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敎育行政學硏究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9, Vol. 27, No. 2, pp. 481~499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 추진 진단 및 시사점*서 정 화(홍익대학교) 요 약 이명박 정부는 자율화, 다양화의 가치 아래 초중등 교육은 물론이고 대학교육, 평생교육, 그리고 교육시스템 등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지나친 경쟁논리와 효율성을 추구한다는 비판도 없지 않고 소통 노력도 부족하고 교육개혁 추진방식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없지 않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 내용을 살펴보고, 교육개혁 추진에 대한 일반 적인 인식과 의견을 분석한 다음, 향후 교육개혁추진에의 시사점을 추출하고 앞으로의 과제 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육개혁 추진에 대한 의견조사를 위해 초중등교원, 대학교수, 연구원 등 4,700여명을 대 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교육개혁 추진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은 그리 긍정적이지 못하다. 그러나 교육의 자율화, 다양화, 복지확충, 책무성 강화 등의 가치 에 대한 동의 수준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 교육개혁을 추진하는 충분한 공감대 형성 과 효율적인 추진체제 구축, 단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과제 추진 및 홍보활동 강화 등이 필요 하다. [주제어] 교육개혁,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 내용, 교육개혁 가치 및 전략, 교육개혁의 과제 . 문제의 제기 교육개혁은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현재보다 더 나은 상태로의 개선활동이 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흔히, 교육의 역사는 바로 교육개혁의 역사라고 한다. 교육 은 목표달성을 위해 내용과 방법, 교원, 제도 운영 등에 걸쳐 끊임없는 변화와 개선을 통해 그 목적을 달성하는 활동이기 때문이다. 80년대 중반 이후 미국이나 영국, 일본 등 선진 여러 나라에서와 같이 우리나라도 교 * 이 논문은 2007학년도 홍익대학교 교내 학술연구진흥비에 의해 지원되었음.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 추진 진단 및 시사점„œ정화.pdf · 형 사립학교 확대, 기숙형 공립학교 지정 운영 등도 추진되고 있거나 준비 중에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敎育行政學硏究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9, Vol. 27, No. 2, pp. 481~499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 추진 진단 및 시사점*1)

    서 정 화(홍익대학교)

    요 약

    이명박 정부는 자율화, 다양화의 가치 아래 초․중등 교육은 물론이고 대학교육, 평생교육,

    그리고 교육시스템 등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지나친 경쟁논리와 효율성을 추구한다는 비판도 없지 않고 소통 노력도 부족하고

    교육개혁 추진방식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없지 않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 내용을 살펴보고, 교육개혁 추진에 대한 일반

    적인 인식과 의견을 분석한 다음, 향후 교육개혁추진에의 시사점을 추출하고 앞으로의 과제

    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육개혁 추진에 대한 의견조사를 위해 초․중등교원, 대학교수, 연구원 등 4,700여명을 대

    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교육개혁 추진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은 그리 긍정적이지 못하다. 그러나 교육의 자율화, 다양화, 복지확충, 책무성 강화 등의 가치

    에 대한 동의 수준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 교육개혁을 추진하는 충분한 공감대 형성

    과 효율적인 추진체제 구축, 단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과제 추진 및 홍보활동 강화 등이 필요

    하다.

    [주제어] 교육개혁,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 내용, 교육개혁 가치 및 전략, 교육개혁의

    과제

    Ⅰ. 문제의 제기

    교육개혁은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현재보다 더 나은 상태로의 개선활동이

    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흔히, 교육의 역사는 바로 교육개혁의 역사라고 한다. 교육

    은 목표달성을 위해 내용과 방법, 교원, 제도 ∙운영 등에 걸쳐 끊임없는 변화와 개선을

    통해 그 목적을 달성하는 활동이기 때문이다.

    80년대 중반 이후 미국이나 영국, 일본 등 선진 여러 나라에서와 같이 우리나라도 교

    * 이 논문은 2007학년도 홍익대학교 교내 학술연구진흥비에 의해 지원되었음.

  • 482 敎育行政學硏究

    육개혁 방안을 마련하여 실천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95년 5월 31일 교육개혁방안이

    발표됨으로써, 본격적으로 교육개혁이 추진되었다. 김영삼정부 하에서 추진된 5・31 교육개혁 방안의 골격을 유지하면서 국민의정부와 참여정부에서도 교육개혁을 계속 추진하

    여왔다.

    2008년 2월 국민의 전폭적인 지지 속에 의욕적으로 출범한 이명박정부도 경제 살리기

    와 국민통합을 내세우면서 교육개혁을 추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쇠고기 파동과 세기적인 경제 불황 등 예상치 못한 국내・외적인 여건 속에서 교육개혁을 제대로 추진하기 힘든 상황이었던 것 같다. 그래서 사회 일각에서는 교육개

    혁 추진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다는 비판이 일기도 하였고 또, 일부 교육개혁 내용이나

    방향 등에 대한 불만도 없지 않다.

    인적자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우리나라가 세계 일류국가로 도약하려면 우수한 글로

    벌 인재 육성·배출이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

    육개혁 추진과 접근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명박 정부 출범 1주년을 맞아, 그 동안 추진해온 교육개혁의 내용

    을 점검해 보고, 앞으로의 성공적인 개혁의 추진을 위한 과제와 전략을 탐색하고자 한

    다.

    이를 위해 이명박정부 교육개혁의 지향가치와 내용, 추진현황 점검, 그리고 향후 과제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Ⅱ. 교육개혁 추진 평가

    국가적인 차원에서 교육개혁을 시도한 것은 전두환 정부 하에서 1985년 3월 ‘교육개

    혁심의회’가 발족하면서 부터라고 할 수 있다. 3년 동안에 걸쳐 마련된 교육개혁 종합

    구상은 우리 교육의 문제점 분석과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할 뿐 아니라, 21세기 한국 교

    육 발전의 청사진을 담고 있었다. 종합적이고도 획기적인 개혁방안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그 내용이 실현되지 못하였다. 다행히 교육개혁심의회 위

    원들이 일부 교과부 수장으로 입각하여 부분적으로 교육개혁을 추진하였다. 그 이후 노

    태우 대통령 정부 시기에도 ‘교육정책자문회의’가 설치되어 교육개혁 방안을 마련하였지

    만 이것들 역시 제대로 실천되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김영삼 대통령이 재임하였던 문민정부 하에 설치된 ‘교육개혁위원회’에서는

    1995년 5월 31일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新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을 발표하였다. 동 내용은 초등, 중등, 고등, 교원, 직업, 평생, 그리고 관련 인프라 구

  •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 추진 진단 및 시사점 483

    축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리고 이 개혁 방안들은 매우 대담한 개

    혁내용을 포함하는 것들이었고, 상당 부분 실천되어 우리나라 교육제도 운영의 패러다

    임을 바꾸는 전환점이 되었다. 국민의정부에서도 1기 ‘새교육공동체위원회’와 2기 ‘교육

    인적자원정책위원회’가 설치, 운영되었고 참여정부에서도 ‘교육혁신위원회’가 설치 및 운

    영되면서 대체적으로 5・31 교육개혁의 골격위에 평등주의의 구현, 균형발전, 복지향상 등의 가치들을 보완하는 내용이 많이 담겨져 있었다. 그러나 5.31 교육개혁 방안은 국민

    의정부와 참여정부를 거치면서 그 성격과 내용이 부분적으로 후퇴하였다는 지적도 없지

    않았다.

    그 동안의 교육개혁 방안이 추진된 내용을 다음 몇 가지 측면에서 점검・진단해 볼 수 있다.

    먼저, 그 동안의 교육개혁 방안들은 당면문제 해결 뿐 아니라 사회적인 요구와 필요

    등을 반영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고, 주요 선진국들의 교육개혁 동향과도 그 궤를 같이

    하고 있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실천된 측면이 없지 않고, 기대만큼의 목표 달성과 성

    과를 거두지 못한 것 같다.

    둘째,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된 위원회에서 마련된 교육개혁 방안들은 타당성이 인정

    되었지만 그 추진 방식이 주로 하향식(top down) 접근을 취하면서 현장에 착근되는 과

    정에서 호응도가 그리 높지 못하였다. 특히, 교육의 주체인 교원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받지 못하고 ‘겉도는’ 부분이 많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그 동안의 교육개혁 내용들은 교육의 본질 구현과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에 초

    점을 두기보다는 외곽적인 제도 개선에 치중하여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넷째, 교육개혁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재정지원이 취약하였고 범부처적 협력과 법적・제도적 뒷받침이 미흡하였다. 특히, 교육개혁에 관한 최고 정책결정권자의 적극적인 관

    심이 부족하였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상과 같은 한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 중반부터 국가적인 차원에서 추진

    된 교육개혁은 상당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가장 의미있다고 보여지는 것은

    무엇보다도 교과부 - 교육청 - 학교 - 교원 중심의 교육활동으로부터 학생-학부모 등 교육

    수요자 중심으로 정책 전환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교육의 자율성 확

    대와 민주적 학교 운영방식 개선, 교육의 책무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경쟁체제가

    서서히 도입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학급당 학생 수를 비롯한 교육여건이 크게 개

    선되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이돈희, 서정화 외. 2002).

    그러나 아직도 우리의 교육은 중앙집권적이고 획일적인 제도 운영과 관행이 많이 남

    아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교육에 관한 교육 관련 구성원들의 이해와 가치 갈등이

    허다하게 표출되고 있다. 교육에 대한 만족도 저하와 불만도 높은 것 같다. 그래서 조기

  • 484 敎育行政學硏究

    유학생 수가 3만 여명에 이르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더하여 사교육비가 연간 20조원

    을 넘어서고 있는 것은 학부모의 부담 증가와 사회 ‧ 경제적 격차 및 위화감 측면에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Ⅲ. 이명박 정부의 교육개혁 내용

    2008년 2월 출범한 이명박정부는 ‘인재대국’을 내걸고, 자율화, 다양화, 경쟁과 효율

    등의 가치 아래 유∙초∙중등교육은 시∙도교육청에, 대학은 대학자율에 맡긴다는 기조 위에

    의욕적인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이명박정부는 국민의정부와 참여정부에서 강조되어온 ‘평등성’의 이념 보다는 ‘수월성’

    추구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보여진다. 수요자 중심 교육, 자율성을 바탕으로 한 경쟁

    논리, 창의적 활동 및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 그리고 글로벌 스탠다드 충족 등의 가치

    를 강조하고 있다. 동시에 국민의정부와 참여정부에서 강조하여온 교육격차 해소라든지

    균형발전, 교육복지 확충, 공공성 강화 등 공동체적 가치도 함께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은 소위 신자유주의와 반신자유주의 및 공동체적 접

    근에서 중시하고 있는 가치들을 아우르는 실용주의 입장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치와 철학의 구현을 위해 이명박정부는 여러 차례에 걸친 교육개혁 방안을

    발표하였다. 주지하듯이 2007년 말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발표된 ‘학교만족 두배 사교육

    절반’과 ‘성공신화 창조 글로벌 대학 프로젝트’와 정부 출범 이후 지난 2008년 4월 15일

    발표된 ‘학교자율화 기본계획’과 인재대국 건설을 위한 과제, 그리고 교육복지 확충 방

    안 등이 그것들이다.

    이러한 방안들은 현재 일부 추진되기도 하고 추진을 위한 준비 과정에 있다. 그 중에

    서 ‘교육정보공시제’라든지 ‘학력평가’등이 최근에 자주 매스컴에 오르내리고 있고 자율

    형 사립학교 확대, 기숙형 공립학교 지정 운영 등도 추진되고 있거나 준비 중에 있다.

    자율화, 다양화된 교육체제 구축, 학교 교육만족도 제고, 교육복지 기반활동 등에 걸친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은 현재 교육개혁 추진 상황을 살펴보면 다음 에서와 같

    다.

  •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 추진 진단 및 시사점 485

    구 분 주요 내용 구체적 내역

    자율화・다양화된교육체제 구축

    지방교육자치의 내실화

    ・중앙정부 권한의 시도교육청 이양 ・자율성 제한하는 불합리한 규제 정비 ・학교정보공시제도 도입으로 책무성 제고

    고교다양화 프로젝트

    ・기숙형 고등학교 82개교 지정 ・운영 ・마이스터고, 자율형 사립고 확대 ・특색있는 학교만들기 지정 ・운영

    대학의 창의적 역량

    강화

    ・사립대 법인 운영 자율권 확대(2009.상) ・국립대 자율권 확대(2010.하) ・대학 정보공시제 및 평가인증제 도입(2008) ・성과중심의 대학재정 지원

    대학입시 3단계

    자율화

    ・대입 업무 대학교육협의회로 이양(2008.6) ・입학사정관제 도입(2008년, 40개교) ・대입 완전 자율화(2012년 이후)

    학교교육

    만족도 제고

    영어교육 질 제고 및

    격차해소

    ・초등영어 수업시간 및 영어 교육환경 구축 ・국가영어능력 평가시험 도입 추진 ・영어교사 심화연수 및 원어민 교사 확대

    교원의 전문성 제고 ・교원 능력개발평가의 주요 내용 수정 ・교원 능력개발평가의 결과 활용(2010부터)

    교육과정 및 교과서

    선진화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의 자율권 확대 ・미래사회를 위한 핵심역량 반영 ・선진형 교육과정 개편 기본방향 마련 ・검정교과서 유통 개선 및 검정 기능 확대

    문화예술 및 체육교육

    활성화

    ・문화예술적 소양을 위한 예술강사 지원확대 ・학생상담활동 지원 강화

    교육복지기반

    확 충

    기초학력 향상

    지원체제구축

    ・학력수준 파악 위한 국가 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및 학업성취도 평가 시행 ・학습 부진아 최소화를 위한 자료개발

    저소득층, 소외계층

    지원 강화

    ・저소득층 교육지원 확대, 자유수강권 지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 강화 ・다문화가정 및 장애인 지원 확대

    맞춤형 국가장학제도

    구축

    ・소득수준에 따른 맞춤형 학자금 지원 확대 ・근로 및 우수학생 장학금 지원 효율화 ・한국장학재단 추진 및 맞춤형 서비스 제공

    전 국민의 평생학습

    활성화

    ・평생학습 이력관리 시스템 구축ㆍ운영 ・대학의 시간 등록제 및 평생학습 대학 구축 ・저학력 성인 기초능력 향상 교육 체계화

    자료 : 교육과학기술부 제 1차관 우형식. “이명박 정부 1년, 주요교육정책 추진 현황”

    제20회 「미래인재포럼」 발표자료 2008. 12. 11.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 추진 상황

  • 486 敎育行政學硏究

    Ⅳ. 교육개혁 방안 및 추진에 대한 의견 분석

    교원, 학부모,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이명박정부 교육개혁’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1)

    1. 교육개혁에 관한 일반적 인식

    먼저, 이명박 정부의 교육개혁에 대한 일반적인 동의하는 정도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

    기 위해 각 설문 문항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약간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

    다”, “전혀 그렇지 않다”에 표기하도록 한 결과의 평균을 산출하여 본 결과는 에

    서와 같다. 전체적으로 5점 만점에 평균(보통이다)이 3점이라고 볼 때, 이명박 정부의

    교육개혁에 관한 일반적인 인식은 평균에 다소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입시자율화가 이루어지면 ‘사교육비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는 설문에 대해서는 보통에

    미치지 못하고 부정적인 의견에 가까움을 알 수 있다.

    이명박 정부 교육개혁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설 문 내 용 N 평균

    ◦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 내용은 시대적 흐름과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고 있다.

    4,304 2.66

    ◦ 학교교육 자율화, 다양화, 경쟁력 강화 등의 정책 방향은 바람직하다. 4,312 2.89

    ◦ 학교에서의 영어교육이 강화되면 학생들의 영어 실력은 크게 향상될 것이다.

    4,318 2.95

    ◦ 3단계 대학입시 자율화가 이루어지면 사교육비 부담이 줄어들 것이다.

    4,314 2.12

    ◦ 교육개혁 방안이 추진되면 교육의 질적 수준이 향상될 것이다. 4,296 2.73

    ◦ 이명박 정부의 교육개혁은 앞으로 성공적으로 추진될 것이다. 4,308 2.53

    ◦ 이명박 정부의 교육복지 정책은 성공적으로 추진될 것이다. 4,294 2.59

    1) 이를 위해 지난 2008년과 12월~1월 ‘이명박 정부의 교육개혁에 관한 설문’을 개발하였다.

    이 설문지에는 이명박정부 교육개혁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초․중등 교육관련 개혁과

    제에 대한 의견, 고등교육 및 평생교육 관련 개혁과제의 중요도에 대한 의견, 그리고 교육

    개혁의 가치 및 전략에 대한 의견 등이 포함되었다. 2009년 2월 1일부터 2주간에 걸쳐 전

    국의 16개 시․도교육청 산하 초․중등교원, 그리고 대학교수, 연구소의 연구원 등을 포함

    하여 도합 4,700부를 배포하였고, 4,320여부를 회수하였다. 자료는 SPSS 12.0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각 설문 문항에 대하여 5단계 리커트(Likert)방식으로 표기하도록 하여

    평균을 산출하였다.

  •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 추진 진단 및 시사점 487

    2. 초・중등 교육 관련 핵심 개혁과제에 대한 의견

    초 ․ 중등 교육 관련 핵심 개혁과제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자율형 사립고 확대’에 대한 동의는 2.80점으로 평균에 다소간 못 미치고 있으

    며 다른 개혁과제에 대한 동의 정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국가 차원

    에서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해서도 보통 정도의 반응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사회

    적 배려대상 및 취약계층을 위한 복지정책 확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찬성

    율을 보이고 있다(표 3 참조).

    초・중등교육 핵심 개혁 과제에 대한 동의 정도

    설 문 내 용 N 평균

    ◦ 학생들에 대한 학업 성취도를 국가차원에서 평가해야 한다. 4,307 2.98

    ◦ 교원평가는 실시되어야 한다. 4,311 3.10

    ◦ 학생, 학부모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고 학교의 질적 수준 향상에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학교정보공시제도는 바람직하다.4,311 3.51

    ◦ 낙후 지역에 기숙형 고교를 설립 운영 하는 것은 적절하다. 4,311 3.49

    ◦ 학생의 특기와 적성을 살리면서 졸업 후 취업 진학 가능성이 열려있는

    마이스터 고교를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4,301 3.63

    ◦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자율형 사립고는 확대돼야

    한다.4,306 2.80

    ◦ 다양하고 질높은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학교 운영에 관한 권한을

    학교에 더욱 위임해야 한다.4,304 3.61

    ◦ 사회적 배려 대상(취약계층)을 위한 교육복지 정책들이 다양하고 실제적인

    내용으로 확대되어야 한다.4,304 4.11

    ◦ 교육복지의 일환으로 교육복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교육쿠폰

    (교육바우처)의 지급을 확대한다.4,288 3.65

    3. 고등교육 및 평생교육 관련 개혁 과제의 중요도에 관한 의견

    고등교육 및 평생교육 개혁과제의 중요도에 대한 동의 정도를 살펴보면 모두 긍

    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표 4참조). 특히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

    학 육성사업 정책(4.23점)과 대학과 산업체 연구기관의 협력 활성화 정책(4.17점)은

    상당히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488 敎育行政學硏究

    고등교육과 평생교육 정책의 중요도에 관한 동의 정도

    설 문 내 용 N 평균

    ◦ 학생선발을 전담하는 입학사정관제의 확대를 통한 학생선발 다양화 4,152 3.71

    ◦ 대학의 교육여건, 교육과정, 교수 등의 정보를 알리는 대학정보공시제

    실시 및 평가인증제 도입4,165 4.03

    ◦ 대학운영에 있어서 규제 항목의 축소 4,133 3.51

    ◦ 대학입시 완전자율화를 위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역량 강화 4,154 3.44

    ◦ 자율적이고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국립대학의 법인화 도입 추진 4,129 3.58

    ◦ 대학의 교육역량 강화 지원 확대 4,121 3.97

    ◦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 사업 4,109 4.23

    ◦ 부실대학 퇴출 및 통폐합 계속 유도 4,114 4.08

    ◦ 대학과 산업체, 연구기관의 협력활성화 4,111 4.17

    ◦ 정부의 출연 연구소 구조 및 운영시스템 개편 4,108 3.78

    ◦ 고등교육기관의 평생교육 기능 강화 4,104 3.91

    ◦ 이수학점을 누적하여 활용할 수 있는 평생학습계좌제 도입 4,120 3.69

    ◦ 성인 문해 교육 지원 4,098 3.52

    ◦ 글로벌 청년 리더 10만명 양성(인턴, 취업, 봉사) 4,133 3.71

    ◦ 국가장학재단 설립 및 장학재원 확충 4,123 3.92

    4. 교육개혁의 가치 및 전략에 관한 의견

    이명박 정부 교육개혁을 통해 추진하는 핵심가치와 방향 중 가장 중시되어야 할 것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면 ‘교육의 자율화(27.9%)’, ‘교육복지 확충(25.2%)’, ‘다양화(23.4%)’

    그리고 책무성 강화(1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표 5참조).

    교육개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핵심 가치에 대한 의견

    N 자율화 다양화책무성 강화

    수요자 중심

    교육복지 확충

    글로벌 스탠다드

    부응기타 전체

    χ2dfp

    초등학교 821 27.5% 23.0% 10.4% 7.9% 28.0% 2.7% 0.5% 100%

    148.624 30

    .000***

    중고등학교 1,465 53.0% 46.3% 21.3% 16.2% 55.7% 6.3% 1.2% 100%

    교육전문직 436 41.1% 17.7% 19.7% 8.9% 10.8% 1.6% 0.2% 100%

    대학, 연구원 51 31.4% 23.5% 15.7% 2.0% 15.7% 11.8% 100%

    학부모, 기타 1,504 25.7% 25.4% 9.3% 9.4% 25.5% 4.3% 0.4% 100%

    전 체 4,277 27.9% 23.4% 11.1% 8.5% 25.2% 3.4% 0.5% 100%

  •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 추진 진단 및 시사점 489

    이명박 정부의 교육개혁 추진에 있어서 가장 심각한 문제점에 대한 의견은 ‘일방적

    밀어붙이기식 추진방식(42.3%)’, ‘정책의 방향 및 추구 가치의 미흡(26.8%)’, ‘체계적인 의

    사소통 미흡(12.6%)’ 등으로 나타났다(표 6참조).

    교육개혁 추진에 있어서의 문제점

    N

    정책의

    방향과

    추구

    가치의

    미흡

    체계

    적인

    의사

    소통

    미흡

    일방적

    밀어붙

    이기식

    추진

    방식

    정부

    역량

    미흡

    교원의

    기득권

    집착

    협력

    미흡

    구체

    정책

    추진

    수단

    부족

    달라

    환경

    에의

    부응

    미흡

    정책의

    내용 및

    추진

    상황에

    대한

    홍보활

    동 부족

    정책

    추진

    과정에

    서의

    단계적

    접근

    노력

    취약

    기타 전체

    χ2

    df

    p

    초등학교 826 25.7% 12.5% 46.1% 3.6% 2.6% 3.2% 1.5% 1.8% 3.1% 100%

    297.78045

    .000***

    중고등학교 1,475 58.4% 26.3% 86.1% 7.8% 6.7% 6.0% 2.7% 2.0% 3.9% 0.1% 100%

    교육전문직 435 23.4% 17.0% 45.7% 2.3% 1.6% 2.8% 0.7% 0.7% 5.7% 100%

    대학, 연구원 51 19.6% 21.6% 21.6% 7.8% 13.7% 3.9% 5.9% 5.9% 100%

    학부모, 기타 1,505 26.2% 10.4% 39.2% 6.3% 5.7% 4.7% 2.1% 2.1% 3.2% 0.1% 100%

    전체 4,282 26.8% 12.6% 42.3% 4.6% 4.0% 3.6% 1.5% 1.5% 3.0% 0.1% 100%

    교육개혁의 추진과 성공을 위해 가장 큰 역할을 수행해야 할 책임은 어디에 있는가

    라는 설문에 대한 반응은 ‘교사 및 교수(36.9%)’, ‘교육과학기술부(31.2%)’, ‘교원단체

    (14.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표 7참조).

    교육개혁 추진을 위해 가장 큰 역할을 수행해야 할 책임 집단에 대한 의견

    N교원

    단체

    교육

    과학

    기술부

    학부모

    단체청와대 국회

    교사

    교수

    언론

    비정부

    기구

    (NGO)

    기타 전체χ2

    dfp

    초등학교 826 15.9% 29.8% 2.4% 2.6% 3.3% 43.7% 0.4% 0.4% 1.6% 100%

    236.30040

    .000***

    중고등학교 1,457 32.4% 60.7% 7.4% 6.7% 7.7% 77.8% 2.7% 1.8% 2.7% 100%

    교육전문직 435 6.0% 34.0% 1.4% 3.2% 3.7% 49.2% 1.1% 0.2% 1.1% 100%

    대학, 연구원 51 7.8% 27.5% 7.8% 2.0% 3.9% 41.2% 5.9% 2.0% 2.0% 100%

    학부모, 기타 1,498 15.0% 32.0% 7.1% 5.5% 7.7% 27.4% 2.1% 0.7% 2.5% 100%

    전체 4,260 14.6% 31.2% 4.5% 3.9% 5.1% 36.9% 1.5% 0.7% 1.8% 100%

  • 490 敎育行政學硏究

    N경쟁체

    제 강화

    우선순

    위 설정

    효율의

    추구

    국가의

    개입 강화

    학교의

    자율역

    량 강화

    기타 전체χ2

    dfp

    초등학교 821 8.5% 16.3% 30.8% 1.9% 39.7% 2.7% 100%

    149.788 25

    .000***

    중고등학교 1,462 16.7% 32.1% 54.8% 6.5% 82.1% 7.8% 100%

    교육전문직 433 8.5% 14.1% 24.2% 1.2% 50.3% 1.6% 100%

    대학, 연구원 51 13.7% 17.6% 13.7% 51.0% 3.9% 100%

    학부모, 기타 1,501 14.6% 11.1% 34.7% 4.7% 31.6% 3.2% 100%

    전체 4,268 10.7% 14.2% 30.1% 3.3% 38.5% 3.2% 100%

    교육개혁 추진을 위해 가장 강조되어야 할 전략에 대한 의견으로서는 ‘학교의 자율역

    량 강화(38.5%)’, ‘효율의 추구(30.1%)’, ‘우선순위 설정(14.2%)’ 그리고 ‘경쟁체제 강화

    (10.7%)’ 등으로 나타났다(표 8 참조).

    교육개혁 추진을 위한 우선 전략

    교육개혁 추진에 있어서 향후, 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에 대한 의

    견으로는 ‘사교육비 절감(44.7%)’, ‘소외계층을 위한 대책 강화(22.1%)’, 대학입시 개선

    (16.4%) 그리고 ‘수월성교육(10.2%)’ 등으로 나타났다(표 9참조).

    향후, 이명박 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과제에 대한 의견

    N수월성

    교육

    소외

    계층을

    위한

    대책

    강화

    다문화

    가정

    대책

    마련

    사교육비

    절감

    대학입시

    개선

    의무

    교육의

    연한

    연장

    기타 전체χ2

    dfp

    초등학교 823 9.2% 22.8% 2.1% 47.3% 14.8% 3.3% 0.5% 100%

    235.80730

    .000***

    중고등학교 1,475 17.5% 50.3% 9.1% 81.0% 36.8% 3.4% 1.9% 100%

    교육전문직 434 23.0% 16.4% 1.6% 32.0% 22.8% 1.8% 2.3% 100%

    대학, 연구원 51 21.6% 15.7% 3.9% 33.3% 19.6% 2.0% 3.9% 100%

    학부모, 기타 1,507 8.0% 20.5% 4.4% 51.5% 13.3% 2.3% 0.1% 100%

    전체 4,290 10.2% 22.1% 3.7% 44.7% 16.4% 2.2% 0.7% 100%

  •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 추진 진단 및 시사점 491

    향후, 교육개혁 추진에 있어서 정부에게 가장 절실하다고 보는 접근방식을 묻는 설문

    에서는 ‘충분한 공감대 형성을 위한 소통 강화(32.9%)’, ‘효율적인 교육개혁 추진체계 구

    축(31.5%)’ ‘교육의 지향가치 재설정 및 보완(24.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표 10참조).

    향후, 교육개혁 추진과정에서 필요한 접근 방식에 대한 의견

    N

    효율적인

    교육개혁

    추진체계

    구축

    교육의

    지향

    가치

    재설정,

    보완

    추진과정

    에서의

    속도 조절

    충분한

    공감대

    형성을

    위한

    소통강화

    교육 관련

    단체, 이해

    당사자

    들과의

    협력 유도

    기타 전체χ2

    dfp

    초등학교 824 29.1% 24.0% 6.1% 36.3% 4.4% 0.1% 100%

    122.869 25

    .000***

    중고등학교 1,475 51.3% 57.5% 13.9% 68.9% 7.8% 0.4% 100%

    교육전문직 433 28.6% 25.6% 9.5% 34.6% 1.6% 100%

    대학, 연구원 51 39.2% 21.6% 5.9% 25.5% 7.8% 100%

    학부모, 기타 1,507 39.0% 20.6% 6.2% 29.3% 4.7% 0.1% 100%

    전체 4,290 31.5% 24.6% 6.8% 32.9% 4.1% 0.1% 100%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에 관한 설문 중에서 자유 반응 결과들을 보면 교육개혁 내용

    뿐 아니라 추진방법, 지향가치 및 전략 등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교육개혁 내

    용과 관련하여 사교육비 경감의 절박성, 지나친 영어교육 강화 우려, 무능 교원 퇴출,

    인성교육 강화 및 행복한 학교 건설, 공교육 강화 등이 많이 제시되었다. 또한, 교육개

    혁추진을 위한 공감대 형성 및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개혁 추진, 소통강화, 일관성 있는

    정책 집행에 대한 의견도 많이 있다. 아울러 저소득층을 위한 장학금 확충, 교육복지확

    충, 국가차원의 장학사업 추진, 평준화 정책, 단위학교의 자율성 폭 확대 등 정책적 전

    환 및 지향 가치의 변화 등에 대한 주문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Ⅴ. 교육개혁 방안에 대한 반응 및 쟁점들2)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 개혁방안에 대하여 교원단체는 물론이고 학부모단체, 기타

    2) 서정화(2008). “이명박정부 교육정책의 해부”, (사)한국학교교육연구원 창립 5주년 기념 교

    육포럼 발표자료.

  • 492 敎育行政學硏究

    교육 관련 단체의 반응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먼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에서는 기본적으로 자립형 사립고 확대, 기숙형 공립

    고교 설치, 입시자율화 등에 대해 기본적으로 거부감을 표시해왔다. 교육개혁 방안들이

    실천될 경우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을 가중시킬 뿐 아니라 학생의 건강과 안전을 방기한

    다는 것이 될 것이고 나아가 ‘학교의 학원화와 정부의 책임포기’가 될 것이라는 것이다.

    또, 교육정보공개법 등으로 인해 시·도 교육청의 학력 경쟁을 부추기게 될 것이고, 결과

    적으로 학교자율화 조치는 ‘학교장의 편중된 권한 강화와 구성원 간의 갈등과 혼란’을

    가증시킬 것으로 우려하면서 반대하고 있다.3) 전교조와 입장을 거의 같이 해온 참교육

    을 위한 전국 학부모 등도 유사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해 일부 교육학자들도 새 정부의 교육정책 기조에 대한

    우려를 담은 성명서를 발표하기도 하였다4). 그 주요 내용을 보면, 학교자율화 조치는

    교육을 경쟁과 효율성의 관점에서만 파악하는 편협한 기조에 두고 있다고 전제하고, 자

    립형사립고를 비롯해서 영어몰입교육, 학력평가, 고교다양화 300정책, 0교시 수업 등의

    조치는 더욱 강화된 경쟁으로 내모는 정책으로 규정하고 있다. 요컨대, 고교평준화 정책

    을 근본적으로 위협하고 고교를 서열화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지나친 성장주의적 관

    점에서 교육을 수단으로 파악해서는 안 되며 전인교육과 창의성 교육, 그리고 인간에

    대한 존중과 공동체적 원리를 강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총)에서는 그 동안 대선 공약에 대해서는 총론적으

    로 찬성을 표시하고 있다. 학교자율화 방안 발표 내용에 대해도 공교육의 경쟁력 향상

    을 위한 조치라고 환영하면서 학교자율화를 위한 여건 조성에 관한 대책 강구와 함께

    실질적인 단위학교 자율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교육격차 해소와 시·도교육청의 지원센

    터로서의 기능 전환, 학교교육에 대한 지원체제 강화 등을 주문하고 있다. 뉴라이트 교

    사연합과 대한사립중고등학교 등에서도 학교자율화 조치에 대해 대체로 환영하는 입장

    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교육정책 과제들 중 비판적인 지적을 받고 있는 내용들 중에서 쟁점 사안에

    대해 그 취지와 우려 내용 등을 간추려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어 공교육 강화는 지나친 영어 학습열을 조장하고 사교육비 및 교육격차 확

    대 등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즉, 영어 만능주의로 흐르게 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학

    부모의 사교육비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 서민과 농 ·산어촌 빈곤층 등을 제대로

    배려하지 않아 교육격차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비판이 그것이다(박경량, 2008). 그러나

    3) 전교조, “학교자율화 추진계획에 대한 전교조의 입장”, 2008. 4. 15.

    4) 교육학자 110명 이명박 정부 교육정책 반대 성명. 2008. 5. 30.

  •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 추진 진단 및 시사점 493

    현실적으로 영어교육 강화에 대한 학부모 ‧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않을 수 없다고 볼 때, 학교에서의 영어교육 내실화를 위한 노력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자율형 사립고교를 100개로 확대하는 데 대해 교고 평준화를 깨뜨린다는 우려

    와 함께 사립학교의 귀족화 및 위화감 조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사학

    의 본질과 정체성 측면뿐만 아니라 평준화를 보완한다는 차원에서 자율형 및 자립형 사

    학을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형 마이스터 고교 50개 육성에 대해 일부 전문계 고교의 귀족화 우려 및

    나머지 학교들의 상대적 박탈감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산업기초 기능인력 양성 목적

    과 학생들에게 장래 비전을 주고 전문계 고교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전환을 위해서는

    마이스터고교 육성 및 전문계고 지원 및 활성화 대책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5).

    넷째, 기숙형 공립고교 설립 운영과 관련하여 기숙형 학교가 아닌 나머지 학교들로

    하여금 ‘상대적 박탈감’과 교육여건 격차에 대한 불만이 없지 않다. 그러나 기숙형 공립

    고교는 교육 낙후지역의 발전의 거점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선정되지 못한 학교에 대한

    적절한 재정적인 지원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고 또, 공립만이 아니라 기숙형 사립고교

    운영도 요청되고 있다.

    다섯째, 학력평가에 대해 교사들의 부담 증가, 지역 간의 격차 및 학교의 서열화 등의

    문제를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학력 향상 노력은 교육적인 차원에서 당연한 학교의 업

    무가 아닐 수 없다. 오히려 학생들의 학업성취 향상과 지역간 및 학교간의 격차 해소에

    필요한 정보를 확보하고, 적절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학력평가는 단계적으로 확대

    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정보공시제에 대하여 교원들의 부담과 개인정보 보호, 신뢰성 및 타당성 문제

    와 함께 자칫 지역간, 학교간 서열화 초래로 고교등급제부활 및 평준화 제도 훼손을 우

    려하기도 한다(오세희, 2008). 그러나 이미 관련 법률이 국회를 통하여 제도화된 만큼,

    법 취지에 맞게 시행령을 마련하고 홍보를 강화하는 등의 노력이 요청되고 있다. 동시

    에 공시될 정보들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단계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학사관리와 관련하여 학사관리 자율화에 따라 우열반 편성 확대, 0교시 및 야

    간 보충수업 확대, 그리고 영리 업체가 학교로 유입될 것이라는 우려도 없지 않고(이명

    균, 2008) 학생들의 건강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가 없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에 대

    해서는 일부 오해를 불식시키면서 보다 적극적으로 학교와 지역주민들에게 정책의 본래

    취지를 잘 이해하도록 홍보하는 동시에 단위학교 구성원들의 자율역량 강화 및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다.

    5) 한국교총, 보도자료. 2008.06.13.

  • 494 敎育行政學硏究

    Ⅵ. 이명박 정부의 교육개혁 추진 진단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 방안들은 기본적으로 자율화 신장이라든지 다양성 확대, 책

    무성 제고, 수월성 추구, 글로벌 스탠다드 부응 등의 흐름에 부응하고 있다. 또한, 평등

    성 위에 수월성을 조화롭게 접목시키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또 추진 수단으로서 경

    쟁과 효율을 강조하면서 선택과 집중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특히,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선의의 경쟁체제 구축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 또한 시대적 흐름이자 요청에

    부응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발표된 정책 과제들을 제대로 평가하고 문제점을 지적하며 성과를 제시하는 것은 한

    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서 제시한 설문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내용과 추진방

    식 등의 측면에서 그 동안 비판되고 있는 정책의 내용과 접근방식 상의 문제점을 몇 가

    지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육정책 추진체제 구축 미흡과 교육정책 과정의 합리성 부족을 들 수 있다.

    정책의 형성·결정과 집행 과정을 포함하는 정책의 과정(policy process)에서 체계적인

    과정을 밟는데 미흡하였다. 이는 정책을 개발하고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이익집단과 교

    육관련 단체 등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기 위한 구심체가 없었기 때문이다. 앞에서 제

    시된 설문조사 분석에서도 볼 수 있던 바와 같이 학교 현장의 교사 및 학교경영자, 교

    육행정가, 학부모, 교육관련 집단 등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한 체계적인 의견 수렴 활

    동이 부족하였다. ‘베일에 가려져 있는 정책결정’이라든지 ‘폐쇄적인 의사소통’과 같은

    지적이 그것이다.

    또한, 정책 내용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련된 정책 수단이 부족하였다. 정책의 콘텐츠도

    중요하지만 정책내용을 어떻게 교육현장에 투입하고 정착시키느냐 하는 것이 관건이다.

    따라서 정책 내용을 구체화하여 자연스럽게 정착시킬 수 있는 실행계획과 로드맵이 필

    수적이다. 그러나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방안들을 제대로 준비하지 못하였다. 특히, 정책

    내용과 관련하여 상대적 박탈감 또는 피해를 가져오는 집단 및 계층을 고려하는 정책수

    단들 역시 부족하였다.

    그리고, 정책추진에 있어 연착륙을 위한 단계적인 접근이 미흡하였다.

    ‘교육개혁을 추진하려면 정권 초기에 해야 한다’는 암묵적인 강박 관념에서 성급하게

    서둘러 정책을 추진하고자 한 점도 지적될 수 있다. 아무리 정책 내용이 정책 목표 달

    성에 적합하고 타당한 대안이라고 할지라도 현장의 수용성(responsiveness)과 반응을 충

    분히 고려하지 않으면 그 성과를 기대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끝으로, 달라진 사회 변화에 맞춘 정책 환경의 조성 노력이 미흡하였다. 교육정책에

    대한 단체 특히, 교육정책 결정에 관련된 NGO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다양한 주장이 제

  •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 추진 진단 및 시사점 495

    기되어 왔지만 교육에 대한 높은 기대 수준과 빠른 가시적 성과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

    를 제대로 수렴하여 반영하지 못하였다. 또 언론 및 인터넷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다

    양화된 사회 분위기 속에서 행정적인 힘에 주로 기대어 정책을 추진하다 보니 정책 내

    용에 관한 명분과 논리를 가지고 입장을 달리하는 관련 단체나 교육 주체들과 함께하는

    원활한 의사소통 노력 또한 한계가 있었다.

    Ⅶ. 향후 교육개혁 추진에의 시사 및 과제

    교육의 자율화, 다양화, 복지확충, 책무성 강화 등의 가치를 중시하고 있는 이명박정

    부의 교육개혁 기조에 대해서는 동의 수준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문제점과 향

    후과제, 전략 등에 관한 의견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일방적

    인 교육개혁 추진방식보다는 충분한 공감대 형성과 효율적인 추진체계구축에 대한 의견

    이 많다. 특히, 교육복지 확충, 정보공시제, 세계적인 수준의 대학 육성, 대학의 구조조

    정, 산학연 협력에 대한 동의 수준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교육개혁의 내용과 추진

    을 위한 접근방식, 보완과제 설정 등에 유의한 시사를 주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의 추구 가치나 내용 등은 시대적 요구와 흐

    름에 부응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다만, 교육개혁의 추진방식이나 접근 방식 등

    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이지 못한 면이 없지 않다. 지난 1년 동안 이명박 정부는 교육과학

    기술부와 청와대 교육과학문화 수석실이 중심이 되어 교육개혁을 추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교육개혁 추진을 위한 준비단계에 있거나 일부 부분적으로 추진되

    기 시작하고 있을 뿐 아직 본격적으로 교육개혁을 추진하지 못하였다고 보여진다.

    초 ․ 중등 교육과 관련하여 취약 계층에 대한 정책 확대, 학교 정보공시제와 낙후지역에 기숙형 공립학교 설립, 마이스터 고교 설립, 학교 운영에 대한 권한 확대 등에 관한

    동의 정도가 높지만 자율형 사학 확대나 학업 성취도 평가 등에 관해서는 그러하지 못

    하다. 이는 새로 추진하는 정책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설득과 홍보가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고등교육 및 평생교육과 관련하여서는 거의 대부분의 개혁과제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

    을 보이고 있고, 특히 대학정보공시제 라든지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 대학구조

    조정, 산·학·연 협력 등에 관해서는 매우 높은 찬성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교육개혁 과

    제 우선순위 설정에 유의한 시사를 주고 있다.

    앞으로 여러 가지 교육 이슈가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 일부에서는 교육개혁 추진에

    따른 부작용을 계속 부각시켜 비판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기도 한다. 이렇게 될 경우

  • 496 敎育行政學硏究

    오히려 교육정책 추진에 발목을 잡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교육개

    혁의 쟁점 사안들은 이해관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이명박정부 전반기에 탄력을 받아 적

    극적으로 개혁을 추진하지 못하면 교육개혁이 성과를 거두기 어려울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명박정부 교육개혁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성공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그리 긍정적이지 못하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사교육비 해결이라든

    지 교육개혁 추진 방식, 추구 가치 등에 대한 반응이 그 예가 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앞서 제시한 교육개혁추진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앞으

    로 관심을 두어야 할 추진과제 및 전략을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혁의 목표와 우선순위를 명확히 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교육개혁

    에 관한 공감대 형성을 통해 추구가치 및 중점과제 보완이 필요하다. 그 동안 교육개혁

    과제들이 폭넓은 의견수렴 과정을 거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리하여 교육개혁 과제의

    타당성에 관한 논란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교육개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확고한 지

    지 기반을 바탕으로 해야 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확고한 지지를 제대로 이끌어 내지 못

    하였다. 쟁점이 되는 과제들을 중심으로 오히려 비판과 공격을 많이 받아온 것이 사실

    이다.

    둘째, 교육개혁 추진을 위한 효율적인 추진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그동안 교육개혁 추

    진체계가 제대로 구축·운용되지 못하였다. 말하자면, 교육개혁 방안이 마련되었지만 이

    를 구체화하는 실행계획 수립이 미흡하였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장하는 컨트롤 타워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관련 기구 및 부처들 간의 협력 및 네트워크

    도 취약하였다. 그리고 복잡한 이해 관계자들을 설득하는 정치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

    하였다. 담당 부처와 관계관들이 제대로 교육개혁의 과정을 장악하지 못하고 정책의 혼

    선을 빚었던 점도 부인할 수 없다. 2008년 10월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가 설치되어 운영

    되고 있지만, 더욱 강력하고도 적극적인 활동이 요청되고 있다.

    셋째, 교육개혁 추진을 위한 정책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그동안 적극적인 홍보 노력

    이 부족하였다. 매스컴과 신문 등 언론 매체를 통해 교육문제를 이슈화 시키고 설명하

    고 소통하는 기회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앞으로 교육 관련 단체와 교육의 주체

    인 교원들을 설득하고 체계적인 의사소통하는데 주력하는 동시에 정치력을 발휘하여 국

    회, 교원단체, 학부모 단체, 언론 등의 이해 관계를 조정하는 노력이 강화되어야 할 것

    이다.

    넷째, 정부의 교육개혁 추진은 우선순위에 따라 완급을 가려 단계적으로 추진될 필요

    가 있다.

    다섯째, 교육개혁 추진의 구심점이 되어야 할 교육과학기술부는 대학입시와 사교육

    등 단기 현안 과제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우수 인재개발 비전의 설정과 연구개발 역량

  •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 추진 진단 및 시사점 497

    제고, 고등교육의 선진화 등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청사진을 마련하고 실천하는 노력

    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사교육비 절감과 소외계층을 위한 대책을 확충하는 동

    시에 수월성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육개혁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교원과 교원 단체, 교과부 등의 교육개혁의

    절박성에 대한 인식의 공유와 협력, 책무성 강화 노력이 절실하다.

    끝으로, 정부의 교육개혁 추진 과정과 성과, 기대효과 등을 더욱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느냐가 교육개혁의 성공을 좌우하는 관건이 될 것이다. 경제 살

    리기와 함께 국민의 절실한 염원인 질 높은 교육을 위해 사교육비를 줄이고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을 높이는 교육개혁을 더욱 가속화하는 노력이 기대되고 있다.

  • 498 敎育行政學硏究

    참고문헌

    곽병선(2008). “새 정부의 교육정책 과제”, 새정부의 교육정책 과제와 전망. 홍익대학교

    특성화 사업단.

    교육과학기술부(2008). 보도자료(06.13)

    김성렬(2008).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 새정부 교육정책의 현안ㆍ쟁점에 관한 토론

    회 발표 자료.

    김성렬(2008). “학교자율화 추진계획, 쟁점과 과제”. 교육개발 Vol 35. No2

    김흥주(2008). “학교자율화 추진계획, 그 명과 암”. 교육개발 Vol 35. No2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심의회(1987). 교육개혁종합구상.

    대통령자문 교육인적자원정책위원회(2002). 교육개혁추진평가 연구.

    바른정책연구원(2007). 일류국가를 향한 바른정책백서.

    박세일(2007). 대한민국 선진화 전략. 21세기북스.

    서정화(2008). “국가교육개혁의 전략과 방향”. 이명박 정부 교육개혁의 방향과 과제. 국

    회의원 박보환, 한국교육행정학회 토론회 발표자료.

    서정화(2008). “새 정부의 교육개혁과 교원정책.” 새정부 교육정책의 현안·쟁점에 관한

    토론회 발표자료. 자유주의 교육운동 연합.

    오세희(2008). "초·중등교육기관 정보공시의 쟁점과 과제". 교육개발 Vol 35. No2

    이군현, 서정화(2007). “공교육 내실화와 사교육비 경감대책,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

    교육비전포럼 창립기념 학술세미나 발표자료.

    이돈희(2007). 대한민국의 희망은 교육이다. 민사고.

    이명균(2008). “4ㆍ15 학교 자율화 추진계획의 쟁점과 과제”. 사학 2008 봄·여름(통권

    121호)

    전교조(2008). “학교자율화 추진계획에 대한 전교조 입장”. 보도자료 2008. 4. 15.

    전교조(2008). “이명박 정부 교육 정책 100일을 평가한다!”. 보도자료 2008. 6. 2.

    정태화(2007). “전문기술 인력 양성 활성화 방안”. 소득 4만불 시대를 여는 전문 기술

    인력 양성 방안. 바른정책연구원 세미나 발표 자료.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2007). 교육강국, 교원과 함께하는 교육정책.

    ▣ 접수일(2009. 5. 31), 심사일(1차 : 2009. 6. 10), 게재확정일(2009. 7. 10)

  • 이명박정부의 교육개혁 추진 진단 및 시사점 499

    - 499 -

    Abstract

    Future Tasks of Myung Park Lee's Government Education

    Reform Implementation

    Suh, Chung-Wha(Hong-ik University)

    Lee, Myung Park Government is carrying out educational reform on primacy &

    secondary education as well as on higher education and educational system in

    general. But there are some critics related to reform tasks and directions in terms of

    excessive competition & efficiency. In addition to that, the approache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are not so appropriate for the soft landing of educational

    reform.

    This study aims at drawing out some implications on the basis of overall

    understanding & opinions of educational reform implement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general recogni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reform is not so positive. But responsiveness associated with values on

    autonomy, diversifications, welfare expansion, and strengthening accountabilities

    shows very high. This implies that to settle down successful education reform

    activities in school situations, concrete elaborate action plans for the enough public

    response, consistent & efficient implementation strategies are urgent.

    [Key words] education reform, major contents, values & strategy, tasks of

    education re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