참가했다. 또한 생물 공학, 약학, 보건 의료 및

생물 과학 분야의 리더를 육성하는 석사과정의 새로운 대학원

을 켁크재단(WM Keck Foundation)에서 설립하였다. 이렇게

설립된 켁크 응용생명과학대학원(Keck Graduate Institute of

Applied Life Sciences, KGI)에 이어 2000년에는 클레아몬트

칼리지도 참가하였다. PSM은 교육 프로그램이 소개되고 부터

가장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는 학위 프로그램이다.

한편 슬로언재단의 기금은 2001년부터 대학원협의회(Council

of Graduate Schools, CGS)에 의해서 관리가 이루어졌다. 이

대학원협의회(CGS)는 미국의 대학원의 학과장들이 모인 협의

회이며, 이 가운데 학생회원은 미국 박사학위 취득자의 95%

이상, 석사 학위 취득자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즉 대학

원협의회(CGS)는 미국의 대학원을 대표하는 조직이다. 대학원

협의회(CGS)에서 슬로언재단의 기금 관리가 이루어지면서

PSM전공의 석사 과정 학생들에게 지원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과학이나 수학 석사학위의 40% 이상이 지원을 받고 있다.

2004년 경쟁력평의회(COC)가 발표한 Palmisano Report는

혁신을 창조하는 인재를 국가적으로 육성을 제시하고 있다. 즉,

과학자와 기술자의 기초를 다지는 것을 들 수 있다. Palmisano

Report에 의하면 미국의 과학기술자의 25% 정도가 50세 이상

이며 10년 이내에 퇴직할 예정이지만, 이를 보충할 만큼의 충

분한 젊은이가 과학기술 분야에 들어오지 않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K-12 단계(유치원부터 고교까지 13학년 과정)의

교육에서 많은 학생들이 과학 교과목을 기피하고 있으며, 대학

진학 후에도 학비, 취업 등의 문제로 인해 물리 ․ 공학을 전공하

는 학생의 비율이 아주 낮은 편이다. 또한 남성에 비해 여성과

학자의 비율이 낮았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이 보고서는 대학원생 수준에

서 과학 ․ 공학의 진로를 선택하는 학생들을 증가시키기 위한

세 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는 탄력적인 장학금의 제

공이며, 둘째는 장학금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직업 훈련과 결합

된 재정지원을 실시하며(예: 인턴십, 캡스톤 등), 셋째는 PSM

프로그램의 보급이다. 이러한 주장은 정부에 의한 지원 및 전

략적 계획과 연계되어 있으며, 또한 경영 및 기초과학의 교육

강화와 연계되어 있다.

2006년부터 대학원협의회(CGS)가 보급과 지원에 대한 기본

적인 책임을 전적으로 담당하게 되었다.

미국의 주요 대학을 대표하는 CGS가 2006년부터 PSM분야

에 적극적인 참여를 하여 PSM과정을 학생과 기업 모두에게

학위 프로그램으로 각인시켰다. 이는 PSM과정을 고등교육기

관으로 인정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PSM과정의 인증 프로세스

도 이 시기부터 본격화했다. 이 인증 프로세스는 앞에서 소개

한 KGI가 담당하게 되었다.

또한 2009년에는 미국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이 PSM에 1,500만 달러를 출자하는 것이 결정하였다.

이때부터 많은 주에서는 PSM 프로그램을 대학 전체에 도입하

기 위한 노력을 진행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미국 행정

부서도 PSM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을 중요시하기 시작하였다.

2013년 12월 기준으로 173개 대학에서 300개 프로그램이

PSM으로 인가되어 있다. 여기에는 미국뿐만 아니라 호주, 캐

나다, 영국, 한국의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2)도 포함되어

있다. PSM 과정은 미국에서 98%가 이루고 지고 있으며, 78%

는 공립대학, 22%는 사립대학 및 비영리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다3).

PSM 교육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은 2008년 58개에서 2013

년 300개로 5년 사이 5배 이상 증가하였다. 2013년 기준으로

미국에서 PSM에 참여하는 대학은 35개 주에 이르고 있으며,

프로그램 수 상위 주를 살펴보면 플로리다와 뉴욕이 29개로

가장 많고, 캘리포니아 28개, 뉴저지 27개, 메사추세스 27개,

노스캐롤라이나 17개 순을 보이고 있다. 또한 각 대학의 PSM

과정을 분야별로 보면 생물학 및 정보 과학, 환경 과학에 관한

것이 많았으며, 화학 및 지구 물리학, 수학, 의료 등에 관한 것

도 많았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중 일부는 특정 대학의 여러

캠퍼스에 걸쳐 개발된 것이 아니라 여러 대학 간의 협력에 의

해 개설되는 것도 존재하였다.

흥미롭게도, PSM에 참여하는 대학 가운데 연구에 주력하고

있는 대학도 다수 조사되었다. PSM의 홈페이지에서는 카네기

교육진흥재단이 실시하고 있는 카네기 분류에 따라 참여 대학

2) UNIST(울산과학기술대학교) 기술경영대학원이 2012년 개설한 에너지상품거래 및 금융공학 프로그램(ECTFE : Energy Commodity Trading & Financial Engineering)은 2013년 미국 KGI(Keck Graduate Institute)의 PSM 사무국으로부터 국내 최초로 공식 인가를 받았다.

3) http://sciencemasters.com/PSMOverview/tabid/57/Default.aspx

Page 4: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2017-01-20 ·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신판석․이명무․김윤호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201462

프로그램을 분류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2012년 기준으로 126

개 대학 중 절반 이상인 67개 대학이 박사과정을 가진 연구형

대학(Research University)로 분류된다. 또한 프로그램별로

보면 291개 프로그램 중 2/3에 해당하는 194개 프로그램이

이러한 연구 대학에서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연구를 중시

하는 대학에서도 PSM 프로그램이 전개되는 것은 주목할 만한

점이다.

나. PSM 프로그램 개요

PSM(Professional Science Master's)는 2년 과정의 과학

경영 석사 프로그램이다. PSM 과정은 과학 분야의 심화 학습

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스킬을 플러스(PLUS) 관점에서 학습하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즉, PSM은 ‘Science-plus’를 추구

하고 있으며 과학 ․ 수학의 학습 외에 경영, 정책, 법 등의 실무

와 관련한 스킬 기반의 커리큘럼을 강조하고 있다. 전통 석사

과정에 비해 이론보다는 응용을 강조하고, 기술 문서작성이나

커뮤니케이션 능력, 인턴십이나 그룹 프로젝트 등을 통해 실제

사회에서 일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미국의 경우 2012년 가을학기 PSM 대학원 입학생의 49%

가 여성(남성 51%)이며, 다른 석사 과정에 비해 여성 참여율이

높다. 풀타임 63%(파트타임 37%), 국외 입학자가 22%가 되는

등 인재의 다양성이 두드러지며, 취업률도 수료 후 바로 취업

되는 비율이 81.6%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2012년 가을 학기를 기준으로 PSM 프로그램 지원자 전공분

야가 생물학이 44%이며, 나머지 생명과학, 생명정보학, 수학

등의 분야가 56%를 차지하고 있다4). 학점의 절반 이상이 자연

과학, 수학, 공학, 기술 등으로 전공과 직접 관련된 분야에서

차지하고 있으며. 학점 중 20% 이상은 Professional Skills(비

즈니스, 법률, 지적 재산권 관리, 금융, 마케팅, 조직 관리, 커

뮤니케이션 능력)로 구성되어 있다. 뉴욕대학교는 이러한 PSM

을 21세기 혁신경제의 핵심으로 간주하고 있다. 뉴욕대학교의

PSM 과정은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으로 대변되는 과학에 비즈니스(비즈니스와 커뮤니케이

션 스킬 등)를 플러스(PLUS)한 하이브리드 학위를 추구하고

있다. 뉴욕대학의 18개 캠퍼스별로 다양한 PSM 과정이 운영

되고 있으며, 졸업 전에 필수로 인턴십 또는 Co-op5)을 요구

하고 있다(King 2012).

4) Allum, J.R., Gonzales, L.M., Remington, J.K. (2013). Enrollment and Degrees in Professional Science Master’s (PSM) Programs: 2012. Washington, DC: Council of Graduate Schools, p.4.

5) Co-op 프로그램이란 캠퍼스에 기업과 동일한 환경을 마련해놓고 실무교육을 집중적으로 실시하는 교육방식으로, 학습과 현장실습을 번갈아 수행하는 형태의 프로그램을 말한다.

PSM의 인턴십의 경우 각 학교의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다

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U. of Mass의 경우 학생들의 등

록금의 부담을 완화시키면서 이를 진행하기 위해 1학점 만을

할당하고 있으며, U. of New York, Albany는 필수로 단기 인

턴십 또는 장기 Co-op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제로 운영하고

있으며, IIT의 경우 8개의 프로그램 중 1~2개의 프로그램에서

만 인턴십을 운영하고 있다.

MS(Master of Science)의 대학원생의 다수가 TA(Teaching

Assistantship)나 RA(Research Assistantship) 등의 대학 및

지도 교수의 경제적 지원 및 학비 면제가 있는 반면, PSM 학

생들은 학비를 전액 지불해야 한다. 이에 따라 PSM 학생의 대

부분은 인턴십에 참가하여 특정 기업의 지원을 받고 졸업 프로

젝트를 완성시킨다. 이를 통해 인턴 자격을 획득하거나 또는

졸업 프로젝트를 통해 알게 된 기업에 취직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PSM에서 배우는 비즈니스 과목의 일부는 PSM 프로

그램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것이지만, 다수는 같은 대학원 내

에서 MBA 등에서 개설되는 과목을 이용하고 있다. PSM에서

이수할 수 있는 비즈니스 과목은 관리회계, 경영조직론, 필드

스터디, 기술문서 작성, 통계, 프로젝트 관리, 지적재산권 관리

등이다. 鈴木市郎 등(스즈치이치로 등 2008)이 2005년 일리

노이 공대, 스탠포드대 등 7개 대학의 PSM 프로그램을 관찰한

결과(수업 견학, 교수, 학생과 인터뷰 등)에 의하면 PSM과정의

학생이 MBA의 수업을 이수하는 것에 대해 PSM과정의 학생과

교수 모두에게 좋은 반응이 나왔다. 이러한 이유로 학생은 이

과 대학원에서 얻을 수 없었던 자극을 받았다는 점을, 교수는

학생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상승한다(그 결과 교과의 성적도

상승한다)는 점을 주요 이유로 들고 있다. 일리노이공과대의

PSM 프로그램을 만든 M. Ishaque Khan 교수는 기업에서 연

구를 하는데 어떤 요소가 필요한가를 결정하기 위해 연구자 간

의 대화에서 기술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필요하며, 연구의

대상이 결정되면 그것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프로젝트

관리 능력이 필요하고, 연구가 완료되면 지적재산관리가 필요

하다. 이것이 PSM 프로그램이며, 그 결과 PSM이 성공을 거두

었다고 주장하였다. 일리노이공과대 PSM과정은 4개의 프로그

램으로 운영되며 200명 이상이 재학하고 있다. 미국에서 가장

성공한 PSM 과정 중에 하나이다.

혁신 창출을 목적으로 타 분야의 기술자, 연구자와 교류하는

것을 사이언스 커뮤니케이션 혹은 테크니컬 커뮤니케이션이라

고 부른다. 이는 과학과 기술적으로 적절한 언어를 이용하면서

알기 쉽게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미국

의 대학에서 테크니컬 커뮤니케이션 교육은 데이터의 입력 방

법, 보고서 작성법, 학회 발표, 웹이나 메일의 작성법 등 폭넓

Page 5: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2017-01-20 ·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3), 2014 63

게 마련되어 있다. 최근에는 한국에서도 이 분야의 교과서가

소수이지만 출판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대학에서의 테크니컬

커뮤니케이션 교육에 적합한 교재와 강사를 발굴하기에는 매

우 부족한 실정이다.

鈴木市郎 외(스즈키시랑 외 2008:129)의 논문에 소개된

일본 경단련에서 소개한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에 대한 설

문 조사결과에서 일본 학생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대해 기술

하고 있다. 일본의 학생들은 ‘상대의 의견이나 질문을 정확히

파악하여, 자신의 의견을 알기 쉽게 표현할 수 있다’라는 항목

에 대해 기업의 기대와 학생에 대한 평가의 차이가 발생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기존 대학원 교육에서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학회 등에서 발표나 논문 작성법은 지도하고 있지만 기업에서

성공하기 위해 전문가, 즉 많은 사람(타 분야의 기술자, 기업의

고위층에서 소비자에 이르기까지)에게 알기 쉽게 설명하는 능

력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일본 학생들의 경우 이러

한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다. PSM 프로그램의 특징

PSM 과정의 특징은 첫째 전공하는 과정이 과학(Science)계

열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이것은 기존 기술경영(MOT)의 기

술경영 능력을 중시해 온 과정과는 방향성이 다른 것이다. 응

용보다 해당과학기반의 기술연구에 대한 지식을 몸에 익히는

것을 기대하는 과정이며, 이러한 기초연구의 지식을 실제 산업

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인재, 즉, 현재 진행하고 있는 기술 개발

의 원리를 이해하면서 프로젝트 관리 등 경영에 관련된 일을

할 수 있는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둘째, 졸업 요건이 되는 학점이 일반적으로 석사학위 보다

많다. 교과과정이 일반 석사학위와는 달리 학점의 다수는 자연

과학 ․ 기술 ․ 공학 ․ 수학 ․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전공과 직접 관

련된 것이어야 하며, 학점의 20%는 비즈니스 법률 ․ 지적 재산

관리 ․ 금융 ․ 마케팅 ․ 조직 관리 ․ 커뮤니케이션 능력 등 경영계

의 전문적 능력을 관한 것이어야 한다. 하지만 일반 석사과정

에 요구되는 석사 논문은 요구되지 않지만 대신 졸업 프로젝트

및 학내의 그룹에 의해 이루어지는 실험을 실시하여야 하며, 기

업 및 공공 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인턴십에 참여를 해야 한다.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각각의 PSM 프로그램이 실시되는 지

역의 산업을 중심으로 한 6~12명으로 구성된 산업자문위원회

(Industrial Advisor Board)가 구성되어 있다. 산업자문위원회

는 기업과 정부 등 현장의 관계자로 구성된 조직이며, 산업계

나 행정의 의견을 대학에 전달하고 PSM 프로그램의 교과 과

정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는 토론공간으로서의 역할

을 한다. 이곳에서 PSM 졸업생 및 데이터 관리가 이루어지며,

운영의 투명성은 슬로언재단(Alfred P. Sloan Foundation)이

나 대학원협의회(CGS), 미국과학재단(NSF) 등에 의해 정기적

으로 심사한다.

셋째6), 수업, 실습(즉 엘리트 교육)과 기업 연수(인턴십)등은

소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PSM은 대학 교육만으로

고급 전문 지식을 가르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우수

학생을 기업에 연수를 보낸다. 기업은 채용 전에 일정한 연수

과제를 부과하여 학생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다. 기업은 취업 면담 수준의 인사평가보

다 정확하게 능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중장기적으로 대학과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PSM의 교과과

정은 기업 취업 후 즉시 활용할 수 있는 과목들이 상당수 포함

되어 있다.

라. PSM 수료자의 동향과 평가

PSM 학위 취득자는 2011년에는 1,573명이다(Allum Bell

2012). 그러면 PSM 프로그램을 수료 학생들에게 구체적으로

어떤 특징이 있고, 수료 후 어떤 경향이 있는지를 알아본다.

2010년에서 2011년 재학생에 대한 설문(Bell and Allum

2011)과 PSM 프로그램에 관한 보고서에서는 다음의 상황과

경향이 발견된다. 먼저 입학자 중 46.0 %가 여성으로, 이학계

프로그램으로는 놀라울 정도로 여성이 많다. 해외 유학생은

23.9%이며 코스에 따라 거의 절반이상이 유학생인 경우도 있

다. 인종은 아태 지역 또는 백인이 75.1%로 압도적으로 많고,

히스패닉이나 아메리칸 인디언, 흑인 등의 마이너리티(소수인

종)가 16.2%, 기타는 혼혈이나 불명 등의 답변이었다. 또한 입

학 이전의 상태를 물은 항목에서는 223명 중, 2010년에 학사

과정을 졸업하고 즉시 입학한 자는 10.4%이며, 이를 포함

2007년에서 2010년 사이에 학사 과정을 졸업한 사람은

60.2%이다. 그러나 69.1%는 PSM 프로그램에 입학 직전에 일

하던 적이 있다고 답변하고 있다.

전공 분야별로 보면, 생물학 46.2%, 환경공학 17%, 전자공

학 11.7%, 바이오정보시스템 5.4%, 수학 ․ 통계학 5.4%, 국방

4.9%, 물리학 ․ 지구과학 3.1%, 법의학 1.8%, 화학 1.3%, 의료

관련 과학 1.3%, 나노 과학 0.9%이다. 많은 학생들이 응용분

야를 전공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졸업생 가운데 졸업

후 바로 취업 한 사람은 81.6%에 이른다. 또한 그 중 88.4%는

연구 분야와 관련이 있는 일에 종사하고 있다. 기관별 분포를

보면 기업에 취업한 사람이 50.6%, 정부에서 일하는 사람이

22.7%, 연구소 등에서 연구분야 종사하는 사람이 16.3%,

6) 松下博宣(2008), Professional Science Master 急増中の米国から見るニッポンMOT

Page 6: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2017-01-20 ·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신판석․이명무․김윤호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201464

NPO(Non-Profit Organization)가 7.6%로 조사되었다. 취업

한 졸업생 중에는 입학 이전과 비교하여 새로운 일을 얻었다고

응답자 중 38.5%는 PSM 프로그램에서 참여한 인턴십이 계기

가 되었다고 설명하였다.

PSM 프로그램으로 입학한 동기는 학부에서 그대로 입학 한 자

와 직전까지 일했던 사람 등으로 달랐다. 학부에서 그대로 입학

한 학생 출신자에서는 특정 기능 ․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가 74.5%

로 가장 많고, 이어 특정 관심사에 대해 더 많은 학습이 67.3%,

승진이나 승급의 기회를 늘리기 위해 가 36.4%로 되어 있다. 한

편, 입학 전까지 일하던 사람들의 경우는 특정 기술 ․ 지식을 습득

하기 위해가 66.2%로 가장 많은 점에서 다르지 않지만, 그 다음

많았던 것이 승진 및 승급 기회를 늘리기 위해로 63.0%, 그 다음

이 특정 관심사에 대한 추가적 학습을 위하여가 57.8%였다.

또한 실제로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진 주제는 기술이나 과학에

관한 주제가 가장 많았고, 연구 개발, 프로젝트 경영, 윤리, 커뮤

니케이션, 리더십 등이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이 결과는 각 분야

의 전문적인 능력의 습득이 중시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마. PSM의 과제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PSM은 미국에서 연구 중심의 대

학을 포함한 많은 대학에서 실시되는 학위 프로그램이다. 그러

나 미국의 모든 대학이 PSM프로그램을 전면적으로 환영하는

것은 아니다. 유명한 대학 중 일부는 이 프로그램에 난색을 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아이비리그에 가입되어 있는 대학 중에

서 코넬대학은 응용통계 프로그램에서만 PSM을 실시하고, 그

외에 다른 전공에서는 PSM에 참가하고 있지 않다. 대학원협의

회(CGS)의 담당자에 따르면 연구를 중시하는 대학의 교수들

중에서 일부가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다고 한다. 그들은 박사

과정만으로도 많은 일이 있는데 왜 새로운 학위를 창설하느냐

고 주장하고 있다(Rosenbloom 2010).

또한 2009년의 조사에서는 PSM 프로그램에서 금융 ․ 회계

및 분석, 모델링, 프로젝트 사업 관리 등과 관련하여 과목이 부

족하다고 거론되고 있다. 이는 이 당시는 경영에 관한 교육이

아직 불충분했기 때문이다. 2011년의 조사에서 만족도를 보면

이러한 경영 과목은 과학 수학 훈련과 같은 정도의 만족도를

획득하고 있어 상당한 개선이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는

2009년 당시는 경력 개발 ․ 취업 지원 및 산업 ․ 졸업생과의 네

트워크에 대해서도 부족이 지적되고 있었지만, 여기에 대해서

도 마찬가지로 2011년 조사에 비해 개선이 되었다. 그러나 아

직까지도 70%대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어서 향후 더욱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미국의 경우 PSM 학생들은 일반 대학원과 달리 대학에서 연

구를 지속되지 않기 때문에 TA(Teaching Assistantship)나

RA(Research Assistantship) 업무에 의한 대학의 경제적 지

원 없기 때문에 학비를 전액 지불하여야 한다. 현재 슬로언재

단과 미국과학재단(NSF)의 재정 지원은 계속 진행되고 있지

만, PSM과정의 증가를 고려할 때 새로운 재정지원 프로그램이

추가로 신설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III. 국내 PSM 도입 현황과 사례

1. 과학-비즈니스 융합 전문가(PSM) 양성 계획

글로벌 무한경쟁시대를 맞이하여 국내에서도 IT ․ BT ․ NT

등 과학기반의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심화된 기초과학지식과

경영마인드가 결합된 인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과학지식

을 요구하는 과학기반산업의 수요에 대응한 산업연계 전문가

양성과정은 MBA에서 MOT 그리고 PSM 순으로 발전하는 양

상을 보이고 있다.

미국의 과학기반산업에 부응하기 위한 과학비즈융합과정

(PSM)은 정부의 지원 하에 급격히 확대되는 추세이며, 미국과

학재단(NSF)은 21개 대학의 PSM 과정에 1,500만 불을 매년

지원(2010년)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과학벨트 활성화를 위한 거점지구

의 기초과학 성과의 사업화 촉진에 대비하여 연구 ․ 성과확산

산업 분야에서 과학지식과 비즈니스를 이해하고 현장에서 적

용할 수 있는 과학경영 전문 인재 양성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

여 운영 중에 있다.

기능 지구내에서 대학 중심의 특성화 기반 과학-비즈 융합

전문가(PSM) 양성 과정(지구별 1개, 석사과정)을 설치‧운영하

고 있다. 2017년까지 300명(입학기준, 1단계 120명, 2단계

180명) 내외의 과학-비즈니스 융합 전문 인력을 양성 및 공급

할 예정이다.

Table 2 정부의 PSM 양성 추진계획

구분1단계 2단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인력양성 - 60명 60명 60명 60명 60명

주요 추진목표

• PSM과정 설치(3개)

• 교과목 개발 및 학생 모집• 해외 PSM과 교류․협력

• 수요 맞춤형 교과과정 개선• 지역기업 ․ 연구소와 협력체계 구축• 국내 명문 브랜드 실현

2. 국내 PSM 대학원 운영 실태

미래창조과학부는 2012년 7월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과 함

께 과학-비즈니스 융합 전문가(PSM) 양성 사업자에 홍익대(세

Page 7: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2017-01-20 ·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3), 2014 65

Table 3 PSM 3개 대학원의 캡스톤 과정 비교

홍익대 스마트도시과학경영 한기대 IT융합과학경영 충북대 의생명과학경영

추진목표

첨단의 도시과학(Urban Science)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 과학도시 설계 및 경영을 위한 창조적인 연구·기획 전문가 양성

IT융합 분야의 혁신을 리드할 과학/공학/경영의 다학제 지식을 갖춘 연구개발 전문가, 연구기획/사업기획 전문가, 기술사업화 전문가 등 IT융합과학경영 전문 인재를 양성

기초과학과 비즈니스를 접목시킬 수 있는 의생명과학 전문 인재(연구개발전문가, 연구기획/

사업기획 전문가, 기술사업화 전문가) 양성

캡스톤 주제

도시건축(도시설계 및 도시건축 경영전문가),

도시환경(도시환경/조경 및 에너지 경영전문가), 정보시스템 전공(융합IT 경영전문가) 분야별 연구과제 수행

프로젝트 기반 수업으로 3개 부분별(R&D전문가, 기술연구기획/사업기획전문가, 기술사업화 전문가)별로 연구과제 제안서, 사업계획서, 기술사업화 프로젝트 등을 개인 또는 팀별 프로젝트로 수행하고 보고서를 작성함

의생명과학경영융합 관련 부문 관심분야 연구 과제를 발굴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으로 현장에서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인턴십 및 실험/실습을 포함함

캡스톤 기간제 2학기부터 4학기까지 방학이용(과제발굴기간 포함)

• 3학기 말~4학기• 상기 기간 중 5주 내외 관련기관 파견

최소 6주부터 최대 2년 이내

Table 4 캡스톤 과정의 현황 및 개선방안

홍익대 한기대 충북대

현 황

• PSM에 대한 국내의 낮은 인(지)식도의 영향으로 연구과제 협력 및 학생파견 등에 애로사항이 발생할 소지가 있음

• 국내외 12개 기관과 MOU를 체결하고 사업진행

원활한 캡스톤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2012

년 12월부터 2013년 5월까지 15개 기업 및 민간, 공공연구기관 MOU 체결 완료. 현재 10여개 기업과 MOU 체결 진행 중

캡스톤은 단기 수행과제가 아닌 여름, 겨울 학기의 인턴십과 연계된 지속적인 과정으로 단기적인 계획과 성과 평가 보다는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개선방안

• PSM에 대한 국가적인 차원의 홍보와 재정 및 제도적인 지원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며,

이를 통해 ‘PSM(사업)운영 국가 환경’이 공고해질 필요가 있음

• 도시과학 관련 PSM 과정 활성화를 위하여 유사 또는 동일 분야의 선진 해외 PSM 대학들을 발굴하여, 이들과 협약을 체결하고 벤치마킹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

• 전일제 학생 인턴십과 캡스톤 연계 방안 마련 필요

• 부분제 학생 캡스톤 프로젝트 개발 필요

PSM의 기존 취지에 맞는 캡스톤 과정 수립과 성과에 대한 평가기준 확립을 위해 국내외 캡스톤 평가기준에 대한 벤치마킹을 진행

출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기획단(2012), 과학-비즈니스 융합 전문가(PSM) 양성 추진계획(안)

종시), 한국기술교육대(천안시), 충북대(청주 ․ 청원군)를 선정

하였다. 이번에 선정된 3개 대학을 중심으로 향후 거점지구 기

초연구성과와 비즈니스의 연결 등 과학기반산업의 수요에 적

극 부응할 수 있도록 2017년까지 총 240억원을 투입, 300명

내외의 관련 전문가를 양성할 방침이다. 특히 과학벨트 내

PSM 전문가 양성은 기능지구인 세종시, 천안시, 청주 ․ 청원군

별로 특화발전 전략과 연계한 전문석사를 배출토록하고, 해당

지구가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과학기반산업의 인력 수요에 적

극 부응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홍익대는 도시과학 분야의 스마트도시 과학경영대

학원을 개설해 향후 세종시 기능지구가 추구하는 스마트 도시

(Smart-City) 구축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는 관련 전문가를 양

성한다. 한국기술교육대는 차세대IT 분야의 과학경영대학원을

개설해 천안 기능지구의 특화 산업인 차세대 디스플레이 ․ 반도

체 ․ IT융합 등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과학경영인재를 육성할

예정이다. 충북대는 의생명 분야의 과학경영대학원을 개설해

의생명정보 ․ 생체공학, 바이오의약학 ․ 생명공학, 질병관리, 경

영 및 규제과학 등 청주 ․ 청원 기능지구가 중점 추진하는 의약

바이오 분야에 필요한 과학경영인재를 육성한다. 이번 PSM 사

업자로 선정된 3개 대학은 관련 커리큘럼 개발, 교원 충원 등

교육과정 준비를 마친 후 2012년 가을학기에 첫 신입생을 모

집하고, 2013년 3월에 각각 20명 정원의 과학경영대학원을 설

립하여 운영 중이다. 3개 대학원의 주요 과정 중에 하나인 캡

스톤 과정 소개와 현재 당면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은 각각 <표

3>, <표 4>와 같다.

한편,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기술경영대학원이 2012년

개설한 에너지상품거래 및 금융공학 프로그램(ECTFE : Energy

Commodity Trading & Finacial Engineering)은 2013년 미

국 KGI(Keck Graduate Institute)의 PSM 사무국으로부터 공

식 인가를 받았으며, 비즈니스 분석(Business Analytics) 과정

(PSM 인가 추진 중)도 운영 중이다.

3. 미국 PSM 대학원과 국내 PSM대학원의 비교

미국의 PSM 프로그램은 그 과정 자체의 특징 면에서 뿐만

아니라 급속한 보급을 가능하게 한 제도적인 면에서도 한국의

Page 8: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2017-01-20 ·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신판석․이명무․김윤호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201466

이과 대학원 인재 양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과

거 혁신의 패러다임이 미국을 거쳐 일본에서 동양적 문화에 적

응한 후 한국에 도입되는 형태였으나, 현재는 미국에서 바로

한국으로 넘어오는 체계로 변화되고 있으며, 오히려 한국적 모

델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PSM의 성공요인은 첫째, 첨단과학의 전문성을 바탕으

로 비즈니스 능력을 겸비한 인재를 대량으로 육성하려는 정부

의 전략과 그에 맞추어 초기 대규모 민간자금이 투여된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주 단위 산업자문위원회를 통해 기업과 대학

간 인재상을 공유하고 쌍방의 이해를 조율하는 역할을 수행한

점이다. 셋째는 PSM 졸업생에 특별 학위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연구 학위와 분리시킨 점이다. 넷째, 입학생의 절 반 가량이 여

성이며, 이는 유사 대학원에 비해 여학생이 비율이 월등이 많

은 것이다. 다섯째, 졸업생이 80% 이상의 취업률을 보인 점 등

을 들 수 있다.

한국에서는 현재 3개 대학원이 PSM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이과대 인재 양성 계획에

맞춰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으며, 둘째 현장 파견의 인턴십보

다는 기업체의 프로젝트를 산학협동으로 수행하는 캡스톤 과정

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셋째, 3개 대학원의 1차 년도 교육

과정이 PSM이 추구하는 ‘STEM+PLUS(Biz)’의 비즈니스 스

킬 향상과 해당 전공의 과학기술경영 교육에 중심을 두고 있다.

IV. PSM의 도입 방안

PSM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서 PSM 관련 주체별로 PSM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정부의 정책

가. 국가적 대응 전략

PSM은 첨단과학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능력을 겸

비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초기에 정부의

전략과 막대한 비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PSM을 도입하는 초기

에는 정부의 역할이 크다. 즉 정부는 PSM의 도입 여건이 열악

한 국내 상황을 고려하여 PSM 도입에 대한 명확한 전략을 제

시하고 급격히 변화하는 상황에 대응하여 지속적으로 이를 수

정하고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정부의

KGI(Keck Graduate Institute)에서 PSM프로그램에서 인증을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PSM의 성공모델을 지속적

으로 수정, 보완하여 발표함으로써 전 세계에 영향을 주고 있

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우리나라의 특성을 고려한

PSM모델을 국가적 차원에서 개발하여 대학이 PSM을 도입하

고 활용하는데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나. 통일된 추진체계가 필요

PSM의 도입이 일관되게 혼란 없이 추진되려면 보다 통일된

추진체계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는 PSM 도입과

활용과정을 전반적으로 지원해줄 수 있는 일원화된 추진체계

가 없다. 정부의 각 부처가 각자의 정책목표에 맞는 입법과 세

부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한 가지 사안에 대해서도 중복하여 추

진하는 경향이 있어 부처들간의 특성화된 유기적 연관성이 없

게 된다. 따라서 정부는 효과적인 PSM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정책적인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신속하게 법․제도를 정

비하고, 이 모든 과정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일된 추

진체계를 구성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 자금 지원 확대

PSM 도입과 활용에 있어서 주된 애로요인은 교육 프로그램

의 구축비용 및 운영비용에 대한 부담이다. 이는 대학들이

PSM의 도입에 필요한 많은 투자를 부담스러워하고 있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PSM을 도입하는 대학에 대해

기존의 지원과 차별되는 새로운 지원제도를 개발하여 적용하

거나 재정적 지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2. 대학의 과제

가. PSM인증제도 조기확립

PSM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 과정이 잘

조화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 및 관련 조직의 재정비가 반드

시 필요하다. 따라서 PSM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이

러한 조직의 재정비에 대한 인증제도를 대학에서 조기에 확립할

필요가 있다. 특히 PSM 과정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인턴십이

나 캡스톤에 대한 평가시스템에 대한 인증제도가 요구된다.

나. 산학연계 프로그램 구축

미국의 경우 주 단위 산업자문위원회를 통해 대학과 기업 간

인재상을 공유하고 쌍방이 이해를 조율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미국의 산학자문위원회와 같은 산학

연계 활동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조직을 출범하여 전국적으로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다. 전문인력양성

PSM 도입대학들은 비즈니스 커뮤큘럼과 관련하여 교수인력

Page 9: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2017-01-20 ·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3), 2014 67

의 부족을 PSM 도입 및 활용의 애로요인으로 들었다. 학생들

의 비즈니스 스킬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재 제작 및 전문 교수

진의 양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PSM 비즈니스 관련 교수진은

비즈니스적인 마인드와 PSM 도입 및 활용을 위한 기술적 지

식을 겸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경력관리를 통하여

유능한 교수 인력이 양성될 수 있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라. 혁신선도자의 역할

PSM과 같은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에 최고책임자

의 의지나 지원, 그리고 관심 정도가 새로운 도입 및 활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PSM과 같이 새롭고 위험도가 높

다고 인식되는 사업의 경우에는 특히 혁신적인 정신에 입각한

관리자의 도전적인 과감성과 혁신 선도자의 PSM활성화를 위

한 노력이 보다 중요시된다.

3. 국내 PSM 교육의 실천방안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구체적인 국내 PSM 교육의 실천 방안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이과(과학기술) 교육을 소홀히

하지 않아야 한다. 기업이 이과생에 요구하고 있는 것은 이과

적 지성이며, 그것은 전통적인 이과 교육에 의해서만 축적된다.

둘째, 이과 관련 다른 분야의 강의를 기본으로 하여 확장된 광

범위한 지식을 습득한다. 이러한 교육과정(STEM+PLUS)은

이과적 아이디어의 원형과 응용을 배울 수 있는 기회이며, 또

한 수학자 이외 견해와 이해 방법을 아는 것이 된다. 셋째, 그

룹 프로젝트 제도 등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프로젝트

추진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사회에서 활약하는 이공계 학생

의 대부분은 프로젝트 팀의 일원이 되어 일하고 있으며, 따라

서 이공계 학생에게는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과 팀워크가 반

드시 필요하다. 넷째, 졸업생의 실태(직종 및 수입, 주변에서의

평가, 본인의 만족도 등) 및 사회 요구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

고, 이들 자료를 감안하여 대학 교육 제도의 개선점을 찾아나

가야 할 것이다.

V. 결론 및 시사점

미국의 PSM 프로그램은 그 과정 자체의 특징 면에서 뿐만

아니라 급속한 보급을 가능하게 한 제도적인 면에서도 한국의

이과 대학원 인재 양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과

거 혁신의 패러다임이 미국을 거쳐 일본에서 동양적 문화에 적

응한 후 한국에 도입되는 현태였으나, 현재는 미국에서 바로

한국으로 넘어오는 체계로 변화되고 있으며, 오히려 한국적 모

델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PSM의 성공요인은 첫째, 첨단과학의 전문성을 바탕으

로 비즈니스 능력을 겸비한 인재를 대량으로 육성하려는 정부

의 전략과 그에 맞추어 초기 대규모 민간자금이 투여된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주 단위 산업자문위원회를 통해 기업과 대학

간 인재상을 공유하고 쌍방의 이해를 조율하는 역할을 수행한

점이다. 셋째는 PSM 졸업생에 특별 학위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연구 학위와 분리시킨 점이다. 넷째, 입학생의 절 반 가량이 여

성이며, 이는 유사 대학원에 비해 여학생이 비율이 월등이 많

은 것이다. 다섯째, 졸업생이 80% 이상의 취업률을 보인 점 등

을 들 수 있다.

한국에서는 현재 3개 대학원이 PSM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

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이과대 인재 양성 계획

에 맞춰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으며, 둘째 현장 파견의 인턴

십보다는 기업체의 프로젝트를 산학협동으로 수행하는 캡스톤

과정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셋째, 3개 대학원의 1차 년도

교육과정이 PSM이 추구하는 ‘STEM+PLUS(Biz)’의 비즈니

스 스킬 향상보다는 기술경영에 중심을 두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살펴볼 때, 한국적 PSM 성공하기 위해서는

첫째, 공대의 공학인증제도와 같은 PSM 인증제도의 조기 확립

이 요구된다. 둘째, 미국의 산학자문위원회와 같은 산학연계

활동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조직을 전국적으로 확신시킬 필요

가 있으며, 셋째, 인턴십 제도의 평가시스템 및 대학으로의 피

드백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학생들의 비즈니스 스킬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재 제작 및 전문 교수진의 양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PSM의 성공요인을 분석했지만, 미국과

한국의 문화와 사회 배경은 서로 다르다. 한국 사회에서 요구

되는 가장 적합한 PSM 교육과정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2013년도 미래창조과학부와 연구개발특구진흥

재단의 재원으로 과학벨트기능지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12K001556)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기획단(2012), 과학-비

즈니스 융합 전문가(PSM) 양성 추진계획(안).

2. King, D.(2012), Developing Professional Science Master’s

Degree Programs, PSM Pre-Conference Workshop, Council

of Graduate Schools Annual Conference, Washington, DC.

3. Rosenbloom, J.(2010), A Master’s for Science Professionals

Sweeps U.S. Schools, the New York Times, December

26th.<http://www.nytimes.com/2010/12/27/education/27iht

Page 10: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2017-01-20 · 국내 PSM 프로그램 도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신판석․이명무․김윤호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201468

-educLede.html>

4. Takai Toshitsugu(2006), “MOT, PSM and Agenda of Knowledge

Management : Innovation, Paradox of Cluster, Storytelling”,

Office automation, 26(4), 52-63.

5. 鈴木市郎 ․ 岡崎慎司 ․ 小泉淳一(2008), “理系大学院に

おける実務者教育 : 米国Professional Science Master's

(PSM)と横浜国立大学大学院工学府PEDプログラム”,

生物工学 86(3), 生物工学学会 128-130.

6. 松下博宣(2008), Professional Science Master 急増中の

米国から見るニッポンMOT http://blog.goo.ne.jp/humanservice/

e/327925d32f86977dd0f7edc42b41d613

7. CGS http://www.cgsnet.org/ [접속일: 2013-11-25]

8. NPSMA http://www.npsma.org/ [접속일: 2013-11-25]

9. PSM http://www.sciencemasters.com/ [접속일: 2013-11]

신판석(Shin, Pan Seok)

1977년: 서울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1989년: (미)RPI 전기공학 박사

1993년-현재: 홍익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 교수

관심분야: 전기공학, PSM교육과정, 공학인증 등

Phone: 044-860-2593

Fax: 044-863-7605

E-mail: [email protected]

이명무(Lee, Myung-moo)

1996년: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양어대학 학사 졸업

2004년: 동 대학원 경영학과 박사 졸업

2003년-현재: 홍익대학교 스마트도시과학경영대학원

교수

관심분야: 기술경영, PSM, 공학교육프로그램

Phone: 044-860-2332

Fax: 044-860-2618

E-mail: [email protected]

김윤호(Kim, Yun-ho)

1990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경영정보학 석사

2004년: 동 대학원 경영학 박사

2010년-현재: 우송대학교 국제경영학부 교수

관심분야 : PSM, 기술경영, 모바일 비즈

Phone: 042-629-6642

Fax: 042-629-6649

E-mail: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