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

시장 분석...해외에너지시장 분석 #1 LNG시장 분석 2007 - i - 차 례 I. 세계 LNG 수급 현황 1 ... 수입의존도 및 수입원 현황 91 3) 국제적 4) 가스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해외에너지시장 분석 #1

    LNG시장 분석 2007

  • - -i

    차 례

    I. 세계 LNG 수급 현황 ·······································································1

    1. 세계 천연가스 수급 현황 ·········································································1

    1) 1차 에너지 수요 ···································································································1

    2) 천연가스 매장량 및 분포 ···················································································2

    3) 천연가스 생산 ·······································································································3

    4) 천연가스 수요 ·······································································································4

    2. 천연가스 교역 현황 ···················································································7

    1) 천연가스 교역 현황 ·····························································································7

    2) 2006년 LNG 시장 ································································································8

    II. LNG 생산국 현황 ···········································································14

    1. 아시아․태평양 지역 ···············································································14

    1) 인도네시아 ···········································································································14

    2) 호주 ·····················································································································20

    3) 말레이시아 ···········································································································26

    4) 브루나이 ·············································································································29

    5) 파푸아뉴기니 ·······································································································31

    6) 러시아 ···················································································································32

    2. 중동 지역 ···································································································35

    1) 카타르 ···················································································································35

    2) 오만 ·······················································································································39

    3) UAE ······················································································································40

    4) 예멘 ·······················································································································42

    5) 이란 ·······················································································································43

  • - -ii

    3. 아프리카 지역 ···························································································46

    1) 알제리 ···················································································································46

    2) 나이지리아 ···········································································································50

    3) 이집트 ···················································································································52

    4) 리비아 ···················································································································53

    5) 적도기니 ···············································································································55

    4. 유럽 및 아메리카 지역 ···········································································56

    1) 러시아 ···················································································································56

    2) 노르웨이 ···············································································································58

    3) 트리니다드 토바고 ·····························································································60

    4) 페루 ·····················································································································61

    III. LNG 수입국 현황 ··········································································62

    1. 아시아 지역 ·····························································································62

    1) 일본 ·······················································································································62

    2) 대만 ·····················································································································63

    3) 중국 ·····················································································································65

    4) 인도 ·······················································································································70

    5) 한국 ·······················································································································73

    2. 북미 지역 ···································································································77

    1) 미국 ·······················································································································77

    2) 멕시코 ···················································································································79

    3. 유럽 지역 ···································································································80

    1) 영국 ·····················································································································80

    2) 이탈리아 ···············································································································81

    3) 스페인 ···················································································································83

    4) 프랑스 ·················································································································84

  • - -iii

    IV. 주요국의 가스안보 강화 방안 ···················································85

    1. 일본 ·············································································································85

    1) 현황 ·····················································································································85

    2) 에너지안보 대응방안 ·······················································································85

    3) 세부 전략 ···········································································································87

    2. OECD 유럽 국가 ·····················································································90

    1) 현황 ·····················································································································90

    2) 수입의존도 및 수입원 현황 ···········································································91

    3) 국제적 노력 ·······································································································94

    4) 가스 공급 안보의 신 지침(the new Gas Directive) ································95

    5) 전략적 비축(Strategic storage)에 관한 논의 ··············································97

    3. 미국 ···········································································································100

    1) 현황 ···················································································································100

    2) 긴급 상황 ·········································································································102

    참고문헌 ·································································································103

  • - -iv

    표 목 차

    세계 LNG 교역현황(2006년) ··········································································9

    호주의 LNG 프로젝트 현황 ········································································22

    말레이시아 LNG 프로젝트 현황 ································································28

    SakhalinⅠ,Ⅱ 프로젝트 현황 ·······································································34

    카타르 LNG 프로젝트 현황 ········································································37

    이란 LNG 프로젝트 현황 ············································································43

    알제리 천연가스 수출 현황(2005년) ··························································49

    노르웨이 천연가스 수출 현황(2006년) ······················································59

    중국의 LNG 인수기지 현황 ········································································66

    천연가스 소비 추이 ·····················································································75

    제8차 장기 천연가스 수요전망 ·································································76

    북미 지역의 LNG 인수기지 현황 ····························································78

    영국 LNG 인수기지 현황 ··········································································81

    이탈리아 LNG 인수기지 현황 ··································································82

    스페인 LNG 인수기지 현황 ······································································83

    프랑스 LNG 인수기지 현황 ······································································84

    OECD 국가의 천연가스 소비 및 공급 현황 ··········································92

  • - -v

    그 림 목 차

    [그림 1] 세계 1차 에너지 수요 전망 ·········································································1

    [그림 2] OECD 국가들의 에너지 수요 ······································································2

    [그림 3] 지역별 천연가스 매장량 분포 ·····································································3

    [그림 4] 지역별 천연가스 생산 현황 ·········································································4

    [그림 5] 지역별 천연가스 수요 현황 ·······································································5

    [그림 6] 세계 천연가스 수요 전망 ·············································································6

    [그림 7] 지역간 거래 형태 ···························································································7

    [그림 8] 2006년 LNG 수요 증가 현황 ······································································8

    [그림 9] 지역별 재액화 설비용량 예상추이 ···························································10

    [그림 10] 2006년 LNG 공급 증가 현황 ··································································11

    [그림 11] 인도네시아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 (1984~2004년) ····························14

    [그림 12] 국가별 LNG 수출량(1995~2005년) ·························································15

    [그림 13] 인도네시아의 LNG 수출량 전망 ····························································18

    [그림 14] 아․태 지역 확인매장량(2007년 1월 기준) ···········································21

    [그림 15] 호주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84~2004년) ··········································21

    [그림 16] 국가별 LNG 수출량(2005년) ··································································23

    [그림 17] 호주 가스매장지 및 가스매장량 비율(’04년) ·······································23

    [그림 18] 남 아시아 지역 확인매장량 및 생산량 ·················································27

    [그림 19] 말레이시아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90~2004) ··································27

    [그림 20] 말레시이아 LNG 수출 현황(2005년) ······················································28

    [그림 21] 브루나이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94~2004) ······································30

    [그림 22] 러시아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92~2009년) ······································32

    [그림 23] 천연가스 확인매장량(2007년 1월) ···························································35

    [그림 24] 카타르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95~2005) ··········································36

    [그림 25] 카타르 LNG 수출량(1997~2005) ·····························································36

    [그림 26] 오만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95~2005) ··············································40

  • - -vi

    [그림 27] 중동지역 천연가스 확인매장량(2007년 1월) ·········································41

    [그림 28] UAE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95~2005년) ··········································41

    [그림 29] 아프리카 천연가스 확인매장량(2007년) ·················································46

    [그림 30] 알제리 석유 및 천연가스 생산 추이(1984~2004년) ····························47

    [그림 31] 알제리 LNG의 주요 수요처 ····································································48

    [그림 32] 서아프리카 가스 파이프라인 ·································································51

    [그림 33] 이집트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 추이 ·····················································52

    [그림 34] 리비아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85~2005년) ······································54

    [그림 35] 노르웨이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84~2004년) ································58

    [그림 36] 트리니다드 토바고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 ·········································61

    [그림 37] 일본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84~2004년) ··········································62

    [그림 38] 일본의 LNG 도입선별 수입 비중(2005년) ············································63

    [그림 39] 대만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84~2004년) ··········································64

    [그림 40] 아․태 지역 LNG 수입 현황(2004년) ····················································64

    [그림 41] 중국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90~2005년) ··········································65

    [그림 42] 중국의 주요 가스 파이프라인 루트 ·······················································69

    [그림 43] 아․태 지역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2004년) ·······································70

    [그림 44] 아․태 지역 LNG 수입량(2005년) ··························································71

    [그림 45] 인도의 LNG 인수기지 현황 ····································································72

    [그림 46] 국가별 LNG 수입량(2005년) ····································································73

    [그림 47] 한국 수입원별 LNG 도입 물량(2005년, Bcf) ·······································74

    [그림 48] 천연가스 수요패턴 ·····················································································75

    [그림 49] 북미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2004년) ·····················································77

    [그림 50] 영국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83~2003년) ··········································80

    [그림 51] 유럽 천연가스 소비 상위 5위 국가(2004년) ·········································82

    [그림 52] OECD 유럽 가스 수급전망(2000~2030년) ·········································90

    [그림 53] OECD 국가의 수입원 형태 ······································································93

  • - 1-

    I. 세계 LNG 수급 현황

    1. 세계 천연가스 수급 현황

    1) 1차 에너지 수요

    ◦ 2004년을 기준으로 전 세계 1차 에너지 수요는 11,204 Mtoe이며, 천

    연가스는 19.2% 비중을 차지하며 소비량은 2,302 Mtoe에 이름.

    ◦ 1970년대 두 차례에 걸친 오일쇼크 이후 석유비중은 1980년 42.8%에

    서 2004년에는 36.4%로 감소하였으며 천연가스는 17.0%에서 19.2%

    로 확대되었음.

    ◦ IEA는 1차 에너지 수요가 2030년까지 연평균 1.64%씩 증가하여

    17,095 Mtoe에 다다를 것이며 천연가스 수요비중은 22.6%로 전망하

    였고, 특히, 개발도상국에서의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할 것이며 연평

    균 증가율은 3.73%로 예측함.

    World primary energy demand

    -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8,000

    1980

    1990

    2004

    2010

    2015

    2030

    Mto

    e

    Other renewablesBiomass and wasteHydroNuclearGasCoalOil

    [그림 1] 세계 1차 에너지 수요 전망

  • - 2-

    ◦ OECD 국가들의 경우, 2005년부터 2030까지 전체 에너지 수요 증가

    율은 연평균 0.87%로 전망하고 있으나 천연가스는 1.25%로 타 에너

    지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추정됨.

    OECD primary energy demand

    -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1973

    1980

    1990

    1995

    2005

    2015

    2030

    Mto

    e

    OthersGasCoalOil

    [그림 2] OECD 국가들의 에너지 수요

    2) 천연가스 매장량 및 분포

    ◦ 세계 천연가스 확인매장량은 172,973 Bcm1)으로, 2005년 생산량을 기

    준으로 약 62년간 사용할 수 있는 물량임.2)

    ◦ 확인매장량은 1990년과 비교하면 2005년에 45.5% 증가하였고 절반

    이상이 중동지역 매장량에 해당함.

    ◦ 세계 천연가스 매장량의 70% 이상이 2개 지역(중동지역 약 41%,

    OECD를 제외한 유럽지역 32%)에 편중되어 있으며, 특히 러시아, 이

    1) Bcm : 10억 입방미터(Billion cubic meters)

    2) 2005년 기준 매장량/생산량(R/P) 비율『Oil & Gas Journal』

  • - 3-

    란, 카타르 3개국에 세계 전체 매장량의 56%가 매장되어 있음.

    ◦ 지역별 매장량 분포는 [그림 3]에서 보듯이 중동지역 41.97%, OECD

    를 제외한 유럽지역 32.05%, OECD 8%, 아프리카 7.95%, 아시아

    5.92%, 라틴아메리카 4.10% 임.

    19902004

    2005

    -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70,000

    80,000

    bcm

    World reserves of natural gas

    OECD North AmericaOECD EuropeOECD PacificLatin AmericaAsiaAfricaOther EuropeMiddle east

    [그림 3] 지역별 천연가스 매장량 분포

    3) 천연가스 생산

    ◦ 2005년의 세계 천연가스 생산량은 2,763 Bcm으로 1995년 이래 연평균

    2.58%씩 증가하였음. IEA는 세계 천연가스 생산량이 향후 5년간 연

    2.4%씩 증가하여 2010년에는 3.2 Tcm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2005년 지역별 생산량은 북미 750.6 Bcm, 유럽/유라시아 1061.1

    Bcm, 중남미 135.6 Bcm, 중동지역 292.5 Bcm, 아프리카 163.0 Bcm,

    아시아 360.1 Bcm 임.

  • - 4-

    Natural Gas Production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bcm

    North AmericaS. & Cent. AmericaEurope & EurasiaMiddle EastAfricaAsia Pacific

    [그림 4] 지역별 천연가스 생산 현황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06

    ◦ 2005년 생산량은 북미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2004년 대비 상

    승하였으며 IEA에 따르면, 세계 천연가스 생산량 중 OECD 회원국

    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44%에서 2010년에는 34%로 감소할 것으

    로 전망됨.3)

    4) 천연가스 수요

    ◦ 2005년의 세계 천연가스 수요는 2,749.6 Bcm으로, 전년 대비 2.04%

    증가하였으며, 1995년 이후 연평균 2.48% 증가하여 타 화석연료에

    비해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4)

    ◦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수요는 중국과 인도의 경우 고도의 경제

    성장과 아울러 빠른 수요증가로 인해 전년 대비 7.5%, 최근 10년간

    6.46%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반면에 북미지역은 전년 대비 천연가

    3) BP(2006).

    4) BP(2006).

  • - 5-

    스 수요가 감소한 유일한 지역임.

    ◦ 지역별 수요 현황을 살펴보면 유럽/유라시아 40.8%, 북미 28.2%, 아

    시아태평양 14.8%, 중동, 남미, 아프리카 순으로 큰 수요비중을 차지

    하고 있음. IEA에서는 2004~2030년 동안 세계 천연가스 수요는 연평

    균 2.0%씩 증가하여 2030년에는 4,663 Bcm이 될 것으로 전망하였

    음.5)

    Natural Gas Consumption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bcm

    North AmericaS. & Cent. AmericaEurope & EurasiaMiddle EastAfricaAsia Pacific

    [그림 5] 지역별 천연가스 수요 현황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06

    ◦ 세계의 천연가스 수요는 1980년 1,512 Bcm에서 2005년 2,864 Bcm으

    로 연평균 2.48%의 증가율을 보여 동 기간 석유(1.0%)나 석탄(2.0%)

    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였음.

    ◦ 지역별 수요 증가 추세를 살펴보면, 최근 10년간 아·태지역은 연평균

    6.46%, 중동지역은 5.88%의 높은 증가를 보인 반면, 북미지역은

    0.37%의 낮은 증가세를 보였으며, 유럽지역은 1.9%로 세계 평균보다

    다소 낮은 증가율을 보임.

    5) IEA(2006, p.34) 참조

  • - 6-

    World natural gas demand

    -

    500

    1,000

    1,500

    2,000

    2,500

    1980

    2004

    2010

    2015

    2030

    bcm

    OECDDeveloping countriesTransition economies

    [그림 6] 세계 천연가스 수요 전망

    자료: BP(2006)

    ◦ 세계 1차 에너지공급 중 천연가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21%임. 북미

    및 유럽지역에서 천연가스가 1차 에너지공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23.5%와 23%이며, 아·태지역의 OECD 회원국에서의 천연가스

    비중은 14%임.

  • - 7-

    2. 천연가스 교역 현황

    1) 천연가스 교역 현황

    ◦ 2005년 국제 천연가스 교역량은 721.5 Bcm으로 이 가운데 파이프라

    인에 의한(PNG) 교역량은 532.7 Bcm, LNG 교역량은 188.8 Bcm으로

    LNG 교역량이 천연가스 교역량의 26%를 차지하였음.6)

    ◦ [그림 7]에서 보면 IEA는 향후 LNG교역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30년에는 50%를 상회할 것으로 예측함. 이는 LNG 생산, 수송, 이

    용과 관련한 기술의 발달로 상대적인 경쟁력이 강화된데 따른 것으

    로 역내시장 중심의 천연가스 교역이 글로벌 시장으로 진전될 것임

    을 시사하고 있음.

    [그림 7] 지역간 거래 형태

    ◦ 주요 PNG 수출국은 러시아, 캐나다, 노르웨이이며, 2005년 기준 각

    각 세계 PNG 수출량의 28.4%, 19.6%, 14.9%를 차지하였고, PNG 주

    요 수입국은 미국,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이며, 2005년 기준 각각 세

    6) BP(2006) 참조

  • - 8-

    계 총 PNG 교역량의 19.6%, 17.0%, 13.3%, 6.8%를 차지하였음. 미국

    은 수입량의 99%를 캐나다로부터 수입하였으며, 유럽국들의 경우,

    수입량의 최소 30% 이상을 러시아로부터 수입하고 있는 실정임.

    ◦ 2006년 현재 LNG 수출국은 총 13개 국가이나 인도네시아, 말레이

    시아, 카타르, 알제리, 호주, 트리니다드토바고, 나이지리아 등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 수출국이라 할 수 있음.

    ◦ LNG 수입국은 총 16개 국가이며 일본, 한국, 스페인, 미국, 프랑스

    순으로 수입량 기준으로 큰 비중을 차지함.

    2) 2006년 LNG 시장

    ◦ 2006년 세계 LNG 수요는 전년비 약 1,540만 톤(11%) 증가함. [그림

    8]을 보면 유럽지역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15.1%) 아시아지역은

    11.0%임.

    [그림 8] 2006년 LNG 수요 증가 현황

    출처 : FACTS Global Energy, GAS INSIGHT(2007. 3)

  • - 9-

    ◦ 주요 LNG 소비국이 아시아 지역에 위치하므로 물량 기준(1,010만

    톤)으로 이 지역이 가장 큰 증가세를 보임.

    알래스카 호주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아부다비 카타르 오만 알제리 리비아 이집트 트리니다드 나이지리아 기타 계

    일본 1.17 12.16 6.50 13.99 12.02 5.31 7.48 2.37 0.18 0.51 0.33 0.17 62.19

    한국 0.58 0.79 5.06 5.59 6.74 5.44 0.25 0.99 0.05 0.12 25.61

    대만 0.22 3.23 3.30 0.38 0.20 0.12 0.42 0.06 7.71

    인도 0.12 0.06 0.06 5.19 0.19 0.06 0.42 0.06 6.16

    중국 0.75 0.75

    프랑스 0.43 5.19 1.83 0.05 3.34 0.13 10.96

    스페인 0.06 3.88 0.44 2.76 0.52 3.15 2.43 5.31 -0.18 18.37

    포르투갈 1.74 1.74

    터키 2.59 0.81 3.40

    벨기에 0.05 0.31 2.21 0.30 0.12 0.18 .3.15

    이탈리아 0.03 2.26 0.06 0.05 2.39

    그리스 0.41 0.41

    영국 0.05 1.35 0.66 0.50 2.55

    노르웨이 0.06 0.06

    미국 0.36 2.45 7.99 1.18 11.98

    푸에르토

    리코0.53 0.53

    도미니카 0.25 0.00 0.25

    멕시코 0.06 0.06 0.17 0.30 0.59

    계 1.17 13.88 7.30 22.28 21.02 5.37 24.54 8.64 17.72 0.52 10.61 12.60 13.14 0.00158.7

    9

    출처 : LNG Focus

    세계 LNG 교역현황(2006년)

    (단위 : 백만 톤/년)

    ◦ 미국은 따뜻한 날씨와 재고량의 여유로 LNG수입 수요가 실질적으

    로는 100만 톤(7.6%) 감소함. 이에 따른 가격 안정으로 여유 물량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였는데, 상당량이 아시아지역으로 전환됨.

    ◦ 2006년 유럽지역의 수입량은 전년대비 560만 톤 증가하였으며 특히

    영국이 가장 크게 증가였는데, Isle of Grain 터미널이 연중 가동을

    시작하였고, 전년대비 수요도 크게 증가했기 때문임.

  • - 10-

    ◦ 유럽대륙에서는 프랑스가 140만톤(13%), 벨기에가 110만 톤(49%) 증

    가하였으며 스페인은 지역 내 최대시장으로 1,840만 톤을 수입하였

    으나 증가율은 전년대비 3%에 해당함.

    ◦ 2005~06년 동절기에 평년보다는 추웠던 날씨로 인해 스페인은 2006

    년 전반기 LNG 수요가 증가하였음. 하지만, 높은 가격과 수력발전의

    증가, 후반기 따뜻한 기후로 수요가 줄면서 2006년 후반부에는 LNG

    수입량이 감소함.

    [그림 9] 지역별 재액화 설비용량 예상추이

    자료 : IEA, Natural Gas Market Review 2007

    ◦ 아시아지역에서는 2006년 LNG 수입량이 전년대비 1,010만 톤 증가

    하였는데 물량으로는 일본이 410만 톤으로 가장 크고 한국이 300만

    톤으로 뒤를 이음.

    ◦ 이 두 나라에서는 기회가 날 때마다 산업용과 발전용으로, 석유를 대

    체해서 단위가격이 저렴한 LNG로 연료를 전환해 왔음.

    ◦ 타이완은 LNG수입이 꾸준히 성장해서 77만 톤(8.6% 증가)이 되었

    고, 인도는 가장 큰 증가율(37.2%)을 보이며 2006년 수요가 620만 톤

    에 이르렀는데 LNG수입이 증가한 것은 LNG가 나프타와 비교해서

  • - 11-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현물 수입을 크게 늘렸기 때문임.

    ◦ 중국은 2006년 5월에 광동 LNG 터미날의 가동을 개시하면서, 아시

    아의 5번째 LNG 수입국이 됨. 향후 수년간 중국의 LNG 수입은 증

    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지난 몇 년 동안 가격이 너무 올랐기 때문

    에 지난 전망치만큼 급증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임.

    ◦ 미국의 경우 Shell이 운영하는 Altamira터미널의 가동개시에도 불구

    하고 앞서 언급된 것처럼 LNG 수입량은 2.3% 줌.

    ◦ 2006년 세계적 LNG 공급은 전년대비 1,570만 톤(11%) 증가하였는데

    만약 인도네시아, 나이지리아, 오만, 카타르, 트리니다드에서 계획 중

    인 프로젝트들이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10%이상 더 높았을 것임.

    ◦ 아래 [그림 10]에 나타나있듯이 물량기준으로는 대서양 분지가 가장

    크고(930만 톤), 중동(540만 톤), 아시아(100만 톤)가 순으로 공급량이

    많음.

    [그림 10] 2006년 LNG 공급 증가 현황

    출처 : FACTS Global Energy, GAS INSIGHT(2007. 3)

  • - 12-

    ◦ 알제리는 2006년에 전년대비 220만 톤이 감소했으나 대서양 분지에

    서는 아직 최대 수출국지위를 유지함. 이 지역에서 공급물량이 가장

    크게 증가한 국가는 이집트(520만 톤)이며, 2기의 액화플랜트가 연중

    가동한데 기인함.

    ◦ 나이지리아도 큰 증가율을 보였는데, NLNG 트레인Ⅳ를 1월에, 트레

    인Ⅴ를 5월에 가동하기 시작했기 때문임. Feedgas(원료가스)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더 높은 증가세를 보였을 것임.

    ◦ 트리니다드도 트레인Ⅳ를 1월에 가동개시하면서 견실하게 증가(240만

    톤)하였는데 상류부문의 문제로 생산량이 가용능력에 미치지 못함.

    ◦ 중동에서의 LNG 공급은, 카타르와 오만에서의 생산이 지속적으로

    늘어나 전체 공급량이 증가함.

    ◦ 태평양 분지에서는 Darwin LNG가 2006년 2월 가동을 개시하여, 호

    주의 생산량이 증가했는데 기타 지역에서의 상황은 좋지 않은 실정

    임. 특히,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등의 주요 수출국들의 생산량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 LNG 시장이 최근 급성장하면서 여러 가지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

    는데, LNG 프로젝트 개발비용은 기술발전과 프로젝트 대형화에 힘

    입어 계속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최근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계약관행의 유연성 증대에 따른 지역 간의 재정거래(arbitrage)의 증

    가, 지역 및 계절 간 수급 불균형 해소 등의 요인으로 인해 현물시장

    규모가 1998~2005년 기간에 약 10배 증가되었고, 세계 LNG 교역에

    서 LNG 현물거래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11%에 이름.

    ◦ 미국, 유럽의 LNG 수요증대 전망에 따라 현물거래용 물량을 유보해

    두며, LNG 시장의 유동성 확대 추세에 따른 물량인도(off-take)의 불

    확실성 위험을 완충하고 하류부문의 부가가치를 획득하기 위해 하류

  • - 13-

    부문으로 진출을 확대하는 등 공급자들의 LNG 사업전략이 변화하

    고 있음.

    ◦ 한편 수요 측에서도 E&P도입의 부가가치 창출, 가격위험 방지, 소요

    물량의 적기 도입을 위해 상류부문에 적극 참여하는 등 영역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음.

    ◦ 근래의 장기계약은, 20년 이상의 계약기간, ex-ship 인도조건 및 85%

    정도의 유가연동비율, 엄격한 도착지조항 및 제한적인 계절별 항차

    등으로 특징 지워지는 2000년 이전의 전통적 계약 형태에서 탈피하

    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가격수준은 2000년 이전의 전통적인 계약가격 수준보다는 낮지만,

    고유가 상황의 지속, 세계 LNG 수요의 증가 및 중·단기 공급압박 상

    황 등을 반영하여 2005년 상반기까지와는 매우 다른 양상이 나타나

    고 있음.

  • - 14-

    II. LNG 생산국 현황

    1. 아시아․태평양 지역

    1) 인도네시아

    ◦ 천연가스 매장량

    - 인도네시아의 확인매장량은 2007년 1월 기준으로 97.8 Tcf임.7)8) 이

    는 세계 10위, 아․태 지역에서의 1위 규모임. 매장량 대부분은

    Natuna섬과 동부 Kalimantan, 남부 Sumatra, 서부 Papua에 위치하

    고 있음.

    - 2004년 인도네시아 천연가스 생산량은 2.6 Tcf, 자국 소비는 1.3 Tcf

    를 기록하였음. 이중 LNG 수출은 1.2 Tcf임.

    - 최근 인도네시아 석유생산의 감소로 인하여 자국의 천연가스로 대

    체하고 있으나 국내 수송 및 배관망 인프라의 부족으로 천연가스

    보급에 장애를 겪고 있음.

    [그림 11] 인도네시아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84~2004년)

    7) Tcf : 1조 입방피트(trillion cubic feet)로 약 28.3 Bcm

    8) 각국의 천연가스 매장량은 Oil & Gas Journal 참조

  • - 15-

    ◦ LNG 프로젝트 현황

    - 1977년 첫 수출을 시작한 후 아․태 LNG 시장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의 수출물량은 1999년 38 Bcm(2,800만 톤)

    으로 최고를 기록하였고, 2003년 35 Bcm(2,600만 톤)으로 점차 감소

    하고 있음.

    - 2005년 LNG 수출은 2,300만 톤을 기록하였으며 세계 LNG 수출의

    약 16%를 차지함.

    - Arun 액화플랜트에서의 생산 뿐만 아니라 가스 매장량도 점차 줄

    어들고 있음.

    - 인도네시아는 22년간 세계 최대 LNG 수출국의 지위를 유지하였으

    나 2006년에 카타르가 최대수출국 위치를 차지함.

    [그림 12] 국가별 LNG 수출량(1995~2005년)

    - 인도네시아 LNG는 대부분 장기계약으로 판매되고 있음. 일본 61%,

    한국 26%, 대만 13%를 차지함. 일부 Arun 계약기간은 2007년 만료

    될 예정이며, Bontang 계약기간은 2011년에서 2018년임.

    ◦ Bontang 프로젝트

  • - 16-

    - Bontang은 동부 Badak, Kalimantan에 위치하며 1977년 첫 LNG 수

    출을 시작하였음. 총 8개 트레인으로 용량은 21.6 Mtpa9) 규모임. 운

    영사는 NGL이며, 지분구조는 Pertamina 55%, Vico(BP-Eni 합작회

    사) 20%, Total 10%, JILCO 15%임.

    ◦ Arun 프로젝트

    - Arun은 북부 Sumatra에 위치하며 총 6개 트레인으로 용량은 10

    Mtpa임. 운영사는 Arun Natural Gas Liquefaction Company이며,

    지분구조는 Pertamina 55%, ExxonMobil 30%, JILCO 15%임.

    ◦ Tangguh 프로젝트

    - 추가로 2008년 완공예정으로 Papua 지역에 위치하는 Tangguh 프

    로젝트가 있음.

    - BP가 운영하며 지분구조는 BP 37.16%, CNOOC 16.96%, Mitsubishi

    16.3%, Nippon Oil 12.23%, KG 10%, LNG Japan 7.35%임.

    - 2개 트레인으로 최초 4.2 Mtpa에서 8.4 Mtpa로 생산을 확대할 계획

    임. 중국 Fujian LNG 프로젝트와 한국 K-Power, POSCO, 멕시코

    Sempra Energy와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하였음.

    - 인도네시아 Arun으로부터 0.83 Mtpa를 구매한 일본 Tohoku

    Electric은 2006년 12월 Tangguh LNG 합작회사로부터 0.12 Mtpa의

    heads of agreement(HOA)를 체결함. 계약기간은 15년으로 2010년

    부터 공급이 시작됨.

    - BP가 운영하는 Tangguh 프로젝트는 2008년부터 중국 Fujian 인수

    기지에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음.

    - 그밖에 한국과 2개 계약으로(Posco와 0.55 Mtpa, 0.6 Mtpa

    K-Power) 플랜트로부터 이미 생산을 시작하였음.

    - 멕시코의 Baja California의 Sempra의 Energia Costa Azul 인수기지

    9) Mtpa : 연간 백만 톤(Million tonnes per annum)

  • - 17-

    에 2008년부터 3.7 Mtpa의 공급계약을 체결하였음.

    - Tangguh 프로젝트 2개 트레인 추가 건설은 2006년 말에 55% 완료

    되었으며, 생산은 2008년 말에 시작될 예정임.

    ◦ Bontang 프로젝트 재계약

    - Pertamina는 2009년 말 만료되는 Bontang 프로젝트와 대만 CPC의

    1.5 Mtpa 계약을 연장하지 않을 것임을 2006년 12월에 발표하였음.

    동 계약은 일본이 우선권을 가질 것으로 언급하였음. CPC는 2017년

    만료되는 1.84 Mtpa의 또다른 계약이 있음.

    - 이후에 대만은 2010년 LNG 수요 전망을 2005년 전망한 13 Mtpa에

    서 약 20% 줄인 10.5 Mtpa로 발표함.

    - 일본 구매자는 2010-2011년 만료되는 인도네시아 공급계약의 12

    Mtpa 절반을 재계약하기를 희망하고 있음. 동 구매기업은 Kansai

    Electric, Chubu Electric, Kyushu Electric, Osaka Gas, Toho Gas

    and Nippon Steel임.

    - 양측은 재계약에 관한 논의를 2004년 6월 시작하였으며, 2005년 9월

    부분연장에 합의하였나 최종적인 합의는 이뤄지지 않음. 적어도 3

    Mtpa~6 Mtpa가 재계약될 전망임.

    ◦ LNG 생산량 감소

    - 천연가스 매장량 감소는 Bontang 액화플랜트에 공급하는 East

    Kalimantan 가스전에서 가장 두드러짐.

    - Vico와 Chevron으로부터의 천연가스 생산 감소로 인해 Bontang 플

    랜트는 최근 LNG 수출이 줄어듬.

    - Bontang 프로젝트 또한 LNG 생산이 기대에 못미치고 있음. 2007년

    이전에 체결한 계약물량에 비해 생산량은 11% 감소할 전망임.

    - 일부 인도네시아와 계약을 체결한 구매자는 향후 수년동안의 예상

    부족분을 구매하기 위해 분주한 상태임. 2008년 Tangguh 플랜트의

  • - 18-

    가동 시작 이전에는 LNG 생산 증대는 힘들 전망임.

    [그림 13] 인도네시아의 LNG 수출량 전망

    자료 : IEA, Natural Gas Market Review 2007

    - 2005년 초, 인도네시아 Pertamina는 일본, 한국, 대만과 장기계약에

    서 2005년 총 450 카고 중 51 카고에 대한 재계약 협상을 하였음.

    - 2005년 12월, BP Migas, 인도네시아 상류부문 규제기관과

    Pertamina는 총 61 카고 (Bontang 52 카고, Arun 9카고)가 줄어들

    것이라고 통지함.

    - 2007년 Bontang 플랜트의 계약 공급량은 359 카고에서 41 카고 적

    을 것으로 예상되며, Arun은 78 카고에서 12 카고 적을 것으로 예

    상됨. 이로 인해 2007년 최초 계약물량에서 12%가 감소됨.

    - 카고 감소량은 세계 LNG 거래(2005년 3,300 카고로 추정됨)의

    1.6~1.8%를 차지함.

    ◦ 인도네시아의 자국 우선 공급 정책

    - 2005년부터 인도네시아 정부는 장래에 천연가스 자국 공급 우선 정

    책을 표명함. 유가가 상승하자 석유 수입 의존도를 줄이기 원하고

  • - 19-

    있음.

    - 인도네시아의 국내 가스 가격이 국제가격의 1/3 수준임.

    - 외국기업은 인도네시아 정부의 저렴한 가격으로 국내시장에 판매강

    요를 우려하며 천연가스 개발을 꺼려하고 있음.

    - ‘유․가스법 2001'(The 2001 Oil and Gas Law)에 따라 모든 신규계

    약은 ’국내시장 공급의무‘를 반영해야 함. 가스 생산량의 25%를 인

    도네시아 국내 시장에 판매해야 함.

    - 동법의 실제 강제효력은 확실치 않음. 이러한 가스법안의 모호함은

    가스 생산 증대를 방해하고 있음.

    - 2007년 초 인도네시아는 국내 가스정책을 수정하였으며, 신규 정책

    은 지역 시장에 외국기업의 생산량에서 과거 언급된 25% 대신에 적

    어도 42%를 공급해야 할 것으로 예상됨.

    ◦ Central Sulawesi 프로젝트

    - Pertamina와 민간 상류부문 회사인 Medco Energi는 2006년 말에

    일본의 Mitshbishi와 2~2.5 Mtpa의 공급계약을 체결함. Central

    Sulawesi LNG 프로젝트는 2009~2010년 가동될 예정임.

    - 플랜트의 가스는 Petamina가 독자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Matindok

    광구와 Pertamina와 Medco가 소유하고 있는 Senoro 지역에서부터

    공급됨. 본 광구의 매장량은 68 Bcm으로 추정됨.

    ◦ Tangguh 확장 프로젝트

    - Tangguh 프로젝트는 3.8 Mtpa의 2기 트레인으로부터의 LNG 생산

    을 보충하기 위해 제3트레인 건설을 고려하고 있음. 이는 이미

    2008~2009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중임.

    - 일본 기업은 동 합작회사로부터의 확장 물량에 관심을 갖고 있음.

    Tangguh 프로젝트 참여기업은 인도네시아 국내시장에 2 Mtpa를

    제공할 수 있음. 자바에 위치한 국영 전력회사 PLN의 인수기지에

  • - 20-

    공급될 것으로 추정됨.

    ◦ Natuna 프로젝트

    - 2006년 말레이시아 국영기업 Petronas는 인도네시아의 Natuna

    D-Alpha 가스전에서부터 파이프라인 가스생산을 위해 Petramina와

    Exxonmobil과 논의를 가졌음.

    - 동 가스전으로부터 Malaysia LNG의 Bintulu complex 확장 트레인

    에 여분의 feed gas를 공급하기 위해 Sarawak섬에 파이프라인이 연

    결될 수 있음.

    - Pertamina는 가스전 광구에서 ExxonMobil과 생산물분배계약(PSA)

    이 취소된 이후에 PSA에 대해 재협상할 계획임.

    - 광구의 매장량은 222 Tcf로 이산화탄소 함유량이 70%로 추정되고

    있음. 약 1,300 Bcm의 가스는 회수될 것으로 보이나 CO2 분리는 매

    우 처리하기 힘든 공정임.

    ◦ Masela 광구 티모르 해 프로젝트

    - 인도네시아 관할의 티모르 해 Masela 광구는 일본 Inpex가 소유하

    고 있음. Inpex는 Abadi 가스전에서 2014년경 3 Mtpa의 충분한 가

    스를 발견했다고 발표하였음.

    - Inpex는 사전에 동 매장량은 인도네시아 액화 플랜트에 공급될 수

    있다고 발표하였으나 현재 Masela의 가스를 파이프라인을 통해

    3.3 Mtpa LNG 플랜트를 보유하고 있는 호주의 Darwin LNG 플랜

    트로의 공급 계획을 발표하였음.

    2) 호주

    ◦ 천연가스 매장량

    - 호주의 확인매장량은 2007년 1월 기준으로 30.4 Tcf임. 호주 해안분

  • - 21-

    지의 미개발 매장량은 130 Tcf로 추정되고 있음.

    - 매장량이 가장 풍부한 곳은 Northwest Shelf로 알려진 Carnarvon

    분지에 위치한 북서 해안이며, 그밖에 중앙호주에 위치한

    Cooper/Eromanga 분지, 남호주에 위치한 Bass/Gippsland 분지임.

    - 2004년 천연가스 생산량은 1,300 Bcf, 자국 소비는 931.3 Bcf를 기록

    하였음.

    [그림 14] 아․태 지역 확인매장량(2007년 1월 기준)

    [그림 15] 호주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84~2004년)

    ◦ LNG 프로젝트 현황

  • - 22-

    - 지난 10년간 호주의 LNG 수출은 58% 증가하였음. 2005년 1,380만 톤

    을 수출하였음. 주요 수입국은 일본으로 2005년 총 1,230 톤을 기록하

    였으며 한국, 대만, 인도 순임.

    프로젝트 운영자 위치생산능력

    (만톤/년)

    생산개시

    (예정)

    Darwin ConocoPhillips Darwin 350 2006년

    NWS(제1~2트레인)

    Woodside

    Burrup반도

    500 1989년

    NWS(제3트레인) 250 1992년

    NWS(제4트레인) 440 2004년

    NWS(제5트레인) 440 2008년말

    Pluto Burrup반도 500~600 2010년말

    Browse Browse Basin 700~1,500 2012~14년

    Sunrise - 700 -

    Gorgon Chevron Barrow 1,000 2011년말

    Pilbara BHP Billiton Onslow 600 2011년말

    Timor Sea LNG(Tassie Shoal)

    Methanol Australia 티모르해 300 2011년

    Ichthys Inpex Browse Basin 600 2012년

    합 계 6,210~7,110

    출처 : Mineral and Energy(2006년 11월), 각 사업자의 홈페이지 등.

    호주의 LNG 프로젝트 현황

    - 1989년 North West Shelf(현재 연간 16 Bcm 생산) 첫 가동이후

    2006년 Darwin 수출 플랜트 추가와 몇 개의 신규 및 확장 프로젝트

    가 2010년대 완공될 전망임. 그러나 환경승인, 높은 건설비용, 국내

    자원의 내수용 공급우선 정책 등 해결해야 할 장애물이 존재함.

  • - 23-

    [그림 16] 국가별 LNG 수출량(2005년)

    [그림 17] 호주 가스매장지 및 가스매장량 비율(’04년)

    ◦ Darwin 프로젝트

    - Darwin LNG 프로젝트는 2006년 초 일본에 LNG 수출을 시작하였

  • - 24-

    음. 프로젝트 규모는 최초 3.7 Mtpa이나 10 Mtpa 까지의 개발승인

    이 주어짐에 따라 대규모 확장이 가능함. 호주의 기존 액화플랜트와

    는 다르게 동 플랜트는 Darwin시에 있는 기존 인프라 시설과 인접

    하여 위치가 양호함.

    ◦ North West Shelf 프로젝트

    - NWSV(North West Shelf Venture)는 6개 회사로 이루어진 컨소시

    엄으로 Woodside가 운영함. 주요 수입국은 일본이며, 특별한 경우

    미국과 스페인, 한국으로 현물로 판매함.

    - 기존 North West Shelf(NWS) 1~3트레인과 일본 컨소시엄과의 구매

    계약은 연간 733만 톤에 이르며 2009년 3월에 만료될 예정임.

    - 양자간의 재계약 협상이 진행중이며, 현재 소수물량을 공급받고 있

    은 몇 개의 수입국도 포함하고 있음.

    - 구매가격은 예전 계약보다 높아질 전망이며 JCC 유가에 여전히 연

    동될 전망임.

    - 재계약에 따른 공급기간은 기존 계약이 20년인데 비하여 6~12년이

    될 것으로 보임. 증가한 가격과 짧은 기간, 감소한 물량과 같은 재계

    약의 특징은 현재 LNG 시장상황이 타이트함을 대변하고 있음.

    - NWS 프로젝트의 제5트레인이 현재 건설중임. 2008년 말 연간 440

    만 톤의 생산이 시작될 계획임. 제5트레인이 완료되면 호주의 LNG

    총 생산용량은 연간 1,630만 톤이 될 전망임. 이 중 170만 톤은 현물

    시장에 판매할 계획임.

    ◦ Pluto 프로젝트

    - 운영사인 Woodside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음. Burrup 반도에

    위치한 NWS 플랜트와 인접함.

    - 일본과 구매계약을 체결한후 2010년 생산을 목표로 2006년 가을에

    FEED(Front End Engineering Design)를 시작하였음. 이는 LNG 수

    출 계획중 가장 빠른 스케쥴임.

  • - 25-

    - 동 프로젝트의 용량은 5~6 Mtpa가 될 전망임. Woodside는 2007년

    초 NWS의 기존 설비의 공유가 불가하자 액화플랜트의 저장탱크

    건설를 위한 부지물색 작업을 시작함. 최종 투자 결정은 2007년 중

    반에 이뤄질 예정임.

    ◦ Gorgon 프로젝트

    - 15년간 진척사항이 없었던 Gorgon 프로젝트은 2005년 말 운영사

    Chevron이 일본과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상당한 진전을 보았음.

    - 동 프로젝트는 주 및 연방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으며 ’11년부터 서

    호주의 Barrow섬 터미널에서 연간 1,000만 톤의 수출 개시를 계획

    하고 있음.

    - Gorgon 프로젝트 지분구조는 Chevron 50%, Shell 25%,

    ExxonMobil 25% 이며 각각 LNG 지분비율별로 개별 판매를 통해

    매매계약을 체결하도록 되어 있음.

    - feedgas의 높은 이산화탄소 함유량과 부지선정의 환경문제, 엔지니

    어링 및 비용 문제로 인해 개발이 지연될 수 있음.

    - 주정부는 2006년 12월 환경허가를 승인하였음. 2006년 중반에 예정

    되었던 최종투자결정(FID)은 2007년에 이루어질 예정임.

    - Shell은 인도의 Gujarat State Petroleum사와 계약을 통해 Hazira

    LNG 터미널에 공급할 예정임. 또한 멕시코 Sempra 에너지사에 연

    간 760만 톤의 LNG 물량을 Energia Costa Azul 터미널에 공급할

    예정임.

    - 인도의 Petronet는 ExxonMobil과 Gorgon LNG 구매계약 체결을 희

    망하고 있음.

    ◦ Ichthys 프로젝트

    - 일본 Inpex가 2006년 8월 북서 호주 해안의 WA 285-P 가스 광구에

    가스매장량이 발견함에 따라 호주 연방정부는 Ichthys LNG 프로젝

  • - 26-

    트에 major project facilitation status를 부여하였음.

    - 2012년 연간 6백만 톤의 생산이 시작되며, Inpex는 일본의 기업과

    구매계약 협상을 시작하였음.

    - 프랑스 Total은 동 프로젝트 사업참여자로 지분 24%를 확보함.

    - Inpex는 2009년 초에 건설시작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최종투자결

    정은 2008년말에 이루어질 전망임.

    ◦ 서호주 주정부의 가스 정책

    - 2006년 10월 서호주 주정부는 미래 수요 충족을 위해 저비용의 국

    내 가스의 충분한 물량 확보에 초점을 두는 국내 가스공급 정책을

    발표함.

    - 주정부는 생산기업과 서호주 국내 시장에 LNG 생산의 15%에 동등

    한 물량을 공급하는 협상을 진행할 것으로 전망됨.

    - 주정부는 이미 동 정책으로 Pluto LNG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Woodside Energy와 협상하였음.

    - 연방정부 및 LNG 산업계는 이러한 정책에 대해 반대하고 있으며,

    시장메커니즘에 의한 결정을 주장하고 있음.

    - 연방 정부의 공동실무그룹이 설립되어 미래 가스공급에 대한 조사와

    국내 및 수출용 가스 공급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방안이 검토중임.

    3) 말레이시아

    ◦ 천연가스 매장량

    - 말레이시아의 확인매장량은 2007년 1월 기준으로 75 Tcf임.

    - 동부 말레이시아, 특히 Sarawak 해안에서 대부분의 천연가스가 생

    산됨.

  • - 27-

    - 2004년 천연가스 생산량은 2.20 Tcf, 자국 소비는 931.3 Bcf를 기록

    하였음.

    [그림 18] 남 아시아 지역 확인매장량 및 생산량

    [그림 19] 말레이시아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90~2004)

    ◦ LNG 프로젝트 현황

    - 2005년 2,120만 톤을 수출하였음. 세계 LNG 수출의 15%를 차지함.

    주요 수입국은 일본, 한국, 대만임.

  • - 28-

    [그림 20] 말레시이아 LNG 수출 현황 (2005년)

    - 말레시아는 3개의 LNG 수출 플랜트(MLNG, MLNG Dua, MLNG

    Tiga)를 보유하고 있음. 모두 동부 말레이시아에 있는 Bintulu에 위

    치하며 Sarawak에 위치한 해안 가스전에서 가스를 공급받음.

    - Bintulu LNG 플랜트의 용량은 총 연간 약 2,300만 톤으로 세계 최

    대 단일 생산 규모임. 1983년 일본으로의 수출이 시작되었음.

    프로젝트 지분구조생산능력

    (Mtpa)생산개시

    MLNGPetronas(65%), Shell (15%), Mitsubishi(15%)

    Sarawak 지방정부(5%)8.1 1983년

    MLNG DuaPetronas(60%), Shell (15%), Mitsubishi(15%)

    Sarawak 지방정부(10%)7.8 1996년

    MLNG TigaPetronas(60%), Shell (15%), Nipoon Oil(15%)

    Sarawak 지방정부(10%), Diamond Gas(5%)6.8 2003년

    출처 : Petronas

    말레이시아 LNG 프로젝트 현황

  • - 29-

    ◦ MLNG 계약

    - MLNG Dua로부터 일본 Chubu Electric과 2011~2030년 간 0.54

    Mtpa 공급계약과 Osaka Gas와 2009년부터 0.92 Mtpa 공급계약을

    체결하였음.

    - MLNG Tiga로부터 2009년 중국 상하이에 공급될 장기 판매 계약이

    체결되었음.

    ◦ MLNG Ⅳ 프로젝트

    - 2기의 트레인(6.8 Mtpa) 건설이 검토되고 있으며, 2013년에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4) 브루나이

    ◦ 천연가스 매장량

    - 브루나이의 확인매장량은 2007년 1월 기준으로 13.8 Tcf임.

    - 동부 말레이시아, 특히 Sarawak 해안에서 대부분의 천연가스가 생

    산됨.

    - 2004년 천연가스 생산량은 406 Bcf, 자국 소비는 71 Bcf를 기록하였

    음.

  • - 30-

    [그림 21] 브루나이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94~2004)

    ◦ LNG 프로젝트 현황

    - 1972년 아시아에서 최초 LNG 수출을 시작하였음. 2005년 680만 톤을

    수출하였음. 주요 수입국은 일본으로 2005년 총 수출량의 92%를 차

    지하며 나머지는 한국임.

    - Lumut에 LNG 플랜트를 보유하고 있으며 BLNG가 운영하고 있음.

    LNG 설비 용량은 7.2 Mtpa로 제6트레인 추가 건설이 계획되어 있음.

    ◦ BLNG 계약

    - 브루나이 정부와 Shell, Mitsubishi의 합작회사인 Brunei LNG는 5개

    의 트레인, 총 연간 720만 톤(144만 톤×5)의 용량을 보유하고 있음.

    - 한국 및 일본과 2013년까지 장기공급계약이 체결되어 있으며 미국

    및 스페인에 LNG 현물 판매를 하였음.

    ◦ BLNG 제6트레인

    - 제6트레인 추가 확장 논의가 장기간 이루어져왔으며 가동 개시 목

    표가 최초 2008년에서 2010년으로 변경되었음.

  • - 31-

    5) 파푸아뉴기니

    ◦ LNG 프로젝트 배경

    - 아․태 지역 LNG 시장에서 공급이 타이트해지고 LNG 가격이 상

    승함에 따라 파푸아뉴기니와 미얀마와 같은 잠재적인 공급국은 천

    연가스 개발을 시작하고 있음.

    - 호주로 PNG 수출을 계획하고 있었으나, LNG 프로젝트로 전환하여

    다수의 콘소시엄에 의한 LNG 개발이 계획되고 있음.

    ◦ LNG 프로젝트 현황

    - 호주의 AGL과 말레이시아의 Petronas가 2006년 여름 프로젝트 철

    회를 밝히자 ExxonMobil과 Oil Search에 의해 제안된 Torres 해협

    을 통과하여 호주 동부를 연결하는 파이프라인 계획은 2007년 초

    폐지되었음.

    - 주요 프로젝트로는 ExxonMobil 프로젝트, OilSearch/BG 프로젝트,

    InterOil 컨소시엄이 있음.

    ◦ ExxonMobil 프로젝트

    - 2007년 4월 Oil Search와 Santos, 일본 파푸아뉴기니석유가 사전 조

    사 계획에 참여하였음.

    - Hides 및 Jdha, Angore가스전에서 가스공급을 받으며 500만~650만

    Mtpa 규모의 LNG 플랜트를 건설중임. LNG 생산개시는 2012~2013

    년 예정임.

    ◦ OilSearch/BG 프로젝트

    - Oil Search는 작년 9월, BG와 MOU를 체결하였음. 생산규모는 350

    Mtpa로, Kutubu 등의 수반가스를 원료로 하여 2012년에 생산을 개

    시하여 아시아에 LNG를 판매할 계획임.

  • - 32-

    ◦ InterOil 컨소시엄

    - InterOil은 작년에 발견한 Elk가스전을 통해 LNG 사업을 검토하고

    있음. 생산규모는 400~900만 Mtpa로 2012년 생산개시를 목표로 하

    고 있음. 엔지니어링 평가 및 예비조사를 종료하고 현재 다수의

    EPC 계약업체와 교섭을 진행하고 있음.

    6) 러시아

    ◦ 천연가스 매장량

    - 러시아의 확인매장량은 2007년 1월 기준으로 1,680 Tcf로 세계 최대

    보유국가임.

    - 2004년 천연가스 생산량은 22.4 Tcf, 수출은 7.1 Tcf, 자국 소비는

    15.3 Tcf로 세계 최대 천연가스 생산국 및 수출국가임.

    [그림 22] 러시아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92~2009년)

    -

    ◦ LNG 프로젝트

    - 2009년경 북미지역 수출을 목표로 하는 5.3 Mtpa 규모의 Baltic 프

  • - 33-

    로젝트, 2012년경 유럽 및 북미로 수출하는 Shtockman LNG 프로

    젝트, 2008년 아․태 지역으로 960 Mtpa를 수출하는 SakhalinⅡ 프

    로젝트를 추진중에 있음.

    ◦ Sakhalin 프로젝트

    - 러시아해 사할린섬에 위치한 SakhalinⅡ 프로젝트는 2007년 4.9

    Mtpa인 제1트레인이 완공될 전망임.

    - 4.9 Mtpa의 제2트레인은 제1트레인이 완공된후 6개월 이내에 완료

    될 전망임. feedgas의 파이프라인 공급은 상류부문의 지연으로 2008

    년에 이루어질 전망임.

    - 동 프로젝트의 천연가스 매장량은 500 Bcm으로 추정됨. 일본 소비

    자는 비교적 가까운 수출 프로젝트로 수송비를 절감하는 이점을 갖

    고 있음.

    - SakhalinⅠ,Ⅱ 프로젝트는 러시아의 ’Duma'법이 2006년 7월 승인됨

    에 따라 Gazprom의 수출독점권이 부여됨.

    - 가스프롬은 2007년 4월 19일 미쯔이와 미쯔비시, 로열더치쉘이 주요

    지분을 양도함에 따라 SakhalinⅡ 프로젝트의 최대주주가 됨.

    - 2006년 12월, 미쯔이와 미쯔비시, 로열더치쉘이 소유한 프로젝트 지

    분(각각 25%, 20%, 55%)의 절반을 가스프롬에 판매한다는 합의를

    이행한 것임.

    - 이로써 가스프롬은 SakhalinⅡ 프로젝트의 지분 50%+1 주를 보유

    함에 따라 사할린 에너지의 최대 주주가 됨.

    • 러시아 정부는 SakhalinⅡ 프로젝트에 대한 영향력 강화의 수단

    으로 가스프롬의 참여확대와 환경평가승인 취소 및 보상금 요구

    등의 압력을 행사해 왔음.

    • 러시아가 재정의 어려움에 처해있을 때 SakhalinⅡ와 다른 2건의

    생산물분배계약(PSA)이 1990년대 중반에 체결되었음. 러시아정

    부는 외국기업이 이때에 부당한 이득을 취한 것으로 보고 있음.

  • - 34-

    프로젝트 참여회사 용량 판매지역

    SakhalinⅠ

    ExxonMobil, Sodeco(일본),

    ONGC(인도),

    Rosneft-Sakhalinmorneftgas

    8 Bcm PNG

    또는 LNG

    PNG : 중국

    LNG : 인도 및 일본

    SakhalinⅡGazprom, Shell, Mitsui,

    Mitubishi

    9.6 Mtpa

    LNG

    장기계약으로 한국,

    일본, 미국으로 판매

    SakhalinⅠ,Ⅱ 프로젝트 현황

    출처 : IEA, Natural Gas Market Review 2007

  • - 35-

    2. 중동 지역

    1) 카타르

    ◦ 천연가스 매장량

    - 카타르의 확인매장량은 2007년 1월 기준으로 910.5 Tcf임. 세계 총

    매장량의 15%를 차지하며 러시아, 이란에 이어 제 3위 국가임.

    - 대부분의 천연가스 매장량은 North Field 해안에 위치하며 확인매

    장량은 900 Tcf임.

    [그림 23] 국가별 천연가스 확인매장량(2007년 1월)

    - 2004년 천연가스 생산량은 1,536 Bcf, 자국 소비는 579 Bcf를 기록하

    였음.

  • - 36-

    [그림 24] 카타르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95~2005)

    ◦ LNG 프로젝트 현황

    - 1997년 최초 스페인에 약 120,000 톤의 LNG 수출을 시작하였음.

    2005년 2,010만 톤의 LNG를 수출하여 전세계 LNG 수출의 14.5%를

    차지하였음. 2005년 주요 수입국은 일본 650만 톤, 한국 660만 톤, 인

    도 440만 톤, 스페인 440만 톤, 미국 약 10만 톤임.

    -

    [그림 25] 카타르 LNG 수출량(1997~2005)

    - 2006년 인도네시아를 제치고 세계 최대 LNG 수출국이 되었으며, 2007

  • - 37-

    년 RasGas의 제 5 트레인이 완공됨에 따라 30.7 Mtpa 생산용량을 확보

    함. 2012년까지 77 Mtpa로 확대할 계획임.

    - LNG 프로젝트의 주체는 Qatargas와 Rasgas임. Qatargas는 카타르

    국영 석유회사 QP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Rasgas의 지분구조는 QP

    70%, ExxonMobil 30%임.

    - Qatargas 1~3 트레인, Rasgas 1~5 트레인이 가동 중에 있으며 다수

    의 확장 프로젝트가 건설 및 계획중에 있음.

    프로젝트 트레인 시작년도연간 생산량

    (10억 ㎥)계약

    최근 계약사항(연간 10억 ㎥)

    Qatargas 1~3 '97~'98 12.9 일본, 스페인

    QatargasⅡ4 ’08 10.6 영국

    일본 추부, ’08~’12년 (1.6) 계획

    5 ’08 10.6 영국프랑스 및 멕시코로 전환가능(5)

    QatargasⅢ 6 ’09 10.6 미국 한국, ’09년 (2.9) 계획

    QatargasⅣ 7 ’10 10.6 미국

    Rasgas 1~2 ’99 9.0 한국, 스페인

    RasgasⅡ

    3 ’04 6.4 인도

    4 ’05 6.4 인도, 한국 한국, ’07년 (2.9)

    5 ’07 6.4스페인, 이탈리아, 벨기에, 대만

    RasgasⅢ6 ’08 10.6 미국

    절반가량은 아시아로 전환될 계획

    7 ’09 10.6 미국

    출처 : IEA, Natural Gas Market Review 2007

    카타르 LNG 프로젝트 현황

    ◦ 아시아 시장으로의 판매

    - 메가 트레인(7.8 Mtpa) 프로젝트는 처음에 대부분 영국 및 미국으로

    의 판매를 목표로 하였으나 일부분은 한국, 일본, 대만으로 전환될

  • - 38-

    전망임.

    - 아시아 국가에 최근 물량의 대부분을 판매함으로써 카타르는 판매

    처를 다변화하여 유동성을 증대시킴.

    - QatarⅢ, RasgasⅡ로부터 한국과 연간 210만 톤의 2개의 장기공급

    계약을 체결함. 각각 2007년, 2009년에 시작함.

    - QatarⅡ로부터 일본과 2008년, 2012년 시작하는 연간 120만 톤의 중

    기판매계약을 체결함. 추가로 연간 7백만 톤의 계약이 협상중에 있음.

    - 카타르의 대규모 North field의 매장량 통합 관리에 대한 연구가

    2009년 완료될 예정임. 신규 주요 프로젝트는 이 연구 후에 결정될

    예정임.

    ◦ LNG 가격

    - Qatar LNG는 JCC(일본 수입유가) $60을 기준으로 $10.5~11.0

    /MMBtu을 적용하였음.

    - 반면에, 호주 North West Shelf LNG는 JCC $60을 기준으로

    $8/MMBtu을 적용하였는데, 이는 시장에 보다 합리적 신호를 제공

    하는 것으로 여겨져 국제적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음.

    - 일본 또한 장기계약으로 $8~$9.5/MMBtu를 고수하고 있음.

    ◦ 카타르의 전략과 장애요소

    - 카타르의 전략은 Qflex와 Qmax와 같은 대형 LNG 수송선이 아․

    태지역에 운영되기 전에 장기계약으로 높은 가격($10~$11/MMBtu)

    으로 가능한 많은 물량(연간 1,000~1,500만 톤)을 판매하는데 있음.

    - 아시아 지역(한국, 일본, 대만)으로 전환 가능한 물량은 수입원의 다

    양화로 한계가 있으며, 장기적으로 볼 때 이 지역으로 수출 가능한

    물량은 연간 약 1,500~2,000만 톤으로 전망됨.

    - 중국 및 인도의 경우, 적정가격에 대한 한계는 없다고 볼 수 있으나,

    국영 전력회사는 $3.50~3.75/MMBtu 가격 이상으로는 구매할 의사

  • - 39-

    가 없으며, 중국정부가 설정한 가격은 $5/MMBtu대임.

    - 호주의 NWS의 $8/MMBtu 가격은 아시아에서 가장 합리적인 계약

    으로 평가되어 신규 계약의 기준으로 작용할 전망임.

    - 수입국에 있어서 미국 Henry Hub 가격이 가격설정에 중요한 참고

    가 되고 있으며, Henry Hub 가격은 대략 $7~$9/MMBtu 선을 유지

    할 것이며, ’08~’09년에는 현 수준보다 하락할 것으로 전망됨.

    ◦ 카타르의 대안

    - 만약 카타르가 아시아지역으로의 대규모 수출 물량을 확보하는데

    실패한다면 첫째, Henry Hub 가격의 영향을 평가하고, 호주 NWS

    의 가격인 $8~$9/MMBtu를 반영하여 가격전략을 수정하는 것임.

    - 둘째, ’10년(기존 장기계약의 만료시점)에 구매자가 선회하여 높은

    가격을 지불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지금의 높은 수출가격을 유지하

    는 것임.

    2) 오만

    ◦ 천연가스 매장량

    - 오만의 확인매장량은 2007년 1월 기준으로 30 Tcf임.

    - 2004년 천연가스 생산량은 607 Bcf, 자국 소비는 239 Bcf를 기록하였음.

  • - 40-

    [그림 26] 오만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95~2005)

    ◦ LNG 프로젝트 현황

    - 2000년 OLNG에 의해 제 1, 2 트레인이 Qalhat에 설치되어 한국과 일

    본에 첫 LNG 수출을 시작하였음. 2005년 690만 톤의 LNG를 수출하

    였음. 2005년 주요 수입국은 한국 430만 톤, 스페인 120만 톤, 일본

    110만 톤이며 그밖에 현물거래로 프랑스, 인도, 대만, 미국에 판매하

    였음.

    - 오만은 총 3개의 LNG 트레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생산용량은 10

    Mtpa임.

    - OLNG는 2개의 트레인, 총 6.6 Mtpa를 운영하고 있음.

    - Qalhat LNG는 2006년 초 LNG 생산을 시작하였으며 총 용량은 3.3

    Mtpa임. 컨소시엄의 지분구조는 오만정부 52%, OLNG 40%, 스페

    인 Union Fenosa Gas 8%임.

    3) UAE

    ◦ 천연가스 매장량

  • - 41-

    - UAE의 확인매장량은 2007년 1월 기준으로 214 Tcf임. 중동지역에

    서 이란, 카타르, 사우디의 뒤를 이어 4위를 차지하고 있음.

    - 198.5 Tcf의 매장량이 Abu Dhabi에 위치하고 있음.

    [그림 27] 중동지역 천연가스 확인매장량(2007년 1월)

    - 2005년 천연가스 생산량은 1,659 Bcf, 자국 소비는 1,457 Bcf를 기록

    하였음.

    [그림 28] UAE 천연가스 생산 및 소비(1995~2005년)

  • - 42-

    ◦ LNG 프로젝트 현황

    - UAE 아부다비의 Das섬에 위치한 Adgas 프로젝트는 1977년 첫 생

    산을 시작하였으며, 이는 중동에서의 최초 LNG 수출 플랜트임. 현

    재 3개 트레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총 용량은 5.6 Mtpa임.

    - Adgas 프로젝트 지분구조는 Abu Dhabi National Oil

    Company(ADNOC) 70%, Mitsui 15%, BP 10%, Total 5%임.

    - 2005년 LNG 수출은 일본 259.6 Bcf, 스페인 10.9 Bcf, 한국 2.8 Bcf를

    기록하였음.

    4) 예멘

    ◦ 천연가스 매장량

    - 예멘의 확인매장량은 2007년 1월 기준으로 16.9 Tcf임.

    - 10.2 Tcf의 매장량이 Marib-Jawf 가스전에 집중되어 있음.

    - 예맨은 과거 투자부족과 수요처 확보의 어려움으로 아직 천연가스

    를 생산하지 않고 있음. 2004년 LNG 공급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LNG 프로젝트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음.

    ◦ LNG 프로젝트 현황

    - Yemen LNG는 2008년 말 첫 생산을 시작할 예정임.

    - 2개의 트레인으로 총 6.7 Mtpa 임. LNG 생산의 약 2/3 물량이 미

    국, 한국과 장기계약에 따라 판매될 예정임.

  • - 43-

    5) 이란

    ◦ 천연가스 매장량

    - 이란의 천연가스 확인매장량은 2007년 1월 기준으로 974 Tcf임. 러

    시아에 이어 세계 2위 매장량 보유 국가임. 62%의 이란 천연가스

    매장량이 비수반 가스전에 위치하며 개발되고 있지 않는 상태임.

    ◦ LNG 프로젝트 현황

    - LNG 프로젝트의 대부분이 이란 South Pars 가스전에서의 가스를

    이용하며 천연가스 매장량은 450 Tcf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란 총

    매장량의 47%를 차지함.

    - South Pars에서 NIOC LNG, Pars LNG, Persian LNG, Iran LNG

    프로젝트가 계획되고 있음.

    프로젝트 지분구조생산능력

    (만톤/년)

    생산개시

    (예정)

    NIOC LNG NIOC(65%), BG(15%) 10.0 2009년

    Pars LNG NIOC(40%), Total(36%), Petronas(24%) 10.0 2011년

    Persian LNG NIOC(50%), Shell(25%), Repsol(25%) 16.2 2010년

    Iran LNG NIOC(40%), BP(26%), Reliance of India(24%) 8.8 -

    출처 : IEA, Natural Gas Market Review 2007

    이란 LNG 프로젝트 현황

    ◦ NIOC LNG 프로젝트

    - 이란 최초의 LNG 프로젝트로 South Pars 제 12차 프로젝트의 천연

    가스를 기반으로 함. 2기 트레인에 총 10 Mtpa 생산용량으로 2010

    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음.

    ◦ Pars LNG 프로젝트

  • - 44-

    - South Pars 제 11차 프로젝트로부터의 가스를 공급받음. 트레인 2기

    의 총 생산용량 10.0 Mtpa이며 2011년부터 생산을 개시할 계획임.

    - Pars LNG 합작회사는 프랑스 Total, 말레이시아 Petronas, 이란

    Nation Iranian Oil Co.(NIOC)로 구성되어 있음. 동 프로젝트 참여

    기업은 2007년 10 Mtpa의 플랜트 건설에 대해 최종투자결정을 내릴

    예정임.

    - 태국의 국영기업 PTT는 2006년 여름 이란의 Pars LNG 프로젝트와

    2011년부터 20년간 3 Mtpa의 공급계약을 체결하였음. PTT는 태국

    의 동해안에 LNG 터미널 건설을 계획하고 있음.

    - 중국 PetroChina는 2006년 11월 25년간 3 Mtpa의 HOA를 체결함.

    ◦ Persian LNG 프로젝트

    - 2010년부터 South Pars 제13차 프로젝트로부터 LNG 생산할 계획이

    며, 2개 트레인으로 총 용량은 16.2 Mtpa 임

    ◦ Iran LNG 프로젝트

    - NIOC와 BP가 공동으로 South Pars 15차 프로젝트로부터 2기 트레

    인, 총 8.8 Mtpa를 건설하며 2010년부터 생산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

    지만 현재 잠정 보류 상태임.

    ◦ 기타

    - NIOC는 중국 CNOOC와 2006년 11월 $160억 소요의 North Pars

    가스전 개발 및 LNG 설비 건설 계약에 합의함.

    - NIOC는 또한 Selkh와 Southern Gesho 가스전 LNG 수출을 위한

    LNG 프로젝트에 호주 LNG Ltd와 2006년 11월 계약을 체결하였음.

    - 2006년 1월 말레시아 SKS 합작회사와 Golshan, Ferdows의 해상 가

    스전 개발 계약을 체결함.

    - 2007년 초 중국 CPNC와 $36억 소요의 South Pars 가스전 상류부

  • - 45-

    문 개발과 4.5 Mtpa LNG 프로젝트 개발계약을 체결함.

    - 그러나 이러한 협약에도 불구하고 NIOC는 LNG 개발에 진전을 보

    이지 않고 있음. 또한 국내 천연가스 수요의 증가 및 기존 PNG 수

    출물량 준수 등이 LNG 사업에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음.

  • - 46-

    3. 아프리카 지역

    1) 알제리

    ◦ 천연가스 매장량

    - 알제리의 천연가스 확인매장량은 2007년 1월 기준으로 161.7 Tcf임.

    세계 8위 매장량 보유 국가임. 알제리 최대 가스전은 Hassi R'Mel이

    며 확인매장량은 85 Tcf임.

    [그림 29] 아프리카 천연가스 확인매장량(2007년)

    - 2004년 천연가스 생산량은 2.8 Tcf, 자국 소비는 0.68 Tcf를 기록하였

    음. 알제리 정부는 국내 천연가스 소비를 장려하고 있으며 2004년 천

    연가스는 최종에너지 소비의 62%를 차지함.

  • - 47-

    [그림 30] 알제리 석유 및 천연가스 생산 추이(1984~2004년)

    ◦ LNG 프로젝트 현황

    - 알제리는 1964년 Arzew GL4Z 플랜트의 가동으로 세계 최초로

    LNG 생산을 시작하였음. 알제리는 세계 4위의 LNG 수출국가이며

    전세계 LNG 수출의 13%를 차지하고 있음.

    - Arzew GL4Z 프로젝트 3기 트레인, Bethioua 6기 트레인, Bethioua

    GL2Z 프로젝트 6기 트레인, Skikda 3개 트레인으로 총 18개 트레인

    에 총 생산용량 20 Mtpa를 보유하고 있음.

    - Skikda 플랜트 트레인은 6기였으나 3개 트레인이 2004년 1월 폭발

    사고로 유실되었음.

    - 신규 프로젝트로는 Skikda의 유실된 3기 트레인을 액화용량 4.5

    Mtpa인 1기 트레인으로 교체하는 Skikda 프로젝트(2010년 생산개

    시 목표)와 외국기업(Repsol, Gas Natural)이 알제리 LNG 프로젝트

    에 최초로 참여하며 2009년 11월 완공을 목표로 하는 생산용량 4.0

    Mtpa 트레인 1기의 Gassi Touil 프로젝트가 있음.

  • - 48-

    [그림 31] 알제리 LNG의 주요 수요처

    ◦ 알제리 LNG 도입 추진 국가

    - 브라질의 Petrobras는 볼리비아로부터의 천연가스 수입의존도를 줄

    이기 위해 이미 2기의 LNG 인수기지 건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알

    제리로부터의 LNG 수입을 추진하고 있음.

    - 폴란드는 러시아산 가스의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10년 또는 ’11년

    알제리로부터의 LNG 수입을 계획하고 있음.

    ◦ 대 이탈리아 수출

    - 이탈리아는 알제리산 천연가스 최대수입국으로 ’05년 274억 ㎥를

    수입하였음.

    - 알제리 Hassi R'Mel에서 튀니지를 통과하여 이탈리아 시실리를 연

    결하는 총 1,100㎞의 Transmed 가스관은 ’83년 완공되었으며, 연간

    262억 ㎥에서 323억 ㎥로 수송용량이 확대되었고, ’08년에 추가확대

    가 계획되어 있음.

    - 알제리 El Kal에서 이탈리아 Sardinia를 연결하는 Galsi 가스관의

    수송용량은 일일 2,800만 ㎥으로 다른 유럽국가에 천연가스 공급을

    가능케 하며, ’09년 완공될 예정임.

    • Galsi 가스관 컨소시엄은 이탈리아 Enel과 독일 Wintershall, 알

  • - 49-

    제리 국영기업 소나트라로 구성됨.

    국 가 물량(백만㎥) 비중

    이탈리아 27,439 44%

    스페인 14,328 23%

    프랑스 7,504 12%

    터키 3,794 6%

    포르투갈 2,747 5%

    미국 2,747 5%

    벨기에 2,690 4%

    기타(그리스, 영국) 878 1%

    알제리 천연가스 수출 현황(2005년)

    ◦ 대 스페인 수출

    - 스페인은 알제리산 천연가스의 두 번째 수입국으로 ’05년 143억 ㎥

    를 수입하였음.

    - 알제리 Hassi R'Mel에서 모로코를 거쳐 스페인을 연결하는

    Maghreb 가스관의 수송용량은 일일 2,322만 ㎥임.

    - 알제리-스페인을 연결하는 제2가스관 Medgaz는 올해 하반기에 건

    설이 시작되어 ’09년 완공될 예정으로 총 $12억이 소요될 전망이며,

    수송용량을 초기 일일 1,104만 ㎥에서 4,389만 ㎥로 확대할 계획임.

    • 동 가스관 사업의 컨소시엄은 알제리 소나트라(36%), 스페인

    Cepsa(20%), Iberdrola(20%), Endsea(12%), 프랑스 GdF(12%)로

    구성됨.

  • - 50-

    2) 나이지리아

    ◦ 천연가스 매장량

    - 알제리의 천연가스 확인매장량은 2007년 1월 기준으로 182 Tcf임.

    세계 7위 매장량 보유 국가임. 천연가스는 주로 니제르 델타에 위치

    하고 있음.

    - 2004년 천연가스 생산량은 770 Bcf, 자국 소비는 325 Bcf를 기록하였음.

    ◦ LNG 프로젝트 현황

    - 나이지리아는 1999년 9월 Bonny섬에 위치한 NLNG 프로젝트를 완

    공하여 첫 LNG 수출을 시작하였음.

    - 2006년 제5트레인을 추가하여 총 생산용량 17 Mtpa를 확보하였음.

    - 신규 프로젝트로는 NLNG 확장 프로젝트로 제 6, 7, 8 트레인 추가

    와 OKLNG 프로젝트, Brass 프로젝트가 있음.

    ◦ NLNG 확장 프로젝트

    - Nigeria LNG 4.1 Mtpa의 제6트레인이 2007년 말 가동을 목표로 건

    설중임.

    - 제6트레인에 이어 총 8 Mtpa로 제7, 8트레인 건설이 계획되어 있음.

    신규 설비에 대한 최종투자결정은 2007년 2/4분기로 연기되어 생산

    개시는 2011년 중반 또는 그후로 연장될 전망임.

    ◦ OKLNG 프로젝트

    - Olokola LNG(OKLNG)는 NNPC, BG, Chevron, Shell로 구성되어

    있음. 2011년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기 트레인으로 총 용량은

    11 Mtpa이며 플랜트 설계, 부지작업에 진전을 보임. 향후 4기 트레

    인으로 총 용량 22 Mtpa로 확장할 계획임.

    ◦ Brass LNG 프로젝트

  • - 51-

    - Brass LNG는 2기 트레인으로 총 용량 10 Mtpa이며 2011년 또는 이

    후로 생산을 시작할 전망임. Chevron이 포기한 프로젝트 지분을

    Total이 취득