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ORIGINAL ARTICLE ISSN 1225-9330 (Print) | ISSN 2288-4955 (Online) J Korean Acad Nurs Adm (간호행정학회지) Vol. 26 No. 3, 205-217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3.205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박광옥 1 · 김종경 2 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간호학과 교수 1 ,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부교수 2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Experience with Professor Park, Kwang-Ok 1 · Kim, Jong Kyung 2 1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Colleg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Dankook University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gain in-depth understanding and insight into how student nurses experienced communication with professors. Methods: The research method was a qualitative study in which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individual students.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the nursing department and were considered able to describe the communication experience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n the college of.nursing.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 experience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ho had graduated from the college of nursing consisted of six themes for a total of 15 themes clusters and 78 meaningful statements. The 6 theme-clusters were invisible barrier between participant and professors, motivational driving force, enrich meta cognition through experiential discourse, having a dream of lifelong development, wanting to have meaningful encounters. Conclusion: The participants were not able to easily form relationships with the professors of the college of nursing during their academic life, but they learned the practical know-how from the strengths and experiences of the professors that led them from beginning student to graduate nurse. Key Words: Qualitative research; Nursing, student; Faculty; Communication 주요어: 질적연구, 간호대학생, 교수, 의사소통 Corresponding author: Kim, Jong Kyung College of Nursing, Dankook University, 119 Dandae-ro, Dongnam-gu, Cheonan 31116, Korea. Tel: +82-41-550-3893, Fax: +82-41-559-7902, E-mail: jong[email protected] - 이 논문은 2019년도 순천대학교 학술기반조성사업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 This study was supported Sunchon University fund in 2019. Received: Nov 27, 2019 | Revised: Mar 2, 2020 | Accepted: Mar 11, 2020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 연구의 필요성 대학은 국가 발전에 기여할 지도적 인재를 육성하는 최고 교 육기관으로, 교수와 학생 간의 관계가 중요하다[1]. 대학생은 새로운 대학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자율성이 강조된 환경속 에서 생활하게된다. 대학생의 적응은 학업, 대인관계, 정서적 측면에서 대학생활 요구에 대처하는 적절한 반응으로[2], 대학 생활에의 적응시기는 성숙한 인간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관문 이며 생활 전반에서 다양한 변화를 맞이하는 시기로 볼 수 있다 [3]. 이에 대학은 학생의 대학생활 만족 및 학습성과 향상을 위 해 교수-학생 의사소통 강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 , 그 중 학생이 지도교수와 상담을 할 수 있도록 연계 시스템 을 구축하거나 지도교수와의 면담을 강조하고 있다[4]. 이를 통한 교수와 학생간의 적극적인 관계 형성 및 교류는 대학생의 2020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http://www.kanad.or.kr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 2020-07-03 · Vol. 26 No. 3, 2020 209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Table 2. Theme, Sub-theme, Meaningful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 2020-07-03 · Vol. 26 No. 3, 2020 209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Table 2. Theme, Sub-theme, Meaningful

ORIGINAL ARTICLE ISSN 1225-9330 (Print) | ISSN 2288-4955 (Online)

J Korean Acad Nurs Adm (간호행정학회지) Vol. 26 No. 3, 205-217https://doi.org/10.11111/jkana.2020.26.3.205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박광옥 1 · 김종경 2

순천 학교 생명산업과학 학 간호학과 교수1, 단국 학교 간호 학 부교수2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Experience with Professor

Park, Kwang-Ok1 · Kim, Jong Kyung2

1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Colleg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Dankook University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gain in-depth understanding and insight into how student nurses experienced communication with professors. Methods: The research method was a qualitative study in which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individual students.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the nursing department and were considered able to describe the communication experience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n the college of.nursing.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 experience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ho had graduated from the college of nursing consisted of six themes for a total of 15 themes clusters and 78 meaningful statements. The 6 theme-clusters were ‘invisible barrier between participant and professors’, ‘motivational driving force’, ‘enrich meta cognition through experiential discourse’, ‘having a dream of lifelong development’, ‘wanting to have meaningful encounters’. Conclusion: The participants were not able to easily form relationships with the professors of the college of nursing during their academic life, but they learned the practical know-how from the strengths and experiences of the professors that led them from beginning student to graduate nurse.

Key Words: Qualitative research; Nursing, student; Faculty; Communication

주요어: 질적연구, 간호대학생, 교수, 의사소통

Corresponding author: Kim, Jong KyungCollege of Nursing, Dankook University, 119 Dandae-ro, Dongnam-gu, Cheonan 31116, Korea. Tel: +82-41-550-3893, Fax: +82-41-559-7902, E-mail: [email protected]

- 이 논문은 2019년도 순천 학교 학술기반조성사업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This study was supported Sunchon University fund in 2019.

Received: Nov 27, 2019 | Revised: Mar 2, 2020 | Accepted: Mar 11, 2020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학은 국가 발전에 기여할 지도적 인재를 육성하는 최고 교

육기관으로, 교수와 학생 간의 관계가 중요하다[1]. 학생은

새로운 학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자율성이 강조된 환경속

에서 생활하게된다. 학생의 적응은 학업, 인관계, 정서적

측면에서 학생활 요구에 처하는 적절한 반응으로[2], 학

생활에의 적응시기는 성숙한 인간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관문

이며 생활 전반에서 다양한 변화를 맞이하는 시기로 볼 수 있다

[3]. 이에 학은 학생의 학생활 만족 및 학습성과 향상을 위

해 교수-학생 의사소통 강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

며, 그 중 학생이 지도교수와 상담을 할 수 있도록 연계 시스템

을 구축하거나 지도교수와의 면담을 강조하고 있다[4]. 이를

통한 교수와 학생간의 적극적인 관계 형성 및 교류는 학생의

ⓒ 2020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http://www.kanad.or.kr

Page 2: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 2020-07-03 · Vol. 26 No. 3, 2020 209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Table 2. Theme, Sub-theme, Meaningful

206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박광옥 · 김종경

학생활과 학문 몰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때 교수는 학

생과의 세 차이를 고려하여 학생을 지도하여야 한다[5]. 그

이유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학생의 성공적인 학교적응에 기

여하고 교수-학습의 수월성 제고를 위한 전제조건이며[6], 교

수-학생 의사소통은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나 학과 적응

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7].

간호 학생은 학생활에 잘 적응함으로 인간의 건강을 책

임지는 기본적인 소양 및 전공 관련 전문 지식을 습득하여 전문

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과 자질을 갖추게

된다[2]. 간호 학생이 학생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잘 적응

하는 것은 간호 학생에게는 현재의 과업달성은 물론 미래의

간호사로서의 삶에도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8].

교육현장에서 만족감을 느끼는 학생은 수업뿐 아니라 졸업 이

후 삶 속에서도 잘 적응하고 보다 높은 성취도와 내재적 동기를

나타낸다[5]. Choi 와 Shin 연구[9]에서 학생활 적응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수-학생의 상호작용을 강조하

였다. 교수-학생의 상호작용은 교수가 학생들 개개인에 한

인지적 이해의 기반 위에 교육적 상황에서 학생들의 심리적,

행동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처하는 능력을 통해서 유

지되는 교수-학생 간의 정서적 유 감을 의미한다. 교수의 행

동은 학생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교수가 일방적으로

학생에게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상호작용인 개념으로 보는 것

이 교육적 의미가 있다[7]. Jeong과 Park [10]연구에서 학생

이 교수에게서 친 감을 높게 평가할수록 그들의 전반적인

학 생활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고 있다. 즉

교수가 학생과 정서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는 친 감이

학생의 학생활적응의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간호 학생은 간호사로서 전문직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키우기 위하여 학습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기본적으

로 학업활동에서 교수들과의 의사소통을 통하여 전문적인 지

식, 기술 및 태도를 습득하고 성장한다. 그러나 의사소통 능력

은 단시간에 습득되지 않고 일정한 상자에 국한된 관계서만

이루어지지 않고, 다양한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습득될 수 있

다. 그중에서도 학생은 학업 활동에서 교수와 공식적으로 많

이 접촉하고 교류하므로, 교수들과 어떻게 의사소통을 하느냐

는 학생의 성장발전에 영향을 줄 수 있다[11]. 또한 교수-학생

의사소통은 학적응, 학교만족, 학업성취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여러 연구에서 보고하고 있다[4-7]. 그동안 의사소통에

한 연구와 탐색은 꾸준히 이루어져서 간호사와 동료 간, 간호

사와 상자 간 의사소통에 한 연구[12-14] 정도만 이루어졌

다. 그러나 교수와 학생간의 의사소통에 한 심층적인 탐색은

다소 미비하다. 한편. 간호의 본질적이 돌봄이나 보살핌 행위

라고 할 때, 간호는 무엇보다 돌봄의 상인 환자나 그 보호자

등과의 만남이나 상호관계가 중시된다. 간호실무에서 간호사

는 간호 상자와의 관계는 물론, 의사나 간호사 등과는 협력자

관계로 상호작용을 하고, 간호사는 이러한 인간적인 상호작용

이나 관계에 한 깊은 통찰을 통하여 간호효율성과 신뢰를 얻

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장차 간호사로서 성장하게 될 간호

학생에게 학업과정에서 4년간 교수와의 관계나 상호작용은 매

우 중요하다[15]. 한편 현상학적 연구에서는 세계 안에 존재하

는 체험의 본질적 구조의 해명을 목표로 한다. 연구자는 어떤

상황에 처한 인간 경험의 의미나 본질을 밝히기 위하여 사태영

역을 직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필요로 한다. 연구자는 연

구 상자의 세계를 선입견 없이 있는 그 로 이해하고 체험한

것을 바탕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사태자체로 되돌아가고자 한

다. 사태자체는 간호현상학에서는 연구 상자들의 경험으로

주관적인 감정이나 지각, 정서, 태도, 또는 어떤 사건에 한 개

인적인 반응, 보살핌의 기능이나 역할 등이다[15]. 이에 본 연

구는 현상학적인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간호 학생과 교수와

의 의사소통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이

는 간호 학생과 교수와의 관계 형성 및 의사소통 개선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 학생과 교수와 의사소통 경험의 본

질적 의미구조를 기술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 학생과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을 이해하

기 위하여 Colaizzi [16]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상자를 개인별로 심층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참여자는 간호 학생과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을

잘 표현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간호학과를 막 졸업한 사람을

Page 3: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 2020-07-03 · Vol. 26 No. 3, 2020 209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Table 2. Theme, Sub-theme, Meaningful

Vol. 26 No. 3, 2020 207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Table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o Age Clinical practice hospital Classify of workplace Career (month)

1 23 Advanced general hospital, general hospital, specialty hospital Hospital 1

2 31 Advanced general hospital, general hospital, specialty hospital Hospital 2

3 25 Advanced general hospital, general hospital, specialty hospital Hospital 2

4 24 Advanced general hospital, general hospital, specialty hospital Hospital 1

5 24 Advanced general hospital, general hospital, specialty hospital Hospital 2

6 24 Advanced general hospital, general hospital Hospital 0

7 24 Advanced general hospital, general hospital Hospital 3

8 24 Advanced general hospital, general hospital Hospital 2

9 27 Advanced general hospital, general hospital Hospital 3

10 24 Advanced general hospital, general hospital Hospital 0

11 24 Advanced general hospital, general hospital Preparation for health officials test

0

12 24 Advanced general hospital, General hospital Hospital 2

상으로 하였다. 그 이유는 교수와의 의사소통에 한 경험을 심

층적이며 포괄적으로 파악하기에는 교수-학생관계라는 특수

한 상황으로 인하여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재학 중에 있

는 학생에게 교수와의 관계에 해 질문하면 학생들은 교수와

의 앞으로의 지속적 관계에 한 우려 및 학점으로 평가하는 교

수와의 관계에서 면담에 한 답이 불편할 것으로 예상되었

기 때문이다. 연구 상자는 간호학과 4년 과정을 마친 병원에

서 발령을 기다리거나 근무를 막 시작한 신규간호사를 상으

로 목적적으로 표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참여자에게 전화를

걸어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해 설명한 후에, 자유롭게 연구참

여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였다. 연구자는 개인 면담 후 곧바로

자료를 분석하여 자료가 포화되었다고 판단될 때까지 12명의

연구참여자를 면담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모두 4년제 간호학과

를 졸업하였으며, 충남과 전남, 경남, 충북 소재 학졸업자는

각각 5명, 5명, 1명, 1명이었다. 평균 연령은 25세였으며, 모두

여성이었다. 이들의 실습병원 규모를 파악하기 위하여 조사한

결과 상급종합전문병원, 종합병원 및 전문병원으로 병상 수는

다양하였으며, 병원 기발령 2명, 근무중 9명, 취업을 위한 시

험준비생 1명이었다(Table 1).

3. 연구자의 훈련과 준비

본 연구자들은 간호사로 의료기관의 병동, 수술실, 간호부

서의 교육과 행정 등의 경험이 있다. 연구자들은 학원에서는

질적연구를 수학하였으며, 졸업 후 질적연구학회와 세미나 등

에 참여하였다. 또한 멘토 교수로부터 질적연구 지도를 받았으

며, 동료들과 최신 연구동향을 탐구하며 질적연구역량을 개발

해왔으며, 최근 10년간 질적연구를 수행하고 다수를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4. 자료수집

1) 면담질문 개발

연구주제와 관련된 자료와 연구자의 경험을 기초로 간호

학의 교수와 학생의 의사소통 경험을 잘 드러낼 수 있도록 개방

형 질문을 구성하였다. 연구 주 질문은 ‘간호학과 교수와의 의

사소통을 한 경험에 해 이야기하여 주십시오.’이었다. 부 질

문으로는 ‘간호학과 교수와 의사소통 시에 좋았던(유익한)점

이 있다면 이야기하여 주십시오.’, ‘간호학과 교수와 의사소통

시에 어려운 점이 있다면 이야기하여 주십시오.’, ‘간호학과 교

수와 의사소통 시에 학생으로, 예비간호사로 배운 점이 있다면

이야기하여 주십시오.’, ‘앞으로 바라는 학생과 교수와의 의사

소통 시에 필요한 부분에 한 의견이 있으시면 이야기하여 주

십시오.’, ‘교수님과 화하면서 세 간 차이를 느낀 적이 있

었는지요? 사례가 있으면 이야기 하여주십시오.’, ‘교수님과

효과적인 의사소통 하려면 교수, 학생은 어떠한 노력을 하여

야 하는지에 한 의견이 있으시면 이야기 하여 주십시오.’ 등

이었다.

Page 4: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 2020-07-03 · Vol. 26 No. 3, 2020 209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Table 2. Theme, Sub-theme, Meaningful

208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박광옥 · 김종경

2) 자료수집

자료수집은 2019년 6월에서 9월에 걸쳐 연구자가 참여자를

개별적인 심층적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면담은 참여자들이

편안한 시간을 선택하여 면담과 추가 부분은 유선으로 이루어

졌으며, 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약 한 시간내외였다. 면담은 일

반적인 화에서 시작하여 연구현상에 초점을 둔 화에 이르

기까지 유연하게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참여자의 면담에서 도

입질문과 후속질문, 직접적인 질문, 간접적인 질문, 해석적인

질문하기 등을 화 흐름에 따라 사용하였으며, 면담에서 적절

히 반응하여 공감해주기, 침묵, 되묻기, 피드백하기 등의 방법

을 활용하여 심층적이고 풍부한 화내용을 끌어내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참여자들에게 소정의 사례비가 지급되었다. 연구

자는 자료수집 후 곧바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다음 면담에서

같은 내용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새로운 내용이 없고, 자료

분석에서도 같은 유형의 진술, 개념 및 주제가 반복적으로 나타

나 이론적 포화에 이르렀다고 판단될 때까지 면담하였다.

3) 윤리적 고려

본 연구자는 자료수집 전에 연구참여자의 윤리적 보호를 위

하여 연구자가 속한 학의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에 연

구계획서를 제출하여 승인(1040173-201904-HR-008-02)을 받

았다.

연구자는 면담 전에 연구주제, 목적, 자료수집, 분석방법 및

자료의 연구 후 처리 등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연구

자는 면담내용은 연구이외의 목적으로는 절 사용되지 않으

며, 면담내용은 녹음되며, 원할 경우 언제든지 면담을 중지할

수 있으며, 비 과 익명성이 유지됨을 설명하고, 참여자로부터

자발적으로 연구동의서를 받았다. 면담은 일상적인 화로 시

작하였으며, 참여자의 화내용과 행동에 최 한 집중하여 경

청하면서, 상황에 따라 추가질문을 하여 그들의 경험이 잘 드러

나도록 하였다. 면담내용은 모두 녹음되었으며, 면담 시 나타

난 특이한 사항은 별도로 메모하였다. 면담 후 녹음된 내용을

들으면서 전부 필사하였고, 참여자의 개인 정보가 나타나지 않

도록 자료에 번호를 매기고 개인정보를 삭제하였다.

5. 자료분석

자료분석을 위하여 녹음자료를 들으면서 그 로 필사하였

으며, 참여자 1인당 필사한 자료는 A4 4~6장 내외였다. 연구

자는 녹음된 내용을 여러 차례 들으면서 필사된 자료와 조

하면서 그 로 필사되었는지 확인하였으며, 불분명한 내용

은 전화로 참여자에게 확인하고, 현장노트를 참고하면서 자

료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였다. 자료분석은 자료수집 후 곧

바로 Colaizzi의 방법[16]으로 이루어졌으며, 자료수집과 분석

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졌다. 분석의 첫 단계는 연구자가 필사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고 반성하면서 전체자료에서 연구현상

과 관련 있는 의미 있는 문장이나 구를 선택하여 의미 있는 진

술을 추출해냈다. 분리된 의미 있는 진술자료에 드러난 맥락과

참여자의 반응 등에 집중하면서, 의미 있는 진술들을 주의 깊게

보면서 중복되는 표현은 배제하고 일반적이고 추상적이고 함

축적인 용어로 재진술하였다. 의미 있는 진술과 재진술로부터

의미를 구성하였으며, 도출된 내용을 여러 차례 수정을 거쳐 구

성된 의미로부터 추상성이 높은 본질적인 주제, 주제묶음으로

범주화하였다. 다음에는 분석된 자료를 주제에 따라 총체적으

로 통합하여 본질적인 구조를 진술하였으며, 분석된 내용이 연

구자의 경험과 현상학적 문헌 등과 면담자료에서 밝혀진 내용

과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 비교 검토하여 전체적으로 공통요소

를 통합하여 현상을 기술하였다.

6. 연구의 엄밀성 확보

본 연구에서는 Guba와 Lincoln [17]의 사실적 가치, 일관성

및 중립성 기준에 따라 신뢰도와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사실적 가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된 주제들을 기술한 후 그

내용이 참여자들의 경험과 일치하는지 3명의 참여자에게 이 메

일로 분석한 자료를 보내 확인과 피드백 과정을 거쳤다. 일관성

유지를 위해서 연구자는 자료수집, 분석 및 기술 과정에서 공동

연구자 간의 지속적으로 상호점검과 논의하여 합의된 결과를

도출하여 일관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중립성유지를 위해

서 연구자는 연구주제에 한 문헌고찰을 하였으며, 연구자의

편견과 선 이해 등을 최 한 배제하고 참여자의 경험세계를 기

술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연구과정에서 괄호 치기하는 판단중

지를 사용하였다. 동시에,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인식이나 통찰

등에 하여서는 별도로 기록하고, 면담에서 나타난 자료와 문

헌의 자료 등이 구분이 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였다[15,18].

연구결과

본 연구의 분석결과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이들의 하

위주제는 각각 2개에서 3개, 의미 있는 진술은 각각 3개에서 7

개로, 총 15개의 하위주제와 78개의 의미 있는 진술이 도출되

었다(Table 2). 간호 학의 교수들과 학생들 간의 의사소통 경

Page 5: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 2020-07-03 · Vol. 26 No. 3, 2020 209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Table 2. Theme, Sub-theme, Meaningful

Vol. 26 No. 3, 2020 209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Table 2. Theme, Sub-theme, Meaningful statements of Communication Experience Graduate Nurse with Professor

Theme Theme cluster Meaningful statements

1. Invisible barrier between participant and professors

1.1.Unequal relationship ․ Recognize that a professor has a social position, scary․ Difficult to interact, hard to talk to even after graduation․ Students must receive grades․ Having an authoritative professor․ More experienced working in hospitals rather than students

1.2. Not good environment for forming relationships

․ Limited interview times․ Difficult to meet separately after a fixed time․ Frequent change of advisor in few years ․ Different professors have different styles, which is why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advisor

․ Difficult to meet during interview times, which leads to fewer times and less time for discussion

․ Professors who are not advisors are more difficult to meet with․ I don't know how to be polite to professors

1.3. Difficulty communication with professors from various backgrounds

․ Different professors have different styles and majors․ The professors have worked in different clinical careers and hospitals ․ Difficult to fully understand professor’s clinical environment

2. Motivational driving force

2.1. Supportive and strong-minded mentor in practice

․ Make sure there are no difficulties in the practice rounds․ Ask for feedback at the end of each course․ Nice to meet professor at the practice unit․ Be encouraging to the point that as time goes on, the difficulties in practice will be adapted

․ Comfort and encourage during difficult times in clinical practice

2.2. Inspiring and encouraging person about nursing

․ Encourages students and relieve anxiety of ambiguous future and nursing ․ Encourages students with low grades not to give up their employment in hospitals

․ Awakens the possibility of doing more and suggesting alternative ways for job preparing

․ When there is frustration, professor gives a direction and help to find the ways in coping

․ Professor advised to student getting a job․ A great strength through comfort and encouragement in difficult practice

3. Enrich meta cognition through experiential discourse

3.1. Receiv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know-how to cope with clinical situation

․ Explain how theories learned are linked to clinical practice․ The teacher's clinical experiences are used as a vivid example to identify and explain the key points in clinical data and lead them to think critically, alternatively, and in other ways.

․ Advise to cope with clinical situations․ It is more useful to explain the work environment and the points of consideration when variables are generated rather than learn them from textbook manuals.

․ When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are different, explain why and explain how to follow principles and how to be flexible

․ Finding motivation to study, gaining interest and perspective․ Experiences, dilemmas, how to treat patients, and stories you will only encounter in the field also help

3.2. Find enlightenment through self-regulation

․ Enlightenment by hearing advice from professors and responses from peers

․ Looking back on one's actions and thinking at the patient's point of view․ Enlightenment while watching professor's advice and peer reaction․ Go to practice and feel the attitude that the professors emphasized

Page 6: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 2020-07-03 · Vol. 26 No. 3, 2020 209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Table 2. Theme, Sub-theme, Meaningful

210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박광옥 · 김종경

Table 2. Theme, Sub-theme, Meaningful statements of Communication Experience Graduate Nurse with Professor (Continued)

Theme Theme cluster Meaningful statements

4. Having a dream of lifelong development

4.1. Progressively design future and career development

․ Professor has perspectives from many experiences․ Stimulated enough to be open when new opportunities come․ It becomes the foundation for dreaming about the clinical․ When choosing a vocational hospital, listen to the objective explanations from professors, then determine the direction of action

․ Knowing the prospects and preparation for each stage of work reflecting on their own behaviors and thinking from the perspective of a patient

4.2. Having a strong need for self-development

․ Listening to the experiences of the senior nurses and refining students' attitudes, responsibilities, and academic feelings

․ Those in the faculty always see, understand, and strive to do more ․ Nurses realize that lifelong studying is a career․ Commit as a nurse in any position․ Commitment to becoming a nurse who can take care of himself and overcome his difficulties

4.3. Developing identity and pride as a nurse

․ Listening to their experiences and feeling proud of working as a nurse․ Feeling the importance of inner strength (mindfulness, responsibility, honesty as a nurse)

․ Commitment to keeping principles to be a recognized nurse․ I think I should do well based on my knowledge․ Thinking of doing valuable work as a nurse․ Feeling the importance of mindfulness, responsibility, honesty as a student nurse

5. Want to have intimate encounters

5.1. Need to have an open and assertive attitude both sides

․ Activeness is needed because it is the beginning of lasting relationships in life

․ When you go to the professors and ask questions, please treat them well․ Familiarize yourself with your professors and contact them first․ Think about students' concerns or positions․ Driving or treating students ․ Students should open their hearts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in a friendly way

․ Be honest with students about regard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

5.2. Need to have more friendly diverse meeting

․ Rigid atmosphere in the clinical practice unit․ Familiarity with professors through events and club activities․ Mentoring programs will lead to employment information, counseling, and friendship

․ Questions and concerns are resolved through the advice given by professors from their experiences

5.3. Need to have authentic concern and listening

․ Listen to the story rather than convey knowledge.․ I am impressed by those who have memorized students’ names and can call them one by one

․ Remember the last consultation․ Praise and good advice

6. Learning nursing heritage in a long periods

6.1. Feelings towards change with regard to the nursing environment

․ Change in the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 Professors give invasive hands-on experience․ Currently non-invasive practice․ Feelings change in working conditions and treatment of nurses

6.2. Disagreement with regard to recent nursing issues

․ Considering using old age rather than the generation gap․ Visual differences in reasons for resignation․ Differences in opinion on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leisure․ Disagreement with the opinion that cremation is proper․ A few empathy with the professor's views․ Faculty's views on nursing issues are helpful

Page 7: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 2020-07-03 · Vol. 26 No. 3, 2020 209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Table 2. Theme, Sub-theme, Meaningful

Vol. 26 No. 3, 2020 211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험에서 도출된 주제는 ‘보이지 않는 소통의 장벽’, ‘나를 성장시

키는 원동력’, ‘경험적 담론을 통한 메타인지의 확장’, ‘평생을

통한 발전을 꿈꾸게 됨’, ‘친 한 교류를 원함’, ‘격세지감에서

간호유산을 배워감’으로 확인되었다.

주제묶음 1. 보이지 않는 소통의 장벽

참여자들은 학교생활에서 간호 학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에서 교수는 일단 다가서기 어려운 상 였으며, 그들은 교수로

부터 성적을 받아야 하며, 교수가 가진 사회적 지위나 특성으

로 인해 은연중에 권위의식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 간

에는 보이지 않는 소통의 장벽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 1. 대등하지 않은 관계

참여자들은 교수를 다가서기 어려운 상 로 인식하고 있었

으며, 그들로부터 은연중에 권위주이를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교수는 사회적 지위가 있고, 학생과는 완전히 다른

위치에 있으며, 다소 완고하고, 무섭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

다. 참여자들은 교수로부터 성적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교수에

게 잘 보여야 된다는 의식이 있었으며, 교수와의 관계는 늘 긴장

된다고 하였다. 한편, 참여자들은 교수의 연령, 임상경험과 배경

등의 특성으로 교수를 가끔 권위적으로 느꼈다. 그들은 교수가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교수에게서 권위적인 모습을 느꼈다.

교수님이라는 지위가 있으니까 사회적인 위치도 있고

여러 가지 어렵다는 인식이 되게 강하고 처음에 다가가기

가 좀 어려운 것 같아요.(참여자 9)

교수님은 저희한테 학점을 주시는 분이기도 하니까, 저

희가 교수님한테 좀 더 잘 보여야 된다는 의식이 있잖아

요. 조금 더 편하게 말하진 못했었던 것 같아요.(참여자 3)

가끔 권위적인 경우나, 우릴 위해서 해주는 말이지만

살짝 상처가 될 때도 있잖아요. 실습할 때 학생입장보다

는 병원이나, 간호사 그런 거에 더 입장을 맞춰서 말씀하

시면.(참여자 3)

주제 2. 관계형성이 수월하지 않은 환경

참여자들은 교수를 다가서기 어려운 상 로 인식한 가운데,

학교생활에서 교수와의 관계형성도 수월하지 않은 환경을 경

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융통성 없는 면담시간과 자

주 바뀌는 지도교수로 인해 지도교수와 지속적이고 긴 한 관

계형성이 어려웠다고 하였다. 참여자들은 정해진 면담기간 외

에 별도의 시간을 내달라고 요청하기가 어려웠으며, 그들은 교

수와 면담 시 연구실이 아닌 곳에서 일 일로 만나기를 원했으

며, 면담시간, 횟수도 융통성 있기를 원하였으며, 학생에 비해

교수가 상 적으로 적은 것으로 생각하였다.

저희는 지도교수님이 해마다 계속 바뀌어서 뭔가 의사

소통을 꾸준히 해본 적이 많지 않아서 좀 아쉬웠던 것 같

아요. 교수님이 바뀌면 교수님마다 다르고 차이가 커서.

(참여자 2)

교수님 수는 한정적이잖아요. 그래서 교수님과 면담시

간 맞추는 게 제일 어려웠고.(참여자 5)

횟수가 적으니까 고민을 털어놓기에도 시간도 짧고, 짧

은 시간에 또 교수님은 담당학생들을 다 상담하셔야 되니

까.(참여자 7)

주제 3. 다양한 배경의 교수

참여자들은 학습활동이나 교과 외 활동, 면담 등을 통해 교

수와 관계 시 교수마다 스타일이나 전공, 임상경력 및 근무배경

도 다름을 느꼈으며, 교수가 예로 이야기하는 실습하고 근무하

였던 병원의 현재의 병원과 환경차이도 느꼈다.

병원에 근무하셨던 기간도 너무 다르시니까, 전혀 그런

경험이 많이 없이 저희랑 상담하시는 교수님도 계시고, 교

수님들마다 계셨던 병원이 다 다르시니까, 또 저희가 실습

하는 병원이랑 또 다르잖아요, 저희가 완전히 이해하기가

좀 어렵더라고요.(참여자 2)

주제묶음 2. 나를 성장시키는 원동력

참여자들은 비록 쉽게 다가서기 어려운 교수이지만, 학교생

활에서 교수와의 의사소통을 통하여 자신을 이끌어주는 힘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 1. 임상실습에서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줌

참여자들은 교수가 임상실습 순회 지도를 오면 반가웠으며,

실습에 어려움은 없는지 등을 확인해주는 것이 큰 도움이 되었

다고 하였다. 그들은 실습현장에서 늘 긴장하고 평가받기 때문

에 교수를 만나면 든든하였다. 특히 처음 임상실습 시 참여자들

이 힘들어 할 때, 위로와 격려를 해준 점, 실습이 끝날 때 느낀 점

을 묻고 피드백해주는 것이 좋았다고 하였다.

Page 8: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 2020-07-03 · Vol. 26 No. 3, 2020 209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Table 2. Theme, Sub-theme, Meaningful

212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박광옥 · 김종경

실습 때 라운딩 하러 오시잖아요. 00학 실습 때 교수님

이 중간 중간 오셔서 어려운 점은 없었느냐, 잘 하고 있느

냐 이런 것을 많이 확인해 주시는 것이 되게 좋았던 기억

이 있어서.(참여자 7)

솔직히 실습교수님을 보면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어

요. 실습현장에 나가니까 더 많이 긴장하고 평가를 받으

니까 교수님이 그렇게 든든하고 좋을 수밖에 없더라고

요.(참여자 1)

주제 2. 간호에 대한 길잡이와 후원자

참여자들은 교수들이 간호에 한 막연한 불안을 해소해주

고 용기를 주었다고 하였다. 자신이 학생으로서 부족하다고 생

각하고 좌절할 때, 교수가 가능성과 방향을 제시하고, 처방

법이나 문제해결 접근방법 등을 알려주어 큰 힘이 되었다. 성적

이 낮아도 원하는 병원취업을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도록 격려

해준 점 등이 그러하였다.

성적이 3점 초반이니까 내가 가고 싶은 병원에 취업

을 못하나 보다하고 좌절했을 때, 교수님께서 아니다 누

가 어떤 병원에 갈지도 모르고, 토익점수도 올려놓고 4학

년 때 공부 열심히 해서, 포기하지 말라.(참여자 5)

교수님들이 아 그거는 이렇게 될 수 있으니까 충분히

네가 커버할 수 있다 괜찮다.(참여자 1)

주제묶음 3. 경험적 담론을 통한 메타인지의 확장

참여자들은 교수로부터 그들을 이끌어주는 힘을 얻고 교수

의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이야기를 통하여 메타인지를 확장시

켜 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 1. 임상적 상황에 대처하는 전문지식과 노하우를 전수받음

참여자들은 교수로부터 배운 이론을 임상상황에 맞게 적용

하는 노하우를 전수받고, 졸업 후 교수들이 강조했던 내용을

깨달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교수가 집담회 환자사례

에서 핵심문제를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하도록 이끌어 주었다

고 하였다. 참여자들은 교수가 임상에서 경험한 환자 이야기를

통해 이론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알게 되었고, 특정 질환 환자를

직접 본 것처럼 느끼고, 공부해야 할 부분을 파악하고, 의욕적

으로 공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적으로 변수가 있을 때, 어

떻게 일해야 하는지, 일할 때 분위기는 어떠하며, 무엇을 더 감

안해야 하는지 등 맥락적 설명이 유용하다고 하였다. 실습 시

이론과 다른 점이나 근거 등이 궁금할 때 원칙에 어긋나지 않으

면서 융통성 있게 간호하도록 지도받은 점, 조직생활에서 상황

에 맞게 처신하는 법을 알게 된 점, 임상적 딜레마, 환자 하는

법, 현장에서 부딪히게 될 인간관계나 문제점 등에 한 설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예를 들면, 환자요구에 적절히 응

하기, 정맥주사주입 실패 시 처요령, 긴박한 상황에 처하

기,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임상 관련 상황 처 등이었다.

IV (정맥주사)두 번까지는 시도를 해보고, 그 이상 안 됐

을 때는 선임에게 IV를 부탁해라.(참여자 6)

한시도 긴장을 놓치지 않고, 퇴근 때까지. 그런 자세들

을 이제 와서 생각해보면 실습할 때부터 환자이야기 하지

말고, 엘리베이터, 주변 카페에서도 말하지 말고, 항상 말

조심하고 등.(참여자 7)

컨퍼런스 때, 한 명씩 돌아가면서 자기 느낀 점이나 고민

이나, 아니면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처를 해야 할지 잘 몰

라서 여쭤보면, 거기에 맞춰서 말씀해주시니까.(참여자 10)

교수님께서 병동에 계셨던 경험을 다 세세하게 설명해

주시고. 실습 나갔을 때 환자들 증상이 보이잖아요. 예시를

들어주신 게 의사소통하면서도 많이 도움이 됐어요.(참여

자 8)

주제 2. 자기규제를 통한 깨달음

참여자들은 교수가 임상에서 경험한 이야기를 듣는 등 다양

한 피드백으로 자신을 점검하고 반성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학생으로서 어떤 태도로 실습을 하는 것이 유리한지, 어떤 부분

을 더 공부하고 관찰해야 하는지 안내를 받고 자신의 행동을 되

돌아보고 자신을 성찰하게 되었다. 또한 실무 현장에서 꼭 확인

해야 할 내용에 한 지도, 환자정보 보호 등에 한 교수의 조

언이 도움이 되었으며, 환자입장에서 생각하게 된 것으로 나타

났다. 일부 참여자들은 교수들이 강조했던 자세를 졸업 후 실무

에 가서 절실히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한시도 긴장을 놓치지 않고, 퇴근 때까지. 그런 자세들

을 이제 와서 생각해보면 실습할 때부터 환자이야기 하지

말고, 엘리베이터, 주변 카페에서도 말하지 말고, 항상 말

조심하고 등.(참여자 7)

주제묶음 4. 평생을 통한 발전을 꿈꾸게 됨

참여자들은 교수와의 의사소통은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Page 9: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 2020-07-03 · Vol. 26 No. 3, 2020 209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Table 2. Theme, Sub-theme, Meaningful

Vol. 26 No. 3, 2020 213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서 전문적인 성찰을 통하여 평생을 통한 발전을 꿈꾸게 된 것으

로 나타났다.

주제 1. 진취적으로 미래를 설계하게 됨

참여자들은 교수가 간호사로서 살아온 이야기를 듣고 간호

에 한 시야가 넓어지고, 앞으로 자신들에게도 많은 길과 기회

가 있고, 기회가 왔을 때 잘 잡아야겠다고 다짐도 했다. 그들은

교수와의 의사소통으로 막연했던 임상에 하여 구체적인 꿈

을 꿀 수 있었다고 하였다.

좀 막연했는데 제가 구체적인 꿈을 꿀 수 있게 그런 밑

거름이 됐던 것 같아요.(참여자 9)

4학년 때 병원문제 때문에 고민이 많은데, 전체적으로

다 조언을 해주셔서.(참여자 11)

주제 2. 강한 자기개발의지를 갖게 됨

참여자들은 교수의 현장 경험을 듣고, 학생이 갖추어야 할

태도나 책임감을 인식했다. 실습 시 환자 증상에 한 근거를

알아야 하고, 간호사는 지속적인 공부를 해야 하는 직업임을

깨닫고, 안일한 생각에서 벗어났다고 하였다. 참여자들은 어떤

위치에 있을 때 노력해야겠다고 다짐하였다고 하였다.

먼저 일해 본 간호 선배로 현장에서 일하셨던 경험을

바탕으로 얘기해주시니까, 막상 현장에 가니까 조금 더

그것이 피부에 와 닿아서, 아 교수님이 말하셨던 현장이

이런 것이구나.(참여자 5)

교수님도 교수를 하시면서 뭔가 노력하고 계시는지 얘

기를 해주시는데, 아 나도 그런 위치에 있을 때 저런 식으

로 노력을 해야겠다고 깨달음 많이 얻었던 것 같아요.(참

여자 1)

주제 3. 간호정체성과 자긍심을 갖게 됨

참여자들은 교수의 임상 경험을 듣고 간호에 한 자긍심도

느꼈으며, 자신도 잘 노력해서, 간호사로서 값진 일을 해야겠

다고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훌륭한 간호사가 되기

위해서는 마음가짐, 책임감, 정직함 등과 같은 내면의 힘의 중

요성을 깨달았다.

누가 보지 않아도 정직하게 병원규정을 지키면서 언젠

가 인정받는 사람이 될 수 있다 얘기해 주신 적이 있었는

데, 신규간호사로 들어와서 그 말을 기억하려고 해요.(참

여자 3)

교수님이랑 이야기해보면 간호사로써 느끼시는 자부

심이 다르시더라고요. 그럴 수 있다는 점에 더 감사하고

자부심도 느꼈던 것 같아요.(참여자 2)

주제묶음 5. 친밀한 교류를 원함

참여자들은 교수와 의사소통으로 전문적 성찰을 통한 비전

을 갖게 되고, 교수들과 인간적 교류와 만남의 장을 갖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 1. 양측의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태도가 요구됨

참여자들은 교수나 학생 모두 개방적인 태도와 적극성이 요

구되며, 교수와의 관계는 인생에서 지속되는 인간관계이므로

적극성이 필요다고 하였다. 그들은 교수가 더 개방적이 되기를

희망하였는데, 질문했을 때 잘 해주고, 편하게 해주고, 먼

저 연락해주고, 학생의 고민이나 입장을 생각해주기를 기 하

였다. 참여자들은 학생도 교수에게 마음을 열고, 친해지려는

마음으로 교류하고,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솔직하게 털어놓

아야 한다고 진술했다.

단순히 성적 잘 받고 좋은 병원 취직해야지 하는 것보

다 교수님은 학교에 있을 때만 보는 분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계속될 수 도 있어서 좀 더 적극적으로 다가가야.

(참여자 1)

너무 어려워하지 말고, 교수님도 사람이니까, 나의 멘

토라고 생각하고 좀 더 조언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얻는, 오

려는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한 것 같고.(참여자 9)

주제 2. 우호적이고 다양한 만남의 기회가 필요함

참여자들은 교수와 학생의 우호적 만남을 위해서 환경변화

와 다양한 만남의 기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일부참여자들은

실습시간에 교수와 많은 화를 하고, 취업 이야기도 자연스럽

게 하게 되어 도움을 받았다고 하였다. 일부참여자는 학내행사

참여를 계기로 교수를 하는 것이 좀 편안해졌다고 하였다.

그들은 교수-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교내활동, 동아리활동 등

을 통해 고민 상담도 하면서 교수와 친분을 쌓고, 궁금했던 것

과 고민도 해결되었다고 하였다.

강의 때 말고 색다른 교수님 모습도 많이 보고, 여러 학

년 학생과 친해질 수 있어서, 그때 처음으로 교수님을 어

Page 10: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 2020-07-03 · Vol. 26 No. 3, 2020 209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Table 2. Theme, Sub-theme, Meaningful

214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박광옥 · 김종경

렵게 하지 않아도 되겠다는 마음이 생겼던 것 같아요.

(참여자 1)

주제 3. 진정성 있는 관심과 경청을 기대함

참여자들은 교수와의 만남에서 인간적으로 진정성 있는 관

심과 경청을 기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교수가 학생 이

름을 기억하여 불러주거나 과거 면담내용을 묻거나, 칭찬이나

진심어린 충고에서 감동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많이 들어주시면서 다음 상담에도 기억해주셔서 지금

은 어떠냐고 묻고, 이런 점이 고민이다, 힘들다고 하면 교

수님께서 경험을 바탕으로 조언해주시니까 많이 도움이

되었어요.(참여자 10)

학생이름 한 명 한 명 기억해주는 것이 학생입장에서

감사하잖아요.(참여자 7)

주제묶음 6. 격세지감 속에서 간호유산을 배워감

참여자들은 교수와의 의사소통에서 부인할 수 없는 격세지

감을 경험하였으나 그들은 이를 세 간의 차이보다는 연륜이

쌓인 교수로부터 간호유산을 배워가는 것으로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 1. 간호환경의 변화를 느낌

참여자들은 학교생활에서 교수와의 의사소통에서 간호환

경의 변화가 있음을 실감하였다. 예를 들면, 교수는 학생시절

에 정맥주사도 놓고 침습적 실습을 수행하였으나 참여자들은

임상실습에서 비 침습적인 혈압재기나 관찰하기 등이 많았다

고 하였다. 참여자들은 실습환경, 간호사의 근무환경 등이 과

거에 비하여 다른 것으로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시절에 많은 것을 했다고 하시더라고요, IV도 잡

고, 사실 저희 실습할 때는 침습적인 것을 많이 하지는 않

잖아요. 그것을 듣고 그때와 지금은 차이가 많구나.(참여

자 3)

교수님께서 일하셨던 때는 이랬는데, 지금은 이렇게 바

뀌었다라고 설명해주시면 아 이렇게 근무환경이 바뀌고

있고, 간호사 처우개선이 조금씩 되고 있구나.(참여자 10)

주제 2. 최근 간호이슈에 대한 견해 차이를 느낌

참여자들은 교수와 화나 강의내용에서 다소 차이를 느낀

점은 바로 최근의 간호이슈에 한 것이었다고 하였다. 예를 들

어 간호사 이직, 일과 여가의 균형에 한 견해차이 등이었다.

참여자들은 체적으로 이러한 견해 차이를 세 간 차이로

보기보다는 연륜이 쌓인 교수의 견해라고 인식하였다.

교수와 화하는 주제가 거의 임상이나 간호에 관련된

일이 많아서 세 간의 차이를 느끼기보다는 교수님의 연

륜을 알아간다는 느낌이 들어요.(참여자 7)

논 의

본 연구는 현상학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간호 학생의 교수

와의 의사소통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시도되었다. 이

에 한 주제는 6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제는

간호 학의 교수들과 학생들 간의 의사소통 경험에서 도출된

주제는 ‘보이지 않는 소통의 장벽’, ‘나를 성장시키는 원동력’,

‘경험적 담론을 통한 메타인지의 확장’, ‘평생을 통한 발전을 꿈

꾸게 됨’, ‘친 한 교류를 원함’, ‘격세지감에서 간호유산을 배

워감’으로 확인되었다.

먼저 참여자들은 학교생활에서 간호 학 교수는 다가서기

어려운 상 로 관계 형성이 쉽지 않음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교

수와 보다 인간적인 교류를 원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교수와

의사소통을 통해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임상실무에 해 배우고,

자신을 이끌어주는 어떠한 힘과 통찰을 얻었다고 하였다. 참여

자들은 교수는 무섭고 완고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참여자

들은 교수와의 관계에서 긴장되고 다가서기 어려운 상 로 이

야기하고 있다. 이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구성 중 다소 부정적

인 요소로 해석된다. 이는 관련 연구[19,20]에서의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부정적 경험인 불만족, 엄격함, 모호함 등을 이야

기하고 있다. 또 다른 관련 연구[1]에서는 학생이 교수와의 거

리감을 느끼며, 유 관계의 문제가 있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교수-학생 간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교수는 학생 입장에서

경청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고[21], 학생과 관계에서 학생이 교

수를 어렵게 생각하지 않도록 교수의 학생과의 면담에 적극성

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참여자들은 교수와의 관계 형성이 쉽

지 않음을 토로하였다. 지도교수가 자주 바뀌기도 하고, 면담

시간이 융통성이 없을 때도 있고, 교수님마다 특성이 달라 의사

소통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선행연구[1]에서도 학생-교

수 간의 화 단절이나 어려움에 해 보고하고 있다. 이에 다

양한 배경과 특성을 가진 교수-학생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도교수를 1학년부터 4학년 때까지 고정한다

Page 11: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 2020-07-03 · Vol. 26 No. 3, 2020 209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Table 2. Theme, Sub-theme, Meaningful

Vol. 26 No. 3, 2020 215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든가, 면담시간을 학생과 같이 의논하여 조정하는 방안이 필요

하다고 본다. 교수와 학생의 긍정적인 관계는 학생의 정서, 행

동 및 학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직업 탐색에 도움이 된다

[20]. 참여자들은 좌절하고 포기하고 싶을 때, 어려운 결정을

해야 할 때 교수로부터 위로와 피드백 및 지지를 받아 자신을

이끌어 가는 용기와 힘을 얻었다고 하였다. 이는 선행연구[22]

에서의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생의 개인적 문제와 진로에

한 격려 등으로 개인적인 성장과 발달에도 중요하다는 것과 맥

락을 같이한다.

참여자들은 교수의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를 통하

여 전문지식과 노하우를 배웠다고 하였다. 교수의 임상 상황에

처하는 전문적 노하우, 임상현장에서 부딪힐 수 있는 여러 딜

레마, 인간관계나 문제점, 환자 응 법 등이다. 간호전문성은

전문적 지식과 경험의 통찰[23]로서, 교수와 학생이 상호작용

이 높을수록 학생활에 적응에 도움이 되므로[24] 교수의 이

론과 임상에서의 지식과 노하우 전수는 중요하다. 교육은 가르

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의 의사소통을 통해 교육적 가치를 추

구하는 활동이다[25]. 참여자들은 교수와의 의사소통에 하

여 보다 집중하고 그 의미를 제 로 이해하여야 한다고 하였으

며, 교수와 면담 시 의사소통에 적극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참여자들은 교수가 미래 진로나 경력개발에 한 꿈을 꾸고

자기개발에 한 인식을 갖게 해주었다고 하였으며, 미래 간호

사로서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갖는 통찰을 갖도록 이끌어 주었

다고 하였다. 이는 성공적인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한 단면이

드러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1,26].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학

업 및 진로에 한 조언, 학업 격려, 조언 등이 있다[26].

참여자들은 교수-학생의 의사소통을 통해 평생을 통한 발전

과 강한 자기개발 의지를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선행연구[1]

를 참고하면 교수와의 신뢰형성을 위해 학생의 자율적 노력이

필요하다. 참여자들은 교수와의 상호작용으로 미래 간호사로

서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는 전문직 간

호교육에 좋은 의미의 결과인 것이다[1]. 참여자들은 교수와의

소통에서 개방적인 태도, 적극성, 좋은 환경조성 및 다양한 만

남의 기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의사소통은 양측의 개방적인

태도와 적극성이 중요하다. Song 연구[21]에서 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학생의 적극적인 학습 태도와 관심이 중요하며, 교

수와 학생의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활동, 상호작용이 가능한 교

육환경 및 교수의 학생에 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우호

적인 교수-학생 만남의 환경조성의 필요성도 선행연구[22]에

서 확인되었다. 교수-학생의 상호작용에서 수업이나 면담시간

을 이용한 전통적인 상호작용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보다 적극

적인 안이 필요하다. 또한 교수-학생 상호작용에서 학생이

교수로부터 학업과 및 개인적인 내용에 한 다양한 조언과 격

려를 받고, 쉽게 교수와 연락할 수 있는 경우 상호작용의 질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26], 또한 학생은 교수와 일 일 만남

을 원한 점은 교수-학생 간의 교환관계 분석연구[27] 결과와 일

치를 보였다. 최근 스마트 기기가 중화되면서 이메일이나 소

셜네트워크 서비스 등을 이용한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학생은 이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8]. 웹기반 상호작

용은 형식적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22].

이에 교수와 학생의 면 면담과 온라인 병용 방법도 교수-학

생 의사소통에 안으로 보인다.

참여자들과 교수 간의 다양한 만남의 기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 학생의 전공만족도를 향상 시

킬 수 있는 교과 내 ․ 외 프로그램의 적용과 학생의 지도교수나

교과 담당 교수진과의 다양한 의사소통이나 면담기회가 필요

하다는 보고[21,23]와 같은 맥락이다. 선행연구에서 많은 학

에서 교수와 학생간의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지도교

수를 정하고, 전공별 면담과목을 개설하여 교수-학생 접촉빈도

를 높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사소통은 강의시간에만 주로

이루어져 교수-학생 간 의사소통 부족을 지적한 연구[21]도 있

다. 또한 간호학과의 교육과정의 특성상 실습교육이 일정 비율

을 차지하고 있고, 실습교육에서도 학생당 실습시간의 일정 정

도를 교수가 교육하도록 되어 있고, 교과 외 활동도 장려하고

있다[29]. 현재 교수-학생 간에는 수업, 시뮬레이션 실습, 기본

간호학실습, 임상실습 중도 집담회, 병동순회 및 핵심술기 평

가, 교과 외 활동으로 워크숍 등의 다양한 활동, 면담 등 비교적

많은 접촉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은 교수

와 다양한 면담의 기회를 원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교수-학생

간 양과 질에서 수준 높은 의사소통이 시간을 만드는 것이 필요

하다고 사료된다.

참여자들은 교수와 친 한 교류와 만남의 기회를 원하고 경

청을 기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은 교수와의

접촉을 아쉬워하고[1], 교수-학생의 정서적 친 감이 학생

활 적응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23]와 유사한 맥락이다. 경청은

의사소통의 핵심 본질로서 교수-학생은 교육 ․ 학습활동에서

개별적 활동 뿐 아니라 의사소통을 통해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

이다. 이에 학생의 요구에 따라 유연하게 교수와 의사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연구[21]에 비추어볼 때, 교수-학생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참여자들은 교수와의 의사소통 중에 간호환경의 변화를 인

지하였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사회의 급격한 변화인 병원 경영

Page 12: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 2020-07-03 · Vol. 26 No. 3, 2020 209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Table 2. Theme, Sub-theme, Meaningful

216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박광옥 · 김종경

전략의 변화, 전자의무기록체제의 도입, 의료기관평가인증제

의 정착 등으로, 이는 간호업무 및 간호조직문화의 변화를 가져

왔다는 보고가 있다[30]. 또한 참여자들은 최근 간호이슈에

한 교수와 견해 차이를 보였다. 이는 세 차이라기보다는 연륜

이 쌓인 교수로부터 변화에 해 알아가는 좋은 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선행연구[30]에서 최근 간호현장의 연령 및 세 다

양성이 증가하여 세 차이와 세 간의 이해 부족으로 인한 동

료관계의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참여자들은 최

근 간호계의 변화도 교수로부터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있어야 한

다고 사료된다.

결 론

본 연구는 간호 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참여자와 교수 간에는 보이

지 않는 소통의 장벽이 있었고, 이들의 관계형성이 수월하지

않았다. 그 러나 참여자들은 교수는 자신을 이끌어주는 원동력

이었으며, 교수들의 경험적 담론을 통하여 임상적 상황에 처

하는 전문지식과 노하우를 전수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

여자들은 교수와 격세지감은 있었으나 그들로부터 간호유산

을 배워갔으며, 친 한 교류를 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수

와 학생 관계측면에서는 상 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좀 더 개방

적이고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나, 교수의 사회적 특성으로 인

해 학생에 한 배려나 인간적 관계형성 노력과 체계보완이 요

구된다. 교육적 측면에서는 학생은 교수의 경험에 근거한 전문

지식과 노하우 등 간호유산을 전수 받는 것으로 인식하였으므

로 교수는 끊임없이 전문성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각고의 노력

이 요구된다. 연구측면에서는 교수학생의 상호작용에 의한 의

사소통이 일어나므로 교수의 학생과의 의사소통 경험에 한

경험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간호관리학 측면에서는 교수가 리

더십을 발휘하여 학생으로 하여금 비전을 가지고 학교생활 적

응 및 예비간호사로서 준비하도록 하여야 한다고 본다. 그러므

로 간호학과 교수는 학생지도 시 적극성을 가지고 열린마음

(open mind)으로 학생을 지도할 때 학생의 개인발전 및 간호

발전을 기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과의 면담체계와 방법에서 접근성, 편의성, 융통성 제고와

이를 위한 이 메일, 온라인상담, 소셜 미디어 활동 등 다양한 방

법의 활용을 적극 검토한다. 둘째, 간호학 특성상 실습교육이

상당 부분 차지하고, 실습교육에서 교수와 학생 간에 보다 긴

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교수는 전문지식과 노하우를

포함한 바람직한 간호유산을 전수에 심혈을 기울일 필요가 있

다. 셋째, 임상상황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더욱 풍부하고 모범

적, 경험적 사례를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구축에 한 체

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참여자가 일부 간

호 학생이었으므로 전국의 간호 학생의 경험적 특성을 모두

반영하지 못한 점이다.

REFERENCES

1. Seo CW. A study for establishing a desirabl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Journal of Student Guidance. 1995;22:51-63.

2. Toews ML, Yazedjian A. College adjustment among freshmen:

predictors for white and hispanic males and females. College

Student Journal. 2007;41(4):891-900.

3. Warbah L, Sathiyaseelan M, VijayaKumar C, Vasantharaj B,

Russell S, Jacob KS. Psychological distress, personality, and ad-

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2007;27(6):597-601.

https://doi.org/10.1016/j.nedt.2006.09.002

4. Jung JY. Analysis of the casual model between school life sat-

isfaction and counseling with academic advisers mediated by

class attitude and lecture satisfaction. Korean Education Inqui-

ry. 2013;31(4):95-114.

5. Pascarella ET, Terenzini PT. How college affects students: A

third decade of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2005.

6. Hagenauer G, Volet S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t univer-

sity: An important yet under-researched field. Oxford Review

of Education, 2014;40(3):370-388.

https://doi.org/10.1080/03054985.2014.921613

7. Kim HJ. The influence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universi-

ty student majored in dance and professor on their self-esteem

and department adap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2018;35(2):1-12.

https://doi.org/10.21539/Ksds.2018.35.2.1

8. Yun SY, Min SH.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piritual well-

being on college adjustment in major of nursing student. Jour-

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12(2):395-403.

https://doi.org/10.14400/JDC.2014.12.12.395

9. Choi JY, Shin HS. The nature and effects of student-faculty in-

teraction on higher education learning outcomes in Korean

universities: Focusing on effects of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Education. 2010;37(2):131-154.

10. Jeong EI, Park YH. Relations among faculty, trust, learning, mo-

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 Asian Jour-

nal od Education. 2008;9(1):73-93.

11. Yu M, Park SH, Park KO. A review literature on communica-

tion in nurses. Korea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014;

9(2):99-108. https://doi.org/10.15715/kjhcom.2014.9.2.99

12. Park KO, Yu M, Park SH. Physicians' experience of communi-

cating with nurses about patient safety: A phenomenological

Page 13: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 2020-07-03 · Vol. 26 No. 3, 2020 209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Table 2. Theme, Sub-theme, Meaningful

Vol. 26 No. 3, 2020 217

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study utilizing the colaizzi method. Asian Nursing Research.

2018;12(3):166-174. https://doi.org/10.1016/j.anr.2018.06.002

13. Park SJ. Differences between nurses and patients' perception of

nurses' communication skill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

ciety of Adult Nursing. 2017;29(2):166-176.

https://doi.org/10.7475/kjan.2017.29.2.166

14. Kim BC. Study on junior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their

college lives [master's thesis]. Seoul: Hongik University; 2003.

p. 1-114.

15. Jung HK, Hong SH. Phenomenological review of qualitative re-

search in nursing.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

phy. 2001;18:176-202.

16. Colaizzi PF.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cal

views. In Valle R & King M (Eds.), Existential phenomeno-

logical alternative for psychology (pp. 48-71).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17. Guba EG, Lincoln YS.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

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

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1981.

18. Yi MS, Choi KS, Son HM, Eun Y. Understanding nursing prac-

tic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Seoul: Koonsa Pubication;

2005. p. 63-64.

19. Cokley K, Komarraju M, Patel N, Castillon J, Rosales R, Pickett

R, et al. Construction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student-pro-

fessor interaction scale. College Student Affairs Journal. 2004;

24(1):32-50.

20. Cho HS, Cho NH. The effect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n

students' attitud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008;17(3):607-618.

21. Song CJ.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stu-

dent-teacher communication, and course satisfac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2014;15(2):171-200.

22. Choi JH. Examining the factor structure and validation of the

faculty student interaction scale. Journal of Korean Official

Statistics 2016;21(2):76-94.

23. Park KO, Lee MS. Nurses' experience of career ladder pro-

grams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5):581-592.

https://doi.org/10.4040/jkan.2011.41.5.581

24. Lim KM, Park JH.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major satis-

fac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i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

operation Society. 2018;19(9):195-205.

https://doi.org/10.5762/KAIS.2018.19.9.195

25. Song YJ.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major satis-

fac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f university stu-

dents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dissertation]. Busan:

Dong-A University; 2014. p. 1-98.

26. Anaya G, Cole D. Latina/o student achievement: exploring

the influence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s on college grade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2001;42(1):3-14.

27. Kim KS, Chung HS, Choi KS. Individualized leadership: A

study on professor-student exchange relationships in Korean

universities.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1999;7(1):83-126.

28. Li L, Pitts J. Does it really matter? using virtual office hours to

enhance student-faculty interactio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2009;20(2):175-185.

29.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Standard

book for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Reference,

vol 2017-01-03.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7.

30. Choi SN. Analysis of experiences of generational issues among

hospital nurses: Application of focus group interviews [disser-

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p. 1-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