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2 공업화학 전망, 제17권 제6호, 2014 아웃도어용 가방제품개발 동향 지 영 주박 재 경강 윤 화 삼성교역()한국섬유개발연구원 * Developmental Trend of Bag Products on Outdoor Market Young Joo Jee and Jae Kyung Park, and Yoon Wha Kang SAMSUNG TRADING CO., Ltd, 18 Yeomsakgongdan-ro, 13-gil, Seo-gu, Daegu, Korea * Korea Textile Development Institute, 136 Gukchaebosang-ro, Jung-gu, Daegu, Korea Abstract: 최근 아웃도어 시장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하여 의류뿐만 아니라 가방제품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본래 가방은 운반과 보관을 주요 기능으로 제조되어 왔으나 현대에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로 인하여 내구성 이외에 패 션성과 차별화 기능성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기존에 핵심 소재로 사용되어 오던 나일론 소재에서 벗어나 폴리에스터 와 고성능 섬유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원단제조 기술에서부터 염색, 후가공 기술까지 다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되 고 있다. 가방제품의 주요소재의 직물원단은 국내 섬유산업의 침체로 인하여 아웃도어용 가방제품 소재 역시 고급소 재는 선진국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저가의 제품은 중국에서 수입하는 이중고에 직면하고 있어 새로운 소재 및 기능성 발현을 위한 연구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본문에서는 기술적 관점에서 아웃도어용 가방원단 및 후가공 기술의 개략적 인 내용을 설명하고 국내외 브랜드를 중심으로 제품개발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개발 방향을 전망하여 보았다. Keywords: Outdoor backpack, nylon, polyester, functionality, high performance fiber 1. 서 1) 가방은 본래 운반, 보관의 수단으로 주로 사용 되었으나 최근 들어 패션에 있어 하나의 아이템으로 널리 사용되게 되었으며 핵심 특성으로 패션성(, 디자인), 내구성, 편의성 등이 고려되어 왔다. 가방 도입에 있어, 우리나라는 개화기에 들어와 서 형태를 갖춘 가방제품이 소개되기는 하였으나 해방과 더불어 일본의 귀국자들을 주축으로 하여 가내수공업으로 시작하였으며 50년대 후반기 고 무가공 원단이 개발되었고 60년대 초 인조가족의 등장으로 본격적으로 가방의 형태를 제대로 갖춘 제품이 선보이기 시작하였다. 70년대 들어 수출주 도 정책에 힘입어 내수 및 수출이 전성기를 맞이 하였으며 그 후 수입에 의존하던 인조피혁 및 개 주저자 (E-mail: [email protected]) 방원단의 개발로 국내 주요 수출상품으로 자리매 김하게 되었다[1]. 가방은 용도에 따라 크게 손가방, 서류가방, 동용가방, 여행용가방, 케이스류, 학생용가방, 핑가방, 지갑류로 나뉘게 되며, 표준산업분류로는 여행가방, 핸드백, 지갑, 케이스로 분류된다. 재료 별로 보면 천연피혁제, 인조피혁제, 원단제, 합성 수지제, 기타제로 나뉘게 된다[2]. 피혁으로 제조 되는 가방제품은 봉제기계를 이용한 대량생산보 다는 전문가가 수제작 하는 가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유럽의 명품브랜드에서 생산하고 있는 실 정으로 전통제조산업에서 겪고 있는 인건비, 유통, 소비트렌드 등의 어려움과는 거리가 먼 고부가가 치 산업이다[3]. 아웃도어용 가방은 최근 들어 아웃도어 의류시 장의 호황에 힘입어 가방시장에서 점점 점유율을 늘려가고 있으며 시장규모 역시 급격히 성장하고 기획특집: 스포츠레저 산업용 소재

아웃도어용 가방제품개발 동향아웃도어용 가방제품개발 동향 KIC News, Volume 17, No. 6, 2014 3 * 출처: 반기별 소비자 패션상품 구입 기준, 삼성패션연구소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2 공업화학 전망, 제17권 제6호, 2014

아웃도어용 가방제품개발 동향

지 영 주⋅박 재 경⋅강 윤 화†

삼성교역(주)⋅한국섬유개발연구원*

Developmental Trend of Bag Products on Outdoor Market

Young Joo Jee and Jae Kyung Park, and Yoon Wha Kang†

SAMSUNG TRADING CO., Ltd, 18 Yeomsakgongdan-ro, 13-gil, Seo-gu, Daegu, Korea*Korea Textile Development Institute, 136 Gukchaebosang-ro, Jung-gu, Daegu, Korea

Abstract: 최근 아웃도어 시장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하여 의류뿐만 아니라 가방제품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본래

가방은 운반과 보관을 주요 기능으로 제조되어 왔으나 현대에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로 인하여 내구성 이외에 패

션성과 차별화 기능성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기존에 핵심 소재로 사용되어 오던 나일론 소재에서 벗어나 폴리에스터

와 고성능 섬유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원단제조 기술에서부터 염색, 후가공 기술까지 다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되

고 있다. 가방제품의 주요소재의 직물원단은 국내 섬유산업의 침체로 인하여 아웃도어용 가방제품 소재 역시 고급소

재는 선진국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저가의 제품은 중국에서 수입하는 이중고에 직면하고 있어 새로운 소재 및 기능성

발현을 위한 연구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본문에서는 기술적 관점에서 아웃도어용 가방원단 및 후가공 기술의 개략적

인 내용을 설명하고 국내⋅외 브랜드를 중심으로 제품개발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개발 방향을 전망하여 보았다.

Keywords: Outdoor backpack, nylon, polyester, functionality, high performance fiber

1. 서 론

1)

가방은 본래 운반, 보관의 수단으로 주로 사용

되었으나 최근 들어 패션에 있어 하나의 아이템으로

널리 사용되게 되었으며 핵심 특성으로 패션성(컬

러, 디자인), 내구성, 편의성 등이 고려되어 왔다.

가방 도입에 있어, 우리나라는 개화기에 들어와

서 형태를 갖춘 가방제품이 소개되기는 하였으나

해방과 더불어 일본의 귀국자들을 주축으로 하여

가내수공업으로 시작하였으며 50년대 후반기 고

무가공 원단이 개발되었고 60년대 초 인조가족의

등장으로 본격적으로 가방의 형태를 제대로 갖춘

제품이 선보이기 시작하였다. 70년대 들어 수출주

도 정책에 힘입어 내수 및 수출이 전성기를 맞이

하였으며 그 후 수입에 의존하던 인조피혁 및 개

†주저자 (E-mail: [email protected])

방원단의 개발로 국내 주요 수출상품으로 자리매

김하게 되었다[1].

가방은 용도에 따라 크게 손가방, 서류가방, 운

동용가방, 여행용가방, 케이스류, 학생용가방, 소

핑가방, 지갑류로 나뉘게 되며, 표준산업분류로는

여행가방, 핸드백, 지갑, 케이스로 분류된다. 재료

별로 보면 천연피혁제, 인조피혁제, 원단제, 합성

수지제, 기타제로 나뉘게 된다[2]. 피혁으로 제조

되는 가방제품은 봉제기계를 이용한 대량생산보

다는 전문가가 수제작 하는 가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유럽의 명품브랜드에서 생산하고 있는 실

정으로 전통제조산업에서 겪고 있는 인건비, 유통,

소비트렌드 등의 어려움과는 거리가 먼 고부가가

치 산업이다[3].

아웃도어용 가방은 최근 들어 아웃도어 의류시

장의 호황에 힘입어 가방시장에서 점점 점유율을

늘려가고 있으며 시장규모 역시 급격히 성장하고

기획특집: 스포츠⋅레저 산업용 소재

아웃도어용 가방제품개발 동향

KIC News, Volume 17, No. 6, 2014 3

* 출처: 반기별 소비자 패션상품 구입 기준, 삼성패션연구소 CFI 조사

Figure 1. 국내 제화 및 잡화시장 규모와 추이.

산업

성장과정시 기 산업구조 및 특성

1단계 1970년대

1) 합성수지개발로 가방생산

2) 품질관리 도입

3) 가방수출시작

2단계 1980년대

1) 해외시장 개척

2) 고급제품 수요시작

3) 국내자체 피혁개발

3단계 1990년대

1) 수출 규모 10억불 달성

2) 외국유명브랜드 유입

3) 제조원가 상승으로 해외이전

Table. 1. 가방산업의 성장과정

있다. 이와 더불어 아웃도어용 가방에 주로 사용

되는 원단가방을 중심으로 한 원단제 가방의 수요

가 급증하고 있는데, 이는 패션시장의 주 수요계

층인 청소년층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원단으로 제

조된 박스형 가방 및 다양한 컬러의 가방 및 악세

서리들이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이다[4].

국내 아웃도어용 가방은 여행가방으로 분류되

며 대부분의 가방이 원단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국

내 폴리에스터, 나일론 섬유제조기술의 발전과 더

불어 성장하고 있다. 또한 시장에 출시된 대부분

의 아웃도어 의류에 사용되는 후가공 기술이 적용

되어 고강도, 고기능성 가방이 제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아웃도어용 가방 및 백팩

(Backpack)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가방의 원단

제조기술 및 후가공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고 향후

소재개발 방향에 대하여 전망하고자 한다.

2. 시장동향

섬유의류산업 중 가방 제품은 잡화시장으로 포

함되며, 국내 제화와 잡화 시장은 2013년 규모가

약 7조 4천억 원을 기록한 것으로 추상되고 있다.

이는 전체 패션시장 성장률 약 2%와 유사한 수치

이며, 의류시장과 마찬가지로 전체 패션시장 내

제화와 잡화의 비중이 전년과 비슷한 수준의 규모

이다. 특히, 가방 및 지갑과 같은 잡화제품이 약

2% 증가하여 약 2조 4천억 원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2012년 상하반기 모두를 포함한 가방 시장의

연령별 구성비 추이를 구매금액 기준으로 살펴보

면, 25-29세가 전년보다 소폭 감소한 15%로 1위

인데, 이는 다양한 가방에 대한 본격적인 소비가

시작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30-34세의 비중이

약 14.5%로 2위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사회활동

이 증가하는 연령층의 특성 및 지속적으로 성장하

고 있는 남성 잡화 시장과 관련이 높다. 한편 40대

의 구성비는 소폭 감소하였고, 50대는 전년과 비

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10-20대 초반의 가방 구매 비중이 타 연령대 대비

높다는 점인데 이 연령대의 구입 가방의 대부분이

아웃도어 브랜드에서 출시된 가방제품이라는 분

기획특집: 스포츠⋅레저 산업용 소재

4 공업화학 전망, 제17권 제6호, 2014

* 출처: 반기별 소비자 패션상품 구입 기준, 삼성패션연구소

CFI 조사

Figure 2. 가방시장 연령별 구성비 추이.

* 출처: 삼성패션연구소, CFI 조사 결과(보조, 중복응답 가능,

단위: %)

Figure 3. 연령대별 구매계획 중인 가방제품 선호도.

석이다.

최근 10-20대 초반의 아웃도어 제품 선호도가

급증하면서 패딩쟈켓, 바지, 티셔츠 등의 의류제품

뿐만 아니라 가방, 신발과 같은 악세서리 제품도

아웃도어 브랜드를 선호하고 있다. 이에, 노스페이

스, 코오롱 스포츠, 네파 등의 아웃도어 브랜드는

10-20대 초반을 타겟으로 캐쥬얼과 아웃도어를 접

목하여 학생들이 선호하는 디자인과 가격대의 가

방제품을 따로 선보이고 있다. 최근 젊은 소비자

들이 고가의 아웃도어 대신 합리적인 가격대를 유

지하면서 아웃도어와 캐쥬얼 스타일을 모두 만족

하는 ‘캐포츠’ 트렌드를 선호하면서 이러한 경향

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유행될 전망이다. 아웃도

어용 백팩에서도 이와 유사한 트렌드를 보일 것으

로 예측되며, 각 연령대별로 구매를 희망하는 가

방제품의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소비자들을 대

상으로 향후 6개월 이내에 구매계획이 있는 가방

아이템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남성의 경우, 10-20

대는 캐쥬얼 가방, 30대 이상은 지갑, 50-60대는

여행 및 등산 가방에 대한 구매계획도가 높았다.

50-60대의 경우, 최근 늘어나는 액티브 시니어

층의 소비자들이 취미생활로 아웃도어 제품을 구

매비중이 증가하고 있고, 10-20대들이 선호하는

캐쥬얼 가방 또한 아웃도어 브랜드의 가방제품이

대다수인 것을 감안하면, 아웃도어 가방제품의 수

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3. 소재개발동향

3.1. 원료소재

아웃도어용 가방원단의 경우 일반적으로 내마

모성, 인장강도, 인열강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염색 후 광택 및 심색성이 폴리에스터에 비해 탁

월한 나일론소재의 원단이 고가제품에 주로 사용

되어 왔다. 나일론 소재는 3대 합성섬유 중에서 가

장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소재로 알려져 왔으며

고성능 섬유가 시장에 선보이기 전까지는 나일론

66섬유로 제조된 인비스타(INVISTA)의 코듀라

(CORDURA)계열 제품이 고가의 아웃도어용 백팩

에 주요 소재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석유를 원료로 한 나일론계 합성원료의 원자재 가

격의 불안정성 및 국내 나일론 66 생산기반 부재

등의 원인으로 가방지로 사용 가능한 나일론 대체

소재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해외에서는 이러한 원인으로 나일론 대체를 위

한 소재로 폴리에스터 원사를 사용한 제품이 일부

출시되고 있으나 폴리에스터 원사의 경우 나일론

에 비하여 가방지에서 필수로 요구되고 있는 내마

모성, 인열강도, 발색성에 한계가 있어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사용되고 있는 가방

아웃도어용 가방제품개발 동향

KIC News, Volume 17, No. 6, 2014 5

(a)

(b)

* 출처: (a) http:www.craftyarncouncil.com (b) 섬유기술정보센터,

섬유기초기술

Figure 4. 멜란지 사(a)와 TTD사의 제조공정도(b).

기존 단색컬러 가방직물 멜란지 컬러 가방직물

* 출처: http://www.anichinifabrics.com

Figure 5. 단색 및 멜란지 컬러 가방직물.

지용 폴리에스터 원단마저도 제조원가 때문에 대

만과 중국에서 공급받고 있는 실정으로 국내섬유

기업의 가격경쟁력 확보가 시급하다.

전통적으로 아웃도어용 백팩은 단색위주로 사

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멜란지(Melange) 컬러를

적용한 패션성을 극대화한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의류 소재의 내츄럴한 색상과 멜란지

효과를 발현하기 위하여 크게 가연공정에서의

T&T (태세사) 활용, ATY (에어텍스처링) 공정,

이종소재 교직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한 소재 개발

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공정은 염색성이 상이

한 이종 소재의 필라멘트(천연섬유를 포함하여)를

공기 교락장치에 의해 교락을 부여하거나 연사공

정 등에서 합연한 후, 교편(배열직물) 등을 통해

직물상에서 멜란지 효과를 부여하는 기술이다.

그 외에 사염된 원사를 사용하여 자카드 직기에서

3색 이상의 컬러감을 부여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가연가공시에 염색성이 상이한 이종의 부분배향

사 또는 스핀드로우(Spin-draw) 소재를 복합 가연

하여 직물상에서 크림프에 의한 부드러운 질감과

멜란지 효과를 부여하는 방법과 CDP (Cation

Dyeable Polyester)사를 나일론과 교직하여 효과

를 내는 방법 등이 새로 소개되어 시장에 공급되

고 있는데, 별도의 사가공 공정없이 염색공정에서

의 처리로 멜란지 효과를 발현할 수 있어 크게 인

기를 얻고 있다.

최근에는 범용섬유 외에 고성능 섬유를 이용한

가방제품이 시장에 선보이고 있는데 고성능 섬유

는 일반적으로 열이나 불꽃, 섬유를 분해시킬 수

있는 화학 첨가제에 대한 저항력 및 강성도

(stiffness), 인장강도가 범용섬유에 비하여 높은

고기능성을 말한다. 고성능 섬유는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항공우주산업이나 바이오메디컬, 건축

토목, 보호용 의류, 지오텍스타일, 전자산업에 폭

넓게 응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생산기반을 확보

한 글로벌 기업들이 늘고 기술개발이 진행되어 생

산단가가 하락함으로써 일부 고급 가방소재로 사

용되고 있다.

아웃도어용 가방으로 제조되는 대표적인 고성능

섬유는 초고분자량폴리에틸렌 섬유(UHMWPE),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Aramid), 탄소섬유 등이

있다. 고성능 섬유의 가방적용은 기술적 어려움뿐

만 아니라 제조단가에 있어 높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해외 디자인 기업에서 일부 소개되고 있는

시점으로 아직은 기존 합성섬유 원단가방에 비하

여 가격이 높다. 그러나 아웃도어용 가방의 특성

기획특집: 스포츠⋅레저 산업용 소재

6 공업화학 전망, 제17권 제6호, 2014

* 출처: 산업용 섬유의 응용,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 2008

Figure 6. 고성능 섬유의 물리적 특성.

상 극한환경용 가방에 적용되는 고강도, 고내열성,

고내마모성을 발현할 수 있는 소재로써 매니아층

을 위한 제품 등에 사용되고 있다.

3.2. 염색기술

나일론 섬유와 폴리에스터 섬유의 염색법은 일

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기에 언급하지 않고 나일론

과 폴리에스터를 제외하고 사용되는 가방원단에

있어 나일론/폴리에스터 복합직물과 CDP (Cation

Dyeable Polyester) 복합섬유의 경우를 언급하고

자 한다. 복합직물의 염색은 1욕법과 2욕법의 염

색방법이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한데 1욕법의 경우,

산성염료와 분산염료를 사용하여 130 ℃의 산성

욕에서 염색이 가능하다. 2욕법의 경우에는 분산

염료로 폴리에스터 섬유를 염색하고 환원세정한

후 산성염료로 나일론을 염색하는 방법으로 견뢰

도가 매우 우수한 원단의 제조가 가능하다.

CDP염색물의 경우에도 1욕법과 2욕법의 사용

이 모두 가능하지만 최근에는 공정편의와 원가저

감을 위하여 1욕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CDP의

특성상 폴리에스터임에도 카치온(Cation)염료로

염색이 가능하여, 카치온 염료와 산성염료를 이용

하여 염색하여 멜란지 효과 발현이 가능한 염색물

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대부분 CDP를 밝은계

열로 사용하고 나일론을 어두운 계열로 사용하는

데 이는 염료의 특성상 카치온 염료의 발색성을

고려한 염색순서이다.

3.3. 후가공 기술

가방원단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물리적 성

질인 인장강도와 인열강도, 내마모성능을 만족하

는 원단들에 별도의 기능성 후가공을 하게 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후가공은 발수와 방수가공이다. 발

수와 방수는 모두 외부로부터 수분이 가방원단을

투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가공법의 일종이지만 두

방법은 매우 다르다. 가방에 사용되는 가공은 발

수와 방수가공 외에도 대전방지가공, 방오가공, 방

염가공 등이 있다.

3.3.1. 발수 및 방수가공

발수는 원단표면에 액체를 접촉시켰을 때 접촉

각을 최소화 시켜 원단이 젖지 않도록 만드는 것

으로 소수성 물질을 코팅하여 처리하고 물의 통과

를 막을 수 있도록 촘촘하게 제직하여야 하는데,

합성섬유는 본래 소수성이기 때문에 별도의 처리

없이 초고밀도 직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약간의

발수기능이 부여된다.

발수소재로 주로 사용되는 물질은 대표적으로

피리딘계(듀폰의 Zelan, ICI의 Velan), 실리콘 수

지계(MHPS, Methylhydrogen polysiloxane), 불소

수지 화합물(3M, Scotchgard) 등이며, 발수가공

처리한 원단의 경우 투습이 가능하기 때문에 투습

방수성이 부여되는데 이는 일반적인 아웃도어 의

류의 투습방수 필름에 의한 기능성과는 다른 편발

수 기능이다. 가방에는 주로 실리콘계와 불소화합

물이 사용되며 발수가공수지에 침지시키거나 도

포시킨 후 건조하여 경화(Curing)시켜 가공한다.

발수성의 평가는 KS나 JIS, AATCC 등의 표준시

험방법에 따라 스프레이법으로 시험하며 접촉각

측정으로 상대평가가 가능하다. 방수는 물의 투과

를 막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방수가공은 방수제

를 도포하여 천에 방수성을 부여하는 가공을 말하

며, 주로 실리콘계 화합물을 건식 또는 습식코팅

하여 방수성능을 부여하는 코팅법과 필름을 라미

아웃도어용 가방제품개발 동향

KIC News, Volume 17, No. 6, 2014 7

내수압기준

(mmH2O)

고내수압형 범용형 저내수압형

5000-30000 1000-2500 300-800

투습성 기준

(g/m2⋅24hr)

고투습형 범용형 저투습형

6000-13000 2000-5000 2000 이하

Table 2. 용도에 따른 내수압과 투습성 기준

네이팅하는 라미네이팅법을 사용하는데 코팅법에

비하여 라미네이팅법이 더 높은 수준의 내수압을

나타낸다.

방수시험은 내수압을 기준으로 고수압법과 저

수압법으로 나뉘며 해당 시험법은 국제표준에 명

시되어 있다. 내수압에 의한 가방직물의 명확한

기준은 없으나 바이어의 일반적인 내수압 요구수

준은 5,000 mmH2O이다. 용도에 따른 내수압과

투습도의 범위를 Table 2에 나타냈다.

2.3.2. 대전방지가공

대전방지기능은 섬유고분자의 화학구조에 친수

성기를 부여하거나 도전성 섬유의 혼입 또는 기타

후가공을 통하여 부여하게 되는데 후가공에 의한

방법에는 비내구성 방지처리와 내구성 방지처리

를 들 수 있다. 후가공을 통한 대전방지에서는 불

용성 피막을 형성하거나 그라프트 공중합이 가능

한 가공제를 처리하게 된다.

비내구성 대전방지제는 흡습성 물질인 아세트

산칼륨, 염화리튬과 같은 염, 트리에탄올아민과 같

은 아민과 이온 및 비이온성 구조의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섬유의 표면에 가공제가 존재하여야 하는데 이를

유도하기 위하여 섬유의 종류에 따라 양이온, 음

이온 또는 양성계면활성제를 사용하게 된다.

⦁양이온 계면활성제 : 지방족 화합물의 제4급 암

모늄 유도체가 비내구성 대전방지제로 가장 널

리 사용되며 직물 무게 대비 0.25%의 양을 사용

한다.

⦁음이온 계면활성제 : 알킬황산, 알킬설폰산, 알

킬인산 음이온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양이온

구조는 음이온 구조보다 대전방지 효과가 우수

하기 때문에 최종 가공공정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질소함유로 인하여 사화에 의한 착색, 염소상해,

금속이온이나 오염의 흡착 등의 문제점이 있다.

⦁양성이온성 계면활성제 : 아미노 프로피온산,

이미도 프로피온산, 4급 화합물 등이 있으며 특

히 아미노산 계열은 생체적합성이 상당히 높다.

대체로 양이온 구조에 비하여 성능이 우수하며

착색과 염소상해에 대하여 내구성이 있다. 내구

성 대전방지제는 이온성기나 흡습성 성분을 갖

는 망상 구조의 가교 중합체로 섬유표면을 둘러

싸는 형태로써 흡습성을 증가시켜 성능을 발현

한다. 주로 사용되는 화합물은 폴리옥시에틸렌

세그멘트를 백본에 갖는 폴리아민, 양이온성 촉

매를 갖는 폴리머, 양이온성과 폴리옥시에텔렌

그룹을 동시에 갖는 화합물, 폴리옥시에틸렌과

의 블록 폴리머 등이 있다[5].

2.3.3. 방오가공

방오가공은 친수성과 친유성기를 동시에 갖는

가공제를 처리함으로써 기능을 발현하는 것으로

방오작용의 기능, 물에 대한 용해성, 가공 후의 촉

감과 유연성 등이 매우 중요하다. 방오가공제는

에멀젼, 분산액 또는 가공 과정에서 섬유상에 불

용성화 가능한 화합물 용액으로 판매되며 가공과

정 중 섬유와 화학반응하여 불용화함으로써 불량

의 원인이 된다. 방오가공제는 옥시에틸렌

(Oxyethylene) 친수기를 갖는 비이온성 방오가공제,

히드록시(Hydroxy) 친수기를 갖는 음이온성 방오

가공제, 불소함유 가공제로 나뉘며 가방원단에 있

어 발수성능과 방오성능을 함께 나타내기 위하여

불소함유 가공제를 주로 사용한다.

⦁비이온성 방오가공제 : 옥시에틸렌 친수기 사슬

은 건조상태에서는 코일구조를 하고 있어 경화

시 소수성 표면으로의 퍼짐이 용이하다. 또한

옥시에틸렌 사슬을 가진 방오제의 경우 정전하

를 방출하기 때문에 이온성 가공제에 비하여 촉

감이 부드럽게 유지된다. 하지만 하이드록시 친

수기를 갖는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 에틸셀

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폴리

기획특집: 스포츠⋅레저 산업용 소재

8 공업화학 전망, 제17권 제6호, 2014

* 출처: 삼성패션연구소

Figure 7. 스포츠/아웃도어 브랜드 포지션 맵.

비닐알콜, 알긴산 등은 폴리에스터나 나일론 제

품의 촉감을 경화시키기 때문에 가방분야에서

는 지양되고 있다.

⦁음이온성 방오가공제 : 카르복시산을 친수성기로

포함하는 비닐 고분자 형태로 아크릴산(Acrylic

acid) 등을 이용한 다양한 단량체를 사용한다.

산성용액에서보다 알칼리성에서 효과적이다.

⦁불소함유 방오가공제 : 불소계 고분자는 분산력

에 의하여 비극성 액체를 배척하지만 수중에서

는 수소결합력이 분산력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분산력과 수소결합력의 합력은 고분자 표면에

서 물이 퍼지게 한다. 이에 섬유표면의 표면에

너지 감소와 친수성발현이라는 두 가지 특성을

발현하기 위하여 혼성 불소계고분자를 사용한

다. 혼성 불소계 고분자는 건조상태에서 방오성

이 향상되며 수지가공과 함께 하였을 때 방오성

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6].

2.3.4. 방염가공

방염가공 역시 발수가공과 마찬가지로 비지속

성과 지속성 방염제로 나뉘게 되는데 방염제로 사

용되는 화합물 대부분은 방염성을 갖는 원소들을

함유하고 있다. 방염기능을 가지는 원소들은 붕소

(B), 질소(N), 인(P), 안티몬(Sb) 및 할로겐 원소들

로써 이 중에서 섬유의 방염성을 부여하는데 사용

되는 원소들은 주로 인과 할로겐 원소인 브롬(Br)

과 염소(Cl)이다.

할로겐 원소의 방염메커니즘은 열분해에 생기

는 라디컬의 활성을 떨어뜨리는 라디컬 제거제 역

할을 함으로써 열분해와 가연성 기체의 발생을 억

제시키는 과정으로 설명된다. 반면에 인을 함유하

는 방염제는 산소와 반응해서 오산화인 및 오르쏘

(Ortho)인산을 형성함으로써 탈수/탄화반응의 촉

매로 작용하여 열분해과정에서 가연성 기체의 발

생을 억제하여 방염성을 부여한다. 반응이 더 진

행되어 폴리인산이 되면 섬유를 피복하여 산소와

의 접촉을 차단하여 더 이상의 연소를 막는 기능

도 하게 된다. 방염가공은 방염제를 후가공 장비

와 코팅장비를 이용하여 코팅하게 되는데 가장 단

순한 공정으로는 패딩, 건조 방법이 있다. 대표적

인 폴리에스터, 나일론의 방염제는 Albright &

Wilson사의 Antiblaze, Thor사의 Aflammit 시리

즈, Schill & Seilacher의 Flacavon 시리즈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백팩원단의 방염성 시험

방법은 의류용과 유사한 연소시험법, 45° 방화시

험법, 후프법 등이 있으며 섬유자체의 방염성 평

가는 섬유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의 분율을 의미하

는 한계산소지수 LOI와 850 ℃에서 남아 있는 탄

화잔류물의 중량 %를 표시하는 CR (Char resi-

due) 등이 주로 사용된다.

⦁연소시험법 : 직물을 수직으로 매단 후, 아래부

분에 불을 붙여 전파되는 불꽃의 속도를 측정하

는 방법이다.

⦁45° 방화도 시험법 : 35 × 25 cm의 시편을 제작

하여 수세 5회, 드라이클리닝 5회를 거쳐 건조

한 후, 점화원과 45°경사의 방향으로 멕켈버너

(Meckel Burner)로 불을 붙인 뒤의 불꽃의 잔류

시간(3초 이내), 불꽃 소멸 후 잔류불꽃유지 시

간(5초 이내), 탄화길이(20 cm 이내)로 방화도

를 판단한다.

⦁후프법 : 시료원단을 반원틀에 걸고 불을 붙인

후, 불꽃의 전파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7].

4. 제품동향

아웃도어용 백팩은 주로 등산, 하이킹, 라이딩,

아웃도어용 가방제품개발 동향

KIC News, Volume 17, No. 6, 2014 9

* 출처: www.nikestore.co.kr, www.adidas.co.kr

Figure 8. N사 및 A사의 스포츠 백팩.

* 출처: http://blog.naver.com/lols_/130107174190

Figure 9. I사의 슬링백.

보딩 등의 다양한 스포츠 분야에서 사용되며, 아

웃도어 활동 시 사용되는 가방은 거친 스포츠 활

동 중에 개인의 소지품을 보호해야 하는 역할을

하므로 외부의 충격에 대해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찢어짐에 견고하여야 하는데

적용분야 및 출시브랜드에 따라 크게 스포츠용,

등산용으로 나눌 수 있다.

국내 아웃도어용 백팩은 주로 기존 메이져 아웃

도어 및 스포츠브랜드 회사에서 출시하고 있으며

최근 트렌드는 의류용, 백팩용, 신발용 원단을 유

사한 느낌과 터치를 가진 원단으로 제조하여 패키

지형식으로 판매하는 것이다. 등산용은 노스페이

스, 코오롱스포츠, K2, 네파, 블랙야크 등에서 제

조하고 있으며 스포츠용은 나이키, 아디다스, 아식

스, 퓨마, 필라 등에서 판매하고 있다. 반면 해외에

서는 의류용 및 스포츠브랜드에서 다양하게 제품

을 출시하고 있다.

4.1. 일반 스포츠용 백팩

스포츠 브랜드 N사와 A사는 자사의 대표적인

액티브 소재인 에어맥스와 클라이머 히트와 같은

투습방수소재와 함께 쿠션소재를 사용하여 편의

성을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인 아웃도어용 백팩에

는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을 사용하지만 스포츠용

백팩에는 내구성이 필요한 등판, 밑판 등에 부분

적으로 나일론을 사용하여 성능보다는 패션성과

기능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기본적으로 어깨에 쿠

셔닝을 제공하여 무게를 고르게 분산시키고 인체

공학적 설계를 바탕으로 착용감을 극대화 하여 스

포츠브랜드의 운동성과 편의성을 대두시켜 소비

자에게 어필하고 있다.

내부는 여러 개의 지퍼 주머니를 넣어 안전하고

넉넉한 보관성을 부여하고, 기본적으로 지퍼 포켓

과 메쉬 측면 포켓으로 다양한 아이템들을 보관할

수 있으며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었다. 최근

에는 패딩처리된 노트북 포켓을 설치하여 15인치

크기의 노트북 보관기능과 외부에 방수포를 덧대

거나 방수소재를 사용하여 내부물건을 보호한다.

아디다스에서는 스포츠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고려한 전통 로고 디자인과 실린더 모양의 백팩을

메인 아이템으로 사용하고 있다.

스포츠브랜드 이외에 시티백팩이란 모티브로

스포츠와 일상생활을 겸비하는 I사의 제품이 있

다. 아디다스와 유사한 실린더 느낌의 백팩제품도

있다. 겉으로는 단순해 보이는 디자인이지만 세련

되게 정돈된 느낌의 디자인을 고수하고 있으며 실

용성까지 겸비하고 있다. 블랙컬러 계열의 제품을

기본으로 하고 단색의 비비드(vivid)한 컬러계열

과 i-pad 수납 및 노트북 수납이 별도로 가능한 구

조적 디자인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등판 및 인레

기획특집: 스포츠⋅레저 산업용 소재

10 공업화학 전망, 제17권 제6호, 2014

* 출처: http://www.baysideblades.com.au,

http://dolwen.en.made-in-china.com

Figure 10. 인라인과 자전거용 백팩. * 출처: http://2backpackers.com

Figure. 11. 전문산악용 50 L백팩.

(a)

(b)

* 출처: ISPO Winer 2013

Figure. 12. 수납혁신가방(a) 및 바퀴부착가방(b).

이어에 별도의 특수 수납이나 쿠션재를 내장하여

편안함을 겸비하도록 설계하고 있으며 한쪽 어깨

에만 멜 수 있는 슬링형태를 채용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다양한 레포츠 문화의 발달로 여러 스

포츠 분야에서 각각의 스포츠 특성에 맞는 백팩들

이 소개되고 있으며 특히 자전거와 인라인의 인기

에 힘입어 라이딩백과 보딩백 등이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인라인과 보딩백의 경우 장비를 백팩

에 넣어 사용할 수 있으며 자전거의 경우 소형의

백팩 이외에도 자전거 자체에 설치하여 물건을 수

납하고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4.2. 등산용 백팩

등산용 백팩은 주로 아웃도어 전용브랜드에서

출시되고 있으며 나일론 소재를 적은 양이라도 반

드시 사용하고 있다. 이는 내구성을 어필하기 위

해서이며 기본적으로 안감에 주로 사용하고 있지

만 고가제품의 경우 외부까지 나일론을 사용한다.

등산용 백팩의 용량은 스포츠용과 다르게 리터 단

위로 용량을 구분하며 23-40 L크기가 일반적이며

40 L 이상의 용량은 대형으로 구분된다. 대형제품

의 경우 전문산악용 제품으로 구분되며 어깨라인

의 멜빵이외에 허리라인, 등받이에 알루미늄 가드

등이 설치되어 장기간의 등반에도 안정적으로 하

중이 분산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제품사용환

경을 고려하여 전 부분에 고강력 나일론 소재를

사용하여 내마모성을 크게 증대시켰으며 방수소

재용 커버를 별도로 설치하여 우천시에 내부로 빗

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준다.

저용량 제품의 경우 주로 청소년층의 특성을 고

려하여 패션성과 착용성을 강조하여 스포츠 백팩

과의 차이점은 크게 없으나 고용량 제품의 경우 사

용환경과 용도를 고려하여 구조적으로 스포츠 백팩

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4.3. 차별화 기능성 패션가방

최근에는 아웃도어 가방의 내구성과 패션성 이

아웃도어용 가방제품개발 동향

KIC News, Volume 17, No. 6, 2014 11

* 출처: http://www.redferret.net, http://www.blessthisstuff.com

Figure 13. 솔라셀 가방과 에어백 가방.

* 출처: http://iq.intel.com, http://cutecircuit.com/,

http://www.paramotormag.com

Figure 14. 첨단 기능성 소재적용 제품(발광 및 발열기능).

외의 독특한 기능성을 부여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i-Pad를 외부에 돌출시켜 이동시에 사용가능하도

록 하거나 등뒤에 바퀴를 달아 캐리어와 백팩의

용도로 동시에 사용가능한 제품이 선보이고 있다.

현재 소재개발의 한계에 직면하고 있어 부수적인

기능으로 소비자에게 어필하고자 하는 업계의 노

력으로 다양한 아이디어 제품들이 시장에 선보이

고 있다.

그 외에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따라 에어백이 펼

쳐져 구조장비로 변하거나 텐트 또는 침낭으로 변

환이 가능한 트랜스포머형 가방과 발광섬유를 외

부에 장착하여 빛을 내거나 태양전지를 부착하여

전자기기의 충전이 가능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새로운 시도로써 기존 가방에는

구현되지 않았던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고안한 새

로운 개념의 아웃도어용 가방들이다.

4.4. 기타 고강도 아웃도어용 가방제품

최근에는 보다 가볍고 강한 소재를 찾는 소비자

들의 필요에 맞추어 고성능 섬유소재를 이용하고

있다. 경량이면서 내마모성이 우수한 제품개발을

위하여 UHMWP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소재를 이용

한 아웃도어용 백팩이 출시되고 있다. UHMWPE

는 강도 2.2∼4.0 GPa 정도, 탄성률은 53~124 GPa

범위의 슈퍼섬유이다(1 GPa = 102 kgf/mm2). 이

는 단면적이 불과 1제곱 밀리미터(직경 약 1.6

mm) 정도의 가느다란 섬유라도 성인 약 6명의 체

중인 400 kg 정도의 무게를 들어올릴 수 있는 강

도의 실을 만들 수 있다는 의미이며, 그 강도가 강

철선(2.8 GPa)보다 높고, 폴리에스터(1.1 GPa)의

약 3배 높다. 또한, 종래의 범용 폴리에틸렌 섬유

로 만들면 겨우 10 GPa 정도의 탄성률밖에 얻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 UHMWPE는 겔방사법을 통

해 그 10배에 달하는 100 GPa 정도의 탄성률을

가지는 섬유로 제조 가능하다. UHMWPE의 특징

은 아래와 같다.

⦁밀도가 1.0 g/cm3 이하이므로 매우 가볍고 물을

흡수하지 않아 물에 뜰 수 있음

⦁범용섬유 대비 고강도, 고내마모성을 발현한다.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폭넓은 내약품성을 가지

며 자외선에 대한 내광성이 우수하여 수중이나

야외 사용시에도 물성의 열화가 없다.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등산 배낭, 선수용 운동복

등의 아웃도어 용도로 적합하다.

그러나, UHMWPE는 슈퍼섬유 중에서 융점이

낮은 결정적 약점이 있다. 이에 섬유공정에서 적

용함에 있어 적정 공정 조건을 잡는데 기술적 노

하우를 요구하고 있다. UHMWPE는 현재 일본 도

요보(Toyobo)사에서 네덜란드 DSM사의 특허를

기획특집: 스포츠⋅레저 산업용 소재

12 공업화학 전망, 제17권 제6호, 2014

Tri-Star

Swift

Aeronaut

* 출처: http://www.tombihn.com

Figure. 15. UHMWPE 적용 아웃도어 가방제품.

* 출처: http://motorgraph.com

Figure. 16. 탄소섬유 적용 가방제품(BMW/루이비통).

기반으로 기술제휴 협약을 체결하여 공동개발에

참여하여 「Dyneema」의 상표명으로 제조, 판매하

고 있다. 또한 미국 Allied Signal사에서도 DSM사

의 특허 라이센스를 받아 「Spectra」를 생산, 판매

하고 있으며, 이외 미국 Honeywell Performance

Fiber사 등 총 3개 회사에서 판매하고 있다. 국내

에서는 동양제강에서 유일하게 UHMWPE를 생

산, 판매하고 있으며, 주로 해양용도로 다수 전개

하고 있다[8].

미국 TOM BIHN사에서는 400d의 UHMWPE

와 420d의 나일론 립스탑(ripstop) 원단을 개발하

여 신개념 경량 고내구성 가방 제품을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다. 안감용으로는 200d UHMWPE와

나일론을 교직한 립스탑 원단을 사용하고 있다.

립스탑 원단은 평직물에 비하여 인열강도가 높고,

UHMWPE 부분이 나일론 부분에 비하여 밖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외부의 마모환경에 먼저 노출이

되므로 내마모 특성이 매우 우수하고 비중이 낮은

UHMWPE의 특성상 중량이 가벼운 특징을 가진다.

UHMWPE는 염색이 어려워 흰 색의 고유색상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 제품은 Dyneema 제

직 시,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주기로

배열, 삽입하여 바둑판 형태의 립스탑 원단으로

개발하고 있다. UHMWPE의 흰 색 배열이 돋보이

게 하고 다양한 가방 컬러를 표현하기 위해 바닥

에 다양한 컬러로 염색한 나일론 원사를 사용하고

있다. 이 제품은 아웃도어 용도의 백팩(backpack)

뿐만 아니라 짐을 옮길 때 사용하는 러기지백

(luggage bag), 배낭, 크로스백, 토드백과 같은 일

상용 가방제품(daypacks), 노트북 가방 등의 특수

가방 등 다양한 제품으로 출시되어 있다.

UHMWPE 이외에도 가방용 원단소재로 탄소

섬유를 사용하고 있는데 탄소섬유란 탄소원소의

질량 함유율이 90% 이상으로 이루어진 섬유형태의

탄소재로써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ylonitrile, 이

하 PAN), 석유계⋅석탄계 탄화수소잔류물인 피치

(Pitch, 아스팔트) 또는 레이온으로부터 제조된 섬

유형태의 유기 전구체물질(Precursor, 탄화시키기

전의 물질)을 불활성 분위기에서 열해하여 얻어지

는 섬유를 의미한다. 탄소섬유는 내열성, 화학적

안정성, 전기열전도성, 저열팽창성에 따른 치수안

정성, 생체친화성, 유연성 등의 우수한 특징을 지

니고 있으며 활성화 조건에 따라서는 매우 우수한

흡착특성 부여도 가능한 소재이다. 탄소섬유는 철

보다 5배 가볍고, 강도는 10배 강하며, 내충격성,

내열성이 뛰어난 고강도 고탄성 첨단소재로 항공

⋅우주, 방산 및 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복합재료

핵심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경량, 고강

도, 고내열성 특성 등을 살린 토목⋅건축분야,

CNG 탱크, 풍력발전용 블레이드 등의 에너지 분

야, 선박, 차량 등 고속 운송 기기분야, 해양 개발

분야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 기대하고 있

다. 국내 탄소섬유는 대부분 스포츠 용품 분야에

치중되어 있다. 탄소섬유 시장은 도레이(Toray),

미쯔비시레이온(Mitsubishi rayon) 등 일본 기업이

아웃도어용 가방제품개발 동향

KIC News, Volume 17, No. 6, 2014 13

60% 이상 점유하고 있지만 2013년에 효성에서 국

내 최초로 탄소섬유를 자체 생산, 「Tansome」이라

는 브랜드로 생산판매하고 있다[9].

탄소섬유를 적용한 가방 제품은 국내보다 유럽

에서 먼저 개발하여 왔으며, 아웃도어 가방에 대

한 적용 상품은 아직 개발이 미미한 실정이다. 탄

소섬유의 원단화를 통해 가방 제품에 적용하기 위

해서는 제직 기술의 개발을 필요로 하는데 탄소섬

유의 제직은 일반 섬유직기에서는 힘들고, 산업용

전문 직기를 보유하고 있더라도 기술적 노하우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그 제직이 어렵기 때문이다.

최근 탄소섬유 원단을 적용한 가방 제품 개발 사

례로는 해외 유명 자동차 브랜드인 BMW에서 자

동차에 적용된 탄소섬유의 우수성을 홍보하기 위

하여 프랑스 명품 브랜드인 루이비통과의 콜라보

레이션을 통해 i8 전용 맞춤 가방을 들 수 있다. 이

제품은 여행용 가방과 비즈니스 케이스, 의류용

가방으로 구성되었으며, 2014년 4월부터 뮌헨, 밀

라노, 런던, 파리 등의 루이비통 매장에서 판매되

고 있다. 이외에도 원단 형태가 아닌 탄소섬유강

화 복합재료인 플라스틱 형태나 UD를 적충하여

그대로 사용한 여행용 캐리어도 개발되어 시판되

고 있다.

5. 맺음말

아웃도어용 가방은 과거 물품의 보관과 이동수

단이던 단순용도에서 스포츠용 등으로 용도전개

가 진행된 이후에 현재는 패션시장에서 중심적인

소비아이템으로 자리 잡았다. 기능적인 면에서도

과거 단순 수납성과 내구성만을 요구하던 트렌드

에서 벗어나 이제는 하나의 패션아이템으로써 스

포츠장비의 이동부터 전자장비의 충전과 소비자

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리하여 정장차림에 서류가방을 든 모습이 비즈니

스맨의 전형이었다면 현재에는 일상복 뿐만 아니

라 정장에도 아웃도어용 가방을 메고 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패션시장 트렌드의 변화로 스포츠시티룩과 캐

포츠의류 등과 같이 여러 가지 트렌드의 융⋅복합

화된 패션스타일이 추구되고 있어 용도에 따른 분

류기준이 점차 희미해지고 있으며 기존 의류용 소

재에서 산업용 소재의 가방제품으로의 적용이 이

루어지고 있다. 이에 더하여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기능성의 눈높이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어 기본적

인 내구성과 기능성 이외에 차별화된 소재의 요구

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눈높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최근에는 전통적으로 가방에

사용되던 나일론 소재에서 벗어나 폴리에스터 소

재의 강세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고성능 섬유가 적

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패션적인 면에서도 단순컬러에서 벗어나 비비

드한 형광컬러와 나일론/폴리에스터/면 복합직물,

CDP사, T&T사 등을 적용한 멜란지 컬러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촉감으로는 피혁제품을 제외하고

원단으로써 면섬유와 유사한 천연느낌을 선호하

고 있어 ATY 등의 사가공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는 후가공을

이용한 방수기능, 발수기능, 방염기능 등을 기본적

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전자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내부설계, 어깨와 등쪽의 쿠션재 설치를 통하여

착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키도록 설계하는 방향

으로 움직이고 있다.

아웃도어용 가방제품의 향후 개발을 위하여 소

비자의 트렌드 변화를 바탕으로 예측해 보면 내구

성과 패션성을 강조하는 트렌드에서 벗어나 기본

적인 기능성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사용특성에 적

합한 기능의 제품을 개발하여야 한다. 특히 아웃

도어용 가방제품은 국내 스포츠산업과 밀접한 관

련이 있기 때문에 스포츠 트렌드 변화와 일상과

스포츠의 경계가 융합되는 토탈룩으로써의 디자

인을 추구해야 한다.

또한 사용소재 특성상 국내 섬유산업 등 제조산

업의 기술발전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국내 섬

유산업과의 연계를 통하여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를 줄이고 후발국들의 추격에 맞서는 신섬유 개발

과 후가공기술 개발에 대한 노력이 절실하다. 특

히 국내산업의 강점인 IT, CT 기술 등과의 접목을

기획특집: 스포츠⋅레저 산업용 소재

14 공업화학 전망, 제17권 제6호, 2014

지 영 주

2007∼2009 충남대학교 섬유공학과 석사

2009∼2014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연구원

2014∼현재 삼성교역(주) 연구원

박 재 경

1995∼1997 영남대학교 환경공학과 석사

1999∼2002 Drexel University(미국),

MBA 박사

2006∼현재 삼성교역(주) 전무

강 윤 화

2003∼2007 부산대학교 섬유공학과 학사

2010∼2013 부산대학교 유기소재시스템공

학과 석사

2006∼현재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선임연구원

통하여 해외제품에서 완벽하게 구현하지 못한 전

자제품의 충전과 발광, 발열 등 새로운 기능의 발

현이 가능한 차별화 제품개발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산업전반의 연계협력과 기술개발 노력을

통하여야만 아웃도어용 가방 시장에서의 지속적

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향후 경쟁시대에서 우위에

설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1. 2000년을 향한 산업기술개발수요, 한국생산

기술연구원(1995).

2. 국내 가방 및 핸드백 제조업 산업동향, 통계청

(2014).

3. 2013년 섬유패션산업 기업경기전망, 한국섬

유산업연합회(2013).

4. 2014 상반기 패션시장 분석(2013), 삼성디자인넷

5. 섬유가공학개론(2007), 고석원.

6. 섬유기초기술(2012), 김병철 외.

7. 기능성 섬유가공(2012), 류동일 외.

8. 첨단산업용 고강력 폴리에틸렌 슈퍼섬유,

KSTI 기술뉴스브리프, 강박광.

9. 탄소섬유 제조방법 및 응용분야, 고분자과학

과 기술, 21, 2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